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25
해외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1 - 케냐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1. 일반 개황 2. 환경 조직 및 정책 3. 환경 시장 동향 4. 진출 방안 케냐 주요 도시들의 저소득층 지역은 여전히 환경 인프라 시스템 도입이 미흡하여 폐기물 및 수처리 시설의 보급률이 낮음 케냐는 심각한 물 부족 국가이고 최근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다양한 환경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환경산업 분야별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수행함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번영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 케냐정부는 'Vision 2030' 이라는 계획 마련 및 시행에 따라 환경 전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고 환경에 대한 효과 적인 정책을 수행하고 관리체계를 마련하고자 함. Vision2030에 의해, 정부는 도시지역의 물 공급을 위한 파이프 수도관 설치 및 물 사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사업에 집중 투자할 예정임. 2014년~2015년 환경시장 분야에 5.8억 달러를 집중 투자할 전망임 최근 케냐에서 전기전자 폐기물 관련 환경기준 마련이 진행되고 있어 전기전자 폐기물관리 서비스 진출 가능성이 밝을 것으로 예상됨. 전기전자 폐기물 관련 환경기준이 입법될 경우, 고급 사양의 환경 친화적 전자제품 제조가 가능한 우리나라로서 수출확대 기회와 아울러 전기․전자 폐기물 처리시설 진출 가능성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Key Word] 케냐 환경문제, 케냐 주요 환경정책, 케냐 물·폐기물산업 현황 및 전망, 환경 시장진출기회

Upload: others

Post on 06-Sep-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해외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 1 -

케냐 환경시장 분석 보고서

1. 일반 개황

2. 환경 조직 및 정책

3. 환경 시장 동향

4. 진출 방안

케냐 주요 도시들의 저소득층 지역은 여전히 환경 인프라 시스템 도입이 미흡하여 폐기물 및 수처리 시설의 보급률이 낮음케냐는 심각한 물 부족 국가이고 최근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다양한 환경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환경산업 분야별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수행함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번영하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 케냐정부는 'Vision 2030' 이라는 계획 마련 및 시행에 따라 환경 전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고 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을 수행하고 관리체계를 마련하고자 함. Vision2030에 의해, 정부는 도시지역의 물 공급을 위한 파이프 수도관 설치 및 물 사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사업에 집중 투자할 예정임. 2014년~2015년 환경시장 분야에 5.8억 달러를 집중 투자할 전망임최근 케냐에서 전기전자 폐기물 관련 환경기준 마련이 진행되고 있어 전기전자 폐기물관리 서비스 진출 가능성이 밝을 것으로 예상됨. 전기전자 폐기물 관련 환경기준이 입법될 경우, 고급 사양의 환경 친화적 전자제품 제조가 가능한 우리나라로서 수출확대 기회와 아울러 전기․전자 폐기물 처리시설 진출 가능성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Key Word] 케냐 환경문제, 케냐 주요 환경정책, 케냐 물·폐기물산업 현황 및 전망, 환경 시장진출기회

케냐

- 1 -

[그림 1] 케냐 지도

1 일반 개황

1.1. 국가 개요1)

지리적 위치 아프리카 대륙 동부에 있는 국가로 적도가 중앙부근을 지나며, 남동쪽으로 인도양, 동쪽으로 소말리아, 북쪽으로 에티오피아와 수단, 남쪽으로 탄자니아, 서쪽으로는 우간다와 접함수도 나이로비(Nairobi)면적 580천 km2(한반도의 약 2.6배)인구 44백만 명민족 키쿠유족 22%, 루야족 14%, 루오족 13%, 칼렌진족 12% 등 40여개 종족언어 영어, 스와힐리어종교 개신교 45%, 로마가톨릭교 33%, 이슬람교 10%, 토착종교 10%부존자원 석회암, 소다, 형석, 소금도시 행정구역은 7개주(province)와 1개 행정구(area)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요도시는 나이로비(Nairobi), 나쿠루(Nakuru), 말린디(Malindi), 몸바사(Mombasa), 엘도레트(Eldoret), 키수무(Kisumu)가 있음역사 및 현황 케냐의 내륙 지방은 19세기까지 세계에 거의 등장하지 않음. 케냐 최초의 기록은 수세기 동안 남부 아라비아와 교역을 했던 해안선에 관한 내용이 전부였음. 1890년에는 영국의 보호령, 1920년에는 직할 식민지가 되었고, 영국령 동아프리카 회사에 의해 상권을 장악당함. 1950년대에는 케냐에서 유럽인을 쫓아내기 위해 키쿠유족이 일으킨 마우마우단의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 비상사태는 1960년대 초까지 이어졌음. 1963년 케냐는 독립하였고 1년 후에는 공화국을 수립함. 초대 대통령은 조모 케냐타였으며 이 시기의 케냐는 정치적으로 안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도 이룩하게 됨. 1978년에는 다니엘 아라프 모이가 대통령이 되었고, 그는 1988년에 이르1) 2014 세계 국가편람,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위키백과 www.wikipedia.org / 지식백과 www.naver.com

