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31
No. 103 2009. 10. 09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강 문 성 (고려대 국제학부 교수)

Upload: others

Post on 07-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2009. 10. 09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강 문 성

(고려대 국제학부 교수)

Page 2: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

<요 약>

과거 한국의 통상정책은 다자무역체제(multilateral trading system)에

초점을 두고 수립되어왔다. 196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GATT)’에 서명하면서 한국은 다자무역체제에 편입되었고, 지금까지

총 8차례의 다자무역협상을 통해 달성된 관세 및 무역장벽의 인하는

수출주도형 한국경제가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들어 지역주의(regionalism)가 전세계로 확산되

고 아시아 지역까지 이러한 글로벌 추세에 동참하게 되자, 한국정부는

FTA정책으로 통상정책의 초점을 전환하게 된다. 1999년 12월 한국은

칠레와의 첫 FTA 협상을 시작하게 되고, 2004년 4월 한국의 첫 FTA

인 한-칠레 FTA는 발효되면서 한국의 ‘FTA시대’는 시작된다.

그 이후 한국정부는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FTA추진정책을 마련할

필요성을 느껴 ‘FTA 추진 로드맵’을 완성하고 이 과정에서 수립된 대

상국 선정기준을 바탕으로 ‘동시다발적인 FTA 추진’이라는 통상정책

을 적극적으로 펴나갔다. 이러한 정책추진을 바탕으로 이제 한국은 총

15개국과 총 4건의 FTA를 발효시켰으며, 미국, EU, 인도 등과 FTA

협상을 타결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새로운 FTA 허브로 등장하게 된다.

만약 현재 협상 중이거나 계획 중인 FTA가 모두 성공적으로 발효된다

면, 한국은 총 69개국과 총 21건의 FTA를 체결하게 되며 FTA 대상

국이 전체 한국의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2008년 통계 기준)이 각

각 78.9%, 92.0%에 달하게 된다.

그러나 한국경제가 짧은 기간 동안 급격한 성장을 달성한 ‘압축성장’으

로 표현되는 것과 유사하게, FTA협상 역시 단기간에 다수의 FTA 협

상을 타결하고 발효하는 ‘FTA의 압축성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압축

성장’으로 말미암아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측면에서 다양

한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듯이 FTA 분야 역시 정치, 사회, 문화 측면

에서 다양한 부정적인 측면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Page 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

먼저, 다수의 FTA가 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수출하는 기업이 이를 이

용하지 않는다면 다수의 FTA는 무의미하다. 한국무역협회(2008)의 설

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 기업의 80% 이상이 수출입 과정에서

한국이 체결한 기존 FTA의 특혜관세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고 응답하여, 수출과정에서 FTA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조사의 결과, FTA 체결이나 활용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홍보가 미

흡하거나 절차 및 비용 측면에서 추가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FTA 및 향후 발효될 FTA의 활용도를 제

고하기 위해서는 원산지 결정기준, 원산지 증명서 작성 요령, 검증절차

등 원산지 규정과 관련된 이슈를 기업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불필요한 규제 및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거나 철폐하여

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의 첫 FTA이었던 한-칠레 FTA, 단군 이래 최대의 협상으로

인식되었던 한-미 FTA 등의 협상과정에서 농업 및 일부 사양산업의

경우 극심한 반대가 표출되었고, 이 과정에서 정부는 이들 민감부분에

대한 지원대책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원대책은 매우 비효

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정부는 현재 FTA로 인한 농업ㆍ제조업 분야의 피해

지원을 위해 ‘무역조정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각종 지원정책으로부터 야기

될 수 있는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일

정 기간의 한시적인 지원, 자구노력이 병행되는 대책이 대전제가 되어

야 하며, 정부의 다른 교육훈련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

여야 한다.

FTA를 통한 교역이 보다 활성화될 경우 과거 한국 통상정책의 근간이

었던 다자무역체제를 이제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 정책적 의문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의 경제시스템을 보다 선진화하고 개방화하는데

그동안 다자무역체제가 큰 기여를 한 것처럼, 한국의 경제시스템을 지

속적으로 개혁하는 데 다자무역체제를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다자무

Page 4: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3

역체제를 대외 지향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데, 그동안의 수동적인

인식을 전환하여 전세계 시장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다자체제를 적극적

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FTA 추진정책을 자원 및 에너지 외교와도 적극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 에너지자원의 수급구조 불안이

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고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국가 간의 경쟁

이 보다 치열한 상황에서,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자원

및 에너지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에너지 안보(energy security)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장기적

인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이를 FTA 추진전략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 협상이 종료된 인도와의 FTA 그리고 현재 협상 중인 일부

국가의 경우 전통적으로 개방에 적극적이지 않은 국가들이 있어 과연

‘높은 수준의 FTA’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인지 회의적인 시

각이 존재한다. 그러나 한국의 입장에서는 이들 국가를 설득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높은 수준의 FTA’를 체결할 필요가 있다. 수준 높은 FTA

를 통해 한국경제 시스템의 선진화 및 지속적인 개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FTA와 지나치게 수준격차가 난다면 FTA

규범의 일관성을 저해하고 이에 따른 통상행정적인 측면에서의 추가

부담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FTA 수준에 있어 일관성을 유지할 필

요가 있다.

Page 5: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4

<목 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2. 경제통합에 대한 이론적 배경

3. 연구목적

Ⅱ. 한국의 FTA 추진 현황

1. 한국의 FTA 추진배경 및 필요성

가. 국제통상환경의 변화

나. FTA 추진 필요성

2. 한국의 FTA 추진전략과 현황

가. FTA 추진전략

나. FTA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Ⅲ. FTA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1. FTA 활용도 제고 방안

2. 국내 지원제도의 효율성 제고 방안

3. 다자무역체제의 활용방안

4. 자원 및 에너지 외교와의 연계

5. 높은 수준의 FTA 추진

IV. 결론

참고문헌

Page 6: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5

ⅠⅠ 서 론

1. 연구 배경

1990년대 이후 세계경제는 경제통합(economic integration)의 가속, 생산

과정의 분업화(fragmentation) 등 두 가지의 큰 조류로 설명될 수 있음.

경제통합은 양자간 또는 특정 지역의 경제내에서 상품 및 서비스의 보다

자유로운 교역을 추진하는 제도임.

양자간 또는 특정 지역내 국가들이 무역협정을 맺어 회원국간 관세 및

무역장벽을 철폐하거나 인하하여 회원국간 상품 및 서비스 교역을 보다

자유롭게 하는 것임.

최근에는 상품 및 서비스 교역의 자유화뿐만 아니라 생산요소의 자유로

운 이동 및 경제정책의 동조화(harmonization)까지 지향하고 있음.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거시적으로는 국가간 경제통합이 적극적으로 진행

되고 있는 반면, 미시적인 측면에서는 기업들의 생산활동이 글로벌화

(globalization)되고 분업화되는 경향이 존재함.

