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 를이용한부가가치기준무역과var 경제성장과의인과관계분석* · 2016. 2....

32
- 123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VAR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 A Study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de in Value-Added and Economic Growth Using Panel-VAR 김 보 례** 목차 < > 서론 . 선행연구 . 부가가치 기준 통계 산출 및 자료 . 실증분석 및 결과 . 요약 및 결론 . 서론 I. 과거 수출주도형 성장가설(export-led growth hypothesis) 1) 에 의해 경제성장 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출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되면서 각 국가들은 수출을 육성할 수 있는 산업들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을 결정하였다 우리나라의 . 경우에도 년대 초까지 수출제일주의에 따라 국제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산업 1990 에 집중하여 투자 및 수출 정책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 . 성장을 달성한 국가 중 하나라고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와 같이 비교 . 우위 이론에 입각하여 최종재를 수출입 하는 단순한 교역구조가 아닌 한 상품의 , 개발 원료와 부품 생산 반제품 생산 완제품 생산 판매 기획 디자인 포장 , , , , , , , , 논문접수일 수정본제출 게재확정일 : 2014. 12. 15 : 2015 03. 09 : 2015. 03. 16 본 논문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2013. 08. . 국회입법조사처 경제학박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로 ** . . 1 E-mail: [email protected] 1) 수출주도형 성장가설에 대한 설명은 Balassa(1978), Feder(1982), Helpman and Krugman 등을 참조 (1985) . 국제통상연구 제 권제호 20 1 2015 3 pp.123~154

Upload: others

Post on 25-Jan-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 123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VAR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

    A Study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de in

    Value-Added and Economic Growth Using Panel-VAR

    12)김 보 례**

    목 차< >

    서론.Ⅰ

    선행연구.Ⅱ

    부가가치 기준 통계 산출 및 자료.Ⅲ

    실증분석 및 결과.Ⅳ

    요약 및 결론.Ⅴ

    서론I.

    과거 수출주도형 성장가설(export-led growth hypothesis)1)에 의해 경제성장

    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출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되면서 각 국가들은

    수출을 육성할 수 있는 산업들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을 결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년대 초까지 수출제일주의에 따라 국제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산업1990

    에 집중하여 투자 및 수출 정책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달성한 국가 중 하나라고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과거와 같이 비교.

    우위 이론에 입각하여 최종재를 수출입 하는 단순한 교역구조가 아닌 한 상품의,

    개발 원료와 부품 생산 반제품 생산 완제품 생산 판매 기획 디자인 포장, , , , , , , ,

    논문접수일 수정본제출 게재확정일: 2014. 12. 15 : 2015 03. 09 : 2015. 03. 16

    본 논문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2013. 08. .․국회입법조사처 경제학박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로** . . 1 E-mail: [email protected]

    1) 수출주도형 성장가설에 대한 설명은 Balassa(1978), Feder(1982), Helpman and Krugman

    등을 참조(1985)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 호20 1

    년 월2015 3 pp.123~154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24 -

    수송에 이르는 각 단계가 상대적으로 경쟁력 있는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복잡

    한 생산 및 교역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품 가치를 최종 원산지 국가에.

    귀속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기존의 총교역량 방식(Gross recording of trade

    의 무역통계를 기준으로 국가정책을 설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flows)

    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등 국제기구들은 이와 같은 배경 하. OECD, WTO, APEC

    에 새로운 무역 지표로 부가가치 기준 무역 측정(Trade in Value-added: TiVA)‘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하였고 년부터 통계시스템에 통계를 발표2013 OECD TiVA

    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통계가 현재 교역구조를 제대로 반영 못한다는 의견. 2)

    을 부가가치 기준 무역을 통해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서 구축한 세계투입산출표를 이용하여 부가가치 기준으로EU

    무역통계를 산출하고 패널 모형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고려한 교역의 흐름이VAR

    경제성장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출주도형 성장 가.

    설 하에서 수출이 성장을 견인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교역환경

    변화에 따른 경제발전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장에서는 부가가치 기준으로 무역구. Ⅱ조를 분석한 문헌과 수출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제 장에서는 세계투입산출표를 이용하여 산출한 새로운 무역통계. Ⅲ를 포함한 패널 및 시계열 데이터를 구축한 후 제 장에서는 패널 모형을VARⅣ이용하여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장에서는 주요Granger . Ⅴ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선행연구.Ⅱ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분야에서 선행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첫 번째로 부가.

    가치 기준으로 수출입 통계를 산출하기 위하여 부가가치 기준으로 교역구조를 파

    2) 예를 들어 중국은 백만 개 만들기 위하여 미국 백만 달러 대만 백만 달러iPhone 10 (229 ), (207 ),

    독일 백만 달러 한국 백만 달러 기타국가 백만 달러에서 부품을 수입하여(161 ), (800 ), (413 )

    개당 달러 비용으로 조립한 후 완제품을 백만 달러에 미국으로 수출iPhone 1 6.5 iPhone 1,875

    한다고 가정하자 이를 총교역량 기준으로 보게 되면 총 미국의 대 중국 무역수지는 백. 1,646

    만 달러적자로 나타나나 부가가치 기준으로 보게 되면 미국의 대 중국 무역수지는 백만 달, 65

    러 적자이다 또한 국가별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출과 수입은 각각 백만 달러. 3,292 (=229+

    가 되지만 실제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는 백만207+161+800+413+65+1646) 1,646

    달러이므로 총 교역량 방식으로 무역 가치를 측정할 경우 교역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통계수치 또한 이중 계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OECD, 2013).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25 -

    악한 연구에 대하여 알아보아야 한다 두 번째로 부가가치 기준으로 계상한 수출.

    과 경제성장 간의 연구가 부재하므로 그동안 개도국 및 선진국들을 대상으로 폭넓

    은실증분석이이루어진수출과경제성장과의인과관계연구들을살펴보고이를토

    대로 모형을 설정하도록 하겠다 이와 같은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부가가치 기준 무역1.

    무역의 경제적 효과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국제생산 네트워크를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대두됨에 따라 년대 말 부터 국가별 산업연관1990

    표를 이용하여 국가 간의 부가가치의 흐름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은 개 국가들과 신흥 개발도상국가들의 국가별Hummels et al.(2001) OECD 14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수직적 특화비율(Vertical Specialization)3)을 산출하였

    다 그 결과 수직적 분업이 심화되어 발생하게 되는 수출은 총 수출의 를 차지. 30%

    하고 있으며 이 규모는 과거 년간 약 이상 증가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5 40% .

    은 년 동안 중간투입요소에 대한 무역이 활발해졌다는Daudin et al.(2011) 20

    것을 근거로 부가가치 무역 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교역구(Value-added trade)

    조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부가가치 기준으로 년 교역구. 2004

    조를 살펴본 결과 중간재 교역 중 가 기업 내에서의 수직적 분업화에 의해, 27%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는 년을 기준으로 개국 개 산업에 대한Johnson and Noguera(2012) 2004 94 , 57

    산업연관표에 양국 간의 수출입 자료를 결합한 국제산업연관표(global input-

    를 작성하여 부가가치 기준으로 교역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output table) .

    결과 년 미국과 중국 간의 교역구조를 부가가치 기준으로 측정하게 되면 기, 2004

    존의 수출입 통계로 파악한 것 보다 무역불균형 정도가 더 적게 나타난30 40%~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각 국가의 산업연관표를 가공하여 분석을 하는 경우에는 국

    가 또는 산업 간에 이루어지는 무역 거래를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국가 및 산업 간의 수직적 무역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의 경우에는. Koopman et al.(2010)

    자료를 이용하여 년 지역 간 산업연관표GTAP ver.7 2004 (inter-regional IO

    를 구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미국 동아시아 지역 간에 생산부문에model) EU, ,

    대해서 얼마나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

    3) 수직적 특화비율은 수출품의 외국 부가가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26 -

    시아 지역에 위치한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다른 지역의 개발도상국과 비교하여

    수출 의존도가 높으며 그 중에서도 원자재 교역보다는 중간투입요소의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다 년 기준으로 는 개 회원 국가. 2013 OECD 35

    들과 개 비회원 국가들을 대상으로 개년도 년6 5 (1995, 2000, 2005, 2008, 2009 )

    부가가치 기준 무역 통계 를 발표하고 국가별 현황보고서를 발간하고 있(TiVA)‘ ’다 는 세계투입산출표. Stehrer(2012) 4)를 이용하여 부가가치 기준 무역(trade in‘

    과 무역의 부가가치 계산방법을 제시하고value added) (value added in trade)’ ‘ ’년을 기준으로 각각의 통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2005 .ㆍ 5) 는 무역Stehrer(2012) ‘

    의 부가가치의 경우 중복으로 계산될 가능성이 있어 과대 계상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실제로 분석해본 결과 무역의 부가가치 수치가 부가가치 기준 무역 수치, ‘ ’ ‘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문헌 중 최낙균 한진희 는 세계투입산출. (2012)ㆍ표를 이용하여 년 기간 동안의 무역이 고용 및 부가가치에 미치는 파1996 2009~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가 수출의 부가가치유발액이 총 부가가치.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수출의 부가가1996 ,

    치유발계수 즉 수출의 부가가치가 최종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

    락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기존 연구에서는 부가가치 기준으로 교역 구.

