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78
대우법 개괄 중세국어 통사 연구 2015. 4. 13.

Upload: others

Post on 03-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대우법 개괄중세국어 통사 연구

2015 4 13

대우법의 성격bull 화자가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일정하게 파악하여bull 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를 일정한 언어적 장치로 나타낼 수 있음bull 높임법 경어법 대우법 등 여러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bull 화자의 대우법적 태도가 드러나는 대상은 세 가지

bull 청자(hearer addressee) 화자가 말을 걸고 있는 상대방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공손법

bull 주체 주어(subject)가 가리키는 존재 주체 대우법높임법 존경법bull 객체 목적어나 기타 보어가 가리키는 존재 객체 대우법높임법 겸양법

bull 대우법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적 장치에는 문법적 장치와 어휘적 장치가있음

bull 문법적 대우법 종결어미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rsquo 조사 -께(옵)서 -께 -이시여

bull 어휘적 대우법 자다주무시다 먹다잡수시다 있다계시다 주다드리다올리다 말하다여쭈다여쭙다 밥진지 자기당신 나저 말말씀

주체 대우법bull 주어 명사구가 가리키는 존재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을때 이 명사구를 주어로 취하는 용언 뒤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결합시킴

bull 철수는 회사에 갔다 할아버지는 회사에 가셨다bull 존대 의향은 어떤 존재(entity)를 향한 것이고 이 존재는 명사구로 표현되는데bull 모든 존재명사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bull 문법역할이 주어인 명사구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며bull 존대 의향을 나타내는 표지를 명사구에 붙이지 않고 그 명사구와 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붙이는 것이 특이함bull 해당 명사구의 주격조사를 lsquo-이lsquo 대신 lsquo-께서lsquo를 사용하기는 하나 lsquo-시-rsquo보다 중요도가 떨어짐

bull 그러나 세계 많은 언어에 존재하는 일치(agreement) 현상에서 이와 비슷한 양상이 나타남

bull 일치 현상에서 어떤 언어요소의 자질특징이 다른 언어요소에 반영됨bull 여러 문법역할 중 특히 주어가 일치를 유발하는 일이 많음

일치(agreement concord)bull 정의 한 언어요소(일치 유발자 triggercontroller)의 자질(feature)이 다른 언어요소(일치 擔持者 bearertarget)의 형태에 반영되는 현상

bull 일치 담지자가 일치 유발자를 cross-reference한다고도 말함

bull 일치 유발자와 담지자의 의미적 관계bull 일치 유발자는 대개 명사 대명사 등의 논항(argument)bull 일치 담지자는 대개 동사 형용사 관사 등의 함수자(functor)

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통사적 관계bull 유발자가 핵(head)일 수도 있고 담지자가 핵일 수도 있음

bull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다 대 1 1 대 다 관계의 가능성bull 하나의 유발자가 둘 이상의 담지자에 일치를 유발할 수도 있음bull 하나의 담지자가 둘 이상의 유발자에 대해 일치를 보일 수도 있음

bull 일치에 관여하는 것은 주로 어떤 자질bull 내재적 자질 인칭(person) 성(gender) 수(number)bull 외부로부터 결정되는 자질 격(case) 한정성(definiteness)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bull (1) bolrsquos-oj avtomobilrsquobull large-MAS car (a large car)

bull (2) bolrsquos-aja masinabull large-FEM car (a large car)

bull (3) bolrsquos-oe taksibull large-NEU taxi (a large taxi)

bull (4) bolrsquos-ie avtomobilibull large-MASPL cars

bull (5) v bols-om avtomobilebull in large-MASLOC carLOC (in a

large car)

bull (1)-(3) 性의 일치bull (1)과 (4) 數의 일치bull (1)과 (5) 格의 일치bull 러시아어 형용사는 長形과 短形이있음

bull 短形에서는 性의 일치만 나타남bull 敍述的(述定) 용법에는 長形 短形둘 다 가능

bull 長形은 항구적 속성을 나타내고bull 短形은 일시적 상태를 나타냄

bull 修飾的(裝定) 용법에는 長形만 가능

主語-動詞 일치bull 영어

bull 직설법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만 동사에 ndashs가 붙음

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bull 일치 유발자 주어 명사 논項bull 일치 담지자 동사 술어

bull 러시아어bull 현재 인칭 數bull 과거 인칭 數 性bull ja citaju I readlsquobull ty citaes you readlsquobull on citaet he readslsquobull oni citajut lsquothey readrsquo

bull 라틴어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 (때로 性)bull portare lsquoto carryrsquo의 직설법 현재형bull porto - I carrybull portas - you [singular] carrybull portat - he carriesbull portamus - we carrybull portatis - you [plural] carrybull portant - they carry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하나의 논항(대개 주어)과만 일치를 보이는 것이보통이지만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둘 이상의 논항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bull 포합어(polysyntheticincorporating language)에 흔히 보임bull Ganda (Benue-Congo Bantoid Uganda)

bull nkikuwa I give it to youlsquobull n - ki - ku - wabull ISUBJ-itOBJ-youOBJ-give

bull yakiŋŋambira he told it to melsquobull y-a-ki-ŋ-ŋamb-irabull lt y -a -ki -n -gamb-irabull heSUBJ-PAST-itOBJ-meOBJ-tell -APPL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대우법의 성격bull 화자가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일정하게 파악하여bull 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를 일정한 언어적 장치로 나타낼 수 있음bull 높임법 경어법 대우법 등 여러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bull 화자의 대우법적 태도가 드러나는 대상은 세 가지

bull 청자(hearer addressee) 화자가 말을 걸고 있는 상대방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공손법

bull 주체 주어(subject)가 가리키는 존재 주체 대우법높임법 존경법bull 객체 목적어나 기타 보어가 가리키는 존재 객체 대우법높임법 겸양법

bull 대우법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적 장치에는 문법적 장치와 어휘적 장치가있음

bull 문법적 대우법 종결어미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rsquo 조사 -께(옵)서 -께 -이시여

bull 어휘적 대우법 자다주무시다 먹다잡수시다 있다계시다 주다드리다올리다 말하다여쭈다여쭙다 밥진지 자기당신 나저 말말씀

주체 대우법bull 주어 명사구가 가리키는 존재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을때 이 명사구를 주어로 취하는 용언 뒤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결합시킴

bull 철수는 회사에 갔다 할아버지는 회사에 가셨다bull 존대 의향은 어떤 존재(entity)를 향한 것이고 이 존재는 명사구로 표현되는데bull 모든 존재명사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bull 문법역할이 주어인 명사구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며bull 존대 의향을 나타내는 표지를 명사구에 붙이지 않고 그 명사구와 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붙이는 것이 특이함bull 해당 명사구의 주격조사를 lsquo-이lsquo 대신 lsquo-께서lsquo를 사용하기는 하나 lsquo-시-rsquo보다 중요도가 떨어짐

bull 그러나 세계 많은 언어에 존재하는 일치(agreement) 현상에서 이와 비슷한 양상이 나타남

bull 일치 현상에서 어떤 언어요소의 자질특징이 다른 언어요소에 반영됨bull 여러 문법역할 중 특히 주어가 일치를 유발하는 일이 많음

일치(agreement concord)bull 정의 한 언어요소(일치 유발자 triggercontroller)의 자질(feature)이 다른 언어요소(일치 擔持者 bearertarget)의 형태에 반영되는 현상

bull 일치 담지자가 일치 유발자를 cross-reference한다고도 말함

bull 일치 유발자와 담지자의 의미적 관계bull 일치 유발자는 대개 명사 대명사 등의 논항(argument)bull 일치 담지자는 대개 동사 형용사 관사 등의 함수자(functor)

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통사적 관계bull 유발자가 핵(head)일 수도 있고 담지자가 핵일 수도 있음

bull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다 대 1 1 대 다 관계의 가능성bull 하나의 유발자가 둘 이상의 담지자에 일치를 유발할 수도 있음bull 하나의 담지자가 둘 이상의 유발자에 대해 일치를 보일 수도 있음

bull 일치에 관여하는 것은 주로 어떤 자질bull 내재적 자질 인칭(person) 성(gender) 수(number)bull 외부로부터 결정되는 자질 격(case) 한정성(definiteness)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bull (1) bolrsquos-oj avtomobilrsquobull large-MAS car (a large car)

bull (2) bolrsquos-aja masinabull large-FEM car (a large car)

bull (3) bolrsquos-oe taksibull large-NEU taxi (a large taxi)

bull (4) bolrsquos-ie avtomobilibull large-MASPL cars

bull (5) v bols-om avtomobilebull in large-MASLOC carLOC (in a

large car)

bull (1)-(3) 性의 일치bull (1)과 (4) 數의 일치bull (1)과 (5) 格의 일치bull 러시아어 형용사는 長形과 短形이있음

bull 短形에서는 性의 일치만 나타남bull 敍述的(述定) 용법에는 長形 短形둘 다 가능

bull 長形은 항구적 속성을 나타내고bull 短形은 일시적 상태를 나타냄

bull 修飾的(裝定) 용법에는 長形만 가능

主語-動詞 일치bull 영어

bull 직설법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만 동사에 ndashs가 붙음

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bull 일치 유발자 주어 명사 논項bull 일치 담지자 동사 술어

bull 러시아어bull 현재 인칭 數bull 과거 인칭 數 性bull ja citaju I readlsquobull ty citaes you readlsquobull on citaet he readslsquobull oni citajut lsquothey readrsquo

bull 라틴어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 (때로 性)bull portare lsquoto carryrsquo의 직설법 현재형bull porto - I carrybull portas - you [singular] carrybull portat - he carriesbull portamus - we carrybull portatis - you [plural] carrybull portant - they carry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하나의 논항(대개 주어)과만 일치를 보이는 것이보통이지만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둘 이상의 논항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bull 포합어(polysyntheticincorporating language)에 흔히 보임bull Ganda (Benue-Congo Bantoid Uganda)

bull nkikuwa I give it to youlsquobull n - ki - ku - wabull ISUBJ-itOBJ-youOBJ-give

bull yakiŋŋambira he told it to melsquobull y-a-ki-ŋ-ŋamb-irabull lt y -a -ki -n -gamb-irabull heSUBJ-PAST-itOBJ-meOBJ-tell -APPL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주체 대우법bull 주어 명사구가 가리키는 존재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을때 이 명사구를 주어로 취하는 용언 뒤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결합시킴

bull 철수는 회사에 갔다 할아버지는 회사에 가셨다bull 존대 의향은 어떤 존재(entity)를 향한 것이고 이 존재는 명사구로 표현되는데bull 모든 존재명사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bull 문법역할이 주어인 명사구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며bull 존대 의향을 나타내는 표지를 명사구에 붙이지 않고 그 명사구와 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붙이는 것이 특이함bull 해당 명사구의 주격조사를 lsquo-이lsquo 대신 lsquo-께서lsquo를 사용하기는 하나 lsquo-시-rsquo보다 중요도가 떨어짐

bull 그러나 세계 많은 언어에 존재하는 일치(agreement) 현상에서 이와 비슷한 양상이 나타남

bull 일치 현상에서 어떤 언어요소의 자질특징이 다른 언어요소에 반영됨bull 여러 문법역할 중 특히 주어가 일치를 유발하는 일이 많음

일치(agreement concord)bull 정의 한 언어요소(일치 유발자 triggercontroller)의 자질(feature)이 다른 언어요소(일치 擔持者 bearertarget)의 형태에 반영되는 현상

bull 일치 담지자가 일치 유발자를 cross-reference한다고도 말함

bull 일치 유발자와 담지자의 의미적 관계bull 일치 유발자는 대개 명사 대명사 등의 논항(argument)bull 일치 담지자는 대개 동사 형용사 관사 등의 함수자(functor)

