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21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004. 4 연구기관 : 수원대학교, 축산연구소 환 경 부

Upload: others

Post on 31-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2004. 4

연구기관 : 수원대학교, 축산연구소

환 경 부

Page 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제 출 문

환경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

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 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4년 4월

수원대학교

Page 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참여 연구진

과제명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

방안 연구연구기관 : 수원대학교

책임연구원 : 장영기 (수원대 환경공학과)

연구원 : 정봉진 (수원대 환경공학과)

연구보조원 : 최상진 (수원대 환경공학과)

: 김 관 (수원대 환경공학과)

: 송기봉 (수원대 환경공학과)

: 조정식 (수원대 환경공학과)

: 김성훈 (수원대 환경공학과)

: 이준일 (수원대 환경공학과)

과제명 : 돈사에서 악취발생 특성과 실태 조사

연구기관 : 축산연구소, 수원대학교 환경청정기술센터 공동연구

과제책임자 : 유용희 (축산연구소)

공동연구자 : 정종원 (축산연구소)

: 김태일 (축산연구소)

: 곽정훈 (축산연구소)

: 최희철 (축산연구소)

: 김형호 (축산연구소)

: 양창범 (축산연구소)

: 송준익 (축산연구소)

: 장영기 (수원대 환경공학과)

: 정봉진 (수원대 환경공학과)

: 김 관 (수원대 환경공학과)

: 송기봉 (수원대 환경공학과)

: 김호정 (수원대 환경공학과)

: 이하영 (수원대 환경청정기술센터)

: 박영근 (농림부)

: 홍정우 (용인축협)

Page 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본 연구보고서는 환경부의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 및

수원대학교와 농촌 진흥청 축산연구소의 「돈사에서

악취 발생특성과 실태조사」 공동 연구의 결과임을 밝

혀둔다. 그리고 본 연구를 수행토록 물심양면으로 도와

주신 이천시 농업기술센터, 안성시 농업기술센터, 대한

양돈협회, 대한양계협회 등에 감사드립니다.

Page 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i -

<제목차례>

Ⅰ. 서 론 ·····································································································································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가. 연구배경 ····························································································································· 1

나. 연구목적 ····························································································································· 1

2. 연구 범위 ······························································································································· 2

가. 설문조사 범위 ··················································································································· 3

나. 악취물질 실측대상 ··········································································································· 3

다. 측정대상 물질 ··················································································································· 4

Ⅱ. 축산시설 현항 ····················································································································· 5

1. 한육우, 젖소 시설 현황 ······································································································ 5

2. 산란계, 육계 시설 현황 ······································································································ 8

3. 양돈 시설 현황 ··················································································································· 11

4. 악취 측정 대상시설 현황 ································································································· 14

가. 한육우 ······························································································································· 14

나. 젖소 ··································································································································· 17

다. 산란계 ······························································································································· 20

라. 육계 ··································································································································· 23

마. 돼지 ··································································································································· 26

바. 공동퇴비장 ······················································································································· 32

Ⅲ. 설문조사 결과 분석 ········································································································· 37

1. 한육우, 젖소 설문결과 ······································································································ 37

가. 한육우 설문 조사결과 분석 ························································································· 37

Page 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ii -

나. 젖소 설문 조사결과 분석 ····························································································· 43

2. 산란계, 육계 설문결과 ······································································································ 49

가. 산란계 설문 조사결과 분석 ························································································· 49

나. 육계 설문 조사결과 분석 ····························································································· 55

3. 양돈시설 설문결과 ············································································································· 62

가. 양돈시설 설문 조사결과 분석 ····················································································· 62

4. 축종별 설문조사 비교 ······································································································· 77

Ⅳ. 축산시설 악취농도 측정 ································································································· 85

1. 측정물질과 측정법 ············································································································· 85

가. 측정물질 ··························································································································· 85

나. 악취 측정법 ····················································································································· 86

2. 한육우, 젖소 시설 악취 측정결과 ·················································································· 93

가. 농가선정 및 현황 ··········································································································· 93

나. 한육우, 젖소 측정결과 ·································································································· 94

3. 산란계, 육계 시설 악취 측정결과 ·················································································· 99

가. 농가선정 및 현황 ··········································································································· 99

나. 산란계, 육계 측정결과 ································································································ 100

4. 양돈 시설 악취 측정결과 ······························································································· 105

가. 농가선정 및 현황 ········································································································· 105

나. 돈사 측정결과 ··············································································································· 106

5. 퇴비처리장 악취 측정결과 ····························································································· 114

가. 퇴비처리장 현황 ··········································································································· 114

나. 퇴비처리장 측정결과 ··································································································· 114

Page 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iii -

6. 축종별 부지경계의 악취농도 ························································································· 117

7. 축종별 악취농도의 비교 ································································································· 120

가. 축종별 악취물질 농도 비교 ······················································································· 120

나. 축종별 악취 물질별 냄새세기 분석 ········································································· 126

다. 축종별 냄새세기 비교 분석 ······················································································· 142

Ⅴ. 축산시설 악취저감 방안 ······························································································· 147

1. 축산시설 악취제어 기술 ································································································· 147

가. 방지시설 설치 ··············································································································· 148

나. 사육시설 분뇨 처리/관리 ···························································································· 156

다. 사육 기법에 의한 악취저감 ······················································································· 162

라. 깔짚 관리 ······················································································································· 162

마. 액비 살포시 악취저감 ································································································· 165

바. 악취물질 처리기술별 장단점 및 비용분석 ····························································· 167

2. 축산악취 배출량 추정 ····································································································· 170

가. 국내 가축 사육규모 및 분뇨 배설량 ······································································· 170

나. 악취 배출계수 ··············································································································· 171

다. 악취 배출량 추정 ········································································································· 176

라. 공동 축분퇴비시설과 악취저감 ················································································· 177

3. 축산 악취의 주변 영향 ··································································································· 179

4. 축산악취 관리 고려사항 ································································································· 181

가. 규제대상물질 ················································································································· 181

나. 규제농도 ························································································································· 181

다. 축사 입지 규제 ············································································································· 182

라. 이격거리 규제 ··············································································································· 182

마. 악취저감기술 ················································································································· 184

바. 저감효과와 이격거리의 조화 ····················································································· 184

사. 분뇨 공동퇴비처리장 활성화 ····················································································· 184

Page 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iv -

5. 축산악취 관리 방안 ········································································································· 186

가. 농장 운영시 ··················································································································· 186

나. 축사외부 관리 ··············································································································· 187

다. 분뇨 관리 ······················································································································· 187

라. 액비 살포시 ··················································································································· 188

마. 신규 축사 설치시 ········································································································· 188

바. 이격거리 권장 ··············································································································· 189

Ⅵ. 맺음말 ······························································································································· 191

Page 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v -

<표차례>

<표 2-1> 연도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 5

<표 2-2> 지역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2002년) ·························································· 6

<표 2-3> 연도별 닭 사육수수 ······························································································ 8

<표 2-4> 지역별 닭 사육수수 (2002년) ············································································· 9

<표 2-5> 연도별 돼지 사육두수 ························································································ 11

<표 2-6> 지역별 돼지 사육두수 (2002년) ······································································· 12

<표 2-7> 한육우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 17

<표 2-8> 젖소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 19

<표 2-9> 산란계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 23

<표 2-10> 육계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 26

<표 2-11> 돼지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 31

<표 2-12> 축종별 측정대상 퇴비처리장 ········································································ 32

<표 2-13> 퇴비처리장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 34

<표 2-14> 퇴비 성상 시험결과서 ······················································································ 36

<표 4-1> 각 악취물질의 주요발생원 사업장 ·································································· 85

<표 4-2> 축산악취 발생원 및 특징 ·················································································· 86

<표 4-3> 한육우, 젖소 측정대상 사육농가 ····································································· 93

<표 4-4> 한육우, 젖소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 93

<표 4-5> 한육우 축사내 악취물질 농도 ·········································································· 96

<표 4-6> 젖소 축사내 악취물질 농도 ·············································································· 98

<표 4-7> 산란계, 육계 측정대상 사육농가 ····································································· 99

<표 4-8> 산란계, 육계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 99

<표 4-9> 산란계사 내 악취물질 농도 ············································································ 101

<표 4-10> 육계사내 악취물질 농도 ················································································ 104

<표 4-11> 돼지 측정대상 사육농가 ················································································ 105

<표 4-12> 돼지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 105

<표 4-13> 자돈사 악취물질 농도 ···················································································· 107

<표 4-14> 분만돈사 악취물질 농도 ················································································ 108

<표 4-15> 모돈사 악취물질 농도 ···················································································· 110

<표 4-16> 비육돈사 악취물질 농도 ················································································ 112

<표 4-17> 퇴비처리장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 114

Page 1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vi -

<표 4-18> 퇴비처리장내 악취물질 농도 ········································································ 116

<표 4-19> 부지경계 악취물질 농도 ················································································ 119

<표 4-20> 악취 물질별 냄새세기와 물질농도와의 함수 관계식 ······························ 126

<표 4-21> 대기공정시험방법 악취판정도 ······································································ 126

<표 4-22> 한육우 사육시설 냄새세기 ············································································ 127

<표 4-23> 젖소 사육시설 냄새세기 ················································································ 128

<표 4-24> 산란계사 사육시설 냄새세기 ········································································ 130

<표 4-25> 육계사 사육시설 냄새세기 ············································································ 131

<표 4-26> 자돈사 냄새세기 ······························································································ 133

<표 4-27> 분만돈사 냄새세기 ·························································································· 134

<표 4-28> 모돈사 냄새세기 ······························································································ 135

<표 4-29> 비육돈사 냄새세기 ·························································································· 136

<표 4-30> 퇴비처리장 냄새세기 ······················································································ 138

<표 4-31> 부지경계 냄새세기 ·························································································· 139

<표 4-32> 축종별 주요 악취물질 ···················································································· 141

<표 4-33> 악취 물질별 최소감지농도 ············································································ 142

<표 4-34> 측정지점별 평균 악취강도(Odor Unit) ······················································ 143

<표 4-35>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설비 배출농도 및 가동현황 ···································· 144

<표 5-1> 악취 물질별 탈취 방법 ···················································································· 147

<표 5-2> 첨가제(급여형)적용 시 분뇨 중 질소화합물 농도 ····································· 157

<표 5-3> 첨가제(급여형)적용 시 분뇨 중 지방산물질 농도 ····································· 158

<표 5-4> 퇴비화 과정 중 발생될 수 있는 사항에 따른 악취 대책 ························ 161

<표 5-5> 액비살포 방법별 악취농도 ·············································································· 166

<표 5-6> 악취물질 처리기술별 장단점 및 비용 ·························································· 168

<표 5-7> 가축 종류별 일일 분뇨 배설량 ······································································ 170

<표 5-8> 2002년 전국 가축 종류별 분뇨 배설량 추정결과 ······································ 170

<표 5-9> 육우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 171

<표 5-10> 젖소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 172

<표 5-11> 산란계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 173

<표 5-12> 육계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 174

<표 5-13> 돼지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 175

<표 5-14> 가축종류별 암모니아 배출계수 ···································································· 176

<표 5-15> 2002년 가축 종류별 암모니아 배출량 추정 결과 ···································· 176

Page 1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vii -

<표 5-16> 축분비료공장(70톤/일)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배출량 ························· 177

<표 5-17> 돈사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 모델 입력 자료 ·········································· 178

<표 5-18> 국내 악취배출허용 기준 ················································································ 181

<표 5-19> 가축사육농가에 적용되는 이격거리(미국 Missouri주의 경우) ············· 182

<표 5-20> 국내 축종별 축사의 권장 이격거리 ·························································· 184

Page 1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viii -

<그림차례>

<그림 2-1> 연도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변화(전국) ·················································· 5

<그림 2-2> 연도별 가구당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변화 ··············································· 6

<그림 2-3> 지역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2002) ·························································· 7

<그림 2-4> 사육규모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2002) ·················································· 7

<그림 2-5> 연도별 닭 사육수수 변화(전국) ····································································· 8

<그림 2-6> 연도별 닭 사육농가당 사육수수 변화 ·························································· 9

<그림 2-7> 지역별 닭 사육수수 (2002) ··········································································· 10

<그림 2-8> 사육규모별 닭 사육수수 (2002) ··································································· 10

<그림 2-9> 연도별 돼지 사육두수 변화(전국) ······························································· 11

<그림 2-10> 연도별 돼지 사육농가당 사육두수 변화 ·················································· 12

<그림 2-11> 지역별 돼지 사육두수 (2002) ····································································· 13

<그림 2-12> 사육규모별 돼지 사육두수 (2002) ····························································· 13

<그림 2-13> 한육우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1 ·································································· 14

<그림 2-14> 한육우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2 ·································································· 15

<그림 2-15> 한육우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15

<그림 2-16> 한육우 소규모 사육농가 시설 ···································································· 16

<그림 2-17> 젖소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 ········································································ 17

<그림 2-18> 젖소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1 ······································································ 18

<그림 2-19> 젖소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2 ······································································ 18

<그림 2-20> 젖소 소규모 사육농가 시설 ········································································ 19

<그림 2-21> 산란계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20

<그림 2-22> 산란계 중규모 사육시설 분뇨처리방식(스크레파) ································· 21

<그림 2-23> 산란계 중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 21

<그림 2-24> 산란계 소규모 사육농가 시설 ···································································· 22

<그림 2-25> 산란계 소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 22

<그림 2-26> 육계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 ········································································ 23

<그림 2-27> 육계 대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 24

<그림 2-28> 육계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24

<그림 2-29> 육계 중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 25

<그림 2-30> 육계 소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 25

<그림 2-31> 돼지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 ········································································ 27

Page 1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ix -

<그림 2-32> 돼지 대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 27

<그림 2-33>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28

<그림 2-34>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29

<그림 2-35>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29

<그림 2-36>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30

<그림 2-37> 돼지 중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 30

<그림 2-38> 퇴비처리장 외부 전경 ·················································································· 33

<그림 2-39> 퇴비처리장 내부 전경 ·················································································· 33

<그림 2-40> 퇴비처리장 악취 방지시설 전경 ································································ 34

<그림 2-41> 축분 퇴비처리 공정도 ·················································································· 35

<그림 4-1> Handy sampler 기기특성 및 작동원리 ······················································ 87

<그림 4-2> Bag용 시료채취장치 ······················································································· 88

<그림 4-3> 황계열 전처리 장비 ························································································ 89

<그림 4-4> 황계열 분석장비(GC/SCD) ··········································································· 89

<그림 4-5>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여지흡수장치 및 펌프 ················ 90

<그림 4-6> 아민계열 전치리 장비 ···················································································· 91

<그림 4-7> 아민계열 분석장비(GC/FID) ········································································· 91

<그림 4-8> 지방산 흡수 튜브 ···························································································· 91

<그림 4-9> 지방산 전처리 장비 ························································································ 92

<그림 4-10> 지방산 분석장비 ···························································································· 92

<그림 4-11> 한육우 사육시설(대규모) 실측장면 ··························································· 94

<그림 4-12> 한육우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 95

<그림 4-13> 한육우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 95

<그림 4-14> 젖소 사육시설(대규모) 실측장면 ······························································· 97

<그림 4-15> 젖소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 97

<그림 4-16> 젖소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 98

<그림 4-17> 산란계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 100

<그림 4-18> 산란계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 101

<그림 4-19> 육계 사육시설(대규모) 실측장면 ····························································· 102

<그림 4-20> 육계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 103

<그림 4-21> 육계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 103

<그림 4-22> 자돈사 실측장면 ·························································································· 106

<그림 4-23> 분만돈사 실측장면 ······················································································ 108

Page 1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x -

<그림 4-24> 모돈사 실측장면 ·························································································· 109

<그림 4-25> 비육 슬러리돈사 실측장면 ········································································ 111

<그림 4-26> 비육 톱밥돈사 실측장면 ············································································ 111

<그림 4-27>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시설 전단 실측장면 ·············································· 114

<그림 4-28>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시설 후단 실측장면 ·············································· 115

<그림 4-29> 퇴비처리장 퇴비저장소 실측장면 ···························································· 115

<그림 4-30> 퇴비처리장 처리시설내 실측장면 ···························································· 116

<그림 4-31> 한육우 부지경계 실측장면 ········································································ 117

<그림 4-32> 산란계 부지경계 실측장면 ········································································ 117

<그림 4-33> 육계 부지경계 실측장면 ············································································ 118

<그림 4-34> 축종 및 시설별 암모니아 평균 농도 ······················································ 120

<그림 4-35> 축종 및 시설별 황화수소 평균 농도 ······················································ 121

<그림 4-36> 축종 및 시설별 메틸머캅탄 평균 농도 ·················································· 121

<그림 4-37> 축종 및 시설별 황화이메틸 평균 농도 ·················································· 122

<그림 4-38> 축종 및 시설별 이황화이메틸 평균 농도 ·············································· 122

<그림 4-39> 축종 및 시설별 메틸아민 평균 농도 ······················································ 123

<그림 4-40> 축종 및 시설별 디메틸아민+트리메틸아민 평균 농도 ························ 123

<그림 4-41> 축종 및 시설별 부틸산 평균 농도 ·························································· 124

<그림 4-42> 축종 및 시설별 발레르산 평균 농도 ······················································ 124

<그림 4-43> 축종 및 시설별 이소발레르산 평균 농도 ·············································· 125

<그림 4-44> 한우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27

<그림 4-45> 젖소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0

<그림 4-46> 산란계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0

<그림 4-47> 육계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2

<그림 4-48> 돼지 자돈사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3

<그림 4-49> 돼지 분만돈사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4

<그림 4-50> 돼지 모돈사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5

<그림 4-51> 돼지 비육돈사 평균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7

<그림 4-52> 퇴비처리장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38

<그림 4-53> 부지경계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 140

<그림 4-54> 축종별 악취강도(Odor Unit) ···································································· 144

<그림 4-55> 돈분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설비 전․후단 악취강도 비교 ·················· 145

<그림 5-1> 고정식 덮개의 종류 ······················································································ 148

Page 1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xi -

<그림 5-2> 덮개처리된 아연융용도금강판 액비저장조 ·············································· 149

<그림 5-3> 유동식 덮개의 종류 ······················································································ 149

<그림 5-4> 축산분뇨 Lagoon 처리시설의 유동성 덮개 처리 ··································· 150

<그림 5-5> 분뇨저장소의 덮개처리 시 악취감소 효과(캐나다) ······························· 150

<그림 5-6> 생물여과장치 악취처리 방식 ······································································ 151

<그림 5-7> 생물여과장치 여과재 설치 예 (미국) ······················································· 151

<그림 5-8> 생물여과장치 설치 예 ·················································································· 152

<그림 5-9> 오존발생 기작 ································································································ 153

<그림 5-10> 오존발생기 예 ······························································································ 154

<그림 5-11> 오존발생기 설치 예(미국 Missouri주) ··················································· 154

<그림 5-12> 돈사 액상촉매 처리장치 ············································································ 155

<그림 5-13> 광촉매 처리 Pilot장치 ················································································ 155

<그림 5-14> 환기구 높이에 따른 악취빈도 특성(캐나다) ········································· 156

<그림 5-15> 통풍식 톱밥발효시설의 공정도(한우, 젖소, 돼지) ······························· 159

<그림 5-16> 교반식 톱밥발효시설의 공정도(젖소, 한우, 돼지) ······························· 159

<그림 5-17> 관행 액비살포 ······························································································ 165

<그림 5-18> 지표 액비살포 ······························································································ 165

<그림 5-19> 지중 액비살포 ······························································································ 166

<그림 5-20> 액비살포 시간 및 기상조건에 따른 민원발생과의 관계 (캐나다) ··· 167

<그림 5-21> 가축 종류별 암모니아 배출기여도 (2002) ············································· 177

<그림 5-22> 돈사에서 배출되는 H2S의 악취영향 ······················································ 180

Page 1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 -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배경

악취는 감각적이고 주관적이 오염물질로 상황에 따라 또는 개인의 성향에 따라 문

제의 심각성 여부 또는 정도가 판단되기 때문에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물질이다.

그러나 이러한 악취로 인한 민원은 발생건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쾌적한

대기질을 원하는 요구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악

취문제를 해결해야만 된다. 특히 대규모 축사, 농촌지역 등에 설치된 소규모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민원이 계속되고 있으나,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축산에서 발생되는 악취관리대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사, 돈사, 양계사 등 축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배출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이 분야에 대한 악취 저감방안을 도출하고 축사악취 관리지침을 마련/보급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축사악취 관리지침의 주요 활용분야는 다음과 같다.

∙ 축산 악취 배출시설의 실태 파악 및 정책자료 제시

∙ 축산 시설의 축종별 시설규모별 악취물질의 종류 및 배출농도 파악

∙ 축산악취 영향범위의 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초자료 제공

∙ 악취저감 기술의 평가 정책자료 제공 기초자료

나. 연구목적

최근 축산시설에서의 악취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서는 아직까지 가축종별 및 사육시설별, 사육두수별 악취물질 배출특성이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악취물질 배출특성은 국외 가축 특성별 악취물

질 배출특성 및 배출계수의 적용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국내 가축 사육규모별 특

성 또한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실정에 맞는 가축종별 사업장 규모별

악취 물질 배출특성의 파악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가축 축종별 사육현황에 따른 악취물질 배출특성을

Page 1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 -

조사하여 환경 민원 담당자에게는 축산 악취 배출시설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를 축산

농가에게는 악취 저감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여, 장래 악취저감방안 마련에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전국 가축사육농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육현황을 조사, 축종

별 사육규모별 실측을 통하여 배출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악취 물질에 대한 물질별 측정 및 분석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축종별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축종별 악취물질의 농도 측정결과 및 악취세기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축산시설의 악취 저감 기술에 대한 검토와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를 저감하기 위한 관리지침을 정리하였다.

6장에서는 조사 내용을 요약하고, 제안사항을 정리하였다.

2. 연구 범위

본 연구는 환경부의 연구과제 「한육우, 젖소, 양계사에서 배출되는 악취 특성조

사」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본 보고서에는 축산연구소와 수원대 환경청정기술센

타가 공동연구 과제로 수행한 「돈사에서 배출되는 악취 특성조사」의 조사 결과를

함께 정리하였다. 연구 범위의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축산연구소(공동연구 : 수원대 환경청정기술센터)

돈사 규모별 악취특성 조사

(모돈, 분만돈, 자돈, 비육돈사)

돈사 시설현황 조사

(설문조사 실시)

축사별 악취방지시설 현황파악

악취저감 및 관리방안 작성

환경부(연구과제)

한우•젖소 악취특성 조사

산란계 •육계 악취특성 조사

공동퇴비장 악취특성 조사

우사, 양계사 시설현황 조사

(설문조사 실시)

축사별 악취방지시설 현황파악

악취저감 및 관리방안 작성

축산연구소(공동연구 : 수원대 환경청정기술센터)

돈사 규모별 악취특성 조사

(모돈, 분만돈, 자돈, 비육돈사)

돈사 시설현황 조사

(설문조사 실시)

축사별 악취방지시설 현황파악

악취저감 및 관리방안 작성

환경부(연구과제)

한우•젖소 악취특성 조사

산란계 •육계 악취특성 조사

공동퇴비장 악취특성 조사

우사, 양계사 시설현황 조사

(설문조사 실시)

축사별 악취방지시설 현황파악

악취저감 및 관리방안 작성

Page 1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 -

가. 설문조사 범위

설문조사는 전국 지역별 단위 축종 조합에 방문설문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가축

종을 고려하여 약 600여 개의 설문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의 질의 내용은 다

음과 같다.

◦ 사육 규모별 조사 (사육 마리 / 농장부지 조사)

◦ 사육 시설별 조사

◦ 가축 분뇨 처리 방식 조사

◦ 환기 및 저감 시설별 현황 조사

◦ 악취 발생 시 기상상황

나. 악취물질 실측대상

실측대상 농가의 선정은 각 축종별 대, 중, 소규모 사육농가를 선정하여 대상 축종

별 각 3개의 축산농가에서 악취농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육시설 중앙지

점에서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대상농가 사육시설에서 20 m 이격 된 장소를 부지경

계로 지정하여 각각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대상농가의 특성에 따라 부

지경계 지정이 어려울 경우 사육시설을 추가하여 측정하거나, 환기구 전단에서의

측정으로 대치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퇴비처리장의 경우 방지시설 전․후단의 농도를 측정하여 방지시설의 처리효율 및 배출농도를 산정 하였다. 또한 각

규모별 대상농가 선정은 현장 방문을 통해 주변 배경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가

를 선정하여 각각 1회 실측하였고, 퇴비처리장은 처리 분뇨의 성상에 따라 돈분처

리장과 계분처리장을 각각 선정하여 실측하였다.

환경부 과제축산연구소․수원대학교

환경청정기술연구센터 과제

측정지점 시료수 측정지점 시료수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4

4

4

4

5

9

자돈사

분만돈사

모돈사

비육돈사

부지경계

4

4

4

5

3

총 시료수 30 총 시료수 20

Page 1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 -

다. 측정대상 물질

축산 악취물질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H2S, (CH3)SH, (CH3)2S, (CH3)2S2인 S계열

4가지 물질과 NH3, CH3N, (CH3)2N, (CH3)3N인 N계열 4가지 물질, 지방산인 부틸

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3가지 물질로 총 11개 물질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시설현황 조사로 온도, 습도, 풍속, 먼지를 추가하여 측정하였다.

Page 2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 -

Ⅱ. 축산시설 현항

현재 국내 가축사육두수는 크게 한육우, 젖소, 닭, 돼지 등의 가축종류별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축종별 연도별 가축사육두수 및 지역별 가축사육두수는 국

민소득 증가 및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축종별 사육현황의 변

화는 다음과 같다.

1. 한육우, 젖소 시설 현황

한육우 및 젖소의 사육두수는 <표 2-1> , <그림 2-1>과 같으며, 한육우 및 젖소의

사육두수는 점차 감소 또는 일정하게 유지하는 추세인 것을 알 수 있다.

<표 2-1> 연도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단위 : 천마리)

축종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한육우 1,283 1,526 1,940 2,318 2,553 2,370 1,923 1,559 1,536 1,622 1,773

젖소 194 228 275 334 390 437 463 480 515 504 496

축종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한육우 2,019 2,260 2,393 2,594 2,844 2,735 2,383 1,952 1,590 1,406 1,440

젖소 508 553 552 553 551 544 539 535 544 548 544

자료) 농림부 가축사육통계

<그림 2-1> 연도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변화(전국)

-

50

100

150

200

250

300

1981 1984 1987 1990 1993 1996 1999 2002

연도

사육

두수

(만마

리)

한육우

젖소

Page 2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 -

그러나 <그림 2-2>에서와 같이 최근 사육시설의 대규모화로 인하여 사육가구당 사

육두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림 2-2> 연도별 가구당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변화

한육우

0

1

2

3

4

5

6

7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연도

가구

당 사

육두

수(마

리)

젖소

0

5

10

15

20

25

30

35

40

45

1981

1983

1985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연도

가구

당 사

육두

수(마

리)

또한 <표 2-2>, <그림 2-3>에서와 같이 대부분의 사육농가가 경기도 및 충청남․북도에 위치하고 있다.

<표 2-2> 지역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2002년)

(단위 : 마리)

축종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한육우 342 1,186 15,423 12,883 3,068 2,808 19,531 130,732

젖소 194 1,176 5,324 5,819 1,134 306 1,899 195,248

축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한육우 103,316 100,877 193,503 129,413 203,415 299,236 178,711 15,784

젖소 24,593 30,343 88408 42,959 42,604 55,923 41,820 5,837

자료) 농림부 가축사육통계(2002)

Page 2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 -

<그림 2-3> 지역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2002)

0

10

20

30

4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역별

사육

두수

(만마

리)

한육우 젖소

이러한 국내 한육우 및 젖소의 사육농가 특성에 따라 사육규모별 사육두수는 <그림

2-4>와 같이 한육우 및 젖소의 경우 가구당 50 ~ 99 마리 사이의 사육두수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4> 사육규모별 한육우, 젖소 사육두수 (2002)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9

10~

14

15~

19

20~

29

30~

49

50~

99

100~

199

200~

299

300~

399

400~

499

500마

리이

소 중 대

사육규모

사육

두수

(만마

리)

한육우 젖소

Page 2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 -

2. 산란계, 육계 시설 현황

산란계 및 육계의 사육수수는 <표 2-3> , <그림 2-5>과 같으며, 산란계 및 육계의

사육수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인 것을 알 수 있다.

<표 2-3> 연도별 닭 사육수수

(단위 : 십만수)

축종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닭 430 466 492 465 511 561 593 585 617 745 749

축종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닭 733 729 806 858 828 883 858 946 1,025 1,024 1,017

자료) 농림부 가축사육통계

<그림 2-5> 연도별 닭 사육수수 변화(전국)

0

20

40

60

80

100

120

1981 1984 1987 1990 1993 1996 1999 2002

연도

사육

두수

(백만

마리

)

그리고 <그림 2-6>에서와 같이 최근 사육시설의 대규모화로 인하여 사육가구당 사

육수수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age 2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 -

<그림 2-6> 연도별 닭 사육농가당 사육수수 변화

0

100

200

300

400

500

600

1981 1984 1987 1990 1993 1996 1999

연도

가구

당 사

육두

수(마

리)

산란계 및 육계도 역시 한육우, 젖소와 마찬가지로 <표 2-4>, <그림 2-7>에서와 같

이 대부분의 사육농가가 경기도 및 충청남․북도에 위치하고 있다.

<표 2-4> 지역별 닭 사육수수 (2002년)

(단위 : 마리)

축종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닭 694 77,063 310,754 648,411 252,469 157,729 524,927 26,424,912

축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닭 3,959,157 6,422,732 16,803,285 12,381,943 11,148,929 15,189,504 5,896,204 1,494,190

자료) 농림부 가축사육통계(2002)

Page 2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 -

<그림 2-7> 지역별 닭 사육수수 (2002)

0

5

10

15

20

25

3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역별

사육

두수

(백만

마리

)

이러한 국내 닭의 사육농가 특성에 따라 사육규모별 사육수수는 <그림 2-8>과 같

이 닭의 경우 가구당 3만 ~ 4만9천여 마리 사이의 사육수수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8> 사육규모별 닭 사육수수 (2002)

0

10

20

30

40

1~

19마

20~

49

50~

99

100~

499

500~

999

1000~

1499

1500~

1999

2000~

2999

3000~

4999

5000~

9999

10000~

19999

20000~

29999

30000~

39999

40000~

49999

50000~

99999

100000~

199999

200000마

리 이

소 중 대

사육규모

사육

두수

(백만

마리

)

Page 2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 -

3. 양돈 시설 현황

돼지의 사육두수는 <표 2-5> , <그림 2-9>와 같으며, 돼지의 사육두수 또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인 것을 알 수 있다.