    조를 파악해야한다는 필요성과 통계의 산출 방법 및 수치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

    러나 대부분 한 개 연도의 자료를 산출하여 기존의 총교역량 방식의 수출입 자료

    와 비교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효과분석의 경우에도 산업연관표를 가.ㆍ지고 할 수 있는 기본적인 분석인 수출의 부가가치유발계수 고용유발계수 등 승,

    수효과만을 다루고 있다 무역구조 및 산업 패턴의 변화를 고려한 분석 보고서는.

    최낙균 한진희 연구가 거의 유일하나 이 또한 무역이 고용에 미치는 분석(2012) ,ㆍ에 한정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년에 구축한. 2012 1995~

    년까지의 세계투입산출표를 이용하여 의 계산방식을 이용하2009 Stehrer(2012)

    여 부가가치 기준 무역 통계를 도출하여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4) 세계투입산출표는 집행위원회의 주관 하에 작성된 것으로 년 기준으로 년EU 2013 1995 2009~기간 동안 각 연도별 자료를 발표하고 있으며 각 자료들은 개국과 더불어 기타국가, 40 (RoW:

    의 개 산업별 및 생산요소별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럽연합의 경제Rest of World) 35 .

    활동 분류체계인 과 와 유사를 토대로 개 상품 개 산업으NACE Rev.1 CPA(ISIC Rev.2 ) 59 35

    로 구성된다 이러한 세분류는 가 제공하는 공급사용표 와 일치. EU (SUT: Supply Use Table)

    하기 때문에 는 이를 기본산업분류체계로 채택하여 산출하고 있다EU .

    5) 부가가치 기준의 무역이란 해외 최종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국내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말

    하며 무역의 부가가치는 기존의 수출입 통계와 같은 개념으로 무역 총액에 내포된 순부가가,

    치를 말한다.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27 -

    수출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2.

    수출과 경제성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년대 후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1990

    가설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export-led growth)

    였다 실제로 실증분석을 해본 결과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으나 표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결과는 수출, < 1>

    주도형 성장가설을 어느 정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먼저 수출주도형 경제성장가설을 지지하는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alassa(1978), Tyler(1981), Feder(1982), Ram(1985), Sengupta and Espana(1994),

    Bodman(1996)은 수출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회귀분OLS

    석 또는 공적분 검정 등을 통해 직관적으로 보여주었다. Marin(1992), Doyle

    등은 인과관계 검정법을 이용하여 수출이 경제성장을 견인한다는 것을 보(1998)

    여주었다 이들은 또한 수출이 경제성장에 양 의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하여. (+)

    해외수요 증대에 따른 직접적인 산출금액 증가 외에도 매우 다양한 경로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국가별특성에 따라 제한적으로 수출주도형 경제성장가설을 지지한다는 의견도

    적지않다(Jung and Marshall(1985), Ghartey(1993), Xu(1996), Riezman et al.(1996),

    Shan and Sun(1998), Bahmani-Oskooee and Economidou(2009), Rifat Bariş이중Tekin(2012)). Jung and 은 개 국가별로각각Marshall(1985) 37 Granger 인

    과관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개국만이 수출증가가 경제성장을 선행한다는 실증결5

    과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산출량의 성장률이 수출의 증가율을 선행.

    하고 산출량 성장에 따른 수요효과를 살펴본 결과 오히려 수출을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수출주도형 성장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연구를 살펴보면 수출이 성장을 견인하,

    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경제성장이 수출을 견인한다는 견해(Darrat(1987),

    Ahmad and Kwan(1991), Greenaway and Sapsford(1994), Jin and Yu(1996),

    Reppas and 두변수간에양방향인과관계를가진다는견해Christopoulos(2005)),

    (Chow(1987), Bahmani-Oskooee and 두 변수 간에 어떠한 관계도Alse(1993)),

    없다는견해(Hasio 등 다양한 견해들이 있다 특히 의 경우 수(1987)) . Hasio(1987)

    출주도형 경제정책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다고 평가되는 한국 싱가포르 대, ,

    만을 대상으로 인과관계 검정을 한 결과 수출과 경제성장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

    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28 -

    표 수출과 성장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기존의 실증분석 결과< 1>

    연구자 이용자료 분석기법이용변수

    추정결과경제성장 수출 기타변수

    Balassa

    (1978)

    개국 횡단면10

    자료,

    1956-67,

    평균1967-73

    순위상관분

    석, OLS,

    생산함수

    GNP수출,

    실질수출

    노동력증가

    국내투자

    해외투자

    가설지지

    Tyler

    (1981)

    개국 횡단면55

    자료

    OLS,

    생산함수GDP 수출

    노동력증가

    투자가설지지

    Feder

    (1982)

    개국 횡단면31

    자료OLS GDP

    수출,

    수출변동

    노동력증가

    투자 생산,가설지지

    Ram

    (1985)

    개국 횡단면73

    자료OLS 실질 GDP 실질수출

    노동력

    증가,

    투자증가

    가설지지

    Jung Marshallㆍ(1985)

    개37

    개발도상국가

    Granger

    검정실질 GDP 실질수출 None 제한적 지지

    Hsiao

    (1987)

    1960-84,

    개국 홍콩4 ( ,

    한국 싱가포르, ,

    대만)

    Sims &

    Granger

    인과관계

    검정

    실질 GDP 실질수출 None 가설기각

    Chow

    (1987)

    1960-1980

    개국 시계열8

    Sims

    인과관계

    검정

    제조업

    생산수출 None 양방향 인과관계

    Darrat

    (1987)

    개국1955-85 4

    시계열

    OLS,

    인과관계

    검정

    실질 GDP

    실질수출

    실질수출의

    시차변수

    None 가설기각

    Ahmad Kwanㆍ(1991)

    개국47

    아프리카

    국가, 81-87’자료pooling

    Granger

    검정실질GDP

    실질총수출

    제조업수출

    제조업의

    수출비율

    None 가설기각

    Marin

    (1992)

    1960.1-87.2

    시계열

    공적분,

    인과관계

    검정

    노동생산

    제조업( )

    수출교역조건

    생산OECD가설지지

    Bahmani-Oskooee

    Alse(1993)ㆍ1973.1-88.4

    개 개도국의9

    시계열

    공적분,

    인과관계

    검정

    실질 GDP 실질수출 None 양방향 인과관계

    Ghartey

    (1993)

    미국 및 대만:

    1960.1-90.2

    일본:

    1955.1-91.2

    인과관계

    검정명목 GNP 명목수출 None

    미국 일본 기각, :

    대만 지지:

    SenguptaㆍEspana(1994)

    한국1961-86

    시계열

    OLS,

    생산함수실질 GDP 실질수출 노동력증가 가설지지

    GreenawayㆍSapsford(1994)

    개국14

    시계열자료

    OLS,

    생산함수

    실질 GDP

    (수출제외)실질수출

    자본증가

    노동증가가설기각

    Jin

    (1995)

    1976.2-93.2

    개국 시계열4

    Granger

    검정,

    모형VAR ,

    공적분

    실질 GDP 실질수출

    실질환율

    해외가격

    생산충격

    단기에는 양방향

    인과관계

    장기에는

    관계없음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29 -

    주: ■인 부분은 수출주도형 성장가설을 지지하거나 제한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을 나타낸다.자료 최요철 을 토대로 저자 수정: (2002), pp.52-53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수출과 경제성장과의 관계를 분석한 대부분의 연구

    는 시계열이나 각국의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석 방,

    법으로는 인과관계 검정 모형 및 공적분 관계 분석 등이 주OLS, Granger , VAR

    로 이용되고 있다 분석 시 경제성장과 수출 두 변수간의 관계만을 이용하여 검토.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나 설명변수에 노동 자본 환율 생산 수입 등과 같은 기, , , , ,

    타변수들을 추가한 경우도 적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

    는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가장 많이 이용한 인과관계 검정법을 사용하도Granger

    록 하고 분석 자료가 패널 및 시계열 자료이므로 패널 모형을 이용하도록 하VAR

    겠다.

