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 mewebbook.me.go.kr/dli-file/091/023/006/5606771.pdf제4장 운영성과 분석 및 환류...

71
제1장 가이드라인의 개요 ····························································· 1 제1절 가이드라인의 목적 ·········································································· 1 제2절 생태관광 이해하기 ·········································································· 2 제2장 생태관광 준비하기 ··························································· 5 제1절 생태관광지역(환경부 지정)의 이해 ·············································· 5 제2절 지역협의체의 구성 운영 ································································· 8 제3절 생태관광자원 조사 ······································································· 11 제3장 생태관광 운영 관리하기 ··············································· 14 제1절 생태관광 중장기 전략 수립 ························································ 14 제2절 생태자원 보전 관리 ···································································· 16 제3절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 운영 ····················································· 20 제4절 생태관광 교육 및 지역 전문가 양성 ········································· 22 제5절 생태관광 인프라 구축 ································································· 25 제6절 지역소득사업 발굴 ······································································· 38 제7절 홍보 방안 ······················································································ 44 제8절 생태관광객 관리 ··········································································· 47 제9절 안전 관리 ······················································································ 50 제4장 운영성과 분석 및 환류 ·················································· 51 제1절 생태관광지역 운영 모니터링 ······················································ 51 제2절 결과의 분석 및 환류 방안 ·························································· 53 < 부록 > 1. 환경부 생태관광지역 지정 현황 ·········································· 54 2. 국립공원 명품마을 지정 현황 ··············································· 55 3.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 지정 현황 ···································· 56 4. 보호지역,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 지정 현황 ······················· 57 5. 생태관광 운영 체크리스트 ····················································· 65 6. 생태관광객 만족도 조사 ························································· 66

Upload: others

Post on 21-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제1장 가이드라인의 개요 ····························································· 1

제1절 가이드라인의 목적 ·········································································· 1

제2절 생태관광 이해하기 ·········································································· 2

제2장 생태관광 준비하기 ··························································· 5

제1절 생태관광지역(환경부 지정)의 이해 ·············································· 5

제2절 지역협의체의 구성 운영 ································································· 8

제3절 생태관광자원 조사 ······································································· 11

제3장 생태관광 운영 관리하기 ··············································· 14

제1절 생태관광 중장기 전략 수립 ························································ 14

제2절 생태자원 보전 관리 ···································································· 16

제3절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 운영 ····················································· 20

제4절 생태관광 교육 및 지역 전문가 양성 ········································· 22

제5절 생태관광 인프라 구축 ································································· 25

제6절 지역소득사업 발굴 ······································································· 38

제7절 홍보 방안 ······················································································ 44

제8절 생태관광객 관리 ··········································································· 47

제9절 안전 관리 ······················································································ 50

제4장 운영성과 분석 및 환류 ·················································· 51

제1절 생태관광지역 운영 모니터링 ······················································ 51

제2절 결과의 분석 및 환류 방안 ·························································· 53

< 부록 > 1. 환경부 생태관광지역 지정 현황 ·········································· 54

2. 국립공원 명품마을 지정 현황 ··············································· 55

3.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 지정 현황 ···································· 56

4. 보호지역,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 지정 현황 ······················· 57

5. 생태관광 운영 체크리스트 ····················································· 65

6. 생태관광객 만족도 조사 ························································· 66

목 차

- 1 -

제1장 가이드라인의 개요

제1절 가이드라인의 목적

1. 목적

○ 이 가이드라인은 「자연환경보 법」 제2조제18호에 따른 생태

을 도입하거나 운 하기 하여 해당 지역에서 비하고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안내하는 것을 목 으로 함

- 생태 을 운 하기 하여 갖추어야 할 기반 요소와 체계,

지속가능한 생태 을 한 지역 차원의 실행방안 등을 안내함

2. 활용 주체

○ 생태 의 도입 는 운 ․ 리를 하여 이 가이드라인을

활용하는 주체는 다음과 같음

-「자연환경보 법」 제41조제1항에 따라 지정된 생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 , 지역주민, 지역 의체, 민간기업, NGO/

NPO 등(이하 “지역 계자”라 한다)

-「자연환경보 법」 제41조제1항에 따라 생태 지역으로 지정

받기 하여 비하는 지역 계자

-「자연환경보 법」 제41조제1항에 따라 환경부장 이 지정한

생태 지역 외의 지역에서 같은 법 제2조제18호에 따른 생태

을 비하거나 운 하는 지역 계자

- 2 -

제2절 생태관광 이해하기

1. 생태관광이란?

○ (법 개념)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자연경 이 수려한 지역

에서 자연자산의 보 명한 이용을 통하여 환경의 요성을

체험할 수 있는 자연친화 인

◈ 법률에서의 ‘생태관광’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정의) 18. "생태관광"이란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자연경관이수려한 지역에서 자연자산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통하여 환경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관광을 말한다.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56조(생태관광의 촉진 등) 정부는 동·식물의 서식지, 생태적으로 우수한 자연환경자산,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자산 등을 조화롭게 보존·복원 및 이용하여 이를 관광자원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함으로써 생태관광을 촉진하고, 국민 모두가 생태체험·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국제 개념) 환경 보 과 지역주민의 복지 향상을 고려하여

자연지역으로 떠나는 책임 있는 여행

◈ 국제기구별 ‘생태관광’ 개념

세계생태관광협회

환경 보전과 지역주민의 복지 향상을 고려하여 자연지역으로 떠나는 책임 있는 여행

세계생태관광학회

환경을 보전하고 지역주민의 삶을 유지시키면서 해설과 교육이 포함된자연지역에 대한 책임관광

세계자연보전연맹

자연(과거와 현재의 관련 문화자원 포함)을 즐기고 감상하기 위해 비교적 훼손되지 않은 자연지역으로의 환경적 책임이 있는 여행 또는방문으로, 보전을 증진하고, 부정적인 이용 영향을 유발하지 않으며, 지역주민에게 사회경제적 편익을 제공하는 관광

- 3 -

◈ 유사 개념과의 관계

지속가능한관광

현 세대부터 미래세대까지 경제적 편익, 환경적문화적생태적 가치를존중하는 관광으로, 특정 관광시장이나 활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자연관광

종 서식지, 경관 등을 포함해 야생 상태나 개발되지 않은 상태의 자연적 자원을 이용하는 관광으로, 대중관광, 모험관광, 저영향관광,생태관광 등과 같이 자연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유형의 관광을 포함※ 자연 감상, 체험 또는 학습이 주요 방문 동기인 관광으로, 생태관광도 자연관광에

포함되나 지속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자연관광과 차이가 있음

농촌관광농촌의 자연경관, 전통문화 및 생활, 산업을 매개로 도시민과 농촌주민간 체류형 교류활동을 통해 농촌지역의 활력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촌지역에서 행해지는 관광

지질관광지질적 특성 및 지질자원을 주 관광상품으로 활용하는 관광으로, 주로 지질공원에서 이루어짐※ 세계지질공원(1개소, 제주지질공원), 국가지질공원(7개소)

2. 생태관광의 원칙

○ 생태 은 환경 , 사회문화 , 경제 지속성을 갖추어야 함

- 4 -

3. 기회와 위협 요소

○ 생태 이 많은 부분에서 자원과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크고 실제로 그러한 사례들이 다수 존재하나, 반 로 이

되는 요소들도 있어 이에 한 우선 인 인지가 필요함

○ (기회)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자연과 문화유산을 보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고용 확 경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음

○ ( ) 주민 심으로 운 되기 때문에 산업 측면에서 다소

불안정한 요소들이 있으며, 민간기업의 참여 는 시장성에 따른

향이 커 공 의 일 성을 확보․유지하기가 쉽지 않음

- 한, 외부 객의 수요 조 이 어려워, 객이 증가할 경우

에는 종의 남획, 서식처 훼손의 우려가 커지고, 감소할 경우에는

경제기반이 약화되어 공 이 불안정한 상이 나타날 수 있음

○ 따라서 지역에서는 생태 이 가지는 잠재 기회 요소와

요소에 해 정확히 인식한 후 생태 을 도입․추진하여야 함

< 잠재적 기회 요소 >

< 잠재적 위협 요소 >

- 5 -

제2장 생태관광 준비하기

1절 생태관광지역(환경부 지정)의 이해

1. 개념

○ (법 요건) 환경 으로 보 가치가 있고 생태계 보호의 요성을

체험․교육할 수 있는 지역

◈ 법률에서의 ‘생태관광지역’

자연환경보전법

제41조(생태관광의 육성) ① 환경부장관은 생태관광을 육성하기 위하여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협의하여 환경적으로 보전가치가 있고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체험·교육할 수 있는 지역을 지정할 수 있다.

○ (형태) 자연지역 심의 가치와 상지 내 시설 운 로그램

등을 포 으로 묶은 형태

○ (범 ) 지역 내 자연․생태자원이 있는 보호지역을 심으로 하며,

잠재 보호가치가 있거나 도시지역 내에서 상 보 가치를

가지고 있는 자연지역도 상이 될 수 있음

◈ 생태관광지역 지정 유형 - (지자체 대상) 하나의 지자체 내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하되, 자원이

두 개 이상의 지자체에 걸쳐 있을 경우에는 다수의 지자체가 하나의대상지역이 될 수 있음

- (보호지역 대상) 가능하면 보호지역과 비보호지역(주거, 문화공간 등)을포함하여 설정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함

- (도서지역 대상) 섬 전체를 생태관광지역으로 지정하기보다는 세분화하여 일부 지역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 6 -

평가 항목

평가 지표 평가 기준

A자연/생태적보전가치

a법정 보호지역의 존재(보호지역 지정 추진 노력 포함)

- 1급 법정보호지역(국제, 국가 차원의 보호지역), 2급 법정보호지역(지역 차원의 보호지역), 보호지역 추진 의지(보호지역 지정준비 등) 등을 평가

- 희귀 야생동식물(멸종위기종, 법적 보호종등) 및 경관자원 보유 현황을 평가

b보전 등급에 따른 이용(관광으로 인한 인간활동) 수준의 합리성

-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 등의 공간적특성을 고려한 이용 및 활동 계획 수립 현황을 평가

c자연/생태적 보전가치 및 보호활동에대한 관광객의 사전 교육 여부

- 관광객 대상의 사전교육의 실시 및 교육내용의 충실성 정도를 평가

B시설의생태적설계

a관광객 수의 적정성 및 자체 가이드라인의 마련

- 지역특성과 환경수용력이 고려된 생태관광객 관리대책(가이드라인)의 마련 및 이에 기반한 규정과 이행 여부를 평가

b 이용시설 도입의 최소화- 관광객을 위한 필수기반시설 외 불필요한

이용시설 조성 및 관리현황을 평가

c도입되는 시설에 대한 친환경성(환경영향의 최소화, 안전 등)

- 도입 시설의 생태적 설계 원칙의 고려 정도및 안전성을 평가

- 방문객의 접근과 이용을 위한 교통수단의친환경성을 평가

- 도입 시설에 대한 환경영향의 최소화 정도를평가

C환경과지역

문화의이해

a환경과 지역문화, 전통지식 등에 대한 교육, 체험 프로그램의 구성

- 환경, 지역문화, 전통지식 등 다양한 계층을대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체험 프로그램의 구성과 질을 평가

- 타 지자체/민간기업의 교육/체험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유사성, 중복성)을 평가

b교육자료(교육 목적의 시설물 포함)의충실성

- 생태관광과 환경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 자료의 다양성과 충실성을 평가

c생태관광 안내/해설/체험/관리 등 관련 인력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력

- 지역사회 기반의 전문인력 확보 및 이들의질적 향상을 위한 시스템의 구축과 실행을평가

D지역사회연계/협력체계

a지역사회 기반 협의체 구성 및 활발한운영

- 지역사회 기반의 폭넓은 협의체 구성 및 활발한 운영(관리, 워크숍, 교육 등)의 정도를평가

b 지역주민 고용 창출- 지역주민 고용 창출을 위한 기반의 마련과

실제적인 참여율을 평가

2. 생태관광지역 지정기준

○ 환경부장 으로부터 생태 지역으로 지정을 받기 해서는

다음의 항목․지표별 평가기 을 충족하여야 함

- 7 -

평가 항목

평가 지표 평가 기준

c생태관광으로 인한 지역사회 파급효과

- 지역주민들이 생태관광으로 인해 얻는 직접적, 간접적 소득 등에 대한 평가

- 생태관광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태도의긍정성/우호성에 대한 평가

E장단기보전및

관리전략/계획

a생태관광 대상지의 운영, 교육, 관리지침(가이드라인) 마련

- 생태관광 대상지의 자체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지침이나 시스템 구축, 실행 등의 충실성을 평가

b생태관광 대상지 모니터링 체계 마련

- 지역사회 기반의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실행 여부를 평가

c지속적 관리를 위한 중장기 전략 및 로드맵 수립

- 지역사회의 발전과 생태관광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중장기적인 전략과 로드맵의수립 여부를 평가

F생태관광추진

의지와협력기반

a생태관광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지자체의 의지와 관련조직 및 기반

- 생태관광 전담부서 마련, 지자체 조례 마련,시범사업 시행 등 지자체 및 관리주체의 생태관광 추진 의지(홍보, 인센티브 등)를평가

b 생태관광 관련 협력기반 및 성과

- 대상지역과 국내외 지역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 및 협력기반의 마련과 실제적인 성과(기관간, 지역간, 국가간 MOU 체결, 세미나,정보 교류 등)를 평가

3. 생태관광지역 지정 절차

○ 환경부가 생태 지역을 지정하는 차는 다음과 같음

(1) 생태관광지역 지정 신청서 작성 및 신청

(2) 서면평가 및 현장평가

(3) 생태관광지역 지정 최종심사

(4) 지정 결과 공고

(5) 재평가(3년 주기)를 거쳐 생태관광지역 유지 여부 판단

- 8 -

제2절 지역협의체의 구성 운영

1. 협의체 구성방안

○ 지속가능한 생태 을 해서는 지역사회 기반의 의체 구성이

선행되어야 함

- 지역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력할 수 있는 의체를 구성

하고, 이들을 심으로 한 체험 로그램의 개발․운 ․ 리가

이루어져야 함

○ 의체는 지역주민을 주축으로 지역 문가, 지역사회의 시민단체,

생태 련 지역기업, 지자체로 구성되어야 하며, 경제 편익

창출을 해 련 지역기반 사업체와의 력도 필요함

◈ 지역협의체 운영 사례 : 일본 한노시

생태관광 주체

한노시 생태관광은 시 주도라기보다는 협의회를 중심으로 민간이 주도하여 추진

구성

회장*, 부회장**, 학술이사*** 등 총 26명으로 구성* 산림조합장이며, 은퇴 전 정부철도 관광부문 담당** 동물학 대학교수, 해설가협회 대표이사 등*** 교수, 지역자치단체장, 장애인협회장 등

