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17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2013. 7

Upload: others

Post on 04-Oct-2019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2013. 7

Page 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Page 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제목 차례 -

제 1 장 환경보건 기술 개요 ·········································································································· 1

1.1 환경보건기술의 정의 ··············································································································· 1

1.2 환경보건기술의 범위 ··············································································································· 5

1.3 환경보건기술 분야 주요 이슈 및 기술분야 검토 ····························································· 7

1.3.1 환경보건 관련 메가트렌드 ································································································ 7

1.3.2 메가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보건 기술개발 방향 ·············································· 9

제 2 장 환경보건 국내 환경 분석 ······························································································ 13

2.1 환경보건 관련 국내·외 환경변화 ························································································ 13

2.1.1 국내 환경 현황 및 전망 ·································································································· 13

2.1.2 국내 주요 환경 이슈에 따른 환경보건 분야 전망과 시사점 ·································· 17

2.1.3 국외 환경 현황 및 전망 ·································································································· 18

2.2 국내 환경보건 정책 현황 ····································································································· 25

2.2.1 국내 환경보건 정책 ·········································································································· 25

2.2.2 환경보건 관련 국내 관련법 및 환경보건기술 개발 관련 내용 ······························ 26

3.2.3 국내 환경보건정책 현황 및 전망에 따른 시사점 분석 ············································ 30

제 3 장 환경보건 국내·외 기술동향 ··························································································· 31

3.1 기술개발 필요성 ····················································································································· 31

3.1.1 환경보건정책 수요를 뒷받침할 기술개발 ···································································· 31

3.1.2 정부 주도의 기술개발 필요성 ························································································ 33

3.2 기술수준 ··································································································································· 34

3.2.1 국내외 환경보건기술 수준 비교 ···················································································· 34

3.2.2 국외 환경 성과지수(EPI) 평가 결과 ·············································································· 36

3.3 국외 정책·기술동향 분석 및 전망 ······················································································ 40

3.3.1.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 관리 ······················································································· 40

3.3.2. 환경성질환 대응 ··············································································································· 61

3.3.3. 유해화학물질 위해 관리 ································································································· 80

Page 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3.4 국내 환경보건 주요 동향 ··································································································· 102

3.4.1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 102

3.4.2 환경성질환 대응 ·············································································································· 121

3.4.3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 135

제 4 장 종합 분석 ························································································································ 151

4.1 환경보건 R&D 관련 시사점 및 SWOT 분석 ································································· 151

4.2 국내 환경보건 분야 R&D 개선방안 ················································································ 154

4.2.1 생활환경 유해인자 분야 ································································································ 154

4.2.2 환경성질환 분야 ·············································································································· 157

4.2.3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분야 ························································································ 158

4.3 환경보건기술개발의 향후 기대효과 ················································································· 161

4.3.1 과학기술적 측면 ·············································································································· 161

4.3.2 정책적 측면 ······················································································································ 162

Page 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표 차례 -

[표 1-1] 환경보건 R&D 중점 역 도출 매트릭스 ····································································· 10

[표 1-2] 현재 및 미래사회 대비를 고려한 중점 기술분야 ······················································ 11

[표 2-1]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향 사례 ················································································ 13

[표 2-2] 연도별 대기환경기준 측정항목별 대기오염도 ·························································· 15

[표 2-3] 수계별 목표수질 달성률 추이 ······················································································ 16

[표 2-4] 먹는물 수질 추이 ············································································································ 17

[표 2-5] IPCC의 지구온난화의 향 전망 ··················································································· 18

[표 2-6] 환경보건 관련법 및 관련 내용 ······················································································ 27

[표 3-1] 위해성평가․관리 요소기술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 34

[표 3-2] 환경관리기술의 평가기술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 35

[표 3-3] 30대 기술 분야별 경쟁력 순위 변화 ········································································· 35

[표 3-4] 환경성과 지수 중 환경보건 관련지수 ········································································ 37

[표 3-5] 주요국가의 2010년도 EPI 순위 ··················································································· 37

[표 3-6] 우리나라의 환경성질환 부하를 평가하기 위한 내용 ················································ 38

[표 3-7] 미국 주요 환경보건정책 이슈 ······················································································ 40

[표 3-8] 미국 EPA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 41

[표 3-9] 미국 실내공기질 주요 기술 동향 ················································································ 44

[표 3-10] 미국의 석면에 대한 전략적 목표와 목적 ································································· 45

[표 3-11] 미국 실내공기질 시장 규모 ························································································· 48

[표 3-12] 미국 환경 관련 시장 규모 ························································································· 49

[표 3-13] 독일 실내공기 관련 법의 주요 오염원 ··································································· 50

[표 3-14] SCANVAC의 실내공기환경 분류 ··············································································· 50

[표 3-15] 유럽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 동향 ············································································· 52

[표 3-16] 깨끗한 공기 관련 환경전략 목적 및 세부사항 ····················································· 62

[표 3-17] 미국의 환경보건지표 ····································································································· 63

[표 3-18] 환경보건 관련 ORD 연구프로그램 ··········································································· 64

[표 3-19] 2009년 천식/COPD 치료비 분야별 비중 ································································ 67

[표 3-20] 유럽 환경보건정책 이행계획 ····················································································· 68

Page 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표 3-21] 환경보건전략 내용 ······································································································· 69

[표 3-22] 유럽의 환경보건지표 ··································································································· 71

[표 3-23] 미국의 녹색화학상 기술분야별 주요 시행효과 ····················································· 82

[표 3-24] 주요 연구/개발 역별로 도출된 연구 과제 ···························································· 83

[표 3-25] EMAP 프로그램 구성 ··································································································· 84

[표 3-26] POPs/EDCs 관련 미국 논문 발표 통계 ··································································· 86

[표 3-27] 기존 유럽 화학물질 관리체계와 REACH 비교 ····················································· 88

[표 3-28] 국 NHS에서 추천하는 가정용 화학물질 저감을 위한 대안 ··························· 90

[표 3-29] 유럽국가의 상업용 PCBs 처리 방법 ········································································· 92

[표 3-30] 유럽 화학산업 생산 증가율 추이 ··············································································· 93

[표 3-31] 일본의 화학물질 심사 및 제조 규제 내용 ······························································· 94

[표 3-32] 일본에서의 화학물질 종합평가 관리의 기술로드맵 목표 ····································· 96

[표 3-33] 일본 기술맵에서 과거/현재 및 미래의 기술개발 방향 ·········································· 97

[표 3-34] 실내공기질관리기본계획 6대 중점 추진 과제 ······················································· 104

[표 3-35] 실내공기질기본계획 중 환경보건 관련 주요 추진 전략 ··································· 104

[표 3-36] 제1차 대책 전후 환경기준 달성률 현황 ······························································· 106

[표 3-37] 석면, 전자파, 소음 진동 분야의 SCI 논문 수 ······················································ 107

[표 3-38] 환경미생물 관련 SCI 논문 수 ················································································· 108

[표 3-39] 차세대사업의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 ····································································· 109

[표 3-40] 2008~2010년 석면 관련 프로젝트 ········································································· 109

[표 3-41] 석면제품 취급업종에 대한 조사 ··············································································· 112

[표 3-42] 석면 관리 업무 관계부처 현황(정부, 2007) ··························································· 114

[표 3-43] G7 및 차세대사업의 소음진동 관련 연구 목록 ·················································· 114

[표 3-44] 환경보건정책 중 환경성질환 관련 추진실적 ························································· 122

[표 3-45] 환경성질환 관련 중점 추진과제 ············································································· 123

[표 3-46] 일별 사망자수에 대한 일별 기온 및 오존의 개별효과(서울) ····························· 127

[표 3-47] 환경부사업의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 ·················· 129

[표 3-48] 타부처 사업의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 ················ 130

[표 3-49] 아토피피부염/천식 키워드에 따른 우리나라 환경보건 관련 논문 발표 통계 130

[표 3-50] 환경성질환 진료비 및 환자수 ··················································································· 132

[표 3-51] 아토피피부염 관련 시장 동향 ················································································· 132

Page 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표 3-52] 바이오칩 응용분야별 예상시장 규모 ······································································· 133

[표 3-53] 화평법 평가대상 예상 물질 ······················································································· 139

[표 3-54] 환경보건 종합계획 중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관련 추진과제 ························· 139

[표 3-55] 유해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 주요 과제별 추진성과 ············································· 141

[표 3-56] 환경부사업의 유해화학물질 관련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 ················· 143

[표 3-57] 타부처 사업의 유해화학물질 관련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 ··············· 144

[표 3-58] 우리나라 유해화학물질 관련 논문 발표 통계 ······················································· 145

[표 3-59] 화학물질 유통량 현황(2006년 기준) ········································································ 147

[표 3-60] 국내 시험 분석시장 현황 ··························································································· 148

[표 4-1] 환경보건 분야 R&D의 SWOT 분석 ············································································ 153

[표 4-2]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기술 개발 추진 방향 ············································· 157

[표 4-3] 환경성질환 대응 기술 개발 추진 방향 ··································································· 158

[표 4-4]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기술 개발 추진 방향 ······················································· 160

Page 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그림 차례 -

[그림 1-1] 기술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 정의 ······································································ 2

[그림 1-2] 「환경보건법」의 범주 및 고려 필요 이슈 ·································································· 3

[그림 1-3] 환경보건 이슈 해결의 정책적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의 활용 ···························· 3

[그림 1-4] 환경보건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관련 법률 및 계획 ················································ 4

[그림 1-5] 환경유해인자와 인체/생태계 향의 연관관계 - ‘원인-경로- 향’ 연계도 ······ · 5

[그림 1-6] 환경보건기술의 기술적 범위 ························································································ 6

[그림 1-7] 환경보건 이슈와 연계된 매체 vs. 수용체의 매트릭스 ··········································· 9

[그림 2-1] OECD 회원국 오염원 배출 강도 현황 비교 ························································· 20

[그림 2-2] 현재 위협받고 있는 생물종의 비율 ········································································ 23

[그림 3-1] 정부주도의 기술개발 필요성 ······················································································ 34

[그림 3-2] 전자파 관련 SCI 논문 수 ···························································································· 46

[그림 3-3] 소음․진동 관련 SCI 논문 수 ····················································································· 47

[그림 3-4] 일본 환경성의 빛공해 개념도 ·················································································· 55

[그림 3-5] 터널 및 광산 등에서 먼지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 56

[그림 3-6] 일본 공기청정기 관련 시장 규모 예측 ···································································· 57

[그림 2-7] 세계 시장 및 일본의 전자파 노이즈 대책 관련 시장 규모 ································ 57

[그림 3-8] 환경성질환 관련 정책 수립 및 연구 수행 기관 ·················································· 61

[그림 2-9] 미국의 아토피피부염/천식 관련 SCI 논문 발표 현황 ········································ 67

[그림 3-10] 유럽의 천식 환자 증가 추이 예측 ······································································· 74

[그림 3-11] 천식 치료비 증가 추이 예측 ················································································· 75

[그림 3-12] 환경성 환경보건부 내 환경성질환 관련 조직 ················································· 75

[그림 3-13] 일본의 아토피피부염 환자 현황 ············································································· 77

[그림 3-14] 화학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위해성평가 및 위해도관리의 흐름 ····················· 97

[그림 3-15] 자동차 구동용 축전지 시장 예측 ··········································································· 99

[그림 3-16]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관련 국내 정책 ··················································· 102

[그림 3-17] 환경미생물 관련 기술분야별 SCI 논문 수 ······················································· 108

[그림 3-18]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 규모 ··················································································· 115

[그림 2-19] 국내 에어워셔 판매 추이 ······················································································· 116

Page 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그림 3-20] 국내 석면 및 석면함유 제품 수입량 추이 ······················································· 117

[그림 3-21] 국내 전자파 노이즈 대책 부품 시장규모 ··························································· 118

[그림 3-22]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관련 정책 방향 ················································· 119

[그림 3-23] 환경성질환 대응 관련 국내 정책 ········································································· 121

[그림 3-24] 환경성질환 관련 국내 정책 방향 ······································································· 134

[그림 3-25]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관련 국내 정책 ····························································· 136

[그림 3-26] 유해화학물질 관련 국내 정책 방향 ··································································· 149

[그림 4-1] 환경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 154

Page 1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 -

제 1 장 환경보건 기술 개요

1.1 환경보건기술의 정의

□ 법률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 정의

○ 「환경보건법」 제2조에 따른 ‘환경보건’에 대한 정의를 고려하면, 환경보건기술은 환경유

해인자가 사람의 건강과 생태계에 미치는 향을 조사·평가하고 이를 예방·관리하는 데

필요한 제반 기술로 정의할 수 있음

- 여기서 ‘환경유해인자’란 “「환경정책기본법」 제3조 제4호에 따른 환경오염1)과 「유해화

학물질 관리법」 제2조 제8호에 따른 유해화학물질2) 등”으로 정의하고 있어, 실질적으

로는 인체나 생태계에 유해 향을 미치는 환경부하(환경오염과 유해화학물질 등을 포

함) 가운데 환경부 소관 법률에 따라 환경부가 인체 건강 및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

향을 예방·관리하여야 하는 대상이 되는 환경부하로 정의할 수 있음

□ 기술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 정의

○ 환경부하3)는 환경 질(환경 향 범주)에 부정적인 향을 미치며, 악화된 환경 질은 다

시 보호대상(safe guard subject)에 부정적 향을 미치게 됨4)

- 환경 질(environmental quality)에 미치는 부정적인 향은 ‘중간점 레벨(midpoint

level)의 환경 향'으로5), 환경부하가 보호대상에 미치는 부정적 향은 ’종말점 레벨

(endpoint level)의 환경 향‘으로 볼 수 있음

○ 환경부하에 의한 부정적 향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할 ‘보호대상’으로는 ‘인체 건강

(human health)’이나 생물다양성 등 ‘생태계 건전성(ecosystem healthiness)’ 외에도 ‘사

회자산(social assets)’, 농·림·어업 등 ‘일차생산력(primary production)’을 들 수 있음6)

- 또한 이들 보호대상 중 환경보건 측면에서 고려할 보호대상은 ‘인체 건강’과 ‘생태계

건전성’으로 압축됨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해양오염, 방사능오염, 소음·진동, 악취, 일조방해 등으로서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

2) 유독물, 관찰물질, 취급제한물질 또는 취급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

3) 주요 환경부하로는 지구온난화 향물질 배출, 오존층 향물질 배출, 산성화 향물질 배출, 부화 향물질 배출, 광화학산화물 생성 향물질 배출, 인체독성 향물질 사용·배출, 생태계 독성 향물질 사용·배출, 자원 소비 등을 들 수 있음.

4) 박필주, 김만 : 대한환경공학회지, 32(5), 499, 2010.

5) 중간점 레벨(midpoint level)의 주요 환경 향으로는 지구온난화, 오존층 향, 산성화, 부 양화, 광화학산화물 생성, 인체 독성, 생태계 독성, 자원 소모 등을 들 수 있음.

6) 伊坪徳宏, 稲葉敦: ライフサイクル環境影響評価手法 - LIME-LCA, 環境会計, 環境効率のための評価手法․データベース, 産業環境管理協会, 2005.

Page 1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 -

[그림 1-1] 기술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은 보호대상으로서 ‘인체 건강’이나

‘생태계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환경부하(환경유해인자의 노출) 및

이로 인한 환경 향을 측정·모니터링하고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따른 인체·생태계 유

해 향을 평가·관리하며 ▲사전적 또는 사후적으로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따른 인체·생

태계 위해도를 줄이는 데 필요한 기술을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 즉, 기술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은 수용체로서 ‘인체’ 건강과 ‘생태계’ 건전성을 보

호·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기술로서, ①환경유해인자의 배출 및 수용체로의 노출

에 따라 발생하는 위해(risk)를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②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이

에 따른 위해성을 평가하며(exposure assessment, risk assessment), ③발생할 위해를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위해도를 관리하고(risk management) ④위해도를 줄이

기 위한 조치(risk reduction)를 취하는 데 필요한 제반 기술로 정의할 수 있음

□ 정책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 정의

○ 현행 「환경보건법」에 따른 환경보건 정책은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 환경성질환에

따른 건강피해 관리, 어린이 건강보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기후변화, 나노물질, 제품함유 유해물질 등 새로운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고려 및 조치가 필요하나 이를 다룰 수 있는 정책적 근거는 미비함

Page 1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 -

[그림 1-2] 「환경보건법」의 범주 및 고려 필요

이슈

- 환경보건기술이 정책적으로 지원 가능하며 새로운 이슈의 고려 하에서 ‘인체’ 건강과

‘생태계’ 건전성을 보호·유지하는데 필요한 명실상부한 제반 기술이 되기 위해서는 환

경보건기술의 개발 근거를 「환경보건법」·「환경보건정책 10개년 종합계획」뿐만 아니라

환경부 소관 환경보건 관련법률 및 환경보건기술개발과 관련된 국가 상위계획에서 법

적 근거를 확보할 필요

[그림 1-3] 환경보건 이슈 해결의 정책적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의 활용

Page 1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 -

○ 따라서 정책적 관점에서의 환경보건기술은 「환경보건법」·「환경보건 종합계획」뿐만 아니

라 환경부 소관 환경보건 관련법률 및 환경보건기술개발과 관련된 국가 상위계획에서

필요로 하는 인체 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기술로 정의할 수 있음

- 환경보건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환경부 소관 법률 및 환경보건기술개발과 관련

된 국가 상위계획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그림 1-4] 참조)

▪ 환경보건과 직접 관련된 환경부 소관 법률 : 「환경보건법」,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소음·진동관리법」,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법」,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 환경보건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환경부 소관 법률 : 「대기환경보전법」, 「토양환경보

전법」,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전기전자제품 및 자

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등

▪ 환경보건기술개발과 관련된 국가 상위계획 : 과학기술 기본계획(577 Initiative), 국

가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환경분야 녹색성장 실천계획,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

책, 기후변화 대응 국가 R&D 중장기 마스터플랜 등

[그림 1-4] 환경보건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관련 법률 및 계획

Page 1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 -

1.2 환경보건기술의 범위

□ 환경보건기술은 공공 이익 실현을 주 목적으로, 환경부 소관법률 및 국가상위계획 중 환경

부 담당분야에 근거하여 ‘환경보건정책 선진화’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

○ 사회문제화 되고 있거나 사회문제 우려가 있는 환경보건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보

건기술

○ 미래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발생이 예상되는 주요 환경보건 이슈로부터 인체 및 생태계

위해를 줄일 수 있는 환경보건기술

○ 「환경보건법」 시행,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 추진에 필요한 중점 환경보건기술

□ 환경성질환이나 삶의 질 악화와 관련된 환경보건 이슈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련의

환경보건기술을 개발

○ 각 환경이슈별 환경부하·환경 향 모니터링 → 위해성평가(risk assessment) → 위해도관

리(risk management) 및 위해도저감(risk reduction)에 이르는 일련의 환경보건 이슈 해

결 과정에 필요한 제반 기술

○ 또한 환경성질환 등 인체·생태계 향이 발생하기 위하여서는 “환경유해인자7) 사용·배

출 → 노출 → 인체/생태계 유해 향 발생”, 즉 ‘원인-경로- 향’의 연계성이 있는 바,

인체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 확보를 위하여서는 ‘원인-경로- 향’에 이르는 제반 기술 개

발이 필요

[그림 1-5] 환경유해인자와 인체/생태계 향의 연관관계 - ‘원인-경로- 향’ 연계도

7) 여기서 환경유해인자는 「환경보건법」에서 정하고 있는 직접 환경유해인자 외에도 대기오염, 수질오염, 화학제품 사용, 기후변화 등 환경유해인자의 사용·배출을 유발하는 원인인 간접 환경유해인자를 포함함.

Page 1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 -

□ 이상의 내용을 반 하여 환경보건기술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환경보건기술은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향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평가․예측 그

리고, 이를 적정하게 관리하거나 위해(risk) 자체를 원천적으로 감축․회피할 수 있는 기

술로 포괄

○ 즉, ‘모니터링’ → ‘평가’ → ‘관리’ → ‘감축/회피‘ 과정에 필요한 관련 기술을 환경보건기

술의 기술적 범위로 설정

○ 환경보건기술의 기술적 범위의 각 단계별 정의는 다음과 같음

- 모니터링 기술 : 인체·생태계에 유해 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환경유해인자를 모니터

링하거나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따라 인체·생태계에 미치는 유해 향을 모니터링하는

기술

- 노출평가/위해성평가 기술 : 환경유해인자가 인체·생태계에 미칠 가능성이 있는 유해

향(negative impact; risk)을 평가(assessment)하는데 필요한 기술

- 위해도관리 기술 : 발생할 위해를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위해도를 관리

(management)하는데 필요한 기술

- 위해도저감/회피 기술 : 위해도를 줄이기 위한 조치(risk reduction/avoidance)를 취하

는 데 필요한 기술

[그림 1-6] 환경보건기술의 기술적 범위

Page 1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 -

1.3 환경보건기술 분야 주요 이슈 및 기술분야 검토

1.3.1 환경보건 관련 메가트렌드

□ 우리나라의 미래는 글로벌화, 환경 및 에너지 문제, 과학기술혁명 등 범세계적인 요인은

물론 경제사회 양극화의 진행, 급속한 저출산·고령화, 중국의 급부상, 유동적인 남북관계

및 동북아정세 등의 국내 및 동아시아 지역 요인들이 복합되어 전개될 것임

□ 미래전망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의 변화, 기업과 시장의 변화, 국

가/지역문제와 세계질서의 변화에서의 미래 메가트렌드의 키워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

음8)

○ 개인과 사회의 변화: 개인주의, 양극화, 고령화, 가족개념의 확대, 인구구조의 변화, 네트

워크 사회

○ 기업과 시장의 변화: 프로슈머, 글로벌화, 실버산업, 디지털 혁명, 유전공학, 뇌공학 등의

신기술 발전 가속화

○ 국가/지역문제와 세계질서: 양극화, 국제질서 통합, 에너지 문제, 기후변화 및 환경문제,

테러, 질병, 미국의 역할, 중국 부상

□ 환경보건 관련 미래 메가트렌드

○ 기후변화 가속화, 인구고령화, 세계 부의 이동, 신기술 발전가속화 등의 메가트렌드가

큰 맥락에서 환경보건 분야에 중대한 향을 미침

○ 기후변화 가속화에 따른 환경보건 위협

- 현 상태가 지속되면 지구 기온은 2100년까지 최대 6.4℃ 상승 전망(IPCC, 2007)

- 기온상승에 따라 지표면 오존농도 증가로 천식 및 심장·혈관계 질환 악화

- 기온상승에 따라 휘발성 유기오염물질(VOCs) 및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환경호르

몬 등) 전파속도 증가

- 특히 건강취약계층인 어린이, 임산부, 노년층 등 노약자에 대한 리스크 증가

○ 물 부족의 심화와 생태계 훼손에 따른 환경보건 리스크 증가

- 국의 왕립학회(Royal Society, 2004)는 2025년에는 50개국 30억 인구가 물 부족 상

태에 빠질 것으로 전망

- 물 부족은 수질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 물 관련 환경보건 리스크 증가 예상

- 생태계 훼손에 따른 자정능력 감소로 독성물질의 자연분해·처리능력이 떨어져 환경보

건 리스크 커짐

8)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07), 미래 경제사회 전망과 과학기술 비전

Page 1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 -

○ 인구 고령화와 독거인구 증가에 따른 환경보건 니즈 증가

- 우리나라는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 추세(2018년 고령사회 진입)를 보이고 있어 늘어나

는 고령인구의 환경보건 서비스 니즈 증가

- 특히 고령층도 독성물질인 VOCs, POPs, 중금속 등에 대해 건강취약계층으로 특화된

대응책 필요

- 독거노인을 비롯한 독거인구에 대한 환경보건 서비스(정보 등) 강화도 요구됨

○ 세계의 부의 이동에 따른 환경보건 리스크 증가

- BRICs의 대표주자인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는 이산화탄소 배출의 증가뿐만 아니라 환

경오염물질 배출 증가 및 생태계 위협으로 이어짐

- 미세먼지, SOx, NOx, 중금속 등 대기오염물질이 국경을 넘어 한반도의 환경을 더 오염

시킬 가능성: 월경성 오염

- 아울러 산업화에 따른 사막화는 황사의 빈도 및 오염강도를 증가시킬 전망

- 환경보건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하여 국가단위뿐만 아니라 광역 및 국제 단위 접근의

필요성

○ 신기술의 발전가속화에 따른 환경보건 리스크 증가

- NT, BT, 신소재기술의 발달은 환경적 측면에서 기존 오염개선 등 혜택도 있지만 새로

운 오염원 생성 등 리스크가 존재

- 나노물질의 경우 그 자체가 독성을 띌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독성물질이 생태계 먹이

사슬에 끼어들면 더욱 큰 리스크

- 자체로는 무해한 나노물질이더라도 유해 중금속이나 유기물질을 흡착할 가능성 존재

- 신기술의 환경보건리스크의 과학적 평가요구 증대

○ 시민들의 삶의 가치관 변화에 따른 환경보건 니즈 증가

- ‘웰빙’의 가치가 중시되어 일상생활 공간의 환경적 안전성, 쾌적성의 요구 커짐

-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의 요구가 커지며 지하철, 학교 등의 방사능(라돈 등)

안전요구도 커짐

○ 이러한 메가트렌드에 의한 환경보건 이슈들은 유해화학물질, 방사능, 소음, 진동과 같은

유해인자들이 대기나 공기, 물, 토양과 같은 매체를 통해 우리의 의식주에 향을 미치

게 되어 국민의 건강과 생태계 건전성을 위협하는 것임

Page 1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 -

[그림 1-7] 환경보건 이슈와 연계된 매체 vs. 수용체의

매트릭스

1.3.2 메가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보건 기술개발 방향

□ 환경보건기술은 공공 활용 성격이 높기 때문에 관련 정책 및 이의 지원이 가능한 기술에

대한 검토 고려가 필요

□ 환경보건 정책 방향

○ 메가트렌드에 의해 발생 가능한 미래 환경보건 리스크의 사전예방

- 사후처리 보다 사전예방을 지향

- 잠재적 리스크(Potential Risk) 요소 조기 해소

○ 새로운 이슈(emerging issues)의 조기 대비

- 기후변화, 고령화, 유비쿼터스 조류(IT 활용 증대) 등 새로운 메가트렌드의 환경보건

향을 사전에 평가하고 조기에 대비

○ 수요자/수용체 중심의 접근(Receptor-oriented Approach)

- 환경보건 리스크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향을 받을 수 있는 건강취약 계층에 대한 우

선 보호

- 지역, 분야, 그룹(예: 연령)의 특화된 수요와 조건을 충족: 상세 응용 정보․지식 제공 포

□ 환경보건 R&D 방향

Page 1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 -

○ 니즈(Needs) 충족형 연구 강화

- 환경보건 문제 해결과 현장의 수요자 니즈 충족

○ 시즈(Seeds) 발굴형 연구 제고

- 환경보건 리스크의 사전예방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시즈 발굴

- 나아가 혁신 기술 시즈와 현장 니즈를 매칭

○ 협력 및 네트워크 연구 확대

- 환경보건 리스크 저감 연구를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확대

- 국제 협력 확대: 인접국가와 공동문제 해결 협력, 제3세계 기술․지식 이전 가능성 고려

□ 다양한 범주에 따른 R&d 중점 역을 총체적으로 매트릭스로 검토

○ 궁극적으로는 수요자/수용체 입장에서 연구 중점 역을 드러냄

- 연구 우선순위 및 세부내용을 드러내는 방식도 수용체(요소)로부터 출발

- 수용체에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범주가 ‘질병’이므로 그 범주를 우선에 두고 다른 범주

들과의 매트릭스를 설정

항목 항목별 사례

새로운 이슈

☆ 기후변화 ☆ 부의 이동 및 월경성 오염 증가

☆ 생물다양성 감소 ☆ 신기술의 부상 : NT, BT 등

☆ 고령화

위해도관리 흐름

☆ 위해성평가 ☆ 위해성 커뮤니케이션

☆ 위해도관리 ☆ 정책 및 포괄적/횡단적 연구

질병

☆ 암 ☆ 아토피

☆ 천식 ☆ 신경발달 장애☆ 알레르기 ☆ 환경호르몬 효과 (생식독성 등)

환경 유해인자*

☆ PM2.5 ☆ 석면

☆ 지표 오존 및 VOCs ☆ 전자파

☆ POPs 및 환경호르몬 ☆ 자외선 (UV)

☆ 중금속 ☆ 소음/진동☆ 라돈

연령**☆ 유아 ☆ 노년

☆ 어린이

공간☆ 가정 ☆ 거리☆ 학교 ☆ 지하

☆ 직장/건물

* 환경유해인자를 환경매체와의 매트릭스로 세분화 가능 : 물, 공기, 토양, 생태계 등이 환경매체임

** 사회복지 측면에서는 소득에 따른 분류도 고려 가능

[표 1-1] 환경보건 R&D 중점 역 도출 매트릭스

Page 2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 -

□ 현 시점에서의 중점 기술분야 도출을 위한 매트릭스에 덧붙여 과거/현재 시점에서 시급히

해결이 필요한 ‘현존이슈’와 미래사회 대비를 위하여 사전예방적인 측면에서의 기술개발이

필요한 ‘잠재적 이슈’를 함께 고려하여 중점 기술분야를 다음과 같이 도출

○ 중점 기술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활환경 유해인자’, ‘환경성질환’, ‘유해화학물질’로

유해인자/ 향을 구분

기술분야 구분 중점 기술분야 유해인자/ 향 구분

현존/잠재적 이슈석면, 라돈, 전리방사선, 전자파, 소음․진동, 빛공해 생활환경 유해인자

현존 이슈 미세먼지, 황사, 연무

현존 이슈아토피,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 환경성질환

현존 이슈 새집증후군

잠재적 이슈화학제품 사용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직접노출

유해화학물질현존 이슈 수은, 납 등 유해금속

잠재적 이슈 기존 및 신규 POPs

잠재적 이슈 환경호르몬 물질

[표 1-2] 현재 및 미래사회 대비를 고려한 중점 기술분야

Page 2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 -

Page 2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 -

부문(분야) 향

보건

‧ 2032~2051년 동안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의 빈도와 세기 증가로 인한 사망률 증가

‧ 오존 100ppb 증가 때 마다 사망자 3~10% 증가‧ 오존과 일산화탄소는 폐암의 위험을 각각 2.04, 1.46배 높임

[표 2-1]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향 사례

제 2 장 환경보건 국내 환경 분석

2.1 환경보건 관련 국내·외 환경변화

2.1.1 국내 환경 현황 및 전망

□ 우리나라는 그동안 환경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규제 강화와 기술 개발 투자를 통해 환경

문제를 해결해왔으나 여전히 환경오염 방지 성과가 미흡한 상태임

○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해 국제적 관심 사안이 되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의 경우 배출량

뿐만 아니라 배출 증가율에서도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임

2.1.1.1 국내의 지구온난화

□ 지구온난화의 주요인으로는 인간의 경제사회적 활동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표 3-1] 참조)9)

○ 우리나라 기온은 지난 100년 동안 1.5℃가 상승해 세계 평균 상승온도의 2배를 나타냈

으며 제주도를 기준으로 한 해수면 상승은 지난 40년 동안 22㎝로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의 4배로 나타났음

□ 기후변화로 인한 보건 향은 질환 및 사망률 증가로 이어질 전망

○ 2032~2051년 동안 폭염에 의해 사망률이 증가할 것이며, 오존이 100ppb 증가할 때마

다 사망자가 3~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오염이 암, 심혈관계, 생식기계 질환을 유발할 것이며, 오존과 일

산화탄소의 증가로 폐암의 위험을 증가할 것임

□ 생태계의 향은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상록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이 북위 40도까지 증

가하며, 냉수성 어종이 자취를 감출 것으로 보임

9) 환경부(2008), 기후변화대응종합계획

Page 2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 -

부문(분야) 향‧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오염이 암, 심혈관계, 생식기계 질환을 유발

생태계

‧ 평균기온이 약 2℃ 상승함에 따라, 남한 저지대의 상록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이 북위 40도까지 북상하고, 남해안과 서해안 식생이 아열대로 변화함

‧ 서해에서는 냉수성 어종이 자취를 감출 것으로 예측‧ 쌀 수량은 남부와 중부에서 3~4% 감소하는 반면, 북부지역에서는 증가‧ 지구온난화에 따라 한라산 정상 부근의 고산식물 8종의 멸종가능성 예측

농업/축산

‧ 작물재배 가능기간은 연장, 작물재배 가능지역도 북상 및 확대‧ 재배작목이 다양화되고 작목선택의 폭이 커짐‧ 벼의 품질 저하 및 생산량 감소, 적응품종과 재배방법에 상당한 변화 필요‧ 맥류의 안전재배지대 북상 및 수량 증가, 가뭄 및 동해 발생‧ 채소류는 종류에 따라 생산량 증가 또는 감소‧ 난지과수(감귤, 유자, 참다래 등) 재배확대가 일반화, 현재 주작물인 온과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 재배는 어려움 발생‧ 병해충 및 잡초 발생 증가‧ 집약적으로 사육하는 가축에 대한 열 스트레스 증가

대기질

‧ 기후변화와 에어러솔의 피드백으로 구름 생성에 향을 미치고 이는 기체상-입자상 변환 과정에 매우 중요한 향을 줌

‧ 중국 사막화가 가속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발원지로부터 황사의 장거리 수송에 의한 피해가 예상

원예·임업(산림)

‧ 남부 해안지역의 동백나무가 서울을 포함한 중부 내륙지역까지 생육이 가능‧ 한라산 정상 부근의 고산식물 8종(눈향나무, 돌매화나무, 시로미, 들쭉나무,

구름송이풀, 구름체꽃, 구름떡꽃, 솜다리)의 멸종가능성 제시‧ 기온 2℃ 상승시 난대 기후대가 중부지방까지 확대, 4℃ 상승시 남한지역 대

부분이 난대 기후, 남부 해안지역은 아열대기후대로 변화

해양보전 및 수산업

‧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 해면상승이 두드러짐(제주도 연간 0.4~0.6cm정도의 상승추이를 보임)

‧ 해수면 기온상승은 비브리오균 등 미생물의 증식을 일으키고 해수나 해산물을 통한 질병발생의 가능성을 증대

‧ 한류성 어종 사라지고 열대성 어류 증가

산업부문총괄

‧ 기온 상승과 극한 기온 사건들에 의해 건강과 다양한 질병의 발병 향으로 의료 및 의약 산업, 발전 시설, 가스와 석유 생산 산업, 보험, 부동산, 건물과 건축 산업에 향

‧ 기후변화는 새로운 시장과 사업 기회 및 고객 요구의 변화 등의 긍정적 효과도 있으나 여름에 냉각을 위한 물 공급 문제와 같은 부정적 효과도 있음

수자원

‧ 전반적으로 한강 유역이 위치해 있는 북쪽 유역들에서는 유출량이 증가하고, 남쪽에 위치한 낙동강 및 섬 권역에 위치한 유역들에서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

‧ 5대강 권역별·월별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가을(9~11월)과 겨울철(12~2월)은 유출량이 증가하고 봄철(3~5월)과 여름철(6~8월)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

재해

‧ 금강유역에 대한 홍수 피해액 예측결과 1970~2000년을 기준으로 2011 ~2040년에는 최고 169.1%, 2051~2080년에는 최고 291.5% 증가

‧ 해수면 상승으로 범람가능면적 약 2,643㎢(전체면적의 1.2%), 취약지역 거주인구 125만 명 정도가 피해 예상

Page 2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 -

2.1.1.2 대기질 영향

□ 전국 70개 도시에서 대기환경기준 측정항목(SO2, NO2, O3, CO, PM-10, Pb)에 대해 측정한

결과 SO2, CO, Pb의 연평균 오염도는 10년 전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감소10)

항목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SO2

(ppm)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6(0.020)

0.005(0.020)

0.005(0.020)

NO2

(ppm)0.023(0.050)

0.024(0.050)

0.024(0.050)

0.022(0.050)

0.023(0.050)

0.026(0.030)

0.026(0.030)

0.025(0.030)

0.025(0.030)

0.024(0.030)

O3

(ppm)0.021 0.021 0.022 0.022 0.022 0.022 0.023 0.024 0.023 0.024

CO(ppm)

0.7 0.7 0.7 0.6 0.6 0.6 0.6 0.5 0.5 0.5

PM10(㎍/㎥)

61(70)

56(70)

58(70)

57(70)

59(70)

58(50)

54(50)

53(50)

51(50)

50(50)

Pb(㎍/㎥)

0.0695(0.5)

0.0616(0.5)

0.0732(0.5)

0.0517(0.5)

0.0556(0.5)

0.0598(0.5)

0.0577(0.5)

0.0464(0.5)

0.0408(0.5)

0.0443(0.5)

※ ( )는 연평균 환경기준치

※ * : 오존의 경우 단기농도변동이 중요하므로 2009년 이후에는 O3에 대해 연평균 대신 단기기준 지표 사용 예정

[표 2-2] 연도별 대기환경기준 측정항목별 대기오염도

□ 대기오염문제는 서울, 인천 등 수도권과 대구, 울산을 포함한 29개 도시, 즉 서울시와 광역

시 등 인구 과밀 지역에서 빈발하고 있음

□ 대기오염은 국민들이 민감하게 여기는 사안일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등 지구환경문제와도

직결되는 것이므로 오존, 이산화질소, 납, 미세먼지 감축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

요가 있음

○ 질소산화물(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로 인해 대도시 등의 오존 오염이 심화되고

있어 조속한 개선 대책이 마련되어야 함

10) 환경부(2012), 2011 대기환경연보

Page 2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6 -

2.1.1.3 수질

□ 우리나라의 하천 수질환경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음([표 3-3] 참조)11)

○ 전국 하천 구간의 수질환경기준 달성률(달성 구간수/목표설정 구간수)은 1991년에

12.8%이었으나 2002년에는 37.6%, 2003년에는 49%로 매년 향상되었고, 2004년에는

36.6%로 감소, 2005년에는 42.3%로 향상, 2006년에는 35.6%로 감소되었음

○ 목표수질 달성률로 평가된 2007년 이후, 개선 변동폭이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남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전국 21.0 31.8 29.9 27.8 29.4 37.6 49.0 36.6 42.3 35.6 71.9 65.8 64.9 85.1 65.3

한강 28.8 38.5 38.5 38.5 42.3 53.8 57.7 53.8 53.8 42.3 82.1 64.3 71.4 85.7 84.6

낙동강 10.0 25.0 30.0 20.0 22.5 32.5 55.0 32.5 45.0 32.5 78.8 78.8 72.7 100 57.1

금강 31.6 55.3 36.8 34.2 26.3 31.6 44.7 34.2 44.7 36.8 59.1 59.1 72.7 68.2 50.0

산강 8.3 16.7 8.3 8.3 25.0 25.0 41.7 16.7 16.7 25.0 64.5 58.1 45.2 80.6 66.7

섬진강 - - - 16.7 16.7 33.3 33.3 16.7 16.7 50.0 - - - - -

※ 2007년부터는 전국 총 114개 중권역 대상으로 생활환경기준 목표수질 달성률로 제시

[표 2-3] 수계별 목표수질 달성률 추이

□ 먹는물 수질의 경우 환경보건적 측면에서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민감한 사안이므로 상수

도 수질 개선에 국민적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보임

□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율로 볼 때, 2008~2011년 동안 정수장, 수도꼭지에서의 기준 초과율

은 개선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12)

○ 상수도 보급 확대에 비해 노후 수도관 개량, 옥내 급수관 관리 등 수돗물 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은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미약

○ 이에 반해 소규모 수도시설이나 약수터의 경우 기준 초과율도 늘어나고 있어 관리대책

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11) 환경부, 환경백서(연도별)

12) 환경부(2012), 환경통계연감

Page 2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7 -

먹는물별

2008 2009 2010 2011현황 (개소)

현황 (개소)

현황 (개소)

현황 (개소)

검사 (개소)

기준초과 (개소)

기준초과율(%)

검사 (개소)

기준초과 (개소)

기준초과율(%)

검사 (개소)

기준초과 (개소)

기준초과율(%)

검사 (개소)

기준초과 (개소)

기준초과율(%)

정수장 1,007 4 0.4 971 0 0 969 1 0.1 947 1 0.1수도꼭지 4,646 8 0.2 4,646 1 0.02 4,695 1 0.02 4,603 1 0.02

소규모 수도시설 1,113 29 2.6 1,174 63 5.4 1,256 23 1.8 1,270 47 3.7약수터 9,347 2,049 21.9 9,156 2,092 22.8 8,688 1,911 22.0 7,982 2,030 25.4

[표 2-4] 먹는물 수질 추이

2.1.1.4 생물다양성

□ 지구온난화, 자연재해, 산성비, 오존층 파괴 등으로 인항여 생물종이 감소하는 등 생태계

파괴도 지속되고 있음

○ 1980~2000년 동안 전국 농경지 15%, 삼림 2.5%, 갯벌 25%가 감소

○ 2000년 이후에는 생물 다양성이 높은 삼림지 및 토지의 면적이 축소되고 도시 및 공

장용지, 공공용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 생태계 파괴는 국민 생활과 건강에 직·간접적 향을 미치며 결국은 국민의 환경권을 침해

하는 결과를 낳음

□ 현재 시점에서는 미래 세대의 환경권 보장을 위해 백두대간, 습지 등 핵심적 중요성을 갖

는 생물 서식지 보호가 가장 중요함

□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는 정부, 시민단체 등이 생태계 보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

이고 홍보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 보호 확대는 우리가 국제 사회에서 환경 글로벌 리더

십을 갖추기 위한 우선 과제 중 하나가 될 수 있음

2.1.2 국내 주요 환경 이슈에 따른 환경보건 분야 전망과 시사점

□ 환경변화는 한 국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가 동시에 향을 받을 수 밖에 없

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지구온난화 등의 기후변화의 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

○ 결국 기후변화는 오존 증가 등의 환경변화를 야기하며 알레르기, 감염성 질병 발생 등

보건학적 향을 초래하게 됨

- 앞으로 폭염에 의한 사망률이 증가할 것이며, 오존 농도 증가에 따라 사망자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

- 오존과 일산화탄소 농도증가의 향으로 폐암 발생 위험이 각각 2.04, 1.46배 높아지

Page 2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8 -

부문 주요 향

건강

▪ 지구온난화, 오존 증가로 인한 전염병, 질환 증가

2020년 (1℃ 상승) 2050년 (2~3℃ 상승) 2080년 (3℃ 이상)

- 알레르기, 전염성 질병 - 양 부족, 과다 출혈, 심현관계 질병 증가 - 열파, 홍수, 가뭄으로 인한 사망 증가

생태계

▪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로 생태계 구조, 역할, 종의 상호연계와 관련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

2020년 (1℃ 상승) 2050년 (2~3℃ 상승) 2080년 (3℃ 이상)

- 양서류 멸종 - 산호의 백화 현상 - 종 다양성 변화

- 20~30% 멸종 위기 - 전 지구 생물 대부분 멸종 - 지리적 생물권 분포 변화

1차 생산

▪ 고위도 지역은 식량 수확량 증가하나 저위도 지역은 수확량 감소로 기근 증가 위험

[표 2-5] IPCC의 지구온난화의 향 전망

는 것으로 조사

-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오염은 암, 심혈관계, 생식기계 관련 질병을 유발할 것으로 전망

- 기후변화의 생태계 향으로는 양서류 멸종 등 종 다양성 변화에 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삶의 질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국민들이 보다 깨끗한 환경을 누릴 수

있기 위해서는 대기질 및 수질 향상도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음

○ 경제적 발전과 함께 보다 환경보건적으로 향상되고 쾌적한 삶에 대한 국민적 수요와

관심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환경정책이 사회적 측면에서 이에 부합할 필요가 있음

□ 수용체 관점에서 인간과 생태계는 나누어서 관리를 하는 부분 보다는 동시 검토를 통해

개선이 되어야 하는 문제로서의 해결이 필요

○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결국 인체 향으로 전이되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이의 건전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기술적인 뒷받침이 요구

○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 개발로 인해 예측되는 생태계 향과 이로 인해 이익이 나타나

는 측면에 대한 이견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으로, 실질적으로 인간과 생태계

측면 모두 이익이 될 수 있는 방향의 모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2.1.3 국외 환경 현황 및 전망

□ 지구온난화, 물 부족, 생태계 변화, 식량 부족, 유해 화학물질 증가 등 지구 환경과 인간 생

활을 위협하고 있는 환경오염 문제에 대해 세계인의 관심과 우려가 고조되고 있음13)

13) 녹색성장위원회, 2009.

