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지원정책 비전 신재생에너지 공급률 11% p 확대(’11년...

54
2013. 3. 신재생에너지 정책 사업화 지원

Upload: others

Post on 26-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2013. 3.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사업화 지원

Contents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비전 및 성과

목차

2.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공급 목표

3.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방향

4. 신재생에너지 사업화 지원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비전 및 성과

정책 비전

신재생에너지 공급률 11%로 확대(’11년 2.75%)

산업화목표(’15년) 2015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도약

보급 목표 (’30년)

신재생에너지 정책비전 및 주요내용 Ⅰ-1.

주요 정책

공급확충 저탄소녹생성장 비전(’08.8)

최상위 전략 수립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08.8)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08.12)

그린에너지 산업 발전전략(’08.9)

후속 계획 및 정책 추진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전략(’10.10)

주택 및 건물지원

수요확대

10대 그린프로젝트 공급 의무화제도(RPS)

해외진출 지원 등

핵심 원천기술 개발

공급확충

실증·시범사업 추진

테스트베드 구축

금융지원 등

4

텍스트를 입력하십시오 (‘03~’07) 총 13,970억원 << (‘08~’12) 총 44,600억원

신재생에너지 정부 예산

모두가 체감하고, 함께 가는 신재생에너지 추진전략(’11.10)

참고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화 목표

목표 :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 달성

• 전략적 R&D 및 사업화

• 산업화촉진 시장창출

• 수출산업화 촉진

• 기업성장기반강화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 달성

태양광, 풍력분야

셰계시장 15% 점유

생 산 수 출 고 용 민간투자

’10 ’12 ’15 ’10 ’12 ’15 ’10 ’12 ’15 ’10 ’12 ’15

(단위 : 조원) (단위 : 억불) (단위 : 만명, 누적) (단위 : 조원)

8.1

20

50

45.8

107

362

1.0 2.7

11

3.6

5.7

8.6

민∙관 합동 5년간(’11~’15) 총 40조원(민간 33조원, 정부 7조원) 투자

5

신재생에너지 추진성과(산업화) Ⅰ-2.

정부의 강력한 육성의지를 바탕으로 신재생 산업 발전기반 구축

제조업체(개) 고용인원(명) 매 출(조원) 수 출(억불)

’07 ’09 ’11 ’07 ’09 ’11 ’07 ’09 ’11 ’07 ’09 ’11

101 193

3,661

10,395

1.2

4.7

6.3

26.8

224 14,563 9.9 51.1 2.2배 4.0배 8.3배 7.7배

6

정부지원 확대 중소기업 창업과

대기업 참여

산업 생태계 형성 민간투자 확대

* 대·중소기업이 동반성장 하는 새로운 기업群 및 Value Chain 구축

2011년 1차 에너지대비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중 2.75%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중 11%까지 확대”

신재생에너지 추진성과(보급) Ⅰ-3.

폐기물 67.54%

수력 12.73%

바이오 12.70%

풍력 2.45%

태양광 2.60%

태양열 0.36%

연료전지 0.84%

지열 0.63%

해양 0.15%

기타 7.02%

2.24%

2.37% 2.43%

2.50%

2.61%

2.75%

'06 '07 '08 '09 '10 '11

보급량 연평균 7%이상 증가하여 OECD 중위권(34개국 중 18위)

7

신재생에너지정책 추진 한계 Ⅰ-4.

규제완화 미흡

목표달성 미흡

’11년 현재 보급률은 2.75%로 목표(3.2%) 대비 86% 수준

재정투자 효율성

R&D 상용화 R&D에 치중, 미래 핵심 원천기술 확보 미흡

R&D – 실증 – 보급의 연계미흡으로 상용화 성과도 부진

규제, 민원 등으로 사업추진에 애로

특정분야 편중

FIT, RPS 등 발전부문 시장 활성화 제도에만 편중

태양열, 바이오, 지열 등 열 부분에는 종합적인 보급 방안 부재

재정사업심층평가 결과 산업육성, 보급확대 측면에서 정부지원의 타당성 입증

보급사업별 정체성 부족, 설비 관리체계 미흡 등의 문제점 노출

8

2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공급 목표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1) Ⅱ-1.

1조 달러 초과(2020년)

4,000억 달러(2015년)

2,430억 달러(2011년)

460억 달러(2004년)

‘15년 석탄에 이은 두 번째 발전원, ’35년에는 최대 발전원으로 도약(IEA, 2012)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과 셰일가스 개발이 한창인 미국도

중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의욕적인 목표 설정

10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규모는

연평균 30% 급성장하여

’11년 2,430억 달러 달성,

10년내 1조 달러 초과 예상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2) Ⅱ-1.

