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26
79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김소영영남외국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정진화세명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요약 본 논문은 실제로 근로 능력이 있으면서 취업기회 부족으로 직업생활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과 장애인의 질 높은 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의 필요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패널 30명에게 첫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 량적 평가, 둘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성적 평가, 셋째,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자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는 20부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토대로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과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을 살려 검사 프 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일반화 하는 과정이 진행되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디자인, 검사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환자정보 관리, 난이도, 운영방법 등 총 6가지를 제시하여, 장 애인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장애인의 고용에 대한 지원, 서비스의 확대, 고용유지, 전문성이 강화되어 보다 많은 장애인의 고용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검사 프로그램 결과에 따라 치료가 연계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전산 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장애인의 근로현장에서 간단한 교육을 받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 되어야 하겠다. 주제어 : 장애인 고용, 시지각 검사,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직업평가

Upload: others

Post on 26-Oct-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79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김소영❘영남외국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정진화❘세명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요 약

본 논문은 실제로 근로 능력이 있으면서 취업기회 부족으로 직업생활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과 장애인의 질 높은 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의 필요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패널 30명에게 첫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

량적 평가, 둘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성적 평가, 셋째,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자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는 20부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토대로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과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을 살려 검사 프

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일반화 하는 과정이 진행되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디자인, 검사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환자정보 관리, 난이도, 운영방법 등 총 6가지를 제시하여, 장

애인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장애인의 고용에 대한 지원, 서비스의 확대, 고용유지, 전문성이 강화되어 보다 많은 장애인의 고용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검사 프로그램 결과에 따라 치료가 연계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전산

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장애인의 근로현장에서 간단한 교육을 받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 되어야 하겠다.

주제어 : 장애인 고용, 시지각 검사,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직업평가

Page 2: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80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 장애인 인구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인구의 고령화를 비롯하여 각종 약물남용, 공해, 치

료가 곤란한 새로운 질병으로 인한 문제들이 장애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장애인 인구가 결

과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문완기, 2003). 이러한 장애인들은 실제로 근로 능력이 있으

면서도 취업기회가 부족하여 직업생활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정부에서는 장애인들에게 직

업훈련, 직업상담, 취업알선 등을 통한 직업재활을 통해 인간적인 삶을 보장하며 나아가 국민경제에

기여하게 하고자 장애인 고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이미숙, 1998).

장애인은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불완전으로 인하여 일상의 개인적 또는 사회적 생활에서 필요한

것을 확보하는데 자기 자신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할 수 없는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강영실,

2007) 뇌병변 장애인, 지체장애인, 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 등에게서 시지각의 문제를 보이는 경우

가 종종 있다. 시지각은 인지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으로 내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는 감

각정보를 통합하는 능력이다(Siev, 1986). 즉 눈을 통하여 받아들인 사물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중추

신경계에서 인식하고 변별하며, 그러한 자극들을 선행경험들과 연합함으로써 해석하는 능력을 말한

다(안성혜, 2006).

시지각은 읽기, 쓰기 발달에 꼭 필요하며 나아가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

된다(Mooer, 1979). 또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즉, 식사, 옷 입고 벗기, 배변 등과 관계가 있으며,

운동능력이나 사물이나 문자를 인식할 때 그것의 차이점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Elbasan, B.

et al., 2011). 이러한 시지각 기능은 우리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요소로 시지각 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직립, 공간지각력, 물체조작 등 새로운 행동의 습득 능력에 지장이 되고, 심한 시지각 장애는

기능회복이 어렵다고 보고한 바가 있으며(Skilbeck et al., 1983), 대상을 정확하게 지각하고, 표상하

며 공간적인 정보를 변형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심한 시공간장애는 좌측 사물에는 무관심과

거리판단의 장애를 일으키고, 경한 시공간장애는 사무업무, 자동차 운전 등에 장애를 일으킨다고 하

였다(Gordon, 1993). 이렇듯 시지각에 어려움이 생기면 어떤 것을 인지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서툴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일상생활활동 나아가 직업을 얻는데 방해가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의 시지각 기능의 문제를 검사하는 도구로는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oean version, K-DTVP-2)가 있으며, 시각-운동 통합

발달 검사(Developmental test of Visual Motor Integration, VMI), 지각-운동발달 진단검사

(Perceptual-Motor Developmental Test, PMDT), 벤더-게스탈트 검사(Bender Visual Motor Gestalt

Page 3: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Test, BGT), 감각통합과 실행 검사(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SIPT), 시각 운동 기술 검

사(Test of Visual-Motor Skills), 시지각 기술 검사(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등이 있으나 이러

한 검사도구는 3세에서 11세로 연령이 국한되어 있으며, 성인의 시지각 능력을 검사하는 도구는 비

운동성 시지각 발달 검사(Motor-free Visual Perception, MVPT)가 있다.

임상에서 치료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시지각 검사도구인 MVPT(유은영 외, 2006)는 다음

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운동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운동기능 손

상 환자에게도 평가가 가능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을 배제한 상태에서 개별적인 시지각 능력

을 평가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Mercier et al., 1997), 둘째, 아동과 성인 모두에서 전체 시지각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높은 신뢰도(r=.93)와 타당도를 보이는 표준화된 도구라는 점이다(Colarusso

& Hammill, 1996). 셋째, 한 문항 당 1점씩으로 쉽게 점수를 매길 수 있으며 쉽게 환자의 시지각 연

령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Katherine et al., 2006). 마지막으로 휴대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다른 상

황에서 응용될 수 있다는 점과 다른 검사에 비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비교적 적다(Colarusso &

Hammill, 1996). 그렇기 때문에 작업치료사, 교사, 심리학자, 특수교사 등의 전문가들이 진단과 연구

에 사용하기에 알맞다. 또한 환자의 시지각에 대해 부모와 상담을 할 때 좋은 자료가 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MVPT는 미국에서 표준화를 거친 평가도구로 박성현 외(2005)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그대

로 적용하여 해석한다면 정확한 시지각 능력의 장애 정도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치료효과를 판정하

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시지각 검사도구는 지필로 검사하는 것으로 검사에 소

요되는 시간 및 점수 채점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검사자 간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검사

자가 업무에 많은 부담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와 전산화된 훈

련 도구의 현황과 한계점을 조사였고, 전산화된 시지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장

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첫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량적 평가, 둘째,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성적 평가, 셋째,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2. 시지각 검사도구의 현황과 한계점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와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현황과 한계점에

대해서 자료를 분석하였다<표 1>, <표 2>.

