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음운론 (1) : 국어의...

20
- 1 - 조음방법 조음위치 양순음 두입술 혀끝소리 윗잇몸 경구개 센입천장 연구개 여린입천 목청소리 목청사이 안울림소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울림소리 비음 유음 위치 입술모양 혀의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l 중모음 저모음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 1. 자음의 체계 2. 모음의 체계 1) 단모음: 발음할 때 입술,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 2) 이중모음 : 단모음과 반모음이 어울려서 만들어지며, 발음할 때 입술, 혀의 위치가 변함. ⇒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등 총 11개 ★반모음(=반자음) 모음과 같이 발음하지만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소리. [유의어] 반홀소리. ‘j’, ‘w’ ㅣ [j] : ㅑ, ㅕ, ㅛ, ㅠ, ㅒ, ㅖ ㅗ/ㅜ[w] : ㅘ, ㅙ, ㅝ, ㅞ

Upload: others

Post on 23-Nov-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 -

조음방법 조음위치 양순음두입술

혀끝소리윗잇몸

경구개센입천장

연구개여린입천

목청소리목청사이

안울림소리

파열음예사소리 ㅂ ㄷ ㄱ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파찰음예사소리 ㅈ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마찰음 예사소리 ㅅ ㅎ

된소리 ㅆ울림소리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위치 입술모양

혀의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l ㅟ ㅡ ㅜ중모음 ㅔ ㅚ ㅓ ㅗ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국어의 음운체계

1 자음의 체계

2 모음의 체계

1) 단모음 발음할 때 입술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

2) 이중모음 단모음과 반모음이 어울려서 만들어지며 발음할 때 입술 혀의 위치가 변함 rArr lsquoㅑrsquo lsquoㅕrsquo lsquoㅛrsquo lsquoㅠrsquo lsquoㅒrsquo lsquoㅖrsquo lsquoㅘrsquo lsquoㅙrsquo lsquoㅝrsquo lsquoㅞrsquo lsquoㅢrsquo등 총 11개

반모음(=반자음) 모음과 같이 발음하지만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소리 [유의어] 반홀소리 lsquojrsquo lsquowrsquo rArr ㅣ [j] ㅑ ㅕ ㅛ ㅠ ㅒ ㅖ rArr ㅗㅜ[w] ㅘ ㅙ ㅝ ㅞ

- 2 -

3 비분절 음운단어의 뜻이 음장(音場)에 의해 구별되거나 문장의 뜻이 억양에 의해 구별되는 것

1) 음장 모음의 길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짐 rArr 말(言)말(馬) 눈(雪)눈(眼) 등

2) 억양 억양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짐 rArr 학교 가(의문) 학교 가(평서) 학교 가(명령)

02 음운의 변동

1 대치(교체)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은 끝에 있는 자음의 발음이 [ㄱㄴㄷㄹㅁㅂㅇ]등 7개로 한정되는 현상

rArr 잎-입 꽃-꼳 낮-낟

2) 비음화 음절의 끝에 있는 [ㄱㄷㅂ] 이 비음의 영향으로 비음화 되는 현상

rArr [국물 rarr 궁물] [걷는다 rarr 건는다] [법률 rarr 범뉼]ㄱrarrㅇ ㄷrarrㄴ ㅂrarrㅁ으로 바뀜

3) 유음화 유음이 아닌 자음이 유음의 영향으로 유음화 되는 현상

rArr [신라 rarr 실라] [칼날 rarr 칼랄] 유음ㄹ

4) 구개음화 받침 자음 lsquoㄷ ㅌrsquo 이 모음 lsquoㅣrsquo를 만나서 lsquoㅈ ㅊrsquo으로 변하는 현상rArr [같이 rarr 가치] [굳이 rarr 구지] 반모음 lsquoㅣ[j]rsquo를 포함한다 예) 닫혀 rarr 다쳐

5) 된소리되기 예사소리가 특정음운의 영향으로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rArr [먹고 rarr 먹꼬] [닫지 rarr 닫찌] [법도 rarr 법또] [신다 rarr 신따] [감다 rarr 감따] [ㄱㄷㅂ] 뒤에서 예사소리는 된소리로 바뀜

어간의 받침 lsquoㄴ ㅁrsquo 뒤에서 예사소리는 된소리로 바뀜

- 3 -

받침 발음 예ㄱㄲㅋ 〔ㄱ〕 학lt학gt 밖lt박gt 부엌lt부억gt 닦다lt닥따gt 읔lt키윽gt

ㄴ 〔ㄴ〕 산lt산gt

ㄷㅌㅅㅆㅈㅊㅎ 〔ㄷ〕 웃다lt욷다gt 젖lt젇gt 빛lt빋gt 있다lt읻다gt 낟lt낟gt 낱lt낟gt 났lt낟gt

낮lt낟gt 낯lt낟gt 히읗lt히읃gt

ㄹ 〔ㄹ〕 달lt달gtㅁ 〔ㅁ〕 밤lt밤gt

ㅂㅍ 〔ㅂ〕 잎[입] 입[입] 앞[압] 집[집] 덮다[덥따]d [ㅇ] 강[강]

[참고자료]

2 탈락두 개의 음운이 만나면서 한 개의 음운이 사라져 소리가 나지 않는 현상

1) 겹받침 탈라 겹받침 중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의 자음으로 발음되는 현상rArr 넋 rarr [넉] 잃고 rarr [일꼬] 밟다 rarr [밥따]

2) lsquoㅎrsquo탈락 용언 어간의 끝소리 lsquoㅎrsquo이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lsquoㄴㄹrsquo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rArr 좋아서 rarr [조아서] 점잖은 rarr [점잔은] 좋은 rarr [조은]

3) lsquoㄹrsquo탈락 용언의 어간에서 끝소리lsquoㄹrsquo이 lsquoㄴㄹㅂㅅrsquo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연결될 때rArr 돌-+-는 rarr [도는] 울-+-는 rarr [우는]

합성어나 파생이에서 lsquoㄹrsquo이lsquoㄴㄷㅅㅈrsquo앞에 있을 때rArr 불+삽 rarr [부삽] 딸+님 rarr [따님] 솔+나무 rarr [소나무]

4) 모음탈락 용언에서 어간의 모음과 어미의 모음이 만날 때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rArr 쓰-+-어 rarr [써] 뜨-+-어 rarr [떠] 고프-+-아 rarr [고파] 가-+-아 rarr [가] 서-+-어 rarr [서]

- 4 -

3 첨가1) lsquoㄴrsquo첨가 합성어와 파생어 앞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뒤에 붙는 말이 lsquoㅏ ㅑ ㅕ ㅛ ㅠrsquo로 시작될 때 그 사이에 lsquoㄴrsquo이 첨가 되어[니 냐 녀 뇨 뉴]로 발음되는 현상 rArr 솜이불rarr[솜니불] 내복약rarr[내봉냑] 한여름rarr[한녀름]

ㄹrsquo 받침 뒤에 첨가되는 lsquoㄴrsquo 음은 [ㄹ]로 발음rArr 솔-잎 rarr [솔닙rarr솔립] 들-일 rarr [들릴] 물-약 rarr [물략] 설-익다 rarr [설릭따] 서울역 rarr [서울력]

②lsquoㄷrsquo첨가 합성명사가 될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lsquoㄷrsquo음(표기상 lsquoㅅrsquo)이 첨가되어 뒤에 오는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하는 현상 rArr 나뭇가지 rarr [나묻까지] 콧등 rarr [코뜽콛뜽] 깃발 rarr [긷빨] 냇가 rarr [낻까]

4 축약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이 되는 것

1) 자음축약(거센소리되기) lsquoㄱㄷㅂㅈrsquo이 lsquoㅎrsquo을 만나서 거센소리[ㅋㅌㅍㅊ]로 변하는 현상 rArr 국화 rarr [구콰] 좋다 rarr [조타] 낳고 rarr [나코]

2) 모음축약 어간의 모음 lsquoㅗㅜㅣrsquo와 어미의 모음 lsquoㅏㅓrsquo가 결합하면 이중모음lsquoㅘㅝrsquo와 lsquoㅑㅕrsquo로 변하는 현상rArr 보+아 rarr [봐] 오+아서 rarr [와서] 두+었다 rarr [뒀다] 뜨+이다 rarr [띄다]

- 5 -

① 울림소리 + 안울림소리 = [된소리] rArr 밤 + 길 rarr [밤낄] 손 + 등 rarr [손뜽]

② 앞말이 모음 + 뒷말이 lsquoㅁ ㄴrsquo으로 시작 = [ ㄴ ] rArr 이 + 몸 rarr [인몸] 코 + 날 rarr [콘날]

③ 뒷말이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l [ㅑㅕㅛㅠ]rsquo로 시작 = [ ㄴ ] rArr 집 + 일 rarr [짐닐] 나무 + 잎 rarr [나문닙]

5 사잇소리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인 경우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경우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맷돌 모깃불 뱃길 아랫집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 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멧나물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lsquoㄴ 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일 깻잎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병 머릿방 뱃병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방 텃세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경우 983332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앞에서 lsquoㄴ ㄴrsquo 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③ 한자어와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단 예외 lsquo곳간(庫間)rsquo lsquo툇간(退間)rsquo lsquo 찻간(車間)rsquo lsquo숫자(數字)rsquo lsquo횟수(回數)rsquo lsquo셋방(貰房)rsquo이다