케냐

- 2 -

러 의회보다 집권당의 권한을 강화하고, 스스로의 직권도 강화시킴. 2013년 3월 케냐 총선에서 우후루 케냐타가 당선됨. 우후루 케냐타 신입 대통령은 경제 활성화 및 사회 안정을 가장 큰 해결과제로 제시하고 이전 연합정부가 운영하던 44개 부처의 정부조직이 국가예산 낭비의 원상으로 지명, 18개 부처로 과감하게 축소함 기후 적도 지역에 위치한 국가이나 열대의 해안 지대부터 사바나 초원, 반(半)사막2), 고산 기후 지대에 이르기까지 지역에 따라 다양한 기후를 보임. 연평균 기온은 해안 지방이 20.5℃~32℃, 내륙 지방이 9.5℃~23.6℃임. 고원 지방 및 서부는 강우가 풍부하고 북부는 건조함통화3) 케냐실링(KSh)이라는 화폐단위를 사용하며, 2013년 평균 환율은 1달러에 85케냐실링임. 최근 환율은 1달러에 87.7케냐실링임(2014년 7월 기준)비지니스 매너4) 현지에서 비즈니스 상담 시 복장이 중요한 역할을 함. 대부분의 비즈니스맨은 넥타이 차림 복장이며, 복장을 통해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고 대접을 받을 수 있음. 특히 관공서 방문 시에는 정장 넥타이 차림은 필수적임케냐인들은 시간관념이 대체로 적은 편이고, 약속시간을 지키는 경우가 매우 드물며 시간이 지체되어 만나도 가족 안부부터 날씨에 이르기까지 비즈니스 본론으로 들어가기까지 많은 시간을 할애함. 한국인의 특성과는 반대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케냐인들과 원활한 비즈니스 수행을 하기 어려움케냐의 치안은 매우 불안정하고 살인, 총기 무장 강도, 몸값을 노린 납치 등 강력범죄가 빈발함. 특히 차량정체가 심한 나이로비 시내에서는 신호 대기 중 소지품을 강탈해 가는 사건이 자주 발생함. 때문에 현금을 너무 많이 가지고 다니거나 야간에 외출하는 것은 피해야 함또한 케냐에서는 말라리아 등의 질병이 자주 발생함. 지대가 낮은 몸바사 등을 방문할 때는 반드시 예방약을 복용하도록 함. 수돗물 대신 광천수를 마시고 아이스크림, 얼음, 야채 등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음2) 완전 사막과 사바나 또는 완전 사막과 완전 초원의 사이에 있는 사막 3) 케냐 중앙은행, 환율정보(www.centralbank.go.ke)4) 글로벌 윈도우(www.globalwindow.org), kotra

케냐

- 3 -

1.2. 경제 및 사회적 특성5)

『산업구조, 사회적 문제점, 경제지표, 경제현황, 경제전망』가계 소비 강세, 석유 및 석탄 생산 설비 확충, 공공인프라 개발 사업 수요 확대 등의 영향으로 케냐 경제의 성장률이 2014년 6.2%로 강화될 것으로 예상함. 케냐 GDP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서비스 부문의 성장 지속도 케냐 경제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평가함

산업 구조 서비스업 61%, 농림수산업 24.2%, 제조업 14.8%사회 현황 케냐의 사회는 여러 인종이 혼재하는 다인종 사회의 특색을 지니고 있음. 인도인·파키스탄인·유럽인· 아랍인 등의 비(非)아프리카인이 도시지역에 집중하여 살고 있으며 이들의 사회·경제적인 영향력이 큼정부예산의 약 40%가 교육비에 지출되고 있으며, 1979년 이래 초등학교 8년은 의무교육이 실현됨. 2004년 기준, 성인의 문자해독률이 남자의 경우 약 78%, 여성의 경우 70%에 이르러 아프리카에서 상위권에 속함. 그러나 케냐의 독자적인 교육체제는 아직 미흡한 상태임

5) The World Factbook(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 2014 세계 국가편람,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GDP(purchasing power parity) $79.9 billion

GDP(official exchange rate) $45.3 billion

GDP(real growth rate) 5.1%

GDP - per capita(PPP) $1,800

Inflation rate(consumer prices) 5.8%

Current account balance -$4.495 billion

Exports $6.58 billion

Imports $15.86 billion

(출처 : The world factbook)

[표 1] 케냐 주요 경제지표(2013년 추정치)