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통사적 관계bull 유발자가 핵(head)일 수도 있고 담지자가 핵일 수도 있음

bull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다 대 1 1 대 다 관계의 가능성bull 하나의 유발자가 둘 이상의 담지자에 일치를 유발할 수도 있음bull 하나의 담지자가 둘 이상의 유발자에 대해 일치를 보일 수도 있음

bull 일치에 관여하는 것은 주로 어떤 자질bull 내재적 자질 인칭(person) 성(gender) 수(number)bull 외부로부터 결정되는 자질 격(case) 한정성(definiteness)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bull (1) bolrsquos-oj avtomobilrsquobull large-MAS car (a large car)

bull (2) bolrsquos-aja masinabull large-FEM car (a large car)

bull (3) bolrsquos-oe taksibull large-NEU taxi (a large taxi)

bull (4) bolrsquos-ie avtomobilibull large-MASPL cars

bull (5) v bols-om avtomobilebull in large-MASLOC carLOC (in a

large car)

bull (1)-(3) 性의 일치bull (1)과 (4) 數의 일치bull (1)과 (5) 格의 일치bull 러시아어 형용사는 長形과 短形이있음

bull 短形에서는 性의 일치만 나타남bull 敍述的(述定) 용법에는 長形 短形둘 다 가능

bull 長形은 항구적 속성을 나타내고bull 短形은 일시적 상태를 나타냄

bull 修飾的(裝定) 용법에는 長形만 가능

主語-動詞 일치bull 영어

bull 직설법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만 동사에 ndashs가 붙음

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bull 일치 유발자 주어 명사 논項bull 일치 담지자 동사 술어

bull 러시아어bull 현재 인칭 數bull 과거 인칭 數 性bull ja citaju I readlsquobull ty citaes you readlsquobull on citaet he readslsquobull oni citajut lsquothey readrsquo

bull 라틴어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 (때로 性)bull portare lsquoto carryrsquo의 직설법 현재형bull porto - I carrybull portas - you [singular] carrybull portat - he carriesbull portamus - we carrybull portatis - you [plural] carrybull portant - they carry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하나의 논항(대개 주어)과만 일치를 보이는 것이보통이지만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둘 이상의 논항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bull 포합어(polysyntheticincorporating language)에 흔히 보임bull Ganda (Benue-Congo Bantoid Uganda)

bull nkikuwa I give it to youlsquobull n - ki - ku - wabull ISUBJ-itOBJ-youOBJ-give

bull yakiŋŋambira he told it to melsquobull y-a-ki-ŋ-ŋamb-irabull lt y -a -ki -n -gamb-irabull heSUBJ-PAST-itOBJ-meOBJ-tell -APPL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일치(agreement concord)bull 정의 한 언어요소(일치 유발자 triggercontroller)의 자질(feature)이 다른 언어요소(일치 擔持者 bearertarget)의 형태에 반영되는 현상

bull 일치 담지자가 일치 유발자를 cross-reference한다고도 말함

bull 일치 유발자와 담지자의 의미적 관계bull 일치 유발자는 대개 명사 대명사 등의 논항(argument)bull 일치 담지자는 대개 동사 형용사 관사 등의 함수자(functor)

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통사적 관계bull 유발자가 핵(head)일 수도 있고 담지자가 핵일 수도 있음

bull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다 대 1 1 대 다 관계의 가능성bull 하나의 유발자가 둘 이상의 담지자에 일치를 유발할 수도 있음bull 하나의 담지자가 둘 이상의 유발자에 대해 일치를 보일 수도 있음

bull 일치에 관여하는 것은 주로 어떤 자질bull 내재적 자질 인칭(person) 성(gender) 수(number)bull 외부로부터 결정되는 자질 격(case) 한정성(definiteness)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bull (1) bolrsquos-oj avtomobilrsquobull large-MAS car (a large car)

bull (2) bolrsquos-aja masinabull large-FEM car (a large car)

bull (3) bolrsquos-oe taksibull large-NEU taxi (a large taxi)

bull (4) bolrsquos-ie avtomobilibull large-MASPL cars

bull (5) v bols-om avtomobilebull in large-MASLOC carLOC (in a

large car)

bull (1)-(3) 性의 일치bull (1)과 (4) 數의 일치bull (1)과 (5) 格의 일치bull 러시아어 형용사는 長形과 短形이있음

bull 短形에서는 性의 일치만 나타남bull 敍述的(述定) 용법에는 長形 短形둘 다 가능

bull 長形은 항구적 속성을 나타내고bull 短形은 일시적 상태를 나타냄

bull 修飾的(裝定) 용법에는 長形만 가능

主語-動詞 일치bull 영어

bull 직설법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만 동사에 ndashs가 붙음

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bull 일치 유발자 주어 명사 논項bull 일치 담지자 동사 술어

bull 러시아어bull 현재 인칭 數bull 과거 인칭 數 性bull ja citaju I readlsquobull ty citaes you readlsquobull on citaet he readslsquobull oni citajut lsquothey readrsquo

bull 라틴어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 (때로 性)bull portare lsquoto carryrsquo의 직설법 현재형bull porto - I carrybull portas - you [singular] carrybull portat - he carriesbull portamus - we carrybull portatis - you [plural] carrybull portant - they carry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하나의 논항(대개 주어)과만 일치를 보이는 것이보통이지만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둘 이상의 논항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bull 포합어(polysyntheticincorporating language)에 흔히 보임bull Ganda (Benue-Congo Bantoid Uganda)

bull nkikuwa I give it to youlsquobull n - ki - ku - wabull ISUBJ-itOBJ-youOBJ-give

bull yakiŋŋambira he told it to melsquobull y-a-ki-ŋ-ŋamb-irabull lt y -a -ki -n -gamb-irabull heSUBJ-PAST-itOBJ-meOBJ-tell -APPL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bull (1) bolrsquos-oj avtomobilrsquobull large-MAS car (a large car)

bull (2) bolrsquos-aja masinabull large-FEM car (a large car)

bull (3) bolrsquos-oe taksibull large-NEU taxi (a large taxi)

bull (4) bolrsquos-ie avtomobilibull large-MASPL cars

bull (5) v bols-om avtomobilebull in large-MASLOC carLOC (in a

large car)

bull (1)-(3) 性의 일치bull (1)과 (4) 數의 일치bull (1)과 (5) 格의 일치bull 러시아어 형용사는 長形과 短形이있음

bull 短形에서는 性의 일치만 나타남bull 敍述的(述定) 용법에는 長形 短形둘 다 가능

bull 長形은 항구적 속성을 나타내고bull 短形은 일시적 상태를 나타냄

bull 修飾的(裝定) 용법에는 長形만 가능

主語-動詞 일치bull 영어

bull 직설법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만 동사에 ndashs가 붙음

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bull 일치 유발자 주어 명사 논項bull 일치 담지자 동사 술어

bull 러시아어bull 현재 인칭 數bull 과거 인칭 數 性bull ja citaju I readlsquobull ty citaes you readlsquobull on citaet he readslsquobull oni citajut lsquothey readrsquo

bull 라틴어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 (때로 性)bull portare lsquoto carryrsquo의 직설법 현재형bull porto - I carrybull portas - you [singular] carrybull portat - he carriesbull portamus - we carrybull portatis - you [plural] carrybull portant - they carry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하나의 논항(대개 주어)과만 일치를 보이는 것이보통이지만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둘 이상의 논항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bull 포합어(polysyntheticincorporating language)에 흔히 보임bull Ganda (Benue-Congo Bantoid Uganda)

bull nkikuwa I give it to youlsquobull n - ki - ku - wabull ISUBJ-itOBJ-youOBJ-give

bull yakiŋŋambira he told it to melsquobull y-a-ki-ŋ-ŋamb-irabull lt y -a -ki -n -gamb-irabull heSUBJ-PAST-itOBJ-meOBJ-tell -APPL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主語-動詞 일치bull 영어

bull 직설법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만 동사에 ndashs가 붙음

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bull 일치 유발자 주어 명사 논項bull 일치 담지자 동사 술어

bull 러시아어bull 현재 인칭 數bull 과거 인칭 數 性bull ja citaju I readlsquobull ty citaes you readlsquobull on citaet he readslsquobull oni citajut lsquothey readrsquo

bull 라틴어bull 일치 관여 자질 인칭 數 (때로 性)bull portare lsquoto carryrsquo의 직설법 현재형bull porto - I carrybull portas - you [singular] carrybull portat - he carriesbull portamus - we carrybull portatis - you [plural] carrybull portant - they carry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하나의 논항(대개 주어)과만 일치를 보이는 것이보통이지만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둘 이상의 논항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bull 포합어(polysyntheticincorporating language)에 흔히 보임bull Ganda (Benue-Congo Bantoid Uganda)

bull nkikuwa I give it to youlsquobull n - ki - ku - wabull ISUBJ-itOBJ-youOBJ-give

bull yakiŋŋambira he told it to melsquobull y-a-ki-ŋ-ŋamb-irabull lt y -a -ki -n -gamb-irabull heSUBJ-PAST-itOBJ-meOBJ-tell -APPL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하나의 논항(대개 주어)과만 일치를 보이는 것이보통이지만

bull 하나의 동사 술어가 둘 이상의 논항과 일치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bull 포합어(polysyntheticincorporating language)에 흔히 보임bull Ganda (Benue-Congo Bantoid Uganda)

bull nkikuwa I give it to youlsquobull n - ki - ku - wabull ISUBJ-itOBJ-youOBJ-give

