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73
국립생물자원관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2차년도) 최종 결과 보고서 2008. 3. 한국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Upload: others

Post on 04-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국립생물자원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2차년도)

최종 결과 보고서

2008. 3.

한국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국립생물자원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2차년도)

최종 결과 보고서

2008. 3.

한국생물지 발간연구 사업 연구진

총 책임자: 부 성 민 (충남 학교)

세부과제책임자: 윤 명 희 (경성 학교)

신 숙 (삼육 학교)

권 용 정 (경북 학교)

김 형 섭 (강릉 학교)

이 건 형 (군산 학교)

목 차

I. 연구사업의 개요 ································································ 1

1. 연구사업의 목 배경 ·······································································1

1.1. 연구사업의 배경 ·············································································1

1.2. 연구사업의 목 ·············································································3

2. 연구사업의 범 ·····················································································6

3. 연구사업의 내용 ·····················································································8

II.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 연구방법 내용 ·················· 11

1. 연구방법 내용 ···················································································11

2. 세부분류군별 연구방법 내용 ····························································14

III 당해연도 연구 목표 ······················································ 19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 24

1. 연구 결과 ································································································24

2. 세부분류군별 결과 ·················································································28

V 연구 성과 ········································································· 65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1

1. 연구 사업의 목 배경

1.1. 연구 사업의 배경

핵 심 내 용

국가생물자원 총서 발간의 필요성

생물다양성 (biodiversity)은 미래 자원

생물 산업의 규모 확

선진 각국의 생물지 간행 완료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과 생물자원 리 필요성

○ 국가 생물자원 총서 발간

- 자생생물의 실체를 악하고, 각 생물의 분류, 생태, 분포, 서식지,

유용성 등 포 인 정보의 집 성

- 우리나라 자생생물 실체 악

- 생물의 분류, 생태, 분포, 서식지, 유용성 등 정보의 DB화

○ 생물다양성 (biodiversity)은 미래 자원

- 지구상에 생존하고 있는 생물종은 약 150만 종

- 최근 고도의 산업화와 이로 인한 지구온난화 등으로 지구생태계 차

- 지구 체 종의 0.5%가 매년 멸종, 50년 내에 재 생물 종의 약 25%

정도 멸종 측, 제 6멸종기에 직면

- 생물다양성의 감소, 인간 생존의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2

- 국가간 생물자원 이동 규제 등 보 정책의 강화

- 생물다양성은 인류의 삶의 질 향상, 미래의 자원, 지구의 지속가능한

발 (sustainable development)의 토

○ 생물산업의 규모 확

- 생물산업의 시장 규모는 1997년 313억불, 2000년 540억불, 2013년경에

2100억불로 증가될 망

- 10년 이후에는 연간 세계시장 규모가 5 - 8천억불로 격히 신장될 것

으로 견되고 있음

- 생물 산업의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에 사용되는 부분의 생물자원은

인공 으로 창출된 것이 아니라, 모두 기존의 생물종으로부터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획득된 것들임

- 생물종은 곧 요한 미래의 잠재 자원

- 자국이 보유하고 있는 자생 생물자원의 탐색, 확보 리는 미래 국

가경쟁력의 향상에 필수 인 제조건

○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과 생물자원 리

-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체 자생생물은 약 10만 종으로 계측되고, 이

약 3만종이 보고 는 기록

- 자생생물의 추가 인 탐색 발굴 작업과 재까지 기록되어 있는 자

생생물에 한 실체 확인과 체계 인 정리 작업이 실함

- 이미 미국, 일본 등 부분의 선진국들은 자국 자생생물에 한

「생물지」간행을 완료하 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미발간 (표 1).

- 미국의 Smithsonian Contribution Series나 국의 British Fauna Series

와 같이 우리나라의 자생생물에 한 체계 이고 종합 인 분류학

정보를 분류군 별로 수록하고 있고, 동시에 쉽게 종의 동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생물지의 발간이 요구됨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3

표 1. 외국의 생물자원 보존을 한 연구 자료

국가 발간 황

일본 “Flora of Japan” ( 문 ) 출간

미국북미 체의 새로운 식물지 작성 ; 30권 7권까지

출간

국국식물지( 국어 ) 총 80권 125호 출간

“Flora of China” ( 문 ) 발간

북한“조선식물지 (7권)” 간행

“조선식물지 2 (10권)” 출간

타이완 “Flora of Taiwan (2nd ed.; 문 ) 6 volume” 간행

호주"Flora of Southern Australia ( 문 )“간행

생물지 작성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4

1.2. 연구 사업의 목

핵 심 내 용

우리나라 자생생물에 한 체계 인 분류학 연구 수행

- 자생 생물군의 효율 인 분류, 검색체계 완성

- 학명, 국명, 분류, 생태, 분포, 서식지, 유용성 정보 등 상세 기술

- 주요 생물군별 국․ 문 [한국 생물지] 발간

자생 생물자원의 분류. 검색체계 완성

- 우리나라 자생생물의 각 분류군 별 분류학 실체 규명, 형태학

특징 기재, 분포와 용도에 한 기재를 바탕으로 동정을 한 검

색 시스템 구축

국내 자생생물의 보 , 리 산업자원화의 기틀 마련

우리나라 자생생물의 소유권리 외 홍보

주요 분류군별 국가생물자원 총서 발간

- 분류군 동정을 한 검색표

- 올바른 학명 국명 기재

- 상세한 분류학 특징(형질)기재

- 분포 서식지 정보

- 분류, 생태특성, 용도, 유용성 정보

우리나라 자생생물의 총체 지식 기반 구축

○ 우리나라 자생생물에 한 체계 인 분류학 연구를 수행하여, 자

생 분류군의 효율 인 분류․검색체계를 완성하고, 학명/국명/분

류/생태/분포/서식지/유용성 정보 등을 상세하게 기술한 『한국 생

물지』를 주요 생물군별로 국․ 문으로 발간함

○ 자생 생물자원의 발굴, 확보 지속 이용 그리고 국가 생물권 체의

보 체계 리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5

○ 자생 생물의 효율 인 검색 동정을 한 검색 시스템 구축

○ 자생 생물의 올바른 학명 국명, 주요 형질의 상세한 기재, 분포

서식지, 유 자 평가 등 이들에 한 모든 분류학 정보를 분류군별로

정리하여 체계 으로 담고 있는 한국 생물지의 작성

[국․ 문 생물지의 주요 내용]

- 분류군별 상세기재

- 학명, 국명 기재

- 분포, 서식지, 생태, 유 자 정보 기재

- 유용성 정보 수록

- 도해 는 사진 정보 수록

○ 한반도 자생생물의 각 분류군 별 분류학 실체 규명, 이들의 형태학

특징 기재, 분포와 용도를 기술한 한국 생물지를 국․ 문으로 발간, 이

들에 한 동정을 한 검색 시스템을 구축

○ 국내 자생생물의 이용, 보존, 리 산업 활용의 기틀 마련

○ 우리나라의 자생생물 5개 분류군에 한 권리를 내외 으로 홍보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6

2. 연구 사업의 범

핵 심 내 용

사업 상 범 : 우라나라에 서식하는 자생생물

체 사업기간 : 2006년 - 2014년 (3년씩 3단계로 수행)

생물지 발간 상 분류군 : 주요 6개 생물군

당해 연도 연구 상 분류군 : 5개 생물군

당해 연도 생물지 출간 : 5개 분류군마다 각 50종 수

가. 생물지 발간 상 생물군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의 분류학 특성에

따라 6개 주요 생물군으로 구분

생물군 생물지 발간 상 세부 분류군

척추동물 포유류, 조류, 양서․ 충류, 어류

무척추동물 Ⅰ 곤충을 제외한 무척추동물, 원생생물

무척추동물 Ⅱ 곤충류

고등식물 선태식물

하등식물 해조류, 규조류, 편모류, 녹조류, 윤조류

하등생물 균류, 원핵생물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7

나. 2차년도(2007년) 상 분류군

○ 1차년도 사업결과에 이은 5개 생물군별 국․ 문 생물지 원고 작성

분류군 세부 분류군

척추동물 포유류, 조류, 양서․ 충류, 어류

무척추동물Ⅰ 곤충을 제외한 무척추동물, 원생생물

무척추동물Ⅱ 곤충류

하등식물 갈조류, 해산녹조류, 규조류

하등생물 원핵생물, 균류

다. 당해 연도 사업 완료 후 생물지 출간 상 분류군

○ 1차년도 종속지 연구결과인 총 160과 1,504종 당해연도 사업결과

내에서 분류군별 50종 수 의 문생물지 출간

[1차년도 분류군별 연구결과]

분류군 세부 분류군 1차년도 연구 결과

척추동물 조류, 어류 34과 183종

무척추동물 I 지류 56과 322종

무척추동물 II (곤충) 곤충류 24과 698종

하등식물 갈조류 21과 102종

하등생물 원핵생물, 균류 25과 199종

소계 160과 1,504종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8

3. 연구 사업의 내용

핵 심 내 용

국가 생물자원의 체계 인 리를 한 [한국생물지] 발간

기 자료 확보를 한 채집조사 표본확보

외국 표본 방문연구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상 분류군의 생물지 국. 문 원고 작성

생물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생물지 출간 문 원고 작성

가. 연구 사업의 최종 목표

○ 국가 생물자원의 체계 인 리를 한 [한국생물지] 발간

- 주요 생물군별 국· 문 원고작성

- 우리나라 자생생물의 총체 지식 기반 구축

- 국가 생물자원의 보 , 리 산업 활용의 기 마련

- 한반도 생물자원의 소유권을 내외 으로 선

나. 주요 연구 내용

○ 기 자료 확보를 한 채집조사 표본확보

- 채집조사를 통한 종별, 생물재료 표본 확보

- 분류군의 분류․생태정보, 상정보 확보

- 확증표본의 확보

○ 외국 표본 단기 방문연구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9

- 외국의 주요 표본 에 소장되어 있는 한반도 자생생물의 기 (모식)표

본 주요 연구의 확증표본(lcoucher specimen)들은 연구기간 의 방

문연구 는 표본 여를 통해 찰, 그 분류학 실체 악

○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 국내․외 채집조사 활동을 통해 확보된 표본과 국내․외 주요 표본

소장 표본을 근거로 상 분류군에 한 상세한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수행

○ 상 분류군의 국· 문 생물지 원고작성

-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의 상세한 기재

- 속 종의 검색표

- 각 분류군에 한 올바른 학명 국명 정리

- 각 분류군의 국내․외 분포, 생태특성 서식지 정보, DNA 정보

- 각 분류군의 분류학 고찰을 작성

○ 각 분류군의 분류․생태정보, 확증표본 상정보를 수집․정리하여

DB자료로 입력

○ 확증표본의 확보

- 사업기간 동안 확보된 해당 분류군의 각 채집품당 최소 1 의 확증표

본 확보 국립생물자원 제출

○ 생물지 출간 원고 작성

- 세부과제별로 최소 1개 분류군 (과 단 이상, 50종 수 )에 해 2차

년도 사업 완료 후 1, 2차 결과내에서 생물지 출간을 한 원고 작성

I. 연구 사업의 개요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10

그림 1. 연구 내용 목표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11

1. 생물지 발간 연구 방법 내용

핵 심 내 용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 운 원회, 생물지 발간 원회 구성 활성화

