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165
1 도시계획제도 개요 - 1 -

Upload: others

Post on 31-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 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1 -

Page 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Ⅰ . 국토 공간계획제도 개관

1 . 건설행정상의 공간계획제도

□ 국토건설종합계획 (국토건설종합계획법 )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할 사업의 입지와 시설규모에 관한 목표

및 지침이 되는 종합적·기본적인 장기계획

○ 전국계획 , 특정지역계획 , 도계획 , 시계획 (도농복합형태의 시 ) , 군계획

등 5종이 있음

□ 수도권정비계획 (수도권정비계획법 )

○ 수도권 (서울 , 인천 , 경기)에 과도하게 집중된 인구 및 산업의 적정배치를

유도하여 수도권의 질서 있는 정비와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장기계획

○ 수도권을 과밀억제권역 , 성장관리권역 , 자연보전권역 등 3개권역으로

구분하여 관리

□ 국토이용관리계획 (국토이용관리법 )

○ 국토의 종합적인 이용·관리에 관한 견지에서 토지를 그 기능과 적성에

따라 가장 적합하게 이용·관리하기 위한 계획

○ 전국을 도시지역 , 준도시지역 , 농림지역 , 준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등 5개 용도지역으로 지정하여 이용·관리

□ 도시계획 (도시계획법 )

○ 국토이용관리법 상 도시지역 (도시계획구역 )의 개발·정비·관리·보전

등의 도시계획 수립 및 집행을 위한 계획

○ 도시지역을 크게 주거지역 , 상업지역 , 공업지역 , 녹지지역 등 4 개용도

지역으로 지정하여 이용·관리

- 3 -

Page 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국토 공간계획체계 및 기본현황 >

국 토 건 설 종 합 계 획 법 지위 : 다른 법령에 의한 건설계획에 우선하며, 그 기본

전국계획 특정지역계획 도 계 획 시 계 획 군 계 획

지위 : 국토이용계획 기타 법령에 의한 토지이용계획 또는 개발계획 등에 우선하며, 그 기본

수 도 권 정 비 계 획 법

과밀 : 서울,인천,의정부,구리,남양주,하남,고양,수원,성남,안양,부천,광명,과천,의왕,군포

성장 : 동두천,안산,오산,평택,파주,남양주,용인,연천,포천,양주,김포,화성,안성,인천,시흥

자연 : 이천,남양주,용인,가평,양평, 여주, 광주, 안성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인구 및 산업

의 과밀 이전

또는 정비

인구 및 산업

의 계획적 유

치, 적정관리

한강수계 수

질 및 녹지등

자연환경보전

2,038㎢

(17.3% )5,929㎢

(50.2% )3,835㎢

(32.5% )

총면적 : 11,802㎢(국토면적의 11.8% )

국 토 이 용 관 리 법 지위 : 다른 법령에 의한 토지이용에 관한 계획의 기본

도 시 지 역 준도시지역 농 림 지 역 준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도시계획에 의한 개발,정비, 관리, 보전

도시지역에 준한 토지

이용과 개발

농림업의 진흥과 산림

보전

농림업 진흥과 산림

보전 + 개발용도

자연경관·수자원·

생태계 등의 보전

14,767㎢ (14.8% ) 1,061㎢ (1.0% ) 51,176㎢ (51.3% ) 25,716㎢ (25.8% ) 7,054㎢ (7 .1% )

육지부 총면적 99,774㎢(100% ), 해면부면적 5,877㎢ 미포함 (도시, 준도시, 자연환경)

도 시 계 획 법 지위 : 도시계획구역안의 도시계획 수립·집행

주 거 지 역 상 업 지 역 공 업 지 역 녹 지 지 역

전 용 : 양호한 주거환경 보호

(7.3㎢ : 0.05% )

중 심 : 도심, 부도심의업무 및 상업기능확충

(21.4㎢ : 0.14% )

전 용 : 주로 중화학 ,공해성 공업 등 수용

(71.6㎢ : 0.47% )

보 전 : 도시의 자연환경,경관, 산림 및 녹지공간보전

(327.5㎢ : 2.13% )일 반 : 일반적 상업및 업무기능 담당

(205.2㎢ : 1.33% )일 반 :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 배치

(478.8㎢ : 3.11% )

일 반 : 편리한 주거환경 보호(1,787.7㎢ : 11.63% )

생 산 : 주로 농업적생산을 위해 개발유보

(729.6㎢ : 4.75% )근 린 : 근린지역의일용품 및 서비스공급

(8.3㎢ : 0.05% ) 준공업 : 경공업 기타공업을 수용하되, 주거상업, 업무기능 보완

(147.9㎢ : 0.96% )

자 연 : 녹지공간 보전을 해하지 않는 범위안에서 제한적 개발(10,440.8㎢ : 67.92% )

준주거 : 주거기능 위주,상업·업무기능 보완

(74.4㎢ : 0.48% )유 통 :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 증진

(3.9㎢ : 0.03% )

1,869.4㎢ (12.16% ) 238.8㎢ (1.55% ) 698.3㎢ (4.54% ) 11,497.9㎢ (74.80% )

※ ' 9 9 . 12현재 도시계획구역 : 5 57개 시읍면 15 ,3 7 2 .9㎢(10 0 %) , 미지정지역 1,0 6 8 .5㎢(6 .9 5 %) 포함

- 4 -

Page 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환경행정상의 공간계획제도

□ 공간계획제도의 특질

○ 2 0 0 1 .6월 현재 환경관계 법률에 의한 주요 공간계획은 10개 법률에서

1 1개의 지역·지구·구역을 설정하고 있음

○ 환경법률에 의한 공간계획제도는 자연환경과 생활환경 보전 및 오염의

치유 등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음

○ 환경보전과 관련하여 지정된 지역·지구·구역 안에서는 지정목적에 저해

되는 토지이용 , 특정시설 설치 등의 행위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음

□ 환경법률에 의한 지역 등의 지정 현황

분 야 근 거 법 률 지역 등의 명칭(지정현황) 관장부서

환경정책

분 야1) 환경정책기본법

① 특별대책지역(4개소)(팔당·대청호, 울산·여천)

생활오수과

대기관리과

자연환경

보전분야

2) 자연환경보전법② 생태계보전지역(11개소)

(지리산,대암산등 100.2㎢)자연정책과

3)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 ③ 조수보호구(740여 개소) 자연생태과

4) 습지보전법④ 습지지역(5개소)

(우포늪,낙동강하구등 45㎢)자연정책과

5) 독도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조치법⑤ 특정도서(47개소) 자연정책과

6) 자연공원법⑥ 자연공원(73개소)

(국립 20, 도립 22, 군립 31)자연공원과

7) 토양환경보전법 ⑦ 토양보전대책지역(없음) 토양보전과

수질환경

보전분야

8) 수질환경보전법

⑧ 배출시설설치허가제한지역(팔당,대청,물금,임진강 4개소)

산업폐수과

⑨ 호소수질보전구역(없음) 수질정책과

9)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⑩ 수변구역(3개소, 255㎢)

(북한강,남한강,경안천)수질정책과

상하수도

분 야10) 수 도 법

⑪ 상수원보호구역(386개소 1,253㎢)

수도관리과

※ 국토이용관리법상 공원과 상수원보호구역은 자연환경보전지역안에서 지정토록 규정

- 5 -

Page 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Ⅱ . 도시계획의 목적 및 기본이념

1 . 목적 및 기본이념

□ 도시계획의 목적 (법 제 1조 )

○ 공공의 안녕 질서 보장 , 공공복리 증진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

□ 도시계획의 기본이념 (법 제2조 )

○ 주거기능·상업기능·공업기능 등이 조화를 이루고 , 주민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을 수립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은 도시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

하게 발전되도록 함께 노력

⇒ 도시계획/ 환경 통합 ⇒ 환경적 건전성/ 지속가능성 확보 ⇒ 삶의 질 향상

<용어 개념 > 친환경적 도시계획수립방안 연구보고서 (2 0 0 0 . 12 , 환경부)

① 지속 가능한 개발 (ESSD : Environmentally Sound & Sust ainable Development )

미래세대가 그들 스스로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 86 세계환경 및 개발위원회

(W CED)의 Our Common Future 보고서] : 가장 널리 인용

생태계의 환경용량 범위내에서 인간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개발('91년 Carring

for the Earth )

② 지속가능성

정치·경제·사회·문화·환경 등 모든 분야의 지탱 가능한 발전을 의미하는

다양한 차원을 지니고 있으며

생태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집약되고 있음

③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한계용량(생태계가 생태계 내 생명체의 생산성과 적응성 및 재생산 능력을

유지하면서 건강한 생명체를 지탱할 수 있는 용량)내에서의 개발

- 6 -

Page 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주요 용어정의 (법 제3조 )

□ 도시기본계획 :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도시계획수립의 지침이 되는 계획

□ 광역도시계획 : 법 제 1 1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 ( 2이상의 특별시·

광역시·시 또는 군의 관할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된 광역도시권의 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

□ 도시계획 : 도시의 개발·정비·관리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

이용·교통·환경·안전·산업·정보통신·보건·후생·안보·문화 등에

관한 다음의 계획

○ 도시계획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 지역·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 개발제한구역·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 도시기반시설의 설치·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

○ 도시개발사업 또는 재개발사업에 관한 계획

○ 지구단위계획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과 지구단위계획

□ 지구단위계획 : 도시계획구역의 일부에 대하여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도시의 기능·미관을 증진시키며 양호한 환경의 확보를 위해 수립하는

도시계획 (종전 도시계획법의 상세계획제도와 건축법의 도시설계제도 통합 )

□ 도시기반시설 : 도시계획으로 결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다음 각목의

시설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 (대통령령에서 시설세분 )

○ 도로·철도·항만·공항·주차장 등 교통시설

○ 광장·공원·녹지 등 도시공간시설

○ 유통업무설비 , 수도·전기·가스공급설비 , 공동구 등 유통·공급시설

○ 하수도·화장장·폐기물처리시설·수질오염방지시설 등 보건위생시설

- 7 -

Page 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도시계획시설 : 도시기반시설 중 법 제2 4조의 규정에 의하여 도시계획

으로 결정된 시설

□ 광역시설 : 도시기반시설 중 광역적인 정비체계가 필요한 다음 각목의

시설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 (대통령령에서 시설의 종류 열거 )

○ 2이상의 특별시·광역시·시 또는 군의 관할구역에 걸치는 시설(도로 , 철도 ,

운하 , 녹지 , 수도 , 전기공급설비 , 하천 , 하수관거 등 )

○ 2이상의 특별시·광역시·시 또는 군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시설(항만 , 공항 ,

공원 , 운동장 , 하수종말처리장 , 폐기물처리시설 등 )

□ 공공시설 : 도로·공원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공공용시설 (철도 , 항만 ,

공항 , 녹지 , 공공공지 , 수도 , 하천 , 하수도 등 2 2종 )

Ⅲ . 도시계획의 종류 및 내용

1 . 도시계획의 종류

□ 도시계획은 계획의 성격(정책적 , 집행적) , 계획의 범위(공간 , 기간 , 내용)에

따라 크게 4종류 (단계)로 구분

○ 광역도시계획 → 도시기본계획 → 도시 (재정비 )계획 → 지구단위계획

※ 일반적으로 이들 계획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도시계획이라 칭하기도 하나, 이는

도시계획법상의 도시계획에 대한 용어 정의와는 구별됨

□ 각급 도시계획은 서로 상하의 위계 (h i e r a r c h y )관계를 맺고 있음

○ 상위의 계획은 하위 계획의 지침이 되고 , 하위의 계획은 상위 계획에

저촉되어서는 아니 됨

○ 상위계획은 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정책계획 , 하위계획은 토지이용·

건축 등 국민에게 직접적 구속력이 발생되는 물적 중심의 집행계획임

- 8 -

Page 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도시계획의 성격 및 내용

구분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계획 지구단위계획

계획

성격

20년단위 공간구

조와 광역시설등

중심의 정책계획

광역도시권의 장기

발전방향 제시

20년단위 물적·

비물적·종합적인

정책계획

당해 도시의 장기

발전방향 제시

10년단위 중기적

물적 계획

장기 발전방향을

구체화하고 실현

(시민 등 구속)

도시계획을 구체

화하는 물적 계획

도시 기능과 미관

증진, 양호한 환경

확보 등을 목적

계획

구역

광역도시권

※인접한 2이상의 시

또는 군으로 지정

시의 행정구역

※군은 건교부장관과

협의하여 수립가능

도시계획구역

※시, 읍 등 법제30조에

의해 지정된 구역

지구단위계획구역

※도시계획구역중 일부

지역

계획

내용

계획목표와 전략

현황 및 특성

공간구조 개편구상

부문별계획

- 광역토지이용

- 여가공간 및 녹지

- 환경보전, 방재

- 광역교통

- 광역공급 이용시설

GB조정계획

집행 및 관리계획

* 계획수립지침 중심

목표와 지표설정

공간구조 설정

생활권, 인구배분

부문별 계획

- 토지이용

- 교통·물류

- 공공시설

- 산업개발

- 주거환경

- 환경보전

- 경관 및 미관

- 여가, 공원녹지 등

* 계획수립지침 중심

종합(재정비)계획

- 용도지역·지구

- 도시기반시설

- 도시개발계획

- 도시경관 등 종합

부분적 계획

- 필요 부문계획

※도시계획안 구성

- 도시계획안

- 계획도서

- 계획설명서(환경성

검토결과 등)

* 계획수립지침 중심

지역·지구 세분

도 시 기 반 시 설 의

배치와 규모

건축물 등의 용도제한, 건축물의 건폐율·용적률 등

건축물의 배치·

형태·색채·건축선

경관, 교통처리

생물서식공간보호,물과 공기순환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등

* 법령내용 중심

수립

입안

권자

도지사(같은 도)시·도지사 공동

건 교 부 장 관 과

시·도지사 공동

건교부장관

시장·군수 시장·군수

도지사(광역계획)

건교부장관 (국가

계획)

시장·군수

승인결정권자

건교부장관 건교부장관 시·도지사

건교부장관 (국가

계획, GB 등)

시·도지사

- 9 -

Page 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Ⅳ . 도시계획수립 절차

1 . 광역도시계획수립 절차

□ 수립권자 : 도지사(같은 도) , 시·도지사 공동(2이상 시도에 걸치는 경우)

시·도지사와 건교부장관 공동 (시도 요청 시 또는 필요시)

건교부장관 (국가계획관련 또는 시도의 승인신청이 없는 경우)

□ 대상지역 : 광역도시권으로 지정된 구역

<광역도시권 지정 및 광역도시계획 수립 절차>

광역도시권지정안 작성(건교부, 시도, 시군)

⇔시도, 시군

의견 청취

법11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건교부)

법11조

광역도시권 지정·통보(건교부 → 시도, 시군)

법11조

광역도시계획수립 기초조사(수립권자)

법14조

관계 중앙

행정기관협의⇔

광역도시계획안 작성(수립권자)

⇔공청회,지자체 및

지방의회 의견청취

법16조 법14조, 법15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건교부)

법16조

광역도시계획수립·승인, 송부(건교부 → 중앙행정기관, 시도)

법16조

광역도시계획 공고·공람(시도 : 공보 게재)

법16조

- 10 -

Page 1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도시기본계획수립 절차

□ 수립권자 : 시장 (특별·광역시장 포함) , 군수

□ 대상지역 : 시의 관할구역 (경기도 외의 시로서 인구 10만명 이하인 시와

광역도시계획이 수립된 시는 수립하지 않을 수 있음)

군의 관할구역[군수가 건교부장관(도지사 위임)과 협의한 경우]

< 도시기본계획 수립 절차 >

도시기본계획수립 기초조사

(시·군)법8조

시 군 구 도시

계획위원회 자문⇔

도시기본계획안 작성

(시·군)⇔

공청회 개최 및

지방의회 의견청취

법85조, 법86조 법9조

지방(시도)도시계획위원회 자문

(시·도)

법85조

법86조

관계 중앙

행정기관협의⇔

도시기본계획안 승인신청(시군구→시도→건교부)

법10조

법10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건교부)

법10조

도시기본계획안 승인·통보(건교부 → 중앙행정기관, 시군)

법10조

도시기본계획 공고·공람

(시·군 : 공보 게재)법10조

타당성여부 검토·반영(매5년)(시·군)

법10조

- 11 -

Page 1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도시계획의 입안 결정 절차

□ 입안권자 : 시장 (특별·광역시장 포함)·군수 , 도지사 , 건교부장관

□ 대상지역 : 도시계획구역

< 도시계획 입안·결정 절차 >

도시계획입안 기초조사(입안권자)

법21조

관계 행정

기관 협의⇔

도시계획안 작성(입안권자)

⇔주민 및 지방의회

의견 청취

법24조 법22조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입안 및 결정기관)

법24조

도시계획 결정·고시/공람(결정권자/시장·군수)

법24조 관보 게재

도시계획 지형도면 작성(입안권자)

법26조

지형도면 승인·고시·송부(결정권자)

법26조 관보 게재

도시계획 지형도면 일반공람(시장·군수)

법26조

타당성여부 재검토·정비(매5년)(시장·군수)

법28조

<비고> 도시계획은 광역도시계획 또는 도시기본계획과 동시에 입안할 수 있음(법 제29조)

관계행정기관 협의 : 건교부가 입안·결정하는 사항은 관계중앙행정기관과, 시·도

또는 시·군이 입안·결정하는 사항은 관할 지방환경관리청 등과 협의

- 12 -

Page 1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지구단위계획의 입안 결정 절차

□ 수립권자 : 시장 (특별·광역시장 포함)·군수 , 도지사 , 건교부장관

□ 대상지역 : 도시계획구역으로서 법 제4 2조 및 시행령 제4 0조에 규정

○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지구 (경관지구 , 미관지구 , 고도지구 , 방화지구 , 보존

지구 , 시설보호지구 , 취락지구 , 개발촉진지구 , 아파트지구 , 위락지구 등 )

○ 도시개발구역 , 재개발구역 , 대지조성사업구역 , 택지개발예정구역 , 주거환경

개선지구 , 산업단지 , 관광특구

○ 개발제한구역·시가화조정구역·녹지지역 또는 공원에서 해제 지역 , 도시

계획구역 편입 구역 중 계획적 개발 또는 관리가 필요한 지역 등

<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절차 >

지구단위계획구역지정 기초조사

(시장·군수)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안 작성

(시장·군수)⇔

주민의견 청취

시군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관계 행정

기관 협의⇔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입안(시장·군수)

지방환경관리청등

시·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시·도지사)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고시

(시·도지사)

일반 공람

(시장·군수)

- 13 -

Page 1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지구단위계획 입안 결정 절차 >

지구단위계획입안 기초조사(시장·군수)

지구단위계획안 작성(시장·군수)

⇔주민의견 청취

시군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관계 행정

기관 협의⇔

지구단위계획 입안

(시장·군수)

지방환경관리청등

시·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시·도지사)

⇔시도 건축위원회

의견 청취

※ 건축관련사항

지구단위계획 결정 및 고시

(시·도지사)

지구단위계획 일반공람(시장·군수)

<비 고> 법 제43조제1항 제4호 또는 제5호의 사항이 포함된 지구단위계획을 결정

하고자 하는 때에는 시·도 건축위원회의 의견을 들어야 함

제4호 : 건축물 등의 용도제한, 건폐율·용적률 및 높이(최고 최저한도)

제5호 : 건축물의 배치·형태·색채와 건축선에 관한 계획

※ 지구단위계획의 특성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계획구역의 일부에 대한 토지이용, 건축, 도시기반시설의

설치·정비 등 기 개발 또는 개발이 예정된 지역의 물적 종합계획 성격

지구단위계획은 기존시가지 정비, 기존시가지 관리, 기존시가지 보존, 신시가지

개발, 복합적 개발 등 다양한 형태로 계획될 수 있음

- 14 -

Page 1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 2 장 환경성검토 협의 제도

- 15 -

Page 1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Ⅰ . 환경성검토 제도 개요

1 . 제도의 의의

□ 인구 , 산업·교육시설 등의 대부분이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 주거·

생산·여가 등 사람의 일상적인 활동은 주로 도시지역에서 이루어짐

□ 환경문제는 사람의 제반 활동을 담는 토지 이용에서부터 비롯되고 , 토지

이용계획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계획이 도시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도시계획에 대한 환경적 건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함

□ 환경성 검토제도는 각급 도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환경적 건전성을 확보

토록 함으로써 도시계획이 지향하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의의가 있음

2 . 환경성검토 협의 근거

□ 환경성검토 협의의 법적 근거

○ 광역도시계획 및 도시기본계획 협의 : 도시계획법 제 16조 및 제 10조

- 계획내용의 환경적 건전성 , 환경계획의 적정성 등 검토·협의

○ 도시계획 (지구단위계획 포함) 협의 : 도시계획법 제 19조 및 제2 4조

- 환경성 검토의 적정성 , 계획내용의 환경적 건전성 등 검토협의

※ 환경성 검토결과는 도시계획에 대하여 첨부토록 규정(도시계획법 제19조)

□ 환경정책기본법령상의 환경성검토 협의와의 관계

○ 환경정책기본법령상의 환경성 검토에 관한 규정은 행정계획 및 개발사업

전반에 대한 환경성 검토 협의의 일반법적 성격

○ 각급 도시계획에 대한 환경성 고려 및 환경성 검토에 관하여는 도시계획

법에서 직접 규정하고 있어 이에 따름 (환경정책기본법령에 미반영 )

- 각급 도시계획수립시의 환경성 고려사항 , 환경성 검토의 내용·방법·절차

등은 각급 도시계획의 수립지침에서 구체화

- 17 -

Page 1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Ⅱ . 사전 협의대상 도시계획

1 . 사전협의대상 도시계획의 종류

□ 장기적 정책방향 제시계획 : 광역도시계획 , 도시기본계획

□ 중기적 물적 중심 집행계획 : 도시계획 , 지구단위계획 . 다만 , 도시계획법

제2 4 조 제5항에 의한 경미한 변경은 협의하지 않고 변경할 수 있음

○ 단위 도시계획시설부지면적의 1/ 2 0 미만인 시설부지 변경

○ 지형사정으로 인한 도시계획시설의 근소한 위치변경

○ 지구단위계획 중 가구면적 또는 획지 면적의 10 / 10 0 이내의 변경 등

2 . 사전협의 구비서류 , 협의기관 등

구 분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계획 지구단위계획

수립(입안)기관

도지사(같은 도)

시도지사(공동)

건 교 부 장 관 과

시도지사(공동)

시장·군수 시장·군수

시도지사 (광역

계획관련)

건교부장관(국가

계획관련)

시장·군수

승인(결정)기관

(협의요청기관)

건교부장관 건교부장관

도지사 (경기도

외의 군지역)

시·도지사

건교부장관(국가

계획, GB 등)

시·도지사

협 의 기 관

(환경관서의 경우)

환경부장관 환경부장관 지방환경관리

청장(시도결정)

환경부장관 (건

교부결정)

지방환경관리청

장(시도결정)

협 의 기 간 30일(법16조) 30일(법10조) 30일(법24조) 30일(법24조)

협 의 서 류

계획안(도서) 계획안(도서) 계획안(도서)

설명서 (환경성

검토결과 등)

계획안(도서)

설명서(환경성

검토결과 등)

<비고> 건교부장관의 승인·결정 사항은 환경부장관과, 시·도지사의 승인·결정사항은

지방환경관리청장과 각각 협의(도시계획법시행령 제89조 참조)

- 18 -

Page 1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Ⅲ . 도시계획의 환경성 확보 체계

1 . 환경성 확보의 기본 틀

□ 계획수립기관 : 각급 도시계획수립 시 환경성 고려

□ 협의·승인기관 : 수립된 계획안에 대한 환경성 검토·보충

자 문 기 구

의견수렴

계획수립기관

의견수렴

이해관계인

지방의회

지방도시계획위등

지방자치단체

건설교통부

일반시민

민간단체 등

지침제공 승인신청 계획승인

협 의 기 관

계획협의

계획승인기관

계획심의

심 의 기 구

환 경 부

지방환경관리청등

건설교통부

시·도

중앙도시계획위

지방도시계획위

2 . 계획수립 과정상의 환경성 고려 (계획수립기관 )

□ 도시계획 체계상 상위의 장기 정책방향 제시 계획인 광역 및 도시기본

계획에 대하여는 계획수립 시에 환경적 요소를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

○ 환경적 고려요소 등은 광역 및 기본계획수립지침에 반영

□ 집행적 성격의 계획인 도시계획 (지구단위계획 포함 )에 대하여는 계획의

입안 시 환경성 검토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계획에 반영

○ 환경성 검토의 절차·방법 등에 대하여는 도시계획수립지침에 반영

3 . 협의 승인 과정상의 환경성 검토·보충 (협의 및 승인기관 )

□ 계획수립기관이 수립한 각급 도시계획에 대한 환경적 건전성 , 관련 정책과

조화여부 등 종합검토

□ 계획안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보충하여 계획의 환경적 건전성을 확보

- 19 -

Page 1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도시계획절차와 환경성 확보 체계 >

환경성 확인

보충 과정

계획 수립 및

환경성 고려 과정

계획수립 시

환경성 고려 수단

기 초 조 사

(계획수립권자)

인구·교통·환경·토지이용

등의 현황과 추세

관련계획, 기타 필요사항등

법령, 각급 도시계획수립지침

관계 중앙

행정기관협의

광역도시계획수립

(계획수립권자)

환경적 요소 고려

환경계획 포함

법 제16조 법령, 광역도시계획수립지침

관계 중앙

행정기관협의

도시기본계획수립

(시장·군수)

환경적 요소 고려

환경계획 포함

법 제10조 법령,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관 계 행 정

기 관 협 의

도시계획입안·결정

(입안권자)

환경성검토실시, 계획보완

※ 환경성검토결과 첨부

법 제24조법령, 도시계획수립지침

법령,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관 계 행 정

기 관 협 의

도시계획시설사업

단계별 집행계획수립

(입안권자)

법 제58조

시행령 제68조 환경영향평가실시·협의

실시계획인가

(시·도지사)

※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시행령 별표1)

사 업 시 행

(사업자)

환경성검토 및 환경영향평가

협의의견 반영·이행

- 20 -

Page 1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3장 환경성검토 협의 절차 및 방법

- 2 1 -

Page 2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Ⅰ . 환경성검토 협의 목표와 전략

1 . 기본목표와 전략

기 본 목 표

◆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수립 유도 및 지원

◆ 환경피해 사전예방 및 환경 질 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도모

< 핵 심 전 략 >

○ 사람과 생물의 공생기반 구축 ⇒ 공원·녹지 확충 및 생태 네트워크 화

○ 지속 가능한 도시구조 형성 ⇒ 자원의 절약과 순환이용 시스템 구축

○ 환경피해 사전 예방기능 강화 ⇒ 상충되는 토지이용기능의 공간적 분리

2 . 전략의 추진방향

사람과 생물의 공생기반 구축 : 공원·녹지 확충 및 생태 네트워크 화

○ 자연생태계 특성 (다양성·자립성·안정성 및 순환성)과 물질 순환체계의

유지·보전

- 자연 지형·산림·하천·호소·연안·습지 등의 자연생태계 및 바람과

물의 순환체계를 최대한 유지·보전

-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과 보전 축을 우선적으로 선별·구축한 후 개발

가능지를 찾아 토지이용계획 등의 개발관련 계획을 수립토록 유도

- 토지이용계획 , 주요 도시계획시설 배치계획 등 공간계획수립 시 자연

생태계·물질 순환체계 및 자연경관과 조화 도모

- 23 -

Page 2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부족한 공원·녹지를 확충하고 자연생태 요소와 인공적 공원·녹지를

연결하여 생물서식공간의 확대 및 어메니티와 삶의 질 증진을 도모

- 생태자연도 2등급 이상지역 , 녹지자연도 7등급 이상지역 , 녹지 축 ,

주거환경침해 예상지역 등은 녹지를 적극 보전

- 주민 이용편의 , 환경 위해 요인의 공간상 차단 , 도시경관 등을 고려하여

적정규모의 공원 (특히 , 근린공원 )과 녹지가 적소에 배치되도록 유도

- 기존 공원·녹지 축을 보전하고 부족한 공원·녹지를 확충하여 , 도시

내외 간의 공원·녹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생태 네트워크를 구축

지속 가능한 도시구조 형성 : 자원의 절약과 순환이용 시스템 구축

○ 토지자원 및 에너지 절약형 토지이용계획수립 도모

- 계획인구·토지이용·상하수도·에너지공급 등 자원소모를 수반하는

수요·공급지표의 합리적인 설정 유도 (과다계획 제한 )

- 주거환경을 고려한 職·住 근접배치 , 자족기능 확보 , 대중적·친환경적

교통수단 확충 등을 통한 자원과 에너지 절약 도모

○ 자원의 순환이용 시스템 구축

- 개발밀도의 탄력성 확보 (중심지 고밀이용 , 외연부 저밀이용 ) , 열병합

발전시설 도입 , 하폐수·폐기물·폐열 등 폐 자원의 순환이용 유도

- 하수처리장의 유역별 배치 , 포장의 최소화와 투수성재료 활용 , 물순환

체계 유지·보전 , 하천복개 억제 등

환경피해의 사전 예방기능 강화 : 상충되는 토지이용기능의 공간적 분리

○ 용도지역간 기능상충 , 특정시설로 인한 주거환경피해 , 상수원오염 등의

부정적 영향요소는 토지이용계획 등의 관련계획에서 적극 조정

○ 개발해도 좋은 지역은 환경 친화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개발토록 하고 ,

훼손·오염된 환경의 치유방안 강구

- 24 -

Page 2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Ⅱ . 환경성검토 협의 절차

1 . 환경성검토 체계

환 류 ①제도 및 계획의 이해 환 류

도시계획법령, 도시계획

수립관련 지침

계획내용,성격,특성 등

②거시적, 전반적 검토 관계전문가 자문 ③미시적, 부문적 검토

계획목표, 지표

계획간의 정합성 등

도시계획 전문가

환경관계 전문가 등

부문별계획의 적정성

환경성검토 적정성 등

④환경성 종합검토

환 류계획목표,지표 적정성

계획간의 정합성

계획의 환경적 건전성

환 류

과 정 주 요 검 토 사 항

제도 및

계획의 이해

계획내용과 성격, 관련 법령 및 지침, 계획절차, 상하위계획과

관계 등 계획관련 제도의 이해

계획내용, 계획입지의 환경적 특성, 기왕의 행정처분내용, 관련

정책 등의 내용파악 및 관련자료 수집

거시적·

전반적 검토

계획의 목표·미래상·전략 등 계획의 골격에 ESSD 관련사항

포함여부(예 : 생태도시, 친환경 도시 등)

계획내용의 구현방안 유무와 적정성(부문별 계획과 연계) 등

미시적·

부문별 검토

인구, 토지이용, 공원·녹지, 환경 등 부문별 계획의 적정성

관계법령·고시 등에 의한 입지제한사항 저촉여부, 환경성 검토

실시(도시계획)의 적정성 등

환경성

종합검토

과정별 검토결과,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검토결과의 환류 및 종합 조정

- 25 -

Page 2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환경성검토 협의 절차

□ 일반적 절차

① 계획 (안 )접수 및 예비검토 ② 검토기관 결정 및 검토의뢰

③ 검토의견 취합 등 종합검토 ④ 협의의견 결정 및 통보

□ 단계별 검토 조치사항

과 정 주 요 검 토 및 조 치 사 항

예비검토

협의요청 계획(안)이 접수되면 환경성검토 협의절차 진행을 위한

예비검토 및 관련자료 수집

- 계획 성격과 내용, 환경적 특성, 협의요청시기 및 구비서류의

적정성 등 검토

- 계획내용 불명확, 구비서류 미비, 환경성검토 부실 등으로 협의가

어려운 경우 관련자료 보완·재작성 등 필요한 조치

협의요청시기가 부적절한 경우(사업시행 등) 실익을 고려하여

협의·반려 등 조치(사후 협의의 경우 실효성 확보 조치)

검토기관결정

및 검토의뢰

예비검토결과, 검토관련 자료준비의 현실적 여건, 검토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검토기관, 적임자 등을 결정하여 검토의뢰

- 내부검토, 전문가 서면검토, 자문회의 등의 방법 활용

검토 의뢰시 의견제시방법과 의견제출기한을 분명히 명시

- 의견제시방법은 가능한 한 계획안 내용 및 관련 페이지, 검토

의견, 이유 및 대안 등의 순으로 정리토록 함

- 의견제출기한은 검토기간, 협의기한 등을 감안하여 결정

종합검토 계획(안) 검토결과, 검토기관 검토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협의 의견

결정 및 통보

종합검토결과에 따라 의견을 종합정리하고 의견간의 충돌여부,

논리적 모순 등을 확인하여 종합 조정

협의요청기관 등에 협의의견 통보

- 26 -

Page 2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Ⅲ . 환경성검토 방법

1 . 접근방법

□ 각급 도시계획은 신규로 수립하는 경우도 있으나 , 대부분이 이미 수립된

계획을 수정·보완하는 연속적 과정인 바 , 부문적·개별적 계획에 대한

환경성을 검토하고 이를 종합화한다는 시각에서 접근 (단순화 → 종합화 )

□ 환경성검토 시에는 도시계획수립 관련 지침 , 환경행정 수행 관련 지침 ,

관련 문헌 및 정보 등을 적극 활용토록 하고 , 사전환경성검토 업무편람

( 2 0 0 0 .8월 발간·배포 ) 등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

2 . 환경성검토 일반원칙

□ 도시계획법령과 각급 계획수립지침에 제시된 환경적 고려요소 등이 계획에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 도시계획에 대하여는 도시계획수립지침에 의한

