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271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연구 2009. 11.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Upload: others

Post on 20-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연구

2009. 11.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Page 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출 문

환경부 귀중

본 보고서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 11.

책임연구원: 박 순 애 서울대학교

공동연구원: 윤 경 준 한성대학교변 병 설 인하대학교

연구보조원: 이 희 선 서울대학교 정 선 영 서울대학교 안 창 희 이화여자대학교

Page 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I -

제 목 차 례

제 1 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4

3. 연구 내용 ·············································································································5

4. 연구 방법 ·············································································································7

1) 개괄 ·················································································································7

2) 세부적 연구방법 ···························································································8

(1) 문헌 분석 ···························································································································8

(2) 전문가인터뷰 ·····················································································································8

(3) 설문조사 ·····························································································································9

5. 추진 일정 ··········································································································10

제 2 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11

1. 저탄소 녹색성장의 의의 ··············································································13

1) 녹색성장의 개념 ·························································································13

2) 해외 및 민간의 녹색성장 동향 ·······························································15

2. 이론적 배경과 정부간 관계 ··········································································17

1) 중앙과 지방정부간 관계 ···········································································17

2) 환경보전 및 개발과 관련한 중앙과 지방정부간 관계 ·····················19

3. 녹색성장과 정부간 관계 ················································································21

1)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역할 모색에 대한 연구 ·············21

2) 녹색성장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대응 ···················································25

Page 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II -

3) 선행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27

4. 정책집행 영향요인 ··························································································28

5. 연구의 분석틀 ··································································································34

제 3 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35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녹색성장 정책현황분석 ······································37

1) 중앙정부의 녹색성장 정책 ·······································································37

(1) 녹색성장정책의 기본원칙 및 각 분야별 정책목표 ················································37

(2) 정부의 녹색성장 추진정책-환경부 ············································································40

2) 지방정부 녹색성장 정책현황 ·································································55

(1) 서울특별시 ······················································································································55

(2) 인천광역시 ······················································································································57

(3) 제주특별자치도 ··············································································································60

(4) 강원도 ······························································································································62

2. 녹색성장 추진체계 ··························································································65

1) 법적 기초 ·····································································································65

(1)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의 특징 ············································································65

(2)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의 주요 내용 ··································································68

2) 국가전략 및 추진계획 ···············································································69

(1) 녹색성장 국가전략 ········································································································69

(2) 녹색성장 5개년계획 ······································································································72

(3) 기관별 계획 ····················································································································74

(4) 부문별 계획 ····················································································································75

3) 추진조직체계 ·······························································································76

(1) 중앙정부 차원의 추진조직체계 ··················································································76

(2) 지방 정부 차원의 추진체계 ························································································79

4) 주체 간 협력체계 ·······················································································81

(1) 정부-민간부문 간 협력체계 ························································································81

(2) 민간부문 간 협력체계 - 녹색성장민간협의체 ························································83

Page 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III -

제 4 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85

1. 미국사례 ··········································································································87

1)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전략 ·······································································87

(1) 기후변화에 대한 기본입장 ··························································································87

(2) Post-교토체제에 대한 입장 ························································································88

2) 녹색성장정책의 주요 내용 ·······································································89

(1) 녹색성장 정책 ················································································································90

(2) 녹색성장 관련 법⋅제도 ······························································································96

3) 미국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정책사례 ·········································106

(1) 녹색성장추진 체계 ······································································································106

(2) 주요내용 ························································································································107

(3) 녹색성장관련 법과 정책 ····························································································108

(4) 전망 ································································································································112

4) 미국 녹색성장정책 사례의 시사점 ·····················································113

(1) 신재생에너지 공급확대 ······························································································113

(2) 에너지정책과 도시개발사업과 연계 ········································································114

(3) 주정부의 선도프로젝트 ······························································································114

2. 영국사례 ··········································································································115

1)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전략 ·····································································115

(1) 기후변화에 대한 기본입장 ························································································115

(2) Post-교토체제에 대한 입장 ·····················································································117

2) 녹색성장정책의 주요 내용 ·····································································119

(1) 기후변화법 상의 주요 정책 ······················································································119

(2) 에너지법 상의 주요 정책 ··························································································121

3) 녹색성장 추진체계 ···················································································123

(1) 녹색성장 관련 법 ········································································································123

(2) 중앙정부의 녹색성장 추진조직 ················································································127

(3) 지방정부 녹색성장 추진체계 ····················································································130

4) 영국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정책사례 ···········································133

(1) 런던 기후변화대응 전략 ····························································································133

(2) 런던의 우수 정책사례 ································································································134

Page 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IV -

5) 영국 녹색성장정책 사례의 시사점 ·······················································138

(1) 녹색성장 전담부처 설치 시 참조할 수 있는 모델 제시 ····································138

(2)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실정법에 명시 ······································································139

(3) 녹색성장정책과 공간계획의 연계 ············································································140

(4) 지방자치단체 성과평가를 통한 녹색성장 촉진 ····················································140

3. 일본 사례 ········································································································141

1)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 ·································································141

(1) 기후 변화에 대한 기본 입장 ····················································································141

(2) 교토 의정서 및 포스트 교토 의정서에 대한 입장 ··············································141

2) 녹색성장정책의 주요 내용 ·····································································142

(1) 기후 변화․에너지 관련 정책 ·····················································································142

(2) 녹색 산업 (Green Technology : GT) ·····································································148

(3) 녹색 사회 ······················································································································149

3) 녹색성장 추진체계 ···················································································152

(1) 녹색 성장 관련 법 ······································································································152

(2) 녹색 성장 관련 제도 및 현황 ··················································································153

4)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정책 사례 ···········································156

5) 일본 녹색성장정책 사례의 시사점 ·······················································158

4. 선진국 사례와 한국 비교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60

제 5 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63

1. 연구의 개요 ····································································································165

2. 연구분석틀 및 가설 ······················································································166

1) 지자체장의 노력과 성향 ·········································································166

2) 정책집행 담당자의 정책에 대한 기대 ·················································167

3) 조직환경 변수 ···························································································168

3. 기술분석 결과 ······························································································170

1) 설문응답자 및 기관의 특성 ···································································170

2) 녹색성장사업 추진현황 ···········································································171

2) 지방자치단체 사업추진 조직형태 ·······················································177

Page 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V -

3) 녹색성장정책과 중앙-지방정부 관계 ··················································178

4) 지자체 규모별 비교분석 ·········································································185

4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 ···········································································191

1) 상관관계분석 ···························································································191

2) 다중회귀분석 ···························································································193

5. 소결론 ··············································································································196

제 6 장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협력체계 구축방안 ····199

1.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201

1) 저탄소 분야 ·····························································································201

2) 녹색성장동력 분야 ·················································································204

3) 녹색생활문화 녹색인프라 분야 ···························································206

4) 녹색일자리 분야 ·····················································································209

5) 생활공감 ···································································································210

2.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방안 ··············································212

1)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의체 구성 ················································212

2)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약제도 도입 ············································214

3)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인력교류 ······················································216

4)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활동 강화 ·······················································218

제 7 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225

참 고 문 헌 ·····························································································235

부 록 ·····································································································245

Page 1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VI -

<표 차례>

【표 1-1】환경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4

【표 2-1】지속가능한 발전과 녹색성장의 비교 ············································································15

【표 2-2】녹색성장 관련한 시장의 포트폴리오 로드맵(Road Map) ········································16

【표 2-3】Wright의 중앙-지방정부간 관계 ···················································································18

【표 2-4】Rhodes의 중앙-지방정부간 관계 ·················································································18

【표 2-5】환경행정 배분현황 ············································································································20

【표 2-6】환경규제의 효율성 제고방안과 지속가능 개발 저해 요인 ······································22

【표 2-7】정부 간 관계의 갈등 요인 ······························································································23

【표 2-8】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환경갈등사례 ··········································································23

【표 2-9】갈등의 주요원인 ················································································································25

【표 2-10】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29

【표 2-11】국내의 정책집행 연구와 정책집행 분석요소 ····························································33

【표 3-1】중앙부처의 녹색성장책임관 지정 현황(2009년 8월 2일 현재) ······························78

【표 3-2】16개 시도의 녹색성장책임관 지정 현황(2009년 8월 2일 현재) ···························80

【표 4-1】교토의정서와 아·태 파트너십 체제비교 ····································································89

【표 4-2】축적 전력 및 천연가스 절약 ························································································101

【표 4-3】온실가스 감축 목표 ········································································································101

【표 4-4】 미국의 클린 에너지 정책 4대 영역 16개 전략 ·················································105

【표 4-5】부분별 온실가스 감축현황 및 예측(단위: MMTCO2e) ············································109

【표 4-6】일본의 에너지 정책 변화 ······························································································143

【표 4-7】21개의 에너지 핵심 기술 ·····························································································148

【표 4-8】2050 일본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12가지 방책 ················································151

【표 4-9】일본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법 ····················································································152

【표 4-10】2009년 녹색 성장 사업 책정 추가 경정 예산 ······················································153

【표 4-11】일본의 녹색 성장 관련 주요 국가 정책 ·································································154

【표 4-12】선진국 사례와 한국비교 ·····························································································160

Page 1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VII -

【표 4-13】선진국 사례의 운영측면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161

【표 5-1】미국주정부의 환경정책 대응방식 ················································································167

【표 5-2】설문조사 응답자의 특성 ································································································170

【표 5-3】저탄소 녹색성장 사업 ····································································································172

【표 5-4】녹색성장 동력 산업 ········································································································173

【표 5-5】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 ·······························································································174

【표 5-6】녹색일자리 창출 ··············································································································175

【표 5-7】생활공감 녹색성장 ··········································································································176

【표 5-8】지방자치단체의 사업추진 형태와 이상적인 조직편성방안 ····································177

【표 5-9】정부간 갈등 해결 방식 ··································································································178

【표 5-10 녹색성장사업 추진 ·········································································································179

【표 5-11】녹색성장사업 운영방식 ·······························································································180

【표 5-12】녹색성장사업의 효과와 자치단체장의 노력 ···························································182

【표 5-13】중앙부처와의 접촉빈도 ·······························································································184

【표 5-14】녹색성장추진수준 ·········································································································185

【표 5-15】녹색성장조직 및 예산 ·······························································································186

【표 5-16】녹색성장사업기대효과 ·································································································187

【표 5-17】지자체장의 노력정도 ·································································································188

【표 5-18】추진시의 어려움 ···········································································································190

【표 5-19】상관관계표 ·····················································································································192

【표 5-20】변수설명표 ·····················································································································194

【표 5-21】회귀분석표 ·····················································································································195

Page 1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VIII -

<그림 차례>

【그림 1-1】사례연구 ····························································································································8

【그림 1-2】연구방법 ····························································································································9

【그림 1-3】연구추진일정 ··················································································································10

【그림 2-1】Smith의 정책집행과정 모델 ·······················································································28

【그림 2-2】Edwards의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상호간의 관계 ································29

【그림 2-3】Rational-Technical and Coconstructed Models of Implementation ·········30

【그림 2-4】연구의 분석틀(analytical framework) ·····································································34

【그림 3-1】녹색성장을 위한 환경정책 추진체계도 ····································································40

【그림 3-2】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의 기본 구조 ································································65

【그림 3-3】녹색성장 국가전략에 제시된 전략 및 정책방향 ····················································71

【그림 3-4】녹색성장위원회의 조직 ································································································77

【그림 3-5】행정안전부의 지방 녹색성장 추진체계 구성(안) ····················································79

【그림 3-6】녹색성장포럼의 조직도 ································································································81

【그림 3-7】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조직도 ··················································································82

【그림 3-8】녹색성장민간협의체 ······································································································84

【그림 4-1】세계의 온실가스 배출 추이 ························································································88

【그림 4-2】1961-2099년까지 캘리포니아 기온상승 ·······························································106

【그림 4-3】캘리포니아 주정부 녹색성장 조직체계 ··································································107

【그림 4-4】캘리포니아의 신재생에너지 세부 구성 ··································································110

【그림 4-5】캘리포니아 재생에너지 목표 ····················································································110

【그림 4-6】영국의 온실가스 배출 추이 ······················································································116

【그림 4-7】영국 계획법(Planning Act, 2008)의 주요 내용 ···················································126

【그림 4-8】Defra의 업무영역 및 네트워크 ···············································································129

【그림 4-9】런던 트라팔가 광장에 설치된 ECO-House ···························································135

【그림 4-10】영국 탄소제로 주택의 개념도 ···············································································135

【그림 4-11】런던 시내의 혼잡통행료 징수 구역 ·····································································138

Page 1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IX -

【그림 4-12】일본의 3R 정책 관련 법률 체계 ···········································································147

【그림 4-13】일본의 과학 기술 행정 체제 ···············································································155

【그림 5-1】<저탄소>녹색성장 ······································································································172

【그림 5-2】<녹색성장동력> 산업 ································································································173

【그림 5-3】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 ····························································································174

【그림 5-4】녹색일자리창출 ············································································································175

【그림 5-5】생활공감녹색성장 ······································································································176

【그림 5-6】지방자치단체의 사업추진 형태와 이상적인 조직편성방안 ······························177

【그림 5-7】정부간 갈등해결 ········································································································179

【그림 5-8】녹색성장사업추진 ········································································································180

【그림 5-9】녹색성장사업운영방식 ······························································································181

【그림 5-10】녹색성장의 경제․사회에 대한 기여기대정도 및 지자체장의 노력 ·················183

【그림 5-11】중앙부처의 업무 협조 부서 순위 ·········································································183

【그림 5-12】지난1년 간 중앙부처 접촉빈도 ·············································································184

【그림 5-13】녹색성장추진수준 ···································································································186

【그림 5-14】녹색성장 추진예산 ···································································································187

【그림 5-15】녹색성장사업기대효과 ·····························································································188

【그림 5-16】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정도 ···················································································189

【그림 5-17】사업추진시의 어려움 ·······························································································190

【그림 6-1】환경부 CGO 협의회(가칭) 구성안 ············································································214

【그림 6-2】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약체결 흐름도 ···························································216

【그림 6-3】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인력교류 ·········································································217

【그림 6-4】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조직도 ················································································219

【그림 6-5】지역별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구축 현황 ································································220

【그림 6-6】그린스타트 네트워크 강화 방안 ··············································································222

Page 1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1 장 서 론

Page 1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1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3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및 목적III

1 연구의 배경

환경문제와 에너지 부족사태에 대한 문제인식 확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가 기상재해, 생태계파괴와 같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

를 야기함에 따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

Thomas L. Friedman(2008)은 지구적인 환경문제와 에너지 부족사태에 대하여 본질

적이고 실행가능한 해결책을 이끌어내지 않으면 안 됨을 강조한 바 있음. 또한 국제

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석유매장량이 2020년의 고점(peak)을 기준으로 서서히 줄

어들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따른 에너지 부족사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글로벌사회는 에너지 부족 및 환경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이 절박한

상황임

국민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관심 증대

한편, 경제성장을 위주로 한 발전은 인간의 삶의 질을 증대시키지는 못할 것이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앞으로는 경제만이 아닌 사람들의 삶의 질의 증대를 가져오는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함

이처럼 환경문제 해결과 삶의 질 제고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가에 따라 환경(green)

과 경제(growth)가 상충된다는 고정관념에서 탈피, 경제가 환경을 개선하는 수단으로

인식되는 동시에 환경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 녹색성장(green growth)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증가함

Page 1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 ․․․․․․․․․․․․․․․․․․․․․․․․․․․․․․․․․․․․․․․․․․․․․․․․․․․․․․․․․․․․․․․․․․․․․․․․․․․․․․․․․․․․․․․․․․․․․․․․․․․․․․․․․․․․․․․․․․․․․․․․․․․․․․․․․․․․․․․․․․․․․․․․․․․․․․․․․․․․․․․․․․․․․․․․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정부의 환경 및 산업정책 변화 필요성 대두

정부는 지금까지 환경과 경제를 대립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각각의 정책을 집행하

였으나 녹색성장 패러다임 하에서는 이러한 시각의 변화를 요구함. 즉, 환경과 경제

의 상충적인 이해를 완화할 필요 있음(【표 1-1】참고)

과거 현재 미래

정책

목표

․환경 vs. 경제

․공급에 초점

․환경 vs. 경제(부분통합)

․수요에 초점

․환경, 경제 및 사회적 목표

(지속가능한 발전)

․수요와 공급의 통합에 초점

․예방적 접근 중시

국가

환경

제도

․엄격한 구조

․제공자로서의 정부

․환경제도는 과학적

고려 및 전문가가

지배

․탄력적 구조이나 전통이

여전히 지배

․활동의 지방분권화

․협상 파트너로서의 정부

․경제적 기술 중시

․개방적/탄력적 구조

․네트워크의 강조

․촉진자-촉매자로서의 정부

․지속적 분권화 속에서 기능

적 균등 강조

․정부역할의 지속적 진전

․통합적 분석기술 필요

국제

환경

제도

․발전단계

․환경목표 지배적

․정책목표를 종종 정

성적 용어로 기술

․경제를 부정적 문제

의 근원으로 봄

․부분적 통합단계(경제제

도의 확산과 연계)

․다자간 환경협정 확산

․완전한 통합단계(다자간 환

경협정은 보다 더 사회경제

적으로 민감)

․정책목표를 정량적 용어(목

표치, 일정)로 기술

․국제협력의 필요성 증대

출처: 지속가능위원회(2001), 박순애(2008) 재인용

【표 1-1】환경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Page 1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5

녹색성장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정부 간 관계에 대한 고찰

국가의 새로운 전략인 녹색성장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는 국가 간, 중앙부처간, 지

방과 중앙정부간의 전략적인 상호의존 및 협력 관계를 필요로 함. 이는 새로운 업무

분장과 지역의 이해관계에 따른 인식차이로 인해 갈등과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임

따라서 녹색성장이 지속적․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정부 간 역할 재조정과 표준

화 및 제도적 장치에 대한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음. 즉, ‘모든 사람의 복지를 위

한 환경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UN ESCAP)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추진주

체간의 협력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에 부합하는 녹색성장 과제 도출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확산과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의 효과적인 재조직화

(re-organization)와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이와 함께 지역별 특성

에 맞는 새로운 녹색성장 정책의 발굴․전파가 필요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필요성에 입각하여,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지

역 특성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지역별 녹색성장 전략 제시를 목적으로 함

3 연구 내용

녹색성장 추진 체계 현황분석

녹색성장을 위한 중앙정부 부처 내 정책결정과 역할분담 및 조정체계, 지방정부의 녹

색성장 관련 업무와 조직체계를 분석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녹색성장 정책 추진체계 분석. 즉, 녹색성장에 대한 정책 수

립, 집행, 사후평가를 통한 피드백의 전 과정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업무의 분

담과 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함

공무원의 인식 조사 등을 통하여 정책 입안자와 집행자의 의견을 반영한 효율적인

Page 1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 ․․․․․․․․․․․․․․․․․․․․․․․․․․․․․․․․․․․․․․․․․․․․․․․․․․․․․․․․․․․․․․․․․․․․․․․․․․․․․․․․․․․․․․․․․․․․․․․․․․․․․․․․․․․․․․․․․․․․․․․․․․․․․․․․․․․․․․․․․․․․․․․․․․․․․․․․․․․․․․․․․․․․․․․․

협력 방안을 도출함

정부 간 갈등관리(conflict management) 전략 도출

정부 간 갈등관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정부 간 갈등의 개념과 유형, 주요원인, 갈

등관리의 사례 및 관리방안 등을 제시함

녹색성장 정책 및 사업의 진행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사례 및 유형을 파악하고 발생

의 원인을 분석하여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갈등관리·해소방안을 제시함. 그리고 정부

간 갈등관리 전략 및 갈등관리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함.

녹색성장 관련 지방 거버넌스 조직의 역할 정립 및 효과적 지원 방안 제시

거버넌스 이론 고찰과 지방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의 역할을 살펴보고, 지방 거

버넌스 조직의 실태분석함

지방 거버넌스의 진단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안을 제시하며, 녹색성장 지방 거

버넌스 발전방안을 모색함

국내․외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정책 조사 및 시사점 도출

녹색성장 관련 국제동향 파악 : 세계적인 경기침체, 환경·에너지문제, 기후변화, 자원

민족주의 등의 흐름과 녹색성장의 관계를 살펴봄

외국의 녹색성장 관련 정책 우수사례 심층 분석 : 미국, 일본,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체계 및 정책 사례 분석.

국내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사례 조사 및 분석 : 서울시, 경기도 등 ‘저탄소 녹색성장

잠재력 기초현황 분석’

국내·외 우수사례 조사 및 분석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시사점 도출

Page 2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7

지방의 저탄소 녹색성장 촉진을 위한 새로운 환경정책 발굴

지방의 녹색성장 추진여건 분석 : 지방의 녹색성장 추진여건을 분석할 수 있는 틀 제

녹색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지역별 특성에 부합하는 환경정책 도출

환경부의 녹색성장 실천계획과 지방 녹색성장 정책과의 연계방안 모색: 지방의 녹색

성장 정책을 파악하여 환경부 녹색성장 실천계획 주요내용(저탄소, 녹색성장, 녹색일

자리, 생활공감)과의 연계방안 제시

4 연구 방법

1) 개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으로 문헌분석, 해외사례분석, 전문가인터뷰, 설문조사 등의 연구방

법을 활용함

현재 성장과 환경에 대한 정책을 구분하여 추진하고 있었으나 저탄소 녹색성장은 기

존의 정책과는 그 패러다임을 달리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역할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진한 현황임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해외의 문헌연구, 전문가 인터뷰, 전문가 포럼 등

의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해외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자 함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인터뷰 및 포럼을 실시하고자 함

Page 2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

2) 세부적 연구방법

(1) 문헌 분석

대부분의 독창적인 연구(original research)는 특정한 주제에 대한 기존의 학습내용에

대한 확장과 같음(Babbie, 2007). 즉, 문헌분석은 연구방법의 기본으로 이를 통해 문

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으며, 연구 설계의 완성도

를 제고할 수 있음(남궁근, 2005: 149)

따라서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을 체계적으

로 연구하기 위하여 최신의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함

또한 국내외 보고서와 해외의 사례 보고서, 설문조사, 각종 언론 자료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벤치마킹할 만한 성공적 정책 사례를 도출하고,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관계 및 지방정부에 필요한 대안을 제시함

【그림 1-1】사례연구

(2) 전문가인터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최신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국내의 상황에 대한 객관적

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 이를 통하여 녹색성장을 위한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정보의 수집 가능함

Page 2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 9

녹색성장의 실질적인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진행하고자 함. 광역지방

자치단체의 인터뷰 대상자는 녹색성장과 관련한 학계의 전문가와 실무자를 모두 포

함하며, 해외의 성공적 운영에 대한 조언 및 아이디어의 창출을 위한 지역별 전문가

및 실무자를 포함함

(3) 설문조사

녹색성장정책추진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함. 설문대상은 중앙부처 공무원(환경부 등),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초지방자치단

체,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 등 녹색성장담당 공무원을 포함함. 구조화된 설문지

와 개방형의 질문을 포함하여 창조적인 아이디어 제시 가능성을 열어둠

【그림 1-2】연구방법

Page 2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

5 추진 일정

【그림 1-3】연구추진일정

Page 2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2 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Page 2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2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13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ⅡⅡⅡ

1 저탄소 녹색성장의 의의

1)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의 개념

녹색성장(green growth)

녹색성장은 하나의 정책포커스로, 경제성장과 더불어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추구

하는 것임1)

지속가능한 발전은 미래세대가 필요로 하는 것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능력을 손상

시키지 않고,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을 의미함2)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8·15 경축사에서 녹색성장을 국가의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

- ‘녹색성장은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는 지속가능한 성장이며, 녹색기술과 청정

에너지를 통해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신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정의

녹색성장이란 성장과 기후, 에너지 간의 악순환에서 벗어나 이들이 상호 양립하여 윈

윈(win-win)의 선순환을 만들어 내야하며, 에너지 효율 향상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

이고 산업의 경쟁력을 개선하여 성장까지 촉진하는 패러다임임(김정인, 2009)

환경(Green)과 경제(Growth)가 상충된다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양자의 시너지

(synergy)를 극대화 하는 패러다임

- 녹색성장은 환경과 경제의 상생을 구체화한 것으로, 경제가 환경을 오염시키고 훼

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경의 질을 개선하는 경제성장을 의미. 이를 위해서 자

1) “Green Growth is a policy focus. It aims to combine economic growth with environmental

sustainability.”(UN ESCAP, http://www.greengrowth.org )

2) “Sustainable development is 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WCED, 1987:43)

Page 2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14 ․․․․․․․․․․․․․․․․․․․․․․․․․․․․․․․․․․․․․․․․․․․․․․․․․․․․․․․․․․․․․․․․․․․․․․․․․․․․․․․․․․․․․․․․․․․․․․․․․․․․․․․․․․․․․․․․․․․․․․․․․․․․․․․․․․․․․․․․․․․․․․․․․․․․․․․․․․․․․․․․․․․․․․․․

원이용의 효율성을 최대화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생태효율성 (EE: Ecological

Efficiency)을 추구

- 또한 녹색성장은 환경을 새로운 성장의 동력으로 삼는 경제성장을 의미함. 이를

위해서 경제활동의 환경친화성을 증가시키는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을 성장동력화하

는 것이 필요함

녹색성장을 실현하는 3대 요소는 다음과 같음(환경부, 2009, 환경분야 녹색성장 실천

계획)

- 견실한 성장을 하되, 에너지·자원 사용량은 최소화

- 동일한 에너지·자원을 사용하되,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오염은 최소화

-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를 신성장동력으로 개발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1987년 UN에 의해 구성된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 World Commission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의 브른튼란트(Brundtland) 보고서에서 지속가능발전

의 개념이 보편화되기 시작한 이래로, 전 세계적인 지배 이념으로 자리 잡음.

지속가능한 발전은 미래세대가 필요로 하는 것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능력을 손상

시키지 않고,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을 의미함3)

개발도상국에게는 지속가능발전이 개발전략으로 제시되었고, 선진국에게는 재개발

(redevelopment) 전략으로 제시되고 있음(Alker& Mcdonald, 2003; Cordero et al.,

2005)

그러나 브른튼란드 보고서가 지속가능발전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에 대해서 구체적

인 안을 내놓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음(Hilson, 2000). 개념적인 불명확성은 학

문적으로 개념에 대한 논의를 낳고 있음.

그러나 수많은 논의와 연구, 국제회의의 진행 등을 통해 개념은 조금씩 윤곽을 잡아

왔으며, 2002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세

계정상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에서 지속가능발전

의 주요 요소로 ‘경제, 환경, 사회’라는 세 가지 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음. 즉 경

3)“Sustainable development is 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WCED, 1987:43)

Page 2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15

제성장(economic development), 환경보호(environmental protection), 사회정의(social

justice)의 균형을 고려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표 2-1?】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녹색성장을 태동부터 목적까지 비교한 것임.

구분 지속가능발전 녹색성장

기구 UNCSD UN ESCAP

태동 'Our Common Future'('87) UN 아태 환경개발 장관회의(‘05. 3)

대상 전 세계 국가 아․태 지역국가

배경 성장의 결과인 환경오염 복구 성장단계에서 환경오염방지

목적 경제성장, 사회발전, 환경보호 동시추구 빈곤극복과 환경적 지속가능성 확보

출처: 윤순진(2009)

【표 2-1】지속가능한 발전과 녹색성장의 비교

2) 해외 및 민간의 녹색성장 동향

선진국은 환경을 새로운 성장의 동력으로 삼고 녹색성장 경주(Green Growth Race)

를 진행 중임

- 녹색기술을 육성하고 녹색산업을 통하여 성장과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

- 글로벌 녹색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도 배가

- EU : 신재생 에너지법을 기반으로 녹색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지원 가속,

신재생에너지 전력공급 비중을 ‘10년 12.5%, ’20년까지 20%까지 확대

- 일본 : 이노베이션25(‘07.5월)를 통해 환경을 경제성장과 국가공헌의 엔진으로 활

용, 후쿠다비전 제시(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 60~80% 감소), 연료전지, 하이브

리드 자동차, 태양광 발전 등 환경·에너지 분야의 21개 핵심기술 개발 추진

- 미국 : 향후 10년간 1,500억 달러를 투자하여 신재생에너지를 집중 육성, 500만개

Green Job 창출, 탈 “석유중독”을 추진하여 자동차 연비를 2배로 개선하고 하이브리

드 자동차 100만대 보급, 2050년 온실가스80% 감축(‘90년 대비), 오바마 대통령 최우

선과제로 국제금융시장 안정과 기후변화 및 에너지를 선택

Page 2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16 ․․․․․․․․․․․․․․․․․․․․․․․․․․․․․․․․․․․․․․․․․․․․․․․․․․․․․․․․․․․․․․․․․․․․․․․․․․․․․․․․․․․․․․․․․․․․․․․․․․․․․․․․․․․․․․․․․․․․․․․․․․․․․․․․․․․․․․․․․․․․․․․․․․․․․․․․․․․․․․․․․․․․․․․․

최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 역시 현재와 미래의 역할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가 진행

오염예방

․현재의 공정 중 어떤 과정에서 가장

심각한 폐기물과 오염이 배출되는가?

․원료에서 폐기물을 줄이고 폐기물을

재이용하여 비용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제품 책임주의

․제품의 전 과정에 대한 책임을 전제

로 할 때 어떤 제품 설계와 개발이 필

요한가?

․제품의 환경영향을 줄이면서 동시에

제품의 가치를 배가하고 생산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가?

청정기술

․친환경 제품개발이 기존의 역량에 의

해 제한되고 있는가?

․새로운 기술을 통해 핵심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하는가?

지속가능성비전

․기업의 비전이 직접적으로 사회․환

경 문제의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

가?

․기업의 비전이 지속가능한 기술과 시

장, 제품과 공정의 발전을 반영하고

있는가?

출처: 이병욱, 2006

【표 2-2】녹색성장 관련한 시장의 포트폴리오 로드맵(Road Map)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2005)는 국내 주요 20개 대기업의 ‘지속

가능경영사례’를 발간

- 주요 기업들은 환경경영전략을 통해 청정기술과 친환경제품 개발 및 보급에 심혈

을 기울이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공정개발과 환경유해물질 배출 저감 등에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

GE, 도요타 등 세계적 기업들도 녹색산업의 선점에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GE : 환경위기시대 경영 전략인 Ecomagination(Eco+Imagination) 도입(‘05), 환경

R&D를 ’10년까지 15억 달러로 확대(‘05년 7천만달러), 환경분야 매출액을 ’10년까지

200억 달러로 확대(‘06년 120억 달러)

- 도요타 : 환경경제효율성이 높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세계시장 선점(‘06년 82%

점유), ’10년까지 100만대 양산체제 구축

Page 3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17

2 이론적 배경과 정부간 관계 성공적인 녹색성장 정책 결정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만이 아니라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적극적인 녹색성장사업을 추진

하고 중앙정부와 협력적인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 있음. 따라서 새로운 영역인 녹색성장 사업 추진에의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환경․개발에서의 중앙과 지방정부간 관계를 우선 고찰하고자 함

1) 중앙과 지방정부간 관계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에 있어 어느 쪽에 상대적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중앙과 지방

간의 통합성을 강조하는 집권강조론과 지방정부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분권강조론이

있음(이승종, 2003)

집권강조론은 지방의 자율권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국정의 통합성을 더 강조하며 중

앙과 지방의 관계에서 갈등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음. 이와 달리 분권강조론은 지방

의 자율성이 지방의 잠재성을 발현시킨다고 보고, 중앙과 지방의 갈등을 자율성에

기초한 국정운영을 위한 불가결 요소, 협력실현과정으로 보고 있음

한편 중앙과 지방 관계의 수직적 계층성을 강조하는지 지방정부의 독립성을 강조하

는지에 따라 Wright(1978)는 내포모형, 분리모형, 중첩모형으로 분류하고 있음(【표

2-3】 참고)

Page 3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18 ․․․․․․․․․․․․․․․․․․․․․․․․․․․․․․․․․․․․․․․․․․․․․․․․․․․․․․․․․․․․․․․․․․․․․․․․․․․․․․․․․․․․․․․․․․․․․․․․․․․․․․․․․․․․․․․․․․․․․․․․․․․․․․․․․․․․․․․․․․․․․․․․․․․․․․․․․․․․․․․․․․․․․․․․

연구자 수직적 통제모형 수평적 관계상호의존적

관계

Wright

(1978)

내포모형(inclusive model)

- 정부간 관계의 수직적 계층

성을 강조하면서 미국의 연

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는

서로 계층적 상하관계에 있

으며, 지방정부는 주정부에

주정부는 연방정부에 종속되

어있다는 것을 제시

분리모형

- 주정부가 연방정부로부터 독

립적이라는 것을 인정

- 따라서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각각의 고유업무를 독립적으

로 수행하며(dual federalism)

각 정부는 자치권을 보유함

중첩모형

자료: 고경훈(2004) 수정

【표 2-3】Wright의 중앙-지방정부간 관계

또한 무라쯔(1991)는 일본정부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수직적 통제모형과 수평적 경

쟁모형으로 분류하고 있음. 중앙․지방간 관계를 중앙집권 패러다임에 기초하고 있

다고 보는 제 주장을 수직적 통제모형이라고 하고, 상호의존적이면서 경쟁하고 있다

고 보는 것을 수평적 경쟁모형이라고 함(고경훈, 2004)

Rhodes(1987)의 권력의존모형은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 한국에서 적실성

이 있을 것으로 논의되어 오고 있음(고경훈, 2004). 즉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과거

의 수직적인 관계와 달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다양한 자원들의 교환과정에서 상

호의존적 관계가 형성됨을 지적함

연구자 권력의존모형

Rhodes

(1986)

- 영국의 정부간 관계를 기반으로 논의

-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원획득을 타조직에 의존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

는 자원을 서로 교환한다고 강조.

- 중앙과 지방의 관계는 다양한 자원들의 교환과정에서 관찰되고 연구되어

야 함.

- 교환과정의 대표적 형태는 협상(bargaining)

- 연합(coalition), 흡수(Co-optation), 관료적 전략, 의논, 거래, 대항, 침입,

회피, 유인, 설득, 전문화, 분리 등

자료: 고경훈(2004) 수정

【표 2-4】Rhodes의 중앙-지방정부간 관계

Page 3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19

2) 환경보전 및 개발과 관련한 중앙과 지방정부간 관계

주삼식. 임구원(2006)은 환경행정을 수행하는 주체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위상과

역할을 어떻게 적절하게 모색할 것인지, 특히 한국지방정부의 환경행정에 관한 연구

를 통해 이를 고찰함

- 환경행정업무와 관련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는 고

유 업무는 물론 단체위임업무를 수행하며 중앙정부인 환경부의 지도감독을 받고 있

음을 보이고 있음

- 임구원 외(2006)는 지방정부가 중앙정부로부터의 의존적 관행에서 탈피하고 지방

정부의 환경행정에 대한 적절한 역할분담체계를 구축하여 환경행정에 대한 정책수단

을 강구해야 함을 지적함

- 특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환경행정업무 배분에 있어서는 환경행정의 효율성,

책임성, 전문성을 구현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배분기준에 의하여 철저히 이원화해야

함을 강조함

- 지방정부가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환경행정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역실정에 맞

는 환경행정조직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아울러 지적함

- 또한 환경부와 다른 부처의 국가사무, 지방위임사무, 지방 사무를 비교하여 다른

업무의 기능배분에 비하여 환경업무의 경우에는 지방사무가 많음을 적시하고 있음

Page 3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20 ․․․․․․․․․․․․․․․․․․․․․․․․․․․․․․․․․․․․․․․․․․․․․․․․․․․․․․․․․․․․․․․․․․․․․․․․․․․․․․․․․․․․․․․․․․․․․․․․․․․․․․․․․․․․․․․․․․․․․․․․․․․․․․․․․․․․․․․․․․․․․․․․․․․․․․․․․․․․․․․․․․․․․․․․

사무구분환경부 타부처 합계

단위사무 % 단위사무 % 단위사무 %

중앙기관 374 45.3 85 37.6 459 43.7특별지방행정기관 154 18.7 27 11.9 181 17.2

민간위탁 9 1.1 6 2.7 15 1.4

부속기관 22 2.7 5 2.2 27 2.6타기관위탁 0 0.0 4 1.8 4 0.4

소계 559 67.8 127 56.2 686 65.3지방위임사무 143 17.2 72 31.9 215 20.3

지방사무 123 15.0 527 11.9 150 14.4합계 825 100.0 226 100.0 1,051 100.0

자료: 주삼식․임구원(2006) 재인용

【표 2-5】환경행정 배분현황(단위: 수, %)

이학동 외(2006)는 예산집행액 기준 민선3기의 전국 기초자치단체 공약사업에서 지역

개발이 78.9%를 차지하고, 환경의 경우 1.6%에 그치는 등(경향신문 2006/4/9) 지방

자치시대의 자치가 ‘생활자치’가 아닌 ‘개발의 자치’를 야기함을 지적하고 있음.

녹색성장의 경우 지역의 경제성장은 물론 환경에 대한 가치에도 방점을 두고 있어

앞으로 이를 수행함에 있어 지방의 자치권의 범위나 위임의 정도를 규정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함

이와 관련하여 박태윤(1996)의 연구에서는 지역에서 환경친화적인 개발의 개념이 매

우 좁은 범위에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며 녹색성장에서의 적극적인 지역개발과는 달

리 폐광, 습지지역의 지역 개발 등만을 환경친화적인 지역개발이 가능한 지역으로

주목함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환경 관련 규제정책들이 환경정책과 경제정책을 상충적인 시각

에서 바라본 반면, 박상인 외(2008)의 연구는 사회후생의 극대화라는 관점에서 환경

정책과 경제정책이 조화롭게 운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

- 박상인 외(2008)의 연구가 향후 녹색성장 정책의 추진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그 논의의 관점에 주로 중앙정부 수준의 Policy Mix 관점에 한

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정부 간 및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주는 시사점은 제한적임

Page 3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21

3 녹색성장과 정부간 관계

1)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역할 모색에 대한 연구

Gurr와 King(1987)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에서 일반적으로 지방정부의 자율

성은 경제적 요인과 상위정부로부터 요인에 의해 제한 받음을 지적함. 여기서 경제

적 요인은 지역경제와 사회적 요소의 혼합에 의한 제한이고, 상위정부로부터 제약은

법․정치적 제한으로 법적 재량권 및 제도적 한계와 관련됨

문태훈(2002)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제약요인으로 국제적·국가적·지방적 차원의 제약

요인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특히 지방적 차원의 제약요인으로 성장지향적인 정책과

제도가 주목되며,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개발 위주의 정책들이 환경 파괴를

수반하고 있음을 지적함

- 국가나 광역자치단체들이 적용하고 있는 보조금이나 경제유인책들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지방정부의 부족한 재정력 및 규제 완화의 흐름 또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제약함

윤종설(2004) 등은 환경규제는 가장 보편적인 환경정책 수단으로 각국에서 활용되었

으나 성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이에 대한 환경규제정책이 사회의 지속가능성 제고라는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개혁

될 필요기 있음을 언급하고, 각종 제도 정비 등의 정책대안을 제시

-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녹색성장의 경우 성장과 환경규제를 모두 포괄하고 있어

이들의 상충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규제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안 제시로는 미흡하

다고 할 수 있음

Page 3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22 ․․․․․․․․․․․․․․․․․․․․․․․․․․․․․․․․․․․․․․․․․․․․․․․․․․․․․․․․․․․․․․․․․․․․․․․․․․․․․․․․․․․․․․․․․․․․․․․․․․․․․․․․․․․․․․․․․․․․․․․․․․․․․․․․․․․․․․․․․․․․․․․․․․․․․․․․․․․․․․․․․․․․․․․․

환경규제의

효율성

제고방안

- 환경규제는 가장 보편적인 환경정책 수단으로 각국에서 활용되었으나

성과가 크지 않음

- 이에 대한 환경규제정책이 사회의 지속가능성 제고라는 관점에서 포

괄적으로 개혁될 필요가 있음. 동시에 각종 제도의 정비가 필요함

지속가능발전

의 저해요인

- 국가적 차원의 제약 요인으로 경제부서들을 통한 기업의 간접적 환경

정책 반대의견 표출

- 지방적 차원의 제약요인으로 성장지향적인 정책과 제도가 주목되며,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개발 위주의 정책들이 환경 파괴를 수

- 국가, 광역자치단체들이 적용하고 있는 보조금이나 경제유인책들은 지

속가능한 개발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지방정부의 부족한 재정력 및 규제 완화의 흐름 또한 지속가능한 발

전을 제약

자료: 윤종설(2004) 정리

【표 2-6】환경규제의 효율성 제고방안과 지속가능개발 저해 요인

녹색성장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중앙과 지방정부의 관계 및 역할은 녹색성장에

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아젠다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서 협력적인 관계가 바람직하고, 다양한

협력방안이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정부 간 갈등의 발생은 불가피함. 고경훈․정인

화(2008)는 이러한 정부 간 관계 유형별 갈등의 공통요인을 다음의 표와 같이 정리하

고 있음

Page 3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23

구분 정부간 갈등의 공통요인

광역정부간 갈등요인

- 갈등조정이나 협상을 위한 제도의 미정립

- 이슈의 정치적 이용과 관리전략

- 지역 간 비용과 편익의 불공평성

광역 및 기초정부간 갈등요인- 비용과 편익의 불공평성

- 갈등조정과 관련된 제도적 협력장치의 미정립

기초정부간 갈등요인 - 비용과 편익의 불공평성

종합

- 비용과 편익의 불공평성

- 갈등조정과 관련된 제도적 협력(협상)장치의 미정립

- 이슈의 정치적 이용과 관리전략

출처: 고경화․정인화(2008)

【표 2-7】정부 간 관계의 갈등 요인

유영성(2005)은 환경갈등 사례를 개인 간․집단 간 갈등․분쟁 사례, 정부 간 갈등․

분쟁 사례, 정부와 주민 간 갈등․분쟁 사례로 구분하여 경기도의 환경갈등 사례를

분석함

- 중앙정부와 광역․기초자치단체간 환경갈등에 대한 사례분석을 다음과 같이 요약

사례 이해관계자 쟁점갈등발생

시기정책참여자 갈등관리 결과

의왕시 위험시

설 입지 갈등

지방철도청, 의

왕시

이해

관계

갈등

정책선택

반대-의왕시 주

민, 정치권, 각종

사회단체 등

갈등의

해소

경기도 기초자

치단체들 규제

완화요구 갈등

환경부, 양평군,

남양주시 등정책선택

반대 - 지역주민 ,

경기도, 정치권

정책간담회,

지원법률제

갈등의

해소4)

개 발 제 한 구 역

지정, 관리비 부

담에 관한 갈등

건교부, 경기도

개발제한구역내

기초자치단체

정책추진반대-경기도, 정

치권

지원법령개

정, 관리비

의 지원

갈등의

해소

안양시 평촌군

송유관 기름유

출갈등

국방부, 안양시 정책종결

찬성-한국종단송

유관공사(TKP)

반대 - 안양시민 ,

지역의 시민단체

갈등의

진행

【표 2-8】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환경갈등사례

Page 3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24 ․․․․․․․․․․․․․․․․․․․․․․․․․․․․․․․․․․․․․․․․․․․․․․․․․․․․․․․․․․․․․․․․․․․․․․․․․․․․․․․․․․․․․․․․․․․․․․․․․․․․․․․․․․․․․․․․․․․․․․․․․․․․․․․․․․․․․․․․․․․․․․․․․․․․․․․․․․․․․․․․․․․․․․․․

이민창 외(2005)는 폐기물처리시설과 공항건설사례를 통하여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의

성패요인을 분석함

- 성공적 갈등관리의 조건으로 단체장의 태도변화와 대화모색, 대화로 풀어 보려는

높은 의지와 관심, 불신감을 해소하려는 노력, 단체장의 적극적 문제해결 방식을 제

시함. 그리고 갈등관리의 실패요인으로 단체장의 갈등사안에 대한 회피적 태도 지속

과 대결성향, 중재기구의 정당화 전략, 갈등해소를 위해 직접 나서지 않은 위임적 방

식 등을 제시하고 있음

한편, 최환용(2006)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역할 및 책임배분에 관해 사회양극화 해

소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 있음

- 중앙정부의 책임 이양이 지방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중앙정부의 과도한 관여․감독과 획일적인 규제는 지방발전을 저해하

고 있음

- 사무배분 측면에서 사무배분 기준의 불명확성, 재정배분의 불일치에 관한 문제가

존재함. 국가 전체적으로 통일성 있는 정책을 전제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이 확보

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국정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여야 함

이와 관련하여 중앙부처 간의 환경갈등을 연구한 논의(문태훈, 2001; 박재희․정유진,

2004)가 있음. 환경 갈등의 가장 주요한 원인은 문제를 보는 시각의 차이, 부처 이기

주의, 업무의 중복 또는 불분명한 관할권, 권한과 예산배분의 문제, 정책목표에 대한

견해 차이를 들고 있음.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부처 간 유사중복기능 통폐합, 복

잡한 정책문제를 조정하는 전담기구 설치, 한시적 자문위원회 활용, 정책정보공유시

스템의 활성화와 부처 간 인사교류제도를 강화하고 집단의사결정시스템과 정책토론

을 활성화 할 것을 제시함

박형서 외(2007)는 공공사업의 입지와 관련한 갈등은 가치․인식체계, 환경적 원인,

경제적 원인, 권한․제도적 원인, 사회․정치적 원인 등의 여러 원인이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하게 나타났다고 주장함

중앙정부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일반적인 해결책들은 큰 틀에서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정책 하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구체적인 대

안제시에는 이르지 못함

이는 녹색성장이 환경문제와 성장문제를 동시에 아우르고 있어 단순히 갈등 또는 협

력의 이분법적 시각으로 다루어서는 안 됨을 시사함

4) 팔당상수원 규제강화 조치와 관련된 갈등으로 이에 대한 논쟁 재발가능성 존재함

Page 3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2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성장이라는 당면 과제에 대한 중앙부처간 협력․갈등방안

을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제 및 전략을 면밀히 검토할 것임

환경갈등의

주요원인

- 문제를 보는 시각의 차이

- 부처 이기주의

- 업무의 중복 또는 불분명한

관할권

- 권한과 예산배분의 문제, 정

책목표에 대한 견해 차이

- 부서 간 유사중복기능을 통폐합

- 복잡한 정책문제를 조정하는 전담기

구 설치

- 한시적 자문위원회 활용

- 부처 간 정책정보공유시스템의 활성

화와 부처 간 인사교류제도 개선

- 집단의사결정 시스템과 정책토론을

활성화

공공사업

갈등의 주요

원인

- 가치․인식체계 원인, 환경적 원인, 경제적 원인, 권한․제도적 원인, 사

회․정치적 원인 등의 여러 원인이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복잡하게 나타

【표 2-9】갈등의 주요원인

2) 녹색성장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대응

한편, 대부분의 기후변화 또는 녹색성장 연구들은 국가 또는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대

응 방향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고재경 외(2008)의 연구는 경기도라는 특정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점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하

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 그러나 이 연구는 그 초점을 기후변화 적응정책 측면에 두고 있으며, 여전히 공공

부문에 대한 하향적인 정책추진 관점을 지니고 있음. 특히,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의 녹색성장 협력체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녹색성장 협력체계의 구축에 대한 논

의가 생략되어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정부 간 협력이나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을

위한 시사점 도출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는 상태임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대응사례를 소개한 환경관리공단(2008)의 연구는 다양한 지

방자치단체의 대응사례를 정리하고 종합함으로써 지방 수준에서 녹색성장 추진을 위

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음

- 그러나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개별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을 뿐, 지방의 역할

에 대한 일정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데까지 진행되지는 못한 상태임

Page 3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26 ․․․․․․․․․․․․․․․․․․․․․․․․․․․․․․․․․․․․․․․․․․․․․․․․․․․․․․․․․․․․․․․․․․․․․․․․․․․․․․․․․․․․․․․․․․․․․․․․․․․․․․․․․․․․․․․․․․․․․․․․․․․․․․․․․․․․․․․․․․․․․․․․․․․․․․․․․․․․․․․․․․․․․․․․

특히 지방과 중앙의 역할 구분, 지방 수준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시사

점 제공에는 한계가 있음.

배정환 외(2006)는 바이오 및 폐기물 에너지를 중심으로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에

너지사업 추진 전략 및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

- 지역에 부존하는 산림, 폐목재, 유기성 폐기물, 가연성 폐기물 등을 에너지 자원으

로 활용할 경우 투자수요 증가로 연관 산업발전, 부가가치, 고용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함

- 이 연구는 녹색성장을 추진함에 있어 지역 특성화에 맞는 산업의 개발과 투자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함. 그러나 바이오 및 폐기물 에너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녹색성장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한 보다 거시적 차원의 연구가 필요

배정환․안지운(2007)은 풍력단지를 중심으로 지역 신재생에너지 시설물이 지역사회

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가치를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함

- 우리나라 국민들은 풍력발전단지가 가져오는 비용보다는 사회적 편익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에너지의 국산화, 지역경제 활성화, 대기오염 개선효과가 클수

록 풍력발전단지의 건설에 찬성하고 있음

- 고소득, 고학력자들이 풍력발전 시설 건설에 대한 지불용의가 높으며, 직접적 경험

이 있는 지역 거주자의 경우 발전시설의 악영향에 대해서 더 잘 인식하고 있음

- 즉 정부의 녹색성장 사업 역시 지역, 즉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의 이해도 및 인식에

따라 사업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할 수 있음

정회성 등(2000)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지역자율환경관리의 효과적 추진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 지방의 자발적 협약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 산업, 기업 그리고 관련 이해

당사자들 간의 합의가 필요하므로 어느 정도의 재량권이 주어져야 하며, 특히 규제

체계와 독립적으로 혹은 연계하여 실행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중앙정부가 자발적

협약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함을 제시하였음

- 또한 한 지역을 두고 오염원관리의 국가적 책임과 지역환경관리의 지역적 책임이

중복되는 경우 협력적으로 지역적 환경관리협약에 참여하거나, 지방정부에 재량권을

주고, 중앙정부가 협력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음

정부는 기존의 소극적인 법체계와 정책을 통해 환경을 규제하던 것에서 벗어나 발전

의 기반으로의 환경을 바라볼 필요가 있음. 특히, 녹색성장은 국가단위 수준의 전략

Page 4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27

과 더불어 지방단위 수준의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즉,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정부는 정책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중앙과 지방정

부와의 관계 및 전략적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3) 선행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녹색성장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집행에서의 규제적 측면과 사례를 소개하는 정도의

거시적 논의가 많음. 그러나 지역단위의 특성화되고 전략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녹색성장에 초점을 맞춘 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를 탐색한 연구는 미흡함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기에 앞서 중앙 및 지방정부의 갈등관리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를 검토하였음. 중앙정부간 갈등관리에 대한 연구는 매우 포괄적인 범위로 진행되어

앞으로 녹색성장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전략적 탐색을 도출하기에 부족함

또한 지방정부의 갈등관리에 대한 선행연구는 환경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경제

성장과 환경이라는 두 차원을 모두 포괄하는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기에 미흡

따라서 향후 연구의 개괄적 진행방향은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정

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바람직한 관계정립

과 갈등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또한 지방정부의 전략적 녹색성장 사업의 수립, 집행, 평가에 대한 각 단계에서 중앙

정부의 협력 및 관리 방안을 살펴보고자 함

이러한 연구를 통해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의 역할과 상호관계를 모색하고, 효과적인 녹색성장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함

Page 4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28 ․․․․․․․․․․․․․․․․․․․․․․․․․․․․․․․․․․․․․․․․․․․․․․․․․․․․․․․․․․․․․․․․․․․․․․․․․․․․․․․․․․․․․․․․․․․․․․․․․․․․․․․․․․․․․․․․․․․․․․․․․․․․․․․․․․․․․․․․․․․․․․․․․․․․․․․․․․․․․․․․․․․․․․․․

4 정책집행 영향요인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omas B. Smith(1973)은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상적인 정책(idealized

policy), 목표집단(target group), 집행조직(implementing organization), 환경적 요인

(environmental factors)을 들고 있음.

아래 【그림 2-?】에서 나타내고 있듯이 여러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통해서 때로 불

일치(discrepancies)와 갈등(tensions)을 나타내기도 함.

【그림 2-1】Smith의 정책집행과정 모델

출처: Smith(1973): 203

또한 Edwards & Sharkansy(1978)는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주로 집

행담당조직의 내부구조와 관련된 요인을 들고 있는데, 이는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는

주로 관료제에 관한 연구라고 표현한 것과 일맥상통함.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정책집행의 주요 요건은 커뮤니케이션과 인적자원(staff),

정보, 권한, 시설과 같은 자원, 집행자의 성향, 관료제의 구조 등임(<그림 2-2> 참조).

Page 4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29

【그림 2-2】Edwards의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상호간의 관계

Mazmanian & Sabatier(1983)는 추적가능성(tractability),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정책집

행구조화 능력, 사회경제적 상황이나 대중의 관심, 집행자의 적극성과 리더십과 같은

비법률적 변수를 들고 있음.

아래 【표 2-10】은 초기 정책집행연구인 Smith, Edwards, Larson(1980)그리고

Mazmanian & Sabatier가 제시한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표로 정리한 것임

Smith Edwards Larson Mazmanian&Sabatier

집행

변수

집행 담당조

직(인원, 능력,

담당업무, 리

더십, 구조)

○자원 (인적자원 ,

권한, 시설, 정보)

○정책집행자의 성

향(충원, 유인)

○관료제의 구조(할거

성, 표준운영절차)

- 결함 있는 집행

절차

- 정부 간 관계의

복잡성

- 재원

- 집행담당기관 공무원의 성향

- 집행기관 책임자의 리더십

- 우호적인 외부인사의 참여

- 집행기관의 내부구조

- 집행기관의 규정

- 집행기관 상호간의 관계

【표 2-10】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자료: Alexander, 1985; 유훈 2007 재인용

1970~80년대 정책집행의 메커니즘을 일반화하기 위한 프레이밍 연구가 이루어져왔

고, 이후 실증분석을 통해 이러한 메커니즘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

Page 4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30 ․․․․․․․․․․․․․․․․․․․․․․․․․․․․․․․․․․․․․․․․․․․․․․․․․․․․․․․․․․․․․․․․․․․․․․․․․․․․․․․․․․․․․․․․․․․․․․․․․․․․․․․․․․․․․․․․․․․․․․․․․․․․․․․․․․․․․․․․․․․․․․․․․․․․․․․․․․․․․․․․․․․․․․․․

국외 정책집행연구

1970년대 초 정책집행에 대한 연구가 시작될 당시에는 집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틀

없이 단일사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2세대 연구에서는 보다 분

석적이고 비교사례 연구가 행해지기 시작했음(Sabatier, 1986).

이러한 2세대 연구의 대표로서 하향식(Top-down) 접근방법과 상향식(Bottom-up) 접

근방법을 들 수 있음. 하향식 접근방법은 정책집행을 정책결정의 단계에서 채택된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으로서 이해함(Van Meter&Van Horn, 1975; Sabatier &

Mazmanizn, 1979; Mazmanian & Sabatier, 1989, 1981).

