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기 와 청대의 음 조선후기와 청대의 음다(飮茶)풍습...

149
( ) 2 0 1 7 6 조선후기와 청대의 음다(飮茶)풍습 비교 한국문화학과 린 林) 린 琳) 지도교수 2017년 6월 - 차 그림을 중심으로 -

Upload: others

Post on 05-Jul-2020

5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 조선후기와 청대의 음다(

    飮茶)

    풍습 비교

    린 린

    2017년6월

    조선후기와 청대의 음다(飮茶)풍습 비교박 사 학 위 논 문

    계 명 대 학 교 대 학 원한 국 문 화 학 과

    린(林) 린(琳)

    지도교수 강 판 권

    2 0 1 7 년 6 월

    - 차 그림을 중심으로 -

  • 조선후기와 청대의 음다(飮茶)풍습 비교

    지도교수 강 판 권

    이 논 문 을 박 사 학 위 논 문으 로 제 출 함

    2 0 1 7 년 6 월

    계 명 대 학 교 대 학 원한 국 문 화 학 과

    린(林) 린(琳)

    - 차 그림을 중심으로 -

  • 린린의 박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 심 최 미 자

    부 심 강 판 권

    부 심 김 윤 조

    부 심 유 가 효

    부 심 김 인 숙

    계 명 대 학 교 대 학 원

    2 0 1 7 년 6 월

  • i

    목 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1.2 연구 범위와 방법 ····························································································2

    1.3 선행 연구 개관 ································································································4

    2. 한․중 차문화 교류와 사료 ················································································6

    2.1 한․중 차문화 교류 ························································································6

    2.2 한․중 차문화 사료 ························································································8

    2.2.1 조선후기의 차문화 사료 ·········································································8

    2.2.2 청대의 차문화 사료 ···············································································11

    3. 한․중 차 그림의 등장인물과 음다풍습 ························································14

    3.1 궁정의 음다풍습 ····························································································14

    3.1.1 조선후기 궁정의 음다풍습 ···································································15

    3.1.2 청대 궁정의 음다풍습 ···········································································23

    3.2 양반 및 신사의 음다풍습 ············································································35

    3.2.1. 조선후기 양반의 음다풍습 ··································································37

    3.2.2. 청대 신사의 음다풍습 ··········································································41

    3.3 승려의 음다풍습 ····························································································46

    3.3.1. 조선후기 승려의 음다풍습 ··································································47

    3.3.2. 청대 승려의 음다풍습 ··········································································49

    3.4 평민 및 여성의 음다풍습 ············································································51

    4. 한․중 차 그림의 차도구 ··················································································59

    4.1 조선후기의 차도구 ························································································59

    4.1.1 차의 종류와 음다풍습 ···········································································61

  • ii

    4.1.2 팽다구와 음다구 ·····················································································63

    4.2 청대의 차도구 ································································································68

    4.2.1 차의 종류와 음다풍습 ···········································································68

    4.2.2 팽다구와 음다구 ·····················································································71

    5. 결론 ························································································································83

    참고문헌 ·····················································································································88

    부 록 ·····················································································································92

    영문초록 ···················································································································134

    국문초록 ···················································································································137

  • iii

    표 목 차

    조선후기 궁중 차의 종류와 용도 ·························································16

    조선후기 궁중의 의례와 차 ···································································22

    청대 각 지방의 공차 ···············································································26

    어다방 차선에 대한 유차의 1일 공급량 ·············································28

    청대 궁중의 의례와 차 ···········································································30

  • iv

    그림목차

    朝鮮 김진여 등 己亥耆社貼․景賢堂錫宴圖 의 부분 ·················21

    朝鮮 王世子入學圖貼․爵獻圖 의 부분 ·········································21

    朝鮮 己丑年進饌圖․慈慶殿內進饌 의 부분 ·································21

    朝鮮 戊申年進饌圖․通明殿夜進饌圖 의 부분 ·····························21

    淸 雍正妃行樂圖․品茗 의 부분 ·····················································24

    淸 張宗蒼 繪․乾隆 詩 乾隆皇帝松蔭揮筆 의 부분 ···················24

    淸 Prince Guo, Reading in a Spring Garden 의 부분 ············24

    淸 姚文瀚 紫光閣賜宴圖卷 의 부분 ···············································30

    淸 郎世寧․金昆․程志道․丁觀鵬 등 孝賢純皇后親蠶圖․祭壇

    의 부분 ······························································································30

    淸 淸院畫十二月月令圖․ 四月 의 부분 ·····································34

    淸 郎世寧 弘曆中秋賞月行樂圖 의 부분 ·····································34

    淸 乾隆雪景行樂圖 의 부분1 ·························································34

    淸 乾隆雪景行樂圖 의 부분2 ·························································34

    朝鮮 이명기 草堂讀書 의 부분 ·····················································36

    淸 高翔 夜月讀書 의 부분 ·····························································36

    朝鮮 김홍도 淡窩 洪啓禧平生圖․致仕 의 부분1 ·····················37

    朝鮮 김홍도 淡窩 洪啓禧平生圖․致仕 의 부분2 ·····················37

    朝鮮 김두량․김덕하 四季山水圖․秋冬田園行獵勝會 의 부분1 ······38

    朝鮮 유숙 修禊圖 의 부분 ···························································39

    朝鮮 이인문 山靜日長 병풍의 부분 ·········································40

    朝鮮 酒肆 의 부분1 ·········································································40

    朝鮮 冊架圖八幅屛 의 부분 ·····························································40

  • v

    清 金廷標 畫人物事蹟十二幀冊․映雪讀書 의 부분 ·················43

    清 錢慧安 烹茶洗硯圖 의 부분 ···················································43

    清 葉芳林 九日行庵文宴圖 의 부분 ···········································44

    清 黃應諶 陋室銘圖 의 부분 ·······················································44

    清 金廷標 畫仙舟笛韻 의 부분 ···················································44

    清 吴大澂 愙斋集古图 의 부분 ···················································45 朝鮮 回眼․鵬眼 松廣寺應真堂十六羅漢圖 의 부분 ·················47

    淸 改琦 紅樓夢人物圖․智能 의 부분 ·········································47

    朝鮮 那般尊者圖 의 부분 ·······························································48

    朝鮮 獨聖圖 의 부분 ·······································································48

    淸 石濤 蓮社圖 의 부분 ·······························································50

    淸 翟繼昌 摹趙孟頫飲中八仙圖 의 부분 ·····································51

    淸 焦秉貞 繪․康熙 詩 御製耕織圖․成衣 의 부분1 ···············54

    淸 冷枚 耕織圖冊․潘花 의 부분 ·················································54

    淸 華喦 替人說書圖 의 부분 ·························································56

    淸 張筠 說書納涼 의 부분 ·····························································56

    淸 錢慧安 慈母圖 의 부분 ·····························································57

    淸 孫璜 Leisurely Life of a Lady 의 부분 ······························57

    朝鮮 황윤석 扶風鄕茶譜 의 부분 ·················································63

    朝鮮 酒肆 의 부분2 ·········································································64

    朝鮮 허련 阮堂蘭話 의 부분 ·························································64

    朝鮮 안중식 人物圖屏風․梅妻鶴子 의 부분 ·····························64

    朝鮮 이인문 古松流水帖之二 의 부분 ·········································64

    朝鮮 이인문 古松流水帖之十五․松溪雅集 의 부분 ···············64

    朝鮮 김득신 行旅風俗圖․겨울채비 의 부분 ·····························64

    朝鮮 이한철 人物 의 부분 ···························································64

  • vi

    朝鮮 윤제홍 梅花 의 부분 ·····························································65

    朝鮮 김홍도 群賢圖 의 부분 ·························································65

    朝鮮 김홍도 醉後看花 의 부분 ·····················································65

    朝鮮 이재관 煎茶 의 부분 ·····························································65

    朝鮮 김두량․김덕하 四季山水圖․秋冬田園行獵勝會 의 부분2 ···66

    朝鮮 이재관 芭蕉題詩 의 부분 ·····················································66

    朝鮮 Spirit house 의 부분 ····························································67

    朝鮮 器用圖 의 부분 ········································································67

    朝鮮 은다종 ·························································································67

    朝鮮 다정․화류대 받침을 갖춘 옥다종․은다관․주칠소원반․

    시접반․은시접․은젓가락과 은수저․은조아 ····························67

    淸 喻蘭 仕女淸娛圖․品茗 ···························································71

    淸 禹之鼎 竹林七賢圖 의 부분 ·····················································71

    淸 卞永譽 王士祿柳蔭放鶴圖 의 부분 ·········································73

    淸 呂學 茗情琴藝圖卷 의 부분 ·····················································73

    淸 丁觀鵬․孫祜․周錕 院本漢宮春曉圖 의 부분 ·····················74

    淸 顧騶 茶具冊頁․雲屯 의 부분 ·················································74

    淸 顧騶 茶具冊頁․品司 의 부분 ·················································74

    淸 焦秉貞 繪․康熙 詩 御製耕織圖․成衣 의 부분2 ···············75

    淸 董誥 繪․乾隆 書 甲午雪後即事成詠詩 의 부분 ·················75

    淸 丁觀鵬 夜宴桃李園圖 의 부분 ·················································75

    淸 姚元之 茶半香初 의 부분 ·······················································75

    淸 任頤 何以誠肖像 의 부분 ·························································75

    淸 禹之鼎․張鸞 芙嶼先生圖 의 부분 ·······································76

    淸 楊晉 豪家佚樂圖 의 부분 ·························································76

    淸 高簡 松林煮茶 의 부분 ···························································76

  • vii

    淸 沈宗騫 竹林文會圖 의 부분 ···················································76

    淸 朱棟 煮茶圖 의 부분 ·······························································76

    淸 陳鴻壽 煮茶百合圖 의 부분 ···················································76

    淸 王樸 歷代名姬圖․卓文姬 의 부분 ·······································76

    淸 赫達資 繪․梁詩正 書 畫麗珠萃秀冊․漢卓文姬 의 부분 · 77

    淸 姚文瀚 賣漿圖 의 부분1 ···························································77

    淸 姚文瀚 賣漿圖 의 부분2 ·························································77

    淸 顧騶 茶具冊頁․火奩 의 부분 ···············································77

    淸 陳枚 繪․梁詩正 書 月漫淸遊圖冊․十二月踏雪尋詩 의 부

    분 ··········································································································78