<표 2-5> 연도별 돼지 사육두수

(단위 : 천마리)

축종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돼지 1,832 2,183 3,649 2,958 2,853 3,347 4,281 4,852 4,801 4,528 5,046

축종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돼지 5,463 5,928 5,955 6,461 6,516 7,096 7,544 7,864 8,214 8,720 8,974

자료) 농림부 가축사육통계

<그림 2-9> 연도별 돼지 사육두수 변화(전국)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981 1984 1987 1990 1993 1996 1999 2002

연도

사육

두수

(천마

리)

돼지

그리고 <그림 2-10>에서와 같이 최근 사육시설의 대규모화로 인하여 사육가구당 사

육두수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age 2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 -

<그림 2-10> 연도별 돼지 사육농가당 사육두수 변화

0

100

200

300

400

1981 1984 1987 1990 1993 1996 1999

연도

가구

당 사

육두

수(마

리)

돼지 사육농가 역시 다른 축종과 마찬가지로 <표 2-6>, <그림 2-11>에서와 같이 대

부분의 사육농가가 경기도 및 충청남․북도에 위치하고 있다.

<표 2-6> 지역별 돼지 사육두수 (2002년)

(단위 : 마리)

축종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돼지 2,762 21,265 34,082 103,656 6,584 3,702 35,430 1,927,658

축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돼지 407,582 493,011 1,539,323 1,017,336 836,064 1,080,5661,090,92

7374,455

자료) 농림부 가축사육통계(2002)

Page 2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 -

<그림 2-11> 지역별 돼지 사육두수 (2002)

0

50

100

150

200

25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역별

사육

두수

(만마

리)

돼지

이러한 국내 돼지의 사육농가 특성에 따라 사육규모별 사육두수는 <그림 2-12>과

같이 돼지의 경우 가구당 1천 ~ 4천9백여 마리 사이의 사육두수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12> 사육규모별 돼지 사육두수 (2002)

0

100

200

300

400

1~

4

5~

9

10~

19

20~

29

30~

49

50~

99

100~

299

300~

499

500~

999

1000~

4999

5000~

9999

10000마

이상

소 중 대사육규모

사육

두수

(만마

리)

돼지

Page 2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 -

4. 악취 측정 대상시설 현황

본 연구에서 측정 대상 농가의 시설현황은 축종별로 다음과 같다.

가. 한육우

한육우 사육농가 중 대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136두 (한육우 : 124두, 젖소비육 : 12두)

- 축사 규모 : 약 1,200평 (축사 내부면적 : 2개 동으로 분리)

- 축사 형태 : 개방형 톱밥우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유지, 깔짚 처리, 미

생물제 급여

<그림 2-13> 한육우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1

Page 3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 -

<그림 2-14> 한육우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2

측정대상 한육우 중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84두

- 축사 규모 : 약 340평 (축사 내부면적)

- 축사 형태 : 개방형 톱밥우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 깔짚 처리, 미생물제 급여

<그림 2-15> 한육우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Page 3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 -

측정대상 한육우 소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30두

- 축사 규모 : 약 50평 (축사 내부면적)

- 축사 형태 : 개방형 톱밥우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 깔짚 처리

<그림 2-16> 한육우 소규모 사육농가 시설

측정대상인 한육우 사육농가는 전부 개방형 톱밥우사 였으며, 대․중규모 사육농

가에서는 환기팬을 설치하여 축사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있었다. 또한 한육우 사

육농가의 경우 축사와 부지경계를 구분하기 모호한 경우가 많았으며, 따라서 대규

모 사육농가의 축사내부 한 지점을 부지경계 한 지점과 대체하여 측정하였으며 소

규모 사육농가의 경우 부지경계를 선정하기 어려워 제외하였다. 이러한 측정농가별

세부 시설현황은 <표 2-7>과 같다.

Page 3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 -

<표 2-7> 한육우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축 종 세부지점 지점명측정

일자

분뇨처리

방식환기형태 *사육두수

*시설크기(m)

가로 세로

한육우

축사내 C-L-1 9 / 2 톱밥우사 개방형 73 23.8 63.0

축사내 C-L-2 9 / 2 톱밥우사 개방형 63 12.8 71.2

축사내 C-M 8 / 18 톱밥우사 개방형 84 9.0 32.0

축사내 C-S 8 / 18 톱밥우사 개방형 30 21.0 18.0

*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 사육농가내 1개 사육동내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나. 젖소

젖소 사육농가 중 대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107두

- 축사 규모 : 약 250평 (축사 내부면적 : 2개동으로 분리)

- 축사 형태 : 개방형 톱밥우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유지, 깔짚 처리

<그림 2-17> 젖소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

Page 3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 -

측정대상 젖소 중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81두

- 축사 규모 : 약 370평 (축사 내부면적)

- 축사 형태 : 개방형 톱밥우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유지, 깔짚 처리

<그림 2-18> 젖소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1

<그림 2-19> 젖소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2

Page 3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 -

측정대상 젖소 소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19두

- 축사 규모 : 약 120평 (축사 내부면적)

- 축사 형태 : 개방형 톱밥우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깔짚 처리

<그림 2-20> 젖소 소규모 사육농가 시설

측정대상인 젖소 사육농가 역시 한육우 사육농가와 같이 전부 개방형 톱밥우사 였

으며, 대․중규모 사육농가에서는 환기팬을 설치하여 축사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있었다. 이러한 측정농가별 세부 시설현황은 <표 2-8>과 같다.

<표 2-8> 젖소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축 종 세부지점 지점명측정

일자

분뇨처리

방식환기형태 *사육두수

*시설크기(m)

가로 세로

젖소

축사내 D-L 8 / 19 톱밥우사 개방형 107 73.0 8.0

축사내 D-M-1 8 / 19 톱밥우사 개방형 46 9.8 50.0

축사내 D-M-2 8 / 19 톱밥우사 개방형 35 20.0 36.0

축사내 D-S 8 / 19 톱밥우사 개방형 19 31.0 13.0

*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 사육농가내 1개 사육동내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Page 3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0 -

다. 산란계

산란계 사육농가 중 대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수수 : 350,000수

- 축사 규모 : 1개동 당 70,000수 사육, 약 330평(총 5개동, 2층 구조)

- 축사 형태 : 밀폐형 축사, 스크레파 분뇨처리형태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유지 / 환기

측정대상 산란계 중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60,000수

- 축사 규모 : 1개동 당 12,000수 사육, 약 320평(총 5개동)

- 축사 형태 : 개방형 축사, 스크레파 분뇨처리형태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저감방안 없음

<그림 2-21> 산란계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Page 3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1 -

<그림 2-22> 산란계 중규모 사육시설 분뇨처리방식(스크레파)

<그림 2-23> 산란계 중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측정대상 산란계 소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22,500수

- 축사 규모 : 1개동 당 11,000수 사육, 약 320평(총 2개동)

- 축사 형태 : 개방형 축사, 스크레파 분뇨처리형태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 유지 / 환기

Page 3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2 -

<그림 2-24> 산란계 소규모 사육농가 시설

<그림 2-25> 산란계 소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측정대상인 산란계 사육농가는 대규모 사육농가만 밀폐형시설 이였으며, 중규모

및 소규모 사육농가는 개방형시설 이였다. 또한 분뇨처리방식은 전체 사육농가에서

스크레파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환기방식으로는 중규모 사육시설의 경우

자연환기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대규모 및 소규모 사육농가의 경우 환기팬 운

영으로 강제환기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측정농가별 세부 시설현황은 <표

Page 3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3 -

2-9>와 같다.

<표 2-9> 산란계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축 종 세부지점 지점명측정

일자

분뇨처리

방식환기형태 *사육두수

*시설크기(m)

가로 세로

산란계

축사내 L-L 9 / 25 스크레파 밀폐형 70,000 12.0 90.0

축사내 L-M 9 / 19 스크레파 개방형 12,000 12.3 84.0

축사내 L-S 8 / 20 스크레파 개방형 11,200 14.0 75.0

*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 사육농가내 1개 사육동내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라. 육계

육계 사육농가 중 대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수수 : 60,000수

- 축사 규모 : 1개동 당 12,000수 사육, 약 230평(총 5개동)

- 축사 형태 : 밀폐형 축사, 깔짚 처리방식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유지 / 환기

<그림 2-26> 육계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

Page 3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4 -

<그림 2-27> 육계 대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측정대상 육계 중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36,000수

- 축사 규모 : 1개동 당 6,000수 사육, 약 120평(총 6개동)

- 축사 형태 : 밀폐형 축사, 깔짚 처리방식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유지 / 환기

<그림 2-28> 육계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Page 4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5 -

<그림 2-29> 육계 중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측정대상 육계 소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12,000수

- 축사 규모 : 1개동 당 6,000수 사육, 약 100평(총 2개동)

- 축사 형태 : 개방형 축사, 깔짚 처리방식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환기팬 운영으로 축사내부 습도유지 / 환기

<그림 2-30> 육계 소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Page 4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6 -

측정대상인 육계 사육농가의 대규모 및 중규모 사육농가에서는 밀폐형시설을 소규

모 사육농가에서는 개방형 시설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분뇨처리방식은 전체 사육농

가에서 깔짚 처리방식을 적용하고 있었고, 환기방식 또한 전체 사육농가에서 환기

팬 운영으로 강제환기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측정농가별 세부 시설현황

은 <표 2-10>과 같다.

<표 2-10> 육계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축 종 세부지점 지점명측정

일자

분뇨처리

방식환기형태 *사육두수

*시설크기(m)

가로 세로

육계

축사내 B-L 9 / 1 깔집 밀폐형 11,000 12.0 61.0

축사내 B-M 10 / 22 깔집 밀폐형 6,000 9.0 43.0

축사내 B-S 10 / 22 깔집 개방형 6,000 10.0 33.0

*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 사육농가내 1개 사육동내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마. 돼지

돼지 사육농가 중 대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모돈(1,000두), 웅돈(28두), 분만돈(230두), 포유자돈(1,700두),

자돈(3,800두), 육성비육돈 (7,000두)

- 축사 규모 : 1개동 당 비육돈 약 850두 약 240평(총 8개동)

- 축사 형태 : 밀폐형 축사, 슬러리 방식,

2층돈사(1층은 비육돈사, 2층은 분만돈사와 자돈사 및 모돈사)

- 환기 방식 : 1층은 측벽입기 측벽배기방식, 2층은 측벽입기 지붕배기 방식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미생물제 급여 및 강제 환기방식

Page 4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7 -

<그림 2-31> 돼지 대규모 사육농가 시설

<그림 2-32> 돼지 대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측정대상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중규모 1농장

- 총 사육두수 : 모돈(200두), 웅돈(9두), 분만돈(50두), 포유자돈(500두),

자돈(600두), 육성비육돈 (1,500두)

- 축사 규모 : 1개동 당 비육돈 약 233두 약 120평(총 5개동)

Page 4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8 -

- 축사 형태 : 개방형 축사, 슬러리 방식,

- 환기 방식 : 완전개방, 자연환기방식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미생물제 급여 및 환기팬 운영

<그림 2-33>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 중규모 2농장

- 총 사육두수 : 모돈(250두), 웅돈(6두), 분만돈(60두), 포유자돈(210두),

자돈(400두), 육성비육돈 (2,500두)

- 축사 규모 : 1개동 당 비육돈 약 550두 약 160평(총 2개동)

- 축사 형태 : 밀폐형 (분만돈사, 자돈사) 및 개방형(비육돈사, 모돈사) 축사

, 슬러리 방식(비육돈사1 외 축사) 및 톱밥발효 방식(비육돈사2)

- 환기 방식 : 측벽입기 지붕배기(분만돈사, 자돈사) 및

완전개방 자연환기방식(비육돈사, 모돈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미생물제 급여 및 환기팬 운영, 오존발생기(자돈사)

Page 4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29 -

<그림 2-34>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분만돈사, 자돈사, 모돈사)

<그림 2-35>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비육돈사1 슬러리 처리방식)

Page 4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0 -

<그림 2-36> 돼지 중규모 사육농가 시설

(비육돈사2 톱밥처리)

<그림 2-37> 돼지 중규모 사육시설 부지경계 측정

측정대상 돼지 소규모 사육농가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총 사육두수 : 모돈(41두), 웅돈(2두), 분만돈(3두), 포유자돈(30두),

자돈(70두), 육성비육돈 (240두)

- 축사 규모 : 1개동 비육돈 240두 약 120평

- 축사 형태 : 밀폐형 (분만돈사, 자돈사) 및 개방형(비육돈사, 모돈사) 축사

Page 4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1 -

톱밥발효 방식(비육돈사) 및 슬러리 방식(분만돈사 외)

- 환기 방식 : 측벽입기 지붕배기(분만돈사, 자돈사) 및

완전개방 자연환기방식(비육돈사, 모돈사)

- 적용중인 악취저감방안 : 미생물제 급여 및 환기팬 운영

돼지 측정대상 농가의 시설현황 및 세부 측정현황은 <표 2-13>과 같다.

<표 2-11> 돼지 대상농가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지점명 세부시설측정

일자

분뇨처리

방식환기형태 사육두수

축사 크기(m) 축사면적

(㎥)

*두당

사육면적가로 세로

P-L

자돈사 8 / 27 슬러리 밀폐형 172 4 10 40.0 0.23

분만돈사 8 / 27 슬러리 밀폐형 6 4 10 40.0 6.67

모돈사 8 / 27 슬러리 밀폐형 145 32 20 640.0 4.41

비육돈사 8 / 27 슬러리 밀폐형 850 42 20 840.0 0.99

P-M-1

자돈사 9 / 2 슬러리 개방형 315 10 17 170.0 0.54

분만돈사 9 / 2 슬러리 개방형 42 9 43 387.0 9.21

모돈사 9 / 2 슬러리 개방형 100 9 43 387.0 3.87

비육돈사 9 / 2 슬러리 개방형 233 9 43 387.0 1.66

P-M-2

자돈사 8 / 26 슬러리 밀폐형 132 4 10 40.0 0.30

분만돈사 8 / 26 슬러리 밀폐형 8 4 10 40.0 5.00

모돈사 8 / 26 슬러리 개방형 175 45 14 630.0 3.60

비육돈사 8 / 26 톱밥 개방형 550 14 36 504.0 0.92

비육돈사 8 / 26 슬러리 개방형 550 14 36 504.0 0.92

P-S

자돈사 8 / 29 슬러리 밀폐형 62 2.7 9.7 26.2 0.42

분만돈사 8 / 29 슬러리 밀폐형 3 2.4 9.7 23.3 7.76

모돈사 8 / 29 슬러리 개방형 38 7.5 28.5 213.8 5.63

비육돈사 8 / 29 톱밥 개방형 195 10 29 290.0 1.49

*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 사육농가내 1개 사육동내 사육두수 및 시설크기

* 두당 사육면적은 축사면적기준으로 복도면적 포함한 면적임

측정 대상농가의 분뇨처리형태는 사육환경에 따라 자돈사와 분만돈사, 모돈사의

경우 슬러리처리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비육돈사의 경우 슬러리 처리와 톱밥

처리를 농가에 따라 각각 달리 적용하고 있었다. 환기형태는 자돈사와 분만돈사의

경우 밀폐식 환기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모돈사와 비육돈사의 경우 개방식 자

연환기와 밀폐식 강제 환기 방식을 농가에 따라 각각 적용하고 있었다. 세부 돈사

Page 4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2 -

시설당 사육두수는 사육규모의 대, 중, 소구분과 관계없이 사육 마리당 일정한 사육

면적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농가규모에 따라 세부 돈사 시설수에 따라 농가당 사육

수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자돈사의 경우 자돈 마리당 0.23~0.54 ㎡의 사육면

적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사육면적은 자돈 마리당 0.37 ㎡이였다. 분만돈사의

경우 분만돈 마리당 5.00~9.21 ㎡의 사육면적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사육면적

은 분만돈 마리당 7.16 ㎡이였다. 모돈사의 경우 모돈 마리당 3.60~5.63 ㎡의 사육

면적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사육면적은 모돈 마리당 4.64 ㎡이였다. 비육돈사

의 경우 비육돈 마리당 0.92~1.66 ㎡의 사육면적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사육

면적은 비육돈 마리당 1.19 ㎡이였다.

바. 공동퇴비장

축분 공동퇴비처리장 중 돈분 및 계분 퇴비화 각각 선정하여 처리시설내 악취 물

질을 측정하였으며, 돈분 퇴비공장의 경우 악취 방지시설을 설치/가동하고 있어 방

지시설 전․후단을 각각 측정하여 악취물질 저감효율을 산정 하고자 측정을 실시하

였다. 측정 대상 퇴비처리장 현황은 <표 2-12>와 같다

<표 2-12> 축종별 측정대상 퇴비처리장

시 설 측정지점명 대상 분뇨 소재지 1일 처리량

퇴비처리장

M-P 돈분 경기도 용인시 축분퇴비장 70톤

M-L 계분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고정리 50톤

퇴비처리장의 시설현황 및 세부 측정현황은 <표 2-13>과 같이 돈분처리장 방지시

설 전․후단 및 퇴비저장시설, 처리시설 내 및 계분처리장 처리시설 내를 각각 측

정하였다.

퇴비처리장의 내∙외부 전경 및 방지시설 전경을 보면 다음 <그림 2-38>~<그림

2-40>과 같다.

Page 4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3 -

<그림 2-38> 퇴비처리장 외부 전경

<그림 2-39> 퇴비처리장 내부 전경

Page 4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4 -

<그림 2-40> 퇴비처리장 악취 방지시설 전경

<표 2-13> 퇴비처리장 시설현황 및 세부현황

시 설 세부지점 지점명측정

일자

분뇨처리

방식환기형태

시설크기(m)

가로 세로

퇴비

처리장

방지시설 전단 M-P-1 9 / 4 밀폐형

방지시설 후단 M-P-2 9 / 4 밀폐형

퇴비저장시설 M-P-3 9 / 4 개방형

처리시설 내 M-P-4 9 / 4 교반식 밀폐형 107.2 16.06

처리시설 내 M-L 9 / 25 교반식 개방형 75.0 25.0

돈분처리 퇴비장의 경우 처리용량은 1일 70톤/일 규모인 용인 축분비료공장에서

처리공정은 <그림 2-41>와 같으며, 생산된 퇴비의 성상은 <표 2-14>와 같다.

Page 5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5 -

<그림 2-41> 축분 퇴비처리 공정도

축분수거: 암롤(5t)차량을이용하여, 축산농가로부터수거운반

축분, 탱크투입: 이물질제거, 분리하여축분탱크에투입

톱밥, 탱크투입: 양질(소나무)의톱밥(수분조절제역할)을구입, 톱밥탱크에투입

축분, 톱밥혼합: 축분과톱밥을자동혼합후건조로이동(축분60%, 톱밥40%)

축분건조(200~300℃) : 축분의수분감소율(20%)로발효의성숙기간을단축시킴

집진기(물순환식) : 건조로의축분건조시발생되는암모니아가스를최대한처리

호기성발효: 기계식교반기를이용하여1.5M깊이로뒤집어주며산소를공급하여축분을발효처리함

분쇄및이물질제거: 발효장에서발효된비료를선별기계를이용하여분쇄및이물질을제거함

포장(반자동) : 발효(1차, 2차)가끝난비료를포장기로이송하여20kg(50ℓ)단위로반자동포장

판매: 반자동포장된제품및무포장(bulk)으로단위농협, 지역축협및기타판매처에도,소매로공급

축분수거: 암롤(5t)차량을이용하여, 축산농가로부터수거운반

축분, 탱크투입: 이물질제거, 분리하여축분탱크에투입

톱밥, 탱크투입: 양질(소나무)의톱밥(수분조절제역할)을구입, 톱밥탱크에투입

축분, 톱밥혼합: 축분과톱밥을자동혼합후건조로이동(축분60%, 톱밥40%)

축분건조(200~300℃) : 축분의수분감소율(20%)로발효의성숙기간을단축시킴

집진기(물순환식) : 건조로의축분건조시발생되는암모니아가스를최대한처리

호기성발효: 기계식교반기를이용하여1.5M깊이로뒤집어주며산소를공급하여축분을발효처리함

분쇄및이물질제거: 발효장에서발효된비료를선별기계를이용하여분쇄및이물질을제거함

포장(반자동) : 발효(1차, 2차)가끝난비료를포장기로이송하여20kg(50ℓ)단위로반자동포장

판매: 반자동포장된제품및무포장(bulk)으로단위농협, 지역축협및기타판매처에도,소매로공급

Page 5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6 -

<표 2-14> 퇴비 성상 시험결과서

항 목 규격 기준 결 과 비 고

질 소 (%) - 1.29

* 분석방법 :

농촌진흥청고시

비료분석법에 준함

* pH, 전기전도도

1 : 10 희석

인 산 (%) - 2.20

가 리 (%) - 1.17

유기물 (%) 25 이하 53.64

유기물대질소비 50 이하 41.58

비 소 (㎎/㎏) 50 이하 흔적

카드뮴 (㎎/㎏) 5 이하 흔적

수 은 (㎎/㎏) 2 이하 흔적

납 (㎎/㎏) 150 이하 2.54

크 롬 (㎎/㎏) 300 이하 3.52

구 리 (㎎/㎏) 500 이하 191.00

pH - 8.85

전기전도도 (ms) - 3.21

수 분 (%) - 37.25

염 분 (%) 1 이하 0.12

* 자료 : 용인 축분비료공장 자체 시험평가서

Page 5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7 -

Ⅲ. 설문조사 결과 분석

본 설문조사는 축산농가에서 적용하고 있는 사육시설 현황과 작업조건에 따른 악

취특성, 농가에서 적용하고 있는 악취저감대책에 따른 악취특성에 관하여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기간은 2003년 5월 ~ 2004년 1월까지 총 9개월간 실

시하였으며, 조사대상 농가는 개별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1. 한육우, 젖소 설문결과

가. 한육우 설문 조사결과 분석

한육우의 경우 총 92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각 문항별 응답결

과는 다음과 같다.

○ 문항 : 현재 적용중인 사양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18%

비육중심사육22%

젖소비육1%

번식중심사육59%

번식중심 사육 54 58.7

비육중심 사육 20 21.7

젖소 비육 1 1.1

미응답 17 18.5

합계 92 100.0

응답 비율로는 번식중심 사육이 58.7%, 비육중심 사육이 21.7%, 젖소 비육이

1.1%, 미응답이 18.5%로 조사되었으며, 한육우 사육농가의 경우 번식중심 사육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5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8 -

○ 문항 : 우사 형태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15%

무깔짚우사12%

깔짚(톱밥)우사

73%

무깔짚 우사 11 12.0

깔짚(톱밥) 우사 67 72.8

미응답 14 15.2

합계 92 100.0

우사 형태로는 무깔짚 우사가 12.0%, 깔짚(톱밥) 우사가 72.8%, 미응답이 15.2%

로 한육우 사육에서 대다수의 농가가 깔짚(톱밥)우사 형태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

7%

기타

1%

저장액

비이용

1%

톱밥우

80%

인력+간

이정화

11%인력+간이정화조 10 10.9

톱밥우사 74 80.4

저장액비 이용 1 1.1

기타 1 1.1

미응답 6 6.5

합계 92 100.0

우사내 분뇨처리 방식으로는 인력 및 간이정화조 사용이 10.9%, 톱밥우사가

80.4%, 저장액비 이용이 1.1%, 기타 처리방식이 1.1% 미응답이 6.8%로 대다수의

한육우 농가가 톱밥우사로 분뇨를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5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39 -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봄, 가을)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2주마다

20%

3개월1회

21%

년1회4%

미응답10%

6개월1회

15%

2개월1회

10%

1개월1회

20%

2주마다 19 20.7

1개월 1회 18 19.6

2개월 1회 9 9.8

3개월 1회 19 20.7

6개월1회 14 15.2

년1회 4 4.3

미응답 9 9.8

합계 92 100.0

한육우 사육농가에서 봄 가을철에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2주마다 처리가

20.7%, 1개월에 1회가 19.6%, 2개월에 1회가 9.8%, 3개월에 1회가 20.7%, 6개월

에 1회가 15.2%, 년 1회가 4.3%, 미응답이 9.8%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여름)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1개월1회

14%

2개월1회

7%3개월1

11%

6개월1회

5%

미응답42%

2주마다21%

2주마다 19 20.7

1개월 1회 13 14.1

2개월 1회 6 6.5

3개월 1회 10 10.9

6개월 1회 5 5.4

미응답 39 42.4

합계 92 100.0

여름철에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2주마다 처리가 20.7%, 1개월에 1회가 14.1%,

2개월에 1회가 6.5%, 3개월에 1회가 10.9%, 6개월에 1회가 5.4%, 미응답이

42.4%로 조사되었다.

Page 5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0 -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겨울)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2주마다

18%

1개월1회

14%

3개월1회

11%

2개월1회

10%6개월1

4%

미응답43%

2주마다 17 18.5

1개월 1회 13 14.1

2개월 1회 9 9.8

3개월 1회 10 10.9

6개월 1회 4 4.3

미응답 39 42.4

합계 92 100.0

겨울철에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2주마다 처리가 18.5%, 1개월에 1회가 14.1%,

2개월에 1회가 9.8%, 3개월에 1회가 10.9%, 6개월에 1회가 4.32%, 미응답이

42.4%로 조사되었다. 한육우에서 분뇨처리 횟수는 계절별로 큰 특성을 보이지 않

았다.

○ 문항 : 성장단계별 어느 시기에 악취를 가장 많이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송아지

7%미응답

9%

비육성

45%번식성

7%

육성우

32%

송아지 6 6.5

육성우 30 32.6

번식성우 6 6.5

비육성우 42 45.7

미응답 8 8.7

합계 92 100.0

한육우의 경우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송아지가 6.5%, 육성우가 32.6%, 번식성우

가 6.5%, 비육성우가 45.7%, 미응답이 8.7%로 조사되어 비육성우와 육성우에서

악취발생이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5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1 -

○ 문항 : 어느 작업중 악취발생을 가장 많이 느낍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

10%

분뇨제

거중

64%

배합사

료급여

3%

소독중

1%

조사료

급여중

4%

우사청

18%

조사료급여중 4 4.3

배합사료 급여중 3 3.3

분뇨제거중 58 63.0

소독중 1 1.1

우사청소중 17 18.5

미응답 9 9.8

합계 92 100.0

작업별 악취발생은 조사료 급여중이 4.3%, 배합사료 급여중이 3.3%, 분뇨제거중

이 63.0%, 소독중이 1.1%, 우사청소중이 18.5%, 미응답이 9.8%로 조사되었으며,

우사내 분뇨제거 작업에서 악취발생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11%

기타

4%

환기펜

설치

27%

안한다

28%

미생물

제 급여

30%미생물제 급여 27 29.3

환기펜 설치 25 27.2

안한다 26 28.3

기타 4 4.3

미응답 10 10.9

합계 92 100.0

또한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가 29.3%였으며, 환기팬 설치

가 27.2%, 악취방지를 안하는 농가가 28.3%, 기타 방지방법이 4.3%로 조사되었으

며, 한육우 사육농가에서는 악취방지 방법으로 미생물제 급여와 환기펜 설치를 적

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5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2 -

○ 문항 : 농장에서 어느 부분이 악취발생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13% 우사

23%

간이정

화조

15%

저장액

9%

퇴비장

38%

운동장

2%

우사 21 22.8

운동장 2 2.2

간이정화조 14 15.2

퇴비장 35 38.0

저장액비 8 8.7

미응답 12 13.0

합계 92 100.0

한육우 사육농가에서의 악취발생 장소는 우사에서 22.8%, 운동장에서 2.2%, 간이

정화조에서 15.2%, 퇴비장에서 38.0%, 저장액비탱크에서 8.7%, 미응답이 13.0%로

조사되었으며, 농장에서의 악취발생은 퇴비장 및 우사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분뇨처리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판매

1%

위탁처

3%

무상제

14%

미응답

11%

자체사

71%

자체사용 65 70.7

판매 1 1.1

무상제공 13 14.1

위탁처리 3 3.3

미응답 10 10.9

합계 92 100.0

분뇨처리 방법으로는 자체사용이 70.7%, 판매가 1.1%, 무상제공이 14.1%, 위탁처

리가 3.3%, 미응답이 10.9%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한육우 사육농가에서는 분

뇨를 자체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5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3 -

나. 젖소 설문 조사결과 분석

젖소의 경우 총 62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각 문항별 응답결과

는 다음과 같다.