환경성검토 및 환류가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중점 검토

□ 도시계획과 환경보전의 양 측면 , 기정 계획내용 등을 고려하여 검토

하되 계획의 성격·특성·한계 (조사·예측의 불확실성 , 전문성·과학성 ,

표현방식 , 시간과 비용 등 ) , 관련 제도와 여건변화 등을 감안

□ 환경성 확보방안은 토지이용계획 , 도시계획시설계획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획의 합리화 (입지·규모 등의 적정성 확보)차원에서 우선

접근하고 , 2차 적으로 친환경적 개발과 오염저감방안을 강구

3 . 중점 검토항목

□ 도시계획은 종류 , 성격 , 범위 (공간·기간·내용적) 등이 다양할 수 있으

므로 이와 같은 특성과 당해 지역의 환경적 여건 등을 파악하여 중점 검토할

사항 (부문 ) , 중점 검토항목 등을 상정하여 검토의 효율성을 확보

□ 중점 검토항목과 검토 착안사항은 다음 표를 참고하되 , 위와 같은 특성과

여건 및 변화요인을 감안하여 가감하는 등 탄력적으로 활용

- 27 -

Page 2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중점 검토항목 및 검토 착안사항 >

검토항목 세부 검토항목 및 검토 착안사항 관련 계획부문

1. 계획수립시기

및 범위의 적

정성

1) 계획수립시기의 적시성

진행중인 상위 또는 관련계획이 있을 시 연계 필요성

계획수립 순서와 절차의 적정성 등

계 획 범 위

2) 계획범위의 적정성

공간적·내용적·기간적 범위설정의 적정성(특히, 보전

목적의 용도지역·지구 편입 문제)

개발관련 계획수립 제한사항 유무(제도적·정책적) 등

계 획 범 위

2. 관련 계획과

부합성

3) 상위 또는 관련 계획과의 부합성

국토계획, 수도권정비계획 등 상위계획 저촉 여부

도시계획체계 안에서의 상위계획 저촉 여부 등

관 련 계 획

4) 당해 계획안에서 부문별 계획내용간의 정합성

계획목표·지표와 부문별 계획간의 부합 여부

계획체계 안의 수직적·수평적 내용 부합 여부 등

계 획 전 반

3. 계획목표의

지속가능성

5) ESSD에 관한 내용 포함여부

도시계획 목적과 기본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지표로서

ESSD에 관한 내용 포함 여부

계 획 목 표

6) ESSD 실현방안 포함여부 및 부문계획과 연계성

실천전략·방안 등에 ESSD 실현수단 포함여부

관련 부문계획과 연계성 확보 여부 등

계 획 목 표

부문별계획

4. 자연생태계와

조화성

7) 생태계가 지니는 다양성·자립성·안정성·순환성의

유지·보전 저해 여부

자연지형과 산림지의 과도한 훼손 가능성

보전가치가 높은 산·하천·호소·연안·습지·양호한

녹지 및 야생동식물 서식지 등 생태계 보전축의 훼손

가능성과 그 정도 등

공간구조구상

생활권설정

토지이용계획

교통계획

공원·녹지계획

환경보전계획

도시계획시설등

8) 사람과 생물의 공존, 도시민의 삶의 질 증진 도모를

위한 계획 여부

생태계보전축의 단절 또는 과도한 훼손 가능성

상 동

- 28 -

Page 2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검토항목 세부 검토항목 및 검토 착안사항 관련 계획부문

(자연생태계와

조화성)

생태축, 연담화방지를 녹지공간 등으로서 단절·훼손된

중요 녹지축의 복원계획 유무

자연적 생태축, 공원·시설녹지·녹도 등의 인공녹지

및 공개공지 등과의 네트워크화 방안

도시공원면적 확보수준 및 배치의 적정성

- 도시계획구역 12㎡/인 이상, 시가화 구역 내 6㎡/ 인이상이 되도록 유도

- 입지, 기능, 접근성, 규모 등의 적정성

완충 및 경관녹지(시설녹지) 계획의 적정성

- 주요 교통시설의 연변, 용도지역간의 기능상충지역,경관 보전상 필요지역 등에 적정배치 여부

상 동

5. 도시경관과의

조화성

9) 도시경관 및 자연풍치의 저해 여부

임야, 고지대 등에 고밀·고층 개발을 위한 용도지역

배분 또는 시설배치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는지 여부

산, 물, 스카이라인 등 중요 풍광요소에 대한 조망권

침해 여부 등

토지이용계획

공원·녹지계획

경관계획

도시계획시설등

6. 자원 및 에

너지절약

10) 에너지 절약적인 토지이용계획 여부

교통량의 과다한 발생 가능성

직장과 주거지역의 근접배치(주거환경, 도시 자족기능

고려) 여부

대중교통수단 활성화 방안, 저공해 교통수단(CNG버스,경전철 등)도입·운영계획 등

공간구조구상

생활권설정

토지이용계획

교통계획

산업개발계획등

11) 자원절약 및 순환이용시스템 계획의 도입여부

토지, 물 등 자연자원의 과도한 이용계획 여부

- 계획인구 및 물 공급의 과도한 계획 여부

- 개발용 토지의 과도한 배분 여부 등

토지이용(개발) 밀도의 탄력성 확보 여부

- 중심지·기성시가지 고도이용, 도시 외연부 저밀이용의

일반적 원칙 부합 여부

열 공급의 효율성(열병합발전시설 도입 여부 등)

공간구조구상

생활권설정

인구등 계획지표

에너지계획 등

- 29 -

Page 2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검토항목 세부 검토항목 및 검토 착안사항 관련 계획부문

(자원 및 에너

지절약)

자원의 순환이용 시스템 도입 여부

- 하폐수·폐기물·폐열 등의 순환이용 방안, 산업체간

자원 순환이용방안 등

에너지계획

상하수도계획

환경계획 등

7. 환경피해의

사전예방 및

치유

12) 토지이용계획 및 시설배치계획의 환경적 건전성

용도지역간의 기능상충여부, 교통시설 등 특정시설로

인한 주거환경 등의 침해 가능성

상수원, 수변구역, 생태계보전지역 등 보호대상 시설

또는 지역의 지정목적 저해 가능성

관계법령·고시 등에 의한 입지제한사항 저촉 여부 등

토지이용계획

도시계획시설

상하수도계획등

13) 훼손·오염된 환경의 치유대책 유무와 적정성

녹지체계의 구축 또는 경관보전상 훼손지역의 복원이

필요한 지역의 복원계획

환경오염심화 또는 우려 지역의 치유·예방대책

공원·녹지계획

경관계획

환경계획등

8. 부문별계획의

적정성

14) 부문별계획의 환경적 건전성

현황 조사·분석 및 장래예측, 계획목표 및 추진방향

설정의 적정성

특히, 토지이용을 수반하는 계획의 환경적 건전성

계 획 목 표

부문별계획 등

15) 환경계획의 적정성 및 다른 부문별계획과 연계성

계획의 목표·지표 등 계획골격과 정합성, 관련 부문별

계획과 연계성,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배분 등

계획내용의 충실성(시책계획, 투자사업계획 등)

부문별계획

9. 관련정책과의

부합성

16) 국토·도시관련 정책과의 부합성

국토계획, 수도권정비계획, 도시발전종합대책 등 상위

정책목표·방향과 부합 여부

난 개발방지, 국토이용관리제도 재편 등 국토관리정책

방향과 부합 여부 등

관련정책·시책

17) 환경관련 정책과의 부합성

자연, 대기, 수질, 상하수도, 폐기물 등 분야별 환경

정책과 부합 여부 (사전예방원칙, 생태자연도의 등급별 관리

방향, 저공해자동차 보급, 오염물질 총량관리, 수요관리,

자원절약과 재활용 등)

특별대책지역의 특별대책, 4대강 수질보전종합대책,환경관련 지역·지구 보전정책과 부합 여부 등

관련정책·시책

- 30 -

Page 2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검토항목 세부 검토항목 및 검토 착안사항 관련 계획부문

10.개발제한구역

조정의 적

정성

18) 부분조정권역의 조정계획 적정성(7개 대도시권)

개발제한구역(GB) 제도 개선방안( ' 99.7.22 발표) 및

광역도시계획수립지침에 부합 여부

환경평가결과 1∼5등급 중 3등급에 해당되는 토지 등은

가능한 한 조정(해제)대상에서 제외토록 유도

※ 제도개선방안 요지( '99.7.22 발표)

- 1,2등급지역은 GB 유지

- 3등급지역은 GB 유지 또는 도시계획용지로 활용

- 4,5등급지역은 해제가능지역으로 설정

4, 5등급지역 일지라도 수질보전, 난 개발방지, 녹지 축

형성 등의 필요시 GB를 유지토록 유도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관련

도시지역

19) 전면해제권역 관리방안의 적정성(7개 중소도시권)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 및 관련 계획수립지침과

부합 여부

환경평가결과 1∼5등급 중 3등급에 해당되는 토지는

가능한 한 보전용지로 지정 유도

※ 제도개선방안 요지( '99.7.22 발표)

- 1,2등급지역은 보전·생산녹지, 공원 등의 보전지역

으로 지정

- 3∼5등급지역은 GB의 용도지역인 자연녹지로 지정

하되, 도시발전방향을 감안하여 도시계획 입안

3∼5등급지역이라도 수질보전, 난개발방지, 녹지축 형성

등의 필요시 보전강도가 높은 보전용지로 지정 유도

- 상수원 상류지역, 주요 호소의 상류지역, 공원·녹지

부족지역, 도시간 연담화 예상지역 등

- 특히, 수질 및 식물상 항목이 3등급 이상인 지역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관련

도시지역

20) 해제지역 관리계획 등의 적정성

부분조정권역의 해제 또는 전면해제권역의 관리방안에

대하여는 상기 1)∼19) 목 전체를 고려하여 종합적

으로 검토

해제 가능지역에 대하여는 수요를 고려하여 저층·저

밀의 환경 친화적 계획을 수립한 후 개발토록 유도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관련

도시지역

- 3 1 -

Page 2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중점검토항목 선정 보충자료

구 분 검 토 항 목 광역계획

기본계획

도시계획

지구단위

계획방향·목표·지표

계획방향 및목표에서 환경문제 인식

해당 도시·지구의 환경상황 인식과 해결의지적시 ○ ○ ○ ○

계획목적(목표)에서 환경성 구현항목 포함여부 ○ ○ ○ ○

환경성 구현 목표의 구체성/ 실현가능성 ○ ○ ○

계획전반에서환경성 구현목표의 일관성

환경적 목표와 환경현황 분석간의 논리적일관성 ○ ○ ○ ○

환경적 목표와 기본구상간의 논리적 일관성 ○ ○ ○

환경적 목표와 부문별계획 목표간의 논리적일관성 ○ ○ ○

계 획 지 표 에 서환경적 건전성실현

전체 계획지표에서 환경보전 지표의 비중 ○ ○ ○

부문별 계획에서 환경보전지표 달성을 위한실현방안 제시 ○ ○ ○

기초조사·관련계획분석

환경성모니터링

환 경 기 초 조 사항목의 종합적구비

자연지리, 기상, 동식물상, 생태녹지, 생활환경, 경관 등 영역별 조사항목의 다양성 정도 ○ ○ ○

조 사 항 목 의정밀성

조사·분석 단위의 정밀성 ○ ○ ○

조사·분석 지도의 정밀성 ○ ○ ○

환경분석 요소간의 연관성 환경 종합분석의 실행 ○ ○

주 민 환 경 의 식조사

해결이 시급한 환경문제의 우선순위 파악 ○ ○ ○

주민의식 조사결과의 계획에의 반영 ○ ○ ○

기 초 환 경 정 보시스템화

생태지도(전자지도)의 작성 ○ ○

조사자료의 DB 구축 ○ ○

적 지 분 석 시 의환경성 고려

보전용도의 적지(적합한 용지)분석 실행 ○ ○ ○

부문계획에서 적지(적합한 용지)분석 결과고려 ○ ○ ○ ○

관 련 계 획 의분석

상위계획에서의 환경보전 목표의 수용 ○ ○ ○ ○

환경보전관련 계획과의 위계와 내용적 연계성 ○ ○ ○ ○

전기 계획의환경성 평과결과 모니터링

금번 계획에서 전기 계획상의 미해결 환경과제의 반영 여부 ○ ○

- 32 -

Page 3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구 분 검 토 항 목 광역계획

기본계획

도시계획

지구단위

기본구상·공간구조설정

개발축에 대응한 보전축의설정

개발지역을 감싸거나 관통하는 생태녹지축의존재 ○ ○ ○

네트워크 형태로서 인접한 생태자원들의 연계성 정도 ○ ○ ○

생 태 환 경 권 의구분과 권역별환경보전 구상

수계, 지형, 생태자원 등을 기준으로 한 생태환경권의 구분 ○ ○ ○

생태환경권 단위로 한 환경보전구상 실행 ○ ○ ○

보전축의 권역별균형적 입지

계획구역 전체에 걸쳐 생태환경권역별로 고루배분된 보전축의 입지성 ○ ○

환경계획과 타계획과의 관계

환경부문계획과 타 부문계획들과의 환경적측면에서의 상관성 여부 ○ ○

부문별계획에서환경적 구현목표 및 계획지표 반영

부문별 계획에서 환경적 구현목표 반영 여부(환경적 목표의 구체적인 반영 여부) ○ ○ ○

부문별 계획에서 환경적 구현 계획지표 반영(환경적 계획지표의 구체적인 적용 여부) ○ ○ ○

인간과 자연의공존

생물서식기반이 되는 녹지의 조성(도시면적대비 서식지 면적) ○ ○ ○

환 경 오 염 의최소화

시가화면적 대비 보전지역(생태보전지역, 역사문화재 보전지구 등) 면적 ○ ○

전체 도시교통량중 대중교통 분담율 ○ ○ ○

도시면적당 자전거도로 및 보행자 전용도로면적 비율 ○ ○ ○

물 질 순 환 체 계유지 1인당 천연가스 사용비율(량) ○ ○

전체 투자계획에서 환경부문 비중

상하수도, 공원, 하천 등의 포괄적 환경분야투자비율의 증감 ○ ○ ○

공원녹지, 하천 등 생태환경분야 투자비율증감 ○ ○

환 경 부 문 투 자우선순위 우선순위 결정기준에 환경부문의 포함여부 ○ ○ ○

환 경 부 문 에대한 행정지원계획 수립

환경성 확보를 위한 전체 행정체계의 지원노력 ○ ○ ○

환경부문에 대한 인센티브제도 포함 여부 ○ ○ ○

기업과 시민의자발적 참여유도

환경보전을 위한 주민자치적 참여프로그램존재 여부 ○ ○ ○

지역 환경단체의 역량을 활용한 환경보전프로그램의 제시 ○ ○ ○

환경보전을 위한 기업의 역할 제시 여부 ○ ○ ○

* 출처 : 친환경적 도시계획수립방안 연구(2000.12, 환경부)보고서

- 33 -

Page 3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Ⅳ . 협의의견 작성 및 통보

1 . 협의의견 작성

□ 검토결과의 종합 조정

○ 계획 전반에 대한 검토가 완료되면 부문별 검토결과를 종합하여 협의

방향을 결정하고 , 협의의견간의 내용적 충돌여부 , 누락사항 여부 , 전문가

등이 제출한 타당한 의견의 반영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조정

○ 계획 부문간의 의견상충 또는 검토자 (기관 )간의 의견 대립이 있는 경우

거시적·미래지향적·보전적 측면을 우선하여 조정

□ 협의의견 작성방법

○ 협의요청기관에 통보할 협의의견은 의사전달이 분명하도록 핵심적 내용을

가능한 한 간단·명료하게 작성하되 , 후속의 협의절차가 없는 계획에

대하여는 저감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포함

○ 협의의견은 가능한 한 계획부문별로 구분하여 계획내용 - 협의의견 -

이유 및 대안 (대안이 있는 때) - 참고사항 순으로 작성하되 , 필요한 경우

도면을 활용하거나 종합의견을 작성

○ 하나의 의견이 여러 계획부문과 연계되는 사항인 경우 가능한 한 도시

계획수단과 연계하여 이행될 수 있는 부문에서 의견을 일괄 제시

2 . 협의의견 통보

□ 협의 요청기관에는 회신 요구일자와 법정 협의기간 ( 3 0일 )을 감안하여

가능한 한 회신 요구기한 내에 회신토록 적극 협조하고 , 당해 계획의 승인

또는 결정결과를 보내주도록 요구 (협의업무의 연계성 , 실효성 등 확보 )

□ 당해 계획에 대한 협의의견이 환경영향평가 , 환경성 검토협의 , 관련업무

수행 등과 관련이 있는 경우 협의요청기관에 회신한 의견을 관계행정기관

(부서 )에도 통보하고 , 필요시 관련 도서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협조

- 34 -

Page 3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4 장 계획종류별 환경성검토 방법

- 35 -

Page 3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Ⅰ . 도시기본계획안 검토방법

1 . 계획성격 및 내용

계획성격20년 단위로 당해 도시의 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정책계획

광역도시계획의 하위 계획이며, 도시계획의 지침이 되는 계획

계획내용

(도시기본

계획

수립지침)

1. 계획구역 설정 2. 도시특성과 성격

3. 계획의 목표와 도시지표 설정 4. 도시공간구조의 설정

5. 생활권 설정과 인구배분계획 6. 토지이용계획

7. 교통·물류계획 8. 정보·통신계획

9. 공공시설계획 10. 산업개발계획

11. 주거환경계획(주택) 12. 환경보전계획

13. 경관 및 미관계획 14. 여가 및 공원녹지계획

15. 사회개발계획 16. 도시방재계획

17. 재정계획 18. 기타 필요한 사항

※ 밑줄 친 항목은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부문임

수립권자 시장·군수

승인권자 건교부장관, 시·도지사(경기도 외의 군 지역에 한함 : 위임)

협의권자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2 . 주요 계획내용 검토방법

( 1 ) 공통 사항

□ 주요 검토사항

○ 도시계획법령과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이 요구하는 방향과 수준에 부합

되는지 여부

- 37 -

Page 3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국토종합계획 , 수도권정비계획 , 도시발전종합대책 , GB 제도개선방안 등

국토·도시관련 정책 및 계획과 부합되는지 여부

○ 환경관계법령에 의한 공간계획제도 , 환경관련 정책·시책 및 주요 계획과

부합되는지 여부 등

□ 협의 방향

○ 계획의 내용 , 수준 등이 미흡한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보완·보충토록

유도하되 , 가능한 한 적정한 방안 또는 방향 등의 대안을 제시

○ 계획의 방향 또는 내용 등이 상위 또는 관련 정책·시책·계획 등과 다른

경우 조정토록 유도 (관련 계획간의 연계성·정합성·집행력 확보 )

( 2 ) 계획구역 설정 부문

□ 주요 검토사항

○ 도시기본계획수립 대상구역의 공간적인 범위 설정 (행정구역 전체 또는

부분 )의 적정성

○ 도시 토지관리계획 (도시계획법에 의한 일원화 관리 ,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한 관리를 포함한 2원화 관리 )의 적정성 등

□ 협의 방향

○ 공간적 계획구역 범위는 행정구역 전역을 대상으로 하도록 유도 . 다만 ,

국토환경관리 , 환경정책 추진 등과 관련하여 도시지역으로 편입하는

것이 불리한 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황을 고려

○ 도시 토지관리계획은 도시계획법으로 일원화하여 관리하도록 유도 . 다만 ,

위와 같은 특별한 상황이 있거나 , 지역여건 (자연환경보전지역 , 농림지역 ,

오지 , 험준한 산림지 , 양호한 농경지대 등)상 난 개발 우려가 없는 등의

경우에는 그 여건을 감안

- 38 -

Page 3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참고사항>

난(亂) 개발 온상으로 지목되고 있는 국토이용관리법상의 준농림지역은 도시

지역 안의 녹지지역에 비하여 행위제한이 완화되어 있음

일반적으로, 난 개발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시지역으로 편입하고 녹지

지역으로 용도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함

( 3 ) 계획의 목표와 도시지표 설정 부문

계획의 목표 설정

□ 주요 검토사항

○ 도시계획이 지향하는 E S S D와 관련된 내용의 포함 여부

○ 계획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과 관련 부문별 계획의 유무와 , 목표

- 전략 - 부문별 계획 상호간의 정합성 (整合性 ) 여부

□ 협의 방향

○ 계획 목표는 도시발전의 기본목표와 전략의 대강을 제시하는 것임

○ 계획목표 - 전략 - 부문별 계획에서 E S S D와 관련되는 목표가 설정되지

않았거나 , 상호간의 정합성이 결여된 경우 보강토록 유도

도시지표 설정

□ 주요 검토사항

○ 도시지표에는 목표연도 , 인구 , 도시경제 , 도시환경 등의 지표를 망라

하며 , 도시환경지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되고 있음

- 생활환경 ( 1차적 기본요소) : 주택 , 상하수도 , 에너지 , 교통 , 정보통신 ,

환경 (대기질·수질·폐기물처리 등 ) 등

- 복지환경 ( 2차적 필요요소) : 의료시설 , 교육문화시설 , 사회복지시설 등

- 39 -

Page 3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여가환경 ( 3차적 선택요소) : 운동시설 , 공원 , 녹지 , 유원지 등

○ 주요 지표를 과다 또는 과소하게 설정하지 않았는지 중점적으로 검토

하되 , 상위 또는 관련 계획이 존재하는 경우 이와도 비교 검토함

□ 협의 방향

○ 인구지표 (계획인구 )

- 인구는 토지이용 , 도시계획시설 , 상하수도 , 에너지 , 공공시설 등 모든

부문별 계획수립의 기초가 되는 가장 중요한 지표임

-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계획은 인구지표 설정으로부터 출발하며 예측의

불확실성 , 계획의 불 완전성 , 수요공급의 안정성 등에 대응하거나 , 도시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 인구지표를 과다하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음

- 그러나 과도한 계획인구는 토지이용을 비롯한 제반 물적 계획이 과대해

지는 난 (亂 ) 계획으로 이어져 자원낭비 , 불필요한 수요유발 , 환경훼손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음

- 따라서 계획인구는 과거 성장추세 ( 1 0년 내외 ) , 장래 증가요인 , 상위

계획 지표 , 지역 환경여건 , 제도상·정책상의 제한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과도한 경우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토록 함과

아울러 , 인구조정과 관련되는 지표와 계획도 수정토록 협의

※ 일반적으로 인구의 자연적 증가는 출생·사망, 사회적 증가는 산업단지·

택지 등의 도시개발사업 및 전입·전출에 의한 증가를 의미

○ 인구지표 외의 주요 지표

- 토지 , 상하수도 , 에너지 등 자원 소모관련 지표는 자원 절약과 순환이용

측면을 감안하여 수요관리에 비중을 두도록 유도 (지속적인 공급증대로

계획된 경우 일정 수준의 시점 이후는 하향 조정 유도 )

- 공원·녹지 지표는 도시공원법상의 기준 (최소 기준 )을 충족해야 함은

물론 상위계획의 지표 , 도시환경여건 , 공원·녹지의 기능 등을 감안하여

가능한 한 높게 설정되도록 유도

- 40 -

Page 3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참고사항>

제4차 국토종합계획상의 주요 지표 (전국)

구 분 단 위 1998 2020 비 고

인 구 수 천 인 46,991 52,358

도 시 화 율 % 86 92

주 택 보 급 률 % 92 106

신축주택의 공동/ 단독주택 건축 비율

% 90/ 10 50/ 50

신규소요택지확보비 율

기존시가지정비 확보 % - 40 재개발, 재건축,

나대지 활용 등

신 규 개 발 % - 60 신시가지개발,신도시개발 등

공동주택개발밀도(용적률) % (전국평균 200) 200

1인당 도시공원면적 ㎡/ 인 6.4 12.5

상수도 보급률 % 84 97

하 수 처 리 율 % 57 ( '97년) 90

1인당 폐기물발생량 kg/인·일 1.05 ( '97년) 0.9

폐기물 재활용률 % 29( '97년) 50

- 연차별 인구지표(제4차 국토종합계획)

구 분 1998 2000 2010 2020 비 고

인 구 수 (천인) 46,991 47,275 50,618 52,358 1998- 2020

연평균 증가율

0.49%연평균증가율 (% )0.95

( ' 90- '98)0.77 0.42 0.13

제2차 수도권정비계획상의 주요 지표

- 인구 지표

구 분 1995 2001 2011연 평 균 증 가 율 (% )

90- 95 95- 2001 2001- 2011

전 국 (천 인 ) 44,609 45,687 47,365 0.54 0.40 0.36

수 도 권 (천 인 )

(% )

20,189

(45.3)

21,498

(47.1)

21,393

(45.2)1.65 1.05 - 0.05

- 4 1 -

Page 3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주택공급 지표

구 분 1995 2001 2006 2011

주 택 보 급 율 (%) 76.5 84.5 95.4 103.5

주 택 수 (천호) 3,866 5,086 6,025 6,793

- 공업용지 신규공급 지표

구 분 1993 2001 2011증 가 량 (㎢)

1993- 2001 2001- 2011 1993- 2011

전 국 (㎢) 455 640 800 185 160 345

수 도 권 (㎢)

서 울

인천·경기

118

11

107

143

9

134

159

8

151

25

- 2

27

16

- 1

17

41

- 3

44

( 4 ) 도시공간구조 설정 부문

□ 주요 검토사항

○ 도시공간구조 설정은 도시의 중심지체계를 설정하고 도시 기본골격을

구상하는 계획임 ( 2개 이상의 안을 비교·분석하여 선정 )

○ 자연환경보전 , 자원절약 , 환경피해 사전예방 등 거시적·광역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선정된 공간구조 구상이 적정한지를 검토

□ 협의 방향

○ 도심 , 부도심 , 산업단지 등을 신설하는 경우 지형·자연환경·에너지 등을

주요 요소로 고려토록 하되 , 특히 , 다음의 지역은 피하도록 유도

- 자연환경이 양호한 지역 (생태자연도 2등급이상 등 ) , 생태계보전지역과

철새도래지 인접지 , 주요 하천과 연안 인접지 , 녹지 축 등의 환경민감지역

- 42 -

Page 3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대기보전 특별대책지역 , 산업단지·폐기물처리장·비행장 등에 의한 환경

영향 예상지역과 환경오염 심화지역 등의 환경취약지역

- 상수원 (예정지 포함 ) 보호를 위해 주요 오염원 등의 입지를 제한하는

지역 , 수변구역과 그 인접지 , 주요 호소 주변지역 등의 수원보호지역

- 기타 도시의 연담화 방지 및 과밀 방지 , 도시의 적정한 성장관리 등을

위해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 등

○ 기존의 도심 또는 부도심 등을 확대하는 경우에는 신설의 경우에 준하되 ,

재개발과 토지의 고도이용 등을 통한 토지자원의 절약을 유도

( 5 ) 생활권 설정과 인구배분계획 부문

□ 도시공간구조 설정 부문과 연계하여 검토·협의

□ 토지이용계획 , 교통계획 등 관련 부문별 계획과 연계 검토하되 교통

발생량 감축 , 자족기능확보 , 지역 균형발전 등의 측면을 감안

( 6 ) 토지이용계획 부문

□ 주요 검토사항

○ 토지이용계획은 계획인구는 물론 대부분의 부문별계획과 연관되어 있으

므로 계획목표와 지표 , 부문별계획 등과 연계하여 검토

○ 거시적·광역적 측면에서는 토지용도별 배분 규모와 입지의 적정성 등

공간계획 전반의 환경적 건전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되 , 기존 시가지의

재정비와 고도이용 등을 통한 효율성 증대 및 자원절약 측면도 고려

○ 미시적·부분적 측면에서는 용도지역간 또는 특정 시설과 특정 용도지역

간의 기능 상충으로 인한 환경상 위해 요소 , 폐기물처리시설 등 주요

환경시설의 입지배분 여부 등을 중점 검토

- 43 -

Page 4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특히 ,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 추진관련 계획에 대하여는 환경평가

검증의 적정성 , 조정방안 (해제 또는 존치)의 적정성 , 해제이후 토지이용

계획 및 해제지역 관리방안의 적정성 등을 포함하여 중점 검토

※ 검토시 도시기본구상도, 도시기초조사자료, GB 제도개선방안, 생태자연도, 녹지

자연도, 환경오염 측정망 등의 관련 자료 및 정보를 참고

<도시기본구상도 작성기준> :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중 주요내용 발췌

개 념 : 장래 구상을 이해할 수 있는 범위의 개념적 형태를 표시(도면축척은

특별·광역·통합시 1/5만, 일반시 1/2.5만을 원칙)

도시기본구상도 표시기준

표 시 내 용 표 시 방 법 비 고

행 정 구 역 적색 1.5㎜두께, 3㎜간격 2점선중복될 경우 중첩

하여 표시도시기본계획구역 검정 1㎜두께, 3㎜간격 2점선

도시계획구역 적색 0.5㎜두께, 3㎜간격 2점선

시가

화용

주거용지 노 랑 색

상업용지 분 홍 색

공업용지 보 라 색

시가화예정용지 옅은 갈색

보전용지 옅은 녹색

공원짙은 녹색바탕의 흰색원에 흰글씨

(근, , , 묘, 체, 국, 도, 군 등)

유원지옅은 녹색바탕에 직경 2.5㎜의 짙은

녹색 점무늬를 3㎜간격으로 표시

운동장, 대학,폐기물처리시설

흰색 원에 흰 글씨

(운, 대, 폐 등)

도로

고속도로 1.5㎜ 빨강색과 0.5㎜ 검정색 가급적 직선으로 대체

적인 방향표시. 불가

피한 경우 완만한 곡선

으로 표시

주간선도로 1㎜ 빨강색

지역간도로 1㎜두께 5㎜간격 빨강색

철도(단선, 복선) 검정색 0.7㎜두께 3㎜간격

호소, 하천, 해면 청색으로 현황표시

- 44 -

Page 4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협의 방향

○ 도시공간구조 설정 부문을 참고하고 , 개발목적의 용도배분이 과도한 경우

보전필요성 (가치)이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보전용도로 조정토록 유도

○ 토지이용기능의 상충으로 주거환경 침해가 예상되는 경우 토지이용계획

조정 , 완충공간 확보 , 주요 도로변 주거지의 저층·저밀개발 등의 방안을

강구토록 하고 , 용도지역 배분계획 또는 도시계획시설 등의 계획입지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지나 노선의 조정을 유도

○ 개발제한구역 조정관련 사항에 대하여는 제3장 Ⅲ . 환경성 검토방법 중

중점 검토항목 및 검토착안사항 등을 참조

( 7 ) 교통·물류계획 부문

□ 주요 검토사항

○ 교통시설 (도로 , 철도 , 주차장 등 )

- 선적 (線的 )인 시설인 도로와 철도는 노선의 적정성을 (양호한 생태계의

훼손·단절 , 생활권의 단절 여부 등 ) , 점적 (點的 )인 시설인 주차장은

입지의 적정성 (주거환경 침해 등 )을 중점적으로 검토

- 교통시설로 인한 주거환경 침해 가능성 (특히 , 지역간 연결도로와 대로급

이상의 도로변 , 철도변 , 공항주변 등의 소음영향 예상지역 )

- CNG버스 등 환경 친화적 교통수단 도입방안 , 교통수단간 환승체계 등

○ 물류시설은 토지이용계획과 연계하여 입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검토

□ 협의 방향

○ 입지가 적합하지 않은 교통·물류시설의 배치계획은 조정토록 유도

○ 교통시설 (특히 대로급 이상의 도시계획도로 , 지역간 연결도로 , 철도 등)로

인한 주거환경 또는 경관 저해가 예상되는 곳에는 완충녹지·경관녹지·

공지 (녹지지역 ) 등의 배치를 유도 (여가 및 공원녹지계획 부문 참조 )

- 45 -

Page 4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8 ) 산업개발계획 부문

□ 주요 검토사항

○ 제조업 중심의 2차 산업은 토지이용계획과 연계하여 신설 또는 확장

필요성 , 입지의 적정성 등을 중점 검토

○ 산발적인 개별공장의 입지 , 기존 공업지역의 슬럼화 등으로 도시관리

및 환경상 문제가 있거나 예상되는 경우 정비방안 유무와 적정성

○ 비 제조업 유치계획의 경우 주변지역과 기능상충 여부 , 주거지역과 학교

등에 미치게 될 부정적 영향 등

□ 협의 방향

○ 공업지역의 신설 또는 확장이 필요하지 않거나 , 입지여건상 제조업의

유치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설 또는 확장의 취소를 유도

- 상수원 영향권에 공업지역을 신설 또는 확장하는 경우 , 기정 공업지역이

개발되지 않고 있거나 조성된 산업단지의 분양률이 낮은 경우 등

○ 도시관리 및 환경 상 문제가 있는 기존 공업지역 , 산발적 입지공장에

대하여는 지구재정비 , 용도지역 조정 , 이전집단화 등의 정비를 유도

○ 폐촉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한 폐기물처리시설 부지확보 유도 등

( 9 ) 환경보전계획 부문 (에너지계획 포함 )

□ 주요 검토사항

○ 환경현황 조사·분석내용 및 장래변화 예측의 적정성

- 도시전반의 환경현황 , 문제점 , 환경기준과 달성정도 등이 적절히 조사·

분석되고 , 지역적·국내외적 환경변화 요인을 고려하여 장래의 전망을

적절히 예측하면서 이를 관련 계획에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

- 46 -

Page 4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환경보전 목표 - 전략 - 계획내용이 적정하고 토지이용계획 , 공원녹지