기능 회의는 5회/년 정도 개최되며, 투어 사전교육, 기획 및 자문 등을 수행

지원사항 사무국 운영비, 회장과 학술위원 2명의 보수 지급※ 다른 이들은 모두 무보수이며, 대부분 지역공무원들이라 받을 수도 없음

생태관광 특징

한노시가 생태관광 진행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hospitality',즉, ‘지역주민이 지역의 언어로 가이드’를 하고, ‘누구나 가이드가 될 수 있다’는 것

홍보

누구라도 생태관광에 참여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해 팜플렛 제작(6회/년) 등을 통해 주로 시민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홍보※ 홈페이지(http://www.hanno-eco.com), 시 보급판, 관련 잡지, 관련 사이트에 게재

하며, 노선버스(사이타마현에서 이케부쿠로까지 운영하는 노선버스로 이용인구가 많음) 홍보가 가장 효과가 큼

모니터링 일본생태계협회에 위탁하여 지속적으로 시행

- 9 -

◈ 생태관광 협의체 구성 사례 : 낙동강 하구

< 낙동강 하구의 생태관광 개발 관리를 위한 협력체계 >

- 협의체 내 이해관계자의 역할 분담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야 함

주체 역할

중앙정부 생태관광의 전반적인 계획 가이드라인 제시(국가적 계획) 법규 제도 정비, 정책적 지원

지자체(부산광역시청,해당 자치구)

후보지 선정 및 지정 실질적인 주체 또는 조정자 홍보 및 마케팅 시설 정비 및 지원 외부(인접 지역 지자체, 관련 기업 등)와의 교류 및 지원 유도

지역주민

갈등의 최소화, 편익의 공정한 배분 이용자 및 자원 관리, 프로그램 운영, 가이드, 모니터링 요원

등에 참여 주인의식을 가지고 적극적 참여

NGO 및 연구기관

조사 연구, 모니터링, 감시 자원조사 및 관광객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수립 지원 자원봉사자로 참여

관광사업자 생태관광 상품 기획 및 마케팅, 관광객 모집 및 교육, 해설 재원 조달 시설계획에 참여

투자자 및 기부자

은행, 기금, 기업, 개인 재원 조달

※ 출처 : 부산발전연구원(2004), 낙동강 하구지역의 생태관광지로서의 전망과 전략

- 10 -

2. 협의체 운영방안

○ (인력) 지역 의체는 지역의 역량을 표하므로, 해당 지역의

산․학․연․ ․NGO의 문인력이 모두 참여하도록 함

- 의체 내 분야별로 소규모 조직을 구성하여 재 소에 인력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

- 이 경우 지역 의체와 의체 내 연구회 등의 조직은 의체와

상하 계가 아닌 병렬 차원에서 운 되어야 함

○ (교류) 의체 내부 조직 간 상시 인 논의의 장을 마련하여야

하며, 모두가 참여하는 정기모임도 개최하여야 함

- 의체 내에서 갈등이 발생할 경우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사 에 갈등조정에 한 내부규정을 마련하고 립 인 갈등

리자를 두는 것을 권장함

- 다른 지역의 특색 있는 의체들과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긴 한 교류와 력을 통해 상생할 수 있도록 함

○ (소득) 의체에서는 카페, 쉼터, 숙박시설 식당 등을 함께

운 할 수 있으며, 강좌, 포럼 세미나 등을 주도할 수 있음

- 의체 내 소득 구조를 마련하여 장기 으로 자립할 수 있는

역량을 높이는 방안도 강구하여야 함

- 생태 을 통해 얻은 공동소득의 일정 비율(1~10%)은 자연보

활동 주민 복지에 재투자될 수 있도록 사 에 약속하여야 함

- 11 -

제3절 생태관광자원 조사

1. 필요성

○ 생태 을 해서는 생태 지역의 지역 특성을 악하여

자원으로서의 이용과 자연 보 을 한 자원을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함

- 생태 지역의 자원이 질 으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자원의 면 한 조사를 통해 한 리가 필요함

2. 생태관광자원 발굴 절차

○ 다음과 같은 차로 지역에 합하고 보 가치가 있는 생태

자원을 발굴할 수 있음

1단계자원발굴

우리 지역의 자연자원은 무엇인가?

기존 문헌자료 수집,전문가 인터뷰, 현장조사 등

우리 지역만의 차별화된 자원은 무엇인가

지역 유형화 자료 분석,자원 활용 트렌드 분석

2단계자원연계

활용 잠재력이 있는 핵심자원은 무엇인가?

지역사회, 전문가 자문을 통한 핵심자원 발굴

자원과 자원은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

자원 간 연결성 지수 및연계망 분석

3단계자원활용

자연자원별 보전 전략 및 활용 전략은 무엇인가?

전문가 자문

지역과 지역 간의 연계 전략은 무엇인가?

전문가, 지역주민 컨설팅

- 12 -

3. 생태관광자원 유형

○ 생태 자원은 생물자원, 생태계경 자원, 무생물자원으로 구분

될 수 있음

구분

세분류

비고보호자원(법/제도, 국제협약)

일반자원

생물종 자원

생물다양성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천연기념물(노거수, 희귀식물,조류 등)산림유전자원보호림(원시림 등)수산자원보호구역

동물 / 어류 / 식물 / 미생물

동식물의 서식지와 자생지

서식지

야생동식물 특별보호구역산림유전자원보호림(희귀식물 자생지 등)천연기념물(자생지, 번식지 등)

동물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등식물 자생지(식용, 약용 및 허브 등)

생태계경관자원

복합공간(생태계/경관)

생물권보전지역 / 세계자연유산자연공원 / 생태경관보전지역자연유보지

하구역

자연의 기념물

생태계

백두대간보호구역 / 습지보호지역특정도서 / 천연기념생태계변화관찰지역

해안사구, 갯벌, 습지도서산림 / 공원녹지(공원구역 등)

경관세계문화유산명승

경승지(대, 경, 일출, 낙조 등)길(경관 및 탐방)산업공간(다랭이논 등)

자연미관

무생물자원

공기 대기청정지역 깨끗한 공기

지질 및 지문학적 생성물

물(지하수)

상수원보호구역 / 환경보전해역수변구역

연못, 호수, 댐, 저수지계곡, 폭포연안 및 자연해안선

지형 및 지질(토양)

세계지질공원 / 천연기념물광물 및 지질자연동굴지형, 토양

자연에너지 및

자연현상명승 태양, 바람, 지열, 조력

생물학적 생성물

화석

※ 출처 : 박창석 외 3인(2009),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 13 -

- 경 자원은 생태 경 , 미 경 , 인문 경 으로 구분될 수

있음

경관자원 유형 자원 설명

생태적 경관

지형독특한 지형 경관대표적 경관 지역

수환경 지형, 식생과 어우러진 수 환경(강, 바다, 폭포, 소, 계곡 등)

식물

기후대 차이로 인한 대표식생대의 변화지형에 따른 토지극상 식생특수한 식생 군집안정된 식생 군락

동물 핵심 보전가치가 높은 서식 공간

미적 경관

계절경관 계절에 따른 대표 자연경관 도출

탐방루트접근 및 통과 도로법정 탐방로 및 비법정 탐방로

조망공간 경관가치가 높은 대상 조망

인문 경관

역사문화보전문화재문화재와 연속된 자연생태계

생활취락지역여가휴양시설지역 : 상업지역, 대규모 개발지역탐방시설 등 이용시설지역

경제적 경관

대규모 인공림 등 조성지역대규모 하천정비지역

※ 출처 : 한봉호 외(2011), 경관자원 유형화 및 시각적 평가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14 -

제3장 생태관광 운영 관리하기

제1절 생태관광 중장기 전략 수립

1. 필요성

○ 생태 을 통한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 은 체계 인 운 과

리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특성에 따른 장기

략과 로드맵을 마련함으로써 가능함

2. 중장기적 전략 및 로드맵 수립

○ 생태 의 지속성 확보를 한 장기 략과 로드맵 수립은

다음의 과정으로 추진될 수 있음

(1) 생태관광지역의 개괄적 현황 및 관련 계획 분석 - 현황 분석 항목 : 지리적 개요, 토지이용현황, 보호구역 지정현황, 생태

자원, 관광자원/여건/추이/관광객 등 - 관련 계획 : 관광 관련 계획, 자연자원/주요지역 보전관리 관련계획 등

(2) 대상지역의 이용실태 및 생태관광 수요 분석 - 방문객 이용실태 조사, 지역주민 의견 수렴 - 지역적 차원에서의 이용실태 및 수요 조사 등

(3) 생태관광지역의 경제적 가치 분석 - 자원 현황 분석, 수요조사를 통한 지역의 소득창출/고용확대 비지니스

모델 개발

(4) 생태관광 원칙/방향/목표 설정에 따른 생태관광 운영관리 전략 수립 - 생태관광 개발계획, 생태관광 유치 전략, 생태관광 운영 및 관리방안,

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 마련

< 생태관광의 중장기적 전략과 로드맵 수립 과정 >

- 15 -

◈ 생태관광 개발 및 운영관리 전략 개발 사례 : 낙동강 하구지역 - 낙동강 하구 생태관광 개발 목표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도심 내 자연생태공간 보전 지속가능한 개발을 통한 국제적 생태관광지화 미래세대에 물려줄 생태교육 및 체험 공간으로 활용하고 보전

< 낙동강 하구 생태관광 개발 및 운영관리 전략 개발 절차 >

< 낙동강 하구 생태관광 구역화(Zoning) >

출처 : 부산발전연구원(2004), 낙동강 하구지역의 생태관광지로서의 전망과 전략

- 16 -

제2절 생태자원 보전 관리

1. 법정보호지역 지정 및 서식처 복원

○ 생태 지역에 있어 자원의 보 가치는 가장 기본 인 요소이며,

국가 는 국제 으로 자원의 가치를 인정받은 지역은 생태

지역으로서의 잠재성도 높은 것으로 평가됨

○ 생태 지역으로서 보다 발 하기 해서는 기존 보호지역의

가치를 유지하고, 법정보호지역 지정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

- 국제 인 보호지역은 UNESCO에서 지정하는 생물권보 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이 있으며, 이외에 람사르습지와

IUCN 보호구역이 있음

- 우리나라는 생태경 보 지역, 국가지질공원 등 총 13개의 법정

보호지역이 법률에 근거하여 지정․운 ․ 리되고 있음

※ 국제국내 보호지역 종류, 지정기준, 지정현황 등 ⇒ 부록4

○ 법정보호지역으로의 발 이 어려울 경우에는 희귀 야생동․식물

는 경 자원 등을 보유함으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는 것이 필요함

- 우리나라는 총 246종의 멸종 기 야생생물과 총 238종의 천연

기념물(동물 20종, 식물 218종)이 지정되어 보호․ 리되고 있음

- 보호종은 단일 개체보다는 개체군 는 서식지로서의 가치가

더욱 크므로, 보호종을 심으로 한 서식처 복원 등을 통해

생태 자원화를 모색할 수 있음

- 17 -

◈ 서식처 자원 관리

구분 방법

연속성 주요 서식처의 단절 없이 서식지 간 연결되는 고리와 축 관리 물리적 연속성을 유지하여 야생생물자원 보호 및 유지/유인

패치 동일한 면적을 하나의 패치로 구성하도록 하고, 지나치게 작은 규모의패치로 나누면 은신처 기능이 상실하므로 주의

사이즈 가능한 큰 규모로 정하되, 정착해 사는 종의 서식처와 크기에 따라 차이

섬 면적, 형상, 격리, 거리, 연결, 대체 효과를 고려하여 서식처 관리

은신처 동물을 보호해주는 곳으로 지속적인 생물 유지를 위해 생존기간동안 번식지, 생육을 함께 할 수 있는 장소(다층구조의 식재 등 주변부 관리)

먹이 자연생태계의 원리에 부합하는 환경 조성으로 풍부하고 다양한 먹이 공급이 되는지 고려

완충지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의 훼손 및 간섭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생물 서식처 주변, 자연식생 군락 주변 등 관리

물 모든 생물에게 직·간접적인 필수적 요소로 음수, 번식지, 도피, 피난처, 휴식처 등 제공

가장 적합한 최적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필수 조건

※ 출처 : 조동길(2013), 생태복원 계획 및 설계론

※ 멸종위기 야생생물, 천연기념물 목록 ⇒ 부록4

2. 생태관광자원의 보전관리를 위한 공간 설정

○ 생태 은 자원의 보 과 이용을 함께 고려하므로, 생태

지역은 보 가치에 따라 공간을 구분하고 이에 맞는 이용의 정도

강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함

○ UNESCO의 생물권보 지역의 설정방법인 핵심․완충․ 이지역

으로 구분하고,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공간을 규정한 원칙에

맞게 이용․활동계획을 수립함으로써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

- 18 -

<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공간구분 체계

(출처 : MAB 한국위원회 홈페이지) >

◈ 공간별 주요 특성

핵심지역(core area)

엄격히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지역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는 조사 연구, 영향이 적은 이용(예: 교육) 등

완충지대(buffer zone)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이에 인접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생태관광, 기초 및 응용 연구 등의 건전한 생태적 활동에 적합한 협력 활동을 위해 이용

전이지역(transition area)또는 협력 지역

(flexible transition area,

area of cooperation)

다양한 농업활동, 주거지, 기타 다른 용도로 이용 지역의 자원을 함께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하기위해 지역사회, 관리당국, 학자, 비정부단체(NGO), 문화단체, 경제적 이해집단과 기타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일하는 곳

○ 공간의 설정 공간별 활동 수 의 설정은 지역 특성에 기반하여

자원 조사, 문가․주민 등의 의를 통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 공간의 구분은 자원의 보호가치, 입지 특성, 지역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명확한 기 과 그에 기반한 객들의 활동

수 을 설정하고 이를 용하는 것이 가장 요함

- 19 -

◈ 생태관광지역 공간 구분의 예(생태관광지역 탐방객 영향 및 자원관리 시스템(VIRMS, Visitor Impacts and Resources Management System for Eco-tourism))

