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기업조직의 변화 -...

22

Upload: others

Post on 01-Sep-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1. 기업 환경의 변화

○ 기업 환경의 변화

- 입지 유연성: 지구적 상품 체인 구축

- 생산 유연성: 유연 생산라인 구축, 생산과 소비의 연계 강화

○ 정보통신기술 도입의 맥락

- 사무 자동화, 공장 자동화, 기업 내 정보화, 기업 간 정보화, 구매-제조-유통-판매-서비스 기업 활동 전 과정의 인터넷 기반

- 정보통신기술의 도입이 생산성 향상으로 바로 연결되는가?

- ‘생산성 역설’: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투자가 생산성을 높여준다는 경험적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왜 기업들의 투자가 계속되는가?

- ‘첨단’, ‘혁신’이라는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한 유행성 모방의 결과

- 생산성이나 효율성 제고라는 명목아래 실제로는 노동력 절감과 통제의 방편으로 도입

- 정보기술통신에 대한 투자가 장기적으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공헌한다는 경험 연구 결과: 기술 혁신과 조직 형태의 변화(분권화, 네트워크화 등) 병행

2. 기업조직의 변화

1) 규모의 축소

○ 소규모 기업

- 격화된 경쟁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

-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규모 기업도 정보력, 원거리 시장 개척, 다변화된 수요 대응을 위한 공급망 확보 가능

○ 거대 기업

-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전 세계 기업조직 관리 용이: 초국적 기업의 수와 영향력 증대

- 대량맞춤시장(mass customization market) 형성: 틈새시장 개척 유리

-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는 상품의 대량 생산: 대규모 생산시설, 표준화된 제품과 공정, 이를 뒷받침하는 시장의 필요

○ 기업 조직의 소규모화 경향

- 회사 내부에서 모든 기능을 통합해서 처리하지 않고 외부 시장에서 조달

- 연구개발, 디자인, 생산, 판매, 관리 등을 핵심 기능만 남기고 외주화(outsourcing)하거나 각 분야 강점 기업과 제휴

2) 분권화와 수평화

- 중앙집권적이고 위계서열적인 피라미드형 조직보다는 분권적이고 수평적인 평판형 조직(flat organization) 우세

- 시장 수요와 기술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서 하위 부서들이 자율권을 가지고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

- 기존의 중층적 의사결정 구조가 더 단순화되고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축소되며 권한이 하부로 이양되는 경향

- 다기능팀(cross-functional team):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다양한 부서에서 차출된 구성원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등한 위치에서 서로 협력

- 가상팀(virtual team):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지리적 조직적 경계에 구애 받지 않고 서로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 위치한 팀원들이 정보통신기술을 토대로 일상적으로 협력

- 중간관리자 역할 축소,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역할 중요

-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동료 집단 사이에 자생적으로 조직되는 비공식 조직을 지식 생산과 공유, 혁신의 원천으로 활용

- 조직 전체에 대한 집중적 통제력 강화: 기능별로 나뉜 수직적 위계와 프로젝트 중심의 수평 조직을 더욱 효율적으로 결합

3. 네트워크 기업(Castells, 2008)

- 점점 더 많은 기업 조직들이 기업 내 여타 조직들이나 다른 기업들과의 복잡한 관계망 속에서 활동

- 개별 기업이 아니라 이러한 관계망들이 기업 활동의 실제 운영 단위가 되고 있음

- 주도 기업(최고 시스템 통합자)과 참여 업체들이 새로운 제품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비용과 위험을 같이 부담하고 설계, 생산, 유지 보수, 지원 등 대부분의 사안에서 협력