- 6 -

[음운론 연습문제]

1 (ㄱ)과 (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종로rarr[종노] 백마rarr[뱅마] 맏며느리rarr[만며느리]

(ㄴ) 신라rarr[실라] 선릉rarr[설릉] 칼날rarr[칼랄]

① lsquoㄹrsquo과 lsquoㄴrsquo이 만났을 때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뀐다

② 비음이 아닌 소리가 인접한 비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비음으로 변한다

③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로 줄어든다

④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안울림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

⑤ 음절의 끝자음과 뒤에 오는 자음이 만나 한쪽이 다른 한쪽을 닮아 가거나 비슷한 성질을 가진 자음으로 바뀐다

[Odyssey]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은 lsquo음운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밖[박] - 간[간] - 옷[옫]

- 물[물] - 몸[몸] - 잎[입]

- 징[징]

(ㄴ)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몫[목] - 앉고[안꼬] - 젊다[점따]

- 넓다[널따] - 읽지[익찌]

(ㄱ)과 (ㄴ)을 고려할 때 우리 국어에서는 음절의 끝에서 ( )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실제 발음된다

① ㄱ ㄴ ㄹ ㅁ ② ㄱ ㄴ ㄷ ㄹ ㅂ ㅇ

③ ㄱ ㄴ ㄹ ㅁ ㅂ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⑤ ㄱ ㄴ ㄷ ㄹ ㅁ ㅇ ㅍ

[Odyssey]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 7 -

3 lt보기gt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예가 올바르게 묶인 것은

(가) 끝소리가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인 형태소가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ㅣ[j]rsquo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이 구개음인 lsquoㅈrsquo lsquoㅊrsquo으로 바

뀐다

(나) 앞 음절의 예사소리 받침과 뒤 음절의 lsquoㄱ ㄷ ㅂ ㅅ ㅈrsquo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 lsquoㄲ ㄸ ㅃㅆ ㅉrsquo로 발음된다

(가) (나)

① 능력[능녁] 책상[책쌍]

② 맞는[만는] 같이[가치]

③ 해돋이[해도지] 책가방[책까방]

④ 붙이며[부치며] 잡히다[자피다]

⑤ 여덟[여덜] 목걸이[목꺼리]

[Odyssey]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lt보기gt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또는 서로 동화되

어 두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가) 받침 lsquoㄱ ㄷ ㅂrsquo은 lsquoㄴ ㅁrsquo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나) lsquoㄴrsquo은 lsquoㄹrsquo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붙임] 첫소리 lsquoㄴrsquo이 lsquoㅀrsquo lsquoㄾrsquo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 (가)에 의해 lsquo국민rsquo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한다

② (가)에 의해 lsquo밤을 줍는 손rsquo에서 lsquo줍는rsquo은 [줌는]으로 읽는다

③ lsquo난로rsquo를 [날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이 규칙에 따른 결과이다

④ (나)의 [붙임]에 따라 lsquo앓는 소리rsquo에서 lsquo앓는rsquo은 [알는]으로 발음한다

⑤ lsquo물난리rsquo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규칙이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Odyssey]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보 기

보 기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2: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2 -

3 비분절 음운단어의 뜻이 음장(音場)에 의해 구별되거나 문장의 뜻이 억양에 의해 구별되는 것

1) 음장 모음의 길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짐 rArr 말(言)말(馬) 눈(雪)눈(眼) 등

2) 억양 억양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짐 rArr 학교 가(의문) 학교 가(평서) 학교 가(명령)

02 음운의 변동

1 대치(교체)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은 끝에 있는 자음의 발음이 [ㄱㄴㄷㄹㅁㅂㅇ]등 7개로 한정되는 현상

rArr 잎-입 꽃-꼳 낮-낟

2) 비음화 음절의 끝에 있는 [ㄱㄷㅂ] 이 비음의 영향으로 비음화 되는 현상

rArr [국물 rarr 궁물] [걷는다 rarr 건는다] [법률 rarr 범뉼]ㄱrarrㅇ ㄷrarrㄴ ㅂrarrㅁ으로 바뀜

3) 유음화 유음이 아닌 자음이 유음의 영향으로 유음화 되는 현상

rArr [신라 rarr 실라] [칼날 rarr 칼랄] 유음ㄹ

4) 구개음화 받침 자음 lsquoㄷ ㅌrsquo 이 모음 lsquoㅣrsquo를 만나서 lsquoㅈ ㅊrsquo으로 변하는 현상rArr [같이 rarr 가치] [굳이 rarr 구지] 반모음 lsquoㅣ[j]rsquo를 포함한다 예) 닫혀 rarr 다쳐

5) 된소리되기 예사소리가 특정음운의 영향으로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rArr [먹고 rarr 먹꼬] [닫지 rarr 닫찌] [법도 rarr 법또] [신다 rarr 신따] [감다 rarr 감따] [ㄱㄷㅂ] 뒤에서 예사소리는 된소리로 바뀜

어간의 받침 lsquoㄴ ㅁrsquo 뒤에서 예사소리는 된소리로 바뀜

- 3 -

받침 발음 예ㄱㄲㅋ 〔ㄱ〕 학lt학gt 밖lt박gt 부엌lt부억gt 닦다lt닥따gt 읔lt키윽gt

ㄴ 〔ㄴ〕 산lt산gt

ㄷㅌㅅㅆㅈㅊㅎ 〔ㄷ〕 웃다lt욷다gt 젖lt젇gt 빛lt빋gt 있다lt읻다gt 낟lt낟gt 낱lt낟gt 났lt낟gt

낮lt낟gt 낯lt낟gt 히읗lt히읃gt

ㄹ 〔ㄹ〕 달lt달gtㅁ 〔ㅁ〕 밤lt밤gt

ㅂㅍ 〔ㅂ〕 잎[입] 입[입] 앞[압] 집[집] 덮다[덥따]d [ㅇ] 강[강]

[참고자료]

2 탈락두 개의 음운이 만나면서 한 개의 음운이 사라져 소리가 나지 않는 현상

1) 겹받침 탈라 겹받침 중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의 자음으로 발음되는 현상rArr 넋 rarr [넉] 잃고 rarr [일꼬] 밟다 rarr [밥따]

2) lsquoㅎrsquo탈락 용언 어간의 끝소리 lsquoㅎrsquo이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lsquoㄴㄹrsquo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rArr 좋아서 rarr [조아서] 점잖은 rarr [점잔은] 좋은 rarr [조은]

3) lsquoㄹrsquo탈락 용언의 어간에서 끝소리lsquoㄹrsquo이 lsquoㄴㄹㅂㅅrsquo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연결될 때rArr 돌-+-는 rarr [도는] 울-+-는 rarr [우는]

합성어나 파생이에서 lsquoㄹrsquo이lsquoㄴㄷㅅㅈrsquo앞에 있을 때rArr 불+삽 rarr [부삽] 딸+님 rarr [따님] 솔+나무 rarr [소나무]

4) 모음탈락 용언에서 어간의 모음과 어미의 모음이 만날 때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rArr 쓰-+-어 rarr [써] 뜨-+-어 rarr [떠] 고프-+-아 rarr [고파] 가-+-아 rarr [가] 서-+-어 rarr [서]

- 4 -

3 첨가1) lsquoㄴrsquo첨가 합성어와 파생어 앞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뒤에 붙는 말이 lsquoㅏ ㅑ ㅕ ㅛ ㅠrsquo로 시작될 때 그 사이에 lsquoㄴrsquo이 첨가 되어[니 냐 녀 뇨 뉴]로 발음되는 현상 rArr 솜이불rarr[솜니불] 내복약rarr[내봉냑] 한여름rarr[한녀름]

ㄹrsquo 받침 뒤에 첨가되는 lsquoㄴrsquo 음은 [ㄹ]로 발음rArr 솔-잎 rarr [솔닙rarr솔립] 들-일 rarr [들릴] 물-약 rarr [물략] 설-익다 rarr [설릭따] 서울역 rarr [서울력]

②lsquoㄷrsquo첨가 합성명사가 될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lsquoㄷrsquo음(표기상 lsquoㅅrsquo)이 첨가되어 뒤에 오는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하는 현상 rArr 나뭇가지 rarr [나묻까지] 콧등 rarr [코뜽콛뜽] 깃발 rarr [긷빨] 냇가 rarr [낻까]

4 축약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이 되는 것

1) 자음축약(거센소리되기) lsquoㄱㄷㅂㅈrsquo이 lsquoㅎrsquo을 만나서 거센소리[ㅋㅌㅍㅊ]로 변하는 현상 rArr 국화 rarr [구콰] 좋다 rarr [조타] 낳고 rarr [나코]

2) 모음축약 어간의 모음 lsquoㅗㅜㅣrsquo와 어미의 모음 lsquoㅏㅓrsquo가 결합하면 이중모음lsquoㅘㅝrsquo와 lsquoㅑㅕrsquo로 변하는 현상rArr 보+아 rarr [봐] 오+아서 rarr [와서] 두+었다 rarr [뒀다] 뜨+이다 rarr [띄다]

- 5 -

① 울림소리 + 안울림소리 = [된소리] rArr 밤 + 길 rarr [밤낄] 손 + 등 rarr [손뜽]

