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s7.egloos.com/pds/200806/08/65/lecture_international... · 2008-06-07 · 환경에 적응하는...

112
<국제문화의 이해 강의자료> - 1주차 강의 소개 생략 - 원본 강의자료 외 필기 내용 일부 추가 - 본 자료의 포 및 상업적인 용도의 사용을 금합니다. - 자료제작: http://realheart.egloos.com

Upload: others

Post on 22-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국제문화의 이해 강의자료>

- 1주차 강의 소개 생략

- 원본 강의자료 외 필기 내용 일부 추가

- 본 자료의 재배포 및 상업적인 용도의 사용을 금합니다.

- 자료제작: http://realheart.egloos.com

《2주차》

1. 문화의 개념

· 세계의 인간과 문화에 대한 이해: 현대인의 필수

⇒ 인류학(Anthropology)의 발전 (1900년대 초기)

식민지학이라는 비판

· 인간의 체질인류학적 특성:

두뇌용량(1,450cc)이 크다거나 성장하는데 많은 세월

“문화”(culture)를 가졌다는 점 (문명과 문화는 다른 개념)

직립보행, 언어능력, 도구제작, 사고와 종교 등

→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게 끔 하는 요소

· 두뇌용량이 1,000cc 내외의 영장류들 (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탕, 원숭이)

- 사회생활, 능력 턱없이 부족

● 문화란 무엇인가? (어원: cultus - 경작하다)

· 크로버(Alfred Kroeber)와 클럭혼(Clyde Kluckhohn):

『문화: 개념과 정의의 한 비판적인 검토』 (1952)

총체론적인 전망(Totalistic View)과 관념론적인 전망(Mentalist View)

1) 총체론적인 전망(Totalistic View)

· 고전적인 정의:

타일러(Edward B. Tylor) - "문화(또는 문명)란 지식, 신앙, 예술, 법률, 도덕, 관습 그리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에 의해 얻어진 다른 모든 능력이나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합

총체“라고 규정

· 화이트(Leslie A. White)의 정의:

『문화의 개념』 (1977)

인간은 상징(Symboling)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이것이 문화의 기초라고 이해

예: 성수는 특별한 화학적 성분X - 교인들에게는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

· 총체적인 전망: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지식들로서의 도구, 기술, 사회적인 언어, 관습 신앙의 총

합체를 문화라고 정의

⇒ 문화란 한 인간집단의 생활양식의 총체 (총체론적 전망)

2) 관념론적인 전망(Mentalist View)

· 구조주의 인류학, 인지 상징인류학: 구디나프(W. H. Goodenough)의 정의

“문화란 사람의 행위나 구체적인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는 모델이요,

그 구체적인 형상으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추상에 불과하다”(1961)고 정의

예: 두 사람의 대화는 말(Speech)로 의사소통이 되는데, 이 말은 구체적, 실제적인 행동이

고 그 곳에는 규칙과 원리가 존재

⇒ 행동으로서의 말을 지배하는 규칙 또는 원리는 문장에서의 문법에 비유될 수 있고 이것

이 바로 문화

2. 문화의 속성

◆ 문화의 속성: 타일러의 정의에 기초하여 설명

① 문화는 공유된다

② 문화는 학습된다

③ 문화는 축적적이다

④ 문화는 하나의 전체(a whole)를 구성하고 있다

⑤ 문화는 항상 변한다

1) 문화 = 집단성원들에 의해서 공유 = 집단의 생활양식

예: 미국문화의 3대 특성

- 자동차(General Motors), 국방성(Pentagon), 십계명(The Golden Rules)

- 맥도날드 햄버거, 슈퍼볼, 할리우드

2) 문화 = 학습되는 속성

유년기로부터 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문화를 학습

언어의 학습이 대표적

3) 문화는 축적적이라는 설명

→ 인간의 문화학습이 지식의 축적으로 비롯

인류 선사시대(450만년)의 대부분은 비문자사회

문자 발명 이후 역사시대(1만년)

4) 문화는 하나의 전체를 구성

→ 문화가 수많은 요소들로 구성

예: 자동차의 구성 - 수많은 부속품

자동차 문화는 또 다른 문화와 결합하여 보다 큰 문화를 구성

문화요소 = 유기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세포에 비유

5) 문화는 가변성을 지나고 있다는 설명

→ 문화변동(문제해결방식의 모색과정 - 내외부적 요인)

→ 문화의 연속성(사회적 균형상태 유지)

3. 문화의 다양성과 유사성

(1) 문화의 다양성

인간의 삶의 기본적인 문제 ⇒ 문화적인 수단에 의해 해결

해결책은 다양

문화의 기능: 인간의 생물학적인 욕구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그 이상

예: 배고픔(자연, 본능, 욕구)의 해결 → 영양공급(음식물, 문화) → 음식물의 종류나 질, 양,

식사법, 요리법 다양 (자연 → 문화)

다양성 ⇒ 외국문화를 접했을 때 문화충격(Culture shock)을 경험

(문화충격의 개념, 요인들 결과)

문화충격 = 새롭고 생소한 사람 및 상황에 처음 접했을 때 느끼게 되는 혼돈과 방향감각의

상실

냄새, 소리, 맛, 공기, 언어와 행동, 관습, 제도 등이 문화충격에 기여

흥분과 생기, 위축, 침울, 질병, 적대감, 혼란, 방향감각 상실 등

민족이나 개인에 따라 충격의 정도는 각기 다름

- 우리의 김치냄새와 서양의 치즈 냄새

(문화인류학자들의 주요 연구방법)

현지조사를 통한 비교연구

연구대상: 전세계 민족의 다양한 문화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설명)

· 사회진화론자 - 사회의 진화과정에서 인류가 거쳐 온 다양한 단계를 거쳤음을 가르쳐 주

는 것

· 전파론자, 역사학파 - 전파된 문화의 수용 태세가 다르고 역사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

· 기능주의자 - 상이한 환경이 상이한 문화를 낳았다고 주장함으로써 문화의 “환경결정론”

을 주장

(2) 문화의 유사성

(인류문화가 유사성 또는 보편성을 가지는 근원에 대한 설명)

· 인간의 본능, 인간의 생리학적인 능력이 같다는 점

· 학습과정, 문화의 전파로 설명

· 문화의 전파에 따라 인류의 문화가 유사성을 띤다는 주장:

→ 문화의 기원지를 고고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

예: 음식문화

베이컨과 달걀 - 동남아시아, 커피 - 아라비아인들, 포크 - 중세 이태리, 스푼 - 로마, 옥

수수 - 아메리카 인디언들

· 문화는 다양성과 함께 유사성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의 마음 또는 정신에 초점을 맞춰 문

화의 바탕에는 언어에서의 문법처럼 “구조”가 존재한다고 하는 주장이 있다.

⇒ 끌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s)로 대표되는 구조주의

친족, 음식, 신화, 문자를 통해 인간 정신의 제일성을 찾고자 함

4. 문화상대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

· 다른 민족의 문화를 우리는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 (세상은 보는대로 있다)

문화를 보는 시각(관점)

→ 문화상대주의(Culture Relativism)

→ 자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

(1) 문화상대주의

(질문)

① “힌두교도들은 왜 소를 먹지 않는가?”

② “아프리카의 아샨티(Ashanti)족의 전사들은 영국 총독이 황금의 의자(The Golden

Stool)를 빼앗아가자 왜 승산 없는 민족봉기를 일으켰는가?” “회교도들은 왜 돼지를 혐오하

는가”

③ “멜라네시아의 대인(Big Man, 빅맨)은 왜 돼지 축제를 벌일 때 돼지를 무상으로 분배하

는가?”

④ “미국 원주민인 콰큐틀(Kwakiutle)족은 왜 증물의 교환인 포틀라치(Potlatch)를 행하는

가?”

등등이 두 가지 시각을 설명하기 위한 질문들이다

⇒ Marvin Harris(마빈 해리스)의 설명(문화유물론적 해석)

(문화상대주의의 요점)

· 문화는 단지 다를 뿐이지 우열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

· 다른 문화를 그 문화의 주인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입장

· 문화는 언어에 있어서의 일련의 법칙인 문법과 같은 것이므로 어떤 문법이 더 우월하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

(상세설명)

· 각각의 문화는 그 사회에서는 적당하고 충분한 것이라는 뜻

예: 도로에서 놀던 어린 자식을 자동차에 치기 직전에 구해내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던지는

한국의 어머니에 대한 태도

→ 서양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하나, 우리는 끝없는 모성의 표현으로 이해

· 문화의 해석을 상대적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

(질문)

· 보신탕을 먹는 한국인, 중국인과 강아지의 성대를 자르고 임신중절 수술을 시키는 서양사

람들을 우리는 어떻게 비교할 수 있는가?

⇒ 한국인에게는 김치 냄새와 마늘 냄새

서구의 지하철에서 아침마다 맡게 되는 썩은 치즈 냄새

(2) 자민족중심주의

(자민족중심주의의 요점)

· 자기 민족의 문화를 가장 중요한 문화 해석의 기초로 삼는 입장

· 서구문화를 인류문화의 최정점에 두고 다른 문화를 평가하는 것

· 소위 “식민주의적 사관”은 이에 해당

예:

· 나찌 독일의 민족관 (유태인 학살)

· 중국의 중화사상

· 백인 우월주의가 그 대표적인 예

⇒ 1994년 4월 민주선거를 한 바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흑백차별정책(Apartheid): 자민

족중심주의의 대표적인 사례

(과거 - 백인 전용의 버스, 학교, 음식점, 화장실, 거주기, 휴양지 설치)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반론)

· 이미 서구 문화의 영향을 받은 변형된 문화를 연구하는데 한계점

· 뉴기니아의 “시체애호풍습(Necrophilia)": Berndt, 1962

여자가 죽으면 그녀의 아들들이 시체와 성관계를 갖고 창자를 빼내어 의례에 사용

⇒ (의미) 시체에 대한 존경의 표시

내세에서 사자의 평안을 보장받기 위함

인간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적절성이 의문시

· 베이츠(Daisy Bates, 1967)의 보고:

중앙 호주의 서쪽 변방지역에 사는 호주원주민들의 식인풍습

원하지 않는 임신의 경우, 자녀가 출생하면 아이를 살해하여 산모의 자녀들이 분배하여 먹

는다고 함

→ 인구조절, 적자생존원칙의 고수, 가족제도의 유지, 식량난 해소 등에 유용하다고 하나 그

타당성이 의문시

◆ 한국사회의 인공유산에 대한 관념들

1990년 현재, 1년간 150만 건의 인공유산 (남아선호사상)

<참고문헌> - 생략

≪3주차≫

1. WTO의 출범배경

· 세계의 인간과 문화에 대한 이해: 현대인의 필수

⇒ 인류학(Anthropology)의 발전, 식민지학이라는 비판

· “국제화, 세계화, 개방화” 용어:

1993년 11월 15일 -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의 우루과이 라운드(UR)협상이

타결 이후 한국사회에 전면적으로 등장

·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발족:

비정부기구(NGO)들이 연대하여 세계화반대시위

(1)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 관세장벽과 수출입 제한을 제거하고, 국제무역과 물자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1947년

제네바에서 미국을 비롯한 23개국이 조인한 국제적인 무역협정

1) 설립연도: 1947년

2) 설립목적: 관세장벽과 수출입 제한의 제거, 국제무역과 물자교류의 증진

3) 본부소재지: 제네바

4) 가입국가: 116개국

(2)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체제

를 대신하여 세계무역질서를 세우고 UR(Uruguay Round of Multinational Trade

Negotiation: 우루과이라운드) 협정의 이행을 감시하는 국제기구

1) 설립연도: 1955년 1월 1일

2) 목적: 세계교역 증진

3) 주요활동: 국가 간 경제분쟁에 대한 판결권과 그 판결의 강제 집행권을 이용, 규범에 따

라 국가 간 분쟁이나 마찰 조정

4) 가입국가: 149개국(2005년 현재)

5)본부소재지: 스위스 제네바

2. 세계화와 국제화

(1) 인간과 문화의 상관관계: 세계화와 국제화

· 인간과 문화의 상관관계:

“인간은 무화 때문에, 그리고 문화에 의하여 만들어진 동물이다.”

인간과 문화에 대한 이해: 국제화되기 위한 하나의 방편

◆ 다른 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생기는 일들:

① 돌박이 백인 꼬마의 고추를 만져보다가 유아성폭행죄(Child Abuse)로 입건되는 할머니

② 외국에서 아내 폭행죄로 이웃에 의해 고발되어 집에서 쫓겨나는 한국인 남편

③ 음주운전죄로 경찰관에게 적발된 뒤 뇌물을 주려다가 구속되어 재판 끝에 벌금형을 받고

국외 추방되는 회사원

④ 외국인에게 지나치게 친절을 베푸는 한국인

(2) 세계화

· 세계화지수(Globalization Index)

미국의 국제외교 분야 전문지인 <포린 폴리시>가 각국의 세계화 정도를 평가해 매년 1월에

발표하는 지수

· 주관: 미국의 <포린 폴리시 Foreign Policy>

· 대상: 세계 인구의 85%를 차지하는 주요 62개국

· 내용: 국제기구 가입 및 대사관 유치 등과 관련된 각국의 정치적 참여

· 인터넷 사용자 수 및 인터넷 호스트 등과 관련된 기술

· 해외여행과 국제전화 통화 정도를 토대로 한 개인의 국제화

· 교역, 대외투자, 포트폴리오, 자본이동 등과 관련된 경제통합 등

· 한국의 세계화지수:

2002년 31위에서 2003년 28위로 3단계 상승

· 2003년의 한국의 지표별 순위:

인터넷 사용자 수 5위, 평화 유지 9위, 대사관 15위, 기술 15위, 국제기구 19위, 교역 23

위, 자본이동 24위, 전화 28위, 인터넷 호스트 31위, 정치 33위, 관광·여행 39위, 경제 40

위, 개인 42위, 외국인 직접투자 50위, 수입 지출 50위를 차지

· 세계화의 순위:

1위: 아일랜드

- 하이테크와 정보기술(IT) 관련 투자유치 등에 힘입어 1위를 차지

2위 이하: 스위스, 싱가포르, 네덜란드의 순

기타순위: 미국은 11위, 타이완은 34위, 일본은 35위, 중국은 51위

(3) 국제화

1) 국제화에 대한 김중순 교수의 정의:

“국제화란 개인이나 집단 혹은 한 나라가 그들이 속한 영역을 초월해서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국제화는 다분히 자율적인 선택이지만 그러한 선택은 새로운 국제적인 질서와

규제에 따르는 것을 전제로 한다.

국제화는 일반이 우려하듯이 우리 고유의 법질서와 경제활동, 문화전통을 상실하는 것은 결

코 아니다. 그러나 국제화를 택함으로써 국제질서에 따라야 하는 국제규제 측면 때문에 국

제화를 택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

2)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한 나라가 경제, 환경, 정치, 문화적으로 다른 여러 나라와 교류하는 것

· 국가의 국제화는 오랜 역사

· 21세기의 국제화란 전지구화를 필두로 하는 다차원적인 변화를 의미

· 한국을 예:

국제화가 가장 두드러지는 분야는 경제 부문(무역, 외국의 기계 기술, 디자인 등)

자본의 대외 의존도

정치 부문: 분단이라는 숙명적 조건과 국제적 연계성

문화적 국제화: 쇄국의 울타리 붕괴 후 끊임없이 진행

고급문화(학문, 예술)와 대중문화

· 국제화: 세계화·지구촌화해 가는 오늘날의 국제환경에서 필수불가결한 정책

부정적인 결과들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비 필요

· 예: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대외 종속의 심화

문화적 정체성의 약화

비생산적이고 불건전한 외래 대중문화의 유입 등

문제들을 예방해 나갈 수 있는 대응전략 (국제화 정책에 포함)

⇒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 경제개발의 발전 전략 강구

독자적인 기술혁신을 위한 기초과학 육성 및 외국기술 도입

세계문화의 과감한 수용에 상응하는 우리 문화의 적극적인 해외전파

전국민의 국제감각 고취(어린 시절부터 외국어교육 등을 포함한 교육과정 개선)

◆ 국제화와 세계화의 개념 차이와 문제점:

“세계화”란 용어의 등장 - 1994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대두

정부에서 1995년을 “세계화의 원년”이라 선언

◎ 문화인류학적 시각에서 보는 “세계화”

자칫하면 우리의 민족 정체성(Ethnic Identity)과 고유전통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점

에서 주목할 필요

세계의 모든 국가와 민족은 이미 오래 전부터 “서구화”의 길

우리의 경우는 서구화 보다는 훨씬 좁은 의미의 “미국화”의 길(?)

· 영국 옥스퍼드대학의 데니스 노불교수(2001):

“세계화로 인한 경제, 문화 단일화의 조류 속에서 살아남고 번창하기 위해서는 강한 민족문

화가 있어야 한다.”

세계화가 문화의 다양성을 위협

문화적 전통이 강한 나라에서조차도 ‘문화의 미국화’라는 위협

◎ 세계화와 민족문화:

- 이슬람 교리의 가르침이 생활이요 범인 회교도

- 아침저녁으로 신사참배하며 천황을 신격화하는 일본인

- 외래 종교에 열광적인 한국인

- 서구 열강에 항쟁하여 끝내는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이라크인

- 천년의 방황 끝에 독립국가의 꿈에 부풀어 있는 팔레스타인 민족

◎ 한국문화의 세계화

한국문화의 대표적 브랜드 -

한국어, 김치, 비빔밥, 빈대떡, 효사상, (온돌)

3. 자유무역주의

·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 무역정책에 대한 논의: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가 대립

(1) 자유무역주의(System of free trade)

비교 생산비의 원리(Theory of comparative costs)를 근거로, 국가가 무역에 대해서 간섭

을 하지 않는 자유무역이 경제적으로 자국에 유할 뿐만 아니라 국제경제에 대해서도 유리하

다는 주장

· 자유무역주의는 중상주의에 반대하여 주장

· 19세기: 관세의 인하를 구체적으로 내용

· 20세기: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수입제한, 외환관리제와 같은 직접적 무역통제의 폐지를

구체적 내용

· ⇒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는 무역의 자유화를 위하여 마련

(2) 보호무역주의(Protectionism)

경제발전이 뒤늦은 나라 중심

자유무역 - 국내의 기존 산업 또는 장래 발달의 가능성이 있는 산업

외국과의 경쟁에 의해서 위협을 받거나 발달의 기회를 상실

국내 산업의 보호를 위하여 수입을 제한하여야 한다는 주장

·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오늘날까지 꾸준히 무역정책상의 논쟁의 대상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세계 각국의 무역정책 = 균형무역주의

4. 세계화에 대한 각 민족의 대응

◆ 20세기와 21세기의 문화:

· 20세기 - 정치, 외교, 군사, 경제, 문화적인 측면에서 분석(여중철)

· 1900년대-1950년대까지의 시기: 정치, 외교식민주의시대

전 서계의 후진국들은 미국을 비롯한 서구의 여러 선진국에 의해 정치, 외교, 군사적으로

식민통치의 지배를 받아오다가 독립을 이루어내는 시기

· 1960년대-1980년대: 경제식민주의 시대

신생독립국가들은 선진국의 앞서나간 경제에 다시 예속

· 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 문화식민주의시대

경제를 대신하여 영화, 음식 등 문화의 영향

하리우드의 액션영화, 코카콜라, 맥도날드 햄버거, 피자 등 세계적 식품

· 21세기 - 문화의 시대, 문화가 금세기를 의미하는 하나의 화두

◆ 세계화에 대한 지역별 대응:

· (미주대륙)

2001년 4월 캐나다 퀘벡

제3차 미주정상회담에 참석한 미주 34개국 정상들

미주대륙 전체를 단일시장으로 묶을 미주자유무역지대(FTAA)를 2005년 12월부터 출범시

키기로 결정

· (유럽대륙)

유럽연합(EU)

2005년 5월 1일

회원국이 15개국 → 25개국으로 증가

EU는 미국 경제에 맞먹는 거대한 경제권으로 부상할 전망

신참국가: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

아, 키프로스, 몰타

⇒ 제2차 서계대전 이후 냉전체제로 반세기 넘게 갈라졌던 동,서 유럽은 통합. 명실공히 유

럽합중국 탄생의 발판을 마련

EU의 인구: 3억 8백만명에서 4억 5천만명으로 대폭증가

국내총생산(GDP): 9조 4천억달러

교역규모: 2조 3천억달러로 확대(세계 경제의 20% 이상)

· (아프리카대륙)

2001년 3월

40여개국 정상들이 리비아에 모여 아프리카 대륙을 정치, 경제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아프리

카연합(AU) 창설을 선언

⇒ 유럽엽합(EU)을 본 뜬 것으로 공동의 중앙은행, 의회, 법원설치, 단일 통화 창설 등을

주요내용

· (아시아대륙의 대응)

동남아경제협력기구(ASEAN)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 기구(APEC)

· 아시아 연합(Asia Union)의 창설은 가능할 것인가?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한국 중심

· 동북아국가간의 갈등 재연:

고구려문제, 독도문제, 중일간 국토문제, 신사참배 등

· 우리나라에서의 세계화:

합리화, 일류화, 한국화를 의미

◆ 세계화의 두 얼굴:

① 신자유주의 세계화

개방화, 자본과 기술, 정보의 이동, 탈규제화, 자유무역, 경제협력, 성장과 번영, 초다국적

기업, 세계금융자본, IMF, WTO, 자유무역협정

② 실업과 빈곤의 세계화, 경쟁과 분열의 세계화

20대 80의 사회, 문화의 획일화, 삶의 질과 민주주의의 후퇴, NGO의 연대저항

≪4주차≫

1. 다른 문화를 보는 시각(관점) - (생략: 2주차 내용과 동일)

2. 문화의 연구방법

· 문화인류학자들의 주요 연구방법: 현지조사를 통산 비교연구

· 연구대상: 전 세계 민족의 다양한 문화

· A Truth (A kind of Truth): 하나의 진리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종교에 따라 변화

· The Truth (The Absolute Truth): 절대적 진리

영원무궁의 진리

· 과학의 목표 = 절대적 진리의 추구

그러나 모든 과학이 절대적 진리를 추구하는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2=3 Right or False?

여기에는 10진법이라는 전제가 있다

· 따라서 세상은 보는 대로 있다

(1) 인류학자와 현지조사

19세기말 탐험대: Berling(베링) 해협, Torres 해협

Henry Schoolcraft (헨리 스쿨크래프트)

Lewis H. Morgan ⇒ American Indian 친족 호칭조사

*Arm-chair Scholar

20세기, Franz Boas (프란츠 보아스) ⇒ 에스키모족, 북서부 인디언 조사

A. R. Radcliffe-Brown(브라운): Andaman(안다만) 도

B. Malinowski(말리노브스키): Trobrland 도 - 성생활, 종교

“참여관찰” - rapport의 조성(어떤 사람에게 가능한대로 전면적으로 참여하고 관찰할 수 있

도록 허용하는 호의의 감정)

* 인류학자가 겪는 어려움: Oscar Lewis(오스카 루이스)의 인도 현지조사: 숙원사업

▶ 현지조사의 단계:

- 언어습득, 지도 작성

- 가구조사, 인간관계조사

- 참여관찰

* 문화인류학자의 현지조사 일화: (생략)

(2)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B. Malinowski(말리노브스키)(1884-1942) 1922 "서태평양의 항해자“

(참여관찰의 요점 - 핵심포인트)

주민들의 일상생활 - 싸움, 농담, 가족의 모습, 평범한 사건 등 행동방식, 감정, 오락, 놀이

⇒ 원주민들과 친밀 ⇒ 성공적 현지조사의 전제조건

* 최소한 1년간 동거

언어 학습, 각종 행사와 사건에 참여하여 관찰

인류학연구의 주요조사도구(인류학자 자신이 도사도구)

명확, 상세한 기록(기술) - 추상의 수준을 낮출 것

(전제)

이론적 무장(훈련), 주관의 객관화 필요(관찰의 개인차)

(3) 현지조사의 제도구

1) Key-informant interviewing(주요제보자면접)

참여관찰을 확인하고 보강하는 조사도구

현지주민의 경험 중요시

그럼 누가 주요제보자가 될까?

실례: Shamanism 연구 - 무당(강신무, 세습무), 굿주인, 굿당주

친족연구 - 종손, 문장, 유사

어촌마을 연구 - 이장, 어촌계장, 선주

2) Collection of Life Histories(생애사자료의 수집)

개인의 생애사가 그 지역주민의 역사를 대표할 수 있을까?

공동의 역사, 대표성 인정

3) Questionnaries(질문서)

개방형, 폐쇄형 질문서 - 각기 장단점

4) Projective Techniques

- Anna Freudd(안나 프로이드)의 투사 “Projection"

임상심리학자들이 발전

심리학적 검사들 - 인류학자들이 비교문화연구에 사용

(대표적인 검사)

Rorschach ink - blot Test (로르샤하 잉크흔적검사)

Thematic Apperception Test (주제통각 검사)

5) 현지조사의 기술적 장비

- 녹음기, 카메라와 사진 (Visual Anthropology의 등장)

영사기와 캠코더

(4) 신민족지의 접근방법

· 과학적 조사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조사과정의 서술 필수

· 분석에 있어서 조사자인 외국인의 입장에서 결과를 분석하는 etic approach 사용

· 1960년대에 들어서서 신민족지(New Ethnography)가 등장

⇒ 피조사자인 내국인, 원주민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emic approach 사용

(insider's point of view, actor's point of view, native's point of view)

· Marvin Harris(마빈 해리스)로 대표되는 ethicist들:

- 관찰단위로 비언어적 행동(non-verbal behavior)을 중요시

- Robbibns Burling, H. C. Conklin, Kennety Pike등 New Ethnography의 대표자들

(eticist): 언어적 행동(verbal behavior)을 관찰단위

- 친족연구, 특히 친족호칭(kinship terminology)

(소결)

· 인류학자들의 현지조사에는 가능한 한 모든 조사방법이 동원

· 올바른 분석 가능

· etic approach와 emic approach는 모두 장단점 보유

(5) 인류학방법론의 강점과 단점

1) 인류학방법론의 강점:

· 다른 사회과학들: 여러 가지 조사도구를 이용한 통계처리에 전적으로 의존

· 인류학방법론의 최대 강점: 조사대상이 되는 민족 또는 주민들에게 직접 뛰어 들어가 같

이 생활하고 의사를 교환하며 그들의 행위를 관찰하는 참여관찰법(participant observation)

을 조사도구 중 가장 중요한 것

· 장기간, 때로는 몇 년씩 - 현지조사 = 그들 사회에 대한 이해를 보다 정확히

2) 인류학방법론의 약점:

· 그 중 가장 중요한 것: 현지조사를 행하는 인류학자 자신이 그의 직업, 교육, 주변 환경에

서 영향 받은 편견이나 관점을 가지고 조사대상자를 관찰하는 점

· 실례:

오스카 루이스(Oscar Lewis, 1951, 1960), 로버트 레드휠드(Robert Redfield, 1941,

1960)의 멕시코 테포뜨틀란(Tepoztlan) 마을생활에 대한 논쟁

⇒ 같은 지역을 조사했으면서 각기 다른 연구결과를 보인 것으로 유명

(가치판단의 기준이 다른데서 나타남)

이 외에도 인류학은 비논리적이고 근거가 약한 토대에서 설명하고, 첫 인상으로 보아 명제

를 구성하고, 애매모호한 이론을 내세운다고 하여 인류학은 과학이 아니라고까지 말한다.

