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월든 프로젝트를 통한 과학자들과 예술가들 사이의 협업 ·...

12
Collaboration between Scientists and Artists, through the project, Science Walden 사이언스 월든프로젝트를 통한 과학자들과 예술가들 사이의 협업 CHO Jaeweon, Professorof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ST [email protected] withBasics.org 조재원, UNIST 환경공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withBasics.org 1. Initiating the collaboration 협업의 시작 We have to understand firstly language with terminology to converge into other areas, for convergence, for example, as a scientist into arts. We should meet artist or scientist to communicate with our language to expose ourselves to others, then, we know which is different for communication and know what to do to reduce the gap. Secondly, we have to act on a project or any similar event in which both scientist and artist are interested, which also make the meeting of scientist and artist easier. A project is not a sort of things that only privileged experts can do, but, persons are going to practice while conducting the project to be a matured expertise. We do not perform but use it to study. Thirdly, both artist and scientist have to attempt to find common materials to design a product with the project. Upon finding appropriate materials helps us to proceed into a design of the next steps with meanings and selections for the acts. Fourthly, we had better share our vision and goal between scientist and artist. Only when we share, we can find a way to make realities that are visible and tangible but are not visible and sensible now. 우리는 첫째 언어가 다른 영역과 융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과학과 예술이 융합될 있다. 우리는 예술가 혹은 과학자가 자신을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시키기 위하여 우리의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고, 간격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것인지를 알게 된다. 번째, 우리는 과학자와 예술가가 모두 관심을 가진 하나의 프로젝트나 그와 비슷한 이벤트를 운영해야 한다. 그러한 것이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을 쉽게 있다. 프로젝트란 특권을 가진 전문가들만 있는 그런 종류가 아니라, 사람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실무를 익혀 성숙한 전문가가 있다. 우리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위해 사용한다. 번째, 예술가와 과학자는 모두 프로젝트에서 생산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공동의 재료들을 발견하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한다. 적절한 재료들을 발견하면, 행동의 의미와 선택을 가진 다음 단계의 설계로 나아가는 도움이 된다. 번째, 과학자와 예술가는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좋다. 우리가 공유를 , 가시적이고 구체적이지만 현재는 보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않는 현실을 만드는 길을 찾을 있다.

Upload: others

Post on 09-Mar-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Collaboration between Scientists and Artists, through the project, Science Walden

「사이언스 월든」프로젝트를 통한 과학자들과 예술가들 사이의 협업

CHO Jaeweon, Professorof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ST [email protected] withBasics.org 조재원, UNIST 환경공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withBasics.org 1. Initiating the collaboration

협업의 시작

We have to understand firstly language with terminology to converge into other areas, for convergence, for example, as a scientist into arts. We should meet artist or scientist to communicate with our language to expose ourselves to others, then, we know which is different for communication and know what to do to reduce the gap. Secondly, we have to act on a project or any similar event in which both scientist and artist are interested, which also make the meeting of scientist and artist easier. A project is not a sort of things that only privileged experts can do, but, persons are going to practice while conducting the project to be a matured expertise. We do not perform but use it to study. Thirdly, both artist and scientist have to attempt to find common materials to design a product with the project. Upon finding appropriate materials helps us to proceed into a design of the next steps with meanings and selections for the acts. Fourthly, we had better share our vision and goal between scientist and artist. Only when we share, we can find a way to make realities that are visible and tangible but are not visible and sensible now. 우리는 첫째 언어가 다른 영역과 융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과학과 예술이 융합될 수 있다.

우리는 예술가 혹은 과학자가 자신을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시키기 위하여 우리의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고, 그

간격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알게 된다. 두 번째, 우리는 과학자와 예술가가 모두

관심을 가진 하나의 프로젝트나 그와 비슷한 이벤트를 운영해야 한다. 그러한 것이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다. 프로젝트란 특권을 가진 전문가들만 할 수 있는 그런 종류가 아니라, 사람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실무를 익혀 성숙한 전문가가 될 수 있다. 우리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위해 사용한다. 세 번째, 예술가와 과학자는 모두 그 프로젝트에서 생산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공동의

재료들을 발견하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한다. 적절한 재료들을 발견하면, 행동의 의미와 선택을 가진 다음

단계의 설계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 네 번째, 과학자와 예술가는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좋다.

