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120
발간등록번호 G000F8T-2019-11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Upload: others

Post on 02-Jan-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발간등록번호

G000F8T-2019-11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Page 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Page 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발간등록번호

G000F8T-2019-11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 구 진

연구책임자 박 영 택 부연구위원

공동연구자 이 중 순 교 수

(국립 동경공업대학)

Page 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Page 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건복지부는 충분한 간호인력의 확보를 통하여 간호서비스의 질을 개선시

킬 수 있도록 하는 간호관리료차등제를 1999년부터 실시해 오고 있다. 그 동안

“병상 수/간호사 수”로 하던 산정방식을 2018년 4월부터 서울특별시, 광역시

구지역, 경기도의 구가 있는 시 지역 이외 의료기관에 대하여 “환자 수/간호사

수”로 전환한 바 있다.

간호관리료의 산정방식 중 간호사 수의 산출은 매월 15일 근무 간호사 수를

신고 받아 분기별 평균으로 하여 다음 분기에 적용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

은 초기방식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최근 보건의료 정보통신기술(ICT)이 산업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이 건강보험의

인력자원관리에는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인력 신고체계를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체계

를 검토해 보는 것에 있다. 향후 본 보고서가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체계 개

선, 타 인력신고 분야로의 확산, 신고 업무의 효율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유

용하게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끝으로 본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

2019년 12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 김 승 택

심사평가연구소장 허 윤 정

머리말

Page 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목 차

www.hira.or.kr i

제1장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연구내용 및 방법 3

4. 용어의 정의 4

제2장 건강보험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5

1. 국내 간호인력 관련 연구 5

2. 간호인력 관련 규정 6

3. ICT를 이용한 근무현황 파악사례: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12

4. 현행 간호관리료차등제 인력신고 현황 17

5. 인력신고 관련 문제점 (문헌고찰) 23

6. 소결 및 시사점 26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관리시스템 27

1. 미국 27

2. 일본 40

제4장 간호인력 신고·관리시스템 개선방안 78

1. 기본 방향 78

2.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안) 79

3. 외국의 사례가 주는 시사점 81

4. 기대효과 82

Page 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ii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5장 결론 및 제언 84

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요약 84

2. 정책제언 86

참고문헌 89

부록 94

부록1. 시설표 양식 95

부록2. 양식9: 입원 기본료 등의 시설 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 99

Page 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목 차

www.hira.or.kr iii

표 목 차

표 1 입원환자 간호관리료차등제 종별 가산기준(2019.3.1.) ·····································7

표 2 간호관리료차등제의 간호서비스부문별 주당 근무시간 인정기준 ·····················8

표 3 간호관리료차등제 관련 간호사 인력 신고 현황(2018.1분기) ························11

표 4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회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관련 결정 ···················16

표 5 서울시내 일 대학병원의 간호사 인력 신고 절차 (2019.7.기준) ···················17

표 6 서울시내 일 병원의 간호사 인력변동 관련업무 (2019.7.기준) ·····················21

표 7 인력관련 요양기관의 편법운영 규모(정도와 금액) ·········································24

표 8 '13~'16년 의료기관 유형별 부당청구 금액 (인력기준 이외 포함) ···············25

표 9 2017년 요양기관 현지조사 처분 결과 (인력기준 이외 항목 포함) ··············25

표 10 미국 CFR 482.23(b)의 간호인력 규정 ···························································27

표 11 캘리포니아 주의 환자 대 간호사 비 ······························································30

표 12 캘리포니아주 Health and Safety Code 규정(1276.4조항) ··························32

표 13 캘리포니아주 법의 Title 22. Social Security법내 간호인력 규정 ··············38

표 14 일본의 법체계 ·····································································································41

표 15 의료시설별 병상구분별 간호인력의 확보 표준 ···············································43

표 16 일본의 의료보험 제도의 종류 ···········································································53

표 17 일본의 보험자 수와 가입자 수 (2017년 3월 기준) ······································54

Page 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iv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목차그림 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수행체계 ······································4

그림 2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의 인력신고 메인화면 ············································9

그림 3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의 간호인력 및 차등제 인력신고 화면 ·············10

그림 4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의 일반병동 간호관리료차등제 신고 화면 ········10

그림 5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구성요소 ··································································12

그림 6 재가전자급여관리시스템 설치 과정 ································································14

그림 7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구성도 ······································································15

그림 8 요양병원의 간호등급 산정 화면 ······································································22

그림 9 인력신고 휴가등록화면 ·····················································································23

그림 10 요양병원의 간호인력 등 편법운영 발생현황 ···············································24

그림 11 캘리포니아 보건의료 시설 및 인력 규정 ····················································31

그림 12 미국의 일 병원의 간호인력 관리 전산프로그램 ·········································34

그림 13 근무번 별 월별 평균 간호사 대비 환자 수 보고 (한 가지 사례) ···········37

그림 14 의료기능정보제공 제도 (의료정보 네트) ····················································45

그림 15 정부통계 온라인 조사종합창구 ·····································································46

그림 16 병원보고 조사표 ······························································································47

그림 17 병원보고 종사자표 ··························································································48

그림 18 병원 실사시 검사표 (부분1) ·········································································49

그림 19 병원 실사시 검사표 (부분2) ·········································································50

그림 20 건강보험조합 수와 피보험자 및 피부양자 수의 추이 ································55

그림 21 의료보험 간호인력 배치에 의한 입원 기본료의 차이(수가개정) ·············57

그림 22 간호인력 배치 7대1, 10대1의 의미[17] ·····················································58

그림 23 입원기본료의 시설기준 양식 ·········································································60

Page 1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목 차

www.hira.or.kr v

그림 24 간호사등 면허보유자 신고 사이트「토도케룬」초기 화면 ························70

그림 25 간호사등 면허보유자의 신고 인원수 추이 ···················································72

그림 26 간호사 등 면허보유 신고자 연령대 ······························································72

그림 27 간호사 등 면허보유 신고자의 취업 상황 ····················································73

그림 28 일본 병원의 간호인력 관리(근무표와 메뉴) ···············································75

그림 29 일본 병원의 간호인력 관리 (근무 기록 상세내역) ····································75

그림 30 일본 병원의 간호인력 관리 (체크리스트 화면) ·········································76

그림 31 입원기본료 등의 시설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 (양식 9)의 출력 ···76

그림 32 초과근무 관리화면 ··························································································77

Page 1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vi 건강보험심사평가원

Page 1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목 차

www.hira.or.kr vii

Page 1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1장 서론

www.hira.or.kr 1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보건복지부는 충분한 간호인력의 확보를 통하여 간호서비스의 질을 개선시

킬 수 있도록 하는 간호관리료차등제를 1999년부터 실시해 오고 있다. 그 동안

“병상 수/간호사 수”로 하던 산정방식을 2018년 4월부터 서울특별시, 광역시

구 지역, 경기도의 구가 있는 시 지역 이외 의료기관에 대하여 “환자 수/간호

사 수”로 전환한 바 있다. 의료취약지는 기본등급 미만(7등급)의 경우에도 기본

등급 입원료를 산정하고 있으며, 미신고기관은 종별 상관없이 7등급 산정하고

있다.

상급종합병원과 의원의 경우 1~6등급, 기타 종합병원과 병원의 경우는 1~7등

급으로 산정하고 있으며, 종별 등급산정의 가산율은 기본등급의 10%나 20%로

하고 있으나, 의원의 경우는 5등급은 6등급의 10%, 4등급은 6등급의 20% 순으

로 점진적으로 가산율을 적용하고 있다.

현행 간호인력의 주당근무시간 인정기준도 간호서비스 부분에 따라 다른데

일반병동의 경우 16~19시 미만은 0.4인, 20~23시간 0.5인 등으로 하고 있으며,

중환자실의 경우는 32~39시간 0.8인, 40시간 1인 등으로 하고 있다. 완화병동과

요양병원은 다른 근무시간 인정기준을 두고 있어, 간호사의 근무시간에 따른

인정기준은 간호서비스 부문별 다양하고 세밀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간호관리료차등제 산정방식 중 간호사 수의 산출은 매월 15일 근무 간호사

수를 신고 받아 분기별 평균으로 하여 다음 분기에 적용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초기방식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간호사 수의 신고방식은 의

료기관이 매월 15일 간호사 수의 배치를 늘리는 경우, 간호등급의 상승으로 영

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보건복지부의 과거 보도자료1)에 따르면 인력신고 관련 부당청구 건수

와 금액이 적지 않았다. 2010년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기관수 140개 기관에

1) 보건복지부 보험평가과. 요양병원 56개소 의료인력, 시설 편법운용, 17억 원 환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0.7.21.

Page 1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 인력편법운영 기관수는 56건으로 40%이었으며, 부당수급액 규모도 심결금

액의 1.1%인 17억 원으로 적지 않았다. 그 내역을 보면 타업무 겸직자를 “전담”

으로 신고한 경우가 48.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입사 및 퇴사일 착오신

고가 18.9% 순으로 나타났다. 직종별 편법운영 비율을 보면 간호인력이 62.2%

로 가장 높았고, 조리사 및 영양사 26.7% 순이었다.

인력고용 수준에 따라 진료비를 차등으로 지급하는 분야는 다양한데, 입원환자

간호관리료차등제, 중환자실 간호관리료차등제, 요양병원 입원료차등제, 의료급

여 정신건강의학과 입원료차등제, 호스피스수가 가산제, 감염예방 및 관리료, 집

중치료실 입원료, 입원환자식 운영 현황 등 (영양사, 조리사 고용 등)이 있다.

최근 보건의료정보통신기술(ICT)이 산업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4차 산업혁명으로 부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이 건강보험의

인력자원관리에는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인력의

신고는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에 반 수작업으로 입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등 신고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

한 시점이다.

2. 연구목적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체

계를 검토해 보는 것에 있다.

- 첫째, 국내 간호관리료차등제 규정, 신고, 유사시스템 현황 및 문제점

- 둘째, 외국의 간호인력 관련 규정 및 신고, 관리체계

- 셋째, 위의 현황파악을 바탕으로 개선방안 제시

Page 1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1장 서론

www.hira.or.kr 3

3.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위하여 연구내용은 다

음과 같이 구성한다.

○ 건강보험 내 간호 및 기타인력 신고, 관리체계

- 간호인력 신고체계, 간호등급 신고 및 미신고 현황 등

- 간호인력 신고와 유사한 인력신고체계 등

○ 외국의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미국, 일본)

- 관련 규정, 의료기관의 신고, 정부의 확인 및 관리 체계 등

○ 간호인력 관리체계 개선방안

- 현행 제도에서의 기술적인 방법 등 기술

- 제도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등

나. 연구방법(수행 체계)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1) 국내현황으로, 제반규정, 간호인력 신고현황 파악, 타 인

력신고부문 파악,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 이용의 애로사항 파악, (2) 외국현황 분석으

로 미국과 일본의 현황파악을 위하여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그림1). 이러한 결과를 통

하여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Page 1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수행체계

4. 용어의 정의

본 보고서에서 “간호인력정보”라고 하면 간호사의 근무형태, 근무기간, 근무부서

등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인력정보를 말한다. 본 보고서에서 “간호인력 자동관리시

스템”(가칭) 이라고 하면 의료기관에서 간호인력의 근무현황 파악, 스케쥴 조정 등의

업무를 위하여 자체적으로 개발 또는 운영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술의 편의를 위하

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심사평가원”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공단”으

로 기술하였다.

Page 1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5

제2장 건강보험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1. 국내 간호인력 관련 연구

본 연구는 효율적인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2000년 이후로 이루어진 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검토결과 건강보

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이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 등 공공기

관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간호관리료차등제 기준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

었다.

먼저 2011년 12월에 심사평가원에서 수행한 “간호관리료차등제 선정기준 개선방안

연구”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1-2등급 역전구간 해소 방안/병상 수에서 환자 수로

변경 시 등급 변화 분석한 것이었으며, 2014년 12월에 심사평가원에서 완료된 “우수

간호인력 확보를 위한 간호수가체계 개선방안 연구”는 임시직 간호사 고용확대 시 간

호관리료 등급변화와 고용변화 예측를 예측한 것이었다. 2015년 12월에 심사평가원

의 외주용역으로 보사연에서 수행한“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따른 입원환자 간호관리료

차등제 개선방안 연구”는 개선방안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첫째, 병상 가동률 감

안 환자 수 전환, 둘째, 상급기준 종별 역전 없도록 조정, 셋째, 간호등급 수 축소, 넷

째, 의료법 시행규칙 기준으로 수정(환자5명당 간호사 2명)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2018년도 2월 대한간호협회에서 수행한 “간호관리료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는 간호

관리료 수가의 문제점 지적 및 적정수가 산출에 관한 것이었다. 이처럼 간호관리료차

등제 관련 연구는 산정방법, 인력기준 및 수가에 관한 것이 일반적으로 공공기관에서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였다.

의료기관에서의 간호인력 관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개인들의 학위논문이나 인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것은 “효율적인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주기적 근무일정 편성 시스템 개발”(1996), “간호인력관리 정보시스템 개발: 환

자분류에 근거하여”(2006), “전산화된 임상 데이터에 기반한 환자분류체계 및 간호인

력 관리방안”(2013) 등이 있었다. 이러한 개인이나 학위 논문을 제외한 공공기관에서

의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Page 1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간호인력 관련 규정

가. 건강보험고시

1) 간호관리료차등제 규정 변경

정부는 1999년 11월 간호관리료차등제를 도입하였다.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

원 모두 기본등급 대비 가산방식을 도입하였으며, 등급은 1~6등급으로 운영하였다.

2000년 4월에는 “입원병원관리료(가-2 가), 입원환자의학관리료(가-2 나), 입원환자간

호관리료(가-2 다)”의 소정금액을 합산하여 입원료로 단일화하였다. 2007년 1월에는

종합병원 및 병원의 가산방식을 직전등급 대비 가산방식으로 개선하였다. 등급 산정

시 손해보는 구조를 완화, 간호사 확충 및 등급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와

는 별도로 2007년 4월 1일에는 간호관리료차등제의 7등급을 신설 감산제도를 도입하

였다.2)

2008년 1월에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의 입원료를 1% 인상하였다. 2008년

2월에는 7등급 입원료의 지역별 차등제도를 도입하였다. 의료취약지 감산을 미적용

하였으며, 서울광역시 제외 지역 2%감산, 서울 및 광역시 5%감산으로 변경하였다.

2014년 9월에는 4·5인실 급여화를 실시하였는데, 4인실은 기본입원료(6인)의 160%, 5

인실은 130% 수준으로 변경하였다. 상급병실료 손실 보상으로 기본입원료를 인상하

였는데, 상급종합병원 3%, 종합병원 3%, 병원 2%를 인상하였다.

2016년 9월에는 병원급 간호관리료차등제를 개선하였다. 선택진료 의사수 축소에

손실 보전 차원에서 간호관리료 차등제 가산수준을 기존보다 강화하였다. 기존에는

직전등급 대비 가산체계를 기본입원료 대비 15~68% 가산에서 기본등급 대비 20~70%

를 가산하였다. 2018년 1월에는 선택진료 보상 방안으로 4, 5, 6인실 입원료를 인상하

였다. 상급종합병원 7.5%, 종합병원 3.1%, 병원 1.5% 인상하였다. 2018년 4월에는 지

방병원, 공공병원의 차등제 산정기준을 병상수에서 환자수로 변경하였다. 서울특별

시, 광역시 구지역, 경기도의 구가 있는 시를 제외한 지역에 소재하거나 관련 법령에

의해 설립, 지역응급의료기관인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은 병상수에서 환

자수로 변경하였다.

2) 유선주, 최경숙, 김현영. 인력기준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대한간호협회·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1.

Page 1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7

등급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간호사

1인당

환자(병상)

수*

가산율

간호사

1인당

환자(병상)수*

가산율

간호사

1인당

환자(병상)수*

가산율

간호사

1인당

환자(병상)수*

가산율

1 2.0 미만 2등급의 1.1 2.5 미만 2등급의 1.1 2.5 미만 2등급의 1.1 2.5 미만 6등급의 1.5

2 2.0~2.5미만 3등급의 1.1 2.5~3.0미만 3등급의 1.1 2.5~3.0미만 3등급의 1.1 2.5~3.0미만 6등급의 1.4

3 2.5~3.0미만 4등급의 1.1 3.0~3.5미만 4등급의 1.15 3.0~3.5미만 4등급의 1.1 3.0~3.5미만 6등급의 1.3

4 3.0~3.5미만 5등급의 1.15 3.5~4.0미만 5등급의 1.1 3.5~4.0미만 5등급의 1.1 3.5~4.0미만 6등급의 1.2

5 3.5~4.0미만 6등급의 1.1 4.0~4.5미만 6등급의 1.1 4.0~4.5미만 6등급의 1.2 4.0~4.5미만 6등급의 1.1

6 4.0이상 1.0 4.5~6.0미만 1.0 4.5~6.0미만 1.0 4.5이상 1.0

7 - - 6.0이상6등급의

0.98, 0.956.0이상

6등급의

0.98, 0.95- -

주 1. 의료취약지는 기본등급 미만(7등급)의 경우에도 기본등급 입원료산정; 2: 환자수는 서울특별시, 광역시 구지역, 경기도의 구가 있는 시를 제외한 지역에 소재하거나 관련 법령에 의해 설립된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3: 미신고기관은 종별 상관없이 7등급 산정

표 1 입원환자 간호관리료차등제 종별 가산기준(2019.3.1.)

2018년 7월에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의 2․3인실은 급여화하여 4인실 입원료 대

비 3인실은 120%, 2인실은 상급종합병원 160%, 종합병원 150% 수준으로 변경하였다.

상급종합병원, 병원의 간호관리료차등제 가감방식을 개선하였다. 종별 입원료 역전

개선 및 선택진료 폐지에 대한 추가보상으로, 상급종합병원, 병원 가감률 적용 방식

을 직전등급 대비 가산방식으로 변경하였다.

2019년 10월 이후에는 차등제 산정기준을 병상수에서 환자수로 적용하는 기관을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서울특별시, 경기도의 구가 있는 시, 광역시 구지역은 병상수

기준(관련 법령에 의해 설립된 기관 및 지역응급의료기관은 지역에 상관없이 환자수

적용), 기외 지역은 환자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10월 이후에는 서울특별시만 병

상수 기준이며, 기타 지역은 모두 환자수를 기준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2020년 1월부터 간호관리료차등제 미신고 기관에 대하여 감산 비율을 높일 예정이다.

현행 미신고 기관은 7등급 입원료를 산정하여 5%를 감산하지만 이들 미신고 기관은

10%감산으로 변경할 예정이다.3)

Page 2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간호관리료차등제의 간호사 주당 근무시간 인정기준

현행 간호관리료차등제의 간호사 주당 근무시간 인정기준은 매우 복잡하다. 표2는

일반병동, 중환자실, 완화병동, 요양병원의 인정기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정기준은

간호서비스 부문별 차이를 두고 있다. 일반병동의 경우 주당 최소 근무 인정시간은

16시간으로 16~20시간 미만은 0.4인, 20~23시간 미만은 0.5인 등으로 인정하고 있음

을 볼 수 있다.

구분 주당 근무시간에 따른 인정기준

간호

부문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일반

병동0.4 0.5 0.6 0.7 0.8 0.9

1

중환

자실0.8

1

완화

병동0.8

1

요양

병원0.4(0.5)* 0.6(0.7)*

0.8*

(0.9)

* 괄호 안은 의료취약지임

표 2 간호관리료차등제의 간호서비스부문별 주당 근무시간 인정기준

3) 간호인력 및 간호관리료차등제 인력 신고절차

현재 의료기관의 간호인력 및 간호관리료차등제 간호인력 신고는 보건의료자원통

합신고포털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2는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 포털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메인화면의“현황신고변경”을 클릭하면 인력과 간호관리료차

등제 간호인력 신고를 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9-109호, 113호

Page 2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9

그림 2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의 인력신고 메인화면

그림3은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의 메인화면에 있는 “현황신고변경”을 클릭하여

간호인력 신고와 간호관리료차등제 인력신고를 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차

등제 신고에는 일반병동 간호관리료차등제 신고, 중환자실 간호관리료차등제 신고,

요양병원 입원료 차등제 신고 등 인력기준에 따라 수가가 변경되는 항목에 대한 신고

들이 있으며, 이러한 항목들은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을 통하여 인력신고를 받게

된다.

Page 2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3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의 간호인력 및 차등제 인력신고 화면

그림4는 “일반병동 간호관리료차등제 신고” 항목을 클릭하였을 경우 화면에 나타

나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특정년도 특정 분기의 현황을 볼 수 있으며, 신규신고를 할

경우 현재의 현황을 볼 수 있다. 현행 간호관리료차등제 신고는 이렇게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Page 2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11

나. 간호인력 신고현황

국내 의료기관의 간호관리료차등제 관련 간호사 인력 신고현황을 보면 표3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경우는 각각 100%와 88.7%로 신고 되고 있

으나, 병원급의 경우는 36.6%로 미신고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구분전체기관 신고기관 미신고기관

기관수 % 기관수 % 기관수 %

상급종합 42 100.0 42 100.0 0 0.0

종합병원 302 100.0 268 88.7 34 11.3

병 원 1,471 100.0 538 36.6 993 63.4

전 체 1,815 100.0 848 46.7 967 53.3자료원: 심사평가원 내부자료. 2019.7.

표 3 간호관리료차등제 관련 간호사 인력 신고 현황(2018.1분기)

Page 2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3. ICT를 이용한 근무현황 파악사례: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가. RFID설명

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IC칩에 있는 정보를 전파를 이용하

여 읽어 들이는 정보인식 기술이다. 현재 건강보험공단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

급여 체계에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

스를 제공하고, 급여를 청구하는 전체를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이다. 재가

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RFID카드는 장기요양기관에서 요양보호사들의 활동을 관리하

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2011년도에 도입되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1-22

호).

