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여행 바우처는 재도입뿐만 아니라 유형의...

142
기본과제 2009-40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2009.10

Upload: others

Post on 16-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기본과제 2009-40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2009.10

  • 연구책임:김희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연구보조 : 우윤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조원)

  • 서 문고용은 한 경제변수 이상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단순히 경제활

    동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시스템 전반의 흐름에 의

    해 결정되는 변수이기 때문에 그만큼 접근이 어렵습니다. 또한 근로

    소득에 의존하고 있는 대부분의 가계에는 생존의 문제로 다가오기

    때문에 그만큼 절박한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많은

    이론, 이데올로기, 사상 등이 고용 문제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나타났

    습니다.

    경기가 침체기로 들어서는 경우 실업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나

    타납니다. 최근 이러한 과정속에 놓여 있으며 한편으로 경기가 회복

    되더라도 실업에 대해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입니다. 자동화, 정보

    화 등에 따라 제조업에서의 고용량은 정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관광산업도

    이러한 기대를 받고 있지만 많은 내부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도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확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에서 수

    요와 공급의 조건이 상호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관광

    산업의 고용 현황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정부의 임시적 일자리 창출, 관광산업의 고용확대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고용은 민간부문에서 주로 창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의

    성장, 생산성 향상, 수요 확대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연구

    보고서가 관광고용의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설문조사에 협

    조해 주신 관광사업체 인사담당자, 연구자문에 응해주신 전문가분들

    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09년 10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원장 정 갑 영

  • 연구 개요

  • - i -

    노동의 수요 노동의 공급

    임금, 생산물의 수요, 기업의 수,

    타 생산요소의 가격, 노동생산성 등

    임금, 생산가능인구, 여가 선호도,

    비근로소득, 근로조건 등

    1. 연구접근 방법

    연구접근 모델은 노동시장을 수요와 공급으로 나누어서 두 부문이 만나는

    지점에서 고용규모가 결정되고 고용량이 증가하기 위해서는 수요 또는 공급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해야 가능하다는 경제학의 수급논리를 바탕으로 한다.

    노동의 수요는 임금, 생산물의 수요, 기업의 수, 타 생산요소의 가격 등 여

    러 가지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가장 필요한 사항은 부가가치

    증대를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이다. 노동의 공급은 임금, 생산가능인구, 여가

    선호도, 비근로소득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노동

    강도, 고용안정 등 근로조건의 향상이 시급하다.

    노동의 수요․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현황 분석

    가. 관광고용 정책

    문화관광체육부에서는 2004년부터는 관광산업 청년인턴사원 채용사업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관광통역안내사 육성, 생태관광가이드 육성, 의료

    관광코디네이터 도입 등의 계획을 수립, 추진중이다. 한편으로 문화체육관광

    부와 노동부의 MOU 체결에 의하여 관광분야 사회적 기업을 발굴육성할 계

    획으로 있다.

  • - ii -

    관광 청년인턴 추진실적

    연도 채용인원 정규직 전환율(%) 국고보조금 집행액

    2004

    2005

    2006

    2007

    2008

    866

    466

    199

    172

    205

    -

    58.4

    67.84

    65.0

    60.5

    3,323백만원

    2,785백만원

    1,200백만원

    960백만원

    960백만원

    나. 관광산업의 경쟁력과 생산성

    Ferto and Hubbard RCA지수로 보더라도 관광산업은 2000년 0.039,

    2001년 -0.033, 2002년 -0.343, 2003년 -0.477, 2004년 -0.780, 2005년

    -1.185 등으로 2000년대 들어 RCA지수가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2007년 기준 관광사업체 기초통계조사에 의하면 종업원1인당 부가가치

    (노동생산성)는 전체 종사자 기준으로 2,270만원이었고, 상용종사자 기준으

    로는 3,520만원이다. 표준산업분류의 숙박 및 음식점업 8.3백만원에 비해서

    는 월등히 높은 수치이고 서비스업 평균 23.0백만원에 근접하는 것이다.

    다. 관광고용의 양적․질적 특성호텔업, 여행업의 고용자수는 정체, 감소하는 추세이다. 반면에 휴양콘도

    운영업, 청소년 수련시설 운영업, 기타 숙박시설 운영업의 종사자수는 꾸준

    히 증가하고 있어서 최근 숙박시설 유형의 다양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관광고용의 특징은 기존 관광사업체의 고용 확대 보다는 새롭게 진입하는

    사업체에 의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비중이 크다는 데 있다. 이것은 신규 창업

    촉진의 정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소규모 기업이 일

    자리 창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 - iii -

    관광숙박시설운영업 종사자수

    단위: 명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호텔업 40,599 44,008 45,578 39,858 40,720 36,461 36,410 38,261

    휴양콘도

    운영업3,751 5,634 7,774 7,653 8,407 9,060 9,981 10,154

    청소년수련시

    설운영업2,287 2,794 3,199 3,094 3,194 3,542 3,568 3,908

    기타숙박시설

    운영업10,791 10,746 12,899 14,997 16,214 18,894 20,312 23,530

    자료 : 통계청 DB

    여행업 종사자수

    단위: 명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일반 및

    국제여행사업21,804 23,881 25,800 25,209 26,293 30,164 30,186 31,916

    국내

    여행사업6,315 8,705 6,737 4,665 4,686 4,779 4,822 4,455

    자료 : 통계청 DB

    관광고용의 질적 측면을 살펴본 결과 노동강도는 높고 임금은 낮으며 이․전직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난다. 호텔업, 여행업의 임금은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 서비스업에 비해 낮은 편은 아니나 제조업에 비해서는 낮고 연

    도별 임금의 차이가 갈수록 제조업과 차이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임

    시 근로와 시간제 근로 등 비정규근로의 비중이 높으면서도 특히 상용종사

    자에 비해 임시근로자의 임금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 iv -

    3. 고용확대 방안

    고용창출을 위해서는 노동생산성 향상과 고용의 질 제고가 동시에 고려되

    어야 한다. 노동생산성 향상은 혁신과 시장 활성화(수요 확대)를 통해 가능

    하다.

    [그림 1] 관광고용 확대 구조

    가. 생산성 향상 및 산업 성장

    관광사업에 대해서도 중소기업청에서 시행하는 것과 같이 지방중소호텔

    등 경영악화 관광사업체에 대해서는 경영컨설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

    한 서울시의 이노스텔, 한국관광공사의 굿스테이 등과 같이 여관을 개량하

    여 관광객이 이용할 만한 시설로 전환시켜 가는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로는 부족하고 기금 지원을 통해 확대할 필요가 있다. 관광진흥개발기금의

    융자는 현재 관광사업체를 지원하는 중요한 방법이 되고 있으므로 그 대상

    범위를 확대하면서도 가능한 세부사업에 대해서는 창업지원과 신용대출의

  • - v -

    성격을 가미시켜갈 필요가 있다.

    나. 관광수요 창출․확대여행 바우처는 재도입뿐만 아니라 유형의 구분, 적용대상의 확대가 필요

    하다. 향후에는 복지관광과 관련된 바우처와 일반 저소득 근로자를 대상으

    로 한 바우처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국내관광수요의 창출은 청소년의 국내여행 활성화에서도 접근해 볼 수 있

    을 것이다. 주로 방학 때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여행활동을 장려하는 다양한

    할인제도와 카드 이용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선진국

    의 청소년 여행 지원정책을 참고할 만하다.

    관광수요 확대를 위해서는 세금 감면의 확대도 검토될 필요가 있다. 먼저

    휴양시설, 테마파크 등의 사용료, 입장료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면세함으로서

    국민들의 여가생활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수요가 늘어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다. 민․관 파트너쉽 및 해외시장 진출지자체, 연기금 등의 공공숙박시설 투자, 운영도 검토할 만하다. 관광공사

    등 공공부문에 의해 출자한 후 점차적으로 지분을 축소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관광진흥개발기금의 출자에 의해 자금형성을 지원하

    는 것도 검토될 수 있다.

