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 wordpress.com · - 약 잧의 결롞이 예젂의 결롞을 반박핛 경우...

33
연구보고서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정부정책 연구팀김 태 원 연구원본 연구 보고서는 핚국식품통상연구소의 연구 홗동을 위하여 • David Schmidt, 「Applying Risk Communication Principles to Today‟s Food Issues」, 2010 •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When Food is Cooking Up a Storm, Proven Recipes for Risk Communications」, • FAO/WHO, 「The application of risk communication to food standards and safety matters」, 1998 •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Improving Public Understanding Guidelines」, 1998 • Jamie K. Wardman & Ragnar E. Lofstedt,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Risk Communication Annual Review」, 2009 • 「National Center for Food Protection and Defense」 •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Guidelines on science and health communication」, • Tanika Kelay & Chris Fife-Schaw,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A Guide to Best Practice」, 2010 에서 발췌핚 내용을 요약∙정리핚 것임.

Upload: others

Post on 27-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연구보고서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정부정책 연구팀∣김 태 원 연구원∣

본 연구 보고서는 핚국식품통상연구소의 연구 홗동을 위하여

• David Schmidt, 「Applying Risk Communication Principles to Today‟s Food Issues」, 2010

•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When Food is Cooking Up a Storm, Proven Recipes for Risk

Communications」,

• FAO/WHO, 「The application of risk communication to food standards and safety matters」, 1998

•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Improving Public Understanding Guidelines」, 1998

• Jamie K. Wardman & Ragnar E. Lofstedt,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Risk Communication Annual Review」, 2009

• 「National Center for Food Protection and Defense」

•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Guidelines on science and health communication」,

• Tanika Kelay & Chris Fife-Schaw,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A Guide to Best Practice」, 2010

에서 발췌핚 내용을 요약∙정리핚 것임.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

목 차

정부 정책

식약청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챀과 홗동

1. JIFSAN - 오늘날 식품문제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원칙 적용 .................................................. 3

2.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핚 가이드라읶 ........................ 6

3. NCFPD -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핚 최선의 행동지침 .......................................11

4. EFSA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가이드라읶 .......................................................................................13

5.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 과학 및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핚 가이드라읶 ...20

6. TECHNEAU -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매체 홗용방앆 .................................................20

7. EFSA - 유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렺보고서 .............................................................................26

8. FAO & WHO - 식품기준과 앆젂문제에 대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적용 .......................29

• 참고문헌 .........................................................................................................................................................33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3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렦 가이드라읶과 홗동

1. JIFSAN -「오늘날 식품문제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원칙 적용」 1

<그림 1> JIFSAN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가이드라읶

1 Applying Risk Communication Principles to Today‟s Food Issues, David Schmidt, 2010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4

가. 목표

식품앆젂 및 보걲젂문가, 언롞읶, 교육자 및 정부 당국에 영양문제에 대핚 과학적 기반

정보를 효윣적으로 젂달하는 것이 목적임.

공공의 이익을 위핚 걲강, 영양, 식품앆젂과 주로 광범위핚 식품, 음료, 농업 산업의 지원에

대핚 과학적 기반 정보를 효윣적으로 젂달함.

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자료

식품 보호 및 처방에 대핚 국립 센터 (NCFPD) 공동 작업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코어 Team

Risk 통싞 '기차 - 트레이너' 모듈

미국 다이어트 협회 (ADA) 등록 다이어트 프로그래머에 대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CPE 모듈

질병 관리 및 예방을 위핚 센터 (CDC) 2010 년 USDA / NSF 식품 앆젂 교육회

다. 트위터와 페이스 북을 통핚 커뮤니케이션

IFIC media / food insight org / Food insight

라. 새롭게 부상하는 과학을 평가하는 방법

하버드/IFIC 가이드라읶을 통해 공공의 이해를 향상시키고 새로욲 연구를 통해 의사 소통함.

- 공공 보걲의 하버드 학교 IFIC 잧단

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성과

- 질병, 상해 및 사망을 감소

- 대응계획에 대핚 지원을 구축

- 대응계획의 실행에 지원

- 자원의 잘못된 핛당 및 낭비를 방지

- 의사 결정자에게 확실핚 알림 경로 확보

- 소문에 대핚 대응 또는 정정

- 위험에 관핚 의사결정정보를 알림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5

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다음과 같은 것이 아닙니다.

- 겉도는 것이 아닙니다.

- 손상을 제어하는 역핛이 아닙니다.

- 위기관리가 아닙니다.

- 보도 자료를 작성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 미디어 읶터뷰를 어떻게 제공핛지에 대핚 것이 아닙니다.

- 사람든의 '기붂'을 나아지게 하거나 그든의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핚 것이 아닙니다.

사. 식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식품 관렦위험에 대핚 태도

- 식품 관렦위험이 언제 왜 발생하였는지에 대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관렦된 도젂과 장벽

- 관점에 따른 효과적읶 기술을 리스크에 도입하는 방법

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실행

- 미네소타는 BPA 를 포함하는 새로욲 제품의 판매를 금지

- 코네티컷은 유아수식과 아기식품뿐맊 아니라 잧사용이 가능핚 음식과 음료용기에 BPA 금지

- 위스콘싞은 2010 년에 어린아이든을 위해서 위스콘싞에서 판매되는 모듞 컵에서 금지

- 워싱턴과 여러 다른 지역에서도 음식과 음료에 비스페놀 A 를 포함하는 것을 금지하고, 3 살

미맊 어린이든이 사용하는 용기에 포함하는 것을 금지

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우수 사렺

- 네트워크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계획

- 과도하게 자싞과 다른 사람든을 앆심시키는 것을 하는 동앆 불확실성을 받아든이는 것

- 대중과의 교류를 형성 그든은 이해 관계자

- 대중의 요구와 우려에 귀 기욳임

- 싞뢰핛 수 있는 소스와 협력 및 조정

- 미디어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연락이 가능핚 상태유지

- 연민과 감정이입에 대핚 소통

- 대중 스스로 핛 수 있는 읷에 대핚 메시지를 제공

-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계획을 개선하는 방앆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6

2.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핚 가이드라읶」 2

<그림 2>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가이드라읶

가. 서롞

25 년 젂에는 식품과 걲강관렦연구가 실린 과학저널이 저녁뉴스나 아침싞문에 실려 독자를

맞이핛 기회가 적었지맊 지금은 읷주읷에 핚번 꼴로 식품관렦 뉴스가 헤드라읶을 장식하는

경우가 맋음. 이러핚 혂상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대중든의 영양과 식품앆젂에 관핚

관심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임. 과학자든도 증가된 가시성에서 맋은 것을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짐.

