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ㆍ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251
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보안등급 일반과제 기본연구 2013-47 김승보 진미석 한상근 이지연 이윤진

Upload: others

Post on 05-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초ㆍ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보안등급 일반과제

기본연구

2013-47

김승보

진미석

한상근

이지연

이윤진

머 리 말

저출산 경향에 따른 학령기 학생의 지속적 감소와 다문화자녀의 유

입, 특수교육대상학생 등의 제도권 편입 등 우리 학교현장의 환경과

상황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대졸자의 취업난 등 높은 청년실업

률이 지속되면서 높은 교육열로 꺾이기 어렵게만 보이던 대학 진학률

조차 조금씩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 학교교육은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

에 경도되어 많은 학업 중단자가 양산되는 문제 외에도, 학교시기의

사교육 참여와 졸업 후의 입시 재수가 일상화되는 등 많은 사회적‧교

육적 비용을 지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때마침 정부는 교육을 둘러싼 내외적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하기 위하여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을 모토로 자유학기제 등 다

양한 공교육 강화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자유학기제를 통하여

‘지식을 주입’하는 데 급급한 ‘시험 위주의 강의식 교육’이 아니라 ‘토

론・실습・체험 등 다양한 자율적 체험활동’을 강화함으로써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는 교육체질의 형성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학교 진로교육의

실태를 점검해 보고, 향후 정부가 추진해야 할 진로교육의 정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행복교육을 추구하는 정부의 교육정책 수립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본 보고서에는 초・중・고 교육을 둘러싼 환

경변화 추이를 점검하고 진로교육 정책이 어떠한 방식으로 학교교육

을 지원할 수 있을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중・고 진로교육의 전반적

실태와 정책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5년 동안의 중장기 발전방안

을 세밀하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진로교육의 비전과 전략 및 세부 실행방

안은 정부의 진로교육 발전방안 입안에 직접적인 아이디어로 채택되

어 우리나라 초·중등 진로교육의 더 나은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박사가 연구책임을 맡았으며,

진미석, 한상근, 이지연 박사, 이윤진 연구원이 공동으로 참여하였으

며, 제1장은 김승보 박사, 제2장 김승보․한상근 박사, 제3장 김승보․이

지연 박사, 제4장 김승보․진미석 박사, 제5장은 김승보․진미석 박사가

각각 집필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교육부 진로교육 관계자 여러

분들, 그리고 조사와 토론에 참여해 주신 여러 전문가와 초・중・고등학

교 교사 및 학부모, 그리고 성실히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3년 12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 장 박 영 범

차례 i

제목 차례

제1장 서 론 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

제2절 연구 내용과 범위 ····························································· 7

제3절 연구방법 ············································································ 9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_17

제1절 사회환경의 변화와 진로교육 ········································· 17

제2절 교육환경의 변화와 진로교육 ········································· 23

제3절 진로교육 정책의 강화 ···················································· 33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 41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_43

제1절 학교 진로교육 실태와 과제 ··········································· 45

제2절 학생 진로의식의 변화와 과제 ······································· 61

제3절 진로교육 및 진로의식 실태의 정책적 함의 ················· 71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_81

제1절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체계 ························ 83

제2절 연도별(2010~2013) 진로정책 추이와 과제 ·················· 89

제3절 진로정책 추진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정책 방향 ······· 124

ii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_127

제1절 초・중등 진로교육의 비전과 전략 ······························· 129

제2절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체계 ······································· 141

제3절 중장기 발전계획의 세부 추진 과제 ···························· 147

SUMMARY _187

참고문헌 _191

[부록 1] 정부의 관련 예산 및 프로그램 현황과 과제 _197

[부록 2] 델파이 조사 결과 _209

표 차례 iii

표 차례

<표 1-1> 델파이 조사 질문 내용 ······················································· 12

<표 1-2> 델파이 조사 대상(전문가, 학부모) ···································· 13

<표 2-1> 9급 공무원 선발 경쟁률 추이 ··········································· 19

<표 2-2> 대학(4년제) 졸업 소요기간 추이 ······································· 20

<표 2-3> 학생 체력 검사결과 ···························································· 24

<표 2-4> 2011~2013년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현황(2012년 9월 기준) ·· 34

<표 3-1>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참여 여부 ························· 51

<표 3-2> 진로성숙도검사 항목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 ··· 77

<표 4-1> 진로교육 콘텐츠 자료 ························································· 99

<표 4-2> 연도별/검사종류별 온라인 진로심리검사 활용 현황 ······ 103

<표 4-3> 시・도별 체험처 발굴 현황(2012년) ································· 106

<표 4-4>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예산액 ·········································· 118

<표 4-5> 진로교육 교사 연수 현황(2013년) ··································· 122

<표 5-1> 세부정책과제의 추진일정 ················································· 184

iv

그림 차례

[그림 2-1] 연도별 진학률 및 취업률 ··················································· 18

[그림 2-2] 청년층의 학교 졸업 후 NEET 인구 비율 추이 ··············· 20

[그림 2-3] 초・중・고등학교 학생 수 추계 ··········································· 21

[그림 2-4] 가구주의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수준 ································ 22

[그림 2-5]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 23

[그림 2-6] 학업 중단자 현황 ······························································· 25

[그림 2-7] 학업 중단 이유(복수 응답) ················································ 25

[그림 2-8] 학업성취도에 따른 사교육 참여시간(수학) ······················ 26

[그림 2-9] 가구 소득수준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추이(만 원)

····························································································· 27

[그림 2-10] 외국인 주민 변동 추이 ···················································· 29

[그림 2-11] 다문화가정 초・중・고 학생 수 ········································· 29

[그림 2-12] 특수교육 대상자 중 일반학급 학생 수(전일제 통합학급)

··························································································· 29

[그림 2-13] 교육환경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30

[그림 2-14] 도시-농어촌 지역 간 교육 격차 현황 추이 ···················· 31

[그림 2-15] 예체능계열 고졸자 수 및 대입자 수 추이 ····················· 32

[그림 3-1] 학교 진로교육의 영역별 구성요소 ···································· 46

[그림 3-2] 커리어넷 진로성숙도검사 영역 ········································· 48

[그림 3-3] 진로교육 연간계획 수립 여부 ··········································· 49

[그림 3-4] 진로교육 예산항목 책정 여부 ··········································· 49

그림 차례 v

[그림 3-5] 교원 및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연수 및 컨설팅 ·············· 50

[그림 3-6]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률 ··············································· 51

[그림 3-7] 학년별 「진로와 직업」 교과 평균 배당 시수 <연간> ······ 52

[그림 3-8] 진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 지도 ······························ 52

[그림 3-9] 2012년 교과통합 진로교육 실시 정도 ······························ 53

[그림 3-10] 창의적 체험활동 중 시수가 가장 많이 배당된 영역 ····· 53

[그림 3-11] 커리어넷 활용 경험 ·························································· 54

[그림 3-12] 집단 진로 관련 심리검사 실시 ········································ 56

[그림 3-13] 진로 관련 심리검사 실시방법 ········································· 56

[그림 3-14] 커리어넷 등의 진로직업 관련 심리 검사의 활용 및 컨설팅

(2012년) ·············································································· 57

[그림 3-15] 평균 진로상담 건수 ·························································· 58

[그림 3-16] 상담이 주로 이루어지는 시간(2012년) ···························· 58

[그림 3-17] 학부모 대상 진로 및 진학교육, 상담 실시 여부 ··········· 59

[그림 3-18] 진로교육 운영을 위해 가장 많이 협조, 활용, 도움을

받은 기관(1순위) ······························································· 60

[그림 3-19] 활용 가능한 진로교육 직업인사 풀 확보 여부 ·············· 60

[그림 3-20]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대한 인지 ···································· 62

[그림 3-21] 진로 정보의 자기주도적 탐색 여부 ································ 62

[그림 3-22] 진로진학상담 실시 여부 ··················································· 63

[그림 3-23] 직업정보에 대한 인지도(2009년) ····································· 64

[그림 3-24] 희망직업에 대한 인지도(2012년) ····································· 64

[그림 3-25] 진로계획 수립 능력 ·························································· 65

vi

[그림 3-26]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일이 직업선택에서 차지하는

비중(2009년) ······································································ 66

[그림 3-27] 직업선택의 기준(2012년) ·················································· 66

[그림 3-28] 여러 직업의 장단점 고려 후 자신의 진로 결정(2009년) · · 67

[그림 3-29] 희망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 요소 – 중학생

(2012년) ·············································································· 68

[그림 3-30] 희망 전공 선택 이유 - 고등학생(2012년) ······················· 68

[그림 3-31] 내가 계획한 진로와 관련된 자료를 얻는 데 관심이 많음

(2009년) ············································································· 69

[그림 3-32] 주요 진로상담 내용(2012년) ············································ 70

[그림 3-33]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자신의 역량 정도 ······················· 72

[그림 3-34]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역량 ········ 73

[그림 3-35]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 ······················································ 73

[그림 3-36] 구성요소별 비교 ······························································· 76

[그림 3-37]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도 변화 ········································· 79

[그림 4-1] 교원 배치 및 운영 만족도 ················································· 91

[그림 4-2]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만족도 ········································ 94

[그림 4-3]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 만족도 ································ 97

[그림 4-4] 진로 정보・콘텐츠 생성・개발 및 보급 만족도 ················ 100

[그림 4-5]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 만족도 ································ 103

[그림 4-6]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만족도 ··················· 107

[그림 4-7]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만족도 ················· 110

[그림 4-8]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만족도 ······································ 113

그림 차례 vii

[그림 4-9]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화 만족도 ························ 116

[그림 4-10]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만족도 ····················· 119

[그림 4-11]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 만족도 ························· 122

[그림 4-12] 진로교육 정책 만족도 ···················································· 124

[그림 5-1] 중장기 비전과 목표 ·························································· 135

[그림 5-2] 국가정책 차원의 추진 체계 ············································· 141

요약 ix

요 약

1. 서론

○ 지난 3~4년간 학교 진로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도입, 「진로

와 직업」 선택 교과의 확산,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환 배치 및

각종 진로교육 콘텐츠 보급 등 교육과정 전반에서 비약적 성장

이 있었지만, 풀어야 할 과제 또한 적지 않음.

- 첫째, 단선적이고 획일화된 진로 경로를 전제한 청소년 진로지

도 방식을 극복한 학교 진로지도 체계 구축이 요구됨.

- 둘째, 편향된 진로의식을 극복할 수 있는 학교 진로교육 프로

그램의 활성화 및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

- 셋째, 학교교육활동에서 청소년들이 직업세계의 다양성 및 적성

연계를 경험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 및 태세가 갖추어져야 함.

○ 이와 같은 학교 진로교육 변화상을 반영하여 새 정부의 국정과제

를 원활하게 수행하고 학교현장의 착근을 위해서는 학교 진로교

육에 대한 비전 및 이를 뒷받침할 로드맵을 제시할 중장기 발전

계획이 요구됨

2. 초·중등 교육의 내외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 청년 취업난 및 저출산 심화 등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인별

진로교육 및 청소년기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x

- 국가공무원 시험이 높은 응시율을 보이는 등 청년 취업난이 심

화되고 있으며, 대졸자의 직장생활 부적응 내지 이직의 비중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이는 청소년기의 진로개발

역량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 저출산 현상으로 인하여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수준

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개인별 진로교육의 중요성 부

각으로 이어질 것으로 여겨짐.

○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로교육은 공교육 활성화 차원 및 소외

된 영역에 특화된 접근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됨.

- 입시 위주의 교육구조로 인한 사교육 확산은 새로운 사회적 비

용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공교육 활성화 전략의 일

환으로 진로교육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 초・중등 단계 학생의 구성층이 다문화 자녀, 특수교육 대상자,

농어촌 지역, 예체능계열이나 직업계열 학생 등으로 다양화 되

고 있어 진로교육에 있어서도 소외된 영역에 맞는 특화된 접근

이 요구됨.

○ 이러한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공교

육 강화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음.

- ‘학생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위해 2011년부터 진로진

학상담교사 배치, 중등단계에서 연 2회 이상 진로심리검사 의

무화,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SCEP: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개발 및 보급, 진로체험 지원시스템 구축, 학부모 진

로교육 아카데미, 드림레터 발간 등을 추진하여 왔음.

- 나아가, 중학교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부담 없이 진로탐

요약 xi

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

게 운영하는 ‘자유학기제’를 도입함.

・ 2013년 2학기부터 연구학교를 운영하여 2016년에는 중학교

에서 전면 실시하도록 추진하고, 기본교과의 내용에 ‘학교 진

로교육 성취기준 및 성취지표’를 반영하고, 전일제 진로 및

진로캠프 등을 2회 이상 실시하도록 함.

・ 교육부는 자유학기지원센터와 더불어 관계부처 및 중앙단체와 업

무협약을 체결하며, 전문기관과 인프라 구축 네트워크를 형성함.

○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 온 학교 진로교육 강화정책은 진로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시의적절하게 대응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

으며, 현재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자유학기제 정책은 학교 진로

교육의 강화 차원에서도 적절하고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음.

- 다만, 자유학기제 정책에 있어서도 진로교육이 마주하고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진로개발 및 특화된 맞춤형의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으로 발전시켜야 함.

3.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 분석은 공급의 측면에서 관련 예산 및

시설, 프로그램 등이 얼마나 제공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방식

과, 수요의 측면에서 학생의 진로선택에 영향력이 큰 학부모 혹

은 학생의 진로의식 정도를 파악하는 방식이 가능함.

○ 먼저, 공급의 측면에서 단위 학교의 진로교육 지원체계는 각 방

면에서 큰 폭의 진전을 나타내고 있으나, 유료검사지 사용 등 공

교육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여전히 남아 있음.

xii

- 첫째, 학교 진로교육 체계 측면에서 2007년과 2012년 진로교육

에 대한 연간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는 단위 학교 비율, 진로

교육에 대한 단위 학교별 별도의 예산항목 설정 학교, 단위 학

교의 교원 및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연수 및 컨설팅 빈도를 비

교해본 결과 모두 큰 폭으로 늘어나 학교 단위에서 큰 진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둘째, 교과・기초학습 측면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참여 여부,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률, 학년별 「진로와 직업」

교과 평균 배당 시수, 진로 포트폴리오 지도, 2012 교과통합 진

로교육 실시 정도 등을 비교해 본 결과 2012년까지 창의적 체

험학습의 진로활동 영역이 크게 활성화되었고,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률 및 통합교과 수행 비율, 진로 포트폴리오를 활용

한 진로지도 부분도 전반적으로 크게 발전한 것으로 나타남.

- 셋째, 진로정보・탐색활동 측면은 커리어넷 활용 경험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유추해 보았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커리어넷 활용

경험은 초・중・고교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넷째, 상담・지도활동 측면에서 교사 및 전문가에 의한 상담 및

컨설팅 등 지도활동을 살펴본 결과, 진로적성검사, 상담활동

의 횟수가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학부모들에 대한 컨설팅 및

상담활동도 늘어났으나 유료검사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여전히

높게 나타나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음.

- 다섯째, 체험・현장 학습 측면으로 활용 가능한 진로교육 직업

인사 풀 확보 여부, 진로교육 인력 풀 확보 여부에 대하여

2007년과 2012년을 비교해 본 결과, 2012년에는 모든 학교급에

서 학교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인력 풀 확보에 노력하고 있었

음을 알 수 있음.

요약 xiii

○ 다음으로 수요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진로의식에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으나,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및 직업에 대한 태

도, 그리고 독립성을 키우기 위한 노력은 정책적 과제로 제기됨.

-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의미 있는 진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이 중학생 및 고등학생 공히 상대적으

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영역은

많은 진전을 이룬 영역으로 나타남.

-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을 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및 직업에 대한 태도와 독립성을 키우기 위한

정책적 노력에 보다 많은 역량이 모아져야 함.

○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및 독립성 있는 태도의 육성을 위해 학교

교육에서는 보다 종합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며,

직업에 대한 태도 차원에서는 교사들의 직업관에 대한 보다 세심

한 배려가 요구됨.

4.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에 대해서는 그동안 정부

에서 추진해 온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과 연도별 추진계획을

분석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을 도출하고자 함.

○ 먼저 정부의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으로 2007년도의 「평생진

로개발 활성화 5개년(’07~’11) 계획」과 2009년도의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을 분석함.

-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07~’11) 계획」은 교육인적자원부,

xiv

고용노동부, 과학기술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한 발전계획이지

만, 초・중등 진로교육 부문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을 차지함.

- 학교 진로교육과 관련한 본격적인 중장기 발전계획은 「진로교

육 종합계획(’09~’13)」이라고 할 수 있음.

○ 다음으로 연도별 정책 추진계획은 2010년부터 매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연도별 진로교육 추진계획 및 결과를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에 의한 정책 만족도 및 향후 정책추진 과제를 제시함.

- 정책 추진 현황은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진로 정보‧콘텐

츠,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강화, 전달체계 등 4개 정책 영

역에 대하여 분석하고, 진로교육 전문가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함.

- 첫째,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과 관련하여, 교원의 배치 및

운용,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학교 교육과정 개발 지원에 대

한 정책 추이 및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함.

- 둘째, 진로 정보‧콘텐츠와 관련하여 진로 정보‧콘텐츠 생성‧개발

및 보급, 진로상담 및 상담체계 구축에 대한 정책 추이 및 현

황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함.

- 셋째,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강화와 관련하여,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에 대한 정책 추이 및 현황을 분석하

고, 향후 과제를 제시함.

- 넷째, 전달체계와 관련하여,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화,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

화에 대한 정책 추이 및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함.

요약 xv

○ 진로정책 추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음.

- 전문가, 학부모 공통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정책항목은 진

로 정보・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

화,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등으

로 나타남.

- 전문가, 학부모 공통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인 정책항목은 직

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

성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 등으로 나타남.

- 교원 배치 및 운용,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정책과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등의 정책

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학부모가 엇갈리는 의견을 보임.

- 급속한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성취한 진로교육의 성과를 바

탕으로 향후 지속적 정책 추진을 위한 사회적 협력체계 및 제

도적 기반 구축에 정책역량이 집중되어야 함.

5.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 지금까지 논의를 통해 도출된 요구사항 및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향후 진로교육의 중장기 비전과 전략을 제시함.

- 진로교육의 공간 및 노출 기회를 학교 안팎에 걸쳐 확장하는

한편, 진로교육의 내용을 다양화하고 특화할 필요성이 있음.

- 정부의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학생 개인의 소질과 적성에 따른 맞춤형 진로설계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음.

-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 과제는 입시 위주의 교육체질 개선이며,

xvi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자유학기제는 진로교육의 중장기

정책방향 설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 진로교육의 주요 정책영역으로는 단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

동 활성화,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등을 제시할 수

있음.

○ 진로교육의 비전 및 방향에 따라 주요 정책과제의 추진 전략은

정책영역별로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음.

- 학교진로교육의 체계성과 연계성 확보를 통해 단위 학교의 진

로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가장 우선적으로 정책역량이 모

아져야 함.

- 각종 진로 정보의 원활한 보급과 학생들의 수준별‧역량별로 특

화된 맞춤형 콘텐츠 제공이 필요함.

- 지역사회의 다양한 시설과 전문가들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정비와 인프라 구축, 네트워크 환경이 마련되어야 함.

- 정부 부처별 진로교육 지원기능 간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요구됨.

○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에는 교육부, 전문기관, 시·도교육청

및 단위 학교 등 진로교육과 관련되는 추진 주체들 간의 명료한

역할 인식 및 분담과 이에 대한 전달체계의 정비가 필요함.

- 국가 차원에서는 「진로교육법」 시행 및 모니터링, 국가 수준의

진로교육 정책 수립 및 시행, 부처 간 정책연계 및 협력 제고,

국가진로교육센터의 운영, 진로교육 전문기관 협의체 운영 및

확장 등의 정책 추진이 요구됨.

요약 xvii

- 학교 차원에서는 단위 학교 자율의 진로교육 편성・운영 및 환

류 체계 구축, 진로교육 기획 및 설계 역량 강화, 단위 학교 차

원의 진로교육 편성 및 운영 프로세스 구축, 학교 전체 교원의

진로교육 역할 및 기능 부여 등의 프로세스 구축이 필요함.

- 교육청 차원에서는 진로교육을 위한 수준 높은 지역 인프라 구

축, 중앙과 학교를 잇는 전달체계 구축을 통하여 진로교육의

내실화 실현, 지역사회의 진로교육 풍토 및 참여 분위기 조성,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진로교육 및 직업체험활동

활성화 등의 정책 추진체계 정비가 필요함.

○ 중장기 발전계획의 세부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음.

- 단위 학교교육 시스템 강화

・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의 개발 및 보급: 자유학기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학생들의 진로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

는 SCEP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함.

・ 교육과정의 진로교육 요소 간 연계・통합 제공: 학교 교육과정에

분산되어 있는 진로교육 요소들을 통합・연계하여 학교진로교

육지도(SCEM: school career education map)를 개발・보급함.

・ 진로교사 및 일반교사의 진로지도 역량 제고 및 연수 지원:

진로교사 및 일반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

로드맵을 구성함.

・ 밀착형 진로지도 체계 강화: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 체계를 구

축하여 학생의 진로계획을 구체화시키는 시스템을 구현함.

-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 직업세계 변화의 역동성・트렌드 정보 생성 및 보급: 직업변화

에 대한 트렌드 연구를 강화하고 직업세계변화 정례 보고서

xviii

를 발간함.

・ 단계별・대상별로 특화된 진로 콘텐츠 개발 보급: 학교 현장에

서 사용되고 있는 적성검사의 실태를 파악하고 특수교육대상

학생에 대한 진로정보 보급을 촉진함.

・ 역량중심 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콘텐츠・프로그램 개발 보급:

학교급별, 진로교육 수요자별 맞춤형 콘텐츠・프로그램을 개

발하고 예체능교육 보편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함.

・ 유연한 진로경로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지역단위의 학

습기회 정보를 체계화하고 U-러닝을 통한 학습자주도 평생학

습을 지원함.

-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 전문직업인의 수업참여 및 진로활동 지원 확대: 활용 가능한

지역 자원인사 인력 풀을 개발하고 우수사례를 선정 및 시상함.

・ 진로활동 지원을 위한 학부모 참여 활성화: 학부모회 네트워

크 구축 및 협력 활동을 지원하고 학부모 친화적 참여 여건을

조성함.

・ 지역사회 교육기부 활성화: 지역 내 직업 및 교육 분야별 멘

토 풀 확보 및 교육기부에 대한 다양한 인증・인정 시스템을

마련함.

・ 지역사회 및 기업의 참여를 통한 체험활동 활성화: 학교-지역

사회 기관 혹은 기업 간의 공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

회 시설이 체험활동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활용함.

-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 국가진로교육센터 기능 및 역량 강화: 국가진로교육센터의 장

단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진로교육센터와의 연계체제를

구축함.

요약 xix

・ 시・도교육청별 진로교육 실행체계 확장: 교육지원청에 진로교

육 전담부서와 진로정보센터를 설치하여 지역의 진로자원 인

프라를 구축함.

・ 진로정보의 플랫폼 강화 및 네트워크 활성화: 커리어넷의 진

로정보 콘텐츠를 강화하고 스마트 환경에 대응한 진로정보망

을 구축함.

・ 정부부처별 협력체계 강화: 정부부처별로 존재하는 진로교육

지원기능 간의 협력 및 지원기능을 강화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 내용과 범위

제3절 연구방법

제1장 서론 3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지난 3~4년간 학교 진로교육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도입, 「진

로와 직업」 선택 교과의 확산,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환 배치 및

각종 진로교육 콘텐츠 보급 등 진로교육 전반에서 비약적인 변화

및 발전이 있었음.

○ 새 정부에서는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진로지도체

계 수립을 위하여 자유학기제 시행 및 맞춤형 진로설계 등 진로

교육 정책을 국정과제에 주요하게 제시하고 있음.

- 또한 진로교육법안이 국회에서 발의・추진되어 진로교육의 법

제적 근거 확보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연말로 예상되는 법안

통과 이후에는 진로교육 지형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됨.

- 이렇듯 학교 진로교육은 최근의 비약적 성장을 바탕으로 새로

운 기회를 맞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진로교육이 풀어야 할 과

제 또한 적지 않음.

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먼저, 단선적이고 획일화된 진로 경로를 전제한 청소년 진로지도

방식을 극복한 창의적 진로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학교 진로지

도 체계 구축이 요구됨.

- 탈산업화 시대의 진로계획은 주어진 경로를 추구하는 정형화

된 틀이 아니라, 복잡다단하고 유동적인 상황에 따라 각자에게

맞는 고유하고 독특한 전략을 통해 접근할 수 있음.

- 직업세계에 입직한 이후 동일한 직장에서 경력을 쌓아 가는 데

익숙한 산업사회와는 달리 탈산업사회에는 다양한 직장을 경

험하며 전문지식을 축적하는 평생진로교육의 개념이 중시됨.

- 이를 위해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다양한 직업을 체험하고 심화

된 전문지식의 축적을 통해 개별 학생 고유의 진로 경로 구성

이 가능하도록 학교의 진로체계를 재구성할 필요성이 요구됨.

○ 다음으로,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좋은 대학을 가야

한다는 식의 편향된 진로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및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

- ‘좋은 대학 = 좋은 직장’이라는 진로인식은 급기야 ‘대학을 나

오지 않으면 사람 구실을 제대로 하기 어렵다’는 식의 일종의

이데올로기가 되고 있음.

- 이러한 인식은 불필요한 대학진학수요를 만들 뿐만 아니라 대

학진학이 초・중등 교육의 유일한 목표가 됨으로써 초․중등교육

의 현장을 황폐화하고 아이들의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기회

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결과로 이어짐.

- 직업세계의 역동성과 및 트렌드를 접함으로써 급변하는 사회

흐름의 이해 속에 개인의 진로역량을 구축할 수 있고, 또 도전

과 개척의 정신이 장려될 수 있는 학교단위의 진로교육 프로

제1장 서론 5

그램을 보다 활성화하는 정책이 뒤따라야 함.

- 창의성과 평생학습의 사회에 걸맞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입각

하여, 개인 진로의 고유성을 강조한 맥락(context) 중심의 진로

교육 체계 재정비와 이를 위한 콘텐츠 구비가 요청됨.

○ 또한, 학교교육활동에서 청소년들이 직업세계의 다양성 및 적성

연계를 경험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 및 태세가 갖추어져야 함.

- 학교교육활동의 대부분이 교과 및 교실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현실에서 학생들이 미래 직업세계의 흐름을 감안하고

자신의 꿈과 끼를 충분히 고려하는 진로결정을 내리기 힘듦.

- 최근 학교현장에서부터 현장체험학습(Work-based Learning)이

강조되고, 직업세계 및 직업인과 학생의 만남이 다양하게 시도

되고 있으며, 기업이나 시설, 기관, 단체 등 지역사회에 존재하

는 여러 자원은 그 자체로 학생들에게 살아 있는 교과서로서

기능함.

-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과 사회경험으로부터 자신의 꿈과 새로

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사회 공동의 노력

을 유도하는 정책이 한층 강화되어야 할 것임.

○ 이와 같은 과제 및 사안들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그간의 진로교육

변화상을 반영하여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원활하게 수행하며 학교

진로교육의 현장 착근을 위해서는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비전

및 이를 뒷받침할 로드맵 제시 등 중장기 발전 계획이 요구됨.

- 이 연구는 그간 이루어져 온 국가적 차원에서의 진로교육 정책

및 경과를 조망하고, 진로교육 현황 및 정책수요 분석을 바탕

으로 향후 추진되어야 할 국가적 차원에서의 진로교육 중장기

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발전계획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며, 구체적인 세부정책과제

로드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정부에서 향후 진행하게 될 진로교육 중장기발전 종합계획

수립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

・ 세부정책과제 및 로드맵을 바탕으로 교육부, 시·도교육청, 단

위 학교는 향후 진로교육의 큰 틀에서 계획수립 및 세부사항

을 전개하게 됨.

・ 현재의 진로교육 실태 및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통합적이

고 수요자 요구에 맞는 체계적 진로교육 시스템을 수립하며,

이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맞춤형 진로교육 실현을 기대함.

제1장 서론 7

제2절 연구 내용과 범위

○ 최근 2~3년간의 비약적인 진로교육 발전 내용에 더하여, 진로교

육법안의 통과 후 예상되는 국가적 차원의 진로교육 체계성 요

구 및 자유학기제 등 정부의 새로운 정책 환경 대응 요구 등에

초점을 맞춘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주

요하게 제시됨.

☐ 초·중등 교육의 내외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진로교육의 요구 분석

○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진로교육의 요구 분석

○ 진로교육 정책의 강화 방안 제시

☐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 공급 측면에서 단위 학교 진로교육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분석

○ 수요 측면에서 진로성숙도검사의 틀을 활용하여 분석

○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살펴본 실태를 종합 분석하여 학교 진로교

육의 주요 요구 사항 도출

☐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07~’11)계획」 분석

○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 분석

○ 교육부 연도별 정책 추진계획(’10~’13) 분석

○ 교원의 배치 및 운용, 학교 시설 및 예산지원, 학교 교육과정 개

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발 지원에 대한 정책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제시

○ 진로 정보 ‧ 콘텐츠 생성 ‧ 개발 및 보급, 진로상담 및 상담체계 구

축에 대한 정책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제시

○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에 대한 정책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제시

○ 법제 기반 구축 ‧네트워크 활성화, 시 ‧ 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에 대한 정책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제시

☐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 국가 차원의 진로교육 중장기 비전과 목표, 이를 위한 주요 전략

등 수립 제시

○ 비전과 목표 주요 전략에 따른 세부 추진 과제 및 중장기 추진체

계 제시

제1장 서론 9

제3절 연구방법

□ 문헌연구 및 분석

○ 기존의 진로교육 정책 관련 연구보고서 분석

○ 진로교육 현황 및 실태조사(2차 자료) 결과 활용 및 분석

□ 분석에 활용된 2차 자료의 개요

○ 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학교 전수조사: 학교 진로교육 담당 교사 1인

※ 전국 초・중・고등학교 6,515개교(초등학교 3,152개교, 중학교

1,892개교, 고등학교 1,471개교)

- 학생 표본조사: 2006년 학교명부를 활용하여 각 학교급별로 지

역층화 무작위 표본추출, 학교별 1개학급 조사

※ 전국 초・중・고 593개교(초등학교 179개교, 중학교 158개교,

고등학교 256개교), 재학생 1만 5,978명(초등학교 5~6학년

4,565명, 중학교 2학년 4,441명, 고등학교 2학년 6,972명)

- 1개월(2007. 7. 2~31.)간 웹기반 설문조사

○ 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학생 표본조사

※ 초・중・고등학교(초등학교 20개교, 중학교 20개교, 고등학교

20개교), 재학생 3,138명(초등학교 5~6학년 1,049명, 중학교 2

학년 1,050명, 고등학교 2학년 1,039명)

- 2009년 9월 조사

1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조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학교 전수조사: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학교별 진로교육 현황조

사(학교단위 조사)

※ 전국 초・중・고등학교 5,472개교(초등학교 82개교, 중학교

3,123개교, 고등학교 2,267개교)

- 학생 표본조사: 초・중・고등학교 중에서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학교만을 대상으로 실시함

※ 전국 초・중・고등학교 564개교(초등학교 82개교, 중학교 272

개교, 고등학교 210개교), 재학생 2만 4,128명(초등학교 6학년

3,551명, 중학교 2학년 1만 485명, 고등학교 1학년 1만 92명)

※ 초등학교는 조사 빈도가 82에 불과하여 활용하지 않음

- 학부모 조사: 일반계고등학교에 1학년 재학생을 둔 학부모

※ 1차 조사: 2012. 10. 22(월) ~ 2012. 11. 2.(금), 2주간

※ 2차 조사: 2012. 11. 12.(월) ~ 2012. 11. 14.(수), 3일간

- 웹기반 설문조사

○ 2009 학교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학생 표본조사

・ 중・고등학교 표본조사(조사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중학생 3,117명

・ 1학년 1,048명, 2학년 1,014명, 3학년 1,055명

- 고등학생 3,484명

・ 1학년 1,271명, 2학년 1,130명, 3학년 1,083명

- 용역 계약일로부터 3개월(2009. 6. 16 ~ 9. 29.)간 조사원이 표본

선정된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방문

면접조사

제1장 서론 11

□ 전문가 협의회 및 정책토론회

○ 연구방향 및 정책제안에 대한 전문가 협의회 개최

○ 연구 내용 검토 및 정책 방향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 델파이 조사 실시

○ 목적: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추진 과제

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

○ 조사일시 및 방법

- 일시: 2013. 12. 20(금) ~ 2013. 12. 24.(화)

- 방법: 전자우편(email) 답장을 통해 조사 결과지를 받음.

○ 조사 도구

- 양적 조사: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에 대한 만족도를 5척 척

도로 표시함.

- 질적 조사: 현재 추진 중인 진로교육 정책에 대한 향후 추진과

제를 제시하도록 함.

