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5. 13. - seoul national universityhosting03.snu.ac.kr/~korean/old/data/grammar/0513.pdf ·...

29
어순 한국어 문법론 2014. 5. 13.

Upload: others

Post on 05-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어순한국어 문법론

    2014. 5. 13.

  • Joseph H. Greenberg(1915-2001)• 현대 언어유형론의 개척자/선구자• 특히 어순에 대한 硏究로 유명.• 1963, Some universals of grammar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order of meaningful elements.

    • In Universals of language, ed. Joseph H. Greenberg, 58-90. MIT Press.

    • 2nd edition, 1966, 73-113.• 전세계 언어를 계통적으로 분류하여계통적Stanford 대학에 함께 근무하던 Cavali-Sforza의 집단유전학(population genetics)과 접목

  • Greenberg의 기본 어순 연구• 기본 어순(basic word order)

    • S(주어), O(목적어), V(동사)라는주요문장성분사이의어순• 무표적인절(평서, 긍정, 직설법, 정보구조상중립적)의어순

    • 논리적으로 6가지 어순이 가능• SOV: 40~45%. 한국어, 일본어, 드라비다諸語, 알타이諸語• SVO: 40~45%. 유럽어, 반투 諸語• VSO: 약 10%. 켈트 諸語, 태평양 諸語• VOS: 극소수• OSV: 극소수 (카리브해 연안의 특정 지역에 편중)• OVS: 극소수 (카리브해 연안의 특정 지역에 편중)

    • 논리적으로 가능한 유형들 중 일부는 존재하지 않거나 매우 드물다는사실, 빈도가 편중되어 있음을 밝힘.

    • 보편성 1: 명사 주어, 목적어를 가진 평서문에서, 주어가 목적어를 선행하는 어순이 지배적이다.

  • Greenberg의 어순 상관관계• 여러 어순 현상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이것을 함의적 보편성으로 나타냄.

    • 보편성 3: 지배적인 VSO 어순을 갖는 언어는 (후치사가 아니라) 전치사를 갖는다.

    • 보편성 4: SOV 어순을 갖는 언어는 대개 후치사를 갖는다.• 보편성 2: 전치사언어에서속격어는대개명사뒤에오고, 후치사언어에서속격어는대개명사앞에온다.

    • VO, PO, NRel 어순의 상관관계• V-O, PreP-N, N-Rel• O-V, N-PostP, Rel-N

  • Greenberg, Hawkins의 명사구 내부 어순 연구• 명사 수식어 5가지의 어순 상관관계

    • 지시사 Dem, 수사 Num, 형용사 A, 속격어 G, 관계절 Rel• 논리적으로는 32가지가 가능.• 전치사 언어에서 실제로는 7가지만 나타남.• Ndem, Nnum, NA, NG, Nrel• DemN, Nnum, NA, NG, Nrel• Ndem, NumN, NA, NG, Nrel• DemN, NumN, NA, NG, Nrel• DemN, NumN, AN, NG, Nrel• DemN, NumN, AN, GN, Nrel• DemN, NumN, AN, GN, RelN

    • 핵 명사(head noun) 앞에 놓이는 것을 선호하는 수식어가 있는 반면에, 뒤에 놓이는 것을선호하는 수식어도 있음.

    • Heaviness Serialization Principle• Rel > G > A > {Dem, Num}• 수식어가 가벼울수록 핵 명사 앞에 놓이는 경향이 있고• 무거울수록 핵 명사 뒤에 놓이는 경향이 있음.

    • 후치사 언어에서는 scale이 그리 분명치 않음.

  • Greenberg의 dominance, harmony• 優性(dominance)

    • 어순상의 두 가능성(예: NRel, RelN) 가운데 하나는 優性(dominant)이고 다른 하나는 劣性(recessive)이다.

    • 범언어적으로 優性 어순이 劣性 어순보다 빈번히 나타난다. 예: NRel이 RelN보다 頻繁함.