○ 문항 : 현재 적용중인 사양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5%

비육중

심사육

2%

착유우

사육

91%

번식중

심사육

2%번식중심 사육 1 1.6

비육중심 사육 1 1.6

착유우 사육 57 91.9

미응답 3 4.8

합계 62 100.0

젖소 사육농가의 사양방식으로는 번식중심 사육이 1.6%, 비육중심 사육이 1.6%,

착유우 사육이 91.9%, 미응답이 4.8%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젖소 사육농가에

서는 착유우 중심으로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우사 형태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

6%무깔짚

우사

8%

깔짚(톱

밥)우사

83%

후리스

톨우사

3%무깔짚 우사 5 8.1

깔짚(톱밥) 우사 51 82.3

후리스톨 우사 2 3.2

미응답 4 6.5

합계 62 100.0

Page 5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4 -

젖소 사육농가에서의 우사 형태는 무깔짚 우사가 8.1%, 깔짚(톱밥)우사가 82.3%,

후리스톨 우사가 3.2%, 미응답이 6.5%로 조사되었으며, 한육우사와 같이 대부분의

젖소 사육농가에서 깔짚(톱밥) 우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3%

톱밥우

84%

인력+간

이정화

13%인력+간이정화조 8 12.9

톱밥우사 52 83.9

미응답 2 3.2

합계 62 100.0

젖소 사육농가에서의 분뇨처리 방식은 인력 및 간이정화조 사용이 12.9%, 톱밥우

사가 83.9%, 미응답이 3.2%로 조사되었으며, 이 역시 한육우 사육농가와 같이 대

부분의 사육농가에서 톱밥우사로 분뇨를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봄,가을)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3개월1

23%

2개월1

11%

6개월1

26%

1개월1

13%

미응답

6%년1회

2%2주마다

19%2주마다 12 19.4

1개월 1회 8 12.9

2개월 1회 7 11.3

3개월 1회 14 22.6

6개월 1회 16 25.8

년 1회 1 1.6

미응답 4 6.5

합계 62 100.0

봄 및 가을철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2주마다 처리가 19.4%, 1개월에 1회가

Page 6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5 -

12.9%, 2개월에 1회가 11.3%, 3개월에 1회가 22.6%, 6개월에 1회가 25.8%, 년 1

회가 1.6%, 미응답이 6.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여름)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2주마다

18%

1개월1

10%

3개월1

16%

2개월1

3%

6개월1

10%

미응답

43%

2주마다 11 17.7

1개월 1회 6 9.7

2개월 1회 2 3.2

3개월 1회 10 16.1

6개월 1회 6 9.7

미응답 27 43.5

합계 62 100.0

여름철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2주마다 처리가 17.7%, 1개월에 1회가 9.7%, 2

개월에 1회가 3.2%, 3개월에 1회가 16.1%, 6개월에 1회가 9.7%, 미응답이 43.5%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겨울)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

39%

년1회

2%

3개월1

16%

6개월1

3%

2개월1

8%

1개월1

19%

2주마다

13%

2주마다 8 12.9

1개월 1회 12 19.4

2개월 1회 5 8.1

3개월 1회 10 16.1

6개월 1회 2 3.2

년 1회 1 1.6

미응답 24 38.7

합계 62 100.0

겨울철 우사내 분뇨처리 횟수는 2주마다 처리가 12.9%, 1개월에 1회가 19.4%, 2

개월에 1회가 8.1%, 3개월에 1회가 16.1%, 6개월에 1회가 3.2%, 년 1회가 1.6%,

Page 6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6 -

미응답이 38.7%인 것으로 조사되어, 이 역시 한육우 사육농가와 같이 계절별로 분

뇨처리 횟수의 큰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 문항 : 성장단계별 어느 시기에 악취를 가장 많이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육성우

16%

송아지

40%

미응답

2%

착유우

42%

송아지 25 40.3

육성우 10 16.1

착유우 26 41.9

미응답 1 1.6

합계 62 100.0

젖소의 경우 성장단계별로 악취발생이 많은 시기는 송아지가 40.3%, 육성우가

16.1%, 착유우가 41.9%, 미응답이 1.6%로 조사되어, 착유우 및 송아지의 성장단계

가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어느 작업중 악취발생을 가장 많이 느낍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우사청

소 중

3%

미응답

3%

분뇨재

거중

94%

조사료급여중 0 0.0

배합사료 급여중 0 0.0

분뇨제거중 58 93.5

소독중 0 0.0

우사청소중 2 3.2

미응답 2 3.2

합계 62 100.0

젖소 사육농가에서 작업별 악취발생 정도는 분뇨제거 작업중이 93.5%, 우사청소

중이 3.2%, 미응답이 3.2%로 조사되어, 분뇨제거 작업중에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

Page 6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7 -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생물

제 급여

40%안한다

6%

미응답

6%기타

3%

환기펜

설치

45%

미생물제 급여 25 40.3

환기펜 설치 27 43.5

안한다 4 6.5

기타 2 3.2

미응답 4 6.5

합계 62 100.0

또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 미생물제 급여가 40.3%, 환기팬 설치가 43.5%,

악취방지를 안하는 농가가 6.5%, 기타 방법이 3.2%, 미응답이 6.5%로 조사되어,

젖소 사육농가에서도 악취 방지방법으로 대다수 사육농가가 미생물제 급여 및 환기

펜 설치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문항 : 농장에서 어느 부분이 악취발생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우사

10%

운동장

10%

간이정

화조

15%

미응답

3%

퇴비장

31%

저장액

31%

우사 6 9.7

운동장 6 9.7

간이정화조 9 14.5

퇴비장 20 32.3

저장액비 19 30.6

미응답 2 3.2

합계 62 100.0

농장 내에서의 악취발생장소는 우사에서 9.7%, 운동장에서 9.7%, 간이정화조에서

14.5%, 퇴비장에서 32.3%, 저장액비에서 30.6%, 미응답이 3.2%로 조사되어 퇴비

Page 6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8 -

장 및 저장액비탱크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분뇨처리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11%위탁처

5%

무상제

15%

판매

3%

자체사

66%

자체사용 41 66.1

판매 2 3.2

무상제공 9 14.5

위탁처리 3 4.8

미응답 7 11.3

합계 62 100.0

젖소 사육농가에서의 분뇨처리 방법으로는 자체사용이 66.1%, 판매가 3.2%, 무상

제공이 14.5%, 위탁처리가 4.8%, 미응답이 11.3%로 조사되었고, 대다수의 젖소 사

육농가에서는 분뇨를 자체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6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49 -

2. 산란계, 육계 설문결과

가. 산란계 설문 조사결과 분석

산란계의 경우 총 92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각 문항별 응답결

과는 다음과 같다.

○ 문항 : 현재 사양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양계단지

5%

개별농장

81%

미응답13%

영농조합

1%양계단지 5 5.4

영농조합 1 1.1

개별농장 74 80.4

미응답 12 13.0

합계 92 100.0

산란계 사육농가에서 적용중인 사양방식으로는 양계단지가 5.4%, 영농조합이

1.1%, 개별농장이 80.4%, 미응답이 13.0%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산란계 사육농가

에서 개별농장 사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귀 농장의 계사형태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

4%

개방계사

70%

다중선택4%

고상식무창계

사1%

무창계사

21%

개방계사 64 69.6

무창계사 19 20.7

고상식 무창계사 1 1.1

기타 4 4.3

미응답 4 4.3

합계 92 100.0

Page 6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0 -

산란계 사육농가의 계사형태는 개방계사가 69.6%, 무창계사가 20.7%, 고상식 무

창계사가 1.1%, 기타 방식의 계사가 4.3%, 미응답이 4.3%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산란계 사육농가의 계사형태는 개방계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케이지의 종류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A형케이지

70%

미응답12%

직립식케이지

16%

다중선택

2%A형 케이지 64 69.6

직립식 케이지 15 16.3

다중응답 2 2.2

미응답 11 12.0

합계 92 100.0

사육농가의 케이지 형태는 A형 케이지가 69.6%, 직립식 케이지가 16.3%, 다중응

답이 2.2%, 미응답이 12.0%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사육농가가 A형 케이지를 사용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어느 방식이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20% 개방계

49%

고상식무창계

18%무창계

13%

개방계사 45 48.9

무창계사 12 13.0

고상식 무창계사 17 18.5

미응답 18 19.6

합계 92 100.0

산란계사 사육농가의 계사 형태별 악취발생은 개방계사가 48.9%, 무창계사가

Page 6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1 -

13.0%, 고상식 무창계사가 18.5%, 미응답이 19.6%로 조사되어, 개방계사가 악취

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성장단계별 어느 시기부터 악취발생이 많다고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육추기11%

미응답11%

산란초기

13%

말기65%

육추기 10 10.9

산란초기 12 13.0

말기 60 65.2

미응답 10 9.8

합계 92 100.0

산란계의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육추기에 10.9%, 산란초기에 13.0%, 말기에

65.2%, 미응답이 9.8%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산란계 말기에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작업별로 언제 악취를 가장 많이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16%

퇴비발

효시

67%

소독시

1%입추준

비시

1%

깔짚청

소시

7%

출하후

깔짚발

효시

3%

일상관

리시

5%일상관리시 5 5.4

출하후 깔짚발효시 3 3.3

깔짚 청소시 6 6.5

소독시 1 1.1

입추준비시 1 1.1

퇴비발효시 61 65.2

미응답 15 16.3

합계 92 100.0

산란계 사육에서 작업별 악취 발생은 일상관리시에 5.4%, 출하후 깔짚발효시에

3.3%, 깔짚 청소시에 6.5%, 소독시에 1.1%, 입추준비시에 1.1%, 퇴비발효시에

Page 6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2 -

65.2%, 미응답이 16.3%로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퇴비발효 작업

시에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20%

마스킹1%

바이오필터

2%

다중선택

1%

미생물제 급여

76%

미생물제 급여 70 76.1

오일살포 0 0.0

오존이용 0 0.0

바이오필터 2 2.2

마스킹 1 1.1

다중응답 1 1.1

미응답 18 19.6

합계 92 100.0

또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가 76.1%, 바이오필터가 1.1%,

마스킹법이 1.1%, 미응답이 19.6%로 악취 저감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어 대다수의 산란계 사육농가에서는 미생물제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 문항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은 무엇입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터널식24%

다중선택

7%

미응답5%

지붕배기식

8%

크로스식

2%

자연환기

54%자연환기 50 54.3

크로스식 2 2.2

터널식 22 23.9

지붕배기식 7 7.6

다중응답 6 6.5

미응답 5 5.4

합계 92 100.0

산란계사 사육농가에서 적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으로는 자연환기 방법이 54.3%,

Page 6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3 -

크로스식이 2.2%, 터널식이 23.9%, 지붕배기식이 7.6%, 다중응답이 6.5%, 미응답

이 5.4%로 조사되어 자연환기 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어느 환기방식이 악취 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크로스식

4%

터널식12%

미응답25%

자연환기

47%

지붕배기식

11%

다중선택

1%

자연환기 43 46.7

크로스식 4 4.3

터널식 11 12.0

지붕배기식 10 10.9

다중응답 1 1.1

미응답 23 25.0

합계 92 100.0

이러한 환기방식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방식으로는 자연환기 방법이

46.7%, 크로스식이 4.3%, 터널식이 12.0%, 지붕배기식이 10.9%, 다중응답이

1.1%, 미응답이 25.0%로 조사되어, 자연환기 방법이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계사 밖에서 분뇨처리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천일건조

13%

미응답22%

퇴적송풍

8%

로타리식

13%

단순퇴적

36%

에스켈레이터

3%

밀폐형2%

다중선택

3%

단순퇴적 33 35.9

천일건조 12 13.0

퇴적송풍 7 7.6

로타리식 12 13.0

에스컬레이터 3 3.3

버켓식 0 0.0

밀폐형 2 2.2

다중응답 3 3.3

미응답 20 21.7

합계 92 100.0

산란계 사육에서 발생하는 계분의 처리 방법으로는 단순퇴적이 35.9%, 천일건조

Page 6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4 -

가 13.0%, 퇴적송풍이 7.6%, 로타리식이 13.0%, 에스컬레이터식이 3.3%, 밀폐형

이 2.2%, 다중응답이 3.3%, 미응답이 21.7%로 조사되어 계분 처리 방법으로는 단

순퇴적 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어느 분뇨처리 방식이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시나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로타리식

22%

미응답24%

단순퇴적

23%

퇴적송풍

10%

밀폐형12%

천일건조

7%

에스켈레이터

2%

단순퇴적 21 22.8

천일건조 6 6.5

퇴적송풍 9 9.8

로타리식 20 21.7

에스컬레이터 2 2.2

버켓식 0 0.0

밀폐형 11 12.0

미응답 23 25.0

합계 92 100.0

이러한 계분의 처리방법 중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처리방법으로는 단순

퇴적이 22.8%, 천일건조가 6.5%, 퇴적송풍이 9.8%, 로타리식이 21.7, 에스컬레이

터식이 2.2%, 밀폐형이 12.0%, 미응답이 25.0%로 조사되어 단순퇴적 및 로타리식

이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5 -

나. 육계 설문 조사결과 분석

육계의 경우 총 85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각 문항별 응답결과

는 다음과 같다.

○ 문항 : 현재 사양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개별사육

38%

계열농장

50%

미응답12%

계열농장 43 50.6

개별사육 32 37.6

미응답 10 10.3

합계 85 100.0

육계 사육농가에서 적용중인 사양방식으로는 계열농장이 50.6%, 개별사육이

37.6%, 미응답이 10.3%로 조사되었다.

○ 문항 : 귀 농장의 계사는 어느 형태인가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개방계사

52%

보온덮개간이

계사

42%

다중선택

1%

미응답4%

무창계사

1%보온덮개 간이계사 36 42.4

개방계사 44 51.8

무창계사 1 1.2

다중응답 1 1.2

미응답 3 3.5

합계 85 100.0

육계 사육농가에서 적용중인 계사의 형태는 보온덮개 간이계사가 42.4%, 개방계

Page 7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6 -

사가 51.8%, 무창계사가 1.2%, 다중응답이 1.2%, 미응답이 3.5%로 조사되어, 대부

분의 육계 사육농가에서 보온덮개 간이계사와 개방계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 문항 : 깔짚의 종류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톱밥13%

볏짚2%

왕겨85%

톱밥 11 12.9

왕겨 72 84.7

볏짚 2 2.4

목편 0 0.0

대패밥 0 0.0

미응답 0 0.0

합계 85 100.0

사육농가에서 적용중인 깔짚의 종류는 톱밥이 12.9%, 왕겨가 84.7%, 볏짚이

2.4%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육계사육농가에서는 왕겨를 깔짚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깔짚의 사용 횟수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1회13%

3회20%

4회19%

5회12%

6회2%

미응답21% 2회

13%1회 11 12.9

2회 11 12.9

3회 17 20.0

4회 16 18.8

5회 10 11.8

6회 2 2.4

미응답 18 21.2

합계 85 100.0

이러한 깔짚의 사용 횟수는 1회 사용이 12.9%, 2회가 12.9%, 3회가 20.0%, 4회

가 18.8%, 5회가 11.8%, 6회가 2.4%, 미응답이 21.2%로 조사되었다.

Page 7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7 -

○ 문항 : 어느 방식이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5% 깔짚1회

사용

35%

깔짚연속사용

60%

깔짚 1회사용 30 35.3

깔짚 연속사용 51 60.0

미응답 4 4.7

합계 85 100.0

깔짚의 사용 횟수에 따른 악취 발생은 깔짚 1회사용이 35.3%로 많이 발생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깔짚 연속사용의 경우가 50.0%, 미응답이 4.7%로 조사되어 깔짚연

속 사용시가 악취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성장단계별 어느 시기때부터 악취발생이 많다고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6주령이후

45%

4주령42%

미응답2% 2주령

5%

입추초기

6%입추초기 5 5.9

2주령(14일령) 4 4.7

4주령(28일령) 36 42.4

6주령이후(42일령) 38 44.7

미응답 2 2.4

합계 85 100.0

육계의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입추초기가 5.9%, 2주령(14일령)이 4.7%, 4주령

(28일령)부터 6주령(42일령)사이가 87.1%, 미응답이 2.4%로 악취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4주령부터 6주령사이에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Page 7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8 -

○ 문항 : 작업별로 언제 악취를 가장 많이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퇴비발효시

32%

입추준비시

6%

미응답2%

일상관리시

8%

깔짚청소시

26%

출하후깔집발

효시

26%

일상관리시 7 8.2

출하후 깔짚발효시 22 25.9

깔짚 청소시 22 25.9

소독시 0 0.0

입추준비시 5 5.9

퇴비발효시 27 31.8

미응답 2 2.4

합계 85 100.0

육계 사육농가에서 작업별 악취발생은 일상관리시가 8.2%, 출하후 깔짚발효시가

25.9%, 깔짚 청소시가 25.9%, 입추준비시가 5.9%, 퇴비발효시가 31.8%, 미응답이

2.4%로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퇴비발효 및 출하후 깔짚발효, 깔짚

청소 작업시에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11%

미생물제 급여

71%

발효미생물제

살포

18%

미생물제 급여 61 71.8

발효미생물제 살포 15 17.6

오존이용 0 0.0

바이오필터 0 0.0

마스킹 0 0.0

오일살포 0 0.0

미응답 9 10.6

합계 85 100.0

또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가 71.8%, 발효미생물제 살포가

17.6%, 미응답이 10.6%로 악취 저감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대부분

의 육계 사육농가에서 미생물제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59 -

○ 문항 : 발효 미생물제를 사용하였다면 몇 회 사용시 악취저감에 가장 효과가

있었는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18%

3회사용24%

2회사용26%

4회이상18%

1회사용14%

1회사용 12 14.1

2회사용 23 27.1

3회사용 20 23.5

4회이상 15 17.6

미응답 15 17.6

합계 85 100.0

악취 저감방법 중 발효 미생물제 살포시 최대 악취 저감 효과는 1회 사용시가

14.1%, 2회 사용이 27.1%, 3회 사용이 23.5%, 4회이상 사용이 17.6%, 미응답이

17.6%로 조사되어, 발효 미생물제 살포는 2회 이상 사용해야 악취 저감 효과를 나

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은 무엇입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터널식11%

미응답7%

다중응답

2%

자연환기

44%

크로스식

20%

지붕배기식

16%

자연환기 37 43.5

크로스식 17 20.0

터널식 9 10.6

지붕배기식 14 16.5

다중응답 2 2.4

미응답 6 7.1

합계 85 100.0

육계 사육농가에서 적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은 자연환기 방식이 43.5%, 크로스식

이 20.0%, 터널식이 10.6%, 지붕배기식이 16.5%, 다중응답이 2.4%, 미응답이

7.1%로 조사되어, 자연환기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0 -

○ 문항 : 어느 환기방식이 악취 발생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21%

자연환기

46%

터널식13%

다중응답

1%

지붕배기식

13%

크로스식

6%

자연환기 39 45.9

크로스식 5 5.9

터널식 11 12.9

지붕배기식 11 12.9

다중응답 1 1.2

미응답 18 21.2

합계 85 100.0

적용중인 환기방식중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방식은 자연환기 방식이 45.9%, 크로

스식이 5.9%, 터널식이 12.9%, 지붕배기식이 12.9%, 다중응답이 1.2%, 미응답이

21.2%로 조사되어, 자연환기 방식이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 문항 : 계사 밖에서 분뇨처리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32%

단순퇴적

38%

천일건조

8%퇴적송풍

5%

다중응답

2%기타12% 에스컬

레이터

1%

로타리식

2%

단순퇴적 32 37.6

천일건조 7 8.2

퇴적송풍 4 4.7

로타리식 2 2.4

에스컬레이터식 1 1.2

버켓식 0 0.0

밀폐형 0 0.0

기타 10 11.8

다중응답 2 2.4미응답 27 31.8합계 85 100.0

육계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뇨의 처리방법으로는 단순퇴적이 37.6%, 천일건조

가 8.2%, 퇴적송풍이 4.7%, 로타리식이 2.4%, 에스컬레이터식이 1.2%, 기타 방법

이 11.8%, 다중응답이 2.4%, 미응답이 31.8%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Page 7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1 -

단순퇴적 방법이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어느 분뇨처리방식이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밀폐형12%

기타5%

로타리식

12%

퇴적송풍

2%

천일건조

8%

미응답42%

단순퇴적

18%

에스켈레이터

1%

단순퇴적 15 17.6

천일건조 7 8.2

퇴적송풍 2 2.4

로타리식 10 11.8

에스컬레이터식 1 1.2

버켓식 0 0.0

밀폐형 10 11.8

기타 4 4.7

미응답 36 42.4

합계 85 100.0

계분의 처리방법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분뇨처리 방법으로는 단순퇴적이

17.6%, 천일건조가 8.2%, 퇴적송풍이 2.4%, 로타리식이 11.8%, 에스컬리이터식이

1.2%, 밀폐형이 11.8%, 기타 방법이 4.7%, 미응답이 42.4%로 조사되어, 단순퇴적,

로타리식 및 밀폐형 방법이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2 -

3. 양돈시설 설문결과

가. 양돈시설 설문 조사결과 분석

돼지의 경우 총 133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각 문항별 응답결

과는 다음과 같다.

○ 문항 : 현재 사양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10%

번식비

77%

육성비

8%번식자

5%

번식비육 일관사육 103 77.4

번식자돈사육 6 4.5

육성비육 11 8.3

미응답 13 9.8

합계 133 100.0

돼지 사육농가에서 적용중인 사양방식으로는 번식비육 일관사육이 77.4%, 번식자

돈사육이 4.5%, 육성비육이 8.3%, 미응답이 9.8%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돼지 사육

농가에서 번식비육 일관사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3 -

○ 문항 : 모돈사의 돈사형태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밀폐식

13%

미응답

14%

절충식

17%

개방식

57%

개방식 76 57.1

밀폐식 17 12.8

절충식 22 16.5

2층돈사 0 0.0

미응답 18 13.5

합계 115 100.0

돼지 사육농가에서 모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돈사의 형태는 개방식이 57.1%, 밀폐

식이 12.8%, 절충식이 16.5%, 미응답이 13.5%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모돈사 형태

는 개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분만돈사의 돈사형태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밀폐식

35%

절충식

14%

미응답

16%개방식

36%개방식 48 36.1

밀폐식 46 34.6

절충식 18 13.5

2층돈사 0 0.0

미응답 21 15.8

합계 133 100.0

분만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돈사의 형태는 개방식이 36.1%, 밀폐식이 34.6%, 절충

식이 13.5%, 미응답이 15.8%로 조사되어, 분만돈사의 경우 대부분의 사육농가에서

개방식과 밀폐식 돈사를 비슷하게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7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4 -

○ 문항 : 자돈사의 돈사형태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절충식

14%

2층돈사

1%

미응답

14% 개방식

34%

밀폐식

38%

개방식 45 33.8

밀폐식 50 37.6

절충식 19 14.3

2층돈사 1 0.8

미응답 18 13.5

합계 133 100.0

자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돈사의 형태는 개방식이 33.8%, 밀폐식이 37.6%, 절충

식이 14.3%, 2층돈사가 0.8%, 미응답이 13.5%로 조사되어, 자돈사의 경우 대부분

의 사육농가에서 개방식과 밀폐식 돈사를 비슷하게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 문항 : 육성비육사의 돈사형태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밀폐식

8%

절충식

13%

2층돈사

1%

개방식

70%

미응답

9%개방식 93 69.9

밀폐식 10 7.5

절충식 17 12.8

2층돈사 1 0.8

미응답 12 9.0

합계 133 100.0

육성비육사에 적용하고 있는 돈사의 형태는 개방식이 69.9%, 밀폐식이 7.5%, 절

충식이 12.8%, 2층돈사가 0.8%, 미응답이 9.0%로 조사되어, 육성비육사의 경우 대

부분의 사육농가에서 개방식 돈사형태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8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5 -

○ 문항 : 모돈사내 분뇨처리 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톱밥발

2%

기타

23%

미응답

13%

스크레

20%

슬러리

42%슬러리 57 42.9

스크레파 26 19.5

톱밥발효 2 1.5

기타 31 23.3

미응답 17 12.8

합계 133 100.0

모돈사 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은 슬러리 처리방식이 42.9%, 스크레

파가 19.5%, 톱밥발효가 1.5%, 기타 방식이 23.3%, 미응답이 12.8%로 조사되어,

많은 돼지 사육농가에서 모돈사 내 분뇨처리 방식은 슬러리 처리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분만돈사내 분뇨처리 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스크레파17%

기타19%

미응답19%

슬러리45%슬러리 60 45.1

스크레파 23 17.3

톱밥발효 0 0.0

기타 25 18.8

미응답 25 18.8

합계 133 100.0

분만돈사 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은 슬러리 처리방식이 45.1%, 스크

레파가 17.3%, 기타 방식이 18.8%, 미응답이 18.8%로 조사되어, 많은 돼지 사육

농가에서 분만돈사 내 분뇨처리 방식은 슬러리 처리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8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6 -

○ 문항 : 자돈사내 분뇨처리 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스크레파18%

기타8%

미응답14%

톱밥발효1%

슬러리59%

슬러리 79 59.4

스크레파 24 18.0

톱밥발효 1 0.8

기타 10 7.5

미응답 19 14.3

합계 133 100.0

자돈사 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은 슬러리 처리방식이 59.4%, 스크레

파가 18.0%, 톱밥발효가 0.8%, 기타 방식이 7.5%, 미응답이 14.3%로 조사되어,

많은 돼지 사육농가에서 자돈사 내 분뇨처리 방식은 슬러리 처리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육성비육사내 분뇨처리 방식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스크레

24%

미응답

8%기타

5%

톱밥발

15%

슬러리

48%

슬러리 65 48.9

스크레파 32 24.1

톱밥발효 20 15.0

기타 6 4.5

미응답 10 7.5

합계 133 100.0

육성비육사 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은 슬러리 처리방식이 48.9%, 스

크레파가 24.1%, 톱밥발효가 15.0%, 기타 방식이 4.5%, 미응답이 7.5%로 조사되

어, 슬러리 처리방식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8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7 -

○ 문항 : 분뇨처리 횟수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1일한번28%

2주1번25%

1개월16%

기타8%년1회

1%

6개월4%

3개월5%

2개월5%

미응답8%

1일에 한번씩 38 28.6

2주에 1번씩 34 25.6

1개월마다 21 15.8

2개월마다 7 5.3

3개월마다 6 4.5

6개월마다 5 3.8

년 1회 1 0.8

기타 10 7.5

미응답 11 8.3

합계 133 100.0

돼지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뇨의 처리횟수는 1일에 한번씩 처리가 28.6%, 2주

에 1번씩이 25.6%, 1개월마다가 15.8%, 2개월마다가 5.3%, 3개월마다가 4.5%, 6

개월마다가 3.8%, 년 1회가 0.8%, 기타 처리가 7.4%, 미응답이 8.3%로 조사되었

고, 돼지 사육농가에서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는 횟수는 2주내에 1번씩

처리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모돈사에서는 어느 분뇨처리 시스템에서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스크레파17%

인력제거20%

미응답17% 슬러리

46%슬러리 61 45.9

스크레파 23 17.3

인력제거 27 20.3

미응답 22 16.5

합계 133 100.0

모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방식으로는

슬러리 처리가 45.9%, 스크레파가 17.3%, 인력제거가 20.3%, 미응답이 16.5%로

Page 8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8 -

조사되어 슬러리 처리방식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분만돈사에서는 어느 분뇨처리 시스템에서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스크레

11%

인력제

19%

미응답

29%

슬러리

41%슬러리 54 40.6

스크레파 15 11.3

인력제거 25 18.8

미응답 39 29.3

합계 133 100.0

분만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는 슬러리 처리가 40.6%, 스크레파가 11.3%, 인력제거가 18.8%, 미응답이 29.3%

로 조사되어 슬러리 처리방식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자돈사에서는 어느 분뇨처리 시스템에서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스크레파

17%

톱밥발효

11%

인력제거

17%

미응답19%

슬러리36%

슬러리 49 36.8

스크레파 22 16.5

톱밥발효 15 11.3

인력제거 22 16.5

미응답 25 18.8

합계 133 100.0

자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방식으로는

슬러리 처리가 36.8%, 스크레파가 16.5%, 톱밥발효가 11.3%, 인력제거가 16.5%,

Page 8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69 -

미응답이 18.8%로 조사되어 슬러리 처리방식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육성비육사에서는 어느 분뇨처리 시스템에서 악취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스크레

12%

톱밥발

11%

인력제

17%

미응답

20%슬러리

40%슬러리 53 39.8

스크레파 16 12.0

톱밥발효 15 11.3

인력제거 22 16.5

미응답 27 20.3

합계 133 100.0

육성비육사에 적용하고 있는 분뇨처리 방식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방식으

로는 슬러리 처리가 39.8%, 스크레파가 12.0%, 톱밥발효가 11.3%, 인력제거가

16.5%, 미응답이 20.3%로 조사되어 슬러리 처리방식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성장단계별 어느 시기에서 악취를 가장 많이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자돈14%

비육돈52%

육성돈21%

미응답7%

모돈2%

분만돈4%

자돈 19 14.3

육성돈 28 21.1

비육돈 70 53.6

모돈 2 1.5

분만돈 5 3.8

미응답 9 6.8

합계 133 100.0

돼지 사육과정에서 성장단계별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단계는 자돈의 경우

Page 8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0 -

14.3%, 육성돈이 21.1%, 비육돈이 53.6%, 모돈이 1.5%, 분만돈이 3.8%, 미응답이

6.8%로 조사되어, 비육돈의 단계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 문항 : 어느 작업중 악취발생을 가장 많이 느낍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

6%

사료급여중2%

돈사청소중7%

소독중1%

분뇨제거중84%

사료급여중 3 2.3

분뇨제거중 112 84.2

소독중 1 0.8

돈사청소중 9 6.8

미응답 8 6.0

합계 133 100.0

사육과정에서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작업과정으로는 사료급여중이 2.3%, 분

뇨제거중이 84.2%, 소독중이 0.8%, 돈사청소중이 6.8%, 미응답이 6.0%로 조사되

어 분뇨제거 작업중에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모돈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33%

안개분

4%오존발

생기

2%

미생물

제급여

61%미생물제 급여 82 61.7

오존발생기 2 1.5

안개분무 5 3.8

바이오필터 0 0.0

오일살포 0 0.0

토양탈취법 0 0.0

미응답 44 33.1

합계 133 100.0

Page 8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1 -

악취에 대한 모돈사에서 저감방법으로 미생물제 급여 적용이 61.7%, 오존발생기

가 1.5%, 안개분무 3.8%, 미응답이 33.1%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대부

분의 모돈사에서 미생물제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분만돈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

38%

미생물

제급여

55%

오존발

생기

3%

안개분

4%

미생물제 급여 73 54.9

오존발생기 4 3.0

안개분무 5 3.8

바이오필터 0 0.0

오일살포 0 0.0

토양탈취법 0 0.0

미응답 51 38.3

합계 133 100.0

분만돈사에서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 적용이 54.9%, 오존발생기가 3.0%,

안개분무가 3.8%, 미응답이 38.3%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분

만돈사에서 미생물제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자돈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미응답33%

미생물제급여61%

오존발생기2%

안개분무4%

미생물제 급여 81 60.9

오존발생기 3 2.3

안개분무 5 3.8

바이오필터 0 0.0

오일살포 0 0.0

토양탈취법 0 0.0

미응답 44 33.1

합계 133 100.0

자돈사에서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 적용이 60.9%, 오존발생기가 2.3%, 안

Page 8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2 -

개분무가 3.8%, 미응답이 33.1%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자돈

사 역시 미생물제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악취방지를 위해 육성비육돈사에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미응답

27%

오일살

1%

미생물

제급여

65%

오존발

생기

2%

안개분

5%

미생물제 급여 87 65.4

오존발생기 2 1.5

안개분무 7 5.3

바이오필터 0 0.0

오일살포 1 0.8

토양탈취법 0 0.0

미응답 36 27.1

합계 133 100.0

육성비육돈사에서의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 적용이 65.4%, 오존발생기가

1.5%, 안개분무가 5.3%, 오일살포가 0.8%, 미응답이 27.1%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

로 조사되어, 육성비육돈사 역시 미생물제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 문항 : 현재 모돈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은 무엇입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완전개방

25%

미응답

20%

측벽입기지

붕배기

21%

측벽덕트입

기측벽배기

10%

측벽입기측

벽배기

17%

측벽덕트입

기지붕배기

7%

측벽덕트입기 측벽배기 13 9.8

측벽입기 측벽배기 23 17.3

측벽입기 지붕배기 28 21.1

측벽덕트입기 지붕배기 9 6.8

완전개방 33 24.8

미응답 27 20.3

합계 133 100.0

Page 8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3 -

돼지 사육농가에서 모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으로는 측벽덕트입기 측벽배

기 방식이 9.8%, 측벽입기 측벽배기가 17.3%, 측벽입기 지붕배기가 21.1%, 측벽덕

트입기 지붕배기가 6.8%, 완전개방이 24.8%, 미응답이 20.3%로 적용하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분만돈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은 무엇입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측벽입기지

붕배기

19%

측벽덕트입

기지붕배기

6%

완전개방

23%

미응답

21%

측벽입기측

벽배기

22%

측벽덕트입

기측벽배기

9%측벽덕트입기 측벽배기 12 9.0

측벽입기 측벽배기 30 22.6

측벽입기 지붕배기 25 18.8

측벽덕트입기 지붕배기 8 6.0

완전개방 30 22.6

미응답 28 21.1

합계 133 100.0

분만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으로는 측벽덕트입기 측벽배기 방식이 9.0%,

측벽입기 측벽배기가 22.6%, 측벽입기 지붕배기가 18.8%, 측벽덕트입기 지붕배기

가 6.0%, 완전개방이 22.6%, 미응답이 21.1%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자돈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은 무엇입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측벽덕트입

기측벽배기

6%

측벽입기측

벽배기

27%

측벽입기지

붕배기

17%

측벽덕트입

기지붕배기

7%

완전개방

23%

미응답

20%측벽덕트입기 측벽배기 8 6.0

측벽입기 측벽배기 37 27.8

측벽입기 지붕배기 23 17.3

측벽덕트입기 지붕배기 9 6.8

완전개방 30 22.6

미응답 26 19.5

합계 133 100.0

Page 8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4 -

자돈사에 적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으로는 측벽덕트입기 측벽배기 방식이 6.0%, 측

벽입기 측벽배기가 27.8%, 측벽입기 지붕배기가 17.3%, 측벽덕트입기 지붕배기가

6.8%, 완전개방이 22.6%, 미응답이 19.5%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현재 육성비육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은 무엇입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측벽덕트입

기측벽배기

5%측벽입기측

벽배기

14%

측벽입기지

붕배기

13%

측벽덕트입

기지붕배기

11%

완전개방

44%

미응답

13%측벽덕트입기 측벽배기 7 5.3

측벽입기 측벽배기 18 13.5

측벽입기 지붕배기 17 12.8

측벽덕트입기 지붕배기 14 10.5

완전개방 60 45.1

미응답 17 12.8

합계 133 100.0

육성비육사에 적용하고 있는 환기방식으로는 측벽덕트입기 측벽배기 방식이 5.3%,

측벽입기 측벽배기가 13.5%, 측벽입기 지붕배기가 12.8%, 측벽덕트입기 지붕배기

가 10.5%, 완전개방이 45.1%, 미응답이 12.8%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 문항 : 어느 환기방식이 악취 발생이 가장 많다고 생각하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덕트입기측

벽배기

13%

측벽입기측

벽배기

12%

측벽입기지

붕배기

8%

덕트입기지

붕배기

5%완전개방

26%

미응답

36%

덕트입기 측벽배기 17 12.8

측벽입기 측벽배기 16 12.0

측벽입기 지붕배기 11 8.3

덕트입기 지붕배기 6 4.5

완전개방 35 26.3

미응답 48 36.1

합계 133 100.0

Page 9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5 -

이러한 환기방식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환기방식은 덕트입기 측벽배기 방

식이 12.8%, 측벽입기 측벽배기가 12.0%, 측벽입기 지붕배기가 8.3%, 덕트입기 지

붕배기가 4.5%, 완전개방이 26.3%, 미응답이 36.1%로 조사되어, 완전개방 환기방

식이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생산된 분뇨처리는?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활성오

2%

미응답

16%

해양투

24%

저장액

비화

11%

퇴비화

(교반)

47%퇴비화(교반) 62 46.6

저장액비화 15 11.3

해양투기 32 24.1

활성오니 3 2.3

미응답 21 15.8

합계 133 100.0

돼지 사육농가에서 생산된 분뇨처리는 퇴비화(교반)과정으로 처리가 46.6%, 저장

액비화가 11.3%, 해양투기 24.1%, 활성오니가 2.3%, 미응답이 15.8%로 조사되었

으며, 돈분을 퇴비화(교반)과정으로 가장 많이 처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문항 : 어느 분뇨처리방식이 가장 악취발생이 많다고 느끼십니까?