○ 조사 내용

- 학교 진로교육시스템 구축, 진로 정보・콘텐츠,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전달체계 등 4개 영역에 대한 11개 세부

정책

1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대영역 소영역

�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1-1. 교원 배치 및 운용

1-2.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1-3.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

� 진로 정보・콘텐츠2-1. 진로 정보・콘텐츠 생성・개발 및 보급

2-2.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

�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3-1.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3-2.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3-3.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 전달체계

4-1.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화

4-2.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4-3.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

<표 1-1> 델파이 조사 질문 내용

○ 조사대상

- 진로교육 전문가, 교원(교장, 교감, 진로진학상담교사 포함) 등

27명

- 진로교육 학부모 모니터단 소속 학부모 28명1)

1) 교육부는 2013년 7월부터 12월까지 전국적으로 62명의 진로교육 학부모 모니터단을 운영하였음.

제1장 서론 13

이름 소속 비고

고○○ 한국고용정보원 박사

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박사

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장

김○○ 만덕고등학교 교원

김○○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김○○ 광교고등학교 교원

김○○ 한국고용정보원 박사

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박사

서○○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박사

양○○ 성남교육진흥청 과장

어○○ 공주대학교 조교수

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장

오○○ 대원고등학교 교원

유○○ 단국대학교 조교수

이○○ 부산국제중학교 교원

이○○ 삼평고등학교 교원

이○○ 충주중산고등학교 교원

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조교수

이○○ 대전대신고등학교 교원

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부장

장○○ 연세대학교 교수

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

정○○ 서울대학교 교수

최○○ 상계고등학교 교원

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

황○○ 인천계산여자고등학교 교원

<표 1-2> 델파이 조사 대상(전문가, 학부모)

a. 진로교육 전문가 27명

1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이름 소속 비고

강○○ 수원고색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강○○ 전주북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궝○○ 대구사월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김○○ 대전글꽃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김○○ 서울영등포여자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김○○ 시흥함헌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김○○ 서울북악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민○○ 과천문원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민○○ 시흥능곡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박○○ 서울한국삼육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서○○ 전남광양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설○○ 과천관문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송○○ 대전유성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신○○ 안산안산공업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안○○ 대구도원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양○○ 서울광남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윤○○ 광주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이○○ 안산해양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이○○ 일산서정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임○○ 서울구룡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정○○ 전주송원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정○○ 인천부광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조○○ 군포당정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주○○ 서울덕수고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최○○ 울산연암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허○○ 서울고척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현○○ 서울송곡중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홍○○ 인천경원초등학교 학부모 모니터단

b. 진로교육 학부모 모니터단 소속 학부모 28명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제1절 사회환경의 변화와 진로교육

제2절 교육환경의 변화와 진로교육

제3절 진로교육 정책의 강화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제2장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17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제1절 사회환경의 변화와 진로교육

1. 청년 취업난 심화와 진로교육의 요구

○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은 과도한 대학 진학률로 이어져 왔으나,

최근의 노동시장 여건 변화로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이 낮아짐에

따라 새로운 상황에 직면함.

-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이 1980년대까지 70%를 넘어 이는

대학 진학의 사회적 분위기로 이어짐.

- 대학 진학률은 1980년 중반에 이미 30%를 넘었고, 1995년에는

51.4%, 2000년에는 68%, 2005년에는 82.1%로 정점을 보이기에

이름.

- 그러나 노동시장의 변화와 대학생 취업률이 50%대로 떨어지면

서 대학 진학률 역시 2010년 이후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

고 있음.

-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대학진학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상황임.

1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2-1] 연도별 진학률 및 취업률

주: 진학률 = (진학자/졸업자 수)*100

출처: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각 연도). “교육통계연보”.

○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의 어려움은 국가공무원 시험의 높은 응

시율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 1988년까지 9급 국가 공무원 임용자의 학력은 고졸 이하가

53%, 대졸은 40%가 채 되지 않았으나, 1999년 이후 신규임용

9급 공무원의 학력은 고졸 이하가 1% 이하로 나타남.2)

- 임용 경쟁률 또한 높아져 2,000명 내외를 모집하는 시험에 해

마다 15만~20만 명이 응시하고 있음.

2) 김승보(2012). “고등교육 진로지도 체계 연구”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19

연도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선발예정인원 2,900 2,888 3,357 2,320 1,706 1,529 2,180 2,738

응시인원

(천 명)187.6 186.5 164.8 138.9 151.8 143.7 157.1 204.6

경쟁률 64.7 64.6 49.1 59.9 89.0 94.0 72.1 74.8

<표 2-1> 9급 공무원 선발 경쟁률 추이

자료: 한국행정연구원(해당 연도). “행정공공데이터베이스”.

○ 대학 진학 후 초기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지고 실패하는 비율도

높아지면서 아예 대학 졸업 시기를 늦추는 등의 새로운 경향과

함께 개인의 진로역량 개발에 대한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 우리나라 대학생(4년제)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2013년 현재

5년 3개월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성별로 보면 여자 4년 5개

월, 남자 6년 4개월임.

- NEET(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청년무직자) 족

의 경우, 우리나라는 다른 OECD 국가들과는 달리 졸업 후 기

간이 경과할수록 NEET족 비율이 오히려 늘어나, 국가 간의 비

교에서 볼 때 졸업 후 5년이 경과한 시점의 우리나라 NEET 족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우리나라 청년들은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에서 부적응 내지 이

직의 비중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장 높

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청소년기 진로지도에 대한 사회적 수

요 및 개인의 창의적 진로개척에 대한 필요성으로 이어질 것으

로 판단됨.

2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연도성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전체 61 62 63 63 63 63 63

남자 76 76 77 78 77 77 76

여자 51 52 52 53 53 54 53

<표 2-2> 대학(4년제) 졸업 소요기간 추이

자료: 통계청(각 연도). “경제활동인구조사”.

[그림 2-2] 청년층의 학교 졸업 후 NEET 인구 비율 추이

주: 청년층은 15~19세 기준.

자료: OECD(2008). “OECD Employment Outlook”.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21

2. 저출산 시대와 진로교육의 요구

○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983년 2.1명 이하로 하락한 이래 저

출산 현상이 지속화되어 학령인구의 감소가 본격화하고 있음([그

림 2-3] 참조).

- 2020년까지 전체 학생 수는 2010년에 대비하여 초등학교 17%

가량,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30%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이

영 외, 2011).

- 2030년까지 전체 학생 수는 2010년에 대비하여 초등학교는 30%

가량,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40%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이

영 외, 2011).

[그림 2-3] 초・중・고등학교 학생 수 추계

자료: 이영 외, 2011년 6월, “2012~2020년 중장기 교원 수급 전망”.

2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이러한 저출산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학부모의 교육열은 여전

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히려 저출산에 따라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수준은 더욱 높아지고 있어 진로교육의 수요에 반

영될 것으로 여겨짐([그림 2-4] 참조).

- 우리나라 학부모들 대다수는 자녀가 대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

지기를 원하고 있음.

- 이미 1990년에 61.6%의 학부모가 자녀의 학력을 대학교 이상

으로 기대했으며, 2004년에는 77.9%를 보이고 있음.

- 최근 이 경향은 더욱 가속화하여 자녀의 기대학력이 대학원 이

상인 경우가 2004년의 20.9%에서 2010년 26.2%로 상승하였음.

- 저출산에 따른 가구당 자녀 수 감소가 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유지하는 기제로 작용하면서 개인별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부

각될 것으로 판단됨.

[그림 2-4] 가구주의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수준

주: 대학교에는 전문대학이 포함됨.

자료: 통계청(각 연도). “한국의 사회지표”.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23

제2절 교육환경의 변화와 진로교육

1. 입시경쟁의 심화와 진로교육의 요구

○ 학교교육의 입시경쟁 심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공교육의

파행적 운영과 사교육의 확산, 중도 탈락자 양산 등 여러 가지

사회적・교육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

- 입시를 겨냥한 과도한 ‘점수’ 경쟁은 국어, 영어, 과학, 사회 등

주요 교과목 중심 및 지식 전달식 수업으로 치닫고 있음. 이는

체력 저하 및 행복도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고([그림 2-5] 참조),

학생들의 창의력 등 미래지향적 능력의 저하로도 이어지고 있

음(임언, 2012).

-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체력이 해마다 저하되는 것은

인터넷 문화 확산 등 교육 외적인 측면이 있겠지만, 입시 위주

의 파행적 교육과정에서도 찾을 수 있음(<표 2-3> 참조).

[그림 2-5]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자료: 염유식 외(2013). “2013년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조사결과보고서”.

2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연도 종목 2000년 2005년 2010년

50m 달리기(초) 9.22 9.22 8.9

팔 굽혀 펴기(남), (회) 31.27 30.83 34.8

팔 굽혀 매달리기(여), (초) 8.63 6.65 8.0

윗몸 일으키기(회/분당) 35.44 34.42 38.4

제자리멀리뛰기(cm) 180.65 176.92 189.7

앉아 윗몸 앞으로굽히기(cm) 13.84 13.52 15.3

오래달리기/걷기(분:초) 7:32 7:46 8.1

<표 2-3> 학생 체력 검사결과

출처: 교육부(해당 연도). “학생신체능력검사결과보고”.

○ 학업 중단 청소년 문제 역시 입시 위주의 현행 공교육 체계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비용 발생으로 이어지게 됨.

- 교육부 통계로 학업 중단 청소년은 매년 6만 명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전체적인 수를 약 28만 명으

로 추정한 바 있음([그림 2-6] 참조).

- 이들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 원인에는 가정형편이나 가족갈등

도 있지만, 학교 내 왕따, 공부 부적응 등 현행 학교교육 운영

방식과 밀접하게 나타나고 있음([그림 2-7] 참조).

-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을 지원하고 이를 추구할 수 있는 진로경

로 설계에 대한 요구는 갈수록 커질 것으로 판단됨.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25

[그림 2-6] 학업 중단자 현황

주: 1) 당해연도 3월 1일부터 다음해 2월 28일까지를 한 학년도로 함.

2) 학업중단율 = (학업중단자수/학년도 재적학생 수)×100

출처: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각 연도). “교육통계연보”.

[그림 2-7] 학업 중단 이유(복수 응답)

주: 복수응답 결과를 100% 기준으로 다시 산출한 결과표임.

자료: 윤철경 외(2013). “학업중단 학생 종단정책 연구”. p.28~29.

2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사교육의 확산은‘점수’위주의 대학입시 체제가 낳은 부산물이며,

현재의 공교육 파행 운영의 반면교사로서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음.

- 학업 성취도가 높을수록 사교육 참여시간이 높게 나타나, 우리

나라의 사교육은 공교육의 보조적 수단으로 사교육이 활용되

는 미국이나 핀란드 등 외국의 사례와는 차별화됨.

- [그림 2-8]의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학업성적 상위 20%

의 학생(5분위)이 가장 많은 사교육에 노출되고 있으며, 성적이

낮을수록 사교육 비중이 작아져, 학업성적과 사교육 참여 간에

정(positive)의 상관관계를 보임.

- 현재의 대학입시가 사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유리한 구조라는

해석이 가능하며, 대학입시가 주가 되어 있는 공교육도 ‘점수’

위주의 사교육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내외의 압력에

직면해 있음을 유추할 수 있음.

[그림 2-8] 학업성취도에 따른 사교육 참여시간(수학)

출처: 박소영 외(2009). “PISA 2006 정책적 시사점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p.127.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27

○ 입시 위주의 교육구조로 말미암은 사교육이 확산됨으로써 새로

운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공교육 활성화 전략의 일환

으로 진로교육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 공교육과 달리 사교육은 그야말로 사적 영역이고 비용부담의

능력에 따라 취사선택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빈익빈 부익부

를 반영하게 됨.

- [그림 2-9]의 가구 소득수준별 월평균 사교육비 추이는 이러한

상황이 적나라하게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음.

- 학교교육으로서는 사교육의 ‘시험점수 따기’ 위주의 학습이 아

닌 공교육 본연의 교육활동 강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게 되어,

이의 일환으로 진로교육에 대한 강조가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그림 2-9] 가구 소득수준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추이(만 원)

자료: 통계청(각 연도). “사교육비 조사 결과“.

2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 학생 구성의 특화・다양화와 진로교육의 요구

○ 초중등 단계 학생의 구성이 다양화・다변화되는 측면은 저출산으

로 인한 학령기 학생 인원의 감소와 더불어 우리나라 교육의 중

요한 변화 요소임.

- 우리나라 거주 외국인 주민 수가 전체 인구의 2.8%인 1,445천

명에 이르고, 우리나라에 귀화하는 혼인여성의 비중이 점점 높

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문화자녀의 비율은 계속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됨([그림 2-10] 참조).

- 다문화가정 학생은 2006년 9,389명에서 2012년 46,954명으로 5

배 이상 늘어났으며, 전체 학생 대비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은

0.7%임([그림 2-11] 참조).

- 장애를 가진 특수교육 대상자 학생층도 과거와 달리 일반교육

에 통합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학교교육의 주요 구성층을

이루고 있음([그림 2-12], [그림 2-13] 참조).

- 다문화자녀 및 특수교육 대상자에 맞는 특화된 교육수요는 진

로교육에 있어서도 특화된 형태의 접근을 요구하게 됨.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29

[그림 2-10] 외국인 주민 변동 추이

(단위 : 천 명)

출처: 안전행정부 보도자료(2013. 7. 3.).

[그림 2-11] 다문화가정 초・중・고

학생 수

(단위: 명)

[그림 2-12] 특수교육 대상자 중

일반학급 학생 수

(전일제 통합학급)

(단위: 명)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2. 9. 17.), 교육과학기술부(2013b). “특수교육 통계”.

3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2-13] 교육환경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출처: 교육과학기술부(2013b). “특수교육 통계”.

○ 특화된 진로교육의 수요는 도시-농어촌 지역 간의 간의 격차가

커지고 있는 농어촌 지역 학생이나 인문・자연계열이 아닌 예체

능계열 혹은 직업계열에 속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도 공히 해당됨.

- 2000년대에 들어 12년간, 학교 수와 학급 수, 그리고 학생 수

및 교원 수 등에 있어서 도시-농어촌 지역 간의 교육격차는

[그림 2-14]와 같은 추이를 나타내고 있음.3)

- 지난 12년 동안, 학생 수 격차는 66.8%에서 69.1%로 2.3%가 벌

어지고 있고, 학급 수 격차는 56.2%에서 60.2%로 4.0%, 교원

수 격차는 53.0%에서 59.1%로 5.9%가 더 벌어지고 있음.

- [그림 2-15]는 예체능 계열 고졸자 수 및 대입자 수 추이를 나

타낸 것으로 해마다 예체능계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 중 약 7

만명가량은 고교과정에서 예체능계가 아닌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있음.

3) 도시-농어촌 지역 간 간 학교 수 비중 차이는 (도시지역 학교수 – 농어촌지역 학교수)/전체 학

교수로 나타나며 나머지 학급수, 교원수 및 학생수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도출.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31

- 예체능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된 교육의 수요가 공

교육 차원에서 더욱 커질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음.

[그림 2-14] 도시-농어촌 지역 간 교육 격차 현황 추이

자료: 한국교육개발원(연도별). “교육통계DB”.

3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2-15] 예체능계열 고졸자 수 및 대입자 수 추이

주: 2010년 이후 예체능계열은 특목고로 분류되어 졸업자 수가 통계에 포함되지 않음.

자료: 한국교육개발원(연도별). “교육통계DB”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33

제3절 진로교육 정책의 강화

○ 교육을 둘러싼 내외적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을 표어로 자유학기제 등 다양

한 공교육 강화정책을 제시하고 있음.

- 자유학기제는 ‘지식을 주입’하는 데 급급한 ‘시험 위주의 강의

식 교육’이 아니라 ‘토론・실습・체험 등 다양한 자율적 체험활

동’을 강화함으로써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는 교육체질 형성의

핵심적 수단임.

- ‘맞춤형 진로설계’ 정책 역시 학생 개인의 자유로운 진로탐색

과 스스로의 진로경로 설정을 도와줄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으

로 현재의 교육체질을 반추해 보고 문제를 찾으며, 또 새로운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는 정부의 핵심적인 정책수단으로서 제

시되고 있음.

1. 학생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 정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학생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육부는 2013년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이를 중심으로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 교육부의 세부 정책 내용은 중․고교 진로진학상담교사 선발․배

치, 모든 중․고생 연 2회 이상 진로심리검사 및 진로상담 제공,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제공, 중․고교 단계 각 1회

이상 직업체험 필수화, 시․도교육청에 진로체험 지원시스템 구

축, 학부모 진로 역량 강화 등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음.

3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정부는 학교 현장의 진로교육에 대한 요

구 및 인적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2011년부터 진로진학상담교사

를 학교에 배치하고 있음.

- 진로진학상담교사는 학교 진로교육을 총괄・기획하고 진로수업,

진로체험, 진로검사 및 상담 활동 등을 수행하고 있음. 2012년

까지 학생 수 100명 이상의 모든 고등학교에는 진로진학상담교

사가 배치되었으며, 중학교에는 72%가 배치되었음.

구 분 중학교 고등학교 계

공립 사립 합계 공립 사립 합계 공립 사립 합계

2011년 - - - 1,000 500 1,500 1,000 500 1,500

2012년 712 32 744 288 468 756 1,000 500 1,500

2013년 1,000 500 1,500 - - - 1,000 500 1,500

2014년 760 123 883 - - - 760 123 883

총 배치인원 2,472 655 3,127 1,288 968 2,256 3,760 1,623 5,383

<표 2-4> 2011~2013년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현황 (2012년 9월 기준)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3a). “개인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위한 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

화 방안”.

○ 진로 관련 검사 및 상담 강화: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를 지원하는

차원에서 중등단계에서 연 2회 이상 진로심리검사를 의무화함으

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소질 및 적성에 대한 자기성찰을 할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각 학교에서는 진로교사가 타 교사(담임, 전문상담교사, 진학담

당교사 등)와 협력하여 학생들의 진로를 상담하고 에듀팟에 상

담 내용을 기록하여 학생의 진로 포트폴리오 작성에 활용함.

- 또한 시・도 진로진학지원센터의 진로상담 기능을 강화하고 진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35

로상담 전문성을 갖춘 우수 교원 중 진로상담 슈퍼바이저를 선발

양성하여 타 교원의 진로상담 연수를 지도하는 강사로 활용함.

○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제공: 진로교육 중심의 교육과

정 운영을 통한 단위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 진로교

육 프로그램(SCEP: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을 개

발하여 각급 학교에 지원함.

- SCEP는 진로수업 및 창의적 체험 활동의 진로활동, 진로체험,

진로검사 및 상담 등의 활동으로 구성되며, 교과서-진로활동-

체험활동-진로검사 및 상담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크게는 110차시 수업이 가능함.

- 또한 학교 진로교육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2년 개발한 서

책 46권, 원격연수 4종, 동영상 콘텐츠 206편, 스마트북 4종 등

을 각 학교에 제공함.4)

○ 진로체험 지원시스템 구축: 체험 위주의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서는 자치단체 및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지역별 체험 자원의 연계

및 활용의 극대화가 필요함. 이에 따라 교육부는 지역사회 자원

의 교육기부를 장려하고 있음.

- 현재 국회에 발안중인 「진로교육법」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근거를 마련(제19조 제2항)하고 있음.

- 지역사회의 진로 체험 지원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부는 무료로

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우수 교육기부 기관을 대상으로 교

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를 도입하고, 교육청은 지역사회

협력 강화를 통한 「진로체험 지원시스템」을 구축함.

4) 교육부 보도자료(2013.1.15.).

3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지원청별로는 교육장, 지방자치단체장, 장학사, 진로교사, 학

부모진로코치, 지역인사 등으로 구성된 일터-학교 연계 직업

체험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함.

※ 시・도별 진로체험 지원 유형

-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서울시교육청)

・ 각 자치구와 협력하여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를 구축

・ 지역 학교와 다양한 사업장을 연계하여 직업체험 실시

- 사회적 기업 설립․운영(대구시교육청)

・ SK그룹과 진로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대구행복한미

래재단) 공동 설립 및 운영

・ 제공 프로그램: 교사 진로교육 연수, 찾아가는 진로학습 코칭, 직업

체험 캠프, 커리어컨설턴트 양성과정, 학부모진로교육 및 세미나

- 교육기부 매칭 전문사이트(e-나누미) 구축(경남교육청)

・ 공공기관, 대학, 기업, 단체 등 617개 교육기부 기관과 MOU를 체

결하여 유기적․지속적 관리

○ 학부모 진로역량 강화: 자녀가 합리적인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도

록 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제고를 위하여 학부모 진로교육 아카데

미, 드림레터 발간 및 학부모 진로코치 양성․활용을 확대함.

- 교육청, 학교 주관으로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연수인 학부모

진로교육 아카데미를 실시함. 특히 다문화가정, 농어촌 지역,

맞벌이 부부 등 지역적・시간적 여건이 어려운 학부모들을 위

한 맞춤형 연수과정을 강화함.

- 자녀 진로지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학부모 대상의 진로소식

지(드림레터)를 발간하여 자녀 진로지도 요령, 진로상담사례,

미래 직업과 학과 정보, 진학 준비, 직업체험 관련 정보 등 여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37

러 콘텐츠를 주 1회 학기 중에 제공함.

- 학부모 진로코치는 직업세계에 대한 현장 전문성과 경험이 있

는 학부모를 진로 코치로 활용하여 학교 진로교육의 현장성 제

고에 목적을 두고 있음.

- 2012년 현재, 6,693명의 학부모 진로코치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단위 학교에서 진로교사를 보조하여 진로검사 및 상담,

진로체험 및 캠프 도우미, 직업소개 등 다양한 진로교육 활동

수행을 지원하고 있음.

- 교육부는 1교당 5명 이상의 진로코치 확보를 목표로 학부모 진

로코치 양성 확대를 지원하고 있음.

2. 자유학기제 실시

○ 교육부는 5월 28일,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계획」을 발표

하여 자유 학기제의 개념, 도입 일정, 실시 시기,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체험 인프라 문제 등에 대한 전체적인 밑그림을 제시

하였음.

○ 자유학기제의 개념

-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중간고사・기말고사

등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수업 운영

을 토론・실습 등 학생 참여형으로 개선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

는 제도임.5)

5) 교육부 보도자료(2013.5.28.)

3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자유학기제 도입 일정

- 연구학교 운영(2013년 9월〜2015년 말)

・ (2013) 1학년 2학기 등 42교, (2014) 2학년 1학기 등 40교

- 희망학교 운영(2014년 초〜2015년 말)

・ 학교의 신청을 받아 ‘희망학교’ 운영

- 제도 확정 및 전면 실시(2016년 〜 )

・ (2015년 6월)자유학기제 실시계획 확정・발표 → (2015년 7월

〜2016년 2월) 학교별 준비 → (2016년 3월) 중학교 전면 실시

○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 학생의 체계적인 진로탐색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기본교과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의 내용에 ‘학교 진로교육 성취

기준 및 성취지표’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진로학습을 실시하며,

자유학기 동안 학교에서는 ‘전일제 진로체험’과 ‘진로캠프’ 등

을 2회 이상 실시함. 그리고 학생이 계획하고 학교가 출석을

인정하는 ‘자기주도 진로체험’ 활동을 강화함.

- 학생의 참여와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방법을 다양

화하여 국어, 영어, 수학 수업은 토론, 의사소통, 문제해결 등

학생 주도 수업으로, 사회, 과학 등의 과목은 체험학습, 실습・

실험, 프로젝트 수행 등 사고와 탐구 중심 수업으로 강화하며,

과목 간 융합・연계 수업, 협동교수-협력학습, 블록타임제 활

동 등을 활성화함.

- 학생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

하여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

대하며, 교과 내용은 ‘핵심 성취기준’ 중심으로 구성함.

- 중간고사・기말고사는 실시하지 않고 대신 자유학기제 취지에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39

맞는 형성평가6), 자기성찰 평가7) 등의 평가방법을 마련하여

시행하며, 꿈과 끼와 관련된 활동 상황을 학생부에 서술식으로

기록하되, 학교별 학생 성취 결과 확인 방안을 마련함.

○ 체험 인프라 구축 및 지원 방안

- 교육부는 자유학기지원센터와 더불어 관계부처 및 중앙단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과학창

의재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등의

전문기관과 인프라 구축 네트워크를 형성함.

・ 교육부는 또한 학교 유형별 운영 매뉴얼, 기본 매뉴얼 등을

제작 배포하고, 이를 위해 「초・중등교육법시행령」상 ‘저소득

층 교육비 지원 범위’에 진로체험 및 체험・참여형 교육 경비

가 포함되도록 할 예정임.

- 시・도교육청은 공공・민간의 교육기부 기관과 업무협약(MOU)

을 체결하고, 자유학기제 장학지원단을 구성하여 학교 컨설팅

등을 지원하며, 진로교육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체험기관과 학

교 간 매칭 시스템을 운영함.

- 교육지원청은 지역 내 체험기관을 적극 발굴하여 학교와 연결

하며, 관할 지역 내 중학교와 타 지역 소재 체험기관의 연결

등을 지원함.

○ 이와 같은 자유학기제는 근본적으로 학생 개인의 ‘진로’의 관점

에서 현재의 교육체질 전반을 반추해 보고 이로부터 새로운 교육

과정의 재구조화를 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6) 형성평가: 교사가 수업과정 중 학생들의 학습 달성 정도를 점검하는 평가(교육부 보도자료,

2013.5.28.)

7) 자기성찰평가: 학생 스스로 학습계획을 수립하고 점검하는 평가로서 교사는 피드백을 제공함

(교육부 보도자료, 2013.5.28.).

4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자유학기제는 입시위주의 교육체질로부터 오는 여러 가지 폐

해를 극복하고 입시위주의 교육체질 그 자체를 개선함으로써

공교육을 정상화하려는 것임.

- 중등 6년 혹은 초・중・고, 12년 과정 중에 한 학기(학년)만이라

도 진로탐색을 집중적으로 하도록 하자는 주장은 너무 협소한

시각이라 할 수 있음.

- 자유로운 진로탐색과 스스로의 진로경로 설정을 도와줄 수 있

는 학교교육과정으로 초・중・고 교육과정 전체를 재구조화하는

데 자유학기제 실시의 핵심이 있음.

제2장 초・중등 교육의 환경 변화와 진로교육 41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 청년 취업난 및 저출산 현상의 강화 등 교육을 둘러싼 사회환경

의 변화는 창의적이고 개인에 특화된 진로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

를 불러올 것으로 판단됨.

- 저출산 현상에 따라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수준은 더

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학생 개인의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

증대로 이어질 것임.

- 청년 취업난의 심화로 인하여 획일적이고 단선적인 진로경로

에 대한 회의가 일고 있으며, 이는 개인별 다양한 진로경로 요

구 및 창의적 진로개발 수요로 이어질 것임.

○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로교육은 공교육 활성화 및 소외계층

의 교육적 배려 차원에서 다양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음.

- 입시경쟁의 심화 및 이에 따른 사교육의 확산은 새로운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고, 이에 따라 공교육 활성화 전략의 일

환으로도 진로교육이 요구되고 있으며, 자유학기제도의 도입

등 정책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음.

- 초・중・고 단계 학생의 구성층이 다문화 자녀, 특수교육 대상자,

농어촌 지역, 예체능계열이나 직업계열 학생 등으로 다양화됨

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의 영역도 수요에 맞는 특화된 접근을

요구하고 있음.

○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 온 학교 진로교육 강화정책은 시의적절하

며, 자유학기제 정책을 통해서 더욱 발전될 수 있는 전기를 맞이

하고 있음.

4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중등단계 연 2회 이상 진로심리검사

의무화,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SCEP) 개발・보급 등 교육과정

과 접목한 학교 진로교육의 확산 정책은 사회적 교육적 환경

변화에 부응한 적절한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음.

- 중학교의 한 학기를 학생들이 시험부담 없이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자유학기제’ 정책8)은 학교 진로교육의 정상화라는 맥락과도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큰 의의가 있음.

- 2009개정 교육과정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영역

의 도입이 비교과 영역의 진로교육 도입 정책이었다면, 자유학

기제는 교과영역을 포괄하는 진로교육의 본격적 도입 정책으

로 평가할 수 있음.

○ 다만, 자유학기제 정책에 있어서도 진로교육이 마주하고 있는 다

양하고 창의적인 진로개발 및 특화된 맞춤형의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으로 발전시켜야 함.

8) 교육부 보도자료(2013.5.28.)

초・중등 진로교육 실태와 과제

제1절 학교 진로교육 실태와 과제

제2절 학생 진로의식의 변화와 과제

제3절 진로교육 및 진로의식 실태의 정책적

함의

제3장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45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 분석은 공급의 측면에서 관련 예산 및

시설, 프로그램 등이 얼마나 제공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방안

과, 수요의 측면에서 학생의 진로선택에 영향력이 큰 학부모 혹

은 학생의 진로의식 정도를 파악하는 방식이 가능함.

- 학교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직업 세계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이해하고 알맞

은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활동임.

- 그동안 공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체계가 허약하여 학생들이

진로교육을 접하는 체계가 매우 부실하였으나, 최근 학교 진로

교육이 크게 강화되면서 학교현장의 진로교육 정도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남.

- 여기서는 공급과 수요의 양 측면에서의 실태를 제1절 및 제2절

에서 각각 살펴보고자 함.

○ 먼저, 공급의 측면에서 학교 진로교육의 일차적인 단위(unit)이자

학생지도가 일어나는 곳이 단위 학교인 만큼, 단위 학교의 진로

교육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음.

4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1] 학교 진로교육의 영역별 구성요소

- [그림 3-1]은 진로교육의 요소가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

에게 전달되는 영역을 살펴본 것임.

- 학교 진로교육은 교육과정의 교과 혹은 비교과와 방과 후 시

간, 학교 안과 학교 밖의 공간, 교과서와 활동지 및 체험 프로

그램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서 이루어짐.

- 이를 진로교육 영역별로 살펴보면, ① 「진로와 직업」 교과나

타 교과 통합교육 등을 통한 인지적 활동(교과・기초학습), ②

학교 안팎의 실천활동을 통한 체험・현장학습, ③ 수업이나 동

아리활동 혹은 개별 수행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진

로정보・탐색활동, ④ 교사 및 전문가에 의한 상담・지도활동 등

으로 정리할 수 있음. 여기에 더하여, ⑤ 이들 진로교육 영역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추진하는 체계로서 학교 진로교육 체계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47

역시 단위 학교 분석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고 할 수 있음.

- 제1절에서는 이들 5개의 영역을 진로교육이 본격적으로 이식

되기 전인 2007년 및 2009년의 지표와 본격적으로 이식된 이

후인 2012년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살펴봄.

○ 다음으로, 수요의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진로의식을 비교하기 위

하여 학생들의 진로의식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도구인 진로성숙

도검사의 틀을 활용하고자 함.

- 여기서는 개인별 진로의식 측정도구인 진로성숙도검사의 항목

을 학생 전체 차원으로 전환하여 살펴봄.

- 즉, 진로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분야의 계획성과 직업에 대한

태도 및 독립성의 3가지 영역과 능력 분야의 자기이해 및 합리

적 의사결정, 정보탐색 및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의 4가지 영역,

행동 분야의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의 1가지 영역 등 총 8가지

영역의 항목을 각각 비교해 보고자 함9)([그림 3-2] 참조).

○ 제1절 및 제2절에서 각각 공급과 수요의 측면에서 살펴본 실태를

종합 분석하여 제3절에서 학교진로교육의 주요 과제를 도출하였음.

- 학교단위의 공급 측면에서 진로교육 정책과정에 대한 종합적

분석과 학생 단위의 수요 측면에서 진로교육 결과에 대한 종

합적 분석을 시도함.

9)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교육지표조사 항목에서 2007년도와 2012년도의 비교 가능한 지표

를 중심으로 살펴봄. 직업에 대한 태도 및 합리적 의사결정 영역은 비교가능한 조사가 이루어

지지 않아 누락되었으며, 모두 6가지의 영역으로 비교 분석함.

4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2] 커리어넷 진로성숙도검사 영역

제1절 학교 진로교육 실태와 과제

○ 진로교육의 실태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과・기초학습, 체험・

현장학습, 진로정보・탐색활동, 상담・지도활동, 학교 진로교육 체

계 등 5가지로 정리하여 접근함.

1. 학교 진로교육 체계

○ 학교 진로교육의 요소는 교육과정 전반에 흩어져 존재하므로 단

위 학교에서는 이들 요소를 통합 운영할 추진체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

- 단위 학교는 진로교육에 관한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고 연간계

획을 수립하며,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연수

및 컨설팅을 시행하게 됨.

○ 학교 진로교육 체계 측면에서 현재(2012년) 학교단위에서 큰 진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49

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진로교육에 대한 연간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는 단위 학교의

비율이 2007년의 조사에 비해 모든 학교급에서 많게는 11.5%

까지 늘어났음([그림 3-3] 참조).

- 이를 실천적으로 뒷받침하는 요소로서, 진로교육에 대한 단위

학교별 별도의 예산항목 설정 학교도 중학교가 2007년 55.5%

에서 2012년 65.3%로 약 8% 증가하는 등 상당한 폭으로 늘어

남([그림 3-4] 참조).

- 단위 학교의 교원 및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연수 및 컨설팅 빈

도도 중학교가 2007년 75.7%에서 2012년 89.7%로 증가하였고

고등학교는 73.2%에서 82.5%로 큰 폭으로 늘어났음([그림 3-5]

참조).