계획 등 관련되는 부문별계획과 정합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

○ 자연환경·대기환경·수환경·상하수도 등 환경계획의 분야별 계획이

환경정책 추진방향과 조화되는지 , 에너지계획과 관련하여서는 자원의

절약과 순환이용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지 여부 등

□ 협의 방향

○ 환경계획은 자연생태계와의 공존·공생 ,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 , 공간

계획의 합리화를 통한 환경피해의 사전예방에 중점을 두도록 유도

○ 환경계획은 토지이용계획 , 공원녹지계획 , 주요 도시계획시설배치계획

등의 물적인 공간계획과 연계·검토하고 , 가능한 한 공간계획관련 부문

에서 의견을 제시 (도시계획과 환경계획간 연계성 확보 , 집행력 증대 )

( 1 0 ) 경관 및 미관계획 부문

□ 주요 검토사항

○ 경관계획의 방향 , 계획지침과 내용 (조망점 선정 , 경관요소 추출과 보전축

형성 , 관리방안 등 ) 등이 적절하고 , 당해 도시의 생태적·역사문화적

경관 특성과 조화되는지 여부

○ 토지이용계획 , 주요 도시계획시설 배치계획 등의 물리적 계획이 자연경관 ,

조망권 , 스카이라인 , 도시미관 등에 미치게 될 부정적 영향 등

□ 협의 방향

○ 토지이용계획 등과 연계 검토하여 부정적 요인이 있을 경우 조정 유도

○ 생태적·역사문화적 경관요소를 적극 보호·육성할 수 있도록 유도

- 양호한 식생과 습지 , 하천·호소 등의 수변지역 등의 보전

- 47 -

Page 4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표고가 높은 지역과 경사도가 심한 지역 등의 개발을 최대한 억제하고 ,

지구정비 등 개발이 불가피한 경우 도시계획제도 (용도지역·지구제) 및

계획기법 등에 의한 보완방안을 유도

- 전원지역 등의 생울타리담 조성 , 담장 없애기 , 벽면·옥상조경 권장 등

○ 조경·식재 등을 통한 경관저해 요인의 차폐 , 간판정비 등에 의한 도시

경관 및 미관의 증진방안을 유도

( 1 1 ) 여가 및 공원녹지계획 부문

공원녹지계획

□ 주요 검토사항

○ 공원·녹지의 확보수준과 여건 , 장래 확충 및 입지배분계획의 적정성

○ 토지이용계획과 교통시설계획에 상응 (대응)하는 공원녹지체계 구축계획

수립 여부 (골격적·동맥적인 계획과 허파적·정맥적인 계획의 조화 )

○ 도시 내·외부와 인접지역간의 연계성 및 생태·경관적 측면을 고려한

공원·녹지체계 네트워크 구축계획 수립 ( B io - m a p p in g ) 여부

○ 토지이용계획 , 교통계획 , 환경계획 등 관련 부문별계획과 조화 여부 등

□ 협의 방향

○ 도시공원 면적은 제4 차 국토종합계획상에서 제시된 지표 수준 이상을

확보하도록 유도하되 근린공원 중점확보 , 생활권별 균형과 입지적정성 ,

접근성과 효용성 , B io - t o p e의 기능 등을 고려

<도시공원 지표>

제4차 국토종합계획 : '98년현재 6.4㎡/인 → 2020년 12.5㎡/인(1.95배 확충)

도시공원법 기준 : 도시계획구역 전체 6㎡/인 이상, 시가화구역내 3㎡/인 이상

- 48 -

Page 4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녹지 (경관·완충녹지 , 공지 )는 경관적 요소 , 환경적 위해 요소 , 토지

이용계획과 환경계획 등의 관련 부문별계획과 연계하여 적재적소에

적정 규모의 녹지가 확보되고 공원·녹지가 상호 연결되도록 유도

- 완충녹지는 환경현황과 전망 , 법정기준 , 관련 연구내용 등을 참작하여

가능한 한 넓은 폭을 확보토록 유도하되 , 기 개발·지형조건 등으로

곤란한 경우 최소한의 법정기준 , 추가적인 보완방안 등을 고려

예) 용도지역·지구 조정, 완충녹지+마운딩, 방음시설, 각 방안의 조합 등

[녹지·공지확보관련 기준 및 참고자료]

① 도시계획수립지침 중 가로망계획수립지침 상의 완충녹지 기준

도 로 구 분 도 로 폭 원 녹 지 폭

고속도로서울- 부산 고속국도 도로부지 또는 40m이상 양측 각 30m

기타 고속국도 상 동 양측 각 20m

일반국도4 차 선 30m이상

우회도로구간

양측 각 5m기 타 25m이상

지 방 도 20m이상

② 도로·철도관련 법령상의 공지확보관련 기준

구 분 지정목적 지 정 기 준

접도구역 지정(도로법

제50조, 시행령 제27조)도로손궤 방지,미관보존 등

도로경계선에서 5m 범위 내(시행령)

※ 법률 : 20m범위 내(시행령 위임)

접도구역 지정(고속국

도법 8조, 시행령 5조)상 동

도로경계선에서 30m 범위 내(시행령)

※ 법률 : 50m범위 내(시행령 위임)

철도노선인접지역 안의

행위제한

(철도법 제76조)

열차 안전운행,철도보호 등

철도경계선(가장 바깥쪽 레일의 끝선)에서 30m이내 지역

토석채취·굴착, 형질변경, 경관저해

시설설치 등의 행위시 사전 신고

- 49 -

Page 4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③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 (제9조) 상의 공동주택 주거환경보호 관련 기준

구 분 시 설 배 치 등 의 기 준

소음원으로부터

공동주택의 보호

(제9조제1항)

[제1항] 공동주택 건설 지점의 소음도가 65데시벨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안으로, 65데시벨 미만이 되도록 하여야 함

공동주택을 철도·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폭 20m이상인

일반도로 기타 소음발생시설(설치계획이 확정된 시설포함)로부터 수평거리 50m이상 떨어진 곳에 배치하거나

방음벽·수림대 등의 방음시설을 설치

대기오염원 및

소음진동원으로

부터 공동주택등의

보호

(제9조제2항)

※ 공동주택등

공동주택

어린이놀이터

의료시설(약국제외)

유치원

보육원

노인정

[제2항] 공동주택등은 다음 각호의 시설로부터 수평거리 50m이상

떨어진 곳에 배치하여야 함

다만,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중 주유소(석유판매취급소 포함)의경우 당해 주유소로부터 25m이상 떨어진 곳에 공동주택등(어린이놀이터·유치원 및 보육시설을 제외)을 배치할 수 있음

1.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공장(예외사항 등 있음)

가.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특정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공장

나.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제1종사업장 내지 제3종사업장의

규모에 해당하는 공장

다.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제4종사업장 및 제5종사업장에 해당

하는 공장으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산업자원부장관 및 환경

부장관과 협의하여 고시한 업종의 공장

라. 소음·진동규제법에 의한 소음배출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공장

다만, 공동주택등을 배치하고자 하는 지점에서 공장의 소

음도가 50데시벨 이하로서 공동주택등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거나 방음벽·수림대 등의 방음시설을 설치하여

50데시벨 이하가 될 수 있는 경우의 당해 공장을 제외

2. 건축법시행령 별표1에 의한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3. 기타 사업계획승인권자가 주거환경에 위해하다고 인정하는

시설(설치계획이 확정된 시설 포함)

[제3항]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공동주택등을 배치하는 경우 공동

주택등과 제2항 각호의 시설사이의 주택단지부분에는

수림대를 설치하여야 함(다른 시설물이 있는 경우 예외)

- 50 -

Page 4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④ 도시공원법령상의 완충녹지·경관녹지관련 기준

녹지의 기능(법 제10조)

- 완충녹지 : 대기오염·소음·진동·악취 기타 이에 준하는 공해 방지 등

- 경관녹지 : 도시의 자연적 경관을 보전·개선함으로써 도시경관을 향상

완충녹지 설치기준(시행규칙 제9조 제3항 제1호 및 제2호)

1. 주로 공장에서 발생하는 제반 공해의 차단·완화 및 재해발생시 피난지대로 설치

하는 완충녹지

가. 당해 지역의 풍향과 지형·지물의 여건을 감안하고, 설치면적은 공해 등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규모

나. 전용주거지역, 교육 및 연구시설 등 조용한 환경을 요하는 지역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녹지

교목(성목시 수고 4m이상 수목)의 재식 등 녹지설치 원인시설을 은폐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

녹화면적률(녹지면적에 대한 식물 등의 지엽의 수평투영면적 비) 50% 이상

다. 재해발생 시 피난 기타 이와 유사한 경우를 위하여 설치하는 녹지

관목 또는 잔디 기타 지피식물 등을 재식하고, 녹화면적률 70% 이상

라. 원인시설에 대한 보안책 또는 인마 등의 접근억제, 상충되는 토지이용의 조절

등을 위한 녹지

위에 의한 수목 또는 잔디 기타 지피식물을 재식하고, 녹화면적률 80% 이상

2. 주로 철도·고속도로 기타 이와 유사한 교통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매연·소음·

진동 등의 제반공해 차단·완화 및 사고발생시 피난지대로 설치하는 완충녹지

가. 당해 지역의 풍향과 지형·지물의 여건을 감안하고, 규모는 녹지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규모

나. 위 제1호에 의한 식물 등을 재식하며, 녹화면적률 80% 이상

다. 원칙적으로 연속된 대상의 형태로 당해 원인시설 등의 양측에 균등하게 설치

라. 고속도로 및 도로에 관한 녹지의 규모에 대하여는 도로법 제50조의 규정에

의한 접도구역에 관한 사항을, 철도에 관한 녹지의 규모에 대하여는 철도법

제76조의 규정에 관한 사항을 각각 참조

- 5 1 -

Page 4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경관녹지 설치기준(시행규칙 제9조 제3항 제3호)

3. 도시경관의 확보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경관녹지는 당해 지역 주

변의 토지이용현황을 감안하여 다음 각목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설치

가. 주로 도시내 자연환경 보전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경관녹지 규모는 원칙적으로

당해 녹지의 설치원인이 되는 자연환경의 보전에 필요한 면적 이내로 할 것

나. 주로 주민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쾌적성과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경관녹지의 규모는 원칙적으로 당해 녹지의 기능발휘를 위하여 필요한 조경시설

설치에 필요한 면적 이내로 할 것

다. 위 녹지는 그 기능이 도시공원과 상충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라. 고속도로 및 도로에 관한 녹지의 규모에 대하여는 도로법 제50조의 규정에

의한 접도구역에 관한 사항을, 철도에 관한 녹지의 규모에 대하여는 철도법

제76조의 규정에 관한 사항을 각각 참조

녹지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구간(시행규칙 제9조 제4항)

1. 원인시설이 도로·하천 기타 이와 유사한 다른 시설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로서

그 다른 시설이 녹지기능의 용도로 대체될 수 있는 경우

2. 철도법 제76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호지구 및 건축제한지구로 지정된 철도인접

지역으로서 이미 시가지가 조성되어 녹지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 중 방음벽 등

안전시설을 설치한 지역의 경우

3. 도심을 관통하는 도로인접지역으로서 이미 시가지가 조성되어 녹지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의 경우 또는 개발제한구역의 경우

⑤ 공원·녹지계획지표연구보고서 ('93. 3월,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연구수행)

공단의 대기오염저감을 위한 완충녹지 계획지표

토지이용 기존지표 공단규모 녹지폭(m ) 완충녹지의 구조

공단- 주거단지 - 100만평이상 50 공단+완충녹지+주거단지

공단- 주거단지 - 100만평이하 30 공단+완충녹지+주거단지

공단- 농경지 - 규모와 무관 15 공단+완충녹지+농경지

공단- 임야 - 규모와 무관 15 공단+완충녹지+임야

※ 시화공단의 경우 완충녹지 폭이 200m이나 악취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민원 빈발

- 52 -

Page 4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교통시설로 인한 주거단지 소음저감을 위한 완충녹지 계획지표

도로소음수준

dB(A)

완충녹지 계획지표기존지표

폭(m) 완충녹지의 구조

8차선

이 상

기존 80기준 65저감 15

50 주거단지+완충녹지+도로공동주택건설

지점 소음도가

65이상인 경우

소음원으로부터

50m이상 이격

하거나

방음벽·수림

대 등 방음시

설을 설치

(주 택 건 설 기 준

등에관한규정)

15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방음벽)+도로

6차선기존 75기준 65저감 10

40 주거단지+완충녹지+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도로

4차선기존 70기준 65저감 5

30 주거단지+완충녹지+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도로

고속

도로

기존 80기준 65저감 15

50 주거단지+완충녹지+고속도로

15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고속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방음벽)+도로

< 비고> 도로 폭원별 소음수준은 일본녹화센타(1974)의 다마 신도시에 있어서 환경보전림

계획(p19) 을 참조하여 가정

시설 차폐를 위한 완충녹지 계획지표

시 설 기존 지표완충녹지 계획지표

폭 (m ) 완충녹지의 구조

하수·폐기물 처리장 - 10- 20 시설+완충녹지

완충녹지의 유형별 녹화면적률 및 구조

완충녹지 유형 녹화 면적률 녹지의 구조

대기오염 저감 80 % 지피+관목+중목+교목의 다층 식재

소음저감일반도로 80 % 관목+중목+교목의 다층 식재

고속도로 80 %관목+중목+교목의 다층 식재

상록수, 낙엽수의 교호 식재

시설차폐악취제거 80 % 관목+중목+교목의 식재

시각적 차폐 80 % 교목 위주의 식재

- 53 -

Page 5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자연특성을 활용한 주요 녹지 지표

항 목 계 획 지 표

근린공원

생태공원으로 조성 : 녹지의 면적은 최소한 1ha 이상, 周緣部는

식생 조성(종 다양성을 유지하여 야생동물 서식처로 활용)

에코로지 녹화 : 주변의 자연림을 참조하여 수종을 선정하고, 단

기간에 대규모의 수림대를 조성

녹 도폭은 최소 10m이상 30m가 적정, 향토수종과 기존 수목의 활용

보행로는 최소 1.5m, 일반적으로 3m 확보, 자유로운 곡선형태

하천변녹지폭 10- 30m로 조성(지역특성을 고려한 수변식물 식재 및 조경)

야생동식물서식처, 수질개선, 토양침식방지 등

⑥ 용도지역간 완충공간 설정기준 (도시계획수립지침)

구 분 완 충 공 간 설 정 기 준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연접 부분

폭 10m이상의 공공공지를 설치하여 수림대를 조성하고, 아래 방안 중

1가지 이상 추가 채택(기성 시가지 등 부득이한 경우 제외)

(1) 폭 15m이상의 도로에 의하여 기능을 분리

(2) 양 지역 사이에 준주거 기능 설정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의

연접 부분

공업지역 안에 폭 10m이상의 공공공지를 설치하여 수림대를 조성하고,아래 방안 중 1가지 이상 추가 채택(기성 시가지 등 부득이한 경우 제외)

(1) 폭 20m이상의 도로에 의하여 기능을 분리

(2) 양 지역사이에 준공업지역 설정

( 1 2 ) 기타 사항

□ 공공시설계획 , 도시방재계획 , 재정계획 (환경보전관련 비용 고려) 등 기타

사항에 대하여는 개괄적으로 검토

□ 환경 친화적인 계획 , 환경피해의 사전예방 등의 관점에서 검토·협의

- 54 -

Page 5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Ⅱ . 광역도시계획안 검토방법

1 . 계획성격 및 내용

계획성격20년 단위 광역도시권의 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정책계획

도시계획체계상 최상위의 계획

계획내용

1. 계획의 목표와 전략 2. 광역도시권의 현황 및 특성

3. 공간구조 구상

4. 부문별 계획

가. 광역토지이용계획 나. 여가공간 및 녹지관리계획

다. 환경보전계획 라. 방재계획

마. 광역교통계획 바. 광역공급 및 이용시설계획

5. 개발제한구역의 조정 6. 집행 및 관리계획

수립권자도지사(같은 도) 시·도지사 공동(2이상 시도)

건교부장관(시도 미신청시) 건교부장관과 시·도지사 공동

승인권자 건교부장관(협의기관 : 환경부장관 등 관계중앙행정기관)

2 . 계획내용 검토방법

□ 광역도시계획은 광역도시권의 중심도시 (대도시 )를 중심으로 인접 지역을

포함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서 단일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도시기본

계획에 비하여 공간적 범위가 넓음

□ 그러나 , 내용적인 범위에 있어서는 도시기본계획보다 좁고 광역적 토지

이용과 광역적 공급·이용시설계획 등에 한정되어 있으며 , 기본적으로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검토의 틀과 다를 바가 없음

□ 그러므로 , 광역도시계획은 도시기본계획 검토방법에 준하여 검토하되 ,

공간적 범위의 광역성 , 계획내용의 범위 , 환경영향의 광역성 등의 특성을

감안하여 검토·협의토록 함

- 55 -

Page 5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Ⅲ . 도시계획안 검토방법

1 . 계획성격 및 내용

계획성격

10년 단위로 광역도시계획 및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도시의

장기 발전방향을 도시공간에 구체화하고 실현시키는 중기계획

도시계획구역 및 지역·지구·구역계획, 기반시설계획, 도시개발

사업계획, 지구단위계획 등을 일관된 체계로 종합화하여 단계적

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물적으로 표현하는 계획

※ 도시계획은 도시전반의 종합적·주기적인 계획, 특정 사항에 대한 부분적·

비 주기적인 계획의 형태로 입안·결정될 수 있음

계획내용

1. 용도지역·지구·구역계획

3. 도시기반시설계획

가. 교통시설계획 나. 공원·녹지시설계획

다. 물류·유통시설계획 라. 공공편의시설계획

마. 공급처리시설계획 바. 집행계획 등

4. 도시개발계획 5. 도시경관 및 안전계획 등

입안권자 시장·군수 도지사(광역계획) 건교부장관(국가계획, GB)

결정권자시·도지사(협의기관 : 지방환경관리청장 등)

건교부장관(협의기관 :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2 . 계획내용 검토방법

< 접 근 방 향 >

◆ 도시계획은 상위 계획에서 제시된 도시의 장기발전방향을 구체화하는

물적 중심의 집행적 계획임 (도시계획법에 의한 환경성검토 실시 )

◆ 도시기본계획 검토방법을 준용하되 , 상위 계획내용과 여건변화 등을

감안하여 도시계획에 대한 환경적 건전성 확보방안을 구체화·계량화

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검토 협의토록 함

- 56 -

Page 5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주요 검토사항

○ 기초자료 조사·분석의 적정성 및 계획과의 연계성 , 환경성검토의 적정성

및 검토결과의 도시계획 반영내용의 적정성 여부

- 각 부문별 계획에 대한 환경적 건전성 확보방안의 적정성 , 이행방안과

이행시점 등의 적정성

○ 도시계획수립지침 ,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 상위계획 수립 이후의 여건

변화 등이 요구하는 방향과 수준에 부합되는지 여부

○ 광역도시계획 , 도시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에서 제시된 도시의 장기발전

방향 및 정책 , 환경관련 정책·시책 등과 부합되는지 여부

○ 기초조사결과 , 계획수립과정 등에서 도출된 상위계획의 불합리성 , 도시의

현안과제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포함 여부 등

□ 협의 방향

○ 상위 계획에서 제시된 환경과 관련되는 제반 정책방향 등이 물적 계획

으로 표현되어 도시계획수단에 의해 이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 도시

계획수립지침에 의한 환경성 검토의 한계를 보완·보충

○ 도시계획에 반영코자 하는 상위 계획이 적정하지 않거나 미흡하여 이를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조정토록 유도

○ 광역도시계획 , 도시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 (안 )에 대한 관계 행정기관

간의 협의 시 제시한 의견에 대하여는 도시계획 (안 ) 협의 시 이를 재

검토하되 , 모순이 없는 한 반영토록 유도

○ 협의의견은 분명한 의사전달 , 협의의 실효성제고 등을 위해 가능한 한

정량적·객관적으로 작성

<비고> 건교부가 승인하는 도시기본계획 등의 상위계획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되고, 관계부처가 제시한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

향후 상위 계획에 대한 협의결과를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결과에 관계

없이 관할 지방환경관리청에 송부 예정(연계성, 실효성 확보)

- 57 -

Page 5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참 고 자 료

□ 도시계획구역의 공간계획제도

□ 환경법령상의 공간계획제도

□ 도시 (기본 )계획 협의사례

□ 2 0 0 1 주요 업무계획 (환경부 )

- 59 -

Page 5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도시계획구역의 공간계획제도

- 6 1 -

Page 5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국토 공간계획 체계 및 기본현황

국 토 건 설 종 합 계 획 법 지위 : 다른 법령에 의한 건설계획에 우선하며, 그 기본

전국계획 특정지역계획 도 계 획 시 계 획 군 계 획

지위 : 국토이용계획 기타 법령에 의한 토지이용계획 또는 개발계획 등에 우선하며, 그 기본

수 도 권 정 비 계 획 법

과밀 : 서울,인천,의정부,구리,남양주,하남,고양,수원,성남,안양,부천,광명,과천,의왕,군포

성장 : 동두천,안산,오산,평택,파주,남양주,용인,연천,포천,양주,김포,화성,안성,인천,시흥

자연 : 이천,남양주,용인,가평,양평, 여주, 광주, 안성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인구 및 산업의

과밀 이전 또는

정비

인구 및 산업의

계획적 유치,적정관리

한강수계 수질

및 녹지등 자연

환경보전

2,038㎢

(17.3% )5,929㎢

(50.2% )3,835㎢

(32.5% )

총면적 : 11,802㎢(국토면적의 11.8% )

국 토 이 용 관 리 법 지위 : 다른 법령에 의한 토지이용에 관한 계획의 기본

도 시 지 역 준도시지역 농 림 지 역 준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도시계획에 의한 개발,정비, 관리, 보전

도시지역에 준한 토지

이용과 개발

농림업의 진흥과 산림

보전

농림업 진흥과 산림

보전 + 개발용도

자연경관·수자원·

생태계 등의 보전

14,767㎢ (14.8% ) 1,061㎢ (1.0% ) 51,176㎢ (51.3% ) 25,716㎢ (25.8% ) 7,054㎢ (7 .1% )

육지부 총면적 99,774㎢(100% ), 해면부면적 5,877㎢ 미포함 (도시, 준도시, 자연환경)

도 시 계 획 법 지위 : 도시계획구역안의 도시계획 수립·집행

주 거 지 역 상 업 지 역 공 업 지 역 녹 지 지 역

전 용 : 양호한 주거환경 보호

(7.3㎢ : 0.05% )

중 심 : 도심, 부도심의업무 및 상업기능 확충

(21.4㎢ : 0.14% )

전 용 : 주로 중화학 ,공해성 공업 등 수용

(71.6㎢ : 0.47% )

보 전 : 도시의 자연환경,경관, 산림 및 녹지공간보전

(327.5㎢ : 2.13% )일 반 : 일반적 상업및 업무기능 담당

(205.2㎢ : 1.33% )일 반 :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 배치

(478.8㎢ : 3.11% )

일 반 : 편리한 주거환경 보호(1,787.7㎢ : 11.63% )

생 산 : 주로 농업적생산을 위해 개발유보

(729.6㎢ : 4.75% )근 린 : 근린지역의일용품 및 서비스공급

(8.3㎢ : 0.05% ) 준공업 : 경공업 기타공업을 수용하되, 주거상업, 업무기능 보완

(147.9㎢ : 0.96% )

자 연 : 녹지공간 보전을 해하지 않는 범위안에서 제한적 개발(10,440.8㎢ : 67.92% )

준주거 : 주거기능 위주,상업·업무기능 보완

(74.4㎢ : 0.48% )유 통 :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 증진

(3.9㎢ : 0.03% )

1,869.4㎢ (12.16% ) 238.8㎢ (1.55% ) 698.3㎢ (4.54% ) 11,497.9㎢ (74.80% )

※ '99.12현재 도시계획구역 : 557개 시읍면 15,372.9㎢ (100% ), 미지정지역 1,068.5㎢ (6.95% ) 포함

- 63 -

Page 5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도시계획법령상의 용도지역·구역 및 지구

□ 용도지역 (4 종/ 16종 세분 ) 및 구역 ( 2종 )

용도지역 및 구역 지 정 목 적 비 고

3 개지역 세분 거주의 안녕과 건전한 생활환경의 보호

전용

주거

지역

2 종세분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

제 1종 단독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 단독 : 3층

제2종 공동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 15층 이하

일반

주거

지역

3 종세분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

제 1종 저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 4층 이하

제2종 중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 15층 이하

제3종 중고층주택을 중심으로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 중고층

준주거지역주거기능을 위주로 이를 지원하는 일부 상업·업무기능을 보완

4 개지역 세분 상업과 기타 업무의 편익증진

중심상업지역 도심·부도심의 업무 및 상업기능의 확충

일반상업지역 일반적인 상업 및 업무기능 담당

근린상업지역 근린지역에서의 일용품 및 서비스의 공급

유통상업지역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의 증진

3 개지역 세분 공업의 편익증진

전용공업지역 주로 중화학공업·공해성공업 등을 수용

일반공업지역 환경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공업의 배치

준공업지역경공업 기타 공업을 수용하되 , 주거·상업·업무기능의 보완

3 개지역 세분자연환경·농지 및 산림의 보호 , 보건위생 , 보안과도시의 무질서한 확산방지

보전녹지지역 도시의 자연환경·경관·산림 및 녹지공간 보전

생산녹지지역 주로 농업적 생산을 위하여 개발을 유보

자연녹지지역녹지공간의 보전을 해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불가피한 경우 제한적인 개발

개발제한구역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확보 ( GB 특조법 제 1조에 규정 )

GB특조법

적용

시가화조정구역도시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도시의계획적·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일정기간동안 시가화를 유보

5년 이상

2 0년 이내

- 64 -

Page 5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용도지구 ( 1 1종 )

구분 용 도 지 구 명 지 정 목 적 비 고

경 관 지 구 도시의 경관을 보호·형성 조례 세분가능

3 개지구 세분 도시의 미관을 유지

중심미관지구 토지의 이용도가 높은 지역의 미관을 유지·관리

역사문화미관지구 사적지·전통건축물 등의 미관을 유지·관리

일반미관지구중심지미관지구 및 역사문화미관지구 이외의 지역으로서 미관을 유지·관리

2 개지구 세분도시의 환경조성 및 토지의 고도이용과 그 증진을위해 건축물 높이의 규제

최고고도지구도시의 환경과 경관을 보호하고 과밀방지를 위하여건축물높이의 최고한도를 정함

최저고도지구토지이용을 고도화하고 도시경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최저한도를 정함

방 화 지 구 도시의 화재위험을 예방

방 재 지 구 풍수해 , 산사태 , 지반의 붕괴 기타 재해를 예방

3 개지구 세분문화재 , 중요 시설물 및 문화적·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와 보존

문화자원보존지구문화재와 문화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및 보존

중요시설물보존지구 국방상 중요한 시설물의 보호와 보존

생태계보존지구도시안의 동식물서식처 등 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큰 지역의 보호와 보존

시설보호지구

4 개지구 세분학교시설·공용시설·항만 또는 공항의 보호 , 업무기능의 효율화 , 항공기의 안전운항 도모

학교시설보호지구 학교의 교육환경을 보호·유지

공용시설보호지구 공용시설을 보호하고 공공업무기능을 효율화

항만시설보호지구 항만기능을 효율화하고 항만시설의 관리·운영

공항시설보호지구 공항시설의 보호와 항공기의 안전운항

취락지구

2 개지구 세분 녹지지역 또는 개발제한구역안의 취락을 정비

자연취락지구 녹지지역안의 취락을 정비

집단취락지구 개발제한구역안의 취락을 정비

개 발 촉 진 지 구주거기능·상업기능 또는 공업기능을 집중적으로개발·정비

조례 세분가능

아 파 트 지 구주택건설촉진법의 아파트지구 개발사업에 의한아파트의 집단적인 건설·관리

위 락 지 구 위락시설을 집단화하여 다른 지역의 환경보호

- 65 -

Page 5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용도지역별 건폐율·용적률

용 도 지 역건 폐 율 ( % ) 용 적 률 ( % )

' 0 0 .6 이전 ' 0 0 .7 . 1이후 ' 0 0 .6 이전 ' 0 0 .7 . 1이후

제 1 종[단독 (3층)중심] 5 0

(종 미구분 )

5 010 0

(종 미구분 )

5 0∼ 10 0(이상∼이하 )

제 2 종[공동 (중층 )중심 ]

5 0 10 0∼ 15 0

제 1 종[저층(4층이하)중심] 6 0

(종은구분하였으나 ,종별건폐율은

미구분 )

6 0 4 0 0(종은

구분하였으나 ,종별용적률은

미구분 )

10 0∼2 0 0

제 2 종[중층( 15층이하)중심]

6 0 1 5 0∼2 5 0

제 3 종[중고층 중심]

5 0 2 0 0∼3 0 0

준 주 거 7 0 7 0 7 0 0 2 0 0∼7 0 0

중 심 상 업 9 0 9 0 1 ,5 0 0 4 0 0∼ 1 ,5 0 0

일 반 상 업 8 0 8 0 1 ,3 0 0 3 0 0∼ 1 ,3 0 0

근 린 상 업 7 0 7 0 9 0 0 2 0 0∼9 0 0

유 통 상 업 8 0 8 0 1 , 10 0 2 0 0∼ 1 , 10 0

전 용 공 업 7 0 (산단8 0 ) 7 0 (산단8 0 ) 3 0 0 1 5 0∼3 0 0

일 반 공 업 7 0 (산단8 0 ) 7 0 (산단8 0 ) 3 5 0 2 0 0∼3 5 0

준 공 업 7 0 (산단8 0 ) 7 0 (산단8 0 ) 4 0 0 2 0 0∼4 0 0

보 전 녹 지 2 0(자연취락4 0 )

2 0(자연취락4 0 )

8 0 5 0∼8 0

생 산 녹 지 2 0(자연취락4 0 )

2 0(자연취락4 0 )

2 0 0 5 0∼ 10 0

자 연 녹 지 2 0(자연취락4 0 )

2 0(자연취락4 0 )

10 0 5 0∼ 10 0

기타 (미지정)지역 6 0 (산단8 0 ) 2 0 (산단내공장80 ) 4 0 0 5 0∼ 10 0

근 거 법 건 축 법 도시계획법(시행령 6 2조 ) 건 축 법 도시계획법

(시행령 6 3조 )

준 도 시 지 역 6 0 6 0 4 0 0(공동주택2 0 0 )

2 0 0 (개발계획미수립지역8 0 )

농 림 지 역 6 0 6 0 4 0 0 4 0 0

준 농 림 지 역 6 0 4 0 10 0 (최대1 10 ) 8 0

자연환경보전지역 6 0 2 0 4 0 0 8 0

근 거 법건 축 법 ,

국토이용관리법건 축 법 ,

국토이용관리법건 축 법 ,

국토이용관리법건 축 법 ,

국토이용관리법

<비고> 공업지역의 ( )안의 산단 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산업단지임

비도시지역의 기준시점은 ' 0 0 . 12 .2 6 이전과 12 .2 7 (국토이용관리법시행령 개정)이후임

- 66 -

Page 6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도시계획구역내 주요 용도지역의 건축제한

● : 법령 허용 , : 도시계획조례 허용 , × : 건축 불허

건 축 물 의 종 류

(건축법시행령 별표 1 중 )

주 거 지 역 녹 지 지 역 개발

제한

구역

전 용 주 거 일 반 주 거 준

주거

보전

녹지

생산

녹지

자연

녹지제 1종 제2종 제 1종 제2종 제3종

1.단독주택 단독, 다중 등(3층이하 ) ● ● ● ● ● ● △ ● ●●

(대지에한정 )

2.공동주택아파트(5층이상 ) × ● ● ● ● ● × × × ×다세대(4층이하 ) △ ● ● ● ● ● × △ △ ×

3 .제 1종근린생활시설

소매점, 휴게음식점(300㎡미만), 이·미용원, 일반목욕장, 의원 등

●(1천㎡이하 )

●(1천㎡이하 )

● ● ● ● ●(500㎡이하 )

● ● ●(대지에한정 )

4 .제 2종근린생활시설

일반음식점 × × △ △ △ △△

(500㎡이하 )

△(1천㎡이하 )

● ●(대지,5년이상

거주,300㎡이하 )

휴게음식점(300㎡이상 ) × × △ △ △ △ ●

종교집회장 △ △ △ △ △ △ ●

안마시술소 × × × × × △ ● ×단란주점(150㎡미만 ) × × × × × × × × × ×

5.판매,영업시설 도매·소매시장 × × △ △ △ △ × △ △ ×

6.의료시설병원(정신병원,요양소 포함 ) × × △ △ △ ● △ ● ● ×격리병원(전염병원 등 ) × × × × × × △ ● ● ×장례식장 × × × × × △ △ ● ● ●

7.교육연구 및복지시설

학 교

초등학교 △ △ ● ● ● ● ● ● ● ●(구역내이전 )중·고교 △ △ ● ● ● ● △ △ ●

대학(교) × × △ △ △ ● × × ● ×교육원, 훈련소 × × △ △ △ ● × △ ● ×

청소년수련시설 × × △ △ △ ● × ● ●●

(정부 )

8.운동시설

체육관, 운동장 × × △ △ △ ● × ● ● ●

골프연습장(옥외철탑구조) × × × △ △ ● × ● ● ●(입지기준적합시)골프장 × × △ △ △ ● × ● ●

9.숙박시설일반숙박시설 × × × × × × × × △

(관광지에한함 )

×

관광숙박시설 × × × × × × × × ×

10.위락시설단란주점(150㎡이상 ) × × × × × × × × × ×주점영업 × × × × × × × × × ×

11.공 장 공장(아파트형, 첨단 등 ) × × △ △ △ △ × △ △ ×

12.위험물저장및 처리시설

주유소, 석유판매소 × × △ △ △ △ × △ △ ●

액화가스취급소 × × △ △ △ △ △ ● △ ●

위험물제조·저장소 × × × × × △ × △ △●

(유류저장시설에한함 )