응답 내용 응답수 비율(%)

슬러리

32%

미응답

14%

저장액

비화

11%

교반식

퇴비화

43%교반식 퇴비화 58 43.6

저장액비화 14 10.5

슬러리 43 32.3

미응답 18 13.5

합계 133 100.0

Page 9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6 -

이러한 돈분 처리과정중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방식으로는 교반식 퇴비화가

43.6%, 저장액비화가 10.5%, 슬러리가 32.3%, 미응답이 13.5%로 조사되어 교반식

퇴비화가 악취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9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7 -

4. 축종별 설문조사 비교

축종별로 악취발생에 대한 계절 및 기상 조건, 발생 시간과 악취 민원에 관한 설

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 문항 : 악취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계절은?

응답 내용응답수 비율(%)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봄 6 4 4 8 12 6.5 6.5 4.3 9.4 9.0

여름 80 55 61 24 55 87.0 88.7 66.3 28.2 41.4

가을 2 0 0 3 2 2.2 0.0 0.0 3.5 1.5

겨울 1 2 21 49 59 1.1 3.2 22.8 57.6 44.4

미응답 3 1 6 1 5 3.3 1.6 6.5 1.2 3.8

합계 92 62 92 85 133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0%

20%

40%

60%

80%

100%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축종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는 전 축종에서 여름철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또한 사

육시설의 특성으로 밀폐화가 이루어지는 육계 및 돼지 사육농가에서는 겨울철에도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9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8 -

○ 문항 : 악취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날씨는?

응답 내용응답수 비율(%)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맑은날 0 0 2 0 2 0.0 0.0 2.2 0.0 7.6

바람이 약간 부는날 5 3 2 1 3 5.4 4.8 2.2 1.2 2.4

바람이 없는날 4 3 13 9 9 4.3 4.8 14.1 10.6 7.1

흐린날 39 19 34 28 72 42.4 30.6 37.0 32.9 57.1

비오는날 38 35 35 45 40 41.3 56.5 38.0 52.9 31.7

미응답 0 2 6 2 7 6.5 3.2 6.5 2.4 5.3

합계 92 62 92 85 133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0%

20%

40%

60%

80%

100%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축종

맑은날

바람이약간부는날

바람이없는날

흐린날

비오는날

기상조건별로는 전 축종에서 대기 환기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비오는 날과 흐린 날

에 악취가 가장 심하다는 응답이 전 축종에서 80% 이상으로 조사됐다.

Page 9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79 -

○ 문항 : 하루중 악취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시간은?

응답 내용응답수 비율(%)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새벽 17 19 26 38 54 18.5 30.6 28.3 44.7 40.6

오전 18 11 8 11 18 19.6 17.7 8.7 12.9 13.5

오후 33 24 29 12 28 35.9 38.7 31.5 14.1 21.1

저녁 17 6 20 20 25 18.5 9.7 21.7 23.5 18.8

미응답 0 2 9 4 8 7.6 3.2 9.8 4.7 6.0

합계 92 62 92 85 133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0%

20%

40%

60%

80%

100%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축종

새벽 오전

오후 저녁

또한 하루 중 시간대에 따른 악취특성은 새벽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나

이는 기상조건이 안정하여 악취물질 확산효과가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Page 9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0 -

○ 문항 : 주변에서 악취문제를 제기하는 거리는?

응답 내용응답수 비율(%)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50m 이내 17 9 12 14 16 18.5 14.5 13.0 16.5 12.0

100m 이내 16 7 6 12 14 17.4 11.3 6.5 14.1 10.5

200m 이내 9 4 6 5 12 9.8 6.5 6.5 5.9 9.0

500m 이내 3 3 22 11 23 3.3 4.8 23.9 12.9 17.3

1Km 이내 1 3 5 13 14 1.1 4.8 5.4 15.3 10.5

미응답 46 36 41 30 54 50.0 58.1 44.6 35.3 40.6

합계 92 62 92 85 133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0%

20%

40%

60%

80%

100%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축종

50m 이내 100m 이내 200m 이내

500m 이내 1 km

전 축종별 사육농가에 대하여 주변의 거리별 악취 민원제기를 설문조사 한 결과

육계를 제외한 전 축종에서 해당 농가로부터 약 500m 범위의 악취 민원제기가

90%를 넘었으며, 1km 이내의 악취 민원제기가 다른 축종은 10%이내 인 반면 육

계와 돼지의 경우는 약 2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 육계와 돼지 사육 농가에서 발

생하는 악취가 상대적으로 다른 축종의 사육농가보다 더 멀리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Page 9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1 -

○ 문항 : 현재 악취 민원 제기 및 앞으로 예상은?

응답 내용응답수 비율(%)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있었다 9 6 26 18 35 9.8 9.7 28.3 21.2 26.3

없었다 50 37 32 37 44 54.3 59.7 34.8 43.5 33.1

앞으로 있을 것 같다 17 10 21 21 35 18.5 16.1 22.8 24.7 26.3

모르겠다 4 6 6 5 5 4.3 9.7 6.5 5.9 3.8

미응답 12 3 7 4 14 13.0 4.8 7.6 4.7 10.5

합계 92 62 92 85 133100.

0

100.

0

100.

0

100.

0

100.

0

0%

20%

40%

60%

80%

100%

한육우 젖소 산란계 육계 돼지

축종

모르겠다

없었다

앞으로 있을 것 같다

있었다

또한 현재 악취 민원은 한육우와 젖소보다는 돼지, 산란계 및 육계에서 민원이 더

발생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향후에도 민원 제기가 있을 것 이라고 전망한 농가

도 축종별로 그 비율이 약 18~26%를 차지하였다.

이상과 같은 축산시설의 설문조사 결과를 축종별로 비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육우의 경우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비육성우가 45%, 육성우가 32%로 악취가

Page 9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2 -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악취발생장소는 퇴비장에서 38%, 우사에서 23%로 악

취가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작업별로 보면 분뇨제거중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

났다. 또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 미생물제 급여가 30% 였으며, 환기팬 설치가

27%인 것으로 조사됐다.

젖소의 경우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착유우가 42%, 송아지가 40%로 악취가 가

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악취발생장소는 퇴비장에서 31%, 저장액비에서

31%로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작업별로 보면 분뇨제거 중이 94%로

높게 나타났다. 또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 환기팬 설치가 45%, 미생물제 급여

가 40%인 것으로 조사됐다.

돼지의 경우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비육돈이 약 54%, 육성돈이 약 21%로 악취

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작업별로 보면 분뇨제거 작업시가 84%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분뇨를 처리함에 있어서 교반식 퇴비화 공법에서 43%, 슬러리

처리가 32%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육시설별 분뇨처리 방식에 따른 악취는 슬러

리 처리가 약 4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가 약 60%로 대부분의 돼지사육 농가가 미생물제 급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육계의 경우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4주령부터 6주령사이가 87.1%로 악취가 가

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악취가 가장 심한 분뇨처리 방법으로는 단순퇴적이

18%, 로타리식 및 밀폐형 방법이 각각 12%로 높게 나타났다. 작업별로 보면 퇴비

발효가 32%, 출하후 깔짚발효시 및 깔짚청소시가 각각 26%로 높게 나타났다. 또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가 71%로 대다수 것으로 조사됐다.

산란계의 경우 성장단계별 악취발생은 말기가 65%로 산란초기 보다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악취가 가장 심한 분뇨처리 방법으로는 단순퇴적이

23%, 로타리식이 22%로 높게 나타났다. 작업별로 보면 퇴비발효시가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이러한 악취의 저감방법으로는 미생물제 급여가 76%로 대다수

것으로 조사됐다.

축종별로 악취발생에 대한 계절 및 기상 조건, 발생 시간과 악취 민원에 관한 설

문결과는 계절별로는 전 축종에서 여름철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사육시설의 특성으로 밀폐화가 이루어지는 육계 및 돼지 사육농가에서는 겨울철에

도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상조건별로는 전 축종에서 대기 환

기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비오는 날과 흐린 날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됐

다. 또한 하루 중 시간대에 따른 악취특성은 새벽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

Page 9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3 -

나 이는 기상조건이 안정하여 악취물질 확산효과가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

다.

전 축종별 사육농가에 대하여 주변의 거리별 악취 민원제기를 설문조사 한 결과

육계를 제외한 전 축종에서 해당 농가로부터 약 500m 범위의 악취 민원제기가

90%를 넘었으며, 농가로부터 1km 이내의 악취 민원제기가 다른 축종은 10%이내

인 반면 육계와 돼지의 경우는 약 2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 육계와 돼지 사육 농

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상대적으로 다른 축종의 사육농가보다 더 멀리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현재 악취 민원은 한육우

와 젖소보다는 돼지, 산란계 및 육계에서 민원이 많이 발생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

며, 향후에도 민원 제기가 있을 것 이라고 전망한 농가도 축종별로 그 비율이 약

18~26%를 차지하였다.

Page 9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4 -

Page 10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5 -

Ⅳ. 축산시설 악취농도 측정

1. 측정물질과 측정법

가. 측정물질

국내 사업장별로 배출되는 악취물질은 매우 다양하며, 그 악취 특성 및 영향 또한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각 사업장별 배출되는 악취물질의 특성

은 <표 4-1>과 같다.

<표 4-1> 각 악취물질의 주요발생원 사업장

물질명 주요 발생원 사업장

암모니아축산 사업장, 계분 건조장, 복합비료 제조공장, 전분 제조공장, 화제장, 어장

골 처리장, 털 처리장, 쓰레기 처리장, 분뇨 처리장, 하수 처리장

메틸머캅탄Craft pulp 제조공장, 화제장, 어장골 처리장, 쓰레기 처리장, 분뇨 처리장,

하수 처리장

황화수소

축산 사업장, Craft pulp 제조공장, 전분 제조 공장, 셀로판 제조공장, 비스

코스레이온 제조공장, 클로로프렌 제조공장, 담배 제조공장, 복합비료 제조

공장, 어장골 처리장

황화이메틸Craft pulp 제조공장, 화제장, 어장골 처리장, 쓰레기 처리장, 분뇨 처리장,

하수 처리장

이황화이메틸Craft pulp 제조공장, 화제장, 어장골 처리장, 쓰레기 처리장, 분뇨 처리장,

하수 처리장

트리메틸아민축산 사업장, 복합비료 제조공장, 화제장, 어장골 처리장, 수산 식료품 제조

공장

아세트알데히드아세트알데히드 제조공장, 아세트산 제조공장, 아세트산 비닐 제조공장, 클

로로프렌 제조공장, 담배 제조공장, 복합비료 제조공장, 어장골 처리장

프로피온알데히드

도장 공장, 기타 금속제품제조공장, 자동차수리공장, 인쇄공장, 어류가공업,

유지계 식료품제조공장, 수송용 기계기구제조공장 등

노르말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아데히드

노르말발레르알데히드

이소발레르알데히드

이소부탄올

도장 공장, 기타 금속제품제조공장, 자동차수리공장, 목공공장, 섬유공장, 기

타 기계제조공장, 인쇄공장, 수송용 기계기구제조공장, 주물공장 등

아세트산 에틸

메틸이소부틸케톤

톨루엔

스티렌스티렌 제조공장, 폴리스티렌 제조공장, 폴리스티렌 가공공장, SBR 제조공

장, FRP제품 제조공장, 화장합판 제조공장

크실렌 (톨루엔과 동일)

프로피온산 지방산 제조공장, 염색공장, 축산 사업장, 화제장, 전분 제조공장

노르말부틸산축산 사업장, 화제장, 어장골 처리장, 계분 건조장, 축산 식료품 제조공장,

전분 제조공장, 분뇨 처리장, 폐기물 처리장노르말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자료)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2001. 5.), 환경부

Page 10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6 -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의 발생원 및 특징은 일본 공해대책기술동우회의

악취방지기술 메뉴얼의 <표 4-2>와 같다.

<표 4-2> 축산악취 발생원 및 특징

발생원 악취강도 악취특징

축사내

가축, 채취 약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트리메틸

아민, 황화이메틸축사바닥 중

사료(배합) 약

쓰레기 강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젖산

하수구 중

분뇨

시설

분뇨운반장치 중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트리메틸

아민, 황화이메틸, 이황화이메틸건조 약∼중

퇴비저장시설 약

오수처리시설 약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분뇨, 오니처리장 중 황화수소, 암모니아

분 건조기 강암모니아, 디메틸아민, 젖산, 메틸머캅탄, 트

리메틸아민

분 소각 약∼강 암모니아, 디메틸아민, 메틸머캅탄

* 일본, 악취방지기술 매뉴얼, 공해대책기술동우회

나. 악취 측정법

1) 암모니아 포집 및 분석

가) 암모니아 포집

시료의 포집장치는 다음 <그림 4-1>과 같이 Handy sampler를 이용하여 포집하였

다.

Page 10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7 -

<그림 4-1> Handy sampler 기기특성 및 작동원리

흡수액은 붕산용액(0.5%) 25 ㎖씩 각각 흡수병에 넣고, 흡인속도는 흡수액의

overflow가 안 일어나는 1.5 ℓ/min로 유지하였으며, 포집시간은 10분간 실시하였

다.

나) 암모니아 분석

본 연구에서의 NH3 분석은 축산 시설내 고농도로 인하여 대기공정시험법의 악취

편 암모니아 분석의 검출한계 내에 들지 못하여 대기편 배출허용기준시험방법의 암

모니아 분석법인 인도페놀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 황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황화이메틸, 이황화이메틸)계열 포집 및 분석

가) 황계열 포집

시료의 포집은 시료채취용 백을 이용하여 포집하였다. 시료채취용 백은 폴리플루

오르화비닐 필름제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보존성능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제로

내부부피가 5~10 ℓ 정도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림 4-2>와 같이 감압을 할 수

있도록 밀폐상자를 사용하였다.

Page 10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8 -

<그림 4-2> Bag용 시료채취장치

시료의 포집시간은 10분간 실시하였다.

나) 황계열 분석

∙ 전처리장비(<그림 4-3>) : ENTECH / 7100 Preconcentrator

∙ 분석장비(<그림 4-4>) : Agilent / 6890 GC

∙ 검출기 : Ionics IBG / Sulfur Chemiluminescence Detector 355

∙ 시료의 농축 : Entech사의 7100 Preconcentrator를 이용하여 포집된 시료 중 일

정 양을 액체 질소로 -150 ℃ 이하로 냉각된 농축관에 포집시킨다. 3단계의 모듈을

거쳐 농축 된 시료를 GC/SCD에 도입한다.

∙ GC 분석조건

Carrier gas : He

Inlet temp. : 150 ℃ (Split ratio 10:1)

Column : HP-1 (30 m * 0.32 mm * 4 um)

Column flow : 2.4 ml/min

Oven temp. : 40 ℃(2 min)-10 ℃/min-160 ℃(5 min)

Detector : SCD

(Temp. : 800 ℃, H2 : 100 ml/min, Air : 40 ml/min)

Page 10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89 -

<그림 4-3> 황계열 전처리 장비 <그림 4-4> 황계열 분석장비(GC/SCD)

3) 아민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계열 포집 및 분석

가) 아민계열 포집

시료의 포집은 대기공정시험방법의 악취편 트리메틸아민 법을 이용하여 포집하였

다. 포집용 거름종이와 흡수장치 구성은 <그림 4-5>과 같으며, 포집용 거름종이는

직경 47 ㎜, 구멍크기 0.3 μ의 원형 유리섬유 거름종이로 20% H2SO4에 함침하고

Dry oven에서 60 ℃로 1시간정도 건조시킨 후 48시간이상 진공 데시케이터 안에서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시료의 포집은 2.5 ℓ/min의 유속으로 20~30분간 여지에 흡수하였다.

나) 아민계열 분석

∙ 전처리장비(<그림 4-6>) : TOP TRADING CO.

/ NF-203S Flow controller, TI-203F Flush sampler

∙ 분석장비(<그림 4-7>) : Agilent / 6890N GC

∙ 검출기 : FID(Flame Ionization Detector)

∙ 시료의 분해 : 시료를 채취한 거름종이를 용량 50 ㎖ 정도의 유리 용기에 넣어

증류수 20 ㎖를 정확히 가하여 5분간 흔들어 섞은 다음 거르고 거른액을 분석 시료

로 사용한다. 분석용 시료 용액을 분취하여 분해병 안에 주입한 후 0.15~0.2 ℓ

/min 유량의 질소를 40분간 purge하여 발생하는 아민류를 액체 산소로 냉각시킨 농

축관에 포집한다.

∙ 시료의 도입 : 시료 농축관과 GC를 연결한 후 시료 농축관을 80 ℃까지 가열

하여 carrier gas를 흘려 GC로 도입시킨다.

Page 10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0 -

∙ GC 분석조건

Carrier gas : He

Inlet temp. : 210 ℃

Column : Packed glass column

Packing material : PT(28%)+AT223+4% KOH(gas chromR) 80/100

Column flow : 20 ml/min

Oven temp. : 70 ℃(10 min)-195 ℃(15 min)

Detector : Temp. :230 ℃

(H2 : 40 ml/min, Air : 400 ml/min)

<그림 4-5>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여지흡수장치 및 펌프

Page 10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1 -

<그림 4-6> 아민계열 전처리 장비 <그림 4-7> 아민계열 분석장비(GC/FID)

그러나 본 연구에서 아민계열 분석 시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을 분리하여 분석

치 못하여 측정농도 전체를 디메틸아민 농도로 가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4) 지방산 (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계열 포집 및 분석

가) 지방산계열 포집

시료의 포집은 일본의 대기공정시험법을 이용하여 포집하였고, 포집용 튜브 구성

은 <그림 4-8>과 같다. 이는 내경 5 ㎜Φ, 길이 18 ㎝의 유리관(일본 환경고시청 47

호에 나타낸 스티렌용 Tenax관과 같은 것)에 저급지방산 Sr(OH)2로 충전한 흡착관

으로 하였다. 흡수펌프는 <그림 4-5>의 흡수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림 4-8> 지방산 흡수 튜브

시료의 포집은 2.5 ℓ/min의 유속으로 20~30분간 여지에 흡수하였다.

나) 지방산계열 분석

Page 10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2 -

∙ 시료의 도입 및 분석 : 시료 성분을 포집한 시료 흡착관에 가열 장치를 장착하

여 180 ℃까지 가열하고, 질소나 헬륨을 약 40~60 ml/min로 약 10분간 흘려준다.

흡착관에 carrier 가스를 흘리면서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GC에 접속하고 carrier

gas를 흘리고 그 유량이 안정된 것을 확인한 후에 포집관에 formic acid 20 ul를 주

입하고, 포집관을 180 ℃까지 급속 가열 승온시켜 피검 성분을 GC에 도입시킨다.

∙GC 분석조건

Carrier gas : He

Inlet temp. : 250℃

Column : Packed Glass Column

Packing material : FFAP(0.3%)+H3PO4(0.3%) Graphit carbon 60/80

Column flow : 60 ml/min

Oven temp. : 140 ℃ - 12 ℃/min - 270 ℃

Detector : Temp. :280 ℃

<그림 4-9> 지방산 전처리 장비 <그림 4-10> 지방산 분석장비

5) 사육시설내 분진 및 검지관, 유속, 온도, 습도 측정

분진농도 측정은 간이측정법인 SIBATA Digital Dust Indicator Model P-5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검지관은 NH3의 경우 측정범위 1~30 ppm인 GASTEC 3L과

측정범위 1~100 ppm인 GASTEC 3La을 사용하였으며, H2S의 경우 측정범위 1~

240 ppm인 GASTEC 4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속 및 온도, 습도 측정은 열선

풍속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age 10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3 -

2. 한육우, 젖소 시설 악취 측정결과

가. 농가선정 및 현황

대상농가 선정은 농림부 국내 한육우, 젖소사육현황(2002) 자료를 참조하여 대, 중,

소규모로 분류하였고, 각 규모별 대상농가 선정은 현장 방문을 통해 주변 배경농도

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가를 <표 4-3>과 같이 선정하여 실측하였다.

<표 4-3> 한육우, 젖소 측정대상 사육농가

축 종 측정지점명 시설 규모 소재지 사육규모 (두)

한육우

C-L 대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송나리 136

C-M 중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송말2리 84

C-S 소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송말2리 30

젖 소

D-L 대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송계2리 107

D-M 중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송계1리 81

D-S 소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상봉4리 19

한육우, 젖소 측정대상농가의 측정지점에서의 일반 환경조건은 <표 4-4>와 같다.

<표 4-4> 한육우, 젖소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측정

지점명세부지점

분진농도

(㎍/㎥)

검지관 (ppm) 유속

(m/s)

온도

(℃)

습도

(%)NH3 H2S

C-L-1 축사내 76 4 0 0.16 18.7 84.0

C-L-2 축사내 77 3.5 0 0.10 20.6 79.0

C-M 축사내 - 3 0 0.52 23.5 88.3

C-S 축사내 - 1 0 0.07 23.5 83.4

D-L 축사내 237 3 0 0.42 24.0 90.0

D-M-1 축사내 72 2 0 0.05 24.0 76.0

D-M-2 축사내 242 1 0 0.04 23.0 88.0

D-S 축사내 62 1.5 0 0.16 24.0 87.0

Page 10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4 -

측정지점의 측정 당시 평균 분진농도는 한육우의 경우 77 ㎍/㎥이고, 젖소의 경우

153.3 ㎍/㎥였으며, 축사내 평균 유속은 한육우의 경우 0.21 m/s이고, 젖소의 경우

0.17 m/s였다. 또한 한육우의 평균 온도는 21.6 ℃였으며, 젖소의 경우 23.8 ℃였다.

습도의 경우 한육우의 경우 83.7%, 젖소의 경우 85.3% 였다.

나. 한육우, 젖소 측정결과

1) 한육우

한육우에서의 측정은 <그림 4-11>~<그림 4-13>과 같이 축사내 중앙에서 실시하

였으며, 규모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5>와 같다.

<그림 4-11> 한육우 사육시설(대규모) 실측장면

Page 11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5 -

<그림 4-12> 한육우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그림 4-13> 한육우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Page 11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6 -

<표 4-5> 한육우 축사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발레

르산

이소발

레르산

C-L-1 5.4 40.9 10.1 2.9 2.2 10.9 47.5 58.6 35.2 77.4

C-L-2 1.8 53.0 9.9 2.5 2.2 7.3 13.9 34.9 0.0 85.8

C-M 1.7 32.1 N.D N.D N.D 8.2 17.9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C-S 1.3 N.D N.D N.D N.D 9.6 21.3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범 위1.3∼

5.4

0.0∼

53.0

0.0∼

10.1

0.0∼

2.9

0.0∼

2.2

7.3∼

10.917.9∼47.5

0.0∼

58.6

0.0∼

35.2

0.0∼

85.8

산술평균 2.6 31.5 5.0 1.3 1.1 9.0 25.1 46.8 17.6 81.6

중앙값 1.8 36.5 4.9 1.2 1.1 8.9 19.6 17.4 0.0 38.7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및 (CH3)3N (ppb),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ppt)

측정결과 한육우사의 경우 NH3는 산술평균으로 2.6 ppm, H2S는 31.5 ppb,

(CH3)SH는 5.0 ppb, (CH3)2S는 1.3 ppb, (CH3)2S2는 1.1 ppb, CH3N는 9.0 ppb,

(CH3)2N와 (CH3)3N는 25.1 ppb, 부틸산은 46.8 ppt, 발레르산은 17.6 ppt, 이소발레

르산은 81.6 ppt가 측정되었고, 중앙값으로 1.8 ppm, H2S는 36.5 ppb, (CH3)SH는

4.9 ppb, (CH3)2S는 1.2 ppb, (CH3)2S2는 1.1 ppb, CH3N는 8.9 ppb, (CH3)2N와

(CH3)3N는 19.6 ppb, 부틸산은 17.4 ppt, 발레르산은 0.0 ppt, 이소발레르산은 38.7

ppt로 측정되었다. .

2) 젖소

젖소 사육축사에서의 측정은 <그림 4-14>와 같이 축사내 중앙에서 실시하였으며,

규모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6>과 같다.

Page 11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7 -

<그림 4-14> 젖소 사육시설(대규모) 실측장면

<그림 4-15> 젖소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Page 11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8 -

<그림 4-16> 젖소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표 4-6> 젖소 축사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 발레르산이소발

레르산

D-L 2.2 N.D N.D N.D N.D 46.9 24.6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D-M-1 2.7 13.7 N.D N.D N.D 11.0 46.8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D-M-2 1.8 16.2 9.7 3.1 2.5 N.D N.D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D-S 7.5 31.8 N.D 2.3 2.0 8.8 19.5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범 위2.2∼

7.5

0.0∼

31.8

0.0∼

9.7

0.0∼

3.1

0.0∼

2.5

0.0∼

46.90.0∼46.8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산술평균 3.6 15.4 2.4 1.4 1.1 16.7 22.7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중앙값 2.4 14.9 0.0 1.2 1.0 9.9 22.1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및 (CH3)3N (ppb),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ppt)

측정결과 젖소 축사내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가 3.6 ppm, H2S는 15.4 ppb,

(CH3)SH는 2.4 ppb, (CH3)2S는 1.4 ppb, (CH3)2S2는 1.1 ppb, CH3N는 16.7 ppb,

(CH3)2N와 (CH3)3N는 22.7 ppb가 측정되었고, 중앙값으로는 NH3가 2.4 ppm, H2S는

14.9 ppb, (CH3)SH는 0.0 ppb, (CH3)2S는 1.2 ppb, (CH3)2S2는 1.0 ppb, CH3N는 9.9

ppb, (CH3)2N와 (CH3)3N는 22.1 ppb가 측정되었다.

Page 11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99 -

3. 산란계, 육계 시설 악취 측정결과

가. 농가선정 및 현황

대상농가 선정은 농림부 국내 산란계, 육계 사육현황(2002) 자료를 참조하여 대,

중, 소규모로 분류하였고, 각 규모별 대상농가 선정은 현장 방문을 통해 주변 배경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가를 <표 4-7>과 같이 선정하여 실측하였다.

<표 4-7> 산란계, 육계 측정대상 사육농가

축 종 측정지점명 시설 규모 소재지 사육규모 (두)

산란계

L-L 대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고정리 350,000

L-M 중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독정리 45,000

L-S 소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명목리 11,200

육계

B-L 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삼국리 55,000

B-M 중 경기도 화성시 조암면 독정리 42,000

B-S 소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수촌리 18,000

산란계, 육계 측정대상농가의 측정지점에서의 일반 환경조건은 <표 4-8>과 같다.

<표 4-8> 산란계, 육계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측정

지점명세부지점

분진농도

(㎍/㎥)

검지관 (ppm) 유속

(m/s)

온도

(℃)

습도

(%)NH3 H2S

L-L 축사내 299 3 0 2.68 26.6 71.8

L-M 축사내 865 7 0 0.34 26.0 64.0

L-S 축사내 466 30 0 0.65 32.0 74.0

B-L 축사내 282 3 0 6.32 27.0 68.0

B-M 축사내 1,356 38 0 1.82 25.5 66.0

B-S 축사내 1,393 13 0 0.17 21.0 62.0

Page 11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0 -

측정지점의 측정 당시 평균 분진농도는 산란계의 경우 543.3 ㎍/㎥이고, 육계의 경

우 1,010.3 ㎍/㎥였으며, 축사내 평균 유속은 산란계의 경우 1.22 m/s이고, 육계의

경우 2.77 m/s였다. 또한 산란계의 평균 온도는 28.2 ℃였으며, 육계의 경우 24.5 ℃

였다. 습도의 경우 산란계의 경우 69.9%, 육계의 경우 65.3% 였다.