또핚 처음으로 발행되는 저널에 대핚 연구 및 공공발젂에 대핚 공통된 관심이 증가함.

그러나 과학, 미디어, 대중은 새로욲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수맋은 정보에 대핚

혼띾임. 설문조사는 미디어가 맋은 양의 뉴스를 다루고 있다고 해도 대중을 확실히

이해시키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줌.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음. 첫째, 과학적 젃차는 대중에게는 생소하기 때문에 혼띾을

가져올 수 있음. 둘째, 과학자든이 항상 과학적 증거를 제시핛 수는 없음. 무엇보다 중요핚

것은 과학자, 저널, 미디어가 서로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에 대핚 것임. 이러핚 문제를

2 IMPROVING PUBLIC UNDERSTANDING GUIDELINES,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1998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7

검토하고 소통과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하버드 걲강 및 국제 식품 정보위원회 잧단은

선도적읶 자문그룹의 젂문가를 소집함.

보스턴에서의 첫 회의에 이어 8 번의 회의(메사추세츠)에 이은 60 개국 이상의

식품영양연구원, 식품과학자, 저널편집자, 대학 보도임원, 방송 및 읶쇄기자, 소비자그룹 및

식품산업임원든의 회의로부터 얻은 결과를 토대로 새로욲 과학적 소통 가이드라읶 제작.

첫 번째 가이드라읶의 초앆은 두 번째 회의의 검토그룹회원과 개정을 통해 맊든어짐. 총앆은

이젂 회의의 참가자든에게 대중든보다 먼저 공개되었는데, 이는 식품관렦 정보를 효윣적으로

모듞 대중에게 젂달하기 위함임.

본 가이드라읶은 대중에게 필요핚 정보를 제공하고 그든이 공동 연구의 중요성을 평가핛 수

있게 도와줌. 또핚 식품위해 정보에 대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주요

정보를 제공핛 수 있음.

[1] 모듞 단체를 위핚 읷반 가이드라읶 (소통 과정에서 핛 수 있는 질문사항)

① 의사소통은 식생홗과 걲강에 대핚 대중의 이해를 강화시키는가?

- 대중의 관심을 보증핛 수 있을 맊큼 확실핚 연구읶가?

- 당싞이 제공핚 정보를 통해 대중은 연구결과의 중요성을 평가하고 식품을 선택하는데

즉각적으로 반영하는가?

- 부적젃핚 개별 음식, 잧료, 특징 또는 좋거나 나쁜 보조 식품을 피핚 적이 있는가? 걲강핚

식생홗의 읷홖으로 식품, 잧료, 첨가물이 어떤 방법을 통해 소비되어야 하는지 대중든을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는가?

- 연구의 젂체적읶 결롞을 적젃하게 제시하였는가? 또핚 오해의 소지를 불러읷으킬 수 있는

주요 선택적읶 연구결과를 제거하지는 않았는가?

② 상황에 따른 연구결과를 고려하였는가?

- 맊약 결과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예비 결롞이라면 당싞은 그것을 명시하는가?

- 맊약 이젂 연구와 지금 연구결롞이 다르다면 이것을 명시하고 이유를 설명하는가?

- 맊약 혂잧의 결롞이 예젂의 결롞을 반박핛 경우 예젂 자료에 반박핛맊핚 자료를 제시하는가?

- 결과의 적용 대상이 명확핚가? 특정 연령, 성별, 유젂, 홖경, 읶구로 제핚되어 맊든어짂

연구결과를 읷반화하지는 않았는가?

- 특정핚 음식을 섭취하거나 섭취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위험이나 혖택에 관핚 정보를

포함했는가? 이러핚 요소든이 어떻게 걲강에 기여하는지에 대핚 정보를 포함했는가?

(예를 든면 유젂적읶 역사, 욲동싞경체계)

- 식이요법의 위험을 설명핛 때 개읶적 위험과 다수의 위험을 구붂했는가? 젃대적읶 위험과

상대적읶 위험에 대핚 통계치를 언급하였는가?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8

③ 연구 또는 결과물에 대해 검토하였는가?

- 연구를 과학자 개읶이 검토하거나 저명핚 저널에 출갂하였는가?

- 동료든의 검토가 중요핚 과정이지맊 최종 연구결과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는가?

- 사젂에 검토되지 않은 연구가 매우 중요핚 것이라면 검토 젂 대중든에게 공개해야 핚다고

생각하는가?

- 실제연구와 그 연구에 관핚 논평을 구붂핚 적이 있는가?

- 연구 논평이 핚 사람의 개읶적 의견이고 언제나 사젂 검토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읶지하는가?

- 당싞은 이런 관점든을 광대하게 조사하거나 사설논평을 날카롭게 하싞 적이 있습니까?

④ 연구에 대핚 중요핚 사실을 공개하였는가?

- 연구의 본래 목적, 연구 설계, 데이터의 수집과 붂석 방법에 대핚 정보를 적젃하게

제공하는가?

- 연구가 가지고 있는 어떤 핚계점이나 결점을 읶정하는가?

⑤ 연구의 자금지원에 대핚 모듞 주요정보를 공개하였는가?

- 연구에 대핚 모듞 자금 경로를 공개하는가?

- 연구의 독립성과 객관성에 대해 합리적으로 확싞하는가?

-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투자자가 얻는 것과 잃는 것을 생각해 보싞 적이 있는가?

- 자금에 관계없이 과학의 유효성 자체에 대해 이야기 핛 수 있는가?

[2] 과학자를 위핚 의사소통 가이드라읶

① 연구에 대핚 주요 배경정보를 연구결과, 기자, 제 3 자가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였는가?

- 연구 목적, 가설, 유형 및 샘플 수, 연구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붂석 방법, 연구결과와 같은

모듞 세부 사항을 설명하였는가?

- 데이터 수집의 기졲 목적과 읷관된 연구결과를 보도하였는가?

- 탐구에 합당하고 적젃핚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또핚 데이터 수집 방법을 포함핚

연구의 결점이나 핚계점을 공개하였는가? 자기짂단은 걲강치수를 측정하는데 있어 객관적읶

방법읶가?

- 동물이나 읶갂에게 적용된 연구가 있는가? 동물실험에 대핚 핚계점은 읶갂에게 적용되어

제시되었는가?

- 연구결과가 독자적으로 검토될 때까지 기다렸는가? 그렇지 않다면 연구결과가 아직 사젂

검토되지 않았다고 언롞에 공개 했는가?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9

② 식생홗의 위험과 장점을 명확히 구붂하였는가?

- 물질, 음식, 잧료의 복용량에 대해 설명하였는가? 개읶 평균에 의해 적젃하게 소비될 수 있는

양읶가?

- 질병을 유발하는 위험의 원읶은 무엇읶가? 새로욲 위험의 젃대적, 상대적 수준을

제시하였는가?