    민관 파트너쉽은 지역홍보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CVB(convention visitors bureau)에 의한 지역홍보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국

    제회의, 지역축제, 이벤트 유치 및 개최를 위한 지역홍보, 장소마케팅의 필

    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어서 지역마케팅기구의 설립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 vi -

    국내 관광산업의 규모를 확대시켜 가는 차원에서는 관광호텔업, 여행업

    등의 해외진출을 지원, 촉진할 필요가 있다. 여행업의 해외 현지 인큐베이터

    (incubator) 사업의 의미로 중소기업청의 민간해외진출지원센터와 공동으로

    민관공동 컨설팅 사업을 기획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라. 관광고용의 질 제고

    현재 자격증 소지자와 지방공무원 대상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향후

    에는 기존 관광종사자에 대한 재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론뿐만 아니

    라 현장답사 등이 필요한데 현재 컨벤션 아카데미에서 항공료 등 일부 지원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과 같이 해외 연수의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간접적으로 근무환경 개선을 장려하는 방법으로 관광기업 대상, 컨벤션

    대상 등 정부포상의 경우 이직률, 노사관계, 복리후생 수준 등을 심사지표에

    포함시켜 기업이 종사자들의 근무환경에 얼마나 신경을 쓰는지를 반영시켜

    야 한다.

    관광종사자의 낮은 임금, 불안정성 등 열악한 근무조건을 개선하는 차원

    에서 관광종사자의 복지증진을 위한 공제사업의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요 공제상품은 다른 공제회와 유사하게 퇴직공제 사업, 회원급여

    저축사업, 생활자금 대여, 상해관련 공제사업, 복지서비스 사업, 취업 및 재

    교육 지원사업 등에서 선택하여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마. 단기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청년인턴 구인업체에 대기업을 포함시키는 것이 구직자의 선호에 부합하

    는 것이 될 것이고 관광안내소, 쇼핑센터 등 다양한 장소, 기업에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관광공사 해외지사를 활용하여 국내기업 해외지사,

  • - vii -

    교포기업, 국제기구 등에서 인턴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상까지 확대

    시켜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년인턴같이 근무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과 더불어 실무 직업교육에 보다

    초점을 두는 대학졸업 후 중기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관광분

    야 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3개월 이상 집중적으로 예비 관광인력에 대해

    교육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현장 교육, 현장 근무에 연결되는 교과과정을

    포함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관광통역안내원을 많이 양성하고 이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것도 하

    나의 효과적인 관광 고용창출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관광통역안내지원센터

    를 설치하여 통역안내 관련 구인, 구직을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할 필

    요가 있다. 센터는 여행사, 개별 관광객 등 관광통역안내원 수요자와 관광통

    역안내원 자격증 소지자와 외국어 가능자 등 공급자를 연결시켜주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앞으로도 특정 세부 분야의 가이드를 배출해 갈 필요가 있는데 새롭게 부

    각되고 있는 것이 의료관광 코디네이터(coordinator), 생태관광가이드 등이

    라 할 수 있다. 의료관광 코디네이터 양성 차원에서는 의료관광 아카데미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

    대학과 기업, 현장간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서는 인턴쉽 프로그램을 보다

    다양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인턴쉽 기간을 확대하고 농촌

    관광, 생태관광 현장실습 등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다양화할 수 있을 것이다.

    바. 조사 및 연구

    관광고용의 현황 파악과 관련해서 관광사업체 기초통계조사를 지속적으

    로 시행하여 노동생산성, 임금, 근로시간 등 고용의 질과 관련된 사항에 대

    한 데이터 자료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또한 관광사업체의 노사관계, 임금,

  • - viii -

    자금관리 등에 대한 기업단위의 현장 사례, 질적 조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관광산업에서는 서비스 R&D 관점에서 서비스 제공과정, 처리과정의 효

    율화에 필요한 기초연구를 정부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관광안내 정보시

    스템, 예약시스템, 놀이공원 원천기술 개발 등 특정산업과 연관된 기술 개발

    에 대해서도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

  • - ix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 3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5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7

    제1절 고용 동향 및 정책 ··············································································9

    1. 고용변동의 특징 ····················································································9

    2. 주요 고용정책 ·····················································································11

    제2절 관광산업 현황 ··················································································23

    1. 국제 경쟁력 ························································································23

    2. 부가가치 창출 ·····················································································27

    3. 생산성 ································································································30

    4. 시사점 ································································································35

    제3장 관광산업의 고용 특성 ·····················································39

    제1절 관광고용의 양적 특성 ·······································································41

    1. 관광산업 고용자수 ···············································································41

    2. 시사점 ································································································48

  • - x -

    제2절 관광고용의 질적 특성 ·······································································52

    1. 일반 현황 ····························································································52

    2. 임금․고용형태 등의 현황 ······································································55 3. 시사점 ································································································62

    제4장 해외사례 및 설문조사 ·····················································65

    제1절 해외사례 ··························································································67

    1. 일본 ····································································································67

    2. 영국 ····································································································78

    제2절 설문조사 ··························································································87

    1. 조사개요 ·····························································································87

    2. 설문조사 결과 ·····················································································87

    제5장 관광고용 확대방안 ··························································93

    제1절 기본 방향 ·························································································95

    1. 방향 설정 ····························································································95

    2. 세부 방향 ····························································································97

    제2절 세부 방안 ·······················································································100

    1. 생산성 향상 및 산업 성장 ··································································100

    2. 관광수요 창출․확대 ············································································103 3. 민․관 파트너쉽 및 해외시장 진출 ························································105 4. 관광고용의 질 제고 ···········································································108

    5. 단기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 ································································110

    6. 조사 및 연구 ·····················································································116

  • - xi -

    제6장 결론 및 제언 ································································119

    제1절 결론 ·······························································································121

    제2절 정책제언 ·························································································122

    부록 ·········································································································129

  • - xii -

    노동의 수요․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주요 고용지표 추이 ·····································································10

    희망근로 4대 랜드마크 사업 ························································13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계획 인원(2009~2013) ·································14

    청소년 직장체험 추진실적 ····························································15

    2008년 사회적 일자리 분야별 참여실적 ········································15

    근로자 직업훈련 지원 추진실적 ····················································17

    근로시간 단축지원금 실적 ····························································18

    외환위기시 관광분야 일자리 창출 사업 ·········································19

    관광 청년인턴 추진실적 ·······························································20

    관광 청년인턴 채용업체별 상시근로자수(2007년) ·························21

    관광산업 인적자원 관련 정책 세부내용 ·······································22

    세계경제포럼(WEF)의 관광경쟁력 평가 결과 ······························26

    OECD주요국들의 서비스산업 비중 ·············································27

    국내 총부가가치의 산업별 구성 ··················································28

    관광사업체 부가가치액 현황 ·······················································29

    서비스 업종별 노동생산성 및 증가율 ··········································32

    관광산업의 노동생산성 ·······························································33

    연도별 총자산순이익률 비교 ·······················································34

    관광산업 종사자수 ·······································································42

    관광숙박시설운영업 종사자수 ·······················································43

    여행업 종사자수 ··········································································44

    관광사업체 업종별 종사자수 ·······················································45

    관광산업의 종사자수 비율 ····························································46

  • - xiii -

    관광사업체 연령별 종사자 수 ·····················································47

    관광사업체 학력별 종사자 수 ·····················································48

    호텔업의 종사자 규모 기업별 종사자 수 ·······································50

    고용 관련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지표 ·············································53

    업종별 급여액(상용종사자) ·························································56

    업종별 임시직 급여(2007년) ·······················································57

    관광산업의 연간 총급여 ·····························································58

    관광사업체 고용형태별 종사자 수 ···············································59

    호텔업, 여행업의 고용형태별 종사자수 ·······································60

    관광사업체의 교육훈련 실시 현황 ···············································61

    사업내용 ······················································································70

    관광 카리스마 프로그램 예시 ·······················································74

    2007년 지역한정 통역안내사 시험 실시현황 ································77

    근무회사의 인력규모 ····································································87

