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24
- 125 -

Upload: -

Post on 07-Aug-2015

228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 125 -

〈 요 약 〉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통합을 지원하고 있는 장애전담교사의 관점에서 통합어린이

집 음악활동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

는 연구자 2인의 관찰일지와 장애전담교사 8인의 심층면담 내용을 데이터로 분석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악기연주와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가치

있는 활동이다’, 둘째, ‘일반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계획된 노래부르기 활동은 발달지체유

아에게 어려운 활동이다’라는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와 연관된 3개의 하위 주제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통합어린이집에서 시행되는 악기연주와 음악에 맞추어 율동

하기는 발달지체유아가 자연스럽게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게 되고 발달지체유아의 발달

에 도움을 주는 가치 있는 활동이다. 특히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기술과 신변처리기술

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노래부르기는 발달지체유아의 언어장애로 인해 어렵고 산만할

활동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전담교사는 발달지체유아가 최대한 음악활동에 참여

할수 있게 환경수정 및 배치, 또래지원, 사전교수, 언어적 촉진, 긍정적 강화, 시각적 단

서촉진, 가정연계와 같은 교수전략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양질의 음악활동을 개

발하기 위하여서는 통합어린이집에서 주로 사용하는 노래부르기에서 벗어나 흥미를 유

발하고 발달에 도움이 되는 음악활동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발달장애연구 제16권 제4호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12. Vol. 16, No. 4, 125~148.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장 혜 성**

<주제어> 음악활동, 발달지체유아, 통합어린이집, 교수전략, 질적연구

* 본 연구는 2012년도 가톨릭대학교 교비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 교신저자: 가톨릭대학교 특수교육과 부교수([email protected])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26 -

I. 서 론

현재 통합어린이집이 급속하게 양적인 증가를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달지

체유아가 통합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점점 증가되고 있다. 그러

므로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실현하기 위한 과제로 일반수업이 진행될 때에 발달

지체유아의 참여와 발달증진을 유도하는 질적인 교육이 진행될 수 있어야 한다.

통합어린이집에서 진행되는 음악활동은 일반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

라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가 선호하는 활동이라고 한다(장혜성, 장혜원,

황은영, 김은영, 2007). 특히 음악활동은 발달지체유아의 흥미(최병철, 2006; 김태

련, 염현경, 정현지, 김현정, 1994; Toigo, 1992)와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대표적

인 활동이라는 이론들이 도출되어 있다(김태련 등, 1994; Darrow & Gfeller,

1991; Jellison & Gainer, 1995).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들은 장애유아의

발달을 증진시키는데(원종례, 2005), 이를 위한 음악활동의 종류로는 노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 등이 있다.

노래부르기가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을 증진시킨 연구들(노혜선, 1999; 박소

연, 2004; 배정화, 2002; Carroll, 1996; Krauss & Galloway, 1982), 악기연주하기

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소근육운동 발달을 증진시킨 연구들(박계순, 1990; 이범

민, 1999; 손훈희, 2000; Krout, 1987),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로 발달지체유아의

대근육운동을 유도한 연구들(김군자, 1983; Kennedy & Kua-Walker, 2006)이 보

고되었다. 이와 같이 노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는 발달

지체유아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여 발달에 도움을 주는데, 이상에 기술한 기존

연구들은 발달지체유아끼리 지도하는 분리환경에서 발달지체유아의 특정발달을

위해 음악활동을 인위적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시행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고 일

반유아와 함께 통합어린이집에서 시행된 음악활동은 많지 않았다. 그리고 통합

어린이집에서의 음악활동에 관한 소수의 연구들도 일과 안에서 일반교육과정 안

에서 교사가 진행하는 음악활동이 아니고 음악치료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

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를 모두 삽입하여 중재한 후 그

효과에 관한 연구이었다(장혜원, 2007a; 장혜원, 2011, 장혜원, 2012). 그러므로

통합어린이집에서 일반교육과정 안에서 음악활동을 실시하였을 때에 어떤 종류

의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부족

한 편이다.

장혜원(2007b)은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육과정에서 진행되는 음악활동 중 악기연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27 -

주하기,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가 발달지체유아에게 흥미를 갖게 하여 자신과

주위사람의 변화를 유도하고 발달을 증진시키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황

은영외 동료들이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노래부르기는 통합어린이집 일반음악

활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59.6%)이었고 이에 반하여 발달지체유아에게

효과적인 음악활동인 악기연주하기(9.8%),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16.3%)는 적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황은영, 장혜성, 장혜원, 2008). 그러므로 통합어린이

집 일반음악활동에서 주로 사용하는 노래부르기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

하며 악기연주하기와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가 발달지체유아에게 왜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육과정에서 실시하는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하기,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가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고, 영향을

주는 원인이 무엇이며 그 영향이 어떻게 발전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심도 있는 참여관찰, 교사와의

여러 번 면담들을 통해 현장에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한 민감한 의식과 필요를

연구할 수 있는 질적연구(김귀분 등, 2005)를 실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에서 실시되는 음악활동의 관찰과 장애전담교

사와의 심도 있는 면담으로 노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는

장애유아에게 어떠한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한다.

II.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이 연구는 K와 Y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장애전담교사 8인과 연구자 3인이

참여하였다. 연구자 2인은 관찰과 장애전담교사를 대상으로 문서면담과 구술면

담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보조자는 자료분석에 참여하였다. K와 Y통합어린이집에

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활동을 관찰하였다.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28 -

연구팀 표기방법 나이(세) 교직경력

연구자1 A 42 17년

연구자2 B 35 10년

연구보조자 27 2년

장애전담교사1 C 25세 2년5개월

장애전담교사2 D 40세 14년

장애전담교사3 E 27세 6년 5개월

장애전담교사4 F 31세 7년 5개월

장애전담교사5 G 26세 3년 7개월

장애전담교사6 H 23세 5개월

장애전담교사7 I 33세 12년

장애전담교사8 J 31세 6년 5개월

<표 II-1> 참여자의 정보

2. 연구기간 및 장소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가 통합되어 있는 K와 Y통합어린이집에서 7주간 시행

되었다. 관찰은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관찰 장소는 일반교육과정 안에서 진행

되고 있는 음악활동이 시행되고 있는 일반교실이었다. 문서면담은 1주간 전자우

편으로 보내어 조사하였으며 면담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 2인은 2주간 구

술면담을 장애전담교사 8인을 대상으로 도구자료실에서 각각 약 1시간씩 개별적

으로 실시하였다.