bull yakiŋŋambira he told it to melsquobull y-a-ki-ŋ-ŋamb-irabull lt y -a -ki -n -gamb-irabull heSUBJ-PAST-itOBJ-meOBJ-tell -APPL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8: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限定性 一致

bull Syrian Arabic (Afro-Asiatic)bull rizzaal kbiirbull man big (a big man)bull r-rizzaal 1-kbiirbull the-man the-big (the big man)

bull 限定性은 일치 관여 자질로서는 매우 드묾bull Afro-Asiatic 제어에만 나타남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9: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bull 한국어의 용언에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가 붙는 현상을 일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음

bull 한국어의 lsquo-시-rsquo는 담지자 유발자 및 이 둘 사이의 관계의 측면에서는일치의 전형적인(canonical) 특성을 보이나

bull 일치유발자 주어 명사구bull 일치담지자 용언bull 유발자와 담지자의 관계 주술관계

bull 일치 자질의 측면에서 매우 주변적인 특성을 보임bull 존대(respect)는 외재적 화용적 주관적 자질

bull 일치의 非전형적인(non-canonical) 사례로 볼 수 있음bull cf Corbett를 위시한 Surrey Morphology Group의 Canonical Approach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0: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일치의 성격bull 일치는 매우 특이한 이상한 범상치 않은 현상임

bull 언어요소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몇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할 때bull 그 값에 따라 A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도상성(iconicity)의 관점에서 합리적

bull A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반면에 A가 어떤 자질에 대해 특정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 A가 아니라 B라는 다른 요소에 표시되는 것[displaced information]은 이상한 일

bull B의 형태를 보고 A의 자질 값을 알 수 있음

bull 도시락통의 비유bull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학생 이름을 파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명찰 달기 의무화bull 규칙 1 명찰을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아라

bull 학생 본인의 가슴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학생의 이름을 알 수 있음 합리적

bull 규칙 2 명찰을 (학생이 들고 오는) 도시락통에 달아라bull 도시락통에 달린 명찰을 보고 그 도시락통의 주인의 이름을 알 수 있음 비합리적

bull 일치는 마치 규칙 2와 같은 것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bull 오랜 진화의 산물이 불합리해 보이는 특성형태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bull 이는 진화의 근시안적 단편적인(piecemeal) 성격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음

bull 예 인간의 눈의 시신경이 망막 앞에 얼기설기 뻗어 있어 망막에 맺히는 像을 가리는 현상

bull 어떤 知的 존재가 인간의 눈을 설계했다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리가 없음

bull 진화는 목적론적(teleological)일 수 없음bull 진화는 lsquo이러이러한 발달된 정교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이러이러한 기능을 위해

매우 쓸모가 있을 것rsquo이라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그 구조를 조금씩 발달시켜 가는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bull 그때그때 생명체가 처한 환경에서 근시안적으로 적응적(adaptive)인 특성을 갖게하는 유전적 특성이 자손을 번성하게 하고 그런 근시안적 특성이 오랜 세월 누적되어 진화를 낳음

bull 먼 미래를 내다보고 지적으로 설계되었다면 생길 리가 없는 특성형태구조는 근시안적 적응변화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Vajda (2004) Ket LincomEuropa p 45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이 항상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하지는 않음

bull 하나의 position class에 속하는 요소들 중 일부만이 의미 변화를 겪을 수 있음bull 예 상 요소들 중 일부만 증거성이나 시제 요소로 변화

bull 하나의 의미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이 복수의 position class에 흩어져 있을 수 있음

bull 예 12인칭 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일치 표지로 발달하여 동사 뒤에 붙은 뒤bull TAM 등 다른 요소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붙고bull 그 뒤에 조응대명사가 문법화를 겪어 그 뒤에 3인칭 일치 표지가 붙을 수 있음

bull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계열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해서 이들이 의미상으로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여 tight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음

bull 영어의 관사(lsquothersquo lsquoaanrsquo)와 기타 determiner(lsquomyrsquo 등의 소유대명사 lsquothisrsquo 등의 지시사)가 계열관계를 이룸 그러나 이들은 의미범주가 다름

bull 관사와 소유대명사가 계열관계를 이루지 않고 공기할 수 있는 언어도 있음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bull 일치 요소는 조응대명사(anaphoric pronoun)로부터 문법화를 통해 발달하는 일이 많음

bull 자립적 조응대명사 rarr 대명사 접어 rarr 대명사 접사 rarr 일치 표지bull 단 인칭 일치 특히 1middot2인칭 일치는 인칭대명사로부터 문법화되는 것이 보통

bull 조응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구를 다시 한 번 받아서 강조하거나 그 지시대상을명확히 하려는 동기에서 사용됨

bull 따라서 조응대명사는 선행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보통bull 이런 조응대명사의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음운형식이 줄어들고

bull 빈도가 높은 요소는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음 Zipf의 법칙

bull 주위의 다른 요소에 의존하게 되어 접어 접사로 발달하게 됨bull 그러다 보니 애초에 선행사와 조응대명사 사이의 거리만큼 일치유발자와 일치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생기게 됨

bull 애초에는 선행사와 조응대명사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이 합리적이었지만

bull 일치요소로 발달한 뒤에는 유발자와 담지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것(A의자질이 떨어져 있는 B의 형태 변이를 유발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보이게 된 것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bull lsquo-시-rsquo 일치의 유발자는 주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

bull 할아버지는 손이 크시다bull 선생님은 댁이 지하철역에서 머시다bull 나는 김 선생님이 무섭다 무서우시다bull 김 선생님은 무서우시다 무섭다bull 그때의 철없던 아이가 나중에 부처님이 된 되신 것이다

bull 그러나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들 가운데 주어라는 문법적(통사적) 제약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화자의 주관적 태도 사회적 관계의 파악 방식에 따라 훨씬 자유롭게 lsquo-시-rsquo가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사람이 있음

bull 화용론적 접근을 하는 일부 학자는 주어(subject)라는 통사적 개념보다는 주제화제(topic)이라는 화용론적 개념이 lsquo-시-rsquo 사용을 지배하는 더중요한 변수라고 주장하기도 함

bull 할아버지는 저 멀리 있는 산이 보이세요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7: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bull 주어 목적어 등은 문법역할(grammatical role)bull 주제 초점 등은 정보(구조상의) 역할(informational role)bull 하나의 명사구가 문법역할과 정보역할을 동시에 지닐 수 있음bull 할아버지는 철수를 좋아하신다

bull 주어 겸 주제인 lsquo할아버지rsquo의 지시대상을 높임

bull 주어와 주제가 하나가 아닐 때 lsquo-시-rsquo는 주어와 관계를 맺음bull 철수는 할아버지를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할아버지는 철수가 좋아하고좋아하시고 할머니는 영희가 좋아한다좋아하신다bull 철수는 할아버지가 좋아하시고 영희는 할머니가 좋아하신다

bull lsquo-시-rsquo 등에 의한 대우법 현상을 사회언어학적 화용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나

bull 그럴 때에도 통사적 제약에 주의를 기울여야 정밀한 문법 기술이 될 수 있음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8: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bull (1) a 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셨다bull b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였다bull 화자가 주어 명사구의 지시대상에 대해 존대의향을 가지고 있을 때bull 그 주어와 주술관계를 맺고 있는 용언에 lsquo-시-rsquo를 안 붙이면 부적격함bull (2) 분열문 오히려 lsquo-시-rsquo를 쓰면 어색함

bull a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선생님이었다bull arsquo 주말에 교실을 청소하신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bull b 주말에 교실을 청소한 것은 (놀랍게도뜻밖에도) 선생님이었다

bull (3) 관계절 lsquo-시-rsquo를 안 써도 문제 없음bull a 이 문제를 맞히신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bull b 이 문제를 맞힌 분께는 상금 100만원을 드립니다

bull 주어와의 일치가 느슨해지거나 유보되는 것은 이 주어 명사구의 정보역할이 전형적인 구정보화제가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 듯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19: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bull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배열 순서가 현대어와 다른 점이 있음

bull lsquo-더시-rsquo lsquo-거시-rsquo gt lsquo-시더-rsquo lsquo-시거-rsquobull 15세기에 이미 두 순서가 공존하나 전자가 우세bull 이 배열 순서의 변화는 원인이 lsquo-시-rsquo에 있다기보다는 lsquo-더-rsquo lsquo-거-rsquo에 있음

bull lsquo-시-rsquo 앞의 lsquo-으-rsquo는 lsquoㄹlsquo 뒤에서도 탈락하지 않음bull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bull 성조도 前倚的 성조로 고정적 거성인 일반 매개모음과 다름

bull 모음어미를 취할 때 양성모음으로 행동함 시+아rarr샤bull 시+오rarr샤 시+옷rarr샷bull TAM 선어말어미에 비해 뒤에 올 수 있는 어미가 훨씬 자유로움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0: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bull lsquo있다rsquo의 주체 높임 표현 lsquo계시다rsquo vs lsquo있으시다rsquo

bull [存在]의 의미일 때 계시- 예 할아버지는 안방에 계시다안 계시다bull [所有]의 의미일 때 있으시- 예 할아버지는 돈이 있으시다많으시다없으시다

bull 중세어에서는 [所有]의 의미일 때도 lsquo겨시-rsquo 사용bull 일로 혜여보건덴 므슴 慈悲 겨시거뇨 lt釋詳66agtbull 처 道場애 안시니 부톄라 혼 일후미 겨시고 轉法야 涅槃 니르시니 法이라 혼 일후

미 잇고 憍陳如를 濟渡샤 羅漢이 외니 僧이라 혼 일후미 이시니라 lt釋詳1359bgtbull cf 일본어 존재동사 rsquoいるrsquo의 존경어 현대어 lsquoいらっしゃるrsquo 고전어 lsquoましますrsquobull 현대일본어에서 lsquoいらっしゃるrsquo는 [존재]에만 쓰는데bull 고전일본어에서는 lsquoましますrsquo를 [소유]와 [존재]에 모두 사용함

bull 자다 ndash 주무시다 (중세어 lsquo자-rsquo ndash lsquo자시-rsquo 명사는 lsquorsquo)bull 먹다 ndash 잡수시다 드시다 자시다 (중세어 lsquo좌시-rsquo 드물게 lsquo좌시-rsquo)bull 죽다 ndash 돌아가시다 (중세어 lsquo업스시-rsquo=없+(으)시-)bull lsquo계시다lsquo lsquo주무시다lsquo 등의 lsquo-시-rsquo도 역시 (어간이 아니라) 선어말어미임

bull lsquo-셔요lsquo~rsquo-세요rsquo 교체 현상은 어간의 lsquo시lsquo에는 안 일어나고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에만 일어남bull 마시세요마세요 모시세요모세요 계세요계시세요 주무세요주무시세요

bull 어떤 어휘소(lexeme)의 굴절 패러다임 내 특정 굴절형에서 엉뚱한 어간형이출현할 때 이를 보충형(suppleted form)이라 함 보충법(suppletion)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bull 어머니 집에 계시니bull 아비애비는 아직 안 들어왔습니다bull 사장님 김 부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bull 압존법(壓尊法)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보다 지위가 더 높을 때에는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bull 압존법의 반대 현상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해 화자가 존대 의향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청자가 주어의 지시대상을 높일 만하다고 생각되면 주어의 지시대상에 대한 존대 의향을 드러낼 수 있다

bull 이들 현상에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관점이입(empathy)bull 타자의 마음을 고려하여 타자의 관점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bull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읽는 능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