- 국․ 문 원고작성 지침, 홈페이지 등 수정․보완

기본정보 표본 수집

- 범 한 채집조사

- DB 정보의 확보

국외 표본 국내 련기 방문 연구

- 국외 표본 단기 방문으로 기 자료 확보

- 찰표본 여, 분류학 실체 악, 문헌 정보

종속지 연구 생물지 국․ 문 원고 작성

- 확보된 표본의 상세한 종속지 연구

- 올바른 학명 국명의 정리, 분포, 서식지, 유용성 정보 확보

생물지 출간 원고 작성

- 2차년도 사업종료 후 1, 2차년도 보고서에서 선정한 과 단 이상

50종 수

확증표본 확보

2014년까지 6개 분류군의 생물지 발간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12

○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 1차년도 생물지 발간 참여연구원을 심으로 연구진 확정

-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운 원회, 분류군별 편집 원회 구성

- 1차년도에 작성된 국․ 문 원고 작성 지침서를 편집 원회에서 수정,

보완

-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homepage 수정, 보완

- 본 사업 추진업무 보조를 한 인력의 확보

- 생물지 확증표본 DB 로그램 보완

○ 기본 정보 표본 수집

- 연구사업 기간 범 한 채집조사를 통해 생물지 연구에 필요한 종

별, 지역별 표본, 생물재료 확보

- 조사 상 분류군의 분포 서식지 정보, 분류, 생태, DNA, 상 정보

확보

- 자생생물 조사. 발굴 사업 등과 연계

- 채집품 당 3 이상을 채집하여 그 1 의 확증표본 확보

- 채집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재료 련 정보는 DB화 하여 생물종

목록 작성 자료로 이용

○ 외국 표본 , 국내 련 기 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 표본 단기 방문연구를 통하여 생물자원에 한 기 자료 확보

- 우리나라 생물종들에 한 기 (모식)표본 확증표본 찰, 여

- 분류학 실체의 악

- 우리나라 생물종들에 한 문헌 확보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13

○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 채집조사로 확보된 표본과 문헌 정보, 국내외 주요 표본 소장 표본들

을 종합하여 상세한 종속지 연구 수행

- 분류군의 기 표본 확증표본 찰 결과와 련 문헌을 근거로 학명

정리

- 과, 속, 종의 상세한 기재, 속 종의 검색표

- 올바른 학명 국명 정리 (동명, 이명 출 문헌 포함)

- 국내․외 분포, 생태 서식지 정보, 유 자 정보, 유용성 정보

- 상세한 분류학 형질 기재

- 분류학 고찰을 포함

○ 생물지 원고 작성

- 국문, 문으로 작성

- 생물지 원고 작성 체제 양식은 분류분야별 1차년도 작성지침에

하여 수정․보완 후 지침에 따름

- 각 분류군 생물지 원고는 해당 분류군을 공하는 국내외 문가의 리

뷰를 통해 최종 으로 수정․보완함

- 최종 수정․보완된 원고는 해당 분류군의 수정, 보완된 원고작성 지침

에 따름

- 분류학 처리 기재부분은 과의 학명 출 문헌, 기재, 세계분포

와 국내 분포, 분포 속과 종 수, 검색표, 과의 고찰을 기재

- 속의 학명 출 문헌, 기재, 기 종, 종 수, 분포, 분류학 고찰,

검색표를 기재

- 종의 학명 출 문헌, 원명, 이명, 기재, 분포 서식지 정보, 유용

성 정보를 기재

- 각 종의 기재시에는 분류역사, 기재 분류학 견해, 참고문헌, 주요

형태의 사진 혹은 그림 등 포함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14

○ 생물지 출간

- 세부과제별로 과 단 이상 50종 수 으로 2차년도 사업 종료 후 생물

지 문 출간

- 기본 정보 표본확보, 종속지 연구가 완료된 결과 내에서 출간

○ 표본 제출

- 사업 기간 확보된 분류군의 확증표본 (채집품 당 최소 1 )을 ‘국립

생물자원 ’에 기탁

2. 세부 분류군별 연구 방법 내용

연구방법 내용

○ 척추동물 상 분류군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인 라 구축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의 분류․생태정보, 확증표본 상정보를 수

집․정리하고 DB로 구축하고, 한국 생물지를 국․ 문으로 작성

○ 채집 조사

- 각 분류군별로 국을 상으로 채집하여 상종 당 1개체(암․수가

다를 경우 1 ) 이상을 최종보고서 제출 시 제출

○ 외국 표본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의 주요 표본 에 소장되어 있는 한반도 자생생물의 기 (모식)

표본 주요 연구의 확증표본들은 연구기간 의 방문연구 는 표

본 여(specimen loan)를 통해 찰하여 그 분류학 실체 악

○ 종속지 연구

- 국내․외 채집조사 활동을 통해 확보된 표본과 국내․외 주요 표본

소장 표본을 근거로 상 분류군에 한 상세한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수행

①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의 상세한 기재

② 속 종의 검색표 작성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15

연구방법 내용

③각분류군에 한올바른학명 국명정리 (정명 이명과출 문헌제시)

④각분류군의국내․외분포, 생태특성, 서식지정보등을기재

⑤각분류군의분류학 고찰작성

○생물지발간추진

- 2차년도연구종료시조류 46종 어류 48종에 한생물지발간추진

I

○ 상분류군생물지발간체계확립 인 라구축

- 편집 원회운

- 공분류군을고려, 연구자별담당분류군 분류군수확정

- 원고작성지침서 제작성 배포

- 분류군별생물자발간계획수립

- 확증표본 검증기 논의

○채집조사

- 각분류군별채집조사수행

- 표본 기타생물재료확보

- 각분류군의생태, 서식정보, 분포정보, 그림, 사진등확보

- 상분류군확증표본확보

○외국표본 단기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의주요표본 에 한단기방문연구를통해모식표본의확인 문헌확보

- 주요외국표본에 한표본 여

- 한국소재주요표본소장연구기 으로부터표본 여

- 모직표본의확인, 문헌검증, 확증표본검토를통해분류학 실체 악

○종속지 연구

- 국내․외채집조사활동을통해확보된표본과국내․외주요표본 소장표본

을근거로 상분류군에 한상세한국문 문종속지 연구

(monographicstudy) 수행

•강 (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의상세한기재

•각분류군의검색표작성

•각분류군에 한올바른학명 국명정리 (정명 이명과출 문헌제시)

•도 는사진수록

•각분류군의국내․외분포, 생태특성, 서식지정보, 유용성정보등을기재

•각분류군의분류학 고찰작성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16

연구방법 내용

II

○ 곤충분야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인 라 구축

- 생물지 발간 상분류군은 곤충류 에서 비교 많이 알려진 분류

군 는 그동안 연구가 다소 진행되어 정리가 필요한 분류군을 우

선 으로 ․추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 음

- 8목 2,007종을 선정하 으며, 첫해인 1차년도에 이어 2차년도에도

1/3에 해당하는 669종에 한 종속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생물지 발간은 국문과 문으로 발간하는 것으로 하 으며, 원활한

사업수행을 하여 세부책임자를 심으로 편집 원회를 두어 원

고작성 지침서를 제정하고 지속 인 논의를 통하여 원고 작성

- 연구원의 구성은 해당분류군의 문가를 심으로 학 교수, 국가

기 연구 연구사, 산업체 연구소장, 박사 연구원 등 12명

으로 구성

- 박사 연구원, 석․박사과정 학원생, 학원 진학 정 학부생 등

으로 보조 연구조원을 구성하여 서로간의 원활한 교류와 정보공유

를 통해 향후에 이들이 분류학의 문지식을 습득하여 한국 곤충

분류학의 심 치로 거듭날 수 있도록 연구기반 마련다.

○ 채집 조사

- 채집 조사는 각 분류군별로 잘 알려진 채집지외에도 그동안 경비 문

제 등으로 채집하지 못했던 지역을 두루 채집할 수 있도록 최 한

지원

- 가능한 채집 시 연구보조원과 동행하여 채집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연구보조원이 동행할 수 없을 때를 비하여 무

연구조원을 3명 배치하여 채집 조사를 지원

- 해당 분류군의 연구원, 연구조원 뿐 아니라 서로 간의 긴 한 연락을

통하여 몇 개 이 연합하여 채집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락처

공유

○ 외국 표본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 곤충류는 고유종임에도 과거 우리나라의 분류학 연구기반이 미약했

기 때문에 기 표본이 일본 등 외국에 소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

며, 분포 범 가 역 인 종의 경우에는 여러나라의 표본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 필수 임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17

연구방법 내용

II

- 기 표본 소장기 의 단기 방문 연구 표본의 여가 실함

- 사업의 첫해인 1차년도에는 국외여비가 한정되어 2명의 연구자만이

방문연구를 수행하 으나 2차년도에는 어도 6~7명의 연구자가 해

외 방문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 음

- 표본의 여는 연구자가 표본 소장 기 에 연락을 통하여 확증표본을

일정기간 빌리는 것으로 구성된 모든 문가가 국내외 으로 활동이

활발한 상태이므로 개인의 역량을 최 한 발휘해서 진행 에 있으

며, 1차년도에는 헝가리, 일본, 미국 등에서 400 에 가까운 표본을

여 하 고, 2차년도에도 계속 으로 진행할 정임

○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 상 분류군의 실체를 규명하기 하여 종속지 연구가 필수 이다.