3. 연구 절차

연구자 2인은 관찰을 시행한 후 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관찰

(1) K와 Y통합어린이집에서는 일반교과과정 중 음악활동은 일반교사와 장애전

담교사가 함께 주 2회 40분 동안 진행되고 있다. 연구자 2인은 4주 동안 각 통

합어린이집 3세, 4세, 5세반을 총 48회기 관찰하였다. 관찰대상자는 3세반 6명, 4

세반 9명, 5세반 9명이었으며,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10명, 자폐성장애 8명, 뇌병

변장애 4명, 기타 2명이었다.

(2) 연구자 2인은 관찰을 하면서 각자 준비한 노트에 관찰내용을 자세히 기록하

였으며 관찰이 끝난 후 기록한 내용을 다시 컴퓨터 문서로 관찰일지를 작성하였

다. 이때 현장 조사록의 일부분으로서 관찰 중 연구자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

은 관찰자주해(OC: observation comments)를 삽입하여 작성하였다(조정수, 2010).

관찰일지 문서는 A4용지로 80페이지 분량이었다(글자크기 10, 줄간격 160).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29 -

참여관찰 문서면담 구술면담

기간 4주 (주 2회)기간 1주 2주

1회 관찰시간 40분

관찰장소 3, 4, 5세반 면담방법 전자우편 일대일 면담

관찰자 연구자 1, 2

회기 3월 주제 음악활동

1회 봄봄에 나오는 식물 알아보기, 씨앗노래 배우기, 씨앗노래에 따라 그

림 선택해 가사판에 붙이기.

2회 봄 씨앗노래에 독창하기, 싸앗 노래에 따라 율동하기.

3회 봄봄에 잠을 깨는 동물에 대하여 발표한다. 개구리가 잠에서 깨는

모습을 흉내낸다. 개구리 노래를 배운다.

4회 봄개구리 노래를 후렴구를 노래할 때 남녀 편으로 노래한다. 함께

율동한다.

<표 II-2> 어린이집에서 시행된 음악활동 일부의 예

2) 면담

연구자 2인은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음악활동이 어떠한지를 질문

하는 절차적 질문(조흥식 등, 2010)으로 면담 질문지를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1) 문서면담

문서면담 질문지는 반구조화된 질문으로서 어린이집에서 일과 안에서 진행되는

음악활동이 어떠한지에 대한 대략적인 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개발하였다. 1주간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장애전담교사에게 한글파일에 쓰여진 질문에 스스로 대답

을 적게 하는 문서면담을 실시하였다. 문서 면담내용은 A4용지로 총 22페이지

분량이었다(글자크기 10, 줄간격 160). 질문의 내용은 <표 Ⅱ-4>와 같다.

(2) 일대일 구술면담

2주간 일대일 구술면담이 실시되었는데 문서면담에서 얻어진 자료를 보고 심층

적으로 접근하여 보다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이해가 되지 않

거나 은유적 단어, 상징적인 의미로 기술된 내용을 재질문하여 그 내용의 의미

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구술면담은 각각의 교사마다 약 1시간정도 소요되었다.

모든 면담내용은 녹음되었고 녹음된 내용을 전사되었다. 면담내용은 총 A4의 28

페이지 분량이었다(글자크기 10, 줄간격 160).

<표 II-3> 관찰 및 면담방법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30 -

문서 질문지

- 노래부르기는 발달지체유아가 어떻게 느끼는 것 같습니까?- 노래부르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영향을 준다면 그것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그 영향은 무엇과 연관이 되어 진행됩니까? - 악기연주하기는 발달지체유아가 어떻게 느끼는 것 같습니까?- 악기연주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영향을 준다면 그것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그 영향은 무엇과 연관이 되어 진행됩니까?-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가 어떻게 느끼는 것 같습니까?-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영향을 준다면 그것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그 영향은 무엇과 연관이 되어 진행됩니까?

질문 진술 의미단위

노래부르기는 발달지체유아가 어떻게 느끼는 것 같습니까?

노래가 즐겁기는 하지만 발음자체가 안되는 애들한테는 어렵고 노래부르기는 감상에 불과한 것 같습니다.

어렵다, 감상에 불과하다.

노래부르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줍니까?

노래부를 때 일반아동들은 노래를 부르나 발달지체유아는 옆의 아동을 치고 장난을 건다. 곧 교사가 발달지체유아를 뒷자리로 보내 의자에 앉게한다.

장난을 건다.

영향을 준다면 그것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그 영향은 무엇과 연관이 되어 진행됩니까?

우리 아이들이 언어장애가 있어서 말을 잘못하잖아요. 영수는 자발어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노래를 술술 할 수 있겠어요. 제가 노래부르기 시간에 옆에서 노래부르도록 했는데 더 힘들어하는 것 같더라고요.교구장을 돌려놓기 등의 환경수정이 이루어집니다. 뇌성마비 유아의 경우 시트 사용을 위해 공간의 확보도 필요합니다.

언어장애환경수정

<표 II-4> 장애전담교사에게 제공된 문서면담 내용

4. 자료 분석

관찰과 면담을 통해 관찰일지, 문서면담일지, 일대일 구술면담내용을 통해서 수

집된 데이터는 상시 비교 분석방법(constant comparasion)(Strauss & Corbin,

1990)과 김귀분 등(2005)에서 소개한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2인의 연구자와 1명의 연구보조자는 자료 중에서 1개를 임의로 선정하여서

3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그 내용을 코딩한 다음에 함께 모여서 서로의

코딩과정에서의 차이점을 논의하고 코딩 간의 조정과정을 통해서 첫 번째의

코딩집을 만들었다.

2) 첫 번째 코딩집에 나열된 부호를 이용하여서 다른 자료들을 코딩하면서 새

로 생성된 부호를 추가하고 기존의 부호를 합치거나 분리하는 등의 코딩과

정을 거쳐서 범주가 분리되지 않을 때까지 마지막 주제별 코딩집을 완성해

나갔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질문에 따라 진술을 기술하였고 그에 따른 의미들을 기술하였다. 진술에 따

른 의미단위는 총 236개가 나타났다. 그 예는 다음의 <표 Ⅱ-5>와 같다.

<표 II-5> 질문에 따른 진술에서 나타난 의미단위의 예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31 -

음악활동 번호 의미단위 진술 횟수 범주

악기연주,음 악 에 따라 율동하기

1 관심을 가짐. 11

흥미를 갖게 한다.

2 놀랍다. 3

3 신기해 함. 3

4 좋아 한다. 7

5 웃는다. 5

6 감정을 부드럽게 한다. 4

평소와 다른 모습이다.