11

시장 패러다임 변화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가격중심(태양광), 기술중심(풍력) 등으로 패러다임 구축

태양광 : 전세계 시장의 60%를 장악한 중국기업의 저가 공세 가격경쟁력, Megascale의 생산력 확보 필요

풍력 : EU 기업이 시장 장악, 비EU국 진입장벽(엄격한 Track-record 요구) 기술력 확보, 실증을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 필요

신재생 수용성 강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 안전성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부각

일본 ‘제로원전 시나리오’, 독일 ’2022년 원전 전면폐지 결정’ 등 에너지믹스 개편 논의 미국 신재생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원전 비중 감소 추진

미래 에너지원으로서의 잠재력을 고려한 적정수준의 투자 지속

기존 신재생 산업화 정책을 발전시켜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신재생에너지 주요국 공급목표 Ⅱ-2.

온실가스 감축, 일자리 창출 및 경제회복의 핵심수단, 시장선점 경쟁 치열

’20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목표 15%

’11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94억불

’20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목표 독일 18%, 이탈리아 17%, 스페인 20%

’11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독일 306억불, 이탈리아 280억불,

스페인 86억불 등

’20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목표 10%

’11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86억불

’20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목표 15%이상

’11년 신재생에너지 투자 455억불

* 자료 : Who’s Winning The Clean Energy race(2012, PEW), European Commission 보고서

12

세계 신재생에너지 공급 현황 Ⅱ-3.

세계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중 13.2% (’12, IEA)

세계 원별 에너지 공급비중

27%

32%

22%

6%

13%

Coal Oil Gas 원자력 재생

자료 : IEA, World energy outlook 2012

2.75 4.3 3.7

6.3

12.6

25.5

0

5

10

15

20

25

한국 영국 일본 미국 독일 덴마크

자료 : Renewable Information(2012, IEA) 한국은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기준

국내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중 2.75%[’11, 신재생보급통계]

13

3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방향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Ⅲ-1.

’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공급 목표 설정

정책방향 재정립

(先)산업·(後)보급체계에 따른 수출산업군 육성

중소기업 성장에 초점을 둔 내수산업군 육성 및 시장확대

재정투자 효율성 제고

직접보조 축소 및 산업진흥 인프라 분야 확충

중장기적으로 원별 목표에서 부문별 목표로 전환 검토

부문간 융합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시장 창출

시장통합, 신규시장 창출(RPSⅡ 등)을 통해 민간의 투자와 시장참여 유도

규제완화 및 인프라 구축

규제개선을 위한 조직, 법령 정비 등

15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제도(RPS) 정착 지원 Ⅲ-2.

2012년 주요실적

신재생에너지 투자인식 제고 및 설비용량 증설

신규 건설 발전소 숫자도 FIT에 의해 건설된 발전소 수의 절반 수준

1년간 신규 건설된 설비용량은 약 620MW로, FIT에 의한 누적 설비용량의 절반 수준

태양광 부문 의무공급량 목표 달성(비태양광 부문 의무이행은 다소 차질)

풍력 인허가 및 바이오·폐기물 관련 제도 정비 지연, 강수량 부족에 따른 수력발전 급감 등에 기인

향후 계획

전력시장을 통한 RPS 의무이행비용의 효율적 보전 방안 마련(~’13.1분기)

각종 규제, 인허가 절차 등을 개선해 공급의무 이행 지원

전기요금 항목으로 보전(신재생에너지법에 보전 근거 신설) 예정

공급인증서 거래시장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거래시장 활성화 및 제도의 내실화 추진

설비의 적정성, 불법증설여부, 연료 혼소율 조사 등

RPS 통합 운영시스템의 실시간 시장 모니터링 운영

RPS 제도‧기술운영위원회 운영을 통한 전문가 의견 수렴 및 발전방안 모색

RPS협의회 운영을 통하여 시장참여자 의견 수렴‧검토 후 제도반영

16

내수시장 창출

’13년부터 3년간 260MW 태양광 설비 조기 추가 건설

RPS 태양광 의무량 달성 기간을 1년 단축하고, 연도별 의무공급량을 상향 조정하여 태양광 내수시장

창출(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개정 추진, ’13.1월)

산업단지 Sun Roof Belt 구축 추진

규제개선

미인증 보급설비 상계 처리 추진

’07년 이전 설치된 미인증 설비에 대한 상계처리 가능 근거 및 구제방안 마련(’13년)

인증체계 구축

CIGS 박막 인증 추진

인증기준 마련, 시험장비 구축, 제반규정 개정 등 기반 마련(’13년)

국가인증기구(IECEE NCB) 인증능력 지속적 확대

시장수요 대응을 위해 250kW급 태양광인버터 인증자격 획득 추진 17

전국 국가산업단지 내 공장 지붕과 옥상, 부설 주차장에 태양광 시설 설치(100MW규모) 및 구매

추진 :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수력원자력㈜(신재생공급인증서(REC)구매)

태양광 산업 활성화 방안 추진 Ⅲ-3.