해당 분류군의 1) 과, 속, 종의 상세한 기재는 물론, 2) 속 종의 검

색표, 3) 각 분류군에 한 학명 국명의 정리, 4) 상세한 분류학

형질 기재, 5) 국․내외 분포, 6) 서식지 정보, 7) 분류학 고찰

등을 통해 국가의 주요 생물자원으로서 보 리 산업 활용의

기 를 제공하고자 함

○ 기재문 작성시 모든 종은사진 수록을 원칙으로 하며, 사진은가능한 생체 표본

사진, 규조류의경우 SEM사진수록을원칙으로함

○사진은 체체형 주요해부학 식별형질사진으로구성함

○가능한기 표본 확증표본(기 채집지표본)과의비교검증을통한종 확정

○국내분포 채집지정보는출 문헌 자의직 채집지기재후 DB 등록

○ 해산녹조 갈조류는 유 자(rbcL 등)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종 검증 계통

확인을원칙으로함

○ 문 국문기재문원고는기 안 (원고작성기 Version 1.1)에의거함

○확증표본확보 (생물지기재분류군당평균 2 이상확보)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18

연구방법 내용

○ 상 분류군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인 라 구축

- 편집 원회 구성 운

- 국문 원고 작성 지침서 작성

- 문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 채집 조사

- 국내 자생지 정기 답사 서식지 분포 정보 수집

- 환경생태 특징 화상 정보 수집

- 상 분류군 확증표본 배양균주 확보

- 표본 균주정보 DB 구축

- 미경 찰 DNA 염기서열 분석

○ 외국 표본과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 균류 표본 단기 방문연구

- 연구자료 문헌 정보 교환

- 자생종 연구용 기 표본 여

○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 채집표본 여 표본 근거 종속지 연구

- 학명, 이명(synonym), 국명 정리

- 과, 속, 종 기재 속, 종 검색표 작성

- 분류, 생태 특성 유용성 정보 종합

- 서식지 정보 국내 분포도 작성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19

1. 당해연도 연구 목표 내용

가.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07년 7월 9일 - 2008년 5월 8일 (10개월간)

나. 당해연도 연구목표 내용

핵 심 내 용

생물지 발간 체계 확립

- 생물지 발간계획 연구진 확정

- 운 원회, 발간 원회, 분류군별 편집 원회 구성 활성화

기본정보 표본수집

- 분류군 별 채집조사, 생물재료의 확보

- 서식지, 생태, 상, 유 자, 유용성 정보의 확보

국외 표본 국내 련기 방문 연구

종속지 연구 생물지 국․ 문 원고 작성

- 채집조사 확보 표본, 표본 련기 방문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상세한 종속지 연구

- 5개 분류군에서 1460종

확증표본의 확보

- 채집종당 최소 1 이상의 확증표본 확보 제출

생물지 문 출간 원고

- 사업종료후 1, 2차년도 연구결과 내에서, 과 단 이상 50종 수

- 5개 분류군에서 420종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20

○ 생물지발간체계 확립

- 1차년도 생물지발간참여연구원을 심으로 연구진 확정

-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운 원회, 생물지 발간 원회 분류군별 편집 원회

구성, 운

- 1차년도에 작성된 국․ 문 원고 작성지침서를 편집 원회에서수정, 보완

- 한국생물지발간연구사업 homepage 수정, 보완

- 본 사업추진업무 보조를 한 인력의확보

○ 기본 정보 표본 수집

- 연구사업 기간 범 한 채집조사를 통해 생물지 연구에 필요한 종별, 지역

별 표본, 생물재료를 확보

- 조사 상 분류군의분포 서식지정보, 분류, 생태, DNA, 상 정보 확보

- 자생생물조사. 발굴 사업등과 연계

- 채집종 당 3 이상을 채집하여 그 1 의확증표본 확보

- 채집 확보된 표본, 기타 생물재료 련 정보는 DB화 하여 생물종 목록 작

성자료로 이용

○ 외국표본 , 국내 련기 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표본 단기 방문연구를 통하여 생물자원에 한 기 자료확보

- 우리나라 생물종들에 한 기 (모식)표본 확증표본 찰, 여

- 분류학 실체의 악

- 우리나라 생물종들에 한 문헌 확보

○ 상 분류군의종속지 연구

- 채집조사로 확보된 표본과 문헌 정보, 국내외 주요 표본 소장 표본들을 종합

하여 상세한 종속지 연구 수행

- 분류군의기 표본 확증표본 찰 결과와 련문헌을 근거로 학명 정리

- 과, 속, 종의상세한 기재, 속 종의검색표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21

- 올바른 학명 국명 정리 (동명, 이명 출 문헌 포함)

- 국내․외 분포, 생태 서식지정보, 유 자정보, 유용성정보

- 상세한 분류학 형질 기재

- 분류학 고찰을 포함

○생물지원고작성

- 국문, 문으로작성

- 생물지원고 작성체제 양식은분류분야별 1차년도 작성지침에 하여 수정․보

완후지침에따름

- 각 분류군 생물지원고는 해당분류군을 공하는 국내외 문가의리뷰를 통해 최

종 으로수정․보완함

- 최종수정․보완된원고는해당분류군의수정, 보완된원고작성지침에따름

- 분류학 처리 기재부분은과의학명 출 문헌, 기재, 세계분포와 국내 분포,

분포속과종수, 검색표, 과의고찰을기재

- 속의학명 출 문헌, 기재, 기 종, 종수, 분포, 분류학 고찰, 검색표를기재

- 종의학명 출 문헌, 원명, 이명, 기재, 분포 서식지정보, 유용성정보를기재

- 각 종의기재시에는 분류역사, 기재 분류학 견해, 참고문헌, 주요형태의사진

혹은그림등포함

○생물지출간

- 세부과제별로 과 단 이상 50종수 으로 2차년도 사업종료후 생물지 문 출간

을 한원고작성

- 기본정보 표본확보, 종속지 연구가완료된결과내에서출간

○표본제출

- 사업기간 확보된 분류군의확증표본 (채집종 당최소 1 )을 ‘국립생물자원 ’

에기탁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22

다. 당해연도 세부 분류군별 연구목표

연구목표

○ 포유류 28종, 조류 45종, 양서․ 충류 9종 어류 104종에 한 상세

한 종속지 연구

- 분류학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분류 검색체계 완성

- 세 한 형태학 특징 기재

○ 포유류 28종, 조류 45종, 양서․ 충류 9종 어류 104종에 한 분

류․생태정보, 확증표본 상정보를 수집․정리하여 DB로 구축

○ 포유류 28종, 조류 45종, 양서․ 충류 9종 어류 104종에 한 확증

표본 확보

○ 한국 생물지를 국․ 문으로 발간

I

○ 한국산 무척추동물 I (300종 이상)에 한 상세한 종속지 연구

   - 해면동물 (경해면류) 22종 이상

  - 자포동물 (테히드라류, 육방산호충류) 44종 이상

  - 연체동물 (복족류 이매패류) 30종 이상

  - 지동물 (지표성거미류, 진정거미류, 새각류, 부유성요각류, 갈고리노벌 류, 공생성요각류) 160종 이상

- 태형동물 (유낭류) 22종 이상

- 극피동물 (불가사리류) 22종 이상

○ 생물지 발간을 한 확증표본 확보

○ 국문 문 생물지 발간을 한 원고 작성, DB 구축

- 국내 사용자와 외 인 발표를 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생물지

기생성 요각류 50종 이상에 한 국문 문 생물지 발간

II

○ 8목 2,007종 2차년도 연구 착수

○ 1/3에 해당하는 669종에 한 국문 문 원고작성 완료

○ 국외표본 6곳 이상 방문조사

○ 국내표본소장 기 표본 확인 기 자료 확보

○ 채집 조사를 통한 소장 표본의 연차 확

○ 원고작성 지침서 제 일 수정보완 배포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23

연구목표

○ 국․ 문 생물지 원고 작성 완료

- 3분류군 144종 :

▪ 해산 녹조류 마디말과(Cladophoraceae) 외 10과 44종

▪ 해산 갈조류 솜털과(Ectocarpaceae) 외 13과 50종,

▪ 규조류 끈원반돌말과(Thalassiosiraceae) 50종 등 도합 144종

○ 1차 생물지 문 출간 완성

- 1-2차년 연구결과 완성도가 높은 갈조류 3과 52종에 한

문생물지 ▪모자반과(Sargassaceae) 모자반속(Sargassum) 30종

▪ 고리매과(Scytosiphonaceae), 고리매속(Scytosiphon) 12종

▪ 갯쇠털과(Sphacelariaceae), 갯쇠털속(Sphacelaria) 10종

○ 확증표본의 확보

- 해산녹조 44종, 갈조류 50종, 규조류 50종에 한 확증 표본 확보

○ 자생 균류 60종, 자생 세균 67종 (Proteobacteria 50종, 방선균 17종)

분류 기재

○ 하등생물 생물지 발간 [Alpha-Proteobacteria의 Orders Rhodospirillales,

Rhodobacterales, Sphingomonadales의 세균류 (50종)]

○ 편집 원회 구성 운

○ 국문, 문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 확증 표본, 배양균주 기 자료 확보

○ 외국 표본과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24

1. 연구 결과

가.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생물지 발간 계획 연구진 확정

○ 세부과제별 연구 상 분류군 연구자

별 담당 분류군 확정 (세부과제별 연구

결과 참조)

○생물지 발간 계획 수립 (세부과제별 연구

결과 참조)

○생물지 연구진, 사업추진체계 확정

<그림 2>

운 원회 구성 운

○세부과제 편집 원장으로 운 원회 구성

○ 운 원회 2회 개최

○ 체연구원 워크샵 1회 개최

○연구계획 확정 연구진 확정; 세부과제별

당해연도 연구계획 산 확정

○ 발간 원회 검토사항 논의

○ 원고의 질향상 원고 작성 지침 논의

발간 원회 구성 ○ 계 문가 9인으로 구성

편집 원회 구성

○생물군별 편집 원회 구성, 편집 원회

총 18회 개최

○국 문 원고 작성 지침서 수정 보완 배포

(세부과제별 성과물 I 참조)

○ 출간원고 작성 지침서 작성 (세부과제별 성

과물 II 참조)

착수보고회 개최 ○ 2007년 7월 24일 : 국립생물자원

한국생물지 발간 연구 사업

homepage 보완

○한국생물지 발간 연구 사업 homepage 보완

(http://www.koreabiota.org/)

연구사업 담 간사 확보 ○국립생물자원 에 연구사업 담 간사 견

생물지 확증표본 DB 운○ 생물지 DB 로그램, 확증표본 자료 DB

로그램 보완, 운 . 추가계발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25

그림2.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 추진 체계

나. DB시스템의 수정보완

○ 통합 기능

- 체 황 확인 메뉴 추가: 각 계정(연구자)별, 분류군별 보고서 출력

옵션 추가

- 보고서 획득 권한 설정 추가: 각 세부분류군별 책임자에게 해당 분류

군의 황 확인 리 메뉴 부여를 리자가 선택하도록 수정

- 부 리계정 추가: 국립생물자원 의 리 아이디 추가

- 검색 능력 강화, 정렬 기능 추가

○ 생물지 DB 기능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26

- 생물지 원고 입력 황 산출 메뉴 추가: 입력 자료건 수, 분류군별 자

료건 수, 일 포멧별 자료건 수 (*.doc, *.rtf, *.zip)