1990년대 이후 부상한 다국적 기업(MNEs: Multinational Enterprises)

은 자신의 고유한 생산활동을 제외한 다른 비효율적인 생산활동은 외부

기업에게 아웃소싱(outsourcing)하면서 생산효율화를 지향하고 있음.

또한 이러한 아웃소싱이 최근에는 국내를 벗어나 점차 글로벌화 되면서

‘해외아웃소싱(offshoring)’이라는 새로운 경제활동이 활성화되고 있음.

이와 같이 수직적 생산단계가 한 국가를 벗어나 세계화되면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GPN: Global Production Network)’가 구축되는 것이 세

계경제의 또 다른 핵심 조류임.

한국경제에도 이러한 세계조류가 적극 반영되고 있음.

2004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이 발효

된 이후 싱가포르, EFTA, ASEAN 등과 총 4개의 FTA가 발효 중이고,

한미 FTA, 한-EU FTA,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등 다수의 FTA

협상이 종결되었으며, 캐나다, 멕시코, 호주, 뉴질랜드, 페루, GCC1) 등

Page 7: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6

다수의 국가와 FTA 협상을 진행 중임.

또한 한국기업 역시 생산체제가 글로벌화 되면서 삼성, LG, 현대 등의

글로벌 경영이 여타 기업으로 확산되고 있음.

2. 경제통합에 대한 이론적 배경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경제통합은 양자간 또는 특정 지역의 경제내에서

상품 및 서비스의 보다 자유로운 교역을 추진하는 제도인데, 일반적으로

‘지역주의(regionalism)’라고도 일컬어짐.

이는 통상 관련 경제행위에 대한 다자 차원의 규범을 관장하는 ‘다자무

역체제(multilateral trading system)’에 대비되는 용어로 사용되며, 관

련 국제기구 및 학계에서는 다양한 용어가 통용되고 있음.

대표적인 예로 통상 관련 다자규범을 정한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에서는 ‘지역무역협정(RTA: Regional Trade

Agreement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s)’, ‘관세동맹(CU: Customs Union)’, ‘공동시장(CM:

Common Markets)’ 등을 포함함.2)

그러나 세계은행 등의 연구보고서에서는 ‘지역통합협정(RIA: Regional

Integration Agreements)’이라는 용어가 이용되며, 학계에서는 ‘특혜무

역협정(PTA: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3)이라는 용어를 사용하

는 경우도 있음.

특정 지역무역협정이 지니는 경제통합의 ‘수준’을 근거로 이 수준을 정

의하는 용어도 이용되는데, 회원국간 관세(tariff)를 철폐하거나 인하하

는 단순한 교역 자유화의 경우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경제통합

(shallow economic integration)’이라고 부르며, 생산요소의 자유 이동

1) GCC(Gulf Cooperation Council)는 ‘걸프협력회의’로서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UAE,

바레인, 오만, 카타르 등 6개국이 체결한 관세동맹 형태의 경제협력체임.2) GATT협정 24조, 서비스 교역에 대한 일반협정(GATS) 5조 등은 FTA와 CU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동시장 등에 대한 규범은 CU에 대한 규정을 준용함. 예

를 들어 EC(European Community), 남미공동시장(MERCOSUR) 등의 경우 그 형태는 공

동시장이나, WTO에서는 공동시장에 대한 규정이 없어 관세동맹(CU)의 형태로 WTO 산

하 지역무역협정위원회(CRTA)에 통보되어있음.3) ‘특혜무역협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는 배경에는 다자무역체제와는 달리 지역무역협

정이 회원국간 무역거래에 서로 특혜를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자무역체제의 기본원

칙인 ‘최혜국대우(MFN: Most-Favored Nations)원칙’의 예외라는 의미에 기인함.

Page 8: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7

및 경제정책의 동조화 등까지 포함될 경우 ‘높은 수준의 경제통합(deep

economic integration)’이라 지칭함.

<표 1> 경제통합의 형태

무역장벽의

철폐공동역외관세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

경제정책의

공조와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관세동맹

(Customs

Union)

◯ ◯

공동시장

(Common

Market)

◯ ◯ ◯

경제연합

(Economic

Union)

◯ ◯ ◯ ◯

자료: Balassa(1965)를 근거로 저자 작성.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제통합의 수준은 다양한 바, 무역장벽의

철폐, 공동역외관세(common external tariff),4)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 경제정책의 동조화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경제통합체제가 나타

남.5)

관세동맹 이상의 경제통합체제의 경우 회원국간 경제통합 수준이 높아

경제통합으로 인한 효과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나, 이를 위한

협상기간이 매우 길어지고 그 협상과정에서 국내반발이 커질 경우 정치

적 부담 역시 커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대부분의 국가가 FTA에 정책초

점을 두고 있음.

4) 공동역외관세란 관세동맹의 회원국이 비회원국의 수출품에 부과하는 관세(역외관세라 지

칭)를 공동으로 정하는 것을 의미함.5) 이러한 경제통합의 유형은 Balassa (1965)에 의해 제기되어 발전하여왔음.

Page 9: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지역무역협정은 263건에 이르는데, 가

입과정에서 기존의 지역무역협정이 통보된 것은 15건에 불과하고 대다

수인 248건은 WTO 가입 이후 체결한 지역무역협정임.

또한 총 263건의 지역무역협정 중 56.3%인 148건이 FTA이고 그 뒤를

서비스협정(28.1%),6) 권능조항(Enabling Clause, 10.6%),7) 관세동맹

(4.9%)의 순임.

<표 2> 2009년 10월 현재 WTO에 통보된 지역무역협정

가입과정 신규 합계

GATT 24조

(FTA)2 146 148 (56.3%)

GATT 24조

(CU)6 7 13 (4.9%)

Enabling Clause 1 27 28 (10.6%)

GATS 5조

(서비스협정)6 68 74 (28.1%)

합계 15 248 263 (100.0%)

자료: WTO(http://www.wto.org/)

6) 대부분의 FTA는 상품 무역에 초점을 둔 협정과 서비스 무역에 초점을 둔 서비스협정으

로 구성되어 있어, WTO에는 2건으로 통보되어있음. 예를 들어 한국의 첫 번째 FTA인

한-칠레 FTA의 경우도 상품무역부분은 GATT 24조의 FTA형태로, 서비스무역부분은

GATS 5조의 서비스협정으로 2건 통보되어있음. 이러한 현상을 고려할 경우 일반적인

FTA가 전체 지역무역협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 큰 것으로 평가됨.7) 권능조항(Enabling Clause)의 경우 도쿄라운드협상결과 추가된 지역무역협정의 형태로

개도국들이 MFN원칙을 넘어 개도국간 무역협정의 체결을 통해 상호 특혜무역을 제공하

는 것을 허용하는 조항임. 이 조항에 근거한 지역무역협정을 일반적으로 Enabling

Clause 라고 일컬음. 그 예로 1976년 발효된 ‘방콕협정(Bangkok Agreement 또는 Asia

Pacific Trade Agreement)’인바, 한국홄된 롯하여,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라오스, 스

리랑카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그 경제통합의 수준은 매우 낮고 무역자유화의 범위도 상

대적으로 낮아 경제통합의 효과가 매우 작음.

