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번째논문.pdf · 2013. 7....

30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67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farmers’ shipping pattern of Chinese cabbages from Dangjin Province. It focuses on logistics efficiency and system improvement in forwarding cabbages from Dangjin Province to Garak Wholesale Market. For this study, agro-logistics department of Seoul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Corporation researched shipping channel from Dangjin province to Garak Wholesale Market. This study provides problems and improvement in logistics system and augmentation of supply capacity through analysis of the production cost, logistics cost and system for radish and Chinese cabbages. First of all, too expensive distribution cost results in an abnormal situation that the ratio of the farm’s side(production cost) among the price is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A Proposal to Advance and Analyze the Real State of Logistics and Distribution in Radish and Chinese Cabbages 한관순**이래협*** 3) Han, Gwan-SoonLee, Rae-Hyup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배추 생산 및 유통물류비 현황과 실태분석 Ⅳ. 배추 유통물류비 분석과 과제 Ⅴ. 배추 공급기반 강화와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Ⅵ. 요약 및 결어 참고문헌 * 이 논문은 2013년도 가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임. ** 교신저자, 가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상임이사(유통본부장)

Upload: others

Post on 05-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67

    ABSTRACTThis study is to analyze farmers’ shipping pattern of Chinese cabbages from Dangjin Province. It focuses on logistics efficiency and system improvement in forwarding cabbages from Dangjin Province to Garak Wholesale Market. For this study, agro-logistics department of Seoul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Corporation researched shipping channel from Dangjin province to Garak Wholesale Market. This study provides problems and improvement in logistics system and augmentation of supply capacity through analysis of the production cost, logistics cost and system for radish and Chinese cabbages. First of all, too expensive distribution cost results in an abnormal situation that the ratio of the farm’s side(production cost) among the price is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A Proposal to Advance and Analyze the Real State of Logistics and

    Distribution in Radish and Chinese Cabbages

    한관순**⋅이래협***3)Han, Gwan-Soon⋅Lee, Rae-Hyup

    ABSTRACTⅠ. 서론Ⅱ. 선행연구Ⅲ. 배추 생산 및 유통⋅물류비 현황과 실태분석

    Ⅳ. 배추 유통⋅물류비 분석과 과제Ⅴ. 배추 공급기반 강화와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Ⅵ. 요약 및 결어참고문헌

    목 차

    *이 논문은 2013년도 가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임. **교신저자, 가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상임이사(유통본부장)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68

    forced to be much less than the ratio of distribution cost. These include ① insufficient mechanical loading within wholesale markets, ② high empty vehicle transferring rate, ③ low processing at the farm, ④ low stockpile rate and insufficient cold transportation, ⑤ delayed logistics within wholesale market, and low joint logistics rates.Given these, in case of the wholesale market distribution, it is advisable that ① to introduce the posting price system of Chinese cabbages ② to expand agro-SCM for fostering of food processing business and enhance of transport efficiency through high processing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s(simplification of Agricultural logistics standard, planning in product and shipping of agricultural products) ③ to reduce logistics cost by revitalization of the shuttle and linkup transportation and the shipping scale-up projects using heavy traffic of 25ton ④ to reduce logistics cost by joint purchasing in procuring for farm materials ⑤ to introduce consistent mechanical loading developed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⑥ to build complex logistics facilities offering many items of logistics equipments including cold preservation, pre-cooling, refrigeration vehicle ⑦ to build efficient parcel collection and delivery systems at Chinese cabbages-producing district

    Key Words production cost, logistics cost, parcel collection and delivery systems, logistics systems efficiency

    Ⅰ. 서 론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이 잦아지면서 농산물의 수급불안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기록적인 폭염과 혹한, 강수가 반복되면서 기상여건에 따라 생산량이 민감하게 변화할 수밖에 없는 농산물의 특성상 공급의 불안정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배추⋅무는 김치의 주재료로서 우리 식탁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크다. 이러한 배추⋅무는

    일부 작기를 제외하고 노지재배가 대부분이어서 기상이변에 따른 수급불안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 한편 물류 측면에서 살펴보면 배추⋅무는 많은 비효율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즉, 전근대적인 차량단위의 거래와 파렛타이징(palletizing)이 어려운 포장, 소비지 도매시장 내에서의 수작업에 의존한 하역 및 재선별 작업, 저온유통시설의 부족 등은 효율적 물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우리의 식생활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69

    하고 있는 배추⋅무의 생산⋅공급기반 안정화와 물류체계의 효율화 방안 모색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68.7%에 이르는 높은 유통비용을 보이고 있는 배추의

    생산원가, 유통⋅물류비, 소비자 지불가격 등 유통실태를 분석하여 물류체계 효율화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주목해야 할 것은 높은 유통비용이 농업인과 정부 및 유통관계자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전과 비교해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에서 보는 것처럼 기상이변에 따른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였던 2010년도를 제외하면 배추의 유통비용 대비 소비자구입액이 2007년 69.0%에서 2011년 73.0% 수준으로 높아졌다. 다음으로 배추의 물류비 대비 소비자구입액은 2007년 17.3%에서 2011년 17.6%로 상승하

    였고, 나아가 물류비 대비 유통비용도 2007년 25.1%에서 2011년 24.2% 수준을 나타낸 바 유통 및 물류시스템의 개선이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배추의 물류체계 효율화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목적이다.이를 위해서 우선, 배추의 출하단계에서 물류효율화 방안을 고찰한다. 2009년 기준 배추

    ⋅무의 유통비용 대비 물류비 비율이 에서 보는 것처럼 배추 26.4%, 무 39.8%로 전체 농산물 물류비 14.7%의 약 2倍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출하단계에서 배추 62.4%, 무 67.2%로 상대적으로 높은 물류비 비중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을 토대로 제조기업이나 일반 농산물 물류비보다 높은

    배추⋅무의 물류비 절감을 위해 산지부터 소비거점인 도매시장에 이르는 과정을 중심으로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배추⋅무 등 수급조절이 쉽지 않은 농산물에 대한 농협의 계약재배 확대방

    안과 수급안정화 사업추진에 따른 생산기반 안정화 방안과 작황부진이 예상될 경우 대체파종 및 대체작물의 개발과 그 지원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충남 당진부터 가락동 도매시장까지 배추의 출하경로를 따라

    직접 현장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관계기관[농림수산식품부⋅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라 칭함)] 및 유통종사자(산지출하농민을 비롯한 산지유통인, 도매법인⋅중도매인⋅소매상인 등)에게 배추 출하물류의 문제점과 그 효율화 방안에 대해 질의한 결과를 분석⋅집약하였다. 이외에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을 기초로 통계청의 통계자료와 유관기관의 문헌조사 자료

    를 활용하여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70

    Ⅱ. 선행연구

    엽근채류 중 배추⋅무의 출하경로에 따른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는 매우 한정되어 있다. 서대석은 “엽근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2012)”과 “배추 수급 불안정 원인과 과제(2011)”라는 연구를 통해 전자에서는 배추의 생산, 수출입, 소비, 가격, 유통구조 변화 등 동향분석을 기초로 작형별 생산량 추정 및 중장기 수급전망을 시도하였다. 또한 수급안정을 위한 과제로 기상변수를 고려한 단수예측모형 개발과 기상재해에 대한 지원기준의 마련 및 고랭지배추의 수확인력 공급문제의 해결을 제시하였다. 후자에서는 국내의 배추 생산기반 위축과 공급 불안정의 가장 큰 요인으로 김치수입을 들고 있으며, 이 외에도 연작과 이에 따른 병충해 심화로 인한 피해 및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파종⋅수확기의 인력난과 같은 구조적 원인을 지적하였다.최병옥(2012)은 “채소류 가격 불안정 요인과 안정화 방안”이라는 연구를 통하여 채소류

    가격의 변동이 내생변수(생산, 가공 및 저장, 시장제도 등) 및 인간이 통제 불가능한 변수(지구온난화에 따른 급격한 기상변화로 홍수, 가뭄, 고온⋅추위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4차원(단기, 중장기적 그리고 생산단계⋅저장 및 가공단계, 시장 및 정부차원)의 노지채소류 가격 안정화 방안을 제시한 점은 큰 성과로 볼 수 있다.김동환(2011)은 “농산물 산지유통인의 제도권 편입 방안”의 연구를 통하여 배추⋅무와 같

    은 엽근채류 유통을 대부분 담당하고 있는 산지유통인을 법인화하고 포전거래 제도화 등 투명성을 높임으로써 산지유통인의 불공정거래로부터 생산자를 보호하고 농산물 수급안정화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된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선행연구는 주로 채소류 유통에 대한 현실 진단과 정책 방향 제시에