    Dutt Ghoshㆍ(1996)

    1953-91

    개국 시계열14공적분 실질 GDP 실질수출 None

    일부표본만

    가설지지

    Xu

    (1996)개국 시계열32 Granger

    실질

    인당1

    GNP

    실질수출 None 제한적 지지

    Riezman et al.

    (1996)시계열자료

    예측오차분

    산분해소득 수출

    수입증가

    인적자본

    투자증가

    제한적 지지

    Jin Yuㆍ(1996)

    1959.1-92.3

    미국시계열

    Granger

    검정,

    모형VAR ,

    공적분

    실질 GDP 실질수출

    실질자본

    노동증가

    실질환율

    해외생산충

    가설기각

    Bodman

    (1996)

    1960.1-95.4

    호주와 캐나다

    시계열 자료

    공적분 생산성 수출 None 가설지지

    Doyle

    (1998)

    1953-93

    아일랜드

    시계열

    Granger

    검정 공적분,실질 GDP 실질수출 None 가설지지

    Shan Sunㆍ(1998)

    개1978.1-96.3

    국 시계열

    Granger

    검정,

    모형VAR

    실질

    산업생산실질수출

    노동력

    수입

    에너지

    총고정자본

    형성

    대만 가설지지:

    홍콩 한국, :

    양방향 인과관계

    ReppasㆍChristopoulos

    (2005)

    개1969-99 22

    개도국

    단위근 검정,

    공적분 검정,

    OLS

    실질 GDP 실질 수출

    중GDP

    투자 비중,

    고용

    가설기각

    Bahmani-Oskooee

    Economidouㆍ(2009)

    1960-99

    개국61

    공적분 검정,

    외생성weak

    검정

    실질 GDP 실질 수출실질 수입,

    노동 자본,제한적 지지

    Rifat Bari Tekinş(2012)

    개1970-09 18

    개도국

    Granger

    검정실질GDP 실질 수출 FDI 제한적 지지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30 -

    부가가치 기준 통계 산출 및 자료.Ⅲ

    부가가치 기준 통계 산출1.

    부가가치 기준 무역통계를 산출하기 이전에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세계투입산

    출표의 개국과 나머지 국가 의 산업분류를40 (RoW) Johnson and Noguera(2012)

    가 나눈 분류에 따라 농림수산업 비제조업 제조업 서비스업, , , 6)으로 재분류 하였

    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 과 같다. < 1> .

    그림 세계투입산출표의 구조 개국의 예시< 1> : 3

    국A 국B RoW 국A 국B RoW

    합계중간재 중간재 중간재국내최종수요 국내최종수요 국내최종수요

    산업 산업 산업

    A

    국A

    국내중간재

    투입산출표

    국 수출품에A

    대한 국의B

    투입산출표

    국수출품에A

    대한

    국의RoW

    투입산출표

    국 국내재A

    최종소비

    국수출품의A

    국최종소비B

    국수출품의A

    국RoW

    최종소비

    국A

    총산출

    B

    국수출품에B

    대한 국의A

    투입산출표

    국B

    국내중간재

    투입산출표

    국수출품에B

    대한

    국의RoW

    투입산출표

    국수출품의B

    국최종소비A

    국 국내재B

    최종소비

    국수출품의B

    국RoW

    최종소비

    국B

    총산출

    R

    o

    W

    국RoW

    수출품에대한

    국의A

    투입산출표

    국RoW

    수출품에 대한

    국의B

    투입산출표

    국RoW

    국내중간재

    투입산출표

    국RoW

    수출품의

    국최종소비A

    국RoW

    수출품의

    국최종소비B

    국RoW

    국내재

    최종소비

    국RoW

    총산출

    국의A

    부가가치

    국의B

    부가가치

    국의RoW

    부가가치

    자료: Timmer(2012), p.63.

    이를 개국과 나머지 국가 에 개 산업부문을 반영한 행렬형태로 일반화40 (RoW) 4

    하여 표현하면 그림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

    6) 다음표의 기준에 따라 와 연계표를 이용하여 부록의 표 과 같이ISIC Rev.2 NACE Rev.1 < 1>

    산업을 분류하였다.

    표 산업분류< >

    산업분류 ISIC Rev.2 ISIC Rev.3.1 1995 OECD code 2011 OECD code

    농림수산업 1 A, B 1 1

    비제조업 2, 4, 5 C, E, F 2, 25 26∼ 2, 3, 26 30∼제조업 3 D 3 24, 35∼ 4 25∼서비스업 6 9∼ G Q∼ 27 34∼ 31 48∼

    자료: Johnson and Noguera(2012), p.51.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31 -

    그림 세계투입산출표의 구조 개국과 나머지 국가 에 대한 행렬의 일반화< 2> : 40 (RoW)

    A B ⋯ R 국A 국B ⋯ RoW

    합계중간재 중간재 ⋯ 중간재국내

    최종

    수요

    국내

    최종

    수요

    국내

    최종

    수요산업 산업 ⋯ 산업

    국A산

    업 ⋯ ⋯

    국B산

    업 ⋯ ⋯

    ⋮ ⋮ ⋮ ⋯ ⋮ ⋮ ⋮ ⋯ ⋮ ⋮

    Ro

    W

    업 ⋯ ⋯

    ,

    , ,

    단, ⋯ ⋯

    각 국가의 중간재 행렬 및 최종재 벡터는 행렬 벡터로 표현할 수(4 4) , (1 4)× ×있다 또한. 및 의 위 첨자는 각각 국가를 의미하며 아래 첨자는 산업을 의미

    한다 예를 들어. , 라 하면, 국의 산업 산출금액 중1 국의 산업 생산을 위하2

    여 중간재로 수출한 금액을 의미하고, 은 국 산업의 생산 중3 국으로 수출하

    여 국의 최종재 수요로 나타낸 부분을 의미한다 부가가치 행렬인. 는 국가

    의 산업에대한총부가가치의합을의미하며1 , 국가의 산업에대한열의세로합1

    을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번산업의총산출은1

    로표현

    할 수 있다 즉 각 국가별 산업별 총 산출은 세계투입산출표 가로의 합을 의미한다. , .

    는 부가가치 기준 무역 이란OECD-WTO(2012) (Trade in Value added: TiVA)‘ ’최종재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부품과 중간재의 비중 및 부가가치를 축적함으

    로써 무역의 대상이 되는 상품들이 실제로 어느 국가에서 얼마만큼의 가치를 창출

    하면서 생산되었는지 분석하는 새로운 무역측정방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를.

    산출하기 위하여 한국은행 과 이우기 외 의 산출 균형식을 응용하면(2007) (2013)

    다음과 같다.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32 -

    (1)

    식 에서(1) 는 ×산출벡터(는 국가수, 은 산업부문 수7) 를 나타내고) ,

    는 투입계수 행렬(×)8), 는 소비 투자 등 최종수요 벡터, ×로 나타낸다.

    두 번째 식은 최종수요와 산출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산업연관모형으로

    은 최종수요로부터 산출액을 도출하는 생산유발계수행렬 즉 레온티에프 역행,

    렬을 의미한다 이를 세계투입산출표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 ⋮ ⋱ ⋮

    (2)

    식 에서(2) 는 국가의 산출액 벡터 를 의미하고(1 4) ,× 는 생산유발계수행렬의 부분행렬 로서(4 4)× 국가의 산출물 한 단위 생산에 의해 국가에서 유발되는 생산단위를 의미한다. 는 국가의 국가 산출물에 대한 최종수요 벡터(1 4)×를 의미한다 따라서. 국가의 최종수요를 산출 국가별로 구분하여 ∙

    ′ ′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국가에서 공급하는 각국의최종수요는 ⋯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국가의 부가가치계수 벡터(1 4)× 9)을 대각 원소로 하는 부가가치계수 행렬 을(4 4)× 라고 할 때 식 의 산출균형식과 결합하여 식 과 같은 최종, (2) (3)수요에 의한 각 국의 산업별 부가가치 유발액(×) ⋯ ′을 도출할수 있다.

    ⋯ ⋮ ⋮ ⋱ ⋮

    ⋮ ⋮ ⋱ ⋮

    (3)

    7) 즉, ,

    8) 각 투입계수는

    단, ⋯ ,

    9) 각 부가가치 계수는

    단, ⋯ ,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33 -

    부가가치 기준 무역은 특정국가의 최종수요를 위하여 국가 간 생산 및 수출입

    을 통해 창출되는 부가가치의 크기로서 국가 간 총액기준 으로 측정(gross value)

    되는 기존의 수출입에 대비하여 상대국의 최종수요로 인해 자국에서 창출되는 부

    가가치 이입 과 자국의 최종수요로 인해 상대국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VA-in)

    이출 로 나눌 수 있다 부가가치 이입은 무역통계 상의 부가가치 기준 수(VA-out) .