『가계소비 강세,

공공인프라 개발사업 확대

등으로

‘14년 경제성장률

6.2%로 상승 예상됨』

케냐

- 4 -

사회적 문제점 케냐는 에이즈(AIDS)가 여전히 심각한 사회 문제이지만, 국제사회의 지원 및 정부의 노력으로 감염자 (15세~49세 성인 기준) 비율이 점차 감소하여 2010년에 6.2%로 낮아짐. 케냐 정부는 보건 등 사회 분야 개선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나, 재정 문제로 인해 보건 분야는 전체 정부 지출의 약 7%에 불과함케냐의 빈부 격차는 매우 크고 식량난이 더욱 심각해져 빈민층의 상황이 더욱 악화되는 추세임. 유엔개발계획(UNDP)이 평균수명, 문맹률, 1인당 국내총생산(GDP) 등을 평가하여 2009년 발표한 인간개발지수(HDI) 순위에서 케냐는 182개국 중 147위를 기록함경제적 특징6) 케냐의 경제추진 원동력은 케냐 중장기 발전 마스터플랜으로 발표한 “Vision 2030”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음. “Vision 2030”은 경제, 사회, 정치 발전을 케냐 중장기 발전의 3대 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10%의 경제성장, 평등하고 갈등 없는 사회발전, 인간중심의 정치체제 발전을 궁극적인 목표로 함. 이를 위해 빈곤해소를 위한 부의 창출 기회 확대, 사회간접자본 발전, 안정적인 에너지자원 확보, 과학기술 혁신, 국토개발, 인적자원 개발, 위험 없는 사회, 공공서비스 증대를 세부 프로그램으로 추진하고 있음주요 교역 현황수출품 : 홍차, 원예 생산물, 커피, 석유제품, 어류, 시멘트수출국 : 우간다 10.3%, 탄자니아 10%, 네덜란드 7.7%, 영국 7.2%, 케냐 6.3%, 이집트 4.8% 수입품 : 기계 및 운송장비, 석유제품, 자동차, 철강수입국 : 인도 20.9%, 중국 15.4%, UAE 9.8%, 사우디아라비아 6.9%

6) 글로벌 윈도우(www.globalwindow.org), kotra

『빈부의 격차 매우 크고

식량난이 심각

중장기 발전 마스터플랜

“Vision 2030” 발표

경제추진 원동력으로

프로그램 진행』

케냐

- 5 -

경제 현황7) 케냐의 인구증가 추세(연 2.4%)로 볼 때, 투자확대는 실업해소를 위한 고용창출 및 지속적 경제성장에 필수적이며, 매년 50만 명에 달하는 신규 노동력 흡수를 위해서는 향후 10년간 매년 7~8%의 높은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루어 내야 함. 이에 내·외국인 투자확대가 절실한 상황임케냐투자진흥청(KenInvest)은 투자인정 기준을 10만 달러 수준으로 조정하여 외국인 투자유치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나이로비 주식 시장에 등록된 회사에 대해 외국인이 최대 75%의 지분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자본 시장관리법’을 개정·시행함4대 대통령 당선자 우후루 케냐타는 선거전부터 케냐의 경제적 성장 원동력으로 제조업 활성화를 주장, 2012년 부터 추진해온 경제특별구역법안(Special Economic Zone Bill 2012)를 2013년 상반기 내 법제화함. 경제특별구역법안의 목표는 국내외로부터 기술유입 및 투자의 촉진을 위한 수단으로 경제 성장과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개발의 도구로서 역할을 함경제 전망8) 대규모 인프라 개발 사업에 대한 재정 지출 확대와 공공 부문의 가파른 임금 인상 등이 야기한 취약한 재정 여건 역시 케냐 경제가 직면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평가함. 2013년 기준 케냐의 재정 수지 적자 규모는 GDP 대비 5.8%에 이르고 있으며, 공공 부채 역시 GDP 대비 49.4%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음. 다만, 세제 개혁을 통한 재정 수입 증가로 인해 2014년 케냐의 재정 수지 적자폭이 GDP 대비 4% 수준으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함

7) 8) 글로벌 윈도우(www.globalwindow.org), kotra

케냐

- 6 -

2 환경 조직 및 정책9)

2.1. 환경 행정조직 및 체계

『주요 환경조직, 환경담당 정부 기관, 환경 총괄, 환경 권한위임 기관』

【 주요 환경 조직 】§ 환경 정부기관 : 환경·물·자연자원부(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and Natural Resources)§ 환경 권한위임기관

- 국가환경관리기관(Na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Authority, NEMA)

- 국가환경협회(Natural Environment Council)- 지방환경위원회(Provincial and District Environment

Committee)Ÿ 케냐의 행정조직은 지방정부자치부, 정권이양기획부, 국방부,

외교부, 교육부, 보건부, 국토교통부, 정보통신기술부, 환경·물·자연자원부, 주택도시개발부, 문화·체육예술부, 노동사회안전부, 에너지부, 농수산부, 산업발전부, 상업관광부, 광업부 등으로 구분됨

Ÿ 케냐 환경·물·자연자원부는 지속가능한 환경 구축을 목표로 환경 정책 및 계획을 제시하고 환경관리에 대한 기술개발 및 연구를 수행하는 행정 조직임

Ÿ 국가 환경관리기관은 환경과 관련한 사항의 감독을 담당함

9) 케냐정부 홈페이지 http://www.environment.go.ke Environmental laws in Kenya(SUSBIZ Kenya)

(출처 : 케냐 정부 홈페이지)

[그림 2] 케냐 환경행정 조직도

『환경·물·자연자원부는 환경 정책 및 계획을

제시하고 환경관리에

대한 R&D를 수행하는 행정

조직

국가 환경관리기관 환경과 관련한 사항의 감독을

담당』

케냐

- 7 -

환경·물·자연자원부(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and Natural Resources)Ÿ 청정하고 안전하며 지속가능한 환경 구축을 목표로