    초점을 두어 수행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농산물 유통실태와 현황 분석을 토대로 미⋅영⋅和⋅일 등의 물류선진국에 비해 낙후되어 있는 국내 엽근채류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래협(2009)은 가락시장이 2008년 당시 일평균 거래물량은 7,870톤, 일평균 거래금액이

    120억원에 달하지만 출하 농산물 전체의 파렛트 출하율이 2.7%에 머물러 극히 저조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이의 타개를 위해 최소한 파렛트 단위 출하의 확대는 물론, 배추의 포장규격화, 포장과 적재 및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PVC)상자의 이용이 저조한 문제점으로 회수관리체계의 미구축⋅리사이클 인식이 미흡한 점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포장비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71

    절감을 위해 1회용 골판지상자에서 반영구 포장박스 보급⋅활용 등 배추 포장출하와 물류효율화 방안을 제시한 점을 성과로 들 수 있다. 전창곤 외(2009)는 “농산물 물류체계 진단과 효율화 방안”의 연구에서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과정 중 도매시장을 경유한 물류와 산지⋅소비지간 직거래 물류의 물류체계 효율성 비교분석을 통해 물류체계의 진단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추, 토마토 품목을 사례로 연구하여 물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장의 유통주체에게 참고가 되도록 한 바 있다. 한관순(2010)은 “신선 농산물 물류체계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이라는 연구를 통하여 기

    존의 전통적 차원의 물류 내지 일부 기능적 차원의 물류 효율화에서 탈피하여 시스템적⋅통합적, 나아가 생산부터 유통⋅판매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인 공급망관리를 이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글로벌 경쟁이 일반화된 오늘날 농산물 품질과 가격 및 기술수준(R&D)이 평준화되어 더 이상의 차별화가 곤란한 현실에서 물류경쟁력이 농업경영체의 생존을 좌우하는 시대에 농산물 물류를 농정의 핵심과제로 인식하고 경영환경 변화에 맞추어 농산물 SCM을 도입해 생산⋅유통프로세스 혁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업경영체 차원만의 물류효율화는 한계가 있으므로 심화되는 경쟁시대에 공급망 구성원들의 전략적 협업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내농업의 체질 강화 및 물류경쟁력 제고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바 있다. 한관순 외(2012)는 “제주산 농산물 물류 효율화와 시스템 개선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제

    주 세척무와 양배추의 출하는 제주에서 목포까지 해상운송이 이루어진 후에 가락동 도매시장으로 출하되므로 인해 육지의 생산자보다도 해상운임이 추가되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더불어 물류비 절감 및 농가소득 측면에서 어려움의 완화나 축소를 위한 새로운 물류경로의 개발과 용기의 전환(가락시장 시설현대화에 따른 경매⋅하역의 공간부족 해소 전제)에 따른 물류효율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세척무는 기존 컨테이너(20㎏기준 PE마대 단순적재)에서 파렛트 출하단위로 전환할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물류경로(목포항→부산 감천항) 탐색과 물류경로 전후의 물류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주의 산지출하물류부터 소비지인 가락시장 도매물류까지의 효율화 방안을 일방이 아닌 쌍방적 차원에서 접근한 것은 보다 바람직한 접근이며 성과로 볼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생산원가와 물류비 분석에 기초한 배추 포기당 소매

    가격 추정치가 약 3,000원으로 산정되었으며( 참조), 이 선은 유지돼야 최소한 생산기반유지와 수급불안정성을 완화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배추(2013), 무(2014) 등 농산물 수급불안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배추 공급기반의 강화, 배추⋅무의 대체파종과 대체작물⋅신품종의 개발, 수급안정⋅비축⋅관측⋅계약재배확대 및 유통가공사업의 추진, 나아가 26.4%에 이르는 배추 물류비(산지출하단계 비중:62.4%) 절감을 위한 종합적인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72

    Ⅲ. 배추 생산 및 유통⋅물류비 현황과 실태분석

    1. 배추⋅무 생산⋅출하현황과 수급불안정 요인가. 배추⋅무 생산 현황2006년 이후 배추 생산량은 평균 242만여톤, 무는 127만여톤으로 노지배추와 시설배추의

    비율은 각각 93.1%, 6.9%이며, 노지무, 시설무의 비율은 각각 89.4%, 10.6%이며, 2000년대 들어 생활환경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2006년 이후 전반적으로 재배면적이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11년은 2010년의 기상이변으로 인한 채소값 폭등으로 배추⋅무 재배면적의 확대로 생산량이 급증했음(배추는 2010년 178만톤→ 2011년 268만톤, 무는 2010년 104만톤→ 124만톤)을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연 도 배 추 무계 노 지 시 설 계 노 지 시 설

    2006 2,749,399(100.0)2,565,680

    (93.3)183,719

    (6.7)1,494,839

    (100.0)1,271,617

    (85.1)223,222(14.9)

    2007 2,217,149(100.0)2,079,548

    (93.8)137,601

    (6.2)1,194,327

    (100.0)1,017,436

    (85.2)176,891(14.8)

    2008 2,584,909(100.0)2,433,790

    (94.2)151,118

    (5.8)1,402,187

    (100.0)1,251,862

    (89.3)150,325(10.7)

    2009 2,528,968(100.0)2,390,126

    (94.5)138,840

    (5.5)1,256,424

    (100.0)1,106,332

    (88.1)150,092(11.9)

    2010 1,783,011(100.0)1,615,307

    (90.6)167,703

    (9.4)1,039,345

    (100.0)995,981(95.8)

    43,364(4.2)

    2011 2,680,847(100.0)2,462,254

    (91.6)218,593

    (8.4)1,236,797

    (100.0)1,172,320

    (94.8)64,477(5.2)

    평 균 2,424,047(100.0)2,257,785

    (93.1)166,262

    (6.9)1,270,653(100.00

    1,135,925(89.4)

    134,728(10.6)

    자료: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2012.

    배추⋅무의 생산 현황 (단위:톤, %)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73

    나. 가락시장 배추⋅무 거래현황에서 보듯이 우리나라 배추⋅무의 전체 생산량 중 연도별 가락시장 반입비율을

    살펴보면 배추는 8.0∼11.5%, 무는 11.7∼17.6%로 다소 기복을 보이나 평균 반입비율은 배추가 전체 생산량의 8.7%, 무는 13.6%로 나타났다. 배추는 산지에서 김치공장으로 직접 유통되는 물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가락시장의 반입비중이 무에 비해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에는 여름철 고온 및 9월초 태풍과 강우 등의 영향으로 정식이 원활치 않아 공급부족이 발생하여 배추⋅무값이 폭등하였지만 가락시장의 반입물량이 2009년보다 오히려 더 늘어났다. 공급물량의 부족 시에는 6개년 평균 배추반입비율 8.7%보다 2.8%나 높은 11.5%이고, 무는 13.6%보다 4.0% 높은 17.6%로 오히려 가락시장으로의 물량 집중현상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연 도배 추 무

    연간 총생산량 가락시장반 입 량가락시장반입비율 연간 총생산량

    가락시장반 입 량

    가락시장반입비율

    2006 2,749,399 225,550 8.20 1,494,839 175,108 11.712007 2,217,149 210,031 9.47 1,194,327 173,174 14.502008 2,584,909 211,034 8.16 1,402,187 170,753 12.182009 2,528,968 201,049 7.95 1,256,424 178,191 14.182010 1,783,011 204,727 11.48 1,039,345 182,661 17.572011 2,680,847 211,276 7.88 1,236,797 157,706 12.75

    6년 평균 2,424,047 210,611 8.69 1,270,653 172,932 13.61자료: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2012.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2007∼2012년도 통계자료집.

    연도별 배추⋅무 가락시장 거래현황(단위:톤, %)

    다. 배추 유통의 특성과 수급불안정 요인 및 극복방안 배추의 생육기간은 약 75∼90일 정도로 짧고, 온⋅습도 등 기상여건에 따라 작황이 크게

    달라지며, 주산단지가 작기별로 이동되기 때문에 생산량에 큰 변화가 발생하면 그에 대한 대응방안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를테면 원활한 수급을 위해 공급과잉 때 이를 2∼3개월 이상 출하를 연장할 수 있는 품종 및 저장기법의 개발로 비축량을 조절하면 생산량 과부족에 따른 가격의 폭등⋅폭락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배추는 기초 생필품으로서 수요⋅공급에 있어서 가격 비탄력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또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74

    한 공급이 부족할 경우, 얼갈이 배추나 무와 같은 품목으로 부분적인 수요 대체가 발생하지만 완전한 대체재가 없는 실정이다. 이런 배추의 특성 때문에 약간의 공급 부족에도 가격이 폭등하고, 공급량이 약간의 과잉기조를 보여도 가격이 폭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추는 저가 농산물 중의 하나이며, 유통의 문제점을 많이 지니고 있는 품목으로 산지작업비가 5톤 차량당 45∼50만원, 운송비도 거리에 따라 40∼60만원까지 소요되는 등 출하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물류효율화가 절실하다. 산지수확 상차작업은 동시에 6∼12명1) 정도의 인력이 필요한데, 농업인은 대부분 영세한 규모로 수확인력을 구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배추⋅무 가격의 불안정으로 농업인이 수확해 출하하기보다 정식이 이뤄진 후 산지유통인에게 대부분 포전거래로 매도되는 특징을 보인다.

