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14
2009-09-08 1 2009. 09. 08.

Upload: others

Post on 06-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1

2009. 09. 08.

Page 2: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2

� Bird 등(2000: 2-4)이 의료사회학 고유한 공헌으로 지적한 다음의 다섯 가지 주제를 소주제로 선정하여 각각 2주에 걸쳐 강의를 진행합니다. ◦ Study of medicine as a profession◦ Study of the sick role and illness experience◦ Social construction of illness & medical knowledge,

including medicalization◦ Sociological epidemiology◦ Sociological study of health care services as

organization

� 강의 수강자들은 매 강의 시간의 하루 전까지 필수문헌(√)을 읽고, 구조화된 형식에 따라 400자 내외의 메모를 강의 게시판에 제출합니다.

� 매 강의 때마다 미리 정해진 수강자 1인은 참고문헌(★) 중 1-2편을 읽고 발제문을 준비하여 발표합니다.

� 매 강의 때마다 미리 정해진 또 다른 수강자 1인은해당 강의 주제에 맞는 국내의 사례 혹은 논문을정리하여 발표합니다 (강의 전 주제 조정 필요).

� 성적 평가 방식

Page 3: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3

�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Publishers / SHI◦ Chloe E. Bird, Peter Conrad, and Allen M. Fremont,

2000, Handbook of Medical Sociology(5th Edition), Prentice Hall / Handbook

� Introduction◦ 09/08 – Introduction� Handbook, 1. Medical Sociology at the Millennium� Handbook, 25. Social epidemiology and medical

sociology: Different approaches to the same problem

� Study of medicine as a profession◦ 09/15 - From ‘Profession’ to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 √ Freidson, Eliot, 2001, Professionalism: the third logic,

Polity Press.(박호진 역, 프로페셔널리즘: 전문직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과 전망. 서론 및 개관; 1. 전문직의 지식과 숙련; 2. 노동의 분업)

� ★ SHI, 17. Notes on the Decline of Midwives and the Rise of Medical Obstetricians

� ★ Øvretveit, John, 1997, “Evaluating interprofessionalworking - a case example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team”, Interprofessional working for health and social care

� ☞ Abbott, Andrew, 1988, The system of professions, London: Univ. of Chicago press

� ☞ Øvretveit, John, 1997, “How to describe interprofessional working?”, Interprofessional working for health and social care

Page 4: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4

� Memo

� 20세기 중반 기능론적 관점으로부터 시작된 전문직 이론의 현재에까지 이르는 전개 과정 정리

� “전문직업화 개념의 기본적 원리는 첫째 전문직의 핵심은 그 조직이 아니라 그 업무라는 점, 둘째 많은 변수들이 그 업무의 구성과 관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셋째 전문직은 상호연관된 체계내에 존재한다는 점 등이다”라는 애버트(Abbott, 1988: 17; 111-112) 주장에 대한 평가

� 프라이드슨의 “관리 기반(자유시장적, 관료제적, 직업적)에 따른노동분업 차이”를 기준으로, 한국 임상의사의 전문직업성 평가

◦ 09/22 - Changes in Professions and Health Care� √ SHI, 18. The End of the Golden Age of Doctoring

� ★ SHI, 16. Professionalization, Monopoly, and the Structure of Medical Practice

� ★ SHI, 19. Countervailing Power: The Changing Character of the Medical Profession in the United States

� Study of the sick role and illness experience◦ 09/29 - Experience of Illness

� √ Handbook, 12. On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 Conrad, Peter, 1987, “The Experience of Illness: Recent

and New Directions’,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Health Care Vol.6 :1-31.

� ★ Millen, Neville & Walker, Christine, 2000, “Overcoming the stigma of chronic illness: Strategies for ‘straightening out’ a spoiled identity”, Sociological Sights/Sites, TASA 2000 Conference, Adelaide: Flinders University. December 6-8.