7 정서를 순화 한다. 3

8 조용하다. 2

9 차분하다. 2

10 새롭다. 4

11 다른 모습이다. 6

12 정말 열심히 한다 . 3

13 평소 모습이 아니다. 6

14 활짝 웃는 것은 처음이다. 2

15 잘 따라한다. 4

참여를 증진시킨다.16 소외되지 않는다. 4

17 참여가 된다. 8

18 적극적이다. 4

19 또래와 악기나누기가 된다. 3

사회적 기술에 도움을 준다.

20 양보 할 수 있게 되었다. 4

21 또래를 쳐다본다. 3

22 안아준다. 4

23 서로 바꿀 수 있게 되었다. 5

24 손을 흔든다. 2

25 양치를 한다. 2

신변처리 기술에 도움을 준다.

26 신변처리에 도움이 된다. 6

27 조작하는데 연결 된다. 4

28 정리 시 움직이게 한다. 3

② 의미 있는 진술들을 주의 깊게 보면서 중복되는 표현은 배제하여 의미단위를

종합하여 64개로 압축하였다.

그 의미 단위를 다시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로 재 진술하여 17개의 범주로

확장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의 <표 Ⅱ-6>과 같다.

<표 II-6> 압축된 의미단위와 확장된 범주들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32 -

음악활동 번호 의미단위 진술 횟수 범주

노래부르기

29 힘들다. 4

어렵다.30 어렵다. 6

31 감상에 불과하다. 2

32 발음이 안된다. 4언어장애다.

33 말이 어럽다. 8

34 따라하지 않는다. 5

지루하다.35 다른 곳을 쳐다본다. 3

36 존다. 2

37 과제가 많다. 3

38 누워있다. 2산만하게 한다.

39 장난을 건다. 4

40 공간 확보 필요. 3환경수정자리배치41 자리를 다시배정. 2

42 교사가 가까이 앉음. 3

43 또래유아를 볼 수 있게 함. 5

또래지원44 또래유아의 시범. 4

45 또래 모방하기. 2

46 가사판을 미리 보여주기. 3

사전교수47 노래 미리 들려주기. 2

48 가사 읽어주기. 3

49 가사 발음하기. 4

언어적 촉진50 첫소절을 단서로 발음해준다. 4

51 발화하게 유도하기. 5

52 이름을 불러준다. 3

긍정적 강화53 칭찬한다. 4

54 웃어준다. 2

55 그림 자료 보여주기. 3

시각적 단서 촉진56 시각적 자료 제시. 4

57 해당가사 그림붙이기. 5

58 가사판 들어주기. 4

59 보호자에게 악보주기. 4

가정연계60 부모에게 설명하기 . 2

61 과제내기. 2

62 집에서 불러보기. 3

63 이것 저것 촉진하기. 2다양한 교수전략

64 여러 가지 전략 필요. 2

<표 II-6> 압축된 의미단위와 확장된 범주들(계속)

③ 범주를 다시 살펴 17개의 범주 중 다른 범주를 포함할 수 있는 범주를 하위주

제로 도출하였으며 3개의 하위범주를 묶어 새로운 주제로 확장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14개의 범주와 3개의 하위주제,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3) 연구자들이 ③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점검한 후 협의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2개

의 주제, 3개의 하위주제, 14개의 범주로 확정하였다. 그 내용은 <표 Ⅱ-7>과 같다.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33 -

범주 하위주제 주제

발달지체유아는 평소와 다른 모습이

보인다.악기연주와 음악에 따

라 율동하기는 발달지

체유아에게 흥미를 갖

게 한다.

악기연주하기와 음악

에 따라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가

치 있는 활동이다.

발달지체유아의 참여를 증진 시킨다.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도움을

준다.

발달지체유아의 신변처리기술에 도움

을 준다.

노래부르기는 어렵다. 노래부르기는 발달지

체유아의 언어장애 때

문에 어렵다.일반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계획된 노래

부르기 활동은 발달

지체유아에게 어려운

활동이다.

노래부르기는 지루하다.

노래부르기는 산만하게 한다.

환경수정과 자리배치

참여를 위해 다양한

교수전략을 사용한다.

또래지원

사전교수

언어적 촉진

긍정적 강화

시각적 단서촉진

가정연계

<표 II-7> 범주들, 하위주제와 도출된 주제

4)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제와 하위주제 범주별로 종합 정리하여 원인과 결과

의 맥락으로 정리하였다.

5) 원인과 결과의 맥락별로 정리된 주제와 소주제 범주를 여러 번 읽고 연구자

들의 토론을 통해 각주제의 해석을 첨가하였다.

6) 최종의 결과에 대하여 연구에 참여했던 장애전담교사에게 의뢰하여 추후면

담확인과정(member check)을 통하여서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주제별 코딩을 위하여 사용된 표기방법은 다음과 같다. 면담결과에 대한 자료

정리를 위해 연구 참여자 이름(<표 Ⅱ-1> 참조), 면담유형(관찰-O, 문서면담-R,

일대일 면담-M)에 따라 코드를 설정하였고, 자료의 구성은 연구 참여자 이름,

면담유형, 코딩집 쪽번호 순이다(예: I-R-1은 연구 참여자 이름, 문서면담, 코딩

집 제 1쪽을 의미함).

5.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본 연구에서는 질적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략(이용천, 김영천, 1999; Patton, 1990)을 사용하였다.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34 -

1) 삼각측량(Triangulation)

정해진 사항에 대해서 포괄적인 이해를 얻고자 한 가지 이상의 자료인 관찰일

지, 문서면담자료, 구술면담자료를 사용하는 자료 삼각측량 방법을 시행하였으

며, 관찰과 코딩에 참여한 두 명의 관찰자 상호간(interobserver)의 측량 방법과,

연구자, 장애전담교사가 참여한 다양한 전문인들이 함께 접근을 하는 학제 간

삼각측량 방법을 사용하였다.

2) 추후확인면담(member check)

질적분석이 끝난 다음에 추후확인 면담(member check)을 위해서 장애전담교사

8인에게 각각 연구과정과 결과를 문서를 통해 발송하고 추후확인 후 이들에게

면담을 통해서 본 연구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잘못 해석된 것은

없는지, 중요한 사항이 빠진 것은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3) 일차적 데이터(Raw date) 기술하기

연구 주제의 발견은 데이터에 있다는 Morrow(2005)의 주장에 따라 연구자는

관찰문서 데이터와 구술면담에서 나타난 데이터의 문장을 그대로 기술하여 본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6.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자는 연구의 윤리를 위하여 연구가 시작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설명을

연구 참여자에게 제시하여 수락 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시행중에도 다음

과 같은 설명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윤리성은 AAA(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윤리규약을 참고로 하였다(Haverkamp, 2005, 재인용).