Page 10: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9

3. 연구목적

이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지역주의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역시

1990년대 말 이후 적극적으로 FTA협상에 임하여 왔고 그동안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음.

2004년 한국의 첫 FTA인 한-칠레 FTA가 발효된 이후 한국정부가 ‘동

시다발 FTA협상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친 결과, 체결 건수, FTA 대상국

의 무역점유율 등의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됨.

보다 구체적인 한국의 추진현황은 제2장에서 서술됨.

이에 본 보고서는 한국이 그동안 추진해온 FTA 추진과정을 살펴보고 향

후 한국정부가 지향하여야 할 FTA 추진전략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정책

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임.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다수의 FTA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책적

오류 및 향후 추진과정에서의 발생할 문제점 역시 발견되는 바 이에 대

한 평가 및 향후 추진전략을 재고하여야 할 시점이 도달한 것으로 판단

됨.8)

이에 본 보고서는 지금까지의 FTA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가

지향하여야 할 FTA 추진전략과 관련 과제를 제시하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본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제II장에서는 2009년 9월까지의 한국 FTA의 추진현황을 살펴봄.

제III장에서는 제II장에서 검토된 FTA 추진현황을 바탕으로 향후 추진전

략의 남은 과제를 점검함.

제IV장에서는 본 보고서의 결론을 제시함.

8) 한국의 경제성장 경험 역시 단기간에 급격한 성장을 달성한 ‘압축성장’으로 표현되는데,

FTA협상 역시 단기간에 다수의 FTA 협상을 종결하고 진행하는 ‘FTA의 압축성장’으로

표현될 수 있음. ‘압축성장’으로 말미암아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측면에서 다

양한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듯이 FTA 분야 역시 정치, 사회, 문화 측면에서 다양한 부정

적인 측면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Page 11: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0

ⅡⅡ 한국의 FTA 추진 현황

1. 한국의 FTA 추진배경 및 필요성

가. 국제통상환경의 변화

1990년대 후반까지 한국의 통상정책은 다자무역체제에 초점을 맞추어 수

립되어왔음.

1948년 출범한 GATT체제9)에 한국은 1967년 GATT협정에 서명하면

서 다자무역체제에 편입되어왔음.

우루과이라운드까지 총 8차례의 다자무역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세계 각

국의 관세 및 무역장벽은 낮아져왔고, 이러한 다자차원의 관세인하 혜택

을 누리면서 한국의 경제성장은 지속되어왔음.

그러나 <그림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역주의는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하자, 한국으로서는 해외시장의 안정적인 시장접근

이 정책과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음.

<그림 1> 연도별 WTO에 통보된 지역무역협정

자료: WTO(http://www.wto.org/)

9)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통상질

서를 세우기 위한 다자 차원의 통상 관련 협정으로 1947년 23개국이 서명하였고, 그 이

듬해인 1948년에 발효되었음.

Page 12: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1

WTO가 출범한 1995년 이전부터 지역주의는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나,

우루과이라운드 이후 다자 차원의 무역규범이 보다 강화되고 세계경제

의 글로벌화가 급속히 진행되자 세계 주요 국가들은 지리적으로 이웃에

위치한 국가들 또는 상호 경제적 이해관계가 밀접한 국가들끼리 상호호

혜적인 특혜를 교환하는 지역주의에 보다 정채적인 초점을 두기 시작하

였음.10)

무역비중이 높은 한국으로서는 한국을 제외한 지역주의가 활성화될수록

한국의 무역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채초점의 변화는

불가피한 상황이었음.

또한 2001년 출범한 제9차 다자무역협상인 도하개발아젠다(DDA)의 부진

도 지역주의가 보다 활성화하게 된 요인임.

2001년 11월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WTO각료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새로운 다자무역협상을 출범하기로 합의함.

농업, 비농산물 시장접근(NAMA), 서비스, 규범(반덤핑, 보조금, 지역무

역협정), 무역원활화, 무역과 개발, 무역과 환경,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

분쟁해결양해 등 총 9개 분야가 주요 협상의제임.

농업, 비농산물 시장접근 등의 분야에 대한 협상방식(modality)을 합의

하는 것이 가장 핵심인바, 농업의 경우 관세인하에 초점을 둔 시장접근

(market access), 보조금을 얼마나 감축할 것인지 초점을 둔 국내보조

(domestic support) 등이 가장 중요한 쟁점사안임.11)

비농산물 시장접근의 경우 스위스 공식을 사용하기로 합의하였으나, 선

진국과 개도국에 부과될 계수(coefficient)가 아직 합의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음.

WTO 회원국들은 오는 2010년까지 DDA 협상을 종결시키기 위해 노력

하고 있으나, 전망은 그렇게 밝지 않은 상태임.

10) FTA 상대국을 선정하는 기준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부터 진행되어왔음. 여러 가지 이

론 중 가장 많이 주목을 받은 것은 ‘자연무역상대국 가설(Natural Trading Partner

Hypothesis)’인데, FTA 체결 이전부터 이미 주요 교역국인 국가들끼리 FTA를 맺을 가

능성이 크다는 것임. 그러나 최근에는 이 가설에 대한 반론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지

리적 접근성(proximity), 지정학적 관계(geopolitical relations), 산업별 비교우위

(comparative advantage)를 근거로 한 경제적 보완성 등 다양한 기준이 제시되고 있음.11) 농업협상에 가장 중요한 이슈는 상기 2개 쟁점분야 외에도 수출보조금 감축을 논의하는

수출경쟁(export competition) 분야가 있으나, 지난 2005년 12월 개최된 홍콩 각료회의

에서 선진국의 수출보조금을 오는 2013년까지 철폐하기로 합의하였음.

Page 1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2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1998년 한국정부는 지역주의에 적극적으로

정책초점을 두기로 결정하였음.

1998년 정책초점의 변화 이후 한국정부는 칠레, 뉴질랜드, 남아공, 싱가

포르, 이스라엘 등 다양한 국가들과 FTA협상추진 가능성을 점검한 결

과, 칠레를 한국의 첫 FTA 협상 대상국으로 지정하고 1999년 12월

FTA 협상을 개시함.

칠레가 한국의 첫 FTA 대상국으로 선정된 이유는 한국농업에 미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라는 예상, FTA에 적극적으로 임해온 국

가라는 점 등이 있음.

당시 FTA 협상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한국정부로서는 경제적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와 먼저 해보면서 경험을 쌓는 ‘일종의 스

파링(sparring) 파트너’로 칠레를 선택하였음.

나. FTA 추진 필요성

이와 같은 정책변화의 필요성은 크게 안정적인 해외시장의 확보, 개방을

통한 경제시스템의 선진화 및 경쟁력 강화에 있음.12)

FTA가 역내국 및 역외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온 주제임.

FTA 및 CU 등과 같은 지역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는 Viner (1950)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이, 무역창출효과(trade creation effect)와 무역전

환효과(trade diversion effect) 등으로 설명되어짐.