② 앞말이 모음 + 뒷말이 lsquoㅁ ㄴrsquo으로 시작 = [ ㄴ ] rArr 이 + 몸 rarr [인몸] 코 + 날 rarr [콘날]

③ 뒷말이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l [ㅑㅕㅛㅠ]rsquo로 시작 = [ ㄴ ] rArr 집 + 일 rarr [짐닐] 나무 + 잎 rarr [나문닙]

5 사잇소리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인 경우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경우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맷돌 모깃불 뱃길 아랫집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 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멧나물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lsquoㄴ 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일 깻잎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병 머릿방 뱃병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방 텃세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경우 983332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앞에서 lsquoㄴ ㄴrsquo 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③ 한자어와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단 예외 lsquo곳간(庫間)rsquo lsquo툇간(退間)rsquo lsquo 찻간(車間)rsquo lsquo숫자(數字)rsquo lsquo횟수(回數)rsquo lsquo셋방(貰房)rsquo이다

- 6 -

[음운론 연습문제]

1 (ㄱ)과 (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종로rarr[종노] 백마rarr[뱅마] 맏며느리rarr[만며느리]

(ㄴ) 신라rarr[실라] 선릉rarr[설릉] 칼날rarr[칼랄]

① lsquoㄹrsquo과 lsquoㄴrsquo이 만났을 때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뀐다

② 비음이 아닌 소리가 인접한 비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비음으로 변한다

③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로 줄어든다

④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안울림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

⑤ 음절의 끝자음과 뒤에 오는 자음이 만나 한쪽이 다른 한쪽을 닮아 가거나 비슷한 성질을 가진 자음으로 바뀐다

[Odyssey]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은 lsquo음운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밖[박] - 간[간] - 옷[옫]

- 물[물] - 몸[몸] - 잎[입]

- 징[징]

(ㄴ)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몫[목] - 앉고[안꼬] - 젊다[점따]

- 넓다[널따] - 읽지[익찌]

(ㄱ)과 (ㄴ)을 고려할 때 우리 국어에서는 음절의 끝에서 ( )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실제 발음된다

① ㄱ ㄴ ㄹ ㅁ ② ㄱ ㄴ ㄷ ㄹ ㅂ ㅇ

③ ㄱ ㄴ ㄹ ㅁ ㅂ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⑤ ㄱ ㄴ ㄷ ㄹ ㅁ ㅇ ㅍ

[Odyssey]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 7 -

3 lt보기gt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예가 올바르게 묶인 것은

(가) 끝소리가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인 형태소가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ㅣ[j]rsquo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이 구개음인 lsquoㅈrsquo lsquoㅊrsquo으로 바

뀐다

(나) 앞 음절의 예사소리 받침과 뒤 음절의 lsquoㄱ ㄷ ㅂ ㅅ ㅈrsquo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 lsquoㄲ ㄸ ㅃㅆ ㅉrsquo로 발음된다

(가) (나)

① 능력[능녁] 책상[책쌍]

② 맞는[만는] 같이[가치]

③ 해돋이[해도지] 책가방[책까방]

④ 붙이며[부치며] 잡히다[자피다]

⑤ 여덟[여덜] 목걸이[목꺼리]

[Odyssey]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lt보기gt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또는 서로 동화되

어 두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가) 받침 lsquoㄱ ㄷ ㅂrsquo은 lsquoㄴ ㅁrsquo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나) lsquoㄴrsquo은 lsquoㄹrsquo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붙임] 첫소리 lsquoㄴrsquo이 lsquoㅀrsquo lsquoㄾrsquo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 (가)에 의해 lsquo국민rsquo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한다

② (가)에 의해 lsquo밤을 줍는 손rsquo에서 lsquo줍는rsquo은 [줌는]으로 읽는다

③ lsquo난로rsquo를 [날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이 규칙에 따른 결과이다

④ (나)의 [붙임]에 따라 lsquo앓는 소리rsquo에서 lsquo앓는rsquo은 [알는]으로 발음한다

⑤ lsquo물난리rsquo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규칙이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Odyssey]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보 기

보 기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3: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3 -

받침 발음 예ㄱㄲㅋ 〔ㄱ〕 학lt학gt 밖lt박gt 부엌lt부억gt 닦다lt닥따gt 읔lt키윽gt

ㄴ 〔ㄴ〕 산lt산gt

ㄷㅌㅅㅆㅈㅊㅎ 〔ㄷ〕 웃다lt욷다gt 젖lt젇gt 빛lt빋gt 있다lt읻다gt 낟lt낟gt 낱lt낟gt 났lt낟gt

낮lt낟gt 낯lt낟gt 히읗lt히읃gt

ㄹ 〔ㄹ〕 달lt달gtㅁ 〔ㅁ〕 밤lt밤gt

ㅂㅍ 〔ㅂ〕 잎[입] 입[입] 앞[압] 집[집] 덮다[덥따]d [ㅇ] 강[강]

[참고자료]

2 탈락두 개의 음운이 만나면서 한 개의 음운이 사라져 소리가 나지 않는 현상

1) 겹받침 탈라 겹받침 중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의 자음으로 발음되는 현상rArr 넋 rarr [넉] 잃고 rarr [일꼬] 밟다 rarr [밥따]

2) lsquoㅎrsquo탈락 용언 어간의 끝소리 lsquoㅎrsquo이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lsquoㄴㄹrsquo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rArr 좋아서 rarr [조아서] 점잖은 rarr [점잔은] 좋은 rarr [조은]

3) lsquoㄹrsquo탈락 용언의 어간에서 끝소리lsquoㄹrsquo이 lsquoㄴㄹㅂㅅrsquo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연결될 때rArr 돌-+-는 rarr [도는] 울-+-는 rarr [우는]

합성어나 파생이에서 lsquoㄹrsquo이lsquoㄴㄷㅅㅈrsquo앞에 있을 때rArr 불+삽 rarr [부삽] 딸+님 rarr [따님] 솔+나무 rarr [소나무]

4) 모음탈락 용언에서 어간의 모음과 어미의 모음이 만날 때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rArr 쓰-+-어 rarr [써] 뜨-+-어 rarr [떠] 고프-+-아 rarr [고파] 가-+-아 rarr [가] 서-+-어 rarr [서]

- 4 -

3 첨가1) lsquoㄴrsquo첨가 합성어와 파생어 앞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뒤에 붙는 말이 lsquoㅏ ㅑ ㅕ ㅛ ㅠrsquo로 시작될 때 그 사이에 lsquoㄴrsquo이 첨가 되어[니 냐 녀 뇨 뉴]로 발음되는 현상 rArr 솜이불rarr[솜니불] 내복약rarr[내봉냑] 한여름rarr[한녀름]

ㄹrsquo 받침 뒤에 첨가되는 lsquoㄴrsquo 음은 [ㄹ]로 발음rArr 솔-잎 rarr [솔닙rarr솔립] 들-일 rarr [들릴] 물-약 rarr [물략] 설-익다 rarr [설릭따] 서울역 rarr [서울력]

②lsquoㄷrsquo첨가 합성명사가 될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lsquoㄷrsquo음(표기상 lsquoㅅrsquo)이 첨가되어 뒤에 오는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하는 현상 rArr 나뭇가지 rarr [나묻까지] 콧등 rarr [코뜽콛뜽] 깃발 rarr [긷빨] 냇가 rarr [낻까]

4 축약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이 되는 것

1) 자음축약(거센소리되기) lsquoㄱㄷㅂㅈrsquo이 lsquoㅎrsquo을 만나서 거센소리[ㅋㅌㅍㅊ]로 변하는 현상 rArr 국화 rarr [구콰] 좋다 rarr [조타] 낳고 rarr [나코]

2) 모음축약 어간의 모음 lsquoㅗㅜㅣrsquo와 어미의 모음 lsquoㅏㅓrsquo가 결합하면 이중모음lsquoㅘㅝrsquo와 lsquoㅑㅕrsquo로 변하는 현상rArr 보+아 rarr [봐] 오+아서 rarr [와서] 두+었다 rarr [뒀다] 뜨+이다 rarr [띄다]

- 5 -

① 울림소리 + 안울림소리 = [된소리] rArr 밤 + 길 rarr [밤낄] 손 + 등 rarr [손뜽]

② 앞말이 모음 + 뒷말이 lsquoㅁ ㄴrsquo으로 시작 = [ ㄴ ] rArr 이 + 몸 rarr [인몸] 코 + 날 rarr [콘날]

③ 뒷말이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l [ㅑㅕㅛㅠ]rsquo로 시작 = [ ㄴ ] rArr 집 + 일 rarr [짐닐] 나무 + 잎 rarr [나문닙]

5 사잇소리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인 경우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경우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맷돌 모깃불 뱃길 아랫집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 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멧나물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lsquoㄴ 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일 깻잎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병 머릿방 뱃병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방 텃세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경우 983332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앞에서 lsquoㄴ ㄴrsquo 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③ 한자어와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단 예외 lsquo곳간(庫間)rsquo lsquo툇간(退間)rsquo lsquo 찻간(車間)rsquo lsquo숫자(數字)rsquo lsquo횟수(回數)rsquo lsquo셋방(貰房)rsquo이다

- 6 -

[음운론 연습문제]

1 (ㄱ)과 (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종로rarr[종노] 백마rarr[뱅마] 맏며느리rarr[만며느리]