나.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장비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장비는 크게 휴대폰, 리더기 (휴대폰에

꽂아서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장비), 전자태그(수급자 거주지에 부착하는 카드)가 필

요하다(그림5). 최근에는 리더기 없이 휴대폰에서 직접 전자태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휴대폰에 관련 앱을 설치해야만 한다.

자료원: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 기관용 전산 가이드북. 건강보험공단 (요양심사실). 2017.7.

Page 2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13

다. 서비스 제공체계

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은 1) (재가)장기요양기관과 2) (상시)장기요양기관(시

설)으로 구분되는데 RFID카드는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만 사용하고 있다. 장기요양

기관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사용하며, 장기요양기관이 지자체에 신고하고 공단에 신청

하면 사용할 수 있다. 재가요양서비스가 실제 제공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기

때문에, RFID를 통하여 수집하는 데이터는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수집데이터의 내용은 1) 방문요양, 2) 목욕, 3) 간호에 대하여 시작을 휴대폰을 전자

태그에 찍고, 종료를 다시 찍을 경우 해당 정보는 건강보험공단과 장기요양기관에 전

송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전자태그를 직접 RFID방식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부터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정이용 되는 것이 발견되

고 있다고 하는데, 예로 전자태그를 떼어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현재 스마트폰과

RFID카드 인식을 연동하는 것에 참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비율은 약 89%라고 한

다(자문회의4) 결과 참조).

라. 재가서비스 후 진료비용 청구 등 업무 흐름도

RFID를 쓰지 않고, 재가서비스를 제공한 후 급여비용을 청구하는 경우도 가능하나

이는 청구를 수기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다수의 요양보호사들이

핸드폰을 통한 RFID 카드 인식에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 RFID를 쓰는 경우 청구는

장기요양기관에 축척된 자료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고 한다.

전자태그(RFID)는 전산으로 공단으로 신청해야 한다고 한다. 공단에서 교부하며,

태그내 재가서비스제공자의 아이디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제공자의 아이

디와 일치하여야 하며, 장기요양기관은 이를 수급자의 거주지에 부착하여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공단에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유는 수급자와 서비스 제공자

(요양보호사)의 1:1 관계가 수급자의 집이라는 사적이며 폐쇄적인 공간 영역에서 이

루어지지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한다 (자문회의 결과 참조).

4) 이하 “자문회의”란 본 연구의 수행기간 동안 건강보험공단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현황 파악을 위하여 공단 담당자와 수행한 자문회의를 말함

Page 2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6 재가전자급여관리시스템 설치 과정

자료원: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 기관용 전산 가이드북. 건강보험공단 (요양심사실). 2017.7.

마.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구성도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공단은 요양보호사들이 자신의 휴대폰

가입 통신사를 이용하여 출퇴근, 제공 서비스 내역을 공단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

고 있다고 한다.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구성도는 그림7과 같다.

Page 2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15

그림 7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구성도

자료원: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 기관용 전산 가이드북. 건강보험공단 (요양심사실). 2017.7.

바.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도입시의 개인정보침해 검토

건강보험공단이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을 도입할 당시 개인정보침해에 대

하여 검토하였다. RFID기술을 이용하여 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근무시작과 종료, 서비스 제공시간을 ICT를 활용하여 관리하는 것이 개인정보

침해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국가인권위원회에 질의하였다(표 4).

Page 2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가인권위원회는 건강보험공단의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개인정보침해 여부 질의에 대하여 QR Code를 활용하여 요양보호사들의 재가요

양서비스 제공 시간만을 확인하는 것에 대하여 전자감시에 의한 인권침해로 보

기 어렵다고 2011년 5월 25일 판정한바 있다.

제 목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 관련 의견 표명

공단질의

건강보험공단은, 재가서비스에 대한 부정수급 문제와 급여신청서 작성에

대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칩을 내

장한 태그에 장기요양요원(이하 ‘요양보호사’라 한다)의 휴대전화를 태

깅하도록 하여, 근로자의 위치정보 및 서비스 제공 내역을 전송하는“재가

급여전자 관리시스템” 사업을 구축하였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의 확산

에 따라, RFID 칩을 활용한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사업을 확대하여,

태그에 QR Code(Quick Response Code)를 부착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

스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시스템과 관련하여 국민건강보험

공단 이사장은, QR Code를 활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근로감독을 실시하는 것이 인권침해인지에 대하여,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라 한다)에 질의함.(질의서 그대로 인용함)

인권위 결정문

건강보험공단 이사장에게,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개인정보자기 결정

원의 침해여부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의견을 표명한다.

1. QR Code를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간만을 확인하는 위치정보 사용에

대한 것은, 전자감시에 의한 인권침해로 보기 어렵다.

2. 요양보호사의 개인정보 및 개인위치정보 활용과 관련하여, 요양보호사의

동의절차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재가서비스 수급권자의 RFID 태그부착과 관련하여, 수급권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고, 명시적으로 동의 여부를 확인하며, 부동의하는 의사를 표시

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태그 카드 번호에 대한 암호화 조치

를 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료원: 국가인권위원회.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 관련 의견 표명. 2011.5.25.

표 4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회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관련 결정

Page 2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17

4. 현행 간호관리료차등제 인력신고 현황5)

현재 “간호관리료차등제”는 개별 병원에서 매월 15일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에 로그인하여 “일반병동 간호관리료차등제신고” 항목으로 이동하여 간

호사인력(간호사리스트)을 업로드 하고 있고, 등급은 본 시스템에서 분기평균을 산출하

여 다음 분기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자 의견을 살펴보고자 병동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집하였다. 의료기관의 일반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를 대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 및 기타 간호인력 신고 관련 애로사항에 대하여 다

음과 같은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가. 서울시내 일 상급종합병원

아래의 표5는 서울시내 일 상급종합병원의 일반병동 간호사인력 이동에 따른 신고

절차를 인터뷰를 통하여 정리한 것이다. 간호인력의 신규, 변경, 이력신고와 휴직, 복

직, 병가 및 부서변경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매우 복잡한 행정절차가 이루어지고 있

음을 볼 수 있다.

구분 절차

신규, 변경 이력신고

매주 적어도 2주 1회 신고1) 인사과에서 간호사 채용공고 (신입/경력)2) 인사과에서 간호사 채용3) 관리료 신고담당자에게 부서배치결재 통보됨4) 해당 직원의 주민번호 획득5) 간호인력 신고 - 신규신고 - 담당부서, 근무시작일, 근무종류 등을 신고

휴직/복직/병가 등 관리료 신고 담당자에게 휴직원/병가 결재 통보됨

부서 간 변경매월 부서 변경 신고: 1) 등급외 부서와 등급 부서, 집중치료실 이동에 대해 월초 스케줄 확인하여 신고함, 2) PRN 14일 이상 가는 간호사 확인하여 신고함.

표 5 서울시내 일 대학병원의 간호사 인력 신고 절차 (2019.7.기준)

5) 본 단원은 서울소재 간호대학 2곳의 대학원에 진학중이며, 현재 각 병원 일반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인력” 신고체계 및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 이용의 애로사항 등을 본인 동의를 받은 후 이메일을 통하여 수집한 것임

Page 3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와는 별도로 분기별 심사평가원에 신고하는 절차는 먼저 매월 15일자 근무인원

을 작성하고, 이와 관련 인사팀에서 근태실적(근무여부 및 일자), 원무팀에서 병상자

료를 받아 심사평가원에 신고한 인력현황과 비교한다.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 후 부서

장 결재를 득하여 보험심사팀 간호관리료차등제 신고담당자에게 통보하면, 보험심사

팀 담당자가 최종 신고를 하고 있다고 한다.

간호관리료차등제 신고의 어려운 점을 질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의견을 받았다. 첫

째, 상급종합병원이다 보니 인력 변동(휴직, 병가, 부서변경, 입/퇴사 등)이 많다. 따

라서 신고량이 많아 업무 부담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신규신고시 해당 직원의 주민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개인정보보호에 따라 주민번호를 알기가 매우 어려워 그때

마다 인사팀 담당자에게 주민번호를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셋째, 개명한 간호

사들의 경우 변경이 되지 않아 병원정보는 개명된 이름이나 관리료상 과거 이름이라

비교시 오류 가능성이 높다. 넷째, 신고시 오류가 발생했을 때 홈페이지 내에서 오류

라고 떠있으나 신고자에게 개별 연락이 제대로 되지 않아 수일 뒤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분기별 간호관리료차등제 인력신고를 위해서는 10일 ~ 20일까지 10

여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신고 된 결과만 믿고 할 수가 없어 분기 이력

을 모두 조사해보고 제외된 사유들을 모두 체크하고 이후 최종 결재를 얻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간호간병통합신고 역시 기간이 16일~20일 이므로

분기마다 심리적 압박감이 크다고 한다.

제안사항으로 신고의 오류가 있는 경우 담당자에게 직접 연락 또는 메일을 보내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업무 담당자가 매일 홈페이지를 들어갈 수가 없어, 이러한 절

차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끝으로 신고기간의 연장을 요청(15일~31일) 하였다.

나. 종합병원급 의료기관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 및 간호관리료차등제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내에 위치한 2개 의료기관의 병동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의료기관은 편의상“A종합병원”과“B종합병원”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A종합병원의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내 일반병동 간호관리료차등제 신

고에 간호사 수 또는 이름을 입력하기까지의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인사과에

Page 3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19

서 간호사 채용공고, 2) 인사과에서 간호사 채용, 3) 임용대기, 4) 간호부에서 매월

결원 또는 증원 발생 시 임용 순서대로 인사발령, 5) 간호부 인사담당자가 매월 15일

자 기준으로 병동간호사 리스트를 보험심사팀 신고담당자에게 송부, 6) 보험심사팀

신고담당자가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에 신고 입력, 7) 간호부 인사담당자가 근

무 일정 변경여부 수시 확인. 신고는 15일자가 아니더라도 사직, 휴직, 장기 병가, 휴

가 등 발생 즉시 신고 하고 있다고 하였다. 보험심사팀에서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자원 통합신고포털"에 입력신고를 하고 있고, 병동에서는 인력변경이 발생할 경우 이

를 보험심사팀에 통보하여, 담당자가 수시로 입력하도록 하고 있었다.

간호사의 병가 발생 시 간호부 담당자까지 당일 보고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여러

업무를 맡아서 하니 현실적으로 업무과중으로 이어진다는 의견도 있었다. 병원에는

간호인력 모니터링시스템은 별도로 없다고 하였으며, 담당자가 일일이 정보 취합 후

보고를 한다고 하였다. 간호인력모니터링시스템이 잘 구축된다면, 업무 효율성 측면

에서 좋을 수 있다는 의견을 주었다.

현행 시스템은 휴가 신고 날짜변경 시 시작일자 등 변경이 활성화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하였다. 신고자가 변경할 수 없어서 일일이 메모로 변경사항을 요청해야 하

며, 접수 후 일부분이 완료되면 그 이후에 다른 부분을 신고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여

러 번에 걸쳐 신고가 이루어져야 하는 건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휴가는 종료일자만

수정이 가능한데, 이것이 불편하다고 하였다. 예로 5/1~5/30일 휴가등록이 되어있는

상황에서 5/1~5/27일 휴가를 하고, 28일 근무, 5/29~5/30일 휴가로 변경하고자 하

면, 이미 5/30 휴가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등록을 다시 할 수 없다고 한다. 간호간

병 통합병동의 경우, 공단과 정보를 공유하여 이중으로 신고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또한 '신규인력신고'에서 주민등록번호부터 하나하나 수기 입력하지 않고 업

로드로 일괄입력이 되어 오류 가능성을 줄였으면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업

로드시 업로드 키(key)가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주었다.

다음은 B종합병원의 간호사로부터 온 응답지를 정리한 것이다. 보건의료자원 통합

신고포털을 통하여 간호인력을 신고하는 절차는 A종합병원과 거의 동일하였다. 병원

에 간호인력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은 별도로 있지 않았고, 행정간호사가 인력관리

를 엑셀 작업으로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간호인력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한지 문

의 결과, 심사평가원 인력정보와 연동이 되어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지

Page 3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2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만,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서 심사평가원 따로, 병원 프로그램 따로 이용하는

것이라면 이중업무라고 답하였다. 간호관리료차등제가 필요한지 문의결과 필요하다

고 답하였으며, 차등제가 있어야 적정 간호사 수를 맞춰줄 수 있을 것 같다고 응답하

였다.6)

현재의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과 관련하여 간호인력정보 중 주민번호 등록할

때, 주민번호 창에서 숫자입력이 끝나면 다음 창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해달라

는 주문이 있었다. 현재는 주민번호 앞6자리 입력 후 탭을 눌러야 다음 창으로 넘어

간다고 하였다 (예: 주민번호 앞6자리 입력이 끝나면 바로 그 뒤 7자리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 두 번째는 주민번호 모두 입력 후 엔터를 치면 바로 면허번호 조회가 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현재는 주민번호 입력 후 면허확인 클릭을 해야 면허번호 조

회가 된다고 하였다. 세 번째로, 정보 수정 후 로그아웃될 때 “최종제출”이 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즉, “로그아웃하시겠습니까?” 라는 팝업창이 뜨면 좋겠다고 하였다.

네 번째, 최종제출 시에도 전화번호 기록 칸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해주면 편할

것 같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종 제출 시 이름, 전화번호를 기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탭을 눌러 전화번호 입력이 가능한 창으로 넘어가면 02~010을 선택할 수 있

는 칸으로 넘어가는데 거기에서 바로 02를 누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마우스로 클릭

을 해야 지정 번호로 02를 선택할 수 있다고 한다. 인력 신고를 추가로 하면 하루에

2회 또는 3회 지정된 시간에 인력신고 접수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주었다. 정

해진 접수시간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인력신

고 접수가 되었는지 수시로 들어와서 확인해보게 된다고 하였다. 최종제출을 하면 팝

업창으로 "오후5시에 신고 접수됩니다" 라는 식의 문구가 뜨면 좋을 것 같다고 하였

다. 그것이 어려우면 도움말에 접수시간을 공지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

였다.

끝으로, 간호인력 신고시 동명이인인 경우 주민번호로만 구분하는 경우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른 표시를 통해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겠다고 하였다. 이

름을 개명한 경우, 인력신고는 개명 전 이름으로 되어 있고, 면허 재발급 진행 과정

6) 간호관리료차등제가 병원의 어떠한 행정업무와 관련이 있는지, 병동근무 간호사 수와 의료기관별 진료비청구 명세서의 주진단 불가코드, 중복코딩, 평균상병코드, 병용불가코드 발생건수와의 관계를 각각 분석하였으며, 일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다만, 본 분석결과는 이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다는 검토의견이 있어, 본 보고서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Page 3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21

상황에서 신고를 해야 하거나, 실사를 나오거나 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빈번한 업로드 시 시간 걸리는 문제, 제출 과정 중 오류발생도 해결되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다. 일 병원급 의료기관

표6은 서울시내 일 병원급 의료기관의 간호사 인력변동 관련 업무를 정리한 것이

다. 간호사의 인력신고는 매주 진행하고 있다고 하였다.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간호

인력의 변동에 따른 병원내 여러 부서의 업무가 상호 연계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주관부서 내용

간호부채용요청, 인력변동 발생시 타부서 통보(입사, 퇴사, 휴직, 휴가 등)근무 일정표 작성

인사팀신규 및 변동인력 확인, 명단작성 (원무팀 전달_매주)채용공고 및 채용, 변동내역 수신

원무팀차등제 신고기간내 인력현황 확인인력현황 확인 후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에 신고(간호사 입사, 퇴사, 휴직, 휴가 등)

표 6 서울시내 일 병원의 간호사 인력변동 관련업무 (2019.7.기준)

병원에 간호인력근무를 모니터링하는 별도의 간호인력모니터링시스템이 있는지 여

부를 문의한 결과, 없다고 하였으며, 이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필요하지 않다고 하

였다. 간호인력은 행정업무와 다르게 근무인력의 변동이 있을 때 병동인력내에서 팀

장이 조율하여 인력조정을 하기 때문에 시스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이 적다고

하였다. 간호관리료차등제가 필요하냐는 질의에 대하여 환자대비 인력기준이 높은

병원에서는 간호관리료 가점이 되면 입원료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 만큼 추가 채용이

나 전문간호사 도입으로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병원의 간호인력 신고 담당자가 매월 15일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

Page 3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2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포털」에 접속하여 간호관리료차등제의 간호사 인력신고를 수행할 때 현행 시스템의

개선점은 무엇이 있는지 질의하였다. 간호인력 신고 시 평균 인원수를 기재하면 예상

간호등급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현재 요양병원 입원료

차등제 산정현황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림 8 요양병원의 간호등급 산정 화면

기존 신고내역 존재 시 추가 및 변경, 수정작업이 불가능하다고 하였는데, 차등제

신고의 마감전이라면, 또는 구체적인 사유 기재 시 기존 신고했던 간호인력의 입·퇴

사(휴가) 신고 변경 및 취소가 가능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현재 입·퇴사 및 인력변

경의 경우가 많아 매주 신고하고 있지만, 취소 및 변경의 경우가 있어 신고내역을 수

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끝으로‘휴가등록’시 현재 종료

일만 수정가능하나, 수정일도 가능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휴가구분 및 시작 일자

변경이 있을 수도 있어 구체적인 사유 및 첨부서류 기재 시 변경이 가능했으면 한다

는 의견이 있었다.

Page 3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23

그림 9 인력신고 휴가등록화면

5. 인력신고 관련 문제점 (문헌고찰)

의료기관의 인력신고와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나타나고 지적되는 문제점들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2010년도 보건복지부의 요양병원 인력기준 운영실태 조

사결과7)에 따르면 140개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6개 기관(40.0%)에

서 인력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발견하였으며, 심결금액 1,531억원중 부당금액은

7) 보건복지부 보험평가과. 요양병원 56개소 의료인력, 시설 편법운용, 17억 원 환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0.7.21.

Page 3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2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7억원(1.1%)이었다. 당시의 현지조사는 인력기준에 한정하여 이루어졌으며, 부

당수급액 규모의 비율은 낮았으나, 많은 기관에서 이러한 인력편법운영이 발생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표 7).

조사기관수(요양병원)

기관 부당 수급액 규모

기관수(A)인력편법운영기관수(B)

비율(B/A) 심결금액(C) 부당금액(D) 비율(D/C)

140 56 40.0 1,531억원 17억원 1.1

보건복지부. 요양병원 56개소 의료인력∙시설 편법운용, 17억원 환수 (전국 140개 요양병원

조사결과 56개 기관(40%)에서 부당이득).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0.7.21.

표 7 인력관련 요양기관의 편법운영 규모(정도와 금액)

그림 10 요양병원의 간호인력 등 편법운영 발생현황

자료원: 보건복지부. 요양병원 56개소 의료인력∙시설 편법운용, 17억원 환수 (전국 140개 요양병원 조사결과

56개 기관(40%)에서 부당이득).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0.7.21.

유형별 편법운영 비율을 보면 “타업무 겸직자 전담으로 신고”(48.9%), “입․퇴사일 착오신고”(18.9%), “비상근을 상근으로 신고”(15.6%) 순으로 높았다. 직종

별 편법운용 비율을 보면 전체의 62.2%가 간호인력, 26.7%는 조리사․영양사에

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인력관리에 대한 새로운 방식으로의 전

환이 필요하다(그림10).

이러한 인력신고 오류는 건강보험의 재정 누수에 영향을 주고 있다. 건강보

Page 3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2장 간호인력 신고현황 및 문제점

www.hira.or.kr 25

험재정의 누수 수준을 연도별로 보면, 의료기관 유형별 부당청구 금액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표 8). 표에 제시된 자료는 인력기준 이외의 항목을 포

함하지만, 인력기준 관리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재정 누수의 가능성이 지속될 수 있다.

연도 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

2013년 22억 20억 22억 1억

2014년 59억 30억 39억 2억

2015년 138억 47억 73억 4억

2016년 136억 113억 95억 3억

자료원: 치과의사신문. “치과 의료기관 부당청구 5년간 4배 증가”. 2017.9.28.

표 8 '13~'16년 의료기관 유형별 부당청구 금액 (인력기준 이외 포함)

2017년도 요양기관 현지조사 처분결과를 보면 부당청구기관 수는 조사대상

946개소의 792개소 (83.5%)로 높게 나타났다(표 9). 2017년도 현지조사 처분결

과의 부당청구 금액은 인력기준 이외 항목 포함 300억원 이었다. 정부는 꾸준

히 이러한 문제를 관리하고 조사하고 있으나, 이러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

하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합리적인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구 분 종합병원 병원 의원 약국

조사대상기관 수 68개소 208개소 540개소 130개소

부당청구기관 수 792개 (전체 946개소 중 83.5%)

부당청구 금액 300억원

자료원: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건강보험 거짓청구 요양기관 34개소 명단 공표. 2018.7.13.

표 9 2017년 요양기관 현지조사 처분 결과 (인력기준 이외 항목 포함)

Page 3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2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6. 소결 및 시사점

위에서 간호관리료차등제와 관련된 신고현황, 신고규정, 인력신고 관련 현지

조사 결과 등 여러 가지를 살펴보았다. 입원환자의 다양한 간호서비스는 많은

수의 간호사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간호행정을 크게 줄이고

적절한 간호서비스가 환자들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인력 정

도에 따라서 의료기관에 진료비를 지불보상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력신고와 같

은 행정업무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인력의 신고절차 및 과정, 인력기준의 인

정기준 등이 복잡하면 행정업무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예로 간호사가 주당 40

시간을 근무하면 1인, 20시간을 근무하면 0.5인으로 인정을 하고 있는데, 이러

한 세부 기준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는 신고 누락 및 착오는 건강보험재정의 누

수로 이어질 수 있다.