3) 인류학방법론의 보완책:

인류학방법론이 과학성을 띄기 위해서는,

① 문제의 진술(제기)과 연구의 목적이 진술

② 개념규정의 명확화(연구단위, 변수의 규정 등)

③ 조사관찰의 절차 규명

④ 논리적인 분석

⑤ 연구결과를 다른 사람이 반증할 수 있도록 구성

인류학자들도 연구방법을 발전시킬 필요성

이에 대한 효과는 개인적 편견을 극소화할 것

직관을 체계화하고 증명할 수 있으면 더욱 좋은 방법

개인적 편견을 없애기 위해서는

① 양화와 통계분석을 사용

② 조작적 정의

③ 전통적 인류학 조사방법인 직관을 사용

참고자료: 꾸바드(couvade) 증후군

남편이 임신 중인 아내와 함께 식욕 상실, 매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아내의 임신과 출산 주에 나타나는 남편의 여러 가지 심리적, 신체적 증상들을 영국

의 정신분석학자인 트리도우언은 ‘꾸바드 증후군(Couvade Syndrome)'이라고 불렀다.

꾸바드는 불어의 ‘couver'에서 온 말로 ’알을 품다, 부화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꾸바드

증후군은 임신 3개월경에 가장 심하다. 그리고 점차 약해지다가 임신 말기가 되면 또다시

심해진다.

이 증상은 비단 신체적 증상에만 그치지 않고 우울증과 긴장이 고조되고 신경과민적인 심리

적 증상으로도 나타난다.

≪5주차≫

▣ 국민성과 사회적 성격

1. 심리인류학에서의 사회적 성격

심리인류학 - 대다수 사람들의 인성특성을 취급

이 특성은 대부분 또는 전부에서 각기 조금씩 차이를 가지고 분배

Franz Boas(프란츠 보아스)에 의하면, 특성화란 많은 사람들에게서 발견되고 이로써 강한

인상을 주는 제 특성들을 단순히 개념화한 것을 의미한다고 함

이렇게 체계적으로 집단을 이루고 있는 제 특성을 어떤 한 사회의 성격이라 한다.

사회적 성격 = 정신생활의 최고형태(Emile Dukheim, 에밀 뒤르껭)

민족인성(ethnic personality)(Georage Devereux, 조지 드베르)

사회전체에서 발견되는 personality특성들 (J. Honigmann, 호니그만)이라 함

1) Margaret Mead의 연구

마가렛 미드에 의하면, 문화와 인성은 개인에 반영된 문화를 연구하는 것이라 하고 민족성

이 아동들에게 어떻게 학습되는가를 연구.

정신분석학자가 심층적인 데에 집중하는데 비해, 미드는 오히려 인성에 직접 접근하기 보다

는 태도를 통해 조사하는 우회적인 방법을 많이 씀

이러한 미드의 접근방법의 이론적 기반은 다음 4가지 가정 위에 성립된다.

① personality를 각각의 전체적 체계라고 보는 holism(총체론적)의 입장을 취함.

여기서 전체적으로 조작된 체계를 집중적으로 관찰하려면 전문적으로 잘 훈련된 관점이 필

요하다고 함.

② 문화적 차이를 제외하고, 인간에게는 누가나 동일한 기본적 인간본성을 가지고 있다.

③ 대표성(representitiveness)의 문제로, 그 사회의 모든 성원은 그 문화를 대표한다고 보

는 것이다.

즉, 동질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④ 모든 성원에게서 민족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J. Honigmann(호니그만)은 동질성이란 얻기 힘들며 일탈자(deviant)는 어느 문

화에나 있는데 그들의 행동, 사고도 대표적인 것으로 보느냐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고 있

다.

2) Erich Fromm(에리히 프롬)의 연구

미드의 동질성 보다 더 추상화된 개념을 내세운 프롬은 사회적 성격(social personality)을

똑같은 생활방법을 가진 사람들이 느끼고 인식하는 방법이라 하였다.

그는 집단공통의 경험과 생활양식에서 사회적 성격의 기원을 찾고 있었다.

그는 사회가 성격을 결정한다는 사회결정론자이지만, 기본적인 본능이 사회를 제어한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는 칼 맑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3) A. Kardiner의 연구

카디너는 social personality와 basic personality를 동일시하고 개인의 사회적 관계, 특히

다른 사람과의 만족한 관계를 이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personality 요소에 관심을

가지고 personality를 체계적이고 고정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가 1차적 제도를 강조한 것은

정신분석학적 입장에 있기 때문이다.

그는 Papua(파푸아)도민의 어린이의 성장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 민족에서는 아이를 낳자마

자 어머니가 일을 하러 나가니까 공격성이 나타나는데, 이를 남자는 축제에 투사하고 여자

아이는 가사를 돌보기 때문에 자존심(self-esteem)이 높다고 하였다.

카디너는 기본적 personality가 어떠한 활동을 하느냐를 보기 위해 1차적 제도(primary

institution)와 2차적 제도(secondary institution)라는 용어를 만들어내고, 이들 제도와

basic personality간에 순환이 계속된다고 하였다.

2. 국민성 연구

국민성의 연구는 그 국민들을 중상했다는 어려운 국면에 들어서게 되는데, 특히 social

personality에 대해서는 그 이론과 방법론의 정확성에 대해 많은 비판이 있어 문화와 인성

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크게 위축받게 되었다.

1940년대 후반, 그 전성기가 지나고 인류학자들이 심리학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 이들은 social personality의 특성을 연구하기 보다는 Rorschach Test나 T.A.T등 투사

적 기술에서 객관적인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기에도 문제는 있다.

⇒ 즉, 이러한 조사기술들은 개인에게 굴절된 것이기 때문에 문화를 전적으로 다룰 수 없다

는 난점이 있다는 것이다.

J. Honigmann(호니그만)은 심리인류학을 아주 악평하는데, 인간이 기계처럼 그렇게 정밀한

객관타당성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데 그 이유가 있다.

국민성연구를 꾸준히 해온 M. Mead(마가렛 미드)는 내적 변화라는 문제를 고려해 넣었다.

⇒ 즉, 내적 변화를 국민성의 sub-type의 표본으로 보려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국가제도는

각기 다른 계급, 지역, 직업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것을 이유로 들고 있다.

그 외에 A. F. C Wallace와 Spindler 교수 부부 등이 통계적 방법이나 또 다른 복잡한 방

법에 의한 이질성의 문제에 초점을 돌렸다. 이들은 하나의 personality 형태를 찾으려 한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특수한 집단과 범주에 알맞은 여러 personality를 찾고자

하였다.

여기서 월래스는 modal personality라는 개념을 내세웠다

⇒ 이것은 개념규정에 의한 것이 아니고, 통계에 의해 가장 빈도수가 많은 것이 modal

personality라는 것이다. (모달 퍼스널리티)

문화를 단순한 personality의 최빈치로 보느냐, 아니면 여러 개의 personality의 형태가 혼

합되어 있는 것으로 보느냐 하는 것

⇒ 부분적으로는 그 사회성원들이 문화적으로 얼마나 다양 하느냐에 달려 있다.

1) 국민성 연구의 동기와 방법

예) 영국인 - 점잖다

프랑스인 - 감정적

독인인 - 근면하다

일본인 - 악착같다

한국인 - 정에 약하다

* 영국인의 프랑스인에 대한 편견

** 한국인의 일본인에 대한 평가

*** 아일랜드 사람과 영국인 간의 민족감정

-- 아일랜드인의 기네스(Guiness) 사랑

조지 드베로(George Devereux): "민족인성(ethnic personality)"

프란츠 보아스(Franz Boas): "국민성(national character)"이라는 용어 작명

◆ 국민성연구의 동기:

제2차세계대전을 경험하면서 적국으로 비서구문화의 전통을 가진 일본을 연구할 필요성을

느끼게 됨.

국민성연구의 전제에는 첫째, 국민은 부족과 달리 연령, 성, 직업, 계층 등이 다양하지만 같

은 국민으로서 문화의 특성을 공유하기 때문에 문화가 규정한 성격적 특성을 공유한다는 것

이다.

둘째, 같은 육아양식에서 성장한 개인은 유사한 성격을 가질 것이라는 전제가 그것이다.

◆국민성연구의 방법:

현지조사가 불가능할 경우(예를 들어, 전쟁 중일 경우), 이민자, 전쟁포로를 조사하거나 영

화, 잡지, 신문, 자서전, 문학작품 등을 문헌자료로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 역사적 연구의 병

행 필요

2) 국민성 연구의 실재

루스 베네딕트(Ruth Benedict)의 일본국민 연구가 대표적

- 1946 “국화와 칼”

미국 국무성의 의뢰로 연구 시작(베네딕트는 미국 군사정보실 근무)

*그레고리 배트슨(Gregory Bateson) - 작전관실 근무

마가렛 미드(Margaret Mead) - 영국의 군사정보실 근무 경험

◆ 제2차 세계대전이 진행되면서 국민성 연구 집중

- 베네딕트, 고러(G. Gorer)의 일본 연구

- 에리히 프롬, 랭거의 독일 연구

- 고러의 러시아인 연구

- 미드, 리스만의 미국인 연구

- 슈의 미국인, 중국인 연구

3) 미국인의 성격

◆ 초기 미국개척민들에 미친 영향들

① 청교도주의

② 초절주의 (절제)

③ 계몽주의

◆ 인종전시장 미국

◆ 미국인의 성격

① 개인주의와 자유주의

② 정보다는 실리를 따지는 사람들

③ 자원봉사와 기부금의 천국

④ 의사보다 변호사가 더 필요한 사회 (법이 중요시)

4) 일본인의 목욕문화

◆ 목욕을 자구 하는 일본인

일본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하루에 몇 번꼴로 목욕을 한다고 한다. (이와 관련한 에피소드)

일본문화비평가 프랑스인 폴 보네:

외국여행중인 일본인 단체 관광객이 투숙하면 호텔의 보일러공들이 철야작업을 해야한다라

고 할 정도라 한다.

(일본인의 목욕 배경)

① 단순히 몸을 깨끗이 씻는 청결의 의미

② 기후 풍토론적으로 설명

청결훈련 - 대소변훈련(Toilet Training) → 일본 주거환경과 관련 (다다미 방)

→ 일본이 아열대성의 고온 다습한 기후 풍토이기 때문에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목욕을 자

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습기가 많아 체감온도가 훨씬 높고 불쾌감이 높아진다.

하지만 이것으로 일본의 목욕문화를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다.

(예) 경제가 발달하여 대도시가 성립되고 서민문화가 향상되었던 1830년대에도 부를 축적

한 개인이나 상점 같은데도 목욕탕이 없었다. 실제로 도시의 대중 목욕탕이 널리 보급된 것

도 근세에 접어들면서부터이다. 그러므로 일본의 각 가정에서 개인 욕실을 갖게 된 것은 이

보다 훨씬 이후로 보아야 한다.

각 가정에 욕실을 설비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상당한 경제적 부를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이

다. 그렇다면 일본인들이 오늘날 같이 목욕을 매일 또는 이틀에 한 번씩 하게 된 것은 비교

적 현대에 생긴 생활 습관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습기가 많은 기후가 이 목욕습관 전부를 대변할 수는 없다.

③ 겨울을 난방 수단과 결부시켜 설명하는 해석:

일본인 후루타 히로시

→ 한국인은 온돌을 통해 겨울을 따뜻하게 나며,

일본인들은 목욕을 통해 추위를 견딘다고 하기도 하였다.

(일본인의 입욕시간)

이들은 아침에 목욕을 하지 않는다.

⇒ 일본목욕탕의 영업시간 = 오후 4시부터 12시 정도까지 영업

이것의 의미: 목욕이란 하루의 일과를 마치고 쌓인 피로를 푸는 행위로 인식

한국목욕탕의 영업시간 = 이른 새벽에 열어 저녁에 문을 닫음

만약 아침에 목욕을 하면 게으르고 사치스럽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그 단적인 예로 ‘아침잠, 아침술, 아침목욕’을 좋아하다가 재산을 탕진하고 말았다는 오하라

쇼오스케라는 인물에 대한 이야기가 어린이들이 부르는 동요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 남녀혼욕 (일본의 목욕풍속)

→ 남녀혼욕

오늘날 혼욕은 도시에서 완전히 그 모습을 감추었고 시골 온천지방에서 가끔 남아있긴 하

다. 온ㄹ날에는 혼욕이 일부 지방에 국한되어 있지만 불과 130여년 전만 하더라도 도회지

에서 혼욕이 일반화되었던 것이다.

(예) 1853년 4척의 군함을 끌고 가 미일화친조약을 체결한 미국의 페리 제독:

당시 일본의 혼욕을 신기하게 생각하였는지 그의 저서 『일본원정기』에서 혼욕에 대한 그

림을 싣고 있다.

일본의 남녀 혼욕에 관한 최초의 기록: 713년경의 문헌인 『출운풍토기』

오늘날 노천온천과 같은 곳이 있는데 남녀노소 구별 없이 함께 들어가 목욕하면서, 주연을

베풀고 놀았으며, 또 그 온천물로 병을 치료했다고 한다.

→ 고대로부터 내려온 오래된 풍습(그 당시에 온천수로 병을 치료)

임진왜란 이후에도 막부시대에 남녀혼욕을 금지시키는 훈령을 내려도 대중목욕탕 업주들은

좀처럼 이를 시행하지 않았다(나무로 만든 칸막이만 중앙에 쳐놓고 똑같은 욕조에서 남녀가

목욕)

문명개화를 부르짖었던 명치정부:

구습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금지령

특히 외국인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던 남녀혼욕을 금지시키는데 노력

1870년 혼욕은 물론 밖에서 벌거벗은 손님이 보이지 않도록 발을 치도록 명

1890년 도쿄에서는 7세 이상이 되면 혼욕을 못하도록 금지(이때부터 혼욕은 사라짐)

◆ 시욕

보통 목욕이라 할 때는 자신의 신체를 자기가 깨끗이 씻는 행위

일본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목욕을 시키는 풍속이 있는데, 이것을 보통 시욕이라 한다.

(시욕을 하는 이유)

공덕을 쌓는 것이라 하여 옛날에는 많이 행하였다.

엄격히 말해, 종교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

시욕에 관한 기록을 보면, 자신의 적선이나 자신이 죽은 후 자기의 명복을 빌기 위해 불교

사원의 욕실을 이용하여 승려나 일반인 또는 천민 및 죄인까지 시욕을 베풀었다고 한다.

특히 사자의 추선을 위한 시욕의 경우, 욕탕에는 회향받을 수 있는 고인의 위패가 안치되고

그 앞에는 향불을 피웠다. 이때 입욕자들은 목욕하기 전과 후에 절을 하고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이런 풍습은 최근까지 남아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고인의 위패가 10여 개나 되는 경우도 있

었다고 한다.

◆ 호색과 목욕

(목욕의 목적)

① 종교적 의미에 따라 행하는 것

마을 동제를 지낼 때 제주로 뽑힌 자가 제사를 지내기 전에 매일 목욕 재계를 하는 것은 바

로 종교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

② 위생의식

우리가 보통 몸을 씻는 것은 청결을 위한 목욕

③ 질병치료

온천욕과 같이 물로 몸을 씻거나 마시는 것

④ 오락으로서의 목욕

단체로 유명한 온천을 찾아가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하루에도 몇 번이나 탕 속을 드나들며

목욕을 즐기는 것은 오락적 성격이 강하다.

⇒ 대규모 온천업소가 손님에게 수영장과 무대 쇼를 제공

특히 일본에서는 오락으로서의 목욕이 크게 발전했다.

개인의 성적쾌락을 위한 시설의 업소를 한 때 터키탕이라 불렀고 퇴폐적인 업소로 전락

(터키당의 기원)

터키에서 말하는 터키식 목욕은 일종의 건조욕

사우나와 같은 욕실에 뜨거운 훈기를 넣어 땀을 뺀 후 몸을 씻는 것

여기에서의 때밀이는 일본처럼 여자가 아닌 남자

일본처럼 몸도 팔지 않았다고 한다.

1951년 동경 번화가에 동경혼천이 있었는데 이는 목만 내놓을 수 있는 나무상자에 개인이

혼자 들어가 증기욕을 하고 뜨거운 물이 담겨있는 욕조 속에 들어가는 것인데, 이 목욕탕을

터키탕이라 불렀다.

그들은 터키라는 이름과 함께 미스터키라 불리는 여자안마사를 두어 서비스를 제공하였는데

이것이 성적으로 변하게 됨

1958년 매춘을 금하는 매춘방지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자, 전국 매춘업자의 1/3 이상이 터키

탕으로 전환하여 영업함으로 갑자기 대도시에 터키탕이 엄청 불어났던 것이다. 하지만 터키

인들의 반발로 80년대 이를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 일본 교토의 고급식당에서의 경제인회의 장면:

훈도시만 입은 일본경제인 그룹(고급승용차 대기)과 상의를 모두 벗은 일본여인들

* 울진 백암온천 콘도 안의 대중탕의 의미: 20인용

◆ 한국의 목욕문화

과거 한국의 목욕문화는 연중행사

여름에는 수돗가에 엎드려 등물을 하는 정도

명절에는 목욕재계를 겸해 목욕

1년에 몇 차례 정도 목욕다운 목욕을 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 목욕시설을 갖춘 집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목욕의 역사)

불교가 전래된 이후 목욕은 청결의식과 더불어 종교의식으로 승화되어 신라귀족들은 집에

목욕시설을 갖추었고, 사찰에서는 승려와 대중들을 위해 대중 목욕탕을 설치하였다.

고려인들은 신라인들보다 더 목욕을 즐겼고 남녀혼욕의 풍속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남녀 혼욕이지만 여인들은 목욕용 모시치마를 입고 물에 들어갔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시대에 접어들어 유교의식이 엄격해지면서 목욕의 개념도 희미해졌다.

19세기 말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들이 조선인들의 더러운 모습을 보고 다들 고개를 돌렸다

고 할 정도로 목욕문화는 퇴색하였다.

심지어 일제시대 초기 일본인들이 공중목욕탕을 지으려고 했을 때, 여러 명이 함께 옷을 벗

고 목욕하는 것을 반대하는 한국인들 때문에 쉽게 공사를 착공할 수 없었다고 한다.

(현대한국의 목욕문화)

현재는 낮에도 사우나실, 찜질방, 황토방에 사람들이 가득하다.

이런 상활들은 일본인들의 입욕시간과 시욕이 주는 의미를 생각해볼 때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닌 것이다.

일이 끝난 저녁이 아닌 다른 시간에 목욕을 즐기다가 재산을 탕진하였다는 일본 동요의 내

용은 낮에 사우나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일종의 경고이며, 남을 위해 목욕의 은혜를 베풀었

다고 하는 시욕은 개인주의의 현실에 따뜻한 교훈을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 참고자료(1): 데이비드 리스먼(1909-2002)의 사회화설

David Riesman(1909-2002)

1950 The Lonely Crowd (고독한 군중)

청년기의 사회화를 포함한 성인의 인성을 문화와 관련하여 논함

미국인의 인성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사회 = 난숙한 산업사회

초기산업사회, 윈시사회를 비교

(난숙한 산업사회의 특성)

부모의 직장, 사회활동 증가 - 자녀를 위한 시간 감소

자녀에 대해 관용적, 직접통제 결여

따라서 자녀들은 가치관을 배우지 못하고, 부모보다 또래집단(peer group)에 의해 가치기준

을 결정 → 이것은 성인이 될 때 견고한 도덕율을 갖지 못하고 소속집단의 도덕율에 고착,

맹종화 되는 결과

그는 인간형을 3가지로 구분

① 전통지향적 인간 (tradition-directed man)

순수한 원시사회에서 볼 수 있는 인간형

자신이 속한 사회집단에 완전히 흡수(개체로서의 인간 존재 ×)

자신의 존재는 전적으로 집단에 의해 결정

② 내부지향적 인간(inner-directed man)

19C 초기산업사회에서 볼 수 있는 인간형

철저한 가정교육, 학교교육을 받아 문화적인 규범이 개인에게 내재화

인생의 목표가 뚜렷

자기현실과 목적을 향해 노력하는 형

③ 타부지향적 인간(other-directed man)

현대의 난숙한 산업사회에서 볼 수 있는 인간형

자신만을 알고 자기 가치를 실현하는 데만 열중

자신의 목적이 타부, 즉 그가 속한 집단에 의해 좌우

인생의 목적을 그가 속한 집단에 맡기고, 그가 추구하는 가치란 한낱 쾌락적인 가치뿐

* 이와 같은 견해는 신프로이드 학파인 에리히 프롬의 견해와 유사

E. Fromm (에리히 프롬): 문화가 개인의 심층적 욕구를 만족시키는데 필요

D. Riesman (데이비드 리스먼): 문화가 개인의 기본적 욕구에 장애가 되는 것으로 봄

“현대인은 고독한 욕망 추구한다”

‘고독한 군중’ 저자 美석학 리스먼 타계로 본 현대 대중사회

5월 11일 사망한 미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리스먼(93.)은 1950년대 초반부터 고도화하는

미국의 자본주의사회를 지켜보며 현대 대중사회의 변화 양상을 앞서 짚어낸 학자였다.

그는 ‘고독한 군중’(1950)을 비롯해 ‘군중의 모습’(1952), ‘미국인 성격 연구에 대한 몇 가

지 관찰’(1952), ‘개인주의 재고찰’(1954), ‘무엇을 위한 풍요인가’(1964), ‘대학교육의 가치

와 대중교육’(1970)등 일련의 저술을 통해 대중사회의 현실을 선구적으로 분석하고 미국사

회에 날카로운 비판과 전망을 제기해 왔다.

특히 그를 세계적 석학의 반열에 올려놓은 대표작 ‘고독한 군중’은 사회학적 맥락에서 새로

이 등장하는 현대 대중사회의 생활양식 변화추이를 명쾌하게 유형화해 낸 역작이었다. 그는

전통사회에서 초기 자본주의를 거쳐 본격적으로 자본주의의 고도화 단계에서 현대인의 행위

유형이 어떻게 변모하는가를 통찰했다.

그에 따르면 전통사회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의 전통 추구 경향에 의해 사회의 동질성이 보증

되는 ‘전통지향형’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비해, 개인의 이동과 자본의 축적 및 산업사회의 확대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초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어릴 때부터 이런 일련의 목표를 내면화하는 경향에

의해 사회의 동질성이 보증되는 ‘내적지향형’이 나타난다.

나아가 리스먼씨는 당시 미국사회에 나타나고 있던 고도 자본주의 시대에는 사회 구성원들

이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선호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사회의 동질성이 보증되는 ‘타향지

향형’이 지배적 성향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고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사회 구성원이 친구나 동료, 매스미디어 등 타자의 신호에 대해

끊임없이 주의를 기울이며 그 유통에 참여한다는 것이고, 이는 바로 대중소비사회의 도래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었다.

리스먼씨는 ‘고독한 군중’을 쓸 당시에 “타인지향형이 머지않아 미국 전체에서 주도적 성향

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반세기가 지난 지금에 와서 보면 이런 유형은 이미 서구사회

는 물론 한국사회에서까지도 당연한 것이 되고 있다. 1980년대의 격렬한 이데올로기 논쟁

을 거치며 한국사회에는 대중사회에 대한 리스먼씨의 관점이 잊혀져 가는 듯했으나, 이미

이런 성향이 지배적 특성이 된 1990년대에 들어서는 장 보드리야르 같은 후기산업사회의

사회이론가를 통해 그의 사상이 계승되고 있다. 리스먼씨가 말한 ‘타자’는 이제 보드리야르

에게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되는 ‘욕망’으로 표현된다.

- 참고자료(2): 미국문명론

“화려한 美 문명 종말 고하나”

빈부 갈등 가속, 사회보장제 위기 등

4가지 구체적 전조 제시

로마, 황하 비유 역사적 숙명 역설

오스발트 슈펭글러는 그 유명한 저서 「서구의 몰락」(1918)을 통해 모든 문명은 다른 유

기체와 마찬가지로 발생, 성장, 노쇠, 사멸의 단계를 거친다며 노쇠한 당시 유럽문명의 몰락

을 예고했다.

그에 따르면, 문명은 쇠퇴기동안 경직되고 그 문명의 중심축을 이루던 이데아는 핵심적인

정신으로서의 내용물들을 잃고, 결국에는 사멸되고 만다는 것.

이러한 관점은 요즘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화역사학자인 모리스 버만은 「미국문화의 몰락」(황금가지 펴냄)을 통해 슈펭글러가 거

의 1세기 전에 걱정했던 세계 중심축으로서의 문명의 몰락을 논의하고 있다. 물론 슈펭글러

는 유럽을, 버만은 미국을 그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는데 차이는 있지만.