설치된 정부 기관Ÿ 주요 업무 및 기능

­ 환경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정책, 법 및 계획 제시­ 지속가능 시스템 개발을 통한 환경 보존 및 재건­ 사회경제 성장 및 개발을 도모하고 국민건강의 향상을 위한

상하수도 시설 보급 확충­ 환경관리에 대한 기술 개발 및 연구 수행

국가환경관리기관(Na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Authority, NEMA)Ÿ 환경에 관련된 모든 사항에 대한 감독 및 협조Ÿ 환경에 관련된 모든 정책 수행을 위한 정부의 주요

역할을 담당 국가환경협회(Natural Environment Council)Ÿ 환경관리조정법(Environmental Management and

Coordination Act, EMCA)에 의거, 환경 관련 정책 수립에 대한 역할 담당

Ÿ 환경보호와 관련한 정책 및 우선 사항들을 결정하고 국가의 목표와 목적을 설정

지방환경위원회(Provincial and District Environment Committee)Ÿ 환경 관리에 대한 지방분권화에 기여하고, 지역 사회

의 참여를 도모

케냐

- 8 -

2.2. 환경법 및 규제 현황

『케냐 법 및 규제 현황, 환경관리및조정법, 수질관련규정, 폐기물관리규정』Ÿ 케냐의 환경 정책은 ‘Vision 2030’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구체적으로 환경 관련 계획 및 관리 분야를 지원함

【 주요 환경 법률 및 규제 】§ 환경관리및조정법(EMCA, 1999 제정)§ 수질관련규정 § 폐기물관리규정§ 기타 환경 관련 법률 및 규제

환경관리및조정법(Environmental Management and Coordination Act, EMCA, 1999 제정)Ÿ 환경과 관련한 문제의 해결과 환경 관리에 대한 법 및

제도적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법률Ÿ 환경 관리에 대한 개선을 목적으로 제정수질관리규정(Water Quality Regulations)Ÿ 가정용 수자원에 대한 보존, 농업 및 공업용수 폐수 배출Ÿ 규제 개요

­ 가정 용수 품질 기준 마련 및 모니터링­ 폐수배출에 대한 기준 마련 및 모니터링

폐기물관리규정(Waste Management Regulations)Ÿ 산업폐기물, 유해폐기물, 농약 및 유해물질, 생물의학

폐기물, 방사성 물질 등에 대한 규정Ÿ 해당 폐기물 종류의 처리, 저장, 운송 및 처분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마련

『환경 관리에 대한 개선을

목적으로 환경관리및조정

법 제정

수질, 폐기물 관리 규정

시행』

케냐

- 9 -

Ÿ 국가 환경관리기관(NEMA)에 인증을 받은 기업만 폐기물 처리를 담당하도록 규정

기타 환경 관련 법률 및 규제­ 소음관련규정(Noise Regulations, 2009 제정)­ 습지관련규정(Wetland Regulation, 2009 제정)

2.3. 주요 환경정책 및 프로그램10)

『Vision 2030 계획, 다양한 수자원 분야 프로젝트 진행』

【 주요 환경정책 프로그램 】§ Vision 2030 - 환경 전반의 부정적인 영향 완화, 환경에 대한 강력하고

효과적인 정책 및 관리체계를 마련 - 환경분야, 상하수도분야, 농업분야, 에너지분야 목표구축§ 수자원 관련 프로젝트 - 물 및 폐수처리 분야의 인프라 개발을 위해 다양한 프로

젝트 계획

Vision 2030 Ÿ Vision 2030은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고 번영하는

케냐’ 라는 목표를 이루고자 2030년까지 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하고 1차 중기계획(2008년~2012년)을 시작으로 5년의 롤링플랜11) 방식으로 운영

Ÿ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한 환경 전반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환경에 대한 강력하고 효과적인 정책 및 관리체계를 마련

10) Land and Water Development in Kenya, 201411) 롤링플랜 : 계획의 운영에 대해서 매년 정기적으로 계획과 실적간의 차이를 비교해 그 시점에서

새로 3년이나 5년의 계획을 재구성하는 방식

케냐

- 10 -

Vision 2030 분야 추진 목표

환경 분야2030년까지 깨끗하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 구축

상하수도 분야2030년까지 향상된 상하수도 개발을

통한 이용률 및 보급률 확대

농업 분야2030년까지 농산품 증가 및 백만 헥타르

관개를 통해 농업지역 증가

에너지 분야에너지 분야의 효율성 증가 및 에너지

생산량 증가

(출처 : Land and Water Development in Kenya, 2014)

[표 2] Vision 2030 분야별 추진 목표

프로젝트명완공

예상년도

프로젝트

비용

($ million)

프로젝트

자본

수자원 서비스 위원회

지원 프로젝트2011 68.3 AfDB

리프트벨리 지역 물공급

프로젝트2014 27.3 AfDB12)

소규모 마을 및 시골 지역

상하수도 프로젝트2015 105.6 AfDB

나이로비 복구·복원 사업 2015 60.2AfDB /

케냐정부

(출처 : Kenya Infrastructure Sectors, 2011)

[표 3] 수자원 분야 프로젝트(2010년 기준)