- 지식집약도가 높은 핵심 역량(디자인, 연구개발, 마케팅)에 집중, 나머지를 외부 전문기업과의 수평적인 협력관계에 의존

- 주도 기업은 이전보다 생산에 덜 관여하는 대신 시스템을 설계하고 협업을 조율하며 브랜드를 관리하는 일에 집중

- 조직을 경량화하고 의사결정구조를 분권화하는 네트워크 조직

- 딜레마: 자사의 독점적 지식과 기술을 보호하면서도 협력에 필요한 정보를 참여 기업들과 충분히 공유하는 문제

- “G.A.라는 회사의 빈백은 복잡한 거미줄 같은 기업조직망의 산물. A라는 회사가 착상, A사는 공식적으로 G.A.사의 자회사지만 기능은 독립적. B사는 A사의 아이디어를 상품화하는 회사. G.A.사는 A사의 디자인을 구입. C사는 대만과 홍콩에서 수입한 최신 장비로 빈백 부품을 생산·조립. D사는 상품을 포장하고, E사는 유통시키고 F사는 판매. G사와 H사는 이 프로젝트에 자금을 공급했고, 그 채권을 여러 회사에 판매. I사와 J사는 그들의 체인점을 통해 빈 백을 판매. K사는 모든 법률적 문제 담당. L사는 광고, M사는 빈백 조립 공장 소유. N사는 그 기계를 소유. O사와 P사는 지역 내 독점 판매권 보유, Q사는 빈백을 유럽에서 제조·판매할 권리 보유. Q사는 유럽에서 이를 유통시키기 위해 R, S, T, U사와 계약 체결. W사는 회계 장부 관리와 현금 입출금 관리. X, Y, Z사는 모든 교통, 통신, 재고 관리 업무 담당=> G.A.사는 기업조직망(네트워크 기업).”(라이시, 1991)

“1920년대 자동차 비용의 85% 이상이 단순 생산직 노동자와 투자자들에게 지불됨. 1990년대에는 이 두 그룹은 60% 이하를 받았고 나머지는 디자이너, 엔지니어, 실내 장식가, 계획 입안자, 전략가, 금융전문가, 경영자, 변호사, 광고회사, 판매회사 등에 분배.”

“오늘날 반도체 가격의 3% 이하가 원재료 및 에너지 공급자에게 돌아감, 5%는 장비와 시설소유자, 6%는 단순생산직 노동자, 85%이상이 전문화된 설계와 엔지니어링 서비스, 특허권과 판권에 돌아감.”

“GM의 폰티액 르망의 경우, 10,000달러 지불. 3,000달러는 단순 노동 및 조립 공정 비용으로 한국으로, 1,750달러는 엔진, 트랜스액슬, 전자 공학과 같은 첨단 부품 비용으로 일본으로, 750달러는 설계 엔지니어링 값으로 서독으로, 400달러는 소용 부품 값으로 대만과 싱가포르 일본으로, 250달러는 광고 및 시장 유통 서비스 대금으로 영국으로, 50달러는 자료 처리 대금으로 아일랜드로, 나머지 금액은 디트로이트 전략가, 뉴욕 변호사 및 은행원, 워싱턴 로비 자금, 보험료, 세계 각국 노동자 보건비, GM 주주들에게로 지불.”(라이시, 1991)

4. 네트워크 사회와 사회의 맥도널드화

○ Self-programmable labor: 경험적 지식과 전문성에 기초한 자율적 판단을 통해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적 자원(Carnoy, 2000)

○ 상징분석가Symbolic Analyst (Reich, 1991)

- 기술, 시장, 금융 부문의 문제 해결, 문제 인식, 전략적 중개 능력

- 설계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토목공학자, 생명공학자, 건축 자문가, 제품 디자이너, 에너지 자문가, 농업 자문가, 시스템 분석가, 광고, 마케팅 전략가, 출판업자, 작가 및 편집인, 예술 감독, 영화 편집인, 언론인, 음악가, TV 및 영화 제작자, 전략 수립가, 경영정보 전문가, 조직개발 전문가, 인력 스카우트 담당자, 금융재정 전문가, 투자 은행가, 조세 자문가, 법률가, 회계사, 부동산 개발업자