    향후 3년 후 근무회사의 인력규모 예상 ········································88

    인력고용 관련 의사결정시 고려사항(복수 응답) ····························88

    직원들의 불만유형(복수 응답) ······················································89

    불만유형 중 향후 개선 가능성 판단(복수 응답) ····························89

    경영컨설팅 비용지원의 필요성 ·····················································90

    종사원 재교육 비용 지원의 필요성 ·············································90

    청년인턴 확대배치의 필요성 ·······················································91

    Working Holiday 입국자수 현황 ················································111

    외국의 관광분야 서비스 R&D 지원 사례 ····································118

  • - xiv -

    [그림 2-1]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 사업 ·····················································12

    [그림 4-1] 관광고용 창출과정 ·····································································71

    [그림 4-2] 관광지역프로듀서사업의 흐름도 ··················································75

    [그림 5-1] 노동시장의 균형 ········································································95

    [그림 5-2] 관광고용 확대 구조 ···································································97

  •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제 1 장 서론

  •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근래 들어 경제가 성장하면서도 그만큼의 고용이 증가하지 않는‘고용 없

    는 성장’현상이 나타나면서 각국은 고용의 정체문제로 고민을 거듭하고 있

    다. 특히 금융위기가 발단이 되어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겪게 됨에 따라 구조

    적 실업의 증가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전망이 밝은 것은

    아니다. 특히 경기가 회복되어도 자동화, 정보화 등의 진전에 따라 제조업에

    서 고용이 크게 증가할 것을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이에 따라 노동집약

    적 산업인 서비스업에서 해법을 찾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관광은 대표적

    인 서비스업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여전히 서비스업 전체가 부가가치, 고용

    비중 측면에서 기대보다는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어서 향후 서비스업의 발

    전과 비중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관광산업에서도 부가가치, 생산성 향상을 바탕으로 산업규모가 보다 확대

    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어야 노동의 수요를 늘려 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현

    재는 관광사업체의 일자리가 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임금, 근무시간, 노동강도, 복리후생, 교육훈련 등 고용의 질(quality

    of work) 측면에서 타 업종에 비해 열악한 수준이어서 관광산업에 취업하는

    것을 꺼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관광학과 출신 등 대학 졸업자들이 열악

    한 근로조건 때문에 관광사업체에 취업하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여행업 등의 이직률은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진다.

    관광사업체는 노동의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서 악순환(vicious cycle)의

    구조에 놓여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따라서 관광 노동시

    장의 수급 상황에 대한 현황분석과 고용창출 가능성의 검토가 필요하다. 고

  • 4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용확대 방안의 도출도 노동의 수요와 공급 측면 모두를 고려한 분석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으로 고용창출과 복지 등의 관점이 결합하여 사회적 일자리, 사회적

    기업, 1인 창조기업 등이 거론되고 있으므로 관광부문에서도 이러한 성격의

    일자리, 기업이 출현가능한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를 통해서는 주로 근본적인 산업성장을 통해 고용을 늘려 가는데

    초점을 두고 해법을 찾고자 한다. 한편으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고실

    업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가능성도 고려하여 정부에서 확대재정정책 등에 의

    해 인위적으로 단기 일자리를 만드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기로 한다.

    고용량의 결정은 모든 산업, 정책과 관련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고용확대 방안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관광산업 전반에 걸쳐 개선

    사항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관광정책에 대해서

    도 고용확대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는 과정을 거치고자 한다.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전체 노동시장의 추세, 특징과 고용촉진 정책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관

    광산업의 고용 능력을 가늠해 보는 의미에서 관광산업의 경쟁력, 생산성 등

    의 현황을 분석하기로 한다. 관광산업은 크게는 서비스업의 범주에 들어가므

    로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서비스산업의 현황도 포함시키기로 한다. 관광산

    업 고용의 규모와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나

  • 제1장 서론 5

    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고용수준의 양적 측면에서는 세부업종별, 성별, 학

    력별 고용현황을 다룬다. 고용수준의 질적 측면에서는 임금, 고용형태, 교육

    실태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정책적, 제도적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해외사례 조사를 포함시키고 관광

    업계를 대상으로 인력의 수급 전망, 고용계획, 애로사항 등에 대해 설문조사

    를 실시한다. 관광의 고용확대를 위한 제도적 방안은 관광 국내수요 확대, 창

    업 활성화, 규제 완화, 기업경영 선진화 등 본원적 고용창출 방안과 관광 청

    년인턴, 관광통역안내원 등 정부의 임시적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의 개선 및

    다양화 방안, 관광고용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방안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

    하기로 한다. 다만 노사관계, 노동조합, 고용유연화 등 노동정책, 제도와 관

    련된 사항은 방안도출 범위에서 제외하기로 한다. 이것은 관련분야에서 전문

    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인 접근을 통해 방안을

    찾는데 초점을 두기로 한다.

    2. 연구 방법

    문헌연구, 통계자료를 통해 기초 현황 데이터를 얻고 고용의 질 등 통계자

    료를 얻기 힘든 사항에 대해서는 신문기사를 바탕으로 내용을 분석하기로 한

    다. 실무업계의 의견은 설문조사를 통해 얻기로 한다.

    고용과 관련된 세부적인 자료는 통계청,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은행 등의

    통계자료를 이용하고 관광사업체 기초통계 조사 등 관광부문의 통계자료와

    비교분석하기로 한다.

    연구접근 모델은 노동시장(labor market)을 수요와 공급으로 나누어서 두

    부문이 만나는 지점에서 고용규모가 결정되고 고용량이 증가하기 위해서는

    수요 또는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해야 가능하다는 경제학의 수급논리

    를 바탕으로 한다.

  • 6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노동의 수요 노동의 공급

    임금, 생산물의 수요, 기업의 수,

    타 생산요소의 가격, 노동생산성 등

    임금, 생산가능인구, 여가 선호도,

    비근로소득, 근로조건 등

    노동의 수요는 임금, 생산물의 수요, 기업의 수, 타 생산요소의 가격 등 여

    러 가지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가장 필요한 사항은 부가가치

    증대를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이다. 노동의 공급은 임금, 생산가능인구, 여가

    선호도, 비근로소득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노동

    강도, 고용안정 등 근로조건의 향상이 시급하다.

    노동생산성과 근로조건의 관계는 상호영향을 줄 수 있다. 생산성이 높아야

    근로조건을 개선시켜줄 수 있는 여력이 생기기도 하지만 그 역의 관계도 성

    립한다. 근로조건이 향상되어야 근로의욕이 높아져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

    다. 관광과 같은 서비스업에서는 서비스 품질, 창의성 등의 측면에서 타업종

    에서 보다 더 인적자원, 내부고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보다 우수한

    인적자원이 관광사업체에 취업, 근무함으로써 기업의 생산성, 혁신성이 증가

    하도록 이끌어 갈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노동의 수요와

    공급을 모두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노동의 수요․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제 2 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9

    제1절 고용 동향 및 정책

    1. 고용변동의 특징

    외환위기 이후 우리경제는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면서 일자리 창출도 부진

    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수년간 소위‘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현상이 가시화 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5년간 일자리 사업에 상당

    한 재정을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일자리 증가규모는 30만명 이하

    수준이었다. 국내 고용시장은 기존의 고용 없는 성장과 같은 국내 경제의 구

    조적 문제에 더하여 미국의 서브 프라임 사태로 발화된 국제 금융위기와 실

    물경제 악화의 영향으로 국내 고용시장은 크게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매

    년 신규로 노동시장에 유입되는 인구가 약 40~50만 명이므로 나머지는 대략

    실업상태에 있거나 경제활동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 상태로 있는 것이다.

    일자리 문제는 청년층(15~29세)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 청년실업률은

    2000년 이후 계속 7% 수준에 머물고 있다. 실제로 실업률의 경우, 2000년대

    들어 지속적으로 낮아져 2008년 3.2%였으나 2009년 들어 급격히 악화되고

    있으며 고용시장의 불안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취업준비생, 그냥 쉰 사

    람, 구직단념자 등을 모두 합치면 사실상의 실업률은 더욱 커진다.