1)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의무를 가지는데 연구과정 중에 연

구 참여자는 연구 참여를 그만 둘 수 있다.

2)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명성과 사생활에 해가 가지 않도록 한다.

3) 연구논문에 참여자의 이름과 소속이 익명으로 기술되도록 최대한 노력한다.

4) 연구는 참여자의 보호자가 아동의 참여에 대한 서면 동의 후 이루어진다.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35 -

III. 연구 결과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 음악활동에 참여하는 발달지체유아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도출되는 현상들을

보며 그 현상들이 왜 나타나는지 이유를 찾는 질적분석을 해나갔다.

연구결과에서 장애전담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유아교육기관에서 진행되는

음악활동이 다음과 같이 2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1) 악기연주하기와 음악에 따

라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가치 있는 활동이다; 2) 노래부르기는 발달지

체유아에게 어려운 활동이다.

도출된 주제의 연계성을 다음과 같이 그림으로 표현해 보았다(<그림 Ⅲ-1> 참

조).

<그림 III-1> 도출된 2가지 주제의 연계성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36 -

1. 악기연주하기와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가치 있는 활동이다

음악을 몸으로 표현하는 율동하기, 악기연주 등은 발달지체유아에게 흥미를 갖

게 한다(김태련 등, 1994; 최병철, 2006; Darrow & Gfeller, 1991; Jellison &

Gainer, 1995). 그러므로 이와 같은 음악활동은 발달지체유아가 평소와 다르게

집중하거나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며 소외되지 않고 활동에 참여하게 한다.

그러므로 음악은 발달지체유아에게 가치 있는 활동이다. 발달지체유아는 악기연

주를 하면서 소리에 흥미가 있기 때문에 함께 연주하는 또래의 소리를 듣고 재

미있어하면서 또래에게 관심을 보이며 악기를 바꾸어 연주하므로 자연스럽게 또

래와 접촉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다. 발달지체

유아는 노래가 나오면 율동을 자연스럽게 하게 되면서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는

적극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노래를 교사가 불러주며 신변처리를 지도

하게 되면 발달지체유아는 자연스럽게 신체를 움직이게 되어 지도가 수월해지므

로 신변처리 기술을 증진시킨다. 악기연주는 악기를 조작할 때 소리가 나게 된

다. 그리고 발달지체유아는 악기연주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므로 물체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이 감소되기 때문에 소근육 활동을 요구하는 신변처리기술을 증진시킨

다(구광서, 2001; 김정인, 1989; 이승현, 2000; 이유진, 2000; Boswell & Vidret,

1993; Edgerton, 1994).

1) 악기연주와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흥미를 갖게 한다.

발달지체유아는 언어이해를 잘못하므로 이야기활동같은 것은 지루해하는데 악기를 치거나

노래에 맞춰 율동하는 것은 좋아합니다. 특히 악기, 리듬활동 등을 이용하면 수업에 흥미를

갖게 됩니다(C-R-3).

음악은 하나의 도구로 충분히 가치가 있고, 특히 노래에 맞추어 율동을 하면 스스로 일어나

서 음악에 맞추어 뺑뺑 도는 것을 보면 평상시 아무 반응이 없던 것과 비교하면 놀랍지

요...(D-R-2).

악기연주를 보면 신기한 듯 쳐보기를 원해요 악기를 손에 쥐어주면 웃으면서 좋아하고요

(J-M-27).

(1) 발달지체유아는 평소와 다른 모습이 보인다.

또한 소리에 민감한 자폐유아가 악기를 연주해 봄으로써 정서를 순화시켜 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평소와는 다른 모습들이 나타난다(H-R-21).

주위가 산만한 발달지체유아가 음악에 맞추어 걷기를 시도했더니 조용하게 차분하게 걸어가

는 모습을 보고 정말 놀랐어요. 이게 음악의 힘이구나 하면서...(C-M-10).

평소에 매우 소극적이고 남 앞에 나서는 것 힘들어 하던 뇌성마비애가 노래 맞추어 율동하

기를 하는데 정말 열심히........ 평소에 보던 모습이 아니었어요!(E-M-12).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37 -

(2) 발달지체유아의 참여를 증진시킨다.

노래가 나오면 O는 무조건 일어나서 율동을 해요 또래유아들이 노래를 부르면 자기는 노래

는 부를 수 없으니까 율동을 시작하는 거예요. 처음 노래부르기 시간에 친구들을 때치고 해

서 O가 좋아하는 율동을 하도록 시범 보였더니, 그때부터 음악시간에 흥에 겨워 잘 따라하

는 것 같아요(C-M-2).

자기가 참여할 수 있는 율동이 있을 때는 상동행동이나 자기자극행동이 일어나지는 않아요(

G-M-15).

장애친구들이 수업시간에 소외되기 쉬운데요! 특히 악기를 친다든지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

기 같은 활동이 장애친구들을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요(E-M-11).

장애전담교사는 악기수업을 할 때에 옆에서 도와주었더니 발달지체유아가 수업시간에 적극

적으로 참여하면서...(D-M-10).

(3)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도움을 준다.

예를 들면 일반또래친구와 악기 나누기, 돌아가면서 연주하기, 인사하기 등이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F-M-10).

악기연주를 할 때 같은 활동이 반복이 될 때 반복되면서 친다든지. 또래하고 인사 노래할

때 인사하고 안아주고 한다든지, 처음에는 반응이 없고 또래를 쳐다보지도 않던 자기자극하

는 아동이 교사가 지시하면 가서 안아준다든지 해요....사회적 기술은 좋아지는 것이 눈에 띄

니까...(E-M-27).

악기라는 것이 소리가 들리잖아요. 악기를 번갈아 치면 재미있고 그러면서 같이 치는 옆의

친구에게 관심을 갖게 되는 것 같아요 또 악기를 바꿀 때 친구한테 다가가야 되니 자연스럽

게 관심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되네요(E-M-11).

좋아하는 또래와 악기를 바꾸어 연주해 봄으로써 사회성도 기를 수 있습니다(C-R-2).

노래가 나오면 율동을 하다보니까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쉬워지는 것 같습니다. 몇 번 연습

했더니 인사노래가 나오면 친구한테 가서 안아주고 손 흔드는 것이 자연스럽게 됩니다

(J-R-5).

(4) 발달지체유아의 신변처리기술에 도움을 준다.

그래서 제가 소변 볼 때나 손 씻을 때 그 노래에 맞추어 소변을 보게 하고 양치할 때 저희

가 하는 노래가 있거든요. 그 노래가 끝날 때까지 양치를 하게 해요(C-M-11).