③ 언롞의 필요성을 느끼는가?

- 보도 젂/후 미디어 읶터뷰에 응핛 수 있는가? 미디어의 요구에 대해 시기 적젃하게

반응하는가?

- 기본연구에 충실하고 과장 없이 보도 자료를 준비하였는가? 뉴스가 나가기 젂 최종적으로

검토하고 승읶하였는가?

[3] 저널편집자를 위핚 의사소통 가이드라읶

① 기사 금지정챀(엠바고)은 공공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가?

- 단숚히 기자 그룹을 선택하지 않고 금지정챀에 동의하는 모듞 기자든에게 금지된 저널을

제공하였는가?

- 금지 정보가 가능핚 경우 어떤 과학자의 연구가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될지 공지 하는가?

- 연구자가 문제에 대핚 관렦 정보를 공유하고 질문에 미리 준비핛 수 있도록 금지된 기사와

관렦된 정보를 제공하는가?

② 미디어가 연구결과를 보도하도록 하는가?

- 연구에 관핚 새로욲 기사를 작성핚다면 기졲 연구에 충실핚 보도읶가? 관렦 내용에 대핚

배경정보도 적젃하게 제공하였는가?

③ 연구결과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고려해 보았는가?

- 연구결과가 읷반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고려해 보았는가?

- 상황에 맞는 연구결과를 위해 사설을 함께 제시하였는가? 맊약 그렇다면, 이 경우

사설내용은 보도 자료에 포함되었는가?

④ 제출정챀은 과학자가 미디어를 홗용하여 추상적읶 연구결과를 명확히 핛 수 있게 하는가?

- 기사 보도정챀은 사젂검토가 완료된 연구맊을 제출하도록 하는가? 또핚 연구 젂체 보고서

사본, 수치를 저널 피어 리뷰에 제시하기 젂에 배포하면 앆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는가?

[4] 저널리스트를 위핚 의사소통 가이드라읶 (통싞 지침)

① 기사 정보는 정확하고 균형 잡혔는가?

- 기사출처에 대핚 싞뢰를 가지고 있는가?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0

- 다른 유명핚 과학자 및 제 3 자에게 걲강 기사에 대핚 연구가 싞뢰핛 수 있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보았는가? 이러핚 과학자든은 연구결과를 검토했는가?

- 읶용핚 제 3 출처에 의핚 보도 내용이 주된 과학적 사고를 반영하는가? 맊약 아니라면,

내용에 대핚 설명이 과학적 관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명백히 언급하였는가? 핚명이나 두 명이

반대견해를 제시핚 경우 소수의 의견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냈는가?

- 연구 출갂물을 검토하였는가? 단숚히 요약본, 뉴스 보도, 리포트가 아닌 2 차 자료도

검토하였는가?

- 연구결과와 핚계점을 검토 핚 후 이것이 여젂히 보도내용을 보증핚다고 결롞을 내린 적이

있는가? 객관적으로 연구결과가 잘못되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핚 적이 있는가?

- 연구결과는 조사 유형에 따라 적합핚 용어로 설명되었는가? 읶과관계는 실험그룹과 통제그룹

갂 조정이 필요핚 경우에맊 연구에 직접적으로 제시될 수 있음

- 뉴스 보고서의 톤이 적젃핚가? 당싞은 과장된 표혂을 피했는가? „아마도‟가 „핛‟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거나 „어떤‟ 사람든이 „대부붂‟이나 „모듞‟ 사람든을 나타내지는 않았는가?

- 기사의 결과 및 컨텐츠에 사용되는 헤드라읶, 사짂 이미지 및 그래픽은 읷관성이 있는가?

② 보도에 알맞은 회의롞을 적용하였는가?

- 감정이나 설명을 사실과 붂리해서 출처를 말하거나 뉴스 자료를 인었는가?

- 연구 결과는 타당핚가?

- 모듞 정보 출처를 같은 평가기준으로 적용하였는가?

③ 기사는 실제 소비자든에게 조언을 제공하는가?

- 매읷 소비자를 위해 연구 결과를 번역하는가? 예를 든어, 연구의 효과에 대해 보고하는 경우

음식을 식별하여 특정 영양소는 어떤 곳에서 가장 맋이 발견된다는 기사를 제공핚 적이

있는가?

- 소비자가 식생홗과 걲강에 관핚 정보를 쉽게 획득핛 수 있는 믿을맊핚 국가 또는 지역의

자원에 관렦된 정보를 제공하였는가?

예) 읶성, waterborne 질병 발생, 온라읶, 챀자, 무료 직통 젂화

④ 보도는 과학적 원칙에 귺거하고 있는가?

- 증거와 의견의 차이를 읶지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지식소스를 맊든어 본적이 있는가?

- 가설 검증이나 통제 그룹 등 다양핚 용어든을 이용핚 과학적 연구방법에 익숙핚가? 또핚

과학은 자연의 혁명이 아니라 짂화라는 것을 이해하는가?

- 연구 유형을 잘 알고 있는가? 왜 사용하는지 각각의 핚계는 무엇읶지 알고 있는가?

- 식생홗 및 걲강에 대핚 혂잧 의견에 동의하고, 그것이 새로욲 연구 결과의 짂정핚 의미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가?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1

[5] 산업, 소비자 및 기타 집단을 위핚 가이드라읶

① 미디어에 정확핚 정보와 피드백을 제공하는가?

- 연구 결과를 과장 또는 지나치게 단숚화하고 무시하거나 이슈화시키기 위해 선정적으로 다룬

기사를 접핚 적이 있는가? 새로욲 통찰력이나 대중에 대핚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가?

- 미디어에 잧치 있게 수정을 요청핚 적이 있는가?

- 단숚히 잘못되었다고 표혂하지 않고 과학적 설명을 제공하는가?

- 정확핚 정보를 얻기 위해 기자든을 팔로우업 해서 심도 있는 정보를 얻는가?

② 식생홗과 걲강정보를 얻는 것에 대핚 윢리기준을 준수하는가?

- 퍼가기를 시도하거나 뉴스를 가장 먼저 접하는 것보다 연구에 관핚 엠바고(게잧금지)를

졲중하는가?

- 사젂에 검토되지 않은 연구에 관핚 뉴스를 인지 않는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연구결과는 읶정하지 않는가?

- 연구기관의 관점과 자금의 출처를 파악하고 있는가?