(ㄴ) 신라rarr[실라] 선릉rarr[설릉] 칼날rarr[칼랄]

① lsquoㄹrsquo과 lsquoㄴrsquo이 만났을 때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뀐다

② 비음이 아닌 소리가 인접한 비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비음으로 변한다

③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로 줄어든다

④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안울림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

⑤ 음절의 끝자음과 뒤에 오는 자음이 만나 한쪽이 다른 한쪽을 닮아 가거나 비슷한 성질을 가진 자음으로 바뀐다

[Odyssey]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은 lsquo음운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밖[박] - 간[간] - 옷[옫]

- 물[물] - 몸[몸] - 잎[입]

- 징[징]

(ㄴ)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몫[목] - 앉고[안꼬] - 젊다[점따]

- 넓다[널따] - 읽지[익찌]

(ㄱ)과 (ㄴ)을 고려할 때 우리 국어에서는 음절의 끝에서 ( )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실제 발음된다

① ㄱ ㄴ ㄹ ㅁ ② ㄱ ㄴ ㄷ ㄹ ㅂ ㅇ

③ ㄱ ㄴ ㄹ ㅁ ㅂ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⑤ ㄱ ㄴ ㄷ ㄹ ㅁ ㅇ ㅍ

[Odyssey]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 7 -

3 lt보기gt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예가 올바르게 묶인 것은

(가) 끝소리가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인 형태소가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ㅣ[j]rsquo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이 구개음인 lsquoㅈrsquo lsquoㅊrsquo으로 바

뀐다

(나) 앞 음절의 예사소리 받침과 뒤 음절의 lsquoㄱ ㄷ ㅂ ㅅ ㅈrsquo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 lsquoㄲ ㄸ ㅃㅆ ㅉrsquo로 발음된다

(가) (나)

① 능력[능녁] 책상[책쌍]

② 맞는[만는] 같이[가치]

③ 해돋이[해도지] 책가방[책까방]

④ 붙이며[부치며] 잡히다[자피다]

⑤ 여덟[여덜] 목걸이[목꺼리]

[Odyssey]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lt보기gt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또는 서로 동화되

어 두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가) 받침 lsquoㄱ ㄷ ㅂrsquo은 lsquoㄴ ㅁrsquo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나) lsquoㄴrsquo은 lsquoㄹrsquo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붙임] 첫소리 lsquoㄴrsquo이 lsquoㅀrsquo lsquoㄾrsquo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 (가)에 의해 lsquo국민rsquo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한다

② (가)에 의해 lsquo밤을 줍는 손rsquo에서 lsquo줍는rsquo은 [줌는]으로 읽는다

③ lsquo난로rsquo를 [날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이 규칙에 따른 결과이다

④ (나)의 [붙임]에 따라 lsquo앓는 소리rsquo에서 lsquo앓는rsquo은 [알는]으로 발음한다

⑤ lsquo물난리rsquo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규칙이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Odyssey]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보 기

보 기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4: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4 -

3 첨가1) lsquoㄴrsquo첨가 합성어와 파생어 앞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뒤에 붙는 말이 lsquoㅏ ㅑ ㅕ ㅛ ㅠrsquo로 시작될 때 그 사이에 lsquoㄴrsquo이 첨가 되어[니 냐 녀 뇨 뉴]로 발음되는 현상 rArr 솜이불rarr[솜니불] 내복약rarr[내봉냑] 한여름rarr[한녀름]

ㄹrsquo 받침 뒤에 첨가되는 lsquoㄴrsquo 음은 [ㄹ]로 발음rArr 솔-잎 rarr [솔닙rarr솔립] 들-일 rarr [들릴] 물-약 rarr [물략] 설-익다 rarr [설릭따] 서울역 rarr [서울력]

②lsquoㄷrsquo첨가 합성명사가 될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lsquoㄷrsquo음(표기상 lsquoㅅrsquo)이 첨가되어 뒤에 오는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하는 현상 rArr 나뭇가지 rarr [나묻까지] 콧등 rarr [코뜽콛뜽] 깃발 rarr [긷빨] 냇가 rarr [낻까]

4 축약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이 되는 것

1) 자음축약(거센소리되기) lsquoㄱㄷㅂㅈrsquo이 lsquoㅎrsquo을 만나서 거센소리[ㅋㅌㅍㅊ]로 변하는 현상 rArr 국화 rarr [구콰] 좋다 rarr [조타] 낳고 rarr [나코]

2) 모음축약 어간의 모음 lsquoㅗㅜㅣrsquo와 어미의 모음 lsquoㅏㅓrsquo가 결합하면 이중모음lsquoㅘㅝrsquo와 lsquoㅑㅕrsquo로 변하는 현상rArr 보+아 rarr [봐] 오+아서 rarr [와서] 두+었다 rarr [뒀다] 뜨+이다 rarr [띄다]

- 5 -

① 울림소리 + 안울림소리 = [된소리] rArr 밤 + 길 rarr [밤낄] 손 + 등 rarr [손뜽]

② 앞말이 모음 + 뒷말이 lsquoㅁ ㄴrsquo으로 시작 = [ ㄴ ] rArr 이 + 몸 rarr [인몸] 코 + 날 rarr [콘날]

③ 뒷말이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l [ㅑㅕㅛㅠ]rsquo로 시작 = [ ㄴ ] rArr 집 + 일 rarr [짐닐] 나무 + 잎 rarr [나문닙]

5 사잇소리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인 경우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경우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맷돌 모깃불 뱃길 아랫집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 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멧나물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lsquoㄴ 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일 깻잎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병 머릿방 뱃병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방 텃세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경우 983332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앞에서 lsquoㄴ ㄴrsquo 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③ 한자어와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단 예외 lsquo곳간(庫間)rsquo lsquo툇간(退間)rsquo lsquo 찻간(車間)rsquo lsquo숫자(數字)rsquo lsquo횟수(回數)rsquo lsquo셋방(貰房)rsquo이다

- 6 -

[음운론 연습문제]

1 (ㄱ)과 (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종로rarr[종노] 백마rarr[뱅마] 맏며느리rarr[만며느리]

(ㄴ) 신라rarr[실라] 선릉rarr[설릉] 칼날rarr[칼랄]

① lsquoㄹrsquo과 lsquoㄴrsquo이 만났을 때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뀐다

② 비음이 아닌 소리가 인접한 비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비음으로 변한다

③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로 줄어든다

④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안울림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

⑤ 음절의 끝자음과 뒤에 오는 자음이 만나 한쪽이 다른 한쪽을 닮아 가거나 비슷한 성질을 가진 자음으로 바뀐다

[Odyssey]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은 lsquo음운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밖[박] - 간[간] - 옷[옫]

- 물[물] - 몸[몸] - 잎[입]

- 징[징]

(ㄴ)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몫[목] - 앉고[안꼬] - 젊다[점따]

- 넓다[널따] - 읽지[익찌]

(ㄱ)과 (ㄴ)을 고려할 때 우리 국어에서는 음절의 끝에서 ( )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실제 발음된다

① ㄱ ㄴ ㄹ ㅁ ② ㄱ ㄴ ㄷ ㄹ ㅂ ㅇ

③ ㄱ ㄴ ㄹ ㅁ ㅂ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⑤ ㄱ ㄴ ㄷ ㄹ ㅁ ㅇ ㅍ

[Odyssey]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 7 -

3 lt보기gt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예가 올바르게 묶인 것은

(가) 끝소리가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인 형태소가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ㅣ[j]rsquo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이 구개음인 lsquoㅈrsquo lsquoㅊrsquo으로 바

뀐다

(나) 앞 음절의 예사소리 받침과 뒤 음절의 lsquoㄱ ㄷ ㅂ ㅅ ㅈrsquo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 lsquoㄲ ㄸ ㅃㅆ ㅉrsquo로 발음된다

(가) (나)

① 능력[능녁] 책상[책쌍]

② 맞는[만는] 같이[가치]

③ 해돋이[해도지] 책가방[책까방]

④ 붙이며[부치며] 잡히다[자피다]

⑤ 여덟[여덜] 목걸이[목꺼리]

[Odyssey]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lt보기gt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또는 서로 동화되

어 두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가) 받침 lsquoㄱ ㄷ ㅂrsquo은 lsquoㄴ ㅁrsquo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나) lsquoㄴrsquo은 lsquoㄹrsquo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붙임] 첫소리 lsquoㄴrsquo이 lsquoㅀrsquo lsquoㄾrsquo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 (가)에 의해 lsquo국민rsquo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한다

② (가)에 의해 lsquo밤을 줍는 손rsquo에서 lsquo줍는rsquo은 [줌는]으로 읽는다

③ lsquo난로rsquo를 [날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이 규칙에 따른 결과이다

④ (나)의 [붙임]에 따라 lsquo앓는 소리rsquo에서 lsquo앓는rsquo은 [알는]으로 발음한다

⑤ lsquo물난리rsquo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규칙이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Odyssey]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보 기

보 기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5: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5 -

① 울림소리 + 안울림소리 = [된소리] rArr 밤 + 길 rarr [밤낄] 손 + 등 rarr [손뜽]

② 앞말이 모음 + 뒷말이 lsquoㅁ ㄴrsquo으로 시작 = [ ㄴ ] rArr 이 + 몸 rarr [인몸] 코 + 날 rarr [콘날]