우리가 공유를 할 때, 가시적이고 구체적이지만 현재는 보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않는 현실을 만드는 길을 찾을

수 있다.

2. On the Methodology of the collaboration

협력의 방법에 대하여

When I visit any city, both small and big, in Europe, I can not help visiting cathedral. Cathedral is architecture where there are many different represented characteristics of not only the religion but also the spirit of the time when it was built. I generally see vault and column of the cathedral which always attract my interest; columns and ribs of vault are connected, from the floor to the top. Whenever visitors enter cathedrals, they always look up toward the vaults, with their mouth opened and astonishment from the height. This is purpose for cathedral designers to intend to let the visitor behave as cathedral is most divine place. The exact intention of the designer is to help people in the cathedral to feel divinity, rather than to give them some feelings of incompatibility from the height. Thus, artistic architects try to design their architectures to represent symbolic and other practical purposes. Architects use various different elements for architectures, but, also have to use two fundamentals: harmony and regularity, to make their arts to be an unity (instead of building having compositing elements which are not harmonically composed). We do not want to see the column separately, but, try to see it under the harmony with vaults, beams, stained glasses, statues, paintings, and others. Another big harmony from cathedral which architect wants to achieve is sounds (or music) from outside bells and inside pipe organ; sounds from outside bell and inside pipe organ represent most unstable/disordered and divine/stable/harmonic ones, respectively. 나는 유럽에서 크든 작든 어느 도시를 방문하면, 반드시 대성당(cathedral)을 찾는다. 대성당은 종교뿐만

아니라, 그것이 건축될 당시의 시대정신을 대변하는 다양한 특징들이 있다. 항상 나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볼트(vault, 아치형 천장)와 기둥이다: 볼트의 원형 기둥들, 늑재들은 바닥에서 천장까지 연결되어 있다.

방문객이 성당에 들어서면, 천장을 쳐다보게 되어 있다. 입은 벌린 채, 그리고 엄청난 높이에 놀라면서. 이것은

그 대성당을 설계한 사람들의 목적이다. 즉 성당은 가장 신성한 장소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렇게

행동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설계자의 정확한 의도는 그 성당 안에 들어 온 사람들이 엄청난 천장의

높이로부터 이질감을 느끼도록 하려는 것이 아니고, 신성(神性)을 느끼도록 도와주려는 것이다. 그래서

예술적인 건축가들은 그들의 건축물이 상징적이고 그 외 실제적인 목적을 나타내도록 설계하려 한다.

건축가들은 건축을 위해 다양한 요소들을 사용하지만, 두 개의 근본적인 요소들을 사용해야 한다: 그들의

작품을 (조화롭지 않는 요소들을 가진 건물이기 보다는) 통일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 조화와 규칙성. 우리는

원기둥을 별개의 것으로 보기 보다는 볼트, 들보, 스테인드 글라스, 조각상, 그림 등과의 조화 속에서 보기를

원한다. 건축가가 달성하려는 또 다른 큰 조화는 성당 밖의 종과 내부의 파이프 오르간에서 나는 소리(혹은

음악)이다; 성당 밖의 종과 내부의 파이프 오르간에서 나는 소리는 가장 불안정적이고/무질서한 것과

신성하고/안정적이고/조화로운 소리를 각각 대표한다.

Please taking aside the cathedral for a moment, then, let's take another example with a great painter named Picasso, especially his representative works titled Guernica (1937) and Massacre enCoree (1951). Picasso wanted to represent horrible aspects of wars

committed by human cruelty, using his artistic talent to abstract something important from the accidents. Thus, the two works of Picasso are not photos but paintings which Picasso used abstracts something touching us, from horrible war affairs that actually occurred in Spain and Korea. When I visited the Sophia museum in Madrid, I had stood in front of the work of the Guernica for longer than a hour. Of course, I was shocked by the sad and miserable scenes but also very much touched by his abstracting, and representing styles (not the cubism) from his hidden intentions. 잠시 대성당은 보류하고, 피카소라는 위대한 화가, 특히 그의 ‘게르니카’(1937)와 ‘한국의 학살’(1951)이라는

제목의 대표작들을 생각해보자. 피카소는 사건에서 중요한 어떤 것을 추상화하는 그의 예술적 재능을

사용하여, 인간의 잔인성에 의하여 저질러진 전쟁의 끔찍한 측면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래서 피카소의 두

작품은 사진이 아니라, 스페인과 한국에서 실제로 일어난 끔찍한 전쟁으로부터 어떤 추상성을 사용한

그림인데, 그런 점에서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이다. 내가 마드리드에 있는 소피아 미술관을 찾았을 때, 나는

슬프고 비참한 장면들에 충격을 받았을 뿐 아니라, (입체주의가 아니라) 그가 그의 감추어진 의도를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스타일에 아주 감명을 받았다.