13.자동차관련시설

주차장 △ △ △ △ △ △ × × △ ●

정비공장 × × △ △ △ △ × × △ ×

14.동물, 식물관련시설

축 사 × × △ △ △ △ △ ● ●●

(1천㎡이하 )

도축장, 도계장 × × △ △ △ △ △ ● ● ×15.분뇨,쓰레기

처리시설분뇨, 폐기물처리시설 × × × × × × × △ ● ●

폐기물재활용시설 × × × × × × × × ● ●

16 .묘지관련시설

화장장 × × × × × × △ △ ●●

(정부 )

납골당, 장례식장 × × × × × × △ △ ● ●

<주> ( )안은 도시계획법 시행령상의 허가 조건(건축연면적 규모 제한, 입지 제한, 사업주체 제한 등)

위 표는 기본적 사항만을 요약 정리한 것임. 이의 활용 시에는 반드시 관계법령의 재확인을 요함

- 67 -

Page 6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환경법령상의 공간계획제도

- 69 -

Page 6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Ⅰ . 환경법률 현황

□ 법률 제정·운용 현황

○ 2 0 0 1 . 6월 현재 주요 환경행정관련 법률은 2 8개 법률이 제정·

운용되고 있음 (최상위법 : 환경정책기본법 )

○ 환경정책 , 자연환경보전 , 대기환경보전 , 수질환경보전 , 상하수도 ,

폐기물관리 등 환경 각 분야별로 개별법을 제정하여 운용중임

□ 환경보전을 위한 토지이용규제 지역

○ 환경보전을 위하여 토지이용 또는 특정시설 설치 등의 행위를 제한

하는 법률은 10개가 있음

○ 환경보전 목적상의 필요에 의하여 지정·고시된 지역 안에서는 지정

목적에 위배되는 행위가 제한됨

분 야 법 률 명 칭 행위제한지역 명칭 소관부서

환경정책

분 야① 환경정책기본법 특별대책지역

생활오수과

대기관리과

자연환경

보전분야

② 자연환경보전법 생태계보전지역 자연정책과

③ 습지보전법 습지지역 자연정책과

④ 독도등도서지역의생태계보

전에관한특별조치법특정도서 자연정책과

⑤ 자연공원법 자연공원 자연공원과

⑥ 토양환경보전법 토양보전대책지역 토양보전과

수질환경

보전분야

⑦ 수질환경보전법 배출시설설치허가제한지역 산업폐수과

⑧ 호소수질관리법 지정호소(호소수질보전구역) 수질정책과

⑨ 한강수계상수원수질개선및

주민지원등에관한법률수변구역 수질정책과

상하수도

분 야⑩ 수 도 법 상수원보호구역 수도관리과

- 7 1 -

Page 6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Ⅱ . 환경보전을 위한 지역등의 지정 현황

1 . 특별대책지역

□ 지정근거 : 환경정책기본법 제2 2조 (특별종합대책의 수립 )

□ 지정목적

○ 환경오염 또는 자연생태계의 변화가 현저하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지역안의 환경보전을 위한 특별종합대책 수립·시행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 지정현황 : 4 개지역 지정

○ 상수원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2개지역 )

- 팔당호 영향권역 : 경기도 남양주시 , 여주군 등 일원

- 대청호영향권역 : 대전광역시 동구 , 충북 청원군 등 일원

○ 대기보전 특별대책지역 (2개지역 )

- 울산광역시 소재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및 온산국가산업단지

- 전남 여천시 소재 , 여천국가산업단지 및 확장단지

□ 주요 행위제한 내용

<상수원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 팔당·대청호

○ 환경부장관이 특별종합대책을 수립하여 고시

- 오염원의 입지제한 또는 선별적 허용 , 토지의 용도지역변경 제한 ,

재정지원 등에 관한 사항 포함

○ 환경부장관이 경기도지사 및 충청북도지사에게 구체적인 집행

계획을 수립·시행토록 지시

- 72 -

Page 6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대기보전 특별대책지역> : 울산 , 여천 국가산업단지

구 분 주 요 행 위 제 한 내 용

공 통 사 항○ 환경부장관이 특별종합대책을 수립하여 고시

- 오염원의 입지제한 , 특별배출허용기준설정 등의 내용 포함

울산·미포 및

온산국가산업단지

○ 울산광역시장이 새로운 공단 조성시 사전에 낙동강환경관리

청장과 협의

여천국가산업단지

○ 기존 공단지역에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또는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의 신·증설을 원칙적으로 제한

○ 다만 , 최적방지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신·증설 허용

□ 문의처

○ 상수원보전 특별대책지역 : 환경부 생활오수과 (0 2 - 5 0 0 - 4 2 9 6 )

○ 대기보전 특별대책지역 : 환경부 대기관리과 (0 2 - 5 0 0 - 4 2 8 2 )

2 . 생태계보전지역

□ 지정근거 : 자연환경보전법 제 18조 (생태계보전지역 ) 등

□ 지정목적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또는 보호야생동·식물의 서식지·도래지

로서 중요하거나 ,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큰 지역 등의 보전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 시·도지사

□ 생태계보전 관련 지역의 종류

1) 생태계보전지역 : 지정목적 참조 (국가지정 )

2 ) 임시생태계보전지역 : 생태계보전지역 지정요건에 상당하는 지역

으로서 심각한 훼손이 우려되어 긴급한 보호가 필요한 지역

- 73 -

Page 6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시·도생태계보전지역 : 시·도지사가 생태계보전지역에 준하여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

4 ) 자연유보지역 :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로부터 2년간의 비

무장지대 등

5 ) 완충지역 : 생태계보전지역에 인접한 지역으로서 생태계보전

지역에 미치는 환경상의 영향을 완화시키거나 생태적으로 건전한

관광 등의 이용에 제공하기 위한 지역

□ 지정현황 : 1 1개 지역 , 10 0 .2 2 0㎢ 지정 (생태계보전지역 )

지 역 명 칭 위 치 면적 (㎢ )

합 계 1 1개소 10 0 .2 2 0

소 계 5개소 6 4 . 19 2

지 리 산 전남 구례군 삼동면 심원계곡 및 토지면 피아골 일원 2 0 .2 0 0

대 암 산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의 큰용늪과 작은

용늪 일원1 .0 6 0

우 포 늪 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유어·대지면 일원 8 .5 4 0

낙 동 강 하 구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장림·다대도일원 해면

및 북구 명지동 하단 해면 일원3 4 .2 0 8

무 제 치 늪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일원 0 . 18 4

소 계 6개소 3 6 .0 2 8

대덕산·금대봉 강원도 태백시 , 삼척시 , 정선군 일원 4 .2 0 0

광양 백운산 전남 광양시 옥룡·진상·다압면 일원 9 .7 4 0

조종천상류

명지산·청계산경기도 가평군 , 포천군 일원 2 1 .8 4 0

거 제 시 경남 거제시 하청면 덕곡리 산 14 4 - 3 0 .0 0 2

한 강 밤 섬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 마포구 당인동 일원 0 .2 4 1

둔촌동자연습지 서울 강동구 둔촌동 2 1 1 일원 0 .2 4 1

- 74 -

Page 6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주요 행위제한 내용 (생태계보전지역 )

○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축·증축 및 토지의 형질변경

○ 토석의 채취 및 하천·호소 등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수위 또는

수량의 증감을 가져오는 행위

○ 지정된 야생동·식물의 포획·채취·이식·훼손 행위 등

□ 문의처 : 자연정책과 (0 2 - 5 0 0 - 4 2 5 9 )

3 . 습지지역 (습지보호지역 )

□ 지정근거 : 습지보전법 제8조 (습지지역의 지정등 )

□ 지정목적 : 습지와 그 생물다양성의 보전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내륙습지 ) , 해양수산부장관 (연안습지 )

□ 지정현황 : 5개소 , 4 4 .3 0 1㎢ 지정 (내륙습지 )

지역명칭 위 치 면 적 (㎢ )

대 암 산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의 큰용늪과 작은 용늪 일원 1 .0 6 0

우 포 늪 경남 창녕군 대합면 이방·유어·대지면 일원 8 .5 4 0

낙동가하구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장림·다대도일원 해면 및 북구

명지동 하단 해면 일원3 4 .2 0 8

무제치늪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조일리 일원 0 . 18 4

물영아리오름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수망리 일원 0 .3 0 9

□ 주요 행위제한 내용

○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축 또는 증축 및 토지의 형질변경

○ 습지의 수위 또는 수량의 증감을 가져오는 행위

○ 흙·모래·자갈·돌·광물 등의 채취 등

□ 문의처 : 자연정책과 (0 2 - 5 0 0 - 4 2 5 9 )

- 75 -

Page 6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특정도서

□ 지정근거 : 독도등도서지역의생태계보전에관한특별조치법 제4조

□ 지정목적

○ 사람이 거주하지 아니하거나 극히 제한된 지역에만 거주하는 섬

으로서 우수한 자연생태계·지형·지질·자연환경 등을 보전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 지정현황 : 4 7개소

□ 주요 행위제한 내용

○ 건축물·공작물의 신축·개축·증축

○ 개간·매립·준설 또는 간척

○ 택지의 조성·토지의 형질변경·토지의 분할 , 도로의 신설

○ 흙·모래·자갈·돌의 채취 , 광물의 채굴 , 지하수의 개발

○ 특정도서에 서식하거나 도래하는 야생동·식물 또는 자연적

생성물을 그 섬 밖으로 반출하는 행위 등

□ 문의처 : 자연정책과 (0 2 - 5 0 0 - 4 2 5 9 )

5 . 자연공원

□ 지정근거 : 자연공원법 제4 조내지 제6조 (국립공원 등의 지정 )

□ 지정목적

○ 자연생태계와 자연풍경지의 보호

○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여 국민의 보건 및 여가와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

- 76 -

Page 6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자연공원의 종류·지정현황 및 지정권자

공 원 종 류지 정 현 황

지 정 권 자공 원 수 (개소 ) 지정면적 (㎢ )

합 계 7 3 8 ,7 0 4 .9 8 5

국 립 공 원 2 0 6 ,4 7 3 . 1 13 환경부장관

도 립 공 원 2 2 7 4 7 .8 5 5 시·도지사

군 립 공 원 3 1 4 2 9 .0 17 시장·군수

□ 주요 행위제한 내용

<금지행위>

○ 공원의 형상을 해하거나 공원시설을 손괴하는 행위

○ 지정된 장소외에서의 상행위 및 야영행위 등

<허가행위>

○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축·증축·개축·재축 또는 이축행위

○ 광물을 채굴하거나 죽목·토석·사력을 채취하는 행위

○ 개간 기타 토지의 형질변경하는 행위 등

□ 문의처 : 자연공원과 (0 2 - 5 0 0 - 4 2 6 6 )

6 . 토양보전대책지역

□ 지정근거 : 토양환경보전법 제 17조 (토양보전대책지역의 지정 )

□ 지정목적

○ 토양정밀조사 결과가 대책기준을 초과한 지역 또는 토양보전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대책계획의 수립·시행

- 77 -

Page 6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현재 지정지역 없음 )

□ 주요 행위제한 내용

○ 대책계획의 내용에 따라 토지이용제한 , 특정시설 설치 제한 등의

조치 가능

□ 문의처 : 토양보전과 (0 2 - 5 0 0 - 4 2 7 6 )

7 . 배출시설설치허가제한지역

□ 지정근거 : 수질환경보전법 제 10조 (배출시설의 설치허가 및 신고)

□ 지정목적

○ 환경기준 유지를 위해 배출시설로부터 배출되는 특정수질유해물질

또는 특별대책지역 안의 배출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오염통제

○ 주민의 건강·재산 , 동·식물의 생육에 미치게 될 위해의 방지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 지정현황 : 4 개지역

지 역 명 제 한 대 상 지 역

팔당호 등

영향권역

○ 경기도 : 구리시·남양주시·하남시 (배알미동 제외)·이천시·

여주군·광주군의 전지역 및 용인시·안성시·포천군·

가평군·양평군의 일부지역

○ 강원도 : 원주시 일부지역 ○ 충청북도 : 음성군 일부지역

대청호영향권역○ 대전광역시 : 동구 일부지역

○ 충청북도 : 청원군·보은군·옥천군의 일부지역

물금·매리

주변지역○ 경상남도 : 밀양시·김해시·창원시·양산군의 일부지역

임진강유역 ○ 경기도 : 동두천시 전역 , 양주군·연천군·포천군의 일부지역

- 78 -

Page 7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주요 행위제한 내용

○ 허가제한 대상 배출시설

- 수질환경보전법 제2조제3호 및 동법시행규칙 제3조 별표 2의

특정수질유해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 특정수질유해물질 : 구리 및 그 화합물 , 납 및 그 화합물 , 비소

및 그 화합물 , 수은 및 그 화합물 , 시안화물 등 1 7종

○ 허가제한의 예외

- 특별대책지역 중 도시계획구역안과 특별대책지역 밖의 지역에서

동법시행규칙 별표 3의 출판·인쇄시설 , 자동식 사진처리시설 ,

병원시설 , 세탁시설 , 산업시설의 폐가스·분진 , 세정·응축시설 ,

이·화학시험시설의 폐수배출시설로서 발생되는 특정수질유해

물질을 전량 위탁 처리하는 경우는 제외

□ 문의처 : 산업폐수과 (0 2 - 5 0 0 - 4 2 9 2 )

8 . 지정호소 (호소수질보전구역 )

□ 지정근거 : 호소수질관리법 제7조 (지정호소와 호소수질보전구역)

※ 2 0 0 0 . 10월 동 법률 폐지 , 수질환경보전법에 통합

□ 지정목적

○ 호소수의 이용목적에 따른 수질보전 대책의 수립·시행을 통한

호소수의 보전·이용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현재 지정호소 없음 )

□ 주요 행위제한 내용

○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호소는 양식업 중 가두리식 양식어장을 설치

하는 양식어업의 면허를 제한

- 79 -

Page 7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9 . 수변구역

□ 지정근거 : 한강수계상수원수질개선및주민지원등에관한법률 제4조

(수변구역의 지정 등)

□ 지정목적 : 한강수계 상수원의 적정한 관리와 수질개선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 지정현황 : 팔당상수원 유입 하천 변에 지정

구 분지정범위 (하천경계로부터 ) 지정면적

(㎢ )행 정 구 역

특별대책지역내 특별대책지역외

합 계 1 ,0 0 0 m 5 0 0 m 2 5 4 .9 8 4

북한강변 1 ,0 0 0 m 5 0 0 m 6 5 .6 9 9

남양주시 ( 1 1 .0 0 2 )

가 평 군 ( 3 3 . 12 6 )

춘 천 시 ( 2 1 .5 7 1)

남한강변 1 ,0 0 0 m 5 0 0 m 14 7 .4 1 1

양 평 군 (4 4 . 10 2 )

여 주 군 ( 6 4 .8 0 4 )

원 주 시 ( 9 .6 2 8 )

충 주 시 ( 2 8 .8 7 7 )

경안천변 1 ,0 0 0 m 5 0 0 m 4 1 .8 7 4용 인 시 ( 3 0 .8 5 3 )

광 주 군 ( 1 1 .0 2 1)

□ 주요 행위제한 내용

<행위제한 사항> : 다음 각호의 행위는 할 수 없음

① 폐수배출시설의 설치

② 축산폐수배출시설의 설치

③ 식품접객업 , 숙박업 , 목욕장업 및 관광숙박업을 영위하는 시설의

설치

④ 개발행위를 유발시키거나 환경오염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는 용도

지역·지구를 새로이 지정하거나 변경하는 행위

- 80 -

Page 7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행위제한의 예외> : 환경부장관의 허가 또는 동의 필요

① 특별대책지역이 아닌 수변구역 안에서 위 행위제한 사항 중 ②

및 ③의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로서 오수를 BOD 10㎎/ ℓ이하로

처리하여 방류 (축산폐수는 전량 공공처리시설에 유입하거나 전량 퇴비화

할 수 있는 경우 포함 )하는 경우 : 환경부장관 허가

② 위 행위제한 사항 중 ④의 경우로서 군사목적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 환경부장관 동의

□ 문의처 : 수질정책과 (0 2 - 5 0 0 - 4 2 9 0 )

1 0 . 상수원보호구역

□ 지정근거 : 수도법 제5조 (상수원보호구역지정등)

□ 지정목적 : 상수원 보호

□ 지정권자 : 환경부장관 (시·도지사에게 권한 위임 )

□ 지정현황 : 3 8 6개소 , 1 ,2 5 3 .0 7㎢ 지정

시·도보호구역수

(개 소 )지 정 면 적

(㎢ )시·도

보호구역수

(개 소 )지 정 면 적

(㎢ )

합 계 3 8 6 1 ,2 5 3 .0 7 0 강 원 5 9 9 1 .0 7 3

서 울 1 6 .4 5 0 충 북 2 4 1 19 .2 3 5

부 산 2 9 3 .4 7 2 충 남 2 8 3 7 .6 3 0

대 구 4 5 3 .8 2 2 전 북 2 2 8 0 .8 4 5

광 주 5 3 0 .7 0 8 전 남 7 3 18 9 .6 0 7

대 전 1 7 8 . 19 3 경 북 8 7 13 7 .7 7 1

울 산 2 6 .4 7 1 경 남 4 7 10 1 .5 8 2

경 기 15 2 2 4 .2 7 7 제 주 16 1 .9 3 5

- 8 1 -

Page 7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주요 행위제한 내용

<행위제한> : 금지행위

○ 수질오염물질 , 오수·분뇨 , 축산폐수 등을 버리는 행위

○ 가축을 놓아 기르는 행위

○ 수영·목욕·세탁 또는 뱃놀이 행위, 행락·야영 또는 야외취사행위 ,

어·패류를 잡거나 양식하는 행위 등

<허가를 받아 할 수 있는 행위> : 제한적 허용행위

○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건축 및 설치

- 공익상 필요한 공작물의 건축 및 설치

- 상수원보호구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 및 소득

향상에 필요한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건축 및 설치

- 오염물질의 발생정도가 종전의 경우보다 높지 않는 범위 안에서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개축·재축

- 부락공동시설·공익시설·공동시설 및 공익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철거된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이전 등

○ 오염물질 발생정도가 종전의 경우보다 높지 않는 범위 안에서의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용도변경

○ 경지정리 만을 목적으로 하거나 상수원 보호구역의 지정목적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되는 토지의 형질변경행위 등

□ 문의처 : 수도관리과 (0 2 - 5 0 0 - 4 3 4 0 )

- 82 -

Page 7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도시 (기본 )계획 협의사례

- 83 -

Page 7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0 0 도 시 기 본 계 획 ( 안 ) 협 의 의 견

제 1절 종합의견

◆ 정부는「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 ' 9 9 .7 .2 2 )」에서 개발제한구역(GB)

해제로 인한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환경훼손 방지를 위해 환경적

요소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도시계획을 수립한 후 GB를 해제한다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 그간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도시

계획법령 및 각급 도시계획수립지침을 전면 재정비하였음

◆ GB 해제로 인한 부작용의 최소화 ,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및 제주시가 목표로 하는 생태도시의 구현 등을 위해서는

이와 같은 정책방향과 도시계획제도의 개편 취지를 계획의 기조로

하여 원점에서 기정 도시기본계획상의 미비점 보완을 포함한 전향

적인 계획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 그러나 , 본 도시기본계획(안)은 GB 해제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 등을

크게 우려하고 생태도시를 표방하면서도 이와 같은 요구와 목표에

상응하는 심층적·종합적인 조사·검토가 미흡하고 , 계획내용에

있어서도 환경적 측면보다 도시의 물리적 기능을 위주로 성장 및

개발과 관련한 지표를 과다하게 설정하거나 계획입지를 부적정하게

배치하는 등 종전의 계획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향후 2 0년을

내다보는 장기종합계획으로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됨

1 .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 (중소도시권 전면해제 )의 일환으로 새로이

수립하는 0 0 도시기본계획 (안 )은「생태도시」 ,「삶의 질이 높은

도시」 ,「경쟁력 있는 도시」를 목표 (미래상)으로 설정하여 환경친화

적인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 노력도 전혀 없지는 않으나 , G B 제도

및 도시계획제도의 개선취지 ,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 미래상 등이

요구하는 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 85 -

Page 7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계획인구 , 개발예정용지 , 용수와 에너지의 수요공급 , 하·폐수와

폐기물 발생량 등의 지표를 과도하게 설정

○ 개발제한구역 전면 해제시 행위제한의 완화로 그간 잘 보전되어 온

자연환경 훼손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 , 시설

녹지 , 보전녹지 , 하천과 그 주변지역 , 희귀동식물 서식지 등의 생태

녹지공간을 최대한 확보·보전하는 것이 중요하며

- 생태도시계획은 이와 같은 생태녹지공간 (B io- t o p e )의 연결 및

네트워크화가 기본적인 사항이나 이에 대한 기본방향 , 전략 , 구현

방안 등이 부재

○ 토지이용계획 , 교통계획 , 공원녹지계획 , 환경계획 등의 부문별계획은

제주시가 지향하는 미래상을 구현하기에 미흡하고 , 미래상과 부문별

계획간 , 부문별계획 상호간에 정합성이 결여

○ 개발제한구역의 환경평가 검증결과 보전가치가 큰 1 ,2등급지역에

개발예정용지 (과학기술단지)를 배분하고 , 외곽순환도로를 관통하여

배치하는 등 토지이용 및 도시계획시설 배치계획에 있어서 환경성

고려가 미흡

○ 시청을 비롯한 시민복지타운은 리모델링을 통하여 이용하지 않고

개발제한구역 해제 예정지역안에 새로이 설치토록 계획함으로써

많은 예산과 토지 등의 자원낭비 및 그 주변의 난개발 초래 예상

○ 환경보전계획은 다른 부문별 계획과 달리 현황 조사·분석없이 사후

관리의 물적계획 (상하수도 , 폐기물)위주로 수립하고 자연환경 , 대기

환경 , 수환경 (연안 포함 )에 대한 계획 누락 등

2 . 따라서 , 0 0 도시기본계획 (안)은 제주시로 하여금 이러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하 제2절 및 제3절에서

제시한 의견을 반영하여 재작성·제출토록 한 후 다시 협의함이 좋을

것으로 사료됨

- 86 -

Page 7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 2 절 분야별 검토의견

1 . Ⅲ . 환경평가 관련

□ 계획안 (p 4 6 표Ⅲ- 3 - 2 , 환경평가 검증 보고서 )

구 분기존 환경평가결과 검 증 결 과 증 감

면적 (㎢ ) 비율 ( % ) 면적 (㎢ ) 비율 ( % ) 면적 (㎢ ) 비율 ( % )

계 8 0 .8 0 10 0 .0 8 0 .8 0 10 0 .0 - -

1 등 급 - - - - - -

2 등 급 15 . 19 18 .8 - - 감 15 . 19 감 18 .8

3 등 급 - - - - - -

4 등 급 6 3 .0 0 7 8 .0 7 9 .2 4 9 8 . 1 증 16 .2 4 증2 0 . 1

5 등 급 2 .6 1 3 .2 1 .5 6 1 .9 감 1 .0 5 감 1 .3

□ 검토의견

○ 수질항목의 환경평가 검증을 다시 실시하여 등급별 면적·관련 도면

등을 보완하고 , 환경평가·토지이용계획 등 관련부분을 수정 보완

○ 수질 및 식물상 3등급 이상인 지역 등은 토지이용계획과 연계하여

보전용지로 설정하고 , 도시재정비계획 수립시 보전녹지로 지정 관리

□ 이 유 : 0 0 및 0 0 취수원에 대한 영향요소가 고려되지 않음

○ 수질등급기준에 의하면 0 0 및 0 0 취수원과 인접한 상류유역은 3

등급 ( 10∼ 13점 ) 이상 지역이 있어야 하나 없는 것으로 평가

※ 평가지표중 취수원과 거리 (2 k m이내 : 8점) , 배출허용기준 (청정지역 : 4점)

2개 지표만 고려하여도 취수원 인근은 평가점수 12점으로 3등급에 해당

○ 0 0는 수자원의 여건이 매우 취약 (상류유역의 강수가 지하로 스며들어

흘러내리는 물을 하류지역에서 취수하여 사용 )하므로 취수원 인근지역을

보전용지로 설정하는 등 엄격한 취수원 관리가 필요

- 87 -

Page 7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Ⅳ . 0 0 시의 목표와 전략 관련

1 ) 인구지표 (p 6 6 표Ⅳ- 3 - 4 등 )

□ 계획안

구 분 19 9 8 2 0 0 1 2 0 0 6 2 0 1 1 2 0 16 2 0 2 1

계획인구(인 )

2 7 0 ,8 4 2 2 8 7 ,0 0 0 3 16 ,0 0 0 3 4 8 ,0 0 0 3 7 9 ,0 0 0 4 10 ,0 0 0

연 평 균증가율 ( % )

* 1 .9 5(과거 10 년 ) 1 .9 5 1 .9 5 1 .9 5 1 .7 2 1 .5 8

□ 검토의견

○ 계획인구가 과다하고 , 이로 인한 자원소비가 과다한 계획이 수립

되고 있으므로 계획인구를 축소 조정 ( 2 0 2 1년 3 5만명 정도 )

○ 계획인구의 조정결과에 의거 생활권 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 토지

이용계획 등의 관련 분야별·부문별 계획을 수정 보완

□ 이 유

○ 0 0 0는 국토의 본토와 격리되어 있는 특수한 지역으로서 상주

인구가 지속적·직선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기 어려움

- 기정 도시기본계획 (목표년도 2 0 16년 )에서 ' 9 5∼2 0 0 0사이의 연평균 인구

증가율을 2 . 13 %로 계획하였으나 실제증가율은 1 .7 7 %에 그쳐 과도

- 최근 인구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둔화 ( ' 9 5년 2 .7 % → ' 9 8년 1 .7 0 % , 연평균

14 . 3 %씩 감소) , ' 9 0∼ ' 9 8사이 제주도 전체 인구증가율은 0 .4 8 %에 불과

- 인구증가율 지표가 제4 차 국토종합계획에서 전망하고 있는 전국지표 ( ' 9 5∼

' 0 0 : 0 .7 7 % , ' 0 0∼ ' 10 : 0 .4 2 % , ' 10∼ ' 2 0 : 0 . 13 % )를 훨씬 상회

※ 전국 인구증가율의 2 배를 적용할 경우 2 0 2 1년 인구는 3 2 만명 내외

○ 계획인구가 모든 계획의 기본 (기준 )이 되는 중요한 요소인 바 ,

과도한 계획인구가 계획전반에 미치는 폐해가 매우 큼 (자원낭비 및

자연훼손 조장 , 불필요한 사업 추진 , 용도지역 변경으로 인한 지가 상승 등)

- 88 -

Page 7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도시주요지표 (p 6 3 6 표Ⅳ- 3 - 7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인구 , 주택 , 토지이용 , 환경 , 에너지 , 사회

복지·교육·문화시설 , 공원 등의 연차별

계획지표를 제시

인구지표 조정결과를 반영하고 , 이하에서

제시한 의견 등을 종합하여 관련 지표를

전반적으로 수정 보완

□ 이 유 : 인구지표 및 부문별 계획 등의 조정내용과 정합성 확보

3 . Ⅴ . 공간구조 구상 관련

1 ) 공간구조 골격 (p 7 6∼7 7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3 . 1 공간구조 골격

동서4 축 , 즉 해양문화축 , 도시생활축 ,

미래산업축 , 보전녹지축으로 구상함

3 . 1 공간구조 골격

- - - - - - - - - - - - - - - - -

미래자원축 - - - - - - - - - - -

□ 도시생활축

기존 도시생활의 근거지로서 도시생활

기반 자족성 강화

0 0시의 중추기능을 3개 생활권에서

접근이 손쉬운 외곽지역으로 이전 (향후

인구증가에 따른 혼잡에 대비 )

- 시청 및 시민복지 서비스 기능을 담은

시민복지타운을 조성

0 0 0 0도시 기능도입과 관련한 물류

단지를 0 0공항 인접지역에 배치

□ 도시생활축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삭 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9 -

Page 8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 미래산업축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으로 다음과 같은

자연친화적인 0 0시의 미래 중심산업이

될 기능을 유치토록 함

과학기술단지를 0 0대학 인근에 조성

□ 미래자원축

- - - - - - - - - - 미래세대가 토지

이용을 결정토록 보전위주로 관리하되 ,

불가피한 기능만을 제한적으로 유치

< 삭 제 >

※ 과학기술단지 유치기능 : 창업보육센터 , 연구건물 , 주택 , 국제외국어학교 , 국제

호텔경영학교 , 정보통신관련 연구 및 교육시설 등

□ 이 유

○ 0 0는 자연경관 , 자연생태계 , 양호한 환경 등이 중요한 자산인 바 ,

시가화구역인 도시생활축과 고지대인 보전녹지축 사이의 중간지대를

개발 이미지가 강하게 담긴 미래산업축으로 칭하는 것은 부적절

- 본 기본계획 (안 )에서도 0 0시는 개발제한구역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가용

토지자원이 풍부하고 ,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로 그간 잘 보전되어 온 자연의

무분별한 훼손방지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제시하고 있음

- 따라서 미래산업축의 명칭을 미래자원축으로 변경하고 , 동 지대는 미래

세대가 토지이용을 결정토록 보전위주로 관리토록 함이 타당

○ 시민복지타운의 신설계획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제외

- 기존시설을 리모델링 등으로 활용하지 않고 새로운 부지를 마련하고 건축

등을 할 경우 자원과 예산의 집중적인 소모 및 에너지 낭비를 초래

- 본 도시기본계획이 지향하는 생태도시 , 자원과 에너지절약 등과 부합되지 않

으며 , 시민복지타운 신설시 교통집중 , 에너지 과다소모 , 대기오염 급증 예상

- 부지규모가 과다 (소요 0 . 1 15㎢ , 배분 0 .4 3 0㎢ )하고 , 개발제한구역 해제

지역에 대규모 공공시설 입주계획 반영시 주변의 녹지지역 훼손 및 난개발

등 부작용 예상

○ 과학기술단지 ( 1㎢ ) 예정지는 환경평가검증결과 보전용지 ( 1 ,2등급

지역)로 분류된 보전가치가 큰 지역이므로 동 지역에 입지는 부적합

- 90 -

Page 8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교통축 구상 (p 8 1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국도대체우회도로

- 동서방향으로 연결하는 국도0 0호는 시

내를 관통하지 않도록 통과교통을 우회

시키는 국도대체우회도로를 계획함

※ 교통축 기본구상도 참조 (p 8 1)

국도대체우회도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획하되 ,

노선은 환경평가결과 1∼2등급지역의

아래쪽 (북쪽 )으로 배치토록 함

□ 이 유 : 보전가치가 큰 녹지축의 훼손방지

3 ) 공원녹지축 구상 ( p 8 2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자연녹지를 최대한 보전하되 해안과

0 0산 보전에 중점을 두고 , 시가지에

남아 있는 녹지축을 유지토록 구상

해안녹지 확보 (해변녹지축 보전 )

중산간 지역의 녹지보전

- 0 0산 경관을 보전할 수 있도록 0 0산

기슭인 중산간지역의 녹지를 보전

시가지 사이에 녹지 축 유지

- 시가지 사이에 남북방향으로 녹지 4축을

형성하여 사다리형 녹지체계 구축

계획 (안 )에 다음 사항 추가

도시전체의 공원녹지체계 구축

- 해안녹지축과 중산간지역녹지축 사이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을 중심으로

하천과 그 주변지역 , 환경평가결과

식물상 및 수질 3등급 이상지역 등은

도시내 보전녹지로 지정

- 해안녹지축 , 중산간지역녹지축 , 도시내

보전녹지 , 공원 , 시설녹지 및 유원지 ,

희귀동식물 서식지 등의 공원녹지 및

b io- t op e 구성요소가 단절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도록 공원녹지체계를 구축

□ 이 유 : 생태도시구현 등을 위한 공원녹지체계 네트워크화 필요

- 9 1 -

Page 8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3 절 부문별계획 검토의견

1 . 1 . 생활권 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관련

□ 계획안 (p 8 3 , 9 9 )

생활권 행정구역계획인구

(천인 )

토 지 이 용 계 획 (㎢ )

계 시가화용 지

시 가 화예정용지 보전용지 미지정

합 계4 10

( 10 0 % )

13 9 .0 0(3 3 9 )

17 .0 4(4 2 )

9 .5 2( 2 3 )

10 7 .5 3( 2 6 2 )

4 .9 1( 1 2 )

중 앙0 0동 등

12개동

2 0 0(4 8 .8 % )

4 7 .6 9(2 3 8 )

8 .8 8(4 4 )

4 .9 5( 2 5 )

2 9 .8 7( 14 9 )

3 .9 9( 2 0 )

서 부0 0 등

5개동

1 15(2 8 .0 % )

4 2 .8 3(3 7 2 )

4 .6 3(4 0 )

2 .2 5( 2 0 )

3 5 .0 3( 3 0 5 )

0 .9 2( 8 )

동 부0 0동 등

5개동읍

9 5(2 3 .2 % )

4 8 .4 8(5 1 0 )

3 .5 3(3 7 )

2 .3 2( 2 4 )

4 2 .6 3(4 4 9 )