    2003년 이후 값싼 중국산 김치 수입이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국내의 배추 생산기반 위축과 공급 불안정을 야기하였고, 주산지 밭의 연작으로 인한 병충해의 빈발, 농촌인구의 고령화와 영농후계자 부족으로 인한 인력난으로 배추생산이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수급불안정에 대한 대응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2. 신선 농산물 저온유통의 특성과 유통비용 분석배추⋅무와 같은 신선농산물은 가공식품이나 공산품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선도(freshness)에 의해 상품성이 크게 좌우된다. 둘째, 생필품으로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아 수요의 급격한 증감 가능성이 낮다. 셋째, 배추⋅무와 같은 엽근채류의 대부분은 부정형으로 표준규격화가 쉽지 않고, 공산

    품에 비해 상품의 효율적인 수송에 불가결한 수송포장이 쉽지 않으며, 밀도(density)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고 저장성이 떨어지며(운송차량⋅창고의 가용공간에 단위 면적당 상품을 채울 수 있는 정도) 공산품에 비해 그 취급이 어려워 물류비가 많이 소요된다. 넷째, 공산품에 비해 품질관리가 매우 까다로워 생산단계에서 품질을 엄밀히 관리하는

    것이 곤란하다(한관순, 2010). 다섯째, 농산물은 다단계를 거쳐 유통되고 기후⋅계절적 요인에 따라 가격변동이 매우

    큼은 물론, 예냉, 냉장보관⋅수배송 등 저온유통체계의 미구축으로 손실(loss)율이 높고 출하

    1) 1일 작업량은 6명의 경우 5톤 기준 1대, 12명의 경우 2∼3대의 배추⋅무 수확상차작업이 가능하다. 작업인력은 반장과 2∼3명을 제외한 대부분이 외국인이다.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75

    조정(buffer stock)의 어려움이 상존한다. 마지막으로 대형유통업체의 시장지배력이 점차 커짐에 따른 개별농가와 산지유통조직의

    거래교섭력 약화, 농산물 유통의 핵심적 기능을 수행해온 도매시장 기능의 상대적 약화, 농산물 표준코드체계 도입(EDI)의 미비 등 유통정보화사업의 지연으로 배추⋅무의 유통비용은 공산품에 비해 높은 68.7%에 이르고 있다. 더욱이 에서 보는 것처럼 기상이변에 따른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였던 2010

    년도를 제외하면 배추의 유통비용 대비 소비자구입액이 2007년 69.0%에서 2011년 73.0% 수준으로 오히려 높아졌으며, 다음으로 배추의 물류비 대비 소비자구입액은 2007년 17.3%에서 2011년 17.6%로 상승하고, 나아가 물류비 대비 유통비용도 2007년 25.1%에서 2011년 24.2% 수준을 나타낸 바 이상의 사실을 종합하면, 유통 및 물류시스템의 개선이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2)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추⋅무의 유통은 공산품과 상이한 특성 갖고 있어 차별화

    된 물류관리가 필요하다. 배추⋅무와 같은 엽근채류는 호흡작용을 하는 유기생명체로서 수확후 예냉을 비롯한 저온유통을 필요로 하므로 공산품에 비해 물류관리가 까다롭고 복잡하므로 저온유통시스템의 구축부터 운영효율화에 이르기까지 물류시설⋅기기(예냉설비⋅저온저장고⋅선별기⋅포장기⋅저온차량 등)의 구비와 농산물 물류전문인력의 육성을 위해 많은 투자가 요구된다.

    구 분 배 추유통비용 대비 소비자구입액 물류비 대비 소비자구입액 물류비 대비 유통비용2007년 69.0 17.3 25.12008년 73.5 17.9 24.42009년 74.5 19.7 26.42010년 68.6 15.1 22.02011년 73.0 17.6 24.2

    자료: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농산물 물류비 산정결과,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참조 작성.

    배추의 연도별 유통비용 비율 및 물류비 비율의 추이 (단위:%)

    2) 농산물 물류비 산정이 2007년(09년 발표)부터 산정되기 시작하여 배추의 연도별 유통비용 및 물류비의 추이를 최소 10년 이상의 장기간을 고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76

    3. 농식품 물류비 실태분석 가. 제조기업과 음식료품 및 농산물의 물류비 비교분석특성의 차이는 있지만 농산물과 제조기업의 물류비를 비교해 보면, 농산물의 물류비 수

    준을 파악할 수 있다. 와 에서 보듯이 2009년 매출액 대비 제조기업의 물류비는 8.37%, 매출액 대비 음식료품 물류비는 10.35%인데 비해 소비자구입액3) 대비 농산물 물류비는 14.7%로 제조기업에 비해 농산물 물류비가 1.76배나 높고, 제조기업에 비해 음식료품 물류비가 1.24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 분 1999 2001 2003 2005 2007 2009제조기업 12.5 11.1 9.9 9.7 9.1 8.37음식료품 10.8 10.2 12.7 10.35

    자료:1) 1999∼2003년은 대한상공회의소의 연도별 기업의 물류비 관리 실태조사. 2) 2005년은 한국무역협회 국제물류지원단의 기업물류비 실태조사 및 기업물류비 산정지침 보고서, 2007. 3) 한국무역협회 국제물류지원단, 2009년도 기업물류비 실태조사 보고서, 2010.

    매출액 대비 기업물류비 비율 추이 (단위:%)

    구  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농산물 14.0 14.7 13.3 13.8 14.6 13.8 15.5 15.8 14.9 14.7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 2002∼2009년 각 연도별 농산물 물류비 산정결과, 2002∼2009 참조 작성.

    농산물 소비자 구입액 대비 농산물 물류비 비율의 추이

    농산물 물류비가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한 원인은 우선, 농산물 자체의 물리⋅생리적 특성 때문에 부패⋅손상되기 쉬워(perishable goods) 손실율이 20∼30%수준이며, 단위가치(value per unit or weight)에 비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수송비가 많이 들고 보관⋅적재면적이 많이 소요되며, 품질이나 크기의 불균일성으로 표준⋅규격화가 공산품에 비해 난해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산지유통센터(APC:Agriculture Processing Center) 등 산지물류인프라4)의 미비, 저

    3) 국가물류비의 국가GDP 대비 비율과 비교가 가능한 것은 농산물 물류비의 농업GDP 대비 비율이 아니라 농산물 소비자구입액 대비 비율이다(한관순, 2010).

    4) 원물출하⋅수확기 집중출하 중심에서 가공⋅외식⋅중식업체 등 출하처의 확대와 저장⋅분산출하, 안전성 검사, 등급⋅규격화의 철저로 고객니즈에 부응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갖춘 APC의 집출하자장(集出荷場) 기능강화가 요구된다.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77

    온수송⋅보관, 포장 등의 신선물류활동이 각기 개별⋅산발적으로 이루어져 물류비가 높게 발생한다(한관순, 2010).

    생산자 출하금액(A) 유통비(B)(29조 8,752억원, 44.1%) 소비자 구입액(C=A+B)물류비(B1) 기타유통비용(B2)

    37조 8,690억원 9조 9,383억원(14.7%)19조 9,369억원

    (29.4%)67조 7,442억원

    (100.0%)

    주:2009 생산자 출하량은 25,123,469톤임.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 2009 농산물 물류비 산정결과, 2011, pp.1∼3.

    2009년 농산물 물류비 산정 결과(단, 임산물⋅수입농산물 제외)

    2009년 소비자 구입액 대비 농산물 유통비의 비율은 에서 보듯이 44.1%로 구미선진국 20∼30%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에서 보듯이 44.1%에 이르는 유통비용5)은 직접비 14.4%, 간접비 16.6%, 유통업체의 이윤 13.1%로 구성된다. 이는 소비자가 농산물 구입시 지불하는 돈의 44.1%가 유통비용라는 의미다. 직접비6) 14.4%는 물류비를 의미하며, 포장⋅가공비, 운송비, 하역비, 보관비, 감모⋅청소비, 물류관리비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간접비 16.6%는 인건비, 임대료, 제세공과금, 감가상각비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 분 소비자 지불가격(100.0)평 균 농가수취 55.9 유통비용 44.1

    구성별 직⋅간접비 31.0 이 윤 13.1직접비 14.4 간접비 16.6

    단계별 출하단계12.2도매단계

    9.3소매단계

    22.6

    자료:aT, 2009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2010.

