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0
1742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1):1742-1751 ISSN 0378-6471 (Print)ISSN 2092-9374 (Online) http://dx.doi.org/10.3341/jkos.2015.56.11.1742 Original Article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에 나타나는 망막 외 병변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Image 이보람안재문오재령 Bo Ram Lee, MD, Jae Moon Ahn, MD, Jae Ryung Oh, MD, PhD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associated with 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image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39 eyes of 139 patients with non-retinal lesions observed on color images obtained using Optomap 200Tx (Optos PLC, Dunfermline, Scotland, UK). The non-retinal lesion is a hyperreflective or hyporeflective shadow due to anterior segment of the eye or vitreous except the retina.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d laser separation, green laser separation and autofluorescence images of non-retinal lesions were evaluated. Results: All non-retinal lesions in images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non-retinal lesions. The ante- rior non-retinal lesions group included corneal opacity, cataract and posterior capsular opacity. The posterior non-retinal lesions group included asteroid hyalosis,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vitreous opacity and vitreous hemorrhage. Anterior non-retinal le- sions were more often hyporeflective in red and green laser separation images (p < 0.001). Posterior non-retinal lesions were more often hyperreflective in green laser separation images and hyporeflective in red laser separation images (p < 0.001). Conclusions: 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images can frequently have various shadows from anterior or pos- terior lesions of the eye. These shadows show a difference in reflectivity depending on their origin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help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fundus ima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1):1742-1751 Key Words: Non-retinal lesion, Optomap,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Received: 2015. 4. 30. Revised: 2015. 6. 25. Accepted: 2015. 9. 22.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ae Ryung Oh,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73 Inchon-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82-2-920-5521, Fax: 82-2-924-6820 E-mail: [email protected]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lumni of Department of Ophthal- m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2015. 2015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SLO)은 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짧은 순 간에 레이저광을 이용한 안저촬영이 가능하며, 1 후극부 및 수평으로 200°, 수직으로 170° 범위의 주변부 망막을 관찰 하는 데 용이하다. 2 이러한 장점 때문에 최근 일차 의료기관 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며 3 망막 원위부의 병변으로 지속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한 환자나 소아 및 협조가 잘 되지 않는 환 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4-7 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검사를 하지 않고 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광각 주사레이 저검안경 영상만으로 망막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에 실제 망 막의 병변과 망막 외 병변을 구분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안저 사진기는 넓은 범위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실제 색의 영상을 얻는 반면에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특히 Optomap의 경우 공초점으로 532 nm 파장의 녹색 레

Upload: others

Post on 18-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2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1):1742-1751ISSN 0378-6471 (Print)⋅ISSN 2092-9374 (Online)http://dx.doi.org/10.3341/jkos.2015.56.11.1742 Original Article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에 나타나는 망막 외 병변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Image

이보람⋅안재문⋅오재령

Bo Ram Lee, MD, Jae Moon Ahn, MD, Jae Ryung Oh, MD, PhD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To evaluate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associated with 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images.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39 eyes of 139 patients with non-retinal lesions observed on color images obtained using Optomap 200Tx (Optos PLC, Dunfermline, Scotland, UK). The non-retinal lesion is a hyperreflective or hyporeflective shadow due to anterior segment of the eye or vitreous except the retina.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d laser separation, green laser separation and autofluorescence images of non-retinal lesions were evaluated. Results: All non-retinal lesions in images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non-retinal lesions. The ante-rior non-retinal lesions group included corneal opacity, cataract and posterior capsular opacity. The posterior non-retinal lesions group included asteroid hyalosis,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vitreous opacity and vitreous hemorrhage. Anterior non-retinal le-sions were more often hyporeflective in red and green laser separation images (p < 0.001). Posterior non-retinal lesions were more often hyperreflective in green laser separation images and hyporeflective in red laser separation images (p < 0.001).Conclusions: 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images can frequently have various shadows from anterior or pos-terior lesions of the eye. These shadows show a difference in reflectivity depending on their origin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help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fundus images.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1):1742-1751

Key Words: Non-retinal lesion, Optomap,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 Received: 2015. 4. 30. ■ Revised: 2015. 6. 25.■ Accepted: 2015. 9. 22.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ae Ryung Oh, MD, PhDDepartment of Ophthalmology,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73 Inchon-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Tel: 82-2-920-5521, Fax: 82-2-924-6820E-mail: [email protected]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lumni of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2015.

