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7
www.ophthalmology.org 1379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9):1379-1385 pISSN: 0378-6471 eISSN: 2092-9374 http://dx.doi.org/10.3341/jkos.2013.54.9.1379 = 증례보고 =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백지원양지욱박영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및 시과학교실 목적: 황반원공, 유리체황반부견인, 망막전막이 자발적으로 호전된 증례들을 분석하여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적 호전 기전 및 임상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황반원공, 유리체황반부견인, 망막전막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없이 경과 관찰 중 자발 적으로 호전된 환자들의 의무기록 및 황반부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10예 중 유리체황반부견인 2안, 특발성 황반원공 3안, 외상성 황반원공 3안(전기화상 1안 포함), 망막전막 2안이었다. 외상성 황반원공을 제외하고 회복 후 시력은(0.5) 이상이었다. 특발성 황반원공은 모두 6개월 이내에서 자발적 폐쇄가 일어났으며, 외상성 황반원공은 3개월 이내에서 자발적 폐쇄가 일어났다. 10안 중 7안에서 자발호전 과정 중에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났다. 결론: 일부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은 후유리체박리 등의 기전에 의해 자발 호전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자발 호전에 대한 예측 및 선행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3;54(9):1379-1385> Received: 2012. 11. 17. Revised: 2013. 5. 20. Accepted: 2013. 8. 5.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g Hoon Park,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137-701, Korea Tel: 82-2-2258-1188, Fax: 82-2-3779-1365 E-mail: [email protected] * This study was presented as a e-poster at the 106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1.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은 유리체 피질과 망막의 부착부 의 결체조직의 복합구조의 이상으로 발생하며, 유리체황반 부견인(vitreomacular traction, VMT), 망막전막(epiretinal membrane, ERM), 황반원공 (macular hole, MH) 등이 있다 . 1 유리체황반부견인은 후유리체가 망막으로부터 불완전하 게 박리되어 황반부에 일부 붙어있는 것을 말한다. 2 남아있 는 부착부가 황반부에 견인력으로 작용하여 낭포성 황반부 , 황반원공, 중심와 공동형성, 황반박리 등을 일으키 , 3-6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면서 드물게 자발호전이 되는 경우가 있다. 7,8 망막전막은 특발성 혹은 여러 질환에 이차적으로 내경계막의 표면에 생기는 막으로, 자발호전은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2 황반원공은 중심와 부위의 망막 전 층결손을 말하며, 특발성 혹은 이차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차성의 경우는 외상이나 전기 화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 으며, 외상성 황반원공의 자발호전은 이전 논문들에서 비교 적 흔하게 보고되어 왔으나, 특발성 전층 황반원공의 자발 호전은 드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9-12 특발성으로 발생하는 이 질환들이 병인에 대해서는 완전 혹은 불완전 후유리체박리(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2,13,14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또한 드물지만 이 질환들이 경과 중 자 발호전되는 경우가 있어 치료 방법의 결정에도 병인을 알 고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황반원공, 망막전막 및 유리체 황반 부 견인 등에서 자발호전된 증례를 분석하여 이들 유리체 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의 기전과 임상양상을 문헌고 찰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15 대상과 방법 2008 1 월부터 2011 8 월까지 서울성모병원 및 의정부 성모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빛간섭 단층촬영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으로 자발적 호전을 확인한 특발성 유리체황반부견인, 망막전막, 황반원공 환자 7, 외상성 황반원공 2안 및 전기화상에 의한 황반원공 1안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기록 및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환자 들의 초진 및 경과 관찰시의 주소 및 교정시력, 안압, 전안 부 및 안저소견, OCT소견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OCTTD- OCTOCT3 (Carl Zeiss Meditec, Dublin, California) SD-OCT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Dublin, California) 두 가지 종류이다. 유리체황반

Upload: others

Post on 10-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www.ophthalmology.org 1379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9):1379-1385

pISSN: 0378-6471eISSN: 2092-9374

http://dx.doi.org/10.3341/jkos.2013.54.9.1379

= 증례보고 =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백지원⋅양지욱⋅박영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및 시과학교실

