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고령화와 정보격차: 정보격차의 결정 요인 분석 · 정보격차는...

105
고령화와 정보격 : 정보격차의 결정 요인 분석 2007. 12 김정언/노용환/최두진/정부연/김재경 연구보고 0710

Upload: others

Post on 27-Dec-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고령화와 정보격차: 정보격차의 결정 요인 분석

    2007. 12

    김정언/노용환/최두진/정부연/김재경

    연구보고 07-10

  • 서 언 1

    서 언

    정보통신기술은 관련 법규나 제도조차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른 속

    도로 발전해 왔습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촉진

    시켜 정보의 공유와 지식의 보편화를 가져왔고, 이는 시장효율화 측면에서 매우 긍

    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네트워크 재화나 서비스의

    이용에 무지한 사람들을 정보소외 계층으로 전락시켜 정보수단을 보유한 사람과 보

    유하지 못한 사람간의 ‘정보격차(Digital Divide)’를 야기한 것 역시 사실입니다.

    정보격차는 소득집단간, 지역간, 교육수준별, 국가별, 성별, 연령별 등 다양한 집

    단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국민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낮은 계층은 고령층, 저소득층, 농어민 등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농어민의 대다수

    가 고령층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정보격차가 가장 심한 부문은 고령층으로 요

    약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인터넷 문화의 급속한 확산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디지

    털 기기에 대해 이용 경험이 적었던 중장년층이 고령화되면서 이들이 정보격차의

    한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급격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따라 향후 필요한 정보의 습득여부와 실생활간의

    관계는 더욱 밀접해질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고령화 추세에 따라 생산 가능인구가

    감소하면서 고령층 인구의 경제활동 참여 요구는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러한 측면에서 고령층의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방안 마련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므로 디지털 경제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정보격차의 결정요

    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정보 격차의 주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고령층 정보격

    차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본 연구는 매우 의미있고 시의적절하다

    고 판단됩니다.

  • 2

    본 연구는 정보통신산업연구실 김정언 박사와 정부연 책임연구원, 김재경 연구원,

    서울여자대학교 노용환 교수,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최두진 박사에 의해 수행되었

    습니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보고서 전반에 대해 많은 자문을 주신 본 연구원의

    황주성 박사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끝으로 본 보고서가 고령층의 정보격차

    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방안 수립에 있어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007년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 장 석 호 익

  • 서 언 3

    목 차

    서 언 ····················································································································· 1

    요약문 ···················································································································· 9

    제 1 장 서 론 ····································································································· 15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 19

    제 1 절 고령화 현황 ························································································· 19

    제 2 절 국가별 정보격차 현황 ········································································· 22

    제 3 절 고령층의 정보격차 현황 ······································································ 26

    제 3 장 이론적 배경: 정보재화의 채택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4

    제 4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 44

    제 1 절 모형설정 ······························································································ 44

    제 2 절 실증 분석 결과 ···················································································· 49

    1. 자료의 구성 ································································································ 49

    2. 분석 결과 ···································································································· 52

    제 3 절 시사점 ·································································································· 59

    제 5 장 국내외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 정책 현황 ·········································· 62

    제 1 절 해외 현황 ····························································································· 62

    1. 북 미 ········································································································· 62

    2. 유 럽 ········································································································· 65

    3. 아시아 ········································································································· 73

    제 2 절 국내 현황 ····························································································· 78

  • 4

    제 6 장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방안 ············································ 86

    제 1 절 정보접근(Access) 격차 해소 방안 ························································ 87

    제 2 절 정보이용능력(Literacy) 격차 해소 방안 ··············································· 88

    제 3 절 정보활용(Productivity) 격차 해소 방안 ················································ 90

    제 7 장 연구 결론 ································································································ 94

    참고문헌 ··············································································································· 96

    부 록 ················································································································· 100

  • 서 언 5

    표 목 차

    인구 고령화 속도 국제 비교 ···························································· 22

    2007년도 디지털기회지수(DOI) 국가별 순위 ···································· 23

    정보화 관련 주요 지수 현황 ···························································· 25

    계층별 일반국민 대비 종합 정보화 수준 ········································· 27

    종합 격차지수 및 일반국민 대비 수준 ············································· 29

    우리나라 정보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기준 정보격차

    (2002~2006년) ················································································· 30

    저연령층 대비 장노년층 인터넷 이용률 ··········································· 30

    장노년층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률 ···················································· 31

    가구주 연령별 PC보유 및 인터넷 접속 현황 ··································· 32

    장노년층 정보격차 지수 및 일반국민 대비수준 ······························· 33

    정보취약계층의 컴퓨터․인터넷 채택 및 이용의 정보격차 비교 ···· 51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능력 유무의 결정요인 추정결과 ··················· 52

    Heckman의 보정기법을 이용한 항목별 컴퓨터 사용능력 결정요인

    추정결과 ···························································································· 54

    Heckman의 보정기법을 이용한 항목별 인터넷 사용능력 결정요인

    추정결과 ···························································································· 56

    컴퓨터 채택과 Heckman의 2단계 보정기법을 이용한 인터넷

    활용도 결정요인 추정결과 ································································ 57

    미국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률 현황 및 예측(2004~2008년) ············ 62

    캐나다의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2005년) ·········································· 64

    캐나다 고령층 정보화 기초교육 내용 ·············································· 65

  • 6

    영국의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 ··························································· 68

    웨일즈의 연령별 가구내 인터넷 접속 비율(2002~2006년) ·············· 68

    아일랜드의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2005~2006년) ··························· 70

    Age & Opportunity의 고령층 정보격차해소 활동 ····························· 71

    일본의 연령별 정보이용 격차 현황 ·················································· 74

    ICT 이용 촉진 방안 ·········································································· 75

    싱가포르의 연령별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률 현황(2006년) ············ 76

    제1차 및 제2차 정보격차해소종합계획상의 고령층 정보화정책 ······ 79

    정보격차해소 시행계획상의 고령층 정보화 정책 ····························· 80

    정보통신부 고령층 정보화교육 추진 현황 ······································· 81

    연도별 어르신IT봉사단 현황 및 계획 ·············································· 83

    연도별 고령층 정보화교육 현황 ······················································· 84

  • 7

    그 림 목 차

    [그림 2-1] 우리나라 인구구성비별 인구 비중 추이 ······································· 19

    [그림 2-2] 고령화 지수 추이 ·········································································· 20

    [그림 2-3]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에 따른 고령화 사회 진입 추세 ··········· 21

    [그림 3-1] 우리나라 주요 기술의 보급 확산 ·················································· 34

    [그림 3-2] 기술확산 속도와 연령간 정보격차 ················································ 36

    [그림 3-3] 기술에 대한 효용함수의 형태와 신기술 채택여부 ························ 39

    [그림 3-4] 네트워크효과 및 가격효과의 상대적 크기와 신기술에 대한

    수요 ······························································································· 42

    [그림 4-1] 컴퓨터․인터넷의 사용능력과 활용도 결정요인 추정모형 ··········· 48

    [그림 4-2] 1일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시간의 연령에 대한 분포 ··················· 50

  • 요약문 9

    요 약 문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정보통신기술은 그 발전의 패턴은 물론 관련 법규나 제도조차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변해 왔다. 이동통신, 컴퓨터, 소프트웨어, 인터넷이 대

    중화되면서 많은 지식을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여 손쉽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 졌

    으며, 개별 경제주체들이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와 지식의 교환을 매개

    로 하는 생산과 소비 활동이 경제의 핵심부문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경제 체제로의 전환이 정보의 공유와 지식의 보편화를 통한 시장효율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네트워

    크 재화나 서비스의 이용에 무지한 사람들을 정보소외 계층으로 전락시켜 정보수단

    을 보유한 사람과 보유하지 못한 사람간의 ‘정보격차(Digital Divide)’문제를 야기시

    켜 온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다. 정보격차는 소득집단별, 지역별, 교육수준별, 국가별,

    성별, 연령별 등 다양한 집단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국

    민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낮은 계층은 고령층, 저소득층, 농어민으로 나타나고 있다.