반면 상향적 접근방법은 집행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집단은 정책결정

자가 아닌 일선 집행권자이므로 집행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선 집행관료와 대

상 집단(target group)의 행태를 고찰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적함(Elmore, 1979;

Hjern&Hull, 1982, 1985; Hull&Hjern, 1987).

사전에 의도된 정책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

는 것이 필요함.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경향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합적으로 고려

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

Walker(2004)는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일반적으로 거시적인 수준에서의 이론

들은 정책집행 이슈에 대한 조직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미시적 수준의 모

형들은 개개인의 행위와 그에 대한 해석의 관점에서의 집행에 초점을 두고 있음. 두

접근은 타당한 점이 있으나 모든 차원을 고려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아래 그

림(【그림 2-3】)과 같은 통합적 접근을 시도함.

【그림 2-3】Rational-Technical and Coconstructed Models of Implementation

출처: Walker(2004)

Page 4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31

Spillane 등(2002)도 지역의 교육정책 집행과 관련하여 정책집행 실패는 개혁에 대한

행위자의 반대에 있기 보다는 이해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설명하고, 정책집행에 있

어 bottom-up 방식과 top-down 방식을 통합한 인지모델(cognitive model)을 제시함.

이 모델에서 하향식 관점이 고려되어야 하는 까닭으로는 정책 메시지와 방법이 정책

집행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상향식 관점 역시 중요한 것은 정책집행

자의 지식, 신념, 경험 및 지방의 정책행위자가 겪게 되는 환경 등의 상호작용에 의

해 정책집행자의 행위가 영향을 받기 때문임을 지적함.

- 즉, 정책결정자와 분석가에게 정책과정을 살필 수 있는 도구로서 모형을 제시하고

정책이 집행수준(street level)에서 성공과 실패를 야기하는지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설명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음.

한편, Mischen & Sinclair(2007)는 정책집행연구가 부분적으로 변형(partially

transmogrified)되고 있다고 주장함. 즉, 정책집행 연구가 제도분석이나 거버넌스연구,

네트워크 분석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 게다가 정책집행연구가 다른 학문적인

접근방법과 혼합되고 있으며, 지방정부와 주정부의 정책집행과 같은 조직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음.

Stich와 Kim(2005)의 연구도 1969년의 NEPA(the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법안, 1991년 ISTEA(Intermodal Surface Transportation Efficiency Act), 1998년

TEA-21(Transportation Equity Act for the 21st Century)의 집행에 대한 버지니아 사

례연구. 시민의 참여를 요구하는 입법안 집행에서 어떻게 정책과정과 시민의 참여가

서로 연관되는지를 검토하고 있음. 이러한 접근 방법도 전통적인 접근 방법과는 구

분되는 연구로 거버넌스 분석에서 시민을 정책집행의 결정요인으로 보고 있다는 점

임.

Ranerup(2008)도 정책집행에 있어 인터넷이라는 도구가 단순한 공공서비스 전달의

정보제공차원을 넘어 의사결정도구 - 의사결정지원 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으로 작용 - 라는 점을 지적함. 특히 교육정책, 노동시장 정책과 연금정책에

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 또한 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정책집행요소

를 반영해야 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

Saetren(2005)은 문헌분석을 통해 정책집행에 대한 연구의 72%가 의료, 교육, 법, 환

경, 경제 저널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설명하였음(Mischen & Sinclair,2007).

Giacchino & Kakabadse(2003)는 문헌분석과 인터뷰를 통해 정책결정의 성공적 수행

에 영향을 미치는 18개의 요인들을 밝히고 있음. 핵심적인 성공요인으로서 정부가

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만한 조직을 구성할지에 대한 태도를 제시함. 이는 다

Page 4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32 ․․․․․․․․․․․․․․․․․․․․․․․․․․․․․․․․․․․․․․․․․․․․․․․․․․․․․․․․․․․․․․․․․․․․․․․․․․․․․․․․․․․․․․․․․․․․․․․․․․․․․․․․․․․․․․․․․․․․․․․․․․․․․․․․․․․․․․․․․․․․․․․․․․․․․․․․․․․․․․․․․․․․․․․․

음 세 개의 요소로, (1) 국무총리 차원에서 정치적 책임성을 가지고 결정되었는가.

(2) 강력한 프로젝트 관리와 역동적인 팀이 존재하는가. (3) 위원회의 유형과 그 수준

이 정책주도성(policy initiative)을 보여주고 있는가임

국내 정책집행연구

정책집행 관련 선행연구에서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부분 정책환경, 자원,

집행구조, 집행자와 대상집단의 성향 등으로 구분하고 있음(박호숙, 2005; 노시평 외,

2006; 노화준, 204; 채경성, 2005; 옥화영, 2008).

- 집행환경에는 정책문제에 대한 정책결정자, 대중, 언론, 일반시민, 이익집단 등의 지지

와 관심을 정책에는 정책의 명료성, 일관성, 소망성, 정책의 중요성을 포함.

- 집행자원에는 인적자원(정책집행자의 질과 능력, 집행담당자의 훈련), 물적자원(예산,

시간, 정보 등)을, 집행구조에는 집행기관의 계층적 통합, 의사결정준칙, 집행관련 기

관들의 협조가능성, 일선행정관료의 정책순응 여부 등.

- 집행자의 성향으로는 집행자의 리더십, 적극성, 집행주체의 능력과 의욕을 정책대상

집단의 성향에는 피규제의 순응여부와 태도 등을 포함시키고 있음

그러나 정책집행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일반화시키기 어려운 상황임.

정책집행 2세대 연구에서 여러 요인을 제시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정책 상황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획일화된 집행요인을 제시할 수는 없

음.

현재 정책집행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그 역사가 매우 짧음. 특히 연구방법론적 측면에

서도 문헌연구나 면접기법을 사용한 사례분석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이를 일반

화시키고자 하는 실증연구는 찾기 어려움. 특히 환경분야의 정책집행에 관해서는 구

체적인 실증분석 연구가 더욱 미흡한 상황임.

Page 4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 ․․․․․․․․․․․․․․․․․․․․․․․․․․․․․․ 33

연구

분야연구자 주제 정책집행 분석요소

환경

분야

이원일․김

상구(1998)

지방정부의 정책집행에 관한 연

구: 환경정책정책관련집단, 주민참여, 집행주체

권해수․김

창수(2001)

환경정책집행과 환경부패: 수질

분야

환경규제의 내용, 규제담당주체와

규제대상집단의 상호작용, 사회적

감시기능

김창수(2000)지방자치제 실시와 환경정책집행

의 효과성 차이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제 실시, 지방정부 환경정

책 대응방식

김병완(2004)지방자치단체의 지속가능발전정

책 추진과정 분석

집행관료의 의지와 역량, 정책지침,

이해관계집단의 지지, 정책대상집단

의 순응, 인적, 물적 자원의 공급

문태훈(2008) 한국의 환경정책의 변화정책도구(명령강제방식, 사전예방책,

경제적 유인책, 협력적 환경창조)

환경

분야

전기정․이

재은(2004)

정부혁신과 정책집행 성공요인연

정책결정자의 비전과 의지, 예산의

확보, 국정과제와의 연계추진 등

이광석(2005)정책집행의 성공과 실패에 있어

서 정책결정자의 역할

정책집행의 주도권(설사형, 협력형,

체증형)

김성철 외

(2006)비축정책의 집행요인 연구

하향적 집행요인, 상향적 집행요인,

조직역량요인

김태은․안

문석(2006)

정부규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문화적

요인, 정부이념적 요인, 기술적 요

인, 세계화 요인

옥화영(2008)

공정거래정책의 집행 효과: 규제

자인 공정거래위원회 직원과 피

규제자인 기업의 임직원 간의 인

식차이

정책의 필요성, 정책의 명료성, 정책

환경의 지지

정성수(2008)교육정책집행 영향요인의 특성분

정책결정자 변인, 정책집행자 변인,

정책대상자 변인, 정책환경 변인

조영희(2008) 성주류화 정책

국가의 정책 프레임(인권주의 프레

임, 신자유주의 프레임, 젠더중심의

변화적 프레임)

양난주(2009) 노인돌보미 바우처 정책집행분석 수요측면, 공급측면

【표 2-11】국내의 정책집행 연구와 정책집행 분석요소

【표 2-11】은 국내의 정책집행에 대한 연구를 표로 정리한 것임.

Page 4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2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34 ․․․․․․․․․․․․․․․․․․․․․․․․․․․․․․․․․․․․․․․․․․․․․․․․․․․․․․․․․․․․․․․․․․․․․․․․․․․․․․․․․․․․․․․․․․․․․․․․․․․․․․․․․․․․․․․․․․․․․․․․․․․․․․․․․․․․․․․․․․․․․․․․․․․․․․․․․․․․․․․․․․․․․․․․

5 연구의 분석틀

이상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분석틀은 아래【그림2-4】와 같음.

지방자치단체의 성공적인 녹색성장 추진을 위해서 우선 해외의 사례를 검토하여

벤치마킹하고자 함. 또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성공적인 정

책집행요인을 분석할 것임.

이를 바탕으로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정책과제와 추진협력제계 구축방안을

모색하여 녹색성장의 성공적인 추진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그림 2-4】연구의 분석틀(analytical framework)

Page 4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3 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Page 4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5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37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ⅢⅢⅢ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녹색성장 정책현황분석

1) 중앙정부의 녹색성장 정책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을 목표로 한 녹색

성장 국가전략 발표. 2009-2013년 기간 중 매년 GDP의 2% 수준으로 총 107조원 수

준 투자

3대 추진전략 및 10대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음

-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자립 :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탈석유·에너지 자립강화,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 신성장동력 창출 :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산업의 녹색화 및 녹색산업 육성,

산업구조의 고도화, 녹색경제 기반 조성

-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 : 녹색국토·교통의 조성, 생활의 녹색혁명, 세계적

인 녹색성장 모범국가 구현

(1) 녹색성장정책의 기본원칙 및 각 분야별 정책목표

가. 녹색성장정책의 기본원칙

기후변화ㆍ에너지ㆍ자원 문제의 해결, 성장동력 확충, 기업의 경쟁력 강화, 국토의 효

율적 활용 및 쾌적한 환경 조성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국가 발전전략 추진

시장기능을 최대한 활성화하여 민간이 주도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경제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ㆍ확대

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체제 구축

Page 5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38 ․․․․․․․․․․․․․․․․․․․․․․․․․․․․․․․․․․․․․․․․․․․․․․․․․․․․․․․․․․․․․․․․․․․․․․․․․․․․․․․․․․․․․․․․․․․․․․․․․․․․․․․․․․․․․․․․․․․․․․․․․․․․․․․․․․․․․․․․․․․․․․․․․․․․․․․․․․․․․․․․․․․․․․․․

국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성장잠재력과 경쟁력이 높은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 분야에 대한 중점 투자 및 지원 강화

사회ㆍ경제 활동에서 에너지와 자원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원순환을 촉진

자연자원과 환경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국토와 도시, 건물과 교통, 도로ㆍ항만ㆍ상하

수도 등 기반시설을 저탄소 녹색성장에 적합하게 개편

환경오염이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재화 또는 서비스의 시장가격에

합리적으로 반영되도록 조세체계와 금융체계를 개편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

고 국민의 소비 및 생활 방식이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도록 적극 유도.

국민 모두가 참여하고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기업, 경제단체 및 시민단체가 협력하

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도록 노력

저탄소 녹색성장에 관한 새로운 국제적 동향을 조기에 파악ㆍ분석하여 국가 정책에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성실히 이행하여 국

가의 위상과 품격을 높임.

나. 정부의 책무

정치ㆍ경제ㆍ사회ㆍ교육ㆍ문화 등 국정의 모든 부문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본원

칙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각종 정책을 수립할 때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 및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

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

지방자치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 시책을 장려하고 지원하며, 녹색성장의 정착ㆍ확산

을 위하여 사업자와 국민, 민간단체에 정보의 제공 및 재정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음.

에너지와 자원의 위기 및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성과

를 평가하고 국제협상의 동향 및 주요 국가의 정책을 분석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

하여야 함.

국제적인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ㆍ자원 개발협력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개발도상

국가에 대한 기술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음.

Page 5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39

다.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지방자치단체는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국가시책에 적극 협력하여야 함.

지방자치단체는 저탄소 녹색성장대책을 수립ㆍ시행할 때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야 함.

지방자치단체는 관할구역 내에서의 각종 계획 수립과 사업의 집행과정에서 그 계획

과 사업이 저탄소 녹색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지역주민에게 저

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야 함.

지방자치단체는 관할구역 내의 사업자, 주민 및 민간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재정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함.

Page 5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40 ․․․․․․․․․․․․․․․․․․․․․․․․․․․․․․․․․․․․․․․․․․․․․․․․․․․․․․․․․․․․․․․․․․․․․․․․․․․․․․․․․․․․․․․․․․․․․․․․․․․․․․․․․․․․․․․․․․․․․․․․․․․․․․․․․․․․․․․․․․․․․․․․․․․․․․․․․․․․․․․․․․․․․․․․

(2) 정부의 녹색성장 추진정책-환경부

【그림 3-1】녹색성장을 위한 환경정책 추진체계도

Page 5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41

환경부는 2009년 ‘환경분야 녹색성장 실천계획’을 통해 환경과 경제가 상충된다는 기

존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해 '세계속의 선진 녹색강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제시했고,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녹색생활문화·녹색Infra, 녹색일자리 및 생

활공감 등 5대 분야, 69개 실천과제를 제시하였음.

먼저 저탄소사회 건설의 기본틀이 될 환경분야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대책

을 추진. 온실가스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

너지화를 적극 추진하고, 1㎞ 해상도의 풍력, 태양광 자원지도를 개발 보급할 계획.

또한 지상항공 선반 위성을 통해 한반도 3차원 기후변화감시체계를 2012년까지 완비

하고, 환경영향평가 항목에 온실가스를 도입해 개발사업의 저탄소화를 유도할 계획.

녹색성장의 지렛대 역할을 할 10대 환경기술 산업의 육성, 인적 문화적 녹색인프라

조성 및 그린 리더십 제고를 추진. 녹색생활문화와 녹색인프라 제고를 위해 저탄소

녹색생활문화 실천, 녹색소비확대, 자원순환성 제고, 녹색성장 거버넌스, 녹색금융 사

업을 추진.

또한 환경개선사업을 일자리 창출과 연결시키는 녹색일자리사업을 적극 추진하기로

함. 지방상수도 관망정비와 하수처리수 재이용에 민간투자를 유도하고, 친수 녹지공

간(Blue-Green 네트워크) 확충, 범국민 국토청결운동(클린코리아), 사용종료 매립지

정비 등 5대 그린뉴딜사업을 통해 2012년까지 6만 7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

녹색성장 실천계획을 위해 국고, 지방비 및 민간투자를 확충하고 2013년까지 관련된

사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질 전망.

다음은 환경부의 ‘환경분야 녹색성장 실천계획’의 5대 분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살

펴보겠음.

가. 저탄소(Low Carbon)

온실가스 감축

폐자원 에너지화

- 온실가스 감축의무 가시화로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보급이 시급, 국내 신·재생에

너지 중 폐기물에너지 생산을 확대하고자 함. 가연성 폐기물 고형연료화(RDF), 및 전

용발전사업, 유기성 폐기물 바이오 가스화 및 전용발전 사업, 매립가스 및 소각여열

Page 5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42 ․․․․․․․․․․․․․․․․․․․․․․․․․․․․․․․․․․․․․․․․․․․․․․․․․․․․․․․․․․․․․․․․․․․․․․․․․․․․․․․․․․․․․․․․․․․․․․․․․․․․․․․․․․․․․․․․․․․․․․․․․․․․․․․․․․․․․․․․․․․․․․․․․․․․․․․․․․․․․․․․․․․․․․․․

회수사업 등을 2008년부터 추진. 2012년까지 가용폐기물의 39%(185만톤/470만톤)를

에너지화하고 매립가스 308m3천톤/일, 소각여열 128만Gcal 회수·활용할 계획.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 바이오에너지 개발과 생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환경부는 폐자원 및 바이오

매스 에너지 보급률을 2006년 1.82%에서 2050년 10%로 확대할 계획.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잉여 부산물 바이오매스 발굴·활용, “바이오순환림” 조성·활용, 수변구역·

유휴농경지 등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에너지원 발굴, 해양 바이오에너지 자원 활용,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 등을 추진.

수도권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시범단지 조성

- 수도권매립지의 생활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 반입폐기물을 에너지화하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종합타운 건설 ·운용하고자 함.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인천국제공

항, 인천경제특구, 종합연구단지 등과 연계한 “환경·에너지 종합타운”을 조성, 폐자원

에너지화 시설을 확충, 유휴부지 활용한 태양광 및 풍력발전, 바이오 연료 등 신재생

에너지 생산 등을 추진.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 국내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자립율은 평균 0.8% 수준으로 미국, 일본에 비해 저조.

2030년까지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율을 50%로 제고하고자 2009년부터 하수

도시설 에너지 자립율제고 종합대책을 마련·시행, 청정개발체제(CDM)사업화를 추진.

기상자원지도 작성

- 2009년부터 풍력 에너지자원지도 개발, 태양광 에너지 자원지도 개발, 전지구 신·

재생 에너지 자원지도 개발.

자동차 부문 온실가스 저감대책

- 저탄소 자동차 보급, 운행차 저탄소화 대책, 연비 측정체계 보완, 에코드라이빙 등

자동차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종합 대책 마련 추진.

Page 5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43

기후변화 적응

한반도 기후변화 감시망 구축

- 선진국 수준의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3차원 입체 기후변화감시체계를 2012년

까지 3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며, WMO 온실가스측정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할 계획임.

기후변화 감시망 확대를 위해 1단계로 2008년- 2010년까지는 기후변화 감시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 2단계로는 선진기후변화감시 기술 확보를 계획하고 있음.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예축모델 개발

- 미래 기후전망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정책수립을 위해 기후변

화 예측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기술을 개발.

온실가스 배출통계 및 감축 잠재량 평가

- 국제적 기준에 적합한 온실가스 배출통계 관리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DB를 구축

하고, 온실가스 배출전망과 감축잠재량을 평가하는 모형을 구축.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작성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 도입

- 국가 기후변화 대응대책 추진에 있어 중요한 판단 자료가 될 수 있는 GIS기반 환

경부문(자연, 수계, 보건, 대기환경)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작성. 2010년부터 환경영향

평가 항목에 ‘온실가스’를 도입·활용하여 각종 개발계획 수립단계부터 탄소집약도 및

생태효율성을 고려한 친환경 개발사업을 유도.

나. 녹색성장 선도 환경기술·산업

10대 핵심 환경기술 개발

지능형 수처리 선진기술

- 심각해지는 물부족 현상과 수질오염으로 인하여 깨끗한 물을 확보할 수 있는 수처

리기술 개발. 2008 - 2011년까지는 핵심요소기술 및 통합시스템 개발, 2012년부터는

Page 5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44 ․․․․․․․․․․․․․․․․․․․․․․․․․․․․․․․․․․․․․․․․․․․․․․․․․․․․․․․․․․․․․․․․․․․․․․․․․․․․․․․․․․․․․․․․․․․․․․․․․․․․․․․․․․․․․․․․․․․․․․․․․․․․․․․․․․․․․․․․․․․․․․․․․․․․․․․․․․․․․․․․․․․․․․․․

시범사업 및 시스템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 지능형 정수처리 기술, 유비쿼터스 기반

상하수도 관리기술개발, 에너지자립형 첨단 상수, 하수, 폐수처리 기술개발 및 하수

재이용 기술개발.

Green Car 기술개발

- 2012년까지 CO2 배출량 40% 이상 저감, 연비 50%이상 향상 HEV용 엔진기술개발

(환경부). 플러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조기 보급화를 위한 신동력시스템 및 제어기

술 개발(지식경제부). 관련 인프라 구축.

Non-CO2 온실가스 저감기술

- 2013년까지 Non-CO2 온실가스 저감기술 상용화, 메탄가스 포집, 정제, 활용기술

개발, 아산화질소 제어 기술개발, 불소화합물 제어 기술개발.

온실가스 대체물질 개발 기술

- 온실가스인 염화불화탄소(CFC: 일명 프레온가스)는 냉장고 냉매제, 정밀기계 세척

용 등으로 사용되고 수요가 매년 증가 추세. 국제사회의 CFCS 관련 환경규제 강화

에 따라 대체물질 개발이 시급. 따라서 2020년까지 염화불화탄소(CFC) 대체 냉매 개

발 계획.

고효율 자원회수 기술

- 국내 재활용 기술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음.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를 통

해 자원순환제계의 구축이 필요.

- 2008- 2009년에 플라스틱, 유리병, 종이, 장난감, 필름류 포장재 등 생활계 폐기물

고효율 분리선별 기술을 개발하고, 2010년까지 플라스틱, 금속 등 유·무기 복합 순환

자원 기술개발, 공장에서 혼합 배출되는 유해물질 자원화 등을 위한 기술개발이 이

루어질 계획.

토양·지하수 오염정화기술

- 불량매립지, 휴·폐광산, 산업단지의 누적된 토양오염은 지하수 뿐 아니라 지표수

Page 5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45

오염까지 확산되는 추세. 선진국에서는 오염토양 복원 및 기술개발 노력. 국내의 경

우 미흡한 상태. 2013년까지 선진국 대비 70% 수준으로 향상.

생물자원 활용·복원기술

- 최근 오염물질 검증, 독성제거 및 온실가스 흡수 등을 위한 환경정화용 유전자변

형생물(LMO)이 새로운 산업으로 대두. 국내는 LMO를 활용한 사업분야의 기술개발

등이 미흡.

- 2012년까지 유전자 조작기술을 이용한 신개념 환경정화기술개발, 훼손된 생태계

복원기술개발, 생물다양성 확보 및 유용자원 활용 증대기술개발을 추진.

생활공감형 친환경제품 개발 기술

- 위해성 물질인 PVC 및 비스페놀 A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 및 독성

물질 저감기술을 개발. 2013년까지 친환경제품기술 자립율 90% 이상, 석면대체 신소

재를 이용한 석면제품 대체 70%이상 달성.

환경보건기반기술

- 다양한 환경보건 문제의 사회 이슈화로 인해 환경보건 측면의 정책적 요구가 급

증. 2009년 3월 ⌜환경보건법⌟이 제정·시행되고 있으나 미흡.

- 국내 환경보건 현안 해결을 위해 2012년까지 7대 환경보건기술분야(환경보건 모니

터링 신기술, 건강독성 기전 규명 신기술, 사전예방을 위한 인체영향 평가 기술, 인

체영향 저감을 위한 생태영향평가 기술, 지속 가능한 환경보건 관리 인프라 기술, 기

후변화 건강영향 대응 기술, 나노물질 위해 요소 대응기술) 개발.

융합기반 환경오염개선 기술

- 환경기술의 융합화로 신산업 창출 및 환경산업의 고도화 실현을 위해 2013년까지

나노기반 환경친화형 소재 개발과 환경자원 회수·처리 융합기술 개발. 폐바이오매스

의 에너지화 등 환경자원순환융합 기술개발, 고도의 융합형 환경위해성 평가 및 분

석장비 개발.

Page 5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46 ․․․․․․․․․․․․․․․․․․․․․․․․․․․․․․․․․․․․․․․․․․․․․․․․․․․․․․․․․․․․․․․․․․․․․․․․․․․․․․․․․․․․․․․․․․․․․․․․․․․․․․․․․․․․․․․․․․․․․․․․․․․․․․․․․․․․․․․․․․․․․․․․․․․․․․․․․․․․․․․․․․․․․․․․

10대 유망 환경산업 육성

상하수도 등 환경플랜트 수출산업화

- 국내 환경산업체 대부분이 영세하고 환경기술개발 및 투자여력이 약화되어 전문기

업으로의 성장에 한계가 있음. 국가 차원에서 종합적인 육성대책이 마련되어야 함.

- 환경전문업체 육성을 위한 내수시장 구조 개선 및 지자체·공기업 위주로 운영되는

수도사업을 광역화·전문화하여 내수시장을 확대할 계획. 환경산업 및 물산업 육성을

위한 관련 법령제·개정 및 지원체계 구축. 환경플랜트 해외진출 집중지원 및 지역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해외진출 전략 추진.

그린카산업

- 하이브리드차, 연료전지자동차, 클린디젤차 등 그린카는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고 에너지도 적게 사용하는 친환경자동차로서 선진국에 비해 핵심기술과

질적인 면에서 열세.

- “그린카” 4대 강국 진입을 위한 중·장기 보급계획 수립 및 시범 보급사업을 2009

년도부터 실시.

탄소시장

-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탄소시장(Carbon Market) 선점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

열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시작단계로 경쟁력 있는 탄소시장 육성 시급.

- 2009년부터 지자체, 자발적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배출권거래시범 실시, 지자체 감

축사업과 연계한 시범시장 개설·운영 등 탄소시장 운영기반 구축·운용.

- 매립가스 CDM 사업, 음식물 탈리액 CDM 사업, 폐자원 및 자연력 에너지 CDM

사업을 적극 발굴·추진.

기상산업

-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광역적 기상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정확한 기상예측 여부가

산업계 흥망에 중요한 열쇠. 기상정보를 가공·판매하는 기상산업은 타산업 레버리지

효과가 자체 매출액의 수백배에 달하는 고부가가치 인프라 산업.

Page 6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47

- 기상청-민간사업자간 역할 분담을 통해 기상사업영역 확보,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

춘 기상사업자 육성, 날씨관련 금융상품개발 및 관련시장 확대.

자원순환사업

- 국제적으로 심각한 원자재난이 우려됨에 따라 재활용자원의 이용 요구 증대. 전자

제품 및 자동차의 폐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폐전자제품, 폐자동차의 재활용률 제고, 의무재활용 대상 확대.

- 재활용품 품질제고 및 사용촉진을 위한 품질인증시스템 구축.

- 자원순환율을 2005년 13.9%에서 2013년에 17.5%로 증가.

토양정화산업

- 오염토양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 및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세계 토양정화시

장 진출을 위해 토양정화산업 육성 필요.

- 2009년도 오염정화 국가책임 강화, 녹색단지 설치 근거 신설 등 토양 산업육성을

위한 토양환경보전법 개정 등 제도적 기반 구축.

- 2010년 경기도 지역 1개소에 정부주도의 토양은행 설치·운영. 설치된 토양은행을

중심으로 민간 토양정화업체를 유치하여 민·관 합동 ⌜토양은행 단지⌟ 건설.

- 2013년 전국 5개 지역(경기북·남부, 충청, 경상, 전라) 중 오염토양 발생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토양은행 단지 건설 후보지 선정. 2020년까지 토양은행 단지 건설·

운영.

- 토양은행 단지사업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는 2012년까지 7500억원,

122명의 일자리 창출효과.

생물자원산업

- 생물자원을 기반으로 한 BT기술 및 산업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할 수 있는 블

루오션이자 핵심 산업.

- 고유 생물자원의 유전체 정보 축적 등 체계적인 연구·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

내 생물산업 육성 기반 마련 필요.

- 국립생물자원관에 ⌜생물자원센터⌟ 구축·운영, 유용 생물자원 증식·재배단지 구

Page 6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48 ․․․․․․․․․․․․․․․․․․․․․․․․․․․․․․․․․․․․․․․․․․․․․․․․․․․․․․․․․․․․․․․․․․․․․․․․․․․․․․․․․․․․․․․․․․․․․․․․․․․․․․․․․․․․․․․․․․․․․․․․․․․․․․․․․․․․․․․․․․․․․․․․․․․․․․․․․․․․․․․․․․․․․․․․

축, 수도권 매립지에 BT 벤처 연구단지 조성 등 2012년까지 생물자원 정보 연구 및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그린화학 산업 육성기반 및 환경컨설팅산업

- 그린화학 육성, 녹색기술 확산으로 그린화학 산업기반 구축, 그린화학산업 모델 발

굴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보급, 우수 모델의 사업화 지원 및 확산으로 그린화학산

업 지원.

- 환경서비스업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및 지원 강화.

다.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Infra)

녹색생활문화실천

녹색생활문화 실천 및 녹색소비․구매 확대

- 국민들이 손쉽게 온실가스 줄이기에 참여할 수 있는 그린스타트 실천 운동, 탄소

포인트제 사업추진과 탄소성적표지제 추진, 기후적응형 복장 운동 추진.

- 환경마크 대상품목 확대, 우수 친환경제품 개발·유통 지원체계 강화, 그린스토어

인증제 도입 및 확대 등 우수 친환경상품 생산·유통 기반 구축.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문화 조성

- 자원순환의 날 주간을 정하고, 전국적으로 분산 시행되고 있는 자원순환 관련 각

종행사를 하나로 연대추진. 관계부처 합동 ‘친환경 음식문화 조성’ 대책 총괄, 음식문

화 개선 교육, 홍보를 통한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 촉진.

생태관광

- 국민의 자연향유 기회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는 생태관광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 필요.

- 국립공업 및 생태우수지역을 대상으로 생태관광 프로그램 추진, 전국 생태·문화탐

Page 6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49

방로 및 생태자연시설 조성, 에코-빌리지 조성, eco-폰을 통한 환경, 생태, 문화 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2012년까지 국내관광시장의 25%점유.

국토환경의 녹색화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 수립 및 시범조성

- 저탄소 녹색도시모델 수립하여 저탄소 녹색도시 시범사업 조성 추진, 녹색모델도

시 내에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홍보관 건립과 시범모델의 전국적 확대를 위한 저탄소

녹색도시 가이드라인 제작.

Blue-Green 네트워크 구축

- 2012년까지 훼손하천 100개소, 도심 복개하천 20개소 생태적 복원, 녹색지붕

100ha, 녹색길 1000km 조성, ‘13년까지 배수토지의 약 18%인 10,571천 m2를 수변생

태벨트로 조성.

자원순환성 제고

자원순환성 평가체계

- 제품 등의 자원순환성 평가체계 구축으로 현 14%수준인 자원순환율을 2013년까지

17.5%수준으로 제고. 국가에서 환경부하가 큰 제품 등을 대상으로 자원순환성 평가

실시, 공표함으로써 사업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함. 제품 등의 자원순환성평가 정보

의 체계적인 관리 및 정보제공 등을 위한 자원순환성 평가운영관리시스템 개발 운

영.

폐자원의 고부가가치 재활용 촉진

- 고품질 순환골재 사용비율 및 음식물류 폐기물의 실질적 재활용률 제고. 순환골재

보급 촉진 종합대책 마련·시행하여 건설폐기물 발생 감량화 및 적정처리 강화, 순환

골재 생산·사용 인프라 구축으로 순환골재 보급 활성화. 음식물류 폐기물 재활용 시

설 국고지원사업 추진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재활용율 제고 및 적정 재활용 촉진. 재

활용제품 품질인증시스템 구축으로 환경적으로 안전한 재활용제품의 제고, 공급.

Page 6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50 ․․․․․․․․․․․․․․․․․․․․․․․․․․․․․․․․․․․․․․․․․․․․․․․․․․․․․․․․․․․․․․․․․․․․․․․․․․․․․․․․․․․․․․․․․․․․․․․․․․․․․․․․․․․․․․․․․․․․․․․․․․․․․․․․․․․․․․․․․․․․․․․․․․․․․․․․․․․․․․․․․․․․․․․․

하수처리수 재이용 민간투자사업(BTO)추진

- 민간투자 사업 추진. 2016년까지 재이용율 제고.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 추진.

녹색성장 거버넌스 구축▪운영

녹색성장포럼 운영 활성화

- 녹색성장 공감대 확산과 녹색생활 실천력 제고. 녹색성장 정책연구 및 실천과제

발굴을 통한 포럼운영 내실화와 국내외 관계기구 및 다양한 계층과 연대강화로 저변

확대.⌜중앙 녹색성장포럼⌟구성운영, ⌜시·도 녹색성장포럼⌟구성운영.

녹색성장 교육·홍보

- 사회 각 분야가 참여하는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구축 및 저탄소 생활문화 국민실천

운동 전개, 지자체별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및 대응 종합계획 수립 등 기후변화 대

응의 핵심주체인 지자체 역량 강화 지원, 지방의제21 활성화를 통한 지역단위 실행

프로그램 운영, 초·중·고 교과과정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교육,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적 홍보.

남북환경협력사업

- 남북 공동의 백두대간 생태계조사실시, DMZ내 ‘생태·평화공원’조성, DMZ를 유네

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

국제녹색성장포럼 구상 운영

-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 유치, 세계자연보전연맹 제5차 세계자연보전대회 유치,

UN 지속가능발전 아·태지역 센터 한국 유치.

녹색경영▪금융

녹색경영 촉진

Page 6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51

- 녹색경영 실천기업을 2008년도 44%에서 2012년도 60%로 확산. Green Business

Model 개발·보급함으로써 기업의 녹색성장 확산. 2009년부터 기업 환경정보 공시제

도 도입·운영하고 녹색경영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확충. 2010년부터 녹색 서비스몰을

구축·운영하고 공공부문 녹색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녹색경영 활성화.

녹색금융 활성화 기반 구축

- 2012년까지 녹색금융 추진을 위한 환경정보 관련 인프라 구축. 2009년부터 녹색기

업 인증제도 기반구축을 통한 녹색금융상품 적용기준 마련,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녹색금융기준 지원 환경정보 D/B 구축, 2009년부터 녹색금융상품/녹색지수 개발 협

력 및 녹색금융 전문가 양성.

라. 녹색일자리

정부 녹색뉴딜

클린코리아 실천사업

- 하천·하구 등 묶은 쓰레기 처리, 해양쓰레기의 체계적 처리, 간벌목 등 산물 적정

수거 및 자원화, 국민의식 개혁을 위한 홍보·교육 강화.

하수관거 및 하수처리시설 확충

- 2012년까지 하수도보급률 91%, 다목적댐 상류지역의 보급률 75% 이상으로 제고,

하수도인프라 확충·정비를 위하여 2012년까지 8조 8,891억원 투자, 2011년까지 하수

찌꺼기의 육상처리시설 기반완비.

순환형매립지 정비·개발

- 국토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불법 또는 사용종료 매립지를 택지, 산업용지

또는 매립장 등으로 재개발, 전국 사용종료 매립장의 환경영향인자조사 등 재개발을

위한 정밀 조사 실시 및 사업단 구성·운영.

Page 6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52 ․․․․․․․․․․․․․․․․․․․․․․․․․․․․․․․․․․․․․․․․․․․․․․․․․․․․․․․․․․․․․․․․․․․․․․․․․․․․․․․․․․․․․․․․․․․․․․․․․․․․․․․․․․․․․․․․․․․․․․․․․․․․․․․․․․․․․․․․․․․․․․․․․․․․․․․․․․․․․․․․․․․․․․․․

환경개선사업과 녹색일자리창출

상수도관망관리 선진화

- 2013년까지 유수율 85%, 2020년까지는 90% 달성, 도·동간 격차 해소를 위해 재정

투자를 확대, 先진단·後개량 원칙 도입으로 관망진단제도 조기 정착, IT/BT 융합형

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 관망관리 핵심기술 개발·상용화.

새만금 유역 CSOS 관리

- 새만금 유역 7개시·군, 21개 처리구역에 저류시설과 장치형을 설치하여 CSOS처리,

새만금 유역의 7개시·군, 21개 처리구역에 ‘10년부터 2013년까지 5,477억원을 투자하

여 저류형과 침전형의 CSOS 처리시설 설치를 국고 보조사업으로 추진.

4대강 주변 비점오염 저감사업

- 2015년까지 4대강 수계별 비점오염원 수질오염 부하율을 50%수준으로 저감, 2013

년까지 토지용도별로 130개의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조성하여 2013년 녹색 비점

오염저감사업 추진, 흙탕물 저감을 위하여 고랭지 밭 주변에 식생완충대, 식생수로

조성, 하부에 생태습지·저류지 조성,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신고 대상 사업장을

2008년 381개에서 2013년 1300개로 확대하는 비점오염원 관리의 강화로 개발사업 및

배출시설을 녹색개발·녹색산업으로 유도.

환경분야 단기일자리 창출

환경분야 사회적 일자리

- 2012년가지 5대강 지킴이, 자연환경보호 등의 분야에서 사회적 일자리 4.7천개 창

출. 국립공원 및 5대강 지킴이, 자연환경안내원 등 자연환경보호 분야 사회적 일자리

를 연간 1,200여개 창출.

환경분야 공공인턴 및 환경조사

- 2012년까지 환경분야 공공인턴 10.7천명 및 대학생 아르바이트 2.5천명 채용. 환경

Page 6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53

부 소속·산하기관 행정 인턴쉽 운영, 지방자치단체 행정인턴십, 환경산업체와 공동인

턴십 운영, 환경전공 대학생 아르바이트 학생들의 장래설계에 도움이 되도록 실무

경험 이외에 필요한 취업 정보 등 제공. 기타 환경통계조사, 쓰레기 정화사업 등 단

기일자리 창출.

청년층 환경 전문인력 1만명 양성

- 녹색성장을 선도할 환경분야 전문인력 1만명 양성. 기존 환경기술인력 양성사업의

내실화 및 신규사업 개발·운영으로 2008년부터 2013년간 환경 전문인력 1만명 양성.

녹색인재양성

환경전문인력 양성 및 단기 일자리 창출

- 대학교육과 산업현장의 부조화를 극복하고 녹색성장을 선도할 환경분야 전문인력

을 2013년까지 1만명 양성

환경·에너지 대학원대학 설립

- 2013년 수도권 매립지에 ‘환경·에너지 연구센터‘에 전문 대학원을 설립,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등 환경·에너지 관련분야 전문인력 양성

마. 생활공감형 환경정책

고품격 환경·기상 서비스

향기로운 도시 만들기

- 하수관거, 쓰레기 적환장, 산업단지, 환경기초시설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생활여건 악화. 악취없고 향기로운 도시 정주환경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 증대.

- 하수관거 악취저감 및 생활쓰레기 수거 보관함 설치, 산업단지 완충녹지 및 생활권

녹지공간 확충.

Page 6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54 ․․․․․․․․․․․․․․․․․․․․․․․․․․․․․․․․․․․․․․․․․․․․․․․․․․․․․․․․․․․․․․․․․․․․․․․․․․․․․․․․․․․․․․․․․․․․․․․․․․․․․․․․․․․․․․․․․․․․․․․․․․․․․․․․․․․․․․․․․․․․․․․․․․․․․․․․․․․․․․․․․․․․․․․․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

- 농어촌지역 상하수도시설 보급률 매우 열악. 도시지역 노후 수도관 문제로 인한 수돗

물 불신 고조, 농어촌 상수도 72%, 하수도 68%보급. 상수도시설 231개소 조기완공.

- 그밖에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 노후수도관개량, 저소득층에 대한 옥내급수관개량지원

사업추진.

취수체계 다변화

- 간접취수원 전환율 2.8%이상으로 제고, 2020년까지 식수전용저수지 47개소 설치. 낙

동강·한강 본류 취수가능지역 조사사업 추진 결과에 따라 낙동강 및 한강 본류를 대

상으로 간접 취수원 개발. 농어촌의 가뭄지역을 위주로 식수전용저수지 49개소 개발

하여 2010년부터 가뭄지역을 대상으로 식수전용저수지 4개소를 시범사업으로 우선

추진.

기상예보 정확도 향상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폭설 등 기상재해 빈발 및 피해 대형

화로 국가차원의 체계적 대응 필요. 초단기- 단기- 중기 통합 수치예보모델 도입, 기

상관측망보강, 기상예보 국민이해 증진, 기상정보 전달체계 개선.

국민건강보호

아토피 없는 나라 프로젝트

- 아토피 등 환경성질환 급증으로 국민들의 문제해결 요구 증대. 아토피질환자 등 국민

이 직접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실행사업 적극 발굴·지원 필요. 2012년까지 아토피

Free 에코에듀센터 건립. 2009년에 아토피 예방 및 적정관리, 교육·홍보, 질환자 상담

및 정보제공을 담당하는 아토피 재단 설립.

그린코디서비스 실시

- 2009년부터 생활환경 중 환경위해요인을 방문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조언하

는 생활환경 컨설팅 사업추진. 보육시설 실내공기질 진단·개선 사업추진, 실내환경

Page 6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55

진단사(가칭)제도 도입 및 실내환경 컨설턴트 업종 등록

친환경 안심놀이터 조성사업

- 2007년 실외놀이터 위해성 평가결과, 일부시설에서 위해우려 수준의 화학물질이 검출

되어 관리대책 마련 시급. 친환경 놀이터 모델개발 및 동네 놀이터 환경안전진단사

업 실시.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사업

- 2012년까지 미세먼지 평균오염도를 20%저감하고 이용객·종사자의 석면노출 근절. 석

면함유 자재의 단계적 철거 등 발암물질인 석면·라돈의 이용객 노출 근절. 정부, 자

치단체, 지하철공사 합동으로 5년간 1조 7,905억원 투자.

2) 지방정부 녹색성장 정책현황

(1) 서울특별시

서울시는 2007년 4월 ‘서울 친환경에너지 선언’을 통해 2020년까지 온실가스 25% 감

축과 에너지 사용량 15% 저감 및 신재생에너지 10% 보급 등 전국최초 저탄소 사회

비전을 제시하였음. 2007년 8월Ð사용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건축부문의 온실가

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지침인 ‘서울시 친환경건축 기준’을 제정하였음.

또한 2008년 9월Ð사용‘서울시 기후변화 대응조례’를 제정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종합적 조치를 제도화하였음. 이를 토대로 2009년 7월Ð용‘서울형 저탄소 녹색성장

마스터플랜’을 발표하였음.

서울형 저탄소 녹색성장 마스터플랜의 추진전략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음.

기후친화도시

‘기후친화적 에너지체계 구축’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이용률을 2030년까지 20%보급을

Page 6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56 ․․․․․․․․․․․․․․․․․․․․․․․․․․․․․․․․․․․․․․․․․․․․․․․․․․․․․․․․․․․․․․․․․․․․․․․․․․․․․․․․․․․․․․․․․․․․․․․․․․․․․․․․․․․․․․․․․․․․․․․․․․․․․․․․․․․․․․․․․․․․․․․․․․․․․․․․․․․․․․․․․․․․․․․․

통해 에너지 청정도 향상 및 에너지 자급기반을 조성하고 에너지다소비 사업자와 공

공건물에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의무화함. 월드컵공원에 신재생에너지 랜드마크를 조

성하고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이용 효율을 최적화 함.

‘건축 도시계획 전반의 에너지합리화’를 위해 2030년까지 서울시 전체 건축물의

60%를 녹색건물화를 실현하기 위해 서울 친환경 건축물 인증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기존건물 면적 2천 m2 이상 건물의 70% BPR(Building Retofit Projrct) 추

진. ‘교통의 그린혁명 선도’를 위해 20년까지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 수단 100% 그

린카 전환하여 청정교통도시를 구현하고자 함. 이를 위해 연비 CO2 배출 규제로 고

효율화 및 그린카로 전환을 유도함. 또한 대중교통 수단분담율을 2007년 62.5%에서

2030년 75%로 증대함.

‘서울 광원의 LED교체’를 위해 공공기관이 LED 교체를 선도하여 2020년까지 100%

교체를 목표로 하고 민간부분도 80% 교체를 목표로 함. ‘완전순환형 자원관리’를 위

해 도시광산화를 추진하여 폐소형가전 회수율을 높이고 폐가전 제품 시스템 구축을

위해 자원순환센터 설치 등 사회적 기업을 육성함.

자동차부품, 건설자재 재활용을 제고하고 가연성 생활폐기물은 에너지화 함. ‘탄소

흡수원 녹지확충으로 에너지절감 및 탄소감축’을 위해 도시 숲을 조성을 2030년까지

녹지비율을 도시 전체의 1/3 수준으로 확대함. ‘저탄소 시민사회 구축’을 위해 학교,

직장 등 에너지 절약 및 기후변화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저탄소 실천교

육을 활성화 함.

녹색성장도시

‘서울형 10대 GT 선정 및 육성’을 위해 태양전지와 수소에너지 기술, 전력 IT 및 전

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 그린빌딩기술, 조명용 LED 기술, 그린 IT기술, 그린카, 지

능형 교통, 생태공간 조성 및 도시 재생기술, 폐기물자원화 및 에너지화 기술, 기수

적응기술을 10대 GT로 선정하여 육성함. 또한 ‘세계 수준의 GT R&D 거점’을 조성

할 계획.

2030년까지 2조원을 투자하여 녹색기술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육성하고 GT 육성을

위한 R&D 지원 및 우수 중소 벤처기업을 지원. ‘대형 유통업체 녹색화와 그린오피

스’를 촉진하고, 신재생에너지, LED응용, 그린도시 디자인, 자원순환, 기후변화적응,

IT융합시스템을 ‘서울형 신성장 녹색산업’으로 하여 전략적 지원과 육성

Page 7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57

고도적응도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여 미리 준비할 수 있는 선도적인 인프라 구

축을 위해 ‘기후변화 조기예측 및 대응시스템’을 강화하며 ‘기후변화 적응 제도적 기

반’과 ‘고도적응을 위한 사회적 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구축함. 도심의 녹지확충과 옥

상녹화 의무화, 하천복원 등 ‘기후친화적 도시관리기반’을 구축함. 또한 전염성 질환,

폭염 및 고온화, 물부족, 기상재해, 생태교란 기후변화 취약 5대 분야를 중점관리 함.

(2) 인천광역시

인천시는 2009년 7월 기후변화 대응 등 4개 부문 100대 사업을 2020년까지지 추진하

는 인천시 저탄소 녹색성장 로드맵을 발표하였음. 로드맵은 세계일류 명품도시 그린

인천건설이라는 미래비전과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구축 및 녹색생활혁명,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 육성, 녹색공간 창출 및 저탄소 도시 인프

라 확충 등 4개 부문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함. 4개 부문에 맞춰 20개 전략과 100대

추진사업을 설정하였음. 2012년가지 1단계, 2020년까지 2단계로 나누어 추진함.

구체적으로 10대 핵심추진사업은 다음과 같음

- 시민과 기업, 행정 모두 ‘탄소 구두쇠’-탄소중립도시 천명, 탄소배출평가 의무화

- 녹색성장을 견인할 녹색재단 설립·운영- 신재생에너지 및 녹색기술 개발, 신규

CDM 발굴

- 그린 인천의 특화 상품화, 갯벌과 바다로부터- 해양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및

기능성 제품 개발

- 바다와 섬, 철새의 보금자리에서 즐기는 생태관광- 강화 및 옹진의 도서생태관광

코스개발 및 스토리텔링, 도심 S자축

- 탄소시대를 이겨낼 ‘도심속 생명의 숲’-생명의 숲 1천만 m2 조성

- 도시의 생명수를 공급하는 물순환시스템-정수·하수처리장 방류수, 빗물, 지하철역

유출수 등 재이용 등도 포함

Page 7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58 ․․․․․․․․․․․․․․․․․․․․․․․․․․․․․․․․․․․․․․․․․․․․․․․․․․․․․․․․․․․․․․․․․․․․․․․․․․․․․․․․․․․․․․․․․․․․․․․․․․․․․․․․․․․․․․․․․․․․․․․․․․․․․․․․․․․․․․․․․․․․․․․․․․․․․․․․․․․․․․․․․․․․․․․․

- 인천의 도시재생, 저탄소 그린이 모범답안-탄소제로 건축지향, 물순환 시스템 도입

- 자전거 산업과 시민건강을 잇는 자전거 도시-출퇴근 교통수단 점유율 20% 이상

확대

- 항만과 공항 탄소중립지역- 연료절감 및 친환경 운항, 항공분야 배출권거래제 도

- 친환경 아시안게임 경기장과 선수촌 개발- 에너지자급률 100%지향

인천광역시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로드맵의 세부내용을 다음과 같음.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구축 및 녹색생활혁명

인천녹색성장위원회 설치 및 운영과 에너지기본조례 개정 등 ‘법제도적 추진체계’를

마련하고 녹색재단 설립과 나무은행 운영, 총량제한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을 대비하

고 에너지사업 기금 조성 등 ‘녹색정책 추진 및 녹색시장 활성화 여건’을 조성함.

또한 ‘녹색생활혁명을 통한 지속가능사회 실현’을 위해 기후변화 대응교육 및 홍보,

시민 온실가스 감축 및 홍보 방안 마련, 그린스타트 실천운동 확산, 그린 홈닥터, 고

효율 조명기기로의 교체사업, 자원재활용 기반구축,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등을 실천

함. 대형 에너지사업장 CDM 사업을 추진하고 온실가스 감축 등록 및 CDM 사업을

발굴함. ‘그린 인천 브랜드 마케팅 및 그린 리더쉽 제고’를 위해국제행사 및 국제기

구와 협력체계를 구축함.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인천시는 ‘인천시 기후변화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온실가스 발

생 현황 및 감축 잠재량 산정,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제시, 온실가스 감축관련

로드맵에 제시된 사업을 중점으로 함.

또한 인천국제공항은 향후 11년간 2500억원을 투자하여 202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량

을 7,210천t CO2, 연간에너지 절감액 25억원, 20,060명의 일자리 창출할 계획임. 이밖

에 선박 및 항만분야, 산업분야에서도 저탄소화 전략 추진. 다음으로 ‘온실가스 배출

목록 등 정보관리 및 정책지원체계 확충’을 위해 연도별 인천시 온실가스 배출량 조

Page 7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59

사,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산정, 부분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제시 등 온실가스 인벤

토리 구축과 지역특성을 반영한 온실가스 조사 틀을 개발, 에너지소비 및 신재생에

너지 생산현황 전광판 설치·운영 계획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을 위해 기후변화 특성분석 및 취약성 분석, 기후변

화 관련 향후 리스크 분석, 적응관련 프로세스 구축 및 종합대책 수립 등을 주요 사

업으로 함. ‘지역특성에 맞는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해 온실가스 흡수 잠재량 평가,

옥상녹화, 푸른 송도만들기 1천만 그루 나무심기, 탄소제로형 주거단지 개발, 경제자

유구역 탄소중립도시 선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계획함.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 육성

‘녹색사업 아이템 발굴 및 녹색상품 개발’을 위해 업종별 그린비즈니스 잠재량을 파

악하고 녹색상품 지원 및 보급을 확대하는 조례를 마련하며 에너지다소비업체 지원

등의 사업을 실행함. ‘친환경․신재생에너지 등 녹색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그린에너

지 천연가스 자동차 보급, 대기 및 자동차 배출가스 모니터링 확대, 친환경 및 에너

지 저감기술 개발하는 등의 내용을 사업으로 추진함.

‘에너지 효율 및 자급률 제고’를 위해 하수처리 등 환경기초시설의 에너지 자립율을

제고하며 발전소 냉각수를 활용한 에너지회수, 페열을 활용한 냉난방 시설 도입, 폐

기물 에너지화 사업을 추진함. 다음으로 ‘녹색뉴딜사업 추진을 통한 녹색일자리 확

대’, ‘고부가가치 생태관광 활성화,’ ‘저탄소 녹색성장 연구개발과 그린경영 컨설팅’을

실시함

녹색공간 창출 및 저탄소 도시인프라 확충

‘저탄소 녹색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도시구조 창안’을 위해 탄소제로 및 저탄소 주거

단지 조성, 페열을 활용한 냉난방 시설 도입, 하수처리수 재활용 사업을 추진함. ‘친

환경·저탄소 건축 등을 통한 저비용 도시건설 및 재생’을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대응

형 도시계획 가이드라인 수립, 인천 그린웨이 조성사업, 공공디자인의 녹색 생활공간

조성 및 홍보사업, 에코프렌들리 존 사업, 도심 하천살리기 사업, 에너지 절약형 그

린 홈·오피스 및 그린스쿨 확산, 공공 건축물 저탄소화 사업 등을 추진함.

Page 7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60 ․․․․․․․․․․․․․․․․․․․․․․․․․․․․․․․․․․․․․․․․․․․․․․․․․․․․․․․․․․․․․․․․․․․․․․․․․․․․․․․․․․․․․․․․․․․․․․․․․․․․․․․․․․․․․․․․․․․․․․․․․․․․․․․․․․․․․․․․․․․․․․․․․․․․․․․․․․․․․․․․․․․․․․․․

‘저탄소․친환경 교통 및 물류 인프라 조성’을 추진하기 위해 첨단교통체계 구축 사

업, 친환경적 도로 건설 조성, 탄소중립형 항만건설 및 기존 항만의 녹색화, 화물차

량 통행억제 및 화물전용도로 개설 등의 사업을 계획함. 이 밖에 ‘친환경 대중교통

및 자전거 중심도시 실현’,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지 확충’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처

하기 위해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마련할 계획임. 제주도는

2010년 2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수립 예정. 제주도는 이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총배출량과 분야별 배출총량, 장래 전망 등을 분

석하고 온실가스 배출 감축목표 및 분야별·단계별 대책을 수립할 방침임. 부문별 온

실가스 감축 방안과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적응 대책, 에너지 절약 및 저탄소 생

활문화 실천 방안도 마련할 예정.

또한 제주도는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전략 마련과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를 통한 신

성장 동력 산업 육성 대책 수립.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연구개발과

일자리 창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 및 이를 위한 정책의 구체적 실행 방향과 연

차별 이행 방안을 제시할 계획임.

제주도는 2009년 4월 ‘기후변화 대응 제주특별자치도 정책방향’을 제4회 제주미래포

럼에서 발표하여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제시하였음. 이를 통해 제주도는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10% 감축,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 기후변화 대응 적

응역량 강화, 기후변화 위험 및 재난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피해 최소화를 목표

로 하고 있음.