목적: 황반원공, 유리체황반부견인, 망막전막이 자발적으로 호전된 증례들을 분석하여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적 호전 기전 및 임상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대상과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황반원공, 유리체황반부견인, 망막전막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없이 경과 관찰 중 자발적으로 호전된 환자들의 의무기록 및 황반부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결과를 분석하였다.결과: 총 10예 중 유리체황반부견인 2안, 특발성 황반원공 3안, 외상성 황반원공 3안(전기화상 1안 포함), 망막전막 2안이었다. 외상성 황반원공을 제외하고 회복 후 시력은(0.5) 이상이었다. 특발성 황반원공은 모두 6개월 이내에서 자발적 폐쇄가 일어났으며, 외상성 황반원공은 3개월 이내에서 자발적 폐쇄가 일어났다. 10안 중 7안에서 자발호전 과정 중에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났다.결론: 일부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은 후유리체박리 등의 기전에 의해 자발 호전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자발 호전에 대한 예측 및 선행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대한안과학회지 2013;54(9):1379-1385>

■ Received: 2012. 11. 17. ■ Revised: 2013. 5. 20.■ Accepted: 2013. 8. 5.■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g Hoon Park,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137-701, KoreaTel: 82-2-2258-1188, Fax: 82-2-3779-1365E-mail: [email protected]

* This study was presented as a e-poster at the 106th Annual Meeting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1.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은 유리체 피질과 망막의 부착부

의 결체조직의 복합구조의 이상으로 발생하며, 유리체황반

부견인(vitreomacular traction, VMT), 망막전막(epiretinal membrane, ERM), 황반원공(macular hole, MH) 등이 있다.1

유리체황반부견인은 후유리체가 망막으로부터 불완전하

게 박리되어 황반부에 일부 붙어있는 것을 말한다.2 남아있

는 부착부가 황반부에 견인력으로 작용하여 낭포성 황반부

종, 황반원공, 중심와 공동형성, 황반박리 등을 일으키

며,3-6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면서 드물게 자발호전이

되는 경우가 있다.7,8 망막전막은 특발성 혹은 여러 질환에

이차적으로 내경계막의 표면에 생기는 막으로, 자발호전은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2 황반원공은 중심와 부위의 망막 전

층결손을 말하며, 특발성 혹은 이차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차성의 경우는 외상이나 전기 화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

으며, 외상성 황반원공의 자발호전은 이전 논문들에서 비교

적 흔하게 보고되어 왔으나, 특발성 전층 황반원공의 자발

호전은 드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9-12

특발성으로 발생하는 이 질환들이 병인에 대해서는 완전

혹은 불완전 후유리체박리(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2,13,14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또한 드물지만 이 질환들이 경과 중 자

발호전되는 경우가 있어 치료 방법의 결정에도 병인을 알

고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

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황반원공, 망막전막 및 유리체 황반

부 견인 등에서 자발호전된 증례를 분석하여 이들 유리체

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의 기전과 임상양상을 문헌고

찰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15

대상과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서울성모병원 및 의정부

성모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빛간섭 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으로 자발적 호전을 확인한

특발성 유리체황반부견인, 망막전막, 황반원공 환자 7안, 외상성 황반원공 2안 및 전기화상에 의한 황반원공 1안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기록 및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환자

들의 초진 및 경과 관찰시의 주소 및 교정시력, 안압, 전안

부 및 안저소견, OCT소견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OCT는 TD- OCT인 OCT3 (Carl Zeiss Meditec, Dublin, California) 및 SD-OCT인 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Dublin, California) 두 가지 종류이다. 유리체황반

Page 2: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www.ophthalmology.org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

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interface diseases

Case Sex Age Diagnosis VA1* Fd1† Initial OCT PVD1‡ Follow-up OCT VA2§ Final OCT PVD2∏ Days#