등급 관광기회 특성

Ⅰ핵심보호지역

자연의 일부가 된 느낌 다른 사람의 시야나 소리로부터 이격되어 고적감을 느낌

위험과 도전 기회 큼

큰 규모의 변형되지 않은 자연환경 보유 원생지 보호·보전을 목적으로 한 출입금지 철저한 행위제한 및 감시·감독 연구 목적 외 일체 인위적 행위 및 시설도입 금지 비파괴적 연구행위 조사연구(간섭 최소화)

Ⅱ일반보호지역

자연과의 교감 높음 어느 정도의 고적감을 느낌 정당한 수준의 위험과 도전 기회

변형되지 않은 자연환경이 많은 부분 차지 사전 출입허가(안내자 동반)에 의한 출입 통제 인위적 간섭을 최소화한 프로그램 진행 연구 목적 외 일체 시설도입 금지 최소한의 인위적 행위만 허용

Ⅲ완충관리지역

자연과의 교감 보통 다른 사람의 이용이 적당히 감지됨 위험과 도전 기회 보통

외부의 인위적 간섭으로부터 Ⅰ, Ⅱ 등급 지역 보호 변형되지 않은 자연환경이 많은 부분 차지 자유로운 출입 및 최소한의 규제 적용 트레킹, 각종 프로그램 진행, 여가활동 등 기초 편의 및 휴게시설, 연구동 도입

Ⅳ탐방관리지역

자연과의 교감 낮음 다른 사람과의 조우빈도 높음 위험과 도전 기회 낮음

변형되지 않은 자연환경과 개발환경 조화 연구시설, 방문자 센터 등 시설 도입 트레킹, 각종 프로그램 진행, 여가활동 등 최소한의 규제를 통한 이용성 증진 지속가능한 이용 및 지역발전 촉진

Ⅴ전이관리지역

자연과의 교감보다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중요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빈번함 (문화적 교류)

위험과 도전 기회 없음

변형되지 않은 자연환경보다 개발환경이 눈에 띔 숙박, 주차장, 쇼핑, 도로 등 관광기반시설 도입 지역주민을 위한 주요 거주지 접근성 및 편의성 높음 경제활동 및 지역발전 촉진

Ⅵ대체체험지역

자연과의 교감과 다른 사람과의 문화적 교류 모두 이뤄짐

위험과 도전 기회 없음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회 높음

체험교육을 위한 인위적 자연조성지역 이용집중 및 초과되는 수용력 해소 체계적인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역발전을 위한 마케팅 활동 각종 편의시설 및 소규모 기반시설 도입

※ 출처 : 조동길(2013), 생태복원 계획 및 설계론

- 20 -

제3절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 운영

1. 교육 체험 로그램의 개발

○ 생태 을 통해 객이 자연과 문화에 한 이해와 가치의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고, 상지의 보호에 직․간 으로 기여

할 수 있도록 교육․체험 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함

○ 생태 에 있어 가장 큰 핵심은 로그램 콘텐츠의 차별성과

독창성을 확보하는 것임

- 이를 하여 지역 고유의 통지식을 발굴하고, 기존의 문화․

역사․환경을 잘 연계하여 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함

- 더불어, 일반인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함

으로써 그 가치를 높일 수 있음

○ 로그램 체험 후 만족도 조사(⇒부록6)를 통해 객의 불만과

요구 등을 지속 으로 충족해 나가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

◈ 생태관광 체험 프로그램 사례 : 호주 Currumbin Wildlife Sanctuary

- 동물과 사람의 접촉점을 최대한 개방하여 관광객이 보다 근접하여

자연 서식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함

< 야생동물 구조 체험 >

< 캐노피워크 체험>

- 21 -

2. 프로그램 차별화 방안

○ 여러 계층을 상으로 한 다양한 생태 로그램을 개발하여

차별화를 모색하여야 함

- 계층 유형 : 성인(남․여), 청소년, 어린이, 노인, 외국인, 문가,

일반인, 가족, 취약계층, 장애인 등

◈ 관광과 관련한 현 시대적 상황 - 경제력, 시간, 건강을 모두 갖춘 고령소비층 ‘스트롱 시니어(Strong Senior)'를

대상으로 한 관광시장의 확장이 전 세계의 흐름을 주도 - 가족 구조가 핵가족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여성의 사회활동의 증가, 부부 중심의

딩크족 및 싱글족의 확산으로, 가계의 주요 소비 의사결정에 변화가 예상 -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여성, 외국적 동포 등의 유입 증가로 한국이 급속히

다문화 사회로 진입중

○ 다양한 유형의 로그램을 개발하여 특성화를 꾀하여야 함

- 로그램 유형 : 체험형(잡기, 심기, 먹이주기, 보살피기 등),

교육형, 찰형, 조작형(만들기, 제어( 리)하기

등), 복합형(여러 유형을 함께 구성)

◈ 프로그램 특성화 사례 : 일본 한노시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전통체험(염색, 음식만들기) 프로그램을 함께 구성 - 10~15명 정도의 개인 및 소규모 가족이 참여하며, 지역주민(여성

중심)과 시공무원이 함께 진행

- 22 -

제4절 생태관광 교육 및 지역 전문가 양성

1. 지역사회의 전문인력 확보

○ 생태 , 특히 교육․체험 로그램의 성공 인 추진을 해서는

운 주체의 의지와 역량이 무엇보다 요함

- 운 주체는 로그램의 질을 지속 으로 높이기 하여 노력

하여야 하며, 스스로의 문성 확보가 무엇보다 요구됨

○ 지역사회 기반의 문인력을 확보하도록 하고, 지자체에서도

인 네트워크 구성을 한 직․간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함

* 지역주민의 인식 확대, 지역대학의 전문인력 활용, 귀농귀촌의 유도 등

2.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 국가․지자체, 생태 련 기 , 민간기업 등에서 문인력

양성 교육 로그램*을 운 이므로, 지역사회의 문인력을

양성하는 데에 이를 활용할 수 있음

* 자연환경해설사(환경부), 생태관광 아카데미(한국생태관광협회), (주)제주

생태관광 등 지역기반 민간기업의 교육 프로그램 등

○ 이 외에도 지역 특성에 맞는 자체 인력 양성 교육 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음

※ 생태관광 해설사는 자연, 인문사회, 건축 등을 연계한 종합적 해설을 통해

관광객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닌 스스로의 경험과 지식을

자신만의 언어로 전달함으로써 자연의 중요성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여야 함

- 23 -

◈ 자연환경해설사(환경부) - 자연환경해설사란? 생태경관보전지역 및 습지보호지역 등의 생태

우수지역을 찾는 탐방객을 대상으로 생태 해설,교육, 탐방 안내를 하는 해설사

- 해설사 양성기관 : 2015년 9월 현재 총 10개 기관이 지정 ※ 북한산생태탐방연수원, 서천 조류 생태전시관, (사)한국자연공원협회, (사)생태

도시담양2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생태교육원), (사)제주생태교육연구소, 경상남도 환경교육원, 고양시 생태교육센터, 숲생태조경인재개발학원, 국립생태원

- 교육과정 : 기본양성과정(15과목 80시간), 간이양성과정(11과목 35시간),전문과정(20과목 100시간)으로 구분하여 운영

교육분야 교육과목교육시간 분야별

필수교육시간이론 실습

해설 안내

① 교수학습방법론 3  

49

② 모니터링 기획 및 실습 3 4

③ 해설 프로그램 개발 및 시연   12

④ 해설 프로그램 평가 3 4

⑤ 해설 매체 개발 및 실습 3 4

⑥ 프로그램 홍보 마케팅 1 2

⑦ 전시기획 1 2

⑧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 실습 3 4

자연환경의 이해

① 보호지역의 이해 3  

21

② 생물다양성의 이해 2  

③ 기후변화와 자연환경 2  

④ 동물생태계의 이해 3 4

⑤ 식물생태계의 이해 3 4

인문사회환경의 이해

① 생태철학 3  

19② 인간발달과 학습 3  

③ 자연 치유 3 3

④ 문화유산의 이해 3 4

커뮤니케이션

① 감성커뮤니케이션 3 2

11② 지속가능발전 3  

③ 환경심리학 3  

총계 20과목 (100시간) 51 49 100

< 전문과정의 세부교육과목 및 교육시간 >

- 24 -

3. 교육자료의 제작활용

○ 생태 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하여 다양한 자료와 매체를

활용할 수 있음

- 기존의 환경교육을 목 으로 개발된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

변용하여 생태 지역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

- 책자 형태의 자료는 물론이고, 모바일 어 리 이션이나 자동

해설기 등 IT 기반 장치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망원경․ 미경

등 세부 인 찰 도구를 통하여 교육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

○ 지역 문가를 통해 지역 고유의 생태․문화자원 등을 기반으로 한

문교육자료를 탐방 상자에 맞추어 개발․활용할 수 있음

◈ 생태관광 교육자료 사례

< 일본 가루이자와 피키오 >

< 코스타리카 IN-bio 공원 >

- 25 -

제5절 생태관광 인프라 구축

1. 생태관광지역의 시설

○ 생태 지역의 자연자원과 인문환경 등을 고려하여 생태

지역을 훼손하지 않고 탐방, 학습, 보호, 연구 등의 활동을 지속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함

○ 생태 지역에 시설물을 설치할 때는 다음을 고려하도록 함

구분 내용

목적 환경에 보다 적합한 활동을 유도하고, 도덕적 또는 경제적으로 위협받는 자연지역을 보전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 수행

고려사항

이용시설 최소화 / 필수 기반시설 설치 / 친환경설계 기법 적용 시설의 안정성 확보와 취약계층을 배려한 시설 설계 친환경 교통망 구축 유지관리를 위한 협의체 / 분야별 관리 방법 등

방향

생태관광은 환경 피해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자연을 관찰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최소한의 이용시설 조성

생태계 질서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영향을 낮출 수 있도록 필수 기반시설 및 지역 자원 특성과 생태관광 목표에 부합하는 시설물 도입배치

○ 생태 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보 ․이용시설은 다음과 같음

구분습지보전·이용시설

(습지보전법)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

(자연환경보전법)자연공원시설(자연공원법)

도시공원시설(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보전시설

- 습지보호시설- 습지연구시설- 습지오염방지시설

- 자연환경훼손방지시설- 자연환경복원복구시설- 자연자산보호시설

- 공공시설- 안전시설- 휴양 및

편익시설- 문화시설- 상업시설- 숙박시설- 부대시설

- 조경시설- 휴양시설- 유희시설- 운동시설- 교양시설- 편익시설- 공원관리시설- 도시농업시설

이용시설

- 안내시설- 생태관찰시설- 교육·홍보시설

- 안내시설- 생태관찰시설- 교육·홍보시설- (관리시설)

- 26 -

2. 이용시설의 최소화

○ 생태 에 있어 이용시설은 최소화되어야 하며, 교육․체험․

리․연구를 목 으로 한 불가피한 기반시설은 기능과 효과를

감안하여 하게 배치․조성하여야 함

- 생태 을 한 필수 기반시설은 지역에 따라 상이하므로, 지역

자원의 특성과 생태 의 목표에 합하게 도입하도록 함

○ 생태 지역의 필수 기반시설은 ①탐방시설(탐방로), ②안내․

해설 , ③ 찰․연구시설, ④체험시설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호가

요구되는 핵심 는 완충지역에 설치가 가능함

- 이외에 필요한 숙박시설, 안내시설, 도로, 주차시설 등은 이

지역과 같이 이용률이 높은 공간에 배치하여야 함

3. 필수 기반시설 ① - 탐방시설(탐방로)

○ 양호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는 산지, 고원, 하천, 호소, 습지,

해안, 특이한 지형 등에 자연경 을 감상하고 자연의 동․식물

등을 하거나 찰하는 것을 목 으로 설치함

○ 좋은 경 지나 자연자원, 지역의 문화․역사를 포함한 흥미 지 을

연결하는 하이킹을 한 시설로서 등산화․운동화 등 최소한의

착장을 갖춘 객이 안 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함

- 27 -

◈ 탐방로 설치방안

번호 시설 도입방안

1 노체

답압이나 우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걷기 쉬운 길을 조성하기 위하여 포장 및 노면을 정정함

이용자층, 이용자수, 지형, 경관을 고려하여 노체의 구조를 결정함 이용자가 적을 경우 노면만 점검, 이용자가 많을 경우 자연환경을배려하여 우드칩이나 돌 등의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포장함

2 배수시설

우수에 의한 침식으로부터 도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배 등의변화점 등에 세굴을 받지 않는 식의 횡단배수구를 설치하고 종단배수구는 기본적으로 설치하지 않음

자연환경을 배려하고 목재나 돌 등의 자연재료를 사용하되, 그 지역 발생재의 활용을 검토함

3 단차공 우수나 답압에 의한 도로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고,자연환경을 배려하여 목재나 돌 등의 자연재료를 이용함(그 지역 발생재의 활용을 검토함)

4

흙담, 돌쌓기

등법면처리

법면의 침식방지와 식생보호를 목적으로 설치함 탐방로의 흙담, 옹벽은 자연경관을 배려하고, 최소 규모로

담, 돌쌓기 등 자연소재를 이용함 법화, 식생매트 등을 이용하여 자연 식생의 복원을 위하여 노력함

5 다리

탐방로에 설치하는 다리는 간단한 목교, 철교, 구름 흔들다리 등의 인도교로 함

안전성, 편리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다리의 가설에 따른 자연환경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설 지점, 구조, 공법 등을충분히 검토함

자연재료를 이용하는 등 자연경관에 조화로운 디자인과 구조로 함 노후화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함

6 휴게공간

탐방로의 기 종점이나 휴게지점에서의 보행시간을 고려하여 적의 배치함

설치장소는 나무 그늘이나 관망하기 좋은 장소 등 쾌적한 장소를선정함

탐방로에는 벤치 등의 휴양시설을 설치하되, 주변의 식생이 황폐화되지 않도록 함

장거리 코스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공중화장실을 설치함

< 야생동물 이동을 고려한 탐방로 >

< 야생동물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탐방로 >

- 28 -

4. 필수 기반시설 ② - 안내 해설판

○ 정보 달의 목 , 내용 상에 맞게 구성하고 설치하여야

하며, 생태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특성에 따라 달

하고자 하는 정보 달의 형태는 상이함

○ 안내․해설 의 종류에는 보호지역 지정 안내 , 특정지역의

시설 안내 , 출입제한 안내 , 종합 안내 , 표주 등이 있음

◈ 안내 해설판 설치방안

구분 도입방안

설치 위치

안내 해설판은 생태관광지역의 입구에 설치하여 많은 관광객이 쉽고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함