고 언어에도 이것이 구석구석에 반영되어 있음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객체 대우법bull 용언이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를 주체라고 한다면

bull 그 사태로 인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를 객체라고 할 수 있음bull 객체는 문법역할상 목적어 또는 보어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음bull 이 객체에 대한 화자의 존대비존대 의향이 객체 대우법으로 표현됨bull 중세 한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 lsquo--rsquo이라는 문법적 장치로 표현bull 현대로 오면서 이것은 사라지고 어휘적 장치에 의한 객체 대우법만 남음

bull 주다 ndash 드리다 올리다 말하다 ndash 말씀 드리다 보다 - 뵙다bull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철수는 할아버지께 책을 드렸다bull 객체 명사구에 붙는 여격조사를 lsquo-에게lsquo 대신 lsquo-께lsquo를 사용하고bull 이와 관계된 동사가 객체 높임형이 따로 있으면 높임형 사용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bull 화자설 객체 대우법은 화자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bull 화자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주체설 객체 대우법은 주체가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bull 주체보다 객체가 지위가 높을 때 객체 높임형이 사용된다

bull 두 주장 모두 나름의 근거가 있음bull 이거 어머니께 갖다 드려라줘라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할아버지 이거 아버지한테 주실드리실 거죠 화자lt객체 주체gt객체 (주체설을

지지)bull 이거 네가 너희 보스한테 준드린 거지 화자gt객체 주체lt객체 (화자설을 지지)bull 魔王이 부텨를 보고보고 화자lt객체 주체⊀객체 (화자설을 지지)

bull 여기서도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觀點移入)을 하는 경우bull 화자가 주체의 입장이 되었을 때 즉 주체의 입장을 화자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어머니 친구가 또는 아버지가) 이거 어머니께 드려라 주체의 입장이 화자에게

이입된 경우

bull 화자가 주체에게 관점이입을 안 하는 경우bull 화자 입장에서 객체에 대한 존대 의향이 있으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달리 말하면 화자의 입장을 주체에게 注入(관점이입)하여 주체가 객체를 높일

만하다고 판단되면 객체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bull (불교 설화 화자의 입장에서) 마왕이 부텨를 보고 화자의 입장이 주체에게 이

입된 경우

bull 주체 대우법과 객체 대우법 모두 관점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bull 동아리의 중요성

bull 화자보다 높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 사람은 화자와 같은 동아리에 속하고 청자가 그 동아리 밖에 있으면 청자 앞에서 그 높은 사람을 존대할 수 없다

bull 외부인 다나카 사장 계십니까bull 사원 다나카 사장은 지금 자리에 없습니다안 계십니다

bull 정보 관할권(나와바리)의 중요성 (Kamio Akio)bull 話者 자신이 잘 알고 있는 情報라 하더라도 상대방의 領域에 속하는 情報에 대

해서는 確實히 알지 못하는 듯이 表現해야 한다bull 비서 사장님 이따 2시에 회의 있는 거 아시죠bull 사장 응 알고 있어bull helliphellipbull 사장 친구 자네 2시에 회의 있지 않나 그만 일어나 봐야 되지 않나bull 자네 2시에 회의 있네 그만 일어나게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bull 용언 서술어의 활용형에 의해 모든 문장에서 청자 대우를 표현하는 언어는 극히 드묾 한국어 일본어 외에 별로 보고된 바 없음

bull 일본어의 청자 대우법은 기본적으로 보통체와 공손체의 두 등급

bull 한국어는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의 매우 복잡한 체계bull 한국어 대우법을 연구하는 학자는 한편으로는 일본어학계의 경어에 대한 축적된 연구를 참고할 필요가 있고

bull 다른 한편으로는 서양 언어의 공손성(politeness) 연구를 참고해야 함

動詞文 形容詞文 繫辭文(名詞文)

普通體 終止形 終止形 名詞+da

恭遜體 連用形+masu 終止形+desu 名詞+desu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7: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bull 世界 여러 言語에서는 부름말(address term)에서 청자 대우법상의 差異가 드러난다

bull 영어의 경우 FN = first name LN = last name T = title (Mr Miss Mrs Ms Doctor Professor 등)

bull ① 애칭 (William-gtBill Elisabeth-gtLizBetsy Sandra-gtSandy Alexander-gtAlec James-gtJim)

bull ② FNbull ③ LNbull ④ FN+LNbull ⑤ T+LNbull ⑥ T+FN+LN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8: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bull 많은 유럽어에서 2人稱 單數 代名詞가 2개 存在한다bull 하나는 平稱 하나는 尊稱(2인칭 複數 대명사와 形態가 같은 경우가 많음)bull 예 프랑스語 tu-vous (T-V 교체) 獨逸語 du-Siebull 어떤 경우에 T 대명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V 대명사를 쓰는가bull 주된 요인은 권력(權力 power)과 친밀도(親密度 familiarity)유대감(紐帶感 solidarity)bull 話者와 聽者 사이의 권력 差가 클수록 下位者는 V를 上位者는 T를 쓰는 傾向이 있음 (非對稱

的)bull 친밀도유대감이 높을수록 서로 T를 쓰는 경향이 있음 (對稱的)bull 화자와 청자 사이에 권력 差가 거의 없을 때에는 친밀도가 TV를 決定하는 要因이 됨bull 親密度도 높고 화자가 上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T를 쓰면 됨bull 親密度가 낮고 화자가 下位者일 때는 별 고민 없이 V를 쓰면 됨bull 화자가 하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높은 경우bull 또는 화자가 상위자이지만 親密度가 낮은 경우 T와 V 중 어느 것을 쓸지 고민이 생김bull 권력과 친밀도 중 과거에는 권력이 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親密度가 더 중요한

요인이 됨bull 예 프랑스 이발소에서 손님이 이발사에게 과거에는 T를 썼으나 요즘에는 V를 씀bull 이러한 부름말의 使用 樣相의 變化를 통해 社會 構造 특히 階級 構造의 變化를 읽을 수 있음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29: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bull 두 사람이 어느 정도 親密해졌음을 相互間에 確認하고 承認하는 通過儀禮로서 부름말의 變化를 들 수 있음

bull V rarr Tbull ⑥ ⑤ ④ ③ rarr ② rarr ①bull 하십시오체 해요체 rarr 해체 해라체bull 이렇게 상호간에 樹立되고 確認되는 親密性에는 두 가지 種類가 있음bull 평등 지향적 친밀성 非對稱的인 呼稱 사용 rarr 對稱的인 呼稱 사용

bull 예 (美國에서 敎授가 學生에게) From now just call me John

bull 수직 지향적 친밀성 대칭적인 호칭 사용 rarr 비대칭적인 호칭 사용bull 예 (한국에서 職場 後輩가 직장 先輩에게) 선배님 이제부터는 저한테 말씀 낮추

시죠bull 한국인은 매우 미세한 차이라도 찾아내어 상하관계를 분명히 하려는 경향이 강함bull 상위자가 자신에게 존대말을 쓰면 하위자가 오히려 불편해하거나 서운해함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0: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bull 韓國 日本 등의 동아시아 학자들은 오랫동안 대우법이 규범이라는 대전제 하에 연구를 진행해 왔다

bull 즉 대우법은 言語 使用者에게 주어지는부과되는 규범으로서 언어 사용자는이 규범을 受動的으로 따라야 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ull 그런데 서양에서 대우법에 대해 화자가 능동적으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전략이라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나와서 동아시아의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bull 대우법은 꼭 따라야 할 규범이라기보다 여러 option들 중 話者가 어느 하나를선택하는 문제이고 그런 선택을 통해 특정 효과를 노릴 수 있다는 것이다

bull 예1 어머니가 평소에는 자식을 FN으로 부르다가 야단을 칠 때에는 FN+LN으로 부름

bull 예2 미국에서 백주 대낮에 거리에서 경찰이 흑인 의사에게bull ldquoWhatrsquos your name boyrdquo the policeman asked hellipbull ldquoDr Poussaint Irsquom a physician helliprdquobull ldquoWhatrsquos your first name boy helliprdquobull ldquoAlvinrdquo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bull 예3 남성 우월주의자로서 여자 상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남자 직원에게 여자 상사가 다양한 호칭을 씀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거리를 조정하거나 확인시킴

bull 예4 A와 B는 둘 다 여자로서 대학원 입학 동기인데 A가 B보다 3살 더많음 A는 B가 자기를 언니로 불러 주고 자기는 B를 동생처럼 대우하여친해지고 싶어하나 B는 A를 완강하게 lsquo~씨rsquo라고 부름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그럼으로써 대칭적인(평등한) 관계를 유지함

bull 예5 방위병들의 사회는 계급-나이-학번 등의 관계 요인과 근무 시간 ndash근무 시간 외라는 시간적 요인 병영 내 ndash 병영 외라는 공간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 계급은 아래지만 나이는 더 많은 신참이 퇴근 후 회식 자리에서 연하의 고참에게 말을 놓고 편하게 지내려 하나 고참은 병영 내에서의 기강 확립에 해가 될까 우려하여 선뜻 그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대우법의 성격bull 대체로 권력 差가 거의 없는 平等한 관계에서는 親密度가 청자 대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서로 얼마나 친밀한가 또는 얼마나친밀해지고 싶은가에 대해 두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음

bull 이런 경우 청자 대우법의 사용은 규범이라기보다 전략의 성격이 강해짐bull 청자 대우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통해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생각바람을 투영시킴

bull 그러나 권력지위 차가 커질수록 경어법은 전략이라기보다 규범의 성격이강해짐

bull 또한 동양보다는 서양에서 전략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도 있음bull 또한 대우법의 위반은 기타 문법 규칙의 위반과는 성격이 다름

bull 일반 문법 규칙을 위반하면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됨 native speaker는 그런 문장을 좀처럼 발화하지 않음

bull 대우법 규칙을 위반해도 완전히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님 native speaker도간혹 그런 문장을 발화함 혼동하기 쉽고 따라서 변화하기도 쉬움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형(사)절bull 명사체언을 수식하는 절을 명사수식절(noun-modifying clause) 연체절(일본학계의 용어) 관형(사)절이라 함

bull 용어 선택의 문제bull 어떤 학자들은 lsquo명사절rsquo lsquo부사절lsquo lsquo관형사절lsquo처럼 용어의 일관성을 선호함bull 그러나 품사와 문법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면 용어를 획일적으로 할 수 없음bull 명사절은 그 뒤에 다양한 조사가 붙어서 다양한 문법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일 수 없고 품사에 따라 붙일 수밖에 없음bull 반면에 부사절과 관형절은 고정된 문법역할을 하므로 절의 명칭을 문법역할에 따라 붙