- 생물지 DB 시스템 상에서 원고 일명 수정 기능 추가

- 분류군의 임의 순서 배치 (과 수 ) 기능 추가

○ 확증표본 자료 DB 기능

- 각종 지명, 행정구역명의 오기 수정: 신규 법정동 행정구역으로 변경

- 확증표본의 자료범주 필드 추가: 확증표본/ 찰표본/문헌자료로 구분

하여 콤보박스 형태로 추가하고 분포도 작성시 반

- 표본별 선택기능을 종별 선택 기능으로 개편

- 분포도 작성 툴 개편

․분포도 출력 시 메타데이터 기록 필드 추가

․분포도 출력 시 그림 일로 장 기능 추가 (tiff 포멧)

․분포도에 Scale bar, 방 표시, 경도/ 도 추가

다. 채집조사

세부과제연 구 결 과

채집횟수 조사지역 확보된 확증표본 수

척추동물 151 제주 등 118개 지역 357

무척추동물 I 92 제주도 등 73개 지역 1,040

무척추동물 II

(곤충)158 남고산 등 100개 지역 1,500

하등식물 68 제주도 등 70개 지역 288

하등생물 24 울릉도 등 16개 지역 -

소계 493 3,185

○ 당해연도 연구기간 국에 걸쳐 총 493회의 채집조사를 수행

○ 척추동물 357 , 무척추동물 (곤충제외) 1040, 곤충 1,500여 , 하등식물 288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27

세부과제

연구결과

국외 단기 방문기 표본 확인

표본 여문헌자료

척추동물

- 규슈 학(일본- 정)

- 쥬롱지 충류 공원

(싱가포르)

- 사오밥하 충류 동

물원 / Duist 충

류동물원 (태국)

- 기 표본확인 : 49

- 표본 여 : 9

원기재문포함 261건

- 포유류 129건

- 조류 169건

- 양서. 충류 37건

- 어류 130건

무척추동물 I- 국립해양생물자원

( 만)

- 기 표본확인 : 453

- 표본 여 : 54원기재문포함 575건

무척추동물 II

(곤충)

- 북해도 학 표본

/아이치교육 학

표본 / 나고야

학 / 동경농업 학

/ 신주쿠 과학

연구소 (일본)

- 기 표본확인 : 266

- 표본 여 : 429원기재문포함 493건

하등식물

- Smithsonian

Intitution / Jepson

Herbarium /

Bigelow Marine

lab. (미국)

- 가고시마 학 /

후쿠오카박물

(일본)

- 기 표본확인 : 190

- 표본 여 : 45 -원기재문포함 95건

하등생물 - - -

소계 15개기 5개국-기 표본확인 : 958

- 표본 여 : 5371,424

등 총 3,185의 확증표본 확보

○ 확보된 확증표본 자료는 『생물지 확증표본 자료 DB 시스템』에 입력

라. 표본 기 자료 확보

○ 당해연도 연구기간 총 5개국 15곳의 외국 표본 박물 에 한 단기

방문연구 수행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28

○연구기간동안 537의 표본 여, 958 의 기 표본 확인 수행

○원기재문을포함하여 련문헌자료를 1,424건확인

마.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세부과제연구결과

당해연도 목표 연구결과 진도율

척추동물

- 포유류 6과 28종

- 조류 1과 45종

- 양서. 충류 5과 9종

- 어류 27과 104종 /총 39과 186종

39과 186종 100%

무척추동물 I

- 해면동물 6과 22종

- 자포동물13과 44종

- 연체동물 2과 30종

- 지동물 25과 160종

- 태형동물 12과 22종

- 극피동물 4과 22종/총 62과 300종

69과 326종 109%

무척추동물 II

(곤충)

- 강도래목, 딱정벌 목, 매미목, 메뚜

기목, 벌목, 톡토기목, 리목 등 ,

총 8목 669종

39과 670종 100.1%

하등식물

- 해산녹조류 11과 44종

- 해산갈조류 14과 50종

- 규조류 1과 50종 /총 26과 144종

21과 150종 104%

하등생물

- α-proteobacteria 50종

- 방선균 17종

- 자낭균류, 흰가루균목 60종

- 민주름버섯목, 고약버섯류 37종

총 164종

165종 101%

계 1,463종 1,497종 102%

○ 당해연도 목표의 약 102% 달성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29

마. 기타 연구 성과

(건수)

세부과제 학술 회 발표 논문 발표 기타

척추동물 1 8

무척추동물 I (곤충제외) 1 5

무척추동물 II (곤충) 5 11

소계 7 24

○ 총 7건의 학술 회 발표 24편의 논문 발표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30

2. 세부분류군별 최종 결과

가. 척추동물 분류군

I. 연구 목표 내용

1. 최종목표

최종목표: 척추동물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의 각 분류군에 한 상세한 종속지 연구 수행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의 분류학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분류 검색체

계 완성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 자원의 세 한 형태학 특징 기재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의 분포도 작성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의 분류․생태정보, 확증표본 상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DB로 구축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 분류군의 확증표본 확보

○ 한국 생물지를 국․ 문으로 발간

2. 당해연도 목표 내용

척추동물 당해연도 연구 목표 내용

○ 포유류 28종, 조류 45종, 양서․ 충류 9종 어류 104종에 한 상세한

종속지 연구

- 분류학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분류 검색체계 완성

- 세 한 형태학 특징 기재

○ 포유류 28종, 조류 45종, 양서․ 충류 9종 어류 104종에 한 분류․생

태정보, 확증표본 상정보를 수집․정리하여 DB로 구축

○ 포유류 28종, 조류 45종, 양서․ 충류 9종 어류 104종에 한 확증표본

확보

○한국 생물지를 국․ 문으로 발간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31

II. 연구 방법 추진 계획

1. 연구방법

○ 척추동물 상 분류군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인 라 구축

- 한반도 자생 척추동물의 분류․생태정보, 확증표본 상정보를 수집․정리

하고 DB로 구축하고, 한국 생물지를 국․ 문으로 작성

○ 채집 조사

- 각 분류군별로 국을 상으로 채집하여 상종 당 1개체(암․수가 다를 경우

1 ) 이상을 연구종료 시 제출

○ 외국 표본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의 주요 표본 에 소장되어 있는 한반도 자생생물의 기 (모식) 표본

주요 연구의 확증표본들은 연구기간 의 방문연구 는 표본 여(specimen

loan)를 통해 찰하여 그 분류학 실체 악

○ 종속지 연구

- 국내․외 채집조사 활동을 통해 확보된 표본과 국내․외 주요 표본 소장 표

본을 근거로 상 분류군에 한 상세한 종속지 연구(monographic study)

수행

①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의 상세한 기재

② 속 종의 검색표 작성

③ 각 분류군에 한 올바른 학명 국명 정리 (정명 이명과 출 문

헌 제시)

④ 각 분류군의 국내․외 분포, 생태특성, 서식지 정보 등을 기재

⑤ 각 분류군의 분류학 고찰 작성

○ 생물지 발간 추진

- 2차년도 연구 종료 시 조류 46종 어류 48종에 한 생물지 발간 추진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32

2. 연구 추진계획

<표 1> 척추동물 상 분류군 생물지 발간 체 추진 계획

발간 년도 발간 세부 분류군

2006

(총 183종)

포유류 익수목 4종, 식충목 13종, 토끼목 3종, 총 20종

조류아비목 4종, 논병아리목 5종, 황새목 23종, 슴새목 6종, 사

새목 9종, 총 47종

양서․ 충류 거북목 2종, 도마뱀아목 3종, 개구리목 4종, 총 9종

어류 잉어목 93종, 메기목 14종, 총 107종

2007

(총 186종)

포유류 설치목 21종, 익수목 7종, 총 28종

조류 기러기목 45종, 총 45종

양서․ 충류 개구리목 5종, 도마뱀아목 2종, 거북목 2종, 총 9종

어류농어목 63종, 청어목 18종, 연어목 11종, 큰가시고기목 5종,

숭어목 3종, 동갈치목 2종, 칠성장어목 2종, 총 104종

2008

(총 182종)

포유류 우제목 7종, 기각아목 7종, 익수목 7종, 총 21종

조류 매목 30종, 닭목 4종, 두루미목 18종, 총 52종

양서․ 충류 개구리목 4종, 도마뱀아목 2종, 거북목 2종, 총 8종

어류먹장어목 2종, 칠성장어목 3종, 뱀장어목 2종, 동갈치목 3종,

농어목 3종, 바다빙어목 13종, 쏨뱅이목 75종, 총 101종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33

<표 2> 척추동물 상분류군 당해연도 연구자별 담당 분류군 연구 목표

연구자 담당 분류군 1차년도 목표 당해연도 목표

윤명희 익수목 18종 총 18종 익수목 4종 익수목 7종

오홍식식충목 3종, 설치목 9종, 우제목

7종 총 19종식충목 3종 설치목 9종

한상훈식충목 10종, 토끼목 3종, 설치목

12종, 기각아목 7종 총 32종

식충목 10종, 토끼

목 3종 총 13종설치목 12종

구태회아비목 4종, 논병아리목 5종, 기

러기목 11종, 매목 13종 총 33종

아비목 4종, 논병아

리목 5종 총 9종기러기목 11종

김창회황새목 11종, 기러기목 11종, 두

루미목 13종 총 35종황새목 11종 기러기목 11종

김화정슴새목 6종, 사다새목 9종, 기러

기목 12종, 매목 13종 총 40종

슴새목 6종, 사다새

목 9종 총 15종기러기목 12종

박성근기러기목 11종, 매목 4종, 닭목 4

종, 두루미목 5종 총 24종- 기러기목 11종

민미숙 개구리목 13종 총 13종 개구리목 4종 개구리목 5종

심재한도마뱀아목 7종 거북목 6종 총

13종

거북목 2종, 도마뱀

아목 2종 총 4종

도마뱀아목 2종

거북목 2종 총 4종

김익수

잉어목 52종, 청어목 18종, 농어목

9종, 먹장어목 2종, 칠성장어목 3

종, 뱀장어목 2종, 동갈치목 3종

바다빙어목 13종 총 102종

잉어목 52종청어목 18종, 동갈치

목 2종 총 20종

송호복

잉어목 41종, 농어목 3종, 드 허리

목 1종, 연어목 11종, 큰가시고기목

5종 쏨뱅이목 33종 총 94종

잉어목 41종연어목 11종, 농어목

6종 총 17종

채병수

큰가시고기목 5종, 농어목 5종, 숭

어목 3종, 칠성장어목 2종 총 15종

총 15종

-

큰가시고기목 5종,

농어목 5종, 숭어목

3종, 칠성장어목 2종

총 15종

김병직 농어목 26종 - 농어목 26종

권선만 농어목 26종 - 농어목 26종

총 490종 총 156종 총 186종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34

<표 3> 척추동물 상분류군 당해연도 출간종의 세부추진 계획

연구자 담당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구태회 아비목 4종, 논병아리목 5종 아비목 4종, 논병아리목 5종 원고 교정