    농어민의 고령인구 비율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결국 정보격차가 가장 심한 부문

    은 고령층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인터넷 문화의 급속한 확산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

    로 디지털 기기에 대해 이용 경험이 적었던 중장년층이 고령화되면서 이들이 정보

    격차의 한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고령층은 정보화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상실하였거나 학습 속도가 느리다는 일반

    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고령자는 잔여 수명기간 동안 새로운 지식을 배

    움으로써 얻게 되는 편익의 현재가치가 학습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의 습득에 있어 인센티브가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급격한 디지털

  • 10

    경제로의 전환에 따라 향후 필요한 정보의 습득여부와 실생활간의 관계가 더욱 밀

    접해질 것이라는 점에서 고령층의 정보소외 현상은 사회문제화 소지를 내포하고 있

    다. 뿐만 아니라 고령화 추세에 따라 생산 가능인구가 감소하면서 고령층 인구의 경

    제활동 참여 요구는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령층의 정보격차

    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방안 마련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연구 목표

    본 연구는 디지털 경제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정보격차의 결정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정보 격차의 주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고령층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수

    행한 실증분석의 결과와 함께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고령화 관련 정보 격차 해소 정

    책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토대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도출하

    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3. 연구 내용 및 주요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과 의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유년층의

    인구는 감소하고, 고령층의 인구는 점차 증가하면서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2%로서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으며, 인구의 고령화 속도도 선진국에 비해 매우 빨라 2026넌에는 초고령 사

    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정보화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정보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

    별 정보화 수준은 UN을 비롯한 많은 기관에서 개발된 정보화 관련 지수를 기준으

    로 발표되고 있다. 정보화 관련 지수는 주로 정보화 인프라, 환경, 활용정도 등을 종

  • 요약문 11

    합, 평가한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각 기관에서 발표하는 정보화 지수별로 사용 목

    적 및 성격, 특징이 상이해 조사 대상국의 평가 순위가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덴마크, 스웨덴, 미국 등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고, 아시아 국가에서는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등의 정보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한 정보화와 IT산업 발전에도 불구하고 정보화 분야에서 소외된 정보 취약계

    층이 발생하면서 ‘정보격차’(digital divide)문제가 야기되었다. 정보격차는 소득집단

    별, 지역별, 교육수준별, 국가별, 성별, 연령별 등 다양한 집단 사이에 발생할 수 있

    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국민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낮은 계층은 장노년층, 저소

    득층, 농어민으로 나타났다. 농어민의 고령인구 비율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결국

    우리나라의 취약계층 중에서 정보격차가 가장 심한 부문은 장노년층이라 요약될 수

    있다. 점차 장노년층과 저연령층과의 정보격차가 완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격차 수

    준은 높은 상황이다. 장노년층내에서도 연령별, 직업별, 소득격차별로 정보 격차 수

    준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문화의 급속한 확산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이용이

    적었던 중장년층이 고령화되면서 이들이 정보격차의 주요 집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다른 요인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정보재화에 대한 수요는 이용자 수가 많아

    질수록 증가하는 정(+)의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s)와 잔존수명이 작을수록

    감소하는 부(-)의 ‘연령효과’(age effects)의 상대적 크기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우

    리나라의 2005년 3천명 표본 횡단면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속성을 통제한 상태에

    서 정보사회의 필수 인프라인 컴퓨터와 인터넷의 ‘채택’(adoption) 및 ‘이용’(usage)

    에 대한 연령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와 인터넷의 채택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중장년층에서는 감소

    하는 오목한 패턴을 보인다. 둘째, 컴퓨터와 인터넷을 채택한 개인의 이용능력 중

    컴퓨터 그래픽과 홈페이지 제작 등 일부 전문분야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이용능력

    측면에서도 채택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장노년층일수록 부(-)의 효과를 나타냈

    다. 셋째, 통제변수들 중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 및 인터넷의 채택비율

  • 12

    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제 컴퓨터와 인터넷을 채택한 개인의 동 기술에

    대한 이용은 실생활에 대한 도움과 이용시간을 기준으로 했을 때 교육수준에는 정

    (+)의 유의한 반응을 나타냈으나 소득에는 유의하지 않게 반응하거나 오히려 감소

    하는 항목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격차 완화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컴퓨터

    와 인터넷의 채택 및 이용을 분리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중장년

    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 정보기술의 채택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정책과 함께 고령층의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정보통신기술 관련 노인 콘

    텐츠의 개발 등으로 장노년층의 신기술 습득의 순편익을 크게 하는 인센티브 시스

    템을 개발해야 한다.

    이론적․실증적 분석과 더불어 국내외 고령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현황에

    대해 살펴본 결과 현재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은 우리나라 보다 고령화 진전 정도가

    앞서 있으며, 이에 따라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법 제도적인 시스템이 비교적 잘 갖추

    어져 있다. 그 결과 선진국 고령층의 컴퓨터나 인터넷 활용 정도도 아직까지는 우리

    나라보다 앞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고령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수의 정책 방안을 수립해 운영하면서 고령층의 정보 격차

    가 완화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고령층의 정보화와 세대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은 고령화에 따른 사

    회구조 변화, 정보격차에 따른 세대 간 사회․문화적 이질화 현상, 그리고 통방융합과

    유비쿼터스 기술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전개될 새로운 형태의 정보격차 현상 등에 대

    한 종합적 검토를 토대로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고령층은 소득수준, 학력, 거주지역

    등 여러 사회적 변인에 따라서 다양하게 세분화되며, 이들의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

    과 욕구가 상이하기 때문에 보다 세분화된 집단 분석과 욕구를 토대로 한 고객맞춤형

    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정부가 중심이 되는 일방적인 관주도의

    정책에서 벗어나 정부-기업-시민사회가 상호협력과 역할 분담을 통해 고령층의 정

    보화 정책을 추진할 때 그 효과가 배가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령층의 정보화 정책은

    이제 정보 접근보다는 정보이용 능력 배양과 고령층의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

  • 요약문 13

    을 주는 생산적 정보활용 중심으로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겨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격차 해소는 접근(Access)격차, 이용능력(Literacy)격차, 그리고 정

    보활용(Productivity)격차 해소라는 관점에서 때로는 순차적으로 때로는 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정보격차 해소의 3단계 분석틀에 입각해 각 영역별로 향후 추진

    되어야 할 고령층의 정보화 및 세대간 정보격차를 해소해야 할 것이다. 첫째, 정보

    접근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인터넷이 가능한 저가형 또는 중고 PC 보급 확

    대, 보편적 접근성 보장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 및 지원, 통방융합과 디지털 방송 전

    환에 따른 기기 보급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이용능력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은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노인 정보화 교육 확대, 맞춤형 정보화 교육 강화, 교육

    제공 방식의 다양성 확보,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IT전문교육 실

    시 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보활용 격차 해소와 관련해서는 고령층의 경제 활

    동 확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 및 정보제공, 복지 서비스 향상을 위한 IT활용 지원, 고

    령층의 학습 활동 증대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평생 교육 확대 등이 필요하다.