③ 뒷말이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l [ㅑㅕㅛㅠ]rsquo로 시작 = [ ㄴ ] rArr 집 + 일 rarr [짐닐] 나무 + 잎 rarr [나문닙]

5 사잇소리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어울려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의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인 경우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

사이시옷이 표기되는 경우

①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맷돌 모깃불 뱃길 아랫집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 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멧나물 아랫니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냇물 빗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lsquoㄴ 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일 깻잎 ②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983332 귓병 머릿방 뱃병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방 텃세 뒷말의 첫소리 lsquoㄴ ㅁrsquo앞에서 lsquoㄴrsquo소리가 덧나는 경우 983332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뒷말의 첫소리 모음앞에서 lsquoㄴ ㄴrsquo 소리가 덧나는 것 983332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③ 한자어와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단 예외 lsquo곳간(庫間)rsquo lsquo툇간(退間)rsquo lsquo 찻간(車間)rsquo lsquo숫자(數字)rsquo lsquo횟수(回數)rsquo lsquo셋방(貰房)rsquo이다

- 6 -

[음운론 연습문제]

1 (ㄱ)과 (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종로rarr[종노] 백마rarr[뱅마] 맏며느리rarr[만며느리]

(ㄴ) 신라rarr[실라] 선릉rarr[설릉] 칼날rarr[칼랄]

① lsquoㄹrsquo과 lsquoㄴrsquo이 만났을 때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뀐다

② 비음이 아닌 소리가 인접한 비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비음으로 변한다

③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로 줄어든다

④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안울림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

⑤ 음절의 끝자음과 뒤에 오는 자음이 만나 한쪽이 다른 한쪽을 닮아 가거나 비슷한 성질을 가진 자음으로 바뀐다

[Odyssey]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은 lsquo음운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밖[박] - 간[간] - 옷[옫]

- 물[물] - 몸[몸] - 잎[입]

- 징[징]

(ㄴ)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몫[목] - 앉고[안꼬] - 젊다[점따]

- 넓다[널따] - 읽지[익찌]

(ㄱ)과 (ㄴ)을 고려할 때 우리 국어에서는 음절의 끝에서 ( )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실제 발음된다

① ㄱ ㄴ ㄹ ㅁ ② ㄱ ㄴ ㄷ ㄹ ㅂ ㅇ

③ ㄱ ㄴ ㄹ ㅁ ㅂ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⑤ ㄱ ㄴ ㄷ ㄹ ㅁ ㅇ ㅍ

[Odyssey]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 7 -

3 lt보기gt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예가 올바르게 묶인 것은

(가) 끝소리가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인 형태소가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ㅣ[j]rsquo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이 구개음인 lsquoㅈrsquo lsquoㅊrsquo으로 바

뀐다

(나) 앞 음절의 예사소리 받침과 뒤 음절의 lsquoㄱ ㄷ ㅂ ㅅ ㅈrsquo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 lsquoㄲ ㄸ ㅃㅆ ㅉrsquo로 발음된다

(가) (나)

① 능력[능녁] 책상[책쌍]

② 맞는[만는] 같이[가치]

③ 해돋이[해도지] 책가방[책까방]

④ 붙이며[부치며] 잡히다[자피다]

⑤ 여덟[여덜] 목걸이[목꺼리]

[Odyssey]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lt보기gt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또는 서로 동화되

어 두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가) 받침 lsquoㄱ ㄷ ㅂrsquo은 lsquoㄴ ㅁrsquo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나) lsquoㄴrsquo은 lsquoㄹrsquo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붙임] 첫소리 lsquoㄴrsquo이 lsquoㅀrsquo lsquoㄾrsquo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 (가)에 의해 lsquo국민rsquo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한다

② (가)에 의해 lsquo밤을 줍는 손rsquo에서 lsquo줍는rsquo은 [줌는]으로 읽는다

③ lsquo난로rsquo를 [날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이 규칙에 따른 결과이다

④ (나)의 [붙임]에 따라 lsquo앓는 소리rsquo에서 lsquo앓는rsquo은 [알는]으로 발음한다

⑤ lsquo물난리rsquo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규칙이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Odyssey]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보 기

보 기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6: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6 -

[음운론 연습문제]

1 (ㄱ)과 (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종로rarr[종노] 백마rarr[뱅마] 맏며느리rarr[만며느리]

(ㄴ) 신라rarr[실라] 선릉rarr[설릉] 칼날rarr[칼랄]

① lsquoㄹrsquo과 lsquoㄴrsquo이 만났을 때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뀐다

② 비음이 아닌 소리가 인접한 비음의 영향을 받아 같은 비음으로 변한다

③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하나의 형태소로 줄어든다

④ 앞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뒤의 안울림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

⑤ 음절의 끝자음과 뒤에 오는 자음이 만나 한쪽이 다른 한쪽을 닮아 가거나 비슷한 성질을 가진 자음으로 바뀐다

[Odyssey]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다음은 lsquo음운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밖[박] - 간[간] - 옷[옫]

- 물[물] - 몸[몸] - 잎[입]

- 징[징]

(ㄴ) 다음 단어를 실제 발음해 보고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해 보자

- 몫[목] - 앉고[안꼬] - 젊다[점따]

- 넓다[널따] - 읽지[익찌]

(ㄱ)과 (ㄴ)을 고려할 때 우리 국어에서는 음절의 끝에서 ( ) 자음만이 음절의 끝소리로 실제 발음된다

① ㄱ ㄴ ㄹ ㅁ ② ㄱ ㄴ ㄷ ㄹ ㅂ ㅇ

③ ㄱ ㄴ ㄹ ㅁ ㅂ ㅅ ㅇ ④ ㄱ ㄴ ㄷ ㄹ ㅁ ㅂ ㅇ

⑤ ㄱ ㄴ ㄷ ㄹ ㅁ ㅇ ㅍ

[Odyssey]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 7 -

3 lt보기gt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예가 올바르게 묶인 것은

(가) 끝소리가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인 형태소가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ㅣ[j]rsquo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이 구개음인 lsquoㅈrsquo lsquoㅊrsquo으로 바

뀐다

(나) 앞 음절의 예사소리 받침과 뒤 음절의 lsquoㄱ ㄷ ㅂ ㅅ ㅈrsquo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 lsquoㄲ ㄸ ㅃㅆ ㅉrsquo로 발음된다

(가) (나)

① 능력[능녁] 책상[책쌍]

② 맞는[만는] 같이[가치]

③ 해돋이[해도지] 책가방[책까방]

④ 붙이며[부치며] 잡히다[자피다]

⑤ 여덟[여덜] 목걸이[목꺼리]

[Odyssey]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lt보기gt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또는 서로 동화되

어 두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가) 받침 lsquoㄱ ㄷ ㅂrsquo은 lsquoㄴ ㅁrsquo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나) lsquoㄴrsquo은 lsquoㄹrsquo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붙임] 첫소리 lsquoㄴrsquo이 lsquoㅀrsquo lsquoㄾrsquo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 (가)에 의해 lsquo국민rsquo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한다

② (가)에 의해 lsquo밤을 줍는 손rsquo에서 lsquo줍는rsquo은 [줌는]으로 읽는다

③ lsquo난로rsquo를 [날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이 규칙에 따른 결과이다

④ (나)의 [붙임]에 따라 lsquo앓는 소리rsquo에서 lsquo앓는rsquo은 [알는]으로 발음한다

⑤ lsquo물난리rsquo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규칙이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Odyssey]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보 기

보 기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7: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7 -

3 lt보기gt의 (가)와 (나)에 해당하는 예가 올바르게 묶인 것은

(가) 끝소리가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인 형태소가 모음 lsquoㅣrsquo나 반모음 lsquoㅣ[j]rsquo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lsquoㄷrsquo lsquoㅌrsquo이 구개음인 lsquoㅈrsquo lsquoㅊrsquo으로 바

뀐다

(나) 앞 음절의 예사소리 받침과 뒤 음절의 lsquoㄱ ㄷ ㅂ ㅅ ㅈrsquo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 lsquoㄲ ㄸ ㅃㅆ ㅉrsquo로 발음된다

(가) (나)

① 능력[능녁] 책상[책쌍]

② 맞는[만는] 같이[가치]

③ 해돋이[해도지] 책가방[책까방]

④ 붙이며[부치며] 잡히다[자피다]

⑤ 여덟[여덜] 목걸이[목꺼리]

[Odyssey]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lt보기gt에서 설명한 음운 현상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 또는 서로 동화되

어 두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가) 받침 lsquoㄱ ㄷ ㅂrsquo은 lsquoㄴ ㅁrsquo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나) lsquoㄴrsquo은 lsquoㄹrsquo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붙임] 첫소리 lsquoㄴrsquo이 lsquoㅀrsquo lsquoㄾrsquo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① (가)에 의해 lsquo국민rsquo이라는 단어는 [궁민]으로 발음한다

② (가)에 의해 lsquo밤을 줍는 손rsquo에서 lsquo줍는rsquo은 [줌는]으로 읽는다

③ lsquo난로rsquo를 [날로]로 발음하는 것은 (나)이 규칙에 따른 결과이다

④ (나)의 [붙임]에 따라 lsquo앓는 소리rsquo에서 lsquo앓는rsquo은 [알는]으로 발음한다

⑤ lsquo물난리rsquo가 [물랄리]로 발음되는 것은 (나)의 규칙이 두 번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Odyssey]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보 기