Ÿ 본 사업을 통해 환경관련 정책체제를 수립하고 환경법률 집행을 위한 능력을 배양

Ÿ 미래의 환경 계획을 위한 환경 상태 기준 설정 및 다자간 환경 협약(MEA) 준수

수자원 관련 프로그램 Ÿ 2010년 케냐 정부는 물 및 폐수처리 분야의 인프라 개발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 계획

『Vision 2030을 통해

환경관련 정책체제를 개발하고

환경법률 집행을 위한 능력을

배양함』

케냐

- 11 -

Ÿ 수자원 서비스 위원회 지원 프로젝트(2011)­ 5개 지역13)에 상하수도 공급과 제도적 지원 마련

Ÿ 리프트벨리(Rift Valley) 지역 물공급 프로젝트(2014)­ 나쿠루 지역 및 기타 5개 마을에 기존 상하수도 시설 재건과

제도적 지원 제공

Ÿ 소규모 마을 및 시골 지역 상하수도 프로젝트(2015)­ 수도사업자의 상업적, 기술적, 재정적인 측면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개발 지원­ 물 공급 및 폐수 인프라 재건, 다목적 얏타(Yatta)댐 건설

Ÿ 나이로비 복구·복원 사업(2015)­ 나이로비 지역 내 하수처리 서비스의 확장 및 재건을 목적

으로 하는 사업­ 나이로비, 은공(Ngong), 마싸레(Mathare), 키우(Kiu)강

유역의 하수도 54km 연장­ 제도 지원, 사업 관리, 위생·보건·사회 환경 지원

12) 아프리카 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AfDB)13) 미고리(Migori), 이시오로(Isiolo), 냐후루루(Nyahururu), 마란가(Maranga) 와 키베라(Kibera)

케냐

- 12 -

3 환경 시장 및 환경산업 동향

3.1. 환경 시장 개요14)

『케냐 환경 시장현황, 산업별 주요 환경 문제, 산업별 환경시장 전망 및 시장진출 기회』【 주요 환경 오염원 】

§ 수질 공급, 폐수처리, 고형폐기물 처리 【 주요 환경 문제 】

§ 심각한 물 부족 국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대량의 고형폐기물 발생§ 무분별한 폐기물 매립 및 소각으로 호흡기 질환 유발§ 사용가능한 수자원의 13.4%만 실제로 사용

Ÿ 2008년 기준, 케냐의 도시화율15)은 6.5%을 기록하여 농촌에서 도시로 인구가 이동했다는 것을 보여줌

Ÿ 인구의 대부분이 상주하는 도시교회 지역은 인구밀도가 높고 기초적인 인프라시설이 부족하며 사회 서비스가 열악함. 대부분 이주자, 가난한 실업자, 저소득 노동자가 거주함

Ÿ 2014년~2015년 환경분야에 5.8억 달러를 집중 투자할 예정임. 상세 분야는 댐 건설, 물공급 및 수처리 분야, 환경보전 및 관리 분야임

Ÿ 케냐의 급격한 농업화,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대량의 고형 폐기물이 발생하여 민간 기업이 처리하는 실태임. 고형 폐기물은 주거지역 주변에서 무분별하게 매립 및 소각되고, 매립지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 아이들에게 호흡기 및 위장 질환을 유발함

14) East African Solid Waste, Kenya Infrastructure Sectors15) 전국 인구에 대한 도시계획 구역 내 거주인구에 대한 비율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한 다양한

환경문제 발발

환경산업별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 수행』

케냐

- 13 -

고형폐기물 처리 시장

폐기물 종류발생량(%)

음식물 폐기물 51

종이 16

플라스틱 12

초목 7

섬유 3

유리 2

기타 9

총 100

(출처 : East African Solid Waste 2009)

[표 4] 케냐 고형폐기물 처리시장 종류 및 발생량(2008년 기준)

3.2. 폐기물 산업 분야16)

『케냐 폐기물 산업현황, 고형폐기물 처리 및 관리, 시장진출 기회』

【 폐기물산업 시장 】§ 현황 : 폐기물들이 무분별하게 소각 및 매립되거나 수거된 폐

기물도 종류별로 처리되지 않는 상황§ 전망 : 폐기물관리가 미흡한 주요 도시의 저소득층 거주 지역

은 폐기물처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 시장진출이 용이할 전망현황폐기물 현황Ÿ 대부분의 고형 폐기물은 케냐 주요 도시17)의 가정,

상업, 산업 분야 등에서 발생하고 특히 제조업에서 대량의 고형 폐기물을 배출함

Ÿ 2008년 기준, 주요 도시에서 발생하는 고형폐기물의 절반 이상이 음식물 폐기물이었고 그 외에는 종이, 플라스틱, 유리, 나무, 등임

16) East African Solid Waste17) 나이로비(Nairobi), 뭄바사(Mombasa), 키수무(Kisumu), 나쿠루(Nakuru), 엘도레트(Eldoret)

『케냐 주요도시의

가정, 상업, 산업 분야가

고형 폐기물 주 발생원임』

케냐

- 14 -

폐기물관리 현황Ÿ 나이로비 지역에서 일일 평균 2,500톤의 페기물이 발생

하고 이 중 40%만 관련 폐기시설에서 수거 및 처리됨. 일반적으로 수거되지 않은 고형 폐기물은 주거지역 주변에서 무분별하게 매립 및 소각되어 매립지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 아이들은 호흡기 및 위장 질환을 겪음