일 수 있음bull 품사에 따른 명칭보다는 문법역할에 따른 명칭이 더 informative함bull 체언 용언만으로는 문법역할이 정해지지 않다가 조사어미가 붙으면 대개 정해짐bull IC 분석에 따라 철저하게 각 성분에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입장에 서면 더욱 그러함bull 나는 [[[그가 정직하](형용사절)ㅁ](명사절)을](목적어절) 안다bull [[키가 크](형용사절)ㄴ](관형어절) 사람bull 그는 [[신발이 닳](동사절)도록](부사어절) 뛰었다bull [철수는 [[키가 크](형용사절)다](서술어절)](문장)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bull 관계절(relative clause)

bull 핵 명사(head noun 피수식 명사)가 본래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 空白(gap)을 포함함

bull 핵 명사는 意味上 冠形節을 必要로 하지 않음 [e 이 冊을 쓴] 사람 [철수가 e 쓴] 冊

bull 보문 관형절bull 핵 명사를 관형절 내의 성분이었던 것으로 해석 불가능 空白(gap)이 없음bull 관형절이 핵 명사의 의미상의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함bull 例 [철수가 시험에 합격한합격했다(고 하)는] 사실bull 대개 lsquo-(으)ㄴlsquo을 lsquo-(었)다(고 하)는lsquo으로 바꿔도 의미에 큰 차이 없음

bull 영어의 경우 이 둘의 구별이 분명하나(관계대명사 관계부사 that)bull 한국어는 경계가 분명치 않은 면이 있음

bull [비 내리는] 소리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bull [우리 둘이 함께 식사한] 장소 [철수가 도착한] 시간

bull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한국어 문법에서 이 둘의 구분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lsquo경계가 불분명함rsquo은 lsquo범주 구분이 없음rsquo의 근거는 못 됨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계절(relative clause)bull 핵 명사(head noun)에 첨가됨으로써 청자가 그 명사구의 지시대상을 identify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절

bull 명사와의 통사적 관계가 매우 tight할 수도 있고(制限的 관계절)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非制限的 관계절)

bull 이 둘의 구별이 모호한 언어도 많음

bull 관계절은 핵 명사에 對한 情報를 담고 있으므로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는topic이라 할 수 있음

bull 관계절이 topic을 따로 가질 수 없음 예 철수가는 쓴 소설bull 관계절 내의 해당 성분이 관계화된다(relativized)고 함

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가질 수 있는 문법역할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bull 핵 명사가 관계절 내부에서 갖는 문법역할 또는 그 성분이 나타났어야 할 위치를 관계화

위치(relativization site)라 함bull 문법역할의 위계(주어-직목-간목-사격어-관형어)에서 어디에선가 경계선이 그어짐bull 卽 문법역할의 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이 낮은 위치를 차지하는 성분에 비해

쉽게 관계화되는 경향이 있음bull 관계화 가능-불가능의 경계선이 정확히 어디서 그어지는가는 언어에 따라 다름bull Malagasy어는 주어만 관계화 가능 영어는 거의 대부분의 성분이 관계화 가능bull 한국어는 관형어(속격 성분) 외에 가능 [남편이 의사인] 여자 larr 그 여자는 남편이 의사다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7: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계화 방책bull 1 제자리 방책(in-situ strategy)

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안의 본래 위치에 그대로 둠bull = 내핵 관계절(internally-headed relative clause)bull [철수가 책I 쓰]-ㄴ 거I = 철수가 쓴 책bull [철수i가 다방에서 나오]-는 것i을 붙잡았다 = 다방에서 나오는 철수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 = 길에서 파는 떡볶이

bull 2 추출 방책(extraction strategy)bull 관계화의 타겟이 되는 명사구를 관계절 밖으로 끄집어냄 = 외핵 관계절bull 21 空白 방책(gap strategy)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를 그대로 비워 둠

bull [철수가 ei 쓰]-ㄴ 책I the booki [whichi John wrote ei]bull 211 부치사 삭제 방책(adposition deleting strategy)

bull 타겟뿐 아니라 타겟에 붙는 부치사까지 없앰 한국어 [철수가 ei 국 떠 먹]은 숟가락I

bull 212 부치사 좌초 방책(adposition stranding strategy)bull 타겟 자리만 비워 두고 타겟에 붙는 부치사는 그 자리에 남겨둠 the spooni [whichi John ate soup with ei]

bull 213 부치사 수반이동 방책(adposition pied-piping strategy) 부치사를 관계대명사 자리로 옮김bull 예 영어 the spooni [(with whichi)j John ate soup ej]

bull 22 재현 대명사 방책(resumptive pronoun strategy)bull 타겟을 끄집어낸 뒤 남은 빈자리에 재현 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집어넣음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내가 [그i와 관련하여 논문을 썼던] 주제i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8: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bull 한 언어 내에서 둘 이상의 방책을 함께 사용하는 일이 흔히 있음bull 제자리 방책과 추출 방책 중

bull 口語에서는 제자리 방책을 선호하고bull 文語에서는 추출 방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bull 추출 방책 내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 대명사 방책 중bull 문장의 구조가 복잡할수록bull 핵 명사와 관계절 내 관계화 위치를 연결짓기 어려울수록bull 재현 대명사 방책을 使用하는 傾向이 높아짐

bull the booki [whichi John was surprised after reading iti]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높은 성분이 관계화될 때에는 공백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고

bull 문법역할 위계상 지위가 낮은 성분은 관계화될 때에는 재현 대명사 방책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bull [철수가 그것i에 대해서 논문을 쓴 적이 있는] 주제i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39: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주어의 관계화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0: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사격 성분의 관계화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Hawkins의 調査

주어 직접목적어 간목사격 속격(관형어)

空白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100(2424) 71(1724) 25(624) 4(124)

再現대명사 방책이 可能한언어의 比率

0(024) 37(924) 71(1724) 100(2424)

bull Keenan-Comrie 언어 표본에서 공백 방책과 재현대명사 방책 둘 다 可能한 24개 언어에서 이 두 방책의 문법역할 위계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bull 空白 방책은 환경이 단순할 때(영역이 작을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높은 위치로부터 낮은 위치로 확장bull 재현대명사 방책은 환경이 복잡할 때(영역이 클 때) 사용됨bull 문법역할 위계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확장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bull 관계절이 핵 명사와 tight하게 결합하여 통사적으로 핵 명사의 수식어인 경우도있지만

bull 이 둘의 결합이 느슨하여 거의 동격 관계에 가까운 경우도 있음bull 영어의 제한적-비제한적 구분도 이런 긴밀도의 차이

bull [길에서 ei 파는] 떡볶이ibull 추출 방책(외핵 관계절) 공백 방책bull 관계절이 핵 명사를 수식함 문어적

bull [길에서 떡볶이i 파는] 거ibull 제자리 방책(내핵 관계절)bull 핵 명사는 관계절 내부에 있고 관계절이 포괄 명사 수식 구어적

bull 떡볶이i [ [길에서 ei 파는] 거i]bull 핵 명사와 [관계절이 포괄 명사를 수식하는 구조]가 동격 관계를 이룸bull 후자를 넓은 의미의 관계절이라 보면 관계절이 핵 명사에 후행한 구조라 할 수 있음bull 대개 명사구 내에서 수식 성분이 핵 명사 뒤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앞으로 가면 관계가 더 긴

밀해짐 자동차 두 대 두 대의 자동차

bull 인류 언어의 진화 과정에서 통사 구조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구조로부터 좀 더tight한 구조로 진화홰 왔을 것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bull 하나의 要素가 핵 명사와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同時에 하는 경우bull 영어 [What John wants] is your lovebull 古代 中國語 [我所有] [彼所殺]

bull 所 主部와 述部 사이에 옴bull 문법역할 위계상 主語 이외의 것만 가능bull lsquo所rsquo를 이용한 자유 관계절 뒤에 핵 명사가 나타날 수도 있음 [彼所殺]之人bull 기원적으로는 [彼所殺]과 lsquo人rsquo의 동격 구조였던 것이 결합이 점차 긴밀해져서 전

자가 후자의 수식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bull 고대 한국어에서는 lsquo-(으)ㄴlsquo lsquo-(으)ㄹlsquo이 명사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고 자유 관계절을 만드는 데도 사용되었다

bull 作樂홀도 = [作樂동사+오선어말어미+ㄹ동명사어미]+도조사bull [음악을 연주하는 이]도bull 얼운(얼우+ㄴ) gt 어른 얼우신 gt 어르신 이 현상의 화석

bull 고대 일본어의 연체형도 마찬가지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bull 황국정(2000) 석독구결의 두 관형사절에 대해 구결연구 6bull ㄴ동명사어미+형식명사+ㅅ속격조사

bull 두 lsquoㄴlsquo 중 하나가 곧잘 생략됨

bull ㄹ동명사어미+이형식명사+ㅅ속격조사bull 若 美 味 得 專 自 受 不 lt화소0910-11gt

bull [[美-ㄴ] ]-ㅅ 味bull 若 自 食 時 是 念言 作 lt화소0912-13gt

bull [[스싀로 食-ㄹ] 이]-ㅅ 時bull 비유하자면 lsquo[길에서 파는 거]-속격조사 떡볶이rsquo 정도의 구조

bull 고전 중국어의 [彼所殺]之人와도 비슷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bull 英語 等의 西洋 言語에서는 이 둘이 매우 다르게 表現됨

bull 關係節 lsquowhichrsquo lsquowhorsquo 等의 關係代名詞bull 補文 冠形節 that 等의 接續詞

bull 그래서 傳統文法으로부터 現代言語學에 이르기까지 별 疑心 없이 이 둘을 매우 다른 別個의 範疇로 設定해 왔음

bull 그런데 韓國語 日本語 아이누語 크메르語 一部 튀르크語 드라비다語를 비롯한 많은 아시아 言語들에서는 이 둘이 같은 標識로 表現됨

bull 韓國語 lsquo-ㄴㄹrsquo 日本語 連體形 中國語 lsquo的rsquo 等

bull 따라서 이들 言語에서는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을 區別할 必要가 없다는主張이 있음

bull Comrie 洪在星 文璹永 等bull 이 둘의 區別이 分明한 言語를 바탕으로 한 偏見先入見이 이 둘의 區別이 없는 言語에 對한 記

述에 無批判的으로 適用되었다는 것bull 이들 言語에서는 大蓋 論項이 自由롭게 省略될 수 있으므로 關係節 內의 空白도 特別할 것이 없

는 論項 省略(所謂 zero anaphor)으로 볼 수 있다는 것bull 所謂 名詞 修飾節의 單一性(unity of noun-modifying clauses) 假說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bull 아시아 言語들에서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이 表面上 같은 標識를 使用하기는하나

bull 이 두 構文은 文法的 行態에서 많은 差異가 있음bull 補文 冠形節은 lsquo-다(고 하)는rsquo lsquoというrsquo을 덧붙여도 意味에 별 差異가 없으나 關係節에 이