과거에 화려했던, 그래서 영원히 멸망하지 않을 것 같았던 문명들, 즉 바빌로니아, 황하, 이

집트, 그리스, 로마 문명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 현실에 비춰 한 문명의 몰락은 필연이다. 이

에 따라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미국문명」의 몰락도 피할 수 없으며 그 전조가 도처에

서 나타나고 있다.

버만은 4가지 구체적인 전조를 들어 몰락의 길을 걷고 있는 미국에 경고한다.

중산층의 붕괴와 가속화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 사회보장제도의 위기, 학생들의 지적수준

하락, 소비위주의 문화상업주의에 따른 정신의 죽음 등이 그 징후이다.

현재 미국은 상위 1%의 고소득 계층이 미국 전체 부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8년 빌

게이츠의 순이익(460억 달러)이 하위 40% 전체의 순이익을 넘어섰다. 극심한 경제적 불균

형은 중산층을 무너뜨렸다.

또 선진사회를 구성하는 근간인 사회보장제도는 출생률의 급감과 노령화사회가 됨에 따라

2015년쯤이면 지급불능 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미 학생들은 둔재가 돼버렸

고 대학은 오로지 최고의 수익을 보장하는 직장에 갈 수 있는 학위판매상점에 지나지 않으

며 대기업이 주도하는 상업주의가 국민의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사회가 돼버렸다는 지적이

다.

물론 슈펭글러가 「강력한 지도자」를 대안으로 내놓았듯이, 버만도 「신수도사적인 인물」

을 미국문명의 몰락을 막을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신수도사적인 인물」이란 4세기경부터 수도사들이 스스로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고 그리

스·로마문명의 가치 있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책과 필사본을 모아 후대에 전한 것에

서 따온 것.

그러나 현대의 수도사는 이들처럼 격리된 채 금욕생활을 하는 집단이 아니라 「기업의 문화

지배에 따른 소비와 물질에 휘둘리지 않는 사람」, 「미디어와 반문화가 부추기는 뉴에이지

유행에 휘말리지 않는 사람」, 「엘리트주의자라고 매도당하는 데 아랑곳하지 않는 사람」

등을 그 속성으로 하고 있다.

즉,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 하나하나가 영리나 소비주의에 자신의 삶의 토대를 두지 않고

양심에 따라 자신의 역할에 충실할 때 문명의 몰락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슈펭글러가 로마제국의 영웅인 시저 같은 위대한 인물이 문명의 몰락을 구원할 수 있다고

본 반면, 버만은 학생들에게 고전을 읽게 하는 교사, 베스트셀러 보다는 후손에게 좋은 작

품을 남기려는 작가 등 다수의 대중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참고자료(3): 영화 “진주만”에 대하여 (1941년 진주만 기습)

≪6주차≫

1. 인성형성요인

● 인성의 형성요인:

① 개인의 생물학적 요인(biological factor)

② 환경적인 요인 -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

③ 개인 고유의 경험(personal experience)

④ 문화적 요인(cultural factor)

1) 개인의 생물학적 요인(biological factor)

· 신체적 특성(phygical character): 신장, 체중, 외모

* 문화적 의미 상이 - 비만(부와 위세, 부잣집 맏며느리)

· 지능(intelligence)(=학습능력)

· 정신, 신경학적 구성

· 신체적 결함 유무

* 특정의 신체적 특징 = personality와의 상관관계: 일관적인 작용 무

◆ 그러나 이광규 교수의 「문화와 인성」(2001: 44-45)에는 다음과 같이 인성형성에 영향

을 주는 신체적 요인을 소개하고 있다.

(개요) 인성의 특성 - 유전적으로 타고난 성품

신체적 특성에 의한 것

⇒ 육체적인 면 강조

(예) 비타민 B인 티아민(thiamin) 부족 - 정신신경증적 증세

칼슘 부족 - 히스테리

LSD암페타민, 술 - 의식 혼돈

로저 윌리암(Roger J. William)의 연구결과:

인간의 부갑상선을 기준으로 인성의 종류를 설정

신체적 특성과 인성 관련:

- 유전적인 요인 중시하는 연구: 쌍둥이를 전혀 다른 환경에서 기를 때 어떤 인성의 차이가

생기느냐 하는 것

혈연근친간에 몇 퍼센트가 정신분열증에 영향을 주는가? (버나드 림랜드)

일란자 쌍둥이 67-86%

이란자 쌍둥이 3-17%

부모 모두 증세 39-68%

부모 중 1인 16%

형제 5-14%

조부모, 사촌 3-4%

· E. Kretchmer(크레츠머)와 W. H. Sheldon(쉘던)의 연구:

정신분열증환자와 광증우울증환자 260명 대상

- 신체적 특성 조사

정신분열증환자 - 마르고 키가 크거나 강건한 체질

광증우울증환자 - 뚱뚱한 사람

허약자 - 신경질적, 예민, 냉담

비만자 - 변덕스럽고 사교적, 현실적

(V. Barnouw, 바노우 1985:17)

2) 환경적인 요인 -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

19C. 인류학적 지라학자의 주장: 자연환경 - 국민성 관련을 설명

산악지대 - 거칠고 개인주의적

온대지역 - 창조적이고 진지한 성격

열대지역 - 게으르고 성적 조숙

20C. 인류학자들 이를 부정(거부)

그러나 음식물의 무기질 성분 - 내분기체계의 상관성 입증

고도, 기압의 차이 - 인성형성에 영향 (예: 멕시코, 네팔, 히말라야 고산지대 등)

John Whiting(존 화이팅): 성년식(남), 복혼제, 기후조건과 인성형성의 인과관계 도출 시도

* 남, 북한의 비교: 평야지대 - 산악지대

** 한국의 농촌 - 어촌 - 산촌, 대도시 - 중소도시의 비교

(농촌: 평화적, 협동적, 수용적 / 어촌: 투쟁적)

3) 개인 고유의 경험(personal experience)

· 생애사(Life history)

예: 전쟁경험, 성폭행피해 경험...

·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경험

예: 일란성 쌍둥이도 각기 다른 성격 - 개인의 경험 상이한 때문

· 지위와 역할이 다름으로 인한 인성 차이

예: status personality - salesman과 학자

◆ 문화 - 개인들의 경험을 똑같은 강물을 따라 흘러가게 함으로써 personality를 표준화

하는 경향

그러나 모든 사람들의 생활을 표준화, 규격화하는 일은 불가능

4) 문화적 요인(cultural factor)

문화 = 개인의 행위들에 어떤 유형을 제공하고 한계를 지정

인간의 생각, 느낌, 행동에 지침서의 구실

예: 유교문화 - 삼강오륜(충, 효) / 권위주의

샤머니즘: 비과학적 사고

<결론>

개인마다 독특한 체질적 특성 보유

고유의 경험을 보유할지라도, 개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접하고 잇는 문화에 따라 반응하며,

그에 기초하여 개인의 인성을 형성

문화 - 인성형성에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

2. 성차 (sex difference)와 불평등

사람의 분류기준:

인종(민족집단), 노소, 동·서양, 신장, 성...

성차가 의미하는 것:

육아과정에서의 행동규제

성인이 된 이후 법적 제도와 의무, 사회적 지위와 역할, 심리·사회적 특성에서도 차이

성별에 따른 차이의 발생원인:

유전적·생물학적 요인

사회적·환경적 요인(사회화과정 포함)

사람에 대한 평가, 대우:

개인의 적성, 능력, 성격특성에 따른 평가, 대우 ×

사회가 규정한 성역할: 직업선택, 가정생활, 사회적 역할 등이 사회적 규범에 따라 행동 ○

이와 같은 사회적 규범, 사회적 편견 → 남녀차별을 유발 → 이것은 범세계적인 문제

예) 20C 초반. 영국. 여성 참정권운동

1920년대. 미국. 여성에게 투표권 부여

1940년대. 한국. 남녀의 투표권 행사

(1895년 갑오경장 축첩제도 폐지)

1) 남녀간의 생물학적 차이:

남녀의 구별 - 정자와 난자의 결합, 수태에서부터 시작

성염색체 XX쌍 여자, 성염색체 XY쌍 남자

유아사망율 - 남자가 높음 (염색체의 형성비율 XY가 XX보다 1.5배)

25세 이후엔 여자가 많음(출생율 남자가 여자의 1.06배)

남녀의 성기관 형성: 여성의 기관이 기초가 됨

남성의 것은 여성의 기관에서 분화

임신 7주. Y염색체의 유전인자가 고환형태

12주. 안드로젠(androgen) 호르몬 생산

→ 남근과 남성의 성기관 형태 형성

이 호르몬이 없는 경우 여자가 됨

안드로젠 호르몬: 태아기에 남녀의 성적기관 구조를 이루어 놓는다.

예) 암놈원숭이(임신중, 안드로젠을 주사하면 암놈으로 태어난 새끼의 특성이 수놈과 같아

진다는 실험(Young외 1964)

성적 주기:

여성 = 월경을 통해서 여성호르몬 분비의 주기가 일정 (배란기)

남성 = 항상 남성호르몬 분비 (정자생산)

Doering(도링)등 1975의 연구 ⇒ 성적주기가 있다는 증거 포착

폐경기: 40대 후반의 여성

난소퇴화, 출혈중지, 생산능력 상실

이 폐경기는 걱정할 일 못된다. 오히려 노화, 배우자의 사망, 암에 대한 두려움, 자녀들의

결혼이 더 걱정스러운 일

2) 남녀차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성별에 따른 차이: 아동발달과 성역할

사회화과정에서 나타난다.

① 정신분석학적 입장:

성차 - 남녀가 해부학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성욕의 부착대상이 자기와 반대되는 부모 여기

에서 성역할 동일시

② (사회)학습이론

성인의 행동을 모방(성별로)하고 학습하기 때문

이에 따라 보상, 강화를 받아 성역할이 다르게 형성

③ 인지발달론적 이론

3-6세에 자기 성에 대해 인지(변경 불가함을 알게 됨)

→ 이후 자기 성별과 관련된 것을 좋아하게 됨(장난감, 옷 등)

· 남녀차이에 대한 포괄적 연구: Maccoby & Jacklin (매코비 & 재크린) 1974

The Psychology & sex difference, Stanford, Calif.: Stanford Univ. Press

1966-1973년간 주요심리학전문잡지 분석(1,000편)

① 남녀차이가 명확한 측면

생활의 장 주연 조연

남성 직장과 사회전체 상사 자신

여성 가정 남편 자신

남성: 공간적 능력, 수리 능력 우세, 더 공격적

여성: 언어능력 우세

② 근거가 희박한 측면

③ 연구가 진행중인 측면

<증거가 명확한 측면>

남성: ① 공간적 능력 (도형찾기, 막대기와 틀 경사, 미로의 탈출구 알아맞히기, 도형 알아

맞히기)

- 청소년기와 성년기에 나타남.

② 수리능력 - 12,3세 경부터 남성 우세.

③ 성격특성에 있어 더 공격적(신체적 공격과 언어적 공격) - 2세 이후

*생물학적 측면(성호르몬의 특성)

사회적 학습과 강화 때문

여성: ① 언어능력: 11세 이후 여성 우세.

예) 언어의 유창성, 언어유추, 난해한 문장 이해, 창작 등에 있어 우세

3) 남녀간의 관점의 차이:

남녀간에 생활하는 ‘행동의 장’(field)이 다르기 때문에, 사물을 보는 관점이 달라지고 여러

가지 현상에 대한 원인귀속(attribution)과정이 달라진다.

예)

→ 항의와 불평, 칭송과 감사

* 이의 해결방안:

남녀가 동일한 ‘생활의 장’을 찾는 방법

일의 중요성을 같게 인식하는 방법

⇒ 이렇게 되면, 모두 주연(공동주연)이 될 수 있다.

· 남성성(남성다움) → 양성성(androgyny)의 소유

· 여성성(여성다움) ⇒ 적응력이 우세(Bem 1975)

4) 갈등, 스트레스의 성차

* 갈등, 스트레스는 남성이 더 많다(경쟁적, 성공추구, 욕구, 희노애락 감정의 숨김 = 감정

의 억제 등으로 인함)

· 말더듬이: 남성이 여성의 5배 ← 사회·문화적 「스트레스」가 많기 때문

한편 여성가장(미국흑인)에게는 말더듬이 비율이 2대1.

중미의 여성들에게 “우울증”많다. (스트레스 해소할 기회 없거나 남들의 기대에 대한 실태

때문)

* 여성이 가정에 집착하여 만족을 느끼면(연애→결혼→출산→자녀양육 등), 적응상의 문제

가 없다. 취업여성은 갈등이 많을 수 있다(가정과 직장에서의 지위와 역할 다르기 때문)

* “이혼”의 경우, 여성에게 피해가 크다 (“생활의 장”이 파괴되어 자아정체성 상실)

· 남녀의 성차이: “문화”와 어느 정도의 함수관계 Johnston / Selby (존스톤/셀비) 1978

특정한 병의 발병율이 남녀에 따라 다른 이유:

생물학적 요인 ×

문화적 요인 ○ (=생활양식에 따라 남녀가 받는 스트레스가 다르기 때문)

예①) 말더듬이 현상: 남:여 = 5:1 (체질상의 차이 있음)

그 보다는 사회·문화적인 스트레스가 남자에 강하기 때문

남자=체질 및 언어능력의 발육성장이 여자보다 2-3년 늦은 것이 정상.

그러나 부모나 주위 사람들은 남녀 구별 없이 똑같은 언어구사능력 기대. 따라서 주위로부

터 강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미국 남부 흑인 가정의 경우, 부인이 가장. (Goldman의 연구) - 골드먼

여자: 책임이 무겁다. 스트레스 많음.

남자: 책임이 가볍다. 자유롭다.

흑인가정 - 남 2.3배 (부인가장 1.1배)

백인가정 - 남 4.93배 (남편가장 3.5배)

예②) 중미 “수스토”민속병(풍토병) - 일종의 우울증

자신이 남들의 기대에 보답하지 못했다고 느낄 때 생기는 병

약이 없고 격려나 칭찬이 주효.

(중미) 「와하카」(Oaxaca) 여자들:

조혼풍습, 임신과 가정일로 시달리고 불평이나 음주 금지.

- 스트레스 해소 기회 없다.

「수스토」병역 조사결과 - 남자 20%, 여자 55% 경험

남성 여성 공동

큰 바다동물의 사냥 야생채소의 채취

금속 세공업 낙농업

돌 세공 방적업(베짜기)

광업과 채석 물 긷기

토지 개간 요리 (170/174)

큰 동물 길들이기 무거운 짐 운반 (70/146)

객토작업

3. 남성과 여성의 노동분업과 인성(기질) 차이

1) 성에 의한 노동의 분업:

모든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각기 다른 일이 주어진다.

Burton, Brudner, White 1976의 연구:

남성 - 육체적으로 위험한 임무 부여

여성 - 젖먹이와 어린아이 양육

만일 여성이 가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일하러 가면 유아사망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여성이 담당하는 것이 종족보존에 유리하다.

· Murdock(머독), Prouost 1963의 연구:

185개 사회에 있어서의 노동분업

2) 남성과 여성의 인성(기질) 차이

- 마가렛 미드의 뉴기니아 세 부족의 연구

· Arapesh족 (Mountain Arapesh) (마운틴 아라페쉬)

남녀 모두가 여성적(남녀의 성격차이 없음)

남녀 모두가 어린아이의 양육에 적합하다고 믿는다.

(자녀양육-남녀공통)

성적으로 남자가 여성보다 더 적극적이라고 믿지 않는다.

남녀 모두가 부드럽고 소극적이며 모성적이다.

(상냥, 협동적, 자애롭다)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남녀가 다르다는 인식이 없다.

사회 남성기질 여성기질 비고

미국 남 여

Arapesh족

(아라페쉬)남녀 여성적

Mundugumor족

(문드구모어)남녀 남성적

Tchambuli족

(참블리)여 남 정반대

(환경) 황폐한 산기슭 거주. 남자-leader가 되기를 원하지 않고 할 수 없이 수행

·4개 사회에서의 성과 기질 (M. Mead 1935)

* 마가렛 미드 1935 「3개 미개사회의 성과 기질」

· Mundgumor족 (River-dwelling Mundugumor)

(환경) 하천변에 거주

남녀 모두가 남성적 (적극적, 경쟁적)

육아: 남녀 모두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

어머니가 아버지 보다 더 잘 해주는 일이 없다.

아이가 울 때 - 아이가 담겨있는 바구니를 한두번 흔들어 줄 뿐.

남녀가 본래부터 상호경쟁의 상대이다. (그대로 놓아둔다.)

예) 딸의 출가에 있어 각기 부부에게 유리한 곳으로 출가시키려고 노력(일부다처제)

가정 내에 항상 적의와 분란이 끊임없고 부모 양쪽이 양보심이 없고 모두 강력하고 단호하

며 적극적으로 대립.

남녀 모두 사납고 거칠고 용맹스럽다. (싸움, 사냥 등), 거만, 난폭, 개인적.

·Tchambuli족 (Lake-dwelling Thambuli)

(환경) 양식이 풍부한 호수가에 거주.

남성 - 여성적

여성 - 남성적 *성격이 정반대

(남성) 무용, 의례행위 담당, 호박이나 두개골에 아름다운 형상 조각 (예술가)

옷을 예쁘게 입고, 말을 곱게, 우아하게 행동.

모여서 재잘거리기를 좋아하고 남의 흉도 잘 보며 비현실적이다. 섬세.

예민, 쉽사리 감정을 상하고 잘 토라진다. 귀걸이, 목걸이 등 몸치장을 좋아하고 그림, 연극,

음악을 좋아한다.

어린아이, 소녀 같다고 여성이 믿고 있음.

(여성) 모든 행정적, 사무적 일을 처리.

물고기 사냥 담당, 농사일 담당 - 남자들이 맡으면 굶어죽는다고 믿는다.

남자의 보호역할. 애정행위도 여성이 주도권을 갖고 남자는 수동적이고 겁이 많고 여성이

수줍어한다.

* 여성의 모습이 깃든 조각품 - 어떤 강력한 힘을 상징.

활동적, 남성적.

<결론>

여성이 범세계적으로 약한 성은 아니라는 것.

종전의 개념은 여성은 행정적이나 정치적 권력에 부적합하며, 수동적, 비공격적이고 자녀

양육, 가사, 부엌일에 적합하다는 것.

남녀의 성에 따른 인성(성격, 기질)은 문화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게 됨.

- 참고자료(1)

“폐경기 호르몬 대체요법 부작용”

- 美 1,300만명 ‘심리적 공황’

지난 수십년간 폐경기 여성 치료의 만병통치약으로 군림해온 호르몬 대체요법(HRT)이 심각

한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에스트로겐 시대가 막을 내렸다고 뉴스위크

최신호(22일자)가 커버스토리에서 보도했다.

뉴스위크는 이번 연구 결과로 HRT 치료를 받고 있는 미국 여성 1300만명이 심리적 공황

마저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한해동안 미국 약사들은 4500만건의 프레마린(에스트로겐) 처방전과 2200만건의 프렘

프로(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복합 호르몬제) 처방전을 발급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연구소는 최근 “복합 호르몬 요법이 유방암, 심장병, 뇌중풍 위

험을 높인다”며 “호르몬제 복용 여성은 향후 사용 여부를 담당 의사와 상담하라”는 연구결

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제 HRT를 대신해 어떤 폐경기 치료법을 사용해야 할까. 잡지는 다양한 대안 치료법을 제

시했다. 우선 호르몬 치료법에 대한 의존도를 서서히 낮춰가야 한다. 보스턴 브라이엄 여성

병원 내넌다 콜 박사는 “복용량은 줄이고 복용 주기는 늘려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표적 폐경기 증상인 화끈거림과 식은땀 증상은 간단하게 완화시킬 수있다. 매운 음식이나

카페인, 알코올 등은 자제하는 게 좋다. 두유 두부등 콩으로 만든 음식과 비타민E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유산소운동도 도움이 된다. 프로작 같은 항우울제가 좋다는 중간 연구결과

도 있다. 혈압저하제는 증상을 완화시키지만 피로감과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다.

허브도 치료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NIH는 이소플라본(여성호르몬의 일종)과 식물 에스트로

겐이 들어있는 검은 코호시, 버터컵, 레드 클로버의 시험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아직까지 부

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흡연이나 과음 등 나쁜 생활습관을 고치고, 운동과 식이요법을 적절히 병행하는 것이 이상

적이다.

NIH의 여성질병전문가 조앤 맨슨은 “하루 30분 걷는 것이 호르몬제를 먹는 것보다 훨씬

건강에 좋다”고 말했다. 운동은 특히 골다공증, 심장병, 유방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 뼈를

튼튼하게 하려면 걷기나 뛰기, 웨이트트레이닝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칼슘이 풍부

한 우유나 견과류, 시금치와 같은 녹황색채소는 골밀도를 높여준다.

폐경기증상이 심할 때는 비호르몬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스태틴으로 알려진 콜레스테롤 저

하제는 심장병 위험을 크게 줄여준다. 바이포스포네이트는 골밀도를 높여주고 라록시펜은

골절을 예방한다.

호르몬 대체용법:

득 - 골다공증 발생 위험 감소

화끈거림 증상 감소

부부금실 회복

실 - 부종 등 부작용 유발

유방암 및 심장병 발생 위험 증가

혈전 생성 위험 증가

쓸개 관련 질환 유발 가능성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 대한폐경학회의 견해:

- 폐경기 증상 완화 목적일 경우 장점이 단점보다 많으므로 계속 사용하는 것이 타당

-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는 미국의 통계이고 한국은 유방암 발생 빈도가

낮고, 연령대도 달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

- 심혈관질환 예방 목적일 경우 프렘프로와 같은 성분의 호르몬 복함 요법을 사용하는 것

은 가능한 피해야

- 프렘프로와 다른 성분을 사용한 복합 호르몬 대체 요법과 저용량 호르몬 대체요법.

패치를 사용한 경피투여법은 지속 사용 가능

- 자궁적출술을 받아 자궁이 없는 여성에 한해 에스트로겐 단독 투여 지속 사용 가능

- 참고자료(2)

남성호르몬

20~40세 한국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서양인의 79%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

다고 한다.

연세대 신촌 세브란스 병원 내과 임승길 이유미 교수팀이 조사한 결과 41~82세 남성은 미

국인의 89% 수준이었으나 젊은 남성은 이보다 10%나 낮았다는 것이다.

테스토스테론은 콜레스테롤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남성호르몬(Androgen)이다.

성장기엔 굵은 목소리 체모 근육 등 2차 성징(性徵)을 만들고, 청·장년기엔 남성의 기능 및

남성다움을 유지시킨다.

주로 성욕을 관장하고 저돌적이고 도전적인 성향을 이끌어내지만 언어 및 공간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다.

한눈 팔지 못하도록 결혼하면 덜 생성된다는 설(미 하버드대 피터 그레이박사)도 제기됐지

만 나이 들면서 서서히 감소한다는 게 통설이다.

실제 미국의 ‘메사추세츠 남성 노화연구 프로젝트’에선 40세 이후 매년 1%씩 줄어드는 것

으로 나타났다.

50세가 넘으면 "안드로포즈"(Andropause)라는 남성 갱년기 현상도 생긴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떨어지면 성욕이 감퇴되는 건 물론 상대적으로 여성호르몬이 늘어나

근육이 줄고 배가 나온다고 한다.

뼈가 약해져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고 피부가 건조해지며 목소리도 가늘어질 뿐만 아니라 쉽

게 지치고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며 감성적이 돼 마음의 상처를 잘 받는다는 연구결과도

제시됐다.

한창 젊은 20~40세 남성들의 테스토스테론이 감소되고 있다는 건 걱정스럽지 않을 수 없

다.

남성 호르몬이 적어지는 데는 노화 외에 당뇨 고혈압 비만 간경화 심근경색 등 질병이 영향

을 미치지만 술과 담배도 크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세브란스병원의 이번 조사결과도 “술 담배 과로 스트레스에 지나치게 노출된 게 원인

같다”는 분석이다.

매일 독주를 3~5잔 마시는 경우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10년 후 사망률이

소가족 대가족

W. Schmidt

W. Koppers

개별가족

(Einzelfamilie)

총체가족

(Gesamtfamilie)

G. P. Murdock (머독)핵가족

(nuclear family)

복합가족

(composite family)

- 확대가족

- 복합가족

- 공동가족

T. parsons단순가족

(simple family)

합성가족

(compound family)

B. Malinowski부부가족

(cojugal family)

확대가족

(extended family)

공동가족

(joint family)

A. R. Radcliffe-Brown기본가족

(elementary family)

합성가족

(compound family)

가족의 최단순형

부부+미혼자녀로 구성

부부가족 보다 확대되거나

복합된 가족

1.4배 높다고 하거니와 건강과 그에 따른 "삶의 질"은 개인의 노력과 마음먹기에 달렸다.

지금부터라도 과음과 흡연을 삼가고 적당한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에 힘쓸 일이다.

≪7주차≫

1. 가족유형

● 가족유형의 분류

2. 친족집단

1) 친족체계

① 친족체계

· 친족체계: 출계(descent)의 개념 (=혈통, 출자)

A. R. Radcliffe-Brown의 정의:

친족체계(Kinship system)란 친족과 혼인의 체계 또는 친족(kinship)과 인척(affinity)의 체

이것의 단위는 기본가족(elementary family)이며, 그 안의 세가지 사회적 관계를 강조.

① 부모 - 자녀관계

② 형제자매관계(siblings)

③ 부부관계

친족체계는 ① 사람과 사람간의 양자관계(dyodic relations)의 체계. 이러한 관계를 가진 두

사람의 행동체계라 할 수 있다.

② 사회적 관계의 망상조직 (a network of social relation)

③ 다른 친척에 대한 권리와 의무, 친족호칭 등은 친족체계의 한 부분이 된다.