    출로 볼 수 있으며 부가가치 이출은 무역통계상 부가가치 기준 수입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이다 따라서 위의 산식을 이용하여. 국가의 산업별 부가가치 이입

    ( 국가의 재화의 최종수요로 인해: B, , RoW n… 국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

    치 과) 국가의 산업별 부가가치 이출( : 국가의 재화의 최종수요로 인하여n

    국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 은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B, , RoW ) .…

    ⋯ ⋯ ⋮ ⋮⋱⋮ ⋯

    ⋮ ⋮ ⋱ ⋮

    (4)

    ⋯ ⋮ ⋮ ⋱ ⋮

    ⋮ ⋮ ⋱ ⋮

    (5)

    즉 이를 일반화 하면, 과

    단( , ⋯ 로)

    표현할 수 있다. 은 국가의 개 산업부문을 뺀 나머지는 인 벡터4 0 (× 이)

    며, 은 국가의 개의 산업부분만이 인 벡터4 0 (× 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

    는 국가 최종수요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최종수요 벡터를는 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부가가치계수의 산업별 대각 행렬을 의미한다.

    이렇게 산출된 개국40 10)의 연도별 부가가치 이입 이출과 수출입 현황에 대하ㆍ여 살펴보면 그림 과 같다, < 3> .

    10) 이하의 논의에서는 국가별 특성을 구분할 수 없는 나머지 국가 는 제외한 후 분석하였다(RoW) .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34 -

    그림 년 부가가치 기준 무역 통계와 수출입통계 비교< 3> 1995~2009

    단위 백만 달러( : , %)

    주 부가가치 이입 부가가치이출 수출 수입: tvin: , tvout: , export: , import:

    그림 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분석 대상 전 년도에 걸쳐 수출입통계가 부가< 3>

    가치 무역통계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출입통계와 부.

    가가치 무역통계와의 차이는 년 약 조 달러였으나 년 이후 약 조 달1995 1 , 2004 2

    러 이상 차이가 나며 이 수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년 현재 약 조 달러인, 2009 3

    것으로 나타났다 총 산출에서의 수출입 비중 또한 년 이후 부가가치 기준. 2004

    통계보다 평균 약 이상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3%p . 2000

    년대 생산의 글로벌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11)이 심화되면서 수출입통계의

    과대 계상 문제가 심각해진 것으로 보인다.

    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고소득 국가 일수록 저소득 국가에 비하여 부가가치,

    기준 무역 통계와 기존의 수출입통계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년 총. 2009

    산출금액에 부가가치 이입과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 차이가 저소득 국가는 1.96%p

    이나 개발도상국은 고소득국가는 이다 즉 고소득 국가일수록, 3.35%p, 3.42%p . ,

    글로벌 가치사슬의 심화로 인한 수출입통계의 과대 계상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각

    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그림 와 같이 농수산업과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수, < 4>

    11)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Gereffi et al.(2005), WTO IDE-JETRO(2011),ㆍBacker and 참조Yamano(2012) .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35 -

    출입통계가 과소 계상되는 문제가 있으며 제조업의 경우 과대 계상되는 문제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글로벌 분업화가 심화되면서 농수산업과 서비스업. ,

    의 경우에는 기존의 수출입통계가 가치창출 부문을 다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조업의 경우에는 실제로 부가가치 창출이 적게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임에도 수

    출입통계의 통계상의 오류로 인하여 실제가치보다 높게 계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비제조업의 경우에는 전기 가스 수도 건설 등 생산의 글로벌 분업화의, , , ,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산업이므로 수출입통계와 상대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부가가치 기준 무역 현황< 2>

    단위 억 달러( : , %, %p)

    연도 그룹부가가치

    이입(A)

    부가가치

    이출(B)수출(C) 수입(D) C-A D-B

    1995

    저소득 국가794 804 963 966 169 162

    (6.68) (6.76) (8.10) (8.12) (1.42) (1.36)

    개발도상국4,406 4,000 5,615 5,162 1,209 1,162

    (8.14) (7.39) (10.37) (9.53) (2.23) (2.14)

    고소득 국가31,669 28,813 41,494 38,369 9,825 9,556

    (7.44) (6.77) (9.75) (9.01) (2.31) (2.24)

    2000

    저소득 국가1,034 875 1,331 1,141 297 266

    (8.31) (7.04) (10.70) (9.17) (2.39) (2.13)

    개발도상국6,424 5,701 8,532 7,728 2,108 2,027

    (9.10) (8.08) (12.09) (10.95) (2.99) (2.87)

    고소득 국가35,197 35,443 48,504 48,516 13,307 13,073

    (7.67) (7.72) (10.56) (10.57) (2.89) (2.85)

    2005

    저소득 국가1,940 1,951 2,516 2,482 576 531

    (9.02) (9.07) (11.69) (11.53) (2.67) (2.46)

    개발도상국12,936 10,421 17,871 15,166 4,935 4,745

    (10.08) (8.12) (13.93) (11.82) (3.85) (3.70)

    고소득 국가51,524 53,536 72,935 74,488 21,411 20,952

    (8.24) (8.56) (11.67) (11.91) (3.43) (3.35)

    2009

    저소득 국가2,757 2,977 3,477 3,627 720 650

    (7.51) (8.11) (9.47) (9.88) (1.96) (1.77)

    개발도상국22,710 16,742 30,781 24,615 8,071 7,873

    (9.43) (6.95) (12.78) (10.22) (3.35) (3.27)

    고소득 국가59,653 58,583 83,872 81,963 24,219 23,380

    (8.43) (8.28) (11.85) (11.59) (3.42) (3.31)

    주 국가분류는 의 분류기준에따라 세국가로나누었다 저소득국가: 1) World Bank . [Lower-middle in-

    에는 가 포함되어 있으며 개발도상국come economies($1,026 $4,035)] India, Indonesia ,~에는[Upper-middle income economies($4,036 $12,475)] Brazil, Bulgaria, China, Latvia,~

    고소득 국가Lithuania, Mexico, Romania, Russian Federation, Turkey, Taiwan, [High

    에는 그 외의 나머지 국가들이 포함되어 있다Income($12,476 )] .~2) 는 총 산출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 .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36 -

    그림 년 산업별 부가가치 기준 무역 통계와 수출입통계 비교< 4> 1995~2009

    단위 백만 달러( : , %)

    그 외의 자료2.

    본 논문에서는 성장 변수를 기존 연구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변수가 아GDP

    닌 국내총생산량이란 개념을 인용하여 세계투입산출표 연도별 총산출금액을 이,

    용하였다 그 이유는 의 경우 산업별로 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 GDP

    석의 편의를 위함이다 또한 거시경제 데이터에서 흔히 나타나는 이분산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모든 변수를 실질변수화하고(heteroskedasticity) 12) 이의

    자연 로그 값을 이용하였다.

    12) 각각의 무역통계자료는 경상가격 기준으로 되어 있으므로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CPI(2005=

    의 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하여 실질 데이터로 변경하였다100) .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37 -

    실증분석 결과.Ⅳ

    패널 단위근 검정1.

    패널데이터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이전에 가성회귀 의 가(spurious regression)

    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안정성 검증인 단위근(stationarity) (unit root)

    검정을실시하였다 본논문에서는단위근검정시가장흔히사용되는. ADF-Fisher

    의 검정 검정 와 의-test(ADF-Fisher ), LLC(Levin. Lin & Chu ) PP-Fisher

    를 실시하였다 표 은 부가가치이입 수출 총산출의 패널 수준자료-test . < 3> , ,

    및 차분자료 에 대한 패널 단위근 검정 결과를 보(level data) (differenced data)

    여주고 있다 그 결과 표 과 같이 부가가치 이입과 총산출은 차 로그차분자료. < 3> 1

    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패널 및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서VAR Granger

    로그 차분자료를 이용한다.