    특히 실직경험자의 1/3 정도가 단기간의 취업과 실업을 되풀이하는 반복

    실업을 경험하고 있는데 이들은 사실상 장기실업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어

    실업의 충격이 일부에게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업의 빈번한 발

    생과 반복실업의 확대는 그 자체로 고용불안이나 고용의 질 악화, 실업충격

    에의 지속적인 노출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1).

    경제성장률의 둔화와 함께 산업구조의 변화, 노동집약산업의 해외 이전,

    1) 김용원(2007),『노동경제학의 이해』p.229

  • 10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노동절약형 설비도입, 자동화 등으로 일자리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생산요

    소 중 노동의 투입보다 자본 투입의 증가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일자리의 부족과 함께 창출되는 일자리 질의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다. 임

    시직, 일용직, 여성 자영자, 저학력, 기간제 등 취약계층 위주로 취업자가 감

    소하고 있다.

    주요 고용지표 추이

    (단위 : 천명, %)

    구분 1996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경제성장률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실업률2)

    청년실업률

    고용률3)

    7.0

    21,288

    20,853

    2.0

    4.6

    60.8

    7.0

    22,921

    22,169

    3.3

    6.6

    60.0

    3.1

    22,957

    22,139

    3.6

    7.7

    59.3

    4.7

    23,417

    22,557

    3.7

    7.9

    59.8

    4.2

    23,743

    22,856

    3.7

    7.6

    59.7

    5.0

    23,978

    23,151

    3.5

    7.4

    59.7

    5.0

    24,166

    23,433

    3.2

    6.7

    59.8

    2.2

    24,347

    23,577

    3.2

    6.8

    59.5

    주 : 15세 이상 인구 기준임

    2007년 취업자 중에서 임금근로자의 비율은 68.2%에 불과하며 임금근로

    자 중 상용직은 54.0%이고 나머지 47.3%가 임시직 혹은 일용직이다.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이 상승한 반면, 고임금 일자리의 비율도 크게 증가하였다. 최

    근 고학력 전문인력 수요는 증가하고 저임금 단순노무직에 대한 수요도 아직

    높은 반면, 중간층 범용인력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 있다. 비임금근로자의

    2)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일자리를 갖고 있거나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사

    람)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의 의미한다. 3) 15세 이상 인구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이

    보다 범위를 좁혀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군인, 재소자 등은 제외) 가운데 취

    업자 비율을 고용률로 본다. 실업률과 함께 대표적인 고용지표로 쓰인다.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11

    비율은 2007년 31.8%로 선진국에 비해 크게 높아 취약한 고용구조를 보여주

    고 있다.

    우리나라는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뿐만 아니라, 임시직 비율, 성별 임금격

    차, 연간노동시간 등도 매우 높은 편이다. OECD 국가 중에서 임시직 비율은

    스페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국가이며,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과 성별 임금

    격차는 가장 높은 편이다.

    한편 경제성장과 고용간 관계를 나타내는 고용탄력도(elasticity of

    employment)가 급속하게 하락하여 노동시장에서 일자리 생성 규모는 더욱

    낮아질 전망이다. 고용탄력도는 총고용의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탄성력

    을 의미한다. 2009년도 실업률 전망은 한국개발연구원 3.7%, 한국노동연구

    원 3.7% 등으로 예상하고 있다.

    2. 주요 고용정책

    가. 노동시장정책

    1) 고용 창출 및 유지 정책

    ① 고용 안정 및 창출 지원 제도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 사업은 근로자를 감원하지 않고 고용을 유지하거

    나 실직자를 채용하여 고용을 늘리는 사업주를 지원하여 근로자의 고용안정

    및 취업취약계층의 고용촉진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크게 고용창출 지원, 고용

    조정 지원, 고용촉진 지원 등의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용창출 지원은 근로시간 단축, 고용환경개선지원금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한 기업에 지원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고용조정 지원은 고용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 있는 기업을 지원함으로써 근로자의 실업을 방지하고, 경영

  • 12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의 어려움을 분담하기 위한 제도이다. 고용촉진 지원은 고령자, 여성, 장애인

    등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와 관련된 세제지원으로는 조세특례제한법 제30조의2(정규직 근로자로

    의 전환에 따른 세액공제), 제30조의3(고용유지중소기업 등에 대한 과세특

    례) 등이 있다.

    [그림 2-1]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 사업

    희망근로 프로젝트는 금융위기와 관련한 경제 위기상황에 취약계층의 한

    시적인 생계지원을 위하여 2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일정소득을 유지시

    켜주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임금의 일부(30%~50%)를 희망근로 상품권으

    로 지급하여 소비를 촉진시키고 재래시장과 영세상점 등 지역경제의 활성화

    에 목적이 있는 사업으로‘09년 6월 시행된 사업이다.

    신청은 18세 이상의 근로능력이 있으며 수급권자, 기타 정부지원사업 참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13

    여자, 중도포기자를 제외한 자를 대상으로 한다. 사업군별로 단위사업을 3개

    신청한 후 배제대상자 여부 판단을 거쳐 선발기준 점수표에 따라 최고점 순

    으로 참여자를 선발하는 방식으로 1가구당 1인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근무시간은 1일 8시간, 주 5일로 일당 33,000원정도의 급여를 받게 된다. 총

    사업비는 17,070억원이며, 임금부분이 총 사업비의 75%, 재료비가 25%를 차

    지한다. 희망근로의 4대 랜드마크 사업으로는 백두대간 보호사업, 동네마당

    조성, 공장 진입로 확․포장, 자전거 인프라 개선 등이 있다.

    희망근로 4대 랜드마크 사업

    (단위 : 억원, 명, 만명)

    사업명 사업내용사업비

    (억원)

    투입인원일일인원

    (명)

    연인원

    (만명)

    백두대간 보호사업-등반로․생태통로 정비-외래식물퇴치사업 등

    177 1,700 24

    동네마당 조성 -쉼터, 녹지조성 등 440 4,000 48

    공장 진입로 확․포장 -진입로 확․포장 사업 168 1,500 18자전거 인프라 개선

    -자전거종합관리시스템 운영

    -자전거 기본통계 작성 등192 3,200 38

    ② 청년층 고용 창출

    점차 높아지는 청년층의 실업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동부에서는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사업, 청년층 뉴스타트 프로젝트 등을 시행하고 있다.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사업은 국제적 감각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및 청년 해외취

    업 촉진을 위하여 마련된 사업으로 2009~2013년 동안 해외자원봉사 2만명,

    해외인턴 3만명, 해외취업 5만명을 파견하여 총 10만명 정도의 청년 고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 14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그리고 해외취업과 연계하여‘해외취업 연수과정’을 운영하여 IT, 항공승무

    원, 관광서비스 및 호텔관련 종사자, 치과기공사 등의 모집분야를 두고 연수

    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08년에는 10,264백만원을 지원

    하여 4,163명이 해외로 취업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계획 인원(2009~2013)

    (단위 : 명)

    사업명

    (주관부처․사업)연도별 목표인원

    2009 2010 2011 2012 2013 계

    해외취업

    (노동부 해외취업알선

    등 3개 사업)

    7,625 9,288 10,435 11,737 12,550 51,639

    해외인턴

    (교과부 전문대생인턴

    등 6개 사업)

    7,335 7,535 7,535 7,585 7,735 37,725

    자원봉사

    (외교부 해외봉사단 등

    4개 사업)

    3,780 3,930 4,040 4,150 4,150 20,050

    계 18,740 20,753 22,010 23,472 24,435 109,414

    청년층 뉴스타트 프로젝트는 2008년 신설된 정책으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

    는 청년층(15세~29세)에게 개인별 맞춤형 종합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취업을 돕는 프로그램으로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되며 최소 5개월에서 12개월

    정도의 교육이 이루어진다. 적성검사, 심층상담 등 개별상담을 거친 후 직장

    에 대한 경험이 필요한 경우에는 직장체험을, 능력개발 및 향상이 필요한 경

    우에는 직업훈련을 시행하게 된다. 개인별 적성․능력을 고려하여 집중적인 취업알선이 이루어지게 된다.‘08년에는 3,000명에서‘09년에는 10,000명,‘10

    년 이후에는 2만 명으로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15

    청소년 직장체험 프로그램은 청소년에게 다양한 직장체험을 통하여 진로

    탐색과 경력형성 기회를 제공하고, 직업의식 고취 등으로 원활한 노동시장의

    이행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5~29세의 대학졸업자를 제외한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일반기업, 연구소,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에서 연

    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08년말 기준으로 33,720명이 참가하여

    이들에게 직장체험의 기회가 제공되었다.

