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련 대책위원회

61
금금금금 금금금금금 2013. 7. 5 금금금금금금금금금금 금금금금 금금 , 금금금 금금 , 금금금금 금금 금금금 금금 금금 금금

Upload: avram-carrillo

Post on 01-Jan-2016

25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DESCRIPTION

노동시간 단축 , 교대제 개선 , 밤샘노동 완화.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교대제 개선 사례 발표. 2013. 7. 5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주간연속 2 교대제로 변경한 사례. A 사 - 사례의 특징 및 요약. A 사 기업의 노사 개황.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2 차 협력업체임 . 전체 생산량의 60% 는 가전업체에 직접 납품하고 , 40% 는 완성차의 1 차부품업체에 납품 . 생산제품은 강관임 . 전체 종업원 수는 300 여명이고 생산공장은 서울과 지방으로 이원화 되어 있음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013. 7. 5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노동시간 단축 , 교대제 개선 , 밤샘노동 완화

교대제 개선 사례 발표

Page 2: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주간연속 2 교대제로 변경한 사례

Page 3: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

■A 사 -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사업장은 종업원 수 300 여명이며 , 서울 본사 ( 공장 ) 와 지방 공장의 2 원화된

자동차부품업체임 . 노조는 우리 노련 소속이며 , 노사관계는 원만한 편임 .

A 사는 완성차의 근무형태 변경과 관계없이 부품사 독자적으로 노동시간 단축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근무형태를 변경한 사례임 . 근무형태 변경은 주간연속 2 교대제로 오전 06 시에

시작하여 밤 12 시에 끝남 .

근무형태 변경에 따라 임금이 일부 감소하였으나 시행 4 개월이 지난 시점에 , 근무형태

변경에 대한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편임 . 노조는 심야근무를 없애되 물량증가에 대비하여

O/T 가 가능하도록 노동시간의 유연성을 확보한 상태임 .

Page 4: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

■ A 사 기업의 노사 개황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2 차 협력업체임 .

전체 생산량의 60% 는 가전업체에 직접 납품하고 , 40% 는 완성차의 1 차부품업체에 납품 . 생산제품은 강관임 .

전체 종업원 수는 300 여명이고 생산공장은 서울과 지방으로 이원화 되어 있음 .

지방 공장의 종업원 수는 105 명이며 , 이 중 조합원 수는 77 명임 .

기업 경영 여건 및 환경 지난 5 년간 150% 이상의 연평균 매출 성장을 달성하고 있으며 , 3000 억원의

매출과 10% 대의 영업이익률을 보이고 있음 .

2000 년대 초부터 국내 시장의 한계를 인식하고 글로벌화를 적극 추진함 . 2003 중국의 포산,창사지역에 생산거점을 확보함 . 2012 년 현재 5 개국에 9 개 사업장을 보유하고 있음 .

Page 5: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

■ 교대제 개편 및 임금체계 개편 배경

물량 증가와 생산능력의 한계 지속적인 매출 증가에 조응하는 근무형태 변경이 필요했음 .

그 동안 동사는 물량증가에 대해 생산능력 향상보다는 기존 인력의 초과근무를 통해 거래선이 요구하는 물량을 대응함 .

근로기준법의 개정 논란과 노조의 선택

증가하는 물량을 기존근로자의 연장근로로 해소함 . 이에 따라 근로자의 노동시간은 주당 평균 64.5 시간에 달함 . 종업원들의 불만이 커지고 신규인력의 확충의 어려움이 발생함

노조는 정부의 노동시간 단축 흐름에 조응하여 적극적으로 노동시간 단축의 필요성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대제 변경을 꾀함 .

Page 6: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6

■교대제 변경 및 임금체계 개편 과정

2008 년 이후 물량 증가에 대응하는 전략은 기술직사원들의 잔업 및 특근 등 근무시간 연장으로 대응 함 .

2 교대제 근무자의 경우 2 시간 잔업을 하거나 4 시간 잔업이 다반사였고 , 수요일을 제외하고 주당 3 일 정도 잔업을 해왔음 . ( 주로 4 시간 잔업을 함 )

주당노동시간은 평균 64.5 시간이었고 , 이는 근기법의 위반임 . 더 큰 문제는 젊은 조합원들이 장시간노동과 야간근로를 기피하는 분위기가 확산 됨 .

구분 근무시간 연장시간 비고

상시 주간 08:30-17:3017:30-20:30 ( 평균 2 시간 )

교대생산

주간조 08:30-17:3017:30-20:30 ( 고정 2 시간 /4

시간 )

12 시 30 분부터 중식시간 1 시간

야간조 21:30-06:3006:30-08:30 ( 고정 2 시간 )

01 시 30 분부터 식사시간 1 시간

< 표 > 교대제 변경 전 생산기술직의 근무시간

Page 7: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7

■ 근무형태 변경 내용 및 쟁점

2012 년 1 월부터 주간연속 2 교대를 도입 함 .

주 5 일 근무를 기본으로 하고 , 조합원이 원하면 토요일 특근을 할 수 있고 일요일은 휴무함 .

1 조는 06 시부터 15 시까지 , 2 조는 15 시부터 24 시까지 하루 총 9 시간을 근로 함 .

오전조의 식사시간은 11 시 30 분부터 1 시간이고 , 오후조는 6 시 30 분부터 1 시간임 .

9 시간의 근무시간 중 휴게시간과 식사시간은 별도로 주어지지 않음 . 기계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기 위해 식사는 조원들이 교대로 하며 , 휴게시간도 근로자들이 알아서 휴식을 취함 . 식사시간은 1 시간분의 잔업수당 ( 통상급시급의 200%) 로 보상함

임금감소분의 85% 을 보전받았으나 , 조합원 중 일부의 반발이 있었음 .

주간연속 2 교대제로 근무형태를 변경하면서 노조는 32 시간분의 잔업수당을 고정수당으로 요구했으나 , 노사교섭으로 26 시간으로 조정 됨 .

연령대가 높은 조합원들의 일부 반발이 있었음

Page 8: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8

■ 근무형태 변경 내용 및 쟁점

식사 및 교통 편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노사협의를 통해 해결 함 .

교대제 변경 후 , 아침식사 문제가 불거졌음 . 오전 6 시부터 작업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근무자가 아침을 먹지 못하고 출근함 . 이에 노사협의를 통해 ‘죽’과 ‘라면’을 제공하고 있음 .

출근시간 변경으로 통근버스가 불필요해 짐 . 이에 출근버스를 없애고 , 통근버스 운행 비용을 직원들의 교통수당으로 전환 함 .

Page 9: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9

■ 교대제 변경 평가

교대제 변경으로 , 실근로시간은 주당 14 시간 단축되었고 , 생산성은 전년 대비 7%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남 .

설문조사 결과 90% 이상의 직원들이 제도 변경에 만족하고 있음 .