[그림 3-3] 진로교육 연간계획 수립 여부 [그림 3-4] 진로교육 예산항목 책정 여부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

지표”.

5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5] 교원 및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연수 및 컨설팅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2. 교과・기초학습

○ 학생들이 진로교육에 접하는 가장 전통적인 방식의 하나는 「진로

와 직업」 등 진로교과 학습 및 진로교육과 연계 운영되는 교과통

합 교육을 통한 학습방식임.

- 또한 교과서를 지원하는 각종 활동지와 커리어넷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등도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대표적 수단이라 할

수 있음.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창의적 체험활동 도입이 2010년부

터 2012년까지 연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영역이 크게 활성화되었으며,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

률 및 통합교과 수행 비율이 전반적으로 크게 발전하였음.

-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진로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중학생이

72.3%, 고등학생이 80.9%로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진로활동이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표 3-1> 참조).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51

- 중학교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진로와 직업」 교과가 도입되

면서 교과 채택률이 2007년 7.1%에서 2012년 59.2%로 비약적

으로 늘었으며, 고등학교에서도 교과 채택률이 상승하였음([그

림 3-6] 참조).

- 한편, 중등과정의 「진로와 직업」 교과 평균 배당 시수는 중학

교의 경우 주로 1학년 및 2학년 과정에 배정이 많으며, 고등학

교의 경우 비교적 골고루 배정되고 있음([그림 3-7] 참조).

- 진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지도에서도 초등학교는 2007년

21.3%에서 2013년 41.5%, 중학교는 2007년 24.0%에서 2012년

90.2%로, 고등학교는 2007년 29.6%에서 2012년 90.7%로 크게

확장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그림

3-8] 참조).

중학생 고등학생

창의적 체험활동 참여 여부 72.3% 80.9%

<표 3-1>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참여 여부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6]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률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5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7] 학년별 「진로와 직업」 교과 평균 배당 시수 <연간>

a. 중학교 b. 고등학교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8] 진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 지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 교과통합 진로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상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과를 진로교육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2012년 교

과 통합 진로지도와 관련하여 중학교의 경우 12.5%가 잘 이루

어지지 않고 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22.6%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그림 3-9] 참조).

- 한편, 창의적 체험활동 중 시수가 가장 많이 배당된 영역 조사

에서 진로활동은 중학교가 18.2%, 고등학교가 16.1%이며, 균등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53

배분이 중학교 23.0%, 고등학교 40.0%로, 결국 창의적 체험활

동에서 진로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중학교 23.9%, 고등학교

26.1% 정도로 추정할 수 있음([그림 3-10] 참조).

[그림 3-9] 2012년 교과통합 진로교육 실시 정도

(1=매우 잘 이루어지지 않음, 5=매우 잘 이루어짐)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10] 창의적 체험활동 중 시수가 가장 많이 배당된 영역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5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3. 진로정보・탐색활동

○ 학생들의 자율적인 진로정보 탐색활동은 교과수업에서도 이루어

지고 학생들의 동아리활동 등 창의적 체험활동, 그리고 방과후

활동에서도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음.

- 진로정보・탐색활동에 대한 지표 개발이 미흡하지만, 커리어넷

활용 경험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음.

○ 학생들의 커리어넷 활용 경험을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초・중, ・

고교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초등학교의 경우 2007년 49.3%에서 2012년 79.3%로 증가하였

으며, 중학교는 2007년 63.6%에서 86.1%로 증가하였음. 특히

고등학교의 경우, 2007년 63.6%에서 2012년 93.1%로 대부분의

학교에서 커리어넷을 활용하고 있음([그림 3-11] 참조).

[그림 3-11] 커리어넷 활용 경험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55

4. 상담・지도 활동

○ 교사 및 전문가에 의한 상담 및 컨설팅 등 지도활동은 학생들의

진로의식 성장 및 진로설계에 있어서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

함.

- 상담, 지도 활동에는 진로적성검사, 상담활동 및 기타 지도활동

이 모두 포함됨.

- 정부는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단위 학교의 진로검

사를 확대하며 초・중・고 모든 학생이 진로적성검사를 연 2회

이상 실시하도록 하고 있음.

○ 진로적성검사, 상담활동의 횟수가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학생들

의 진로의식에 영향력이 큰 학부모들에 대한 컨설팅 및 상담활동

도 늘어났으나, 유료검사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여전히 높은 것으

로 나타나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음.

- 2012년 이후 대부분의 학교에서 진로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학교는 진로 관련 심리검사 실시가 2007년 17.5% 정도

이루어졌으나, 2012년 85.4%로 대폭 늘었음([그림 3-12] 참조).

- 중고등학교의 경우 대부분의 학교에서 진로심리검사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진로 관련 심리검사 방법으로는 유료 지필검사가

중학교 63.6%, 고등학교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

([그림 3-13] 참조).

- 커리어넷 등 진로직업 관련 심리검사 활용 및 컨설팅에서도 중

고등학교의 경우, 지역별 차이 없이 대부분의 학교에서 활용이

잘 되고 있으나, 초등학교급에서는 농어촌 지역 학교에서의 활

용이 65.7%로 대도시(78.1%) 및 중소도시(80.0%)에 비하여 작

게 나타났음([그림 3-14] 참조).

5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12] 집단 진로 관련 심리검사 실시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13] 진로 관련 심리검사 실시방법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57

[그림 3-14] 커리어넷 등의 진로직업 관련 심리 검사의 활용 및 컨설팅(2012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 단위 학교의 진로상담 빈도는 초등학교가 2007년 평균 57.4건

에서 2012년 평균 108건으로 2배 정도 증가하였음. 중학교는

2007년 평균 257건, 2012년 282.85건, 고등학교는 2007년 367.9

건, 2012년 371.71건으로 각각 증가함([그림 3-15] 참조).

- 상담이 주로 이루어지는 시간으로는, 중학교의 경우 쉬는 시간

혹은 점심시간(42.4%)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수업 종료 후(43.8%)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음([그림 3-16]

참조).

- 단위 학교의 학부모 대상 진로 및 진학교육, 상담 실시여부와

관련하여 초등학교는 2007년 51.3%에서 2012년 68.3%로 증가

하였고, 중학교는 2007년 75.7%에서 2012년 70.2%, 고등학교는

73.2%에서 2012년 76.3%로 나타났음([그림 3-17] 참조).

5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15] 평균 진로상담 건수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16] 상담이 주로 이루어지는 시간(2012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59

[그림 3-17] 학부모 대상 진로 및 진학교육, 상담 실시 여부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5. 체험・현장 학습

○ 교과 및 비교과, 학교 안과 학교 밖, 방과 후 및 주말 등 모든 영

역의 공간 및 시설,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체험활동

및 현장학습은 학생들의 온전한 진로의식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

인 활동임.

- 단위 학교에서 진로교육 운영을 위해서 가장 많은 협조 및 활

용, 도움을 받은 기관으로는 교육청 진로진학지원센터가 1순위

로, 중학교의 경우 57.5%, 고등학교의 경우 43.0%를 차지하였

음. 이에 비해 기업체의 도움은 중학교 1.2%, 고등학교는 3.3%

로 낮게 나타났음([그림 3-18] 참조).

- 활용 가능한 진로교육 직업인사 풀 확보와 관련하여 2007년에

는 초・중・고 모든 학교급에서 20% 정도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2012년에는 초등학교 31.7%, 중학교 28.0%, 고등학교 37.2%로

학교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인력 풀 확보에 노력하고 있었음

을 알 수 있음([그림 3-19] 참조).

6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18] 진로교육 운영을 위해 가장 많이 협조, 활용,

도움을 받은 기관(1순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19] 활용 가능한 진로교육 직업인사 풀 확보 여부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

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61

제2절 학생 진로의식의 변화와 과제

○ 학생 진로의식의 변화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생들

의 진로 의식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도구인 진로성숙도검사의 틀

을 활용하여 분석함.

1. ‘능력’ 영역

○ 자기이해: 학생들은 가치, 능력, 신체적 조건, 흥미, 환경적 제약

등 개인이 진로선택에서 고려해야 할 개인적 특성들에 대해 충분

한 이해가 필요함.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9년 및 2012년의 지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얼마나 인지하고 있

는지를 파악하였음.

- 중학교 및 고등학교 모두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에 대한 인지

정도는 2009년의 조사에 비해 2012년의 결과가 거의 비슷하거

나 약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남([그림 3-20] 참조).

○ 정보탐색: 학생들은 자기 이해를 토대로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탐색 할 수 있어야 함. 한국직

업능력개발원의 2009년 및 2012년의 지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정하기 위해 진로 정보를 스스로 찾을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음.

- ‘진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을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중학생의 경우 ‘할 수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2009년 42.3%에서 2012년 44.7%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고등학

6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생의 경우에는 ‘할 수 있다’로 응답한 비율이 2009년 50.4%에서

2012년 49.8%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그림 3-21] 참조).

[그림 3-20]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대한 인지

a. 중학교 b. 고등학교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

진로교육지표”.

[그림 3-21] 진로 정보의 자기주도적 탐색 여부

a. 중학교 b. 고등학교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

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63

○ 합리적 의사결정: 학생은 스스로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9년 및

2012년의 지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학교에서 자신의 진로와 관

련된 상담 실시 여부를 묻고 있음.

- 단위 학교 차원에서 학생들의 진로상담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학생들의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아지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학생 입장에서 진로상담 실시 여부를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2009년 12.6%에서 2012년 52.6%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중학

교는 2009년 10.5%에서 2012년 25.5%, 고등학교는 2009년 25.4%

에서 2012년 37.5%로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음([그림 3-22] 참조).

[그림 3-22] 진로진학상담 실시 여부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학생은 스스로 자신이 관심을 갖는 직업

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9년 및 2012년의 지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직업에 대한 정

보를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묻고 있음.

6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학생들이 희망 직업에 대한 정보를 잘 알고 있는지에 대해서 조

사한 결과, 중학생의 경우 2009년 22.4%에서 2012년 50.0%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고등학교는 2009년 21.1%에서 2012년

49.6%로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음([그림 3-23], [그림 3-24] 참조).

[그림 3-23] 직업정보에 대한

인지도(2009년)

[그림 3-24] 희망직업에 대한

인지도(2012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2. ‘태도’ 영역

○ 계획성: 학생이 진로를 계획하고 이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원하는 진로 정보를 스스로 찾은 후 자신의 진로목표에 따라 구

체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하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의 2009년 및 2012년의 지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진로를 이루

기 위해 계획을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해서 묻고 있음.

- ‘자신이 원하는 장래 진로를 이루기 위해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울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중학생은 ‘할 수 없다’ 라고 대

답한 비율이 2009년 10.3%에서 2012년 13.6%로 증가하였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할 수 없다’라고 대답한 비율이 2009년

10.9%에서 2012년 13.3%로 오히려 증가하였음([그림 3-25] 참조).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65

[그림 3-25] 진로계획 수립 능력

a. 중학생 b. 고등학생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

진로교육지표”

○ 직업에 대한 태도: 학생은 직업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직

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며, 2009년 및 2012년

의 지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직업생활에 대한 전반적 가치와 직

업선택의 기준에 대해서 묻고 있음.

- ‘다른 사람들에게 구체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것이 장래

직업을 선택할 때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중학생의 경우 ‘중요하다’ 라고 대답한 비율이 전체의 40.4%,

‘매우 중요하다’라고 대답한 비율이 23.4%로 나타남. 고등학생의

경우 ‘중요하다’ 라고 대답한 비율이 전체의 39.5% , ‘매우 중

요하다’라고 대답한 비율이 19.5%로 나타남([그림 3-26] 참조).

- 직업선택의 기준에 대해서는 초・중・고등학교 모두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흥미와 적성이 맞는 곳’이라고 대답함([그림 3-27] 참조).

6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26]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일이 직업선택에서 차지하는 비중(2009년)

자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그림 3-27] 직업선택의 기준(2012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67

○ 독립성: 학생은 진로결정의 책임을 수용하고 진로를 스스로 탐색

하고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2009년 및 2012년

의 지표에서는 여러 직업의 장단점에 대해서 충분히 생각해 본

후에 진로를 결정할 것인지, 그리고 희망 진학 고등학교 또는 희

망 전공 선택 이유에 대해서 묻고 있음.

- 독립성 변화 비교를 위해 2009년 자료로 ‘직업 선택 시 여러

직업의 장・단점에 대하여 충분히 생각하는지([그림 3-28])’,

2012년 자료로 중학교는 희망 고등학교를 선택한 이유 중 ‘흥

미와 적성’ 항목 응답한 자료([그림 3-29]), 고등학교는 희망 전

공을 선택한 이유([그림 3-30]) 중 ‘학문적 흥미 및 적성을 고려

해서’ 항목을 응답한 결과에 대해서 비교함.

- 중학생은 2009년 59.4%에서 2012년 희망 고등학교 선택 이유

중 ‘흥미와 적성’을 선택한 학생은 43.0%, 고등학생은 2009년

63.4%에서 2012년 희망 전공을 선택한 이유 중 63.5%로 나타

남([그림 3-28], [그림 3-29], [그림 3-30] 참조).

[그림 3-28] 여러 직업의 장단점 고려 후 자신의 진로 결정(2009년)

자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6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29] 희망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 요소 - 중학생(2012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30] 희망 전공 선택 이유 - 고등학생(2012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69

3. ‘행동’ 영역

○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학생은 자신의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

고 준비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2009년 및 2012년의

지표에서는 내가 계획한 진로와 관련된 자료를 얻는 데 관심의

정도와 주요 진로상담 내용을 묻고 있음.

-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9년 ‘내가 계

획한 진로와 관련된 자료를 얻는 데 관심이 많음’에 ‘그렇다’

이상으로 응답한 자료와 2012년 ‘주요 진로상담 내용’ 중 진로

와 관련된 상담 내용인 ‘자기이해, 다양한 직업 관련 정보, 진

학 관련 정보’에 해당 수치를 비교함.

-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변화’를 살펴보면, 2009년 중

학교는 49.8%에서 2012년 59.3%로 증가하였음. 고등학교는

2009년 64.6%에서 2012년 77.5%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

음([그림 3-31], [그림 3-32] 참조).

[그림 3-31] 내가 계획한 진로와 관련된 자료를 얻는 데 관심이 많음(2009년)

자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7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32] 주요 진로상담 내용(2012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71

제3절 진로교육 및 진로의식 실태의 정책적 함의

○ 이 절에서는 앞서 파악한 학교 진로교육 및 학생 진로의식의 변

화실태에 대한 종합적 논의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함.

1. 학교진로교육 실태분석의 정책적 함의

○ 최근 정부의 학교진로교육 활성화 정책을 평가하는 방안으로서

일선 학교에 배치된 진로교육 담당교사들이 자신의 역량에 대해

자평하거나 학생들의 학교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활용

할 수 있음.

-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단위 학교에 배치되면서 이들이 학교의

진로교육 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만큼, 현장 진로교사의 자체

역량 평가는 정책적으로 의미가 있음.

- 학생들의 경우, 2009년과 2012년에 각각 조사한 학생 만족도

지표를 활용할 수 있음.

○ 일선 학교에 배치된 교사들의 자신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서 절반

정도만이 진로지도 역량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담

및 진로지도 활동보다는 각종 검사도구의 활용 부분에 역량 부족

을 표시하고 있음.

-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스스로 역량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

가’에 대한 질문에 ‘충분’ 혹은 ‘매우 충분’으로 응답한 교사는

중학교 50.8%, 고등학교 46.4%임([그림 3-33] 참조).

-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역량은 중학교

급에서는 ‘각종 검사도구 활용(26.5%), 상담스킬(22.6%)의 순이

7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며, 고등학교급에서는 ’진학지도(26.6%), 각종 검사도구 활용

(25.0%)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34] 참조).

[그림 3-33]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자신의 역량 정도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 학생들은 학교진로교육의 변화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만족을 표

시하고 있으며, 그 비율이 2007년에 비해 크게 늘었음.

- ‘학교진로교육에 대해 만족을 나타내는 학생 비율이 중학생은

2007년의 12.3%에서 42.0%로, 고등학생은 2007년의 6.8%에서

45.7%로 크게 늘었음([그림 3-35] 참조).

- ‘학교 교육과정의 진로교육 도입에 대해 학생들의 체감도가 매

우 높음을 알 수 있음.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73

[그림 3-34]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역량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그림 3-35]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

a. 중학교 b. 고등학교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

진로교육지표”.

7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학교진로교육 활성화 정책을 평가하는 또 다른 방안으로서 앞서

제1절의 학교 진로교육의 실태에서 나타난 영역별 구성요소를 종

합적으로 비교해 볼 수 있음.10)

- ‘학교체계, 상담지도활동, 정보탐색활동, 체험현장학습 및 교

과・기초학습의 5개 영역을 연도별, 항목별로 비교하는 방식임.

- ‘각 영역의 지표로서 학교체계(진로교육 연간계획 수립), 상담・

지도활동(집단 진로 관련 심리검사 실시), 정보・탐색활동(커리

어넷 활용 경험), 체험・현장학습(진로교육 직업 인사 풀), 교과・

기초학습(「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률)을 대표성, 비교가능성 등

을 고려하여 채택함.

○ 구성요소별 비교에서, 중학교는 교과・기초학습 영역에서 고등학

교는 정보탐색활동에서 특히 큰 진전이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2007년에 비해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체험현장학습

및 교과・기초학습 영역은 상대적으로 미흡함을 보이고 있음([그

림 3-36] 참조).

- ‘학교 진로교육의 영역별 비교에서는, 진로교육체계(진로교육

연간계획 수립), 상담・지도활동(집단 진로 관련 심리검사 실

시), 정보・탐색활동(커리어넷 활용경험) 부문에 대한 학교의 태

세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체험・현장학

습(진로교육 직업 인사 풀), 교과・기초학습(「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률)에 대한 지원태세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10)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연도별 지표조사가 종합적 평가지표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연구가

아니기에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 평가지표를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다만, 향후 연구에

서는 이러한 종합적 평가지표를 염두에 둔 조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종합적 평가지표 구성 연구에 참조가 될 것임.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75

- ‘학교 진로교육의 연도별 비교에서는, 중학교의 경우 교과・기

초학습 영역이 2007년 7.1%에 비해 2012년 59.2%로 대폭 늘어

났으며, 체험・현장학습 영역은 2007년 16.7%에서 2012년

28.0%로 상승했으나 다른 영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 ‘고등학교의 경우, 각 영역별 수치 중 정보・탐색활동 영역은

2007년 63.6%에서 2012년 93.1%로, 체험・현장학습 영역은

2007년 20.5%에서 2012년 37.2%로 상승하였으나 다른 영역에

비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 학교 단위에서 체험현장학습 추진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교과・기초학습 영역에서도 선택교과

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창의적 체험활동 등 진로교육 요소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학습 기회를 확산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

마련이 요구됨.

7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36] 구성요소별 비교

a. 중학교

2007년 학교체계 88.7%, 교과・기초학습 7.1%, 정보・탐색활동 63.6%,

상담・지도활동 96.8%, 체험・현장학습 16.7%

b. 고등학교

2007년 학교체계 88.3%, 교과・기초학습 52.0%, 정보・탐색활동 63.6%,

상담・지도활동 97.8%, 체험・현장학습 20.5%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77

영역 하위영역 정의(선택문항)

능력

자기이해

능력, 흥미, 가치, 신체적 조건, 환경적 제약 등 개인이 진로선택

에서 고려해야 할 개인적 특성들에 대한 이해 정도

(문항) 나는 나의 흥미와 적성을 잘 알고 있다.

정보탐색자신이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항) 진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을 수 있다.

합리적

의사결정

스스로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문항) 올해 진로진학상담 선생님과 상담을 한 적이 있습니까?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자신이 관심을 갖는 직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정도

(문항) 나는 내가 희망하는 직업에 대해 잘 알고 있다.

계획성

자신의 진로 방향을 설정해 보고 그것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 보

는 태도

(문항) 진로를 이루기 위해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표 계속>

2. 학생 진로의식의 변화실태와 정책적 함의

○ 앞의 제2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를 진

로성숙도검사 항목에 맞추어 분류하였음.

- ‘2011년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단위 학교에 배치되면서, 새로 배치

되는 진로학상담교사가 학교의 진로교육 업무를 전담하고 있음.

- ‘진로성숙도검사의 영역별 개념과 비교 데이터로 활용한 지표

는 표와 같음.11)

<표 3-2> 진로성숙도검사 항목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

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연도별 지표조사가 집합적 차원의 진로성숙도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

진 연구가 아니기에 이를 바탕으로 전체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다만,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로성숙도를 염두에 둔 조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도 연구에 참조가 될 것임.

7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영역 하위영역 정의(선택문항)

태도

직업에 대한

태도

직업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직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태도

(문항) · 2009년: 다른 사람들에게 구체적으로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것이 장래 귀하의 직업에서 얼마나 중요합니까?*

· 2012년: 어른이 되어 다닐 직장, 직업이나 일을 선택하는 데 어

떤 곳을 고르겠습니까?

독립성

진로결정의 책임을 수용하고,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

하려는 태도

(문항) · 2009년: 여러 직업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충분히 생각

해 본 후에 내 진로를 결정할 것이다*

· 2012년(중학교): 학생이 희망하는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무엇입니까?

· 2012년(고교): 희망하는 전공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행동진로탐색 및

준비행동

자신의 진로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준비하는 정도

(문항) · 2009년: 내가 계획한 진로와 관련된 자료를 얻는 데 관

심이 많다.*

· 2012년: 진로진학상담선생님과 어떤 문제로 상담을 했습니까?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

진로교육지표”, *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진

로의식에 의미 있는 진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합리

적 의사결정’ 능력이 중학생 및 고등학생 공히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영역은 많은 진전

을 이룬 영역으로 나타남([그림 3-37] 참조).

- 중학생의 경우 자기이해, 정보탐색 영역은 2007년과 비슷한 수

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증가한 영역은 합리적 의사결정(15.0%)

과 희망직업지식(27.6%), 계획성(10.7%) 그리고 진로탐색・준비

행동(9.5%) 영역임.

- 그리고 직업에 대한 태도(9.5%) 및 독립성(16.4%) 등 영역은 진

제3장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와 과제 79

로성숙도가 감소한 것은 나타남.

-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자기이해, 정보탐색 영역은 중학생과 마

찬가지로 2007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독립성 영역도 유사한 수

치를 나타내고 있음.

- 증가한 영역은 합리적 의사결정(12.1%)과 희망직업지식(30.5%),

계획성(5.9%) 그리고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13.0%) 영역이며,

직업에 대한 태도(-7.5%)는 유일하게 진로성숙도가 감소한 영

역으로 나타남.

○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을 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합리적 의

사결정 능력 및 직업에 대한 태도와 독립성을 키우기 위한 정책

적 노력에 보다 역량이 모아져야 함.

-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및 독립성 있는 태도의 육성은 학교교육에

서 보다 종합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며, 직업에 대

한 태도는 교사들의 직업관에 대한 보다 세심한 배려가 요구됨.

[그림 3-37] 학생 전체의 진로성숙도 변화

a. 중학생

8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b. 고등학생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9).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

진로교육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제1절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체계

제2절 연도별(2010~2013) 진로정책

추이와 과제

제3절 진로정책 추진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정책 방향

제4장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83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 이 장에서는 지난 동안 정부에서 추진해 온 진로교육 중장기 발

전계획과 연도별 추진계획을 분석하고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사

항을 도출함.

- 진로교육 관련 중장기 발전계획으로 2007년도의 「평생진로개

발 활성화 5개년(’07~’11) 계획」과 2009년도의 「진로교육 종합

계획(’09~’13)」을 분석함.

- 연도별 정책 추진계획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교육부

에서 발표한 연도별 진로교육 추진계획을 분석함.

○ 정책 추진현황에 대한 심층적 분석 및 평가, 추진 방향을 도출하

기 위하여 진로교육 전문가 및 진로의식이 있는 학부모 대상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함.

8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제1절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체계

○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07~’11) 계획」은 교육인적자원부,

고용노동부, 과학기술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한 범부처 성격의 발

전계획이지만 초・중등 진로교육 부문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을

차지함.

○ 학교 진로교육과 관련한 본격적인 중장기 발전계획은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진로교육이 본격적인

체계를 갖추는 시기에 가장 기본적인 밑그림으로서 작용함.

-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은 당시의 교육과학기술부를 주

축으로 노동부, 보건복지부 등 청소년 진로정책과 긴밀히 연결

되어 있는 3개 부처의 협업의 방식으로 추진

1.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07~’11) 계획」

○ 정부는 2006년 전 국민에 대한 평생진로개발 지원체제 구축을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과기부 등 9개 부처가 공동으로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07~’11) 계획」을 수립・발표하였음.

- 국민의 자기주도적 평생진로개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① 청소년 진로개발 역량 제고, ② 학습과 고용이 통합된 성인

의 진로개발 확대, ③ 진로개발 지원체제 구축 등 3대 영역으

로 구분하여 접근함.

- 14개 정책과제, 46개 세부과제, 24개 주요 성과 지표를 선정하

여 향후 5년간 과제별 추진 로드맵을 제시하였음.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85

○ 이 중 정부가 초・중등학교 부문에 역점을 둔 과제는 ① 청소년

진로개발 역량 제고 영역 중 초・중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 활성

화 및 학교 밖에서의 진로개발 지원 분야의 정책 과제이며, 구체

적인 정책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음.

- 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진로교육 강화: 각 교과 및 단원과 관련

한 직업 일화(episode), 성공 직업인 사례, 진로 활동 자료 등을

개발하고 교과용 도서(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반영하여

진로학습의 다양성과 적응성을 제고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

도록 함.

- 체험학습 등을 통한 진로교육 강화: 5월 셋째 주를 「일터 탐방

주간」으로 지정하고, ‘1校 1社 직업 체험의 날’, ‘부모님 회사

탐방의 날’, ‘진로체험주간’, ‘진로체험의 날’, ‘어린이 정부체

험’ 등을 운영하여 전국 규모의 캠페인으로 추진함.

- 개인별 진로교육 관리시스템 구축: 학교생활기록부 및 교육행

정정보시스템(NEIS)을 활용한 진로교육 추진 및 커리어포트폴

리오(Career Portfolio)을 개발・활용함.

-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진로개발 강화: 커리어넷(한국직업능력

개발원), 청소년워크넷(한국고용정보원), 유코넷(한국청소년상

담원), 시․도 청소년상담센터 등 온라인망을 연계 강화함.

○ 정부는 이외에도 진로개발 지원체제 구축을 위하여 대상별 진로

개발 지원체제를 마련하였고, 진로개발 지원 활성화를 위한 평생

진로개발 지원 관련 법 제정을 계획하였음.

- 초・중등학생에게 진로탐색, 진로상담, 심리검사, 진로정보를 제공

하고, 국가 수준의 진로개발 표준 개발을 통하여 생애단계별, 대

상별로 적합한 진로지도와 취업 및 고용서비스 기준을 마련함.

8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신뢰성 있는 진로정보 제공을 위하여 진로 지표 자료집을 매년

발간함.

2.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

○ 진로교육에 대한 대외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진

로교육 종합계획」을 2010년 2월에 발표하였음.

- 고교다양화 및 입학사정관제의 활성화에 따라 진로교육의 중

요성이 학부모, 학생, 학교에 현안문제로 제기됨.

○ 「진로교육 종합 계획」은 ① 체험 중심의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② 균등한 진로교육 서비스 제공, ③ 진로교육 지원체계 선진화

등 크게 3대 정책영역 10개 과제로 구성・마련되었음.

- 체험 중심의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영역의 세부 과제로는 진

로・직업체험 프로그램 강화, ‘진로의 달’ 운영 및 확대, 진로교

육 우수사례 보급 및 우수 학교 인증, 진로교육 교과서 및 매

뉴얼 개발․보급 등이 제시됨.

○ 체험 중심의 진로교육 제공을 위하여, 경제단체, SC(Sector Council)

정부 및 공공기관 관련 중심의 직업 체험 기회를 확대 제공하고,

종합직업체험관(Job World) 설치․운영(’12)함을 제시함.

- 또한 학부모 및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하여 대상별

(학부모, 교사), 학교급별(초․중․고) 진로교육 매뉴얼을 개발하여

제공하기로 제시함.

○ 균등한 진로교육 서비스 제공 영역의 세부 과제로는 ① 취약․위

기 청소년 진로교육 강화, ② 다문화․탈북청소년 진로교육 지원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87

확대, ③ 학업중단 청소년 진로교육․자립 지원체계 구축 등을 제

시함.

- 소외계층 진로교육 지원을 위하여 자립 지원 및 진로교육을 위

한 상설 ‘두드림존’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다문화․탈북청소년

진로교육 및 자립지원 확대를 위하여 다문화․탈북청소년 ‘진로

전담관(길잡이교사)’ 및 진로도우미(대학생, 대학원생 등)와 다

문화․탈북청소년 학습 및 진로교육센터를 운영함.

- 또한 학업 중단 청소년을 위하여 학업 및 자립지원 교육비를

지원하고, 해밀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함.

○ 진로교육 지원체계 선진화 영역의 세부 과제로는 ① 진로정보의

체계적인 제공・관리, ② 진로교육 관련 법령 및 조직 정비, ③ 진

로교육 전문인력 양성․연수체계 개편 등이 있음.

- 진로교육 지원체계 선진화를 위하여, 진로・적성 검사 제공을

확대하여 초․중․고 학교급별로 1회(고교 졸업 전 3회) 실시함.

- 진로교육의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진로코디네이터’(진로교육

보조인력) 양성 및 배치, 진로교육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한 「

진로교육지원법(가칭)」 제정 검토 등을 제시함.

○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정책 아젠

다 및 정책추진 방안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연도별 계획

에 반영되었고 실제로 정책화됨.12)

- 그러나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에서 교육부가 아닌 타 부

처의 많은 어젠다(agenda)가 묻히게 됨.

12)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에서 제시되었으나 추진이 미흡한 정책들은 부록에서 별도로 제

시하고 있음.

8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학교 진로교육의 가장 기본적 인프라 구축 후 소외 청소년 문제

등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전략적 판단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 2009년에서 2013년까지의 기간에 추진된 진로교육 내용은 사실

상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에서 구상한 내용이나 어젠다

를 훨씬 뛰어넘는 것임.

- 예컨대, 「진로와 직업」 교과의 질적 담보를 위해 ‘진로교육 관

련 연수’ 이수자(30시간 이상)에 한해 교과를 담당할 것을 「진

로교육 종합계획(’09~’13)」에서 제안했으나, 2011년부터 모든

중・고교에 연간 600시간 이상의 연수를 통해 부전공 자격을 취

득한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배치됨으로써 전혀 새로운 정책 환

경이 만들어짐.

○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에는 진로교육 정책에 매우 전향

적인 정책들도 많음.

- 예컨대, 박근혜정부의 자유학기제로 이어지는 진로설계학년

(Career Plan Year) 구상, 직업체험 관련 수련시설 활성화(하자

센터, 스스로넷) 정책, 다문화・탈북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센

터(Rainbow School) 제안, 부처간 진로교육을 총괄하는 ‘진로교

육 활성화 추진단(가칭)’ 제안 등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89

2010년

・ 「진로와 직업」 교과 담당자 진로교육연수 의무화(60시간 이상)

・ 진로교육 담당인력 확충

・ 전문상담교사의 진로상담 전문성 강화

・ 교육대 · 사범대에 「진로」 과목 개설

2011년

・ 2014년까지 모든 중 · 고교에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2011년

1,500명 배치)

・ 시 · 도별 배치 및 운영방안 수립

・ 단위 학교 진로 · 진학지도 총괄 및 진학 준비 커리어 코칭 역할

・ 진학 시 진로교사 추천서 적극 활용 등 진로지도 결과를 반영한

진학지도 활성화

・ Wee센터의 종합상담 서비스화 및 전문상담교사 확대 배치

・ 진로진학상담과 인성 · 심리상담의 역할 구분

・ 중 · 장기적으로 양 교사 제도의 통합 추진 검토

제2절 연도별(2010~2013) 진로정책 추이와 과제

○ 학교 진로교육과 관련한 중장기 발전계획인 「진로교육 종합계획

(’09~’13)」에 따라 정부는 2010년부터 매년 진로교육 계획을 발

표하고 이를 근거로 정책을 추진하는 체계를 갖추었음.

○ 이 절에서는 연도별 진로정책 추진계획과 추진 결과를 기술하고

델파이 조사에 의한 정책 만족도 및 향후 정책추진 과제를 제시함.

- 정책영역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진로정보 및 콘텐츠

개발・보급,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강화, 진로교육 전달체계

정비 등 네 가지 영역으로 접근함.

1.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가. 교원배치 및 운용

○ 연도별 계획

9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2년

・ 홈페이지 등 진로진학상담교사 협의회 활성화 지원

・ 「진로와 직업」 교과연구회 활성화

・ 중학교(진로탐색), 특성화고(취업), 일반고(진학)별 특화과정 운영

・ 학교 현장의 진로교육 우수사례 확산

・ 교사들의 역할분담 및 협력체계 구축

2013년

・ 진로교사 850명 추가 배정 총 5,400명 정원 확보

・ 진로교사 부장 보직 필수화 권장 및 진로교사 직무 외 부과 금지

・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대학원 과정 개설(검토)

・ 진로교사 보조 인력 단위 학교 배치(검토)

・ 초등학교 진로교사 배치(검토)

- 2010년까지의 주요 현안은 진로교육 담당인력을 어떻게 확충

할 것인가와 「진로와 직업」 교과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에 집

중되었음. 그러나 2011년, 모든 중・고교에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배치(2014년까지)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정책적 관심은 진로

교육의 역할 정립과 연수 등 역량 형성에 모아지게 됨.