ⓒ2015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ultra-wide 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SLO)은 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짧은 순

간에 레이저광을 이용한 안저촬영이 가능하며,1 후극부 및

수평으로 200°, 수직으로 170° 범위의 주변부 망막을 관찰

하는 데 용이하다.2 이러한 장점 때문에 최근 일차 의료기관

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며3 망막 원위부의 병변으로 지속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한 환자나 소아 및 협조가 잘 되지 않는 환

자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4-7 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검사를 하지 않고 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광각 주사레이

저검안경 영상만으로 망막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에 실제 망

막의 병변과 망막 외 병변을 구분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안저 사진기는 넓은 범위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실제 색의 영상을 얻는 반면에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특히 Optomap의 경우 공초점으로 532 nm 파장의 녹색 레

Page 2: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3

-이보람 외 :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의 망막 외 병변-

이저광과 633 nm 파장의 적색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가상

의 색을 입힌 영상을 얻게 된다.1 합성된 컬러 영상은 망막

의 질환을 진단하고 그 변화를 기록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은 합성된 컬러 영

상뿐 아니라 녹색 레이저광 또는 적색 레이저광만으로 분

리된 영상을 따로 제공해 주는데, 이들 분리된 녹색 또는

적색의 단일 레이저광 영상은 각각 흑백 영상으로 제공되

며 반사도의 강도에 따라 흰색에서 검은색까지의 단계를

가지고 있다. 녹색 레이저광은 망막의 병변을, 적색 레이저

광은 맥락막의 병변을 관찰하는 데 특히 유용한 것으로 알

려져 있고8 자가형광안저 영상과 더불어 망막, 망막색소상

피, 그리고 맥락막의 병변을 진단하고 경과를 관찰하는 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안저 사진기는 한 번의 섬광으로 하나의 이미지를 얻어

0.02초의 시간이 걸리지만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은 레

이저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안저 영상을 얻기 때문에 대략

0.25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런 특성들로 인해 망막의 병

변뿐 아니라 눈썹, 각막 및 유리체의 병변 등 안저 사진기

의 영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

경의 영상에서는 나타날 수 있다.9

이전에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에서 각막 인레이

가 있는 환자의 오류, 인공각막(boston keratoprosthesis)을

이식 받은 환자 및 인공수정체안(pseudophakia) 환자에서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원형 오류에 대해 증례 보고된 바 있

다.10-12 또한 Dunphy et al13은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영

상에서 망막 앞쪽 구조물인 렌즈의 병변과 눈썹, 유리체 병

변인 유리체동맥이 망막병변으로 오인되는 증례 보고를 한

바 있으나 망막 외 병변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지 않았고 같

은 망막 외 병변에 대해 한 가지의 증례만 보고하였다.

이들 망막 외 병변은 분리된 영상에서도 나타나며, 이들

병변을 구별할 수 있다면 초광각 안저 촬영의 유용성을 더

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광각 주사레이저

검안경 영상에서 망막 외 병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4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본원 안과외래를 방문

하여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을 찍은 환자를 대상으로 고

려대학교 안암병원 기관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아 의무

기록과 검사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MD15007). 초

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검사상 망막 외 병변을 보이는 환

자 중 실제로 도상검안경 검사로 확인된 139명 139안을 대

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는 외래 내원 시 세극등 검사,

안압검사 및 산동 후 안저검사,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을 이용한 안저촬영을 시행 받았다.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촬영은 Optomap

200Tx (Optos PLC, Dunfermline, Scotland, UK)를 사용하

여 2명의 숙련된 검사자에 의해 시행되었다. 안저촬영은 산

동된 상태에서 시행되었으며 안저 촬영 과정은 다음과 같

다. 피험자의 턱을 턱 받침대에 접촉시킨 후 검사자가 환자

의 자세 및 정점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였다. 피험자의 검사

안으로 녹색의 중앙 주시점을 보도록 한 상태에서 촬영하

였다.