    • 본래 유전학(genetics)의 개념.• 調和(harmony)

    • 어떤 어순 현상과 다른 어순 현상이 調和를 이루는 일이 흔히 있음.• NRel은 VO, PrePN과, RelN은 OV, NPostP와 調和.• 여러 명사 수식어와 명사 핵 사이의 어순도 서로 調和를 이룸.

  • dominance와 harmony의 상호작용• dominance와 harmony가 같은 결과를 낳을 때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 영어의 NRel• dominance와 harmony 둘 다 어기는 어순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 영어의 *RelN• 예외: 중국어, Bunun, Tsou 等의 RelN

    • dominance와 harmony가 서로 다른 예측을 할 때, 둘 중 어느 것을 중시할 것인지는 언어에 따라, 경우에 따라 다르다.

    • 한국어의 RelN: harmony가 이긴 경우• Evenki(러시아 영내에서 사용되는 방언)의 NRel: dominance가 이긴 경우

  • dominance와 harmony는 어순 이외의 영역에도 응용 가능: 모음의 원순성

    • 後舌母音의 경우 평순에 비해 원순이 우성.• 前舌母音의 경우 원순에 비해 평순이 우성.• 평순 대 원순의 대립을 모든 위치의 모음에 대해 일관되게 갖는 언어도있고

    • harmony가 강해서 dominace를 압도한 경우• 前舌에서는 평순모음만 갖고 後舌에서는 원순모음만 갖는 언어도 많이있으나

    • dominace가 harmony를 이긴 경우• 前舌에는 원순모음만 있고 後舌에는 평순모음만 있는 언어는 없음.

    • harmony와 dominance 둘 다 어김.

  • 구강 모음(oral vowel)과 비모음(nasal vowel)• 둘 중 구강 모음이 우성• 폐모음보다는 개모음에서 비모음을 갖기 쉬움.• 프랑스어: 개모음에만 비모음이 있음.

    • 모든 위치에서 일관되게 비모음을 가질 것을 요구하는 harmony를 희생하면서• 비모음이 개모음에서 흔히 나타난다는 dominance를 따르고 있음.

    • Cubeo어 (남아메리카 Tucanoan 어족)• 개모음 e, ɑ, o뿐 아니라 폐모음 i, ɨ, u도 그에 대응하는 비모음을 가짐.• 폐모음에서 비모음을 회피한다는 dominance를 희생하면서• 모든 위치에서 일관되게 비모음을 갖는다는 harmony를 따르고 있음.

    • 개모음에서는 구강 모음만 있으면서 폐모음에서 구강 모음과 비모음의짝을 지니고 있는 언어는 아마 없을 것이다.

    • 이런 언어는 dominance와 harmony 둘 다 어기기 때문

  • dominance와 harmony의 설명력• dominance와 harmony 개념은 특정 언어의 이상해 보이는 현상을 설명할 때 有用함.

    • 이 언어는 전반적으로 이러이러한데 왜 이 경우에만 다른가?• 답: 범언어적인 dominance 때문• 예: 한국어는 각 조음위치에서 폐쇄음과 비음이 짝을 이루고 있는데(p-m, t-n,

    k-ŋ), 왜 유독 어두에는 ŋ가 안 나타나는가?• 답: 범언어적으로 語頭에서는 ŋ을 발음하기 어렵기 때문.

    • 범언어적으로이러이러한데왜이언어는다른가?• 답: 그 언어의 harmony 때문• 예: 범언어적으로 관계절은 핵 명사 뒤에 오는 게 일반적인데, 한국어에서는 왜관계절이 앞에 오는가?

    • 답: 한국어는 head가 뒤에 올 것을 요구하는 harmony가 모든 구문에서 매우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

  • dominance와 harmony의 설명력• 특정 언어의 특정 현상의 변화의 방향을 예측/설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떤언어가어떤 harmony의힘이매우강하여일관된모습을보이고있다할지라도,특정경우에범언어적인 dominance 또한매우강하다면, harmony가 dominance에굴복하는일이생길수있다.

    • 예: 한국어는 핵이 뒤에 오는 harmony가 강해서 관계절마저도 핵 명사 앞에 오지만, 핵 명사 뒤에 오는 관계절도 점차 쓰이고 있음.