풍력산업 육성기반 구축 Ⅲ-4.

규제개선

풍력자원 상세 등급지도 작성(~’13.1월말)

환경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와 상생적 가이드라인 마련(’13년 상반기 목표)

기반구축

제주 김녕 실증시험장 확대(5MW→14MW)

성능검사기관 장비 구축 완료(’13년 상반기 중)

인증체계 구축

설계평가, 성능검사 기관 선정(~’13.1월말)

내수시장 창출

서남해 해상풍력단지 개발 가속화 및 제2기 해상풍력발전단지 발굴 추진

공급인증서 발급 대상 풍력발전기의 국내인증 의무화(’13년 하반기~)

민간 풍력단지 구축 업무협력 강화

18

성과창출, 공생발전 및 성과확산을 위한 R&D 추진 Ⅲ-5.

성과창출형 R&BD 강화

단품, 단일 시스템 위주의 R&D에서 융합기술 등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형 R&D 추진

실제기업의 수익모델로 전환될 수 있는 전략적 R&D로 전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로 시장경쟁력 확보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성장 견인

공생발전/동반성장 R&D 생태계 조성

성과분석을 통해 R&D 사업의 전주기 단계별 환류체계 구축

종료 5년차 과제를 대상으로 성과활용분석을 추진하고 이를 기획 및 평가 실행부서로 전달

R&D 성과확산 및 환류체계 강화

R&D 예산의 중소·중견 지원 비율을 지속적으로 확대(’12년) 34.4% →(’17년) 57.2%

단기과제는 중소·중견기업 과제로 지원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부품·소재·장비 기술개발 확대

부품·소재·장비 중소·중견기업 주도형 R&D 프로그램 추진

18 19

보급사업 체계 개편(1) Ⅲ-6.

보급사업 체질 강화

보급사업 지원영역 조정 : 주택지원, 건물지원, 지역지원으로 개편하며, 융·복합지원 신설

건전성 제고 : 신청자가 전문기업 직접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지자체는 사업수행 결과에 따라

보조금 차등 지원

A/S의 민간 책임성 강화 등 사후관리 개선

시공기준·설치확인 시장중심 전환 : 우수 전문기업은 설치확인 업무를 자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

A/S에 대한 민간참여 유도 : 표준화·공용화를 통한 A/S 전문기업 육성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단기적으로(’13~’14년) 자체 모니터링 유도, 중장기적(’15년~)으로 일정용량 이상 의무화

저용량 설비에 대해서는 표본조사 방식 도입

보조금 산정·지원방식 개선 : 설비가액 정률 보조 → 원별·용량별 정액보조

19 20

보급사업 체계 개편(2) Ⅲ-6.

보급사업 내실화를 위한 기반구축 제고

전문기업 지정·등급제 도입

컨소시엄제 도입 : 전국망 A/S 구축 등 설비의 품질과 서비스 제고

산업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 촉진(장기)

민간참여 촉진 지원 프로그램 개선

신규 보급지원 프로그램 개발

정부 융자사업 직접 대출방식 도입 검토

우수 전문기업 지정하여 정부사업 참여 인센티브 등에 활용

전문기업 신고제도 개선 : 전문기업 신고서 3년 유효기간 설정, 년 1회 이상 실적보고서 제출 의무화

사업관리 시스템 구축 : 보급사업의 전주기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

등급제를 도입하여 국민에게 정보제공

투자세액 공제 적용대상 확대(태양열, 연료전지 등) 검토

소비자의 초기 부담 완화를 위해 에너지 생산량에 비례하여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 도입 검토

20 21

연료혼합의무제도(RFS) 추진계획 Ⅲ-7.

법제화

대국민 정책 수용성을 확보하고 의무비율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법에 도입

근거를 신설하여 ’14.1월부터 본격 시행

제도 운영계획 수립

의무대상, 혼합비율 로드맵, 의무이행 수단 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RFS 제도 운영방안’수립

법률개정 (’13.3월)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13.6월)

고시 및 지침 개정 (’13.12월)

공청회 (’13.2월)

RFS 제도 운영방안 수립 (’13.3월)

제도 교육 및 모의운영 실시 (’13.7~12월)

22

4 신재생에너지 사업화 지원

Ⅳ-1.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1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 주택 또는 건물에 신재생에너지원 설치시 설치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

※ 신재생에너지원 :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원 설치 개념도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7조(보급사업)

24

Ⅳ-1.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추진체계

주택지원사업

단독∙공동주택 임대주택

건물지원사업

⊙ 지식경제부 사업계획 및 예산승인

사업 수립 및 예산반영

⊙ 센터 사업수립 및 예산안 작성

⊙ 센터

사업안내 (홈페이지)