멸종위기 및 보호 야생동식물이 서식하거나 야생동식물의 이동이 빈번한지역 및 생태계 관찰에 장애를 주는 지역에는 안내판 등을 설치하지 않도록 함

크기 및

형태

안내해설판의 크기와 형태는 설치 목적이나 기능에 적합하게 설치하되보전지역의 면적, 관광객의 수 등을 고려하여야 함

안내해설판의 형태는 주변의 경관과 조화가 되도록 설치하여 관광객이친근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

사용 재료

안내 해설판의 재료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목재를 사용하되 불가피한 경우에는 철재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

목재는 환경위해성이 없는 방부제로 방부처리된 것을 사용하고 철재는부식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색채 및

반사

안내해설판의 색채는 갈색 및 녹색 계통을 많이 사용하되 주변 자연색의채도 이하로 함으로써 주변 지역의 색채와 조화가 되도록 함

생태계 훼손을 경고하는 내용 등은 빨강색 계열의 색상으로 휘도가 낮은 색을 사용함

간판의 기둥이나 뒷면 등의 표면은 무광택으로 처리하여 빛이 반사되지않도록 함

안전성

안내해설판은 견고하게 설치하여 강한 비바람 등에도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안내해설판의 기둥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지하 깊이(기둥 높이의1/2 이상)만큼 묻어서 고정시키도록 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는 지하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여 기둥을 고정시킬 수 있음

- 29 -

< 인지가 용이한 안내판 >

< 가독성이 낮고 눈높이에 맞지 않는 안내판 >

5. 필수 기반시설 ③ - 관찰 연구시설

○ 자연 그 로의 생태천이과정 는 서식환경을 찰하고 연구하기

한 시설로, 기본 으로 자연 생태계의 보호를 우선 배려하며

가 시설의 설치를 제한하는 보 개념의 공간임

◈ 관찰 연구시설 설치방안

구분 도입방안

도입 목적

서식처의 조성을 통해 동·식물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생물에게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자연생태계를 조성하고 인간에게는 관찰 및 연구가 가능하게 함

도입 가능 시설

자연학습 / 연구시설 / 안내시설 관찰데크, 조류관찰대, 야외관찰대 / 관찰장비 보관시설 등

이용 수칙

자연 관찰과 탐구 활동을 꾸준히 실시하고 산·학·연과 연계하여 자연생태계의변화 추이와 원인 등에 관한 조사 연구 활동을 함으로써 야생동·식물과 자연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자연생태계 보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함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우선적으로 배려하기 위하여 서식처에 대한 간섭이지극히 제한되어야 함

관찰대 및 망원경을 통해 자연생태의 관찰을 허용하도록 함 동식물 채집 및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와 생식/번식 및 자연생태계를방해할 수 있는 일체의 활동이 제한되도록 함

< 조류를 고려하여 차폐 식재한 관찰대 >

< 차폐 기능이 없는 조류관찰대 >

- 30 -

6. 필수 기반시설 ④ - 체험시설

○ 탐방객에게 자연 는 인 으로 조성된 자연에서 환경에 한

체험, 교육을 통해 자연에 한 올바른 지식과 이해를 높이기

한 시설임

◈ 체험시설 설치방안

구분 도입방안

목적 및 기능

현장 체험 위주의 자연환경 학습을 통해 자연보호와 환경보전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달음

환경정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자율 참여를 유도함

도입 가능 시설

연수시설(강당, 식당 등) / 숙박시설(생활관, 샤워장 등 부대시설) 교육시설(자연박물관, 심신단련장, 식물교재원, 자연관찰로, 체육시설 등) / 동식물원 등

도입 시고려사항

단순한 배열식 전시를 탈피하여 전시 대상의 서식환경 묘사를 통해전시 효과의 극대화를 추구하고 이용객들에게 환경교육의 장으로서의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함

일상생활에서 체험하지 못했던 자연·생태적 체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함

7. 친환경 설계기법 적용

○ 생태 시설은 자연환경을 상으로 설치하므로 인간 심 인

시설과는 차별되어야 하며, 인간의 이용으로 인해 직․간 인

자연 괴가 래되어서는 안 됨

- 시설 공간에 공통 으로 친자연성을 유지하고, 보 심의 시설

공간에서는 있는 그 로의 자연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생태 건축기법 등을 활용하여 일반 인 도시형 건물과 차별

되도록 설계하고, 주변 환경과 이질 인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하며, 생물의 생육․서식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하도록 함

- 31 -

◈ 생물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탐방데크 설치 예시

< 말똥게/고라니 이동로 확보 >

< 말똥게 서식공간 보호 >

- 재료와 소재는 가능한 한 해당 지역에서 나온 목재․석재 등

자연재료를 활용하도록 함

◈ 자연재료 활용 사례

< 고사목을 활용한 벤치 (홍릉숲) >

< 동선 유도 목책 (국립대전현충원) >

- 보도 산책로는 가능한 비포장 는 투수성 포장으로 하여

생태 시설 내에서 자연자원과 에 지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 찰시설* 설계 시에는 찰물의 특징, 찰 상과의 거리,

가능 유무, 태양의 방향, 동선 등을 고려하여야 함

* 관찰오두막, 관찰벽, 전망대, 목재데크, 소로, 관찰데크, 논밭 서식지 등

- 32 -

◈ 조류와의 비간섭거리 확보를 위한 시설 설치 예시

< 을숙도 볏짚 가림막 >

< 탐조대 설치 >

※ (관찰데크 높이) 식물의 경우 풀의 길이를 고려하여 조성면으로부터

50~100cm 미만, 잠자리소금쟁이 등 수생소동물 관찰을 위한 경우에는

수면으로부터 30cm 거리가 바람직

◈ 목재데크 및 관찰데크 설치 예시

< 목재데크 >

< 관찰데크 >

※ 출처 : 낙동강유역환경청(2012)

○ 서식지 체․보조시설*의 설계 시에는 상종의 서식환경

생육․생식 조건, 개체수 출 빈도 등을 감안하여야 함

* 소형포유류, 조류, 곤충류 등을 관찰·접촉하기 위한 인공둥지, 생울타리,

횟대, 생태어도 등

- 다양한 형태로 설계하되, 가 장 발생 소재를 활용하여

상종이 거부감 없이 근할 수 있도록 함

- 33 -

○ 소하천 개울 등 수로 설계 시에는 자연스러운 사행(蛇行)으로

조성하여 연장을 길게 하고, 침식 험성이 없도록 함

- 상지의 지형 조건을 그 로 활용하되, 수로 구배가 할 경우

에는 낮은 단차공을 많이 설치하여 유속을 느리게 조 하도록 함

※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0.1~0.3m/s의 느린 유속이 적당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 수로의 평균 구배를 2~3%(최대 5%)로 하는 것이 적당함

- 호안 처리는 단순하고 직선 인 구조 시멘트 등 인공소재의

사용을 지양하고,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합하도록 곡선 구조와

자연소재를 활용한 공법을 채택하도록 함

◈ 세굴방지막 조성 사례

< 일본 북해도 구시로 습지 세굴방지막 >

< 영월군 물무리골 습지 세굴방지막 >

※ 출처 : 낙동강유역환경청(2012)

<기본설계> <실시설계> <복원설계>

조사측량을 통한 설계 방향 설정

시설의 규모위치내용, 개략적 공사비 및 관리운영계획 등 포함

향후 실시설계의 지표

설계자료 수집, 상세 현지조사에 기초하여 시설의 구조재료규격디자인시공방법 등 결정

상세도면 작성 및 공사비 산출

기능성안전성쾌적성디자인조화성 등 세부적 검토

사업의 결과로 발생하는수계육지의 생태계 훼손지역 복구 또는 새로운 생태계 창출

시설물 설치 전후의 토지이용, 경관, 생태계 등의변화를 기록하여 적합한복원방안 수립, 설계 및 도면 작성

< 생태관광 시설 설치를 위한 설계 단계 >

- 34 -

8. 취약계층을 배려한 시설 설계

○ 노인․장애인․임산부 등이 개별 시설물에 자유롭게 근할 수

있도록 도로, 여객시설, 교통수단 건축물 등에 경사로, 용

승강기, 용화장실 등의 무장애 이용시설을 조성하여야 함

○ 필요한 경우에는 사회 약자의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다음과

같은 별도의 시설물들을 설계하도록 함

- 휠체어, 유모차, 맹인견 보행로(필요시 일부 구간 포장) / 휠체어

유모차 여소 / 자안내 / 각․음성 시 등

◈ 무장애(Barrier Free) 이용시설 조성 사례

< 무장애(Barrier Free) 이용시설 >

< 관악산 무장애 숲길(유니버셜 디자인) >

※ 출처 : 환경부(2009) / http://www.segye.com

9. 친환경 교통망 구축

○ 생태 지역은 교통과 연계된 보행친화 도로망을 구축

하되, 진입도로․주도로․보조도로는 생태계와 야생동․식물의

서식을 배려하는 자연친화 생태도로로 조성하도록 함

○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교통체계와의 연계성 강화, 차 없는

지구(Car Free Zone) 도입, 보행자 자 거 도로 설치, 지역 내

순환버스체계 구축 등 교통 이용 제고방안을 마련하도록 함

- 35 -

◈ 자가용 규제 사례 : 일본 가미코치 국립공원

※ 출처 : 한국관광공사(2010)

○ 생태 지역 역에 이용자의 안 성, 교통과의 연계성,

경 성․연속성 등을 고려하여 자 거가 쉽게 근할 수 있는

가로망을 구성함

- 자 거 도로의 폭원은 지형․경사도․구배 등을 고려하되,

「자 거이용시설의 구조․시설기 에 한 규칙」을 용하고,

투수성 탄성 포장을 사용하여 친환경성과 안 성을 높임

- 자 거 이용의 편의성과 안 성을 확보하기 하여 주요시설,

교통 연계 지 , 휴게시설 주변에 자 거 주차장․보 를

설치하고, 조명 장치, 도난방지 장치 등을 설치함

◈ 자전거 대여 및 서비스센터 사례

< 호주의 무인자전거 대여시스템 >

< 강남구 자전거종합서비스센터 >

※ 출처 : 한국관광공사(2010)

- 36 -

○ 교통과의 연계, 차도와의 교차 최소화, 이용자 안 성, 양호한

시계, 녹지축과의 연계 수림 조성 등을 고려하여 객이

직 걸으며 람하고 휴식할 수 있는 보행 람체계를 구축함

- 보행자 도로의 폭원․구배․시설물 등은 정 보행량, 보행속도

도 등을 고려하여 기능 이고 안 한 보행공간이 되도록

하되, 「도로의 구조․시설 기 에 한 규칙」을 용하여 설치함

◈ 국토교통부 보도 설치 지침(2007)

< 식수대로 구분된 차도와 보도 >

< 보도 최소 폭 >

○ 생태 지역을 보다 편리하게 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도 감

할 수 있는 생태이동수단을 도입하여, 등과 연계한

아이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음

◈ 생태이동수단 사례

< 워싱턴 D.C. 토머스 제퍼슨 메모리얼 >

< 햄프셔 국립공원 >

- 37 -

○ 타당성 있는 주차 수요 측을 통해 정 주차장 면 을 산출

하고, 생태블럭 등의 투수성 포장, 풍부한 녹지공간 는 빗물

정원 조성 등을 도입하여 환경친화 인 주차장을 만들도록 함

◈ 친환경 주차장 조성 사례

< 오산 물향기 수목원 >

< 전남 나주시 >

※ 출처 : 환경부(2009)

○ 지역 내 순환차량 는 공공기 업무용 차량은 수송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감하기 하여 CNG(천연가스) 버스, 기

는 하이 리드 자동차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도입하도록 함

◈ 전기버스 사례

※ 출처 : 환경부(2009)

- 38 -

제6절 지역소득사업 발굴

1. 지역소득사업의 종류 및 추진절차

○ 생태 이 지속가능한 발 을 하기 해서는 일자리 지역

소득과 연계되어야 함

○ (종류) 지역소득사업은 민박, 음식, 특산물 매 등의 직 소득,

음식 ․숙박업소에 채소 등 원재료 공 과 같은 간 소득, 마을의

생산활동과 일자리가 늘어가는 유발소득으로 구분할 수 있음

○ ( 차) 다음의 차에 따라 마을․지역의 여건을 분석하여 특성에

맞는 핵심사업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함

(1) 마을 및 지역의 생업, 산업 및 특산물 가공산업의 현황 조사 및 분석

(2) 시군의 상위계획, 마을 및 지역의 관련계획 및 관련법규 검토

(3) 주민 토론 및 설문을 통한 마을 및 지역의 주민요구도 조사, 주민의식조사 실시분석

(4) 생업, 산업 및 특산물 가공산업의 발굴가능한 핵심사업에 대한 타당성및 시장성 조사 분석

(5) 소득 증대를 위한 핵심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S/W사업과의 연계방안 제시

(6) 마을 및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교육을 병행하여 핵심사업에 대한 주민 역량강화

- 39 -

2. 향토음식 관련

○ 마을 지역에서 생산되는 향토음식을 활용하여 탐방객을 상

으로 한 다양한 먹거리 개발이 요구됨

(1) 목록 작성 : 마을 및 지역의 기존 향토음식 목록 작성

(2) 조사·발굴 : 향토음식의 역사, 요리법 조사·발굴 및 스토리자원과 접목

(3) 평가·선정 : 주민/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향토음식자원의 평가 및 선정