    • 떡볶이 [길에서 파는 거] cf. [길에서 파는] 떡볶이

    • 범언어적으로특정 dominance의힘이강하여특정언어에서도이를따르고있다할지라도, 그언어에서이에反하는 harmony의힘이못지않게강하면, dominance를굴복시킬수도있다.

    • 예: 男性-女性의 性(gender) 구분은 有情명사에만 적용되고 無情명사에는 적용 안 되거나 中性으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임.

    • 그래서 라틴어에는 男性-女性-中性의 세 gender가 있었음.• 그런데 현대 프랑스어로 오면서 中性 gender를 상실하여, 모든 명사에 대해 男性-女性의 양자택일을 강요하게 되었음. 이에 따라 모든 無情명사가 상당히 자의적으로 두 gender 중 하나에 속하게 되었음.

  • Lehmann (1973)의 1次共起語-限定語• A structural principle of language and its implications, Language 49: 42-66.

    • basic syntactic element를 중심으로 해서, 그 한정어(qualifier)와 1次共起語(primary concomitant)는 서로 반대편에 놓인다.

    • V(동사)를 중심축으로 할 때• 1次共起語(목적어)와 限定語(否定, 使動, 再歸 等)는 서로 반대편에 놓인다.

    • N(명사) 를 중심축으로 할 때• 1次共起語(連體수식어)와 限定語(助詞/格標識)는 서로 반대편에 놓인다.

    • 잘 들어맞지 않는 사례는 通時的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간주.

  • Vennemann (1974)의 operator-operand 이론

    • Theoretical Word Order Studies: Results and Problems, Papiere zurLinguistik 7: 5–25. 등

    • operator(연산자): 項(들)에 대해 행해지는 일정한 연산/조작(operation)을 나타냄.

    • operand: 연산자의 연산/조작이 행해지는 대상• 2 + 3 ; -4 ; sin(45) ; ~P ; P or Q ; P → Q• operator와 operand의 순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 V와 O: V가 operator, O가 operand• P와 N: P가 operator, N이 operand

    • operator-operand의정의가모호하거나순환적임.• N과 Rel 중에, 그리고 主部와 述部 중에 어느 것을 operator로, 어느 것을

    opernand로 간주할 것인가?

  • Dryer(1992): 分枝방향(branching direction) 이론

    • The Greenbergian word order correlations, Language 68: 81-138. 등• 결합되는 두 성분 중 하나는 語彙(非分枝) 범주고 하나는 句(分枝) 범주• 語彙 범주와 句 범주의 순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分枝 방향이 일관되게 된다.• 한국어: 左分枝 구조. 句범주-語彙범주• 영어: 右分枝 구조. 語彙범주-句범주• 핵, operator 등 다른 이론으로 잘 설명되지 않던 것도 설명할 수 있음.

    • 관사, 형용사, 관계절 等• 하나의 언어에서 分枝 방향이 일관된 경향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것도 경향성일 뿐

    • 左分枝 구조와 右分枝 구조가 섞여 있을 수 있음.

  • head-dependent 관계와 functor-argument 관계

    • head-dependent 관계는 통사적인 것• functor-argument 관계는 의미적인 것• 이 둘을 함께 고려해야 함.• boy handsome (소년이 멋있다)

    • arg/dep func/head• handsome boy (멋있는 소년)

    • func/dep arg/head• Vennemann은 이 두 구성이 같은 어순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는 셈임.

    • 여러 어순 이론 중 가장 疑心스러움.

  • 여러 이론에 대한 평가•刘丹青의 평가

    • Greenberg가 harmony와 dominance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한 데 비해• 그 후의 학자들은 harmony에만 집착해서 오히려 설명력이 퇴보했다.

    • dominance 현상에 대해서도 보다 심층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왜 RelN보다 NRel이 우세한가?• 관계절처럼 길고 복잡한 성분이 문장 중간에 끼어들면 처리에 불편하기 때문.• Hawkins: 처리(processing)의 관점에서 어순을 설명하고자 함.