‘기후변화 대응 제주특별자치도 정책방향’의 구체적인 기후변화 대응 도시 조성추진

전략은 다음과 같음

기후변화 대응시범도 추진 공감대 구축

탄소포인트제 및 배출권거래제 도입, 기후변화 조례제정, 제주지역 기후변화 영향조

Page 7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61

사 및 적응모델 개발, 국가기후변화대응 교육센터 설립,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 운영,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 및 홍보역량 강화, 각 부서별 · 연도

별 기후변화대응 세부실천사업 추진, 중앙부처 및 타지자체 등과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 등의 사업을 추진함.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Carbon Free Island' 제주 실현

2020년까지 풍력발전 500MW 개발을 통해 도내 전력수요 20% 대체, 기저부하를 담

당할 수 있는 지열발전 국내 최초 도입추진, 사업용·자가용 태양광 발전 규모를 2012

년까지 30MW로 확대, 2012년까지 도내 경유 사용량의 20%를 BD로 대체, 태양광 주

택보급을 확대하여 분산형 전원 구현, 미숙과 · 비상품감귤 등 20만톤 이용, 폐기물

활용 바이오가스 생산등의 사업을 추진함

기후변화대응 친환경 산업 기반 마련

농수축산업· 환경·관광이 함께 어우러지는 자연순환형 1차산업 정착, 감귤돌연변이

및 품종간 교잡에 의한 육종 등 신품종 개발 추진, 기후변화 대응 농작물 관리요령

및 병해충 발생정보 제공, 한발측정장비 자동화 사업 및 에너지 절감시설 지원, 가축

분뇨처리 방법 개선 및 자원화 확대로 저탄소 축산사업장 구축, 수온상승 등 기후변

화로 인한 해양환경실태조사 및 생태도면 제작, 제주연안 파래 이상번식 원인조사

및 자원화 방안계획 수립 추진, 탄소중립적 연료인 바이오디젤용 유채재배 확대, 아

열대과수산업 점진적 육성 및 지원체계 구축 등 추진

기후변화대응 도시 구조 실현

저탄소형 녹색도시조성을 위한 도시공간계획 수립, 제주지형에 맞는 자전거 이용활성

화 인프라 구축, 대형건축물에 대한 에너지효율 개선, 기상이변대비 재난취약지역 비

상계획 및 매뉴얼 제작 보급, 친환경 가로등 교체사업추진, 기후변화 대응관광분야

적응대책 수립 등의 사업을 추진

Page 7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62 ․․․․․․․․․․․․․․․․․․․․․․․․․․․․․․․․․․․․․․․․․․․․․․․․․․․․․․․․․․․․․․․․․․․․․․․․․․․․․․․․․․․․․․․․․․․․․․․․․․․․․․․․․․․․․․․․․․․․․․․․․․․․․․․․․․․․․․․․․․․․․․․․․․․․․․․․․․․․․․․․․․․․․․․․

기후변화대응 연구시스템 구축

온실가스 배출량 인벤토리 시스템 구축, 기후변화 대응 수자원 관리기술 개발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한라산 생태계 영향분석 및 적응전략 제시, 고효율 CO2 저감을 위

한 제주형 해중림 조성기법 개발, 기후변화 대응 농업안정생산 기술연구, 기후변화

대응 아열대작물 도입선발, 바이오 에너지 원료에 적합한 품종선발 연구 등의 사업

을 추진

(4) 강원도

강원도는 80% 이상이 산림으로 온실가스 흡수원으로서 위치를 공고히 할 수 있음.

강원도 전체 온실가스배출량이 산림에 의해서 흡수되어, 자연 저감되고 있는 상황.

따라서 온실가스 흡수원으로서의 역할 및 위상 제고를 위한 방향 및 방안 마련이 필

요.

강원도는 기후변화정책으로 오는 2022년까지 도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16~22% 저감

하는 ‘강원도 기후변화대응 마스터플랜’을 추진하고 있음. 추진방향으로는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해 수송(친환경 자동차 보급, 녹색교통활성화, 친환경도로건설), 가정·

상업(조명 효율화, 신재생에너지보급확대, 건물에너지효율화), 농·축산(친환경농법개

발, 분뇨자원화, 친환경비료공급확대)분야별로 세부계획을 마련하고 적극 추진할 계

획임. 또한 청정에너지 개발 및 활용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그린홈 및 빌리지

조성추진, 청정에너지 의무사용 제도화 확대, R&D 분야 및 선도기업 육성, 전문인

력 양성 방안 등을 마련했으며 이와 함께 온실가스 흡수원 확보를 위해 신규 및 재

조림 확대, 숲가꾸기 사업확대, 산림관리 및 재해방지, 산지전용 억제 방안을 추진키

로 했음.

기후변화 적응방안으로는 해양분야의 경우 해양자원보호 및 해양 환경변화연구, 농·

축산업분야는 토양침식 방지, 토지이용개선, 생물다양성 제고 등을, 재해분야는 재해

위험지도 작성, 보건 분야는 질병예방 등을 마련하고 있음.

다음은 지금까지 추진 또는 계획하고 있는 강원도의 녹색성장 정책 전략임.

Page 7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63

신재생에너지

강원도는 ‘2012년까지 2003년 대비 온실가스 6%감축’을 위해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국제적 네트워크화, 남북 강원도 공동 기후변화 대응 공간 조성, 탄소포인트제 운영,

탄소제로화 시범도시 조성, 상하수도 시설 탄소중립 전환(에너지소비를 태양광발전

대체)등의 사업을 추진. 또한 ‘에너지 사용 효율화로 녹색에너지 육성’을 위해 LED가

로등 교체 확대, 에너지 절약형 시설 보급,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 ‘그린에너지

산업 지역선도 산업화’를 위해 그린에너지 특화산업단지 조성, 지열에너지산업화 인

프라 구축, 산림바이오 매스 자원개발 및 인프라 확충, 풍력발전 국산화 촉진 시범사

업, 신재생에너지 보급 선도 및 기술개발을 추진

첨단지식산업

'녹색기술 중심 융.복합 바이오산업 벨트 구축'을 위해 의약 바이오의 한국형 클러스

터 조성, 해양바이오 허브 구축, 해양심층수 사업 고부가가치화를 추진

관광자원

‘DMZ 명소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DMZ박물관 운영(‘09.8.14 개관식), 철원 평화문

화광장 조성(’09.6 기공식), 인제 평화생명동산 조성(165억원), DMZ의 체계적인 보존.

관리, 관광상품 개발 및 글로벌마케팅 전개 등을 추진함. 또한 ‘산소길.자전거길 3000

리’를 조성하고 ‘아토피 치유마을 조성’하기 위해 교육센터, 황토방, 유기농재배시설

등을 갖춘 마을을 조성(50억원 투자)계획임.

환경분야

‘저탄소 녹색성장 우위 선점’을 위해 저탄소 녹색도시 한국 대표브랜드로 육성, 도내

도시 녹색도시화, 저탄소 녹색마을 유치(정부 600개 조성), 국제도시훈련센터 국제 인

Page 7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64 ․․․․․․․․․․․․․․․․․․․․․․․․․․․․․․․․․․․․․․․․․․․․․․․․․․․․․․․․․․․․․․․․․․․․․․․․․․․․․․․․․․․․․․․․․․․․․․․․․․․․․․․․․․․․․․․․․․․․․․․․․․․․․․․․․․․․․․․․․․․․․․․․․․․․․․․․․․․․․․․․․․․․․․․․

지도 확충, UNEP(유엔 환경계획) 한국 청소년생태 ·문화센터 유치 사업을 추진. ‘녹

색산업 유치 및 신산업지대화’를 위해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바이오매스), 일반 폐

기물자원 에너지화, 폐기물 에너지타운 조성 시범사업(원주)을 추진. ‘녹색생활, 녹색

환경조성 솔선수범’을 위해 천연가스 자동차(NGV) 보급, 춘천 국제 천연가스자동차

R&D파크 조성(‘07-’13), 에코포인트제와 녹색교육을 실시

친환경 농업, 농촌관광

‘친환경농업 기술개발’을 위해 환경생태 친화형 저투입 농업 개발, 친환경 인증 농

산물 생산 확대(‘08년 8.2% → ’10년 10%), 고랭지 토사유출 저감 및 지력증진 기술

개발, 기상환경변화 대응연구 등을 추진. ‘농촌 어메니티 자원발굴로 농촌관광 활성

화’를 위해 웰빙요리 체험마을 육성, 농촌건강장수마을 육성을 추진함. ‘청정산림 및

해양자원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산림바이오매스 보일러 보급, 해양 바이오산업 육성,

강원도형 바다목장 조성, 해양 심층수 산업 육성을 추진함.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시니어 낙원 및 전원 마을을 조성하고 친환경 인증 건축물 확산, 녹색교통시스템 구

축, 녹색일자리 창출을 추진함.

Page 7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65

2 녹색성장 추진체계

1) 법적 기초

(1)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의 특징

정부는 2009년 2월 25일 국무회의에서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을 확정하여 국회에

제출한 상태임. 이 법안은 【그림 3-2】와 같이 7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그림 3-2】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의 기본 구조

자료: 녹색성장위원회(2009c).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은 기후변화정책 및 에너지정책을 포함하는 녹색성장 관련

정책의 기본법으로 기능할 것임. 법안 제8조에 따르면 이 법은 저탄소 녹색성장에

관한 ‘기본법’으로서, 다른 법률(에너지기본법, 지속가능발전기본법 등)에 우선 적용

Page 7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66 ․․․․․․․․․․․․․․․․․․․․․․․․․․․․․․․․․․․․․․․․․․․․․․․․․․․․․․․․․․․․․․․․․․․․․․․․․․․․․․․․․․․․․․․․․․․․․․․․․․․․․․․․․․․․․․․․․․․․․․․․․․․․․․․․․․․․․․․․․․․․․․․․․․․․․․․․․․․․․․․․․․․․․․․․

하며, 타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시, 이 법의 목적과 기본원칙을 준용하도록 되어 있

음. 이에 따라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법률들의 경우 법률의 명칭, 기구나 계획

의 명칭, 중복되는 내용 등에 있어 개정작업이 이어질 것임.

- 명칭변경이 예정되어 있는 법률들은 다음과 같음.

: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 촉진에 관한 법률 ⇨ 녹색산업구조로의 전환 촉진에

관한 법률

: 에너지기본법 ⇨ 에너지법

: 지속가능발전기본법 ⇨ 지속가능발전법

- 기존 법률들에 의해 규정된 기구, 계획의 명칭, 용어 등도 변경될 예정임.

: 환경친화적 산업구조전환 추진본부 ⇨ 녹색산업 구조전환 추진본부

: 국가에너지위원회 ⇨ 에너지위원회

: 국가에너지기본계획 ⇨ 에너지기본계획

: 국가 및 지방 지속가능발전위원회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 환경경영 ⇨ 녹색경영

: 환경친화적 제품 ⇨ 녹색제품

- 아울러 2008년 9월 정부가 마련한 기후변화대책기본법(안)은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안)과 중복되는 내용이 많다는 점에서 제정 추진이 중단된 상태임.

선진국에서 우리나라처럼 ‘녹색성장’이라는 명칭의 법률을 별도로 제정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움. 명칭은 상이하지만 선진국들의 경우에도 Post-2012체제에 대비하여

녹색성장 관련법의 제정을 통해 자국의 제도를 정비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특히

프랑스, 영국, 일본, 호주는 선도적⋅선제적 입법을 추진하고 있음. 하지만 대부분의

선진국들에서 추진하고 있는 법들은 대체로 기후변화 관련법들이라 할 수 있음.

- 유럽연합(EU)은 회원국 간의 공조를 통한 기후변화대응을 추진하고 있음.

Page 8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67

: 기후와 에너지 통합법(Climate and Energy Package 2008)이 2008년 12월 유럽의회

에서 승인되었고, 여기서 유럽 차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효율화, 신재생에

너지 관련 3대 목표를 설정하였음.

: 3대 목표는 첫째, 2020년까지 EU 전체 온실가스 배출을 20% 감축, 둘째, 2020년까

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20% 확대, 셋째, 2020년까지 에너지 효율성을 20% 증진 등임.

- 프랑스는 그르넬 환경법이 2008년 10월 하원을 통과하여 상원 통과를 기다리고 있음.

: 이 법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의 25% 수준(즉 1/4 수준)으로 감축

한다는 것, 그리고 2020년까지 탄소 부문에서 유럽 내 가장 효율적인 경제체제를 구

축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영국은 2008년 12월 기후변화법(Climate Change Act)이 의회를 통과함.

: 이 법에 따라 2008년 12월 기후변화위원회가 설치되었고, 탄소예산제도 및 2050년

까지의 장기목표가 제안되었음. 특히 세계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법에 명시되

었음.

: 이 법에 따르면 영국은 1990년 배출 수준과 대비하여, 이산화탄소를 2050년까지

80%, 2020년까지 26% 수준으로의 감축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음.

- 일본은 1997년 제정된 지구온난화대책 추진에 관한 법률이 2002년 5월, 2006년 6월,

2008년 3월 각각 개정되어 왔음.

: 법에 따라 2006년부터 특정사업자 대상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보고 의무를 부여하

고, 국가가 이를 집계⋅공표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 또한 2008년 10월 자주참가형 배출권거래제(JVETS)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음.

- 호주는 2007년 9월 국가 온실가스⋅에너지 보고의무법(National Greenhouse and

Energy Reporting Act)이 제정되었음.

: 이 법에 따르면 일정 기준 이상 이산화탄소 배출설비는 온실가스 배출 및 에너지

사용 자료를 외부검증을 거쳐 정부에 의무적으로 등록하게 되어 있으며, 정부는 웹

사이트 또는 출판물을 통해 이를 공표함.

Page 8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68 ․․․․․․․․․․․․․․․․․․․․․․․․․․․․․․․․․․․․․․․․․․․․․․․․․․․․․․․․․․․․․․․․․․․․․․․․․․․․․․․․․․․․․․․․․․․․․․․․․․․․․․․․․․․․․․․․․․․․․․․․․․․․․․․․․․․․․․․․․․․․․․․․․․․․․․․․․․․․․․․․․․․․․․․․

- 미국은 2007년에 Bingaman-Specter 저탄소경제법안, 2008년에 Lieberman-Warner 기

후안보법 등이 제안된 바 있음.

(2)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의 주요 내용

녹색성장 국가전략 수립⋅시행(제9조)

-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책목표⋅추진전략⋅중점추진과제 등을 포함하는

‘녹색성장 국가전략’을 녹색성장위원회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시행

녹색성장위원회 설치(제14조)

- 정부는 국무총리와 민간위원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대통령 소속의 ‘녹색성장위원회’

를 설치함. 위원회는 기획재정부⋅지식경제부⋅환경부⋅국토해양부 장관 등 당연직

위원과 대통령이 위촉하는 민간위원 등 모두 50명으로 구성

녹색경제⋅산업의 육성 및 지원(제21조)

- 정부는 새로운 녹색산업을 발굴⋅육성하고, 녹색경제⋅산업으로의 단계적 전환을 촉

진하며, 녹색경제⋅산업을 육성⋅지원하는 시책을 강구

환경친화적 세제 운영(제27조)

- 환경오염과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며 에너지 이용효율이 낮은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조

세부담 강화 및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감소를 위한 국가 조세정책 운영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에너지기본계획 수립⋅시행(제38조, 제39조)

- 정부는 온실가스 중장기 감축목표 설정 및 부문별⋅단계별 대책, 에너지 수요관리 및

안정적 공급 등을 포함한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과 ‘에너지기본계획’을 녹색성장위원

회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수립⋅시행

Page 8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69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 목표관리(제40조)

-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에너지 자립, 에너지 이용효율, 신재생에너지 보

급 향상을 위한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 설정⋅관리와 목표달성을 위한 조기행동 촉

진, 경영지원, 기술적 조언 등의 지원조치 강구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및 종합정보관리체계 구축⋅운영(제41조, 제42조)

- 온실가스 다배출업체 및 에너지 다소비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보

고 및 온실가스 종합정보관리체계 구축⋅운영

총량제한 배출권거래제 도입(제43조)

- 총량제한 배출권거래제(Cap & Trade)를 도입⋅실시할 수 있도록 하되, 구체적인 할당

방법, 등록⋅관리방법, 거래소 설치⋅운영, 도입 시기 등은 따로 법률로 정함

녹색성장 관련계획 수립 시 협의(제24조, 제48조)

- 과학기술기본계획, 국토종합계획 등 녹색성장 관련 주요계획 수립 시 녹색성장위원회

의 의견 청취

녹색산업투자회사 설립(제59조)

- 녹색산업 관련 기술개발 및 사업에 자산을 투자하여 그 수익을 주주에게 배분하는 녹

색산업투자회사를 설립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출자를 통해 민간투자 확대, 위험부담

회피 유도

2) 국가전략 및 추진계획

(1) 녹색성장 국가전략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전략 - 정부는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책목표⋅추진

전략⋅중점추진과제 등을 포함하는 저탄소 녹색성장국가전략(이하, 녹색성장국가전

Page 8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70 ․․․․․․․․․․․․․․․․․․․․․․․․․․․․․․․․․․․․․․․․․․․․․․․․․․․․․․․․․․․․․․․․․․․․․․․․․․․․․․․․․․․․․․․․․․․․․․․․․․․․․․․․․․․․․․․․․․․․․․․․․․․․․․․․․․․․․․․․․․․․․․․․․․․․․․․․․․․․․․․․․․․․․․․․

략)을 수립⋅시행하도록 되어 있음(법안 제9조).

- 녹색성장국가전략은, ①녹색경제 체제의 구현에 관한 사항, ②녹색기술⋅녹색산업에

관한 사항, ③기후변화대응정책, 에너지정책 및 지속가능발전정책에 관한 사항, ④녹

색생활, 녹색국토, 저탄소 교통체계 등에 관한 사항, ⑤기후변화 등 저탄소 녹색성장

과 관련한 국제협상 및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⑥그밖에 재원조달, 조세⋅금융, 인력

양성, 교육⋅홍보 등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등을 포

함하여야 함.

- 또한 녹색성장 국가전략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 및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치도록 되어 있음.

2009년 7월 14일 정부는 녹색성장 국가전략을 확정 발표하였음. 이 국가전략이 지니

는 특징은 다음과 같음(녹색성장위원회, 2009a).

- 범국가적 녹색성장 종합계획으로서의 특징을 지님. 기존 국가들이 채택한 신재생에너

지 중심의 녹색성장 개념을 탈피하고, 녹색성장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정의하였으며,

국가⋅국민⋅기업을 포괄하는 범국가적 차원의 전략이라 할 수 있음.

- 기존 계획들의 통합 성격을 지니고 있음. 그 간의 관련 보고서, 논문, 각계 의견 포함

하였으며, 에너지, 기후변화, 녹색산업, 녹색사회 및 생활혁명 등 부문별 기본계획 등

기존 계획의 목표치 및 투자계획 등을 재검토하고 통합 조정하였고, 정부 부처별 녹

색성장 관련 사업계획에 대한 검토를 통해 유사 사업간 중복을 배제하였으며, 공공

⋅민간 전문기관의 참여와 관련 연구 결과를 포괄적으로 반영함.

- 녹색성장 투자에 따른 기대효과를 명확하게 제시하였음. 녹색성장 투자 분야, 대상 사

업에 대한 중요도, 연관도 등을 면밀히 검토해 핵심과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해 선택

적 예산 집행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작성되었음. 또한 녹색성장 분야에 대한 단순 투

자 계획의 나열이 아니라, 투자에 따른 기대효과를 명확히 제시하였음.

- 장기적 시계(2050년까지)를 지니고 있음. 녹색성장 분야는 장기에 걸친 투자가 선행되

어야 하며, 투자 효과 역시 장기에 걸쳐 나타나므로, 집중 투자가 계획된 2013년을

기점으로, 2020년, 2030년, 2050년을 분석의 시계로 설정하고 있음.

녹색성장 국가전략에서는 【그림 3-3】과 같이 대내외 여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

대 전략방향과 이를 지향하는 10대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음.

Page 8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71

【그림 3-3】녹색성장 국가전략에 제시된 전략 및 정책방향

자료: 녹색성장위원회(2009a).

Page 8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72 ․․․․․․․․․․․․․․․․․․․․․․․․․․․․․․․․․․․․․․․․․․․․․․․․․․․․․․․․․․․․․․․․․․․․․․․․․․․․․․․․․․․․․․․․․․․․․․․․․․․․․․․․․․․․․․․․․․․․․․․․․․․․․․․․․․․․․․․․․․․․․․․․․․․․․․․․․․․․․․․․․․․․․․․․

(2) 녹색성장 5개년계획

녹색성장 5개년계획(녹색성장위원회, 2009b)은 장기적으로 녹색성장 국가전략을 추진

하기 위한 중기계획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2009년 7월 14일 녹색성장 국가전략과

함께 발표되었음.

- 녹색성장 국가전략의 투자 분야, 대상 사업에 대한 중요도, 연관도 등을 면밀히 검토

해 5개년 간(’09~’13)의 중기 추진과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선택적 예산 집행을 추

진하는 데 목적이 있음.

- 녹색성장 국가전략에 대한 중기 추진과제 및 담당부처, 연도별 투자 및 지원, 기대효

과 등을 제시하여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녹색성장 5개년계획은 국가전략에서 제시된 3대 정책방향 및 10대 과제들과 관련하

여 모두 50개의 실천과제를 제시하고 있음.

- 전략 1 : 기후변화적응 및 에너지자립

Page 8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73

- 전략 2 : 신성장동력 창출

Page 8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74 ․․․․․․․․․․․․․․․․․․․․․․․․․․․․․․․․․․․․․․․․․․․․․․․․․․․․․․․․․․․․․․․․․․․․․․․․․․․․․․․․․․․․․․․․․․․․․․․․․․․․․․․․․․․․․․․․․․․․․․․․․․․․․․․․․․․․․․․․․․․․․․․․․․․․․․․․․․․․․․․․․․․․․․․․

- 전략 3 :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

녹색성장 5개년계획에 따르면 2009-2013년 간 녹색성장을 위한 재정소요액은 107.4조

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연간 GDP의 약 2%에 해당함.

- 기후변화 적응 및 에너지자립 분야에 56.9조원, 신성장동력 창출 분야에 28.6조원, 그

리고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 분야에 27.9조원이 사용될 예정임.

(3) 기관별 계획

중앙녹색성장추진계획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녹색성장국가전략을 효율적⋅체계적으

로 이행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에 따라 소관 분야의 추진계획(이하, 중

앙추진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함(법안 제10조).

- 중앙추진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때에는 녹색성장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함.

Page 8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75

지방녹색성장추진계획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르면, 16개 시⋅도는 해당 지방

자치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녹

색성장국가전략과 조화를 이루는 지방녹색성장추진계획(이하 지방추진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되어 있음.

- 지방추진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때에는 지방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지방의회에 보고하고, 이를 지체 없이 녹색성장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함.

- 또한 시⋅도 자치단체장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방추진계획의 이행상황을

점검⋅평가하여 그 결과를 지방의회에 보고하고, 이를 지체 없이 녹색성장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함.

(4) 부문별 계획

이상에서 설명한 녹색성장 국가전략, 녹색성장 5개년계획, 중앙추진계획, 지방추진계

획이 문자 그대로 녹색성장계획인 반면, 그 밖에 녹색성장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지

니고 있는 여러 부문별 계획도 존재함. 이러한 부문별 계획은 핵심계획과 연관계획

으로 구분할 수 있음.

핵심계획이란 녹색성장과 직접 연관된 계획을 의미함. 다시 말해서 녹색성장 국가전

략 목표와 직접 관련됨으로 인해, 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무회의에서 확정

되는 것임. 대표적으로 국가에너지기본계획,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지속가능발전계

획, 녹색뉴딜계획 등이 있음.

연관계획이란 녹색성장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계획을 의미함. 타 법령에 따른 소관 위

원회에서 확정되는 것으로, 사전에 그 기본방침을 녹색성장위원회와 협의하도록 하

고 있음. 이러한 연관계획의 범위는 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으로 정할 예정임. 대표적

인 연관계획으로는 국가과학기술기본계획, 국토종합계획, 국가기간망교통계획, 국가

균형발전계획 등이 있음.

Page 8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76 ․․․․․․․․․․․․․․․․․․․․․․․․․․․․․․․․․․․․․․․․․․․․․․․․․․․․․․․․․․․․․․․․․․․․․․․․․․․․․․․․․․․․․․․․․․․․․․․․․․․․․․․․․․․․․․․․․․․․․․․․․․․․․․․․․․․․․․․․․․․․․․․․․․․․․․․․․․․․․․․․․․․․․․․․

3) 추진조직체계

(1) 중앙정부 차원의 추진조직체계

가. 녹색성장위원회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이해에 관한 사항을 심의

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으로 녹색성장위원회(이하, 위원회)를 둠(법안 제14조 ~ 제

19조).

- 위원회는 위원장 2인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은 국무총리,

그리고 위원 중 대통령이 지명하는 1인이 공동으로 맡음.

- 당연직위원은 기획재정부장관,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지식경제부장관, 환경부장관, 국토

해양부장관, 대통령실의 녹색성장 담당 수석비서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무원

이 되며, 위촉위원은 기후변화, 에너지⋅자원, 녹색기술⋅녹색산업, 지속가능발전 분

야 등 저탄소 녹색성장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대통령이 위촉함.

위원의 임기는 1년이며, 위원 중 녹색성장 담당 수석비서관이 위원회의 간사를 맡음.

- 위원회에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으며, 분과위원회는 위촉위원들로 구성하고, 분과위원

장은 위원 중 호선함.

위원회는 다음 사항을 심의함. ①저탄소 녹색성장정책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②녹

색성장국가전략의 수립⋅변경⋅시행에 관한 사항, ③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에너지기

본계획 및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에 관한 사항, ④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의 목표관리,

점검, 실태조사 및 평가에 관한 사항, ⑤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저탄

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정책조정 및 지원에 관한 사항, ⑥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법제도에 관한 사항, ⑦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재원의 배분방향 및 효율적 사용에

관한 사항, ⑧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국제협상⋅국제협력, 교육⋅홍보, 인력양성

및 기반구축 등에 관한 사항, ⑨다력,법률에서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 심의한 사항,

⑩그밖에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위원회 및 분과위원회의 운영 및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녹색

Page 9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77

성장기획단을 둠.

- 기획단의 단장은 국정기획수석비서관실의 비서관과 관계 기관의 고위공무원단 소속

고위공무원으로 하며, 총무ㆍ예산 등 일상적인 행정업무는 고위공무원인 단장이 수

행함. 단장은 위원장의 지휘를 받아 기획단의 사무를 총괄하며, 소속 직원을 지휘ㆍ

감독하도록 되어 있음.

【그림 3-4】녹색성장위원회의 조직

Page 9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78 ․․․․․․․․․․․․․․․․․․․․․․․․․․․․․․․․․․․․․․․․․․․․․․․․․․․․․․․․․․․․․․․․․․․․․․․․․․․․․․․․․․․․․․․․․․․․․․․․․․․․․․․․․․․․․․․․․․․․․․․․․․․․․․․․․․․․․․․․․․․․․․․․․․․․․․․․․․․․․․․․․․․․․․․․

나. 정부 각 부처

녹색성장위원회는 녹색성장전략 및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구체적 녹색성

장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추진하는 것은 관련 중앙부처의 소관사항이라 할 수 있음.

정부 각 부처는 녹색성장위원회에 참여하는 동시에, 녹색성장국가전략 및 5개년계획

에 부합하는 중앙추진계획을 작성하도록 되어 있음. 또한 녹색성장 과제 발굴 및 추

진을 전담하는 녹색성장책임관(Chief Green Officer, CGO)을 둠.

- 2009년 8월 2일 현재, 중앙부처(처⋅청 포함)의 녹색성장책임관으로 임명 현황은 【표

3-1】과 같음(www.greengrowth.go.kr). 모두 국장급이며, 기존 보직과 겸임하는 형태

를 취하고 있음.

부처 녹색성장책임관 부처 녹색성장책임관

국무총리실 재정산업정책관 금융위원회 기획조정관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공정거래위원회 경쟁정책국장

외교통상부 국제경제국장 중소기업청 기술혁신국장

교육과학기술부 거대과학정책관 국세청 법인납세국장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장 조달청 기획조정관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에너지정책관 관세청 통관지원국장

농림수산식품부녹색미래전략과장

(녹색성장정책관 직무대리)방위사업청 획득기획국장

국토해양부 정책기획관 특허청 기획조정관

환경부 녹색환경정책관 통계청 기획조정관

문화체육관광부 정책기획관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

보건복지부 정책기획관 산림청 산림자원국장

노동부 정책기획관 기상청 기후과학국장

국방부 군수관리관 소방방재청 기획조정관

여성부 여성정책국장 경찰청 혁신기획단장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

방송통신위원회 융합정책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기반시설국장

【표 3-1】중앙부처의 녹색성장책임관 지정 현황(2009년 8월 2일 현재)

Page 9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79

대부분의 부처들이 녹색성장 관련 과제를 수행하지만, 특히 녹색성장과 관련된 사업

과 재정지출이 많은 부처는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이라 할 수 있으며,

그밖에 녹색성장 관련 사업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예산배분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

획재정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주무부서인 행정안전부도 녹색성장 관련 중요부처라

할 수 있을 것임.

(2) 지방 정부 차원의 추진체계

지방녹색성장위원회 - 지방자치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주요 정책 및 계획

과 그 이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장 소속으로 지방녹색성장위

원회를 둘 수 있음. 지방녹색성장위원회의 구성, 운영 및 기능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함(법안 제20조).

- 행정안전부는 녹색성장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2009년 4월부터 지방의 녹색성장 추진체

계 구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고 있는 상태이며, 【그림 3-5】에서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안을 제시한 바 있음. 이에 따르면 지방녹색성장위원회는 일단 16개

시⋅도 수준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들의 협의체 성격인 지방녹색성

장협의회가 구성됨. 당초 지방녹색성장위원회는 2009년 6월까지 구성될 예정이었지

만, 2009년 6월 21일 현재 6개 시도에서만 지방녹색성장위원회 설치가 완료된 상태

임.

지방녹색성장협의회16개 지방녹색성장협의회

- 공동위원장(자치단체장, 민간) -

기후변화⋅에너지분과위원회

녹색산업⋅기술분과위원회

녹색생활⋅실천분과위원회

【그림 3-5】행정안전부의 지방 녹색성장 추진체계 구성(안)

- 이러한 지방 녹색성장 추진체계 구축에 관한 사항이 이미 추진 중인 지방추진체계와

Page 9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80 ․․․․․․․․․․․․․․․․․․․․․․․․․․․․․․․․․․․․․․․․․․․․․․․․․․․․․․․․․․․․․․․․․․․․․․․․․․․․․․․․․․․․․․․․․․․․․․․․․․․․․․․․․․․․․․․․․․․․․․․․․․․․․․․․․․․․․․․․․․․․․․․․․․․․․․․․․․․․․․․․․․․․․․․․

중복될 가능성도 있음. 예컨대 환경부는 2008년부터 민⋅관 정책지원 협력체인 녹색

성장포럼을 구성하고 16개 시⋅도의 지방녹색성장포럼 구성을 완료한 상태임. 또한

환경부의 녹색성장포럼은 행정안전부의 구성안과 유사하게, 기후변화⋅에너지, 녹색

산업⋅기술, 녹색사회 등 3개의 분과위원회를 두고 있음. 따라서 행정안전부가 추진

하는 지방녹색성장위원회와 환경부의 지방녹색성장포럼은 인적 구성이나 기능 면에

서 중복될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로 경기도 및 경상북도는 녹색성장포럼이 녹색성장

위원회를 겸하고 있음. 따라서 지방 녹색성장 추진체계 구축에 있어서는 여타 지방

추진체계와의 역할분담 및 협력방안 등이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음.

녹색성장 책임관 지정 운영 - 저탄소 녹색성장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의 장은 소속 공무원 중에서 녹색성장책임관을 지정할 수 있음(법안 제21조).

- 행정안전부는 당초 2009년 5월 말까지 246개 지방자치단체 모두에 실⋅국장급 녹색성

장책임관을 지정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음. 이는 행정안전부에 신설된 지역녹색성

장과(지역발전정책국 내)를 정점으로 하여 행정안전부-광역자치단체-기초자치단체를

연계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됨. 또한 각계 전문가 20명 내외로 구성되는 녹색성장자문

위원회를 만들어 이러한 형태의 정책추진을 보완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음.

- 2009년 8월 2일 현재 시도 수준에서 지정된 녹색성장책임관 현황은【표 3-2】와 같음

(www.greengrowth.go.kr). 대체로 기획관리(조정)실장 등 국장급으로 지정되고 있음.

시도 녹색성장책임관 시도 녹색성장책임관

서울시 맑은환경본부장 강원도 기획관리실장

부산시 경제산업실장 충 북 정책관리실장

대구시 신기술산업국장 충 남 기획관리실장

인천시 기획관리실장 전 북 새만금환경녹지국장

광주시 기획관리실장 전 남 기획조정실장

대전시 기획관리실장 경 북 기획조정실장

울산시 환경녹지국장 경 남 기획조정실장

경기도 경제투자실장 제주도 경영기획과장

【표 3-2】16개 시도의 녹색성장책임관 지정 현황(2009년 8월 2일 현재)

Page 9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81

4) 주체 간 협력체계

(1) 정부-민간부문 간 협력체계

가. 녹색성장포럼

녹색성장포럼은 환경부가 주도하여 만든 민간전문가 모임으로, 녹색성장에 관한

think tank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2008년 구성되었음. 녹색성장포럼의 구성은【그림

3-6】과 같음.

【그림 3-6】녹색성장포럼의 조직도

나.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환경부가 주도하여 만든 범국민 실천운동조직으로 이해할 수

있음. 정관에 제시된 공식 명칭은 ‘온실가스 줄이기 국민실천 네트워크’이며, 주로 온

실가스 감축을 위한 생활실천운동을 전개하고, 관련된 교육⋅홍보활동 추진을 목표

Page 9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82 ․․․․․․․․․․․․․․․․․․․․․․․․․․․․․․․․․․․․․․․․․․․․․․․․․․․․․․․․․․․․․․․․․․․․․․․․․․․․․․․․․․․․․․․․․․․․․․․․․․․․․․․․․․․․․․․․․․․․․․․․․․․․․․․․․․․․․․․․․․․․․․․․․․․․․․․․․․․․․․․․․․․․․․․․

로 2008년 10월 11일 결성됨.

- 모든 국민,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에 문호를 개방하고 있으며, 5인 이내의 공동대표(임

기 2년) 체제를 바탕으로 운영됨. 녹색교통운동(eco-driving)과 녹색생활운동

(eco-living)이라는 두 가지 테마의 전국민 캠페인을 진행함.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조직은 【그림 3-7】과 같으며, 지역네트워크는 2009년 현재

183개 자치단체에서 구성이 완료됨(광역 16, 시 67, 군 100).

【그림 3-7】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조직도

Page 9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 ․․․․․․․․․․․․․․․․․․․․․․․․․․․․․․ 83

(2) 민간부문 간 협력체계 - 녹색성장민간협의체

녹색성장을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민간주체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

여가 필수적임. 이에 따라 녹색성장 추진 관련, 산업계⋅학계⋅시민단체 등 주요 이

해관계자별 대화체 운영으로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서 전 국민의 녹색성장 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음.

정부는 이러한 민간협력을 위해 녹색성장민간협의체라는 틀을 만들어 나가고 있음

민간부문의 실질적 인식⋅행동변화를 이끌어낼 대화채널로서의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기⋅수시 협의회 개최를 개최한다는 것임. 주체별 역할의 핵심은 정부는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기업은 투자에 나서며, 과학기술계는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시민단체는 녹색생활 실천에 앞장서게 한다는 계획(녹색성장위원회, 2009b).

녹색성장민간협의체는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와 파트너격인 민간 성격의 기구

로, 청와대가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발족을 주도하였음. 현재 민간협의체라는

우산 속에는 산업협의체, 과학기술협의체, 녹색생활협의체(예정), 금융협의체 등이 포

함되어 있음.

- 산업협의체는 경제5단체와 주요 업종별 단체 및 기업대표 등이 주축을 이루고 있으

며, 금융협의체는 금융회사와 연구⋅유관 기관 등이 참여하고 있고, 과학기술협의체

는 과학⋅산업기술계와 출연연구소 등이 참여함. 녹색생활협의체는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주요 시민⋅소비자 단체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됨.

Page 9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3장 녹색성장 정책 및 추진체계 현황분석

84 ․․․․․․․․․․․․․․․․․․․․․․․․․․․․․․․․․․․․․․․․․․․․․․․․․․․․․․․․․․․․․․․․․․․․․․․․․․․․․․․․․․․․․․․․․․․․․․․․․․․․․․․․․․․․․․․․․․․․․․․․․․․․․․․․․․․․․․․․․․․․․․․․․․․․․․․․․․․․․․․․․․․․․․․․

【그림 3-8】녹색성장민간협의체

Page 9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4 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Page 9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10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87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ⅣⅣⅣ

1 미국사례

1)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전략

(1) 기후변화에 대한 기본입장

미국은 기후변화 등 지구환경적 변화보다는 지역 환경문제 중심의 정책을 유지해 왔

음. 2003년에 범국가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위원회인 기후변화과학기술통합위원회

(CCCSTI)를 형성하여 과학적 연구, 기후변화 대처를 위한 기술개발 그리고 기후변화

에 대한 적응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 등 기후변화 대응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별도기

준(온실가스 집약도방식)에 의한 감축계획을 2003년 3월에 발표하고 에너지부, 환경

청 등 관련부처 중심으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보장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

는 대책추진 해왔음. 최근에는 탄소세, 탄소배출권 거래 등 지구환경적인 문제에 대

한 접근 노력을 강화하는 추세

미국은 녹색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녹색산업을 위한 기초연구 및 기술개발을

하고, 민간은 사용화 추진이 맡는 “투 트랙(two track)"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마강래

외, 2008).

2006년 첨단에너지계획(Advanced Energy Initiative)를 발표하고 이를 위해 1억 4800

만달러를 책정하여 시행하고 아울러 재생가능한 에너지 연구개발 노력을 경주함.

미국진보센터(Center for American Progress)가 선정한 녹색기술 영역은 ①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건물 개선 기술, ② 대중교통 수단 및 화물열차 확대, ③ 스

마트그리드 시스템 구축, ④ 재생에너지 분야의 풍력 발전, 태양광발전, 차세대 바이

오 연료 등 임.

오바마 정부는 ‘포괄적 기후변화법안(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 등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적극적인 참여를 표명하였음.

Page 10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88 ․․․․․․․․․․․․․․․․․․․․․․․․․․․․․․․․․․․․․․․․․․․․․․․․․․․․․․․․․․․․․․․․․․․․․․․․․․․․․․․․․․․․․․․․․․․․․․․․․․․․․․․․․․․․․․․․․․․․․․․․․․․․․․․․․․․․․․․․․․․․․․․․․․․․․․․․․․․․․․․․․․․․․․․․

기후변화에 대한 오바마 정권의 플랜을 살펴보면 녹색성장과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

로 에너지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에서 나오는 온실가스의 배출억제를 위해 이산화탄소 상한 제도를 계획하고

있음. 또한 기존 빌딩의 효율 향상프로그램과 신규빌딩의 탄소배출을 “0”으로 낮추

는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10년까지 10%에서 2023년까지 25%로 확대하기 위

해 설비의무화를 실시 계획하고 있음. 2015년까지 갤런당 150마일까지 주행할 수

있는 100만 개의 하이브리드카가 운영되도록 하고, 이 자동차들은 미국에서 생산 추

진 계획임.

(2) Post-교토체제에 대한 입장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이 세계 1, 2위인 미국은 2001년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불확실

성, 개도국 불참 및 자국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이유로 교토의정서 비준 거부.

【그림 4-1】세계의 온실가스 배출 추이

출처: 경향신문(2009년 8월11자)

2005년 미국주도의 기후변화협약인 아·태 파트너십(APP: Asia Pacific Partnership)을

구성해 기술개발 등을 통한 자발적 감축을 주장하며 교토의정서와 차별화를 시도(교

토의정서는 구속적 감축)하였음.

Page 10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89

구분 아·태 파트너십 체제 교토의정서 체제

의무감축 여부 자발적 국가 감축목표 설정 구속적 국가 감축목표 설정

의무부담 방식경제규모 대비 감축

(CO2 원단위 기준)총량감축(CO2 총배출량 기준)

감축방식 저탄소기술 개발 및 개도국 기술이전 배출권 거래 활성화

비고 EU 주도의 교토의정서와 갈등 미국, 중국 등 참여 여부 관건

【표 4-1】교토의정서와 아·태 파트너십 체제비교

2007년 12월 발리에서 열린 기후변화 회의에서 미국과 중국 등의 협조를 통해 포스

트 교토체제를 위한 발리 로드맵이 합의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각국의 현실과 이해관

계에 따라 상이한 입장을 취하고 있음.

2008년 7월 G8 정상회의에서는 2050년 세계전체의 온실가스를 50%감축하자는 원칙

을 정해 그동안 CO2 의무감축에 소극적이었던 미국, 중국 등의 감축을 강제하는 논

의가 이루어짐.

새롭게 등장한 오바마 정부는 이전 정권과 달리 기후변화협상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

며 미국 하원은 2009년 6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조처를 취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 탄

소과세를 부과할 수 있는 규정을 담은 ‘포괄적 기후변화법안인 청정에너지 및 보호

법(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을 의결하는 등 대체에너

지 개발 및 기후변화 국제공조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환경문제에 대해 국제사

회에서 미국이 리더가 될 것을 표명하였음.

‘청정에너지 및 보호법(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법안은 최초

의 기후변화대응 법안으로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cap and trade program) 도입

을 근간으로 재생전력기준, 에너지효율 개선, 배출권 할당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포괄적 에너지·기후변화 법안임.

2) 녹색성장정책의 주요 내용

미국의 오바마 정부는 부시 정부와 달리 지구온난화에 대한 환경이슈를 정책의 중심

으로 부각시켜 다자간 환경협정에 적극 참여 예상. 부시 정부가 서명 거부했던 교토

Page 10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90 ․․․․․․․․․․․․․․․․․․․․․․․․․․․․․․․․․․․․․․․․․․․․․․․․․․․․․․․․․․․․․․․․․․․․․․․․․․․․․․․․․․․․․․․․․․․․․․․․․․․․․․․․․․․․․․․․․․․․․․․․․․․․․․․․․․․․․․․․․․․․․․․․․․․․․․․․․․․․․․․․․․․․․․․․

의정서의 재참여 논의가 활성화되어 지구 온난화에 대한 미국의 역할이 증대될 것으

로 전망. 재생ㆍ대체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기후변화에 대한 미국의 역할이 적극적

으로 변화.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오바마 정부의 녹색

경제성장 전략은 재생에너지ㆍ청정 연료 개발 등 대체에너지 투자확대와 에너지효율

성 증대로 요약됨.

오바마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은 재생에너지, 청정연료개발 등 대체 에너지 투자확대

와 에너지 효율성 증대로 요약됨.

- 이산화탄소 감축(2050년까지 80%)

- Cap&Trade(배출총량규제, 거래제) 전면도입

- 에너지효율 목표 강화(2020년까지 15%)

- 신재생에너지 비율향상(2012년까지 10%, 2025년가지 25%)

- 대체 에너지 개발(향후 10년간 1500억달러 투입)

- 석유소비(2030년까지 35% 감축)

-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미국 환경보호국) 기능강화

(1) 녹색성장 정책

미국의 녹색성장관련 정책으로 그린뉴딜정책을 살펴보도록 하겠음. 먼저 인수위가 발

표한 오바마의 대선공약집인 오바마-바인든 플랜을 통해 그린뉴딜정책의 구체적인

내용과 현재 미국 에너지정책의 입장을 살펴볼 수 있음. 다음으로 2008년 12월 경기

부양과 일자리창출을 위해 오바마가 발표한 그린뉴딜정책을 통해 미국의 녹색성장

정책을 살펴보겠음.

가. 버락 오바마와 조 바이든의 에너지정책(NEW ENERGY FOR AMERICA)

오바마-바이든의 선거 공약집인 ‘BARACK OBAMA AND JOE BIDEN: NEW

ENERGY FOR AMERICA는 에너지-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오바마정부의 방향과 구

체적인 대안들이 담겨져 있음. 이글을 통해 미국의 녹색성장정책에 대한 입장을 살

펴보고자 함.

Page 10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91

오바마- 바이든 종합적인 ‘미국을 위한 새로운 에너지’ 계획은 다음과 같음.

- 미국 가정들이 고유가로 인해 겪는 고통을 일시적으로 경감한다.

- 민간의 클린에너지 건설을 촉진하기 위해 향후 10년에 걸쳐 1500억 달러를 투자함

으로써 50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돕는다.

- 10년 안에 현재 중동과 베네수엘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석유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을 절약한다.

- 2015년까지 갤런당 150마일을 달릴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를 100만대 생

산한다.

- 2012년까지 전력의 10%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2025년까지 25%가 되도록 한

다.

- 2050년까지 온실가스배출을 80% 줄이기 위해 총량 제한 및 배출권 거래제(cap

and trade program)를 이행한다.

오바마-바이든의 미국을 위한 새로운 에너지계획은 중장기적 방안, 일자리창출, 효율

적인 자동차개발, 국산에너지 공급, 국내 에너지자원 다양화, 에너지 이용 및 비용

절감 등 6개 타이틀 중심으로 살펴볼 것임.

중장기적 방안: 기후변화에 대처

- 온실가스방출 저감을 위한 배출권 거래제( cap and trade program) 실시함. 2050

년까지 1990년의 80% 만큼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탄소 총량제한 및 배출권 거

래제 시행. 경매할당량을 방식을 통해 형성된 수령액 일부분은 청정에너지 개발지

원, 에너지효율 개선 투자, 청정에너지 차 개발을 돕는데 사용하게 됨.

- 기후변화 리더로써의 미국.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글로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

해 미국은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에 참여하여 모든 주요 배출국이 함께 효

과적인 배출감축노력을 발전시키도록 유도할 것임.

미래에너지에 투자하고 새로운 일자리 500만개 창출

- 청정에너지 경제에 투자하고 500만개의 새로운 그린 일자리 창출. 앞으로 10년 이

상 1,500억 달러를 하이브리드의 상업화 촉진, 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 향상,

Page 10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92 ․․․․․․․․․․․․․․․․․․․․․․․․․․․․․․․․․․․․․․․․․․․․․․․․․․․․․․․․․․․․․․․․․․․․․․․․․․․․․․․․․․․․․․․․․․․․․․․․․․․․․․․․․․․․․․․․․․․․․․․․․․․․․․․․․․․․․․․․․․․․․․․․․․․․․․․․․․․․․․․․․․․․․․․․

저배출 석탄공장, 차세대 바이오 연료와 연료 기반시설 개발, 새로운 디지털 전력

망으로의 전환에 투자할 계획임. 이러한 투자는 민간 분야에 500만개의 새로운 환

경 일자리 창출할 것임.

- "그린 베테랑 이니셔티브(Green Veteran Initiative)" 창출. 이니셔티브는 두 가지

임무가 있는데, 첫째는 퇴역군인들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분야에 진입할 수 있도록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담과 일자리 찾아주기 등을 하는 것이고, 둘째

는 경력 쌓기와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산업계 파트너와 함께 일하는 것임.

- 공업중심지를 현대화하고 친환경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기술들을 배울

수 있도록 연방투자 프로그램을 시행함. 이러한 연방정부의 지원프로그램은 주 정

부들이 친환경기술 생산계획을 수립한 지역 제조업체를 지원하는 데 자금을 할당

하도록 할 것임. 이 투자는 중소기업들이 개혁적인 신기술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

수적인 초기 투자금을 지원할 것임. 매년 10억 달러가 소요되는 이 투자는 나라

곳곳의 지역사회에서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

- 청정기술을 위한 새로운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만듦. 연방정부의 직업훈련프로그램

을 위해 자금 지원을 늘리고, 친환경 기술 훈련과 연계하여 미국인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데 도움이 될 것임. 이 프로그램은 젊은 참여자들에게 가정

이나 지역사회의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 효율 및 환경 서비스를 할

기회를 제공할 것임.

효율적인 자동차 생산

- 연료경제기준(Fuel Economy Standard)을 높임. 미국의 자동차기업의 재정을 보호

하면서 연료경제기준을 매년 4%씩 증가시킬 것임. 5000억 갤런에 달하는 가솔린과

60억 톤의 온실가스를 절감할 수 있음. 이 계획은 매년 연료 효율을 높일 수 있음.

- 2015년까지 100만 대의 플러그인 전기자동차 생산을 위해 개선된 자동차 기술,

특히 진보된 배터리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투자할 것임.

- 새로운 연료효율성을 가진 자동차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국내 자동차 공장과 부품

업체들에게 시설 재정비에 대해 40억 달러 세금공제와 대출 보증 제공.

- 차세대 지속가능한 바이오연료와 인프라 구조 개발하고 청정대체연료를 개발·공급

되도록 노력할 것임. 2030년까지 600억 갤런의 향상된 바이오연료를 생산할 것을

요구할 것임. 이를 위해 세계 혜택과 정부 조달 등 연방 정부의 자원을 투자해 가

장 전도유망한 기술을 개발하고 인프라 구조를 구축할 것임.

Page 10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93

- 저탄소 연료기준(National Low Carbon Fuel Standard)을 제정하여 2010년부터 연

료 중 탄소의 양을 5년 안에 5%, 10년 안에 10% 줄이는 것을 계획.

국산에너지 공급 촉진

- 석유회사들은 굴착하지 않는 소유지를 사용해야 함. 이러한 지역에 굴착하면 국내

석유 및 가스 생산을 현격히 증가시킬 수 있을 것임. 국내 석유와 천연가스의 국

내생산을 촉진할 것임. 알라스카 천연하깃 파이프라인 건설을 촉진할 것임.

에너지 자원 다양화

- 2012년까지 미국에서 소비되는 전기의 10%를 태양, 바람, 지열과 같은 친환경적인

에너지자원들로부터 얻도록 하는 10% 연방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를 구축할 것임. 재생가능에너지 자원에 대한 민간

분야의 투자를 크게 증대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임. 또한 재생에너지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연방정부의 재생에너지 관련 세금 감면(PTC; Production

Tax Credit)을 5년 동안 연장할 것임.

- 청정석탄기술을 개발 상용화함. 탄소포집과 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됨. 상업적 규모의 탄소제로

석탄 시설에 대한 민간분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임. 또한

민관협력을 통해 탄소 포집 및 격리(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를 갖춘 상

업적 규모의 석탄발전을 개발하도록 할 것임.

- 핵에너지는 미국의 무탄소 발전전기의 70%이상을 차지함. 핵연료와 폐기물의 안

전성, 폐기물 보관 및 핵 확산 등 핵에너지 안전성을 위해 노력할 것임. 이를 위해

안전하고 장기적인 폐기물 해법을 객관적, 과학적 분석에 근거해 찾아내도록 할

것이며 원자로지역에 저장된 폐기물은 가능한 최고로 발전된 건조저장기술을 사용

해 보관되도록 요구할 것임.

에너지 이용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여 효율성 높임

- 저렴하고 친환경적이고 빠른 에너지자원을 활용해 에너지 효율성을 달성함. 에너

지 효율을 높여 전기수요 증가를 줄이는 것임. 2020년까지 15%의 전기 수요를 줄

이는 공격적인 에너지 효율 목표를 수립할 것임. 이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들은

Page 10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94 ․․․․․․․․․․․․․․․․․․․․․․․․․․․․․․․․․․․․․․․․․․․․․․․․․․․․․․․․․․․․․․․․․․․․․․․․․․․․․․․․․․․․․․․․․․․․․․․․․․․․․․․․․․․․․․․․․․․․․․․․․․․․․․․․․․․․․․․․․․․․․․․․․․․․․․․․․․․․․․․․․․․․․․․․

총 1300억 달러를 절약하고 2030년까지 50억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방출을 줄일 수

있으며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음. 발전시설, 건물, 전기제품의 기준을 보다 엄격하

게 설정하여 연간 감축 목표를 수립함.

- 국가적인 건물 효율화 목표를 세움. 2030년까지 모든 새로운 건물들을 탄소중립

또는 탄소배출 제로로 하는 목표를 세울 것임.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 10

년 동안 새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50%까지 향상시키고 기존 건물의 에너지 효율

도 25%까지 끌어올리는 국가적 목표도 세울 것임.

- 연방정부의 에너지 효율 기준들을 정비하고 에너지소비를 줄임. 즉, 5년 이내에 연

방정부의 새로운 건물에서 에너지 효율을 40% 높이며 2025년까지 모든 연방정부

새건물에서 탄소배출 제로를 달성해 연방정부를 친환경 빌딩 시장의 리더로 만들

것임. 또한 5년 이내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연방정부 건물들에게 에너지 효율을

25% 증가시키기 위해 시설을 개보수할 것임. 2015년까지 연방정부의 에너지 소비

에서 15%감소를 달성하도록 필요한 자원들을 세울 것임.

- 전력회사에 대한 인센티브를 획기적으로 전환. 지방정부에게 인센티브 전환을 진

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고 맞춤형 기술지원을 제공할 것임.

-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에 투자 할 것임. 국가의 전력망 전반에 걸쳐 적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그리드를 채용하고 미국의 전력분야에서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전

력망 현대화 위원회(Grid Modernization Commission)를 설립할 것임.

- 해마다 100만 가구를 웨더라이제이션(weatherization)함. 가정의 난로를 새것으로

바꾸고 누수되는 관을 봉합하고 창문을 수리하고 단열 재료를 더하면 에너지 요금

의 20~40%를 줄일 수 있고, 이는 겨울 난방뿐만 아니라 여름 냉방 요금도 상당히

절약할 수 있음. 그리고 에너지 고효율 가전제품과 조명을 더하면 더 많이 절약할

수 있음. 앞으로 10년 동안 매년 100만개의 저소득가정을 웨더라이제이션할 것임.

이는 경제 전반에서 에너지 이용을 줄이고 에너지 가격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임

나. 그린뉴딜(the Green New Deal)정책

루스벨트의 ‘뉴딜’은 테네시 계곡 개발로 상징되는 토목·건설에서의 일자리 창출이나

오바마의 ‘신뉴딜’은 저탄소-녹색산업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그린뉴딜임.

미국 오바마 정권의 그린뉴딜정책은 청정에너지 사업, 에너지효율 증대 등 녹색성장

Page 10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95

정책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 제시하고 있음. 그린뉴딜정책은 전체적인 방향이 아

니라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밝히고 있다는 측면에서 진일보한 측면이 있음.

연방청사 등 공공 건물의 난방 시스템과 전기 등을 에너지효율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교체하고 1950년대 아이젠하워 이래 최대규모로 연방 고속도로 개보수에 투자하며,

인터넷-에너지효율성을 갖춘 21세기형 학교건물 등의 사업내역을 밝힘.

미국은 친환경 SOC와 녹색산업 투자를 병행하고 있음

- 친환경 SOC 투자 및 녹색산업 육성 등이 포함된 7,87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

예산확정(2009년 2월 의회통과, 2010년까지 집행예정)

- 수자원 보호, 홍수방지, 환경복원 투자(190억 달러), 혼잡 방지 및 에너지절감을 위

한 통근시설 개선(100억 달러) 등 친환경 SOC 투자에 290억 달러 투입계획

- 녹색기술개발(320억 달러), 공공건물 에너지 효율화(160억달러), 서민 주택의 냉난

방설비 지원(60억 달러) 등 녹색산업에 총 540억 달러 투입계획

청정에너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및 핵심기술 상용화에 대한 투자도 확대할 계획임

- 연방정부의 청정에너지 관련 R&D 지원액을 60억달러에서 120억달러로 증가

- 유망기술 상용화 등을 위한 ‘청정기술개발 벤처캐피털 기금’조성

2020년까지 CO2 10% 감축을 의무화하는 ‘저탄소 연료기준’을 설정해 민간부문의 기

술투자와 혁신을 유도함

- 2020년까지 연방정부 소비전력의 30% 이상을, 2025년까지 미국내 전력 소비의

25%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방침

오바마는 공공정책을 통해 녹색-저탄소경제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음. 청정에너지기술 혁명(Clean Tech)과 에너지인프라구조 전환은 미국 경제의 신

성장동력 확보에 중대한 엔진이 될 것임.