    표 패널 데이터 단위근 검정< 3>

    구 분

    연도별 국가별 산업별 자료

    Fisher LLC

    ADF-Fisher

    PP-Fisher

    t

    수준 자료

    (Level

    data)

    lntvin

    개별효과 67.9781 72.0496 -0.18146

    개별효과선형시간

    추세57.9033 42.8802 -1.19912

    None 9.52562 11.3531 18.1787

    lnoutput

    개별효과 44.3020 56.5641 2.23020

    개별효과선형시간

    추세57.5460 50.2281 -4.17290***

    None 13.1539 5.74664 17.4178

    차1

    로그차분

    자료

    (Differen

    ce data)

    lntvin

    개별효과 208.126*** 11.630*** -9.60382***

    개별효과선형시간

    추세200.883*** 200.605*** -12.6480***

    None 445.811*** 493.366*** -15.0124***

    lnoutput

    개별효과 181.743*** 133.288*** -9.41311***

    개별효과선형시간

    추세130.214** 95.3259 50.2281***

    None 390.466*** 13.726*** -13.0455***

    주 시차는 최소 기준에 의해 에 의해 자동 선정됨: 1) AIC Eviews

    및 는 각각 및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단위근 존재을 기각함을 의미함2) ***, ** * 1%, 5% 10% ( )

    부가가치 이입 산출금액을 말함3) lnTvin: log , lnoutput: log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38 -

    패널 및 인과관계 분석2. VAR Granger

    모형1)

    패널 데이터 분석은 시계열 및 횡단면 데이터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는 회귀분

    석 방법 중의 하나로 데이터의 유형 중 가장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많은 자료이

    다 뿐만 아니라 개별 시계열의 특정한 효과 를 허. , (individual-specific effects)

    용함으로써 각 횡단면 단위 즉 각 개별국의 상이성도 감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데이터 수집이 어렵고 국가나 지역을 패널 그룹으로 조사한 데.

    이터의 경우 패널 그룹 간 상관관계 가 존재할 수 있으(Group-wise correlation)

    나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된 횡단면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경제성장의 대, GDP(

    용변수 무역수지 같은 거시경제 변수들의 동태적인 관계를 고찰하는 데도 적당),

    한 분석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패널 데이터 회귀분석은 절편 기울기 계수 그리고 오차항에 대한 가정, ,

    에 따라 고정효과모형 과 임의효과모형(fixed effects model) (random effects

    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두 패널분석 모형 중 어떤 것이 적절한model) .

    모형인지를 판별하지 위하여 각 모형에 대하여 Hausman test13)를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에서 고정효과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왔으므로 고정효과모형을 이1%

    용하기로 한다 고정효과모형은 회귀분석에서 모든 횡단면 단위들의 기울기 계수.

    가 일정한 반면 절편 은 개별 횡단면 단위별로 상이하지만 시간에 따, (intercept)

    라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개별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는 시간의 흐름에 관계없

    이 고정되어 비확률적이지만 개체별로 다를 수 있다고 가정한 모형을 말하며 구체

    적인 패널 모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VAR .

    (6)

    는 차 로그차분된 부가가치이입총산출이며1 ( ) , 는 차 로그차분 된 총산1

    출 부가가치 이입 을 나타낸다( ) . 는 각 국가의 보이지 않는 개별적 특성을,

    는 오차항을 의미한다 고정효과모형을 일반최소제곱 추정량으로 추정하는 경우.

    를 포함하는 오차항 이 설명변수와 상관될 가능성이 높아 오차항이 설명변

    13) 임의효과모형의 추정치가 일치 및 효율 추정치라면 일치 추정치인 고정효과 모형의 추정치와

    체계적 으로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는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이다(systematic) .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39 -

    수와 독립이라는 기본가정에 위배되어 일반최소제곱 추정치는 편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치가 아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모형을 추정하기 위.

    해서는 최소제곱더미변수 모형과 그룹(least squares dummy variable: LSDV)

    내 모형 모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모형(withing group) , LSDV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형이란 개별특성을 반영한 개의 더미변수. LSDV N-1

    를 추가한 다음과 같은 모형을 말한다.

    (7)

    여기서 만일( 이면

    아니면, 는 개체) 의 특성을 고려

    하기 위한 더미변수이다 이를 부가가치 이입과 국내총산출금액에 대하여 각각.

    다음과 같이 인과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와의 차이를 비.

    교하기 위하여 전체 패널 자료에 대해서는 수출14)과 국내총산출금액에 대하여도

    동일한 인과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 ∆

    ∆ ∆

    (8)

    ∆ ∆

    ∆ ∆

    (9)

    인과관계 분석은 이전 시차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를 예측하는데 유의Granger

    미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과관계 분석은 분석대상 기간 중 어떤 변수의 약 외. ( )

    생성에 대한 판단 및 변수 간 인과관계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다양한 충격이 시스템 내에서 각 변수증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외생변수에 충격을 가할 경우 내생변수.

    의 반응경로를 살펴보기 위하여 Love and 의 모형을 이용하여 충Zicchino(2006)

    격반응함수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Love and 는 패널 모형을Zicchino(2006) VAR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4) 수출에 대해서도 표 과 동일하게 단위근 검정을 시행한 결과 차 로그차분자료가 유< 3> 1 1%

    의수준에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40 -

    (9)

    는 총산출과 부가가치이입으로 이루어진 벡터이고 는 추정계수, 는 관측

    되지 않은 개별효과, 는 시간효과 를 의미한다(time effect) . Love and Zicchino

    의 모형은 시차변수들을 도구변수로 이용하여 추정하게 되는데 시차변수(2006) ,

    가 도구변수로서 자격이 있기 위해서는 오차항 가 직교조건(orthogonality

    condition)15)을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직교조건을 이용하여 식 의 모수를 추정. (9)

    하기 위해서는 미관측된 개별효과 를 추정해야 한다 이때 개별효과가 종속변수.

    의 시차변수로 설명변수에 포함되어 있어 설명변수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식 의 변수를 변환하여 개별효과를 제거한 후 추정한다(9) .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변환은 평균차분 방식인데 이는 추정(mean-differencing) ,

    계수와 편의 가 발생하므로(bias) Love and 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Zicchino(2006)

    하기 위하여 선행평균차분(forward mean-differencing)16)을 실시하였다 이 방.

    법을 사용하면 변환된 변수와 시차설명변수 간의 직교성을 보전 하기, (preserve)

    때문에 시차설명변수를 도구변수로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Love and 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몬테카를로Zicchino(2006)

    시뮬레이션 번 반복추정을 통해 충격반응함수를 도출하였다(Monte Carlo) 500 .

    인과관계 분석2) Granger

    본 논문의 자료는 년부터 년 까지를 분석대상으로 하며 개 국가별1995 2009 , 40

    로 개 산업이 포함되어 있는 시계열 패널자료이다 추정 회귀식에서 사용되는 기4 .

    간은 개년으로길지않으므로최대 기15 2 lag17)를 넘지않는범위에서분석하였다.

    수출주도형 경제성장가설을 부가가치 이입으로 살펴보았을 때도 지지하는 지

    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패널자료를 가지고 수출과 국내총산출과의 관계와 부가

    가치 이입과 국내총산출과의 관계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표 에서 보이는. < 4>

    바와 같이 유의수준에서 수출은 국내총산출을 선행하는 한 방향 인과관계가1%

    나타났다 즉 기존의 수출 통계로 분석해보면 를 어떻게 주는 지와 상관없이. , , lag

    수출주도형 성장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부가가치 기준으.

    15)

    16) 선행평균차분을 변환이라 한다Helmert .

    17) 의 범위는 를 사용하여 기준으로 가lag EVIEWS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 1, 2 lag

    최적시차 인 것으로 나타났다(Optimal lag) .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41 -

    로 분석해보면 부가가치이입과 국내총산출 간에는 양방향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양방향 인과관계를 가진다는 의미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부분의.

    수출을 증가시키는 것이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가가 내수산업을,

    활성화시켜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을 육성하고 효율적인 생산 환경을 구축하는 것

    또한 부가가치 이입 수준을 높여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현재 글로벌 가치 사슬이라는 무역 구조 하에서는 절대적인. ,

    수출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케팅 투자 작업능력 향상 등 고부가가, R&D ,

    치 부문의 경쟁력을 향상 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가가치 이입과 국내총산출과의 관계가 산업별 특성 및 국가별 소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보기 위하여 산업을 농수산업 제조업 서비스, ,

    업으로 구분하고18) 소득수준에 따른 국가를 저소득 국가 개발도상국 고소득 국, ,

    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표 전체 패널 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4> VAR Granger

    L(1) Output L(2) OutputL(1) Tvin L(2) Tvin

    검정F obs. 인과관계L(1) Export L(2) Export

    Output0.1889*** 0.0085 0.15 2,080

    output

    ⇒export

    0.1198*** -0.1738*** 0.0208 0.0163 1.52 1,920

    Export0.4115*** -0.2467*** 104.99*** 2,080

    0.4119*** 0.0611 -0.3240*** -0.2249*** 79.18*** 1,920

    Output0.0368 0.2158*** 46.18*** 2,080

    output

    ⇔Tvin

    -0.0505* -0.2400*** 0.2637*** 0.0599** 52.05*** 1,920

    Tvin0.3819*** -0.1573*** 127.92*** 2,080

    0.3305*** -0.0051 -0.1887*** -0.0976*** 53.06*** 1,920

    주 총산출 수출 부가가치 이입 수준을 말함: 1) Output: , Export: , Tvin: , L(): lag․검정은 검정 통계량을 말함2) F Granger F

    및 는 각각 및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함을 의미함3) ***, ** * 1%, 5% 10%

    는 유의수준에서의 인과관계 방향 는 유의수준에서의 인과4) , , 1% , , , 5%⟸ ⟹ ⟺ ⟵ ⟶ ⟷관계 방향을 의미함

    첫 번째로 산업별로 살펴보면 표 와 같이 농수산업과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 5>

    를 어떻게 주는 지와 상관없이 양방향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lag .