( 시행 3 개월 후 설문조사 결과 )

노동시간 단축은 노동자들의 건강 향상과 여가활용으로 이어짐 .

가장 큰 효과는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졌다는 점 . 유치원에 아빠들이 아이들 데리러 가는 모습도 나타남 .

3 시에 퇴근하면 정말 시간이 많이 남는다는 생각이 지배적 임 . 아침에 등산복을 입고 출근해서 , 매일 산행하는 직원들도 있음 . 단 ,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부품업체들은 독자적으로 갖고 있지 못함 .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이 필요함 .

Page 10: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0

■ A 사 사례의 타기업 적용시 쟁점과 시사점

주간 2 교대제로 근무형태를 바꾸면 그 효과가 나타남 .

노사의 입장은 먼저 , 제도를 도입하고 발생하는 문제는 후에 해결하자는 입장이었음 . 노조도 줄어든 노동시간에 따른 임금감소분의 보전을 빼고는 제도 도입 후 해결하자는 입장으로 교섭을 추진 함 . 이에 따라 노사간 마찰없이 근무형태 변경에 합의함 .

물량에 대한 노조의 유연한 접근이 제도 도입을 가능하게 함 .

회사의 가장 큰 고민은 부품업체로서 원청의 요구에 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었음 . 노조는 불가피할 경우 노사협의를 통해 물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잔업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음 .

( 합의서 내용 )

주간 2 교대 근무체계로 운영하면서 공장의 생산 목표 ( 년간 , 반기 , 분기 ) 를 달성하기 위한 충분한 가동시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상황이 생겨 고객사 대응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에는 노사가 협의하여 근무체계를 변경할 수 있다 .

Page 11: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1

■ B 사 -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사업장은 종업원 수 130 여명으로 현대모비스 지방공장 내에 있고 , 생산전문업체로

현대모비스가 직접 관리하고 있음 . 노조는 우리 노련 소속이며 , 노사관계는 원만하고

협조적임 .

B 사는 완성차 ( 기아차 ) 의 1:1 대응하는 적기서열 업체로 완성차의 근무형태 변경에 따라

근무형태를 변경한 사례임 . 근무형태 변경은 주간연속 2 교대제로 기아차와 동일하게 오전

07 시에 시작하여 01:40 분에 끝남 .

노조는 UPH 를 향상하고 공정개선을 통해 물량을 보전하였고 , 회사도 임금 100% 를

보전함

Page 12: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2

■ B 사의 노사 개황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1 차 협력업체 (1:1 대응방식 )

엔진과 후레임 ( 하체 ) 을 기아차에 납품 . ( 엔진과 하체를 모듈화 ( 도킹 ) 하여 기아차에 납품했으나 , 현재는 기아차가 직접 작업 )

종업원 수는 113 명이고 , 조합원은 90 여명 ( 생산직 ), 생산직을 조직대상으로 하고 오니온샵 적용 , 평균연령은 40 세 , 평균근속년수는 15 년 , 여성근로자 없음 , 정년 58 세 ( 피크제무 )

기아차 작업 시작 4 시간전 발주 , (3 시간 30 분 정도 작업후 납품 )

기업 경영 여건 및 환경 생산관리업체 ( 생산전문사 ) 로 기아차에 납품 , 모비스에서 모든 관리 , 납품대금

관리비용도 모비스에서 지급 , 문제 발생시에도 모비스가 처리

사내하청 ( 도급 ) 업체도 현대모비스가 관리 , 노사관계 원만하고 협조적

Page 13: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3

■ 교대제 및 임금체계 개편 배경 및 과정

완성차 ( 기아차 ) 의 주간 연속 2 교대제 시행 기아차 2013. 3. 4. 부터 주간 연속 2 교대제 시행

직서열 ( 동시서열 ) 1:1 대응 업체로 기아차의 주간연속 2 교대 시행에 따라 동시 시행 ,

회사측의 적극적 협력으로 큰 무리 없이 도입 , 시행

임금 및 물량 보전 회사측 노동시간 ( 잔업 ) 감소에 따른 임금 100% 보전 , 능률향상 수당 및 주간 2 교대

전환수당 신설 , 상여월액 인상으로 임금 100% 보전

노조는 UPH UP 과 공정개선에 협조하고 물량 보전에 합의 . 단 , 물량 일부 감소되었으나 영향 극히 미진

Page 14: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 교대제 및 임금체계 개편 내용 : 근무형태 변화

변경전 (10/10 근무 )

오전반 (1 조 ) 시간 구분08:30~10:30 2시간 작업10:30~10:40 10분 휴게10:40~12:30 1시간 50분 작업12:30~13:30 1시간 식사 (무급 )

13:30~15:30 2시간 작업15:30~15:40 10분 휴게15:40~17:30 1시간 50분 작업17:30~18:00 30분 식사17:30~19:30 2시간 잔업오후반 (2 조 ) 시간 구분20:30~22:30 2시간 작업22:30~22:40 10분 휴게22:40~00:30 1시간 50분 작업00:30~01:30 1시간 식사 (무급 )

01:30~03:30 2시간 작업03:30~03:40 10분 휴게03:40~05:30 1시간 50분 작업05:30~06:00 30분 식사05:30~07:30 2시간 잔업

변경후 (8/9 근무 )

오전반 (1 조 ) 시간 구분

07:00~09:00 2시간 작업

09:00~09:10 10분 휴게

09:10~11:00 1시간 50분 작업

11:00~11:40 40분 식사

11:40~13:40 2시간 작업

13:40~13:50 10분 휴게

13:50~15:40 1시간 50분 작업

오후반 (2 조 ) 시간 구분

15:40~17:40 2시간 작업

17:40~17:50 10분 휴게

17:50~19:40 1시간 50분 작업

19:40~20:20 40분 식사

20:20~22:20 2시간 작업

22:20~22:30 10분 휴게

22:30~00:20 1시간 50분 작업

00:20~00:30 10분 휴계

00:30~01:40 1시간 10분 작업

교대제 전환

14

Page 15: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5

■교대제 및 임금체계 개편 평가

기아차 1:1 대응방식으로 기아차의 노동시간과 동일하게 운영

구분 근무시간 연장시간 비고

상시 주간 08:30-17:3017:30-19:30 ( 평균 2 시간 )

교대생산

주간조 08:30-17:3017:30-19:30 ( 고정 2 시간 )

12 시 30 분부터 중식시간 1 시간

야간조 20:30-05:3005:30-07:30 ( 고정 2 시간 )