    2009년 유통비용(44.1%=직접비 14.4+간접비 16.6+이윤 13.1%) 구조

    5) 농산물 물류비와 상거래비용을 합한 비용으로, 소비자구입가격에서 생산자 출하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6) 직접비는 고정비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이 하락할 경우 유통비용 중 직접비가 차지하는 비

    중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78

    나. 농산물 품목별 물류비 분석 에서 보듯이 aT의 2009년 농산물 물류비 산정 대상 69개 품목의 총물류비 9조

    9,383억원 가운데 주요 13개 품목의 농산물 물류비가 6조 9,937억으로 70.4%를 차지한다. 13개 품목의 총물류비 가운데 미곡이 가장 높은 12.5%, 다음으로 우유 9.4%, 그 다음으로 화훼류 8.6% ……배추 4.2%, 무 2.3% 순의 구성비를 나타냈다. 배추⋅무의 물류비와 기능별 세부물류비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배추의 2009년 총물류비

    는 4,173억원이며, 이 중 운송비가 1,957억원으로 46.9%, 다음으로 포장⋅가공비가 1,024억원으로 24.5%, 감모⋅청소비가 686억원으로 16.4%를 차지한다. 이들 3개 항목이 3,667억원으로 87.9%를 차지하여 이 3항목의 물류관리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무의 물류비는 2,298억원이며, 중량이 무겁고 형태가 부정형인 탓에 운송비 비중이 높은 45.7%(1,050억원)나 되며, 포장⋅가공비가 32.6%(748억원)로 2개 항목이 78.2%(1,798억원)를 차지하여, 가능한 이들 2항목에 중점을 두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품 목포장가공비 운송비 보관비 하역비 감모⋅청소비 물류관리비 합 계비 용 % 비 용 % 비 용 % 비 용 % 비 용 % 비 용 % 비 용 %

    미 곡 7,771 7.8 2,580 2.6 246 0.2 595 0.6 210 0.2 1,051 1.1 12,453 12.5화 훼 류 2,442 2.5 3,791 3.8 169 0.2 478 0.5 1,544 1.5 127 0.1 8,551 8.6돼지고기 3,154 3.1 1,174 1.2 2,737 2.8 19 0.1 821 0.8 7,905 8.0우 유 3,644 3.6 4,555 4.5 869 0.9 35 0.1 261 0.3 9,364 9.4닭 고 기 2,634 2.7 1,105 1.1 1,011 1.0 173 0.2 303 0.3 5,226 5.3쇠 고 기 1,466 1.5 841 0.9 2,047 2.0 69 0.1 614 0.6 5,037 5.1배 추 1,024 1.0 1,957 2.0 54 0.1 371 0.4 686 0.6 81 0.1 4,173 4.2양 파 1,829 1.8 1,121 1.1 891 0.9 453 0.5 584 0.6 60 0.1 4,938 5.0

    무 748 0.7 1,050 1.0 25 0.1 206 0.2 231 0.2 38 0.1 2,298 2.3배 1,460 1.5 426 0.4 247 0.3 129 0.1 243 0.2 35 0.1 2,540 2.6

    감 귤 965 1.0 1,104 1.1 84 0.1 271 0.3 336 0.3 126 0.1 2,886 2.9사 과 911 0.9 556 0.5 256 0.3 178 0.2 377 0.4 114 0.1 2,392 2.4포 도 1,200 1.2 413 0.4 47 0.1 103 0.1 340 0.3 71 0.1 2,174 2.2합 계 29,248 29.4 20,673 20.8 8,683 8.7 3,045 3.1 4,586 4.6 3,702 3.7 69,937 70.4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 2009년 농산물 물류비 산정결과, 2011.

    주요 품목의 물류기능별 물류비 비중 현황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79

    다. 배추⋅무의 유통비용 대비 물류비 및 유통단계별 물류비 분석 우선, 배추⋅무의 유통비용 대비 물류비는 공산품과 다른 여러 특성으로 인해 에

    서 보듯이 배추⋅무의 유통비용 대비 물류비는 각각 26.4%, 39.8%로 대단히 높게 나타났다. 무가 배추에 비해 중량이 무겁고, 크기나 형태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해 물류비가 13.4%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목 출하액(A)유통비용(B) 소비자

    구입액(D) B/D C/D C/B계 물류비(C) 기타유통비용배 추 541,516 1,582,877 417,449 1,165,428 2,124,393 74.5 19.7 26.4 무 251,357 576,960 229,794 347,166 828,317 69.7 27.7 39.8

    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 2009년 농산물 물류비 산정결과, 2011.

    배추⋅무의 유통비용 대비 물류비 현황 (단위:백만원, %)

    다음으로 배추⋅무의 유통 단계별 물류비는 에서 보는 것처럼 품목 특성상 출하단계에서 62∼67%의 비중을 차지하고, 소매단계에서 30∼34%를 차지한다.

    구 분단계별 물류비 총계 단계별 물류비 비중

    계 출 하 도 매 소 매 계 출 하 도 매 소 매배 추 417,449 260,304 13,361 143,785 100.0 62.4 3.2 34.4무 229,794 154,412 5,709 69,673 100.0 67.2 2.5 30.3

    청과물 3,687,049 2,586,566 355,912 744,572 100.0 70.2 9.7 20.2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 2009년 농산물 물류비 산정결과, 2011.

    배추⋅무의 유통 단계별 물류비 현황 (단위:백만원, %)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80

    Ⅳ. 배추 유통⋅물류비 분석과 과제

    1. 배추 유통비용과 생산원가 및 물류비 분석 가. 배추 유통의 실태 배추의 유통경로는 산지유통인(포전거래 물량의 비율이 2009년 72% → 2010년 81%로 증가)이 생산

    자로부터 밭떼기로 구입하여 도매시장, 대형유통업체, 대량수요처 등으로 판매하는 것이 주된 경로이다(aT, 2009). 배추의 포전거래율은 봄배추, 가을배추, 고랭지배추가 각각 98%, 74%, 72%이며, 에서 보듯이 2009년 배추의 유통비용 비율7)은 가을배추, 봄배추, 고랭지배추가 각각 76.4%, 71.7%, 65.6%인데, 이것은 배추와 같은 엽근채류가 표준⋅규격화된 골판지 포장이나 플라스틱 컨테이너 용기에 의한 파렛트 출하보다는 대부분 낱개⋅망포장이나 산물형태로 유통되어 감모율이 높고, 부피가 크며 중량이 무거워 가격 대비 수송비가 비싸기 때문이다.

    구 분 농가수취 유통비용 단 계 별계 직접비 간접비 이 윤 출 하 도 매 소 매봄 배 추 28.3 71.7 15.9 16.2 39.6 30.9 10.2 30.6고랭지배추 34.4 65.6 28.8 19.5 17.3 22.0 14.7 28.9가 을 배 추 23.6 76.4 41.9 20.6 13.9 32.4 10.8 33.2

    주:유통비용 비율(%) = (소비자가격 – 농가수취가격) / 소비자가격 × 100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 2009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2010.

    배추의 유통비용 비율 (단위:%)

    나. 배추 포기당 생산원가 및 물류비 분석(당진→가락시장 출하시)2009년 배추의 생산원가와 물류비 파악을 위해 aT의 2009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와 당

    진 농업유통법인 K씨의 농장조사 자료에 근거해 분석하였다. 에서 보듯이 당진 가을배추(300평, 2,300포기 기준)의 포기당 생산원가는 703.7원이다.

    7) 2010년은 기상이변으로 공급부족에 따른 가격폭등으로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2009년 데이터를 사용했다. 2009년 가을배추 유통비용(당진→가락시장) 비율은 78.7%로 나타났다( 참조).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81

    구 분 금 액(원) 산 출 근 거 구 분 금 액(원) 산 출 근 거토지임대료 150,000 300,000원 / 2회 정식 시 인건비 150,000 50,000원× 3명종자대금 45,000 1.5봉지(봉지당 3만원) 정식 시 식대 45,000 15,000원× 3명파종 시 인건비(1/2명) 30,000 식사 1끼 포함 퇴 비 70,000상포(흙) 18,000 2.5포(포당 7,200원) 비 료 70,000포터(종묘상자) 15,000 500원× 30개 제초제 50,000진딧물약, 살충제약 30,000 영양제 50,000뿌리혹병약 73,000 감가상각비 225,000비닐값 25,000 장비대금 이자(연6%) 112,500로터리 비용 60,000 정식 시까지 관리인건비 400,000 1일 2만원으로 계산

    합 계 1,618,500 1,618,500 ÷ 2,300= 703.7원(포기당)자료:2009년 당진 농업유통법인 K씨 농장조사 자료에 근거해 작성함.