Ÿ 도시 고형 폐기물은 지방자치단체, NGO단체, 민간기업 등 최소 60개의 폐기물처리 기업이 수거 및 처리함. 민간 기업은 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수거함. 그러나 수거된 폐기물은 종류별로 구분되어 처리되지 않음

Ÿ 폐기물분야 공공-민간 파트너십은 2004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폐기물의 수거 및 처리에 대한 민간기업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2008년 이후부터 민간 기업이 많은 폐기물 관련 사업을 수행함

Ÿ 전기․전자 폐기물 투기와 중금속 오염을 줄이기 위해 제품 보증기간이 짧거나 중금속 다량 함유 전자제품(특히 이동 전화기)의 수입을 규제하는 환경기준이 마련 중임. 또한 동 규제에는 전기․전자 폐기물의 재활용 및 처리시설에 관한 사항이 포함될 예정임

Ÿ 고형 폐기물관리 시장은 2008년에 1,490만 달러로 평가 되고 동년도 성장률은 7.1%을 기록함

Ÿ 최근 폐기물의 재활용화 산업이 성장하는 추세임(종이, 플라스틱, 타이어, 금속 재활용 및 유기 폐기물의 퇴비화)

시장진출 기회Ÿ 케냐 주요 도시의 저소득층 거주 지역은 전체 도시 인구의

55~60%가 살고 있으나 쓰레기수거가 원활하지 않아 해당 지역의 폐기물 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 이에 해당 지역의 폐기물관리 시장 진출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됨

『고형 폐기물은 주거지역 주변에서

무분별하게 매립 및 소각됨

매립지 주변에 거주자 호흡기 및 위장 질환

호소』

케냐

- 15 -

Ÿ 전기전자 폐기물 관련 환경기준이 입법될 경우, 고급 사양의 환경 친화적 전자제품 제조가 가능한 우리나라로서는 수출확대 기회와 아울러 전기․전자 폐기물 처리시설 진출 가능성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전망Ÿ 케냐의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경제 성장으로

폐기물 시장은 2008년부터 2015년 사이 연평균성장률(CAGR) 6.8%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

Ÿ 폐기물을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영향력이 약해 도시고형폐기물 수거 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짐. 정부 지원에 의한 폐기물을 안전하게 수거 및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의 보급화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3.3. 물 산업 분야

『케냐 물 산업 현황, 물 관리 및 공급 인프라 구축, 시장진출 기회』 【 물 산업 시장 】

§ 현황 : 케냐는 심각한 물 부족국가로, 현재의 수자원량은 국민 1인당 5,300리터에 불과함

§ 전망 : ‘Vision 2030’에 의거, 케냐 전 지역 및 국민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보급하기 위한 사업을 수행하여 이에 다양한 시장진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현황18)

물 공급 현황Ÿ 케냐는 심각한 물 부족국가로, 현재의 수자원량은 국민

1인당 5,300리터에 불과함

18) Kenya Infrastructure Sectors Land and Water Deverlopment in Kenya(케냐 환경물천연자원부) GWM2014 Vol2 Europe and Africa

『물 공급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마련이 시급

저소득층 거주지역의

하수시설에 대한 설치를 도모』

케냐

- 16 -

해당년도 투자 규모($ million) 성장률(%)

2006 206.9 -

2007 255.2 23.3

2008 327.6 28.4

2009 398.3 21.6

2010 458.6 15.1

총 액 1646.6

(출처 : Kenya Infrastructure Sectors, 2011)

[표 5] 상하수도 인프라 정부 투자(2006년~2010년 기준)

Ÿ 연간 20.2km3의 담수가 사용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나 실제 취수되는 담수는 2.7km3로 사용가능한 자원의 13.4%만 실질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산정됨

Ÿ 케냐 정부는 농촌과 도시 지역에 상하수도 공급을 지원 하고 있으나, 농촌 지역의 주민들에 비해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주로 상수 공급 서비스를 받음

Ÿ 2010년 기준, 케냐의 상수도 보급률은 약 51%이고, 지방 지역의 경우 공공급수장을 통해 수도서비스를 받는 반면 도시지역의 경우 수도관을 통해 상수를 공급받음

Ÿ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거주 지역의 변화로 정부는 물 공급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마련이 시급함

물 산업 투자 현황Ÿ 2006년부터 2010년 사이, 물 및 폐수처리 분야의 인프라 개

발을 위해 케냐정부는 약 16억 4천만 달러를 투자함. 이는 주로 저소득층 거주지역의 하수시설에 대한 설치를 도모함

Ÿ 2010년에 다양한 상하수도 관련 프로젝트19)가 수행 및 계획되었으며 아프리카 개발 은행에 의해 약 2억6천만 달러가 투자됨

19) 리프트벨리(Rift Valley) 지역 물공급 프로젝트, 수자원 서비스 위원회 지원 프로젝트, 소규모 마을 및 시골 지역 상하수도 프로젝트, 나이로비(Nairobi) 복구·복원 사업