- 이에 따라 진로교사가 배치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일반교원

대상의 진로교육 확산 및 역량 형성과 관련한 정책은 상대적으

로 축소되었음.

- 다만, 2011년에도 진로교사 연수와 더불어 Wee센터의 전문상

담교사 인력 확충과 진로교육 역량에 정책적 관심을 놓치지

않았다는 점과 학교 진로교육의 여건 형성을 위해 진로교사

배치교 대상의 학교장 연수가 지속되었다는 점을 평가할 수

있음.

- 교원 운영과 관련하여 2012년에는 부전공 연수를 통해 배출되

는 진로교사에 대한 학교 현장의 역할(업무) 부여 및 정체성

형성, 그리고 이를 위한 진로교사협의회 및 홈페이지 구축, 교

과연구회 구성 지원 등에 집중됨.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91

- 2013년에는 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진로교사의 업무 분장

과 관련하여 부장 보직 필수화, 직무 외 업무 부과 금지 등의

조항을 제시하고 있음.

○ 정책 추진 현황

- 정부는 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를 2011년 3월에 최초 도입하여,

2011년 1,500명을 시작으로 2013년 현재 100명 이상의 모든 고

등학교에 100% 배치완료하였고, 2014년에는 전국적으로 총

5,208명의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중・고등학교에서 활동하게 될

예정임. 2014년 기준으로 전체 중・고교의 94.5%(중학교 93.2%,

고등학교 96.2%, 순회・겸임교사 포함)에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배치될 예정임.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교원 배치 및 운영에 관해서는 전문가 3.7,

학부모 2.9로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전문가에 비해 학부모의

만족도가 0.8 정도 낮게 나타남.

[그림 4-1] 교원 배치 및 운영 만족도

주: 전문가 S.D=1.1, 학부모 S.D=0.7

※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6, 학부모 3.0

9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향후 추진 과제13)

- 2011년 진로교사 배치 정책이 급물살을 타면서 학교 진로교육

의 교원정책은 진로교사 중심으로 재설정되어, 일반교원 및 전

문상담교사 등 진로교육의 주요 전달 주체에 대한 고려가 상대

적으로 소홀하게 됨.

- 이들 일반교원 및 전문상담교사 등에 대한 추가적인 정책이 필

요하며, 2011년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문상담교사와 진로교사

간의 제도통합을 다시 추진할 필요성이 있음.

- 초등학교의 경우,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별도로 배치하기보다는

기존의 전문상담교사를 포함하는 상담교사제도를 추진하는 방

안도 고려할 수 있음.

- 2014년 배치 완료 후 교사의 전환배치 외에 진로진학상담교사

의 배치 자격요건을 좀 더 확대하여 상담사, 전문상담교사, 청

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 등에게 진로진학상담교사를 개방하

는 방안 검토가 필요함.

- 아울러, 2013년에 정책적으로 검토한 진로교사 양성을 위한 대

학원 과정 개설 및 진로교사 보조 인력을 단위 학교에 추가적

으로 배치하는 부분도 중장기 발전과제로 설정이 필요함.

- 현재 배치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질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이를 위해 현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학

교 내 역할 및 업무를 평가하고 질 관리 및 지속적인 심화 연

수가 실시되어야 함.

- 또한 워크숍이나 세미나 등을 통한 현장 사례 공유를 통해 보

다 나은 경험과 사례가 전파될 수 있는 형태의 연수 운영이 필

요함.

13)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93

2010년 ・ 「진로교육 실천사례 연구대회」 확대

2011년

・ 진로교육 전용 교실 구축

・ 진로교육 전용교실을 진로교육 선도 교육청 지원사업과 연계

추진

・ 학교 내 「진로진학상담부」 설치 및 구성

2012년

・ 단위 학교 「학교교육계획」에 진로교육 예산 항목 신설

・ 학교 평가 지표에 진로교육 영역 포함

・ 학교회계에 진로교육 항목 신설

・ 진로활동 전용교실 확대

・ 교과교실형 진로활동실 지정 · 운영

2013년 ・ 단위 학교 진로교육 운영 현황 점검

나.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 연도별 계획

- 진로교육의 일차적 체계는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

서 단위 학교의 진로교육 체계 구축은 공교육 진로교육의 핵

심적인 사안임.

- 2010년 계획에는 2007년부터 시행해 온 진로교육 실천사례 연

구대회가 확대되고, 2011년부터는 학교 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 전용교실 지원 사업 등이 제시됨.

- 2012년에는 단위 학교 진로교육 체계 구축차원에서 학교 진로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별도의 진로교육 예산 항목을 신설하도

록 하였으며 학교 평가지표에 진로교육 영역을 포함하였음.

○ 정책 추진 현황

- 진로교육을 위한 학생 1인당 투자액을 살펴보면, 2012년 예산

액이 95,626백만 원으로, 학생 1인당 투자액은 25.36천 원이었

9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음. 2013년에는 전체 진로교육 예산액이 67,373백만 원으로 학

생 1인당 투자액은 17.87천 원이었음.14)

- 진로활동실 운영은 진로진학상담교사가 학교 내의 원활한 진

로교육 추진을 위해 진로체험, 진로교과수업, 진로동아리 활동,

진로상담 등 진로와 관련된 모든 활동의 구심적 역할을 하는

공간임. 2012년 현재 1,843개교(중학교 824개교, 고등학교 1,019

개교)에 설치되었음.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에 관해서는 전문가

3.6, 학부모 3.0으로 전문가의 만족도에 비해 학부모의 만족도

가 0.6정도 낮게 나타남.

[그림 4-2]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만족도

주: 전문가 S.D=0.8, 학부모 S.D=0.7

※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6, 학부모 3.0

○ 향후 추진 과제15)

- 진로교육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되어야 하지만 단위 학교 예

산의 효율적 운영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연초에 진로교육

14)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3. 1. 18.).

15)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95

2010년・ 대상별, 학교급별 진로교육 매뉴얼 개발

・ 교과통합형 진로교육 연구학교 운영

2011년

・ 학교급별 국가수준의 단계적 목표 제시

・ 진로교사 직무 및 활동 매뉴얼 개발 · 보급

・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강화

2012년

・ 학교 진로교육 운영 모델 개발 · 보급

・ 진로진학상담교사(중학교, 특성화고) 매뉴얼 개발 · 보급

・ 단위 학교의 「학교교육계획」에 학교 진로교육 계획 반영

・ 창의경영학교를 중심으로 진로교육 확산 · 강화

・ 「진로와 직업」 교과서 및 학습자료 개발

・ 창의적 체험활동형 진로활동 프로그램 개발 · 운영

예산을 배정하는 등의 조치를 통하여 단위 학교가 진로교육을

연간 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함.

- 진로교육 전용 시설 및 인프라에 대한 지원은 학교 진로교육의

내실화에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임. 시설 확충과 더불어 시설

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학교별 특성과 현황, 진로상담교사의

참여, 우수 사례 공유 등 단위 학교에 적합한 모델에 따라 진로

활동실 설치를 연계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진로활동실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진로교

육 활동 프로그램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고, 기존의 학

교공간을 진로교육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보다 창의적인 공간

활용의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지역별로 중점학교 등을 지정하여 동일 지역사회의 학교가 공

동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거나 공동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구상할 수 있음.

다.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

○ 연도별 계획

9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3년

・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 보급 · 활용

・ 학교 진로교육 컨설팅 매뉴얼 개발

・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강화

・ 교과통합 진로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 2010년 계획은 학부모・교사 대상의 진로교육 매뉴얼 개발 등

일부 항목에 국한하였으나, 2011년부터는 초・중・고 각 학년에

도입된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및 중・고교의 「진로와 직

업」 교과 등을 통합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진로교

육의 단계적 목표를 제시하고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진로와 직

업」, 일반 교과 간의 연계 통합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등을

계획함.

- 2012년에는 진로교육 중점학교 운영, 학교 진로교육 운영 모델

개발, 학교급별 교사 매뉴얼 개발 등 본격적인 단위 학교 진로

교육 추진 체계를 구축함.

- 2013년에는 전년도에 개발한 학교진로교육 프로그램(SCEP)의

보급・활용, 학교 컨설팅 및 강좌개설 등을 통해 단위 학교 진

로교육의 이식을 본격화함.

○ 정책 추진 현황

- 학생 발달단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로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학교급별・계열별 진로교육의 목표와 성취기준을 구체화하여

4개 대영역, 8개 중영역, 74개 세부목표, 81개 성취기준, 160개

성취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급별・계열별 ‘진

로와 직업 스마트워크북’, ‘학교 진로교육 운영모델’, ‘진로활동

지도서’ 등이 개발되었음.

- 특히 2013년 3월 오픈한 「진로와 직업」 스마트북은 「학교진로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97

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을 준거로 개발된 디지털 교과서로, 스

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개인별 진로수업을 지원함. 「창의적 진

로개발」, 「창업과 진로」, 「연극을 통한 꿈 찾기」는 활동중심 학

습지로서 활동과 참여를 통한 진로수업을 위해 개발된 자료임.

- 2013년에는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어촌형의 3개 유형으로

SCEP 시범학교를 운영함.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만족도

에 대해서는 전문가 3.4, 학부모 3.0으로 전문가의 만족도에 비

해 학부모의 만족도가 약간 낮게 나타남.

[그림 4-3]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 만족도

주: 전문가 S.D=0.8, 학부모 S.D=0.8

※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6, 학부모 3.0

○ 향후 추진 과제16)

- 국가수준의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이 마련된 만큼, 향

후는 지역 및 단위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이 활발히 일어

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자료 개발 시 교사 및 학부모

들의 참여를 활성화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지역

및 현장 맞춤형 교육 과정 자료가 개발될 수 있도록 함.

16)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9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0년 ・ 2010 진로교육 자료집 발간

2011년

・ 고용노동부 등 범부처 차원의 중장기 계획에 따른 후속 조치

지속 추진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매뉴얼 개발 및 연수프로그램 다양화

2012년

・ 진로교육 성과지표 개발·조사

・ 미래의 직업세계(직업편, 학과편) 개발·보급

・ 진로선택경로안내서 개발·보급

・ 교과 통합 진로교육 매뉴얼 추가 개발

2013년

・ 「학교 진로교육 지표조사」 실시

・ 조사결과 제공을 위한 통계정보시스템 개발

・ 진로교육 전문기관 공동 협력 연구 추진

・ 교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연수

・ 학생 맞춤형 진로 콘텐츠 개발 보급

- 국가수준의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활용성 강화를

위하여 단위 학교 사정에 맞게 맞춤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

에 대한 지원과 컨설팅이 필요하며, 지역의 초·중·고가 연계하

거나 지역 교육청별로 지역에 맞는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

취기준의 개발이 필요함.

-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및 각종 진로교육 활동 매뉴얼을 책

자 형태로 학교에 배포하는 것과 더불어 지역별 연수를 통해

교사들의 활용성을 제고하며, 진로교육 스마트 교과서의 활용

을 촉진하여 활용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

2. 진로정보 및 콘텐츠의 개발․보급

가. 진로 정보 ・콘텐츠 생성 ・개발 및 보급

○ 연도별 계획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99

- 진로정보의 생성 및 관련 콘텐츠 개발・제공과 관련하여 기존

의 ‘미래의 직업세계’ 발간 작업을 지속하는 한편, 2012년에는

진로교육 성과지표 개발 및 조사, 진로선택경로안내서 개발·보

급 등을 추가하고, 이어 2013년에는 전문기관 공동의 협력연구

를 통해 진로교육의 연구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음.

○ 정책 추진 현황

- 학교급별・계열별 특성에 맞는 진로교육 콘텐츠 개발・보급하기

위하여 2011년 25종, 2012년 55종의 진로교육 콘텐츠를 개발하

여 학교 현장에 보급하였음.

- 또한 학생 맞춤형 진로 콘텐츠를 개발・보급하기 위하여 초등용

직업 애니메이션 및 관련 직업카드를 개발・보급하였으며, e-진

로채널 직업 동영상(200편) 및 모바일 앱 등을 개발・보급함.

분 류 콘텐츠명

진로수업

「진로와 직업」 스마트북(4종), 창의적 진로개발(6권), 창업과 진로(6

권), 연극을 통한 꿈 찾기(3권), 교과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 지도

서(7권), 학교 진로교육 운영(4권), 진로교사 활동 매뉴얼(3권)

진로검사 및

상담진로심리검사 매뉴얼(5권), 진로상담 운영 매뉴얼(2권)

진로체험진로체험 매뉴얼(4권), e-진로채널(200편), 「미래의 직업세계」(1권),

「나의 꿈을 찾아서 떠나는 신나는 직업여행」(1권)

연수 진로교사 부전공 원격연수(3종), 일반교사 진로교육 원격연수(1종)

미디어 콘텐츠 학생・학부모 진로교육 동영상(2편), 진로교육 동영상(4편)

<표 4-1> 진로교육 콘텐츠 자료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3a). “개인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위한 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

화 방안”..

10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진로 정보・콘텐츠 생성・개발 및 보급에 관

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전문가 3.9, 학부모 3.2로 전문가의 만족

도에 비해 학부모의 만족도가 0.7정도 낮게 나타남.

[그림 4-4] 진로 정보・콘텐츠 생성・개발 및 보급 만족도

주: 전문가 S.D=0.7, 학부모 S.D=0.8

※ 진로정보 및 콘텐츠의 개발·보급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9, 학부모 3.4

○ 향후 추진 과제17)

- 콘텐츠는 개발 못지않게 보급이 중시되어야 하므로 개발된 콘

텐츠의 유통 경로 및 시스템을 정비하고 중앙과 지역 간의 명

확한 역할을 구획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 필요시 정보와 콘

텐츠 유통 경로의 단일화 창구를 마련하고 교사, 학생, 학부모

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 다양한 콘텐

츠 보급 방안 강구가 필요함.

- 기존에 개발된 콘텐츠에 대하여 교육과정에 따른 적합성, 용이

성, 현장적합성 등을 평가하여 수정・보완이 이루어지도록 하

며, 추후 개발 과정에서 교사, 학생, 학부모들의 요구를 반영하

여 이들의 요구에 보다 충족하는 콘텐츠가 개발될 수 있도록

역점을 두어야 함.

17)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01

2010년 ・ 커리어넷 서버 확충 및 콘텐츠 강화

2011년

・ 모든 학생의 진로적성검사 및 진로상담 필수화

・ 사이버 상담전문가 양성 및 재교육 강화

・ 진로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적성검사, 진로상담, 체험 등

프로그램 지원

・ 모바일 기기용 커리어넷 프로그램 개발

・온라인 심리검사도구 기능 개선

・ 전문화된 교사 연수 및 상담 요원 양성

2012년

・ 학교급별, 학년별 연간 2회 이상 심리검사 실시

・ 사이버 진로상담서비스의 양적·질적 확충

・ 커리어넷 심리검사도구 타당성 제고

・ 사이버 진로검사도구 업데이트 및 다양화

・ 커리어넷 심리검사 업데이트 및 활용 매뉴얼 개발

・ 시 · 도교육청별 직업 심리검사 추진 계획 수립

・ 커리어넷 시스템 고도화

2013년

・ 중등 단계 연 2회 진로상담 제공

・ 시 · 도 진로진학지원센터 진로상담 기능 강화

・ 진로상담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연수

・ 상담의 수업시간 인정

・ 커리어넷의 안정적인 관리·운영

・ 진로심리검사 추가개발 및 매뉴얼 보급

- 또한 개발된 콘텐츠를 교사들이 수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

니라, 학생들의 필요와 주어진 환경에 맞추어 기존의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능동적으로 재창조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여건과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보급 및 수요자

의 활용도를 높여야 함.

나.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

○ 연도별 계획

10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일은 커리

어넷 서버 확충을 통한 시스템의 안정화・고도화라 할 수 있음.

커리어넷 서버 확충 및 진로적성검사 확대 제공의 계획이 2011

년에는 모든 학생의 검사 및 상담 필수화, 상담전문가 양성 및

재교육 강화, 2012년 심리검사 업데이트 및 활용 매뉴얼 개발,

학교급별・학년별 심리검사 연 2회 이상 실시, 2013년 연 2회

진로상담 제공과 이를 위한 시·도별 진로진학지원센터 상담기

능 강화, 상담전문성 제고를 위한 연수, 학교의 상담 수업시간

인정 등 정책 제시로 점차 세분화되고 있음.

- 한편, 2010년의 커리어넷 서버 확충 사업에 이어 2012년의 커

리어넷 시스템 고도화를 통하여 시스템의 안정적 지원을 꾀하

였음.

○ 정책 추진 현황

- 커리어넷(www.career.go.kr)은 학교 진로교육 활동(검사, 상담,

직업 정보)에 활용되는 종합 포털 사이트로, 2012년 기준 신규

가입 92만 명, 누적 회원 수 658만 명, 1일 평균 페이지뷰 117

만 건에 이름.

- 커리어넷에는 직업적성․직업흥미․진로성숙도․직업가치관 등 온

라인 심리검사도구 및 종합적인 검사결과 해석 서비스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심리검사 이용 현황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

이고 있음.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03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직업적성검사 817,595 1,032,089 939,539 1,198,220

직업흥미검사 447,386 662,143 587,568 667,739

진로성숙도검사 164,974 212,395 201,216 269,989

직업가치관검사 326,762 441,606 565,672 698,850

진로개발준비도검사 35,269 43,318 37,345 51,976

이공계전공적합도검사 8,360 9,990 9,898 13,038

주요능력효능감검사 32,709 40,056 33,637 39,576

합계 1,833,055 2,441,597 2,374,875 2,939,388

<표 4-2> 연도별/검사종류별 온라인 진로심리검사 활용 현황

출처: 교육과학기술부(2013a). “개인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위한 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

화 방안”.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에 관한 만족도

에 대해서는 전문가 3.8, 학부모 3.6으로 전문가와 학부모의 만

족도가 약간 낮게 나타남.

[그림 4-5]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 만족도

주: 전문가 S.D=0.9, 학부모 S.D=0.8

※ 진로정보 및 콘텐츠의 개발·보급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9, 학부모 3.4

10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향후 추진 과제18)

- 그동안의 진로상담 검사지 개발 등 진로검사 및 상담 인프라

체계화를 기반으로 상담 내실화 및 기능 고도화를 위한 정책

이 마련되어야 하며, 진로검사지 위주로 진행되는 현재의 상담

체계를 보다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진로검사 결과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검사 결

과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일선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커리어넷 진로검사 도구 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

도록 적극적인 교사 연수가 이루어져야 함.

- 또한 개별 학생에 대한 검사 활용 및 상담 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위 교육청별로 진로진학 상담에 대한 전

담 슈퍼바이저를 배치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의 실질적인 상

담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 온라인 상담 인프라의 내실화 및 기능 고도화 차원에서 진로상

담교사 연수 강화 및 전문가 멘토링의 직군별 확대 등 사업을

교육기부과 연계하여 전개하고, 장기적으로 게시판 중심의 상

담 시스템을 원격화상시스템으로 진화시키기 위한 물적 인프

라가 구축되어야 함.

18)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05

2010년・ 직업세계 체험주간 기간 및 명칭 변경

・ 운영 방식 변경

2011년 ・ 학교급별 맞춤형 진로체험 프로그램 제공

2012년

・ ‘진로의 달’, ‘진로체험주간’, ‘진로체험의 날’ 등을 운영

・ 시・도교육청 주도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보급

・ 필요시 교육청에서 각 학교에 직업체험 운영 경비 등 지원

・ 시 · 도교육청 주관 상설 캠프를 2개 이상 운영, 전국적으로

32개 · 프로그램 개발

・ 사회적 배려 대상 학생에게 맞춤형 진로캠프를 개발·운영

2013년

・ 중 · 고교 단계 각 1회 이상 현장 직업체험 필수화

・ 진로체험 안내용 자료 제작·보급

・ 진로체험 지원 시스템 구축

・ 다양한 진로캠프 프로그램 개발·운영

・ 시 · 도별 특색을 살린 진로캠프 운영 활성화

・ 단위 학교 진로캠프 운영 활성화

3.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가.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 연도별 계획

- 학교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해마다 운영되

고 있는 ‘진로의 날’을 ‘직업세계 체험주간’으로 확대·변경 운

영하고(2010년), 이는 2012년의 ‘진로의 달’ 운영으로 진전됨.

- 2013년에는 중·고교 단계 1회 이상 현장 직업체험 필수화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안내용 자료 제작·보급, 지원시스템 구축 등이

추진되었고, 진로 캠프를 단위 학교 수준에서 활성화하도록 각

종 정책을 제시하였음.

10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정책 추진 현황

- 2012년 진로체험에 120만 명이 참여함. 세부적으로는 직업체험

63만 명, 대학 학과체험 32만 명, 공공기관 및 기업 주관 체험

25만 명 등이며, 진로캠프에 26만 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진로

검사 및 상담, 진로탐색 등의 진로교육이 이루어졌음.

- 전국 4,695개의 기관이 진로체험 제공에 참여하였으며, 경기

970개, 서울 691개, 경남 381개, 경북 318개, 부산 309개, 전남

253개 등으로 나타남.

- 실질적으로 단위 학교 진로체험 현황 조사에 따르면, 중학교급

의 79.6%, 고등학교급의 69.0%가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시 · 도별 참여 기관 수 시·도별 참여 기관 수

서울 691 강원 190

부산 309 충북 167

대구 211 충남 243

인천 230 전북 244

광주 150 전남 253

대전 146 경북 318

울산 111 경남 381

세종 16 제주 65

경기 970 계 4,695

<표 4-3> 시・도별 체험처 발굴 현황(2012년)

주: 교육기부 MOU 기관을 포함.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3. 2. 18.).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07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에 관해서

는 전문가 3.1, 학부모 3.1로 전문가와 학부모의 만족도가 비슷

한 수준으로 나타남.

[그림 4-6]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만족도

주: 전문가 S.D=1.0, 학부모 S.D=0.8

※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강화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2, 학부모 3.3

○ 향후 추진 과제19)

- 그동안 외연 확대에 중점을 둔 직업체험 프로그램 확대 정책이

실질적이고 교육적인 체험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질 확보 차원

의 적극적인 지원체계 마련이 요구됨.

- 이를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직업 체험이 실질적이고 교육적

내용을 얼마나 담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평

가가 필요함.

- 기존 직업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향후 보다 정

교한 진로체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체험활동의 사전,

실천 및 사후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과 지도를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

19)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10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0년

・ 정부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직업체험 기회 제공

・ 경제단체, SC와 연계한 직업체험 프로그램 확대 제공

・ 진로교육 유공자 표창

2011년 ・ 공공기관, 기업, 대학 등과 연계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제공

2012년

・ 기업, 공공기관, 대학 등과 협약체결 및 정보 제공

・ 공공부문 모델 개발・운영

・ 교육기부 공급자와 수요자의 매칭 시스템 개발

・ 다양한 교육기부 모델 개발・보급

・ 시・도별, 학교별로 지역사회 인사 등 교육기부 자원 확보

・ 기업・사회단체와 소외학교(학생)의 결연 지원

2013년

・ 지역사회의 교육기부 장려로 진로교육 지원 강화

・ 지역사회 협력 강화를 통한 진로체험 지원 시스템 구축

・ 공공기관 진로체험 확대

- 직업 체험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체험기관 운영 표준

매뉴얼을 개발하여 해당 기관의 체험교육을 담당하는 관계자

의 연수가 실시되어야 하여야 함.

- 대기업 중심의 현장 발굴, 학교나 공공기관 중심의 체험 운영

을 지양하고, 단위 학교 주변의 지역사회 단위의 다양한 체험

현장 발굴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유관 기관들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위한 관련 매뉴얼을 개발・보급하여야 함.

나.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 연도별 계획

- 직업체험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기부 활성화 정책이 구체적

으로 본격화하여 추진되는 것은 2012년부터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09

- 2011년까지 공공기관 및 기업체, 대학 등과 연계하여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는 원론적 수준에서 2012년부터는 기업·

공공기관 등과 협약을 체결하고 모델을 개발하며 공급-수요간

매칭 시스템 개발, 그리고 이러한 추진을 위한 시·도교육청의

역할 명확화 등이 제시됨.

○ 정책 추진 현황

- 2012년 7월 기준, 시·도교육청과 전국 738개 기관 간 교육기부

MOU가 체결되어, 지역사회 자원의 교육기부를 장려하고 있음.

- 무료로 직업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우수 교육기부 기관을 대상

으로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를 도입하여 2013년 총

222개 기관이 교육기부 인증기관20)으로 등록됨. 교육기부 기관

으로는 기업 46개, 공공기관 60개, 대학 45개, 대학생동아리 53

개, 기타 18개 기관이 인증을 받음.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에 관한

만족도에 대서는 전문가 3.2, 학부모 3.2로 전문가와 학부모의

만족도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남.

20) 교육기부 홈페이지(www.teachforkorea.go.kr)

11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4-7]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만족도

주: 전문가 S.D=0.7, 학부모 S.D=1.0

※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강화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2, 학부모 3.3

○ 향후 추진 과제21)

- 기존의 교육기부 기관 발굴이 공공기관 및 대기업 중심이었다면,

향후에는 다양한 기관 및 업체가 교육기부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강력한 여건 조성 정책이 필요함. 범

부처 차원의 연대 및 적극적인 홍보, 능동적 실천이 필요함.

- 교육기부 기관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단위 학교 인근 상가 등

다양한 직업체험이 가능한 작은 사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하도록 홍보 강화 및 유도가 필요하며, 기업체가 교육기부 참

여 시 단지 장소 제공만이 아닌 학생 직업체험의 효율성 차원

에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함.

- 현재 운영 중인 교육기부 인증제 운영을 보다 내실화하여 각각

의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 콘텐츠의 원활한 활

용을 위해 우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정부차

원의 예산 지원을 실시함.

21)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11

2010년・ 진로교육도우미(진로코디네이터)를 활용한 진로교육 지원

・ 학부모의 진로교육 인식 전환 지원

2011년・ 학부모 대상 교육·상담 실시 및 진로진학자료 제공

・ 진로교육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보급

2012년

・ 학부모 진로코치 활성화

・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아카데미 상시 운영・진로소식지 「드림

레터」 발간

・ 학부모회 활동과 연계한 진로교육 이해 확산 및 학부모의 진

로체험 및 진로캠프 참여 지원

・ 전국 학부모지원센터와 연계한 정보 제공

・ 학생 희망분야의 진로코치를 연계하여 직업 정보 및 직업 현

장 경험 공유

2013년

・ 학부모 진로교육 아카데미 운영(4,000강좌)

・ 학부모 대상 진로소식지 「드림레터」 제공

・ 학부모 모니터단 운영

・ 모든 학교에 「학부모 진로코치단」 구성

・ 학부모 모니터단 운영

・ 학부모 진로코치, 보조인력 등 양성·활용

・ 학부모 진로코치 양성 확대

다.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 연도별 계획

- 학부모의 진로교육 의식 제고를 위한 정책 필요성은 지속적으

로 제기되었음. 이에 따라 2010년~ 2013년까지의 학부모 인식

전환 및 진로교육 지원과 참여를 위한 각종 정책이 다양하게

추진됨. 2010년의 진로코디네이터, 2011, 2012년에는 학부모 진

로코치 양성 사업이 추진되었고, 2013년에는 이를 위한 구체적

인 활동 매뉴얼이 제작되기도 함.

- 또한 모든 학교에 학부모 ‘진로코치단’을 구성하여 양적 확장

11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이 이루어짐.

- 2011년에는 학부모 인식 전환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2012년의 학부모 대상의 진로소식지 「드림레터」 발간 등의 적

극적인 정책과 더불어 진로캠프 및 진로체험 확충 지원 인력

으로서 학부모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2013년 계획에는 학

부모 대상 진로아카데미 개설 4,000강좌를 목표로 제시하기도 함.

○ 정책 추진 현황

- 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 및 교육은 2012년 시·

도교육청 주관으로 학부모 35만여 명 대상 3,145회의 연수가

실시되었음.

- 지역교육청 및 단위 학교 주관으로도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심

화 연수가 다양하게 실시되었으며, 실제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비율을 살펴보면 중학교는 전체 학교 중 70.2%가, 고등학교는

전체학교의 76.3%가 연수를 실시하였음.22)

- 2012년 학부모 진로아카데미 예산 배정액으로 총 905백만원이

지원되었으며, 그중 특교가 200백만 원, 대응 705백만 원이었음.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에 관한 만족도에 대

해서는 전문가 3.4, 학부모 3.6으로 전문가의 만족도에 비해 학

부모의 만족도가 비슷하게 나타남.

22) 츨처: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3. 1. 18.).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13

[그림 4-8]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만족도

주: 전문가 S.D=1.1, 학부모 S.D=0.8

※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강화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2, 학부모 3.3

○ 향후 추진 과제23)

- 그동안 학부모 대상의 진로교육 관련 연수를 통한 참여에 정책

이 집중되었다면, 향후에는 학부모 대상의 진로정보의 보급 강

화, 진로교육 과정에서 학부모 역할의 구체화, 학부모 참여의

효과 평가 등 외연 확대보다 내실 있는 운영에 초점을 둘 필요

가 있으며, 진로교육이 절실히 요청되는 저소득층 학부모 및

맞벌이 학부모를 위한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학부모 연수는 학부모의 수요와 요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이 개발되어야 하며, 단위 학교의 집합연수보다는 온라인 원격

연수를 강화하여 개별 학부모의 연수 프로그램 참여도 및 편이

성을 제고함.

- 학부모 진로코치는 연차별로 확대하되, 학부모 진로코치 교육

대상자 선발의 신중성을 제고하고, 전문적 교육 및 연수를 받

을 수 있도록 지원함. 더불어 학부모 진로코치의 활용 면에서

질 높은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

23)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11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0년 ・ 진로교육 국제 학술대회 개최 및 우수사례 발표회

2011년

・ 교육부-시・도교육청-학교 연계 시스템 구축

・ 진로체험 프로그램, 진로교육 교재, 우수사례 영역별 검색 시

스템 강화

・ 진로교육 관련 법령 및 조직 정비 등 정부의 진로교육 지원

체계 선진화

・ 진로진학 관련 전문기관 협의회 구성·운영

・워크넷(한국고용정보원)의 직업 정보 시스템과 연계

・ 취약 ・ 위기 청소년, 다문화, 탈북청소년 등에 대한 관련 부처

의 진로교육 지원 강화

2012년

・ 진로교육 전문기관 협의체 운영을 통한 공동 협력사업 추진

・ 전문기관 협의회 정례 개최

・ 「교육기본법」에 진로교육 근거 조항 신설 및 「진로교육법」

제정 추진

・ 진로교육 해외 우수사례 분석 및 국제 포럼 추진

・ 전국 「진로교육 포럼」 개최

2013년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진로교육센터 지정 · 운영 및 지원 사

업 별도 수립

・ 진로교육 관련 네트워크 활성화 및 국제포럼 개최

・ 기관별 전문성에 기반한 진로교육 연수과정 공동 운영

・ 콘텐츠 개발 · 보급 및 활용을 위한 역할 분담체제 확립

・ 사회적 진로인식 확산

- 교육기부자에 학부모의 참여를 확대하고 사업장을 가진 학부

모들에게 큰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사업장을 진로체험의

장으로 오픈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등 학부모들의 재능기부를

활성화하고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마련함.

4. 진로교육 전달체계 정비

가. 국가 진로교육센터 설립 및 네트워크 구축

○ 연도별 계획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15

- 진로교육 지원환경 구축을 위하여 진로진학 관련 전문기관의

협의체 구성 및 대국민 홍보 및 캠페인, 「진로교육법」 제정 및

정비가 2011년부터 추진되어 2012년에서 구체적 시안이 마련됨.

- 2009년 작성한 「진로교육 종합계획(’09~’13)」의 내용 중 지난

동안에 가장 추진이 미흡한 부분이 소외계층, 취약청소년에 대

한 진로교육 영역임.

- 이는 공교육의 본격적인 기반 구축이 요구되는 시기이어서 그

렇기도 하지만 타 부처의 추진 영역이기 때문에 미처 손이 미

치지 못한 부분도 있음.

○ 정책 추진 현황24)

- 「진로교육진흥법」은 진로교육의 개인적·사회적 중요성이 증가

함에 따라 다양한 진로 체험 및 상담 기능 확대, 그리고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진로교육 협력체계의 법적·제도적인 확

립이 시급히 요구되어, 관련 법 제정을 통해 학교 진로교육 지

원체제를 확립하고자 법안이 마련되었고, 2012년 4월 공청회를

거친 후 5월 입법 예고되었음.25) 현재, 국회 상정 중임.

- 정부는 다문화학생 진로진학 지도 강화를 위하여 진로진학상

담교사 연수과정에 다문화교육 이해 과정을 반영하고, 다문화

학생 대상 직업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서울, 충

북 지역에 직업 교육 대안학교인 다솜학교가 운영되고 있음.