-

<비 고> 괄호 안은 계획인구 1인당 면적으로서 단위는 ㎡/ 인 임

□ 검토의견

○ 생활권설정은 행정구역 (동 , 읍 )과 지형뿐만 아니라 생활권별 보전

용지면적을 감안 , 동부생활권과의 경계를 조정하는 방안 재검토

○ 생활권별 계획인구 배분은 인구지표의 조정결과를 반영하여 배분

계획을 재검토 조정

□ 이 유

○ 중앙생활권의 경우 인구와 산업 등 제반 도시기능이 집중된 지역인

반면 보전용지의 면적이 다른 생활권의 절반 수준에 불과

○ 0 0시 전체의 장래 인구지표 조정 시 이와 연계한 생활권별 인구

배분계획 수정 필요

- 92 -

Page 8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2 . 토지이용계획 관련

1 ) 생활권별 토지이용계획 ( p 9 9 )

□ 계획안

구 분 합 계 서부생활권 중앙생활권 동부생활권

합계면 적 (㎢ ) 13 9 .0 0 4 2 .8 3 4 7 .6 9 4 8 .4 8

비 율 ( % ) 10 0 .0 10 0 .0 10 0 .0 10 0 .0

시가

용지

면 적 17 .0 4 4 .6 3 8 .8 8 3 .5 3

비 율 12 .3 10 .8 18 .6 7 .3

주거용지 12 .5 3 3 .6 3 6 .5 1 2 .3 9

상업용지 3 .0 6 0 .9 7 1 .9 0 0 . 19

공업용지 1 .4 5 0 .0 3 0 .4 7 0 .9 5

시가

예정

용지

면 적 9 .5 2 2 .2 5 4 .9 5 2 .3 2

비 율 6 .8 5 .3 10 .4 4 .8

녹지지역안에 입지

7 .2 5(주거용지 )

1 .8 1(주거용지 )

3 . 12(주거용지 )

2 .3 2(주거용지 )

GB해제지역안에 입지

1 .8 7 0 .4 4(공항물류단지 )

1 .4 3(시민복지타운 0 .4 3 ,과학기술단지 1 .0 )

-

기타 (항만 ) 0 .4 0 - 0 .4 0 (0 0 외항 ) -

보전

용지

면 적 10 7 .5 3 3 5 .0 3 2 9 .8 7 4 2 .6 3

비 율 7 7 .4 8 1 .8 6 2 .6 8 7 .9

미지정

면 적 4 .9 1 0 .9 2 3 .9 9 -

비 율 3 .5 2 . 1 8 .4 -

인구2 0 2 1계획 (인 ) 4 10 ,0 0 0 1 15 ,0 0 0 2 0 0 ,0 0 0 9 5 ,0 0 0

비 율 ( % ) 10 0 .0 2 8 .0 4 8 .8 2 3 .2

<비고> 0 0 0군 포함면적 : 3 .3 1㎢ (서부생활권 0 . 1 5㎢ 0 0천 유원지 , 동부생활권 3 . 16

㎢ 0 0읍 일부 지역

- 93 -

Page 8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검토의견 및 이유

○ 인구지표 (계획인구 ) 조정결과에 의거 시가화예정용지 배분계획을

재검토 조정하고 , 이의 관련 내용을 수정 보완

- 2 0 2 1년 계획인구를 2 0 16년을 목표년도로 한 기정 도시기본계획상의 인구

(3 8만명) 이하로 조정할 경우 주거용지 및 상업용지의 추가 배분 불필요

○ 개발제한구역 해제예정 지역에 입지를 배분한 과학기술단지 및

시민복지타운은 제외 . 이들 용지는 보전용지로 지정 관리 (이유는

앞의 관련 사항 참조 )

2 ) 보전용지 정비방향 (p 1 0 3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경우 녹지축 및

농업생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환경평가

결과의 1 ,2등급 지역이 집단적으로 군집

되어 있는 곳은 도시계획(재정비)에서 보전

녹지 및 생산녹지지역으로 지정토록 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환경평가

결과 종합평가 1 ,2등급 지역 , 수질 또는

식물상 3등급 지역 , 하천과 그 주변지역 ,

희귀동식물서식지 등 도시전체의 공원녹지와

b io- t op e 체계의 구축·보전 및 난개발

방지를 위해 필요한 지역은 - - - - -

환경평가결과에서 보전등급이 높지 않더

라도 도시의 생활권을 녹지축으로 적절히

분절할 필요가 있는 지역 , 해안경관을 보

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 조망축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도시계획시 보전녹지

지역으로 지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분절할 필요가 있거나 도시전체의 공원녹

지 및 b io- t op e 체계의 구축·보전을 위

해 필요한 지역 , - - - - - - - - - - -

- - - - - - -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하여, 자연녹지

지역과 보전녹지지역(생산녹지 포함)의

배분비율은 환경평가결과의 1,2등급 및

기타 등급 비율에 근접하도록 함

- - - - - - - - - - - - - - -보전녹지

지역(생산녹지 포함)의 배분비율을 최대한

높이도록 하되, 그 최소한도는 구역면적의

60% 이상이 되도록 함

- 94 -

Page 8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이 유

○ 0 0는 자연경관 , 자연생태계 , 양호한 환경 등이 중요한 자산인 바 ,

이의 보전과 난개발 방지 등을 위해 토지의 엄격한 관리 필요

○ 0 0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가용 토지

자원이 풍부하며 , 생태도시를 위해서는 보전위주로 관리함이 타당

○ 주민의식 조사결과 대다수가 토지의 보전을 중시하고 있고 , G B

제도개선방안에서 구역면적의 6 0 % 내외를 보전지역으로 지정토록

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극 반영토록 함이 타당

-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 사용권을 제한하는 토지

면적을 최대화해야 한다는 것이 중론 ( 7 1% )

- 환경보전을 위해 0 0 0지역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데 동의 ( 8 4 % )

3 ) 취락지구 정비방향 (p 1 0 8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개발제한구역 내 집단취락과 0 0 마을 은

취락지구로 지정하여 정비

보전녹지지역으로 지정된 해안변 취락

지구는 타 지역의 취락지구와 형평성을

위하여 도시계획시 보전녹지지역에서

자연녹지지역으로 변경토록 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삭 제 >

□ 이 유

○ 관광루트가 되는 해안은 경관의 중요한 요소인 바 , 용도지역의

상향조정 (Up - Zo n in g )시 건축 등 개발이 보다 자유로워짐

○ 이 경우 연안지역의 확대개발 , 인구 및 교통량증가 등으로 급격한

변화는 아닐지라도 영향이 누적되어 해안경관 및 연안생태계의

점진적인 파괴가 예상됨

- 95 -

Page 8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3 . 교통·물류계획 관련

1 ) 기본방향 (p 1 2 3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기존 도로를 최대한 수용하되 신설가로

망은 지형조건 및 자연경관을 고려하여

계획

0 0 0 0도시 특성에 부합하는 친환경적 교

통수단 도입 및 이용 활성화 등

< 신 설 >

- - - - - - - - - - - - - 가로신설 및

확장은 자연생태계 연결 , 도로변 주거

환경 , 자연경관 및 지형조건을 - - -

( 좌 동 )

지역간 가로망 , 도시내 간선가로망 ,

해안순환도로 등의 주요 도로에는 완충

녹지 및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적절히

배치하되 , 도시계획 및 도시계획시설 설치

계획수립시에 이를 구체화하여 반영

□ 이 유 : 도로의 신설 및 확장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단절 , 주거

환경피해 (소음 등) , 자연경관훼손 등의 부작용 최소화

2 ) 지역간 가로망계획 (p 1 3 1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동서축 지역간가로망 계획

-국도대체우회도로 (0 0 - 0 0 - 0 0간) 건설

계획(단계별 실시설계중)을 반영하여 외

곽우회도로망 구축 (4∼6차로)

계획 (안 ) 후단에 다음 사항 추가

-노선은 환경평가결과 1∼2등급지역의

아래쪽 (북쪽)으로 배치하고 , 야생동물이

도로의 상하 지역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생태통로를 적절히 배치

□ 이 유 : 보전가치가 큰 토지의 보전 , 생태도시 구현 등

- 96 -

Page 8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6 . 산업개발계획 관련

1 ) 수산업 기본방향 ( p 1 7 3∼ 1 7 4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연안어장 이용의 활성화 도모

양식어업 및 연근해 어업의 육성

관광산업과의 연계 강화방안 마련 등

계획 (안 )에 다음 사항 추가

수산업 기반시설의 환경친화적인 설치

□ 이 유 : 자연경관 및 연안환경 보호

2 ) 수산업 육성계획 ( p 1 7 4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 어항시설의 확충

위판장, 물양장, 방파제, 급유·급수시설,

조선수리시설 등 기반시설 확충 및 현대화

< 신 설 >

□ 어항시설의 확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어항은 해수순환 , 주변경관과 조화 ,

항내 오염방지 등을 고려하여 확충

□ 양식산업의 현대화

육상수조식 양식장과 해면양식을 연계한

효율적인 양식산업 육성

< 신 설 >

연안어장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배출수

정화처리시스템의 개발·보급

□ - - - - - 현대화·친환경화

( 좌 동 )

육상수조식 양식장은 경관 및 연안환

경에 미치는 영향을 엄정히 심사한 후

허가하는 방안을 강구

( 좌 동 )

□ 이 유 : 자연경관과 연안환경 보전 및 관광자원의 질 향상 도모

- 97 -

Page 8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관광산업 진흥계획 (p 1 8 8∼ 1 9 0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 관광정책 마인드 정립

조직 , 인력 , 예산 , 정책개발 등의 노력

□ 관광상품 소재의 확충

문화관광 , 유적관광 , 야간관광 등의

소재개발

□ 관문도시로서의 관광매력 정비

국제공항부근 정비 보존 등

□ 도시형관광 , 야간관광 활성화 지원

쇼핑몰조성 , 카페촌 야간관광지화 등

□ 관광서비스의 고급화·국제화

정보·안내프로그램 활성화 등

□ 법적·제도적 제약 극복을 위한 노력

□ 카지노 유치

오픈카지노 유치시 0 0위락단지내에

유치 등

□ 체험관광단지 조성

작목별 주산단지 , 농축산 휴양촌 , 승마

공원 , 고유 문화체험촌 등

계획 (안 )에 다음 사항 추가

□ 생태관광산업의 육성·지원

0 0구 , 초원 , 희귀동식물서식지 , 천연

기념물 , 경관 등 0 0 0 특유의 자연자

원을 연계하는 생태관광상품 개발

관광지는 기존의 지형과 식생 보전 ,

향토수종 식재 , 자연채광 , 천연에너지

이용 , 포장의 최소화 및 물순환 , 오염

물질의 자연정화처리 등 자연생태적

기법을 도입하여 조성토록 유도·지원

□ 이 유

○ 도시기본계획의 목표와 추진전략에서 생태도시 , 생태관광을 제시

하고 있으나 (p 5 7 등 ) 이에 대한 실천방안이 미흡

○ 0 0 0에는 독특한 생태자원이 비교적 널리 분포되어 있는 바 , 이를

관광·교육 등의 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

- 98 -

Page 8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5 . 8 . 환경보전계획 관련

1 ) 종합의견

○ 환경보전부문의 계획은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이 제시하고 있는

내용과 수준에 비해 매우 미흡하게 작성됨

- 자연환경(환경친화적 도시개발) 및 생활환경(대기환경 , 수환경 , 상하수도 등)에

대한 현황 조사·분석 미비

-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에 대한 현황의 조사·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환경전반의 보전계획 미비

- 제시된 기본방향과 추진전략이 생태도시의 목표를 구현하기에 미흡

하고 , 기본방향과 추진전략간의 정합성 결여 및 구현방안 미비

- 공원녹지 , 시설녹지 , 보전용지 , 하천 , 희귀동식물 서식지 등 생물

서식공간의 연결과 네트워크화는 생태도시계획의 기본적 사항이나

이에 대한 기본방향과 추진전략 등이 부재 (공원녹지계획과도 관련 )

- 환경보전계획과 토지이용·산업개발·공원녹지 등 관련 부문별 계획

간의 연계성 미흡

- 기본방향에서 자원의 수요관리와 감량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서도 물과 에너지 공급 , 폐기물관리 등은 확대공급 지향적으로 계획

- 제시된 계획은 추진전략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전예방 우선 원칙과

다르게 하수처리 , 폐기물처리 등 오염의 사후관리에 치중 등

○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의 추진과 관련하여 ' 9 9 .9월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을 마련한 배경과 목적 , 본 도시기본계획이

지향하는 생태도시 목표 등에 부응하기에는 매우 미흡함

○ 따라서 , 환경계획부문은 위와 같은 사항 및 다른 부문에서 제시한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조정하여 보완하고 , 제주시가 지향

하는 생태도시 , 삶의 질이 높은 도시 , 경쟁력 있는 도시를 위해

다른 부문별 계획을 포함한 계획전반의 미비점의 보완이 필요함

- 99 -

Page 9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상수도계획 (p 2 0 2∼2 0 4 )

□ 계획안 (상수도 수요추정 : 일평균기준 )

구 분 단 위 19 9 8 2 0 0 1 2 0 0 6 2 0 1 1 2 0 16 2 0 2 1

계획인구=급수인구

인 2 7 0 ,8 4 2 2 8 7 ,0 0 0 3 16 ,0 0 0 3 4 8 ,0 0 0 3 7 9 ,0 0 0 4 10 ,0 0 0

급 수 량 ℓ/ 인일 3 4 0 4 0 0 4 4 0 4 7 0 5 0 0 5 3 0

생활 ㎥/ 일 9 2 ,0 8 0 1 14 ,8 0 0 1 3 9 ,0 0 0 16 9 ,2 0 0 19 1 ,5 0 0 2 17 ,3 0 0

공업 ㎥/ 일 2 4 ,9 0 0 2 4 ,9 0 0 2 4 ,9 0 0 2 4 ,9 0 0 2 4 ,9 0 0 2 4 ,9 0 0

계 ㎥/ 일 1 16 ,9 8 0 13 9 ,7 0 0 16 3 ,9 0 0 19 4 , 10 0 2 16 ,4 0 0 2 4 2 ,2 0 0

시설용량 ㎥/ 일 1 5 9 ,5 0 0 2 3 3 ,5 0 0 2 3 3 ,5 0 0 2 9 3 ,5 0 0 2 9 3 ,5 0 0 2 9 3 ,5 0 0

□ 검토의견 및 이유

○ 목표년차별 1인 1일 급수량의 지표가 과다하므로 이를 하향 조정

( 2 0 2 1년의 경우 4 5 0ℓ 수준)

- 계획기간 동안 1인 1일 수요량이 지속적·직선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기 어려움 (최근 4년간은 3 4 0ℓ/ 인·일 수준으로 변화 없음)

- 0 0 0의 상수원 취약성 , 정부의 물절약 시책 , 생태도시 구현의지 등이

반영되지 않음

○ 계획인구와 1인 1일 상수도급수량 지표의 조정결과에 의거 용수

수요량 추정내용 및 상수도공급관련 시설계획을 수정 보완

- 계획인구 및 1인 1일 급수량 지표 조정시 이의 조정 불가피

○ 취수지점의 위치 , 입지적 여건 , 수원의 양적·질적인 특성 등의

상수원과 상수원 수질보전에 관한 현황 조사·분석 및 보전대책

등에 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의 관련 내용을 보완

- 수요공급 중심의 계획만을 제시하고 있는 바 , 상수원의 수원함양 및

보전이 중요

- 100 -

Page 9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하수도계획 (p 2 0 4 ∼2 0 6 )

□ 계획안 (하수 수요량 추정 : 일최대기준 )

구 분 단위 19 9 8 2 0 0 1 2 0 0 6 2 0 1 1 2 0 16 2 0 2 1

계획인구 인 2 7 0 ,8 4 2 2 8 7 ,0 0 0 3 16 ,0 0 0 3 4 8 ,0 0 0 3 7 9 ,0 0 0 4 10 ,0 0 0

보 급 률 % 9 6 .7 9 8 10 0 10 0 10 0 10 0

처리인구 인 2 6 1 ,9 0 4 2 8 1 ,0 0 0 3 16 ,0 0 0 3 4 8 ,0 0 0 3 7 9 ,0 0 0 4 10 ,0 0 0

하폐

수량

(㎥/

일 )

생활오수 ㎥/ 일 6 5 ,5 0 0 8 4 ,3 0 0 10 2 ,7 0 0 1 2 6 ,0 0 0 14 3 ,6 0 0 16 4 ,0 0 0

공업폐수 ㎥/ 일 1 3 ,9 0 0 13 ,9 0 0 1 3 ,9 0 0 13 ,9 0 0 1 3 ,9 0 0 13 ,9 0 0

지하수 ㎥/ 일 1 ,6 0 0 2 ,0 0 0 2 ,3 0 0 2 ,8 0 0 3 ,2 0 0 3 ,6 0 0

계 ㎥/ 일 8 1 ,0 0 0 10 0 ,2 0 0 1 18 ,9 0 0 14 2 ,7 0 0 16 0 ,7 0 0 18 1 ,5 0 0

처리능력 ㎥/ 일 13 0 ,0 0 0 1 3 0 ,0 0 0 13 0 ,0 0 0 19 5 ,0 0 0 19 5 ,0 0 0 19 5 ,0 0 0

처리장수 개소 1 1 1 2 2 2

○ 시설계획 : 기존 0 0하수처리장 ( 13 0천㎥/ 일 )은 증설없이 이용

' 1 1이후 추가시설 ( 6 5천㎥/ 일 )은 0 0하수처리장 신설

□ 검토의견 및 이유

○ 하수 수요량 추정 및 하수처리장 시설계획은 상수도계획의 조정

결과에 의거 수정 보완

- 하수도계획은 상수도계획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조정 필요

○ 0 0공업지역 , 육상수조식 양식장 , 수산물가공·위판장 등 수질오염

요인 시설의 현황 , 문제점 및 관리방안 (대책) 등이 없으므로 이를

보완하되 , 자연환경·수질환경·대기환경 등 누락된 분야 보완시

일괄 보완

- 계획의 미흡 , 누락된 분야에 대한 일괄적인 보완이 필요

- 10 1 -

Page 9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폐기물계획 (p 2 10 )

□ 계획안 (생활폐기물 배출량 예측 )

구 분 단 위 19 9 8 2 0 0 6 2 0 1 1 2 0 16 2 0 2 1

수거대상인구 인 2 7 0 ,8 4 2 3 2 0 ,0 0 0 3 5 0 ,0 0 0 3 8 0 ,0 0 0 4 10 ,0 0 0

1인 1일배출량 k g/ 인일 0 .8 5 0 .9 5 0 .9 5 0 .9 5 0 .9 5

총 배 출 량 톤/ 일 2 3 1 3 0 4 3 3 2 3 6 1 3 8 9

□ 검토의견 및 이유

○ 2 0 2 1년도의 1인 1일배출량을 하향조정 (0 .8 k g 정도 )하는 방안

재검토 (생태도시의 구현과 자원의 순환성 고려 )

○ 0 0공업지역 등지의 폐기물 발생·처리실태 , 문제점 및 대책 관련

내용을 보완 (지정폐기물 포함 )

5 ) 에너지계획 (p 2 1 7 )

□ 계획안 (총 에너지 및 전력수요 추정 )

구 분 단 위 2 0 0 1 2 0 0 6 2 0 1 1 2 0 16 2 0 2 1

총에

너지

1인당소비량

톤/ 년 3 .2 3 .8 4 .0 4 .2 4 .4

총소비량 천톤/ 년 9 18 1 ,2 0 1 1 ,4 4 0 1 ,6 0 9 1 ,8 0 4

전력

1인당소비량

k w h 4 ,0 0 0 4 ,5 0 0 5 ,0 0 0 5 ,5 0 0 6 ,0 0 0

총소비량

천Mw h 1 , 14 8 1 ,4 2 2 1 ,8 0 0 2 , 10 6 2 ,4 6 0

□ 검토의견 및 이유

○ 에너지 및 전력 소비량 추정이 과도하므로 하향조정 방안 재검토

○ 지속적·직선적 증가 예측은 과도하며 , 생태도시계획에 배치

- 102 -

Page 9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6 . 1 0 . 여가 및 공원녹지계획 관련

1 ) 시설녹지 지정계획 (p 2 3 4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0 0시 관문이 되는 0 0로는 0 0시의 생

태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도로 양측에 폭

15 m 시설녹지를 지정하여 관리

현재 시설녹지가 포함되어 설계중인

국도대체 우회도로는 향후에도 시설녹

지를 포함하여 계획

계획 (안 )에 다음 사항 추가

신설·확장하는 지역간 가로망 , 도시내

간선가로망 , 기타 경관조성·교통소음

또는 안전사고 방지 등을 위해 필요한

가로변에는 시설녹지를 지정하여 관리

□ 이 유

○ 생태도시 구현 및 정온을 요하는 시설 (주거시설 , 학교 등 )의 보호

○ 도시계획수립지침에서도 완충녹지 설치를 명문화하고 있으나 , 이에

대한 계획이 미흡 (제4편 제2장 제2절 도로계획 )

2 ) 0 0 공업지역 남측 완충녹지 정비방향 ( p 2 3 6 )

□ 계획안 및 검토의견

계 획 (안 ) 검 토 의 견

공업기능이 도시형업종으로 전환 (일반

공업→준공업)됨에 따라 완충녹지(폭15m )를

점진적으로 해제하되

우선 불합리하게 주거지역에 지정된

부분과 개발이 완료된 공업지역에 지정된

완충녹지 (주거와 공업지역 사이에 폭

3 5 m 도로로 차단 )를 우선 해제하고

존치되는 부분은 완충녹지내에 이면도로를

계획하여 토지이용 편의를 제공토록 함

공업지역이 폐지 또는 이전되기 전까

지는 도시재정비계획으로 결정된 완충

녹지의 존치를 원칙으로 함

다만 , 도시계획수립지침과 다르게 주거

지역에 지정된 부분은 공업지역안으로

변경하는 등 불합리하게 지정된 부분은

조정토록 함

※ 계획 (안)에서는 장기적으로 이전방안을 제시

- 103 -

Page 9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이 유

○ 공업지역에서 발생되는 공해의 완충 , 경관조성 등의 기능을 하는

완충녹지의 폐지는 불합리 (남서측 0 0마을에 약 4 0 0호 거주 )

- 기정 도시기본계획의 추진평가 내용 (p 2 6 )에 의하면 0 0공업지역은

공해업소 입주로 민원이 발생되는 것으로 평가

○ 공장입주업체가 증가추세이고 추가입주 여지가 많아 주변 주거기능

보호를 위해서는 완충녹지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

- 입주업체는 ' 9 3년 1 7 5개 (공해배출업체 6 4 개 )에서 2 0 0 0 년 2 3 1개

(공해배출업체 7 1개 )로서 1 .3배 증가 (p 10 4 )

- 공업지역 (9 5만㎡)안에 개발가용지가 다수 분포 (2 5만㎡ , p 7 3 )되어 있고 ,

공업지역의 이전 또는 용도변경 등이 간단치 않음

3 ) 유원지계획 (p 2 3 8∼2 3 9 )

□ 계획안

구 분 기 정 금 회 위치 , 주요 도입기능 등

합계 (4 ) 2 .3 4 3 2 .5 3 1 기정 대비 1개소 0 . 18 8㎢ 증가

0 0(해안형 )

0 .6 4 50 .7 0 5

(증0 .0 6 0 )

0 0 2동 , 세계적 수준의 관광위락단지 조성

숙박 , 카지노 , 마리나 , 해양수족관 등 도입

0 0 0(산악형 )

0 .6 2 80 .4 6 1

(감0 . 1 6 7 )

0 0동 , 시민을 위한 계곡유원지로 계획

숙박시설 (콘도 , 관광호텔 , 실버타운) , 쇼핑몰 , 예술

인촌 , 위락시설 , 운동시설 등 도입

0 0 0(산악형 )

1 .0 7 01 .0 7 0

(변경없음 )

0 0동 , 0 0동의 0 0대 근교로서 0 0기술단지 주변

위락시설로서 관광자원적 가치가 있음

위락시설 , 운동시설 , 스포츠센터 , 골프연습장 , 콘도 ,식당가 등 도입

0 0(해안형 )

(근린공원

0 . 12 0 )0 .2 9 5

(증0 .2 9 5 )

0 0동 일원 , 해수욕 지원기능과 해양기능의 복합

배치로 종합적 해양레져공간 조성이 가능

워터파크 , 마리나 , 숙박시설 , 야영장 , 음식점 등

- 104 -

Page 9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검토의견

○ 0 0유원지의 확장계획 재검토

○ 0 0 0 및 0 0 0 유원지는 관광 (단 )지와 같은 체재형의 종합적인

유원지보다는 인근의 0 0 0 0 0 ( 0 0 0유원지 ) 등의 자연자원과 연계

하여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 0 0유원지는 기정 도시기본계획과 같이 근린공원으로 존치

□ 이 유

○ 2 0 1 1년을 목표연도로 하는 제2차 관광개발기본계획안 ( 2 0 0 1 .2

문화관광부 , 관계행정기관간 협의 중 )에 의하면 0 0도는 이미 지정된

관광지 (0 0개소)로서도 수요를 초과하며 개발이 부진한 등 관광지의

추가확보가 필요치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바 , 종합관광(단)지

성격을 갖는 유원지의 확대·신설은 비합리적임

○ 0 0 0유원지(EL 2 0 0 m 정도)와 0 0 0유원지(EL 3 0 0∼4 0 0 m 정도)는 그

입지를 개발제한구역의 환경평가 방법에 의하여 평가할 경우

1 ,2등급에 해당되는 보전가치가 큰 지역임

7 . 1 3 . 재정계획 관련

□ 계획안 (p 2 7 2∼ )

○ 단계별·재원별 투자계획 등 제시

□ 검토의견 및 이유

○ 앞에서 제시한 의견 등을 반영한 계획전반의 조정결과에 의거 투자

계획을 수정 보완

○ 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관련 투자의 누락 분 보완

- 105 -

Page 9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0 0 도 시 기 본 계 획 ( 안 ) 협 의 의 견

제 1절 종합의견

1 . 0 0 시의 도시특성 (공간계획 관련사항 중심 )

□ 입지 여건 : 서울 서북부에 위치하며 , 북쪽으로는 북한과 인접

○ 행정구역(2 7 6 .6 8㎢)중 일부(2 5 .8 5㎢ , 9 .3 %)는 민통선 이북이고 , 9개

동·면 중 0 0 1∼3동과 0 0면의 4개 동·면을 제외한 5개의 면

지역은 접경지역지원법의 규정에 의한 접경지역에 포함 (0 0 , 0 0 ,

0 0 , 0 0 , 0 0 : 2 17 .6 8㎢ , 7 9 % )되어 있음

○ 0 0면은 소음피해 예상지역으로 지정 (항공법 , 건교부 )되어 있고 ,

0 0면 남부의 0 0리·0 0리 일원은 0 0 0 0 0 0매립지 주변 영향지역으로

지정 (폐촉법 , 매립지관리공사 )되어 있음

□ 자연환경 여건

○ 행정구역 총면적 중 9 1%가 표고 5 0 m 이하의 평야지대로 농경지

(4 2 .7%)가 넓은 반면, 산림(3 1.5%)발달이 매우 미약하며, 녹지자연도

6등급 이상지역은 19 %정도에 불과

□ 도시기반시설 여건

○ 도로 교통은 0 0 - 0 0간을 연결하는 국도 0 0호선 하나가 지역간

연결도로 및 도시내 간선도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 교통정체가 매우

심함 (서비스 수준은 A∼F 중 가장 낮은 E∼F에 해당 )

○ 상수도는 보급률이 5 3 %에 불과하고 (수도권 광역상수도에 의존) , 하수

처리장은 건설중 (8만톤/ 일)에 있으며 , 도시공원 중 가장 중요한 근린

공원은 조성된 시설이 전무함

- 106 -

Page 9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접경지역 종합계획수립 추진현황

구 분 내 용

법적근거 접경지역지원법 제3조

계획주체시·도지사 : 시·도 접경지역계획 수립

행자부장관 : 접경지역 종합계획 수립

계획목적

및 성격

접경지역의 종합적 이용과 주민복지증진 , 자연환경보전·관리

및 통일기반 조성에 관한 기본적인 중장기계획

계획내용토지이용계획 , 산림·환경보전계획 , 산업기반 및 관광개발계획 ,

정주 생활환경계획 등 망라

추진현황접경지역 종합계획수립지침 시달 ( ' 0 1 .3 .2 6 , 행자부 )

시·도 접경지역계획 수립 추진 중 (시·도 )

지침의

주요 내용

(토지이용

관리계획

관련 )

생태자연도를 참조하여 적정한 관리권역을 구분

- 환경부는 계획수립지침이 확정·시달된 날로부터 3개월이내에

세부적인 기초 생태자연도를 시·도에 제공

권역구분 : 3개 권역으로 구분

- 보전권역 :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자연환경 및 역사·문화자원의 보전·복원과 남북교류협력

사업 이외의 개발계획 입안을 원칙적으로 제한

- 준보전권역 : 생태자연도 2등급 지역

자연생태의 보전 , 자연경관과 안보지역을 우선 보호하고 ,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개발계획을 수립

- 정비권역 : 생태자연도 3등급 지역

주민생활환경 개선 및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개발

계획 수립

도시계획과

관 계접경지역계획은 도시계획법상 계획의 상위계획

- 107 -

Page 9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종합평가 및 종합의견

종합 평가

□ 2 0 16년을 목표연도로 한 0 0시 도시기본계획안은 무엇보다도 계획

인구를 과다하게 설정하고 , 부족하면 공급한다는 물리적 성장 위주의

시각에서 부문별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 토지·에너지·물 등의 자원 소모적이고 ,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며

○ 특히 , 열악한 교통시설과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의 획기적인 확충이

적기에 뒤따르지 못할 경우 도시기능 혼란과 함께 도시환경 악화가

예상될 뿐만 아니라

○ 도시의 입지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아니한 채 토지이용계획을 수립

하여 용도지역 기능간의 상충이 예상되는 등 도시계획법 제2조가 지향

하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도모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사료됨

□ 또한 , 0 0시는 행정구역 면적의 대부분 (7 9 % )이 접경지역지원법에

의한 접경지역에 해당되고 , 현재 행정자치부 주관 하에 접경지역

종합계획 수립을 추진 중에 있는 바

○ 계획 위계상 접경지역 종합계획이 상위의 계획이고 , 동 계획 수립지침에

의하면 생태자연도 3등급지역을 중심으로 개발계획을 수립토록 하고

있으므로

○ 계획간의 정합성 확보 , 중복·낭비적 계획방지 , 환경친화적 계획수립

등을 위해서는 본 도시기본계획은 접경지역 종합계획과 연계하여 수립

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함

□ 따라서 , 본 도시기본계획안은 위와 같은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비점을 보완하고 , 계획간의 정합성 확보방안을 강구하는 등 대폭

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됨

- 108 -

Page 9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종합 의견

1 ) 접경지역 종합계획과의 연계성 확보 등과 관련하여

○ 본 도시기본계획은 행정자치부의 접경지역종합계획수립지침에

의한 권역 및 지구지정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이에 부합되는 계획

안을 작성하여 다시 협의토록 함이 타당함

○ 다만 , 난개발 방지 등의 측면에서 위 의견의 수용이 곤란할 경우

- 접경지역지원법의 규정에 의한 접경지역에 대하여는 기정 도시

계획의 내용만을 수용하고 도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지역은

일단 보전용지로 지정하였다가 접경지역 종합계획이 수립되면

이를 수용하여 도시기본계획을 변경토록 하거나

- 기본계획안 1 5 3쪽에 제시된 녹지자연도 현황 및 토지이용계획

안을 분석하고 녹지자연도 6등급 이상인 지역에 대하여는 접경

지역 종합계획 수립이 완료될 때까지 주거·상업·공업용지 및

시가화 예정용지를 배분하지 않도록 하는 조건(포함되는 경우로서

공원·녹지 등의 보전용도로 지정 관리하는 경우 포함 )을 붙여

승인토록 조치

2 ) 이하 제 2 절에서 제시한 부문별 의견에 대하여는

○ 협의의견을 전향적으로 검토하여 반영토록 하여 주시되

○ 특히 , 계획인구가 과다하게 설정된 만큼 대폭 축소 조정하고 , 계획

인구 조정과 관련되는 생활권별 인구배분계획 , 토지이용계획 , 주택

및 택지공급계획 , 상하수도계획 , 도시 기본구상도 등을 정합성이

확보되도록 전반적으로 수정·보완토록 하고

○ 또한 , 항공기 소음피해 예상지역과 0 0 0 0 0 0 0 0 0 영향지역으로

지정된 지역 안에는 계획인구의 확대 배분 및 시가화 예정용지와

같은 개발용도의 입지배분을 억제토록 하여야 함

- 109 -

Page 10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 2 절 부문별 의견

1 . 장래인구 추정 (p 5 4∼ )

□ 계 획 안

구 분 19 9 7 2 0 0 1 2 0 0 6 2 0 1 1 2 0 16

계획

인구

인구수 12 5 ,5 3 22 2 0 ,0 0 0

( 16 7 ,2 2 8 :2월)3 0 0 ,0 0 0 4 3 0 ,0 0 0 5 0 0 ,0 0 0

증가율3 .2

( ' 8 8 - ' 9 7 )

1 5 . 1(7 .4 : 2월현재)

6 .4 7 .5 3 . 1

가 구 수(가구당 인구 )

4 3 ,5 0 4( 2 .8 9 )

6 9 ,0 0 0(3 .2 0 )

10 0 ,0 0 0( 3 .0 5 )

14 8 ,0 0 0( 2 .9 0 )

17 9 ,0 0 0(2 .8 0 )

<비고> ' 9 7 ∼ 2 0 1 6 사이 1 9 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 : 7 . 5 % ( ' 9 7기준 4배 증가)