케냐

- 17 -

Ÿ 물 및 폐수처리 분야의 인프라를 구축 및 재건하기 위해 세계은행(World Bank, WB), 아프리카 개발은행, 프랑스개발청(AFD)으로부터 재원조달이 이루어짐. 2010년 총 원조자금 중 71%의 재원조달이 위 단체로부터 이루어짐

시장진출 기회Ÿ 물 및 폐수처리시설의 부족과 기술 개발의 한계

등으로 인해 케냐의 국민들은 현재 정화되지 않거나 안전하지 않은 물을 사용하는 실태임. 수자원 정화시설에 대한 시장진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Ÿ Vision 2030에 의거하여 케냐 전 지역 및 국민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보급하고 동시에 ‘2014 새로운 물 법안’ ‘수자원 확보 및 저장 정책’ 등을 입법화함. 이를 통해 다양한 시장진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전망Ÿ Vision 2030의 수립에 의해 수자원 분야의 다양한

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Ÿ 미래의 물 수요량에 맞춰 사용가능한 수자원 보급을

위해 수자원 개발 및 저장, 효과적·효율적인 물 사용, 물 재사용 등을 통한 관리 방안을 마련할 예정임

Ÿ 도시지역의 물 공급을 위한 파이프 수도관설치 및 물 사용 효율성을 위한 사업에도 집중 투자될 예정임

『Vision 2030의 수립에 의해 수자원

분야의 다양한 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케냐

- 18 -

[그림 3] 공공 식수 자본 지출 전망($ million)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래프 재구성)

수처리 시설

배수관망분야

수자원분야(담수화)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래프 재구성)

[그림 4] 공공폐수처리 자본 지출 전망($ million)

폐수처리시설

폐수관망분야

슬러지 관리

Ÿ [그림 3] 공공식수의 자본 지출 부문은 수자원, 수처리 시설, 배수관망 분야를 포함함. 2014년 기준, 수자원 분야가 약 1천만 달러, 배수관망 분야는 2천3백만 달러, 수처리 시설분야는 2천만 달러의 규모로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고 차후 점진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Ÿ [그림 4] 공공폐수처리 자본 지출 부문은 폐수관망, 폐수 처리시설, 슬러지 관리 등을 포함함. 2014년 기준, 슬러지 관리 분야는 약 3백만 달러, 폐수관망 분야는 약 1천 3백만 달러, 폐수 처리시설 분야는 1백만 달러의 규모로 자본 지출이 이루어 질 것이라 전망됨. 차후 폐수관망 분야의 자본지출이 대폭적으로 상승하여 2018년에는 2014년 대비 2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됨

케냐

(출처 : Global Water Market, 2014

그래프 재구성)

[그림 5] 물 산업 분야 운영 및 지출 비용 현황(2013년 기준)

- 19 -

Ÿ [그림 5]에 의하면, 2013년 기준 수자원 분야의 운영 및 지출 비용 총계는 약 1억8천6백만 달러임. 이 금액은 공공용수 사업 85.7%, 폐수처리사업 11.9%, 공업용수 및 폐수처리사업 2.4%에 각각 해당함

케냐

- 20 -

4 환경 시장 진출 방안

4.1. 진출 여건 분석20)

【 우리나라와의 교역 규모(2012년 기준)21) 】§ 2012년 수출 : 263 백만 달러(합성수지, 기타석유화학제품)§ 2012년 수입 : 28 백만 달러(동제품, 기호식품)§ 2012년 말 투자현황(누계)§ 누계 액 : 5.95 백만 달러 신규 한국 법인 수 : 20개

우리나라와의 교역 규모 및 정보22)

Ÿ 對 케냐 수출이 2억6천3백만 달러, 수입 2천8백만 달러, 무역수지가 2억3천5백만 달러로 무역불균형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으나, 우리 중소기업에게는 서민 친화형 생필품 수출 시장으로 유리한 지역임

Ÿ 케냐와 한국은 국제무대에서의 협력뿐만 아니라 경제통상 협력확대, 특히 케냐는 한국기업의 對 케냐투자 진출 등 실질관계 증진을 희망하고 있음

Ÿ 한·케냐 이중과세방지 협정, 한·케냐 투자보장협정 체결이 조만간 체결되어 對 케냐 투자를 위한 제도적 여건도 완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2014년 7월부터는 온라인 입찰제가 시행되어 입찰 경쟁자들과 정부 관료들 사이에 입찰 가격 부풀리기 등 부조리가 현저히 줄어들고 관련 부조리가 대폭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어 우리 기업이 공정한 입찰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됨

Ÿ 동부아프리카의 관문(gateway)에 위치한 전략적 이점과 천혜의 기후 및 자연조건을 보유하고 있어 동부 아프리카의 허브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됨

20) 2014 케냐 경제 개관(kotra)21) 세계국가편람(2014)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22) FTA 무역 리포트(관세청)

『타 국가 진출 시 용이한

지리적 이점과 천혜의 기후 및 자연조건을 보유

동부 아프리카의 허브로 발전

가능성이 높음』

케냐

- 21 -

Ÿ 국내 중소기업의 케냐진출 타당성 조사사업, 케냐 국가산업훈련청 마스터플랜 수립사업, 케냐 부통령실 경제자문과 파견 등 우리기업의 케냐 진출을 위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예정임