고비용 역외국 또는 고비용 국내 생산자로부터 저비용 역내국으로 수입

선을 바꿀 경우 무역은 창출되고, 반대로 저비용 역외국으로부터 고비용

역내국으로 수입선을 바꿀 경우 무역이 전환됨.

Viner (1950)는 무역창출의 경우 역내국의 후생은 증대되는 반면, 무역

전환의 경우 역내국의 후생은 감소한다고 결론지었음.

그러나 무역전환의 경우에도 역내국의 상대가격에 따라 후생이 증가할

수도 있는데, 교역조건의 악화에 따라 후생이 감소하지만 소비증가에

따른 후생수준의증가가 상기 감소분보다도 클 경우 전체적인 후생은 증

가하는 것임.

12) 외교통상부 FTA 정책과장을 역임한 유명희(2005, 157-184) 참조.

Page 14: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3

한편, 역외국의 후생은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나 Kemp and

Wan (1976)은 이론적으로 지역무역협정이 역내국과 역외국 모두의 후

생수준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였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외국의 상업적 이해는 저해되는 것이 보다 일반적

인 견해임.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지역주의가 활성화됨에 따라 한국 수출의 해외시

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주된 정책 목표가 되었음.

한국이 각국의 FTA 네트워크에서 소외된다는 것은 한국제품이 가지는

가격경쟁력이 회원국간 철폐된 관세수준보다도 낮다면 역외국으로서 무

역전환효과의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임.13)

또한 한국이 지역주의에서 계속 소외받을 경우 한국기업 역시 주력 공

장을 해외로 이전할 수밖에 없어 ‘산업공동화’ 현상을 겪을 가능성이 높

은 실정이었음.

따라서 한국을 제외한 지역주의의 활성화는 한국 수출시장의 안정적 확

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국 역시 지역주의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음.14)

또한 선진국 또는 개방된 국가와의 FTA를 통해 시장개방과 자유화를 추

진하여 경제시스템을 보다 선진화시키고 이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시

키려는 것도 한국정부가 FTA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 배경임.

1997~1998년 외환위기를 경험한 한국은 경제시스템을 보다 선진화시

킬 필요성을 직면하고 우리보다 경제시스템이 선진화되어 있는 국가들

과 FTA를 체결함에 의해 국가경쟁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게 되었음.

13) 부연 설명하면, 한국제품의 가격이 회원국보다 10% 싸다고 가정할 경우 만약 회원국간

철폐된 관세가 10% 이상이라면 한국제품의 가격경쟁력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것임.

또한 질적 경쟁력도 관세철폐로 인한 회원국의 가격 인하가 클 경우 질적 경쟁력도 상

쇄할 가능성도 있음. 14) 이러한 정책변화를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로 설명할 수도 있음. 특정 지역에서

일부 국가들이 그들만의 특혜무역협정을 체결할 경우 역외국들은 무역전환효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상황으로 말미암아 역외국 역시 지역주의에 적극적

으로 동참하게 되는 계기가 됨. 주변국들의 특혜무역협정 체결은 국내정치적으로도 역

외국에게 부담이 되어 지역주의에 적극 동참하게 됨.

Page 15: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4

그 외에도 한국경제의 생산성 한계 노정, FTA 체결에 대한 상대국의 정

책적 의지, 다양한 이익집단의 요구 제시 등이 제시되었음.

2. 한국의 FTA 추진전략과 현황

가. FTA 추진전략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과거 한국의 통상정책은 다자무역체제에 초점을

맞추어 수립되어왔음.

한국은 1967년 GATT협정에 서명하면서 다자무역체제에 편입되었고,

다자무역협상으로 인한 관세 및 무역장벽의 인하로부터 다양한 혜택을

누리면서 성장하여왔음.

따라서 다자차원의 무역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였고 무역분쟁 역시 다

자차원의 분쟁해결기구15)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하여왔음.

그러나 앞서 지적한 FTA 추진의 배경 및 필요성에 의해 1998년 11월

대외경제조정위원회는 FTA에 정책 초점을 두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그 첫 대상국가로 칠레를 선정하였음.

2002년 10월 한-칠레 FTA협상이 타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의 비

준동의안이 통과까지 1년 4개월이 소요되며 어렵게 발효되자 한국정부는

보다 체계적인 FTA추진전략을 마련하게 되는데 그것이 2003년 9월 국

무회의에서 논의된 ‘FTA 추진 로드맵’16)임.

한-칠레 FTA 비준안이 국회로 제출되고 통과되는 과정에서 FTA에 대

한 막연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농민 및 시민단체는 대규모 반대운동을

전개하는 등 국민의견수렴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음.

이에 2003년 7월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FTA 정책추

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FTA 추진기구를 정비하기 위해 종합적인 FTA

추진로드맵을 작성할 것을 지시함.

이에 따라 관련 정부부처, 학계, 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FTA 추진위원

15) 예를 들면 WTO의 분쟁해결절차(DSP: Dispute Settlement Procedure)를 통해 한국은

무역분쟁을 해결하였음. 2009년 10월 현재 한국은 총 13건을 제소하였고, 총 14건 피

소되었음.16) 2003년 9월 2일 국무회의에서 보고된 외교통상부(2003) 참조.

Page 16: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5

회’가 구성되었고, FTA 추진 로드맵을 협의하여 같은 해 8월 대외경제

장관회의의 논의를 거쳐 9월 국무회의를 통과하였음.

외교통상부(2003)에 따르면, FTA의 적극 추진으로 정책방향을 선회하게

된 환경으로 (1) FTA의 세계적 확산 및 경제블록화, (2) 21세기 세계무

역질서를 형성할 DDA 협상 진행 중, (3) 우리 경제의 생산성 한계 노정,

(4) FTA 체결에 대한 상대국의 정책적 의지, (5) 다양한 이익집단의 요

구 제시 등이 제기되었음.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지역주의가 활성화되면서, 한국이

칠레와 FTA를 체결하기 이전 WTO 회원국 중 FTA를 체결하지 않고

있는 국가는 한국과 몽고뿐이었음.

DDA협상을 통해 보다 확대・심화된 개방이 불가피한 상황이었음.

<표 3> FTA 추진 로드맵: 추진환경 및 정책적 시사점

FTA 추진환경 정책적 시사점

FTA의 세계적 확산

및 경제블록화

・ 시장확보 및 외톨이 입장 탈피를 위해서는 전략적/적

극적 FTA 추진 필요

・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블록의 핵심 멤버로서의 역할 수

행 필요

21세기 세계무역질서를

형성할 DDA협상 진행중

・ 우루과이라운드(UR) 보다도 확대/심화된 개방이 불가피

・ 우리 경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도 바람직

우리 경제의 생산성

한계 노정

・ FTA 체결을 통한 시장확보 및 경쟁심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은 경제성장 및 수출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

한 요소

・ 이를 위해서는 특히 거대/선진경제와의 FTA 추진 필요

FTA 체결에 대한

상대국의 정책적 의지

・ 한국과의 FTA 체결을 희망하는 국가 중 부담이 적은

국가들과 우선적으로 FTA 체결

・ 특히, 거대/선진경제권과의 FTA 체결에 도움이 되는

국가와 우선적으로 추진

다양한 이익집단의

요구 제시

・ 국민적 공감대 위에서 추진

・ 합리적인 보완대책의 필요성

자료: 외교통상부(2003)

Page 17: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6

또한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1980년대 8.7%, 1990년대 6.3%, 2000년

이후 3~4%를 기록하는 등 생산성 향상이 한계를 나타내고 있어 경제

성장 및 수출증진에 획기적인 정책변화가 필요한 상황이었음.