들을 덧붙이면 lsquo傳聞rsquo이라는 證據性의 意味가 追加됨bull 철수가 試驗에 合格한合格했다(고 하)는 事實bull 철수가 쓴썼다(고 하)는 小說

bull 關係節은 核을 앞에 提示하는 同格 構成이 可能하나(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補文 冠形節은 不可能하다

bull 關係節 內의 空白은 統辭的 性格이 强한 反面에 zero anaphor는 話用的 性格이 强해서 이 둘은 매우 異質的인 것임

bull zero anaphor는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했을 때 統辭的으로 非文이 되는 것은 아니나 關係節의 空白은 外顯的인 名詞句로 代置하기가 훨씬 더 어려움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유럽 中心主義 文化 帝國主義에서 脫皮하고자 하는 試圖처럼 보이나 事實은 빗나간 오리엔탈리즘

bull 하나의 形態가 多樣한 機能을 遂行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bull polysemy syncretism

bull 그런 polysemy의 言語間 差異나 樣相은 意味地圖 model로 捕捉하면 됨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7: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bull 表面上 같은 標識로 實現된다고 해서 各 構文의 文法的 差異가 없다고는 絶代로 斷定할 수 없음

bull 오히려 表面上의 同一性 밑에 깔려 있는 差異를 밝혀내는 것이 言語學者의 課題bull 여러 意味機能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되는 言語에만 익숙한 사람은 그

여러 意味機能을 區別할 생각조차 못하다가bull 이들 意味機能이 區別되어 表現되는 言語를 봄으로써 비로소 이들을 區別하여 認

識하게 되는 일이 많음bull 1人稱 複數 包括形과 排除形 證據性의 區分 aspect의 區分(完望-非完望) 等bull 韓國語 lsquo서다rsquo 헝가리語 lsquomeg-aacutellrsquo 對 日本語 lsquo立つrsquo lsquo止まるrsquo

bull 言語 對照 硏究 言語類型論의 價値는 바로 그러한 데에 있는 것임bull 言語學者는 自己에게 익숙한 言語들에서는 區別되지 않는 것이 exotic한 言語에서

는 區別됨을 자꾸 發見해 감으로써 自身의 言語感覺을 더 銳敏하게 發達시켜 가야 함bull 물론 그 반대 방향의 인식도 필요 lsquo이렇게 다른 것들이 하나의 標識로 뭉뚱그려져 實現될 수도 있구나rsquo 하

는 認識 이러한 認識도 差異에 대한 理解를 前提로 함

bull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은 그것을 顚倒시킨 有害한 發想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8: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

일치의 유보(suspension)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49: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① 주어가 1인칭임을 나타내는 인칭어미 또는 1인칭 주어와의 일치를 표시하는일치표지 사용 환경 종결형 lsquo-니rsquo형 예 (20a)

bull ② 관계화된 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갖는 문법역할이 목적어대상임을 나타내는표지 사용 환경 관계절 예 (20b)

bull ③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나 보문관형절에서 수의적으로 쓰이는 경우 및 명사절에서 필수적으로 쓰이는 경우 사용 환경 보문관형절 명사절 예 (20c)

bull (20) 중세 한국어bull a 하 우 하 아래 나 尊호라(尊-오-다) (天上天下 唯我爲尊) lt釋詳617agtbull b 나혼(낳-오-ㄴ) 子息이 端正야 본 사미 깃거며 (所生之子 身分具足形色端正 見者歡喜) lt釋詳926agt

bull c 사미 漸漸 邪曲야 모딘 일 지(-우-ㄴ) 다로 餓鬼 畜生 地獄애 가아 나며 (以惡業力 漸漸下生餓鬼 旁生地獄) lt月釋146bgt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0: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bull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신라 향가에 나오는 lsquo-오-rsquo의 용례 중 대다수는 15세기의 ① ② ③의 용법으

로 수렴됨bull (21) 석독구결 향가의 ①의 용법

bull a 吾 今 先 諸 菩薩 [爲] 佛果 護 因緣 十地 行 護 因緣 說lt구인318-19gt

bull b 我 今 月光 三寶 禮 lt구인118gtbull c 敬禮 譬喩 無 深無上意 說 lt금광134gtbull d 我 今 已 諸 菩薩 爲 佛 往 修 淸淨行 說 lt화엄823gtbull e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lt獻花歌gtbull f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bull (22) 석독구결 향가의 ②의 용법bull a 善男子 其 說 所 十四般若波羅蜜 三忍 lt구인1124-25gtbull b 汝 解 所 [如] lt구인1123gtbull c 佛 說 所 順 摠持 忘 不 lt화엄83gtbull d 二者 諸佛如來 說 甚深法 心 常 樂 聞 猒足 無有 lt금광325-41gtbull e 郎也 慕理尸 心末 行乎尸 道尸 lt慕竹旨郞歌gt

bull (23) 석독구결 향가의 ③의 용법bull a 時 無色界 量 無 變 大香花 雨 香 車輪 [如] 花 須彌山王 [如]

lt구인214-15gtbull b 佛 卽 時 知 lt구인313gtbull c 彼人 佛 不思議 信 lt화엄1015gtbull d 譬 師子 臆長毫獸 王 大神力 有 獨步 畏 無 戰怖 無有 如 lt금광22-3gtbull e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攴)白屋尸 置內乎多 lt禱千手觀音歌gt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세 용법 사이의 관계bull 15세기 공시적으로는 ① ② ③의 용법을 구분하는 것으로 記述文法(descriptive grammar)의 숙제는 일단락됨

bull 그런데 세 용법 모두 이형태 교체 양상이 동일하므로bull 이들은 homonym이라기보다 동일 기원에서 나왔을 것bull ②와 ③의 관계

bull ②는 관계절이고 ③은 보문관형절middot명사절이라는 차이가 있기는 하나bull 둘 다 주어가 관계화된 것은 아닌 동명사절(=명사절+관형절)임bull ②로부터 ③으로의 확장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bull ①과 ②의 관계bull 둘 사이의 거리가 멀어 서로 관련짓기가 어려움bull ①로부터 ②로의 용법 확장을 설명하는 데 제3절 특히 36의 논의가 실마리가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bull 어떤 언어에 특정 요소(B)가 특정 요소(A)의 특정 자질에 대해 일치를 보인다는 일반적인 규칙이 있다고 할 때

bull 유발자(A)와 담지자(B) 사이의 일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항상 일치를 보일수도 있지만

bull 특수한 조건 하에서는 일치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음bull 즉 일치가 유보될 수도 있음bull 이것은 음소 대립(opposition)의 中和(neutralization)와도 비슷함

bull 어떤 언어의 두 음소가 일정한 음운자질에 따라 대립을 보인다고 할 때bull 이 음소 대립이 모든 환경에서 항상 유지될 수도 있지만bull 특정 환경에서는 대립이 유보중화될 수도 있음

bull 마찬가지로 일치유발자의 어떤 자질에 따른 일치담지자의 형태상의 변이가 항상 일어날 수도 있지만

bull 특정 조건 하에서는 일치담지자가 형태상의 변이를 보이지 않고 그냥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 일치의 중화유보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bull 일치는 어떤 경우에 유보되는가bull 특정 언어에만 한정된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수 있겠지만bull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일치 유보 조건도 있을 것bull 일치가 유보되는 일반적 원인 중 하나로 자질들 사이의 간섭이 있음bull 자질 X가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bull 의 값을 가질 때에 비해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의 효용가치가떨어질 수 있음

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해 일치를 보이나bull 자질 X가 의 값을 가질 때에는 자질 Y에 대한 일치가 유보될 수 있음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bull 유정성 위계

bull 12인칭 대명사 gt 3인칭 대명사 gt 고유명사 gt 인간명사 gt 非인간 유정명사 gt 무정명사

bull 유정성 위계의 아래 부분보다는 위 부분에서 수의 구별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음

bull 유정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필수적인데 무정명사는 수 구별이 수의적이라거나

bull 정성 위계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명사는 수 구별이 가능한데 유정성 위계의 낮은 위치에 있는 명사는 수 구별이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한 인지적 설명bull 인간은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bull 자신과 비슷한 존재에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bull 인간과 가까운 유정물에 대해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만 인간과 거리가 먼 무