대상 환자의 의무기록과 안저 영상을 비교하였으며, 망

막 외의 전안부 또는 유리체의 병변에 의하여 발생하는 고

반사 또는 저반사의 음영을 망막 외 병변이라 정의하였다.

비측 및 이측 거상연을 기준으로 앞쪽 망막 외 병변, 뒤쪽

망막 외 병변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병변의 위치는 시

신경을 중심으로 시신경과 황반 사이 거리 두 배를 반지름

으로 하는 원 안에 있을 경우 중심부, 원 밖에 있을 경우 주

변부, 두 군데 걸쳐 있을 경우 양측으로 정의하였다. 병변

의 형태는 녹색 및 적색 레이저광 영상 및 자가형광 안저

영상에서 각각 망막 배경 영상과 비교하여 고반사, 저반사

및 구분이 어려운 경우 혼합 반사로 분류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SPSS software version 20.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한 카이제곱 검정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유의확률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 있다고 간주하였다.

결 과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영상 중 총 139

안에서 망막 외 병변이 있었다.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경우는 33안, 뒤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경우는 106안이었

다. 앞쪽 망막 외 병변에는 각막의 병변으로 각막혼탁이 있

었으며 수정체의 병변으로 백내장과 후낭혼탁이 있었다.

뒤쪽 망막 외병변에는 성상유리체증, 후유리체박리, 유리체

혼탁, 유리체출혈, 덱사메타존 유리체강내 삽입물이 있었

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 군

에서 61.64 ± 12.46세, 뒤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

서 59.49 ± 15.83세로 두 군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으며, 성비, 좌우 차 및 인공수정체안의 비율 또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able 1).

병변의 위치는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과 뒤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 모두 중심부에 가장 많았고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28). 병변의 형

태는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

Page 3: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4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ParameterAnterior non-retinal

lesion group (n = 33)Posterior non-retinal lesion

group (n = 106)p-value

Age (years) 61.64 ± 12.46 59.49 ± 15.83 0.121*

Sex (male:female) 14:19 48:58 0.773†

Laterality (OD:OS) 13:20 59:47 0.102†

Lens (phakic:pseudophakic) 23:10 79:27 0.583†

Lesion location 0.228†

Center 20 47 Periphery 7 37 Both 6 22Lesion appearance-Green laser <0.001†

Hyperreflectivity 1 83 Hyporeflectivity 31 18 Mixed reflectivity 1 5Lesion appearance-Red laser <0.001†

Hyperreflectivity 1 33 Hyporeflectivity 32 57 Mixed reflectivity 0 16Lesion appearance-Autofluorescence 0.485†

Hyperreflectivity 0 2 Hyporeflectivity 19 54 Mixed reflectivity 8 35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unless otherwise indicated.OD = oculus dexter; OS = oculus sinister.*Independent samples t-test; †Pearson chi-square test (p < 0.05).

Table 2.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ing the image properties of Optomap images as variables with their contribution to suc-cessfully differentiate anterior non-retinal lesion group form posterior non-retinal lesion group

Variable* B S.E. Wald Sig. Exp (B)95% CI for Exp (B)

Lower UpperHypo-reflectivity -4.962 1.049 22.390 <0.001 0.007 0.001 0.055Mixed reflectivity -2.809 1.487 3.568 0.059 0.060 0.003 1.111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nal Model (p < 0.05).B = B-Coefficient; S.E. = Standard error; Wald = Wald-test; Sig. = significance; Exp (B) = logistic coefficient; CI = confidence interval.*Age, laterality, lesion location, lesion appearance–green and red laser image.