    淸 淸 赫達資 繪․梁詩正 書 畫麗珠萃秀冊․吳麗居 의 부분·····78

    淸 丁觀鵬 太平春市圖 의 부분 ···················································78

    淸 雍正帝行樂圖․圍爐觀書 의 부분 ·········································79

    淸 Lady Su Hui and Her Verse Puzzle 의 부분 ···················79

    淸 蘇州市景商業圖 의 부분 ·························································79

    淸 禹之鼎 城南雅集圖 의 부분 ···················································80

    淸 呂煥成 蕉陰品茗圖 의 부분 ···················································80

    淸 王樸 歷代名姬圖․紅拂 의 부분 ···········································80

    淸 姚文瀚 賣漿圖 의 부분 ···························································81

    淸 冷枚 賞月圖 의 부분 ·······························································82

    淸 Prince Shen in an Outdoor Setting 의 부분 ···················82

    淸 Portrait of an Unidentified Man and His Son 의 부분 ···· 82

    淸 金廷標 福壽堂行樂圖 의 부분 ···············································82

  • - 1 -

    1. 서 론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역사적으로 한․중 양국은 여러 면에서 빈번한 교류 과정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각각의 특색 있는 문화를 발전시켰다. 차문화도 양국

    간의 교류를 통해서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본고에서는 조

    선후기와 청대를 중심으로 현존하는 차(茶) 그림을 분석하여 한․중 양국의

    음다풍습에 대해 비교․연구할 것이다.

    차는 약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거쳐 일부 특권층이 즐길 수 있는 문화에

    서 모든 계층이 즐길 수 있는 기호음료로 변화되었다. 차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지만, 차 그림은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서 시대와 지역의 음다풍습 특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따라서 차

    그림을 통한 음다주체, 음다방식, 차도구, 장소, 풍습, 공간 등 여러 가지 차

    문화 요소를 분석․연구하는 경향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의 교류 영향으로 유사한 음다풍습를 가지고 있는 한․중 양국의

    음다풍습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차 그림 분석을 통해 비교․연구한 것은 거

    의 찾아볼 수 없다. 본고는 차 그림의 분석을 통해 조선후기와 청대의 음다

    풍습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조선후기와 청대를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전통 차문화의 번성과 쇠락이 공존하는 시대이자 근대 차문화

    가 교차하는 시기여서 양국의 차문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

    다.

    차 그림은 다화(茶花), 다화(茶話), 다화(茶畵) 등 다양한 한자 표기의 가

    능성 때문에 종종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같은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다화(茶畵)를 ‘차 그림’으로 표기하고자 한다. 한․중 양국의

    차문화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차 그림은 아직 학문적으로 익숙하지 않는

    개념이다. 차 그림이라는 개념은 한국 고유의 표현 방식이며 얼마 전까지

  • - 2 -

    다화(茶畵)라는 개념이 널리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다화(茶畵)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차 그림은 회화 작품 중에서 내용이나 소재가 차문화

    와 관련하여 표현된 것을 통칭하는 말이다. 차 그림에는 제다, 팽다, 음다,

    차도구, 다회 등 차에 관련된 다양한 요소가 등장한다. 이 같은 표현을 통

    해 차에 대한 예찬, 음다생활과 음다공간, 차도구, 음다풍습 등의 여러 가지

    차문화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차 그림은 일종의 음다풍습의 축소

    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 그림은 차문화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차 그림은 예술 형식의 하나라는 점에서 차 그림

    에 묘사된 내용이 현실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도 차 그

    림은 시대상을 반영한 음다풍습이 표현된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고에

    서는 조선후기와 청대의 문헌자료와 현존하는 차 그림의 분석을 통해 양국

    의 음다풍습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1.2 연구 범위와 방법

    시대의 변화에 따라 차문화가 점점 사람들의 관심을 끌면서 회화, 서예,

    차도구 등 국내외 차 관련 전시도 많이 생겼다. 경기도박물관에서의 특별전

    시회 ‘茶 즐거움을 마시다’(경기도박물관, 2014)는 주로 국내외 박물관에 소

    장된 청대와 조선시대의 차 그림을 포함해 60여 편의 그림을 전시했다. 臺

    北故宮博物院에서 ‘也可以清心: 茶器․茶事․茶書’(廖寶秀, 2002)라는 주제로

    당․송․명․청 시대에 따라 차도구, 차 그림, 다서, 다시 등 중국의 특색이

    있는 차문화 기물을 전시했다. 上海博物館에서는 ‘禪茶一味’1)를 주제로 차

    그림과 차도구를 전시했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국내외에서 전시된 차 그

    림, 세계 각국 박물관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차 그림을 참고해서 조선후

    기와 청대의 차 그림을 분석하여 한․중 양국의 음다풍습을 비교․연구하

    고자 한다.

    조선후기의 차 그림 부분은 국립고궁박물관, 송광사 성보박물관, 삼성미

    1)上海博物館 사이트(www.shanghaimuseum.net) 참조.

  • - 3 -

    술관 Leeum, 미국의 Philadelphia Museum of Art, 영국의 British Museum,

    프랑스의 Musé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 Guimet, 독일의 Museum Für

    Kunst und Gewerbe Hamburg, 일본의 日本民藝館 등 국내외 박물관, 기관

    이나 개인이 소장한 그림 작품을 참고했다. 청대의 차 그림 부분은 주로 北

    京故宮博物院, 臺北故宮博物院, 영국의 The British Museum, 미국의 Freer

    Gallery of Art,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 등 국내외 박물관, 기관이나 개인이

    소장한 차 그림을 참고했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와 청대의 수많은 차 그림 중 각각 170여 편과 300

    여 편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차 그림의 수량은

    지금까지 관련 연구에서 다룬 차 그림과 비교하면 아주 많은 연구이다. 그

    간 관련 연구에서 다룬 차 그림은 겨우 몇 편에 지나지 않았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조선후기와 청대의 차 그림을 음다주체와 차도구로

    주제를 분류하고, 분류된 주제를 중심으로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하고, 이를 토대로 양국의 음다풍습을 비교․연구하려 한다. 주제에 따른

    연구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양국의 차 그림에 등장하는 음다주체를 기준으로 분류․분석한다.

    양국의 차문화 환경에 따라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내어 비교한다. 청대 차

    그림의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음다주체들이 표현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대

    적으로 조선후기의 차 그림에서는 청대와 비교하여 다양한 음다주체의 등

    장이라는 측면에서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음다주체의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나타나는 이유를 비교․분석한다.

    둘째, 양국의 차 그림에 등장하는 차도구들을 팽다구와 음다구로 나누어

    서 분석․비교한다. 이러한 차도구의 비교는 양국의 음다풍습을 비교․연구

    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차 그림과 차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토대로

    차이점과 공통점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나타나는 이유

    를 비교․분석한다.

    셋째, 양국 음다풍습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의 차 그림

    과 문헌사료에 표현된 음다주체와 차도구의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차이점

    과 공통점이 나타나는 이유를 비교․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양국의 음다풍

  • - 4 -

    습을 비교․연구하려 한다.

    1.3 선행 연구 개관

    차문화 발전에 따라 차 그림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면서 한․중 양국의

    차 그림에 관련된 연구도 최근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중 차 그림에 대

    한 비교․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오늘날까지 한․중 양국의 차문화에 큰

    영향을 끼치는 조선시대 후기와 청대의 차문화를 차 그림을 통해 비교․분

    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한국의 경우, 고연미의 韓․中․日 차 그림(茶畵) 比較硏究 (2006)는 삼

    국의 차 그림 총 127편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비다도(備茶圖), 다회도(茶會

    圖), 다악도(茶樂圖), 다유도(茶遊圖), 매다도(賣茶圖)로 나누어 유사점과 차

    이점을 비교했다. 이 외에 조선시대 차 그림과 관련한 연구로는 김재임의

    朝鮮時代 茶畵에 나타난 茶文化 硏究 (2004)는 조선시대의 차 그림 48편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차를 마시는 계층, 사상, 풍습을 통해 당시의 차생활을

    연구했으며, 하보숙의 朝鮮朝 茶文化의 美意識에 관한 考察 (2008)은 조선

    시대의 차 그림 14편을 포함하여 차도구, 다시, 차문화 공간에 표현된 미의

    식을 연구했다. 이정아의 金弘道․李寅文의 차그림을 통해 본 조선후기 차

    문화 연구 (2009)는 김홍도와 이인문의 차 그림 55편을 통하여 두 사람의

    생애와 작품세계의 연관성과 유사성, 차이점의 분석을 통해 조선후기 차문

    화에 관한 연구를 했고, 조일옥의 小癡 許鍊의 茶 生活 考察 (2011)은 5편

    의 차 그림, 그리고 서간문(書簡文)과 다시(茶詩)를 통해서 허련의 차생활을

    분석했다. 최미영과 홍광표의 조선시대 다화(茶畵)에 나타나는 경관요소

    (2012)는 차 그림 30편을 자료로 활용하여 음다공간에 대한 당시 선비들의

    취향과 자연성 및 장소성 등과 같은 경관요소를 연구했으며, 이은정의 朝

    鮮後期 茶畵를 통해 본 茶生活 硏究 (2013)는 차 그림 59편을 연구 자료로

    하여 당시의 차생활을 형식과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 및 해석을 시도했다.