Page 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82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표 1>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의 종류와 한계점

검사도구 대상 검사항목 한계점

시지각 발달

검사

(K-DTVP-2)

만 4세~8세

① 눈-손 협응

② 공간위치

③ 따라그리기

④ 도형-배경

⑤ 공간관계

⑥ 시각통합

⑦ 시각운동속도

⑧ 형태항상성

중단조건 이후에 문항도 풀 수 있으나 점

수에 포함되지 않음. 난이도 순서가 없어

서 중단조건이 있어도 실용적이지 못함.

하위검사 중 ‘따라 그리기’ 문제를 한 장

에 여러 모양을 그리게 되어있어 집중하

는데 어려움이 있음. 주관적 판단이 개입

될 수 있음. 시지각 능력과 운동능력이

분리되어 측정되지 않음. 하위역역이 중

복. 원점수를 환산하는 절차가 복잡. 하

위검사 중 도형배경의 예시문항이 다른

문항을 대표하지 못함. 다양성이 부족.

인구비율에 따른 지역별 장애아동을 포함

시키지 못함. 검사 실시를 통해 지각연령

과 지각지수를 알 수 있으나, 언어이해가

되지 않는 아동에게는 실시가 어려움 연

령이 한정되어 있음.

비운동성

시지각

검사(MVPT)

① MVPT : 만4세~8세

② MVPT-R

: 만4세~11세11개월

③ MVPT-V

: 만 55세~90세

④ MVPT-3

: 만4세~ 70세 

① 시각적 구별

② 형태항상성

③ 시각적 단기 기억

④ 시각적 폐쇄

⑤ 공간적 관계

⑥ 전경-배경구분

미국에서 표준화를 거쳤으며 국내에서 표

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지각 능

력의 장애 정도 및 치료효과를 판정하는

데 어려움. 검사자 간의 영향을 많이 받

음. 검사 및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업무에 방해될 수 있음. 학습될 가

능성.

벤더-게스

탈트

검사(BGT)

만 5세~성인

시각-운동 협응 기술

: 9개의 도형 따라

그리기

결과 해석에 검사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음. 주로 심리검사를 위해 검사가

이루어 지고 있음

시각-운동 통합

발달 검사(VMI)2세~15세

시각-운동 통합

발달기술 : 24개의

도형을 난이도에 따라

그리기

아동의 지각장애가 시지각 과정에만 있는

지, 운동반응에만 있는지, 모두 문제가 있

는지 밝히기 매우 어려움. 공간조직기능

을 측정하지 못함. 채점 절차의 일관성

부족, 연령이 한정되어 있음.

시지각 기능

검사

(TVPS-R)

4세~12세 11개월

① 시각변별

② 시각기억

③ 공간관계

④ 형태항상성

⑤ 순차기억

⑥ 도형배경

⑦ 시각통합

점수화하기 어려우며, 혼란스러울 수 있

음. 아동의 응답 속도에 따라 소요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아이가 평가를 마무리하

기 까지 아이의 언어수용 능력이 좋아야

함. 연령이 한정되어 있음

(출처 : 시지각 기능 검사의 타당화와 우리나라 아동의 시지각 특성 분석, 김정민, 2007 재분석)

Page 5: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83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표 2>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종류와 한계점

검사도구 대상 검사항목 한계점

레하컴

(Rahacom)

뇌손상 환자, 인지장애

성인

① 주의력/집중력

② 기억력

③ 시야훈련

④ 시각운동능력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 전 후

의 결과만 볼 수 있음. 프로그램 가격

이 고가임. 검사보다는 훈련 하는 것에

초점되어 있음.

전산화 신경

인지기능

검사(CNT)

뇌손상, 치매, 약물 및

알코올중독, 정신분열,

우울증, ADHD등

① 주의집중력

② 기억력

③ 지능검사

④ 추론능력

⑤ 운동능력

검사 시에 마우스 조작에 어려움이 있

는 사람들에 있어서 검사의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음. 환자 검사 시 끝까지

수행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

코그팩

(Cogpack)인지장애 성인

① 각성도/주의력

② 감각/협응

③ 지각/시공간 능력

④ 인지 반응속도,

⑤ 기억력

⑥ 전두엽/고위인지

⑦ 언어능력

⑧ 특수능력

독일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국내 정

서에 맞지 않음 부분이 있어 검사 또는

훈련 시 혼란을 가져다 줄 수 있음. 표

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음.

컴커그

(ComCog)

인지장애가 의심되는

소아에서 성인,학습장애

① 집중력

② 기억력

③ 시각운동/구성능력

④ 반응행동

⑤ 시야

⑥ 공간 운영

⑦ 논리적 사고

⑧ 문제해결

프로그램 콘텐츠와 구성화면이 단순한

경향이 있어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여

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하여 적

용하기 어려움. 표준화 거치지 않아

검사 시 치료 전 후의 차이에 대해서만

알 수 있음.

(출처 :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전산화 신경심리검사의 유용성, 김연희 외 3, 2001 재분석; 한국형 컴퓨터 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상적 효과 검증, 김영근, 2011 재분석)

본 시지각 검사도구의 현황과 한계점에 대해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에서는

검사에 대한 검사자 간의 영향을 받아 일관성이 부족하고, 연령이 한정되어 있으며, 표준화 작업이

국내에서 이루어져 있지 않아 외국 표준치를 이용하여 장애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및

채점시간이 치료업무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검사 시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보이는지 판단하기

어려우며,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나타났다.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는 표준화

가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 전과 후의 차이만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검사도구가 외국에서 개

발되어 있으므로 국내 정서에 맞지 않아 검사 또는 훈련 시 혼란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대부분이 마

우스 또는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검사를 하는 것이므로 조작에 서투른 중추신경계 환자나 고 연령에

Page 6: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84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서는 검사 시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대부분 검사보다는 훈련에 초점을 두고 개발되어 있다. 국

내에서 개발된 전산화 시지각 검사도구 역시 콘텐츠 구성이 단순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하기 어

렵다고 보고되었다.