Page 2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9 -

부문 주요 향

2020년 (1℃ 상승) 2050년 (2~3℃ 상승) 2080년 (3℃ 이상)

- 전 지구적 농작물 수확 잠재력 증가 - 1,000만~4,000만명의 기근 위협

- 저위도 지역 적응잠재력 증가 - 중위도 지역 수확량 감소 - 3,000만~1억 2,000만명 기근

위협

해안

▪ 다수 지역이 해수면 상승으로 홍수 위험에 노출되어 해안 침식과 주변 생태계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

2020년 (1℃ 상승) 2050년 (2~3℃ 상승) 2080년 (3℃ 이상)

- 홍수, 폭우 위험 증가 - 300만명 홍수 위험 - 해안가 30% 이상 유실 - 1,500만명 이상 홍수 위험

수자원

▪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은 지역에 따라 홍수, 물 부족 등 수자원에 대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

2020년 (1℃ 상승) 2050년 (2~3℃ 상승) 2080년 (3℃ 이상)

- 4~17억명 물 부족 - 10~20억명 물 부족 - 11~32억명 물 부족 - 전세계 인구 1/5 이상 홍수

□ 기후변화에 따른 알레르기, 전염병 질병의 증가와 양부족, 과다출혈, 심혈관계 질병이 증

가 될 것으로 보임

□ 아울런 기후변화는 양서류의 멸종, 산호의 백화 현상, 종 다양성 변화 등 생태계에 직간접

적으로 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환경오염 문제가 지속적으로 심화될 경우 관리 및 적응 역량이 미흡한 개발도상국이 가장

많은 환경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됨

2.1.3.1 지구온난화

□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가장 민감한 사

안은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 배출임

○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경제가 성장할수록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의 배출이 증가

하고 있다는 것임

□ 전반적으로 1980년 이후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OECD 국가들 전체로

는 세계적인 수준보다 완만하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최근 수년간 아시아 국가들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상쇄되어왔음

○ 우리나라의 경우 1인당 배출량 기준으로는 OECD 평균을 밑돌고 있지만 1990년 이후

배출 증가율은 50%를 넘어 OECD 국가 중 최고치를 나타냄

□ 유럽을 중심으로 선진국들은 이산화탄소 및 온실가스 발생량을 탈연동(decoupling)시키기

Page 2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0 -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온실가스의 감축 및 온실가스의 농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

○ OECD 회원국 중 많은 수가 이산화탄소와 기타 온실가스 배출을 경제 성장과 탈연동하

려고 시도했지만 대부분의 경우 자체의 국가 공약을 달성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음

□ 지구온난화로 인한 급속한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온난화의 주된 요인인 이산화탄소 및 온

실가스 배출에 대한 국제적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그림 2-1] 참조)14)

○ 특히 발리로드맵에 따라 2012년 이후 포스트 교토 체제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설정

될 예정으로 우리나라도 이에 대해 정책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대비해야할 필요가 있음

[그림 2-1] OECD 회원국 오염원 배출 강도 현황 비교

□ 지구온난화에 의한 대기환경의 악화

○ 향후 100년간 지구 기온은 최대 6.4℃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됨

○ 지구온난화는 공업의 발달에 따라 배출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이산화탄소

(CO2), 메탄(CH4), 오존(O3), 프레온가스(CFCs), 아산화질소(nitrous oxide) 등의 온실가스

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15)16)17)

14) OECD(2008), OECD Environmental Outlook to 2030

15) Weart, Spencer (2008). "The Carbon Dioxide Greenhouse Effect". The Discovery of Global Warming.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http://www.aip.org/history/climate/co2.htm. Retrieved 21

Page 3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1 -

○ 화석연료의 사용량과 대기온도의 변화 간의 관련성이 많은 보고를 통해 이어지고 있으

며18) 화석연료의 사용은 비단 CO2의 양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CO), 오존(O3), 납(Pb),

이산화질소(NO2), 이산화황(SO2) 그리고 미세먼지(PM) 등의 증가에도 직·간접적인 향

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지표면 온도의 상승은 특히 식물 생태계를 교란함으로서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던 화분

(airborne pollen)이 발견되었으며, 화분양의 급격한 증가가 보고19)되고 있어서, 이에 따

른 인체 향이 우려됨

○ 한편 지구온난화는 사막지대를 늘려 황사 등 대기 내 미세먼지 양을 급격히 증가시키

며20), 이는 생태계 변화 및 인체 호흡기 및 심혈관계 기능에 많은 향을 미치게 됨

2.1.3.2 대기질 영향

□ 대기질은 인간 건강, 생태계는 물론 건물이나 공공시설과 같은 건축물의 경제적 보수 유지

에도 많은 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직·간접적인 향을 주고 있음

○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유해 대기오염물질의 고농도 때문에 건물

및 교통수단의 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음

○ 산업화의 심화, 자동차로 인한 오염 등은 대기질에 직접적으로 향을 주는 요인으로,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해 도시에서의 호흡기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유병률 및

내원율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경제/사회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

□ 이에 대기질 개선과 오염물질의 지속적인 감축을 위해 각국은 적절한 오염 통제 정책을

시행하는 한편, 관련 기술 개발, 에너지 절약, 자동차 오염 저감을 위한 무연 연료, 천연가

스 사용 등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심화·확대될 것으로 예상

□ 최근에는 황사를 포함하여 월경성 오염물질로 인한 향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가파른 산업화로 인해 수은 등의 중금속이 국내로 유입되어 이의 향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

April 2009.

16) Kiehl, J.T.; Trenberth, K.E. (1997). "Earth's Annual Global Mean Energy Budget" (PDF).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2) : 197~208.

17) Schmidt, Gavin (6 Apr 2005). "Water vapour : feedback or forcing?". RealClimate. http://www.realclimate.org/index.php?p=142. Retrieved 21 April 2009.

18) Loren Cobb, “The Causes of Global Warming : A Graphical Approach”, The Quaker Economist 7(158), 2007.

19) Bortenschlager, S. and I. Bortenschlager. 2005. Altering airborne pollen concentrations due to the global wa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airborne pollen records from Innsbruck and Obergurgl (Austria) for the period 1980–2001. Grana 44(3) : 172–180.

20) Thomas DS, Knight M, Wiggs GF.Remobilization of southern African desert dune systems by twenty-first century global warming.Nature. 2005 Jun 30;435(7046):1218-21.

Page 3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2 -

○ 황사의 경우, 계절적인 향이 큰 요인이나, 발생빈도가 높은 시기에는 노인 등의 건강

취약계층의 호흡기계 증상으로 인한 질환발생률,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특히,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꼽힐 수 있는 입자상 물질이 발암물질인데다가, 극미세입자

(nano, ultra-fine PM)가 다량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

○ 보건학적으로 입자로 인한 건강장해는 호흡기계 침투율과 입자 독성에 따라 결정되며,

호흡기계 침투율은 입자의 크기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성을 가짐

○ 체내 침투된 극미세입자는 호흡기계 정화기전을 둔화시키고, 입자 내 독성물질이 흡착

되어 있는 경우는 위해성을 증가시키는 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상황

2.1.3.3 수질 영향

□ 세계적인 수원 부족과 더불어 물의 오염이 물 부족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실정임

○ 부 양화, 산성화, 독성 물질에 의한 오염 등은 인간 건강, 생태계 등에 악 향을 미치

고 있으며, 음용수의 비용 상승을 유발하고 있음

○ 물 부족 국가들에서는 현재, 전 국민에게 항구적으로 안전한 음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우선 정책 과제가 되고 있음

□ 물 환경과 관련해서는 수질 오염 방지와 수자원 확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환경적 관심

이 전개될 전망이나, 이에 수반되는 생태계 향과 미생물, 바이러스 등을 함유한 먹는물

로 인한 인체 향이 지속적으로 우려되고 있음

○ 먹는물과 관련하여, 미국의 경우는 인체 건강에 위해를 부과할 수 있는 80종 이상에 대

한 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들 오염물질로 인해 발생 가능한 급만성 건강장해에 대

해 방송매체, 우편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소비자에게 사전 경고하는 체계가 되어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1963년에 29개 항목에 대한 먹는물 수질기준을 설정하 으며, 여러

번의 개정을 통해 현재는 총 55개 물질에 대한 먹는물 수질기준을 설정·관리하고 있음

○ 먹는물 중에는 수많은 유해화학물질이 검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체 건강의 잠재적

향 또한 클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한 경제적인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수원에서의 근본적인 오염물질 감소와 오염원 차단을 위한 감시 프

로그램의 확대가 필요

□ 물 부족, 담수의 염수화, 습지 상실, 사막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수자원 확

보 측면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물 재이용 및 재활용, 해수의 담수화, 상수도 시설 누수

방지 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것으로 보임

Page 3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3 -

2.1.3.4 생물다양성

□ 생물종 보호지역의 숫자와 범위는 1980년 이후 거의 모든 나라에서 상당히 증가해, OECD

전체의 경우 토의 13%에 달함([그림 2-2] 참조)21)

○ 일반적으로 인구밀도가 높거나 인간 활동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국가에서 위협받는

생물종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2-2] 현재 위협받고 있는 생물종의 비율

□ 생물다양성과 관련해 생물종 유전자 물질의 다양성과 완전성 유지 및 회복과 아울러 생물

다양성의 지속가능한 활용이 관심 사안으로 부각될 것임

○ 구체적인 관심 내용으로는 생물 서식지와 생물종의 실질적인 보호 강화, 불법 개발 및

무역 방지,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경제 정책 수립, 국민 의식 개선 등이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OECD 주요국에 비해 위협받는 생물종의 비율이 낮지만 지속적 보호 노

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임

2.1.3.5 폐기물 배출

□ 세계적으로 자원 제약이 표면화 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 연계를 취하면서 순환형 사회의

형성을 도모해 나갈 필요성 증대됨

21) OECD(2008), OECD Environmental Outlook to 2030

Page 3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4 -

○ 종래의 대량생산/대량소비/대량폐기형의 활동양식은 천연자원 고갈과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대규모 자원채취에 의한 자연 파괴와 순환저해의 원인이 되고 있음

○ 또한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와 관련하여 인체건강과 생태계에 향을 미치는 잔류성유

기오염물질(POPs), 환경호르몬 등의 배출 문제가 나타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초 폐기물정책을 매립에서 소각으로 전환하면서, 그에 필요한

정책을 사전에 제정하지 못하 으며 소각으로 발생되는 환경 및 건강 향에 대한 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음

○ 2000년대에 들어와서 생활 및 산업폐기물 소각장 인근 주민에 대한 발암문제가 사회적

으로 논란이 된 적이 있으며, 현재에도 이러한 폐기물 처리시설 관련 건강 문제가 사회

적으로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

○ 다이옥신 등의 환경호르몬과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등 폐기물 처리로 인해 나타나는 환

경위해물질에 대한 관리를 위해 관련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

2.1.3.6 유해화학물질 사용 및 배출

□ 1992년 지구서미트에서 채택된 「아젠다 21」과 「리우선언」의 이념을 기초로 1996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가맹각국에게 PRTR(환경오염물질 배출·이동 등록) 제도 도입을

권고

○ PRTR 제도는 종래의 한정된 개별물질 배출농도규제에서 탈피하여, 과학적인 데이터가

불충분하더라도 인간과 야생생물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우려되는 유해화학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물질의 연간 배출량 등의 정보를 행정추제 및 사업자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국가 전체적으로 자체적인 화학물질관리를 촉진해 나

가기 위한 새로운 제도임

○ 이 제도는 약 10년 전부터 이미 도입한 미국, 캐나다, 국, 네덜란드를 비롯하여 오스

트레일리아와 한국 등 많은 국가에 도입되어 유해화학물질을 관리하는 데 활용되고 있

○ 일본에서는 1999년에 PRTR 제도가 법제화되었고, 2001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어

2003년 3월, 2002년도 정보가 처음으로 공개됨

□ 2006년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세계 정상회의(WSSD)에서 국제 화학물질 관리전략

(SAICM)이 채택

○ 국제 화학물질 관리 전략(SAICM)은 2020년까지 인류의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화학물질

의 제조와 사용 최소화를 목표로 함

□ 유럽의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 시행

○ 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에 관한 법령으로 EU 기존의 화학물질관리지침

Page 3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5 -

(Directive)들의 통합본으로써 신규화학 물질에만 적용하던 화학물질의 등록을 기존물질

까지 확대하여 연간 1톤 이상 EU에서 생산하고, 사용되고, 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해서 등록을 요구한 새로운 화학물질 관리법

○ 특정용도로 사용 제한을 받거나 사용 금지 물질로 명시된 52개 물질들에 대하여 물질

자체, 혼합물 또는 완제품 내의 제한 사항을 지키지 않을 경우 제품 제조나 유럽 내 수

입이 제한됨

2.2 국내 환경보건 정책 현황

2.2.1 국내 환경보건 정책

□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 안전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통한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하여 2009~2013년 실내

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

○ 이를 위하여 ▶수요자 중심 ▶사전예방 ▶취약·민감계층 우선보호 ▶참여와 파트너십의

원칙을 적용

○ 세부계획으로는 ▶실내공기질 관리체계·역량 발전 ▶실내공기질 관리제도·기술 기반 강

화 등이 있음

□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5개년 대책

○ 쾌적하고 안전한 지하철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공기질을 국민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

로 개선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2008~2012년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5개년

대책을 수립

○ 이를 위하여 ▶지하역사 오염원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오염원 목록(inventory) 및 사전

관리 강화 ▶상시 모니터링·오염저감 평가시스템 도입 ▶제도개선 및 인프라 구축 ▶시

설투자 지원 및 파트너십 제고를 추진

○ 세부 계획으로는 ▶공기질 개선 ▶제도개선 및 파트너십 제고 등이 있음

□ 제 3차 유해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

○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화학물질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

한 법정계획(근거 :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6조)

- 유해화학물질 현황 및 전망, 유해화학물질 관리 시책 등을 마련하고 정부·산업계·일반

국민 등 이해관계자의 세부 실천계획을 제시(계획기간 : 2011~2015)

○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관리로 위해저감 화학산업 경쟁력 제고”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사전예방적 위해관리체계 구축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국제 화학물질 관리 논

Page 3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6 -

의 대응 ▶화학물질 정보관리 선진화를 추진전략으로 제시

○ 이를 위하여 ▶녹색화학 추진을 통하여 화학산업계의 경쟁력 제고 추진 ▶취급제한·금

지물질 함유제품의 관리, 국가 우선관리 대상물질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

등 국민들이 생활속에서 접하게 되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추진 ▶유해중금속 규제방안

검토 등 최근 국제사회 이슈에 대한 능동대응을 통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마련 ▶다양

한 화학물질 정보를 확보하고 사업장 화학물질 배출 저감을 마련하여 화학물질의 관리

정책의 실효성 제고 등의 세부방안을 제시

□ 화학물질관리 선진화 계획

○ 국민건강, 환경보호 및 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지원을 위하여 2009년부터 화학물질관리

선진화 계획을 추진

○ 이를 위하여 ▶유해화학물질 위해·안전관리 선진화 추진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으로부

터 국민건강·환경 보호 ▶화학물질 정보관리 선진화 추진 ▶이해관계자간 상호 소통 및

협력체계 구축을 시행

○ 세부계획으로는 ▶화학물질 정보관리 선진화 ▶유해화학물질 위해·안전관리 ▶화학 산

업 경쟁력 강화 등이 있음

□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

○ 2015년 환경보건 선진국 대열 진입을 목표로 2006~2015년의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

획을 수립하여 추진

○ 종합계획을 통해 ▶환경오염으로 건강을 위협받는 국민을 최소화 ▶환경성질환 위협이

없는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구현

○ 이를 위해 ▶매체관리 정책과의 연계, 조정·통합 및 기준제시 ▶과학적 규명체계 구축

으로 불확실성의 최소화 ▶인체/생태위해의 예측, 감시를 통한 예방적 질환관리 ▶활발

한 정보제공을 통한 다양한 주체의 참여유도 ▶지구적, 아-태 등 지역협력 네트워크 구

축 ▶질병부담 및 비용-건강편익분석을 통한 정책효과 극대화를 추진

○ 세부계획으로는 ▶오염 등 위해요인 노출 및 위험인구 감소대책 ▶환경성질환 조사·감

시·관리 ▶환경보건 기반구축 등이 있음

2.2.2 환경보건 관련 국내 관련법 및 환경보건기술 개발 관련 내용

□ 환경보건 관련한 규제는 환경보건국(환경보건정책과, 화학물질과, 생활환경과) 소관법으로

서, 「환경보건법」,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있으

며, 전체 환경부 소관법으로서 부분적으로 환경보건 관련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법이 있음

○ 특히, 2013년에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이 제정되어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 수준 제고가 기대

Page 3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7 -

순번 법률명 환경보건기술 개발 관련 내용

1 환경보건법

환경오염과 유해화학물질 등이 국민건강 및 생태계에 미치는 향·피해를 조사·규명·감시하여 국민건강에 대한 위협을 예방하고, 저감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국민건강과 생태계 건전성을 보호·유지- 환경보건 : 환경유해인자가 사람의 건강과 생태계에 미치는 향을 조사·평가하고 이를 예방·관리

2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 위해를 예방하고 유해화학물질을 적절하게 관리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

3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다중이용시설과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을 적절하게 유지 관리함으로써 그 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

4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법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위해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고 국제협력을 증진

5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22)

화학물질의 유해성과 위해성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개발 등을 수행

6 대기환경보전법

대기오염으로부터 국민건강이나 환경상 위해를 예방하고 대기환경을 적정하고 지속가능하게 관리·보전하여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

7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수질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수질 및 수생태계를 관리·보전함으로써 국민으로 하여금 그 혜택을 널리 향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래의 세대에게 승계될 수 있도록 함

8 토양환경보전법토양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

9 폐기물관리법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된 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여 환경보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

10 소음진동규제법소음·진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이를 적정하게 관리·규제하여 모든 국민이 조용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

[표 2-6] 환경보건 관련법 및 관련 내용

<참고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23)

□ 제정 배경

○ (환경보건적 측면) 화학물질 시장 유통 前 잠재적으로 국민건강과 환경에 위해 요인

이 되는 화학물질을 사전에 파악하고 유해성․위해성정보를 확보하기 위함

22) 2013. 5. 개정, 2015. 1. 1 시행 예정

Page 3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8 -

- 등록․평가된 화학물질의 정보는 기업들의 화학물질 안전관리와 정부의 효과적 정책

등을 위해 활용될 것임

○ (화학물질 안전사고 방지) 화학물질의 유해성, 사용용도, 노출정보 등을 생산․공유함

- 화학물질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조․수입자, 하위사용자 및 판매자 등이 상

호 공유함으로써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위협을 사전에 차단

○ (국제적 관리강화 추세) 2007.6월 EU에서 REACH 제도를 도입한 이후 일본(2010.4),

중국(2010.10) 등도 유사하게 관리를 강화하고 있음

- 주요 교역국의 규제강화 움직임에 대한 국내 업계 대응력 강화

- 기업들이 유해화학물질 사용을 지양하고 친환경 대체물질을 제품에 사용하도록 유

도함으로써 국내 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 「화평법」의 주요 제도

1. 제조․수입 前 유해성․위해성평가, 사전예방적 관리체계로 전환

○ 유해성심사 대상을 신규화학물질*에서 “기존화학물질*”까지 확대

* 신규화학물질 대상 확대 : 연간 0.1톤 이상 제조․수입되는 화학물질에서 모든 신규화

학물질로 확대

** 기존화학물질 : ① 1991년 2월 2일 전 국내 유통 화학물질(37,021종), ② 1991년 2

월 2일 이후 「유해법」에 따라 유해성심사를 받은 물질(6,878종, 2012.12 현재)

○ 유해성(독성) 위주 화학물질 관리에서 위해성(유해성과 노출강도)에 기반한 관리로 전

○ 위해성평가 결과에 따라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지정

- 위해성이 있는 물질의 사용을 차단(제한․금지)하기 보다는 일정기간 동안 허가사용토

록 함으로써 대체물질 개발 유도

<화평법 제정에 따른 관리체계 변화(녹색부분)>

2. 화학물질의 전체 공급망 내에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제조․수입․사용․판매자는 정

보를 제공하도록 함

○ 등록된 화학물질이나 혼합물을 양도할 때에는 유·위해성 정보, 안전사용정보 등을 표

Page 3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29 -

준 양식에 따라 제공하도록 함

※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정보를 제공한 자 또는 제공받은 자 모두 변경사실을 안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상호 통보

○ 하위사용자․판매자와 제조·수입자 상호간에도 상대방이 요청한 경우 화학물질의 용도․

양, 안전사용 정보 등을 제공하도록 함

3.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학제품으로부터 국민건강 피해사고를 막기 위해 안전기준과

표시기준 설정근거 마련(제6장)

○ 제품의 생산․수입하는 자는 제품 내 함유된 유해화학물질*별 총량 1톤 초과시 환경부

장관에 신고하도록 함

* 유해화학물질 :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그밖에 유해성․위해성이 있

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

○ 위해성이 우려되는 제품*을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고, 품목별로 제품의 안전·표시기준을

고시하여 부적합한 제품은 판매 등을 금지하도록 함

* 위해우려제품 : ① 세정제, 방향제, 접착제, 광택제, 합성세제, 표백제 등 일반 소비자

들이 주로 생활용으로 사용하는 제품, ② 방충제, 소독제, 방부제 등의 살생물제

(Biocide)

□ 기대효과

○ ‘No Data, No Market’ 원칙에 기반한 관리를 통해 화학사고와 未知의 화학물질 위해

성으로부터 국민건강 및 환경의 보호

- 유해물질 함유제품 신고, 제품 위해성평가 및 안전관리 제도화로 가습기살균제 피해

와 같은 유사 사고 예방

- 화학물질의 공급망 내에서 유해성․위해성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기업들 스스로 화학물

질 안전관리 실천에 도움

※ ‘No Data, No Market’ 원칙 :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해성 관련 자료의 제출․등록 없이 시장에 판매될 수 없도록 한 사전예방적인 화학물질 관리원칙

○ 세계 5위의 판매규모(출처; 유럽화학산업협회 2012)의 국내 산업계도 국제 사회의 화

학물질 관리 강화 추세에 효과적으로 적응

○ 독성시험 분야 또는 등록․평가 서비스 분야 신규 환경시장이 창출됨에 따라 관련 일

자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 GLP 시험기관 종사자, 등록서비스 컨설팅업체 종사자, 기업 내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사자 등에 대한 채용수요 확대

○ 화학제품 생산과정에서 친환경 대체물질을 사용을 유도함에 따라 기업의 생산성 및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될 것임

23) 환경부(2013), 「화평법」 주요내용 및 기대효과(http://www.me.go.kr/web/69/me/news500board/ news500BoardUserView.do?no=20130009&decorator=me)

Page 3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0 -

3.2.3 국내 환경보건정책 현황 및 전망에 따른 시사점 분석

□ 국내에서 환경보건과 관련하여 환경보건법 등 9개 법이 마련되어 시행중에 있으며, 이 부

분에서는 사실상 거의 모든 환경보건 분야에 대한 내용을 검토할 수 있었음

○ 이에 반해 법적 내용을 뒷받침하고 구체적인 실천 계획은 환경보건10개년 종합계획 등

5개 세부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나, 환경보건10개년 종합계획을 제외하고, 주로 실내공기

질,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분야에만 제한적으로 제시가 되어 있음

○ 환경보건10개년 종합계획으로서, 환경보건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계획이 수립이 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계획의 재검토가 진행이 되고 있는 상황이며, 일부 제한적인 분야에

대한 세부 계획으로서는 앞서 법적 근거 바탕으로 한 정책 추진을 지원하기에는 무리

가 있음

○ 법적 근거에 따른 정책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환경보건 전반적인 정책목표 수립 및 이

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한 상황

○ 또한 관련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필요기술의 확보 또한 병행

이 되어야 할 것임

□ 국민건강 보호 및 생태계 건전성 유지를 위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음

○ 수용체를 보호할 수 있는 환경보건 분야의 정책목표 설정 및 세부계획 수립과 이를 지

원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수용체 중심 및 사전예방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에 근거한 환경보건 정책 수립

○ 민감/취약군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제도적 장치 마련

○ 국민의 환경보건 인식변화와 위해도 의사소통(risk communication) 등의 통합시스템 구

축 및 운 이 필요

Page 4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1 -

제 3 장 환경보건 국내·외 기술동향

3.1 기술개발 필요성

3.1.1 환경보건정책 수요를 뒷받침할 기술개발

□ 그간 국내의 환경보건정책은 그 중요성에 비해 관련 정책추진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이 미

흡했으며, 이로 인해 정책 추진의 어려움 발생

○ 국내 환경보건정책 10개년 종합계획수립(2006. 2월)과 함께 2006년 환경보건 원년 선언

을 기점으로 의욕적인 환경보건 정책 출범

○ 환경 유해요인으로 인한 건강피해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국민들에게 효과적으

로 전달하는 정책 실행을 위하여 필요한 각종 환경보건 기반기술이 필요한 상황

○ 역학조사, 건강 향평가, 위해성평가 등 과학적 기반에 중심을 둔 수용체 중심의 환경

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공공기반 기술개발 필요성이 대두

○ 환경성질환(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 급증에 따른 대책 요구

○ 폐기물 재활용․처리에 따른 중금속 노출 등에 대한 대책 요구 급증

- 폐광지역의 중금속 유출, 건축물 해체, 폐건축자재 재활용, 노후건축물에서의 석면 노

출, 폐기물 혼합 소각 시멘트 공장 지역의 중금속 노출 등이 부각

○ 환경 호르몬 등 미래 환경성질환 대책 요구

- 환경호르몬 범람으로 인한 환경성질환 대책, 다이옥신 등 기존 POPs(잔류성유기오염물

질) 및 신규 POPs 대책 절실

○ 특히 환경보건법 목적 달성을 위한 실행 계획 수립과 정책 효과 평가를 위해서는 환경

보건 기반기술에 의한 객관적인 자료 생산이 필수적

□ 인체건강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화학물질 관리24)와 국내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 필요

○ 국내 화학물질 관리는 시험항목, 산업계 참여, 위해성평가 수준 등에 있어 선진국과 큰

격차

- 그간 화학규제가 산업의 성장을 지연하거나 왜곡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팽배하 던 것

이 큰 원인으로 작용

- 신규화학물질의 경우 유해성 심사항목은 1991년 3개에서 2007년에 6개로 확대되었으

나 OECD(13개) 절반 수준

24) 「화학물질의 등록·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2013. 5) 시행예정으로(2015. 1) 화학물질 관리의 효율성 제고 기대

Page 4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2 -

※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조되거나 수입된 화학물질로 신규물질 제조․수입자는 해당 물질에 대한 유

해성 시험자료를 생산하여 유해성심사를 받아야 함

○ 기존 화학물질의 90% 이상이 기초 독성자료도 없이 유통

- 미국, 유럽 등은 산업계에서 정보를 생산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에서 시행하여 자

료 생산에 한계

※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정(1991.1) 이전에 국내에서 유통된 화학물질은 약 3만 7천여 종에 달함

○ REACH 등 강력한 국제적 화학물질 규제에 신속한 대응 곤란

- 최근 REACH 발효(2007. 6월)에 의해 대 EU 화학물질(제품 포함) 수출기업은 위해성

정보 제출 의무가 부과되어 기업부담이 과중

- 국내에서 위해성 정보 생산능력을 갖춘 시험기관(GLP) 부족

※ OECD가 정한 “우수실험실 기준”을 준수하는, 화학물질․농약․의약품 등의 유해․위해성 시험기관

으로 현재 18개 기관에서 최대 19개 시험항목 시험 가능

○ 화학규제의 기술선도적 기능 상실로 산업경쟁력 확보 문제

- 사회이슈화 된 이후 물질을 규제하여 대체물질 개발에 필요한 시간 확보가 곤란하고

핵심 신소재의 수입 의존도 심화

- EU REACH 등과 현격한 규제 격차로 우리 화학산업 정보는 유출되나, 수입물질에 대

한 정보 확보 미흡

□ 국민 건강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사전예방·감시 체계 기술개발을 위한 집중 투자 필요

○ 환경보건 정책이 일관성 있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경보건 분야 연구들의 효율성

을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의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활용한 연구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할 필요

□ 위험인구 저감을 위한 평가 및 감시 기술은 미흡

○ 환경오염 및 유해요인으로 인한 위험인구를 실질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환경규제 정책

과 그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 요청

○ 2009년 3월부터 환경보건 중심으로의 법적·행정적 전환을 위하여 「환경보건법」을 제정

하여 시행하고 있음

○ 하지만 현행법에 따른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생산과 위해성평가 및 저감기술이

부족한 실정

○ 매체별 환경오염 평가 및 관리 기술은 우수한 편이나, 다매체간의 종합평가 기술, 환경

오염과 수용체의 유해 향간의 관련성,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 향 가능성 평가 등의

부분은 미흡

Page 4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3 -

3.1.2 정부 주도의 기술개발 필요성

□ 환경보건기술개발의 수혜 대상은 전국민

○ 개발된 기술을 적용하여 선진화된 환경보건정책이 시행되는 경우 수혜대상은 광범위

□ 환경보건 향에 대한 피해보상의 주체는 정부

○ 인체건강과 생태계 건전성을 해치는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대부분은 원인제공자를 단정

하기가 곤란하여 결국 정부․지자체가 피해보상의 주체가 됨

□ 환경보건 분야는 민간투자의 기대가 어려운 분야

○ 국민 건강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환경보건기술은 환경보건정책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기 위

한 공공기술로 민간의 자발적 투자가 어려운 기술 분야

○ 특히 민간투자의 경우 실용화 가능성이 큰 분야에 치중될 수 있으므로, 국민건강 보호

등을 위한 공공기술개발 투자에는 정부의 주도적인 역할 및 참여가 필요

○ 사업 성과 및 최종 결과물은 대부분 정부에서 활용되며, 활용에 따른 편익은 내부적 사

적편익보다는 외부편익 형태로 발생하므로, 시장 전망에 의해 좌우되는 민간섹터의 연

구개발 투자는 기대하기 어려움

□ 국가고유 기능으로서 환경보건 R&D 투자 확대 필요

○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는 환경분야 R&D중 ‘환경보건․예측․감시’ 분야의 투자 저조를

지적하여 독립된 ‘환경보건 R&D사업’ 추진 필요성 인정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46회 제3호 심의안건, 2011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안), 2010. 4. 1.

□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정부연구 프로그램 필요

○ 환경보건 분야는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기술검증을 위한 장기적인 현장적용 평가가 필

수적

○ 공공성과 장기성으로 인해, 시장전망에 따른 단기투자를 위주로 하는 기업체의 연구개

발 투자를 기대하기는 어려움

□ 환경보건 R&D 사업은 불확실성이 높으나 파급효과가 큰 사업

○ 환경보건 분야는 과학기술 파급효과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수준의 향상 효과가 커서 막

대한 의료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분야

○ 기반연구가 부족하고 첨단기술 적용을 필요로 하는 등 위험요소와 불확실성이 높아 정

부투자가 필요한 분야

Page 4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4 -

[그림 3-1] 정부주도의 기술개발 필요성

3.2 기술수준

3.2.1 국내외 환경보건기술 수준 비교25)

□ 2007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기술동향 ‧ 수준조사 및 미래환경신기술 예측”에서 주

요 30대 세부 환경기술을 대상으로 진행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환경기술수

준은 평균 62%(기술 수준 격차 6.0년)수준으로 조사됨

○ 환경보건 관련기술은 위해성평가·관리 요소기술 분야가 64%(기술 수준 격차 6.4년)수준

으로 조사

기술선도국(응답비중)

국내기술수준 기술격차

미국

15%

46%

63% 7.5년

일본 66% 5.5년

유럽 64% 6.2년

선진국(미, 일, 유럽) 대비 평균 64% 6.4년

[표 3-1] 위해성평가․관리 요소기술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 환경관리기술의 평가기술은 66%(기술 수준 격차는 5.8년) 수준

25) 환경기술동향‧수준조사 및 미래환경신기술 예측,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07

Page 4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5 -

 30대 기술 분야논문순위변화(1991~2005년)

특허순위변화(1991~2005년)

종합순위변화(1991~2005년)

고정밀 센서기술 +7 +2 +12

소음·진동 방지 및 저감기술 +11 +6 +12환경오염 유발물질 대체물질 개발 +12 +3 +9

배출량 저감 최적화기술 +10 -2 +9원격 모니터링기술 +8 0 +8

도시·산업지역 복원·관리기술 +7 0 +7폐기물 감량・재활용・관리기술 +3 +7 +7환경오염 측정분석 장비기술 +4 +1 +7오존 및 스모그오염 개선기술 +5 +8 +6

불량매립지 복원·관리기술 +1 +4 +6정수장 효율향상·고도처리기술 +6 +1 +6상하수도관망 최적 관리기술 +2 +3 +6

하·폐수 고도처리 및 핵심요소기술 +7 +5 +6오염물질 제거효율향상 소재·제품 개발 +2 +6 +5

미세먼지오염 개선기술 +3 +4 +4친환경 방류수 처리·관리기술 +6 -2 +4국제환경현안 대응·해결기술 +5 -2 +4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기술 -1 +2 +3

유해물질제거 및 유용물질회수 공정기술 -5 +5 +3

[표 3-3] 30대 기술 분야별 경쟁력 순위 변화(1991~2005년)

기술선도국(응답비중)

국내기술수준 기술격차

미국

15%

39%

65% 6.3년

일본 68% 5.1년

유럽 64% 6.1년

선진국(미, 일, 유럽) 대비 평균 66% 5.8년

[표 3-2] 환경관리기술의 평가기술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 주요 30대 세부 환경기술을 대상으로 논문경쟁력지수를 활용하여 주요 20개국의 환경 분

야의 기술 수준을 조사한 결과 환경보건 관련기술의 경우 미국, 캐나다, 국 등이 기술선

도국가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하위권으로 조사됨

○ 위해성평가․관리 요소기술 분야의 기술선도 국가는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국 덴마

크 등이며, 우리나라는 19위로 조사

○ 환경관리기술의 평가기술 분야의 기술선도는 미국, 호주, 캐나다, 국, 스웨덴 등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19위로 조사

Page 4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6 -

 30대 기술 분야논문순위변화(1991~2005년)

특허순위변화(1991~2005년)

종합순위변화(1991~2005년)

폐기물 자원화기술 +4 0 +3

위해성평가·관리 요소기술 +2 - +2

폐광산 주변지역 복원·관리기술 -1 +1 +1생태환경 이용 및 관리기술 +1 - +1

양질의 상수원수 확보 및 유지관리기술 0 0 0유해폐기물 처리·처분기술 +2 -2 0

훼손된 자연생태계 복원기술 -1 - -1차음·방진성능 향상기술 +1 0 -1

소음・진동 배출특성 및 음질평가관리기술 -1 -1 -4

환경관리기술의 평가기술 -5 - -5

주1) 1991~1995년 기간 순위 대비 2000~2005년 기간 순위 변화 임

3.2.2 국외 환경 성과지수(EPI) 평가 결과

3.2.2.1 환경성과지수(EPI)

□ 환경성과지수(EPI) 정의

○ 환경성과지수(EP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는 세계경제포럼이 위탁하여 예일

대학과 컬럼비아 대학이 공동으로 작성하고 있는 지수임

○ 환경관련 분야별 정책목표를 얼마나 달성하 는지를 측정하여, 국가별 비교 및 환경정

책 성과의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지수

○ EPI는 2006년 시범 평가 이후 2년 단위로 2008년, 2010년 평가보고서가 나와 있음

□ 세부 환경보건관련 성과지수 분석

○ 환경보건지수의 항목은 환경성질환, 유아사망률, 위생시설 보급률, 먹는물 공급, 실내공

기 오염, 도시 PM10임

○ 우리나라의 2010년 환경성질환의 EPI 점수는 76.0점으로 37위이며, 위생시설보급률은

85.5점으로 68위, 먹는물 공급은 86.2점으로 77위, 실내공기오염은 94.7점으로 1위, 도

시 PM10은 70.9점으로 76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환경보건의 역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요한 것

으로 나타남

Page 4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7 -

국가명EPI 환경보건 역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아이슬란드 93.5 1 95.1 1

스위스 89.1 2 92.3 4

코스타리카 86.4 3 82.2 43

스웨덴 86.0 4 92.8 2

노르웨이 81.1 5 90.7 11

모리셔스 80.6 6 83.7 37

프랑스 78.2 7 90.7 11

오스트리아 78.1 8 89.5 21

쿠바 78.1 9 84.3 35

콜롬비아 76.8 10 74.6 68

핀란드 74.7 12 90.7 11

국 74.2 14 89.8 19

뉴질랜드 73.4 15 90.7 11

[표 3-5] 주요국가의 2010년도 EPI 순위

환경보건 관련지수

항목 환경성질환 유아사망률위생시설보급률

먹는물 공급

실내공기 오염

도시 PM10

년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2006 - - 98.4 25 100 1 85.6 47 100 1 76.8 52

2008 99.1 38 - - 100 1 86.4 65 94.7 2 84.7 68

2010 76.0 37 - - 85.5 68 86.2 77 94.7 1 70.9 76

[표 3-4] 환경성과 지수 중 환경보건 관련지수

□ 2010년도 EPI 지수 순위26)

○ 2010년도 EPI는 환경보건, 생태계지속성의 2개 대분류로 구성됨

○ 전체 EPI 점수를 분석한 결과 57.0점으로 94위를 차지하며, 환경보건 역의 점수는

80.2점으로 전체 163개국 중 50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됨

26)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2010 자료를 토대로 계산(http://epi.yale.edu/)

주 : 순위는 2010년 EPI 조사대상 163개국 중 해당국가 순위

Page 4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8 -

국가명EPI 환경보건 역

점수 순위 점수 순위

독일 73.2 17 90.7 11

일본 72.5 20 90.2 18

캐나다 66.4 46 92.8 2

네덜란드 66.4 47 89.3 22

미국 63.5 61 88.3 26

폴란드 63.1 63 75.2 65

벨기에 58.1 88 89.1 24

한국 57.0 94 80.2 50

3.2.2.2 환경성질환 부하(EBD ;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27)

□ WHO에서 발표하는 환경성질환 부하는 각 국가에서 발표되는 노출자료와 WHO의 국가 보

건 통계를 기초로 비교위해성평가(CRA ; Comparative Risk Assessment)를 통해 산정

○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고려되는 인자 및 내용은 다음과 같음

Risk factor Exposure Deaths/yearDALYs*/

100cap/year

Water, sanitation and hygiene(diarrhoea only)

Improved water : 92%Improved sanitation : NA

NA NA

Indoor air SFU% households : <5% - -

Outdoor air Mean urban PM10 : 43㎛/㎥ 7,100 0.9

Main malaria vector No transmission

Main other vectors None

*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s(DALYs, 장애보정손실년수) : 질병으로 인해 조기사망에 따른 손실년수

[표 3-6] 우리나라의 환경성질환 부하를 평가하기 위한 내용(WHO, 2009)

□ 우리나라의 환경성질환 부하는 2009년 평가 결과에 따르면 1,000명당 DALYs가 21(세계 최

저 13, 최고 289)로 조사됐으며, 이로 인해 나타나는 사망자수는 55,700명으로 전체 부하

에 17%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남

27) http://www.who.int/quantifying_ehimpacts/national/countryprofile/en/

Page 4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39 -

3.2.2.3 종합적 환경보건기술 수준 분석

□ 기술수준 결과 환경보건기술은 우리나라 환경기술수준의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논문경쟁력지수를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 위해성평가 관리·요소기술 및 환경관리기술의 평

가기술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1991~2005년 기간 동안 논문경쟁력의 상승 폭이 낮거나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분야 기술개발이 필요

□ 미국, 일본의 환경보건 투자 예산과 비교한 결과 미국은 연간 약 510억, 일본은 연간 약

270억 수준으로 우리나라 환경보건 R&D 수준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세계경제포럼의 환경성과지수(EPI)를 분석한 결과, 전체 환경성과지수는 94위를 차지하 으

며, 환경보건 역은 50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됨

□ 환경 및 건강 문제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환경요인으로

환경호르몬, 대기오염물질, 아토피/천식 등을 꼽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투자

가 필요한 연구개발(R&D)분야 또한 마찬가지로 미세먼지, 오존, 황사 등의 대기오염 요인,

환경호르몬, 유해금속, 아토피/천식 등으로 조사됨

○ 또한, 정부지원 정책강화와 규제강화가 필요하며, 환경요인의 저감과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도 중요한 항목으로 조사됨

□ 따라서, 우리나라의 환경보건 분야의 기술수준은 국내 다른 환경기술수준의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선진국과 비교할 때 여전히 낮은 수준 이 으며, 또한 보건과 관련한 연

구개발 투자 규모도 선진국과 비교할 때 저조한 실정이나,

○ 반면 우리나라 국민의 인식조사 결과 건강을 가장 중요한 삶의 가치로 인식하면서 건

강을 가장 위협하는 환경요인으로 환경호르몬, 대기오염물질, 아토피/천식과 같은 요인

을 꼽았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연구개발투자가 필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실정임

Page 4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0 -

3.3 국외 정책·기술동향 분석 및 전망28)

3.3.1.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 관리

3.3.1.1 미국

3.3.1.1.1 정책동향

□ 미국 연방정부에서는 국민건강보호를 위하여 기존의 환경 관리 기준이 국민 건강을 충분

히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기준 강화하고 있으며, 생활환경 유해인

자 위해 관리를 위한 규제 및 가이드라인 보유

○ 각 주정부에서는 주의 환경규제가 연방정부의 지침을 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별

법령 정비

○ 실내공기질, 빛공해, 소음진동 전자파 등 생활환경 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바탕으

로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시

구분 내용

목적

미국 모든 지역의 공기는 호흡하기에 안전하고 건강해야 하며 특히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질환자가 오염된 공기를 호흡했을 경우, 그 위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함. 따라서 대기오염 경감은 환경을 보호하고 훼손된 생태계를 회복시키며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생물에 가해지는 위해성을 줄이는 것이 목적

세부사항

- 대기질 개선 및 유지 관리- 실내공기 정화- 기후변화 대응 및 오존층 보호- 방사능 물질 감소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 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2011)

[표 3-7] 미국 주요 환경보건정책 이슈

□ 실내공기질 관리는 중앙정부 기관이나 NGO에 집중되지 않고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형태로 추진 및 관리하고 있으며 다양한 실내공간을 관리하기 위해 각 작업장 환경에서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

○ 연방정부 차원에서 실내공기질을 다루기 위한 종합적인 위원회(Intergency Committee

on Indoor Air Quality)가 있으나 연방정부차원의 주도적인 강력한 규제보다는 환경청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산업보건안전청(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에서 비규제적인 수단으로 주로 관리

- 주정부 차원의 실내공기질 규제는 건물의 환기기준, 흡연에 대한 규제에 집중

28) 환경부(2012),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상세기획보고서 재구성

Page 5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1 -

- NGO에서 실내공기질의 기준설정이나 관리 지침 개발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미국공조냉동공학회(ASHRAE, th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가 대표적인 민간기구임

○ 환경부는 개인 주택 등에 대한 실내공기질 규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사무실 등의 실내공기질에 대해서는 노동부의 작업장 환경 관리기준에 따라 관리

오염물질 권고기준미세먼지(PM10)

라돈(Rn)이산화질소클로로포름

벤젠

50μg/㎥(연평균)4pCi/L(연평균)

0.05ppm(연평균)0.63ppm0.63ppm

* 자료: EPA

[표 3-8] 미국 EPA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 2000년대 초까지는 VOCs나 미세먼지와 같은 전통적인 오염물질이 가장 중요하게 취급

되어 왔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오염에 대한 중요성

인식 확대

- OSHA는 작업장 공기오염 정도를 기준으로 설정하 고, ASHRAE에서는 환기 및 공기

질과 관련하여 자발적으로 기준 설정

- EPA에서는 대기 및 방사선국(OAR, Office of Air and Radiation) 산하의 실내환경과

(IED, Indoor Environments Division)를 중심으로 국가 실내공기질 관련 정책 및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실내 공기질 위원회(CIAQ, Committee for Indoor Air Quality)"의 활

동을 주도하고 있음

- 실내공기오염과 관련하여 미생물 관리에 대하여 미국 산업위생사협회(ACGIH,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에서는 곰팡이와 비병원

성 세균의 실내공기 중 상한값을 제시하고 있고, 미국 산업위생협회(AIHA,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에서는 실내공기 중 병원성 세균과 바이러스가 없도록

유지해야 한다고 가이드라인에 제시함

- 산업보건국과 ACGIH에서는 작업장 환경에서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음

- 캘리포니아 환경성 대기관리부는 실내 공기 중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분

진(PM10),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폼알데히드 등에 대한 관리지침을 제정․운 하고

있음

- 보건부서에서는 실내공기 오염물질(VOCs 포함)에 대한 노출평가, 노출량 감소 지침을

제시하고 있음

□ 빛공해 관련 정책으로는 이미 1970년대에 관련 정책 도입을 시작으로 각 주단위의 빛공해

Page 5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2 -

관련 가이드라인을 추진하여 국제조명위원회(CI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의 옥외조명 설비 장해광 규제 가이드를 따르고 있음