자군은 3.0% (1안)에서 고반사, 93.9% (31안)에서 저반사를

보였으며 3.0% (1안)에서 혼합 반사를 보였다. 뒤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서는 78.3% (83안)는 고반사,

17.0% (18안)는 저반사, 4.7% (5안)는 혼합 반사를 보였으며

두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적

색 레이저광 영상에서는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

에서 3.0% (1안)에서 고반사, 97.0% (32안)에서 저반사를

보였으며 혼합 반사를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뒤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서는 31.1% (33안)는 고반사, 53.8%

(57안)는 저반사, 15.1% (16안)는 혼합 반사를 보였으며 두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자가

형광 안저 영상에서는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

서 고반사를 보이는 환자는 없었고 70.4% (19안)에서 저반

사를 보였으며 29.6% (8안)에서 혼합 반사를 보였다. 뒤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서는 2.2% (2안)는 고반사,

59.3% (54안)는 저반사, 38.5% (35안)는 혼합 반사를 보였으

며 두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485) (Table 1). 단변량 분석에서 p-value가 0.3 이하인

나이, 방향, 병변 위치, 병변 모양(녹색 및 적색 레이저광)이

포함된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Back ward

모형의 마지막 모델에서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서만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고반사를 보이는 환자가

많았다(p<0.001, odds ratio=0.007) (Table 2).

앞쪽 및 뒤쪽 망막 외 병변이 있는 환자군에서 망막 외

병변의 종류에 따른 빈도를 표로 나타내었다(Table 3).

증례 1

83세 여자 환자로 양안의 근시성 안저, 좌안의 포도종 및

우안 각막 혼탁으로 외래 경과관찰 중이다. Optomap 색합

성영상에서 우안의 각막 혼탁으로 중심부, 황반의 아래쪽

Page 4: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5

-이보람 외 :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의 망막 외 병변-

으로 뒤쪽 망막 구조물이 가려보인다. 녹색 레이저광 영상

및 자가형광 안저 영상에서 혼합 반사로 보이고 적색 레이

저광 영상에서 저반사로 뒤쪽 맥락막 혈관 구조물이 가려

보인다(Fig. 1).

증례 2

74세 여자 환자로 우안의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및 양

안의 백내장으로 외래 경과관찰 중으로 세극등 현미경 검

사에서 우안의 후낭하형 백내장이 확인되었다. Optomap 색

합성영상에서 우안 시신경 아래쪽으로 시신경 유두 지름의

1.5배 크기의 경계가 불분명한 병변이 보인다. 적색과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저반사로 보이고 자가형광 안저 영상에

서도 저반사로 보인다(Fig. 2).

증례 3

70세 여자 환자로 양안의 건성 황반변성으로 외래 경과

관찰 중이며 Optomap 색합성영상에서 중심 망막 정맥의

지름 이하 크기의 점들이 중심 및 주변부에 분포하고 있다.

녹색 및 적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고반사로 보이고 적색 레이

저광 영상에서 중심부의 병변 일부는 보이지 않는다. 자가형

광 안저 영상에서는 병변 일부가 저반사로 보인다(Fig. 3).

병변은 도상검안경 검사에서 성상유리체증으로 확인되었다.

증례 4

67세 여자 환자로 우안의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으로

외래 경과관찰 중이며 Optomap 색합성영상에서 중심부에

길쭉한 모양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병변을 볼 수 있다.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고반사로 보이고 적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저반사로 보인다. 자가형광 안저 영상에서 저반

사로 보이며 색합성영상과 비교하며 병변의 모양 및 위치

가 바뀐 것을 볼 수 있다(Fig. 4). 병변은 도상검안경 검사

에서 후유리체박리로 확인되었다.

증례 5

26세 남자 환자로 좌안의 유리체 혼탁으로 외래 경과관

찰 중이다. Optomap 색합성영상에서 중심부에서 하이측 쪽

으로 분포한 병변을 볼 수 있다.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고반사로 보이고 적색 레이저광 영상 및 자가형광 안저 영

상에서 저반사로 보인다. 자가형광 안저 영상에서보다 적

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더 어둡게 보인다(Fig. 5).