<표 3>에서는 전통적인 시지각 검사도구와 전산화된 훈련 검사도구를 비교하였다.

<표 3> 전통적인 시지각 검사도구와 전산화된 훈련 및 검사도구 비교

전통적인 시지각 검사도구 전산화된 훈련 및 검사도구

장점

- 휴대성의 편리

-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

- 시지각 문제를 알 수 있는 선별도구

- 값이 비교적 저렴

- 개별 뿐만 아니라 집단 검사 가능

- 정확한 시간 측정 가능

- 난이도가 등급화되어 있음

- 검사 결과를 한눈으로 볼 수 있음

(출력 가능)

- 다양한 시각적 정보 및 그림 제공

- 검사에 대한 오류 최소화

- 다양한 항목으로 학습의 최소화

- 훈련 조건 설정 가능

- 사용자 관리 가능

단점

- 정확한 시간 측정의 어려움

- 점수 계산의 복잡성 및 오류 가능성

- 수기작성의 오류 가능성

- 검사자의 설명이 통일되지 않음

- 검사 실시환경에 영향을 받음

- 학습 가능

- 검사 조건 설정 불가능

- 일반화 작업이 안 됨

- 값이 비쌈

- 눈의 피로감 증가

- 사용성의 문제

(언어, 장애유형, 정서 등)

- 휴대성의 불편

선행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 고용을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객관적인 시지각 검사를 위

해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와 같이 전문가들의 의견의 반영을 통해 보

다 구체적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의 모델이 제시될 필요가 있었다.

3. 전산화된 시지각 프로그램의 효과성

선행연구에서 보면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시지각 프로그램인 MVPT를 우리나라

아동에게 그대로 적용하여 해석한다면 정확한 시지각 능력의 장애 정도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치료

효과를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 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맞는 표준화가 필요

하다고 제언하였고(박성현 외, 2005), 안성혜(2003)는 수동으로 하는 시지각 검사도구에 대한 문제점

을 제시하면서 컴퓨터 기반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 실정에 맞는 표준화

Page 7: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85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작업과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최근 컴퓨터로 전산화된 인지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데 전산화한 프로그램은 수행결과에 대한

자료를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기록하며 비교 분석 할 수 있으므로 인지재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

다고 하였다(Bellucci, Glaverman & Haslam, 2002). 정경렬(2003)은 Frostig의 시지각 발달 훈련 프

로그램을 토대로 CAI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적용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주의 집중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집중을 위한 중심과제와 우

발 과제에서 지적장애 아동의 수행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밝히고 있고, Silver와 Osakes(2001)에 의하

면, 발달장애 아동에게 컴퓨터를 이용한 교수활동 시 학습에 필요한 자극들만 수용하도록 도와주며,

학습 템포와 수준에 맞추어 쉽게 목표 행동 기술을 훈련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또

한 개개인의 요구에 맞추어 제시 자극과 난이도 등을 재단하여 구조화하여 제공하기 용이하다고 하

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인 RehaCom, CogRehab, COMCOG, 코트라스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윤미(2011)에서는 일반노인에게 Rehacom을 적용하였더니 일반노인의 인지, 시지각, 손기

능,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손석일(2013)은 COMCOG를 뇌손상 환자에게 적용하

였더니 전통적인 치료 방법보다 더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전산화된 인지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정

리해보면 <표 4>와 같다.

<표 4> 전산화된 인지(시지각) 프로그램의 효과성

순번 선행 논문 고찰 출처

1 CAI는 외부 환경적인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검사자 간의 영향이 적다. 이근민, 1997

2컴퓨터 프로그램은 훈련자의 개입시간을 줄여주고 수행 결과에 대하여 대

상자에게 곧바로 직접적인 정확한 피드백 제공한다.

Chen et al, 1997;

Glisky et al, 1986;

Rose et al, 1999

3지적장애아동에게 컴퓨터를 이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집중을 위

한 과제 수행을 향상시킨다.정경렬, 2003

4시지각이 손상된 뇌졸중 환자에게 전산화된 인지 프로그램이 시지각 향상

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조아영, 2012

5컴퓨터화된 시지각 프로그램은 수행시간이 단축되어 임상적으로 유용성이

높다.전병진 외, 2011

6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인지능력을

회복시키는 가능성이 있다.김영근, 이민정, 2013

7 전산화된 인지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치료방법보다 더 효과적이다. 손석일, 2013

Page 8: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86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컴퓨터를 이용한 치료프로그램 및 평가프로그램은 매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시지각

관련 치료프로그램은 임상에서 적용하고 있으나 일반화된 시지각 관련 평가프로그램은 미비한 실정

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치료프로그램은 단순히 치료 전, 후에 대한 비교만 가능할 뿐 일반적으로

어느 수준에 있는지 증명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II.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에 대한 원칙과 지침을 만들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기준과 의견을 반

영하기 위하여 임상 및 학술 기관에서 직접 시지각 검사 도구를 실시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시지각 관련 임상 전문가 패널 30을 선정하였다. 장애의 유무나 연

령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 원리와 적은 수의 참여자 투입으로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는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 원

리를 바탕으로 개발 가이드라인 틀을 설정하고 이를 전문가 패널에게 의뢰하여 수정 및 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사용자 중심의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개발 가이

드라인’을 만들었다. 이 ‘가이드라인’을 리커트 5점 척도로 재작성하여 30명의 전문가들에게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 하고 있는 시지각 검사도구인 MVPT-3를 평가하도록 설문지를 우편 및 이메일을 통

해 요청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20부였다. 전문가 패널의 기준은 시지각 평가 및 재활에 대한 전문

성과 다음의 요건을 충촉하고 있는 임상가 또는 연구자 중에 선정하였다. 첫째, 임상에서 현재 환자

들에게 시지각 평가 및 재활을 실시하고 있는 경험이 있거나 실시하고 있는 전문가, 둘째, 시지각의

문제를 갖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재활 및 시지각 재활을 전담하여 운영하였거나 운영하고 있

는 전문가, 셋째, 임상경력 8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넷째, 인지재활 관련된 강의와 연구의 경험이 있

는 교수(연구자)이다.