정물에 대해서는 수 구별을 하지 않는 것이 이상할 것이 없음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bull (4) Miya (Chadic Schuh 1989 175-176 1998 243-244 Corbett 2006 177-178)

təvam tsər

womanPL two

lsquotwo womenrsquo

aacutevam tsər

womanSG two

lsquotwo womenrsquo

zəkiy-aacuteyagravew vaatlə

stone-PL five

lsquofive stonesrsquo

zəkiy vaatlə

stone[SG] five

lsquofive stonesrsquo

niacuteykin dzaacutefə

thisPL manPL

lsquothese menrsquo

niacuteykin təmakwigravey

thisPL sheepPL

lsquothese sheeprsquo

naacutekən viacuteyayuacutew-awagravew

thisMSG fireplace(M)-PL

lsquothese fireplacesrsquo

taacutekən tlərkaacutey-ayagravew

thisFSG calabash(F)-PL

lsquothese calabashesrsquo

bull 유정물은 복수 표시가 필수적 무정물은 복수 표시가 수의적bull 유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bull 무정물은 지시사에 대해 수 일치를 유발하지 않음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유정성과 性

bull 유정명사뿐 아니라 무정명사까지 포함하여 모든 명사를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는 언어들이 많이 있으나

bull 유정물의 성 구별은 의미적 동기(semantic motivation)를 갖는 데 비해bull 무정물의 성 구별은 상대적으로 의미적 동기가 결여되어 있음 bull 따라서 유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무정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않는 일이 있을 수 있음

bull 또는 유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완전하게 일어나는 데 비해 무정명사에 대한 성 일치는 상대적으로 불완전할 수도 있음

bull 이것은 일치가 완전히 유보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 유보되는 것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7: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數와 性bull 많은 언어에서 명사대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지만 복수일때는 성 구별을 보이지 않는 일이 있음

bull 영어의 3인칭 대명사 lsquohersquo lsquoshersquo lsquotheyrsquo

bull 단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나 복수 명사대명사는 성 일치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음

bull 프랑스어의 정관사는 단수에서 남성 lsquolersquo 여성 lsquolarsquo의 구별이 있지만 복수에서는 lsquolesrsquo로성 구별이 없음

bull 지시사 lsquocersquo lsquocettersquo lsquocesrsquo도 평행함bull cf 이태리어 정관사는 남성 단수 lsquoilrsquo 여성 단수 lsquolarsquo 남성 복수 lsquoirsquo 여성 복수 lsquolersquo로 복수에

서도 성 구별이 있음

bull 인지적 설명bull 명사가 단수일 때는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확실하게 결정되지만bull 복수일 때는 그 안에 남성과 여성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bull 남성인지 여성인지 결정하는 문제(gender resolution이라 부름)가 복잡해질 수 있음bull 복수에서는 성 구별을 하지 않는다면 그런 복잡한 문제를 피할 수 있음bull 예 독일어 러시아어의 주어-동사 일치bull 단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나 복수에서는 성 일치가 일어나지 않음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8: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bull 일치의 방향성 유발자 rarr 담지자bull 정보구조의 방향성 구정보화제 rarr 신정보초점bull 두 방향성이 일치할 때는 일치가 일어나는 데 별 문제가 없음

bull 예 화제구정보인 주어 명사구의 자질에 따라 초점신정보인 서술어가 일치를보임

bull 이 둘의 방향성이 불일치할 때 문제가 발생bull 정보구조의 힘이 강해서 일치가 일어나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고bull 일치의 힘이 강해서 정보구조의 간섭을 뿌리칠 수도 있음bull 일치 현상이 문법화의 성숙도가 높아서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면 정보구조의 간섭을 이겨낼 수 있을 것

bull 예 영어의 주어-동사 일치 주어가 신정보비한정적일 때도 동사에 일치 유발bull (7) a There isare a boy in the roombull b There areis boys in the room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59: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화제 대 非화제bull (8) Kinyarwanda (Bantu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2에서 재인용) aba-shyitsi ba-ra-ririacuteimbir-a mu gi-sagaacutera

PL-guest(12) 2-PRS-sing-IPFV in SG-village(78)

lsquoThe guests are singing in the villagersquo

ha-ra-ririacuteimbir-a aba-shyitsi mu gi-sagaacutera

16-PRES-sing-IPFV PL-guest(12) in SG-village(78)

lsquoThere are guests singing in the villagersquo

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화제-평언 구조로 분절되지 않는 제언문(theticsentence)일 때 다시 말하면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보이지 않고 대신 locative gender(gender 16)와 일치를 보임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0: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화제 대 非화제bull (9) Russian (Lambrecht and Polinsky 1997 202 Corbett 2006 203에서재인용) pjat film-ov pojavi-l-i-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PL-REFL on screen-PLLOC

lsquo(The) 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pjat film-ov pojavi-l-o-s na egravekran-ax

five[NOM] movie-PLGEN appear-PST-NSG-REFL on screen-PLLOC

lsquoFive MOVIES were releasedrsquo lsquoThere were five MOVIES releasedrsquobull 주어가 화제이고 술부가 초점일 때는 동사가 주어와 일치를 보임bull 문장 전체가 초점일 때 즉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가 주어와의 일치를보이지 않음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중성 단수형이 사용됨

bull 주어가 화제가 아닐 때는 동사 뒤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나 (9b)에서처럼 동사 앞에 나타날 수도 있음

bull 일치의 유보를 야기하는 결정적 요인은 어순이라기보다는 정보구조임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초점 대 非초점bull 非초점에 비해 초점은 일치를 유발하는 힘이 더 약함bull (10) Somali (Cushitic Saeed 1993 73 Corbett 2006 203에서 재인용)

Baabuuraacute-diacutei aniacutega ayagrave=y i dhaaf-een

truckPL-DEF lSG非NOM FOC=3PL 1SGOBJ passPST-3PL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ME that the trucks passedrsquoBaabuuraacute-diacutei ayagravea i dhaaf-aacutey

truckPL-DEF FOC 1SGOBJ passPST-3PLRED_AGR

lsquoTHE TRUCKS passed me It was THE TRUCKS that passed mersquobull (10a)에서는 초점 첨사 lsquoayagraverrsquo가 목적어인 1인칭 대명사에 붙어 있고bull (10b)에서는 초점 첨사가 주어인 trucks에 붙어 있음bull (10a)에서는 주어가 초점이 아니어서 동사에 온전한 일치를 유발하였으나bull (10b)에서는 주어가 초점이어서 동사가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를유발하는 데 그침

bull 즉 여기서는 일치가 완전히 유보된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유보되었음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의문사bull WH-의문문에서 의문사는 전형적인 초점의 한 종류bull 의문사가 아니었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의문사일 때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생성문법 학계에서 Ouhalla (1993) 이후 Anti-agreement라는 이름으로 많이 논의됨

bull (11) Ibibio (Bantu Essien 1990 162-163 Baker 2008b에서 재인용)

Okon aacute-ke-dia ekpaŋ

Okon 3SG-PAST-eat porridge

lsquoOkon ate porridgersquo

Anie iacute-k-i-diaa-ke-dia ekpaŋ

who I-PAST-I-eat3SG-PAST-eat porridge

lsquoWho ate porridgersquo

bull Ibibio에서 주어는 보통 동사에 일치를 유발함 (11a)의 3인칭 단수 lsquoaacute-rsquobull 주어 일치 표지가 시제 표지 앞과 뒤에 나타나나 뒤의 것은 모음충돌 회피로 탈락

bull 주어가 의문사이면 시제 표지 앞과 뒤에 특수한 형태소 lsquoiacute-rsquo가 사용됨bull 이것은 default형 일치가 유보될 때 사용되는 형태소

bull Kinande (Bantu) Berber Celtic Turkish 등 여러 언어에 비슷한 현상 있음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한정성 특정성bull (12) Rural Palestian Arabic (Frederick Hoyt 2002 111 Corbett 2006 201) baeligkyɛbaeligki hanaeligk marat ɩḥmad ɩd-dabbaeligč

beACT_PTCPFSGbeACT_PTCPMSG there wifeFSG Ahmad DEF-Dabbak

lsquoAhmad the Dabbaks wife was therersquobaeligkabaeligku fi χams ɩzlaeligm fɩ-d-dar

bePFV3SGMbePFV3PLM EXPLETIVE five man(M)PL in-DEF-house

lsquoThere was I were five men in the housersquo

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동사 일치가 필수적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올 때

bull 주어가 한정적이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필수적으로 유발bull 주어가 비한정적이면 일치가 수의적

bull 일치가 유보되면 default 형식인 3인칭 단수 남성형이 사용됨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목적어의 경우bull (13)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1999 2001 16 Corbett 2006 199)

bull O1은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경우 O2는 목적어와의 일치를 보이는 경우

ma tam kalaŋ wel-s-əm

I this reindeer kill-PST-1SGO1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oslash-em

I this reindeer kill-PST-SGOBJ-1SGO2

lsquoI killed this reindeerrsquoma tam kalaŋ wel-sə-l-am

I this reindeer kill-PST-PLOBJ-1SGO2

lsquoI killed these reindeerrsquo

ma tam kalaŋ wel-sə-ŋil-am

I this reindeer kill-PST-DUOBJ-1SGO2

lsquoI killed these (two) reindeerrsquobull 동사는 주어1차 화제(primary topic)와의 일치도 보이고bull 목적어와의 일치도 수의적으로 보일 수 있음bull 그런데 목적어가 2차 화제(secondary topic)특정적(specific)일 때만 일치가 가능

bull 목적어가 초점불특정(non-specific)일 때는 일치가 불가능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목적어의 경우bull (14) Khanty (Ostyak Uralic Nikolaeva 2001 29)bull a Whom did John hit

luwJuwan Petra resk-əsresk-əs-li

heJohn Peter hit-PAST3SGO1hit-PAST-3SGO2

lsquoHeJohn hit Peterrsquo

tup luw-el wan-s-əmwan-s-em

only he-ACC see-PAST-1SGO1see-PAST-1SGO2

lsquoI only saw himrsquo

Juwan man-em want-əswant-əs-li anta naŋ-en

John I-ACC see-PAST3SGO1see-PAST-3SGO2 not you-ACC

lsquoJohn saw me not yoursquo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어순

bull 주어가 구정보화제일 때는 동사 앞에 오고 신정보초점일 때는 동사 뒤에 오는 현상이 많은 언어에 있음

bull 이에 따라 주어가 동사 앞에 올 때는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고 동사 뒤에올 때는 일치가 유보되는 일이 많이 있음

bull 표준 이태리어는 주어가 동사 뒤에 오고 화제가 아니더라도 동사에 일치를 유발

bull (15) Standard Italian (Nocentini 1999 316 Corbett 2006 186에서 재인용)

Arriv-ano i prim-i turist-i

Arrive-3PL DEFMPL first-MPL tourist(M)-PL

lsquoThe first tourists are arrivingrsquo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7: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어순 Spoken Tuscan Italianbull 주어가 동사 앞에 오고 화제일 때만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가 동사 뒤에 오거나 초점이면 동사에 일치를 유발하지 못함bull (16) Spoken Tuscan Italian (Nocentini 1999 319 321 Corbett 2006 187에서 재인용) I bollin-i manc-ano ancora

DEFMPL coupon(M)-PL lack-3PL still

lsquoThe coupons are still missingrsquoMi manc-a cinque bollin-i per arriv-are a venti

1SGDAT lack-3SG five coupon(M)-PL to get-INF to twenty

lsquoI need five coupons to get to twentyrsquoQuant-i bollin-i ti manc-a per arriv-are a venti