2) 친족집단

한편, George P. Murdock(머독)에 따르면,

‘혈연관계-인척관계’로 맺어진 집단을 친족집단(kin group)이라 한다.

그는 모든 친족집단을 공동거주친족집단(residential kin group)

혈연친족집단(consanquineal kin group)으로 대별

이때 전자에는 혈연, 인척 모두가 포함되며 거주의 공동이 특색이나, 후자에는 혈연자만을

포함.

공동거주친족집단

핵가족(nuclear family)

복합가족(composite falmily) - 확대가족, 공동가족, 복혼가족

■ 친족집단의 종류:

1) 종족(lineage): 단계의 계보관계로 결합된 집단

(정의) 단일 성(性)을 통하여 혈연적으로 관련된 2대 또는 그 이상 세대의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을 말한다.

(구분) minimal lineage ... 2,3대에 걸친 종족

maximal lineage ... 공동조상을 간신히 추적할 수 있는 정도의 종족

(기능) 일종의 법인체적인 공동체의 단위가 된다. (corporate unit)

자연성, 법적, 정치적, 경제적 기능(구성원이 사망, 이동, 변동되어도 종족은 영속)

2) 씨족(clan)

(구성)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종족집단이 합쳐서 구성

혈연관계를 근거로 하나, 계보를 분명히 추적할 수 없다.

공동조상 = 신화적 인물, 토템(totem)

(기능) 외혼제의 단위

경제적 생활단위

종교적 의례, 시조 중심의 제사를 통해 정신적 유대

3) 부족(phratry)

(구성)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씨족이 합쳐 부족을 구성

혈연관계가 희박

(특징) 지연성

언어나 역사적 경험, 풍습 등의 공통성. 통혼 가능(공동조상이 아님)

4) 반족(moiety)

(구성) 한 사회가 두 개의 씨족이나 부족으로 양분되어 있을 때 그 한쪽을 반족이라 함. 양

분제조직(dual organization)

(기능) 외혼제의 단위

명칭, 신화 등은 양분

어느 한 쪽이 지배적이고 다른 한 쪽은 복종적 위치(경쟁대립관계)

*양분조직: 이중출계와 결합된 외혼제집단을 형성

분족(section); 4분제(4 class system); 8분제 (4분족, 8분족..)

3. 출계율 - 혈통 계승의 법칙

1) 출계율(Rule of descent)의 정의와 내용:

(정의)

생물학적인 혈연계통과 관계없이 사회적 기준 원리로 자신의 소속을 결정하며 혈연 집단을

구성하는데, 이 기준원리를 출계율이라 하며, 이것은 법적인 것이지 생물학적인 것은 아니

다.

(출계의 내용)

지위나 재산의 상속(가계, 가명, 명예(칭호)...)

권리와 의무 계승

혼인, 장례 등 중요행사시의 협력 (예: 결혼식, 장례식의 참석, 신부대금 Bride price 지불

시 공동부담)

경비부담

배상시의 공동부담 (예: Bloodwealth, 블러드웰쓰)

집단성원권(group membership)

2) 출계의 종류:

⓵ 단계출계 (unilineal descent)

부계, 모계 어느 한쪽으로 혈연계통(혈통)을 계승하는 방식

부계출계 (patrilineal descent, agnatic descent)

모계출계 (matrilineal descent, uxorine descent)

* 이중단계출계 (double unilineal descent)

(실례)

Mundugumor족 (문드구모어) (New Guinea, 뉴기니아) - 아들은 모계, 딸은 부계친족에 소

Apinaye족 (아피나예) (Brazil, 브라질) - 딸은 모계, 아들은 부계 계승

Macassar족 (마카사) (동인도 섬, Celebes해, 인도네시아) - 출생한 차례가 홀수면 모계,

짝수면 부계 계승

⓶ 양계출계 (bilateral descent)

부계, 모계를 모두 계승(미국 등 대부분의 서구사회)

다계(ambilineal), 비단계(non-unilineal)출계라고도 함.

⓷ 혼합출계 (mixed descent)

부계, 모계가 특수하게 결합되어 있는 출계율

· sex-linked descent (연성출계)

아들 - 부계를 계승 (가옥 토지 등 부동산)

딸 - 모계를 계승 (화폐, 가축 등 동산)

· cross-sex descent (교성출계)

아들 - 모의 부 (우리의 “외조부”)

딸 - 부의 모 (우리의 “조모”)를 계승

⓸ 이중출계 (double descent)

한 개인의 아버지의 부계와 어머니의 모계를 동시에 계승

(예: 호주원주민, Melanesia지역 등) - 멜라네시아

1969* 1975**

단계제

부계

모계

이중출계

549(63.6%)

(401(46.5%)

121(14.0%)

27(3.1%)

360(63.7%)

248(43.9%)

84(14.9%)

28(4.9%)

양계제 311(36.0%) 205(36.3%)

불완전 3(0.3%)

계 863(99.9%) 565(100.0%)

3) 단계제 사회와 양계제 사회의 비율 및 분포:

* J. Goody 1993: 93

** R. Keesing 1975: 26

(분포)

· 부계제 사회: - 가장 많음

아프리카, 지중해 연안, 유럽(동부), 태평양 제도

· 모계제 사회:

아프리카, 태평양제도, 북미 인디언(이상 모두 부수적)

인도의 일부, 동남아시아의 일부, 호주 일부,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 양계제 사회:

유럽, 북미, 남미, 태평양 제도

4) 부계사회와 모계사회, 양계사회의 특성:

⓵ 부계사회의 특성

남편, 부가 가구주

남자 조상, 아들들, 후손이 직계혈연 근친

남자를 통하여 가장권, 가명, 재산상속이 이루어짐.

자족내의 모든 지배권이 남자가장에게 소속

여성의 지위는 남성에게 예속.

⓶ 모계사회의 특성

여자를 중심으로 혈통이 계승

인간관계: 부자관계 - 친구사이. 가사의 학습 (부 → 자)

모녀관계 - 모녀는 같은 동족에 소속(긴밀, 동거). 경제생활,

제례의 학습 (모 →녀)

모자관계 - 어머니의 집이 본가(real home) (긴밀)

이모들과 동거 (모의 역할)

부부관계 - 부부는 조력자 (부는 가사를 도울 경제적 의무를 가짐)

부부간 결합력이 약해 이혼이 용이.

혈연관계: 아내의 이종들이 혈연근친

남편만 동족, 외혼제.

남자들은 처가살이, 딸들은 본가에 거주

거주규정: 모처제, 모처-신처제(=양처제), 외숙처제 // 결혼 후 거주지

⓷ 양계사회의 특성

· 양계제 친족집단 = 친속(kindred)

사회적 혈연관계가 아니라 생물학적 혈연계통으로 부계와 모계를 망라한 친족

사회적 단위를 이루지 못하여 친족(kinship)과 구분됨

부모 양편을 통하여 자신에게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는 혈연자를 포함한 범위

재산상속, 권리의 계승, 제사의 계승과 무관. 지연성이 없고 결혼식 등 행사가 있을 때 모이

며, 범위를 한정하기 어렵다(그러나 대략 자신의 부모, 그 형제자매, 그들의 자녀, 조부모,

외조부모 정도를 포함)

· 혈통의 계승이 부모 양편에서 이루어짐(서구사회가 대표적)

예)나이제리아의 야쾌족의 경우,

혈통의 계승 - 향편 거의 동등

토지상속, 조상숭배 - 부계계승

가축이나 통화 같은 동산, 풍요의례의 멤버쉽 - 모계계승

4. 친족호칭(Kinship Terminology)

1) 개념정의

친족호칭 = 친족의 범위를 나타내고 출계율을 분명히 해주고 친족제도를 해명하는 것

혈연, 인척 모두를 포함하여 친족 각 개인과의 관계와 그들의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는 것

⇒ 친족관계를 나타내는 일종의 지표

서로 부르는 사람끼리 권리와 의무를 가짐 → 출계율

혼인규정과 밀접한 관계

친족관계 = 동세대, 동항렬, 횡적인 관계 (방계) → 방계친

직계혈연과 같은 종적인 관계 (직계) → 직계친

· 친족호칭(Terms of address): 친족관계에 있는 두 사람이 서로를 부르는 말

직접친족호칭 (최재석 교수의 용어)

· 친족명칭(Terms of reference): 두 사람이 친족관계에 있는 제3자를 두고 말할 때 쓰는

간접친족호칭 (최재석 교수의 용어)

2) Lewis H. Morgan의 친족호칭연구

친족호칭 연구의 시작: 루이스 H. 모르건의 연구가 시초

그는 친족호칭체계를 두 가지로 구분

⇒ ① 유별적 체계(Classificatory system) - 원시사회

같은 세대나 같은 항렬에 있는 친족들을 같은 호칭으로 부르는 것

친족을 몇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집단을 하나의 용어로 표시

특성: 집단적

② 기술적 체계(Descriptive system) - 문명사회

직계혈연을 방계집단으로부터 구별시켜 개별적이고 특정적인 친족호칭체계

일차적 친족호칭을 조합하여 원근의 친족을 개별적으로 표시

특성: 개별적, 특정적

● 루이스 H. 모르건의 친족호칭체계의 3유형: (친족호칭시스템)

① Malayan system

직계, 방계

부측, 모측을 구별하지 않은 유별적 체계

윗세대 = 부모

같은 세대 = 형제자매

아랫 세대 = 자녀라 부른다.

② Turanian-Ganowanian system

직계, 방계를 구별하지 않고 부측, 모측을 구별하는 유별적 체계

윗세대 = 부계, 모계를 구별

같은 세대 = 부계, 모계를 구별

아랫 세대 = 모두 아들, 딸로 부름

③ Aryan and Semitic system

부측, 모측을 구별하지 않고 직계, 방계를 구별하는 기술적 체계

*Yeo‘s Comment: 서구사회는 양계적 사회

3) George. P. Murdock의 분류 (조지. 머독)

- 사촌을 중심으로 분류한 것이 특징

① Eskimo type:

② Iroquois type:

③ Hawaiian type:

④ Sudanese type: (아프리카)

⑤ Crow type:

⑥ Omaha type:

4) 친족호칭분류의 기준 (G. P. Murdock) (머독) - 9가지

⓵ 세대 (Criterion of generation)

세대에 따른 호칭 차이의 유무

크로우, 오마하형은 세대구별이 모호

대부분의 친족호칭은 세대구별이 분명

우리의 경우, 세대구별이 분명

⓶ 성 (Sex)

성별 차이에 따른 호칭차이 유무

영어의 “cousin"은 성별차이가 없음

우리의 경우 부, 모, 남동생, 여동생, 오빠, 누나 등 성별차이가 분명

그러나 “어버이”는 성별 구분이 없는 용어

⓷ 인척 (Affinity)

인척이 구별되는가?

영어의 “uncle"은 구별 안 됨

우리의 경우, 삼촌, 처삼촌, 시삼촌, 고모부, 이모부 등으로 구별

⓸ 방계 (Collatarality)

직계친과 방계친을 구별 유무

하와이형의 경우, 부와 부의 형제나 모의 형제를 모두 아버지라 호칭, 따라서 방계기준이

없음.

영어의 “uncle"은 불분명

우리의 경우, 직계, 방계를 구분 (부, 백부, 숙부...)

⓹ 분기 (Bifurcation)

삼촌, 사촌 이상의 방계친을 다시 세분하는가?

영어의 “uncle"은 방계친이지만, 부의 형제인지 모의 형제인지는 구분이 불분명.

“grand father", "grand mother"도 구별이 안됨.

우리의 경우, 종조부, 외종조부, 종증조부 등으로 구분

⓺ 대칭 (Polarity)

두 사람이 같은 호칭으로 부르는가?

영어의 “brother-in-law"는 대칭적으로 사용되는 것

우리의 경우, 동서, 처남-매부 등은 이를 구별

⓻ 연령 (Age)

같은 세대끼리 연령에 따라 다르게 부르는가?

영어의 “brother"는 연령기준이 없는 용어

우리의 경우, 형과 제, “큰”, “작은”, “막내” 아버지 등의 호칭은 연령의 차이를 구별

⓼ 사후 (Descedence)

생시와 사후에 호칭이 달라지는가?

우리의 경우, 상대방의 아버지를 지칭할 때 생존할 때는 엄친 또는 가친이라고 하고 사후에

는 선친이라 구별

⓽ 화자의 성 (Speaker's sex)

화자의 성에 따라 같은 친족에 대해 달리 부르는가?

우리의 경우, 같은 친족에 대하여 “형” 또는 “오빠”로 호칭

화자의 성이 남자냐 여자냐에 따라 동일인에 대해 “누나”, “언니”로 부름

5. 혼인 형태 및 혼인규정

1) 혼인의 의미

(정의)

“남녀간의 결합(union)으로 그녀에게서 출생한 자녀가 양친의 정단한 자녀임을 인정하는

것”(Notes and Querries on Anthropology, 1951:110)

"혼인은 이성이ㅡ 합이며 남녀가 성생활을 독점하고 가족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는 것“

(이광규 1992:139)

“성숙한 남녀가 사회적으로 적법한 혼인의식을 통해 정신적, 신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하나의 제도” (최외선외 2003:161)

⇒ 사회적, 법적, 도덕적 의식, 이를 통해 부부가 된 사실 공고

관습이나 법에 의한 승인이라는 의미 - 혼인신고, 의무와 책임 수반

(예외)

· 인도의 나야(Nayar)족: 부부간의 성독점 × (모계사회)

· 수단의 누어(Nuer)족의 일부: 동성애(여성)부부 - 남편, 아내의 역할분담

· 북미의 샤이안(Cheyenne)족의 일부: 동성애(남성) 부부

· 수단의 아잔데(Azande)족의 하층민: 동성애자(남성)

* 상류층은 일부다처제

중국의 허혼(ghost marriage): 영혼결혼식

2) 혼인의 기능

· 성적 욕구의 충족: 경제적으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남녀를 결합

여성 = 임신, 출산, 산후조리, 자녀양육의 과정을 거치면서 육체적으로 활동 제한

남성 = 식량채취, 식량생산, 교역을 위한 장거리 여행 등 힘든 일 담당

결과적으로 경제적 협동

· 혼인을 통해 둘 또는 그 이상의 가족 간의 결합으로 사회집단의 유지, 존속에 기여:

집단 간에 결연 또는 동맹관계(marital alliance)가 성립 ⇒ 혼인을 하나의 교환 체계로 파

* 한상복외 2000:115-117

● 근친상간금제(Incest taboo)

(의미)

일정한 범위의 근친 간에 제도적, 관습적으로 성관계를 금지하는 관습

(친부모-자녀간, 형제자매간 등)

⇒ 가족제도의 핵심을 이루는 사회적 기능으로 사회질서의 유지에 기여

(예외)

고대 이집트의 왕실

잉카제국의 왕실

고대 하와이 왕실 - 형제자매간 혼인 허용 (특정계급의 권위와 순수혈통 보전)

신라, 고려의 귀족, 왕족

아잔데족의 귀족, 통가족의 남성들: 딸과 관계

인도네시아 발리섬: 쌍둥이자매 혼인

(근친상간금제의 원인)

· 인간의 본능 (Robert H. Lowie, 로버트 루이)

· 생물학적 폐해 기피 (Lewis H. Morgan, 루이스 모르건)

· 밀잡한 공동생활로 인한 성적 감정의 상실 (E. A. Westermarck, 웨스터마르크, 웨스터마

르크, 웨스트마크) - 유아기친밀설

· 사회화과정에서 가족원간에 존재하는 에로티즘이 조절 (T. Parsons, 파슨스) - 사회화설

· 이성부모에 대한 자녀들의 성적 욕구에 대한 금기 (S. Freud, 프로이드)

· 부모-자녀, 형제자매간 역할 혼동방지 (Shelton H. Davis, 데이비스)

· 생물학적 원칙에서 볼 때 근친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혼인이 생존상 유리 (A. Stephen, 스

테픈)

· 기타: 가족원간의 질투와 알력

3) 혼인형태

· 단혼제

· 복혼제 - 일부다처혼, 일처다부혼

대부분의 단순사회 (= 20C 이전의 유럽)

인간세계 - 남자의 세계

여자 > 남자

남자 - 수렵, 전투 등 위험한 활동 종사.

미혼여성의 자활수단 없다.

자매다처혼 - 두 명 이상의 자매가 한 남자의 아내

형제다부혼 - 두 명 이상의 형제가 한 여자의 남편

· 혼인의 의미:

개인 간의 협정

두 집단을 연결시키는 관계 (혼인의 집단적 측명)

· 형제역연혼(Levirate) *형제연혼

⇒ 남계의 단계혈통이 사회조직의 중요원리를 형성하는 사회의 특징

(분포) Arabia, 북아프리카의 Bedouin족, Sudan의 Nuer족, 고대 Heberw족

(사회적 의의)

아들 없이 죽은 남편에게 사후에 그의 계통을 계속하여 잇게 함으로써 아들을 얻게 하는

것.

가축 등 동산 - 사후 아들이 인수

신생아 - social father(=pater)와 biological father(=geritor)가 다르다.

→ 형제역연혼, 형제연혼

· 망령혼(ghost marriage): 형제연혼제도의 더욱 극단적인 형식

Nuer(누어)족: 아들없이 죽은 남편을 대신하여 남동생이 형수와 혼인.

둘 사이에 출생한 아이는 형의 아이로 간주.

형제연혼

망령혼 ⇒ 형제자매 집단의 통합을 의미 (상호 권리와 의무)

→남계혈통을 기초로 한 집단 양식을 유지하는데 공헌

4) 혼인규정

(의미)

결혼 시 배우자 선정에 있어 친족 또는 어떤 특정한 범위의 사람과 혼인을 금하거나 우선적

으로 선정하는 규정

⓵ 내혼제와 외혼제

▶ 내혼제(endogamy)

특정한 범위에서의 배우자와의 혼인을 우선적으로 하도록 하는 규정

· 계급내혼제: 인도의 카스트(caste) 제도

· 종교내혼제: 이슬람교, 힌두교, 유태교

예: 미국사회 - 유태교 92.8%, 기독교 91.4%, 카톨릭교 74.4% (Saxton조사) 색스톤

· 지역내혼제: 한국농촌 혼인의 80%, 인근시군을 경계

· 직업내혼제: 계급내혼제와 결부

· 당파내혼제: 조선시대의 영남학파 중 퇴계, 회재선생의 후학인 남인과 일두 정여창, 김장

생 등의 노론 간에는 불혼

▶ 외혼제(exogamy)

일정한 범위 밖에서는 배우자를 선정하는 규정

· 씨족외혼제(clan exogamy):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현상

- 우리나라에서는 혈연외혼제, 즉 동성동본불혼이 보편적이었으나 근래에 위헌판결 민법개

정 예정

⓶ 친족혼

평행사촌(parallel cousin) - 혼인 불가 (자신의 부모와 성이 같은 사촌)

교차사촌(cross cousin) - 혼인 가능

* 일본의 경우, 사촌간의 혼인 성행:

(이유)

① 유사한 조건 - 안정성

② 친척관계의 강화

③ 친숙한 사이이므로 배우자 선정 용이

④ 결혼비용절약 - 경제적 이점

- 참고자료(1): “친척이 사라지는 사회” - 생략

≪9주차≫

1. 문화변동서론

● 인류학에서는 시공간의 저점에 존재하는 어떤 문화를 선정하여 연구

이때 시간을 기준으로 하느냐 공간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시각의 차이

⇒ 바로 접근방법의 차이인데,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이 있다.

□ 공시적 접근(syncronic approach):

(syn: 함께, 동시에, 비슷한 등의 뜻 그리스 말)

- 일정 시기에 문화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이 어떤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지는 보는

관점.

법칙 정립적(nomethetic)이며 경제학, 사회학에서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

인류학에서는 기능주의와 구조주의가 공시적 접근을 사용 (역사성 고려 X)

□통시적 접근(diachronic approach):

(di-a ~을 통해서, ~을 가로질러서, ~으로 이루어지는)

- 개성 기술적(idiographic)이며 역사학에서 이 접근법을 사용

인류학에서는 진화주의, 역사적 특수주의, 전파주의, 신진화주의가 통시적 접근을 사용.

이러한 이론의 명칭 속에는 “시간성”이 존재한다.

□ 문화변동의 의미

문화란 변화하는 것인데, ‘변화의 속도’ 즉 시간적 흐름 속에서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문화

변동론의 핵심.

그 속도와 성격은 각 문화에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임.

시간의 term이 짧을수록 변화의 인식이 어렵다.

⇒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들은 시간을 통하여 서로 간에 끊임없이 상호작용이 계속

되면서 그 사회의 문화체계가 운영.

이러한 과정을 문화과정(cultural process)이라고 함

→문화의 냇물(stream of culture): 수많은 문화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어 각 요소들 간에 끊

임없는 상호작용을 계속하면서 흘러내린다. (Leslie A. White, 화이트)

이러한 문화과정에서 부분들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 어떤 문화요소들은 소멸되기도 하고,

새로운 요소가 낡은 것을 대체 또는 외부로부터 문화요소가 들어와서 문화 과정에 새로운

요소로 등장하면서 변화를 겪게 함 (생성)

* 같이 생각해 봅시다. ⇒ 오늘날 우리의 의식주생활의 모습

가족에 대한 우리의 사고방식 (충효 생각)

2. 문화의 발명과 발견

발명과 발견(Invention & Discovery) - 내적요인

발명과 발견은 문화과정에 새로운 문화요소가 ‘혁신’적으로 등장함을 말한다.

이들은 요소들의 조합(combinations-물리적 결합)과 종합(syntheses-화학적 결합)이다.

발명과 발견은 돌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앞서 이미 문화적 준비과정을 거치게 되

는 것이다.

모든 발명과 발견이 항상 문화 변동을 야기 시키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에게 선택되어져야

만이 그것이 다른 문화요소들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문화변동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 같이 생각하는 문제:

아파트의 온돌방에 놓인 침대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의 의미

Ex) 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

조선기술의 발달, 항해술의 발단, 나침반의 발명, 스페인 왕실의 재정적 지원

⇒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3. 문화의 전파

외부적 요인

전파(Diffusion)

문화의 진행 과정에서 변동의 내부적 발생요인 못지않게 외부적 발생 요인도 적지 않다.

전파(Diffusion):

한 사회의 문화요소들이 다른 사회로 전해져서 그 사회의 문화과정에 통합되어 정착하는 현

이런 문화 전파의 현상은 한 사회 집단으로 하여금 문화발전의 단계를 뛰어 넘게도 하고,

때로는 큰 오류를 범하게 하여 쇠락의 길로 걷게도 한다.

※ 100% 한국인? 미국인?

흔히 한 나라에서 순수하게 자생적인 문화요소만을 들어서 전통문화 요소로 간주하는 경향

이 있지만, 수많은 외래적인 것들이 전파되어 그 문화과정에 정착하여 각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됨

* 같이 생각하는 문제:

아시아에 퍼진 한류열풍

□ 직접전파

A ⇒ B : 두 문화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파

□ 간접전파

A ⇒ B ⇒ C : 제 3자에 의한 간접인 전파

교역자들이나 선교사들, 또는 제 3국의 사람들과 같은 중개인들에 의해서 한 문화의 요소들

이 다른 문화에 옮겨지는 경우를 말한다.

현대사회에서는 대충매체에 의하여 많은 문화요소들이 간접 전파되어지고 있다.

□ 자극전파

A ⇒ B : 전파와 발명이 복합되어서 자극전파(stimulus diffusion)가 일어난다. 한 문화의

어떤 요소가 다른 문화에 알려지면서, 후자에게 새로운 발명이 일어나도록 자극하는 경우를

말한다.

북미의 체로키(Cherokee)족은 백인들과 접촉을 하면서 영어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체로키

문자를 고안하게 되었다. 체로키 문자는 음절 문자로 혼혈 체로키 인이면서 추장이었던

George Guess (Chief Sequoyah)에 의하여 고안되었다. (조지 게스)

4. 문화접변

□ 문화접변(Acculturation):

상이한 두 사회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제 1차적인 혹은 직접적인 접촉관계의 결과로 어

느 한쪽 또는 양쪽 사회의 문화에 변동이 일어나는 것을 문화접변이라고 한다.

(문화들 간의 접촉적인 변화)

A B

문화접변의 모든 상황에서 전파는 일어나지만, 전파는 상이한 문화의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접변 과정의 한 가지 측면으로 간주될 수 있

다.

문화변동은 훨씬 포괄적인 개념이며 문화접변은 문화 변동의 한 측면.

문화들 간의 자발적인 접변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으나 주로 정복이나 식민지 현상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다. 이때 종속적인 위치에 있는 집단은 광범위한 불균형적인 문화변동을 경험

(예외: 만주족에 의해 세워진 청나라는 지배집단인 만주족이 오히려 한족의 문화에 동화되

었다)

▶ 문화융합(fusion): - 인류학에서 강조

A+B=C 두 개의 문화가 전면적인 과정을 거쳐 제 3의 문화를 형성

▶ 문화동화(assimilation): - 사회학에서 강조

A+B=AorB

한 문화가 다른 문화의 방향으로 접근한 것.

일방적인 흡수

// 인류학과 사회학의 차이 ↑

문화접변의 반동적인 결과로 자율성을 박탈당하거나 위협받았을 때 그 사회는 전통문화를

재확인하고 정치적인 그리고 문화적인 독립성을 되찾기 위해서 대중운동을 전개

* 같이 생각하는 문제:

전파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 (일본신사와 불교의 사찰)

5. 문화의 진화

진화: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의 변화과정

진화는 생물학과 문화에서 모두 관찰된다.

생물학적 진화 - 자연도태, 돌연변이 및 유전자유동에 의하여 추적될 수 있다.

(찰스 다윈, 1859 - 종의 기원)

문화진화, 사회진화: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문화진화의 과정은 분명하다.