패널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 종합병원, 대학병원, 복지관, 보조공학센터에서 뇌가 손상되었거나 인

지가 손상되어 있는 환자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시지각 검사도구인 MVPT 검사도구를 사용하

고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기존 검사도구의 구성요소와 검사방법, 검사도구의 실효성과 접근 방법

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표 5>는 패널 전문가들의 기본 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Page 9: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87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표 5> 패널 전문가 기본 정보

구분 빈도

연령30대 16

40대 4

학력

학사 8

석사 11

박사 1

경력5~10년 11

10년 이상 9

직업

관련 학과 교수 3

종합병원 및 재활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료사 7

아동발달센터 및 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료사 6

보조공학센터에서 인지(시지각)검사하고 있는 치료사 및 보조공학사 4

2. 연구 절차

1) 설문지 개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한 사용성 평

가 관련 자료와 프로그램을 검사하는 접근성과 융통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

인 원리를 토대로 사용자 중심의 검사 프로그램으로 개발원리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문항은 Robert

P. et al.(2010), 김영근(2011), 조혜정(2010)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사용성

평가에 걸 맞는 문항을 선별하였다. 사용성 원칙을 휴리스틱 평가법(heuristic evaluation)을 이용한

기존 연구를 확인하여 가이드라인을 추가하였다(박주환, 2012). 기본 설문지를 1차 연구자와 인지재

활 관련된 강의와 연구의 경험이 있는 교수 및 임상가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설문지 내용을 수정 보

완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기존에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인 MVPT에 대해 리커트

형 철도로 재구성하여 패널 전문가들에게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요청하였다<표 6>. 점수 1은 매우

그렇지 않다, 점수 2는 그렇지 않다, 점수 3은 보통이다, 점수 4는 그렇다, 점수 5는 매우 그렇다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표 7>은 <표 6>의 문항을 요약하였다.

Page 10: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88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정량적 평가만으로 기존 검사도구의 특성을 분석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세 번째 단계에서

는 패널 전문가들에게 기존 검사도구의 장점, 문제점, 보완사항, 추가하거나 제외할 필요가 있는 하

위 검사문항, 사용상 불편사항, 그리고 기타 보완사항에 대하여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요청하였다<표

8>. 이러한 과정은 기존 검사도구의 장점과 문제점들이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를 개발하

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가이드라인과 기존 검사도구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평가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의 개발 원칙과 지침’을 작성하였다.

<표 6>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개발 가이드 라인

평가 내용

1. 시지각 검사와 시지각 훈련을 위해 적합한 구조와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까?

2. 환자들이 사용함에 있어서 차별이나 불공평함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습니까?

3. 난이도가 잘 설정되어 있습니까?

4. 사용자가 불안을 느끼거나 열등감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습니까?

5. 사용자 수준에 맞게 작업속도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합니까?

6. 사용자의 수행 결과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잘 되어 있습니까?

7. 전체적인 디자인, 구조, 내용 등이 사용자의 동기를 유발합니까?

8. 자세한 설명이 없어도 이해가 빠르고 직감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까?

9.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수행결과를 제공합니까?

10. 사용법이 이해하기 쉽도록 되어 있습니까?

11. 화면에는 사용자의 집중을 위해 문제 외에는 다른 사만한 요소는 배제하였습니까?

12. 병원에서 사용하는 시지각 검사도구나 프로그램들과 괴리감 없이 일관되게 연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습니까?

13.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내용이 구성되어 있습니까?

14. 색상이나 디자인이 적절합니까?

15. 여러 가지 세부 검사 중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필요한 검사 항목만 묶어서 검사할 수 있습니까?

16.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해도 피곤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까?

17.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언어를 사용합니까?

Page 11: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89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계속)

평가 내용

18. 환자들에게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 시지각 증상에 맞는 검사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까?

19. 사용법을 익히면 애써 기억하려고 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억부담을 최소화 합니까?

20.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이 이론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까?

21. 환자의 진단, 일반적 특성 및 시지각과 관련된 평가들을 입력할 수 있어서 환자의 정보를 알 수 있고, 본

프로그램 실시 결과와 비교 분석 할 수 있습니까?

22. 프로그램 수행결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엑셀파일이나 통계프로그램으로 전환이 가능합니까?

<표 7> 사용자 중심의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개발 원칙 요약

(1) 구조와 내용의

적합성

(2) 사용자의 차별성

금지

(3) 난이도 적절성 (4) 불안과 열등감

유발금지

(5) 훈련 속도

조절가능

(6) 데이터 관리 (7) 동기유발 (8) 직감적 사용

가능

(9) 결과 쉽게

알아보기

(10) 사용법과

기능이해

(11) 산만한 요소

배제

(12) 임상적용

적절성

(13) 문화의 일치성 (14) 디자인의

적절성

(15) 필요한

프로그램 패키지식

사용가능

(16) 지속적인 사용

가능

(17) 언어의 친숙성 (18) 프로그램

임상적문제와

일치성

(19) 기억부담의

최소화

(20) 이론적 근거

(21) 훈련에 유용한

환자정보 입력

(22) 엑셀 또는

통계프로그램

호환성

Page 12: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90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표 8> MVPT-3의 문제점과 보완사항

분석 목록 구체적 내용

검사 프로그램의 장점

(다른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과 비교해서)

문제점과 보완사항 구체적 내용 문제점과 보완사항 구체적 내용

<채점지> <시각 구별 검사 및 해석>

<형태 항상성 검사 및 해석><시각적 단기기억 검사 및 해석>

<시각 폐쇄 검사 및 해석>

<공간 지남력 검사 및 해석>

<전경 배경 검사 및 해석>

추가 했으면 하는 검사 내용

(구체적으로)

삭제했으면 하는 검사 내용

Page 13: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9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계속)

분석 목록 구체적 내용

사용상 불편/보완사항 구체적 내용

치료자 입장

환자 입장

기타 문제점 및 보완사항

치료 프로그램 구체적 내용

결과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 연계 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2) 설문지 배부 및 회수

이 연구에서는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연구의 필요성에 관한 정량적, 정성적 설문지를 기초

설문지를 2014년 1월 13일 전문패널에 배포 후 15일 회수하여 설문지를 수정한 후 최종 설문지를

2014년 1월 20일에 전문가 30명에게 우편 및 이메일을 통해 요청하였고, 2월 10일까지 20명의 전문

가들의 의견을 우편 및 이메일을 통해 회신 받았으며 정성적 설문지 질문 내용에 적절한 답을 작성

하지 않은 경우 전화면담을 통해 설문지에 대한 적절한 뜻을 전달하고 연구자가 내용을 작성하였다.