(4) 관리·상품화 : 지속적 업데이트 관리 및 향토음식의 상품화

< 향토음식자원의 발굴 및 선정 과정 >

○ 기존 향토음식을 평가 테스트하여 표 요리법 등을 만들고,

지역의 이야기와 역사를 담아 스토리텔링화 함으로써 새로운

랜드를 창출할 수 있음

- 특산물을 토 로 산․학․연의 연구개발, 문요리가의 자문을

거쳐 한상차림, 일품요리, 도시락 등 신메뉴를 개발할 수 있음

◈ 향토음식 상품화 사례 : 영산도 어부의 밥상 - 실제 어부들이 배를 타고 나갈 때 싸가는 도시락 컨셉으로, 섬마을

에서 당일 잡히는 해산물을 활용한 백반차림+ 선택메뉴

<백반상차림>

<톳비빔밥>

- 40 -

- 향토음식 네이 , 랜드 로고, 메뉴 , 포장재 디자인, 로셔․

리 렛 개발 등을 통하여 다양한 홍보․마 활동이 가능함

◈ 영산도 브랜드 도입과 포장재 활용 사례

< 브랜드 개발 >

< 포장재 및 기념품 개발 >

○ 지역의 표 향토음식을 지정․상품화 한 이후에도 음식 서비스

수 에 하여 정기 으로 모니터링 리․감독하여야 함

○ 향토음식과 연계할 수 있는 사업들은 다음과 같음

구분 사업명 사업내용

하드웨어부문

로컬푸드장터 활용

향토음식, 특산물, 향토문화를 접하는 복합문화공간 지역 먹거리를 직접 제공하는 향토음식 시식체험

야외 공동판매장

향토음식 전시 및 판매를 위한 야외 공동판매장 운영

상가·음식점건물 개선

마을 및 지역의 노후화한 상가음식점 개선

소프트웨어부문

지역인력활용

향토음식 기능보유자의 고령화에 따른 지역협력업체의인력지원 활용(부녀회, 여성단체, YWCA)

주민역량강화

산학연 컨소시엄, 요리전문가 자문 및 교육

향토음식서비스

향토음식 레시피 공유 요리사가 향토음식에 관한 스토리텔링, 레시피, 맛 해설

체험프로그램

특산물을 활용한 향토요리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 기간별·시즌별 향토음식 체험프로그램 특산물을 활용한 향토음식 시식 프로그램, 번개장터

브랜드 개발 향토음식 네이밍, 브랜드 로고, 포장재 디자인홍보 마케팅 통합 홈페이지, 온라인&오프라인 마케팅

- 41 -

3. 특산물 관련

○ 마을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식재료로 하는 지역 먹거리를

제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탐방객 유치를 증 시킬 수 있음

(1) 마을 및 지역의 농·임·수산물 등 특산물, 가공식품 자원 조사 및 발굴 - 농·임·수산물 등 특산물의 평가 및 선정 - 농·임·수산물 등 특산물 자원의 목록 작성 및 지속적 업데이트 관리

(2) 마을 및 지역의 농·임·수산물 등 특산물, 가공식품의 상품 개발 - 마을 및 지역 농·임·수산물의 1차 포장 상품화, 2차 가공 상품화, 3차

서비스상품 개발 - 특산물을 가공하여 브랜드 상품화함으로써 다양한 층의 고객에게

친근감을 주고 소비 욕구 충족 - 현장 특산가공품의 제조·판매를 통해 볼거리 제공, 안전한 먹거리의

가치 형성

(3) 마을 및 지역의 농·임·수산물 등 특산물, 가공식품의 수익 및 사업화 - 농·임·수산물 등 특산물, 가공식품의 수익사업화 개발 - 브랜드 및 홍보 전략을 통한 특산물 판매 지원 - 직접 재배한 특산물의 판매공간을 마련하여 먹거리 문화체험 제공 - 통합 홈페이지, 온라인&오프라인 마케팅

< 특산물의 발굴 및 상품화 과정 >

○ 특산물과 연계할 수 있는 사업들은 다음과 같음

구분 사업명 사업내용

하드웨어부문

특산물 판매장 신축

특산물과 향토문화를 접하는 복합문화공간 지역 특산물을 직접 제공하고 향토음식 시식체험

마을 공동판매장 특산물 전시판매를 위한 마을 공동판매장 운영가공장 설치 특산물 가공장, 체험시설 조성

특산물 생산시설 조성 장류 등 특산물 생산장, 체험시설 조성

소프트웨어부문

특용작물 재배수확체험 마을·지역 특용작물 재배체험 및 수확체험장터 운영 특산물 장터 운영(축제기간), 번개장터

친환경 소득작물 지원 친환경 소득작물 재배 지원, 판매망 지원브랜드 개발 브랜드 도입, 포장재 디자인, 브로셔·리플렛홍보 마케팅 통합 홈페이지, 온라인&오프라인 마케팅

- 42 -

4. 숙박 관련

○ 생태 지역 내에 마을의 특성을 살린 숙박사업을 발굴함으로써

탐방객 유치 지역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1) 민박(펜션) 등 탐방객을 위한 체류시설 조사 및 발굴 - 탐방객들의 숙박 수요 충족을 위한 가능한 숙박시설의 조사 및 발굴 - 마을 및 지역에 맞는 체류시설의 특화방안 마련 - 마을 및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숙박시설의 연계자원 조사 및 발굴

(2) 기존 시설의 개보수 및 신축 - 가능한 민박, 펜션의 개보수, 리모델링 - 마을 및 지역의 특성에 맞는 민박, 펜션의 신축 - 마을 및 지역의 공지에 캠핑 및 글램핑장* 조성 * 화려하다(glamorous)와 캠핑(camping)을 조합해 만든 신조어로, 필요한 도구들이

모두 갖춰진 곳에서 안락하게 즐기는 캠핑을 뜻함

(3) 마을 체류시설과 연계 가능한 숙박사업 발굴 - 마을 및 인근의 유휴자원(분교/폐교, 보건소 등 공공시설) 활용 - 마을 주민회관, 노인회관 등의 리모델링으로 한시 및 상시 숙박시설 대체 - 인근의 연계 가능한 숙박시설(굿스테이 등)과 마을의 탐방 프로그램에

대한 가격 할인상품 개발

(4) 숙박시설 스토리텔링화 및 브랜드 홍보 - 민박 등 숙박시설에 대한 스토리텔링 작업 - 홈페이지 및 유선전화를 통한 예약제 운영 - 전자결재시스템 등 간편시스템이나 마을의 특성을 살린 수동의 비간편

시스템 도입

(5) 숙박시설 품질 개선 및 지속적 관리 - 생태관광협의회, 마을운영위원회에서 마을의 특성을 살린 숙박시설의

관리 체계 구축 - 탐방객들의 요구에 부합하고 마을의 특성을 살린 체재 프로그램 개발

< 숙박사업의 발굴 절차 >

- 43 -

◈ 숙박시설 사례

< 영산도 어가민박(펜션) >

< 상서마을 게스트하우스(주민회관) >

< 청산도 느린 섬 여행학교(폐교 리모델링) >

< 영산도 교실 워크숍(리모델링) >

- 44 -

제7절 홍보 방안

1. 개념 및 방식

○ 생태 의 성공 인 운 을 해서는 생태 에 한 지식이

없는 다양한 계층을 상으로 하는 폭넓은 온라인 오 라인

홍보가 필요함

- 환경부 지정 생태 지역과 련 탐방 로그램들은 기본

으로 환경부 생태 홈페이지 블로그에서 정보가 제공됨

- 각종 매체, 인쇄 등을 활용한 오 라인 홍보도 가능함

2. 온라인 홍보

○ 생태 홈페이지(http://www.eco-tour.kr)

- 생태 홈페이지는 환경부 지정 생태 지역 17개소(‘15.9월

재 기 ), 국립공원 등을 상으로 자원별․지역별․ 지별

정보를 제공하여 맞춤 생태 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

※ 생태관광 이야기, 생태관광 가보기, 생태관광지역 소개, 체험 나누기,

알림마당, 소통하기 등의 메뉴로 구성

○ 생태 블로그(http://koreaecotour.blog.me)

- 생태 블로그는 환경부 지정 생태 지역 명품마을의

소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뉴스, 해외의 생태 등을 소개

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의 회원들과 소통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음

- 45 -

- 다양한 로모션과 이벤트를 통하여 회원들의 참여를 확 하고,

회원들의 다양한 의견에 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함

- 실제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 시 상 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함

◈ 생태관광 홈페이지 및 생태관광 블로그

< 생태관광 홈페이지 메인화면 >

< 생태관광 블로그 메인화면 >

- 46 -

3. 오프라인 홍보

○ 유동인구가 많은 KTX 역사, 주요 지하철역, 고속버스터미 ,

버스쉘터(간이 합실) 등에 , 라이트박스 등을 활용하여

큰 홍보 효과를 낼 수 있음

◈ 전광판, 라이트박스 등 사례

< 서울역 LED 전광판 >

< 버스쉘터 >

< 부산역 라이트박스 >

○ 이 외에도 다양한 계층이 많이 보는 잡지 고, 방송제작 찬

(PPL) 등을 통해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음

◈ 잡지, 방송 사례

< KTX 매거진 >

< SBS 좋은아침 >

- 47 -

제8절 생태관광객 관리

1. 관광객 관리의 필요성

○ 무 은 수의 객은 지역의 경제 기반 약화를 래할 수

있으며, 무 많은 객의 방문은 자연환경의 훼손과 가치

하를 야기할 수 있음

○ 따라서 지역의 특성과 자원의 가치 유지를 고려한 정한 객

수의 설정․ 리는 생태 지의 보 과 이용의 균형을 맞추는

요한 도구임

2. 수용력 산출방법

○ 수용력이란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사회문화

환경, 경제 ․물리 구조에 향이 없도록 하면서 동 시간 에

같은 지를 방문하는 최 객의 수’임(세계생태 회)

○ 수용력을 산출하기 해서는 다양한 향 인자를 고려해야 하며,

물리 ․경제 ․사회 ․심리 ․운 리 ․시설 수용력 등

지 특성에 합하도록 세분화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구분 생태적 수용력 물리적 수용력 사회·심리적 수용력 운영·관리 수용력

고려요인

생태적 특성, 취약성, 경관성, 관광객 행태,현 관광객 수

탐방로 규모, 체류 용이성, 접근성,편의성, 안전성,현 관광객 수

심리적 안정성, 탐방객 조우성,현 관광객 수

운영관리 방향 및 현황, 탐방

프로그램 운용 현황,현 관광객 수

중점요인

생태계 훼손 취약성

이용 가능한 탐방로

관광객의 심리적 편안함

강점 및 위협 요인

정량화가능성

높음(현장조사 후 지표화)

높음(현장 및 자료 조사)

높음(탐방객 만족도 설문)

낮음(구두 및 서면 면담)

< 수용력별 주요 고려요인 및 특성 >

- 48 -

○ 물리 수용력과 사회․심리 수용력은 순간 탐방객 집 도가

큰 향을 미치므로, 성수기나 주말에 지가 받아들일 수

있는 일일 수용력을 기 으로 하여 한계수용력을 도출하고,

- 생태 수용력은 체 객의 량에 따라 환경 향 정도가

결정되므로 연간 수용력을 기 으로 함

○ 산출된 연간 수용력과 일일 수용력을 바탕으로 상지가 가지는

운 ․ 리 수용력의 문제 을 악하고, 여러 수용력의 한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여 잠재 인 최 수용력을 도출함

단계 내용

온라인 조사 대상지 일반 현황, 조직 구성, 교육체험 프로그램 등 조사

환경 조사 자연환경 훼손 현황 조사, 탐방로 조사

설문 조사 관광객 일반정보, 현재 대비 관광객 증감 여부 설문

이해관계자 면담 운영자, 관리자, 해설사, 주민 등 심층면담

개별수용력 산출 생태적, 물리적, 사회 심리적, 운영 관리적 수용력 산출

연간/일일 수용력 산출생태적 수용력 산출(연간)

물리적, 사회심리적 수용력의 한계 수용력 산출(일일)

운영관리적 수용력 적용 프로그램, 운영관리능력, 거버넌스 항목 평가

강화/극복 프로그램 전개 대상지 수용력 증진을 위한 강화극복과제 설계진행

수용력 재평가 강화 극복 프로그램 완료 후 수용력 재평가 실시

최적 수용력 도출 대상지 관리운영 방향에 적합한 수용력 도출

< 수용력 산출 흐름도 (Flow Chart) >

- 49 -

3. 수용력에 기반한 관광객 관리방안

○ 수용력이 과된 지역의 경우에는 분야별 수용력 어느 부분이

문제인지를 확인하여 이를 개선함으로써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도 더 많은 객을 수용할 수 있는 안을 찾을 수 있음

◈ 수용력 개선방안 사례

생태적 수용력

탐방로 : 노면 복토, 경사로 데크, 비법정탐방로 펜스 및 주의안내문,취약지점 노면포장 등

생태계교란식물/쓰레기 : 제거 및 수거(기업의 사회공헌 및 일반인사회봉사로 활용 가능)

녹지대 나지화/자연물 훼손: 비법정탐방로 출입 제한 강화, 중요보호지 및 훼손 취약지점 안내문, 휴식터화장실 등 기초시설 확대

모니터링 및 지표별 전문가 자문을 통한 개선계획 수립이행 등

물리적 수용력

탐방객 집중 구간 노폭 확장(환경영향 최소화) 야영장 및 대피소 등 탐방객 수용가능 시설 도입 등

사회심리적 수용력

비법정탐방로 양성화를 통한 탐방객 분산 탐방시간대의 다양화를 통한 조우 빈도 조절 등

운영 관리 수용력

이해관계자 협력 워크숍의 정례화를 통한 갈등 최소화 운영관리자 교육 및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전문성 제고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지역의 자립성 증진 등

- 지역별 환경 여건에 따라 개선방안이 다양하고 다소 난해하므로,

문가 등의 도움을 받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이 외에도 약탐방제 운 , 일일 약 객 수 제한, 약한

탐방코스․시간 외 출입 제한, 리․보호를 한 약 불가

기간 용 등 객 수를 직 조 하여 리하는 방법도 있음

○ 객 수용력 산출방법이 무 복잡하고 어렵다면 그 지역의

생태 운 경험치를 바탕으로 정한 수용력을 산출하여

객 리에 용하는 것도 가능함

- 50 -

제9절 안전 관리

1. 평상시 안전 관리 방안

○ 자체 안 리 계획을 수립하고, 생태 로그램 운 자는

사 에 안 리 교육 응 처치 교육을 이수하도록 함

- 로그램 운 자는 응 상황 발생시 비상연락망, 처요령 등에

해 숙지하고 있어야 함

○ 교육․체험 코스 곳곳에 구 약, 소화기 등을 구비하고, 운 자는

안 리 물품과 피로 등의 치를 잘 악해 두어야 함

○ 숙박시설 화재보험, 음식 배상보험 등 상치 못한 사고에

비하여 필요한 보험을 반드시 가입하여야 함

2. 프로그램 진행시 안전 관리 방안

○ 로그램을 시작하기 에 객을 상으로 안 사고 방을

한 사 교육을 반드시 진행하여야 함

○ 생태 객에게 로그램 운 책임자, 병원․소방서 등 유

기 의 연락처가 힌 비상연락망을 사 에 나 어주도록 함

○ 생태 객이 반드시 여행자 보험을 가입하도록 공지하여야 함

- 51 -

제4장 운영성과 분석 및 환류

제1절 생태관광지역 운영 모니터링

1. 지역사회 기반의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생태 지역은 DMZ와 같은 특수지역 뿐만 아니라 개발이 집 된