현행 신고절차 및 규정의 복잡성, 신고 오류로 인한 재정낭비의 지속 가능성

을 고려할 때 이들을 합리적 수준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

하고 있는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은 시사 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바야흐

로 사회전반은 4차 산업혁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업무들이 자동화 되

고 있다. 지금까지 간호관리료차등제 관련 인력의 신고는 많은 부분 의료기관

의 인력에 의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인력신고를 반 수작업으로 하는 현황

을 탈피하고 효율적으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되어야 한

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전술한 ICT를 통한 자원관리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Page 3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27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관리시스템

1. 미국8)

가. 연방정부 차원에서의 간호인력 규정

미국은 수도인 워싱턴 D.C.(District of Columbia)와 50개의 주(state)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인력 관련 미국의 연방정부 법 (Code of Federal Regulation (CFR)

482.23(b))은 병원의 간호인력근무 규정을 포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표10은 미국

CFR 482.23(b)의 규정을 번역한 것이다.

관련규정 규정

§ 482.23

조건:간호서비

병원에는 24 시간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조직이 있어야 한다. 간호 서비스는 등록

된 간호사(Registered Nurse (RN), 이하 “간호사”)가 제공하거나 감독해야 한다.

(a) 표준요건: 조직. 병원은 행정권한과 환자 치료에 대한 책임을 기술하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간호 서비스의 책임자는 허가된 간호사이어야 한다. 병원의 모든 영역에

간호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간호 요원 및 직원의 유형 및 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서비스 운영에 대한 책임이 있다.

(b) 표준요건: 인력기준 및 서비스제공. 간호 서비스에는 간호사(RN), 준간호사(Licensed

Practical Nurse(LPN) 또는 Licensed Vocational Nurse(LVN)9) 및 필요에 따라 모든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하는 기타 인원이 있어야 한다. 필요한 경우 각 환자의 병동

간호를 위해 간호사(RN)을 즉시 이용할 수 있도록 각 부서 또는 간호 부서에 대한 감독

및 직원 요원이 있어야 한다.

(1) 병원은 간호사(RN)가 제공하거나 감독하는 24 시간 간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준간호사(LPN or LVN)가 항상 근무해야 한다. 단, 사실상 24 시간 간호 면제가 부여 된

농촌 병원은 예외이다. 이 장의 §488.54 (c)에 의거하여,

(2) 간호 서비스는 면허가 필요한 간호 요원에게 유효한 면허가 있음을 보장하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3) 간호사(RN)는 각 환자의 간호를 감독하고 평가해야 한다.

(4) 병원은 간호 요원이 각 환자를 위한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최신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간호 계획은 학제 간 치료 계획의 일부일 수 있다.

(5) 간호사(RN)는 환자의 요구와 이용 가능한 간호 요원의 전문 자격 및 능력에 따라

각 간호 요원에게 간호를 할당해야 한다.

(6) 병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간호사10)는 병원의 정책과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간호

서비스의 책임자는 그 책임하에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비정규직 간호인력의 임상 활동에

대한 적절한 감독 및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표 10 미국 CFR 482.23(b)의 간호인력 규정

8) 아래 미국 간호인력 규정 및 관리 현황은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Bernardino 의 간호학과에 재직하고 있는 김연숙 교수의 자문을 받아 작성된 원고임을 밝힌다.

Page 4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2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방정부에 소속된 메디케어메디케이드(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이하 “CMS”)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및 저소득층 대상자의 의료수급에

따른 건강보험 및 진료비 지불보상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이

충분한 수의 간호인력을 배치할 것을 의무화 하는 별도의 인력규정을 가지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의료기관은 거의 없

기 때문에 대부분의 의료기관들이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본 CMS는

의료기관의 인력기준에 관한 사항을 관련법(Title XVIII of the Social Security

Act)에 따라 정기적으로 조사11)하고 이를 공표하도록 하고 있다.

의료기관의 간호인력과 연방정부의 모니터링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연방정

부에 의한 모니터링은 의료신임인증원(the Joint Commission, 이하 “의료신임인

증원(TJC)” 또는 “TJC”로 기술)12)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신임인증원

(TJC)의 감사내용은 CMS와 자료가 공유되고, CMS는 그 자료를 볼 수 있다. 의

료신임인증원(TJC)은 2007년도 이전에는 명칭이 JCAHO13)이었다. TJC규정에

따르면 병원의 부적절한 환자관리로 인해서 환자에게 발생한 추가비용은 CMS

에서 의료기관에 진료비지불보상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CMS에서 의료기관에

지급하는 지불보상은 각각의 사례를 심사해서 진행한다. TJC의 평가결과는 요

양기관이 CMS에서 진료비를 환불받을 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평가 결과가

나쁘면 진료비 지급액이 삭감될 수 있거나 요양기관의 재인증

(Re-Accreditation)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TJC는 환자 진료의 안전을 감시하는 기관으로서, 직접적으로 간호인

력과 관련한 법, 즉 환자 대비 간호사 수를 근거로 간호 인력이 적절한지 감시

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후술하겠지만 주정부의 보건국(Department of Public

9) 미국은 간호사를 RN (Registered nurse) 또는 LPN (Licensed practical nurse), LVN (Licensed vocational nurse)으로 나눈다고 함. LPN과 LVN은 같은 것이며, 주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고 함. 특별히 한국에는 한 가지 밖에 없고 세분화된 명칭이 없어서, RN,을 간호사로, LPN을 준간호사로 번역함.

10) 여기서 말하는 비정규직 간호사는 일반적으로 Nursing Agency에서 공급하는 간호사들을 말하나, 한국의 경우는 직접 고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비정규직으로 번역함.

11) 구체적인 사항은 State Operations Manual Appendix A - Survey Protocol, Regulations and Interpretive Guidelines for Hospitals. Rev. 183, 10-12-18에 제시되어 있음.

12)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기관평가인증원(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과 같은 것으로 그 구별을 위하여, 여기서는“의료신임인증원(TJC)”으로 기술함.

13) 풀 명칭은 The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임.

Page 4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29

Health: DPH)에서 수행한다. 예를 들어, TJC에서는 간호인력에 대해서는, 어떤

부서는 24시간 동안 간호사가 배치되어 간호서비스가 제공되는지 등을 점검한

다. TJC의 평가내용 중 그 어디를 보더라도 간호인력 (간호사 수)에 대한 평가

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환자간호(care)가 안전하게 될 수 있도록 간호인력 교

육, 간호의 질 평가, 환자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Safe care delivery) 되었

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나. 개별 주정부의 간호인력 관련 법

미국의 의료기관 병동 간호사 인력규정은 주별로 상이하다. 미국간호협회의

관점에 따르면 이러한 규정들은 상호 완전이 배타적이지 않지만 대체적으로 3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고 한다. 첫째는 규정명시 형이다. 간호사대 환자수를 구

체적으로 주법에 명시하는 것이다. 예로 캘리포니아주의 경우는, 보건의료안전

법(Health and Safety Code)에 명시하고 있다. 기타 코네티컷, 일리노이, 메사추

세츠, 미네소타, 네바다, 뉴저지, 뉴욕, 오하이오, 로드아일랜드, 텍사스, 버몬트

및 워싱턴 주는 공식 규정에 따라 병원에 간호사 인력을 배치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둘째, 간호운영위원회 운영 명시 형이 있다. 간호사대 환자수를 구체적으로

주법에 명시하지 않고, 간호위원회를 운영할 것을 명시하는 것이다. 현재 7개

주에서는 시행하고 있다고 한다. 코네티컷, 일리노이, 네바다, 오하이오, 오레

곤, 텍사스, 워싱턴과 같은 주들이다. 이러한 주들은 간호운영위원회 계획 (간호

사 중심 비율) 및 인력 정책에 책임이 있는 인력위원회를 요구하고 있다.

셋째, 정보공개 형이 있다. 위의 첫째와 둘째 유형이 아니며 간호인력운영 현

황을 공개하도록 하는 주(정보 공개형)이다. 미네소타주는 CNO(Chief Nurse

Officer, 간호부장) 또는 지명 된 사람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핵심

인력 계획을 수립 할 것을 요구한다. 요건은 공동위원회 표준과 유사하다. 5 개

주에서는 일리노이, 뉴저지, 뉴욕, 로드아일랜드, 버몬트와 같은 공개 및 / 또는

공개보고 형식으로 한다. 뉴멕시코는 특정 이해 관계자 그룹에게 입법부에 권

고 된 인력 충원 기준을 위임한다. 보건부는 표준을 채택하고 감독 프로그램 시

Page 4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3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행 비용을 보고하는 병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위의 3가지 특징은 각각 한주에서 배타적으로 나타나

는 경우도 있지만, 주에 따라서 복수의 원칙이 채택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

어 텍사스 주는 첫째와 둘째를 모두 채택하고 있다.

위에서 캘리포니아주는 관련법에 환자대 간호사 수를 명시하고 있다고 기술

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가 title XXII(22)

에 인력규정이 명시14)되어 있다(표 11).

구분 Nurse: Patient Ratios

Intensive care

Critical care/ICU 1 : 2 (or fewer)

Neonatal ICU 1 : 2

Continuing care 1 : 4

Mother/baby

Labor & delivery 1 : 2(active labor)

Antepartum 1 : 4(non active labor)

Postpartum 1 : 6 (mothers)

Couplet care 1 : 4 (couplets)

Well-baby nursery 1 : 8

Emergency(ER)

Trauma 1 : 1

Critical care 1 : 2

Visits 1 : 4 + triage nurse

Hospital services

Medical/surgical 1 : 5

Operating room 1 : 1

Pediatrics 1 : 4

Postanesthesia 1 : 2

Psychiatry 1 : 6

Specialty(e.g. Oncology) 1 : 4 (fewer)

Step-down 1 : 3

표 11 캘리포니아 주의 환자 대 간호사 비

자료원: Southern California's Registered Nurse Union, 2018.1.

14) Title 22 California Code of Regulations Division 5

Page 4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31

또한 인력관련 해서는 보건의료안전법 (Health and Safety Code – HSC, 이하

“보건의료안전법”)에서도 인력기준을 명시하고 있는데, XXII(22) 규정에 따라

병원 운영시 이를 준수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276.4(a)).15)

그림 11 캘리포니아 보건의료 시설 및 인력 규정

표12는 그림11의 보건의료안전법 규정 1276.4.조항을 번역한 것이다. 캘리포

니아주 보건의료안전법 (Health and Safety Code) 1276.4.조항은 주내의 모든 의

료기관들이 최소 환자 대 간호사 비율을 따르도록 강제화하고 있고, 여기에는

15) https://leginfo.legislature.ca.gov/faces/codes_displaySection.xhtml?sectionNum=1276.4.&lawCode=HSC

Page 4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3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비율을 달리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끝으로, 법체계

관련하여 Health and Safety Code (HSC)는 캘리포니아주헌법 (California

Constitution)안에 규정된 사항이고, Title XXII(22)와 같은 사항은 캘리포니아주

행정법률(California Code of Regulation, CCR)에 관한 사항이다.16)

조항 내용

HSC

1276.4.

(a) 2002 년 1 월 1 일까지 주 보건국은 인가 된 간호사 분류에 따라 최소 수치의

면허 간호사 대 환자 비율을 설정하는 규정을 채택해야 하며, 주 보건부는 캘리포니아

주 Title 22의 제 70053.2 항, 제 70215 항, 제 70217 항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제

분류에 따라 면허 된 모든 보건 시설에 대해 병원 단위별로 부처의 면허 및 인증

규정을 따르도록 한다 (제 1250 조 a 항, b 항 또는 제 f 항). (이하 생략)

(b) 이 비율은 배정 된 등록 및 면허 된 간호사의 최소 수를 산출한 것이다. 추가

인력은 질병의 심각성, 전문 장비 및 기술의 필요성, 환자 치료를 설계, 구현 및

평가하는 데 필요한 임상 판단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간호요구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문서화 된 환자 분류 시스템에 따라 배정해야 한다. 여기에는 간호계획 및 자기 관리

능력, 진료에 필요한 요원의 면허 부여 등이 포함된다.

(c) 이 절에서 사용되는 "치명적 보호 장치"는 심각한 건강 상태가 계속되는 환자를

보호하고 면허 있는 간호사가 복잡한 중재를 해야 하는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고안 된

장치를 의미한다.

(d) 제 1250 항 제 (a) 호, 제 (b) 호 또는 제 (f) 호에 따라 면허 된 모든 의료

시설은 간호 요원의 훈련 및 오리엔테이션을 위한 서면 정책 및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e) 간호사(RN)는 해당 간호사가 해당 지역의 환자에게 유능한 진료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진료 영역에서 처음으로 진료를 받고 해당 지역에서 진료를 제공 할 때 현재의

능력을 입증하지 않은 한 간호부나 임상 영역에 배정되지 않아야 한다.(이하 생략)

(2012 년 개정판, 개정 24, 11 단락 (AB 1470) 2012 년 6 월 27 일부터 시행)

표 12 캘리포니아주 Health and Safety Code 규정(1276.4조항)

16) https://leginfo.legislature.ca.gov/faces/codesTOCSelected.xhtml?tocCode=HSC&tocTitle=+Health+and+Safety+Code+-+HSC

Page 4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33

다. 의료기관의 간호인력 근무기록 관리

미국의 병원, 특히 입원병상이 있는 병원에서는 환자간호의 질과 안전을 위

한 적절한 간호사의 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경우에는 주법으로 간호사 대비 환자의 수가 병동 및 환자

의 간호 요구도 관련 중증도에 따라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병원에서

는 관리 운영지침에 간호사 대비 환자수가 명시되어 있다. 보통 각 병동 및 부

서의 간호관리자 (수간호사나 간호 과장) 가 최근 한 달이나 수개월 간의 일일

평균 환자수를 근거로 하여 다음 한 달이나 두 달 후에 요구되는 간호 인력을

예측하여 각 병동 및 부서에 근무표를 배포하여 간호사로 하여금 본인들이 근

무할 수 있는 날짜에 표기를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한 쉬프트

(shift)에 책임간호사자리 (charge nurse spot)는 한 개씩만 오픈해서 일단 한 책임

간호사(charge nurse)가 그 자리(spot)에 배정(sign up)되면, 다른 책임간호사

(charge nurse)는 그 자리(spot)에 배정(sign up) 할 수 없게 되도록 한다. 그러나

선택배정 (sign up) 한 후에도 같은 간호수준(level)에서는 개별적으로 교대

(exchange)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간호 인력 모니터링은 간호과장(manager) 들

이 해서 결근이나 추가근무 (overtime) 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용(extra cost)

에 대해서 어떻게 줄일지 일일이 계획을 세운다. 간호인력의 배치현황 및 배치

계획에 관한 사항은 병원마다 상이하며, 다양한 사례들이 존재한다.17)

간호인력의 근무기록 관리는 과거에는 수기로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현재는

전산을 이용해서 입력하는 시스템을 많은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

아의 한 병원은 전산 프로그램 중 하나인 API®를 병원정보시스템내의 하나로

설치해서 간호사들로 하여금 각 개인이 일 할 수 있는 날짜에 표기하도록 한다.

즉, API®시스템은 인력(staffing) 및 근무예약(scheduling)에 직접적으로 간여한다.

여기에는 간호사 개인일정관리 (self-scheduling), 동료간 일정 조정, 간호인력과

관련된 간호부서 및 환자의 니드와 관련한 다양한 업무들이 포함된다. 개인일정

관리기능은 개인업무와 일과업무가 규형을 맞출 수 있도록 인력계획에 탄력성

17) https://www.magruderhospital.com/nursing-staffing-plan https://www.nursingworld.org/~4af4f2/globalassets/docs/ana/ethics/principles-of-nurse--staffing--2nd-edition.pdf https://www.vanwerthospital.org/patients/resources/nurse-staffing-plan https://patientcarelink.org/2018-plans/

Page 4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3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간호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캘리포니

아 주립대학 어바인 메디컬센터는 API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그림

12).

그림 12 미국의 일 병원의 간호인력 관리 전산프로그램

병원은 보통 미리 만들어진 전산 프로그램을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드물지만

병원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전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장점들이 있는데, 그중의 하나는 미리 입력된 필요한 간호사의 수가

채워지면 더 이상 그 날짜의 해당 교대 근무 칸에는 표기를 할 수가 없고, 다른

날짜에 표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간호인력의 부족 및 과다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전산 프로그램에 교대 근무번에 따라 필요한 간호 인력을 입력시에

간호사의 능력 및 경력에 제한을 두어서 입력하면 간호사의 수 뿐만 아니라 평

균적으로 제공되는 간호의 질도 관리할 수 있다고 한다.

Page 4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35

일단 각 병동 및 부서에서 간호인력 균형을 맞춘 후에는 병원의 인력관리부

서 (staffing office)로 근무표가 전송되고, 인력이 더 필요한 날짜에 대해서는 이

부서에서 간호인력을 충원하는 책임을 맡게 된다고 한다. 보통 인력관리부서

(staffing office) 또는 간호인력부서 (nursing staffing office)라고 부르며, 캘리포니

아의 한 병원은 간호인력담당자 (staffer)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병원에 따

라 다르다. 어떤 병원은 간호인력 위원회가 있어서 간호인력이 효율적으로 관

리되도록 하는데, 보통은 간호인력 위원회가 있어도 실질적으로 간호 인력을

관리하는 책임은 병원의 인력관리부서에 있다.

미리 정해진 인력 계획이 존재 했어도 환자의 수는 변동하기 때문에, 병원에

서는 각 근무번마다 각 병동의 간호관리자들은 회의를 하며, 이때 다음 근무번

에 필요한 간호 인력이 적절한지 보고를 한다. 참고로 미국 대부분의 병원은 간

호사가 2교대 근무로 낮번과 밤번으로 각각 12시간씩 근무하며, 병원에 고용될

때부터 낮번이나 밤번을 선택해서 근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입원, 퇴원 및

전원 등을 고려해서 다음 근무번에 필요한 간호 인력이 산출되면 기존에 계획

된 간호 인력과 비교해서 공급과잉 일 경우엔 원하는 간호사에게 휴무를 준다.

하지만 미국이 전반적으로 간호사의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공급 부족인 경우가

훨씬 더 많다고 한다. 공급 부족인 경우에는 보통 간호 인력 관리부서에서 그날

휴무인 그 병동의 간호사에게 초과 근무를 요청한다. 참고로, 미국은 대부분의

병원에서 간호사는 시간제로 임금을 받는다. 캘리포니아 토랜스에 있는 한 병

원에서는 간호 인력이 아주 부족한 기간에는 초과 근무 수당 외에 특별 상여금

제도를 만들어서 간호인력 공급 부족을 해결하려고 했고, 긍정적인 효과를 얻

었다고 한다.

또한 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병원들은

여러가지의 고용 형태를 갖고 있는데 (i.e. Full time, Part time, Per Diem,

Variable shift, Float pool employment), 특히 필요기준 일용직고용(Per Diem

employment)(이하 “Per Diem”)은 인력이 필요하다고 예상되는 기간에 미리 근무

조에 편성했다가 환자수가 감소할 경우에는 근무를 취소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병원에 Per Diem으로 고용된 간호사들은 보통 다른 병원에서 전

일제(Fulltime)로 일을 하고 있으며, Per Diem 직(position)을 부업으로 하는 경우

Page 4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3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가 많고, Per Diem 직(position)은 다양한 직원으로서의 혜택 (i.e. 직장의료보험,

직장 연금, 기타 교육보조금) 등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정규직(full time)으로 고

용되어 일하는 경우보다 시간당 받는 임금이 더 높은 편이다. 가변적고용

(Variable shift employment)은 환자의 수에 변동이 많은 부서, 예를 들어 응급실

에서 많이 적용하는 고용형태이다. 보통 낮부터 자정까지 내원 환자수가 많음

을 고려해서, 일반적인 근무시간 (7am-7pm or 7pm-7am)이 아닌 가장 바쁜 시간

을 기준으로 고용한 형태이다. 즉, 정오부터 자정까지, 또는 낮 10시부터 밤 10

시 등등 병원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풀롯트고용(Float pool employment)은 근무

부서가 정해져 있지 않고, 간호인력이 필요한 병동에 가서 근무를 하는 형태로,

보통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고용하며 이들은 여러 병동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간호 행위에 능통해야 한다. 참고로 이러한 고용형태는 시간당 임금이 좀 더 높

다.

미국내 병원들의 이런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간호 인력 부족이 발생할 경

우에는 병원은 인력송출업체(agency, 이하 “Agency”)를 이용하여 인력을 공급받

는다. 간호인력 인력송출업체는 미국에서는 흔히 찾아 볼 수 있는 영리 단체이

다. 인력송출업체가 공급하는 간호인력을 사용하는 경우는 보통 갑작스럽게 간

호인력이 부족한 경우이다. 예를 들어 갑작스런 결근 통보나 중환자수의 증가

로 인해 갑자기 간호인력이 필요할 경우나 위의 열거한 방법으로 간호 인력을

충원하는데 한계가 있는 경우에, 보통 다음 근무번 수시간 전에 계약된 업체에

연락하여 인력을 공급받는다. 참고로 인력송출업체는 병원의 이런 급한 요구에

응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높은 비용을 청구하며 업체에 소속된 간호인력

들은 실질적으로 업체에서 임금을 받는다. 하지만 이런 간호 인력들은 해당 병

원에서 오리엔테이션 등 필요한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제대로 근무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직원이 아니며 항상 해당 병원에서 근무하는 것이 아니

므로,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의 질이 표준화된 기준과 다르거나 떨어질 수 있

다. 업체중에는 병원과 계약을 맺어 13주간 동일한 간호인력을 제공하는 경우

도 있는데, 이 경우는 보통 순회간호(traveler nurse)제도라고 해서 해당 간호사

는 해당 병원에서 소정의 교육을 수일간 받고 13주 동안 정해진 부서에서 근무

하는 형태이다. 이런 경우 해당 간호사가 제공하는 간호의 질을 어느 정도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병원들이 인력송출업체에 소속된 간호 인력들을 매번 근

Page 4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37

무시마다 평가하는 제도를 사용해서 해당 병원에서 제공하는 간호의 질을 유지

하려고 노력한다.