나. 산란계, 육계 측정결과

1) 산란계

산란계에서의 측정은 <그림 4-17>~<그림 4-18>와 같이 축사내 중앙에서 실시하

였으며, 규모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9>와 같다.

<그림 4-17> 산란계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Page 11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1 -

<그림 4-18> 산란계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표 4-9> 산란계사 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 발레르산이소발

레르산

L-L 9.5 13.0 N.D 17.7 N.D 7.4 43.8 7.5 22.3 N.D

L-M 5.2 399.6 N.D 19.9 N.D 8.6 38.2 N.D N.D 44.2

L-S 34.6 12.2 9.9 3.1 N.D 18.4 55.4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범 위5.2∼

34.6

12.2∼

399.6

0.0∼

9.9

3.1∼

19.9N.D

7.4∼

18.439.2∼55.4

0.0∼

7.5

0.0∼

22.3

0.0∼

44.2

산술평균 16.4 141.6 3.3 13.5 N.D 11.5 45.8 3.8 11.2 22.1

중앙값 9.5 13.0 N.D 17.7 N.D 8.6 43.8 N.D N.D N.D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및 (CH3)3N (ppb),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ppt)

측정결과 산란계사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16.4ppm, H2S는 141.6ppb,

(CH3)SH는 3.3ppb, (CH3)2S는 13.5ppb, (CH3)2S2는 측정한계 이하, CH3N는 11.5ppb,

(CH3)2N와 (CH3)3N는 45.8ppb, 부틸산은 3.8ppt, 발레르산은 11.2ppt, 이소발레르산

은 22.1ppt가 측정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9.4ppm, H2S는 13.0ppb, (CH3)SH는 측

Page 11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2 -

정한계 이하, (CH3)2S는 17.7ppb, (CH3)2S2는 측정한계 이하, CH3N는 8.6ppb,

(CH3)2N와 (CH3)3N는 43.8ppb, 부틸산과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은 측정한계 이하

로 측정되었다.

2) 육계

육계에서의 측정은 <그림 4-19>~<그림 4-21>과 같이 축사내 중앙에서 실시하였

으며, 규모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10>과 같다.

<그림 4-19> 육계 사육시설(대규모) 실측장면

Page 11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3 -

<그림 4-20> 육계 사육시설(중규모) 실측장면

<그림 4-21> 육계 사육시설(소규모) 실측장면

Page 11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4 -

<표 4-10> 육계사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 발레르산이소발

레르산

B-L 3.3 N.D 11.9 N.D 2.5 18.1 43.0 45.4 N.D 19.0

B-M 25.0 11.9 10.7 13.2 N.D 8.9 48.1 N.D 12.2 N.D

B-S 15.0 11.7 12.5 8.1 N.D 6.0 22.5 N.D 16.0 N.D

범 위3.3∼

25.0

0.0∼

11.9

10.7∼

12.5

0.0∼

13.2

0.0∼

2.5

6.0∼

18.122.5∼48.1

0.0∼

45.4

0.0∼

16.0

0.0∼

19.0

산술평균 14.4 7.9 11.7 7.1 0.8 11.0 37.9 15.1 9.4 6.3

중앙값 15.0 11.7 11.9 8.1 N.D 8.9 43.0 N.D 12.2 N.D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및 (CH3)3N (ppb),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ppt)

측정결과 육계사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14.4 ppm, H2S는 7.9 ppb, (CH3)SH

는 11.7 ppb, (CH3)2S는 7.1 ppb, (CH3)2S2는 0.8 ppb, CH3N는 11.0 ppb, (CH3)2N와

(CH3)3N는 37.9 ppb, 부틸산은 15.1 ppt, 발레르산은 9.4 ppt, 이소발레르산은 6.3

ppt가 측정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15.0 ppm, H2S는 11.7 ppb, (CH3)SH는 11.9

ppb, (CH3)2S는 8.1 ppb, (CH3)2S2는 측정한계 이하, CH3N는 8.9 ppb, (CH3)2N와

(CH3)3N는 43.0 ppb, 부틸산은 측정한계 이하, 발레르산은 12.2 ppt, 이소발레르산은

측정한계 이하로 측정되었다.

Page 12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5 -

4. 양돈 시설 악취 측정결과

가. 농가선정 및 현황

대상농가 선정은 농림부 국내 돼지사육현황(2002) 자료를 참조하여 대, 중, 소규모

로 분류하였고, 각 규모별 대상농가 선정은 현장 방문을 통해 주변 배경농도에 영

향을 주지 않는 농가를 <표 4-11>과 같이 선정하여 실측하였다.

<표 4-11> 돼지 측정대상 사육농가

구 분 시설 규모 사양 방식 분뇨 처리 소재지사육규모

(두)

P-L 대 번식 비육 슬러리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서근리 10,000

P-M-1 중 번식 비육 슬러리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장평리 2,500

P-M-2 중 번식 비육 슬러리/톱밥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주박리 2,300

P-S 소 번식 비육 슬러리/톱밥 경기도 옹진군 영흥면 외1리 600

돼지 측정대상농가의 측정지점에서의 일반 환경조건은 <표 4-12>와 같다.

<표 4-12> 돼지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지점명 세부시설분진농도

(㎍/㎥)

검지관 (ppm) 유속

(m/s)

온도

(℃)

습도

(%)NH3 H2S

P-L

자돈사 155 5 0 0.09 27 84

분만돈사 156 2 0 0.18 26 77

모돈사 254 4 0 0.20 25 84

비육돈사 237 5 0 0.24 25 83

P-M-1

자돈사 269 10 0 0.13 25.2 82

분만돈사 120 4 0 0.09 21.3 75

모돈사 145 4 0 0.22 22 75

비육돈사 178 5 0 1.11 21.3 81

P-M-2

자돈사 425 4 0 0.19 29 83

분만돈사 235 4 0 0.33 28.6 71

모돈사 261 5 0 0.15 30 80

비육돈사 톱밥 253 17 0 0.15 30 84

비육돈사 슬러리 140 1 0 0.33 29 82

P-S

자돈사 244 1 0 0.17 25 82

분만돈사 99 2 0 0.20 26 73

모돈사 119 3 0 0.10 25 74

비육돈사 톱밥 97 1 0 0.32 25 76

Page 12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6 -

측정지점의 측정 당시 평균 분진농도는 자돈사의 경우 273.3 ㎍/㎥이고, 분만돈사

의 경우 152.5 ㎍/㎥, 모돈사의 194.8 ㎍/㎥, 비육돈사의 경우 181 ㎍/㎥였으며, 축사

내 평균 유속은 자돈사의 경우 0.15 m/s이고, 분만돈사의 경우 0.20 m/s, 모돈사의

경우 0.17 m/s, 비육돈사의 경우 0.43 m/s였다. 또한 자돈사의 평균 온도는 26.6 ℃

였으며, 분만돈사의 경우 25.5 ℃, 모돈사의 경우 25.5 ℃, 비육돈사의 경우 26.1 ℃

였다. 습도의 경우 자돈사가 82.8%, 분만돈사가 74.0%, 모돈사가 78.3%, 비육돈사가

81.2% 였다.

나. 돈사 측정결과

1) 자돈사

자돈사에서의 측정은 <그림 4-22>와 같이 축사내 중앙에서 실시하였으며, 규모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13>과 같다.

<그림 4-22> 자돈사 실측장면

Page 12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7 -

<표 4-13> 자돈사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자돈사 슬러리 4.9 77.1 11.7 5.1 2.6

P-M-1 자돈사 슬러리 21.0 596.2 11.5 3.3 2.1

P-M-2 자돈사 슬러리 8.3 29.3 12.9 4.8 2.4

P-S 자돈사 슬러리 0.9 59.3 9.8 3.1 2.2

범 위0.9∼

21.0

29.3∼

596.2

9.8∼

12.9

3.1∼

5.1

2.1∼

2.6

산 술 평 균 8.8 190.5 11.5 4.1 2.3

중 앙 값 6.6 68.2 11.6 4.1 2.3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ppb),

측정결과 자돈사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8.8 ppm, H2S는 190.5 ppb, (CH3)SH

는 11.5 ppb, (CH3)2S는 4.1 ppb, (CH3)2S2는 2.3 ppb가 측정되었고, 중앙값으로는

NH3는 6.6 ppm, H2S는 68.2 ppb, (CH3)SH는 11.6 ppb, (CH3)2S는 4.1 ppb,

(CH3)2S2는 2.3 ppb가 측정되었다.

2) 분만돈사

분만돈사에서의 측정은 <그림 4-23>와 같이 축사내 중앙에서 실시하였으며, 규모

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14>와 같다.

Page 12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8 -

<그림 4-23> 분만돈사 실측장면

<표 4-14> 분만돈사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분만돈사 슬러리 2.4 125.6 9.8 2.4 2.3

P-M-1 분만돈사 슬러리 3.8 2,182.9 9.9 N.D 2.2

P-M-2 분만돈사 슬러리 6.1 43.7 9.8 2.8 2.1

P-S 분만돈사 슬러리 1.7 42.3 9.7 3.0 2.3

범 위 1.7∼6.142.3∼

2182.99.7∼9.9 0.0∼3.0 2.1∼2.3

산 술 평 균 3.5 598.6 9.8 2.1 2.2

중 앙 값 3.1 84.7 9.8 2.6 2.2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ppb),

측정결과 분만돈사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3.5 ppm, H2S는 598.6 ppb,

Page 12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09 -

(CH3)SH는 9.8 ppb, (CH3)2S는 2.1 ppb, (CH3)2S2는 2.2 ppb가 측정되었고, 중앙값

으로 NH3는 3.1 ppm, H2S는 84.7 ppb, (CH3)SH는 9.8 ppb, (CH3)2S는 2.6 ppb,

(CH3)2S2는 2.2 ppb가 측정되었다.

3) 모돈사

모돈사에서의 측정은 <그림 4-24>와 같이 축사내 중앙에서 실시하였으며, 규모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15>과 같다.

<그림 4-24> 모돈사 실측장면

Page 12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0 -

<표 4-15> 모돈사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모돈사 슬러리 5.0 191.0 9.8 3.0 2.2

P-M-1 모돈사 슬러리 3.1 533.5 N.D 2.4 2.2

P-M-2 모돈사 슬러리 6.7 6,712.4 11.1 3.0 2.3

P-S 모돈사 슬러리 2.1 51.9 9.8 2.8 2.2

범 위 2.1∼6.751.9∼

6712.49.8∼11.1 2.4∼3.0 2.2∼2.3

산 술 평 균 4.2 1,872.2 10.2 2.8 2.2

중 앙 값 4.0 362.3 9.9 2.9 2.2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ppb),

측정결과 모돈사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4.2 ppm, H2S는 1,872.2 ppb,

(CH3)SH는 10.2 ppb, (CH3)2S는 2.8 ppb, (CH3)2S2는 2.2 ppb가 측정되었고, 중앙값

으로 NH3는 4.0 ppm, H2S는 362.3 ppb, (CH3)SH는 9.9ppb, (CH3)2S는 2.9ppb,

(CH3)2S2는 2.2ppb가 측정되었다.

4) 비육돈사

비육돈사에서의 측정은 <그림 4-25>∼<그림 4-26>과 같이 톱밥처리 비육돈사 및

슬러리 처리방식 비육돈사내 중앙에서 각각 실시하였으며, 규모별 분뇨처리방식별

악취물질 측정농도는 다음 <표 4-16>과 같다.

Page 12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1 -

<그림 4-25> 비육 슬러리돈사 실측장면

<그림 4-26> 비육 톱밥돈사 실측장면

Page 12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2 -

<표 4-16> 비육돈사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비육돈사 슬러리 8.7 70.9 10.2 5.2 2.2

P-M-1 비육돈사 슬러리 6.6 857.7 10.9 3.4 2.1

P-M-2 비육돈사 톱밥처리 11.3 1,230.2 11.2 3.8 2.2

P-M-2 비육돈사 슬러리 1.5 42.3 9.6 N.D N.D

P-S 비육돈사 톱밥처리 2.7 2,903.2 9.8 2.5 N.D

비육돈사 슬러리 평균 5.6 323.6 10.2 2.9 1.4

비육돈사 톱밥처리 평균 7.0 2,066.7 10.5 3.2 1.1

범 위 1.5∼11.342.3∼

2,903.29.6∼11.2 0.0∼5.2 0.0∼2.2

비육돈사 평균 6.2 1,020.9 10.3 3.0 1.3

중 앙 값 6.6 857.7 10.2 3.4 2.1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ppb),

측정결과 비육돈사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6.2 ppm, H2S는 1,020.9 ppb,

(CH3)SH는 10.3 ppb, (CH3)2S는 3.0 ppb, (CH3)2S2는 1.3 ppb가 측정되었고, 중앙값

으로 NH3는 6.6 ppm, H2S는 857.7 ppb, (CH3)SH는 10.2 ppb, (CH3)2S는 3.4 ppb,

(CH3)2S2는 2.1 ppb가 측정되었다. 또한 분뇨처리 형태별로 슬러리 처리에서 NH3는

평균 5.6 ppm, H2S는 323.6 ppb, (CH3)SH는 10.2 ppb, (CH3)2S는 2.9 ppb, (CH3)2S2

는 1.4 ppb가 측정되었으며, 톱밥 처리에서 NH3는 평균 7.0 ppm, H2S는 2066.7

ppb, (CH3)SH는 10.5 ppb, (CH3)2S는 3.2 ppb, (CH3)2S2는 1.1ppb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돈사 실측결과 암모니아 중앙값의 경우 자돈사에서 6.6 ppm, 분만돈사에

서 3.1 ppm, 모돈사에서 4.0 ppm, 비육돈사에서 6.6 ppm이 측정되었으며, 황화수소

중앙값의 경우 자돈사에서 68.2 ppb, 분만돈사에서 84.7 ppb, 모돈사에서 362.3 ppb,

비육돈사에서 857.7 ppb가 측정되었다. 이는 박상진의 「충남지역 내 축사에서 발생

하는 악취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2002)결과에서 황화수소의 경우 자돈사에서

5,056.3 ppb, 비육돈사에서 측정한계이하, 분만돈사에서 측정한계이하인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캐나다의 Nova scotia주 농림부의 「Odour control guidelines for

livestock operators」(1994) 연구결과 겨울철 돼지 사육농가 내 농도가 암모니아 평

Page 12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3 -

균 15 ppm, 황화수소 평균 3,000 ppb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미국의 Albert J.

Heber의 「Indoor air quality and pollution emission of swine buildings」(1998)에

의하면 1,000두 규모의 돈사 내부 암모니아 농도가 2~24 ppm이며, 황화수소 농도

가 50~1,200 ppb 인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age 12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4 -

5. 퇴비처리장 악취 측정결과

가. 퇴비처리장 현황

퇴비처리장의 측정지점에서의 일반 환경조건은 <표 4-17>과 같다.

<표 4-17> 퇴비처리장 측정지점 일반 환경조건

측정

지점명세부지점

분진농도

(㎍/㎥)

검지관 (ppm) 유속

(m/s)

온도

(℃)

습도

(%)NH3 H2S

M-P-1 방지시설 전단 11.20 36.4 -

M-P-2 방지시설 후단 5.00 29.9 97.7

M-P-3 퇴비저장시설 0.34 31.0 57.0

M-P-4 처리시설 내 1,253 26 0 0.13 34.0 68.9

M-L 처리시설 내 - 68 0 0.17 27.0 -

나. 퇴비처리장 측정결과

퇴비처리장의 측정은 <그림 4-27>~<그림 4-30>과 같이 방지시설 전․후단 및

퇴비저장소 중앙, 처리시설내 중앙에서 각각 실시하였으며, 측정지점별 악취물질 측

정농도는 다음 <표 4-18>과 같다.

<그림 4-27>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시설 전단 실측장면

Page 13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5 -

<그림 4-28>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시설 후단 실측장면

<그림 4-29> 퇴비처리장 퇴비저장소 실측장면

Page 13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6 -

<그림 4-30> 퇴비처리장 처리시설내 실측장면

<표 4-18> 퇴비처리장내 악취물질 농도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 발레르산이소발

레르산

M-P-3 12.5 31.5 10.7 2.6 2.5 18.7 71.8 36.0 N.D N.D

M-P-4 48.0 52.3 12.9 62.2 10.6 22.6 105.3 1521.7 42.3 45.5

M-L 159.1 13.7 N.D 38.2 N.D 23.1 515.1 16.9 16.4 N.D

범 위12.5∼

159.1

31.5

∼52.30.0∼12.9

2.6∼

62.20.0∼10.6

18.7∼

23.171.8∼515.1

16.9∼

1521.7

0.0∼

42.3

0.0∼

45.5

*평 균 73.2 32.5 7.9 34.3 4.4 21.5 230.7 690.9 29.6 31.0

중앙값 48.0 31.5 10.7 38.2 2.5 22.6 105.3 36.0 29.4 22.8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ppb), CH3N, (CH3)2N 및 (CH3)3N (ppb),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ppt)

* 평균 : 처리시설내 농도 산술평균

측정결과 퇴비처리장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73.2 ppm, H2S는 32.5 ppb,

(CH3)SH는 7.9 ppb, (CH3)2S는 34.3 ppb, (CH3)2S2는 4.4 ppb, CH3N는 21.5 ppb,

(CH3)2N와 (CH3)3N는 230.7 ppb, 부틸산은 690.9 ppt, 발레르산은 29.6 ppt, 이소발

레르산은 31.0 ppt가 측정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48.0 ppm, H2S는 31.5 ppb,

(CH3)SH는 10.7ppb, (CH3)2S는 38.2ppb, (CH3)2S2는 2.5 ppb, CH3N는 22.6 ppb,

(CH3)2N와 (CH3)3N는 105.3 ppb, 부틸산은 36.0 ppt, 발레르산은 29.4 ppt, 이소발레

르산은 22.8 ppt가 측정되었다.

Page 13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7 -

6. 축종별 부지경계의 악취농도

주변지역 악취물질의 영향 파악을 위해 <그림 4-31>~<그림 4-33>과 같이 풍하

방향 20m 지점에 부지경계를 선정하여 축종별로 측정하였으며 부지경계 측정농도

는 <표 4-19>와 같다.

<그림 4-31> 한육우 부지경계 실측장면

<그림 4-32> 산란계 부지경계 실측장면

Page 13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8 -

<그림 4-33> 육계 부지경계 실측장면

Page 13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19 -

<표 4-19> 부지경계 악취물질 농도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C-M 0.9 13.8 N.D N.D N.D 9.9 15.5

D-L 1.8 N.D N.D N.D N.D 9.4 30.2

D-S 2.4 17.0 N.D N.D N.D N.D N.D

L-L 6.7 11.9 N.D 8.9 N.D 16.0 83.4

L-M 1.1 20.8 N.D N.D 2.4 9.3 23.5

L-S 1.4 13.7 N.D N.D N.D 8.8 14.3

B-L 0.2 17.6 N.D N.D N.D N.D N.D

B-M 0.2 10.7 N.D 4.8 N.D 6.0 13.6

B-S 0.3 10.7 N.D 5.0 N.D 6.7 19.9

P-L 1.4 13.7 N.D N.D N.D 8.8 14.3

P-M 7.5 31.8 N.D 2.3 2.0 8.8 19.5

P-S 1.8 53.0 9.9 2.5 2.2 7.3 13.9

범 위0.2∼

7.5

0.0∼

53.00.0∼9.9

0.0∼

8.9

0.0∼

2.4

0.0∼

16.00.0∼83.4

평 균 2.1 17.9 0.8 2.0 0.6 7.6 20.7

중앙값 1.4 13.8 0 0 0 8.8 14.9

단위 : NH3 (ppm), H2S, (CH3)SH, (CH3)2S, (CH3)2S2 (ppb), CH3N, (CH3)2N 및 (CH3)3N (ppb)

측정결과 부지경계의 경우 산술평균으로 NH3는 2.1ppm, H2S는 17.9ppb, (CH3)SH

는 0.8ppb, (CH3)2S는 2.0ppb, (CH3)2S2는 0.6ppb, CH3N는 7.6ppb, (CH3)2N와

(CH3)3N는 20.7ppb가 측정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1.4ppm, H2S는 13.8ppb,

(CH3)SH는 0.0ppb, (CH3)2S는 0.0ppb, (CH3)2S2는 0.0ppb, CH3N는 8.8ppb, (CH3)2N

와 (CH3)3N는 14.9ppb가 측정되었다. 또한 부지경계에서 NH3와 H2S, (CH3)SH의 최

고 농도를 나타내는 축종은 돼지 사육농가였으며, (CH3)2S, (CH3)2S2, CH3N,

(CH3)2N와 (CH3)3N는 산란계 사육농가 부지경계에서 최고 농도를 나타내었다.

Page 13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0 -

7. 축종별 악취농도의 비교

가. 축종별 악취물질 농도 비교

각 축사 형태별 평균 악취물질 농도는 <그림 4-34> ∼ <그림 4-35>와 같다.

* 돼지 : 축산연구소 및 수원대학교 환경청정기술센터 공동연구 결과

돼지평균은 비육돈의 평균을 사용하였음

평균값은 중앙값을 사용하였음

평균농도 : 25℃ 표준대기압 환산농도

<그림 4-34> 축종 및 시설별 암모니아 평균 농도

1.8 2.4

9.5

15.0

48.0

1.4

6.6

0

10

20

30

40

50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돼지

축종별

NH

3(p

pm

)

암모니아의 경우 퇴비처리장 내에서 48.0 ppm으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퇴비처리장 퇴비화 공정특성상 분뇨의 교반과정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다음으로 육계 와 산란계 축사 내 농도가 15.0~9.5 ppm으로 높게 나타났다.

Page 13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1 -

<그림 4-35> 축종 및 시설별 황화수소 평균 농도

36.5 14.9 13.0 11.7 31.5 13.8

857.7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돼지

축종별

H2S(p

pb)

황화수소의 경우 돼지 사육농가 축사 내에서 857.7 ppb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

었다. 다음으로 한육우 사육농가 축사 내 농도 와 퇴비처리장 내 농도가 36.5~31.5

ppb로 높게 나타났다.

<그림 4-36> 축종 및 시설별 메틸머캅탄 평균 농도

4.9

0.0 0.0

11.9

10.7

0.0

10.2

0

3

6

9

12

15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돼지

축종별

(CH

3)S

H(p

pb)

메틸머캅단의 경우 육계 사육농가 축사 내에서 11.9 ppb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

내었다. 다음으로 퇴비처리장과 돼지 사육농가 축사 내 농도가 10.7~10.2 ppb로 높

게 나타났다.

Page 13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2 -

<그림 4-37> 축종 및 시설별 황화이메틸 평균 농도

1.2 1.2

17.7

8.1

38.2

0.0

3.4

0

10

20

30

40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돼지

축종별

(CH

3) 2

S(p

pb)

황화이메틸의 경우 퇴비처리장 내에서 38.2 ppb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다

음으로 산란계 와 육계 사육농가 축사 내 농도가 17.7~8.1 ppb로 높게 나타났다.

<그림 4-38> 축종 및 시설별 이황화이메틸 평균 농도

1.1 1.0

0.0 0.0

2.5

0.0

2.1

0

1

2

3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돼지

축종별

(CH

3) 2

S2(p

pb)

이황화이메틸의 경우 퇴비처리장 내에서 2.5 ppb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돼지 와 한육우 사육농가 축사 내 농도가 2.1~1.1 ppb로 높게 나타났다.

Page 13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3 -

<그림 4-39> 축종 및 시설별 메틸아민 평균 농도

8.99.9

8.6 8.9

22.6

8.8

15.5

0

5

10

15

20

25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돼지

축종별

CH

3N

(ppb)

메틸아민의 경우 퇴비처리장 내에서 22.6 ppb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다음

으로 돼지 와 젖소 사육농가 축사 내 농도가 15.5~9.9 ppb로 높게 나타났다.

<그림 4-40> 축종 및 시설별 디메틸아민+트리메틸아민 평균 농도

* (CH3)2N, (CH3)3N 악취도 : (CH3)2N와 (CH3)3N 전체 농도가 (CH3)2N으로 가정하여 계산함.

19.6 22.1

43.8 43.0

105.3

14.921.7

0

30

60

90

120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부지경계 돼지

축종별

(CH

3)2

N +

(C

H3)3

N (

ppb)

디메틸아민 및 트리메틸아민의 경우 퇴비처리장 내에서 105.3 ppb로 가장 높은 농

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산란계 와 육계 사육농가 축사 내 농도가 43.8~43.0

ppb로 높게 나타났다.

Page 13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4 -

<그림 4-41> 축종 및 시설별 부틸산 평균 농도

17.4

0.0 0.0

36.0

0

10

20

30

40

한우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축종별

부틸

산(p

pt)

부틸산의 경우 퇴비처리장 내에서 36.0 ppt로 측정되었으며, 한육우의 경우 17.4 ppt

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란계 및 육계의 경우 측정한계 이하로 분석되었다.

<그림 4-42> 축종 및 시설별 발레르산 평균 농도

0.0 0.0

12.2

29.4

0

10

20

30

한우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축종별

발레

르산

(ppt)

발레르산의 경우 퇴비처리장 내에서 29.4 ppt로 측정되었으며, 육계의 경우 12.2 ppt

로 분석되었다. 또한 한육우 및 산란계의 경우 측정한계 이하로 분석되었다.

Page 14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5 -

<그림 4-43> 축종 및 시설별 이소발레르산 평균 농도

38.7

0.0 0.0

22.8

0

10

20

30

40

50

한우 산란계 육계 퇴비처리장

축종별

이소

발레

르산

(ppt)

이소발레르산의 경우 한육우 사육농가 축사 내에서 38.7 ppt로 측정되었으며, 퇴비

처리장 내의 경우 22.8 ppt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란계 및 육계의 경우 측정한계 이

하로 분석되었다.

Page 14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6 -

나. 축종별 악취 물질별 냄새세기 분석

악취물질의 자극량과 감각 세기와의 관계는 다음식으로 표현되며, 이식을

Weber-Fechner의 법칙이라고 한다. 이 법칙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되는

11가지 악취물질의 냄새세기와 물질농도와의 함수 관계식은 <표 4-20>과 같으며,

대기공정시험방법의 냄새세기에 대한 악취판정도는 <표 4-21>과 같다.

<표 4-20> 악취 물질별 냄새세기와 물질농도와의 함수 관계식

물질명

냄새세기(Y)와

물질농도(X)와의 함수

관계식

물질명

냄새세기(Y)와

물질농도(X)와의 함수

관계식

NH3 Y = 1.67 logX + 2.38 H2S Y = 0.950 logX + 4.14

(CH3)SH Y = 1.25 logX + 5.99 (CH3)2S Y = 0.784 logX + 4.06

(CH3)2S2 Y = 0.985 logX + 4.51 CH3N Y = 1.03 logX + 4.10

(CH3)2N Y = 0.811 logX + 3.52 (CH3)3N Y = 0.901 logX + 4.56

부틸산 Y = 1.29 logX + 6.37 발레르산 Y = 1.58 logX + 7.29

이소발레르산 Y = 1.09 logX + 5.65

* X : ppm , Y : 냄새세기

<표 4-21> 대기공정시험방법 악취판정도

악취도 악취강도구분 설 명

0 무취(None)상대적으로 무취로 평상시 후각으로 아무것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

1 감지취기(Threshold)무슨 냄새인지는 알 수 없으나 무언가를 느낄 수 있는 정

도의 상태

2 보통취기(Moderate) 무슨 냄새인지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

3 강한취기(Strong)쉽게 감지할수 있는 정도의 강한 냄새를 말하며 예를들어

병원에서 특유의 크로졸 냄새를 맡는 정도의 상태

4 극심한 취기(Very Strong)아주 강한냄새, 예를 들어 여름철에 재래식 화장실에서

나는 심한 정도의 상태

5 참기 어려운 취기 (Over Strong)견디기 어려운 강렬한 냄새로서 호흡이 정지될 것 같이

느껴지는 정도의 상태

본 연구의 실측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냄새세기(Odor intensity)를 위의 함수 관계

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age 14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7 -

1) 한육우

한육우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다음 <표 4-22>과 같다.

<표 4-22> 한육우 사육시설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CH3)2N (CH3)3N 부틸산

발레

르산

이소발

레르산

C-L-1 3.6 2.8 3.5 2.2 1.9 2.1 2.4 0.9 0.3 1.2

C-L-2 2.8 2.9 3.5 2.1 1.9 1.9 2.0 0.6 0.0 1.2

C-M 2.8 2.7 0.0 0.0 0.0 2.0 2.2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C-S 2.6 0.0 0.0 0.0 0.0 2.0 2.1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범 위2.6∼

3.6

0.0∼

2.9

0.0∼

3.5

0.0∼

2.2

0.0∼

1.9

1.9∼

2.12.0∼2.4

0.6∼

0.9

0.0∼

0.3

0.0∼

1.2

평 균 2.9 2.1 1.7 1.1 0.9 2.0 2.2 0.8 0.1 1.2

중앙값 2.8 2.8 1.7 1.1 0.9 2.0 2.1 0.8 0.1 1.2

* (CH3)2N, (CH3)3N 악취도 : (CH3)2N와 (CH3)3N 전체 농도가 (CH3)2N으로 가정하여 계산함.

<그림 4-44> 한육우 사육시설내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2.8 2.8

1.7

1.1 0.9

2.0 2.1

0.80.1

1.2

0.0

1.0

2.0

3.0

4.0

5.0

6.0

NH

3

H2S

(CH

3)S

H

(CH

3)2

S

(CH

3)2

S2

CH

3N

(CH

3)2

N

부틸

발레

르산

이소

발레

르산

악취물질

냄새

세기

Page 14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8 -

한육우 사육시설내의 경우 냄새세기의 NH3는 산술평균으로 2.9도, H2S는 2.1도,

(CH3)SH는 1.7도, (CH3)2S는 1.1도, (CH3)2S2는 0.9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2도, 부틸산은 0.8도, 발레르산은 0.1도, 이소발레르산은 1.2도로 분석었

고, 중앙값으로 NH3는 2.8도, H2S는 2.8도, (CH3)SH는 1.7도, (CH3)2S는 1.1도,

(CH3)2S2는 0.9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1도, 부틸산은 0.8도, 발레

르산은 0.1도, 이소발레르산은 1.2도로 분석되어 한육우 사육시설의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는 NH3, H2S, (CH3)2N와 (CH3)3N 순으로 분석되었다.

2) 젖소

젖소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다음 <표 4-23>과 같다.