예 악기 만지는게 노래를 부르는 것이 아니니까 노래에 맞추어 뭐를 하는 것이니까 아마 양

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뭐를 만지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까?(E-R-7).

일상생활 훈련을 음악를 사용해서 하면 거부감없이 참여하게해요. 장남감치우기를 할 때에

나 간식 먹은 다음에 정리하기 등을 할때에 노래를 사용해서 하면 지도하기도 쉬워요

(D-M-10).

글쎄 신변처리가 하나의 동작을 하는 것이잖아요? 아니면 뭐를 조작한다든지, 악기도 소리

낼려면 손으로 조작을 해야되죠. 악기를 조작하는 것이 다른 것을 조작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나 지금 생각이 됩니다. 제가 맡은 애들이 보셨지만 가만히 있는 스타일이잖아요 노래

나오면 율동을 하게 되었더니 적극적이 돼서 그런지, 노래 소리가 흥미로워서 그런지 노래

가 나오면 신변처리 훈련이 쉬워지는 것 같아요(H-M-12).

단순히 음악적인 능력만을 신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신변처리 등 모든 부분에 효과적인 교

육이라고 생각해요(E-M-2).

2. 일반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계획된 노래부르기 활동은 발달지

체 유아에게 어려운 활동이다.

노래부르기는 발달지체유아가 잘 따라 하지 않고 방바닥을 보는 등 지루함을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38 -

느낀다. 또한 새 노래를 부를 때 노래를 부르는 옆의 또래를 치는 장난을 치거

나 교실을 돌아다니는 산만한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이는 노래부르기 활동이

일반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계획되었기 때문에 발달지체유아가 발화를 하거나 발

음을 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으므로 노래를 부르는 활동이 어렵게 느껴진다(박

승희, 2003; 이창미, 장혜성, 김수진, 2009; Hallahan, Kauffman, & Pullen, 2012).

그러므로 장애전담교사는 발달지체유아가 노래부르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음

과 같은 다양한 교수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환경수정과 자리배치(장혜성 등, 2007;

Heflin & Alberto, 2001; Salend, 2001; Sandall & Schwartz, 2008), 통합상황에

서 자연스럽게 발달지체유아의 참여를 돕는 또래지원(권원영, 1998; 양은희, 박승

희, 2005; 오선영, 2000; Dunlap, Kern, & Worcester, 2001; Harrower & Dunlap, 20

01), 그 외 다양한 방법(사전교수, 신체적 촉진, 시범보이기, 언어적 촉진, 긍정적

인 강화, 시각적 단서촉진)의 교사지원(장혜성, 김수진, 김지영, 2010; 정선화, 이

소현, 2006; Sandall & Schwartz, 2008, Salend, 2001), 가정연계(장혜성, 김수진,

김지영, 2010; 한국통합교육학회, 2005) 등이 요구된다.

1) 노래부르기는 발달지체유아의 언어장애 때문에 어렵다.

우리 아이들이 언어장애가 있어서 말을 잘 못하잖아요 영수는 자발어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노래를 술술 할 수 있겠어요. 제가 노래부르기 시간에 옆에서 노래 부르도록

했는데 더 힘들어하는 것 같더라고요(J-M-17).

할 수 있는 것을 최대로 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노래부르기는 좀 힘들어요. 말이 어려

우니까요(C-M-7).

발화와 연결된 부분인 것 같습니다. 노래가 즐겁기는 하지만 발음자체가 안 되는 애들한테

는 노래부르기는 감상에 불과한 것 같습니다(H-R-3).

(1) 노래부르기는 어렵다.

노래부르기는요. 글쎄요, 어렵지 않나 싶어요. 우리아이들이 도통 잘하지 않는 것을 보면요

(F-M-7).

우리아이들도 하고 싶을 거예요. 근데 노래하는 것이 힘드니까(J-M-6)..

노래를 반복적으로 부르게 하는 말을 못하는 애들은 어려워하고...(B-0-8)

(2) 노래부르기는 지루하다.

노래 부를 때 발달지체유아들은 따라하지 않았다. 리듬에 있어서 특정부분이 어려웠는데 반

복적으로 불렀을 때는 일반유아들은 모음과 함께 따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발달지체유아

가 따라하지 않았다(A-O-12).

일반교사는 노래의 가사를 바꿔보자고 하였고...발달지체유아는 노래 부를 때 방바닥을 쳐다

보고(A-O-10).

발달지체유아는 너무 너무 힘들어 하며 몇 번의 요구에도 여전히 졸자, 장애전담교사는 밖

으로 데리고 나가 잠시 쉬도록 해 준다(B-O-2).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39 -

통합교실에서 발달지체유아를 위한 음악활동을 세심하게 진행하기는 어려워요. 보통 활동

중에는 노래부르기 중 개사하기 등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려운 과제가 많기 때문에 이것이 많

이 어렵죠(G-M-11).

(3) 노래부르기는 산만하게 한다.

노래부를 때 일반아동들은 노래를 부르나 발달지체유아는 옆의 아동을 치고 장난을 건다,

곧 교사가 발달지체유아를 뒷자리로 보내 의자에 앉게한다(B-O-77).

다 같이 율동할 때는 자신이 할 수 있으니까 아무래도 반응이 나오는데 노래를 부를 때 특

히 새 노래를 배울 때는 힘들어 보여요. 친구들도 툭툭치고요. 저도 처음에는 노래를 따라

하도록 했지만(H-M-18).

노래부를 때 G가 돌아다니자 교사는 착석을 시킨다. 그러나 다시 돌아다닌다(A-O-27).

2) 참여를 위해 다양한 교수전략을 사용한다.

여러 가지 촉진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해요. 노래 부르기예는요(C-M-1).

잘 모르겠어요. 그런데 다양하게 전략을 쓰는 것이 좋은 것 같더라고요(F-M-11).

(1) 환경수정과 자리배치

교구장을 돌려놓기 등의 환경수정이 이루어집니다(J-R-3).

뇌성마비 유아의 경우 시트 사용을 위해 공간의 확보도 필요합니다(B-O-17).

유아들은 하트자리로 옮겼고 교사는 발달지체유아의 자리를 다시 배정시켰다. C는 다소 먼

옆자리에 지정되었고 A는 교사옆자리에 배정 되었다(B-O-77).

시선이 분산되어 참여가 어려운 경우에는 교사가 가까이 앉거나(D-M-12).