    러나 제조업의 경우 기 를 준 경우에는 양방향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1 lag

    18) 개 산업중 비제조업의 경우에는 전기 가스 수도 건설 등 생산의 글로벌 분업화의 영향을4 , , ,

    거의 받지 않은 산업임을 감안하여 제외하였다.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42 -

    타났으나 기 를 준 경우에는 국내총산출이 부가가치 이입을 견인한다는 한, 2 lag

    방향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산업별 패널 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5> VAR Granger

    구 분L(1)

    Output

    L(2)

    Output

    L(1)

    Tvin

    L(2)

    Tvin검정F obs. output vs. tvin

    Output-0.0199 0.1884*** 9.47*** 520

    기1, 2 lag

    output tvin⟺-0.0959* -0.2395***0.2278*** 0.0304 8.41*** 480

    Tvin0.4085*** -0.2094*** 33.95*** 520

    0.3884*** -0.0036 -0.2649***-0.1487*** 16.39*** 480

    Output-0.1337 0.3991*** 21.93*** 520 기1 lag

    output tvin⟺기2 lag

    output tvin⟹-0.2763***-0.3312*** 0.5176*** 0.1532** 30.14*** 480

    Tvin0.2402*** 0.0022 10.32*** 520

    0.1454** -0.1535** 0.0349 0.0334 0.01 480

    Output0.0320 0.2635*** 14.42*** 520 기1 lag

    output tvin⟺기2 lag

    output ⟵ ⟹tvin

    -0.1117** -0.3456***0.3764*** 0.1687*** 34.20*** 480

    Tvin0.3750*** -0.1023 31.99*** 520

    0.2668*** -0.0641 -0.0868 0.0019 5.81** 480

    주 검정은 검정 통계량을 말함: 1) F Granger F

    및 는 각각 및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함을 의미함2) ***, ** * 1%, 5% 10%

    는 유의수준에서의 인과관계 방향 는 유의수준에서의 인과관계3) , , 1% , , , 5%⟸ ⟹ ⟺ ⟵ ⟶ ⟷방향을 의미함

    두 번째로는 국가를 소득 수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표 과 같이. < 6>

    고소득 국가와 개발도상국들의 경우에는 전체 패널을 돌렸을 때와 동일하게 양방

    향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소득 국가는 다른 소득 그룹과.

    상이하게 기 인 경우에는 부가가치 이입이 국내총산출을 견인하는 한 방향 인1 lag

    과관계가 나타나고 기 의 경우에는 국내총산출이 부가가치 이입을 약하게 견2 lag

    인하는 한 방향 인과관계가 나타났다 즉 저소득국가의 경우 단기적으로 수출 신. ,

    장을 위한 정부정책을 설정하여 경제성장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세계투입산출표의 제약으로 인하여 분석대상 국가 중.

    에 저소득국가 그룹에 포함되는 국가가 인도와 인도네시아뿐인 것을 감안하면,

    이 결과를 저소득 국가의 경우라고 일반화 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두 국가 패널이라고 하더라도 인과관계 검정은 국가별 시계열자료를 가Granger

    지고 시행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일반화할 수는 없어도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는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43 -

    표 국가 소득수준별 패널 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6> VAR Granger

    구 분L(1)

    Output

    L(2)

    Output

    L(1)

    Tvin

    L(2)

    Tvin검정F obs. output vs. tvin

    Output0.0849** 0.1813*** 28.69*** 1,456

    기1, 2 lag

    output tvin⟺0.1429*** -0.2904*** 0.2026*** 0.0016 13.47*** 1,344

    Tvin0.3575*** -0.1576*** 60.73*** 1,456

    0.4466*** -0.0828 -0.1947***-0.2041*** 29.41*** 1,344

    Output0.0378 0.2490*** 11.79*** 520

    기 기1 , 2 lag

    output tvin⟺-0.1033**-0.2137*** 0.2857*** 0.0714 20.69*** 480

    Tvin0.3385*** -0.1077 22.22*** 520

    0.2069*** 0.0848* -0.1503*** -0.0478 17.55*** 480

    Output-0.1404 0.0073 0.00 104 기1 lag

    output tvin⇐기2 lag

    output tvin⇀-0.3090**-0.4462** 0.4426** 0.3311* 5.44* 96

    Tvin0.5237*** -0.3045*** 53.77*** 104

    0.3115*** -0.5496*** 0.2037* 0.1391 2.61 96

    주 검정은 검정 통계량을 말하며: 1) F Granger F ,

    및 는 각각 및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함을 의미함2) ***, ** * 1%, 5% 10%

    고소득 개도국 저소득3) : High income countries, : Upper middle Income countries, : Lower mid

    dle income countries

    는 유의수준 는 유의수준 는 유의수준에서의인과관계4) , , 1% , , , 5% , , , 10%⟸ ⟹ ⟺ ⟵ ⟶ ⟷ ↼ ⇁ ⇋방향을 의미함

    마지막으로 소득 수준별로 나눈 국가들을 대상으로 산업중 제조업과 서비스업

    을 고려하여 분석해 보았다 표 이 두 산업을 선정한 이유는 앞에서 살펴본(< 7>).

    바와 같이 제조업의 경우 기존의 총교역량 기준의 수출입 자료로 살펴보게 되면

    부가가치 기여에 대한 부분을 과대 계상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서비스업의 경우에,

    는 현재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서비스업을 활성화해

    야 한다는 주장이 많아지면서 중요한 산업으로 부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의 글,

    로벌 가치사슬의 교역구조 하에서 오히려 과소 계상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19)

    표 국가 소득수준별 제조업 서비스업의 패널 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7> VAR Grangerㆍ

    19) 기 만을 분석한 이유는 기 의 경우 관측치가 적어서 유의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1 lag 2 lag .

    구 분 L(1) Output L(1) Tvin F output vs tvin

    고소득

    제조업

    (obs. 364)

    Output -0.3544*** 0.6541*** 37.72***output tvin⇒

    Tvin 0.0973 0.1409 0.85

    서비스업

    (obs. 364)

    Output 0.0274 0.3476*** 19.57***output tvin⇔

    Tvin 0.2463*** 0.0453 8.24***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44 -

    주 검정은 검정 통계량을 말함: 1) F Granger F

    및 는 각각 및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함을 의미함2) ***, ** * 1%, 5% 10%

    고소득 개도국 저소득3) : High income countries, : Upper middle Income countries, : Lower mid

    dle income countries

    는 유의수준 는 유의수준 는 유의수준에서의인과관계4) , , 1% , , , 5% , , , 10%⟸ ⟹ ⟺ ⟵ ⟶ ⟷ ↼ ⇁ ⇋방향을 의미함

    먼저 고소득 국가를 살펴보면 제조업의 경우에는 총 산출만이 부가가치 이입,

    을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고소득 국가들의 제조업부문의 생산라.

    인이 대부분 개발도상국이나 저소득 국가로 이전되고 있고 고소득 국가 내에서,

    의 제조업 생산 부문 비중 또한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때 타당

    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소득 국가인 경우 산업에서 서비스 부문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

    있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양방향 인과관계를 가진다는 의미. ,

    는 한편으로는 서비스업에 대한 부가가치 창출은 경제성장을 견인하게 되고 국,

    내 서비스업을 활성화시키는 부분에서는 국내의 지식 마케팅 등의 기술력을 높,

    이는 부분을 동반하게 되어 이는 다시 부가가치 견인하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무역환경 하에서는 고소득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고부가.