- 그린 카 정책: 2015년까지 하이브리드카, 바이오 에탄올 차량 100만대 보급

- 그린 홈 정책: 매년 에너지 고효율 주택 100만호 건설

- 스마트 그리드 정책: 전력 IT를 통해 건물과 주택의 에너지사용을 최적화함.

- 백악관내 “국가에너지위원회”신설

- 풍력, 태양 재생에너지개발에 투자

- 청정에너지경제에 10년간 1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5백만개의 새로운 녹색일자리

창출

Page 10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96 ․․․․․․․․․․․․․․․․․․․․․․․․․․․․․․․․․․․․․․․․․․․․․․․․․․․․․․․․․․․․․․․․․․․․․․․․․․․․․․․․․․․․․․․․․․․․․․․․․․․․․․․․․․․․․․․․․․․․․․․․․․․․․․․․․․․․․․․․․․․․․․․․․․․․․․․․․․․․․․․․․․․․․․․․

- 클린테크놀로지(청정기술)을 위한 직업훈련프로그램 시행

- 미-중 공동으로 탄소처리에 대한 연구개발프로젝트 진행

(2) 녹색성장 관련 법⋅제도

가. 녹색성장 관련 법

경제회복과 투자촉진법 (The 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of 2009)’

경제위기 극복이라는 커다란 숙제를 안고 출발한 오바마 행정부는 경기부양의 당면

과제 해결을 위한 ‘2009 년 경제회복과 투자촉진법 (The 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of 2009)’을 2월 17일 정식으로 발효하였음. 소비 진작, 고용창출,

친환경실천이라는 주요 어젠다에 초점을 맞춘 개정법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총

7,870 억불이 집행될 예정이며 클린에너지 교통수단에 대한 직접지출 및 세액공제

내용을 담고 있음. 금번 개정된 법 내용 중 에너지 관련항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

겠음. 이러한 부양책들은 신재생에너지, 고성능 교통수단, 환경보호 관련 다양한 클

린 에너지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임.

-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110억 달러

-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보조금 대출 60억 달러

- 에너지 효율성 및 클린 에너지 보조금 63억 달러

- 중산층 가정의 내구성 제고 50억 달러

- 연방정부 건물 에너지 효율화 45억 달러

- 전기 자동차용 고성능 배터리 보조금 20억 달러

- 대중교통 84억 달러

- 고속철 건설 93억 달러

- 신재생에너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카 및 에너지 효율성 세금 우대 및 세액공제

200억 달러

Page 11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97

이러한 투자를 뒷받침하기 위해 클린에너지분야 부양정책이 발표됨.

- 재생가능전기사용에 대한 공제 혜택(Renewable Electricity Credit): 풍력, 생물, 지

열, 태양열, 수력발전 등의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에 대

해 세제 혜택을 줌. 이러한 세제상의 공제는 2005년 8월이후에 설치된 설비에 대

해서 2010년까지 적용이 되고 있으며, 이번 개정 법에서는 기간을 확대하여 2013

년까지 혜택을 주기로 하였음.

- 에너지투자관련 세액 공제 혜택 (Energy Investment Credit): 에너지 관련 자산에

대해서는 투자금액의 10~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2016년까지 납부세액에서 공제

해 주고 있음. 이번 개정된 법은 이를 확대 적용하여, 인정되는 소규모 풍력 에너

지와 같은 설비자산에 대해서도 혜택을 주기로 하였음.

- 비사업장의 에너지 설비 관련 공제 혜택(Nonbusiness Energy Property Credit): 현

행법에서는 에너지 효율 증가를 위한 주택 개량물과 특정한 에너지 설비에 대해서

는 사용금액의 10%를 공제받을 수 있고 동일한 주택에 대해서는 $500까지 공제가

가능함. 금번 개정법은 공제금액을 30%까지로, 기간은 2010년까지로 확대하게 되

었음.

- 주거관련 에너지 설비 공제 혜택(Residential Energy-efficient Property Credit): 현

행법에서 제공하는 주거 시설에 대한 에너지 설비 공제는 인정되는 비용의 30%이

고 항목마다 제한금액이 있음. 그러나, 2009년 이후에 설치되는 설비에 대해서는

연료전지 설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제한금액을 없앴고, 보조금융 이용 시 공

제금액 제한에 대한 내용도 삭제하였음.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공제 혜택(Plug-in Electric Vehicles Credit): 아직 상

용화되지 않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구매하는 경우 $2,500까지 세금 공

제를 받을 수 있는 조항이 2008년 개정된 현행법에 포함되어 있음. 이 법에 따르

면 미국내에서 판매된 최초 250,000대까지 $2,500 전액 공제 혜택을 주기로 되어

있었는데, 이번 개정된 법에서는 자동차 메이커별로 200,000대까지 $2,500의 공제

혜택을 줌.

나. 기후변화법

(공식명칭은 “청정에너지 및 보호법;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임)

에너지상업위원회(Energy and Commerce Committee)는 기후변화 대응, 화석연료 의

Page 11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98 ․․․․․․․․․․․․․․․․․․․․․․․․․․․․․․․․․․․․․․․․․․․․․․․․․․․․․․․․․․․․․․․․․․․․․․․․․․․․․․․․․․․․․․․․․․․․․․․․․․․․․․․․․․․․․․․․․․․․․․․․․․․․․․․․․․․․․․․․․․․․․․․․․․․․․․․․․․․․․․․․․․․․․․․․

존 종결 및 관련 지원, 해당 일자리 창출 등의 내용을 포함한 포괄적인 기후변화 법

안 ‘2009 미국 청정에너지 및 보호법(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 ACES)을 6월 하원을 통과하였음. Waxman-Markey 기후변화법안이라고도

명칭함.

법안 수정안에 포함된 미국의 기후변화의 협상목표는 2009년 12월 코펜하겐 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것임. 수정안의 주요 내용은 첫째, 온실가스 감축 관련 다자

국제협상에서의 미국 협상목표를 담고 있고, 둘째로 국경조치의 시행, 즉 수입업자의

국제배출권 구입 의무화를 명시했음

앞으로 미국 대통령은 배출권 리베이트가 해당 부문에서의 탄소누출을 감소했는지,

그리고 국경조치가 탄소누출을 감소 또는 해결했는지를 평가하고 해당 부문에 대해

국경조치를 법에 따라 시행해야 함. 이는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여 지구온난화를

가속화하는 나쁜 국가와 기업과는 무역을 하지 말라는 의미. 또한 법안은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거래제’를 도입하고, 특히 2020년부터 CO2를 줄이지 않는 국가에서 수입

되는 제품에 미국 대통령이 광범위한 조치나 조정관세를 부과토록 규정했음.

ACES는 미국의 기후변화, 에너지 정책을 총괄적으로 다루는 법안으로 향후 청정에

너지경제로 나아가는 종합적인 방향을 다루고 있음. 에너지 비용 절감, 청정에너지

관련 일자리 창출, 미국의 에너지 독립성 향상, 지구온난화를 야기시키는 온실가스

감축 등을 목표로 하고 있음

ACES는 기존 미국 정부의 입장과는 달리 장기와 중기 온실가스 목표치를 포함하고

있고, 목표치도 상대적으로 상향조정되어 주목을 이끌고 있음.

2050년까지 배출량의 83%까지 감축을 목표로 한 점은 오바마 행정부가 2010년 예산

안에서 제시한 목표와 같으나 2020년까지 2005년의 20%(예산안에서는 14%), 2030년

까지는 42% 감축을 목표했다는 점에서는 행정부보다 좀 더 공격적임.

위 법안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2012년에 전체 전력 중 6%를 태양열, 풍력, 바이오매스, 지열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원으로부터 확보해야 함. 2025년에 25%까지 확대시켜야 하며 의무사항 20%는 에너

지 효율성 향상을 통해 충족.

-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저장할 수 있는 탄소포집 및 저장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시범 시설 설치.

- 단일의 연방 연료효율 표준 및 바이오연료의 저탄소 연료 기준을 설정.

Page 11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99

- 2005년 대비 2012년까지 3%, 2020년까지 20%, 2030년까지 42%, 2050년까지 83%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계획임.

- 매년 배출권(allowance) 가치의 일부를 개도국의 산림벌채(deforestation) 방지조치

에 대한 인센티브로 제공하도록 한바, 이를 통한 부가적 온실가스 감축량

(supplemental pollution reduction)은 2020년에 2005년 대비 10%에 달하게 될 것

임. 동 부가 감축량을 포함하면, 2020년 미국의 총 감축량은 2005년 대비 30%에

이르게 될 것임.

- 녹색에너지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자국 제조업체들이 해외 경쟁업체와 관

련하여 탄소 규제 관련 비용으로부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온실가스 다량배출산

업에 대해 리베이트를 지원.

클린에너지(clean energy), 에너지 효율성(energy efficiency), 지구온난화 오염 감축

(reducing global warming pollution) 및 클린에너지 경제로의 전환(transitioning to

a clean energy economy) 등 총 4개의 타이틀로 구성된 이번 법안은 배출허용권

(allowances)의 배분 방식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서문에서 밝힘.

미국 청정에너지 및 보호법(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

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음.

클린에너지(Clean Energy)

- 재생에너지 : 전력회사가 공급전력의 일정 비율을 풍력, 태양광, 바이오매스 등 재

생에너지로 공급토록 의무화. 2012년까지 6%, 2025년까지 25%로 의무 공급비율을

증대. 의무 공급비율의 1/5을 에너지 효율성 강화 조치로 대체 충족 가능(주지사

선택 시).

- 탄소 포집 및 격리(CCS ;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 탄소 포집 및 격리

기술을 통해 향후 석탄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목표로 함. 조기 시범 CCS프

로그램(R&D, 시범에 10년간 매년 약 10~11억 지원), 대규모 CCS 상용화 프로그램

시행에 대한 인센티브(포집 탄소 기준으로 지급) 및 신규 석탄 발전소 성능 기준

(2015년 이후 허용 시 MWh당 CO₂1100톤 미만 방출, 2020년 이후 허용 시 MWh

당 CO₂800톤 미만 방출) 등을 명시.

- 클린연료 및 자동차 : 고급 바이오연료 및 기타 클린자동차 연료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저탄소자동차 연료 기준을 수립. 대규모의 전기자동차 사용 시연을 위해 도

시, 주, 민간기업에 교부금이나 대출 개런티 형태의 재정 지원을 승인. 아울러 자

동차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해 전기자동차 생산으로 공장을 개조하거나 배터리 생

Page 11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00 ․․․․․․․․․․․․․․․․․․․․․․․․․․․․․․․․․․․․․․․․․․․․․․․․․․․․․․․․․․․․․․․․․․․․․․․․․․․․․․․․․․․․․․․․․․․․․․․․․․․․․․․․․․․․․․․․․․․․․․․․․․․․․․․․․․․․․․․․․․․․․․․․․․․․․․․․․․․․․․․․․․․․․․․․

산에 필요한 재정 지원 승인.

- 스마트그리드 및 송전(electricity transmission) : 스마트그리드와 수요 대응기술

(demand response applications)을 통해 수요가 집중되는 시간 대 전기사용을 줄이

고 신규 가전제품 내 스마트그리드 기능 강화. 전기그리드를 현대화하고 재생에너

지 송전에 필요한 신규 송전라인을 가설할 수 있도록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의 지역 계획 과정(regional planning

process) 개혁 지시.

- 주정부와 파트너링 : 각 주정부 내 에너지 관할부서에서 주정부 에너지 및 환경

개발 펀드를 개설, 연방정부에서 제공된 클린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성 프로젝트

지원금을 적립.

- 연방정부 재생에너지 구매 : 연방정부의 장기 재생에너지 구매 계약 승인(최장 30

년).

에너지 효율성(energy efficiency)

- 빌딩 에너지 효율성 : 고급 빌딩 효율성 코드를 채택하는 주정부를 대상으로 연방

정부에서 교육 및 재정적 지원을 약속함으로써 신규 건물 내 에너지 효율성 제고

도모. 아울러 기존 상업용 건물 및 주거 빌딩 개조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

시킬 시에도 자금 지원. 환경청(EPA)이 빌딩 에너지 효율성 등급을 매기는 절차를

개발토록 지시.

- 조립식 주택(Manufactured Homes) : 1976년 이전 설립된 조립식 주택에 거주하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신규 에너지 스타를 획득한 조립식 주택을 구매하는데 사용

될 수 있는 리베이트 제공.

- 전자제품(appliances) 에너지 효율성 : 조명 및 워터 디스펜서, 뜨거운 음식 보관기

기 및 스파 등에 대한 에너지 효율 기준 수립. 기존 규제 품목에 대한 향후 기준

강화를 위해 미 에너지부의 전자기기 기준, 수립 프로세스 개선. 소매점이 등급 내

최고 제품(best-in-class)을 구매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효율성이 극대화

된 전자제품 제조업체에 “golden carrot" 표상.

- 교통 효율성 : 경승용차에 대해 NHTSA의 연비기준과 환경청(EPA), 캘리포니아주

의 온실가스 방출 기준을 조화해 대통령은 성능 기준을 수립.(적어도 캘리포니아주

CO2 감축 기준에 준해야) 환경청이 기관차나 선박(marine vessels) 및 비도로 운송

수단에 대한 CO2 방출 기준 수립하도록 지시. 교통시설로부터의 온실가스 배출을

Page 11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01

줄이기 위한 목표를 각 주정부별로 수립하는 한편 대형 메트로폴리탄 계획 기구에

서는 이 목표를 추진하기 위한 계획 수립·제출 의무.

- 배전·천연가스 배급 회사 에너지 효율성(utilities energy efficiency) : 배전 및 천연

가스 배급 회사는 고객이 평상시(business-as-usual projections) 대비 일정수준 이

상의 축적 전력 혹은 천연가스를 절약했음을 보이도록 의무화.

축적 절전량 비율

(cumulative electricity savings)

축적된 절약 천연가스량 비율

(cumulative natural gas savings)

2012년까지 1% 0.75%

2020년까지 15% 10%

【표 4-2】축적 전력 및 천연가스 절약

- 공업용(industrial) 에너지 효율성 : 에너지부 장관이 공업용 에너지 효율 기준을

수립하고 이에 대해 미국표준협회(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의 인정(recognition) 획득. 아울러 열전발전 과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경우 포상

시행.

지구온난화 오염 감축(reducing global warming pollution)

- 지구온난화 오염 감축 프로그램(global warming pollution reduction program) :

전력회사, 정유회사, 대형 공업회사 등을 비롯해 미국 온실가스 방출량의 85% 책

임이 있는 기업들에 대해 시장원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도입. 이 프로그램에 의거,

대상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 톤당 교환이 가능한 연방 배출허용권(tradable

federal permits, allowances)을 소지하고 있어야 함. 연간 2만5000톤 미만 CO2 환

산량(CO2 equivalent) 배출 기업은 이 프로그램에서 제외되며, 매년 배출허용권 감

축을 통해 2005년 배출량 대비 다음과 같이 감축 목표 달성.

Page 11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02 ․․․․․․․․․․․․․․․․․․․․․․․․․․․․․․․․․․․․․․․․․․․․․․․․․․․․․․․․․․․․․․․․․․․․․․․․․․․․․․․․․․․․․․․․․․․․․․․․․․․․․․․․․․․․․․․․․․․․․․․․․․․․․․․․․․․․․․․․․․․․․․․․․․․․․․․․․․․․․․․․․․․․․․․․

2012년 2020년 2030년 2050년

2005년 대비 감축비율(%) 3 20 42 83

【표 4-3】온실가스 감축 목표

- 오염원 추가 감축(supplemental pollution reductions) : 환경청이 국제적인 산림전

용(deforestation) 방지 협약에 가입할 경우 지구 온난화 오염원에 대한 추가적인

감축 가능. 2020년까지 추가 감축을 통해 2005년 미국 방출량의 10% 가량 감축.

이를 위해 배출권 판매 수익의 약 5% 지급 계획.

- 옵셋(offsets) : 감축 대상 기업이 더 저렴한 비용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한 프로젝트

를 추진했거나 동량의 에너지를 생산하면서 더 적은 온실가스를 방출했을 경우 옵

셋 크레딧을 부여함으로써 배출권 이상의 온실가스 방출 허용. 매년 허용 가능한

총 옵셋 크레딧은 20억 톤을 초과할 수 없으며, 국내와 외국 옵셋 크레딧을 동일

하게 나눔. 옵셋 크레딧 5톤 당 온실가스 방출량 4톤이 상쇄.

- 배출권 저축 및 대출(banking and borrowing) : 미래를 대비한 배출권의 무한대

저축이 가능, 대출 개념으로 1년 후 배출권을 미리 빌려다 쓸 수 있음.

- 전략적 보유고(strategic reserve) : 환경청은 매년 발행되는 배출권의 일정량을 비

상시(배출권가격 급등) 대비 전략적 보유고를 설립해 축적(25억 배출권) 의무. 환경

청이 전년도 예상했던 배출권 가격의 2배 이상 혹은 과거 3년간 가격의 2배 이상

급증시, 옥션을 통해 배분.

- 탄소시장 규제 :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는 탄소시장 조작을 막기 위해 한 기

업이 보유할 수 있는 배출권을 전년도 110%, 옥션 1회당 판매되는 방출권을 당해

연도의 20%로 제한.

- 추가 온실가스 기준 : 배출권 거래 대상이 아닌 온실가스에 대해 환경청이 공기청

정법(Clean Air Act)에 의거, 신규 배출기준(NSPS ; new source performance

standards) 수립. 아울러 HFCs(hydrofluorocarbons) 및 흑색탄소(soot) 배출량 감소

를 위한 특별 프로그램 창설. HFCs는 현재 환경청이 오존층 파괴 가스로 규제하

고 있는 물질 리스트에 추가 등재해, HFCs 생산을 단계적으로 감축 의무.

Page 11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03

클린에너지 경제로 전환(Transitioning to a clean energy economy)

- 국내기업 경쟁력 보장 : 외국 경쟁기업과 비교해 미국 국내기업이 불리해지지 않

도록 하기 위해 특정 사업 섹터(에너지 사용이 많고 전 세계에서 교역이 이뤄지는

재화생산산업) 내 기업들이 이 프로그램 수행으로 인해 발생한 추가 비용을 보전

하도록 “리베이트” 제공 예정. 리베이트를 통해서도 국내기업의 불리한 상황이(외

국에서 미국에 상응하는 온실가스 감축 조치를 취하지 않아) 개선되지 않을 경우

미 대통령은 국경선 조정(border adjustment) 프로그램을 설립, 외국 제조업체와

수입업체가 해당 제품 수입으로 발생한 탄소를 커버하기 위한 특별 배출권(special

allowances)을 구매, 소지토록 의무화.

- 그린 일자리 및 노동자 전환 : 교육부 장관은 대학교가 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및 기타 기후변화축소 분야 커리어에 학생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및 트

레이닝 프로그램 개발비로 교부금 지급. 노동부 장관은 해당 트레이닝 프로그램

수행을 승인. 노동자 전환 부분은 추가 논의 필요.

- 청정 기술 수출 : 개도국에 청정기술 보급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 확대. 지원 대

상 개도국은 국제 협약에 비준 및 전 국가 차원에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통해

상당한 감축 성과를 거양한 국가로 제한.

- 지구온난화 적응(adapting global warming) : 미국립해양기상청(NOAA ;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시행하는 한편 기후국(National Climate Service)을 설립토록 함. 주·지역·부족 단

위에서 행해지는 기후변화 적응 지원 프로젝트에 대한 재원 공급. 국제적인 지구

온난화 이슈 해결을 위해 미국제개발처(USAID)내에 국제기후변화적응 프로그램을

설립해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개도국 지원.

청정에너지 환경가이드라인(Clean Energy-Enviroment Guide to Action:2006)

미국 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은 녹색성장과 관련한 청정에너

지 정책의 일환으로 중앙정부의 정책을 지방정부가 실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Clean Energy-Enviroment Guide to Action(2006)을 마련하여 정부간 협력체계를 갖

추고 있음. 즉, 중앙정부의 청정에너지 실천계획과 프로그램 소개와 청정에너지 전

략을 실천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녹색성장에 동참하고자 하는

Page 11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04 ․․․․․․․․․․․․․․․․․․․․․․․․․․․․․․․․․․․․․․․․․․․․․․․․․․․․․․․․․․․․․․․․․․․․․․․․․․․․․․․․․․․․․․․․․․․․․․․․․․․․․․․․․․․․․․․․․․․․․․․․․․․․․․․․․․․․․․․․․․․․․․․․․․․․․․․․․․․․․․․․․․․․․․․․

지방정부에게 길잡이가 되고 있음. 미국의 이러한 노력은 현재 우리나라 중앙정부에

서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 정책과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및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큼.

Guide to Action은 지방정부의 환경 및 에너지 정책가들이 청정에너지계획을 수립하

고 실행하는 데 도움을 줌

- 에너지 수요 ·공급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적 효과

- 온실가스 배출저감과 대기질 향상

- 에너지시장 안에서 가격변동성 감소

- 에너지시스템의 신뢰성 향상

-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효과 창출

다음은 EPA Clean Energy-Environment Guide to Action의 내용으로 중앙정부의 청

정에너지 가이드라인과 저탄소 사회를 향한 지방정부의 노력들을 살펴보기로 함. 이

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녹색성장 정책 협력방안을 도출

하고자 함.

EPA의 Clean Energy-Environment State Partnership 프로그램은 각 지방정부가 저비

용의 깨끗하고 신뢰성 있는 청정에너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며 이에 상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도움을 주는 자발적 프로그램임. 여기서 청정에너지

는 효율적 에너지사용과 청정에너지 공급을 포함하고 있음

청정에너지 프로그램에 동참하고 있는 지방정부들은 Clean Energy-Environment

Guide to Action을 전개하기 위한 Guide to Action을 사용함. 특히, 이 정책은 가

정, 공공기관, 민간조직, 기업부분의 청정에너지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음.

Clean Energy-Environment Guide to Action은 4대 영역 16개 청정에너지 정책과 전

략을 담고 있으며 각 사업영역별 실천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사례를 소개함. 4대 영

역은 첫째, 지방정부의 계획과 보상체계, 둘째, 효율적인 에너지 실천계획, 셋째, 에

너지 공급 실천계획, 넷째, 공공설비 계획과 보상체계로 구성됨.

Page 11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05

지방정부의

계획과 보상체계

시범사례 (Lead by Example)

지방정부의 에너지계획 (State and Regional Energy Planning)

청정에너지의 대기질 편익 결정 (Determining the Air Quality

Benefits of Clean Energy)

기금 및 보상체계 (Funding and Incentives)

효율적인 에너지

실천계획

효율적인 에너지 할당기준 (Energy Efficiency Portfolio Standards)

효율적인 에너지를 위한 공적기금 (Public Benefits Funds for

Energy Efficiency)

건물 에너지효율 코드 (Building Codes for Energy Efficiency)

가전제품 효율성 기준 (State Appliance Efficiency Standards)

에너지공급

실천계획

의무할당제도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청정에너지 공급 프로그램을 위한 공적기금 (public Benefits Funds

for State Energy Programs)

청정에너지공급을 위한 산출물에 기초한 환경규제 (Output-Based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Support Clean Energy Supply)

상호관계적 기준 (Interconnection Standards)

그린마켓 촉진 (Fostering Green Power Markets)

공공설비 계획과

보상체계

포트폴리오 관리전략 (Portfolio management Strategies)

수요측면 자원을 위한 보상체계 (Utility Incentive for Demand-Side

Resources)

통합적 접근 (Emerging Approaches)

【표 4-4】 미국의 클린 에너지 정책 4대 영역 16개 전략

Page 11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06 ․․․․․․․․․․․․․․․․․․․․․․․․․․․․․․․․․․․․․․․․․․․․․․․․․․․․․․․․․․․․․․․․․․․․․․․․․․․․․․․․․․․․․․․․․․․․․․․․․․․․․․․․․․․․․․․․․․․․․․․․․․․․․․․․․․․․․․․․․․․․․․․․․․․․․․․․․․․․․․․․․․․․․․․․

3) 미국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정책사례 - 캘리포니아

【그림 4-2】1961-2099년까지 캘리포니아 기온상승

기후변화는 이미 캘리포니아주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 해수면 상승, 평균기온

상승과 심한 온도변화, 물 순환의 변화 등이 그 예임. 이러한 기후변화는 캘리포니아

의 건강과 번영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음. 따라서 캘리포니아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

(1) 녹색성장추진 체계

캘리포니아주의 녹색성장 정책을 주도하는 부서는 캘리포니아 환경보호국(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al/EPA)과 자원국(Secretary of Resources

Agency) 하급기관인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California Energy Commission)가 담

당하고 있음. 환경보호국(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al/EPA)은

환경복원과 보호, 공공의 건강 안전, 환경질 향상, 경제활성화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California Energy Commission)는 캘리포니아의 전

력관련 정책 수립, 발전사업 허가, 전력·건물·수송에서의 에너지 효율향성에 대한 정

책 및 기술개발 지원,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음.

Page 12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07

【그림 4-3】캘리포니아 주정부 녹색성장 조직체계

(2) 주요내용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2001년 에너지 대란 이후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청정 에너지

R&D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바, 슈워제네거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2003년 취임

이후 강도 높은 청정에너지 정책 추진하고 있음.

-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미국 최초 온실가스 배출 규제 법안 AB 32 도입을 통해 이산화

Page 12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08 ․․․․․․․․․․․․․․․․․․․․․․․․․․․․․․․․․․․․․․․․․․․․․․․․․․․․․․․․․․․․․․․․․․․․․․․․․․․․․․․․․․․․․․․․․․․․․․․․․․․․․․․․․․․․․․․․․․․․․․․․․․․․․․․․․․․․․․․․․․․․․․․․․․․․․․․․․․․․․․․․․․․․․․․․

탄소(Carbon Dioxide) 배출 규제 및 감축 추진

- 2006년 기준 10.9%에 머물고 있는 재생에너지 비율을 2010년까지 20%로 확대 예정

- 에너지 효율성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 및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음. 이산화탄소 배

출 규제 강화 및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등과 같은 기술 개발을 통해 현재

5억 매트릭톤에 달하는 캘리포니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0년까지 1990년대 수

준인 4억 2,700 메트릭톤으로 감축을 추진하고 있음.

-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전력업체를 통해 재생 에너지 지원 예산을 확보하고 재생 에너

지 관련 기술 및 발전 시설 건설을 지원하는 한편, 기존 발전 시설보다 전력생산 비

용이 높은 바이오메스, 지열, 태양열 발전의 원활한 전력 공급을 위한 발전비용 차액

을 지원.

- 캘리포니아는 태양 에너지 발전과 바이오 연료에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바, 동 분야

에 대한 기술 개발 지원 및 투자 강화하고 캘리포니아는 청청 에너지 정책을 통해

지구온난화 방지와 재생 에너지 신기술 선점을 통한 높은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기술 개발 투자는 앞으로

도 지속적으로 증가 시켜 나갈 것으로 전망

(3) 녹색성장관련 법과 정책

가. AB 32(California Global Warming Solutions Act of 2006)

캘리포니아는 2006년에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법안을 제정하였음. 이 법안(AB

32, California Global Warming Solutions Act of 2006)은 캘리포니아의 온실가스 배

출수준을 2020년까지 1990년 수준으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배출허용량을 규정하

고, 배출업자의 배출보고 의무화(mandatory greenhouse gas emissions reporting)와

배출권 거래제도 실시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음.

캘리포니아 인구가 1990-2020년 사이에 41%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 경우

2020년에는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을 현재의 14톤에서 10톤으로 감축해야 할 것으로

예측됨.

AB 32에서 정한 목표는 지역 및 연방, 국제 법안이 정한 수치에 의해 변동될 수 없

Page 12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09

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오염권 구매도 허용되지 않음. AB 32의 모든 세부사항에 대

한 권한은 주의회에서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CARB)에서 행사함.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인위적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캘리포니아의 온실가스배출

량은 2008년 약 4.7억 CO2 톤에서 6억CO2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CARB은

2020년까지 부분별 예측치를 제시하고 있음.

sector 2002-2004 Average Emissions Projected 2020 Emissions

Transportation 179.3 225.4

Electricity 109.0 139.2

Commercial&Residential 41.0 46.7

Industry 95.9 100.5

Recycling&Waste 5.6 7.7

High GWP 14.8 46.9

Agriculture 27.7 29.8

Forest Net Emissions -4.7 0

Emissions Total 469 596

【표 4-5】부분별 온실가스 감축현황 및 예측(단위: MMTCO2e)

나. 신재생에너지

CRAB는 2020년까지 1.69억 CO2 톤의 온실가스배출 감축을 위해 신재생에너지포트

폴리오 및 에너지효율, 저탄소연료기준 등의 6가지 주요 방안을 제시하였음.

2006년 캘리포니아의 전력생산량의 10.9%를 차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세부 구

성을 살펴보면, 지열이 4.7%로 가장 큰 부분을 맡고 있으며 이어 Biomass가 2.1%,

소형 수력 (Small Hydro)가 2.1%, 풍력 1.8%, 태양에너지 0.2% 순서임.

Page 12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10 ․․․․․․․․․․․․․․․․․․․․․․․․․․․․․․․․․․․․․․․․․․․․․․․․․․․․․․․․․․․․․․․․․․․․․․․․․․․․․․․․․․․․․․․․․․․․․․․․․․․․․․․․․․․․․․․․․․․․․․․․․․․․․․․․․․․․․․․․․․․․․․․․․․․․․․․․․․․․․․․․․․․․․․․․

【그림 4-4】캘리포니아의 신재생에너지 세부 구성

자료 출처: CEC (California Energy Commission,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

캘리포니아는 스마트 그리드를 중심축으로 에너지시스템 개혁을 이끌고 있음. 캘리포

니아 에너지위원회(CEC)는 2008년 11%였던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010년에는 20%까

지 높이고, 2030년에는 33%를 달성하는 것이 캘리포니아주 목표로 정하였음. 대체에

너지는 에너지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지만 스마트 그리드와 결합하면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캘리포니아는 2012년까지 1200만 가구에 지능형 전기계량기(스마트 미터)를

보급할 계획임. 주정부가 설치비용 1만4000달러 가운데 절반 이상을 보조해줌.

【그림 4-5】캘리포니아 재생에너지 목표

자료 출처: CEC (California Energy Commission,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

Page 12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11

캘리포니아는 자체적으로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 공급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프로그램을 실행함.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공공 투자를 최적화하고 가장 비용효과 및

비용효율적인 투자를 실행하고 있음, 시스템 신뢰성을 유지하고 다양성을 촉진시키

며, 최대의 환경이익을 캘리포니아 주가 향유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확대하고 단기간 내 목표한 지원이 최대의 이득을 줄 수 있는 상업적 약속을 통하여

떠오르는 신재생 에너지 기술을 지원함.

캘리포니아의 태양에너지 촉진정책은 캘리포니아 주내 지속가능한 태양에너지 시장

을 창조하여 더욱 청정한 에너지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실행됨. 파격적인 리베이

트 및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100만 태양광 지붕(Million Solar Roofs) 프로그램,

캘리포니아 에너지국 (CEC) 등을 통한 33억 5000만 달러 지원 시행. 10년 이내 태양

에너지 자급자족 경제를 이룩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으며, 소비자 교육을 위해서는

시장 조사에 700만 달러 제공하고 공공 홍보캠페인 등을 실행

다. 이산화탄소 규제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2004년과 2006년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규제 법안을 제정, 2020

년까지 3,000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 예정임. 2009년부터 2016년 까지 출시 예정인

승용차와 소형트럭에 대한 배기가스 배출 감축을 의무화 (2009년~2012년 22% 감축,

2012년~2016년 30% 감축 예정)하고 있음. 2017년부터 새로운 배기가스 배출 규정 도

입, 2020년까지 승용차와 소형트럭의 배기가스 배출량을 2002년 대비 50% 감축시킬

예정임. 2006년 기준 5.7%인 가솔린에 에탄올 첨가 비율을 2012년까지 10% 수준으로

증가시킬 예정이며, 대기오염이 적은 바이오 연료의 사용도 늘릴 예정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2010년부터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생기는 온실가스 배출 규제

강화, 2020년까지 총 200미터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 전망

축산농가에서 사용되는 유기질 비료와 가축배설물에서 생산되는 메탄가스의 배출량

감소를 위해 각 농가 규모에 맞는 규제 적용

재활용관련 법안 (AB 939)을 제정, 쓰레기 재활용률을 50% 이상으로 확대, 쓰레기

매립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도 감축. 재활용이 어렵거나, 쓰레기 매립 과정에

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은 품목(1회용품 등)은 사용량을 줄이고 대체용품 개발

캘리포니아 및 알라스카, 네바다, 워싱턴, 오레건 등 서부 연안에 위치한 주들은 공동

으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CCS 기술 공동 연구 및 개발 진행

Page 12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12 ․․․․․․․․․․․․․․․․․․․․․․․․․․․․․․․․․․․․․․․․․․․․․․․․․․․․․․․․․․․․․․․․․․․․․․․․․․․․․․․․․․․․․․․․․․․․․․․․․․․․․․․․․․․․․․․․․․․․․․․․․․․․․․․․․․․․․․․․․․․․․․․․․․․․․․․․․․․․․․․․․․․․․․․․

라. 에너지 효율성 강화 노력 지속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기존 에너지원의 효율성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

어지고 있으며, 건물,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에너지 효율성 증가 프로

젝트 시행함.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원회와 캘리포니아 공공시설 위원회는 에너지 효

율성 증가 프로젝트를 통해 2018년까지 최대 60,000기가와트/시간의 전력절감을 예

상함. 승용차 및 소형트럭의 연비를 갤런당 43마일, SUV와 트럭은 27마일로 늘릴 예

정이며,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세금감면 혜택 시행함. 캘리포니아의 세계적인 IT

업체 (Intel, Google, SunMicrosystems)들은 자체적으로 효율적 서버 운영을 통한 에

너지 효율성을 증가 계획. 가전제품의 경우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제품에게 부착되

는 백색태그를 붙인 제품을 소비자에게 적극 홍보함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촉진하기 위한 세제지원 강화 및 에너지 사용기기에 대한 효

율기준 제정 및 관리. 캘리포니아 에너지 액션 플랜에 따라 정부, 전력 및 가스회사,

소비자, 이해당사자, 환경단체 등의 의견 수렴, 에너지 절감 세부 계획 수립 추진

[4) 전망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전력수요 증가에 따라 재생 에너지에 대한 세제 지원 및 기술

개발 지원을 지속 예상. 그러나 대부분의 재생 에너지원이 위치한 곳은 도심과 떨어

진 외곽 지역이며, 조력, 지열, 태양열 발전의 경우 교통이 불편한 오지에 발전소가

위치한 경우가 많아 전력을 도심으로 운송할 전력선 건설이 시급. 청정에너지 정책

은 규제 적용과 새로운 기술 개발에 많은 비용이 예상되나, 에너지원의 고갈에 따른

혼란을 미연에 방지하고, 재생 에너지 관련 우수한 신기술 선점에 따른 높은 경제적

파급 효과를 기대

효과적인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통해 2020년 84,000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4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효과 기대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한 캘리포니아의 벤처투자는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를 기반으

로 꾸준히 성장ㆍ이산화탄소 방출 감소 목표 및 재생 에너지 비율 증가는 현재까지

목표달성은 어려운 것으로 보이나 지역사회의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 목표

치를 하향 조정하여 달성할 것으로 보임

캘리포니아 전력회사들은 기술력 및 발전시설 부족을 이유로 2010년 재생에너지 비

Page 12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13

율 20% 달성 목표를 2011년 또는 2012년 초로 연기 (2006년 기준 재생에너지 비율

10.9%)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도 다양한 목표 하에 시장 상황에 맞는 정책 추진 예정

4) 시사점

(1)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미국의 기후변화 정책은 오바마 정권이 들어서면서부터 혁신적으로 바뀌고 있음. 녹

색성장과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로 에너지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기존 빌딩의 효율향상 프로그램과 신규빌딩의 탄소배출을 “0”으로

낮추는 정책을 추진. 우리나라도 신규 건축물에 대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화

시키도록 건축법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정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건축

물 제로배출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여 배포하고, 정부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미국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10년까지 10%에서 2023년까지 25%로 확대하기 위해

설비의무화를 계획하고 있음.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저조한

바, 이를 상향조정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함.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신규

로 조성되는 신도시와 기존도시를 차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드는 것이

필요. 또한 산악지역, 연안지역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신재생에너지원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

효율적인 자동차생산을 위해 연료경제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있음. 미국의 자동차기업

의 재정을 보호하면서 연료경제기준을 매년 4% 증가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는 바, 이

는 60억톤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를 줄 것임. 우리나라도 자동차에서 나오는 온

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 의존형 자동차를 줄이고, 연료전지자

동차, 수소자동차, 전기자동차, 태양광자동차 등 자연에너지를 사용하는 자동차로 전

환하는 것이 필요. 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에 과감한 투자가 동반되어야 할 것임.

미국은 2012년까지 미국에서 소비되는 전기의 10%를 태양, 바람, 지열과 같은 친환

경적 에너지 자원을 얻도록 하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를 추진하고 있음. 우리

나라도 재정지원과 세금간면 등의 여러 혜택을 부여해 신재생에너지의 공급비중을

늘리고 강제화하는 법규정이 필요.

Page 12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14 ․․․․․․․․․․․․․․․․․․․․․․․․․․․․․․․․․․․․․․․․․․․․․․․․․․․․․․․․․․․․․․․․․․․․․․․․․․․․․․․․․․․․․․․․․․․․․․․․․․․․․․․․․․․․․․․․․․․․․․․․․․․․․․․․․․․․․․․․․․․․․․․․․․․․․․․․․․․․․․․․․․․․․․․․

(2) 에너지 정책과 도시개발사업과 연계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항중의 하나는 미국의 그린홈 정책으로서, 매년 에너지고효율

주택 100만호를 건설한다는 도전적인 계획임. 우리나라도 현재 그린 홈 정책을 가지

고 있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

이 필요. 최근에 보금자리 주택이나 신도시개발사업 및 도시재생사업에서 에너지고

효율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

도시중심지에서 열섬현상 완화와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다배출

교통수단의 진입을 억제하는 이른바, ‘탄소발생억제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 탄소

발생억제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차량 기준을 정해, 해당차량만 진입할 수 있도록 함.

또한 도시중심부에서는 자전거와 보행자의 이동환경을 양호하게 만드는 공간조성이

대단히 중요.

(3) 주정부의 선도프로젝트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재활용관련 법안을 제정하여 쓰레기 재활용률을 50% 이상으로

확대하고,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감축하고자 하고 있음. 우리나라

도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쓰레기 발생 자체를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과 재활용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

캘리포니아는 태양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100만 태양광 지붕과 같은 파격적인

리베이트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바, 우리나라에서도 시민과 함께하는 에너지

절감 및 자연에너지 개발을 위해, 국가 선도 프로젝트를 만들어 가시적 성과를 보면

서 의식을 전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

캘리포니아는 각 부문별, 지역별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정해놓고 구체화시키고 있

음. 예를 들어, 부문별 계획에서는 승용차와 소형트럭의 배기가스 배출량 감축계획,

반도체 생산공정에서의 배출규제, 축산농가에서의 배출량규제, 주택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등이 있고, 지역별 계획에서는 서부연안에 위치한 주들간에 공동으로 기술개발

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바, 우리나라도 부문별, 지역별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녹색성장 추진계획을 상세하게 수립하는 것이 필요.

Page 12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15

2 영국사례

1)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전략

(1) 기후변화에 대한 기본입장

영국은 기후변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임. 영국은 이미

1990년과 2006년 사이에 교토의정서 제1차 공약기간(2008-2012년)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12.5%를 상회하는 15%의 온실가스 감축을 이루었음.

- 1990년부터 2006년까지의 영국은 48%의 경제성장을 이룬 바 있으며, 전 세계적으

로 6위 수준의 제조업 규모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감축은 대단히 의미 있

는 진전으로 평가될 수 있음.

-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8년 영국의 전체 온실가스(교토의정서에 규정된 6가

지 유형) 배출량은 623.8 이산화탄소 톤이며, 이중 순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31.8톤

임. 이는 한해 전인 2007년에 비해서 각각 2% 감축된 수준임. 1990년의 경우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773 이산화탄소 톤이었으며, 이 중 순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92.9 톤이었음.

Page 12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16 ․․․․․․․․․․․․․․․․․․․․․․․․․․․․․․․․․․․․․․․․․․․․․․․․․․․․․․․․․․․․․․․․․․․․․․․․․․․․․․․․․․․․․․․․․․․․․․․․․․․․․․․․․․․․․․․․․․․․․․․․․․․․․․․․․․․․․․․․․․․․․․․․․․․․․․․․․․․․․․․․․․․․․․․․

【그림 4-6】영국의 온실가스 배출 추이

자료: www.defra.gov.uk

이러한 성과의 이면에는 다양한 노력이 있으며, 이러한 노력들은 현재도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영국은 2008년 6월 ‘그린혁명계획’을 발표하였음. 이 계획에는 2050년에 연간 3조

달러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2,500만 명의 고용이 예상되는 환경시장의 선점

을 위한 영국의 적극적 자세가 잘 드러나 있음. 이에 따라 2020년 전체 전력생산

량의 15%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풍력발전으로 국가 전체 전력 생산의 1/3

을 충당하는 동시에 세계 최고의 풍력발전기술 국가가 되며, 바이오에너지(6%) 및

원자력에너지(20%) 생산비율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함.

- 영국은 2008년 11월 온실가스를 2050년까지 1990년 대비 80% 수준으로 감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기후변화법’을 제정함. 기후변화법은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감

축 목표를 설정한 전 세계 최초의 기후변화 관련 국내법이며, 2020년까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1990년의 26%, 2050년까지는 1990년의 80% 감축할 것을 명시함.

- 또한 영국은 2008년 10월 에너지 정책과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통합하는 에너지·

기후변화부(Department for Energy and Climate Change)를 신설하였음.

Page 13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17

(2) Post-교토체제에 대한 입장

2009년은 기후변화협약 제15차 당사국회의에서 Post-교토체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

지는 기한임. Post-교토체제에 임하는 영국의 입장은 매우 적극적이며 강력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가 2009년 6월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인 ‘코

펜하겐으로 가는 길(The Road to Copenhagen)'에 따르면, Post-교토체제에 대한 영

국의 입장은 ’원대하고, 효과적이며, 공정한 결과의 도출‘로 요약될 수 있음. 이러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음.

원대한 결과 - 영국정부가 코펜하겐 당사국회의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가장

기대하는 결과는 바로 평균온도 상승을 2도로 제한하는 국제협약을 도출하는 것임.

이는 구체적으로, 2050년까지 1990년대 수준으로 탄소배출량을 50% 감축하고, 향후

10년 동안 배출량이 실제로 감소하게 하는 조치를 이행하는 것을 의미함.

- 선진국들은 2050년까지 배출량을 적어도 80% 감축하기 위한 의무조항을 제정하는

등 중기목표를 높게 설정하여, 이러한 움직임을 선도해야 함. IPCC(정부간 기후변

화위원회) 분석에 따르면, 선진국들은 202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990년대 수준의

25-40%로 감축해야 할 것임

- 개도국들 역시 국내사정을 반영하여 각각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선진국의 지원을 받아 저탄소발전의 방향으로 가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임. 최근

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라, 2020년까지 개도국의 탄소배출량은 현재의 수준을 기

준으로 할 때, 15-30% 감축되어야 할 것임.

- 산림파괴 해결이 매우 중요한 과제임. 산림파괴로인해발생하는탄소배출은전세계배

출량의1/5에 불과하지만, 산림은 생물다양성과 환경적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큼. 국제사회는 전 세계 산림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산

림은 각국의 영역이기 때문에 각국의 노력이 더욱 중요함. 그 지역에 사는 주민들

과 지역사회의 권리를 고려하여, 영국은 코펜하겐 회의에서 열대우림 파괴영역을

2020년까지 50%로 줄이고, 늦어도 2030년까지 전 세계 산림 손실을 전면 중단하는

내용의 합의를 도출하려 하고 있음. 산림파괴를 막기 위한 조기 재정지원에 합의

하여 탄소시장과 연계시켜야 할 것임.

효과적인 결과 - 코펜하겐협약은 확실성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며, 그래야만 청정에너

Page 13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18 ․․․․․․․․․․․․․․․․․․․․․․․․․․․․․․․․․․․․․․․․․․․․․․․․․․․․․․․․․․․․․․․․․․․․․․․․․․․․․․․․․․․․․․․․․․․․․․․․․․․․․․․․․․․․․․․․․․․․․․․․․․․․․․․․․․․․․․․․․․․․․․․․․․․․․․․․․․․․․․․․․․․․․․․․

지, 지속가능한 산림 및 토지이용과 적응에 대한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임.

- 영국은 탄소배출 감축을 효과적으로 장려하고, 개도국으로의 대규모 자본유입을

가능케 하는 세계탄소시장 개발을 지지함. 영국은 2015년까지 선진국 간 배출거래

시스템을 연계하는 국제사회의 프레임워크 구축에 합의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

음. 그렇게 되면, 부문별 거래시스템을 구축해 선진개도국들이 주요 부문에서 효과

적인 배출감축을 할 수 있고, 효율성 및 환경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현 청정

개발체제를 개혁할 수 있게 될 것임.

- 기술의 발전과 적용은 기후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

하다. 기술로 저탄소 에너지원에서부터 기후변화 영향을 견뎌낼 수 있는 건물 인

프라까지 개발이 가능함. 탄소시장 구축과 개도국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지원 및

기술지원으로 현존하는 기술이 더욱 빠르게 전 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코펜하겐에서 영국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임. 영국은 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개도국과의 협력강화와 혁신투자로, 가능하면 빨리 그리고 저렴하

게 기술을 상용화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협약이 반드시 법적 구속력을 갖고 이

행감시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것임. 그래야 모든 국가의 배출량 감축 노력이 투명

하게 이행될 수 있음. 따라서 영국은 건실한 감시, 보고 및 검증체제 구축을 촉구

하고 있음.

공정한 결과 - 기후변화는 근본적인 불공평을 내포하고 있음. 왜냐하면 기후변화는

역사적으로 산업국가에 의해 발생된 결과물이기 때문임. 그러나 가장 극심하게, 그리

고 가장 초기에 영향을 받는 국가는 오히려 빈국들임. 따라서 코펜하겐 협약은 반드

시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개도국에 대한 지원을 담보하는 내용을 담는 것

이 중요함.

- 영국은 빈국들이 기후변화 해결 문제가 그들의 국가 발전계획에 중요한 부분을 차

지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고, 가장 필요한 곳에 자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노력함. 또한 미래 기후변화의 리스크를예측하고, 기후변화에 어떻게 적응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의 지원을 촉구함.

- 따라서 코펜하겐 회의에서 최우선과제는 바로 기후변화 해결 및 적응을 위한 개도

국의 조치에 따른 재정지원 확보에 있음. 개도국의 배출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대부분의 자금은 민간부문에서 지원받을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투자를 장려

Page 13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19

할 수 있는 조치를 이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그러나 단기간에 민첩하게 조치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대규모 공적자금 투입이 필요함.

- 코펜하겐 회의에서 영국은 선진국들이 그들의 공적자금 지원 약속을 이행하고, 이

자금이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투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함. 또한

기후자금의 일부분이 현재의 ODA체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함.

- 관련하여, 영국은 선진국과 개도국이 각국의 배출량과 자금력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할당된 자금을 갹출하여 모인 미래 기후자금이 탄생하기를 희망함. 기후변화 해결

을 위한 조치로 예측 가능한 수익이 창출되는 시스템에 동의하여, 개도국이 수익

창출의 효과를 보고 더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기를 기대함.

2) 녹색성장정책의 주요 내용

영국의 주요 정책들은 주로 2008년에 제시된 기후변화법과 에너지법에 제시되어 있

으므로 여기서는 두 법을 중심으로 논의함 (www.ukinkorea.fco.gov.uk).

(1) 기후변화법 상의 주요 정책

법적 구속력이 있는 목표 설정: 2050년까지 영국 내외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을 1990년 대비 80% 저감하며 이산화탄소 배출을 2020년까지 최소 26% 저감해야

함. 2020년 목표는 모든 온실가스를 포함해서 2050년의 목표를 80%로 올리는 것을

반영하기 위해 재검토될 것임.

탄소예산시스템(A carbon budgeting system): 2050년까지 배출 경로를 설정하기 위

해 5년 단위의 배출량 상한선과 2050년까지의 3개 기간(15년)에 대한 예산을 설정함.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간은 2008~2012, 2013~2017, 2018~2022년이며, 이는 2009년 6

월 1일까지 확정되어야 함. 정부는 탄소예산을 수립한 후 가능한 조속히 이를 달성

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정책과 제안을 국회에 보고해야 함.

기후변화위원회 설립: 탄소예산의 수준과 비용효율적인 절감 방안에 대해 정부에 제

Page 13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20 ․․․․․․․․․․․․․․․․․․․․․․․․․․․․․․․․․․․․․․․․․․․․․․․․․․․․․․․․․․․․․․․․․․․․․․․․․․․․․․․․․․․․․․․․․․․․․․․․․․․․․․․․․․․․․․․․․․․․․․․․․․․․․․․․․․․․․․․․․․․․․․․․․․․․․․․․․․․․․․․․․․․․․․․․

언할 수 있는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위원회를 설립함. 위원회는 매년 영국의 목표 달

성과 정부가 시행하는 예산에 대한 연간 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하여 투명성과 책임소

재를 확보하도록 함. 2009년 초 Adair Turner외 6명이 각각 의장과 위원으로 임명됨.

국제 항공 및 해운으로부터의 배출: 기후변화위원회는 국제 항공 및 선박의 배출을

법안에 포함시키거나,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2012년 12월 31일까지 왜 포함시키지

않았는지에 대해 설명해야 함. 국제 항공 및 해운의 배출 전망은 탄소예산을 책정하

는데 고려되어야 함.

국제 배출권의 사용: 정부는 영국의 목표와 탄소예산을 달성하는 방안을 설정할 때,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적 조치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함. 기후변화위원회는 의무적으

로 국내, 유럽 및 국제 수준의 조치를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는 조언을 해야 함. 정

부는 매 예산 기간 동안 배출권의 구입한계를 설정함.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추가 조치: 추가 법안을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국내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 바이오연료에 대한 대책 가정 폐기물에 대한 시범적인 금융 인센티

브제도 도입, 일회용 봉지에 대한 최저부과 요구 권한 부여.

적응문제에 대해서, 정부는 적어도 매 5년마다 기후변화가 영국에 주는 위험에 대해

보고하고 기후충격에 대한 대응방안 프로그램을 발표해야 함. 정부는 공공기관

(public bodies)과 법에 규정된 기업(statutory undertakers,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틸리티 기업)으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위험을 추정하고 위험에 대한 대응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기후변화위원회의 적응분과위원회는, 정부의 적응 관련 업무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

고, 감독 기능을 가짐.

기업들은 온실가스배출에 대해 보고해야 하며, 정부는 2009년까지 이와 관련한 지침

을 발표해야 함.

지역에너지절약프로그램(Community Energy Savings Programme) 구축 지원: 기존의

탄소배출저감목표(Carbon Emissions Reduction Target)체제가 발전부문까지 확대된

것임.

Page 13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21

정부소유의 부동산(estate)의 효율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간 보고서에 대한 새로운

규제방안 마련

(2) 에너지법 상의 주요 정책

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O, Renewables Obligation): 해상풍력과 같이 상업적 설치와

는 거리가 먼 기술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투자를 집중하고 혼소(co-firing)와 같이 비

교적 확립된 기술에 대해서는 투자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등급화'하도록 재생에너

지 의무할당제를 개정함. 이는 제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임. 재생에너지의무할당

제는 이러한 '등급화'로 인해 전력공급자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아닌 재생에너지

사용의무증서(ROC; Renewable Obligation Certificate)의 수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변

경됨.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 in Tariffs): 정부로 하여금 소규모 저탄소 발전 사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맞춤형 발전차액지원 체계를 도입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 법안에서는 새로운 제도를 통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사업별로

5MW로 제한하고 있으며, 정부는 개별 기술들에 대해 지원을 위한 최소 용량을 설

정할 수 있음. 이 제도는 발전사업자들이 생산한 전력에 대해 일정수준의 가격을 보

장하는데 목적이 있음.

재생에너지 열 인센티브: 국무부 장관으로 하여금 재생에너지 열에 대한 지원체제(재

생에너지 열 인센티브)를 구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 재생에너지 열은 대규모 산

업용 설비에서부터 가정용에 이르기까지 모든 규모의 설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든

규모의 재생에너지 열 설비에 대해 지원이 이루어질 것임.

해양 송전: 해양 신재생 전력을 기존의 육상 송전 시스템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비용 효율적인 규제제도를 수립함. 송전 시스템 건설 및 운영 허가를

부여함에 있어 Ofgem이 운영하는 경쟁입찰절차를 도입함. 해양 송전 라이센스를 획

득하기 위한 경쟁체제 도입은 비용 효율성 증진 및 해양 발전시설과 육상 전력망 간

의 효율적인 연계를 촉진하게 될 것임.

탄소 포집 및 저장: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 사업허가권 부여를 위한 포괄적이고 융통

성 있는 법적 체계를 제공함. 이것은 탄소 포집․저장 기술 개발을 가능케 하는 데

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 이를 위해 이산화탄소를 영해 밖 대륙붕 지역에 있는 영국

의 해저에 저장하기 위한 영국의 권한을 명시함. 또한 관련된 기존 해양 법률(예를

Page 13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22 ․․․․․․․․․․․․․․․․․․․․․․․․․․․․․․․․․․․․․․․․․․․․․․․․․․․․․․․․․․․․․․․․․․․․․․․․․․․․․․․․․․․․․․․․․․․․․․․․․․․․․․․․․․․․․․․․․․․․․․․․․․․․․․․․․․․․․․․․․․․․․․․․․․․․․․․․․․․․․․․․․․․․․․․․

들어 석유․가스시설 해체 관련) 규정을 개정하여 이산화탄소 저장에 사용되는 시설

에 까지 확대함.

해양 가스시설: 해양 가스 저장 및 해양 LNG 하역 프로젝트를 위한 신규 규제 체계

를 구성함. 이것은 이러한 활동들에 대한 새로운 사업허가권 부여 체계 수립을 포함

함. 본 법은 해양 가스 공급 프로젝트를 위한 규제 절차를 간소화하고 투자자에게

투명성과 확실성을 제공함. 본 법은 또한 영해 밖 대륙붕 지역에서 가스를 하역하고

저장하기 위한 영국의 권한을 명시함.

원자력시설 폐기: 모든 신규 원자력 발전소 운영자가 원자로 폐기, 폐기물 관리 및

처리 비용 전액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제도를 신설하여 납세자들을 보호함. 원

자력 운영자들은 국무부 장관으로부터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자금지원처를 밝힌 퇴

로 계획을 제출해야만 함. 본 법은 정부가 폐기 계획을 승인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

을 확립하고, 법률 비준수 위반행위 등을 규정함.