- 추상화 능력, 체계적 사고 능력, 실험 정신, 협력 능력

○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반 노동자: 많은 산업과 직종에서 관료제가 가장 효율적인 조직 방식으로 남아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의 맥도널드화 강화(효율성, 계산가능성, 균일성, 자동화를 통한 통제)에도 효과적으로 활용

5. 고용과 노동의 변화

- 정보사회에서 인간의 노동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단순반복 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소수가 되고, 지식수준이 높고 일터에서 자율성을 보장받는 노동자들이 다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

- 정보사회에서 지식을 요하는 작업은 한정적이며, 많은 사람들이 단순노동에 남아있거나 주변적 노동자로 전락하게 될 것이며, 대량실업의 사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

1) 고용구조의 변화

(1) 산업별 취업자 구성의 변화

○ 서비스부문 취업자의 증대

- 2차 산업 대신 3차 산업의 증대는 정보사회의 특징들 중 하나

- 서비스업 취업자의 규모가 증대되는 것은 정보사회에만 국한된 것은 아님: 미국의 서비스 취업자 비율은 1929년에 이미 40%, 1967년에 55%로 증대됨

- 정보사회에서 2차 산업 취업자는 정체 혹은 감소하면서, 서비스 취업자는 더욱 빠르게 증가: 2007년, 미국 78%, 영국, 77%, 프랑스 73%, 독일 68%, 일본 68%

- 서비스산업 노동생산성의 발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

- 정보기술의 발전은 제조업 생산성을 더욱 비약적으로 증대시킴: 기술 혁신에 따라 2차 산업의 생산 규모는 증대되더라도 취업자수는 감소되는 현상 발생(서비스부문의 비중 증대는 더욱 현저해짐)

- 제조업은 여전히 한 나라 경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 많은 서비스 업종이 제조업에 의존(1980년대 중반 미국 GNP의 24%가 제조업에서, 25%가 제조업과 직접 연관된 서비스업에서 생산)

○ 후기 산업적 서비스 부문의 증대

- 전통적 서비스업이 아닌 근대적 서비스업이 정보사회를 특징지음

- 정보사회의 서비스산업은 교육, 건강, 사회 서비스를 포함하는 인적 서비스와 시스템 분석, 디자인, 정보 처리 등의 전문 서비스(D. Bell)

(2) 직업별 취업자 구성의 변화: 전문직의 증가

- 단순 직종보다 전문직, 기술직의 비중이 증대

- 정보화에 따라 새로이 등장하는 산업에서는 전통 산업에서보다 높은 지식을 요구하는 활동의 비중이 큰 경우가 많음

- 기존 산업에서도 정보기술의 도입에 따라 전문 지식을 가진 근로자의 비중이 커짐

- 유보적 입장: 전문 기술의 증가에 한계가 있고, 정보화가 진전되더라도 단순노동은 계속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증가함

(3) 고용형태의 변화

○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약화

- 정보화는 기업 내부 노동시장(대기업에 오래 머무르는 현상)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음

- 기업 내 숙련의 퇴화 때문: 경험과 교육을 통해 얻는 숙련에서 지적 숙련이 중요해진 시대(고참 노동자보다 대학에서 교육을 잘 받는 신참 노동자가 훨씬 나은 업무처리 능력 지님)

- 기술 혁신이 빨라지면서 기존의 숙련은 금방 쓸모 없는 것이 됨: 기업들은 외부 시장에서 그때 그때 필요한 인력 조달(인력양성보다 인력조달이 주된 고용방식, 시장지배적)

- 정보화로 인한 기업조직의 변화도 간접적 요인: 기업조직은 직급 사다리가 평판형 조직으로 변화(사무직 및 중간관리직의 내부노동시장을 약화시킴. 거래비용의 감소로 외주증가. 소규모 조직화 경향)

○ 불안정 고용의 증가

- 유럽 연합 주요 15개국에서 전체 임금 근로자 중 임시직의 비율은 1985년의 9.7%에서 2000년에는 12.5%로 증가: 노동시장 유연성을 추구하는 자본의 고용전략에 따른 것이지만, 정보화도 중요 요인으로 작용