- 학업 중단 및 위기 학생을 위해서는 교육지원청에 설치되어 있

는 Wee센터의 기능을 확대․강화하고, 교내 전문상담교사, 진로

진학상담교사 및 학교 밖 전문 상담사연계를 통해 전문상담을

24) 최은수 외(2013), 취약계층 청소년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진로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

25) 교육부(2012b). 진로교육진흥법(안) (2012.5.4.)

11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필수적으로 제공함.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화에 관한 만

족도에 대해서는 전문가 3.3, 학부모 3.1로 전문가의 만족도에

비해 학부모의 만족도가 비슷하게 나타남.

[그림 4-9]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화 만족도

주: 전문가 S.D=0.8, 학부모 S.D=0.9

※ 진로교육 전달체계 정비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6, 학부모 3.2

○ 향후 추진 과제26)

- 진로교육 지원 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

서 ‘진로교육진흥법안’의 법제화는 큰 의미가 있으므로 법안의

통과 노력이 절실함.

- 진로교육과 관련된 부처 간,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이 각 부처

와 다양한 개별기관의 방향과 역할에 대한 상호 존중을 토대로

운영되어야 하며, 대학의 교직 과목에 ‘진로’관련 항목을 넣는

것도 네트워크를 풍부하게 하는 요인이 될 것임.

- 현재 추진 중인 자유학기제와 연계성을 강화하고 공공부문 기

업, 기관 및 단체들과 연계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고용노

26)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17

2010년・ 시 · 도 진로교육지원센터(가칭) 지정

・ 전국 진로교육협의회 개최(연 3회)

2011년

・ 성과평가를 통한 우수사례 공유 · 확산 및 우수 시・도교육청

모델 확산

・ 평가결과를 진로교육 재정 지원 시 반영

・ 시 · 도교육청별로 진로교육 추진계획을 수립 및 시 · 도교육청

에 진로진학지원센터 구축 지원

・ 지역별, 시 · 도별 진로진학상담교사 협의회 구성 및 활동 지원

・ 시 · 도 진로진학지원센터 운영에 필요한 각종 콘텐츠 지원

2012년

・ 시 · 도 평가를 통한 교육청의 정책 실효성 강화

・ 시 · 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차원의 연간 진로교육 계획 수립

· 시행

・ 공통추진사업과 지역별 특화사업을 구분하여 다양한 모델 개발

・ 우수 교육청 대상 「진로진학지원센터」 구축 지원

・ 「전국 진로교육협의회」 운영 활성화

2013년

・ 시도 평가를 통한 교육청의 정책 실효성 강화

・ 시 · 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차원의 연간 진로교육 계획 수립

· 시행

・ 공통추진사업과 지역별 특화사업을 구분하여 다양한 모델 개발

・ 우수교육청 대상 「진로진학지원센터」 구축 지원

・ 「전국 진로교육협의회」 운영 활성화

동부 및 중소기업청 등의 기업과 관련한 타 부처와 교육부 간

의 긴밀한 협조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

나.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 연도별 계획

- 교육청-시・도교육청-학교의 진로교육 전달체계에 대한 구체적

그림은 2011년의 계획서에서 제시되고 있음.

・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 단위에서는 특성에 맞게 연간 진로교

11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육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진로진학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우수

시・도교육청 선도 모델을 확산하고자 하였음.

- 또한 시・도별 상담교사 협의회를 구성하고 성과 목표 및 지표

를 제시하여 성과평가를 통해 우수 교육청 예산과 연계함.

・ 2012년에는 시·도평가를 통한 정책 실효성을 강화하고 우수

교육청 선정사업을 지속화함.

・ 2013년에는 국가 차원의 진로교육센터를 지정하고 관련 전문

기관 간의 협의체를 결성하여 정책 전달체계를 갖추어 나감.

○ 정책 추진 현황

- ‘2012년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는 시・도교육청별로 단위

학교 진로교육 지원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학생․교사․학부모 대

상 진로교육 서비스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 진로교육 계획 및

지역 특색사업, 진로교육 예산투자, 진로진학상담교사 확보 현

황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음.

-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예산액을 살펴보면, 2011년 283억 원에

서 2012년 478억 원으로 증액되었음.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2011년 5,948 2,304 2,840 2,358 867 1,044 539 4,469 241

2012년 3,749 6,670 5,536 1,984 1,133 3,009 496 3,284 861

지역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2011년 769 1,423 391 1,290 1,761 1,724 378 28,346

2012년 3,317 3,299 1,239 3,365 2,429 5,858 1,632 47,861

<표 4-4>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예산액

(단위 : 백만원)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19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에 관한 만

족도에 대해서는 전문가 3.6, 학부모 3.2로 전문가의 만족도에

비해 학부모의 만족도가 약간 낮게 나타남.

[그림 4-10]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만족도

주: 전문가 S.D=0.9, 학부모 S.D=0.8

※ 진로교육 전달체계 정비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6, 학부모 3.2

○ 향후 추진 과제27)

- 시・도교육청 단위로 추진된 각종 진로교육 정책이 단위 학교

현장에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수혜로 이

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책에 대한 평가와 함께 적

절한 보완 조치가 요구됨. 이를 위해 중앙 정부는 시・도교육청

평가에 있어 진로교육 관련 항목들을 추가하고 평가 항목들에

대한 보다 세밀한 검토가 필요함.

- 또한 시・도교육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 관련 사업에

대한 평가와 환류를 통하여 기존 사업들을 재정비하고, 필요한

신규 사업들을 발굴하여 시・도교육청의 진로교육 정책이 중앙

정부의 큰 그림에 의거하여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함.

- 진로교육 예산이 일회성 행사나 ‘보여주기’식에 그치지 않도록

27)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12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010년 ・ 현직교원 대상 진로교육 연수 확대

2011년

・ 진로교사 배치교 학교장 특별연수 실시

・ 학교급별・계열별로 진로교육 목표 및 특성에 맞는 연수 운영

・민간전문기관 적극 활용(교원자격연수)

・ 진로, 직업, 진학 등 특화된 프로그램 제공

・ 교과교사의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수

2012년

・ 교육청별 진로교사 대상 심화 직무연수를 간 전문기관을 활

용하여 개설・운영

・민간 전문연수기관 활용 교장 연수 및 교장, 교감 및 정교사

자격연수에 진로교육 내용 포함

・ 초・중・고 교과 담당교사 자율연수 실시 및 학교급별・계열별

로 진로교육 중점학교 운영

・ 교육청별 진로교육 관련 연수 강화 계획 추진 및 사이버 진

로교육 심화 연수 프로그램 개발·활용

・ 학교 대상 현장 확인 및 컨설팅 실시

・ 전국 진로교육 연구대회 개최

진로교육의 기반인 단위 학교에 직접 예산을 배정하여 단위 학

교가 자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함.

-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를 포

함한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담당자들의 교육 및 보수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시・도 및 지방자치단체가 자발적으로 진로교육 정책 및 프로그

램을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함. 특히, 지방의 교육

기부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확충될 필요가

있음.

다.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

○ 연도별 계획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21

2013년

・ 시・도교육청 주관 진로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운영

・ 부전공 자격취득 총 570시간 연수 및 진로교사 대상 심화 직

무연수 과정 개설

・ 전문기관을 활용한 분야별 심화과정 및 시・도교육청별 심화

직무연수 과정 운영

・ 모든 진로교사 1회 이상 심화연수 기회 제공

・ 관리자 및 일반 교원의 심화 연수과정 제공 및 초・중등교원

의 5% 이상 연수 실시 목표

・ 교원의 진로심리검사 활용 연수

- 학교 진로교육의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서 교육을 시행할

교원인력 확보에 대한 정책적 고민이 교원연수로 나타나고 있음.

・ 진로교사 배치 계획이 현실화되지 못한 2010년의 교원연수

계획은 일반 교원 대상의 연수를 확대하는 데 초점이 있었으

나, 2011년 이후에는 진로교사 대상 연수와 관련한 각종 계획

이 수립・추진됨.

- 특기할 사항으로는 진로교사 배치교 대상의 학교장 연수를 통

해 학교 전체의 진로교육 여건 형성에 힘을 쓴 점, 연수 주체

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 등 민간전문기관 중심

으로 추진하는 것, 사이버 심화연수 프로그램 도입과 현장 체

험형 연수, 심화연수 등 연수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이 이후

제시되고 있음.

○ 정책 추진 현황

- 진로교사 1,551명이 신규 배치됨에 따라 학교 진로교육을 위해

진로교사 및 타 교사의 활동을 지원하는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

해짐. 이에 따라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교에 대한 교장 연수는

2011년 1,500명, 2012년 1,5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음.

12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초・중등 일반 교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진로교사

와의 협력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초・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진로

교육 연수가 실시되었으며, 2011년 1,000명, 2012년 2만 2,000명

이 참여하였음.

- 2013년에는 전국의 진로교사, 일반교사, 진로교사 배치교 교장,

사이버 상담교사 등 1만 4,6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음.

연수 종류 연수인원

진로교사 심화연수 2,300명

일반교사 진로 특별연수 900명

진로교사 배치교 교장연수 1,551명

상담 슈퍼비전 200명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 연수 9,699명

인원 계 14,650명

<표 4-5> 진로교육 교사 연수 현황(2013년)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3. 2. 5.).

○ 정책 만족도

- 델파이 조사 결과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에 관한 만족

오데 대해서는 전문가 3.8, 학부모 3.3으로 전문가의 만족도에

비해 학부모의 만족도가 0.5 정도 낮게 나타남.

[그림 4-11]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 만족도

주: 전문가 S.D=0.8, 학부모 S.D=0.7

※ 진로교육 전달체계 정비 영역 평균 만족도: 전문가 3.6, 학부모 3.2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23

○ 향후 추진 과제28)

- 단위 학교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확대는 매우 바

람직한 방향이나, 자발성에 기인하지 않는 연수는 오히려 역효

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참여 대상과 참여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 기존의 형식적인 연수와 이론 중심의 연수를 지양하고, 실습중

심, 사례중심, 프로젝트 개발 중심의 보다 실제적인 내용을 다

루는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함.

- 일반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 내 연

수, 1급 정교사 연수 등의 과정에 진로교육 정책 및 교과 연계

진로교육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교사들의 진로 커뮤니티나

협의회를 통한 진로교육 스터디 참여를 적극 지원함.

- 단순히 연수를 통한 교육뿐만 아니라 교과 관련 진로지도 교재

혹은 지도 매뉴얼 개발・보급과 단위 학교에서 교사들이 진로교

육과 관련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유도함.

28)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임.

12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제3절 진로정책 추진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정책 방향

○ 정책 추진 사항을 4개의 정책영역과 11개의 정책항목으로 분류하

여 전문가 및 학부모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한 결과를 [그림

4-12]에 정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그림 4-12] 진로교육 정책 만족도

제4장 진로교육 정책 추진 현황 및 수요 분석 125

○ 전문가, 학부모 공통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정책항목은 진로

정보・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 진

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 등으로 나타남.

- 전문가의 경우, 정책추진 사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정책항목은 진로 정보·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3.9),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3.8),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3.8), 교원

배치 및 운용(3.7) 등의 순서로 나타남.

- 학부모의 경우, 정책추진 사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정책항목은 진로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3.6), 학부모의 진로교

육 참여(3.6),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3.3), 진로 정보·콘

텐츠 생성·개발 및 보급(3.2),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3.2) 등의 순서로 나타남.

○ 전문가, 학부모 공통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인 정책항목은 직업

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

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 등으로 나타남.

- 전문가의 경우, 정책추진 사항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정책

항목은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3.1),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3.2),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화

(3.3),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3.4) 등의 순서임.

- 학부모의 경우, 정책추진 사항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정책항

목은 교원 배치 및 운용(2.9),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3.0),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3.0),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3.1), 법제 기반 구축・네트워크 활성화(3.1) 등의 순서로 나타남.

○ 교원 배치 및 운용,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정책과 교육기부 여

12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등의 정책항목

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학부모가 엇갈리는 의견이 나타남.

- 교원 배치 및 운용,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정책의 경우, 전문

가는 비교적 높은 순위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나, 학부모는

낮은 순위를 보였음.

- 반면,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정책의 경우, 학부모는 높은 순위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

으나, 전문가는 낮은 만족도 순위를 보였음.

-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의 경우, 정책 전반의 추이에 대한 판단

을 주로 고려하고 반면, 학부모의 경우 학교현장의 시각과 의

견을 주로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급속한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성취한 진로교육의 성과를 바탕

으로 향후 지속적 정책 추진을 위한 사회적 협력체계 및 제도적

기반 구축에 정책역량이 집중되어야 함.

- 교원 연수 등 진로역량 개발과 관련 콘텐츠의 제공, 진로검사

및 상담 지원 등 그동안 국가 및 교육청 단위에서 정책적 역량

을 집중한 항목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매기고 있음.

- 반면, 학교 교육과정에 접목한 진로교육의 편성・운영 및 관련

법의 정비 등 정책 추진의 법적・제도적 기반 구축과 사회적 협

력이 요구되는 체험 프로그램의 실천 등 정책에 대해서는 일정

정도 문제제기가 있음.

- 단기간의 급속한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진로교육

의 성과에 대해서는 상당한 공감대가 있지만, 향후 지속적 정

책 추진을 위한 사회적 협력체계 및 제도적 기반 구축 등에 향

후 정책역량이 집중되어야 함을 시사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제1절 초·중등 진로교육의 비전과 전략

제2절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체계

제3절 중장기 발전계획의 세부 추진 과제

제5장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29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제1절 초・중등 진로교육의 비전과 전략

○ 이 절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도출된 주요 요구사항 및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진로교육의 중장기 비전과 전략을 제

시함.

1. 정책의 비전과 방향

○ 청년 취업난 및 저출산 경향의 심화 등 교육 외적 사회환경의 주

요 변화 추세는 청소년기의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기

대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음.

- 청년 취업난이 심화되고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 이행의 불투명

성이 커짐에 따라 청소년기의 진로지도에 대한 사회적 요구 또

한 더욱 커질 것임.

- 저출산 추세에 따라 전체 학생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

라 학부모들의 교육열과 자녀에 대한 교육기대수준은 더욱 높

아지고 있어 개인 맞춤형 진로교육의 수요는 더욱 커질 것임.

13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교육 내적으로도 입시 위주 교육을 극복하고 공교육의 내실화 및

다양성 수용 차원에서 진로교육의 능동적 대응이 요구됨.

- 지나친 입시 위주의 교육은 사교육 확산 등 사회적 비용으로

이어지고 있어, 입시 위주의 교육을 극복하고 공교육을 활성화

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진로교육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음.

- 다문화자녀 및 특수교육 대상자의 보편교육 등 학생 구성이 다

양화되고 있으며, 농어촌 지역 및 예체능계열, 직업계열 학생

등 특화된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는 진로교육의 질적 제고를

요구하고 있음.

○ 교육을 둘러싼 내외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을 모토로 학생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자유학기제 도입 등 다양한 공교육 강화정책을 제시하고 있음.

- 정부는 교육정책의 핵심 목표인 행복교육 실현 및 공교육 강화

의 구체적 상(像)을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는 교육으로 정

리하고 있어 진로교육 차원에서 무게감을 더하고 있음.

- 이의 구체적인 정책수단으로서 입시 위주의 교육체질을 개선

하고 공교육 내실화의 기반으로서 「자유학기제」를 추진하고

있음.

- 또한, 정부는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도입, 「진로체험

지원시스템」 구축 등 학교 현장의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

생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정책을 국정과제로 추진함.

○ 그동안 학교 진로교육 정책은 공급 및 수요 측면에서 비약적인

진전이 있었으며, 이에 터한 새로운 단계의 진로교육을 위한 정

책적 과제 해결을 위한 목표 설정이 요구됨.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31

- 학교 진로교육 정책은 2009년도의 「진로교육 종합계획(’09~

’13)」이래 연도별 계획 수립 및 정책 추진을 통해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었고, 특히 학교 단위의 진로상담 및 지도 체계가 교

육과정 속에 안착하는 성과를 낳았음.

- 이에 따라 학생들의 진로의식 역시 기초적 이해도 및 진로탐색

활동 등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으며, 학교의 진로교육 강

화에 대한 피부 체감도가 크게 증가하였음.

- 학교 안팎의 실천활동을 통한 체험·현장학습 강화 등 새로운

단계의 진로교육을 위한 정책적 과제 해결을 위한 목표 설정

이 요구됨.

○ 그간의 정책이 공교육 체계 내에 진로교육의 요소를 접목하는 차

원에 집중되었으나, 학생 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발굴함으로써 행

복을 구현하는 진로교육 차원에서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제기되

고 있음.

- 그동안 진로교육 정책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영역 도입, 「

진로와 직업」 교과 신설,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배치 등 학교 진

로교육 내에 진로교육적 기능 및 요소를 접목하는 데 집중됨.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학교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소질

과 적성을 발굴하고 이에 터한 다기 다양한 진로경로를 지원하

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었음.

○ 진로교육의 공간 및 노출 기회를 학교 안팎에 걸쳐 전향적으로

확장하는 한편, 진로교육의 내용을 보다 다양화하고 특화할 필요

성이 제기되었음.

- 학교 교과과정 내의 창의적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미술, 음악,

체육 등 교과 및 수학, 국어, 사회, 과학과 같은 다양한 교과목

13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에도 관련 진로교육의 요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야 함.

- 더불어 학교 밖 지역사회의 각종 인적・물적 자원들과도 적극

연계・활용함으로써 진로교육의 학습 공간 및 기회를 획기적으

로 넓혀야 함.

- 이를 통해 학생 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발굴하고 학생 특성에

따른 다양한 진로경로를 지원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특화된

학교 진로교육을 통한 행복교육 실현이 이루어져야 함.

○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학생 자신이 가진 소질과 적성을 다양하

게 발현하고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행복한 교육이 추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학생의 창의적 진로개발을 촉진하는 맞춤형 진

로설계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진로교육의 정책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음.

- 정부는 현재 ‘학교교육 정상화 추진’을 국정과제로 설정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을 추

구하고 있음.

- 이는 진로교육의 측면에서도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는 교육을 추구한다는 차원의 정책적 방향에 부합하는 것임.

- 사회적 진로수요에 부응하여, 학생 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다양

하게 발현하고 자아실현이 가능한 맞춤형 진로설계를 지원함

으로써 행복교육에 도달하여야 하는 것임.

○ 한편, 우리나라 교육의 주요 문제로는 입시 위주의 현행 교육체

질 개선과 진로 콘텐츠의 양・질 미흡, 빈약한 현장체험 프로그

램, 그리고 진로교육을 위한 사회적 협력·지원체계의 부족 등을

꼽을 수 있음.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33

- 국정과제에서 제시하는 입시 위주에 경도된 교육체질을 개선

하고 학생 개인의 꿈과 끼를 발굴, 지원하는 일은 진로교육의

문제의식이기도 함.

- 최근 진로교육 관련 콘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

히 많은 진로검사 및 상담은 학교 밖 사적 영역에서 이루어지

고 있음.

- 직업체험 및 현장 진로교육을 위한 장소와 프로그램이 매우 미

흡하며, 교육기부 등 사회적 참여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 진로교육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및 협력체계도 여전히 부족한 현

실임.

○ 더하여,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자유학기제는 진로교육의 중

장기 정책방향 설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 자유학기제는 정책 취지가 학교 진로교육에만 국한된 것은 아

니지만 운영 모델29) 등 진로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추진되

고 있어 진로교육의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임.

- 또한,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도 학생들이 자유

롭게 진로탐색을 통해 자율적 진로경로 설정을 도와줄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의 기반 형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 진로교육의 주요 정책영역인 단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

화,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등에 대한 세부적 과제는

다음과 같음.

29)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안에는 모든 운영 모델에 진로교육이 주요한 요

소로 제시되고 있음.

13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본 연구의 분석에서 나타난 정책과제를 다음의 영역별로 세분

화하여 제시할 수 있음.

・ 단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학생들은 일차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하여 진로교육 및 활동이 이루어지게 됨. 학교 교육

과정 개발, 진로교사의 배치, 관련 시설 및 예산 지원 등은 단

위 학교의 진로교육 시스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역

량이 집중되어야 함.

・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학생의 진로개발 역량이 강화

되기 위해서는 진로검사 및 상담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며

각종 질 높은 진로 정보 및 콘텐츠가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함.

・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진로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학교 내 프로그램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지역사회 및 기업, 공공기관 등과 연계한 각종 진로 및 직업

체험 프로그램 등이 연계·강화되어야 함.

・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교육부-시・도교육청-단위

학교로 이어지는 진로교육 전달체계가 원활할 때 단위 학교

의 진로지도역량도 성장할 수 있으며, 이의 체계화, 지속화를

위한 법제적 기반이 요구됨.

○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면, [그림 5-1]과 같은 중장기 비전과 목표

체계를 제시할 수 있음.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35

정책 비전 학생과 학부모가 행복한 진로교육

정책목표

정책추진

방향

‘자유학기제’ 안착을 위한 진로교육 기반 구축

단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현황 및

문제점

입시경쟁의 심화, 개인중심의 진로교육 콘텐츠,

지역사회 연계 ‧ 지원 미흡, 빈약한 현장체험 프로그램

창의적 진로개발을 촉진하는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그림 5-1] 중장기 비전과 목표

2. 주요 정책과제의 추진 전략

○ 진로교육의 비전 및 방향에 따라 주요 정책과제의 추진 전략을

다음과 같은 정책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음.

가. 단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 학교진로교육의 체계성과 연계성 확보를 통해 단위 학교의 진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가장 우선적으로 정책역량이 모아져

야 함.

13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학교교육은 공교육 체계의 가장 기초적인 단위이자 출발점임.

- 교사의 역량 강화를 통해 학생 개인별 진로지도가 가능한 맞춤

형 지도의 시스템 구축을 지향함.

○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 흩어져 있는 진로교육 요소들을 종합적으

로 고려한 교육과정 구축과 진로교육에 대한 학교현장의 전반적

이해도 및 지도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

- 교과과정에 흩어져 있는 진로교육 요소를 통합적으로 연계하

고 확장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함.

- 학교진로교육지도(SCEM: school career education map)를 개발・

보급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학교 진로교육이 진로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진로교

육의 주요 전달 주체인 일반교원 및 전문상담교사 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 함.

- 진로교사 이외에도 교장, 교감 및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연수가 활성화되어야 함.

○ 2013년부터 시행되는 자유학기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SCEP)의 활용 방안 개발 및 보급 확대와 학

교, 공공기관, 민간기관 등 학교 안팎의 협력적 진로지도 체계가

구축되어야 함.

-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지표에 따른 학교진로교육의 체계성을

확보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기 개발된 학교진로

교육프로그램을 적극 보급하여 안착할 필요가 있음.

- 이는 2016년에 전면 확대될 자유학기제를 대비하고 학생 개인

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진로지도 체계 구축과도 연계됨.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37

- SCEP을 통하여 학생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세밀한 진로지도를

제공하고 학생의 진로계획을 구체화시킬 수 있음.

-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일반교사 대상의 SCEP 연수 프로그램이

광범위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온・오프라인 지원기구

를 상설화할 수 있음.

나.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 각종 진로 정보의 원활한 보급과 학생들의 수준별·역량별로 특화

된 맞춤형 콘텐츠 제공이 필요함.

- 개인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진로지도를 통해 수요자 중심의 진

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 학생들의 진로개발 단계에 따라 학생들이 스스로 학업의 폭과 깊

이를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학습과정 및 특화된 진로 콘텐츠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

- 진로적성검사 프로그램을 일정한 주기로 개선하여 활용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함.

- 학습기회 정보를 체계화하고 U-러닝 등을 통한 학습자 주도 평

생학습을 지원함.

- 다문화가정이나 특수교육 대상 등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개별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

○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진로개발 역량이 함양될 수 있도록 역량중

심의 콘텐츠 및 직업세계 변화와 트렌드 이해를 돕는 콘텐츠 개

발이 필요함.

- 학생들의 요구 내용에 맞춘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규

13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교육과정에서 제대로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영역의 교

육과정 인프라를 구축함.

- 급변하는 직업세계에 대한 정보가 학생들에게 정확하고 신속

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정례 보고서 발간 및 온라인 교육 프로

그램의 개발・보급이 필요함.

다.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 지역사회의 다양한 시설과 전문가들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정

비와 인프라 구축, 네트워크 환경이 마련되어야 함.

- 진로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 연계 및 협

력을 강화함.

○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진로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체험

프로그램 및 전문직업인의 학교진로교육 참여를 활성화함.

- 학교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시설, 전문가들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

- 지역별 전・현직 전문직업인 자원인사 인력 풀을 확보하고, 우

수사례를 선정 및 시상 등을 시행할 수 있음.

- 현직 혹은 퇴직한 전문 직업인을 직접 교실 수업에 참여시킴으

로써 진로진학상담교사의 과중한 업무를 분산시키고 부족한

직업전문성도 보완할 수 있음.

○ 교육기부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교육기부에 대한 다양한 인

증시스템 마련 및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를 활성화함.

- 지역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학교단위에서도 지역자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39

원 발굴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

- 지역 내 가용 분야별 전문가 인력 풀을 구성하고, 온・오프라인

연계 프로그램 통한 지역인사 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함.

- 학교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가정

과 학교의 협력이 필수적임.

- 학부모와 학부모회의 자율적 활동 역량을 강화시키고, 학부모의 참

여를 강화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하며 파트너십을 형성함.

라.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 정부 부처별 진로교육 지원기능 간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제

도적 기반이 요구됨.

- 중앙단위 기관의 역할 강화 및 지역진로교육센터와의 네트워

크 시스템 구축은 지속적으로 추진함.

- 시・도교육청 단위로 추진된 각종 진로교육 정책이 단위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진로교육 지원체계가

원활해야 함.

○ 국가진로교육센터 및 지역진로교육센터 간의 역할 분담 및 협조

관계 체제를 구축하고 진로정보센터를 지역단위로 설치함.

- 학교의 공간적 제한과 인력적 한계로 인하여 보유하기 어려운

직업・진로 관련 정보 제공 기능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함.

- 「진로교육법」에 기반한 국가진로교육센터의 기능을 확립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확보가 필요함.

- 커리어넷을 비롯한 유관기관의 진로 정보망의 콘텐츠를 개방

하여 진로정보의 공공성을 확대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

도록 함.

14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교육부 내 각 부서별 진로교육 지원기능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교육지원청 단위에서도 진로교육 전담부서와 진로정보센터 설치

를 권장함.

- 정부 부처별로 존재하는 진로교육 지원기능 간의 협력적 기능

을 강화하고 진로교육지원 환경을 정비함.

-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진로교육 수행과 지역 인프라 구축을 지

원하는 진로교육 전담부서 및 조직체계를 확장함.

- 이를 통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진로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종합적인 진로교육 정책을 추진함.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41

제2절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체계

○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에는 진로교육과 관련되는 추진주체들

간의 명료한 역할 인식 및 분담과 이에 터한 전달체계의 정비가

필요함.

- 교육부, 전문기관, 시・도교육청 및 단위 학교 등 추진주체별 역

할 수행 및 기능의 분담 및 협력 과정이 요구됨.

- [그림 5-2]는 학생 개인의 맞춤형 진로교육을 위한 진로교육 정

책 전달체계의 기본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음.

○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체계를 국가 및 단위 학교 차원,

그리고 시・도교육청 차원의 세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봄.

[그림 5-2] 국가정책 차원의 추진 체계

14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1. 국가 차원의 추진체계

○ 「진로교육법」 시행 및 모니터링

- 진로교육의 법률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법률에 따른 진로

교육의 안정적 지원체계를 확립함.

- 법 시행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정

책으로 환류함.

- 법 시행의 현실성을 높이기 위한 제반 여건 형성에 노력하며,

생애 진로개발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토대 구축 차원에서 사회

적으로 의제화함.

○ 국가 수준의 진로교육 정책 수립 및 시행

- 진로교육 중장기 계획과 연도별 진로교육 시행계획의 수립 및

시행

- 진로교육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모델을 개발하여 시범학교 운

영 기획 등 행・재정적 지원

- 체험활동 및 관련 정보의 사회적 인프라 구축 지원과 예산 확보

○ 부처 간 정책연계 및 협력 제고

-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미래창

조과학부 등 범 부처가 참여하는 정례적 협의회를 운영함.

- 부처별 사업 및 공동정책 사업을 발굴・지원하고 타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지역사회 단위에서 학교와의 협력체계를 지원함.

- 각 부처 소속의 공공기관 및 시설, 관련 산업체 등의 교육기부

를 활성화함.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43

○ 국가진로교육센터의 운영

-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의 지속적 개선 및 현실적 운영 방

안을 마련함.

- 진로정보망을 구축하여 이를 통한 중앙-지역 간의 전달체계를

구축함.

- 진로교육 현황에 대한 조사・평가를 실시하고 진로 관련 적정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보급함.

- 운영 모델 개발, 시・도교육청 담당자 및 교사에 대한 연수・컨

설팅, 시범학교 성과 분석 등을 담당함.

○ 진로교육 전문기관 협의체 운영 및 확장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

과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 등

국가시행기관의 중앙단위 정책연구 기능을 제고함.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협의회, 한국상공회의소, 중

소기업중앙회 등 전국적 실행체계를 갖춘 민간기구 및 협회 등

의 참여를 통한 사회적 기반을 확장함.

2. 학교 단위의 추진 체계

○ 단위 학교 자율의 진로교육 편성·운영 및 환류 체계 구축

- 지역별 상황을 반영하고 학교급별 특색을 살린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 및 편성・운영

- 창의적 체험활동 및 교과통합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진로상담

및 지도체계, 진로탐험 및 진로직업체험의 다양한 계기를 마련

14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진로교육 기획 및 설계 역량 강화

- 교육과정 전체에 내재한 진로교육 요소의 추출 및 연계・통합

설계

- 자기주도적 진로탐색 및 다양한 실천・체험활동 운영

- 지역사회 여건과 수요자 요구를 반영한 설계

○ 단위 학교 차원의 진로교육 편성 및 운영 프로세스 구축

- 활동의 기반 확충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해 학생, 학부모 및 교원

의 요구분석 및 학교 안팎의 여건 조사, 연수 및 논의구조를 통

한 구성원 공감대 확산 구조 등 프로세스 구축

- 진로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편성 구조 차원에서 실천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구성, 교육과정 편제 및 시수배정, 프로그램 운

영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등 운영

-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및 운영 체계를 위한 학생 주

도적 진로활동 전개 및 전체 교원의 협력, 다양한 인력의 참여

등 프로세스 구축

○ 학교 전체 교원의 진로교육 역할 및 기능 부여

- 학생 개인의 상담활동 및 진로탐색활동이 일차적으로 담임교

사의 진로지도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역할 및 기능 부여

- 진로교육과 연계된 교과통합교육,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역할

과 기능을 교과교사에 부여

- 학교 진로교육 전반의 기획 및 편성과 심층적 진로상담 및 교

사 상담 등의 기능과 역할을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부여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45

3. 교육청 차원의 추진체계

○ 진로교육을 위한 수준 높은 지역 인프라 구축

-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의 학교 진로교육을 위한 컨설팅 역할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문인력 및 전담부서를 설치

- 교원 및 학부모 연수와 컨설팅을 통한 진로교육의 추진동력 제고

- 진로교육에 참여하는 외부 인사들을 위한 전문 연수 실시 및

매뉴얼 제작・보급

- 학교-지역사회 기관 간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진로교육센터

등 지원체계 구축

○ 중앙과 학교를 잇는 전달체계 구축을 통하여 진로교육의 내실화

실현

- 커리어넷 및 지역교육청 정보망을 통하여 중앙과 학교를 연결

하는 정보 및 정책 전달체계 기능과 역할을 강화

- 지역자원 현황 조사 및 자원지도와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

여 관리

- 직업・사회체험현장 및 온・오프라인 멘토링 제공 등 자원의 온

라인 시스템 구축

○ 지역사회의 진로교육 풍토 및 참여 분위기 조성

- 청소년의 꿈과 끼를 지원하는 데에 대한 지역사회 내 공감대

및 분위기 형성

- 지역사회의 진로교육 현안에 대한 논의 및 협의구조 확립

- 교육청, 지방자치체단, 공공기관, 대학, 기업, 주민단체, 학부모

등 각계 분야의 사람들의 광범위한 참여 유도

14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진로교육 및 직업체험활동 활

성화

- 시・군・구 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직업체험지원센터’ 구축

- 지방자치단체 및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공공기관의 진로교육

지원 및 체험활동을 확대

- 지역 내 학교와 다양한 사업장을 연계하여 진로교육과 직업체

험활동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건 조성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47

제3절 중장기 발전계획의 세부 추진 과제

○ 이 절에서는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세부 추진 과제를 1.

단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2.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

공, 3.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4.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로 나누어서 제시하고, 제3절의 마지막 부분에는

세부 과제의 추진일정을 제시함.

1. 단위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가.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의 개발 및 보급

○ 현황 및 필요성

-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2009년에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

과목 도입, 2010년에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목 도입, 창의

적 체험활동에서의 진로교육 등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와서 학

교진로교육의 체계성과 연계성이 미흡한 상황이었음.