    청소년 직장체험 추진실적

    (단위 : 백만원, 명)

    구분 2005 2006 2007 2008

    예산 62,453 39,781 45,764 22,011

    참여인원 58,276 64,100 63,513 33,720

    자료 : 노동부, 노동백서 각년도

    ③ 사회적 기업의 육성

    2008년의 사회적 일자리 참여인원은 19,360명이며 문화․관광․체육분야는 2,218명의 참여 실적이 있다.

    2008년 사회적 일자리 분야별 참여실적

    (단위 : 명)

    계 노동 안전 사회복지 보건문화,

    관광체육환경 교육 기타

    19,360 346 0 8,767 1,152 2,218 5,930 21 926

    자료: 노동부(2009),『2009노동백서』

  • 16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사회적 기업은 2000년대에 고용 없는 성장이 장기화되면서 유럽의 사회적

    기업 제도를 도입하여 우리 사회에 부족한 사회서비스의 공급을 늘리고, 취

    약계층에게 지속가능하고 보다 나은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이

    다. 민․관이 협력하여 사회적 기업을 육성함으로써 사회통합적 시장경제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기업은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활성화를 이루며,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윤리적 시장의 확산을

    이루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08년말 사회적 기업의 수는 218

    개소이며 신청대비 인증 비율은 48.3% 정도이다.

    ④ 고용지원센터 운영

    다양한 지역 노동시장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구직자나 지역

    정책담당자 등 수요자들의 다양해진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구

    축하고 있다. 고용지원센터는 실업급여 등 고용안정사업과 출산휴가급여의

    고용안정업무를 수행하는 지방노동행정기관으로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종합

    센터와 일반센터 81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취업지원, 고용보험관리, 집단직

    업상담, 직업능력개발, 외국인의 채용지원과 잡카페 등을 운영하기도 한다.

    고용지원센터를 통해 고용된 사람은 2008년 544,122명으로 전년보다 8.5%

    증가하였으며, 취업률은 26.0% 정도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단기 취업특강,

    취업설명회 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고용이 창출될 수 있는 계기

    를 만들고 있다.

    2) 고용의 질 관련 정책

    ① 근로자 직업훈련

    재직근로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며 사업주 지원사업과 근로자 지원사업이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17

    있다. 사업주 지원사업은 노동부 장관의 인정을 받고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

    시한 고용보험가입 사업주에게 해당 훈련비용의 일부를 지원한다. 근로자 지

    원사업은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들이 개인적으로 선택한 직업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수강할 경우 그 비용을 지불한다. 2008년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지원은 전년도와 비교하여 10%가 증가하였으며 근로자 유급휴가 훈련지원

    도 전년도와 비교하여 3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자 직업훈련 지원 추진실적

    (단위 : 명, 백만원)

    구분2007 2008

    총계300인

    미만

    300인

    이상총계

    300인

    미만

    300인

    이상

    사업주

    지원

    지원건수 3,300,197 976,867 2,323,330 3,654,216 1,206,820 2,447,396

    지원금액 340,924 109,141 231,784 382,581 134,307 248,273

    근로자

    지원

    지원건수 7,133 1,541 5,592 9,324 3,330 5,994

    지원금액 13,823 1,772 12,051 15,071 3,942 11,130

    ② 근로시간 단축 지원

    노무관리 등에 있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주40시간제

    의 성공적 정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제도가 있다. 이

    것은 주 40시간제를 법시행일 6월 이전에 도입하고 근로시간 단축전보다 근

    로자수가 증가한 우선 지원대상 기업에 대하여 1인당 분기에 180만원을 지

    원하는 제도이다. 2008년에는 1,836개소에 2,840명, 4,959백만원을 지원한

    바 있다.

  • 18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근로시간 단축지원금 실적

    (단위 : 개소, 명, 백만원)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지원사업장 1,599 2,369 2,581 1,836

    지원인원 7,245 8,678 6,498 2,840

    지원금액 12,110 15,243 11,413 4,959

    나. 관광고용정책

    관광산업의 고용창출과 관련된 정책을 별도로 구별해내는 것은 어려운 일

    이다. 산업정책이 대부분 수요 확대, 산업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고

    용의 확대와 대부분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직접적으로, 단

    기적으로 관광 고용의 확대를 시도한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관광고용정책의 사례로는 먼저 1998년 외환위기 이후에 집중적으로 검토

    된 사업들을 들 수 있다. 이 당시에는 긴박한 경제위기를 감안하여 관광분야

    에서도 공공근로 사업과 함께 인력 교육에 중점을 둔 다양한 고용창출사업이

    수립되고 시행된 바 있다. 관광통역 안내지원센터 설립, 관광조리사 및 창업

    기술 교육, 관광산업 DB구축, 취업관광 프로그램 지원, 관광숙박시설 인턴사

    원 교육지원 등을 주요 사업으로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일반여행업협회는 1998년 여행사에서 실직한 고급인력의 실업

    구제 차원에서 명소안내 도우미, 쇼핑안내 도우미를 운영해 왔으나 관리의

    어려움과 사업의 실효성 및 여행업계의 업무축소 문제로 폐지한 바 있다. 다

    른 사업의 경우에도 경기회복 등에 따라 장기적인 성과가 축적되기도 전에

    중단된 사업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다. 지나치게 급하게 사업을 선정하고

    단기적인 시각에서 추진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19

    외환위기시 관광분야 일자리 창출 사업

    (단위 : 백만원, 명)

    사업명 사업내용예산액

    (집행액)

    인원목표

    (집행)

    1

    9

    9

    9

    관광통역

    안내지원센

    터 설립

    관광통역안내원 자격증 소지자와 외국어 구사 가

    능자를 모집, 이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개별

    외국인 여행객과 안내원을 연계할 수 있도록 지

    원하고, 일부는 주요 관광명소에 안내도우미 배치

    2,300

    (2,300)

    2,000

    (750)

    외국어쇼핑

    도우미 지원

    외국인이 많이 찾는 면세점 등 쇼핑상가에 외국

    어 구사가 가능한 통역 도우미 배치 활용

    1,950

    (1,037)

    500

    (206)

    관광조리사

    및 창업기술

    교육

    실직자 중 음식점 창업 또는 조리사 취업 희망자

    를 대상으로 한국관광공사 경주교육권, 대학교,

    사내연구기관을 통해 관광조리 및 창업기술 교육

    실시

    900

    (834)

    1,950

    (833)

    1

    9

    9

    9

    관광산업

    DB구축

    외래관광객 유치기반 조성 위한 방안으로 관광정

    보 및 인터넷 홈페이지 신규항목 개발, 관광지도,

    관광특산물 등 관광정보에 대한 DB구축

    1,100

    (977)

    220

    (255)

    취업관광

    프로그램

    지원

    청소년들이 외국에서 관광비자로 일시 취업할 수

    있는 워킹 홀리데이 프로그램 시행을 위한 지원

    체계 마련

    63

    (63)

    3,000

    (2,900)

    관광숙박시설

    인턴사원

    교육지원

    관광호텔의 우수한 인력보강으로 서비스향상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전국의 관광숙박시설에 인턴

    사원 채용 지원

    3,300

    (1,996)