환경 시장 진출기회 종합분석 Ÿ 2014년~2015년 케냐 정부 예산에 따르면 도로, 철도,

에너지 개발, 수자원 건설, IT 등 인프라 분야에서 많은 투자 사업이 진행될 예정임

Ÿ 케냐 정부는 최근 대규모 개발 사업 투자 확대를 특징으로 하는 2014년~2015년 예산안을 확정·발표하였음. 개발 사업은 향후 정부 조달절차 또는 소관부처별 별도 입찰절차를 통해 발주될 예정으로 제조업 등 산업기반이 부재한 주재국은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우리 업체의 진출 가능성이 매우 큼

Ÿ 총 예산 규모는 206.75억 달러로 이 중 3.4%가 환경-수자원-자원 개발에 투자할 예정임. 전체 재원의 87%는 세금 및 기타 국내 자금으로, 13%(27.68억 달러)는 해외 자금으로 유상원조 20.86억 달러, 무상원조 6.8억 달러를 충당할 예정임

Ÿ 환경 및 수자원 분야 중 댐 건설 9,600만 달러, 물 공급 및 수자원관리 4,800만 달러, 환경보전 및 관리 1,700만 달러 등 총 5.8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국제기구 등 최근 발주 환경프로젝트 현황23) Ÿ 빗물배수 설비를 위한 컨설턴트 계약 모집(2013, IDA)Ÿ 수도 위생 서비스 개선 프로젝트(2012, WB)Ÿ 하수도 건설(2012, WB)Ÿ 이동형 수처리시설 공급(2012, WB)

23) 국제기구 등 발주 환경프로젝트 DB

『환경 및 수자원 분야에

총 5.8억 달러를 배정

댐 건설, 물 공급 및 수처리,

환경보전 및 관리에 투자할

계획』

케냐

- 22 -

Ÿ 빅토리아 호수 식수 공급 및 위생 시설 건립 프로젝트(2012, AfDB)진출 여건 – 수요 분석 Ÿ 케냐 주요 도시의 저소득 주민 거주 지역은 전체 도시

인구의 55~60%가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쓰레기수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임

Ÿ 도시 교외 지역은 인구밀도가 높고 기초적인 인프라시설이 부족하며 사회 서비스가 열악함. 환경 관련한 기초 인프라시설의 보급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됨

4.2. 시장 진입 전략

전략 1) 자금 활용Ÿ 물 및 폐수처리 분야의 인프라를 구축 및 재건하기 위해 세계은행,

아프리카 개발은행, 프랑스개발청으로부터 재원조달이 이루어짐전략 2) 우선 진출 유망 지역 및 시장Ÿ 나이로비 지역에서 일일 평균 2,500톤의 페기물이 발생하고

이 중 40%만 관련 폐기시설에서 수거 및 처리됨. 이에 주요 도시지역 특히 나이로비의 시장 진출기회가 밝은 편임

Ÿ 전기전자 폐기물 관련 환경기준이 입법 될 경우, 고급 사양의 환경 친화적 전자제품 제조가 가능한 우리나라로서 수출확대 기회와 아울러 전기․전자 폐기물 처리시설 진출 가능성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Ÿ Vision2030에 의해, 케냐 정부는 도시지역의 물 공급을 위한 파이프 수도관 설치 및 물 사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사업에 집중 투자할 예정임. 또한 수자원 정화시설에 대한 시장진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참 고 용어/약어 정의

1.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 국내에 거주하는 비거주자(외국인)에게 지불되는 소득과 국내 거주자가 외국에 용역을 제공함으로써 수취한 소득을 포함하여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

2. GDP(purchasing power parity) : 구매력평가지수, 각 국가의 물가 수준을 고려하여 산출한 GDP

3. GDP(official exchange rate): 공식 환율 GDP4. GDP(real growth rate) : 실질 GDP 성장률5.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 특정 국가 간의 상호

무역증진을 위해 물자나 서비스 이동을 자유화시키는 협정으로, 나라와 나라 사이의 제반 무역장벽을 완화하거나 철폐하여 무역자유화를 실현하기 위한 양국 간 또는 지역 사이에 체결하는 특혜무역협정

6. 다자간 환경 협약(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MEA) : 환경파괴를 줄이거나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다자간에 체결된 200여개의 협정, 협약 및 의정서. 그중 20여개는 구체적인 무역조치를 포함하고 있음. 도하개발아젠다(DDA) 환경협상에서는 MEA와 WTO의 관계에 대해 협상이 이루어지고 있음

참 고 참고 문헌

1. 2014 세계 국가편람,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2. 환율정보, 외환은행 3. 해외안전여행(외교부)4. The World Factbook 5. 글로벌 윈도우(kotra)6. East African Solid Waste7. Kenya Infrastructure Sectors8. 국제기구 등 발주 환경프로젝트 DB, KEITI9. 2014 케냐 경제 개관(kotra)10. 해외환경통합정보시스템11. Land and Water Deverlopment in Kenya12. GWM2014 Vol2 Europe and Africa13. FTA 무역 리포트(관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