    가치 창출 산업인 서비스업을 육성하는 것 또한 국내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

    는 정책임을 시사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은 제조업의 경우 부가가치 기준으로 보면 국내총산출과 서로 아무

    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다수의 개발도.

    상국들이 수출주도형성장가설 하에 수출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조

    업20)을 육성하는 산업정책을 설정하여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했던 효과가 현재의

    개발도상국에게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서.

    비스업의 경우에는 부가가치 이입이 국내총산출을 견인하는 한 방향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수출주도형성장.

    가설이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0) 우리나라의 경우 경공업과 중화학공업 중심의 산업정책을 설정하였습니다.

    개도국

    제조업

    (obs. 130)

    Output 0.0098 0.2852 2.55-

    Tvin 0.1975 0.0418 1.45

    서비스업

    (obs. 130)

    Output 0.0919 0.2190 2.04output tvin⇐

    Tvin 0.3820*** -0.1429 7.01***

    저소득

    제조업

    (obs. 26)

    Output -0.1678 -0.0185 0.00output tvin⇐

    Tvin 0.4788*** -0.3385 9.58***

    서비스업

    (obs. 26)

    Output -0.1867 0.0332 0.02output tvin⇐

    Tvin 0.6093*** -0.1858 12.19***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45 -

    저소득 국가들의 경우에는 제조업 서비스업 둘 다 부가가치 이입이 경제성장을

    견인하는것으로나타났다 저소득국가들의경우에는경제성장을달성하기위해서.

    는 부가가치 이입을 높이는 산업부문을 육성하여 수출을 늘리는 것을 통하여 경제

    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고소득 국가의 경우에 제조업과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수출 주도형경제성장,

    가설이 더 이상 성립하지 않으나 개발도상국가의 경우에는 서비스업의 경우 저,

    소득 국가의 경우에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수출주도형성장가설이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있다.

    충격반응함수3)

    Love and 의 충격반응함수를 통하여 기간 동안 총산출금액 및Zicchino(2006) 6

    부가가치이입의 증가율 단위의 충격이 가해지면 기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에게1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지 살펴보았다 국내총산출과 부가가치이입과의 관계.

    는 전반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중장기적으로 유의수준에서 정 의 영향을 미1% (+)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좀 더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 ,

    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전체 패널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부가가치 이입에 대한 충격에 대하여, ,

    초기에 빠른 속도로 국내총산출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이러한 정,

    의 영향은 시간이 지나갈수록 급격하게 떨어지다가 낮은 상태에서 균형을 유(+)

    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국내총산출의 충격에 대해서는 정 의 효과가. , (+)

    높은 수준에서 서서히 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수출을 증가시키는 것이 단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나타

    나는 효과가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전체 총산출과 부가가치이입 간의 충격반응함수< 4>

    response of tvin to output response of output to tvin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46 -

    둘째 산업별로 살펴보면 농수산업의 경우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비하여 효, ,

    과의 감소 정도가 빠른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의 경우가.

    충격에 완만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득 수준별로 보면 소. ,

    득 수준이 낮을수록 부가가치 이입과 국내총산출의 충격에 대하여 변동 폭이 높다

    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국내총산출의 충격에 대하여 부가가치 이입은 단기적으. ,

    로 상승하다가 기 이후 급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부가가치 이입의1 .

    충격 또한 국내총산출을 단기적으로 정 의 영향이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다가(+)

    하락하는 정도가 다른 소득 수준 국가들에 비하여 하락 충격이 커서 음 의 영향(-)

    을 주는 구간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산업별로는 차 산업이 소. , 1

    득 수준별로는 저소득 국가가 충격에 대한 변동 폭이 다른 산업과 소득 수준 국가

    보다는 높으므로 충격에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산업별 소득별 총산출과 부가가치이입간의 충격반응함수< 5>

    response of

    tvin to output

    response of

    output to tvin

    response of

    tvin to output

    response of

    output to tvin

    요약 및 결론.Ⅴ

    년대 중반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이 심화되면서 교역의 가치가 최종원산지1990

    에 귀속되는 기존의 무역통계는 국가 간의 교역구조를 파악하는 지표로는 적절하

    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47 -

    계투입산출표를 이용하여 부가가치 기준으로 수출입통계를 다시 산출함으로써 생

    산의 글로벌 분업화를 반영한 무역통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의 수출 주도형.

    성장 가설에 대한 재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아 이를 기존의 수출통계와 부가가,

    치 기준 무역 통계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수출주도형 성장가설.․과는 다르게 대부분 부가가치 이입은 대부분 경제성장과 양방향 인과관계를 가지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방향 인과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부가가치 기준 수출의 증가가 국

    내총산출을 견인하는 작용을 하고 또 한편으로는 내수경기활성화를 통한 국내총

    산출 증가가 부가가치 이입을 견인하는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각.

    국가는 수출 총액을 높이는 것에 집중한 정책을 설정하기 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위주로 국가별 수출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부가가치가 낮은 산업의 경우,

    에는 소재 및 중간재의 국내 경쟁력을 강화하여 수출이 고부가가치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산업별 특성 및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라 총산출 금액과 부가가치이입 및

    수출과의 관계가 상이하게 나왔으므로 국가별 산업정책을 설정할 경우에 먼저 각

    국가는 글로벌 가치사슬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정책을 설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우 부가가치 이입이 경제성. ,

    장을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세분화하여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어느,

    부분이 비교우위가 있는지 파악한 후 해당 부분의 중간재 수입을 위한 통관절차를

    간소화하고 물류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상품과 서비스의 무역 자유화 등의 정책, ,

    을 설정하여 해당 산업에 대한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

    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체결 등 통상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전통적인 방식의 수출FTA

    입 자료뿐만 아니라 부가가치 기준의 수출입 자료를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

    들의 입지가 크게 변화할 수 있다 이는 국가별 교역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

    므로 통상정책을 수립하거나 협상 체결 시에도 부가가치 창출 규모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이와 같은 부분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한 분석이 추가

    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본 논문은 개년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기존의 연구, 15

    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또.

    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다르게 수출주도형 성장 가설이 더 이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현.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48 -

    재 국제산업연관표 자료 구축에 대한 국제적 공조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를 통해 분석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효과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

    한 연구는 차후로 남겨놓기로 한다.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49 -

    참고문헌

    이우기외 인 국세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 분석3 (2013), Global Value Chain ,이슈노트BOK 제, 2013-4, 1-16.

    최낙균·한진희 무역이 고용 및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정책 시사점(20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최요철 우리나라 수출과 성장 간의 관계 분석(2002),   ,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경제분석 제 권 제 호, 9 3 , 50-54.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2007), , 한국은행.

    Ahmad, J. and Kwan, A.C.C.(1991), “Causality between exports and economicgrowth: Empirical Evidence form Africa”, Economics Letter, Vol. 37, No. 3,243-248.

    Backer, K. D. and Yamano. N.(2012), International Comparative Evidence on GlobalValue Chain, OECD: Paris.

    Bahmani-Oskooe, M., Alse, K.(1993), “Export Growth and Economic Growth: AnApplication of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ling”, Journal ofDeveloping Areas, Vol. 27, 535-542.

    Bahmani-Oskooee, M., Economidou, C.(2009), “Export led growth vs. growth ledexports: LDCs experience”, The Journal of Developing Areas, Vol. 42, No.2, 179-209.

    Balassa, B.(1978), “Exports and Economic Growth: Further Evidence”, Journal ofDevelopment of Economics, Vol. 5, 181-189.

    Bodmand, M. P.(1996), “On Export-Led Growth in Australia and Canada:Cointegration, Causa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Australian EconomicPaper, Vol. 35, No. 67, 282-299.

    Chow, P. C. Y.(1987), “Causality Between Export Growth and IndustrialDevelopment: Empirical Evidence from the NICs”, Journal of Developmentof Economics, Vol. 26, No. 1, 55-63.

    Darrat, A.(1987), “Are Exports and Engine of Growth? Another Look at theEvidence”, Applied Economics, Vol. 19, No. 2, 277-283.

    Daudin, G., C. Rifflart, and D. Schweisguth(2011), “Who Produces for whom in theworld economy?”,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Vol. 44, No. 4,1403-1437.

    Doyle, E.(1998), “Export-Output Causality: the Irish Case 1953-93”, AtlanticEconomic Journal, Vol. 26, No. 2, 147-161.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50 -

    Dutt, S. D., Ghosh, D.(1996), “The Export Growth-Economic Growth Nexus: ACausality Analysis”, Journal of Developing Areas, vol. 30, No. 2, 167-181.

    Feder, G.(1982), “O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Development ofEconomics, Vol. 12, No. 1-2, 59-73.