분야별

신청서접수 (홈페이지)

사업 안내 및 신청서접수

평가위원회 평가

(사업타당성, 설치효과, 홍보 등)

대상 사업별 예산 범위내 수혜자 선정

대상시설 평가 및 선정

센터/ 수혜기관/ 참여기업/

공동협약 후 설치

협약체결 시설설치 추진

⊙ 센터 사업진행관리

⊙ 참여기업 시설시공 및

준공, 교육실시

사업진행 및 관리

⊙ 센터/지사 시설 설치확인 후

보조금 지급

보조금지급

25

Ⅳ-1.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보급목표

주택수,

누적,

(천호)

보급목표(2009~2020)

합계 1단계 2단계 3단계

2009 2010 2011 2012 소계 '13~'16 '17~'20

1,250 16 22 29 33 100 300 600 1,000

주택지원사업 단계별 보급목표 및 추진방향

구 분 1단계('09~'12) 2단계('13~'16) 3단계('17~'20)

추진방향 신재생에너지

신성장동력 기반구축

신재생에너지

신성장동력 육성기

신재생에너지

신성장동력 산업화

세부내용

- 지역별 보급계획 수립

- 원별 보급모형 개발

- 기반조성 정비

- 민간주도 보급방식 유도

- 보조율 조정을 통한 자발적

참여 유도

- 민간주도 보급방식 정착

- 원별단가 등의 조정을 통해

대량보급체제 구축

’20년까지 단계적으로 주택의 약 10%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 약 1,250만 가구(’05년 기준) 중 100만가구에 태양광, 태양열, 연료전지, 지열 등 보급 추진

건물지원사업 중장기 보급목표(‘14~’17)

년 도 2014 2015 2016 2017

보급개소 320 350 385 400

26

Ⅲ-1.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추진 현황

’04 ~ ’12년까지 총 166,068호 보급(5,594억원)

연도별 보급현황 원별 보급현황(toe기준, 총 61,169toe)

주택형태별 보급실적(수용가수) 지역별 지원실적(개소)

태양광이 보급의 60%이상을 차지함

공공 및 국민임대주택의 비중이 전체의 70% 경기(26%), 경남(9%), 충북(8%), 전남(8%) 순으로 지원

주택지원사업 보급현황 통계(‘12. 12. 31 기준)

(117,068호)

27

2,774

14,777

- 매년 1회 선정 방식→ 년 중, 이행점검 등 사후관리를 통해 전문기업의 유효기간 연장

*평가기준 변경사항 : 상시고용된 기술인력 확인, A/S처리, 공사절차서 등 매뉴얼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계획

- 품질 매뉴얼, 절차서, 시공기준을 시공기업이 제시(정보 홈페이지 공개)

- 하자보증기간 연장(3년→5년), 설비 시공 후 피해보상보험 가입 의무화

시공기업 기준 및 관리강화

시공기업 선정 시 ISO 품질경영시스템 기준 도입

보급사업 추진방식의

다양화

융복합 사업 추진

- 종합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신재생에너지 수요 창출

- 수소타운, 신재생에너지 자립마을 등 그린빌리지와 분산전원이 필요한 그린아일랜드

중점지원

설치확인 전담기관 육성

설치확인의 전문화

건물지원사업은 10대 그린프로젝트 분야 지원강화

- 지원근거를 명확히 하기위해 관련고시 개정

- 설치확인 전문기관을 활용하여 업무 위탁

위탁용역 확대 및 우수참여시공기업 선정 추진

- 태양광에서 태양열, 지열 등으로 확대

- 참여시공기업의 설비품질과 고객만족도 확대

Ⅳ-1.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향후 추진계획

보급사업의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신뢰성∙투명성, 효율성 증대 및 민원감소 추구

28

Ⅳ-2.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2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 신재생에너지 이용설비 및 전용제품 생산을 위한 설비 설치시 장기저리의 융자지원

※ 시설자금, 생산자금, 운전자금

※ 2013년 예산

전력기금(시설자금) : 15,000백만원, 에특자금(생산 및 시설자금) : 64,206백만원, 운전자금 : 3,000백만원

지원자금 종류

시설자금

- 지원목적: 신재생에너지 이용 및 생산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의 설치비 지원

ex) 지열이용설비, 폐기물소각설비, 풍력발전기 설치 등

생산자금

- 지원목적: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를 제조하는 사업자의 생산설비 설치비 지원

ex) 태양광모듈 생산설비 설치, 태양열 집열기 생산설비 설치 등

운전자금

- 지원목적: 신재생에너지 전용설비를 생산하는 제조업자에게 운영자금 지원

ex) 회사운영 전반에 소요되는 자금지원(인건비,경비,물품구매 등)