    • 어느 하나의 요인만으로 복잡다단한 어순 현상을 모두 설명하기는 어려움.

    • 다양한 요인에 대한 綜合的인 고려 및 이를 아우를 수 있는 모델이 필요.

  • 어순에 대한 의미적 요인• 도상성(iconicity)을 반영하여 단어를 배열하라.

    • 의미상 서로 밀접히 관련된 성분들은 가까이 놓아라.• 수식어와 피수식어를 가까이 놓아라.

    • 인과연쇄(causal chain)를 尊重하라.• 원인을 결과보다 앞에 놓아라.

    • 주어를 목적어보다 앞에 놓아라.• relator는 relatum들 사이에 놓아라. (連繫者居中原理)

    • 부치사는 논항과 술어 사이에 온다.• VO 언어에서 부치사는 전치사가 됨• OV 언어에서 부치사는 후치사가 됨

    • 有情性 위계(animacy hierarchy)의 영향• 인간은 자기중심적, 인간중심적으로 세계를 바라봄.• 유정성이 높은 것을 낮은 것보다 앞에 놓아라.

    • 철수가 나무를 잘랐다. / ?나무가 철수에게 잘렸다.• 철수가 차에 치였다. / ?차가 철수를 치었다.

  • 처리와 관련된 요인• 청자의作業記憶(working memory)의부담을고려하여, 가능한한처리하기쉽게단어를배열하라.

    • 무거운(heavy) 성분이 문장 중간에 내포되는 것을 피하라.• 관계절이 피수식 명사로부터 떨어져 외치(extraposition)되는 것도 이 때문

    • I was reading a book in the room [which was written by a friend of mine].• center-embedding을 피하라.

    • 창수가 [영수가 [영희가 [철수가 바보라고] 얘기했다고] 소문을 퍼뜨렸다고] 떠벌렸다.• [[[철수가 바보라고] 영희가 얘기했다고] 영수가 소문을 퍼뜨렸다고] 창수가 떠벌렸다.

  • 처리와 관련된 요인• 복원가능한(recoverable) 성분은 쉽게 생략됨.

    • 경제성 원리• 그러나 문장을 발화한 뒤에, 청자의 눈치를 살피면서, 너무 많이 생략해서 잘 못 알아듣는 것 같으면, 생략했던 성분을 뒤에 첨가하기도 함.

    • 어디 갔니? … 철수.• 이런 현상을 외치(extraposition)나 우측 이동(rightward movement)이라고 부르는 것은 misleading.

    • ‘後補充’, ‘after-thought’라는 용어가 적절.

  • 정보구조와 관련된 요인• 문장 내에서 구정보와 신정보를 청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문장을꾸려라.

    • 구정보와 신정보가 助詞에 의해 구별되기도 함.• 한국어의 주어: ‘-은/는’ 구정보, ‘-이/가’ 신정보

    • 구정보는 대개 신정보보다 앞에 옴.• 철수야, 내 책 어디에 두었니?• 영희가 내 책상에 무엇을 두었니?

    • 초점 성분을 爲해 特別한 자리를 마련해 둔 경우, 초점 성분을 그 위치에 놓아라.

    • 헝가리어, 한국어: 서술어 바로 앞 위치.• 영어: 의문사를 문頭에 둠.

  • 통사적인 요인• 논항의 문법역할(grammatical role)을 어순으로 나타내는 경우, 문법역할에 따라 단어를 배열하라.

    • 영어, 중국어: 주어는 동사 앞, 목적어는 동사 뒤• 특정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특정 구문을 사용해야 하고, 그 구문이 특정어순을 要求하는 경우

    • 영어의 4형식 구문: 수령자(recipient)가 대상(theme)을 소유하게끔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하는 행위를 나타냄.