증례 6

31세 남자 환자로 좌안의 톡소카라증으로 경과관찰하던

중 좌안 주위 외상 후 시력 저하를 호소하여 내원하였다.

Page 5: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6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

A B

C D

Figure 1. A case of corneal opacity. Optomap composite color (A), green laser separation (B), red laser separation (C) and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 (D) of a 83-year-old female patient with corneal opacity of her right eye. Lesion appears dark in red laser separation image compared to a mixed in green laser separation image and autofluorescence image.

A B

C D

Figure 2. A case of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Optomap composite color (A), green laser separation (B), red laser separation (C) and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 (D) of a 74-year-old female patient with posterior subcapsular cortical opacity of her right eye. Lesion appears dark in red and green laser separation image and autofluorescence image.

Page 6: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7

-이보람 외 :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의 망막 외 병변-

A B

C D

Figure 3. A case of asteroid hyalosis. Optomap composite color (A), green laser separation (B), red laser separation (C) and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 (D) of a 70-year-old female patient with asteroid hyalosis of her right eye. Lesion appears bright in red and green laser separation images. A central part of lesion is invisible in red laser separation image. A part of lesion is dark in autofluorescence image.

A B

C D

Figure 4. A case of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Optomap composite color (A), green laser separation (B), red laser separation (C) and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 (D) of a 67-year-old female patient with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of her right eye. Lesion appears dark in red laser separation image compared to a bright in green laser separation image. Lesion also appears dark in autofluorescence image.

Page 7: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8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

A B

C D

Figure 5. A case of vitreous opacity. Optomap composite color (A), green laser separation (B), red laser separation (C) and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 (D) of a 26-year-old male patient with vitreous opacity of his left eye. Lesion appears dark in red laser sepa-ration image compared to a bright in green laser separation image. Lesion also appears dark in autofluorescence image.

A B

C D

Figure 6. A case of vitreous hemorrhage. Optomap composite color (A), green laser separation (B), red laser separation (C) and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 (D) of a 31-year-old male patient with vitreous hemorrhage of his left eye. Lesion appears dark in red & green laser separation image and autofluorescence image.

Page 8: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49

-이보람 외 :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의 망막 외 병변-

Optomap 색합성영상에서 중심부에 경계가 불분명한 병변

이 보인다. 녹색 및 적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저반사로 보이

고 자가형광 안저 영상에서도 저반사로 보인다. 도상검안

경 검사에서 유리체 출혈로 확인되었다(Fig. 6).

고 찰

본 연구는 최근 널리 쓰이는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Optomap 200Tx, Optos PLC, Dunfermline, Scotland, UK)

을 이용해 얻은 망막의 영상에서 발생하는 망막 외 병변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Optomap 200TX

는 망막 병변을 발견하기 위해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나14,15

전체 망막을 다 볼 수 없는 점, 3차원적인 구를 2차원적으

로 영상화하기 때문에 생기는 영상의 왜곡, 망막 앞의 구조

물로 인해 생기는 오류, 비용 문제 등으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1,16 또한 Khandhadia et al3의 연구

에서 Optomap을 이용한 망막 병변 발견의 민감도는 62%,

특이도는 96%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

으며, Pang and Freund17는 인공수정체안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로 실제로 망막 병변이 아닌데도 영상에서 나

타날 수 있는 ghost maculopathy라고 명명한 소견에 대해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은

무산동 상태에서 검사가 가능하며 주변부 망막 병변을 관

찰하는 데 유용하고 협조가 부족한 환자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초광각 주사레이

저검안경을 이용한 영상이 디지털 안저 카메라보다 영상

대조(image contrast)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9 이에 Optomap

을 이용한 영상에서 생길 수 있는 망막 외 병변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영상 해석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앞쪽 망막 외 병변은 뒤쪽 망막 외 병변에 비하여 적색과

녹색 레이저광 영상 모두에서 저반사로 보이는 경우가 많

았다. 녹색 레이저광은 망막색소상피층에서 반사되고 적색

레이저광은 맥락막층까지 투과 후 반사되기 때문에 상대적

으로 더 앞쪽에 위치한 앞쪽 망막 외 병변은 레이저광을 반

사하여 자체의 영상을 나타내기보다는 망막에 반사되어 오

는 빛을 차단하여 저음영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자

가형광 안저 영상에서도 반사되어 오는 빛을 차단하여 어

둡게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뒤쪽 망막 외 병변인 성상유리

체와 덱사메타존 유리체강내 삽입물의 경우 오류 병변 자

체가 적색 및 녹색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더 밝게 보인다.