인구추정방법 : 사회적 외생요인 (주거단지 개발 등 )에 의한 파급효과 분석

□ 협의의견

○ 계획인구가 과다하고 , 이로 인해 자원소비가 과다한 계획이 수립

되고 있으므로 계획인구를 축소 조정 ( 2 0 16년 3 0∼3 5만명 정도 )

○ 인구조정과 관련되는 부문별 계획 (인구배분계획 , 토지이용계획 , 상하수도

계획 등 )을 전반적으로 재검토·조정

□ 이 유

○ 장래 인구가 지속적·직선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은 무리

- ' 8 8∼ ' 9 7 (기준년도 ) 사이 과거 9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3 .2 % ,

' 8 8∼2 0 0 1 .2월 사이 약 13 년간은 2 .2 %에 불과

- ' 9 7∼2 0 0 1년 사이의 인구증가율을 1 5 . 1 %로 상정하였으나 실제의

증가율은 그 절반인 7 .4 % 수준에 불과

- 110 -

Page 10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계획인구가 모든 부문별 계획의 기본 (기준 )이 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 과도한 계획인구가 미치는 폐해가 매우 큼

- 각종 자원낭비 , 자연환경 훼손 조장 , 환경문제 가중 , 불필요한 용도지역

지정 (변경 ) 및 이로 인한 지가 왜곡 등

○ 도로 , 상수도 등 도시기반시설의 적기 공급가능성이 불투명한 바 ,

성장위주의 계획 즉 , 제반 지표를 과대하게 설정하고 부족하면 공급

한다는 계획의 접근방법은 잘못됨

- 현재 국도 4 8호선 하나가 0 0 - 0 0간의 지역간 연결도로 및 도시내 간선

도로 역할을 하고 있어 교통문제가 심각 (서비스 수준 E∼F )하며 , 대폭

적으로 증대되는 상수도 수요에 대한 공급능력도 의문시됨

- 도시기반시설의 적기 확보가 쉽지 않아 , 용인 서북부지역과 같은 난

(亂 )개발 문제의 재연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음

○ 0 0시의 계획인구 지표는 상위계획에 배치되며 , 제시된 계획인구를

그대로 수용할 경우 상위 계획을 왜곡시키는 등 정책혼선 초래

< 인 구 지 표 비 교 >

구 분인 구 수 (천인 ) 인 구 증 가 율 ( % )

' 9 8 ' 0 1 ' 1 1 ' 2 0 ' 0 1- ' 1 1 1 1- ' 2 0 ' 0 0 - ' 2 0

제4 차국토

종합계획전 국 4 6 ,9 9 1

4 7 ,2 7 5

( ' 0 0 )

5 0 ,6 18

( ' 10 )

5 2 ,3 5 8 0 .6 9

( ' 0 0 - ' 10 )

0 .3 4

( ' 10 - ' 2 0 )

0 .5 1

제2 차

수도권

정비계획

전 국 -4 5 ,6 8 7

( 10 0 % )

4 7 ,3 6 5

( 10 0 % )-

0 .3 6- -

수도권 -2 1 ,4 9 8

(4 7 % )

2 1 ,3 9 3

(4 5 % )-

- 0 .0 5- -

0 0 도시

기본계획0 0 시

12 9 2 2 0 4 3 0 5 0 0

( ' 16 )

6 .9 3 3 .0 6

( ' 1 1- ' 16 )

5 .6 3

( ' 0 1- ' 16 )

※ 계획인구 검토 보충자료 : 붙임 참조

- 111 -

Page 10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생활권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p 8 2∼ )

□ 계 획 안

구 분생활권

면 적(㎢ )

현재인구 (인 ,% ) 2 0 16년

인구배분(인 ,% )

인구밀도 (인/ ㎢ ) ' 9 8 - ' 16증가율

( % )' 9 8년말 ' 0 1 . 2월 ' 0 1 . 2월 2 0 16년

0 0대생활권2 7 6 .6 8

( 1 0 0 )1 2 9 ,0 5 6

( 10 0 )16 7 ,2 2 8

( 1 0 0 )5 0 0 ,0 0 0

( 10 0 )

6 0 4 1 ,8 0 7 7 .8 1

소 계4 4 .7 9( 16 .2 )

6 7 ,4 6 5( 5 2 .3 )

9 6 ,4 8 1( 5 7 . 7 )

18 0 ,0 0 0( 3 6 .0 )

2 , 15 4 4 ,0 19 5 .5 8

0 0면2 5 . 19

( 9 . 1 )12 ,0 5 8

( 9 .3 )1 2 ,5 9 7

( 7 .5 )4 0 ,0 0 0

( 8 .0 )

5 0 0 1 ,5 8 8 6 .8 8

0 01 ,3동

19 .6 0( 7 . 1 )

5 5 ,5 8 7(4 3 .0 )

8 3 ,8 8 4( 5 0 .2 )

14 0 ,0 0 0( 2 8 .0 )

4 ,2 8 0 7 , 14 3 5 .2 6

소 계5 2 .8 9( 19 . 1 )

18 ,7 8 8( 14 .6 )

2 6 ,2 1 5( 15 . 7 )

2 0 0 ,0 0 0(4 0 .0 )

4 9 6 3 ,7 8 1 14 .0 3

0 0(0 0 2동 )

14 .2 0( 5 . 1 )

6 ,0 8 8(4 . 7 )

1 2 ,8 4 0( 7 . 7 )

9 0 ,0 0 0( 1 8 .0 )

9 0 4 6 ,3 3 8 16 . 1 2

0 0면3 8 .6 9( 14 .0 )

12 ,7 0 0( 9 .9 )

1 3 ,3 7 5( 8 .0 )

1 10 ,0 0 0( 2 2 .0 )

3 4 6 2 ,8 4 3 12 .7 3

소 계1 7 9 .0 0

( 6 4 . 7 )4 2 ,6 2 3

( 3 3 . 1 )4 4 ,5 3 2

( 2 6 .6 )1 2 0 ,0 0 0

( 2 4 .0 )

2 4 9 6 7 0 5 .9 1

0 0면2 9 .4 7( 10 .6 )

17 ,2 15( 1 3 .4 )

19 ,0 0 8( 1 1 .4 )

4 5 ,0 0 0( 9 .0 )

6 4 5 1 ,5 2 7 5 .4 8

0 0면4 2 .7 6( 15 .5 )

9 ,5 8 4( 7 .4 )

9 ,8 7 8( 5 .9 )

4 0 ,0 0 0( 8 .0 )

2 3 1 9 3 5 8 .2 5

0 0면5 2 .0 2( 18 .8 )

6 ,3 4 5(4 .9 )

6 ,2 5 5( 3 . 7 )

15 ,0 0 0( 3 .0 )

1 2 0 2 8 8 4 .8 9

0 0면5 4 .7 5( 19 .8 )

9 ,4 7 9( 7 .4 )

9 ,3 9 1( 5 .6 )

2 0 ,0 0 0(4 .0 )

1 7 2 3 6 5 4 .2 3

<비고> 위 표는 기본계획안에 제시된 자료 등을 기초로 하여 재편집·가공한 것임

□ 협의의견

○ 인구배분은 북부생활권 (0 0면 제외)의 증가를 유도하고 , 중부와 남부

생활권은 대폭 축소 조정하는 방안을 재검토

※ 0 0 시 전체의 계획인구에 대한 전반적인 축소 조정 선행

- 112 -

Page 10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0 0시의 0 0·0 0·0 0·0 0·0 0면 일원은 접경지역지원법

( 2 0 0 0 .8월 시행 )에 의한 접경지역으로서 , 동 법 제3조에 의한

「접경지역 종합계획」수립 (행자부 주관 )과 관련하여 0 0도가

「시·도 접경지역계획」을 수립 중에 있으므로 동 계획과 정합성·

연계성을 고려하여 인구배분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

□ 이 유

○ 중부생활권에 인구를 대폭 배분하여 개발할 경우 양호한 농경지 ,

산림 등의 과다한 훼손 , 교통난 등의 도시문제 가중 예상

- 시가화예정용지 배분 : 1 0 .6 6㎢ ( 0 0면 0 0리 , 신시가지 조성 )

○ 남부생활권의 0 0면, 중부생활권의 0 0면 및 0 0생활권의 0 0면 일원은

항공기 소음 등의 환경영향 예상지역으로서 이들 지역에 대한 계획

인구의 확대 배분은 적절치 않음

- 0 0면 일원은 항공법에 의한 소음피해 예상지역으로 지정 (건교부 )된

지역이고 , 주거기능의 용도가 제한되고 있음 (시행규칙 별표3 0 등 )

- 중부생활권 중 0 0면 남부의 0 0리 , 0 0리 등은 0 0 0 0 0 0 0 0 0 영향지역

으로 고시 ( ' 9 7 . 1 2 . 13 , 0 0시에 관계도서 비치 )되어 있음

○ 0 0과 접한 남부생활권은 교통문제가 심각한 상태이고 , 남부·중부

생활권의 확대개발과 인구집중은 교통 및 도시환경문제 가중 초래

○ 접경지역에 대한 상위계획인 접경지역종합계획과의 정합성·연계성

확보 필요

- 접경지역종합계획은 접경지역의 종합적 이용과 주민복지 증진 , 자연

환경 보전·관리 및 통일기반 조성에 관한 기본적인 중장기계획으로

토지이용계획 , 산림·환경보전계획 , 산업기반 및 관광개발계획 , 정주

생활환경계획 등을 망라하고 있음

- ' 0 1 .3 .2 6 , 행자부에서 「접경지역종합계획 수립지침」을 시달한 바

있고 , 현재 시·도가 「시·도 접경지역계획」을 수립중임

- 113 -

Page 10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토지이용계획 ( p 8 2∼ )

1 ) 용도별 입지배분의 기본방향 (p 1 1 1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전단부 생략 )

시가화예정용지는 다음 각호의 개발

계획에 의하여 개발할 지역을 대상으로

- 도시계획법상의 일단의 도시개발사업 ,

토지구획정리사업 (이하 생략)

< 신 설 >

(좌 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상으로

하되 , 접경지역지원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접경지역종합계획에 부합되도록

개발계획 등을 수립·추진토록 함

(좌 동)

녹지자연도 6등급이상 지역 (생태자

연도 2등급 이상지역 포함 ) , 민통선

이남 1k m 이내 지역 및 해안과 하천

경계로부터 5 0 0 m 이내 지역 , 철새

도래지 등은 보전녹지 또는 생산녹

지로 지정하여 관리토록 함

□ 이 유

○ 접경지역지원법에 의한 접경지역계획과의 정합성·연계성 확보

○ 0 0시는 임야 (녹지 )가 매우 부족하고 ( 2 7 6 .6 8㎢중 8 7㎢ , 3 1% ) ,

녹지자연도 6등급 이상이 19 %에 불과하여 녹지보전이 매우 중요

- 녹지자연도 0∼2등급 8 0 .7 %, 6등급 6 .3 % , 7등급 12 .6 % , 8등급 0 .4 %

○ 민통선 인접지 , 수변지역 등은 생태계보호를 위한 전이지대로서

보전할 필요가 있으며 , 0 0시의 장래 도시개발방향 (자연과 어우러진

친환경 전원생태도시 )과 부합되는 토지이용 등의 방향제시가 필요

- 114 -

Page 10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시가화예정용지 구상 (p 1 13 )

□ 계획안 : 5개소 1 ,9 7 1만㎡ (5 9 3만평 )

순번 주용도 위치 및 면적 유치기능 (목적 ) 및 개발방향 비 고

1 신가지

0 0면 0 0리

1 ,0 6 6만㎡

(3 2 2만평 )

0 0까지 포함한 광역 도심기능 및

정보통신기지 역할

중심상업 , 업무 , 행정 , 터미널 , 정보

통신센터, 중앙공원, 주거 문화시설 등

중부생활권

접경지역

2R & D

단 지

0 0면 0 0리

2 9 5만㎡

( 9 0 만평 )

항공관련 대학·연구단지·서비스업

(4 0 만평 )

업무 및 주거용지 (8만평) , 산재병원·

기반시설 ( 1 7만평 ) 등

중부생활권

접경지역

3벤 처

산업단지

0 0면 0 0리

1 13만㎡ ( 3 4 만평 )

시내에 산재한 영세중소공장의 이전

집단화 (도시문제해결 및 집적이익 도모 )

아파트형·임대형 공장용지 ( 1 3만평 )

및 분양공장용지 ( 1 5만평 ) 등

중부생활권

접경지역

40 0

터미널

0 0면 0 0리

19 0만㎡ ( 5 7만평 )컨테이너터미널 , 부두 , 물류단지 남부생활권

50 0

경협단지

0 0면 0 0리

3 0 7만㎡ ( 9 0 만평 )남북교류 물류 거점기능 담당

북부생활권

접경지역

□ 협의의견 및 이유

○ 신시가지 예정용지는 계획인구 및 인구배분계획 조정과 연계하여

규모를 축소 조정하고 , 포함되는 임야 (특히 0 0산 )는 공원·보전

녹지 등의 보전용지를 최대한 배분

- 중부생활권의 과도한 훼손 , 과밀 등을 방지하고 , 친환경적 개발 도모

○ 0 0 0 0 0 0 0 0 0 영향지역에 배분된 R & D 단지 및 벤처산업단지

예정용지는 입지여건 , 수도권정비정책, 기존 공단의 분양실태 등을

감안하여 제외하는 방안을 재검토

- 115 -

Page 10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이들 입지는 남측에 0 0 0 0 0 0 0 0 0가 있어 입지적으로 좋은 위치가 아님

(봄과 여름의 주풍향 : 남남서 , 남서 , 서풍 )

- 수도권에는 대학 , 산업단지 등 인구집중 유발시설의 입지를 억제하고

있으며 , 기존 공단의 분양율이 저조(0 0 2 1% , 0 0 4 0 % , 0 0 4 9 %)

○ 0 0경협단지 (0 0면 0 0리 3 0 7만㎡) 예정용지는 중앙정부와 접경지역

지자체의 유사계획 존재여부 , 필요성 , 중복 또는 상충여부 등을

조사·검토한 후 반영여부를 결정

4 . 교통계획의 기본방향 (p 1 2 9∼ 13 0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 광역교통체계

상위계획과 관련계획 등 주변지역과

연계성을 고려한 교통망 구축 등

□ 도시내 교통체계

광역 교통체계와 연계한 가로망체계

구축

도시중심지를 연결하는 순환형 가로

망체계 구축 등

기본방향에 다음 사항을 추가

□ 환경 친화적인 교통체계 구축

도시내외의 주요 간선도로에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병설하고 녹도를 조성

지역간 연결도로와 철도변 , 도시내

간선도로변 , 소음피해 예상지역 등

에는 충분한 폭의 완충녹지를 배치

교통시설에 의한 생태계 단절 또는 단절

예상 지역에는 생태계 연결통로를 설치

□ 이 유

○ 도로 , 철도 등 교통시설의 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배기

가스에 의한 주거환경 피해 예방

○ 도시경관 조성 , 생태계보전 , 친환경적 교통수단 이용의 활성화 등

환경적 건전성 도모

- 116 -

Page 10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5 . 관광산업 개발계획 (p 14 9∼ 1 5 1 )

1 ) 동식물 생태관찰 및 자연경관 감상의 관광자원화 (p 1 5 0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접경지대의 동식물상 및 철새도래지

(흰꼬리수리 , 재두루미 등) 관찰 등을

주목적으로 하는 관광지 개발

한강 , 서해안 등 0 0 0지역의 군사시설

보호구역은 (중간 생략) 생태계 보존과

함께 수도권 여가인구의 관광활동 공간

으로 활용 도모

0 0면 0 0리 , 0 0리 및 0 0면 0 0 일원

민통선지역에 약 6 0 0만평 규모로 지정

개발(철새 및 조류연구센타 15만평)

개발계획

- 생태탐방로 - 조류박물관

- 조류관찰소 - 생태식물원 및 수족관

좌 동

좌 동

개발계획은 접경지역지원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접경지역종합계획과 연계

하여 개발계획 등을 수립·추진토록 함

□ 이 유

○ 상위계획의 지위에 있는 접경지역계획과 정합성·연계성 확보를

위해 개발관련 내용은 조정함이 합당

○ 접경지역에 대하여 지자체마다 개별적인 개발관련 계획을 수립·

집행함에 따른 부작용과 비효율성을 방지

○ 특히 , 생태관광의 경우 자연생태계 조사결과 , 철새의 생태적인

특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우 개체수 저하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

- 117 -

Page 10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0 0 산 역사안보 및 생태관광지 ( p 1 5 1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0 0산 역사안보 및 생태관광지

- 0 0면 0 0리 0 0산 일원 약 3만평

- 유치시설 : 자연학습장 , 수련장 , 유스호스텔 , 가족호텔 , 야영장 , 조각공원 ,삼림욕장 , 등산로 , 안보 교육관 및관광지로서 복합개발

<삭 제>

0 0산 일원은 관광산업 개발계획에서삭제하고 , 자연공원법에 의한 공원(군립공원 )으로 지정하여 이용토록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 공원 녹지계획에서 동 의견 반영 요망

□ 이 유 : 0 0산 일원은 0 0시에서 자연생태계가 가장 양호한 지역(녹지

자연도 8등급이상)으로서 보전이 우선되어야 할 지역이며 ,

복합적인 관광 개발지로는 적절치 않음

6 . 공원·녹지체계 구상 (p 1 5 9∼ )

1 ) 0 0 시 그린네트워크 구상중 1 )기본골격 (p 16 0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0 0시 그린 네트워크는 0 0시의 지형을구성하고 있는 그린벨트를 거점으로 북부와 남부의 2개 녹지축과 0 0시를둘러싸고 있는 한강과 서해를 기본으로하고 준용하천 , 소하천 , 농경지를 기본골격으로 구축

기본골격의 내용에 다음 사항 추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자연도가 제작되면 이를 포함하여 0 0시의 그린네트워크 구축체계를 보완하고 , 이를 생태계 보전과 친환경적도시개발의 준거로 활용토록 함

□ 이 유 : 환경부는 금년 6월경에 접경지역의 생태·자연도를 완성

하여 보급할 예정인 바 , 이의 도시계획 반영이 필요

- 118 -

Page 10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근린공원 조성 (p 1 6 3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기본방향

- 미조성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공원·녹지의 적극적 개발로 공원조성률 증대

- 소생활권별 인구 15 ,0 0 0인당 1개소배치

- 주거지역내 또는 인근 녹지지역에 근린공원조성 지속적 추진

기본방향

- 좌 동

- - - - - - - - - - - - - - 1개소를배치하되 , 계획인구 1인당 면적은10㎡이상이 되도록 계획

- 좌 동

개발계획

- 수요추정 및 생활권별 배치계획 :p 16 3 표 참조

수요면적 : 3㎢ ( 2 0 16년 계획인구1인당 6㎡ 기준 , 도시공원법 기준 )

공원수 : 3 2개소 (기정 13 , 계획 19 )

개발계획

- 계획인구 조정 , 기본방향에 대한 협의의견 등에 의거 수요추정 및 생활권별배치계획 을 조정토록 하여야 함

□ 이 유

○ 1인당 공원지표는 도시공원법에 의한 최소한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한 것인 바 , 이를 향후 2 0년을 내다보는 장기 종합계획의

지표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함

○ 도시공원의 종류 , 입지 , 접근성 , 이용도 , 효용성 등의 측면에서

적정한 면적의 근린공원 확보가 매우 중요

○ 상위 계획인 제4차 국토계획에서 2 0 2 0년의 도시공원지표를 1인

당 12 .5㎡( ' 9 8현재 6 .4㎡)로 계획하고 있는 바 , 근린공원에 비중을

두어 지표를 설정이 바람직 함 (계획간의 정합성 , 집행력 등 확보 )

- 119 -

Page 11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7 . 주택 및 택지공급방안 (p 1 7 8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택지공급의 확대

- 현재의 주거용지를 확대 또는 신규지정

- 주거용지를 확보키 위해 도심지역에주상복합건물 , 오피스텔 등의 건설추진

택지개발의 지속적 추진

- 0 0·0 0 중생활권의 택지에 공동주택 형태의 개발을 유도

환경친화적인 택지 공급

- 신규 소요택지는 기존시가지의 정비(재개발 , 재건축 , 나대지 활용 등 )를통하여 최대한 확보 (4 0 % 이상 )

- 도심지역에 주상복합건물 , 오피스텔등의 건설을 추진하고 , 옥상녹화 ,벽면녹화방안을 적극 유도

- 단독주택지의 경우 생울타리 담의설치를 적극 유도

- 부족한 택지는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에서 확보하여 공급

환경영향 예상지역의 택지공급 제한

- 0 0 0 소음피해 예상지역 , 0 0 0 0 00 0 0 0 0 0 영향지역 등은 주거환경보호를 위해 택지 공급을 제한

※ 위 의견에 의거, 00지구 택지개발계획,시가화예정용지 구상 등 관련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조정

□ 이 유

○ 토지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 자연환경훼손 최소화 , 환경 친화적인

도시건설 등을 도모

○ 환경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택지개발 예정지를 선정·공급토록 함

으로써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

○ 제4차 국토종합계획은 신규 소요택지의 4 0 %를 기존시가지 정비를

통해 확보토록 계획되어 있으므로 이의 반영 필요

- 120 -

Page 11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8 . 환경보전계획

1 ) 대기부문의 계획과제 및 정책방향 ( p 18 9∼ 1 9 0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구 분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가 . 대기부문계획과제및 정책방향

(p 18 9 )

자연환경보전기반 구축: 관련 내용생략

환경친화 및 생태공동체구축을 위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 관련내용생략

다음 사항 추가 (필요시 내용수정 )

청정연료 확대공급 및 천연가스버스보급 추진

- 산업체 , 주택 등에 청정연료를 지속적으로 확대 공급

- 천연가스버스를 연차적으로 보급하여자동차 공해를 저감

차고지 정비·확충 및 오염원 지도단속 강화

- 주거지역 등 주거환경취약지에 위치한 버스차고지의 외곽이전 및 공영차고지 조성 추진

-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 , 자동차 등의지도단속 강화

나 . 수질부문계획과제및 정책방향

(p 19 0 )

생활하수 저감 : 관련내용생략

산업하수 저감 : 관련내용생략

다음 사항 추가 (필요시 내용수정 )

수자원 절약 및 물순환 시스템 구축

- 절수기기 확대 보급

- 중수도 도입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방안 마련

- 자동차도로와 건폐지 외에는 가급적투수성 포장재료를 사용

- 하수처리장의 유역별 배치 및 처리수재 이용방안 강구 (중수도 , 하천유지용수 등 )

□ 이 유 : 계획안의 미비점 보충

- 12 1 -

Page 11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소음·진동부문의 계획과제 및 정책방향 ( p 19 1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 신 설 >

도로 소음·진동 등 : 관련내용 생략

토지이용계획의 합리화

- 항공기·교통 소음이 환경기준 등을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 산업단지 인근 등에는 주거시설 , 학교와같은 정온을 요하는 시설의 입지를배분하지 않도록 함 (상충되는 기능을공간적으로 분리 )

- 상충되는 기능의 공간적인 분리가현실적으로 곤란한 지역은 완충녹지배치 , 방음벽설치 등의 충분한 방지대책을 강구

(좌 동 )

□ 이 유 : 계획안의 미비점 보충

[붙임 ] 계획인구 검토 보충자료 1부 . 끝 .

- 122 -

Page 11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00 도시기본계획 계획인구 검토 보충자료

00 도시기본계획은 2016년 목표인구를 50만인으로 설정하였으나 검토결과 장래인구를 50

만으로 설정한 근거가 부적절하며 상수도·도로 등의 도시여건 또한 목표인구 50만인을

수용할 수 없는 상황임

목표인구가 과다하게 설정될 경우 과다한 녹지훼손, 교통체증, 그로 인한 에너지 낭비 및

환경오염 등 각종 환경문제가 발생하게 됨

1 . 목표인구 추정의 문제점

00 도시기본계획은 목표인구를 50만인으로 설정하였는 바 다음과 같이 심각한 오류를 안고

있음

구 분 00도시계획(안) 검 토 의 견 비 고

추 세 연 장 방 식 에

의한 인구추정

최근 4년간의 연평균 증가율

6.9%를 19년간 적용하여 인구

50만인으로 산정

①전국 인구 증가율의 7배에 해당되는 인구성장속

도를 보인 도시에 19년간 동일한 인구증가율

6.9%를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

②과거 4년간의 연평균 6.9%는 1993년 준농림지역

규제완화 이후 난개발로 인한 것으로서 정상적인

도시인구 성장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없음

부록1 참조

관련계획에서

제시된 인구추정

00중장기 발전계획 (1998),

00경전철건설계획 (1998),

00수도정비기본계획 (1998)에서 목표

인구를 50만∼55만인으로 선정

①이 계획들은 동일한 00시에서 수립하였거나 용역

발주한 것으로 김포시의 의지를 그대로 반영한데

불과함 . 객관적 가치를 가지지 못함

부록2 참조

사회적 외생변수

의 파급효과 분석

을 통한 인구추정

부록3 참조

97인구 125,500 125,000

신규주거단지

(2006)142,000 121,000

공항관련인구 10,000 6,400

00포구

관련인구10,000 1,600

기타 (2006) 30,000 15,000

0000관련인구 30,000 3,200

고속화도로

관련인구13,000 3,000

R&D관련인구 40,000 16,000

택지개발 (2006) 45,000 21,150

기타 (2016) 60,000 30,000

2016인구합계 500,000 342,350

- 123 -

Page 11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도시기반시설 용량 산정의 문제점

상수도 용량 검토

00시는 한강 하류에 위치하여 자체 수원 확보가 불가능하므로 팔당댐 계통의 수도권 광역 상

수도에 의존하고 있는 바 광역상수도(3단계 10,000톤, 4단계 5,000톤, 5단계 32,000톤)로부터

47,000톤을 공급받아 급수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따라 생활용수에 있어서 총인구 126천인의

53%에 불과한 67천인에게 301ℓ/일·인만을 공급하고 있으며, 공업용수의 경우 현재의 1일

총수요량 25,741톤의 2.1%에 불과한 546톤을 공급하고 나머지 25,195톤을 지하수 등으로 충당

하고 있는 실정임

00 도시기본계획에서는 목표인구 50만인에 대해 상수보급률 91.0%을 적용하여 1일 20.8

만톤의 상수 공급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음. 이에 대해 (현재 배정된 광역상수도 6단계

사업의 상수물량으로는 2006년까지 공급이 가능할 뿐 2006년 이후 증가 인구수용을 위해서는

12만톤의 상수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기술하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00 도시기본계획은 상수공급계획을 사전 관계기관과 면밀한 협의를

시행하고, 중수도개발, 노후관 교체 등 상수공급량이 절약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고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수도공급에 관한 한 목표인구 50만인을 수용할 만한 어떠한

실질적 방안도 갖추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상수도 용량을 고려할 때 2016년 00시의 한계인구는 26만인에 불과함. 1인1일 최대

급수량을 목표수준 457ℓ의 80%인 365ℓ로 낮추더라도 수용인구는 33만인에 불과함

도로용량

00시의 주간도로 서비스 수준은 현재인구 125,000인에서도 대부분 D∼F 수준임. 여기에

375,000인이 추가되어 인구 50만인이 될 경우 장래에 계획구상된 도로들이 모두 개설된다

하더라도 서비스 수준이 악화될 것임. 따라서 00시는 도로 교통의 경우를 고려하더라도

도시기본계획의 목표인구를 줄이는 것이 타당함.

3 . 종합결론

목표인구를 50만인으로 설정한 00도시기본계획은

첫째, 부적절한 근거에 기초하여 인구를 추계함으로써 30∼35만인에 불과한 장래인구를

50% 이상 과다 추정하였고

둘째, 상하수도와 도로용량에 있어서도 장래의 공급량을 고려하더라도 30∼35만인을 지원

할 수밖에 없는 여건임에도 불구하고 부적절하게 목표인구를 설정하였음

현행 도시기본계획은 목표인구에 맞추어 도시기본구상, 인구배분계획, 토지이용계획 등 부문

계획을 수립하는 바 목표인구의 대폭적 조정은 이들 부문계획 전반이 대폭 변경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따라서 00 도시기본계획은 전면 재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124 -

Page 11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부록1> 인구증가율 (연평균 6 .9 %) 적용상의 문제점

추세연장방식에 의한 장래 인구 추정에 있어서 00시의 인구증가율 적용이 부적절함

00도시기본계획은 과거 4년간의 인구증가율 6.9%를 2016년까지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목표

인구를 50만인으로 산정 하였음. 인구증가율을 이와 같이 적용할 때 두 가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

첫째, 연평균 증가율 6.9%를 2016년까지 19년간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오류가 발생함. 무엇

보다도 우리 나라의 인구증가율 자체가 둔화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추세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또한 전국 인구증가율의 7배에 해당되는 인구 성장속도를 보이는 특정 도시의 인구증가율이

19년간 동일하게 지속될 것이라는 전제는 매우 잘못된 것임. 전국 인구증가율(자연증가율)의

7배를 상회하는 인구증가율을 보이는 도시의 인구증가율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증가율에

수렴하는 경향이 강함

둘째, 과거 4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 6.9%는 1993년 국토이용관리법 개정이후 준농림지역의

난개발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서 정상적인 도시 인구 성장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라고 보기

어려움

기준년도의 인구 125,500인에 대해 연평균 인구증가율 5.0%를 적용하더라도 00시의 2016년

인구는 32만인에 불과함

< 부록2 > 관련계획에서 제시된 인구지표상의 문제점

00도시기본계획에서는 00 중·장기발전계획(1998), 00경전철건설계획(1998), 00수도정비기본

계획(1998)에서 2016년 목표인구를 50∼55만인으로 설정한 사례를 들어 목표인구 50만인을

정당화하고자 하였음

그러나 이는 계획들은 모두 거의 동일한 시기에 00시에서 수립하였거나 발주한 것으로서 목

표인구를 50만인으로 설정한 김포시의 의지를 전제로 한 것에 불과함. 따라서 객관적 가치를

가지지 못하고 있음

오히려 수도권 광역 6단계기본계획(1996)에 제시된 2016년 목표인구 328천인은 상대적으로

타당함 (00도시기본계획(안) P . 55 참조)

< 부록3 > 사회적 외생수요의 파급효과 분석을 통한 인구추정의 문제점

00 도시기본계획은 사회적 외생 수요의 파급효과 분석을 통하여 2006년의 목표인구를 50만

인으로 설정한 바 그 추정인구수 및 추정 근거가 부적절함

- 125 -

Page 11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006년 인구산정

① 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인구산정의 문제점

00지구 등 7개 지구에 52.300가구 166,800인이 수용되며 다음과 같이 수용인구의 85%를 외부

유입인구로 설정하고 있는 바 크게 세 가지의 문제가 있음

52.300가구 3.2인/ 가구 0.85 = 142,000인

첫째 가구당 인구를 3.2인으로 설정한 바 00시의 가구당 인구가 1988년 4.1인에서 1995년

3.1인, 1997년 2.9인으로 계속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음

둘째, 2001.4월 현재 기건설된 아파트가 미분양되어 있어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바 대로

외부 유입인구가 85%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음

셋째, 이들 7개 지구 택지개발사업이 모두 허용되어야 할 정당성이 있는지, 정당성이 있더라도

2006년까지 100% 주민 입주가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았음.

여건이 이러하나 택지개발사업이 계획대로 진척된다고 가정하고 적용수치만 부분 조정하여

가구당 인구 2.9인, 외부유입비율 80%를 적용하면 유입인구가 극대화되더라도 12만인에 그칠

것임

523,300가구 2.9인 80% = 12 1,000인

② 00 00공항 종사자에 의한 인구산정의 문제점

공항 및 국제업무 종사자 4만인에 의해 다음과 같이 9,920인의 인구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

하고 있음

종사자수(40,000명) 김포시수용율(10%) 기혼율(80%) 가구당인구(3.1인) = 9,920인

도시기본계획에 제시된 종사자수, 00시 수용율, 기혼율 적용이 모두 적정하다고 하더라도 여

기에 가구당 인구 3.1인을 적용한 점은 부적절함 즉, 종사자 1인에 대해 1가구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취업 인구비율을 적용하여야 적절함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96년 현재 우리 나라의 총 인구에 대한 취업자의 비율은

45.5%임. <표2>는 우리 나라보다 선진국이거나 여건이 유사한 국가들의 취업율은 50%내의

수준임. <표1>과 <표2>는 산업부문 종사자 1인이 증가할 때 전체 인구증가 효과는 2인임을

입증하고 있음.

- 126 -

Page 11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표1> 우리나라 취업자 비율

조사년도 인구 (천인) 취업자(천인) 취업자비율 (% )

1981

1986

1991

1996

38,723

41,214

43,296

45,545

14,023

15,505

18,612

20,725

36.2

37.6

43.0

45.5

자료 : 통계청, 한국주요경제지표, 1997. 3, P . 5, P . 121

< 표2 > 주요국가의 취업자 비율

국가명 인구 (천인) 취업자(천인) 취업자비율 (% )

홍콩 6,660 3,201 48.1

일본 126,281 65,414 51.8

싱가포르 3,476 1,870 53.8

미국 274,028 131,463 48.0

자료 : 통계청, 국제통계연감 2000, 2000. 7, PP .42 - 44, PP . 96 - 97

따라서 공항업 수와 관련한 상주인구 증가는 다음과 같음

40 ,000명 10% 80% 2.0 = 6,400인

③ 00포구 종사자에 의한 인구 산정의 문제점

도시기본계획은 00포구 개발에 따른 인구증가분을 다음과 같이 산정하였음

00포구 종사자(5 ,000인) 김포시 수용율(80% ) 기혼율(80% ) 가구당인구(3. 1인)

= 9 ,920인

00포구 종사자의 80%가 외부 유입인구이고 기존의 00주민이 20%라는 설정은 부적절함 .