    4. 기대 효과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학술적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정

    보격차 분석에 있어서 기존에 알려진 네트워크 외부성과 같은 정보재의 고유한 특성

    외에 소비자의 잔존수명을 반영한 수요함수를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적

    인 해석의 여지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정보격차 결정요인의 실증분석에 있어 총량자

    료가 아닌 개인별 자료를 이용한다는 점과 정보격차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을 시도한

    다는 점에서 적어도 국내에서는 최초의 연구결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정책 수립 기여와 관련해서는 이론적, 실증적 분석과 더불어 국내외 정책

    현황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며,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있

    다. 특히, 고령층의 신기술 습득을 위한 인센티브 촉진에 초점을 둔 정보격차 해소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제 1 장 서 론 15

    제1 장 서 론

    정보통신기술은 그 발전의 패턴은 물론 관련 법규나 제도조차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변해왔다. 이동통신․컴퓨터․소프트웨어․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많은 지식을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여 손쉽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

    졌으며, 개별 경제주체들이 디지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와 지식의 교환을 매

    개로 하는 생산과 소비 활동이 경제의 핵심부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우리의 일상

    생활에 무선전화․인터넷․이메일 등 이른바 네트워크 재화 및 서비스의 이용비중

    이 급속히 확대된 것이 불과 최근 10여년 사이라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에 있어 2005년 현재 인구 100명당 25.2명 수준으로

    아이슬란드에 이어 세계 제2위를 보이고 있으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2007)이

    IT 관련 인프라의 보급, 기회제공, 활용정도 등 세 가지 요소를 종합 평가한 ‘디지털

    기회지수’(digital opportunity index) 측면에서는 2005~2007년 기간 중 3년 연속 세

    계 정보화 수준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는 경제적 가치의 창출로 이어

    져 우리나라 IT 산업의 대 GDP 비중이 2000년 9.5% 수준에서 2006년에는 16.2% 수

    준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해 왔다.1) 산업의 정보화와 함께 전자상거래도 활성화되어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7)이 집계한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2001년 119조

    원 수준에서 2006년에는 총거래의 21.2% 수준인 414조원 규모로 지속적인 확산 추

    세에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의 보급 확대는 금융정보화를 촉진시켜 한국은행(2007)이

    집계한 2006년 기준 우리나라 전국 17개 은행의 인터넷 뱅킹 및 텔레뱅킹을 통한

    업무처리 비중이 48%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경제체제로의 전환이 정보의 공유와 지식의 보편화를 통한 시장효

    율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쳐 온 것이 사실이나, 한편으로는 네트워크 재화

    1) 한국은행 2006년도 국민계정(잠정)(2007. 3) 기준.

  • 16

    나 서비스의 이용에 무지한 사람들을 정보소외 계층으로 전락시켜 정보수단을 보유

    한 사람과 보유하지 못한 사람간의 ‘정보격차’(digital divide) 문제를 야기 시켜 왔다.

    정보격차는 소득 집단별, 지역별, 교육 수준별, 국가별, 성별, 연령별 등 다양한 집단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층 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상태로서 향후 필요한 정보의 습득여부와 실생활간의 관계가 밀접해지면서 이들의

    정보소외 현상은 사회문제화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서이종(2007)은 사회변화와 기

    술변화로 인해 고령층은 현재의 정보격차에 이어 모바일 정보격차 등 새로운 정보

    격차가 중첩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고, 고령층의 정보격차가 빠른 고령화 경

    향으로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가능성이 커서 저소득 고령층을 중심으로 양극

    화가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그는 향후 고령층의 정

    보격차 문제는 ‘기본적 인권 보장’차원에서 그리고 정보복지 증진의 차원에서 추진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령자는 정보화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상실하였거나 학습 속도가 느리다는 일반

    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고령자는 잔여수명기간 동안 새로운 지식을 배움

    으로써 얻게 되는 편익의 현재가치가 학습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새

    로운 지식의 습득에 있어 젊은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센티브가 작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휴대전화와 같이 학습비용이 크지 않은 신기술에 대해서는 고령층의 접

    근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에 컴퓨터나 인터넷과 같은 정

    보통신기술의 채택 및 이용은 고령층이 사용하기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령간 정보격차는 정보화 부적응 계층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단절이라

    는 1차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빈곤층이 원하는 정보를 획

    득․가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 환경을 제약하므로 기회의 불평

    등으로 인한 빈부격차의 심화, 사회 양극화의 심화라는 또 다른 경제․사회적 문제

    를 야기한다. 특히 인터넷에 종속되어 가는 사회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등 디지털로

    부터 소외된 이들 계층의 경우 자기경력개발의 기회 상실, 타인과의 교류 단절, 유

  • 제 1 장 서 론 17

    리한 구매 기회의 상실 등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상실로 제한된 삶을

    살 수 밖에 없다.2)

    기존의 정보격차 혹은 정보기술 채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결과는 Dewan and

    Riggins(2005)의 서베이 논문에 나타난 1990년대 후반 이후 정보격차 결정요인과 관

    련된 많은 해외연구동향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주로 ‘총량자료’(aggregate data)를

    통해 정보격차의 일반적인 결정요인을 식별하거나, 이와는 인과관계를 반대로 하여

    정보격차가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 시도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써 Chinn and Fairlie(2004)는 경제․사회․인구․인프라 관련 변수를 이용하여 국

    가별 컴퓨터 및 인터넷 보급률 격차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는데, 소득격차를 국가

    간 정보격차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연구로 노용환․유경원

    (2006)은 국가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정보격차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

    하고 있는데, 연령․학력 등 요인에 의한 소득불평등의 증가가 정보격차를 심화시

    키고 이는 정보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제약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권남훈(2001)은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을 이미 채택한 이용자 1,000

    명을 대상으로 한 개인별 자료를 이용하여 접속빈도, 사용시간, 이용요인, 이메일 이

    용 등 측면에서 인터넷의 활용패턴을 실증 분석한 바 있는데, 소득이 낮을수록 인터

    넷의 이용강도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1차적 채택과 이용의 주체가 개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론 및 실

    증 양 관점에서 총량접근이 아닌 개인의 정보기술 채택 및 활용의 결정요인에 대한

    2) 예를 들어 우리는 현실에서 원하는 재화를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온라인을 통한 구매에 국한된다든가,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거래가 증권회사 직원을 통한 전화거래에 비해 거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라든가, 은행이 오프라인 고객보다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뱅킹 이용고객에게만 우대금

    리와 은행거래 이용수수료 절감 혜택을 주는 경우 등 정보격차 발생 사례들을 자주

    접하게 됨. 이러한 예에서 컴퓨터가 없거나, 인터넷을 다룰 줄 모르거나, 혹은 온라인 거래에서 요구하는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온라인을 통해 저렴하게

    재화를 구매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는 것임.

  • 18

    체계적인 분석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경제이론을 통해 정보격차의 결정요인

    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시도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정보격차를 위해 세대간 상호작

    용을 통한 학습유도를 제안한 김은정(2007)과 여성노인의 정보화에 관심을 둔 이소

    연․김인순(2004)등의 정책연구를 제외하면 고령화라는 단일 주제로 정보격차 문제

    를 심층 분석한 학문적 연구결과도 흔치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는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을 분석하고, 제3장에서는 정보재화3)의 확산

    과정에 대한 논의와 Shy(2001) 및 Shapiro and Varian(1999)류의 정보재화에 대한 수

    요특성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고령화에 따른 정보격차의 발생 원인에 대한 경제

    이론적 함의를 도출한다. 제4장에서는 우리나라 2005년 3천명 규모의 ‘개인별 횡단

    면 자료’(individual level data)를 이용하여 개인의 다양한 속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보사회의 필수 인프라인 컴퓨터와 인터넷의 채택 및 이용에 대한 연령효과를 실

    증적으로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국내외 고령층에 대한 정보 격차 해소 정책 현황

    에 대해 살펴본다. 제6장에서는 고령화가 정보격차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이고 또한

    고령화로 인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모색해 본

    다. 마지막으로 제7장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간략히 정리한다.

    3) Shapiro and Varian(1999)은 디지털화 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정보재화’(information goods)로 정의하는데,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정보재화가 책이나 영화와 같은 무형의 지식과 정보를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여 저장한 콘텐츠에 국한한 개념으로 이해

    되기 쉬움. 그러나 본고에서의 정보재화라는 용어는 정보의 디지털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컴퓨터․인터넷 등 유형의 재화까지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함.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19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제1 절 고령화 현황

    우리나라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과 의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유년층의

    인구는 감소하고, 노년층의 인구는 점차 증가하면서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되고 있다. 1983년 합계출산율4)이 인구대체수준 이하로 하락한 이래 지난 20여 년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었으며, 2005년에는 합계출산율이 1.08명에 불과한 초저출산

    사회로 진입하면서 유년층의 인구(0~14세)비중이 1980년 34%에서 2005년 19.2%

    로 급속히 감소하였다. 반면, 영양․건강 상태의 개선, 의료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평균

    [그림 2-1] 우리나라 인구구성비별 인구 비중 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인구구성비 15~64세(%)

    인구구성비 0~14세(%)

    인구구성비 65세(%)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2006. 11)

    4) 합계출산율은 가임여성(15~49세) 1명이 평생 출산하는 평균 자녀수로 우리나라는 1970년에 합계출산율이 4.53명이었으나 2005년에는 1.08명으로 격감하였음.