김창회 황새목 11종 황새목 11종 원고 교정

이한수 황새목 12종 황새목 12종 원고 교정

김화정 슴새목 6종, 사다새목 8종 슴새목 6종, 사다새목 8종 원고 교정

김익수 모래무지아과 33종 모래무지아과 33종 원고 교정

송호복 납자루아과 15종 납자루아과 15종 원고 교정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35

III. 척추동물 당해연도 연구 결과

1. 척추동물 생물지 발간 체계 확립 인 라 구축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척추동물 총회

3회 개최(2007년 7월 24일, 8월 17일 10월 31일)

① 2007년 7월 24일 인천 회의

- 편집 원회 구성, 연구비 산 배정 안에 한

논의

② 2007년 8월 17일 서울 회의

- 생물지 출간에 한 논의

③ 2007년 10월 31일 인천 회의

- 생물지 산 원고 지짐에 한 논의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배포 원고작성지침서 작성, 배포 <부록 1>

생물지 작성을 한 표본

기 자료 확보

① 원기재문을 포함한 련 문헌자료 261건 확보

- 포유류: 129건

- 조 류: 169건

- 양서․ 충류: 37건

- 어 류: 130건

② 해외 표본 단기방문 연구

- 포유류: 2008년 3월 29일 일본 큐슈 학 방문

- 양서․ 충류: 싱가포르(쥬롱지 충류 공원)

태국(사호밥하 충류 동물원, Duist 충류

동물원) 방문(2008년 2월 11~16일)

③ 기 표본 49 확인

- 조 류: 1

- 양서․ 충류: 1

- 어 류: 47

생물지 작성을 한 채집조사

제주, 가지산, 단양, 월, 부산, 강릉, 김포, 양산,

양평, 서산, 난지도, 제주, 강원도, 진주, 통 , 장

홍, 완도, 속 등지 채집조사 151회

확증표본 357 확보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36

2. 척추동물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① 포유류: 2목 6과 28종 포유류: 당해연도 목표 100% 완료

- 익수목: 1과 7종 - 익수목: 1과 7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설치목: 5과 21종 - 설치목: 5과 21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② 조류: 1목 1과 45종 조류: 당해연도 목표 100% 완료

- 기러기목: 1과 45종

- 기러기목: 1과 45종에 한 국문 원고 작성

- 기러기목: 1과 45종에 한 문 원고 작성

③ 양서․ 충류: 3목 5과 9종 양서․ 충류: 당해연도 목표 100% 완료

- 개구리목: 3과 5종 - 개구리목: 3과 5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도마뱀아목: 1과 2종 - 도마뱀아목: 1과 2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거북목: 1과 2종 - 거북목: 1과 2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④ 어류: 7목 27과 104종 어류: 당해연도 목표 100% 완료

- 농어목: 10과 63종 - 농어목: 10과 63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청어목: 2과 18종 - 청어목: 2과 18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동갈치목: 1과 2종 - 동갈치목: 1과 2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연어목: 1과 11종 - 연어목: 1과 11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큰가시고기목: 1과 5종 - 큰가시고기목: 1과 5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칠성장어목: 1과 2종 - 칠성장어목: 1과 2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 숭어목: 1과 3종 - 숭어목: 1과 3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37

<표 4> 척추동물 분류군별 생물지 연구 결과 (2007년 10월 29일 기 )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분류학 연구결과진도율

(종수기 ; %)국문 문 국문 문

과 종 과 종 과 종 과 종

포유류 6 28 6 28 6 28 6 28 100 %

조류 1 45 1 45 1 45 1 45 100 %

양서․ 충류 5 9 5 9 5 9 5 9 100 %

어류 27 104 27 104 27 104 27 104 100 %

총계 39 186 39 186 39 186 39 186 100 %

3. 기타 연구 성과

① 학술발표건

Min Mi-Sook, SunKyung Park, Dae Sik Park, Hang Lee, 2007. Genetic Diversity of

Gold-Spotted Pond Frog, Rana plancyi chosenica. The 62nd annual meeting

of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② 논문간행건

김병수, 오장근, 오홍식. 2007.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 황과 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4):

366-373.

오홍식, 홍창의. 2007. 제주도에 이입된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의 서식실태 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4): 311-317.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38

오홍식, 장민호, 김병수. 2007. 한라산 국립공원의 포유류 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3): 235-242.

오홍식, 장민호, 김병수. 2007. 한라산 국립공원의 양서· 충류 황 생물지리학

고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3): 107-112.

한상 , 조인철, 이성수, 오문유, 오홍식. 2007. 한국 멧토끼 ZFX-ZFY 유 자의 성별

이형성과 분자 성 별. 생명과학회지, 17(3): 402-406.

Ho-Bok Song & Gab-Man Park. 2007. Karyotypes of two species of Cultrinae

(Cyprinidae) from Korea. Kor. J. Ichthyolo., 19(3): 253-257.

Oh, D. J, M. H. Chang, H. S. Oh and Y. H. Jung. 2007. The Complete

Mitochondrial DNA sequence of the Jeju Salamander, Hynobius

quelpaertensis,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Hynobiidae.

KOREAN JOURNAL OF GENETICS, 29(3): (인쇄 ).

Han, S. H., I. C, Cho, S. S. Lee, H. S. Oh, M. Y. Oh. 2007. Method by Du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Sex Determination

of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Journal of Life

Science, 17(9): (인쇄 ).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39

나. 무척추동물 I 분류군

I. 연구 목표 내용

1. 최종목표

최종목표: 무척추동물 I

○ 한반도 무척추동물 I (곤충제외)의 국문 문 생물지의 발간, DB구축

- 확증표본의 확보

• 각 분류군 별 분류학 실체를 규명, 종 목록의 작성

- 효율 인 검색 동정을 한 검색 체계 구축

- 올바른 학명 국명 정리, 문헌목록 제시

- 주요 형질의 상세한 기재

- 도 는 사진 수록

- 분포 서식지 정보, 유용성 평가 등 분류학 정보 수록

- 분포도 작성

○ 한국 자생 무척추동물의 이용, 보존, 리 산업 활용의 기틀 마련

- 한국산 자생생물에 한 권리를 내외 으로 알리고자 함

2. 당해연도 목표 내용

무척추동물 I 당해연도 연구 목표 내용

○ 한국산 무척추동물 I (300종 이상)에 한 상세한 종속지 연구

   - 해면동물 (경해면류) 22종 이상

  - 자포동물 (테히드라류, 육방산호충류) 44종 이상

  - 연체동물 (복족류 이매패류) 30종 이상

  - 지동물 (지표성거미류, 진정거미류, 새각류, 부유성요각류, 갈고리노벌류, 공생성요각류) 160종 이상

- 태형동물 (유낭류) 22종 이상

- 극피동물 (불가사리류) 22종 이상

○ 생물지 발간을 한 확증표본 확보

○ 국문 문 생물지 발간을 한 원고 작성, DB 구축

- 국내 사용자와 외 인 발표를 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생물지

⦁기생성 요각류 50종 이상에 한 국문 문 생물지 발간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40

II. 연구 방법 추진 계획

1. 연구방법

○ 상 분류군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인 라 구축

- 편집 원회 운

- 공 분류군을 고려, 연구자별 담당분류군 분류군 수 확정

- 원고작성 지침서 제 작성 배포

- 분류군별 생물자 발간 계획 수립

- 확증표본 검증기 논의

○ 채집 조사

- 각 분류군별 채집 조사 수행

- 표본 기타 생물재료 확보

- 각 분류군의 생태, 서식정보, 분포정보 (GIS 포함), 그림, 사진 등 확보

- 상 분류군 확증표본 확보

○ 외국 표본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의 주요 표본 에 한 단기 방문연구를 통해 모식표본의 확인 문헌

확보

- 주요 외국 표본에 한 표본 여

- 한국 소재 주요 표본소장 연구기 으로부터 표본 여

- 모직표본의 확인, 문헌 검증, 확증표본 검토를 통해 분류학 실체 악

○ 종속지 연구

- 국내․외 채집조사 활동을 통해 확보된 표본과 국내․외 주요 표본 소장표본

을 근거로 상 분류군에 한 상세한 국문 문 종속지 연구

(monographicstudy) 수행

• 강 (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의 상세한 기재

• 각 분류군의검색표 작성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41

• 각 분류군에 한 올바른 학명 국명 정리 (정명 이명과 출 문헌제시)

• 도 는 사진 수록

• 각 분류군의국내․외 분포, 생태특성, 서식지정보, 유용성 정보 등을 기재

• 각 분류군의분류학 고찰 작성

2. 연구 추진계획

<표 1> 무척추동물 I 상 분류군 생물지 발간 체 추진 계획

발간 년도 발간 세부 분류군

2007

해면동물 (경해면류), 자포동물 (테히드라류, 육방산호충류), 연체동물 (복족류 이매패류), 지동물 (늑 거미류, 진정거미류, 새각류, 공생성 요각류, 부유성 요각류, 담수산 요각류), 태형동물 (유낭

류), 극피동물 (불가사리류) 등 300종 이상

2008

해면동물 (각질해면류), 자포동물 (종히드라류, 산호충류), 연체동물(부족류, 복족류), 복모동물 (카이토노티드류), 지동물 (바다거미류, 왕거미류, 고하류, 등각류), 태형동물 (유낭류), 극피동물 (해삼

류) 등 300종 이상

2009

해면동물 (보통해면류), 자포동물 (해 리류, 말미잘류), 선형동물(도마뱀선충류), 유선형동물, 복모동물(카이토노티드류), 환형동물(신빈모류), 지동물(육서 등각류, 담수산 응애류, 십각류), 태형동물(무

낭류), 극피동물(거미불가사리류) 등 300종 이상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42

<표 2> 무척추동물 I 상분류군 당해연도 연구자별 담당 분류군 연구 목표

연구자 담당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심정자 해면동물: 보통해면류(230종)보통해면류 230종 1/10 (경해면류 22종)에한 국문 문 원고 작성 완료

박정희 자포동물: 히드라충류(144종)히드라충류 144종 1/6 (테히드라류 22종)에한 원고 작성 완료 국문 문

송 임 산호충류 (134종)산호충류 134종 1/6 (육방산호충류 22종)에한 국문 문 원고 작성 완료

이 상연체동물: 복족류 (300종)

이매패류

부족류 이매패류 300종 1/10 (30종)에한 국문 문 원고 작성 완료

김병우 지동물: 거미류 (600종)거미류 600종 1/20 (지표성 거미류 30종)에한 국문 문 원고 작성 완료

유정선 거미류 (600종)거미류 600종 1/12 (늑 거미류 30종)에 한국문 문 원고 작성 완료

윤성명 새각류 (54종)새각류 54종 2/5 (22종)에 한 국문 문원고 작성 완료

서호부유성 요각류

(210종)부유성 요각류 210종 1/7 (30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 완료

장천담수산 요각류(120종)