1 F 75 Idiopathic VMT 0.6 VMT c ME VMT c ME, IRF

- PVD(+), ME c IRF

0.8 Flat + 232

2 F 65 Idiopathic VMT c MH

0.63 VMT c MH Stage 1a MH c VMT

- PVD(+), ME c IRF

0.8 Flat + 240

3 M 58 Idiopathic MH 0.13 1/4DD MH Stage 2 MH, central

- Retinal bridging 0.5 Flat + 90

4 F 64 Idiopathic MH 0.5 1/4DD MH Stage 1a MH + IS/OS defect 0.8 Flat + 2245 F 65 Idiopathic MH 0.15 1/4DD MH Stage 2 MH,

eccentric- Retinal bridging,

IS/OS defect0.5 Flat + 351

6 M 17 Traumatic MH FC10 1/4DD MH Stage 1b MH c SRF

+ Retinal bridging, SRF

0.02 Flat, IRFsubretinal scar

+ 26

7 M 50 Traumatic MH 0.06 Tiny MH Stage 2 MH, central

+ Retinal bridging, SRF

0.15 Flat, IRFsubretinal scar

+ 14

8 M 49 Electric burn MH c ERM

FC30 1/4DD MH Stage 2 MH c ERM

+ ERM, IS/OS defect

0.02 Flat + 155

9 F 66 Idiopathic ERM c pseudo hole

0.63 ERM c MH ERM c pseudohole

- PVD(+), ERM(-), IRF

0.63 Minimal IRF + 287

10 F 63 Idiopathic ERM 0.63 ERM c ME ERM c ME - PVD(-), ERM 1.0 Flat + 516

OCT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VMT = viteromacular traction; ME = macular edema; IRF = intraretinal fluid; IS/OS = photoreceptor inner/outer segment; SRF = subretinal fluid; ERM = epiretinal membrane.*Visual acuity at initial visit; †Funduscopic findings at initial visit; ‡Existance of complete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at initial visit; §Visual acuity at final visit; ∏Existance of complete PVD at final visit; #Duration of the disorder in days.

Figure 1.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OCT) of idio-pathic vitreomacular traction (VMT) with stage 1a macular hole(MH) (case 2). Initial M-OCT showed VMT with stage 1a MH and subfoveal cysts (A, B). Eight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M-OCT of the same patient revealed closure of macular hole with complete PVD (white arrow) and subfoveal cysts were no longer apparent (C).

부견인은 중심와에서 1,500 μm 이내에서 확인되는 황반부

변화를 일으키는 견인으로 정의하였다. 황반원공은 Gass의

정의에 따라 병기분류하였다.15,16

결 과

대상 환자들의 인구학적 정보, 증상, 초기 시력, 안저 관

찰 소견, 황반부 빛간섭 단층 촬영 소견, 형광 안저 촬영 소

견 등을 분석하였다. 증례들의 주요 특성은 Table 1에 정리

하였다. 총 10예 중 유리체황반부견인 2안, 특발성 황반원

공 3안, 외상성 황반원공 3안(전기화상 1안 포함), 망막전

막 2안이었다. 진단받은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7.2세(범위: 17-66세)였으며, 10명 중 6명이 여자 환자였다. 외상

성 및 전기화상에 의한 황반원공 환자를 제외한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64.14세(범위: 58-66세)였다. 초진시 주소는

변형시가 3안, 중심암점 3안, 중심시력저하 4안이었다. 10안 모두 치료 없이 자발적 회복을 보였다. 특발성 유리체황

반부견인, 황반원공, 망막전막의 회복 후 시력은 (0.5) 이상이었으나, 외상성 및 전기화상에 의한 황반원공 환자들은

해부학적 호전 이후에도 (0.02)에서 (0.15)의 교정시력을

보였다.증례 2번에서 유리체 황반부 견인이 망막내 수포를 형성

하며 황반부종 및 stage 1a 황반원공을 형성하였다가 8개월째 완전 후유리체박리 후 황반부종 및 황반원공이 자발

호전되었다(Fig. 1).