  • 20

    수명이 연장되면서 65세 이상 노년층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1980년 3.8%에

    서 2005년 9.1%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노년층 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데 유년층 인구 대비 노년층 인구 비율을 통해 산출되는 고령화 지수

    를 토대로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 정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령화 지수는

    1960년 6.9%에서 1980년 11.2%로 20년간 약 2배 정도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그 후

    20년 후인 2000년에는 34.3%로 약 3배 정도의 증가율을 보였고, 향후 20년 후인

    2020년에는 125.9%로 약 4배 정도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노년층의 인구가 유년층의

    인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림 2-2] 고령화 지수 추이

    429.3

    314.8

    213.8

    125.9

    67.734.320.011.27.26.9

    0

    50

    100150

    200

    250

    300

    350400

    450

    500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주: 고령화지수=(65세 이상인구)/(0~14세 인구)*100자료: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2006. 11)

    앞서 제시된 통계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5) 진입 추세를 살펴보면

    5) UN은 연령구조에 따라 한 국가의 인구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는데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 이상인 국가를 유년 인구국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21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2%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

    으며, 2018년에는 14.3%가 되어 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며, 2026년에 이르면 20.8%

    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림 2-3]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에 따른 고령화 사회 진입 추세

    0

    5

    10

    15

    20

    25

    30

    35

    40

    45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2030 2040 2050

    1960년 2.9%

    2000년 7.2%

    2018년 14.3%

    2026년 20.8%

    2050년 38.2%

    초고령사회 진입

    고령사회 진입

    고령화 사회 진입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2006. 11)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속도는 세계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고령화 사회에

    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속도가 18년, 고령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속도

    는 8년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급속한 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저축․투자․소비의 위축을

    유발하여 종국에는 경제 활력 저하와 국가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국가 전략적 관점에서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중장기 정책을

    (young population), 4~7%인 국가를 성년 인구국(mature population), 7% 이상인 국가를 노년 인구국(aged population)라 함. 또한 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의 비율이 7%이상이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Aged Society), 20%이면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로 지칭함

  • 22

    마련하여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출산 장려 정책과

    더불어 노년층 인구의 경제 활동 참여를 증대할 수 있는 정책을 함께 고려하여 향후

    초고령 사회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인구 고령화 속도 국제 비교

    구 분도달년도 증가소요년수

    7%(고령화) 14%(고령) 20%(초고령) 7%→ 14% 14%→ 20%일본 1970 1994 2006 24 12

    프랑스 1864 1979 2018 115 39영국 1929 1976 2026 47 50미국 1942 2015 2036 73 21한국 2000 2018 2026 18 8

    주: 65세 이상 인구 기준자료: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06. 11)

    제2 절 국가별 정보격차 현황

    국가의 정보화 수준을 파악하는 지수는 다수가 존재하고 있다. 각 지수들은 작성

    기관들이 조사 대상국을 정해놓고 그 국가들의 정보화 인프라, 환경, 활용정도 등을

    평가해 국가별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개별 지수는 사용 목적 및 성격, 특징이 상이

    해 조사 대상국의 평가 순위가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덴마크, 스웨덴, 미국 등

    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고, 아시아 국가에서는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등의 정보

    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정보화관련 지수를 통해 우리나라의 정

    보화 수준을 좀 더 상세히 평가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장 대표적인 정보화 지수인 디지털기회지수(DOI)는 지난 2005년 11월에 개최되

    었던 세계정보사회 정상회의(WSIS)에서 최초로 발표되었으며, 이 회의에서 정보격

    차를 해소하는 자료로써 공식 인정되었다. 그리고 디지털기회지수(DOI)의 개발에는

    UN 정보통신분야 전문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뿐만 아니라 UN 무역개발회의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23

    (UNCTAD), LBS(London Business School)등도 참가하여 국제적으로 공신력이 높다.

    DOI는 바람직한 정보사회나 개도국의 IT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인프라, 기회,

    활용의 3가지 요소, 11개 지표로 구성하여 측정하고 있다.6) 2007년도 디지털기회지수

    (DOI; Digital Opportunity Index)는 세계 181개국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우리나라는

    2007년도 디지털기회지수(DOI) 국가별 순위

    Rank 국가 인프라 기회 활용 DOI1 한국 0.74 0.99 0.67 0.80 2 일본 0.73 0.99 0.58 0.77 3 덴마크 0.84 0.99 0.43 0.76 4 아이슬란드 0.73 0.99 0.49 0.74 5 싱가포르 0.71 1.00 0.45 0.72 6 네덜란드 0.72 1.00 0.41 0.71 7 대만 0.75 0.99 0.38 0.71 8 홍콩 0.71 1.00 0.40 0.70 9 스웨덴 0.72 0.99 0.38 0.70 10 영국 0.70 0.99 0.39 0.69 11 핀란드 0.65 0.99 0.44 0.69 12 노르웨이 0.66 1.00 0.41 0.69 13 룩셈부르크 0.69 0.99 0.39 0.69 14 이스라엘 0.60 0.98 0.48 0.69 15 마카오 0.69 1.00 0.37 0.69 16 스위스 0.66 0.99 0.40 0.69 17 캐나다 0.57 0.98 0.48 0.67 18 오스트리아 0.59 0.99 0.41 0.67 19 독일 0.66 0.99 0.34 0.66 20 미국 0.59 0.98 0.41 0.66

    자료: ITU(2007. 5)

    6) DOI는 인프라, 기회, 활용의 3가지 요소별 지표 구성-인프라 보급(5개 지표): 100명당 이동전화 가입자 수, 유선전화 가입 가구 비율,

    인터넷 이용 가구 비율, 100명당 무선 인터넷 가입자 수, PC 보유 가구 비율

  • 24

    3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해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이 세계 최고임을 국제적으로 인정받

    고 있다. 그 외 일본이 2위, 싱가포르 5위, 대만 7위, 홍콩 8위로 아시아 주요국의 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덴마크 3위, 아이슬란드 4위, 네덜란드 6위, 스웨덴 9위, 영국 10위 등 유

    럽국도 높게 나타났으나 미국은 20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정보화 수준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디지털 기회지수와 비슷하게 국가별 정보화 수준을 평가하는 지수가

    존재하는데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은 국가정보화 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3년부터 국가정보화지수를 작성하고 있다. 국가정보화지

    수는 1993년 한․일 양국간 비교를 시작으로 1999년부터는 현재와 같이 비교 대상

    국가들의 지역, 경제력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세계 주요 50개국을 대상으로 한 지수로

    확대되었다. 2007 국가정보화지수의 통계자료 수집, 지표 구성과 산출방식을 살펴

    보면 지수 산출을 위한 통계자료는 자료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전기통신연

    합(ITU)의 국제정보화지표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통계를 이용하였다. 지수 산출을

    위한 개별지표는 정보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국가 간 비교가 용이한 컴퓨터,

    인터넷, 통신, 방송 등 객관적인 항목으로 구성7)했다. 국가별 정보화 수준을 살펴보

    면 스웨덴은 2004년 이후 4년 연속 1위, 미국은 2005년 이후 3년 연속 2위이며, 우리

    나라는 2005년 이후 3년 연속 3위로 평가되었다.