    박인숙의 朝鮮時代 16∼19세기 契會圖에 나타난 茶禮 服飾 硏究 (2014)는

  • - 5 -

    계회도 17편을 통해서 16∼19세기의 다례 복식을 분석했다. 중국의 경우,

    차 그림에 관련된 연구와 당․송․원․명 각 시대별로 차 그림 연구는 비

    교적 많이 나와 있는 편이다. 그러나 청대 차 그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

    다. 대표적으로 试论茶画的发生发展与构成 (姚国坤, 张莉颖, 李茂荣, 2000)

    은 현존하는 차 그림을 통해서 다화의 출현․발전․구성에 대해 분석했고,

    明清兩代繪畫中文人生活行為與家具使用關係之研究 (王麗卿, 2005)는 명․

    청 시대의 그림을 통해서 문인의 박고(博古)․음주(飮酒)․청담(淸談)․품

    명(品茗) 등 생활행위와 가구사용의 관계에 대해 연구했다. 中国茶文化空

    间形态研究初探 (邱尙周, 2007)는 문인의 생활방식과 고대 다관(茶館)의 공

    간 형태를 통해서 고대 차문화 공간의 사상적 특징을 분석했다.

  • - 6 -

    2. 한․중 차문화 교류와 사료

    2.1 한․중 차문화 교류

    조선왕조실록2) 에서 조선후기와 청대에 한ㆍ중 양국 국가 간의 차문화교류와 관련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인조 14년(1636) 2월 4일 기묘의 기

    록에 따르면, 정묘호란(1627)이 있은 뒤로 후금에 세폐를 보냈다. 그 중에는

    천지차(天池茶)ㆍ작설차(雀舌茶) 각 50봉이 포함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기

    록에 의하면 청나라 건국 전부터 조선이 차를 세폐로 후금으로 보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인조 15년(1637) 1월 28일 무진의 기록에 따르면, 세폐

    (歲幣)에 차(茶) 1천 포(包)가 포함되었다. 또한 ‘성절(聖節)․정조(正朝)․

    동지(冬至) 중궁천추(中宮千秋)․태자천추(太子千秋) 및 경조(慶吊) 등의 일

    이 있으면 모두 모름지기 예를 올리고 대신 및 내관(內官)에게 명하여 표문

    (表文)을 받들고 오게 하라.’라고 했다. 인조 23년(1645) 2월 18일 신미의 기

    록에 의하면, 청나라가 1644년 10월 6일에 중원을 평정하여 국호를 ‘대청

    (大淸)’으로 세우고 도읍은 연경에 정하고 연호를 ‘순치(順治)’로 하였는데,

    세공과 폐물은 차(茶) 1천 포(包) 등을 면제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원

    조(元朝)․동지(冬至)․성절(聖節)의 하의(賀儀)는 예전과 같이 하되, 길이

    워낙 멀기 때문에 삼절(三節)의 표의(表儀)는 모두 원조에 함께 바치도록

    허가하여 먼 곳의 사람을 돌보아 주는 뜻을 드러내노니, 삼가서 할지어다.’

    라고 했다. 따라서 조선에서 청나라로 보낸 사신들을 원조사․동지사․성절

    사, 또는 삼절사라고 불렀다. 조선에서 청나라로 보낸 사신들은 상술한 것

    처럼 매년 정기적으로 보낸 사신 외에 진하사(進賀使), 문안사(問安使), 진

    위사(陳慰使), 진향사(進香使), 진주사(進奏使), 주청사(奏請使), 고부사(告訃

    使), 사은사(謝恩使), 공응사(貢鷹使), 호행사(護行使), 참핵사(參覈使), 재주

    자사(賫奏咨使) 등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은 사신도 많았다(張存武, 1985,

    2) 한국고전번역원 사이트(www.itkc.or.kr) 참조. 下同.

  • - 7 -

    pp. 15-17).

    위에는 차 천 포를 세폐로 정했으나 면제한 것은 당시의 시대 배경을 분

    석하면 잘 이해할 수 있다. 청나라는 중국을 정복하고 국가가 안정된 이후

    에도 차를 조공물품으로 요구한 경우도 있었다. 만족은 유목 민족이라 예부

    터 차는 생존의 필수품 중 하나였다. 유목민족은 육류의 섭취는 쉽게 할 수

    있으나, 채소류의 섭취가 어려워 차로서 해결했다. 청조는 건국 전후에 정

    벌 전쟁을 준비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배후지역의 안정과 다른 한편으로

    는 전쟁 물자를 마련하기 위하여 정묘와 병자 이차에 걸친 조선에 대한 침

    략을 통하여 세폐뿐만 아니라 면(綿)을 비롯한 옷감, 도(刀)를 비롯한 무기,

    쌀을 비롯한 식량, 그리고 차를 수탈했다. 자세한 항목은 인조 14년(1636) 2

    월 4일 기묘와 인조 15년(1637) 1월 28일 무진의 기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1644년에 만족 정권은 명나라의 도읍을 함락하여 전국의 통치자가 되

    었다. 정권을 세운 동시에 큰 전쟁이 끝나면서 전국의 자원도 당연히 장악

    했다. 청조는 새로운 정권을 세워서 주변 국가와 장기간 안정되고 태평스럽

    게 지내려 했다. 인조 23년(1645) 2월 18일 신미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의

    세공과 폐물에 대하여 차를 포함하고 특히 옷감과 칼을 감량하거나 면제할

    것을 허가했다. 그 후에도 후기의 조선과 청나라 양국은 서로 많은 사신을

    보내면서 사신의 교류를 통한 국가 간의 차문화 교류는 끊임없이 이루어졌

    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후기와 청나라는 양국이 서로 사신을 보내고 이를 통해 국가 간의 차문화 교류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뒤에 부록의 과 는 한․중 양국 간의 교류 중에 차문화에

    관련된 내용이다. 부록의 과 를 통해서 조선에 청사가 올 때

    는 다례를 행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례였고, 청나라에 조선사신이 갈 때는

    황제가 연회를 베풀어 낙차, 다과 등을 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차

    와 차도구를 선물로 받은 기록도 나와 있다. 조선후기와 청대의 차문화 교

    류는 주로 영조와 정조시기, 즉 청나라 건륭시기에 집중되었다. 이 시기에

    조선은 전란으로 인한 피해가 복구되면서 정치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차문화도 어느 정도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 - 8 -

    오랜 기간 교류를 통해서 조선으로 수입된 중국의 문물들이나 중국을 다

    녀온 사신들의 견문으로 중국이 차의 무역을 통해서 국가를 풍요롭게 한다

    는 현실을 참고하여 이덕리(송재소, 유홍준, 정해렴 등, 2009b, pp. 263-264),

    정약용(송재소 등, 2009b, pp. 281-282), 김윤식(송재소 등, 2009b, pp.

    343-344) 등의 지식인들이 나라를 부강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 차의 재배를 확대하여 유통하는 계책을 제의했다. 고종 22년에 차나무

    모종을 청나라에서 수입하는 것에 관련된 기록도 나와 있다. ‘고종 22년

    (1885) 8월 18일,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인 김윤식은 청총판조

    선상무(淸總辦朝鮮商務)인 진수당(陳樹棠)에게 청나라의 구강도(九江道)로

    부터 6천 그루의 차나무 모종을 수입 의뢰했다.’라고 했다(김명배, 1999, p.

    453). 뿐만 아니라 ‘청대에 조선으로 수출된 물품 중에 구리 주전자, 상로

    (床爐), 부(釜), 각종 도자기, 황차(黃茶), 향편차(香片茶) 등이 포함되었다

    (張存武, 1985, pp. 143-145).’는 등의 기록으로 차나무, 차, 차도구 등의 공

    식적 교류가 있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청나라와 조선의 차문화 교류는 서로의 필요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교

    류의 역사적 근거는 너무나 많아 일일이 열거할 수 없다. 이런 교류를 통해

    서 영향을 주고받고 각각 자신만의 특색 있는 차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2.2 한․중 차문화 사료

    2.2.1 조선후기 차문화 사료

    조선후기 약 300여 년 동안 이뤄진 차문화는 오늘날 한국의 차문화에 결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 한국의 차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정약용

    (1762〜1836), 김정희(1786〜1856), 초의(1786〜1866), 허련(1809〜1892) 등

    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조선후기의 차문화를 부흥시켰다. 그들이 남긴 문집,

    서한, 그림 등의 문학 자료들은 조선후기의 차문화를 재조명할 수 있는 중

    요한 참고 자료이다.

    조선후기의 다서와 사료를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다.