A

B

C

Page 3: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www.ophthalmology.org 1381

-백지원 외 :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Figure 3.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OCT) of idiopathic stage 2 eccentric macular hole (MH) (case 5). Initial M-OCT showed stage 2 eccentric MH (A). Two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M-OCT revealed closure of MH by retinal bridging with persis-tent subretinal fluid (B). Five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complete closure of MH was seen but defects at the photoreceptor in-ner/outer segment junction level remained (C). Complete PVD was observed during the process by slit-lamp funduscopic examina-tion (not shown in the figure).

Figure 2.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OCT) of idio-pathic stage 1a macular hole (MH) (case 4). Initial M-OCT showed stage 1a MH with preexisting complete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white arrow at upper right) (A). Four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M-OCT revealed closure of MH with disrupted retinal pigment epithelium and photoreceptor inner/outer segment junction (B). Seven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complete closure of MH was accomplished (C).

증례 3, 4, 5번에서 특발성 황반원공이 자발호전되는 과

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증례 4번에서는 초진시에 이미 후

유리체박리가 일어나 있는 눈에서 stage 1a의 황반원공이

함께 관찰되었으며, 경과 관찰시 망막 내층부터 원공의 해

부학적 폐쇄가 진행되었다(Fig. 2). 증례 5번에서는 망막내

층부터 가교를 형성하여 원공폐쇄가 시작되며, 망막하액이

줄어들어 바깥 망막이 막히면서 해부학적인 완전폐쇄가 일

어났다. 이 과정에서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는 것이 세

극등 안저검사에서 관찰되었다(Fig. 3).증례 6번에서 외상 후에 생긴 황반원공은 초진시 중심와

아래 출혈 응괴를 동반한 망막하액을 관찰할 수 있다. 이후

망막하액이 줄어들며 원공 크기 감소하다 수상 후 1개월 경

황반원공의 폐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원공의 폐쇄 이후에

도 망막하액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중심와 망막색소

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는 불규칙하게 두꺼

워지고 과반사를 보였다(Fig. 4).증례 8번 환자는 전기 화상 후 3개월째 좌안에 망막전막

및 황반원공이 관찰되었으며, 초진당시에도 후유리체박리

는 일어나 있었다. 이후 망막전막은 지속되면서 황반원공이

망막내층부터 망막전막을 따라 폐쇄가 시작된 후, 해부학적

인 완전폐쇄가 일어났으나 지속적인 광수용체 inner/outer segment (IS/OS) 접합부 손상이 관찰되었다(Fig. 5).

증례 9번에서 초진시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지 않은 상

태에서 망막내 낭포를 가지는 황반 가성원공을 동반한 망

막전막이 관찰되었다가 경과관찰 동안 완전 후유리체박리

가 일어나면서 망막전막이 사라지고 표층원공도 점차 막히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6). 증례 10번에서도 초진

시 황반부종을 동반한 망막전막이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

면서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특발성 황반원공은 모두 6개월 이내에서 자발적 폐쇄가

일어났으며, 외상성 황반원공은 모두 3개월 이내에서 자발

적 폐쇄가 일어났다. 자발적 회복까지 평균적으로 특발성

질환에서는 277일, 외상성 황반원공에서는 65일이 걸렸다.

A

B

C

A B C

Page 4: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www.ophthalmology.org1382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

Figure 4.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OCT) of traumatic macular hole (MH) (case 6). Initial M-OCT showed MH with sub-retinal hemorrhage (white arrow) and subretinal fluid (A). One week after the trauma, M-OCT revealed marked decreased MH size with decreased subretinal fluid (B). One month after the first visit, complete closure of MH was seen but small amounts of subretinal fluid persisted with irregular hyperreflectivity at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and photoreceptor inner/outer segment level (C).

Figure 5.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OCT)of traumatic macular hole (MH) by electrical burn (case 8). The patient visited ophthalmologic department 3 months after the trauma with gradual progression of decreased visual acuity. M-OCT at the first visit showed MH and complete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white arrow) (A). One month after the first visit, M-OCT revealed de-creased MH size with decreased subretinal fluid (B). Five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complete closure of MH was seen but defect of photoreceptor inner/outer segment junction persisted (C).