<표 4-23> 젖소 사육시설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CH3)2N (CH3)3N 부틸산

발레

르산

이소발

레르산

D-L 3.0 0.0 0.0 0.0 0.0 2.7 2.2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D-M-1 3.1 2.4 0.0 0.0 0.0 2.1 2.4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D-M-2 2.8 2.4 3.5 2.2 1.9 0.0 0.0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D-S 3.8 2.7 0.0 2.1 1.9 2.0 2.1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범 위3.0∼

3.8

0.0∼

2.70.0∼3.5

0.0∼

2.20.0∼1.9

0.0∼

2.70.0∼2.4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평 균 3.2 1.9 0.9 1.1 1.0 1.7 1.7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중앙값 3.0 2.4 0.0 1.1 0.9 2.0 2.2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Page 14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29 -

<그림 4-45> 젖소 사육시설내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3.0

2.4

0.0

1.1 0.9

2.0 2.2

0.0

1.0

2.0

3.0

4.0

5.0

6.0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악취물질

냄새

세기

젖소 사육시설내의 경우 냄새세기의 NH3는 산술평균으로 3.2도, H2S는 1.9도,

(CH3)SH는 0.9도, (CH3)2S는 1.1도, (CH3)2S2는 1.0도, CH3N는 1.7도, (CH3)2N와

(CH3)3N는 1.7도로 분석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3.0도, H2S는 2.4도, (CH3)SH는

0.0도, (CH3)2S는 1.1도, (CH3)2S2는 0.9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2

도로 분석되어 젖소 사육시설의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는 NH3, H2S, (CH3)2N

와 (CH3)3N 순으로 분석되었다.

Page 14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0 -

3) 산란계사

산란계사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다음 <표 4-24>와 같다.

<표 4-24> 산란계사 사육시설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발레

르산

이소발

레르산

L-L 4.0 2.3 0.0 2.8 0.0 1.9 2.4 0.0 0.0 0.0

L-M 3.6 3.8 0.0 2.8 0.0 2.0 2.4 0.0 0.0 0.9

L-S 5.0 2.3 3.5 2.2 0.0 2.3 2.5 0.0 0.0 0.0

범위3.6∼

5.0

2.3∼

3.8

0.0∼

3.5

2.2∼

2.80.0

1.9∼

2.32.4∼2.5 0.0 0.0

0.0∼

0.9

평 균 4.2 2.8 1.2 2.6 0.0 2.1 2.4 0.0 0.0 0.3

중앙값 4.0 2.3 0.0 2.8 0.0 2.0 2.4 0.0 0.0 0.0

<그림 4-46> 산란계 사육시설내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4.0

2.3

0.0

2.8

0.0

2.02.4

0.0 0.0 0.00.0

1.0

2.0

3.0

4.0

5.0

6.0

NH

3

H2S

(CH

3)S

H

(CH

3)2

S

(CH

3)2

S2

CH

3N

(CH

3)2

N

부틸

발레

르산

이소

발레

르산

악취물질

냄새

세기

산란계사 사육시설내의 경우 냄새세기의 NH3는 산술평균으로 4.2도, H2S는 2.8도,

Page 14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1 -

(CH3)SH는 1.2도, (CH3)2S는 2.6도, (CH3)2S2는 0.0도, CH3N는 2.1도, (CH3)2N와

(CH3)3N는 2.4도,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은 모두 0.0도로 분석되었고, 중앙

값으로 NH3는 4.0도, H2S는 2.3도, (CH3)SH는 0.0도, (CH3)2S는 2.6도, (CH3)2S2는

0.0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4도,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은 모두 0.0도로 분석되어 산란계사 사육시설의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는 NH3,

(CH3)2S, (CH3)2N와 (CH3)3N 순으로 분석되었다.

4) 육계사

육계사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다음 <표 4-25>와 같다.

<표 4-25> 육계사 사육시설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CH3)2N (CH3)3N 부틸산

발레

르산

이소발

레르산

B-L 3.2 0.0 3.6 0.0 1.9 2.3 2.4 0.8 0.0 0.5

B-M 4.7 2.3 3.5 2.7 0.0 2.0 2.5 0.0 0.0 0.0

B-S 4.3 2.3 3.6 2.5 0.0 1.8 2.2 0.0 0.0 0.0

범 위3.2∼

4.7

0.0∼

2.33.5∼3.6

0.0∼

2.70.0∼1.9

1.8∼

2.32.2∼2.5

0.0∼

0.80.0

0.0∼

0.5

평 균 4.1 1.5 3.6 1.7 0.6 2.0 2.3 0.3 0.0 0.2

중앙값 4.3 2.3 3.6 2.5 0.0 2.0 2.4 0.0 0.0 0.0

Page 14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2 -

<그림 4-47> 육계 사육시설내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4.3

2.3

3.6

2.5

0.0

2.02.4

0.0 0.0 0.00.0

1.0

2.0

3.0

4.0

5.0

6.0

NH

3

H2S

(CH

3)S

H

(CH

3)2

S

(CH

3)2

S2

CH

3N

(CH

3)2

N

부틸

발레

르산

이소

발레

르산

악취물질

냄새

세기

육계사 사육시설내의 경우 냄새세기의 NH3는 산술평균으로 4.1도, H2S는 1.5도,

(CH3)SH는 3.6도, (CH3)2S는 1.7도, (CH3)2S2는 0.6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3도, 부틸산은 0.3도, 발레르산은 0.0도, 이소발레르산은 0.2도로 분석되

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4.3도, H2S는 2.3도, (CH3)SH는 3.6도, (CH3)2S는 2.5도,

(CH3)2S2는 0.0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4도, 부틸산, 발레르산, 이

소발레르산은 모두 0.0도로 분석되어 육계 사육시설의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

는 NH3, (CH3)SH, (CH3)2S 순으로 분석되었다.

Page 14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3 -

5) 돼지

돼지 사육농가의 경우 시설종류별 냄새세기는 다음과 같다.

가) 자돈사

자돈사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표 4-26>과 같다.

<표 4-26> 자돈사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자돈사 슬러리 3.5 3.1 3.6 2.4 2.0

P-M-1 자돈사 슬러리 4.6 3.9 3.6 2.2 1.9

P-M-2 자돈사 슬러리 3.9 2.7 3.6 2.3 1.9

P-S 자돈사 슬러리 2.3 3.0 3.5 2.2 1.9

범 위 2.3∼4.6 2.7∼3.9 3.5∼3.6 2.2∼2.4 1.9∼2.0

평 균 3.6 3.2 3.6 2.3 1.9

중앙값 3.7 3.1 3.6 2.3 1.9

<그림 4-48> 자돈사내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3.7

3.1

3.6

2.31.9

0

1

2

3

4

5

6

NH3 H2S (CH3)SH (CH3)2S (CH3)2S2

악취물질

냄새

세기

Page 14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4 -

자돈사의 경우 냄새세기의 NH3는 산술평균으로 3.6도, H2S는 3.2도, (CH3)SH는

3.6도, (CH3)2S는 2.3도, (CH3)2S2는 1.9도로 분석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3.7도,

H2S는 3.1도, (CH3)SH는 3.6도, (CH3)2S는 2.3도, (CH3)2S2는 1.9도로 분석되어 자돈

사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는 NH3, (CH3)SH, H2S 순으로 분석되었다.

나) 분만돈사

분만돈사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표 4-27>과 같다.

<표 4-27> 분만돈사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분만돈사 슬러리 3.0 3.3 3.5 2.1 1.9

P-M-1 분만돈사 슬러리 3.3 4.5 3.5 0.0 1.9

P-M-2 분만돈사 슬러리 3.7 2.8 3.5 2.2 1.9

P-S 분만돈사 슬러리 2.8 2.8 3.5 2.2 1.9

범 위 2.8∼3.7 2.8∼4.5 3.5 0.0∼2.2 1.9

평 균 3.2 3.4 3.5 1.6 1.9

중앙값 3.2 3.1 3.5 2.2 1.9

<그림 4-49> 분만돈사내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3.2 3.1

3.5

2.21.9

0

1

2

3

4

5

6

NH3 H2S (CH3)SH (CH3)2S (CH3)2S2

악취물질

냄새

세기

Page 15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5 -

분만돈사의 경우 NH3는 산술평균으로 3.2도, H2S는 3.4도, (CH3)SH는 3.5도,

(CH3)2S는 1.6도, (CH3)2S2는 1.9도로 분석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3.2도, H2S는

3.1도, (CH3)SH는 3.5도, (CH3)2S는 2.2도, (CH3)2S2는 1.9도로 분만돈사 악취 기여도

가 큰 물질순서는 (CH3)SH, NH3, H2S 순으로 분석되었다.

다) 모돈사

모돈사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표 4-28>과 같다.

<표 4-28> 모돈사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모돈사 슬러리 3.5 3.5 3.5 2.2 1.9

P-M-1 모돈사 슬러리 3.2 3.9 3.5 2.1 1.9

P-M-2 모돈사 슬러리 3.8 4.9 3.5 2.2 1.9

P-S 모돈사 슬러리 2.9 2.9 3.5 2.2 1.9

범 위 2.9∼3.8 2.9∼4.9 3.5 2.1∼2.2 1.9

평 균 3.3 3.8 3.5 2.2 1.9

중앙값 3.4 3.7 3.5 2.2 1.9

<그림 4-50> 모돈사내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3.43.7

3.5

2.21.9

0

1

2

3

4

5

6

NH3 H2S (CH3)SH (CH3)2S (CH3)2S2

악취물질

냄새

세기

Page 15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6 -

모돈사의 경우 NH3는 산술평균으로 3.3도, H2S는 3.8도, (CH3)SH는 3.5도, (CH3)2S

는 2.2도, (CH3)2S2는 1.9도로 분석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3.4도, H2S는 3.7도,

(CH3)SH는 3.5도, (CH3)2S는 2.2도, (CH3)2S2는 1.9도로 모돈사 악취 기여도가 큰 물

질순서는 H2S, (CH3)SH, NH3 순으로 분석되었다.

라) 비육돈사

비육돈사의 사육규모별 냄새세기는 <표 4-29>와 같다.

<표 4-29> 비육돈사내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사 육

형 태

분 뇨

처 리NH3 H2S (CH3)SH (CH3)2S (CH3)2S2

P-L 비육돈사 슬러리 3.9 3.0 3.5 2.4 1.9

P-M-1 비육돈사 슬러리 3.7 4.1 3.5 2.2 1.9

P-M-2 비육돈사 톱밥처리 4.1 4.2 3.6 2.3 1.9

P-M-2 비육돈사 슬러리 2.7 2.8 3.5 0.0 0.0

P-S 비육돈사 톱밥처리 3.1 4.6 3.5 2.1 0.0

비육돈사 슬러리 평균 3.5 3.3 3.5 1.5 1.3

비육돈사 톱밥처리 평균 3.6 4.4 3.5 2.2 0.9

범 위 2.7∼4.1 2.8∼4.6 3.5∼3.6 0.0∼2.4 0.0∼1.9

비육돈사 평균 3.5 3.8 3.5 1.8 1.1

중앙값 3.7 4.1 3.5 2.2 1.9

Page 15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7 -

<그림 4-51> 비육돈사내 평균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3.74.1

3.5

2.21.9

0

1

2

3

4

5

6

NH3 H2S (CH3)SH (CH3)2S (CH3)2S2

악취물질

냄새

세기

비육돈사의 경우 NH3는 산술평균으로 3.5도, H2S는 3.8도, (CH3)SH는 3.5도,

(CH3)2S는 1.8도, (CH3)2S2는 1.1도이고, 중앙값으로 NH3는 3.7도, H2S는 4.1도,

(CH3)SH는 3.5도, (CH3)2S는 2.2도, (CH3)2S2는 1.9도로 비육돈사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는 H2S, NH3, (CH3)SH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분뇨처리 형태 중 톱밥

처리에서의 H2S가 4.4도로 슬러리 처리에서의 3.3도 보다 다소 높은 악취도를 나타

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바) 퇴비처리장

퇴비처리장의 처리시설 내 냄새세기는 다음 <표 4-30>과 같다.

Page 15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8 -

<표 4-30> 퇴비처리장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발레

르산

이소발

레르산

M-P 5.1 2.9 3.6 3.1 2.5 2.4 2.7 2.7 0.4 0.9

M-L 6.1 2.4 0.0 3.0 0.0 2.4 3.3 0.2 0.0 0.0

범 위5.1∼

6.1

2.4∼

2.90.0∼3.6

3.0∼

3.10.0∼2.5 2.4 2.7∼3.3

0.2∼

2.70.0∼0.4

0.0∼

0.9

평 균 5.6 2.6 1.8 3.1 1.3 2.4 3.0 1.5 0.2 0.5

중앙값 5.6 2.7 1.8 3.1 1.3 2.4 3.0 1.5 0.2 0.5

<그림 4-52> 퇴비처리장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5.6

2.7

1.8

3.1

1.3

2.4

3.0

1.5

0.20.5

0

1

2

3

4

5

6

NH

3

H2S

(CH

3)S

H

(CH

3)2

S

(CH

3)2

S2

CH

3N

(CH

3)2

N

부틸

발레

르산

이소

발레

르산

악취물질

냄새

세기

퇴비처리장의 처리시설내의 경우 냄새세기의 NH3는 산술평균으로 5.6도, H2S는

2.6도, (CH3)SH는 1.8도, (CH3)2S는 3.1도, (CH3)2S2는 1.3도, CH3N는 2.4도, (CH3)2N

와 (CH3)3N는 3.0도, 부틸산은 1.5도, 발레르산은 0.2도, 이소발레르산은 0.5도로 분

석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5.6도, H2S는 2.7도, (CH3)SH는 1.8도, (CH3)2S는 3.1

도, (CH3)2S2는 1.3도, CH3N는 2.4도, (CH3)2N와 (CH3)3N는 3.0도, 부틸산은 1.5도,

발레르산은 0.2도, 이소발레르산은 0.5도로 분석되어 퇴비처리장의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는 NH3, (CH3)2S, (CH3)2N와 (CH3)3N 순으로 분석되었다.

Page 15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39 -

사) 부지경계

부지경계의 축종별 냄새세기는 다음 <표 4-31>과 같다.

<표 4-31> 부지경계 냄새세기

단위 : 냄새세기

구 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CH3)2N (CH3)3N

C-M 2.3 2.4 0.0 0.0 0.0 2.0 2.1

D-L 2.8 0.0 0.0 0.0 0.0 2.0 2.3

D-S 3.0 2.5 0.0 0.0 0.0 0.0 0.0

L-L 3.8 2.3 0.0 2.5 0.0 2.3 2.6

L-M 2.5 2.5 0.0 0.0 1.9 2.0 2.2

L-S 2.6 2.4 0.0 0.0 0.0 2.0 2.0

B-L 1.2 2.5 0.0 0.0 0.0 0.0 0.0

B-M 1.2 2.3 0.0 2.3 0.0 1.8 2.0

B-S 1.3 2.3 0.0 2.4 0.0 1.9 2.1

P-L 3.1 3.0 3.5 0.0 1.9 2.0 1.8

P-M-1 3.5 2.7 0.0 0.0 0.0 2.0 2.1

P-S 1.3 2.4 3.5 0.0 1.9 2.0 1.9

범 위 1.2∼3.8 0.0∼3.0 0.0∼3.5 0.0∼2.5 0.0∼1.9 0.0∼2.3 0.0∼2.6

평 균 2.4 2.3 0.6 0.6 0.5 2.0 2.1

중앙값 2.6 2.4 0.0 0.0 0.0 2.0 2.1

Page 15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0 -

<그림 4-53> 부지경계 물질별 냄새세기 (중앙값)

2.6 2.4

0.0 0.0 0.0

2.0 2.1

0

1

2

3

4

5

6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악취물질

냄새

세기

부지경계의 경우 냄새세기의 NH3는 산술평균으로 2.4도, H2S는 2.3도, (CH3)SH는

0.6도, (CH3)2S는 0.6도, (CH3)2S2는 0.5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1

도로 분석되었고, 중앙값으로 NH3는 2.6도, H2S는 2.4도, (CH3)SH는 0.0도, (CH3)2S

는 0.0도, (CH3)2S2는 0.0도, CH3N는 2.0도, (CH3)2N와 (CH3)3N는 2.1도로 분석되어

부지경계의 악취 기여도가 큰 물질순서는 NH3, H2S, (CH3)2N와 (CH3)3N 순으로 분

석되었다.

Page 15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1 -

축종별로 주요 악취물질을 정리하면 <표 4- 32>와 같다.

<표 4-32> 축종별 주요 악취물질

축종악취기여 물질 순위

1 순위 2 순위 3 순위

한육우 NH3 (2.8) H2S (2.8) CH3N, (CH3)2N (2.0)

젖소 NH3 (3.0) H2S (2.4) CH3N, (CH3)2N (2.0)

산란계 NH3 (4.0) (CH3)2S (2.8) H2S (2.3)

육계 NH3 (4.1) (CH3)SH (3.6) (CH3)2S (2.5)

돼지

자돈사 NH3 (3.7) (CH3)SH (3.6) H2S (3.1)

분만돈사 (CH3)SH (3.5) NH3 (3.2) H2S (3.1)

모돈사 H2S (3.7) (CH3)SH (3.5) NH3 (3.4)

비육돈사 H2S (4.1) NH3 (3.7) (CH3)SH(3.5)

퇴비처리장 NH3 (5.6) (CH3)2S (3.1) (CH3)2N (3.0)

부지경계 NH3 (2.5) H2S (2.4) (CH3)2N (2.1)

축종별 악취에 기여하는 주요물질로는 NH3, H2S, (CH3)SH 및 CH3N, (CH3)2N 였

으며 특히 가축사육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물질은 NH3, H2S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CH3)2N, (CH3)3N이 분리가 안되어 (CH3)2N, (CH3)3N 전체

농도를 (CH3)2N으로 가정하여 산정 하였고, 지방산 물질인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

발레르산의 경우 측정수가 작아서 차후 연구에 의해 축종별 악취 기여물질이 바뀔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5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2 -

다. 축종별 냄새세기 비교 분석

대부분의 악취는 특정한 몇 가지 냄새나는 물질에 의한 것이 아니고, 대단히 많은

물질을 포함하는 다성분계이다. 또한 이러한 다성분계 냄새의 세기는 냄새를 일으

키는 성분끼리의 복합 작용이 있기 때문에, 단순하게 성분물질의 농도 합으로 나타

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음 식과 같이 냄새물질별 농도값을 <표 4-33>

의 냄새물질별 최소감지농도 (threshold value)로 나눈 악취강도 (Odor unit)로 환산

한 값을 더하여 측정지점의 상대적인 악취기여도를 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축사형태별 악취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시설별 Odor Unit = ∑i

∑j

C j

V j

i

{C j = 악취물질 농도V j = 악취물질 최소 감지농도i = 축종별 대상시 설별 대 ,중 ,소j = NH 3, H 2 S, (CH 3 )SH , (CH 3) 2S, (CH 3) 2S 2

<표 4-33> 악취 물질별 최소감지농도

물질명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CH3)3N 부틸산 발레르산이소

발레르산

최소감지

농도150 0.41 0.07 0.033 2 35 33 0.032 0.068 0.037 0.078

* 단위 : ppb

* 참고문헌 :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p181, p187. 환경부

1) 축종별 악취강도 비교

측정지점별 악취강도(Odor Unit)는 각 지점별 분석된 농도값과 <표 4-33>의 물질

별 최소 감지농도값을 이용하여 산정 하였으며, 각 지점별 악취강도는 <표 4-34>

와 같다.

Page 15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3 -

<표 4-34> 측정지점별 평균 악취강도(Odor Unit)

축종별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한육우 17.1 76.8 71.3 40.6 0.5 0.3

젖소 23.7 37.6 34.6 41.5 0.6 0.5

산란계 109.6 345.4 47.1 410.2 0.0 0.3

육계 96.1 19.2 167.3 215.1 0.4 0.3

퇴비처리장 642.7 73.4 81.6 1,416.8 2.3 0.7

부지경계 11.0 31.5 0.0 63.0 0.1 0.2

*돼지 37.9 2,259.6 149.1 90.2 1.0 0.4

축종별 (CH3)2N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 O.U

한육우 0.8 0.7 0.5 1.0 209.6

젖소 0.7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139.1

산란계 1.4 0.1 0.3 0.3 914.7

육계 1.1 0.2 0.3 0.1 500.1

퇴비처리장 9.4 11.3 0.8 0.3 2,269.4

부지경계 0.7 0.1 0.0 0.0 106.7

*돼지 0.7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2,388.8

각 측정지점별 악취강도는 돼지, 퇴비처리장, 산란계, 육계, 한육우, 젖소 사육농가

순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퇴비처리장의 경우 운영 특성상 돈분 및 계분을 톱

밥 등과 함께 교반, 발효 교반공정에서 악취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축산

연구소와 수원대학교 환경청정기술센터의 공동연구과제인 「돈사에서 악취 발생특

성과 실태조사」(2003)의 결과 돼지 사육농가의 악취강도가 높게 조사되었는데 이

는 최소감지농도가 낮은 H2S의 농도가 비육돈사 톱밥처리와 모돈사에서 높게 측정

되었기 때문이다.

Page 15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4 -

<그림 4-54> 축종별 악취강도(Odor Unit)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한우 젖소 산란계 육계 퇴비장 부지경계 돼지 평균

측정지점

O.U

NH3 H2S (CH3)SH

(CH3)2S (CH3)2S2 CH3N

(CH3)2N 부틸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2)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시설 전․후단 비교

돈분 퇴비처리장내에 설치, 가동 중인 악취방지시설의 전․후단의 농도 및 효율을

측정해 보았다. 측정결과는 <표 4-35>와 같다.

<표 4-35>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설비 배출농도 및 가동현황

분류

측정지점

NH3 H2S (CH3)SH (CH3)2S (CH3)2S2 유속 온도 굴뚝직경

ppm ppb ppb ppb ppb m/s ℃ m

전단 103.6 6,132.5 766.4 217.1 20.0 11.2 36.4 0.56

후단

처리효율(%)

21.2

(79.6)

662.2

(89.2)

229.5

(70.1)

63.9

(70.6)

13.7

(31.2)5 29.9 0.84

이와 같이 악취물질을 처리할 때 방지시설 전․후단 배출가스의 악취강도를 비교

해 보면 <그림 4-57>과 같다.

Page 16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5 -

<그림 4-55> 돈분 퇴비처리장 악취방지설비 전․후단 악취강도 비교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방지시설전단 방지시설후단

O.U

.(CH3)2S2

(CH3)2S

(CH3)SH

H2S

NH3

돈본 퇴비처리장의 악취방지설비 전․후단의 악취강도(Odor Unit)을 분석해 본 결

과 전단에서는 약 33,000 O.U.이 배출되는 반면 방지시설 후단에서는 약 7,000 O.U.

이 배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16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6 -

Page 16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7 -

Ⅴ. 축산시설 악취저감 방안

1. 축산시설 악취제어 기술

악취물질에 대한 물질별 탈취기술은 최근 다양한 연구 및 실제 사업장 적용에 따

라 다양한 보고가 나오고 있다. 악취물질별로 적용되는 일반적인 탈취기술은 <표

5-1>과 같다.

<표 5-1> 악취 물질별 탈취 방법

물질명 화학식 세정법오존

산화법흡착법 연소법

생물

탈취법

소취제

분무법

암모니아 NH3 ○ ○ ○ ○ ○ ○

메틸머캅탄 CH3SH ○ ○ ○ ○ ○ ○

황화수소 H2S ○ ○ ○ ○ ○ ○

황화메틸 (CH3)2S ○ ○ ○ ○ ○ ○

이황화이메틸 CH3SSCH3 ○ ○ ○ ○ ○ ○

트리메틸아민 (CH3)3N ○ ○ ○ ○ ○ ○

아세트알데히드 CH3CHO ○ ○ ○ ○ ○ ○

프로피온알데히드 CH3CH2CHO × △ ○ ○ ○ ×

노르말부틸알데히드 CH3(CH2)2CHO × △ ○ ○ ○ ×

이소부틸알데히드 (CH3)2CHCHO × △ ○ ○ ○ ×

노르말발레르알데히드 CH3(CH2)3CHO × △ ○ ○ ○ ×

이소발레르알데히드 (CH3)2CHCH2CHO × △ ○ ○ ○ ×

이소부탄올 (CH3)2CHCH2OH × △ ○ ○ ○ ×

아세트산에틸 CH3CO2C2H5 × △ ○ ○ ○ ×

메틸이소부틸케톤 CH3COCH2CH(CH3)2 × △ ○ ○ △ ×

톨루엔 C6H5CH3 × ○ ○ ○ △ ×

스티렌 C6H5CH=CH2 × ○ ○ ○ △ ×

자일렌(크실렌) C6H4(CH3)2 × ○ ○ ○ △ ×

프로피온산 CH3CH2COOH ○ ○ ○ ○ ○ ○

노르말부티르산 CH3(CH2)2COOH ○ ○ ○ ○ ○ ○

노르말발레르산 CH3(CH2)3COOH ○ ○ ○ ○ ○ ○

이소발레르산 (CH3)2CHCH2COOH ○ ○ ○ ○ ○ ○

* 자료)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환경부(2001. 5)

축산 시설에서는 산업시설과 다른 악취 물질이 배출되므로 이러한 악취 저감기술

Page 16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8 -

을 그대로 축산시설에 적용할 수는 없다. 또한 국내 축산 농가들의 경제적 기술적

여건을 고려하고, 축종별 주요 악취물질을 선정하고, 이에 맞는 저감기술을 적용하

여 투자액 대비 악취 저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악취 저감 기술을 적용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가. 방지시설 설치

국내․외국의 축산농가에서 적용중인 다양한 악취방지시설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

과 같다.

1) 덮개 (Covers)

축사시설에서 악취발생원에 대한 덮개 처리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기타 악취물질

의 발생 및 대기 확산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덮개의 종류로는 고정식과 유동식, 투과

성 덮개 및 불투과성 덮개가 있다. 고정식 덮개에는 <그림 5-1>과 같이 콘크리트

또는 나무재질의 덮개와 가벼운 섬유유리 재질 등의 덮개가 있으며 고정식 덮개가

다른 형태의 덮개보다 사용연한이 길지만(10~15년) 비용이 많이 든다.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액비저장소의 덮개처리는 <그림 5-2>와 같다.

<그림 5-1> 고정식 덮개의 종류

Page 16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49 -

<그림 5-2> 덮개처리된 아연융용도금강판 액비저장조

유동식 덮개는 <그림 5-3>과 같으며, 불투과성 덮개의 경우 플라스틱이나 폴리스

티렌 재질이 이용된다. 투과정 덮개의 경우 다양한 재질이 사용되는데 섬유재질 및

톱밥, 왕겨, 짚 등이 사용된다. 유동식 덮개의 실제 적용은 <그림 5-4>와 같다.

<그림 5-3> 유동식 덮개의 종류

Page 16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0 -

<그림 5-4> 축산분뇨 Lagoon 처리시설의 유동성 덮개 처리

(미국 켄터키주)

고정식 덮개의 암모니아 처리효율은 미국 Minnesota 주립대학의 연구결과 약 8

0~95%정도의 악취를 저감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추가적으로 환기구에 배출저감

시설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돼지사육농가의 분뇨탱크에 짚을 이

용한 덮개 적용에서 약 30 cm 적용 시에는 악취 및 황화수소를 60~78%, 82~

94%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멤브레인 덮개적용 시에는 악취 및

황화수소를 60~70%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캐나다 Nielsen

et al.,(1986)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분뇨저장소에 덮개처리를 하였을 때 <그림

5-5>와 같이 시설형태에 따라 최소 40 ~ 최대 90%의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그림 5-5> 분뇨저장소의 덮개처리 시 악취감소 효과(캐나다)

Page 16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1 -

고정식 덮개를 적용 시에는 환기조절 및 운영측면에서 사육농가의 관리용역이 추

가적으로 많이 들지 않지만, 유동성 덮개시설은 경제적으로는 고정식보다는 저렴하

나 관리용역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2) 생물여과 (Biofiltration)

생물여과는 <그림 5-6>과 같이 밀폐형 사육시설 중 슬러리 저장소에 적용하고 있

는 환기시설에 생물여과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를 처리할

수 있는 저감방법이며, 여과물질은 다공성 재질로서 혼합배양토, 목편, 부피성 톱밥,

퇴비 등을 이용하며 두께는 25~50 cm정도로 <그림 5-7>과 같이 설치한다.

<그림 5-6> 생물여과장치 악취처리 방식

<그림 5-7> 생물여과장치 여과재 설치 예 (미국)

Page 16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2 -

<그림 5-8> 생물여과장치 설치 예

(미국 Minnesota주 돈사 1,000마리 규모)

생물여과의 설치규모는 환기량 0.4885 m3/s당 생물여과 면적이 4.6~8.0 m2가 일

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농가에 적용중인 시설의 환기용량은 대부분의 경

우 생물여과에 필요한 환기량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생물여과 적용 시에는 추가적

인 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시설내의 부유먼지가 생물여과장치의 환기팬에 부착하여

결과적으로 환기량의 감소로 인해 제거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 먼지제거 과정이 추

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미국 Minnesota 주립대학의 연구결과 겨울철 밀폐환기

적용 시 최대 악취물질 95%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름철의 경우

는 내부 온도 상승에 따라 환기량을 늘리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생물여

과 장치는 덮개시설을 적용한 퇴비 저장소에도 적용할 수 있다.

3) 생물세정 (Bioscrubbing)

생물세정 방식은 생물여과와 같은 개념으로 여과제 대신 수세방식을 적용하는 것

으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효율은 89%정도이며, 생물세정

방식의 장점은 미세먼지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나, 처리 후 세정

액의 추가적인 처리장치가 필요하고 운영비가 많이 든다는 점이며, 온․습도 및 오염

물질 농도에 따라 처리효율이 크게 변한다는 점이다.

Page 16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3 -

4) 가스흡착 (Gas absorption)

가스흡착 방식은 밀폐형 사육시설의 환기시설에 추가적으로 흡착시설을 설치하여

산성 흡착제에 악취물질을 흡착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주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처리효율은 53%이하이며, 미세먼지와 악취물질을 동시에 제

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처리시설의 유지 및 관리 비용(세정액, 전기비용)이 많

이 드는 단점이 있다.

5) 오존처리 (Ozonation)

오존처리 방식은 강한 산화제인 오존으로 악취물질을 산화 처리하여 제거하는 방

식으로 예를 들어 암모니아의 경우 O3 + NH3 → NOx + H2O로 악취물질인 암모

니아를 질소산화물로 산화 처리하는 방식이며,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를 산화 처리

한다. 처리효율은 15 ~ 50% 정도이다. 오존처리는 <그림 5-9>와 같이 고압의 전

기력으로 공기 중 산소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원리로서 <그림 5-10>의 오

존발생기(Ozone generator)를 이용하여 축사내부의 오존농도를 0.001~0.100

ppm로 유지하여 악취물질을 산화 처리하는 방식이다. 오존처리는 암모니아와 황화

수소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장점과 축사 내 살균 소독으로 인한 가축질병예방의

장점이 있으나, 오존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하며, 이에 따라

유지비가 많이 드는 점과 초기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직도 가

축분뇨에서 발생하는 복합취인 악취물질에 대한 효과는 검증 중에 있다.