담수산 요각류 120종 1/7 (18종)에 한 국문문 원고 작성 완료

김일회기생성 요각류(210종)

기생성 요각류 210종 1/7 (30종) 에 한 국문문 원고 작성 완료

서지은 태형동물: 유낭류 (122종)유낭류 122종 1/5 (22종)에 한 국문문 원고 작성 완료

신 숙 극피동물: 불가사리류 (49종)불가사리류 49종 1/2 (22종)에 한 국문문 원고 작성 완료

소 계 총 3,494종 총 300종 이상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43

III. 무척추동물 I 당해연도 연구 결과

1. 무척추동물 I 생물지 발간 체계 확립 인 라 구축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연구 원회희

▸ 연구 원회의 4회 개최

    (2007. 7. 25. 국립생물자원

     2007. 8. 17. 코엑스

2007. 10. 18. 서울 학교

2007. 12. 9. 과학기술연합회 )

  - 연구 상 분류군 확정

  - 연구비 배정 집행 계획 사항

  - 분류군별 생물지 발간 계획 수립

  - 상 분류군 종수 확정

  - 확증 표본 검증 기 논의 등

편집 원회의

▸ 편집 원회의 3회 개최

    (2007. 8. 4. 서울 학교

  2007. 9. 4. 서울 학교

2008. 1. 12. 서울 학교)

  - 1차년도 원고에 한 검토 내용 논의

- 2차년도 원고 집필 유의 사항 논의

  - 분류군별 사진, 그림 작성 논의

  - 분포도 작성 논의 등  

원고작성지침서 작성 배포▸ 원고작성지침서 작성 배포

<부록 1, 2>

생물지 작성을 한 표본 기

자료 확보

▸ 원기재문을 포함한 련 문헌자료

575건 이상 확보

▸ 표본 여 54

▸ 기 표본 453 (외국산 39 ) 확인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44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생물지 작성을 한 채집조사

▸ 만 국립해양생물박물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Natural

History Museum of LA County, USA

▸ 일본 히로시마 학, 고배 학, 교토 학 등

외국 표본 단기 방문 3회

▸ 국립수산과학 , 민패류연구소, 한국거미연구소,

이화여 자연사박물 , 한남 자연사박물 등

국내 표본 단기 방문 연구 28회

▸ 제주도, 홍도, 가거도, 인제, 양구, 홍천, 삼척, 동

해, 횡계, 진부, 망상, 군산, 오 산, 치악산, 설악

산, 소백산, 태백산, 속리산, 문경, 홍성, 안동, 팔

공산, 거제도, 월출산, 지리산, 백운산, 수락산, 북

한산, 여주, 단양, 고수동굴, , 춘천, 월, 포

항, 울산, 외연도, , 서산, 승 도, 무의도, 모

도, 종도, 부안, 강화도, 무안, 새만 , 안산, 인

천, 완도, 거제도, 거문도, EZZ, 양만, 백령도 섬

진강, 부산, 강구, 평택 천안, 과천, 동, 당진, 고

창, 남원, 완도, 보성, 암, 무안, 해남, , 장

성, 사천, 울진 , 양, 제천, 경주, 구룡포, 태안,

보령, 안면도 외 73지역

▸ 채집조사 92회

▸ 확증표본 1,040 확인 등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45

당해 연도 목표 연구 결과

■ 해면동물:

• 경해면류: 1목 6과 22종

⇨ 당해연도 목표의 104% 달성

- 1목 6과 23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자포동물:

• 테히드라류: 1과 9속 22종

• 육방산호충류: 4목 12과 22종

⇨ 당해연도 목표의 113% 달성

- 1과 10속 27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4목 12과 23종에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연체동물: 2목 2과 30종

• 복족류: 1목 1과 20종

• 이매패류: 1목 1과 10종

⇨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1목 1과 20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1목 1과 10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지동물: 19과 53속 127종

• 지표성 거미류: 3과 11속 30종

• 늑 거미류: 1과 8속 30종

• 새각류: 6과 8속 22종

• 부유성 요각류: 5과 9속 30종

• 갈고리노벌 류:5과 8속 18종

• 공생성 요각류: 5과 15속 30종

⇨ 당해연도 목표 111% 달성

- 3과 10속 32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1과 7속 30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6과 15속 23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5과 9속 33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8과 13속 23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6과 16속 36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태형동물:

• 유낭류:12과 16속 22종

⇨ 당해연도 목표 104% 달성

- 12과 16속 23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 극피동물:

• 불가사리류: 2목 4과 22종

⇨ 당해연도 목표 104% 달성

- 2목 4과 23종의 문 국문 원고 작성 완료

2. 무척추동물 I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46

<표 4> 무척추동물 I 분류군별 생물지 연구 결과

분류군당해연도 목표 분류학 연구 결과 진도율

(종수기%)목 과 속 종 목 과 속 종

해면동물: 경해면류 1 6 9 22 1 6 9 23 104%

자포동물: 테히드라류 1 1 10 22 1 1 10 27 122%

육방산호충류 4 12 19 22 4 12 19 23 104%

연체동물: 복족류, 이매패류 2 2 15 30 2 2 15 30 100%

지동물: 지표성거미류 1 3 12 30 1 2 10 32 106%

늑 거미류 1 1 7 30 1 1 7 30 100%

새각류 3 6 16 22 3 6 15 23 104%

부유성요각류 1 5 9 30 1 5 9 33 110%

갈고리노벌 류 1 6 11 18 1 8 13 23 127%

공생성요각류 1 6 15 30 1 6 16 36 120%

태형동물: 유낭류 1 23 16 22 1 23 16 23 104%

극피동물: 불가사리류 2 4 16 22 2 4 16 23 104%

총 계 19 69 155 300 18 69 155 326 109%

3. 기타 연구 성과

① 학술발표건

Shin, S., 2007. A New Record of Sea Star (Asteroidea: Phanerozonia)  from

Jejudo Island, Korea. 제62회 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 p. 159.

② 논문간행건

Jeong, H.G., H. L Suh, Y. H. Yoon, I. H. Choi and H. Y. Soh. 2008. The

first records of two neustonic calanoid copepods, Pontella securifer and

P. sinica (Calanoida, Pontellidae) in the South Sea, Korea. Ocean Science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47

J., (in submitted)

Moon, S. Y., Y. H. Yoon, S. Ohtsuka, H. Ueda, S. D. Choi, Y. J. Kim and H.

Y. Soh. 2008.

Acaria (Odontacartia) ohtsukai (Copepoda: Calanoida: Acartiidae): First Record

of Occurrence in Korea Waters and Habit Segregation between the

Sibling Species. Zootaxa, (in submitted)

Lee, J.M. and C.Y. Chang, 2007. Three cletodid copepods of the genera

Limnocletodes and Kollerua (Harpacticoida, Cletodidae) from coastal

marshes and estuaries in South Korea. Ocean Science J., 42(4): 255-267.

Chang, C.Y. and H.J. Yoon, 2008. Nitokra Copepods (Harpacticoida:

Ameiridae)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4(1). (in print)

Kim, I. H., 2007. Two new species of Doridicola (Copepoda: Cyclopoida:

Rhynchomolgidae) associated with Opisthobranh mollusks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3(2): 117-126. (2신종 기재)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48

다. 무척추동물 II 분류군

I. 연구 목표 내용

1. 최종목표

최종목표: 무척추동물II (곤충)

○ 한반도에 분포하는 곤충류의 종속지 연구를 수행

○ 채집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과 국내외 연구기 소장 한반도산 표본 추

○ 각 분류군의 실체 악, 한계 계 설정, 학명 정리

○ 종속지 연구 결과를 국문 문으로 출

○ 곤충자원으로서의 보 , 리 산업 활용 기반 구축

2. 당해연도 목표

당해연도 연구 목표

○ 8목 2,007종 2차년도 연구 착수

○ 1/3에 해당하는 669종에 한 국문 문 원고작성 완료

○ 국외표본 6곳 이상 방문조사

○ 국내표본소장 기 표본 확인 기 자료 확보

○ 채집 조사를 통한 소장 표본의 연차 확

○ 원고작성 지침서 제 일 수정보완 배포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49

II. 연구 방법 추진 계획

1. 연구방법

○ 곤충분야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인 라 구축

- 생물지 발간 상분류군은 곤충류 에서 비교 많이 알려진 분류군 는

그동안 연구가 다소 진행되어 정리가 필요한 분류군을 우선 으로 ․추

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 음

- 8목 2,007종을 선정하 으며, 첫해인 1차년도에 이어 2차년도에도 1/3에 해

당하는 669종에 한 종속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생물지 발간은 국문과 문으로 발간하는 것으로 하 으며, 원활한 사업수행

을 하여 세부책임자를 심으로 편집 원회를 두어 원고작성 지침서를 제

정하고 지속 인 논의를 통하여 원고 작성

- 연구원의 구성은 해당분류군의 문가를 심으로 학 교수, 국가기 연구

연구사, 산업체 연구소장, 박사 연구원 등 12명으로 구성

- 박사 연구원, 석․박사과정 학원생, 학원 진학 정 학부생 등으로 보조

연구조원을 구성하여 서로간의 원활한 교류와 정보공유를 통해 향후에 이들

이 분류학의 문지식을 습득하여 한국 곤충 분류학의 심 치로 거듭

날 수 있도록 연구기반 마련다.

○ 채집 조사

- 채집 조사는 각 분류군별로 잘 알려진 채집지외에도 그동안 경비 문제 등으로

채집하지 못했던 지역을 두루 채집할 수 있도록 최 한 지원

- 가능한 채집 시 연구보조원과 동행하여 채집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고, 연구보조원이 동행할 수 없을 때를 비하여 무 연구조원을 3명 배

치하여 채집 조사를 지원

- 해당 분류군의 연구원, 연구조원 뿐 아니라 서로 간의 긴 한 연락을 통하여

몇 개 이 연합하여 채집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락처 공유

○ 외국 표본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50

- 곤충류는 고유종임에도 과거 우리나라의 분류학 연구기반이 미약했기 때문

에 기 표본이 일본 등 외국에 소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분포 범 가

역 인 종의 경우에는 여러나라의 표본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 필수 임

- 기 표본 소장기 의 단기 방문 연구 표본의 여가 실함

- 사업의 첫해인 1차년도에는 국외여비가 한정되어 2명의 연구자만이 방문연구

를 수행하 으나 2차년도에는 어도 6~7명의 연구자가 해외 방문연구를 수

행할 수 있도록 하 음

- 표본의 여는 연구자가 표본 소장 기 에 연락을 통하여 확증표본을 일정기

간 빌리는 것으로 구성된 모든 문가가 국내외 으로 활동이 활발한 상태이

므로 개인의 역량을 최 한 발휘해서 진행 에 있으며, 1차년도에는 헝가리,

일본, 미국 등에서 400 에 가까운 표본을 여 하 고, 2차년도에도 계속 으

로 진행할 정임

○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 상 분류군의 실체를 규명하기 하여 종속지 연구가 필수 이다.