00 시 30 분부터 식사시간 1 시간

< 표 > 교대제 변경 전 생산기술직의 근무시간

구분 귀속시간 유급시간 실노동시간

변경전 66 시간 60 시간 55 시간

변경후 56 시간 51 시간 48.5 시간

주당감소분 -10 시간 -9 시간 -6.5 시간

연당감소분 -520 시간 -468 시간 -338 시간

< 표 > 주당 귀속 / 유급 / 실노동시간 비교 < 주 6 일 근로 >

Page 16: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6

■ 교대제 및 임금체계 개편 내용 : 임금보전 비율

구 분 10/10 근무 8/9 근무  보전비율

기본급 43% 43% -  

제수당 5% 5% -

OT 수당 20% 10% -  

능률향상수당 - 4% 42%

주간 2 교대 전환수당 - 2% 18%

상여월액 32% 36% 40%

총 계 100% 100% 100%

Page 17: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7

■ B 사 사례의 평가 및 시사점

완성차의 주간 2 교대제 근무형태 변경에 따라 연계한 사례 귀속시간 및 노동시간 단축과 임금 100% 보전 , UPH UP 에 따라 일부 불만도

제기되었으나 무리없이 도입 시행

노사관계 원만하고 협조적 관계로 , 회사측 주도로 노사간 마찰없이 근무형태 변경에 합의 , 적기서열로 물량보전이 가능한 업체는 완성차와 동일하게 변경

완성차 업체의 교대제 변경 영향 크지 않음 완성차 업체의 주간연속 2 교대제 시행에 따라 , 자동차 업종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 완성차와 동일한 주간연속 2 교대제로 전환한 사업장은 많지 않음 ( 조성재 박사 2013.4.19, ‘ 자동차부품업체 노동시간 단축 및 교대제 개선에 관한 연구’ )

Page 18: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 조 2 교대로 변경한 사례

Page 19: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19

■ C 사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사업장은 종업원 수 325 명 , 4,258 억대 매출의 철강 업체임 . 노조는 우리 노련

소속이고 2011 년 8 월에 노조를 설립함 . 노사관계는 다소 갈등적임 .

C 사 사례는 철강산업의 불황에 따라 1 공장을 매각하는 상황에서 구조조정을 회피하고 “

고수익 지속성장을 통한 일류회사로 발전하기 위해 근무제 전환을 회사 ( 이익감소 ) 와

근로자 ( 임금감소 ) 가 서로 양보하여 합의시행하고 회사의 기초체력을 증진 ( 회사측 주장 )”

하자는 취지에 따라 노사 합의로 주야 2 교대 근무체제는 3 조 2 교대 근무제로 전환한

사례임

근무형태 변경으로 , 회사는 가동일수를 늘려 생산량을 확대하고 , 노조는 장시간 근로 및

휴일근로를 기피하는 조합원들의 요구를 충족하고 , 노사는 근기법 위반의 소지를

해소하고자 함 .

Page 20: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0

■ C 사의 노사 개황

강관 ( 송유관 등 ) 을 생산하는 철강업체

생산제품은 강관 ( 송유관 등 ) 으로 전체 생산량의 95% 수출 , 나머지는 내수

2011 년 8 월 노동조합 설립 , 교섭 결렬로 2011 년 12 월부터 50 일간 파업 , 회사 직장폐쇄로 대응 , 2012 년 2 월 교섭 타결로 업무에 복귀

전체 종업원 수는 325 명 , 조합원수는 205 명 , 과장급 이하 전직원을 조직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생산직만 가입한 상태 ( 최근 반장 27 명중 23 명 노조 가입 , 4 명만 미가입 , 인사노무 부장 퇴사 )

조합원 평균 연령 34 세 , 평균근속년수 3.5 년 . 신규 입사자 반기내 90% 이상 퇴사 , 일명 지역에서 “직업훈련소”라 불리기도 함 .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 조건과 복리후생 제도의 개선 필요

아웃소싱 , 분사 등 사내하청 비정규직화 노조 설립으로 저항한 사례

Page 21: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1

■ C 사의 노사 개황

기업 경영 여건 및 환경 2012 년 현재 2009 년과 비교해 188% 의 매출 성장 , 부채비율 ( 부채 / 자본 )

419%, 자기자본비율 ( 자본 / 자산 ) 19%, 영업이익율 ( 영업이익 / 매출 ) 4%

높은 부채비율과 낮은 자기자본비율 , 영업이익율로 외부 환경에 취약

구분 자산 자본 부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2012 222,350 42,845 179,505 425,808 15,765 8,158

2011 229,617 34,678 194,930 435,392 16,899 5,961

2010 198,274 -   169,548 381,594 15,091 5,293

2009 180,691 -   157,742 225,360 9,926 1,053

Page 22: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2

■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배경

1 공장 폐쇄로 인한 구조조정의 필요성 1 공장 제품의 수익성 악화로 인해 공장처분 , 1 공장 인력의 구조조정 필요성 대두

1 공장 인력의 구조조정을 회피 방안 필요

생산능력 한계에 도달 기존의 2 조 2 교대 상황에서는 더 이상 생산량을 늘릴 수 없는 한계 상황에 도달

근로시간 감소 및 휴일 확대의 필요성 젊은 조합원 ( 평균연령 34 세 , 평균근속 3.5 년 ) 중심으로 근로시간 감소 및 휴일

확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

2 조 2 교대 연장근로시간 위법

Page 23: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3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과정

2012 년 10 월 1 일 부터 2 조 2 교대 근무에서 3 조 2 교대제 시행 회사측 주도로 교대제 변경 , 노사발전재단의 컨설팅 결과에 기초해 실시 합의

1 공장 인력의 배치전환 1 공장 매각에 따른 인원 배치전환으로 지속 고용

주야 2 조교대에서 3 조 2 교대 전환에 따라 41 명 신규 채용 ( 사무인력 3 명 충원 )

생산능력의 확대 시설확충 없이 교대제 전환을 통해 공장가동일수를 늘리고 생산능력 확대

근로시간 감소를 통한 교육훈련 강화 근로시간 감소에 대한 조합원의 요구를 총족하고 근기법 위반 소지 제거

감소된 근로시간을 교육훈련에 활용해 임금을 일부 보전하고 근로자 능력 향상

Page 24: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4

■ 교대제 및 근무형태 변경 내용

< 표 > 2 조 2 교대 근무형태 < 평일 11 시간 , 토요일 8 시간 근무 >

< 표 > 3 조 2 교대 근무형태

구분 1 일 2 일 3 일 4 일 5 일 6 일 7 일 8 일 9 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 조 주 주 주 주 주주

( 토 )야 야 야 야 야

야( 토 )

2 조 야 야 야 야 야야

( 토 )주 주 주 주 주

주( 토 )

구분 1 일 2 일 3 일 4 일 5 일 6 일 7 일 8 일 9 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 조 주 주 주 주 야 야 야 야 주 주

2 조 야 야 주 주 주 주 야 야 야 야

3 조 야 야 야 야 주 주 주 주

Page 25: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5

■ 교대제 및 근무형태 변경 내용

2012 년 10 월 주야 맞교대를 3 조 2 교대로 변경 함 .