- 정보화에 따른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는 불안정 고용의 증가 요인: 노동력 수요가 단기간에 큰 변화를 보이는 직종(서비스업종)

- 첨단산업은 기술 및 시장 변화가 빠름: 핵심 인력 이외의 단순 인력은 비정규직으로 고용

- 자발적으로 자유로운 고용 형태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음

○ 새로운 고용형태로서의 재택근무

- 미국, 1990년 400만 명 -> 1997년 1,100만 명 -> 2000년 초 1,500만 명

- 독일 전체 노동력의 2%, 이탈리아 1.2%, 영국 5%, 스웨덴 9%.

- 근래 빠르게 증가

2) 노동의 질 변화

(1) 숙련화 논쟁

○ 숙련화론

- 자동차, 기계, 석유 화학, 전기 전자 산업 조사 결과, 자동화에 따라 생산직 노동자들이 ‘시스템 컨트롤러’로 바뀌는 경향이 있음(케른과 슈만)

- 시스템 컨트롤러는 기계 설비를 조작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도 작성하는 등 이론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을 겸비한 노동자

- 노동소외가 정보사회에서는 크게 줄거나 해소된다는 입장(기술혁신으로 소외 해소 가능)

○ 탈숙련화론

- 독점 자본주의에서 자동화 기술의 도입과 함께 생산 노동과 사무 노동은 탈숙련화됨(브레이버만)

- 정보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노동자에게 속했던 숙련이 기계로 이전되고 노동자는 단순한 보조 작업만을 하게 됨

(2) 정보기술과 노동의 관계

○ 기술결정론 비판

- 정보기술이 노동에 미치는 영향은 인간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

- 쇠를 깎는 작업의 경우, 생산 노동자가 숙련을 상실하고 단순 보조 작업만을 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고(탈숙련화), 자동화된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도 짜고 복잡한 기계설비가 고장 났을 때 응급 처치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새로운 숙련을 익힐 수도 있음(숙련화)

- 숙련화의 경우 소외 감소, 탈숙련화의 경우 소외 강화: 결정은 인간의 선택

○ 정보기술 도입과 경영자의 의도

- 노동자의 탈숙련화와 자본에 대한 종속 강화를 위해 정보기술 도입(Noble, 1979)

- 경쟁의 압력이 거세지면 경영자는 숙련화 경로 채택: 이를 선택하지 않는 경영자는 정보사회의 경쟁에서 도태

○ 노동의 질 변화와 사회적 맥락

- 정보기술 도입에 따른 노동조직 형태 변화에 관한 경영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시장 조건: 고가·고품질 시장은 숙련화, 저가·저품질 시장은 탈숙련화

- 기업 내 노사관계: 노동자들이 생산방식 결정에 참가하는 발언권이 있는 경우 숙련화, 그 반대의 경우 탈숙련화

- 사회제도: 숙련노동자 공급체계가 발전되면 숙련화 경로가 적용될 가능성 큼(독일)