해양 석유․가스시설 폐기: 1998년 석유법에 제시된 석유․가스시설 폐기에 관한 기

존 법률 제도를 강화함. 기존 제도 하에서 국무부 장관은 해양 시설 및 파이프라인

이해 관계자에게 통지하여 폐기계획을 제출하여 승인받도록 할 수 있음. 그러한 다

음에 이해 관계자들은 폐기작업 이행에 책임을 지게 됨. 본 법은 기존의 체계를 다

음과 같이 강화함. 국무부 장관에게 모든 관련 당사자들이시설이나 파이프라인 폐기

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할 수 있는 권한 부여, 납세자에 대한 위험부담이 수용할만

한 수준이 아니라고 평가되는 경우, 국무부 장관에게 석유 혹은 가스전의 수명 중

언제라도 폐기 보안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 부여, 당사자의 파산 시 폐기 비용으로

지불할 수 있도록 확보해 둔 폐기 자금 보호 등임.

해양 신재생에너지시설 폐기: 본 법은 2004년 에너지법에 제시된 대로 해상 신재생에

너지 시설 폐기에 관한 기존 규제 제도를 강화함. 예를 들어 2008년 에너지법은 국

무부 장관이 사업자의 파산 시 폐기 자금으로 책정된 자금을 보호함으로써 폐기 비

용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확대함. 또한, 국무부 장관에게 개발자 및 관련

회사가 폐기 의무를 감당할 재정 능력 보유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요구할

수 있는 추가적인 권한을 부여함. 또한, 국무부 장관은 최초 개발자가 자체적으로 폐

기 비용을 감당할 수 없을 경우, 모회사나 관련 회사가 폐기 비용을 책임지도록 할

수 있음.

스마트 계량기: 본 법은 정부가 스마트 계량기의 출시(계량기의 상세한 기능 설명,

전국에 계량기가 설치될 방법 수립 및 계량기 설치 일정 수립 포함)를 계획하도록

하고 있으며, 관련 라이센스 보유자가 출시를 이행할 것을 요구하도록 하고 있음.

Page 13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23

Ofgem(the Office of Gas and Electricity Markets) 및 신규 발전 프로젝트의 송전 시

스템에의 접속: 본 법은 정부의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을 반영하기 위하여 에너지

규제기관 Ofgem과 국무부 장관의 의무를 변경함. 본 법은 Ofgem과 국무부 장관의

최우선 의무는 현재 및 미래 소비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명시함. 본 법은 또한 "지속

가능성"에 대한 기존의 의무를 두 번째 의무로 지위를 격상하여, "에너지 공급 안보"

에 대한 의무와 동급으로 취급함. 본 법은 국무부 장관에게 송전망 접속 심사

(Transmission Access Review) 실행에 있어 산업체 및 Ofgem의 활동을 지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 이 활동은 신규 송전 인프라 제공 및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신규 발전 시스템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전력망 관리에 대한 기술적, 상업적 및

규제적 체계 개선을 계획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3) 녹색성장 추진체계

(1) 녹색성장 관련 법

영국은 2008년 국가적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방안 강구를 위해 기후변화법(Climate

Change Act), 에너지법(Energy Act), 계획법(Planning Act)을 제정함. 이러한 법들이

영국의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3대법이라 할 수 있음.

- 이러한 3대법의 주요 목적은 ①저탄소 중심의 경제체제 전환, ②장기적⋅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확보, ③온실가스 배출량 80% 감축 등이라 할 수 있으며(국토연구원,

2008),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녹색성장 정책과 동일한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가. 기후변화법

영국은 1994년 1월 영국기후변화프로그램(UK's Climate Change Program)을 처음 수

립하였으며, 이를 통해 당시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인 12.5%를 달성한 바 있음. 2000년

11월에는 2010년까지 영국 자체의 감축목표 20%를 설정하는 새로운 기후변화프로그

램을 발표함.

- 2005년경부터 이러한 감축목표 달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대두되었으며, 이에 따

Page 13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24 ․․․․․․․․․․․․․․․․․․․․․․․․․․․․․․․․․․․․․․․․․․․․․․․․․․․․․․․․․․․․․․․․․․․․․․․․․․․․․․․․․․․․․․․․․․․․․․․․․․․․․․․․․․․․․․․․․․․․․․․․․․․․․․․․․․․․․․․․․․․․․․․․․․․․․․․․․․․․․․․․․․․․․․․․

라 기후변화에 대한 보다 강력한 입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

- 이러한 배경 하에 2008년 세계 최초로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실정법에

명시한 기후변화법(Climate Change Act)이 제정됨.

기후변화법 제정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라 할 수 있음. 첫째, 기후변화와 관련한 국

제협상에 있어 영국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것임. 특히 Post-2012 체제의 구축

(2009년 코펜하겐에서 개최될 제1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에서 종결 예정) 협상

에 있어 영국의 주도적⋅모범적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것임. 둘째, 탄소배출 관리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임. 셋째, 향후 탄

소배출을 어느 정도로 억제해 나갈 것인지를 산업계에 명확히 알림으로써 산업계가

확신을 가지고 투자와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에너지효율향상에 더욱

노력하도록 경제⋅사회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

나. 에너지법

2008년 11월 26일 발효된 영국의 에너지법은 사업체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저탄소

에너지믹스를 위한 목표, 정책 및 규제 내용을 강화한 것임.

- 에너지법 제정은 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촉진 및 보급, 에너지(신재생에너지,

원자력, 가스 등) 수급의 용이성 확보, 에너지시장 변화에 따른 환경 및 납세자 보

호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에너지법을 제정한 배경은 신기술 지원, 공급인프라를 위한 신규 요건에 대한 대응,

에너지시장 변화에 따른 환경 및 납세자 보호 등이라 할 수 있음(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음.

신기술 지원

- 이산화탄소 해상저장을 위한 적절한 법적 체계 구성

- 새로운 조치들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지원

- 투자대안으로서의 원자력발전 도입 등의 근거 마련

- 영국 내 모든 가구에 스마트계량기 설치를 위한 법적 기반 마련

공급인프라를 위한 신규 요건에 대한 대응

- 해상 가스인프라를 위한 규제체계를 강화하고 단순화함으로써 해상저장 및 LNG

Page 13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25

하역인프라와 같은 가스공급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지원 촉진

-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증대하고, CCS를 통한 청정석탄 및 가스발전과 신규 원자

력발전 도입조치들을 통해 공급안보를 위한 에너지원 다변화투자 확보

- 스마트계량기 도입을 통해 에너지효율성 증대, 에너지 수입의존도 감소 및 소비자

들의 에너지비용 감소 촉진

에너지시장 변화에 따른 환경 및 납세자 보호

- 해상 석유⋅가스인프라 폐기 및 부대비용에 관하여 기업들이 법정의무를 지도록

보증하는 해상 석유⋅가스 인프라 폐기 관련 조항 강화

- 해상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폐기조치와 같은 맥락에서 유사한 납세자 보호 조건들

을 제시하여 기업들로 하여금 적절한 해체 자금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납세자

및 해상환경이 보호되도록 조치

다. 계획법

영국은 세계경제 침체에 대응하는 동시에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녹색경제성장이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효율적인 녹색인프라 공급을 목적

으로 하는 계획법을 2008년 11월 26일 제정함(국토연구원, 2008). 녹색경제성장을 위

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반시설을 국가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

으며, 이를 위해 빠르고 예측가능하며 공정한 계획체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계획법

의 제정배경이 되었음.

- 원래 영국의 공간계획은 2004년 제정된 계획 및 강제수용에 관한 법(Planning and

Compulsory Act)에 근거하고 있는 계획지침(Planning Policy Statements, PPS)에

따라 수립됨.

- 지역별로 공간계획은 종전과 같이 이러한 계획지침에 의하여 수립하되, 국가 차원

의 중요한 녹색인프라(풍력단지 등) 조성에 관해서는 2008년 제정된 계획법에 의

거한 새로운 지침을 적용하도록 변경하였음.

- 계획법에 의거하여 공급되는 기반시설은 결국 지역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기후변

화에 대한 계획지침 및 지역계획과 상호 긴밀한 연계를 통해 공급되어야 함.

계획법의 주요 내용은 ‘국가정책지침’과 ‘기반시설 계획위원회’라는 의사결정체계 구

축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음(국토연구원, 2008).

Page 13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26 ․․․․․․․․․․․․․․․․․․․․․․․․․․․․․․․․․․․․․․․․․․․․․․․․․․․․․․․․․․․․․․․․․․․․․․․․․․․․․․․․․․․․․․․․․․․․․․․․․․․․․․․․․․․․․․․․․․․․․․․․․․․․․․․․․․․․․․․․․․․․․․․․․․․․․․․․․․․․․․․․․․․․․․․․

【그림 4-7】영국 계획법(Planning Act, 2008)의 주요 내용

자료: 국토연구원(2008).

기반시설 공급을 위한 ‘국가정책지침(National Policy Statements, NPS)'은 노후화되

고 처리용량이 초과된 기존 기반시설을 녹색성장에 부응하는 시설로 정비하기 위한

방향, 내용, 과정에 대한 지침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포함함.

-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반시설 공급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

- 특정한 기반시설 공급과 정부의 여타 정책, 예를 들어 계획지침(PPSI), 보건⋅복지

정책, 개발제한구역 관리정책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한 방안

- 기반시설 개발과 관련된 실제 수요와 용량

- 기반시설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 및 안전 문제

- 특정 개발로 인해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상황 및 지역

- 적절한 입지 선택

- 기반시설 설치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이나 상황

Page 14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27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해 설치된 ‘기반시설계획위원회(Infrastructure Planning

Commission)’은 제안된 사업의 복잡한 세부사항을 잘 이해하는 전문가로 구성되며,

주로 제안된 기반시설 설치 사업의 세부적이고 기술적인 면을 검토⋅평가하는 일을

수행함. 아울러 제안된 사업이 국가정책지침에서 제시한 방향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이를 거부할 권한을 가짐.

(2) 중앙정부의 녹색성장 추진조직

영국의 경우 다양한 중앙부처가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 정책에 관여함. 대표적인 부처

로는 2008년 신설된 에너지⋅기후변화부(Department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DECC), 우리나라의 환경부와 농림수산식품부가 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는

환경⋅식품⋅농업부(The Department for the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Defra), 우리나라의 지식경제부에 해당하는(에너지업무가 제외된) 경영⋅혁신⋅기술

부(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 BIS)를 들 수 있음. 그밖에 외무

부, 국무부, 교통부, 국제개발부가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 관련 정책에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음. 이하에서는 DECC, Defra, BIS를 중심으로 논의함.

가. DECC

DECC는 2008년 10월, BIS 소관이었던 에너지정책과 Defra 소관이었던 기후변화 부

문의 감축정책을 통합하여 신설된 부서임. 이러한 부처신설은 기후변화정책과 에너

지정책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음. 영국의 경우 온실가

스의 3/2 가 에너지 사용으로부터 배출되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 관련 의사결정은

에너지문제를 함께 고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임.

DECC의 설치목적은 크게 세 가지라 할 수 있는데, 1)에너지 공급과 사용이 안전하

고, 충분하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2)저탄소 영국으로의 전환을 추

구하고, 3)2009년 12월 코펜하겐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적 합의를 달성하는 데 있

음(www.decc.gov.uk).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정법적 기초는 2008기후변화법 및 2008에너지법이

라 할 수 있으며, 2008계획법 및 2008계획 및 에너지법도 중요한 법적 기초가 됨.

Page 14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28 ․․․․․․․․․․․․․․․․․․․․․․․․․․․․․․․․․․․․․․․․․․․․․․․․․․․․․․․․․․․․․․․․․․․․․․․․․․․․․․․․․․․․․․․․․․․․․․․․․․․․․․․․․․․․․․․․․․․․․․․․․․․․․․․․․․․․․․․․․․․․․․․․․․․․․․․․․․․․․․․․․․․․․․․․

나. Defra

환경식품농촌부는 국민들의 현재 그리고 미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반활동

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1년에 설립되었음. 종래의 농업수산식품부(Ministry

of Agriculture,Fisheries and Food)와 환경수송지역부(DETR: Department of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그리고 내무부의 소규모 조직들이 통합

되어 만들어졌음. 설립의 주된 배경은 과거 농업수산식품부가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 등 각종 당해부처와 관련된 사항들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함에 따

라 새롭게 통합 운영할 필요성에 따른 것임(한국행정연구원, 2007).

- 농업발전과 환경보전및 개발, 그리고 지역경제, 영국인들이 섭취하는 식품생산과

대기 및 수질문제 등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고 있음.

- 지속가능한 개발 및 기후변화협약 등과 관련된 국제협약의 체결과 농·임업 및 각

종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유럽공동체에서 영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정부 부처라고 할 수 있음.

환경식품농촌부의 조직목표는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이를 위한 정부차원의 대책마련’

으로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 현재 5가지 핵심적인 전략적인 우선순위 목표(strategic

priorities)들을 설정하고 있음.

- 기후변화 및 에너지 자원이용

- 지속가능한 수요개발과 생산체계의 구현

- 영국 전역에 걸친 자연자원 보존 노력의 증진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개발

-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및 낙농 관련 동물들의 건강 및 복지를 고려한 식품생산체계

구현

Page 14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29

【그림 4-8】Defra의 업무영역 및 네트워크

다. BIS(BERR)

BIS는 종전의 기업운영⋅규제개혁부(Department of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BERR)가 2008년 에너지부문 정책을 DECC에 이관한 이후에 명

칭을 바꾸어 출범한 조직임. 따라서 에너지정책을 제외한 나머지 정책들은 종전의

BERR의 것과 대동소이한 상태임.5)

BERR은 종래에 기업생산성 제고·기업관계·에너지·시장경쟁·소비자 관련 사무를 담당

하던 통상산업부(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DTI)와 내각사무처(Cabinet

Office) 소속 양질의 규제집행국(Better Regulation Executive, BRE)이 통합되어 2007

년 6월 28일 설립된 부처임.

주요 업무는 주제별로 약술하면 다음과 같음(www.berr.gov.uk).

- Better Regulation: 더 좋은 규제시스템의 구축

5) 실제로 BIS 홈페이지에 보면 URL이 www.berr.gov.uk 로 되어 있음.

Page 14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30 ․․․․․․․․․․․․․․․․․․․․․․․․․․․․․․․․․․․․․․․․․․․․․․․․․․․․․․․․․․․․․․․․․․․․․․․․․․․․․․․․․․․․․․․․․․․․․․․․․․․․․․․․․․․․․․․․․․․․․․․․․․․․․․․․․․․․․․․․․․․․․․․․․․․․․․․․․․․․․․․․․․․․․․․․

- BIS International: 각 부문의 국제협력 지원 및 촉진

- Business Law: 기업이 좀 더 자유롭고 공정한 방식으로 경쟁하고, 소비자 선택과

가치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입법 추진 및 집행

- Business Sectors: 기업이 생산성향상을 통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

- Consumer Issues: 영국 소비자가 공정하게 대우받고 자신들의 권리를 인지하며 이

러한 권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

- Employment Matters: 신축성과 파트너십이라는 가치 위에서 개인의 노동조건 개

선 및 기업의 성공을 촉진하기 위해, 효과적 노사관계 수립 촉진

- Enterprise & Business Support: 보조금이나 조언 등과 같은 기업지원책을 최대한

간소화된 형태로 지원

- Europe, Trade & Export Control: 유럽 및 국제사회와의 교역 및 수출에 대한 전

략적 통제 및 지원

- Further Education: 영국경제의 발전을 위한 평생교육 지원

- Higher Education: 고등교육 지원

- Innovation: 특히 영국이 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을 갖춘 분야에 있어 혁신을 위한

투자를 촉진

-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영국 내 모든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지역 간 격차를 최소화

- Science: 지속가능하고 가능성 있는 대학, 연구소, 연구자, 기술자에 대한 연구 지

원체계 발전

- Skills: 영국 내 모든 기술자가 세계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양성

(3) 지방정부 녹색성장 추진체계

가. 개요

영국은 2000년 Nottingham시가 기후변화 관련 심포지엄을 유지하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Nottingham선언을 도출한 바 있음. 현

재는 450여 개의 지방자치단체 중 300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선언에 참여하여

Page 14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31

기후변화 관련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오일영, 2008: 90).

2000년 국가종합대책으로 제시된 UK Climate Change Programme 2000을 통해 에너

지산업, 수송, 가정 등 각 부문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ra성이 정립된 것으

로 평가됨. 영국에서는 정부 종합대책 수립(Defra),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통계 제공

(Defra), UKCIP(UK Climate ImpaDe Programme)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

고 있음(오일영, 2008: 92).

나. 지방정부의 역할 촉진을 위한 성과평가

영국은 지방정부의 역할과 책임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지방정부 성과 프레임워크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framework)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국가지표(National Indicators, 이하 NI)를 제시하고 있음.

- 영국은 지방정부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법으로 2008년 이른바 종합지역평가

(Comprehensive Area Assessment, CAA)를 채택함.

- 종합지역평가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항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1)지역협의

(Local Area Agreement, LAA) 및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전략에 부합하는 정책 우선

순위에 따라 위원회(council)와 관련 당사자 간 공동노력이 수행되고 있는가, 2)주

민의 삶의 질 개선이 여하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임.

- 위원회는 일련의 국가지표에 따라 그 실적을 보고하게 되어 있음. 모두 200개의

국가지표 중 35개를 자체적으로 선택하며, 이처럼 보고된 지표 범위 안에서 그 실

적을 평가받음. 그러나 자료 수집은 200개 국가지표 모두에 대해 수행하며, 이를

보고함.

- 특히 녹색성장 내지 기후변화와 관련한 국가지표로는 NI185, NI186, NI188 등을

들 수 있음. 지표 개발은 주로 Defra에 의해 이루어짐(www.defra.gov.uk). 이하에

서는 이러한 세 가지 국가지표를 설명함.6)

NI185: 지방정부 운용에 있어 CO2 감축비율(Percentage CO2 reduction from LA

operations)

6) 이밖에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된 국가지표로는 NI187(tackling Fuel Poverty)와 NI189(식량 및 해안침식에 대한 위험관

리)가 있다.

Page 14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32 ․․․․․․․․․․․․․․․․․․․․․․․․․․․․․․․․․․․․․․․․․․․․․․․․․․․․․․․․․․․․․․․․․․․․․․․․․․․․․․․․․․․․․․․․․․․․․․․․․․․․․․․․․․․․․․․․․․․․․․․․․․․․․․․․․․․․․․․․․․․․․․․․․․․․․․․․․․․․․․․․․․․․․․․․

- 공공부문은 민간부문과 지역사회에 행태적⋅전략적 모범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이산

화탄소 배출 감소노력을 이끌 수 있는 핵심적 위치에 있음.

- NI185 지표들은 1)지방정부들이 자신들의 업무수행에 활용되는 건물이나 교통수단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감축상황을 측정하고, 2)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모범

적 리더십을 보이도록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이 지표에 대한 측정은 개별 지방정부가 자신들의 건물과 교통부문(아웃소싱 업무

포함)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및 화석연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체적으로 이산화탄

소 배출을 계산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짐.

NI186: 지방정부 관할구역 내에서 일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Per capita

reduction in CO2 emissions in the LA area)

- 지방정부 행동은 정부의 기후변화 목표 달성을 위해 매우 핵심적임. 지방정부는

지역사회의 인식을 제고하고 행동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비전과 리더십을 제공

할 수 있는 지역적 기반을 가지고 있음. 아울러 자신들의 권력과 책임(주택, 계획,

대중교통, 복리증진 권한 등)과 전략적 지역파트너십을 활용함으로써, 관할지역 이

산화탄소 배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지표는 지역사회에서 최종 사용자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측정하기 위해 중앙 차원

에서 집계하는 도출된 통계수치에 의존하며, 기업과 공공부문, 주택, 도로교통 등

의 영역에서 배출을 측정함.

- 이 데이터는 일인당 이산화탄소 배출을 지역별로 산출해 내기 위해 조사 및 분석

되며, 개별 지역에서의 일인당 배출감소율은 매년 보고됨.

NI188: 기후변화 적응계획(Planning to Adapt to Climate Change)

- NI188은 기후변화의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 다룸에 있어서 지방정부의 준비상황

진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됨.

- 이 지표의 목적은 모든 수준의 서비스, 계획, 재산(토지)에 있어 기후위험과 기회

의 관리를 체질화하는 데 있음. 구체적으로 지역 단위에 포괄적으로 존재하는 위

험과 기회의 정도를 평가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에서의 구체적 행위를 촉진하

며,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에서의 위험평가를 위한 적응전략 및 행동계획을 개발하

며, 진행 관점에서 그러한 행위를 집행, 평가, 모니터링 하는 데 목적이 있음.

Page 14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33

4) 영국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정책사례 - 런던시

(1) 런던 기후변화대응 전략

런던은 기후변화 정책 관련하여 전 세계적으로 모범사례로 거론되는 지방자치단체임.

런던의 인구는 750만 명 정도이며, 1,578Km2 의 면적을 지니고 있음.

2007년 2월 리빙스턴 런던시장은 기후변화실천계획(Climate Change Action Plan)을

발표하고 CO2 감축을 위한 종합대책을 제시함. 여기에는 기업, 정부, 시민 등 각 주

체의 노력을 통해 CO2 배출량을 2025년까지 현재보다 60% 줄인다는 적극적인 목표

가 설정되어 있음.

한편 런던의 기후변화 적응전략의 청사진은 2007년 발간된 ‘런던시 기후변화 적응전

략(The City of London's Climate Adaptation Strategy)’에 나타나 있음. 이와 같은

전략 수립의 기본 원칙은 다음의 두 가지임(Mills, 2009).

- 확실한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 전략 수립

- 기업, 주민, 서비스제공 업체 및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 하에 전략 수립

런던의 기후변화정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기구는 런던협의체(City of

London Corporation)이라 할 수 있음(Mills, 2009).

- 런던협의체는7) 런던의 주요 현안들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으며, 1995년 이후부터는

기후변화문제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음.

- 1975년부터 선출직 회원들이 에너지위원회를 이끌고 있으며, 1995년부터 이산화탄

소 감축보고서를 제출하고 있음.

- 또한 기후변화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탄소배출권 거래소 설립에도 관여함.

7) 런던협의체는 ‘런던(Greater London) 내의 런던’으로 지칭되는 스퀘어마일(런던 중심상업지구로서 1.2평방마일에 해당하

는 지역)을 관장하는 자치단체임. 스퀘어마일은 상주인구는 1만 명에 불과하지만, 34만 명의 전문가가 일하고, 런던 시

민의 8.1%가 고용되어 있으며, 15,000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는 세계적인 금융중심지로서 영국 전체 GDP의 6%를 차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런던협의체의 모토는 ‘런던과 런던시민, 그리고 국민의 권익을 위해 세계적으로 명실상부한 국

제금융 및 비즈니스 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

Page 14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34 ․․․․․․․․․․․․․․․․․․․․․․․․․․․․․․․․․․․․․․․․․․․․․․․․․․․․․․․․․․․․․․․․․․․․․․․․․․․․․․․․․․․․․․․․․․․․․․․․․․․․․․․․․․․․․․․․․․․․․․․․․․․․․․․․․․․․․․․․․․․․․․․․․․․․․․․․․․․․․․․․․․․․․․․․

(2) 런던의 우수 정책사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대도시들의 모임인 C408) 홈페이지(www.c40cities.org)에 는 소

개된 우수사례 중에는 영국 런던이 포함되어 있음(혼잡통행료정책). 여기서는 이를

포함하여 런던의 대표적인 녹색성장정책들을 소개함(환경관리공단, 2008; 환경부⋅환

경관리공단, 2008).

가. 전구사면(赦免)행사(Light Bulb Amnesty)

런던市는 2025년까지 이산화탄소의 총 배출량 중 60%를 저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비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막고 전기요금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전구 사

면(赦免) 행사’(Light Bulb Amnesty)를 2008년 1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시행함.

- 이 행사는 기존의 전구를 가져오면 에너지 효율적인 전구로 교체해주는 형태로 진

행되었음.

- 런던시민이 에너지 효율적인 전구를 사용하면 매년 50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간 약 1억 3,900만 파운드(한화 약 2,780억 원)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나. 녹색가정 만들기 정보센터

런던市는 각 가정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지구온난화 방지대책에 관련된 정보를

시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런던 녹색가정 만들기 정보센터’(London

Green Homes)를 최근 개소하였음

- 정보센터에서는 무료 전화 상담과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 제공 등의 무료서비스와

각 가정의 형편과 취향에 맞도록 맞춤형 녹색가정으로 리모델링을 해주는 유료 사

업 등을 다양하게 추진할 계획이며, 주요 상담 내용은 전력요금 절감과 같이 가계

경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대안에서부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8) C40은 세계 온실가스의 80% 이상이 면적의 2%에 불과한 대도시 지역에서 발생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2005년 10월 3

일 18개 도시로 처음 구성되었음. 이후 2006년 클린턴 기후구상(Clinton Climate Initiative, CCI)와 협력을 맺으면서 활

성화되고 있음. C40 정상회의는 2005년 런던(제1차), 2007년 뉴욕(제2차), 2009년 서울(제3차)에서 각각 개최된 바 있

음.

Page 14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35

실천방안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부문에 걸쳐 진행될 예정임.

- 런던 트라팔가 광장에 설치된 실제 크기의 생태주택 모델하우스(런던시의 제1호

저탄소 하우스)에서 런던시장과 시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프로그램의 개시를 알

리는 선포식이 개최되었음.

- 이 제1호 저탄소 하우스는 녹색가정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실천방안을 반영하여

설계되었으며, 향후 시내 곳곳에 전시하고 기후변화 대책에 관한 홍보창구의 역할

을 담당하게 될 예정임.

【그림 4-9】런던 트라팔가 광장에 설치된 ECO-House

【그림 4-10】영국 탄소제로 주택의 개념도

Page 14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36 ․․․․․․․․․․․․․․․․․․․․․․․․․․․․․․․․․․․․․․․․․․․․․․․․․․․․․․․․․․․․․․․․․․․․․․․․․․․․․․․․․․․․․․․․․․․․․․․․․․․․․․․․․․․․․․․․․․․․․․․․․․․․․․․․․․․․․․․․․․․․․․․․․․․․․․․․․․․․․․․․․․․․․․․․

다. 에코챔피언(ECO-Champion) 선정

런던市는 현장에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사업을 실천할 지역 환경지도자인 ‘에코

챔피언’을 15명 선정하였음.

- 이 에코챔피언은 민간단체, 학계, 공연예술계, 기업, 종교계 등 다양한 분야를 대표

하는 지역지도자로 향후 1년 간 런던을 더욱 지속가능한 도시로 만들기 위해 다양

한 실천 활동을 수행할 예정임.

라. 수돗물 런던 프로젝트

런던市와 런던 템즈 상수도(Thames Water)는 런던 시내의 식당과 카페 등에

수돗물 사용을 권장하는 ‘수돗물 런던’(London On Tap) 캠페인을 벌임.

- 이 캠페인은 병이나 플라스틱에 든 물의 제조·저장·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를 줄임으로써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되었음.

- 캠페인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질의 수돗물을 홍보함과 동시에 물을 병이

나 플라스틱 용기에 담는 것이 지구온난화 등 환경오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리고자 함. 둘째, 식당이나 바(Bar) 등에서 손님이 수돗물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수와 수돗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 셋째, 재활용 유리를 활

용하여 만드는 유리 물병의 디자인 대회를 개최하여 수돗물 사용을 적극 홍보하고

유리 물병을 식당이나 호텔 등에서 사용하도록 권장함.

마. 혼잡통행료 제도 도입

런던에서 혼잡통행료 제도가 처음 도입된 것은 2003년 2월이었음. 이후 런던시는

2008년 10월 28일부터 CO2 배출량이 226g/㎞ 이상인 차량(밴드G)과 엔진사이즈가 3

리터 이상인 차량에 대해 종전에 일일 8파운드였던 혼잡세를 25파운드로 3배 인상하

여 부과하기로 결정함.

- 4륜구동 차량, 스포츠카, 패밀리카 등 상대적으로 CO2 배출량이 많은 차량의 운전

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 예상되나 이러한 높은 부과율은 런던시청의

Page 15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37

강경한 친환경 정책의지를 더욱 명확히 해주고 있다고 판단됨.

런던은 도시 중앙지역에 혼잡통행료 제도를 도입한 가장 큰 도시로서 다음과 같은

성과를 나타냈음.

- 시행이후 혼잡 시간동안 혼잡구역내의 교통체증을 20%까지 감소시켰음. 개인 차

량운전자들이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되면서 일일 약 4만대의 차량운행이 감소

하였음.

- 혼잡통행료 제도로 인해 런던 전체에 자전거 이용자 수가 83% 가량 증가했다.

- 연간 도로교통 사상자 수가 40~70명이 감소되었다.

- 혼잡구역 내 차량연료 소비를 약 4,000-5,000만ℓ가량 절감시키고 런던 전역에서는

한해 총 10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저감되었음.

- 연간 1억 2,200만 파운드까지 적립된 혼잡통행료는 도시 교통수단을 증대하는데

이용되며, 도로 안전성을 높이고, 대중교통의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이용되

고 있음.

혼잡통행료는 공휴일과 주말을 제외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07:00~18:00까지 혼잡

지역 내의 공공 도로에 주차하는 차량이나 이를 이용하는 차량에 대해 8 파운드의

일일 부과금을 징수됨.

- 혼잡통행료는 런던 중심의 22 ㎢의 면적에 해당하는 부과지역(런던 중심지)에서

징수되며, 별도의 요금징수소가 없이 웹사이트나 SMS 문자메시지를 통해서 또는

Pay Point가 설치된 상점에서 전자지불방식이나 전화로 요금을 지불함.

- 혼잡통행료 구역의 입구에는 고정카메라가 자동적으로 구역 내의 차량 번호판을

포착하며, 통행료를 지불하지 않은 차량 소유주에게는 100파운드의 벌금이 부과됨.

- 버스와 택시, 개인고용차량 및 오토바이를 포함한 종류의 차량은 혼잡통행료가 면

제되고, 이 구역 거주자들이 사용하는 차량이나 장애인 표시가 부착된 차량의 경

우에는 90~100% 할인 제도에 등록할 수 있음.

Page 15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38 ․․․․․․․․․․․․․․․․․․․․․․․․․․․․․․․․․․․․․․․․․․․․․․․․․․․․․․․․․․․․․․․․․․․․․․․․․․․․․․․․․․․․․․․․․․․․․․․․․․․․․․․․․․․․․․․․․․․․․․․․․․․․․․․․․․․․․․․․․․․․․․․․․․․․․․․․․․․․․․․․․․․․․․․․

【그림 4-11】런던 시내의 혼잡통행료 징수 구역

5) 영국 녹색성장정책 사례의 시사점

이상에서 논의한 영국 사례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1) 녹색성장 전담부처 설치 시 참조할 수 있는 모델 제시

기후변화 또는 녹색성장 정책의 두 가지 정책범주로 완화(mitigation)와 적응

(adaptation)을 구분할 수 있음. 완화는 온실가스 감축을 주된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에너지정책과의 연계성이 필수적임.

이와 관련하여 영국은 종전에 Defra에 의해 수행되던 완화정책과 BERR에서 수행되

던 에너지정책을 떼어 DECC(에너지⋅기후변화부)를 신설함. 다른 국가들에서 이러

한 중앙부처 신설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상당히 선도적이고 독창적인 것

으로 판단됨.

Page 15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39

우리의 경우 녹색성장정책은 여러 부처에 의해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관련성이 높은

부처는 다른 나라들과 유사하게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이라 할 수 있음. 아울러 녹색

성장정책은 녹색성장위원회에 의해 조정되고 있지만, 위원회는 본질적으로 자문기구

로 규정되어 있음. 향후 녹색성장 전담 부처를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면 영국의 사례

도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실정법에 명시

영국은 2008년 기후변화법을 제정하고, 향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세계 최초로 법에

명시함.

- 기후변화법에서는 온실가스를 2050년까지 1990년 대비 80% 수준으로 감축하도록

명시함. 아울러 중장기 목표로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6% 감축을 명시함.

이러한 법적 명시는 Post-Kyoto 체제에 대한 영국 정부의 적극적이고 강력한 의지를

표명함으로써, 대내외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

- 대외적으로, 기후변화레짐 형성에 있어 영국의 선도적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효과

를 발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협약과정에서의 발언권 강화 및 여타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감축목표 설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대내적으로는, 영국 국내 산업과 민간부문에 대해 명확한 시그널을 줌으로써, 녹색

성장을 위한 사회 각 부문의 공동노력을 이끌어 내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영국에서 2008년 6월 발표한 그린혁명계획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환경시

장은 2050년에 3조 달러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2,500만 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높은 수준의 발표목표를 법에 명시함으로써 이러한 시장의

선점을 위한 적극적 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됨.

우리나라의 경우 이명박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대내외적으로 수차례 천명되어 왔

고, 지금은 세 가지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국가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에 있음. 국가목

표의 제시는 대내외적 약속이기 때문에 법에 명시되지 않는다고 해서 소홀히 하기

어려운 성격의 것임. 그렇다면 영국과 마찬가지로 국가목표를 녹색성장기본법에 명

시함으로써, 대외적으로는 기후변화 선도국가로서의 상징성을,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국내 행위주체들의 일관된 노력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됨.

Page 15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40 ․․․․․․․․․․․․․․․․․․․․․․․․․․․․․․․․․․․․․․․․․․․․․․․․․․․․․․․․․․․․․․․․․․․․․․․․․․․․․․․․․․․․․․․․․․․․․․․․․․․․․․․․․․․․․․․․․․․․․․․․․․․․․․․․․․․․․․․․․․․․․․․․․․․․․․․․․․․․․․․․․․․․․․․․

(3) 녹색성장정책과 공간계획의 연계

영국의 녹색성장정책과 관련한 주요 법들은 기후변화법, 에너지법, 그리고 계획법이

라 할 수 있음. 대부분의 국가에서 녹색성장정책은 기후변화 관련법 및 에너지 관련

법들 중심으로 녹색성장이 추진되는 데 비해, 영국은 계획법 개정을 통해 공간계획

과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음.

영국의 공간계획은 중앙정부에서 만드는 계획지침(PPS)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중심으

로 작성되고 있음. 2008년 개정된 계획법은 이러한 종전의 토대 위에서,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시설물(대표적으로 풍력발전소, 태양광발전소 등의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특정 지역에 입지시키는 경우에는 별도의 지침을 따르게 함으로써 설치과정 상의 효

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특정 지역에 특정 시설이 입지하는 과정에서 많은 갈등이 초래된

바 있음. 우리나라 녹색성장 정책의 내용 중에는 신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및 발전시

설 설치가 다수 포함되어 있음. 이 중 특히 풍력발전소나 태양광발전소와 같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시설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반발에 부딪힐 가능성이 농후한 상태

임. 따라서 관련법의 개정을 통해 녹색성장 관련시설의 효율적 설치를 가능하게 하

는 공간계획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임.

(4) 지방자치단체 성과평가를 통한 녹색성장 촉진

영국 정부는 2008년부터 지방자치단체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틀로서

200개의 국가지표(National Indicator)를 사용하고 있으며, 지방정부 별로 이 중 35개

를 자체 선택하여 관련 실적을 보고하도록 하고 있음.

국가지표 중 NI185(지방정부 운용에 있어 이산화탄소 감축비율), NI186(일인당 이산

화탄소 배출량 감소), NI188(기후변화 적응계획)은 특히 지방정부의 녹색성장 노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볼 수 있음.

이러한 방식의 성과평가는 추후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에 있어 녹색성장

관련 평가지표를 포함시키는 데 참고할 수 있을 것임.

Page 15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41

3 일본 사례

1)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

(1) 기후 변화에 대한 기본 입장

일본은 주요 선진국 중 녹색 성장에서 가장 앞선 국가로 평가됨.

후쿠다 비전 (Fukuda Vision)

- 일본은 2007년부터 ’저탄소 사회‘를 국가 비전으로 제시함.

- 2008년 6월 9일에 발표된 ‘후쿠다 비전’에서는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를 현재 대비

14% 감축, 2050년까지 60~80% 감축 목표로 설정함.

(2) 교토 의정서 및 포스트 교토 의정서에 대한 입장

일본 정부는 2013년 이후 포스트 교토 체제에 대한 입장을 2009년 4월 24일 기후

변화 사무국에 제출함.

- 세계 총 배출량을 2050년까지 1990년 대비 반감시킨다는 온실 가스 배출 감축 장

기 목표를 설정함.

- 교토 의정서에서 탈퇴한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에 2013년부터 일정 기간 내 온실

가스 총량 기준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하도록 요구함.

- 현재 온실 가스 배출 감축에 대한 의무를 지지 않은 중국 및 인도 및 배출량이 적

은 도시 국가 등의 개도국에도 자발적인 감축 계획을 작성하고, 에너지 효율의 개

선 목표를 마련하여 주요 산업별 에너지 절약 목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목표에 대

하여 정기적으로 검토하도록 촉구함.

- 포스트 교토 체제는 2009년 12월 코펜하겐에서 개최 예정인 기후 변화 협약 당사

국 총회(COP 15)에서 결정될 예정임.

Page 15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42 ․․․․․․․․․․․․․․․․․․․․․․․․․․․․․․․․․․․․․․․․․․․․․․․․․․․․․․․․․․․․․․․․․․․․․․․․․․․․․․․․․․․․․․․․․․․․․․․․․․․․․․․․․․․․․․․․․․․․․․․․․․․․․․․․․․․․․․․․․․․․․․․․․․․․․․․․․․․․․․․․․․․․․․․․

일본 자주 참가형 배출권 거래제 (Japan's Voluntary Emissions Trading Scheme :

JVEATS)

- 일본은 일본 자주 참가형 배출권 거래제 시범 사업을 2005년 4월에 실시함.

- 일본의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 본부는 기업의 자발적 참가 및 배출량 목표(배출

한도) 설정 등을 골자로 하는 온실 가스 국내 배출량 거래제도 시행안을 확정함.

- 기업의 자발적 감축 목표 설정 후 목표 달성을 위한 배출 감축 및 배출 한도 크레

딧을 매매함.

- 최종적으로는 Cap & Trade와 같이 의무가 부과되는 제도를 지향함.

일본판 그린 뉴딜

- 일본은 2006년 환경 비즈니스 시장 규모 70조엔에서 5년 이내 100조엔 이상으로,

고용자 수 140만 명에서 220만 명 이상으로 확대 구상 중임.

2) 녹색 성장 정책의 주요 내용

(1) 기후 변화․에너지 관련 정책

가. 에너지 정책

일본은 1970년대 2차 오일 쇼크를 경험하면서, 일찍부터 에너지 문제에 대응하였으

며, 1980년대 이후 국가적인 차원에서 에너지 효율성 제고, 신재생 에너지 도입 등

에너지 안보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성과를 거둠.

- 전반적 에너지 효율의 40% 향상, 신재생 에너지 6% 보급

에너지 환경 기술 개발을 에너지 문제의 해결 전략으로 삼아 왔음.

-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개발에 있어서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음.

- 수소연료 전지자동차 실용화를 위한 실증실험과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본격화함.

- 에너지 절약 기술 개발 및 효율성 향상 기술은 선도적인 위치임.

정책 흐름의 변화 및 특징

- 에너지 개발 기구(NEDO)를 확대 개편하여 에너지 기술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고

Page 15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43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총 5,500억 엔의 정부 투자.

- 선샤인 계획 (Sunshine Project) (1974-1992년) : 1974년에 발족한 신에너지 관련 기

술 개발에 관한 계획으로, 화석 연료에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에너지원의 개발 및

육성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산업 육성에 중점을 둠.

- 문라이트 계획 (Moon light Project) (1978-1993년) : 1978년 일본 통상성 산업 에너지

절약 기술원(현재 ’독립 행정 법인 산업 기술 종합 연구원‘)에서 시작하여,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효율성 개선에 주력함.

- 신 선샤인 계획 (New Sunshine Project) (1993년 이후) : 선샤인 계획과 문라이트

계획을 통합하여,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절약, 환경 기술 개발을 통합적으로 추진

함.

- 쿨 어스 50 (Cool Earth 50) (2007년 5월) : 쿨 어스(Cool Earth) 에너지 혁신 기술

계획(21개 설정) (2008년 3월)

- 저탄소 사회 만들기 행동 계획 (2008년 7월) : 교토 의정서 이후, 온실 가스 저감을

위한 신기술 개발 전략을 통해 에너지 및 기후 변화 문제의 동시 해결을 지향함.

신재생 에너지 절약

1974년

선샤인 계획1978년

문라이트 계획1992년

1993년

신 선샤인 계획

2007년

Cool Earth 50

자료: 김혜림(2008) 수정․보완

【표 4-6】일본의 에너지 정책 변화

에너지 절약

-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민관 협력 하에 추진해 온 에너지 절약이 산업 구조 전

Page 15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44 ․․․․․․․․․․․․․․․․․․․․․․․․․․․․․․․․․․․․․․․․․․․․․․․․․․․․․․․․․․․․․․․․․․․․․․․․․․․․․․․․․․․․․․․․․․․․․․․․․․․․․․․․․․․․․․․․․․․․․․․․․․․․․․․․․․․․․․․․․․․․․․․․․․․․․․․․․․․․․․․․․․․․․․․․

환 및 신제조 기술 도입 등으로 진전됨.

- 정부 차원에서 1979년 에너지 절약법에 근거, 에너지 관리자 선임 의무화, 공장 등

에너지 절약 추진 체제 촉진 지원, 에너지 절약 기술 개발과 설비 도입 가속화 등

정부 주도의 에너지 절약 연구 개발 프로그램을 책정하여 지원․추진 및 기업에서

수행되고 있는 에너지 절약 기술 개발을 지원함.

- 에너지 수급 구조의 곤란 상황, 지구 온난화 대응의 중요성 등을 감안할 경우 추

가적인 에너지 소비 효율 개선이 필요함.

신재생 에너지

- 유가 급등, 기후 변화 등 대응의 일환으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

고 있는 바, 국가 차원에서 보급을 추진함.

- 1980년 대체 에너지법, 1997년 신에너지법 등 법 제도 정비 및 신재생 에너지 기

술 개발을 위한 선샤인 계획과 신 선샤인 계획 추진함.

- 1차 에너지 공급 중 신재생 에너지 비율이 약 6%이나, 2020년 8.2%, 2030년 11.1%

로 확대할 계획임.

나. 3R (Reduce, Reuse, Recycle) 정책

정부 부문

- 일본은 2000년 이후 자원 순환형 사회의 실현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폐기

물의 원천적인 발생 억제(Reduce), 자원의 반복적인 재사용(Reuse) 및 자원의 재생

활용(Recycle)이라는 3R 중심의 법률 기반 정비하고, 대국민 에코 운동 전개 등 녹

색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생산, 소비 등 경제 순환의 전 과정에서 자원 소비를 억제하고 환경 부담을 줄이

고자 하는 것이 3R에 의한 순환형 사회의 기본 개념임.

- 2000년 6월에 ‘순환형 사회 형성 추진 기본법’을 제정하고, 3R 정책 추진을 뒷받침

하는 관련 법률을 제․개정하여 정비함.

: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는 폐기물 처리법

: 자원 절약 및 재활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자원 유효 이용 촉진법

Page 15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45

: 개별 물품의 특성을 고려한 재생법

: 3R의 촉진을 위해 정부 기관으로 하여금 재생용품 등을 적극적으로 조달토록 하

는 법률

- 2001년 1월에 담당 부처인 환경청을 환경성으로 승격시키고 관련 업무를 통합함.

민간 부문

- 민간 부문인 기업 및 금융 기관도 3R이 원가 절감 및 기업 이미지 제고 등에 크

게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환경 산업의 성장성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정부의 관련

정책 추진에 적극 동참함.

- 기업들은 제품의 설계 시부터 페기물 억제, 재생용품의 사용 및 재활용을 고려하

는 에코 디자인 등 3R을 경영에 적극 도입함.

: 일본 상장 기업의 환경 경영 도입 비율은 2000년 말 70% 전후에서 2006년 말에는

90% 가까이로 상승하였으며, 환경 경영 국제 인증 취득건수는 2007년 1월 기준 전

세계 129,000건의 16.9%인 21,779건으로 세계 1위임.

- 정부의 적절한 정책 수립 및 민간의 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참여에 힘입어 일

본의 환경 관련 주요 지표들이 크게 개선됨.

: 폐기물의 재생활용률 꾸준히 상승함.

: 폐기물의 최종 처분량 지속 감축됨.

일반폐기물 - 1988년 약 1,700만 톤 → 2003년 약 850만 톤

산업폐기물 - 1988년 약 9,100만 톤 → 2003년 약 3,000만 톤

: 1인당 하루 쓰레기 배출량 최근 수년간 빠른 속도로 감소됨.

국제적 입장

- 일본은 축적된 환경 기술의 특허 등록 등을 통한 국제적 주도권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세계 환경 산업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잠재

력이 큰 환경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을 세움.

- 세계 환경 산업 시장은 신흥 시장국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되며 일본은 그간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비교 우위가 있다

는 평가를 받음.

Page 15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46 ․․․․․․․․․․․․․․․․․․․․․․․․․․․․․․․․․․․․․․․․․․․․․․․․․․․․․․․․․․․․․․․․․․․․․․․․․․․․․․․․․․․․․․․․․․․․․․․․․․․․․․․․․․․․․․․․․․․․․․․․․․․․․․․․․․․․․․․․․․․․․․․․․․․․․․․․․․․․․․․․․․․․․․․․

- 일본 정부는 3R 정책의 추진 사례를 국제 표준으로 삼아 세계의 환경 산업 시장

을 선도한다는 전략을 세움.

: 일본 정부는 2004년 5월 G8 정상 회담에서 3R 이니셔티브를 제의함.

: 2005년 4월 G8 + 12개국 장관회의에서 이를 공식 채택함.

: G8뿐 아니라 유엔 환경 계획(UNEP)이나 OECD 등 국제 기구와의 제휴, 연대를

통해 일본 환경 기술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 중.

- 국제 협약 준수와 일본의 환경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국가 전략을 수립하여,

일본의 기업들은 환경 관련 기술의 특허 등록 등 국제적인 주도권 확보 노력을 강

화하고 있음.

: 일본의 철강, 조선, 산업용 기계 제조업 등은 그동안 축적한 그린 에너지, 바이오

발전, 유해 물질 분해와 같은 에너지 절약이나 환경오염 방지 기술을 환경 분야로

전환하여 새로운 수익 창출원으로 삼는다는 전략을 세움.

Page 16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47

환경 기본법 (1994년 8월)

순환형 사회 형성 추진 기본법 (2000년 6월)

< 폐기물의 적정 처리 > 3R < 재생 이용의 추진 >

Reduce

폐기물 처리법 Recycle 자원 유효 이용 촉진법

(2003년 12월 개정) Reuse (2001년 4월 개정)

1) 폐기물의 발생 억제

2) 폐기물의 적정처리 (재생이용)

3) 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 규제

4) 폐기물 처리업자에 대한 규제

5) 폐기물 처리 기준의 설정 등

1) 재생 자원의 재생 이용

2) 재생이용 편리구조 재질 연구

3) 분별 회수를 위한 표시

4) 부산물의 유효 이용 촉진

개별 물품의 특성에 따른 재생법

포장용기재생법

(2000년 4월)

가전 재생법

(2001년 4월)

식품 재생법

(2001년 5월)

건설 재생법

(2002년 5월)

자동차 재생법

(2005년 1월)

행정구역별

포장용기

분리수거

의무화

소매점이

소비자로부터

폐가전제품

등을 회수

제조․가공․판

매업자가 식품

폐기물 등

재생 이용

공사 수주자가

건축물 분리

해체, 건설

폐자재 등

재활용

관계업자가

자동차 인수,

해체, 파쇄 등

녹색 구입법 (2001년 4월)

국가가 솔선하여 재생품 등의 조달을 추진

출처: 김진홍(2008)

【그림 4-12】 일본의 3R 정책 관련 법률 체계

Page 16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48 ․․․․․․․․․․․․․․․․․․․․․․․․․․․․․․․․․․․․․․․․․․․․․․․․․․․․․․․․․․․․․․․․․․․․․․․․․․․․․․․․․․․․․․․․․․․․․․․․․․․․․․․․․․․․․․․․․․․․․․․․․․․․․․․․․․․․․․․․․․․․․․․․․․․․․․․․․․․․․․․․․․․․․․․․

(2) 녹색 산업 (Green Technology : GT)

아베 전 총리는 2007년 5월 일본의 지구 온난화 대책인 ’쿨 어스(Cool Earth) 50'을

발표, 세계 전체의 온실 가스 배출량을 현재 대비 2050년까지 50% 삭감한다는 장기

목표를 제안함.

일본 정부, 경제산업성은 저탄소 사회 구축을 위해 2008년 3월 에너지 혁신기술 개발

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골자로 하는 ’Cool Earth 에너지 혁신기술 계획‘을 발표함.

- 에너지 기술 분야에 연구 개발 지원을 집중하여 기술 개발을 가속화함으로써 일본

국내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함.

- 에너지 혁신 기술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한 국제적 협력 체제 구축 계획을 세우고

추진하여 국제 사회에 공헌하고자 함 : 국제 에너지 기구(IEA), 여타국 등과 연계,

기술 개발 로드맵 공유

- 환경․에너지 분야의 중점 개발이 필요한 21개 탄소저감기술을 선정함 : 에너지

공급부터 수요 측면까지의 흐름을 고려해 에너지 고효율화 및 이산화탄소 감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선정함.

: 요건 ① 이산화탄소 삭감에 기여

② 비약적 성능 향상, 저비용 및 보급 확대 기대

③ 세계에서 일본의 리드가 가능한 기술

- 기술 개발을 위한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 : 각 기술별로 연제까지 어느 정도의

기술을 확보한다는 개발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공유하여 국가적 연구역량을 집중.

분야 핵심 기술

발전․송전

고효율 천연 가스 발전, 고효율 석탄 발전,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Carbon Capture and Storage : CCS), 태양광 발전, 원자력 발전, 초전도

고효율 송전

교통고속도로 교통 시스템, 연료 전지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바이오 연료 제조

산업 혁신적 재료․제조․가공 기술, 혁신적 제철 공정

민생

에너지 절약형 주택․건축물, 차세대 고효율 조명, 고정형 연료 전지, 초고

효율 열 펌프, 에너지 절약형 정보 기기․시스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

스템

기타 고성능 전력 저장, 파워 일렉트로닉스, 수소 제조․수송․저장

출처: 정성춘(2008)

【표 4-7】21개의 에너지 핵심 기술

Page 16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49

Cool Earth 에너지 혁신 기술 계획은 첨단 혁신 기술 개발과 보급을 통해 국제 사회

의 온실 가스 배출 저감 노력에 기여하면서 국제 에너지 기술 시장을 선도하여 향후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명분과 실리를 모두 추구하는 것으로 평가됨.

일본은 모든 국가가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하여 온실 가스 저감을 할 수 있는 다양

한 접근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입장임.

- 국제 파트너십 통해 개도국으로 첨단 환경 및 에너지 기술의 확산

- 지속적인 사회 시스템 개혁을 위한 정책 옵션에 대한 연구를 강화

에너지 혁신 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전세계적 온실 가스 삭감의 장기 목표(2050

년까지 50% 삭감) 달성에 약 60% 정도 기여할 것이라 예상됨.

기술 개발 진전 상황에 따라 적절한 민관간 역할 분담, 연구 개발 성과의 보급 및 시

장 도입, 기술 개발 로드맵의 정기적 개정 등이 필요하며, 부처간 제휴 강화, 산학연

거점 정비, 연구 개발 투자 감세 등을 통해 연구 개발 투자 가속화할 수 있음.

일본은 저탄소 기술의 전략적 R&D를 위하여 2008년 5월 ‘저탄소 기술 계획(Low

Carbon Technology Plan)'을 수립함.

- 온실 가스 저감을 위한 36개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향후 5년간 환경 및 에너지 기

술에 약 3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일본은 기존 기술과 혁신 기술 간, 기술의 개발과 확산 간의 균형 및 전략적 포트폴

리오를 정립하고자 함.

- 단중기적(2030년 이전) : 기존 기술의 향상과 사회적 확산에 우선 순위

- 중장기적 : 혁신 기술 개발에 우선 순위

(3) 녹색 사회

일본 정부는 ‘저탄소 사회 구축’이라는 글로벌 과제를 일본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

으로 활용하려고 시도하며,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저탄소 사회에 대한

일본의 비전을 제시해 옴.

-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고령화 등으로 일본 경제가 향후 회복세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방

안의 하나로 ‘저탄소 사회 전략’을 추진함.

Page 16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50 ․․․․․․․․․․․․․․․․․․․․․․․․․․․․․․․․․․․․․․․․․․․․․․․․․․․․․․․․․․․․․․․․․․․․․․․․․․․․․․․․․․․․․․․․․․․․․․․․․․․․․․․․․․․․․․․․․․․․․․․․․․․․․․․․․․․․․․․․․․․․․․․․․․․․․․․․․․․․․․․․․․․․․․․․

일본의 저탄소 사회에 대한 비전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은 2008년 6월 9일 후쿠다

총리가 발표한 ‘후쿠다 비전(Fukuda Vision)’임.

- 지구 온난화 현상의 주된 요인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50년까지 현재 대비 약

60~80% 삭감한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국제 사회에 약속함.

- 온실 가스 감축과 더불어 기후 변화 적응 대책에 관한 중․장기 기술 개발 추진

전략 및 사회․경제적 시책을 중점적으로 강조함.

국내적으로는 사회 경제 시스템 개혁을 위해 일본 내각 회의에서 후쿠다 비전과 지

구 온난화 문제 간담회 논의를 바탕으로 2008년 7월 29일 ‘저탄소 사회 만들기 행동

계획’을 수립함.

- 행동 계획에서 배출권 거래 제도 도입 추진 등 단기적으로 추진할 구체적 목표를

설정함.

국제적으로는 개도국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기후 변화 협상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

- 개도국에서의 저탄소형 기술 및 제품 수요 확대에 대비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음.

일본은 이산화탄소를 1990년에 비해 70% 삭감하는 기술 정책을 제시.

- 저탄소 사회 목표 공유, 종합 시책․장기 계획의 확립, 산업 구조 전환이나 사회

자본 정비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녹색 사회 인프라를 강화하고, 내수를 확대함.

- 첨단 신에너지 절약 기기 도입 등을 통해 공공 시설의 온실 가스 배출 0(zero

emission)을 추진함.

- 세제 우대 확대, 기간 한정 보조금 증액 등을 통해 오피스․주택의 온실 가스 배

출 0(zero emission)을 촉진함.

일본은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환경 모델 도시 같은 시범 프로젝트 수행을 통하여

저탄소 기술 R&D 성과를 검토함.

- 동시에 신재생 가능 에너지 활용과 비이용 에너지원의 효율적 이용을 사회경제적

시스템에 통합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성과를 보일 수 있음.