  • - 9 -

    첫째, 중국의 다서 내용을 섭렵하여 정리한 다서자료이다. 조선후기에 차인

    들이 차문화를 공부하고 알아보려는 차원으로 중국의 다서를 옮겨 엮은 다

    서들이다. 중국과의 긴밀한 교류로 많은 중국의 다서들이 조선에 유입되었

    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이러한 다서들을 새롭게 해석하고 정리했다. 예를

    들면, 초의는 청나라의 만보전서(萬寶全書)(홍종선, 이동석, 함희진, 2009)에 나와 있는 제다, 품평, 보관, 팽다, 음다법, 차의 색․향․미, 차도구 등의

    차문화 내용을 엮은 다신전(茶神傳)(張意恂, 陸羽, 2007, pp. 317-322)과중국 역대 다서 중 차에 관련된 부분을 편집하여 만든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송재소 등, 2009b, pp. 289-313) 등이 있다. 둘째, 중국 차문화를 소개하거나 한중 차문화를 비교․설명한 다서이다. 이런 다서 내용들

    은 당시의 조선사회의 입장에서 보면 신기한 것을 추구하는 시각으로 중국

    차문화를 소개하거나 한․중 차문화를 비교․논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당시 조선 차문화의 발전에 끼치는 영향, 그리고 양국 차문화 교류와 비교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이다. 예를 들면, 홍대용(1731〜1783)의 연기(燕記)(송재소 등, 2009b, pp. 272-273)는 사신으로 중국에 다녀와 청나라 차문화의 견문을 기술한 다서이다. 그리고 이덕리(1728〜?)의 기다(記茶)(송재소 등, 2009b, pp. 263-269)는 중국 차문화의 발전을 근거로 삼아 조선의

    차문화를 발전시킴으로써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자는 제

    안을 담은 다서이다. 셋째, 조선후기에 한국의 차문화를 소개하는 전문 다

    서이다. 황윤석(1729〜1791)은 부풍향다보(扶風鄕茶譜)3)에서 당시 부풍지역4)에서 생산된 차에 대한 소개, 그리고 차에 따라 다른 일곱 가지의 약효,

    제다법, 차도구 등의 내용을 기술했다. 제자들과 학문하고 차생활하는 모습

    을 엿볼 수 있는 정약용의 다신계절목(茶信契節目)(송재소 등, 2009b, pp.282-286)은 소중한 자료이다.

    3) 扶風鄕茶譜는 이운해(李運海, 1710〜?)가 1755년에 지었고 황윤석이 頤齋亂藁에서 인용했다. 이재난고에 수록된 부풍향다보는 서문과 차명(茶名), 제법(製法), 다구(茶具) 등항목, 그리고 로(爐), 관(罐), 부(缶), 종(鍾), 잔(盞), 반(盤) 여섯 가지 종류의 차도구 그림

    으로 구성된다(송재소 등, 2009b, pp. 270-271).

    4) 부풍지역은 부안현(扶安縣)을 가리킨다. 현재의 전라북도 부안군에 속한다. 네이버 지식

    백과 사이트(terms.naver.com) 참조.

  • - 10 -

    이수광(1563〜1628)의 지봉유설(芝峯類說)의 식물부에 우전차와 신라흥덕왕 때 차의 전래와 남부지역의 차 재배에 대하여 설명했다(박정희,

    2015, p. 174). 김육(1580〜1658)의 유원총보(類苑叢寶)의 음식문에 차의명칭, 차의 역사, 차에 대한 세금, 차의 효능, 찻잎 따는 시기 등을 기록했

    다(박정희, 2015, p. 175). 이익(1681〜1763)의 성호사설(星湖僿說)에는 가례의 점다와 다시제도에 대하여 설명했다(박정희, 2015, p. 176). 안정복

    (1712〜1791)의 잡동산이(雜同散異)에는 혼례 시 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대하여 설명했다(박정희, 2015, p. 178). 최한기(1803〜1877)의 농정회요(農政會要)에는 차에 대하여 설명했다(박정희, 2015, p. 197). 조재삼(1808〜1866)은 송남잡지(松南雜識)에 황차에 대하여 설명했다(박정희, 2015, p.197). 이유원(1814〜1888)의 임하필기(林下筆記)에 다양한 차의 종류, 차우리는 법, 차의 효능, 다사 등에 대하여 설명했다(박정희, 2015, pp.

    198-200). 이규경(1788〜1856)은 도다변증설(荼茶辨證說)에 차의 유래, 차의 다른 이름, 차의 역사, 차세제도, 차의 효능, 차를 만드는 방법, 차나무재

    배 등 차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기술했고 종다의의청양변증설(種茶薏苡靑蘘辯證設)에서는 차 씨의 보관과 심는 방법, 차밭관리, 수확시기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우리나라의 실증에 맞는 차 재배법을 기록했다(송재소 등,

    2009b, pp. 331-336).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四時十二時淸趣辨證說)(김희자,2009, pp. 265-267)에는 계절과 시를 구분하여 차생활을 영위하는 방법을

    서술했다. 정약용은 경세유표(經世遺表)의 각다고(榷茶考) (송재소 등,2009b, pp. 278-282)에 중국의 차 전매제도에 대하여 설명했다.

    조선후기의 다서는 내용으로 나누어 보면 주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5), 그리고 일부 관료들의 국가의식이나 가례나 다례에 대한 소개,양반과 귀족 등 지식인들의 문화생활과 풍류를 표현한 문집 등에서 나타난

    음다풍습에 관련된 내용, 소화에 이로운 점 등 차의 기능성, 차를 재배함으

    로써 나라를 부강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경제, 사회적 조언 등

    이다.

    5) 한국고전번역원 사이트(www.itkc.or.kr) 참조.

  • - 11 -

    2.2.2 청대의 차문화 사료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 초기에 사회의 동요와 혼란, 수많은 정벌과 전

    쟁을 겪은 후, 일부의 귀족과 사대부들이 속세를 떠나 불문에 귀의하거나

    산 속에 들어가 은둔했다. 그리고 만족 정권의 안정을 공고히 하고 군주전

    제를 강화시키기 위해 역대의 많은 황제가 문자옥(文字獄)을 크게 일으켰

    다. 역사적으로 보면 청대에 문자옥의 수량이 가장 많고, 규모가 크고, 사건

    에 연루된 인원수가 가장 많았다. 청대는 ‘문자옥’으로 인해 사인들이 참혹

    한 박해를 당했고, 이런 공포적인 사회 분위기를 사람마다 무서워하여 한마

    디 말조차 함부로 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시기에 문화 특히 문학의 창작은

    구속을 많이 받았다. 차에 관련된 전문 저서도 역시 전대보다 줄어들었다.

    청나라는 왕권을 공고히 하려는 목적을 위하여 유교를 추앙하여, 유학과

    주자학을 국가의 통치방침으로 하는 반면에, 황종희(黃宗羲, 1610〜1695),

    고염무(顧炎武, 1613〜1682), 왕부지(王夫之, 1619〜1692), 당견(唐甄, 1630〜

    1704) 등을 비롯한 일부의 진보적 지식인들이 명나라 멸망의 원인에 대한

    반성으로 봉건군주전제를 반대하고, 송․명 시대부터 숭상한 의리를 공담

    (空談)하는 주자학을 비판하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실학을 제창한다(李希

    凡, 2006, pp. 3-6). 이러한 현실에 바탕을 둔 사상은 기존의 정치, 경제, 사

    회, 문화적인 사상의 전반에 신선한 활력을 일으켰다. 또한 정치의 교체, 민

    족의 융합, 서양문화의 유입 등 여러 가지 현실의 시련을 극복하려는 노력

    이 문화 영역에서 창작의 원천이 되었다.

    청나라 왕조, 특히 강희와 건륭 시기에 문자자료의 정리와 편집을 중시했

    기에 고서자료에 대한 일괄 정리와 편집 작업을 통해서 사고전서(四庫全書)(國立故宮博物院藏本影印本, 1983)등 후대에 풍부한 문자 보고를 넘겨주었다. 청대에 남겨진 차사료는 차문화 연구에 크게 공헌했다.

    이런 배경에서 역대의 다서와 비교해 보면, 이 시기의 차문화 사료의 내

    용은 주로 총결성(總結性), 개척성, 전문화, 상업화, 생활화 크게 다섯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청대는 고대 차문화와 근대 차문화가 교차하는 시기다.

    차사료도 역대 다서의 내용을 정리․보완함으로써 고대 차문화에 대한 총

    결과 완선의 역할을 했다. 대표적으로 유원장(劉源長)의 다사(茶史)6)는

  • - 12 -

    상하권으로 나누어 역대 다서에 저술된 내용을 편집했다. 상권은 차의 기원

    부터 주로 각 지역 차의 품종을 소개했고, 하권은 품수(品水)와 명천(名泉)

    부터 차의 탕 선택 등 차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다. 물론 다사의 내용자체가 대부분 다른 다서의 내용을 편집하여 작성했지만, 저자의 개인적인

    주장도 들어 있다. 섭렵 범위와 내용이 견줄 만한 다서로는 사고전서(四庫全書)에 수록되어 있는 육정찬(陸廷燦)의 속다경(續茶經)7)을 꼽을 수 있다. 저자가 풍부한 문헌자료를 인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독자적인 견

    해도 저술했다. 또한 내용의 양으로 보면 육우가 쓴 다경의 10배 이상이다. 그 외에는 오건(吳騫, 1733∼1813)의 양선명도록(陽羨名陶錄)과 양선명도속록(陽羨名陶續錄)8)은 의흥 자사차호에 관련된 전문 저서인데, 명대주고기(周高起)의 양선명호계(陽羨茗壺係)에 대한 확장과 보충이라 볼 수있다. 따라서 청대 다서를 통해서 당시의 음다풍습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당․송․원․명 시대의 차문화 발전 전체 과정을 엿볼 수도 있다. 여러

    청대 다서들은 전대의 차 고전에 대한 정리와 보완 작업을 통해서 후세에

    게 차문화에 대한 많은 연구 자료를 남겼다.