총 3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3) 자료의 분석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을 위해 기존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지각 검사도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으

며, 기술 통계 빈도 분석을 통해 평균분석 하였다. 그리고 적절한 수준의 해석을 하기 위해 연구자가

설문지 내용을 확인하고 유사한 내용은 분류하였다. 다수의 의견을 우선 분석하였고, 소수의 의견 중

에 연구자들 간의 논의를 통해 중요하다고 분류하면, 중요한 의견으로 선정하여 내용을 첨부하였다.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개발 가이드 라인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질문지를 분

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Page 1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92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Ⅲ. 연구 결과

1.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량적 평가 결과

유니버셜 디자인 원리와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 원리를 바탕으로 개발 가이드라인 틀을 설정하고

이를 전문가 패널에게 의뢰하여 수정 및 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사용자 중심의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개발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이 ‘가이드라인’을 리커트 5점

척도로 재작성하여 30명의 전문가들에게 MVPT-3를 평가하도록 설문지를 우편 및 이메일을 통해 요

청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20부였다. 전문가 패널의 기준은 시지각 평가 및 재활에 대한 전문성과

다음의 요건을 충촉하고 있는 임상가 또는 연구자 중에 선정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이 다음 <표

9>와 같다.

<표 9>를 보면, 전체 22항목의 평균점수가 2.98점이었고, 심지어 각 항목의 평균점수가 3점 미만

으로 평가를 받은 항목이 10개에 달하였다. 3점 이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은 경우에도 평균 4.0을

넘게 평가받은 항목이 하나도 없었다.

<표 9> ‘가이드라인’ 각 문항에 대한 20명 전문가의 MVPT-3 평가결과

‘가이드라인’ 문항 평균 ‘가이드라인’ 문항 평균

(1) 구조와 내용의 적합성 3.60 (12) 임상적용 적절성 2.50

(2) 사용자의 차별성 금지 3.15 (13) 문화의 일치성 2.90

(3) 난이도 적절성 2.60 (14) 디자인의 적절성 3.15

(4) 불안과 열등감 유발 금지 3.25 (15) 필요한 프로그램 패키지식 사용가능 2.25

(5) 훈련속도 조절가능 2.70 (16) 지속적인 사용 가능 3.10

(6) 데이터 관리 2.50 (17) 언어의 친숙성 3.20

(7) 동기유발 2.85 (18) 프로그램 임상적 문제와 일치성 3.30

(8) 직감적 사용 가능 3.30 (19) 기억부담의 최소화 3.65

(9) 결과 쉽게 알아보기 2.90 (20) 이론적 근거 3.65

(10) 사용법과 기능이해 3.65 (21) 훈련에 유용한 환자정보 입력 1.60

(11) 산만한 요소 배제 3.45 (22) 결과에 따른 치료의 연계성 2.24

* 전체 평균은 2.83이며, 회색 항목은 평균이 3.0 미만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은 항목임

Page 15: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93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2.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개발 원리 설정을 위한

정성적 평가 결과

전문가들이 MVPT-3의 장점과 단점, 문제점과 보완사항, 불필요하거나 추가해야 할 내용, 사용 시

불편사항과 보완사항, 기타 문제점 및 보완사항에 대해서 주관적으로 기술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

<표 10>이다.

<표 10>을 보면, 시지각 재활 전문가들이 MVPT-3의 장점도 갖고 있지만, 여러 가지 단점이나 보

완해야 할 사항들이 많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0> MVPT-3에 대한 정성적 평가내용

분석 목록 전문가 분석 내용

[장점]

검사 도구의

장점

기존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비교

■ 기존 검사보다 검사 방법이 쉽고 빠르게 환자를 이해시킬 수 있음

■ 검사 결과 해석 시 다양한 연령대 기준 파악이 가능

■ 검사가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음

■ 아동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

■ 평가시간이 짧고 쉽게 익숙해짐

■ 환자무시/ 시야결손 문제 유무 파악 가능

■ 금전적으로 부담이 적음

■ 검사자가 설명과 평가하기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음

■ 짧은 시간에 다영역 시지각을 구분하여 평가 비교할 수 있음

[문제점 및 보완사항]

채점지

■ 채점지에 시간 기록과 comment할 수 있는 공간 필요

■ 일일이 시간 체크하는 것이 불편함

■ 결과 기록지가 복잡함

■ 한국형 일반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국내 실정에 맞지 않음

■ 일일이 수기로 작성하는데 불편함

■ 검사자가 환자가 고른 답을 체크할 때 환자들이 마음의 불안하여 검사에 지장을 줄 때가 있음

■ 채점지가 한 눈에 들어오지 않음

■ 답이 고정되어 있어 환자들이 쉽게 암기 가능

■ 영역별로 막대 그래프나 선 그래프 형식의 데이터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면 효율적

■ 치료 전 후 결과 기록 비교하기 어려움

■ 전체적으로 수행과 채점 시 시간이 오래걸림

■ 결과 산출 방법이 복잡함

시각 구별 검사

및 해석

■ 난이도 조절 필요

■ 일정한 시간을 두고 평가할 수 없음

■ 평가자 마다 검사하는 방법의 차이가 있음

■ 적절한 설명서가 필요

Page 16: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94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계속)

분석 목록 전문가 분석 내용

형태 항성성

검사 및 해석

■ 적절한 설명서 및 지침서가 필요

■ 답이 고정되어 있어 답을 외워서 체크하는 경우가 많음

■ 난이도 조절 필요

■ 크기 변화를 둔 평면/입체적인 모양 추가 필요

시각적

단기기억 검사

및 해석

■ 난이도 조절 필요

■ 5초라는 시간 체크를 평가 시 시행에 어려움 따름(일관적으로 하기 어려움)