○ 1972년 애리조나주를 시작으로 뉴멕시코, 코네티컷 등 100개가 넘는 도시가 빛공해 방

지와 관련된 법규나 조례를 제정하 으며, 연방정부 차원이 아닌 각 주(州)나 지방자치

단체 차원에서 빛공해 대책을 실시

○ 빛공해 방지는 안전 및 교통사고 경감뿐만 아니라 천체관측이 가능한 조명 환경 및 에

너지절약을 통한 CO2 저감,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목적을 두고 있음

○ 1991년부터 새로운 수은등의 설치를 금지하 으며 ’11년부터는 모든 수은등을 금지하

고 램프의 제한과 전등갓 씌우기 등의 기초적인 규제 중심으로 확대

- 메사추세츠주는 고령자, 특히 백내장 환자의 운전 시 도로조명의 글레어로 인한 위험

을 방지하는 측면도 고려하는 등 다양한 관점에서 옥외조명 규제

- 캘리포니아주는 지역별로 허용조도, 조명시설 설치기준, 광고조명 규제 등을 적용하는

조명구역 방식을 채택

- 애리조나주에서는 조례로 시내 전지역 광원에 대한 규제를 도입하 으며, 키트피크

국립천문대의 반경 35마일과 마운트 홉킨스 천문대의 반경 25마일에서는 옥외조명으

로 석 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사용을 금지

□ 소음진동 관련 정책의 일환으로 IIC(Impact Insulation Class) 곡선을 사용한 바닥충격음 평

가방법을 제시하여 층간 소음 분쟁 기준 마련

○ HUD(The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에서 아파트 바닥에

규정하고 있는 차음성능의 추정치가 있으며 지리적 위치, 경계적 조건, 바닥구조의 기

능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

- Grade I은 야간에 밖의 소음이 35∼40dB(A)이거나 위치에 관계없이 고층 공동주택에서

8층 이상이고 고급건물인 경우에 적용

- Grade Ⅱ는 표준치로서 외부소음레벨이 보통의 경우 (40∼45 dB(A))

- Grade Ⅲ은 최저치로서 시끄러운 지역(45dB(A))에 적용

□ 전자파 관련 정책으로는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에

서 전자발생장치에 대한 전자발생기준을 설정하고 해당 제품에 대해 심사

○ FCC는 10KHz ~ 3,000GHz의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을 방출하

는 각종 장치에 대해 승인하고, 무선을 이용한 통신장비에 대한 인증 및 불필요한 전

자파장해(EMI) 등에 대한 규제와 승인업무 수행

○ 각종 무선통신장비뿐만 아니라 낮은 출력을 이용한 무선기기 및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

와 동시 사용 중에 전자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대부분의 전기전자기기를 미국으로 수

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FCC 인증 획득 필요

Page 5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3 -

3.3.1.1.2 기술동향

□ 미국은 생활환경 유해인자 관련 연구가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는

인체 향 규명, 위해 저감기술까지 폭넓게 개발되고 있으며, 석면, 전자파 등의 기술은 위

해성 평가 기술 개발 중심으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

○ 환경유해인자 조사, 위해성평가, 위해 예방 및 관리, 위해성 저감 기술이 폭넓게 연구되

고 있으며, 특히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는 통합적 연구로 확대

○ 반면 석면, 전자파, 소음진동 등은 위해성 예방 및 관리, 저감 기술도 연구되고 있으나

위해성 평가 중심으로 연구 지속

□ 미국의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는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연구를 넘어 생활거주공간과 관련된

빌딩 증후군이나 복합화학민감증29) 등 환경 경제적 측면에서 생활 속의 환경 노출로 인

한 인체 향 규명 연구로 확대

○ 미국 EPA에서는 “Healthy Buildings, Healthy People"이라는 향후 10년간의 실내공기질

에 관한 연구 프로그램을 가지고 실내환경의 향을 평가하고, 그 발생원들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노력 수행

- 특히 사무실, 학교를 대상으로 석면, 라돈, 환경담배연기, 미생물 및 각종 실내오염물질

에 대해 조사

- 실내환경에 대한 실태조사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한 관리계획과 교육 프로그램

및 활동카드를 제작하여 관리

○ 1970년대에 이미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가 시작되어 ’90년대 이후에는 오염물질의 위해

성평가, 저감 기술 위주의 연구 확대

- 1970년대 초부터 실내공기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된 이후 ’80년대의 연구는 실내오

염물질의 농도 조사 뿐만 아니라 각 물질의 발생원 추정 및 인체 향 등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었음

- 1990년대에는 실내오염물질들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각종 신기술을 이용한

저감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

○ 최근에는 기존 실내공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연구가 새로운 패러다임 도입을 위한 혁신

적 연구로 발전

-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와 버지니

아공과대학교의 연구진은 인체에 유해한 실내공기 오염물질 측정의 정확성을 확인하

는 새로운 접근법을 2011년 개발

○ 기타 실내공기질 모니터링 및 저감을 위한 주요 기술은 아래와 같이 개발됨

29) 복합화학민감증(MCS: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

Page 5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4 -

주요 기술 동향

배출탐지(LDAR, leak detection and repair)

기술

- 미국 LDAR의 기술 수준을 살펴보면, 1990년대부터 지역별, 업종별로 비산배출원 관리를 법제화하여 LDAR 수행을 의무화함으로써 관련 기술에 있어서는 최고 수준

- 미국의 Inspection Logic사와 API사에서 관련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PDA Datalogger 기술은 이미 보편화된 상황이며, 광학 상화 기술을 비산배출원 관리에 도입하여 화학물질의 대규모 누출을 관리하는데 활용

- 기타 무선전송기술, Taglee LDAR, 상대위치정보시스템(RPS, relative positioning system) 등과 같은 Smart LDAR 기술들이 이미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음

적외선(IR)기술

- 광투과 방식을 이용한 원격측정장치인 DOAS(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meter),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TDLAS(tuneable diode laser absorption spectrometer), CRDS(cavity ring-down spectroscopy) 등의 첨단 환경계측기들이 개발되어 일부 보급되고 있음

가스 센서 기술

- 미국에서 금속나노입자와 탄소나노튜브의 결합에 대한 응용으로 H2, H2S CH4, CO, NO2, NO 등의 가스형태의 물질을 탐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 향후 이를 이용하여 저온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물질들을 탐지하는 감도 높은 가스센서로의 기술개발이 기대됨

입자상 오염물질 측정진단 기술

- 미국의 경우 입자상 물질을 측정하는 장비로 Andersen의 다단 임팩터, MSP의 WPS, MetOne의 CNC(condensation nucleus counter), TSI의 SMPS와 CPC, PMS의 LPC(laser particlecounter)와 Beta gauge 등이 사용되고 있음

- 미네소타대학교의 기계공학과에서는 다양한 입자 측정기술을 개발하여 TSI, MSP 등을 통해 상품화하 으며 이 중에서 초미세입자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로는 TSI의 SMPS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

* 자료: KEITI, 환경기술 기술동향보고서(2011)

[표 3-9] 미국 실내공기질 주요 기술 동향

□ 석면에 관한 연구는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수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도 석면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석면과 비석면의 위해성 관련 기술이 이슈화되

고 있음

○ 미국은 2008년 미국 보건복지부 기관인 질병관리본부(CDC, Center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산하 국립직업안전보건연구소(NIOS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 석면섬유에 대한 새로운 연구 로드맵을 내놓았고

이에 대해 수많은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연구를 진행할 계획

Page 5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5 -

○ 현재 선진국에서 가장 큰 이슈 중의 하나는 석면형태(asbestiform)와 비석면 형태

(non-asbestiform)의 구별 및 이들의 위해성 차이가 있는가 하는 점임

- 석면형태와 비석면 형태는 그 화학적 조성이 같으나 위해성이 매우 차이가 있다는 주

장과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상반된 주장이 공존하고 있어, 이에 대해 지속적

인 연구 필요성이 있음

○ 향후 미국의 석면에 대한 연구 프레임 및 어젠다는 다음과 같음

번호 전략적 목표 목적

1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의 독성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에 대한 폭넓은

이해

- 물리적, 화학적 표면 속성이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의 독성에 미치는 향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관 실험 수행

- 물리적, 화학적 표면 속성이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의 독성에 미치는 향을 확인하기 위한 동물실험 수행

2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 에 대한 직업적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향에 대한 정보 및 지식 개발

- 다양한 종류의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와 관련된 직업적 노출 정보 평가

- 다양한 종류의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의 노출과 관련된 건강 향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

- 다양한 종류의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에 노출된 근로자에 대한 선택적 역학조사 수행

- 석면 섬유 및 기타 EMPs에 의한 질병의 스크리닝, 진단, 치료 및 2차예방을 위한 임상도구와 수행 향상

3

미네랄 섬유 및 기타 EMPs를 위한

분석방법론과 향상된 샘플링 개발

- 석면 섬유에 사용되는 최근 분석방법론의 연구자 및 실험실 간 변수 감소

- 공기 중 노출에 대해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미세한 EMPs를 시각화하여 감도가 향상된 분석방법론 개발

- 석면 형태의 섬유 노출과 비석면 유사물질로부터의 EMPs 노출 간 구분을 위해 실용적인 공기 샘플 분석방법론 개발

- EMPs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방법론 개발- EMPs의 사이즈 선별적인 샘플링 방법 개발 및 확인

* 자료: www.cdc.gov/niosh

[표 3-10] 미국의 석면에 대한 전략적 목표와 목적

Page 5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6 -

□ 전자파 노출 관련 기술로서는 1979년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의 송전선과 어린이 백혈

병과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역학연구를 시작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인체 위해성에 대한 연

구는 결론이 나지 않은 채 계속 진행 중

○ 지난 1979년 미국 덴버에서의 송전선과 어린이 백혈병간의 역학연구 결과가 발표 된

후 전자파의 인체 위해성에 대한 연구의 진행은 수십 년간 지속되어 오고 있으나 여

전히 위해성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음

- 역학연구 : 미국을 비롯한 각국에서 후속된 역학연구의 결과는 특정질환과의 관련성을

완전하게 재현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기존 역학연구를 뒤집을만한 결론 역시 도달하

지 못하고 있음

- 동물연구 : 반복적인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일부 연구를 제외하고는 위해성을 입증할만

한 연구결과는 없음

- 세포연구 : 최근의 발달된 분석기법들에 따라 생물학적 향을 확인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음

○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와 에너지부(Dept. of Energy)에서는 1995년

EMF(ElectroMagnetic Field, 전자파) RAPID(Research And Public Information

Dissemination) 프로그램을 통하여 극저주파(ELF) 전자파의 인체 위해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를 실시함

- 인체 위해성에 대하여는 여전히 논란의 소지가 있으며 현 단계에서는 과학적 결론에

도달할 수 없음을 밝히고 연방차원에서의 전자파 기준은 제시하지 않았으며 가능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개인차원에서 현명하게 회피할 것을 권고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린

바 있음

○ 기초 연구 측면에서도 미국이 2001~2010년 사이 발표된 전자파 관련 SCI 논문의

13.8%를 차지하여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그림 3-2] 전자파 관련 SCI 논문 수(단위: 건)

* 2001~2010년 사이 발표된 SCI 논문 기준

□ 소음․진동 분야의 연구는 미국이 기초연구의 성과로 볼 수 있는 SCI 논문의 점유율이 가

Page 5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7 -

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양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

○ 2001~2010년 사이 발표된 소음․진동 관련 SCI 논문을 분석한 결과 미국이 전체의

28.6%인 1위로 관련 기초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남

- 유해인자 모니터링 및 노출 평가 기술에 논문 발표가 집중되고 상대적으로 위해도 관

리 및 위해도 저감 기술은 저조

[그림 3-3] 소음․진동 관련 SCI 논문 수(단위: 건)

* 2001~2010년 사이 발표된 SCI 논문 기준

3.3.1.1.3 산업동향

□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관련 시장이 꾸준히 증가하여 종합적인 환경 서비스 산업으

로 발전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 시장이 가장 크게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실내공기질 시장, 소음진동 관련 시장을 포함하여 약 100억달러 이상의 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

○ 라돈 등 최근 이슈화된 유해인자 관련 시장은 관련업체수가 증가하면서 시장이 확대되

고 있는 추세

□ 미국의 실내공기질 시장은 꾸준히 증가하여 종합적인 환경서비스 산업으로 발전

○ 실내공기질 시장은 공기청정기 등의 장비 생산, 컨설팅 및 테스트, 환경서비스로 나뉘

어지며 미국 실내공기질 시장은 2008년까지 연평균 11.1%가 성장

Page 5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8 -

(단위: 백만달러)

2002년 2003년 2008년 CAGR

장비 3,000 3,300 4,600 6.9

컨설팅/테스트서비스 880 950 1,400 8.1

환경서비스 1,000 1,300 3,400 21.2

합계 4,800 5,550 9,400 11.1

* 자료: BCC Research(2004)

[표 3-11] 미국 실내공기질 시장 규모

○ 특히 실내공기질 관리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공기청정기 시장 급성장

- 최근 5년동안 미국 공기청정기 시장이 연평균 7.5% 성장하는 등 꾸준한 신장세를 보

이고 있으며 지난 2007년 미국에서는 집진기능 위주의 100~200달러 가격대의 보급형

청정기가 375만대정도 판매됨

- 북미의 공기청정기 시장은 초기 단계로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 확산과

알레르기 보유 인구의 증가 등으로 최근 시장이 급속히 성장해 왔으며, 향후 더욱 가

파른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라돈 저감 관련 공법을 시행하고 있는 시공업체의 수는 약 1,000여개로 추정되며 자발적

동참 업체 증가 추세

○ EPA 기준에 따라 신축건물에 적용하는 라돈 저감 시공업체는 2010년 기준 28개 주 49

개 업체로 추정

○ 주정부의 라돈프로그램에 동참하고 있는 라돈저감 시공업체수는 약 1,000여 개로 그 중

코네티컷주는 31개 업체, 콜로라도주는 89개 업체가 실내공간 등에 대한 라돈저감공법

수행 중

○ 라돈저감공법의 수행 비용은 800달러~2,500달러(평균 1,200달러)로 추정

□ 소음공해 관련 시장은 생산품업 1억달러, 소음공해방지 시설물업 1억달러의 규모 형성

○ 1998년도 미국 환경청과 상무성의 국제 교역국 통계보고30)에 의하면 1995년도에 1,028

억 달러 (약 120조원)가 환경관련 산업적 가치로 평가하고 있으며 그중 소음 공해 관련

시장은 약 2억 달러

30) Survey of Environmental Products and Services

Page 5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49 -

생산품업 총계 144억불 서비스업 총계 557억불 시설물업 총계 170억불대기처리수․폐수처리고형폐기물처리에너지 보존소음공해방지모니터링 분석

46억불52억불7억불25억불1억불13억불

대기처리수․폐수처리고형폐기물처리모니터링 분석행정, 관리, 공학수·폐수처리

12억불94억불347억불41억불63억불165억불

고형폐기처리소음공해방지

4억불1억불

* 자료: Survey of Environmental Products and Services

[표 3-12] 미국 환경 관련 시장 규모

3.3.1.2 유럽

3.3.1.2.1 정책동향

□ 유럽 주요국의 실내공기질 관련 정책은 예방, 오염자 부담 형태로 추진되면서 전통적인 오

염물질 관리에서 벗어나 확대 추세

○ 유럽 내 국가들의 실내환경 관련 정책은 범국가적 이해관계와 국가 내 모든 분야를 포

괄하는 종합 정책 추구

-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Council, European Parliament 등이 정책 및 규정을

제정함과 동시에 정부 및 지역자치단체 차원에서 그 해결책 제시 유도

○ 유럽공동연구(ECA)를 조직하여 실내공기오염 문제에 적극 관여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유럽 규격(EN) 및 국제표준규격(ISO)에 반 중

- 폼알데히드는 유럽공동체 각국의 절반이상이 관련 대책을 보유

- 폼알데히드의 실내 가이드라인 농도는 1987년에 제정한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근거(0.1mg/m3)

- WHO에서는 실내환경과 건강 측면의 축적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해 VOCs 항목을

포함한 기타 실내공기질 항목에 대해 2000년 개정안 제시

○ 덴마크의 실내공기질 관리업무는 건축부의 소관으로 되어 있으며 1995년 이후 실내공

기질 항목이 법에 포함

- 덴마크 건축부는 1990년대 처음 시작된 실내공기질 인증제도(ICL: Indoor Climate

labelling)를 도입하여 제품이 실내환경에 미치는 향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

하여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

- ICL의 기본 개념은 새로운 제품으로 발생되는 냄새와 VOCs를 측정하여 실내공기질에

향을 미치지 않는 시간(Indoor-relevant time-value) 즉, 제품이 얼마나 오래 오염물

질을 배출하는가를 결정

○ 독일은 실내공기관리를 위하여 환경부, 보건부, 경제부, 건설부, 내무부, 과학기술부 등

이 함께 참여하는 부처실무그룹을 구성하여 운

Page 5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0 -

- 1992년 실내공기질 관리 개념을 처음 정립하고 부처간의 협력으로 예방의 원칙, 오염

자부담원칙, 협동의 원칙을 강조

주요 오염원 항목

오염물질 발생원

- 건축자재- 마감재 및 사무용 기기- 난방, 환기,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주변 환경이 열악한 곳에 위치한 건물- 청소 및 유지 관리를 위한 제품- 목재, 섬유제품, 실내 식물 보호를 위한 제품- DIY 제품- 담배연기

오염물질- 라돈- 알레르기 유발 먼지, 미생물- 화학물질

*자료: KEI,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2004)

[표 3-13] 독일 실내공기 관련 법의 주요 오염원

○ 국은 1996년 국가환경실천계획(National Environmental Action Plan)을 도입하여 실

내공기질 개선 추진

- 2003년에는 가정의 질소산화물, 폼알데히드, VOCs 농도를 감소추세로 돌리는 것을 추

진하 으며, 신규 건물에 대해 건설표준과 환기기준을 적용

○ 네덜란드는 VROM(Minitry of Housing, Spatial Planning and Environment)가 실내공

기질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나 실내공기질 기준에 대한 규제보다 주거공간의 질 측면의

관리 추진

-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의 연합체로 구성된 SCANVAC31)에서 실내공기 환경

을 분류하고 가이드라인 제시

구분 노출 시간최대 허용농도(mg/㎥)

Air Quality 1차 Air Quality 2차 Air Quality 초과시

T-VOCs 0.5h 0.2 0.5필요에 따라

별도규정

HCHO 0.5h 0.05 0.1필요에 따라

별도규정

* 자료: SCANVAC

[표 3-14] SCANVAC의 실내공기환경 분류

31) SCANVAC(Scandinavian Federation of Heating, Air Conditioning, and Sanitary Engieering Associations): 공조기기, 에너지, 건축환경, 의학 등을 전문으로 하는 학회

Page 6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1 -

○ 스위스는 연방정부 차원의 실내공기질 관리 활동은 거의 없고 주정부나 시정부 혹은

민간단체의 활동을 통해 관리하되 라돈에 대해서는 연방정부에서 관리

- 연방 보건국에서는 담배연기와 라돈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관련법을 마련하여

①고농도 라돈 오염지역의 결정 ②고농도 지역에 적용되는 건축규제 작성 ③대중 홍

보 ④교육기관과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을 우선과제로 추진

□ 석면은 1980년대 북유럽을 선두로 유럽 각국에서 석면 사용 금지 움직임이 시작되어 대부

분 1980년대에 유럽 주요국이 석면의 생산, 수입, 판매를 불법으로 규제

○ EU에서는 1983년 EC지령(EC Directive, 83/478/EEC)으로 청석면의 판매및 사용을 원칙

적으로 금지시켰으며, 1991년에는 청석면, 갈석면을 포함한 5종류의 각섬석계 석면의

판매 및 사용 전면 금지로 확대

○ 독일은 1986년 ‘위험물질로부터의 보호에 관한 법’이 제정되어 석면 함유 물질, 조합

물, 제품의 제조 및 사용, 유통에 대해 규제 목록을 제시

○ 2006년 ILO는 회원국에서 ’석면과 석면함유제품의 어떤 형태의 사용도 금지하도록 촉

진할 것을 결의(‘석면관련 결의’)

- 유럽 등을 중심으로 석면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규제 확산

○ 서유럽, 스칸디나비아 등은 1970년대에 소비의 정점을 이루었으나 이제는 사용이 제한

되거나 금지

- 유럽에서는 석면 사용이 1950년대부터 급증하여 1980년대까지 사용되었고, 이후 일

부 국가에서 사용에 제한되거나 금지되면서 사용량이 감소

- 1990년에 유럽연합의 European Directive에 석면 사용 금지를 명시하면서 사용이 급감

하기 시작하 고, 1905년에 석면이 함유된 제품의 사용과 거래에 대한 완전금지가 발효

- 1906년부터는 석면 작업자 보호조치 규정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석면 채광 및 석면

함유제품의 생산 및 가공 금지

□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에 대해서는 EU 차원에서 권고안을 제시하고 각국별 법제화하여 강

제적으로 규제 추진

○ EU는 일반인에 대한 인체보호기준 권고안을 회원국내 기준을 목표로 EC 지침을 제정,

발표하 으나, 현재 각국별 기준 도입 및 채택

- 특히 스위스는 2000년 2월부터 전력선과 이동전화기지국 및 방송국에서 방출되는 전

자기장에 대해 인체보호 기준을 채택하여 전력선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은 ICNIRP 기준

의 1/100 수준인 1uT, 이동통신기지국주변의 전력밀도는 4uW/cm2 로서 ICNIRP기준

의 1/100 수준으로 규정

Page 6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2 -

3.3.1.2.2 기술동향

□ 유럽의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주요 유해인자 중심으로 연구가 확대

되면서 최근에는 민감계층에 대한 위해성 평가 관련 연구 증가

○ 유럽연합의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 JRC)는 2002년에 유럽 지역의 실내

공기 오염실태와 향후 검토해야 할 우선평가물질리스트 발표

- 유럽에서는 독일이나 북유럽 국가에서 1970년대에 합판이나 소립자 보드로부터 방산

된 폼알데히드에 의한 실내공기오염이 문제가 되어 실내농도 지침이 책정

- 유럽공동연구(European Collaborative Action: ECA)의 프로젝트에 의해 실내공기중 화

학물질의 실태조사, 측정방법, 사람에 대한 향 및 위해성 평가 등 지금까지 23개 조

사보고서가 발표됨

- 유럽연합의 공동연구센터는 유럽의 주요 전문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럽연합의 실

내 폭로한계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평가프로젝트로서 「INDEX 프로젝트」개시하고 ①건

강 향의 기준에 근거한 실내환경을 규제하는 우선물질 리스트 작성, ②우선 물질의

폭로한계농도 제안·권고 등을 목표로 추진

○ 유럽에서는 실내공기질 평가의 연구를 넘어 인체와 실내공기의 상관관계 및 저소득층

등 민감계층에 대한 위해성평가 연구 확대

- 이에 따라 현재 유럽의 경우, 노약자 및 어린이들 같은 민감집단 대상으로 실내공기

질과 건강이란 주제로 다수의 연구 진행

- 시설물 대상으로는 저소득층의 주거공간이 많은 일반 가정주택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

이 왕래하는 공공 빌딩을 대상으로 중점연구의 대상으로 선정되어 진행 중임

기술 동향

가스센서 기술

- 국 맨체스터 대학교에서는 공항이나 가정에서 폭발성 가스의 검출이나 알코올 기체, CO 등의 검출에 사용될 수 있는 정확성이 높은 흑연판 센서 개발

- 단일 센서들은 NOx, NH3, O3, CO, CH4, H2, SO2, LPG 및 각종 유해성 가스들을 검출하는데 사용되고, 다중 센서들은 혼합가스들의 성분을 검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음

입자상 오염물질 측정진단 기술

- 핀란드의 경우 Dekati의 ELPI가 상품화 및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연구기관에서 사용

실내공기질 기술 적용 에코 빌딩

기술

- 신건축물의 경우 설계 단계시 건강, 보건, 환경, 보안 및 안전 등을 고려한 총체적 개념의 주거 환경으로 온·습도 등 실내공기질 문제를 반 하여 에너지 효율 문제 등과 조화를 이루는 시스템 개발에 한참 진행 중

- ‘건강한 빌딩(Healthy Building)’ 개념 도입에 대한 시도가 건설업체, 주택공급회사, 지방자치정부, 지역주택조합, 대학, 민간단체가 참여하여 유해인자 진단 및 처리를 위한 통합시스템 개발에 기여를 하고 있으며, 저가의 무선형 센서 및 제어기기 및 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화 노력 중

* 자료: KEITI, 환경기술동향보고서 요약

[표 3-15] 유럽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 동향

Page 6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3 -

□ 전자파 관련 연구로는 RF 대역의 인체 위해성 평가 연구를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

○ RF대역의 전자파에 의한 인체 위해성을 평가하고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

트가 유럽 국가를 비롯해 수십 개국의 전문가가 모여 진행된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이

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등도 활발하게 참여하여 최종 결과 발표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

- 13개국에서 수백만 명에 달하는 연령 9~30세의 모집단에서 약 6,000건의 증례가 수집

되었기 때문에 환자 대조군 연구의 결과로 얻어진 이 정보는 뇌종양과 같은 희귀병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3.3.1.2.3 산업동향

□ 유럽의 실내공기질 시장은 장비 생산과 함께 건물의 실내외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추세

○ 국의 빌딩연구기구(BRE: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는 병원 및 헬스케어 빌딩,

주택, 학교, 레저시설 등의 실내공기질을 포함한 실내외환경에 대한 진단 및 다양한 솔

루션을 제공32)

○ 최근에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 시스템의 필요성

에 따라 반도체의 기술과 접목시킨 전자코 센서기술이 적용된 제품 판매 증가

- 국의 Aromasean PLC, Bloodhound Sensors Ltd., 독일의 Airsesnse Analysis Gmbh,

HKR-Sensorsystem Gmbh 등 선진국에서 상용화되어 고가에 판매

3.3.1.3 일본

3.3.1.3.1 정책동향

□ 일본에서 실내공기질은 국토교통성, 환경성, 후생노동성, 문부과학성이 관리하고 있으며

국토교통성의 경우 실내 공기와 관련된 하부기관으로 주택국과 사회자본 정비심의회가 있

○ 국토교통성 주택국은 크게 주택행정과 건축행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주택행정은 주택의

성능표시제도 정비 등을 통해 주택품질 확보 및 향상을 유도하고, 에너지 절약 대책이

나 Sick House 등의 실내화학물질에 대한 대책을 추진함

○ 후생노동성은 실내공기오염물질에 대한 제도와 규정을 다루고 있으며 ‘Sick House(실내

공기오염) 문제에 관한 검토회(2000년 4월 발족)’를 중심으로 휘발성 오염물질에 대한

개별적인 지침서, 오염물질 채취방법, 측정 매뉴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32) www.bre.co.uk

Page 6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4 -

○ 문부과학성에서 2002년 2월 개정된 학교환경위생 기준(규제)에서는 총 부유세균이 아닌

낙하세균으로 규제하고 있는데 평균 10CFU/교실 이하로 규제하고 있음

○ 일본에서는 입자상 부유물질에 대한 관심으로 2000년 전후부터 계속된 자동차 배기가

스 대책 강화 등 환경기준 달성률을 유지

- 일본 환경성에서는 1999년부터 2006년까지 PM2.5를 세 분야(인체노출평가, 역학, 독성

평가)로 나누어 연구 수행, 2000년에는 PM2.5 질량농도 측정 매뉴얼을 작성,

2001~2006년까지 5년간 전국 7개 지역을 대상으로 PM2.5 농도를 측정

- 2002년부터 CAPs(Concentrated Air Particles) 흡입노출시스템을 제작하여 2007년에

PM2.5 측정 매뉴얼을 개정

- 2008년 3월에 '신환경기본계획'을 수립하여 PM2.5의 실태 분석 및 독자적인 대책을 확

립하여 PM2.5의 환경목표치 기준 설정을 검토하여 자동차 배기가스 대책을 강화

□ 석면 문제는 우리나라와 같이 2000년대 중반 이후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강화된 석면 관

련법을 제정

○ 2005년 이전에는 1960년대에 제정된 "진폐법"으로 석면제조공장의 근로자 건강피해를

예방하는 목적을 두었고, 1971년에는 '특정화학물질 장애예방규칙'이 제정되어 석면에

대한 노출환경을 규제

○ 일본 석면 관련 정책은 크게 노동안전위생법, 석면장애예방규칙, 대기오염방지법 등으

로 나뉘며 제품의 석면 함유량 및 석면 폐기 시 분류 처리 하도록 규정

- 노동안전위생법은 후생노동성에서 규제하며 석면을 함유하는 제품의 제조의 금지와 관

련된 사항과 석면취급 근로자의 건강관리수첩에 대한 규정을 다루고 있음

- 석면장애예방규칙에서는 1975년 석면(중량기준)이 5%를 초과 함유한 제품을 제조하

는 작업은 석면장애예방규칙에 준해 작업을 취급하도록 규정한 것을 시작으로 2006년

이후에는 석면함유량 0.1% 초과 시 규제로 강화

- 대기오염방지법은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석면입자의 농도를 규제하는 법으로 석면입자

를 특정분진으로 정의하고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제

- 폐기물 청소관리법에서는 석면 중 뿜칠석면이나 보온재와 같이 비산성이 높은 폐기물

을 특정관리 폐기물에 분류하여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와 같은

고형폐기물을 일반사업장폐기물로 분류 처리하도록 규정

□ 일본의 빛공해 관련 정책은 1980년대에 시작되어 빛공해에서 에너지 저감을 위한 빛공해

정책으로 확대

○ 1980년대 후반부터 장해광을 빛공해로 보는 조례 등을 규정하여 빛공해의 범주를 정의

- 일본 환경성에서는 빛공해를 ‘양호한 조명환경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누출광에 의해 장

해를 받고 있는 상황을 빛공해라고 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장해광에 의한 악 향’을 빛

공해로 정의

Page 6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5 -

[그림 3-4] 일본 환경성의 빛공해 개념도

* 자료: 일본 환경성(2006)

○ 1998년 환경성에 의해 '광공해 대책 가이드라인‘이 제정되어 전국 각지의 지방자치 단

체에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오락실 등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빛을 금지하는 조례를 제

○ 2006년 빛공해 대책 가이드라인 개정판을 발행하여 이산화탄소절감 라이트다운 캠페인

실시

3.3.1.3.2 기술동향

□ 일본 실내공기질 관련 기술은 소형․휴대형 형태의 측정 기술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일

부 측정 기술은 미국을 앞서고 있음

○ 일본의 오사카 대학에서는 SO2, NOx, NH3 등의 환경오염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를 개발하 으며, 이는 고체 전해질(이온전도성 고체)을 이용한 제품으로 신뢰성이 높

고 가볍고 소형이며 저가여서 현장에서 환경오염가스를 감지하여 계측하는데 활용성

이 높을 것으로 예상

○ 대학을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입자상 오염물질 측정 진단 기술 개발

- 히로시마 대학교를 중심으로 에어로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실험실 수준의

Nano-TDMA(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 등 입자 분리/측정기를 자체 개발하여 활용

하고 있으며, 일부 측정기술은 미국 수준을 넘어섬

- 일본 Y대학교 Shinji는 2008년도에 터널이나 광산에서 먼지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를

개발하 으며, 카메라가 어두운 터널에서 단순하게 플래시를 터뜨려 사진을 찍어 어두

운 터널내의 먼지 수준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

Page 6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6 -

[그림 3-5] 터널 및 광산 등에서 먼지를 모니터링하는 장치(일본 Y 대학교, 2008년)

* 자료: KEITI, 환경기술 기술동향 보고서(2011)

□ 일본은 석면함유 폐기물 무해화기술을 2000년대 중반부터 추진하여 이미 관련 기술 개발

성과를 확보

○ 2006년 폐기물처리법 일부를 개정하여 석면 폐기물의 무해화를 시도하는 고급기술에

대해 환경성 장관의 인정을 받도록 하는 인증 제도를 제정 하고 키타큐슈시와 히타치

조선주식회사 등이 공동으로 석면 폐기물 무해화 처리 실증시험 실시

○ 일본은 매립처분에 의존하고 있던 석면 함유 폐기물 처리에서 '고도 기술에 의한 무해

화'라는 새로운 기술을 확보하여 인증 절차를 밟고 있음

- 호쿠리쿠전력주식회사 기술개발연구소는 석면 매립처분 및 수집 운반에 따른 환경 위

험을 저감하는 무해화처리 기술을 개발(2010년 석면 건축자재 해체 및 최종처리 한일

세미나 발표)

- 쿠보타마츠시타전공외장(Kubota Matsushitadenko Exterior Works)주식회사는 마이크로

파 가열에 의한 석면 건재 무해화장치의 개발로 마이크로파를 활용하여 석면 결정구

조를 파괴하여 저비용으로 석면함유 건자재를 파쇄함으로써 이차적인 비산없이 원래

크기 그대로 균일하고 신속하게 고효율로 가열하여 무해화하고, 무해화한 것은 건자재

등으로 다시 자원화하는 기술 개발

- 에코플랜트사는 2009년 1500℃ 용해 무해화 실증 실험에 성공하여 2011년 시즈오카

에서 처리사업을 개시하 으며, 기존 고온처리 방식 대비 비용 절감으로 석면 처리비

를 낮추고, 용융처리 후 슬래그화된 각종 재료는 재이용 가능

3.3.1.3.3 산업동향

□ 일본 실내공기질 관련 제품으로 공기청정기 시장이 급성장 하 으며, 2010년 천억엔대로 성장

Page 6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7 -

○ 일본전기공업회에 따르면 일본 내 공기청정기 관련 제품 출하 대수가 2002년부터 3년

간 180만대에 이르며 보급률 25% 돌파

[그림 3-6] 일본 공기청정기 관련 시장 규모 예측

(단위: 백만엔)

*자료: 중소기업청, 공기청정기의 시장기술 보고서(2009)

□ 일본 전자파 시장의 전자파 차폐필름업체는 도요, 타츠다 등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으며, 전

자파에 대한 법적 규제 강화로 시장규모가 빠른 속도로 성장 중

○ 세계 전자파 노이즈 대책 관련 시장규모는 2006년 기준으로 1조 7,000억원 규모로 추

정되며 연평균 16%로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 일본이 약 29%를 차지

[그림 2-7] 세계 시장 및 일본의 전자파 노이즈 대책 관련

시장 규모 (단위: 천만원)

* 자료: 한국전자진흥협회, EMC 노이즈 대책 부품 동향보고서(2006)

Page 6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8 -

3.3.1.4 시사점

□ 정책적으로 신규 실내공기질 오염물질 관리로의 변화, 석면 위해성 방지를 위한 정책 도입,

에너지저감을 위한 빛공해 방지, 전자파 발생 기준 도입을 통한 위해성 대응 방향으로 수

요 발생

○ 실내공기질의 주요 유해인자에 관한 정책 방향 및 연구가 전통적인 오염원에서 신규

오염원에 대한 집중하면서 실내 공간 차원의 공기질 관리에 초점을 두는 형태로 변화

- 미국은 2000년대 초까지 VOCs,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

었으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관한 관리로 확대하고, 보건 관련 부서 등에서는 실내공

기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평가, 노출량 감소 지침 제시

- 유럽공동으로 실내공기오염에 대해 이미 1980년대에 가이드라인을 수립하 으며, 독일

등 주요 국가에서는 실내공기질 관련정책이 예방 및 오염자 부담 형태로 변화

- 일본은 2000년대에 'Sick House' 문제가 대두되면서 입자상 부유물질, 미세먼지 등에

대한 대책을 확대

○ 유럽, 일본은 석면 사용 등의 규제를 도입하여 석면으로 인한 위해성 방지 대응

- 북유럽 국가들을 선두로 유럽 각국이 석면 사용 규제 또는 금지 정책을 수립하여

2005년에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 완전 금지됨

- 일본은 석면 함유 제품 제조, 사업장 배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폐기 시 분리처리 하도

록 규정

○ 빛공해 관련 정책은 미국, 일본에서 1970~1980년대에 이미 시작되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단순 공해 대응을 넘어 에너지 저감을 위한 빛공해 방지 정책으로 발전

- 미국은 인공조명으로 인한 빛공해 관련 가이드라인을 이미 70년대부터 보유

- 빛공해 관련 정책은 이미 1980년대에 수립되었으며, 에너지 저감을 위한 빛공해 정책

으로 진화

○ 미국, 유럽 등에서는 전자파 발생 기준 제시 등의 정책 도입으로 전자파 위해성 대응

- 미국은 전자파 관련 기준 등 가이드라인을 미국연방통신위원회를 통해 이미 70년대부

터 전자발생기준 설정 및 제품 심사 제도 도입

- 유럽은 EU 차원에서 전자파 관련 권고안을 제시하고, 각국별로 법제화하여 강제적으

로 규제 추진

○ 소음진동 관련 정책으로 층간 소음 등 생활 상 갈등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 미국, 일본은 소음진동 관련 정책으로 층간 소음 등의 일상생활 내 발생할 수 있는 갈

등 방지를 위한 기준 제시

□ 실내환경 환경유해인자 관련 기술 및 연구는 유해인자의 복합 향 및 저감 기술 개발, 석

면 및 석면 유사물질의 위해성 연구, 전자파의 위해성 평가 및 신규 주파수 연구로 확대되

Page 6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59 -

고 있음

○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연구에서 생활거주공간과 복합화학민감증 등 다수의 유해인자로

인한 실내공기질 변화 등에 대한 연구 확대

- 미국은 실내공기질 관련 인체 향 규명, 위해 저감 기술까지 폭넓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환경 경제적 측면에서의 연구로 발전

- 유럽은 공동연구센터를 통해 우선평가물질리스트를 선정하는 한편, 실내공기질 평가

연구를 넘어 인체와 실내공기의 상관관계, 민감계층에 대한 위해성 평가 연구로 확대

- 일본은 소형, 휴대형 형태의 측정 기술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입자상 오염물질 측정

기술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 기술 보유

○ 석면 관련 연구는 석면 위해성 연구에서 비석면 등의 석면 유사물질의 위해성 연구로

확대

- 미국은 석면 형태의 위해성 연구에서 비석면형태의 위해성 연구로 확대하여 석면 및

석면 유사물질 등의 폭넓은 연구 진행

- 일본은 석면 함유 폐기물 무해화 기술을 2000년대 중반부터 추진하여 관련 기술을 보

유하고 정부차원에서 기업과 연계하여 무해화 기술 실증 실험 실시

○ 전자파 관련 연구는 인체 및 생태계 위해성 연구에 대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아 대부분

의 국가에서 위해성 연구 중심으로 신규 주파수의 위해성 평가로 확대

- 미국에서는 전자파 노출 관련 연구가 1970년대부터 진행되어 왔으나 결론이 나지 않

은 채 위해성에 대한 논란 및 연구가 지속되며 역학연구, 동물 연구, 세포 연구 등을

진행 중

- 유럽에서는 RF 대역의 인체 위해성 평가 연구를 대규모로 진행 중

□ 실내공기질 시장은 공기청정기 등 소비자제품 중심에서 솔루션 시장의 성장 확대, 전자파

관련 시장은 전자제품, 자동차 등의 기업 고객 대상의 노이즈 대응 시장 중심으로 성장

○ 실내공기질 시장은 소비자 제품인 공기청정기 시장이 시장을 주도 하고 있으나 실내공

기 진단 및 컨설팅 등 솔루션 서비스 시장 확대

- 미국은 공기청정기 등의 장비 및 실내공기 컨설팅 서비스 등을 바탕으로 실내공기질

시장이 연평균 11.1%33)의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음

- 유럽의 실내공기질 시장은 장비 생산 및 건물의 실내외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자코 센서기술 적용 제품 등의 출시 증

- 일본의 실내공기질 시장은 공기청정기 시장 중심으로 성장하여 2010년 천억엔대 규모

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34)

33) BCC Research, 2002~2004년 실내공기질 시장, 2004

34) KISTI,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2007

Page 6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0 -

○ 라돈의 경우 미국에서는 라돈 저감공법 유도로 자발적 동참 시공업체 증가로 관련 산

업 확대

○ 세계 전자파 노이즈 대책 관련 시장규모는 1조 7,000억원 규모이며, 그 중 일본이 29%

점유

□ 정책, 기술 및 연구, 산업 동향을 보면 미국, 유럽, 일본의 선진 국가에서는 공통적으로 관

련 분야의 연구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으며 연구자원 및 연구 성과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음

○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는 초기에는 주로 생태학적 모형에 의한 역학연구가 수행되었으

며, 이후 기전 연구가 실시되는 등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 실시

- 초기연구로 볼 수 있는 논문의 양적 성과 등이 광범위하게 생산되고 있어 위해성평

가, 측정기술, 저감 기술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의 연구가 진행 중

- 석면의 경우 미국, 일본 등은 무해화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가 2000년대부터 추진되

어 관련 기술 확보가 이루어진 상태

○ 물리적 유해인자 관련 연구는 인체 위해성 평가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선진국에서도

인체 향에 대한 결론이 분분한 상황으로 관련 연구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 빛공해 관련 분야는 미국, 일본 등이 이미 1980년대에 빛에 대한 인체 위해성을 공해

로 정의하고 관련 정책을 세우고 인체 및 생태계에 대한 위해성 연구를 계속 추진 중

- 극저주파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 및 접촉전류에 의한 작용과 비열적 효과와 관련된

인체 상호작용 메커니즘은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전자장 노출 기준과

같은 관련 제도에 반 될 수 있을 만큼, 명확한 근거가 아직 없는 상황

Page 7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1 -

3.3.2. 환경성질환 대응

3.3.2.1 미국

3.3.2.1.1 정책동향

□ 환경성질환 관련 정책수립과 연구는 EPA 및 CDC와 그 산하기관에서 수행

[그림 3-8] 환경성질환 관련 정책 수립 및 연구 수행 기관

□ 환경보건정책 수립 시 어린이 건강에 초점을 맞춰 정부와 기업이 함께 노력

○ 백악관은 1997년 환경오염으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Executive Order 13045

를 발표하여 어린이 건강 보호국 신설

- EPA 산하에 OCHP(OCHP, Office of Children's Health Protection)를 설립하여 어린이

건강문제 전담

- 미국 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어린이 환경 향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 보

고서 발간

- 이 기구를 중심으로 대통령 직속의 어린이 환경 보호 전담반 구성

○ 연방정부에서는 기존의 환경 관리 기준이 국민건강 보호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기준을 재설정하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유해물질

을 저감할 수 있도록 유도

- 주정부에서는 주의 환경규제가 연방정부의 지침을 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별 법령

정비

- 기업이 스스로 유해물질 사용을 저감토록 하는 ‘VCCEP35)'과 유해물질 독성 정보를 제

공하는 ’TEACH36)'를 도입하여 환경성질환으로부터 어린이 보호

35) Voluntary Children's Chemical Evaluation Program. 자발적 어린이 화학물질 평가 프로그램. 어린이 건강을 위협하는 물질에 대해 제조․수입하는 업체에게 잠재적인 위해성 자료를 공개하도록 하여 산업체가 해당물질에 대해 자발적으로 사용 또는 수입을 저감토록 유도하는 프로그램

Page 7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2 -

○ 미국의 환경전략 이행과 관련한 주요 환경정책이슈는 생활하면서 노출될 수 있는 환경

인자들의 위해성을 감소시키는 데 중점

- 깨끗한 공기는 실내외 공기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및 산업발전으로 인한 위해를 관리하

여 환경성질환 감소

목적

미국 모든 지역의 공기는 호흡하기에 안전하고 건강해야 하며 특히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질환자가 오염된 공기를 호흡했을 경우, 그

위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함. 따라서 대기오염 경감은 환경을 보호하고

훼손된 생태계를 회복시키며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생물에 가해지는

위해성을 줄이는 것이 목적

세부사항

- 대기질 개선 및 유지 관리

- 실내공기 정화

- 기후변화 대응 및 오존층 보호

- 방사능 물질 감소

* 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보건관련 법령체계 개선방안 연구(2006)

[표 3-16] 깨끗한 공기 관련 환경전략 목적 및 세부사항

○ 어린이에 대한 대규모 환경보건 연구계획을 수립하여 환경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향 연구 추진

- 주요 조사 내용은 임산부의 특정 화학물질 노출이 어린이 학습능력에 미치는 향, 환

경오염물질로 인한 천식발생, 텔레비전 시청이 유아에 미치는 향 등

- 조사방법은 10만 명의 태아를 샘플로 선정하여 21세까지 조사를 진행, 오염 물질 노출

수준과 그로 인한 인체 향을 연구

- 납노출로 인한 신경행동발달장애, 환경오염물질로 인한 천식, 태아시기 화학 물질노출

로 인한 발달장애 등을 주요 연구사업과제로 추진

○ EPA에서는 위해성평가에 기초하여 수질, 대기 환경기준을 권고치와 목표치로 구분하

여 설정

□ 미국의 환경성질환 관련 정책은 EPA와 CDC, 국립환경보건센터(NCEH,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Health)에서 수립․시행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추진