캘리포니아의 경우에는 법으로 간호사 대비 환자수가 정해져 있어서 병원들

이 규정에 따라서 간호 인력을 배치 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환

자 분류 시스템을 사용해서 인력 공급에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내외과

병동의 경우 간호사 1인당 최대 5명의 환자를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해당

근무중에 환자 1명이 항암 요법을 받게 되면 그 환자는 간호 요구도가 높기 때

문에 환자 2명으로 계산되어서, 해당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환자 4명만 돌보

게 하여 간호의 질과 환자의 안전을 관리하고 있다. 그 외에도 어떤 병원에서는

간호사가 근무 도중 휴식을 갖는 경우에, 예를 들어 10분간 2번 및 30분간 식사

시간, 해당 간호사의 환자들을 대신 돌보는 간호사가 있어서 (relief nurse or

resource nurse), 환자의 안전을 관리하고 있다.

Page 5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3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국 주정부의 보건국에서 병원을 방문할 때 병원은 간호사 대비 환자수에

대한 자료를 준비하여 보고하고 있다 (그림 13). 예를 들어, 플레인스보로에 있

는 프린스톤 메디칼센터는 각 부서 및 근무번 별로 월별 평균 간호사 대비 환

자수에 대한 자료를 구비해서 보고한다.

라. 정부차원의 간호인력 모니터링: 감시, 조사 등

캘리포니아주의 병원들은 주정부에 간호인력의 근무 및 고용현황에 대하여

직접 보고를 하지는 않으나, 캘리포니아주 보건국(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이하 “보건국”)에서 병원을 방문해서 TJC가 하듯이 관련 서류를

점검한다(auditing). 따라서 병원에서는 간호인력 확보수준(staffing)에 대한 관련

자료를 항상 기록 및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구분 내용

Division

Division 5. Licensing and Certification of Health Facilities, Home HealthAgencies, Clinics, and Referral Agencies22 CA Adc T. 22, Div. 5, Refs & AnnosChapter 1. General Acute Care HospitalsChapter 2. Acute Psychiatric HospitalChapter 2.5. Certified Nurse Assistant ProgramChapter 2.6. Inpatient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이하 생략

Chapter

Chapter 1. General Acute Care HospitalsArticle 1. DefinitionsArticle 2. LicenseArticle 3. Basic Services이하 생략Article 10. Hospital Administrative Penalties

Article

Article 3. Basic Services§ 70201. Medical Service Definition.§ 70203. Medical Service General Requirements.중략§ 70217. Nursing Service Staff.이하 생략

표 13 캘리포니아주 법의 Title 22. Social Security법내 간호인력 규정

Page 5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39

캘리포니아주 보건국의 방문은 사전에 공지하지(announce) 않고 불시에 방문

한다. 보통은 하루 전날이나 그날 통지(notice)를 주고 방문한다고 한다. TJC는

주로 일 년에 한 번씩 보통 나오지만 보건국은 꼭 그렇지는 않다고 한다. 그리

고 CCR (California Code of Regulation)에 보면 title 22 (XXII)에 그 내용이 명시

되어 있다 (표13). 간호사대 환자 수 규정에 대해서는 TITLE 22:Social Security

의 "Division 5. Licensing and Certification of Health Facilities, Home Health

Agencies, Clinics, and Referral Agencies"의 규정, "Chapter 1. General Acute Care

Hospitals"의 "Article 3. Basic Services"의 부속규정 "§ 70217. Nursing Service

Staff"에 인력규정이 명시되어 있다.18) 자세한 내용은 법의 원문규정을 참고하

기 바란다.

마. 인력규정 위반에 대한 처벌

전술한 표13의 "Chapter 1. General Acute Care Hospitals"에서 "Article 10.

Hospital Administrative Penalties" 규정을 살펴보면, 인력규정 위반에 대한 처벌

규정(penalty) 관련 사항들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규정은 인력규정 뿐만

아니라 시설규정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 다루기에는 적

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그 구체적인 기술은 여기에서 생략한다. 구체적인 조

항들은 상기에 제시된 법령의 원문내용을 참고하기 바란다.

바. 미국의 간호인력기준에 대한 특징

미국 병원의 간호사 인력규정은 병동의 환자 중증도에 따라 인력규정이 다르

게 적용되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반 병동이라고 하더라도 중증도가 높을

수록 간호사를 더 채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서 간호인

력 비율을 달리하는 것은 각 병원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간호인

력의 규모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activity of daily

18)https://govt.westlaw.com/calregs/Browse/Home/California/CaliforniaCodeofRegulations?guid=ID7033CA0D4BB11DE8879F88E8B0DAAAE&originationContext=documenttoc&transitionType=Default&contextData=(sc.Default)

Page 5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4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living)에 도움이 필요한지 아니면 몇 개의 중중도 또는 동반상병(comorbidity)가

있는지 등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간호인력을 산출한다. 환자의 중증도를 산정하

는 다양한 산정 방식19)과 도구들(tools)이 있다.20)

2. 일본

가. 일본의 간호인력 관련 법체계

일본은 국가단위 혹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하게 간호인력의 배치기준을 설

정하여 이의 신고를 규정하고 있으며, 관련 신고시스템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건강보험 진료비 지불보상 및 국가 단위의 간호인력 모니터링에

활용하고 있다. 먼저 일본의 간호인력 규정, 신고, 정부의 모니터링 체계를 살

펴보기에 앞서 간호인력에 관련한 의료복지 관련 법체계와 행정체제를 살펴보

고자 한다.

간호인력과 관련하여 국가단위의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는 우리나라의 보건복

지부와 고용노동부를 합친 역할을 하는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이며, 우리나라

의 장관에 해당하는 직책은 대신(大臣)이다. 한편 지방자치단체는 광역지방자

치단체와 기초지방자치단체로 나뉘어, 광역지방자치단체로서는 수도 동경도(東

京都)와 홋카이도(北海道), 오오사카부(大阪府), 교토부(京都府)와 43개의 현(県)

을 합쳐 47도도부현(都道府県)이 있으며,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인구 5만 이상의

시(市), 읍규모의 정(町)과 작은 규모의 촌(村), 동경 도심지역의 23개 특별구(特

別区)가 있고, 이를 합하여 시정촌(市町村)이라고 한다. 도도부현의 장은 지사

(知事)이며, 시정촌의 장은 각각 시정촌장(市町村長), 그리고 동경특별구의 경우

는 구장(区長)이다.21)

19) https://www.northbay.org/upload/Patient-Acuity-System-Redesign-Symposium-presentationv_8-11-15_V3.pdf20) https://www.americannursetoday.com/patient-acuity-medical-surgical-unit/21) 일본 총무성, 지방자치단체 제도. 2018.12. http://www.soumu.go.jp/main_sosiki/jichi_gyousei/bunken/chihou-koukyoudantai_kubun.html

Page 5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41

구분 및구속력

종류 제정기관 내용

국가법체계

있음

법률 국회~법, ~법률큰 틀에서의 전체적인 규범

시행령 정부(내각)~시행령, ~정령(政令)법률의 규정을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규정

시행규칙각 성(省)의대신(大臣)

~시행규칙, ~성령(省令)시행령의 규정을 더욱 세분화하여 상세하게 규정

고시(告示)각 성(省)의국과장급 간부

국가나 지방공공단체가 법령 등에 근거하여필요한내용을 시민들에게 널리 공시하는 사항

없음통지(通知),통달(通達)

각 성(省) 의국과장급 간부

행정기관과 타 기관 사이의 연락적 성격

지방자치단체법체계

있음조례

지방자치단체 의회

법률과 유사하나 법률을 기준으로 추가적으로 규정

시행규칙 지방자치단체장 조례의 규정을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규정

없음지도요강(指導要綱),요령(要領)

지방자치단체담당 간부

판단 기준을 제시함

※ 통지와 통달은 유사하나 통지가 조언적인 성격이 있는 반면, 통달은 상위 행정기관이 하위 기관이나 관할의 의료기관 등의 민간기관 혹은 단체에 내리는 명령적 성격의 기준임.

표 14 일본의 법체계

법체계는 우리나라와 유사하며, 헌법 아래에 법체계 상의 가장 중심을 이루

고 있는 것이 법률이다. 이는 모든 행정 규정의 법적 근거가 되며, 국회의 의결

을 거쳐 제정된다. 법률의 규정은 대부분 큰 틀에서의 전체적인 규범으로서 구

체성이 없거나 개념적인 규정이기도 하여 하위의 상세규정으로서 시행령(施行

令)과 시행규칙(施行規則), 그리고 고지(告示)를 둔다. 법률의 개정은 국회의 의

결이 필요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만큼 상황에 따라 변화를 요하는

상세 요소의 규정을 하위 법에 둠으로써 행정기관으로 하여금 유연하게 법규정

을 운용하게 하고 있다.

간호인력과 관련된 법체계를 살펴보면, 의료법(医療法), 건강보험법(健康保険法),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保健師助産師看護師法), 간호사 등의 인재확보

의 촉진에 관한 법률 (看護師等の人材確保の促進に関する法律) 등이 있다. 또

한 간호인력의 근무체제는 근로기준법 (勤労基準法) 등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

Page 5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4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 그리고 이들 각 법의 하위 규정으로 각각의 시행령과 시행규칙, 후생노동성

령 또는 후생노동성대신령이 있다.

의료법에서는 의료기관 시설기준으로서 병원 등에서 확보해야 할 간호인력

인원수의 표준을 제시하고 각 의료기관에서 확보한 간호인력의 현황을 도도부

현의 지사에게 신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의료법시행규칙에

서는 병원의 병상종류와 환자 수에 따라 확보해야 할 간호인력의 비율, 간호인

력 신고 내용 등을 규정하고, 도도부현에서는 관련 조례를 정하는데 있어 이 기

준을 따르도록 명시하고 있다.

건강보험법은 입원기본료 등의 진료수가의 산정과 관련하여 의료기관 시설기

준과 함께 간호인력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진료수가는 후생노동대신이 중앙

사회보험협의회 (中央社会保険医療協議会)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결정하

여 후생노동대신고시로 공표한다. 의료기관이 각 보험자 단체에 진료비를 청구

함에 있어서는 도도부현에 정해진 양식에 의거하어 간호인력을 포함한 병원종

사자의 수와 입원환자수 등을 보고해야 한다.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에서는 간호인력의 분류와 업무범위, 자격, 면허

취득을 위한 간호사 국가시험과 준간호사의 도도부현 시험에 대해 규정하고 있

다. 간호사로서 업무에 종사하는 자는 후생노동성령에 정해진 바에 의해 2년마

다 취업지의 도도부현의 지사에게 신고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간호사등의 인재확보의 촉진에 관한 법률은 현재 일본 사회가 겪고 있는 심

각한 간호인력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있어서 정부시책과 관련된 내용을 규정

하고 있다. 여기에는 간호인력의 취업동향에 관한 사항, 간호인력의 양성에 관

한 사항, 간호사의 처우개선에 관한 사항, 간호사의 자질 향상에 관한 사항, 퇴

직한 간호사의 재취업 촉진에 관한 사항, 그 외 간호인력의 확보를 위한 사항들

을 포함하고 있다. 이 법에 따라 간호사등의 면허를 보유한 자가 이직(離職)이

나 퇴직하는 경우 혹은 면허를 취득한 간호학생이 졸업하고 즉시 취업하지 않

는 경우 도도부현 너스센터(Nurse Center)에 신고하는 것을 노력의무로 규정하

고 있다.

Page 5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43

나. 개별법에서의 간호인력 규정

1) 의료법22)

가) 간호인력 규정의료법에서는 적정한 의료를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일정 수준 이상의 인원을

규정하고, 동법 상의 병원 및 요양소와 병상을 가진 진료소가 확보해야할 인원

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의료법 21조와 22조에서는 병원(20병상 이상)과

병상을 보유한 진료소(20병상 미만), 특정기능병원, 임상연구중핵병원에서는 각

각 후생노동성령(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령에 해당)에서 정하는 인원의 의사와

치과의사를 확보하고, 도도부현의 조례에서 정한 인원 수의 간호사 및 의료 종

사자를 확보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법 시행규칙 19조와 21조의2, 22조의 2에서는 다음의 표15과 같

이 연간 일일 평균 환자의 수에 대한 간호인력의 최저 확보비율을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라 각 도도부현에서는 조례를 정하여 별도의 상세 기준을 두고 있다.

시설구분 병상구분 간호사 및 준간호사 간호보조자

일반병원

일반 3 : 1 ―

요양 4 : 1 4 : 1

외래 30 : 1 ―

특정 기능병원입원 2 : 1 ―

외래 30 : 1 ―요양병상을 보유한 진료소 4 : 1 4 : 1

※ 병원에서 확보해야 할 전체 간호인력은 일반과 요양,외래의 각각의 기준을 합산한 수임.※ 일반병원의 감염증 병상은 일반병상의 기준(3 : 1)에 준하나, 정신병상과 결핵병상은 요양병상의 기준

(4 : 1)에 준함. ※ 대학병원과 내과・외과・산부인과・안과・이비인후과가 있는 100병상 이상의 병원에서 정신병상을

보유한 경우, 정신병산은 일반병상의 기준 (3 : 1)에 따름.

표 15 의료시설별 병상구분별 간호인력의 확보 표준

22)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의료법https://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323AC00000002

05

Page 5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4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여기서 「특정기능 병원」은 의료법 4조의2에 규정된 요건을 갖추고 후생노

동대신의 승인을 얻은 병원으로서, 400병상 이상의 병상을 보유하고 고도의 의

료를 제공하며, 고도의 의료기술 개발 및 고도의 의료에 관한 연수를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병원을 가리킨다. 특정기능 병원의 경우 입원환자 수의 2배

이상에 달하는 인원의 간호사를 확보하여야 한다.

나)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의료법에서 의료기관의 간호인력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는 신고 규정은 아래와 같다.

(1) 의료기능정보제공 제도(의료정보 네트)2007년도 제5차 의료법 개정과 함께, 환자에의 의료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광

고 규제를 완화하여 광고 가능항목을 확대함과 동시에 「의료기능정보제공 제

도(의료정보 네트)」가 신설되었다. 이에 의료법 6조3은 병원 등의 관리자가 후

생노동성령에서 정한 바에 의해 환자가 병원 선택을 하는데 있어 적절한 정보

를 도도부현 지사에게 보고하는 것을 의무조항으로 두었다. 이 제도에 의해 환

자가 의료기관을 비교 선택하기 쉽게 하도록 도도부현이 운영주체가 된 정보

사이트가 개설되고, 모든 의료기관의 상세 정보를 공표하는 것이 의무화 되었

다. 의료기관은 의료기능 정보를 기재한 서면을 의료기관 내에서 열람이 가능

하도록 하거나,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23)

보고는 연 1회 이상 지사가 지정한 날까지 지체 없이 보고하여야 한다. 보고

내용은 의료기관의 명칭, 소재지, 진료과목, 진료일, 진료시간, 서비스 등을 기

본으로 하여 도도부현의 지사가 항목을 추가 할 수 있다. 의료법 시행규칙1조

의 별표1에는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할 항목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포함된

사항으로서는, 병원, 진료소, 치과진료소는 의사, 치과의사, 약제사, 간호사, 그

외 의료종사자의 전문성에 관해 후생노동대신이 정한 자격의 종류와 자격별 인

23) 후생노동성, 의료정보제공 제도(의료정보 네트)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kenkou_iryou/iryou/teikyouseido/index.html

Page 5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45

원수, 그리고 간호사의 배치 상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간호인력의 야간 근무체제에 대한 사항과 야간근무의 부담을 경감하는

대책에 대해서도 보고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즉, 2011년6월11일 후생노동성 고

시 (간호사 등의 「고용의 질」향샹을 위한 조치) 등에 제시된 규정에 비추어,

주40시간 근무제를 목표로완전 주2일 휴일제를 보급하고, 입원환자의 상황에

맞추어 복수의 간호사가 대응하는 체제를 구축하여 1일당 야간근무 횟수를 8회

이내(3교대 체제의 경우)함과 동시에 충분한 근무시간의 간격을 확보하는 등

간호인력의 부담을 줄이는 교대제를 구축하는 것이다.24) 그 외 간호직의 야간

교대 근무에 관한 사항은 일본간호협회가 발행한 「간호직의 야간교대 근무에

관한 가이드라인」25)에 따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림 14 의료기능정보제공 제도 (의료정보 네트)

보고 내용에 변경사항이 발행했을 시에는 즉각 변경사항을 포함하여 보고하

게끔 규정하고 있다. 이 때 서면제출 외에 전자적 방법에 의한 제출도 가능하며

그 양식은 후생노동성령에 정한 바에 따른다. 도도부현 지사는 보고 내용을 확

24) 동경도, 병원관리의안내서(病院管理の手引),, 2019년3월.25) 본간호협회, 간호직의야간교대근무에관한가이드라인(日本看護協会,看護職の夜勤・交代制勤務に関する

ガイドライン, 2013年2月28日)

Page 5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4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시에는 시정촌(기초자치단체)에 대해 해당 병원에

관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2) 병원보고 제도병원보고는 통계법 2조항에 규정된 일반통계조사로서, 법적 근거는 의료법시

행령 (1948년 정령제326호, 개정 2108년 정령제230호)이다26). 본조사는 전국의

병원 및 요양병상을 보유한 진료소에 있어서 환자의 이용 상황을 파악하여 의

료행정의 기초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림 15 정부통계 온라인 조사종합창구

자료원: https://www.e-survey.go.jp/

병원 관리자는 매월 재원환자수, 신입원환자수, 퇴원환자수, 외래환자 수 등

의 내용을 기재한 병원보고를 해당 지역 보건소에 제출하고, 이는 다시 도도부

현 지사를 통해 후생노동성대신에게 전달된다. 이 자료는 병원이 의료법에 규

정된 간호인력을 확보하지 못 했을 때 간호사확보법12조에 의거하여 간호사확

보추진자를 의무적으로 임명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간호인력 확보상황을 모니터

26) 병원보고, 후생노동성(https://www.mhlw.go.jp/toukei/list/80-1a.html#link03)

Page 5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47

링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병원보고는 인터넷의 정부통계 온라인 조사종합창구를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양식지를 기입한 후 파일을 업로드하여 제출할 수 있다.27) 병원보고 양식지에

는 병원 환자수를 기입한 조사표와 의사와 간호인력 등을 기입한 종사자 표가

있다.

그림 16 병원보고 조사표

27) 일본 정부통계 온라인 조사종합창구(https://www.e-survey.go.jp/)

Page 6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4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17 병원보고 종사자표

(3) 병원 실사 규정

의료법 25조에서는 도도부현 지사, 보건소를 설치한 시의 시장 혹은 특별구

의 구청장은 필요에 의해 인정되는 경우, 병원 및 진료소 혹은 조산소의 개설자

혹은 관리자에 대해 필요한 보고를 명령하고, 해당 관청의 직원이 의료기관에

대한 실사를 실시하여 의료인원 확보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진료기록을

비롯한 관련 서류와 건물 등을 검사하도록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동법 25조의1항 규정에는 모든 병원이 대상이 되는 정기적인 병원실사를 연1회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병원실사 시에는 「병원 자체관리 체크리

스트」를 사용하여 행정기관에 의한 검사 확인을 함과 동시에 평소 병원이 자

체적인 확인작업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림 18, 19).

Page 6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49

Page 6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5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19 병원 실사시 검사표 (부분2)

병원실사에 앞서 해당 병원은 검사표와 시설표(부록1)를 병원이 자체적으로

작성하여 실사에 임한다. 시설표에는 허가된 병상수와 1일 평균 입원 환자수가

기입되며, 병원 종사자 수의 란에는 자격을 가진 간호사와 준간호사, 그리고 간

호조무사 수를 상근 인원, 상근환산 인원, 비상근 인원을 구분하여 기입하도록

하고 있다. 간호사의 자격을 가지고 환자 간호에 간여하지 않고 간호학생의 교

Page 6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51

육에 전념하는 간호사는 간호사의 수에 포함되지 않으며, 기타 란에 구분하여

표시된다.

동법 26조에는 병원실사 시에 후생노동성대신 혹은 도도부현지사, 보건소를

설치한 시장 혹은 동경 특별구청장은 해당 행정기관의 직원 중에서 「의료감시

원」을 임명하여 실사에 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후생노동성 통지문에는 의료

감시원은 실사 시에 직원증과 의료감시원 증표를 휴대하며 사고 등의 경우로

업무 수행이 불가능할 시에 다른 직원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4) 병상기능보고 제도

의료법 30조13항에는 지역에 있어 의료 및 개호자원의 종합적인 확보와 추진

을 목적으로「병상기능보고 제도」를 명시하고 있다28). 이 보고에는 지역의 의

료기관이 부담하고 있는 의료기능의 현황 파악과 분석을 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반병상과 요양병상을 보유한 병원과 진료소는 해당 기관의

병동 단위를 기본으로 고도급성기, 급성기, 회복기, 만성기 중에서 어느 기능을

담당하는 지를 매년 도도부현 지사에게 보고하는 것이 의무화 되어있다.

동법 7조2항에는 병상을 정신병상, 감염증병상, 결핵병상, 요양병상, 일반병상

의 5종류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이로써 병동단위의 파악이 가능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향후 해당 지역의 의료기관 간의 기능 분화와 연계를 도모하

도록 한다. 이 보고에는 병동에 어떠한 설비가 있으며 의사와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 종사자의 배치 현황과 함께 어떤 의료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가 포함

된다.