(허버트 스펜서, 1859 - 사회진화론 / 논문, 1852 -발전가설)

단순진화(unilinear evolution) - 한 방향

다선진화(multilinear evolution) - 여러 방향

- Julian Stuward, Leslie A. White (줄리안 스튜어드, 레슬리 화이트)

진화주의 (Evolutionism):

19세기 후반 문화인류학자들이 생물학에서의 진화사상(Charles Darwin의 진화론이 대표,

Herbert Spencer의 사회진화론)을 도입, 인류학에 적용 (허버트 스펜서)

대표적인 진화주의자:

Edward, B. Tylor(1932-1917) - 에드워드 타일러

James, G. Franzer(1854-1941) - 제임스 프레이저

Lewis, H. Morgan(1818-1881) - 루이스 모르건

E. A. Westermarck(1862-1939) - 웨스터마르크

문화진화론(진화주의) - 1798 인구론 (적자생존의 원칙) - 말서스(맬서스)

◆ 진화주의의 요점:

① 문화의 “진화”라는 개념: 인류의 모든 문화는 다음과 같이 진화

저차원 → 고차원

단순 → 복잡

불완전 → 완전

② 보편적 - 인선적 진화발전의 개념

모든 민족, 모든 지역에서 똑같은 단계로 진화

③ 진화의 파행성

진화발전의 속도가 민족마다 다르다.

결과적으로 현존하는 각종 문화를 비교연구하면 문화진화의 단계를 볼 수 있다고 주장

◆ Edward, B. Tylor의 진화이론: (에드워드 타일러)

인류학의 시조라고 불리움

문화의 정의를 분명히 하고 “비교”가 그의 방법론

현대문화(문명)을 이해하려면 원시문화에 대한 지식 필요

원시문화 ⇒ 현대미개문화에서 구하고자 함

종교의 기원과 진화발달과정을 언급함으로써 진화론적 입장

①종교의 초기형태, 정령숭배(Animism, 애니미즘, 모든 만물에 정령 존재, 자연을 생명화,

인격화) → ②다신교 → ③일신교로 진화

◆ James, G. Frazer의 진화이론: (제임스 프레이저)

1922 The Golden Bough(황금가지): 세계의 종교적 신앙과 의례, 특히 미개종교행위와 주

술적 행위에 대해 방대한 자료를 수집

① 주술과 금기가 원시사회의 통제와 질서를 보존 →

② 주술사와 왕이 사회통제를 담당 →

③ 사제와 정치적 지배자 분화

(업적)

종교에서의 주술(magic), 토템(totem)에 대한 업적 틈

- 주술: 종교에 선행하는 단계의 신앙

원시인들은 자연이나 인간생활이 생명 잇는 힘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라 믿고 여기에 접근하

여 이를 인간의 의지 하에 종속시켜 자신의 희망에 따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한 행동기술

- 종교: 초인간적인 조재에 대한 인식

어떤 대상물에게 인간 보다 우월한 힘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유화하여 여기에서 인간에게

호의적인 영향을 받으려는 것이라고 정의

- 토템: 동물 또는 자연물을 숭배하는 것

토테미즘 - 종교적 의미보다 사회적 의미가 크다 (어떤 토템이냐에 따라 서로를 구분)

◆ Lewis, H Morgan의 진화이론: (루이즈 모르건)

사회진화의 단계를 기술, 사회조직, 경제, 정치제도 등 전체적인 관련에서 도식을 종합화

가족형태의 5단계 진화: 최초는 난혼

① 혈연가족(cobanguinic family) → (직계방계의 형제자매가 통혼)

② 집단혼가족(punalian family) → (직계방계 자매가 다른 남자들과 결혼)

③ 대우혼가족(syndyasmian family) → (일부일처제이나 배타적 동거 ×)

④ 가부장제가족(patriarchal family) → (일부다처제)

⑤ 단혼제가족(monogamian family) = 일부일처제 가족

가족발전이론을 기초로 사회조직의 진화발전을 단계화

인류문명 발달사를 체계화 ⇒ 그 계기는 기술

(모르건(모건) - 고대사회, 1877)

① 야만시대(savagery):

하기야만시대 - 인류생활사의 초기

중기야만시대 - 불의 발견, 화식, 어류식량화

상기야만시대 - 활의 발명 → 수렵생활

② 미개시대(barbarian)

하기미개시대 - 토기사용, 식물 저장

중기미개시대 - 가축사육, 관개경작, 옥수수재배 (신석기시대의 혁명)

상기미개시대 - 철의 발견

③ 문명시대(civilization): 문자의 발명 (역사시대)

◆ E. A. Westermarck, 웨스터마르크의 진화 이론

일부일처제가족이 초지적 형태

진화론적 입장 ⇒ 혼인기원연구

혼인이란 1인 또는 다수의 남자가 1인 또는 다수의 여자와 결합관계

관습이나 법에 의해 인정되는 제도

* 신진화주의의 대두: 20세기 후반

Leslie A. White의 신진화주의 이론

⇒ 문화가 진화발전의 척도

문화는 기술적 문화, 사회적 문화, 이념적 문화로 구성

문화란 인류의 생활을 보장하고 존속시키기 위한 수단이므로 그 목적에 대한 효율의 정도에

따라 문화를 측정하고 등급지울 수 있다고 하면서, 기술적 문화를 진화발전의 기초(지표)로

삼아 전체 문화의 진화척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

기술적 문화: 생활의 보전에 대한 효율의 견지에서 1년간 1인에게 이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기초기표로 삼음

Julian Stuward(줄리안 스튜어드) - 문화변동론(1955) - 다선진화

Leslie A. White(레슬리 화이트) - 문화의 진화(1959) , 문화의 개념

* Further Study:

뉴요커와 아프리카 부쉬맨의 휴대전화 사용

≪10주차≫

1. 응용인류학의 성격

● 인류학 및 인류학자의 기여:

- 지역사회개발, 농촌사회변화

- 도시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

- 환경과 위생조건 개선

- 새로운 기술과 제도의 도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문제

- 국가차원의 제 발전정책과 사업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교육의 확대)

발전(development) 정부, 기타 외부에 의하여 계획적인 사업으로 주어지는 것

혁신(innovation) 한 사회나 집단의 기존 제도와 문화를 다른 것으로 대치시키는 작업

응용인류학의 대상지역:

인도, 페루, 멕시코, 마이크로네시아(Micronesia) 등지

응용인류학의 관심:

변혁의 성곡적 수행을 위한 문화적 전략

발전문제 --- 문화접변의 차원

1) 응용인류학의 성립배경:

국가의 정책적 차원에서 인류학이 응용 - 서구의 식민행정의 발달과 함께 시도

1900년대 초 Ashanti(아샨티)왕국의 “황금의자사건”이후,

사회, 문화적 이해 = 식민통치의 바탕임을 이해

인류학자의 협력 요구 → 영국 간접통치(indirect rule)

피지배사회의 기존 정치구조 존속

토착사회의 지도자에 의한 통치

* Ashanti왕국의 황금의자사건의 개요:

서아프리카의 아샨티왕국

가장 자랑스러운 상징 = “황금의자”(The Golden Stool)

- 한 주술사에 의해 아샨티왕국에 도입된 것

이 의자가 아샨티족의 sunsum, 즉 혼을 포함

“이 의자는 아샨타의 권력, 명예, 복지와 관련된 것이기에 이것을 빼앗기거나 파괴당하면

왕국도 멸망할 것”이라고 예고

(Smith, B. W. 1926 The Golden Stool: Some Aspects of the Conflict of Cultures in

Modern Africa, London: Holbern Publishing House)

(금기) 이 의자에 앉는 것도 땅에 닿는 것도 금기

위대한 일이 있을 경우만, 아샨티왕에 의해 성스러운 힘이 발휘

(전쟁) 1910년 영국총독(Hodgson), Kumasi항구에서 아샨티 지도자에게 각종 요구

특히 황금의자를 영국 왕에게 받치자는 요구 때문에 아샨티왕국의 전사들이 전쟁을 일으킴

- 수많은 아샨티 전사들이 Kumasi에서 영국군대를 포위. 그러나 전쟁은 영국의 일방적인

승리로 종결

· 이론적 뒷받침:

기능주의적 관점(B. Malinowski) - 참여관찰 (말리노브스키)

문화상대주의 개념(=인류학의 철학적 바탕)

⇒ 한 지역의 모든 제도와 문화요소, 기능적으로 하나의 전체를 구성

이것은 그 지역사회의 역사적, 사회적, 생태적 배경에 의해 적절한 것으로 받아들여짐.

따라서 기존의 구조의 급격한 변화는 혼란과 불안, 반감과 반항을 유발

결과적으로 , 그들의 문화전통 위에서 간접통치를 해야 함 (새로운 제도를 점진적으로 도입

하도록 유도)

· 간접통치를 위한 방안:

신민행정관리의 훈련 - 원주민의 사회제도, 정치, 경제구조, 관습법, 풍습, 신앙체계 등 교

예) 1930년대 식민지 관리 - 런던대 인류학과에서 인류학적 훈련을 의무적으로 수강

이와 같이, 영국의 응용인류학 - 식민통치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필요성에 의해 개발

(1920, 1930년대)

2차세계대전 이후, 신생국가의 국가건설과 발전문제에 영국이 참여

→ 응용인류학의 성격, 분야의 변화

해당지역의 올바른 발전을 위해 문화변동과 과정에 대한 방안제공.

이것을 발전인류학(anthropology of development)이라 지칭함

· 미국의 경우, 국내의 인디언 문제해결에 인류학자가 참여

Bureau of American Ethnology(민족학조사연국국)의 지원

→ 인디언 각 부족의 언어, 풍습, 관습법, 종교, 사회조직, 정치제도 등

민족지적 자료 수집 ⇒ 효율적 통치, 충돌완화

→ 인디언의 백인사회 통합 유도

2차세계대전 중,

적대국 국민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사고방식 분석

→ Ruth Benedict의 “국화와 칼”이 대표적 (루스 베네딕트)

2차세계대전 이후(1940년대 후반 -1960년대 초반)

신생독립국가 원조

전후 수복지구의 재건사업

개발도상국의 현대화 지원 - 미국의 참여 확장

미국, 세계의 지도국으로 발돋움

· 응용인류학의 관심:

발전과 개혁 문제

발전사업의 올바른 평가와 방향제시에 더 큰 의미

→ 해당 사회의 구성원의 입장에서 “변화”에 대한 자극 분석, 수행방안 강구

발전 = 계획적인 문화접변(planned acculturation)이라 할 때,

해당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

주도세력의 성향에 따라 발전의 목적과 수행과정 달라짐

2) 자본주의체제에서의 응용인류학

계획적인 문화접변

강제적인 문화접변 (forced acculturation)

⇒ 근본적인 성격이 다르다

계획적인 문화접변: 토착사회가 그들 고유의 전통적인 규범과 이념에 순응하여 발전할 것을

도모함

E. Durkhein의 “mechanic solidarity" (기계적 결속) 개념에 바탕을 둠 - (에밀 뒤르껭)

→ 한 사회 성원들은 공유하는 문화체제를 통해 결속

따라서 발전

변화는 전통과 문화의 동질성을 파괴하지 말아야 한다.

점진적, 단계적 변화 필요

계획적 발전의 법칙: 제시된 계획 작업의 효과를 예상. 예견을 필요

기존의 문화체계와 구조의 성격이 변질되지 않는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것의 도입

을 필요

혁신이나 발전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외부로부터의 계획과 아이디어 → 주민에게 제대로 전달

전통적 지도자들이 진보적 생각을 가지게 될 때 성공

전주민의 공통된 의사결정이 중요

→ 발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보다 더 효과적, 근본적

그 뒤에 혁신을 수용할 소집단 조직

변화를 위한 기술의 내적 개발

전통문화 - 새로운 문화특질에 적응시키는 노력

⇒ 민주적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 혁신 채택의 주요방법: 시범사업(pilot project)

혁신의 내용 → 소집단 실천(실험적): 인류학자의 협조 필요 (문화개혁에는 그 문화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기 때문) → 수정과정(단계) → 전체집단에 적용, 실천

예) (미얀마) Burma 정부: 근대화작업으로 생산성 제고를 위한 경제구조의 변혁을 추진

⇒ 실패

(이유) 여성과 청소년의 경제적 중요성을 간과했기 때문

변화의 전략: “분업”으로 이해

성과 연령에 따른 역할 분담: 상호보완관계 (경제개발)

예) 아시아에서의 지대(rent) 조정시 고려사항:

- 묘지사용여부

- 신성한 산림 (종교적 의의)

- 위토

- 지참금

- 상속제도 등을 고려해야

3) 사회주의체제에서의 계획적 변화

사회주의 체제에서의 계획적 문화접변: 전사회의 모든 영역에 적용

계획적 변화 - 상부에서 시작 (때로는 “혁명”으로 대체)

이런 사회에서의 “변화” : 전체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통한 기존의 권력구조의 재편성을 의

미 = 기존의 구조와 문화전통을 전면적으로 파괴하고 재편성

vs. 자본주의사회: 기존의 구조와 문화전통을 존중하면서 변화

▶ 변화의 순서: <변화의 우선순위> 문화변동

자본주의사회: 문화의 변화 → 사회적 변화

사회주의사회: 사회구조의 변화 → 문화의 수정(자동적)

K. Marx: 상부구조(super structure) --- 하부구조(infra structure) - (칼 맑스)

문화와 경제: 불가분의 관계 , 경제가 우선

생산력과 상산관계: 구조의 결정적 요소

과학, 기술의 발명 → 생산수단의 변화 ⇒ 생산관계의 수정

→ 생산관계의 변화 ⇒ 상부구조에 영향 ⇒ 의식체계(태도, 관념), 제도(법, 정치, 종교)에

변화 유발

생산체계 변화 ⇒ 상부구조 부수적으로 변화

* 자본주의체제하 응용인류학: 문화를 더 강조

→ “구조”의 문제 소홀

사회주의체제하 응용인류학: 사회적 측면 더 강조

→ “문화”를 소홀히 취급

▶ 개혁의 담당자:

개혁의 준거문화 - 무산계급(proletariat)의 것

발전의 주도자: 착취당한 경험자, 혁명운동의 지도자

변화 ⇒ 일차적으로 계급투쟁

구시대의 정치체제형태의 파괴에 이루어짐

전체의 사회, 경제구조의 변화를 의미

vs. 자본주의: 일부의 개혁을 전체의 변화에 이용

▶ 사회주의 체제하에서의 변화(개혁, 변혁)의 장단점:

(장점) 제도적 단일화나 통합 잘 됨

국가차원에서의 경제구조 변혁시키는데 주력

(경제발전, 사회경제구조의 변혁)

(단점) 계급간, 민족집단간 문화적, 사회적 통합이 잘 안 됨

이로 인한 내적 갈등요소는 정치적 통제에 의하여 그 표면화가 억제될 뿐

(소결) 발전사업을 계획, 수행하는데,

문화와 구조 어느 쪽을 강조하는지는 정도의 차이일 뿐

결코 배타적이거나 다른 한편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다

2. 발전문제와 인류학

1) 지역개발과 문화:

발전정책 - 지역개발정책과 맥을 같이 함

지역간 격차 - 국가통합을 지연시키는 요인 가능

지역개발사업 - 경제적 조건의 향상

- 보건, 위생시설의 확대

- 지역문화의 개발

*지역개발사업의 성공사례:

Peru(페루)의 비꼬(Vicos)계곡지역의 개발계획

Cornell(코넬)대학의 Peru Project(책임교수: Allan R. Holmberg) (알렌 홈버그)

1950-1952 현지조사

1952 임대자 파산 → 코넬대학팀 하시엔다(hacienda)라는 장원 인수

이후, 5년간 운영 → 비꼬 주민들, 완전자립(소작→지주로 탈바꿈)

■ 지역개발사업의 성공사례:

Peru의 Vicos 계곡지역의 개발계획

(source) Holmberg, Allan R. 1965

"The Changing Values and Institutions of Vicos in the Context of National

Development",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8 : 3 - 8

Vicos(비꼬): Quechua어 사용. // 언어

인디언이 주민인 “hacienda(하시엔다)”라 불리는 일종의 장원 (Peru, 1700명의 인디언)

(역사) 스페인의 식민통치 초기 - 하시엔다의 농노생활

스페인 통치 이후, Peru 정부 “Public Benefit Society"

(공공이익협회)에 의해 소유 관리되는 공공장원

(운영) 개인 또는 단체가 협회와 입찰, 5-10년간 임대운영

임대자 - 스페인계와 토착 인디언 혼혈인 “mestizo(메스티조)”가 차지

- 봉건영주와 같은 특권(좋은 땅은 무상노동, 나쁜 땅은 소작)

이와 같이 부재지주집단에 의한 철저한 착취를 당함

조그만 반항 - 철저히 분쇄(지주, 교회, 경찰 합작)

(미국대학팀의 인수, 개발)

1952년 임대자가 파산 → 미국의 Cornell 대학 인류학자팀이 인수

(잔여임대기간 5년)

인수당시의 상황

- 최저의 생활상태

- 경제, 위생환경, 보건, 영양상태 - 최악

- 교육시설 전무

- 외부세계, 외부인에 대한 극도의 의심과 반감

- 비관적, 정체적인 태도

5개년 개발계획 내용:

- 무상노동력 착취하던 「하시엔다」제도 폐지 → 임금노동제 채택

- 지역사회 공동참여 운영조직으로 개편 - “자신을 위해 일을”

- 새로운 영농기술 도입, 개량종자의 사용 → 노동생산성 급격히 증대

- 식생활개선 → 영양, 보건상태 호전

- 현금반입 - 농업확대에 재투자

- 교육시설 확산 (교사 1몀 → 9명, 학생 10-15명 → 200명)

(Peru 정부 협조) - 보건진료소 설립 (주 2회 진료)

- 주민대표기구 설립 (6개지역대표로 구성) - 비꼬지역의 모든 일 관장

- 자치적 의사결정 가능

5년 후 「비꼬」주민들, 완전 자립 (공익협회로부터 토지 구입)

(소작 → 지주로 탈바꿈)

그간 토착 인디언 혼혈인 mestizo계의 부재지주들의 압력 노골화

심각한 분규, 충돌 발생. 이를 극복

1962년 Vicos 완전독립(Cornell대학 팀 - 자문역할)

(경제적으로 외부자본가와 부재지주로부터 완전 독립)

이 사업의 주도자 Holmberg(홈버그)는

“누구든지 자기가 원하는 대로 시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권리는 보장받아야 하며, (중략)

자신의 개인생활에 대한 존중을 향유할 기회를 가져야한다.”고 주장

* 우리 모두 Holmberg에게 존경과 찬사를 - 마치 “인권선언”과 같은 명문!!

◎ Cornell 대학의 Peru Project(요약):

Cornell대 인류학자 - Vicos계곡에서 1950-52년 현지조사

Vicos(비꼬): 국유장원, 공익협회 소유, 정부족지기관에 헌금(이론상)

- Holmberg(홈버그)의 회고담(1965):

Peru의 농노 억압받는 농민 (주체)

→ 자유가 주어지고 격려를 받고 기술적 지원과 교육을 받으면 (조건)

⇒ 그들 스스로 족쇄로부터 벗어나 생산적 시민이 될 수 있다. (결과)

※ 참고자료(담당교수의 견해):

◎ 제도와 의식간의 상관관계

제도 > 의식 : 제도가 의식을 지배(불일치) - 새로운 제도의 도입

제도 = 의식 : 제도와 의식이 일치

제도 < 의식 : 의식이 제도를 지배(불일치)

제도 > 의식 : 새로운 제도의 도입으로 제도가 의식을 지배

(설명)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헌법을 비롯한 각종 법안을 제정

그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개정 작업, 이에 따라 의식의 변화를 가져옴

이것은 다시 새로운 제도의 등장을 도모하게 됨

* 조선왕조의 경국대전, 속대전

- 고려의 잔재를 씻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결과

· 현재의 제도들이 정착하고 조선왕조나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려면 앞으로 50여년정도 절

릴 것

■ 지역개발의 방향

지역개발이 갈등을 일으키는 사례 - 정부의 시책과 목적을 획일적으로 주입할 경우,

경제조건 향상

보건, 위생시설의 개선 ⇒ 다른 분야와의 괴리(예: 새마을 운동)

지역의 역사적,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 무시

(예: 경주시의 도로개설 - 수 많은 매장 문화재 파괴)

과거 새마을 운동의 문제

전통문화의 상실: 기와집 → 슬레이트, 슬라브집

지역문화의 변질 - 획일화

지역사회의 정체성 소멸

* 같이 생각하는 문제:

도시빈민이나 농어촌, 도서지역에서 인류학자가 지역발전을 위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

까? ⇒ 제주도 성읍마을에서의 일화

2) 발전의 정책과 사업수행

국가차원의 발전사업: 지역, 계층 간의 수혜의 차이 극소화해야

→ 장기적으로 볼 때, 국가통합이나 전체로서의 사회 발전에 새로운 문제를 야기

예) 1970년대 Brazil 정부의 Amazon강 지역 개발사업:

Yanomamo(야노마모)족에 미친 영향(Davis, S. H. 1977) - 데이비스

(사업내용)

- 목축농장건설

- 고속도로 건설

- 다국적 기업에 의한 광물 채취

- 공업시설 건설

(영향)

인디언의 영역 침범

백인에 의해 저임금, 비숙련 단순노동자로 종속

사고(경험부족)

새로운 질병

신체적, 정신적 질혼(생태계 파괴)

⇒ 인구 급격히 감소

전통적 의례

사회조직의 소멸 ⇒ 통합된 사회단위 유지 어렵다

(결과)

영세농업노동자로 전락

경제조건의 악화, 실업, 영양부족 질병 ⇒ 파멸과 희생

* 인류학자의 조언과 자문 필요

새로운 기업, 제도, 환경, 생태계의 변화가 어떤 사회, 문화적 배경을 변질시킬 것인가, 이

결과는 주민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논의

3) 근대화 작업과 제3세계

발전정책의 이론적 기반: 근대화이론(Modernization theory)

⇒ 전통적 사회제도와 가치관 및 문화에 대한 부정적 해석에서 출발

(근대화의 내용)

기술혁신, 경제개발, 새로운 가치관의 도입, 제도의 개혁을 통해 세계체제에의 통합시도

1960년대의 신생국, 저발국에서 혼란과 갈등 일어남

근대화이론: 서구를 기준으로 한 자문화중심주의의 표현

▶ 근대화와 전통의 상관

예① Epstein, T. S.(1962)의 남부인도의 경제개발과 사회변화 - 엡스타인

A마을: 관개시설의 확충 → 사탕수수가 상업 작물화,

경제발전, 그러나 전통적인 촌락사회체제와 문화 불변

B마을: 관개시설 불충분, 경제발전 지연 → 전통적 사회체계 해체

(소결) 경제발전 - 전통사회 해체는 일관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예② Geerts. C.(1965) - 기어츠

(내용)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다른 두 Indonesia의 도시의 현대화과정을 서술

- 전통적 사회조직과 관계망

종교적 이데올로기와 가치관의 수정

⇒ 새로운 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기제로 동원됨을 입증

* 전통문화

가치관의 변화 ⇒ 상황적응적이라는 뜻(담당교수)

*인류학자: 전통문화의 옹호론자가 아님

문화에 대한 책임감 없는 낭만주의자라는 비판을 받기도

새로운 기술과 제도의 도입

⇒ 전통적 생활양식과 의식체계와의 갈등야기

이 예견되는 갈등의 해소를 고려한 정책개발 요구

(방향)

기존의 문화체계를 보존하면서 그 안에서의 정치, 경제, 기술, 물질의 변화를 연구

4) 농촌발전과 문화

▶ 제3세계 정부들이 농촌변화를 계획할 때 취하는 기본적 입장:

① 농촌사회의 기존체계 내에서의 농촌발전 도모

생산성

생산조직의 개선에 중점

② 농업경제 및 사회조직의 새로운 형태 형성

기존체계의 작용범위

생산기술

사회와 법적 구조 변형

예: 새로운 토지소유체제 실시,

새로운 주거지역 건설(한국: 농촌취락구조개선사업), 농장시설의 추진

▶ 농업생산수준의 제고문제

Nepal(네팔)의 경우, 재래품종 → 일본품종의 벼 소개(두 배의 생산량)

처음에는 좋은 반응(생산량 증대)

나중에는 거부(가축 여물로 사용되는 짚이 적고 낟알이 작아 새로운 탈곡기 필요 때문)

이와 같이, 새로운 영농기술이나 품종의 도입에는 여러 요소 복합적으로 작용

토지개량사업

품종개량사업을 더 선호

→ 경제적 안정성 보장 여하에 달려 있다.

재래품종

재래식영농엽법에 집착하는 것은 제 3세계 농촌의 보편적 현상

- 불확실한 모험 기피

(농산물 가격 변동성과 예측이 어려운 곳)

* Foster, G. M.(1967) Tzintzuntzan(찐쭌짠) - 멕시코 농민 // 포스터

Mexico 농민의 보수적 태도를 가리켜 “한정된 재화의 관념”의 탓으로 해석

그들의 사회적 단위가 일정한 생산환경의 테두리 안에 있으며 이로부터 얻는 물질적 혜택의

양은 일정하다고 믿음

개인의 부의 축적 = 다른 사람 몫을 차지하는 것

다른 이의 사회적 지위, 자녀까지도 반감과 의심의 대상

따라서, 남보다 월등히 뛰어나는 것을 자제

→ 새로운 영농기술채택, 기업가적인 시도, 욕구를 억제

(참고자료)

Yanomamo(야노마모)족의 붕괴

Davis, S. H 1977 Victims of the Miracle: Development and the Indians of Brazil,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내용)

Brazil 정부 - 개발, 진보 그리고 “국가사회로의 결합” 목표

⇒ 브라질 인디언들의 문화적 말살, 극심한 가난, 실제적인 인종말살을 고발

* Divis, S. H. 1979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nthropological Science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Brazil」 In G, Huizer and B. Mannheim. eds...

The Politics of Anthropology, The Hague: Mouton

1980 「Mining projects Endanger Amazon's Yanomamo Tribe」

Multinational Monitor 1,1, February : 20-21, 28

◎ 인류학자들의 기본적 책임은 무엇인가?