    980

    (819)

    2

    0

    0

    0

    시․도 종합 관광안내소

    설치 및 통역

    안내 도우미

    배치

    시․도 종합관광안내소를 시․도별로 1개소씩 총 16개소 건립 및 운영

    1,358

    (1,358)

    104

    (104)

  • 20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2004년부터는 관광산업 청년인턴사원 채용사업을 문화관광부에서 매년 실

    시하고 있다. 선정된 관광사업체가 만 18세~29세 이하의 청년실업자를 인턴

    사원으로 채용하여 매월 급여지급 후 지원금을 신청하면 인턴사원 1명당 월

    최대 60만원을 매해 연말까지(5월~12월) 사업체에 지원하고 있다. 대규모 기

    업이거나 호화업종 사업장은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관광 청년인턴 추진실적

    연도 채용인원 정규직 전환율(%) 국고보조금 집행액

    2004 866 - 3,323백만원

    2005 466 58.4 2,785백만원

    2006 199 67.84 1,200백만원

    2007 172 65.0 960백만원

    2008 205 60.5 960백만원

    하지만 관광 청년인턴제는 불과 연 200명 내외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청

    년실업 해소 효과가 저조하고 구인업체들의 영세성으로 인해 인원모집이 어

    렵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4). 관광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수준 높은 실습

    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구직자는 대기업을 희망하는데 반해 인턴 채용사

    업 참여 여행업체의 70% 이상이 상시근로자수 5인 이하 영세업체로 구성되

    는 등 업체의 환경은 구직자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형편이다. 또한 구인업

    체의 입장에서 보면 청년인턴을 협회에서 관리, 운영하므로 전체 희망자 중

    에서 직접 인턴 인력을 선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약이 따른다.

    4) 기획예산처(2006)『사회적 일자리 재정사업 평가와 개선방향』과 2008년 국무

    조정실 심사평가인“관광진흥 주요현안 대책”에서 이러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21

    관광 청년인턴 채용업체별 상시근로자수(2007년)

    (단위 : 업체수)

    구분 5인 이하 6인이상~10인이하 11인 이상 계

    호텔업 - 1(16.7) 5(83.3) 6(100)

    여행업 90(69.8) 21(16.2) 18(83.3) 129(100)

    기타업종 3(21.4) 6(42.9) 5(35.7) 14(100)

    계(%) 93(62.4) 28(18.8) 28(18.8) 149

    주 : 괄호안은 업종별 %

    문화관광해설사는 고용창출이라기보다는 인력양성 성격이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일정 정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입장료를 징수하는 문화재에 대한 문화관광해설사 배치를 정부 재원

    에서 부담해야 되는지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개진되고 있다5).

    최근 여러 발표 정책, 계획 중 고용과 관련된 관광정책 사례로는 관광통역

    안내사 육성, 생태관광가이드 육성, 의료관광코디네이터 도입, 관광혁신 애

    니메이터 양성 등을 들 수 있다. 주로 관광안내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특

    징을 가지고 있다. 이중에는 현재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중에 있는 것도 있

    고 그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제도적으로 구상이 끝나지 않은 채 개념적으로만

    제시되고 있는 사례도 있다.

    5) 기획예산처(2006),『사회적 일자리 재정사업 평가와 개선방향』, 사회적 일자리

    지원사업 점검평가단

  • 22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관광산업 인적자원 관련 정책 세부내용

    정 책 세 부 내 용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대한민국

    정부, 2006.9)

    ㅇ 관광분야 전문인력 양성

    - 지자체, 업계, 관광분야별 담당자 양성

    - 관광통역안내사 육성

    - 공정한 관광종사원 국가자격시험 평가

    - 관광분야 산․관․학 협력체제 구축ㅇ 관광분야 인적자원 수급분석

    ㅇ 문화관광해설사 서비스교육 강화 및 활성화

    관광산업 경쟁력강화

    대책(19개 정부부처,

    2006.12)

    ㅇ 관광종사원 자격증 소지자(관광통역안내사)의 채용 의무화

    ㅇ 관광호텔 외국인 종사자 고용 허용 검토

    ㅇ 지자체 관광담당 공무원의 외부 전문가 영입확대

    ㅇ 관광혁신 애니메이터 양성

    ㅇ 국제회의기획업 인력의 집중육성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

    ㅇ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직업능력개발 사업 확대

    - 서비스 부문 교육훈련 프로그램 확대

    - 서비스 산업 근로자의 자율적 능력개발 기회 확대

    - 중소 서비스기업의 인적자원 역량 제고

    ㅇ 수요자 맞춤형 인력과 업종별 전문인력 양성 확대

    관광산업 경쟁력

    제고방안(17개 정부부처,

    2008.12)

    ㅇ 생태관광가이드 육성

    ㅇ 의료관광코디네이터 고용제 도입 및 지원

    ㅇ 관광명인제도 및 인센티브제 도입

    ㅇ 문화관광해설사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ㅇ 여행사 및 관광종사원 대상 한국이미지 손상방지 교육

    ㅇ 관광종사원 호스피텔리티 교육 강화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23

    제2절 관광산업 현황6)

    1. 국제 경쟁력

    비교우위 분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수는 Vollrath7)의 현시선

    호 비교우위지수(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이다. 현시선호 비교우위

    지수(RCA)는 세계 전체 수출시장에서 특정 서비스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

    과 특정국의 수출에서 동 서비스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 사이의 비율로 한 국

    가의 RC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RCAi = 한국서비스의수출한국전체수출세계서비스의수출세계전체수출

    RCA는 특정 상품의 비교우위를 판단하는 척도로 쓰이며 이 지수가 1보다

    크면 비교우위가 있다고 판단한다. 현시비교우위지수는 단순히 관광수입, 관

    광지출의 비중을 통해 경쟁력을 측정하므로 관광의 국제 경쟁력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은 있지만 현재 다른 경쟁력 측정지표가 없는 상황에서

    경쟁력 정도를 단순하면서도 명료하게 보여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 경쟁력은 1996년 0.77에서 2000년에는

    0.76으로, 2004년에는 0.72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여행서비스

    RCA지수는 1998년 0.70, 2000년 0.56, 2004년 0.34 등으로 지속적으로 수치

    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난다8). 아직까지 국내 관광산업의 경쟁력은 여전히

    6) 관광산업의 고용수준 및 고용창출 능력을 파악하는 의미에서 경쟁력, 부가가치,

    생산성 등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기로 한다. 7) Vollrath, T.,“A theoretical evaluation of alternative trade intensity

    measures of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s", Wellwirtschaflliched

    Archiv, 130, 1991.

  • 24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낮은 수준이면서도 저하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데에 심각성이 있다.

    Vollrath의 현시선호 비교우위지수는 수입액에 상관없이 수출액만을 기준

    으로 RCA를 계산한다는 약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Ferto and Hubbard9)의 RCA 개념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 개념에 의하면 i

    산업의 현시선호 비교우위지수는‘RXA - RMA’에 의해 구해진다. RXA

    는 Vollrath의 RCA와 동일한 것이고 RMA는 수입을 고려한 것이다.

    RXAi = 한국서비스의수출한국전체수출세계서비스의수출세계전체수출

    RMAi = 한국서비스의 수입한국전체수입세계서비스의수입세계전체수입

    Vollrath의 RCA지수에서는 지수가 1보다 큰 업종이 비교우위가 있는 업

    종이고 1보다 작은 업종이 비교열위가 있는 업종인 반면, Ferto and

    Hubbard의 RCA지수에서는 지수가 0보다 큰 업종이 비교우위가 있는 업종

    이 된다.