・ 이에 2011년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지표를 마련하여 진로교육

의 체계성을 확보하고 진로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함.

-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은 2012년 개발완료 이후 2013년

중학교에서 시범적용을 거쳐 일선학교에 본격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고, 이에 따라 초・중・고등학교에서 체

계적인 진로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보급하여 활

용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

- 2013년부터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자 하는 자유학기제가 시범도입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전국의

14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중학교에 확대될 계획임. 자유학기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소질과 적성을 탐색하고 학생들의 진로개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SCEP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함.

○ 주요 내용

- 현장성 있는 SCEP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 SCEP의 4대 구성요소인 창의적 진로개발 활동 프로그램, 스

마트 워크북 활용, 진로현장체험학습, 진로상담 등이 각자 체

계성을 갖고 개발되었으나, 시범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

서 어려움 없이 활용될 수 있도록 세부적인 활용지침이나 내

용요소들이 보강될 필요가 있음.

・ 고등학교 및 초등학교에 대한 시범적용 확대를 통하여 프로

그램의 현장성을 제고하고 교사들을 위한 활용지침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음.

-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SCEP 활용 지원

・ 자유학기제의 다양한 운영에 대응한 SCEP의 활용 방안 개발

및 보급

・ 기업가 정신(앙터프레너십), 연극을 통한 진로탐색프로그램등

영역별 다양한 프로그램을 보급 확대

-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일반교사 대상의 SCEP 연수 확대

・ 초・중등 학교에 SCEP 운영을 위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일

반교사 대상의 연수 확대

・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SCEP 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중학교

교사 대상 연수 제공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49

○ 추진일정

- 현장성 있는 SCEP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 2014년: 중・고등학교 시범학교 확대 적용 및 활용 매뉴얼 개발

・ 2015년: 초등학교 시범학교 확대 적용 및 활용 매뉴얼 개발

・ 2016~2017년: 전국 중・고등학교 확대 활용 지원

-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SCEP 활용 지원

・ 2014~2017년: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SCEP 프로그램 보급

확대

・ 2014~2015년: 앙터프레너십 프로그램 보완 및 보급 확대

・ 2014~2015년: 연극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보완 및 보급

확대

-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일반교사 대상 SCEP 연수 확대

・ 2014년: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과정 SCEP 이론과 실

제 제공, 자유학기제 담당교사를 위한 중학교 SCEP 과정 연수

・ 2014~2015년: 중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대상 앙터프레너

십 프로그램 및 연극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연구제공

・ 2014~2017년: 일반교사 대상 SCEP 연수 제공

나. 교육과정의 진로교육 요소간 연계·통합 제공

○ 현황 및 필요성

- 진로교육은 특성상 특정교과나 특정 시간의 영역 확보로 접근

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학교차원의 통합적 디자인을 통하여 교

과과정에 흩어져 있는 진로교육 요소를 통합적으로 연계하고

확장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30)

30) 김승보·방혜진(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15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의 보급과 더불어 학교 교육과정

에 분산되어 있는 모든 진로교육 요소들을 통합・연계하여 제

시하고 다양한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현장교사들이 학교 교육

과정을 진로교육의 실질적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 교과통합 진로교육이 잘 이루어지는 정도에 대해 중학교는

39.5%, 고등학교는 27.0%가 긍정적으로 답변하고 있음(한국

직업능력개발원, 2012).

○ 주요 내용

- 학교진로교육지도(SCEM: school career education map)의 제작,

보급

・ 대부분의 보통 교과에는 진로와 관련된 내용 및 요소가 포함

되어 있으나 일반 교사들은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

음. 따라서 진로교육으로서의 특성과 교육내용을 교사들이 인

식할 수 있도록 명시할 필요가 있음.31)

・ 중등과정의 「진로와 직업」 교과 편성·운영 확대 및 학교진로

교육 프로그램(SCEP) 보급 등 정책과는 별개로, 교과 및 비교

과 교육과정에 분산되어 있는 모든 진로교육 요소들을 통합

적으로 제시하여 현장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진로교

육지도(SCEM)를 개발·보급함.

・ 이를 통하여 진로교사뿐 아니라 일반교사들이 교과 내 각종

교과요소들을 진로교육으로서의 특성 및 교육내용으로 통합

적으로 파악하고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초등학교부

터 진로에 대한 폭넓은 인식이 교과 수업시간을 통해 가능하

도록 함.

31) 김승보·방혜진(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51

・ 학교진로교육지도(SCEM) 개발을 통하여 학생들이 어느 정도

진로교육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계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과 보충해야 할 부분에 대한 콘텐

츠 방향을 수립함.32)

-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진로탐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지원 컨설팅 사업을 추진함.

・ 자유학기제 도입 정책으로 진로탐색 중심의 교육과정 구축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자유학기제는 초・중・고 12년(24학기)

중 1학기에 불과하여 일반 학기의 진로탐색 중심 교육과정

재구조화 작업이 요구됨. 이는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기반

으로도 작용할 것임.

・ 진로교과 및 일반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상담 및 행사활동,

방과후 및 주말학교 등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 흩어져 존재하

는 진로교육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진로탐색 중심의

학교교육과정 구축을 지원하는 컨설팅 사업을 연차적으로 확

대 실시함.

- 교원 양성・연수 과정에 있어서 진로교육 요소의 확대

・ 진로교육에 대한 학교 차원의 통합적 디자인을 위해서는 진

로교육을 구성할 수 있는 교장·교감 및 교사의 기본 인식 및

역량 형성이 가장 핵심적인 문제임.33)

・ 교원양성 과정에 진로교육을 기본소양과목으로 포함시키며,

교원의 기본적인 품성으로 진로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야 함.34)

32) 김승보・방혜진(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33) 김승보・방혜진(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34) 김승보・방혜진(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15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교(원)장·교(원)감·1급 정교사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의 개정

을 통해 전문(전공)영역(60∼80%)의 교과로서 ‘진로교육’을 추

가하고 시수시간도 확대하여 진로교육 역량 증대시켜야 함.

・ 교원들에게 총체적인 진로교육 확대를 위해 교원승진평가 항

목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한 활동(교사들의 비교과활동, 동아리

활동, 연구 활동 등)들에 대한 평정내용을 추가함.35)

○ 추진일정

- 학교진로교육지도(SCEM)

・ 2014년: 조사체계 구축

・ 2015년: 교과목 및 기타 활동 진로교육 요소 추출

・ 2016년: 학교진로교육지도(SCEM)의 활용

・ 2017년: 계량화를 통하여 진로교육과 관련한 평가체계 개발

유도 및 활용

- 진로탐색 중심 교육과정 재구조화 지원 컨설팅

・ 2014~2015년: 시범사업 실시, 2016년 이후 전국 확대

- 교원 양성・연수 과정 진로교육 요소 확대

・ 2014~2015년: �교(원)장·교(원)감·1급 정교사 자격연수 표준교

육과정�의 개정 및 교원양성 과정에 진로교육을 기본소양과

목으로 포함

・ 2016년: 교원승진평가 항목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한 활동 포함

다. 진로교사 및 일반교사의 진로지도 역량 제고 및 연수 지원

○ 현황 및 필요성

35) 김승보·방혜진(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현안과 정책방향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53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심화연수가 실시되고

있으나,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연수 요구가 현장에서 표출

되고 있음.

※ 2013년 심화연수: 2011년, 2012년 배치 발령된 진로교사

2,300명을 대상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등이 실시

- 진로교육에 대한 학교현장의 전반적 이해도를 높이고 지도역

량을 갖추기 위해 진로교사 외에 교장 및 교감 그리고 일반교

사의 진로연수가 필요함.

○ 주요 내용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로드맵 구성

・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진로진학상담교사를 위한

심화연수 등에 관한 체계적인 일정표 확보(연수 내용 및 수준

을 체계적으로 관리)

・ 진로진학상담교사 주요 직무별로 심화연수 분야를 분류하고,

그 항목 안에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발굴·운영

・ 다수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실시하는 대규모 연

수를 지양하고, ‘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지도프로그램’(STP)

과 같은 특화된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연수실시

- 일반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실시

・ 창의적 체험활동 담당교사 및 진로교육에 근접한 기술ㆍ가정,

사회 등 교과 교사의 진로교육 연수를 강화하며, 담임교사 등

으로 연수를 순차적으로 확대

・ 일반교사를 위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규정

의 확보

15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진로교육의 주요 분야별 초급, 중급, 고급 과정 개설을 통해

체계적인 연수 지원

- 교사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지역밀착적인 진로연수의 실시

・ 중앙 혹은 지방 교육청의 주도가 아니라 진로진학상담교사

혹은 일반교사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의 연수설계

・ 주어진 강의 위주의 집합연수에서 탈피하여 주제 설정, 연수

과정 선택 등에서 연수생들의 자발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운영

・ 지역의 진로체험 자원 확보 등 지역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주

제를 대상으로 지역의 요구에 따라 연수실시

○ 추진일정

- 교사 연수 로드맵

・ 2014년: 진로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연수 로드맵 구성

- 학교관리자 및 교사 대상 연수 실시

・ 2014년:

진로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심화연수 실시

학교관리자 대상의 진로교육 연수 실시

・ 2015~2017년:

진로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심화연수 실시

일반교사, 학교관리자 등을 위한 진로교육 연수 실시

라. 밀착형 진로지도 체계 강화

○ 현황 및 필요성

-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기본적으로 학급별로 이루어지기 때문

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세밀한 진로지도를 제공하기 어려움.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55

청소년의 잠재적 특성과 소질 계발을 위해 밀착형 진로지도 체

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학생 개인별로 차별화된 밀착형 진로지도를 위해서는 무엇보

다 교사가 학생의 흥미・적성 및 생활환경 등 제반 사항들을 파

악하고 지도할 수 있어야 함. 학생 개인에 밀착해 있는 담임-

교과교사-진로교사-지역진로상담센터에 이르는 학교와 학교 밖

지원기구 간의 협력적 진로지도 체계 구축이 필요함.

- 민간부문의 진로지도와 비교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진로지

도가 우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학생, 학부모가 필요할 때 항상

접근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진로지도 시스템의 확보 및 제공이

필요함. 학생 입장의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 체계를 구축하여

학생의 진로계획을 구체화시키는 시스템 구현이 필요함.

○ 주요 내용

- 학교 안팎의 협력적 진로지도 체계 구축

・ 학교, 공공기관, 민간기관의 다양한 진로지도 모범 사례를 선

별하고 학교 현장에 적합한 진로지도 모형을 개발함.

・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의 맞춤형 진로지도 전 과정(신청접수에

서부터 보고서 작성 및 사후관리까지)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함.

・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대상으로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 일련의

절차와 방법에 관한 교육을 실시함.

- 온・오프라인 통합 진로지도 체계 구축

・ 교육청 차원에서 지역별 온・오프 지원 기구를 상설화하고 미

래 지향적 코칭, 목표 도달을 위한 지원 컨설팅을 함께 제공

함. 진로인식, 진로정보탐색, 진로디자인, 진로준비의 각 단계

15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에서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여 결과 보고서를 산출할 수 있

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함.

・ 가상공간에서 직업체험을 할 수 있도록 사이버 직업체험 공

간을 개발하여 보급함. 모바일기기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능 등을 이용하여 청소년들이 다양한 직업세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함.

- 대학 및 전공에 대한 쌍방향 소통 온라인 시스템 활성화

・ 학생들의 진로검색 과정에서 생긴 의문점을 각 분야의 전문

가에게 질문하고, 상담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

・ 나아가 화상시스템을 통해 지방에 있는 학생들이 전문과와의

상담을 통해 대학진학 시 학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함.

・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효과적인 진 탐색과 접근성이

향상되어 학생들의 만족도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함.

○ 추진일정

- 밀착형 진로지도 모형 개발

・ 2014년: 밀착형 진로지도의 종합적 운영 모형 개발

・ 2015년: 밀착형 진로지도를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탑재

- 밀착형 진로지도 운영사업

・ 2015년: 진로교사 대상의 밀착형 진로지도 연수 시범학교 운영

・ 2016~2017년: 밀착형 진로지도의 확대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57

2.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가. 직업세계 변화의 역동성·트렌드 정보 생성 및 보급

○ 현황 및 필요성

- 정보화와 글로벌화, 과학기술의 발전 등에 따라 새로운 직업이

출현하는 등 직업세계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 중임. 이에 따

라 직업세계의 변화 양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고 진로

선택의 준거로 삼을 필요가 있음.

- 직업세계의 변화에 관한 정보는 정책보고서나 진로정보서 형

식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나 한국고용정보원 등에서 생산

되고 있으나 진로교사나 학생들에게 직접 전달되는 데에는 한

계가 있음.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래의 직업세계(직업편, 학과편), 한국

의 직업지표 등 발표

※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의 직업전망, 신생직업과 이색직업 등

발표

○ 주요 내용

- 미래형 직업의 발굴 및 직업변화 트렌드 연구 강화

・ 국내외에서 최근 등장하였거나 출현이 예상되는 직업으로 향

후 10년 후에는 중요한 직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

래형 직업을 발굴하고 관련 정보를 개발함.

※ IT, BT(바이오기술), ST(항공우주기술), NT(나노기술), CT(문

화콘텐츠기술)는 미래형 직업을 산출하는 주요 분야

・ 향후 10년 후 직업세계의 변화, 주요 선진국의 직업세계 변화

15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등을 분석함. 환경스캐닝, 퓨처스 휠, 인과계층 분석, 델파이

기법 등 전문적 미래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미래의 직업생활

변화 양상, 미래의 유망직업 등을 분석함.

・ 프로틴(protean career), 무경계 경력(boundaryless career) 등 새

롭게 부각되는 직업세계 변화를 안내함.

- 직업세계 변화와 트렌드에 대한 정례 보고서 발간

・ 학생들이 직업세계의 변화를 이해하고 진로선택에 관한 폭넓

은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미래 직업세계 및 직종 트렌드에

대한 별도의 정례적인 보고서를 발간하여 다양한 진로경로를

안내함.36)

・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인터넷, 모바일 앱

등 다양한 통로로 분기별로 보고서를 발간함.

- 직업세계의 역동성 및 변화를 알려주는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의 개발・보급

・ 게임 형식의 온라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학

생들이 미래의 직업세계 및 직업세계의 역동적 변화를 접할

수 있도록 함(손유미 외, 2007).

・ 복잡하고 다이내믹한 교육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학생들이 자

연히 직업세계의 변화를 인식하고 깨닫는 계기가 될 수 있도

록 인터넷을 통해 쉽게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함.37)

○ 추진일정

- 진로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

・ 2014년: 직업세계에 관한 콘텐츠 개발(미래의 직업세계, e-진

36) 김승보 (2010b).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37) 김승보 (2010b).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59

로채널 등)

・ 2015~2017년: 직업세계에 관한 콘텐츠 개발(미래의 직업세계,

e-진로채널 등), 직업트렌드(가칭) 발간

- 직업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 2016년: 직업체험을 위한 증강현실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2017년: 진로게임 개발 및 보급

나. 단계별・대상별 특화된 진로 콘텐츠 개발 보급

○ 현황 및 필요성

- 학생들의 진로개발 단계에서 학생들의 특성 요구를 반영한 적

성검사를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음. 민간에서 개발하여 제

공하는 검사들의 경우, 유료 서비스의 경우가 많고 검사의 신

뢰도에 대한 검증이 어려운 상황임.

-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적성검사의 실태를 파악하여 진

로진학상담교사 및 학부모, 학생들에게 활용과 관련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아울러 검사의 신뢰도와 실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검사를 개정하고 활용 방법을 개

선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함.

- 학교생활 부적응・위기 학생, 중도 탈락 직전에 있는 학생들 중

에는 기존의 학교교육과정 가운데에서 점점 극심해지는 소외

감과 고립감으로 인해 극단적으로 중도탈락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들이 있음. 학교에서도 이들을 위한 대응방안을 적절하게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38)

38) 김승보(2010a). 창의 인재 육성을 위한 학교 진로교육의 과제와 정책방향

16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문화적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다문화 학생뿐 아니라 학력부

진아, 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통합교육을 추구

하되, 이들을 위한 예방-진단-관리 시스템에 진로교육의 기능

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일반학생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정보 격차의 문제는 사회

계층・세대・지역 간 갈등을 유발하며, 소외계층의 사회적 입지

를 더욱 열악하게 만듦.39)

・ 사회적 배려 대상자의 진로 관련 각종 정보의 접근성 및 활용

도를 높이기 위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국단위의 진로정보

체계 용량 및 질적 수준을 제고함.

○ 주요 내용

- 진로적성검사의 개발・보완 및 효과적 활용 지원

・ 규준 세분화 및 문항 수정을 위해 문항 난이도를 점검하고,

학생 등 이용자 및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신뢰도, 타당

도를 검토함.

・ 개발된 검사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검사결과와 연계하여 최적화된 직업정보를 제공하는

등 교사 및 학생 대상 활용 안내 프로그램을 개발함.

・ 적성검사의 내용과 새로 개발된 검사 프로그램들의 활용 방

안을 진로진학상담교사 연수를 통하여 안내함. 일선 교사들의

검사 사용 사례를 공유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검사 활용과 관

련된 질적 자료를 수집함.

- 다문화가정, 기초학력미달 등 학력 부진 학생을 위한 진로경로

및 창의력 발굴 구조 형성

39) 이지연 외(2012).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연구 (Ⅱ)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61

・ 다문화가정, 학교생활 부적응·위기 학생, 중도 탈락 직전에 있

는 학생의 개별적인 소질과 적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특기로

살려 나갈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을 운영함.40)

・ 이때 각 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맞추어 지역의 자원을 연계하

여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과정을 이수하는 것

으로 교육과정 이수를 대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41)

-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진로정보 보급 촉진42)

・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진로개발 요구와 필요에 적합한 진로

정보를 생성·축적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확산 필요. 특수교육

대상학생, 교사, 학부모, 산업체와의 긴밀한 연계체제하에 지

속적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진로개발 요구조사를 실시하

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진로정보 생성에 반영함.

・ 장애 특성을 반영한 특정 직무와 과업중심의 정보를 생성. 먼

저 각 직업에 대한 광범위한 직무조사를 실시한 후, 장애 유

형별로 세분화하여 각 직무와 과업의 장애유형별 수행 난이

도를 평가하는 방식이 추천됨.

・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제시되는 직업정보의 경우, 현실적으

로 취업을 할 수 있고,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있으며, 미래지

향적 관점에서 도전이 가능한 직업을 선택하여 정보로 개발

하는 전략이 필요함. 이를 위하여 정보를 개발하는 당해연도

교사·학생·학부모를 대상으로 직업수요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

40) 김경애(2011).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실천방안

41) 김경애(2011).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실천방안

42) 이지연(2013).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16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추진일정

- 진로적성검사 도구 개발・보완 및 보급

・ 2014년: 진로적성검사 도구 검토 및 개발·보완

・ 2015년: 진로적성검사 도구 활용 안내 교원 연수, 진로적성검

사 도구 보급

・ 2016년: 진로적성검사 도구 사용 사례 공유 및 활용과 관련된

자료 수집

- 다문화가정, 학력 중도 탈락 학생을 위한 대안 프로그램 개발・

운영

・ 2014년: 다문화가정 학생 등을 위한 대안적 프로그램의 개발

・ 2015년: 지역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의 운영(개별 학생 맞춤식

운영)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시스템 구축

・ 2014년: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진로정보 요구조사 및 직업수

요조사

・ 2015년: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진로정보 시스템 개발 및 시범

운영

・ 2016년: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진로정보 시스템 보급

다. 역량중심 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콘텐츠·프로그램 개발 보급

○ 현황 및 필요성

- 진로교육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 개개인이 자기주

도적으로 자신의 진로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는 것임.

· 종래 진로교육이 진로심리검사 중심의 검사결과를 학생들에

게 알려 주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test & tell) 과정에 집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63

중되었다면, 향후 미래 관점에서는 학생들 개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도록 다양한 부문

에서 지원을 필요로 함.

- 이를 위하여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교육과학기술부,

2012a)에 기초하여 학교급별, 진로교육수요자별, 매체별 다양

한 교수・학습 지도안이 개발되고, 이를 학교현장에 보급・확산

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 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 학생들마다 갖고 있는 재능이 저마다 다르고, 원하는 교육의

성격도 다양하지만, 진로현실은 인문계 및 이공계 중심으로 치

우쳐 있음.

· 지금의 공교육 체제는 예술 전공 지원 학생의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특수목적고(예능)의 높은 입학 경쟁과 여기

에 편입되지 못한 일반 학생들의 높은 사교육 참가로 이어지

고 있음.

- 예체능계는 특성상 조기부터 적성과 재능을 발견하고 이의 지

속적 지원체제를 갖추어야 하나, 우리나라의 예체능 교육을 지

원하는 학교 인프라는 태부족이어서 초・중등 과정의 예체능

교육은 대부분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43)

○ 주요 내용

- 학교급별, 진로교육 수요자별 맞춤형 콘텐츠・프로그램 개발

・ 학생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할 때, 초등학교의 저학년과 고학

년,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 및 대학원 학생들의 진

로개발에는 요구와 과업 등에서 차이가 존재함.

43) 김승보(2010b).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16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진로발달단계에 따라 학생들의 진로개발 양상이 다르듯, 이들

의 요구 내용을 맞춤하여 제공하는 콘텐츠·프로그램이 학교급

에 따라 다를 수 있어 이를 특화하여 진로요구에 맞춤하는 콘

텐츠·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진로개발 역량이 균형 있게 함양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기업 대상의 콘테츠·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이 필요함.

-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콘텐츠・프로그램 개발

・ 라디오, TV 방송, 신문·잡지의 특집코너, 만화 웹툰 등을 활용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장면을 벗어난 일반대중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진로교육의 중요성

및 관련 정보를 홍보하기에 적합함.

・ 시기별로 쟁점화되는 진로교육의 이슈를 다양한 매체를 통하

여 콘텐츠로 기획하고 이를 보급·확산하는 지속적 노력이 필

요함.

- 예체능교육의 보편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 정규 교육과정에서 예술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 향상에 더하

여 학생들이 예술을 향유하고 누릴 수 있는 소양으로서의 기

초교육을 강화하여 창의성의 근간이 되는 관찰력, 분석력, 표

현력, 상상력 등의 기본적 역량의 개발을 지원함.

・ 특수목적고 설립 및 전환을 정책적으로 유도함. 또한 기존의

예술중점학교가 안착하여 예체능 전공 지원자에 대한 흡입력

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예체능 중점학교의 신규

지정학교를 확대함.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65

○ 추진일정

- 콘텐츠・프로그램 개발・보급 일정

・ 2014년: 진로체험 지원 매뉴얼 개발(기업)→ 언론·매체 홍보

・ 2015년: 내게 맞는 자유학기 보내기 매뉴얼 개발(중학교 학생)

→ 언론·매체홍보

・ 2016년: 자녀 진로탐색을 지원하는 학부모 매뉴얼 개발(학부

모) → 언론·매체 홍보

・ 2017년: 진로교육 콘텐츠·프로그램 평가 및 수정·보완

※ 진로 및 일반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상담 및 행사활동, 방과

후 및 주말학교 등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 흩어져 존재하는

콘텐츠·프로그램을 수집·평가하고 이를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실시함.

- 예체능 공교육 인프라 구축

・ 2014년: 예체능 공교육 활성화 시스템 개발, 예체능 지원 강

화 및 예체능 중점학교 신규 지정 확대

・ 2015년: 예체능 융합형 학습 활동 프로그램 개발

라. 유연한 진로경로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 현황 및 필요성

- 직장을 다니면서도 공부를 통하여 자기개발이 가능한 (work-to-

school) 평생학습 체계 구축을 통하여 학령기 학생의 진학수요

를 완화하고 유연하고 다양한 진로경로를 구축함.44)

- 이를 위해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을 강화하고 취업경력의 대입

시 반영 및 학점인정 등 정책을 강화하며 성인의 일-학업 병행

44) 김승보(2010b).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16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을 지원하는 야간・주말 과정 확대 등 제도를 확충하여 선취업

후진학 경로에 대한 신념 체계를 넓혀야 함.

○ 주요 내용

- 학습경로의 다양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모듈화

・ 현재 시스템에서는 고교단계에서의 학생들 학습 이력을 보여

주는 시그널은 졸업한 학교의 유형 정도에 그침. 직업교육과

정을 선택한 학생들에게는 이에 더해 농업・공업・상업・수산해

양・가사실업의 계열이 추가될 뿐임. 이는 학습자의 선택의 폭

이 상당히 제한적임을 의미하며, 나아가 다음 단계의 교육기

관 또는 기업체에서 학생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여지가 매

우 작다는 것을 뜻함.

・ 근본적으로 학습자 주도의 학습경로가 다양하게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고교 교육단계의 이수시스템이 보다 세분화될 필요

가 있음. 즉, 지금의 획일화된 교육과정 이수가 아니라, 학생

들이 자신의 능력 수준에 맞추어 스스로 학업의 폭과 깊이를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학습과정’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

- 학습기회 정보의 발굴・보급 체계화

・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을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다양

한 직업교육 학습정보를 체계화해야 함. 특히 학교 밖 교육훈

련기관이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

하기 위해서는 해당 교육기관의 자발적인 노력은 물론 중앙

단위의 발굴과 개입이 필요함.

・ 발굴된 다양한 학습의 장과 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단위고등학교에 보급되어야 함. 각 학교의 맥락과 환경에 맞

게 조직화되고 정련된 정보는 다시 학습자 개인에게 전달되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67

어, 자기주도적인 학습경로 구축에 도움이 되어야 함.

- U-러닝을 통한 학습자주도 평생학습 지원45)

・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 역

량을 진단할 수 있는 평생학습역량진단시스템을 개발하여 지

능화된 맞춤형 학습서비스를 제공함.

・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유비쿼터스 미디어에 대응하는 우수

콘텐츠 공모와 지원, 그리고 우수사례발굴을 통해 양질의 콘

텐츠를 공유하는 평생학습정보시스템을 구축함.

○ 추진일정

- 학습경로 다양화를 위한 교육과정 모듈화

・ 2014년: 세분화된 고교 교육단계 이수시스템 연구·개발

- 학습기회 정보 발굴・보급 체계화

・ 2014년: 지역단위 직업교육 학습기회 정보 발굴 및 체계화

・ 2015년: 지역단위 직업교육 학습기회 정보의 단위 학교로의 보급

- U-러닝을 통한 학습자주도 평생학습 지원

・ 2014년: 평생학습역량진단시스템의 개발·보급

・ 2015년: 우수 콘텐츠 공모 및 사례발굴

3.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가. 전문직업인의 수업참여 및 진로활동 지원 확대

○ 현황 및 필요성

-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는 달리 학교 밖의 전문직업인이 직접 교

45)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2007). 교육비전 2030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

16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실 수업에 참여하여 진로활동을 지원하는 진로교육의 성과는

미약한 실정임.

- 현재 전문직업인 혹은 퇴직한 전문직업인이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인사(resource personal)로 활용하는 전략은 보다 생생한 삶

의 전체 맥락에서 학생의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점을 갖고 있음.

- 한 학교당 1인으로 배치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과중한 책임과

역할을 분산시키고 교사의 부족한 직업전문성을 보완하는 측

면에서도 효과가 있음.

- 교사 이외의 지역인사, 전・현직 직업전문인 혹은 관련 NGO 단

체들이 학교내에서 창업교실, 생활재정, 경력관리 등의 노하우

와 지식을 공유하는 진로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외부인사를

활용하는 학교 환경 전반을 전환시키는 노력이 필요함.

○ 주요 내용

- 지역별 전・현직 전문직업인 자원인사 인력 풀 개발

・ 지역과 학교 특성에 적합한 전·현직 전문직업인 및 관련 NGO

단체들의 연락처를 수집하고, 학교 진로활동에 참여할 수 있

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활용 가능한 자원인사 인력 풀을 개

발함.

・ 지역 기업과 학교 간 1社 1校 MOU를 체결할 수 있음. 학교에

서 주력하고자 하는 창의체험활동 내용과 유사한 지식 혹은

기술력을 가진 기업 간에 1사 1교 협정을 체결하여 장기적인

계획 속에서 강사 파견, 멘토링, 장학금 지원, 동아리 교류, 학

생들의 기업방문 등 다양한 교류 방식을 구상할 수 있음.46)

46) 김경애(2011).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실천방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69

- 학교 진로활동 지원 동의 및 교수 능력 신장을 위한 워크숍 운영

・ 자원인사들을 개별 접촉하여 학교 진로활동 지원에 대한 동

의를 얻고, 이들이 학교 교실 장면에서 학생들과 어떤 내용의

활동을 하는지와 관련된 사전 워크숍을 운영함.

・ 워크숍의 내용은 ①학교급별 학생들의 특징, ②학생들의 주요

진로문제, ③학교 진로교육의 내용, ④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특징과 장·단점, ⑤자원인사가 맡은 주제에 따라 활용 가능한

매체(동영상, 유투브, 웹툰 등) 자원 및 관련 자료의 제공 등

으로 운영되어야 함.

・ 단위 학교는 매년 연간계획에 맞추어 자원인사들이 활동하는

일정을 set-up함.

- 우수사례 선정 및 시상을 통한 보급・확산

・ 단위 학교는 매년 자원인사가 활용된 교육과정의 성과를 평

가하고 그 결과를 전·현직 자원인사들에게 피드백함으로써 학

교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이들의 역량이 매년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촉진함.

・ 단위 학교는 매년 올해의 베스트 외부자원의 수업 교사 및 우

수 주제를 선정하고 시·도교육청 및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

발원에 제출함으로써 언론·매체 홍보를 통하여 결과를 보급·

확산함.

○ 추진일정

- 전문직업인의 수업참여 및 진로활동 지원 확대

・ 2014년: 17개 시・도교육청별 전문직업인 참여 단위 학교 진로

활동 캠페인 운영

・ 2015년: 2014년도 우수사례 및 우수교사(전문직업인) 선정·포

17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상, 언론·방송매체별 홍보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확산

・ 2016년: 17개 시・도교육청별 전문직업인 참여 단위 학교 진로

활동 캠페인 운영

・ 2017년: 2016년도 우수사례 및 우수교사(전문직업인) 선정・포

상, 언론・방송매체별 홍보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확산

나. 진로활동 지원을 위한 학부모 참여 활성화 47)

○ 현황 및 필요성

-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 바람직한 교육을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의 협력이 필수임. 학교와 학부모가 파트너라는 의식을 갖

고 협력적으로 관계를 맺을 때 좋은 학교가 만들어지고 좋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

- 학생들의 진로 선택 및 결정에서 가장 큰 몫은 학부모의 판단

이라는 점에서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다양하게 생성되는 진로

교육 관련 정보에 대해 학부모가 먼저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

- 현재 학부모회 구성, 학부모 총회, 학부모 교육 등이 활발히 일

어나고 있으나, 이들 교육 및 활동을 시・도교육청과 단위 학교

가 주도하는 경향이 커서 학부모의 자발성으로 이어지지 못하

고 있음.

○ 주요 내용

- 학부모의 자생력 함양 및 역량 강화

・ 학부모 관련 사업 계획 시 학교의 일방적 사업계획서 작성 및

47) 김승보·박태준·서유정(2011). 단위학교의 진로교육 실천역량 강화 방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71

학부모 동원 방식을 탈피하고, 학부모회가 스스로 계획 및 운영

하게 함으로써 활동경험 축적과 역량을 배양하도록 해야 함.

・ 단위 학교 ‘학부모회’간의 네트워크 강화를 통하여 학부모회

의 자율 역량을 강화시킴. 단위 학교 학부모회의 자율적 활동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부모회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

여 학부모회 운영의 우수 사례 및 운영상 애로사항 등을 긴밀

하게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됨.

・ 단위 학교 또는 교육청 차원에서 학부모회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 학부모 커리어코치 활성화48)

・ 각 학교에 배치되어 진로교육을 총괄하는 진로교사가 개개인

의 학생들에게 맞춤형으로 밀착 지원을 하기에는 그 수가 부

족함.

・ 학생들의 진로활동을 지원하고 직업세계 탐색을 조력하기 위

해서는 진로교사를 지원하는 전문인력이 필요함.

・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적절한 교육 및 실습을 통하여 커리어

코치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지원하고 단위 학교 내 학급별로

커리어코치를 배치할 필요가 있음.

- 학부모 친화적 참여 여건 조성 및 파트너십 강화

・ 학부모를 지원, 봉사 등 소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교육파트너, 상담자, 모니터단 등 적극적으로 활용함. 학교 내

유휴교실 또는 공간을 활용하여 학부모 지원실을 마련하여

학부모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 학부모 학교 참여를 지원하는 전문인력을 보강해야 함. 지역

별로 학부모지원센터에서 1~3인의 상담사가 전체 학부모 관

48) 진미석(2013). 초·중등 진로교육 활성화.

17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련 상담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업무 부담이 큼. 단위 학교별로

‘학부모 학교 참여’ 담당 부서 설치가 필요함.

○ 추진일정

- 학부모 연수 프로그램 개발・보급

・ 2014년: 학부모회의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 2015년: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온라인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 2016년: 학부모지원센터와 연계하여 학부모 진로지도 정보 제공

다. 지역사회 교육기부 활성화

○ 현황 및 필요성

-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해서 다양하고 변화하

는 직업세계에 대한 안내와 역할 모델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

고 있음. 그러나 적절한 멘토를 발굴하고 연결하는 작업은 단

위 학교, 개별교사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모든 학생들에게

그 기회가 고루 제공되지 못하고 있음.