One more example that I would take is works made by Kandinsky (1866-1944), Russian painter. Whenever I look at his works, those remind me of two things, first, he follows color theory made by Goethe not by Newton, and secondly, he tried to integrate music (sounds) into picture. He is known expressionist and also founder of modern abstracting technique, but, I personally want to call him both artist and scientist. 내가 들고 싶은 또 하나의 예는 러시아 화가 칸딘스키(1866-1944) 작품들이다. 그의 작품들을 보면, 나는 두

가지가 연상된다. 첫째, 그는 뉴턴이 아닌 괴테의 색체이론을 채택한다. 둘째, 그는 음악(소리)을 그림 속에

통합하려 했다. 그는 표현주의자로 알려져 있고, 또한 현대 추상적인 기술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나는

개인적으로 그를 예술가이자 과학자라고 부르고 싶다.

I feel necessary to look into definitions of art and science. Aristotle and Plato had different opinions of arts, capability to make catharsis and only dealing with shadow of existence, respectively. Hegel described on art, in his book of Lecture of Aesthetics, together with thoughts of Goethe, that we have to kn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s of object, in order to know the beauty of art; here, the characteristics is (i) reality, (ii) type or mode (motion, shape, color, shadow, etc.) of the reality, as existence. From this description, I understand art is collection of actions and consequences of taking abstracts from objects that artists observe, through reality representation and abstracting of either subsistence or inherence of the represented reality. Meanwhile, Einstein defined science as a creation of the human mind with freely invented ideas and concepts, not just collection of unrelated facts and laws. I believe that ideas and concepts are interconnected with corresponding realities, from our observation and sometimes imagination. Based on the definitions of both Hegel and Einstein, I think that art and science have similarity and difference at the same time, in methodologies, activities, and resulted consequences. Similarity lies mostly in methodologies for object observation with senses, intuited and

represented reality, and concepts making, while, difference exists in rules and principles to make abstract and/or concepts from represented and/or intuited realty. 예술과 과학의 정의를 살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은 예술에 대하여,

카타르시스를 만드는 능력에 대하여, 그리고 단지 존재의 그림자만을 다루는 데 대하여 각기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헤겔은 그의 책 『미학 강의』에서 괴테의 사상과 더불어 예술에 대하여, 예술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상의 근본적인 것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알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서 특성이란 (i)

실제, (ii) 존재로서의 실제의 종류 혹은 형태(움직임, 모습, 색, 그림자 등). 이 설명으로부터, 나는 예술이란

실제의 대표 그리고 대표된 실제의 존재 혹은 유산의 추상화를 통한 행위들의 집합, 예술가가 관찰하는

대상으로부터 추상성을 취한 결과라고 이해한다. 한편 아인슈타인은 과학을 서로 무관계한 사실과 법칙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자유롭게 고안된 아이디어들, 개념들을 가지고 인간 마음의 창조물로 정의했다. 나는

우리의 관찰과 때로는 상상으로부터, 아이디어나 개념은 거기에 상응하는 실제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 헤겔과 아인슈타인의 정의에 의거하여, 나는 예술과 과학은, 방법론, 행위, 결과에 있어서, 유사성과

차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유사성은 주로 대상을 우리의 감각들과 직관으로 관찰하고, 개념을

형성하는 데 있고, 차이는 대표된 그리고/혹은 직관으로 파악된 현실을 추상화하고, 그리고/혹은 개념화하는

법칙과 원칙에 있다.