교대주기 7 일에서 6 일로 변경

6 일 근무 1 일 휴무에서 4 일 근무 2 일 휴무 체제로 변경 ( 주중 평일 2 일을 주휴일로 대체 )

근무시간을 보면 1 조는 08∼20 시 , 2 조는 20 시∼ 08 시까지 근로하고 3 조는 휴무 , 유급근로시간은 11 시간

주말이나 공휴일 , 토 . 일요일 개념의 변화

Page 26: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6

■ 교대제 및 근무형태 변경 내용 : 휴일 변동

구분 현행 3 조 2 교대 증감 비고

주간휴일 52 122 +702 교대 : 365 일 / 7 일 × 1 일3 교대 : 365 일 / 6 일 × 2 일

년차휴가 5 15 - 2011 년 년차휴가 5 일 사용

정기휴가 3 3 - 대수리시 정기휴가 실시

청원휴가 1 1 -   개인 평균 0.7 일 → 1 일

국경휴일 10 0 -10 2011 년 11 일중 10 일 휴무

계 71 141 +70 년 평균 60 일 휴무일 증가

Page 27: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7

■ 교대제 및 근무형태 변경 내용 : 근로시간 변동

구분 현행3 조 2

교대증감 비고

주간 968 897 -712 교대 : ((52 주 ×8 시간 ×5 일 +8 시간 )-( 국경일 + 휴가 )×8

시간 ) / 2

야간 968 897 -71 3 교대 : (365 일 /6 일 *2 일 *8 시간 )- 휴가 *8 시간 /2

연장 725 673 -522 교대 : 365 일 /7 일 *5 일 *3 시간 -( 국경일 + 휴가 )*3

3 교대 : 365 일 /6 일 *4 일 *3 시간 - 휴가 *3

휴일 ( 토 ) 417   -4172 교대 : 365 일 /7 일 *8 시간3 교대 : 주중 휴일로 대체

국경휴일 11 (121)  2 교대 : 2011 년 1 일 근무 3 교대 : (121 시간 ) = 11 일 × 11 시간

대근   (176)   3 교대 : (176 시간 ) = (15 일 + 1 일 ) × 11 시간

계 3,089 2,467 -6222 교대 : ((365 일 /7 일 ×5 일 ×11 시간 )+(365 일 *7*8))/

(365 일 /7 일 )

주당평균 63 50.7 -12.3 3 교대 : (365 일 /6 일 *4 일 *11 시간 )-(3 일 *11 시간 )

Page 28: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8

■ 교대제 및 근무형태 변경 내용 : 생산량 변동

구분 2 조 2 교대 3 조 2 교대 증감

주간휴일 52 105 + 52

하기휴가 0 3 + 3

국경휴일 1 11 + 10

계 53 118 + 65

- 공장가동 증가일수

- 공장가동 감소 일수 : 설비 예방정비 실시 년간 24 일 (12 일 +8 일 +4일 )

* 소수리 : 월 1 일 (12 일 ) * 중수리 : 분기 2 일 ( 년 8 일 ) * 대수리 : 년 4 일

- 년간 증산량 : 51,300 톤

* 년간 증산량 = 근무증가일수 41 일 (65 일 -24 일 ) × 1 일 생산량 * 51,300 톤 = 41 일 × 1,250 톤

Page 29: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29

■ 교대제 및 임금체계 개편 내용 : 임금보전 내용

월평균감소액

기본시급인상액

교육보전액(1.5 일 )

대체근로 소계 실감소액

368,100 184,050 65,688 98,532 348.270 -19,830

100% 50% 18% 27% 95% -5%

Page 30: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0

■ 교대제 변경 평가 및 시사점

교대제 변경으로 휴일수가 증가하고 노동시간을 단축하였음 주야 2 교대에서 3 조 2 교대제로 변경하면서 년간 휴일수가 70 일로 증가하였음 .

실제로는 임금보전을 위한 교육훈련일 ( 년 18 일 ) 과 대체근로일 ( 연차휴가 10 일 ) 을 고려하면 년간 42 일 (70 일 -18 일 -10 일 ) 의 증가함 . 월평균 3.5 일 (42 일 /12 월 )

에 해당함

년간 노동시간은 622 시간 (3,089 시간 → 2,467 시간 ) 을 단축하였음 . 이를 월로 환산하면 12.3 시간 (63 시간 → 50.7 시간 ) 을 단축함

노사 구조조정 회피하는 수단 활용 및 조합원 요구 충족 1 공장 매각에 따른 구조조정 인원을 교대제 전환으로 타공장으로 배치전환 함

상대적으로 젊은 조합원 ( 평균연령 34 세 , 평균근속 3.5 년 ) 들의 근로시간 감소 및 휴일 확대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고 충족함

Page 31: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1

■D 사 -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사업장은 종업원 수 310 여명 , 1,100 억대 매출의 자동차부품업체임 . 노조는

한국노총 금속노련 소속이며 , 노사관계는 협조적임 .

F 사 사례는 자동차산업의 호황에 따라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물량증가와

장시간 노동을 해소하기 위해 10/10 근무를 3 조 2 교대로 전환한 사례 임

3 조 2 교대제 도입시 임금보전 및 인원충원 문제가 중요 쟁점이었음 .

동 사례는 물량 증가와 노동시간 단축을 3 조 2 교대제의 도입으로 해결한 사례임 . 3

교대제는 24 시간 가동시간을 확보하는 한편 개인별 노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임 . 단 1 일 노동시간은 길어 노동피로도는 높은 편임 .

Page 32: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2

■D 사 기업의 노사 개황

자동차 흡기 시스템을 생산하는 부품업체임 .

자동차부품은 완성차에 ‘사내서열’ 방식으로 납품하고 있으며 , 전자부품은 S 전자 등 가전업체에 납품하고 있음 .

종업원 수는 250 여명임 . ( 사무관리직 100 여명 , 생산직 150 여명 )

생산직의 주된 근무형태는 상시주간과 교대근무제로 구분 됨 . 교대근무자는 사출성형 업무를 담당하는 28 명임 .

기업 경영 여건 및 환경 1980 년에 설립된 동사는 2011 년 현재 매출액은 1,200 억원이며 , 자본금은 50

억원임 . 2008 년 이후 매출은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음 .

종업원 평균 연봉은 3,500 만원 수준임 .

Page 33: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3

■D 사 기업의 노사 개황

우리 노련 소속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1987 년에 설립되었으며 , 조합원 수는 2012 년 현재 100 여명임 .

종업원의 평균 연령은 40 세이고 , 평균 근속연수는 13 년임 .

< 표 > 연도별 매출액 ( 단위 : 억 )

Page 34: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4

■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배경

지속적인 물량 증가와 생산능력의 한계 주된 거래처인 A완성차의 호황에 따라서 수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반하여

생산능력에는 한계가 있음.