<그림 5-9> 오존발생 기작

Page 16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4 -

<그림 5-10> 오존발생기 예

<그림 5-11> 오존발생기 설치 예(미국 Missouri주)

6) 촉매 산화처리

촉매 산화처리 방식은 <그림 5-12>와 <그림 5-13>과 같이 액상촉매 및 광촉매

를 이용하여 악취가스를 흡착/산화 처리는 방식이다. 이러한 처리방식은 현재 국내

에서 최형송의 「돈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 system 개발」 및 임

한진의 「축사 내 악취제거 및 부유세균 제거장치 개발」등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최형송의 「돈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 system 개발」연구에

서는 실제 3곳의 돼지사육농가에 대한 Pilot규모로 처리장치를 설치/가동하였으며,

Page 17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5 -

처리장치의 효율은 황화수소의 경우 평균 61%, 암모니아의 경우 평균 81.2% 정도

이였다. 촉매 산화처리장치는 악취성분의 제거뿐만 아니라 부유세균 및 분진까지

제거가 가능한 장점과 동절기에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액

상촉매와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 장치의 경우 돈사 건축 시부터 악취를 포집하

기 위한 포집관을 설치해야만 하며, 정화장치의 높이가 돈사의 높이보다 월등히 높

아야 하기 때문에 돈사 내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대규모 돈분 처리

장고 사료공장 등에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며, 광촉매를 이용한 악취제거 장치는 촉

매독이 없고 TiO2의 경우 비교적 저렴하며, 제작비용이 적고, 소형화가 가능한 장

점이 있으나, 촉매 담체에 대한 개발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그림 5-12> 돈사 액상촉매 처리장치

<그림 5-13> 광촉매 처리 Pilot장치

7) 시설 및 환기 관리

축산시설에서 악취 강도가 높은 돈사 및 계사에 대한 악취 제어 기술은 개방식

환기시설보다 무창식 환기시설에서의 적용이 악취 저감효과 측면에서 훨씬 경제적

이다. 따라서 현재 적용중인 개방식 축사에 대한 무창식 축사로의 개보수가 요구되

며, 신규 축사는 무창식 축사 설치가 권유되어져야 한다. 또한 측사에서 발생된 악

취물질은 먼지와 함께 축사 밖으로 배출되어져, 먼지에 흡착되어 먼 거리까지 이동

Page 17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6 -

하는 것으로 연구조사 되어지는바, 먼지 발생 및 배출의 최소화를 위해 습식 급여

시스템 설치, 먼지제거 청소, 먼지포집 제거장치 등의 적용으로 악취물질 발생 및

확산을 저감시설 수 있을 것이다.

8) 기타 방식

방풍림 설치로 축사에서 발생한 악취물질의 확산을 저감하는 방식과 환기팬 측에

벽을 설치하여 악취물질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캐나다 Grennfelt et al.,(1975)의 연구결과에 따라 <그림 5-14>와 같

이 축사의 환기구를 높게 설치할수록 축사 인근(300 m 이내)에서의 악취 빈도가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림 5-14> 환기구 높이에 따른 악취빈도 특성(캐나다)

나. 사육시설 분뇨 처리/관리

1) 분뇨 산화 (Acidification of manure)

분뇨 산화처리는 분뇨를 pH 4.5 이하의 조건으로 휘발성 NH3을 비휘발성 NH4의

염으로 처리하여 악취물질인 암모니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과정으로 처리효율은

Page 17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7 -

70% 미만이다. 분뇨 산화의 장점으로는 육계 사육에서 암모니아 배출에 따른 호흡

성 조류질병 및 조류의 시력상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나, 인산의 사

용으로 인한 토양 및 주변 수계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pH가 낮아진 분뇨에 의해

H2S의 발생이 많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2) 첨가제 투입 (Manure additives)

첨가제 투입의 처리방식은 특정 미생물 및 효소를 분뇨 슬러리에 투입하여 분뇨의

소화를 촉진시켜 암모니아 및 악취물질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이 처리방식

은 추가적인 장치의 설치비용이 거의 안 드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미국 Ritter, W.

F.(1989)의 조사결과 미국 내 유통중인 미생물 및 첨가제는 수백가지중 35가지의

첨가제를 대상으로 비교 평가한 결과 통계적으로 발생하는 악취도 및 황화수소, 암

모니아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몇몇 제품에서 암모

니아 또는 황화수소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개발

및 유통중인 첨가제(급여형)에 대한 축산연구소의 「가축 분뇨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2000)의 연구결과 특정 미생물제에서 분뇨 중 암모니아성 질소(NH4-N)가

<표 5-2>와 같이 54,974ppm에서 10,906ppm으로 감소되었으며, <표 5-3>과 같

이 부틸산 및 발레스산 등의 지방산 악취물질 또한 약 60%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5-2> 첨가제(급여형)적용 시 분뇨 중 질소화합물 농도

단위 : ppm

구분 NH4-N NO3-N

Control(대조군) 54,974 315

OUM* 10,906 315

E 64,115 504

C 42,050 504

Y 75,905 1,071

A 25,045 693

* : Odor Utilizing Microbes

Page 17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8 -

<표 5-3> 첨가제(급여형)적용 시 분뇨 중 지방산물질 농도

단위 : mM

구분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

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Control(대조군) 12.98 7.60 3.60 0.06 0.28 0.06

OUM* 5.25 0.00 0.00 0.00 0.00 0.00

E 9.62 0.67 0.08 9.28 0.15 0.00

C 9.95 0.00 0.00 0.00 0.00 0.00

Y 43.04 9.44 0.48 0.10 0.42 0.08

A 9.08 8.44 0.38 0.08 0.32 2.67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유통되고 있는 제품마다 악취물질에 대한 저감효

과가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첨가제 선택 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3) 퇴비화 방법

가축 사육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대부분의 경우에 분뇨의 퇴비화공정 및 분뇨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적절한 축산분뇨 공정이 요구되며, 농림부 「축산분뇨처리시

책 및 기술교육(2002. 2)」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가) 퇴적송풍식 발효

퇴적송풍식 발효 공정은 <그림 5-15>와 같으며, 축분의 수분함량을 65%로 조

정하여 발효조에 투입한 후 송풍을 15일정도 계속 실시하면서 1차발효를 실시한

후 약 2개월간 2차 발효시키는 시설이다.

축종변 발효조 용량은 소의 경우 축사 100 ㎡당 7 ㎥이상, 돼지의 경우 축사

100 ㎡당 10 ㎥이상, 닭의 경우 100 ㎡당 3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장점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온도가 80 ℃ 이상까지 상승하여 악취와 수분제거, 병원성 미

생물 및 잡초종자 등이 사멸되고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저 장 조 →톱밥등과 혼합

함수율 조정→

발 효 조

(호기성 분해)→

퇴 적 장

(퇴비화)

Page 17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59 -

<그림 5-15> 통풍식 톱밥발효시설의 공정도(한우, 젖소, 돼지)

나) 교반식 발효

교반식 발효 공정은 <그림 5-16>과 같으며, 일반적인 퇴비화 방법으로 축분의

수분함량을 65%로 조정하여 발효조에 넣고 교반기(에스케레이터, 로타리)를 이

용하여 1일 1~2회 뒤집어주면서 약 30일 정도 발효시키고 교반기에서 꺼내 약

2~3개월 정도 후숙시킨 후 농경지에 환원 또는 수분조절재로 재이용 한다. 축종

별 발효조용량은 소의 경우 축사 100 ㎡당 12 ㎥이상, 돼지의 경우 축사는 100

㎡당 15 ㎥이상, 닭의 경우 100 ㎡당 5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장점은 미생

물에 의한 발효온도가 80 ℃ 이상까지 상승하며, 악취와 수분제거, 병원성 미생

물 및 잡초종자 등이 사멸되고 취급이 용이하게 되며, 단점은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톱밥의 소모량이 많아 비용이 높고, 톱밥은 난분해성으로 퇴비품질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저 장 조 →톱밥등과 혼합

함수율 조정→

발 효 조

(호기성 분해)→

퇴 적 장

(퇴비화)

<그림 5-16> 교반식 톱밥발효시설의 공정도(젖소, 한우, 돼지)

Page 17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0 -

다) 밀폐형 고속발효

밀폐형 고속발효 시스템은 고액분리한 분을 (약 80% 이하) 수직형 발효조에 투

입 발효시킨다. 시설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것이 장점이기는 하나 퇴비 내 유기물

분해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는 경우 장기간의 2차 발효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밀폐형 고속발효기의 모돈 사육규모별 발효기의 용적은 모돈 100두 규

모의 경우 약 25 ㎡가 필요하며, 시설비는 약 81,218 천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소규모 농장에 적합하며, 여러 개를 연결시켜 많은 량을 처리할

수 있다.

라) 왕겨용 버켓 교반식 발효

왕겨를 발효조(피트)에 미리 충전 시킨 후 상면에 매일 슬러리를 살포한 후 교

반기를 천천히 주행시키면서 3~6개월 간에 걸쳐 장기간 발효증발 처리한다. 이

때의 왕겨 소요량은 용적의 200% 정도가 소요되며 100%는 처음에 투입하고 나

머지는 수시로 보충한다. 왕겨투입량은 슬러리의 1.3배 정도를 필요로 한다. 장점

은 수분조절재로 왕겨를 이용하여 슬러리를 무 배출 퇴비화 할 수 있으나 단점으

로는 일시에 왕겨 투입량이 많고 지역적으로는 왕겨퇴비의 선호도가 다르다.

특히 토비 반출 전 40일 동안 왕겨의 추가 투입을 중지하고, 반출 전 8일 동안

에는 슬러리 투입을 중단한 상태에서 버켓교반기 가동을 1일 1회씩 실시한다.

마) 퇴비화 과정중의 나타날 수 있는 악취 현상과 대책

가축분뇨의 퇴비화 과정 중 발생될 수 있는 악취 현상에 따른 조치사항은 <표

5-4>와 같다.

Page 17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1 -

<표 5-4> 퇴비화 과정 중 발생될 수 있는 사항에 따른 악취 대책

현 상 원 인 확 인 방 안 대 책

-후숙, 저장

시의 고온과

냄새

-불안정 퇴비-짧은 퇴비화 기간,

혼합후 온도와 냄새 변화

-더미조정

필요시 교반

-심한 암모니

아 가스 발

-높은 질소함량

-높은 pH

-가용성탄소의 느린 분

-C/N율 20:1

-pH 8.0이상

-큰나무입자,

C/N율 30:1이하

-고탄소 조절재 첨가

-산성재료 혼합, pH저하

알카리성 재료의 제와

-다른 탄소 조절재사용,

혹은 탄소비율 증가

-계란 썩는

또는 심한

악취

-혐기조건

․ 과 수분

․ 구조성 결여

․ 더미밀착

․ 불충분한 송풍

-혐기조건

․ 너무나 큰 더미

․ 송풍 불균일 또는

짧은 송풍

-저온

-고온

-수분조절재 첨가

-용적재 첨가

-필요시 재혼합, 용적재

첨가

-더미 축소

-재혼합, 재료검토

-교반 후에만

악취발생

-냄새나는 원재료

-불충분한 송풍,

혐기성 내부

-고온

-저온

-빈번한 교반, 공극증가,

냄새 흡수조절재 첨가

-교반간격 축소,

공극증가

4) 기타 관리

가) 기계적 폭기 공정으로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한 유기물질 산화처리 (처리시

설의 밀폐화 및 폭기처리후 가스 후처리 필수)

나) 토양 도포 또는 자연적으로 생성하는 슬러리 막을 유지하면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Page 17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2 -

다. 사육 기법에 의한 악취저감

1) 사료 영양물질의 사육가축 이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효소를 첨가한다. (사료내

조 단백질 양을 줄이거나 사료의 소화를 향상 → 단, 검증되지 않음)

2) 사료에 지방질을 첨가하면 분뇨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악취 감소 효과

3) 분뇨처리의 빈도를 짧게(최대 5일 이내)에 처리하면 분뇨중의 생화학적 과정

에서의 악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4) 적정 사육밀도를 준수하며 사육한다. 적정 사육밀도 초과사육 시 악취농도가

높아져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

라. 깔짚 관리

농림부의 축산분뇨처리시책 및 기술교육(2002 2.)에서는 각 축종별 분뇨관리사항

을 기술하고 있으며, 퇴비화 과정중의 악취문제 발생 시 조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깔짚이용 퇴비화

가) 깔짚 한우사

우사 바닥에 깔짚(톱밥)을 5 ㎝ 두께로 깔아주면 분뇨의 수분흡수와 건조가 일

어나 폐수발생이 없고, 냄새도 줄어든다. 30~40일 사용 후 퇴비사로 운반하여

발효시켜 양질의 퇴비를 만들 수 있다.

○ 공정개요

우사내

톱밥상

설치(5㎝)

→ 입식 및 사육 →

우사내

건 조

(30~40일)

퇴비사내

건조

및 발효

(30일 이상)

○ 톱밥 사용량

톱밥 이용량은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으나 두껍게 깔아서 장기간 이용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톱밥 우상의 두께별 이용기간은 5 cm 두께로 이용기간

은 5 cm 처리 시 38일, 15 cm 처리 시 80일 이용할 수 있으나 5 cm 두께로

Page 17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3 -

이용하는 것이 수분 증발량이 가장 많고 톱밥의 이용효율도 높아진다. 한번 교

체 투입한 톱밥은 40일정도 이용한 후 교체한다. 톱밥대체 왕겨를 이용하여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깔짚재를 왕겨를 가공한 분쇄 또는 평연왕겨로 톱밥을 완전히 대체가능하나 왕

겨 교체 시 일시적으로 먼지가 발생한다.

○깔짚(톱밥)우사 이용 및 관리

• 깔짚 교체는 우사의 상태를 고려하여 한우는 30~40일 간격으로 교체한다.

일부 농가에서 오래도록 방지하는 경우가 있는데 소의 사육환경이 극히 불량해

지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겨울철은 수분 증발효과가 낮아져 교체기간을 짧게 하

는 것이 좋다.

• 깔짚 우사의 이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적정 사육두수는 번식우 : 4~5두 /

41~67 ㎡(1칸), 비육우 : 5두 / 33~41 ㎡(1칸)이면 적당하다.

- 한우 번식우는 발굽이 자라므로 정기적으로 삭제하여 부제병 및 발굽 장애

를 사전에 방지한다.

- 입식 전 정기적으로 기생충을 구제하여 소모성 질병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한다.

나) 깔짚 유우사

○ 깔짚(톱밥)우사의 착유우 발굽성장

깔짚우사는 깔짚상이 푹신하여 발굽이 마모될 수 있는 기회가 적어 발굽길이가

길고 발굽형태도 넓적하고 위로 말려 오르는 형태로 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년

1회 정도 주기적으로 발굽 삭제관리를 필요로 한다.

○ 깔짚 우사내의 기온

깔짚우사 내외의 기온차이를 보면 봄과 여름에는 최고기온이 우사내가 1.1~

1.5 ℃ 높으나 최저기온은 1.6~1.9 ℃ 낮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최고, 최저기온

모두 우사내에서 0.6~1.7 ℃ 낮다. 여름철 최고기온이 26℃ 이상이면 착유우는

고온 스트레스를 받으므로 차광망 피복 등 그늘시설이 필요하다.

다) 육계는 깔짚재를 연속이용으로 비용절감

○ 깔짚재별 발육

깔짚재 종류별 특성에 따라 닭에게 환경조성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생산성의

Page 17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4 -

차이를 가져올 수 있으며 7주령시 체중과 생산지수는 왕겨>톱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깔짚재 연속이용

한번 이용한 깔짚재를 다음에 연속 이용하면 발육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톱밥을 깔짚재로 이용한 후 다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발효과정을 거치고,

계사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퇴적 발효를 시키면 2일째부터 3~4일간 50 ℃

이상온도가 지속되어 톱밥은 건조되고 깔짚 중의 병원성 미생물과 기생충 충란

이 사멸된다. 깔짚은 연속 이용하는 농가를 조사한바 톱밥 이용회수는 5~15회

였고, 왕겨는 2~4회를 이용하고 있다.

○육계 출하후 입추전 깔짚 청소 및 입추 준비

예 비 소 독(1차) 계사내외부 및 농장전체 분무소독

기 구 반 출 기구반출 물세척 및 분무소독

계분.깔짚제거 계분제거후 비닐덮어 발효처리

물청소후 건조 충분한 물로 계사내부, 기구 등 세척

(벽, 천정, 바닥, 기구)↓

분 무 소 독(2차) 소독약으로 촉촉이 젖을 정도로 살포

(천정, 벽, 바닥, 기구, 계사주변)↓

분 무 소 독(3차) 2차 소독과 다른 약제로 살포

깔 짚 펴 기 계절에 따라 5~10㎝ 깔짚 펴기

기 구 반 입 급이기, 급수기, 육추기, 지대등 입추준비

훈 증 소 독(4차) 계사밀폐후 포르마린케익이나 액으로 훈증소독

Page 18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5 -

라. 액비 살포시 악취저감

1) 농촌진흥청의 「가축분뇨 액비 사용기술(2002. 12.)」에서는 <그림 5-17>의

관행살포기법에 비해 <그림 5-18>의 지표살포와 <그림 5-19>의 지중살포 방법이

<표 5-5>와 같이 악취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5-17> 관행 액비살포

<그림 5-18> 지표 액비살포

Page 18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6 -

<그림 5-19> 지중 액비살포

또한 이러한 방법을 적용 했을 때 미국 Missouri 주립대학의 연구결과 최대 90%까

지 악취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5-5> 액비살포 방법별 악취농도

살포방법 악취농도(외기 100기준)

관행살포기 400.5

지표살포기 165∼185

지표살포기 + 디스크해로우 120∼147

2) 액비 살포시 첨가제를 가하여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의 대기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3) 토양의 적용한도 범위 내로 적정한 액비살포를 한다.

4) 점심시간 및 출퇴근 시간대를 피해서 액비살포를 실시한다.

5) 액비 살포시 기온이 낮을 때 적용하는 것이 높을 때 적용하는 것보다 악취가

Page 18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7 -

적게 발생한다. 단 토양이 얼어있거나 눈이 온 상태에서의 액비살포는 유출이 발생

하여 수계에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캐나다의 Nova scotia주 농림부의 조사

결과 기상조건별 악취민원의 발생관계는 <그림 5-20>과 같다.

<그림 5-20> 액비살포 시간 및 기상조건에 따른 민원발생과의 관계 (캐나다)

따라서 여름철에 액비 살포 시에는 오전 8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적용하고, 습도

가 낮고 기온이 올라가는 기상조건에서 살포하며, 풍향이 민가 쪽에서 불어올 때

살포하여야 악취로 인한 민원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바. 악취물질 처리기술별 장단점 및 비용분석

Lori Marsh et al.(1999)의 연구결과에 의한 미국의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물질 처리 기술별 장․단점 및 처리비용의 비교 분석은 <표 5-6>과 같다.

Page 18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8 -

<표 5-6> 악취물질 처리기술별 장단점 및 비용

방법/방식 기술 이점 단점 비용

세척벽

젖은 패드를 증발

시키는 냉각 시스

템은 통풍구에 역

풍 방 향 으 로

1.5M, 통풍되는

터 널 건 물 에 서 는

돼지의 방향으로

지주벽에 설치되

어진다.

통풍률이 낮을때

먼지는 50% 암모

니아는 33%가 저

감된다.

낮은 체류시간 때

문에 악취의 이동

은 높은 통풍율에

서 효율적이지 못

하다.(여름)

돼지 두당 $5.70

오일살포

적은 양의 식물성

기름을 매일 가축

시설에 살포

먼지와 악취수준

을 효율적으로 저

감시킨다.

바닥과 팬에 기

름먼지형태의 오

일로 인해 세척을

위한 비용과 노동

력이 추가로 요구

된다.

돼지 두당 $2.5

오일의 가격은 조

사 안됨.

방풍벽

많은 악취들은 먼

지입자에 흡수되

어진다. 방수천과

다공성물질로 만

들어진 벽은 배기

팬으로부터 3~

6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악취와 먼지의 배

출이 감소된다.

악취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정기적

인 벽의 먼지제거

가 필요 하다.

돼지 두당 $1.5

악간의 세척비용

증가됨.

생물

여과

악취가스가 나무

조각과 깔집재를

통과할때 박테리

아와 균류는 휘발

성 유 기 화 합 물 의

산화를 돕는 활동

을 한다.

악취와 H2S배출을

효과적으로 제거

한다.

필터를 통과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팬의 교체가

필요하다.

설치비용은$1.0

0 ~

1.50/1000(ft3/mi

n)이고 유지비용

$3/1000(ft3/min)

이다.

오존살균

강력한 산화제인

오존을 생산설비

의 공기에 주입한

다.

건강에 이로울 것

이다.

효율이 증명되지

않았다.

돼지 두당 설치비

용은 $10, 년간

유지비는 $50.45

이다

Page 18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69 -

<표 5-6> 계속

방법/방식 기술 이점 단점 비용

짚분뇨저장소 표면을 짚으로 덮는다.

악취 감소

임시적인 처리방법이며, 일정기간 후에는 내려 앉는다.

$0.1/ft2

플라스틱 덮 개

몇 종류의 플라스틱은 분뇨저장소위에 덮는 것이 가능하다.

악취와 H2S의 배출감소에 도움을준다

높은 설치비용 $1.00/ft2

클레이볼

분뇨 위의 클레이 볼은 부유상태로 위치한다.

악취와 H2S의 배출감소에 도움을준다

교반과 펌핑시 주의해야한다높은 설치비용

6인치두께 설치할 경우 $2~5/ft2

설치비가 든다매년 재료비가 더 필요하다

깔짚건조한 깔짚재를 축사바닥에 깔아 분뇨흡수를 촉진

현저한 악취감소 ; 부분적인 깔짚의 퇴비화

깔짚을 채취하거나 구입해서 연중 지속적으로 투입하면 ; 운반할 때 분뇨의 양이 증가한다.

0.38$/생산된 무게.깔짚 생산지에 많이 의존해야한다.

퇴비첨가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물질을 분뇨에 첨가한다.

악취와 암모니아 배출 감소

악취제거의문점; 실제 적용시 바람직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음.

0.25~1$/돼지 두당(또는 그이상)

고액분리

고액분리는 액상분뇨내부의 악취유발 물질의 비율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액 비 저 장 조 에 서 악취를 저감할 수있다. 0.25mm이하 크기의 입자를 제거하는 것이 제안된다.

자본과 운영비용부담.부수적으로 생산되는 고형물 관리가 요구된다. .

1~3$/돼지 두당

퇴비화

생물학적 공정으로 호기성 박테리아가 유기물을 안정적이고 악취가 없는 물질로 변화시킴.

악취 뿐만 아니라 유기물도 제거된다.

자본과 운영비용부담

0.2~0.4$/돼지 두당

호기성관리

생물학적 공정으로 호기성 박테이라가 유기물을 산화시킨다.

효과적인 악취, 영양물질, 유기물의 감소

자본과 운영비용부담

공정에 따라 많은 변형이 있다.

혐기성라군

생물학적 공정으로 혐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기탄소가 메탄으로 변화한다.

영양물질과 악취의 감소

계절이 바뀔때 악취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봄,가을)

-

바이오가스 생산

메탄가스의 발생을 완벽하게 포집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악취방출 감소

큰 자본비용소요 ; 상당한 유지비용이 요구된다.

-

Page 18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0 -

2. 축산악취 배출량 추정

가. 국내 가축 사육규모 및 분뇨 배설량

가축 사육 시 배출되는 악취의 대부분은 가축의 분뇨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축종별 분뇨 배설량을 조사한 결과(가축분뇨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농림

부, 2000) 가축종류별 일일 분뇨 배설량은 <표 5-7>과 같으며, 젖소가 35.6 kg/두

/일 로 가장 많은 배설량을 나타내었으며, 한우, 돼지 닭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 5-7> 가축 종류별 일일 분뇨 배설량

단위 : kg/두/일

구분 분 뇨 계

젖소 24.6 11 35.6

한우 10.1 4.5 14.6

돼지 1.6 2.6 4.2

산란계 0.13 0.13

육계 0.09 0.09

닭평균 0.11 0.11

* 가축분뇨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농림부, 2000

가축별로 조사된 일일 배설량과 가축사육두수로 2002년 전국 가축종류별 분뇨

배설량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표 5-8>과 같으며, 돼지의 경우 13,758 천톤/년

으로 가장 많은 분뇨 배설량을 보였으며 한우(7,515 천톤/년), 젖소, 닭의 순으로

추정되었다.

<표 5-8> 2002년 전국 가축 종류별 분뇨 배설량 추정결과

단위 : 천톤/년

가축종류 한육우 젖소 돼지 닭 합계

분뇨배설량 7,515 7,063 13,758 4,083 32,419

Page 18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1 -

나. 악취 배출계수

가축 사육시 발생되는 각종 대기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에 대한 배출계수의 경우 현

재 국내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국의 연구결과에 의해 산정된 배출계

수를 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한육우와 비교되는 외국의 육우 사육에서의 배출계수는 <표 5-9>와 같다.

<표 5-9> 육우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배출원 물질

배출계수

범위

(lb/yr-AU)

배출계수

갯수

평균/중앙값

배출계수

(lb/yr-AU)

참고문헌

건조

NH3 9.7-41.4 3 22.0/25.6

European

Enbironmental

Agency,1997;

Hutchinson,et

al.,

1982

N2O - - 2.8 a

PM 10 5.4-20.0 2 12.7/12.7USDA,2000;

Grelinger, 1997

액비저장 N2O - - 0.14 a

단순저장

NH3 4.2 1 4.2/4.2

European

Environmental

Agency, 1999

N2O - - 2.8 a

고형퇴비살포 NH3 8.0-39.2 5 18.8/23.1

USEPA, 1999;

Van der Hoek,

1998.

* 아산화질소 변환계수를 위한 계산은 분뇨중 질소량을 사용하였음.

Page 18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2 -

젖소 사육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계수는 <표 5-10>과 같다.

<표 5-10> 젖소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배출원 물질

배출계수

범위

(lb/yr-AU)

배출계수

갯수

평균/중앙값

배출계수

(lb/yr-AU)

참고문헌

후리스톨

우사

(저장)

NH3 - - 28 d

후리스톨

우사

(스크레퍼)

NH3 15.2-16.8 2 16.0/16.0

Demmers, et al., 2001;

University of

Minnesota,

1999.

단순건조

NH3 4.5-13.4 2 10.2/9.0

Bouwman, et al., 1997;

Misselbrook, et al.,

1998;

Van der Hoek, 1998.

N2O - - 4.4 A

PM 2.3 1 2.3/2.3 USDA,2000

혐기성 라군

NH3 - - 40 b

N2O - - 0.22 a

H2S - - 15.7c,4.1f b

VOC - - 4.5 c

액비저장 N2O - - 0.22 a

액비살포 NH3 18.7 1 18.7/18.7Van der Hoek,

1998.

고형물저장NH3 5.9 1 5.9/5.9

Van der Hoek,

1998.

N2O - - 4.4 a

a 분뇨중 질소의 아산화질소 변환계수로 계산됨b 돼지의 혐기성 라군의 변환계수로 계산됨.c 고형휘발성물질을 이용하여 VOC 전환계수가 계산됨.

Page 18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3 -

산란계 사육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계수는 <표 5-11>과 같다.

<표 5-11> 산란계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배출원 물질

배출계수

범위

(lb/yr-AU)

배출계수

갯수

평균값/중앙값

배출계수

(lb/yr-AU)

참고문헌

케이지식

계사

NH3 16.5-44 6 32.8/30.3

Groot Koerkamp et

al.,

1998;

Kroodsma, et al.,

1988;

Tamminga, 1992;

Van der Hoek, 1998;

USEPA, 1994.

N2O - - 0.2 a

고상식

계사

NH3 13.1-44 8 28.5/28.6

Groot Koerkamp et

al.,

1998;

Hartung and Phillipe,

1994;

Kroodsma, et al.,

1988;

Tamminga, 1992;

USEPA, 1994.

Valli et al., 1991;

Van der Hoek, 1998;

N2O - - 3.6 a

퇴비이용

(산란계)NH3 11.1-36 4 24/24

USEPA, 1994;

Van der Hoek,

1998;

Witter, 1991.

혐기성

라군

NH3 - - 32 b

N2O - - 0.02 a

H2S - - 0.02 b

VOC - - 4 c

액비 이용

(산란계)NH3

11.1-36 4 24/24

USEPA, 1994;

Van der Hoek,

1998;

Witter, 1991.

Page 18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4 -

육계 사육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계수는 <표 5-12>와 같다.

<표 5-12> 육계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배출원 물질

배출계수

범위

(lb/yr-A

U)

배출계수

갯수

평균값/중앙값

배출계수r

(lb/yr-AU)

참고문헌

깔집계사

(육계)

NH3 10-51 8 24.3/31

Groot Koerkamp, et

al.,

1998;

Kroodsma et al.,

1988;

Taminga, 1992;

USEPA, 1994;

Van der Hoek, 1998;

Zhu et al., 2000.

N2O - - 2.4 a

PM 2.9-14 2 8.2/8.2Grub, et al., 1965

Takai et al., 1998;

무창 계사

(무깔집)

NH3 2.2 1 2.2/2.2 Van der Hoek, 1998e

N2O - - 2.4 a

개방형계사

(깔집)

NH3 2.2 1 2.2/2.2 Van der Hoek, 1998e

N2O - - 2.4 a

고형퇴비이용 NH3 22-24 2 23/23Van der Hoek, 1998;

USEPA, 1994.

a 분뇨중 질소의 아산화질소 변환계수로 계산됨.b 돼지의 배출변화로 계산됨.c 분뇨중 휘발성고형물의 VOC 변환 계수로 계산되어짐d 육계사의 변환된 배출계수로 계산됨.e 참고문헌이 고형물과 깔집 저장으로 제공되었는데 개방형 저장과 밀폐형과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다. 배출계수의 구분에 대한 배경이 없이 주어졌는데, 이 구분은 저장상태에 따라 배출되는

암모니아량에 준 한다고 간주한다. 배출계수의 절반은 밀폐형저장으로 할당되었으며 반은 개방형

이다.

Page 19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5 -

돼지 사육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계수는 <표 5-13>과 같다.

<표 5-13> 돼지 사육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배출원 물질

배출계수

범위

(lb/yr-AU)

배출계수

갯수

평균/중앙값

배출계수

(lb/yr-AU)

참고문헌

돈사(세정수)NH3 6.4-17.1 3 10.3/11.8

Hoeksma and Monteny, 1993;

Oosthoekd, et al., 1991.