    둘째, 음다풍습에서 대부분 명대의 풍습을 그대로 답습했지만, 청대의 정

    치, 경제, 문화 등 여러 가지 시대적인 다원화의 영향 속에서 다서의 격식

    과 내용이 다원화되어 새로운 신기술과 음다풍습이 이 시기의 다서에 나타

    났다. 전대의 음다 경험을 습득하면서 명대와 같은 포다법의 음다법에 따른

    비슷한 음다풍습도 많지만, 전대에 보이지 않은 음다풍습도 종종 다서를 통

    해서 엿볼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섭준(葉雋)의 전다결(煎茶訣) 중 장다(藏茶) 와 엄다(淹茶) (楊東甫, 2011, p. 926) 등의 부분에는 새로운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차의 재배에 대해서 방이지(方以智, 1611∼1671)의 물리소식(物理小識),9) 황종희(黃宗羲)의 광려유록(匡廬游錄), 장진기(張振夔)의6) 劉源長의 茶史는 四庫全書總目提要 卷116 子部․譜牒類存目에 수록되어 있다(楊東甫, 2011, p. 740).

    7) 陸廷燦은 崇安縣(현재의 복건성 무이산시)의 현령을 했다. 續茶經은 옹정 12년(1734)에작성되었다. Baidu 백과 사이트(baike.baidu.com) 참조.

    8) 陽羨名陶錄(1786)은 의흥(宜興) 차호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논설한 책이다. 상권과 하권으로 나누었는데 상권은 原始 , 选材 , 本藝 , 家溯 가 있고, 하권은 縱談 , 文翰

    이 있다(楊東甫, 2011, p. 918).

  • - 13 -

    다설(茶說) 등 청대의 다서에 처음으로 차나무의 밑동 베기와 전지 기술을 언급했다(沈漢, 朱自振, 1995, p. 83).

    셋째, 전대의 다서는 대부분 음다풍습에 대해서 여러 다양한 내용을 포괄

    적으로 저술하는 경우가 많지만, 청대의 다서는 차에 관련된 한 가지 내용

    을 저술하는 전문 다서가 많아졌다. 예를 들면, 주량공(周亮工)의 민다기(閩茶記)는 복건지역의 차에 대한 전문 다서였고, 진감(陳鑒)의 호구다경주보(虎丘茶經注補)와 정육(程淯)의 용정방다기(龍井訪茶記)(阮浩耕, 沈冬梅, 于良子, 1999, p. 605)는 호구차와 용정차에 대한 전문 다서였다. 청대

    의 다서에서는 전문화를 엿볼 수 있다.

    넷째, 청대의 차산업은 공전의 번영기를 맞이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차

    문화 발전도 상업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청대의 차사료 내용을 살펴보면

    차 값, 차도구 값, 차의 유통과 무역, 차의 세금 등 풍부한 상업 정보를 엿

    볼 수가 있다. 호병추(胡秉樞)의 다무첨재(茶務僉載)(朱自振, 沈冬梅, 增勤, 2010, pp. 825-846)의 ‘소인(小引)’ 부분에서 책을 작성하는 목적에 대하

    여 ‘실크와 차는 본토의 주요 수출물이라서 국가의 이익과 민생을 생각하여

    차의 품종, 재배의 기술, 가공의 방법 등을 저술했다’고 했다.

    다섯째, 차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차는 사회 각 계층의 일상생활 중 일부

    분이 되었다는 시대적인 차문화 특징이 청대의 다서 속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서 증명되었다. 귀족과 사인들이 즐기는 풍류의 차뿐만 아니라, 사농공

    상(士農工商) 등 사회 각 계층의 생활 속의 차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청대

    의 다서는 전대에 비하여 사인이 아니라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대중화되

    었다.

    9) 物理小識은 명말청초의 학자인 方以智가 엮은 백과전서이다. Baidu 백과 사이트(baike.baidu.com) 참조.

  • - 14 -

    3. 한․중 차 그림의 등장인물과 음다풍습

    3.1 궁정의 음다풍습

    사회적으로 다른 여러 계층의 음다풍습은 사회와 경제적인 배경에 따라

    각각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 마련이다. 조선후기와 청대의 한․중 차 그림에

    는 신분, 지위, 성별 등이 다른 다양한 인물이 나와 있는데, 이런 다양한 음

    다주체를 대상으로 한․중의 음다풍습을 비교․분석한다.

    왕실과 황실은 한․중 봉건사회의 통치 계급으로 봉건전제 권력의 핵심

    이었다. 왕권과 황권의 움직임이 사회의 흐름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한편에

    서는 서로 큰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한․중 차문화사를 살펴보면 오늘날의

    한․중 차문화가 역사상 국가정권의 소유자들의 손안에 달려 있었다는 사

    실도 또한 마차가지였다. 조선의 경우는 오늘날 ‘예(禮)’로 표현된 한국의

    차문화가 유가의 치국 방침으로 모든 국가 의식은 주자가례를 기준으로 격

    식화됨에 따라 다례(茶禮)도 그 중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다. 명나라 태조 주

    원장이 홍무 24년(1391)에 용단공차를 금지(제조ㆍ유통ㆍ음다)한다는 명은

    (中央硏究院, 1962, pp. 3143-3144) 청나라의 경우뿐만 아니라, 중국 차문화

    사에 획기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때부터 중국은 포다법의 음다 시대가

    열렸다. 끓인 물로 잎차를 우려 마시는 음다풍습은 옛 부터 있었는데, 민간

    에 특히 차가 많이 나는 고장인 강남지역에서 투다(鬪茶)의 풍습으로부터

    생기면서 당ㆍ송ㆍ원 시대를 거쳐 명대에 들어서면서 위로는 황실부터 아

    래로는 평민들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인 음다풍습으로 정착되었다. 따라서 명

    대에 차의 생산과 재배, 음다의 풍습, 차도구가 큰 변화를 이루었다. 청대는

    이러한 명대의 차문화를 고스란히 물려받아 오늘날 ‘예(禮)’와 ‘예(藝)’로 표

    현되는 중국 차문화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로 자리한다.

    조선과 청나라는 같은 봉건사회의 배경에서 왕실과 황실은 정치ㆍ경제ㆍ

    문화계의 고위 계층으로서 중앙집권통치를 통하여 국가 자원을 분배하는

  • - 15 -

    권력을 행사하며, 지방에서 공물을 바치는 방식으로 끊임없이 궁정으로 들

    어오는 차도 풍족하게 이용했다. 차는 국가의 각종 의식과 궁정 연회, 왕실

    과 황실 성원에 대한 일상 배급, 임금의 신하에 대한 하사품 등 여러 용도

    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후기 왕실과 청대 황실의 음다풍습은 차

    그림에 많이 그려져 있는데, 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다.

    3.1.1 조선후기 궁정의 음다풍습

    조선후기의 차 그림 중 궁정 연회와 다례의 장면을 묘사하는 그림을 제

    외하고, 임금이나 왕실 성원들이 따로 음다생활을 즐기는 내용을 묘사하는

    그림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료를 참고해 보면 조선후기 왕실은

    음다생활을 즐겼다.

    조선 초기에 고려왕조의 풍습을 이어받아서 궁중에 ‘다방(茶房)’이라는 기

    관이 설립되었다. 고려사절요10)와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고려 말 조선 초에 궁중에서 술ㆍ소채ㆍ약재 등 음식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다방이라

    는 관아가 있었고, 세종 29년(1447)에 다방의 이름을 ‘사존원(司尊院)’으로

    변경했다. 경국대전(經國大典)(法制處, 1978, pp. 94-95)에 의하면 내시부(內侍府)에 다과를 준비하는 일을 맡는 정3품 상다(尙茶) 1명은 왕의 특명

    이 있어야 승인한다는 기록이 있다. 차를 끓이는 일을 하는 사옹원 노자(奴

    子)인 다색(茶色)도 10명이나 있었다(정은임, 2007, pp. 189-191). 또한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에 의하면, 다방은기직(茶房銀器直), 다방좌번제조(茶房左番提調), 부제조(副提調), 다방우번제조(茶房右番提調), 부제조(副提調) 등

    여러 관직들이 있었다.

    앞의 2장중에 조선왕조실록 인조 14년(1636) 2월 4일 기묘의 기록에의하면, 정묘호란이 있은 뒤로 금나라에 세폐로 천지차와 작설차 각 50봉

    등을 보냈다는 기록을 근거로 조선왕실도 역시 천지차와 작설차를 마셨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후기에 차를 궁중 의례에 많이 사용하기도 했지만, 작설차에 인삼 등 약재를 넣어 만

    10) 한국고전번역원 사이트(www.itkc.or.kr) 참조.

  • - 16 -

    기록 시기 차의 종류 용도 기록 출처

    1인조 14년 2월 4일

    (1636, 명 숭정 9)

    천지차(天池茶)

    작설차(雀舌茶)금나라 세폐

    인조실록

    32권

    2현종 10년 11월 22일

    (1666, 청 강희8)

    황기인삼차

    (黃茋人蔘茶)국왕 약용

    현종실록

    17권

    3숙종 46년 6월 7일

    (1720, 청 강희59)

    삼차(蔘茶)

    죽력삼차(竹瀝蔘茶)국왕 약용

    숙종실록

    65권

    4경종 4년 8월 24일

    (1724, 청 옹정 2)삼차(蔘茶) 국왕 약용

    경종실록

    15권

    5영조 4년 11월 8일

    (1728, 청 옹정 6)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20권

    6영조 5년 12월 7일

    (1729, 청 옹정 7)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24권

    7영조 9년 7월 15일

    (1733, 청 옹정 11)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35권

    8영조 12년 4월 24일

    (1736, 청 건륭 1)오미자차(五味子茶) 식생활

    영조실록

    41권

    9영조 15년 7월 29일

    (1739, 청 건륭 4)

    독삼차(獨蔘茶)

    삼차(蔘茶)국왕 약용

    영조실록

    49권

    10영조 15년 8월 13일

    (1739, 청 건륭 4)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50권

    조선후기 궁중 차의 종류와 용도

    든 차나 여러 약재로 만든 대용차도 왕실 성원들이 약이나 영양식으로 많

    이 마시거나, 다른 약과 같이 복용했다는 기록이 많이 나와 있다.