○ EPA는 중장기적 환경보건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계획 수립・실천

○ CDC는 천식, 암 등의 주요 환경성질환에 대해 발생현황과 환경요인규명을 위해 2000년

36) Toxicity and Exposure Assessment for Children's Health Program. 어린이 건강을 위한 독성․노출 평가. 어린이 건강을 위협하는 18개 우려물질을 대상으로 어린이와 관련된 독성 및 노출평가 자료를 수집·DB화하여 제공

Page 7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3 -

부터 전국적인 감시 및 추적 네트워크(Environmental Public Health Tracking Network)

구축

○ EPA가 주관하고 CDC(NCEH, NIEHS) 등의 참여로 1995년부터 환경오염물질 및 유해물

질의 잠재적 인체노출위해에 대한 노출평가실시(National HumanExposure Assessment

Survey,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등) 실시 중이며 미국 질병

관리센터(CDC) 국가생체모니터링사업 대상 유해물질은 223항목

○ (CDC) 미국 35개주 주민을 대상으로 천식 등 환경성질환 모니터링(주간이환율 및 사망

률 보고서 발간)

○ (EPA NAEPP :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환경성질환의 발

생경보, 예방정보 및 환경성질환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며, 국가 천식 교육과 예방프

로그램 등을 통하여 가이드라인 제정

○ NCEH를 중심으로 환경공중보건지표를 개발하여 환경과 관련된 건강상태나 건강위험성

을 평가하는데 활용

○ 미국의 환경보건지표 개발은 PSR(Pressure-State-Response) 모델 기반으로 4가지의 범

주(유해성지표, 노출지표, 건강 향지표, 중재(Intervention)지표)에 해당하는 지표들을

발굴·개발

범주 내용

유해성지표(Hazard indicators)

오염물질이나 해로운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확인된 상태 또는 행동 (예: 자동차 연소물질, 담배연기)

노출지표(Exposure indicators)

개인에게 건강피해를 줄 수 있는 물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생체내 생물학적 표지 (예: 생체내 유해물질 농도)

건강 향지표(Health effect indicators)

알려져 있는 환경유해인자의 노출로 인해 해로운 향을 입증할 수 있는 질병 또는 상태 (예: 납중독)

중재지표(Intervention indicators)

유해성, 노출, 건강 향을 최소화하는 프로그램 또는 정책

* 자료: 인하대학교, 지역사회 환경보건 평가방안 연구(2008)

[표 3-17] 미국의 환경보건지표

□ EPA 산하 기관인 ORD(Office of Research & Development)는 대기․물․토양 등 환경매체

분야, 농약․나노물질 등 유해물질 분야의 위해성평가, 독성유전체 등 신규기술 분야에 대

해 연구를 수행하여 환경성질환 저감

○ ORD에서는 오염원․거동 및 노출, 인간의 건강 및 생태에 관한 연구를 통해 위해성

평가와 실험 방법에 관한 정보 전달, 위해성 평가 및 위해성 방지․축소 전략 논의

Page 7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4 -

- 위해성․건강 분야에서는 인체건강 연구프로그램과 농약 및 독성물질 연구 프로그램

진행

연구과제 연구프로그램 기간 연구내용

EDCs 연구37)

인체건강연구프로그램, 농약 및 독성물질

연구프로그램

2007~2013

EDCs 연구는 90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

건강위해성 평가 프로젝트38)

인체건강연구 프로그램

2007~2012

노출 및 위해성평가․관리 프로세스 등에 대한 연구

어린이 건강위해성

연구39)

인체건강연구 프로그램

2000~ 어린이 대상 환경위해성평가

나노물질 연구40)농약 및 독성물질

연구 프로그램2008~

거동 및 노출에 관한 연구, 나노물질 위해성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등

* 자료: EPA ORD 홈페이지

[표 3-18] 환경보건 관련 ORD 연구프로그램

○ ORD 내 국립노출연구소(NERL,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는 1995년부터

다양한 유해물질에 대한 국민들의 노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DC, 하버드 대학, 존

스 홉킨스 대학 등과 공동으로 ‘인체노출평가조사(NHEXAS, National Human Exposure

Assessment Survey)'라는 유해요인 감시체계 운

- 중금속과 농약,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물질에 대한 애리조나주의 인구집단을 기준으

로 한 노출정도 측정 수행

- 원인물질의 확인이 어렵고 개인특이성이 강한 환경성질환의 특성으로 인해 질병예방

및 관련 정보제공 수준에 불과

□ CDC는 National Environmental Public Health Tracking Network라는 환경성질환 감시체계

를 구축하여 환경 중 유해물질에 관한 자료와 건강 향에 관한 자료제공

○ 연방, 주, 도시 수준의 다양한 출처로부터 얻어진 건강, 환경노출, 유해성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통합하는 시스템

- 환경 중에 존재하는 화학물질 등의 건강 유해 물질, 일부의 만성질병에 대한 자료를

지도와 표, 그림의 형태로 제공

- 환경 중 유해물질: 대기오염 자료(연평균 PM2.5 및 기준치 초과일수, 오존기준치 초과

37) http://www.epa.gov/ORD/npd/pdfs/draft-EDCs-MYP-091407.pdf

38) http://cfpub.epa.gov/ncea/cfm/recordisplay.cfm?deid=161757

39) EPA/600/R-00/068(2000.8)

40) http://es.epa.gov/ncer/nano/publications/nano_strategy_012408.pdf

Page 7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5 -

일수), 수질오염(비소, 소독부산물, 질산염 등), 가정 및 지역사회 수준의 노출지표(혈중

납농도, 가옥의 오래된 정도, 교통 수단, 교통사고 사망률) 제공

- 건강 향: 천식, 어린이 납중독, 선천성기형, 심장마비, 암, 생식계 및 출산 관련 향,

일산화탄소 중독 등에 관련된 자료

○ 23개의 주 또는 지방 보건관련 부서에 local tracking network를 개발하도록 지원

□ NIEHS(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는 산하에 ‘환경성 질환 연구

센터(CRED, Center for Research on Environmental Disease)'를 운 하여 아토피피부염 뿐

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성질환 연구 수행

○ CRED에서는 암, 생식계 질환, 선천성 기형, 천식, 당뇨, 심혈관계 질환, 비만 등의 환경

성질환 연구

- 환경성질환의 메커니즘, 환경과 후생유전체 간 상호작용, 기초과학과 임상의 융합, 환

경성질환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와의 양방향 교류, 환경보건과학 분야 연구인력 양성

등 연구

□ 미국의 석면관련 건강피해를 구제하기 위한 법령으로 「석면질환의 공정한 해결을 위한 법

안(S.852)」 발의

○ 2005년 S.852가 발의되고, 2006년 S.3274가 수정·발의됨

○ 석면피해자의 피해를 보상하고, 석면제조회사들을 소송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신탁펀

드를 설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음

- 미국은 1970년대 이래 석면관련 건강피해를 이유로 제기된 손해배상 소송건수가 70만

건을 넘으며, 이로 인한 소송비용 및 보험청구액이 7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

- 석면피해자 뿐만 아니라 민사소송으로 인해 파산하는 회사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으로

평가됨

3.3.2.1.2 기술동향

□ 2000년 6월에 미국 NIEHS 산하에 국립독성유전체센터를 설립하여 독성물질이 유전자 활

성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고, 단백질 발현 변화를 연구

○ 미국 NIEHS/NIH는 toxic phenotype에 관련된 칩 개발과 유전자 발현량이 변화에 기초

한 독성 발현기전을 분석할 수 있는 DB를 구축하여 1,462개의 유전자를 분석할 수 있

는 ToxChip ver 1.0 상용화

○ NIEH의 Toxicogenomics Research consortium은 유전자 발현에 관한 실험의 표준을 개

발하고 독성유전체기술을 응용하여 환경물질들로 인한 자극의 생체시스템에 대한 향

연구

□ 환경성질환에 대한 연구는 환경유해인자가 특정 질환에 미치는 향 또는 환경 유해인자

Page 7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6 -

로 인한 발병 기전 연구에 집중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물품들로부터 발생되는 오염 물질이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유해

하다는 연구 결과 보고

- 2008년 워싱턴 대학 연구팀은 빨래 세제 및 실내 공기 방향제들의 대부분 제품에서

인체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발생한다고 발표

▪공기방향제 전자제품은 20가지의 VOCs를 발생시키고, 그 중 7가지 물질들이 미국의

법률상 독성 또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분류

- 2011년 J.Allen Meadows 박사는 인공 향기가 가미된 양초와 스프레이 형식으로 분사

되는 공기 방향제가 알레르기 비염 및 천식 등과 같은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 제시

▪인공향기가 가미된 양초와 공기방향제가 실온에서 가스, 또는 증기 형태로 변하여

VOCs 발산

○ 2008년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에서 단일석면 섬유가 인체세포내에서 암을 유발하는 기

전 규명

- 최소 한 개 이상의 치명적인 석면 섬유로도 세포내 연쇄 반응을 일으켜 질병 유발

▪장기간 공기 중에 있는 석면에 노출될 경우 ‘석면폐증’, ‘악성중피종’ 등 폐질환 발

병 위험 증가하며, 노출 10년 이후에도 발병 가능

▪노출된 지 10년 후에도 발병 가능

○ 2009년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납 노출이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향 연구

- 보스턴 지역 거주 남성 868명 대상으로 9년 동안 혈중 납 농도와 무릎 슬개골 및 경

골의 납 농도 측정 결과 납 농도가 높은 남성이 농도가 낮은 남성에 비하여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관찰

▪주요 납 노출원은 낡은 수도관, 음식 및 식수, 낚시추, 도자기 유약 등

○ 2012년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팀은 카드뮴의 저농도 장기노출로 인한 유방암 악화 기전

연구

- 저농도의 카드뮴에 장기간 노출되면 체내에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에스

트로겐 의존 경로를 손상시켜 유방암 악화

□ 아토피피부염/천식 관련하여 미국이 발표한 SCI 논문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 기술에 논문발표가 집중되어 위해도 관리와 위해도 저감 기술은 상

대적으로 저조41)

○ 2001~2010년 사이에 발표된 SCI 논문을 분석한 결과, 아토피피부염/천식에 관련된 SCI

논문 총 895편 중 342편을 발표하여 전체의 39.2% 차지

41)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Page 7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7 -

○ 미국은 전반적으로 논문 발표가 많이 이루어져 각 기술범위에 해당되는 논문이 모두

발표되었지만, 위해도관리와 위해도저감 기술은 타 기술에 비해 저조한 수준

[그림 2-9] 미국의 아토피피부염/천식 관련 SCI 논문 발표

현황(2001~2010)

3.3.2.1.3 산업동향

□ Frost&Sullivan에 따르면 환경성질환 중 천식/COPD 진단을 받은 환자 수는 2009년 4,030

만 명, 시장규모는 154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환자 수의 증가에 따라 시장 규모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측42)

○ 2009년 4,030만 명으로 집계된 천식/COPD 환자는 2016년 4,390만 명으로 확대될 것으

로 예측

- 2009년 천식 환자는 2,510만명, COPD 환자는 1,510만명

○ 2009년 미국의 천식/COPD 시장은 154.5억 달러 규모 으며, 2016년에는 179.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 2009~2016년 연평균성장률(CAGR)은 2.1%

(단위: 억 달러, %)

구분 금액 비중소염제 57.9 37.5

기관지 확장제 51.3 33.2

다제병용치료 45.3 29.3

* 자료: Fost&Sullivan, U.S. Asthma/COPD Market(2011)

[표 3-19] 2009년 천식/COPD 치료비 분야별 비중

42) Fost&Sullivan, U.S. Asthma/COPD Market, 2011

Page 7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8 -

3.3.2.2 유럽

3.3.2.2.1 정책동향

□ 유럽에서는 1970년대 초부터 환경보건의 관점에서 개별 환경인자를 관리하기 위한 환경

정책 추진

○ 과거 개별 환경 인자에 의한 건강 향문제 위주로 접근한 결과, 실제 생활에서 일어나

는 복합 환경 인자에 의한 건강 향에 대하여는 소홀하 음

○ 최근 건강에 대한 환경의 위협을 더욱 정확히 알고,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환경 법률의 제정 및 건강보호방안의 개발을 위한 전략을 추진함

□ 환경보건정책은 환경정책의 일환으로서 환경성질환 등을 관리하여 인체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수립

○ 유럽 환경정책 출발점은 유럽공동체(EC, European Community) 조약으로서 환경정책의

목표, 정책 결정 절차, 비용 부담 원칙 등에 대해 광범위하게 규정

○ 이 조약에서는 유럽공동체의 목적 가운데 하나를 ‘균형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 및 ‘환

경의 질을 높은 수준으로 보호하고 개선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환경정책의 목표로서

는 ‘환경질의 보전, 인체건강보호, 자연자원의 신중하고 합리적인 이용’ 등을 제시

○ 주요 정책을 수행한 결과 환경성질환 프로그램, 건강 증진 및 모니터링 사업, 환경과

건강 연구사업 추진 등의 성과 도출

○ 유럽은 2010년까지 환경보건 정책을 이행하기 위해 항목별 목표를 설정하고 각 항목

별 세부내용을 명시

항 목 이행계획 세부내용

환경과 보건 정보통합을 통한

정보의 연관성 강화

1. 환경보건지표 개발2. 인체노출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통합모니터링 개발3. 바이오모니터링(혈액, 머리카락 등)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접근

법 개발4. 환경과 보건에 대한 조정과 협력 활동 강화

환경과 보건에 관한 연구 강화와 새로운

문제의 정확한 파악을 통한 정보격차 해소

5. 유럽국가의 환경과 보건에 관한 연구 통합 및 강화6. 질병, 장애, 노출에 대한 집중연구7. 환경과 보건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시스템 구축8. 확인된 환경과 보건의 잠재적 위험 구체화

인식강화, 위해성 정보교환, 훈련과 교육제도 개선

9. 공중보건활동과 네트워크 강화10. 환경과 보건의 전문적 훈련 증진과 조직적 능력 확대

위해성 감소정책의 제고와 적용

11. 우선순위 질병에 대해 현재 진행 중인 위해성 감소 대책과 연계 이행

12. 실내공기 정화13. 전자기장의 생물학적 향에 대한 연구 연계 강화

* 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보건관련 법령체계 개선방안 연구(2006)

[표 3-20] 유럽 환경보건정책 이행계획

Page 7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69 -

□ 유럽의 환경보건전략은 환경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향을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환경오염과 건강악화의 관련성 추적하고 기존의 개별적 접근과는 다른 방향에서 전략

수립

- 산업화된 국가의 경우 25~33%의 질병부담이 환경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어린이

나 취약군에게 향을 미침(유럽 건강보고서, 2002)

- 환경요인이 건강에 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많으나 환경오염과 건강피해의 구체적

인 상관성에 관한 지식에 한계

- 환경과 건강에 관한 자료와 지식을 종합하여 상호 연결 도모하고 통합적 접근방식을

채택하여 해결방안 모색

- 기존에는 단일 오염물질별로 환경관리를 하 으나, 최근 복합 오염물질에 의한 노출

또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저농도·장기 노출을 관리

- 환경보건전략 수립을 통해 환경보건정책 수립의 기반을 조성하고 전략추진에 따라 얻

어진 정보는 환경기준 및 배출기준 등의 재검토에 활용

【환경보건전략(SCALE)】

- S : Science 전략은 광범위한 연구자 및 이해당사자 지식 총합

- C : Children 전략은 유해물질에 취약한 어린이 대책에 초점

- A : Awareness 전략은 환경보건문제 및 대책에 관심제고

- L : Legislation 국가적 또는 국제적 이행을 위한 입법 활동 전개

- E : Evaluation 모든 시행계획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실시

* 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보건관련 법령체계 개선방안 연구(2006)

[표 3-21] 환경보건전략 내용

○ 환경오염에 취약한 어린이 건강을 집중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정책 및 대안 제시

- 현재는 취약군인 어린이 보호전략 수립에 집중, 향후 다른 취약군에 대한 전략도 확

대 수립 예정

- 유럽에 157백만 명의 어린이가 있고 대부분 도시 환경에서 생활하는데, 환경요인과 관

련된 어린이 알레르기(천식), 호흡기질환이 급증

- 지난 수십 년간 서부 유럽국가에서는 어린이 천식이 3배 증가되었고, 환경 요인에 의

Page 7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0 -

한 백혈병 역시 증가 추세임

- 유럽환경보건장관회의(2004)에서 4개의 추진과제와 4개의 이행수단을 골자로 하는

‘유럽의 어린이 환경과 건강대책(Children's environment and health action plan for

Europe, CEHAPE)’ 제안

▪추진과제: ①안전한 물과 적정한 하수처리 확보, ②상해 예방 및 우호 환경 조성,

③화학․물리적 요인으로부터 위해성 저감대책 추진, ④기타 환경보건 위해 요소 저

감대책 추진

▪이행수단: ①이행 계획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비용편익 분석 중요, ②국제기구․국가

간․지역사회․시민단체․NGOs․유관협회․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파트너십 구

축이 중요, ③사전주의 원칙에 따라 불확실성 관리 필요, ④어린이 환경보건지표 개

발 및 모니터링 실시 필요

□ 유럽은 환경보건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환경성질환 프로그램 개발, 환경보건지표 개발 등

다양한 연구활동을 수행

○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피해 저감을 위해 2003년 ‘환경과 건강 전략(European

Environment & Health Strategy)'을 수립하여 환경, 생태계 및 인간의 건강에 관한 정

보를 통합 추진

- 전략의 최종목적은 ①환경성 질병 부담 감소, ②신규 환경요인으로 야기되는 건강위해

파악·방지, ③환경관리전략 수립능력 제고

- 세부실행계획으로 전략목적에 따른 2004~2010년 세부 실행계획(Action plan)을 수립

하여 인체노출모니터링 사업, 환경성질환 규명 연구 등 수행

- 인체노출모니터링, 통합정보시스템 및 주요 환경성 질환(천식 등 소아 호흡기질환, 신

경발달, 면역장애, 소아 암, 내분비계교란 향 등)의 환경적 원인 규명 등 13개 과제

수행

○ 환경성질환 프로그램 개발, 건강 증진 및 모니터링사업, 환경과 건강의 연관성 연구 추

- WHO/Europe ENHIS(Environment and Health information System) 구축 등 환경요인

규명이 필요한 환경성 질환에 대해 공동조사․감시 사업 실시

- 환경보건정책 지원을 위한 통합 위해성 평가 기법 개발사업 추진

○ 환경보건전략 실행계획(European Environment and Health Action Plan, 2004~2010년)

내 주요 사업으로서 DPSEEA 모델을 적용한 환경보건지표 개발 포함

- 자료의 가용성, 데이터의 질, 비교가능성, 정책연관성 등을 평가하여 즉각적인 실행을

위해 준비가 되고 있고 추천되는 지표 17개를 유럽공동체 핵심환경보건지표로 선정하

여 활용 추진

Page 8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1 -

범주 내용

대기질1. 대기오염물질에 노출된 인구2. 담배연기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의 존재유무

주거

3. 주거밀집도4. 실내의 습기 및 곰팡이 번식5. 주거위생6. 주거지역의 범죄발생과 인식7. 극단적 기온에 의한 사망

소음8. 다양한 수준의 소음에 노출된 인구9. 소음노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 존재유무

교통10. 도로교통사고에 의한 사망11. 도로교통에 의한 상해

폐기물 12.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는 인구

화학물질 안전13. 토지이용계획에 관한 규제조건의 존재유무14. 화학물질 사고 등록15. 화학물질 사고에 대한 정부의 준비상태

방사선16. 악성흑색종의 발병률17. 효과적인 방사능 모니터링 체계의 존재

* 자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보건관련 법령체계 개선방안 연구(2006)

[표 3-22] 유럽의 환경보건지표

○ Framework Program 중 ‘환경 및 보건’ 분야는 알레르기 질환과 천식에 관한 환경유해

인자 노출의 향 및 메커니즘 연구를 지원

- ‘유럽 내 천식의 유전 및 환경요인 확인을 위한 다각적인 연구(GABRIEL)’는 예방 및 치

료요법 규제를 목적으로 post-genomic 기법을 활용한 분자기반의 천식 연구

- ‘유럽 전역에 걸친 식품 알레르기 기초연구(EUROPREVALL)’는 유럽전역에 걸쳐 발생

하는 주요 알레르기 유발 식품에 대한 반응패턴을 분석하고 성인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식품 알레르기 연구 구축

- ‘글로벌 알레르기 및 천식 유럽 네트워크 구축(GA2LEN)’은 전생애(태아의 자궁 내 삶

포함)를 통한 알레르기 및 천식 연구

□ 유럽 차원뿐만 아니라 각 국가별로 환경성질환, 특히 천식 관리 프로그램을 운 하여 환경

성질환 증가에 대응 노력

○ 국은 1999년부터 환경청에서 주관하고 보건부 등 관계기관과 협조체계를 구성하여

환경보건 감시 프로그램(EHIS) 운

- 대기오염과 천식환자 증가의 상관관계 규명 및 방지대책 마련

Page 8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2 -

○ 핀란드 보건복지부는 1990년대 초 천식을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문제로 인식하여 국가

천식관리 프로그램 운

- 지역보건소에 천식가이드라인을 실행하는 코디네이터를 배치하여 천식을 일차의료 역

으로 이전

- 2004년까지 프로그램 실행 결과, 천식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지만 질병부담은 감소

- 천식으로 인한 총 입원일수가 1993년 110,000일에서 ’03년 51,000일로 54% 감소하고

환자 일인당 사회적 비용이 1993년에 비해 약 34% 감소

○ 덴마크는 아동 천식 연구를 위한 별도의 임상연구기관인 COPSAC(Copenhagen Studies

on Asthma in Childhood) 운

- 코호트를 설정하여 아동의 원인불명의 질병을 조사하고 있으며, 임신한 천식 여성을

조사대상에 포함하여 아동이 7세가 될 때까지 6개월 단위로 방문·조사 실시

- 노출평가 대상 인자로 모유, 호흡기․장․피부 미생물, 아동의 식습관, 실내외 대기오염,

알레르겐 및 생활습관 조사

□ 유럽의 석면질환 관련 정책은 피해보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상기준은 각 국

가별로 상이

○ 프랑스는 2002년 석면피해보상기금(FIVA, le Fond d'Indemnastion des Victimes de

l'Amiante)을 설치하여 석면질환에 대응하고 있으며, 보상대상 질병, 보상대상자, 급여

내용 등이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넓고 포괄적

- FIVA의 기금총액(2001~2008년)은 총 23억 2,500만 유로로, 88%는 산재보험이 부담,

나머지 12%를 국가가 부담하고 있음

- FIVA는 석면피해에 대한 완전보상의 원칙을 준수하고 있으며, 휴업․요양 등과 같은 재

산적 손해에 대한 보상만이 아니라 정신적 손해나 신체적 고통과 같은 비재산적 손해

에 대한 보상 포함

- 보상대상 질병 범위는 ①산업재해 보상법상 석면에 기인한 직업병으로 인정되는 질병,

②통상적으로 석면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질병, ③프랑스 토 내에서 석면에

노출된 경우로 석면노출상황평가위원회가 그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질병(구체적으로는

석면폐, 원발성폐암, 중피족, 흉막비후, 흉막판 등)

- 보상대상자는 직업성 노출에 의한 피해자, 환경성 노출에 의한 피해자, 피해자 사망시

권리승계자 포함

○ 네덜란드는 관련 이해당사자간 조정기구인 석면피해자기구(IAS, Institiuut Asbestslachtoffers)가

구제 및 피해보상 담당

- 석면피해자에게 가능한 신속하게 보상을 제공하여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구 설치

의 목적

- 주요 역할은 ①석면으로 인하여 건강상의 피해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로부터 피

해신고를 접수하고, 확인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주선하며, 확진을 받은 사람

Page 8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3 -

들에 대하여 피해보상 절차와 방법 안내, ②확진을 받은 사람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필요한 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며, 피해자와 사용자 사이의 피해보상에 관한

조정서비스 제공, ③확진을 받은 피해자들에 대하여 피해보상금 선지급 서비스 제공

- 직업성석면피해보상제도와 비직업성(환경성)석면피해보상제도로 분리․운

○ 벨기에는 석면피해자들이 신속히 보상받을 수 있도록 「2006년 12월 27일 프로그램(Ⅰ)

법」을 제정

- 운 은 사회부, 내무부, 중간계급부, 연금부, 고용부 등이 공동 관리

- 보상대상은 중피종, 석면폐 및 기타 왕령에 의해 석면관련 질환으로 인정되는 질병이

며, 환경성 피해자 뿐만 아니라 직업성 피해자들도 해당

- 피해자들에게 비교적 엄격한 입증책임을 부과하고 있지만, 이 제도의 창설로 인하여

소송에 비해 빠르고 쉽게 보상받을 수 있게 되었음

3.3.2.2.2 기술동향

□ 유럽에서는 다양한 환경유해인자가 일으키는 환경성질환을 대상으로 연구 수행

○ 2004년 국 본마우스 대학과 사우스햄프텀 연구팀은 서방 1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복합적인 환경오염이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운동신경질환 등 뇌질환 발

생률을 급증시켰다는 연구 결과 보고

- 국, 미국, 일본,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의 뇌질환 발

생률을 조사한 결과 남성에서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치매 사망률이 20년 간 3배 이

상 증가

- 농약, 산업폐기물, 자동차 배기가스, 가정폐기물 및 식품가공과 포장 등 각종 현대생활

과 관련된 산업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 원인으로 지적

○ 2008년 이탈리아 이스턴피에몬테대학 연구팀이 석면 시멘트 근로자 3,435명 대상으로

석면 노출과 질환 발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폐질환 뿐만 아니라 생식계 질환 발

생에도 향을 미친다는 사실 규명

- 석면에 대한 노출이 끝난 후에는 폐 흉막 내 중피종 발병 위험 감소하지만, 복막 내

중피종 발병 위험은 여전히 높은 수준

- 여성의 경우 난소암과 자궁암 발병 위험 증가

○ 2011년 스웨덴 연구팀은 대기 오염에 대한 노출과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상관관계를 분

석하여 이산화황이 류마티스성 관절염 발현에 향을 미친다는 결과 제시

-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및 이산화질소, 먼지 및 불완전한 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그을

음 오염 물질에 대한 노출이 류마티스 관절염 발생 위험을 7~11% 증가

○ 2012년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의 연구팀이 12년 동안 56,000명의 여성 대상으로 추

적 연구를 실시하여 카드뮴의 섭취가 유방암 발병위험성을 증가시킨다는 결과 보고

Page 8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4 -

- 카드뮴은 인체에 들어가 여성 에스트로겐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유방암 유발

암 세포 성장

- 카드뮴은 비료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식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유방

암 발병 위험이 21%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

3.3.2.2.3 산업동향

□ Frost&Sullivan(2007)에 따르면, 유럽의 천식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

며, 이에 따른 시장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

○ 2006년 3,000만 명이었던 천식 환자 수는 ’13년 3,5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

어 연평균성장률(CAGR)은 2.38%

- 2006년 중증 천식 환자 수는 600만 명(전체의 20%)에 이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에는 700만~72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

[그림 3-10] 유럽의 천식 환자 증가 추이 예측(2006~2013)

* 자료: Frost&Sullivan, European Asthma Therapeutics Markets(2007)

○ 천식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은 환자 수의 증가에 따라 2006년 55억 달러에서 2013년 93

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

- 2006~2013년 사이의 연평균성장률은 7.8%

Page 8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5 -

[그림 3-11] 천식 치료비 증가 추이 예측(2006~2013)

*자료:Frost&Sullivan,EuropeanAsthmaTherapeuticsMarkets(2007)

3.3.2.3 일본

3.3.2.3.1 정책동향

□ 일본은 환경성의 환경보건부를 통해 환경성질환을 관리하고 있으며 환경보건에 대한 중장

기적인 종합계획은 수립되어 있지 않음

[그림 3-12] 환경성 환경보건부 내 환경성질환 관련 조직

* 자료: 일본 환경성 홈페이지(2012)

□ 이타이이타이, 미나마타병 등 대규모 환경성질환 발생 경험에 의해 건강피해보상 중심의

환경보건정책 추진하고 있으나 천식 등 지속적인 발생이 예상되는 질환에 대해서는 예방

대책 마련에 중점

○ 1973년에 「공해건강피해보상법」을 제정하여 미나마타병, 이타이이타이병, 천식 등과 같

Page 8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6 -

은 관리대상 환경성질환을 공해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환경성 질환자의 요

양비와 의료비 등을 지원

- 대상 질병은 기관지 천식 등과 같이 원인 물질과 질병 간 특이적인 관계가 확정되지

않은 질병 및 미나마타병과 이타이이타이병을 비롯하여 만성비소 중독증과 같이 원인

물질과 질병 간 특정 관계가 있는 질병으로 구분

- 오염 유발자가 피해자에게 의료비와 생계비를 보상하여 건강 피해에 대한 보상 및 급

부 등을 실시

○ 「공해건강피해보상법」의 개정으로 대기오염에 의한 천식 질환에 대한 신규 보상제도가

폐지되면서 보상보다는 예방대책 마련에 중점

□ 환경보건정책을 통해 석면피해 구제제도, 환경성질환 감시 체계 등을 마련

○ 「석면에 의한 건강피해규제에 관한 법률(2006)」에 의거하여 석면피해에 대한 구제제도

마련하고, 석면건강피해구제기금을 통해 피해 보상

- 구제 대상은 석면을 흡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지정 질병(중피종과 폐암)에 걸린 것으로

인정받은 자 및 그의 유족

- 오염 취약 지역에서 석면 등 유해인자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 일본 환경성은 장기적․예견적 관점으로 지역사회의 건강 상태와 대기오염과의 관계를

정기적으로 관찰하여 환경성질환 감시 체계 마련

- 지역사회의 건강상태와 대기오염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변동 경향

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므로 지속적인 조사 사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이에 필요한

평가 및 해석을 실시43)

○ 환경오염물질의 인체 향(세포독성, 알레르기 기전, 스트레스 유발, 비소 독성 등) 연구,

“환경과 어린이 연구(Japan Eco&Child Study)”를 통한 어린이 코호트 추적조사 연구 등

수행

3.3.2.3.2 기술동향

□ 일본에서는 알레르기 질환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 2003년 일본 다이킨 환경연구소는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물질 측정 기술 개발

- 주택 건축자재의 화학물질에 의한 두통이나 구토 등에 시달리고 있는 새집 증후군이

나 진드기, 알레르기 등의 원인물질의 총량을 신속․정확하게 파악

- 모든 종류의 알레르기 원인물질을 10나노그램 수준까지 검출

○ 2008년 도키와 약품공업 주식회사는 시마네 대학 의학부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 결과 아

토피피부염에 대한 중증도 평가를 위한 새로운 측정 방법 개발

43) 환경부, '환경보건분야 기반기술 기획’, 2008

Page 8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7 -

-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피부의 각질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피부의 국소 부위 평가 및

측정 가능

- 면역 염색법으로 표피각질세포에서 생성되는 TARC44)를 형광 검출하는 원리를 이용하

며,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에 따라 형광 강도의 차이를 보임

○ 2008년 도쿄대 연구팀은 유산균이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면역 세포를 사멸시킨

다는 사실을 밝혀내 알레르기 질환 억제 메커니즘 일부 규명

- 락토바실러스균이 Th2의 세포사를 촉진하여 알레르기 질환 억제

3.3.2.3.3 산업동향

□ 아토피피부염 환자수는 699만 여 명(2007)으로 전체 인구의 3.5%를 차지하고 있어 시장규

모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45)

○ Data Monitor에 따르면 성인 환자의 비중이 52.2%로 가장 높고, 소아 및 유아의 발

병률도 높은 것으로 조사

연령별 아토피피부염 환자 수(단위: 천 명) 연령별 아토피피부염 환자 비중

구분 환자 수

유아 1,180

소아 2,160

성인 3,646

총계 6,986

* 자료: HANALL IR Report(2008)

[그림 3-13] 일본의 아토피피부염 환자 현황

○ IMS Research에 따르면 일본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시장은 2006년 기준 3,200억원대규

모에 달함

44) TARC(thymus and activation-regulaed chemokine)는 다양한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 각질세포 등에서 생성되고, 생성된 TARC가 Th2 세포들을 병변 국소 부위로 유인하여 알레르기 반응 항진시킴으로써 아토피피부염의 병태가 형성․악화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 평가에는 TARC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

45) 일본의 아토피피부염 환자 현황 자료를 통해 환경성질환의 의료비 증가율 추산

Page 8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8 -

3.3.2.4 시사점

□ 선진국에서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민감계층 보호, 기타 환경성질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환경성질환 정책 추진

○ 알레르기 질환 관련 정책은 유발인자에 대한 노출을 저감하고, 민감계층에 대한 감시

및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추진

- 미국은 ORD에서 어린이 건강위해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유해물질 사용을 저감하여 환경성질환으로부터 어린이가 유해인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 유럽에서는 Framework Program을 통해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환경유해인자 노출의

향 및 메커니즘 연구를 지원하여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자료 축적에서 전생애

적인 알레르기 질환 연구로 확대

- 일본에서는 천식 등 환경성질환에 대한 예방대책 마련 및 ‘환경과 어린이 연구’ 프로

그램을 통해 어린이 대상 코호트 조사를 실시하여 전국 단위의 감시체계 구축

○ 유해인자와 질환 간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은 분야에 대한 연구 지원을 통해 환경성

질환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 수행

- 미국은 CDC를 통해 암, 생식계 질환, 선천성 기형, 당뇨, 심혈관계 질환, 비만 등 환경

성질환 연구 범위 확대

- 일본 환경성은 지역사회의 건강 상태와 대기오염과의 관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환경성질환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세포독성, 스트레스 유발, 비소독성 등의 인체

향을 연구하여 관련대책 마련에 활용

□ 환경성질환과 관련하여 알레르겐 평가, 환경유해인자에 의한 발병 기전 규명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별 유해인자에서 복합 유해인자에 대한 연구로 확대

○ 알레르기 질환 관련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노출되는 신규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평

가와 알레르기 질환 억제를 위한 연구로 확대

- 미국에서는 방향제와 향초 등의 물질이 VOCs를 발생시켜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 또는

악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

- 미국의 논문 발표 현황 분석 결과 아토피피부염/천식 관련하여 발표된 SCI 논문은 모

니터링 및 노출평가 기술에 집중

- 일본에서는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물질을 10나노그램 수준까지 검출할 수 있는 기술과

중증도 평가를 위한 새로운 측정방법 개발 및 알레르기 질환 억제 기전 등 위해도저

감 기술 연구

○ 석면질환은 석면이 인체에 유입되어 질환을 유발하는 기전 규명과 석면으로 인한 질병

범위 확대

- 미국에서는 단일 석면 섬유가 인체 세포내에서 연쇄 반응을 일으켜 석면폐증, 악성중

Page 8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79 -

피종 등 폐질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보고

- 유럽에서는 석면 노출이 폐질환뿐만 아니라 난소암, 자궁암 등 생식계 질환 발생에도

향을 미친다는 사실 규명

○ 심혈관질환, 생식계질환 등 기타 환경성질환 관련 연구는 중금속, 대기오염물질 등 복합

적인 환경유해인자의 향 연구로 확대

- 미국과 유럽에서는 납, 카드뮴 등 저농도 중금속에 의한 환경성질환 악화 기전 연구

- 유럽에서는 복합적인 환경오염이 뇌질환 및 신경성질환에 미치는 향 연구

□ 환경성질환 환자 수의 증가로 인해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어 관련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

○ 환경성질환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치료제를 중심으로 관련 시장이 큰 폭으로 성

장할 것으로 예측

- 미국에서는 천식, COPD 시장이 연평균 2.1%씩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천식 관

련 치료비가 2013년 93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

□ 선진국에서는 환경오염과 국민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체계

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아토피피부염/천식 등 대표적인 환경성질환 외 기타 환경성

질환에 대한 연구로 분야 확대

○ 미국, 일본에서는 전국적인 역학조사를 수행하여 환경성질환 감시체계를 운 하고 있으

며, 이를 통해 국민들에게 환경 중 유해물질에 관한 자료와 건강 향에 대한 자료를 제

공하는 등 환경보건 서비스 체계 구축

○ 환경보건 정책에 의한 연구 프로그램 지원으로 다양한 환경성질환에 대한 모니터링, 노

출 및 위해성평가 등의 기술 분야에서 연구 진행

Page 8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0 -

3.3.3. 유해화학물질 위해 관리

3.3.3.1 미국

3.3.3.1.1 정책동향

□ 화학물질의 거동특성 및 함유제품의 이동에 따른 건강 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미 지역

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SPP(Security and Prosperity Partnership) 체결

○ 체결 목적은 ①건강 및 환경보호를 위한 조치의 효과 개선 및 증진, ②기업체 및 정부

에 비용적으로 효율적인 관리 제공, ③국가 규제부처의 존속 유지

○ SPP에 따라 미국은 6,750종의 화학물질에 대해 평가 및 필요한 조치(ChAMP, Chem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Program) 이행

- ChAMP는 EPA의 기존화학물질 프로그램(대량생산 무기물질의 HPV challenge type

program 및 TCSA 인벤토리 재수립)

- 연간 500톤이상 제조되는 미국 내 HPV 물질의 시험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평가가 실

시되며, 노출 및 사용정보에 따른 IUR(Inventory Update Report) 작성 예정

□ 미국의 화학물질 관리는 EPA의 유해물질관리법(TSCA, Toxic Substance Control Act)을 근

거로 화학물질이 유통되기 전 유해성을 심사하여 사전예방에 초점46)

○ 유해화학물질의 제조 또는 수입이전 단계에서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위해를 규명하고

예방하는 것이 TSCA의 주목적

- 화학물질의 위해성 관리는 기존화학물질과 신규화학물질로 구분

- 신규화학물질은 제조 및 수입 90일 전까지 유해성 자료를 첨부하여 EPA에 신고하고,

EPA는 신고서를 검토하여 위해성이 발견될 경우 ①노출 또는 배출저감, ②시험, ③유

해정보 전달, ④기록보존 등에 대한 명령 발행

- TSCA 목록에 포함된 기존화학물질이라도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려는 자는 신규화학

물질과 동일하게 최소 90일 전에 EPA에 신고하고, EPA는 신규 또는 기존물질이 우려

또는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 제조자, 수입․가공자에 대해 건강 및 환경 향 시험을

요구

○ 유럽 REACH의 등장으로 TSCA의 심사 항목에 대한 강화 및 개정 요구 증대

- EPA는 1976년 TSCA 시행 후 기존화학물질 약 8만종 중 3%만 위해성을 검토해왔으며,

실질적으로 TSCA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물질은 PCB, 석면, 라돈 및 페인트에 포함되

는 납 등으로 한정되어 유해한 기존화학물질 관리차원에서 법률 적용의 한계성 제기

- ‘어린이 Biomonitoring 연구’ 결과 화학물질의 악 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개정

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 개정 논의 주요 골자는 EPA의 권한을 강화하여 산업체의 책임 부여, 어린이 건강에 초

46) 환경부, ‘아토피 유발 화학물질 관리정책 수립', 2008

Page 9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1 -

점, 위해성평가 서비스 구축 등 효율적인 TSCA 수행

- EPA는 중금속 및 화학물질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한

주요 전략 및 계획 수립

○ 수은과 메틸수은의 위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Mercury Research Strategy'를

2000년부터 수행

- 교통 등 연소기관의 위험 관리, 비연소 기관의 위험 관리, 인간에 대한 향 분석, 생

태계에 대한 향 분석

○ 1998년부터 내분비계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on)에 대한 연구 체계 확립 및 조정

을 위한 'Research Plan for Endocrine Disrupters' 추진하여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한

로드맵 작성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CPSC,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는 소비자 제

품 안전개선법(CPSIA, Com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을 시행하여 어린이용

품에 함유된 납, 가소제에 대한 규제 기준을 강화

○ 2009년 어린이용 장신구, 도장이 된 목재 및 금속 완구 등 납 함유 가능성이 있는 어린

이용 제품에 대해 집중 규제

- 납 성분 허용기준은 100ppm(0.01%) 이하이며, CPSC가 기술적으로 더 낮출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기준치 변경 가능

○ 2020년까지 모든 물질에 대한 안전기준 결정 및 산업체에 안전성 입증 책임을 부여

하고자 하는 Kid-safe Chemicals Act 발의 시도

3.3.3.1.2 기술동향

□ EPA는 Presidential Green Chemistry Challenge 프로그램47)을 통해 녹색화학기술을 개발하

여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발전 도모

○ 본 프로그램의 시행으로 1996~2008년 동안의 환경 개선 효과는 독성화학물질과

Solvents 사용 11억 파운드 이상 저감, 공업용수 210억 파운드 절감, Carbon dioxide

대기배출 약 4억 파운드 감축한 것으로 평가

○ EPA는 화학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위해 “오믹스(Omics) T/F 백서”를 발간하는 등 신규화

학물질에 적용되는 대체 실험기법 개발 추진

47) EPA의 대표적 녹색화학 연구활성화 사업으로 1996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5개 분야(학술 분야, 소규모 사업장분야, 대체합성경로분야, 대체용매/반응조건분야, 안전한 화학물질 디자인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인 사업에 대해 시상하는 프로그램

Page 9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2 -

수상분야(연도) 기술내용 주요시행효과

연구분야(2007)천연 글리세린으로부터

바이오 연료 생산비용효과적 연료생산, 대체연료의 다양화, 화석연료 절약 및 배출저감

소규모사업장 분야(2008)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합성을 위한 알칼리

금속의 새로운 안정화 기술

저장, 운송, 취급이 안전하고, 연료로부터 황의 제거나 수소의 저장 또는 다양한 유해폐기물 정화에 유용

대체합성경로 분야(2008)

바이오기반의 토너 개발 및 상업화

2010년 시장점유율 25%에 이르면 연간 9.25조의 열량가를 절약하고, 연간 36만 톤의 CO2 배출 저감

대체용매/반응조건 분야(2007)

나노촉매기술에 의한 Hydrogen Peroxide의

직접 합성

과산화수소를 최대 100%까지 분리하며, 폐기물 발생이 없고 저가의 과산화수소 생산

안전한 화학물질 디자인 분야(2007)

식물성 오일과 같은 생물학적 자원으로부터

Polyol 발포제 생산

발포제 10만 파운드 당 약 70만 파운드의 원유 절약, 공정에서 23%의 에너지 사용 저감 및 36%의 이산화탄소 저감

* 자료: KEITI, 환경기술 기술동향보고서(2011)

[표 3-23] 미국의 녹색화학상 기술분야별 주요 시행효과

□ 2007년 EPA 과학정책위원회가 작성한 ‘금속실행계획(MAP, Metal Action Plan)'과 과학자문

기구(SAB, Scientific Advisory Board)의 리뷰를 통해 제시된 ‘중금속 위해성 평가에 대한

프레임웍(Framework for Metals Risk Assessment)’은 유해금속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금속

특이적 위해성평가 기법 개발에 초점

○ 유해금속의 기본적인 특징을 확인하여 이를 고려한 중금속 특이적 위해성평가 기법의

개발의 중요성 확인

- 위해성평가의 지리적 규모 구분 (전국 규모 또는 지역 규모, 부지 규모)

- 유해금속에 대한 민감집단 확인

- 중금속 특이적인 노출경로 및 노출방식에 대한 개념모델 설정

- 노출평가 및 용량-반응평가 및 위해도 결정 방법 결정 등 각각의 과정에서 자연적인

배경농도, 여러 중금속의 복합노출 및 상호작용, 필수원소, 중금속의 존재형태, 독성역

학 및 동태학적 특징 등에 대한 검토를 필수적으로 수행하도록 규정

Page 9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3 -

주요 연구/개발 역 연구 과제

환경화학, 이동 및 거동- 수체, 퇴적물, 토양에서 중금속의 화학적 특성 연구- 중금속의 이동 및 다매체 거동 연구

인체위해성 평가

- 위해성평가에서 배경농도와 생물이용도 반 방법- 민감집단 확인 및 평가- 환경배출, 이동 및 거동에 대한 평가 및 예측- 노출경로 특이적 건강 향평가 방법- 다매체 통합노출평가- 생체지표 측정 및 노출량 추정- 여러 종류의 중금속 동시노출 및 상호작용- 중금속 종류별 독성범위와 필요섭취량 수준 평가- 중금속의 존재형태별 독성동태 및 독성역학 모형- 발암 및 비발암 건강 향에 대한 용량-반응관계 평가

수생태 및 육상생태 위해성평가

- 위해성평가에서 배경농도 반 방법- 환경배출, 이동 및 거동에 대한 평가 및 예측- 노출경로 분석- 생물이용도 및 생물축적, 먹이연쇄 평가- 독성동태 및 독성역학 모형

* 자료: EPA Office of the Science Advisor(OSA) 홈페이지(2012)

[표 3-24] 주요 연구/개발 역별로 도출된 연구 과제

□ EPA 뿐만 아니라 어류 및 야생동물국(FWS, Fish and Wildlife Service)과 지질 조사국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도 유해화학물질이 생태계에 미치는 다양한

향에 대해 모니터링 프로그램 운

○ EPA는 환경모니터링 및 평가프로그램(EMAP,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을 통해 국가의 생태자원 현황 및 경향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