2016년도 병상기능보고 시점부터 「입원환자에 제공하는 의료의 내용」의 항

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양식 작성을 할 필요가 없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는 의료보험청구 양식을 활용할 수 있다. 간호인력의 배치에 있어 환자 수에 대

한 간호사의 비율에 따라 진료 보수의 차이가 발생한다. 병상기능보고에서는

이에 구애됨이 없이 실제 배치되어 간호를 제공하고 있는 간호인력을 보고하도

록 한다. 2018년 이전의 보고에서는 2025년도 시점에서의 해당 병원의 의료기

28) 후생노동성, 2018년도 병상기능 보고 메뉴얼, 厚生労働省, 平成30年度病床機能報告 報告マニュアル, 2018년 9월 https://www.mhlw.go.jp/content/00_h30_manual1.pdf

Page 6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5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능 계획을 임의로 보고하게 되었으나. 2018년부터는 2025년도 시점에서의 해당

병원의 의료 기능 계획, 즉 병동의 병상기능과 병상 수의 계획을 보고하는 것이

필수로 되어있다.

보고 절차로는 후생노동성의 홈페이지에서 필요한 양식을 다운 받아 해당 항

목 등을 기입한 후 각 도도부현별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작성된 양식을 업로드

하여 보고할 수 있다29). 병상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의료기관으로서 보고대상

에 포함되지 않는 의료기관의 경우는 「보고 대상 외 의료기관 신고서」를 제

출하여야 한다.

다) 인력기준 위반에 대한 처벌 규정의료법 6조3에 의거한 「의료기능 정보제공 제도」에서 병원이 의료기능 정

보의 보고를 게을리 하거나 내용에 허위 기재가 있을 경우에는 동법 6조의 3과

29조1항에 근거하여 도도부현 지사가 의료기관에 대해 보고의 독려와 보고 내

용의 시정을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이 명령을 위반한 경우에는 의료기관「개설

허가의 취소」나 「기간을 정한 폐쇄」와 같은 벌칙이 규정되어 있다.

의료법 23조에서는 후생노동성령의 규정을 위반한 자에 대해서 정령(내각에

서 정한 명령으로 시행령에 해당)으로 20만엔 이하의 벌금형을 과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동법 24조에서는 도도부현 지사로 하여금 의료기관이 의

사와 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종사자의 인원 확보를 규정한 후생노동성령을 위반

한 경우, 기간을 정해 시설 사용을 제한하거나 개선을 명령할 수 있다고 규정하

고 있다.

병원 및 요양병상을 보유한 진료소가 종업원의 퇴직 등의 결원으로 인원 규

정을 위반한 사례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즉각적인 업무정지를 명령하기에 앞서

도도부현에 의한 병원 실사 등을 통해 개선 지도를 하도록 하고 있다.

도도부현 지사는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 종사자의 수가 인원 배치 표준에 비

해 현저히 적거나 적정한 의료를 제공하는데 있어 지장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

29) 후생노동성, 병상기능보고 사이트(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0000055891.html#h2_2)

Page 6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53

단될 경우, 인원증원 명령이나 업무정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의료법 23조의

2, 의료법시행규칙 22조의 4의 2) 여기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 표준 인원

의 2분의 1이하인 상태가 2년 이상 계속된 경우와 둘째, 도도부현 의료심의회

에서 도도부현 지사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한 경우가 있다.

2) 건강보험법 및 관련법령

가) 의료보험제도

일본의 의료보험제도는 1961년 국민건강보험의 전면적인 실시로 국민계보험

(国民皆保険制度)이 실현되었다. 이를 크게 분류하면 직장 근무자들이 가입하

는 건강보험과, 자영업자 등이 가입하는 각 지방의 국민건강보험이 있고, 이와

는 별도로 75세 이상의 고령자 (와상노인의 경우는 65세 이상)를 대상으로 하는

후기고령자의료제도가 있다. 이들 보험의 법률적 근거는 건강보험법30), 선원보

험법, 국민건강보험법31), 고령자의 의료의 확보에 관한 법률32), 국가공무원 공

제조합법, 지방공무원등 공제조합법, 사립학교교직원 공제법이다 (표 16).

의료보험 제도 피보험자 보험자

건강보험 건강보험 적용 사업소에 근무하는 직원(민간기업) 전국건강보험협회, 건강보험조합

선원보험 선원으로서 선박사업자의 피고용인 전국건강보험협회

공제조합 등의

단기급여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 사립학교교직원

국가공무원, 지방공무원은 각공제조합, 사립학교 교직원은사립학교 교직원 공제조합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선원보험,공제조합 등에가입하지 않은 노동자 이외의 일반주민

시구정촌(기초자치단체),국민건강보험조합

표 16 일본의 의료보험 제도의 종류

건강보험은 다시  ① 전국건강보험협회와 건강보험조합이 관장하는 건강보험

과, ② 선원보험법에 의한 선원보험(전국건강보험협회가 관장) ③ 공제조합(국

30)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건강보험법31)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국민건강보험법32)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고령자의 의료의 확보에 관한 법률

Page 6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5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가공무원공제조합, 지방공무원공제조합, 사립학교교직원 공제조합)에 의해 운

영되는 건강보험으로 구분된다. 한편 지역의 국민건강보험은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해 지방의 국민건강보험조합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33)

전국건강보험협회 (통칭 협회보험)는 주로 중소기업이 가입하고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가입자 (피보험자)가 되는 반면, 건강보험조합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상시적으로 대략 700 명 이상의 가입자가 있는 기업이나, 같은 업종

의 기업 또는 업종이 달라도 일정한 지역의 기업이 모여 상시적으로 대략 3,000

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경우에 설립되고 종업원들이 가입자 (피보험자)가 된다.

보험제도 보험자 수가입자 수(천명)(본인-부양가족)

건강보험

일반고용자

협회보험 전국건강보험협회38,071

[22,428–15,643]

조합건강보험조합1,399

29,463[16,284 - 13,179]

건강보험법3조2항 피보험자 전국건강보험협회19

[13 - 6]

선원보험 전국건강보험협회122

[58 - 64]

각종공제조합

국가공무원 공제 20 공제조합8,697

[4,514 - 4,184]지방공무원 공제 등 64 공제조합

사립교원 공제 1 사업단

국민건강보험농업자, 자영업자 등

시-정-촌 1,716 32,940(시-정-촌 30,126)(국민조합 2,814)

국민조합 163

일반 고용자보험 퇴직자 시정촌 1,716

후기고령자 의료제도 후기고령자의료광역연합 47 16,778

표 17 일본의 보험자 수와 가입자 수 (2017년 3월 기준)

후기고령자의료제도에서는 75세 이상의 고령자 (와상노인의 경우는 65세 이

상)에 대해 후기고령자의료 광역연합이 보험자가 되어, 고령자 의료를 사회 전

체가 지원한다는 관점에서, 현역 세대로부터의 지원금과 공비가 재원의 90%를

충당하고 있다. 대상자는 75세가 되면 자동으로 후기고령자의료제도의 피보험

자 자격으로 변경되나 본인의 선택에 의해 타 의료보험 (건강보험, 국민건강보

험 등)을 탈퇴하고 가입하게 된다. 표30은 2019년 7월말에 발행된 후생노동백서

33) 의료보험의 종류, 전일본병원협회, https://www.ajha.or.jp/guide/4.html

Page 6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55

의 자료편에 기술된 2017년 3월 현재 일본의 보험자 수와 가입자 수를 나타낸

다.34)

그림20은 건강보험조합연합회에서 발행한 「2018년도 건강조합 예산조기집

계 결과의 개요」에서 조사된 건강보험조합 수와 피보험자 및 피부양자 수의

추이를 나타낸다.35)

그림 20 건강보험조합 수와 피보험자 및 피부양자 수의 추이

나) 간호인력에 관련된 규정

건강보험법 63조에 규정된 입원 및 간호비용은 동법에 근거한 후생노동성 고

시에 따라 소정의 점수로서 산정된다 (1점 당 10엔). 2019년 8월 현재 적용되고

있는 고시는 2018년 후생노동성고시 제43호 (의료보수의 산정방법의 일부를 개

정하는 건)와 제44호 (기본진료비의 시설기준 등의 일부를 개정하는 건) 이다.

34) 2018년후생노동백서 자료편, 보건의료, 平成30年版厚生労働白書 資料編(https://www.mhlw.go.jp/wp/hakusyo/kousei/18-2/dl/02.pdf)35) 건강보험조합연합회, 2018년도 건강조합 예산조기집계 결과의 개요, https://www.kenporen.com/include/press/2018/20180423.pdf

Page 6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5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입원기본료 등의 시설기준에 각 병동은 다음의 요건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①

간호요원은 상시 2인 이상 상주할 것, ②일반병동, 결핵병동 및 정신병동에는

간호직원을 2인 이상 배치할 것,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긴급시 등 불가피한 상황

에서는 간호조무사가 야근을 할 수 있을 것, ③이상의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요

일 및 시간대에 따라 야근 종사자가 변동해도 지장이 없을 것. 여기서 간호직원

은 간호사, 준간호사를 말하며, 간호요원은 간호직원과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것

이다.

입원기본료는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등의 인원수에 따라 점수가 책정된다.

이때 적용하는 간호인력의 기준은 실제 현장에서 근무한 인원으로 환자수와의

비율을 정하고 있다. 한편 의료법에 규정된 환자수와 간호인력의 비율은 의료

기관에 고용된 간호인력의 수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통상적인 휴가와 교대근무

등으로 인해 실제 현장에 배치되어 근무하는 인원 수와는 차이가 있다. 의료법

상의 3:1의 간호인력 비율은 통상 현장에 근무 중인 인원을 기준하여 15:1로 환

산된다.

2006년 진료보수 개정에서부터 간호사 배치비율을 높여 입원 기본료에 있어

10:1 를 기본으로 병동 내의 간호필요도(看護必要度) 환자의 비율에 따라 가산

점이 부여되었고, 간호사비율이 7:1을 넘는 시점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산정 되

었다. 2018년 진료보수 개정에서는 일반병동의 기본입원료가 기본부분과 실적

부분으로 나눠지는 것은 기존 10:1의 경우와 동일하나, 병동 내에 중증도(重症

度), 의료・간호필요도(医療・看護必要度) 환자의 비율에 따라 7:1 비율과의 사

이 중간단계 점수의 입원료가 추가 되었다. 또한 기본입원료는 급성기, 급성

기~장기요양, 장기요양으로 대별된다.

이에 따라 급성기 일반입원 기본료의 경우 10:1에 해당하는 입원료 7(1,332

점) 등급에서부터 중증도와 간호필요도 환자의 비율이 클수록 점차적으로 실적

부분의 점수가 올라 7:1에 해당하는 입원료1(1,591 점) 등급까지 7단계로 구분

된다. 급성기~장기요양의 경우는 간호사 배치비율 15:1을 기본으로 하여 실적

부분에 따라 13:1 에 상당하는 입원료 가산이 주어져 입원료3(960 점), 입원료

2(1,121 점), 입원료1(1,126 점)의 3단계로 구분된다. 장기요양의 경우는 간호사

배치비율이 20:1이다.36)

Page 6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57

그림 21 의료보험 간호인력 배치에 의한 입원 기본료의 차이(수가개정)

자료원:후생노동성 보험국의료과, 2018년도 진료보수개정의개요-의과137)

입원기본료 산정요건의 기준에 따른 간호인력의 배치수는 아래 식으로 산출

된다.

1일 간호인력 배치수 = (평균 입원 환자수) / 배치 비율) × 3 (소수점 이하 버림)

위에서 계산된 간호인력의 배치 인원 수에서는 미리 계획된 혹은 도중에 돌

발적으로 생긴 결원 부분을 제외하여 실제 근무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야 한다. 결원의 요인으로는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휴가 혹은 휴직, 유급 휴가

36) 후생노동성 보험국의료과, 2018년도 진료보수개정의개요-의과1, https://www.mhlw.go.jp/file/06-Seisakujouhou-12400000-Hokenkyoku/0000198537.pdf37) https://www.mhlw.go.jp/file/06-Seisakujouhou-12400000-Hokenkyoku/0000198537.pdf)

Page 7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5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 취득, 하기와 연말연시 휴가, 연수와 출장 회의 등으로 근무에서 제외된 시

간, 기타 병가나 장기연수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실질적인 근무 인원의 계산은

1일당 월간 총 근무 가능 시간 즉, 하루 8시간 근무로 31일 기준하여 248시간

중에서 공휴일과 휴가 등을 제외하고 월간 근무시간, 예를 들어 150시간을 할

수 있다고 하면 1.65 배의 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간호사 배치 비율은 병동전체에 있어 1일당 간호 근무 인원수를 기준으로 계

산하므로 24시간 내의 범위 안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예: 야간 근무자 2

인 이상 등) 시간대 상황에 따라 인원 배치에 경사(傾斜)를 둘 수가 있다. 예를

들어 7:1 인원 배치의 30병상의 병동이 최근 1년간 병상 가동률이 90%인 경우,

30 × 90% = 27 명의 환자에 대해, 27 ÷ 7 × 3 = 11.57 즉, 3 교대의 12명의 간호

사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시간 별로 0시~8시 3명, 8시~16시 6명, 16시~2시

3명을 배치하여 야간 근무인원을 규정 내에서 최소화하고 주간근무 인원 수에

서 보충하는 방식의 경사를 둘 수가 있다.38)

그림 22 간호인력 배치 7대1, 10대1의 의미[17]

38) 北村麻美子, 特集1 看護関連の経営数字入門, 主任看護師 管理・教育・業務 Vol.28 No.2, 2018

Page 7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59

또한 기본입원료에 간호인력의 배치에 따라 환자별로 소정의 입원일수 이내

에서 하루당 가산점이 부가된다. 여기에는 간호배치 가산, 간호보조 가산, 간호

직원 야간배치 가산 등이 있다. 간호배치 가산은 간호사, 준간호사, 간호조무사

로 구성된 간호요원 중에 간호사의 비율이 40%로 규정되어 입원기본료를 산정

하고 있는 병동 전체에 70%를 넘는 간호사를 배치하는 경우에 주어지는 가산

점이다.

다) 간호인력 관련 신고 양식

위에서 기술된 법규정과 정부의 고시에 의거하여 환자 치료에 따른 의료보험

청구액을 산정하게 되는데, 관련 근거 자료는 지정된 양식으로 작성하여 별도

로 제출하게 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입원기본료의 근본적인 구조는 간호

인력의 배치 등에 따라서 입원진료비를 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간호사 수

등을 산출하기 위해 의료기관이 신고하는 양식이 있는데, 그것은「(양식 9) 입

원 기본료 등의 시설 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 서류」(이하 양식9)이다.39) 일반

적으로 이것은 양식9로 불리는 문서로, 병원입장에서는 서식 중에서 가장 중요

하고 또한 작성이 까다로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양식은 매년 문서에 의한

적시조사 시에 도도부현의 후생국에 제출된다.

이 양식9는 병동 간호사 등의 일상적인 근무시간을 기재하는 단순한 양식이

지만, 세부적인 작성 규칙이 있어 작성이 복잡하여 양식 제출 후에 관계기관으

로부터 지적을 받아 재작성을 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최근에는 컴퓨터 시

스템을 활용하여 병원 정보시스템과 연동해서 작성할 수 있거나 클라우드 서비

스를 통해 양식 9의 작성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병원이 늘어나고 있

다. 상업용 클라우드기반의 시스템 중에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시스템은 일본

최대의 정보서비스 업체인 NTT DATA가 제공하는 CALCS (카루쿠스)이다.40)

39) 후생노동성,입원기본료의 시설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양식9), https://kouseikyoku.mhlw.go.jp/tohoku/shido_kansa/documents/ky9-w.doc

40) NTT DATA, (양식9) 작성 클라우드 서비스, CALCS (카루쿠스) http://products.ndis.jp/calcs/

Page 7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6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23 입원기본료의 시설기준 양식

양식9를 작성함에 있어 각 병원에서는 16시간의 야근 프레임을 설정하는데,

이 16시간의 틀은 22시부터 다음날 5시까지의 시간을 포함하면 어느 시간부터

시작하는지를 병원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하루 24시간 안에 16시간의

범위 내를 "야근 범위"로 하고 나머지 8시간을 "주간 근무 범위"로 구분하게 되

는 것이다. 간호사는 주간 근무와 야근의 근무기간 중 실제로 근무한 시간을 기

재해야 하기 때문에 지각, 조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한 날에 그 시간을 빼고

근무시간을 기재해야 한다. 회의나 출장 등으로 병동에서 외출한 시간도 근무

시간에서 제외된다. 야간 외래 환자 대응을 위해 병동근무를 중단하고 외래근

무를 했다면, 그 시간 분만큼 병동근무에서 감산해야 한다. 16 시간의 야근시간

범위 내에 외래에 갔다온 경우는 병원의 야근시간이 되기 때문에 총 야근시간

란에는 감산 없이 기재해야 한다. 양식9의 서식을 번역한 내용은 부록2에 제시

되어 있다.41)

41) 후생노동성,입원기본료의 시설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양식9), https://kouseikyoku.mhlw.go.jp/tohoku/shido_kansa/documents/ky9-w.doc

Page 7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61

라) 시설기준에 관한 신고제도 및 관리

(1) 지도(指導)

일본의 건강보험법 73조에는 보험의료기관에 대해 후생노동대신의 지도를 받

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동법 78조에는 후생노동대신은 필요시, 보험의료기관

에 대해 요양급여에 관해 보고 내지는 진료록 등의 장부 서류의 제출 혹은 제

시를 명령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42)

지도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즉, ① 집단지도, ② 집단적 개별지도, ③ 개별

지도이다. 개별지도는 신규로 보험의료기관으로 지정된 경우와 개설자가 변경

된 경우를 포함한다. 집단지도는 단체강습회 형식의 지도로, 신규지정에 해당하

는 강습회와 진료보수 개정 시 후생국과 의사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점수

설명회'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강습회가 끝나면 그것으로 완결되며 후속 조치나

처분 같은 별도의 제재는 없다.

집단적 개별지도는 강습회 형식의 집단부분과 각개 의료기관에 대한 면접 형

식의 개별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습회 후 의료기관은 개선보고서를 제출하

게되나 반환금조치는 없다. 선정대상은 15개 유형별로 건당 의료비 청구서에서

기준평균점 (진료소는 평균점수의 1.2 배, 병원은 1.1 배)를 초과하는 의료기관

중에 상위 8%가 선정된다 (상위 4%는 개별지도 대상). 전년도와 전전년도 개별

지도, 신규지도, 집단적 개별지도를 받은 의료기관과 당해연도 개별지도나 신규

지도를 예정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선정에서 제외된다.

개별지도에는 신규개별지도, 공동지도(共同指導), 특정공동지도(特定共同指

導)가 포함된다. 신규의 경우 보험의료기관으로 지정된 후 반년에서 1년 이내에

받게 된다. 그러나 동경의 경우 개업의 수가 많아 개업한지 2년이 더 지난 후에

개별지도를 받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다. 공동지도는 후생노동성, 지방후생국,

도도부현이 공동으로 실시하는 지도이다. 특히 대학부속병원이나 임상연수병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지도는 특정공동지도이다.

42) 의료기관에의 지도, 동경보험의협회,https://www.hokeni.org/introduction/shinsa-taisaku-committee/sidou.html

Page 7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6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존 보험의료기관이 개별지도 대상이 되는 유형에는 다음의 4가지가 있다.

피보험자 (환자)나 보험심사지불기관 등으로부터 진료내용이나 진료보수청구에

관한 정보제공이 있어 후생국이 지도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의료기관, 이전의

개별지도나 신규지도의 결과 다시 지도대상이 된 의료기관, 전전년도에 집단으

로 개별지도를 받고도 전년도의 청구점수가 높은 의료기관, 감사결과 계고나

주의를 받은 의료기관이나 정당한 사유 없이 집단적 개별지도를 거부한 의료기

관이다. 그러나 실제로 어떤 이유에서 개별지도 대상으로 선정된 지에 대해서

는 의료기관 측에 공개되지 않는다.

(2) 감사(監査)

일본의 건강보험법 78조(보험의료기관 및 보험약국의 보고)에는 후생노동대

신이 요양 급여에 관련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보험의료기관의 종사자

로 하여금 진료기록, 장부서류, 기타의 물건을 검사받도록 할 수 있도록 규정하

고 있다. 따라서 감사는 진료내용 및 진료보수 청구에 부정이 부당한 부분이 있

다고 의심이 들 때 수시로 실시된다. 또한 지도의 단계에서 요감사(要監査)의

의견을 받은 보험의료기관도 그 대상이다. 감사 후 적발 사항이 나온 경우 행정

상의 조치로서는 보험의료기관 혹은 보험의(保険医)에 대해 「취소(取消)」,

「계고(戒告)」, 「주의(注意)」가 내려진다.

(3) 적시조사(適時調査)

적시조사는 개별지도나 감사와는 달리 건강보험법 상에 명시된 내용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노동성보험국의료과장 명의의 통지(기본진료료의 시설기준

등 및 그 신고에 관한 절차의 취급에 대하여)에 신고처리 후의 조치 등에 「적

시조사(適時調査)」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이는 보험의료기관의 입장에서는 병

원 경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하고 부담되는 조사 중의 하나이다.