29

Ⅳ-2.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추진체계

자금지원기준

자금구분 이자율 대출기간 지원비율 동일사업자당 지원한도액

생산자급 분기별

변동금리

(13.1분기:

1.75%)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

※ 바이오․ 폐기물분야 3년

거치 5년 분할상환

90% 이내

(대기업 50% 이내)

100억원 이내

※ 바이오․ 폐기물분야

50억원 이내 시설자금

운전자금 1년 거치 2년 분할상환 10억원 이내

※ 지원비율: 대기업(소요금액의 50%이내), 중소기업 및 개인(소요금액의 90%이내)

지원절차

- 신재생에너지센터의 추천서를 발급받아 금융기관에 대출신청

* 금융기관의 대출규정(신용,담보 등)에 적합하여야 지원가능함

사업계획 공고

온라인 신청

검토 및 심사

신청사업자 센터 신재생에너지

센터 센터

대출신청 대여신청 인출실행

은행 →센터 사업자 사업자 →은행

추천단계

인출단계

사후관리 실시

센터

최종인출 2개월 후

2~4주 소요

추천서 발급

30

Ⅳ-3. 신재생에너지 공공보급활성화(지역지원사업)

3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사업

◎ 지역특성에 맞는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하여 에너지 수급여건 개선

및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고자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제반 사업을 지원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보급사업) 제27조 제1항 3호

각 사업에 대한 자부담 확보 확인 후 사업비 교부(지경부지자체)

사 업 시 행

추진현황점검

사 업 비 교 부

설 치 확 인

사 후 관 리

지식경제부의 사업추진지침 및 고시에 따라 사업시행

고시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비 설치

사업비의 월별 집행실적 및 분기별 추진현황 보고

사업 완료시, 설치확인(신재생에너지설비 전자민원) 및 사업비 정산

관리카드 작성 비치 및 유지관리(설비설치 기초지자체에서 관리)

센터에서는 매년 설비의 가동실태를 파악

지역지원사업 추진체계

31

Ⅳ-3. 신재생에너지 공공보급활성화(지역지원사업)

지역지원사업 주요추진현황 (‘12. 12. 31 기준)

’96 ~ ’12년까지 총 6,846억원 지급(2,204건 보급)

연도별 보급현황 원별 보급현황(toe기준, 총117,607toe)

풍력(23.7%), 지열(21.61%), 태양광(15.50%),

폐기물(15.25%)

32

지역지원사업 향후 연도별지원 계획

구 분 ‘13 ‘14 ‘15 ‘16 ‘17

사업수 259 285 314 345 380

toe 5,180 5,700 6,270 6,897 7,587

Ⅳ-3. 신재생에너지 공공보급활성화(설치의무화사업)

4 신재생에너지 공공기관 설치의무화

◎ 건축물 연면적 1천㎡ 이상 공공건물의 신축, 증축 또는 개축에 대해 예상에너지 사용량의

10%이상을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토록 설비 설치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12조

(신재생에너지사업에의 투자권고 및 신재생에너지 이용의 의무화 등)

설치의무화제도 대상

▷ 법개정 : ∙ 총 건축비 5% → 예상 에너지 사용량의 10% 기준(‘11.4.13 시행)

∙ 연면적 3,000㎡ 이상 → 연면적 1,000㎡ 이상 (‘12.1.1 시행)

대상기관

-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정부출연기관, 정부출자기업체

- 지방자치단체 및 공기업·정부출연기관·정부출자기업체에서 납입자본금의 100분의 50이상 또는

50억원 이상을 출자한 법인

-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

건축물 대상용도

- 공공용 : 교정 및 군사시설(군사시설 제외), 방송통신시설, 업무시설

- 문화·사회용 :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의료시설, 운동시설,

- 교육연구시설, 노유자 시설, 수련시설, 묘지관련시설, 관광휴게시설, 장례식장

- 상업용 : 판매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업무시설, 운수시설

* 주거용 및 기타 (창고시설,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등은 제외 34

Ⅳ-3. 공공보급활성화(설치의무화사업) 향후 추진계획

향후 추진방향

보급시장 창출을 위한 설치의무화 비율 확대

-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을 ‘15년 15%로 확대하기 위한 법개정 추진

* 시장규모 4,500억원(600억원 시장 추가 창출, 신재에너지법 시행령 별표2 개정)

설치의무화 미이행기관 최소화 방안 강구

- 건축허가 이전에 지자체 건축허가 과정에서 공공기관 설치의무화 이행여부 내역을 확인가능토록

건축허가 통합 업무 전산시스템(세움터) 개선 추진(국토부 협의)

