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2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조경철* <국문초록>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태화(泰和)를 중국연호로 보고 369년 5월 16일 병오로 추정해 왔다. 그리 고 5월을 새롭게 11월로 판독한 이후에도 여전히 만든 연대는 태화 4년 369년이었다. 그런데 칠지 도의 369년설은 5월 16일과 11월 16일이 모두 병오일이 아니므로 문제가 있다. 특히 369년 5월과 11 월에는 병오일이 있다. 5월 27일이 병오며, 11월 30일이 병오다. 따라서 그 달에 병오일이 있는데 그날을 피하여 5월 16일 병오 혹은 11월 16일 병오라 했을 가능성은 적다. 칠지도의 丙午正陽은 『논형』의 丙午日中이나 한 대 명문에 보이는 丙午時加日中의 일중을 정 양으로 바꾼 것이다. 일중이나 정양이 ‘ 화덕(火德)이 성한 날’ 이라는 의미로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용례가 보이지 않는 병오정양의 정양은 일중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정양은 『사기』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5 I. 머리말 II. 五月丙午에 대한 검토 III. 十一月에 대한 검토 IV. 丙午正陽에 대한 검토 V. 제작연대에 대한 검토 VI. 맺음말 < 目 次 >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 아주대연세대 강사 ** 대표논저; 2009, 「백제 익산 미륵사 창건의 신앙적 배경-미륵신앙과 볍화신앙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 32; 2009, 「신라의 여왕과 여성성불론」 『역사와 현실』 71; 2009, 「백제 왕실의 3년상-무령왕과 성왕을 중심으 로-」 , 『동방학지』 145; 2008, 「광개토왕대 영락 연호와 불교」 , 『북방사논총』20 본 논문은 2008년 2월 25일 공주대학교백제연구소에서 발표한 「百濟 七支刀의 東晉 泰和 연호설에 대한 재검 토」를 수정 보완하였다.

Upload: others

Post on 04-Feb-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조경철*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태화(泰和)를 중국연호로 보고 369년 5월 16일 병오로 추정해 왔다. 그리

    고 5월을 새롭게 11월로 판독한 이후에도 여전히 만든 연대는 태화 4년 369년이었다. 그런데 칠지

    도의 369년설은 5월 16일과 11월 16일이 모두 병오일이 아니므로 문제가 있다. 특히 369년 5월과 11

    월에는 병오일이 있다. 5월 27일이 병오며, 11월 30일이 병오다. 따라서 그 달에 병오일이 있는데

    그날을 피하여 5월 16일 병오 혹은 11월 16일 병오라 했을 가능성은 적다.

    칠지도의 丙午正陽은 『논형』의 丙午日中이나 한 대 명문에 보이는 丙午時加日中의 일중을 정

    양으로 바꾼 것이다. 일중이나 정양이 ‘ 화덕(火德)이 성한 날’ 이라는 의미로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용례가 보이지 않는 병오정양의 정양은 일중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정양은 『사기』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5

    I. 머리말

    II. 五月丙午에 대한 검토

    III. 十一月에 대한 검토

    IV. 丙午正陽에 대한 검토

    V. 제작연대에 대한 검토

    VI. 맺음말

    < 目 次 >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 아주대⋅연세대 강사

    ** 대표논저; 2009, 「백제 익산 미륵사 창건의 신앙적 배경-미륵신앙과 볍화신앙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32; 2009, 「신라의 여왕과 여성성불론」 『역사와 현실』 71; 2009, 「백제 왕실의 3년상-무령왕과 성왕을 중심으

    로-」, 『동방학지』 145; 2008, 「광개토왕대 영락 연호와 불교」, 『북방사논총』20

    본 논문은 2008년 2월 25일 공주대학교백제연구소에서 발표한 「百濟 七支刀의 東晉 泰和 연호설에 대한 재검

    토」를 수정 보완하였다.

    42집전체묶음_01~34P(길기태) 10. 02. 26 오후 5:23 페이지 5

  • 사마상여전에 나오는 ‘정양현현(正陽顯見) 각오여증(覺寤黎蒸)’ 에서 취한 것으로 황룡을 의미한다.