Art and science both start with observation of object, using sensibility, and transform it to represented appearance(s), using analysis followed by synthesis or a method with unity, through intuition. Then, from the represented appearance(s), science try to make concept(s) (which is knowledge) with rules or principles (combination of rules) logically governing each appearance and underlying between those, however, art make work by abstracting characteristics from the representation(s), using freely acting imagination based on, not strictly, rules or principles, the same as for science. Science should use some principles of necessity, comprising of cause and effect, but, art does not follow this principle, instead, uses contingency, which is a big difference in methodology, between art and science (contingency versus necessity). We may find necessity concept in some artistic works, but, it is not common. To the contrary, we cannot find (at least it is difficult) contingency concepts from scientific works. 예술과 과학은 둘 다 감각을 이용하여 대상에 대한 관찰로 시작하여, 관찰을 분석, 그리고 뒤 이은 합성 혹은

직관을 통한 통합의 방법을 사용하여 대표된 모습들로 바꾼다. 그 다음, 대표된 모습들로부터 과학은

논리적으로 각 모습을 지배하고 모습들 사이를 논리적으로 지배하는 규칙과 원칙(규칙들의 집합)을 가진

개념(들)(이것은 곧 지식이다)을 만들고자 한다. 그러나 예술은 과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규칙과 원칙에

의거하지만, 아주 엄격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자유로운 상상을 사용하여, 대표(들)로부터 특징들을

추상화한다. 과학은 인과 관계로 구성된 몇 개 필연적인(necessity) 원칙들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예술은 이

원칙을 따르지 않는다. 그 대신 가능성(contingency)을 사용하는데, 예술과 과학(가능성 대 필연성)은 방법론

상 엄청나게 다르다. 예술 작품 중에 필연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은 흔한 경우는

아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과학적 일에서 가능성이라는 개념은 발견할 수 없다(적어도 어렵다).

Artists use methodologies exactly the same as ones of scientists, except for principles of necessity. When we see the art work of Picasso, Guernica, we do not think exactly the same scene of the work actually existed during the Spain war, and the same to the work, Massacre enCoree, during the Korean war. Instead, Picasso used his intuition and imagination to abstract the elements from the horribles, and combine those using his freedom and artistic creativity. If we asked Picasso why he selected all the comprising elements for one work, he might answer he selected those by artistic format (for harmonic combination), but not by the scientific principles (i.e., necessity concept). With these artistic format with underlying creativity, the Guernica can appeal, even after a long time, the saddest history with human cruelty to descendants who do not experience any war, as Picasso imbued his creative spirit and actuality into the unreality (i.e., the work). When we see works of Leonardo da Vinci (the Mona Lisa and the Last Supper) and RaffaelloSanzio (the School of Athens), similarity in methodology is more clear. They are known as founders of using technique of perspective with painting which make clear difference appearances for objects located in near versus distant places. Meanwhile, Picasso intentionally ignored the perspective in his works to make his distinct and creative artistic works which we may call scientifically manipulated artistic works. 예술가는 필연성의 원칙을 제외하면, 과학자의 방법과 정확히 똑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우리가 피카소의

작품 ‘게르니카’를 볼 때, 우리는 그것과 똑 같은 장면이 스페인 전쟁 당시 실제로 존재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한국 전쟁을 그린 ‘한국의 학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 대신, 피카소는 끔찍한 장면들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그의 직관과 상상력을 사용했으며, 그의 자유와 창의성을 이용하여 이들을

결합했다. 만약 우리가 피카소에게 한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왜 선택했느냐고 묻는다면, 아마 그는

과학적 원칙들(즉 필연성이라는 개념)에 의해서가 아니라, 예술적인 구도에 의하여(조화로운 결합을 위하여),

그런 요소들을 선택했다고 대답할 것이다. 이러한 예술적인 구도와 그 밑에 깔린 창의성으로, 게르니카는,

피카소가 그 비실제(즉 그 작품) 속에 그의 창의적 정신과 사실성을 불어넣었기 때문에,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도, 전쟁을 경험해보지 못한 후손들에게 인간의 잔혹성을 가진 가장 슬픈 역사를 전해 줄 수 있다. 우리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들(「모나리자」와 「최후의 만찬」) 라파엘로 산지오의 작품들 (「아테네의

학교」)을 보면, 방법 상의 유사성이 더욱 분명해진다. 이런 작품들은 가까운 장소와 먼 장소에 위치한 대상에

대한 모습의 차이를 원근법으로 표현한 창시자들로 알려져 있다. 한편, 피카소는 과학적으로 조작된

예술작품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그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예술 작품을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원근법을

무시했다.