보 기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8: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8 -

5 lt보기gt를 참고할 때 lsquo음운 동화rsquo의 예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lsquo음운 동화rsquo란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그와 같거나 비슷하게 소리가 나는 음운 현상을 말하며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

화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bull 비음화 lsquoㄱ ㄷ ㅂrsquo이 비음 lsquoㄴ ㅁ ㅇrsquo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bull 유음화 lsquoㄹrsquo에 인접한 lsquoㄴrsquo이 lsquoㄹrsquo로 바뀌는 현상

bull 구개음화 lsquoㄷ ㅌrsquo이 lsquoㅣrsquo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날 때 lsquoㅈ ㅊrsquo으로 바뀌는 현상

① 같이 rarr [가치]

② 국민 rarr [궁민]

③ 논일 rarr [논닐]

④ 듣는 rarr [든는]

⑤ 칼날 rarr [칼랄]

[Odyssey]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보 기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9: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9 -

03 단어(1) 단어의 구조와 형성

-형성 ① 어근 단어의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② 접사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첨가하거나 제한하는 형태서-종류 ①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② 복합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 또는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 형태소 단어를 구성하는 말의 최소 의미단위(문법 의미도 포함) 983332 하늘(단어) 하늘(형태소 1개) 새파란(단어) 새 파랗 --ㄴ(형태소 3개) 보다(단어) 보--다(형태소2개)

실질 형태소형식 형태소 lsquo실질적인 의미 유무rsquo에 따라서 실질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가진 어휘 형태소 모든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와 형식 형태소(실질적 의미를 갖지 않고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태소 조사 용언의 어미 접사)로 나눔

자립 형태소의존 형태소 lsquo자립성의 유무rsquo에 따라 자립 형태소(홀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쓸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로 나눔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실질 형태소 새 하늘 날- 있- ∘자립 형태소 새 하늘∘형식 형태소 가 을 -고 -다 ∘의존 형태소 가 을 날- -고 있- -다

(2) 단어 뜻을 지니고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말의 단위 983332 새가 하늘을 날고 있다 ∘단어 새 가 하늘 을 날고 있다

조사 위의 예에서 lsquo하늘rsquo이나 lsquo새rsquo처럼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는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데 자립 형태소가 아니면서도 단어로 인정되는 의존 형태소가 있다 그것이 바로 lsquo조사rsquo 이다 즉 주격 조사 lsquo가rsquo나 목적격 조사 lsquo을rsquo은 의존 형태소이면서도 lsquo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된다rsquo는 성질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따라서 단어의 수를 셀 때에는 어절의 수에 조사의 수를 더하면 그것이 곧 단어의 수가 된다 위의 예에서 단어의 수를 세어 보면 어절이 넷이고 조사가 둘이므로 단어의 수는 여섯이다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0: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0 -

2 어근과 접사

(1) 어근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어근이 하나인 경우 983332 하늘 구름 먹다 집 먼저 어근이 둘인 경우 983332 김밥(김 + 밥) 돌아보다(돌다 + 보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일 수는 없고 다른 어근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하는 형태소 접두사 어근앞에 붙는 접사∘새-  색채를 나타내는 어근 앞에 붙어 lsquo매우 짙고 선명하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새파랗다 새하얗다 새까맣다∘날- lsquo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날것 날고기 날김치∘헛- lsquo이유 없는rsquo lsquo보람 없는rsquo 의 뜻을 더함 983332 헛걸음 헛고생 헛소문 접미사 어근 뒤에 붙는 접사∘-꾸러기 lsquo그것이 심하거나 많은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잠꾸러기 장난꾸러기 욕심꾸러기∘-답다 lsquo성질이나 특성이 있음rsquo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듦 983332 꽃답다 사람답다 남자답다∘-쟁이 lsquo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rsquo의 뜻을 더함 983332 겁쟁이 떼쟁이 고집쟁이

3 단일어와 복합어(1) 단일어 하나의 어근(실질형태소)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983332 고추 어머니 하늘 바람 푸르다 잡다 가끔(2) 복합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 어근과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산바람(산 + 바람) 힘들다(힘 + 들다) 늦더위(늦다 + 더위) 파생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983332 풋사과(풋- + 사과) 도둑질(도둑 + -질) 지우개(지우 + -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lsquo합성어rsquo는 다시 우리말의 일반적 어순과 일치하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와 일치하지 않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lsquo높푸르다rsquo의 경우 lsquo높다rsquo와 lsquo푸르다rsquo라는 두 어근의 결합이므로 합성어인데 lsquo높ㅡrsquo은 용언의 어간이므로 lsquo높고 높지 높으니 높아서rsquo 등등처럼 반드시 어미가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말 어법에 따르면 lsquo높고푸르다rsquo로 써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으므로 lsquo높푸르다rsquo는 lsquo비통사적 합성어rsquo라고 한다 반면 lsquo힘들다rsquo의 경우 lsquo힘rsquo과 lsquo들다rsquo의 결합인데 우리말에서 주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으므로 lsquo힘(이)들다rsquo는 lsquo통사적 합성어rsquo이다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1: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1 -

04 단어(2) 품사 단어의 의미 관계

1 품사(1) 체언 문장의 중심이면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말 명사 사람이나 사물 그리고 장소 등의 이름에 해당되는 말 983332 나무 바다 산 철수 이순신 명동 [참고] lsquo수rsquo lsquo대로rsquo lsquo만큼rsquo 등과 같이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아야 하는 lsquo의존 명사rsquo도 있다 대명사 사람 사물 장소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983332 나 너 그 누구 아무 이 그 저 수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말 983332 하나 둘 셋 첫째 둘째 셋째

(2) 수식언 꾸며주는 말 관형사 체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새 헌 그 저 부사 용언을 꾸며주는 말 983332 아주 많이 가장 안

(3) 관계언

조사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더해 주는 말 ∘격조사 앞의 체언에 문법적 자격을 부여함 983332 이가 을를 에서 ∘보조사 앞 체언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줌 983332 은는 도 만 까지 ∘접속조사 앞과 뒤의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줌 983332 와과 랑

[참고사항]

조사는 단어로 인정한다

기본적으로는 형태가 변하지 않지만 서술격조사 lsquo~이다rsquo는 형태가 변한다

주로 체언과 결합하지만 동사 형용사 부사 등과 결합하기도 한다

관형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4)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 형태가 다양하게 변하면서 사용된다 동사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어 983332 먹다 입다 가다 오다 형용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983332 따뜻하다 예쁘다 착하다 향기롭다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2: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2 -

2 어휘의 유형별 분류

분류(1)고유어 우리가 옛날부터 사용한 순수한 우리말로 정서 표현에 효과적임 983332 하늘 어머니 손사래(손을 펴서 휘젓는 일) 가멸다(살림이 넉넉하다) 예쁘다한자어 한자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우리말로 개념이나 전문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임 983332 설명(設明)하다 개선(改善)하다 사색(思索)하다외래어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우리말로 귀화한말 983332 빵(포르투칼어) 스파게티(이탈리아어) 송골매(몽고어)

분류(2)관용어 둘 이상의 구나 절이 갖는 의미의 특성에 따른 분류 983332 미역국을 먹다 (rarr 낙방하다) 비행기를 태우다(rarr 칭찬하다)속담 생활 속에서 굳어진 말로 관용어와 비슷하지만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교훈성이 강한 말 983332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rarr 항상 말조심을 해야 함)

분류(3)비속어 저속하게 하는 말 983332 대가리 자빠지다 개나발 유행어 비교적 짧은 시기에 사회에 널리 유행하는 말 983332 대박 에바 깜놀 레알은어 특정 집단에서 그 구성원끼리만 사용하는 말 983332 (청소년 집단) 담탱이 간지 뽀대전문용어 전문적인 집단에서 사용하는 말 983332 법정 용어나 의학 용어 등새말 새로 생겨나는 말 983332인터넷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3: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3 -

3 단어 간의 관계유형 (1) 유의관계 의미가 서로 같거나 비슷한 단어 간의 관계 동의어 의미 관계가 동일한 경우 문맥상 교체해도 차이가 없는데 그 수는 제한적임 983332 옥수수(표준어) 강냉이(방언) 이 치아(높임) 술 약주(높임) 죽다(금기어) 돌아가다(완곡어) 술(일반어) 곡차(특수어) 유의어 의미 관계가 유사한 경우 문맥상 교체하면 차이가 있음 983332틈 겨를 낯 얼굴 맑다  깨끗하다 개울 시내

(2) 대립관계 상호 공통 요소가 있는 바탕위에서 한 가지 속성이 다를 때 성립되는 단어 관계 반대 관계 중립 지역이 있으면서 의미가 반대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길다 짧다 쉽다 어렵다 덥다 춥다 모순 관계 중립 지역이 없으면서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남자 여자 죽다 살다 진실 거짓 방향상 대립관계 방향상 의미가 서로 대립하는 단어 간의 관계 983332 위아래 사다 팔다 가다 오다 입다 벗다

(3) 상하관계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관계 상위어 큰 개념의 단어 하위어 상위어에 포함되는 작은 개념의 단어 983332 꽃(상위어) 장미(하위어) 길(상위어) 고속도로(하위어)