� ★ SHI, 11. AIDS and Stigma� ☞ Parsons, Talcott & Fox, Renee C., 1952, “Illness, therapy

and the modern urban american family” The Journal of Social Issues, Viii, no. 4: 31-44

� ☞ Parsons, Talcott, 1975, “The Sick Role and the Role of the Physician Reconsidered”,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Vol.53 No.2: 257-278

� ☞ SHI, 15. The Remission Society� ☞ SHI, 13. Self-Help Literature and the Making of an Illness

Identity: The Case of Fibromyalgia Syndrome� ☞ Handbook, 13. Experience Illness in/and Narrative

Page 5: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5

◦ 10/06 - Doctor-patient interaction� √ Handbook, 18. Changing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in the Changing Health-Policy Environment

� ★ Øvretveit, John, 1997, “How patient power and client participation affects relations between professions”, Interprofessional working for health and social care

� ★ West, Candace, 1984, “When The Doctor Is A “Lady”: Power, Status and Gender in Physician-Patient Encounters”, Symbolic Interaction, Volume 7, Number 1: 87-106

� ☞ Zola, Irving Kenneth, 1966, “Culture And Symptoms-An Analysis Of Patients' Presenting Complai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31, No. 5: 615-630

� ☞ SHI, 29. The Struggle Between the Voice of Medicine and the Voice of the Lifeworld”

� ☞ SHI, 14. The Meaning of Medications: Another Look at Compliance”

� Social construction of illness & medical knowledge, including medicalization◦ 10/13 -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and medical knowledge

� √ Turner, Bryan. 2004. “The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New Medical Sociology: Social Forms of Health and Illness

� ★ Phil Brown, “Naming and Fram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Diagnosis and Illn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4-52.

� ★ William Rothstein, “Disease as a Social Concept” in Rothstein, ed., Readings in American Health Care: Current Issues in Socio-Historical Perspectiv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87-98.

� ☞ 김경만, 2003, “사회구성주의의 역사적 진화에 관하여”, 『과학사상』봄호

� ☞ Ann Figert, 1995, “The Three Faces of PMS: The Professional, Gendered, and Scientific Structuring of a Psychiatric Disorder,” Social Problems 42: 56-73.

� ☞ Elizabeth Armstrong, 1998, “Diagnosing Moral Disorder: The Discovery and Evolution of Fetal Alcohol Syndrome,” Social Science & Medicine 47: 2025-2042.

� ☞ Handbook, 16. Reconfiguring the Sociology of Medical Education: Emerging Topics and Pressing Issues

Page 6: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6

◦ 10/20 - Midterm Exam◦ 10/27 - Medicalization� √ SHI, 39. The Shifting Engines of Medicalization

� ★ Conrad, Peter, 1992 “Medicalization and Social Control”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8

� ★ SHI, 39. Medicine As an Institution of Social Control

� ☞ Szasz, Thomas, 2007, The medicalization of everyday life: selected essays

� ☞ Williams, Simon & Calnan, Michael, 1996, “The ‘Limits’ of Medicalization: Modern Medicine and the Lay Populace in ‘Late Modernit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2

� ☞ Higgs, Paul, 1997, “The Limits of Medical Knowledge”, Sociology as applied to medicine

� Sociological epidemiology◦ 11/03 - Social Inequality and Individual Health� √ Handbook, 6.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An Enduring Sociological Problem� ★ Handbook, 4. Links between Social Status and

Health Status� ★ SHI, 9. Health Inequalities: Relative or Absolute

Material Standards?� ☞ SHI, 2. Social Class, Susceptibility and Sickness� ☞ Handbook, 9. Political Economy of Health and

Aging� ☞ Lochner K, Pamuk E, Makuc D, Kennedy BP, and

Kawachi I., 2001, “State-level income inequality and individual mortality risk: a prospective, multilevel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1: 385-391.

Page 7: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7

◦ 11/10 - Women and the disabled as patients� √ SHI, 4. Gender Differences in Mortality - Causes and

Variation in Different Societies� √ Minkler M, Fuller-Thomson E, Guralnik JM., 2006,

“Gradient of disability across the socioeconomic spectrum in the United Sta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5(7): 695-703.

� ★ Peterson, M.M., 2005,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equity of access issues”, J Med Ethics 2005;31:280-285

� ★ SHI, 36. The Prevalence of Risk Factors among Women in the United States

� ☞ Davis, K., 1995, Reshaping the Female Body: The Dilemma of Cosmetic Surgery. New York: Routledge, chapter 1 (pp. 14-38).

� ☞ Martin, E.. 1987, The Woman in the Body: A Cultural Analysis of Reproduction. Boston: Beacon Press: 27-67.

� Sociological study of health care services as organization◦ 11/17 - Medical industry� √ SHI, 22. The Health Care Industry: Where Is It

Taking Us?