    배추 포기당 생산원가 (300평 2,300포기 기준) (조사:2009.10 충남 당진)

    배추재배 농가의 80%이상이 파종 후 40일 경에 포전으로 판매하는데, 거래 시 판매가를 기준으로 생산원가를 산정하면, 포전거래시의 생산원가가 최종 생산원가보다 낮다. 그 이유는 포전거래 후에도 약 50일의 재배가 요구되고, 그에 따른 추가비용이 투입되며, 이를 기초로 물류비를 분석하면 다음의 과 같다.

    구 분 금 액(원) 산 출 근 거생 산 자 생산원가 703.7 참조

    농업유통법 인

    수확상차비포장재비운 송 비간 접 비소 계

    191.343.4

    165.237.6

    437.5

    차당 작업비 440,000원÷ 2,300포기130원÷ 3포기380,000 ÷ 2,300원교통비, 통신비:86,400원÷ 2,300포기

    도매법인경락가격상장수수료소 계

    1,141.285.985.9

    경매가격 산식: = 1,141.1원+ 0.07(상장수수료:7%) 이므로 =1227.1원이며, 상장수수료:85.9원이 됨. (1,227.1원× 0.07)

    총 계 1,227.1 3포기× 1,227.1원= 3,681.3원2,300포기 (1차량) × 1,227원= 282만 2,100원자료: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조사자료 및 aT, 2009 주요농산물 유통실태, 2010 참조 작성.

    배추 최소 출하비용 산정 (당진→가락시장, 포기당, 2009년 당진 기준)

    1) 배추 최소 출하비용 산정당진에서 가을배추를 생산해 가락시장으로 출하할 경우, 에서 보듯이 생산농민

    이 받아야 할 최소한의 가격(비용)은 포기당 1,227.1원이며, 1망(3포기)기준 3,681.3원으로 분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82

    석되었다. 이 단계의 가을배추 포기당 물류비는 도매법인 상장수수료 85.9원, 농업유통법인 물류비 399.9원(437.5원37.6원)을 합하여 479.8원이며, 최소출하비용(1,227.1원)의 3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배추 최소 출하비용 고려시 소비자 가격 추정(당진→가락시장)당진에서 가락시장 출하시 배추의 생산원가 및 물류비만을 고려할 경우(농민의 이익과 농업

    유통법인의 이익이 없는 것으로 가정), 소비자 지불 배추 포기당 추정가격은 에서 보듯이 2,360.8원, 1망 3포기 기준 7,082.원이다. 이 단계의 배추 포기당 물류비는 중도매인 청소⋅감모비(45.3원)와 소매상인 운송⋅감모비(211.2원)의 합 256.5원으로 배추 소매가격(2,360.8원)의 10.9%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금 액(원) 산 출 근 거도매법인 경 락 가 1,227.1

    중도매인

    청 소 비감모비8)간접비9)이 윤소 계

    (판매가격)

    8.736.641.3250

    336.61,557.7

    20,000원÷ 2,300포기경락가격의 3% (1,221 × 3%)

    이윤은 가락시장에서 직접 조사한 가격임.

    소매상인

    운 송 비감모비10)간접비11)이 윤소 계

    133.377.9

    258.6333.3803.1

    20,000 ÷ 150포기구입대금의 5% (1,557.6 × 5%)점포유지관리비, 인건비, 제세공과금 등 1망 당 1,000원이윤은 가락시장에서 직접 조사한 가격임.

    총 계 2,360.8 3포기× 2,360.8원= 7,082.4원2,300포기 (1차량) × 2,360.8원= 5,429,840원자료:농수산물유통공사, 2009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2010 참조 작성.

    농업인⋅농업유통법인 무이윤 출하시 배추 소매가격 추정 (2009년 가락시장 기준)

    8) aT는 2009년 농산물 유통실태조사에서 감모를 2%로 산정하였으나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2007년 주요 농산물 유통마진조사에서 3%를 적용해 산정함.

    9) 직원식대 20,000원(2인×4식×5,000원), 협회비 20,000원(대당 10,000원), 직원일당 130,000원(65,000원×2명) 등 190,000원을 배추 2대 4,600포기로 나눈 값임.

    10) aT는 2009년 유통실태조사에서 감모를 2%로 산정하였으나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2007년 주요 농산물 유통마진조사에서 5%를 적용하여 산정함.

    11) 2009년 농수산물 유통공사 유통실태조사에서 산정한 금액을 적용함.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83

    3) 농업인⋅농업유통법인 적정이윤 고려시 도매가격 산정에서 보듯이 당진 배추를 가락시장에 출하하는 최저수준의 경락가격(농업인 마진 200

    원, 농업유통법인 마진 300원 가정할 경우)은 1,641.2원으로 추정되며, 상장수수료 123.5원을 추가하면 도매시장가격은 1,764.6원이다. 여기에 중도매인, 소매상 마진을 추가하면 에서 보듯이 소비자 지불가격은 2,939.4원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배추 포기당 가격이 최소한 3,000원은 되어야 농업인의 생산의욕 고취와 생산기반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농업유통법인 물류비(수확상차비+포장재비+운송비) 102.7원과 소매상 운송비 133.3원, 감모비 105.4원을 합하여 배추 포기당 물류비는 341.4원으로 소매가격 2,939.4원의 11.6%를 차지한다.

    구 분 금 액(원) 산 출 근 거생 산 자 생산원가농민이윤12)

    703.7200.0

    참조

    농업유통법 인

    수확상차비포장재비운 송 비간 접 비이 윤소 계

    191.343.4165.237.6300.0737.5

    차당 작업비 440,000원÷ 2,300포기130원÷ 3포기380,000 ÷ 2,300원교통비, 통신비:86,400원÷ 2,300포기

    도매시장경락가격상장수수료소 계

    1,641.2123.5123.5

    경매가격 산식: = 1,641.1원+ 0.07 , = 1764.6원이며, 상장수수료:123.5원 (1,764.6 × 0.07)이 됨.

    총 계 1,764.6 3포기× 1,764.6원= 5,293.9원2,300포기 (1차량) × 1,764.6원= 4,058,580원자료: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및 aT 자료를 참고 작성.

    농업인⋅농업유통법인 적정이윤 고려시 배추 도매가격 추정

    그러나 기후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영농의 어려움이 점차 가중되고, 식품업체를 비롯한 대형유통업체 등이 저가 농산물의 무분별한 글로벌소싱 확대와 한⋅미, 한⋅EU와 FTA체결, 특히 한⋅중 FTA 추진 등으로 국민의 생존권이 달려 있는 먹거리시장까지 완전 개방되고 있어 배추 등의 주요 농산물 생산기반 유지와 확대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어 식량위기 시 자급률 확보가 심히 우려된다.

    12) 농업인 및 농업유통법인의 이윤은 현지 설문조사 시 대략 200∼300원 정도의 이윤이 발생해야 지속가능한 농업과 영업을 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농업유통법인의 이윤을 100원이나 높게 책정한 것은 배추가 출하되는 45일 전에 포전매매 대금을 지불하는데, 이 기간의 금융비용을 고려한 결과이다.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84

    구 분 금 액 (원) 산 출 근 거도매법인 경 락 가 1,756.1

    중도매인

    청 소 비감 모 비간 접 비이 윤소 계

    (판매가격)

    8.752.741.3250

    352.72,108.8

    20,000원÷ 2,300포기경락가격의 3% (1,756 × 3%)

    소매상인

    운 송 비감 모 비간 접 비이 윤소 계

    133.3105.4258.6333.3830.6

    20,000 ÷ 150포기구입대금의 5% (2,108.7 × 5%)점포유지관리비, 인건비, 제세공과금 등1망 당 1,000원

    총 계 2,939.4 3포기× 2939.4원= 8,818.2원2,300포기 (1차량) × 2,939.4원= 6,760,620원자료: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조사자료 및 aT, 2009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조사 참조 작성.

    중도매인⋅소매상인 적정이윤 고려시 배추 소매가격 추정

    다. 배추 물류비 분석의 의의1) 적정가격 수준 이하의 배추가격 형성 문제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추⋅무는 수확 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가치에 비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송비 등 물류비용이 높게 발생하므로 배추의 포기당 가격은 최소 3,000원에 거래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추정되었다.그러나 소비자들의 실제 배추 구입가격은 포기당 1,950∼2,788원13)으로 산정되었다. 다

    만 배추 값이 가락시장 개장 이후 최고치로 폭등한 2010년에는 포기당 4,422원에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2005∼2009년까지는 생산자의 생산비와 유통단계에 따른 직접비에 해당하는 유통⋅물류비 및 간접비에 해당하는 유통마진 등이 모두 보정된 가격이기보다는 농업인과 농업유통법인의 출혈판매 속에서 배추⋅무의 거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은 농업유통법인, 특히 생산자가 생산비도 받지 못함14)은 물론, 적정마진조차 얻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어 배추의 생산기반마저 붕괴시킬 가능성이 있다.