    Gereffi, G., J. Humphrey and T. Sturgeon.(2005), “The Governance of Global ValueChain”,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Vol. 12, No. 1, 78-104.

    Ghartey, E. E. (1993),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EconomicGrowth: Some Empirical Evidence in Taiwan, Japan and the U.S.”, AppliedEconomics, Vol. 25, No. 9, 1145-1152.

    Greenaway, D., Sapsford, D.(1994), “What Does Liberalisation Do for Exports andGrowth?”, Weltwirschaftliches Archives, Vol. 130, No. 1, 152-174.

    Helpman. E. and P. Krugman(1985), Market Structure and International Trad. MITPress.

    Hsiao, M. C. W.(1987), “Tests of Causality and Exogeniety between Exports and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Asian NICs”, Journal of EconomicDevelopment, Vol. 12, No. 2, 143-159.

    Hummels, D., J. Ishii, and K.-M. Yi.(2001), “The nature and growth of verticalspecialization in world trade”,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 54,No. 1, 75-96.

    Inessa Love and Lea Zicchino(2006), “Financial development and dynamicinvestment behavior: Evidence from panel VAR”, The Quarterly Review ofEconomics and Finance, Vol. 46, 190-210.

    Jin, J. C.(1995), “Export-Led Growth and the Four Little Dragons”, Journal of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 Development, Vol. 4, No. 2, 203-215.

    Jin, J. C., Yu, E. S. H.(1996), “Export-Led Growth and the U.S. Economy: AnotherLook”, Applied Economics Letters, Vol. 3, No. 5, 314-344.

    Johnson, R. C. and G. Noguera(2012), “Accounting for intermediates: Productionsharing and trade in value added”,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86, No. 2, 224-236.

    Johnson, R. C. and G. Noguera(2012), Fragmentation and Trade in Value AddedOver Four Decades, NBER Working Paper No. 18186.

    Jung, W. S., Peyton, J,. Marshall, P. J.(1985), “Exports, Growth and Causality in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18, No. 1, 1-12.

    Koopman, R., W. Powers, Z. Wang, and S. -J. Wei(2010), Give credit where creditis due: Tracing value added in global production chain, NBER Working Paper16426.

    Marcel P. Timmer(2012), The World Input-Output Database(WIOD): Contents,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51 -

    Sources and Methods, Seventh Framework Programme.Marin, D.(1992), “Is the Export-Led Hypothesis valid for Industrial Countri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74, No. 4, 678-687.OECD(2013), Interconnected Economies: Benefiting from global value chains,

    OECD: Paris.OECD-WTO(2012), Trade in Value-added: Concepts, Methodologies and

    challenge, OECD: Paris.Ram, R.(1985), “Export and Economic Growth: Some Additional Evidence”,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e Change, Vol. 33, No. 2, 415-125.Reppas, P., Christopoulos, D.(2005), “The export-output growth nexus: evidence

    from African and Asian countries”, Journal of Policy Modelling, 27(8):929-940.

    Rifat Bariş Tekin.(2012), “Economics growth, expor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in Least Developed Countries: A Panel Granger causality analysis”,Economic Modelling, Vol. 29, No. 3, 868-878.

    Rizeman, R., Whiteman, C. H., Summers, P. M.(1996), “The Engine of Growth orits Handmaiden? A Time-Series Assessment of Export-Led Growth”,Empirical Economics, Vol. 21, No. 2, 77-110.

    Robert Stehrer(2012), Trade in Value Added and the Value Added in Trade, wiiwWorking Paper 81.

    Sengupta, J. K., Espana, J. R.(1994),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Asian NICs:An Econometric Analysis of Korea”, Applied Economics, Vol. 26, No. 1,41-51.

    Shan, J., Sun, F.(1998), “On the Export-led growth Hypothesis for the littleDragons: An Empirical Reinvestigation”, Atlantic Economic Journal, Vol. 26,No. 4, 353-371.

    Tyler, W. G.(1981), “Growth and Export Expansion in Developing Countries: Some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9, No. 1,121-130.

    WIOT(http://www.wiod.org/new_site/home.htm)WTO IDE-JETRO(2011),ㆍ Trade pattern and global value chain in East Asia:

    From trade in goods to trade in tasks, WTO: Switzerland.Xu, Z.(1996), “On the Causality Between Export Growth and GDP Growth: An

    Empirical Reinvestigation”, 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 4, No.2, 172-184.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52 -

    부록 의 국가 및 산업 분류< 1> WIOT

    국가 약어 분류  산업

    1 Australia AUS 1 c1 농림수산업

    2 Austria AUT 2 c2 광업 및 채취업

    3 Belgium BEL 3 c3 음식료 및 담배

    4 Bulgaria BGR 4 c4 섬유 및 직물

    5 Brazil BRA 5 c5 가족 및 신발

    6 Canada CAN 6 c6 목재

    7 China CHN 7 c7 펄프 종이 인쇄, ,

    8 Cyprus CYP 8 c8 석유

    9 Czech Republic CZE 9 c9 화학제품

    10 Germany DEU 10 c10 고무 및 플라스틱

    11 Denmark DNK 11 c11 기타 비금속 광물

    12 Spain ESP 12 c12 금속 및 금속제품

    13 Estionia EST 13 c13 기계

    14 Finland FIN 14 c14 전기 및 광학기기

    15 France FRA 15 c15 수송기기

    16 United Kingdom GBR 16 c16 기타 제조업

    17 Greece GRC 17 c17 전기 가스 수도, ,

    18 Hungary HUN 18 c18 건설

    19 Indonesia IDN 19 c19 자동차 판매 수리 연료 소매업, ,

    20 India IND 20 c20 도매업

    21 Ireland IRL 21 c21 소매업

    22 Italy ITA 22 c22 호텔 및 레스토랑

    23 Japan JPN 23 c23 내륙 운송

    24 Korea KOR 24 c24 해운

    25 Lithuania LTU 25 c25 항공 운송

    26 Luxembourg LUX 26 c26 여행업

    27 Latvia LVA 27 c27 우편 통신

    28 Mexico MEX 28 c28 금융

    29 Malta MLT 29 c29 부동산업

    30 Netherlands NLD 30 c30 기타 비즈니스

    31 Poland POL 31 c31 공공행정 국방,

    32 Portugal PRT 32 c32 교육

    33 Romania ROM 33 c33 건강 사회복지,

    34 Russia RUS 34 c34 기타 사회 및 개인 서비스

    35 Slovak Republic SVK 35 c35 민간기계서비스

    36 Slovenia SVN

    37 Sweden SWE 농수산업 C1

    38 Turkey TUR 비제조업 C2. C17, C18

    39 Taiwan TWN 제조업 C3~C16

    40 United States USA 서비스업 C19~C35

    41 Rest of World ROW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VAR

    - 153 -

    A Study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de in Value-Added and Economic

    Growth Using Panel-VAR

    Bo Rye Kim

    Abstract

    Recently the production processes from material procurement to

    marketing have been split up into many stages and the value added from

    the production was divided among various countries. Therefore, we need

    to approach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rms of value added rather than

    gross value. So following Stephrer(2012)'s methodology, this paper firstly

    measures Trade in Value added database using World Input-Output“ ”Tables(WIOT).

    We also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a

    gross value of domestic production) and export of trade in value added

    using panel VAR model. Our test supports the export-led growth

    hypothesis when we tes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 of gross trade

    and economic growth. However almost all results represent that there are

    two-way causalities between export of trade in value-added and economic

    growth.

    Key Word: Fixed Effect model, Trade in Value-added, Panel-Var, Trade

    in Value-added, Granger Causality, Impulse-response function

    JEL classification: F1

  • 국제통상연구 제 권 제20 호1

    - 154 -

    패널 를 이용한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VAR

    경제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

    김보례

    국문초록

    년대 중반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이 심화되어 기존의 무역통계는 국가 간의1990

    교역구조를 파악하는데 적절한 지표가 아니라는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

    에 본 논문에서는 세계투입산출표를 이용하여 년간의 부가가치 기준1995 2009~무역이라는 새로운 무역통계를 산출하고 이와 경제성장과의 관계를 패널 를VAR

    이용한 인과관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산업별 소득 수준별로 결과에Granger .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부가가치 이입 부가가치 기준으로 본 수출 과 경제( )

    성장과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용어 고정효과모형 부가가치 기준 무역 패널 인과관계: , , VAR, Granger .

    충격반응함수

    경제학 문헌분류기호: F1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12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Description >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tru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tru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NA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LeaveUntagged /UseDocumentBleed false >> ]>> setdistillerparams> setpage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