    을 살펴보면, 조선후기에 왕실들이 마신 차는 삼차와 송차를 비롯하여 천지

    차, 작설차, 황기인삼차, 죽력삼차, 오미자차, 독삼차, 삼귤차, 귤강차, 당작

    설, 강차, 송절차, 삼령차, 향귤차, 밀차, 강귤차, 계귤차, 인동차, 강계차, 소

    엽인동차, 금련차, 죽엽차, 금은화산사차, 사과차, 금은화차, 산사차, 산사길

    경차, 목통차, 인삼석창포차, 연육차, 상지차, 삼령차, 죽여등심차, 삼귤죽력

    차, 강귤강즙차, 담강차 등 종류가 수십 가지였다. 주로 왕실성원들이 약용

    으로 사용하거나 제사, 조회(朝會), 연향(宴享), 다례 등 궁중 각종 의식과

    일상 식생활 중에 사용했다.

  • - 17 -

    11영조 22년 5월 24일

    (1746, 청 건륭 11)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63권

    12영조 30년 2월 13일

    (1754, 청 건륭 19)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81권

    13영조 30년 5월 5일

    (1754, 청 건륭 19)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81권

    14영조 31년 10월 3일

    (1755, 청 건륭 20)삼귤차(蔘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86권

    15영조 33년 2월 14일

    (1757, 청 건륭 22)삼차(蔘茶) 중궁전 약용

    영조실록

    89권

    16영조 33년 2월 27일

    (1757, 청 건륭 22)삼차(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89권

    17영조 34년 12월 23일

    (1758, 청 건륭 23)귤강차(橘薑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92권

    18영조 39년 2월 26일

    (1763, 청 건륭 28)당작설(唐雀舌)11) 국용(國用)

    영조실록

    101권

    19영조 42년 7월 19일

    (1766, 청 건륭 31)

    강차(薑茶)

    삼차(蔘茶)의식

    영조실록

    107권

    20영조 42년 8월 16일

    (1766, 청 건륭 31)송절차(松節茶) 외연(外宴)

    영조실록

    107권

    21영조 43년 1월 15일

    (1767, 청 건륭 32)송절차(松節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108권

    22영조 43년 3월 15일

    (1767, 청 건륭 32)송차(松茶) 제향(祭享)

    영조실록

    108권

    23영조 43년 3월 17일

    (1767, 청 건륭 32)삼령차(蔘苓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108권

    24영조 44년 2월 30일

    (1768, 청 건륭 33)삼령차(蔘苓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110권

    25영조 44년 5월 16일

    (1768, 청 건륭 33)삼령차(蔘苓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110권

    26영조 44년 7월 10일

    (1768, 청 건륭 33)향귤차(香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111권

    27영조 44년 9월 13일

    (1768, 청 건륭 33)송절차(松節茶)

    기로연(耆老宴)

    12)

    영조실록

    111권

    28영조 44년 9월 26일

    (1768, 청 건륭 33)송절차(松節茶) 전시(殿試)

    영조실록111

    29영조 44년 12월 7일

    (1768, 청 건륭 33)송차(松茶) 의식

    영조실록

    111권

  • - 18 -

    30영조 45년 2월 26일

    (1769, 청 건륭 34)송절차(松節茶) 의식

    영조실록

    112권

    31영조 45년 6월 12일

    (1769, 청 건륭 34)송절차(松節茶) 식생활

    영조실록

    112권

    32영조 48년 6월 9일

    (1772, 청 건륭 37)송절차(松節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118권

    33영조 49년 2월 16일

    (1773, 청 건륭 38)밀차(蜜茶) 진연(進宴)

    영조실록

    120권

    34영조 52년 3월 3일

    (1776, 청 건륭 41)계귤차(桂橘茶) 국왕 약용

    영조실록

    127권

    35영조 52년 3월 3일

    (1776, 청 건륭 41)

    강귤차(薑橘茶)

    계귤차(桂橘茶)국왕 약용

    영조실록

    127권

    36정조 10년 5월 5일

    (1786, 청 건륭 51)인동차(忍冬茶) 왕세자 약용

    정조실록

    21권

    37정조 10년 5월 10일

    (1786, 청 건륭 51)삼다(蔘茶) 왕세자 약용

    정조실록

    21권

    38정조 10년 6월 1일

    (1786, 청 건륭 51)강계차(薑桂茶) 왕세자 약용

    정조실록

    21권

    39정조 13년 10월 12일

    (1789, 청 건륭 54)

    소엽인동차

    (蘇葉忍冬茶)자전 약용

    정조실록

    28권

    40정조 23년 12월 27일

    (1800, 청 가경 5)삼차(蔘茶) 칙사 대접 다례

    정조실록

    52권

    41정조 24년 6월 16일

    (1800, 청 가경 5)금련차(金連茶) 국왕 약용

    정조실록

    54권

    42정조 24년 6월 22일

    (1800, 청 가경 5)죽엽차(竹葉茶) 왕실 약용

    정조실록

    54권

    43순조 1년 11월 19일

    (1801, 청 가경 6)

    금은화산사차

    (金銀花山査茶)국왕 약용 순조실록 3권

    44순조 1년 11월 21일

    (1801, 청 가경 6)사과차(絲瓜茶) 왕실 약용 순조실록 3권

    45순조 1년 11월 27일

    (1801, 청 가경 6)금은화차(金銀花茶) 왕실 약용 순조실록 3권

    46순조 2년 11월 1일

    (1802, 청 가경 7)산사차(山査茶) 중궁전 약용 순조실록 4권

    47순조 2년 11월 2일

    (1802, 청 가경 7)

    산사길경차

    (山査吉更茶)중궁전 약용 순조실록 4권

    48순조 2년 11월 4일

    (1802, 청 가경 7)

    금은화차(金銀花茶)

    목통차(木通茶)중궁전 약용 순조실록 4권

  • - 19 -

    49순조 2년 11월 5일

    (1802, 청 가경 7)

    금은화차(金銀花茶)

    목통차(木通茶)중궁전 약용 순조실록 4권

    50순조 5년 2월 27일

    (1805, 청 가경 10)금은화차(金銀花茶) 중궁전 약용 순조실록 7권

    51순조 13년 12월 25일

    (1813, 청 가경 18)

    인삼석창포차

    (人蔘石菖蒲茶)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2순조 14년 1월 4일

    (1814, 청 가경 19)

    인삼석창포차

    (人蔘石菖蒲茶)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3순조 14년 1월 25일

    (1814, 청 가경 19)

    인삼석창포차

    (人蔘石菖蒲茶)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4순조 14년 1월 30일

    (1814, 청 가경 19)연육차(蓮肉茶) 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5순조 14년 9월 5일

    (1814, 청 가경 19)인동차(忍冬茶) 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6순조 14년 10월 17일

    (1814, 청 가경 19)상지차(桑枝茶) 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7순조 14년 11월 24일

    (1814, 청 가경 19)삼령차(蔘苓茶) 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8순조 14년 12월 13일

    (1814, 청 가경 19)삼령차(蔘苓茶) 국왕 약용

    순조실록

    17권

    59순조 15년 12월 13일

    (1815, 청 가경 20)삼귤차(蔘橘茶) 혜경궁 약용

    순조실록

    18권

    60순조 21년 3월 9일

    (1821, 청 도광 1)삼차(蔘茶) 왕대비전 약용

    순조실록

    23권

    61순조 30년 윤4월 29

    일(1830, 청 도광 10)

    죽여등심차

    (竹茹燈心茶)왕실 약용

    순조실록

    31권

    62순조 34년 11월 12일

    (1834, 청 도광 14)

    강귤차(薑橘茶)

    삼귤죽력차

    (蔘橘竹瀝茶)

    왕실 약용순조실록

    34권

    63순조 34년 11월 13일

    (1834, 청 도광 14)

    강귤강즙차

    (薑橘薑汁茶)왕실 약용

    순조실록

    34권

    64순조 34년 11월 13일

    (1834, 청 도광 14)담강차(淡薑茶) 왕실 약용

    순조실록

    34권

    11) 중국에서 생산된 차(茶)의 별칭. 한국고전번역원 사이트(www.itkc.or.kr) 참조.

    12) 기로소(耆老所) 또는 기사(耆社)라고 하여, 조선 시대에 나이 70이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들을 경로 및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임금의 생일․정조․동지․국가의 경사․

    임금의 행차 등에 모여서 하례를 행하거나 나라에 중요한 일이 있을 경우 임금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 네이버 지식백과 사이트(terms.naver.com) 참조.

  • - 20 -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중심으로 세운 국가의 정책에 따라 주자가례를 기

    준으로 관혼상제 등 국가 의식이 강화되었다. 다례의식은 그 중의 일환으로

    더욱더 격식화되었다. 조선시대 후기에 ‘숭유억불’의 국가 정책으로 인해 예

    (禮)는 예의, 규범, 질서로 자리하며 사회를 지탱하게 된다. 국가의식은 예

    의 기준으로 격식화하여 관혼상제 등 의식을 통하여 예를 갖춰서 행했다.