도시지역, 농 지역, 보 지역 등 다양한 용도의 지역에서 이루어

지므로,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필요함

- 이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자원 리, 객 리, 로그램

개발, 지역해설가 양성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음

- 가, 어떻게 유지․ 리할 것인지를 수립하여 지역주민, 시민

단체, 지자체 등 다양한 계자가 함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

◈ UNESCO의 지역중심 생태관광 모니터링 프로그램 - UNESCO(2001)는 지역중심 생태관광(CBE, Community-based Ecotourism)의 CBE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함 - CBE 모니터링은 마을의 경제와 사회 발전, 지역 문화와 자연자원의 보전 등에

대한 생태관광의 기여, 생태관광이 마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마을의 생태관광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역할에 관해 방법(Method), 기간(When), 주체(Who), 장소(Where)에 대한 모니터링 계획을 세우고 평가하는 프로그램임

※ 출처 : UNESCO(2001), MONITORING THE SUCCESS AND IMPACTS OF COMMUNITY BASED ECOTOURISM, A Manual for Ecotourism Guides and Managers

- 52 -

○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분야별 모니터링 체계를 만들 수 있음

자연생태자원의 보전

< 핵심지역 접근으로 인한 자연자원의 훼손 유무 및 정도 평가 > 토양 침식 정도(표토침식량을 통해 대상지 토양침식 정도 분석), 식생 훼손 정도, 수질오염 정도

주요 생물종의 군락지 또는 서식지 훼손 정도, 멸종위기종 등 주요 생물종의 개체군 변화

외래종 유입 정도 및 분포 범위의 변화 생태네트워크의 훼손 여부 및 보전< 자연자원의 중요성 및 보호를 위한 활동 지침 사전공지 유무 > 이용객 대상 지침 구비 유무 및 사전교육 실시 여부 지침 내용의 충실성 평가 이용객의 활동 지침 준수 여부 점검 체계 구축 여부< 대상지 보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유무 평가 > 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교재 내용의 충실성 및 구체성 평가

친환경적 시설물의 설계운영

< 시설물(기반시설 및 이용시설)의 생태적 설계 유무 및 운영 평가 > 자연친화적인 시설물 설계 및 건축 유무 평가 지속가능한 시설물 운영 계획 및 시행 평가< 환경수용능력 범위 내에서의 시설물 활용 및 관리 > 대상지 환경수용능력 평가의 적절성 평가 대상지 환경수용능력 범위 내에서의 이용 현황 평가 대상 시설물의 환경수용능력 적절성 평가 대상 시설물 환경수용능력 범위 내에서의 이용 현황 평가 대상지 및 대상 시설물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계획 및 운영 평가

자연생태와 지역문화와의 조화

< 지역의 생태·문화에 대한 프로그램 반영 여부 및 운영 평가 > 프로그램 내 대상지의 생태적·지역적 특성 반영 여부 생태적 특성과 지역문화 특성과의 조화 여부 지역문화 및 생태 특성이 반영된 운영 전략 평가

< 전문성 확보 및 품질 관리 등의 관리체계 구축과 운영 정도 >

지역전문가 및 해당 분야 전문가 풀 구축 여부 프로그램 운영 시 전문가 참여 현황 참여 전문가의 재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및 관리체계 평가 프로그램 품질관리를 위한 점검체계 평가 품질관리 점검 후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피드백 시스템 평가

장단기 보전 및 관리 전략

< 생태관광 품질유지를 위한 자체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운영 > 대상지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체계 평가 프로그램 참여 및 운영자의 능력 배양을 위한 평가시스템 구축 여부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시 운영실태 평가<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피드백 시스템 운영 평가 > 모니터링 결과 반영을 위한 피드백 시스템 운영 방안< 대상지 운영,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장·단기 운영전략 평가 > 생태관광 장·단기 운영전략 수립 여부 장·단기 운영전략의 지속가능성 평가

- 53 -

제2절 결과의 분석 및 환류 방안

1. 결과의 분석 및 환류

○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가 연말) 생태 운

성과를 평가하여 문제 과 개선 책을 분석하여야 함

- 가능하다면 평가․분석 결과를 다른 생태 지역과 공유․비교

하여 보다 건설 인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함

○ 평가․분석 결과는 다음 해의 생태 련 계획에 반 ․시행

하여 지속가능한 생태 이 이루어지도록 함

- 54 -

< 부록 1 > 환경부 생태관광지역 지정 현황(’15년 기준, 20개소)

시도 기초 생태관광지역20

부산(1) - 낙동강하구

광주(1) - 평촌 명품마을

울산(1) - 태화강

경기(1) 안산 대부동

강원(4)

양구 DMZ

인제 대암산 용늪

평창 백룡동굴

강릉 경포호와 가시연습지

충북(1) 괴산 산막이 옛길과 괴산호

충남(2)서산 천수만 철새도래지

서천 금강하구 및 유부도

전북(1) 고창 고인돌운곡습지

전남(3)

순천 순천만

신안 영산도

완도 상서 명품마을

경북(1) 울진 왕피천계곡

경남(2)창녕 우포늪

남해 앵강만

제주(2)제주시 동백동산습지

서귀포시 효돈천과 하례리

- 55 -

< 부록 2 > 국립공원 명품마을 지정 현황(’15년 기준, 14개소)

마을명 소재지국립공원 사무소

지정연도

위치정보

관매도 전남 진도 다도해서부 2010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길 37-1

내도 경남 거제 한려동부 2011 경남 거제시 일운면 내도길 2

신선(3개마을) 전북 무주 덕유산 2011 전북 무주군 설천면 신선길 51

상서 전남 완도 다도해해상 2011 전남 완도군 청산면 상동길 76-4

골뫼골(3개마을) 충북 제천 월악산 2011 충북 제천시 한수면 미륵송계로 1

함목 경남 거제 한려동부 2012 경남 거제시 남부면 함목길 3

평촌 전남 고흥 다도해해상 2012 전남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능가사로 292

영산도 전남 신안 다도해서부 2012 전남 신안군 흑산면 영산길 21

죽령 충북 단양 소백산북부 2012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길 9

평촌(3개마을) 광주 북구 무등산 2013 광주 북수 평촌길 15(충효동)

동고지 전남 여수 다도해해상 2014 전남 여수시 남면 안도리 동고지길 160

도원 전남 화순 무등산동부 2014 전남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711-3

달밭골 경북 영주 소백산 2014 경북 영주시 풍기읍 삼가로 710

만지도 경남 통영 한려동부 2015 경남 통영시 산양읍 만지길 3

- 56 -

< 부록 3 >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 지정 현황(’15년 기준, 10개소)

지정번호 양성기관명 지정날짜제2012-1호 북한산생태탐방연수원 ‘12.4.23

제2012-2호 서천조류생태전시관 ‘12.9.10

제2012-3호 (사)한국자연공원협회 ‘12.12.3

제2012-4호 (사)생태도시담양21 ‘12.12.7

제2013-5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13.8.2

제2013-6호 (사)제주생태교육연구소 ‘13.9.27

제2014-7호 경상남도환경교육원 ‘14.4.1

제2014-8호 고양생태교육센터 ‘14.4.24

제2015-9호 숲생태조경인재개발학원 ‘15.7.29

제2015-10호 국립생태원 ‘15.7.29

- 57 -

< 부록 4 > 보호지역, 멸종위기 야생생물 등 지정 현황

① 국제 보호지역 지정 황

○ UNESCO에서 지정하는 생물권보 지역과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

공원, 람사르습지, IUCN 보호구역 등이 있음

구분UNESCO

람사르습지 IUCN보호구역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목적생물다양성 보전 지속가능한 발전

인류의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

지질명소 보전, 환경친화적 개발

습지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

전세계 차원에서의 보호지역 관리

대상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주요

생물지리지역을 대표하는 생태계와

그 주변지역

과학, 보전, 자연 및 시각에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자연지구나 명확히 드러난 자연지역

국제적/과학적/경관적 지질명소를 지닌

지질현장을 포함하는 곳

식물학/동물학/육수학/수문학상 국제적으로

주요한 습지

생태계 보전 및 관리 목적을 성취하기에

충분한 규모를 지닌 곳, 직접적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곳, 보호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곳

조건

생물권보전지역의 세 가지 기능(보전/ 발전/지원) 충족 및 핵심/완충/전이지역

기능의 수행

생물학적/지질학적/지문학적/경관적

가치의 충족

지질다양성 보전과 환경친화적 개발 실현(지질명소

보전, 지질관광)

습지에 자연보호구설치,

연구/자료의 교환, 인력 양성

보호 등급

핵심-완충-전이지역 핵심-완충지역지질명소가 있는

핵심지역습지보호구역

엄정자연보전지역-야생원시지역-국립공원-자연기념물-종 및 서식지

관리지역-육상(해양)경관보호지역-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보호지역

보호 수준

핵심-행위제한,기타-활용

핵심-강한 행위제한

지질명소-행위제한, 기타-제한 無

보전 및 현명한 이용각 국가의 법률에 따라

적용

주관 부서

유네스코생태지구과학국

유네스코세계유산센터

유네스코생태지구과학국

람사르사무국 IUCN WCPA

신청홈페이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http://www.unesco.or.kr)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http://www.rrc-ea.

org/rrc.do)

세계자연보전연맹(http://www.iucn.

org)

지정지역

설악산(1982), 제주도(2002),

신안 다도해(2009), 광릉숲(2010),

고창생물권보전지역(2013)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

제주도 세계지질공원(2010)

대암산 용늪(1997), 우포늪(1998), 신안 장도 산지습지(2005), 순천만 보성갯벌(2006), 제주 물영아리오름습지(2006), 무제치늪(2007), 두웅습지 (2007), 무안갯벌(2008), 오대산국립공원 습지 (2008), 강화 매화마름 군락습지(2008), 제주 물장오리오름습지(2008), 제주 1100고지 습지

(2009), 서천갯벌(2009), 고창 부안갯벌(2010), 제주 동백동산 습지

(2011), 고창 운곡습지 (2011), 증도갯벌(2011), 한강밤섬(2012), 송도갯벌 (2014), 숨은물뱅듸(2015), 한반도 습지 (2015)

IUCN 카테고리 Ⅱ(국립공원) 인증:

설악산(2005), 지리산/오대산/월악산/

소백산(2007), 다도해해상/월출산/주왕

산/속리산(2009),

내장산/가야산/변산반도/치악산/한라산(2010),

한려해상(2011)

(총 5개소) (총 1개소) (총 1개소) (총 21개소) (총 15개 공원)

국제보호지역 개요(2015년 12월 기준)

- 58 -

○ UNESCO 생물권보 지역(BR)과 람사르 습지 지정 기 차는

다음과 같음

[UNESCO 생물권 보전지역(BR)]

개념: 생물권보전지역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이의 지속가능한 이용의 조화 방안을 모색하고, 과학적 지식, 기술,

인간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역임. 세계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규약에 따라 육상, 연안, 해양 생태계를

국제적으로 인정함

지정 기준1)

1. 인간 간섭의 점진적 변화를 포함하여 주요한 생물 지리학적 지역을 대표하는 생태계의 한 부분을 포괄하여야

한다.

2.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이 있어야 한다.

3. 지역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 실험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4. 생물권보전지역의 세 가지 기능(보전/발전/지원)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크기이어야 한다.

5. 적절한 구획을 설정하여 다음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생물권보전지역의 보전 목적 및 그 목적들을 충족할 만큼의 충분한 규모를 갖춘 법적으로 구성된 핵심지역

이나 장기적으로 보호되는 지역

보전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활동만이 수행되는 지역으로 핵심지역에 인접하거나 이를 둘러싸면서 명확히

구분되는 완충지대

지속가능한 자원의 관리 실행이 장려되고 발전되는 바깥의 전이지역

6. 생물권보전지역의 기능을 실행하고, 고안하는 데 관심이 있는 공공기관, 지역공동체, 그리고 민간인들이

적절한 범위 내에서 관여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조직적인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7. 아래와 같은 조항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완충지대에서 인간의 이용과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

생물권보전지역을 위한 관리 정책이나 계획

정책과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지정기관이나 메커니즘

연구, 모니터링, 교육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

지정 절차

각 지자체 및 단체에서 MAB 한국위원회

(환경부 훈령에 의해 국립공원관리공단 내 사무국이 설치 운영)에 신청서 제출

MAB 한국위원회에서 1차 심사를 통한 수정 보완

MAB 한국위원회 사무국에서 UNESCO MAB 사무국(프랑스 파리 UNESCO 본부)에

공식적으로 신청서 제출(매년 9월 30일까지 제출되어야 함)

UNESO 생물권보전지역 자문위원회가 개최되어 신규 신청한 지역 검토

(추가 자료 요청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음)

MAB 국제조정이사회(MAB-ICC)에서 후보지에 대한 생물권보전지역의 지정 여부를 최종 결정

1) 출처: UNESCO(1996) The Statutory Framework of the World Network of Biosphere Reserves. Article

- 59 -

[람사르습지]

개념

- 생태사회경제 문화적으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는 습지를 보전하고 현명한 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자연생태계인

습지를 범국가적 수준에게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당사국간에 합의된 기준에 따라 야생생물의 주요 서식지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하여 보호하도록 하며, 더불어 각 당사국 영토 내의 모든 습지를 되도록 현명하게

활용토록 권고함

- 람사르습지의 등록 등에 대해서는 물새 서식처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에 따름(물새 서식처로서 국제적

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을 람사르 협약 또는 습지에 관한 협약이라고 함)

지정기준

구분 정의 비고

Group

A

Criteria 대표적이며 희귀하거나 특이한 습지 유형

Criteria 1고유한 생물지리지역 내에서 자연적 혹은 자연에 가까운 상태를 갖는

대표적이며 희귀하거나 특이한 습지

Group

B

Criteria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Criteria 2취약(vulnerable)하거나 멸종위기(endangered)에 처해있거나, 혹은 위급

(critically endangered)한 종, 또는 위협받는 생물군이 존재하는 습지

Criteria 3특정 생물지리지역에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정 동식물이

존재하는 습지

Criteria 4life cycle 단계에서 위기 단계에 있는 동식물이 있거나, 불리한 조건이

존재하는 동안 피난처를 제공하기 위한 습지

Criteria 5 20,000마리 이상의 물새가 정기적으로 서식하는 습지물새에

근거한 기준Criteria 6 특정 물새의 종 또는 아종의 개체군 내 개체 1%가 유지되는 습지

Criteria 7

토착어류 아종, 종 또는 어족, life-history 단계, 중간 혹은 개체군

간의 상호작용이 습지의 이익 및 가치의 대표성을 나타냄으로써 지구의

생물다양성에 기여하는 습지 어류에

근거한 기준

Criteria 8어류 먹이의 원천, 산란장, 생육장 또는 회유성 어류의 이동경로가

되는 습지나 다른 서식지

Criteria 9특성 습지에 서식하는 조류를 제외한 동물종 또는 아종의 개체군

내 개체 1%가 유지되는 습지

개체군에

근거한 기준

출처: http://www.ramsar.org

- 9가지 기준 중 하나를 충족시키는 경우 람사르협약의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목록에 등록 가능함

- 당사국은 협약 가입시 람사르습지 목록에 포함할 습지를 적어도 1개 이상 지정해야 함

- 식물학상, 동물학상, 육수학상 또는 수문학상의 국제적 중요성에 따라서 선정

- 60 -

지정절차

국가의 수반 또는 외교부장관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목록에 등재할 최소한 1개 이상의 습지

지정을 명시하여 UNESCO 협약에 대한 가입서류를 제출

(각 당사국은 ‘그 영토 내에 있는 적합한 습지를 지정하여 목록에 포함시켜야 한다’(조항 2.1.))