I would like to obtain some helps from the artistic methods to do science, with respect to scientific concept and idea which are equivalent to represented abstract with beauty in art. Thus, it is sensibility and intuition that we can share to use when conducting both art and science; who has most sensitive sensitivity and creative intuition among expertise in their domains? It is probably artist, thus, we need to learn something from them. Sensitive and effective sensibility is essential for both artists and scientist to be able to find objects,

realistic and sometimes even unrealistic, to be analyzed or intuited with an unity. A scientist focuses (and had better) one domain among various areas, but, the selected domain has to be observed in many diverse aspects, i.e., with respect to not only existences and realities but also different types of modes, such as mot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s through causality and reciprocity. 나는 과학을 하기 위하여, 예술적 아름다움을 가진 대표된 추상성에 해당하는 과학적인 개념과 아이디어에

관하여, 예술적인 방법으로부터 도움을 얻고 싶다. 그래서 예술과 과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우리가 공유할

수 있는 것은 감각과 직관이다; 그들의 영역에서 전문가들 사이에 누가 가장 민감한 감각과 창의적 직관을

가지고 있는가? 정답은 아마 예술가일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예술가들로부터 무언가를 배울 필요가 있다.

현실적이고, 때로는 심지어 비현실적이기도 한 대상들을 찾아낼 수 있기 위해서, 이들을 분석하고 직관으로

통일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예술가에게나 과학자에게 민감하고 효과적인 감각이 중요하다. 과학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한 영역에 초점을 맞춘다(그리고 그렇게 하는 것이 낫다). 그러나 선택된 영역은 많은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되어야 한다. 즉 존재와 실제뿐만 아니라, 움직임, 인과성과 상호성을 통해서 다른 것들과의

상호관계와 같은 다른 종류의 형태들에 관하여 관찰되어야 한다.

There are ways for scientists to take for a travel from observation to concepts and ideas (i.e., knowledge). Different ways request us to pay different travel expenses; we need a certain sensibility to receive objects in outer world into our inner world, and also need certain roles of our intuition to transform the object to represented appearance and intuited reality, then need our understanding ability to make concepts from the unified representation and intuited reality. In order to learn something from arts, for science, with respect to working rules, performing techniques, underlying philosophy, and many others, especially in sensibility and intuition, it is necessary to kn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art, including architecture, status, music, paint, and poet. How can we learn these? It is not classes in school but a project where both artist and science work together and share common goal, with a contemporary culture which both prefer to make. Having a definition of culture of converting mere thoughts into actualities, we have our own cultures of art and science. Of course, we have that for the project, Science Walden. All of the cultures influence individual members, and vice versa, thus, we can not be away from the culture. Whenever we do research within the project, we are set to be influenced by, and influence as well, the culture. We do not want to confine ourself within an isolated room surrounded by walls; but, this is not about making friends, but about cultures of art and science, for research and living, and also towards a horizon. Under the culture, we have to try to meet ourselves because it is "I (myself)" who perform both artistic and scientific work. Respect and polish up (perfect) your intuition, through meeting your intuition, that is the only way not to be addicted to mannerism in a brutal (so competitive) world. Why? Science generally requires us to analyze object, but, analyzing is sometimes one of obstacle to creative work. Intuition (not itself but with data from observations) may compensate the weakness of the method of analysis.

관찰에서 개념과 아이디어(즉 지식)로 여행하기 위하여 과학자가 취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각기 다른

길은 여행 비용이 다르다; 우리는 외부세계에서 내면세계로 대상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어떤 감각이

필요하다. 그리고 또한 그 대상을 대표된 모습과 직관으로 파악한 현실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우리의 직관의

역할이 필요하다. 그리고 통합된 대표와 직관으로 파악한 현실로부터 개념들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이해력이 필요하다. 예술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기 위해서는 과학은 직업 규칙, 수행하는 기술, 저변의 철학,

그리고 특히 감각과 직관과 관련하여, 우리는 건축, 음악, 미술, 시를 포함해서 각 예술의 특징을 알 필요가

있다. 우리가 어떻게 이런 것들을 배울 수 있는가? 그것은 교실에서가 아니라, 예술가와 과학자가 함께 일하고

목표를 공유하고, 양측이 모두 만들기를 원하는 문화를 가진 프로젝트를 통하여 배울 수 있다. 단순한 생각을

현실로 변화시키는 문화의 정의를 가지고, 우리는 예술과 과학에 대한 우리 자신의 문화를 가졌다. 물론

우리는 「과학 월든」프로젝트를 위해 그것을 가지고 있다. 모든 문화는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그