    예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중용을 지키고 어느 쪽으로도 기울거나 치우치지

    않으며 지나치거나 부족하지도 않는다는 사상이 담겨 있었다. 바로 한국 차

    사상의 정수인 중정(中正)이다. 예기(禮記)ㆍ악기(樂記) 중에 ‘中正無邪禮之質也(중정무사예지질야)’13)라는 말도 바로 예의 본질이 중정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표현한 것이다.

    유희(1773〜1837)의 물명고(物名攷)(1975, p. 123)에는 다례(茶禮)에 대해 ‘삭망에 사당에 헌다(獻茶)를 하는 것이고, 주부가 점다(點茶)를 한다.’고

    설명했고 다시(茶時)에 대한 설명은 ‘차를 마시는 경각이다.’라고 말했다. 여

    기서 다례를 사당에 헌다하는 것만으로 해석을 했는데,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다례와 다시로 나타난 것뿐만 아니라 조선후기에 차를 궁중 의례에 사용한 기록은 그 수를 일일이 헤아릴 수 없는 만큼 많았

    다. 는 차에 관련된 조선후기 궁정 의례의 기록들이다. 조선시대 국

    가의례는 주로 길례(吉禮), 가례(嘉禮), 흉례(凶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다섯 가지로 나누어 오례라고 했다. 오례의 예법과 절차에 관한 내용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그림으로 상세히 설명했다(한영우, 2005, p. 34). 조선후기의 국가의 제사, 왕실성원의 탄신, 조회(朝會)와 연향(宴享) 등 다양한

    국가 의례에는 다례를 행하고 차를 올리는 예법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에 나와 있는 기록 이외에 궁정의 행사 중에 조선왕실의

    제사 주다례(晝茶禮)와 별다례(別茶禮), 그리고 칙사를 접견하고 다례를 행

    한 기록들이 부지기수이다. 이런 궁정의 음다풍습을 묘사한 조선후기의 차

    그림도 많았다.

    13) 漢典 사이트(www.zdic.net) 참조.

  • - 21 -

    朝鮮 김진여 등 1719-1720

    己亥耆社貼․景賢堂錫宴圖 의 부분

    송성문 기증

    朝鮮 1817

    王世子入學圖貼․爵獻圖 의 부분

    고려대학교도서관

    朝鮮 1829

    己丑年進饌圖․慈慶

    殿內進饌 의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朝鮮 1848 戊申年進饌圖․通明殿夜進饌圖 의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은 숙종 45년(1719) 4월 17일과 4월 18일에 회갑 맞은 왕과 기

    로소 대신들의 계회를 묘사한 장면이다. 앞에 에 의해서 영조 44년

    9월 13일 ‘임금이 기로소의 당상들과 송절차를 들다.’라는 기록이 나와 있

    다. 는 순조17년(1817) 3월 11일에 순조의 맏아들 효명세자의 입

    학례를 그린 것인데, 왕세자가 성균관 대성전을 참배하여 공자와 네 성인의

    신위에 잔을 올리는 장면이다. 는 순조29년(1829) 2월 12일에 자

  • - 22 -

    례기록 시기

    의례

    내용차와 관련된 내용

    기록

    출처

    영조 52년 3월 10일

    (1776, 청 건륭 41)성복례

    세 번 향을 올리고 잔을 올리고

    수저를 바로 놓고 차를 올리고

    서 판위 위에 가서 부복하여 곡

    하였음

    영조

    실록

    127권

    정조 즉위년 10월 27

    일(1776, 청 건륭 41)

    칙사

    접견

    -다례를 베풀었음

    -사옹원 제조가 다종(茶鍾)을

    받들어 임금에게 올리고 제조가

    다종을 받들어 칙사에게 올렸

    다. 임금이 종지를 잡으니 칙사

    도 또한 종지를 잡았으며, 두목

    (頭目)에게도 차를 내렸다. 상

    (床)을 치우자 칙사가 자리에서

    일어났고 임금도 자리에서 일어

    났다. 계단 위에 이르러 드디어

    읍례(揖禮)를 행하고 나서 전송

    (傳送)하였음

    정조실

    록 2권

    조선후기 궁중의 의례와 차

    경전 내진찬의 장면이고 에는 이때 차와 찬과상(饌果床)을 올린 내

    용이 들어 있다. 는 헌종 14년(1848) 3월 19일에 대왕대비인 순원

    왕후 김씨의 육순과 왕대비인 신정왕후의 망오(41세)가 되는 해로 통명전에

    서 열린 내진찬를 담은 그림이다.14) 에 흉례, 빈례, 가례 등 궁중 의

    례 중에 다례를 거행한 절차와 내용에 대한 설명이 있다. 그리고 궁중 의례

    에 관련된 절차, 차와 다식의 종류 등의 내용은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서울대학교규장각본, 1996)에 상세한 기록이 나와 있다. 조다(早茶), 주다(晝茶), 만다(晩茶), 야다(夜茶), 그리고 별반과(別盤果)에 대해

    각각 설명했다. 조선의 궁중 다례는 이런 국가 의례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훗날에 현대 한국 차문화 부흥의 불씨가 되었다. 예(禮)로 표현되는 조선의

    차문화 특징은 다례를 통해서 전승되어 빛나게 되었다.

    14) , , , 의 그림과 설명이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잔치풍경(국립중앙박물관, 2009) 참조.

  • - 23 -

    정조 24년 1월 19일

    (1800, 청 가경 5)

    칙사

    영접

    연향(宴享) 및 정배 다담(庭排

    茶啖 )․군위(軍威 )․군가 (軍

    歌)․무동(舞童)․유관우(遊觀

    牛)․타락우(駝駱牛)․별자우(別

    雌牛 )․헌가 (軒架 )․나례(儺

    禮)․병화(甁花)․성문결채(城門

    結綵)․성포(城砲)․상하 마포

    (上下馬砲) 등의 의식을 모두

    그만두게 하였음

    정 조 실

    록 53권

    순조 즉위년 10월 27

    일(1800, 청 가경 5)

    칙사

    영접하마연(下馬宴)은 다례로 했음

    순조실

    록 1권

    순조 28년 2월 12일

    (1828, 청 도광 8)

    자경전

    진작(進

    爵)

    수주정(壽酒亭)과 다정(茶亭)은

    뜰 위에 설치하였음

    왕세자빈이 염내에 나와 앉자,

    상식이 차를 올리고 여관은 선

    과(饍果)를 왕세자와 왕세자빈

    에게 올렸음

    순 조 실

    록 30권

    순조 29년 2월 12일

    (1829, 청 도광 9)

    자경전

    내진찬

    -차를 올리자 낙승평지곡(樂升

    平之曲)을 연주하였음

    -여집사가 찬과상(饌果床)을 받

    들고 왕세자와 왕세자빈 앞에

    올리자 건청곤녕지곡(乾淸坤寧

    之曲)을 연주하였음

    순 조 실

    록 30권

    3.1.2 청대 궁정의 음다풍습

    1616년에 누르하치가 여진(女眞)의 각 부족을 통일시켜 후금을 세웠고

    1636년에 황태극(皇太极)이 국호를 대청으로 바꾸었고 1644년에 명나라의

    도읍을 함락하여 전국을 통일시켰다. 정권을 공고히 하려는 목적으로 일련

    의 정책을 시행했는데, 정치적으로 수숭만주(首崇满洲), 권지투충(圈地投充),

    체발역복(剃发易服), 천해령(迁海令), 문자옥(文字狱), 문화전제 등을 실시하

    고 군사적으로 대순(大顺), 대서(大西), 남명(南明) 등 정권을 평정하여 대규

    모의 대학살 등을 통해서 땅을 점령하고 성 안의 사람들을 깡그리 학살하

    며 20년 동안 점진적으로 전국에 대한 실권을 잡았다. 강희ㆍ옹정ㆍ건륭 삼

    조는 통일한 다민족 나라의 정권을 공고히 다져 봉건전제를 정상으로 끌어

  • - 24 -

    淸 張宗蒼 繪․乾隆 詩 1753

    乾隆皇帝松蔭揮筆 의 부분

    北京故宮博物院

    18세기 초

    雍正妃行樂圖․品

    茗 의 부분

    北京故宮博物院

    淸 1750s

    Prince Guo,

    Reading in a

    Spring Garden 의

    부분 Arthur M.

    Sackler Gallery

    올렸고,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ㆍ문화ㆍ예술 등 여러 방면에서 또 하나의 전

    성기에 이르렀다.15) 이런 배경으로 국가의 통치자로서 차를 즐기는 청나라

    황실의 모습은 청대의 차 그림을 통해서 엿볼 수가 있다.

    , , 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순서대로 옹정

    제의 황비, 건륭제, 옹정제의 여섯 번째 아들 홍염(弘曕, 1733〜1765)이다.이런 청나라 황실 성원들이 차를 즐기는 장면을 묘사하는 차 그림은 상당

    히 많다. 청나라 황실은 당시 전국 각 지역에서 올라오는 다양한 종류의 공

    차(貢茶), 희귀한 차에 관련된 기물들, 민요(民窯)ㆍ관요(官窯)ㆍ궁요(宮窯)

    에서 제작된 최고의 차도구들을 누릴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었다.

    청대 초기에는 중화전(中和殿)에 다선방(茶膳房)을 설치했고, 건륭 13년

    (1748)에 전정(箭庭) 동외고(東外庫)를 어다선방(御茶膳房)으로 바꿨다(章乃

    煒, 1990, pp. 310-311). 어다선방의 하급 기구는 선방(膳房), 다방, 육방(肉

    房), 건육방(乾肉房)이 있고, 그 중에 선방과 다방에 각각 은기고(銀器庫)를

    15) Baidu 백과 사이트(baike.baidu.com) 참조.