적시조사는 원칙적으로 연 1회 실시하며, 도도부현의 후생국은 관할 지역의

보험의료기관에 대해 시설 및 간호인원 배치 등이 진료보수 산정 시에 적용한

Page 7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63

시설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자체 점검 평가하고 그 결과를 매년 7월 1일 해당

양식에 의거하여 보고하게 한다.43)

적시조사에서 현장 방문에 의한 확인은 각 도도부현 내의 의료기관의 수에

따라 150개소 이상 300개소 미만의 경우는 2년에 1회, 300개소 이상의 경우에

는 3년에 1회 실시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각 도도부현

후생국의 사무처리로 인한 담당자의 업무부담 등의 문제로 인해 의료기관이 많

은 지역의 경우 5년에 한 번 혹은 부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신규로 보험의

료기관으로 지정된 병의원에 대해서는 지정 후 1년 이내에 신규 개별지도를 실

시하는 시점에 적시조사도 함께 실시한다. 특정공동지도 (特定共同指導)와 공

동지도의 대상이 된 보험의료기관은 지도를 통해 적시감사를 실시한 것으로 간

주된다.

적시조사 후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수리(受理)의 판정이 내려지고, 하자가 있

을 경우는 개선사항(改善事項) 내지는 보험청구 금액의 반환사항(返還事項)을

지적받는데 개선사항을 지적받은 병원은 개선보고서(改善報告書)를 제출해야

하며, 반환사항에 대해서는 병원이 자체 점검을 실시한 후 지적된 금액을 자주

적으로 반환을 해야한다. 이 때 개별지도나 감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4) 전자신고의 실현

현재 후생노동성과 전국의 지방후생국 그리고 지방후생국 사무소는 보험의료

기관의 관리를 비롯한 각종 신고상황의 관리, 지도와 감사, 적시조사, 정보의

집계와 통계 작업, 관련 단체에의 통지 및 정보제공 등의 업무 처리를 위해

「보험의료기관 관리시스템」이라는 전산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

재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보험의료기관 등의 각종 신고내역은 종이매

체를 통해 접수되고 이를 다시 수작업에 의해 시스템에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

고 있다.

초기 병원에서의 양식지 작성 과정에서 입력형식의 체크 기능이 불충분하여

발생한 오류와 함께 수작업으로 시스템에 입력한 내용의 확인작업은 담당 직원

43) 후생노동성 보험국 의료과, 적시조사 실시요령https://www.mhlw.go.jp/seisakunitsuite/bunya/kenkou_iryou/iryouhoken/dl/chousa_01-1.pdf

Page 7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6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 업무 부하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빈번히 발생하는 의료기

관에의 통지와 송부 작업도 큰 부담이다. 이로 인해 보험의료기관에 대한 개별

지도와 적시조사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어 현장 적시조사의 주기가 규

정보다 긴 것이 현실이다.

이에 후생노동성은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17년 2

월 「보험의료기관 관리시스템의 발본적인 개선을 위한 기본방침서」를 발표

하였다.44) 이 방침에 의하면 전자신청을 실현하여 신고 업무의 효율화를 꾀한

다는 것이다. 인터넷 상에서 높은 보안대책을 강구한 전자신청 시스템을 구축

하고, 각종 신고 서식의 입력화면을 개방하여 신고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전자

파일로 작성된 양식들을 업로드할 수 있게끔 한다. 이렇게 전자적으로 제출된

신고서는 지방후생국의 담당 직원이 화면을 통해 접수하고 전자 심사와 결재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병원이나 관계기관에의 통지는 이메일 등과 연계하여 송

부함으로써 수작업이나 우편에 의한 우송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런 과정

들을 도식화하여 신고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업

무를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정보의 수집과 통계 작업에서도 한층 정확하고, 양

질의 데이터가 획득되고,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분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존의 지도와 감사, 적시조사 시의 업무 프로세스에서는 실시 계획을 짜고,

대상 보험의료기관을 선정한 다음, 준비 단계를 거쳐 실시에 들어간다. 현장

에서의 적시조사 시에는 대부분의 기록들이 수기로 작성되어, 조사가 끝난 후

다시 결과를 정리하게 된다. 일련의 작업들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져 단계

별 작업의 연속성이 없는 상황이었다. 전자 신고가 실현되면 단계별 작업들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장 조사에서도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현장

에서 신속하게 전체적인 결과를 파악할 수 있어 적시조사 업무의 효율화가 한

층 증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44) 후생노동성, 보험의료기관 관리시스템의 발본적인 개선을 위한 기본방침서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0000147352.html

Page 7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65

마) 위반에 대한 처벌 규정

일본의 건강보험법 58조에는 의료기관이 부정청구를 하고 보험자에 의해 그

금액이 지불되었을 때는 지불된 금액과 그의 100분의 40을 더하여 반환해야 한

다고 명시하고 있다.

동법 60조에는 후생노동대신이 보험지급에 필요하다고 인정할 시는 의사, 치

과의사, 약제사 혹은 처치행위를 행한 자에 대해 보고, 진료기록, 장부서류, 그

외의 물건을 제시할 것을 명령하거나 해당 직원에게 질문을 할 수 있다고 명시

하고 있다. 동법 215조는 상기의 동법 60조의 명령에 대해 정당한 이유 없이 따

르지 않거나, 질문에 답변을 하지않거나, 허위의 답변을 한 경우에는 10만엔 이

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동법 80조는 부정청구 (가공청구, 과잉청구, 이중청구)와 산정요건을 만족하

지 않는 진료보수를 부당하게 청구한 보험의료기관에 대해 후생노동대신이 보

험의료기관의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고, 동법 81조는 부정청구

나 부당청구를 한 보험의(保険医) 혹은 보험약제사에 대해 후생노동대신이 그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3)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45)

가) 간호인력의 자격과 업무

간호인력의 자격과 업무 범위를 규정한 법률적 근거는 보건사・조산사・간호

사법이다. 이 법률은 보건사, 조산사 및 간호사의 자질을 향상하고 이로써 의료

및 공중위생의 보급 향상에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동법 5조와 6조는 간호사의 면허는 후생노동대신이 발급하고, 준간호사의 면

허는 도도부현의 지사가 발급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간호사의 업무는 상

병자 또는 임산부의 수발을 들거나 진료의 보조를 행하는 것으로 명시되었다.

준간호사의 업무는 의사, 치과의사 또는 간호사의 지시를 받아 업무를 수행하

45)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https://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323AC0000000203&openerCode=1

Page 7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6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는 것으로 되어있다. 동법 7조 1항과 2항은 각각 보건사와 조산사가 되기 위해

서는 보건사 국가시험과 조산사 국가시험과 함께 간호사 국가시험에도 합격하

여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동법 7조 3항과 8조는 각각 간호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국가시

험에 합격하여야 하고, 준간호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도도부현(전국 6개

블록에서 실시)에서 주관하는 준간호사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간

호사 국가시험과 도도부현의 준간호사 시험은 연 1회 실시되고 있다.

동법 15조의 2에는 후생노동성 대신과 도도부현 지사는 각각 간호사와 준간

호사에 대해 후생노동대신령에서 정한 간호사 재교육 연수와 준간호사 재교육

연수를 받도록 명령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동법 31조와 32조에는 각각 간호사, 준간호사가 아닌자가 5조와 6조에 명시

된 간호사 및 준간호사 업무를 수행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단 의사법

혹은 치과의사법의 규정에 의한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그러나 동법 32조2

항에는 보건사 또는 조산사가 간호사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

다. 이는 7조 1항과 2항에 보건사와 조산사의 국가면허를 취득하는 사람은 간

호사 국가시험 합격이 면허 부여의 요건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법 37조에는 보건사, 조산사, 간호사는 의사 및 치과의사의 지시가 없는 한

진료 기계를 사용하거나 의약품을 투여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단, 응

급처치를 하거나 조산사가 탯줄을 끊는 행위와 관장을 하는 등의 업무에 부수

되는 행위의 경우는 예외이다.

2014년 6월, 팀의료를 추진하고 간호사의 역할을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는 취지에서 「특정행위에 관한 간호사의 연수제도」가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2015년 3월 법개정으로 동법 37조의 2에 간호사의 특정행위와 연수에 대한 법

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특정행위는 진료의 보조로서, 우수한 능력과 실무경험을

가진 간호사가 특정행위 연수를 받은 후, 정해진 절차(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수

행하는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필요로 하는 38종류의 행위이다. 이에

대한 상세규정은 2015년 후생노동성령 제33호와 후생노동성후생국장통지에 명

시되어 있다.

Page 7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67

나)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10조에는 후생노동성에 간호사적(看護師籍)을 비

치하고 면허 등록일 및 처벌 사항 등에 관한 내용을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동법 11조에는 10조와 동일한 요령으로 도도부현에 준간호사적(准看護師)을 두

도록 규정하고 있다.

동법 33조에는 보건사, 조산사, 간호사 및 준간호사로서 면허를 취득하여 현

업에 종사하는 자는 후생노동성령에 정해진 바에 의해 2년마다 12월 31일 현재

취업 상태를 이듬해 1월15일까지 취업지의 도도부현 지사에게 신고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근무지가 의료기관이 아니거나 혹은 휴직기간 중이라도 퇴직

하지 않은 한 신고는 의무이다.

신고 내역은 본인의 성명 주소 성별 생년월일을 비롯하여 면허를 등록한 도

도부현과 등록번호, 등록일, 취업 중인 기관의 종류, 이름, 주소, 고용형태, 기

간, 간호사의 특정행위 연수의 유무 등 후생노동성령에 규정된 사항이다. 신고

요령은 보건소에 비치된 업무종사자신고서 (業務従事者届) 양식지나 도도부현

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내려받은 양식을 기입한 후 근무 기관이 소재한 지역의

보건소에 제출하면 된다. 2019년 8월 현재 이메일이나 기타 다른 전자적 방법

으로의 신고는 받지 않고 있다.

다) 위반에 대한 처벌규정

동법 43조에는 허위와 부정적인 방법으로 보건사, 조산사, 간호사 및 준간호

사의 면허를 취득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과 55만엔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동법 45조는 간호사와 준간호사가 15조2의 재교육 연수를 받지

않는 경우를 비롯하여, 2년에 한 번 업무종사자신고를 기한 내에 하지 않은 경

우 혹은 신고 자체를 게을리한 경우에 50만엔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

고 있다.

Page 8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6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4) 간호사 등의 인재 확보의 촉진에 관한 법률

이 법률은 통상 “간호사확보법”으로 불리며, 최근의 저출산 고령화로 인하여

간호사, 보건사, 조산사의 부족이 사회적인 문제가 됨에 따라, 이들 전문인력의

확보을 위한 시책을 강구함으로써 보건의료의 향상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 법은 간호사 등의 면허를 보유한 자가 취업 상에 변동이 있을 경

우 신고하는 것을 의무화하여, 후생노동성이 시행하는 간호사 등 면허 보유자

의 신고제도의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가) 간호인력에 관련된 규정

간호사확보법 12조는 의료법과 도도부현의 조례의 규정에 의해 정해진 간호

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병원에 대해 「간호사등 확보추진자(看護師等確保推進

者)」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간호사확보추진자는 병원관리자를 보좌하고

간호사등의 배치 및 업무의 개선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며 그 외 간호사 등의

확보에 관한 사항을 처리하므로, 의사, 치과의사, 보건사, 조산사, 간호사 등 간

호사 확보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자로 명시되어 있다.

간호사확보추진자를 의무적으로 임명해야 되는 병원의 기준은 동법의 시행규

칙(1992년 후생노동성령 61호)에 의거, 병원의 월말 재직 간호인력의 수가 의료

법과 조례에 규정된 표준 인원수의 7할이 못 미치는 상태가 3개월 이상 계속되

는 경우이다. 너스센터 혹은 공공직업안정소에 구인 신청을 제출한 경우에는

임명을 3개월 더 연기할 수 있다.

간호사확보추진자가 임명되면 30일 이내에 관할 도도부현 지사에게 동법의

시행규칙(1992년 후생노동성령 61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신고하여야 한다. 변

경 시에도 마찬가지다. 신고 사항은 병원개설자의 성명과 주소, 병원 이름과 소

재지, 병원의 병상별 병상수와 간호사수, 간호사확보추진자의 주소와 생년월일,

임명 날짜, 보유하고 있는 면허 혹은 자격을 증빙하는 서류 등이다.

Page 8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69

나)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

(1) 간호사등 면허보유자의 신고제도

간호사확보법 16조의 3항에는 간호사 등이 병원을 그만 두는 경우나 그 외

후생노동성령에 정해진 경우에 해당하면, 주소, 성명 기타 정해진 사항을 도도

부현 너스센터에 신고하는 것을 노력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후생

노동성은 2015년10월부터 「간호사등 면허보유자의 신고제도」를 시행하여 이

직(離職)자의 적극적인 신고와 향후 복직을 지원하고 있다. 이 제도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간호인력 부족 현상을 타개하기 위한 정부 시책의 일환이다.

일본정부의 추산에 의하면 2025년에 필요한 간호인력은 196만~206만명에 이

른다.46) 현재의 추세를 감안하여 취업 간호인력이 연 3만명씩 증가한다고 가정

하면 2025년에는 193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어 3만명에서 13만명에 달하는

간호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은 2차대전 후 최대의 베이비붐 세

대인 1945〜1949년의 인구가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가 되는 시점으로 국민 3

명 중에 1명이 65세 이상 고령자인 「초초고령화사회」에 돌입하게 된다. 이를

흔히 일본 사회의 「2025년 문제」라고 일컫는다. 이에 후생노동성은 간호사확

보법을 개정하여 미취업 간호인력의 신고를 의무화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잠재적인 간호인력의 취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지원하는 시책을 강화

하고 있다. 2010년 말을 기준으로 71만명의 간호인력이 면허를 보유한 채 미취

업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신고제도에 따라 간호직원(보건사, 조산사, 간호사, 준간호사)이 병원 등을

그만 두는 이직(離職)의 경우 주소, 성명 등의 정보를 도도부현의 너스센터에

신고하여야 한다. 신고 시기는 이직 시를 비롯하여 간호직의 업에 종사하지 않

게 된 경우, 면허취득 후 즉시 취업하지 않은 경우, 2015년 10월 1일 시점에서

현업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 이미 신고한 사항에 변경이 생긴 경우 등이다. 신

고할 의무사항으로서는 성명, 생년월일 및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등 연락처에

46) 전국보험의 단체연합회, 간호직원 부족에 대한 보단련 제언, 看護職員不足に対する保団連提言, 2018년2월11일

https://hodanren.doc-net.or.jp/news/teigen/180214_teigen_kango.pdf

Page 8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7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한 정보, 면허의 등록번호 및 등록 연월일, 복직 의향 등의 취업에 관한 항목

이다. 신고할 임의 사항으로서는 경력, 이직 연월, 복직 의향, 너스센터가 무료

로 제공하는 직업소개 서비스에 등록 희망 등이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신고를

마친 간호인력에 대해 구직활동을 하기 전 단계에서부터 개별적인 상황에 맞추

어 복직에 도움이 되는 정보제공과 상담, 연수활동 등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

다.

그림 24 간호사등 면허보유자 신고 사이트「토도케룬」초기 화면https://todokerun.nurse-center.net/todokerun/

신고 방법으로는 퇴직 전의 근무지 병원이 본인을 대신하여 대행신고를 하는

경우와 본인이 도도부현의 너스센터에서 신고 양식지를 기입하여 제출하거나,

중앙 너스센터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 「토도케룬」(とどけるん: 신고한다

는 의미)에 접속 등록하여 전자적으로 신고할 수 있다.47) 

한편, 병원의 개설자와 간호사 양성학교 및 양성소 운영자에게는 해당자의

47) 간호사등 면허보유자의 신고사이트,토도케룬(とどけるん)

https://todokerun.nurse-center.net/todokerun/

Page 8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71

신고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해야할 의무가 주어져 있다.

즉, 병원의 관리자는 간호직원이 이직하는 경우 본인에게 신고하도록 재촉하거

나, 본인을 대신하여 신고를 대행할 수 있다. 학교 및 양성소에서는 학생 교육

의 일환으로 신고제도에 대해 교육하여야 한다.

(2) 너스센터(Nurse Center)48)

간호사확보법 14조는 도도부현의 지사가 간호사의의 취업을 촉진하고 간호사

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거점으로서 「도도부현 너스센터」를 운영하기

위하여 일반 사단법인 혹은 재단법인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47개의

도도부현 간호사협회가 각 현에 너스센터를 설치하여 간호직의 무료 직업소개

사업, 재취업을 위한 상담과 연수, 병원에 대해 간호사 등의 확보를 위한 정보

제공, 잠재 간호직 인원의 파악 조사 등의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동법 20조는 후생노동대신이 전국의 도도부현 너스센터의 업무를 지원하는

「중앙너스센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일본간호협회가 운영자로

지정을 받아, 도도부현 너스센터 사업의 홍보 지원, 각 너스센터 연계 및 상담

업무 강화, 간호사 등 면허 보유자 신고 사이트 「토도케룬」의 관리 운용, 무

료 직업소개 사이트 「e-너스센터」 (https://www.nurse-center.net/nccs/)의 관리

운용, e-너스센터 등록 데이터의 분석 및 각종 보고서 작성 등의 사업을 실시하

고 있다.

(3) 간호사 면허 보유자 신고현황49)

다음의 그림은 2015년 10월 1일 신고 제도가 시작된 이래 2018년 11월말까지

신고된 숫자의 월별 추이다. 3년 2개월간 84,760명이 신고한 것으로 집계되었

다. 매년 4월에 신고 수가 가장 많은 것은 일본의 회계연도가 3월말에 끝나 4월

에 새롭게 시작하는 관계로 회계연도가 끝나는 시점에 퇴직자 이직자의 수가

가장 많은 점이 반영된 것이다.

48) 일본간호협회, 너스센터(Nurse Center),(https://www.nurse.or.jp/nursing/nc/gaiyo/index.html)49) 후생노동성, 간호직원의 확보책 관계자료, 제6회 간호직원 수급분과회, 2019년1월31일https://www.mhlw.go.jp/content/10801000/000475692.pdf

Page 8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7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그림 25 간호사등 면허보유자의 신고 인원수 추이

신고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대 전후의 연령이 가장 많은데 이는 간호사

직종에 여성인력이 많은 관계로 결혼과 이로 인한 이사, 임신, 육아 등으로 인

해 퇴직하는 인원이 많은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Page 8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73

그림 27 간호사 등 면허보유 신고자의 취업 상황

다) 위반에 대한 처벌 규정

간호사확보법 24조는 도도부현 너스센터의 직원이 간호사 등 면허 보유자의

신고에 의해 얻은 정보 혹은 업무상의 정보를 누설하는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혹은 50만엔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누설된 정보가 개인정보

에 관련된 사항이면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처벌되며 누설에 의해 실질적인 피

해가 없더라도 손해배상 민사소송을 당할 수가 있다.

동법 25조는 간호사확보추진자를 의무적으로 임명해야 되는 병원 개설자가

규정을 위반하고 임명하지 않은 경우, 또한 도도부현의 지사가 병원에 대해 간

호사확보추진자를 변경하기를 명령함에도 그렇지 않은 경우 20만엔 이하의 과

태료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동법 26조는 병원 개설자가 간호사확보추진자를 임명하고도 30일 이내에 관

할 도도부현 지사에게 주소와 생년월일, 임명 날짜, 보유하고 있는 면허 혹은

자격을 증빙하는 서류 등을 신고하지 않거나 허위 신고를 한 경우에는 15만엔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Page 8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7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 일본의 의료기관에서의 간호인력 관리

일본에서는 대부분의 대학병원급 의료기관과 중형 규모 이상의 많은 병원에

서는 병원정보시스템 (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운용하고 있고, HIS

에 간호부문으로서 간호시스템(Nursing System) 혹은 간호지원시스템 (Nursing

Support), 간호 근무관리 시스템(Nurse Planner System)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간호시스템은 단독으로 운용되는 제품도 많이 출시되어 있어, HIS를 운용하고

있지 않는 병원에서 혹은 간호업무의 기능이 보다 강화된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병원에서 단독 시스템을 별도로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병원에서는 간호관련 업무가 모두 전산으로 처리되고 있다.

간호시스템의 대표적인 기능은 간호인력관리, 근태관리, 간호사 인사관리를

지원하며, 간호업무 지원으로서는 간호예정관리, 병상관리 등이 있고, 간호과정

의 지원으로서 간호계획입안, 실시평가, 간호과정 기록작성 등의 기능이 있다.

간호시스템은 원무시스템과 연계되어 간호업무에 따른 진료비 정산이 이루어

지며 근태관리의 사항 등은 인사시스템에 반영된다.

다음은 일본에서 병원정보시스템을 가장 많이 보급하고 있는 후지츠(富士通;

Fujitsu)의 간호사근무관리시스템인 Hope Nurse Planner의 소개이다.50) 시스템의

기능은 크게 근무표작성기능, 초과근무관리, 직원정보관리 기능으로 나누어지

며, 빠르고 편리한 화면 조작으로 쉽게 근무표 작성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근무표작성 기능에서는 근무일정 작성 (자동 생성 기능)을 위해 희망근무일

자와 근무실적을 각각 입력하면, 근무실적표, 주간근무표, 주간업무분담표, 당

일근무자목록, 병동관리일지, 간호관리일지, 근무상세목록, 연차휴가일람표, 공

휴일근무 현황표, 근무횟수일람표 등이 출력된다. 초과근무관리 기능에서는 출

근/퇴근 시각, 초과근무 직원별 입력, 초과근무 승인들이 이루어지며, 근무시간

관리부와 초과시간 관리부 등이 출력된다.

그 외 교육연수의 관리와 보고서 작성, 간호사의 경력관리 등이 가능하며, 입

원기본료 등의 시설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 (양식 9)의 출력 기능을 갖추

50) 후지츠 간호사근무관리시스템https://www.fujitsu.com/jp/solutions/industry/healthcare/products/hope-nuplus/

Page 8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75

고 있다. 또한 병원정보시스템의 병동관리 일지와 간호관리일지와의 연계 또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과의 연계를 위한 인터페

이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림 28 일본 병원의 간호인력 관리(근무표와 메뉴)

Page 8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7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간호사는 본인의 근무내역을 화면을 통해 기호를 사용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하고, 회의 나 연수 참여, 다른 부문에 지원 근무한 내용 등을 시간 단위로

관리하고 연차 휴가 취득 등의 정보를 상세히 입력할 수 있다.