・ 특히 취약한 지역의 학교나 학생일수록 이 기회는 더욱 제약

되어 있어, 진로 멘토링에서 있어서의 사회적 격차 문제는 심

각하게 다루어져야 할 과제임.

- 여러 직업현장에 많은 ‘프로’들이 있지만 자기의 지식과 경험

을 다음 세대에게 교육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마인드는 매우

박약한 실정임.49)

・ 이러한 자원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로부터의 교육

49) 김승보(2010b).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73

기부 활성화가 필수적이며, 기업·공공기관·정부 부처 등이 보

유한 각종 물적·인적 자원과의 연계가 중요함.

- 지역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교과부 및 교육청 단위

의 MOU 체결 등 사회적 여건 조성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학

교 단위에서도 지역자원 발굴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50)

○ 주요 내용

- 온・오프라인 연계 지역인사 멘토링 시스템 구축

・ 지역교육청별로 사회적 멘토링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

하여 학교 밖 인적자원의 직업 관련 전문지식 및 철학을 온·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연계함. 특히 사회적 소외계층 학

생들에게 멘토링 시스템은 절실히 요구됨.51)

※ 온라인 멘토링 시스템과 아울러 적절한 형태의 오프라인 멘

토링 연계시스템 구축

- 직업 및 교육 분야별 멘토 풀 확보 및 운영

・ 지역 내 가용 분야별 전문가 인력 풀 구성 및 연수를 제공함.

※ 멘토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대학에서 사회봉사의

일환으로 지식, 기술, 시간 나눔 등을 포함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함. 특히 대학생들이 전공과 연계하여 초·중·고등학생들

을 위한 프로그램의 (보조)강사로 봉사할 수 있도록 하며, 우

수 대학생들이 소외계층 자녀 학습지원을 위한 멘토로서 활

동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성화함.52)

- 교육기부에 대한 다양한 인증・인정 시스템 마련

・ 학생들에게 일터를 열어주고 배움의 기회를 주는 직업체험을

50) 김승보·박태준·서유정(2011). 단위학교의 진로교육 실천역량 강화 방안.

51) 김승보(2010b).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52) 김경애(2011).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실천방안

17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사회적 의제로 채택하여 전 국민적인 공감대를 이끌고 지속

적인 참여를 위해 교육기부 인증 시스템 등 제도적 장치를 마

련함.53)

※ 교육기부 참여자(특히 대학생 등)에 대해서도 사회적 격려

문화와 인증 시스템을 운영하고 실질적으로 취업 등에서 혜

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하여 시스템을 마련

함.54)

・ 객관적이고 투명한 인증기준과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대학의

경우 봉사활동, 학점 인정, 그리고 졸업 요건 등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권고하며, 대학정보공시 항목에 포함하여

대학 차원의 교육기부 활성화를 도모함.55)

○ 추진일정

- 지역별 멘토링 시스템 구축

・ 2014~2015년: 블라인디드 멘토링 시스템 개발 및 시범 운영

・ 2015~2017년: 지역별 멘토링 시스템 구축 운영지원

- 직업 및 교육 분야별 멘토 풀 확보 및 운영

・ 2014년: 지역 내 멘토링 풀 구축 지원

・ 2014~2015년: 멘토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멘토 대상 연수

제공

・ 2015~2017년: 멘토링 제공

53) 손유미(2013). 직업체험의 사회적 기반 구축과 활성화 방안

54) 배상훈(2011). 교육기부 활성화 및 이를 통한 학교교육 강화.

55) 김승보·박태준·서유정(2011). 단위학교의 진로교육 실천역량 강화 방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75

라. 지역사회 및 기업의 참여를 통한 체험활동 활성화

○ 현황 및 필요성

- 직업체험은 학생들이 직업세계를 이해하는 효과적인 교육이며,

진로교육과 연계되어 장래 유망 직업 등 직업세계의 급속한 변

화 및 요구 적성, 능력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음.56) 시・도별로 개발되어 있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보

다 확대하고 학생 개개인의 적성에 맞는 희망별로 맞춤형 실시

를 위해 특징별, 대상별, 활용자원별, 활동단위별 등 다양한 유

형별로 직업체험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학교에서 풍부한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단기간에 만들어 실행

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또한 학교 밖 외부활동의 경우, 이동 비

용 및 관림료 등 추가적인 경비가 발생함. 현재 학교 예산의

수용비 항목에서 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나 우선순위에서 밀려

예산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57)

- 진로활동이 단순 강의식을 탈피하여 직업세계를 보다 잘 이해

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학교-지역사회기관 혹은 기업 간의 공

동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 학교 시설, 지역 사회 시설이 학생

들에게 창의적인 체험활동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지역

사회의 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함.58)

○ 주요 내용

- 진로체험재단 설치59)

56) 김승보 (2010b).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57) 김승보(2011). 창의성 체험활동 운영의 현황과 실효성 제고 방안.

58) 김진숙(2010). 창의성교육의 실효성 강화 방안.

59) 진미석(2013). 초·중등 진로교육 활성화.

17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초・중・고등학생, 대학생, 비진학 청소년 대상의 직업체험 지

원기구로서 진로체험재단을 설립하여 운영함. 직업체험현장

및 온・오프라인 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직업 멘토들을 발

굴하여 데이터화하고, 이들을 필요로 하는 학교에 배치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이와 같은 재단의 지원 활동은 단위 학교 진로교사의 직업체

험 발굴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들의 진로지도 내실화에 기여

할 것임.

- 직업현장체험학습 연계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 직업현장과 학교를 연결하기 위해 현장체험학습이 가능한 민

간기업, 공공기관, 자영업체, 기타 현장체험기관 등에 대한

DB를 구축함.

・ 지역별로 가능한 현장학습장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각 기관에

서 현장체험이 가능한 일정, 가능한 학생 수, 가능한 프로그

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및 매칭 사이트를 구축함.

-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진로 프로그램 활성화60)

・ 학교-지역사회 간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 본 경험이 미

진하기에, 이러한 기회를 통해서 상호 이해하고 지역의 특수

성, 기관의 특수성을 반영한 전문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학교-지역사회기

관과의 연계·협력 프로그램 공모 지원사업을 추진할 수 있음.

・ 진로교육 및 인성의 세부 요소별, 학생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체험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하여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임.

60) 김경애(2011).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실천방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77

○ 추진일정

- 지역사회 연계 진로체험 지원시스템 구축

・ 2014년: 진로체험재단 설치 및 운영, 현장체험 가능 기관 및

학습장 DB 구축

・ 2015년: 직업체험현장과 학교 매칭 시스템 구축, 진로체험재

단 설치 및 운영

-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진로 프로그램 공모 지원

・ 2014년: 학교-지역사회기관 연계 프로그램 공모 지원사업 추진

4.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가. 국가진로교육센터 기능 및 역량 강화

○ 현황 및 필요성

- 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중앙단위의 지원 기능이 취약함. 진로교

육지원을 위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산하 진로정보센터가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지원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형식으로 재정지원을 받아 운영 중에 있음.

- 예산 확보에 따라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지원청, 일선학교 등

으로 진로교육 지원의 규모나 집중이 달라지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진로교육 지원 기능이 다소 제한됨.

・ 법적 기반이 없는 상황에서 중앙진로교육센터의 기능과 시·도

교육청의 지원 기능 간의 연계 체제가 미약하여 효과적인 지

원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음.

- 진로교육법안에 의해 교육부는 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전문기

관으로서 국가진로교육센터를 설치・운영하여 내실 있는 지원

17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주요 내용

- 국가진로교육센터의 기능 정립과 인력확보

・ 「진로교육법」에 기반한 국가진로교육센터의 기능을 확립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확보가 필요함.

・ 국가진로교육센터의 장단기 발전계획 수립․시행을 통한 체계

적인 기능 수행

・ 진로교육전문가 과정을 위한 부설 대학원 기관 설립 운영 및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재교육기능을 강화함.

- 국가진로교육센터와 기타 관련기관 간의 연계체제 구축

・ 국가진로교육센터 및 지역진로교육센터 간의 역할 분담 및

협조관계 체제를 구축함.

※ 국가진로교육센터의 지원기능의 명시적 규정

・ 국가진로교육센터와 중앙청소년지원기관, 국가평생교육진흥

원 등 유관기관과의 횡적 연계 체제를 구축함.

○ 추진일정

- 국가진로교육센터의 장단기 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

・ 2014~2017년: 5개년 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 인력 확보

- 국가진로교육센터와 관련기관 간의 종・횡적 연계체제 구축

・ 2014~2015년: 국가진로교육센터와 지역진로교육센터 간의 협

력 및 지원시스템 구축

・ 2015~2016년: 중앙청소년 관련기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등

유관기관 간의 횡적 연계시스템 구축

- 전문가 양성 기능 구축 및 운영

・ 2014~2017년: 전문가 인력 연수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79

・ 2016~2017년: 진로분야 전문가 양성을 위한 대학원교육과정

설치 및 운영

나. 시・도교육청별 진로교육 실행체계 확장

○ 현황 및 필요성

- 교육지원청 및 단위 학교는 지역여건에 맞는 진로교육을 수행

하고, 이를 뒷받침할 지역 인프라 구축과 협력 문화 조성 등을

지원하는 구심점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목적으로 진로교

육 전담부서(진로교육과) 및 조직체계(진로교육센터 등)를 확장

할 필요성이 제기됨.

- 교육지원청 단위에서도 진로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담인력

을 배치하고 초・중등 단계 전반의 진로교육 지원과 이를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기능을 부여함.

○ 주요 내용

- 교육지원청에 진로교육 전담부서 개설

・ 모든 교육지원청에 진로교육을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하여 지

역의 진로자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평·수직적 연계 및 협력

체제가 마련되도록 구심점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조직

체계를 신설함.

- 교육지원청 단위의 진로정보센터 설치 및 운영

・ 전국의 교육지원청 등 인프라를 활용하여 진로상담 및 적성

검사, 컨설팅이 가능한 공간 마련

・ 지역진로정보센터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진로지도

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 및 배치

18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추진일정

- 시・도교육청별 진로교육 실행체계 확장

・ 2014년: 17개 시·도교육청별 교육지원청에 진로교육 전담부서

신설

・ 2015년: 교육지원청별 진로교육 전담 인력 대상의 연수 운영

※ 우수사례 발표 및 보급·확산

・ 2016년: 단위 학교 진로교육 전담 팀 확충

・ 2017년: 학교급별 단위 학교 진로교육 전담 우수 팀 발표 및

보급·확산

다. 진로정보의 플랫폼 강화 및 네트워크 활성화

○ 현황 및 필요성

- 직업세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국민들의 진로선택이 매우 중

요해지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직업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유용한 진로정보에 접근할 수 있

어야 함.

- 신뢰로운 진로정보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광범위하게 유통하

여 청소년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진로탐색을 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중앙차원의 진로정보망인 커리어넷을 강화해야 함.

※ 커리어넷의 1일 페이지뷰: 154만 4,197건(2013년 4월 평균)

※ 커리어넷의 1월 신규가입자 수: 18만 7,230명(2013년 4월)

- 학교의 공간적 제한이나 인력의 한계로 인해 보유하기 어려운 다

양한 직업, 진로 관련 정보를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필요한 .정보

를 검색할 수 있는 진로정보센터를 지역 단위로 설치해야 함.61)

61) 김승보·박태준·서유정(2011). 단위학교의 진로교육 실천역량 강화 방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81

○ 주요 내용

- 진로정보 콘텐츠의 지속적인 보강

・ 미래의 직업세계(직업편, 학과편), e-진로채널(직업 동영상) 등

다양한 진로정보를 정기적으로 생성하여 커리어넷에 탑재함.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산업인력공단(한국직업방송), KERIS,

EBS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진로직업 동영상을 통합적으로

유통함.

・ 초등학생들의 진로정보에 대한 요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현

재까지 개발된 초등학생용 콘텐츠는 절대적으로 부족함. 초등

학생용 심리검사 도구, 초등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 등을 개

발하여 커리어넷에 탑재하고 보급함.

・ 교사 등 진로교육 실천가들이 필요로 하는 진로지도 프로그

램 및 각종 교육용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함.

- 진로정보의 공유 확대

・ 커리어넷을 비롯하여 교육청 산하의 진로정보망, 유관기관의

진로정보망의 콘텐츠를 개방하여 진로정보의 공공성을 확대함.

※ 커리어넷은 ① 미래의 직업세계, ② 진로심리검사, ③ 진로상

담, ④ 진로교육자료 등을 Open API 서비스를 통하여 타기관

에 제공하고 있음.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산업인력공단, 한

국대학교육협의회 등 기관별로 특화된 정보들을 상호 제공하

여 진로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진로정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추진함.

- 스마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진로정보망 구축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보급에

대응하여 커리어넷의 시스템과 콘텐츠를 보강함.

18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 2013년 현재 모바일앱 3종, 모바일웹 1식 서비스

・ 다양한 기기 환경(N-Screen)을 지원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을 적

용하여 서비스 운영의 효율성 및 확장성을 제고함.

・ 진로정보의 유통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하여 청

소년, 교사, 학부모의 이용편의성을 증대시킴.

・ 신규 탑재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 알림 기능을 구현하여 정보

의 시의성을 제고함.

・ 교사 - 학생 간, 부모-학생 간 등 이용자 간의 관계 맺기를 제

공하여 청소년, 교사, 학부모 간의 의사소통을 확대함.

○ 추진일정

- 진로정보망 및 진로정보 콘텐츠 강화

・ 2014년: 유관기관의 진로정보 공유 추진, SNS를 활용한 진로

정보 유통

・ 2015년: 교육청 단위의 진로정보망 강화(중앙 단위 진로정보

망의 콘텐츠 공유), 진로 콘텐츠 보강(초등학생용 진로정보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

・ 2016년: 진로정보망 발전을 위한 ISP 실시, 진로 콘텐츠 보강

・ 2017년: 차세대 진로정보망 구축사업 추진

- 지역진로정보센터의 설치

・ 2014~2015년: 1 교육지원청 1 진로정보센터 설치를 권고

라. 정부부처별 협력체계 강화

○ 현황 및 필요성

- 정부부처별로 존재하는 진로교육 지원기능 간의 협력적 기능

을 강화하고 체험활동 지원 등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을 꾀함.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83

부처별 창의적 직업 발굴, 부처별 체험기관 발굴, 안전행정부

의 전국 시・군・구 자원봉사센터 등 관련 기관의 연계 등을 확

대함.

- 교육부 내에서도 각 부서별 진로교육 지원기능 간의 협력 및

연계성을 강화하여 종합적인 진로교육 정책 추진이 가능하도

록 함.

○ 주요 내용

-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과 연계한 진로교육 지원 환경 정비

・ 지방자치제와 연계한 진로교육. 중학생 진로코칭 교실 운영,

중・고등학생 진로입시멘토링 캠프를 운영함.

・ 청소년종합지원센터,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

터, 청소년수련원 등 유관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함.

・ 병무청, 해병대 아카데미, 지역별 문화원, 수자원공사, 전문

직업(병원, 약국, 변호사 사무실, 공인중개사 유통업 등) 지역

기관을 활용한 교육기부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함.

- 진로 전문기관 연계ㆍ협력 및 지원기능 강화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과학창의재

단, 대학교육협의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중소기업중앙회 등

관련 전문기관 간 연계․협력을 강화함. 진로진학 정책 개발,

프로그램 개발, 연수 협의, 각종 정보ㆍ콘텐츠 공유 등을 통

하여 교육청과 일선학교 지원하는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함.62)

- 자유학기제 지원센터 기능 강화

・ 자유학기제 도입과 관련하여 지원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

원센터 중심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

62) 교육과학기술부(2011). 현장중심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18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4대

정책영역

16개

정책과제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단위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학교진로교육

프로그램

(SCEP)의

개발 및 보급

시범학교 확대

적용 및

활용매뉴얼

개발

자유학기제

담당교사를

위한

SCEP과정

연수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SCEP

프로그램

보급 확대

프로그램

보완 및

보급연수

확대

교육과정의

진로교육

요소 간

연계・통합

제공

조사체계 구축

및 활동기반

구축

학교진로교육

지도의 활용

및 매뉴얼

개발

시범사업 및

연수강화

전국확대 및

평가체계

개발

<표 계속>

<표 5-1> 세부정책과제의 추진일정

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언론진흥재단, 금융인협회, 한국청

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등 전문·연구기관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시·도교육청, 교육지원청, 학교에 대해 체

계적 지원을 실시함.63)

○ 추진일정

- 유관기관 연계 진로교육 지원 환경 정비

・ 2014년: 유관기관 협력 시스템 구축, 지방자체단체 연계 진로

코칭 교실 운영

・ 2015년: 진로진학 프로그램의 유간기관 통합 서비스 개발 및

보급

- 자유학기제 지원센터 기능 강화

· 2014년: 자유학기제 지원센터 지원 시스템 검토 및 강화

63) 교육부(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제5장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185

4대

정책영역

16개

정책과제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단위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강화

진로교사 및

일반교사의

진로지도 역량

제고 및 연수

지원

역량강화

교사 연수

로드맵구성

일반교원 및

관리자 대상

연수 확대

일반교원 및

관리자 대상

심화연수

실시

모든 교원의

진로교육

연수 일반화

밀착형

진로지도

체계 강화

밀착형

진로지도의

종합적 운영

모형 개발

운영 모형에

따른

시범학교

운영

온·오프 통합

운영 시스템

구축

밀착형

진로지도의

확산

맞춤형

진로활동

콘텐츠

제공

직업세계

변화의

트렌드 정보

생성 및

보급

미래의

직업세계 예측

모형 개발

모형의 적용

및 미디어

채널 확장

프로그램 및

콘텐츠의

다변화

정보·콘텐츠

보급의 확대

단계별·대상별

특화된

진로 콘텐츠

개발

진로적성검사

도구 개발·보완

진로적성검사

도구 보급 및

활용 안내

교원 연수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대안

프로그램

개발

지역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의

상설화

역량중심

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보급

기업의

진로체험

지원 매뉴얼

개발 및

홍보

자유학기와

연계된 운영

모델 개발

진로교육

콘텐츠・

프로그램

평가 및

수정・보완

진로탐색

지원을 위한

학부모

매뉴얼 개발

및 홍보

유연한

진로경로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학습경로

다양화를 위한

교육과정

모듈연구

학습기회

정보

발굴·보급

체계화

우수 콘텐츠

공모 및 사례

발굴

평생학습

정보

시스템의

구현 및

보급

<표 계속>

18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4대

정책영역

16개

정책과제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활성화

전문직업인의

수업참여 및

진로활동

지원 확대

수업 및

진로교육

참여 관점의

교육과정 분석

수업 및

진로교육

참여 캠페인

전개

우수

프로그램

선정 및 포상

진로교육

참여

프로그램

보급 및 확산

진로활동

지원을 위한

학부모 참여

활성화

학부모회의

프로그램

운영 지원

온라인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온-오프 통합

교수 및 참여

DB구축

진로지도 및

참여 정보

보급 확산

지역사회

교육기부

활성화

지역별 멘토링

풀 구축 지원

멘토링 매칭

시스템 개발

및 시범 운영

멘토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확대

멘토링

시스템 평가

및 확산

지역사회 및

기업의 참여를

통한 체험활동

활성화

직업체험현장

과 단위 학교

매칭 시스템

개발 및 보급

학교-지역사

회기관 연계

우수사례

발굴 및 포상

진로체험재단

설치 및 운영

지역사회

연계

진로체험

정착화

진로교육

지원체계

및 인프라

강화

국가진로교육

센터 기능 및

역량강화

5개년

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인력

확보

지역진로교육

센터와의

협력 및 지원

시스템 구축

유관기관간의

횡적 연계망

강화

국가진로교육

센터 기능의

안정화

시․도교육청별

진로교육

실행체계

확장

교육지원청에

진로교육 전담

인력(부서)

설치 권장

교육지원청별

진로교육

전담 인력

대상 연수

운영

교육지원청

진로교육

지원기능

강화

지역사회-

교육지원청

협력망 정착

진로정보의

플랫폼 강화

및 네트워크

활성화

유관기관의

진로정보 연계

및 공유

교육청

단위의

진로정보망

강화

현장중심의

진로정보망

운영

차세대

진로정보망

구축사업

추진

정부부처별

협력체계

강화

부처 및

유관기관 연계

협력 시스템

구축

지자체 연계

협력체계

강화

자유학기제의

체계적 지원

진로진학

프로그램

유관기관

통합 서비스

개발・보급

SUMMARY 187

SUMMARY

Study on Midterm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Seung-bo Kim, Mi-sug Jin · Sang-geun Han, Ji-yeon Le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uggesting mid-term planning of

career guidance system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issues and the necessity of the main points,

this paper analyzed both the change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the condition of career education of the school, along with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career guidance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areer

Education Reinforcement Policy in 2010-2011.

Through the search on prim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this paper looked into the realities of both supply-side and

demand-side career education in Korea, and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udent progresses in terms of career maturity in

secondary school. The government, however, has been proven to

have some challenges that students should improve their rational

and independent decision-making ability and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18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For further inspection of change in career education policy, we

analyzed the mid-term plans which previous governments had

performed, and executed modified Delphi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discourse criteria in order to evaluate the

policy of career education. We suggested the future policy should

related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and to strengthen the infrastructure of outreach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he establishment plan of career

guidance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school’s

self-improvement plan and country-level supporting measure, as

follows.

○ Strengthen school career education system

- Disseminate the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SCEP)

- Provide the integrated career education through all of the

curriculums at school

- Enhance the career guidance capabilities of teachers

- Strengthen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system in school

education

○ Provide materials for enhanced career activities

- Disseminate the information of changes and trends in the

world of work

- Develop target-specific career information and career guidance

services

- Improve school curriculum for supporting flexible career paths

SUMMARY 189

of students

○ Activate experience-learning with the link betwe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 Expand career activities of community outreach by professionals

- Activate the support of parental involvement for career guidance

- Proliferate volunteers and donations for career education ,

- Enable the participation of business sector in career activities

○ Streamline delivery system of career education

- Increase the capability of National Career Education Center

- Improve the execution system of career education by Local

Office

- Enhance the network of career information and guidance

-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참고문헌 191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2010). �진로교육 종합계획�.

(2011). � 장 심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2011 진로교육 정

책포럼 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a).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 �.

(2012b). �진로교육진흥법(안)�.

(2013a). �개인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한 2013년도 진로교

육 활성화 방안�.

(2013b). �특수교육 통계�.

교육부(2013). � 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 계획(안)�.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각 연도). �교육통계연보�.

교육인 자원부(2006). �평생진로개발 활성화 5개년(’07~’11) 계획안�.

김경애(2011).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한 학교-지역사회 연계・ 력 실천방안�,

창의 체험활동 지역사회 운 모형개발 연구 콜로키움 자료집Ⅱ.

김승보(2010a). �창의 인재 육성을 한 학교 진로교육의 과제와 정책방향�,

2010년 정책연구개발사업, 교육과학기술부.

(2010b). �창의인재 육성을 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2010년 제3차

미래교육공동체포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창의성 체험활동 운 의 황과 실효성 제고 방안�, 2011년

제1차 미래교육공동체포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고등교육 진로지도 체계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방혜진(2010). �학교 진로교육의 주요 안과 정책방향�,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김승보 외(2009). �진로정보센터 운 (200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외(2010). �진로정보센터 운 (201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김승보 외(2011). �2011년도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 진: 총

보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외(2012). �2012년도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 진: 총

보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박태 ·서유정(2011). �단 학교의 진로교육 실천역량 강화 방안�,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김진숙(2010). �창의성교육의 실효성 강화 방안�, 2010 제1차 미래교육공동

체 포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통령자문 교육 신 원회(2007). �교육비 2030 학습사회 실 을 한 미

래교육 비 과 략�, 교육 신 원회.

박소 외(2009). �PISA 2006 정책 시사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27쪽.

배상훈(2011). �교육기부 활성화 이를 통한 학교교육 강화�, 2011 제3차

미래교육공동체 포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손유미(2013). �직업체험의 사회 기반 구축과 활성화 방안�, 제2회 진로교

육포럼 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손유미 외(2007). �청소년 희망세상 비 2030�, 국가청소년 원회.

염유식 외(2013). �2013년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조

사결과보고서�, 연세 학교 사회발 연구소・한국방정환재단.

윤철경 외(2013). �학업 단 학생 종단정책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

8~29쪽.

이 외(2011). �2012-2020년 장기 교원 수 망 세미나 자료집�, 교육

부 교원정책과.

이지연(2013). �특수교육 상 학생을 한 진로정보�, The HRD review

2013년 3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지연 외(2012). �특수교육 상 학생을 한 진로정보 연구(Ⅱ)�, 한국직업

참고문헌 193

능력개발원.

이혜숙(2007). �미래사회 응 서울시 교육체제 구축 연구�, 서울시정개발연

구원.

이혜 (2007). �교육비 장기 계획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임언(2012). 「 ·고등학생의 성 학습시간 변화」, KRIVET Issue Brief

3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미석(2013). � · 등 진로교육 활성화�, The HRD review 2013년 1월,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최은수 외(2013). �취약계층 청소년 진로・경력 리 시스템 구축을 한 제

안�, 한국경제교육 회 세미나 자료집, 9~27쪽.

통계청(각 연도).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각 연도). �사교육비 조사 결과�.

통계청(각 연도). �한국의 사회지표�.

한국교육개발원(연도별). �교육통계DB�.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7). �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2009). �2009 진로교육지표조사�.

(2012). �2012 학교진로교육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9). �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한국행정연구원(해당 연도). �행정공공데이터베이스�.

한상근(2013). �지속 진로정보 개발을 한 과제�, 2013 특수교육 상학생

을 한 진로정보세미나 자료집.

(2010). �2010년 미래의 직업세계 인 라 구축: 미래의 직업세계콘텐

츠 개발 웹 탑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 외(2007). �진로정보센터 운 (200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 외(2008). �진로정보센터 운 (2008): 총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OECD(2008). �OECD Employment Outlook�,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 Devel.

<보도자료 인터넷 사이트>

교육과학기술부(2012년 9월 17일, 2013년 1월 15일, 2013년 1월 18일, 2013년

2월 5일, 2013년 2월 18일, 2013년 2월 27일, 2013년 5월 28일). 보도자료.

교육부(해당 연도). 학생신체능력검사결과보고, 보도자료.

안 행정부(2013년 7월 3일). 보도자료.

교육기부 사이트, www.teachforkorea.go.kr

<「부록」 참고문헌 >

교육부(2013). �2012 진로체험 운 실 �.

김기헌(2013). �자유학기제와 청소년체험활동의 방향성 모색.「NYPI 기획세

미나 자유학기제와 청소년체험활동 자료집�,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

청소년정책분석평가센터(2013). �2013년 청소년정책 앙행정기 시행계획�,

서울: 여성가족부.

부 록

1. 정부의 관련 예산 및 프로그램

현황과 과제

2. 델파이 조사 결과

부 록 197

[부록 1] 정부의 관련 예산 및 프로그램 현황과 과제64)

제1절 중앙 및 지역의 진로체험 예산 현황 및 문제점

1.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의 진로체험 예산 현황 및 문제점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울산 경기

합계1,190

8.53%

1,145

8.21%

1,934

13.86%

1,277

9.15%

340

2.44%

436

3.13%

10

0.07%

527

3.78%

2,111

15.13%

특교 687 360 329 337 276 268 0 247 911

시도예산 503 785 1,604 941 64 168 10 280 1,200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805

(5.77%)

554

3.97%

815

5.84%

535

3.83%

735

5.27%

712

5.10%

555

3.98%

273

1.96%

13,952

100%

258 265 290 285 281 316 375 207 5,690

547 289 525 250 454 396 180 66 8,262

<표 1>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진로체험 예산 현황(2012)

(단위: 백만 원)

자료: 교육부(2013).

○ 2012년 교육부 전체 예산 53조 2,637억 원 중 진로체험 예산

139억 원

- 초・중등교육 예산 38조 5,548억 원 중 진로체험 예산 비중은 0.04%

- 2012년 진로교육 전체 예산 956억 원(교육부 전체 예산의 0.18%)

※ 최근 실질적 예산 투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미미한

수준

64) 김기헌(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울산

진로체험

예산비중7.88 12.80 15.59 36.13 14.26 11.15 62.30 50.60

직업체험 85.03 83.75 25.40 71.10 50.54 61.48 100.0 68.07

진로캠프 14.97 16.25 74.60 28.90 49.46 38.52 0.00 31.93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40 10.96 22.36 20.38 32.74 13.24 12.31 6.14 12.92

92.03 62.11 67.14 62.75 46.17 58.67 59.52 69.71 35.15

7.97 37.89 32.86 37.25 53.83 41.33 40.48 30.29 64.85

<표 2> 시도 교육청별 전체 진로교육 예산 중 진로체험, 직업체험, 진로캠프

예산 비중(2013)

(단위: %)

자료: 교육부(2013).

○ 전체 교육 예산 가운데 진로체험 비중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낮은 수준임.

○ 직업체험의 비중이 낮거나 예산 규모가 크지 않은 시・도교육청이

확인됨.

2. 중앙행정기관의 체험활동 예산 현황 및 문제점

○ 47개 사업 2,393억 원〔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진로체험 예산

(139억 원)의 17배〕

○ 체험활동 관련 예산 규모가 매우 큼.

- 다양한 부처청과의 연계협력에 체험 중심 진로교육의 성패가

일정 정도 달려 있음.

부 록 199

중점과제 국비 지방비 전체

청소년 역량증진 활동 활성화 198,554 84,322 282,876

청소년(청년) 진로체험 및 자립 지원 755,901 15,000 770,901

<표 3> 중앙행정기관의 체험 활동 관련 예산 현황(2013)

(단위 : 백만 원)

5,810

9,889

27,045

1,864

9,801

2,600

2,461

15,587

100

114,341

994

1,780

770

645

2,676

43,025

4,531

9,728

16,850

2,322

9,881

2,400

2,825

10,960

0

78,692

918

1,292

1,649

542

2,748

53,07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환경부

특허청

중소기업청

외교부

여성가족부

안전행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산림청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농촌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

국민권익위원회

국가보훈처

고용노동부

2012년집행액 2013년예산액

[그림 1] 중앙행정기관별 체험활동 사업 예산 규모(2013)

(단위 : 백만 원)

자료: 청소년정책분석평가센터(2013).

20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3. 지방자치단체의 체험 활동 예산 현황 및 문제점

○ 시・도별 진로체험 지원 규모에 편차가 크고 예산규모가 매우 작음.

- 진로체험에 활용되고 있는 예산 규모는 지방자치단체 체험활

동 예산중 0.7%임.

- 인프라 구축 예산을 제외한 체험활동 사업 혹은 프로그램 예산

중에서도 9.1%에 불과함.

- 지방자치단체와 시・도교육청 간의 연계・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중점과제 전체

청소년 역량증진 활동 활성화 174,338

청소년(청년) 진로체험 및 자립 지원 4,608

<표 4> 지방자치단체 체험 활동 관련 예산 현황(2013)

(단위 : 백만 원)

자료: 청소년정책분석평가센터(2013).

부 록 201

15007.65

211.1

267

592

1253

449.5

351.5

457

354.5

1136

714.35

527

332

628

814

1286.7

824

4810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전체

제주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강원

경기

세종

울산

대전

광주

인천

대구

부산

서울

[그림 2] 중앙행정기관별 체험활동 프로그램 예산 규모(2013)

(단위 : 백만 원)

자료: 청소년정책분석평가센터(2013).

구분 직업체험 진로캠프 합계

서울 330 0 330

대구 0 800 800

경기 50 30 80

충남 59 25 84

전남 0 25 25

제주 0 47 47

전체 439 928 1,367

<표 5> 지방자치단체별 직업체험 및 진로캠프 예산 현황

(단위 : 백만 원)

자료: 교육부(2013).

20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제2절 중앙 및 지역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

1.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

○ 학교진로교육 프로그램(SCEP: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의뢰하여 운영 매뉴얼 보급

- 2013년 각 시·도교육청별 시범학교 1교씩 운영

- 통합교과 수업 활용 자료 보급

○ 직업체험: 중·고등학생의 경우, 재학 중 각 1회 이상 반드시 참여

○ 진로캠프: 교육청 또는 학교 단위에서 운영하는 진로캠프에 1회씩

참여

구분 직장체험 학과체험기타

(외부기관, 기업)진로캠프

실시 횟수 10,820 5,205 1,771 2,921

참여 인원 635,508 320,755 246,170 260,085

<표 6> 직업체험, 진로캠프 실시 횟수 및 참여 인원

(단위 : 회, 명)

자료: 교육부(2013).