원주민들의 실제상황을 공개발표, 사회적 실상을 기록

◎ Yanomamo족이란?

“The most fierce people in the world"

(세계에서 가장 포악한 민족)

1980년 현재 8,500명(Brazil과 Venezuela 국경지대 거주)

전통적 사회조직과 생계경제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마지막 몇 부족 중 하나

Amazon강 통과 북부고속도로(Northern Perimeter Highway), 거대한 광산개발

⇒ 이로 인해 독립성 위험, 생존 위협

◎ 피해 상황:

고속도로 인부들에 의한 질병(인플루엔자, 결핵, 홍역)

- 100km 주변의 15개 마을 파괴

폴튜칼어 사용거부, 경작지 파괴

(대책)

21개 보호구역 만듬(58개 마을, 2900명 제외)

고속도로, 소로, 모든 보호구역 통과

인구보존

생태계보존

생존적 욕구에 대한 대책 없음

이익, 개발 앞에 문화적 인종적 말살

3. 산업인류학 - 기업과 인류학

다국적 기업의 예

· 제너널 일렉트릭 (General Electric Company)

· 제너널 모터스 (General Motors Corporation)

2007년 세계 100대 기업 중 1위~40위 - (생략)

대한민국 여러 기업의 로고 - (생략)

* 같이 생각하는 문제:

삼성전자에서 기업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자.

과연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11주차≫

1. 환경과 삶

서울 한 초등학교의 교실: (30년 전)의 풍경:

(질문) “한 달에 한 번/2주에 한 번/1주일에 한 번 목욕하는 사람은?”

(응답) 2주일에 1회 → 1개월에 1회 → 1주일에 1회의 순

(이에 대한 해석)

“예전에는 참 지저분하게 살았다”

⇒ 과연 그럴까?

(그 당시의 환경은?)

당시의 물, 공기, 땅은 깨끗

한강의 백사장에 수영객 다수

겨울에는 꽁꽁 언 강 위로 사람과 마차가 지나감

(지금은 어떠한가?)

얼지 않는 한강 물

(그 원인)

많은 사람들이 더운 물로 샤워, 환경세제로 세탁.

물비누로 설거지: “깨끗한 생활”

■ 청결과 환경오염의 문제:

개인의 청결 기준이 조금씩 오르면 주변 환경은 기하급수적으로 오염

우리의 잦은 목욕이 과연 선진국의 증거일까?

현상① 아파트 생활문화

현상② 섬나라(고온다습)의 목욕문화

현상③ 영어문화권의 과도한 청결, 위생 집착의 화장실 문화의 유입

프랑스, 네덜란드 등 건조한 유럽 대륙의 문화

한국, 중국, 몽고 등 아시아 대륙의 문화

⇒ 비교적 건조한 대륙성 기후에 적응하여 발달

실제로는 자주 몸을 씻지 않음.

(이유)

일본 식민지 시대에 강요된 청결에 대한 열등감

·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

12억 중국인이 자주 씻으면 황해는...

중국대륙의 자전거 대신 자동차로 덮히면 그 공해물질은 어디로...

■ 일상생활의 풍요로움과 환경문제:

이스터 섬의 수수께끼, 모아이

· 지난 30년간의 식생활의 변화:

고기,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빵, 과자의 대량소비

→ 식량자급률 80% → 20%로 감소

(옥수수, 밀가루 등의 대량 수입)

음식물 쓰레기: 가장 지독한 오염물질의 하나

(1995년 현재, 음식물 쓰레기 8조원 어치)

에너지(석유 등)

식량

원자재의 공급이 끊어진다면 한국사회는 어떻게 될까?

에너지와 자원을 낭비하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 지역적, 지구적 차원의 자연순환체계 파괴

개인의 삶의 방식의 변화 → 사회의 생활문화 변화 → 지역의 자연환경, 지구적 생태균형

변화 → 개인의 삶의 방식의 변화 (=순환적 변화)

결과적으로 환경문제 = 문화의 문제

오늘날 빠른 속도로 지구상에 획일적이고 표준적인 삶의 양식을 만들어가는 서구적 생활문

화와 가치관을 경계. 다시 말해서 획일적 문화통합과 가치관의 표준화 현상은 인류생존의

가능성 자체를 감소시켜내는 일

■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 문명의 흥망과정:

인류사회의 미래에 대한 경고

(Jared Diamond의 연구) // 다이아몬드

1,500여년 전 최초로 이스터 섬에 입도한 사람들이 고도로 조직적인 문명을 만들어낸 과정

소개

자연환경 훼손 → 문명 자체를 파괴 → 최소한의 식량 ×

→ 식인 등 자멸의 길

▷ 이스터 섬의 몰락: 제러드 다이아몬드의 글에서

사라져버린 문명들:

크메르 (앙코르와트)

마야

아나사지(Pleblo Indian의 절벽틈새에 지은 도시)

이스터 섬

■ 이스터 섬의 개요(요약):

이스터 섬이란?

폴리네시아(Polynesia)인들이 건설한 거대한 석상들과 메마른 정경이 남겨져 있는 곳

고생물학자 David Steadman등이 이스터섬 발굴 (데이비드 스테드먼 // 스테더만)

면적 : 168km2

위치 : 태평양(주변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곳)

기후 : 혼화(아열대지역에 위치)

토지 : 비옥

역사 : 1722. 4. 5(부활절) 네덜란드 탐험가 르헤벤(Jacob Roggeveen) 발견.

→ 발견 당시 불모의 땅. 주민들 땔 나무 없이 겨울 나고 닭이 유일한 가축

18세기 - 19세기 초 이스터 섬을 방문한 유럽인들.

→ 이 섬의 인구 2천명 추정.

1774년 James Cook 선장 방문 (제임스 쿡)

→ 이 섬의 주민은 폴리네시아인 = 원래는 훌륭한 선원

카누, 수영으로 접근

2인 이상 승선할 수 있는 카누는 서너 척

420km 떨어진 무인도 왕래 주장

이스터 섬의 문명: 200개가 넘는 석상

대규모의 돌 제단 위에 건립

700개 이상의 석상들이 채석장 주변과 옛 도로 위에 산재

높이 10m 무게 82톤

채석장 - 건립지 10km 거리

최대 높이 20m, 무게 270톤

돌제단 - 길이 150m, 높이 3m

⇒ 르헤벤이 목격한 것과는 다른 사회의 존재 양식

(증거물)

석상재료의 돌

석상의 왕관 붉은 돌

조각용구의 재료 돌

고도로 발달된 정치 조직

▷ 이스터 섬의 미스테리:

아메리카 인디언의 정착(?)

초현재적 장비를 갖춘 외계인의 작품(?)

▷ 이스터 섬의 문화가 폴리네시아 문화에서 유래했다는 증거:

- 언어: 폴리네시아 방언

- 낚시도구, 손도끼: 폴리네시아 특유의 형태

- 농작물: 아시아 기원의 폴리네시아 특유의 농작물

- 닭: 아시아의 동물

- 인골의 DNA 검사 결과: 폴리네시아 인의 DNA와 동일

⇒ 고고학적 발굴, 꽃가루, 운석, 화석학 연구결과로 증명

<이에 대한 설명>

· 고고학적 발굴 - 1955년 이후의 고고학적 발굴: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A.D. 400 - 700년대 거주 시작

석상: 1,200 - 1,500년대 건립

인구: 7,000 - 20,000명 추정

- 석상조각과 건립 실험 결과: 20명, 1년간 석제 조각칼 이용

가장 큰 석상 제작 가능

이동 - 수백명, 나무 썰매를 이용, 나무 굴림대로 운반

통나무 지레로 석상 건립

밧줄 - 「하우하우」작은 나무의 섬유조직 이용

· 꽃가루 분석 - 늪이나 연못의 퇴적물을 기둥 모양으로 파내어 이를 분석하는 기술

퇴적층의 나이 -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으로 파악

각 층의 꽃가루 분석

3만년 전부터 생명체 존재

아열대 숲, 야자나무 열매는 식량, 수액으로 설탕, 시럽, 꿀, 와인 만듬

· 쓰레기 더미의 발굴 - A.D 900 - 1,300년대 쓰레기 더미

- 뼈의 1/4이 생선뼈 (그 중 1/3이 고래뼈)

고래, 바다새(25종), 섬새, 쥐, 바다표범을 식량으로 이용

“새를 끓인 스프”에 쥐고기를 넣어 맛을 냄

▷ 이스터 섬의 파괴과정:

A.D. 800년경, 숲이 대량 파괴

1,400년대, 야자나무와 숲이 사라짐

→ 밭 경작, 카누 제작, 석상 운반 및 건립, 불 피우기 위한 벌목

쥐들이 씨앗을 먹고 새들이 죽으면서 숲이 파괴

1,500년 이후, 고래뼈도 사라지고 바닷새도 절반이상 사라짐.

닭은 사육과 식인풍습

(“네 엄마의 살이 내 이빨 사이에 끼어있다”라는 모욕적인 말)

사람과 석상이 숲의 파괴 주도

잉여 식량의 감소 → 정교한 정치조직의 혼란 → 1864년 마지막 석상이 파괴

<소결>

이스터 섬의 문명의 쇠퇴과정 → “이스터 섬이 바로 지구”

지구: 인구증가 - 자원감소, 고갈 → 거대한 변화

수천명의 이스터 섬 사람들 = 돌 연장과 근육

수십억의 현대인: 금속연장과 기계

⇒ 이스터 섬을 거울삼아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

* source:

한경구 외 5명 2006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개정증보판), 서울: 일조각

2. 이스터섬(Easter Island)의 민족지

■ 이스터 섬의 자연환경

▷ 유래:

1722년 네덜란드의 로헤벤이 부활절(Easter)에 이 섬을 발견한데서 유래

현지인들은 이 섬을 큰 육지를 의미하는 “Rapanue"(라파누이)라 부른다.

▷ 섬의 구성:

3개의 화산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육지

라노카우산 - 성층화산

푸아카티키산 - 성층화산

텔레바카산 - 큰 균열 화산

▷ 위치:

칠레 본토에서 약 3700km 서쪽에 위치

가장 가까운 타히티 섬에서 약 400km

▷ 섬의 면적 및 특성:

170km2

주거지, 농경지, 채석장, 종교시설의 흔적 등 15,000개 이상의 고고학적 유적 산재 (연대

700-1860년, 1800년대까지 선사시대 계속)

* 태평양지역:

폴리네시아(하와이 제도, 뉴질랜드, 이스터 섬을 잇는 삼각형 지역)

멜라네시아(호주 북동쪽으로 연속해 있는 섬들)

마이크로네시아(적도 이북, 경도 180˚ 서쪽에서 필리핀 동쪽에 걸친 지역)

▷ 섬의 생성:

70만년 전 지하 2,900미터의 지구 깊숙한 곳에서 상승한 뜨거운 맨틀이 이스터 섬이 생긴

곳에서 분출하여 격렬한 화산 활동을 시작. 여기에 170만년 전 해저암반의 이동 이후 생겨

난 화산활동이 겹쳐 화산이 급속 성장, 마침내 해수면으로 그 얼굴을 드러냄.

섬의 양쪽 끝에 자리한 라노카우와 푸아카티키 산 그리고 섬 중앙의 가장 높은 텔레바카

이 점점 위로 성장하여 삼각형의 섬을 형성. 이것이 바로 이스터 섬의 탄생이다.

▷ 섬의 동, 식물상

약 20만년 전에 화산활동이 끝남(용암섬)

식물의 전래방법은

① 표착

② 새 등의 동물에 의한 종자의 산포

③ 종자나 포자가 바람에 날려 오는 것이다.

이중 바람에 날려 분초를 확대할 수 있는 식물은 종자가 작은 난이나 포자로 번식하는 양치

식물로 한정.

이전에는 이곳 고유의 아열대림이 무성.

그것은 화구호 밑바닥에 퇴적한 진흙 속에 분포한 꽃가루를 통해 밝혀짐.

주요수종: 콩과의 소포라 토멘토사와 근연관계인 토로미로,

저목의 라시움 샌드윈센스(가지과)나 덩굴성의 스태파니아(콩과)등

⇒ 이들 종자는 해류로 운반되는 것들

이스터 섬 사람들은 이들 나무를 건축재, 선재, 롱고롱고의 판, 창의 손잡이, 모아이를 운반

하는 지주로 이용.

그 나무껍질은 로프의 재료로서 활용

■ 이스터 섬의 수수께끼, 모아이

▷ 모아이의 규모: 평균 4미터, 최대 21미터

▷ 모아이란?

거대하고 고도로 양식화된 석상

세대가 바뀜에 따라 사람들이 신격화하여, 예배를 올린 폴리네시아 인의 수장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됨.

씨족들의 영토를 감시하고 이스터 섬 사람들의 풍성한 수확과 안정된 생활을 보장하는 것이

모아이로 만들어진 수장들의 역할이었다.

▷ 모아이의 제작

모아이의 제작은 사회에 널리 침투해 있었다.

작은 석조상은 일반 집에도 있었고, 큰 것은 다양한 크기

-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의 결과:

1200년경에 시작되어 1500년대말 까지 계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수백년동안 900개나 되는 모아이를 제작

초기 석상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것은 아후를 증축, 개축할 때에 낡은 석재를 부숴 이를 건축재에 섞는 것이 당시의 일반

적인 건축양식이었기 때문 (아후 = 제단)

아후의 개축은 선사시대 이래 계속되어 온 일인데, 이 사업의 수행을 통해 수장이나 신관들

이 사람들의 지지 속에 사회에서 자신들의 높은 지위를 유지

▷ 석상의 재료 및 제작방법:

기록으로 남아있는 모아이의 대부분은 라노라라크의 황색 응회암으로 제작

지금도 이곳 채석장에는 350개나 되는 석상이 방치

석상은 단단한 현무암으로 만든 크고 무거운 석기를 사용하여 응회암으로 제작

끌처럼 사용된 석기의 대부분은 라페루즈 만 부근에 있는 채석장에서 가져온 것

▷ 제작순서:

- 응회암의 벽면을 가늘고 깊게 움푹 파서 모아이의 재료가 되는 긴 바위덩어리를 구분

- 바위덩어리의 뒤쪽이나 아래쪽으로 점점 더 움푹 파 내려가서 용골 부분만으로 전체를

지탱

- 석상이 조심스럽게 만들어지고 얼굴이나 몸통부분의 기본적인 제작이 실시

- 이 단계가 끝나면 용골 부분이 모아이에서 떨어져 나가고 석상은 길고 큰 로프를 써서

언덕의 기슭으로 운반

- 등쪽을 마무리 하고 아후로 운반된다

▷ 운반방법

해안을 따라 흩어진 마을로 운반 (평균 20톤) - 최장 20km 운반

- 말로이의 흔들이(진자)법

- 파벨의 냉장고법: 생산지 → 해안

■ 모아이의 변천상

7세기경, 이스터 섬에 이주한 이주민들은 제단을 만들고 돌이나 나무를 조각한 신상을 모시

는 전통을 보유.

수장을 우러러 받들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묘비명으로서 모아이를 제작.

초기의 모아이는 높이 2미터 정도로 둥근 얼굴, 둥근 눈을 한 실제의 모습

(재료: 붉은 스코리어 = 화산암)

10세기경, 정형화되기 시작.

재료는 라노라라크의 응화암만 사용.

높이는 평균 4미터.

가슴을 벌리고 턱을 쑥 내밀며 큰 눈으로 마을을 쏘아보는 모습

(수장의 위엄을 상징)

이때부터 붉은색 스코리어로 만든 푸카오를 머리 위에 얹은 것이 나타남

14-15세기. 모아이 제작의 전성기.

대형모아이 유행(아후테피토크라의 모아이 - 높이 11미터, 추정무게 80톤)

* 16세기경의 미완성 모아이: 21미터 크기

이 시기에는 무릎을 꿇은 상이나 여성상도 등장.

▷ 모아이의 제작 동기

자연환경이 가혹하고 식량자원 불충분한 지역적 특성 때문에 정신적 구원을 찾게 됨. 초기

에는 조상숭배에서 그 길을 찾았고 신앙심을 에너지로 하여 힘든 석상 제작에 몰두

(모아이 = 신앙의 대상이자 마을을 대표하는 상징)

- 신앙의 대상

- 마을끼리의 권력 투쟁으로 발전

- 적개심의 수단이 되어 더 큰 모아이 제작에 몰두

그 결과, 생업소홀, 식량부족, 도둑증가, 마음의 황폐화를 가져옴.

- 모아이 문화의 붕괴초래

▷ 모아이 제작의 중단배경

900개의 모아이 중 350개의 모아이가 라노라라크의 채석장에 미완성품으로 방치(훼손된 것

도 있으나 거의 완성되었는데 갑자기 작업 중단한 것도 많다)

16세기말, 모아이 제작 갑자기 중단.

16세기에는 수장에 의해 섬이 통합.

그 이후 내란을 겪고 본격적인 수장제 시대로 돌입

(지배계급 사이의 갈등으로 제작이나 견인이 허용되지 않았던 듯)

1722년, 이 섬을 방문한 로헤벤(유럽인 최초):

자연이 황폐되고 훼손되어 큰 수림이 없었다고 기록

자연 파괴로 모아이 운반용 목재를 구할 수없고 수장들간의 투쟁도 극심

(전설: ‘하나우 에에페’(=씩씩한 사람들)과 ‘하나우 모모코’(=마른 사람들)가 섬의 동쪽 끝에

있는 포이케에서 싸워 ‘하나우 에에페’가 거의 전멸) - 17세기

모아이의 의도적인 파괴행위: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까지 지속

(연구자의 주장)

격렬한 투쟁의 증거: 무기로 이용한 흑요석제 석기의 증가

* source:

1999 이스터섬 새로운 발견, 월간과학 뉴튼 1999 3월호, pp.30-7

<모아이의 머리돌>

- 아후 아키비의 인면석상, 아후 비나푸의 모아이, 원주민 치마

라파누이(Rapa Nui, 1994)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 2004)

≪12주차≫

● 문화의 전파 -전파주의(Diffusionism) / 일명 역사주의(Historialism)

▶ 대표적인 학자:

G. E. Smith (1871-1937) / 스미스

F. Ratzel (1844-1904) / 라첼

W. Schmidt (1868-1954) / 슈미트

▶ 전파(Diffusion)란?

한 민족에서 다른 민족에게로 문화특질이 이동하는 것

문화 간에 문화특성들의 확산 또는 빌려옴

왜 한 민족이 특정의 문화특성을 가졌는지를 그것이 다른 지역으로부터 전파되어 왔다는 사

실에로 돌려서 설명하는 것은 하나의 역사적인 방법으로 귀착된다.

▶ 전파주의란?

문화적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진화보다 전파(때로는 이주)를 강조하는 시각

전파주의는 사물이 한 문화에서 다른 문화로, 한 민족에서 다른 민족으로, 한 장소에서 다

른 장소로 전달되는 과정을 중시

극단적인 전파주의의 암묵적 전제는 인류가 그다지 창조적이지 않다는 것

일단 발명된 사물은 지구상 곳곳에 전해진다.

⇒ 정착집단간의 직접적인 전파, 민족의 이주

19C말 - 20C초

문화 발전에서 내적, 주체적인 조건보다 외적 계기로서의 제(다른)민족의 접촉, 또는 문화의

차용, 전파에 치중하여 민족 간의 역사적 관계와 이로 인한 개개민족의 복잡한 역사적 과정

을 문제 삼았다.

여기에는 멘체스터 학파(Manchester school), 빈 학파(Wien school)의 두 학파가 있다.

주요개념: 전파, 전파주의, 문화권 vs. 문화영역, 만체스터 학파, 빈 학파

1. 전파주의의 이론적 기초: 19세기 이전부터

J. F. Lafitau(라피토) - 북미 인디언의 신화 종교 등의 문헌에서 보이는 고대 희랍 제민족

들의 신화, 종교와 유사하는데 착안

⇒ 고대 희랍인들이 북미에 이주한 결과가 아니었겠는가?

W. Buckland(북랜드,버클랜드) (1784-1856) - 농경기술, 토기, 금속기가 태양숭배부족에

의해 세계 각지에 전파되었을 것

E. Halm(함) (1857-1926) - 원시 경제 발전을 연구

① 수렵채집

② 우경농업 *호미 “우”

③ 가축사육을 동반한 우경농업

④ 리경농업의 단계로 구분 *보습“리”

가축사육: 우유. 처음에는 송아지의 식략 -> 사람의 식량

특히 소 사육의 기원 = 바빌로니아(Babilonia)에서 시작

E. Grosse(그로스) (1862-1927) - 지리적, 기후적 조건에 따라 다르다

(경제활동과 사회조직 밀접한 관계)

*호주원주민의 부메랑(Boomerang):

투목의 일종. 호주원주민이 사용하는 것으로 40-50cm의 얇고 긴 편

<형을 이루어 공간을 향해 던지면 회전하면서 올라가다가 무엇에 맞지 않으면 던진 사람

바로 앞에 떨어지는 것>

수렵. 운동용

2. 만체스터 학파

세계 각지의 문화는 모두 동인 기원 (문화는 특수환경에서 1회만 발생)

◎ G. E. Smith(스미스) (1871-1937):

해부학자로 Manchester School의 대표

세계의 고대문화는 분묘, 유골 등을 연구한 결과 이집트(Egypt, 대맥의 원산지)에서 발상,

서계 각지로 전파

⇒ 문화의 이집트 기원설

고고학자 W. J. Perry(페리) (+1949)에 의해 계승, 보완

⇒ 미이라 제작, 피라밋, 거석 기념물, 사회의 양분제 조직, 태양숭배 등 문화요소를 검토,

그 분포를 구명한 끝에 이집트 기원설과 함께 그 전파경로를 논함

제1경로: 이집트 → 남아프리카

제2경로: 이집트 → 유럽

제3경로: 이집트 → 중동지역

→ 동아시아 → 남아시아 → 태평양 → 시베리아(베림해협 경우) → 북미, 남미

*참고자료:

콘티키(Kontiki) - 쏠 헤이달의 폴리네시아 항해기(1950)

1976 한일항로(인천-대마도)탐험선 “한호”

3. 독오학파(역사학파)

민족지의 자료를 기초로 함.

문화권설(Kulturkreise Lehre)가 대표

◎ F. Ratzel(라첼) (1844-1944)에서 시작(근대지리학자, 인류학자)

인류의 문화는 지리적 환경의 소산으로 환경에 대해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고 주장

인류는 지구의 어느 중심에서 분산하여 이동한 것이며, 각기 다른 환경에 적응하면서 문화

를 발전시킨 것.

그의 이론을 이동론이라 한다(Migrationstheorie)

그의 방법은 지리적 방법(문화요소의 분포를 도상에 기입)

(유사한 문화요소가 멀리 떨어져서 존재할 때 이는 동일 기원지에서 분리된 것)

이를 위해 형태규준(Formkriterium)을 주창

⇒ “비교하려는 문화요소의 형태가 그 요소의 본질, 목적, 사용재료의 성질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유사가 아닌, 우연한 유사성을 가질 때 그 문화요소는 동일 기원에서 분리된 것”

예) 멜라네시아와 아프리카 활을 비교할 때의 유사성

(활대의 단면, 화살의 모양, 활 끈의 매듭 등)

*참고자료:

한국문화는 종교적 의존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인 선교사, 외국인 신부, 목사의 경제적 원조 -> 정치독립보다 「문화독립」이 더 어렵

◎ L. Frobenius: (프로베니우스)

Ratzel(라첼)의 이론과 방법을 계승 발전시킴

박물관의 자료로 서아프리카와 멜라네시아의 활, 가옥, 의복, 가면, 악기 등 물질문화의 모

든 항목을 비교

⇒ 「양적규준」(Quantitatskriterium)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냄 (형태 규준을 보강)

(요점)

「문화의 전파에는 개개 문화요소만이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가 복합되어 전파되어

한 지역에 전파된 한 문화요소가 문화전반에 영향을 주고 파급된다」

공동소유관계에 있는 한 무리의 문화요소의 복합을 문화권이라 하였다.

문화권 - 지리적인 일정 지역을 점유

양적 규준에 따라 유사한 문화요소의 수가 증가할 때 양 문화권 간의 관련이 명백해진다

Graebner: (그래브너)

프로베니우스를 보강 (철저한 방법론 시도)

지역 - 공간적 파원

역사적 전후관계 - 시간적 차원에 걸친 문화권의 파악

(외적 물질문화의 분포)

W. Schmidt (1868-1954): (슈미트)

전파주의 이론을 완성 (비엔나 학파)

연구(분석)대상: 예술, 풍습, 법, 종교 등 문화 전반 → 내적 민족정신의 외적 표현

민족학

문화인류학 → 정신과학으로 보았다.