근무표에 미리 설정한 규칙을 준수하고 있는지 "체크기능"을 사용하여 확인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 야근 등의 금지된 근무형태가 있는 경우에는 점

검 메시지가 표시된다.

그림 30 일본 병원의 간호인력 관리 (체크리스트 화면)

근무내역이 입원기본료 등의 시설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양식 9)를 충

족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월평균 야근시간" 체크 기능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근무표 데이터를 바탕으로 첨부 서류(양식 9)를 엑셀로 출력할 수 있다.

Page 8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3장 외국의 간호인력 규정 및 신고체계

www.hira.or.kr 77

초과근무 신청 및 관리자 승인 기능은 초과근무 시간과 이유를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적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림 32 초과근무 관리화면

Page 9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7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4장 간호인력 신고·관리시스템 개선방안

1. 기본 방향

지능정보시스템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 전반이 점차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

입하고 있다. 인력으로 수행하던 수 많은 업무들이 인공지능, 블록체인, 사물인

터넷 등 다양한 지능정보기술의 도입을 통하여 자동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업무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건강보험공단은 장기요양보험에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을 도입하여

요양보호사 및 이들의 업무를 전자적으로 관리·지원하고 있으며, “비콘

(Beacon)”이라는 ICT기술을 활용하여 점차 이를 발전시켜 나아갈 예정이라고

한다(건강보험공단, 2019; 의학신문, 2019.3.18.). 장기요양보험에서 이렇게 ICT

를 이용하는 것처럼, 건강보험에서도 보건의료자원관리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제언에 앞서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나아갈 발향을 전제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통신기술(ICT)을 보건의료자원관리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건강보

험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수행하는 여러 가지 보고(신고)들 중에는 아직 반 수

작업으로 수행하는 업무들이 많이 있다. 의료기관에서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

털에 입력해야 하는 많은 작업들이 그러한 사례 중의 하나이다.

둘째, 의료기관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행정업무들을 ICT를 활용하여 자동화

하는 사업은 요양기관의 자율성을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 도입

의 선택권은 의료기관에 있다는 점이다. 도입 여부에 따라서 어떠한 불이익을 주는

것도 가정하지 않는다.

셋째, 건강보험시스템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체계 유지를 위해서는 의료기관

과 심사평가원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의 유지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재원은 결국 국민이 낸 건강보험료와 일부 국고로 충당하는 것이기 때문

에, 건강보험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비효율성을 최대한 줄이고 효율성을 극

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기관과의 사회적인 협의가 절대적으로 필

Page 9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4장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를 위한 제언

www.hira.or.kr 79

요하다.

정부는 간호관리료차등제의 미신고 기관을 줄이기 위하여 미신고 기관의 입원료

감산제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실시한 바 있다. 최근에는 미신고기관에

대한 감산을 보다 강화하는 방안을 이미 공표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9-177호. 2019.8.5). 간호관리료차등제 관련 간호인력 미신고 기관의 경우 입

원료 감산을 2020년 1월 1일부터 5%에서 10%로 상향조정하기로 하였다 (보건

복지부 고시 제2019-177호. 2019.8.5).

2.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안)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이면 대부분 병원정보시스템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병원정보시스템에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처방전달시스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진단검사정보

시스템,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2019년도 1월 기준 이전에 이

루어진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정보화 현황조사에 따르면 간호인력의 근무현황,

근무일정 조정, 근무실적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ICT기반 간호인력부문에 전

문화된 정보화시스템은 조사된 바가 없었다. 규모가 큰 병원의 경우는 이러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사항목에 들어가지 못해서 파악하지

못하였을 수도 있고, 규모가 작은 병원의 경우에는 아예 이러한 시스템을 운영

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관련 통계가 부재할 수도 있다. 병원에서 인력수

요가 많고 환자의 간호를 위하여 큰 역할을 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근

무일정 배정, 근무일정 조정, 근무현황파악 등을 할 수 있는 ICT시스템의 도입

이 필요하다.

이에 본 보고서는 간호관리료차등제의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의 효율성 개선

을 위하여 의료기관이 ICT와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구체

적으로 의료기관의 병원정보시스템내에 간호인력에 특화된 보편화된 시스템을

도입·운영 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의료기관이 간호사

의 일정을 조정하고 인력을 관리하는 간호인력을 전문으로 하는 시스템을 부분

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특히 일본의 경우에는 건강보험신고양식(양식9) 및 원

Page 9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8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무과와도 연계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을 여기서는 기술의 편

의를 위하여 “간호인력 자동관리시스템”(가칭)으로 한다. 의료기관이 자체적으

로 간호사의 출퇴근 시간과 연계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운영 할 것을 제안

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운영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간호관리료차등제의 간호등급을

산정하는데 쓰이는 간호사인력의 근무일자를 자동으로 산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신분증 내부에 출퇴근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전자코드(비콘)을 부착하여 출퇴근 시각이 기록되도록 하면 가능하며,

이러한 ICT기술이 아니더라도 의료기관이 자체적인 직원의 출퇴근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채택할 것을 제안한다. 근무시간은 자동적으로 내부의

인식장비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고, 최종적으로는 기관내부의 서버에 저

장되고 간호인력신고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료기관 내부서버에 저장된 근무현황에 대한 정보는 분기별로 근무

일자로 누계되어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에 연계되도록 한다. 이 경우 일

단위 또는 매주 이러한 정보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행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

다. 최근 정부의 방침에 따르면 간호관리료차등제 중 정신의학과는 매월 15일

근무하는 간호사 수의 평균에서, 2020년 7월부터는 전전분기 마지막 월15일에

서 전분기 마지막 월 14일까지 간호사 수의 재직일수 평균으로 개정이 된다고

한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9-215호, 2019.10.4).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간호사

근무일수의 간호관리료차등제 적용은 간호부문 전체에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만약 ICT를 활용하여 이러한 근무일자 기록을 자동화 하지 않을 경우 근무일

수를 수작업으로 파악하여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에 입력하여야 하며, 많

은 불편이 따를 것이다. 이러할 경우 많은 간호인력 신고업무가 다시 수작업으

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서 업무 효율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

와 같이, 의료기관에서 운영하는 “간호인력 자동관리시스템”과 “보건의료자원

통합신고포털”을 연계시켜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은 앞에서 기술한 바

와 같이 의료기관의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한다. 향후 정부가 추진하는 간호관

리차등제의 간호사 신고내역이 일 단위 재직일수로 바뀜에 따라 요양기관이 자

Page 9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4장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를 위한 제언

www.hira.or.kr 81

체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과 연계시킬

경우 간호인력 신고업무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시킬 것이다.

3. 외국의 사례가 주는 시사점

미국내에 있는 의료기관의 간호인력관리 현황의 특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병원내에는 간호사들이 근무일정 조정, 개인의 스케쥴 조정 등을

할 수 있는 간호관리시스템이 운영이 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러한 시스템이 모든 의료기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았다. 둘째, 정

부는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간호인력 규정의 준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의료기관이 정부에 주기적으로 간호인력에 대한 보고를 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러한 것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의료기관이 정부나

건강보험 관련 기관에 정기적으로 보고(신고)를 하는 것과 대비되는 것이었다.

넷째, 일반병동이라고 하더라도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간호사당 환자 수에 차

이를 두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미국이 주별 간호인력에 대한 규정은 다

음의 3가지 중 하나 또는 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 주법에 환자대 간호사

수를 명시하는 형, 간호위원회에 관한 규정을 두도록 하는 형, 간호사 수에 대

한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특징들 중 우리나라가 벤치마

킹 할 수 있는 사항은 소비자의 선택권 보장, 인력운영의 투명화를 위하여 기관

별 인력현황을 공개하는 것이 될 수 도 있다.

일본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특징을 들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와 같

이 건강보험의 유지를 위하여 간호인력을 양식9에 따라서 의료기관이 주기적으

로 정부에 신고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큰 규모의 의료기관의 경우는 병원

정보시스템내에 있는 간호인력시스템과 연계하여 양식9의 산출물이 출력되도

록 하고 있었다. 둘째, 정부의 간호인력 파악과 관련하여 다양한 신고 및 보고

규정이 존재, 신고의 의무화를 볼 수 있었다. 예로,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

“간호사 등의 인재 확보의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고제도 등이 있었다. 이

러한 제도를 통하여 정부차원에서의 간호인력에 대한 관리 및 현황파악을 하고

있었다. 셋째, 의료기관의 간호인력관리는 병원정보시스템내에 있는 간호인력

Page 9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8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운영은 일반적이

라기 보다는 대부분의 대학병원이나 중형 규모 이상의 병원에서 병원정보시스

템내에 간호시스템(Nursing System) 혹은 간호지원시스템 (Nursing Support), 간

호 근무관리 시스템(Nurse Planner System) 등을 두는 경우였다. 이러한 측면에

서 볼 때, 일본의 특징은 다양한 정부의 인력규정 존재, 신고의 의무화, 의료기

관의 간호인력 현황자료를 ICT를 이용하여 정부가 수집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

며, 이러한 사항을 우리가 벤치마킹 할 필요가 있다.

간호인력 관련 정부의 규정이나 의료기관의 관리 형태는 미국과 일본 모두 우

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간호인력 관련 ICT를 활용하는 사례들 관찰

할 수 있었으나 그것이 미국이나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더 발전된 형태로 이루어

지고 있지는 않았다. 다만, ICT를 활용하여 개인의 근무일정 선택, 간호사간 근무

일정조정 등의 사례는 다수의 문헌이나 관련 기관의 안내자료에서 발견할 수 있

었다. 의료기관의 간호사 근무일정이나 근무자 수 등은 건강보험의 간호관리료차

등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ICT를 통한 합리적인 연계를 통하여 의료기관

의 인력신고 관련 행정업무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4. 기대효과

일반병동의 간호인력을 ICT를 활용하여 관리 할 경우 관련 경제적인 기대효

과는 선행연구가 없기 때문에 산출하기 어려웠다. 의료기관이 “간호인력 자동관

리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첫째, 요양기관은 자체행정

업무 및 인력통계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의

료기관은 간호관리료차등제 관련 인력신고와 관련하여 “간호인력 자동관리시

스템”을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과 연계시킴으로써 입력에 필요한 행정인

력과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정부는 인력고용 수준에 대한 정확한 통

계의 산출 및 이용으로 정책효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부정확한 인력신고 또

는 오류를 감소시켜 현지조사와 같은 불필요한 행정을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대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이 자발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장

Page 9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4장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를 위한 제언

www.hira.or.kr 83

기적인 계획의 수립과 다양한 행정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Page 9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8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요약

본 보고서에서는 간호관리료차등제를 위한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체계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외국의 경우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제도화 현황과 의료기관의 간호인력 관리현황을 중심으로 살

펴보았다.

제도 및 현황신고를 살펴본 결과, 간호관리료차등제 규정 및 인력산정의 복

잡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인력신고를 하지 않는 의료기관의 비율은

의원, 병원, 종합병원 순으로 높았다. 이에 ICT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신

고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ICT를 이용하여 보건의료자원, 특히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를 합리적으로 변경할 경우 행정편의 개선에 크게 효과가 있

을 것이다.

인력의 근무현황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는

장기요양보험의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었는

데, ICT의 도입을 통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무, 재가서비스 내용 및 제공시간 등

현황을 파악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하여 얻은 데이터를 장기요양보험

의 재가서비스 비용청구 및 심사에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었다. 건강보험공단은

향후 이 시스템에 비콘(Beacon)이라는 보다 진보된 기술을 차용하여 확대할 예

정이라고 한다.

외국의 사례로 미국과 일본의 정부와 의료기관의 간호관리 관련 시스템을 살

펴보았다. 먼저 미국의 경우는 신고보다는 사후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연방정부의 법은 의료기관의 간호인력 확보를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있었고, 개별 주정부는 환자대 간호사의 비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거나 관련

Page 9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5장 결론 및 제언

www.hira.or.kr 85

정보의 공개, 간호관련 위원회의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와 다른 특징은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서 의료기관에 요구하는 간호인

력의 고용수준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특징은 미국과 일본에서 공

통적으로 볼 수 있었다.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다른 보험자 구조, 즉 보다 많

은 수의 보험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법에 간호인력 요구사항을 명시함으

로서 시장구조의 복잡성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추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

력규정에 대한 정부의 모니터링은 도도부현 지사를 통한 후생성 직원이 방문하

여 정기 및 비정기적으로 체크하고 있었다. 또한 국가단위의 간호인력 신고시

스템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의료기관에 있는 간호인력관리시스템의 일부는 건

강보험의 신고서식(양식9)과 연계되어 있었다. 간호인력의 근무 여부를 떠나 경

제활동에 참여하는지를 간호사가 신고하도록 하는 국가단위의 법과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었다.

간호인력의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으로 의료기관에 ICT를 탑재한 자동화

된 “간호인력 자동관리시스템(가칭)”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심사평가원은 의료기관이 간호인력관리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이 시스템

을 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정보

통신기술을 인력관리에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지에 대한 좋은 사례는 건강보험

공단의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을 들 수 있었다. 개인정보침해행위에 대해서

국가인권위원회는 일과의 근무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개인정보침해와 관련성이

없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ICT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자

원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기관의 관계자와 협력하여 확대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의 인력신고 오류가 건강보험의 재정건전성

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으로 고려해 볼 때 합리적이고 투명하게 ICT를 보건의료

자원 활용에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Page 9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8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정책제언

상기에서 제시된 시스템이 의료기관 전반에 도입이 되고 확산이 되기 위해

마지막으로 몇 가지 정책적인 제언으로 본 보고서의 마지막을 정리하고자 한

다.

첫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의 도입은 의료기관의 자발성을 전제로 하

며, 의료기관의 내부 인력관리용으로 주로 사용하고, 신고의 편의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을 자원관리의 투명성 제고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료계

와의 지속적인 협의와 노력이 필요하다. 의료기관 중 정부의 재정을 통하여 운

영되는 국․공립 의료기관의 경우는 그 공익적 특성상 초기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이러한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명확한 규정과

절차를 명시하고 개인정보침해의 여지를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의 인력관리를 ICT를 활용, 자동화 하여 신고자체로부터 오는 행정

업무 및 관리의 비효율성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산된

정확한 통계는 건강보험업무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인력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게 쓰일 수도 있다.

정확한 통계는 인력의 과소나 과잉 공급을 예방하는데 쓰일 수 있으며, 경력

단절을 예방하고 재취업의 기회를 구직자에게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

다. ICT를 이용하여 인력관리를 자동화 하는 것을 사회전반으로 확대하는 노력

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실질적으

로 인력관리에 이용하는 것은 획기적인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항을 도입한 외국의 사례는 찾아 볼 수 없었다. 끝으로, 본 보

고서에서 제기하고 있는 다양한 대안들은 연구자 개인의 의견에서 제안된 것이

며, 심사평가원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힌다.

Page 9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참고문헌

www.hira.or.kr 87

참고문헌건강보험심사평가원 혁신연구센터 분류체계개발부. 질병코드 모니터링 결과보고(2018).

2019.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간호관리료차등제 선정기준 개선방안 연구. 2011.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우수 간호인력 확보를 위한 간호수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2014.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따른 입원환자 간호관리료차등

제 개선방안 연구. 2015.12.

국가인권위원회.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 관련 의견 표명.

2011.5.25.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비콘" 사용확대 실시: 비콘사용 확

대로 아이폰 이용자 불편 해소. 건강보험관리공단 보도자료(요양심사실). 2019.3.18

김경옥, 박경순, 서창진. 전산화된 임상 데이터에 기반한 환자 분류 체계 및 간호 인력 관리

방안 : 일개 종합병원 분석 사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년 13권3

호.pp287-298

김용순.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주기적 근무일정 편성 시스템 개발. 아주의학.

1996.1.1.(아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96년)

대한간호협회. 간호관리료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 2018. 2.

데일리메디(Dailymedi) 신문기사. 간호인력 미신고 병원, 입원료 10% 감산 '패널티': 복지

부, 입원서비스 질 향상 추진···"상급종합병원까지 확대 검토". 2019.5.22.

데일리메디(Dailymedi) 신문기사. 간호관리료 차등제 신고 안하면 입원료 5%→10% 감산.

2019.11.22.

데일리메디(Dailymedi) 신문기사. 심평원 “정보화사업 비용효과 연 9,001억원”, “개인정보보

호 등 요양기관 지원책 강화 기조 유지”. 2017.03.02.

메디컬옵저버 뉴스. 세분화 된 정신과 급여 간호인력 산정기준, 병원들 엄지척. 2019.11.21.

문원희. 간호인력관리정보시스템(NRMIS) 개발 : 환자분류에 근거하여. 학위논문(박사). 충

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2006.2

Page 10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8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0.7.21.(수) 조간): 요양병원 56개소 의료인력∙시설 편법운용, 17

억원 환수 (전국 140개 요양병원 조사결과 56개 기관(40%)에서 부당이득)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건강보험 거짓청구 요양기관 34개소 명단 공표. 2018.7.1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9-177호.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일부개정. 2019.8.5.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9-215호. 의료인 등 인력확보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의

학과 입원료 차등제 적용기준(제9조제5항 관련). 2019.10.4.

유선주, 최경숙, 김현영. 인력기준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대한간호협회·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1.

의학신문. 공단,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비콘’ 사용 확대. 2019.3.18.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RFID) 기관용 전산 가이드북.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심사실).

2017.7.

치과의사신문. “치과 의료기관 부당청구 5년간 4배 증가”. 2017.9.28.

Southern California's Registered Nurse Union, 2018.1.

(이하는 외국자료 출처)

간호사등 면허보유자 신고 사이트「토도케룬」초기 화면

(https://todokerun.nurse-center.net/todokerun/)

일본 총무성, 지방자치단체 제도. 2018.12.(

http://www.soumu.go.jp/main_sosiki/jichi_gyousei/bunken/chihou-koukyoudantai_kubun.ht

ml)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의료법(

https://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323AC000

0000205)

후생노동성, 의료정보제공 제도(의료정보 네트)(

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kenkou_iryou/iryou/teikyouseido/index.html

)

동경도, 병원관리의안내서(病院管理の手引),, 2019년3월.

본간호협회, 간호직의야간교대근무에관한가이드라인(日本看護協会,看護職の夜勤・交代制勤務

Page 10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참고문헌

www.hira.or.kr 89

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 2013年2月28日)

병원보고, 후생노동성(https://www.mhlw.go.jp/toukei/list/80-1a.html#link03)

일본 정부통계 온라인 조사종합창구(https://www.e-survey.go.jp/)

후생노동성, 2018년도 병상기능 보고 메뉴얼, 厚生労働省, 平成30年度病床機能報告 報告マ

ニュアル, 2018년 9월(https://www.mhlw.go.jp/content/00_h30_manual1.pdf)

후생노동성, 병상기능보고 사이트

(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0000055891.html#h2_2)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건강보험법(

https://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211AC000

0000070)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국민건강보험법(

https://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333AC000

0000192)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고령자의 의료의 확보에 관한 법률(

https://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357AC000

0000080)

의료보험의 종류, 전일본병원협회(https://www.ajha.or.jp/guide/4.html)

[14] 2018년후생노동백서 자료편, 보건의료, 平成30年版厚生労働白書 資料編

(https://www.mhlw.go.jp/wp/hakusyo/kousei/18-2/dl/02.pdf)

건강보험조합연합회, 2018년도 건강조합 예산조기집계 결과의 개요,

(https://www.kenporen.com/include/press/2018/20180423.pdf)

후생노동성 보험국의료과, 2018년도 진료보수개정의개요-의과1

(https://www.mhlw.go.jp/file/06-Seisakujouhou-12400000-Hokenkyoku/0000198537.pdf)

北村麻美子, 特集1 看護関連の経営数字入門, 主任看護師 管理・教育・業務 Vol.28 No.2, 2018

후생노동성,입원기본료의 시설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양식9)(

https://kouseikyoku.mhlw.go.jp/tohoku/shido_kansa/documents/ky9-w.doc)

NTT DATA, (양식9) 작성 클라우드 서비스, CALCS (카루쿠스)

(http://products.ndis.jp/calcs/)

Page 10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9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에의 지도, 동경보험의협회

(https://www.hokeni.org/introduction/shinsa-taisaku-committee/sidou.html)

후생노동성 보험국 의료과, 적시조사 실시요령(

https://www.mhlw.go.jp/seisakunitsuite/bunya/kenkou_iryou/iryouhoken/dl/chousa_01-1.pdf)

후생노동성, 보험의료기관 관리시스템의 발본적인 개선을 위한 기본방침서(

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0000147352.html)

일본 전자정부의 종합창구, e-Gov법령, 보건사・조산사・간호사법(

https://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323AC000

0000203&openerCode=1)

전국보험의 단체연합회, 간호직원 부족에 대한 보단련 제언, 看護職員不足に対する保団連提言, 2018년

2월11일(

https://hodanren.doc-net.or.jp/news/teigen/180214_teigen_kango.pdf)

간호사등 면허보유자의 신고사이트,토도케룬(とどけるん)

(https://todokerun.nurse-center.net/todokerun/)

일본간호협회, 너스센터(Nurse Center),(https://www.nurse.or.jp/nursing/nc/gaiyo/index.html)

후생노동성, 간호직원의 확보책 관계자료, 제6회 간호직원 수급분과회, 2019년1월31일(

https://www.mhlw.go.jp/content/10801000/000475692.pdf)

후지츠 간호 근무관리 시스템

(https://www.fujitsu.com/jp/solutions/industry/healthcare/products/hope-nuplus/)

State Operations Manual Appendix A - Survey Protocol, Regulations and Interpretive

Guidelines for Hospitals. Rev. 183, 10-12-18

California State. Title 22 California Code of Regulations Division 5. 2019.6.

https://leginfo.legislature.ca.gov/faces/codes_displaySection.xhtml?sectionNum=1276.4.&law

Code=HSC

https://leginfo.legislature.ca.gov/faces/codesTOCSelected.xhtml?tocCode=HSC&tocTitle=+

Health+and+Safety+Code+-+HSC

https://www.magruderhospital.com/nursing-staffing-plan

https://www.nursingworld.org/~4af4f2/globalassets/docs/ana/ethics/principles-of-nurse--s

Page 10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참고문헌

www.hira.or.kr 91

taffing--2nd-edition.pdf

https://www.vanwerthospital.org/patients/resources/nurse-staffing-plan

https://patientcarelink.org/2018-plans/

https://govt.westlaw.com/calregs/Browse/Home/California/CaliforniaCodeofRegulations?guid=

ID7033CA0D4BB11DE8879F88E8B0DAAAE&originationContext=documenttoc&tran

sitionType=Default&contextData=(sc.Default)

https://www.americannursetoday.com/patient-acuity-medical-surgical-unit/

https://www.northbay.org/upload/Patient-Acuity-System-Redesign-Symposium-presentat

ionv_8-11-15_V3.pdf

Page 10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9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부 록

Page 10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93

부록1. 시설표 양식 (시설표 1/4)

( 년 월 일 조사)

*도도부현명 관할 보건소 이름

*시설번호 의료감시원 이름

(1)시설명

(2)설립일 3)지역의료 지원 병원의 승인일(4)위치

(5)전화번호

(6)관리자 이름

(7)병원개설자 교육기관여부

구분

1.후생노동성

2.국립병원조직

3.국립대학법인

4.노동자건강 및 안전기구

5.국립첨단의료연구센터

6.일본(일본지역의료기능진흥기구)

7.기타국립기관

8.도도부현

9.시정촌

10.지방독립행정기관

11적십자사

12.세이세이카이

13.홋카이도사회복지협회

14고세이렌

15.국민건강보험협회

16.건강보험협회및협회

17.공제조합및그연합회

18.국민건강보험협회

19.공익법인

20.의료법인

21.사립학교법

22.사회복지법인

23.의료협동조합

24.회사

25.기타법인

26.개인

(8)–1허가병상수및

하루평균입원

환자 수

형식병 상

수운영중인병상수 하루평균 입원환자 수

일반 (8)-2.