오히려 수치를 역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 따라서 다음과 같이 상주인구 증가분이 추정

될 수 있음

5,000인 20% 80% 2.0 = 1,600인

- 127 -

Page 11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④ 기타 인구 증가분 산정의 문제점

도시기본계획은 1997년 현재인구 125,532인에 대해 10년간 연평균 1%의 자연 증가 인구를

산정하는 한편, 유입인구에 따른 서비스업 종사자 18,000인의 증가를 고려하여 총 30,000인이

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이 경우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00시의 인구 중 상당수가 1,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으로 전환

되는 한편 외부지역으로 유출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음

따라서 기타 추정인구는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3만인의 절반 이하 수준이 될 것임

⑤ 2006년 최대 인구 산정

00 도시기본계획에서는 2006년 인구를 30만인으로 설정하였으나, 검토결과 최대 26.9만인이며,

정상적인 도시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20만인 내외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됨

구 분 00도시기본계획 (안) 수 정 (안)

현 재 인 구 125,500 125,000

신규 주거단지 인구 142,000 121,000

공 항 관 련 인구 10,000 6,400

00포구 관련인구 10,000 1,600

기 타 30,000 15,000

합 계 300,000 269,000

검토결과에 제시된 인구는 최대치이며 택지개발사업 등에 대한 타당성 분석 등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경우 더욱 감소할 것으로 판단됨

20 16년 인구

① 0000 관련 상주인구 추정의 문제점

00도시기본계획은 경인운하의 상주인구를 10,000인, 이용인구를 60,000 설정하고 0000 관련

인구 70,000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구를 산정하였음

관련인구(70,000인) 00시수용인구(20%) 기혼율(80%) 가구당인구(2.8인) = 31,360인

00 관련인구 중 이용인구 60,000인은 00시 혹은 00시나 00시의 상주인구로서 0000를 이용할

뿐이므로 00시 상주인구 산정에서 제외하여야 함. 따라서 00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수용인구

비율 및 기혼율을 적용하더라도 최대인구는 다음과 같음

상근인구(10,000인) 수용율(20% ) 기혼율(80% ) 상근인구 1인당 상주인구 발생비율(2.0 )

= 3,200인

- 128 -

Page 11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② 00 고속화도로 관련 상주인구 추정의 문제점

고속화도로 부대사업으로 15,000인 수용하는 택지개발이 필요하다고 설정한 바 외부유입인구

비율 85%를 적용하여 13,000인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00, 00포구, 자연증가,

0000 등과 관련된 증가인구가 26,200인에 이르므로 고속화도로 부대사업으로 공급되는 택지는

주로 이들 수요에 충당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다음과 같이 산정됨

택지개발수용인구(15 ,000인) 외부유입율(20% ) = 3,000인

③ 항공 R&D 단지 관련 상주인구 추정의 문제점

도시기본계획은 항공 R&D 단지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40,000인의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종사자수(20,000인) 00시 수용인구(80% ) 기혼율(80% ) 가구당인구(2.8인)

= 35,840인 ≒40,000인

항공관련 R&D 단지 종사자 수를 적정하다고 하더라도 00시 수용인구비율이 8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은 부적절함. 왜냐하면 00시에 인접한 00, 00, 00시 등 거대도시의 도시 서비스

수준이 월등히 높기 때문임. 따라서 최대로 전망하더라도 50%를 상회하지 않을 것임

종사자수(20,000인) 수용비율(50% ) 기혼율(80% ) 종사자 1인당 상주인구 발생비율(2.0

인) = 16 ,000인

④ 택지개발에 따른 인구 산정의 문제점

도시기본계획은 2006∼2016년간 5개지구 28,200가구의 택지를 개발함에 따라 45,000인이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함

28 ,200가구 3.2인/ 가구 외부유입비율(50% ) = 45,000인

그러나 상기 산정방식은 2006∼2016년 기간에는 가구당 인구가 2.5인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고려하지 않음. 또한 항공 R&D 관련 상주인구 중 주택을 확보하지 못한 16,000인과 00포구 관련

인구 및 자연증가 인구 중에서 주택을 확보하지 못한 12,000인(12,000인은 고속화 도로 부대

사업 택지개발지구에 수용) 등 27,200인, 그리고 주택을 공급받지 못한 기존인구에 대한 수요

등을 고려하지 않음. 따라서 외부유입률은 30% 이하로 설정될 수밖에 없음

28 ,200가구 2.5인/ 가구 30% = 2 1. 150인

- 129 -

Page 12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⑤ 기타 인구 증가분에 대한 문제점

도시기본계획은 2006년 인구를 30만인으로 설정하고 10년간 연평균 자연증가율 1%를 적용

하여 3만인의 자연증가와 서비스업 종사인구 증가 3만인을 산정하여 총 6만인의 기타 인구

증가가 있을 것으로 전망함

그러나 자연증가 인구는 2006∼2016 기간의 연평균 인구증가율이 0.5% 이하로 낮아질 것이

므로 최대로 가정하더라도 다음과 같이 산정치 이내에서 추계됨

2006년 인구(269 ,000인) 인구증가율(0.5% ) 10년=13,450

따라서 자연증가와 서비스업 종사인구 증가를 모두 고려할 경우 3만인 정도로 전망됨

⑥ 20 16년 최대인구 산정

00 도시기본계획에서 2016년 인구를 50만인으로 산정하였으나 검토결과 다음과 같이 최대

34만인이며 실질적으로는 30만인 이하가 될 것으로 판단됨

구 분 00도시기본계획 (안) 수정검토 (안)

2006년 인구 300,000 269,000

0000 관련인구 30,000 32,00

고속화도로 관련인구 13,000 3,000

항공 R&D 관련인구 40,000 16,000

택지개발 관련인구 45,000 21,150

기 타 60,000 30,000

합 계 500,000 342,350

- 130 -

Page 12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0 0 도 시 기 본 계 획 ( 안 ) 협 의 의 견

제 1절 종합평가 및 종합의견

1 . 종합평가

□ 본 기본계획 (안)은 「개발제한구역 (GB) 제도개선방안 ( ' 9 9 .7월)」에

의거 GB의 전면해제를 전제로 기본계획을 다시 수립하는 것인 바

○ 정부는 동 제도개선방안에서 환경적 요소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도시계획을 수립한 후 G B를 해제한다는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 이의 제도적인 뒷받침과 친환경적인 도시계획수립 도모 등을 위해

도시계획법령 및 각급 도시계획수립지침을 전면 재정비하였음

□ GB 제도개선 정책방향 , 도시계획제도가 지향하는 E S S D , 춘천시가

목표로 하는 자연속의 녹색도시 와 삶의 질이 높은 쾌적도시 를

구현함과 아울러 수도권상수원의 수질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 이와 같은 요소들을 계획수립의 기조로 하여 원점에서 기정 도시

기본계획상의 미비점을 보완·보충토록 함은 물론

○ 보전 위주의 전향적인 시각에서 자원 절약적이고 , 환경 친화적인

도시기본계획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 그러나 , 본 계획 (안)은 GB의 해제절차 이행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반면 , 친환경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여 도시계획

제도개선 이전의 계획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등 향후 2 0년을

내다보는 장기종합계획으로서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평가됨

○ G B 제도개선 정책방향 , 도시계획의 기본이념 (E S S D ) , 춘천시가

목표로 하는 자연 속의 녹색도시 , 삶의 질이 높은 쾌적도시 등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과 방안이 미비 (목표와 수단간 정합성 결여 )

- 13 1 -

Page 12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계획전반에 걸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조사 , 조사결과 분석·

평가 및 문제점 개선방안 강구 등 일련의 계획과정이 부실하며 ,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이 요구하는 바에 크게 미흡

○ 계획인구 , 토지이용 , 상하수도 등의 계획지표를 상위계획인 제4 차

국토종합계획보다 과도하게 설정하는 등 자원과 에너지 낭비적이며 ,

상위계획과 조화되지 않는 계획이 수립되고 있음

○ G B 해제예정 토지 (2 9 4 .4㎢ ) 중 개발용도가 부여되지 아니하는

토지는 보전녹지로 지정·관리함이 바람직하나 , 환경평가 검증결과

3등급 토지를 포함하여 상당 면적 ( 10 1 .8㎢ , 3 5 % )을 행위 제한이

완화되어 있는 자연녹지로 배분한 것은 합리적이지 못함

- 0 0 0 상수원 수질보전 , 난 개발방지 , 장래의 미미한 토지수요 , 0 0 시가

지향하는 도시 미래상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았고

-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은 상수원과 관련이 있거나 식물상이 양호한 3

등급 토지는 보전용지로 지정토록 하고 있는 바 , 이에 부합되지 않음

※ GB 제도개선방안 관련내용 요지

- 00권은 GB를 해제하되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대체 지정토록 하고, 대체지정

되기 전까지는 필요한 지역을 보전등급에 불구하고 보전녹지로 지정

- GB 해제로 인한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환경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적

요소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도시계획을 수립한 후 해제

2 . 종합의견

□ 본 계획 (안 )은 종합평가 및 이하 제2절과 제3절에서 제시한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재검토·보완토록 하여 다시 협의하는 것이 좋겠음

□ 재 협의 ,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본 도시기본

계획 (안 )이 승인되면 , 최종 인쇄본을 우리 부 및 0 0지방환경관리

청에 각각 송부하여 줄 것을 요망 (도시계획 협의 등 관련 )

- 132 -

Page 12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 2 절 분야별 협의의견

1 . 환경평가분석 중 수질등급 관련

□ 계획안 (p 3 8 ) 및 협의의견

구분면적

(㎢ )구성비

( % )

도시 계획적 해석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계 2 9 4 .4 0 10 0

1등급 2 3 .0 7 7 .8 적극적 보전이 요구되는

지역으로 도시적 개발 불

가능으로 해석

좌 동2등급 12 .4 0 4 .2

3등급 2 4 2 . 12 8 2 .2 도시적 개발 가능

적극적 보전이 요구되는

지역으로 개발을 엄격히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

4등급 15 .4 9 5 .3도시적 개발 가능

토지수요에 따라 계획적·

환경친화적 개발이 가능한

지역5등급 1 .3 2 0 .5

□ 이 유

○ 0 0시는 자연환경의 우수성 , 0 0 0 상수원상류의 입지적 특성 , 미

미한 토지수요 , GB 제도개선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 자연자원을 적극 보전하는 보전중심적·자원절약적·환경친화적인

도시기본계획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이나

- 이와 같은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토지이용 우선

측면에서 접근한 해석은 합리적이지 못함

○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의 내용 (상수원과 관련이 있거나

식물상이 양호한 3등급 토지는 보전용지로 지정) 및 GB 제도개선

방안에 부합되지 않음

- 133 -

Page 12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G B 해제기준 설정중 환경등급상 면적대비 표 관련

□ 계획안 (p 4 6 )

구 분 계 보전용지 자연녹지

면 적 (㎢ ) 2 9 4 .4 19 2 .6 10 1 .8

구 성 비 ( % ) 10 0 6 5 .4 3 4 .6

□ 협의의견

○ 계획 (안 )과 토지이용계획 (안 )도면 (p 9 9 )으로 볼 때 위 표는 G B

해제 후의 용도지역 배분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되나

- 위 표가 단순히 환경평가 검증결과를 등급별로 그룹핑하여 제시

하는 것이라면 보전용지 를 1 ,2등급지 로 , 자연녹지 를 3∼

5등급지 로 각각 수정

○ 개발제한구역 전면 해제 후의 용도지역 배분계획수립 시에는 보전

용지 면적을 대폭 확대 배분하는 방안을 강구 (종합등급도 3등급

이상지역을 모두 포함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고 , 이에 따라 9 9쪽에

제시된 토지이용계획 (안 ) 도면을 수정

□ 이 유

○ 위 1항의 수질등급 에 대한 이유 참조

○ 개발제한구역 조정을 위한 도시여건 비교분석 연구 ( ' 9 9 .8 , 건교부)

결과 0 0권은 수질의 환경용량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 바 ,

상수원보전 , 난 개발방지 및 자연환경보전 등을 위해 개발이 필요

하지 않은 토지는 보전용지로 지정·관리함이 적정

○ 최종 목표연도인 2 0 2 1년까지 개발용도의 토지수요가 극히 미미

(0 .6 9㎢ : 시가화용지 0 . 1 5 , 시가화예정용지 0 .5 4 )

- 134 -

Page 12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인구 및 가구지표 관련

□ 계획안 (p 7 2 , 7 5 등 )

구 분1999

(기준년도)

계 획 (추 정) 인 구 연평균증가율

( '99- '21,22년)2006 2011 2016 2021

동 지역209,228

(2.05)

240,957(2.04)

265,103(1.93)

290,632(1.86)

317,692(1.80)

1.91( '99- '21,22년)

읍면지역39,847(- 1.01)

46,200(2.13)

48,600(1.02)

51,100(1.01)

53,700(1.00)

1.36( '99- '21,22년)

소 계249,075

(1.50)

287,157(2.05)

313,703(1.78)

341,732(1.73)

371,392(1.68)

1.83( '99- '21,22년)

사회증가(개발사업)

자연증가에포함

29,000 49,000(11.06)

75,000(8.89)

96,000(5.06)

8.30( '06- '21,15년)

계(1)249,075

(1.50)

316,157(3.46)

362,703(2.78)

416,732(2.82)

467,392(2.32)

2.64( '99- '21,22년)

유동인구 추정(2) 미 상23,000 42,000

(12.8)

55,000(5.54)

71,000(5.24)

7.80( '06- '21,15년)

추정인구 합(1+2)339,157 404,703

(3.60)

471,732(3.11)

538,392(2.68)

3.13( '06- '21,15년)

총 인 구339,000 405,000

(3.62)

472,000(3.11)

538,000(2.65)

3.12( '06- '21,15년)

상주인구249,075

(1.50)

316,000(3.46)

363,000(2.81)

417,000(2.81)

467,000(2.29)

2.89( '99- '21,22년)

유동인구23,000 42,000

(12.80)

55,000(5.54)

71,000(5.24)

7.80( '06- '21,15년)

(주) ( ) 내는 기간 중 연평균 증가율(%)이며, ' 99년은 과거 9년간( '90∼ ' 99) 기준임

2001.5월 현재 인구는 251,704인(동지역 212,753인, 읍면지역 38,951인)

기정 도시기본계획( '98.4월)상 2001년 계획인구(상주인구)는 280,000인으로 되어

있으나, 2001.5월 현재 인구 대비 28,296인(11.2%)이 과다 추정

□ 협의의견

○ 계획인구가 과다하고 , 이로 인한 자원 소비적인 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므로 축소 조정 ( 2 0 2 1년 상주인구 3 0 만명 이하 )하고

○ 계획인구 조정결과에 의거 가구 , 토지이용 , 상하수도 등 이와 관련

되는 각종 지표 및 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조정

- 135 -

Page 12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이 유

○ 상주인구 증가율을 제4차 국토종합계획 및 제3차 0 0도종합계획

(안)보다 6 .2∼2 .3배 높게 설정한 것은 과도하며 , 이는 계획간의

부정합 , 상위계획 왜곡 등의 결과 초래

< 인구지표 비교 (상주인구 기준 ) >

구 분인 구 수 (천인 ) 인 구 증 가 율 ( % )

' 9 8 ' 0 1 ' 1 1 ' 2 0 ' 0 1- ' 1 1 1 1- ' 2 0 ' 0 0 - ' 2 0

제4 차 국토종합계획4 6 ,9 9 1 4 7 ,2 7 5

( ' 0 0년 )

5 0 ,6 18( ' 10년)

5 2 ,3 5 8 0 .6 9( ' 0 0 - ' 10 )

0 .3 4( ' 10 - ' 2 0 )

0 .5 1

제3 차 0 0 도건설

종합계획안 (심의중 )

1 ,4 9 0 1 ,6 0 8

( ' 10년)

1 , 7 0 0 0 .6 4

( ' 9 8 - ' 10 )

0 .5 6

( ' 10 - ' 2 0 )

1 .3 9

( ' 9 8 - ' 2 0 )

0 0도시기본계획안2 0 9

( ' 9 9년 )

2 5 2

(5월말 )

3 6 3 4 6 7(2 0 2 1년)

3 . 7 3 2 .5 5( ' 1 1- ' 2 1)

3 . 1 4( ' 0 1- ' 2 1)

○ 인구추정방법이 합리적이지 못함

- 장래 인구가 직선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는 것은 무리이며 , 특히 ,

읍면지역 인구는 계속 감소 (연평균 - 1 % )하고 있음에도 오히려 증가

(연평균 1∼ 2 % )하는 것으로 예측하는 것은 불합리함

- 과거의 인구추이에는 도시개발 등 사회적 요인에 의한 증가인구가 포함

되어 있는 바 , 장래인구를 예측함에 있어 개발사업에 의한 사회적 증가를

별도로 대폭 고려한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 특히 춘천시의 경우 서울의

위성도시와 같은 상주인구 유인효과는 거의 없을 것으로 사료됨

○ 계획인구가 모든 계획의 기본이 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 과도한

계획인구가 미치는 폐해가 매우 크므로 조정 필요(자원낭비 , 자연환경

훼손 조장 , 환경문제 가중 , 지가 왜곡 등 초래 )

※ 2 0 2 1년 개략적인 인구 산정결과

- ' 9 9 년 현재인구를 기준으로 과거 9년간 연평균증가율 ( 1 .5 % )을 적용

하여 등비급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계산할 경우 : 3 4 5 천인

- 2 0 0 1년 5월 현재인구 ( 2 5 1 ,7 0 4인)를 기준으로 제4 차 국토종합계획

상의 인구증가율을 적용하여 계산할 경우 : 2 8 0 천인

- 136 -

Page 12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생활환경지표 관련

□ 계획안 (p 7 7 )

구 분 단 위 19 9 9 2 0 1 1 2 0 2 1 연평균증가율( ' 9 9∼ ' 2 1 )

주 택주 택 수 호 7 1 ,9 2 3 10 3 ,4 5 5 15 8 ,4 4 6 3 .6 5 %

주택보급률 % 8 1 .9 9 0 .0 10 0

상수도

급수인구 인 2 10 ,3 2 5 3 3 7 ,5 9 0 4 6 7 ,0 0 0 3 .6 9 %

보 급 률 % 8 4 9 3 10 0

1일 1인최대급수량

ℓ/ 인일 3 9 5 5 2 0 6 2 0 2 .0 7 %

급 수 량 톤/ 일 8 3 , 14 0 17 5 ,5 4 7 2 8 9 ,5 4 0 5 .8 3 %

시설용량 톤/ 일 15 3 ,0 0 0 2 5 0 ,0 0 0 3 0 0 ,0 0 0 3 . 10 %

하수도보 급 률 % 7 8 9 0 10 0

처 리 장 개 소 1 4 5

청 소 매 립 장 개 소 1 1 1

□ 협의의견 및 이유

○ 계획인구 조정결과에 의거 지표를 전반적으로 재검토 조정

○ 1일 1인 최대 급수량의 지표가 공급 지향적이고 자원 소모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재검토하여 축소 조정하되

- 공급지표는 현 수준을 유지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고 , 이와 연계

하여 급수총량 및 시설용량을 조정토록 하여야 함

○ 하수도는 상수도계획에 대한 지표 조정결과를 반영하여 조정

○ 쓰레기 매립장은 기존 1개 시설로 향후 2 0년간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한지 의문이므로 재검토하고 , 매립장·소각처리장 등의 지표를

설정토록 하여야 함

- 137 -

Page 12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제3 절 부문별계획 협의의견

1 . 생활권 및 인구배분계획 관련

□ 계획안 (p 8 5∼8 9 )

생 활 권 면 적 (㎢) 인 구 (천인)주요기능

중생활권 소생활권 총면적 개발면적 현 황 2021년

합 계 1,116.36 31.60 244.7 467.0

도심생활권

소계(3) 64.64 23.28 199.9 360.0

00권 00,00 12.3 4.63 16.7 64.0주거, 첨단산업연구

00권 00,00,00,00 28.71 14.87 151.1 221.0중심업무,행정,상업,교육

00권 00,00 23.63 3.78 32.1 75.0신흥 주거,상업,공업

근교생활권

소계(5) 293.75 7.52 26.1 72.0

전원주거근교농업

000권

8근린지구중심00권

58.4 1.18 3.8 10.5

000권 85.89 1.75 3.8 10.5

000권 81.85 1.49 8.3 20.0

000권 48.72 2.10 8.6 21.5

00권 19.59 1.00 1.6 8.0

외곽생활권

소계(4) 757.97 0.80 18.7 35.0

동북권 00면,0면 300.24 - 3.9 5.5 휴양,주거

동남권 00면,00면 75.27 0.80 5.1 12.0주거,관광(문화),근교농업

서남권 00면,00면 170.55 - 4.2 10.0레저 ,스포츠 ,전원주거

서북권 0면,00면 211.91 - 5.5 7.5 관광(휴양)

□ 협의의견

○ 계획인구 조정결과에 의거 생활권설정 및 인구배분계획 , 주요기능

등을 재검토하여 조정

- 138 -

Page 12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토지이용계획 관련

기본원칙 (p 9 6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신 설> 자원절약과 자연환경보전을 우선한

토지이용계획수립

개발용도의 수요토지는 기존시가지

재정비 및 고도이용으로 우선 확보

지형 , 경관 , 물질순환체계 등 자연에

순응하는 토지이용 도모

개발 용도로 활용할 계획이 없는

토지는 보전용지로 지정하여 관리

토지공간의 합리적 배분 (내용 생략 ) (좌 동}

안전성 및 건강성 제고

적정밀도규제에 의한 인구의 적정배분

교통 소음 , 매연 등 주거환경 저해

요소 최소화 등

(좌 동}

편익성 및 쾌적성 제고

주거 , 여가 , 작업장소의 구분으로

도시환경의 쾌적성 제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연계한 도시공간의

녹지체계 확립

편익성 및 쾌적성 제고

- - - - - - - - - - - - 구분 및

상충되는 토지이용 기능을 적극 조정

하여 - - - - - - - - -

공원 , 녹지 , 수변지역 등 생물서식

공간을 적극적으로 보전·확충·연결

시켜 도시공간전체의 녹지체계를 확립

□ 이 유

○ 도시계획제도의 목적 , G B 제도개선방향 , 0 0시의 미래상 , 제4차

국토종합계획 등에 부합되는 친환경적 계획수립 도모

- 139 -

Page 13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토지이용계획 총괄 (p 9 8 )

□ 계획안

구 분기 정 (㎢, % ) 변 경 (㎢, % ) 증 감

(㎢)비 고

면 적 비 율 면 적 비 율

행정구역 1,119.20 100 1,116.36 100 감 2.84 00군지역제외(2.6㎢ : GB )

계 338.90 30.3 334.03 29.9 감 4.87

소 계 29.04 2.6 29.49 2.6 증 0.45

주거용지 23.84 2.1 24.01 2.1 증 0.17 GB포함(0.15)

상업용지 1.62 0.2 1.90 0.2 증 0.28

공업용지 3.58 0.3 3.58 0.3 -

시가화예정용지 3.26 0.3 0.84 0.1 감 2.42 GB포함(0.54)

보전용지 306.60 27.4 303.70 27.2 감 2.90 00군지역제외(2.6㎢ : GB )

비도시관리지역 780.30 69.7 782.33 70.1 증 2.03

□ 협의의견 및 이유

○ 계획인구 조정결과에 의거 시가화용지 및 시가화예정용지의 배분

면적을 축소 조정

- 계획인구 축소 조정 시 전반적인 용도배분계획의 재검토 조정 필요

○ 행정구역 전역을 도시관리지역으로 일원화하여 도시계획수단에

의해 계획적·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재검토

- 비도시지역의 난 개발방지 , 도시와 농촌의 통합관리 정책방향 (국토이용

및 도시계획에 관한 법률 제정 중 : 건교부 ) 등 고려

- 140 -

Page 13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토지이용계획 및 도시계획시설 변경내역 (p 9 9 )

□ 계획안 (일부 발췌 )

구 분(도면표기)

위 치면 적

(㎢)

용도지역변 경 사 유

기정 변 경

시가화용지

변경 (B - 2)00동 일원 0.10 GB 주거용지

대단위 밀집취락. 주거지역과

연접해 있어 주거용지로 계획

시가화예정

용지 변경(C- 2)

0 면

00리 일원0.40 GB

시가화예정

용 지

(주거용지)

주거지역 확장에 따른 택지

확보 및 과밀화된 인근지역의

인구밀도 완화 필요

(C- 3)00동 일원 0.10 GB 〃

00동 주거용지계획 및 주변

주거용지와 연계 개발

도시계획

시설변경(P )

00봉

근린공원0.38 GB 근린공원

환경적 보전가치가 있으며,주민여가공간으로 활용

□ 협의의견 및 이유

○ 0 0동 (B- 2 ) 및 0 0동 (C- 3 ) 지역은 녹지지역으로 존치하면서 자연

취락지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재검토하되 , 시가화 (예정)용지 지정이

불가피한 경우 저층·저밀 개발방안을 명시

- 근린공원 인근지역 , 시가지 외곽지역 , 수변지역의 지역적 특성 고려

○ 0 0리(C- 2 ) 지역(주거지역과 내부순환도로 사이에 위치)은 근린공원

이나 녹지지역 등의 보전용지로 지정하여 관리

- 주거지역 인근에 공원이 없고 , 간선도로와 주거지 사이의 완충공간 필요

○ 0 0봉 근린공원은 도시자연공원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재검토하되 ,

변경이 곤란한 경우 공원시설 설치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

- 근린공원은 시설허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양호한 자연환경이 과다

하게 훼손될 수 있음

※ 공원 시설률 : 근린공원 4 0 %이하 , 도시자연공원 2 0 %이하

- 14 1 -

Page 13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산업개발계획 관련

2 차 산업 (p 1 5 1∼ )

□ 계획안

산업단지명 위 치 면적 (천평) 유 치 기 능 비 고

계 6개소 1,210

영상산업문화단지0 000리

200생산, 교육, 문화, 주거,공원 등

토지이용계획미반영

멀티·생물산업특화단지

00읍00리

12생산, 연구, 교육, 문화,전시, 주거 등

토지이용계획반영

멀티·생물산업특화단지

00면 200 〃토지이용계획 미반영(도시지역외)

첨단산업단지1지구 0 동 300 미 상기정 공업지역(생산녹지지역)

첨단산업단지2지구 00동 318 〃기정 공업지역(자연녹지지역)

00지방산업단지 00동 180만화 영상산업, 생물산업, 연구소 등

기존 산업단지재개발

※ 기 개발 공업지역(5개소, 323천평) : 00지방산업단지(144천평), 000공업지역(23천평), 00농

공단지(103천평), 00농공단지(35천평), 00농공단지(18천평)

□ 협의의견 및 이유

○ 산업입지 수요 , 유치기능 , 입지여건 , 성장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여 유치기능이 유사한 산업단지를 통합·조정하고 , 토지

이용계획과 연계한 개발계획의 재수립이 필요

- 기능이 유사한 산업단지의 산발적 계획은 비합리적이며 , 실효성도 의문

○ 0 0면의 멀티·생물산업특화단지 (비도시지역)와 0 0의 첨단산업 1

지구(도시계획상 생산녹지지역) 및 0면 0 0리의 영상산업문화단지는

제외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 산업입지 수요 , 환경적·도시계획적 측면에서 입지의 적정성 등 고려

- 142 -

Page 13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관광 산업 (p 1 5 1∼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구 분 계 획 (안) 협 의 의 견

2. 기본방향

전형적인 호반 복합 관광휴양

단지의 특성 창출

00 도시 이미지와 호반 이미지를

조화시키는 종합적인 리조트

개발

수변 관광, 문화 사적탐사 등

호반활동 프로그램의 다양성

모색

기본방향에 다음 사항을 추가

수애선(水涯線)과 개발지역 사

이에 수변 생태계보호 및 안전

공간 설정, 주변경관과 조화되는

개발계획수립(고층·고밀 개발

억제 등), 완벽한 오염물질 처리

대책수립 등 친환경적 관광지조성

<시설

설치계획>

시설위치 : 9개 지구

- 00호(지정관광지)

- 00호 및 00사(지정관광지)

- 00·00(유원지)

- 00섬(유원지)

- 00호 (지정관광지)

- 00폭포(지정관광지)

- 000(지정관광지)

- 000·00 (군립공원)

- 000(지정관광지)

시설계획 : 생략

다음 4개 지구는 삭제

- 00호 : 00군지역

- 00산 : 00군지역

- 00산·00 : 00군지역

- 000 : 00군 지역

□ 이 유

○ 수변지역의 무질서한 관광지 개발로 인한 생태계 훼손 등의 환경

피해 최소화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기본방향 보완 필요

○ 0 0호 등 4개 지구는 행정구역 및 도시계획구역상 춘천시의 관할

지역이 아니고 시설주체도 될 수 없을 것이므로 시설설치계획에서

제외 (연계 관광지로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분리하여 기술 )

- 143 -

Page 13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5 . 환경보전계획 관련

□ 계획안 ( p 16 9∼ )

○ 자연환경·생태계·대기환경·청소·상하수도·에너지 등의 6개

분야에 대한 현황 ,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기본계획을 간략히 제시

□ 협의의견 및 이유

○ 제시된 계획 (안)의 내용이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등 매우 미흡하므로

최소한 친환경적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이 정하는 바에 의거한

계획을 다시 수립 (현황조사 분석 , 문제점도출 등 포함 )

○ 상수도·하수도·폐기물 등의 물적 계획에 대하여는 수요예측을

다시 실시하고 , 시설설치를 위해 필요한 입지 (위치 , 면적 등 )와

소요예산을 토지이용계획·재정계획 등의 관련계획에 반영

○ 환경부문의 계획 (안 )을 다시 수립함에 있어서는 다음 사항을 고려

- 자연환경 , 대기환경 , 수환경 , 상하수도 , 폐기물 , 에너지 등 친

환경적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 이 정하는 내용을 망라

- 상하수도 및 에너지의 경우 공급지표를 계속적·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바 , 자원 절약과 재 이용 등 수요관리

측면을 감안하여 축소 조정하고 , 노후 상수관 교체와 하수관거

접속률(현재 2 3 %) 제고 방안 , 상수원보호구역(소양 , 용산) 주변의

오염원관리 및 오염물질처리방안 (p 4 1관련 ) 등을 적극 고려

- 대기환경의 경우 천연가스보급 , 입지가 부적절한 시내버스 차고지

외곽이전 , 공영차고지 조성 , 교통시설로 인한 주거환경피해 방지

대책 등의 내용을 포함

-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매립 , 재활용 , 소각 등의 처리 방향을 설정

하고 이에 따른 시설소요를 판단하여 처리계획을 수립하되 , 소요

부지에 대한 입지를 배분 (위치 , 면적 ) 등

- 144 -

Page 13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6 . 경관 및 미관계획 중 기본방향 관련

□ 계획안 및 협의의견 (p 1 8 4 ∼ 1 8 5 )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1. 호반의 도시이미지 창출 : 내용생략

2 . 경관테마의 제창과 강조 : 내용생략

3 . 도심부의 이미지 품격 창조 : 내용생략

4 . 춘천의 향기 창조 : 내용생략

다음 사항을 추가

5 . 경관 및 미관 가이드라인 마련

조망점 선정 , 경관과 미관의 평가기준

및 방법 등을 포함하는 가이드라인

(지침 )작성

우수한 경관보전과 도시미관 증진

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여 집행력을 확보

<가이드라인 작성 시 중점 고려 요소>

- 하천변 , 호소변 등 수변지역의 오픈

스페이스 (완충공간 ) 확보

- 스카이라인 , 수공간 , 역사문화공간 ,

자연경관 등에 대한 조망권 보호

- 기존 지형 , 임야 등 자연환경훼손

최소화 방안

- 도시 내외부의 공원·녹지체계와의

연계성 확보

- 가로변 , 짜투리땅 등지의 수목 식재

- 저밀도 주거지역의 생울타리담 조성

유도 및 도로포장의 최소화 방안

- 광고물의 정비방안

- 용도지역·지구제 등의 도시계획

수단과 연계 방안 강구 등

□ 이 유

○ 도시 경관 및 미관계획의 실효성과 집행력 증대

- 145 -

Page 13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7 . 여가 및 공원녹지계획 관련

현황분석 (p 1 8 8∼ 1 8 9 )

□ 계획안 : 현황만을 제시

구 분 개 소 면적(㎢) 1인당면적(㎡) 비 고

합 계 121 39.18 157.75 '99현재 총인구 248,370인

·

계 114 35.68 143.66

소 계 85 35.44 142.69

어린이공원 68 0.12 0.48

근린공원 13 1.95 7.85

도 시자연공원 4 33.37 134.36

00산(0면), 00산(00면), 00(00면),000(00리)

소 계 29 0.24 0.97

완충녹지 26 0.23 0.93

경관녹지 3 0.01 0.04

유 원 지 7 3.50 1.4100(0면), 00북(00동), 00남(00동),00(0면), 00(00동), 00(00동), 00(00동)

□ 협의의견 및 이유

○ 공원·녹지 및 유원지에 대한 현황 분석 (기초조사 )이 매우 미흡

하므로 기초조사를 보완

- 현황만을 제시하고 있는 바 , 계획의 합리성 확보 및 집행력 제고를

위해서는 조성·운영현황 , 문제점 등의 조사분석 및 평가가 필요

○ 기초조사 보완결과를 토대로 문제점 개선 , 상위계획지표 , 장래수요 ,

실현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제시된 기본목표와 방향 및 기본계획을

재검토하여 보완

- 146 -

Page 13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기본방향 (p 1 9 0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공원의 양적인 확장보다는 적극적인

공원시설화로 이용의 활성화 도모

공원의 양적 측면 , 이용의 효용성 측면 ,

자연환경보전 측면, 집행가능성 측면 등

이용과 보전이 조화되는 공원계획

도모

공원 , 녹지 , 하천 등이 연계되는 광역

녹지체계망 구축

도시내의 공원·시설녹지·수변지역·

공지와 도시주변의 자연적 녹지 및

녹지축이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여 사람과 생물이 공존할 수 있는

광역적인 녹지체계를 구축

<신 설> 주거지역·학교 등의 정온을 요하는

지역과 주요 교통시설·산업단지 등의

오염원이 연접하는 지역 사이에는

완충녹지를 배치

<신 설> 광역적인 녹지체계 구축 및 완충녹지

배치에 관한 기본방향은 토지이용계획 ,

환경보전계획 , 경관 및 미관계획 등의

관련계획과 연계성을 확보하고 , 도시

계획수립 시 이를 구체화하여 반영

※ 계획 (안 )의 내용 중 이견이 없는 사항은 생략하였음

□ 이 유

○ 도시계획의 기본이념 (E S S D) , 0 0시가 목표로 설정한 자연 속의

녹색도시 , 삶의 질이 높은 쾌적도시 등의 구현방안 보충

○ 환경피해의 사전 예방 , 관련계획과 연계성 확보 등

- 147 -

Page 13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기본계획 (p 1 9 0 )

□ 계획안 및 협의의견

계 획 (안 ) 협 의 의 견

생활권별 중심지 인접 공원은 시설

공원화, 기타 도시자연공원 등은 관광·

휴양공원으로 개발

공원은 공원 종류와 기능 , 자연환경

여건과 훼손문제 , 필요한 시설 등을

감안하여 친환경적으로 개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 중 환경적으로

보전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 지역주민

여가활동공간인 0 0봉일원에 근린 공

원(0 .3 8㎢) 지정을 통하여 체계적인

관리 및 개발유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0봉일원은 근린공

원으로 계획하되 , 기존지형과 임상보

전 , 시설률 최소화 등 자연환경을 적

극 보전하는 방안을 강구하되 , 도시자

연공원으로 지정·관리하는 방안도 적

극 고려

□ 이 유

○ 자연환경의 보전과 공원 개발 및 이용의 조화를 공원계획 도모

○ 자연환경이 양호한 국사봉 일원의 훼손 최소화 도모

※ 도시공원법 상의 공원시설률은 근린공원 4 0 %이하 , 도시자연공원

2 0 %이하로 되어 있어 공원계획수립내용에 따라 과다한 훼손을

초래할 수도 있음 . 끝 .