시장확보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미국, EU, 일본, 중국 등 거대・선

진경제권과의 FTA가 필요한 상황이었으나, 당시 일본을 제외하고 한국

과의 FTA체결에 적극적이지 않은 상황이었음.

경제단체, 농민단체 등 이익집단은 FTA 추진에 대해 다양한 요구를 제

시하였고 이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방안이 필요하였음.

이러한 정책적 수요에 따라 한국정부는 다음과 같은 FTA정책 추진방향

을 설정하였음(외교통상부 2003).

전략적/적극적 multi-track으로 추진: FTA 추진에는 시간적 요소가 중

요한바, 기회를 상실할 경우 효과적인 FTA 추진이 어려워짐.

포괄적인(comprehensive) FTA 추진: FTA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투

자, 서비스, 지식재산권, 경쟁, 무역규범, 정부조달 등 광범위한 내용을

협정에 포함함.

국민적 공감대를 기초로 추진: 여론수렴을 위한 공청회 개최, 대국민 홍

보 등을 강화

뚜렷한 청사진 제시를 통한 정부의 리더십 발휘: FTA는 비대칭적인 부

분별 효과로 인해 완전한 합의를 도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의 강력

한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

경제적 영향은 물론 정치, 외교적 영향의 충분한 검토 위에서 추진

이와 같은 FTA정책 추진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은 대상국 선정 원칙을

발표하였음.

먼저 FTA의 경제・정치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거대・선진경제권과의 FTA 추진이 필요함.

그러나 단기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 아래 대상국을 선정하여 FTA를

추진하여 경제적 실리를 도모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경제적・전략적 이익

이 큰 거대・선진경제권과의 FTA 추진에 대비하도록 함.

경제적 타당성

정치 및 외교적 함의

우리나라와의 FTA에 적극적인 국가

거대・선진경제권과의 FTA 추진에 도움이 되는 국가

Page 18: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7

이와 같은 FTA 대상국 선정 원칙 아래 한국정부는 <표 4>와 같은 기간

별 FTA 대상국을 발표하였음.

<표 4> FTA 추진 로드맵: 대상국 선정의 원칙

기간 대상국가 비고

단기

일본 및 싱가포르산관학 공동연구 결과에 따라 가능

한 조기에 협상개시

ASEAN, 멕시코, EFTA여건이 성숙하는 대로 공동연구 또

는 협상추진 준비

중・장기

미국, EU, 중국,

한중일 FTA, 동아시아 FTA점진적으로 추진

이스라엘, 페루, 파나마,

뉴질랜드, 호주

한국과의 FTA 체결을 희망해 온

국가

캐나다, 인도 등 기타 FTA 체결이 필요한 국가

주: 한국정부는 2003년 상기 로드맵 발표 이후 2004년 5월 캐나다, 인도를 단기

대상국으로 재선정하였고, 2007년 7월 GCC와의 FTA 추진을 대외경제장관회

의에서 확인하였음.

자료: 외교통상부(2003)

나. FTA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이러한 한국의 FTA정책 초기단계를 지나 한국은 2009년 10월 현재 총

4건의 FTA를 발효시켰고, 3건의 FTA가 협상을 종결하고 국내비준을 기

다리고 있으며, 6건의 FTA협상이 진행 중임.

발효된 4건의 FTA는 칠레, 싱가포르, EFTA, ASEAN 등으로 총 15개국

이 해당됨.17)

또한 미국, 인도와의 FTA18)는 정식 서명을 끝내고 국회로부터의 국내비

17) 싱가포르의 경우 ASEAN 회원국이기도 하기 때문에 중복계산하지 않았음.18) 인도와의 FTA는 인도측이 국내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용어

를 사용하지 않기를 원해 대신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 Agreemen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양국이 합의하였음.

Page 19: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8

구분 FTA 추 진 일 정

발효

한-칠레 FTA

ㆍ1998.11.5 대외경제조정위원회에서 FTA체결을

추진하기로 하고, 첫 대상국으로 칠레 선정

ㆍ1999.12 제1차 협상

ㆍ2002.10.25 협상타결 발표

ㆍ2003.2.15 정식서명

ㆍ2004.2.16 국회 비준동의안 통과

ㆍ2004.4.1 발효

한-싱가포르 FTA

ㆍ2003.3-9 한-싱 FTA체결을 위한 산관학 공동연

구회 개최

ㆍ2004.1.27 제1차 협상

ㆍ2004.11.29 실질적 타결 선언

ㆍ2005.8.4 정식서명

ㆍ2005.12.1 국회 비준동의안 통과

ㆍ2006.3.2 발효

한-EFTA FTA

ㆍEFT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스위

스, 노르웨이, 리히텐스타인, 아이슬란드

ㆍ2004.8-10 한-EFTA FTA 공동연구

ㆍ2005.1.18 제1차 협상

ㆍ2005.7.12 협상타결 선언

ㆍ2005.12.15 정식서명

ㆍ2006.6.30 국회 비준동의안 통과

ㆍ2006.9.1 발효

한-ASEAN FTA

ㆍ2004.3-8 전문가회의 개최

ㆍ2005.2.23 제1차 협상

ㆍ2006.4.23 제11차 협상(상품무역협상 타결)

ㆍ2006.8.24 상품무역협정 정식서명

ㆍ2007.4.2 상품무역협정 국회 비준동의안 통과

ㆍ2007.6.1 상품무역협정 발효

ㆍ2007.11.21 서비스협정 정식서명

준을 기다리고 있으며, EU와의 FTA는 지난 2009년 7월 협상이 타결되

었음.

그리고 캐나다, 멕시코, GCC, 호주, 뉴질랜드, 페루 등 6건의 FTA협상이

진행 중임.