(4) 부분과 전체의 관계 한 단어가 다른 단어의 부분이 되는 단어 관계 983332 손 손톱 발 발가락 차 바퀴

(5) 다의 관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지니고 있을 대의 의미 간의 관계 의미 확장이 생기면서 일어나는 단어 간의 관계임

기본 의미 단어의 중심이 되는 의미 주변 의미 단어의 주변적 의미

∘밥을 먹다 ( 기본의미 음식물을 입에 넣다)rArr 용례  연탄가스를 먹다 한번 마음을 먹고 해보자 내년이면 삼십을 먹는구나 rArr 의미 연기 따위를 들이마시다 어떤 마음이나 감정을 품다 세월이 흘러 나이를 더하다

(6) 동음이의(同音異義) 관계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두 단어 간의 관계 다의 관계는 동일한 한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동음이의 관계는 서로 다른 단어에서 일어나는 현상임 983332 다리(신체 일부) 다리(교각)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4: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4 -

성분 기능 형태

주성분

주어 서술어에 의해 표현되는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가 되는 문장 성분∙체언+주격조사 lsquo이가rsquo lsquo께서rsquo∙lsquo체언+은는rsquo lsquo만rsquo lsquo도rsquo와 같은 보조사

서술어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풀이해 주는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 ∙동사 형용사∙체언+서술격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가 표현하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체언+목적격 조사 lsquo을를rsquo 또는 보조사 lsquo은는rsquo lsquo만rsquo 등

보어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내용을 보충해 주는 문장 성분으로 lsquo되다rsquo lsquo아니다rsquo 앞에 나옴 ∙체언+보격조사 lsquo이가rsquo

부속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성분

∙관형사∙체언+관형격조사 lsquo의rsquo또는 관형격 조사 없이 체언 단독∙용언+관형사형 어미

부사어 용언(동사 형용사)이나 다른 부사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체언+부사격조사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 ∙감탄사 제시어 접속부사∙체언+호격조사

겹문장

이어진문장대등하게 이어진문장

∙lsquo-고rsquo lsquo-지만rsquo 등의 연결어미에서 의해 이어진다∙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대등하다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lsquo-아-어서rsquo lsquo-(으)면rsquo 등의 연결어미에 의해 이어진다∙앞 절이 뒤 절의 원인 조건 등이 된다예)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안은문장

명사절을 안은문장∙lsquo-(으)ㄴrsquo lsquo-기rsquo의 명사형 어미를 가진 명사절이 안김예) 나는 그녀가 오기를 기다린다 gt 목적어 역할사실만을 말하기가 쉽지 않다 gt 주어역할

관형절을 안은문장 ∙lsquo-(으)ㄴrsquo lsquo-는rsquo lsquo-(으)ㄹrsquo lsquo-던rsquo 의 관형사형 어미를 가진 관형절이 안김예) 이것은 내가 읽던 책이다

부사절을 안은문장 ∙lsquo-이rsquo lsquo-게rsquo 등의 부사형 어미를 가진 부사절이 안김예) 철수가 소리도 없이 내 뒤로 다가왔다

서술절을 안은문장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절이 안김예) 진이는 손이 매우 예쁘다

인용절을 안은문장∙lsquo라고rsquo lsquo고rsquo의 인용조사를 가진 인용절이 안김예) 아가씨는 ldquo난 저렇게 맑은 별은 봤어rdquo라고 말했다 gt 직접 인용절 그는 나에게 영화 보러 가자고 했다 gt 간접 인용절

05 문장(1) 문장 성분 문장 구조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종류(1) 홑문장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예) 흰 눈이 펑펑 내린다

(2) 겹문장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안은문장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고 있는 문장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5: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5 -

중의문 중의성 없애기 올바른 문장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 rarr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할 것

∙잘생긴 철수의 동생을 만났다∙철수의 잘생긴 동생을 만났다

나는 형수와 철희를 만났다 rarr 접속 조사를 바르게 사용할 것 ∙나와 형수는 함께 철희를 만났다∙나는 형수와 철희 두 사람을 만났다

석주는 나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 rarr 비교 대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것

∙석주는 나를 좋아하는 것보다 영화를 더 좋아한다∙석주는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영화를 좋아한다

친척들이 다 오지 않았다 rarr 부정의 범위를 명확하게 할 것

∙친척들이 다 온 것은 아니다 gt 일부만 온 경우∙친척들이 아무도 오지 않았다 gt 모두 오지 않은 경우

3 올바른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추기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필요한 문장 성분을 갖추어야 한다

|참고| 성분 생략이 가능한 경우∙앞뒤 문맥을 통해 의미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경우∙겹문장에서 앞문장과 뒷문장의 성분이 중복되는 경우 예)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기도 한다 gt 생략 기능 주어가 중복됨 ∙어제는 비와 바람이 많이 불었다 rarr 어제는 비가 내리고 바람이 많이 불었다 gt 생략 불가능 생략되는 경우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음

(2) 불필요한 성분 없애기

∙ 불필요한 표현이나 성분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예) 속담의 특징은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고 비유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gt lsquo~사용한다는 점이다rsquo 로 수정∙ 의미가 중복되는 경우 - 특히 고유어와 한자어의 중복 예) 바른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악을 뿌리 뽑아 근절해야 한다 gt lsquo~뿌리 뽑아야 한다rsquo 또는 lsquo근절해야 한다rsquo 로 수정

(3) 성분의 호응 문장 안에서 특정 문장 성분이 뒤에 오는 문장 성분을 제약하는 것 즉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관계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 너는 반드시 약속을 어겨서는 안 된다 rarr 너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gt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음 lsquo반드시rsquo라는 부사어는 lsquo~해야 한다rsquo 라는 당위적 의미의 서술어와 호응함

(4) 중의성 없애기

∙중의문 한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문장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6: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6 -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격식체

하십시오체 가십니다 가십니까 가십시오 (가시지요) -

하오체 가(시)오 가(시)오 가(시)오 가구려 갑시다 가는구려

하게체 가네 감세 가는가 가나 가게 가세 가는구먼

해라체 간다 가냐 가니 거(거)라 가렴 가려무나 가자 가는구나

비격식체해요체 가요 가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가(세셔)요

해체(반말)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가 가지

06 문장(2) 문법요소

1 높임 표현

(1) 상대 높임법 말 잘 듣는 상대 즉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높임법 문장의 종결어미에 의해 표현된다

상대 높임법의 종류

(2) 주체 높임법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서술어에 호응되는 주체가 화자보다 나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높을 때 사용한다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으)시rsquo를 사용 예) 선생님께서 오신다 rarr오+시+ㄴ+다∙높임의 주격조사 lsquo께서rsquo 높임의 접미사 lsquo-님rsquo을 사용 예) 할아버님께서 아버지를 만나셨다∙특수한 용언 lsquo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rsquo 등을 사용 예) 어머니께서는 안방에 계신다

|참고| 간접 높임법 주체와 관련된 대상(신체 소유물 등)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주체를 높이는 방식 예) 선생님께서는 손이 크시다 gt 선생님의 소유물인 lsquo손rsquo을 높임

∙압존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을 경우 주체를 높이지 않는 방법 예) 할아버지 아버지가 왔습니다 gt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인 할아버지보다 낮은 아버지를 높이지 않음

(3) 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부사격 조사 lsquo에게rsquo 대신 lsquo께rsquo 사용 예) 나는 선생님께 말씀 드렸다∙특수한 용언 lsquo여쭙다 모시다 뵙다 드리다rsquo 등을 사용 예)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갔다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7: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7 -

의지 부정 능력 부정

짧은 부정문부정부사 lsquo안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안 했다

부정부사 lsquo못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못 했다

긴 부정문 보조용언 lsquo-지 않다(아니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공부를 하지 않았다

보조용언 lsquo-지 못하다rsquo 사용 예) 나는 수학 공부를 하지 못했다

2 시간 표현 - 시제

화자가 말하는 시점인 발화시와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점인 사건시의 관계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 시제로 나뉜다 주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1) 과거 시제 lsquo-았--었-rsquo lsquo-았었--었었-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ㄴ 사용 예) 나는 어제 전시회를 보았다 눈 온 후에 하늘이 더 맑다

(2) 현재 시제 lsquo-는--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는rsquo lsquo-(으)ㄴ-rsquo 사용 예) 학생들이 야구를 한다

(3) 미래 시제 lsquo-겠-rsquo lsquo-(으)ㄹ 것이-rsquo 관형사형 어미 lsquo-(으)ㄹrsquo 사용 예) 제가 지금 하겠습니다 떠날 사람은 빨리 떠나라

3 피동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남의 행동을 입어서 행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능동 표현) 예)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gt 능동문 lsquo경찰rsquo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제 힘으로 함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gt 피동문 lsquo도둑rsquo이 lsquo경찰rsquo 이라는 다른 주체에 의해 lsquo잡다rsquo의 행위를 당함 잡+히+었+다 피동 접사 -이--히- -리- -기-