기 위한 수단을 개발 추진

- EMAP의 목표는 다중 시공간적 규모에서의 환경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해 생태 향

평가와 향후 천연자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해성을 예측하기 위한 과학적 지식 개

- EMAP는 5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프로그램별로 각기 다른 지역을 모

니터링

○ 한편 FWS는 국가 오염원 생물모니터링 프로그램(National Contaminant Biomonitoring

Program, NCBP)을 통해 어류 및 야생동물을 위협하는 특정 잔류성 환경오염물질 조사

○ 미국 USGS의 생물자원과는 BEST Program은 환경오염물질이 생물체 및 토양에 미치는

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

- BEST 프로그램은 생물 모니터링 방법 및 평가수단을 개발하고, 생체지표, 생태지표

와 인체건강과의 연계성 예측기법 개발 진행

Page 9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4 -

프로그램명 내용

EMAP Western Pilot미국 서부지역의 환경모니터링과 평가를 위해 생태보건 모니터링기술 개발 및 EMAP의 현장 적용

EMAP National Coastal Assessment

미국 해안을 따라 분포한 수백의 본부(station)으로부터 하구 및 해양 자료를 수집

Monitoring Design & Analysis연구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지역적 규모의 평가 및 관련이슈의 통합

MAIA(Mid-Atlantic Integrated Assessment)

주(州), 지방, 국가 차원의 환경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중부 대서양지역을 대상으로 실시

Ecological Indicator Development새로운 생태지표 개발 및 지표를 통한 지속가능성의 변화를 감지하고 추적

* 자료: EPA EMAP 홈페이지(2012)

[표 3-25] EMAP 프로그램 구성

□ 내분비계장애물질과 관련하여 건강에 유해한 물질들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 방안을 공모하

여 우선순위 물질을 선정하고, 향후 미시험물질에 대해서도 평가 추진

○ 1996년 식품 품질보호법 하에서 EPA는 건강위해 가능한 농약의 에스트로겐 향에 대

한 시험을 실시하 고, 1988년 8월에 내분비계장애물질 스크리닝 및 시험법 프로그램

책정을 위한 최종보고서 발표

○ 2000년 8월, EDSTAC는 미국 의회에 보고한 EDSTP 관련 보고서 공표

○ 2002년 10월에 동물실험대체법에 관한 공동조직(ICCVAM)/대체법 평가에 관한 독성학

프로그램 기관간 센터(NICEATM)는 보고서48)를 공표하고, 시험검증을 위한 시험물질로

서 78개 물질을 제안

○ 2002년 12월 EPA는 EDMVS에서의 검토를 받아 EDSTP에 있어서 Tier 스크리닝의 화학

물질 선정을 위한 제안을 아래와 같이 공표하 으며, 선발방법에 관한 의견 공모

- Tier 1 스크리닝에 앞서 우선도 설정에 있어서 87,000개의 화학물질 중에서 50~100개

의 화학물질을 선정

- Tier 1 스크리닝은 농약 및 고생산물질(HPV)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구체적인 화학물질

명은 추후 공표할 예정

- HPV는 미국 내의 전체생산량 및 수입량이 453만 톤/년 이상의 화학물질

- 위해성 자료가 아닌 노출 자료에 근거한 분류 실시

- Tier 1 노출의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한정(식품, 음료수, 거주환경, 직업을 통한 노출

경로)

- 내분비계장애 활성의 가능성이 낮은 물질, 혼합물 및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거나 사용

48) Proposed substances for Validation of Estrogen Receptor and Androgen Receptor Binding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Page 9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5 -

되지 않는 물질을 제외

○ 2003년 5월 ICCVAM/NICEATM의 보고서49)에서는 78개 물질에 대한 시험추진 상황을

발표하 으며, 미시험물질에 대해서도 필요성 권고

□ POPs는 관련 기관에서 공조하여 고속대량스크리닝(HTS, High-throughput Screening)하여

환경독성물질을 예측․판정하고자 하며, 개발된 방법론의 국제표준화 추진

○ EPA, NIEHS/NTP, NIH/NCGC, FDA의 공조프로그램인 HTS를 통해 다양한 화합물의 유해

성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platform들과 기술 등을 소개하고, ToxCast 프로그램 수행

- ToxCast 프로그램은 EPA에서 주관하여 여러 종류의 대량탐색기술(HTS)을 사용하여

단시간 내에 환경독성물질을 예측․판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프로그램

이며, OECD의 ‘분자스크리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원

- ToxCast에서의 대부분의 실험은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in vitro를 기본으로 하여 DNA

chip 실험을 포함한 약 400여종의 HTS, HCS(High-content screening)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

- 본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되는 방법은 향후 기존 방법을 대체하여 미래 환경독성 물질

검색방법의 국제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음

○ FDA는 독성평가연구센터의 조직을 개편하여 시스템 독성부를 설치하고 그 산하에 7개

의 센터를 두어 관련 기술을 개발 및 국가 인프라 구축에 주력

□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분야의 3개 프로젝트와 관련된 10년간(2001~2010년) 발표된 SCI

논문에서 미국은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 으며, 기술범위는 노출평가 및 위해성평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임50)

○ 유해화학물질 분야에서 발표된 SCI 논문 1,798편 중 522편을 발표하여 29.0% 차지하

고, 기술범위별로는 노출평가 및 위해성평가에 논문발표가 집중된 반면 위해도 관리 및

위해도저감 기술은 상대적으로 저조

○ 유해금속 분야에서는 총 발표논문 7,419편 중 미국이 1,792편을 발표하여 24.2%를 차지

하 고,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 기술에 논문발표가 집중되긴 했으나 다른 분야에 비해

위해도관리 및 위해도저감 분야의 비중이 높은 편임

○ 위해도관리 및 위해도저감의 분야의 SCI 논문은 300편으로 17% 차지

○ POPs/환경호르몬 관련 발표 논문 역시 전체의 26.2%로 미국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으며, 환경호르몬에서는 각 기술범위가 고르게 연구된 반면 POPs에서는 위해도

저감 기술 연구가 상대적으로 저조

49) ICCVAM Evaluation of In Vitro Test Methods for Detecting Potential Endocrine Disrupters : Estrogen Receptor and Androgen Receptor Binding and Transcription Activation Assays(NIH Publication 02-4503)

50)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Page 9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6 -

중점이슈 미국건수 전체건수 미국비중합계 971 3,711 26.2%

POPs 362 1,903 19.0%

EDCs 609 1,808 33.7%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

[표 3-26] POPs/EDCs 관련 미국 논문 발표 통계

3.3.3.1.3 산업동향

□ 미국은 세계 화학물 시장의 1/5을 점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유해

화학물질의 유통을 통한 위해성평가에 대한 관심 증가

○ 시장조사 기관인 GIA에 따르면 2009년 일시적인 시장 감소세를 겪은 이후 ’10년 증가

세를 보임

- 재생 플라스틱, 재생 화이버 등의 재생화학물시장은 가장 빠른 성장세

- 2017년까지 세계 시장이 약 768억 달러에 이르는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IStockAnalysis에 따르면 미국 화학물 시장이 매년 미국 GDP 대비 2.1%의 성장세

- 미국에는 170여 개의 주요 경쟁회사들이 미국 내외 약 4500개의 공장 등 처리시설 보

○ 화학물질 시장은 주로 고무, 플라스틱, 섬유, 의류, 석유정제, 제지 등의 산업에 연관됐

으며, 미국의 시장은 유럽에 이어 전 세계 상위 규모로 약 19% 시장 점유

○ 화학물질 시장과 관련해 BCC Research에 의하면 화학 촉매시장도 동반 성장 예정

- 2015년까지 매년 연평균 2.5% 성장해 46억 달러에 이를 전망

□ 중금속인 카드뮴 박막 태양전지 시장은 2015년까지 4조 5,000억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

로 전망되고 있지만 미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어 다른 나라의 시장점유율은 미미한 수준

○ 솔라앤에너지에 따르면 세계 카드뮴 텔룰라이드(CdTe) 박막태양전지 시장은 2010년 약

2조 3,000억원에서 2011년 2조 8,000억원 규모로 성장하 고, 매년 평균 13%씩 성장해

2015년엔 4조 6,000억원 규모로 성장 예상

○ 카드뮴 박막 태양전지는 그동안 카드뮴이라는 물질의 유해성 논란으로 극소수 기업과

연구소만 개발을 진행해오다 미국 퍼스트솔라가 오랜 연구개발 끝에 저가 제조기술로

대량 생산에 성공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형성

○ 카드뮴 박막 태양전지 생산량(2010년)은 미국이 세계 전체 시장의 96.8% 점유로 사실상

독점하고 있어 독일 2.0%, 이탈리아 0.9% 등의 수준으로 아직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

Page 9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7 -

3.3.3.2 유럽

3.3.3.2.1 정책동향

□ 유럽은 신화학물질관리정책(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 관리에 관심

○ REACH는 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에 관한 법령이자 유럽 기존의 화학물질

관리지침(Directive)들의 통합본으로서 신규화학 물질에만 적용하던 화학물질의 등록을

기존물질까지 확대하여 연간 1톤 이상 유럽에서 생산하고, 사용되고, 수입되는 모든 화

학물질에 대해서 등록을 요구한 새로운 화학물질 관리법

- 유럽 내 화학물질 및 이를 함유한 공산품의 제조자 또는 수입자는 연간 1톤 이상 제

조․수입되는 모든 물질에 대해 제조·수입량과 위해성에 따라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

- 15편 141개 조항 17개의 부속서로 구성된 법령과 실질적 이행을 위한 22개의 지침서

로 이루어짐

- 평가에 필요한 정보는 산업계가 직접 생산하여 등록 시 제출

○ 유럽집행위원회(EC)는 2001년 REACH의 제안을 골자로 하는 「미래화학물질 정책에 대

한 전략(the Strategy for a Future Chemicals Policy)」에서 7가지 목표 제시하여 유럽

내 화학물질로 인한 인체 및 생태계 피해 감소 노력

- ①인간의 건강과 환경 보호, ②유럽 화학산업의 경쟁력 유지와 강화, ③내부 시장의 파

편화 방지, ④투명성 향상, ⑤국제적 노력의 통합, ⑥비동물시험의 장려, ⑦WTO 체제

국제적 의무와 일체성 향상

○ 특정용도로 사용 제한을 받거나 사용 금지 물질로 명시된 52개 물질들에 대하여 물질자

체, 혼합물 또는 완제품 내의 제한 사항을 지키지 않을 경우 제품 제조나 유럽 내 수입

제한

Page 9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8 -

항목 기존 체제 REACH

규제대상

▪신규화학물질: 10kg 이상 제조․ 수입되는 화학물질

▪기존화학물질: 공공기관(정부포함)이 시행한 위해성평가에서 위해성이 입증된 물질

▪신규 및 기존화학물질을 구별없이 연간 1톤 이상 제조/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

화학물질의 안전성 입증

의무

▪신규화학물질: 제조 및 수입업체(10kg 이상)

▪기존화학물질: 공공기관(정부포함)

▪산업체(신규 및 기존화학물질을 구별하지 않고 연간 1톤 이상 제조/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

규제 방법

▪신규화학물질: 화학물질 등록자료로 제출한 위해성의 내용을 기반으로 관리

▪기존화학물질: 위해 우려물질을 정부 등이 위해성 평가를 거쳐 규제

▪100톤 이상 제조․수입물질 및 관리필요성이 있는 위해가능 물질: 회원국의 관리당국이 위해성 평가를 통해 관리

동물실험▪QSAR, Toxicogenomics 등 대체

시험방법의 제한적인 이용, 유해성 규명을 위해 동물시험이 활용

▪동물시험 최소화를 위해 가능한 대체시험방법의 최대한 활용 권장

* 자료: 정회석, EU 신화학물질정책(REACH) 도입의 비용편익분석(2009)

[표 3-27] 기존 유럽 화학물질 관리체계와 REACH 비교

□ 1998년 유럽은 살충, 제초, 살균, 소독, 방부제 등 생물을 방제하는 목적으로 제조된 화학

제품과 이를 포함한 제품을 관리하기 위해 살생물제지침(BPD, Biocidal Product directive,

Directive 98/8/EECp)51)을 제정하 고, 2011년 ‘biocide 제품의 시장유통 및 사용에 관한

법률(Regulation concerning the placing on the market and use of biocidal products)’로

대체

○ 유럽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살생물제의 위해성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허가절

차에 대한 통일된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 Biocide 제품을 유형별로 23개의 세분류로 분류하며, 2010년 5월 31일 이전까지 유통

되는 biocide 유효성분을 positive list에 신고하고, positive list에 등재된 성분으로만 구

성된 biocide 제품에 한해 시장에 유통

○ 2013년부터 유럽 모든 회원국들에 ‘biocide 제품의 시장유통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적용

□ 유럽은 전자/전기 제품과 포장재를 규제하기 위해 "유럽 유해물질 사용제한지침(RoHS,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과 “포장 및 포장 폐기물 처리지침(Packaging and

Packaging Waste Directive, 94/62/EC)"을 발효하여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한

유해성 감소 도모

○ 2006년 유럽에서는 전기/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유해물질의 사용 제한에 관한 가맹 각국

51) BPD에서는 살생물제를 ‘활성물질 및 하나 이상의 활성물질로 구성된 혼합물의 형태로 화학 또는 생물학적 측면에서 유해한 유기생물을 규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제품’으로 정의

Page 9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89 -

의 법률 격차를 없애기 위해 RoHS 발효

- 폐전기전자장비의 환경친화적 회수 및 폐기를 목적으로 4대 중금속인 납, 수은, 카드

뮴, 6가 크로뮴, 브로민 함유 난연제 물질 2종인 PBB와 PBDE 등 총 6가지 물질의 사

용을 금지

- 수은, 카드뮴 외 4개 유해물질은 전기기기의 신제품에 함유 금지

- 규제 대상은 컴퓨터 및 이동통신 장비에서 국내 가전 및 전자 장비, 장난감 및 자판기

등을 포함

○ 1994년 “포장 및 포장 폐기물 처리지침(94/62/EC)”으로 포장재 규제

- 포장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경감 및 방지 목적

- 이 지침으로 회수율, 재활용률의 설정과 특정 유해물질의 농도 총계 규제

- 카드뮴, 수은을 포함하는 4가지 중금속에 대해 특정 유해물질 지정

□ 각 국가의 특성에 맞도록 국내법에서 화학물질을 규제하여 유럽 지역 내 규제와 함께 화

학물질로 인한 환경오염 및 건강 피해를 엄격하게 관리

○ 독일은 오존층파괴물질과 중금속의 배출량, 소비상품 등 다양한 환경유해물질 및 함유

제품을 관리

- 오존층파괴물질인 CFC, 할로겐염(halon)을 냉매․고압가스․용매 등으로 사용할 수 없도

록 하 고, HCFC-22를 함유한 포장용폼, 에어로졸, 단열재 등의 생산과, 새로운 냉장

장비와 공기조절장비에 HCFC-22을 사용하는 것 등을 모두 금지하고 기타 HCFC 물질

도 단계적으로 사용 금지

- 중금속의 도시폐기물 소각시설 배출허용기준을 여러 중금속의 합산(Sb+As+Pb+Cr+Co

+Cu+Mn+Ni+V+Sn) 농도가 0.5mg/N㎥으로 규제되고 있어 가장 많은 중금속 항목을

가장 낮은 배출허용기준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타 국가에서는 규제되고 있지 않은 유

기물질함량이 배출허용기준에 포함

- 소비상품조례(German consumer Goods Ordinance)에 따라 발암성 섬유염료인아조염

이 함유된 섬유제품의 생산 및 판매 금지

- 위험물질조례(Ordinance on Dangerous Substances)는 가구와 장식용품에 대한 발암

물질 사용 및 페인트 납 성분 함유 금지 및 유해제품의 성분표기 의무화

○ 국은 개별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향을 평가․관리하는 한편, 가정에서 화학 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시

- 최근 화학물질 중 POPs, 수은, 환경 호르몬 그리고 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인간의 건

강에 미치는 향에 대해 집중

- 국은 석면금지법(APR, The Asbestos Prohibitions Regulation)으로 석면 및 석면함유

제품 수입․제조․사용금지

※ 청석면, 갈석면(1986), 백석면 등 5개 석면(1992), 각섬석계 석면(2003)

- NHS(National Health Service)에서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로 인한 알레르기

Page 9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0 -

질환을 저감하기 위하여 가정용 화학제품의 사용을 줄이고, 대체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제품 유해물질 대안

공기청정제 VOCs

환기, 악취 저감효과가 있는 고무나무, 거미나무 이용물 두 컵에 식초와 베이킹소다를 첨가한 후 분무기에 넣어 사용

표백제Sodium

hypochlorite붕사가루를 희석한 후 식초를 넣어 사용

오븐 클리너Sodium

hydroxide

내열성 접시에 물을 채운 후 오븐에 넣어 스팀으로 인해 때가 부드러워지도록 가열 후 냉각한 다음, 소다와 식초의 중탄산소다와 소금을 같은 양으로 반죽하여 오븐 표면에 바른 후 샤워 패드로 긁어냄

스프레이 광택제 VOCs 밀랍과 같은 천연 왁스 광택제 사용

화장실 청소제 Naphthalene밤에 마지막 사용한 사발에 반병의 물을 채우고 물때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식초를 이용하여 불림

세척가루Sodium

carbonate비 생물성 세척 분말을 사용

유리 청소제 Ammonia따뜻한 물을 작은 양동이에 넣고 식초를 넣은 후 세척 후 천으로 건조

* 자료: KEI, 아토피 유발 화학물질 관리정책 수립(2008)

[표 3-28] 국 NHS에서 추천하는 가정용 화학물질 저감을 위한 대안

○ 덴마크에서는 ‘화학물질 및 제품법(Chemical Substances and Products Act)’을 근거로

수입 및 판매되는 화학물질과 생산품의 안전관리 수행

- 분류 및 표시, 포장과 저장 등의 내용을 포함

- 기존의 특별 규칙을 통한 화학물질과 제품의 소매판매 등의 규제 포함

- 각 물질의 세부적인 규제 동향은 Fact Sheet을 통해서 제공

- 현재 규제되고 있는 주요 물질로는 납, 폼알데히드, 니켈, 카드뮴, 수은 등이 있으며,

제품에 따라서 규제 내용 상이

○ 노르웨이 오염관리청(State Pollution Control Authority)은 소비자제품에 사용되는 10종

의 화학물질 사용을 금지하고, 기존 규제대상 11종에 대해 규제수준을 강화하는 법안을

제안

- 신규 금지 대상 화학물질은 MCCPs, biphenyl A, musk xylene 및 musk ketone,

triclosan, PFOS and PFOA, 브롬계 난연제 deca-BDE, HBCDD, TBBPA 포함 10종

- 프탈레이트 DEHP, 유기주석화합물 TBT 및 TFT, pentachlorophenyl, the tensides

DTDMAC, DODMAC/DSDMAC 및 DHTDMAC, 중금속인 납, 카드뮴, 수은, 비소 및 이

들의 화합물에 대해서는 좀 더 엄격한 기준치 적용

Page 10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1 -

3.3.3.2.2 기술동향

□ REACH 관련 연구는 유럽화학물질국(ECB, European Chemical Bureau)을 중심으로 수행되

고 있으며, 크게 요소기술과 이에 대한 기술지침서로 구분하여 개발

○ 화학물질안전성평가에 적용 가능한 요소기술은 다음과 같음

- IUCLID(International Uniform Chemical Information Database)는 유럽의 기존화학물

질 위해성평가프로그램을 목적으로 자료수집 및 평가를 위해 구축된 화학물질 정보DB

로 현재 REACH-IT와의 연계를 위한 IUCLID 5 개발 진행

- EUSES(European Union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Substances)는 정부기구, 과학단

체, 산업계에서 수행하는 신규 및 기존화학물질이 인간이나 환경에 미치는 위해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으로서,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초기(스크

린)단계, 중간(정밀)단계, 필드평가 단계 중 초기 및 중간단계 평가에 적합

- UBA-Tool은 독일 환경부에서 개발한 스크리닝 도구로 REACH 하에서 환경 노출평가

지원

- ECETOC TRA(Target Risk Assessment) tool은 ECETOC(European Centre for

Ecotoxicology and toxicology of Chemicals)에서 개발한 위해성평가 프로그램으로 인

간의 건강과 환경에 향을 미치는 위해성에 관한 시나리오 확인을 통해 우선순위를

두어 가장 시급한 시나리오(노출 또는 유해성)별로 위해성을 단계적으로 평가하는 방

- SIAR(Screening Information Data Set Initial Assessment Report)는 연간 생산 또는 수

입량이 1천 톤 이상인 대량생산화학물질에 대한 위해성평가 보고서

□ PCBs는 POPs 중에서 우선적으로 근절해야 할 첫 번째 물질로 지정된 물질이며, 과거 사용

된 PCBs의 약 70% 정도가 변압기, 축전기 등 전력 장비의 절연유로 사용되어 절연유의

처리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 일반적인 유럽 국가의 상업용 PCBs 처리 방법은 열적처리기술(소각, 플라즈마 분해

등), 물리․화학적처리기술(탈염소화 분해, 광분해, 수열산화분해, 환원열화학분해 등), 생

물학적 처리기술 등으로 구분

Page 10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2 -

국가 회사명 처리대상 처리기술 처리용량(톤/년)

독일

Envio 변압기고온 용제세정

소각

Bilger(미국, 국) 폐유나트륨

dispersion

Bayer AG 각종 PCB 폐기물소각(Rotary

Kiln)20,000~80,000

EntsorgungsbetriedEbenhausen

PCB 폐기물소각(Rotary

Kiln)100,000(1995년)

프랑스

Aprochim(브라질, 스페인)

절연유, 폐유,변압기, 콘덴서

용매 증기를 이용한 추출

ELF Atochem 폐유 고온 PCB→HCI

Tredi변압기, 콘덴서, 변압기절연유

Autoclave 용매세정 및

소각38,000

네덜란드

Orion Bv절연유, 변압기,

콘덴서용제세정 후

소각

Akzo Nobel 염소 유기 폐기물소각(Liquid Injection)

염소순환식44,000

Cleanaway절연유, 폐유,

변압기, 콘덴서

용제세정 및 소각(Ratary

Kiln)60,000

Grosvenor Power 절연유 촉매 분해

Shanks 변압기, 변압기 절연유용제세정 및

소각

* 자료: 환경부, 녹색기술동향보고서(2011)

[표 3-29] 유럽국가의 상업용 PCBs 처리 방법

3.3.3.2.3 산업동향

□ 2005년 유럽 25개국의 화학산업 생산규모는 연간 4,550억 유로로 세계 총 화학산업(의약

품 제외) 생산의 30% 차지

○ 유럽 화학산업 생산의 30.3%만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나머지는 다른 산업에 판

- 소비자 그룹별 점유율은 일반 소비자 30.3%, 건설 5.4%, 자동차 5.3%, 종이 및 인쇄물

4.5%, 금속 2.5%, 산업용기계 1.9%, 사무용기기 0.7%, 전기제품 3.9%, 농업 6.4%, 섬유

및 의류 6.3%, 기타 제조업 6.1%, 기타 산업(농업 등) 10.2%, 서비스 16.4%

□ 유럽 화학산업협회(CEFIC, The European Chemical Industry Council)에 따르면 2007년까지

상승세 던 유럽의 화학산업계의 생산은 2008, 2009년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가

2010년에 반등되는 양상을 보임

Page 10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3 -

○ 2008~2009년 실적이 부진했던 유럽의 화학산업은 2010년 폴리머와 기초 무기화학이

큰 폭으로 성장하 고, 화학산업 내 다른 분야도 20008년 이전 수준 이상으로 회복

(단위: %)

2007 2008 2009 2010

화학산업 전체 2.5 -3.2 -11.0 9.8

폴리머 1.0 -5.0 -16.3 14.9

기초 무기화학 1.6 -6.2 -18.0 12.7화학물질 2.2 -3.2 -3.2 9.8

석유화학 3.6 -4.2 -8.9 8.1

특수화학 1.0 -3.4 -8.9 6.6

소비화학제품 3.9 -1.7 -7.0 5.6

* 자료: CEFIC, Facts and Figures(2011)

[표 3-30] 유럽 화학산업 생산 증가율 추이

3.3.3.3 일본

3.3.3.3.1 정책동향

□ 일본에서는 화학물질 심사 및 제조 규제(이하 화심법)를 개정52)하여 유럽의 REACH 제도와

미국의 화학물질 규제 수준으로 유해화학물질 규제 기준 강화

○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WSSD,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에 의

거 2020년까지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화학물질의 유해 향 최소화 요구 및 2007

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유럽의 REACH 및 미국의 화학물질 평가와 관리 등 화학물질에

대응하는 국제적 목표달성 필요

○ 2009년 5월에 개정되었으며 2011년 4월 시행

○ 기존화학물질을 포함, 지정수량을 초과하여 어떤 화학물질을 제조 또는 수입 회사는 정

부에 그 수량 및 관련 정보가 포함된 신고서를 제출하도록 새로운 의무를 부과하고 국

제협약으로 엄격한 통제하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도록 신규 목록화

○ 2010년부터는 포괄적인 화학 물질 관리의 실시로 유해 화학 물질로 인한 사람이나 동식

물에 악 향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에서 분해 가능한 화학 물질"의 대상화와 국제 동향

에 입각한 규제 합리화를 위한 조치 등을 취함

○ 신규 화학물질의 유통 전 사전평가를 실시하여 등급별로 분류하여 규제를 실시하며 평

가를 면제받을 수 있는 예외 조항 마련

- 신규 화학물질 제조 또는 수입시 사전신고를 의무화하여 대상물질의 분해성, 축적성,

만성독성 및 생태독성에 대한 사전평가 실시

52) http://www.ten-info.com (TEN : 무역 환경 정보네트워크), 일본 경제산업성, 환경성, 환경부

Page 10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4 -

- 신고된 신규물질의 환경 향 평가 실시 결과에 따라 특정 화학물질(제1, 2종) 및 감시

화학물질(제1, 2, 3종)으로 분류하여 분류별 제조, 수입, 사용 등에 대한 규제 실시

- 환경으로의 방출가능성이 적어 환경위해성이 낮은 물질(중간물, 수출전용품 등)은 사전

신고 적용 예외

- 1톤 이하의 소량 생산 등과 같이 사전 확인을 받은 경우도 사전신고 적용예외

화학물질 분류 규제 사항

제1종 특정 화학 물질 (PCB등 16물질) 난분해성, 고축적성 및 장기 독성 또는 포식 동물에의 만성 독성을 가지는 화학 물질

- 제조·수입의 허가(사실상 금지)- 특정의 용도 이외 사용 금지 - 정령 지정 제품의 수입 금지 - 회수 등 조치 명령(물질·제품의 지정시, 법령 위반

시)

제2종 특정화학 물질 (Trichloroethylene 등 23물질) 난분해성, 장기 독성 또는 생활환경 동식물에의 만성 독성을 가지는 화학물질

- 제조·수입 예정/실적 수량, 용도 등 신고 - 리스크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제조·수입 예정

수량 등의 변경 명령 - 취급 관련 기술상 지침의 공표·권고 - 표시의 의무·준수 권고

제1종 감시 화학물질 (Cyclododecane 등 36 물질) 난분해성과 고축적성이 있다고 판명된 기존 화학물질

- 제조·수입 실적 수량, 용도 등 신고 - 합계 1톤 이상에 대하여 물질의 명칭, 신고수량

공표 - 지도·조언(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 리스크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유해성 (인체 또

는 고차포식 동물에의 장기독성) 조사 지시

제2종 감시 화학물질 (Chloroform 등 952 물질)고축적성은 갖지 않지만, 난분해성이며, 장기 독성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

- 제조·수입 실적 수량, 용도 등 신고- 합계 100톤 이상에 대하여 물질의 명칭, 신고 수

량의 공표 - 리스크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유해성 (인체에의

장기 독성) 조사 지시

제3종 감시 화학물질 (Nonylphenol 등 157 물질)난분해성이 있고, 동식물 일반에 독성 (생태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

- 제조·수입 실적 수량, 용도 등 신고 - 합계 100톤 이상에 대해 물질의 명칭, 신고 수량

의 공표 - 리스크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유해성 (인체에의

장기 독성) 조사 지시

* 자료: 무역․환경정보네트워크(TEN) 홈페이지(2012)

[표 3-31] 일본의 화학물질 심사 및 제조 규제 내용

□ “화학물질 분류 및 표시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제도와 일본판 RoHS를 추진하여 국제 화학물질

규제에 대응하는 한편, 국내 생활용품에서의 유해물질 함유 제품을 관리하여 소비자의 건

강피해 감소 유도

Page 10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5 -

○ GHS 제도를 통한 유해한 화학물질 관리

- 2003년에 유엔에서 채택된 “화학물질 분류 및 표시에 관한 GHS 제도"에 대해서는 그

후에도 개정작업 진행

- 화학물질을 물리적 위험성에 따라 16개 범주, 건강·환경유해성에 따라 11개 범주로 분

류하고, 용기·포장 등에 따른 표시 및 안전보전자료 등을 표기

○ 일본판 RoHS(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함유정보 표시)53) 추진

- '자원유효이용촉진법'에 따른 '자원절약 및 재이용 촉진을 위한 지정제품'에 대한 판단

기준 성령 개정을 통해 적용대상 7개 품목에 대해 유럽의 RoHS 지침에서 규제하는 6

대 유해물질 함유정보를 일본공업규격인 JIS C 0950에 따라 표시하도록 함

- 대상품목은 자원절약 및 재이용 촉진을 위한 지정제품 7개 품목(PC, 유닛형 에어컨디

셔너, 텔레비전, 전자레인지, 의류건조기, 전기냉장고, 전기세탁기)임

- 재생자원의 이용 촉진을 위해 대상품목을 제조 또는 수입판매하는 자는 2006. 7. 1부

터 해당제품에 유럽의 RoHS 지침에서 규제하는 6대 유해물질(납, 수은, 카드뮴, 6가크

롬, PBB, PBDE) 함유정보 표시 의무

- 유해물질 함유정보 표시방법으로 J-Moss JIS 규격이라 불리는 일본공업규격 JIS C

0950(전기, 전자기기의 특정 화학물질의 함유 표시방법)을 따르고 6대 유해물질을 기

준치 이상 함유한 경우 위해성에 대한 정보 제공 의무화

3.3.3.3.2 기술동향

□ 일본 경제산업성에서는 ‘기술전략맵 2009’54)에서 「화학물질 종합평가관리」기술맵을 작성하

여 화학물질 관련 위해도 감소를 위하여 필요한 기술개발 추진

○ 2010년까지 화학물질 관리의 제2세대를 구축하고자 화학물질관리 관계 법령 등을 통한

규제와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의 최적 조합(best mix) 하에, 물질별 위해도를 줄이는 것

을 목표로, 이에 대한 시간 계획 수립

○ 2020년까지를 화학물질 관리의 제3세대로 설정하고, 위해도와 편익과의 균형을 고려하

여, 위해성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위해성을 직시하는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로드

맵 제시

○ 향후 복수 물질 간의 위해도를 비교하거나, 감수성의 개인차 및 다양한 생활 패턴을 고

려하여, 과학적인 관점에 근거한 고도의 기술을 통해, 전체적으로 위해도를 감축시키도

록 하는 관리를 지향해야 하며 안전하고 편안한 국민생활과 활력 있는 산업 실현을 요

구하고 있음

53) 일본 경제산업성, http://www.ten-info.com (TEN : 무역 환경 정보네트워크)

54) 일본 경제산업성(2009), 기술전략맵

Page 10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6 -

○ 위해성평가와 위해도관리 측면에서 전략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위해도저감 기술 개발

달성을 목표로 설정

- 화학물질 위해성평가․관리기술 개발 : 국가 행정이나 기업이 직면하는 위해성평가․관리

의 과제(needs)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seeds)을 조사를 통해 추출하고, 기술개발

과제를 정리

- 화학물질 위해도저감 기술 개발: 기술개발의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야를 고려하여 산업,

광역, 생활로 분류하고 각각에 향을 미치는 환경을 매체 분류를 통해 이에 대해 감

축해야 하는 화학물질을 추출 정리 및 이의 감축 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는 기술개발

과제를 제시

구분 위해성평가․관리기술개발 화학물질 위해도저감 기술개발

~2010년(과거/현재)

화학물질 관리 관련 법령 등을 통한 규제와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를 통한 물질별 위해도저감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을 억제하고 쾌적한 생활을 실현하기 위해 2010년 내에 VOCs 배출량을 ’00년 대비 30% 감축

~2020년(미래)

위해도와 편익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위해도 의사소통을 통해 위해도를 저감하는 사회 구축

화학물질이 인체 및 환경에 미치는 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개발

*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2009) ‘기술로드맵’

[표 3-32] 일본에서의 화학물질 종합평가 관리의 기술로드맵 목표

○ 화학물질의 위해성을 판단하기 위해 현재는 화학물질의 유해성만을 근거로 규제하 으

나, 향후 노출량도 함께 판단 근거로 삼아 위해도저감 및 위해성 소통 추진 계획

- 과거에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근거로 규제하 으나, 수많은 물질이 다양한 용도로 사

용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한다면 물질 고유의 유해성뿐만 아니라 노출량을 제어하고,

위해도를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

- 위해도관리는 규제와 동시에 물질의 취급을 숙지하는 기업 자체적인 관리를 동시에 나

가는 것이 효과적

- 위해성은 유해성과 노출량에 향을 받는 것이므로, 현재 또는 미래에 있어서는 유해

성과 노출량을 근거로 과학적인 위해성평가가 필요

- 위해성평가에 따라 유해물질의 배출 저감 또는 회수나 물질대체 등의 위해도저감 기술

을 적용함과 동시에 위해도 의사소통을 추진

Page 10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7 -

[그림 3-14] 화학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위해성평가 및 위해도관리의 흐름

개발기술 과거/현재(~2010년) 미래(~2030년)

유해성평가기술개발- 나노입자의 유해성평가기법- QSAR, 단순 PBPK 모형- 유해성 검출 바이오마커

- 복합노출의 유해성평가기술- 메커니즘 고려한 QSAR, 상

세 PBPK/TD모형- 미니생태계를 통한 유해성

평가

노출평가기술개발

- 제품을 통한 노출평가 기술- 새집증후군 노출평가 기술- 미량물질 검출센서- 배출량 추적 역해석 기술

- 감수성 고려 노출평가기술- 생체 중 미량물질 검출센서- 생활형태별 노출평가기술

위해성평가 기술개발

- 인체 생태 위해성 통일지표 개발- 위해성우선순위 설정기술- 지역 특이 위해성평가기술

- 다중노출에 의한 위해성평가 기술

- 감수성, 생활형태를 고려한 위해성평가기술- 신규물질/기술, 위해우려물질

에 대한 위해성평가기술

위해도관리 기술개발- 법(화학심사법)에 따른 위해

도관리기술

- 위해도 트레이드오프(trade-off)에 근거한 최적 관리기술

- 복수물질/제품간 위해도 비교, 관리기술

위해도저감 기술개발 - 유해물질 제거, 분해기술 - 유해물질 재생, 자원화기술

*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2009) ’기술로드맵‘

[표 3-33] 일본 기술맵에서 과거/현재 및 미래의 기술개발 방향

□ 일본에서는 모든 산업 기간이 되는 화학제품 등을 지속적(sustainable)으로 생산, 공급해 나

가기 위해서 지금까지의 대량소비·폐기형 생산 프로세스에서 탈피하고,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한 프로세스의 공급체제를 시급히 구축하는 현안에 대응하여 녹색기술 개발 추진

Page 10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8 -

○ '지속가능한 녹색기술(GSC, Green·Sustainable Chemistry)'55)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기술을 추출하고, 이러한 제약 조건이나 경쟁력 및 기반성과 같은 관점에서 중요

기술을 선정하는 동시에, 향후의 기술 발전을 제시

○ GSC의 목표는 ‘미래생활의 질적 향상’, ‘미래 자원․에너지 제약’, ‘미래 환경과의 공생’, ‘’

미래의 화학산업’으로서, 이에 따른 세부 목표와 단․중․장기 실천계획을 수립하여 지속

가능한 녹색기술의 방향성 제시

- 단기적으로는 ①폐기물 감축, ②현재 존재하는 자원․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

으로 green(친환경)의 방향성 확립

- 중기적으로는 유해물질 및 희소원소 대체가능한 기술개발로 sustainable(지속가능한)

방향성 확립

- 장기적으로는 ①쾌적하고 지속가능한 생활을 실현하는 새로운 재료의 개발, ②원료의

혁신적인 전환을 통해 green sustainable의 방향성 확립

○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정(process; how to make)’ 및 ‘소재(material; what to

make)’의 양 측면에서의 혁신 필요성이 제기

- 소재는 그 기능에 따라 사회발전이나 생활의 질적향상에 직접적으로 공헌하게 되는데,

green sustainable의 관점에서는 소재 제조 당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할 때의 효

과가 중요

- 또한 전과정(life cycle)이라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 "소재가 환경친화적인가?" 하는 것이

중요

3.3.3.3.3 산업동향

□ 니켈, 리튬 등 중금속을 주원료로 하는 자동차 구동용 축전지 분야 시장은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대한 국내 수요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 전망

○ IDC Japan에 따르면 자동차 구동용 축전지의 일본 국내시장은 향후 연평균 성장률

25.7%로 성장을 계속하여 2016년에는 3,165억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2011년 하반기 출하금액은 전년도 대비 82.0% 증가한 609억 엔 규모

○ 축전지의 종류별로 살펴보면 니켈 수소 전지와 리튬이온 배터리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

고, 2010년 리튬이온 배터리의 출하금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이후 지속적인 우세 전망

- 2011년 하반기 출하 금액은 니켈 수소 전지가 전년도 동기 대비 1.6% 증가한 303억

엔,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년도 동기 대비 730.9% 증가한 306억 엔 규모

55) GSC의 설정 : 제품설계, 원료선택, 제조방법, 사용방법, 리사이클 등 제품의 전과정(holistic life cycle)을 전망한 기술혁신을 통해, ‘사람과 환경의 건강·안전’, ‘자원절약·에너지절약’ 등을 실현하는 화학기술(1999년 11월, 산관학의 참여를 통해 개최된 GC 워크숍에서 합의)

Page 10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99 -

[그림 3-15] 자동차 구동용 축전지 시장 예측

* 자료: IDC Japan(2011)

3.3.3.4 시사점

□ 선진국의 유해화학물질 관련 정책은 제조 및 수입 이전에 유해성 심사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된 물질 및 함유제품만을 소비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사전예방에 초점

○ 각 국은 유해성 심사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만을 제조 또는 수입하게 하여 위해

성 관리

- 미국은 TSCA를 근거로 화학물질이 유통되기 전 유해성을 심사하여 인체와 환경에 미

치는 위해를 규명하고 예방

- 유럽의 REACH 제도는 유통되고 있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구

하여 화학물질관리 제도의 표본이 되고 있음

- 일본은 화심법을 통해 미국과 유럽 수준으로 유해화학물질 규제 기준 강화

○ 유해중금속 및 POPs, EDCs는 유해성이 규명된 중금속의 제품 함유 기준을 도입하여 소

비자의 유해중금속 노출을 방지

- 미국은 수은과 메틸수은의 위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Mercury Research

Strategy'를 수행하고, 소비자제품 안전 개선법을 시행하여 어린이용품에 함유된 납, 가

소제에 대한 규제 기준 강화

- 유럽은 RoHS와 “포장 및 포장 폐기물 처리지침”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전기․

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물질 사용 제한

- 일본 역시 일본판 RoHS 추진으로 제품에 함유되는 중금속 및 환경호르몬 물질 함유정

보 표시 등 위해성에 대한 정보 제공 의무화

□ 선진국에서는 화학물질의 위해성평가 기법, 중금속 특이적 위해성평가 기법, 스크리닝 기술

Page 10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0 -

개발을 통한 POPs, EDCs 예측․판정 기술 개발 등 위해성평가를 중점적으로 연구

○ 화학물질 관련 연구에서는 위해성평가를 위해 환경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첨

단 실험기법 개발

- 미국은 EPA에서 화학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위해 오믹스 관련 기술 백서를 발간하는 등

신규화학물질에 적용 가능한 대체 실험기법 개발하고, USGS에서는 생물 모니터링 방

법 및 평가수단 개발, 생체지표․생태지표와 인체 건강과의 연계성 예측기법 개발

- 유럽은 유럽화학물질국을 중심으로 화학물질안전성평가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기술지침서 작성

- 일본은 ‘기술전략맵 2009’를 통해 화학물질 관련 위해도 감소를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

추진

○ 유해중금속 관련 연구는 중금속 특이적인 위해성평가 기법 개발에 초점

- 미국은 ‘중금속 위해성평가에 대한 프레임웍’을 제시하여 중금속의 기본적 특성을 고려

한 위해성평가 기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취약계층에 대한 향 연구로 확대

○ POPs, EDCs 관련 연구는 물질의 유해성 스크리닝 기술에서 PCBs의 처리기술 개발로 확대

- 미국은 1996년부터 환경호르몬의 위해성평가를 실시하 고, 고속대량스크리닝(HTS,

High Throughput Screening) 기법 개발을 통해 환경독성물질을 예측․판정하여 개발된

방법론을 국제표준화 추진

- 유럽은 전력장비의 절연유로 사용된 PCBs의 처리를 위해 열적처리기술, 물리․화학적

처리기술, 생물학적 처리기술 개발

□ 세계 화학시장에서 미국과 유럽, 일본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신재생 에너지 개

발에 따른 수요 증가로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

○ 세계 화학물질 시장에서 미국은 20%, 유럽은 30% 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이들 지역의

화학물질 관련 기술개발의 향력이 큼

○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지의 수요 증가에 따라 관련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되어 본 분야의 기술개발 필요

- 미국은 카드뮴 박막 태양전지 시장을 독점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은 2011년 2조 8,000

억 원 규모

- 일본은 니켈 수소 전지와 리튬이온 배터리의 국내 수요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

되며, 2016년 3,165억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선진국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의 위해성에 대비하여 효율적인 정책적 수단을 마련해 왔으며,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인프라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많은 연구 성과 도출

○ 초기에는 유해성 정보 제공을 위한 독성평가 기법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으

며, 이후 위해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위해도관리와 위해도저감을 위한 체계적인 전

략 수립

Page 11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1 -

○ 미국의 경우 타 분야에 비해 화학물질, 유해중금속, POPs, EDCs 분야의 SCI 논문 성과

가 두드러지게 많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유해중금속 분야에서는 전 기술 범위가 고

르게 연구

○ 세계 화학시장에서 선진국의 점유율이 매우 높은 편이므로, 관련 정책의 변화는 세계의

화학물질 관리 정책 수립에 많은 향을 미침

Page 11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2 -

3.4 국내 환경보건 주요 동향56)

3.4.1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3.4.1.1 정책동향

□ 환경보건 측면에서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환경보건 종합계획과 개별 유해인자 측면의

관리를 추진하는 실내공기질관리기본계획, 빛공해방지법 등을 통해 생활 환경 내 유해인자

위해관리 추진

[그림 3-16]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관련 국내 정책

□ 환경보건 종합계획은 2005년에 이어 ’08년 환경보건법 제정 이후 대외적 여건을 반 , 법

정 종합계획으로 2011년에 재수립하여 유해인자별 접근, 사전예방에 초점을 두고 있음

○ 2015년 환경보건 선진국 대열 진입을 목표로 2006~2015년의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수

립하여 추진

-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예방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 구현’을 정책 기조로

수립

- 수용체 중심으로 각종 매체의 통합관리, 조정, 선도함으로써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위해

도를 저감 추진

56) 환경부(2012),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상세기획보고서 재구성

Page 11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3 -

○ 종합계획의 기본 원칙은 ①사람․생태계 중심의 통합 환경관리, ②사전주의 원칙의 적용․

강화, ③환경보건 정의 실현, ④이해관계자 참여 및 알권리 보장 추진

- 매체별 환경유해인자의 건강 피해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 소

음·진동 관리 강화로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 추진

- 생활주변 환경유해인자의 예방․관리를 위해 석면 안전관리 체계 구축, 라돈으로부터 안

전한 실내환경 조성, 전자파로 인한 위해관리, 인공조명으로 인한 빛공해 예방․관리 추

□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에서는 10대 실내공기 유해인자를 선정하고 민감계층 보호, 사

전예방 차원의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

○ 안전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통한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하여 2009~2013년 실내공

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

- 2003년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제정으로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제

도적 기틀 마련하고, 2004년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수립 및 ‘실내환경개선협의회'

구성으로 범정부 차원의 실내공기질 관리 체계 구축 후 종합계획의 필요성 대두

- ‘저탄소 녹색성장'국가비전에 따라 실내공기질 관리대책도 기후변화대응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추진하고 친환경 건축자재·생활용품 보급·에너지절약형 환기기술 개발·보급

등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면서 기후변화대응에도 기여하는 대책 마련

- 실내공기질 관리여건 및 현황, 정책의 기본 방향, 부문별 세부대책 등 실내 공기질 관

련 정책을 포괄하는 종합 계획을 수립(2008년)