<표 5> 한국의 FTA 추진현황

Page 20: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19

ㆍ2009.4.7 투자협상 타결

ㆍ2009.5.1 서비스무역협정 발효

ㆍ2009.6.2 투자협정 서명

ㆍ2009.9.1 투자협정 발효

협상종료

한-미 FTA

ㆍ2005.2-4 사전 실무점검회의 개최

ㆍ2006.6.5 제1차 협상

ㆍ2007.4.2 협상 타결

ㆍ2007.6 추가 협의

ㆍ2007.6.30 정식 서명

ㆍ2007.9.7 비준동의안 국회 제출

한-인도 CEPA

ㆍ2005.1-8 공동연구그룹 회의 개최

ㆍ2006.3.23 제1차 협상

ㆍ2009.8.7 정식 서명

한-EU FTA

ㆍ2006.7-9 예비협의 개최

ㆍ2007.5.7 제1차 협상

ㆍ2009.7.13 협상타결

협상중단 한-일 FTA

ㆍ2002.7-2003.10 산관학 공동연구 시행

ㆍ2003.12.22 제1차 협상

ㆍ2004.11.1 제6차 협상(이후 협상 중단)

ㆍ2008.6-2009.7 협상 재개 검토 및 환경 조성을

위한 실무협의 개최

협상 중

한-캐나다 FTA

ㆍ2005.1-3 예비협의 개최

ㆍ2005.7.28 제1차 협상

ㆍ2008.3.25 제13차 협상

한-멕시코 FTA

ㆍ2003.11 멕시코, FTA 모라토리움 선언

ㆍ2004.10-2005.8 전문가그룹 회의 개최

ㆍ2006.2.7 SECA 제1차 협상

ㆍ2007.12.5 FTA 제1차 협상

ㆍ2008.6.9 FTA 제2차 협상

한-GCC FTA

ㆍGCC(Gulf Cooperation Council, 걸프협력회의):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UAE, 바레인, 오만,

카타르

ㆍ2008.7.9 제1차 협상

ㆍ2009.3.9 제2차 협상

한-호주 FTA

ㆍ2007.5-2008.4 민간공동연구 회의

ㆍ2008.10-12 예비협의

ㆍ2009.5.19 제1차 협상

ㆍ2009.8.31 제2차 협상

Page 21: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0

한-뉴질랜드 FTA

ㆍ2007.2-11 민간공동연구 회의

ㆍ2008.9-11 예비협의

ㆍ2009.6.8 제1차 협상

한-페루 FTA

ㆍ2007.10-2008.4 공동연구 회의 개최

ㆍ2009.3.16 제1차 협상

ㆍ2009.6.29 제3차 협상

계획/

민간

공동

연구

한-중국 FTA ㆍ2007.3-2008.6 산관학 공동연구 회의 개최

한-MERCOSUR TA

ㆍMERCOSUR(남미공동시장):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ㆍ2005.5-2007.10 공동연구 회의 개최

ㆍ2009.7.23 무역과 투자증진을 위한 공동협의체

설립 양해각서(MOU) 서명

한-터키 FTA ㆍ2008.6-2009.5 공동연구 회의 개최

한-러시아 BETAㆍ2007.10-2008.7 양국간 경제동반자 협정

(BEPA) 공동연구그룹 회의 개최

한-콜롬비아 FTA ㆍ2009.3-8 민간공동연구 진행

한-이스라엘 FTA ㆍ2009.8.17 민간공동연구 개시

한-SACU FTA

ㆍSACU(South African Customs Union): 보츠와

나, 레소토, 남아공, 스와질란드

ㆍ2008.12.9 민간공동연구 개시 합의

자료: 외교통상부 (http://www.fta.go.kr/)에서 저자 정리

또한 중국, MERCOSUR, 터키, 러시아, 콜롬비아, 이스라엘, SACU 등과

의 FTA는 민간공동연구 추진 등으로 FTA 정식 협상을 준비 중임.

따라서 지금 현재 국내비준 중이거나 계획 중인 FTA가 모두 성공적으로

발효된다면, 한국은 총 69개국과 총 21건의 FTA를 체결하게 됨.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이 현재 발효 중인 FTA가 한국의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2008년 기준)은 각각 9.6%, 11.3%에 불과함.

최근 ASEAN과의 경제협력이 가속화되면서 ASEAN과의 교역량이 꾸준

히 증가하고 있으나, 칠레, EFTA 등은 한국의 주요 교역대상국이 아니

어서 발효 중인 FTA의 수출입 비중은 그리 크지 않음.

Page 22: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1

구분 FTA 대상국수출입 실적(백만 달러)

수 출 수 입

발효

칠레 3,032 0.7%

40,664

(9.6%)

4,127 0.9%

49,183

(11.3%)

싱가포르* 16,293 3.9% 8,362 1.9%

EFTA 2,521 0.6% 4,138 1.0%

ASEAN 35,111 8.3% 40,917 9.4%

협상종료

미국 46,377 11.0%113,728

(26.9%)

38,365 8.8%84,927

(19.5%)인도 8,977 2.1% 6,581 1.5%

EU 58,375 13.8% 39,981 9.2%

협상중단 일본 28,252 6.7%28,252

(6.7%)60,956 14.0%

60,956

(14.0%)

협상 중

캐나다 4,057 1.0%

34,898

(8.3%)

4,404 1.0%

110,999

(25.5%)

멕시코 9,090 2.2% 1,049 0.2%

GCC 15,034 3.6% 85,521 19.6%

호주 5,171 1.2% 18,000 4.1%

뉴질랜드 825 0.2% 1,122 0.3%

페루 720 0.2% 904 0.2%

계획

중국 91,389 21.7%

115,189

(27.3%)

76,930 17.7%

94,221

(21.6%)

MERCOSUR 6,697 1.6% 5,341 1.2%

터키 3,773 0.9% 362 0.1%

러시아 9,748 2.3% 8,340 1.9%

콜롬비아 1,091 0.3% 143 0.0%

이스라엘 1,011 0.2% 895 0.2%

SACU 1,4811 0.4% 2,210 0.5%

대상국 합계 332,731 78.9% 400,286 92.0%

총수출입 422,007 100% 435,274 100.0%

<표 6> FTA 대상국과의 수출입 실적(2008년 기준)

주: 싱가포르는 ASEAN 회원국이어서 금액 및 비중 계산시 중복처리하지 않았음.

자료: 무역협회(http://www.kita.net/)의 통계를 이용하여 저자 정리

그러나 최근 협상을 종료한 미국, EU, 인도 등은 거대경제권이어서 이러

한 3건의 FTA가 국내비준을 받는다면 기존의 FTA와 더불어 FTA대상국

의 수출입 비중은 각각 36.6%, 30.8%에 이름.

Page 2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2

한국의 FTA 추진전략에서 거대경제권과의 FTA가 강조되었었는데, 미

국, EU, 인도와의 FTA가 성공적으로 비준된다면 기존의 FTA와 더불

어 전체 수출입의 1/3이 FTA 대상국이 차지하게 됨.

여기에 그동안 협상이 중단되었던 일본과의 FTA19)마저 성공적으로 종

결된다면 FTA 대상국의 수출입 비중은 각각 43.3%, 44.8%로 거의 절

반에 육박함.

여기에 더하여 한국이 현재 계획 중인 중국, MERCOSUR, 터키, 러시아

등과의 FTA가 모두 성공적으로 발효된다면, FTA 대상국이 전체 수출입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8.9%, 92.0%를 차지하게 되어 FTA를 통한

교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됨.

한국의 수출시장은 수입선에 비해 이미 다양화되어있기 때문에 계획된

든 FTA가 성공적으로 종결된다고 하더라도 홍콩, 대만, 중남미, 구소련

권 등으로의 수출은 FTA 혜택을 받지 못해 비중이 78.9% 수준임.