또한 앞쪽 망막 외 병변이 상대적으로 망막에서 거리가 더

멀기 때문에 병변의 경계부가 모호한 경우가 많았다. 앞쪽

및 뒤쪽 망막 외 병변 모두 망막의 실제 병변이 아니기 때

문에 여러 장의 사진을 찍을 경우 위치가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앞쪽 망막 외 병변인 각막 혼탁의 경우 적색 레이저광 영

상에서 뒤쪽 구조물을 가려서 맥락막혈관이 잘 보이지 않

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각막 혼탁이 있는 경우에 가려

진 부분을 보고 싶을 경우 각도를 달리하여 찍거나 광학 카

메라를 이용한 안저 촬영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앞쪽 망막 외 병변인 백내장의 경우 백내장의 종류에

따라 위치가 다른 모습을 보였다. 후낭하형 백내장의 경우

주로 가운데에 위치하였고 피질형 백내장의 경우 주로 주

변부에 위치하였다. 후낭하형 백내장과 피질형 백내장 모

두 적색 및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저반사로 보였다. 적색

및 녹색 레이저광이 투과는 하나 일부가 흡수되어 망막 구

조물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양이 적어 전체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된다. 적색 레이저광보다 더 짧은 파장인 녹색 레이

저광에서 더 많이 흡수되어 더 어둡게 보인다.18,19 자가형광

안저 사진에서는 피질형 백내장의 경우 혼합 반사로 병변

이 잘 보이지 않았던 비율이 높은데 반하여 후낭하형 백내

장의 경우 빛을 차단하여 어둡게 보이는 비율이 높았다.

뒤쪽 망막 외 병변인 성상유리체증은 칼슘과 지방산의

화합물20로 적색 및 녹색 이미지광 영상에서 고반사로 보였

다. 성상유리체증의 경우 적색 이미지광 영상에서 중심부

의 병변일수록 안 보이는 경향을 보였는데 안구가 구 모양

이기 때문에 가운데 부분이 상대적으로 주변부보다 맥락막

에서 거리가 더 멀기 때문에 안 보이는 병변이 더 많은 것

으로 생각된다. 또한 녹색 이미지광에 비해 적색 이미지광

에서 안 보이는 병변의 비율이 높았는데 적색 이미지광의

파장이 더 길기 때문에 녹색 이미지광에 비하여 병변을 투

과하여 이미지를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안저 사진기와 달리 한 가지 파장의 빛을 사용하는 초광각

주사레이저 검안경 영상에서 성상유리체증에 의한 반사를

줄인다고 알려져 있다.21 자가형광 안저 영상은 망막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안구매체를 한 번만 통과