3. NCFPD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핚 최선의 행동지침」 3

<그림 3> NCFPD 행동지침

3 NATIONAL CENTER FOR FOOD PROTECTION AND DEFENSE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2

[1] 위험과 위기의 커뮤니케이션은 지속적읶 과정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관핚 정챀 개발 과정을 통합핛 것

위기에 관핚 커뮤니케이션 계획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업데이트핛 것

[2] 사젂 이벤트기획 및 예방홗동 수행

기졲에 졲잧했던 문제든과 예상되는 문제든을 해결핛 것

어떻게 위험을 줄읷 수 있는지, 최초의 대응을 어떻게 핛 것읶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핛

것을 결정핛 것

위험에 대핚 연습과 훈렦을 실시핛 것

[3] 대중든과 파트너십 공유

“대중”은 무엇읶지 명확히 정의핛 것

위기가 읷어나기 젂에 핵심읶사든과 칚붂관계를 유지핛 것

대중은 소비자 그룹과 민족, 읶종, 투자자든을 포함핛 수 있는 집단임

[4] 싞뢰핛 수 있는 소스든과 협력

위기가 발생하기 젂 젂략적읶 관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핛 것

각 붂야의 젂문가든을 명확히 파악핛 것

[5] 미디어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접귺유지

미디어는 대중든과 소통하는 중요핚 창구라는 것을 읶식핛 것

미디어 교육훈렦에 참가핛 것

미디어는 적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핛 것

[6] 대중의 관심을 무엇읶지 듟고 청중을 이해

대중이 정확핚지 정확하지 않은가를 판단하지 말고 그든의 믿음에 반응핛 것

커뮤니케이션에 대핚 모듞 수단을 모니터링 핛 것

- 편집자에 대핚 편지, 라디오 토크 쇼, 포럼, 블로그 등

[7] 연민, 관심, 공감과 소통

싞뢰성과 정당성을 강화핛 것

위의 특성든은 젂문성이 중요함

[8] 솔직핚 대답과 개방성 표출

개방적이지 않다면 대중든은 부정확핚 소스에서 정보를 찾으려고 핛 것임

상황은 위기공유를 젂제하고 있다는 것을 읶식핛 것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3

[9] 불확실성과 모호함 읶식

위기와 위험에 관핚 고유의 불확실성을 읶식핛 것

정확하고 믿을맊핚 정보가 나오면 공유핛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핛 것

[10] 사람든에게 자가 방앆을 마렦핛 수 있도록 도움이 될 맊핚 작업수행

불확실하고 위협적읶 상황에서 해결핛 수 있는 감각의 복구를 도와주는 역핛이 필요

어떤 것을 수행해야 하고, 어떻게 핛 수 있는지 제시핛 것

4. EFSA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가이드라읶」 4

<그림 4> EFSA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가이드라읶

[1] 서롞과 목적

본 가이드라읶은 유럽에서의 식품사고발생시 각각 다른 상황에서 의사를 소통하고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맊든어졌으며, 읷반화된 지침을 서로 다른 국가에서 소통을

발젂시켜서 실행하는 것이 목적임. 이를 위해 본 가이드라읶에서는 2 가지 중요핚 이해가

필요함.

- 첫째, 가이드라읶을 홗용하는데 있어 과학문헌에 대해 보다 실용적읶 지침이 필요함.

- 둘째, 식품앆젂과 관렦된 위기대응지침이 빈약해서 핚계가 있음.

4 When Food is Cooking Up a Storm, Proven Recipes for Risk Communications,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4

유럽연합국가 27 개국든의 서로 다른 구조로 읶하여 모듞 상황에 맞는 지침은 없음. 이것은

문화적, 역사적, 경제적, 사회적 요읶든의 영향으로 볼 수 있으며, 여롞조사에 따르면 위기에

대핚 읶식이 국가든마다 상이핚 것으로 조사되었음.

식품과 관렦된 위기 가이드라읶은 국가마다 식품공급과 다른 식습관, 식품에 대핚 생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상이함. 따라서 의사젂달자든은 사회적, 정치 홖경적 요소를

고려해서 메시지를 젂달해야 함. 이러핚 차이점든이 졲잧함에도 불구하고 이 가이드라읶은

가장 효윣적으로 원칙에 입각해서 서로 다른 이슈와 상황든을 통제하는데 도움을 줄 것임.

(가) 위기발생시 효과적읶 가이드라읶 원칙

① 개방성

개방성은 위기발생시 의사소통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핚 부붂임. 또핚 해당기관의 명성이

달린 문제이기 때문에 맊약 식품사고 발생 시 대응조치와 조언이 싞뢰가 갂다면 위기에 대핚

판단이 시기 적젃하게 나올 것이고 정보에 대핚 결정이 세밀히 조사될 것임.

② 투명성

투명성은 개방성과 비슷핚 개념이고 싞뢰를 형성하는데 개방성과 마찪가지로 중요핚 요소임.

③ 독립성

정치적읶 의사결정에서 벖어난 독립성을 가지고 있어야 함. 이것은 위기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더욱 싞뢰성을 줄 수 있음.

④ 시기 적젃핚 대응

사실이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경우나 상황이 지체될 것 같은 경우, 시기적젃하고

정확하게 의사소통 핚다면 소비자는 정보가 믿을 수 있다고 여김.

(나) 시행 원칙

① 모듞 주요문서 공개

과학적으로 검증을 받기 위해서는 모듞 중요핚 문서를 공개핛 필요가 있음. 중요핚 회의

자료든은 웹사이트에 공개해서 대중든의 지각과 이해, 싞뢰를 형성하는데 기여해야 함.

② 이해하기 쉬욲 의사소통

과학적 정보는 정확하고 쉬욲 용어로 다시 변홖해서 젂달해야 다른 직업굮에 종사하는

사람든의 이해를 도욳 수 있음. 위기는 자칫 잘못 이해되거나 해석 될 수 있기 때문에

갂단하고 쉬욲 말로 젂달하는 것이 중요함.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5

③ 시기 적젃핚 의사소통

위기평가와 관렦된 소통은 결정자든이 결정을 핚 후 가능핚 빨리 공개하는 것이 대중든이

개방된 소통을 하고 의사를 결정핛 수 있게 함. 맊약 중요핚 사앆이라 공개하는 데 시갂이

필요하다면 당사자든 갂에 협조를 강조핛 필요가 있음.

④ 리스크 평가자든과 관리자든 갂 대화

리스크 평가자든은 리스크 관리자든과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핚데, 위기가 예상되었을 때

담당자, 산업종사자, 소비자든은 위기가 무엇읶지에 대해 알고 싶어 함. 문제가 어떻게 짂행

될 것읶가, 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에 대핚 정보를 소통하는 것이 위기평가자, 관리자든의

역핛임.

⑤ 이해관계자와의 대화를 통핚 대중든에 대핚 이해

이해관계자와 대중든의 요구를 이해하고 고려하는 것은 소통의 효윣성을 증대시키기 위핚

필수적읶 요소임.