    13) 연간 평균경락가가 3,219원인 2008년의 경우에는 소비자가격이 1,950원, 연간 평균경락가가 4,611원인 2003년의 경우에는 2,788원에 소비자가격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14) 2008년은 가락동 도매시장의 최소 출하비용 이하의 가격으로 거래되기도 하였다.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85

    2) 농업인과 농업유통법인의 손실 발생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추의 가락시장 연평균 경락가는 10㎏당 3,219∼4,244원

    (2010년 제외)으로 작업비, 운송비, 상장수수료, 청소비 등을 공제하면, 3포기당 생산원가 3,663.3원( 참조)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가격으로 거래되었고, 가락시장( 참조) 이외 강서, 구리 도매시장 등의 경락가는 가락시장보다 훨씬 낮은 것15)으로 나타나 농업인과 농업유통법인, 특히 농업인의 출혈출하로 이어져 농민들의 어려움이 날로 가중되는 상황을 정부와 유통주체들이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되며, 다음절에서는 식단의 기본반찬으로서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공급능력의 강화와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 물류인프라 미비로 비효율적인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연 도 거래물량 거래금액 10㎏당 단가2005 210,739 89,430 4,2442006 225,550 90,374 4,0072007 210,031 86,857 4,1352008 211,034 67,930 3,2192009 201,049 82,803 4,1192010 204,727 149,396 7,297

    2005∼2010 평균 211,681 83,479 3,944자료: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2012년도 통계자료집, 2012 참조 작성.

    가락시장 배추 경매가격 현황(2005∼2010)

    Ⅴ. 배추 공급기반 강화와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1. 배추 공급기반의 강화가. 배추 생산원가의 고시작기별 주산지를 중심으로 배추 생산원가를 생산자와 정부기관(농업관측센터⋅통계청), 소비

    자단체 등이 합동조사를 하여 농민들이 피땀 흘려 재배한 농산물을 최소한 원가만이라도

    15) 2008∼2010년의 구리시장 평균 경락단가는 각각 2,629원, 3,511원, 6,414원이고, 강서시장은 각각 2,697원, 3,566원, 6,487원으로 가락시장 경락단가의 85%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86

    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식량위기 및 영농후계자가 급감하는 고령화 시대를 맞아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정부는 배추의 생산원가를 밝히고 알릴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왜냐하면 최근 식량위기 시대를 맞이하여 농산물이 양적으로 부족(不충분)하고, 가격 변동

    폭이 확대(不확실)되며, 식량안보가 위협(不안전)을 받는 이른바 ‘3不’의 시대가 도래하였기 때문이다(박환일 외, 2011). 이에 농업인의 생계유지와 국민들의 후생복지를 고려할 때, 배추와 같은 수급변동성이 큰 품목의 적정생산기반 유지 내지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다. 기상이변이나 병해충 발생 등에 의한 공급부족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 이것이 물가인상 요인으로 지목되어 임기응변의 수입을 통해 급한 불만 끄면 그만이라는 농식품 수입정책은 지양해야 한다. 배추 생산기반의 위축과 공급 불안정 요인 중의 하나가 배추와 김치의 무차별적인 수입을 들 수 있다. 2003년 이후 김치수입이 급증16)하였는데 배추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8∼10월에 집중됨으로써 고랭지배추 농가에 큰 타격을 주어 재배면적(지난 10년간 배추는 절반, 무는 3분의 1)이 줄었다. 나아가 2006년 이후 매월 1만톤 이상의 김치가 수입되어 겨울배추의 생산기반마저 위축시키고 있다. 또한 배추의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정확히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적정가격이 얼

    마인지 생산가격지수를 적극 알리고 고시할 필요가 있다. 생산자와 유통인 측면에서 배추의 생산원가 및 유통비용이 반영된 적정가격(포기당)이 ‘최소 3,000원’이라는 생산원가의 고시를 통해 소비자에게 올바른 생산 및 유통정보의 제공과 구매인식을 유도함은 물론 배추 적정가격 형성의 근거 제시를 위해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나. 배추 생산⋅비축⋅관측사업 강화와 유통가공사업의 연계강화에서 보는 것처럼 가락시장 배추의 경락가격은 배추⋅무 출하의 80% 이상을 차

    지하는 산지유통인이 좌우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통해 형성된 가격이라고 볼 수 있다. 최소한의 생산원가도 받지 못하는 저가격에서는 배추⋅무의 비축사업은 경제성이 없어 사업추진 자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배추⋅무와 같은 채소류도 공산품처럼 재고를 보유하다 필요할 때 공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 가격의 급등락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추는 에서 보듯이 운송비, 포장비, 감모⋅청소비 등 물류비가 소매가격

    에서 27.7%(814.9 ÷ 2,939.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저장도 어려운 난점이 있다. 따라서 기상이변으로 작황이 부진하여 수요에 비해 공급이 감소할 경우, 식탁의 필수재로 김치의 원료인 배추가격의 폭등이 발생한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추작황이 좋아 공급량이 조금만

    16) 2003년 2만 9천여톤에서 매년 급증하여 2009년 22만 2천여톤으로 정점을 이루었으며 2011년 10월까지 19만 4천여톤이 수입되었다.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87

    초과돼도 가격폭락이 발생한다. 이렇듯 배추 값이 폭락한 경우는 농협을 비롯한 정부에 의한 비축도 기대하기 어렵다. 요약컨대 ‘배추 공급은 5%만 초과돼도 가격이 폭락하고, 5%만 부족해도 가격이 폭등 한

    다’는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성출하기 공급과잉은 저장했다 필요시 공급하면 가격폭락을 방지할 수 있고, 작황부진으로 공급이 부족할 때 비축한 배추를 방출하면 가격이 폭등하는 것을 어느 정도 완화 및 조정을 할 수 있다.그러나 실제로 공산품처럼 수급조정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배추와 같은 신선농산

    물은 2∼3개월 이상의 장기저장에 한계가 있고, 살아 있는 유기체로 호흡작용을 하여 품목에 적합한 저장수단과 기술을 강구하지 않으면 부패⋅진부화로 상품성을 잃을 뿐만 아니라, 관리상의 비용도 무시할 수 없어 에서 보는 것처럼 주산단지 비축에 의한 연중 안정공급과 수송의 평준화, 자연에너지원을 이용한 저장비용 절감 및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통합적인 공급망관리(SCM) 강화를 통해 수급의 적정화를 이룩할 필요가 있다.

    2010년의 공급부족에 따른 배추, 상추, 양상추의 가격상승을 물가압력의 주범으로 인식하여 이를 수입으로 대체하였다. 이런 수입농정에서 탈피하여 에서 보듯이 국내 농산물을 활용한 가공⋅외식⋅유통업체와의 연계강화로 생산측면에서는 농업의 경영 안정화와 생산력 제고를 이룩한다. 나아가 가공과 저장기술의 강화, 주산단지에 가공기업의 입주, 농협의 5대 권역별 물류센터 구축과 노후화된 저장창고의 현대화를 통하여 성출하기 일시적인 공급과잉에 따른 산지폐기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비축사업 운영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특성을 살린 가공식품의 개발과 국내외 판로개척에 힘쓰고, 산지의 1∼2차 가공품 확대에 의한 규격품 출하와 기존 유통체계에서 거래되기 힘든 규격외채소의 유효이용, 유통가공 잔재의 사료화에 의한 순환형 친환경농업의 추진과 기상이변에 대비한 관측사업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

    다. 배추⋅무의 대체파종과 대체작물 및 신품종의 개발 얼갈이배추는 일반 배추보다 생육기간이 30일로 아주 짧아 기상이변 등에 따라 공급이

    부족할 때, 여타 채소류에 비해 배추의 대체작목으로 적합하다. 기상이변으로 배추⋅무의 흉작이 예상될 경우, 얼갈이배추의 급파(急播)를 권장하여 배추가격의 폭등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한다. 나아가 이미 언급한 가공 및 품목별 관리온도 구분(냉장대의 C1, C2, C3급)에 따른 비축기술의 활용과 비축농산물의 적기방출로 작황 부진에 따른 공급부족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88