구 분 ‘11-‘12 ‘13 ‘14 ‘15 ‘16 ‘17 ‘18 ‘19 ‘20이후

공급의무비율(%) 10 11 12 13 14 15 16 18 20

< 신․재생에너지의 년도별 공급의무 비율 >

‘13년도의 경우 공공건물에 29,790toe 생산, 90,551CO2톤 저감 예상

35

Ⅳ-4.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5 신재생에너지 설비 인증

신·재생설비의 보급촉진을 위해 일정기준이상의 성능․품질을 갖춘 설비에 대해 인증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13~16조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인증, 인증표시, 인증 및 성능검사기관 지정, 수수료 등)

추진체계

설비인증 신청 ⇒ 일반 심사

(공장 확인) ⇒

(설비심사)

성능 검사 ⇒ 인증서 발급

(제조업자,

수입업자) (인증기관) (성능검사기관) (인증기관)

인증기관 : 신재생에너지센터

인증심사 : 일반심사, 설비심사로 구분

- 일반심사 :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제조 및 생산능력, 품질유지 관리능력, 사후관리 능력 심사

- 설비심사 : 성능검사기관이 신청 설비의 성능, 내구성, 안전도 등을 평가한 후 발행한

시험성적서 또는 검사결과서의 결과를 통해 규정에 의한 기준에 적합한 경우 인증서 교부

36

추진현황

Ⅳ-4.

분 야 품 목 건 분 야 품 목 건

태양열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 25 풍력 소형풍력발전시스템 7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 31

지열

물-물 열펌프 유니트 160

자연순환식 태양열 온수기 7 물-공기 열펌프 유니트 9

강제순환식 태양열 온수기 1 물-공기 멀티형 열펌프 유니트 7

태양광

계통연계형 인버터 65 연료전지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 10

결정질 태양전지 모듈 883 바이오 목재펠릿 온수 보일러 5

박막 태양전지 모듈 28 기타 축전지 1 총 1,240건

분야별 인증서 발급현황 : 7개부문 26종 중14개종(품목) 분야에서

총 1,240건의 인증서 발급(2012. 11월말 기준)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38

인증품목수 : (’07)21 → (’08)21 → (’09)25 → (’10)25 → (’11)26

국제인증 업무 추진

-한국제품인정기구 인증기관(KAS) 인정

-태양광분야 국가인증기구(IECEE NCB) 모듈 인증

Ⅳ-4.

6 신재생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

민간 소유 1,000㎡ 이상의 신축 업무용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자발적으로 설치한 후,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는 제도(인증 받은 민간소유 건축물은 이를 표시하거나 홍보 등에 활용)

추진체계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39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12조의 2

(신재생에너지 이용 건축물에 대한 인증 등)

추진현황

Ⅳ-4.

신재생에너지 이용 건축물 인증제도 시행(’11.4.13)

신재생건축물 1호 인증서 발급(’11.12월) : 인천 포스코파워(미래관)

인증대상 확대를 위한 공동부령․공동고시 개정추진(’12.12월~)

신재생에너지이용 건축물인증제도 인센티브 마련

- 인증건물에 대하여 지방세 감면 및 건축기준 완화 시행

* 인증건물에 대하여 용적율, 고도제한, 조경면적 등 건축기준 완화(1~3%)

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정책개선안 도출

- 정책과제 수행을 통해 건축물 인증 로드맵 및 정책개선안 제시

- 인증대상의 단계적 확대 및 인증체계 개선 등

(500㎡이상(’14년) → 비주거용(’15년) → 주거용․비주거용(’16년)

․인증서 직접발행, 평가기관 관리 등 체계개선을 통한 센터 권한강화)

* 인증대상 확대를 위한 건축물 인증 산정기준(건물에너지사용량 등) 마련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40

Ⅳ-4.

7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

신·재생에너지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등 3대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술․제품의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시험평가 장비 구축 및 이를 통한 기업지원에 중점

지원 대상 : 3개源, 6개 테스트베드

- 태양광 : 충청권/대경권/호남권, 풍력 : 동남권/호남권, 연료전지 : 대경권)

사업개요

사업 기간 : ‘11. 8월 ~ ’14. 6월(3년)

- 1차년도 : 11.8 ~ 12.6 / 2차년도 : 12.7 ~ 13.6 / 3차년도 : 13.7 ~ 14.6)

사업비(국비) : 480억원

- 연차별 지원예산: (‘11년) 200억 / (’12년) 200억 / (‘13년) 80억)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41

테스트베드 추진체계

Ⅳ-4.

․주관부처 : 지식경제부 (사업총괄)

․전담기관 :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기획․평가․관리 및 조정)

․주관기관 : 광역권 비영리기관 (성능평가 및 기술지원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42

Ⅳ-4.