그 동안 동사는 설비증설 및 인력증원을 통한 생산능력 향상보다는 기존 인력이 정규시간 외의 초과근무를 하여 거래선에서 요구하는 물량을 대응하여 옴.

하지만 2015년까지 확보된 원청의 요구 물량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생산능력으로는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름.

근로기준법의 개정 예정 현행 근로기준법의 행정 해석은 휴일근로와 연장근로를 구분하고 있어 연장근로시간 한도 12

시간에 휴일 근로는 포함시키지 않았음.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행정해석 또는 근로기분법의 변경으로 휴일근로도 연장근로에 포함시키는 것을 예정하고 있음.

이에 현재의 근무형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인력을 보충하여 근로시간을 줄여야 할 필요성이 높아짐.

Page 35: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5

■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배경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 결과 시정 지시가 내려짐 .

2012 년 4 월 근로감독관의 근로시간 점검 결과 , 연장근로시간이 1 주 12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시정조치를 받음 .

이에 장시간 근로의 개선내용 및 방법 기한 등을 기재한 개선계획서를 제출한 상황임 .

Page 36: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6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과정

2009 년 이후 생산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회사는 이를 기술직사원들의 잔업 및 특근 등 근무시간 연장으로 대응 함 .

상시주간조의 경우 평균 3 시간 30 분의 연장근로가 수행되고 있으며 , 교대근무의 경우 연장시간을 활용하여 사실상 2 조 2 교대 연속형 (24 시간 연속공정 ) 을 운영해 왔음 .

2011 년 중 가장 일이 많았던 경우 1 인당 월간 평균 74 시간을 연장근로하였으며 ,

주간 평균 16.5 시간을 연장 근로하는 상황이었음 . 이는 근기법의 위반임 .

구분 근무시간 연장시간 비고

상시 주간 08:00-17:00(8시간 )

17:30-20:30 ( 평균 3 시간 )

저녁시간 30 분17:00∼17:30

교대생산

주간조 08:00-17:00(8시간 )

17:30-20:30 ( 고정 3 시간 )

저녁시간 30 분17:00∼17:30

야간조 20:30-05:30(8시간 )

05:30-08:30 ( 고정 3 시간 ) -

< 표 > 교대제 변경 전 생산기술직의 근무시간

Page 37: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7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과정

회사측은 물량증가에 조응하고 , 근로기준법 준수할 수 있는 근무형태 , 노조는 현재의 임금수준이 떨어지지 않는 방안으로 교섭을 시작함 . 노사는 인건비의 증가 및 인력충원의 현실적 어려움을 고려하여 부분적인 3 조 2 교대로

교대제를 변경하기로 함 .

일일근로시간주중근로시간 월간근로시간

분 시간

평일근로

주간근무 690 11.50 54.10 234.79

야간근무 630 10.50 49.40 214.38

평균 660 11.00 51.75 224.58

연장근로 ( 주간 ) 210 3.50 16.47 71.46

연장근로 ( 야간 ) 150 2.50 11.76 51.04

연장근로 평균 180 3 14.11 61.25

야간근로 560 7.00 16.47 71.46

휴일근로

휴일근로 ( 주간 ) 480 8.00 4.79 20.80

휴일근로 ( 야간 ) 630 10.50 6.29 27.30

합계 555 9.25 11.08 48.10

휴일연장 150 2.50 1.66 7.22

야간근무 560 7 4.19 18.20

총근로시간 62.83 272.68

< 표 > 2 조 2교 대 근 로 시 간 현황

Page 38: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8

■ 근무형태 변경 내용 및 쟁점

2012 년 11 월 2 조 2 교대를 3 조 2 교대제로 변경 함 .

과거 2 조 2 교대제는 7 일 주기 (6 일 근무 , 1 일 휴일 ) 임 . 변경된 3 조 2 교대제는 6 일 주기 (4 일 근무 , 2 일 휴일 ) 임 . 3 조 2 교대제에서는 토요일과 일요일의 개념이 변화 됨 .

< 표 > 3 조 2 교대 근무형태

구분 1 일 2 일 3 일 4 일5

일6 일 7 일

8

9

10

11

12

13

14

1 조 주간 주간 주간 주간 × × 야간 야간 야간 야간 × × 주간 주간

2 조 야간 야간 × × 주간 주간 주간 주간 × × 야간 야간 야간 야간

3 조 × × 야간 야간 야간 야간 × × 주간 주간 주간 주간 × ×

Page 39: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9

■ 근무형태 변경 내용 및 쟁점

3조 2교대제 도입으로 인한 변화 3조 2교대제로 전환함에 따라 월별 근로일은 약 6일 감소하고, 휴일은 6일 증가 함.

연간으로는 근로일이 78일 감소하고 휴일이 78일 증가 함.

3조 2교대제 도입으로 월간 노동시간은 평균 209시간이 되고, 주간근로시간은 48시간이 되어 법정 연장근로시간 한도인 52시간 이내로 관리 됨. 연장근로시간은 13.17시간으로 12시간을 초과하나 소정근로시간이 줄어들어 주간 총근로시간은 52시간을 초과하지 않음.

3조 2교대제로 교대근무형태를 변경할 때 쟁점은 다음과 같음. 3조 2교대제는 도입시 ‘주휴일, 지정휴일, 교육일’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근로일,

휴일, 생산량’의 차이가 발생함. 또한 이는 노동자들의 임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침.

동사에서는 과거와 같이 ‘주휴일을 유지하고 지정휴일은 가동 중지’하는 방식으로 근무형태를 설계 함. 이렇게 한 가장 큰 이유는 ‘근로시간 감소에 따른 임금감소분이 있어 인건비 증가분을 가장 크게 줄일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임.

3조2교대 도입으로 감소한 임금은 월 기준으로 약 230,000원임.

임금감소가 제도 도입에 따른 노동자들의 불만이었다면 회사측의 부담은 인력충원이었음. 제도 변경에 따라 13명이 충원 됨 .

Page 40: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0

■D 사 사례의 타기업 적용시 쟁점과 시사점

2 교대제에서 3 조 2 교대로 근무형태가 바뀜에 따라 1 주 생산시간은 11 시간 증가하고 , 일일생산량은 약 3% 증가 함 .

제도 도입 초기라 확정할 수 없으나 , 생산량과 매출액은 약 14%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

주 휴일이 증가하였고 , 임금은 약 8% 감소 함 . 임금 감소분에 대한 노동자들의 불만이 가장 큼 .

3 조 2 교대제의 경우 개인별 휴가시간은 늘어나나 , 1 일 노동 강도가 센 것으로 나타남 . 초기 불만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정착 단계임 .

Page 41: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1

■ D 사 -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 사업장은 종업원 수 310 여명 , 1,100 억대 매출의 자동차부품업체임 . 노조는

한국노총 금속노련 소속이며 , 노사관계는 협조적임 .