3) 노동자 내부의 불평등 확대

- 1차 노동시장과 2차 노동시장의 분리 확대

- 부가가치의 원천이 생산 노동에서 지식과 정보로 이동: 전문기술 노동자와 단순반복 노동자 간의 노동조건 차이 확대

- 내부 노동시장 약화와 고용 불안정성 증가 추세도 불평등 확대 요인

6. 일-가족-개인생활의 변화

1) 정보사회에서 일-가족-개인생활의 변동

○ 남성 생계 부양자 모델: 산업자본주의의 산물

- 일과 가족생활의 분리

- 성별에 따른 할당: 남성의 임금노동만이 가치를 인정받고, 여성의

가사 및 돌봄 노동은 주변적 지위로 전락

○ 성별 분업의 고정관념 약화: 탈산업, 정보사회의 결과

-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 남녀 모두 일-가족-개인생활을 다양하게 배치

2) 여성 노동력 증가와 근대적 가족 형태의 쇠퇴

- 2009년 현재 OECD 국가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61.3%

- 한국의 경우 49%, 맞벌이 가족의 비중도 2인 이상 가구의 3분의 1

- 산업사회 보편적 가족 형태 쇠퇴

- 가족 안의 여성에게 의존했던 사회 재생산 방식의 약화

3) 고용 유연화와 여성 노동력의 활용

- 고용 유연화: 하청, 외주화, 임시직, 파트타임 확대

-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기회 확대: 파트타임 노동력 확대의 결과

(여성 26.1%, 남성 8.4%)

- 파트타임이 가족 돌봄과 소득 활동을 병행해야 하는 여성에게

적합한 고용 형태로 여겨짐

- 여성이 불안정한 저임금 일자리를 채울 수 있는 주요 집단으로

등장: 파트타임, 사무직, 판매, 서비스 직 등 질 낮은 일자리

- 가족 내에서도 구성원들을 돌보는 1차적 책임: 노동시장의 주변적

위치 결정 요인

4) 노동의 탈남성화

- 기술 발달과 노동의 탈물질화는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촉진

- 서비스 부문의 확장은 ‘여성적’ 특성의 노동력 요구

- 생산기술의 발달에 따라 강한 육체적 힘을 요구하거나 위험 요인을

감수해야 하는 직업 요건 약화

- 지식 집약적 노동에 대한 수요 확대: 전문 관리직 확대는 고학력 여성 흡수하며 점차 성 중립화됨

- 대다수 직종이 사람을 상대로 하는 기술 요구: 고객 서비스 부문 확대와 ‘여성적’ 기술

- 교육 서비스, 보건, 사회복지 서비스 확대: 보건 사회복지 분야 최근 5년간 종사자 수 15% 증가, 여성 비중은 77.6%

5) 여성운동과 성 평등, 가족 지원 정책의 발전

- 제2물결 페미니즘 운동

- 남녀 성 역할 고정하고 여성을 가족에 머물게 한 사회구조 도전

- 임금 차별 규제와 동등한 고용기회 보장 법률 제정

- 북유럽 국가들의 가족 지원 정책: 공공 부문 여성 일자리 창출, 공공 보육 서비스 확충, 부모 휴가 도입

- 남성과 여성이 모두 임금노동자이자 보살핌의 제공자가 되는 평등한 가족 모델

- 여성의 낮은 임금, 고용 불안정, 가족 돌봄의 책임도 여전히 여성의 몫으로 남아 있는 문제

6). 유연근무제, 새로운 일-가족-개인생활의 배치

- 노동자라면 가족 돌봄과 책임도 개인생활도 없는 사람처럼 자신의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일에 쏟아 부어야 한다는 전제를 바꾸어야 함

○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확산

- 유연근무제: 노동의 장소와 시간을 유연하게 적용하여 노동자가 직장과 가정, 노동시간과 개인생활의 시간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게 하는 제도(원격 근무, 재택 근무, 유연노동시간)

- 미국: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 비율 2005년 74%, 유연노동자 전체 노동자의 30%

- 한국: 유연근무제 시행 기업 5% 미만

7) 새로운 불평등과 일 중심의 삶

○ 유연근무제를 둘러싼 불평등의 경계

- 유연 근무제를 활용할 수 있는 노동자는 일부 특권적 집단에 국한:

백인 남성 고학력 고임금 높은 지위

- 유연근무제는 파트타임 일자리의 무분별한 확산으로 고용 불안정 양산할 것이라는 우려

○ 24시간 경제, 24시간 노동

- 24시간 경제, 24시간 노동에서 유연근무제는 이전보다 더 일 중심의 생활을 강제할 수 있음

- 최근 미국 노동시장에서 전문 관리직의 노동시간은 계속 증가

- 글로벌 경제는 남녀 노동자 모두에게 가족과 개인생활을 포기하도록 종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