    • John sent a book to Mary. / John sent Mary a book.• 핵 위치 一貫性• 分枝 구조 一貫性

  • 경쟁 동기 모형(competing motivations model)

    • 어떤 현상에 作用하는 힘/동기는 여럿 있다.• motivation = constraint = principle

    • 각 동기는 나름의 基盤/根據를 가지고 있다.• cognitive/physiological bases of constraints

    • 이동기들은서로합치될때도있고갈등을일으킬때도있다.• interaction of constraints

    • 두 동기가 서로 갈등할 때, 힘이 더 센 동기를 따른다.• weight of constraints

    • 동기들 사이의 우열관계는 時間, 場所, 領域 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variantion

    • 가능한 한 중요한 동기들을 많이 충족시킬 수 있도록, 최적의 solution을 찾아서 선택한다.

    • contraint satifaction model

  • 최적성 이론(optimality theory)의 例示

    • 調査 對象이 되는 3箇의 언어/方言• Standard French• Canadian French• African French

    • 例示 단어: montre “watch(N); show(V.3sg)”• montre의 3 方言에서의 發音

    • /mɔ͠tʀ/• /mɔ͠t/• /mɔ͠tʀə/

  • 보편적인 제약(universal constraint)

    • 共鳴度 위계(sonority hierarchy, SH)• 音節에서 周邊部로 갈수록 共鳴度가 낮아진다.

    • 삭제 금지(no deletion, ND)• 基底에 있던 要素를 함부로 삭제하지 말라.

    • 삽입 금지(no insertion, NI)• 基底에 없는 要素를 함부로 삽입하지 말라.

    • 이 세 제약 모두 모든 언어에 作用함.• 但, 이 세 제약 사이의 우열관계는 언어/方言에 따라 다름.

  • 變異(variation)• 세 제약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때에는 아무 문제가 없음. 變異가안 생김.

    • 예: très /tʀε/• 세 제약 모두 충족시킬 수 없을 때, 무엇을 희생시킬 것인가는 方言에 따라 다름.

    • Standard French• ND, NI > SH

    • Canadian French• NI, SH > ND

    • African French• ND, SH > NI

  • 어순 관련 여러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 둘 以上의 요인이 서로 衝突할 때, 언어에 따라, 경우에 따라, 어느 요인이 勝利할지가 다르다.

    • 관계절 外置: 처리 요인 > 의미적 요인• 철수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有情性 위계 > 인과연쇄• 철수는 영희에게는 소설책을, 영수에게는 사전을 주었다: 정보구조 > 인과연쇄• [[[철수가 바보라고] 영희가 얘기했다고] 영수가 소문을 퍼뜨렸다고] 창수가 떠벌렸다: 처리 요인 > 기본어순

    • 언어, 狀況, 脈絡에 따라 여러 요인들의 우열관계를 整理하고, 이것을언어間에 비교할 필요가 있음.

  • 어순 요인의 우열관계• 통사적인 요인이 强한 언어: 영어, 중국어• 정보구조의 요인이 强한 언어: 한국어, 일본어• 의미적 요인은 모든 언어에서 비교적 꾸준하게 underlying force로서 作用하는 편.

    • 어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의 힘이 비등비등한 언어• 어순이 유동적• 한국어, 일본어

    • 어느 한 요인이 壓倒的으로 優勢한 언어• 어순이 고정적• 영어

    • 어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綜合的으로 고려한, 이른바 어순의 최적성 이론이 필요함.

    • 但, 旣存의 최적성 이론은 dominance에 置重한 感이 있음.• harmony도 積極 고려해야 함.

  • 어순의 流動性과 量化詞(quantifier) 解釋• 영어의 다음 문장은 重義的(ambiguous): 作用域 重義性(scope ambiguity)

    • Every boy loves a girl. ∀x∃y(xLy), ∃y∀x(xLy)• A girl is loved by every boy. ∀x∃y(xLy), ∃y∀x(xLy)

    • 한국어의 대응 문장은 重義的이라기보다, 어느 하나의 解釋이 훨씬 優勢함.• 모든 소년이 (각각) 한/어떤 소녀를 사랑한다. ∀x∃y(xLy) > ∃y∀x(xLy)• 한/어떤 소녀를 모든 소년이 사랑한다. ∀x∃y(x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