그러나 수입의 경우 대부분의 수입대상국가가 포함되어 있고, GCC와의

FTA로 인해 원유수입물량이 포함되어 그 비중이 92.0%에 이르게 되는

것임.

19) 일본과의 FTA협상은 2004년 11월 제6차 협상 이후 중단된 상태인데, 일본의 농산물시

장개방 문제에 한일 양국이 이견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짐. 그러나 한국

이 미국, EU 등과의 FTA협상을 성공적으로 타결하게 되자, 일본정부는 양국간 FTA협

상재개를 조심스럽게 탐색하고 있는 상황이며, 양국정부는 협상재개 및 환경조성을 위

한 실무적인 협의를 지속하고 있음. 하지만, 양국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협상에 임하기

전까지는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임.

Page 24: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3

ⅢⅢ FTA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1. FTA 활용도 제고 방안

한국무역협회(2008)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 기업의 80% 이

상이 수출입 과정에서 한국이 체결한 기존 FTA 특혜관세를 제대로 활용

하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하여, 수출과정에서 FTA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됨.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FTA 체결이나 활용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홍보가 미흡하거나 절차 및 비용 측면에서 추가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설문조사 결과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

타남.

따라서 기존 FTA 및 향후 발효될 FTA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원산지 결정기준, 원산지 증명서 작성 요령, 검증절차 등 원산지 규정과

관련된 이슈를 기업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할 것임.

<표 7> FTA 특혜관세를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 (N=410)

응 답 내 용 사례수

이미 무관세이거나 전체적으로 큰 실익이 없다 160

FTA 체결상황이나 활용방법(관세, 원산지 정보 등)을 잘 모른다 153

원산지증명에 대한 상대국 바이어 요청이 없다 65

FTA 활용을 위한 서류 구비 등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다 47

당사와 거래 없다 45

수출품이 관세와 관계가 없다 5

2009년 이후 적용 대상이다 1

주 수출방법이 통관인도조건(DDP)이 아니라 운인보험료 지급인도조건

(CIP)이므로 1

주: 복수응답 가능

자료: 한국무역협회(2008) 중 일부 인용

Page 25: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4

따라서 강문성(2009)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정부 및 관련 협회를 중심으

로 기존 FTA의 원산지 규정을 구체적 산업 및 품목별로 정리하여 홍보

하고, 원산지 증명서 작성방법 및 검증절차 등에 대해서도 적극 홍보하여

야 할 것임.

정부에서는 관련 협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존 FTA의 해당 산업

및 구체 품목별 원산지 결정기준을 정리하여 동 협회를 통해 홍보하여

야 함.

또한 품목별로 정리된 원산지 결정기준 및 관련 정보를 ‘중소기업진흥공

단’ 등 중소기업 지원기관에도 제공하여 원산지 규정에 대해 문의하는

중소기업에게도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임.

앞서 분석된 바와 같이 원산지 관련 정보에 대한 이해 부족은 주로 중소

기업의 관련 전문인력의 부족에 기인하는바, 기업 측면에서는 FTA 특혜

관세 혜택을 누리기 위해 관련 전문인력을 적극 양성할 필요가 있음.

현재 관세청, 대한상공회의소(원산지증명서가 기관발급제인 FTA 경우

발급기관) 등에서 원산지 규정 관련 기업의 민원을 해소하고 있으나, 발

효된 FTA가 더욱 증가할 경우 관련 민원이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높

은 상황임.

따라서 수출을 주로 하는 기업의 경우 원산지 관련 전문인력을 적극적

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고, 협회나 유관기관은 이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2. 국내 지원제도의 효율성 제고 방안

한국의 첫 FTA이었던 한-칠레 FTA, 단군 이래 최대 협상으로 인식되었

던 한-미 FTA 등의 협상과정에서 농업 및 일부 사양산업의 경우 극심한

반대가 표출되었고, 이 과정에서 정부는 이들 민감부분에 대한 지원대책

을 제시하였음.

한-칠레 FTA 비준과정에서 한국정부는 총 109조 원에 달하는 보조금

을 농업에 투입하기로 결정하였음.20)

20) 이러한 보조금 규모는 상당히 부풀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농업 관련 지원기관, 각

종 보조금 프로그램이 모두 망라되어 동 금액이 산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동 지원금

이 한-칠레 FTA 비준에 대한 보상은 아닌 것으로 평가됨.

Page 26: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5

그러나 이와 같은 지원대책은 매우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보다 체

계적이고 종합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

비효율적인 지원대책의 예로 한-칠레 FTA 과정에서 수립된 ‘시설포도

ㆍ키위ㆍ복숭아에 대한 폐업보조금’임.

칠레가 포도산업에 있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한국의 포도농가를 중심으로 극렬한 반대투쟁이 나타났고 정부는 포도

뿐만 아니라 키위, 복숭아 등을 포함하여 폐업의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

기로 함.21)

그러나 복숭아 농가의 폐업보조금이 전체 폐업보조금에서 차지하는 비

중이 50%를 초과한 반면, 칠레로부터 수입된 복숭아는 전무22)한 실정

이어서 이 지원대책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임.23)

게다가 5년 동안 폐업한 후 다시 생산활동에 임할 수 있어 5년 동안 폐

업을 하더라도 일단 보조금을 신청하는 농가가 크게 늘어 도덕적 해이

현상이 심각한 상황이었음.

정부는 FTA로 인한 농업ㆍ제조업 분야의 피해지원을 위해 ‘무역조정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하

여야 함.

‘무역조정지원제도’의 정책적 취지는 채욱ㆍ김세원ㆍ유재원 외(200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방으로 충격을 입은 국내 산업과 근로자들을 지원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방의 충격이 FTA에 기인하든지 WTO에 기인하

든지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함.

따라서 WTO를 통한 개방은 전혀 문제 삼지 않고 FTA로 인한 농업 및

제조업 분야의 피해지원으로 국한되어있는 지금의 ‘무역조정지원제도’는

보완되어야 함.

또한 도덕적 해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일정 기간의 한시적인 지

21) 칠레산 포도수입의 경우 한국은 한-칠레 FTA를 통해 한국산 포도의 성수기인 5~10월

동안에는 계절관세를 부과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의 관세는 2013년까지 점진적으로 철

폐하기로 합의하였음. 한-칠레 FTA 이전과 이후의 통계를 비교해보면, 칠레산 포도의

시장점유율이 32%에서 40% 내외로 증가하였으나, 칠레산 포도로 인해 한국 포도시장

에서의 포도가격이 상당히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됨. 또한 한국 포도농가에 미친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22) 복숭아의 경우 검역상의 문제로 어느 나라로부터도 수입되지 않고 있음. 23) 한국정부는 이러한 폐업보조금의 지급권한을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였

는데, 지자체의 선심성 행정으로 인해 폐업보조금을 신청하는 농가가 급증하였음.

Page 27: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6

원, 자구노력이 병행되는 지원책이 대전제가 되어야 하며, 정부의 다른

교육훈련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여야 함.