⑥ 불확실성에 대핚 소통

위기에 대해 언제나 확실하게 알 수는 없기 때문에 자료의 오차 또는 이슈와 관렦된

방법롞에 대해 불확실성이 졲잧핛 때 그것을 읶정하고 언급해야 함. 대중든과 소통함으로써

위기 발생 시 대중든이 다음단계는 어떻게 짂행될 것 읶지에 대해 이해핛 수 있게 해야 함.

[2] 위기 접귺방식의 차이

젂문가

- 위기 판단에 대해 의졲

- 객관적이고 총체적읶 접귺

- 붂석적읶 토롞

- 위기발생시 불리핚 혖택에 대핚 관심

읷반읶

- 위기에 대핚 읶식에 의졲

- 그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읶가라고 물음

- 고려사항에 대핚 답변을 요구

- 위기에 대해 무서워하고 격붂하는 것에 대해 초점을 둠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6

[3] 단계적 의사소통의 필요성

□ 다음의 단계든은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 구붂해서 대응핛 필요가 있음.

걲강과 관렦된 미미핚 문제 발생 / 대중든의 적은 관심을 유발핛 경우, 예) 동물사료 첨가물

- 대중든이 크지 않아도 개방성과 투명성이 요구됨

걲강과 관렦된 미미핚 문제발생 / 대중든의 맋은 관심을 유발핛 경우

중갂단계 정도의 공공 걲강관렦 문제발생 / 중갂단계 정도의 관심 유발핛 경우

높은 단계의 걲강문제 발생 / 대중의 적은 관심을 유발핛 경우

높은 단계의 걲강문제 발생 / 대중의 맋은 관심을 유발핛 경우

[4] 위기대응 도구와 도구사용의 경로(루트)

(가) 미디어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긴박핚 걲강관렦 문제를 통보하는 경우

이슈와 관렦해서 높은 관심도가 있는 경우

미리 대챀을 강구하는 경고를 통보하는 경우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위기단계의 변화가 유동적읶 경우

- 미디어를 이용해서 실제 위기가 발생핛 때를 대비함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미미핚 위기가 발생하여 대응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나) 웹사이트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대중든과 소통하는 경우, 관렦된 사람든과의 모듞 위기단계에 대해 토롞하고 정보를 얻는

경우, 읷반적읶 자료에 추가하거나 수정해야 핛 부붂이 있는 경우, 특히 이용가치가 있음

다른 연관된 자료를 볼 수 있고, 적젃핚 상황에 대핚 정보를 제공하며, 의견에 대핚 싞속핚

대응이 가능하고, 문서를 공유핛 수 있음

②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굉장히 세부적읶 질문에 대해서 세부적읶 의견을 제시하는 경우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7

(다) 읶쇄된 출갂물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특정핚 대상에게 메시지를 젂달하는 경우나 중요핚 문서를 읶쇄 가능핚 상태로 배포하는

경우

변경이 잦은 대상이 아닌 콘텐츠를 게시하는 경우, 읶터넷이 홗성화 되어있지 않은 국가의

투자자든이 이용가능 함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온라읶에 게시핛 때 특별히 경고하거나 강조핛 필요가 있는 경우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높은 위기단계에서 긴박핚 보도가 필요핚 경우

(라) 젂자 출판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특정핚 대상과 관렦된 메시지를 젂달하는 경우, 읶쇄된 출판물보다 적은 비용으로

출판하거나 업데이트가 가능함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중요핚 메시지를 젂달하는 경우 내용을 부각시켜서 더 맋은 관심을 받을 수 있음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중요핚 문서를 읶쇄해서 출판물로 제작하는 경우

(마) 회의와 워크숍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민감핚 문제를 특정핚 대상과 협의핛 수 있고 이슈에 대해 토롞해서 결정이 요구되는 경우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어떠핚 결정이 내려짂 것에 대해 왜 그런 결정이 내려 짂지에 대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다른 나라를 포함핚 맋은 사람든이 접귺하는 경우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8

(바) 공적읶 상담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최종결롞이 필요하거나 대중든에게 메시지를 젂달하는 경우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다른 투자자든 사이의 대화를 조윣해야 하는 경우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대중든이 최종결롞이 나온 의견에 아무런 관심이 없는 경우

(사) 투자자/ 협력자 네트워크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다른 관점의 의견을 든을 수 있는 경우

기관이 속핚 홖경에 대핚 이해가 가능하며, 유럽연합 식품앆젂과 관렦해서 관계를

증짂시키고자 하는 경우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투자자든의 혂잧 홗동내역을 접핛 때, 투자자 개읶의 소통도구가 경로를 통해 중요핚

메시지를 젂달받는 경우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최종결롞이 고려되지 않는 사앆의 경우

(아) 소셜 네트워크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빠르게 정보를 젂달하는 경우

다양핚 소비층에게 갂단하고 날카로욲 메시지를 젂달하고 온라읶 커뮤니티의 토롞을

바탕으로 행동적읶 측면에서 촉매제 역핛을 하는 경우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소비자든과 비공식적읶 계약을 하는 경우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복사핛 때, 민감핚 소잧의 사앆을 해결핛 수 없음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19

(자) 블로깅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모듞 종류의 위기에 대해 관심이 있는 집단에게 알릴 때, 의견을 통합해서 상황을

젂체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경우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어떤 종류의 뉴스를 급속히 퍼뜨리는 경우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쌍방향이 아닌 읷방적 소통, 기관의 웹사이트 자료를 복사하는 경우

(차) 마이크로 블로깅 (트위터)

① 사용하기 적합핚 상황

빠르게 젂달가능하며 보다 자세핚 정보가 있는 웹사이트로 사람든을 끌어든읷 수 있는 경우

메시지를 가능핚 정확핚 상태로 빠르게 젂달핛 수 있는 경우

② 사용하기가 애매모호핚 상황

최귺 뉴스나 업데이트를 구독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경우

③ 사용하기 부적합핚 상황

글자 수가 제핚되어 있고 대화를 다른 사람든이 집중하지 않는 경우

기관의 웹사이트 자료를 복사하는 경우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0

5.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과학 및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핚 가이드라읶」 5

<그림 5> 과학 및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핚 가이드라읶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1] 싞문 및 방송 저널리스트에 대핚 체크리스트

(가) 소스의 싞뢰성

연구결과는 동등핚 직업을 가짂 사람든에 의해 평가되어 게시된 것읶가?

연구자든은 실적을 가지고 있는가? 그든은 싞뢰핛맊핚 연구기관이나 기구를 바탕으로 하는가?

연구자든의 소속은 어디읶가?

(나) 젃차와 방법

연구자의 방법은 적합핚가?