� ★ SHI, 26. Doctoring as a Business: Money, Markets and Managed Care

� ★ SHI, 34. Issues in the Application of High Cost Medical Technology: The Care of Organ Transplantation

� ☞ SHI, 35. A Mirage of Genes

Page 8: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8

◦ 11/23 - Drugs and pharmaceutical industry� √ Moynihan, R., Heath, I and Henry, D., 2002, “Selling

sickness: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disease mongering” British Medical Journal 324: (13 April): 886-91.

� ★ L. M. Finley, 1996,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women’s reproductive health: The perils of ignoring risk and blaming women, “ in E. Szockyj and J. Fox (eds), Corporate Victimization of Wome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59-110.

� ★ SHI, 23. “The ‘Pinking’ of Viagra Culture: Drug Industry Efforts to Create and Repackaging Sex Drugs for Women”

� ☞ John Abraham and Tim Reed, Progress, “Innovation and Regulatory Science in Drug Development: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Standard-setting”, Social Studies of Science 2002; 32; 337

◦ 11/30 - Final Exam

날짜 주제 발제자 발표자

09.15.From ‘Profession’

to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

09.22. Changes in Professions and Health Care

09.29. Experience of Illness

10.06. Doctor-patient Interaction

10.13.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And Medical Knowledge

10.27. Medicalization

11.03. Social Inequality and Individual Health

11.10. Women and the Disabled as Patients

11.17. Medical Industry

11.23. Drugs and Pharmaceutical Industry

Page 9: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9

� 의료사회학이 사회학 분야 내에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제2차 세계대전 이후◦ 초기 장애요인� 보건 혹은 의료전문직들의 비판

� 대부분의 의료공급자들과 조직들이 사회학적 개념과 방법론에 낯설어 함

� 의료공급행위를 평가하려는 시도를 불편하게 여김� 그 당시 대부분의 의료전문직들이 더 보수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었

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사회학자들을 멀리하게 됨� 사회학자들 내부에서의 비판

� 연구되어야 하는 대상이거나 이론적 실체가 불분명한 대상으로부터연구비를 받는 응용학문에 불과함

◦ 사회학자들과 공동으로 연구했던 일부 정신과의사와 다른 임상의사들의 지지로 학문적 분야로서 인정받게 됨

Page 10: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10

� Sociology of medicine, or sociology in medicine?◦ Sociology of medicine� 사회학적 개념, 이론을 사용하여 사회학적 질문을 바탕으로 의

료를 검토하는 연구� 대개 사회학적 청중들을 위해 기획됨� 전문직, 사회화, 조직 연구 등◦ Sociology in medicine� 의료적 경향의 질문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사회학적 관점과 지식

들을 활용하는 연구� 의료문제를 해결하고 의료를 향상시키는 것이 우선적인 목표� 의사-환자 관계, 서비스 전달과 의료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적 요인, 질병의 사회역학 등◦ 사회학자들은 ‘순수’학문이 아니라 ‘응용’학문이라는 점에서,

Sociology in medicine에 더 낮은 가치를 부여해왔음.

� Medical sociology, or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Source: G Dahlgren and M Whitehead,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 Institute of Futures Studies, Stockholm, 1991

Page 11: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11

� 수십 년간 의료사회학은 미국사회학회(ASA)의 3대 분야 중 하나로 여겨져 왔고, 영국사회학회에서현재 가장 많은 회원을 보유한 분야로 성장해 왔음◦ Study of medicine as a profession◦ Study of the sick role and illness experience◦ Social construction of illness & medical knowledge,

including medicalization◦ Sociological epidemiology◦ Sociological study of health care services as

organization

� Study of medicine as a profession◦ T. Parsons(1951): 전문직의 권위(authority)◦ R. Fox(1957): 불확정성 수련◦ H. Becker 외(1961): 의학교육과 사회화◦ E. Freidson(1970): 의료전문직◦ P. Starr(1982): 근대 의료체계 형성기의 전문직간 권

력(power) 투쟁◦ A. Abbott(1988): 전문직들의 체계(전문직 사이 관계)◦ 이후 다수 학자들에 의해 탈전문화 연구가 이어짐

Page 12: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12

� Study of the sick role and illness experience◦ T. Parsons(1951): 환자역할(sick role)� 비록 급성기 질환에 대한 백인 중산층 남성의 경험에 제한

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사회학에 건강과 질환이라는 주제를 도입했다는 의미를 가짐

� 인류학자, 특히 민속지적 인류학자들에 의해 질환경험,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료이용 등의 연구로 확대됨