○ 이를 위하여 ①수요자 중심, ②사전예방, ③취약·민감계층 우선보호, ④참여와 파트너십

의 원칙을 적용

- 그간의 실내공기질 관리 정책은 대규모 시설 관리 및 규제 위주로 추진되면서 미적용․

소규모 다중 이용시설과 일반 주택 등 사적인 공간에 맞는 실내공기질 정책의 필요성

대두

- 학교와 일부 보육시설을 제외한 어린이와 청소년 이용 시설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리

및 지원이 부족하여 민감군 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

- 신축 공동 주택 등 실내공간에 사용되는 생활용품과 마감 건축자재 등에서 폼알데히

드와 휘발성 유기화학물 기준 초과 등의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사전예방적인 공기

질 관리 정책의 강화

- 석면 등으로 인한 건강 향 사전 관리 및 새로운 시장 수요 대처

- 시설소유자, 전문가, 관련기관의 참여 활성화 및 파트너쉽 제고를 통한 친환경적 생활

문화 정착 유도

○ '국민공감 실내공기질 조성을 통한 국민건강 보호'를 정책 목표로 6대 중점 추진 과제

추진

Page 11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4 -

6대 중점 추진과제 세부 내용

1. 실내공기질 관리대상 확대 및 기준 합리화

- 화관 등을 다중 이용시설 범위에 포함 ▪PC 방 등 소규모 시설은 실내공기질 관리 매뉴얼 보급을

통해 자율 관리 기반 조성 ▪개별 VOCs, 곰팡이, PM2.5에 대한 공기질 기준 마련

2. 목질판상제품 오염물질 방출 관리

- 가구 - 건축자재의 원자재인 합판 - 파티클보드와 같은 목질판상제품의 폼알데히드 규제

3. 환기설비 관리체계 구축- 환기성능 유지에 필요한 가동 시간, 정기점검 사항 등 환

기설비 운 및 사후 관리 기준 마련

4.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법 개발·보급

- 오염물질 저방출자재 사용, 베이크 아웃 실시, 환기설비 가동 등 실내공기질 관리방안별 건축불 LCE/LCCO2 분석을 통해 저탄소형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개발 - 보급

5. 석면 등 건강 향이 큰 물질 관리 강화

- 석면, 라돈, 흡연과 같이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등 건강 향이 큰 물질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 추진

6. 실내공기질 관련환경성 질환 관리

- 주요 환경성질환과 실내공기 오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관리 - 예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운

* 자료: 실내공기질관리기본계획

[표 3-34] 실내공기질관리기본계획 6대 중점 추진 과제

○ 세부계획으로는 ①실내공기질 관리체계·역량 발전, ②실내공기질 관리제도·기술 기반 강

화를 목표로 추진 전략 및 41개의 추진 과제 수립

- 실내공기질 관리체계·역량 발전 계획 중 환경보건 관련 주요 이슈는 민감계층 대상, 오

염원의 관리 확대, 건강 향이 큰 물질 관리 강화, 사전관리 등 포함

실천목표 추진 전략 추진 과제 중 환경보건 관련 주요 내용

실내공기질 관리체계·역량 발전

실내공기질 관리 선진화

- 헌집증후군 예방을 위한 주택 관리- 어린이․ 청소년 이용 공간 공기질 관리

오염원관리확대

- 실내공기 친화적인 생활용품 관리- 방향제․ 살충제 관리- 오염원이 실내공기 향 평가․ 예측 기법

건강 향이 큰

물질 관리강화

- 석면- 라돈- 미생물- 실내흡연

건강 향사전관리

- 실내공기질 관련 환경성 질환 관리- 유해물질 위해성 평가- 위해성/건강 향 평가 기반 구축

* 자료: 실내공기질기본계획

[표 3-35] 실내공기질기본계획 중 환경보건 관련 주요 추진 전략

Page 11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5 -

□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5개년 대책에서는 지하철 내 미세먼지, 석면관리, 실내라돈 관리를

중심으로 공기질 개선 추진

○ 쾌적하고 안전한 지하철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공기질을 국민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

로 개선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2008~2012년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5개

년 대책을 수립

○ 이를 위하여 ①지하역사 오염원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②오염원 목록(inventory) 및 사전

관리 강화, ③상시 모니터링·오염저감 평가시스템 도입, ④제도개선 및 인프라 구축,

⑤시설투자 지원 및 파트너십 제고를 추진

- 시민건강에 향이 큰 미세먼지, 석면, 라돈 등을 중점 관리

- 오염원 사전 차단→저감대책→모니터링→평가․환류를 포함한 통합적 오염 관리시스템

구축․시행 계획

-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대책 시행 완료 후에는 미세먼지 오염도 20% 저감, 석면 및 라

돈 노출 제로화 등의 공기질 개선 목표

○ 세부 계획으로는 ①공기질 개선, ②제도개선 및 파트너십 제고 등이 있음

□ 기타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 정책에서는 석면, 라돈, 총부유세균 등 주요 실내공

기오염 물질에 대한 유지기준 설정 및 자율적 준수 유도

○ 1996년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을 제정, 시행하면서 먼지, 황산화물, 일산화탄소, 이

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폼알데히드, 석면, 라돈, 카드뮴, 크롬, 비소, 구리, 납, 수은 등 14

개 물질을 대상물질로 규정, 7개 항목(먼지, SO2, NO2,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폼알데

히드, 납)에 대해 관리기준 설정

○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외 보육시설, 의료기관, 찜질방, 대규모점포 등 17개 시설군을 다

중이용시설로 규정하고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설정

-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폼알데히드, 총부유세균 등 5

개 물질에 대해 유지기준을 설정

- 외부에 오염원이 있거나 오염원이 비교적 낮은 이산화탄소, 라돈, 총휘발성 유기화합

물, 석면, 오존 등 5개 물질에 대해서는 권고기준을 설정하여 자율적 준수 유도

○ 건축법에서 요구하고 있는 실내공기질 관련 규정은 주로 보일러의 배연설비에 관한 것

으로 환기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자연환기 혹은 기계환기에 초점

○ 학교보건법에서는 먼지,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 등에 대해 실내공기 규정을 설정하고,

학교장이 년 1회 점검하고 기준 초과시 필요한 조취를 취하도록 규정

□ 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2011~2015)에서는 생활소음 민원의 증가 등 소음․진동 피해 발

생을 줄이고 사전예방관리체계를 강화하여 쾌적하고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 목표로 추진

○ 1차 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은 2005~2010년 추진되었으며, 환경기준 달성률 상승,

Page 11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6 -

소음지도 작성방법 및 철도차량의 소음권고기준․검사방법 고시제정(2010.7) 등 소음․진

동 관리정책의 선진화 기반을 구축

구분 2005 2009 비고

전용주거지역24% 33% 낮

7% 18% 밤

도로변 소음(주거지역)

48% 60% 낮24% 27% 밤

* 자료: 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2010)

[표 3-36] 제1차 대책 전후 환경기준 달성률 현황

○ 생활소음으로 인한 공동체 삶의 훼손 및 정온한 환경에 대한 국민 욕구 증대 등을 고

려, 제2차 생활소음 줄이기 종합대책에서는 생활소음저감을 위한 보다 근원적인 대책을

추진

- 3대 목표로서 ① 현재 33% 수준에 머물고 있는 주거지역의 환경기준 달성률을 2015

년까지 10%p 높이고, ② 이를 통해 고소음 노출인구를 300만명 저감하며, ③ 매년 증

가추세에 있는 소음민원의 증가율(연평균 11.6%)을 억제시킬 계획

- 분야별로 ①사전예방제도 기반 강화, ② 신규소음원 및 생활공간 소음관리, ③교통소

음 관리, ④공사장소음 관리, ⑤공장․사업장․이동소음 관리, ⑥조사․연구 강화, ⑦ 파트

너십 강화 등 7대 추진 과제를 마련

□ 환경정책기본법 상에서는 2008년 처음으로 실내소음기준을 신설하여 실내소음으로 인한

환경분쟁을 예방 및 판단 근거 마련

○ 최근 10년간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처리한 민원 1,750건 중 1,508건(86%)이 소

음·진동과 관련한 민원으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나, 환경정책기본법에는 실외소음의

환경기준만 규정하고 있어 실내소음으로 인한 환경 분쟁을 예방하고 판단 근거가 부족

하 음

○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실내 소음 기준으로 45dB

이하를 적용하도록 환경 기준을 강화

□ 전자파 관련 정책으로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전자파 등급제를 추진하여 전자파의 효과적

규제 방안 마련 추진

○ 방송통신위원회는 2012년 정책에서 휴대전화의 전자파세기(전자파흡수율) 등을 공개하

기로 하고 전자파 세기를 등급화하여 표시하는 제도 도입 추진 예정

○ 정부와 민간이 합동으로 ‘한국전자파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전자파에 대한 홍보활동 및

불안감 불식을 위한 홍보활동 전개 계획

Page 11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7 -

□ 빛공해 방지법은 인공조명 오․남용으로부터 국민건강 및 생태계에 미치는 향을 예방하기

위해 조명의 빛반사 등 허용 기준 등 도입

○ 2010년 '빛공해 방지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인공조명 시설 설치로 인한 안전

문제 등을 방지하는 기준 도입 추진

- 국내에 적용되고 있는 조명 관련 법안은 2006년부터 시행된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지

침이 유일하며, 빛이 도로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권장 사항이 포함되어 있으

나 구체적인 조도와 휘도의 규정 등은 규정되어 있지 않음

- 빛공해 방지계획 수립과 빛반사 허용기준의 설정, 기준위반에 대한 강제금 부과 등

패널티 조항 등이 신설되며 환경 향평가 실시 등 빛공해를 근원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수립 추진

○ 서울시는 지방정부 중 처음으로 '빛공해 방지 및 도시 조명관리 조례' 제정(2011년)

- 건물에 설치된 야간경관조명 허용 시간, 경관 및 옥외 조명 설치 시 설치 위치 및

빛을 비추는 각도 등에 대한 심의 도입

- 자연녹치지역, 주거지역, 상업지역, 관광특구 등 조명환경관리지역을 6개의 종류로 구

분하고 자연녹지지역인 산속과 역사특성보전지국, 국가지정문화재 등에는 일정 범위

내 조명 금지

3.4.1.2 기술동향

□ 우리나라는 논문의 비율이 총 논문의 1% 이내로 매우 적어 연구의 양적 확대가 필요한 실

○ 생활환경 유해인자 중 논문 발표 동향이 분석된 석면, 전자파, 소음진동 분야의

2001~2010년까지의 관련 논문은 총 10여편에 그쳐 관련 연구가 매우 미흡

- 석면 관련 1편, 전자파 관련 3편, 소음진동 관련 SCI 논문 4편에 그쳐 국내 관련 분

야 연구 자체가 매우 부족한 실정]

한국건수총 SCI 논문

건수한국 비중 한국 순위

석면 1 236 0.42% 36전자파 3 218 1.38% 21

소음진동 4 407 0.98% 22

* 자료: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 기획 보고서(2011)

[표 3-37] 석면, 전자파, 소음 진동 분야의 SCI 논문 수

Page 11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8 -

○ 실내환경 환경유해인자 중 논문 발표 동향이 분석된 환경미생물 분야는 타 분야 대비

논문 비중은 소폭 높게 나타났으나 국가별 순위는 18위로 낮게 나타났으며 논문 게재

도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에 편중

- 45건으로 관련 논문 총 3,498건의 1.29%에 불과하며 1위인 미국(1,153건) 대비 1/26

수준

한국건수총 SCI 논문

건수한국 비중 한국 순위

환경미생물 45 3,498 1.29% 18

* 자료: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 기획 보고서(2011)

[표 3-38] 환경미생물 관련 SCI 논문 수

-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 기술에 논문 발표가 집중되고, 상대적으로 위해도 관리 및 위해

도 저감 기술은 저조

(단위: 건수, %)

환경미생물 관련 우리나라 SCI 논문 수 기술분야별 논문 비중

* 자료: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 기획 보고서(2011)

[그림 3-17] 환경미생물 관련 기술분야별 SCI 논문 수

□ 국가R&D를 통해 관련 연구가 일부 추진되었으나 대부분 현황 조사와 같은 조사연구 R&D

가 주를 이루고 있어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은 부족

○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는 유해대기 오염물질 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져 실내공기질에 특정

Page 11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09 -

연도 기관 내용

2008년

노동부- 사업장 건축물의 석면함유 실태조사(2008, 노동부) ※ 23개 업종 153개 사업장 조사 결과 50.3%에서 석면검출- 석면 분석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2007~2008, 노동부․환경부)

환경부

- 석면 조사․분석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 및 정도관리 실시(2008, 환경부)- 석면 해체․제거 사업장 주변 대기 중 석면농도 모니터링 실시

(2008~2009, 환경부)- 건강 향조사 기초 연구(2008.4~2009.4, 환경부) ▪석면광산·공장 등 주요 석면노출원 거주 주민에 대한 건강 향조사

방법론(조사범위·대상·방법 등) 설정

국립환경과학원

- 석면공장 및 광산 등의 인근 주민의 석면 노출로 인한 건강 향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

- 일반 대기 중 석면 농도 모니터링- 공공건물의 석면함유물질 사용 실태조사- 고형시료 중 석면분석 숙련도시험 및 정도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표 3-40] 2008~2010년 석면 관련 프로젝트 (노동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된 연구가 부족하며, 유해인자 중심의 원천 기술보다 실용화, 실증화 측면의 연구 진행

분야 연구 목록오존 및

스모그오염개선기술

▪미세먼지(1㎛ 이하 포함) 및 증기상 수은 등 유해물질 동시제거용 고효율 복합 기능 여과시스템 개발

▪복합 VOCs 물질제거를 위한 장치개발

유해대기오염물질관리기술

▪실내공기질(IAQ) 향상을 위한 그린내장재 및 공조시스템에 관한 연구▪실내공간에 있어서의 환기정화장치 및 운용시스템 개발▪고성능 UV/TiO2 공기청정기 개발▪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한 Indoor Air Quality 다성분 동시 청정관리 시스

템 개발▪실내식물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공기정화 시스템의 개발▪지능형 청정 공조시스템의 설계 기술 및 시스템 개발▪실내공기자연정화를 위한 phyto-planting system 개발▪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최적환기 시스템 및 급배기구 개발

실내 부유 유해 미생물 및 VOCs 동시저감을 위한 기능성 나노 에어로졸 Filtration 시스템 개발

▪실내 초미세입자 발생원, 배출량 평가 및 관리방안 수립▪실내(공공화장실 등) 악취물질 제거용 맞춤형 복합필터 및 소형 필터유니

트 개발

[표 3-39] 차세대사업의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

○ 석면 관련 연구에서는 ‘현황 조사’와 같은 조사연구 R&D가 대부분이며, 본 R&D 사업에

서 수행하고자 하는 기술개발 R&D와 중복되는 내용은 없음

Page 11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0 -

연도 기관 내용

- 농가건물의 석면함유물질 사용 실태조사

2009년

노동부

- 석면함유제품 불법 제조․수입․사용 등 의심사업장 점검(~2009.11, 노동부)

- 사업장 건축물의 석면함유 실태조사(2008, 노동부) ※ 23개 업종 153개 사업장 조사 결과 50.3%에서 석면검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석면함유 건축물의 안전한 관리방법」

기술자료 제작 및 보급(2009, 5,000부)- 석면해체․제거작업 적정 공사단가 기준을 「건설공사 표준품셈」에

반 (2009.8,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개정을 통하여 석면 해체․제거 작업 관리 강화

(2009.2, 노동부)- 석면 분석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을 위해 석면분석교육 실시(2009.8,

노동부)- 분석능력 향상 및 분석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석면조사기관 분

석정도관리 시행(2009.8, 노동부)- 석면관련 전문가 양성 및 교육인프라 구축 연구 추진(2009.11~, 환

경부)- 석면 해체․제거작업 신고서 DB화 시행(2009.8, 노동부) ▪석면 해체․제거작업 신고서 제출 시 신고서 내용을 전산 입력 후

폐석면 관리에 필요한 주요자료를 환경부로 전송

환경부

- 탤크 중 석면분석방법 마련(2009.5) ▪석면함유 탤크 제조·수입·통관 관리를 위한 분석장비 등 인프라 구

축(2009.6~, 36억 추경 편성)- 석면함유 가능물질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용역 추진(2009.12, 환경부) ※ ‘석면함유 가능 광물질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마련’연구 추진

(2009.12~2010.12)- 다중이용시설 및 공공건물 석면함유 실태조사(~2009, 환경부) ※ 2008년 336개소(공공 224, 다중 112)중 65%에서 석면검출, 2009

년 401개소(공공 200, 다중 201) 추진중- 건축물 석면관리 강화를 위한 연구사업 추진(2009.9~, 환경부) ▪건축물 석면조사․유지․보수 등의 관리 및 해체․철거시의 석면노출

가능성 평가지침 마련 ▪건축물 해체․제거시의 석면비산 방지를 위한 배출기준 및 작업기준

마련 등 포함- 석면안전건축물 인증제 도입방안 마련 연구(2009.9~, 환경부) ▪건축물 소유자(관리자)의 자발적 석면관리 유도를 위한 석면안전건

축물 인증제도 마련 및 인센티브 부여방안 강구- 건축물 석면정보 통합관리 중장기 방안 마련 연구(2009.9~, 환경부) - 건축물 석면 해체․제거 작업 관리방안 마련 연구(2009.9~, 환경부)- 건축물 석면 해체․제거 작업 관리방안 마련 (2009.9~2010.4, 환경부)- 농가 슬레이트 사용실태 등 기초자료 조사(2009.11~, 환경부)- 폐석면광산 주변 토양․지하수 석면함유 실태조사 추진(2009.4~2010.4,

환경부)- 자연발생석면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2009.7~, 환경부)- 석면광산 주민 건강 향조사 실시(2009.3~, 환경부)- 석면공장·재개발지역 주민 등 건강 향 조사(2009.6~, 환경부)- 석면질환 의심자 DB구축 및 추적관리 실시(2009.6~, 환경부)

Page 12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1 -

연도 기관 내용

- 석면질환 진단, 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2009.1~,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 다중이용시설 석면함유물질 사용실태조사(Ⅱ) ▪조사대상별 석면함유 건축자재 사용 종류 및 석면 특성 연구 ▪다중이용시설의 석면함유물질별 물질량 조사 ▪대상 시설의 실내공기 중 석면 비산 여부 및 향인자 연구 등- 일반 대기 중 석면 모니터링 실태조사(Ⅱ) - 석면함유 건축물 관리를 위한 DB 프로그램 개발 및 구축(Ⅰ) ▪국‧내외 석면함유 건축물 통합관리를 위한 현황조사 및 여건분석 ▪건축물 석면관리기준 및 지침 개발 ▪건축물 석면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중장기 구축방안 제시- 석면 대체 천연물질과 이용제품의 석면 오염실태 조사연구

2010년

노동부

- 석면함유제품 제조․수입․사용 검사 강화 지속 추진 ▪사업장 석면사용 및 수입․유통업체 지도․단속 지속 실시(2010~, 노

동부) ▪석면함유 가능 수입물품에 대해 관계기관의 세관장확인물품 지정

요청시 협조 및 수입시 해당요건 확인(2010~, 관세청)- 민간부분 건축물 석면지도 작성․지원 추진 ▪자율적 석면관리를 위해 석면함유 건축물관리 기술지원 및 석면지

도 작성 지도(2010~, 노동부)- 건축물 석면 해체․제거 작업 관리방안 마련 ▪음압기, 음압측정기, HEPA 필터 등 석면 해체․제거작업에 필요한

장비의 최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비사양 마련(2010, 노동부)- 석면 해체․제거작업 사업주 및 근로자 교육을 위한 「석면 체험교육

장」 설치․운 (2010, 노동부)- 석면 해체․제거작업 현장 기술지원 실시(2010, 노동부)- 석면해체․제거작업 적정 공사단가 기준을 「건설공사 표준품셈」보완

작업 실시(2010~, 노동부)- 석면조사기관의 분석능력 유지 위한 정도관리를 매년 실시(2010~,

노동부)- 지자체와 건축물 멸실 신고사항에 대한 정보공유를 통해 불법 석면

해체․제거 작업관리 시스템 구축방안 마련(2010~, 노동부)

환경부

- 공업용 탤크 수입․제조․유통 지속 관리(2010.1~, 환경부) ▪수입·통관 시 석면함유 여부 검사 및 국내 탤크 제조업체 지도·단

속 지속 추진- 석면함유 가능물질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마련 연구(~2010.12, 환경부) ▪석면함유 가능 광물질의 목록 및 유통현황 파악 ▪석면함유 가능 광물질의 위해성평가 및 위해도관리방안 마련 연구- 민간부분 건축물 석면지도 작성․지원 추진 ▪공공건물에 대한 건축물 석면관리 시범도시 선정 및 다중이용시설

석면관리 자발적 협약 체결 추진(2010~, 환경부)- 건축물 전과정(life cycle) 석면관리 강화를 위한 기준 마련 및 법제

화 추진(2010, 환경부)- 맞춤형 석면관리 매뉴얼 개발․보급(2010, 환경부)- 건축물 석면정보 통합관리 추진위원회 구성․운 (2010.1~, 환경부) ▪(구성) 환경부(주관), 노동부, 교과부, 국방부, 국토부, 행안부, 국립

환경과학원, 한국환경자원공사, 전문가 등(행정․기술 자문) ▪(수행내용) 석면 조사․석면지도 작성방법 및 석면관리체계 표준화,

Page 12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2 -

연도 기관 내용

부처별 시스템 및 DB 통합․연계방안, 법․제도 정비방안, 교육․홍보 매뉴얼 개발 등

- 석면 조사․분석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정도관리 지속 추진(2010.7~, 환경부)

- 재개발․재건축 지역 등 석면 비산 가능시설 인근 대기 중 석면농도 모니터링 지속 실시(2010~, 환경부)

- 석면관련 전문가양성 및 교육인프라 구축 연구 및 법제화 추진(2010, 환경부)

- 폐석면 매립기준 등 관리개선방안에 대한 법제화 추진(2010~, 환경부)- 기초자료 조사 및 관리 매뉴얼 개발·보급(2010.상, 환경부) ▪도심지 슬레이트 사용현황 조사, 처리 방법별 타당성 검토(시범사

업 포함) 및 세 농어가 지원대책안 마련- 정부합동 슬레이트 관리 종합대책 수립(2010.하, 환경부) - 사문석, 활석 등 석면함유 가능물질 광산에 대한 기초 환경 향조사

(2010.4, 환경부)- 2010년도 폐석면광산 주변 토양․지하수․대기 등 석면함유 정밀조사

추진(2010.12, 환경부)- 석면광산 등 석면발생지역의 토양환경관리기준 등 석면노출 최소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추진(2010.3, 환경부)- 자연발생석면지역 지질도 작성 및 모니터링(2010~, 환경부) ▪기초 연구를 토대로 전국단위 NOA 분포지도 작성 추진 ▪토양·대기 등 석면비산 모니터링 및 인체 위해성평가- 석면피해 우려지역 건강 향조사 확대실시(2010~, 환경부)- 석면질환자 진단·판정기준 등 개발(2010~, 환경부)- 환경성 석면질환자 ‘건강관리수첩’ 발급(2011~,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 자연발생석면 지질도 작성(Ⅰ) ▪국내 자연발생석면 관리를 위한 GIS 방식 적용한 지질도 작성 및

관련 정보의 통합관리용 시스템 구축 ▪과학적 근거에 따른 자연발생석면 예상지역과 석면광산 지역 환경

조사 ▪GIS를 이용한 지질도 및 통합관리 시스템 관리방안 - 폐석면 처리제도 개선 및 처리비용 저감방안 연구 ▪폐석면 처리관련 기초자료 조사 ▪폐석면 처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폐석면 처리제도 개선 시범사업 실시

분류 노출 결과 제목 저자 학회지 권호 년도

역학조사취급(정비)

공기시료

자동차정비업 종사자의 석면분진 폭로에 관한 조사연구

신용철, 백남원

한국환경위생학회

1989;15(1):19-32

1989

[표 3-41] 석면제품 취급업종에 대한 조사

○ 국내의 조사는 다음처럼 주로 현황에 대한 조사이고, 향후는 석면의 위해성에 근거한

노출 저감에 초점을 맞춰져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과제는 이러한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Page 12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3 -

분류 노출 결과 제목 저자 학회지 권호 년도

역학조사취급(덕트)

공기, 고형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부 설비 공사에 따른 석면의 실내공기질

관리 실태

유찬 등

한국산업위생학회

02;12(3):178-186

2002

역학조사취급(덕트)

공기, 고형

환기덕트해체작업시석면및분진의노출평가및관리방안

정지연 등

대한설비공학회

'05;5:549~557

2005

보고서 지하철  -서울시 지하철 환경개선 방안

연구 1 -

서울특별시지하철

공사 - 1999

보고서 지하철  -서울시 지하철 환경개선 방안

연구 2 -

서울특별시지하철

공사 - 1998

보고서 지하철 공기지하실내 공기질 및

석면함유물질 평가와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백남원기초과학연구사업

 - 2003

보고서 지하철  -선진국의 지하철 석면철거 등

관리방법 조사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노 만한국산업안전공단

 - 2007

사례모음취급(조선)

석면폐

석면관련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흉부고해상도전산화단층촬 검사(HRCT)의 유용성

이현재 등

대한산업의학회지

'06;18(2):112-122

2006

사례모음취급(조선)

석면폐석면에 장기간 노출된 퇴직한 수리조선업 근로자의 폐 상

김기남 등

대한산업의학회지

'06;18(2):87-93

2006

사례모음취급(조선)

석면폐조선수리업종석면노출근로자들의흉부방사선상석면관련폐질환소견

의발생양상

이현재 등

생명과학회지

'06;16(1):58~63

2006

사례취급(조선)

폐암수리조선업 근로자의 석면에 의한 직업성 폐암 발생 증례

윤동 등

대한산업의학회지

'04;16(4):499-507

2004

사례 취급 폐암철강제조업의 석면 취급

근로자에서 발생한 폐암 1례임현술, 조혜제

동국논집1999;18:311-321

1999

사례취급(덕트)

중피종보일러 설치 및 배관작업

근로자에 발생한 석면폐증을 동반한 흉막 악성 중피종 1례

김주인 등

대한산업의학회지

‘98;10(4):610-617

1998

사례취급(관리)

중피종안전관리자의 석면물질

관리과정에서 발생한 악성 중피종 1례

임현술 등

동국의학'01;8:148

-1562001

보고서 지하철  -지하철역사 근로자의

석면노출에 대한 건강 향 평가김동일

한국산업안전공단

-  2007

보고서 지하철  -선진외국의지하철근로자건강보호

실태조사연구 임상혁

한국산업안전공단

 - 2006

보고서 지하철  -선진외국 지하철 근로자

건강보호방안 연구임상혁

한국산업안전공단

 - 2006

○ 국내 석면관련 행정부처의 업무 현황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부처에 걸쳐 있으나 실제

이를 뒷받침할 만한 실질적인 연구결과는 없는 상황임

Page 12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4 -

기술 분야 환경 R&D 사업 중 소음진동 관련 연구

소음․진동 배출특성 및

음질평가관리기술

- 철도 소음원 특성 규명 및 환경소음 예측 모델 개발 ▪건설공사장 소음 저감 방안 및 소음도 예측 프로그램 개발 ▪복합소음에 대한 불쾌감 평가 모델 개발 및 환경 향평가 방법 구축 ▪저주파 소음 측정 및 평가기법 개발 ▪능동형 음장조성시스템의 적용기술과 쾌적성 평가지표 개발 ▪풍력발전기의 방사소음 특성평가 ▪환경소음 배출원의 음질평가 및관리기술개발 ▪건설 공사장 소음진동의 전파모델 개발 ▪도시 공공장소의 쾌적 음환경 조성을 위한 음풍경 기술개발 ▪인터넷 통신이용 중앙통제식 실시간 환경소음배출 특성 조사 및 평

가 관리시스템 개발

소음․진동 방지 및 저감기술

- 환경 친화형 저소음 다이아몬드 쏘 개발 ▪고유량 유체기계용 고성능 소음기 개발 ▪친환경적 불연성 흡음 및 차음용 경량벽체 ▪복합구조와 폴리머 콘크리트를 활용한 노후 공동주택의 바닥 충격음

저감 기술 개발 ▪재활용 재료를 이용한 실내용 세라믹 흡음재 개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친환경형 경량벽체 개발 ▪세대간 고차음 경량벽체 시스템 개발 ▪풍력 발전기 회전체 소음 저감을 위한 표면 처리 기술 개발 ▪장수명 저소음 포장 노면 개발 연구 ▪지능구조물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차음성능 향상기술 ▪친환경적 기능성 발포금속 복합패널 개발

[표 3-43] G7 및 차세대사업의 소음진동 관련 연구 목록

구 분 주 요 업 무 관계법령 소관부처

수입․제조․사용

- 수입․사용․제조 등의 허가- 자동차 등록 규제(석면사용

제동장치 장착 자동차)- 유해성물질의 지정 및 관리

- 산업안전보건법- 자동차관리법- 유해화학물질관리법

고용노동부국토해양부

환경부

건축물 이용

-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관리- 체육시설 안전-위생기준- 학교의 환경위생 관리

-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 학교보건법

환경부문화체육관광부교육과학기술부

건축물 철거

- 건축물 해체․철거- 석면함유 건축물의 해체․제거

등의 허가

- 건축법- 산업안전보건법

국토해양부고용노동부

폐석면 처리

- 폐기물의 분류 및 처리 - 폐기물관리법 환경부

[표 3-42] 석면 관리 업무 관계부처 현황(정부, 2007)

○ 소음․진동 관련 연구는 선도기술개발사업 (G-7) 및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에서의

수행(대분야: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되었으나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 사업 예산의

1.3% 수준만이 투자되어 관련 연구가 부족

Page 12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5 -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 ▪저소음 타이어 설계 기술 개발 ▪고층주택의 소음저감을 위한 방음터널 개발

차음․방진성능 향상 기술

- 천연 및 산업폐자재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음향건축재 개발 ▪공동주택 발코니 공간의 차음 성능 향상 기술 개발 ▪재생오레핀 수지를 이용한 소음‧진동 저감용 흡음재 개발 ▪환경친화적인 생태방음벽 개발 ▪폐 스테인레스와 폐 알루미늄 스크랩을 재활용한 흡차음 특성과 전

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금속 소결판재의 제조기술개발 ▪폐유리를 이용한 흡음재 개발

3.4.1.3 산업동향

□ 우리나라 실내공기질 관리장비 부분은 주로 공기청정기 생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기청정기, 에어워셔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 관련 제품 시장 급성장

○ 공기청정기 시장은 1995년 처음 등장 이후 급성장하여 2010년에는 1조 8,000억원 규모

로 성장하 으며, 웅진코웨이, 위니아만도 등의 국내 업체가 시장 장악

[그림 3-18]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 규모(단위: 억원)

* 자료: 삼성경제연구소(2011)

○ 가습기 살균제 공포 등의 이슈가 발생하면서 가습기 기능 대체 등으로 에어워셔 시장

급성장

- 웅진코웨이, 위니아만도 등 공기청정기 업체와 삼성, LG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의 시장

참여로 시장 성장 가속화

Page 12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6 -

[그림 2-19] 국내 에어워셔 판매 추이(단위: 만대)

* 자료: 한국경제 보도(2012)

○ 제습기 시장규모는 2009년 4만여대에서 2011년도 6배 성장한 25만대 규모로 확대57)

- 과거 위닉스, 신일산업 등 전문업체 중심이었던 제습기 시장에 웅진코웨이, 리홈, 동

양매직 등 건강가전업체의 시장 참여 및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관련 부문 강화

- 장마철 곰팡이나 불쾌한 냄새 제거를 위해 제습기 관련 수요 증가로 시장 급성장

○ 기타 환기 및 공기정화설비, 산소발생기, IAQ(Indoor Air Quality) 계측기 등의 생산․판

매 확대 중

□ 우리나라 석면 산업은 수입량은 각종 규제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으나 석면 함

유 제품의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 우리나라는 1930년대 중반 전국에 걸쳐 석면광산이 개발되었고 해방당시 전국의 석면

광산은 총 28개에 이르며 대표적인 백석면 광산인 충남 홍성지방의 광천광산이 1984년

폐광될 때까지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석면의 총 생산량은 145,000톤으로 추정

○ 국내 석면수입 추이를 보면 1976년~1990년까지 연간 약 63,000톤의 석면을 수입하

고, 1992년 약 95,000톤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

으며 2004년에는 14,636톤이 수입되었음

- 1940년부터 2003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석면의 양은 65만톤 정도이며, 석면 수

입량은 석면자체의 수입량은 1992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이나, 석면시멘트, 석면섬유

등 석면 함유제품의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58)

○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 각종 규제로 인하여 석면의 직접적인 수입이 금지되었으나 석

면시멘트제품과 석면섬유 제품의 수입량은 최근에 증가추세에 있으며 특히 석면시멘트

제품은 급격히 증가하여 2004년에는 28,309톤을 수입․사용하고 있음

- 2010년도 현재에도 석면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제품은 수입이 제한되나 각종 건축자

57) 업계추산, 디지털타임스 보도, 2011

5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 www.kosha.or.kr/cms/board/Download.jsp?fileId=10762

Page 12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7 -

재가 석면의 함유를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가운데 수입되고 있음(예: 중국산 건축자

재)

○ 석면은 직업적 노출은 물론 일반 건축물에 광범위하게 석면이 사용되어 일반 시민의

노출가능성, 기존 건물의 철거/해체, 리모델링, 보수 등에서 근로자 및 인근주민의 석면

노출 위험이 있음

○ 우리나라는 미국의 석면 수입 및 생산량59) 대비 현저히 많은 석면이 최근에도 수입되

거나 사용되고 있음

14,636

28,309

3,643

100

1,000

10,000

100,000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년도

수입량

, 톤

석면(2524)

석면시멘트제품(6811)

석면섬유(6812)

[그림 3-20] 국내 석면 및 석면함유 제품 수입량 추이

* 자료: 환경부, 석면관리 총람(2009)

□ 라돈 관련 제품으로 수동형 검출기와 능동형검출기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국산의 경우

제작업체 수가 현저히 적고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실정

○ 라돈산업은 라돈 검출 장비의 제작과 건물 내 라돈 측정 및 저감공법 시행 등으로 구

- 실내공간에서 사용되는 라돈 검출기는 전원 및 전략사용 여부에 따라 수동형과 능동력

검출기 구분

- 수동형검출기는 시간적분형 농도환산방식을 이용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능동형 검출기는 고가에 전문가에 의한 검출기 교정 작업이 필요한 단

점 보유

59) http://pubs.usgs.gov/circ/2006/1298/ c1298.pdf

Page 12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8 -

- 국내에서는 2005년 이후 라돈검출기의 국산제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국내 라

돈 검출기 제작업체 수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 및 대학교를 포함하여 5개 이하로 추정

- 현재 시판되어 상용되고 있는 제품은 알파비적검출형태의 수동형 검출기와 알파섬광셀

방식의 능동형검출기 1종에 불과

□ 전자파 관련 시장은 전자파 장해 대책용 부품 수요와 부품이 속하는 최종제품의 생산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발전 속도 및 소비자 선호 변화에 따라 전자파 관련 시

장 규모도 점차 확대

○ 전자파 노이즈 대책을 위한 부품은 전원용 필터, 칩타입의 극소형 필터, 케이블 장착형

탈착식 필터, 전자파 발생 부위를 감싸는 차폐 재료 등의 품목으로 구성

○ 관련 업체는 세 중소기업이 혼재한 상태로 구체적인 시장규모를 추정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나 최근 소재 부분을 제외하고 국산 제품의 채용률이 80%를 상회하고 있는 것

으로 추정됨60)

○ 국내 전자파 노이즈 대책 부품 내수 시장은 디스플레이 분야의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

고 경기 침체 등으로 연평균 7.3%의 증가 추정

[그림 3-21] 국내 전자파 노이즈 대책 부품 시장규모

(단위: 백만원)

* 자료: 한국전자진흥협회, EMC‧노이즈 대책 시장의 동향과 전망(2010)

□ 소음진동 배출업소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나 2009년 증가율은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진동은 기계·기구의 사용으로 인한 강한 흔들림을 의미하며, 주로 지반을 통하여 건축

물에 전파되어 건물 내에 2차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보통이며, 2008년 말 진동 배출

60) KETI, 전자파 차단소재 시장동향, 2009

Page 12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19 -

허가·신고대상 업소수는 6,407개소로 전년에 비해 7.1% 증가하 으며, 이중 허가대상

업소수는 3%인 191개소임

○ 2009년에는 6,483개소로 ’08년 대비 1.2%의 증가율을 보여 전년대비 증가율 둔화

3.4.1.4 시사점

□ 우리나라 환경보건 및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관련 정책은 유해인자 중심의 접근, 사

전 예방 중심, 민감계층 관리 강화 방향으로 추진

○ 석면, 라돈, 빛공해 등 이슈화 된 유해인자의 관리 강화

○ 기존 사후 관리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수용체의 사전 예방 측면의 접근 추진

○ 어린이, 취약계층 등의 건강 사전 피해 예방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변화

[그림 3-22]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관련 정책 방향

□ 그러나 우리나라의 관련 기술은 선진국 대비 양적, 질적으로 저조하여 정책 지원이 가능한

기술이 적어 개선이 시급한 실정

○ 논문의 비율이 총 논문의 1% 이내로 매우 적고 미국 등의 선진국 대비 연구의 양적,

질적 성과가 현저히 낮음

○ 특허는 일부 기술 분야에 편중이 심해 연구의 양적 확대 및 다양한 기술분야로의 확대

Page 12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0 -

필요

○ 환경보건 측면의 정책 확대에도 불구하고 정책 실현을 지원할 기술이 매우 부족

□ 관련 산업은 공기청정기 등 일반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실내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한 제

품 등으로만 활성화되어 있으며, 건강 향 평가, 위해 저감을 위한 제품 등의 산업 형성

유도 필요

○ 공기청정기 시장 1조 8000억원(SERI, 2011) 등 에어워셔 등 일반 소비자가 가정 내 활

용할 수 있는 제품의 시장 성장은 각종 유해인자의 이슈화로 급성장

○ 반면 라돈 유해물질의 검출기 제조업체는 5개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석면 등의 저감을

위한 기기 등의 제품은 일부 대학 및 연구소에 의한 기술 개발만 이루어지고 있음

□ 따라서 신규 유해인자의 관리 강화 및 사전 예방을 위한 위해성 평가, 위해도 저감 등의

기술 확보로 관련 정책 지원이 시급

○ 석면, 유해미생물 등 정책적으로 관리가 강화된 유해인자의 연구를 강화하고 위해성 평

가, 위해도 저감 등 기술단계 전분야의 고른 기술 육성 필요

- 민감, 취약계층 등의 대상의 위해성 평가 기술 확보를 통해 사전 예방 중심의 정책 방

향에 부합하는 기술 확보 필요

- 석면피해 구제법이 통과되어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 과거에 어느 정도의 인구집단이 어

느 정도 노출이 되었는지, 이들의 질병발생 추이는 어떻게 되는지, 전국민적 감시체제

는 어떻게 운 되어야 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

- 정부의 연차적인 석면 슬레이트의 철거와 이로 인한 노출가능성, 자연발생 석면에 노

출된 지역주민과 석면포함광산의 지속적인 운 으로 인한 노출, 다양한 건축물의 석

면제거과정에서의 노출문제와 아울러 정부종합대책의 효과적인 운 을 위한 노출관리

및 위해성평가의 과학적 자료에 대한 연구 필요

○ 빛공해 방지법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위해성 평가 기반의 기준 마련 필요

- 2013년부터 관련 법 시행을 앞두고 빛공해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이해관계자들의 의

견 수렴을 통한 기준 설정 작업이 시급하며, 기준 설정을 위한 조명기구의 발광 특성

이나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성 평가가 반드시 필요

○ 전자파 건강 위해성에 대한 일반인의 염려 급증에 대응하여 체계적인 위해성평가체계

수립 및 의사소통 시스템 구축의 시급성

-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는 극저주파 대역의 전자파는 물론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무선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의 인체 위해 가능성에 관한 국민적 관심과 염려가 많아지는

가운데 기존의 단편적인 연구보다는 기술로드맵에 따른 체계적인 위해성평가체계 수

립이 필요

- 불균형상태인 전자파 건강 위해성 정보의 국민과의 소통 대안 마련을 통해 국민들의

건강권을 확보해 나가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

Page 13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1 -

- 생활환경중의 전자파 노출과 같은 비자발적 노출량을 최소화하고 각 개인의 필요에 의

한 자발적 노출을 선택적으로 취사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의 제공

- 전자파의 부정적 향은 최소화하면서 확인된 생체 향 기전(mechanism)을 이용한 관

련 산업에의 긍정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상생구조로의 생산적인 변화 요구

3.4.2 환경성질환 대응

3.4.2.1 정책동향

□ 종합적인 환경보건정책을 추진하는 환경보건 종합계획과 환경성질환 유발유해인자 및 민

감군을 관리하기 위한 측면에서의 석면피해구제법, 어린이 환경보건 종합 대책 등을 통해

환경성질환 관리 추진

[그림 3-23] 환경성질환 대응 관련 국내 정책

□ 환경보건 종합계획은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국민건강상 위해의 조사․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책수단을 제시함으로써 환경정책과 보건정책의 최상위 계획인 국가환경종합계획과 국민

건강증진종합계획을 연결하는 통합계획으로 수용체 중심의 환경보건 관리에 초점

○ 2006년에 수립된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2008년 「환경보건법」이 제정됨에 따

라 그간 변화된 여건 등을 반 하여 법정 종합계획으로 재수립

- 2006년 계획 수립시 국내 환경보건 수준과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부족하여 명

확한 목표 및 전략을 설정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개선

Page 13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2 -

구분 추진실적

환경성 질환

조사․감시 및 관리

환경유해인자의 인체노출

감시체계 구축- 국민생체(혈․뇨)내 유해물질 실태조사 실시(2007~)

환경노출에 대한

민감․취약계층 건강 향조사

- 산모․ 유아 및 어린이 코호트 구축․운 (2006~)- 고령인구 건강 향조사(2007~2009) 및 저소득층 건강 향

실태 조사(2008)- 6개 산업단지 주변지역 주민 건강 향조사(2003~) - 전국 폐금속광산 주변지역 주민 건강 향조사 추진(2004~)- 해양 유류오염사고 및 시멘트공장, 제련소 주변 등 환경현

안지역 주민 건강피해 규명을 위한 역학조사 추진(2007~)

민감․취약계층 대상 환경보건 서비스 개발

- 아토피피부염 등 환경성질환 어린이 체험캠프 운 및 에코케어센터 건립사업 국고 지원(2009~)

- 저소득층, 다자녀 가구 등 가정환경 내 아토피피부염 유발요인을 점검해주는 ‘친환경 건강도우미’ 방문서비스 시범사업 추진(2009~)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자 지원 대책 추진

- 폐광주민 건강 향조사 결과에 따라 오염토양 복원, 농산물 조사․수매, 지역방문 보건사업과 연계한 건강관리 등 후속조치 시행(2009~)

- 석면노출에 의한 건강피해자 구제를 위한 「석면피해구제법」 제정(2010)

* 자료: 환경보건 종합계획

[표 3-44] 환경보건정책 중 환경성질환 관련 추진실적

○ 2020년 환경성질환 부담 저감으로 환경보건 선진국가 달성’을 목표로 환경보건 종합계

획(2011~2020년)을 수립하여 향후 10년간의 세부실천 계획(5개 분야, 65개 과제) 제시

-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통해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를 예방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 구현

- 기본원칙은 ①사람․생태계 중심의 통합 환경관리, ②사전주의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의 적용․강화, ③환경보건 정의 실현, ④이해관계자 참여 및 알 권리 보장

- 이를 위해 환경성질환 조사․감시 및 피해․구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저감, 환

경오염 민감계층 및 취약지역 대책,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피해 대응기반 마련, 환경보

건기반 선진화 추진

○ 환경오염에 의한 건강피해 정량화 및 환경보건평가․관리를 통해 환경성질환 조사·감시

체계 구축 및 예방․구제 대책을 마련하여 환경오염피해 전과정 관리체계 구축

- 유해물질에 대해 인체, 생태계 노출 수준 및 환경성질환 발생현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환경성질환 조사 및 감시 체계 구축

※ 환경보건에 대한 국민의 인식조사(2008년)에서 천식, 비염, 아토피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은

정부대책 마련이 시급한 환경성질환으로 인식(2008년, ‘환경보건 국민인식 조사’)

- 환경오염취약지역을 중심으로 건강피해(의심) 사후관리 등 환경성질환 건강피해 구제

제도 마련

Page 13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3 -

구분 중점 추진과제 세부 추진계획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 예방․관리

대책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등

알레르기 질환 추적․감시 시스템

구축(환경부․복지부, 2011~2016)

