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신보 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 의...

2
기독신보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의 의미 331 논문 목차 1. 들어가며기독신보1920년대 초기 문인들의 활동 2. 기독교 선교를 위한 문학의 계몽성과 남궁벽의 소년문학활동 3. 종교와 문학의 분화와 문학을 통한 이상향의 지향 4. 기독교의 수사와 생활개념의 도입을 통한 이상향의 구체화 5. 나가며1920년대 초기 문학에 끼친 기독신보의 역할 기독신보 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 의 의미 남궁벽과 노자영의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최호영(홍익대) 국문요약: 191512월부터 19378월까지 장로회와 감리회의 연합으로 발행된 기독신보 (基督申報, The Christian Messenger)는 표제에서부터 기독교 전파를 위한 목적을 명확히 하 고 있었다는 점에서 전영택 , 이일 , 남궁벽 , 노자영 등 이 신문에 글을 게재하고 있는 1920대 초기 문인들에 대한 논의는 그간 없었다 .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기독신보 에 실린 이 문인들의 글을 본격적으로 검토할 뿐만 아니라 특히 기독신보 소재의 문예 방면에서 꾸 준한 활동을 전개하였던 남궁벽 , 노자영의 글을 토대로 문학의 차원에서 그들이 지향하려 이상향 의 의미를 해명하는데 있다 . 기독신보 에서 활동한 문인들의 글을 검토해보면 성서나 기독교의 신관 (神觀)을 다루는 등 기본적으로 신문의 체제와 부합하며 소년문학 란에서 활동한 남궁벽의 글에서도 선/ 과 같은 윤리적인 문제를 다루거나 교훈적인 내용으로 독자를 계몽하려는 의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 하지만 남궁벽은 점차 종교가 아닌 문학의 측면에서 이상향 을 추구하려는 의도를 내비쳤으며 그 이후 소설 , , 감상 , 논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전개한 노자영은 기독교의 수사를 동반하여 생명 의 근원이 이상향 에 있음을 명확 히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현실에 근거를 둔 이상향 을 탐색해간다 . 그 과정에서 그는

Upload: others

Post on 17-Ap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기독신보 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 의 의미210.101.116.28/W_files/kiss6/48801299_pv.pdf · 독신보(영인판) , 한국기독교사연구회, 1988; 황우선,

�기독신보�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의 의미 331

논문

목차

1. 들어가며-�기독신보�와 1920년 기 문인들의 활동

2. 기독교 선교를 한 문학의 계몽성과 남궁벽의 ‘소년문학’ 활동

3. 종교와 문학의 분화와 문학을 통한 ‘이상향’의 지향

4. 기독교의 수사와 ‘생활’ 개념의 도입을 통한 이상향의 구체화

5. 나가며-1920년 기 문학에 끼친 �기독신보�의 역할

�기독신보�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의 의미남궁벽과 노자 의 발굴 자료를 심으로

최호영(홍익대)

국문요약 : 1915년 12월부터 1937년 8월까지 장로회와 감리회의 연합으로 발행된 �기독신보

(基督申報, The Christian Messenger)�는 표제에서부터 기독교 를 한 목 을 명확히 하

고 있었다는 에서 택, 이일, 남궁벽, 노자 등 이 신문에 을 게재하고 있는 1920년

기 문인들에 한 논의는 그간 없었다. 따라서 이 의 목 은 �기독신보�에 실린 이

문인들의 을 본격 으로 검토할 뿐만 아니라 특히 �기독신보� 소재의 문 방면에서 꾸

한 활동을 개하 던 남궁벽, 노자 의 을 토 로 문학의 차원에서 그들이 지향하려

한 ‘이상향’의 의미를 해명하는데 있다.

�기독신보�에서 활동한 문인들의 을 검토해보면 성서나 기독교의 신 (神觀)을 다루는

등 기본 으로 신문의 체제와 부합하며 ‘소년문학’란에서 활동한 남궁벽의 에서도 선/ 악

과 같은 윤리 인 문제를 다루거나 교훈 인 내용으로 독자를 계몽하려는 의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남궁벽은 차 종교가 아닌 문학의 측면에서 ‘이상향’

을 추구하려는 의도를 내비쳤으며 그 이후 소설, 시, 감상, 논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개한 노자 은 기독교의 수사를 동반하여 ‘생명’의 근원이 ‘이상향’에 있음을 명확

히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실에 근거를 둔 ‘이상향’을 탐색해간다. 그 과정에서 그는

Page 2: 기독신보 에 나타난 문인들의 활동과 이상향 의 의미210.101.116.28/W_files/kiss6/48801299_pv.pdf · 독신보(영인판) , 한국기독교사연구회, 1988; 황우선,

332

진화론의 에서 육체와 정신, 물질과 혼의 계를 새롭게 설정하고 ‘생활’의 개념과 지

표를 도입하여 당 의 실에 실질 인 안이 될 수 있는 ‘이상향’을 모색하 다.

1920년 2월을 기 으로 그들의 은 �기독신보�에서 더 이상 찾아볼 수 없으나 이후 남궁벽

은 �폐허�에서, 노자 은 �서울�, �학생계�, �백조�에서 본격 인 문학 활동을 펼쳐간다.

이 은 그들이 본격 인 문 활동으로 들어서기까지의 과정을 보여 다는 에서 그 의의

가 있다.

주제어:�기독신보�, 기독교, 남궁벽, 노자 , 종교, 문학, 이상향, 생명, 진화, 생활, 공동체

1. 들어가며-�기독신보�와 1920년대 초기 문인들의 활동

주간 �기독신보�는 1915년 12월부터 1937년 8월까지 장로회와 감리회의 연

합으로 간행된 신문으로 기독교 신문 가장 수명이 긴 신문으로 알려져 있다.

간행 당시 �기독신보�는 조선 수교서회를 발행소로, 조선복음인쇄소를 인쇄

소로 두었으며 사장 겸 편집인을 남감리교 선교사 던 크램(W. G. Cram)으로 시

작하여 러(H. Miller), 하디(R. A. Hardie) 등을 거쳐 1933년부터 한국인을 사장으

로 하여 간행되었다. �기독신보� 이 에도 1897년 2월에 한국 개신교 사상 처

음으로 주간 �죠션크리스도인회보�(아펜젤러 간행, 이후 � 한크리스도인회보�로 제

명이 바뀜)가 발행되었고 이보다 두 달 뒤인 4월 장로회에서 주간 �그리스도신

문�(언더우드 간행)을 발행하여 선교의 목 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명과 사상을

소개하고 보 하는 역할을 하 다. 이후 1905년 7월 장로회와 감리회는 의

두 신문을 �그리스도신문�(1907년 12월 � 수교신보�로 제목이 바 고 1910년 2월 폐간)

이라는 명칭으로 통합하여 발행하다가 장로회에서는 � 수교회보�로, 감리회

에서는 �그리스도회보�로 분리하여 발행하 다. 그러다가 장로회와 감리회가

두 번째로 연합하여 발행한 신문이 바로 �기독신보�이다.1

이처럼 �기독신보�는 1937년 8월 총독부 당국에 의해 폐간되기까지 기독교

1 이러한 상황과 �기독신보� 발행․폐간의 과정에 해서는 윤춘병, 「�긔독신보� 해제」, �기

독신보( 인 )�, 한국기독교사연구회, 1988; 황우선, 「�기독신보�의 폐간 과정(1933~

1937)」, �한국기독교와 역사� 37,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2, 93~120면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