    2. 배추 물류체계의 효율화 방안 2009년 배추의 물류비는 4,173억원으로 그 중 운송비가 46.9%로 가장 크며, 다음으로 포

    장⋅가공비 24.5%, 감모⋅청소비 16.4%로 세 항목이 87.9%를 차지하여 이에 물류관리의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aT, 2011). 이를 위해 우선, 산지에서 도매시장, 도매시장에서 소비자 식탁까지 수송⋅유통재고17)를 줄이기 위한 수배송 전략을 통해 물류비 절감을 이룩한다. 다음으로 조달물류비 절감을 위해 종묘⋅비료⋅농약⋅포장재 등의 농자재 수요결집을 통한 공동구매 방안, 마지막으로 감모⋅청소비 등 로스를 줄이기 위해 산지거점 1차 가공설비 구축으로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한다.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에 기초하여 공급능력 강화와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을 집약⋅정리한 것이 이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추 공급능력의 강화와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17) 수송⋅유통재고(transportation inventory)란 농산물의 생산에서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 생산⋅유통시스템에서 각 단계별 이동과 보관에 소요되는 시간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재고를 말한다.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89

    가. 배추 물류체계의 효율화 방안1) 수송⋅유통재고 축소로 배추 물류비의 절감

    에서 살펴본 것처럼 배추⋅무와 같은 채소류는 물류비 비중이 매우 높은데(배추:26.4%, 무:39.8%), 물류비 중에서도 수송비를 줄이는 것이 절감효과가 매우 크다. 수송비를 줄이는 방법은 ①적재, 발송방법의 개선, Web기반 求車求貨시스템(Load Matching Networks of Truck Cooperative Association) 개발로 농산물 취급시간 단축, ②수송의 대형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과 復荷(왕복)운송의 추진, ③주문부터 납품까지 시간단축을 위한 물류정보시스템적(TMS⋅WMS⋅OMS) 접근, ④신선도와 품질개선을 위한 야간⋅새벽배송시스템의 도입, ⑤거래교섭을 통한 산지에서 도매시장, 산지→점포로의 직출하 체계 도입, ⑥산지에서 도매시장(혹은 식품제조⋅외식⋅중식업체나 유통업체), 도매시장에서 거래처(식품제조⋅외식⋅중식업체나 유통업체)까지 웹⋅온라인자동화에 의한 집중재고⋅배송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물류비를 최소화 한다.

    2) 농산물 표준규격의 간소화배추의 유통경로는 소매상이나 유통업체(B to C, P to P 포함)가 불특정다수에게 직접 판매

    하는 것만이 아니고, 특정의 대량수요처, 가공⋅식자재 및 업무용 등으로 판매하는 경우에 표준규격의 통일과 간소화를 통해 우선적으로 출하경비(청과물은 출하단계에서 70.2%를 점유하며 배추:62.4%, 무:67.2%에 이르는 높은 물류비가 발생)를 절감할 필요가 있다.

    3) 생산 및 출하계획에 의한 계약재배의 추진도매시장을 비롯한 식품제조⋅외식⋅중식업체나 유통업체, 대량수요처 등 특정 수요자의

    생산계획에 기초하여 배추와 같은 채소류 출하를 연중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주산단지 생산자들을 중심으로 생산할당, 계약재배의 추진, 圃場의 할당, 출하계획서를 작성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생산자를 선발하여 계약재배를 실시하여 수급조정을 강화한다.

    4) 배추⋅무의 포장개선과 편의성 높은 포장용기 개발 및 반복⋅재이용으로 물류비 절감도매시장내의 소매단계에서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 판매는 편의성이 높은 골판지상자 이

    용이 바람직하지만, 이를 제외한 inbound 단계는 생산자와 수요자에게 편의성이 높은 용기를 사용하면 그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자두에 적합한 포장용기 개발과 산지부터 매장까지 벌크단위 포장으로 일관된 이용을 확대(ULS화)하여 운송효율화 및 품질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인 홈플러스의 성공사례가 좋은 사례다(한국경제, 2007.7.14.). 이와 관련한 포장용기의 개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90

    선을 위한 최적화 조건을 고찰하면, 圃場에서 직접 적재가 가능하며, 농산물 수확후 수송⋅보관 및 유통과정 중 묶음포장⋅포장작업시간의 최소화, 수요자 포장 개봉 작업의 최소화, 가공생산라인에 직접 반입할 수 있으며 1회 단위의 투입량이 클 것, 대형트럭에 滿載(full container load)가 가능하도록 하며, 空容器 회수시 수송비 부담 최소화(일례로 접이식 플라스틱⋅철제 컨테이너 활용) 방안 등을 들 수 있다.

    나. 운송의 대형화와 운송비 절감의 추진공동 수배송(수송:산지→도매시장/대량거래처, 배송:도매시장→소매상)⋅공동보관⋅공동정보시스

    템의 추진, 3온도대(보냉⋅냉장⋅냉동)일관수송기법의 개발, 트럭 이외 대체 수송수단의 개발(Modal Shift), 復荷物 확보를 통한 적재율 제고와 왕복수송의 추진에 의한 공차율 축소, 농식품 수송을 전문으로 하는 지역 3PL업체와 장기운송계약에 의한 수송의 효율성 확보, 직출하 체계 도입으로 적기출하와 품질관리로 신선도 제고와 물류비 절감 전략을 확보한다.

    1) 대량운송체계 도입에 의한 물류비 절감주산단지의 하나인 전북 고창의 배추⋅무를 파렛트화하여 25톤 파렛트 전용차량을 이용할

    경우, 에서 보는 바와 같이 5톤 차량을 이용할 때보다 60%의 운송비가 절감되었다.

    구 분 5톤 차량 이용 시 25톤 파렛트 전용차량 이용 시 비 고적 재 량 10파렛트(2,400포기) 28파렛트(6,720포기)운 송 비 500,000원 590,000원

    1포기당 운송요금 208.3원 87.5원 60.0% 절감자료:서울시농수산물공사(2011).

    파렛트 전용 차량에 의한 운송효율 (2009년 전북 고창기준)

    2) ULS화 및 복합⋅연계수송에 의한 운송비 절감제주산 세척 무 사례의 경우 제주→목포→가락시장의 기존노선(도매시장 출하후 空컨테이너

    귀로차량에 적재할 화물의 수배가 곤란)에서 제주→부산 감천항→가락시장 노선으로 운송노선을 변경하고 왕복운송(목포보다 부산의 경우 인구가 많아 도매시장 출하 후 空컨테이너 귀로차량에 적재할 화물의 수배가 가능)을 실시한 결과 운송비가 425,000원에서 291,456원으로 31.4% 절감(한관순 외, 2012)되었으므로 복합⋅연계수송을 강화할 방안을 추진한다.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91

    다. 유통가공사업 활성화로 지속적인 연중 안정공급의 확대 및 수송비 절감지금까지는 주로 산지에서 배추⋅무를 수확하여 원물을 시장에 출하하는 것이 주류였으

    나 농업경영체⋅APC가 절임배추, 식재료(세척⋅박피⋅절단⋅세절⋅절임⋅건조⋅큐어링) 등 단순가공품부터 시작해 식품기업⋅외식⋅중식업체와 계약재배를 확대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김치, 신선편의식품으로 가공해 농산물 원물의 크기와 용적을 축소하여 수송비의 절감을 이룩하고, 채소 원물의 고부가가치화로 연중 안정적인 가공식품 일괄공급체계를 구축하여 배추 성출하기의 가격 급등락을 완화하도록 한다.

    라. 산지 공동출하 및 집출하 체제의 구축산지 공동출하 및 집출하 체제의 구축으로 소비자 니즈에 적합한 효율적인 생산⋅출하

    가 이루어질수록 거점APC의 집출하 기능 강화와 판매관리시스템(POS, EDI) 데이터 분석 및 소비지정보 제공으로 상호정보공유를 통해 판매상황에 부응한 출하로 생산자별⋅품목별⋅월⋅일⋅시간대별로 소비자 정보를 파악하고, 판매상황을 생산자에게 전자메일, SNS 등으로 전달하여 추가 출하도 가능하도록 산지물류시설 최적화 및 운영의 효율화를 이룩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거점APC가 공동⋅집출하 역할을 강화하여 영세한 생산자의 출하물품을 순회집하(milk-run방식)하고, 날로 심화되는 농촌의 노령화를 고려해 고령농가의 출하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고령농민이 어려움 없이 출하할 수 있는 체제를 도입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산지 공동⋅집출하 체제는 수송비용과 거점APC의 운영비용 감소를 통해 전체 물류비의 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운영체제이기 때문이다.