8 신재생설비 표준화

신재생에너지설비에 대한 국내 기술기준의 국제표준 부합화와 국가 표준의 국제표준 선점

* 기관별 역할 : 기표원(KS 고시, 국제표준화 총괄), 공단(KS 제개정관리, 국제표준화 지원)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0조(신재생에너지 기술의 국제표준화 지원)

추진체계

태양열,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KS 규격 제·개정

산업표준

초안작성 ⇒ 표준안 심의 ⇒

공청회 또는 설명회

개최 ⇒

최종(안)작성 및

기술표준원 보고

(분과위원회) (기술위원회) (신재생센터) (신재생센터)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43

Ⅳ-4.

추진현황

태양열,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KS 규격 제·개정

내용 2010 2011 2012 비 고

KS 제정 5 3 8

KS 개정 5 4 6

KS 확인 - - 14 KS표준 확인주기(5년)

국제표준제안 2 2 1 태양광1건, 연료전지1건,

풍력1건, 해양2건

표준개발협력기관 지정(기표원) : 태양광 및 태양열(‘09년), 풍력 및 연료전지(’11년)

*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 기술표준원에서 추진하던 국가표준개발업무를 민간 이양함에 따라,

전문분야별로 KS규격을 개발․개정 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받은 기관

* ’12년 6월, 태양광, 태양열, 풍력, 연료전지 표준개발협력기관 지정 연장

신재생에너지설비 KS표준 관리

- “KS C IEC 61215 지상 설치용 결정계 실리콘 지상용 태양전지(PV) 모듈:

설계 적격성 확인 및 형식 승인 요구 사항” 등 KS표준 93종 관리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인증 및 표준화)

44

Ⅳ-5.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전문기업)

9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관리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의 육성

* 등록제에서 신고제로 변경(시행 ’10.7.13) 및 신고업무 위탁(지경부→센터)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2조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전문기업의 신고 등)

추진체계

전문기업의 자본금과 기술인력에 대한 신고내역을 검토하여 신고증 발급

신 청 인

① 신 청 ② 접 수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④신고증명서 교부 ③ 확 인

45

Ⅳ-5.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전문기업)

추진현황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합계

업체수 59 637 1,012 1,146 2,587 1,458 1,077 801 8,578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신고된 업체 수는 총 8,578개(2012년 12월 말 기준)

등록분야별로는 총 15,993건이 등록(2012년 12월 말 기준)

* 2종이상 신고기업이 있어, 실등록수와 신고분야별 전문기업 숫자에 차이가 있음

46

Ⅳ-6.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해외진출지원)

10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지원

신·재생에너지 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하는데 필요한 해외시장 기초조사부터 수출제품의 인증지원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맞춤형 지원사업

사업구성

47

추진현황

Ⅳ-6.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해외진출지원)

사 업 명 지 원 건 수

비 고 11년 12년

해외시장조사 및 프로젝트 발굴 11 17

해외 신재생에너지 설비인증 획득지원 21 21

해외시장개척 지원 17 33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해외 연수·교육 80 21

해외타당성조사지원사업 22 -

합 계 151 92

해외시장조사 및 프로젝트 발굴

- 신재생에너지 해외시장조사를 통한 신규 프로젝트발굴 및 국내기업의 해외진출기반조성

해외설비인증획득지원

- 신재생에너지설비의 해외인증획득 소요 비용 지원

해외시장개척지원

- 국내 신재생에너지기업의 국제전시회 개별․단체 참가 지원을 통한 제품 홍보 및 수출활성화 도모

전문가 해외연수․교육지원

- 신재생에너지 전문가의 해외 전문기관 연수 및 교육 수료 지원을 통한 전문 인력양성

해외타당성조사지원

- 해외유망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타당성조사(Feasibility Study) 지원

48

Ⅳ-7.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홍보)

11 신재생에너지 홍보

신재생에너지대전(Renewable Energy Korea) 추진

-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및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국제 전시회 개최

녹색성장 이동체험관 운영

- 수도권, 대도시뿐만 아니라 농어촌, 도서지역까지 녹색성장을 전파하기 위한 이동체험관 운영

36.5도 아이디어 제품 보급확대

- “신재생에너지 36.5℃ 제품 아이디어” 및 “36.5℃ 우수 중소·중견기업 제품”선정 공모

49

Ⅳ-8. 신재생에너지 국제협력

12 신재생에너지 국제협력

(다자간 협력활동) 국제기구 활동을 통해 신재생분야 정책․기술․산업 촉진을 위한 국제 공조에

기여하고, 글로벌 리더십 확보

[양자간 협력활동] 정부간 경제협력위, 공동세미나, 컨퍼런스, 기업상담회 등을 통한 한국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및 수출 산업화 촉진

50

추진현황

(다자간 협력활동) IRENA, IEA, APEC, IPHE 등 정부 대표활동 수행․지원

- IEA 활동전문가‧Task 선정 완료(6월)