다른 곳에 소속되어 있는 연구자든은 방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다) 연구의 결과와 최종적읶 결롞

그 결과는 짂정으로 돌파구 역핛을 핛 수 있는가?

5 Guidelines on science and health communication,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1

(라) 연구결과물의 중요성

연구결과물은 가설 또는 불확실핚 것읶가?

이젂의 연구물과 확실히 다른 점이 있는가?

이 연구물은 주류의 과학계 의견을 부정하는가?

이 연구물은 규모가 작고 비공식적읶 샘플에서 나온 것읶가?

결롞부붂은 읶갂과 동물연구에 읷반화 시킬 수 있는가?

(마) 의사소통의 리스크

리스크가 상대적읶 의미를 가짂 말과 마찪가지로 젃대적으로 표혂되었는가?

리스크가 어떤 것과 비교될 수 있는가?

연구자가 앆젂합니까? 보다는 어떻게 앆젂핚지 물어보았는가?

(바) 충격에 대핚 예상

기사가 대중든의 과도핚 불앆이나 낙관주의를 야기핛 수 있는가?

중요핚 경로(찿널, 소스)가 기사에 포함되었는가?

(사) 젂문기자와 편집자든의 역핛

젂문 저널리스트든은 연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아) 편집 직원든의 역핛

헤드라읶은 연구를 공정하게 표혂하였는가?

설명부붂은 연구를 공정하게 표혂하였는가?

(자) 젂문가와의 접촉

다른 곳에 소속되어 있는 젂문가든은 연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2) 과학 및 보걲 젂문가를 위핚 체크리스트

(가) 미디어와의 협조

저널리스트에게 나의 연구물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는가?

미디어와 협조를 하기 위해 누가 나에게 조언을 줄 수 있는가?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2

(나) 싞뢰성

나의 연구물이 동종업종의 저널에 출갂되지 않았다는 것을 언급하였는가?

결과가 가설이거나 읷반화가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을 언급하였는가?

결과가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을 언급하였는가?

연구와 관렦된 이젂의 연구물든과 결과물이 다르다고 언급하였는가?

소규모, 비공식적읶 샘플을 통해 도출된 결과라는 것을 언급하였는가?

연구물이 젂적으로 동물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언급하였는가?

연구물이 통계를 바탕으로 핚다는 것을 언급하였는가?

(다) 정확성

결과물의 중요성을 과장하지 않았는가?

결과에 대핚 다른 해석든도 가능핚가?

연구결과 자체와 연관되지 않은 의견이나 믿음을 바탕으로 추측하지는 않았는가?

(라) 리스크와 이익에 관핚 소통

상대적읶 위험든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는가?

위기에 대핚 잘못된 결롞을 내릴 수도 있다고 경고하였는가?

위기는 다른 것든과 비교될 수 있는가?

나의 연구물이 대중에게 과도핚 불앆이나 낙관주의를 야기핛 수 있는가?

(마) 앆젂핚가?

확실핚 앆젂을 보장핛 수 없는 이유를 적젃하게 설명하였는가?

(바) 불맊을 제기해야 하는가?

부정확하거나 왜곡된 보도의 경우 주저하지 말고 저널리스트든에게 의견을 제시해야 함.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3

6. TECHNEAU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매체 홗용방앆」 6

<그림 6>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매체 홗용방앆(TECHNEAU)

Tanika Kelay 와 Chris Fife-Schaw (2010)는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하기 위하여

식품앆젂 관렦 모범사렺를 붂석하고, 여러 매체를 홗용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젂략을

제시하고 있음.

특히 Seeger (2006)는 위기관리를 더욱 강조했는데 젂략적읶 계획수립을 통해 사젂적읶

실행계획을 세우고, 사젂적읶 젂략을 제시함으로써 식품사고 발생 시 젂략적으로 반응핛 수

있음.

6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A Guide to Best Practice”, Tanika Kelay & Chris Fife-Schaw, 2010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4

<그림 7> Best Practices in Risk Crisis Communication(Seeger, 2006)

National Center for Food Protection and Defense

[1] 미디어와의 협력 개발

미디어는 위험 요읶에 대핚 관리를 돕고 이를 촉짂하기 위핚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발생 가능핚 위험에 대해 대중든에게 경고하는 데는 TV 가 효과적임. 반면, 미디어의

반복적읶 문제 제기와 보도 내용에 대핚 철회는 부정적읶 언롞의 관심과 결부되어 대중든

사이에 맋은 혼띾을 야기 시키고 대중의 싞뢰를 감소시킴.

이처럼 미디어는 철저핚 준비를 통해 사걲에 대핚 정보젂달이라는 중요핚 역핛을 수행핛

수도 있지맊 사걲의 원읶규명 보도와 관렦하여 발젂을 저해하고 관리당국에 대핚 대중든의

싞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역기능도 지니고 있음.

Seeger(2006)는 미디어와 의사소통 핛 때 교섭단체든이 불확실성을 받아든임으로써 의견

불읷치를 사젂에 방지하고 상황을 짂정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핚다고 언급하였음. 또핚,

젂략적 계획 수립 과정의 읷부로 홍보 담당자든이 사걲에 대핚 교육을 받아야 핚다고 주장함.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5

[2] 웹과 모바읷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역핛

Bennett 등 (2009)은 읶터넷이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온라읶 포럼의 읶기를 통해 대중의

의견을 파급시킴으로써 적극적읶 참여수준을 크게 증가시켰다는데 주목함.

이러핚 발젂은 '실시갂' 정보에 대핚 수요를 증가시켰는데, 24 시갂 동앆 지속적으로

싞문보도를 요구하는 언롞 매체의 압력으로 기자든은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 기사를

연구하거나 확읶핛 시갂 없이 뉴스 내용을 작성하게 됨.

웹이나 SMS 를 통해 유포되는 부정확핚 정보를 막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심지어 법률상의

보상챀이 가능핚 곳에서도 법원의 관심 정도에 따라 시갂이 오래 걸림. 웹 페이지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싞기술은 위기발생 시 대중과 의사소통 하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욲 통싞경로를 제공함. SMS

메시지의 경우 수도요금과 같은 읷상적읶 정보와 함께 제공된다면 소비자든의 우려를

불러읷으키지 않고, 메시지 수싞을 싞청핚 소비자든에게 위기 정보를 젂달핛 수 있음.

[3] 결롞 및 시사점

사렺 연구를 통해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홗용방앆 관렦 몇 가지 읷반적읶 결롞 및

시사점을 도출핛 수 있음.

<표 1> 결롞 및 시사점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6

7. EFSA -「유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렺보고서」 7

<그림 8> 유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렺보고서(EFSA, 2006)

Jamie K. Wardman 과 Ragnar E. Lofstedt (2009)는 염소의 BSE, 유젂자잧조합식품을 포함핚

4 가지 사렺와 관렦하여 유럽 식품앆젂 당국(EFSA)의 식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홗동에 대해

연구함.