    네트워크 준비지수는 제네바에 본부를 둔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이 국제적인 MBA스쿨인 인세아드(INSEAD)와 공동으로 개인, 정부, 기업의

    정보통신기술(ICT) 발전도와 경쟁력을 국가별로 평가한 측정치이다. 이 지수는 각

    국의 개인, 기업, 정부의 정보통신 환경과 활용도를 측정해 발전정도를 평가해 이뤄

    -기회(3개 지표): 소득대비 이동전화 이용요금 비율, 이동전화 서비스지역 인구비율, 소득대비 인터넷 이용요금 비율

    -활용(3개 지표): 100명당 인터넷 이용자수, 유선인터넷 가입자 중 브로드밴드 비율, 무선인터넷 가입자 중 브로드밴드 비율

    7) 2007 국가정보화지수의 지표별 가중치는 컴퓨터(PC보유(14.8%)), 인터넷(인터넷 이용자(14.8%), 초고속인터넷 가입가구(14.7%)), 통신(유선전화 회선(14.7%), 이동전화 가입자(12.2%), 무선초고속인터넷 가입자(8.6%)), 방송(TV 보유가구(9.5%), CATV 가입자수(12.2%) 임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25

    진다. 2002년 말부터 매년 말 또는 다음해 초에 발표해 글로벌 인포메이션 테크놀러

    지 리포트에 수록한다. 환경, 준비도, 활용 등 전체 3개 부문별로 각각 3개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총 70여개 지표로 구성됐다. 2007년 순위는 덴마크 1위, 스웨덴 2위

    로 유럽국이 선두권을 유지했으며, 작년 1위였던 미국은 월등한 기술혁신 역량 및 효율

    적인 시장 환경 등에도 불구하고 정치 및 규제 등의 환경이 악화되면서 7위로 하락했

    다. 아시아 국가만을 보면, 싱가포르가 3위를 기록했으며, 홍콩(12위), 대만(13위), 일본

    (14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지난해 14위에서 19위로 하락했다.

    정보화 관련 주요 지수 현황

    지수명 목적/성격 지수 특징 주요국의 순위

    ITU의 디지털

    기회지수(DOI)

    인프라 보급,기회제공, 활용정도 등

    3가지 요소를 종합 분석하여 정보통신 발전 정도를 평가

    -WSIS에서 채택한 공식 지표- OECD, UNCTAD 등 11개 국제

    기구가 합의한 검증가능한 지표 사용

    -약 180여 개국 대상

    2007. 5. 16한국 1위일본 2위덴마크 3위아이슬란드 4위싱가포르 5위미국 20위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의 국가정보화

    지수

    국가별 정보화수준 측정

    -국내기관에서 작성 발표하는 국제지수

    - ITU 작성 통계자료 이용- 50개국만을 대상- 4개 부문 7개 지표 사용-정보화 인프라 관련 지표만 사

    용하므로 한계

    2007. 7스웨덴 1위미국 2위한국 3위스위스 4위네덜란드 5위일본 11위

    WEF의 네트워크 준비지수

    국가별 개인, 기업, 정부의 IT의 환경

    준비도, 활용도 측정

    -평가는 1) 시장여건, 규제 등 IT를 위한 제반 환경, 2) IT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준비도 3) 최신 IT 기술의 활용도

    -통계자료(정량)와 설문조사(정성) 결과로 평가

    2007. 3. 28덴마크 1위스웨덴 2위싱가포르 3위미국 7위일본 14위한국 19위

    EIU의 e-비즈니스

    준비도e-비즈니스 환경 측정

    -전자상거래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국가정보화 수준 평가에는 한계

    -주관적인 설문자료 이용

    2007. 4. 27덴마크 1위미국 2위스웨덴 3위한국 16위일본 18위

  • 26

    e-비즈니스 준비도는 영국의 시사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 계열사로서 국가별 경

    제 전반에 대한 중장기 분석에 정평이 있는 경제 전문 조사기관인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가 세계 60개국을 상대로 분기별 정치, 사회 환경 변화를 감안한 경

    제 환경을 분석해 제시한 지수이다. 특히 10개 분야, 70개 항목을 토대로 한 기업 환

    경지수는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독보적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2007년 국가별 순위

    는 덴마크와 미국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위와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아시아 국

    가 중에서는 홍콩 4위, 싱가포르 6위로 상위권에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해 보다 2

    계단 상승한 16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요 정보화관련 지수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은 인프

    라 측면에서는 매우 높은 점수를 얻고 있으나 기업의 e-비즈니스 환경에 있어서는

    다소 낮은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 절 고령층의 정보격차 현황

    고령화의 진전과 함께 부각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새로운 변화 트렌드는 바로 정

    보화이다. 우리나라의 정보화는 1995년 ‘정보화촉진기본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

    로 추진되었고, 이를 토대로 1996년 ‘제1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 1999년 ‘Cyber

    Korea 21’, 2006년 ‘e-KOREA VISION 2006’ 등을 수립․집행하여 국가사회정보화

    수준을 제고하였다. 이와 같은 정책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

    통신기술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

    다. 행정서비스는 전자정부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금융업무와 경제활

    동도 전자상거래, 온라인뱅킹, 온라인 트레이딩 등에 점점 더 많이 의존하고 있다.

    이외에도 교육, 의료, 복지, 여가활동 등 사회생활 전반에 정보통신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급속한 정보화와 IT산업 발전하에서 정보화 분야에서 소외된 정보취약

    계층이 발생하면서 ‘정보격차’(digital divide) 문제가 야기되었다. 정보격차는 소득집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27

    단별, 지역별, 교육수준별, 국가별, 성별, 연령별 등 다양한 집단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7)의 최근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국민 대비 계층

    별 종합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 대비 계층별 종합 정보화 수준을 분

    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계층별 일반국민 대비 종합 정보화 수준(단위: %)

    구 분 일반국민 대비 수준 일반국민 대비 계층별 수준

    일반국민 100 -

    성별남성 107.5 7.5↑여성 92.6 7.4↓

    연령별

    19세 이하 127.0 27.0↑20대 128.9 28.9↑30대 117.0 17.0↑40대 96.6 3.4↓

    50대 이상 58.4 41.6↓

    직업별

    농어민 49.8 50.2↓서비스/판매직 97.0 3.0↓

    생산직 78.4 21.6↓전문/사무직 128.5 28.5↑

    주부 77.4 22.6↓학생 128.5 28.5↑

    무직/기타 59.8 40.2↓

    월가구

    소득별

    기초생활수급층 73.0 27.0↓200~299만원 104.1 4.1↑300~399만원 113.4 13.4↑400만원 이상 119.3 19.3↑

    지역

    규모별

    도시지역 101.6 1.6↑군지역 85.2 14.8↓

    주: 일반국민의 종합 정보화수준을 100으로 할 때 계층별 종합 정보화수준을 의미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첫째, 성별 정보화 수준은 남성이 일반국민에 비해 7.5%p높게 나타났고, 여성은

  • 28

    일반국민에 비해 7.4%p낮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정보 격차가 다소 존재하고 있다.

    둘째, 연령별 정보화 수준은 10대~30대까지 일반국민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40대는 일반국민에 비해 정보화 수준은 다소 낮지만 큰 차이가 없었

    다. 그러나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에 비해 41.6%p낮게 나타

    나 정보 격차가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직업별 정보화 수준은 학생과 전

    문/사무직이 일반국민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28.5%p높게 나타났으나 생산직과 주부

    의 정보화 수준이 20%p이상 낮게 나타났다. 특히 농어민의 정보화 수준이 일반국민

    에 비해 50.2%p낮게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가 도출된 원인은 농어민층의 직업

    적 특성에 의해 정보화 활용도가 낮고, 계층내 심각한 고령화 현상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소득별 정보화 수준은 소득이 높을수록 정보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보선도계층인 월가구소득 400만 원 이상 고소득층의 종합 정보화 수

    준은 일반국민에 비해 19.3%p높게 나타났으나 기초수급 대상자는 일반국민에 비해

    27%p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이 군지역 이하의 지역보다 정보

    화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계층에 비해 정보화 격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일반 국민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낮은 계층은 장노년

    층, 저소득층, 농어민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화 취약계층의 종합 격차지수8)를 연도별로 살펴본 결과 ’04년 59.1점,

    ’05년 50.7점에서 ’06년 41.6점으로 점차 격차가 감소하고 있다. 일반국민의 종합적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평균 정보화 수준이 ’05년

    53.3%에서 ’06년 62.0%로 전년 대비 8.7%상승했다. 취약계층별 전년 대비 종합 격

    차지수 감소폭은 장노년층(9.1점↓), 저소득층(8.8점↓), 장애인(8.7점↓), 농어민

    (8.1점↓)등의 순으로 나타나, 일반국민 대비 장노년층의 종합 정보화 수준이 전년

    에 비해 가장 크게 상승했다.