Figure 6.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M-OCT)of epiretinal membrane (ERM) with pseudohole (case 9). Initial M-OCT showed ERM with pseudohole and incomplete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 (A). One month after the first visit, M-OCT revealed resolution of ERM with complete PVD, decreased size of pseudohole and intraretinal fluid (B). Nine months after the first visit, in-traretinal fluid further decreased but still persisted (C).

10안 중 7안에서 자발호전 과정 중에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났다.

고 찰

유리체망막 경계면은 유리체 피질과 망막내층을 연결하는

결체조직의 복합구조로 되어 있다. 후유리체에는 콜라겐 섬

유가 고밀도로 분포하며 laminin, fibronectin, chondroitin,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이 접착 분자들에 의해 망막

의 내경계막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1 유리체 피질과 망막

의 부착부에서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들이 발생한다.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 호전은 드물게 일어난다.

자발호전은 유리체황반부견인 11-47%, 특발성 황반원공

5-6%, 외상성 황반원공 10-67%, 망막전막은 노인에서는

1% 미만, 젊은 환자 군에서는 아주 드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7,8,17-23 자발호전 기전에 대해서는 몇 가지 가설이 제

시되고 있다. 공통적으로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으나면서

A B C

A B C

A B C

Page 5: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www.ophthalmology.org 1383

-백지원 외 :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전후로 작용하던 견인력이 제거되어 자발호전이 이루어 진

다고 한다. 또한 특발성 황반원공의 자발호전에 대해서는

망막 조직의 가교(bridging) 형성, 수축성 망막전막에 의한

원공크기의 축소, 원공 기저에서 아교세포의 증식 등이 거

론되고 있다.17,24,25

본원 증례들에서 자발 호전된 특발성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7안 중 6안에서 초진 시 불완전 후유리체박리가 관

찰되었으며, 호전 과정 중에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면서

일부가 국소적으로 황반부에 강하게 붙어 전후 및 접선

(tangential)의 견인력이 생기면서 유리체황반부견인이 발

생한다.2 OCT소견에 따라 중심소와의 국소 유착 혹은 황반

부의 광범위 유착의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3 시력저하, 변형시 등의 증상은 황반부 견인에 의한 낭포성 황반부종, 황반원공, 중심와 공동형성, 황반박리 등에 의한다.3-6

또한

Chang et al4에 의하면 망막전막 또한 불완전 후유리체박리

시 망막에 붙어있는 유리체 콜라겐이 골격으로 작용하여

유리체망막 경계면으로 섬유세포가 증식하여 발생한다고

한다. 이후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면서 황반부 견인력

이 제거되고, 섬유세포 증식의 골격이 없어지게 되면서 자

발호전이 일어난다.26 증례 2번과 5번의 OCT 소견상 불완

전 후유리체박리가 완전하게 박리되면서 황반원공이 자발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망막전막이 완전 후유

리체박리가 일어나면서 호전되는 과정을 증례 9번의 OCT 사진에서 관찰할 수 있다.

반면 증례 4번과 8번에서는 이미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 있는 눈에서 황반원공이 폐쇄되어 특발성 황반원공

의 자발호전에 다른 기전이 관여하였음을 생각해 볼 수 있

다. 또한 최근 Hwang et al27이 유리체황반부견인 환자에서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일어나지 않고도 자발호전을 보이는

증례를 보고하여, 유리체황반부견인에서도 자발호전의 다

른 기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외상성 황반원공에 대해 Yamashita et al21이 보고한 바

에 따르면 완전 후유리체박리가 있는 눈에서는 잘 발생하

지 않기 때문에 노인에서는 드물다. 외부 충격으로 후유리

체박리가 없거나 불완전 후유리체 박리가 있는 눈에서 견

인력이 작용하며 후유리체박리가 진행하면서 황반원공이

발생한다.외상성 황반원공 환자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완전 후

유리체박리가 관찰되었으며, 회복기간도 특발성에 비해 짧

았으나 회복후의 시력은 더 나빴다. 해부학적 호전은 되어

도 시력저하 등 증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광수용체

나 망막색소상피층의 비가역적 변화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

다.21 증례 6, 7번에서 원공의 해부학적 폐쇄 후에도 망막하

액이 남아있거나, RPE가 반흔성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외상성 황반원공이 자발호전 후