D 사 사례는 자동차산업의 호황에 따라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물량증가에

조응하고 노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10/10 근무를 3 조 3 교대로 전환한 사례 임

3 교대제 도입시 근무시간 (10 시간에서 8 시간 ) 축소에 따 른 임금 감소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 노조는 부분적인 임금 보전 ( 월 10 만원의 교통수당 ) 과 함께 임금 감소를

수용하여 합의 함

동 사례는 물량 증가와 노동시간 단축을 3 교대제의 도입으로 해결한 사례임 . 3 교대제는

유럽 자동차산업에서 보편화된 근무 형태이나 우리의 경우는 예외적임 .

Page 42: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2

■ D 사 기업의 노사 개황

우리 금속노련 소속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1988 년에 설립되었으며 , 조합원 수는 2011 년 현재 154 여명임 .

조합원들은 모두 생산직으로 조직되어 있음

종업원의 평균 연령은 37 세이며 , 평균 근속연수는 11 년임 .

< 표 > 연도별 매출액 및 종업원 수 ( 단위 : 억원 , 명 )

Page 43: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3

■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배경

2000 년대 중반이후 회사는 매출 증가를 인원 충원이나 교대제 개편이 아니라 종업원의 노동시간 연장으로 대응 함 .

이에 따라 종업원들은 월 평균 80-90 시간 이상의 잔업과 특근을 해 연 평균노동시간이 3,000 시간 이상인 경우도 발생 함 . 이런 장시간 노동은 근기법 위반에 해당함 .

근기법을 위반하는 장시간노동은 직원들의 건강 , 가정생활 등 다방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는 종업원들의 대표적인 불만 요인이었음 .

경영측은 가동시간 확보 , 노동자들은 개인별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요구를 교대제 개편을 통해 실현할 수 있었음 .

경영측은 생산물량 증가를 교대제 개편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음 .

종업원들은 교대제 개편을 통해 장시간노동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었음 .

Page 44: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4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과정

2005 년 ‘노사공동 교섭위원회’를 통해 장시간노동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사간 지속적인 논의가 전개 됨 .

회사는 지속적인 매출 증가를 더 이상 잔업과 특근을 통해 해결할 수 없었고 , 노조와 종업원 역시 장시간노동의 누적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는 상황이었음 .

노사 모두 1 회적인 교섭이 아닌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적인 논의와 의견 수렴 확보 과정을 전개하였음 .

회사 주도로 제도 개편을 추진 함 .

노사간 공동 논의와 함께 회사측의 적극적인 사업 추진이 전개 됨 . 회사는 교대제 개편에 따른 노동시간 단축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홍보하면서 종업원들을 설득 함 .

장시간노동은 건강 , 가정생활의 문제 뿐 아니라 회사의 지속가능한 전략이 아님 .

종업원들이 교대제 개편에 따른 부담감을 부분적인 임금보존 , 복지 제도 확충 , 건강권 신장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 보장으로 보상하는 방법을 강구 함 .

Page 45: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5

■ 근무형태 변경 및 임금 보전

2006 년 1 월 주야 맞교대 (10/10) 를 3 조 3 교대 (8/8/8) 로 변경 함 .

10/10 근무를 3 조 3 교대제로 전환 함 . 3 조 3 교대제의 교대주기는 1 주일이며 , 그 형태는 ‘오전근무 - 야간근무 - 오후근무’로 순환함 .

근무시간을 보면 오전근무는 07∼15 시 , 오후근무는 15∼23 시 , 야간근무는 23 시∼ 07 임 . 각 조별 근무시간은 8 시간이며 , 실노동시간은 7 시간 20 분임 .

< 표 > 3 조 3 교대 근무형태

구분 1 일 2 일 3 일 4 일 5 일 6 일 7 일 8 일 9 일 10일

11일

12일 13 일 14 일

A 조 1 1 1 1 11

( 특 )1

( 특 ) 3 3 3 3 33

( 특 )휴

B 조 2 2 2 2 22

( 특 )휴 1 1 1 1 1

1( 특 )

1( 특 )

C 조 3 3 3 3 33

( 특 )휴 2 2 2 2 2

2( 특 )

구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 조 2 2 2 2 22

( 특 )휴 1 1 1 1 1

1

( 특 )

1

( 특 )

B 조 3 3 3 3 33

( 특 )휴 2 2 2 2 2

2

( 특 )휴

C 조 1 1 1 1 11

( 특 )

1

( 특 )3 3 3 3 3

3

( 특 )휴

Page 46: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6

■ 근무형태 변경 및 임금 보전

교대제 변경에 따른 노사간 쟁점은 ‘인원 충원’과 ‘임금 보전’ 방안이었음 .

교대제 전환으로 회사는 약 50 명의 인력을 신규로 충원하는 상황이었음 . 이는 회사의 부담으로 작용함 .

노동자들은 3 교대 전환에 따라 임금이 월 평균 313 만원에서 278 만원으로 떨어져 개인당 약 35 만원이 감소하게 됨 . 노동시간 단축에 따라 임금 수준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 임금이 생활임금 수준에 못 미치는 상황에서 임금 감소는 노동자들의 제도 호응성을 약화시킴 . 회사는 월 10 만원의 ‘교통보조수당’을 신설하여 교대제에 따른 임금 감소를 보완하였음 .

노동시간 단축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지 지원을 강화하였음 .

노동시간은 교대제 변경으로 월 347 시간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 옴 .

노동시간 단축은 종업원들의 건강과 취미 , 서클 활동 등에 더 많은 관심을 촉진함 . 회사는 종업원들의 건강 지원을 위해 정밀 종합건강검진을 2 년에 1 번씩 (1 인당 30 만원 )

받도록 하였음 . 또한 사내 체력단련실을 만들고 월 4 만원의 서클 지원비를 지원함 .

Page 47: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7

■ 교대제 변경 평가

교대제 변경으로 노동시간이 주야 2 교대 보다 연 347 시간 ( 월 평균 29 시간 )

단축되었음 .

하지만 주말 특근을 통제하지 못해 K 사 기술직의 연평균노동시간은 2,634 시간으로 한국의 연 평균 노동시간인 2,193 시간 (2010 년 기준 ) 보다 약 440 시간 초과하는 상황임 .

교대제 변경에 따라 노동자들의 건강이 향상되고 취미생활이 활성화 됨 .

오전 근무자들은 축구 , 테니스 , 등산 등 서클 활동을 많이 하며 , 야간 근무자들은 근무를 마치고 주로 2 시간 정도 체력단련실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임 .