    8) 접근․역량․활용 부문별 정보격차 수준의 종합 측정 요약치인 종합 격차지수의 평균점을 기준으로 함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29

    종합 격차지수 및 일반국민 대비 수준

    구 분

    2004년 2005년 2006년 전년대비 격차지수

    감소폭(점)격차

    지수(점)대비

    수준(%)격차

    지수(점)대비

    수준(%)격차

    지수(점)대비

    수준(%)

    저소득층 44.4 55.6 35.8 64.2 27.0 73.0 8.8↓농어민 66.2 33.8 58.3 41.7 50.2 49.8 8.1↓

    장노년층 59.1 40.9 50.7 49.3 41.6 58.4 9.1↓평균 55.0 45.0 46.7 53.3 38.0 62.0 8.7↓

    주: 격차지수=일반국민 정보화수준(100으로 가정)-일반국민(100) 대비 취약계층 정보화수준 대비수준은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을 의미

    평균은 취약계층별 규모를 고려한 가중 평균임

    저소득층은 기초생활수급층, 장노년층은 50대 이상 연령층 기준임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

    이처럼 취약 계층의 정보 격차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일반 국민과 비교하면 여

    전히 낮은 수준이다. 가장 대표적인 정보화 지수인 인터넷 이용률을 살펴보더라도

    우리나라의 농어민․저소득층․장애인․장노년층 등 사회취약계층과 일반계층과

    의 정보격차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나

    고 있다. 특히 전반적인 인터넷 이용률의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농어민과 장노년

    층의 전체 국민 평균대비 정보격차 수준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어민의 고령인구 비율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결국 우리나라의 취약계층 중에

    서 정보격차가 가장 심한 부문은 장노년층으로 요약된다 하겠다. 인터넷 문화의 급

    속한 확산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디지털 기기에 대해 이용 경험이 적었던 중․

    장년층이 고령화되면서 이들이 디지털 정보기술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정보소외

    현상’(digital exclusion)이 상대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있는 것이다.9) 다음에서는 우리

    9) 본 고의 주된 분석은 정보기술 수요측면에서의 소외현상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Meijers(2005)의 연구에 의하면 공급측면에 있어서도 e-비즈니스의 채택․확산으로 기업간 가격경쟁이 심화되면서 또 다른 형태의 디지털 소외현상이 발생하여 시장

  • 30

    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 현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정보취약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기준 정보격차(2002~2006년)단위: 이용률(%), 격차(% 포인트)

    구분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이용률 격차 이용률 격차 이용률 격차 이용률 격차 이용률 격차

    전체국민 59.4 - 65.5 - 70.2 - 72.8 - 74.8 -

    장노년층 9.3 50.1 13.0 52.5 19.3 50.9 22.5 50.3 28.3 46.5농어민 11.9 47.5 16.2 49.3 16.9 53.3 23.0 49.8 29.4 45.4

    저소득층 22.9 36.5 31.7 33.8 38.4 31.8 44.2 28.6 48.4 26.4장애인 22.4 37.0 27.6 37.9 34.8 35.4 41.0 31.8 46.6 28.2

    주: 격차는 전체국민과 각 취약계층간의 인터넷 이용률의 차이를 의미함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의 「장노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50대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전년 대비 5.8%p 증가한 28.3%로 나타났으나, 이는 인터넷

    이용률에서 가장 높은 10대 이하 저연령층의 인터넷 이용률인 98.5%보다 70.2%p

    낮은 수준이다.

    저연령층 대비 장노년층 인터넷 이용률

    구분인터넷 이용률(%)

    ’03년도 ’04년도 ’05년도 ’06년도저연령층 94.8 96.2 97.8 98.5장노년층 13.0 19.3 22.5 28.3격차(%p) 81.8 76.9 75.3 70.2

    주: 전체 국민은 NIDA의 하반기 정보화 실태조사(’03~’06년) 기준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

    장노년층 중에서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인터넷 이용률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에서 생산자 수의 감소가 발생한다고 봄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31

    정부의 노인 정보화 지원사업 대상 연령층인 55세 이상 연령층의 인터넷 이용률은

    18.2%이며, 법정 노인 연령층인 65세 이상 연령층의 인터넷 이용률은 10.5%로 50세

    이상 인터넷 이용률 평균(28.3%)의 1/3 수준으로 나타났다.

    장노년층 연령대별 인터넷 이용률(단위: %)

    구분 50세 이상 55세 이상 60세 이상 65세 이상

    인터넷 이용률 28.3 18.2 12.5 0.5

    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

    또한 고령층 내 저학력, 저소득, 비사무직 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장노년층간의 직업별 격차를 살펴 보면 전문관리직․사무직의 인터넷

    이용률은 90.2%에 달하여 오히려 전체국민 평균(74.8%)을 상회하는 수준이나 생산

    관리직의 경우 19.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별 격차도 커 대졸이상

    장노년층의 인터넷 이용률은 77.7%에 달하나 고졸과 중졸이하의 경우 그 비율이 각

    각 44.9%와 11.3%로 크게 낮았다. 고령층 내 소득별 정보화 수준도 크게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가구소득 200만원 이상 중장년층의 인터넷 가입률이

    46.4%인데 반해, 가구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중장년층의 인터넷 가입률은 6.9%에

    불과하였다. 장노년층의 정보화 수준은 소폭이나마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일반 국민 평균에 비해 낮은 상황이며, 특히 고령층 내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또한 2006년 말 현재 가구주의 연령을 기준으로 PC 보유 및 인터넷 접속 현황을

    보면 에서 보듯이 50대 이상의 가구주의 PC 보유율과 인터넷 접속률은

    40대 이하 가구주에 비해 절반 정도 수준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 32

    가구주 연령별 PC보유 및 인터넷 접속 현황

    가구주 연령 PC 보유율(%) 인터넷 접속률(%)20대 94.6 93.730대 96.5 96.040대 94.3 93.8

    50대 이상 56.9 54.8전체 79.6 78.4

    자료: 2006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 정보통신부․한국인터넷진흥원

    그러나 장노년층의 정보화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본 결과 일반국민과 장노년

    층간 정보격차가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접근․역량․활용측면에서 장노년층과 일반국민과의 정보격차를 분석한 결과 정보

    격차 지수가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역량․활용 부문별 정보격

    차 수준의 종합 측정 요약치인 종합 격차지수의 평균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장노년

    층의 종합 격차지수는 ’05년 50.7점에서 ’06년 41.6점으로 전년 대비 9.1점 감소하였

    다. 부문별 전년 대비 격차지수 감소폭은 질적 활용 부문(9.8점↓), 접근 부문(9.4점

    ↓), 역량 부문(9.1점↓), 양적 활용 부문(8.1점↓) 등의 순으로 나타나 질적 활용 부

    문에서 일반국민 대비 장노년층의 정보화 수준이 가장 크게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접근․역량․활용 부문을 포괄하는 종합 정보화 수준(종합지수)을 기준으로

    했을 때, 장노년층내 구성원들간 정보불평등도를 의미하는 정보불평등 계수와 장노

    년층내의 정보화 수준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 격차를 의미하는 종합지수 분배율이

    모두 감소 추세로 나타나 장노년층내 정보격차가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10)

    10)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접근․역량․활용 부문의 정보화 수준을 포괄하여 나타내는 종합지수

    1)를 기준으로 정보불평등 계수(Digital Gini Ratio)와 종합지수 분배율

    을 산출하여 장노년층내 정보격차 현황을 분석 정보불평등 계수는 경제학에서 사

    용하는 소득불평등도 측정 지표인 지니계수(Gini ratio) 산출 방식을 준용하여 산출해 발표하고 있음

    1) 종합 격차지수 산출을 위해 취약계층별로 산출되는 종합 부문 정보화수준 측정 원점수(0~100점 범위의 점수)