Howmany-MPL coupon(M)-PL 2SGDAT lack-3SG to get-INF to twenty

lsquoHow many coupons do you need to get to twentyrsquo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8: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외치 구문bull 정보구조상 특수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외치(extraposition dislocation)되는 일이 흔히 있음

bull 분열문(cleft sentence) 초점이 배경과 분리됨bull 화제화(topicaliz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bull 좌측 전위(left dislocation) 구문 화제가 문두로 이동하고 원래 위치에는復指 대명사(resumptive pronoun)가 사용됨

bull 후보충 구문 우측 전위 구문 배경의 일부가 문말로 후치됨bull 관계절 중 외핵(externally-headed) 관계절 관계화되는 성분이 관계절로밖으로 빠져나감

bull 외치되지 않았다면 일치를 유발했을 성분이 그렇게 외치된 되에는 일치를 유발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음

bull 절의 핵심 구조 밖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에 일치를 유발할 능력 상실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69: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관계절 내의 동사에 축소된 일치(reduced agreement)만 일어남

bull 목적어가 관계화되고 주어는 관계절 내에 남아 있을 때에는 동사에 온전한 일치(full agreement)가 유발됨

nimaacutenka [ buugaacutegga keenaacute ]

men-the books-the bringRED_AGR

lsquothe men who bring the booksrsquo

buugaacutegga [ nimanku keenagravean ]

books-the men-the bringFULL_AGR

lsquothe books which the men bringrsquo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0: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bull 터키어에서 관계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어미에는 lsquondashAnrsquo과 lsquondashDIKrsquo이 있음bull -An 주어의 관계화 非定形(non-finite form) 동사에 일치가 안 나타남bull -DIK 非주어의 관계화 定形(finite form) 동사에 일치 유발

[ oslashi okul-a gid-en ] adami

oslash school-Dat go-An man

lsquothe man who goeswent to schoolrsquo

[ adam-m oslashi git-tigndashi ] okuli

man-Gen oslash go-DIK-3SG school

lsquothe school that the man goeswent torsquo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1: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bull 非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내 주어가 동사에 일치를 유발bull 주어의 관계화 관계절 동사에 일치가 유보되어 default 형태인 lsquoiacute-rsquo가사용됨

Ami m-ma-kɨt ebot [ se Okon aacute-ke-depiacute-k-i-dep ]

I 1SG-PAST-see goat that Okon 3SG-PAST-buyI-PAST-I-buy

lsquoI saw the goat that Okon boughtrsquo

Ami m-ma-kɨt ebot [ se iacute-k-i-taa-ke-ta udia ]

I 1SG-PAST-see goat that I-PAST-I-eat3SG-PAST-eat yam

lsquoI saw the goat that ate the yamsrsquo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2: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lsquo-오-rsquo의 용법 ①bull lsquo-오-rsquo의 세 용법 중 ①이 기원적인 용법으로 추정됨bull ①의 용법은 기본적으로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bull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가 사용되고 2middot3인칭일 때는 zero형이 사용됨

bull (24) lsquo-오-rsquo의 ① 주어의 인칭 자질에 대한 일치 용법의 예시 주절bull a 1인칭 내 아기를 나호라(낳-오-다)bull b 2인칭 네 아기를 나타(낳-oslash-다)bull c 3인칭 뎨 아기를 나타(낳-oslash-다)

bull (25)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를 여전히 보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낳-oslash-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낳-oslash-ㄴ) 아기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3: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주어가 관계화된 경우에는 36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계절에 주어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관계절 내 서술어에 일치가 유발되지 않았을 것으로추정할 수 있음

bull (26)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주어의 인칭에 따른 일치가 유보됨bull a 1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나bull b 2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너bull c 3인칭 아기 나(낳-oslash-ㄴ) 뎌

bull (25)와 (26)의 차이에 대한 해석bull 성인 lsquo-오-rsquo는 1인칭 일치 표지이고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

가 여전히 일어나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주어와의 인칭 일치가 유보된다bull 언어습득 과정 중에 있는 어린이 非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관계화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bull 단서 (25a)에는 주목하고 (25b c)는 주목하지 못함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4: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bull 언어 변화를 기술할 때 흔히 어떤 언어요소의 표면형이 A로부터 B로 변했다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

bull 표면형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님bull 화자가 내뱉은 표면형은 청자의 귓전을 때린 뒤에는 공기중에서 흔적도없이 사라짐 즉 표면형은 덧없는 존재임

bull 장기간 존속되는 것은 이 표면형을 산출한 (화자의 머리속에 내재화된) 문법(규칙들의 체계)임

bull 언어 변화는 대개 세대간의 언어 전수 즉 어린이의 언어습득시에 일어남bull 성인들의 머릿속에 있는 문법과 어린이가 자기 머릿속에 새로 만들어낸문법이 다를 때 언어 변화가 일어나는 것

bull 실은 이런 개인 차원의 변화가 언어공동체 내에 확산되는 일이 추가로 일어나야 함

bull 어린이는 문법을 어떻게 만들어내는가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5: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bull Henning Andersen (1973)

bull Abductive and Deductive Changebull In Language 49-4 765-793

bull 문법 1 성인들의 문법bull 산출물 1 성인들이 자신의 문법에 따라 산물한 표면형bull 어린이는 문법 1을 직접 관찰할 수 없음bull 어린이는 산출물 1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통해 문법을 만들어냄bull 이렇게 만들어진 문법 2가 문법 1과 동일하면(성공적인 추론) 언어변화가 안 일어남bull 문법 2가 문법 1과 다르면(추론의 실패 부정확한 추론) 언어변화가 일어남

bull 문법은 달라도 산출물이 동일하면 이 변화는 관찰 불가능함 (재구조화 재분석)bull 산출물 2가 산출물 1과 달라질 때 비로소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됨

bull 언어변화는 산출물 1에서 산출물 2로 직접 일어나는 것(전통적 모형)도 아니고 문법 1에서 문법 2로 직접 일어나는 것(King의 모형)도 아님

bull 문법 1 rarr 산출물 1 rarr 문법 2 rarr 산출물 2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
Page 76: 대우법개괄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 › ~korean › old › data › mks › 0413.pdf · 대우법의성격 • 화자가자신과다른사람사이의사회적관계를일정하게파악하여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bull 문법 1 주어가 1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가 23인칭일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1 (25)와 (26)bull 어린이의 관찰

bull (25a)에는 lsquo-오-rsquo가 쓰였고 (26)에는 lsquo-오-rsquo가 안 쓰였음bull (25a)는 非주어의 관계화이고 (26)은 주어의 관계화임

bull 문법 2 非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쓰고 주어를 관계화할 때는 lsquo-오-rsquo를 안 쓴다

bull 산출물 2 (25rsquo) 재분석 뒤의 非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bull a 1인칭 내 나혼(낳-오-ㄴ) 아기bull b 2인칭 네 나혼(낳-오-ㄴ) 아기bull c 3인칭 뎨 나혼(낳-오-ㄴ) 아기

bull 산출물 1과 산출물 2의 차이 관계절 내에서 주어가 23인칭일 때 lsquo-오-rsquo 사용 여부

  • 대우법 개괄
  • 대우법의 성격
  • 주체 대우법
  • 일치(agreement concord)
  • 러시아어 형용사의 사례
  • 主語-動詞 일치
  • Polypersonal agreement둘 이상의 논항과의 일치
  • 限定性 一致
  • lsquo-시-rsquo는 일치요소인가
  • 일치의 성격
  • 진화의 근시안적 성격
  • Vajda (2001) The role of position class in the Ket verb morphophonology In Word 52 p 372
  • Vajda (2008)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 Position class의 불규칙성이 나타나는 원인
  • 일치요소의 근시안적 발달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과연 주어인가
  • lsquo-시-rsquo에 의한 일치를 유발하는 것은 주어이다
  • lsquo-시-rsquo의 사용이 유보억제될 수 있음
  • 중세어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의 특징
  • 어휘적 장치에 의한 주체 대우법
  • 존대비존대 의향을 지닌 사람이 화자가 아닌 경우
  • 객체 대우법
  • 객체 대우법에서 누가 누구를 높이는가
  • 객체 대우법에서의 관점이입
  • 일본어 대우법의 특징
  • 청자 대우법 (상대 높임법 상대 경어법)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호칭부름말
  • 서양 언어의 청자 대우법 2인칭 대명사
  • 平等 指向的 親密性과 垂直 指向的 親密性
  • 대우법은 規範(norm)인가 戰略(strategy)인가
  • 대우법의 전략적 사용
  • 대우법의 성격
  • 관형절의 두 종류관계절과 보문관형절
  • 관형(사)절
  • 冠形節(=連體節=명사수식절)의 두 種類
  • 관계절(relative clause)
  • 관계화 방책
  • 관계화 방책의 선별 사용
  • 주어의 관계화
  • 사격 성분의 관계화
  • Hawkins의 調査
  • 핵 명사와 관계절의 긴밀도
  •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
  • 석독구결에 나타나는 lsquo-rsquo lsquo-릿rsquo 관형절
  • 슬라이드 번호 45
  • 슬라이드 번호 46
  • 關係節과 補文 冠形節
  • 名詞 修飾節 單一性 假說 批判
  • 뭉뚱그려진 實現과 區別 實現을 보고言語學者는 무엇을 얻어야 하나
  • 선어말어미 lsquo-오-rsquo일치(agreement)일치의 유보(suspension)
  • 중세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고대 한국어 lsquo-오-rsquo의 용법
  • 세 용법 사이의 관계
  • 일치의 유보 中和와의 유추
  • 일치 유보 조건 1 자질들 간의 간섭
  • 유정성(animacy)과 數(number)
  • 무정명사의 경우 수의 일치가 유보되는 사례
  • 유정성과 性
  • 數와 性
  • 일치 유보 조건 2 정보구조의 영향
  • 화제 대 非화제
  • 화제 대 非화제
  • 초점 대 非초점
  • 의문사
  • 한정성 특정성
  • 목적어의 경우
  • 목적어의 경우
  • 어순
  • 어순 Spoken Tuscan Italian
  • 외치 구문
  • 관계절 1 (17) Somali (Cushitic Saeed 1999 213)
  • 관계절 2 (18) Turkish (Kornfilt 1997 58)
  • 관계절 3 (19) Ibibio (Bantu Baker 2008b)
  • lsquo-오-rsquo의 용법 ①
  • lsquo-오-rsquo의 용법 주어가 관계화된 관계절
  • 언어의 통시적 변화에서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 Andersen의 언어 변화 모형
  • lsquo-오-rsquo의 변화에 Andersen의 모형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