해당 분류군의 1) 과, 속, 종의 상세한 기재는 물론, 2) 속 종의 검색표, 3)

각 분류군에 한 학명 국명의 정리, 4) 상세한 분류학 형질 기재, 5)

국․내외 분포, 6) 서식지 정보, 7) 분류학 고찰 등을 통해 국가의 주요 생

물자원으로서 보 리 산업 활용의 기 를 제공하고자 함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51

2. 연구 추진계획

<표 1> 무척추동물II (곤충) 생물지 발간 체 추진 계획

발간

년도발간 세부 분류군

2006톡토기목(61), 강도래목(9), 날도래목(15), 메뚜기목(54), 매미목(41), 벌목(48),

리목(138), 딱정벌 목(302)

2007톡토기목(61), 강도래목(9), 날도래목(15), 메뚜기목(54), 매미목(41), 벌목(48),

리목(138), 딱정벌 목(302)

2008톡토기목(62), 강도래목(10), 날도래목(16), 메뚜기목(54), 매미목(40), 벌목

(49), 리목(137), 딱정벌 목(303)

2009하루살이목(25), 잠자리목(30), 노린재목(100), 벌목(100), 리목(100), 나비목

(70), 딱정벌 목(200)

2010하루살이목(25), 잠자리목(30), 노린재목(100), 벌목(100), 리목(100), 나비목

(70), 딱정벌 목(200)

2011하루살이목(25), 잠자리목(30), 노린재목(100), 벌목(100), 리목(100), 나비목

(70), 딱정벌 목(200)

2012노린재목(100), 벌목(100), 리목(100), 나비목(70), 딱정벌 목(100), 매미목

(50), 벌 목(5), 집게벌 목(19), 풀잠자리목(35)

2013

노린재목(100), 벌목(100), 리목(100), 나비목(70), 딱정벌 목(100) 매미목

(50), 흰개미붙이목(1), 귀뚜라미붙이목(5), 흰개미목(2), 뱀잠자리목(4), 약

벌 목(1), 들이목(11), 낫발이목(22)

2014

노린재목(100), 벌목(100), 리목(100), 나비목(70), 딱정벌 목(100) 매미목

(50), 좀붙이목(2), 돌좀목(6), 좀목(1), 사마귀목(8), 바퀴목(14), 다듬이벌 목

(12), 이목(24), 벼룩목(37), 부채벌 목(1)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52

<표 2> 무척추동물II (곤충) 당해연도 연구자별 담당 분류군 연구 목표

연구자 담당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권용정매미목 매미충상과(40종),

나무이상과(82종)

매미목 122종

1/3(41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김정규 벌목 침벌류(145종)벌목 침벌류 145종

1/3(48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박경화 톡토기목(184종)톡토기목 184종

1/3(61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백종철 메뚜기목(162종)메뚜기목 162종

1/3(54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서상재 리목 꽃 리류(113종)리목 꽃 리류 113종

1/3(38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안승락딱정벌 목

잎벌 상과 (351종)

딱정벌 목 잎벌 상과 351종

1/3(117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원두희강도래목(28종),

날도래목(46종)

강도래목, 날도래목 74종

1/3(25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조 복딱정벌 목

반날개상과(183종)

반날개상과 183종

1/3(61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조태호리목 집 리․쉬 리․

검정 리류(126종)

집 리․쉬 리․검정 리류 126종

1/3(42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최득수 리목 꽃등에과(174종)꽃등에과 174종

1/3(58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한경덕 딱정벌 목 바구미류(186종)바구미류 187종

1/3(62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홍기정 딱정벌 목 바구미류(186종)바구미류 187종

1/3(62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표 3> 무척추동물II (곤충) 당해연도 출간종의 세부추진 계획

연구자 담당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한경덕 딱정벌 목 바구미류(186종) 바구미류 62종

홍기정 딱정벌 목 바구미류(186종) 바구미류 62종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53

III. 무척추동물II (곤충) 당해연도 연구수행 내용 결과

1. 무척추동물II (곤충) 생물지 발간 체계 확립 인 라 구축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편집 원회 운

편집 소 원회 7회 개최

원고작성에 한 지침 안건 토의

연구 상 분류군 확정, 생물지 발간 계획

수립 논의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배포 원고작성지침서 수정본 배포 <부록 1>

원고작성 제 작성, 배포 원고작성 제 수정본 배포 <부록 2>

생물지 작성을 한 기 , 조 표본 확

일본 북해도 학 표본자료조사(메뚜기목)

일본 동경농업 학, 신쥬큐 과학 연구소

표본자료조사 (반날개상과)

일본 아이치교육 학, 나고야 학 표본자

료조사 (쉬 리과)

기 표본 266 확인 (벌목, 톡토기목, 반

날개상과, 꽃등에과, 바구미과 등)

생물지 작성을 한 기 자료 확보

원기재문을 포함한 련 문헌자료 493건

확보

일본산 표본 여 26 (반날개상과)

표본 여 403

생물지 작성을 한 채집조사

남고산, 칠갑산 등지 확증표본 100여

문수산, 진해 등지 확증표본 250 , 2미기

록종 확보

소백산, 속리산 등지 확증표본 180여

철원, 서해 섬지역 등 확증표본 350여

지리산, 오산 등지 확증표본 60여

덕유산, 인천, 천 등지 확증표본 300

정읍, 나주, 화성 등지 확증표본 60여

강원도 일 확증표본 70여

구, 진해, 주 일 확증표본 10

수원, 경북 일 확증표본 80여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54

2. 무척추동물II (곤충)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매미목 나무이상과 (41종) 연구 완료

나무이상과: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6과 14속 41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

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강도래목 (9종) 연구 완료

강도래목: 당해연도 목표 133.3% 달성

- 5과 11속 12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

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날도래목 (15종) 연구 완료

날도래목: 당해연도 목표 86.7% 달성

- 3과 6속 13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

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톡토기목 (61종) 연구 완료

톡토기목: 당해연도 목표 101.6% 달성

- 10과 62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메뚜기목 (54종) 연구 완료

메뚜기목: 당해연도 목표 92.6% 달성

- 7과 62속 50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

류학 처리 문원고 작성완료

딱정벌 목 잎벌 상과 (117종) 연구 완료

잎벌 상과: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1과 42속 117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

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딱정벌 목 반날개상과 (61종) 연구 완료

반날개상과: 당해연도 목표 106.5% 달성

- 1과 28속 65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

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딱정벌 목 바구미류 (62종) 연구 완료

바구미류: 당해연도 목표 82.3% 달성

- 1과 16속 51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

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딱정벌 목바구미류 (62종)에 한연구완료

바구미류: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1과 39속 62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

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벌목 침벌류 (48종)에 한 연구 완료

말벌과: 당해연도 목표 106.3% 달성

- 3과 7속 51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

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리목 쉬 리류 (42종)에 한 연구 완료

쉬 리과: 당해연도 목표 90.5% 달성

- 1과 38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리목 꽃 리과 (38종)에 한 연구 완료

꽃 리과: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1과 38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리목 꽃등에과 (58종)에 한 연구 완료

꽃등에과: 당해연도 목표 101.7% 달성

- 1과 59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학

처리 국 문원고 작성완료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55

<표 4> 무척추동물II (곤충) 분류군별 생물지 연구 결과

분류군당해연도 목표 분류학 연구결과 진도율

(종수기 ; %)과 종 과 종

매미목 나무이상과 6 41 6 41 100%

벌목 침벌류 1 48 1 51 106.3%

톡토기목 10 61 10 62 101.6%

메뚜기목 7 54 7 50 92.6%

리목 꽃 리류 1 38 1 38 100%

딱정벌 목

잎벌 상과1 117 1 117 100%

강도래목, 날도래목 8 25 8 25 100%

딱정벌 목

반날개상과1 61 1 65 106.5%

리목 쉬 리류 1 42 1 38 90.5%

리목 꽃등에과 1 58 1 59 101.7%

딱정벌 목 바구미류 1 62 1 62 100%

딱정벌 목 바구미류 1 62 1 62 100%

총계 39 669 39 670 100.1%

3. 기타 연구 성과

① 학술발표건

Park, Nam Yee, Lee Byung-Hoon and Kyung-Hwa Park, 2007. Seven new

species of Ceratophysella Börner, 1932 (Collembola: Hypogastruridae) from

Korea. 2007년 8월 제62회 한국생물과학 회 학술발표회(The 62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Park, Kyung-Hwa and Nam-Yee Park, 2007. Phylogenetic study of the Family

Hypogastruridae (Collembola, Hexapoda) based on morphological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56

characters and rDNA sequence analysis. 2007년 8월 국제산업곤충학회

(ICIBI2007)

Park, Kyung-Hwa and Jin-Sun Kang, 2007. Phylogenetic study of the Order

Symphypleona (Collembola, Hexapoda) based on highly variable region of

28S rDNA gene sequence. 2007년 8월 국제산업곤충학회(ICIBI2007)

Deuk-Soo Choi, Yong Jung Kwon & Ho-Yeon Han, Redescription of Azpeytia

shirakii Hurkmans (Diptera, Syrphidae) first recorded genus and species in

Korea, 2007년 8월 국제산업곤충학회(ICIBI 2007) 발표

Sang-Wook Suk, Chan-Hee Park & Ho-Yeon Han, A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Chrysotoxum Meigen (Diptera, Syrphdiae) in Korea, 2007sus 8월

한국생물과학 회 정기학술 회 발표

② 논문발표건

Jeong-Kyu Kim and Seong-Ho Bang, 2007.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Parrahynchium Saussure (Hymenoptera: Vespidae: Eumeninae) from Korea.

J. Asia-Pacific Entomol. 10(4): 301-305

Seung-Pil Han, Seung gil Lee and Jeong-Kyu Kim, 2007. A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Tiphia Fabricius (Tiphiidae, Hymenoptera) from

Korea, with a Checklist of Korean Tiphiidae. J. Asia-Pacific Entomol. 10(4):

307-311.

Ju-Soon Lee and Jeong-Kyu Kim, 2008. Two unrecorded Korean species of the

genus Cerceris (Cercerinae, Philanthidae, Hymenoptera), with synonymic

checklist of Korean Philanthidae. Korean J. Syst. Zool., 24(1) in press.

Subong Ha and Jeong-Kyu Kim, 2008. First record of the Genus Elampus(Hymenoptera: Chrysidoidea: Chrysididae) from Korea, with a Key andChecklist of current valid species of Korean Chrysididae. Korean J. Syst.Zool., 24(1) in press.