노동시간 단축의 의미를 종업원들 스스로 자각하고 있음 . 이는 일과 가정의 양립 등 개인의 사회생활의 폭과 내용을 풍부히하는 예라 할 수 있음 . K 사 시술직 사원들의 연차사용율은 50% 수준으로 타 부품업체 연차사용률보다 훨씬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

Page 48: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8

■K 사 사례의 타기업적용시 쟁점과 시사점

3조 3교대제 도입 시 예상되는 노사간 쟁점 심야노동의 유지 여부가 쟁점임. D사의 경우 완성차의 교대제 전환 합의 이전인 2006

년에 노사간 합의로 10/10근무를 3조3교대로 전환 한 사례임. 그런데 현대차의 주간연속2교대제 도입은 교대제 변경과 함께 심야노동의 폐지라는 성격을 띠고 있음.

심야노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완성차와 동일한 제도 도입 요구가 높은 상황임을 고려하면 3교대제 도입은 ‘심야노동’의 유지라는 문제가 노사간 쟁점이 될 수 있음.

3교대제의 도입은 개인별 노동시간이 단축 됨에 따라 임금 감소 문제가 발생 함. 2, 3차 부품업체의 경우 임금총액 및 기본급의 수준이 낮기 때문에 임금 하락을 수용하는 것이 쉽지 않음. 교대제 전환시 어느 수준에서 임금을 보존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노사간 갈등이 발생할 우려가 큼.

동사의 경우 기술직 사원 중 교대근무자의 비중이 80% 이상이어서 ‘상시주간조’와의 갈등은 없었음. 하지만 교대근무자의 비중이 상시주간조보다 그 비중이 적을 경우 제도 개편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 상시주간조에게도 교대근무자와 동일한 금전보상 등을 요구 할 수 있음.

Page 49: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49

■ D 사 사례의 시사점

본 사례의 시사점

교대제 변경 및 노동시간 단축에 있어 경영측의 적극적인 의지가 주요했음 . 경영진은 장시간 노동시간 문제와 함께 지속적인 물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3 교대제를 제안하고 합의를 도출함 .

교대제 개편은 직원의 생활리듬 , 임금 , 인원 충원 등 다양한 쟁점들의 합의를 수반하는 작업임 . 동사는 ‘노사 교섭 위원회’를 설치하여 노사간 장기적인 논의와 협의를 촉진해 왔음 . 교대제 변경에 앞서 노사간 논의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 협의 기구가 필요함 .

Page 50: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0

■ 교대제 및 근무형태 변경 내용

2006 년 1 월 주야 맞교대 (10/10) 를 3 조 3 교대 (8/8/8) 로 변경 함 .

10/10 근무를 3 조 3 교대제로 전환 함 . 3 조 3 교대제의 교대주기는 1 주일이며 , 그 형태는 ‘오전근무 - 야간근무 - 오후근무’로 순환함 .

근무시간을 보면 오전근무는 07∼15 시 , 오후근무는 15∼23 시 , 야간근무는 23 시∼ 07 임 . 각 조별 근무시간은 8 시간이며 , 실노동시간은 7 시간 20 분임 .

< 표 > 3 조 3 교대 근무형태

구분 1 일 2 일 3 일 4 일 5 일 6 일 7 일 8 일 9 일 10일

11일

12일 13 일 14 일

A 조 1 1 1 1 11

( 특 )1

( 특 ) 3 3 3 3 33

( 특 )휴

B 조 2 2 2 2 22

( 특 )휴 1 1 1 1 1

1( 특 )

1( 특 )

C 조 3 3 3 3 33

( 특 )휴 2 2 2 2 2

2( 특 )

구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 조 2 2 2 2 22

( 특 )휴 1 1 1 1 1

1

( 특 )

1

( 특 )

B 조 3 3 3 3 33

( 특 )휴 2 2 2 2 2

2

( 특 )휴

C 조 1 1 1 1 11

( 특 )

1

( 특 )3 3 3 3 3

3

( 특 )휴

Page 51: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3 조 3 교대로 변경한 사례

Page 52: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2

■K 사 -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의 특징 및 요약

사례 사업장은 종업원 수 310 여명 , 1,100 억대 매출의 자동차부품업체임 . 노조는

한국노총 금속노련 소속이며 , 노사관계는 협조적임 .

K 사 사례는 자동차산업의 호황에 따라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물량증가에

조응하고 노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10/10 근무를 3 조 3 교대로 전환한 사례 임

3 교대제 도입시 근무시간 (10 시간에서 8 시간 ) 축소에 따 른 임금 감소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 노조는 부분적인 임금 보전 ( 월 10 만원의 교통수당 ) 과 함께 임금 감소를

수용하여 합의 함

동 사례는 물량 증가와 노동시간 단축을 3 교대제의 도입으로 해결한 사례임 . 3 교대제는

유럽 자동차산업에서 보편화된 근무 형태이나 우리의 경우는 예외적임 .

Page 53: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3

■K 사 기업의 노사 개황

자동차 엔진 , 변속기 및 바디와 샤시에 들어가는 부품과 가전제품의 부품을 생산하는 부품업체임 .

자동차부품은 완성차에 ‘사내서열’ 방식으로 납품하고 있으며 , 전자부품은 S 전자 등 가전업체에 납품하고 있음 .

종업원 수 310 여명 ( 사무관리직 170 여명 , 생산직 140 여명 )

교대근무자는 120 명이며 , 공무와 품질부서에는 약 20 명이 상시주간조가 있음

기업 경영 여건 및 환경 1988 년에 설립된 동사는 2011 년 현재 매출액은 1,170 억원이며 , 자본금은 90

억원임 . 2006 년 이후 매출은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음 .

종업원 평균 연봉은 4,300 여만원 수준임 .

Page 54: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4

■K 사 기업의 노사 개황

우리 노련 소속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1988 년에 설립되었으며 , 조합원 수는 2011 년 현재 154 여명임 .

조합원들은 모두 생산직으로 조직되어 있음

종업원의 평균 연령은 37 세이며 , 평균 근속연수는 11 년임 .

< 표 > 연도별 매출액 및 종업원 수 ( 단위 : 억원 , 명 )

Page 55: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5

■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배경

2000 년대 중반이후 회사는 매출 증가를 인원 충원이나 교대제 개편이 아니라 종업원의 노동시간 연장으로 대응 함 .

이에 따라 종업원들은 월 평균 80-90 시간 이상의 잔업과 특근을 해 연 평균노동시간이 3,000 시간 이상인 경우도 발생 함 . 이런 장시간 노동은 근기법 위반에 해당함 .

근기법을 위반하는 장시간노동은 직원들의 건강 , 가정생활 등 다방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는 종업원들의 대표적인 불만 요인이었음 .

경영측은 가동시간 확보 , 노동자들은 개인별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요구를 교대제 개편을 통해 실현할 수 있었음 .

경영측은 생산물량 증가를 교대제 개편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음 .

종업원들은 교대제 개편을 통해 장시간노동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었음 .

Page 56: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6

■교대제 도입 및 임금체계 개편 과정

2005 년 ‘노사공동 교섭위원회’를 통해 장시간노동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사간 지속적인 논의가 전개 됨 .