(2) 또래지원

본 활동이 진행이 될 때에는 발달지체유아로 하여금 또래유아들의 활동을 충분히 관찰할 수

있도록 시간을 제공하여 주고, 청각 장애 유아의 경우 또래 교수를 통해 활동에 참여하는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J-M-10).

아무래도 통합 상황이니 또래지원도 많이 활용하고 이런 수정방법을 사용할 때 효과가 제일

높은 것은 또래 지원이며, 또래가 시범을 보일 때 발달지체유아 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I-R-16).

청각장애아의 경우 음률 활동 시 노래 익히기를 많이 어려워하기 때문에 또래유아의 시범을

통해 동작을 보면서 가사 내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습니다(H-R-10).

교사의 지원이나 지시보다는 또래활동과 함께 참여하고 모방을 통해 발달지체유아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유아가 활동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D-R-21).

(3) 사전교수

자유놀이 때 애들 한때 가사판을 보여주고 노래를 한번 들려주었거든요. 애들이 한번 반복

연습을 해서 그런지 참여가 높아지는 것 같아요(C-M-2).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G에게는 자유놀이시간에 노래 가사를 미리 읽어 주고, 한 소절씩 모

방하여 읽어 보도록 함으로서...(J-M-22).

음악활동이 시작하기 전에 오늘 배울 주제인 ‘동물원의 동물’에서 기린 그림 자료로 준비하

여 E한테 미리 보여준다(B-O-79).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40 -

(4) 언어적 촉진

노래를 배운 후 또래(교사)가 반복해서 다른 가사로 바꿔 들려주면 멜로디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노래 시작을 유도하면 다음 차례를 이어받아 부르기도 해요(G-M-20).

노래 부르기 자신 없어 하는 경우에는 첫 소절을 단서로 주어 모양을 보면서 함께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C-R-18).

N 같은 경우는 노래할 때 옆에서 발화할 수 있게 해 주신다든지(E-R-15).

(5) 긍정적인 강화

지시사항에 적절하게 반응했을 때에 잘 했다는 것을 친구들 앞에서 이름을 부르면서 칭찬해

주고 안아주면...(D-M-1).

그리고 눈을 맞추며 교사가 관심을 갖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잘하고 있다는 반응

(웃어주기, 공개적 칭찬)을 해주어..(A-O-62).

현재 참여하고 수행한 활동에 대한 강화를 바로 해주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I-R-21).

(6) 시각적 단서촉진

6세반의 경우에는 새 노래를 가르칠 때에 바로 가사판을 보여주기 보다는 그림 자료를 통해

자연스럽게 노래의 의미를 이해하며 가사를 익힐 수 있도록.....(B-O-15).

일반아동이나 통합아동 모두 시각자료가 제시될 때 더 주의 집중할 수 있고 그림을 통해 가

사 속에 등장하는 동물이나 주요 단어를 모방해서 말하며....(B-O-62).

아동에 따라 개별적인 그림 자료를 필요로 할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F의 경우 착석유지

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제시된 자료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제시해주고 소거해주어야 합니다

(C-R-3).

발화하지 않는 J와 I에게는 노래를 부르는 대신에 해당가사에 그림 붙이기, 또래에게 가사판 제

시하여 주기(그림, 가사판 들어주기)등의 교수 자료를 조작하는 역할을 부여합니다(G-R-18).

(7) 가정연계

그래서 저희가 부모님들께 미리 악보를 나누어 주고 노래를 해 보도록 하기도 합니다

(D-R-10).

매주 월요일 9시에 15분 정도 활동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드리고, 악보가 있으면 노래를

나누어 드리고 없으면 가사를 드립니다. 또 악기 연주도 해 봅니다. 부모님들이 아이들이 집

에 와서 흥얼거리기는 하는데..뭔지 잘 모르겠다고 하십니다. 저희 반 부모님들은 모두 참석

하십니다(F-R-17).

가정하고 연계해서 악보주거나 녹음해서 미리 녹음해서 듣게 하면 확실히 아동의 참여가 다

른 것 같아요(J-M-11).

IV.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육과정에서 실시하는 노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가 발달지체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고, 영향을 주는 원

인이 무엇이며 그 영향이 어떻게 발전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다음과 같은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41 -

1. 악기연주하기와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는 발달지체유아에게

가치 있는 활동이다.

발달지체유아에게 악기연주하기와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가 가치 있는 활동이

되는 이유는 이러한 활동에 흥미를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흥미는 발달

지체유아가 평소와 다른 긍정적인 모습, 참여를 증진시키는 과정으로 발전되며

나아가서는 사회성과 신변처리기술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

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가 선호하는 활동(김태련 등, 1994; 최병철, 2006; Toigo,

1992)이며, 참여를 증진 시킬 수 있다(김태련 등, 1994; Darrow & Gfeller, 1991;

Jellison & Gainer, 1995)는 기존이론들과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악기연주는 또래와 함께 악기를 연주하고 악기를 바꾸는 활동 속에서 사회성기

술에 도움을 주었다. 선행연구에서 악기연주가 소근육운동을 증진시킨다고 하였

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과 신변처리기술에도 도움이 되는 활동임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악기연주를 시도하면서 악기를 조작하는데 손 근육기술을 사용하게

되므로 조작기술이 필요한 신변처리기술에도 도움을 준다는 소주제가 도출되었

다. 이는 악기 연주하기는 소근육운동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연구결과

(박계순, 1990; 손훈희, 2000; 이범민, 1999; Krout, 1987)와도 연관성이 있다고

하겠다.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는 음악이 나올 때 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는 발달지체유

아가 노래를 잘 따라 부르지는 못하지만 자신이 할 수 있는 율동을 시도하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노래가 나오면 인사하기, 안아주기와 같은 동작으로 사회성기

술이 발달하게 된다. 이는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가 대근육기술 증진에 관한

기존의 연구결과(권원영, 1998; 김군자, 1983; Kennedy & Kua-Walker, 2006) 뿐

만 아니라 본 연구결과는 사회성기술에도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에 맞추어 율동하기는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증진시키므로 신변처리기술을 유도

할 때에 음악을 함께 사용하여서 지도하는 교육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통합어린이집에서 음악치료사가 인위적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진행한 음악활동에

악기연주하기,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증진시킨다는 연구결과(장혜원, 2007a; 장혜원,

2011, 장혜원, 2012)를 지지하면서. 각각의 활동이 어떠한 과정으로 사회성을 증

진시키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과되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범주 중 장애유아는 악기연주하기와 음악에 맞추어 율동하

기에서 평소와 다른 긍정적인 모습이 나타나게 된다. 발달지체유아를 지도하고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42 -

있는 교사들이 이와 같은 모습을 보고 그들의 능력에 대한 잠재성을 발견하게

된다면 교육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일반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계획된 노래부르기활동은 발달지

체 유아에게 어려운 활동이다.