○ 직장체험의 경우 체험기관의 발굴이 필수

- 2012년 각 시・도교육청별 MOU 체결을 통해 체험기관 4,695 기

관 신규 발굴

-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

부 록 203

・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 서울시교육청-자치구 협력 ‘진로직업체험센터’ 구축

・ 민간 사회적 기업과의 협력체계 구축

※ 대구시교육청-SK그룹 사회적 기업(대구행복한미래 재단) 공

동 설립・운영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울산

발굴 수 691 309 211 230 150 146 16 111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970 190 167 243 244 253 318 381 65

<표 7> 시・도교육청별 직장체험 체험기관 발굴 현황(2012)

자료: 교육부(2013)

○ 교육부: 창의인성교육넷(www.crezone.net)

-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제공

○ 서울시교육청

- 직업체험: 청・진・기(청소년 진로직업체험의 기적) 사업

- 진로캠프: 진로설계 및 체험 중심 1~3일간의 캠프 운영

○ 너무나 빠른 속도로 체험 중심 진로교육이 추진되고 있음.

- 지역사회 자원 활용과 지원이 절실하나 짧은 기간동안 실현되

기 어려움.

- 체험처 발굴이 쉽지 않은 지역에 대한 선별적 투자가 필요함.

- 직업체험과 진로캠프의 비중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직업체

험에 대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함.

20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2. 중앙행정기관의 체험활동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

○ 여성가족부

- 청소년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 모델

- 청소년문화존

- 국제성취포상제

- 청소년 수련활동 인증제

○ 고용노동부

- 청년직장체험프로그램, CAP+, 성취 프로그램, 취업희망 프로그

램, 올라 프로그램, 취업캠프

- 직업심리검사와 직업진로지원서비스

- 진로교육 담당교사, 상담원 등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 문화체육관광부

- 미술관, 도서관, 박물관, 국악원 등 문화시설을 활용하여 체험

활동 프로그램 제공

부 록 205

부처 사업명2012년

집행액

2013년

예산액

여성가족부

청소년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 모델 운영 490 490

청소년진로활동 프로그램 개발・보급 - 30

청소년문화존 6,000 6,000

국제성취포상제 2,760 2,881

청소년 국제교류 631 400

고용노동부

청년직장체험 프로그램 11,084 9,096

진로 취업 지원 프로그램 35,091 26,403

한국잡월드를 통한 직업체험 강화 6,900 7,526

문화체육관광부

한옥체험 프로그램 운영 16,300 19,200

국립현대미술관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 63 71

청소년 대상 국악공연 및 연수 프로그램 운영 348 400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청소년대상교육 240 240

토요문화학교 61,700 94,400

무지개다리사업 41 2,190

우리말 사랑 동아리 활성화 - 30

<표 8>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관련 사업 및 예산

자료: 청소년정책분석평가센터(2013).

○ 그 외 16개 중앙행정기관이 47개 청소년 관련 체험활동 사업 추

진 중

- 2012년 1,984억 원, 2,393억 원의 예산 투입

-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제공과 부처 간의 연계 협력이 필요

20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3.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체험활동 사업 현황 및 문제점

○ 17개 시・도 전체 144개 사업, 150억 원의 예산 투입

○ 시・도별 공통 추진 사업

- 여성가족부의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청소년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 모델, 청소년문화존, 국제성취포상제, 국제교류 사업 등

○ 부처의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하고 있는 사업

- 청소년 박람회, 청소년 축제, 청소년 예술제 등 행사 중심 사업

* 서울시 독자 사업 소개

・ 청소년 누리터(강동구):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방과 후 갈 데

가 없는 청소년을 위하여 취미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

조성

・ 토요 마을학교(금천구): 상담소, 멘토지정, 직업진로상담, 체험

및 학습활동공간, 운동공간, 청소년클럽, 봉사활동, 청소년을

위한 전담 프로그램 개발센터 등

・ 청소년 휴카페: 청소년들이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식·

놀이 공간 제공. 비영리 법인, 비영리 단체, 주민 3명 이상을

지원 대상으로 1년에 50백만 원 최대 3년간 지원

○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체험활동 관련 사업들은 단발성 행사 중

심이며 예산규모가 크지 않음.

○ 중앙-지역 간 연계가 중요함.

○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에 대한 재정 투자가 미흡하고, 체험활동

관련 사업 역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부 록 207

제3절 소결

○ 16개 중앙행정기관이 47개 체험활동 관련 사업 추진 중

- 2012년 1,984억 원, 2013년 2,393억 원의 예산 투입

- 운영 중인 체험활동 프로그램 정보 제공과 중앙행정기관 간의

연계 협력이 필요

○ 42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재학생 7,956명 대상 전수조사 결과

- 선호하는 수업 방식

・ 체험중심수업 65.5%

・ 협동학습 11.0%

・ 강의식 수업 10.3%

・ 프로젝트학습 6.0%

・ 토론식 수업 6.0%

- 진로탐색 영역에서 가장 참여하고 싶은 활동은 현장체험활동

(65.0%)

・ 현장 중심 체험학습에 대한 절대적인 선호

・ 지역사회가 학습 공동체로서 위상을 요구

→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관부처만으로는 불가능하며, 모든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포괄하는 연계협력망 구축

이 필요함.

20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그림 3] 국가정책 차원의 추진 체계

부 록 209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1-1.

교원 배치 및

운용

전문가

・ 배치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속

적이고 심화된 연수를 실시함.

・ 기 배치된 진로진학교사의 업무 현황을 평가하고 질

관리 방안을 마련함.

・ 대학교 학부 수준에서 진로교육과 관련된 전문교육을

받은 전공 교사를 양성・임용함.

・ 모든 교사가 진로교육을 실천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일반교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진로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재교육, 양성교육에 관한 중장기

계획 수립 및 체계적인 운용이 이루어져야 함.

・ 학교별 전문상담교사와의 긴밀한 업무 협조와 역할

분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문상담인력 미배치교에

전문상담교사 배치가 요구됨.

・ 2014년 배치 완료 후 교사의 전환배치 외에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배치 자격요건을 좀 더 확대하여 상담사,

전문상담교사,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 등에게 진

로진학상담교사를 개방하는 방안 검토가 필요함.

학부모

・ 진로진학상담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를 구분할

필요가 있음.

・ 학생 수 대비 적정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해야 함.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확보가 중요함.

・초등학교에 진로진학상담교사가 필요함.

・커리어코치의 확충이 필요함.

・ 진로지도 교사 간 ‘업무인계강령’과 같은 지침의 지속

적 연계를 유도함.

・ 진로진학상담교사를 개방적으로 선발함.

・ 상담교사의 능동적인 역할을 개발함.

・ 진로진학상담교사 자격인증 시스템을 도입함.

[부록 2] 델파이 조사 결과

� 학교 진로교육 시스템 구축

21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진로진학상담교사와 담임교사와의 진로지도 연계가

필요함.

・ 진로상담 업무를 세분화하고 계획화함.

1-2.

학교 시설 및

예산 지원

전문가

・ 학교 연간 계획에 의해 체계적으로 진로교육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진로교육 예산을 연초에 단위 학교

에 배정함.

・ 국가 단위에서 예산을 편성 지원하지 않을 경우 시・

도교육청 단위에서 편성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음. 국

가단위에서 동일한 수준까지 지원을 확대함.

・ 도서 구입비처럼 학교 예산 총액의 O% 이상을 진로

활동 예산으로 배정하라는 지침이 필요함.

・ 진로활동실의 설치 시 학교별 특성과 현황, 진로상담

교사의 참여, 우수 사례 공유 등 시설 투자 시 단위

학교에 적합한 모델을 제시함.

・ 설치된 ‘진로활동실’에서 운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의 진로교육 활동 프로그램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보

급함.

・ 기존의 학교 공간을 진로교육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보다 창의적인 공간 활용 기법을 개발함.

・ 지역별로 중점 학교 등을 지정하여 공동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거나 공동으로 운영하는 프로

그램을 구상함.

・ 학생 활용 측면이나 인력 운영 측면에서 학교에 설치

되는 진로활동실 또는 지원체제(생활상담실)은 가능

한 한 서로 통합하는 형태로 예산을 지원함.

학부모

・ 사회복지실을 진로교육 관련 정보 제공 및 학부모들

의 진로 의식 고취에 활용함.

・ 형식적인 진로체험장을 개선함.

・ 진로 전담 인력수급을 확충함.

・ 진로 관련 홍보 자료를 제작하고 홍보활동을 늘림.

・태블릿 PC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하여 진로정보를 습

득할 수 있게 함.

・ 진로교육 전용 공간을 확충함.

부 록 211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진로 관련 동아리 활동을 지원함.

・ 진로교육 프로그램 체험 및 견학을 위한 예산 편성을

늘림.

・ 기초생활보호대상 학생 및 차상위 가정 학생에 대한

예산을 차등 지급함.

1-3.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지원

전문가

・ 국가수준의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을 단위

학교 사정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해서 활용할 수 있도

록 이에 대한 지원과 컨설팅이 필요함.

・ 지역의 초・중・고가 연계하거나 지역교육청별로 지역

에 맞는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개발이 필

요함.

・ 학교급별 성취기준뿐만 아니라 개인별 성취기준 달성

여부의 측정과 미달성 시 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임.

・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및 각종 진로교육 활동 매

뉴얼을 책자 형태로 학교에 배포하는 것과 더불어 지

역별 연수를 통해 교사의 활용성을 제고함.

・ 학교급, 학년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내용을 세밀히 정

의한 가이드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제공함.

・ 특성화 고등학교의 경우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이

나 진로활동 실행 참여율이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 학교 교육과정 내에 진로 교육적 요소가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하기 위하여 교과통합형 진로교육 프로그

램을 보급 활성화함.

・ 지역 및 현장 맞춤형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각 시・도

교사협의회 등과 연계하여 자료 개발 시 교사들의 참

여를 활성화함.

・ 진로교육 스마트 교과서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개발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와 연계하

여 활용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 (플랫폼, 뷰어 등

의 공동 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함.)

21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학부모

・ 진로교육과정 개발 시 학부모와 함께 논의하여 활용

가능한 지역사회 인프라를 파악함.

・ 게임이나 블로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진로교육을 보

급함.

・ 일선학교 교육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정책에 반영함.

・ 진로담당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도록 함.

・ 진로교육 관련 교과서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보급

함.

・ 학교급별 진로교육 로드맵과 단계별 우수사례를 발굴

및 공유함.

・ 진로성취기준에 따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함.

・ 진로교육 스마트 교과서와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을 활성화함.

・ 단위 학교 자율성에 의한 발달단계별 진로 프로그램

을 개발함.

・ 단계별 진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

련함.

・찾아가는 맞춤형 진로상담을 실시함.

・ 진로편성 과정에서 진로교육이 다수 교과에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함.

・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진로 프로그램을 개발함.

・ 정기적인 진로교육기간을 학사 일정 내에서 보장함.

부 록 213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2-1.

진로

정보·콘텐츠

생성·개발 및

보급

전문가

・ 진로교육 콘텐츠를 단위 기관별 개발이 아닌, 콘텐츠

개발에 전문성이 있는 기관(EBS, KERIS 등)과 연계

하여 콘텐츠의 개발-유통-활용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콘텐츠 공동 활용 체제가 구축되어야 함.

・ 진로 교육 콘텐츠 개발 시 전체 내용 구성이나 체

계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실제 내용 개

발은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협업 형태

의 개발이 필요함.

・ 개발된 콘텐츠를 교사들이 수동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 아니라 학생들의 필요와 주어진 환경에 맞추어

기존의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능동적으로 재창조하

여 활용할 수 있는 여건과 분위기를 조성함.

・ 기 개발된 콘텐츠을 학교급별 교육과정에 따른 적

합성 및 용이성, 현장 적합성 등을 모니터링하여 수

정 보완하도록 하며, 추후 개발 과정에서 교사, 학

생, 전문가들의 요구를 반영함.

・ 다양한 학교급별 진로지도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나

이들이 현장 밀착형 교재(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후

속작업으로 활용처, 활용방법, 효과성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

・ 학교 현장에 적합한 진로 콘텐츠들이 교사 참여로

창의적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사 연구 모

임을 지원하고 장려함.

・ 콘텐츠 보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딜

리버리 시스템을 정비하고 중앙과 지역 간 역할을

명확히 함.

・ 교사, 학생, 학부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애플

리케이션 개발 등 다양한 콘텐츠 보급 방안 강구가

필요함.

・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많은

진로교육 운영 우수사례를 보급함.

학부모

・ 정보와 콘텐츠 유통 경로의 단일화 창구를 마련함.

・ 진로 정보 콘텐츠를 대대적으로 홍보함.

・ 실정에 맞는 진로 정보 콘텐츠를 개발함.

� 진로 정보・콘텐츠

21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진로 콘텐츠 활용도 조사를 통해 실제 활용도를 파악함.

・ 보편적인 직무 매뉴얼을 개발하고 보급함.

・ 학교급별 미디어를 이용한 진로 콘텐츠를 개발함.

・ 학생들에게 맞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영상물을 개

발함.

・ 수요자 중심의 진로교육콘텐츠를 개발함.

・ 지역 특성에 맞는 진로교육 관련 자원을 발굴함.

・ 진로 관련 콘텐츠를 테스트나 시상제도 등을 통해

공유하는 시스템을 마련함.

・ 단위 학교 차원의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전파함.

・ 진로정보 콘텐츠의 피드백 창구가 필요함.

・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시대의 변화에 알맞은 콘텐츠

를 개발함.

・ 직업흥미검사와 연결된 진로교육 콘텐츠가 필요함.

・ 학교 홈페이지 등에 진로 창을 만들어 활용함.

2-2.

진로 검사 및

상담체계

구축

전문가

・ 진로상담과 관련하여 주로 진로검사 위주로 진행되

는 현재의 상담체계를 보다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

・ 검사 결과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높이도록 검사결

과를 지속적으로 관리, follow-up해 나가는 시스템

의 활용이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함.

・커리어넷의 온라인 상담 내실화를 위해 진로상담교

사 연수 강화 및 전문가 멘토링을 확장함.(각 직업

군별 전문 멘토 양성)

・ 상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카운슬러

양성을 위한 제도 마련이 요구됨.

・ 교육기부 사업과 연계하여 온라인 상담을 지원할

수 있는 자발적 멘토 구성 및 지원이 필요함.

・ 온라인상의 검사 및 상담뿐 아니라, 예를 들어 콜센

터 운영 등으로 상시 상담을 지원하는 인력이 보강

되어 전화나 만남을 통해서도 전문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체제 구축이 필요함.

・ 장기적으로 게시판 중심의 상담 시스템을 원격화상

시스템으로 진화시키기 위한 물적 인프라가 구축되

어야 함.

부 록 215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커리어넷 진로검사 도구를 일선의 진로진학상담교

사가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활용 연수

가 필요함.

・ 진학상담 전담 슈퍼바이저를 배치하여 진로진학상담

교사들의 실질적인 상담 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커리어넷뿐만 아니라 시・도의 진로진학지원센터의

상담 기능을 강화함.

・ 일반교사, 특히 담임교사의 학생 진로상담에 적극

적으로 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 및 연수 기

회 제공이 필요함.

・ 추후 초등학교, 대학생을 위한 검사 개발이 필요함.

학부모

・ 학부모가 자녀와 함께 진로적성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

・ 검사 결과의 누적 관리가 필요함.

・면대면 진로지도 및 적성검사를 실시함.

・ 학년별로 다른 상담 매뉴얼을 개발함.

・ 진로적성검사 결과에 대한 안내지침서가 필요함.

・ 검사 후의 상담에 대한 진로상담 전문인력이 확충

되어야 함.

・ 온라인 상담 인프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함.

・ 검사 도구에 대한 실효성을 높이고 진로상담의 수

요자를 확대시킴.

・ 담임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진로상담에 참여하여 다

각적인 개인의 특성이 진로지도에 반영되도록 함.

・ 관련기관과의 연계성을 구축하여 실용성 있는 정책

이 되도록 함.

・커리어 코치 양성 시 진로상담 교육을 통해 질적

상담이 가능한 진로 코치를 양성함.

・ 진로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진로활동 캠프나 좋은 사례자와의 만남 이벤트 등

의 오프라인 상담 콘텐츠를 개발함.

・ 현장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업무 분담 및 지역 인프

라와의 연계가 필요함.

216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3-1.

직업체험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

전문가

・커리어넷 진로검사 도구를 일선의 진로진학상담교

대기업 중심의 현장 발굴, 학교나 공공기관 중심의

체험 운영을 지양하고, 단위 학교 주변의 지역사회

에서의 다양한 체험현장 발굴이 활성화될 수 있도

록 유관기관들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함.

・ 중앙부처 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간, 지방자

치단체와 교육(지원)청 간, 교육(지원)청과 단위 학

교 간, 교육(지원)청과 관련 기관 간의 연계 협력과

최소 시・군・구 단위에서 직업체험 허브 역할을 수

행할 센터 등이 구성되어야 함.

・ 현재 운영 중인 진로교육 전문기관 협의회의 폭을

보다 확장하여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협업 인프라를 강화함.

・ 양적으로 증가된 직업 체험이 실질적이고 교육적인

직업체험인지, 단지 건수 채우기 사업인지 확인이

요구됨. 이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평가가 필요함.

・ 보다 정교화된 진로체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

고, 체험 전, 체험 시, 체험 후에 대한 모니터링과

지도를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체험 활동의 내실

화가 이루어져야 함.

・ 직업체험을 할 수 있는 기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운영이 시급한 현실임.

・ 직업 체험 활동의 기회는 많아졌지만, 여전히 자원

을 연계할 매개 역할자, 네트워커는 부족한 상황임.

따라서 각 기관의 네트워킹, 협의체 운영 등을 촉진

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에 네트워커 기관을 두

거나 네트워커를 양성하는 노력이 필요함.

・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교육지원청이 연계된 “진로직

업체험지원센터”를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필수적으

로 설치해야 함.

・ 직업 체험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체

험기관 운영 표준 매뉴얼을 개발하여 해당 기관의

체험교육을 담당하는 관계자 연수가 필요함.

・ 학교와 교사 주도의 교육기부 안내가 아닌, 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찾고 활동하는 체험활동이 되어야

� 지역사회 연계 및 체험활동 강화

부 록 217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하며, 각 교육기부 기관의 높은 윤리성(학생 안전

지도, 여학생 체험활동 시 유의사항 등)이 요구됨.

・ 지역청 단위가 아닌 동아리별 체험으로 유도하여

학생 자신의 진로에 맞는 다양한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

학부모

・ 개인별 진로교육 이력 및 직업체험 관리 프로그램

을 제공함.

・ 지방자치단체들과 협조하여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함.

・초등학생 직업체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수요조사를 통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진로체험 프로

그램을 진행함.

・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 멘토들에 대한 사후평

가를 개설함.

・ 진로체험 제공 기관에 대한 인증제를 도입함.

・ 재능기부 기관 지도 및 연락처를 공유하여 타 지역

과의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함.

・ 직업체험에 대한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의 협력이 필

요함.

・ 지역 내 교육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

받침을 마련함.

・ 직업체험의 기회가 전교생에게 주어져야 하며, 견

학 위주보다는 실습 위주의 체험이 필요함.

・ 일회성이 아닌 다양한 직업을 지속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함.

・ 정기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진로코치단을

적절히 활용함.

・ 학부모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감사포상제

도를 도입함.

・ 체험 가능한 일터 섭외 및 발굴에 대한 매뉴얼화

작업을 실시함.

・ 진로직업체험비 부담을 줄여 더 많은 학생들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함.

218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효과적인 직업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 대규모가 아닌 성향에 맞는 맞춤식 직업체험 프로

그램이 요구됨.

・ 한정된 직업에 대한 형식적 체험이 아닌 다양한 방

법의 직업체험이 이루어져야 함.

・ 학교에 상주할 직업 체험 코디네이터가 필요함.

3-2.

교육기부

여건 조성 및

지원 시스템

전문가

・ 일선학교 학생들이나 청소년들이 진로체험을 할 수

있는 장소는 기관도 있지만 인근 상가 등 다양한

직업체험이 가능하므로 일정한 규모가 있는 사업체

만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홍보를 강화하여 작은

사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필요함.

・ 교육기부 기관에 대한 사설기관 세제 혜택, 공공기

관 평가 시 가점 부여, 기부 기관 홍보 등 교육기부

사업에 참여한 기관들에 대한 더 다양하고 강력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함.

・ 지역사회와 기업의 지속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

여 기부의 개념에서 장기적으로는 인센티브 제공으

로 바꾸어 갈 필요가 있음.

・ 기 운영 중인 교육기부 인증제 운영을 보다 내실화

하되, 각각의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물적 자

원, 콘텐츠의 원활한 활용을 위해 우수교육 프로그

램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정부차원의 예산지원이

필요함.

・ 지속적인 교육기부 기관 및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서는 대안적 요소가 있어야 함. 기부자 또는 기관에

부여할 수 있는 최소한의 혜택을 마련해야 함. 예를

들면 정부 포상(개인 및 기관), 기부금 영수증, 소정

의 운영비, 소액의 경비 및 식대 등

・ 기업체가 교육기부 시 단순 장소 제공이 아닌 학생

직업체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정부차원의 보다 강력한 여건조성이 이루어져야

함. 범부처 차원의 연대, 적극적인 홍보, 능동적 실

천이 필요함.

부 록 219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학부모

・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개인 자격 참여 기회를 확대함.

・ 교육기부 신청 기관에 담당부서를 따로 두어 실효

성 있는 체험을 계획하게 함.

・ 진로체험 교육기부 기업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인

센티브가 필요함.

・ 진로교육 학부모지원단을 구성하여 직업체험기관을

발굴할 수 있도록 협조함.

・ 학교 내 전담팀 및 전담교사가 필요함.

・ 중소도시, 도서 산간 지역의 진로 체험 환경 구축이

시급함.

・ 교육기부 인증기업이 지속적으로 인재육성에 기여

할 수 있도록 인증기업 순회 매니저를 운영함.

・ 학부모 재능기부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함.

・ 단위 학교에서 진행한 직업체험 데이터를 조합한

통합 관리시스템이 필요함.

・ 우수 교육기부 기관에 대한 홍보와 인증시스템을

도입함.

3-3.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전문가

・ 학부모 대상 연수 프로그램을 확충하여 주제 및 참

여 시간대를 다양화함.

・ 학부모를 학교로 초빙해 진로교육을 실시하는 것보

다는 원격 연수 안내 등을 통해 연수를 실시함.

・ 진로교육이 절실히 요청되는 저소득층 학부모 및

맞벌이 학부모를 위한 참여 기회 확대 방안을 마련함.

・ 학부모 진로코치는 연차별로 확대하되, 학부모 진

로코치 교육대상자 선발의 신중성을 제고하고, 전

문적 교육 및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

・ 학부모 진로코치의 활용 면에서 질 높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

・ 교육 기부자 중 학부모의 참여를 확대하고 사업장을

가진 학부모들에게 큰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사업

장을 진로체험의 장으로 오픈할 수 있도록 권장함.

220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학부모 대상의 정보 보급 강화, 진로교육에서 학부

모의 역할 구체화, 학부모 참여의 효과 평가 등 외

현보다는 실질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

・ 부모들이 교사와 동등한 입장에서 학교에 의견을

제시할 있도록 해야 하며, 단위 학교별로 또는 지역

별로 학부모와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연구모임 등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

학부모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진로 아카데미 프로그램

개설을 의무화함.

・ 학부모 진로코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함.

・ 직장인 학부모들을 위한 진로교육 저녁 연수나 주

말 연수를 실시함.

・ 단위 학교마다 학부모 진로아카데미 연수 등을 평

생교육과정과 연결하여 시행함.

・ 학부모 진로모니터단을 만들어 각 학교의 진로교육

현장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도록 함.

・ 학부모 진로 교육 학점제를 도입함.

・ 드림레터 등의 진로소식지를 학교차원에서 문자나

메일 서비스 등을 통해 학부모들에게 직접 전달함.

・ 학부모 교육 참여 인증제 등으로 학부모 진로 교육

역량 제고의 저변을 확대함.

・ 진로코치 제도가 과열되지 않도록 인성검사 등을

통한 적정 인원수 유지 방안이 필요함.

・ 학년별 수준에 맞게 진로교육 연수가 이루어져야 함.

・ 학부모들의 재능기부를 활성화하고 자원봉사 활동

점수 인정 등의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마련함.

・ 학부모의 진로지도 활동 인정의 폭을 넓힘.

・ 직장인 부모들의 교육기부 여건 조성을 위한 사회

적인 합의 문화가 필요함.

부 록 221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4-1. 법제

기반 구축 ・

네트워크

활성화

전문가

・ 진로교육진흥법안 마련은 시급해 해결되어야 할 과

제이나, 현재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

므로 보다 적극적인 법안 통과 노력이 필요함.

・ 진로교육과 관련된 부처 간,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이 특정 부처나 기관 중심으로 진행되기보다는 각

기관의 방향과 역할에 대한 상호 존중을 토대로 함

께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물적 자원과 전문

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

별 예산 지원을 통해 진로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콘텐츠, 교육자료 등을 생산 공유할 필요가 있음.

・ 향후 기업의 협조를 얻어내기에 유리한 고용노동부

와 학교를 움직일 수 있는 교육부의 긴밀한 협조체

제가 필요하며, 중소기업청을 통해 중소기업을 진

로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법제화와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 대학의 교직 과목

에 ‘진로’ 관련 과목을 추가함.

・ 시・도교육청과 학교현장이 서로 소통하는 시․도별

진로센터를 활성화하여 현장의 진로 관련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현재 추진 중인 자유학기제와 연계성을 강화하고

공공부문 기업, 기관 및 단체들과 연계 실효성을 제

고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타 부처 간 협력체계를

강화함.

・ 부처 간 연계 시, 각 부처 소관 기관들의 사업단위

로 연계될 수 있도록 별도 지침을 제시할 수 있도

록 해야 기관의 자발적 추진이 가능함.

학부모

・ 부처별 통합적 네트워크를 통해 미래지향적 진로교

육을 실시함.

・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을 총괄하는

기관이 필요함.

・ 진로교육지원센터가 활성화되도록 유도함.

・ 지역단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

� 전달체계

222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진로교육진흥법안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학교,

지역사회 유관기관, 학부모, 학생 모두가 참여하는

공청회 등을 통하여 다양한 needs를 반영해야 함.

・법제화와 타 부처의 네트워크 활성화로 기업의 진

로교육 기부 문화가 확산되어야 함.

・ 진로교육 기관들이 현장의 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

는 창구를 마련함.

・ 국가 수준의 다양한 부처와 기관 체험이 좀 더 활

성화되어야 함.

・ 반복되는 검사, 무분별한 활동 등으로 인한 예산 낭

비를 막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키고 체계

적인 교육이 진행되도록 함.

・ 해당부처, 기간관의 정보공개가 중요함.

・ 개인별, 지역 기관별 멘토와 멘티를 연결해주는 거

점을 마련함.

・ 방송매체 등을 통한 정책의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

가 필요함.

4-2.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기능 강화

전문가

・ 정부가 시・도교육청 평가에 있어 진로교육 관련 항

목들을 추가하고, 평가 항목들이 어떤 내용으로 구

성될 것인지 보다 세밀한 검토가 필요함.

・ 현재의 진로교육 평가 내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

토를 요망함. 진로교육 평가가 오히려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방해하고 있음. 각종 지표를 충족시키려

다 보니 정작 가장 중요한 진로 및 진학상담활동이

부실해지고 있음.

・ 기존 진로교육 관련 사업에 대한 평가와 환류를 통

하여 의미 있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정제하고, 필

요한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여 효율적 재정 집행이

되도록 함.

・ 예산이 중앙정부의 정책 실행과 평가에 치중되어

사용되지 않고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진로교육 정

책 실현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

며 평가 시 이를 반영함.

・ 예산과 관련해서는 연초에 충분히 배정되어 시·도교육

청이 1년 동안 합리적인 예산 지출을 할 수 있도록 함.

부 록 223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시・도교육청 평가 시 지표별 상승(증가)분을 별도로

평가하여 가점을 주는 방안이 필요함.

・ 시・도교육청별 예산이 더 낮아진 시·도를 따로 모

아 협의회를 갖고 그 이유와 대책 등을 추궁할 필

요가 있음.

・ 진로진학상담교사를 포함한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담당자들의 교육 및 보수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

어질 필요가 있음.

・ 교육청 소속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장학 업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은 소속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상담 슈퍼비전을 제공함.

학부모

・ 지방자치단체, 청소년센터와 시·도교육청에서 실시

하는 프로그램의 일원화가 필요함.

・ 진로교육에 필요한 도구 구입에 진로교육 예산을

책정함.

・ 학부모 인적자원을 각 교육청별, 권역별로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활용함.

・ 오래된 자료와 발행이 중지된 정기 간행물의 정리

가 필요함.

・ 지역사회 연계 기반 중 하나로서 지역협의체를 구

성함.

・ 진로교육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단위 학교의 진로

교육 계획안을 심사하여 예산을 차등 지급함.

・ 실적위주의 일회성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실질적인

진로교육에 투자함.

・ 참여제도를 이용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기관 등

이 진로교육 예산 투자 유도를 함께 진행함.

・ 교육기부 봉사시간 확인서를 학교 단위에서 일괄

처리함.

・ 단위 학교의 학교장 평가에 진로교육 평가를 추가함.

・ 진로교육 예산을 각 학교별로 일정액 분할 지원하

는 방식보다는 프로젝트 형식으로 공모하여 예산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유도함.

224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시・도교육청은 보고 위주의 업무에 치중하기 보다

는 다양하고 적절한 진로교육에 대한 계획과 실천

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 진로교육 예산 활용에 대한 철저한 계획과 감사가

필요함.

・ ‘진로교육의 달’과 같은 진로에 대한 집중적인 안내

가 필요함.

4-3.

단위 학교

진로교육

역량 강화

전문가

・ 단위 학교에서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확

대는 매우 바람직한 방향임. 그러나 자발성에 기인

하지 않는 연수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는 점에서 참여 대상과 참여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 교사 진로연수가 상당히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

향이 있음. 이론 중심을 지양하고, 실습중심, 사례

중심, 프로젝트 개발 중심 등과 같이 보다 실제적인

내용을 다루는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될 필요

가 있음.

・ 관리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진로교육 연수를 강

화하여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진로교사

를 적극 지원할 수 있는 풍토 조성이 필요함.

・ 일반교사의 경우 진로교육 등 새로운 정책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낮은 경우가 많음. 진로교육의 중요

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학교 내 연수, 1급 정교사

연수 등 연수과정에 새로운 진로교육 정책들의 교

육에 대한 소개가 필요함.

・ 단순히 연수를 통한 교육뿐만 아니라 지도 교재 혹

은 지도 매뉴얼의 개발·보급과 일정한 역할을 담

당하도록 하는 장학이 필요함.

・ 교사 연수만으로는 부족하고 평가 및 승진 시에 적

극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됨.

・ 일반 교사들이 진로교육을 ‘나의 일’로 생각하고 능

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교과통합형 진로교육

의 보급과 활성화를 위해 노력함.

・ 단위 학교별로 전담부서 설치가 필요함. 이를 위해

서는 반드시 진로교사를 별도 부장으로 임명하고,

진로교사를 별도 정원으로 발령을 내야함.

부 록 225

조사 항목조사

대상조사 결과 내용

・ 교과 단위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일반교사,

학급 단위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서 담임교

사의 일상적 진로지도와 상담 능력을 제고하는 방

안이 연구되고 제시되어야 함.

학부모

・초등학생의 학교-학부모 연합 연수가 필요함.

・ 일선 학교 교사들의 불필요한 행정업무를 없애고

교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도록 함.

・ 기존교사의 전환배치용이 아닌 능력과 의욕을 가진

진로 관련 담당자를 공급함.

・ 전 교과에서 진로에 대한 의식이 고취되어야 함.

・ 교사의 진로 커뮤니티나 협의회를 통한 진로교육

개발 스터디 참여를 촉구함.

・ 학교운영위원회 산하 전담 소위원회를 두어 진로교

육에 대한 사안을 집중 심의함.

・ 자체적인 진로특강 및 진로박람회를 열어 학부모와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함.

・ 진로교육이 교육현장과 교실에서 자연스럽게 이루

어지려면 교사들의 인식변화가 중요함.

・ 학교의 진로교육 모니터링을 통한 피드백체제를 갖춤.

・ 교장, 교감, 일반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함.

・ 진로교사를 주축으로 한 진로 전담팀을 구성하여

진로교사의 과중한 업무를 줄이고 체계적인 진로탐

색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

・ 진학교육에 치중되어 있는 일반계 고교의 진로교육

을 개선해야 함.

・ 상담교사와 단위 학교의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만

족도를 조사함.

・ 진로가 하위 부서가 아닌 상위 부서가 되어 다양한

진로 연수를 통해 학교 간 연합을 할 수 있도록 정

책을 마련함.

・ 교육과정 안에서 진로와 연계된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사의 역량을 강화함.

□ 저자 약력

∙ 김승보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 진미석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한상근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이지연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이윤진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초・중등 진로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발행연월일 2013년 12월 29일 인쇄

2013년 12월 31일 발행

·발 행 인 박 영 범

·발 행 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5-949,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147길 46

홈페이지: http://www.krivet.re.kr

전 화: (02)3485-5000, 5100

팩 스: (02)3485-5200

·등 록 일 자 1998년 6월 11일

·등 록 번 호 제16-1681호

· I S B N 978-89-6355-677-2 93370

·인 쇄 처 (주)한국장애인문화인쇄협회 (02)2683-095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값 7,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