시각 폐쇄 검사

및 해석

■ 적절한 설명서 및 지침서 필요(검사자 간 신뢰도가 떨어짐)

■ 난이도 조절 필요

■ 교육수준과 관계없는 검사 내용이 필요

■ 점선으로 된 그림 추가 필요

공간 지남력

검사 및 해석

■ 난이도 조절 필요

■ 그림의 형태가 조잡하고 까다로워 검사목적과 괴리감이 있음

■ 적절한 설명서 및 지침서 필요

■ 흥미를 위한 색상이나 모양의 변화 필요

전경 배경 검사

및 해석

■ 그림 속에 포함되지 않는 모양을 찾는 방식의 내용 추가 필요

■ 그림의 단순화 필요

■ 시력 손상이 있는 환자 적용하기 어려움

■ 구체적인 항목 필요

■ 난이도 조절 필요

[추가 했으면

하는 검사

내용]

■ 일상생활에서 자주 보는 모양을 다룬 검사항목 필요

■ 일정한 평가 항목의 개수 필요(다양한 항목 필요)

■ 문자를 사용하여 시각 구별 평가할 수 있는 문항 필요

[사용상 불편

보완사항]

치료자 입장

■ 환자와 보호자에게 시지각 문제에 따른 치료상담이 용이하도록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도형이나

그림을 참고하는 것이 필요

■ 수기 작성, 매뉴얼에 나온 기준치 확인 후 매번 손상 유무 체크하는데 번거로움(입력 후 자동

계산, 결과치를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필요)

■ 전산화 필요(데이터 저장)

■ 환자 상태에 따라 각 항목별로 평가를 나누어서 진행 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함

■ 치료에 연계하는데 어려움 따름

■ 객관적인 설명 지침서 필요함(검사자간 주관적 설명 배제 필요)

■ 검사 후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그래프나 표가 필요

■ 시력 제한된 환자를 위한 시력 보완용으로 그림 확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 필요

■ 평가지의 단순화 필요

결과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

연계 시

요구되는 사항

■ 치료결과가 저장되어 눈으로 확인 가능(변화산출가능)

■ 난이도별 치료프로그램 필요

■ 홈프로그램 및 보호자 교육 연계 필요

■ 평가 결과에 따른 치료(장애인 및 비장애인 접근 가능)

Page 17: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95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3.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

임상전문가들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 외에도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관련 문헌들을 개관하고 분석하였다.

‘가이드라인’, 임상전문가들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 그리고 관련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컴

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개발 원칙과 지침’을 도출하여 <표 11>에 정리하였다. 이러

한 개발 원칙과 지침은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의 개발에 대한 프로그

램 콘텐츠, 프로그램 작동방식을 위해 참고한 틀이며 개발을 위해 전체적인 흐름과 모형을 대신하는

중요한 역할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표 11>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

주요 항목 제품 개발 원칙

디자인

• 검사/치료 프로그램에 집중할 수 있게 단순화

•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모양 첨가(그림, 모양, 지시어 친숙하고 우리 문화에 맞게 디자인)

• 사용방법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게 함

• 눈에 편하고 디자인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대비되는 색상 선택 가능

검사

프로그램

• 시각 구별 검사 프로그램

• 형태 항상성 검사 프로그램

• 시각적 단기기억 검사 프로그램

• 시각통합 검사 프로그램

• 공간 지남력 검사 프로그램

• 전경 배경 검사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 점수 결과 엑셀과 연동 가능

• 한눈에 결과를 볼 수 있도록 구성(그래프), 평균값으로 제시

• 날짜별 수행 결과 점수 확인 가능

• 검사 결과에 따라 이행된 치료 프로그램 확인 가능

• 반응시간, 정확도, 문제의 난이도 등 개인별 저장 및 확인 가능

환자정보 관리• 환자 진단명 및 상태 입력 가능

• 환자 개인별 검사 내용 저장

난이도

(공통)• 각 항목별 적절한 난이도

운영

• 검사 및 치료 프로그램 실시 중 중단된 부분부터 재실시 가능

• 각 항목에 대한 지시어 글과 소리 모두 가능(선택사항)

• 지시어는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제작

• 사용방법의 일관성

• 문제를 풀다가 이해를 돕기 위해 재설명 가능

Page 18: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96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Ⅳ. 결론 및 제언

장애인이 능력을 최대한 발달시켜 조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애 유형과 정

도, 원인에 따른 잔존능력 최대 보호, 시설과 환경을 포함한 전반적인 장애인 교육을 통해(김홍규,

1989) 근로자 직업훈련 촉진법(제 7조 제 1항)에 따른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게 된다. 장애인의

질 높은 고용을 위해서는 장애인의 기능 결함을 잘 파악해야 하는데 시지각의 결핍으로 인해 사물의

인지와 사물간의 공간관계 지각 등의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지각 기능의 문제 알아보기 위한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 중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검사도구가 MVPT이다. 하지만 MVPT 뿐만 아니라 시지각 검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는 미국에서 표준화를 거쳤으며, 우리나라 그대로 적용하여 해석하였을 경우 정확한

시지각 능력의 장애 정도와 그것을 바탕으로 치료효과를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박성현

외, 2005). 그리고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은 표준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며, 치료 전⁃후의

치료효과만 파악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의 현황과 한

계점이 무엇인지, 둘째,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현황과 한계점이 무엇인지 셋째,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필요한지, 넷째,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에서 고려할 사항은 무

엇인지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는 시지각 발달 검사 (K-DTVP-2), 비운

동성 시지각 검사(MVPT), 벤더-게스탈트 검사(BGT), 시각-운동 통합 발달 검사(VMI), 시지각 기능

검사(TVPS-R) 등이 있는데 이러한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으로는 휴대성의 편리하고,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며, 시지각 문제를 알 수 있는 선별도구로, 값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개별 뿐만 아니라 집단 검사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를 장애

인의 시지각 병변을 알아보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는

여러 가지 단점 있는데, 단점으로는 정확한 시간 측정의 어려우며, 점수 계산의 복잡성 및 오류 가능

성이 있고, 수기작성의 오류 가능성 및 검사자의 설명이 통일되지 않아 객관적인 검사가 의심된다.