    Ferto and Hubbard RCA지수로 보더라도 관광산업은 2000년 0.039, 2002

    년 -0.343, 2004년 -0.780, 2005년 -1.185 등으로 2000년대 들어 RCA지수

    가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2000년에는 0.039로 비교우위업종에 포함

    되어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2005년에는 -1.185로 사업

    서비스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00년~2005년 기간동안

    여행의 RCA지수는 무려 1.224 포인트 하락하였는데 이는 서비스산업 전업

    8) 대한상공회의소(2006),『경제적 관점에서 본 한류의 허와 실』; IMF(2005),

    Balace of Payment Statistics9) Ferto, I. and L.J. Hubbar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nd

    Competitiveness in Hungarian Agri-Food Sectors", World Economy, Vol.

    26, No. 2, 2003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25

    종에서 가장 많이 하락한 것이다. 세계시장에서의 절대열위뿐만 아니라 국내

    서비스업종 중에서의 비교열위도 크게 악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10).

    계량수치 비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평가지표에 의한 종합적 평가자

    료를 살펴보면 세계경제포럼(WEF)은 2008년 한국의 관광산업 경쟁력 지수

    를 130개국 중 31위로 평가한 바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가격경쟁력, 인프라, 인적자원, 환경, 기술 등에 대

    한 지표들을 기반으로 세계의 각종 관련 자료들과 업계 전문가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관광경쟁력 지수의 각 항목에 대한 순위를 결정한다. 관광경쟁

    력 지수는 규제관련, 사업환경 인프라, 인력․문화․자연 자원 등 3개의 하위 범주로 분류되며, 각국의 총점은 3개 범주별 가중치를 두지 않고 단순 평균으

    로 도출된다.

    아시아 주요국으로 홍콩(14위), 싱가폴(16위), 일본(23위)이 한국(31위)에

    비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국은 42위, 대만, 52위, 중국은 62

    위를 차지하였다.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은 인프라, 인력자원 측면에서는 경쟁

    력이 비교적 높으나 관광인식, 가격경쟁력 측면에서는 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10) 조현승,“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현시비교우위지수를 중심으

    로”,『KIET산업경제』, pp.33-45, 산업연구원, 2008.12

  • 26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세계경제포럼(WEF)의 관광경쟁력 평가 결과

    구분 영국프랑

    스호주 홍콩

    싱가

    포르일본 한국

    말레

    이시

    태국 대만 중국

    관광경쟁력 순위 6 10 4 14 16 23 31 32 42 52 62

    규제관련 26 12 30 2 7 34 38 37 63 69 103

    정책규제 5 24 27 2 1 32 33 12 52 39 89

    환경적 지속가능성 10 5 53 60 27 48 50 44 78 75 110

    안전 및 보안 65 54 21 7 8 74 67 42 115 49 121

    건강 위생 41 7 37 1 53 23 38 70 66 101 99

    관광전략우위 43 29 32 9 5 41 34 24 25 79 36

    사업환경 인프라 6 7 11 16 13 21 34 39 42 29 70

    항공인프라 4 6 3 13 15 21 39 32 27 41 36

    육상교통 인프라 11 4 43 2 1 9 15 28 51 13 61

    관광인프라 16 15 12 67 43 46 70 71 39 74 119

    ICT인프라 9 19 14 8 23 18 6 46 67 10 66

    가격경쟁력 127 130 111 46 25 94 106 3 11 30 17

    인력․문화․자연 자원 5 12 1 42 37 16 29 23 30 79 13인력자원 7 25 14 8 1 12 9 22 65 13 48

    교육 및 훈련 13 18 17 23 7 8 14 24 62 19 66

    적임자의 유효성 12 86 30 4 1 38 16 29 74 25 34

    관광인식 90 85 63 14 13 128 112 22 20 73 126

    자연자원 27 47 4 55 98 40 80 18 20 103 8

    문화자원 4 10 5 67 47 14 22 59 51 78 19

    자료 : WEF(2008), The Travel & Tourism Competitiveness Index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27

    2. 부가가치 창출

    가. 서비스업

    최근 들어 그동안 우리 경제의 성장을 견인해 온 제조업이 투자 부진, 생

    산비용의 증가, 설비의 해외이전 등 내외 여건의 악화로 성장 능력이 약화됨

    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적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제조업은 기술발전에 따라 고용부문에서의 기여도가 점차 감소하

    는 추세이다.

    경제의 발전에 따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비중(서비스업 생산/

    실질 국내총생산)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서비

    스업이 다소 위축된 상태이다. 정보 관련 서비스업의 발달, 제조업과 서비스

    업의 융합 가속화 등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은 여전히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OECD주요국들의 서비스산업 비중

    (단위 : %)

    구분 한국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이탈

    리아

    싱가

    포르세계

    1990 49.5 70.1 58.2 62.9 60.8 69.6 62.5 - 60.0

    2000 57.3 74.6 65.8 70.6 68.5 74.3 68.8 64.4 -

    2001 59.0 75.8 67.3 71.7 69.0 74.7 69.2 67.1 66.0

    2002 59.8 76.6 67.8 73.0 69.9 75.5 69.7 67.3 66.0

    2003 58.0 76.7 67.8 73.9 70.1 76.3 70.4 67.9 68.0

    2004 58.1 76.7 68.1 73.7 69.8 76.3 70.2 66.1 -

    2005 59.0 76.0 69.9 72.8 69.4 76.9 70.9 66.1 -

    자료 : World Bank(2007),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 28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서비스업의 GDP 대비 부가가치 생산액 비중은 매년 높아지고 있으나 아

    직도 선진국의 70%대 수준에는 못 미치고 있다. 서비스업 부가가치 생산액

    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는 추세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

    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소득이 높은 OECD 주요국들과의 비

    교에서는 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강한 일본, 독일도 우리나라와는 어느 정도 격차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업은 1990년 49.5%에서 2007년 60.0%로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제조업은 1990년 이래 27~28% 수준에서 크게 변

    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의 부가가치에서는 부동

    산 및 사업서비스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금융보험업, 운수․창고 및 통신업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은 서비스 전체 부가가치의 15~20% 수준에 머물러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저부가가치 업종

    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 총부가가치의 산업별 구성

    (단위 : %)

    구분 1990 1995 2000 2005 2006 2007 2008(E)

    제조업 27.3 27.6 28.3 27.5 27.1 27.3 28.1

    서비스업 49.5 51.8 57.3 59.0 59.7 60.0 60.3

    도․소매업 음식점 및 숙박업

    운수 및 보관업

    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10.5

    2.5

    4.9

    2.0

    5.8

    5.3

    3.8

    8.4

    2.7

    4.7

    1.9

    6.9

    6.6

    4.8

    9.6

    2.8

    4.5

    2.3

    5.8

    9.2

    4.4

    8.3

    2.4

    4.6

    2.5

    6.9

    8.2

    4.9

    8.3

    2.4

    4.5

    2.3

    6.8

    8.0

    5.1

    8.3

    2.4

    4.6

    2.2

    7.0

    7.9

    5.2

    8.6

    2.4

    4.4

    2.0

    6.6

    7.9

    5.4

    주 : 2008년은 잠정치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29

    나. 관광산업11)

    2007년 기준 관광사업체 기초통계조사에 의하면 관광사업체의 총부가가치

    액 총액은 3조 9,686억 300만원, 순부가가치액 총액은 3조 3,847억 7,900만

    원으로 나타난다. 총부가가치액 총액이 가장 높은 업종은 여행업으로 1조

    617억 6,100만원이었으며, 관광숙박업(1조 368억 400만원)이 그 다음으로 높

    다. 순부가가치액 총액의 경우 여행업이 9,998억 2,500만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관광숙박업(8,009억 1,100만원)이다.