2050년 일본 사회 저탄소 사회로의 시나리오

- 활력․성장 지향 유형 시나리오: 도시형 생활, 개인을 중시하고, 집중화로 보다 편

리하고 쾌적한 사회

Page 16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51

- 여유․만족 지향 유형의 시나리오: : 분산형 생활, 커뮤니티 및 사회․문화적 가치

를 존중하는 사회

- 구체적으로 12가지 방책을 제안하고 각 방책별로 이산화탄소 삭감 효과를 정량적

으로 제시하고 있음.

분야 12가지 방책의 명칭

민생쾌적함을 놓치지 않는 주거와 오피스

롭러너기기를 렌탈하는 생활

산업

안심할 수 있고 맛있는 생산․소비형 농업

삼림과 공생할 수 있는 생활

사람과 지구에 책임을 지는 산업/비즈니스

운송매끄럽고 낭비가 없는 로지스틱스

걸어서 생활할 수 있는 마을 만들기

에너지 전환

카본 미니엄 계통 전력

태양과 바람의 지산지소

차세대 에너지 공급

행동 강령가시화에 따른 현명한 선택

저탄소 사회를 짊어질 손 만들기

출처: 김성완 외(2009)

【표 4-8】2050 일본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12가지 방책

일본은 시민들의 저탄소 사회 개혁의 의식 제고와 라이프 스타일 변화를 위해 에너

지 소비 효율의 정립에도 힘을 쏟고 있음.

- 가정에서의 에너지 소비 또는 온실 가스 배출 평가 방식의 확립

- 에너지 소비 효율 가시화 등 환경 성과 라벨링 및 인증 시스템 확립

국토․도시 정책을 관할하고 있는 국토 교통성은 내각의 행동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

해 2008년 7월 ‘환경 행동 계획 2008’을 수립함.

-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를 다섯 가지로 정리, 이 가운데 저탄소형 도

시․지역 만들기를 추진하기 위해 ‘온난화에 대응한 사회의 골격 만들기’라는 전략

을 제시함 : ‘집약형 도시 구조의 실현’, ‘지구․가구 단위의 포괄적인 도시 환경

대책 마련’, ‘200년 주택 보급 촉진’ 등 세 가지 시책을 제시함.

Page 16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52 ․․․․․․․․․․․․․․․․․․․․․․․․․․․․․․․․․․․․․․․․․․․․․․․․․․․․․․․․․․․․․․․․․․․․․․․․․․․․․․․․․․․․․․․․․․․․․․․․․․․․․․․․․․․․․․․․․․․․․․․․․․․․․․․․․․․․․․․․․․․․․․․․․․․․․․․․․․․․․․․․․․․․․․․․

3) 녹색 성장 추진 체계

(1) 녹색 성장 관련 법

지구 온난화 대책의 추진에 관한 법률

- 1997년 교토 의정서 채택에 따라 1998년 10월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에 관한 법률

제정․공포, 1999년 2월 시행함. 이후, 3차례 개정함. (2002년 5월, 2005년 3월,

2008년 3월)

- 동 법에 따라 2006년부터 특정 사업자에게 온실 가스 배출량 산정․보고 의무를

부여하고 국가가 집계․공표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년도 법률 개요

1990 지구온난화방지 행동 계획 지구온난화 관련 국제교섭에서의 기본방침 설정

1998 지구온난화대책추진법 제정중앙 정부, 지방자치단체, 사업자, 국민 등 각

주체의 노력 의무 규정

2002 지구온난화대책추진대강 제정 교토 의정서 목표 달성 계획 책정

2005 지구온난화대책추진법 개정 온실 효과 가스의 산정․보고․공표 제도 창설

2008 지구온난화대책추진법 개정 온실 효과 가스의 산정․보고․공표 제도 변경

2008 후쿠다 비전

장기: 2050년까지 세계 배출량 절반으로 감축

→ 일본은 현재 대비 60~80% 삭감

중기: 세계배출량 향후 10~20년 정점으로 감축

→ 일본은 2020년까지 14% 삭감

자료: 이수철(2008) 수정․보완

【표 4-9】일본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법

지구 온난화 대책의 대응 방안으로서 중앙 정부, 지자체, 사업자 및 국민들의 의무

내용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동 법을 통해 국가, 지자체의 지구 온난화 대책

실행 계획의 수립과 사업자의 온실 가스 배출 보고 제도 등 각 주체의 대응 방안을

촉진하기 위한 법적 틀을 정비함.

Page 16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53

지구 온난화 대책에 관한 구체적인 대응을 위해, 1998년 6월에 ‘지구 온난화 대책 추

진 대강’을 책정하여, 2002년 3월에 새 대강을 개정하고, 그 후 2005년 2월 교토 의

정서 발효에 따라 2005년 4월에 교토 의정서 목표 달성 계획이 정해짐.

동 법에는 교토 의정서에 정해진 1990년도 대비 6% 삭감의 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방침의 수립과 온실 가스 배출 삭감 및 흡수 등에 관한 구체적인 대책, 특히 지방

공공 단체에 기대되는 사항도 기술되어 있음.

(2) 녹색 성장 관련 제도 및 현황

녹색 성장 투자 규모

- 일본 정부는 2009년 4월 27일 발표한 2.9조엔 규모의 2009년 추가 경정 예산안 중 저

탄소 사회 실현 사업 등에 8,650억엔을 책정하였음.

구분 내용 예산(억엔)

신규 사업차세대 전력망과 전기 자동차 인프라 정비 205

원자력 소재 및 부품 제조 연구 개발 42

기존 사업

주택용 태양광 발전 보조금 270

고효율 급탕기 보조금 36

신재생 에너지 도입 보조금 200

태양광 발전 및 축전지 등 연구 개발 310

연료 전지 보조금 42

연구 개발

혁신적인 태양광 발전 등 국제 공동 연구 20

차세대 풍력 발전 기술 개발 16

에너지 혁신 기술 계획에 의거한 기술 개발 분야 127

에너지 공급자국 기업의 해외 지분 획득에 대한 지원 260

새로운 해양 자원 탐사선 건조 295

기타

친환경 자동차 보급 3,702

에너지 절약형 가전 제품 구입 시 판매 가격 5% 상

당액을 에코 포인트로 받는 보조2,946

자료: 日전기신문(2009.04.28) 수정․보완

【표 4-10】2009년 녹색 성장 사업 책정 추가 경정 예산

Page 16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54 ․․․․․․․․․․․․․․․․․․․․․․․․․․․․․․․․․․․․․․․․․․․․․․․․․․․․․․․․․․․․․․․․․․․․․․․․․․․․․․․․․․․․․․․․․․․․․․․․․․․․․․․․․․․․․․․․․․․․․․․․․․․․․․․․․․․․․․․․․․․․․․․․․․․․․․․․․․․․․․․․․․․․․․․․

발표 주요 국가 법률 및 정책

1972년 세계 기후 회의

1974년 선샤인 계획

1978년 문라이트 계획

1979년 에너지 절약법 제정

1980년 대체 에너지법 제정

1990년 지구 온난화 방지 행동 계획

1992년 리우 환경 회의

1993년 신 선샤인 계획

1994년 8월 환경 기본법 제정

1997년 4월

12월

신에너지법 제정

교토 의정서 채택

1998년 10월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에 관한 법률 제정

2000년 4월

6월

포장 용기 재생법 제정

순환형 사회 형성 추진 기본법

2001년 4월

5월

자원 유효 이용 촉진법 개정

가전 재생법 제정

녹색 구입법 제정

식품 재생법 제정

2002년 3월

5월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 대강 제정

건설 재생법 제정

2003년 12월 폐기물 처리법 개정

2005년 1월

3월

4월

자동차 재생법 제정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에 관한 법률 개정

일본 자주 참가형 배출권 거래제 실시

2007년 5월

11월

12월

Cool Earth 50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차세대 자동차용 연료 개발을 위한 전략

UN 밀레니엄 생태계 평가와 교토 협약 대응을 위한 생물 다양성 전략

발리 로드맵

2008년 3월

4월

5월

6월

7월

지구 온난화 대책 추진에 관한 법률 개정

Cool Earth 에너지 혁신 기술 계획

Cool Earth 관련 신에너지의 국제 연대 등과 관련한 기술 전략

지구 환경 보존과 에너지 안정 공급을 위한 에너지 전략

바이오 연료 등 환경 기술 개발을 위한 혁신 계획

에너지 절약 기술의 연구 개발 전략

저탄소 기술 계획

후쿠다 비전

저탄소 사회 만들기 행동 계획

환경 행동 계획 2008

【표 4-11】일본의 녹색 성장 관련 주요 국가 정책

Page 16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55

총리

총리실 (내각실)

원자력

정책

과학기술정책

담당 장관 종합 과학 기술 회의

Ÿ 과학 기술에 관한 종

합 전략 (과학 기술 기

본 계획) 책정

Ÿ 예산․인력 등 자원배

분, 평가

경제재정

자문위

부장관

정책 총괄관(정책 담당) 일본학술회의

과학기술․학술

정책국

연구진흥국

연구개발국

문부과학생 경제산업성 산업기술환경국

산업기술정책

기술평가․조사

대학연계사업

기술진흥․연구

개발

총무성(IT정책) 국토교통성

후생노동성 환경성

산하 기관 농림수산성 산하 기관

독립행정법인 독립행정법인

과학기술 진흥기구 (JST)

Ÿ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NECD)․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연구소과학기술창조입

국 실현

인재․과학․지

식산업 창출의

연결고리

연구소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Ÿ 고에너지 가속 연구기구

Ÿ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등

산업 기술 종합 연구소 (AIST)

Ÿ 연구 개발 실시

Ÿ 일본 최대 연구 개발 집단

기초 및 빅사이언스 연구 산업 기술 연구

출처: 성지은(2008)

【그림 4-13】일본의 과학 기술 행정 체제

Page 16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56 ․․․․․․․․․․․․․․․․․․․․․․․․․․․․․․․․․․․․․․․․․․․․․․․․․․․․․․․․․․․․․․․․․․․․․․․․․․․․․․․․․․․․․․․․․․․․․․․․․․․․․․․․․․․․․․․․․․․․․․․․․․․․․․․․․․․․․․․․․․․․․․․․․․․․․․․․․․․․․․․․․․․․․․․․

4) 일본 지방 자치 단체의 녹색 성장 정책 사례

각 광역 자치 단체 및 기초 자치 단체는 ‘지구 온난화 지역 대책 추진 계획’을 수립

하고 실천해야 하며, 이를 위해 법에 근거하여 재단 법인 일본 환경 협회가 환경부

장관에게 ‘전국 지구 온난화 방지 활동 추진 센터(Japan Center for Climate Change

Actions : JCCCA)'의 지정을 받음.

- 지구 온난화 대책에 관한 보급 및 개발 등 지구 온난화 방지에 기여하는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임.

일본 정부는 개별 기술 요소 향상에 의한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의 한계를 깨닫고 최근에는 개별 요소를 공간에서 함께 연결시키는 저탄소 도시

만들기 정책과 주민 참여와 연계한 저탄소 사회 구현을 위한 실천에 힘을 쏟고 있

음.

Post-2012 체제의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하여 업무 및 주거 부문의 감축 대책에 역점

을 둠.

업무 및 주거의 삭감 대책으로는 우선 건물과 설비 기기의 에너지 절약의 강화가 중

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미래 도시 만들기에서는 환경과 에너지

정책을 중점으로 한 도시 계획 수립을 통한 ’저탄소 마을 만들기‘를 전국적으로 확대

시키기로 함.

대도시의 정책으로는 ’도시 계획 긴급 정비 지역‘을 중심으로 미활용 에너지나 신재

생 가능 에너지의 공간적 활용에 필요가 되는 관로 등을 지역 공통의 지구 온난화

대책 기반 시설로 정비함.

’Low-Carbon Pilot' 사업을 추진한 도쿄도의 가스미가세키, 오테초, 시나가와, 게이힌

임해 등이 있으며, 지하철 및 전철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구를 고령자 사회의 생활

거점으로서 거주 기능 등의 집적을 도모하여 ‘저탄소 마을 만들기’를 실시하고 있음.

지방 도시의 중심 시가지에서는 전략적인 구획 정리 수법을 활용한 도시의 한 블록

을 재편 또는 재구축하여 복지․생활 서비스와 마을의 주택들을 연계시킨 ‘저탄소

마을 만들기’를 실천하고 있음.

지역 바이오매스 자원을 활용한 펠렛 보일러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지역 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의한 저탄소화, 지역 바이오매스 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지방 도시에

서 압축 마을(Compact Town)화를 동시에 실현하여, EU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과 같

이 전국 운동으로 확산하여 제로-카본의 실현 성과에 따라 지자체에 표창하고 인센

Page 17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57

티브를 주고 있음.

정책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 실행하고 있는 제도: Low Carbon․Zero

Carbon 만들기 전국 운동, 미활용 에너지 및 신재생 에너지의 도시 공간적 확대를

위한 공동 기반 시설 정비의 무이자 지원 등.

대도시 업무 부문의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서 공통 오프셋 수법 및 오프셋의 평가 및

등록 체제 구축 등을 통한 CDM 사업 구축, 시범 지자체를 공무하고 네트워크화를

통한 확대를 위해 원칙적으로 상향식으로 지자체․민간․시민 단체에 의한 파트너십

조직으로 기획 및 실행하고 있음.

기후 변화 방지 도시(Cities for Climate Protection : CCP) 캠페인(2006년)

- 일본 자치 단체 국제 환경 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 : ICLEI)에서 시행함.

CCP를 위한 일본 ICLEI의 지원 정책 (3가지 주요 사업)

- 카본 스위치 캠페인 : 시민과 기업이 협력해서 이산화탄소 배출 제로를 목표로 하

는 ‘지구 온난화 방지’ 운동으로 에너지 절약, 태양광 등의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

촉진, 녹지를 늘리는 식수․녹화 사업 지원 등으로 지구 온난화를 야기하는 ‘이산

화탄소 배출 제로’를 통한 깨끗한 사회를 목표로 함.

- 지구 온난화 방지 사례․성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 2005년도부터 지자체에 의한

지구 온난화 방지 대응 성과를 정리하여 향후 벤치마킹을 위한 우수 사례를 데이

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음.

- 지자체를 위한 청정 개발 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 CDM) 조사 연구

: 도시 생활환경 개선이나 지역 환경 관리 분야의 CDM에 지자체가 효과적으로

참가함으로써 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공헌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삭감 사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함. 일본 ICLEI는 2006년부터 지구 온난화 분야에서의 자치 단

체 간 협력 수단으로서 CDM의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외부 연구 기관과 함께 조

사 연구를 진척시키고 있음.

지자체의 솔선 사례 : 사무실 분야(실행 계획에 근거하는 활동으로 에코 오피스 운동

등), 사업 분야, 주민 서비스 분야 등

주민과 연관되어 실천된 사례 : 에너지 전환 부문, 업무․산업 부문, 가정 부문, 운

수․교통 부문, 폐기물 대책, 환경 학습 등 기타 부문과 이런 부문에 포함되지 않은

Page 17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58 ․․․․․․․․․․․․․․․․․․․․․․․․․․․․․․․․․․․․․․․․․․․․․․․․․․․․․․․․․․․․․․․․․․․․․․․․․․․․․․․․․․․․․․․․․․․․․․․․․․․․․․․․․․․․․․․․․․․․․․․․․․․․․․․․․․․․․․․․․․․․․․․․․․․․․․․․․․․․․․․․․․․․․․․․

독창적인 대응 사례, 이 중 가정 부문에서 2006년 교토시 포함 13개의 지방 자치 단

체는 모두 태양광 발전 도입을 통해 7979t-CO2 감축의 성과를 달성함.

5)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한․일간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 에너지 분야를 비롯하여 에너지 혁신 기술 분야에

서의 협력 가능성 검토 필요함.

- 일본은 우리와 에너지 수급 구조가 유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기술을 보

유하고 있음.

- 한․일간 양국이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개발이 가능한 분야 또는 상호 경쟁적인

측면이 있는 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보완적인 기술 분야 발굴하고 이를 통한 상호

이익(win-win) 실현을 위해 일본과의 협력 가능성을 검토해야 함

: 양국간 정부․민간 레벨의 대화 채널 강화, 에너지 기술 공동 연구 개발, 관련 비

즈니스 활성화, 에너지 포럼 개최 등

: 더불어 우리도 연구 개발을 촉진하는 지속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정부 차원의 체계적 에너지 정책 수립과 제도적 지원 실시

- 일본 정부는 1974-2002년간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 에너지 분야 기술 개발 및 보

급 촉진에 총 1.3조엔 이상을 지원하였으며, 국제 경쟁력 확보에 기여했음.

- 선두 주자로서 일본의 에너지 정책 모범 또는 부진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의 정책

수립 및 집행에 있어 시행 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음.

에너지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민관간 긴밀한 협력 실시

- 국민 생활과 경제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 정책 추진에 있어 민관이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높은 산업 구조 구축, 에너지 절약면에서 우

수한 제품 개발 및 보급 등의 성과를 낼 수 있음.

환경․자원 제약이 현실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저탄소 사회’ 구

축을 위해 시급히 노력해야 함.

- 첫째, 저탄소 사회에 대한 국가 비전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국가의

정책 방향을 근본적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함.

Page 17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59

- 둘째, 저탄소 사회 구축을 위해 필요한 주요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중장기적

인 전략을 마련하고 국가의 연구 개발 역량을 중점적으로 배분해야 함.

- 셋째, 개발 도상국과의 환경․에너지 협력을 강화해야 함.

우리 실정에 맞는 저탄소형 도시․지역 정책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일본 마을의 사례

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일본의 저탄소 사회 관련 정책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

Page 17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60 ․․․․․․․․․․․․․․․․․․․․․․․․․․․․․․․․․․․․․․․․․․․․․․․․․․․․․․․․․․․․․․․․․․․․․․․․․․․․․․․․․․․․․․․․․․․․․․․․․․․․․․․․․․․․․․․․․․․․․․․․․․․․․․․․․․․․․․․․․․․․․․․․․․․․․․․․․․․․․․․․․․․․․․․․

구분 미국 영국 일본 한국

공통점

적극적기후변화정책

첨단에너지계획(2006), 그린뉴딜정책

그린혁명계획(2008. 6)

후쿠다비전(2007년부터)

녹색성장국가전략 및 녹색성장5개년계획(2009.7)

지구온난화감축시장정책

지구온난화 오염감축 프로그램 실시

기후변화법내 정책 (국제배출권, 기업의 온실가스배출보고 등)

자주 참가형 배출권 거래제 시범 사업 (2005.4)

배출권 거래 시범 사업 (2011)

신재생 에너지

개발 산업 육성

10%연방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 ( R P S ) : 2012까지

-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발전차액지원제도

중앙정부차원의 체계적 에너지 정책수립과 제도적 지원

중앙정부주도의 녹색성장의 신재생에너지관련 정책

차이점

기본법률

- 경제회복 및 투자촉진법 - 청정에너지 및 보호법

기후변화법, 에너지법, 계획법

지구온난화대책추진법 녹색성장기본법

온실가스 감축목표

2050년까지 80% 감축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6% 감축, 실정법에 규정

2020년까지 14% 감축2 0 5 0 년 까 지 60~80% 감축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4% 감축, 실정법에 규정하지 않음

주무부처 환경청(EPA) 에너지기후변화부(DECC)

- 없음

정책조정

기후변화과학기술통합위원회(CCCSTI), 국가에너지위원회

기후변화위원회(의회 소속)

지구온난화대책추진위원회

녹색성장위원회(대통령 소속)

핵심유관부처 환경청(EPA)

에너지기후변화부(DECC)환경식품농촌부(Defra)기업혁신기술부(BIS)

환경성경제산업성

환경부 지식경제부

4 선진국 사례와 한국 비교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앞서 분석한 미국, 영국, 일본을 한국과 비교 정리하여 보면, 다음<표4-12>와 같음.

【표 4-12】선진국 사례와 한국 비교

Page 17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 ․․․․․․․․․․․․․․․․․․․․․․․․․․․․․․ 161

미국 영국 일본

성공 요인

•중앙정부의 정책을 지방정부가 실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정부간 협력체계를 갖추고 있음 •클린에너지 정책의 4대 영역, 16개 전략을 구축하여 나아갈 방향 제시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

•1990년과 2006년 사이에 교토의정서 제1차 공약기간(2008-2012년)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12.5%를 상회하는 15%의 온실가스 감축•기후변화 문제를 공간계획과 연계(계획법 제정)•기후변화 문제에 있어 가장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국가이미지 구축

•하천 복원 사업 등 친환경적 환경 개발•저탄소 녹색 도시 시범 사업을 비롯하여 저탄소 사회 실현 전략 (국토교통성, 저탄소 사회 만들기 행동 계획 2008)

부진한 점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 불분명

•에너지기후변화부(DECC)의 역할정체성 모호 : 여러 가지 기후변화정책 관련 기능이 다른 부처(Defra, BIS)에 의해 수행되며, 업무이관 지체

•후쿠다 비전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온난화 대책을 위해 태양 전지 사용 제고를 위한 정책을 내 놓았으나 일본의 주택용 태양 전지 수요는 유럽과 반대로 대폭 감소함•교토 의정서에 정해진 2005년 이신화탄소 1990년도 대비 6% 감축 목표 달성 계획을 이루지 못함

정책적 시사점

•중앙정부의 에너지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정책 추진 •중앙정부는 지방정부가 실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중앙과 지방정부간 협력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너지정책과 도시개발사업과 연계 추진 •캘리포니아와 같은 주정부의 적극적인 선도 프로젝트 수행

•녹색성장 관련 전담부처 설치 시 참조할 수 있는 모델(DECC) 제시•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실정법에 명시함으로써 강력한 의지를 표현•녹색성장정책 수행에 있어 공간계획과의 연계성 강화•지방자치단체 성과평가를 통한 녹색성장 촉진의 원동력 마련

•재정 지원 및 직접 규제의 균형 조율 : 에너지 혁신 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 및 규제의 균형 필요•친환경 산업 및 농업 개발 정책에서의 벤치마킹: 저탄소 사회 구축을 위한 국가 비전 및 정책 방향 설정 필요

또한 미국, 영국, 일본의 운영에서의 성공적 요인과 부진한 점을 구분하여 정책적 시

사점을 살펴보면 다음 <표4-13>과 같음.

【표 4-13】선진국 사례의 운영측면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Page 17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4장 녹색성장 선진국 사례분석

162 ․․․․․․․․․․․․․․․․․․․․․․․․․․․․․․․․․․․․․․․․․․․․․․․․․․․․․․․․․․․․․․․․․․․․․․․․․․․․․․․․․․․․․․․․․․․․․․․․․․․․․․․․․․․․․․․․․․․․․․․․․․․․․․․․․․․․․․․․․․․․․․․․․․․․․․․․․․․․․․․․․․․․․․․․

Page 17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5 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Page 17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17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65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ⅤⅤⅤ

1 연구의 개요

연구목적과 의의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성공적인 녹색성장정책 추진동력을 찾는데 있음. 따라서

환경부의 녹색성장 실천계획의 6가지 대분류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의 녹색성장

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 및

미진한 사업 등을 파악함.

지방자치단체가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단체장의 의지는 중요한 요소임. 지

방자치단체장의 녹색성장과 관련한 노력정도를 분야별로 조사하여 녹색성장의 집행

수준에 미친 영향과의 관계를 검토할 것임.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적인 녹

색성장정책 집행에 대한 적절한 유인체계를 설계하고자 함.

정책을 집행함에 있어 일선관료의 역할은 점차 증가하고 있음. 특히 일선관료가 특정

정책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임. 즉, 녹색성장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지방자치단체 담당공무

원이 녹색성장에 대한 기대효과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도 정책집행에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음

본 연구는 현재 녹색성장정책이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현

주소를 파악하고, 성공적인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녹색성장추

진의 선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8년 8월 15일부터 2009년 8월 15일까지 1년 동안 녹색성장정책의 성과

와 현황에 대해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설문조사의 대상은 16개

시․도와 230개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임.

Page 17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66 ․․․․․․․․․․․․․․․․․․․․․․․․․․․․․․․․․․․․․․․․․․․․․․․․․․․․․․․․․․․․․․․․․․․․․․․․․․․․․․․․․․․․․․․․․․․․․․․․․․․․․․․․․․․․․․․․․․․․․․․․․․․․․․․․․․․․․․․․․․․․․․․․․․․․․․․․․․․․․․․․․․․․․․․․

설문조사 대상자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246개 시․도 및 시․군․구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담당공무원의 이메일 주소를 조사함. 녹색성장관련 부서가 구

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담당자 주소를 선정하였으나, 녹색성장 관련 부서가 없는 경

우에는 기존의 환경정책 담당자를 검색하였음

설문조사방법은 웹기반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8월 28일부터 10월 30일 현

재까지 92개 지방자치단체가 설문에 응답함.

2 연구분석틀 및 가설

하향적 접근방법은 정부정책에 대한 결정(policy-decision)으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음. 특히 이러한 방식이 적절한 상황은 관련 법률이 존재하며 비교적 구조화된 틀

을 갖춘 경우임(유훈, 2007).

녹색성장정책은 2008년 11월에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체계 수립을 지시하였고, 2008년

12월 녹색성장위원회 설립준비팀을 구성, 2009년 2월 녹색성장위원회가 공식출범하

였으며,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정부안을 확정하였음(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greengrowth.go.kr).

- 즉, 녹색성장정책은 대통령의 국가비전 제시이후 이를 추진하기 위한 대통력직속의

조직을 신설하고 이를 지자체로 확산하고자 하는 사례로 하향식 모형을 분석틀로 활

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음.

지난 1년 동안 정책이 기획되고, 지방자치단체수준에서 집행되는 과정에서 지방자치

단체 관료의 영향이 증대하고 있음. 따라서 일방적인 하향식 접근법이나 상향식 접

근법이 아니라 녹색성장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

요함.

1) 지자체장의 노력과 성향

환경행정 권한의 지방이양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엇갈리고 있

음. 특히 환경행정 권한의 지방이양이 지방자치단체의 환경보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입장에서는 환경보전 의지와 능력에 따라 분권화가 진행되어야 한다

고 주장함.

Page 18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67

Lester(1994)는 미국에서 1972년 ‘주정부와 지방정부 재정지원법(State and Local

Fiscal Assistance Act)을 제정한 이후 1992년까지 50개 주에서의 대응방식이 다름을

보여주고 있음(김창수, 2000 재인용). 즉, 환경보전 의지와 제도적 개혁능력 및 집행

능력의 정도에 따라 지자체의 대응이 다름. 한국적 맥락에서 이러한 환경보전에 대

한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요인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을 검토

하는 것이 필요함.

환경보전의지

(Commitment to Environmental Protection)

높음(High) 낮음(Low)

제도적 개혁능력

(Institutional

Capabilities)

강함(Strong) 진보자(Progressives) 지연자(Delayers)

약함(Weak) 투쟁자(Strugglers) 퇴보자(Regressives)

출처: 김창수, 2000

【표 5-1】미국 주정부의 환경정책 대응방식

1996년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은 정부의 개혁에 중요한

요소임(이종수, 2004; 이재성, 2007). 특히 정책집행의 영향요인 중에서 책임자와 정책

담당자의 사업에 대한 집행의지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고 있음(정성수, 2008).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정책을 평가함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음.

녹색성장에 대한 다의적 개념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녹색성장과 가장 유사한 개

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의 구성요소인 경제, 환경, 사회부문으로 지자체

장의 노력정도를 측정하고자 함. 이와 더불어 녹색성장에서 강조되고 있는 기술개발,

녹색산업육성 등의 요인을 포함시켜 단체장의 노력정도를 측정하고자 함.

2) 정책집행 담당자의 정책에 대한 기대

집행 담당기관의 내부구조나 규정이 정책목표 달성에 용이하도록 제정되어 있다 하

더라도 공무원들이 정책목표에 적극 찬성하고 능동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집행

에서 좋은 성과를 얻기는 힘듦. 따라서 정책목표에 호의적인 기관이나 공무원에게

Page 18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68 ․․․․․․․․․․․․․․․․․․․․․․․․․․․․․․․․․․․․․․․․․․․․․․․․․․․․․․․․․․․․․․․․․․․․․․․․․․․․․․․․․․․․․․․․․․․․․․․․․․․․․․․․․․․․․․․․․․․․․․․․․․․․․․․․․․․․․․․․․․․․․․․․․․․․․․․․․․․․․․․․․․․․․․․․

집행을 맡길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정책 성공을 가져올 수 있음(유훈, 2007)

Mazmanian & Sabatier(1983)도 특정한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정책지향(policy

orientation)을 지니고 있으며, 새로운 사업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할 용의가 있는

기관에 집행을 맡길 것을 권하고 있음.

따라서 녹색성장정책을 실질적으로 집행하는 녹색성장 담당공무원에게 녹색성장에

대한 기대효과를 물어보는 것은 정책집행의 성공여부를 판별하는데 있어 필요한 요

소라고 할 수 있음.

3) 조직환경 변수

녹색성장을 추진할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은 중요한 변수임. 이는 자원의 활용

차원으로 볼 수 있는데, 전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은 물론 녹색성장 예산을 통해

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도 녹색성장을 집행하

는데 있어 통제되어야 할 요소임.

전통적인 조직이론에서 제시되었던 부서 간 차이 같은 변수 외에도 조직갈등의 변수

가 고려되어야 함을 지적한 연구가 있음. 최현정 외(2009)의 연구에 따르면 상호의존

성부분에 있어 부서 간에 상호 이해의 차이가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

적하고 있는데, 이질적인 과업기술을 가진 두 부서가 과업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단순히 구조적으로만 협력하는 형태로 구성되면 서로 융화되지 못하고 이원화된 체

제로 고착될 수 있음을 보여줌. 따라서 전담조직의 구성, 갈등의 해결 등에 대한 변

수가 고려될 필요 있음.

그 외 정책추진에 필요한 자원의 부족이나 담당자의 전문성, 관련 정보, 지역사회의

관심과 협조도 정책의 성공적인 집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Page 18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69

연구의 분석틀(analytical framework)

가설 1. 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 정도에 따라 녹색성장정책의 집행수준이 다를 것이다.

가설 2. 지방자치단체장이 환경보전을 선호할수록 녹색성장정책 집행수준이 높을 것이다.

가설 3. 지방자치단체 담당공무원이 녹색성장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속가능발전에

대한 기대정도가 높을수록 녹색성장정책의 집행수준이 높을 것이다.

가설 4. 녹색성장 추진에 대한 장애정도가 높을수록 녹색성장정책의 집행수준이 낮을 것

이다.

가설 5. 녹색성장전담직원과 예산 등 조직환경요인은 녹색성장정책의 집행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Page 18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70 ․․․․․․․․․․․․․․․․․․․․․․․․․․․․․․․․․․․․․․․․․․․․․․․․․․․․․․․․․․․․․․․․․․․․․․․․․․․․․․․․․․․․․․․․․․․․․․․․․․․․․․․․․․․․․․․․․․․․․․․․․․․․․․․․․․․․․․․․․․․․․․․․․․․․․․․․․․․․․․․․․․․․․․․․

3 기술분석 결과 1) 설문응답자 및 기관의 특성

설문응답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83.7%(77명), 여성이 14.1%(13명)로 남성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연령은 만 45-49세가 30.1%(36명)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만 50세 이상이 29.3%(27명)로 45세 이상이 68.4%를 차지하고 있음.(<표

5-2> 참조)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이 대다수(90.2%)를 이루고 있으며, 직급의 경우 6급이

57.6%(53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또한 군․구 응답이 43.5%(40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광역자치단체는 전체 광역도와 광역시가 응답하였고, 일반시

20개, 서울시 자치구 14개, 군․구 40개 단체로 총 89명이 소속을 밝힘.

성별 응답자 수(명) 비율(%) 직급 응답자 수(명) 비율(%)남성 77 83.7 4급 2 2.2

여성 13 14.1 5급 7 7.6

결측 2 2.2 6급 53 57.6

합계 92 100 7급 21 22.8

연령 응답자 수(명) 비율(%) 8급 5 5.4

만 29세 이하 1 1.0 9급 1 1.1

만 30-34세 7 7.6 결측 3 3.3

만 35-39세 4 4.3 합계 92 100

만 40-44세 16 17.4 단체유형 응답자수(명) 비율(%)

만 45-49세 36 39.1 광역도․시 15 16.3

만 50세 이상 27 29.3 일반시 20 21.7

결측 1 1.1 서울자치구 14 15.2

합계 92 100 군․구 40 43.5

학력 응답자 수(명) 비율(%) 결측 3 3.3

고졸이하 6 6.5 합계 92 100

전문대/대학졸 67 72.8

근속년수

응답자수 92

대학원 이상 졸 16 17.4 평균 19.75

기타 1 1.1 최대 35

결측 2 2.2 최소 1

합계 92 100 표준편차 8.35

【표 5-2】설문조사 응답자의 특성

Page 18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71

2) 녹색성장사업 추진현황

환경부의 녹색성장 실천계획과 관련한 녹색성장사업 추진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저

탄소’, ‘녹색성장동력’,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 ‘녹색일자리’ 창출, ‘생활공감’의 5

가지 큰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설문을 구성함

각 사업은 계획없음, 사전검토, 계획수립, 사업집행, 사업완료의 단계에 따라 1점부터

5점까지 부여하였음.

Page 18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72 ․․․․․․․․․․․․․․․․․․․․․․․․․․․․․․․․․․․․․․․․․․․․․․․․․․․․․․․․․․․․․․․․․․․․․․․․․․․․․․․․․․․․․․․․․․․․․․․․․․․․․․․․․․․․․․․․․․․․․․․․․․․․․․․․․․․․․․․․․․․․․․․․․․․․․․․․․․․․․․․․․․․․․․․․

실천과제계획

없음

사전

검토

계획

수립

사업

집행

사업

완료

폐자원 에너지화 시설 건설 및 시설확충37명

(40.2%)

15명

(16.3%)

17명

(18.5%)

16명

(17.4%)

5명

(5.4%)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기술 개발46명

(50.0%)

21명

(22.8%)

15명

(16.3%)

9명

(9.8%)

0명

(0.00%)

저탄소 녹색마을(에너지의 체계적인 관리로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마을)

34명

(37.0%)

35명

(38.0%)

19명

(20.7%)

1명

(1.1%)

0명

(0.00%)

기후변화 대비 하수도시설 개선 30명

(32.6%)

23명

(25.0%)

12명

(13.0%)

24명

(26.1%)

1명

(1.1%)

하수처리과정을 이용한 에너지 생성52명

(56.5%)

17명

(18.5%)

11명

(12.0%)

6명

(6.5%)

4명

(4.0%)

풍력․태양광 등 기상자원지도 작성53명

(57.6%)

23명

(25.0%)

4명

(4.3%)

8명

(8.7%)

0명

(0.00%)

공공자동차부문 온실가스 저감대책마련27명

(29.3%)

24명

(26.1%)

25명

(27.2%)

15명

(16.3%)

0명

(0.00%)

온실가스 배출통계 구축, 감시29명

(31.5%)

27명

(29.3%)

22명

(23.9%)

12명

(13.0%)

0명

(0.00%)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작성 44명

(47.8%)

29명

(31.5%)

12명

(13.0%)

5명

(5.4%)

0명

(0.00%)

【표 5-3】저탄소 녹색성장 사업

‘저탄소’와 ‘녹색성장동력’과 관련한 사업의 경우 계획이 없는 것이 다수를 이룸.

‘저탄소’사업 중에서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연관하여 기후

변화대비 하수도 시설개선, 공공자동차부문 온실가스저감, 온실가스 배출 통계 사업

이 추진 중임.

【그림 5-1】<저탄소> 녹색성장

Page 18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73

실천과제계획

없음

사전

검토

계획

수립

사업

집행

사업

완료

상하수도 등 환경플랜트 수출산업화 77명

(83.7%)

9명

(9.8%)

3명

(3.3%)

1명

(1.1%)

0명

(0.00%)

먹는샘물 국제브랜드화 및 수출확대76명

(82.6%)

9명

(9.8%)

3명

(3.3%)

2명

(2.2%)

0명

(0.00%)

그린카 산업 육성 인프라 확대

(제도개선, 기반시설 구축)

59명

(64.1%)

19명

(20.7%)

8명

(8.7%)

4명

(4.3%)

0명

(0.00%)

탄소시장 활성화(배출권거래제 등

탄소시장 인프라 구축)

24명

(26.1%)

36명

(39.1%)

16명

(17.4%)

15명

(16.3%)

1명

(1.1%)

자원순환산업(폐전자제품, 폐금속자원

재활용 활성화 기반 구축) 육성

30명

(32.6%)

19명

(20.7%)

15명

(16.3%)

22명

(23.9%)

2명

(2.2%)

토양정화산업(토양은행단지 조성) 육성67명

(72.8%)

12명

(13.0%)

8명

(8.7%)

2명

(2.2%)

0명

(0.00%)

생물자원산업(양생생물자원 실용화 지원,

매립지의 생물자원 활용) 육성

60명

(65.2%)

17명

(18.5%)

8명

(8.7%)

3명

(3.3%)

0명

(0.00%)

그린화학산업 기반 육성70명

(76.1%)

13명

(14.1%)

5명

(5.4%)

1명

(1.1%)

0명

(0.00%)

【표 5-4】녹색성장 동력 산업

특히, 저탄소, 녹색성장동력과 관련한 사업 중에서 상하수도 등 환경플랜트 수출산업

화, 먹는 샘물 국제브랜드화 및 수출확대, 그린화학산업 기반 육성과 같이 예산이 많

이 들고, 기술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지자체가 시도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남. 그러

나 온실가스 배출 통계 구축, 탄소시장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65.2%의 지자체에서 사

전 검토단계이거나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집행하고 있음.

【그림 5-2】<녹색성장동력> 산업

Page 18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74 ․․․․․․․․․․․․․․․․․․․․․․․․․․․․․․․․․․․․․․․․․․․․․․․․․․․․․․․․․․․․․․․․․․․․․․․․․․․․․․․․․․․․․․․․․․․․․․․․․․․․․․․․․․․․․․․․․․․․․․․․․․․․․․․․․․․․․․․․․․․․․․․․․․․․․․․․․․․․․․․․․․․․․․․․

실천과제계획

없음

사전

검토

계획

수립

사업

집행

사업

완료

온실가스 줄이기 참여운동 및

탄소포인트제 사업 추진

0명

(0.00%)

1명

(1.1%)

27명

(29.3%)

61명

(66.3%)

2명

(2.2%)

친환경상품시장 확대 및 상품 구매 촉진4명

(4.3%)

7명

(7.6%)

20명

(21.7%)

59명

(64.1%)

1명

(1.1%)

친환경 음식문화 조성 촉진 19명

(20.7%)

15명

(16.3%)

16명

(17.4%)

37명

(40.2%)

1명

(1.1%)

친환경 생태관광 인프라 조성15명

(16.3%)

16명

(17.4%)

24명

(26.1%)

31명

(33.7%)

1명

(1.1%)

훼손하천, 복개하천의 복원 및

수변생태벨트조성

14명

(15.2%)

15명

(16.3%)

14명

(15.2%)

41명

(44.6%)

5명

(5.4%)

환경부하가 큰 제품에 대한 자원순환성

평가체계 구축

47명

(51.1%)

24명

(26.1%)

8명

(8.7%)

8명

(8.7%)

1명

(1.1%)

폐자원의 고부가가치 재활용 촉진29명

(31.5%)

18명

(19.6%)

13명

(14.1%)

27명

(29.3%)

1명

(1.1%)

녹색성장포럼 운영 활성화29명

(31.5%)

24명

(26.1%)

10명

(10.9%)

26명

(28.3%)

1명

(1.1%)

녹색성장 교육․홍보 및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10명

(10.9%)

28명

(30.4%)

22명

(23.9%)

29명

(31.5%)

1명

(1.1%)

녹색금융 등 녹색경영 촉진

(기업 환경정보 공시제도 도입 운영 등)

54명

(58.7%)

24명

(26.1%)

4명

(4.3%)

6명

(6.5%)

1명

(1.1%)

【표 5-5】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

녹색생활문화 및 녹색인프라 사업에서 온실가스 줄이기 참여운동과 탄소포인트제 사

업 추진, 친환경상품시장 확대 및 상품 구매 촉진의 경우에는 대다수의 자자체가 이

를 추진하고 있음. 그러나 녹색 금융 등의 녹색경영 촉진과 관련한 과제는 84.8%가

계획이 없거나 사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 5-3】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

Page 18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75

실천과제계획

없음

사전

검토

계획

수립

사업

집행

사업

완료

쓰레기수거 (취로, 공공근로 등)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

6명

(6.5%)

6명

(6.5%)

5명

(5.4%)

69명

(75.0%)

3명

(3.3%)

상수도관망 관리선진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39명

(42.4%)

17명

(18.5%)

7명

(7.6%)

23명

(25.0%)

2명

(2.2%)

5대강 환경지킴이, 자연환경보호 등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

26명

(28.3%)

15명

(16.3%)

6명

(6.5%)

40명

(43.5%)

1명

(1.1%)

환경분야 공공 인턴십 운영 및

환경조사사업 일자리 창출

23명

(25.0%)

17명

(18.5%)

6명

(6.5%)

42명

(45.7%)

1명

(1.1%)

환경전문인력 양성45명

(48.9%)

23명

(25.0%)

9명

(9.8%)

9명

(9.8%)

3명

(3.3%)

환경․에너지 대학원대학 설립73명

(79.3%)

8명

(8.7%)

2명

(2.2%)

5명

(5.4%)

1명

(1.1%)

【표 5-6】녹색일자리 창출

녹색일자리 창출의 경우에도 환경․에너지 대학은 거의(88.0%) 추진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쓰레기수거를 통한 일자리 창출은 대부분(73.3%)의 지자체에서

이를 집행 중인 것으로 조사됨.

환경전문인력 양성이나 에너지대학의 경우 예산과 전문성이 필요한 영역으로 지방자

치단체 수준에서 집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추정됨.

【그림 5-4】녹색일자리 창출

Page 18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76 ․․․․․․․․․․․․․․․․․․․․․․․․․․․․․․․․․․․․․․․․․․․․․․․․․․․․․․․․․․․․․․․․․․․․․․․․․․․․․․․․․․․․․․․․․․․․․․․․․․․․․․․․․․․․․․․․․․․․․․․․․․․․․․․․․․․․․․․․․․․․․․․․․․․․․․․․․․․․․․․․․․․․․․․․

실천과제계획

없음

사전

검토

계획

수립

사업

집행

사업

완료

향기로운 도시 만들기

(도로변 미세먼지 및 악취 등 저감)

18명

(19.6%)

14명

(15.2%)

15명

(16.3%)

44명

(47.8%)

1명

(1.1%)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

(상ㆍ하수도 보급률 증진)

17명

(18.5%)

8명

(8.7%)

8명

(8.7%)

54명

(58.7%)

4명

(4.3%)

환경오염으로 건강을 위협받는

(예: 아토피 등) 인구최소화

33명

(35.9%)

23명

(25.0%)

7명

(7.6%)

25명

(27.2%)

2명

(2.2%)

그린코디 서비스 실시

(생활환경 컨설팅 사업 추진 등)

46명

(50.0%)

24명

(26.1%)

9명

(9.8%)

10명

(10.9%)

1명

(1.1%)

친환경 안심놀이터 조성30명

(32.6%)

25명

(27.2%)

15명

(16.3%)

20명

(21.7%)

1명

(1.1%)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59명

(64.1%)

10명

(10.9%)

5명

(5.4%)

15명

(16.3%)

1명

(1.1%)

【표 5-7】생활공감 녹색성장

생활공감과 관련한 녹색성장 정책의 경우 향기로운 도시만들기, 깨끗하고 안전한 수

돗물 공급 사업은 과반수 이상의 지자체가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답하였고, 지하철

역사공기질 개선은 계획이 없다고 답하였음.

다른 사업과 마찬가지로 생활공감사업에서도 예산, 정보, 전문성이 필요한 사업은 지

방자치단체 수준에서는 사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그러나 수돗물 공급이

나 향기로운 도시 만들기와 같이 현재 지방자치단체 사무와 연계되어 있거나 규모가

크지 않은 사업의 경우에는 사업 추진이 상대적으로 용이함.

【그림 5-5】생활공감녹색성장

Page 19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77

위에 언급된 사업 이외에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녹색성장사업은 하

이브리드 자전거 설치, 폐자전거 활용 활성화, 자전거도로 확충, 에코바이크 운동 등

주로 생활형 녹색성장 정책임. 또한 산업의 경우에도 빗물을 이용한 산업이나 경작

지 생태복원, 숲가꾸기 사업 등 작은 규모의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해야하는 녹색성장사업으로 온실가스 저감방안, 탄소배출량

측정, 생물다양성 보전기관 설립, 전력소비가 적은 가로등 교체 등의 사업을 제안하

고 있으며, 녹색성장에 대한 주민설명회, 시민홍보, 주민참여 실천운동전개 등 민간

과의 협력을 강조하거나 시민 참여형 녹색성장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

하고 있음.

2) 지방자치단체 사업추진 조직형태

추진 조직 현재의 조직형태 이상적인 조직형태

정규부서(예시:과, 국 등) 29 (31.5%) 57 (62.0%)

임시작업단(태스크포스 Task Force) 5 (5.4%) 14 (15.1%)

위원회(예시: 녹색시민위원회) 0 (0.00%) 6 (6.5%)

기존의 여러 부서에서 나누어 추진 55 (59.8%) 11 (12.0%)

기타 3 (3.3%) 4 (4.3%)

【표 5-8】지방자치단체의 사업추진 형태와 이상적인 조직편성방안

대부분의 자치단체에서 녹색성장사업은 기존 부서조직을 활용하여 추진하고 있는 것

(59.8%)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이상적인 조직편성방안에 대해서는 62.0%가 정규부

서를 신실해야 한다고 응답하고 있음. 이는 현재의 녹색성장 조직형태가 업무를 추

진하는데 적합하지 않음을 의미함. 향후 원활한 녹색성장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지방

자치단체에 전담 정규부서를 신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됨.

【그림 5-6】지방자치단체 사업추진형태와 이상적인 조직편성방안

Page 19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78 ․․․․․․․․․․․․․․․․․․․․․․․․․․․․․․․․․․․․․․․․․․․․․․․․․․․․․․․․․․․․․․․․․․․․․․․․․․․․․․․․․․․․․․․․․․․․․․․․․․․․․․․․․․․․․․․․․․․․․․․․․․․․․․․․․․․․․․․․․․․․․․․․․․․․․․․․․․․․․․․․․․․․․․․․

기존의 부서와 타 업무를 복합적으로 처리할 구조일 경우에는 환경(녹지, 상하수도)

과 녹색성장업무를 함께 담당하는 구조를 가장 선호(64명, 69.8%)하는 것으로 나타

남. 그 다음으로는 건설(도시, 도로)과 녹색성장업무를 함께 추진하는 것이 타당할 것

으로 지적하였음(15명, 16.3%). 이에 반하여 문화(교육, 예술)부서가 녹색성장을 추진

하는 것에 대해서는 2.2%만이 지지하였고, 복지(의료)와 녹색성장은 응답자가 없음.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상적인 조직형태로 정규부서를 만들 것을 선호하고 있으나

지자체의 규모나 예산으로 인해 신설이 불가할 경우에는 환경부서에서 기존의 업무

와 함께 녹색성장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임.

기타 의견으로는 경제, 녹지관련 부서가 함께 녹색성장을 추진하는 것, 환경, 녹지 및

건축이 함께 집행하는 구조를 제시하기도 하였음. 이는 현재의 중앙정부에서 추진하

고 있는 녹색성장 추진이 기존의 지속가능성장과 다르게 지역개발 및 경제발전과 관

련한 것이 다수 포함된 결과라고 볼 수 있음. 또한 녹색성장이 여러 부처를 통합적

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면 기획부서에서 총괄하고 여러 부서에서 나누어 이를 집

행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시됨.

3) 녹색성장정책과 중앙-지방정부 관계

재원부담 및 사업관리방식

해결 방식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간 갈등지방자치단체간 갈등

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한 조정 41(44.6%) 24(26.1%)

국무총리실을 통한 조정 17(18.5%) 6(6.5%)

중앙정부의 주무부처를 통한 조정 21(22.8%) 31(33.7%)

조정기구신설 13(14.1%) 14(14.1%)

기타 0(0.00%) 1(1.1%)

지방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한 조정 . 12(13.0%)

【표 5-9】정부간 갈등 해결 방식

Page 19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79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원 부담 비율과 관련한 질

문에서 평균이 약 71 : 27로 조사되었음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간 갈등이 발생하거나 지방자치

단체 간 갈등이 발생할 경우 해결 방안에 대한 질문에서 전자에서는 녹색성장위원회

를 통한 조정이 44.6%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의 주무부처를 통한 조정(33.7%)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남.

【그림 5-7】정부간 갈등해결

녹색성장사업 추진 및 운영방식

설문문항 응답(관리방식) 응답자 비율

녹색성장사업

추진방식

중앙정부가 계획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집행하는 위임방식 25(27.2%)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집행하는 자치행정 13(11.1%)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민간(제3섹터)에 위탁하는 방식 6(6.5%)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방식 44(47.8%)

기타 4(4.3%)

【표 5-10】녹색성장사업 추진

Page 19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80 ․․․․․․․․․․․․․․․․․․․․․․․․․․․․․․․․․․․․․․․․․․․․․․․․․․․․․․․․․․․․․․․․․․․․․․․․․․․․․․․․․․․․․․․․․․․․․․․․․․․․․․․․․․․․․․․․․․․․․․․․․․․․․․․․․․․․․․․․․․․․․․․․․․․․․․․․․․․․․․․․․․․․․․․․

녹색성장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가장 타당한 방식에 대한 문항에서는 지방자치단체

가 계획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이 가장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뒤를 이

어 중앙정부가 계획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집행하는 위임방식이 선호가 높음.

【그림 5-8】녹색성장사업추진

설문문항 응답(관리방식) 응답자 비율

녹색성장사업

운영방식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으로 사업추진 8(8.7%)

녹색성장 업무를 각 기구의 특성에 맞게 분담 27(29.3%)

조직을 통․폐합하여 한․두개의 조직으로 재정비 56(60.9%)

기타 1(1.1%)

【표 5-11】녹색성장사업 운영방식

녹색성장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방의 녹색성장관련 조직(예: 지방녹색위

원회, 지방녹색포럼, 그린스타트 지역네트워크, 지방의제21, 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을 어떤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60.9%가 조직을 통․폐

합하여 한․두개 조직으로 재정비해야 한다고 응답함. 이는 현재 지방에 산재해있는

여러 조직을 재정비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함

Page 19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81

【그림 5-9】녹색성장사업운영방식

녹색성장을 추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이 1순위로 나

타났고, 인력의 전문성부족과 인력 부족이 그 뒤를 따르고 있음. 즉,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추진에 있어 기술적인 부분의 지원이나 예산의 뒷받침이 없이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녹색성장사업의 효과와 자치단체장의 노력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녹색성장정책이 경제, 사회, 환경 분야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지에 대하여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부터 ‘매우 도움이 된다’까지 5점 척도로

측정하였음.

지역경제발전, R&D 투자확대, 고용창출 등 경제분야 평균은 3.25로 나타났으며, 빈곤

해소, 범죄율 감소, 국민의 건강증진 등 사회분야 평균은 2.52로 나타남. 또한 온실가

스 감축, 수질 개선, 대기질 개선 등의 환경분야는 3.74로 나타나, 지방자치단체의 녹

색성장정책이 환경부분에 기대하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볼 수 있음(<표 5-12> 참

조).

- 특히 환경분야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반면,

큰 차이는 아니지만 토양보전에 대한 기대가 가장 미흡함

Page 19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82 ․․․․․․․․․․․․․․․․․․․․․․․․․․․․․․․․․․․․․․․․․․․․․․․․․․․․․․․․․․․․․․․․․․․․․․․․․․․․․․․․․․․․․․․․․․․․․․․․․․․․․․․․․․․․․․․․․․․․․․․․․․․․․․․․․․․․․․․․․․․․․․․․․․․․․․․․․․․․․․․․․․․․․․․․

항목녹색성장정책 기여 정도 자치단체장의 노력 정도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지역경제발전 3.33 1.10 4.40 0.82

R & D 등 투자확대 3.16 1.09 4.00 0.92

고용 창출 3.25 0.94 4.13 0.88

빈곤 해소 2.58 1.09 3.88 0.92

범죄율 감소 2.40 1.06 3.58 0.99

국민의 건강증진 3.60 0.98 4.04 0.81

사회적 약자 보호 2.62 1.04 3.87 0.99

쾌적한 생활환경 4.08 0.90 4.19 0.81

재난․재해 예방 3.30 1.13 4.13 0.88

토양보전 3.44 1.04 3.71 1.04

온실가스 감축 4.03 0.82 4.02 0.83

수질 개선 3.89 0.84 4.05 0.89

대기질 개선 3.86 0.80 4.01 0.86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사용 촉진 3.82 0.89 3.96 0.87

다양한 생물종의 보호 3.48 0.94 3.71 0.97

녹색생활실천 등 녹색성장교육 확대 - - 3.97 0.92

녹색기술 개발 - - 3.57 1.13

녹색산업 육성 - - 3.68 1.06

친환경세제 등 녹색경제기반 구축 - - 3.68 0.99

대중교통 중심의 녹색교통체계 구축 - - 3.86 0.96

【표 5-12】녹색성장사업의 효과와 자치단체장의 노력

경제, 사회, 환경, 녹색성장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정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경제 분야에 대한 노력이 4.18로 가장 의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분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요인에 대해서

는 예산부족이 4.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성부족(4.13), 인력부족(4.13)이 그

뒤를 잇고 있어 지방자치단체가 녹색성장을 추진할 경우 조직, 인력, 예산과 같은 조

직내부의 장애 정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됨.

Page 19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83

【그림 5-10】녹색성장의 환경분야에 대한 기대정도 및 지자체장의 노력

중앙부처와의 협조관계 및 접촉빈도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할 경우 어느 중앙부처의 업무협조가 필요한지에 대해 15개 부

처 중 세 부처를 선택하도록 함.

분석결과 1, 2, 3순위의 총합 부문에서 환경부가 가장 업무협조가 필요한 것으로 나

타났고 뒤를 이어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로 나타났음.

【그림 5-11】중앙부처의 업무 협조 부서 순위

Page 19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84 ․․․․․․․․․․․․․․․․․․․․․․․․․․․․․․․․․․․․․․․․․․․․․․․․․․․․․․․․․․․․․․․․․․․․․․․․․․․․․․․․․․․․․․․․․․․․․․․․․․․․․․․․․․․․․․․․․․․․․․․․․․․․․․․․․․․․․․․․․․․․․․․․․․․․․․․․․․․․․․․․․․․․․․․․

다음으로 지난 1년간(2008년 8월 15일~2009년 8월 15일) 지방치단체가 녹색성장업무

를 추진하면서 중앙부처와의 업무협조 빈도를 조사하였음. ‘접촉없음’부터 ‘월 5회 이

상’까지 7점 척도를 사용함.