문화권 - 정신적인 것과 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

문화권

(대분류)

문화권

(소분류)분포지역 (민족) 특색

원문화

①외혼단혼제

문화권

(아프리카)Pygmy족

(적도아프리카)

(아세아)Negrito족

Andananehals, Aetas

족 , S e m a n g s 족 ,

Ceylon도의 Vedda족,

세레베스도의 토말리족

일부일처제(남녀의 결합이강) 지역

외혼제

도구 - 골각기, 목기, 패각기, 석기

종교 - 지고신, 대모신

의례 - 토장

②외혼성토템적

문화권

(호주)Tasmania족

(동남호주)Kurnai족

(남아)Bushmen

일부다체제 지역외혼제

성토템, 성개방(여자의)

물질문화 - 원시적인 석기, 창, 곤

그는 Ratzel, Graebner의 형태규준을 질적규준이라 하였다. (라첼, 그래브너)

① 질적규준

- 긍정적 질적규준: 두 문화권의 문화요소를 비교할 때, 그 유사가 자료와 필연적 목적에

서 오는 것인지 아닌 것인지를 규명

- 부정적 질적규준: 상반되는 문화요소가 있는지 없는지를 규명하는 것

② 양적규준

물질문화, 사회, 경제, 종교 등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전 영역의 비교 연구

* 두 문화권간의 모든 영역에 유사가 필연적인지, 개연적인 것이지를 분석

③ 보조규준

- 연속규준

- 친밀도규준

이상의 규준에 의해 공간적 차원에서 문화의 이동을 문제로 하여 문화의 전파와 이동에 수

동적 분리와 능동적 분리가 있다고 지적

수동적 분리 - 한 문화가 다른 문화에 의해 수동적으로 분리

능동적 분리 - 한 문화가 스스로 분리되는 것

그런데 이러한 분리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① 한 문화보유자 집단이 다른 문화권에 이동

② 두 문화가 새로운 문화권에서 결합

③ 문화요소만을 차용하는 것

◆ Schumidt의 세계문화사편성: 원문화, 제1차문화, 제2차문화, 고대문화 / 슈미트

가옥 - 방풍선, 문신, 코걸이

종교 - 악신, 선신, 부신 등의 숭배

수상장, 화장

③외혼동권적

문화권(북극)Eskimo족 부메랑문화권과 유사

④부메랑

문화권

호주

(아프리카)나일강유역

남아프리카의 동부

일부다체제 지역외혼, 씨족외혼, 성

년식

물질문화 - 목제 철제 부메랑, 창,

곤봉

종교 - 지고신, 월신

※ 진화주의에서의 원시문화와의 차이

성적 분업, 남녀평등, 개별가족의 결합, 부의 균등분배, 평등사회, 지고신앙

제1차문화: 원문화 상태에서 지리적 조건, 경제발전으로 인해 발생

문화권

(대분류)

문화권

(소분류)분포지역 (민족) 특색

제 1 차

문화

①외혼부권제

문화권

(호주)중북부

Melanesia, Polinesia

동아시아

북미의 태평양연안

대대적인 수렵 → 대수렵문화

부권제, 씨족토템조직,씨족 외혼제,

주술사 = 주장 성년식, 비밀결사

할례의식

(물질문화)투창, 방패, 가옥 - 원형

소옥

남근대, 조각 - 직선문양

(종교)태양신숭배, 주술성행

(장제)대상장

②대가족부권제

문화권

Siberia, Ural Altai

인도의 일부, Ham족

Sam족

목축문화

가축의 사육→남자는 경제권

부권제 발달, 대가족 형성

군사적 조직강화

남성의 지위상승 - 여성은 남성에

종속→구매혼, 처녀성 존중

(물진문화)천막, 차륜, 반사궁

(종교)천신숭배, 영웅숭배

③외혼모권제

문화권

서아프리카, Sudan지

역, 태평양의 헤브리디

즈제도

호주의 동부지역

S u m a t r a 의

Mingankabau족, 동남

아의 Khasi족

농경문화

여자에 의한 종경시작

여자가 경제적 주도권, 사회적지위

상승

(사회)양분조직, 남자의 비밀결사,

여자의 초경의례

(물질문화)타격무기, 방형가옥

(종교)지모신, 모조신, 월신, 사자영

혼결혼, 두개골숭배

※ 제1차문화 - 전파, 유동, 혼합 → 제2차문화 발생

문화권

(대분류)

문화권

(소분류)분포지역 (민족) 특색

제 2 차

문화

①자유부권제

문화권

(아프리카)Sudan지역

(태평양)원Polynesia

문화

(외혼부권제+대가족부권제)

부권제, 신분에 따른 사회계급, 추

징권, 노예제

(물질문화)Polynesia - 활, 창, 곤

Sudan - 철기 팔걸이, 족환

(종교)대지-모, 천상-부, 태양신화

②자유모권제

문화권

(태평양)Melanesia문화

(아시아)남중국, 인도지

(아프리카)Congo지역

(외혼모권제+대가족부권제)

(사회)모권제, 대가족제

돼지의 사육

(물질문화)궁, 토기

(종교)지모신, 월숭배

두개골숭배, 두개골사냥, 주술

③토템모권제

문화권

(호주)일부지역

Dravida족, 고대Egypt,

고대Inca문명

(외혼모권제+외혼부권제)

모권제-사분제, 육분제, 팔분제

totemism, 외혼제-×

농경, 수렵

고대 고

문화

Nile강, 티그리스강, 유

프라테스강, 갠지즈강,

인더스강, 황하문화

농경 - 경제적 기초

가축 - 노동력으로 사용

남자 - 농업에 종사(모권제 쇠퇴)

목축인에게서 국가조직을 도입

→국가형성

권력자-대토목공사-기술의 발달

(종교)일신교-국민의 정신적 통일

※ Wien학파의 연구(업적) (빈학파)

원시문화의 역사적 연구에 활력을 줌

인류문화의 개념을 분명히 함

정신적, 역사적 본질을 주장 → 문화인류학에 큰 영향을 줌

4. 전파주의에 대한 반론(비판)

1) “유사”에 대해

: 이것은 주관성을 갖는 것

물질문화의 유사의 규준은 인정하나, 비물질적인 면에서의 유사는 주관적인 것으로 객관적

인 규준이란 없다.

2) “문화요소”의 형태변화의 한계성

: 문화발전 가능성제한의 원리(Principle of limited possibilities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예) water-container는 어디까지나 물을 담는 것

* 「커피문화」의 변천사: 얇은 잔, 작은 잔, 두껍고 큰 잔

유사한 형태는 다른 지역에서도 생기는 것

문화요소가 유사하다해도 그것이(유사한 두 개의 문화요소) 역사적으로 연관된다고 볼 수는

없다 (*옹관묘: 한국-이란)

3) 문화의 유사성에 대한 문제

: “근사현상(Convergence)"이라는 이론에 의하면, 원래 다른 기능을 가졌던 두 개의 문화

현상이 유사한 기능을 갖게 되면 그 형태마저 유사하게 된다고 한다

(외면적 유사에 조심)

진화주의에서는 이것을 고려하지 않음

4) 문화권설의 약점①

: 인간의 창조능력을 과소평가

(문화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동시에 유사한 것이 발생할 수도 있다)

5) 문화권설의 약점②

: 여기서 말하는 문화는 그 복합형태가 불분명하다.

문화요소만의 비고가 아니라 문화요소간의 연관과 문화 전체 내에서 그것의 위치, 기능을

고려했어야 한다.

※ 이러한 반론에도 불구하고,

문화권설은 비문자 원시민들의 민족사를 정리, 선사학 연구, 민족이동, 문화의 원류를 구명

하는데 큰 공헌

인류사에 문화전파는 당연한 일 ⇒ 문화계보의 연구에 기여

●한류열품의 현황

1. 조선시대의 “한류”

조선통신사는 조선의 선진문화를 일본이 받아들인 것

당시 조선으로서는 자신들에게 침략을 자행한 일본민족에게 성의를 다한 것

⇒ (설명)

조선정부가 조선통신사를 파견한 이후 200여년 간 한일간의 평화가 유지:

일본의 침약 즉 무에 대해 조선이 선진적인 문으로 대응한 것

조선민족의 아량과 우수성이 입증된 것이라고 이야기

통신사 행렬 = 문화교류의 의미 있는 역사적 이벤트

특히 대마도에 근무하면서 대조선 외교를 담당했던 당시 일본제일의 조선통이었던 아메노

모리호우슈

그 자신이 2번씩이나 조선통신사의 안내역을 맡아 에도까지 수행 등 당시 조선과 일본은

조선통신사를 통해 우호증진을 위해 노력

조선도 조선통신사를 통해 일본의 사정을 알게 됨

우리나라에 고구마를 소개한 조엄:

1764년 조선통신사의 정사 자격으로 일본을 다녀오면서 고구마를 전래

조선통신사: 초기 정치적 목적 → 차츰 문화사절

통신사의 행렬에는 반드시 음악 연주와 무용

음악관계 수행원은 평균 약 50여명

음악인들은 각지에서 의식으로서의 음악을 연주

따라서 궁중음악을 악장에 해당하는 전악 외에 취고수와 세악수의 악대가 수행

당시 일본사람들의 조선통신사에 대한 열열한 환영 =

지금의 한류 즉“겨울 소나타(겨울연가)”의 배용준, “욘사마”의 붐에 비견

당시 일본 사람들이 기록용으로 그려놓은 두루마리 그림 -

조선통신사를 보기 위해 연변에 들어선 일본 사람들이 빡빡하다.

특히 지금의 토오쿄, 당시 에도의 중심거리는 조선통신사가 지나가기 하루 전부터 자리를

잡으려고 아우성

조선통신사가 지나갈 때 구경나온 일본인들의 진지한 모습이 남아있는 그림은 인상적

2. 한류열풍의 계기와 현황

1) 한류의 의의:

최근 몇 년 들어 ‘한류’라는 말을 자주 사용

중국, 대만, 베트남 등 동아시아 지역으로 영화, 가요 등 한국 대중문화와 김치, 고추장 등

한국관련 제품의 이상적인 선호현상

소위 ‘한류 열풍’이 불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 미국 등 외국으로부터 문화를 수용

다른 나라에 우리 문화를 보급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매우 반갑고 주목

문화관광부:

최근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중화문화권에 고품질의 국내 문화컨텐츠가 진출할 수 있도록

관련업계와 함께 가칭 ‘아시아문화교류협의회’룰 구성, 운영

또 베이징 등 주요 지역 해외공관에 문화관을 파견하고 최근 개원한 한국문화컨텐츠 진흥원

의 해외사무소 설치도 추진하는 등 한류 확산을 위한 육성책을 추진해 나갈 방침

2) 한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

이 한류를 한 때의 지나가는 소나기처럼의 현상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홍콩, 일본, 미국 등의 문화에 이미 식상해진 중화권에 있어 한국의 것은 그들에게 새로운

것이기에 잠시 ‘새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잠시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이라고 보기에는 그 열기가 생각보다 강하고, 이 여파로

인해 한국에 대한 인식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 경제에도 큰 영향을 불러일으

키고 있다는 것에는 의심할 것이 없다.

따라서 우리는 이 한류라는 것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 한류가 일시적인 문화 현상으로 기록으로서만 남게 하기 보다는 이것이 더욱 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한류의 의미와 중국 문화컨텐츠산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3) 한류란 무엇인가?

중국과 동남아의 화교권에서 알고 있는 한국 대중 문화 열기를 뜻한다.

1996년 드라마를 시작으로 중국에 수출되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가 1998년부터 가요 쪽

으로 확대되면서 중국 언론이 지난 해 2월 H.O.T의 베이징 공연을 계기로 이 말을 처음 썼

다.

최근 2~3년 사이 중국 뿐 아니라 대면, 홍콩,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일대에서 한류 열풍이 불고 있다.

(기사1) 생략 -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한류관련 발언 기사 (욘사마, 겨울연가)

(기사2) 생략 - 미국에서의 한류 열풍

(기사3) 한국 대학으로 몰려드는 중국인 학생들

중국에서 한국어 능력이 취업에 중요한 조건으로 떠오르면서 한국을 찾는 유학생은 매년 급

2000년대 들어 한국은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중국 유학생이 많이 찾는 유학국 2위로

올라섰다

⇒ 교육인적자원부에서 2006년에 발표한 통계:

정규 학위 과정 뿐 아니라 대학 부설 한국어 연수기관 등에 등록한 경우를 모두 포함해 현

재 우리나라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은 3만 2557명

이 중 중국인 학생은 2만 80명으로 61.7%를 차지

2001년 1만 1646명으로 처음 1만명을 돌파한지 5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난 수치

3. 한류열풍의 미래와 전망

기사1.

<연합인터뷰> 베트남 한류전문가 티우 응언 기자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한류열풍'이 절정기를 맞고 있다. 한류열풍은 일본과 중국

뿐 아니라 태국, 대만, 말레이시아, 홍콩, 베트남 등 전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26-27일 서울 한남동 하얏트호텔에서는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주최로

제1회 글로벌 문화산업 포럼이 열렸다. 국내외 대중문화 전문가들이 참석해 아시아 지역에

서의 문화 교류와 협력 방안이 논의되는 자리였다.

이번 포럼에 베트남 최고의 한류전문가인 티우 응언(Dang Thieu Ngan.여. 29) 씨가 토론

자 자격으로 참석했다. 베트남 '영화와 무대'(Dien anh kich truong Viet Nam)와 '영화세계

'(The gioi dien anh) 소속 기자인 그는 베트남 하노이종합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2

년 간 연세대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 과정을 밟은 뒤 베트남에서 한국연예 전문가로 활약중

이다. 베트남에 한국 연예계 소식을 전하는 창구이자, 베트남에 한류 열풍을 일으킨 주인공

이기도 하다.

그를 만나 밖에서 보는 한류열풍의 허와 실에 대해 들어봤다.

다음은 일문일답.

--한류의 인기는 어느 정도인가.

▲한마디로 엄청나다. 한국 드라마나 영화는 베트남에 15년 전에도 들어왔지만 지금처럼 성

공한 적이 없다. 요즘은 한국 소식이 없으면 잡지도 안 팔릴 정도이다. 혼자 5군데 매체에

한류소식을 전하느라 매우 바쁘다.

한국 드라마 덕분에 베트남에서는 한국사람들이 편히 산다. 예전에는 한국 사람은 성격이

급하고 전쟁의 이미지까지 남아 좋지 않은 인상이었지만, 요즘은 멋있고, 좋은 사람 이미지

로 비친다.

--왜 베트남에서 한류열풍이 부는가.

▲한국과 베트남 간에 닮은 점이 너무 많다. 또 `대장금'처럼 한국드라마는 가족 전체가 다

볼 수 있는 것도 좋다. 11시가 넘어서 방송해도 어린 아이들과 노인들까지 `대장금'을 보려

고 안 자고 기다릴 정도이다.

베트남 여자들은 끝까지 한 사람만 생각해주는 드라마 속 한국 남자 주인공들의 이미지를

좋아한다. 애인 사진을 지갑 속에 넣고 다니는 모습에 반한다.

--한류열풍에 대해 아쉬운 점은.

▲한국에서 베트남 시장을 무시하는 듯한 느낌이 있다. 이번에 만난 한국의 연예관계자가 "

베트남은 한류열풍이 불긴 해도 돈이 안된다"는 말을 하더라. 하지만 그렇지는 않다. 베트남

사람들은 월급의 두 배를 주고서라도 한국 스타가 와서 공연을 하면 볼 정도로 한국 스타들

을 좋아한다. 또 지금 당장 돈이 안된다고 해도 1억 인구의 베트남 시장은 중국처럼 충분히

넓고 가능성이 있다.

드라마도 내용적으로 너무 획일적이다. 신데렐라 스토리나 주인공이 죽는다는 설정 등이 빠

지지 않고 등장한다. 지금의 한류열풍을 유지하고 싶으면 바꿔야 한다.

대한 인상도 안 좋아진다.

--한류열풍 전망은?

▲앞으로 5년 간은 지금의 인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베트남 시장을

가볍게 본다면 전망은 밝지 않다. 지금 당장 손해를 보더라도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시장을

개척해야한다.

--한류열풍에 대해 조언한다면.

▲연예관계자들이 베트남에서 성공하려면 현지 파트너를 잘 만나야 한다. 그리고 스타들은

시간이 없더라도 일단 베트남을 찾았으면 적극적으로 움직여야한다. 요즘 베트남에 오는 한

국 연예인들을 보면 흥이 전혀 없다. 베트남에 돈이 별로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수도 있

다. 그러면 당연히 이를 보는 베트남 사람들은 그들이 싫어질 수 밖에 없다.

≪13주차≫

1. 질병, 건강과 문화

건강과 질병 = 인간집단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문화적 자원을 어떻게 효과적

으로 결합시키는가를 측정하는 척도가 된다.

이것은 생물학적 요소(의학), 문화적 요소(인류학)와 연관, 결합 촉진

건강, 질병(위생) : 생물학적 측면이나,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측면도 있음

항생제, 백신의 발명 -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질병 치료 성공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요소에 의한 질병 → 새로운 치료법 요구

특수한 사회적 상황

문화적 배경의 변화 ⇒ 정신세계의 영향

생활양식의 변화 ⇒ 신체적 조건의 변화를 연구해야

여기에서 의료인류학(Medical anthropology) 대두

질병 사회적 맥락

죽음에 대한 태도와 관념 ⇒ 환경의 관계에서 추구

건강과 질병에 대한 정의 = 문화마다 다르다

1940년대 WHO(세계보건기구) 설립 이후, (1948)

서구의 과학적 의료기술체계가 단순, 소규모사회의 전통적 의료방법에 대신

전통의료체계에 새로운 의료체계가 도입되어 갈등 발생

→ 갈등의 해결 필요

이를 위해 의학과 인류학의 협력 필요

WHO 내에 사회경제연구 운영위원회 조직 ⇒ 효율적인 질병 통제 (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고생물학

고고학 - 선사인의 질병과 인구변화의 관계 연구

1)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보건·위생 분야의 국제적인 협력을 위하여 설립한 UN(United Nations: 국제연합) 전문기구

(개요)

설립연도: 1948년

목적: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한 최고의 건강 수준에 도달

주요활동: 중앙검역소 업무와 연구자료 제공, 유행성 질병 및 전염병 대책 후원, 회원국의

공중보건관련 행정 강화와 확장 지원 등

본부소재지: 스위스 제네바

(약사)

약칭은 WHO

1946년 61개국의 세계보건기구 헌장 서명

1948년 26개 회원국의 비준을 거쳐 정식으로 발족

1923년에 설립한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 산하 보건기구

1909년 파리에서 개설한 국제공중보건사무소의 활동내역:

⇒ 약물을 표준화하고, 전염병을 통제하며 격리 조치하는 업무를 수행

(주요업무)

WHO에서는 이 업무를 이어받아 세계 인류가 신체적·정신적으로 최고의 건강 수주에 도달

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

이를 위해 중앙검역소 업무와 연구자료 제공, 유행성 질병 및 전염병 대책 후원, 회원국의

공중보건 관련 행정 강화와 확장 지원 등의 일을 담당

헌장에서 건강은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히 행복한 상태를 말하며, 단순히 질병에 관

한 것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고 정의한다.

WHO는 국제보건사업의 지도적·조정적 기구의 성격

주요사업은 본부 사무국을 중심으로 한 중앙기술 사업

각 지역 사무국을 중심으로 한 각국에 대한 기술원조로 구분

(주요조직)

주요기관: 총회·이사회·사무국

총회: 주요정책의 결정 기관으로 매년 회의를 개최

이사회: 30여 명의 보건전문가로 구성되며 3년마다 새로 선출

사무국: 전 세계에 설치된 지역 사무소와 각 분야별로 행정요원들이 활동

그 밖에 전문가 자문부회·전문가위원회

세계 각 지역에 지역위원회·지역사무국으로 구성된 지역기구

제정: 회원국 정부의 기부금으로 충당

(가맹국)

2000년 현재 가맹국은 191개국

한국은 1949년 제2차 로마 총회에서, 북한은 1973년에 가입

2. 건강, 질병, 죽음과 문화

질병과 문화 - 생물학적 차원의 문제만은 아니다.

일종의 문화현상(특정한 지식, 신앙체계, 역할, 의료행위 및 조직적, 사회적 행위 포함)

질병의 분류, 진단, 치료과정 - 문화체계에 의한 지식 동원

여기에 특별한 신앙체계, 특별한 치료과정이 있다.

이와 관련된 특별한 사회적 행위가 문화적으로 규정

문화 ⇒ 의료행위의 특징 파악 = 효과적인 치료 가능

예) ① 환자에 대한 태고 - 조용한 태도(서구)

격렬한 춤과 노래(아프리카)

② 한국의 중환자 - 집으로 모신다

객사, 횡사 = 나쁜 죽음 - 영혼이 방황, 후손 괴롭힘

집안에서의 죽음 = 좋은 죽음으로 인식

▶ 진단과 문화

병의 개념 정의 - 정상적 상태를 벗어난 것으로 정의

무엇이 정상적인 것인가는 사회마다 다르다

멕시코의 농촌지역:

자연적 상태 = 평형상태(equilibrium)

이에 어긋난 신체적 상태를 병으로 간주

치료법: 반대요소를 강화, 균형을 이룸

예) 열 - 차가운 음식, 차가운 상태 유지

냉 - 뜨거운 음식, 열을 촉진

뜨겁다

차다 -- 상징적 분류에 의한 음식, 약초를 의미 (실제 온도에 의한 음시물의 상태×)

예) 한방: 더운 음식 - 쇠고기, 돼지고기, 얼음, 꿀, 땅콩, 마늘, 살구, 담배, 귤꽃

차가운 음식 - 토끼고기, 닭고기(암닭제외), 설탕, 맥주, 우유, 계란, 토마토, 소금

옥수수

한의학 - 체질을 음양으로 분류 (사상의학)

*약물 - 문화와 상징체계에 따라 다르게 사용

◆ 보충자료:

1) 사상의학

(요약)

한의학에서 사람의 체질을 사상, 곡 태양·태음·소양·소음으로 나누어 같은 병이라도 그 체질

에 따라 약을 달리 써서 병을 고치는 의술. 동무 이제마(1837-1900)가 창안

(주요내용)

성명론 이하 7편으로 구성 (다음은 사단론에서 인용)

폐대간소자는 태양인

간대폐소자는 태음인

비대신소자는 소양인

신대비소자는 소음인

⇒ 네 장기(폐, 간, 비, 신)의 대소차이와 그에 따른 4형의 체질로 분류하고, 심은 중앙의 태

극이라 함

(사상의학의 특징)

음양오행설과 인체의 소우주론에서 벗어나 병자의 체질에 근본을 둔 것. 최근에도 많이 통

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실효성이 높다고 함

2) 이제마 (1837-1900)

불우한 운명을 타고나 국운이 쇠퇴한 어려운 시대 경험.

타고난 총명성으로 일찍이 경서를 통독하고 어려서부터 무예를 좋아함.

평소 특이한 지병으로 의학과 역학에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경향각지를 주유하면서 견문을

넓히고 배움에 힘씀.

(일대기)

1875년(39세) 무과에 등용

1876년(40세) 무위장에 제수

1880년(44세) 1893년(57세) 선생의 철학적 세계관이 담긴 『격치고』 3편을 저술

1886년(50세) 진해현감에 임명

1894년(58세) 불후의 명작 『동의수세보원』을 저술

1896년(60세) 최문환의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선유위원에 제수

1897년(61세) 고원군수로 전임

1898년(62세) 모든 관직에서 사퇴한 후 보원국이라는 한의원을 개서하고, 축적된 임상경험

을 바탕으로 1900(64세) 일생을 마칠 때까지 『동의수세보원』의 퇴고를 계속

선생은 『동의수세보원』으로 천명된 사상체질의학을 창시함으로써 한의학에 새 지평을 열

어 놓았을 뿐만 아니라 의학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인간을 자연에 순응하는 수동적 자세에

서 능동적 자세로 전환시켜 놓았다는 평가 받음

사상체질의학을 간략히 요약하면,

사람의 체질을 오장육부의 대소와 성정의 차이에 따라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4

종류로 나누며, 같은 병이라도 병증보다는 환자의 체질에 따라 처방을 달리해야 한다는 이

⇒ 임상학적인 방법에 따라 질병의 예방과 치료 및 양생의 방법을 제시

그 밖에 저서로는 『천유초』, 『제중신편』등

3. 질병의 분류와 치료

질병의 분류 - 문화마다 다르다 (질병에 대한 문화적 개념이 다르다는 뜻)

“병환중” - 한국에서는 관대한 처분

분류: 정상적인 질병 - 자연적인 원인

비정상적인 질병 - 초자연적인 원인 ⇒ 훨씬 중요시

특별한 의례로 치료 (신의 응징 - 정화의례 필요)

▶ 질병의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

치료자의 종류: 직업적인 서양식 의사, 토착적인 민간요법 의사, 무의(무술, 의례 이용)

(치료의 단계)

① 민간요법 사용

→ ② 전통적인 의료시술자나 무의에게서 치료

→ ③ 양의 치료

→ ④ 자연요법(민간요법) 또는 무의에게 치료의뢰

병원출입: 사회적 지위의 과시나 확인의 기제로 사용되기도 함

(신생국) 예) 아기의 출산(임산부) - 가정, 산파, 병원 등 출산 차별

태국 푸켓의 외국인 전용 병원과 내국인 병원의 차이

▲ 한국에서의 의료문화 적응과정(이부영 1992):

한방이용도 15.8%-64.2%(1960년대)

정신질환자의 경우, 서양의료만 이용 34%

동양의료, 동양+서양의료 이용 66%(1970년대)

▲ Waxler의 Ceylon연구: (웩슬러, 실론)

의료문화적응과정 - 문화적응과정에서 가장 느리게 진행

⇒ 전통의료에 대한 사람들의 집착, 쉽사리 없어지지 않는다

▲ 문화와 치료 상의 문제점:

문화의 특성 - 병에 대한 태도, 치료에 대한 태도 다르다

치료: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 필수(특히 미국사회)

환자의 종교적 배경

사회계층의 차이

지역문화의 특성 ⇒ 이해 필요(한국사회)

문화 = 정신건강을 해치는 기능

인격의 와해를 막고 오히려 정신건강을 시키는 기능도 있다.