발달지체유아에게 노래부르기가 어려운 활동이 되는 이유는 발달지체유아에게

언어장애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언어장애 때문에 어려움을 느끼는 발달지체

유아는 노래부르기 시간이 지루하며 산만하게 된다. 장애전담교수는 이와 같이

지루함을 느껴 산만해진 발달지체유아가 노래부르기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다양

한 교수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음악활동에서 발달지체유아의 참여를 위해 사용

되는 다양한 교수전략에 대한 이론과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장혜성 등, 2007; 장

혜성, 김수진, 김지영, 2010; Barksdale, 2003; Goodman, 2007).

본 연구의 결과에서 노래부르기는 어려운 활동으로 발달지체유아에게 지루함과

산만함을 유도하는 활동으로 노래부르기가 발달지체유아의 흥미를 유도하여 언

어발달을 유도하였다(노혜선, 1999; 박소연, 2004; 배정화, 2002; Carroll, 1996;

Krauss & Galloway, 1982)는 기존연구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이는 언어발달을

위해 인위적으로 프로그램화한 노래부르기가 특별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

이라고 할 수 있는데 노래 가사에 따라 그림카드를 짝짓기, 질문하고 대답하는

형식의 노래부르기, 행동을 지시하는 가사의 노래게임을 전략으로 사용하였다(강

성미, 2004; 김미경, 최성규, 2008; 김영주, 정광조, 2006; 최선혜, 2003). 그러나

일반음악활동시간에서는 프로그램화된 노래 부르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노래를 부

르고 배우는 시간으로 노래부르기 시간을 진행하여 다양한 전략이 제공되지 않

았기 때문에 발달지체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지 않았나 추측해본다.

장애전담교사는 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다양한 교수전략을 사용하여 참여를 유도

하는데 장애전담교수가 사용한 교수전략 중 환경수정전략은 일반학급의 일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비용 효과 면에서도 가장 경제적인 교수전략이며(정선화, 이

소현, 2006), 발달지체유아는 구조화된 환경에서 반응을 더 잘 보이고, 체계적이

고 잘 계획된 교수전략을 통해서 학습을 보다 더 잘 할 수 있게 한다(정선화, 이

소현, 2006)는 이론적 근거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구조화된 학급환경은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게 노래과제에 대한 산만함에서 벗어나 집중과

습득을 위해 사용될 뿐 아니라 자리에서 돌아다니는 등의 문제행동들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성인영, 1999; 이숙, 2000) 중요한 교수전략이라 할 수 있다.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43 -

특히 도출된 교수전략 중 또래지원 방법은 발달지체유아와 또래간의 협동을 해

야만 노래활동이 가능해져서 발달지체유아의 음악적 반응을 촉진하고 기다려주

는 수준 높은 교수를 가능하게 해준다(Weelden, 2001; Zdinsk, 2001)는 선행연구

결과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발달지체유아가 어려워하는 새로운 노래를 배울 때

에 또래유아의 시범을 통해서 노래를 익히도록 하며, 교사의 지원이나 지시보다

는 또래와 함께 활동하도록 계획할 때에 사회성기술에도 도움이 되므로 적극 활

용할 것을 권유하고 싶다.

교사지원전략 중에서 교사가 음악활동을 직접 시범보이고 언어적, 신체적 촉진

을 통한 지원(장혜성 등, 2007; Lapka, 2006; Zdinsk, 2001)이 효과적이다. 특히

사전교수는 쉬는 시간이나 자유놀이시간에 새 노래를 미리 들려주거나 노래가사

를 발음해 보도록 시도하는 방법들이다. 이는 실제 음악활동시간에 발달지체유

아가 집중적으로 신속하게 배울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교사의 직접교수는

습득된 음악기술이 일반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교사는 통합어린이집

일과 중에 자연스러운 학습기회를 이용하여서 습득된 음악기술을 유지할 수 있

게 유도하여야 한다(Bricker, 1998; Sandall & Schwartz, 2008). 또한 발달지체유

아가 새로운 노래를 배울 때 가사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발화가 되지 않을

때에는 시각적인 자료를 사용하는 교수전략을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수전략 외에 발달지체유아의 효과적인 음악활동 습득을 위하

여 발달지체유아의 개별능력과 특성을 고려한 과제분석사용, 활동단순화, 난이도 조

정 등의 활동내용 수정(장혜성 등, 2007; Admek, 2001; Mitchell, 2004)을 제공해서

다양한 노래부르기에서 발달지체유아가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전략 이외에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음악적 전략을 적극 활용하여 발달지

체유아가 음악교과안에서 흥미를 가지고 긍정적인 효과를 선보이기를 기대해본다.

본 연구는 장애전담교사의 관점에서 통합어린이집 음악활동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 지에 초점을 두어 심도 있게 관찰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안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탐색하여 그 현상들이 나타나는 이유를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므

로 발달지체유아의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음악활동의 현 수준과 나갈 방향성을 제

시한 것에 가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제한점은 음악활동에 함께 참여

하는 일반교사의 관점이 제외되었으며, 같은 조건의 연구대상자 선정의 어려움으

로 두 곳의 어린이집에서 만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로 이와같은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장애전담교사의 깊이

있는 심층 질적분석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원인과 그 결과가 어떻게 진행

되었는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차후 연구에는 장애전담교사 뿐 아니라 일반교사,

일반유아에게까지 연구대상자를 확장시켜 보다 연구결과를 도출되기를 바란다.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44 -

참 고 문 헌

강성미(2004).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노래활동 사례분석. 한국

음악치료교육연구, 1(1), 34-46.

구광서(2001). 사회적 상호작용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권원영(1998) 특별한 친구프로그램을 통한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

변화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군자(1983). 자폐아동의 음악요법.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귀분, 신경림, 김소선, 유은광, 김남조, 박은숙, 김혜숙, 이경순, 김숙영, 서연옥

(2005).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김미경, 최성규(2008). 노랫말과 그림카드 매칭이 언어발달 지체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18(1), 161-177.

김영주, 정광조(2006). 가창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예

술심리치료연구, 2(2), 27-52.

김정인(1989). 자폐아의 사회성 신장을 위한 음악사용의 일 연구. 석사학위논

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태련, 염현경, 정현지, 김현정 (역.).(1994). 발달장애인을 위한 음악치료. 서

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노혜선(1999). 노래 부르기가 정신지체아동의 조음개선에 미치는 효과. 석사

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박계순(1990). 음악학습이 중증 뇌성마비아의 언어. 사회성. 손기능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소연(2004). 동요활동이 자폐성 아동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

료학회지, 6(2), 38-51.