접촉빈도 접촉빈도 순위 평균 표준편차

환경부 1 3.10 1.647

국토해양부 2 2.29 1.615

행정안전부 3 2.06 1.272

농림수산식품부 4 2.03 1.287

지식경제부 5 1.99 1.358

【표 5-13】중앙부처와의 접촉빈도

【그림 5-12】지난1년 간 중앙부처 접촉빈도

분석결과 지난 1년 간 환경부와 가장 긴밀한 업무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

며, 뒤를 이어 국토해양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농림수산식품부로 조사됨. 환경

부의 경우 녹색성장사업 추진에 있어 가장 업무협조가 필요한 부처로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로 지난 1년간의 접촉빈도에서도 높은 순위를 보임. 즉, 환경부, 국토해양부

등 녹색성장사업 추진에 있어 지자체와의 업무협조 순위가 높게 나타난 부처에 대해

서는 지자체에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가 가능하도록 체제를 재정비하여야 할 것임

Page 19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85

4) 지자체 규모별 비교분석

지방자치단체를 ①광역시․도, ②시, ③서울특별시 자치구(이하 서울자치구), ④군․

구의 4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별 녹색성장 집행수준, 조직 및 예산, 경제․사회․환

경분야에 대한 기대수준, 지자체장의 노력정도, 사업추진시의 예상되는 장애정도에

대해 비교 분석함.

녹색성장 집행수준에 대한 비교분석

우선 녹색성장 집행수준을 ‘계획없음’부터 사업완료까지 5점 척도로 코딩하여 자치단

체 유형별로 평균값을 비교함.

항목

광역도․시 일반시 서울자치구 군․구

F값유의

확률N 평균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

녹색

성장

추진

수준

저탄소 12 2.82 0.54 19 2.22 0.62 13 1.62 0.57 38 1.75 0.53 14.01 0.00

성장동력 12 2.59 0.69 20 1.57 0.46 14 1.34 0.45 39 1.45 0.38 20.96 0.00

녹색생활 13 3.52 0.60 19 2.94 0.65 14 2.39 0.59 38 2.42 0.62 12.63 0.00

일자리 13 3.21 1.00 19 2.40 0.66 14 1.99 0.59 39 2.12 0.62 7.20 0.00

생활공감 13 2.85 1.05 20 2.50 0.70 14 2.56 0.72 39 2.12 0.62 3.94 0.01

【표 5-14】녹색성장추진수준

지방자치단체 규모에 따라 녹색성장 집행수준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 광역시․도의

경우 ‘저탄소’ 관련 정책이 평균 2.82인데 반하여 군․구의 경우 1.75로 나타나 사업추

진 속도가 느리거나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녹색성장동력‘산업과 관련해서도 광역시․도가 2.59인데 반하여, 서울자치구의 경우

1.34인 것으로 나타남. ’녹색일자리‘창출과 관련하여서도 광역시․도가 3.21로 집행수준

이 높은 반면 서울자치구의 경우에는 1.99로 가장 낮게 나타나 자치단체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임.

Page 19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86 ․․․․․․․․․․․․․․․․․․․․․․․․․․․․․․․․․․․․․․․․․․․․․․․․․․․․․․․․․․․․․․․․․․․․․․․․․․․․․․․․․․․․․․․․․․․․․․․․․․․․․․․․․․․․․․․․․․․․․․․․․․․․․․․․․․․․․․․․․․․․․․․․․․․․․․․․․․․․․․․․․․․․․․․․

【그림 5-13】녹색성장추진수준

조직․예산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사업 추진 전담인원과 예산에 대하여 지자체 유형별로 비

교 분석함.

단위: 백만원

항목

광역도․시 일반시 서울자치구 군․구

F값유의

확률N 평균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

정규

전담13 16.31 29.17 20 10.15 18.35 14 4.57 3.98 38 5.82 9.03 1.81 0.15

예산

’09*7

431730.

14

732310.

8418

127325.

67

210417.

9610 1332.30 2614.69 34

17964.1

5

45180.3

35.88 0.00

예산

’10*5

554158.

00

873290.

3116

176475.

06

273673.

9710 416.40 223.31 29

22389.2

8

59446.8

06.11 0.00

【표 5-15】녹색성장조직 및 예산

정규직 직원의 경우 광역시․도는 평균 16명, 서울자치구 5명 , 군․구도 6명으로 나

타남.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사업추진 조직 현황에 대한 조사에서 정규부서가 구성된

지자체는 31.5%로 아직 상당수의 지자체가 기존의 여러 부서에서 업무를 나누어 추

Page 20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87

진하고 있는 상황(59.8%)에서 정확한 수치라고 보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그림 5-14】녹색성장 추진예산

녹색성장사업의 기대효과

【표 5-16】녹색성장사업기대효과

항목

광역도․시 일반시 서울자치구 군․구

F값유의

확률N 평균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

녹색

성장

사업

기대

효과

경제

효과15 3.96 0.48 19 3.03 0.91 14 3.43 1.04 40 3.04 0.93 4.47 0.01

사회

효과15 3.04 0.78 19 2.47 1.12 14 2.50 1.12 40 2.37 0.80 2.02 0.12

환경

효과15 3.99 0.50 19 3.83 0.71 14 3.78 0.84 40 3.60 0.81 1.12 0.35

녹색성장사업의 기대효과로서 각 분야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광역시․도의 경우 경제에 대한 기대가 3.96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일반시는 3.0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즉 규모가 작은 지자체의 경우 녹색성장

의 경제적 기대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음. 이러한 경제효과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Page 20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88 ․․․․․․․․․․․․․․․․․․․․․․․․․․․․․․․․․․․․․․․․․․․․․․․․․․․․․․․․․․․․․․․․․․․․․․․․․․․․․․․․․․․․․․․․․․․․․․․․․․․․․․․․․․․․․․․․․․․․․․․․․․․․․․․․․․․․․․․․․․․․․․․․․․․․․․․․․․․․․․․․․․․․․․․․

【그림 5-15】녹색성장사업 기대효과

빈곤해소, 범죄율 감소, 국민건강 증진과 같은 사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광역

시․도의 경우 3.04, 일반시 2.47, 서울자치구 2.50, 그리고 군,구의 경우 2.37로 광역을

제외한 지자체에서 2점대 수준을 보이고 있어 녹색성장을 통한 사회적 기대효과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환경에 대해서는 역시 광역시․도가 3.99로 가장 높고 군구가 3.60으로 가장 낮게 나타

났지만, 모든 지자체에서 녹색성장사업의 환경적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이는 녹색성장이 경제발전에 치중한 개념이라는 기존의 선행연구(윤순진,

2009)와 다소 상반되는 결론으로 향후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부분임.

지자체장의 노력정도 및 추진시 장애요인

【표 5-17】지자체장의 노력정도

항목

광역도․시 일반시 서울자치구 군․구

F값유의

확률N 평균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

지자

체장

노력

정도

경제 15 4.76 0.37 19 4.40 0.69 14 3.95 0.73 39 3.89 0.80 6.57 0.00

사회 15 4.27 0.58 19 3.88 0.85 14 3.29 0.89 39 3.89 0.80 3.89 0.01

녹색

경제15 4.38 0.60 19 3.54 1.13 14 3.24 0.96 38 3.53 0.98 4.02 0.01

환경 15 4.34 0.65 19 3.80 0.99 14 3.66 0.79 37 3.84 0.72 2.15 0.10

Page 20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89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정도에 대한 비교분석에서 경제에 대한 노력 정도가 광역시․도의 경우 4.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군․구의 경우 3.89로 가장 낮아 집단 간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남. 사회에 대한 노력 역시 광역시․도가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서울자치구가 3.29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제, 사회, 녹색경제, 환경에 대한 노력정도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줌.

【그림 5-16】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정도

사업추진 시 예상되는 장애에 대해 광역시․도에 비해 시군구의 경우 어려움이 더

많은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갈등조정의 어려움, 협조부족, 공무원 인식미흡에 대한

지자체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유의수준 10% 수준) 것으로 나타났음. 예산부족

의 경우에는 집단의 최소값이 4.25로 모든 지자체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호소하고

있음. 특히 일반시의 경우에는 그 값이 4.5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지방자치단체의 녹

색성장 추진에 있어 예산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사전에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

임.

Page 20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90 ․․․․․․․․․․․․․․․․․․․․․․․․․․․․․․․․․․․․․․․․․․․․․․․․․․․․․․․․․․․․․․․․․․․․․․․․․․․․․․․․․․․․․․․․․․․․․․․․․․․․․․․․․․․․․․․․․․․․․․․․․․․․․․․․․․․․․․․․․․․․․․․․․․․․․․․․․․․․․․․․․․․․․․․․

【표 5-18】추진시의 어려움

항목

광역도․시 일반시 서울자치구 군․구

F값유의

확률N 평균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N 평균

표준

편차

추진

시의

어려

인력

부족15 3.60 0.99 20 4.25 0.97 14 4.21 0.98 40 4.25 0.87 2.00 0.12

전문성

부족15 3.93 0.88 20 4.40 0.88 14 4.14 0.95 40 4.02 0.89 1.02 0.39

예산

부족15 4.27 0.70 20 4.55 0.69 14 4.29 0.83 40 4.25 0.84 0.71 0.55

갈등

조정15 4.00 0.66 20 3.95 0.83 14 4.14 0.77 40 3.60 0.59 2.96 0.04

정보

부족15 3.60 0.91 20 3.75 1.07 14 3.57 0.94 40 3.22 0.89 1.63 0.19

협조

부족15 3.40 1.06 20 3.90 0.91 14 4.14 0.66 40 3.42 0.81 3.43 0.02

공무원

인식14 2.79 0.89 20 3.40 0.94 14 3.36 1.28 40 2.82 0.96 2.25 0.09

【그림 5-17】사업추진시의 어려움

Page 20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91

4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1)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에 포함될 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함(<표 5-18>참조)

우선, 녹색성장 집행수준과 사회(0.254)및 환경(0.473)에 대한 기대효과정도가 정의 상

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남.

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수준과 녹색성장 집행수준과의 상관관계에서 경제에 대한 노

력과 녹색성장 집행과의 상관관계는 0.466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녹색성장에

대한 노력(0.421), 환경에 대한 노력(0.435)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 특이한

사항은 지자체장의 환경에 대한 노력과 녹색성장 집행수준과의 상관관계가 경제에

대한 노력과의 상관관계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음.

중앙부처와 녹색성장 집행수준과의 상관관계에서 환경부와의 협조가 0.403으로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음. 그 외 행정안전부는 0.314, 국토해양부는 0.212의 정

의 상관관계를 나타냄.

정규전담인력 규모와 녹색성장정책 집행수준(0.335)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

으며, 담당근무자의 근무년수와 녹색성장 정책집행수준(0.231) 역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녹색성장을 추진하기 위하여 전담 부서와 전문성을 갖춘 담당자와 같

이 조직․환경적 요인이 갖추어져야 함을 추론할 수 있음.

지방자치단체규모와 녹색성장정책 집행수준에서 광역시․도와 녹색성장정책 집행수

준은 0.537로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인력부족과는 -0.257로 부의 상

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광역시․도의 경우에는 인력부족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지

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추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 가능함.

결과적으로 녹색성장의 집행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환경에 도움이 되

는 정도에 대한 기대,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제․사회, 녹색성장에 대한 노력의 정도,

환경부․행정안전부와의 협조, 정규전담인원, 담당자의 근무년수 등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함.

Page 20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9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a 1

b .254(*) 1

c .473(**)

.473(**) 1

d .466(**)

0.102

.318(**) 1

e .274(*)

.338(**)

332(**)

.707(**)

1

f .421(**)

.321(**)

.491(**)

.643(**)

.692(**) 1

g .435(**)

0.295(**)

.550(**)

.560(**)

.688(**)

.866(**) 1

h 0.019 0.093

0.077

0.068

0.178

0.122

0.051 1

i 0.308(**)

-0.106

-0.076

-0.104

0.038

-0.156

-0.03

-0.147 1

j -0.110.01

50.18

40.14

70.18

50.08

60.12

6 0.08.530(**) 1

k -0.032

0.171

0.186

0.053

0.162

0.124

0.182

0.158

.294(**)

.524(**)

1

l -0.112

0.074

0.005

0.105

-0.018

0.055 0.02 -0.1

1.155(

*).298(**)

.225(*) 1

m -0.024

0.137

0.027

0.095

0.095

0.009

-0.01

-.053

.261(*)

.524(**)

.233(*)

.446(**) 1

n -0.108

0.016

0.031

0.027

-0.024

-0.088

-0.069

-0.122

.266(*)

.327(**)

0.166

.488(**)

.506(**) 1

o -0.048

0.117

-0.076

-0.137

-0.109

-0.223(*)

-0.163

-0.167

-.269(**)

.269(**)

0.072

.461(**)

.533(**)

.566(**) 1

p .403(**)

0.084

0.101

0.024

0.042 0.08

0.138

0.179 -.2

-0.082

0.081 0.008

-0.054

-0.02

0.031 1

q .314(**)

0.055

0.162

0.053

0.112

0.158

.229(*)

0.066

-0.07

-0.1 0.144

0.07 0.023

0.047

-0.069

.442(**)

1

r .212 0.014

0.146 0.08 0.03

90.12

20.14

90.10

6-.263(*)

-0.111

0.202

-0.016

-0.026

-0.027

-0.089

.552(**)

.703(**) 1

s .335(**)

0.241(*)

.232(*) .2 0.16

4.228(

*)0.18

20.18

7-.356(**)

-0.027

0.052 0.038 -0.0

39-0.126

-0.067

.350(**)

0.056

0.185 1

t .0.198 0.165

0.062

0.117

0.172

0.162

0.128

0.168

-.305(**)

-0.06

-0.028 0.031 0.04

60.05

10.06

90.308(**)

0.022

0.092

0.618(**) 1

u .537(**)

.253(*)

0.147

0.352(**)

0.278(*)

0.322(**)

0.193

0.164

-.257(*)

-0.09

-0.034 0.107 0.06

6-0.122

-0.106

0.302(**)

0.254(*)

0.195

0.217(*)

.426(**) 1

v .132-0.032

0.061 .166

0.076

-0.054

-0.061

-0.15

0.066

0.174

0.156 0.09

0.164

0.157

0.195

0.043

0.054

0.132 .067 .09

-.242(*) 1

w -.331(**)

-0.154

-0.177

-.318(**)

-0.094

-0.1 -0.015

0.062

0.111

-0.088

-0.088

-0.296(**)

-0.224(*)

0.219(*)

-0.188

-0.015

-0.041

-0.048

-0.138

-0.246(*)

-.407(**)

-.486(**)

1

x 0.231(*)

0.082 .208 0.12

10.14

10.06

7.249(

*)-0.094 0 -0.0

31-0.001

-.252(*)

-.221(*)

-0.082

-0.165

-0.058

0.134

0.046

-0.044

-0.135

-0.055

-0.075

0.051 1

【표 5-18】상관관계표

* 유의수준 0.05 (2-tailed) ** 유의수준 0.01 (2-tailed)

a:녹색성장, b:사회기대, c:환경기대B, d:노력_경제, e:노력_사회, f:노력_녹색성장, g:노력_환경S, h:단체장성향,

i:인력부족, j:전문성부족, k:예산부족, l:갈등조정, m:정보부족, n:협조부족, o:공무원인식, p:환경부, q:행안부,

r:국토해양부, s:정규전담, t:예산09(백만), u:광역, v:일반시, w:군구, x:근무년수

Page 20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93

2) 다중회귀분석

분석모형 개요

추정에서 사용된 분석모형은 아래식과 같음.

IMP=α 1LEAD+α 2EXP+α 3LeaPro+α 4IPE+α 5STA+α 6BUD+α 7CPE+Xβ +϶

LEAership: 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정도

EXPectation: 녹색성장 담당공무원의 녹색성장 효과에 대한 기대

LeaPro: 리더의 성향(경제개발 중점 vs. 환경․생태 보전 중점)

ImPEdiment: 정책추진에 대한 장애 인식정도

STAff: 전담직원

BUDget: 예산

CooPEration: 중앙부처와의 협조

X: 통제변수의 벡터

IMPlementation: 녹색성장정책집행정도

분석모형에서 종속변수로 사용된 녹색성장 정책집행정도(IMP)의 경우 설문조사에서

는 저탄소(9문항), 녹색성장동력(8문항),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10문항), 녹색일자

리(6문항), 생활공감(6문항) 등 39가지 통계항목에 대해 각각의 정책집행정도를 산술

평균하여 구한 값을 사용함 (【표 5-19】 참조).

녹색성장정책집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정도

(LEA), 녹색성장 담당공무원의 녹색성장 효과에 대한 기대(EXP), 지방자치단체장이

성향(LPE), 정책추진에 대한 장애정도(IPE), 전담직원규모(STA), 녹색성장 예산(BUD),

중앙부처와의 협조(CPE), 지방자치단체의 규모 등과 같은 변수를 사용함. 이 외에 응

답자의 근속년수는 통제변수로 포함.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든 변수를 포함한 모형 I의 추정결과에서는 환경분야에 대한 기대효과와 경제에

대한 단체장의 노력, 환경부와의 협조, 단체유형 중 광역시․도가 유의미한 변수로 포

함됨. 세 변수 모두 녹색성장정책의 집행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Page 20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94 ․․․․․․․․․․․․․․․․․․․․․․․․․․․․․․․․․․․․․․․․․․․․․․․․․․․․․․․․․․․․․․․․․․․․․․․․․․․․․․․․․․․․․․․․․․․․․․․․․․․․․․․․․․․․․․․․․․․․․․․․․․․․․․․․․․․․․․․․․․․․․․․․․․․․․․․․․․․․․․․․․․․․․․․․

타남. 그 외에 녹색성장정책에 장애요인으로 언급된 전문성부족, 갈등조정, 지역사회

협조부족이 유의미한 변수로 포함되었으며, 이 중 갈등조정의 어려움은 녹색성장사

업 집행정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음.

변수명 변수 설명 평균 표준편차

녹색성장

녹색성장 산업 전반에 대한 추진현황(저탄소, 녹색성장동력,

녹색생활, 녹색일자리, 생활공감 등 5종류의 녹색성장산업 포

괄, 1계획없음; 5=사업완료)

2.21 0.58

경제기대*

녹색성장정책이 지역경제발전, R & D 등 투자확대, 고용 창

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정도(1=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다; 5=매우 도움이 된다)

3.25 0.93

사회기대*녹색성장정책이 빈곤 해소, 범죄율 감소, 국민의 건강증진, 사

회적 약자 보호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정도2.52 0.93

환경기대B*

녹색성장정책이 쾌적한 생활환경, 재난․재해 예방, 토양보전,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정

3.74 0.75

노력_경제* 지역경제발전, R & D 등 투자확대, 고용 창출을 위한 자치단

체장의 노력에 대한 인식도4.18 0.77

노력_사회*빈곤 해소, 범죄율 감소, 국민의 건강증진, 사회적 약자 보호

를 위한 자치단체장의 노력에 대한 인식도3.77 0.85

노력_녹색성장 녹색생활 실천, 녹색성장교육 확대, 녹색기술 개발 등 녹색성

장을 위한 자치단체장의 노력에 대한 인식도3.75 0.91

노력_환경S*

환경개선 관련한 자치단체장 노력에 대한 인식도 (쾌적한 생

활환경, 재난․재해 예방, 토양보전 등 7가지 항목에 대한 자

치단체장의 노력에 대한 인식도)

3.98 0.77

단체장성향자치단체장의 경제개발․환경보전성향(1=경제개발중점; 5=환

경생태보전)3.00 1.10

사업추진 시

예측되는 장애

녹색성장 추진 시 예상되는 장애에 대한 인식도(인력부족, 인

력의 전문성 부족, 녹색성장사업 예산 부족, 갈등의 발생 시

조정의 어려움, 녹색성장에 대한 정보부족 7개 변수: 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

3.79 0.61

중앙부처와

협조정도

녹색성장사업 추진 시 업무협조가 필요하다고 인식되는 정부

부처 (3순위내: 환경부, 행안부, 국토해양부)

3.10 1.65

2.06 1.27

2.29 1.62

정규전담인력 녹색성장사업을 전담하는 조직의 정규인력 8.17 15.64

예산09(백만) 녹색성장사업의 재원 83635.24 271205.68

단체유형 광역시․도, 일반시, 서울자치구, 군․구 더미변수처리

*요인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변수군을 묶어 평균값을 사용.

【표 5-20】변수설명표

Page 20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95

모형 II에서는 모형 I의 모든 변수를 사용하여 STEPWISE방식으로 회귀분석을 수행

함. 추정결과 경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장의 노력, 환경부와의 협조정도, 광역자치단

체가 모형에 포함됨. 즉, 경제에 대한 단체장의 노력이 적극적일수록, 환경부와의 협

조빈도가 많을수록,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녹색성장 정책집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남.

변수

모형 I (R2=0.707) 모형 Ⅱ (R2=0.518) 모형 Ⅲ (R2=0.584)

Coefficient

(Beta)

standard

error

Coefficient

(Beta)

standard

error

Coefficient

(Beta)

standard

error

상수

경제기대 -0.247 0.087

사회기대 0.006 0.076

환경기대B 0.378 0.094 0.243** 0.071 0.249*** 0.063

노력_경제 0.502 0.114 0.522*** 0.085 0.322*** 0.062

노력_사회 -0.080 0.108 -0.250** 0.081

노력_녹색성장 -0.314 0.136

노력_환경S 0.353 0.172

단체장성향 -0.092 0.053

인력부족 -0.029 0.081

전문성부족 -0.388 0.106

예산부족 0.111 0.091

갈등조정 0.352 0.113

정보부족 0.054 0.073

협조부족 -0.361 0.092 -0.133* 0.050

공무원인식 0.126 0.065

환경부 0.321 0.046 0.244*** 0.031 0.265*** 0.028

행안부 0.098 0.061

국토해양부 -0.154 0.055

정규전담 -0.060 0.004

예산09(백만) -0.095 0.000

광역 0.430 0.325 0.299** 0.189 0.331*** 0.142

일반시 0.222 0.208

군구 -0.008 0.193

근무년수 0.211 0.007

주: *, **, ***는 각각 10%, 5%, 1% 수준에서 유의함을 나타냄.

【표 5-21】회귀분석표

모형 III은 모형 I과 모형 II에 포함된 변수를 대상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 적은

수의 변수로 설명력(R2)이 높으면서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가장 단순화된 최적

Page 20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96 ․․․․․․․․․․․․․․․․․․․․․․․․․․․․․․․․․․․․․․․․․․․․․․․․․․․․․․․․․․․․․․․․․․․․․․․․․․․․․․․․․․․․․․․․․․․․․․․․․․․․․․․․․․․․․․․․․․․․․․․․․․․․․․․․․․․․․․․․․․․․․․․․․․․․․․․․․․․․․․․․․․․․․․․․

모형을 찾아냄. 모형 III에 포함된 변수로는 환경에 대한 기대, 단체장의 경제에 대한

노력, 지역사회의 협조부족, 환경부와의 협조정도, 단체유형 중 광역시․도 더미변수

가 포함됨.

- 즉, 환경분야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와 경제분야를 향상시키려는 노력, 환경부와의

협력정도는 자치단체의 녹색성장정책 추진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지역사

회의 협조부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5 소결론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국가비전으로서의 녹색성장정책 집행에 있어 지

방자치단체의 성공적인 정책집행 동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음.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녹색성장 정책의 집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

는 사업은 환경부의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와 관련된 온실가스 줄이기 및 탄

소포인트제 사업, 친환경상품시장 확대 및 상품구매 촉진, 친환경 생태관광 인프라,

훼손․복개하천 복원, 녹색성장 교육․홍보 정책으로 나타남.

<녹색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서는 쓰레기수거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나 자연환경보

호 등에서 원활한 집행을 보이고 있음. 또한 <생활공감>과 관련한 정책은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이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저탄소>, <녹색성장동력>과 관련해서는 탄소시장 활성화를 제외하고는 계획

이 없거나 정책집행이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정책의

경우 주민과 함께하는 생활밀착형이 타당할 것이며, 환경부의 정책과제인 <생활공

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또한 현재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사업 추진형태는 대부분 기존부서 인력을 활용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상적인 조직편성 형태로는 정규부서를 제시하고 있어 향

후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 전담 정규부서를 신설할 필요가 있음.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추진방식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과반수가 지방자치단

체가 계획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재원 부담과 관련해서

도 중앙정부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함.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성공적인 녹색성장집

행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또한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협조가 필요한 중앙부처로는 환경부가 1순위로

Page 21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 ․․․․․․․․․․․․․․․․․․․․․․․․․․․․․․ 197

나타났으며, 지난 1년간의 접촉빈도에서도 환경부와 가장 긴밀한 업무협조가 이루어

진 것으로 조사됨. 따라서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지자체와의 협조순위가 높

게 나타난 부처는 지자체에 대한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협조가 가능하도록 체제를 정

비할 필요 있음.

한편, 지방자치단체 규모별 비교분석 결과에서는 지방자치단체유형별로 녹색성장 집

행수준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녹색성장사업의 기대효과에 대해 경제효

과는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적 효과에 대해서는

모든 지방자치단체 유형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도 환경에 대한 기대효과가 높을수록 환경부와의 협조관계가

빈번할수록 녹색성장정책의 집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사회의 협조가

부족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광역시․도가 정책집행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장이 경제에 대해 노력을 기울일수록 녹색성장의 정책수준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해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임. 이는

녹색성장이 녹색과 성장의 어느 곳에 방점을 찍고 있느냐에 대한 언론이나 학계의

논란과도 연관된 결과임.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이러한 관

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Page 21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5장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정책과 영향요인

198 ․․․․․․․․․․․․․․․․․․․․․․․․․․․․․․․․․․․․․․․․․․․․․․․․․․․․․․․․․․․․․․․․․․․․․․․․․․․․․․․․․․․․․․․․․․․․․․․․․․․․․․․․․․․․․․․․․․․․․․․․․․․․․․․․․․․․․․․․․․․․․․․․․․․․․․․․․․․․․․․․․․․․․․․․

Page 21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6 장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Page 21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21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01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및 협력체계 구축방안및 협력체계 구축방안ⅥⅥⅥ

1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이하에서는 지난 2009년 1월에 환경부가 수립한 녹색성장 실천계획과 6월 6

월과 10월에 이를 다시 보완하여 발표한 5개분야 (저탄소분야, 녹색성장동력

분야,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분야, 녹색일자리분야, 생활공감분야)에서 환

경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분야별 2-3가지 사업을 제안하고자 함

무엇보다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실행을 위해서는 지방자체단체와 중앙정부간

상호협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함. 환경정책분야는 전국적 성격과 지방적

성격을 동시에 가져 전국적인 통합적 처리와 더불어 지역 실정에 적합한 행

정이 요구되어 정부 간 상호협력이 필요. 그러나 현재 중앙과 지방정부간 협

력은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여기서는 국가 전체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환경정책의 합리성과 실효성의 확보차원에서 중앙과 지방

정부간 협력 하에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과제를 제안함

1) 저탄소 분야

가. 저탄소 녹색마을 시범사업

저탄소 녹색마을이란 농어촌과 소도시의 폐자원, 바이오매스, 태양광, 풍력,

소수력 등 재생에너지를 체계적․종합적으로 에너지화하여 지역내에서 효율

적으로 이용하는 자립적인 마을. 정부부처에서는 조기에 저탄소 녹색마을의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어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자 함. 마을의 유형은 다양한

데, 환경부는 도시형,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어촌형, 행정안전부는 도농통합형,

산림청은 산촌형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유형별로 2개-4개의 시범사업을 추

진하거나 추진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저탄소 녹색마을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업의 유형을 다양화시키는

Page 21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02 ․․․․․․․․․․․․․․․․․․․․․․․․․․․․․․․․․․․․․․․․․․․․․․․․․․․․․․․․․․․․․․․․․․․․․․․․․․․․․․․․․․․․․․․․․․․․․․․․․․․․․․․․․․․․․․․․․․․․․․․․․․․․․․․․․․․․․․․․․․․․․․․․․․․․․․․․․․․․․․․․․․․․․․․․

것이 필요. 빗물을 이용하는 마을, 축산분뇨를 활용하는 마을, 산림 목재펠릿

을 이용하는 마을, 농촌쓰레기를 재활용하는 마을, 태양에너지를 생산하는

마을 등 시범사업의 모델을 다양하게 만들어, 많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모든 것이 종합적으로 만들어지면 좋겠지만, 하

나의 유형이라도 완벽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하여 한국의 저탄소 시범마을

이면서 세계적인 저탄소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야함

시범사업의 지역적 유형도 다양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지역은 도시지역, 농

촌지역, 산촌지역, 어촌지역으로 나누고, 다시 세부지역으로 나누는 것이 필

요함. 예를 들어 도시지역의 경우, 일반주거지역과 산업지역은 그 특성이 다

르므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모델을 만드는 것이 중요. 또한 기존마을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신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구분하는 것도 필요

이상의 시범사업을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조성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전국 지자체와 건설회사에 조성기법과 기술을 홍보하는 것이 필요. Green

Technology가 건축물과 주거단지 및 생활기반시설에 접목되도록 하여, 생활

공간 속에서 환경기술을 쉽게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또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이 필요. 녹색마을 시범사업 운

영에 재정적인 부담이 많아 주민들의 참여의욕도 감소되고 지자체들이 본격

적인 사업추진을 어려워하고 있음. 따라서 지자체와 중앙정부는 녹색마을 시

범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주민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

도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강구할 필요.

나. 자연에너지 잠재량 분석

우리나라가 포스트 교토의정서의 의무당사국에 포함된다면 일정한 양의 이산

화탄소 배출을 감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줄이고

자연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 각 기업이나 지자체별

로 자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필요한데, 우선적으로 해당 기업이나 지자체

가 어느 정도의 자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고 있는 지 우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Page 21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03

각 지자체가 자연에너지원별로 어느 정도의 잠재량이 있는 지 파악하기 위해

서는 기초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함. 지자체마다 지역적인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에너지원별 잠재량은 차이가 날 것임. 또한 지자체마다 경쟁력을 가

질 수 있는 에너지원도 다를 것임. 바닷가 주변의 지자체는 조류발전이나 파

력발전 아니면 해수열과 같은 바다자원이 우위를 점하는데 비해, 대규모 산

지를 포함하고 있는 지자체는 폐목재 펠릿과 같은 자원이 경쟁력을 가질 것

환경부는 지자체가 자연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잠재량을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기준을 만들어 배포하는 것이 필요함. 지자체는 그 기준

에 따라 표준화된 잠재량 DB를 만들고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 이러한 에너지지도는 풍력에너지지도, 태양광에

너지지도, 소수력에너지지도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 지자체별 속성자

료를 모아 광역지도를 만들고, 이를 합해 전국의 에너지원 지도를 만들 수

있음. 이는 에너지원별로 우리나라 최적의 입지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것

지역 고유의 자연환경과 토착 재료를 통해 지자체만의 자연에너지를 발굴하

여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자급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것이 필요

다. 그린캠퍼스 만들기

대학은 에너지 소비가 많아 탄소배출이 대규모로 발생하는 시설로서 그린캠

퍼스를 만드는 것이 중요.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빗물, 지열 등의 신재생에너지의 설치를 유도하고, 옥

상녹화, 인공지반 녹화, 실개천 조성 등 단열과 온도조절을 할 수 있는 환경

을 만드는 것이 중요. 나아가 Smart 계량기, 자동센서 점멸기, 강력한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

Page 21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04 ․․․․․․․․․․․․․․․․․․․․․․․․․․․․․․․․․․․․․․․․․․․․․․․․․․․․․․․․․․․․․․․․․․․․․․․․․․․․․․․․․․․․․․․․․․․․․․․․․․․․․․․․․․․․․․․․․․․․․․․․․․․․․․․․․․․․․․․․․․․․․․․․․․․․․․․․․․․․․․․․․․․․․․․․

대학은 16개 광역지자체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별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협약

을 체결하여 추진하고(예 광주-전남대학교, 대전-충남대학교), 이어서 중소도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주요 종합대학의 그린캠퍼스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2) 녹색성장동력 분야

탄소배출권 시범거래 희망 산업체 선정 및 운영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활성화를 위해 탄소배출권 거래의 수익성 및 전망을 홍

보하고, 이 분야에서 선점 이익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희망 업체를 선

정하여 다양한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함

현재 환경부는 환경친화기업을 대상으로 「지역단위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현재 전국 12개 광역지자체에서

‘지역 단위 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에 대한 관심을 나타고 있으며, 인천, 전

북, 광주, 울산, 대구 등 일부 광역지자체는 참여기관을 확정하고 기준년도

(‘07~’08 평균) 배출량 산정작업을 실시 중임. 탄소배출권을 매매하는 탄소시

장 규모는 오는 2012년을 전후로 전 세계적으로는 1500억달러, 국내에서만

4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은 사전 준비사항이 많으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인지하

고 내실 있게 준비하는 것이 성공에 큰 역할을 할 것임. 기업의 배출권거래

제 참여, 등록 및 탈퇴 운영기준 마련, 배출권 승인심의 위원회, 인증기관 등

의 운영지침이 마련되어야 함. 탄소배출권 시범거래의 성공을 위해서는 업체

들의 사전 교육과 학습 등 인식의 제고가 필수적임. 또한 시범사업을 통해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우리나라에 맞는 방식을 채택해야 할 것임

배출권거래제도의 정착은 지자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는 것이 필요. 각 지자체

에 입지하고 있는 기업과 유치하려고 하는 기업의 특성을 파악하여 탄소배

출권을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리스트화하고 협력하는 방안

구축

Page 21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05

기업의 Green Business Model 개발

정부의 규제강화, 소비자들의 환경의식 증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증대 및 친

환경 산업의 성장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기업은 장기적 생존을 위해 녹색경

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선진국과 해외기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연구를 통해 국내 기업 실정에 맞는

Green Business Model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함. 녹색경영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국내 표준 모델 및 기반을 조성하는 도시가 되어야 함

산업은행에 따르면 국내 4백대 기업의 녹색산업 설비투자 예상액이 오는

2012년까지 31조 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경제인연합회에

서도 삼성은 2013년까지 5조 4,000억원을 녹색산업에 투자하고, 현대·기아자

동차도 2013년까지 4조 1,000억원을 친환경차 개발 등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음. 즉, 국내에서는 대기업 중심으로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계획을

밝히고 있음. 그러나 녹색상품의 다양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대기업

뿐만이 아니라 중소기업도 녹색경영에 앞장 설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과 노

력이 필요

기업의 그린비지니스는 지자체의 기업 담당과에서 기업의 환경경영 실태를

파악하여 경쟁력을 지니고 있는 기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그 기업의 특

성과 유형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개발하여 전파하는 것이 필요

대형 에너지사업장의 CDM 사업화

청정개발체제(CDM)란 선진국이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없는 개발도상국에서

감축사업을 수행해서 그 실적의 일부를 선진국의 감축량에 반영하는 체제.

CDM 사업은 온실가스 저감시설을 설치하거나 풍력, 태양광 등의 발전소를

지어 저감한 양에 해당하는 권리를 다른 기업에 팔아 수익을 남기는 사업

작고 흩어져 있는 저감사업들이 탄소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Page 21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06 ․․․․․․․․․․․․․․․․․․․․․․․․․․․․․․․․․․․․․․․․․․․․․․․․․․․․․․․․․․․․․․․․․․․․․․․․․․․․․․․․․․․․․․․․․․․․․․․․․․․․․․․․․․․․․․․․․․․․․․․․․․․․․․․․․․․․․․․․․․․․․․․․․․․․․․․․․․․․․․․․․․․․․․․․

주는 것으로서, 지자체의 대형에너지 사업장의 온실가스 발생 특성을 조사하

고 CDM 사업의 잠재량을 조사한 후, 기업체별 CDM 사업 투자를 유도하는

단계를 거침

3)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분야 분야

가. 녹색소비 강화

녹색성장은 녹색생산과 녹색소비의 조화를 통해서 더욱 발전할 수 있음. 특

히, 녹색소비는 생활의 녹색혁명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녹색성장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임

그동안 우리나라는 친환경제품이 다양하지 못하고 친환경제품의 40%가 사무

용품과 사무용기기에 편중되어 있으며 인증제품도 바닥재, 벽지, 페인트, 가

구류 등으로 민간부분으로의 녹색소비가 확산되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민간

보다는 공공부문에서 녹색소비를 유도하고 있음. 결국, 국민의 녹색소비에

대한 의식은 높으나 실천이 매우 미약하였음

아래 그림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덴마크를 포함한 유럽국가의 경우 공공구매

에서 친환경제품비중이 50% 상회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구매 중

친환경제품의 비중이 잘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임

Page 22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07

민간의 녹색소비 실천이 미흡한 우리 현실을 감안할 때, 도시와 가정의 녹

색소비 표준을 도출하고 장려함으로써 녹색소비를 촉진하는 방안이 필요. 스

웨덴의 사례처럼 지속가능한 가계소비와 실천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를 제시하거나 일본의 경우처럼 가정의 녹색생활 표준을 만들어 실천하는

수준에 따라 등급별로 인증해주는 가정인증시스템이 검토되어야 함

스웨덴 2006년 지속가능한 가계소비 운동

지속가능한 가계소비와 실천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8개 지표제시: ①비만자

비율 ②유기농 표시 식품의 시장점유율 ③가정과 빌딩의 전력사용량 ④가구당

쓰레기 배출량 ⑤가구당 CO2배출량 ⑥신차 배출가스 기준 ⑦대중교통 접근성

⑧공공서비스 접근성

일본 미나마타시, 1999년 가정용 ISO 인증 도입

주민들의 환경보호와 녹색구매 활동을 독려. 각 가정에서는 앞으로 지켜나가

야 할 환경보전의 내용을 선언하고, 어린이들이 에너지 절약, 주부들의 친환경

상품 구입 등으로 실천지침을 세우고 행동. 이런 결과를 청년회의소와 비영리

단체가 심사하여 시장이 인증. 상당수 주부들이 환경가계부 작성.

친환경 제품과 녹색 소비에 대한 사전지식이 많은 소비자일수록 녹색구매 비

율이 높기 때문에, 녹색소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함.

Page 22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08 ․․․․․․․․․․․․․․․․․․․․․․․․․․․․․․․․․․․․․․․․․․․․․․․․․․․․․․․․․․․․․․․․․․․․․․․․․․․․․․․․․․․․․․․․․․․․․․․․․․․․․․․․․․․․․․․․․․․․․․․․․․․․․․․․․․․․․․․․․․․․․․․․․․․․․․․․․․․․․․․․․․․․․․․․

어린이, 성인, 노인 등 대상별 녹색소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프로

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친환경제품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

하고, 바코드 및 카드단말기와 연동하여 녹색소비 실태를 시스템적으로 정확

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통해 녹색소비 활동에 그린 마일리지와 같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음

녹색소비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과 자발적 참여 및 실천을 위해 경제적 규

제와 재정적 인센티브가 수반되어야 하며 기업에서도 소비자들이 품질에 대

해 만족할 수 있는 녹색제품을 개발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임

지자체의 지역내 소재하고 있는 시민대학 및 소비자단체와 협력하여 녹색소

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녹색소비교육을 추진하는 것

이 필요. 지자체는 소비자들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

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나. 그린스토어 인증제

조명이나 수송, 냉동시설 등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시설이나 유통과정

을 개선해 탄소배출량을 줄일 경우 항목별 검토를 거쳐 그린스토아로 인증

매장건축, 물류체계, 취급상품 등 친환경성과 탄소효율성을 평가하여 인증하

되, 사업자에게 세제지원 등을 제공. 본 스토어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탄

소포인트 등을 제공하여 친환경상품의 구매력을 증진시킴

다. 녹색시민단체와 협력체계 구축

시민단체에서는 녹색상품 우선구매, 녹색소비교육, 녹색소비생활 실천 캠페인

등 시민들에게 녹색소비생활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녹색소비를 유도하고

녹색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녹색성장의 큰 축인 녹색소비생활 향

상을 위해 활동하고 있음

현재 시민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녹색실천 사업을 공유하고 함께 발전방향을

Page 22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09

모색해야 함. 녹색생활과 문화가 전국지역까지 확장되기 위해서는 지역에 뿌

리를 내리고 활동하고 있는 시민단체들의 활동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

및 협력해야 함

녹색교육의 경우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 교육의 효과

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과 연계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

이 바람직함. 계층별로 차등화시키는 프로그램도 필요. 학교교육은 창의재량

학습과정에 녹색상품과 녹색소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담는 것이 필요하

고, 성인교육은 시민대학이나 언론 홍보를 통해 자각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하는 것이 필요.

다. 기후변화취약지역 조사 및 대응체계 구축

기후변화가 심해지면 자연재해의 발생이 빈번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

에 대해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어떤 지역에서 홍수와 붕괴 등 자연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질병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사전에 면밀하

게 조사하여 도면에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중요함. 이러한 취약지역에 대해

장기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지방자치단체는 각 지역별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취약영역을 파악

하여 정책의 우선순위에 두고 고려해야 함. 예를 들어 스위스 정부의 침수

및 홍수를 위한 지도 발간과 미국 워싱턴주의 침수예상지역 주택매입정책

등과 같이 지역여건을 고려한 가시적인 정책이 필요함

4) 녹색일자리 분야

가. 그린홈닥터 양성

가정과 사무실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매우 중요함. 그린홈닥터는 가정과 사무

실을 방문해 냉방과 난방, 실내온도와 에너지 이용실태를 점검하고, 적정한

에너지 이용 방법을 설명해 주는 전문가임. 어디에서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

는지, 어느 곳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지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줌

으로써 총체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얻게 되는 것임

Page 22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10 ․․․․․․․․․․․․․․․․․․․․․․․․․․․․․․․․․․․․․․․․․․․․․․․․․․․․․․․․․․․․․․․․․․․․․․․․․․․․․․․․․․․․․․․․․․․․․․․․․․․․․․․․․․․․․․․․․․․․․․․․․․․․․․․․․․․․․․․․․․․․․․․․․․․․․․․․․․․․․․․․․․․․․․․․

이와 아울러 제품의 에너지 등급 등을 설명해 줌으로써, 저비용 고효율 제품

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고 제품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용방법을 자

세히 설명해 주는 것임. 환경부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그린홈닥터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함

5) 생활공감

가. 복합건강문화타운 조성

우리나라는 노령화사회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 정부는 노령층을 위해 건

강관리에 필요한 기초시설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함. 즉, 질병예방과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건강할 때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건강+환경+문화+복지+체육활동을 연계시켜 한 공간에서 종합

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

나. 아토피없는 나라 협력사업

최근에 아토피 환자가 많아지고 있음. 환경부에서는 아토피 없는 나라 프로

젝트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구체적인 시범사업 등은 아직 추진하고

있지 못한 상황임. 반면 지자체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아토피 치유사업에

대한 관심과 추진의지가 많음. 환경보건 측면에서 환경부와 지자체가 상호

협력하는 것은 의미 있음

Page 22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11

환경성 질환 관련 치유제품에 대한 검증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기술영향평가

및 전과정 평가가 강화되어야 함. 최근 아토피 예방 제품들이 시장에 봇물처

럼 솟아져 나오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불확실한 지식과 정보에

노출되어 있어 잘못된 선택을 통해 피해가 발생될 수 있음. 보건산업 시장의

건전성 확보와 소비자들이 안전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는 품질평

가 및 보증제도 등과 같은 품질인증 정보제공을 강화해야 함

다. 친환경에너지 생산체험 공간 조성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에너지 절약적 소비사회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친환경에너지 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이 친

환경에너지가 무엇인지 인지하고 이러한 에너지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

생산과정을 체험하게 만드는 것이 효과적임

영국 런던이나 일본 도쿄의 기후변화와 친환경에너지 전시관은 많은 인기를

끌고 있음. 이러한 전시관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한다면 청소년의

환경교육 현장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일반 시민의 환경의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

Page 22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12 ․․․․․․․․․․․․․․․․․․․․․․․․․․․․․․․․․․․․․․․․․․․․․․․․․․․․․․․․․․․․․․․․․․․․․․․․․․․․․․․․․․․․․․․․․․․․․․․․․․․․․․․․․․․․․․․․․․․․․․․․․․․․․․․․․․․․․․․․․․․․․․․․․․․․․․․․․․․․․․․․․․․․․․․․

2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방안

3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녹색성장 추진에 있어 중앙 수준에서는 대통령 소

속의 녹색성장위원회가 전반적인 조정업무를 담당하며, 정부 각 부처는 중앙

추진계획 수립 및 집행, 그리고 녹색성장책임관 지정을 통해 녹색성장을 추

진함. 지방 수준에서는 시도 수준에서 지방녹색성장위원회가 구성되어 지방

추진계획을 심의하며, 이러한 위원회 구성 및 지방추진계획 수립 및 추진은

주로 지방 수준에서의 녹색성장책임관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실정법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관계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중앙과 지방의 관계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관계에 관한

규정도 존재하지 않음. 아울러 녹색성장기본법이 아직 국회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방녹색성장위원회, 지방녹색성장책임관 지정 등 지방자

치단체의 적극적 노력도 미흡한 상태임. 따라서 녹색성장을 추진함에 있어

중앙과 지방간의 협력관계는 향후 좀 더 명확히 구축 및 설정해 나가야 할

과제라 할 수 있음.

또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본질적 주체는 개별 행위자라는 점에서 녹색성장

추진은 시민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이 긴요한 과제임. 현재 환경부를 포함한

정부 각 부처에 의해 다각적인 방식으로 시민사회와의 협력이 추진되고 있

으나, 여전히 시민사회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내지는 못 하고 있음.

이하에서는 환경부 차원에서 녹색성장 시책들을 추진함에 있어 지방정부 및

시민사회와의 협력관계를 보다 원활하게 가져갈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함.

1)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의체 구성

녹색성장 추진은 범국가적 과제이며, 특히 중앙부처의 사업이 실제로 구현되

는 지역 지방자치단체와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필수적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권화 추진에 따라 중앙정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통제력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어 왔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일정 부분 지속될 것으로 보임.

Page 22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13

따라서 향후 중앙과 지방의 협력관계는 상호 이해관계가 충족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임.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의 주무부처는 행정안전부임. 환경부의 경우 녹색

성장의 핵심 주무부처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연계조직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음. 사업별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만으로는 지방

과의 포괄적인 협력관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공식적인 협의체 구성

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협의체를 통하여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환경부가 추진하는 각종

녹색성장시책을 이해시키고 협력을 촉구하는 장으로 협의회를 활용할 수 있

을 것임. 지방자치단체는 환경부 추진 녹색성장시책 중 자신들의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사업들을 유치 또는 시행함에 있어 지원을 획득하기 위한 로비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이러한 과정은 양자 간에 보다 심도 있는 상호

이해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임.

협의체 형태는 환경부 녹색성장책임관, 16개 시⋅도 녹색성장책임관이 참여

하여 가칭 ‘환경부 CGO 협의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음. 녹

색성장기본법(안)에 의하면 지방 차원에서 녹색성장위원회 및 녹색성장책임

관은 모든 자치단체에서 구성 및 지정되는 것이지만(제20조, 제21조), 지방추

진계획의 작성은 시⋅도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제11조), 협의체

에 참여하는 범위는 일단 16개 시⋅도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됨.

협의체의 기능은 ①녹색성장정책 추진에 있어 환경부와 관련 지방자치단체

간의 정책 제휴방안 마련, ②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하는 사업들의 사전 조정,

③광역적 사업 추진에 있어 지방자치단체들 간의 협력방안 마련, ④저탄소

녹색성장 운동의 전국적 확산을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등으로 규정될

수 있을 것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협의체는 상설기구로 설치되어 정기적으로

개최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들이 사전적 조정

을 거쳐 차년도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개최시기를 조율할 필요가 있음.

Page 22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14 ․․․․․․․․․․․․․․․․․․․․․․․․․․․․․․․․․․․․․․․․․․․․․․․․․․․․․․․․․․․․․․․․․․․․․․․․․․․․․․․․․․․․․․․․․․․․․․․․․․․․․․․․․․․․․․․․․․․․․․․․․․․․․․․․․․․․․․․․․․․․․․․․․․․․․․․․․․․․․․․․․․․․․․․․

【그림 6-1】환경부 CGO 협의회(가칭) 구성안

2)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약제도 도입

분권화 시대에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유기적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종종 활용되는 것이 협약제도임.9) 일반적으로 협약이란 이해당사자

간에 협의하여 상호 약속을 하는 일종의 계약행위라 할 수 있음. 협약은 공

공기관 간에,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에, 그리고 민간부문 간에 이루어질 수

있음.

환경부의 녹색성장정책 추진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고

도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에 계획협

약 내지 투자협약의 형태로 협약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즉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들) 간에 이해가 일치되는 녹색성장사업과 관련하여 투자규모,

9) 이러한 중앙-지방 간 협약의 예는 참여정부 시기 ‘중앙-지방 간 기본협약’을 들 수 있음. 참여정부의 주요 정

책기조인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2004년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시행되고, 2005년에 이전 대상 공공기관

(수도권 소재 176개 공공기관)이 확정되었으며, 같은 해 정부와 12개 시⋅도지사 간에 시⋅도별 공공기관 배

치의 기본 원칙과 방법에 대한 ‘중앙-지방 간 기본협약’이 만들어졌음.

Page 22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15

투자분담, 투자시기 등에 대해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의 공동사업 형태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임.

협약제도를 활용할 경우 환경부는 지역 수준에서 환경부 녹색성장사업의 추

진동력을 얻을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실정에 맞는 녹색성장사업을

환경부와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예산확보 및 전문성강화라는 편

익을 향유할 수 있을 것임.

협약을 추진할 경우 고려되어야 할 원칙들은 다음과 같음.10) 첫째, 지역의 특

성(자원, 산업, 문화, 주민의견 등)에 부합하는 사업이 협약대상으로 선택되어

야 함. 둘째, 투자분담의 협동성으로, 환경부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상호 공

동투자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임. 셋째, 투자의 안정성으로, 협약당사자인

환경부 및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투자가 계약기간 중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예산에 반영될 필요가 있음. 넷째, 공식성으로, 이러한 협약

이 환경부와 해당 지방자치단체 간에 공식적 문서로 체결됨으로써, 공적 효

력을 발생시켜야 한다는 것임.

협약을 체결할 때 구체적으로 고려할 사항들은 협약유형, 협약기간, 투자분담

비율, 재원확보방안, 협약에 대한 평가 등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들

은 녹색성장 사업마다 상이할 것임.

이러한 유형의 협약을 담고 있는 실정법으로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을 들 수

있음.11) 동법 제20조(지역발전투자협약의 체결 등)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음. ①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이나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에 지역발전을 위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사업내용 및

투자 분담 등이 포함된 지역발전투자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 ②국가와 지방

자치단체는 지역발전투자협약에 따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매년 필요한

예산의 편성 등 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지역발전투자

협약의 체결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10) 이러한 원칙들은 문화관광 정책의 중앙-지방 간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5)의

내용을 문맥에 맞게 정리한 것임.

11) 이 법의 주무부처는 종전의 대통령 소속 국가균형발전특별위원회였으나, 현 정부 들어 대통령소속 지역발전

위원회임. 지역발전투자협약의 경우 당초 의욕적인 출발에도 불구하고, 2005년에 지역여건의 미성숙 등을 사

유로 그 추진이 보류된 상태임. 그러나 실정법상 명문화된 규정은 남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협약체결의 모

형이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Page 22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16 ․․․․․․․․․․․․․․․․․․․․․․․․․․․․․․․․․․․․․․․․․․․․․․․․․․․․․․․․․․․․․․․․․․․․․․․․․․․․․․․․․․․․․․․․․․․․․․․․․․․․․․․․․․․․․․․․․․․․․․․․․․․․․․․․․․․․․․․․․․․․․․․․․․․․․․․․․․․․․․․․․․․․․․․․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시행령에 규정된 지역발전투자협약의 체결방식에 입각할

때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녹색성장사업 협약은 【그림 6-2】과 같은 절차

에 따라 체결될 수 있음.

【그림 6-2】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약체결 흐름도

3)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인력교류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은 양자 간의 상호 이해와

정서적 공감을 기반으로 활성화될 수 있음. 이를 위한 주요 수단 중 하나는

인력교류라 할 수 있음. 환경부는 지역실정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

할 수밖에 없고, 지방자치단체는 사업수행에 필요한 전문성, 인력, 재정력 등

의 추진능력이 취약한 경우가 많기 때문임.

환경부의 경우 2009년 6월 현재 중앙부처 간 인사교류를 포함하여 15명 수준

으로 미흡한 상태이며(행정안전부 59명), 따라서 향후 지방자치단체와의 인사

교류를 통해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상호 이해와 협력을 도모할 필요가 있

음. 현재 환경부의 실⋅국장급 간부가 지방자치단체를 방문하는 등 업무의

연계성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이를 좀 더 제도화하는 차원에서 인

사교류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행정안전부의 경우 월 1회 개최되는 시⋅도지사회의, 지방자치단체와의 인사

교류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과 상호이해를 이끌어내고 있음. 특히

Page 23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17

종전에 부단체장, 기획실장 수준에 집중되던 인사교류를 2008년부터는 중간

간부급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음.

현재 중앙-지방 간 인사교류제도에 따르면, 53세 이하의 3-7급 공무원을 대상

으로 하며, 1년간 파견형식으로 이루어짐(1년 범위 내에서 연장 가능). 또한

파견 이후 원래 소속기관 복귀 보장, 복귀 후 희망보직에 임용, 승진 시 우

대, 고위공무원단 공모직위 선발 시 가점 부여, 성과평가 시 가점 부여 등의

인사 상 인센티브가 주어짐. 아울러 직급에 따른 교류수당(3급 70만원, 4급

60만원, 5급 이하 55만원), 주택보조비, 성과연봉 책정 및 성과상여금 지급

시 우대 등의 재정적 인센티브도 마련되어 있는 상태임.

특히 환경부가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녹색성장사업의 경우 유관 지방

자치단체와의 인사교류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인사교류를 위해, 환경부 특정 녹색성장사업에 관

심과 의욕을 보이는 지방자치단체 선별, 적절한 인사교류방식 검토(직급, 직

위, 교류기간 등), 해당 사업과의 연동 관점에서 인력파견 등의 절차를 통해

인사교류를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함.

【그림 6-3】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인력교류

Page 23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18 ․․․․․․․․․․․․․․․․․․․․․․․․․․․․․․․․․․․․․․․․․․․․․․․․․․․․․․․․․․․․․․․․․․․․․․․․․․․․․․․․․․․․․․․․․․․․․․․․․․․․․․․․․․․․․․․․․․․․․․․․․․․․․․․․․․․․․․․․․․․․․․․․․․․․․․․․․․․․․․․․․․․․․․․․

4)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활동 강화

2009년 7월 작성⋅발표된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에는 녹색성장을 위한

풀뿌리 실천조직의 대표적 브랜드로 환경부의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와 지식

경제부의 ‘그린에너지패밀리’를 적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의 중요성을 강

조하고 있음.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와 그린에너지패밀리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시민실

천 캠페인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구성의 체계성, 지원조직, 지

역네트워크 측면에서 볼 때, 그린스타트 네트워크가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판

단됨. 따라서 환경부는 민간부문과의 협력체계 강화 차원에서 그린스타트 네

트워크 활동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실질적인 주민행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를 저탄소 녹색성장 국민운동의 핵심브랜드로 육성할

필요가 있음.