3. 다자무역체제의 활용방안

앞서 <표 6>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한국이 현재 추진 중인 모든 FTA가

성공적으로 발효된다면, 한국은 총 69개국과 총 21건의 FTA를 체결하게

되며 전체 수출입에서 FTA 대상국이 차지하는 비중(2008년 통계 기준)

이 각각 78.9%, 92.0%에 달하게 됨.

이러한 상황에서 과거 한국 통상정책의 근간이었던 다자무역체제를 이제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 정책적 의문이 발생하게 됨.

한국의 경제시스템을 보다 선진화하고 개방화하는데 그동안 다자무역체제

가 큰 기여를 한 것처럼, 한국의 경제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혁하는 데

다자무역체제를 활용하여야 함.

다자무역체제에서 합의되었거나 한국정부가 이행하기로 합의된 사항은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한국정부의 개혁의지를 다자체제에 약속하고

이를 자물쇠로 고정시키는 효과(locking-in effects)를 활용하여야 함.

또한 다자무역체제를 대외 지향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다자주의에 의한 무역자유화는 시장확대를 도모하는 수단 중에서 무역

전환효과를 최소화하고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가장 이상적인

수단임.

따라서 그동안의 수동적인 인식을 전환하여 전세계 시장을 확보하는 수

단으로 다자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함.

또한 다자무역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이슈를 개발하여 다자무역협상의 아젠다로 설정하는 노

력을 기울여야 함.

4. 자원 및 에너지 외교와의 연계

채욱ㆍ김세원ㆍ유재원 외 (2006)에서 분석된 바와 같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 에너지자원의 수급구조 불안은 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으

Page 28: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7

며,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국가간의 경쟁은 보다 치열해질 전망임.

세계 10위의 에너지 소비국이자 세계 7위의 석유 소비국인 한국의 경우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자원 및 에너지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따라서 에너지 안보(energy security)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장기적인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이를 FTA 추진전략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함.

이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자원외교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고, GCC, 러시

아, 콜롬비아 등의 에너지 수출국과의 FTA를 적극 체결하여 에너지 자

원의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아울러 FTA정책 외에도 개도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를 중앙아시

아 등 자원부국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임.

5. 높은 수준의 FTA 추진

한국이 지금까지 FTA를 체결하거나 협상을 종료한 국가는 대부분 미국,

EU 등과 같이 거대경제권이거나 싱가포르, 칠레 등과 같이 개방에 적극

적인 국가들임.

그러나 협상이 종료된 인도와의 FTA 그리고 현재 협상 중인 일부 국가

의 경우 전통적으로 개방에 적극적이지 않은 국가들이 있어 과연 ‘높은

수준의 FTA’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인지 회의적인 시각이 존재

함.

단적인 예로 인도와의 FTA를 보면 관세철폐 양허율, 관세철폐시한 등

에 있어 한국이 체결한 기존의 FTA보다 낮은 수준인 것은 확실함.

비록 인도의 입장에서는 인도가 체결한 기존의 FTA보다 한-인도

CEPA가 더 높은 수준의 FTA이고 FTA 협상이라는 것이 상대국의 입

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현재 진행 중인 일

부 FTA의 경우 상대국의 개방의지가 낮은 국가가 있음.

중동의 산유국들이 포함된 GCC의 경우 국제통상분야에서의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국가이어서 ‘높은 수준의 FTA’를 달성할 수 있을지

Page 29: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8

주목됨.

러시아와의 BEPA 경우에도 러시아는 아직 WTO에고 가입하지 못하고

있어 국제통상과 관련된 제도적 인프라가 부실한 상태이어서 이 역시

현재 상태로서는 ‘높은 수준의 FTA’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임.

그러나 한국의 입장에서는 이들 국가를 설득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높은

수준의 FTA’를 체결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FTA를 통해 한국경제 시스템의 선진화 및 지속적인 개혁을 이

끌어 낼 수 있을 것임.

또한 기존의 FTA와 지나치게 수준격차가 난다면 FTA 규범의 일관성을

저해하고 이에 따른 통상행정적인 측면에서의 추가 부담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FTA 수준에 있어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

Page 30: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29

ⅣⅣ 결 론

한국은 지역주의에 뒤늦게 동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EU 등과의 거

대경제권과 FTA협상을 타결하였고 총 7건의 FTA가 발효되거나 협상이

종결되어 지금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평가됨.

이러한 긍정적인 실적은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의 전환 및 추진, 한국경제

의 잠재성, 한국의 지정학적 우위 등 다양한 요소가 있는 것으로 평가됨.

한국정부는 한-칠레 FTA 협상타결 이후 ‘FTA 추진 로드맵’을 수립하

여 이를 국제통상질서의 변화에 맞게 수정하고 발전시켜왔으며, 다양한

국가와의 FTA 추진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하였음.

FTA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관심뿐만 아니라 우리에 대한 상대국가의 관

심도 있어야 하는데, 한국경제의 지속성장 잠재력이 높기 때문에 선진

거대경제권의 관심을 획득할 수 있었음.

또한 동북아에 위치하고 있는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도 전략적으로 이용

되었는데, 북미, 유럽 등과 함께 동북아지역은 향후 경제의 중심지역으

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이 지역의 국가와 FTA를 체결하는 것은

일개 국가의 경제성장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상황임.

따라서 현재의 성과를 바탕으로 현재 협상 중이거나 추진 중인 FTA를

모두 성공적으로 타결하려면, 앞서 지적한 FTA 추진과정에서 남은 과제

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그 비전을 제시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임.

FTA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 각종 지원대책의 효율성을 제고하

는 방안, 다자무역체제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자원 및 에

너지 외교와 연계하는 방안, 높은 수준의 FTA를 추진하는 방안 등이

심도 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임.

Page 31: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server6.kif.re.kr/KMFileDir/128998908980453750_자유... · 2017. 1. 31. ·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No. 103 한국의 FTA 추진현황과 추진전략의 남은 과제

CFE Report | 30

참고 문헌

강문성 (2009), 『한미FTA 활용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 원산지규정 관

련 이슈를 중심으로』, 지식경제부 용역보고서.

외교통상부 (2003), 『FTA 추진 로드맵』, 국무회의 보고자료.

유명희 (2005), 「우리 정부의 FTA 추진현황과 정책방향」, 정인교・노재봉

편, 『글로벌시대의 FTA전략』, 한국태평양위원회(KOPEC), 인하

대학교 FTA 연구센터 총서, 서울: 도서출판 해남.

채욱ㆍ김세원ㆍ유재원 외 (2006), 『선진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중장기 통

상전략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06-01, 서울: 대외

경제정책연구원.

한국무역협회 (2008), 「기업의 FTA 활용현황과 활용도 제고 방안」,

『FTA 이행 및 활용 방안 간담회 발표자료』, 2008년 8월 22일,

한국무역협회.

Balassa, B. (1965), The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London:

G. Allen and Irwin.

Kemp, M.C. and H.Y. Wan (1976), "An Elementary Proposition

Concerning the Formation of Customs Un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 6, pp. 95~97.

Viner, J. (1950), The Customs Union Issues, New York: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