PM 4.6-13.0 3 8.0/8.8Grelinger and Page, 1999;

Takai, et al., 1998.

돈사

(pit recharge)

NH3 10.8-17.1 2 14.0/14.0Oosthoek, et al., 1991;

University of Minnesota, 1999.

PM 4.6-13.0 3 8.0/8.8Grelinger and Page, 1999;

Takai, et al., 1998.

돈사

(pull plug pit)

NH3 9.1-16.5 3 13.7/12.8Andersson, 1998;

Hoeksma and Monteny, 1993;

Oosthoek, et al., 1991.

PM 4.6-13.0 3 8.0/8.8Grelinger and Page, 1999;

Takai, et al., 1998.

돈사 (w/pit

storage)

NH3 0.6-44.6 15 17.2/22.6

Andersson, 1998;

Hoeksma and Monteny, 1993;

Ni, et al., 2000;

Oosthoek, et al., 1991;

Secrest, 2000;

USDA, 2000;

USEPA, 1994;

Zhu, et al., 2000.

H2S 0.01-5.4 7 1.4/2.7

Jacobson, et al., 1999;

Ni, et al., 2000;

Pedersen, et al., 2000;

USDA, 2000;

Zhu et al., 2000

PM 4.6-13.0 3 8.0/8.8Grelinger and Page, 1999;

Takai, et al., 1991.

혐기성 라군

NH3 2.8-39.4a 9 15.1/21.1

Aneja, et al., 2000

Cure, et al., 1999;

Harper and Sharp, 1998;

Martin, 2000g;

NCDENRa.

N2O - - 0.085 d

H2S 0.8-9.8 59.8/9.8b,

2.6/2.9cGrelinger and Page, 1999;

Takai, et al., 1991.

VOC - - 2.4 e

액비이용NH3 20.9-44.3 5 29.4/32.6

USEPA, 1994;

Van der Hoek, 1998.

H2S 0.6 1 0.6/0.6

단순퇴적 N2O - - 0.085 d

a 배출계수중 세가지는 암모니아로 전환되어진 질소의 형태로 조사되었다.b 돈사(세정수)의 혐기성 라군 배출계수이므로 model farm S1을 사용한다.c 배출계수가 돈사(세정수)와 다른 혐기성 라군을 대표하므로 model farm S2 and S3A를 사용하였다.d 분뇨중 질소의 아산화질소 변환계수로 계산됨.e 분뇨중 휘발성고형물의 VOC 변환 계수로 계산되어짐f 바탕시험 값은 조사되지 않았음.g 혐기성 라군에서 질량수지에 기초를 둔 완전한 형태의 실험이며, 투입된 질소의 전체량중 63.6%의 손실을 보인다.

Page 19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6 -

다. 악취 배출량 추정

가축 사육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기존의 외국에서 조사된

바 있는 가축 종류별 암모니아 배출계수를 사용하여 가축 사육시 발생하는 악취물

질 중 암모니아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표 5-14> 가축종류별 암모니아 배출계수

가축종류 배출계수(kg NH3/마리)

Cattle 22.9

pig 9.21

Chicken 0.1787

*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Ammonia Emission Factors, EPA, 1994

암모니아(NH3)는 가축 사육시 발생하는 주요 악취물질이며, 악취를 구성하는 악

취 유발 물질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차지하고 있다.

2002년 가축 종류별 암모니아 배출량 추정결과 <표 5-15>와 같이 돼지가

82,654 톤/년으로 가장 많은 암모니아 배출량을 보였으며 소(한우, 젖소)에서

44,742 톤/년, 닭에서 18,173톤/년 이 배출되어 <그림 5-21>과 같이 가축종류별

암모니아 배출 기여도는 돼지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5-15> 2002년 가축 종류별 암모니아 배출량 추정 결과

단위 : 톤/년

소(Cattle) 돼지(pig) 닭(Chicken) 합 계

44,742 82,654 18,173 145,569

Page 19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7 -

<그림 5-21> 가축 종류별 암모니아 배출기여도 (2002)

31%

57%

12%

돼지

라. 공동 축분퇴비시설과 악취저감

분뇨처리 공정 중 돼지 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의 배출량과 악취 저감장치에

의한 저감량을 추정하면 <표 5-16>과 같다.

<표 5-16> 축분비료공장(70톤/일)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 배출량

단위 : 톤/년

배출량 NH3 H2S (CH3)SH (CH3)2S (CH3)2S2

방지시설 처리전 35.15 4.16 0.73 0.27 0.04

방지 효율(%) 80 90 71 70 50

방지시설 처리후 6.91 0.43 0.21 0.08 0.02

* 공동 퇴비 처리장 방지시설 전․후단 농도 적용

※ 퇴비처리장 연중 지속 가동을 가정함.

처리용량 1일 70 톤/일 규모인 돼지 축분비료공장의 경우 대략 사육두수 17,000

여 마리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처리하는 셈이며 저감장치를 가동할 경우 연간 암모

니아 약 28.24 톤, 황화수소의 경우 약 3.73 톤, 메틸머캅탄의 경우 0.52 톤, 황화

이메틸의 경우 0.19 톤, 이황화이메틸의 경우 0.01 톤을 저감하는 것으로 추정되었

Page 19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8 -

다.

따라서 수도권과 같이 축사와 주거지역이 가까운 지역이 많고 대형 축사가 비교적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공동분뇨퇴비시설을 설치하고 악취 저감장치를 운영한다

면 악취저감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age 19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79 -

3. 축산 악취의 주변 영향

축산 농가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이 대기 중에서 확산되어 주변에 어떤 악취 영향

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과제 연구 결과 중 돈사에서의 황화수소

배출농도 및 배출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수정, 모델링을 실시해 보았다.

적용 모델은 ISCLT3를 이용하였으며, 입력 자료는 <표 5-17>과 같다.

<표 5-17> 돈사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 모델 입력 자료

CO STARTING

CO TITLEONE RUN FOR ISCLT MODEL IN SUWON AREA

CO MODELOPT DFAULT RURAL CONC

CO AVERTIME ANNUAL

CO POLLUTID H2S

CO TERRHGTS FLAT

CO RUNORNOT RUN

CO ERRORFIL SWINE_H2S.ERR

CO FINISHED

SO STARTING

SO ELEVUNIT METERS

SO LOCATION SWINEO1 POINT 0.0 0.0 0

SO LOCATION SWINEO2 POINT 0.0 0.0 0.5

SO LOCATION SWINEO3 POINT 0.0 0.0 1

SO LOCATION SWINEO4 POINT 0.0 0.0 1.5

SO SRCPARAM SWINEO1 1.680000E-03 0 298 0.15 7.14

SO SRCPARAM SWINEO2 3.851000E-02 0 298 0.2 6.38

SO SRCPARAM SWINEO3 5.800000E-03 0 298 0.17 10.16

SO SRCPARAM SWINEO4 5.388000E-02 0 298 0.43 10.14

SO SRCGROUP ALL

SO FINISHED

RE STARTING

RE GRIDCART CART1 STA

RE GRIDCART CART1 XYINC -1000 41 50 -1000 41 50

RE GRIDCART CART1 END

RE FINISHED

ME STARTING

ME INPUTFIL C:\TRINITY\SUITE\SUWON01.STR FREE

ME ANEMHGHT 10.0 METERS

ME SURFDATA 00 2001

ME UAIRDATA 00 2001

ME STARDATA ANNUAL

ME AVETEMPS ANNUAL 292 289 287 287 285 284

ME AVEMIXHT ANNUAL A 1059 1480 0 0 0 0

ME AVEMIXHT ANNUAL B 793 1060 1511 0 0 0

ME AVEMIXHT ANNUAL C 442 901 1447 1768 1105 0

ME AVEMIXHT ANNUAL D 477 808 1125 1441 1491 1114

ME AVEMIXHT ANNUAL E 0 583 981 1161 0 0

ME AVEMIXHT ANNUAL F 309 607 951 0 0 0

ME FINISHED

OU STARTING

OU RECTABLE SRCGRP

OU MAXTABLE 10 SRCGRP

OU FINISHED

기상자료는 2001년 수원기상대 기상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돼지 사육농장의 특성

Page 19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0 -

상 자돈사, 모돈사, 분만돈사, 비육돈사의 각각 황화수소 평균농도 자료와 각 돈사

의 평균면적 및 내부 유속 자료를 이용하여 황화수소 배출량을 산정하여 배출량 입

력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델의 수행 결과자료를 악취도로 환산하여 보면 <그림

5-22>와 같다.

<그림 5-22> 돈사에서 배출되는 H2S의 악취영향

모델의 수행결과 악취 감지취인 1도는 약 800 ~ 400 m까지 영향이 있으며, 악

취도 2도 이상의 영향은 농장에서 200 ~ 400 m이내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그러나 본 모델은 1년 기상자료를 이용한 장기모델인 ISCLT3모델을 적

용하였기 때문에 단기간에 발생되는 악취는 더 멀리 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Page 19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1 -

4. 축산악취 관리 고려사항

가. 규제대상물질

국내 사업장별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따라 축산사육농가 및 축산 분뇨처리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악취물질은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황화이메틸, 이황화이메

틸, 트리메틸아민, 노르말부틸산, 노르말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으로 규정지을 수 있

으며, 본 연구에서 실측결과 국내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의 악취기여도는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이황화이메틸, 이황화이메틸이 주요 악취기여 물질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악취강도에서는 암모니아, 황화수소가 가장 먼 거리 및

강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축산시설에 대해 악취방지법의 관능법 또는 규제 물질을 적용하되 주요

규제물질을 지정한다면 우선적으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나. 규제농도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에 대한 국내 악취배출허용 기준은 <표 5-18>과 같

다.

<표 5-18> 국내 악취배출허용 기준

측정방법 배출허용기준

직접관능법 악취도 2도 이하

공기희석

관능법

배출구공업지역 내의 사업장

희석배율

1000

기타지역 내의 사업장 500

부지경계선공업지역 내의 사업장 20

기타지역 내의 사업장 15

기기

분석법

(ppm)

악취물질 공업지역 내의 사업장 기타지역 내의 사업장

암모니아 2 1

메틸머캅탄 0.004 0.002

황화수소 0.06 0.02

황화이메틸 0.05 0.01

이황화이메틸 0.03 0.009

트리메틸아민 0.02 0.005

아세트알데히드 0.1 0.05

스티렌 0.8 0.4

Page 19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2 -

본 연구과제의 실측결과에서 전 축산농가의 부지경계 평균 농도가 암모니아가 1.9

ppm, 황화수소가 20 ppb로 기기분석법에 의한 기타지역 내의 사업장 기준치를 넘

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기준치를 그대로 축산농가에 적용하면 많은 축산 농가가 이

를 지키기 어려워 문제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반 산업의 사업장과는

달리 축산 농가의 경우 부지경계선의 개념이 모호한 경우가 많아 기존의 악취 배출

허용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축산시설의 경우 축사

내부 악취물질 농도의 최고치를 암모니아의 경우 25 ppm 이하와 같이 제안하고

이 농도 이하가 될 수 있도록 관리를 권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 축사 입지 규제

악취 저감설비의 운영이 제한적인 대부분의 축산시설은 신축 단계에서 사전에 악

취민원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각 지자체의 특성에 따라 입지규제 지역을 공고

하거나, 토지이용의 용도별 규제지역을 지정하는 방법이 사전에 악취민원을 예방하

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라. 이격거리 규제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기상 조건에 따라 주변 지역에 확산 이동하여 악취

민원을 발생하게 된다. 외국에서도 축산시설과 민가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 시킬 것

을 악취 관리대책의 하나로 권고 하고 있다. 미국의 Missouri 주립대학의 1999년

연구결과는 <표 5-19>와 같이 나타났으며 권장이격거리로 제안하고 있다.

<표 5-19> 가축사육농가에 적용되는 이격거리(미국 Missouri주의 경우)

축종별 사육규모 최소 이격거리

Class 1A, 7,000 이상 AUE* 900 m

Class 1B, 3,000 이상 6,999 미만 AUE 600 m

Class 1C, 1,000 이상 2,999 미만 AUE 300 m

* 1 AUE (animal unit equivalent) = 1.0 비육소, 0.5 말, 0.7 젖소, 2.5 돼지(25kg 이상), 15 돼

지(25kg 미만), 10 양, 30 산란계, 100 육계

또한 미국 Illinois주의 축산시설 관리법에서 적용하고 있는 이격거리 규제는 다음과

Page 19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3 -

같다.

- 축산시설 및 축산폐기물 처리시설이 50 AU*(animal unit)가 넘지 않으면 다음

4가지 항목을 적용 받지 아니하고 일리노이주 환경법에 적합하도록 한다.

- 축산시설 및 축산폐기물 처리시설이 50 AU이상 1,000 AU미만의 시설은 최

소 이격거리를 주거지역에서 0.25 mile(약 400 m), 주거 밀집지역에서 0.5 mile

(약 800 m)으로 한다.

- 축산시설 및 축산폐기물 처리시설이 1.000 AU이상 7,000 AU미만인 시설은

주거 밀집지역에서 경우 최초 1,000 AU미만의 0.5 mile에서 1,000 AU증가 당

440 feet (약 130 m)씩 증가하여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주거지역에서 최초

1,000 AU미만의 0.25 mile에서 1,000 AU증가 당 220 feet(약 65 m)씩 증가하

여 이격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 축산시설 및 축산폐기물 처리시설이 7,000 AU이상인 시설은 주거 밀집지역

에서 최소 1 mile (약 1.6 km)이상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어떠한 주거지역에서도

최소 0.5 mile (약 800 m)으로 이격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 AU : 비육우 1.0 unit, 젖소 1.4 unit, 송아지 0.6 unit, 돼지 25 kg이상 0.4

unit, 돼지 25 kg미만 0.03 unit, 양 및 염소 0.1 unit, 말 2.0 unit, 칠면조 0.02

unit, 산란계 및 육계(자동 수세식 분뇨처리) 0.01 unit, 산란계 및 육계(수동식 분

뇨처리) 0.03 unit, 오리 0.02 unit

본 연구결과에서는 중규모 돈사(2,000 ~ 3,000두)의 경우 악취 배출량을 고려하

여 평균적인 기상 조건에 의한 확산영향을 평가하면 악취도 2도의 범위가 대략 축

산시설로부터 200 - 400 m 에 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는 미국의 연구결

과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정도의 거리를 이격 하는 것을 권고하

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축종별 악취 측정 결과 육우나 젖소의 경우

돼지와 닭에 비하여 악취도가 낮으므로 이격거리를 축종별로 달리 하면 중규모 산

란계, 육계(30,000 ~ 50,000수)의 경우 100 ~ 200 m 내외(산란계 200 m 내외,

육계 100 m 내외), 중규모 한육우, 젖소(50 ~ 100두)의 경우 50 m 내외의 이격

Page 19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4 -

거리를 확보하는 것을 권고하는 것이 좋겠다.

<표 5-20> 국내 축종별 축사의 권장 이격거리

축 종 사육규모(중규모) 평균 악취도(O.U.) 권장 이격거리(m)

돼지 2,000 - 3,000 두 2,500 200 - 400

산란계 3만 - 5만 900 150 - 200

육계 3만 - 5만 500 70 - 100

육우, 젖소 50 - 100 두 200 50

이때 영향범위는 축사 규모에 비례하므로 대규모나 소규모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

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악취 민원이 단기적인 영향에 의하여 발생하며

대상지역의 기상이나 지형 조건이 영향을 주므로 일률적인 규제는 한계가 있다.

마. 악취저감기술

현재 국내 축산 사육농가의 경제적 능력 및 국내 악취 방지저감 기술을 고려하여,

가능한 다양한 저감기술을 축산농가의 경제적 능력 및 시설 특성에 맞는 기술을 추

천 보급해야 하겠다. 특히 대부분의 축산농가의 악취는 분뇨처리과정에서 발생하므

로 이러한 점을 감안 추진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 개방형으로 되어 있는

축산 시설의 경우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악취 저감 기술에는 한계가 있으며

저감 효과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진한 상태이다. 일정 규모 이상의 대규모 축사나

퇴비화시설 경우에는 세정장치나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필터가 효과를 거두는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

바. 저감효과와 이격거리의 조화

악취 저감기술을 적용한 축산 농가에 대해서는 이격거리 및 입지제한과 같은 규제

에 대한 완화조치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사. 분뇨 공동퇴비처리장 활성화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 악취배출은 분뇨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므로, 이러한 분뇨

처리과정을 공동 퇴비처리화 하여 농가에서의 악취물질 배출의 저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공동처리장의 방지시설 설치로 총 악취물질 배출량의 저감효과를 나타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분뇨 공동 퇴비처리장의 설치 시에는 밀폐형

Page 20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5 -

으로 설치하고 악취방지시설을 반드시 운영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동 처리

장 인근에 또 다른 악취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입지선정 시 이를 고려

한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20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6 -

5. 축산악취 관리 방안

가. 농장 운영시

1) 분뇨 저장소는 농장 내에서 환기가 잘되는 곳에 설치한다.

2) 사료 공급 장치의 청소를 자주한다.

3) 고지방 사료를 사용한다. 특히 돼지에게 사료급여는 성장단계별로 추

천된 사료를 급여한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사료를 비육후기까지 급여시 악

취발생을 높임)

4) 사료공급 장치는 밀폐형 자동화 장치를 사용한다.

5) 사료급여기는 먼지를 줄이기 위해 습식급여기를 최대한 사용한다.

6) 가능한 축사내부는 너무 건조하지 않고 적정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7) 축사 내 환기량은 최대를 유지한다.

8) 악취물질은 먼지와 함께 흡착되어 확산한기 때문에 환기 덕트 및 팬

에 먼지를 제거한다.

9) 가능한 액비살포를 자제한다.

10) 이웃주민 및 지역사회 대표들(환경 및 축산직 공무원, 환경전문가,

환경보호단체, NGO 등)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노력은 축산

악취에 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하여 효과적인 처리 방안을 가져올 수

있다.

Page 20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7 -

11) 악취 발생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관찰/기록한다. 이웃주민이나 지역

공무원을 통해 악취발생 시간 및 악취세기 등을 기록한다. 이를 통해 악취배

출원을 찾아내 빠르게 대응/조치 할 수 있다.

12) 가축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100%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

다. 그러나 최대한의 악취저감 노력을 통해 줄어든 악취발생 빈도 및 악취세

기 등의 이해의 권유를 통해 해결한다.

나. 축사외부 관리

13) 배수가 잘되게 관리한다.

14) 빗물 등 외부 유출수의 농장내부로 유입을 차단한다.

15) 울타리 및 사료급여기 부분에 있는 분뇨를 바로 제거한다.

다. 분뇨 관리

16) 저장된 분뇨를 매일 또는 자주 제거한다.

17) 분뇨저장조 주위에 방풍벽을 설치한다.

18) 분뇨저장조에는 가능한 덮개처리를 한다.

19) 분뇨저장조 내에 분뇨 수거구/배관을 분뇨 표면 밑으로 설치한다.

Page 203: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8 -

라. 액비 살포시

20) 분뇨 또는 액비살포 계획을 인근 주민에게 사전에 알려주고 양해를

구하다.

21) 액비 살포는 바람이 이웃거주 주민 쪽에서 불어올 때 살포한다.

22) 흐린날, 비오는 날에는 살포를 하지 않고, 바람이 불고, 맑은 날 오

전 10시에서 오후 4시 사이에 살포한다.

23) 가급적 주말이나 공휴일에 살포는 피한다.

24) 토양에 직접주입 또는 주입 후 즉시 흙으로 덮어주는 방식으로 살

포한다.

25) 대기 중에 직접 액비를 살포하는 방식은 가능한 피한다.

마. 신규 축사 설치시

26) 신규 축사는 5장에서 언급한 악취 방지기술을 최대한 적용하여 최

소한으로 악취물질을 배출하도록 한다. 적용되는 방지기술은 분뇨가 대기 중

으로 노출되는 표면적을 최소화, 분진 처리, 악취배출물질 처리, 배출되는 악

취가스의 최대한 희석 배출 등을 고려한다.

27) 관계기관 담당관은 농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악취저감방안에 대한

기술지원을 통해 악취민원 예방에 노력을 기울인다.

Page 204: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89 -

바. 이격거리 권장

28) 돼지 사육농가의 경우 중규모(2천~3천두 : 비육돈 기준)의 경우 주

거지역으로부터 직선거리 최소 200~400 m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29) 산란계 사육농가의 경우 중규모(3만~5만수)의 경우 주거지역으로

부터 최소 직선거리 150~200 m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30) 육계 사육농가의 경우 중규모(3만~5만수)의 경우 주거지역으로부

터 최소 직선거리 70~100 m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31) 한육우 및 젖소 사육농가의 경우 중규모(50~100두)의 경우 주거지

역으로부터 최소 직선거리 50 m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32) 상기와 같은 이격거리는 사육농가의 규모에 차등 적용한다. 즉 소규

모의 경우 이격거리를 일정부분 감하거나, 대규모의 경우 이격거리를 증가하

여 적용한다.

33) 사육농가에서 악취방지시설을 적용한 경우 상기와 같은 이격거리를

일정부분 감하여 적용한다.

Page 205: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0 -

Page 206: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1 -

Ⅵ. 맺음말

최근 축산시설에서의 악취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에서는 아직까지 가축종별 및 사육시설별, 사육두수별 악취물질 배출특성이 파악되

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악취물질 배출특성은 국외 가축 특성별 악

취물질 배출특성 및 배출계수의 적용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국내 가축 사육규모별

특성 또한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실정에 맞는 가축종별 사업장 규모

별 악취 물질 배출특성의 파악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가축 축종별 사육현황에 따른 악취물질 배출특성

을 조사하여 축산 악취 배출시설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장래 악취저감방

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도별 국내 가축사육 현황(농림부(2002))을 살펴보면 돼지와 닭의 경우 사육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연도별 가축사육두수와 농가수를 이용한 농가

당 사육두수의 규모도 최근 크게 증가하여 가축 사육농가가 대형화되어 악취 발생

원으로 중요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축산농가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특히 젖소, 돼지, 닭의 경우 경기도에 가장

밀집되어 있어 수도권의 인구증가와 주거지역 확대에 따라 축산시설에서의 악취문

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축산농가의 악취 발생 주요 원인은 분뇨처리과정 및 퇴비화 공정이며 특히 돼지

의 경우 분뇨슬러리 처리에서 많이 발생하며, 육계의 경우 깔집 발효 및 퇴비화 발

효과정에서, 산란계의 경우 퇴비화 발효과정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악취저감을 위한

대책은 대부분 미생물제 급여와 환기팬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축산농가의 악취발생은 계절별로는 여름에 주로 많이 발생하지만 밀폐형 시설이

많이 있는 육계 및 돼지 사육농가에서는 겨울철에도 악취가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기상조건별 악취발생은 비오는 날과 흐린 날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시간대는 새벽

에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악취 민원 발생시 축사와 민원인과의 거리는 닭과 돼지의 경우 200m 이상에서도

민원 발생이 50% 이상 발생하여 주로 민원이 100m 이내에서 발생하는 소 사육농

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먼 거리까지 악취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악취

Page 207: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2 -

민원은 한육우와 젖소보다는 돼지, 산란계 및 육계에서 더 발생했던 것으로 조사되

었다.

축종별로 악취발생에 대한 계절 및 기상 조건, 발생 시간과 악취 민원에 관한 설

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절별로는 전 축종에서 여름철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사육시설의 특성으로 밀폐화가 이루어지는 육계 및 돼지 사육농가에서

는 겨울철에도 악취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상조건별로는 전 축종

에서 대기 환기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비오는 날과 흐린 날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

으로 조사됐다. 또한 하루 중 시간대에 따른 악취특성은 새벽에 악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나 이는 기상조건이 안정하여 악취물질 확산효과가 낮았기 때문인 것으

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실측결과 국내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의 악취기여도는 암모

니아,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이황화이메틸, 이황화이메틸이 주요 악취기여 물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악취강도에서는 암모니아, 황화수소가 가장 먼 거리 및 강

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과제의 실측결과에서 전 축산농가의 부지경계에서 암모니아가 0.2~

7.5ppm으로 측정되어, 중앙값 농도는 1.4 ppm이였고, 황화수소가 0.0~53.0ppb로

측정되어, 중앙값 농도는 13.8ppb로 기기분석법에 의한 기타지역 내의 사업장 기준

치를 넘거나, 기준치에 근접하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기준치를 그대로 축산농가에

적용하면 많은 축산 농가가 이를 지키기 어려워 문제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측정지점별 악취강도는 돼지, 퇴비처리장, 산란계, 육계, 한육우, 젖소 사육농가

순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퇴비처리장의 경우 운영 특성상 돈분 및 계분을 톱

밥 등과 함께 교반, 발효 교반공정에서 악취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돼지

사육농가의 악취강도가 높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최소감지농도가 낮은 H2S의 농도

가 비육돈사 톱밥처리와 모돈사에서 높게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기상 조건에 따라 주변 지역에 확산 이동하여 악

취 민원을 발생하게 된다. 외국에서도 축산시설과 민가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시킬

것을 악취 관리대책의 하나로 권고 하고 있다. 중규모 돈사의 경우 악취 배출량을

고려하여 평균적인 기상 조건에 의한 확산영향을 평가하면 악취도 2도의 범위가 대

Page 208: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3 -

략 축산시설로부터 200 - 400 m 에 달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 정도의

거리를 이격하는 것을 권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 축산 사육농가의 경제적 능력 및 국내 악취 방지저감 기술을 고려하여,

가능한 다양한 저감기술을 축산농가의 경제적 능력 및 시설 특성에 맞는 기술을 추

천 보급해야 하겠다. 또한 현실적으로 효과적인 악취 저감 방안이 미흡한 상태에서

분뇨처리 및 농장관리에 의해 악취를 관리할 수 있는 제안을 정리하였다.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 악취배출은 분뇨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므로, 이러한 분뇨

처리과정을 공동퇴비처리 시설을 이용하면 농가에서의 악취물질 배출을 많이 저감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퇴비시설의 악취배출 강도는 매우 크므로 악취저

감 방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를 잘 운영하면 총 악취물질 배출량의 저감효과를 나

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축종별 악취물질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나

조사 시료의 한계로 저감 시설에 따른 악취발생을 비교할 수는 없었다. 앞으로 악

취 저감대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조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미생물 제재 급여에 의한 악취 저감 효과 분석

- 축사 시설 형태에 따른 악취 저감효과 비교

- 축산악취 저감 기술의 저감 효과와 비용 비교

- 축산 악취의 환경 조건에 따른 주변 영향 범위 조사

- 신규 축사 시설 신축시 사전에 악취확산범위 예측평가 연구

Page 209: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4 -

Page 210: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5 -

참고문헌

EPA, Emissions From Animal Feeding Operations (Draft), 2001

EPA,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Ammonia Emission Factors, 1994

EPA, Review of Emission Factors and Methodologies to Estimate Ammonia

Emissions from Animal Waste Handling, 2002

Board on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Air Emissions from Animal

Feeding Operations : Current Knowledge, Future Needs, 2003

Department of Agriculture, Trade and Consumer Protection, State of Wisconsin,

Livestock Guidance - Local Planning for Livestock Operations in

Wisconsin, 2003

The Pennsylvania Department of Agriculture, Odor Management in Pennsylvania

- A Reference Manual, 2001

David Schmidt et al., Biofilters for odor control,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2000

David Schmidt et al., Preparing an odor management plan,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2001

Donald L. Pfost et al., Odors From Livestock Operations : Causes and Possible

Cures,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1999

Jose R. Bicudo et al., Using Covers to Minimize Odor and Gas Emissions from

Manure Storages,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Kentucky, 2004

Jacobs, P., Odour control guidelines for livestock operators, Nova Scotia

Dep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1994

Auvermann, B., Bicudo, J.R., Jacobson, L,D., Lorimor, J. and Schmidt, D.R.

Outdoor air quality. Midwest Plan Service MWPS-18, Section 3, Iowa State

University, Ames, IA., 2002

Jacobson, L, D., Lorimor, J,C., Bicudo, J,R., and Schmidt, D.R. Emission control

strategies for manure storage facilities. Lesson 43 of the Livestock and

Poultry Environmental Stewardship Curriculum, a National Educational

Program., 2001

Janni, K., Jacobson, L, D. Bicudo, J,R., Schmidt, D.R. and Guo, H. Livestock and

Page 211: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6 -

poultry odor workshop Ⅱ-biofilters, cover, OFFSET, and odor management

plas.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MN. 100pp, 2000

Janni, K., Jacobson, L, D. Bicudo, J,R., Schmidt, D.R. and Guo, H. Livestock and

poultry odor workshop Ⅰ-emissions, measurement, control and regulation.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MN. 117 pp, 2000

Bicudo, J,R.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covers.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sion Service,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FAQ No. 2. 2

pp. 1999

Albert J Heber, Indoor air quality and pollution emissions of swine buildings,

1998

Bicudo, J,R., Schmidt, D.R., Jacobson, L, D. and Janni, K. Reducing odor,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emissions from manure with straw and

geotextile covers. Minnesota/Wisconsin Engineering Notes, Dept. of

Biosystems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Fall

1999

http://www.permroofing.com/ozone/

http://www.legis.state.il.us/commission/jcar/admincode

http://www.ace.uiuc.edu/aglaw/livestock.html

환경부,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2001

농림부, 가축사육통계

일본 공해대책기술동우회, 악취방지기술 매뉴얼

충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충남지역 내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 2002

농촌진흥청, 축산분뇨처리기술, 2001

농협중앙회, 생산비 절감을 위한 최신 축사환기 및 구조, 2001. 12.

농촌진흥청, 가축분뇨 액비 사용기술, 2002. 12

농림부, 돈사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 system 개발, 2000

농림부, 가축 분뇨 자원화 및 이용기술 개발, 2000

농림부, 축사 내 악취제거 및 부유세균 제거장치 개발, 2002

농림부, 축산분뇨처리시책 및 기술교육, 2004

한국대기환경학회, 악취성 황화합물에 대한 GC 검출기술, 2003

Page 212: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배출 특성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webbook.me.go.kr/DLi-File/F002/000/92969.pdf · 우사, 양계사 등에서 발생되는

- 197 -

수원대학교, (주)한미 악취분석 및 슬러지 탈수능 조사

류희욱 등, 양돈시설 악취관리 : Ⅰ. 국내 양돈 산업 현황 및 악취 특성, 한국냄새

환경학회지 제2권 제2호, 2003

류희욱 등, 양돈시설 악취관리 : Ⅱ. 악취 관리 계획 수립, 한국냄새환경학회지 제

2권 제2호, 2003

양성봉 등, 알칼리 Beads법에 의한 대기 중 저급 지방산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지 제2권 제2호, 2003

김선규 등, 악취농도단위와 악취농도지수간의 상관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냄새

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