의 시력이 특발성에 비해 낮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증례 6번의 OCT 사진에서 원공의 기저에 망막하액과 함께

응괴가 관찰되는 것에 대해 Minihan et al28이 제시한 응괴

에 의한 아교세포의 이동과 증식 자극에 의학 기전을 생각

해 볼 수 있다.본 증례들과 문헌고찰을 정리해보면 유리체황반부견인,

망막전막, 황반원공은 불완전 후유리체박리에 의해 발생하

는 유리체경계면 이상의 연장선에 있는 질환군으로 생각되

며, 이들 질환의 자발호전은 대부분 완전 후유리체박리와

관계가 있다. 또한 매우 드물지만 완전 후유리체박리 외의

다른 기전이 관여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질환들의 수

술적 치료 여부의 결정을 위해서는 추후 SD-OCT 등을 이

용하여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망막 및 유리체망막 경계면

의 미세 구조를 파악하고, 자발호전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

고 수술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완전

후유리체박리의 선행인자 내지는 예측인자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어 향후 이러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Barak Y, Ihnen MA, Schaal S.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itreoretinal in-terface pathologies. J Ophthalmol 2012;2012:876472.

2) Jaffe NS. Vitreous traction at the posterior pole of the fundus due to alternations in the vitreous posterior.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7;71:642-52.

3) Koizumi H, Spaide RF, Fisher YL, et al.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vitreomacular traction and epiretinal membrane us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m J Ophthalmol 2008;145:509-17.

4) Chang LK, Fine HF, Spaide RF, et al. Ultrastructural correlation of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indings in vitre-omacular traction syndrome. Am J Ophthalmol 2008;146:121-7.

5) Gandorfer A, Rohleder M, Kampik A. Epiretinal pathology of vit-reomacular traction syndrome. Br J Ophthalmol 2002;86:902-9.

6) Gallemore RP, Jumper JM, McCuen BW 2nd, et al. Diagnosis of vitreoretinal adhesions in macular disease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tina 2000;20:115-20.

7) Hikichi T, Yoshida A, Trempe CL. Course of vitreomacular trac-tion syndrome. Am J Ophthalmol 1995;119:55-61.

8) Odrobina D, Michaelswka Z, Michalewski J, et al. Long-term eval-uation of vitreomacular traction disorder i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tina 2011;31:324-31.

9) Michalewska Z, Cisiecki S, Sikorski B, et al. Spontaneous closure of stage III and IV idiopathic full-thickness macular holes-a two case report.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8;246:99-104.

10) Milani P, Seidenari P, Carmassi L, Bottoni F. Spontaneous reso-lution of a full thickness idiopathic macular hole: fundus auto-

Page 6: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www.ophthalmology.org1384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

fluorescence and OCT imaging.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7;245:1229-31.

11) Ishida M, Takeuchi S, Okisaka 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s of idiopathic macular holes with spontaneous closure. Retina 2004;24:625-8.

12) García Fernández M, Castro Navarro J. Spontaneous closure of stage IV idiopathic full-thickness macular hole and late reopening as a lamellar macular hole: a case report. J Med Case Rep 2012; 6:169.

13) Greven CM, Slusher MM, Weaver RG. Epiretinal membrane re-lease and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Ophthalmology 1988;95: 902-5.

14) Reese AB, Jones IS, Cooper WC. Macular changes secondary to vitreous traction. Am J Ophthalmol 1967;64:Suppl:544-9.

15) Haouchine B, Massin P, Tadayoni R, et al. Diagnosis of macular pseudoholes and lamellar macular holes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m J Ophthalmol 2004;138:732-9.