(2) 사동 표현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문장 표현(harr주동 표현) 예) 아이가 옷을 입었다 gt 주동문 lsquo아이rsquo가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직접 함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혔다 gt 사동문 lsquo어머니rsquo가 lsquo아이rsquo로 하여금 lsquo입다rsquo의 행위를 하도록 시킴 입+히+었+다 사동 접사 -이--히- -리- -기- -우- -구- -추-

|참고| 접미사에 의하지 않는 사동문 lsquo-게 하다rsquo lsquo-시키다rsquo를 사용한 사동문도 가능하다 접미사와 lsquo-게 하다rsquo가 모두 가능한 경우라도 의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 철수가 손을 들어 차를 정지시켰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4) 부정 표현

과거---------------gt 사건시 발화시현재-----------------gt 사건시=발화시미래---------------gt 발화시 사건시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8: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8 -

발화 지금 몇 시냐장소 (열차 대합실에서) (학교에서)상황 맥락 A (친구에게) 기차가 왜 이리 늦지 지금 몇 시냐 선생님  (지각한 학생에게) 지금 몇 시냐화자의 의도 친구에게 시간을 물음 지각한 학생을 질책함

(방분객에게 행한 발화) ldquo문이 열려 있습니다rdquo

①발화 ②효력 ③결과

문이 열려 있다 문을 닫으라는 부탁 혹은 명령 방문객이 문을 닫음

07 담화

1 담화

(1) 담화 화자와 청자를 포함하여 구체적인 문맥 속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나 발화의 연속체

(2) 담화 구성요소 화자 청자 언어(발화) 상황 맥락 등

화자 말하는 사람(A 선생님) 청자  듣는 사람(친구 학생) 발화 말(지금~) 상황 맥락 담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장면) - 위의 사례에서 보면 동일한 말(지금 몇 시냐)도 발화되는 시점의 lsquo상황 맥락rsquo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담화 행위 담화의 요소인 lsquo발화rsquo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는 것(①발화 ②발화의 효력 ③결과)

(4) 담화 행위(방화)의 방법

∙직접적인 발화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개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는 것으로서 의문 명령 청유 평서형 종결어미의 형태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간접적인 발화 화자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게 발화의 형태와 기능이 일치하지 않음

(5) 담화 행위(발화)의 종류 정보 전달 요청 축하 협박 선언 명령 칭찬 비난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19: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19 -

문종 종결어미 용례 화자의 의향

평서문 lsquo-다rsquo lsquo-네rsquo 밥을 먹고 있다 내용 전달의문문 lsquo-(느)냐rsquo lsquo-까rsquo 밥을 먹을까 대답을 요구명령문 lsquo-아라 -어라rsquo 밥을 먹어라 행동을 요구청유문 lsquo-자rsquo lsquo-합시다rsquo 밥을 먹자 함께 하자고 제안감탄문 lsquo-구나rsquo 밥을 먹었구나 화자의 느낌 표현

높임 표현 높임의 대상 높임의 방법 용례

주체 높임 문장의 주어 행위의 주체 조사 lsquo께서rsquo와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lsquo-시-rsquo를 사용함

할아버지께서 집을 방문하셨다(주체 할아버지)

객체 높임 목적어와 부사어 행위의 객체 lsquo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rsquo 등의 특수 어휘를 사용함

너는 어머니를 모시고 오너라(객체 어머니)

상대 높임 대화하는 상대 종결어미(격식체 하십시오-하오-하게-해라 비격식체 해요-해)를 사용함

정말 반가워요(해요체)정말 반가워(해체)

지시 대명사(말하는 사람이 기준점)

사용범위 용례

lsquo이rsquo 계열 화자에게 공간적 심리적 시간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이것 좀 봐라(청자보다 화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그rsquo 계열 청자에게 공간적 심리적으로 가까운 대상을 가리킴 그것이 뭐냐(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운 사물)

lsquo저rsquo 계열 화자나 청자 모두에게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킴 저것이 무엇인지 알겠니(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먼 것)

2 발화 상황에 따른 다양한 표현

(1) 종결 표현 화자는 자신의 의향을 청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종결 표현을 쓰는데 상황 맥락에 따라 종결 표현이 다른 기능을 할 때도 있다

(2) 높임 표현 상황 맥락과 관련된 표현의 하나로 화자와 청자를 높임 관계에 따라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즉 높임 표현이란 화자가 주체 객체 그리고 상대(청자)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발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1) 지시 대명사 lsquo이것그것저것 이리그리저리 여기거기저기rsquo 등으로 가리킴(사물이나 공간)을 대신하는 것

(2) 인칭 대명사 lsquo나rsquo lsquo저rsquo(1인칭)lsquo너rsquo lsquo당신rsquo(2인칭)lsquo그rsquo lsquo그녀rsquo(3인칭)

(3)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3인칭 표현을 자시 받는 상황에서 쓰이는 대명사 예) 철수는 언제나 자기 말만 한다(lsquo자기rsquo=재귀 대명사) ∙재귀 대명사 lsquo저rsquo는 형태가 동일한 1인칭 겸양 대명사 lsquo저rsquo와는 다름 예) 선배님 제가 그 일을 하겠습니다(1인칭 겸양)그 사람은 제가 훔치지 않았다고 말할걸(재귀 대명사) ∙3인칭 손윗사람을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 lsquo당신rsquo은 극존칭으로서 2인칭 대명사 lsquo당신rsquo과는 구별됨 예) 당신이 그 일을 했습니까(2인칭)어머니께서는 당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셨다(3인칭)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

Page 20: 01. 음운론 (1) : 국어의 음운체계d1anutt72n1dwl.cloudfront.net/course/1427188261.02_ksj_1.pdf · 저모음 ㅐ ㅏ 국어문법의 이해와 실제 01. 음운론 (1) : 국어의

- 20 -

1) 983228 ⑤ [EBS 수능완성 A형 152p 11번 문항 개념 원리 활용] (ㄱ)은 lsquoㄹrsquo lsquoㄱrsquo lsquoㄷrsquo이 각각 비음인 lsquoㅇrsquo lsquoㅁrsquo lsquoㅁrsquo을 만나서 같은 비음인 lsquoㄴrsquo lsquoㅇrsquo lsquoㄴrsquo으로 변하는 현상이고 (ㄴ)은 lsquoㄴrsquo이 인접한 lsquoㄹrsquo을 만나 같은 lsquoㄹrsquo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 두 경우를 모두 설명해 주는 것은 자음끼리 만나 서로 닮거나 같아진다는 lsquo자음 동화rsquo에 관한 ⑤이다 983259 ① lsquo유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ㄴ)에만 해당된다 ② lsquo비음화rsquo에 대한 설명으로 (ㄱ)에만 해당된다 ③ 두 형태소가 하나로 줄어드는 lsquo축약rsquo에 대한 설명이다 ④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는 lsquo사잇소리 현상rsquo에 대한 설명이다

2) 983228 ④ [예비평가 A형 11번 문제 유형 변형] 국어의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ㄱ)과 (ㄴ)의 발음 표기를 종합해보면 ④가 정답이다 983259 ① (ㄱ)의 lsquo옷[옫] 잎[입] 징[징]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ㄷ ㅂ ㅇrsquo이 빠져 있다 ② (ㄱ)의 lsquo몸[몸]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는 lsquoㅁrsquo이 빠져 있다 ③ (ㄱ)의 lsquo옷[옫]rsquo에서 받침 lsquoㅅrsquo은 lsquoㄷ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ㄷrsquo이 아닌 lsquoㅅ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⑤ (ㄱ)의 lsquo잎[입]rsquo에서 받침 lsquoㅍrsquo은 lsquoㅂrsquo으로 발음된다는 것 알 수 있는데 여기서 lsquoㅂrsquo이 아닌 lsquoㅍrsquo이 들어갔으므로 잘못된 구성이다

3) 983228 ③ [EBS 인터넷 수능 A형 110p 3번 문제 유형 활용] (가)는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설명이고 (나)는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③이다 983259 ① lsquo능력[능녁]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책상[책쌍]rsquo은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② lsquo맞는[만는]rsquo은 비음화 현상 lsquo같이[가치]rsquo는 구개음화 현상에 해당한다 ④ lsquo붙이며[부치며]rsquo는 구개음화 현상 lsquo잡히다[자피다]rsquo는 거센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⑤ lsquo여덟[여덜]rsquo은 자음 탈락 현상 lsquo목걸이[목꺼리]rsquo는 된소리되기 현상에 해당한다

4) 983228 ④ [음운의 변동] 자음 동화란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같은 소리나 성질이 비슷한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④의 lsquo앓는rsquo에서 lsquo앓rsquo의 끝소리는 대료음인 lsquoㄹrsquo로 발음되어 lsquo알rsquo로 되고 lsquo알+는rsquo에서 (나)의 조건인 ㄹ+ㄴ은 ㄹ+ㄹ로 소리나기 때문에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983259 ⑤의 lsquo물난리rsquo는 lt보기gt에서 제시된 (나)의 규칙을 적용하면 lsquo물+난리rsquo로서 먼저 lsquo난리rsquo가 [날리]로 발음되고 그리고 lsquo물rsquo과 결합되어 [물랄리]로 발음이 된다

음운_단어_문장_의미_담화

5) 983228 ③ [음운 동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례에 적용하기 미래엔Ⅰ 56쪽] lsquo논일 rarr [논닐]rsquo은 음운 동화가 아닌 lsquoㄴ-첨가rsquo 현상에 해당한다 983259 ①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② ④ 비음화에 해당한다 ⑤ 유음화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