또한 검사 실시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학습이 가능하고, 검사 조건 설정 불가능하다는 점을 둘 수 있

다. 따라서 지필용 검사도구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한 표준화된 시지각 검사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필

요가 있다.

둘째, 현재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는 레하컴(Rahacom), 전산화

신경 인지기능 검사(CNT), 코그팩(Cogpack), 컴커그(ComCog) 등이 있는데 이러한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으로는 정확한 시간 측정 가능하고, 난이도가 등급화 되어 있으며, 검사 결과를 한눈

Page 19: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97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으로 볼 수 있도록 출력이 가능하다는 점을 둘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시각적 정보 및 그림 제공해

주고 검사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 시키며 다양한 항목으로 인해 학습을 최소화시키고 훈련 조건 설정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관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것은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에서 단점으

로 나타났던 부분이 보안되어 직접 수지로 작성하여 문서를 보관하는 것이 아닌 검사내용이 컴퓨터

에 저장되어 있어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는 컴퓨터만 있다면 어디에서든지

빠른 시간 안에 장애인의 시지각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일반화, 표

준화 작업이 되어있지 않고 값이 비싸며 컴퓨터 화면을 보고 있으면 눈의 피로감이 증가된다는 점이

있다. 또한 언어, 장애유형, 정서에 따른 사용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고,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의

장점으로 여겨졌던 부분인 휴대성에 있어서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는 불편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손꼽히고 있다.

셋째, 지필용 시지각 검사도구와 전산화된 시지각 검사도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형 시지

각 검사도구가 필요하며, 안성혜(2007)는 웹 기반 시지각 진단 검사 프로그램을 뇌손상을 입은 환자

들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과학적 근거에 따른 표준화 과정 및 평가

내용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정성을 검토하지 못하고 있다.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개발되

기 위해서는 기존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필검사에 대한 치료사들의 어려움을 보안하기 위해 시

간적으로 단축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해야 하고, 학습을 최소화 시키며, 일관성 있는 검사가 시

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고 출력할

수 있으며 시지각 전체 수준과 하위 영역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장애인의 시지각이 어

떠한 면에서 장애를 보이는지 알 수 있도록 개발되며 개발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는 일

반화가 진행되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전문가들에게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에서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하였는데, 임상가들은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 원칙과 지침을 디자인, 검사프

로그램, 데이터 관리, 환자정보 관리, 난이도, 운영방법 등 총 6가지를 제시하였다.

디자인은 검사 및 치료에 집중할 수 있게 단순화 시켜야 하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모양을 첨가하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사용방법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하고, 눈에 편하고 디

자인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대비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검

사프로그램은 시각 구별, 형태 항상성, 시각적 단기기억, 시각 통합, 공간 지남력, 전경 배경 등 6가

지 프로그램으로 시지각의 하위영역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어야 하고, 데이터 관

리는 점수 결과를 엑셀과 연동하며, 한 눈에 결과를 볼 수 있도록 그래프와 평균값으로 제시하도록

원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날짜별 수행 결과를 점수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이

행된 치료 프로그램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반응시간, 정확도, 문제의 난이도 등을 개

인별로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환자 정보관리는 환자의 진단명 및

Page 20: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98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상태를 입력하고 환자 개인별 검사 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필요하고 각 하위 항목에서 적절한 난이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프로그램 운영에서는 검사 및 치료

프로그램 실시 중 중단된 부분부터 재실시가 가능해야 하고, 각 항목에 대한 지시어를 글과 소리 모

두 가능하도록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지시어는 최대한 이해하기 쉽

게, 사용방법은 일관성 있게, 문제를 풀다가 이해를 돕기 위해 재설명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이 운영

되도록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면 컴퓨터 보조 교수(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의 원리

를 이용하여 적절한 관제분석과 이에 맞추어진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보상과 강화, 자극-반응 관계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도록 하였는데, 이근민과 이진현(2006)은 CAI의 학습 원리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언어적인 다양한 감각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뿐 아니라 현실감 있는 상호작용과 학습자 참여가 가능

하므로 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오늘날 많은 치료기관과 치료자들에 의하여 보편적으로 전산화된 인지기능 훈련이 받아들여지고

있는데(Glisky, 1986), 정경렬(2003)은 Frostig의 시지각 발달 훈련 프로그램을 토대로 CAI 시지각 훈

련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적용하여 정신지체아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주의집중을 위한 중심과제와 우발 과제에서 정신지체아의 수행을 향

상시키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보조 교수가 자폐아동에게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

도록 지도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 질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Silver & Oakes, 2001).

이처럼 현재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 및 시지각 검사 및 훈련 프로그램이 계속적으로 개발이 되고

사용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 훈련 프로그램에 국한되어 있고, 일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 치료 전과 후의 효과만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볼 때 우

리 정서에 맞는 효율적인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효과

적인 장애인 고용을 위해서는 장애인의 기능 결함에 따른 적합한 평가와 치료를 통해 질 높고, 안정

적인 기능 결함의 치료 및 보상이 필요하다.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더 추가되어야 힐 필요가 있어 제언을 하고자 한다.

그 중 첫 번째는, 검사 프로그램 결과에 따라 치료가 연계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

하다. 장애인의 취업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검사 결과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져 기능결함

을 보상하거나, 좀 더 나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하위 검사 항목에 따라 기능의 결함이 나타났을

때 검사 후 곧바로 치료 프로그램이 이루어져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와 개발이 구체적으로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장애인의 근로 현장에서 문제가 있을 때 바로 평가

할 수 있도록 휴대하기 편리하게 텝이나 핸드폰으로 검사 프로그램을 연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검사자가 간단한 교육을 받고도 검사가 가능하도록 이해하기 쉽고, 다루기 쉽게 개발

Page 21: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99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가 개발되어 우리나라의 정서에 맞는 환자에게 적합한 검

사가 시행되고, 일반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장애인의 고용이 촉진되고, 서비스의 확대와 전문성

의 강화, 고용 유지가 지속될 것으로 사료된다.

Page 22: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100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참고 문헌

강영실 (2007). 장애인복지의 이해. 신정.