회사는 지속적인 매출 증가를 더 이상 잔업과 특근을 통해 해결할 수 없었고 , 노조와 종업원 역시 장시간노동의 누적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는 상황이었음 .

노사 모두 1 회적인 교섭이 아닌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적인 논의와 의견 수렴 확보 과정을 전개하였음 .

회사 주도로 제도 개편을 추진 함 .

노사간 공동 논의와 함께 회사측의 적극적인 사업 추진이 전개 됨 . 회사는 교대제 개편에 따른 노동시간 단축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홍보하면서 종업원들을 설득 함 .

장시간노동은 건강 , 가정생활의 문제 뿐 아니라 회사의 지속가능한 전략이 아님 .

종업원들이 교대제 개편에 따른 부담감을 부분적인 임금보존 , 복지 제도 확충 , 건강권 신장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 보장으로 보상하는 방법을 강구 함 .

Page 57: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7

■ 근무형태 변경 및 임금 보전

2006 년 1 월 주야 맞교대 (10/10) 를 3 조 3 교대 (8/8/8) 로 변경 함 .

10/10 근무를 3 조 3 교대제로 전환 함 . 3 조 3 교대제의 교대주기는 1 주일이며 , 그 형태는 ‘오전근무 - 야간근무 - 오후근무’로 순환함 .

근무시간을 보면 오전근무는 07∼15 시 , 오후근무는 15∼23 시 , 야간근무는 23 시∼ 07 임 . 각 조별 근무시간은 8 시간이며 , 실노동시간은 7 시간 20 분임 .

< 표 > 3 조 3 교대 근무형태

구분 1 일 2 일 3 일 4 일 5 일 6 일 7 일 8 일 9 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A 조 1 1 1 1 11

( 특 )1

( 특 ) 3 3 3 3 33

( 특 )휴

B 조 2 2 2 2 22

( 특 )휴 1 1 1 1 1

1( 특 )

1( 특 )

C 조 3 3 3 3 33

( 특 )휴 2 2 2 2 2

2( 특 )

구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 조 2 2 2 2 22

( 특 )휴 1 1 1 1 1

1

( 특 )

1

( 특 )

B 조 3 3 3 3 33

( 특 )휴 2 2 2 2 2

2

( 특 )휴

C 조 1 1 1 1 11

( 특 )

1

( 특 )3 3 3 3 3

3

( 특 )휴

Page 58: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8

■ 근무형태 변경 및 임금 보전

교대제 변경에 따른 노사간 쟁점은 ‘인원 충원’과 ‘임금 보전’ 방안이었음 .

교대제 전환으로 회사는 약 50 명의 인력을 신규로 충원하는 상황이었음 . 이는 회사의 부담으로 작용함 .

노동자들은 3 교대 전환에 따라 임금이 월 평균 313 만원에서 278 만원으로 떨어져 개인당 약 35 만원이 감소하게 됨 . 노동시간 단축에 따라 임금 수준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 임금이 생활임금 수준에 못 미치는 상황에서 임금 감소는 노동자들의 제도 호응성을 약화시킴 . 회사는 월 10 만원의 ‘교통보조수당’을 신설하여 교대제에 따른 임금 감소를 보완하였음 .

노동시간 단축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지 지원을 강화하였음 .

노동시간은 교대제 변경으로 월 347 시간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 옴 .

노동시간 단축은 종업원들의 건강과 취미 , 서클 활동 등에 더 많은 관심을 촉진함 . 회사는 종업원들의 건강 지원을 위해 정밀 종합건강검진을 2 년에 1 번씩 (1 인당 30 만원 )

받도록 하였음 . 또한 사내 체력단련실을 만들고 월 4 만원의 서클 지원비를 지원함 .

Page 59: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59

■ 교대제 변경 평가

교대제 변경으로 노동시간이 주야 2 교대 보다 연 347 시간 ( 월 평균 29 시간 )

단축되었음 .

하지만 주말 특근을 통제하지 못해 K 사 기술직의 연평균노동시간은 2,634 시간으로 한국의 연 평균 노동시간인 2,193 시간 (2010 년 기준 ) 보다 약 440 시간 초과하는 상황임 .

교대제 변경에 따라 노동자들의 건강이 향상되고 취미생활이 활성화 됨 .

오전 근무자들은 축구 , 테니스 , 등산 등 서클 활동을 많이 하며 , 야간 근무자들은 근무를 마치고 주로 2 시간 정도 체력단련실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임 .

노동시간 단축의 의미를 종업원들 스스로 자각하고 있음 . 이는 일과 가정의 양립 등 개인의 사회생활의 폭과 내용을 풍부히하는 예라 할 수 있음 . K 사 시술직 사원들의 연차사용율은 50% 수준으로 타 부품업체 연차사용률보다 훨씬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

Page 60: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60

■K 사 사례의 타기업적용시 쟁점과 시사점

3조 3교대제 도입 시 예상되는 노사간 쟁점 심야노동의 유지 여부가 쟁점임. K사의 경우 완성차의 교대제 전환 합의 이전인 2006

년에 노사간 합의로 10/10근무를 3조3교대로 전환 한 사례임. 그런데 현대차의 주간연속2교대제 도입은 교대제 변경과 함께 심야노동의 폐지라는 성격을 띠고 있음.

심야노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완성차와 동일한 제도 도입 요구가 높은 상황임을 고려하면 3교대제 도입은 ‘심야노동’의 유지라는 문제가 노사간 쟁점이 될 수 있음.

3교대제의 도입은 개인별 노동시간이 단축 됨에 따라 임금 감소 문제가 발생 함. 2, 3차 부품업체의 경우 임금총액 및 기본급의 수준이 낮기 때문에 임금 하락을 수용하는 것이 쉽지 않음. 교대제 전환시 어느 수준에서 임금을 보존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노사간 갈등이 발생할 우려가 큼.

동사의 경우 기술직 사원 중 교대근무자의 비중이 80% 이상이어서 ‘상시주간조’와의 갈등은 없었음. 하지만 교대근무자의 비중이 상시주간조보다 그 비중이 적을 경우 제도 개편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 상시주간조에게도 교대근무자와 동일한 금전보상 등을 요구 할 수 있음.

Page 61: 금속노련  대책위원회

61

■K 사 사례의 타기업적용시 쟁점과 시사점

본 연구 사례가 타 기업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교대제 변경 및 노동시간 단축에 있어 경영측의 적극적인 의지가 주요했음 . 경영진은 장시간 노동시간 문제와 함께 지속적인 물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3 교대제를 제안하고 합의를 도출함 .

교대제 개편은 직원의 생활리듬 , 임금 , 인원 충원 등 다양한 쟁점들의 합의를 수반하는 작업임 . 동사는 ‘노사 교섭 위원회’를 설치하여 노사간 장기적인 논의와 협의를 촉진해 왔음 . 교대제 변경에 앞서 노사간 논의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 협의 기구가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