  • 제 2 장 고령화와 정보격차 현황 분석 33

    장노년층 정보격차 지수 및 일반국민 대비수준

    구 분

    2004년 2005년 2006년 전년대비 격차지수

    감소폭(점)격차

    지수(점)대비

    수준(%)격차

    지수(점)대비

    수준(%)격차

    지수(점)대비

    수준(%)

    접근 33.7 66.3 26.5 73.5 17.1 82.9 9.4↓역량 82.3 17.7 76.7 23.3 67.6 32.4 4.1↓

    양적 활용 74.1 25.9 66.4 33.6 58.3 41.7 8.1↓질적 활용 79.3 20.7 70.3 29.7 60.5 39.5 9.8↓

    종합 59.1 40.9 50.7 49.3 41.6 58.4 9.1↓주: 격차지수=일반국민 정보화수준(100으로 가정)-일반국민(100) 대비 장노년층의 정보화수준

    접근지수는=PC․인터넷 필요시 접근가능성, 컴퓨터 기종 및 인터넷 접속방식, 정보통신기기 보유정도

    역량지수=컴퓨터 사용능력 및 인터넷 사용능력

    양적 활용=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여부, 컴퓨터 사용시간질적 활용=PC․인터넷 일상생활 부문별 도움정도, PC․인터넷 세부 권장용도별 이용정도

    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

  • 34

    제3 장 이론적 배경: 정보재화의 채택과 확산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기술의 시간 변화에 따른 확산속도는 S字 형태의 ‘로지스틱 곡선’(logistic curve)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림 3-1]은 대표적인 20세기 신기술로 분류되는 전화,

    TV, 자동차, 이동전화, PC, 인터넷의 우리나라에서의 확산속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기술의 확산 속도가 도입 초기에는 서서히 진행되다가 특정 임계수준을 넘어서면

    급격하게 증가하고 이후에 다시 속도가 둔화되면서 결국은 포화상태에 이르는 형태

    를 보인다.

    [그림 3-1] 우리나라 주요 기술의 보급 확산

    전화

    TV

    승용차

    이동전화

    PC

    인터넷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961 1966 1971 1976 1981 1986 1991 1996 2001 2006

    100명당 보급율

    자료: 통계청 KOSIS, ITU(2006)을 통해 구성함.

    그런데 아날로그 기술인 전화, TV, 승용차에 비해 디지털 기술인 이동전화, PC,

    인터넷의 보급 속도가 기술 확산의 임계수준에 도달하는 시간이 훨씬 빠를 뿐만 아

    니라 기술보급의 포화점도 훨씬 높은 수준에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 제 3 장 이론적 배경: 정보재화의 채택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5

    이러한 확산 속도의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기술 확산 속도를 이용하

    여 로지스틱 곡선을 정의할 수 있다면 확산 속도의 차이와 임계치의 수준 및 포화점

    의 높이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특히 서로 다른 기술 사이의 확산속도 차이

    뿐만 아니라 동일 기술의 연령간 확산속도의 차이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신기술의 확산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시점 에서 특정 집단

    의 인구수를 , 그리고 이 중 인터넷이나 PC 등과 같은 신기술을 채택한 사람의

    수를 라고 하자. 그러면 집단 내에서 시점 에는 신기술을 채택하지 않

    았으나 시점 까지는 채택한 사람들의 비율을

    와 같이 나

    타낼 수 있고, 이를 연속시간에 대하여 재구성한 후 그 값을 다음과 같이 집단 의

    ‘신기술 채택속도’(adoption speed) 로 정의할 수 있다. 즉

    (1)

    그리고 식 (1)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미분방정식 과정에 의해 시점 에서 집단 의

    신기술 ‘확산율’(diffusion rate) 를 다음과 같이 채택속도 의 함수로 쓸

    수 있다. 즉

    , 단 는 상수 (2)

    따라서 우리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신기술의 확산을 S자 형태의 로지스틱 곡선에

    따라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이용하여 정보격차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비교 집단 사이의 확산속도를 나타내는 S자 곡선이 특정 시점에서 차이를 보일 때

    계층간에 이용률 격차가 존재한다고 하며, 이 차이를 집단간 정보격차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그림 3-2]는 청년층(Ⅰ)과 노년층(Ⅲ)간 정보격차가 청년층(Ⅰ)과 중

    년층(Ⅱ)간 정보격차보다 큰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인터넷 이용

    률이 저조하여 연령집단간 기술 확산 속도의 차이( )가 발생하는 경

  • 36

    우를 보여준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이동전화․컴퓨터 등 주요 정보

    재화 및 서비스의 평균 보급률은 이미 급격하게 증가하는 임계수준을 넘어 증가속

    도가 둔화되면서 포화단계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궁극적인 정

    보격차의 문제는 단순히 정보 재화나 서비스의 채택․접근 여부에 대한 격차뿐만

    아니라 이들 재화의 양적․질적인 활용격차의 문제까지 포함하는 개념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림 3-2] 기술 확산 속도와 연령간 정보격차1)

    주: 식 (2)를 로 설정하여 t=100기간 동안 생성한 실측도 기준임

    그렇다면 집단 의 신기술 채택속도 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신기술의

    채택률은 기본적으로 소비자의 신제품에 대한 ‘지불의사가격’(willingness to pay)과

    신제품 공급자의 이윤가능성에 의해 결정된다(예컨대 Greenstein and Prince, 2006을

    참조). 단순하게 생각하면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높은 채택비용 때문에 발생

    한 기술도입 초기의 정보격차는 시간이 지나면서 기술채택 가격이 하락하면 정보취

    약계층도 쉽게 정보의 접근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결국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낙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의 신기술 채택을 결정하는 요인이 비용에만 국한되

  • 제 3 장 이론적 배경: 정보재화의 채택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7

    는 것은 아니다. 신기술의 채택 여부는 사용자의 연령․성별․교육수준․직업 등

    과 같은 인적 속성과 소득수준, 신기술 이용과 관련된 거주지 여건 등 다양한 요인

    이 결부되어 결정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보접근에 대한 지불능력 및 인센

    티브의 차이로 인해 정보격차가 심화되는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따

    라서 다음에서는 기존의 경제이론을 이용하여 정보격차의 축소 혹은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신기술 채택 결정요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경제학에서는 어느 한 경제주체의 생산이나 소비가 시장 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다른 생산자나 소비자에게 유리 또는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외부성’(externalities)

    이 존재한다고 정의한다. 통상적인 재화의 소비와는 달리 전화, 팩스, 이메일과 같은

    정보 재화 및 서비스의 사용으로부터 얻는 효용은 얼마나 많은 다른 사람들이 유사

    한 혹은 호환 가능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우리는

    이러한 외부성을 특히 ‘네크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ies) 혹은 ‘채택외부성’(adop-

    tion externalities)이라고 한다. 네트워크 외부성이 존재하는 경우 소비자들의 새로운 표

    준에 대한 채택 여부는 소비자들이 네트워크 이용규모에 대한 기대를 어떻게 형성하는

    가에 달려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잠재적 소비자들이 신기술을 채택하도록 유인하는데 필

    요한 ‘최소한의 사용자 수’(critical mass)가 어느 정도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외부성이 존재하는 경우 개인의 신기술에 대한 채택 여부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첫째,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사용자가 새로운 시스템으로

    소비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포괄하는 ‘전환비용’(switching cost)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존에 소비하고 있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예속’(locked-in)의 정

    도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채택하는데 필요한 전환비용의 규모가 결정되는데,11) 연령

    이 높은 사람일수록 잔여수명기간 동안 새로운 재화나 서비스로부터 얻게 되는 편

    11) Shapiro and Varian(1999)은 예속의 이유로 계약, 훈련 및 학습, 탐색비용 등을 들고 있는데, 기업이 소비자가 특정 기술을 채택하도록 유인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사용자 수’(critical mass)를 가진 경우 해당 기업은 기술에 예속된 충분한 ‘소비자 기반’(installed base of consumers)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함

  • 38

    익의 현재가치가 전환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의 습득에

    있어 젊은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센티브가 작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Farrell

    and Saloner(1985)식으로 말하자면 노인계층은 기존 방식에 비해 우월한 신기술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술의 채택보다는 기존에 사용해 오던 방식을 고수하는