16) Gass JD. Reappraisal of biomicroscopic classification of stages of development of a macular hole. Am J Ophthalmol 1995;119:752-9.

17) Yuzawa M, Watanabe A, Takahashi Y, Matsui M. Observation of idiopathic full-thickness macular holes: Follow-up observation. Arch Ophthalmol 1994;112:1051-6.

18) Guyer DR, de Bustros S, Diener-West M, Fine SL. Observations on patients with idiopathic macular holes and cysts. Arch Ophthalmol 1992;110:1264-8.

19) Mizusawa Y, Ichibe M, Yoshizawa T, Ando N. Clinical evaluation of traumatic macular hole. Jpn Rev Clin Ophthalmol 1996;90:790-2.

20) Tomii A, Ikeda N, Kurusu A, Mimura O. Clinical course of trau-matic macular hole. Jpn Rev Clin Ophthalmol 1999;53:1274-8.

21) Yamashita T, Uemara A, Uchino E, et al. Spontaneous closure of traumatic macular hole. Am J Ophthalmol 2002;133:230-5.

22) Byer NE. Spontaneous disappearance of early postoperative pre-retinal traction. Arch Ophthalmol 1973;90:133-5.

23) Meyer CH, Rodrigues EB, Mennel S, et al. Spontaneous separation of epiretinal membrane in young subjects: personal observation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4;242:977-85.

24) Guyer DR, de Bustros S, Diener-West M, Fine SL. Observations on patients with idiopathic macular holes and cysts. Arch Ophthalmol 1992;110:1264-8.

25) Freund KB, Ciardella AP, Shah V,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ocumentation of spontaneous macular hole closure without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Retina 2002;22:506-9.

26) Lai MM, Bressler SB, Haller JA. Spontaneous resolution of mac-ular microhole. Am J Ophthalmol 2006;141:210-2.

27) Hwang DJ, Park KH, Woo SJ. Spontaneous resolution of vitre-omacular traction syndrome with persistent vitreofoveal adhesion observed o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an J Ophthalmol 2012;47:e17-9.

28) Minihan M, Goggin M, Cleary PE. Surgical management of mac-ular holes: results using gas tampona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utologous platelet concentrate,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2. Br J Ophthalmol 1997;81:1073-9.

Page 7: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 - KoreaMed · 2013-09-26 · 1380 대한안과학회지 2013년 제 54 권 제 9 호-Table 1. Demographics of each patient with viteromacular

www.ophthalmology.org 1385

=ABSTRACT=

Spontaneous Resolution of Vitreoretinal-Iinterface Disorders

Ji Won Baek, MD, Ji Wook Yang, MD, Young Hoon Park,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and Visual Scien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review the mechanisms and clinical patterns of spontaneous resolution of vitreoretinal interface disorders by analyzing cases and available literature on macular hole (MH), vitreoretinal traction (VMT), and epiretinal membrane (ERM).Methods: Medical records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images of patients with spontaneous resolution of MH, VMT, and ERM were reviewed. Results: Two eyes with VMT, 3 eyes with idiopathic MH, 3 eyes of traumatic MH (including 1 eye with electrical burn), and 2 eyes with ERM showed spontaneous resolution. All eyes except traumatic MH reached a visual acuity better than 0.5 af-ter resolution. All idiopathic MHs achieved anatomic closure in 6 months, and traumatic MHs in 1 month except for the electrical burn case. Seven out of 10 eyes experienced complete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 during resolution.Conclusions: Some cases of vitreoretinal interface disorders can resolve spontaneously with complete PVD or other mechanisms. Indicators predicting spontaneous resolu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vitreoretinal interface disorder.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9):1379-1385

Key Words: Epiretinal membrane, Macular hole,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Vitreoretinal interface disorder, Vitreomacular tracti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g Hoon Park, MD, PhDDepartment of Ophthalm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137-701, KoreaTel: 82-2-2258-1188, Fax: 82-2-3779-1365, E-mail: [email protected]

-백지원 외 : 유리체망막 경계면 질환의 자발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