역도 진실이다. 그래서 우리는 문화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그 프로젝트 속에서 연구를 할 때는 언제나 우리는

문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또 문화에 영향을 준다. 우리는 벽으로 둘러싸인 한 고립된 방 속에 우리를

제한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친구를 사귀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예술문화, 과학문화에 대한

것이고, 하나의 지평을 향한 것이다. 그 문화 속에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만나려고 시도해야 한다. 왜냐하면,

예술 작품이든 과학적 작업이든 그것을 수행하는 것은 “나(자신)”이기 때문이다. 그대의 직관을 만나는 것을

통하여 그대의 직관을 존중하고 연마하라(완성하라). 그것이 잔혹한(너무나 경쟁적인) 세계에서 매너리즘에

중독되지 않을 유일한 방법이다. 왜? 과학은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대상을 분석하기를 요구한다. 그러나

분석하는 것은 때로 창의적인 일을 하는 데 장애가 된다. 직관이(그 자체가 아니라 관찰로부터의 자료를

가지고) 분석방법의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

3. Practicing the collaboration through the project

3. 프로젝트를 통해 협업을 실천하기

In the project, Science Walden named after the Thoreau's essay and the Skinner's novel, two ways to connect scientific technologies and implementations into a community, have been attempted. The two are feces standard money (FSM; please refer to edge.org/response-detail/26660) and artistic collaboration between scientists and artists. FSM is not substituting for the present currency but parallel one to supplement it, on economic and social aspects. Arts, here liberal arts, is believed to give imagination and courage in our design of a community using scientific concepts and ideas. To experience all the endeavors, we designed and built a Pavilion that is the laboratory where scientists and artists study together with our goals. The name of the Pavilion is "Sa-Wol-Dang (思越堂)" which means a place where we can think beyond in Chinese letters. 소로의 수필과 스키너의 소설에서 따온 이름 사이언스 월든(Science Walden) 프로젝트에서, 과학적인 기술과

이행을 하나의 공동체에 연결하려는 두 가지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 둘은 똥본위화폐(feces standard

money(FSM; edge.org/response-detail/26660 을 참조할 것)와 과학자, 예술가들 사이의 협업이다. FSM 이

현재 화폐를 대체하는 것은 아니고,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현재의 화폐를 보완할 화폐이다. 여기서

인문학을 의미하는 예술은 과학적 개념과 아이디어를 이용한 공동체 설계에 상상력과 용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모든 노력들을 경험하기 위하여, 우리는 정자 하나를 만들었는데, 이 정자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과학자와 예술가가 함께 공부할 실험실이다. 정자의 이름은 “사월당(思越堂)”이다. 그 의미는 한자로

초월적인 사고를 하는 장소이다.

The Science Walden, Sa-Wol-Dang 사이언스 월든, 사월당

Flushing toilet has been told both one of the greatest and worst invention in our scientific history, from perspectives of sanit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respectively. Not using flushing toilet means, with the help of scientific developments, something important and beyond which we have never thought. We hope to bring new values from the experiences of not using flushing toilet and to get to a new horizon for our community. We place non-flushing toilets in the Pavilion. The first is a commercialized one with which we can convert the feces into compost in approximate one week, the second is a designed and fabricated one that can make a powder out of fresh feces in about 30 minutes ~ 1 hour. The last toilet is not made for usage of a toilet but an exhibition as a model design and sitting experience. We open our restroom to the public with reservation so that visitors can experience and obtain the FSM of which unit is "Ggool (honey in Korean)" in exchange for their participation through either a developed smartphone application or a paper money. 수세식 변기는 위생과 자연환경이라는 관점에서 과학사에서 최고의 발명품이자 최악의 발명품이라고 알려져

왔다. 과학 발전의 도움을 받아 수세식 변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중요한 것을 의미하고, 그 이후의 것을

우리는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우리는 수세식 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험에서부터 새로운 가치를 가져 오고

우리의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지평에 도달하기를 희망한다. 우리는 그 정자에 비-수세식 변기를 설치한다. 첫

번째 변기는 상업화된 제품인데, 이것은 배설물을 약 1 주일 만에 퇴비로 바꾼다. 두 번째 것은 설계해서

조립한 것인데, 이것은 약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배설물을 분말로 바꾼다. 마지막 변기는 변기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모델 디자인으로서, 앉아보는 체험으로서 전시용으로 만들어져 있다. 우리는 예약을 받아

화장실을 일반에게 제공한다. 방문객들은 FSM으로 지불하고 체험할 수 있다. FSM 단위는 “꿀”이다. 스마트

폰 엡이나 지폐로 비용을 지불하고 “꿀”을 획득할 수 있다.