� 1980년대 이후 의료과학의 발전과 페미니즘의 발현에 힘입어 환자역할 및 의료이용에 있어 여성들의 고유한 경험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진행됨

� Social construction of illness & medical knowledge, including medicalization◦ “정상인 것은 누가 누구에게 비교되어지는가에 따라 결정된

다”◦ 새로운 질환이 발견되고 정의되어 가는 과정들, 새로운 의학

적 지식의 속성, 비의료적 사건들과 경험들이 의료 영역 내로 들어오는 무수한 방법 등을 검토함◦ 사회구성주의: 과학지식 또한 진리추구 등 그 자체의 내적

논리에 따라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쌓아 온 연구전통, 사회정치적 이해관계, 그리고 연구기법과 장치들을 다른 이론집단의 위협으로부터 ‘방어’하려는 성향(혹은 실험실내부의 인공적 실재)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 따라발전하게 된다는 주장◦ 의료화 연구: ADHD, 섭식장애, 알코올 중독, 임신, 출산, 폐

경, 비만, 고혈압, 유아학대 등 � “The Medicalization of Everyday Life”

Page 13: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13

� Sociological epidemiology◦ 사회역학자와 의료사회학자 모두 사회적 요인과 건강

에 관심을 가지면서 동일한 개념의 많은 연구를 수행하지만, 서로 다른 관점과 논거로 접근함� 사회역학 연구의 주요 초점은 질병에 있음

� 사회역학자는 질병 분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가능한 많은 사회적 개념들을 사용함

� 사회역학자의 사회 요인 선택은 전형적으로 자기발견적(heuristic)임: “만약 사회 요인이 질병 발생을 예측하면, 그것을 사용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배제한다.”

� 이에 따라 사회역학자들은 무수한 사회요인에 대한 엄청난 양의 정보를 축적해왔으나, 이러한 요인들이 서로 연관된 방식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음. 대부분의 경우, 사회역학은 이론이 아니라 경험적 관찰에 의해 작동되어 온 분야임

� 의료사회학자는 전형적으로 사회적 개념 그 자체에 더 관심이있음� 예컨대 사회계급과 관상동맥질환의 연관성이 발견된 경우, 의료

사회학자는 다른 질환에 대한 연구로 확대할 것임. � 어떤 경우라도 흥미는 전형적으로 사회계급 개념의 더 나은 이해

에 초점이 두어지며, 연구되는 질병은 단지 그러한 이해를 달성하기 위한 유용하고 편리한 수단임

� 그러한 연구의 결과는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보다 사회이론의 확장에 더 방향을 맞추어짐

◦ 요컨대 사회역학자는 사회특성 연구를 통해 인간질병의 본질을 알아내는 것에 기본적인 흥미를 두는 반면, 의료사회학자는 질병 발생 연구를 통해 인구의 사회적 특성을 알아내려함◦ 사회역학자는 질병의 모든 관련 원인을 결정하기 위하여 전

형적으로 하나의 질병에만 초점을 두는 반면, 의료사회학자는 모든 관련 질병들의 사회 상황에 대한 영향을 밝혀내려함

Page 14: 2009. 09. 08.snu-dhpm.ac.kr/pds/files/01Introduction_박종헌.pdf · 2010-01-09 · 2009-09-08 3 Books and Readings Peter Conrad, 2008,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Worth

2009-09-08

14

� Sociological study of health care services as organization◦ 사회 내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정된 병원,

의료기관 개업, nursing home, 기타 보건의료조직에대한 연구◦ 특히 의료조직들 내의 규범, 역할, 행위자, 지위 위계

등에 대해 초점을 둠

� 의료사회학의 영향력 감소◦ 1970년대의 건강비용 급증으로 비용통제가 보건 정책의 핵심

으로 부각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보건경제학이 부상하면서 사회학자들의 영향력은 감소하고 있음◦ 다학제적 인체과학 연구와 의료기술의 발달은 다른 한편에서

생명윤리학의 탄생을 이끌었으나, 생명윤리학은 사회적인 것(the social)을 개별적 사안으로 해체하였고, 의료문제들을 종종 탈맥락화하였음◦ 의료사회학의 주요한 딜레마는 학문 분야가 크게 성공함에 따

라 분화, 이전, 경쟁, 계승 등을 거치면서 나타난 것임� 다른 학문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의료사회학이 제도화될 수도 있

으며, 다학제적 열정으로 다른 분야 연구자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