하기 때문에 병변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22

후유리체박리의 경우 중심부에 위치한 경우가 많으며 병

변이 이동하기 때문에 같은 날 찍은 사진에서도 위치와 모

양이 변하는 경우가 많았다. 적색 및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

서 고반사로 보이는 경우가 많았고 상대적으로 적색 레이

저광 영상보다 녹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고반사로 보이는

비율이 더 많았다. 후유리체박리는 병변에 직접 조명이 비

춰질 경우 고반사로 보이며 역조명이 비춰질 경우 어두운

그림자로 보였다.23

유리체 혼탁은 중심부 및 주변부에 다양하게 분포하며

Page 9: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50

-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

적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특히 저반사로 보인다. 유리체 출

혈의 경우 적색 레이저광 영상에서 고반사로 보여 유리체

혼탁과 구별되었다. 또한 후낭하형 백내장과 비슷하나 중

력의 영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차이가 있

었다. 덱사메타존 임플란트(Ozurdex®, Allergan, Irvine, CA,

USA)는 강력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덱사메타존 지속 방

출 유리체강내 이식제로 6개월에 걸쳐 서서히 덱사메타존

을 방출하게 되며 망막정맥폐쇄로 인한 황반부종 및 당뇨

병성황반부종 등에서 사용된다.24,25 덱사메타존 유리체강내

삽입물은 시간이 지나 조각이 작아지며 적색 이미지광 영

상에서 저반사로 변하였다. 이는 처음에는 덱사메타존 임

플란트에서 적색 및 녹색 이미지광을 전반사하여 고반사로

보이며 시간이 지나 임플란트 크기가 작아지며 반사되는

양이 적어지고 일부는 빛이 산란되어 저반사쪽으로 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후향적 연구로 앞쪽과 뒤쪽 오

류군의 표본수가 다르며 기존의 디지털 안저 카메라 등과

비교한 영상이 없는 점이다. 또한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

경은 환자마다 안저 촬영 시 빛을 투과하는 양이 다르기 때

문에 고반사 및 저반사 해석에 오류가 있을 수 있고, 배경

영상의 반사도 분포에 따라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준화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도상검안경을 통한 안저 검사

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영

상에는 망막 외의 다양한 종류의 전안부 및 후안부 병변에

의한 음영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음영은 그 기원에 따라

반사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들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안

저 영상을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Witmer MT, Kiss S. Wide-field imaging of the retina. Surv Ophthalmol 2013;58:143-54.

2) Oishi A, Hidaka J, Yoshimura N. Quantification of the image ob-tained with a wide-field scanning ophthalmoscope.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4;55:2424-31.

3) Khandhadia S, Madhusudhana KC, Kostakou A, et al. Use of opto-map for retinal screening within an eye casualty setting. Br J Ophthalmol 2009;93:52-5.

4) Fung TH, Yusuf IH, Smith LM, et al. Outpatient Ultra wide-field intravenous fundus fluorescein angiography in infants using the Optos P200MA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Br J Ophthalmol 2014;98:302-4.

5) Patel CK, Fung TH, Muqit MM, et al. Non-contact ultra-widefield imaging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using the Optos dual wave-length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Eye (Lond) 2013;27:589-96.

6) Patel M, Kiss S.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in reti-nal disease. Curr Opin Ophthalmol 2014;25:213-20.

7) Lee DH, Kim SS, Kim M, Koh HJ. Identifiable peripheral retinal lesions using ultra-widefield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and its usefulness in myopic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814-20.

8) Ahn SE, Kim SW, Oh J, Huh K. Ultra-wide-field green (532 nm) and red (633 nm) reflectance imaging of the "sunset glow" fundus in chronic Vogt-Koyanagi-Harada disease. Indian J Ophthalmol 2013;61:38-9.

9) Park SP, Siringo FS, Pensec N, et al. Comparison of fundus auto-fluorescence between fundus camera and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based systems.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Retina 2013;44:536-43.

10) Yokota R, Koto T, Inoue M, Hirakata A. Ultra-wide-field retinal images in an eye with a small-aperture corneal inlay. J Cataract Refract Surg 2015;41:234-6.

11) Sayegh RR, Dohlman CH. Wide-angle fundus imaging through the Boston keratoprosthesis. Retina 2013;33:1188-92.

12) Luttrull JK, Dougherty PJ, Zhao H, Mainster MA. Concentric ring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artifacts and dysphotopsia in dif-fractive multifocal pseudophakia.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0;41 Online.

13) Dunphy RW, Wentzolf JN, Subramanian M, et al. Structural fea-tures anterior to the retina represented in panoramic Scanning Laser fundus images.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08;39: 160-3.

14) Slotnick S, Sherman J. Panoramic autofluorescence: highlighting retinal pathology. Optom Vis Sci 2012;89:E575-84.