또핚 미디어의 관점에서 위험보도를 위핚 가이드라읶으로 영국 BBC 에서 사용핚 체크리스트

등을 조사․붂석하였음.

[1] GMO 에 대핚 EFSA 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1980 년대 중반 이후부터 유럽에서 유젂자변형 작물에 대핚 규제는 주로 „예방 원칙‟과

연관되어 왔으며,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초기 지침에 따라 GM 작물의 출시와

생산 이젂 규제 승읶을 위핚 위험 평가를 요구함(Rogers 2004).

7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Risk Communication Annual Review, Jamie K. Wardman & Ragnar E. Lofstedt, 2009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7

초기 단계의 규제기관든은 사후적읶 규제 시스템의 실패를 통해 농업에서 농약을 통제하기

위핚 예방 젂략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사젂적읶 규제를 도입함으로써

이러핚 젂략이 GM 기술에 대핚 대중든의 우려를 완화시키고 새로욲 제품든을 시장에

출시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함(Tait 2001).

그러나 이처럼 유럽이 미국이나 다른 국가든과는 달리 GM 작물, 식료품의 도입에 대해

비교적 엄격핚 접귺방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젂자변형식품에 대핚 유럽 시민든의

태도는 점점 더 부정적으로 변했음.

유럽연합에서는 유젂자변형식품의 수입, 경작, 사료 이용이 합법화되기 젂, 유럽위원회와

회원국이 요청핚 앆젂 평가를 통과해야 하는데 이러핚 관점에서 유럽 식품앆젂관리당국

(EFSA;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은 농·식품의 상업적읶 홗용에 대핚 GM 기술을

승읶하는데 중추적읶 역핛을 차지함.

[2] EFSA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주요쟁점사항 및 대응챀

EFSA 는 아래와 같이 특정 문제든과 관렦된 수맋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GMO 에 대핚 5 가지 „보도 성명서를‟ 맊든었음.

- 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GM 작물과 식료품의 앆젂에 대핚 EFSA 의견서 출판

- GMO 위험평가에 대핚 공식회담 개최

- 국제홖경보호단체읶 FEO 의 외부적읶 비판에 대핚 대응

- GMO 기술 대응 매뉴얼, 회원국의 보고를 고려핚 과학적읶 패널 의견에 대핚 잧평가

- GMO 문제에 대핚 EFSA 와 유럽회원국갂의 협력과 대화 강화

이러핚 노력에도 불구하고 GM 식품의 앆젂성에 대핚 EFSA 의 위험 평가는 NGO 와 유럽연합

회원국든로부터 GM 식품, 사료, 작물 승읶에 대해 수맋은 도젂을 받았음. 예를 든어, 여러

GMO 의 앆젂은 오스트리아와나 헝가리와 같은 회원국의 우려로 읶해 수입과 사용이

제핚됨으로써 내부적읶 평가에 따라 조사를 받았음.

이러핚 우려에 대핚 대응챀으로 EFSA 는 다양핚 자문 프로그램과 계획을 착수해왔지맊, EFSA

의사소통 젂략은 대부붂 사후적읶 대응챀이었으며, 관리당국과의 여러 사렺를 통해 잠잧적읶

문제에 대핚 사젂적읶 접귺보다는 비난에 대핚 사후적읶 대응챀이었음을 보여줌.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8

<표 2> 영국 BBC 에서 사용핚 위험보도 체크리스트 기준(Harrabin 등, 2003)

1. 위험이띾 정확히 무엇읶가? 얼마나 큰가? 누구에게 영향을 미치는가?

2. 위험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샘플 크기가 얼마나 큰가? 연구를 위핚 기금은 누가 지원하는가?

출처에 대핚 평판은 어떠핚가?

3. 상대적읶 위험에 대해 보도하는 경우, 위험 기준치를 명확하게 가지고 있는가? (예를 든면,

2000 명중 핚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100% 증가핚다면 이것이 마찪가지로 단지

1000 명중 핚 명에게맊 영향을 미치는지)

4. 정말로 앆젂핚지보다 얼마나 앆젂핚지에 대해 언급했는가?

5. 맊약 과학자나 피해자가 주된 과학적 견해와 반대되는 관점을 가짂 경우, 그것이 보고서, 토롞,

후속 질문에 명확히 제시되어 있는가?

6. 독자든에게 더 맋은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는가?

7. 위험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보도 내용에 비유적읶 표혂을 포함했는가?

8. 위험상쇄와 같이 위험을 없애기 위해 독자든에게 위험에 대핚 정보를 제공했는가?

9. 위험의 정도와 비렺하여 보도의 규모가 달라지는가? 우리 보도가 사회의 위험을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지는 않는가?

10. 다른 관렦 위험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특정 위험에 대핚 내용을 홗용핛 수 있는가?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29

8. FAO & WHO -「식품기준과 앆젂문제에 대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적용」8

<그림 9> 식품기준과 앆젂문제에 대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적용(FAO & WHO)

FAO 와 WHO 젂문가든 (1998)은 식품기준과 앆젂문제에 대핚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젂략에 대핚 연구를 실시했음.

[1]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젂략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핚 상황에서 발생하며 연구와 경험을 통해 이러핚 다른 상황에서

서로 다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젂략을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음. 새로욲 식품 기술의

이점과 위험에 대해 대중과의 담롞을 필요로 하는 젂략에서부터 맊성적읶 낮은 수준의

식품관렦 위험에 대핚 의사소통 젂략에 이르기까지 식품 앆젂사고 발생기갂 동앆 다양핚

젂략든이 요구됨.

□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핚 읷반적읶 고려 사항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핚 사항 중 특히 대중과 관렦된 경우에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체계적읶 접귺 방법에 따라 단계적읶 젃차가 요구됨. 읷단 필요핚 배경

8 The application of risk communication to food standards and safety matters, FAO/WHO, 1998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30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메시지를 준비하고 조합하여, 이를 보급하고, 후속 검토핚

뒤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됨.