    관광사업체 부가가치액 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여행업관광

    숙박업

    관광객

    이용시

    설업

    국제회

    의업

    카지노

    유원

    시설업

    관광편

    의시설

    합계

    총부가가치액 1,061,761 1,036,804 130,611 156,149 438,379 454,171 690,728 3,968,603

    구성비(%) 26.8 26.1 3.3 3.9 11.0 11.4 17.4 100.0

    순부가가치액 999,825 800,911 86,044 146,690 428,949 354,475 567,885 3,384,779

    구성비(%) 29.5 23.7 2.5 4.3 12.7 10.5 16.8 100.0

    주 : 1. 순부가가치 = 인건비 + 순금융비용 + 세금 + 유보이익 + 임차료

    2. 총부가가치 = 순부가가치 + 감가상각비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09),『2007년 기준 관광사업체 기초통계조사 보고서』

    총부가가치액 총액은 39,686억원은 2007년 우리나라 GDP 9,570,130억원

    11) 관광산업의 범위를 관광 소비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산업을 표준산업분류를 바탕으로 추출하여 설정할 수도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황을 보다 정밀

    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관광진흥법상의 관광사업의 범위로만 축소하여 살펴보

    기로 한다.

  • 30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의 약 0.41%에 해당한다. 숙박 및 음식점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2.4%이므로

    관광진흥법상의 관광산업은 부가가치 면에서 볼 때 숙박 및 음식점업의 약

    17%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3. 생산성

    가. 개념

    생산성은 투입되는 각종 생산요소 중 한 생산요소에 대해서만 정의하거나

    또는 모든 생산요소에 대해서 정의할 수 있다. 부가가치의 생산, 노동생산성,

    총요소생산성 등으로 어떤 생산요소에 대해 보는가에 따라, 어떤 산출물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생산성이 정의된다. 하지만 보통 생산성

    이라고 할 때는 주로 노동생산성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노동생산성(labor productivity)은 노동 투입량 1단위가 만들어내는 산출

    량(부가가치 또는 총산출)으로 정의된다. 단순히 총생산물을 노동자수로 나

    눈 비율로서 노동의 평균생산물(average product of labor ; APL)과 같은

    개념이다.

    APL = QL (Q는 총생산물, L은 노동자수)

    노동생산성은 실제 측정단계에서는 산출량에 실질부가가치 또는 산업생산

    지수를 대입하고 노동자수에는 노동투입량으로 노동투입인원×근로시간을

    대입하여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개념으로 계산된다.

    노동생산성 = 실질부가가치 또는 산업생산지수노동투입인원×근로시간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31

    서비스업의 경우 생산성의 측정이 상이한 품질, 재고의 부재 등으로 다소

    측정이 어려운 점이 있다. 서비스의 무형성, 이질성, 비분리성, 소멸성과 기

    업규모의 영세성 등은 서비스업의 생산성 측정을 어렵게 한다.

    노동생산성이 어떤 요인에 의해 변화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유용하

    다. 노동생산성은 자본의 심화(노동 한단위당 자본스탁증가율의 기여도)와

    총요소생산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노동생산성은 1인당 산출액과 부가가치

    율(=부가가치/매출액)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노동생산성은

    매출액 변동, 부가가치율 변동, 취업자 변동에 의해 묘사될 수 있다. 산업의

    부가가치, 취업자1인당 부가가치 생산액, 고용구성비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노동생산성 변화율 = 매출액 변화율 + 부가가치율 변화율 - 취업자 변화율

    생산성은 고용규모와는 기본적으로 역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정태적으로

    수요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노동생산성의 향상은 고용의 감소를 의미한다. 수

    요확대, 생산기술 변화 등이 없는 상태에서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출량은 같게 하면서 노동자수를 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본, 생산기

    술의 변화가 없는 단기의 경우 고용량을 증가하면서도 노동생산성이 향상되

    기 위해서는 시장 창출이 수반되어야 한다. 생산성 향상에 의한 고용감소 효

    과보다 생산성 향상에 의한 시장 창출이 더 크게 나타나야 한다. 생산요소

    가격의 하락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아니라 산출량, 부가가치의 증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되기 위해서는 창조적 아이디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에

    의하여 수요 및 시장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 32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나. 서비스업

    서비스업의 GDP 대비 부가가치 비중이 높게 나타나지만 취업자 1인당 부

    가가치생산액 즉 노동생산성 측면에서 볼 때는 양상이 달라진다. 제조업에

    비해 뚜렷하게 낮게 나타난다. 이것은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부

    분이다. 서비스업의 생산성이 낮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측면을 염두에

    두고 하는 것이다. 서비스업의 낮은 노동생산성은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가

    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서비스 수지의 적자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서비스업에 해당하는 도소매, 숙

    박 및 음식점업의 노동생산성이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업종은 소

    규모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고 매출액 대비 인건비의 비용이 매우 높다는 특

    징을 갖고 있다. 이들 업종의 낮은 생산성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며 다

    른 나라에서도 타 업종에 비해 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그 정도가 특히 심한 상황이다.

    서비스 업종별 노동생산성 및 증가율

    (단위 : 백만원/명, %)

    구분노동생산성 연평균증가율

    ‘92~'97 ‘00~'03 ‘04~'07 ‘92~'97 ‘00~'03 '04~'07제조업 20.5 38.1 51.9 9.9 6.6 8.8

    서비스업 20.3 22.2 23.0 1.5 1.1 1.6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운수․창고 및 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동산및사업서비스업

    8.8

    7.5

    20.2

    41.3

    60.5

    10.9

    8.2

    32.2

    55.8

    45.1

    12.1

    8.3

    37.8

    65.4

    37.3

    1.8

    -2.6

    6.3

    4.6

    -3.2

    1.4

    1.3

    6.5

    7.5

    -6.0

    4.9

    1.4

    2.0

    3.5

    -3.2

    주 : 노동생산성은 취업자 1인당 실질부가가치로 측정됨

    자료 : 황수경(2009)),『서비스산업의 경쟁력과 고용전략 연구』,한국노동연구원

  • 제2장 고용 및 관광산업 현황 33

    우리나라 서비스 부문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정체되거나 저하되고 있어서 서비스 부문의 성장이 생산성에 기인

    하지 못하고 주로 고용의 확대에 기인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생산

    성 부진의 원인으로는 우리나라의 제조업 위주의 자원배분 정책과 각종 진입

    규제, 그리고 서비스 시장개방 지연으로 인한 경쟁의 부재 등이 지적되고 있

    다12).

    다. 관광산업

    2007년 기준 관광사업체 기초통계조사에 의하면 종업원1인당 부가가치(노

    동생산성)는 전체 종사자 기준으로 2,270만원이었고, 상용종사자 기준으로는

    3,520만원이다. 업종별로는 전체 종사자 기준으로는 국제회의업이 5,050만원

    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종사자 기준으로는 유원시설업이 6,500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관광산업의 노동생산성

    (단위 : 백만원)

    구분 여행업관광

    숙박업

    관광객이용

    시설업

    국제

    회의업

    카지노

    유원

    시설업

    관광편의

    시설업전체

    전체종사자

    기준22.0 23.3 24.7 50.5 26.7 27.7 21.3 22.7

    상용종사자

    기준32.2 30.7 36.0 53.7 31.8 65.0 44.3 35.2

    주 : 관광숙박업은 호텔업, 휴양콘도미니엄으로 761개 사업체 전수조사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09),『2007년 기준 관광사업체 기초통계조사 보고서』

    12) 최봉현․김홍석․조현승․하봉찬(2007),『서비스산업의 미래와 경쟁전략』, 산업연구원

  • 34 관광산업의 고용확대에 관한 연구

    관광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수치상으로 볼 때, 표준산업분류의 숙박 및 음식

    점업 8.3백만원에 비해서는 월등히 높은 수치이고 서비스업 평균 23.0백만원

    에 근접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치를 바탕으로 일반숙박업에 비해 관광숙박업

    은 생산성이 높고 관광업종으로 전환해 갈 경우 생산성을 보다 높여갈 수 있

    다는 시사점을 도출해 볼 수 있다.

    다른 업종과 같이 관광산업에서도 사업체 규모가 커질수록 생산성이 높아

    질 것으로 추정된다.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인 기업, 상장기업, 금감위 등록

    기업, 업종별 매출액 상위기업 등을 대상으로 하는 2008년 기업경영분석(한

    국은행)에 의하면 숙박업의 종업원1인당 부가가치는 2007년 58.94백만원,

    2008년 63.80백만원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관광숙박업을 전수조사한 200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