- 알레르기질환 조사․감시체계 운- 주요 환경오염 수준 및 오염원 변화에 따른 알레

르기 질환(아토피피부염, 천식, 알레르기비염) 향조사

환경요인 규명 및 예방․관리대책

수립(환경부․복지부, 2011~2019)

- 알레르기 증상유발 및 악화에 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조사

- 환경보건센터 등을 활용하여 알레르기 질환자 네트워크 구축

- 교육․홍보, 생활환경 개선 등 알레르기 예방관리 사업 추진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

예방․관리 가이드라인 개발(2011~2015)

- 알레르기 질환 유발 환경유해인자의 회피 및 예방․관리 지침 마련

알레르기 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서비스

확대(~2020)

- 환경성질환 유발․악화요인 진단 및 개선 컨설팅 확대

- 친환경주거문화체험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교육을 담당하는 「환경성질환 예방․관리센터」 건립 지원 확대

- 환경성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국립공원 등 자연환경이 우수한 장소에서 실시하는 환경성질환 치유․체험 프로그램 확대

[표 3-45] 환경성질환 관련 중점 추진과제

- 천식, 아토피피부염 등 주요 환경성질환 추적, 감시, 환경 요인 규명, 예방관리 가이드

라인 마련 등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대책 수립 추진

○ 신체발달구조 및 행동특성상 환경노출에 민감한 어린이․산모 및 신체기능이 취약한

노령인구 등 민감계층의 건강피해 저감 방안 마련

- 전생애 주기 환경보건 감시체계 구축 및 유해물질 노출 권고기준 마련

- 어린이 활동공간 친환경화, 위해제품 차단 등 어린이 환경보건정책 추진을 통한 건강

보호

- 산모․ 유아, 노령인구 등 민감계층 대상으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 향을 평가하

고 저감방안 마련

- 교사 내 공기질 강화, 안전한 음용수 확보 등을 통한 쾌적하고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

Page 13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4 -

구분 중점 추진과제 세부 추진계획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 예방․관리

대책

교육․홍보 강화 및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환경부․복지부, 2011~2015)

- 보건소, 광역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등과 연계하여 일반인, 환자, 보호자 및 전국 보건교사 대상으로 교육책자 보급 및 홍보 실시(2008~2015)

- 환경보건센터 등과 연계하여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 예방․관리 등 정보공유, 제공 및 상담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운 (2013~)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호흡기질환 예방․관리

대책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호흡기 질환 추적․감시

시스템

- 전국 주요 배출원․지역별로 호흡기 질환 유병률 등 조사

- 산업단지, 소각시설 주변 등 대기오염 우려지역의 호흡기 질환 발생 현황 조사(2011~2015)

주요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호흡기 질환 연구 및 질환부담 산정(2011~2020)

- 산모-어린이 코호트 구축을 통해 환경요인과 소아 호흡기 질환과의 연관성 추적조사(2011~2020)

- 도로이동오염원, 산업장 배출 등으로 인한 환경유해인자의 호흡기 질환 연관성 및 질환부담 기여율 조사(2011~2020)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호흡기 질환 예방·관리

가이드라인 개발(2011~2015)

- 환경 중 호흡기 질환 유발인자의 회피 및 예방·관리를 위한 보호지침 마련

환경성 석면질환 치료․예방

및 관리대책

석면피해구제제도 발전(2011~2015)

- 연구․조사, 국외사례 분석 등을 통한 석면노출로 인한 직․간접 질환 확인 및 구제대상 석면질환 종류 확대

- 석면질환자에 대한 질환별 구제급여 지급액의 점진적 인상 및 석면피해구제기금 통합 운

- 석면피해판정위원회와 석면피해구제심사위원회 운 업무 일원화(환경부) 및 석면피해구제 재심사와

의 연계강화

석면으로 인한 건강 향조사(2011~2020)

- 석면광산․공장 등 피해우려지역 주민 건강 향조사- 기존․신규 환자 DB 구축 및 모니터링, 석면건강관

리 수첩 교부 및 정기 건강검진 추진

권역별 석면피해 신고센터(의료기관)

지정․운 (2011~2016)

- 석면관련 건강 향조사, 석면폐증 피인정자 등에 대한 정기 건강검진, 석면피해 예방․구제관련 연구․조사 등 업무수행(계속)

- 권역별(수도권, 중부권, 호남권, 남권)로 지정․운하되, 2017년부터는 각종 업무수행 결과를 가칭

“석면질환 전담 의료․연구센터”로 통합

“석면질환 전담 의료․연구센터” 설립(~2016) 및 운 (2017~2020)

- 석면질병 진단․치료․예방․관리 및 관련 조사․연구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구기능을 포함한 석면질환 전담 의료기관 설립

Page 13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5 -

구분 중점 추진과제 세부 추진계획

환경성 석면질환 치료․예방

및 관리대책

환경성 석면 누적 노출량 조사․산정을

위한 측정망 운 (2012~2020)

- 대기 중 석면농도 측정방법․절차에 대한 표준안(공정시험기준) 마련(~2013)

- 석면농도 상시측정 지역/지점 선정, 조사주기(안) 등 계획 수립(~2013)

석면질환자를 위한 의료 강좌

개설․운 (2015~2020), 홍보

- 석면질병 피인정자, 우려자 ․ 의심자(건강관리수첩 교부자) 등 대상 웃음치료, 심리치료, 호흡법, 환절기 악화 예방방법 등 강좌 개설

- 석면 건축물 철거․해체 시 주변 지역 주민대상 석면 피해 예방 행동 요령 등 홍보, 석면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상담교실 운 등

기타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대책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소아, 여성질환 등 추적․감시 시스템 구축(2011~2016)

-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선천성 기형, 소아암, 발달장애, 유방암 및 기타 만성질환의 발생․유병률 등 환경보건 지표 정립(~2016)

- 전국 주요 환경오염 우려지역별로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각 질환에 대한 시공간적 변화 분석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 향

연구(2012~2020)

- 선천성 기형, 암, 발달장애, 비만, 심혈관계 질환 및 내분비계 향에 대한 환경요인 연관성 조사 및 모니터링(2013~2015)

- 산모-어린이 코호트 구축을 통해 환경요인 노출과 소아질환과 유방암 발생 추적조사(2013~2020)

환경성질환에 대한 예방․관리 가이드라인

개발(2016~2020)

- 주요 환경성질환 유발인자의 회피 및 예방·관리를 위한 보호 지침 마련 및 홍보

* 자료: 환경보건 종합계획

□ 환경오염에 취약한 어린이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어린이 환경보건 종합대책(2006)” 수

립을 통해 아토피피부염, 천식 등 환경성질환에 향을 미치는 유해화학물질 및 함유제품

관리 강화

○ 지역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아토피피부염 등의 환경성질환 예방 관리 센터를 조성하여

거주공간 및 교육시설 설치, 교육프로그램 등을 시행

- 환경성질환 등록체계 구축 및 질환자를 대상으로 환경오염 향 집중 연구를 위해

2007년부터 ‘어린이 환경성질환 연구센터’를 지정․운 시작

- 전국 권역별 센터 설립으로 환경성질환의 예방 및 관리 거점으로 활용, 환경보건센터

와 연계하여 환경성질환 예방 및 관리 가이드라인 적용 및 보급

○ 아토피피부염, 천식 예방관리 대책 수립 추진

- 아토피피부염 조사 감시체계 구축, 전문가 네트워크를 마련하고, 환경성 질환에 대한

환경적, 유전적 요인 규명 및 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 민감계층 및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발생실태 추적조사를 통해 환경오염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질환 감시체계 구축

Page 13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6 -

○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대상 확대 및 적용기준을 검토하고 어린이용품 위

해성 평가 및 위해성이 높은 용품의 사용 또는 판매 제한·금지 추진

- 친환경 건강도우미(그린코디)사업, 12개 환경보건센터운 , 자연 속 건강찾기 체험프로

그램 추진 등의 환경보건 서비스 강화

- 어린이용품 생산 기업이 자발적으로 유해물질 사용을 줄이도록 독성과 위해성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품에 유해도를 표시하는 제도 도입

○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 규정이 강화되어 제품을 사용

하는 소비자의 건강피해 예방

- 2008년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수행 규칙 개정으로 아토피 피부염 등 환경성질환과 관

련된 피부과민성, 피부 자극성 및 눈 자극성 항목에 대한 심사 자료 제출이 강화되어

피부과민성 물질에 대한 정보 확보의 법적 근거 마련

□ “환경성질환 유발 물질 표시제” 등의 제도를 도입하여 위해 가능성이 있는 제품 혹은 공간

에 대한 노출을 사전에 방지

○ 젖병, 놀이용 고무공 등 용품에 사용할 수 있는 화학물질의 허용기준을 설정하고 기준

초과 용품의 제조·유통 제한 추진

○ 2009년 이후 설립되는 시설에만 적용하는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을 ’16년

까지 모든 시설(보육원, 놀이터 등)에 적용 예정

○ 아토피, 천식, 알레르기 비염 등의 환경성질환을 유발하는 건축자재에 환경성질환 유발

물질 표시제를 도입하고 저소득 가정 등 2,000가구의 미세먼지, 집먼지 진드기 등 환경

성 질환 요인을 진단·개선해주는 ‘친환경건강도우미’ 서비스 제공 추진

○ 제조부터 유통·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 대한 화학물질 관리를 위해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정 추진

□ 석면 등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환경성질환 피해자에 대한 보상제도를 도입하여 환경오염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마련

○ 2011년 석면피해구제법 시행으로 석면피해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하고 석면 외

환경 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 보상제도 도입 검토

- ‘공유책임의 원칙’에 따라 석면 사용으로 인한 혜택을 공유한 국가, 지방자치단체, 산업

계가 함께 석면피해구제기금을 조성하여 환경성 석면노출 피해자에 대한 구제급여 지

- 석면광산 또는 공장주변에 거주하는 주민 등 환경성 석면 노출로 인한 건강 피해자 구

제 가능

- 원발성 악성중피종, 원발성 폐암, 석면폐증 등 석면질환을 구제대상으로 하며, 석면질

환으로 최종 판정을 받은 환자에게 의료비, 요양생활수당 지급

- 환경오염 취약지역주민 건강피해 실태조사 및 건강검진 한시적 지원 등 후속조치

Page 13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7 -

※ 2001~2008년 사이 악성중피종으로 사망한 자는 370명이며, 과거 국내 석면 사용량과 발암 잠

복기(10~30년)를 감안할 때 2045년까지 계속 증가 추정

3.4.2.2 기술동향

□ 환경성질환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별 환경유해인자와 건강 간의 상관관계가 규명되고 있

○ 2008년 아주대병원 연구팀은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집먼지 진드기와 곰팡이에

대한 알레르기 항체 분석

- 아토피피부염 환자 523명을 대상으로 연구 실시

- 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 170명 중 128명이 곰팡이 알레르기에 양성반응을 보 으며,

칸디다 곰팡이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중증 아토피피부

염일 가능성 3배

○ 2010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국내 4대 도시인 서울, 부산, 대구, 인천을 대상

으로 기온 상승과 오존 농도 증가로 인한 건강 향 분석

- 전체 연령집단에서 기온이 1℃ 상승하면 일별 사망자수 2.59~11.3% 증가하며, 오존이

10ppb 증가 시 일별 사망자수는 0.37~2.03% 증가

- 기온 상승과 오존 농도 증가의 일별 사망자수 증가는 전체 연령집단보다는 65세 이상

연령집단에서 높게 나타남

- 전체 사망 원인 중 심혈관계 관련질환 사망 발생 비중이 크게 나타남

인구집단 구분기온효과 오존효과

기온 1℃ 증가 시 백분율 변화(95% 신뢰구간)

오존 10ppb 증가 시 백분율 변화(95% 신뢰구간)

전체 연령집단의 전체원인 사망

6.35(2.41~10.45) 1.04(0.33~1.75)

65세 이상 연령집단의 전체원인 사망

10.66(5.65~15.92) 1.41(0.61~2.21)

전체 연령집단의 심혈관계 관련질환 사망

6.73(-0.20~14.14) 1.70(0.53~2.88)

65세 이상 연령집단의 심혈관계 관련질환 사망

10.44(2.24~19.29) 2.02(0.75~3.30)

* 자료: KEI,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환경관련 질환에 미치는 향(2010)

[표 3-46] 일별 사망자수에 대한 일별 기온 및 오존의 개별효과(서울)

- 천식 입원의 경우, 전체 연령 집단에서 기온이 1℃ 상승하면 위험률이 -1.61~2.89% 증

가하 으며, 오존이 10ppb 증가 시 위험률 3.00~6.07% 증가

○ 2011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연구팀과 LH공사는 친환경 건축자재가 아토피피부

염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공동 임상연구 실시

Page 13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8 -

- 24명을 대상으로 아토피피부염 증상과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EASI (Eczema

Area Severity Index)를 이용하여 연구

- 경증 이상의 환자군에서 시공 후 12주에 EASI 스코어 감소 확인

□ 정부의 R&D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환경부에서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아토피피부염/천

식 분야에 총 12.2억원을 투자하여 보건관련 분야에 투자된 557억원(264개 과제) 가운데

0.02%에 불과하고, 환경부를 제외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 등 4개 부처․청에서는 159.4억원을 투자하 으나 환경보건과 관련한 투자는 10.9%

로 저조한 수준61)62)

○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의 조사․연구사업 및 정책연구사업은 투자 미흡

-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된 환경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은 기초 조사․연구 또는 환경

정책에 즉각 활용 가능한 단기형 조사 연구를 수행하는 사업으로서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 없음

- 또한, 환경부에서 추진된 아토피피부염/천식 관련 정책연구사업의 경우 주요 이슈별

대책수립, 관리지침 마련 등 정책활용에 목적을 둔 사업으로서 본 보고서 관련 분야

외의 연구에 8천만원 투자

○ 차세대 사업에서는 유해 향 모니터링과 위해도관리 분야의 연구에 12.2억원 투자되었

으나 단편적인 연구에 그침

- 환경보건 기술범위와 관련해서는 유해 향 모니터링 분야가 7.4억원으로 가장 많은 부

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위해도 관리 분야가 4.8억 투자

- 단편적인 이슈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어 유해인자 모니터링, 위해성 평가, 위해도 저감

분야는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음

○ 따라서 환경부에서 그간 추진한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 연구비 투자를 분석한 결과,

특정기술범위에 집중됨에 따라 환경보건과 관련된 문제해결을 위한 전과정적인 환경보

건기술 실현이 어려움

61) 검색대상사업: 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등 7개 부처․청에서 2005년부터 2009년까지(5년간) 추진한 보건관련 연구과제

검색방법: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등을 활용하여 아토피피부염/천식을 키워드로 조사

검색기간: 2010.4~2010.5(2개월)

※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의 사전기획에서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로서, 사전기획에서는 상세기획에 포함된 환경성질환 중 아토피피부염/천식에 대한 조사만 수행

62) 정부조직개편 이전 기준에 따른 구(舊) 부처별 분석

Page 13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29 -

(단위 : 백만원)

이슈/기술범위

기술 범위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범위

기타계

유해인자모니터링

유해 향모니터링

위해성평가

위해도관리

위해도저감

환경부 전체 R&D 투자 합계

55,726 28,315 3,596 2,810 14,750 6,535 624 27,411

아토피피부염/천식 R&D 투자 합계

1,290(100%)

1,215(94%)

-740

(57.4%)-

475(36.8%)

-75

(5.8%)

차세대사업 1,215 1,215 - 740 - 475 - -

조사연구사업 - - - - - - - -

정책연구사업 75 - - - - - - 75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2011)

[표 3-47] 환경부사업의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2005~2009)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식약청, 지식경제부 등 4개 부처․청이 환경보건 분야에 투

자한 전체 R&D 예산 547억원 중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에 투자된 예산 규모는 159.4

억원으로 전체의 29.1% 차지

○ 유해인자 모니터링과 위해성 평가, 위해도 관리 연구는 수행되지 않아 특정 기술범위에

집중

- 기술범위별로는 유해 향 모니터링이 전체 중 57.4%, 위해도 저감 분야가 36.8% 수준

으로 가장 많은 투자

○ 부처별로 아토피피부염/천식에 해당되는 기술범위별 투자현황을 분석 한 결과, 타부처

중 식약청과 보건복지부에서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하 으나 일부 분야에 편중됨

- 과거 5년간 타부처 중 식약청과 보건복지부에서 가장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에서는 각각 10.6억원, 4.5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루

어 진 것으로 나타남

- 보건복지부는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에서 118억원 규모의 연구개발이 이루어 졌으나,

위해도 저감 분야에서 일부 이루어진 연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환경보건 범위를 벗

어난 범주(치료제 등)에서의 연구개발 수행

- 식약청에서는 환경보건 관련하여 위해성 평가 연구를 주로 수행

- 교육과학기술부의 경우 10.6억원이 투자되었으며, 유해 향 모니터링 연구에 집중

- 지식경제부에서는 4.5억원 수준으로 연구 개발 진행

Page 13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0 -

(단위 : 백만원)

이슈/기술범위

기술 범위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범위본사업

범위 외계유해인자

모니터링

유해 향

모니터링

위해성

평가

위해도

관리

위해도

저감

타부처 환경보건분야

R&D 투자 합계54,732 21,549 7,416 1,846 4,788 5,765 1,734 33,183

아토피피부염/천식

타부처 R&D 투자 합계

15,944

(100%)

1,745

(10.9%)-

750

(4.7%)

880

(5.5%)-

115

(0.7%)

14,199

(89.1%)

교육과학기술부 1,060 750 - 750 - - - 310

보건복지부 11,204 115 - - - - 115 11,089

식약청 3,230 880 - - 880 - - 2,350

지식경제부 450 - - - - - - 450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2011)

[표 3-48] 타부처 사업의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2005~2009)

□ SCI 논문으로 아토피피부염/천식 분야의 기술수준을 살펴보면, 관련 분야의 논문이 한 편

도 개제되지 않아 연구의 양적 확대가 필요한 실정63)

○ ‘아토피피부염/천식’ 이슈에 대한 논문은 세계적으로 895편이 발표되었으나, 한국에서

발표된 논문은 검색되지 않음

중점이슈 한국 순위 한국 건수 전체 건수 한국 비중 발표 1위국

아토피피부염/천식  - 0 895 0.00%미국

(342편, 39.8%)

전체 -  429 23,144 1.85% -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2011)

[표 3-49] 아토피피부염/천식 키워드에 따른 우리나라 환경보건 관련 논문 발표 통계

□ 특허 출원 현황에서 우리나라는 모니터링 기술인 대기환경오염 물질의 시간에 따른 변화

모니터링 및 GIS 인터페이스 개발 분야의 출원이 가장 많고, 진단기술인 알레르기성 질환

모델의 개발 분야의 출원이 가장 적음64)

○ 아토피피부염․천식 실외 대기 관련 환경보건 종합 모니터링 기술에서 대기환경오염물질

의 시간에 따른 변화 모니터링 및 지리정보체계(GIS) 인터페이스의 개발 분야에서 비교

적 활발한 연구 수행 중

- 대기환경오염 물질의 시간에 따른 변화 모니터링 및 지리정보체계(GIS) 인터페이스의

63) 조사대상: 2001~2010년에 발표된 SCI 논문을 대상으로 환경보건의 기술범위에서의 발표 논문

조사방법: Web of Science DB 활용

64) 특허청, 환경성질환(아토피, 천식) 새집증후군 분야 특허동향, 2011

Page 14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1 -

개발 분야에서는 우리나라가 전체 특허 293건 중 74건(25.3%)을 차지하여 비교적 활

발한 특허활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

- 환경요인(대기오염 물질)의 안전 기준치 산정과 조기 경보시스템 개발 분야에서 우리

나라는 전체 51건 중 13건을 출원하여 25.5% 비중 차지

- 생체시료 확보 및 특이적인 유전체 및 단백체 지표물질 개발(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및 폐기종 등과 같은 호흡기질환)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182건 중 18건을 출원하여

9.9%를 차지하여 비교적 저조한 특허활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생체시료 확보 및 특이적인 유전체 및 단백체 지표물질 개발(아토피성 피부염 및 알레

르기성 결막염 등과 같은 피부 및 안질환) 분야에서는 전체 43건의 관련 특허 중

23.3%인 10건을 출원하여 비교적 활발한 특허활동 전개

- 생체시료 확보 및 특이적인 유전체 및 단백체 지표물질 개발(알레르기성 질환 및 기

타)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251건의 특허 중 19건을 출원하여 7.6%의 비중을 차지

○ 실내의 대기 환경에 의한 아토피피부염, 천식, 새집 증후군 발생과 악화요인 규명과

향평가 기술개발 분야에서는 알레르겐 분석기술의 특허활동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분

- 알레르겐의 분석기술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95건 중 23건의 특허를 출원하여

24.2% 차지

- 단백체 분석을 통한 실내 알레르겐의 분석 및 동정기술, 실내 알레르겐을 쉽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개발, 알레르겐 평가기술, 실내 환경 위해성 특이마커의 동정기술 분야에

서 우리나라는 전체 158건의 관련 특허 중 24건을 출원하여 15.2% 비중 차지

○ 세포 및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내외 오염물질에 의한 아토피피부염, 천식, 새집증후군

발생 및 악화와 관련한 생체지표 및 활용기술 분야에서는 우리나라의 특허활동이 다른

나라에 비해 저조

- 기도상피세포 및 대식세포, 호산구, 세포손상 모델 시스템의 구축 분야는 전체 출원된

특허수가 26건으로 저조한 수준이며, 한국은 4건의 특허를 출원하여 15.4%의 비중 차

- 피부 및 각, 결막 상피세포 손상모델의 개발 분야는 전체 34건의 특허 중 2건 출원하

여 5.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본 분야의 특허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분석

- 알레르기성 질환 모델의 개발 분야는 전체 특허가 29건에 불과하며, 그 중 한국은 1

건을 출원하여 3.4%의 비중을 차지하는 데 그침

3.4.2.3 산업동향

□ 환경성질환 중 알레르기 질환의 진료비 부담은 3,620억원65) 수준이며, 유병률 및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는 추세

65) 건강보헙급여와 의료급여 합산

Page 14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2 -

시장분야 최근 동향

의료아토피피부염 환경성 질환 진료비는 매년 증가하여 2007년 3,375억원 기록, 양방 및 한방 아토피 전문 피부의원이 호황

의약품아토피의약품은 아토피 화장품과 연계되며 코스메디컬이라는 신종 의약품을 등장시키며 의약품 시장 규모인 9조 5,000억원의 60%인 5조원대까지 코스메디컬 시장 진출

화장품 2008년 900억원 규모로 급성장하며 2012년 1,000억원대 규모로 성장 예상

[표 3-51] 아토피피부염 관련 시장 동향

○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진료비가 증가하고 있어 적기에 대처하지 못할 경우  건강피

해 등 사회경제적 손실 우려

- 알레르기 질환 환자수는 876.5만명으로 추산되며 2011년 기준 3,620억원의 진료비 부

담 발생

- 진료비 부담은 점점 늘어나고 있어, 2006년 3,223억원에서 2011년 3,620억원으로 5년

사이 약 400억원 증가

(단위: 천명, 억원)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합계진료인원 7,489 7,568 8,008 8,660 8,811 8,765

총진료비 3,223 3,214 3,240 3,536 3,593 3,620

알레르기 비염

진료인원 4,077 4,226 4,654 5,290 5,567 5,555

총진료비 1,217 1,252 1,335 1,552 1,666 1,710

천식진료인원 2,324 2,253 2,259 2,319 2,195 2,200

총진료비 1,700 1,660 1,602 1,680 1,613 1,598

아토피피부염진료인원 1,088 1,089 1,094 1,052 1,049 1,011 총진료비 306 302 304 303 315 311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2)

[표 3-50] 환경성질환 진료비 및 환자수

○ 대구경북연구원에 따르면 아토피피부염 관련 시장 규모는 5,000억원대(2008년)에 이르

는 것으로 추정

- 아토피피부염 관련 제품 시장은 연 400억원 규모로 매년 15-20% 성장세를 보이며

10년 사이에 고속 성장하여 1,000억원대 수준으로 상승

- 기존 약국 유통 중심이었던 아토피피부염 화장품이 화장품 유통의 중심인 대형 할인마

트, 방판, 온라인까지 판매되는 등 유통라인이 점차 확대

- 지난 2000년 100억원대 시장을 형성했던 국내 아토피피부염 화장품 시장규모는 2004

년 400억원대로 추정, 그 중 약국 시장이 300억원대 차지

Page 14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3 -

의류세계적으로 친환경 소재 의류시장의 규모는 5,800억원 수준으로 국내 시장도 한지와 같은 식물소재 등 친환경 의류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친환경 의류 시장의 성장 예상

식품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유해한 음식과 좋은 음식이 알려지면서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식습관이 중요해짐에 따라 화학조미료, 인공첨가물, 농약 등을 배제한 친환경 유기농 식품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

친환경자재새집증후군에 대한 아토피피부염 환자에 관심이 증대되면서 벽지, 바닥재, 시멘트, 페인트 등 친환경자재시장이 형성되고 꾸준히 성장

아토피상품유통업

오프라인시장과 더불어 온라인 아토피 관련 상품 판매업체가 호황을 이루고 있음. 주로 보습제, 비누 등 화장품 및 피부개선 친환경 미용 제품 등 판매

* 자료: 대구경북연구원, 팔공산 아토피 힐링 에코타운 설립 기본계획(2010)

□ 환경물질의 시험분석 분야 필수라고 할 수 있는 바이오칩 시장은 관련 장비 및 서비스

시장이 큰 수요를 형성하고 있어 국내에서도 관심이 높은 분야

○ 국내에서도 바이오칩 개발은 바이오신약에 비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적고 조기 사

업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관심 있는 분야로 꼽히고 있으며 LG전자, 삼성전자 등

대기업과 마크로젠, 지노첵, 디지털지노믹스, 지노믹트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DNA링크

등에서 다양한 플랫폼의 마이크로어레이 연구 수행 및 개발

(단위: 만 달러)

응용분야 예상 시장

의료 진단 4,000

신약개발 탐색 12,500

의약용 유전체 발굴 12,000

환경독성시험 평가(동물시험대치 예상) 23,100

유전자 발현 탐지 43,400

* 자료: 마이크로바이오칩센터 내부자료

[표 3-52] 바이오칩 응용분야별 예상시장 규모

3.4.2.4 시사점

□ 우리나라의 환경성질환 관련 정책은 환경유해인자의 인체노출 평가, 취약계층에 대한 관리,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자 지원 대책을 강화하는 등 환경오염의 종말점인 수용체 중

심으로 추진

○ 환경유해인자의 인체노출 감시체계 구축

- 환경보건 종합계획에서 유해물질에 대해 인체, 생태계 노출 수준 및 환경성질환 발생

현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환경성질환 조사 및 감시체계 구축 추진

Page 14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4 -

○ 환경노출에 대한 민감계층 및 취약지역 건강 향조사 및 환경보건 서비스 개발

- 산모-어린이 코호트 구축을 통해 환경요인과 소아 호흡기질환과의 연관성 추적조사

- 친환경 건강도우미 사업, 환경보건센터운 등 환경보건 서비스 강화

○ 석면노출에 의한 건강피해자 보상 체계 구축

- 환경오염취약지역을 중심으로 건강피해(의심) 사후관리 등 환경성질환 건강피해 구제

제도 마련

[그림 3-24] 환경성질환 관련 국내 정책 방향

□ 아토피피부염 및 천식 관련 연구는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와 진단을 중심으로 연구되

었으나, 성과는 저조한 실정이며 개별인자의 향에 대한 연구 또는 단편적인 연구에 그침

○ 정부 R&D를 통한 아토피피부염 및 천식 관련 연구는 유해 향 모니터링과 위해도관리

분야의 연구에 주로 투자되었으나 이슈화되는 개별적인 유해인자에 대한 모니터링 연

구에서 그치고 있으며, 사전예방보다는 치료제 개발에 편중

- 아토피피부염 및 천식 분야에 투자된 정부 R&D 금액 171.6억원 중 유해 향과 위해

도관리 분야에 투자된 연구비는 19.7억원 규모이며, 치료제 개발에 투자된 연구비는

110.9억으로 전체의 64.6%임

○ 2001~2010년 사이 아토피피부염 및 천식 관련 SCI 논문 중 우리나라에서 발표된 논문

은 한 건도 없어 연구의 양적 확대 필요

Page 14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5 -

□ 환경성질환 환자의 증가로 인해 관련 의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관련 제품 시장

및 물질 분석 시장도 큰 규모로 성장

○ 알레르기 질환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음

-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이 2002년 19.7%에서 2005년 29.2%로 급증

- 아토피피부염 관련 의료비는 2010년 기준 640억원, 아토피피부염 관련 시장 규모는

5,000억원대(2008년)로 추정

○ 환경성질환 유발물질의 시험분석을 위한 바이오칩 시장 수요 증가

- 바이오칩 관련 예상시장 규모는 96,000만 달러에 이름

□ 환경성질환 환자수의 증가로 인해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통해 수용체 중심의 정책을 수립

하 으나, 정책을 뒷받침할 전과정적인 기술개발 부족

○ 그 간의 환경성질환 연구는 환경유해인자의 발병 기전과 치료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환경보건 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전예방적 환경보건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 부족

- 환경부에서 수행한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에서도 환경성질환 관련 연구가 있었

으나, 아토피피부염 및 천식 등 이슈가 되는 기술에 한정되었고, 기초적인 기반 연구에

불과해 국가 정책에 반 할 수준의 연구결과가 제시되지 않았음

○ 국민들에게 환경성질환 대응 환경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해인자/ 유해

향 모니터링→위해성평가→위해도관리→위해도저감‘에 이르는 전과정적인 기술개발 필

3.4.3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3.4.3.1 정책동향

□ 환경보건 측면에서는 환경보건 종합계획과 유해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을 추진하고 있고,

개별물질 또는 통합적 접근 측면에서는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등을 추진하여 효과적인 유해화학물질 관리체계

구축 도모

Page 14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6 -

[그림 3-25]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관련 국내 정책

□ 화학물질규제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의거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은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국민의 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할 목적에서 유해화학물질

의 적정 관리를 규정

○ 화학물질 확인제도의 시행으로 화학물질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에게 유해화학물질의

함유여부 확인증명 의무 부과

- 화학물질을 제조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해당 화학물질 또는 그 성분에 대하여 유

독물 등 규제대상 화학물질 함유여부를 스스로 확인하여 그 내역을 제출토록 하는 화

학물질 확인제도가 2006년 1월 1일부터 시행

○ ‘기존화학물질66)’을 대상으로 독성시험(안전성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 화학물

질을 유독물․관찰물질 등으로 지정하여 관리

- 국내・외적으로 화학물질에 대한 자료가 충분한 경우에는 별도의 독성 시험 없이 기존

의 자료를 활용하여 유독물・관찰물질 등으로 지정(일명 ‘직권심사’)

- OECD에서도 회원국간의 협력을 통해 대량생산된 기존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사업

(SIDS: Screening Information Data Set)을 추진

- 우리나라는 1996년 OECD 가입 이후 동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데, 2001년 이후 매년

1~2종씩, 2009년말 까지 21개 화학물질에 대한 초기 위해성평가보고서(SIDS보고서)를

작성하여 OECD에 제출

○ ‘신규화학물질67)’은 기존화학물질과 달리 유독물 등 관리대상 화학물질로의 지정 여부

66) ‘기존화학물질’이란 「유해화학물질관리법」시행일(1991.2.2) 이전에 국내에서 상업용으로 유통되어 환경부장관이 1996년 12월 23일 고시한 화학물질과 1991년 2월 2일 이후 유해성심사를 거쳐 환경부장관이 고시한 화학물질을 의미한다(2009년말 현재 43,048종)

67) 기존화학물질을 제외한 화학물질을 ‘신규화학물질’이라 함

Page 14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7 -

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의 물질이기 때문에 제조 또는 수입 전에 유해성심사를 받아야

- ①고체형태의 제품이나 기계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화학물질, ②신규화학물질 이외의

화학물질로만 구성된 고분자화합물로 국립환경과학원장이 고시하는 신규화학물질의

경우에 해당하는 물질은 유해성심사 면제 가능

○ 화학물질정보시스템(NCIS) 구축사업을 시작하여 대국민 서비스 개시

- 2005년에 기존화학물질, 유독물, 취급제한・금지물질 등 각종 화학물질 목록 및 화학

물질의 유・위해성 정보, 국․내외 관리현황, 유통량・배출량 정보 등을 통합・제공

○ GLP 제도(우수실험실)68)를 도입․운 하여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심사의 신뢰도를 국제

적 수준으로 제고

- 1990년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제정하면서 신규화학물질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생산

할 수 있는 전문기관 지정에 관한 규정을 두었고, 동 법 시행령에는 국립환경과학원,

국립보건원, 농약연구소, 한국화학연구소를 화학물질 시험성적서 발행기관으로 정함

- 환경부 고시를 통해 시험성적서 발행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지정한 것이 현재

의 우수실험실(GLP: Good Laboratory Practice) 기관의 시작

- 1996년 OECD 가입을 계기로 「유해화학물질관리법」과 하위법령에 화학물질시험전문기

관(GLP)의 지정기준과 시험방법에 대한 근거를 시행령에 반 하여 대외적으로 국제적

기준에 적합한 유해성실험 규정과 시험방법을 갖추게 됨

□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은 다이옥신, PCBs 등으로 대표되는 잔류성유기 오염물질

(POPs)의 적정관리 및 안전처리를 위해 2008년에 제정되어 산업계 스스로 POPs를 저감할

수 있도록 유도

○ 1997년 이후 산업시설 다이옥신 관리를 위하여, 2001년 다이옥신 국가배출량(배출목록)’

을 최초로 발표하고, 2010년 1월 2001년∼2007년 다이옥신 국가배출량(배출목록)’을 재

산정하여 발표

- 철강, 비철금속, 화학 및 시멘트 부문의 19개 기업과 2001년 대비 2010년까지 다이옥

신 배출량의 50% 저감을 목표로 ‘다이옥신 배출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 체결

- 소각시설(제철 및 제강, 알루미늄 압연시설, 시멘트 제조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배출허

용기준도 설정하고, 일정 규모이상의 시설에 대해서는 3년마다 주변 지역 향조사를

실시하도록 규정

68) GLP(우수실험실) 운 기준 : 의약품, 농약, 화학물질의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실시하는 각종 독성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험기관이 갖추어야 할 운 체계, 인력, 시설 등에 대한 기준을 의미하며, 이 기준을 준수하는 시험기관의 시험결과는 국제적으로 상호인증하고 있음

Page 14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8 -

○ 다이옥신과 함께 대표적인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인 PCBs 적정관리 및 안전처리를 위해

2004년 10월 한전을 포함한 7개 발전업계, 시민단체와 함께 PCBs 정책협의회 구성

- PCBs정책협의회는 스톡홀름협약에서 규정한 시점보다 10년 앞선 2015년까지 국내

PCBs 조기근절을 위하여 ‘PCBs 근절을 위한 자발적협약’을 체결하고 2015년까지의

PCBs 근절로드맵 마련

- 국내 PCBs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 오염된 장비에 대한 현황파악이 선행되어야하기 때

문에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시행과 더불어 유입식 변압기 등의 소유자로부터

관리대상기기 신고를 받도록 하는 등 PCBs 완전 근절을 위한 기반 마련

- PCBs 함유 관리대상기기 국가목록 작성 및 안전관리를 위하여 전국에 산재한 관리대

상기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PCBs 함유 관리대상기기 통합 DB 시스템

(http://pcbs.me.go.kr)’을 구축하여, 2010년 5월부터 운

- 2010년 현재 전국 약 210만대의 변압기 중 약 25%인 56만대가 2ppm 이상 오염된 것

으로 추정69)

□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은 유통 중인 화학물질의 안전성 정보의 등록․평가

를 통한 전과정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민 건강과 생태계에 대

한 화학물질의 위해를 사전에 예방

○ 현행 화학물질 관련 법률에는 유통 중인 화학물질의 안전성 정보를 파악 가능한 수단

이 없어 사전 예방적 화학물질 관리 미흡

- 현행 유해성 심사제도로는 국내 유통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인한 사전 예방적

화학물질 관리에 한계

- 등록·평가 대상을 기존 화학 물질까지 확대 필요

○ 대상물질에 대한 안전성정보를 산업계가 스스로 제출하도록 하여 위해 정보에 근거한

고위해 물질 적정 관리 수단 마련

- 현행 유해성 위주의 관리에서 노출을 고려한 위해성 관리체계로 전환

- 노출 우려가 큰 화학 물질에 대하여 위해성 자료 제출 제도화

- 발암 물질 등 고위해 물질에 대한 노출 차단방안 마련(용도별허가, 금지 등)

○ 화학물질 규제가 점점 강화되어 가는 국제추세에 따라 산업계 경쟁력 강화 유도

- UN SAICM 확산, 주요 교역국의 제도 강화 등 국제적인 녹색화학 전환 추세에 국내산

업계 대응 능력 배양

- 녹색화학센터를 지정․운 하여 적극 대응을 유도하는 제도적 환경조성

○ 화학물질의 노출 및 유해수준을 고려하여 평가대상 1,2 및 3순위 물질선정하고 국내

유통량이 매우 많거나 유해성이 강한 물질을 우선평가 → 1,2,3 순위 물질 수를 차등화

69) 환경부, 녹색기술동향보고서, 2011

Page 14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39 -

중점 추진과제 세부 추진과제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

국가우성관리대상물질 관리기반 구축

- 우선순위 대상 선정 및 초기위해성 평가- 통합 위해성평가 사업 추진- 관리대책 수립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 강화

- 「스톡홀름협약」 신규 등재물질 후속 조치 이행- U-POPs 배출량 산정 및 관리대상 시설 확대- POPs 지속적 관리 및 근절 방안 추진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 관리

-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의 환경 모니터링 실시- 관계부처 및 국제 공동연구 지속 추진

[표 3-54] 환경보건 종합계획 중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관련 추진과제

○ 예상 평가대상물질70) 수는 총2,086종

등록순위평가대상물질선정기준

물질수유해성 국내전체유통량

1순위CMR 물질 또는 PBT 물질

대량생산물질20톤~

20,000톤~372종

2순위CMR 물질 또는 PBT 물질

H410물질 또는 유독물대량생산물질

1~20톤10~20,000톤

1,000~20,000톤791종

3순위H410물질 또는 유독물

대량생산물질1~10톤

100~1,000톤923종

* 자료: 환경부,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안) 설명자료(2011)

[표 3-53] 화평법 평가대상 예상 물질

□ 환경보건 종합계획은 유해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의 상위계획으로서, 화학물질 및 함유제품

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예방하는 데 초점

○ 2020년 환경성질환 부담 저감으로 환경보건 선진국가 달성을 목표로 환경보건 종합계

획(2011~2020년)을 수립하여 향후 10년간의 세부실천 계획(5개 분야, 65개 과제) 제시

-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통해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를 예방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 구현

○ 기본원칙은 ①사람․생태계 중심의 통합 환경관리, ②사전주의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의 적용․강화, ③환경보건 정의 실현, ④이해관계자 참여 및 알 권리 보장

- 화학물질 및 함유제품의 유통량․배출량 조사체계 강화 및 통합 위해성평가를 통해 유

해화학물질로 인한 인체 및 생태계 피해 예방 추

70) 환경부장관이 기존화학물질 중 해당 화학물질로 인한 사람의 건강 또는 환경에의 위해가 우려되어 그 위해정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여 고시한 화학물질

Page 14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0 -

중점 추진과제 세부 추진과제화학물질 평가에 의한 사전예방적 위해관리

- 국내 화학물질 정보생산 제도개선 추진- 녹색화학 활성화 전략 마련․추진

화학물질 유통량․배출량 조사

강화

- 화학물질의 전과정 정보시스템 구축 및 통합정보 센터 구축

- 선진국 수준의 유통량․배출량 조사체계 마련- 조사체계 효율화를 통한 기업부담 경감 및 중

소기업 지원

유해중금속 관리대책

수은관리 종합대책 추진

- 원자재 수은, 수은제품 및 폐기물 등 수은 전과정 통합관리

- 대기, 수질, 폐기물 등 매체별 수은 관리 강화- 국가 수은측정망, 장거리 이동 수은감시 등 환

경모니터링 강화- 수은의 인체노출 저감 및 취약․민감계층의 수은

피해 예방- 국제 수은협약 대응- 수은관리 기반강화

납 및 카드뮴 관리 대책

- 납 및 카드뮴 관리 종합대책 마련- 배출량 조사 및 환경모니터링 실시- 통합 위해성평가 실시 및 관리방안 마련- 유해중금속 함유제품 통합관리- 민감계층 납, 카드뮴 노출 모니터링 및 권고기

준 마련

비소 등 기타 유해중금속 관리대책

- 유해비소 등 중금속의 인체노출 평가방법 정립- 토양오염 우려지역 주변 주민 노출수준 평가- 통합 위해성 평가 실시

* 자료: 환경보건 종합계획

□ 제3차 유해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은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

도록 화학물질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한 국가 기본계획으로 국제규제 대응과 화학물질

사전예방적 위해관리체계 마련에 초점

○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에 대응하여 국제표준 화학물질 관리체계를 도입하고 사전예방적

위해관리 실현을 위한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 추진을 위해 2011년부터 2015년의 제3차

유해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 수립

- 유해화학물질 현황 및 전망, 유해화학물질 관리 시책 등을 마련하고 정부·산업계·일반

국민 등 이해관계자의 세부 실천계획 제시

- 1차 기본계획(2001~2005)의 이행을 통해 수용체에 대한 위해성중심의 화학물질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2차 기본계획(2006~2010) 기간동안 화학물질 전과정 위해성관리 기

반 마련

Page 15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1 -

구분 추진실적

과학적 화학물질관리를 위한 기초정보

확보

신규 화학물질을 효율적으로 스크린하기 위해 유해성 심사항목 확대

OECD 대량생산화학물질 초기위해성평가(SIDS) 사업 참여 및 기존 화학물질 관리에 산업계 및 민간 참여 유도

GLP기관 능력 향상 및 전문인력 양성 추진

화학물질 유통량․배출량 조사 확대

화학물질 전과정 위해성

관리

유해물질 함유제품에 대한 소비자 노출평가 기반 마련

취급제한․금지물질 단계적 지정확대를 통해 소비자 보호 기반 마련

프탈레이트 가소제 사용제한을 위한 자발적협약 체결(2007.9)

UN 국제 화학물질관리 전략(SAICM) 국내이행 체계 구축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기반

강화

물질별․취급시설별 특성을 고려한 유독물 및 취급시설 기준 구체화

화학물질 사고대응 및 안전관리 강화

화학물질 분류표시 조화시스템(GHS) 국내 도입 추진

특정유해물질 집중 관리체계

구축

내분비계 장애추정물질 연구사업 지속 추진 및 국내․외 협력 강화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관리를 위한 스톡홀름협약 국내 이행

국제적인 관심물질(Emerging pollutants) 관리방안 마련 추진

위해정보 소통체계(Risk Communicatio

n) 강화

화학물질 정보 전달체계 개선 및 산업계 정보제공 활성화

화학물질 유해성 및 규제 정보제공을 통해 정보소통체계 기반 구축

화학물질 위해정보소통체계 구축 추진

신(新)화학물질 등록․평가제도

도입

REACH 대응센터 설치․운 (2006.9~)

환경부, 지경부, 중소기업청 합동으로 산업계 REACH 대응지원을 위한 REACH 대응 공동추진단 구성․운 (2007.4~)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제도 도입기반 마련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인프라 구축 추진

유해화학물질관리 인프라 구축

국내 유통되는 화학물질 정보 평가 및 위해예방을 위해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제정 추진(2010.12~)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 제정․시행을 통하여 POPs 배출실태 파악 등 스톡홀름협약 국내이행을 위한 기반 마련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 관리기능 강화를 위하여 본부 및 소속기관에 조직 신설

* 자료: 환경보건 종합계획

[표 3-55] 유해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 주요 과제별 추진성과

○ 계획의 목표는 지속가능한 화학물질관리(SMART, Sustainable MAnagement of Risk

and Toxics)로 위해저감 및 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 사업장 발암물질 배출저감율: 35.1%(2008년) → 60.1%(2015년)

- 대량생산화학물질 유해성평가율: 12.3%(2008년) → 41.2%(2015년)

○ 이를 위하여 ①사전예방적 위해관리체계 구축, ②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③국제 화

Page 15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2 -

학물질 관리 논의 대응, ④화학물질 정보관리 선진화, ⑤화학물질관리 인프라 구축

□ 정부에서 지원하여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 정화 및 오염 방지 유도

○ 정부에서는 국고지원을 통해 해당 지자체로 하여금 토양오염방지사업(옹벽 설치공사,

매립, 우수 침투방지 및 지하수 차단) 및 오염 토양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환경부에서는 1995년 처음으로 광산의 광미와 폐광산 등의 오염원 유실을 방지하는 시

설을 설치

※ 미국의 경우는 오염 가능지역이 발견되면 일단 CERCLIS(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se, Compasation, and Liability Information System)에 등록된 후 예비평가(PA :