박승희(2003). 한국장애학생 통합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배정화(2002). 노래부르기를 통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성인영(1999). 음악 활동이 정신지체아의 부적응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손훈희(2000). 음악활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상지의 근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양은희, 박승희(2005). 일반 고등학교에서 실시된 ‘굿프렌드 프로그램’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사이의 친구관계에 미친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1(2). 131-157.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45 -

오선영(2000). 또래지원망 프로그램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친구관계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종례(2005). 교사간 협력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장애유아

의 활동 참여여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범민(1999). 사물놀이가 뇌성마비 학생의 상지동작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

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이 숙(2000). 음악적 강화가 정신지체 아동의 지시따르는 행동의 향상과 자

해행동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이승현(2000). 음악치료가 자폐아동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용천, 김영천(1999).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이유진(2000). 음악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사회생활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이창미, 장혜성, 김수진(2009). 장애아 통합보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장혜성, 김수진, 김지영(2010). 기능적 기술습득을 위한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사.

장혜성, 장혜원, 황은영, 김은영(2007). 개별화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한 장애아

음악활동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장혜원(2007a). 긍정적 정서표현을 유도하는 음악활동이 장애유아의 어린이집

자유놀이시간에 또래를 향한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3(4), 151-172.

장혜원(2007b). 통합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유아가 경험하는 음악활동의 의미.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0(2), 83-102.

장혜원(2011).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

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13(4), 223-249.

장혜원(2012). 음악활동이 통합 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

는 영향. 특수교육연구, 19(1), 241-266.

정선화, 이소현(2006). 통합상황에서의 자폐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전략 고

찰. 특수교육, 5(1), 91-111.

조정수 (역.).(2010). 교육의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최병철(2006). 음악치료학. 서울: 학지사.

최선혜(2003). 발달연령에 기초한 가창지도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언어이해력

및 자발어 증가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46 -

한국통합교육학회(2005).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입문: 통합교육. 서울: 학지사.

황은영, 장혜성, 장혜원(2008). 통합보육기관에서 시행되는 음악활동의 실태와

교사지원요구조사. 정서·행동장애연구, 24(2), 275-301.

Admek, M. S.(2001). Meeting special needs in music class. Music Education

Journal, 87(4), 23-26.

Barksdale, A. L.(2003). Music therapy and leisure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Illinois: Sagamore.

Boswell, B., & Vidret, M.(1993). Rhythmic movement and music for adolesc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disabilities. Music Therapy Perspectives, 11(1),

37-41.

Bricker, D.(1998).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Baltimore: Paul H. Brookes.

Carroll, D.(1996).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n adaptation of melodic

intonation therapy in increasing the communicative speech of young

children with down syndrome. Master's thesis, McGill University,

Montreal.

Darrow, A. A., & Gfeller, K.(1991). A study of public school music programs

mainstream hearing impaired stud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28(1), 23-39.

Dunlap, G., Kern, L., & Worcester, J.(2001). ABA and academic instruction.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 129-136.

Edgerton, C. L.(1994). The Effect of improvisational music therapy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of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Music Therapy,

31(1), 31-62.

Goodman, K. D.(2007). Music therapy groupwork with special needs

children, Illinois : Charles C Thomas Publishers.

Hallahan, D. P., Kaffman, J. M., & Pullen, P. C.(2012). Exceptional learners: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earson.

Harrower, J. K., & Dunlap, G.(2001). Including children with autism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n review of effective strategies. Behavior Modification,

25, 762-784.

Haverkamp, B. E.(2005). Ethical perspectives on qualitative research in

applied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46-155.

Heflin, L. J., & Alberto, P.(2001). Establishing a behavior context for learning for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음악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장혜성)

- 147 -

students with autism.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 93-101.

Jellison, J. A., & Gainer, E. W.(1995). Into the mainstream: A case-study of

a child's participation in music education and music therapy. Journal of

Music Therapy, 32(4), 228-247.

Kennedy, R., & Kua-Walker, Y. A.(2006). Movement, singing, and instrument

playing strategies for a child with myotonic dystrophy. Music Therapy

Perspectives, 24(1), 39-51.

Krauss, T., & Galloway, H.(1982). Melodic intonation with language-delayed,

apraxic children. Journal of Music Therapy, 19(2), 102-113.

Krout. R.(1987). Therapy with multi-handicapped students: Individualizing

treatment within a group setting. Journal of Music Therapy, 24(1). 2-13.

Lapka, C.(2006).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gh school band: We can do it.

Music Education Journal, 92(4), 54-59.

Mitchell, L. C.(2004). Making the MOST of creativity i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Young Children, 59(4), 46-49.

Morrow, S. L.(2005). Quality and trustworthiness in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50-260.

Patton, M.(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 Ed).,

Newd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Salend, S. J.(2001). Effective mainstreaming: Creating inclusive classroo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Inc.

Sandall, S. R., & Schwartz, I. S.(2008).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Strauss, A., & Cor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Toigo, D. A.(1992). Autism: Integrating a personal perspective with music

education practice. Music Therapy Perspectives, 10(1), 13-20.

Weelden, K. V.(2001). Choral mainstreaming: tips for success. Music Education

Journal, 88(3), 55-60.

Zdinsk, S. F.(2001). Instrumental music for special learners. Music Education

Journal, 87(4), 27-30.

원 고 접 수 일 : 2012. 10. 31

수정원고접수일 : 2012. 12. 18

게 재 확 정 일 : 2012. 12. 20

발달장애연구(제16권 제4호, 2012년도)

- 148 -

<ABSTRACT>

Qualitative Study on Music Activities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on the Basis of Perceptions

from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e-song Chang*

This qualitative study was based on perceptions from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t focus on how music activities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are practiced. Data from seven week records of observation

of two researchers and interview of eight teachers who support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Two results(first: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rhythmic movement are valuable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Singing is difficult activitie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ifteen

sub results are release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rhythmic movement

are valuable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specially musical activities help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velop social

skills and self-care skills. But singing is very difficult activities to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ve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So, in

order to maximiz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instructional strategies as instructional accomodations and adaptations, classroom

environments to promote desirable music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er-mediated instruction, teacher directed instruction, and family

involvement should be developed. And it is suggested that not only singing

but also qualitative music activities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should be

developed for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Key Words> Music Activit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sive Child-Care,

Instructional Strategies, Qualitative Study

*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