- IRENA(국제재생에너지기구), IEA(국제에너지기구), APEC(아태경제협력), IPHE(수소연료전지경제파트너십)

Ⅳ-8. 신재생에너지 국제협력

(양자간 협력활동) 선․개도국을 포괄한 협력거점 지속 확대 및 사업 발굴

- 한‧사우디 경제협력단 파견(2월)/공동세미나 개최(5월), 한‧알제리 9차경협TF(5월),

독일‧벨기에 정부대표단 파견(6월)/한·독, 한·이태리 산업협력포럼, 기업상담회 개최(9월))

51

국제에너지기구(IEA) 신재생분과(REWP) 활동 추진

- 태양광, 태양열발전, 풍력, 수소, 바이오 5개 분야 전문가 활동 지원

- 태양광(2), 풍력(2), 바이오(1) 등 5개 연구협력과제(Task) 전문가 활동 신규 지원

- IEA 활동성과 점검ㆍ전파 : 신재생에너지학회 세미나 발표(‘12.6.28, 부여)

지식관리 기능 강화

- 다자 국제기구 활동보고서 홈페이지 게재 및 대외공람

- 신재생에너지 해외정보지(정책, 산업, 기술) 8부 조사ㆍ배포

- 신재생에너지 정부간 협력의제 및 정책 조사 등 전담 지원

Ⅳ-9.

13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비율을 신ㆍ재생에너지로 공급토록 의무화한 제도

(RPS: Renwable Portpolio Standard)

- 추진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12조 6

(신ㆍ재생에너지의 이용ㆍ보급 촉진 및 신ㆍ재생에너지 산업의 활성화)

공급의무자

설비규모 500MW 이상의 발전사업자 및 수자원공사, 지역난방공사 (국가 총발전량의 98.7% 차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 2012년도 대상 : 한국수력원자력, 남동발전, 중부발전, 남부발전, 서부발전, 동서발전, 지역난방공사,

K-Water, 포스코, SK E&S, GS EPS, GS 파워, MPC율촌전력 등 13개 발전회사

연도별 의무공급량 비율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량 : 2%(‘12) → 10%(’22)

연 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의무비율(%) 2.0 2.5 3.0 3.5 4.0 5.0 6.0 7.0 8.0 9.0 10.0

태양광발전에 대하여는 별도 의무량 부과(의무량을 4년(’12~’15년)으로 축소 예정)

연 도 ’12 ’13 ’14 ’15 ’16~

의무공급량 (GWh) 276 591 907 1,235 1,577

신규건설(MW/년) 220 230 240 250 260 52

Ⅳ-9. 추진체계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공급의무자별 의무공급량 공고

공급의무자별 의무공급량 산정/보고

공급인증서 발급대상 설비확인

인증서 발급

인증서 거래시장 운영 의무 이행

평균거래가격 산정/보고

이행내용 확인/보고

과징금 부과

공급의무 이행결과 제출

과징금 납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설치

인증서 발급대상설비 확인 신청

인증서 발급신청

인증서 거래 거래시장

(의무 미이행시)

53

Ⅳ-9. 신·재생에너지원별 공급인증서 가중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원별 발전원가, 온실가스 감축효과, 산업육성효과, 환경훼손 최소화, 해당 신·재생에너지의

부존잠재량 등을 고려하여 가중치 부여

구 분 공급인증서

가 중 치

대상에너지 및 기준

설치유형 지목유형 용량기준

태양광

에너지

0.7 건축물 등

기존시설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5개 지목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1.0

기타 23개 지목

30kW 초과

1.2 30kW 이하

1.5 건축물 등 기존 시설물을 이용하는 경우

기 타

신·재생

에너지

0.25 IGCC, 부생가스

0.5 폐기물, 매립지가스

1.0 수력, 육상풍력, 바이오에너지, RDF 전소발전, 폐기물 가스화 발전, 조력(방조제 有)

1.5 목질계 바이오매스 전소발전, 해상풍력(연계거리 5km이하)

2.0 해상풍력(연계거리 5km초과), 조력(방조제 無), 연료전지

54

설비확인서 발급현황(총 1,110 건, 5,034 MW) 공급인증서 발급현황(총 4,621건, 1,647,440 REC)

RPS관련 추진현황(‘12. 12. 31 기준)

Ⅳ-9.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구 분 태양광 비태양광

거래량(REC) 평균가격

(천원/REC) 거래량(REC)

평균가격 (천원/REC)

현물시장 12,973 197.7 106,177 58.5

계약시장 52,936 199.3 75,467 39.6

합계 65,909 181,644

RPS 통합운영시스템(취득, 관리, 거래 시스템) 운영

- 거래시장 개설 : 계약시장(매일), 현물시장(비태양광 : 매월 첫째주, 태양광 : 매월 셋째주)

5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