    ‘과잉 타성’(excess inertia)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제품의 질”과 “네트워크 규모”의 대체성 정도를 통해 개인의 신기술에 대

    한 채택 여부를 설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소

    비자들이 제품의 질과 네트워크 규모를 대체적인 것으로 간주할수록 신기술 채택빈도

    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대체성이 높을 경우 기술의 질적인 증가가 네트워크의 규모

    에 큰 변화가 없더라도 효용수준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반면에 대체성이

    낮을 경우 제품의 질적인 향상은 네트워크 규모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는 한 효용수준

    을 증가시키지 못하므로 소비자들은 신기술을 채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림 3

    -3]은 제품의 질과 네트워크 규모에 대한 개인의 효용함수 형태에 따라 신기술 채택

    여부가 달라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먼저 그림 (a)는 개인이 네트워크 규모와 기

    술의 질적 수준에 대해 ‘완전보완적’(perfect complements) 선호도를 보이는 경우 네트

    워크 규모를 감소시키는 신기술의 채택이 효용수준을 감소시키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소비자들이 지배적인 시장에서는 기존기술이 진보된 기술에

    의해 대체되기 어려운 특성을 지닌다. 한편 그림 (b)는 비록 신기술의 네트워크 규모

    가 작더라도 신기술이 가져다주는 효용수준이 충분히 크다면 개인은 신기술 채택유

    인이 있는 경우를 보여준다. 즉 개인이 네트워크 규모와 기술의 질적 수준에 대해

    ‘완전대체적’(perfect substitutes)선호도를 보이는 경우 신기술의 기존 제품과의 호환

    성이 다소 떨어진다 하더라도 신제품의 질이 가져다주는 효용수준이 충분히 커서 네

    트워크의 효과를 포기하고도 소비자후생이 증가하는 경우 소비자들은 신기술을 채택

    하려 할 것이다. 그러나 그림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의 규모와 기술의 질이

    완전 대체적이라 하더라도 신제품의 질이 가져다주는 효용 수준이 충분히 크지 않

    다면 소비자들은 네트워크 효과를 포기하고 신기술을 채택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 제 3 장 이론적 배경: 정보재화의 채택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

    [그림 3-3] 기술에 대한 효용함수의 형태와 신기술 채택여부

  • 40

    셋째, 개인의 신기술에 대한 지불의사를 통해 네트워크 효과와 가격효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신기술에 대한 수요규모를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는 Rohlfs

    (1974)와 Shy(2001)에 따라 네트워크 외부성이 존재하는 경우의 신기술에 대한

    수요함수를 정의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어느 신규 정보재 시장에 명의 잠재적

    소비자들이 1차원적 선호 파라미터 에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는

    구간 에서 연속확률분포함수 에 따라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단

    ). 이 신기술의 실제 이용자 수를 , 신기술의 채택비용을 라 할 때

    유형이 인 개별소비자의 간접효용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고 하자. 즉

    만약 신기술을채택한경우

    만약 신기술을채택하지않은경우 (3)

    여기서 는 소비자들의 신기술 이용규모에 대한 기대수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개별소비자의 효용수준은 통신서비스 사용자수의 기댓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

    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보인다. 그리고 이 간접효용함수는 유형 인 소비자가 신기

    술 채택을 위해 최대 만큼을 지불할 의사가 있음을 의미한다. 즉 값이

    작은 유형의 소비자들은 신기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금액이 크고, 반대로 값이 큰 유형의 소비자들은 신기술에 지불의사 금액이

    작다.12)

    소비자들은 자신의 순 잉여가 정(+)인 한 신기술을 채택하려 할 것이기 때문에

    신기술의 채택과 불채택 사이에 무차별한 소비자를 ≡ 와 같이 정의할

    때 인 모든 소비자들은 신기술을 이용하려 할 것이지만 인 모든 소비자

    들은 신기술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실제 신기술의 총 이용자 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12) 여기서 의 크기를 연령의 크기로 해석하여 값이 작은 청년층의 경우 신기술에 대한 지불의사 가격이 높고 값이 큰 장노년층의 경우 신기술에 대한 지불의사 가격이 낮다는 식의 해석도 가능함.

  • 제 3 장 이론적 배경: 정보재화의 채택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단 ∙는 ∙의 누적분포함수) (4)

    만약 인 균등분포를 가정하면 수요함수를

    와 같이 쓸 수 있고 은 가 증가하면 증가하므로 우리는 네트워크 외부성이 존재

    하는 경우 기대되는 사용자 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소비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예컨대 신기술에 대한 공급업자의 광고 캠페인, 정보화 교육 및 지원사업

    등으로 가 증가한다면 신기술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소비자들이 ‘완전예측’(perfect foresight)이 가능하여 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 로부터 ≡

    임을 알 수 있고

    및 의 정규화 과정을 통해 신기술에 대한 역수요 함수를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즉 신기술에 대한 수요는 [그림 3-4]와 같이 수요규모가 작

    을 때 우상향하고 수요규모가 커질수록 우하향하는 형태를 가진다.13) 수요규모가 작

    은 경우 네트워크 효과가 가격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지불의사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증가한다. 그러나 일단 네트워크의 규모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우리의 예에서는 전체 소비자규모의 1/2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부(-)의 가격효과

    가 정(+)의 네트워크 효과보다 커지기 때문에 통상적인 수요함수와 마찬가지로 수

    요곡선은 우하향 한다. 참고로 소비자분포의 크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값이 증

    가하면 네트워크의 크기 확대로부터 얻는 효용수준이 증가하여 소비자들의 지불의

    사도 증가하기 때문에 [그림 3-4]의 정상점을 상향 이동시킨다.

    13) 역수요 함수 를 통상적인 수요함수와 마찬가지로 의 함수로 표시하여 와 같은 2차식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신기술에 대한 수요는 수요규모가 보다 작을 때 우상향하고 보다 클 때 우하향하게 됨.

  • 42

    [그림 3-4] 네트워크효과 및 가격효과의 상대적 크기와 신기술에 대한 수요

    그러면 이상에서 소개한 신기술 채택과 관련된 경제이론이 고령화와 정보기술 채

    택에 직접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첫째, 고령층일수록 기존에 소비하고 있

    는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예속 정도가 크고(기대여명이 짧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신기술로의 전환 기회비용이 젊은 연령층에 비해 크기 때문에 신기술 수요로부터

    얻는 순편익의 현재가치가 작아 새로운 기술에 대한 채택률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둘째, 그러나 고령자라 하더라도 직업적인 특성과 같은 개인의 속성에

    따라 신기술의 활용을 통한 효용수준의 증가정도가 신기술의 채택으로 인한 기회비

    용의 손실분을 감안하고도 기존 방식을 고수하는 경우의 효용수준보다 충분히 크다

    면 신기술의 채택 속도가 빨리 이루어질 것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령고하를

    막론하고 새로운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기존 방식에 비해 기술적으로 우위

    에 있다고 평가하고 이 제품에 대한 네트워크의 규모도 기존 제품보다 충분히 커진

    경우 반드시 신기술의 채택이 이루어질 것이다. 셋째,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정보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채택은 기술확산의 초기에는 신기술에 대한 지불의사

    가격이 높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효과의 확산과 함께 증가할 것이지만 이

    용자의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 신기술에 대한 지불의사가 작은 고령층의 수요를

  • 제 3 장 이론적 배경: 정보재화의 채택과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3

    유도하기 위해서는 신기술 채택비용의 절감 혹은 보조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정보재화에 대한 수요는 이용자 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정(+)의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s), 잔존수명이 작을수록 신기술로의 전환 기회비용이

    크기 때문에 감소하는 부(-)의 ‘연령효과’(age effects), 상대적인 기술채택 비용 요

    인을 감안한 정(+)의 소득효과, 그리고 그 밖의 다양한 개별적․환경적 속성이 미치

    는 영향의 상대적 크기에 의해 결정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특히 다른 모든 조건

    이 일정할 때 연령이 많아질수록 신기술에 대한 편익이 작아져 신기술에 대한 습득

    유인도 작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연령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