BeeVi Toilets (two different types) and trial version of the toilet, in the Pavilion 정자에 있는 BeeVi 변기들 (두 종류)과 체험용 변기

Smartphone application for FSM implementation FSM 적용을 위한 스마트폰 엡

The feces is set to experience to a series of sustainable energy production reactors and facilities, from anaerobic digestion, separation of methane and carbon dioxide, followed by green algae cultivation. All of the reactors and facilities are placed and operated within the Pavilion, under supervisors of different researchers. We plan to use produced methane for heating and both methane and biodiesel from the green algae for fuel of a community bus so that residents can spend the FSM to pay for the heating and to use a community bus. We prepare water necessary for the Pavilion through rainwater harvesting from a green roof followed by filtration/disinfection facilities. We designed gardens in the Pavilion

together with artist and scientist, and grow vegetables, such as barley, using the remained composts transformed from the feces and water purified from rainwater. We purchase the vegetables using the FSM. 배설물은 혐기성 소화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분리, 뒤 이어 녹조 배양까지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

반응장치 및 시설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모든 반응장치와 시설은, 다양한 연구자들의 감독 하에, 정자 내에

설치되어 작동된다. 우리는 생산된 메탄은 난방을 위해 사용하고, 녹조에서 나오는 메탄과 바이오디젤은

마을버스 연료로 사용할 계획이다. 마을 주민들은 FSM으로 난방비로 지불하고 마을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우리는 정자에 필요한 물은 그린 지붕에서 빗물을 받아 여과시설/살균시설을 통과시켜 준비한다. 우리는

예술가와 과학자들이 함께 정자 내의 정원을 설계하여, 배설물을 사용한 퇴비, 빗물을 정화한 물을 사용하여

보리와 같은 채소류를 키운다. FSM을 이용하여 채소를 구입한다. .

Schematic of the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Pavilion 정자 내에서의 활동 및 시설에 대한 도식

Bio-energy production facilities and algae tree in the Science Walden Pavilion: we feed the micro-organisms in the anaerobic digestion with feces from the BeeVi toilets 사이언스 월든 정자에 있는 바이오-에너지 생산 시설과 녹조 나무: 우리는 BeeVi 변기에서 나온 배설물을

혐기성 소화를 시키기 위하여 미생물을 공급한다.

Rainwater harvesting tank and vegetable garden within the Pavilion; the tank is connected to the green roof filtration unit and the vegetables are cultivated with manure from the feces and water from th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정자 안에 있는 빗물 저장 탱크와 채소밭: 탱크는 그린 지붕 여과 장치로 연결되고, 채소는 배설물로 만든

퇴비와 빗물 처리 시스템에서 나온 물로 재배된다.

Of course, we can use the non-flushing toilet, make energy or manure out of feces, and recycle water, only with a motiv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for purposes of

saving of both energy and water. However, we imagine a certain horizon beyond that and would like to design a laboratory, Sa-Wol-Dang, to convince people to participate more sustainably all the activities proposed from the Science Walden. The Pavilion is only a start of our plan and also a symbol. 물론 우리는 환경 보호라는 동기와 에너지와 물을 절약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서만 비-수세식 변기를 사용할

수 있고, 배설물로 에너지와 비료를 말들 수 있고, 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사람들에게 사이언스

월든에서 제안하는 모든 활동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확신을 주기 위하여, 그것 너머의 한 지평을

상상하며 사월당이라는 한 실험실을 설계하고 싶다. 그 정자는 .우리 계획의 시작일 뿐이며, 또한 하나의

상징이기도 하다.

Related information: 관련된 정보 edge.org/response-detail/26660(on the Feces Standard Money)

grist.org/science/one-day-you-might-get-paid-to-p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