    Ⅵ. 요약 및 결어

    국민의 식탁에서 먹거리 원재료 중 하나인 배추⋅무와 같은 엽근채류 생산은 재배규모(파종면적⋅경작관리)와 수확기 배추가격의 예측에 의한 작목선택과 규모설정보다는 주로 전기의 배추가격에 기초하거나 파종시 농민의 주관적 판단과 경험에 의존해 재배하다보니 식재면적의 증감 폭이 크고, 기상여건에 따라 생산량 변동이 심하여 수급불안과 가격 급등락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 2010년 작황부진에 따른 배추, 상추, 열무와 같은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92

    채소류 가격의 폭등에 따른 소비자 지출의 증대, 지난 1999년부터 2009년까지와 2011년의 배추 값은 생산원가도 되지 않는 저가격으로 산지폐기 된 양이 막대하며, 이에 따라 재배의 근간이 흔들리고 생산의욕의 저하를 야기하는 등 배추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최대 현안이며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높은 유통 및 물류비용이 농업인과 정부, 유통인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서 보는 것처럼 기상이변에 따른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였던 2010년도를 제외하면 배추의 유통비용 대비 소비자구입액이 2007년 69.0%에서 2011년 73.0%로 높아졌으며, 다음으로 배추의 물류비 대비 소비자구입액은 2007년 17.3%에서 2011년 17.6%로 높아졌고, 나아가 물류비 대비 유통비용도 2007년 25.1%에서 2011년 24.2% 수준을 나타낸바 유통 및 물류시스템의 개선이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05∼2009년까지 배추의 가락시장 평균 경락단가는 3,944원(10㎏ 1망 기준)으로 포기당 생산원가가 703.7원( 참조)임을 고려할 때 작업비와 운송비 등을 고려하면, 그 가격으로는 가락시장에 도저히 출하할 수 없는 수준이다. 운송비와 작업비 등을 고려하면 생산비의 일부만을 회수하는 출혈판매라 할 수 있다. 지난 10여 년간에 걸쳐 형성된 비정상이라 할 수 있는 낮은 배추가격은 민간기업(농협, 산지유통인) 및 aT로 하여금 공급부족 대비 저장⋅비축을 할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하지 못했다. 기상이변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배추 생산량이 부족할 때 가격 급등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은 2010년의 가격급등 사례에서 경험한 바 있다. 이에 배추유통의 실태분석을 토대로 68.7%(2010년)에 이르는 높은 유통비용이 발생한 배

    추⋅무와 같은 엽근채류 공급능력의 강화와 물류비 절감을 위한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미 Ⅲ절, Ⅵ절에서 살펴본 것처럼 우선, 유통⋅물류실태 분석에 따른 배추⋅무와 같은 엽근채류 공급능력의 강화 방안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추⋅무는 물류비의 비중이 높은 저가품목이며 공급과 수요가 매우 비탄력적인 기초생필품이다. 따라서 공급량이 조금만 부족해도 가격이 폭등하고 공급량이 조금만 남아도 폭락하는 특성이 있다. 2010년 배추값 폭등에 놀란 정부는 정확한 수급예측과 장래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력의 면밀한 진단도 없이 물가를 낮춘다는 명분하에 무분별하게 배추를 수입하여 공급함으로써 배추가격의 폭락을 부채질하는 원인을 제공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정부는 배추⋅무의 정확한 생산원가를 적극 알리고 고시할 필요가 있으며, 생산자 측면에서 배추의 생산원가 및 유통비용이 반영된 적정가격(포기당)이 ‘최소 3,000원’이라는 생산원가의 고시를 통해 소비자에게 올바른 생산 및 유통정보의 제공과 구매인식을 유도함은 물론 배추 적정가격 형성의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나아가 배추⋅무 같은 기초생필품의 계약재배 확대, 식품기업⋅외식⋅유통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93

    업체 등 대량수요처와 소비지 청과물 공급에 있어서 공급망관리 네트워크의 추진, 배추⋅무의 연도⋅분기별 수급상황, 작황에 따른 수매⋅비축⋅관측사업의 강화로 안정된 생산기반의 구축, 작황부진이 예상될 경우 배추⋅무의 대체파종⋅대체작물⋅신품종 개발의 지원방안도 강구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2009년 배추⋅무의 유통비용 대비 물류비 비율이 배추 26.4%, 무 39.8%( 참조)로 일반 농산물 물류비 14.7%보다 높으며, 그것도 출하단계에서 물류비 비중이 배추 62.4%, 무 67.2%가 발생하여 출하단계에서 어떻게 하면 물류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가를 중심으로 배추⋅무의 종합적인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배추의 공급능력(생산⋅가공⋅유통사업의 연계)강화 방안으로 대체파종⋅대체작물 및

    신품종의 개발, 수매⋅비축⋅관측사업 강화로 안정된 생산기반을 구축하도록 한다. 둘째로 배추⋅무를 비롯한 신선농산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의 핵심 내용을 요약⋅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1. 배추⋅무의 물류체계 인프라(H/W)와 효율적 운용기반(S/W)의 강화 ①수송⋅유통재고의 축소로 배추 등 신선농산물 물류비의 절감②신선농산물 표준 및 규격의 간소화 ③생산⋅출하의 계획화에 의한 계약재배 ④배추⋅무 포장개선과 편의성 높은 포장용기 개발 및 반복⋅재이용으로 물류비 절감

    2. 배추⋅무 출하 차량의 대형⋅규모화로 물류효율화 제고 ①대량운송체계에 의한 물류비 절감, Web기반 求車求貨시스템 개발로 농산물 취급시

    간 단축②ULS(Unit Load System)화 및 복합⋅연계수송에 의한 운송비 절감

    3. 배추 등의 생산을 위한 농자재 조달의 수요결집에 의한 공동구매 및 공동물류로 물류비 절감

    4. 산지 농산물 출하 및 도매시장 내 물류효율화를 위한 산지농산물의 최소 출하단위로 파렛트화(palletizing) 추진(2016년 채소류)과 하역노조 기능전환 및 독점체제의 탈피(전문회사체제나 경쟁체제 도입)에 의한 하역구조 혁신

    5. 수급불안 품목인 배추와 같은 채소류의 출하조절을 위해 예냉시설⋅저온저장고, 유통가공시설을 갖춘 농협의 5대 권역 도매물류센터의 설치 및 안정적 수급을 위한 비축기반시설인 지방 8개 농산물 비축창고의 현대화⋅광역화 추진

    6.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협업하는 공동농업방식(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의 전개와 물류비 절감을 위한 공동물류 추진

  • ┃ 第30卷 第2號 ┃ 2013年 6月

    94

    7. 산지 集出荷(집출하) 체제의 구축(거점APC 집출하 기능의 강화 및 산지와 소비지간 정보교환 활성화를 통한 판매관리강화, 영세농가⋅농업경영체의 집출하로 수송비의 절감 및 APC 운영비의 절감 방안을 강구한다.)

    이상으로 당진에서 가락시장으로 배추를 출하하는 농업유통법인 K씨의 생산원가와 유통비용 분석을 통해 배추의 공급능력 강화와 종합적인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case study)로서 배추를 재배하는 각 지역 주산단지의 특성과 배추의 각 작형별 차이로 보다 일반화된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고려한 보다 세분화되고 특화된 품목별⋅작형별 차이를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향후의 과제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동환, “농산물 산지유통인의 제도권 편입 방안”, 유통연구 Vol.16, No.5, 한국유통학회, 2011, pp.1∼18.

    농림축산식품부,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 2013.5.27.농수산물유통공사, 2009 농산물 물류비 산정 결과, 2011, pp.1∼40.농수산물유통공사, 2000∼2010년 각 연도별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각 연도.농수산물유통공사, 2010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2011.박환일 외 3인, “농산물시장의 트렌드변화와 대응”, CEO Information 제816호, 2011.서대석, 배추 수급 불안정 원인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서대석 외, “엽근채소 수급 동향과 전망”, 농업전망 2012(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pp.665∼683.서울시농수산물공사, 2012년 통계자료집, 2012. 이래협,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물류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9, pp.1∼138.전창곤 외, 농산물 물류체계 진단과 효율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pp.28∼64. 최병옥, 채소류 가격 불안정 요인과 안정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 한관순⋅이래협

    95

    한관순, “신선 농산물 물류체계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식품유통연구 제27권 제2호, 한국식품유통학회, 2010, pp.67∼104.

    한관순 외, “제주산 농산물 물류 효율화와 시스템 개선의 사례연구”, 물류학회지 제22권 제2호, 한국물류학회, 2012, pp.175∼201.

    한관순 외, “배추산업의 유통⋅물류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선진화 방안”, 2011년도 동계공동학술발표대회, 한국물류학회, 2011, pp.95∼126.

    尾碕 亨, “靑果物の環境保全型物流に關する硏究”, J. Rakuno Gakuen Univ. 25(2), 2001, pp.275∼303.

    尾碕 亨, “食品物流市場の生態学:途切れたコールドチェーン”, LOGI-BIZ, 2001, pp.17∼21.

    ••••

    원고접수일1차수정일2차수정일게재확정일

    :2013년 04월 10일:2013년 05월 14일:2013년 06월 19일:2013년 06월 24일

  •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Description >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tru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tru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NA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LeaveUntagged /UseDocumentBleed false >> ]>> setdistillerparams> setpage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