2008년 하반기에 만들어진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4인의 공동대표 체제(환경

부장관, 대한상공회의소 의장,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표회장, 새마을운동

중앙회 회장 등)를 바탕으로, 주요 민간단체(30개 전후) 대표들이 대표자회의

를 구성하는 형태로 되어 있음. 대표자회의 산하에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대표회장이 위원장이 되고 20명 정도의 각종 단체 실무자들이 구성하는 운

영위원회가 있으며, 지원조직으로 별도의 사무국이 존재하고, 영역별 분과위

원회를 구성하고 있음. 아울러 지역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과정에 있음.

Page 23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19

【그림 6-4】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조직도

출처: www.greenstart.kr (2009년 10월 7일 검색).

그린스타트 네트워크가 풀뿌리 실천운동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

역 수준의 네트워크 구성은 매우 중요함. 2009년 10월 현재 전체 지방자치단

체의 약 80%에서 지역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음. 이러한 지역네트워크 구성

은 주로 지역별 지방의제21협의회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

수의 지역단체들이 참여하고 있음.

이렇게 볼 때,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효과적으로 운영할 경우 녹색시민운동

의 대표적인 중심조직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Page 23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20 ․․․․․․․․․․․․․․․․․․․․․․․․․․․․․․․․․․․․․․․․․․․․․․․․․․․․․․․․․․․․․․․․․․․․․․․․․․․․․․․․․․․․․․․․․․․․․․․․․․․․․․․․․․․․․․․․․․․․․․․․․․․․․․․․․․․․․․․․․․․․․․․․․․․․․․․․․․․․․․․․․․․․․․․․

【그림 6-5】지역별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구축 현황

출처: www.greenstart.kr (2009년 10월 7일 검색).

그러나 향후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측면

에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첫째,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조직적 기반이 강화될 필

요가 있음. 이러한 차원에서 사무국의 인력과 예산을 확충함으로써 운영위원

회와 자문위원회의 내실 있는 운영을 지원해야 할 것임. 아울러 지역네트워

크 구성을 주도하고 있는 지방의제21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특히 지방의제

Page 23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 ․․․․․․․․․․․․․․․․․․․․․․․․․․․․․․ 221

21 참여인사들은 향후 지방녹색성장위원회에 중복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지방의제21 중심의 지역네트워크 운영’을 추진한다면, 녹색성장 추진

에 있어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체제 구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

됨. 다만 현재 지방의제21의 조직과 운영이 다분히 취약하고 관할 지방자치

단체에 의한 지원도 매우 미흡하다는 점은 고려할 때, 환경부는 실질적인 측

면에서 지방의제21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임. 예컨대 지방의제21

에 의한 그린스타트 운동 관련 행사비를 지원하고 추가로 위원들에 대한 최

소한도의 활동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임.

둘째, ‘그린스타트 연차보고서’를 매년 작성하여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할 필요

가 있음. 연차보고서에는 그린스타트 활동의 현황, 효과, 문제점, 개선방안

등이 다각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임.

셋째, 지역네트워크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책을 적극 마련할 필요가

있음. ‘우수 지역네트워크 선정 및 포상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우수 사례의

전파를 통한 벤치마킹 촉진’을 도모해야 할 것임. 중앙정부에서 추진해 온

각종 국민캠페인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유명무실해지는 경향을 보여 온 것은

인센티브 및 지원시스템이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임. 지역네트워크의 활동에

대한 환경부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을 때, 그린스타트 네트워크가 진정으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임.

넷째, 그린스타트 운동에 대한 홍보가 현재보다 대폭 강화될 필요가 있음. 현

재 출범한 지 1년 정도가 지났고, 여러 단체와 시민들이 가입하고는 있으나,

많은 국민들은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존재에 대해 인식하지 못 하고 있음.

지역네트워크가 구성된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더라도 그린스타

트 운동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임. 따라서 우선 지방자치단체

메인페이지에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배너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

역별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홈페이지를 만들어 주민이 손쉽게 접속할 수 있

도록 해야 할 것임. 또한 그린스타트 운동 참여가 개인에게 실용적(경제적)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점을 적극 부각시키기 위하여, 탄소포인트제도 등과

연계한 정보전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Page 23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6장 녹색성장 정책과제 및 협력체계 구축방안

222 ․․․․․․․․․․․․․․․․․․․․․․․․․․․․․․․․․․․․․․․․․․․․․․․․․․․․․․․․․․․․․․․․․․․․․․․․․․․․․․․․․․․․․․․․․․․․․․․․․․․․․․․․․․․․․․․․․․․․․․․․․․․․․․․․․․․․․․․․․․․․․․․․․․․․․․․․․․․․․․․․․․․․․․․․

【그림 6-6】그린스타트 네트워크 강화 방안

Page 23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 7 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Page 23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23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 ․․․․․․․․․․․․․․․․․․․․․․․․․․․․․․ 225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ⅦⅦⅦ

에너지고갈 및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

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가 환경을 개선하는 수단으로 인식되는 동시에 환경

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 녹색성장(green growth)에 대한 기대와 관심

이 증가함.

지금까지 환경과 경제를 대립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각각의 정책을 집행하

였던 것과 달리 녹색성장 패러다임 하에서는 ‘대립’이 아닌 ‘상생’의 전략을

모색하는 전반적인 시각의 변화를 요구함

이처럼 변화된 시각 내에서 성공적인 녹색성장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정책

을 수립하는 단계에서부터 집행하는 단계까지 녹색성장 추진체계를 분석하

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과제를 발굴, 앞으로의 전략을 제시할 필요 있음.

1 녹색성장 추진체계 현황

현재, 중앙정부에서는 대통령 소속의 녹색성장위원회가 전반적인 조정업무를

담당하며, 정부 각 부처는 중앙추진계획 수립 및 집행, 그리고 녹색성장책임

관 지정을 통해 녹색성장을 추진함. 특히 관련성이 높은 부처로는 다른 나라

들의 형태와 유사하게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이라 할 수 있음.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시․도 수준에서 지방녹색성장위원회가 구성되어 지방

추진계획을 심의하며, 위원회 구성, 지방추진계획 수립 및 추진은 주로 지방

수준에서의 녹색성장책임관에 의해 주도됨. 그러나 실정법상 중앙부처와 지

방자치단체의 협력관계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며, 녹색성장기본법(안)에는

이와 같은 중앙-지방 간 관계가 언급되어 있지 않음.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사업 추진에 있어 협조가 필요한 중앙부처로는 환경

부를 가장 많이 지목하고 있으며, 지난 1년간의 접촉빈도에서도 환경부와 가

장 긴밀한 업무협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환경부의 경우 녹색

성장의 핵심 주무부처 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와는 연계조직을 갖지

못함. 사업별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만으로는 지방과의 포괄적인 협력관

Page 23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226 ․․․․․․․․․․․․․․․․․․․․․․․․․․․․․․․․․․․․․․․․․․․․․․․․․․․․․․․․․․․․․․․․․․․․․․․․․․․․․․․․․․․․․․․․․․․․․․․․․․․․․․․․․․․․․․․․․․․․․․․․․․․․․․․․․․․․․․․․․․․․․․․․․․․․․․․․․․․․․․․․․․․․․․․․

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공식적인 협의체 구성이 필요할 것임.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추진방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수

가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재원 부담과 관련해서도 중앙정부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함.

현재의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사업 추진형태 대부분 기존부서 인력을 활용하

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설문조사 결과 이상적인 조직편성 형태로 정규

부서를 제시하고 있어 향후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 전담 정규부서를 신설할

필요가 있음.

한편, 지방자치단체 규모별 비교분석 결과에서는 지방자치단체유형별로 녹색

성장 집행수준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녹색성장사업의 기대효과

에 대해 경제효과는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적 효과에 대해서는 모든 지방자치단체 유형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장이 경제에 대해 노력을 기울일수록 녹색성장의 정책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

으로 보임. 이는 녹색성장이 녹색과 성장의 어느 곳에 방점을 찍고 있느냐에

대한 언론이나 학계의 논란과도 연관된 결과임.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이러한 관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2 정부간 협력적 관계 모색: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현재 지방녹색성장위원회, 지방녹색성장책임관 지정 등 지방자치단체의 적극

적인 노력이 미흡한 상태이며, 현재 실정법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협

력관계는 규정되어있지 않음. 따라서 향후 중앙과 지방간 협력관계를 구축하

고 강화해 나가는 것은 중요한 과제임.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환경부가 추진하는 각종 녹색성장시책을 이

해시키고 협력을 촉구하는 장으로 '협의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또한 지

방자치단체는 환경부 추진 녹색성장시책 중 자신들의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사업들을 유치 또는 시행함에 있어 지원을 획득하기 위한 로비의 장으로 활

용할 수 있을 것임.

협의체의 기능은 녹색성장정책 추진에 있어 환경부와 관련 지방자치단체 간

Page 24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 ․․․․․․․․․․․․․․․․․․․․․․․․․․․․․․ 227

의 정책 제휴방안 마련,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하는 사업들의 사전 조정, 광

역적 사업 추진에 있어 지방자치단체들 간의 협력방안 마련, 저탄소 녹색성

장 운동의 전국적 확산을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등으로 규정가능 함.

협의체는 상설기구로 설치되어 정기적으로 개최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환경

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들이 사전적 조정을 거쳐 차년도 예산에 선 반영

될 수 있도록 개최시기를 조율할 필요가 있음.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들 간에 이해가 일치되는 녹색성장사업과 관련하여

투자규모, 투자분담, 투자시기 등에 대해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환경부와 지

방자치단체의 공동사업 형태로 사업을 추진할 필요 있음.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은 양자 간의 상호 이해와

정서적 공감을 기반으로 활성화될 수 있음. 이를 위한 주요 수단 중 하나는

인력교류라 할 수 있음. 환경부는 지역실정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

할 수밖에 없고, 지방자치단체는 사업수행에 필요한 전문성, 인력, 재정력 등

의 추진능력이 취약한 경우가 많기 때문임.

특히 환경부가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녹색성장사업의 경우 유관 지방

자치단체와의 인사교류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환경부 특정 녹색성장사업에 관심과 의욕을 보이

는 지방자치단체 선별, 적절한 인사교류방식 검토(직급, 직위, 교류기간 등),

해당 사업과의 연동 관점에서 인력파견 등의 절차를 통해 현재의 미진한 인

사교류의 정도를 강화 및 제도화하는 노력이 필요함.

3 녹색성장 관련 지방 거버넌스 조직의 역할

녹색성장을 실천하는 주체인 시민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은 녹색성장 정책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임. 현재 환경부를 포함한 정부 각 부처에 의

해 다각적인 방식으로 시민사회와의 협력이 추진되고 있음.

특히, 2008년 하반기에 만들어진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풀뿌리 실천운동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09년 10월 현재 전체 지방자치단체의 약 80%에서

지역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음.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의 경우 효과적으로 운

영할 경우 녹색시민운동의 대표적인 중심조직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민간부문과의 협력체계 강화 차원에서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활동을 더

욱 강화함으로써, 실질적인 주민행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그린스타트 네트워

Page 24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228 ․․․․․․․․․․․․․․․․․․․․․․․․․․․․․․․․․․․․․․․․․․․․․․․․․․․․․․․․․․․․․․․․․․․․․․․․․․․․․․․․․․․․․․․․․․․․․․․․․․․․․․․․․․․․․․․․․․․․․․․․․․․․․․․․․․․․․․․․․․․․․․․․․․․․․․․․․․․․․․․․․․․․․․․․

크를 저탄소 녹색성장 국민운동의 핵심브랜드로 육성할 필요가 있음.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무국의 인력과 예산을 확충함으

로써 운영위원회와 자문위원회의 내실 있는 운영을 지원하고, 지역네트워크

구성을 주도하고 있는 지방의제21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특히 지방의제21

참여인사들은 향후 지방녹색성장위원회에 중복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에서 ‘지방의제21 중심의 지역네트워크 운영’을 추진한다면, 녹색성장 추진에

있어 환경부-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체제 구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우수 지역네트워크 선정 및 포상제도’ 도입, ‘우수 사례의 전파를 통한 벤

치마킹 촉진’을 도모해야 할 것임. 또한 인센티브 및 지원시스템을 뒷받침하

여 지속적인 사업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함.

마지막으로 그린스타트 운동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지방자치단

체 메인페이지에서 그린스타트 네트워크가 접속 가능하도록 조치를 취하고,

지역별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홈페이지를 만들어 주민이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또한 그린스타트 운동 참여가 개인에게 실용적-특히,

경제적-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점을 적극 부각시키기 위하여, 탄소포인트

제도 등과 연계한 정보전달이 필요할 것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녹색성장과 관련한 현재의 여러 지방거버넌스 조직

을 한․두개로 통합 재편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음. 이에 대한 대안으

로 지방녹색성장포럼은 해체하여 그린스타트 지역네트워크와 통합하되, 지역

실정을 고려한 정책 개발을 위해 각 지역의 전문가들을 녹색성장포럼에 포

함시키는 방향으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음. 이러한 개편을 바탕으로, 녹색성

장포럼은 환경부 녹색성장사업의 개발 및 자문,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연계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전문성을 지원하는 자문위원회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4 지방의 저탄소 녹색성장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

본 연구는 2009년 1월에 환경부가 수립한 녹색성장 실천계획을 바탕으로 6월

에 보완하여 발표한 5개 분야(저탄소분야, 녹색성장동력분야, 녹색생활문화․

녹색인프라분야, 녹색일자리분야, 생활공감분야)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역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을 제시하였음.

설문조사 결과, <저탄소>, <녹색성장동력>과 관련하여 탄소시장 활성화를 제

Page 24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 ․․․․․․․․․․․․․․․․․․․․․․․․․․․․․․ 229

외하고는 계획이 없거나 정책집행이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지방자치

단체 녹색성장정책의 경우 주민과 함께하는 생활밀착형이 타당할 것이며, 환

경부의 정책과제인 <생활공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저탄소 분야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마을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빗물을

이용하는 마을, 축산분뇨를 활용하는 마을, 산림 목재펠릿을 이용하는 마을,

농촌쓰레기를 재활용하는 마을, 태양에너지를 생산하는 마을 등 시범사업의

모델을 다양하게 만들어, 많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시범사업을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조성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전국 지

자체와 건설 관련 회사에 조성기법과 기술을 홍보하는 것도 필요함.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며 지자체와 중앙정부는 녹

색마을 시범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주민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대응 방안 마련되어야 함.

환경부는 지자체가 자연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잠재량을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기준을 만들어 배포하는 것이 필요함. 지자체는 그 기준

에 따라 표준화된 잠재량 DB를 만들고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 지자체별 속성자료를 모아 광역지도를 만들고,

이를 합해 전국의 에너지원 지도를 만들 수 있음.

녹색성장동력 분야

배출권거래제의 도입에 필요한 사전 준비사항인 기업의 배출권거래제 참여,

등록 및 탈퇴 운영기준 마련, 배출권 승인심의 위원회, 인증기관 등의 운영

지침 등이 내실 있게 마련되어야 함. 탄소배출권 시범거래의 성공을 위해서

는 업체들의 사전적인 교육과 학습 등 인식의 제고와 시범사업을 통해 나타

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우리나라에 맞는 방식을 채택해야 할 것임.

저탄소 녹색성장을 목표로 지속가능한 경제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세제

개편이 필요한데, 지방자치단체 환경세 도입의 동기부여를 위해 환경세 재원

활용과 관련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재원조달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

적 장치가 전제되어야 할 것임

Page 24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230 ․․․․․․․․․․․․․․․․․․․․․․․․․․․․․․․․․․․․․․․․․․․․․․․․․․․․․․․․․․․․․․․․․․․․․․․․․․․․․․․․․․․․․․․․․․․․․․․․․․․․․․․․․․․․․․․․․․․․․․․․․․․․․․․․․․․․․․․․․․․․․․․․․․․․․․․․․․․․․․․․․․․․․․․․

녹색생활문화 녹색인프라 분야

설문조사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녹색성장 정책의 집행이 원활하

게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은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와 관련된 온실가스

줄이기 및 탄소포인트제 사업, 친환경상품시장 확대 및 상품구매 촉진, 친환

경 생태관광 인프라, 훼손․복개하천 복원, 녹색성장 교육․홍보 정책으로 나타

남.

영국 런던이나 일본 도쿄의 기후변화와 친환경에너지 전시관은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이러한 전시관을 활용하여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

여 운영한다면 청소년의 환경교육 현장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일반 시민의 환

경의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

녹색성장은 녹색생산과 녹색소비의 조화를 통해서 더욱 발전할 수 있음. 특

히, 녹색소비는 생활의 녹색혁명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녹색성장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임.

도시와 가정의 녹색소비 표준을 도출하고 장려함으로써 녹색소비를 촉진하는

방안이 필요. 지속가능한 가계소비와 실천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

시하거나 가정의 녹색생활 표준을 만들어 실천하는 수준에 따라 등급별로

인증해주는 가정인증시스템이 검토되어야 함.

친환경 제품과 녹색 소비에 대한 사전지식이 많은 소비자일수록 녹색구매 비

율이 높기 때문에, 녹색소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함.

어린이, 성인, 노인 등 대상별 녹색소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프로

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친환경제품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

하고, 바코드 및 카드단말기와 연동하여 녹색소비 실태를 시스템적으로 정확

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통해 녹색소비 활동에 그린 마일리지와 같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음

녹색일자리 분야

설문조사 결과 <녹색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서는 쓰레기수거 등을 통한 일자

리 창출이나 자연환경보호 등에서 원활한 집행을 보이고 있음

녹색일자리에 대한 관심과 다양화의 노력이 필요한데 그 예로 그린홈닥터를

들 수 있음. 그린홈닥터는 가정과 사무실을 방문해 냉방과 난방, 실내온도와

에너지 이용실태를 점검하고, 적정한 에너지 이용 방법을 설명해 주는 전문

가로 어디에서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지, 어느 곳에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Page 24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 ․․․․․․․․․․․․․․․․․․․․․․․․․․․․․․ 231

있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줌으로써 총체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 환경부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그린

홈닥터를 양성할 필요 있음.

생활공감

설문조사 결과, <생활공감>과 관련한 정책은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등을 제

외한 대부분의 사업이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환경부에서는 아토피 없는 나라 프로젝트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구

체적인 시범사업 등은 아직 추진하고 있지 못한 상황임. 반면 지자체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아토피 치유사업에 대한 관심과 추진의지가 많음. 환경보

건 측면에서 환경부와 지자체가 상호 협력하는 것은 의미 있음.

또한 환경성 질환에 대한 치유제품에 대한 검증과 신뢰성제고를 위해 기술영

향평가 및 전 과정 평가가 강화되어야 함. 보건산업 시장의 건전성 확보와

소비자들이 안전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품질평가 및 보증제도 등과 같

은 품질인증 정보제공을 강화해야 함

5 정책적 함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자원 고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인 노력이 강

화되고 있는 추세에 한국의 ‘녹색성장’ 정책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온 획

기적인 선언으로 그 의미가 있음. 특히, 녹색성장은 지금까지 환경부가 추진

해오던 기후변화정책을 바탕으로 에너지정책이 함께 추진됨에 따라 여러 유

관 부처들이 동시에 참여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부는 지금까지 수

행한 기후변화정책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녹색성장의 핵심부서로 성장

할 것으로 기대됨.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녹색성장정책의 실질적인 집행기관이 지

방자치단체 수준으로 변화함에 지방자치단체 역할이 주요한 변수로 등장하였

고, 나아가 지방자치단체와 중앙부처와의 협조관계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특히 녹색성장사업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추진시 어려움으로

전문성 부족을 제기하고 있어 환경부와 같이 녹색성장정책에 대한 오랜 경험

과 노하우를 지닌 중앙부처와의 협조가 중요함.

Page 24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232 ․․․․․․․․․․․․․․․․․․․․․․․․․․․․․․․․․․․․․․․․․․․․․․․․․․․․․․․․․․․․․․․․․․․․․․․․․․․․․․․․․․․․․․․․․․․․․․․․․․․․․․․․․․․․․․․․․․․․․․․․․․․․․․․․․․․․․․․․․․․․․․․․․․․․․․․․․․․․․․․․․․․․․․․․

또한,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이 나타났을 경우에도 중앙정부의 주무부처를 통

한 해결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법․제도적인 근거를 마

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임.

이처럼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추진에 있어 중앙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환경업무와 예산을 지방으로 분권화하면서 나

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임.

또한, 지방자치 실시 이후 수도권 인근 지역의 난개발, 낙후지역의 환경에 대

한 관심 미흡 등으로 오히려 자연환경이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음. 따라

서 귀중한 환경자산을 보유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무분별한 개발보다 오히

려 보존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제도적인 지원

이 필요함.

아울러 지방자치단체가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하여 녹색성장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주민과 환경전문가 등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공동체 운동을 보급․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할 필

요가 있음.

이상의 연구결과가 현실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향후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임.

첫째, 지방자치단체에서 협조가 필요한 중앙부처로 환경부를 가장 많이 응답

하고 있는 것은 물론, 지난 1년간 접촉빈도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실질적인 연계조직이 미비하고, 실정법에도 근거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협의회에 대한 안을 기반으로 구성 및 운

영방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임.

둘째,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녹색성장정책을 집행할 경우 실제 추진 주체는

지역주민과 지역기업으로 이들의 시민사회 참여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 지역

주민과 기업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하였듯이

현재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 홍보강화 등을 통해 그린스타트 네트워크 운영을 활성화하고, 시민사

회의 녹색성장 참여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

어야 할 것임.

셋째, 본 연구는 저탄소 분야, 녹색성장동력분야,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

분야, 녹색일자리 분야, 생활공감분야의 다섯 차원으로 정책을 분류하여 조

사하였음. 그러나 2009년 10월에 환경부는 기존의 분류를 수정․보완하여 기

Page 24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 ․․․․․․․․․․․․․․․․․․․․․․․․․․․․․․ 233

후변화 대응, 녹색성장동력확충, 녹색생활문화 확산, 생활공감 등의 4대 전략

과 이에 대한 11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음. 따라서 변화된 정책 틀을 바탕으

로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Page 24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제7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234 ․․․․․․․․․․․․․․․․․․․․․․․․․․․․․․․․․․․․․․․․․․․․․․․․․․․․․․․․․․․․․․․․․․․․․․․․․․․․․․․․․․․․․․․․․․․․․․․․․․․․․․․․․․․․․․․․․․․․․․․․․․․․․․․․․․․․․․․․․․․․․․․․․․․․․․․․․․․․․․․․․․․․․․․․

Page 24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참 고 문 헌

Page 24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25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37

강원뉴스(2009) 온실가스 배출 감축 ‘그린시장’ 선점, 2009년 5월 16일자

경기도. (2004). 경기도 지속가능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고경훈. (2004). 중앙-지방 정부간 관계의 정책형성 연구: 성남시의 수도권 남부저유

소입지선정 결정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2): 41-62

고경훈․정인화. (2008). 협상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부간 갈등연구. 한국공공관리학

보 22(4): 19-48.

고재경․ 최충익․ 김희선. (2008). 「기후변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적응방안연

구」. 경기개발연구원.

국토연구원.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영국의 국가정책 동향 - 계획법(Planning

Act) 제정을 중심으로. 국토정책 Brief. 208: 1-6.

권해수․김창수. (2001). 환경정책집행과 환경부패-수질분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

구 5(1): 281-301.

김병완. (2003). 지방자치단체의 지속가능발전정책 추진과정 분석-담양군 사례를 중

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0: 1-22

김성완, 최일홍, 이기홍, 오정익, 김홍주, 전선정, 2050 일본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

한 12 방책과 시사점, HURI FOCUS, 2009.2 제34호, (경기 : 주택 도시 연구

원, 2009), p.1-3.

김성철․황재국․전성훈. (2006). 우리나라 비축정책의 집행요인에 관한 연구: 민․

관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3): 75-94

김정인. (2008). 저탄소 녹색성장의 의미와 필요성.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김정인. (2009). 녹색성장과 한국의 정책방향. 제446회 정책&지식 포럼 자료

김진범, 일본 저탄소 사회 만들기 전략과 시사점, 국토 정책, 2008.12.29 제209호,

(경기 : 국토 연구원), p.2-4.

김진홍, 녹색 성장을 위한 일본의 3R 정책, 해외경제정보, 2008.10.17 제2008-56호,

(서울 : 한국 은행), p.3.

김정인(2009),“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과 서울시의 방향”,「서울경제, 통권 49호.

김창수. (2000a). 환경정책집행수단의 인과성 분석-한강수계 팔당 상수원 사례를 중

심으로-. 지방정부연구 4(2): 245-264.

. (2000b). 지방자치제 실시와 환경정책집행의 효과성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

행정학보 34(4):257-276

김태은․안문석. (2006) 정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정부규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사례분석 및 다국가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5(3):

159-201

Page 25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38 ․․․․․․․․․․․․․․․․․․․․․․․․․․․․․․․․․․․․․․․․․․․․․․․․․․․․․․․․․․․․․․․․․․․․․․․․․․․․․․․․․․․․․․․․․․․․․․․․․․․․․․․․․․․․․․․․․․․․․․․․․․․․․․․․․․․․․․․․․․․․․․․․․․․․․․․․․․․․․․․․․․․․․․․․

김현민, 도계훈, 일본의 지역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정책 동향 연구, 연구 보

고, 2008-14 (서울 : 한국 과학 기술 기획 평가원, 2008), p.38.

김혜림, 고효율 저탄소 사회를 꿈꾸는 일본, 울산 발전, 2008 vol 21, (울산 : 울산

발전 연구원, 2008), p.86-87.

남궁근 외. (2006). 행정조사방법론 (3판). 법문사. 파주

노시평외2명 (2006). 정책학의 이해. 비엠엔북스. 서울

노화준. (2004). 정책학원론. 박영사. 서울

노화준. (2005). 환경부문 규제영향분석의 방법과 사례연구. 한국행정연구원

녹색성장위원회. (2009a). 녹색성장국가전략.

녹색성장위원회. (2009b). 녹색성장5개년계획(2009-2013).

녹색성장위원회. (2009c).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제정안(공청회 자료).

마강래 외(2008), 저탄소 녹색성장과 지역발전 정책 방안,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무역협회. (2008). 2008 세계 속의 대한민국

문태훈. (2002a). 녹색 거버넌스의 이론과 실제4-한국에서 녹색 정부의 가능성과 조

건. 환경과생명 31:74-87

문태훈. (2008). 한국 환경정책의 변화와 과제, 1963-2007. 한국정책학회보17(3):

131-161

. (2002b). 보전과 개발을 둘러싼 중앙부서 간의 환경갈등 원인과 저감 방안.

김종순 편. 『지속가능 발전과 환경 거버넌스』. 서울. 대영문화사.

. (2008). 실용적 환경정책과 환경규제 개선. 새 정부 정책전환과 과제. 한국정

책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pp.685-714.

박상인⋅윤순진⋅이봉의. (2008). 환경규제와 경쟁정책. 한국공정거래조정원.

박수헌. (2007). 미국 주간대기청정규칙의 제정에 대한 입법평가 사례분석. 한국법제

연구원

박순애. (2008).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국가운영 시스템 과제와 전략」. 최병선·

최종원 공편. 나남. 파주.

박재희․정유진. (2004). 중앙행정부처의 갈등관리 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박형서 외. (2007). 공공사업의 갈등지표 개발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박호숙, (2005) 정책집행에 있어서 순응확보의 전략개발에 관한 연구

배정환․안지운. (2007). 지역 신재생에너지 시설물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사

회적 가치추정: 풍력단지를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원

배정환․김진오․조상민. (2006).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에너지사업 추진전략 및

Page 25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39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바이오 및 폐기물 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

서울특별시(2009), 2030 서울형 저탄소 녹색성장, 2009년 7월 2일

성지은, 일본 과학 기술 행정 체제 변화의 주요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과학 기술

정책, 2008 MAY․JUN, (서울 : 한국 과학 기술 기획 평과원, 2008), p.108.

양난주. (2009). 노인돌보미바우처 정책집행분석-선택과 경쟁은 실현되는가?- 한국사

회복지학 6(3): 77-101

에너지 정보 통계 센터, 해외 에너지 정책 동향, 2009.5.1 issue 17, (경기 : 에너지

경제 연구원, 2009), p.3-5.

연합신문(2008), 캘리포니아 청정에너지 정책, 2008년 3월28일자

옥화영. (2008). 공정거래정책의 집행효과와 영향요인: 규제자와 피규제자 간의 인식

차이. 한국공공관리학보 22(3): 53-75

왕광익,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국내외 주요 도시의 사례, (경기 : 국토 연구원),

p.51-54.

유영성. (2005). 경기도의 환경 갈등․분쟁연구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

유의선,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연구 개발 및 국제 협력 동향, 과학 기술 정책,

2008 JUL․AUG, (서울 : 한국 과학 기술 기획 평가원, 2008), p.174-175.

유훈. (2007). 정책집행론, 대영문화사. 서울

윤순진. (2009).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ECO 13(1): 219-266.

윤종설. (2004). 환경규제정책의 순응확보방안. 한국행정연구원

오일영. (2008). 영국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정책. 도시문제, 479호: 89-99.

이광석. (2005). 정책집행의 성공과 실패에 있어서 정책결정자의 역할에 관한 고찰.

서울행정학회·한국조직학회·한국정책과학학회 2005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집: 27-51.

이민창․한종희․안병철. (2005).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의 성패요인: 폐기물처리시설

과 공항건설사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19(3): 71-92

이병욱. (2006). 지속가능발전과 기업경영. 에코포럼 편. 『지속가능발전: 이해와 실

천적 전략』.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서울

이수철, 일본의 온난화 대책과 경제계의 환경 자주 행동 계획, 기후 변화 대책 기본

법 정책 심포지움, 2008.09.23, p.8

이승종. (2003). 지방자치론. 박영사. 서울.

Page 25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40 ․․․․․․․․․․․․․․․․․․․․․․․․․․․․․․․․․․․․․․․․․․․․․․․․․․․․․․․․․․․․․․․․․․․․․․․․․․․․․․․․․․․․․․․․․․․․․․․․․․․․․․․․․․․․․․․․․․․․․․․․․․․․․․․․․․․․․․․․․․․․․․․․․․․․․․․․․․․․․․․․․․․․․․․․

이원일, 김상구. (1998) 지방정부의 정책집행과정에 관한 연구 - 환경정책을 중심으

로. 지방과 행정연구 10(1): 433~449.

이재성. (2007). 지방정부 역량의 실증분석: 충청남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

학학회보 11(3): 27-48

이종수. (2004). 한국 지방정부의 혁신에 관한 실증분석: 혁신패턴, 정책행위자 및 영

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5)

인천광역시(2009), 인천시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 로드맵(안).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 (2009).

전국경제인연합회. (2005). 국내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사례. 전국경제인연합회, 지속가

능발전기업협의회.

전기정·이재은. (2004). 정부혁신과 정책집행 성공 요인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8(4): 131 ~ 147.

정성수. (2008). 교육정책집행 영향요인의 특성 분석-교육대학발전 교사 교육 프로그

램 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6(2):23-48

정성춘, 일본의 저탄소 사회 전략의 현황과 시사점, 오늘의 세계 경제, 2008.8.14 vol

8, (서울 : 대외 경제 정책 연구원), p.5.

정보통신연구진흥원(2009), 오바마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신재생 에너지 산업 전

망.

정회성 외. (2000).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지역자율환경관리의 효과적 추진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조명래. (1996). 특집. 녹색자치를 위한 대안 전략: 환경자치와 대안적 지역발전. 환

경과 생명 9: 22-23

조영희(2008). 성주류화의 집행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7(3): 292-317

주삼식․임구원. (2006). 한국지방정부의 환경행정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

문집: 149-163

최현정 , 김재근 , 권기헌(2009). 지방자치단체의 u-City 구현에 있어 조직 간 갈등과

협력 -서울시 u-Green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489-508

최환용. (2006). 사회양극화 해소 정책실현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역할 및 책

임배분에 관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한계레신문(2009), 스마트 그리드로 가는 미국, 2009년7월19일자

한국행정연구원. (2007). 주요국의 행정제도 동향 조사 - 영국의 정부조직.

환경관리공단. (2008a).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대응사례.

Page 25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41

환경관리공단. (2008b). 기후변화대응 지방자치단체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

환경부. (2006). 환경부 환경행정혁신을 위한 중장기 조직체계 발전방안 연구

환경부. (2009). 환경분야 녹색성장 실천계획. 2009 녹색성장포럼-한국환경정책학회

15주년 기념 합동회의 자료집. pp.15-34.

환경부⋅환경관리공단. (2008). 해외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대응 사례집.

Babbie, Earl R.(2007).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1th). 사회과학조사방법론.

고성호 외 역. 그린. 서울

Chappin, Maryse, Walter J. V. Vermeulen, Marius T. H. Meeus, Marko P.

Hekkert. (2009).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fo environmental

policy in environmental innovation: adoption explained by the

accumulation of policy instruments and agent-based factors.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Cordero, Raul R., Pedro Roth & Luis Da Silva. (2005). Economic growth or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false dilemma of the Latin-American

countries.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8: 392-398

DECC. (2009). The Road to Copenhagen.

Edwards III, George C. & Ira Sharkansy(1978). The Policy Predicament: Making

and Implementing Public Policy. San Francisco pp.292-321

Elmore, Richard. (1979, 1980). Backward Mapping: Implementation Research and

Policy Decision. Political Science Quarterly. 94(4).

Friedman, Thomas(2008). Hot, Flat, and Crowded. Chicago Review. New York

Giacchino, Stephen & Andrew Kakabadse. (2003).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The Route to Building Self-Confident Government.

International Review of Administrative Sciences, Jun 2003; vol. 69: pp. 139

- 160.

Hill, Heather. (2003). Understanding Implementation: Street-level Bureaucrats'

Resources for Reform.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3: 265-282

Hilson, Gavin(2000).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ies in Canada's mining sector:

an overview of government and industry efforts.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3: 201-211

Hjern, Benny & Chris Hull. (1982). Implementation Research as Empirical

Constitutionalism. Europear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10(2)

Page 25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42 ․․․․․․․․․․․․․․․․․․․․․․․․․․․․․․․․․․․․․․․․․․․․․․․․․․․․․․․․․․․․․․․․․․․․․․․․․․․․․․․․․․․․․․․․․․․․․․․․․․․․․․․․․․․․․․․․․․․․․․․․․․․․․․․․․․․․․․․․․․․․․․․․․․․․․․․․․․․․․․․․․․․․․․․․

Joaquin. (2009). Bureaucratic Adaptation and the Politics of Multiple Principals in

Policy Implementation.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39:

246-268

Mazmanian, Daniel A. & Paul A. Sabatier. (1983). Implementation and Public

Policy. Glenview. pp.20-35

Mills, Simon. (2009). Climate Change - The Role of Local Authorities: A UK

Perspective.

Mischen, Pamela A. & Thomas A. P. Sinclair. (2007). Making Implementation

More Democratic through Action Implementation Research.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9: 145-164

Pierre, J. & Peters, B. G. (2000). Governance, Politics and the State. London:

Macmillan Press.

Porter, M. E.(1991). America's Green Strategies. Scientific American. April

Ranerup, Agneta(2008).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Public Policy

Implementation: The Case of Pension Reform.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26(4): 428-445

Sabatier, Paul A. & Daniel A. Mazmanian. (1979). The Conditions of Effective

Implementation: A Guide to Accomplishing Policy Objectives. Policy

Analysis 5.

Sabatier, Paul A. (1986).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Implementation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and Suggested Synthesis. Journal of Public

Policy 6(1): 21-48

Smith, Thomas B. (1973).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Policy Science 4:

197-209

Spillane, James P, Brian J. Reiser, & Todd Reimer (2002). Policy Implementation

and Cognition:Reframing and Refocusing Implementation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2(3): 387-431

Stich, Bethany & Kim Eagle (2005). Planning to Include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Implementation With Effective CItizen Involvement.

Public Works Management Policy 9: 319-340

Walker, Elaine M. (2004). The Impact of State Policies and Actions on Local

Implementation Efforts: A Study of Whole School Reform in New Sersey.

Educational Policy 18(2): 338-363

Page 25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43

Whitford (2007). Decentralized Policy Implementation.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50(1): 17-30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EPA Clean Energy-Enviroment Guide to Action - Policies, Best Practices and

Action Steps for States-, 2006. http://www.epa.gov/cleanenergy

http://www.opencongress.org/bill/111-h2454/show(The American Clean Energy

and Security Act of 2009)

http://www.globalwindow.org(캘리포니아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동향 Kotra)

‘BARACK OBAMA AND JOE BIDEN: NEW ENERGY FOR AMERICA,

http://www.barackobama.com/pdf/factsheet_energy_speech_080308.pdf

UNESCAP. http://www.greengrowth.org/

녹색성장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greengrowth.go.kr

일본 경제산업성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 METI),

http://www.meti.go.jp/

일본 환경성 (Ministry of the Environment), http://www.env.go.jp/

주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Embassy of Japan in Korea),

http://www.kr.emb-japan.go.jp/

www.defra.gov.uk

www.c40cities.org

www.berr.gov.uk

www.decc.gov.uk

www.ukinkorea.fco.gov.uk

C40. http://www.c40cities.org/

Page 25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25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부 록

Page 25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Page 26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47

【 부 록1 】설문지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사업 추진현황 조사연구ID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적절한 역할분담과 관계정립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

의 녹색성장사업 추진현황을 파악하고자 합니다. 귀 자치단체의 의견은 지방의 특

성을 고려한 녹색성장정책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귀하의 응답은 ‘통계법(법률 제 5691호)’제13조에 의해 보호되며 통계적 목적 이

외의 다른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바쁘신 중에 협조해 주신 데 대해 감사

드리며 귀하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이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2009년 8월

주관기관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연구책임자 : 박순애 교수

제 출 처 : [email protected]

Page 26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48 ․․․․․․․․․․․․․․․․․․․․․․․․․․․․․․․․․․․․․․․․․․․․․․․․․․․․․․․․․․․․․․․․․․․․․․․․․․․․․․․․․․․․․․․․․․․․․․․․․․․․․․․․․․․․․․․․․․․․․․․․․․․․․․․․․․․․․․․․․․․․․․․․․․․․․․․․․․․․․․․․․․․․․․․․

번호 실천과제 계획없음 사전검토 계획수립 사업집행 사업완료1 폐자원 에너지화 시설 건설 및 시설확충2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기술 개발3 저탄소 녹색마을(에너지의 체계적인 관리로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마을)4 기후변화 대비 하수도시설 개선 5 하수처리과정을 이용한 에너지 생성6 풍력․태양광 등 기상자원지도 작성7 공공자동차부문 온실가스 저감대책마련8 온실가스 배출통계 구축, 감시9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작성

번호 실천과제 계획없음 사전검토 계획수립 사업집행 사업완료1 상하수도 등 환경플랜트 수출산업화 2 먹는샘물 국제브랜드화 및 수출확대3 그린카 산업 육성 인프라 확대(제도개선, 기반시설 구축) 4 탄소시장 활성화(배출권거래제 등 탄소시장 인프라 구축)5 자원순환산업(폐전자제품, 폐금속자원 재활용 활성화 기반 구축) 육성6 토양정화산업(토양은행단지 조성) 육성7 생물자원산업(양생생물자원 실용화 지원, 매립지의 생물자원 활용) 육성8 그린화학산업 육성기반 육성

- 설문기입 요령 -

1. 각 설문의 답에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 또는 ○)하여 주십시오.

2. 특별한 경우에는 해당란에 직접 관련 내용을 기입해 주십시오.

녹색성장 추진 현황에 대한 질문입니다.

※ 다음은 환경부의 녹색성장 실천계획입니다. 해당란에 표시(√ 또는 ○)해 주십시오.1. 다음은 ‘저탄소’ 관련 녹색성장 실천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귀 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현황은 어떠합니까?

○ 사전검토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추진여부 검토 ○계획수립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의 조직, 예산 등 사업에 대한 계획단계 ○ 사업집행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 진행단계 ○사업완료: 녹색성장사업집행 완료

2. 다음은 ‘녹색성장동력’ 산업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귀 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현황은 어떠합니까?

○ 사전검토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추진여부 검토 ○계획수립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의 조직, 예산 등 사업에 대한 계획단계 ○사업집행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 진행단계 ○사업완료: 녹색성장사업집행 완료

Page 262: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49

번호 실천과제 계획없음 사전검토 계획수립 사업집행 사업완료1 온실가스 줄이기 참여운동 및 탄소포인트제 사업 추진2 친환경상품시장 확대 및 상품 구매 촉진3 친환경 음식문화 조성 촉진 4 친환경 생태관광 인프라 조성5 훼손하천, 복개하천의 복원 및 수변생태벨트조성6 환경부하가 큰 제품에 대한 자원순환성 평가체계 구축7 폐자원의 고부가가치 재활용 촉진8 녹색성장포럼 운영 활성화9 녹색성장 교육․홍보 및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10 녹색금융 등 녹색경영 촉진(기업 환경정보 공시제도 도입 운영 등)

번호 실천과제 계획없음 사전검토 계획수립 사업집행 사업완료1 쓰레기수거 (취로, 공공근로 등)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2 상수도관망 관리 선진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3 5대강 환경지킴이, 자연환경보호 등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4 환경분야 공공 인턴십 운영 및 환경조사사업 일자리 창출 5 환경전문인력 양성6 환경․에너지 대학원대학 설립

3. 다음은 ‘녹색생활문화․녹색인프라’ 관련 녹색성장 실천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귀 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현황은 어떠합니까?

○ 사전검토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추진여부 검토 ○계획수립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의 조직, 예산 등 사업에 대한 계획단계 ○ 사업집행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 진행단계 ○사업완료: 녹색성장사업집행 완료

4. 다음은 ‘녹색일자리’ 창출 실천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귀 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현황은 어떠합니까?

○ 사전검토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추진여부 검토 ○계획수립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의 조직, 예산 등 사업에 대한 계획단계 ○ 사업집행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 진행단계 ○사업완료: 녹색성장사업집행 완료

Page 26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50 ․․․․․․․․․․․․․․․․․․․․․․․․․․․․․․․․․․․․․․․․․․․․․․․․․․․․․․․․․․․․․․․․․․․․․․․․․․․․․․․․․․․․․․․․․․․․․․․․․․․․․․․․․․․․․․․․․․․․․․․․․․․․․․․․․․․․․․․․․․․․․․․․․․․․․․․․․․․․․․․․․․․․․․․․

번호 실천과제 계획없음 사전검토 계획수립 사업집행 사업완료1 향기로운 도시 만들기(도로변 미세먼지 및 악취 등 저감)2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상ㆍ하수도 보급률 증진)3 환경오염으로 건강을 위협받는(예: 아토피 등) 인구최소화4 그린코디 서비스 실시(생활환경 컨설팅 사업 추진 등)5 친환경 안심놀이터 조성6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사 업 명 실시일 년 월 부터 년 까지

사 업

5. 다음은 ‘생활공감’ 녹색성장 실천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귀 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현황은 어떠합니까?

○ 사전검토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추진여부 검토 ○계획수립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의 조직, 예산 등 사업에 대한 계획단계 ○ 사업집행단계: 녹색성장 관련 사업 진행단계 ○사업완료: 녹색성장사업집행 완료

6. 위에 언급된 사업 이외에 현재, 귀 자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녹색성장 사업은 무엇입니까?

7. 위에 언급된 사업 이외에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해야 할 녹색성장 사업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8. 귀 자치단체의 녹색성장 관련 사업의 추진 조직은 어떤 형태입니까? 둘 이상의 조직일 경우 중요도 순서대로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① 정규부서(예시: 과, 국 등) ② 임시작업단(태스크포스 Task Force)   ③ 위원회(예시: 녹색시민위원회) ④ 기존의 여러 부서에서 나누어 추진  ⑤ 기타(구체적으로: )

9. 현재 상황의 제약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녹색성장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가장 이상적인 조직편성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정규부서(예시: 과, 국 등) ② 임시작업단(태스크포스 Task Force)   ③ 위원회(예시: 녹색시민위원회) ④ 기존의 여러 부서에서 나누어 추진  ⑤ 기타(구체적으로: )

10. 기존 부서에서 녹색성장업무와 타 업무를 복합적으로 처리하는 구조일 경우에는 다음의 어느 유형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환경(녹지, 상․하수도)+녹색성장 ② 건설(도시, 도로)+녹색성장③ 문화(교육, 예술)+녹색성장 ④ 복지(의료)+녹색성장⑤ 재무+녹색성장 ⑥ 기타( )

11. 귀 자치단체의 녹색성장 관련 사업의 추진 조직의 직원은 어떻게 됩니까? 정규직 ( )명비정규직(예시: 계약직, 일용직 등) ( )명

12. 귀 자치단체 녹색성장 사업의 전체 예산은 얼마입니까?단년도 2009년 예산: ( )원, 2010년 예산안: ( )원

Page 264: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51

번호 전혀 관심없다 매우 의욕적이다1 지역경제발전 ① ② ③ ④ ⑤2 R & D 등 투자확대 ① ② ③ ④ ⑤3 고용 창출 ① ② ③ ④ ⑤4 빈곤 해소 ① ② ③ ④ ⑤5 범죄율 감소 ① ② ③ ④ ⑤6 국민의 건강증진 ① ② ③ ④ ⑤7 사회적 약자 보호 ① ② ③ ④ ⑤8 쾌적한 생활환경 ① ② ③ ④ ⑤9 재난․재해 예방 ① ② ③ ④ ⑤10 토양보전 ① ② ③ ④ ⑤11 온실가스 감축 ① ② ③ ④ ⑤12 수질 개선 ① ② ③ ④ ⑤13 대기질 개선 ① ② ③ ④ ⑤14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사용 촉진 ① ② ③ ④ ⑤15 다양한 생물종의 보호 ① ② ③ ④ ⑤16 녹색생활 실천 등 녹색성장교육 확대 ① ② ③ ④ ⑤17 녹색기술 개발 ① ② ③ ④ ⑤18 녹색산업 육성 ① ② ③ ④ ⑤19 친환경세제 등 녹색경제기반 구축 ① ② ③ ④ ⑤20 대중교통 중심의 녹색교통체계 구축 ① ② ③ ④ ⑤

번호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매우 도움이 된다1 지역경제발전 ① ② ③ ④ ⑤2 R & D 등 투자확대 ① ② ③ ④ ⑤3 고용 창출 ① ② ③ ④ ⑤4 빈곤 해소 ① ② ③ ④ ⑤5 범죄율 감소 ① ② ③ ④ ⑤6 국민의 건강증진 ① ② ③ ④ ⑤7 사회적 약자 보호 ① ② ③ ④ ⑤8 쾌적한 생활환경 ① ② ③ ④ ⑤9 재난․재해 예방 ① ② ③ ④ ⑤10 토양보전 ① ② ③ ④ ⑤11 온실가스 감축 ① ② ③ ④ ⑤12 수질 개선 ① ② ③ ④ ⑤13 대기질 개선 ① ② ③ ④ ⑤14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사용 촉진 ① ② ③ ④ ⑤15 다양한 생물종의 보호 ① ② ③ ④ ⑤

경제개발 중점 환경․생태 보전① ② ③ ④ ⑤

13. 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녹색성장정책이 다음의 항목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4. 귀 자치단체장은 경제개발과 환경보전의 양축에서 어디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5. 아래 항목에 대한 귀 자치단체장의 노력정도를 표시해 주십시오.

Page 265: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52 ․․․․․․․․․․․․․․․․․․․․․․․․․․․․․․․․․․․․․․․․․․․․․․․․․․․․․․․․․․․․․․․․․․․․․․․․․․․․․․․․․․․․․․․․․․․․․․․․․․․․․․․․․․․․․․․․․․․․․․․․․․․․․․․․․․․․․․․․․․․․․․․․․․․․․․․․․․․․․․․․․․․․․․․․

중앙정부 지방정부 합계 % % 100

① 기획재정부 ② 환경부 ③ 국토해양부 ④ 지식경제부 ⑤ 행정안전부 ⑥ 교육과학기술부⑦ 외교통상부 ⑧ 문화체육관광부 ⑨ 농림수산식품부 ⑩통일부 ⑪국방부 ⑫법무부 ⑬노동부 ⑭ 보건복지가족부 ⑮ 여성부

번호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1 인력 부족 ① ② ③ ④ ⑤2 인력의 전문성 부족 ① ② ③ ④ ⑤3 녹색성장사업 예산 부족 ① ② ③ ④ ⑤4 갈등의 발생 시 조정의 어려움 ① ② ③ ④ ⑤5 녹색성장에 대한 정보부족 ① ② ③ ④ ⑤6 지역사회의 관심 및 협조부족 ① ② ③ ④ ⑤7 공무원의 인식부족 ① ② ③ ④ ⑤8 기타 어려운 점 ( )

16. 아래는 지방자치단체가 녹색성장 사업을 추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입니다.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세요.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과 중앙-지방정부 관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17.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원 부담 배율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8. 녹색성장 사업을 추진할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다음 중앙정부 중 어느 부처의 업무협조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협조가 가장 필요한 순서대로 3개를 답해 주십시오)( )( )( )

19.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하면서 중앙부처간 갈등이 발생할 경우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한 조정 ② 국무총리실을 통한 조정 ③ 조정기구신설 ④ 중앙정부의 주무부처를 통한 조정⑤ 기타 (구체적으로: )

20.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하면서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간 갈등이 발생할 경우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한 조정 ② 국무총리실을 통한 조정③ 중앙정부의 주무부처를 통한 조정④ 조정기구신설 ⑤ 기타 (구체적으로: )

Page 266: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53

21. 녹색성장사업을 추진하면서 지방자치단체간 갈등이 발생할 경우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한 조정 ② 지방녹색성장위원회를 통한 조정③ 중앙정부의 주관부처를 통한 조정④ 국무총리실을 통한 조정 ⑤ 지방녹색성장협의회(가칭) 등 신설기구를 통한 조정 ⑥ 기타 (구체적으로: )

22. 귀 자치단체가 녹색성장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다음 중 어느 방식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중앙정부가 계획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집행하는 위임방식②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집행하는 자치행정③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민간(제3섹터)에 위탁하는 방식④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방식⑤ 기타( )23. 녹색성장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방의 녹색성장관련 조직(예: 지방녹색위원회, 지방녹색포럼, 그린스타트 지역네트워크, 지방의제21, 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들이 어떤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으로 사업추진② 녹색성장 업무를 각 기구의 특성에 맞게 분담③ 조직을 통․폐합하여 한․두개의 조직으로 재정비④ 기타(구체적으로: )

녹색성장 협조관계와 접촉빈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24. 지난 1년간(2008년 8월 15일~2009년 8월 15일) 귀 자치단체가 녹색성장업무와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된 중앙부처와 업무협조가 있는 경우, 해당사항에 체크(√)해 주십시오.

접촉빈도년10회이하 년12~23회 년24~35회 년36~47회 년48~59회 년60회 이상

접촉없음 월1회이하 월1회~2회미만 월2회 ~3회미만 월3회~4회미만 월4회~5회미만 월5회 이상기획재정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환경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교육과학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외교통상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통일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법무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국방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행정안전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문화체육관광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농림수산식품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지식경제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보건복지가족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노동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여성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국토해양부 ① ② ③ ④ ⑤ ⑥ ⑦

Page 267: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54 ․․․․․․․․․․․․․․․․․․․․․․․․․․․․․․․․․․․․․․․․․․․․․․․․․․․․․․․․․․․․․․․․․․․․․․․․․․․․․․․․․․․․․․․․․․․․․․․․․․․․․․․․․․․․․․․․․․․․․․․․․․․․․․․․․․․․․․․․․․․․․․․․․․․․․․․․․․․․․․․․․․․․․․․․

일반사항

DQ1) 일반사항지방자치단체명

담당업무 직급근무년수 만 년

DQ2) 귀하의 연령은? ① 29세 이하 ② 30~34세 ③ 35~39세 ④40~44세 ⑤ 45세~49세 ⑥ 50세 이상 DQ3) 귀하의 최종 학력은? ① 고졸이하 ② 전문대/대학졸 ③ 대학원이상 졸 ④ 기타 ( )

DQ4) 귀하의 성별은?① 남자 ② 여자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268: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55

【 부 록 2 】설문응답지자체 목록구분 자치단체명 구분 자치단체명

광역도

강원도 성북구경기도 송파구

경상남도 영등포구경상북도 은평구

전라남도

군구

강원도

정선군

전라북도 철원군

충청남도 횡성군

충청북도경기도 여주군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시

광주광역시

경상남도

남해군

산청군대구광역시함양군

대전광역시합천군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군위군울산광역시 봉화군

인천광역시 영덕군

청송군

일반시

강원도 춘천시칠곡군

경기도

수원시

안양시 광주광역시 광산구

양주시

대구광역시

달서구

의왕시 달성군

파주시 서구

평택시 수성구

포천시대전광역시

동구

경상남도 사천시 서구

경상북도안동시

부산광역시

기장군

포항시 동구

전라남도목포시 동래구

순천시 사상구

전라북도

남원시 해운대구

익산시울산광역시

북구

전주시 중구

정읍시

인천광역시

강화군

충청남도 논산시 남구

충청북도제천시 서구

충주시 중구

서울자치구

강서구 동구

관악구

전라남도

고흥군

광진구 담양군

금천구 해남군

노원구 전라북도 완주군

동대문구충청남도

부여군

마포구 서천군

서대문구충청북도

단양군

서초구 청원군

Page 269: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56 ․․․․․․․․․․․․․․․․․․․․․․․․․․․․․․․․․․․․․․․․․․․․․․․․․․․․․․․․․․․․․․․․․․․․․․․․․․․․․․․․․․․․․․․․․․․․․․․․․․․․․․․․․․․․․․․․․․․․․․․․․․․․․․․․․․․․․․․․․․․․․․․․․․․․․․․․․․․․․․․․․․․․․․․․

【 부 록 3 】세미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 일시: 2009년 10월 14일 수요일 15:00~17:00

◇ 장소: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롯데국제교육관(152-1동) 207호

◇ 주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행정연구소

◇ 후원: 환경부

◇ 사회

홍준형 교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발표

발표1: 지방자치단체 녹색성장 추진 현황

박순애 교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발표2: 지방자치단체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제

변병설 교수(인하대학교 행정학과)

발표3: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협력체계

윤경준 교수(한성대학교 행정학과)

◇ 토론

나태준 교수(연세대학교 행정학과), 조경두 박사(인천발전연구원), 원구환 교수(한남대학교 행정학과)

<초대장> 겉면 안면

Page 270: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 ․․․․․․․․․․․․․․․․․․․․․․․․․․․․․․ 257

Page 271: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간 관계 및 지방의 녹색성장 효율화 방안 …webbook.me.go.kr/DLi-File/091/018/009/5553428.pdf · (최종보고서) 귀중 저탄소

2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