- 148 -

Page 13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도시계획 변경결정 (대규모취락 G B해제) 협의의견

1 . 변경안 개요 (G B 해제 )

지 역취 락 명

(동명)

인구 및 주택현황 해제면적

(㎡)

GB 해제 후 계획

인구 (인) 주택 (호) 용도지역 용도지구 등

합 계 5개소 8,038 1,175 734,726

0

0

소 계 5,445 522 257,061

00 1(00동)

1,450 147 130,133제1종일반주거

(용적률 200% )

최고고도지구

(3층 이하로 제한)

00 2(00동)

3,995 375 126,928 〃 〃

0

0

0

소 계 2,033 538 266,505

00대

(00동)1,012 226 202,944 자연녹지지역 자연취락지구

0 0(00동)

1,021 197 63,561 〃 〃

00시0000(00동)

560 115 211,160 〃 지구단위계획

(00시)(0 0)(00동)

(470) (74) (98,059) 〃 〃

(비고) 00시 00마을은 접해있는 00시 0000 마을과 연계하여 해제 추진

2 . 협의의견

가 . 공통 사항

( 1) 위 5개 취락의 GB해제 결정은 이하 (지역별 의견 포함)에서 제시

하는 의견을 반영토록 하는 조건으로 협의 (동의 )함

(2 ) 해제지역의 상수도 , 하수도 , 폐기물의 공급·처리대책을 강구하고 ,

해제지역별로 도시공원법에 의한 공원배치방안을 적극 고려

- 149 -

Page 14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G B해제 후 지자체가 결정하는 도시계획 (변경 )에 대하여는 도시

계획법 제 19조제2항 및 제2 4조제 1항의 규정에 의거 경인지방

환경관리청과 협의를 거쳐 결정토록 하되 , 이하 나 목부터 제시한

지역별 의견은 이를 면밀히 검토하여 계획에 적절히 반영

나 . 0 0 시 (0 0 1단지 및 0 0 2단지 )

( 1) 건축물의 고도를 제한 (3층 이하)하는 외에 건폐율은 6 0 %이하 ,

용적률은 10 0 %이하의 수준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강구

도시주변의 산자락과 구릉지에 위치한 문원1,2단지(000공원 건설 이주단지)는

모든 주택이 건폐율 60%이하, 용적률 100%이하(2개 주택은 100% 초과)로

건축되어 있는 전원형 단독주택지임

주택단지의 입지적 여건, 건축현황 등을 고려할 때 용적률을 200%로 설정

하는 것은 과도하며, 이는 점진적인 고밀도 개발로 이어져 주거환경악화,

교통난, 도시주변 경관저해 등의 부작용이 예상됨

(2 ) 0 0 1단지와 접해 있는 서측의 광로 사이에는 소음조사결과 및

아래 표 등을 참작하여 완충녹지를 적절히 배치

교통시설에 의한 환경영향(소음, 배기가스)완화 및 도시미관 증진 도모

※ 교통시설로 인한 주거단지 소음저감 완충녹지 계획지표

도 로 소음수준[dB (A )] 폭 (m ) 완충녹지의 구조

8차선

이 상

기존 80, 기준 65저감 15

50 주거단지+완충녹지+도로

15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방음벽)+도로

6차선기존 75, 기준 65

저감 10

40 주거단지+완충녹지+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도로

4차선기존 70, 기준 65

저감 530 주거단지+완충녹지+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도로

고속

도로

기존 80, 기준 65저감 15

50 주거단지+완충녹지+고속도로

15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고속도로

10 주거단지+완충녹지(마운딩+방음벽)+도로

<자료> 공원·녹지계획지표 연구(1993.3,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연구)

- 150 -

Page 14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다 . 0 0 0 시 (0 0 0지구 및 0 0지구 )

( 1) 0 0 0지구의 대로 1- 7호선과 대로 1- 8호선 변 및 0 0지구의 대로

1- 7호선 변에는 「0 0시의 0 0 1단지」에 대한 의견에 의거 완충

녹지를 배치

라 . 0 0 시 (0 0 0지구 )

( 1) 해제예정지역의 남북 및 동서를 관통하는 대로 (폭2 5 m ) 변에는

「0 0시의 0 0 1단지」에 대한 의견에 의거 완충녹지를 배치

(2 ) 지구단위계획수립 시 건축밀도는 제 1종 전용주거지역 수준을 원칙

으로 하되 , 불가피한 경우 제 1종 일반주거지역 수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계획

대규모 취락 등에 대한 도시계획수립지침 상 해제지역은 자연녹지지역으로

유지함을 원칙으로 하면서 기 훼손 또는 고밀 개발지의 경우 저밀도·저층

으로 개발토록 하고 있음

계획설명서 상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개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는 지침에 반하며, 주변 지역과 부조화 등

※ 도시계획법령상의 건폐율 및 용적률

용 도 지 역 건폐율(%) 용적률(%) 비 고

자연녹지지역(GB) 20 50∼100

제1종 전용주거지역 50 50∼100 단독주택(3층이하)

제1종 일반주거지역 60 100∼200 4층 이하

제2종 일반주거지역 60 150∼250 15층 이하

(3 ) 0 0시 0 0 0지구와 연계하여 GB를 해제코자 하는 0 0시 0 0마을은

0 0시 0 0 0지구에 대한 의견이 반영되도록 조치 . 끝 .

- 15 1 -

Page 14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0 0 1년도 主要業務計劃환경과 경제의 상생을 위한

「에코- 2 프로젝트」역점 추진

환 경 부

- 153 -

Page 14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순 서

Ⅰ . 環境(Ecology )과 經濟(Econ om y )를

함께 살리는「에코- 2 프로젝트」추진 1

Ⅱ . 물·공기·폐기물 등 媒體別

環境管理政策의 선진화 7

Ⅲ . 環境行政 革新프로그램 추진 및

에코-디지털화 실현 15

Page 14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00 1년 環境政策의 새로운 패러다임

環境과 經濟의 相生21세기 國家成長動力 擴充

쾌적한 환경

E C O LO G Y

건실한 경제

ECO N O MY

환경보전을 위한

경제희생

개발에 따른

환경파괴

Page 14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Ⅰ . 環境과 經濟를 함께 살리는「에코- 2 프로젝트」推進

1 . 環境産業 振興으로 成長動力 擴充

◇ 환경 (E T )산업을 정보 (IT )·생명 (BT )산업과 함께 국가

전략산업으로 발전

◇ 범부처적 환경산업·첨단환경기술 발전전략을 중점 추진

□ 범부처적 「環境産業 發展戰略」 추진

o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2001.1)한 「환경산업 발전전략

(200 1∼2003 )」을 차질없이 추진

- 2003년까지 발전기반 구축, 2010년 환경산업 선진국 진입

o 기술이 우수한 「스타(star)」기업 등 유망 환경벤처기업 육성

- 정부·업계·금융계 공동으로 투자기금 100억원 조성

- 「창업보육센터」를 설립, 경영기법·기술 등 지원

□ 次世代 核心環境技術의 개발 (Eco- T echnopia 21)

o 개발 사용중인 중상급 기술(medium- high tech.)의 實用化·

商業化 촉진 및 전통기술 고부가가치화 지원 (500억원)

- 외국의존기술 국산화 및 중국 등 해외틈새시장 진출

o 국가가 우수기술을 검증하는 「環境技術 評價制度」도입

및 우수신기술 실용화 촉진을 위한 成功拂制 시행

- 157 -

Page 14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地域別로 特性化된 환경기술개발

o 지역의 産·學·硏·官의 역량을 결집하는「지역환경

기술개발센터」설치 확대

- 지역환경문제 해결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99년 : 2개소 → 2000년 : 10개소 → 2001년 : 18개소

□ 국내환경산업 市場需要 창출

o 환경 SOC에 대한 공공투자 확대(2001년 5조5천억원 )

o 산업계가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환경기준 강화계획을

5∼10년 단위로 事前豫告

□ 환경산업 海外市場 進出 확대

o 한국환경산업·기술상설전시관」설치 (2001.5, 베이징)

o 제1차 「한·중·일 환경산업라운드 테이블」 회의 및

「한·중·일 그린비지니스 엑스포」개최 (2001.6, 서울)

o 민·관공동「環境産業輸出協力團」구성 (2001.4)

o 對外經濟協力基金 (EDCF ) 등을 활용하여 우수 환경설비

수출과 海外 環境施設工事 受注支援 등

- 158 -

Page 14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資源節約 및 廢棄物 再活用 促進

◇ 생산자 재활용 체계를 구축, 폐기물 감량·재활용 극대화

◇ 재활용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및 인프라 확충

□「生産者 責任再活用制度」 도입·추진

o 폐가전제품 등에 대한 생산자 책임재활용제 시범실시

- 폐가전제품 처리능력 확대(2000년 28만 → 2001년 76만대)

- 하반기부터 폐형광등 회수·재활용 사업 실시

※ 본격 시행시 폐기물처리비와 기업비용 등 연간 3 ,9 4 0억원 절감

□ 再活用産業 育成 지원

o 재활용 기술개발을 위한「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추진 (127억원) 및 재활용시설 자금지원 확대 (600억원)

o 정부·민간단체·업계 등 전국폐자원수집재활용운동 전개

o 공공기관 재활용품 優先購買制 확대 시행(145개→181개품목)

및 재활용사이버시장 활성화

o 시·군·구 集荷選別場의 현대화(17개소) 및 농촌폐기물

자원화시설 확충 (66억원) 추진

□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발전시설(50MW급) 착공(2004년 완공)

o 상반기중 6.5MW규모의 시설 설치로 매립지 자체전력 공급

※ 연간 2 0 0억원의 에너지 수입대체, 악취감소·매립지 안정화 등 효과

- 159 -

Page 14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需要管理 中心의 用水管理體制로 節水技術·市場 創出

◇ 물수요관리제도의 확고한 정착으로 절수 및 예산절감

◇ 절수기·중수도 설치 확대로 절수기술·시장 창출

□ 물 需要管理 目標制 의무화

o 연도별 물절약 목표설정 등 물수요관리체제 정착

- 2001년 절수목표 3억톤(용수생산량의 5.2%), 1,600억원 절약

o 水道事業者 (지자체·수자원공사 )와 각급 公共機關의 물

수요관리목표제 의무화 및 이행실적 정기점검

□ 물 절약 인프라 구축

o 累進率 확대적용, 계절별 요율도입 등 節水型 水道料金制 시행

o 중수도·절수기 설치등 물절약 投資代行業(WASCO) 제도 도입

□ 물절약시설 설치 확대

o 中水道施設 설치 의무화 대상 확대

- 대형 호텔·백화점·업무용 빌딩 및 공장

o 하수처리장 신·증설시 처리수 재이용시설 설치 의무화

o 公共勤勞事業으로 가정 및 각급학교에 절수기 설치 추진

- 절수기 보급률 : 18%(2000) → 31% (2001) → 70%(2004)

- 금년중 초·중·고교(10,228개소)에 절수기 설치 완료

- 160 -

Page 14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環境知識·情報 인프라 확충

정부·기업·소비자간 환경지식·정보네트워크의 활성화로

資源·에너지 節約型 생산·소비체제 구축기반 마련

□ 가칭 M ORE F ROM LE S S 革新事業 추진

o 원료와 에너지 등 자원의 투입은 최소화하고 생산성과

환경적 건전성은 최대화하는 技術革新 事例 개발·전파

□「환경·경제포럼」구성 및 常時 運營

o 기업최고경영자 (CEO)·민간단체·정책결정자 등이 참여,

정보 교류 및 상호협력 촉진

□ 環境親和的인 企業經營 유도

o 환경친화기업 지정 확대 및 운영 활성화

- ISO 환경경영체제 인증 중소기업, 서비스업 등 대상확대

- 환경친화기업의 환경개선사례 활용을 위한 전국네트워크 구성

o 환경친화적 제품 생산 및 건축물 확산

- 「環境成績標識制度」 및 「그린빌딩 인증제도」시행

o 지역별「기업환경기술지원센터」를 설치, 컨설팅사업 추진

o「기업환경성평가기준」을 마련, 우수기업에 대한 金融

優待 등 인센티브 확대

- 16 1 -

Page 15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5 . 環境·經濟 統合指標 開發

환경과 경제의 상생관계를 나타내는「環境持續可能性指標

(E S I)」를 개발하여 환경친화적 경제발전모형 정립

□ 환경오염·개선효과에 대한 經濟指標의 開發

o 환경요인을 반영하여 국민총생산을 산출하는 녹색 GDP를

단계적으로 도입

-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환경투자의 효율성 증진에 활용

o 환경피해 또는 환경개선의 경제적 가치를 計量化하는

환경·경제 통합지표 개발

예) 수질오염도 1ppm 개선의 경제가치를 산출, 환경투자효과 측정

□ 환경인프라 확충을 위한 環境投資槪念의 정립

o 환경투자가 費用이 아닌 資本的 投資라는 인식을 확산

o 환경투자의 범위를 事後處理(End of Pipe)投資에서 事前

豫防投資까지 확대

예) 폐수종말처리장 설치 → 에너지절약시설, 환경친화적 공정개선 등

□ 통합지표의 확산을 통한 경제·사회 시스템의 친환경적 개선

o 국가 주요정책에 반영, 개발과 보전의 조화 도모

o 산업계의 환경인식 제고 및 국민의 환경보전 참여 활성화

- 162 -

Page 15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Ⅱ . 물·공기·폐기물 등 媒體別 環境管理의 先進化

1 . 맑은 물 공급

◇ 4대강대책 후속조치, 총량규제를 위한 수계구간별 목표수질

설정 등 事前豫防중심의 流域管理體制 確立

◇ 수질기준 강화·급수 전과정 공개로 수돗물의 신뢰도 제고

가 . 4대강 물관리특별종합대책의 차질없는 추진

□ 4대강 물관리특별법 제정 및 시행

o 낙동강특별법을 상반기중 제정, 하반기에 시행

o 금강특별법·영산강특별법안 상반기 국회제출, 하반기 공포

□ 주요水系 汚染總量管理制 시행 추진

o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계획 수립 적극 유도

o 낙동강수계 오염총량관리 시행을 위한 기본방향 설정

및 금강·영산강수계 연구용역 추진

□ 상수원주변지역 난개발방지 등 事前汚染豫防對策 강화

o 수변구역 지정 및 토지매수 확대 추진

o 特定有害物質 立地制限 지역·시설 지정(낙동강수계부터 추진)

o 24시간 連續監視를 위한 수질자동측정망 확충

- 163 -

Page 15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수질오염물질 배출원 관리 강화

o 오수처리시설 의무화 대상을 상수원 인근 기존건물까지 확대

o 특정수질유해물질항목 확대 및 양식장 배출수 기준 설정

□ 수질환경기초시설 확충 및 운영 개선

o 하수처리장 30개소 및 하수관 4천km 설치(2조5천억원)

o 질소·인 처리시설 보강 및 民營化·民間委託 확대

나 . 먹는물 신뢰도 제고 및 깨끗한 상수원수 확보

□ 먹는물 수질기준 강화 및 淨水處理 高度化

o 수질기준 강화로 선진국 수준의 먹는물 안전성 확보

- 기준항목수 : 2000년 47 → 2001년 55 → 2005년 85

※ 외국현황 : 일본(46), 독일(49), 영국(56), 미국(87), WHO(122)

o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5개소) 및 老朽水道管 교체(2,515㎞)

□ 깨끗한 상수원수 확보

o 上水取水源 多邊化를 위해 강변여과수 시설 착공(2개소)

o 지하수 개발체계 개선을 위한 地下水 統合管理體系 構築

- 지하수보전계획 수립 및 용도별 지하수 수질기준 마련

- 지하수 종합정보망 구축 및 감시정 설치 등 사후관리 강화

- 164 -

Page 15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都市 大氣環境改善 基盤 造成

◇ 천연가스버스의 본격 보급과 자동차 배출가스·연료기준

강화로 자동차 배출오염물질을 획기적으로 저감

◇ 오염원 관리강화·청정연료 사용확대로 대도시 대기질 개선

가 . 天然가스버스 普及 擴大

□ 월드컵 개최도시를 중심으로 천연가스버스 普及 本格化

o 금년말까지 버스 2,354대 보급 및 충전소 68기 설치

※ 2 0 0 1년 (2 ,3 54대) → 2 0 0 2년 (5 ,0 0 0대) → 2 0 0 7년 (2 0 ,0 0 0대)

□ 관련업계·지자체의 적극 참여를 위한 다각적 지원 추진

o 천연가스 가격인하 및 버스보조금(대당 2,250만원) 지원

o 市有地 등 公共用地에 충전소 설치 및 공영차고지 건설

o 充塡所의 안전성 및 천연가스버스의 친환경성 중점 홍보

나 .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 추진

□ 제작차 배출가스 및 연료품질기준 강화

o 미국·유럽 규제 수준으로 자동차 배출가스 및 연료

품질을 강화

o 자동차 배출기준·사용연료의 통합관리 추진

- 165 -

Page 15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운행차 배출가스검사제도 개선

o 大氣環境規制地域에서 정기검사 사이에 中間檢査 실시

o 터미널, 차고지 등에서 불필요한 자동차 공회전 억제

□ 특수차량 관리방안 마련

o 건설장비·기계의 배출기준 설정 및 저공해 기술개발

다 . 大都市 體感 大氣質 개선

□ 오존오염도 豫測·分析能力 提高

o 오존예보모델을 지역특성 및 기상여건에 맞게 개선

o 오존생성메카니즘 규명 등을 위한 測定網 擴充

- 광화학 4개소, 유해대기 4개소

□ 산업시설 燃料의 超低黃化 추진

o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14개)에 0.3%이하 초저황중유 공급

□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관리체계 개선 추진

o 규제대상물질 확대, 방지시설 세부설치기준 마련 등

VOC·악취 배출업소 중점 관리

o 오존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 배출시설(LNG사용시설 등)에

대한 관리강화 방안 마련

- 166 -

Page 15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國土環境保全 綜合對策 마련

◇ 난개발 방지와 국토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국토

환경보전종합계획 수립 추진

◇ 산과 연안 등 核心生態軸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관리·

보전하는 「국토자연생태네트워크」구축

가 . 持續可能한 國土利用制度 확립

□ 保全과 開發의 調和를 위한 國土環境管理對策 추진

o 「國土環境保全綜合計劃」을 수립, 국토환경보전 목표

설정 및 국토환경조사 실시 추진

o 친환경적 국토관리 및 토지이용을 위한 관계법령 정비

o 토지의 環境性 評價基準 및 적정 관리방안 마련 등

□ 環境影響評價制度 개선

o 주민의견수렴 확대, 평가절차 공개 등 評價의 公正性 提高

o 평가협의내용의 철저한 이행을 위하여 사후점검 강화

□ 事前環境性檢討制度 강화

o 일정규모이상 개발사업·행정계획을 검토대상에 추가

o 공정성·전문성 제고를 위해「檢討專門委員會」운영 활성화

- 167 -

Page 156: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나 . 國土를 統合하는 자연생태네트워크 구축

□ 3대 核心生態軸을 근간으로 한 체계적 보전대책 마련

o 白頭大幹·非武裝地帶·島嶼沿岸 등 3대 핵심자연생태축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여 유기적으로 연결

o 핵심생태축과 연계한 지역별 자연환경보전대책 추진

- 백두대간·國立公園·동강 보전 및 자연형 하천조성

- 特定島嶼 지정 및 海岸砂丘·潟湖·갯벌보전

- 비무장지대를 接境生物圈保全地域으로 지정(UNESCO 협조)

다 . 國家生物資源 綜合管理體制 확립

□ 野生動·植物保護對策의 체계화

o 야생동·식물보호 법령·제도의 통합 및 연계체계 강화

o 서식실태조사, 종별 보호대책 수립 및 보호대상 지정확대 등

□ 생물자원 보전·관리체계 강화

o 國立生物資源保存館 설립 및 固有生物種 유출관리 강화

o 관리대상 추가지정 등 生態系危害 外來種 관리 강화

□ 密獵根絶對策 지속 추진

o 수렵제도 개선, 밀렵단속 강화, 보신문화 타파 대국민 홍보 등

- 168 -

Page 157: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廢棄物 및 有害化學物質의 적정관리

◇ 폐기물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등 관리체계를 선진화

◇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로 인간 및 환경에 대한 위해 방지

가 . 先進 廢棄物管理 基盤 構築

□ 폐기물관리 長期綜合計劃 (2002∼20 11) 수립

o 제1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이 완료되는 2002년이후

10년동안의 장기 폐기물관리 목표설정 및 추진전략 마련

□ 과학적·체계적 폐기물 統計調査 추진

o 폐기물 발생 및 처리실태에 관한 전국적 조사 실시(20억원)

□ 폐기물처리 전과정 常時追跡監視시스템 구축

o 사업장 폐기물의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과정을 상시 감시

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 구축(12억원)

□ 폐기물처리시설의 현대화 및 운영관리 개선

o 원활한 폐기물 처리를 위해 생활폐기물처리시설 122개소

설치 및 廣域燒却施設 국고보조 확대

o 지정폐기물공공처리장 운영·활성화를 위해 民營化 추진

- 169 -

Page 158: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나 . 쓰레기 줄이기 생활문화 정착

□ 1회용품 줄이기 실천운동 전개 및 제도 강화

o 종량제 봉투 有償販賣 실시 및 장바구니 사용 활성화

o 1회용품 규제확대 및 제도의 실효성 제고

□ 쓰레기투기 申告褒賞金制度 확대

o 산업폐기물 불법투기 및 1회용품 규제 위반행위까지 확대

□ 환경친화적 음식문화 조성 및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추진

o「환경사랑음식점」선정확대 및 음식물쓰레기분리배출확대

□ 중고물품 재활용 활성화

o 지역·직장 알뜰시장 확대 및 재활용품 이용 정보체계 구축

다 . 有害化學物質 관리의 선진화

□ 화학물질의 危害性評價 강화

o 신규화학물질 生態·慢性毒性 평가 및기존화학물질 평가강화

□ 特定化學物質 관리대책 추진

o 내분비계장애물질 연구조사사업, 「特定化學物質管理

特別法」제정 및 국제연구센타 설치 등

□ 화학물질의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관리체계 마련

o 관련정보 종합·관리(환경부) 및 사고대응(소방관서) 체계화

- 170 -

Page 159: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Ⅲ . 環境行政 革新프로그램 추진 및 에코-디지털화 실현

1 . 持續可能한 國家環境管理 體制 構築

◇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는 국가환경관리기반 강화

◇ 남북환경협력·군부대의 친환경적 관리 등 새로운 환경

행정수요에 적극 대응

□「새천년 국가환경비전」실행프로그램 확정·추진

o 환경친화적 국토관리 등 7개 분야 55개 과제

o 14개 부처 공동으로 범부처적 추진체계 확립 및 정기점검 실시

□ 持續可能發展委員會 운영 지원

o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가주요정책 事前調整機能 强化

o 국토이용·에너지 수요관리 등 국가지속발전전략 수립

및 국제환경 동향에 대한 범부처적 대응방안 마련 등

□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관리능력 제고 지원

o「地方議題 21」 확대 및 운영 내실화 방안 강구

- 추진체계, 추진사업 등에 대한 종합적 평가시스템 개발·보급

o 환경을 고려한 지역개발을 정착시키기 위해 「지속가능한

지역개발가이드라인」을 마련 , 지방자치단체에 보급

- 17 1 -

Page 160: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 南北環境協力 기반 모색

o 남북협력 진전상황을 고려한 환경분야 교류·협력 활성화

- 비무장지대·백두대간 생태계 공동조사 등

o 남북 경제협력 과정에서 환경친화적인 사업추진 유도

- 경의선 복구·南北經協事業 등에 환경영향 감소방안 반영

□ 주한미군기지 및 우리 군부대 환경관리 개선

o 신설된 SOFA 환경조항 및 「환경보호에관한특별양해

각서」에 따라 주한미군 환경관리 개선 추진

- 「환경관리기준(Environment Governing Standards)」개정,

환경현안 공동조사 추진 등

o 우리 군부대의 친환경적 관리

- 軍環境保全指針 보완·발전, 환경관리실태 합동점검 등

□ 傘下機關 經營革新計劃 수립·추진

o 유능한 경영인력 확보를 위해 기관장후보평가위원회

구성 및 인력자원풀 (pool )제 운영

o 경영 효율화를 위해 核心力量 위주로 조직슬림화

- 172 -

Page 161: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2 . 環境外交 强化 및 國際協力 增進

◇ 세계환경정상회의 등 신국제환경질서에 대한 대응능력 제고

◇ 환경행정 역량제고를 위한 국제환경협력사업 본격 추진

가 . 2 1세기 새로운 國際環境秩序에 능동적 참여

□ 2002년 世界 環境頂上會議(Rio+10)에 대한 준비 착수

o 「汎政府 對策委員會」를 구성, 우리나라의 입장·전략 마련

□ 氣候變化協約 협상회의 대응 및 이행체제 보완

o 대체연료자동차개발등온실가스저감대책을범부처적으로추진

o 「기후변화협약대책팀」확대·보강 및 대국민·기업 홍보강화

나 . 환경협력사업 본격 추진

□ 韓·中·日 환경협력의 가속화

o 황사저감시범사업, 환경정보네트워크 구축사업 본격 착수

□ 동남아·유럽 국가와의 환경협력교류 확대

o 아시아개도국에 우리나라 환경정책 전파(세계은행과 공동)

o EU·스웨덴 등 유럽국가와의 공동사업·인적교류 추진

□ 國際機構(UNDP·GEF등)와 협력을 통한 남북한 환경협력 추진

o 남북한 등 5개국이 참여, 두만강 유역 환경보전사업 추진

o 백두대간 생태계 복원 및 국내 습지보전 추진(사업비 각 35만불)

- 173 -

Page 162: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3 . 國際競技의 親環境的 管理體系 構築

국제경기의 친환경적 개최·운영을 위한 종합 가이드라인

제정 및 民官合同評價體制 구축

□ 국제경기 環境管理綜合指針 마련

o 2002년 월드컵·부산 아시안게임 등 국제경기 준비단계부터

대회 종료까지의 시설설치 및 대회운영방안 제시

- 빗물이용·자연채광시설 등 친환경시설 설치·운영

o 民·官合同評價班을 구성, 정기적 종합평가 실시

o 인터넷에 개최지역 오염도 실시간 (Re al t ime ) 공개로

시민환경보전 참여 유도

□ 환경친화적 대회 운영 및 관리대책 마련

o 대중교통수단 확충, 경기장내 無·低公害 자동차 운행 등

환경친화적 수송대책 추진

o 난분해성 1회용제품 사용억제, 자발적 시민환경운동 지원 등

□ 경기개최도시 환경개선사업 추진

o 경기장 주변의 非衛生埋立地 정비 (서울 난지도, 전주)

o 천연가스버스 보급 본격화, 오존저감대책 등 개최지역

都市環境 綜合改善事業 추진

- 174 -

Page 163: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4 . 環境媒體 統合시스템 도입

◇ 환경매체의 통합관리로 지역·공단별 종합개선대책 추진

◇ 환경규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업자율 환경관리체계 도입

□ 環境媒體의 統合 管理體系 도입 추진

o 공기·물·토양 등 매체별 환경관리 방식에서 지역·공단별로

종합적인 관리대책을 추진하는 체계로 단계적 전환

o 통합·연관 관리체계 도입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 환경규제방식을 自律管理體系로 점진적 전환

o 企業環境情報 공개제도 및 평가시스템 도입

- 장기적으로 기업환경정보를 통하여 기업의 市場價値를

평가할 수 있는 체제로 발전

o 환경규제 主體의 多元化를 통한 자율이행체계 마련

- 市場·消費者·地域共同體 등도 규제주체로 참여

o 成果誘引方式 (Performance Incent ive) 도입

- 기업이 정부와 自發的 協約을 체결, 자율관리를 통해 환경

개선목표를 달성하는 「自律環境管理制」적용 확대

- 175 -

Page 164: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5 . 환경행정의 디지털화로 環境事犯 및 不正腐敗 剔抉

◇ 對人·對面 접촉 최소화로 비리소지를 근원적으로 제거

◇ 단속행정의 투명화와 시민참여 활성화로 부패근절대책 추진

□ 對人·對面 民願行政의 디지털화로 투명성 제고

o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 모든 法定民願 (159종)에 대한 전자민원시스템 구축

o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부정부패 신고창구」운영 및

반복민원에 대한 유형별 안내시스템 (FAQ) 확대

o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질·대기오염도 정보의 실시간(Real

time) 제공 등 정보시스템 구축

o 학생·교사·주부 등 需要者 中心의 환경정보제공체계 마련

□ 환경사범 근절 및 부정부패 예방대책 추진

o 團束行政의 透明性 제고를 위해 「團束實名制」를 강화하고

영세업체 기술지원을 위한 「홈닥터제도」 시범 실시

o 常時的 부패척결을 위해 「腐敗分野 制度改善企劃團」운영

o 시민의 자율참여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제도 시행

- 폐수 무단방류 등 환경오염행위신고시 褒賞金 지급

- 176 -

Page 165: 제1장 도시계획제도 개요 - mewebbook.me.go.kr/DLi-File/F000/056/5650_41184.pdf · 2 . 주요 용어정의(법 제3조)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환경부 및 소속기관의 도시계획협의 담당 부서

기 관 명 소 재 지 담당부서 (전화번호 ) 관 할 지 역

환 경 부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1

국토환경보전과

( 0 2 - 5 0 0 - 4 2 2 6 )전 국

경인지방

환경관리청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 5 2 2 - 1

자연환경과

( 0 3 1- 4 8 6 - 7 9 15 )

서울특별시 , 인천광역시

경기도 (이천시·여주군·

양평군·가평군 제외)

원주지방

환경관리청

강원도 원주시

명륜동 2 4 2 - 2

자연환경과

( 0 3 3 - 7 6 4 - 0 9 8 3 )

경기도 이천시·여주군·

양평군·가평군

강원도 (태백시 제외 )

충청북도 충주시·제천시·

괴산군·음성군·단양군

낙동강

환경관리청

경남 창원시

신월동 10 4 - 3

자연환경과

( 0 5 5 - 2 6 3 - 6 10 2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하동군 , 남해군

제외 )

대구지방

환경관리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7 6 1- 1 1

계 획 과

( 0 5 3 - 7 6 6 - 0 9 2 2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강원도 태백시

금 강

환경관리청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2 1

자연환경과

( 0 4 2 - 8 6 5 - 2 9 3 1)

대전광역시 , 충청남도

충청북도 (충주시·제천시

·괴산군·음성군·단

양군 제외 )

영산강

환경관리청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7 6 0 - 2

자연환경과

( 0 6 2 - 6 0 5 - 5 15 1)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경상남도 하동군·남해군

제주도

전주지방

환경관리청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3가 14 0 7- 1

계 획 과

( 0 6 3 - 2 5 3 - 9 3 6 1)전라북도

<비고> 환경부 본부 : 건교부와 광역도시계획 및 도시기본계획 승인 협의

지방환경관서 : 지자체와 도시계획 결정 협의 (건교부 결정사항 제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