    황룡은 천하의 중심이므로 지상의 최고 통치자를 말한다. 백제의 왕은 칠지도의 정양이란 문구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고 있다. 『논형』이나 한 대 명문에 병오일중을 쓰지 않고 병오정양이라

    썼다는 점을 감안하면 칠지도를 만든 연대도 실연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11월 16일이 병오인 408년 11월 16일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 해는

    전지왕 4년에 해당된다. 칠지도 명문의 태화도 중국 연호가 아닌 백제연호로 생각되며 전지왕이

    왕위에 즉위하면서 표방한 연호였다.

    주제어 : 칠지도, 백제, 왜, 동진, 정양, 태화, 408년 11월 16일

    I. 머리말

    백제 七支刀는 백제에서 만들어 왜에 보내진 칼로 현재 일본 나라현 석상신궁(石上神宮)에 보

    관되어있다.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명문을 태화 4년 5월 16일 병오로 판독하고, 『일본서기』의 七枝

    刀와 연관하여 369년으로 추정되어왔다. 그런데 새로운 판독에 의해 5월이 11월로 밝혀졌다. 하지

    만 제작연대는 여전히 369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369년 5월 16일과 동년 11월 16일은 병오일이 아니기 때문에 반박의 여지가 없지 않다.

    그래서 본 글에서는 월일과 일간지의 사례를 분석하여 369년 5월 16일과 369년 11월 16일의 타성성

    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 하나 『논형』이나 중국 금석문에는 한결같이 병오일중이라 나오는데 유

    독 칠지도에 병오정양이라 한 점에 주목해 보았다. 정양은 일중과 같은 뜻으로 풀 수도 있겠지만

    『사기』에 나오는 정양은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월일간지에 대한 분석과 『사기』의 정양의 용례를 검토하면서 칠지도의 제작연대를 새롭게 제

    시해 보고자 한다.

    6 百濟文化 第42輯

    42집전체묶음_01~34P(길기태) 10. 02. 26 오후 5:23 페이지 6

    백제42집_웹용 3.pdf백제42집_웹용 4.pdf백제42집_웹용 5.pdf백제42집_웹용 6.pdf백제42집_웹용 7.pdf백제42집_웹용 8.pdf백제42집_웹용 9.pdf백제42집_웹용 10.pdf백제42집_웹용 11.pdf백제42집_웹용 12.pdf백제42집_웹용 13.pdf백제42집_웹용 14.pdf백제42집_웹용 15.pdf백제42집_웹용 16.pdf백제42집_웹용 17.pdf백제42집_웹용 18.pdf백제42집_웹용 19.pdf백제42집_웹용 20.pdf백제42집_웹용 21.pdf백제42집_웹용 22.pdf백제42집_웹용 23.pdf백제42집_웹용 24.pdf백제42집_웹용 25.pdf백제42집_웹용 26.pdf백제42집_웹용 27.pdf백제42집_웹용 28.pdf백제42집_웹용 29.pdf백제42집_웹용 30.pdf백제42집_웹용 31.pdf백제42집_웹용 32.pdf백제42집_웹용 33.pdf백제42집_웹용 34.pdf백제42집_웹용 35.pdf백제42집_웹용 36.pdf백제42집_웹용 37.pdf백제42집_웹용 38.pdf백제42집_웹용 39.pdf백제42집_웹용 40.pdf백제42집_웹용 41.pdf백제42집_웹용 42.pdf백제42집_웹용 43.pdf백제42집_웹용 44.pdf백제42집_웹용 45.pdf백제42집_웹용 46.pdf백제42집_웹용 47.pdf백제42집_웹용 48.pdf백제42집_웹용 49.pdf백제42집_웹용 50.pdf백제42집_웹용 51.pdf백제42집_웹용 52.pdf백제42집_웹용 53.pdf백제42집_웹용 54.pdf백제42집_웹용 55.pdf백제42집_웹용 5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