하루평균입원신생아

요양

정신

결핵

(8)-3.

하루평균입원환자수

전 염

(9)병상구분 신고 일 년월일내과 내과(통증클리닉) 위장외과 종양방사선과

호흡기내과 내과(순환기) 대장외과 남성비뇨기과

순환기내과 내과(약물치료) 내시경외과 신경비뇨기과

소화기내과 내과(감염증) 통증클리닉뢰과 소아비뇨기과

중략

통증클리닉내과 담낭외과 노인정신과

Page 10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9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시설표(2/4)

(12) 일일 평

균조제수

입원 외래 계 (13) 하루 평균 외래 환자에

대한 처방전의수

(14) 직원수 직종별 상근 비상근 상근환산 후 상근 합계

1. 의사

2. 치과의사

3. 약사

4. 간호사

5. 준간호사

6. 간호 보조자

7-(1) 관리 영양사

(2) 영양사

8. 진료방사선 기사

9. 물리 치료사

10. 직업 치료사

11. 조산사 유 / 무

12. 진료엑스레이 기사 유 / 무

13. 임상검사 기사 유 / 무

14. 위생검사 기사 유 / 무

15. 임상공학 기사 유 / 무

16. 시각능력훈련사 유 / 무

17. 의지장구사 유 / 무

18. 언어청각사사 유 / 무

19. 정신보건복지사 유 / 무

20. 치과 위생사 유 / 무

21. 치과 기공사 유 / 무

22. 임상 연수의 유 / 무

23. 연수 치과의 유 / 무24. 기타 유 ( ) / 무

Page 10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95

시설표(3/4)

(15)시설개요

시설 실/병상수등1.수술실 유/무 실2.임상검사시설 유/무3.엑스레이장비 유/무4.조제실 유/무5.급식시설 유/무6.분만실 유/무7.신생아입욕시설 유/무8.기능훈련실(단위:평방미터) 유/무 m²9.담화실 유/무10.식당(단위:평방미터) 유/무 m²11.욕실 유/무12.중환자실 유/무 병상13.화학,세균및병리검사실 유/무14.병리해부실 유/무15.연구실 유/무16.강의실 유/무17.도서관 유/무18.의약품정보관리실 유/무19.응급또는환자수송차량 유/무20.멸균유지병실 유/무21.방사선치료실 유/무22.진료용고에너지방사선발생장치 유/무23.진료용입자빔조사장비 유/무24.진료용방사선장치 유/무25.진료용방사선기구 유/무26.진료용방사성동위원소장비진료기구 유/무27.진료용방사성동위원소 유/무28.양전자단층촬영을위한진료용방사성동위원소 유/무29.CT스캔 유/무30.혈관연속촬영장비 유/무31.MRI 유/무32.스프링클러 유/무33.자가발전기 유/무

34. 사이클로트론장비 유/무

35. 멸균소독기 (오토 클레이브등) 유/무

Page 10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9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시설표(4/4)

(16) 업무위탁 업무 업무 유(전부), 유(일부), 무

1. 검체검사

2. 의료기기 등의 멸균소독

3. 환자급식

4. 환자수송

5. 의료기기의 보수 및 점검

6. 의료용 가스공급 설비의 유지점검

7. 침구류 세탁

8. 시설 청소

9. 전염성 폐기물 처리

10. 의료용 방사성 오염물질의 폐기

(17) 건 물 (단위: 평방미터)

건물 구조면적・

부지 면적

구 조 건물 면적 연면적

내 화 구 조

준내화성 구조

기타

토 지 (단위 : 평방미터)

병원 부지 면적

(18) 의료법에근거한 허가상황

허 가 사 항 허가 연월일 번호1. 개설자 이외의 자를 관리자에 선임함을 허가 제 호2. 관리자 겸임 허가 제 호3. 숙직 의사 면제 허가 제 호4. 전속약제사 면제 허가 제 호5. 직원의 표준적용 제외 허가 등(정신, 결핵, 노인, 요양형 병상군)

(정신) 제 호

(결핵) 제 호

(노인) 제 호

(요양) 제 호

6. 의사배치 표준의 특례조치에 대한허가 제 호

Page 10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97

부록2. 양식9: 입원 기본료 등의 시설 기준에 관한 신고서 첨부서류

<번역본>

보험의료기관 이름:

1. 입원 기본료 · 특정 입원료 신고

신고입원기본요금·특정입원료(신고구분)

□ 병동 별 신고 ※ (의료를 제공하고 있지만 의료자원이 적은 지역에 속하는 보험 의료기

관의 경우에 한함)

(□에 해당하는 경우 "✓"를 기입 할 것)

본 신고 병동 수_____※

본 신고 병상 수_____※

□ 입원 기본료 · 특정 입원료의 신고 구분의 변경없음 (□에 해당하는 경우 "✓"를 기입 할

것)

2. 간호 요원의 배치에 관한 가산 신고

(새로 신고 것에 대해서는 "신규신고”, 과거 신고한 적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기신고”란의

□에 "✓"를 기입 할 것.)

Page 11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9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규신고

기신고 항목 이름 신규

신고기신고 항목 이름

□ □ 야간간호 가산 (요양병동 입원기본료의주 13) □ □ 간호보조 가산 (장애인 시설 등 입원

기본료의 주 9)

급성기 간호보조 체제 가산 간호직원 야간 배치 가산

□ □ 25대1 (간호조무사 50% 이상) □ □ 12 대 1 배치 가산 1

□ □ 25대1 (간호조무사 50% 미만) □ □ 12 대 1 배치 가산 2

□ □ 50 대 1 □ □ 16 대 1 배치 가산 1

□ □ 75 대 1 □ □ 16 대 1 배치 가산 2

□ □ 야간 30 대 1 간호 보조 가산

□ □ 야간 50 대 1 □ □ 간호 보조 가산 1

□ □ 야간 100 대 1 □ □ 간호 보조 가산 2

□ □ 간호 배치 가산□ □ 간호 보조 가산 3

□ □ 야간 75 대 1 간호보조 가산

□ □ 간호직원 배치 가산 (지역 포괄케어병동입원료의 주 3) □ □ 간호직원 야간 배치 가산

(정신과 구급 입원료의 주 5)

□ □ 간호조무사 배치 가산(지역 포괄케어병동 입원료의 주 4) □ □ 간호직원 야간 배치 가산

(정신과 구급 · 합병증 입원료의 주 5)

□ □ 간호직원 야간 배치 가산(지역 포괄케어병동 입원료의 주 7) □ □ 치매 야간 대응 가산

(치매 치료 병동 입원료의 주 3)

3. 입원 환자수 및 간호 인력수

① 1 일 평균 입원 환자수 〔A〕 명 (산출기간 년 월 일 ~  년 월 일)

※ 소수점 이하 올림

② 월평균 하루 간호 직원 배치수    명 [C / (일수 × 8)]

※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 버림

(참고) 1일 간호직원 배치 수 (필요 수) :     = [(A / 배치 구분 의 수 ) × 3 ]

※ 소수점 이하 올림     

③ 간호 직원 중에 간호사의 비율     %

[ 월평균 하루 간호 직원 배치 수 중 간호사 수 / 1 일 간호직원 배치 수 ]

④ 평균 재원 일수 일 (산출기간 년 월 일 ~ 년 월 일)

Page 111: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99

※ 소 수점 이하 올림

⑤ 야근 시간 (16 시간) 시 분 ~   시 분

⑥ 월평균 야근 시간수       시간 〔(D-E) / B] ※ 소 수점 2 위 이하 버림

⑦ 월평균 1일 해당 입원료의 시설기준의 최소 필요인원 이상의 간호직원 배치 수   명

※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 버림

<간호직원 배치 가산 ( A308-3 지역 포괄케어 병동 입원료의 주 3)을 신고한 경우 기재>

(참고) 최소 필요수 이상의 간호직원 배치수 ( 필요수 ) :       = [(A / 50 ) × 3]

※ 소수점 이하 올림

⑧ 월평균 하루 간호보조 배치수     명 ※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 버림

<간호보조 가산 ( A106 장애인 시설 등 입원 기본료의 주9), A207-3 급성기 간호보조 체제 가산, A214 간호보조 가산, 간호조무사 배치 가산 ( A308-3 지역포괄케어병동 입원료의 주 4)을 신고한 경우 기재>

(참고) 1일 간호조무사 배치 수 ( 필요 수 ) :      = [(A / 배치 구분의 수) × 3]

※ 소수점 이하 올림

⑨ 월평균 하루 간호조무사 야간 배치 수     명 ※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 버림

<간호보조 가산 ( A106 장애인 시설 등 입원 기본료의 주9 ), A207-3 야간 급성기 간호보조 체제 가산, A214 야간 75 대 1 간호보조 가산을 신고한 경우에 기재>

(참고) 야간 간호조무사 배치 수 ( 필요 수 ) :    = [(A / 배치 구분의 수)]

※ 소수점 이하 올림

⑩ 월평균 1 일당 주로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조무사 배치 수   명

〔F / (일수 × 8)] ※ 소수점 제 3 위 이하 버림

( 참고) 주로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조무사 배치 수 (최대) : = [(A / 200) × 3] 

※ 소수점 제 3 위 이하 버림4. 근무 실적표

Page 112: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0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직종※1

번호병동명

이름고용근무형태※2

간호조무사의업무※3

야근의 유무날짜 별 근무 시간

수 ※6

월총근무시간

(재게) 월평균 야근시간 계산 에포함되지 않은사람의 야근시간 수 ※7 

(해당하나에○) ※4

야근종사자※5

1요일

2요일

3요일 요일

간호사

상근 ·단시간 ·비상근 ·겸임

유 · 무 ·야간전용

상근 ·단시간 ·비상근 ·겸임

유 · 무 ·야간전용

준간호사

상근 ·단시간 ·비상근 ·겸임

유 · 무 ·야간전용

상근 ·단시간 ·비상근 ·겸임

유 · 무 ·야간전용

간호조무사

상근 ·단시간 ·비상근 ·겸임

사무적업무

유 · 무 ·야간전용

상근 ·단시간 ·비상근 ·겸임

사무적업무

유 · 무 ·야간전용

야근 종사 직원 수의 합계 [B] 달 총 근무 시간 (상단과 중간 합계 ) [C]

월 총 야근시간 [D-E] 달 총 야근 시간 ( 중간 합계 ) [D] ※8

(재게) 주로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조무사의 월 총 근무 시간의 합계 [F] ※9

1일 간호직원 배치 수 (필요 수) ※10 [(A / 배치 구분의수※11 )× 3] 월평균 하루 간호직원 배치 수

주로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

조무사 배치 수 (상한)[(A / 200) × 3]

월평균 1 일당 주로사무적인 업무

를 수행하는 간호조무사 배치 수주 1) 1 일 간호직원 배치 수 ≦ 월평균 하루 간호직원 배치 수주 2) 주로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조무사 배치 수 ≧ 월평균 1 일당 주로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조무사 배치 수

Page 113: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101

[급성기 간호보조 체제 가산 · 간호보조 가산 등을 신고하는 경우

간호조무사의 산출방법]

간호조무사 월 총 근무 시간 의 합계 [ G ]

간호조무사로 간주되는 인원의 한달 총 근무시간 의 합계 [ H ] [C] - [1 일 간호직원 배치 수 × 일수 × 8 ]

간호조무사 월 총 야근시간 숫자 [ I ] 간호조무사 (간주 인원 제외) [D]

1 일 간호조무사 배치 수 (필요 수) ※10 〔J 〕 [(A / 배치 구분의 수 ※11 ) × 3]

월평균 하루 간호조무사 배치 수 (간호조무사로 간주되는 인원을 포함) [ G + H / (일수 × 8)]

월평균하루간호조무사배치수(간호조무사로간주되는인원을제외) [ K※12 ] [ G / (일수 × 8)]

야간 간호조무사 배치 수 (필요 수) ※10 A / 배치 구분의 수 ※11

월평균 하루 야간 간호조무사 배치 수 [ I / (일 × 16) ]

간호조무사 (간호조무사로 간주되는 인원 포함) 의 최소 필요 수에 대한

간호조무사 (간호조무사로 간주되는 인원 제외)의 비율 (%)[( K / J ) × 100 ]

[간호직원 배치 가산 (지역포괄케어병동 입원료의 주3)을 신고하는 경우의

간호직원 수의 산출 방법]

1 일 간호직원 배치 수 (필요 수) ※10 [L] ※13 [(A / 13) × 3]

월평균 하루 간호직원 배치 수 [ C / ( 일수 × 8 ) ]

월평균 1 일당 해당 입원료의 시설 기준의 최소 필요 인

원 이상의 간호직원 배치 수[{ C- (L × 일수 × 8)} / (일수 × 8 ) ]

[기재상의 주의]

※ 1.간호사 및 준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별도로 기재한다. 또한, 보건사 및 조산사는 간호

사 란에 기재한다. 간호부장 등 독점적으로 병원 전체의 간호관리에 종사하는 자 및 외래근

무, 수술실 근무, 중앙재료실 근무, 해당 보험의료기관 부속 간호사 양성소 등, 병동 이외에서

만 종사하는 자에 대해서는 기재하지 않음.

※ 2.단시간 근무 정직원 의 경우는 고용 · 근무 형태의 “단시간”에, 병동과 병동 이외 (외래

등) 에 종사하는 경우 또는 병동의 업무와 "전임"의 요건에 관계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경우는,

고용 · 근무 형태의 "겸임”에 ○를 기입 할 것. 

Page 114: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0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3.간호조무사에 대해 총 근무시간 중 원내규정에서 정한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한 시간이

차지하는 비중이50% 이상자는 "사무적인 업무"에 〇를 기입 할 것.

※ 4.야근 전임자는 "야간전용 " 에 ○을 기입한다. 한 달에 야근시간이 급성기 일반입원 기

본료, 7 대1과 10대1 입원기본료를 산정하는 병동에서는 16시간 미만의 사람 ( 단시간 근무

정직원에 대해서는 12시간 미만인 자 ), 급성기 일반 입원기본료, 7대1과 10대1 입원기본료를

산정하는 병동 이외에서는 8시간 미만의 사람은 무에 ○을 기입 할 것. 

※ 5. 야근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사람에 대하여 야근을 포함한 교대제 근무를 하는 사람

(야근 전임자는 포함하지 않음 )은 1을 기입 한다. 그러나 야근시간에 병동과 병동 이외에서

종사하는 경우에는 1개월 간의 야근시간 중에서 병동에서 근무하는 시간을 1개월간 합하여

총 야근시간 (병동과 병동 이외의 근무시간 포함)으로 나누어 얻은 수를 기입한다. 간호직원

과 간호조무사의 근무실적표를 나누어 작성해도 무방하다.

※ 6. 상단은 주간근무시간 , 중간단은 야근시간대에 있어 해당 병동에서 근무하는 시간, 하

단은 야근시간대에 있어 해당 병동 이외에서 근무한 시간을 포함하는 총 야근시간을 각각 기

입한다. 

※ 7.다음의 ①에서 ③에 해당하는 사람의 야근시간을 기입 할 것.

① 야근전임자, ② 급성 일반 입원기본료, 7대1과 10대1 입원기본료를 산정하는 병동에서는

한달 야근 시간이 16시간 미만인 자 ( 단시간 정직원에 대해서는 12시간 미만인 자 ), ③ 급성

기 일반 입원기본료, 7대1 과 10대1 입원 기본료를 산정하는 병동 이외의 병동에서는 한 달

야근시간이 8시간 미만인 자

※ 8. [D]는 해당 병동에서 “월 총 야근시간 " ( 월 총 근무시간수 란 의 중간단) 의 합계이

다. 

※ 9. [F]는 간호조무사의 업무란에서 "사무적인 업무"에 〇를 기입한 간호조무사 만의 "월

총 근무시간" 의 합계이다. 

※ 10. 소수점 이하 반올림한다.

※ 11. "배치 구분의 수"는 해당 신고와 관련되는 입원 기본요금 또는 가산에 있어 구한 간

호 배치 수 (예를 들어 급성 일반입원료1의 경우 "7", 10대1 입원기본료의 경우는 "10", 25대1

급성기 간호보조 체제 가산의 경우 "25", 야간 30대1 급성기 간호보조 체제 가산의 경우 "30")

를 말한다. 

※ 12. 지역포괄케어병동 입원료의 주4에 열거한 간호조무사 배치 가산은 간호조무사로 간

주되는 인원를 제외하고 요건을 충족해야한다.

Page 115: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103

※ 13. 지역포괄케어병동 입원료를 신고 경우에는 13대1의 "13"로 계산하지만, 지역포괄케

어 병동 입원료 주2에 해당하는 신고를 할 경우에 있어서는 15대1의 "15"로 계산한다.

※ 14. 지역 마이그레이션 기능 강화 병동 입원료를 신고한 경우에는 작업 치료사 및 정신

보건 복지사 간호직원 배치 수에 포함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작업 치료사 및 해당 정신

보건 복지사는 근무 실적 표에서 준간호사로 기입 할 것.

※ 15. 특수질환입원 의료 관리료, 특수질환 병동입원료 또는 정신요양 병동입원료를 신고

경우에는 "월평균 일일 간호직원 배치 수"는 "월평균 일일 간호직원 및 간호조무사 배치 수",

"1일 간호직원 배치 수 (필요 수)”는 “1일 간호직원 및 간호조무사 배치 수 (필요 수) "로 대체

한다. 이 경우 간호직원수 및 간호조무사의 합계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신고 시의 주의 사항 ]

1. 의료를 제공하고 있지만 의료자원이 적은 지역에 속하는 보험의료기관에서 간호인력 배

치가 병동마다 다른 경우에 일반병동 입원기본료의 신고는 동일한 간호인력 배치 병동마다

신고 양식을 작성해야 한다.

2. 신고 전에 한 달간의 각 병동의 근무실적표를 첨부할 것.

3. 월평균 야근시간 초과 감산을 산정하는 경우에는 간호직원의 채용 활동 상황 등에 관한

서류를 첨부할 것.

4. 야근시간 특별 입원기본료를 산정하는 경우에는 의료 근무환경 개선지원센터에 문의하

여 상담 상황에 관한 서류 및 간호직원의 채용활동 상황 등에 관한 서류를 첨부할 것. 

5. 야간간호 가산 (A101 요양병동 입원기본료의 주13), A207-4 간호직원 야간배치 가산, 간

호직원 야간배치 가산 (A308-3 지역포괄케어병동 입원료의 주7, A311 정신과 구급입원료의

주5, A311-3 정신과 구급・합병증 입원료의 주5)는, 항시 16대1 (A207-4 간호직원 야간배치

가산은 12대1의 경우도 포함한다) 을 충족해야 하므로 일상의 입원환자 수에 의해 야간의 간

호 배치 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신고 시에는 신고 전에 한 달간의 일일 입원환자 수에 따라

야간 간호직원의 배치상황을 알 수있는 서류를 첨부해야 한다.

Page 116: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0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양식9 원본서식>

Page 117: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105

Page 118: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10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Page 119: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부 록

www.hira.or.kr 107

Page 120: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repository.hira.or.kr/bitstream/2019.oak/2264/2/효율적...1. 간호인력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효율적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신고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발 행 일 : 2019년 12월 발 행 인 : 김 승 택 편 집 인 : 허 윤 정 발 행 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

강원도 원주시 혁신로60 대표전화 : 1644-2000 홈페이지 : www.hira.or.kr

※ 이 보고서는 무단으로 복제나 인용을 할 수 없습니다.

(저작권법 제136조 등 관련법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