4. 생활양식과 풍토병

풍토병: 특수한 생활양식으로 말미암아 어떤 지역이나 집단에 특저한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말함

예) ① 기생충감염: 채식위주의 민족(화학비료 사용 안 하는 곳)

② 디스토마: 고기와 생선회 상식하는 지역(낙동강 유역 - 민물고기 상식)

③ kuru: New Guinea 고원지대(고산원주민) // 쿠루 - 뉴기니아

갑자기 발병. 얼굴이나 손발이 일그러지며 기억력 감퇴. 노화현상. 결국 생명 잃음

(원인) 원숭이, 산돼지 등 짐승의 뇌를 날 것으로 즐겨 먹거나 식인풍습

④ 수스토병(중미): 일종의 우울증 - 자신이 남들보다 더 낫지 못하다고 느낄 때 생기는 병

약이 없고 격려나 칭찬이 주효

와하카(Oaxaca) 여성들

- 조혼풍습, 임신과 가사로 시달리고 불평이나 음주 금지, 스트레스 해소 기회 없다

수스토병 병역: 남 20%, 여 55% 경험

▲ 풍토병의 치료:

생활양식을 지속시키는 문화요소

신앙체계 (죽은 친족의 살과 뇌를 먹음)

음식과 생활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 등에 대한 인식변화 필요

▲ 새로운 질병의 발생: (생활양식, 환경, 스트레스)

- 생활양식의 변화, 특히 식생활의 변화

동맥경화증, 당뇨병, 간염 등의 증가 (콜레스테롤, 단백질의 과다 섭취)

-환경오염의 증가

이따이 이따이병(일본) - 수은 공해

하우스병(한국) - 비닐하우스

사스(중국) - 원인불명

- 도시병, 성인병, 직업병의 발생

디스크환자의 증가(의자생활, 테니스), 냉방병(에어콘디셔너의 사용)

◆ 보충자료:

1) 풍토병

일명, 지방병

특히 그 토지의 풍토·기후·생물·토양 등의 자연환경과 그 지방 주민의 풍속·습관·인습 등이

복잡하게 얽혀서 생긴 특수한 질병을 가리킴

일반적으로 그 지방 주민의 사망률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근절되기 어려운 것이 특징

지방병이라는 말은 어느 지방에 한정하여 볼 수 있는 질병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풍토환

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데서 보면 풍토병이라는 용어가 적절

퐁토병의 대부분은 전염병

때로는 유행형태를 취하여 다른 지방으로 퍼지는 일이 있다.

그런 그 중에는 사람으로부터 사람으로, 또는 동물로부터 사람으로라는 감염경로를 전혀 취

하지 않는 것도 있다.

예:

음료수에 플루오르가 과잉 함유되어 있어서 일어난다고 하는 반상치, 지방적으로 볼 수 있

는 갑상전종은 요오드 부족에 의한다고 하며, 또 비타민 결핍에 의한 괴혈병·구루병 등도

그런 예

기생충병인 경우도 어느 지방에 특히 농후하게 퍼져 있는 것은 풍토병

- 양충병·일본주혈흡충증·폐흡충증·간흡충증 등외에 촌충·사상충(필라리아증) 등도 있다.

본래 전염병인 말라리아·콜레라·황열·페스트·이질·장티푸스·파라티푸스·뎅기열·일본뇌염·야토

병·수면병 등은 모두 일정 지방에서는 항상 있는 질환

⇒ 풍토병적인 색채가 짙다.

2)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사스):

⇒ 2002년 11월부터 중국 광동지역을 중심으로 발생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 캐나다, 미국 등 전 세계로 확산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비정형 폐렴 등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

현재까지는 Coronavirus가 원인병원체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으며 정확한 원인병원체와 역

학 조사를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중심이 되어 연구가 진행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란?

(병징)

주로 발열(체온 측정시 38℃ 이상)이 첫 증상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전신적인 불편감이 동반되기도 하며 일부환자에서는 초기에 미약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남

2∼7일이 지나면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 나타나고 혈중산소포화도가 낮아진다. 대부분의

환자는 회복이 되지만 10∼20%의 환자에서는 호흡부전이 나타나고 인공호흡이 필요하게

(발병하기까지의 잠복기)

전형적인 잠복기는 2∼7(최장 14일)

(감염경로)

주로 비말(작은 침방울)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

(치료방법)

비정형폐렴을 치료할 수 있는 항균제를 투여하고 항바이러스(oseltamivir 또는 ribavirin)제

를 투여

(사망율)

사망율은 3-4% 정도이며, 다른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 높아진다.

3) 쿠루(kuru - 와들와들 떨림)

동 뉴기니 원주민에게 나타나는 치명적인 뇌신경병

1950년대 뉴기니 포레(Fore)족 여성과 아이들에게서 발병된 질병인 쿠루

→ 당시만 해도 남성 주술사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쿠루는 식인풍습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성 뇌질환의 일종이라는 사실이 밝

혀졌다.

쿠루는 100만명당 1명 정도로 발생

치사율 100%. 양에게서 발생하는 스크래피와 유사

→ 이 전염병은 1985년 영국의 소떼들을 공격

연구 결과: 인간에게서 발병되는 쿠루, 양의 스크래피, 광우병

⇒ 모두가 전염성을 가지며,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이 뚫려 있는 유사한 증상이 있다는 사실

이 밝혀짐

이들의 또 다른 공통점 = 바로 동족에 의한 동족의 섭취였다.

차이점이 있다면, 쿠루는 인간의 의지가 들어가는 데 비해 나머지 질병들은 그들의 의지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4) 이따이 이따이 (아프다 아프다) 병

1910년대 후반

일본 토야마현 주민들은 허리, 팔 다리의 뼈마디가 아프다며 병원을 찾기 시작. 50년이 지

나도록 어느 의사도 ‘원인불명’이라는 말 외에는 시원한 답을 주지 못햇다.

1968년

일본 정부는 ‘카드뮴에 의해 뼈 속 칼슘분이 녹아 신장장애와 골연화증이 일어난 것’이라고

공식발표

1968년 5월 8일에 일본 후생성이 공해병으로 인정

⇒ 이 병은 1945년 일본의 도야마현(부산현) 진쯔으천(신통천) 상류지역에 위치한 미쓰이금

속 주시회사 광업소에서 선광, 정련공정에서 배출된(버려진) 폐광석에 함유된 카드뮴(Cd)이

고원천을 통하여 신통천에 흘러 내러와 농작물, 패어류, 상수원을 오염시켜 이따이이따이

병을 발생시켰다고 공식발표

(증상)

카드뮴이 체내에 흡입되어서 신장의 기능이 나빠지고, 인체에 필요한 칼슘(Ca)과 인(P)을

체외로 배출하여 통증을 호소해 이따이이따이병이라 명명

1979년 3월까지 130명의 환자 중 90%가 65세 이상이고, 남자 3명 외에는 모두 여자(이

중 81명이 사망)

환자의 발병은 모두 20∼30년 이상 신통천 유역에 거주한 자가 대부분

하지만 아직도 미인정 환자에 대해 심사 중

지금까지 총 208명의 환자 중 128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

- 참고자료 - (요점만 정리함)

· 사상의학(이제마) - 임상실험, 체질에 맞는 섭생(식이요법)

· 쿠루 - 미국의 세균학자이자 소아과의사인 칼리튼 갸두섹이 식생활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냄

· 광우병 - 쿠루와 증상 흡사. 소가 오염된 다른 소의 사체를 먹어서 발생. 치사율 100%

≪14주차≫

1. 세계화에 대한 담론

(서론)

맥도날드 햄버거와 코카콜라에 관한 이야기:

⇒ 소비의 세계화, 문화의 세계화의 상징

맥도날드 햄버거: 120여개국 소비자가 식용

31,000개의 매장

종업원수: 180만명

코카콜라: 200여개국 소비자가 음용

다양한 콜라:

남미 페루 - 노란색 잉카 콜라

한국 콜라독립 815(1998.4)

▶ 우리나라에서의 맥도날드 햄버거:

전국에 270개 매장(vs. 롯데리아 780개 매장)

맥도날드 = 정크푸드(?)

▶ “빅맥(Big Mac)"지수 : ‘표준화’를 통한 미국식 세계화

세계화의 상징

- ‘빅맥’이란 미국 프로야구(MLB) 역사사상 최초로 70개의 홈런을 쳐냈던 야구선수 마크

맥과이어(Mark Mcgwire)의 애칭

일정 시점에서 미국 맥도날드 햄버거사의 햄버거 제품인 ‘빅맥’ 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후

미국내 가격과 비교한 지수

기본적으로 맥도날드 햄버거사가 전 지구적으로 점포망을 형성하고 있다는데서 가능

‘맥도날드는 세계 어느 곳에든 있다.’

그러나 각 나라의 햄버거 가격이 다르다.

각국의 ‘빅맥’ 가격을 조사하여 미국의 빅맥 가격을 비교하면,

그 나라의 경제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 (세계적으로 품질, 크기, 재료가 표준화)

⇒ 영국의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 The Economist」

각국의 빅맥 가격을 조사하고, 그것을 달러로 환산하여 통화가치를 비교

각 분기마다 1번씩 발표

2004년 4월 발표한 빅맥지수:

가장 높은 곳은 스위스

한국은 7위

문제는?

20대 전후의 미숙련자를 채용하여 저임금으로 승부를 결정짓는 것

맥도날드 햄버거에 나타난 문화의 다양성:

미국인 - 햄버거 포장지 벗기고 맨 손으로

한국인 - 햄버거 포장지 싼 채로 조금씩 벗겨내며

감자튀김은 맨손으로 먹되 여럿이 먹을 때는 한꺼번에 모아서

김치버거

독일인 - 감자튀김 나무로 만든 일회용 포크로

프랑스인 - 샐러드 메뉴 다양. 포도주

영국인 - 아침 메뉴 다양

이슬람권 국가 - 닭고기로 만든 햄버거

◆ 파이낸셜 타임스: ‘김치지수’

한국의 한 무역관련 기구가 김치찌개를 척도로 삼아 전 세계 물가를 비교한 사례를 소개한

내용

패스트 푸드:

전 세계 어디서나 똑같은 맛과 향

그 비결 - 맛과 향 색깔을 결정하는 것은 합성된 화학물질

(1) 세계화의 본질

신현종 교수님(영남대 명예교수, 무역학)의 논문,

“세계화의 본질과 특징”에서 전적으로 인용

(일부내용: ‘세계화의 배경과 경쟁’ - 사회과학연구(영남대 사회과학연구소) 제18집 제2권에

게재)

1) 세계화의 의미

자본주의경제의 세계화(Globalization)가 놀라운 속도로 확대

초첨단 정보통신망의 발달로 지구상의 ‘거리의 소멸’(Death of Distance) 현상 초래

WTO협정의 발효로 경제적 의미의 국경이 점차 사라지고 있기 때문

세계화(Globalization):

각 국가경제의 세계경제로의 통합을 의미

즉 세계화란 국가 및 지역 간에 존재하던 상품, 서비스, 자본, 노종, 정보 등에 대한 인위적

장벽이 제거되어 세계가 일종의 거대한 단일시장으로 통합되어 나가는 추세를 말하는 것

세계화 = 상품, 서비스, 자본 등의 국제적 이동을 촉진시키는 생산, 금융, 정보 등의 새로운

거대한 조직

세계화는 대륙의 기류나 해양의 조류와 같은 것이어서 저지되거나 억제될 수 없는 일종의

범세계적 조류로 인식

노벨 경제학상(공동선택이론) 수상자,

미국 조지 메이슨 대학의 제임스 부캐넌(J. Buchanan) 교수:

“세계화는 필연적인 조류이기 때문에 거부하거나 방어할 수 없으며 이에 적응 이외는 다른

대인이 있을 수 없다”고 강조

⇒ 세계화가 초래시키는 충격을 단기적으로는 완화시키려고 시도할 수 있으나 세계화 조류

를 거부하거나 방어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경제적 낙후를 면치 못한다고 주장

각국이 세계화 적응과정에서 기존 정책 및 제도를 개편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 과정에서 일

부 국내산업의 붕괴가 야기될 수도 있다고 지적

(세계화의 과정)

1993년 12월 우루과이 라운드 다자간무역협정이 체결

1995년 1월 WTO 체제가 출범됨에 따라 그 확대속도가 가속화

세계 모든 나라의 정부는 그들 국가의 모든 경제정책을 무역자유화, 서비스무역자유화, 금

융자유화 등 자유화를 지향하는 세계시장경제에 부합토록 조정

2) 세계화와 국제화

세계화는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와 다르다.

국제화:

국가와 국가, 그리고 그 국가 내의 기업과 기업, 또는 그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가 양자적

관계(Bilateral Relationship)로 전개되는 경향

세계화:

이러한 모든 관계가 다자적 관계(Multilateral Relationship)의 확대로 진전되는 추세

- 국가와 국가, 기업과 기업, 그리고 국민과 국민 사이에 있는 국경을 무시

- 사회와 사회, 기업과 기업, 그리고 개인과 개인 간에 추진되어 가고 있는 복합 과정

(Complex Process)

- 초첨단 정보통신기술이 발단되고 WHO체제가 출범됨에 따라 더욱 더 확대

◆ 국제화와 세계화 간의 기본적인 차이점:

① 경제적 의미의 국경: 국경 존속(국) vs. 국경 소멸(세)

② 국가의 경제주권: 유지(국) vs. 위축(세)

③ 시장(상품. 서비스. 금융) 개방의 정도: 소폭(국) vs. 대폭(세)

3) 세계화의 충격

▶ 긍정적 충격:

① 효율의 극대화

② 자원배분의 합리화

③ 규모의 경제이익 초래

④ 자유무역 이익의 실현

▶ 부정적 충격:

① 세계경제에 대한 일부 선진국의 패권적 지배

② 국가주권의 침해

③ 자주적 경제정책의 제약

④ 경제주체의 대외의존도 심화

⑤ 비교열위산업의 퇴출

⑥ 국가 및 계층간 소득의 양극화 확대

세계화의 부정적 충격이 확산되어 각 경제 주체에 심각한 고통

⇒ 세계화에 대한 비난 (세계적인 경제 불평등 → 전쟁과 테러)

(비난의 현장)

1996년 스위스 다보스(Davos)에서 개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주제: ‘지속가능한 세계화’(Sustaining Glovalization)

세계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현안을 토의

1,000명의 최고경영자, 200명의 정부관리, 40명의 정부수뇌들이 참석

⇒ 세계화가 계층간 소득배분이 불균등을 초래시키고 근로자의 생존을 위협함으로써 자본주

의의 심각한 재앙을 몰고 올 것이라는 예언

세계화에 대한 비난:

세계화는 비도덕적, 비윤리적, 비인간적인 냉혹한 것이라고 공격

선진국 프랑스

캐나다, 멕시코

신층시장경제국가인 말레이시아

세계화:

- 대륙의 기류나 해양의 조류와 같은 것이어서 저지하거나 통제할 수 없는 일종의 자연적

현상

- 자본가와 기업 엘리트들이 고안하여 고의적이고도 계획적인 법률의 제정 채택으로 진전

된 것

- 자본가와 기업 엘리트들이 노리는 것은 기업을 정부의 통제나 간섭에서 해방시키고 경제

력과 소득을 일부 특정 부유층에 지속적으로 집중시키려고 하는 것이라고 주장

세계화를 부르짖는 사람들의 주장:

세계화가 평등한 국가 대우, 동등한 기회부여, 자유로운 경제활동, 경제활동의 공동참여, 민

주화 세계의 전개 등을 초래시킨다고 주장

3) 세계화의 과정(역사)

세계가 열리기 시작한 것은 중상주의시대

열강국들은 식민지쟁탈시대부터

그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이 1498년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항로의 발견

인도항로가 발견되자 포르투갈은 인도 고아지방을 근거로 해상무역을 확대

1492년 컬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 세계를 열어 재치는 데 결정적 계기

이 대륙이 발견됨에 따라 스페인은 멕시코, 페루, 필리핀 등 수 많은 나라들을 정복하고 금,

은 등 막대한 귀금속을 획득하려고 시도

= 스페인의 세계전략

네덜란드의 세계전략:

인도 항로가 발견된 후 1602년과 1621년에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와 서인도회사를 각각 세

워 무역 및 항해 사업과 식민지 획득에 중점을 둔 것.

영국의 세계전략:

1600년 동인도회사를 설립하여 대외무역을 확대

1651년 항해조례를 선포하여 세계의 무역, 해운, 어업 등을 독점적으로 지배하고 방대한 식

민지를 획득하려고 시도

15세기 이전 - 이슬람과 유럽의 대립 (중국과의 무역로 확보) - 15세기 말 (유럽의 주도)

1930년대 영국 등 선진열강들:

각각 경제 블록을 구축하고 특혜관세제도를 마련

식민지, 속령, 종속국에 상품수출, 자본수풀, 식량 및 공업원료 확보 등을 추친했던 것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화:

GATT 및 IMF 체제가 설립됨에 따라 종래 열강국들의 세계전략 변동

→ 새로운 국제경제질서가 형성

(GATT)국제적 협의·협조정신 하에서 무역자유화의 실현

(IMF)각국 통화가치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출범

⇒ 이 체제 하에서 세계화가 싹 트기 시작

세계화를 촉진시킨 다른 조건들:

컴퓨터 발달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경이적인 혁명

→ 전자정보초고속망이 세계 도처에 거미줄처럼 깔려짐

지구상에는 ‘거리의 소멸’ 현상이 초래

그것은 시간을 경이적으로 단축

시장접근은 세계 어느 시장을 막론하고 광속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정보통신기술의 혁명

⇒ 세계화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은 다자간 투자협정이 될 것

세계 각국의 투자장벽을 제거하고 국제자본이동을 촉진시켜 세계화를 더욱 가속화

(2) 세계화의 특징

1) 세계적 무역자유화

◆ 초고속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세계적 무역자유화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이유

= 전자정보초고속도로(Electronic Information Super Highway)가 발달

초고속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세계적 무역자유화에 견인적 역할을 수행

→ 경제적 개념의 국경을 소멸시켜 세계시장의 통합화를 촉진한 WTO협정이 발효된 데 그

원인

이로 인해 세계시장이 단일화

이에 따라 세계적 무역자유화가 성숙단계로 들어가고 있음

◆ WTO 협정의 발효

WTO 체제 출범에 따라 세계적 무역자유화가 급진적으로 확대

종래 국가 간에 존재하던 무역장벽은 철폐되고 경제적 국경의 개념이 소멸

상품 뿐만 아니라 관광, 유통, 운송, 금융, 통신 등 서비스도 국가 간에 자유롭게 이동

상품과 서비스의 국가 간 이동에는 국제경쟁력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상품과 서비스는 어느 나라에나 파고 들 수 있으나 그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것은 도태될 수밖에 없다.

절대 우위를 확보한 상품이나 서비스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2) 금융의 세계화

◆ 세계금융시장의 확대

금융의 세계화는 세계자본시장이 성장되고 통합됨으로써 촉진

이 세계자본시장의 서장과 통합은 세계화의 엔진

◆ 다자간투자협정의 추진

금융 및 투자의 세계화는 OECD가 추진하고 있는 다자간투자협정(Multilateral Agreement

on Investment: MAI)으로 급속도로 진전

다자간투자협정:

외국인의 자유로운 투자와 송금을 보장하는 국제규범

외국인 직접투자 뿐만 아니라 주식, 채권, 부동산, 지적재산권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유형 및 무형의 자산의 세계적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규범을 의미

3) 생산의 세계화

◆ 생산의 세계화 주역 = 초국적기업

(목적)

① 해외자회사의 이윤 극대화

② 범세계적 자본조달비용의 극소화

③ 범세계적 조세부담의 극소화

④ 범세계적 자본수익 및 환차익의 극대화

⑤ 범세계적 판매 및 수출의 최대화, 범세계적 정치적·경제적 안정성 추구

초국적기업은 생산의 세계화를 촉진

서비스의 세계화도 확대

4) 문화의 세계화 (문화 상품의 세계화)

음식, 기호품, 방송, 신문, 영화, 오페라, 뮤지컬..

CNN(미국), NHK(일본), BBC(영국), 알자지라(?)

2. FTA(자유무역협정)

◆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이란?

특정국가간에 배타적인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

가장 느슨한 형태의 지역 경제통합형태

지역무역협정(RTA: Regional Trade Agreement)의 대종

FTA의 주요내용:

FTA가 포함하고 있는 분야는 체약국들이 누구인가에 따라 상당히 다른 양상

전통적인 FTA와 개도국간의 FTA는 상품분야의 무역자유화 또는 관세인하에 중점

최근 WTO 체제의 출범(1995년)을 전후하여 FTA의 적용범위도 크게 확대

상품의 관세 철폐 이외에도 서비스 및 투자 자유화까지 포괄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

그 밖에 지적재산권, 정부조달, 경쟁정책, 무역구제제도 등 정책의 조화부문까지 협정의 대

상범위가 점차 확대

다자간 무역협상 등을 통하여 전반적인 관세수준이 낮아지면서 다른 분야로 협력영역을 늘

려가게 된 것도 이 같은 포괄범위 확대의 한 원인

◆ 왜 FTA가 확산되고 있나?

FTA로 대표되는 지역주의(regionalism):

세계화와 함께 오늘날 국제경제를 특징짓는 뚜렷한 조류

WTO 출범 이후 오히려 확산 추세

예:

47년간의 GATT 시대에 GATT에 통보된 지역무역협정이 124건

WTO 초기 9년간 이보다 보다 많은 숫자(176)의 지역무역협정

2005년에는 세계총무역중 지역무역협정내의 무역비중 55% 추정

FTA가 개방을 통해 경쟁을 심화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

WTO 다자협상의 경우 장기간이 소요되고, 회원국수의 급증으로 컨센서스 도출이 어렵다는

데 대한 반작용

FTA를 포함한 지역무역협정의 이익은 가시적이고 직접적인 반면, 역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다자적인 감시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주의는 앞으로도 확산될 것으로

전망

◆ 한-칠레간 FTA:

포도주의 수입, 홍어회(98% 칠레산), 자동차, 전자제품등의 수출

◆ 한-미 FTA:

쌀, 쇠고기등 농,목축업

◆ 한-EU간 FTA:

교역규모 세계 1위인 유럽연합(EU)과 FTA 협상

EU는 GDP 규모가 지난해 말 114조 3000억 달러로 미국(12조 9000억 달러)을 능가하는

세계 최대 단일시장

교역규모면에서도 세계 1위를 차지

EU 25개국의 수입시장 규모는 4조 200억 달러 규모로 미국 수입시장의 2.4배

우리의 수출 규모도 지난 해 EU(492억 달러)가 미국(432억 달러)을 앞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출지역

EU는 또 지난해 말까지 우리나라에 405억 달러를 투자한 최대 투자국

무역수지 30억 달러, 일자리 60만 개 늘 전망

⇒ 한-EU FTA 협상이 타결될 경우 한국은 EU 27개 회원국 시장 접근이 한층 수월해질

전망

EU 시장에서 한국 주력 품목으로 수출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

EU는 평균관세율이 우리보다 낮지만 자동차, 섬유, 전자 등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에 대

한 관세수준이 높아서 FTA가 체결될 경우 우리 기업에 상당한 규모의 가시적인 혜택이 발

생할 것으로 기대

미국과의 협상에서 치열한 공방을 벌였던 농산물 분야는 한국과 EU 모두 민감한 사안

한-EU FTA 추진 일지

▶ 2003년 8월 “FTA 추진 로드맵”상 미국, 중국과 함께 EU를 중장기적 FTA 추진 대상국

으로 선정

▶ 2004년 12월 14일 대외경제위원회에서 “2006년 말까지 일본, ASEAN, 미국, 중국, EU

와의 FTA에 상당한 진척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추진 중” 보고

▶ 2006년 5월 11일 대외경제장관회의 “양측 간 협상출범을 전제로 하지 않는 예비협의를

10월 이전에 2차례 정도 개최” 보고

▶ 2006년 7월 19, 2006년 9월 26-27일 두 차례 한-EU FTA 예비협의 개최

▶ 2006년 9월 27일 대외경제장관회의 한-EU FTA 현황 및 추진계획 보고

▶ 2006년 11월 7일 FTA 실무추진회의 한-EU FTA 추진방안을 논의

▶ 2006년 11월 24일 한-EU FTA 추진 관련 공청회, 12월 6일 FTA 민간자문회의를 개

최, 관련 이해당사자·업계·전문가의 의견 수렴

▶ 2006년 12월 18일 대외경제장관회의 한-EU FTA 추진준비 현황 보고

▶ 2007년 4월 9일 FTA 추진위원회 개최해 한-EU FTA 출범에 대한 실무 차원의 조율

마무리

▶ 2007년 4월 20일 협상 개시 대비, 주요 이슈별 우리측 대응방향 정립과 협정문 초안 작

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정부 합동 연찬회 개최

<한-칠레 간 FTA 관련자료> - 생략

<한-미 FTA 관련자료> - 생략

<참고자료>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약사)

별칭, 경제협력개발기구

제2차 세계대전 뒤 유럽은 미국의 유럽부흥계획(마셜플랜)을 수용하기 위해

1948년 4월 16개 서유럽 국가를 회원으로 유럽경제협력기구(OEEC)를 발족

1950년에는 미국·캐나다를 준회원국으로 받아들임

1960년 12월 OEEC의 18개 회원국 등 20개국 각료와 당시 유럽공동체(EEC:유럽경제공동

체),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E), 유럽원자력공동체(EURATOM)의 대표가 모여 경제협력개

발기구조약(OECD조약)에 서명

⇒ OECD가 탄생

1961년 9월 20개국을 회원국으로 한 경제협력개발기구로 확대·개편

1990년대 이후 한국, 그리스, 멕시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등

비선진국까지 회원국으로 가입, 2002년 현재 회원국은 30개국

개방된 시장경제와 다원적 민주주의라는 가치관을 공유하는 국가 간 경제사회 정책협의체

(설립목적)

경제사회 부문별 공통의 문제에 대한 최선의 정책방향을 모색하고 상호의 정책을 조정함으

로써 공동의 안정과 번영을 도모

(정책방향)

① 고도의 경제성장과 완전고용을 추진하여 생활수준의 향상을 도모

② 다각적이고 무차별한 무역·경제 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

③ 저개발 지역에의 개발원조를 촉진

(조직)

최고의결기관으로 회원국 대표들로 구성되는 이사회(전원합의제)

각료이사회와 상주대표이사회

행정기술적 사항을 심의하는 집행위원회와 예산위원회·특별집행위원회

사업진행기구로서 23개 위원회가 있으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약 140개의 사업별 작업반

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또한 각 이사회의 사업을 행정적·전문적으로 지원하는 하부 기구로

사무국이 있으며, 사무총장 1인과 14개국을 두고 있다.

경제정책회의(EPC)에서 세계경제동향을 연 2회 종합점검

《OECD Economic Outlook》를 발간

회원국의 경제운영에 대한 상호지원과 비회원국의 경제발전에 대한 지원사업

한국은 1996년 12월 회원으로 가입

본부는 프랑스 파리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