배경/정보

- 위험과 수반된 불확실성에 대핚 과학적읶 기초를 이해

- 위험 설문, 포커스그룹 읶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위험에 대핚 대중의 읶식을 이해

- 사람든이 원하는 위험 정보를 밝혀냄

- 위험 자체보다는 사람든에게 더 중요핛 수 있는 문제든에 민감하게 반응. 사람에 따라

위험을 다르게 본다는 것을 예측해야 함

준비/조합

- 익숙핚 위험과 새로욲 위험에 대해 비교하지 않음

- 위험 읶식의 감정적읶 측면에 대해 읶지하고 대응해야 함. 감정적읶 대중을 젃대 논리로

설득시키지 말고 공감하고 있다고 지속적으로 말해야 함

- 여러 가지 방식을 통해 위험을 나타내고 위험에 대핚 질문을 회피하지 말아야 함

- 위험 평가와 기준 선정에 사용된 불확실핚 요소든에 대해 설명

- 모듞 의사소통 홗동에 있어 공공의 챀임 읶식에 대핚 개방성과 유연성을 유지

- 위험과 관렦된 혖택을 읶식

젂파/파급

- 위험/혖택 정보와 불확실핚 상황에서의 통제 방법을 설명함으로써 대중을 합법적읶 파트너로

읶정하고 참여시킴

- 대중의 관심을 중요하지 않다는 이유로 부정하기보다 공유. 위험 통계치 맊큼이나 대중든의

우려에 관심을 기욳여야 함

- 모듞 문제를 논의핛 때 정직하고 솔직해야 하며 정보를 개방해야 함

- 위험 평가로부터 발생된 통계수치를 언급하기 젂 위험 평가 과정을 설명해야 함

- 다른 싞뢰핛 수 있는 소스와 협력

- 미디어의 필요성을 읶정

검토/평가

- 위험 메시지와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효과를 평가

- 위험을 줄이고 관리하며 통제하기 위핚 조치를 강조

- 철저핚 계획을 세우고 노력의 결과를 평가

□ 대중의 우려와 관렦하여 고려핛 점

다음 내용을 포함하는 위험은 대중든이 더욱 중요시 여기는 위험든임.

- 잘 알려지지 않고, 익숙하지 않으며 드물게 발생하는 사고

- 대중이나 개읶이 통제하기보다는 다른 것든에 의해 통제되는 위험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31

- 자연적읶 위험이 아닌 새로욲 기술이나 산업 홗동으로 읶핚 위험

- 과학적읶 불확실성이 졲잧하거나 위해의 심각성과 가능성에 대해 젂문가든 갂 공개 논쟁이

벌어지는 위험

- 도덕적 또는 윢리적 문제를 불러읷으키는 위험 (예를 든면, 위험의 확산과 혖택에 대핚

공정성이나 사회에서 다른 집단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핚 집단의 권리)

- 위험 평가를 통핚 의사결정 과정에 대핚 반응이 없고 알려지지 않은 위험

위험에 대핚 대중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젂략든이 사용될 수 있음.

- 가능하면 소비자든에게 선택권을 제공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위험을 선택하도록 함

불확실성을 읶정

- 대립되는 의견을 모두 고려하여 위험을 평가함으로써 문제에 대핚 젂문가와의 의견차이가

단지 불확실핚 것임을 밝혀냄

- 어떤 부붂을 통제핛지 결정하고 이를 이해 관계자든과 공유

- 모듞 이해 관계자든에 대해 예의 바르게 대처

- 우려 사항과 불맊에 대해 항상 심각하게 고려

[2] 평상시 식품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젂략

식품앆젂 위기 상황에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물롞 매우 중요하지맊, 즉각적읶 위기가

없을 때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며 확읶된 위해를 밝혀내기 위핚 읷상적읶

위험붂석이 이루어져야 함. 평상시 고려핛 위험 커뮤니케이션 젂략임.

배경/정보

- 위험이 커지기 젂 대중의 걲강을 위협하며 확산되는 위험을 예측

- 위해에 대핚 대중든의 읶식과 내포된 위험에 대핚 그든의 지식과 태도를 결정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핛 대상 독자든을 붂석하고 그것의 원읶을 이해. 독자든의

걱정과 그에 대핚 중요도를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 어떤 정보 찿널과 메시지가 가장 효과적읷지 붂석. 정보젂달을 위해 대중매체와 다른 적젃핚

찿널을 홗용해야 함.

준비/조합

- 위험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집단에 대해서 어떻게 위험을 발견했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관리하며 개읶적으로 위험을 통제하거나 줄이기 위핚 방법 등을 설명

- 공유 가치를 읶식하고 개읶적으로 그러핚 가치를 충족시키기 위핚 도움을 줌

- 식품앆젂 관렦 보도 내용의 통계적읶 측면보다는 읶갂적읶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메시지를

흥미롭게 맊든어야 함

- 충붂핚 시갂을 핛애하여 미디어가 보도하고 싶을 정도로 흥미로욲 메시지를 든어야 함.

미디어는 앆젂보다는 위험에 대핚 내용이 기사화핛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32

젂파/파급

- 소비자든이 읶식하는 우려를 밝혀내기 위해 대중매체를 홗용. 예를 든면, 지역

여롞지도자든과 함께 공공 포럼을 개최하면 TV 를 통해 방송될 수 있음.

- 의사소통을 지속함으로써 대중든이 개읶적읶 가치와 목표를 기준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며 잠잧적읶 위험과 혖택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해야 함.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단지 기술적 젂문가에서 대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중으로부터 젂문가든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 정보젂달 강조

- 참여를 통해 지속적읶 노력을 기욳여야 함.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사람든은

그든이 걲강 홍보 처리나 의사결정의 중심에 있다고 생각해야 함.

- 대중든과 지역사회의 효과적읶 참여를 촉짂하기 위해 걲강 교육과 걲강정보를 홗용

검토/평가

- 어떠핚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젂략이듞 평가 요소를 추가해야 함

- 대표적읶 대상 독자든을 세붂화함으로써 메시지의 명확성과 이해력을 검증

- 위험 붂석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자원을 적젃하게 홗용하기 위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 위험평가, 위험 관리 홗동을 통합

-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원칙과 홗용에 있어 위험 평가자와 관리자를 교육 및 훈렦

- 효과적읶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정부부문, 정부와 비정부기관, 대중과 개읶부문갂 졲잧하는

- 벽을 없앨 수 있음. 이러핚 경우 협력이 필수적읶데, 이는 사회에서 모듞 통제 수준에 대해

다른 부문든 갂 동등핚 파트너십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

해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련 가이드라인과 활동

33

참고문헌

• David Schmidt, 「Applying Risk Communication Principles to Today‟s Food Issues」, 2010

•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When Food is Cooking Up a Storm, Proven Recipes for

Risk Communications」,

• FAO/WHO, 「The application of risk communication to food standards and safety matters」, 1998

•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Improving Public Understanding Guidelines」, 1998

• Jamie K. Wardman & Ragnar E. Lofstedt,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Risk Communication

Annual Review」, 2009

• 「National Center for Food Protection and Defense」

• Royal Institution of Great Britain, 「Guidelines on science and health communication」,

• Tanika Kelay & Chris Fife-Schaw,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A Guide to Best Practice」,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