지자체 또는 관계기관 등에서 환경부 또는 해양수산부에 신청 또는 의견 제출

우리나라 정부기관의 행정적 절차를 이행

(습지보전법 제9조에 따라 정부가 협약의 이행을 위하여 협약 사무국에 협약 등록 습지를 통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환경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은 습지보호지역 또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이에 상당하는 가치가 있는 습지 중에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통보대상습지를 정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정부 대표기관에서 승인하여 람사르협약 사무국에 등재 신청서 제출

검토 및 등재

- 갖추어야 할 요건: 람사르습지 정보양식 작성, 각 지정 습지 지역의 경계를 보여주는 지도

- 최초 람사르습지 등재 이후의 등재를 위한 서류는 람사르협약 사무국으로 직접 보내야 함. 추후 지정은 람사르

협약을 이행함에 있어 국가의 정부를 공식적으로 대표하는 행정당국 대표의 서명이 필요함

- 람사르습지로 지정되기 전에 법적인 보호구역으로 사전에 지정되어야 할 필요는 없음

지정현황: 160개국 1,960개소 1,901,742km2(2011년 10월 기준)

람사르습지와 관련된 국내법

- 습지보전법 제4조제2항에 환경부장관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습지의 보전개선이나 물새서식처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이하 “협약”이라 한다)의 이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당해 습지에 대하여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기초조사 외에 정밀조사를 따로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음

- 자연환경보전법 제35조(생태계 보전대책 및 국제협력)에 람사르협약의 이행에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음

- 61 -

② 국내 보호지역 지정 황

○ 우리나라는 총 13개의 법정보호지역이 법률에 근거하여 지정, 운 ,

리되고 있음

우리나라 법정보호지역 유형 및 현황(2015년 12월 기준)

부처 관계법령 보호지역 유형 개소수 면적(km2) 주무기관

환경부

자연공원법자연

공원

국립공원 21 6,656.2 환경부

도립공원 30 1,135.0 지자체

군립공원 27 237.8 지자체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야생생물특별보호구역 1 26.1 환경부

야생생물보호구역 379 947.7 지자체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특정도서 230 12.2 환경부

자연환경보전법생태 경관보전지역 9 241.6 환경부

시 도 생태 경관보전지역 24 41.9 지자체

습지보전법 습지보호지역 35 343.7

환경부 20,

해수부 11,

지자체 3

자연공원법 국가지질공원 7 6,215.1

국립공원

관리공단,

환경부

해양

수산부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해양(생태계)보호구역 10 252.5 해수부

해양환경관리법 환경보전해역 4 1,882.1 해수부

문화

재청문화재보호법

천연보호구역 11 409.18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205 1,107.7 문화재청

명승 109 796.8 문화재청

산림청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백두대간보호지역 1 2,751

산림청

(환경부 협의)

산림보호법

산림

보호

구역

산림유전자원 599 1,494.3

지방산림청,

지자체

생활환경 0.1

경관 201.7

수원함양 2,712.2

재해방지 47.2

계 1,702 27,514.08

- 62 -

○ 표 인 국내 보호지역 생태 과 련성이 깊은 생태경

보 지역과 국가지질공원의 내용과 차는 다음과 같음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변경 해제의 법적 근거: 자연환경보전법 제12조

개념: 생태적 희소성이 높아 국가 차원에서 지정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있거나 영향을

끼쳐서 하나의 시도에서 생태 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기 곤란한 지역, 중앙부처의 지원 없이 시 도 단독

으로 관리하기 곤란한 지역에 대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함(자연환경정밀조사 실시, 관리

기본계획 수립 시행 등)

종류

- 생태 경관핵심보전구역: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훼손방지를 위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

- 생태 경관완충보전구역: 핵심구역의 연접지역으로서 핵심구역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 생태경관전이보전구역: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에 둘러싸인 취락지역으로서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지정기준

- 자연 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

-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

※ 지정지역은 대통령령으로 규정

지정절차

대상지 선정

자연환경 정밀조사

지정계획 수립

관계중앙행정기관 협의

의견수렴(지역주민, 이해관계자, 지방자치단체장)

고시

지정현황: 33개 지역, 283.542km2

(환경부 지정: 9개소, 241.613㎢, 해양수산부 지정: 4개소, 70.373㎢, 2012년 12월 기준)

- 63 -

③ 멸종 기야생생물 목록

○ 「야생생물 보호 리에 한 법률」을 근거로 멸종 기 야생생물종을

지정하고 보호 리가 이루어지며, 멸종 기 야생생물종으로

지정된 생물종은 총 246종임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2015년 12월 기준)

구분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포유류(20종)

(11종)늑대, 대륙사슴, 반달가슴곰, 붉은박쥐, 사향노루, 산양, 수달, 스라소니, 여우, 표범, 호랑이

(9종)담비, 부산쇠족제비, 물개, 물범, 삵, 작은관코박쥐, 큰바다사자, 토끼박쥐, 하늘다람쥐

조류(61종)

(12종)검독수리, 넓적부리도요, 노랑부리백로, 두루미, 매, 저어새, 참수리, 청다리도요사촌, 크낙새, 흑고니, 황새, 흰꼬리수리

(49종)개리,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물떼새, 검은머리촉새, 검은목두루미, 고니, 고대갈매기, 긴꼬리딱새, 긴점박이올빼미, 까막딱다구리, 노랑부리저어새, 느시, 독수리, 따오기, 뜸부기, 먹황새, 부당새, 물수리, 벌매, 붉은배새매, 붉은해오라기, 뿔쇠오리, 뿔종다리, 새매, 새호리기, 섬개개비, 솔개, 쇠검은머리쑥새, 수리부엉이, 알락개구리매, 알락꼬리마도요, 올빼미, 재두루미, 잿빛개구리매, 조롱이, 참매, 큰고니, 큰기러기, 큰덤불해오라기, 큰말똥가리, 팔색조, 항라머리검독수리, 호사비오리, 흑기러기, 흑두루미, 흑비둘기, 흰목물떼새, 흰이마기러기, 흰죽지수리

양서류파충류(7종)

(2종)비바리뱀, 수원청개구리

(5종)구렁이, 금개구리, 남생이, 맹꽁이, 표범장지뱀

어류(25종)

(9종)감돌고기, 꼬치동자개, 남방동사리, 미호종개, 얼 룩 새 코 미 꾸 리 , 여울마자, 임실납자루, 통사리, 흰수마자

(16종)가는돌고기, 가시고기, 꺽저기, 꾸구리, 다득장어, 돌상어, 모래주사, 득납자루, 백조어, 버들가지, 부안종개, 열목어, 좀수수치, 칠성장어, 한강납줄개, 한득중개

곤충류(22종)

(4종)산굴뚝나비, 상제나비, 수염풍뎅이, 장수하늘소

(18종)깊은산부전나비, 꼬마잠자리, 노란잔산잠자리, 닻무늬길앞잡이, 대모잠자리, 두점박이사슴벌레, 멋조롱박딱정벌레, 물장군, 붉은점모시나비, 비단벌레, 쇠똥구리, 쌍꼬리부전나비, 애기뿔쇠똥구리, 왕은점표범나비, 창언조롱박딱정벌레, 큰수리팔랑나비, 큰자색호랑꽃무지,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무척추동물

(31종)

(4종)귀이빨대칭이, 나팔고등, 남방방게, 두드럭조개

(27종)갯게, 검붉은수지맨드라미, 금빛나팔돌산호, 기수갈고등, 깃산호, 대추귀고등, 둔한진총산호, 망상맵시산호, 밤수지맨드라미, 벽혹산호, 붉은발말똥게, 선침거미불가사리, 연수지맨드라미, 염주알다슬기, 울릉도달팽이, 유착나무돌산호, 의염통성게, 자색수지맨드라미, 잔가지나무돌산호, 장수삿갓조개, 착생깃산호, 참달팽이, 측맵시산호, 칼세오리옆새우, 해송, 흰발농게, 흰수지맨드라미

육상식물

(77종)

(9종)광롱요강꽃, 나도풍란, 만년콩, 섬개야광나무, 암매, 죽백란, 털복주머니란, 풍란, 한란

(68종)가시연꽃, 가시오가피나무, 각시수련, 개가시나무, 개병풍, 갯봄맞이꽃, 구름병아리난초, 금자란, 기생꽃, 끈끈이귀개, 나도승마, 날개하늘다리, 넓은잎제비꽃, 노랑만병초, 노랑붓꽃, 단양쑥부쟁이, 닻꽃, 대성쓴풀, 대청부채, 대홍란, 독미나리, 매화마름, 무주나무, 물고사리, 미선나무, 백부자, 백양더부살이, 백운란, 복주머니란, 분홍장구채, 비자란, 산작약, 삼백초, 서울개발나물, 석곡, 선제비꽃, 섬시호, 섬현삼, 세뿔투구꽃, 솔붓꽃, 솔잎란, 순채, 애기송이풀, 연잎꿩의다리, 왕제비꽃, 으름난초, 자주땅귀개, 전주물꼬리풀, 제비동자꽃, 제비붓꽃, 제주고사리삼, 조름나물, 죽절초, 지네발란, 진노랑상사화, 차걸이란, 초령목, 층층등굴레, 콩짜개란, 큰바늘꽃, 탐라란, 파초일엽, 한라솜다리, 한라송이풀, 해오라비난초, 홍월귤, 황근

해조류(2종)

-(2종)그물공말, 삼나무말

고등균류(1종)

-(1종)화경버섯

출처: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

- 64 -

○ 천연기념물에서도 동물, 식물을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천연

기념물로 지정된 동물은 101건, 식물은 261건에 달함

천연기념물 중 동식물 목록(2015년 8월 기준)

구분 천연기념물

동물(101건)

동물 서식지(11) : 광릉 크낙새 서식지, 제주 무태장어서식지, 정선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금강의 어름치,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제주 연안 연산호 군락,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부여 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동물 도래지(6) : 진도 고니류 도래지, 울산 귀신고래회유해면,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철원 철새 도래지, 한항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동물 번식지(14) :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 여주 신접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무안 용월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 번식지,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슴새,칼새)번식지,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 번식지,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바다제비,슴새) 번식지, 옹진 신도 노랑부리백로와 괭이갈매기 번식지,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번식지, 강화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동물 조류(46) : 크낙새, 따오기, 황새, 먹황새, 고니류, 고니, 큰고니, 혹고니, 두루미, 재두루미, 찰색조, 저어새류, 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 느시, 흑비둘기, 흑두루미, 까막딱따구리, 수리류,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매류,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매, 황조롱이, 올빼미 부엉이류,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기러기류, 개리, 흑기러기, 검은머리물떼새, 원앙, 노랑부리백로, 뜸부기, 두견, 호사비오리, 호사도요, 뿔쇠오리, 검은목두루미 동물 포유류(7) : 사향노루, 산양, 하늘다람쥐, 반달가슴곰, 수달, 점박이물범, 붉은박쥐 축양동물(7) : 진도의 진돗개, 연산 화악리의 오계, 제주의 제주마, 경산의 삽살개, 경주개 동경이, 제주 흑우, 제주흑돼지 동물 어류(4) : 한강의 황쏘가리, 어름치, 미호종개, 꼬치동자개 동물 곤충(3) : 장수하늘소, 산굴뚝나비, 비단벌레 파충류(1) : 남생이 해양동물(2) : 해송, 긴가지해송

식물(261건)

