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12
65 세 세세 세세세 세세세세 세세 세세세세세 세세세세세세 세세세 세세세 세세 세세세세세세 – 세세세세세세 세세세세세 1091016 세세세 세세세세 http://www.sdc.ac.kr/sdot/

Upload: thisbe

Post on 19-Mar-2016

119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DESCRIPTION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노인작업치료 – 김형민교수님 작업치료과 1091016 조아라. 성덕대학. http://www.sdc.ac.kr/sdot/.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 찰 결 론. 성덕대학. http://www.sdc.ac.kr/sdot/. 연구목적. 인지기능이 양호한 65 세 이상과 65 세 미만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노인작업치료 – 김형민교수님

작업치료과 1091016 조아라

성덕대학http://www.sdc.ac.kr/sdot/

Page 2: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연구방법연구결과

고 찰결 론

성덕대학http://www.sdc.ac.kr/sdot/

Page 3: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인지기능이 양호한 65 세 이상과 65 세 미만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과 운동 기능의 회복 , 재활의학과로의 전과까지

소요된 기간 , 재활의학과 재원기간을 통해 조기 작업치료가

65 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Page 4: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대구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재활의학과 입원한 뇌졸중

환자대상으로

대상자 선정기준

자기공명영상이나 컴퓨터단층촬영판독을 통해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자 중 ,

1. 발병 후 1 개월 미만으로 뇌졸중의 기왕력이 없는 자

2. 시지각 검사도구인 성인용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 상

마비측에 시각 무시가 없는 자

3.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에서 24 점 이상인 자

Page 5: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

2. 연구 기간 및 방법

연구 기간 : 2007 년 1 월 ~ 2007 년 12 월

재활의학과 입원환자 재상으로 2 인의 작업치료사가 평가 실시

MVPT, MMSE 실시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을 만족한 자들을 대상 .

입 - 퇴원시 일상생활활동의 독립도를 알아보기 위해 변형된 바델지수를 ,

운동기능의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Motricity Index,

Fugl – Meyer Assessment 를 평가 .

Page 6: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

3. 연구 도구

1) 변형된 바델지수 일상샐활 활동수행 독립성평가 . 대한 뇌신경 재활연구소에서 제 5 판 MBI 를 수정 번안한

한국판 바델지수 . 국내 뇌졸중 환자의 장애를 객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애 평가방법 .

2) Motricity Index The Medical Reasearch Council System 척도를 수정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와 하지의 운동기능 손상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 .

3) Fugl – Meyer Assessment 뇌졸중 이후의 운동기능 , 균형 , 감각과 관절기능의 일부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 Brunnstrom 의 편마비 분류를 적용 .

Page 7: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자료분석은 SPSS 15.0 version 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

65 세 이상군과 65 세 미만군의

운동회복 ,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 재원기간 , 재활기간은 독립 -T 검정실시 .

유의수준은 < 0.05

Page 8: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일반적 특성 구분 인원수 (%)

성별남 26 (65.0)여 14 (35.0)

원인경색 31 (77.5)출혈 9 (22.5)

마비측오른쪽 16 (40.0)왼쪽 24 (60.0)

병변 부위

중대뇌 19 (47.5)연수 12 (30.0)

기저핵 8 (20.0)기타 1 (2.5)

대상자 수 연령평균 재활 이전 기간 재활의학과 입원기간

65 세 미만 20 51.70±8.24 20.55±8.93 46.95±13.0265 세 이상 20 69.60±4.01 13.26±4.63 38.50±24.28

Page 9: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

2. 연령군별 운동 회복 , 일상생활활동 , 전과기간과 재활기간

비교 65 세 이상군(n=20)

65 세 미만군(n=20) P

MBI입원시 67.75±19.27 56.35±25.32 0.06퇴원시 91.40± 8.11 81.60±20.99 0.03*

변화 23.65±15.95 25.25±13.30 0.39

FMA( 상지 )입원시 33.05±23.71 19.37±21.07 0.03*

퇴원시 43.50±24.96 36.55±24.71 0.19*

변화 10.45± 8.62 17.00±15.44 0.05

MI( 퇴원시 )상지 57.40±18.33 54.75±22.01 0.34하지 62.00±13.24 64.65±11.50 0.25

전과기간 ( 일 ) 13.26± 4.63 20.55± 8.93 0.01*

재활기간 ( 일 ) 38.50±24.28 46.95±13.02 0.09

Page 10: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고찰

연령이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적 회복에 영향을 준다는 다른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볼 때 ,

실험군의 인지 기능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

인지 기능이 양호한 경우에는 연령이 높은 노인 환자들도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기능적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노인 인구의 기능 변화에 연령뿐 아니라 성별도 영향을 미친다는 여려 연구들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작은 표본 수와 남 , 녀의 성비가 일정하지 않은 관계로 이 부분 까지

살펴볼 수 없는 제한점이 있었다 .

Page 11: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결론

65 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들의 경우에도 인지 기능이

양호한 경우 조기 작업치료를 통해 운동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 향상을 기대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향후 연구에는 노인층을 좀 더 세분화 하여 65 세 이상의 고령층과

80 세 이상의

초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age 12: 65 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덕대학http://www.sdc.ac.kr/sd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