  • - 25 -

    설치했다. 어다선방은 총리사무대신을 설치하고, 하급 관리는 상선정(尚膳

    正), 상선부(尚膳副), 상다정(尚茶正), 상다부(尚茶副), 상선(尚膳), 상다(尚

    茶), 주사(主事), 필첩식(筆帖式) 등이 있었다(沈起煒, 徐光烈, 1992, p. 344).

    “건청궁(乾淸宮)의 동무(東廡) 3칸은 황제의 어다방(御茶房)이었다. 문의 상

    인방에 강희황제의 어서 ‘어다방(御茶房)’라는 편액(扁額) 하나가 걸려 있다.

    여기는 황제의 차 시중을 하는 전문 기구로서, 청대 황제가 음다하는 것에

    필요한 일체, 즉 찻물, 우유차, 과일 등을 공급하고, 궁중의 각 중요한 궁실

    의 공물을 담당하여, 궁정절기 연회 등의 준비에 참여한다. 어다방 이 외에

    황후 다방, 수강궁(壽康宮) 등 황태후 다방 등이 있었다. 황자와 황손은 복

    진(福晉)을 맞이하고 나면 또한 전담하는 다방이 생긴다. 태후, 황후, 후궁,

    황자들이 음다하는 것은 각각의 다방이 담당했다. 어다방과 다방의 차도구

    기물들을 10년마다 검수하여 사용 불가한 기물들은 원래의 디자인으로 새

    로 만들고 교체했다.”고 했다(向斯, 2012, p. 62).

    심청일완다(心淸一碗茶)(向斯, 2012, pp. 63-64)에 어다방의 직책, 차를끊이는 샘물과 공차, 그리고 차도구의 관리와 공급, 황실 성원의 배급에 대

    해서 자세히 설명했다. 어다방에는 궁내의 풍부하고 다채로운 금은기구와

    차도구가 갖추어져 있었는데, 은잔, 은접시, 은그릇 등 200여 개를 일상 용

    도로 사용했다. 규정에 따라 황제 어용 금은기구와 차도구는 금솥 1개, 금

    찻통 5개, 금국자 1개, 금그릇 1개, 은찻통 32개, 은접시 29개, 은그릇 53개,

    은배호(銀背壺) 74개, 은호(銀壺) 1개, 은관(銀罐) 7개, 은쌍이관(銀雙耳罐) 1

    개, 은국자 11개, 은루자(銀漏子) 2개, 은시(銀匙) 9개, 은종(銀鍾) 2개 등이

    있고, 황후 어용 금은기구와 차도구는 금찻통 2개, 금그릇 2개, 금국자 1개,

    은찻통 5개, 은접시 1개, 은그릇 3개, 은관(銀罐) 2개, 은완개(銀碗蓋) 2개,

    은국자 3개, 은호(銀壺) 6개, 은시(銀匙) 1개 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어다방에 공급하는 차는 안휘(安徽)의 공차 육안차(六安茶)를 위주로 해

    마다 궁정에서 육안차 공차 90포가 들어오고 황실 성원들에게는 한 달에

    16근을 공급했다. 다른 각 지역에서 바치는 공차는 다음 16)과 같다.

    16) 건륭 9년(1744) 6월에 총관내무부주소당(總管內務府奏銷檔)의 기록에 나타난 각 지역관료들이 올린 공차의 종류이다(向斯, 2012, pp. 65-66).

  • - 26 -

    지방 정부 차의 종류 양

    1 湖廣總督(호광총독) 전차(磚茶) 5박스

    2 陜甘總督(합감총독) 길리차(吉利茶) 18병

    3 漕運總督(조운총독) 용정아차(龍井芽茶) 100병

    4 河東河道總督(하동하도총독) 벽라춘차(碧螺春茶) 100병

    5 閩浙總督(민절총독)

    연심차(蓮芯茶) 4박스

    화향차(花香茶) 5박스

    정댁아차(鄭宅芽茶) 1박스

    편차(片茶) 1박스

    6 兩江總督(양강총독)

    벽라춘차(碧螺春茶) 100병

    은침차(銀針茶) 10병

    매편차(梅片茶) 10병

    주난차(珠蘭茶) 9통

    7 云貴總督(운귀총독)보이대차(普洱大茶) 100편

    보이중차(普洱中茶) 100편

    청대 각 지방의 공차

    을 통해서 만족 황실의 차에 대한 기호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명대에서 청대로, 청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육대다류(六大茶類)의 변천과

    중국 각 지역 명차(名茶)의 변천 상황을 엿볼 수 있다. 공차의 종류를 살펴

    보면 명대에 잘 알려진 명차인 양선아차, 개차, 송라차뿐만 아니라, 명대에

    잘 알려지지 않은 차이지만 만족 황실의 선호로 이름을 날린 용정차도 있

    다. 또 당시에 진귀한 차로 여긴 보이차 등 공차 종류도 굉장히 다양했다.

    꽃차도 당시에 성행하는 차였다. 오늘날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벽라

    춘차, 은침차, 관음차, 군산아차, 용정차, 보이차를 비롯한 차종류는 바로 현

    재 중국에서 대중들이 즐겨 마시는 대표적인 명차들이다. 당시의 음다풍습

    은 오늘날의 음다풍습에 큰 영향을 끼쳐 청대 차문화가 오늘까지 이어져

    중국 현대 차문화로 전승되었다.

    이외에 만족 황실은 유차(乳茶)를 선호하여 어다방이 황실 성원들에게 젓

    소, 샘물, 찻잎 등을 일상 배급했는데 그 내용은 17)과 같다. 우유 등

    을 매일 공급 받아 다방과 다선방에 맡겨 관리하고, 탕은 탕창(糖倉)에 공

    급했다(向斯, 2012, p. 64).

    17) 심청일완다(心淸一碗茶)(向斯, 2012, pp. 63-64) 참조.

  • - 27 -

    보이소차(普洱小茶) 400편

    보이여차(普洱女茶) 1000편

    보이예차(普洱蕊茶) 1000편

    보이아차(普洱芽茶) 100병

    보이예차(普洱蕊茶) 100병

    보이차고(普洱茶膏) 100갑

    8 四川總督(사천총독)

    선차(仙茶) 2은병(銀甁)

    배차(陪茶) 2은병

    능각만차(菱角灣茶) 2은병

    관음차(觀音茶) 27은병

    춘명차(春茗茶) 18은병

    명산차(名山茶) 18병

    청성아차(青城芽茶) 100병

    전차(磚茶) 500개

    과배차(鍋焙茶) 18포

    9 湖北巡撫(호북순무) 통산차(通山茶) 5박스

    10 陝西巡撫(섬서순무)길리차(吉利茶) 9병

    안강아차(安康芽茶) 100병

    11 江蘇巡撫(강소순무)양선아차(陽羨芽茶) 100병

    벽라춘차(碧螺春茶) 100병

    12 浙江巡撫(절강순무)

    용정아차(龍井芽茶) 100병

    각종아차(各種芽茶) 100병

    성두국(城頭菊) 5박스

    13 福建巡撫(복건순무)

    연심차(蓮芯茶) 10대병(大甁)

    화향차(花香茶) 12대병

    정댁아차(鄭宅芽茶) 60소병(小甁)

    편차(片茶) 60소병

    14 江西巡撫(강서순무)

    영신전차(永新磚茶) 2박스

    여산차(廬山茶) 4박스

    안원차(安遠茶) 3박스

    개차(介茶) 4박스

    저차(儲茶) 3박스

    15 湖南巡撫(호남순무)

    안화아차(安化芽茶) 100병

    계정아차(界亭芽茶) 90병

    군산아차(君山芽茶) 50병

    안화전차(安化磚茶) 5갑

    16 安徽巡撫(안휘순무)

    은침차(銀針茶) 8박스

    작설차(雀舌茶) 8박스

    매편차(梅片茶) 8박스

    주난차(珠蘭茶) 8박스

    송라차(松蘿茶) 8박스

    도첨차(涂尖茶) 4박스

    17 雲南巡撫(운남순무) 보이대차(普洱大茶) 100편

  • - 28 -

    보이중차(普洱中茶) 100편

    보이소차(普洱小茶) 200편

    보이여차(普洱女茶) 1000편

    보이예차(普洱蕊茶) 1000편

    보이눈예차(普洱嫩蕊茶) 100병

    보이아차(普洱芽茶) 100병

    보이차고(普洱茶膏) 100갑

    18 貴州巡撫(귀주순무)

    보이차(普洱茶) 5근짜리 100편

    보이차(普洱茶) 2량짜리 1000편

    보이차(普洱茶) 1량 5전짜리 2000편

    보이아차(普洱芽茶) 50병

    보이예차(普洱蕊茶) 50병

    보이차고(普洱茶膏) 100갑

    용리아차(龍里芽茶) 50병

    귀정아차(貴定芽茶) 50병

    미담아차(湄潭芽茶) 100병

    황실성원 젖소(마리) 샘물(통) 찻잎(포)

    1 皇帝 60 12 75

    2 皇后 25 12 10

    3 貴妃 4

    4 妃 3

    5 嬪 2

    6 貴人, 常在 5

    7 皇子, 福晋 8 8

    어다방 차선에 대한 유차의 1일 공급량

    어다방에 공급하는 차를 끊이는 물은 모두 북경 서산산맥의 동쪽에 있는

    옥천산(玉泉山)에서 길어온 샘물이었다. 옥천(玉泉)은 명대부터 이름을 날렸

    다. 초홍(焦竑)의 옥당총어(玉堂叢語) 중에 옥천은 으뜸이라 했고, 왕영(王英)의 영옥천시(咏玉泉詩) 에는 옥천을 다른 샘물과 비교하여 그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