15) Purbrick RM, Izadi S, Gupta A, Chong NV. Comparison of opto-map ultrawide-field imaging versus slit-lamp biomicroscopy for assessment of diabetic retinopathy in a real-life clinic. Clin Ophthal-mol 2014;8:1413-7.

16) Kornberg DL, Klufas MA, Yannuzzi NA, et al. Clinical utility of ultra-widefield imaging with the Optos optomap compared with indirect ophthalmoscopy in the setting of non-traumatic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Semin Ophthalmol 2014;1-8.

17) Pang CE, Freund KB. Ghost maculopathy: an artifact on near-in-frared reflectance and multicolor imaging masquerading as cho-rioretinal pathology. Am J Ophthalmol 2014;158:171-8.e2.

18) Deli A, Moetteli L, Ambresin A, Mantel I. Comparison of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s acquired by the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488 nm excitation) and the modified Topcon fun-dus camera (580 nm excitation). Int Ophthalmol 2013;33:635-43.

19) Kirkpatrick JN, Manivannan A, Gupta AK, et al. Fundus imaging in patients with cataract: role for a variable wavelength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Br J Ophthalmol 1995;79:892-9.

20) Win PH, Young TA. Optos Panoramic200A fluorescein angiog-raphy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with asteroid hyalosis. Semin Ophthalmol 2007;22:67-9.

21) Ogino K, Murakami T, Yoshimura N. Photocoagulation guided by wide-field fundus autofluorescence in eyes with asteroid hyalosis. Eye (Lond) 2014;28:634-5.

22) Davies N. Comment on ‘Photocoagulation guided by wide-field fundus autofluorescence in eyes with asteroid hyalosis’: single and double pass of light in the ocular media. Eye (Lond) 2015;29: 149-50.

23) Akiba J, Ishiko S, Yoshida A. Variations of Weiss's ring. Retina 2001;21:243-6.

24) Totan Y, Güler E, Gürağaç FB. Dexamethasone intravitreal implant

Page 10: The Characteristics of Non-Retinal Lesions in the Ultra-Wide Field … · 2015-11-20 · 1744-대한안과학회지 2015년 제 56 권 제 11 호-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1751

-이보람 외 :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의 망막 외 병변-

= 국문초록 =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 영상에 나타나는 망막 외 병변의 특성

목적: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영상에서 생기는 망막 외 병변에 의한 음영의 종류 및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Optomap 200Tx (Optos PLC, Dunfermline, Scotland, UK)를 이용한 컬러 안저 영상 중 망막 외 병변에 의한 음영을

보이는 139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망막 외의 전안부 또는 유리체의 병변에 의하여 발생하는 고반사 또는 저반사의

음영을 망막 외 병변이라 정의하였다. 녹색 및 적색 레이저광 영상과 자가형광안저 영상에서 나타나는 망막 외 병변의 유형을 조사하

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영상의 망막 외 병변은 망막 외 병변의 원인이 되는 병변 위치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었다. 전안부 망막 외 병변으로는

각막혼탁, 백내장 등이 있었고 후안부 망막 외 병변으로는 성상유리체증, 후유리체박리, 유리체혼탁, 유리체출혈이 있었다. 앞쪽 망막

외 병변은 녹색과 적색 레이저광 모두에서 저반사도로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p-value<0.001). 뒤쪽 망막 외 병변은 녹색에서는 과반

사도로, 적색에서는 저반사도로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p-value<0.001).

결론: 초광각 주사레이저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영상에는 망막 외의 다양한 종류의 전안부 및 후안부 병변에 의한 음영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음영은 그 기원에 따라 반사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들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안저 영상을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11):1742-1751>

for chronic diabetic macular edema resistant to intravitreal bev-acizumab treatment. Curr Eye Res 2015;Jan:1-7. [Epub ahead of print]

25) Veritti D, Macor S, Lanzetta P. Early effects of dexamethasone im-

plant on macular morphology and visual function in patients with macular edema secondary to retinal vein occlusion. Ophthalmo-logica 2014;232: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