노거수(169) : 은행나무 22건(양평 용문사, 서울 문묘, 울주 구량리, 영월 하송리, 금산 요광리, 괴산 읍내리, 강릉 장덕리, 원주 반계리, 안동 용계리, 영동 영국사, 선산 농소리, 금릉 조룡리, 청도 대전리, 의령 세간리, 화순 야사리, 강화 볼음도 , 부여 주암리, 금산 보석사, 강진 성동리, 청도 적천사, 함양 운곡리, 담양 봉안리), 느티나무 18건(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청송 신기리, 영풍 단촌리, 영풍 태장리, 안동 사신리, 양주 황방리, 원성 대안리, 김제 행촌리 , 남원 진기리, 영암 월곡리, 담양 대치리, 괴산 오가리, 장수 봉덕리, 함양 학사루 , 장성 단전리, 의령 세간리 현고수, 대전 괴곡동), 소나무 15건(보은 속리 정이품송, 합천 화양리, 예천 천향리 석송령, 영월 청령포 관음송, 속초 설악동, 보은 서원리 , 함양 목현리 구송, 의령 성황리, 이천 도립리 반룡송, 괴산 적석리, 장수 장수리 의암송, 거창 당산리 당송, 지리산의 천년송, 문경 대하리, 하동 축지리 문암송), 백송 5건(서울 재동, 서울 수송동, 고양 송포, 예산 용궁리, 이천 신대리), 반송 6건(무주 삼공리, 문경 화산리 , 상주 상현리,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시송, 구미 독동리, 영양 답곡리 만지송), 곰솔 6건(제주 산천단 곰솔 군, 부산 좌수영성지, 전주 삼천동, 장홍 옥당리 효자송, 해남 성내리 수성송, 제주 수산리), 처진 소나무 4건(청도 운문사 , 청도 동산리, 울진 행곡리, 포천 직두리 부부송), 향나무 10건(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 울진 후정리, 창덕궁, 양주 양지리, 서울 선농단, 울진 화성리, 청송 장전리,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연기 봉산동, 천안 양령리), 이팝나무 6건(순천 평중리, 고창 중산리, 김해 신천리, 진안 평지리, 양산 신전리, 김해 천곡리), 회화나무 5건(인천 신현동, 당진 삼월리, 월성 육통리, 함안 영동리, 창덕궁), 굴참나무 4건(울진 수산리, 서울 신림동, 안동 대곡리, 강릉 산계리), 후박나무 4건(진도 관매도, 남해 창선도, 통영 추도, 장흥 삼산리), 매실나무 4건(강릉 오죽헌, 구례 화엄사, 장성 백양사, 순천 선암사), 푸조나무 3건(강진 사당리, 장흥 어산리, 부산 좌수영성지), 비자나무 3건(강진 삼인리, 진도 상만리, 사천 성내리), 왕버들 4건(청송 관리, 김제 종덕리, 청도 덕촌리, 광주 충효동), 음나무 3건(창원 신방리, 청원 공북리, 삼척 궁촌리), 등나무 2건(경주 오류리, 서울 참청동), 망개나무 2건(보은 속리산, 제원 송계리), 팽나무 2건(예천 갑곶리, 강화 사기리), 청실배나무 2건(진안 은수사, 정읍 두월리), 물푸레나무 2건(파주 무건리, 화성 전곡리), 무궁화 2건(강릉 방동리, 옹진 백령도 연화리), 전무나 2건(진안 천황사, 합천 해인사 학사대), 산돌배 2건(울진 쌍전리, 영양 무창리), 노거수 단목 30건(구례 화엄사 을벚나무,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부산 양정동 배릉나무,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등) 수림지(24) : 완도 주도 상록수림, 울주 목도 상록수림,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부산 범어사 등나무 군락,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울릉 성인봉 원시림,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 군락지,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제주 납읍리 난대림,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제주 천제연 난대림, 제주 천지연 난대림, 가지산 철쭉나무군락,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 화순 개천사 비자나무 숲, 광양 옥룡사 동백나무 숲, 제주 물장오리 오름 마을숲(23) :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완도 예송리 상록수림,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원성 성남리 성황림,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함양상림, 광양읍수와 이팝나무, 삼척 갈전리 당숲, 부산 구포동 당숲,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담양 관방제림, 성주 경산리 성밖숲,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의성 사촌리 가로숲, 하동 송림, 포항 북송리 북천수, 예천 금당실 송림, 안동 하회마을 만송정 숲, 영양 주사골 시무나무와 비술나무 숲, 보성 전일리 팽나무 숲, 영덕 도천리 도천숲 희귀식물(19) :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 섬잣나무 및 너도밤나무군락,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태안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제주의 한란, 괴산 추점리 미선나무 자생지, 괴산 율지리 미선나무 자생지, 괴산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자생지, 부안 미선나무 자생지,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완도 대문리 모감주나무군락,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 자생지(13) :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소백산 주목군락, 안동 구리 측백나무 숲, 통영 욕지면 모밀잣밤나무 숲,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양구 개느삼 자생지 분포한계지(13) :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자생북한지, 내장산 굴거리나무 군락,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 65 -

< 부록 5 > 생태관광 준비 운영 체크리스트

구 분 기 준 평 가

준비

1. 지역의 주민, 전문가, 시민단체, 지역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가 구성되어 있는가? □ 상 □ 중 □ 하

1) 정기적인 모임을 개최하고, 필요시 상시적인 논의도 가능한가? □ 상 □ 중 □ 하 2) 갈등조정을 위한 내부규정이 마련되었거나 갈등관리자가 있는가? □ 상 □ 중 □ 하 3) 지역협의체가 장기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득 구조가 마련되었는가? □ 상 □ 중 □ 하 4) 협의체 내 공동소득의 일정 비율(1~10%)을 자연보전활동 및 주민 복지에

재투자하도록 약속한 내부규정이 있는가? □ 상 □ 중 □ 하

2. 생태관광에 적합한 생물자원, 생태계경관자원, 무생물자원이 조사되었는가? □ 상 □ 중 □ 하

운영관리

1. 생태관광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중장기 전략 및 로드맵을 마련하였는가? □ 상 □ 중 □ 하

2. 법정보호지역, 희귀 야생동식물, 경관자원을 보유하고 있는가? □ 상 □ 중 □ 하 1) 보호종의 서식처가 잘 보전되고 복원되었는가? □ 상 □ 중 □ 하 2) 보전가치에 따라 핵심완충전이지역을 구분하여 이용계획을 세웠는가? □ 상 □ 중 □ 하3. 지역의 자연, 문화 가치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보호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는가? □ 상 □ 중 □ 하

1) 지역 고유의 전통지식과 문화역사환경을 잘 연계하였는가? □ 상 □ 중 □ 하 2) 관광객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였는가? □ 상 □ 중 □ 하 3) 프로그램 체험 후 설문을 위한 만족도 조사지가 준비되었는가? □ 상 □ 중 □ 하 4) 계층별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가? □ 상 □ 중 □ 하4. 지역의 생태관광 전문인력이 확보되었는가? □ 상 □ 중 □ 하 1) 생태관광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태관광 운영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는가? □ 상 □ 중 □ 하

2) 생태관광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는가? □ 상 □ 중 □ 하5. 생태관광지역을 훼손하지 않고 탐방, 학습 보호 등을 지속할 수 있는 보전

이용시설이 조성되어 있는가? □ 상 □ 중 □ 하

1) 최소한의 탐방시설, 안내해설판, 관찰연구시설, 체험시설 등이 있는가? □ 상 □ 중 □ 하 2) 친환경 설계기법을 적용하였는가? □ 상 □ 중 □ 하 3) 취약계층을 배려하여 시설을 설계하였는가? □ 상 □ 중 □ 하 4) 대중교통과의 연계,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 지역 내 순환버스 등 친환경

교통망을 구축하였는가? □ 상 □ 중 □ 하

6. 생태관광과 연계한 지역주민 일자리 및 소득 창출방안이 강구되었는가? □ 상 □ 중 □ 하 1) 지역에서 생산되는 향토음식과 특산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먹거리를 개발

하였는가? □ 상 □ 중 □ 하

2) 음식 네이밍, 포장재 디자인, 브로셔리플렛 배포 등 브랜드를 창출하여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는가? □ 상 □ 중 □ 하

3) 체류형 생태관광객 유치를 위한 숙박사업을 발굴하였는가? □ 상 □ 중 □ 하7. 환경부 홈페이지 및 블로그에서 해당 지역의 생태관광 정보가 충분히 제공

되고 있는가? □ 상 □ 중 □ 하

1)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홍보를 폭넓게 하고 있는가? □ 상 □ 중 □ 하8.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 관광객 수용력을 산출하였는가? □ 상 □ 중 □ 하 1) 수용력에 기반하여 관광객 수를 조절관리하고 있는가? □ 상 □ 중 □ 하9. 자체 안전관리 계획 수립 등 책임 있는 생태관광 운영을 하고 있는가? □ 상 □ 중 □ 하 1) 생태관광 운영인력은 안전관리 교육 및 응급처치 교육을 이수하였는가? □ 상 □ 중 □ 하 2) 유관기관과 비상연락망이 구축되어 있는가? □ 상 □ 중 □ 하 3) 생태관광 코스마다 구급약, 소화기 등을 구비하고 있는가? □ 상 □ 중 □ 하 4) 숙박시설 화재보험, 음식점 배상보험 등이 가입되어 있는가? □ 상 □ 중 □ 하 5) 생태관광 프로그램 시작 전에 관광객을 대상으로 안전사고 예방 교육을

진행하는가? □ 상 □ 중 □ 하

6) 생태관광 프로그램 시작 전에 관광객들에게 프로그램 운영 책임자, 병원소방서 등 유관기관의 연락처가 적힌 비상연락망을 배포하는가? □ 상 □ 중 □ 하

7) 생태관광객이 여행자 보험을 각자 가입하도록 공지하는가? □ 상 □ 중 □ 하

성과 분석

1. 자연생태자원의 보전, 친환경적 보전이용시설 운영 등에 대해 지역주민, 지자체, 시민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는가? □ 상 □ 중 □ 하

2. 매년 말 생태관광의 운영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다음 해의 계획에 반영하는가? □ 상 □ 중 □ 하

※ 이 체크리스트는 본 가이드라인에서 안내한 내용들을 한눈에 체크해 볼 수 있도록 요약한 표입니다.

- 66 -

< 부록 6 > 생태관광객 만족도 조사 예시

1. 생태관광객 만족도 조사(성인용)

우리 지역 생태관광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조사는 생태관광에 참여하신

분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개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중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대표기관명(전화번호)

1. 평소 생태관광에 대해 얼마나 관심이 있습니까?

① 매우 관심 있음 ② 약간 관심 있음 ③ 별로 관심 없음 ④ 전혀 관심 없음

2. 이번 생태관광 프로그램은 어떻게 알게 되었습니까?

① 주변 사람의 권유 ② 언론매체(TV, 라디오, 신문, 잡지) ③ 인터넷, SNS

④ 현장에서의 홍보 ⑤ 기타

3. 이번 생태관광에 참가하기 전에 다른 지역의 생태관광이나 자연해설 프로그램 등

유사한 프로그램에 참가해 본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4. 이번 생태관광지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응답해 주십시오.

전혀아니다 아니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자연환경이 우수하다. ① ② ③ ④ ⑤

2) 프로그램/해설이 풍부하고 교육적이다. ① ② ③ ④ ⑤

3) 지역주민과 교류할 기회가 많다. ① ② ③ ④ ⑤

4) 특색 있는 먹거리, 즐길거리, 살거리가 있다. ① ② ③ ④ ⑤

5) 식당, 숙소, 화장실 이용에 불편이 없다. ① ② ③ ④ ⑤

5. 이번 생태관광의 세부프로그램별 만족도를 표시해 주십시오.

전혀아니다 아니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세부 프로그램명 1 ① ② ③ ④ ⑤

2) 세부 프로그램명 2 ① ② ③ ④ ⑤

3) 세부 프로그램명 3 ① ② ③ ④ ⑤

- 67 -

5. 이번 생태관광에 대해 다음 사항을 각각 응답해 주십시오.

전혀아니다 아니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예약 등 생태관광 참여를 위한 신청

과정은 편리했습니까?① ② ③ ④ ⑤

2) 생태관광 참여 후 환경과 자연의 소중함에 대한 생각의 변화가 있습니까?

① ② ③ ④ ⑤

3) 오늘 방문한 생태관광지역을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습니까?

① ② ③ ④ ⑤

4) 향후 이곳으로 생태관광을 다시 오거나 다른 생태관광지를 방문할 의사가 있습니까?

① ② ③ ④ ⑤

6. 이번 생태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표현해 주십시오.

0점 1점 2점 3점 4점 5점 6점 7점 8점 9점 10점

불만족 보통 만족

7. 이번 생태관광에서 느낀 점, 만족하는 점, 불만족스러운 점, 개선할 점, 기타 의견이

있으면 자유롭게 말씀해 주십시오.

※ 생태관광객에 대한 기초조사를 위한 항목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표시해 주십시오.

1) 성별 ① 남 ② 여 □ 연락처 :

2) 연령 ① 10대 이하 ② 20대 ③ 30대 ④ 40대 ⑤ 50대 이상

3) 함께 참여한 그룹① 개인 ② 가족(자녀 동반) ③ 가족(자녀 미동반) ④ 친구⑤ 학교 ⑥ 직장/동호회 등 단체 ⑦ 기타(_______________)

4) 학력 ① 고졸 미만 ② 고졸 ③ 전문대졸 ④ 대졸 ⑤ 대학원졸 이상

5) 직업① 초등학생(취학 전 아동 포함) ② 중고등학생 ③ 대학생 이상④ 경영/관리/전문직 ⑤ 사무직 ⑦ 자영업 ⑥ 서비스/판매/영업직⑧ 농/림/수산업 ⑨ 생산직 ⑩ 주부 ⑪ 기타

6) 여행 목적① 자연 속 휴식 ② 개인 체험학습 ③ 단체 체험, 수학여행④ 기타(구체적으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68 -

2. 생태관광객 만족도 조사(어린이용)

‘○○○○○ ○○○○(프로그램명)’ 재미있었나요?

아래 질문을 읽고 이번 생태관광을 하면서 느낀 곳에 색칠해 보세요.

질문 내용 좋아요! 보통이요! 별로예요!

1) 오늘 참여한 생태관광 프로그램 ‘○○○○○

○○○○’이 즐거웠나요?

2) 자연의 소중함에 대해 알게 되었나요?

3) 해설사 선생님의 이야기가 알아듣기 쉬웠나요?

4) 앞으로 자연환경과 문화자원을 보호하겠다는

약속을 잘 지킬 것인가요?

5) 다음에도 생태관광에 참여하여 환경에 대해

알고 싶나요?

6) 이번에 참여한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친구나

동생들에게도 소개해주고 싶나요?

이번 생태관광에 참여하면서 느낀 점(나의 다짐)을 그림이나 글로 표현해 보세요.

[ 생태관광 운영 관련 자문 문의처 ]

환경부 자연정책과 044-201-7222/7228

(사)한국생태관광협회 070-4171-9656

국립공원관리공단(명품마을 담당) 02-3279-2801

국립공원관리공단(자연환경해설사 담당) 02-3279-2981

[ 참고자료 ]

생태관광자원 이용 · 관리 기술 개발(’14.4, 환경부)

생태관광 정책포럼(’15.7,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