Preliminary Assessment)와 부지실사(SI : Site Inspection) 등을 통해 국가우선순위목록(LPL :

National List)에 포함시키며, 폐광산 지역에서의 오염물질 분포 및 확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

고 있음

※ 국도 지질조사소(BSG)를 중심으로 오염토양/지하수 복원 프로그램 운

3.4.3.2 기술동향

□ 정부 R&D 투자 동향을 살펴보면 환경부에서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유해화학물질 관

련 분야에 총 139.2억원을 투자하여 보건관련 분야에 투자된 557억원 가운데 25.0%를 차

지하고 있으며, 환경부를 제외한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 지식경제부, 식약청 등 4개

부처․청에서는 유해화학물질 관련 분야에 133.5억원을 투자71)72)

○ 유해화학물질 분야의 조사·연구사업 및 정책연구사업은 환경보건 관련 사업이지만 기술

개발 관련 투자는 전무

-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된 환경보건 관련 조사·연구사업은 기초 조사·연구 또는 환경

정책에 즉각 활용 가능한 단기형 조사 연구를 수행하는 사업으로서 유해화학물질 관

련 연구에 47억원 투자

- 또한, 환경부에서 추진된 유해화학물질 관련 정책연구사업의 경우 주요 이슈별 대책수

립, 관리지침 마련 등 정책활용에 목적을 둔 사업으로서 18.4억원 투자

○ 차세대 사업에서 유해화학물질 관련 연구에 73.7억원 규모가 투자되었으나, 이슈별로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기술범위가 상이하며, 유해 향 모니터링 분야와 위해도 저감 분

야의 연구비 투자 저조

- 환경보건 기술범위와 관련해서는 위해성평가 분야가 26.7억원(36.2%)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위해도 관리 분야로서 19.7억원(26.7%) 투자

71) 검색 대상사업: 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등 7개 부처․청에서 2005년부터 2009년까지(5년간) 추진한 보건관련 연구과제

검색방법: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등을 활용하여 유해화학물질 관련 키워드로 조사

검색기간: 2010.4~2010.5(2개월)

72) 2012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추진 범위를 기준으로 분석

Page 15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3 -

▪이슈별로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기술범위가 상이하며, 유해 향 모니터링 분야와 위

해도 저감 분야의 연구비 투자 저조

▪화학물질 직접노출과 EDCs 관련 연구는 기술범위별로 고르게 연구가 수행되고 있

는 반면, POPs와 유해금속은 1~2개 분야에 집중

- 각 이슈별로 살펴보면, 환경부 R&D는 EDCs와 화학물질 직접노출에 집중 투자되었고,

POPs와 유해금속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

▪EDCs와 화학물질 직접노출은 각각 37.5억원, 23.4억원 투자되었고, POPs는 3.5억원,

유해금속은 9.3억원 투자

○ 따라서 환경부에서 그간 추진한 유해화학물질 분야 연구비 투자를 분석한 결과, 일부

이슈와 특정기술범위에 집중됨에 따라 환경보건과 관련된 문제해결을 위한 전과정적인

환경보건분야를 포괄하는 기술개발은 저조한 실정

(단위: 백만원)

이슈/기술범위

기술 범위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범위

기타계

유해인자

모니터링

유해영향

모니터링

위해성

평가

위해도

관리

위해도

저감

환경부 전체 R&D

투자 합계55,726 28,315 3,596 2,810 14,750 6,535 624 27,411

유해화학물질

R&D 투자 합계

13,920

(100%)

7,365

(52.9%)

1,440

(10.3%)

1,150

(8.3%)

2,665

(19.1%)

1,970

(14.2%)

140

(1.0%)

6,555

(47.1%)

차세대사업 7,365 7,365 1,440 1,150 2,665 1,970 140 -

화학물질 직접노출 2,340 2,340 310 - 430 1,460 140 -

POPs 350 350 - - 350 - - -

유해금속 930 930 30 - 900 - - -

EDCs 3,745 3,745 1,100 1,150 985 510 - -

조사연구사업 4,711 - - - - - - 4,711

화학물질 직접노출 1,088 - - - - - - 1,088

POPs 636 - - - - - - 636

유해금속 850 - - - - - - 850

EDCs 2,137 - - - - - - 2,137

정책연구사업 1,844 - - - - - - 1,844

화학물질 직접노출 297 - - - - - - 297

POPs 24 - - - - - - 24

유해금속 1,196 - - - - - - 1,196

EDCs 327 - - - - - - 327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2011)

[표 3-56] 환경부사업의 유해화학물질 관련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2005~2009)

Page 15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4 -

○ 부처별로 이슈별/기술범위별 투자현황을 분석한 결과, 과거 5년간 타부처 중 식약청이

118.9억원으로 유해화학물질 관련 연구를 가장 많이 수행하 으며 지식경제부가 7.8억

원으로 그 뒤를 이음

- 식약청에서는 전체 약 118.9억원 투자를 통해 POPs, 유해금속, EDCs 등의 이슈에서 연

구를 수행하 고, 특히 EDCs 관련 연구는 기술범위의 전과정을 고르게 연구

- 교과부, 보건복지부, 지식경제부의 경우 1~2개의 이슈에서 위해성평가, 위해도 저감 등

특정 기술범위의 연구만을 수행

(단위: 백만원)

이슈/기술범위

기술 범위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범위

기타계

유해인자

모니터링

유해영향

모니터링

위해성

평가

위해도

관리

위해도

저감타부처 보건관련

전체 R&D 투자 합계54,732 21,549 7,416 1,846 4,788 5,765 1,734 33,183

유해화학물질

R&D 투자 합계

13,345

(100%)

6,297

(47.2%)

700

(5.2%)

550

(4.1%)

3,107

(23.3%)

730

(5.5%)

1,210

(9.1%)

7,048

(52.8%)

교육과학기술부505

(100%)

477

(94.5%)- -

160

(31.7%)-

317

(62.8%)

28

(5.5%)

화학물질 직접노출 - - - - - - - -POPs - - - - - - - -

유해금속 505 477 - - 160 - 317 28EDCs - - - - - - - -

보건복지부175

(100%)

55

(31.4%)- -

55

(31.4%)- -

120

(68.6%)

화학물질 직접노출 120 - - - - - - 120POPs - - - - - - - -

유해금속 - - - - - - - -EDCs 55 55 - - 55 - - -

식품의약품안전청11,882

(100%)

5,052

(42.5%)

700

(5.9%)

550

(4.6%)

2,892

(24.3%)

730

(6.1%)

180

(1.5%)

6,830

(57.5%)

화학물질 직접노출 410 200 100 - - 100 - 210POPs 2,375 130 130 - - - - 2,245

유해금속 3,420 600 50 - 450 100 - 2,820EDCs 5,677 4,122 420 550 2,442 530 180 1,555

지식경제부783

(100%)

71.3

(91.1%)- - - -

713

(91.1%)

70

(8.9%)화학물질 직접노출 - - - - - - - -

POPs - - - - - - - -유해금속 783 713 - - - - 713 70

EDCs - - - - - - - -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2011)

[표 3-57] 타부처 사업의 유해화학물질 관련 분야 기술범위에 따른 추진현황(2005~2009)

Page 15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5 -

□ 우리나라는 유해화학물질 관련 SCI 논문이 2001년~2010년 기간동안 255편 발표되어 전체

조사대상 논문의 1.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해금속에 편중되어 화학물질 직접노출, 신규

유해인자, EDCs 등에 대한 연구 필요73)

○ 유해화학물질 관련 이슈에 대한 논문은 세계적으로 12,957편이 발표되었고, 그 중 우리

나라에서는 255편 발표되어 1.97%의 비중을 차지하여 미흡한 수준

- 우리나라는 유해금속 분야에서 140편의 SCI 논문을 발표하여 타 분야에 비해 많이 연

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세계적으로 비교하 을 때 1.89%에 불과해 15위에 그침

- EDCs는 전체 1,808편 중 51편(2.82%)을 발표하여 유해화학물질 관련 이슈 중 가장 높

은 순위 차지

(단위: 편)

중점이슈 한국 순위 한국 건수 전체 건수 한국 비중 발표 1위국

화학물질직접노출 16 29 1,827 1.59%미국

(522편, 29.0%)

유해금속 15 140 7,419 1.89%미국

(1792편, 24.2%)

신종 유해인자POPs

17 35 1,903 1.84%미국

(362편, 19.0%)

EDCs 9 51 1,808 2.82%미국

(609편, 33.7%)

전체 -  255 12,957 1.97% -

* 자료: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 보고서(2011)

[표 3-58] 우리나라 유해화학물질 관련 논문 발표 통계

□ POPs 및 EDCs는 제품에 함유되어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경부뿐만 아니라 관련

부처에서 위해성 분석 및 관리

○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는 EDCs의 환경잔류 실태조사, 생태 향 조사, 환경 중 거동연

구, 어류에서의 검색시험법 연구 등을 수행

- 1999년부터 2005년까지의 조사결과 3개 분야(오염실태 및 생태 향, 기반연구, 위해

성평가) 총 34개 과제를 추진하여 115억원의 연구비 소요

○ 식약청에서는 EDCs이 내분비계, 생식기계, 면역계, 뇌신경계에 미치는 독성 향 및 생

체 내 호르몬의 변화와 호르몬 유사작용에 대해 연구 수행

73) 조사대상: 2001~’200년에 발표된 SCI 논문을 대상으로 환경보건의 기술범위 및 유해화학물질 관련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

조사방법: Web of Science DB 활용

Page 15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6 -

- 식의약품, 용기포장, 화장품, 인체 중의 EDCs 모니터링, 위해성평가사업, 자궁비대반응

시험(Uteotrophic assay), 수컷 성선비대반응시험(Hershberger assay) 등을 수행하고, 특

히 시험법 기술 확립을 위하여 관련 산업체 및 연구계에 워크샵을 통하여 시험법 교

육 실시

- EDCs와 국민건강 또는 질병과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선천성 기형 발

병률, 기형종류와 발생양상 및 남성의 정자 수, 정액량, 운동성 등의 변화와 비뇨기계

질환 관련 인체 향 연구 수행

- EDCs에 대한 노출 저감화 및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민단체 등과 연계하여

교육/홍보자료의 개발 및 교육 홍보 진행

○ 농림수산식품부(국립수의과학검역원)는 동물의약품을 포함하여 축산물 중의 잔류농약,

환경오염물질, 첨가제 등의 EDCs 검색 및 평가사업, 모니터링 사업 수행

- EDCs는 극미량으로 생체에 작용하여 복잡한 내분비계의 기능에 향을 미치지만

이의 검색 및 평가가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최근의 독성유

전체, 독성단백체, 독성대사체 기술을 이용하여 특이 검색모델 개발연구를 수행

- EDCs가 가축의 생산성에 미치는 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축산 환경오염물질

인 곰팡이독소(아플라톡신, 제라놀, 디옥시니발레놀)의 내분비계 '장애성 또는 교란성'

을 면역독성과 연계하여 독성검색을 하고 있으며 생체 내 특이단백질을 확인하여 노

출평가에의 적용연구도 수행

- 국내 다량 사용되고 있는 동물용 항생/항균제에 대하여 최근 내분비계 장애성 또는 교

란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제적으로 이견이 있는 물질에 대하여 안전관리를 위하여

내분비계 장애성 또는 교란성, 생식독성, 발암성 등을 재평가하는 연구를 수행

- 축산물을 통한 인체노출이 높은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국내 축산물

중 오염도 및 인체노출량 파악을 위한 연구 수행

○ 국토해양부(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국내 연안지역의 POPs 등의 오염현황조사 및 오염

의심/우려지역에 대한 집중조사, 해양생물 생태 향조사, 해양생태계 내 거동 및 예측모

델 개발 연구를 실시

○ 농촌진흥청(농업과학기술원)은 대형공동 연구과제로 농약 중 다이옥신 함유가능성 조사,

환경 및 작물체 중 잔류실태, 생태계 생물 향, 위해성평가 관련 연구 수행

-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억 7,000만 원의 연구비를 투입하여 내분비계 장애 추정 농

약의 잔류실태 및 향, 검색기법 확립 연구 등을 진행

□ 국내에서 정립된 POPs 모니터링 관련 연구는 좀 더 정확한 측정․분석을 위한 기술개발 방

향으로 진행

○ 미국 EPA의 방법론을 기본으로 하여 소각로에서의 다이옥신 측정·분석방법이 가장 먼

저 정립

- 대기에서의 다이옥신 문제가 심각하게 부상

Page 15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7 -

○ 최근 토양, 폐기물 및 수질에 있어서 공정시험방법으로 다이옥신 및 PCBs에 대한 분석

방법 정립

- 다이옥신 등 미량물질 분석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동위원소 희석법이 주로 활용

○ 다양한 환경 중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POPs 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특

성을 갖는 기기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 발전

- ①효율적인 추출법, ②간편한 정제과정, ③빠르고 정확한 기기분석

○ 생체시료에 대한 POPs 측정분석방법은 환경시료에 비해 늦게 확립되었으며, 미국, 일본

과 유사한 추출․정제 방법 이용

○ 기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 기술 개발 추진

- 실험시간이 길고, 실험 기자재가 고가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료추출과 전처리

간소화가 가능한 장치 개발

- 유전자변형 세포를 이용한 바이오에세이(bioassay) 기법 개발

- 일부 대학교에서 다이옥신 등 일부 물질을 중심으로 유해용량-반응 평가기술 개발

3.4.3.3 산업동향

□ 국내에서는 4만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유통되었거나 유통되고 있고, 매년 400여종 이상이

국내시장에 진입되는 등 화학물질의 사용 꾸준히 증가

○ 2002년 대비 ’06년 국내 화학물질 유통량과 사용량 증가율은 각각 45.4%, 46.4%로 국

내 유통뿐만 아니라 산업활동과 관련되어 국내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양 모두 큰 폭

으로 증가

○ 화학산업은 다른 분야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여 국내 제조업 생산액의 14%, 고용의 9%

차지

(단위: 백만톤, %)

유통량 사용량

수량 증가율 수량 증가율1998 175.4 - 234.1 -

2002 287.4 63.9 248.5 6.2

2006 417.9 45.4 393.9 46.4

* 자료: 환경부 홈페이지, 환경정보(2012)

[표 3-59] 화학물질 유통량 현황(2006년 기준)

Page 15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8 -

□ 국내 900여개의 시험 검사기관이 측정․분석 활동 중이나 우리나라의 시험 및 검사기관은

세한 수준이어서, 다국적 화학물질 시험검사기관의 국내 시장진출 증가

○ 정도관리제도에 ISO17025(국제시험소 인정 시스템) 개념을 도입하 으나 시험검사결과

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시스템은 미흡

○ 또한 선진국의 시험검사기관은 전문화 대형화로 지식서비스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시험 및 검사기관은 상대적으로 세

○ SGS(스위스), UL(미국), DNV(노르웨이) 등 10대 다국적 화학물질 시험검사기관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20% 이상이며 이들의 국내 시장진출이 연 10% 정도로 증가 추세

- 세계시험 검사시장규모는 2006년 50조원, 2012년 80조원으로 전망되며 SGS, BU등 외

국계기업은 연간 매출이 2조원 이상이고 종업원은 40만명 정도로 이러한 다국적 시

험검사의 국내활동이 증가

- 국내활동 중의 외국계 시험 검사기관은 ISO17025을 만족하는 인정기관으로서 시험검

사결과의 국제적 활동 가능성이 높음

항목 분석기관수 매출

국내기관 1,590개 1조 4천억원

국내 다국적 기관 SGS 등 24개 8천억원

해외 다국적 기관 도레이 서치센터 등 1조 2천억원

* 자료: KEITI, 녹색화학을 위한 위해성 평가 플랫폼 기술 기술동향보고서(2011)

[표 3-60] 국내 시험 분석시장 현황

□ 가습기살균제 시장은 쾌적한 실내공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증가로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었

으나, 폐질환 유발 가능성으로 인해 시장 위축74)

○ 국내 가습기 살균제 시장은 연간 20억원 규모로 옥시와 애경이 전체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

○ 2011년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원인불명 폐손상이 발생하면서 시장 위축

74) 연합뉴스, 2011.11

Page 15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49 -

3.4.3.4 시사점

□ 우리나라의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관련 정책은 국내․외 유통되는 유해물질 관리를 통한

인체 및 생태위해성 사전예방, 국제협약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으로 추진

○ 화학물질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에게 유해화학물질의 함유여부 확인증명 의무를 부과

하여 민감․취약 계층의 건강 피해 사전예방

○ 스톡홀름 협약, REACH, 수은협약 등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유해화학물질 관리 체계 구

[그림 3-26] 유해화학물질 관련 국내 정책 방향

□ 화학물질 직접노출과 EDCs 분야는 비교적 기술개발이 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POPs

와 유해중금속은 일부 기술범위에 집중

○ 정부의 R&D 투자 동향과 SCI 논문 발표 현황을 살펴보면 유해중금속에 대한 투자와

논문 등 양적 성과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위해성평가 분야에 편중

- 화학물질 직접노출 관련 연구는 모든 기술범위에 투자되고 있음

- POPs와 유해중금속은 위해성평가 분야에 집중 투자되었고, EDCs 관련 연구는 위해도

저감 연구 미흡

- SCI 논문 발표는 유해중금속 분야에서 가장 많은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관련 분야의 연구가 많아 우리나라의 순위는 낮은 수준

○ POPs 관련 연구는 환경시료에서 POPs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법에서 생체시료에 대한

Page 15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0 -

측정분석 방법으로 확대

- 토양, 폐기물 및 수질에 있어서 공정시험방법으로 다이옥신 및 PCBs에 대한 분석방법

이 정립되고, 추출․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생체시료에 대한 POPs 측정분석방법 확보

○ EDCs 관련 연구는 생태 향 조사, 인체에 미치는 독성 향 및 생체 내 호르몬의 변화

와 호르몬 유사작용에 대한 연구, 축산물 중 EDCs 모니터링 등 관련 기술 확보

□ 우리나라의 화학물질 유통량 및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시장에서는

관련법에 대응한 안전성검사 시장의 확대, 가습기살균제 등 biocide 시장의 축소

○ 국내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 유통량과 사용량뿐만 아니라 산업활동과 관련

되어 국내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양 증가

○ 화학물질의 안전성검사가 강화됨에 따라 국내에서만 900여개의 시험 검사기관이 활동

하고 있으며, 국내 시험 분석시장은 2011년 기준 3조 4,000억원 규모

○ 가습기살균제의 폐질환 유발 가능성으로 인해 biocide 사용 시장의 축소

□ 우리나라의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관련 분야는 타 분야에 비해 기존의 연구가 많이 이루

어진 분야이지만 환경보건 정책에 반 하여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양적·질적 확대 필

요하며, 가습기살균제 등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개발 필요

○ 양적 측면에서는 관련 분야 SCI 논문이 전체의 1%대에 불과해 세계적으로 비교할 때

아직 미흡

○ 기존 연구개발 사업은 개별 매체 또는 개별 사안별로 진행되어 복합적인 인자에 대한

건강 향평가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위해성평가 분야에 집중 투자되어 저감 기술 개발

성과 미흡

- 기존 R&D 예산 136.6억원 중 42.2%인 57.7억원이 위해성평가 분야에 투자

○ 국민들이 안심하고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화학물질 관리를 뒷받침할

기술개발 필요

Page 16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1 -

제 4 장 종합 분석

4.1 환경보건 R&D 관련 시사점 및 SWOT 분석

□ 환경보건 분야는 유해 향에 대한 단순 평가 중심에서 사전예방(precautionary principle)

측면의 기술개발 및 정책 추진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음

□ 과거 또는 현재 다뤄지는 환경보건 문제뿐 만 아니라 미래사회 예상되는 환경보건 문제의

도출을 통해 기술개발의 목표 및 방향을 정하고, 국가 차원에서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생태

계 건전성 유지 측면의 기술개발이 필요

□ 국제적으로 환경보건 관련 전략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 환경보건전략에 있어서 다양한 유해인자의 통합적인 고려를 통해 이의 상호작용에 의

한 저농도·장기 노출을 관리

○ 중장기적 환경보건 목표 설정, 이의 달성을 위한 전략계획을 수립·실천

○ 어린이 등의 민감/취약계층의 집중관리 프로그램과 소비자 제품으로 인한 노출 향 및

규제 강화

○ 위해도 감소를 위한 장기적인 기술개발 수립을 통해 전체적으로 위해도를 감축하도록

하는 관리를 지향

○ 화학물질로 인한 위해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법을 제시하거나, 이로 인한 위해성을 저

감하기 위한 평가의 다양한 방법론 제공

○ 유해성이 높은 대량생산화학물질 등에 대한 국가간 위해 정보 및 배출량, 모니터링 정

보의 공유를 통해 위해도저감과 대처를 위한 정보를 공유

○ 국제적인 주요 전략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

- 국가 차원의 환경보건기술 개발사업 등을 통한 차별화된 전략수립 및 투자가 필요하

며, 정부차원의 정책 목표 수립 및 이의 달성을 위한 기술개발 진행이 필요

- 관련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국내 환경보건 수준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이의 적용

- 국내 환경에 맞는 환경보건 관련 기술개발이 되어야 하며, 관련 분야의 전략적인 분석

을 통해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

□ 환경부 및 타부처에서 추진한 보건관련 기존 R&D 사업 분석 결과,

○ 주요 이슈별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인체 및 생태계 향을 모니터링하고, 평가․관리를

통해 궁극적으로 위해도를 저감할 수 있는 전과정적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

Page 16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2 -

○ 또한 이슈 관련해서는 기존에 연구가 집중되었던 아토피/천식 등 이외의 이슈 분야에서

도 확대가 필요

□ 진행 중인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뿐만 아니라 종료된 사업에서의 활용가능한 환

경보건 관련 기술개발 성과의 적극적인 연계·활용

○ 기존 R&D사업 성과물의 연계활용방안 수립에 대한 연구도 함께 병행 추진함에 따라

중복 투자를 사전에 배제가 필요

□ 주요 선진국의 R&D 투자동향을 분석한 결과 과학기술반전이 국가 경쟁력 강화와 발전에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관련 R&D 투자 확대계획을 수립하여, 선택과 집중의 R&D 투자를

강조

□ 국민건강 보호와 생태계 건전성 유지라는 대의적 측면뿐 만 아니라, 국제적인 공동 대처

사안과 규제에 적극 대응, 그리고, 유해 향으로 인해 나타나는 사회경제적인 피해 예방

을 위해 환경보건분야의 기술개발 계획은 현식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음

□ 미래 사회에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환경보건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 해결이 시급한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기술의 뒷받침이 시급

Page 162: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3 -

구분

강점(S) 약점(W)

- IT, BT, NT 등 첨단기술의 국내 개발이 활성화되어 위해성평가 기술과 융합화 가능(S1)

- 환경 및 인체 위해성평가 분야의 기술 경쟁 잠재력 보유(S2)

- 환경보건 관련한 높은 국가 정책 의지(S3)

- 현상파악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수용체별 노출 위해성평가 연구 미비(W1)

- 사전 예방 구조 및 정책 미흡(W2)- 환경보건분야 인력은 풍부하나 관련분야 R&D가

투자가 미흡하여 연구경험이 풍부한 인력이 부족- 국내 환경보건정책을 뒷받침할 기술개발의

미흡(W3)- 아토피/천식 등 특정 이슈에 기술 개발 집

중(W4)- 주요 이슈별 모니터링→위해성평가→위해도

관리→위해도저감에 이르는 전과정적인 기술개발 미흡(W5)

기회(O)

- 범 정부 종합대책 수립으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고(O1)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환경보건문제 해결의 중요성 인식(O2)

- 환경보건 등 공공기반서비스 산업 구축의 중요성 부각(O3)

우선수행과제 우선 보완과제

- IT, BT, NT 기술을 활용한 첨단 융합기술 개발(S1)

- 기 확보된 기반기술을 활용한 종합 모니터링시스템 기술개발(S2)

- 민감/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위해성평가기술 개발(O2, S3))

- 아토피/천식 이외의 주요 이슈 확대 투자를 통한 환경보건정책 수요를 뒷받침(O2,, O3, W4)

- 주요 이슈별 문제 해결을 위한 전과정적인 기술개발 (O2, W4)

- 제품 관련 유해물질 평가의 첨단 기술 확보를 통한 국제경쟁력 확보(O3, W6)

위협(T)

- 환경보건 문제에 대한 의사소통의 부재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대(T1)

- 중장기 사업의 계획 부재로 인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사업의 추진 여려움(T2)

- 동 분야는 해외기술 도입이 용이하여, 국내 환경보건정책의 외국기술 의존성이 증가되어 정책방향 왜곡 우려(T3)

Risk 해결과제 장기 보완과제

- 인체 및 생태위해성평가의 첨단 기술력 확보(S2, T3)

- 위해성가 높으나 기술개발이 저조한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추진(T2, T3)

- 국제 기술경쟁력을 갖춘 전과정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통합 위해성평가 및 위해도관리기술개발(S2, T2)

- 질환발생 원인을 사전예방하기 위한 원인규명 및 평가기술 개발(W2, T2)

- 저비용 고효율의 위해도저감 장기대책으로 전과정평가에 의한 유해물질 사전예방적 관리기술 개발(T3, W2)

[표 4-1] 환경보건 분야 R&D의 SWOT 분석

Page 163: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4 -

4.2 국내 환경보건 분야 R&D 개선방안

□ 국민건강 보호 및 생태계 건전성 유지를 위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부분은 수용체

중심, 사전예방, 민감, 취약군 보호 중심의 기술 개발 추진 필요

○ 수용체를 보호할 수 있는 환경보건 분야의 정책목표 설정 및 세부계획 수립과 이를

지원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인체 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 유지를 위한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인체 및 생태계 향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술

확보 필요

○ 사전예방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에 근거한 환경보건 정책 지원 기술 확보 및 국

민의 환경보건 인식변화와 위해도 의사소통(risk communication) 등의 통합시스템 구축

및 운 이 필요

○ 어린이 등의 민감/취약군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을 위한 기술 확보

- 유해물질 등 환경유해인자에 취약한 어린이 등 민감/취약집단 보호를 위한 대책 수립

[그림 4-1] 환경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4.2.1 생활환경 유해인자 분야

□ 신규 실내공기질 오염물질 관리로의 변화, 석면 위해성 방지를 위한 정책 도입, 에너지 저

감을 위한 빛공해 방지, 전자파 발생 기준 도입을 통한 위해성 대응 방향으로 추진

○ 해외에서는 실내공기질, 빛공해, 소음진동, 전자파 등 유해인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이

Page 164: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5 -

미 보유하고 있으며, 유해미생물, 라돈, 석면 및 석면유사물질의 관리 및 연구 강화

- 미국, 유럽, 일본은 공통적으로 실내공기질, 빛공해, 소음진동, 전자파 등의 위해 기준

을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이미 마련하여 생활환경 유해인자 관리

- 미국은 VOCs 및 미세먼지 등 전통적인 오염물질 중심의 관리에서 탈피하여 2000년대

중반부터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오염의 중요성 인식 확대

- 스위스는 실내공기질 관리를 주정부나 시정부 차원에서 관리하되 라돈은 연방정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미국도 주정부차원에서 건물의 환기기준, 흡연에 대한 규제에 집중하

여 미세먼지, 라돈, 이산화질소 등의 유해인자 관리

- 북유럽을 선두로 유럽 각국에서 석면 사용을 금지하고, 석면 무해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은 석면과 비석면 등의 석면 유해물질에 대한 연구로 확장

○ 주요 유해인자에 대해 위해성 평가를 바탕으로 기준을 수립하여 분쟁 기준이나 제품

출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 마련

- 미국, 유럽 등은 실내공기질, 빛공해, 소음진동, 전자파 등 생활환경 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 제시

- 미국은 바닥충격음 평가방법으로 IIC(Impact Insulation Class)곡선을 사용하여 층간 소

음 분쟁 기준 제시

-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에서 전자발생기준을 설정하고 무선기기 및 컴퓨터 등의 기기

에 대한 인증제도 실시하고 있으며, EU 차원에서도 인체보호 기준 권고안을 제정 발표

하고, 유럽 각국별로 기준 도입

○ 유해인자 모니터링, 위해성 평가, 위해도 관리․저감기술에 걸쳐 전 기술단계의 연구 성

과 확보 및 관련 연구 지속

- 미국은 1990년대 이후 실내오염물질들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각종 신기술

을 이용한 저감 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추진

- 석면의 경우 미국, 일본 등은 무해화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가 2000년대부터 추진되어

관련 기술 이미 확보

○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등의 민감계층 대상의 관리 및 관련 기술 연구를 확대하고 예

방 및 오염자 부담 형태로 추진

- 유럽 주요국은 실내공기질 기술 적용 에코 빌딩 기술 등 건강한 빌딩 개념을 도입하여

건강, 보건, 환경 문제를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저소득층, 노약자, 어린이 등 민감계층

대상의 연구 다수 진행

- 미국은 지자체 차원에서 빛공해 대책을 실시하여 단순 빛공해 방지를 넘어 에너지절

약, 지구온난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확대

- 독일 등 유럽 주요국은 실내공기질 관련 정책을 예방 및 오염자 부담 형태로 추진

□ 반면 국내에서는 유해인자 중심의 접근, 사전예방 중심, 민감계층 관리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위해성 평가 및 관리․저감 기술 부족

Page 165: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6 -

○ 유해인자별 접근, 사전예방이 초점을 두고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재수립하여 수용체 중

심으로 각종 매체의 통합 관리, 조정, 선도하여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위해도 저감을

추진

○ 빛공해 방지법 등의 그동안 관리하지 않았던 환경 유해인자에 대한 관리를 추진하고

있으나 위해성 평가 기술 부족으로 관리를 위한 기준 마련 부재

□ 따라서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기술 개발은 사전 예방 중심, 수용체 중심의 접근을

통한 환경 유해인자의 통합적 향 대응, 민감계층을 위한 위해 저감 기술 개발 추진 필요

○ 해외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질병치료 중심에서 사전예방 중심으로 환경보건 정책이

변화하 으며 우리나라의 환경보건 종합계획도 사전예방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이를 지

원할 수 있는 위해성 평가 등의 기술 확보 필요

-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주요 선진국에서의 보건 정책이 질병 치료를 위한 사후치료 중

심에서 국민 건강을 해치는 주요 요인인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관리 중심으로 변화하

면서 사전예방이 초점을 두고 있음

- 우리나라의 환경보건 종합계획(2011~2020)에서도 기존 사후관리에서 사전예방 원칙

에 입각하여 환경성질환 발생의 원인인 유해인자에 대한 관리 강화

- 환경유해인자가 개별적이기 보다 다양하고 통합적으로 인체 건강 및 생태계에 향을

미치므로 개별적 매체관리 중심에서 통합 및 사전예방적 접근 필요

○ 유해인자별로 접근하는 동시에 국내․외에서 관리가 강화되고 있는 실내공기질 오염물질

및 석면, 빛공해 등의 기술개발 추진 필요

- 실내공기질 유해인자 중 국내․외 관련 정책에서 관리․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유해미생

물, 실내라돈 등의 기술 개발 확보 필요

- 석면 위해 방지를 위해 석면 및 비석면(석면 유사 물질 포함)의 위해성 평가 및 위해

도 저감 기술 확보

- 빛공해 기준 도입을 위한 위해성 평가 기술 확보 및 에너지 저감 방안 마련을 위한 기

반 기술 확보

○ 매체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의 관점의 접근으로 환경유해인자의 통합적 향에 대응하

는 기술을 개발하고 특히 민감계층을 위한 위해 저감 기술 확보 필요

- 환경보건의 최종 수요자인 인체 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 확보에 중심을 두고 관련 환경

유해인자의 위해 관리 필요

- 특히 유아, 어린이, 노인 등 환경성 질환 등에 취약하고 민감한 계층에 대한 관리가 강

화되고 있어 민감계층의 생활 공간 등에서의 위해 저감 기술 개발 필요

Page 166: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7 -

추진 방향 유해인자 수용체 기술개발단계

실내 환경환경유해인

자사전예방 관리

곰팡이 등의 미생물, 석면 및 석면 유사 물질

보완 필요

민감계층을 위한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

모니터링부터 위해저감까지 모든 기술개발단계 포괄

필요

물리적 위해인자

사전 예방 관리

분쟁 기준 마련

빛공해신규 전자파 주파수 대역실내공간의 생활소음

인체, 생태계

위해성평가를 통한 가이드라인 마련

지원실내공간의 생활

소음 관리

[표 4-2] 생활환경 유해인자 위해관리 기술 개발 추진 방향

4.2.2 환경성질환 분야

□ 민감계층 관리, 사전 예방에 초점을 두고 정책이 추진되고 있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위해

성 평가, 위해도 관리 등의 기술 추진 필요

○ 미국은 EPA 산하에 어린이 건강 문제 전담 기구를 운 하여 민감계층을 관리하고 있으

며 EPA는 위해성 평가에 기초하여 환경기준 권고치와 목표치로 구분하여 설정

○ EU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환경성질환 예방 관리 추진하면서 취약군인 어린이 보호 전략

을 강화하고 관련 연구 확대

○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보건종합계획 등에서 어린이, 노령인구, 산모 등의 민감계층 관리

를 강화하고 있어 지원 기술 필요

□ 대표적인 환경성 질환인 알레르기 질환, 석면 질환에 관한 연구에서 생식계 질환 등 새롭

게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성 질환 연구가 확대되고 있음

○ 아토피피부염, 천식 등 알레르기질환뿐만 아니라 생식계 질환 등 기존 질병과 알레르

기 유발 인자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로 확대

- 미국 NIEHS 산하의 환경성질환 연구센터에서는 아토피피부염, 생식계 질환, 천식, 심혈

관계 질환, 비만 등의 질병에 대해 환경과 후생유전체간 상호작용, 환경성질환 측면의

메커니즘 등을 연구

- 빨래세제, 실내 공기 방향제 등 제품을 통해 발생되는 오염 물질이 알레르기질환 환자

에게 미치는 유해성 등의 연구 확대

○ 개별 환경 유해인자와의 환경성질환 연구에서 복합 환경 유해인자에 대한 인체 위해성

연구 강화

- EU에서는 개별 환경유해인자 관리 중심의 정책에서 복합환경유해인자에 의한 건강

향에 대한 연구로 확대

□ 신규 환경성질환 유발 유해인자의 모니터링, 노출 저감, 발병기전 연구 등 기술개발 전단계

Page 167: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8 -

에 걸친 연구 필요

○ 주요 선진국에서는 정책에 의한 연구 프로그램 지원으로 다양한 환경성질환에 대한

모니터링, 노출 및 위해성평가 등의 기술 분야에서 연구 진행

○ 우리나라에서는 정부 R&D를 통한 아토피피부염, 천식 관련 연구는 유해 향 모니터링

과 위해도관리 분야의 연구에 투자되었으나 이슈화되는 개별 유해인자에 대한 모니터

링 연구에서 그치고 있으며, 사전예방보다는 치료제 개발에 편중

추진 방향 유해인자 수용체 기술개발단계

알레르기질환

사전예방아토피피부염,

천식, 비염 유발 유해인자

인체

감시체계 기술 개발유발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에서

저감 기술 전단계 기술 확보

석면질환 등기타 환경성

질환

석면피해자 관리

석면질환 유발유해인자,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으로 인한 질환 유발 유해인자

인체석면으로 인한 질환

유발 기전, 진단 기술 등

[표 4-3] 환경성질환 대응 기술 개발 추진 방향

4.2.3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분야

□ 주요 선진국에서는 화학물질의 유해성 심사로 안전성 확보 및 사전 예방을 위해 관련 정

책을 도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위해성 평가 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어 화평법 시행

전 관련 기술 추진 필요

○ 미국, 유럽, 일본에서는 화학물질 관리 정책을 보다 강화하여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

사전 예방을 추진하고 있음

- 미국은 화학물질의 거동 특성 및 함유제품의 이동에 따른 건강 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북미 지역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SPP(Security and Prosperity partnership) 체결

- 유럽에서는 신화학물질관리정책(REACH)을 통해 신규화학물질 및 기존 물질의 등록, 평

가 등을 실시하여 관리하고 전자전기제품과 포장재 등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제품

에 대한 유해성 감소를 위해 ‘EU 유해물질 사용제한지침‘ 마련

- 일본은 화심법을 통해 미국과 유럽 수준으로 유해화학물질 규제 기준 강화하여 화학물

질로 인한 피해를 사전 예방 추진

○ 미국은 EPA를 통해, 일본은 경제산업성 R&D 사업을 통해 정책을 지원하는 위해성 평

가 및 위해 저감 기술 개발을 추진하여 효율적 정책 운 지원

- EPA 과학정책위원회가 작성한 MAP에 따르면 중금속의 이동 및 거동 연구, 인체 위해

Page 168: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59 -

성 평가 수생태 및 육상 생태 위해성 평가 연구 추진

- EPA는 Presidential Green Chemistry Challenge 프로그램을 통해 화학물질의 위해성평

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오믹스 등의 신기술 평가기법 도입 추진

- 경제산업성은 화학물질 종합평가관리기술맵을 작성하여 화학물질 관련 위해도 감소를

위해 필요한 기술을 정부지원으로 추진하고 2010년까지 위해성평가관리기술, 2020년

까지 위해도저감 기술 개발 목표

○ 우리나라는 유해화학물질 관련 연구가 다수 있으나 개별 매체 또는 개발 사안별로 진

행되어 복합적인 유해인자의 인체 향 등에 대한 연구 필요

- 혈중 중금속 등 생체 모니터링, 어린이 코호트 연구 등이 추진되었으나 고위험집단 확

인, 원인 규명,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한 기술은 부족

□ 유해화학물질 관련 협약의 경우 환경보건 측면의 문제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

○ 유해화학물질이 물질 자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제품 등의 원료로 사용 시, 국제적

으로 규제대상이 될 경우에는 국내 산업에 큰 향이 예상되며, 이러한 국제규제에

국내에서도 빠른 대응이 필요

○ 제조, 수입, 사용, 폐기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종류 및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수용체 향은 국제적인 관심사이자 해결이 시급한 문제이며, 정

책적인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 필요

○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관리가 필요한 물질에 대해 별도의 목록을 통한 관리는 현재까

지는 미흡한 상황

- 목적에 따른 목록화 등을 통한 화학물질의 적절한 관리는 사용 화학물질 종류 및 이의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재 시점에서 매우 중요

- 국가 화학물질 관리 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궁극적으로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인체건강

보고 및 생태계 건전성 유지에 필요할 것임

□ 화학물질에 대한 산업체 책임 부여를 강화하는 추세로 추진되고 있어 화학물질 위해성 정

보 기반 구축 필요

○ EPA의 유해물질관리법을 근거로 화학물질이 유통되기 전 유해성을 심사하여 화학물질

로 인한 피해 사전예방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2005년 이후 어린이 보호, 산업체 책임

부여 등을 강화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는 2020년까지 모든 물질에 대한 안전기준 결정 및 산업체

에 안전성 입증 책임을 부여하는 kid-safe chemicals Act 발의 시도

□ 유해화학물질 중 소비자제품, 포장, 전기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중금속 및 화학물질, 환경호

르몬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 등의 민감계층의 활동공간의 화학물

질 노출 보호를 위한 기술 추진

Page 169: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60 -

○ 미국은 ‘어린이 Biomonitoring 연구’ 결과 화학물질의 악 향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EPA에서 어린이 활동공간에서 노출될 수 있는 화학물질의 심사 강화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에서는 어린이용 장신구, 도장이 된 목재, 장난감 등의 유

해화학물질 함유 제품에 대해 집중 규제

추진 방향 유해인자 수용체 기술개발단계

화학물질 사전예방 관리소비자제품 내

화학물질어린이 보호

강화위해성평가,

모니터링 강화

유해중금속사전 예방

관리수은, 납, 카드뮴

등인체, 생태계

위해성 평가, 환경 거동 예측, 위해

저감

POPs, EDCs 사전예방 관리환경호르몬

POPs인체, 생태계

신규 물질 등의 위해성 평가,

모니터링 강화

[표 4-4] 유해화학물질 위해관리 기술 개발 추진 방향

Page 170: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61 -

4.3 환경보건기술개발의 향후 기대효과

4.3.1 과학기술적 측면

□ 환경유해요인으로부터 국민 건강과 생태계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의 과

학적 기반 확보

○ 국민건강과 생태계에 직접적 향을 주는 환경유해요인의 독성 메커니즘 규명과 위해

성 예측 및 저감 기술 확보

- 환경성질환의 조기 진단 marker 개발 및 예방․치료 지침 개발

- 노출에 따른 인체의 바이오마커 개발 및 실시간 현장평가기술개발을 통해 얻은 데이

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서 환경유해요인의 독성 메카니즘 및 위해성 예측

- 여러 가지 환경유해물질에 대한 생리활성 측면에서의 독성분석과 유해요인의 급성독성

혹은 장기 독성효과 판단

- 유전체 기반 스크리닝 방법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유해환경요인에 대한 검사방법을

제공

○ 통합적 환경보건 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와 기반 제공

- 환경유해요인에 의한 도시 호흡기 질환의 고위험군의 임상, 역학 DB 구축

- 도시 환경성 오염물질의 조기 경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통합적 도시 호흡기 질환의 관

리체제 수립

- 국가 독성예측 프로그램의 첨단화 및 생명과학 연구기반 조성

- 유해환경요인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환경보건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보건 분야에서의 질병 메커니즘과 치료법 및 신약 개

발 등에 간접적인 기여

- 유전자를 이용한 생태계 주요 생물 건강 진단법 개발로 인체 및 생태계의 건강을 파악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제공

□ 환경보건 분야에서의 독자적 원천기술과 데이터베이스 확보를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제고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과 리더십 확보

○ 국제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는 환경유해요인의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으로 실내건강 환경조성의 국제적 가이드라인 제시 및 유해미생물

등의 위해를 최소화한 건강한 실내환경을 갖춘 보건 선진국 진입

○ 분자면역학적 연구를 통한 신기술, 환경독성을 예측할 수 있는 독자적 생체지표 개발

및 표준화 등을 통해 다양한 국제 협력 참여 기회 확대

○ 국가 통합 독성 유전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표준화되고 검증

된 자료를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국내 연구결과를 국제사회에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Page 171: 환경보건 기술동향보고서 - webbook.me.go.krwebbook.me.go.kr/DLi-File/095/003/008/5560144.pdf · 1) 사업활동 기타 사람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오염,

- 162 -

국제 협력 사업을 촉진

○ OECD, 미국 EPA 등과 환경유해요인 독성데이터의 공유를 통한 국제협력연구 추진 및

다양한 플랫폼와 종간 비교를 통한 생체지표 연구의 표준화 추진 가능

□ 수용체 중심의 기반기술 개발사업 추진을 통한 관련분야 연구 활성화 및 주요현안에 대한

집중투자를 통한 가시적 성과 창출이 가능

○ 기존 R&D 성과와의 적극적 연계/활용을 통한 시너지 창출하고 환경보건 기술에 있어

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에 기여

※ 환경보건 분야 기술의 경우 2008년도 현재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는 8.6년으로,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6.8년)보다 기술격차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남

4.3.2 정책적 측면

□ 기존 및 신규화학물질 관리에 있어서 화학물질 대상 유해성 정보 및 위해도관리 측면의

선진화 추진을 위한 제반 기술 제공을 통해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보호 및 생태계 건

전성 유지 도모

○ 국민건강 보호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진을 위해 향, 질병 등 환경보건정보 통합 감

시/예측/관리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제도적․행정적 기반 마련이 가능

- 유해미생물에 대한 조기 관리 및 대응 방안 및 효율적이고 즉각적인 비산석면 측정기

술을 통한 관리방안 대책 등 정책 지원 기술 확보

○ 배출 오염물질 처리, 오염물질 발생 억제 등 ‘오염부하 관리’에서 환경오염 등 환경유해

인자 노출에 따른 ‘인체·생태계 향 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환경보건정책의

효율화 가능

○ 국가계획에 기초한 체계적인 정책지원 기술개발로 환경보건 및 국민 삶의 질 향상 등

을 도모

□ 환경유해인자 위해도 저감기술 확산, 관련분야 전문가 양성 및 활동을 통해 국내 환경 산

업 생산 효과 증대 및 경쟁력 제고

○ 실내환경유해인자관리 측면에서는 유해미생물에 대한 대응 방안, 한국인의 실정에 맞는

소음체감지표 및 소음정책 관리 방안, 전자계에 대한 간접적‧비질환적 요소들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 등 마련으로 효용성 높은 정책 운용 가능

○ 환경성 질환 예방 측면에서는 사전 예방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활발히 공유하여 시민

사회 및 전문가집단 내의 실내외 환경질 및 생활패턴의 중요성 환기 및 홍보로 정책

추진 효과 극대화

○ 화학물질 관리 측면에서는 어린이 등 민감계층 건강보호를 위한 기반기술로서 활용하

여 어린이 환경건강보호 종합대책 등에 활용 가능하며, POPs, 유해중금속 등의 위해관

리 정책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