김명신 (2000).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시지각과 지각-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영근 (2011). 한국형 컴퓨터 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상적 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부산대

학교 대학원.

김영근, 이민정 (2013). 아동용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C)이 발달장애아동의 시지각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17권 제 3호, pp 391-414.

김연희, 신승훈, 박세훈, 고명환 (2001).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전산화 신경심리검사의

유용성. 대한재활의학회지, 25권 제 2호, pp 209-216

김정민 (2006). 시지각 기능 검사의 타당화와 우리나라 아동의 시지각 특성 분석.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

학교 대학원.

김흥규 (1989). 장애자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성원사

문완기 (2003). 지체장애인의 이동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

정대학원.

박성현, 박소정, 박수희, 정혜림, 장문영 (2005). MVPT-R을 이용한 한국과 미국 전학령기 아동의 시

지각 능력 비교를 위한 기초 연구. 대한 감각통합치료학회지, 3권 제 1호, pp 1-8

박주환, 한성호, 박재현, 박원규, 김현경, 홍상우 (201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방법 비

교 분석.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권, pp 154-157.

손석일 (2013).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GPACK)적용이 뇌손상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안성혜 (2006). 웹 기반 시 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디자인학연구, 19권

제 2호, pp 5-14.

안성혜 (2003). 시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및 변인 추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권 제 1호. pp 401-404.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최은희 (2006).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 사용 동향. 대한작업치료

학회지, 14권 제 3호, pp 27-37.

이근민 (1997). The effect of hypermedia-based math instruction on the basic whole number

addition skill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박사학위논문, Johns Hopkins

University.

이근민, 이진현 (2006). 장애인 컴퓨터 대체접근의 현황, 전망,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2권. pp 2406-2435.

Page 23: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10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이미숙 (1998). 장애인 직업재활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행적대학원.

이윤미 (2011). 컴퓨터 보조 인지재활훈련과 균형운동이 노인의 인지, 시지각, 손기능, 균형 및 뇌파에 미치

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전병진, 이경식, 이현숙, 라어진 (2011). 전통적인 MVPT와 컴퓨터화된 MVPT와의 상관연구. 대한보조

공학기술학회지, 3권 제 1호, pp 25-32.

정경렬 (2003). CAI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선택적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조아영 (2012).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조혜정 (2010). 고령화 사회를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설계.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Bellucci D. M., Glaberman K., & Haslam N. (2002). Neuro-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with

work therapy: effects on neuropsychological test performanc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763-768.

Chen, S. A., Thomas, J. D., Glueckauf, R. L., and Bracy, O. L. (1997).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1(3), 197-209.

Colarusso, R. O., & Hammill, D. D. (1996).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Revised Manual.

California : Academic Therapy Publications.

Elbasan. B., Atasavun. S., and Duger. T. (2011).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and motor func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zyoter rehabil. 22(3),

224-230.

Glisy, E. L., Schacter, D. L., amd Tulving, E. (1986). Learning and retention of computer related

vocabulary in memory impaired patients: method of vanishing cues. L. Cmin. Exper.

Neuropsychol. 8; 292 312.

Gordon, N. F. (1993). Stroke: Your complete Exercise Guide. Illinosi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lishers.

Katherine S, Jeffrey J, Laura Z, Norine F, Robert T. (2006). Evidence-Based Review of stroke

rehabilitation: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vilitation. Canadian Stroke Network. 9,

27-29.

Mercier L., Hebert R, Colarusso R, Hammill D. (1997). Motor-Free Perception Test-verical Manual.

Californi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Moore, R. S. (1979). Schoolcan wait. Provo,UT: Bigham Young University Press.

Page 2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102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Robert P., Kell S., David R., Rebecca B., Elizabeth M., Nicile S., and Jennifer J. (2010). Universal

Design for Computer-Based Testing(UD-CBT) Guidelines. London, PEARSON.

Rose, F., Brooks, B., Attrec, E., Parslew, D., Leadbetter, A., Mcneil, J., Jayawardena, S.,

Greenwood, R., Potter, J. (1999)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virtual

environments in memory retraining after vascular brain injury: Indications for future

strateg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1(12): p.548-554

Siev, E., Fresoshtat, B., and Zoitan, B. (1986). Perceptual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he adult

stroke patient: A Manua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New Jersey: Slack Inc.

Silver, M. and Osakes, P. (2001). Evaluation of a new computer intervention to teach people

with Autism or Asperger syndrome to recognize and predict emotions in others. Autism,

5, P.299-316.

Skilbeck, G. I., Wade, D. T., Langton-Hewer, R., & Wood, V. A.(1983). Recovery after strok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46, 5-8.

Page 25: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 103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Study on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Principle of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for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Kim So-young*

(Professor, Youngnam Foreign Language College)

Jung Jin-hwa(Professor, Semyung University)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in order to accelerate high-quality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who do not participate in vocational life due to lack of employment chances regardless of their work competence. For this, targeting a panel of 30 professionals, matters were investigated such as first, what the present state and limit of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with paper and pencils are; second, what the present state and limit of computerized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are; third, whether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to settle the problems is necessary or not; and fourth, what considerations ar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20 copies. Based on th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As the result, by bringing out strong points of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using paper and pencils and computerized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tools, the development of examination programs is necessary. The programs should be used clinically from processing the course to generalize the developed programs. Also, exports said that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promot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by proposing a total of six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programs like design, test program, data control, management of patient information, degree of difficulty and easiness, and operation methods.

* 제1저자·교신저자(김소영) : [email protected]

** 투고일 : 2015. 3. 30. 심사기간 : 2015. 4. 27. ~ 5. 7. 게재확정일 : 2015. 5. 13.

Page 26: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개발 원칙 연구 •••81 04. 장애인 고용을 위한 전산화된 한국형 시지각 검사도구

104 •••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2호(통권 87호) 2015. 5.

(계속)

Abstract

On the basis of this study, by developing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test programs fitting to Korean situations, from strengthening support for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expansion of the service, employment maintenance, and professionalism, it is thought that employment effect of more disabled people can be increas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test program results,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s that treatment can be connected is needed. In order that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programs can be available by the simple education for disabled people at work sites, the development should be realized.

keyword :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computerized Korean-style visual perception examination, work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