Park, Kyung-Hwa and Jin-Sun Kang, 2007. Three New Species of Arrhopalites

(Collembola, Symphypleona, Arrhopalitidae) from Korea. Entomological

Research 37(3): 157-162.

Park, Kyung-Hwa and Nam-Yee Park, 2007. Phylogenetic study of the Family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57

Hypogastruridae (Collembola, Hexapod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rDNA sequence analysis. Entomological Research 37:105.

Park, Kyung-Hwa and Jin-Sun Kang, 2007. Phylogenetic study of the Order

Symphypleona (Collembola, Hexapoda) based on highly variable region of

28S rDNA gene sequence. Entomological Research 37:105-106.

Park, Kyung-Hwa and Nam-Yee Park, 2006. Two new species of Ceratophysella

(Collembola: Hypogastruridae) from Korea. Florida Entomologist 89(4):

489-496.

Young Bok Cho, 2007. First record of the genus Dinothenarus (Coleoptera:

Staphylinidae) from Korean peninsula. Korean J. Sust. Zool., 23(2): 239-240.

Young Bok Cho, 2008. Korean species of the genus Bisnius Stephens (coleoptera:

Staphylinidae). Entomological Research 38: 90-92 (2008년 3월 발간 정)

Sang Jae Suh, Yong Jung Kwon and Tae-Ho Jo, Taxonomy of the genus Lispe

Latreille(Diptera:Muscidae)in Korea, 한국곤충학회지, 2007년 37권;118-121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58

라. 하등식물 분류군

I. 연구 목표 내용

1. 최종목표

최종목표: 하등식물

○ 한국 자생생물의 국가생물자원 총서 발간사업의 일환으로

- 해산 녹조류 : 110여종

- 해산 갈조류 : 180여종

- 규조류 : 100 여종 등 총 390 여종을 상으로 3개년 동안의 종속지

연구를 통하여 , 국문 생물지를 완성

○ 자생생물의 총체 지식기반을 구축하고

○ 국내 자생생물의 보 , 리 산업자원화의 기반을 완성하고자 함

2. 당해연도 목표 내용

하등식물 당해연도 연구 목표 내용

○ 국․ 문 생물지 원고 작성 완료

- 3분류군 144종 :

▪ 해산 녹조류 마디말과(Cladophoraceae) 외 10과 44종

▪ 해산 갈조류 솜털과(Ectocarpaceae) 외 13과 50종,

▪ 규조류 끈원반돌말과(Thalassiosiraceae) 50종 등 도합 144종

○ 1차 생물지 문 출간 완성

- 1-2차년 연구결과 완성도가 높은 갈조류 3과 52종에 한 문생물지

▪모자반과(Sargassaceae) 모자반속(Sargassum) 30종

▪ 고리매과(Scytosiphonaceae), 고리매속(Scytosiphon) 12종

▪ 갯쇠털과(Sphacelariaceae), 갯쇠털속(Sphacelaria) 10종

○ 확증표본의 확보

- 해산녹조 44종, 갈조류 50종, 규조류 50종에 한 확증 표본 확보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59

II. 연구 방법 추진 계획

1. 연구방법

- 기재문 작성시 모든 종은 사진 수록을 원칙으로 하며, 사진은 가능한 생체

표본 사진, 규조류의 경우 SEM 사진 수록을 원칙으로 함

- 사진은 체체형 주요 해부학 식별형질 사진으로 구성함

- 가능한 기 표본 확증표본(기 채집지 표본)과의 비교 검증을 통한 종 확정

- 국내 분포 채집지 정보는 출 문헌 자의 직 채집지 기재 후 DB 등록

- 해산 녹조 갈조류는 유 자(rbcL 등)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종 검증

계통 확인을 원칙으로 함

- 문 국문 기재문 원고는 기 안 (원고작성기 Version 1.1)에 의거함

- 확증표본 확보 (생물지 기재분류군 당 평균 2 이상 확보)

2. 연구 추진계획

<표 1> 하등식물 분야 생물지 발간 체 추진 계획

발간

년도

발간 세부 분류군

당 계획안 변경 추진안 비 고

2006 갈조류, 해산녹조류 갈조류, 해산녹조류 -

2007 갈조류, 해산녹조류 갈조류, 해산녹조류, 규조류 규조류 추가확정

2008 갈조류, 해산녹조류 갈조류, 해산녹조류, 규조류 규조류 추가확정

2009 남조류, 담수녹조류, 유 나류담수녹조, 유 나, 규조류,

홍조류

* 홍 조류추가 ,

규조류 계속

2010 남조류, 담수녹조류, 유 나류담수녹조, 유 나, 규조류,

홍조류

* 홍 조류추가 ,

규조류 계속

2011 남조류, 담수녹조류, 유 나류담수녹조, 유 나, 규조류,

홍조류

* 홍 조류추가 ,

규조류 계속

2012 편모조류, 규조류, 홍조류 남조류, 편모조류, 홍조류 변경

2013 편모조류, 규조류, 홍조류 남조류, 편모조류, 홍조류 변경

2014 편모조류, 규조류, 홍조류 남조류, 편모조류, 홍조류 변경

* 재의 국내 공 연구원의 황 실 가능분류군 우선으로 조정함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60

<표 2> 하등식물 분야 당해연도 연구자별 담당 분류군 연구 목표

연구자 담당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김 훈녹조류 깃털말과(Bryopsidaceae)를

포함한 2과 3속 23종

깃털말과, 청각과 11종 1/2 (6종)에

한 원고작성완료

조태오녹조류 록털말과(Acrosiphoniaceae)를

포함한 5과 9속 15종

록털말과 외 11종 1/2 (6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황일기녹조류 마디말과(Cladophoraceae)를

포함한 4과 6속 32종

마디말과 11종 1/2 (6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배은희녹조류 갈 래과(Ulvaceae)를 포함한

6과 10속 29종

갈 래과 외 11종 1/2 (6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김형섭갈조류 솜털과(Ectocarpaceae)를

포함한 8과 19속 35종

솜털과 외 12종 에 1/2 (7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부성민갈조류 고리매과(Scytosiphonaceae)를

포함한 5과 10속 29종

고리매과 외 7종 1/2 (4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연심갈조류 갯쇠털과(Sphacelariaceae)를

포함한 4과 5속 16종

갯쇠털과 외 8종 1/2 (3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이욱재갈조류 그물바탕말과(Dictyotaceae)를

포함한 3과 11속 28종

그물바탕말과 11종 1/2 (5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옥정갈조류 모자반과(Sargassaceae)를 포

함한 3과 6속 35종

모자반과 12종 1/2 (6종)에 한 원

고 작성 완료

이진환규조류 끈원반돌말과

(Thalassiosiraceae) 7속 25종

끈원반돌말과 25종 에 1/2 (13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조경제규조류 끈원반돌말과

(Thalassiosiraceae) 7속 25종

끈원반돌말과 25종 1/2 (12종)에

한 원고 작성 완료

<표 3> 하등식물 분야 당해연도 출간종의 세부추진 계획

연구자 담당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옥정 모자반과 (30종) 모자반과 모자반속 30종 출간

부성민 고리매과 (12종) 고리매과 고리매속 12종 출간

연심 갯쇠털과 (10종) 갯쇠털과 갯쇠털속 10종 출간III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61

III. 하등식물 분야 당해연도 연구 결과

1. 하등식물 분야 생물지 발간 체계 확립 인 라 구축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연구원 회의

▪ 연구원 회의 6회 개최

- 1차 회의: 07. 7. 24, 인천

․참여연구원별 연구계획 수립 목표 검

․ 문생물지 출간 상종 연구상황 검

- 2차 회의: 07. 10. 5.

․ 간보고 상 연구 종 논의

․원고 작성 지침 논의 개정안 논의

- 3차 회의 : 07. 10. 12 상명 학교

․규조류 원고작성 지침 출간 계획 의

- 4차 회의: 07. 11. 27 인제 학교

․규조류 출 계획 확정

- 5차 회의: 08. 1. 5.

․분류군별 생물지 발간 지침 의

- 6차 회의: 08. 2. 20 통

․갈조류 국문용어 통일안 의

편집 원회 회의

▪편집 원회 회의 1회 개최

- 1차 회의: 07. 10. 5.

․ 문용어 국문 통일 방안 의

․생물지 출간종에 한 검 출간 계획 조정

- 2차 회의: 08. 1. 5.

․ 체분류군간의 생물지 원고 작성 의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배포

▪하등식물 원고 작성 지침 제 수정안 배포

<부록 1, 2>

▪하등식물(규조류) 원고 작성 지침서(v 1.0) 배포

생물지 작성을 한 표본

기 자료 확보

▪원기재문을 포함한 련 문헌자료 95건 이상 확보

▪CCMP에서 균주 7종 구매하여 우리나라에서 출

하는 종과 비교 검토

생물지 작성을 한 채집조사

▪강릉, 동해, 속 , 포항, 부산, 통 , 거제, 남해, 진

도, 완도, 군산, 외연도, 태안반도, 강화도 제주

도 일원 등 채집조사 68회, 확증표본 288 확보

▪미국 Smithsonian Institution 표본 찰

▪미국Bigelow Marine Laboratory에서 갈조류 채집

CCMP의 배양주 찰

▪미국 Jepson Herbarium에서 147 표본 찰

▪일본 가고시마 학에서 표본 찰

▪일본 후쿠오카 박물 에서 표본 찰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62

2. 하등식물 분야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해산녹조류(11과 44종)▪해산녹조류 : 14과 21속 50종에 한 종속지속

연구, 분류학 처리 원고작성 완료

해산갈조류(14과 50종)▪해산갈조류 : 10과 20속 48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학 처리 원고작성 완료

규조류 (1과 50종)▪규조류 : 1과 6속 52종에 한 종속지 연구,

분류학 처리 원고작성 완료

<표 4> 하등식물분야 분류군별 생물지 연구 결과

분류군당해연도 목표 분류학 연구결과 진도율

(종수기 ; %)과 종 과 종

해산녹조류 11 44 14 50 113.6

해산갈조류 14 50 9 48 96.0

규조류 1 50 1 52 104.0

총계 26 144 21 150 104.2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63

마. 하등생물 분류군

I. 연구 목표 내용

1. 최종목표

최종목표: 하등생물

○ 한반도 자생 하등생물 생물자원과 유 자원의 이용 리 지침서 DB

- 종 학명 국명 정리

- 형태 특징 국명, 문 정리

- 국내 분포 서식지 정리

- 분류 생태 특성

- 분류 동정 검색표

- 용도 유용성 정보

2. 당해연도 목표 내용

하등생물 당해연도 연구 목표 내용

○ 자생 균류 60종, 자생 세균 67종 (Proteobacteria 50종, 방선균 17종) 분류

기재

○ 하등생물 생물지 발간 [Alpha-Proteobacteria의 Orders Rhodospirillales,

Rhodobacterales, Sphingomonadales의 세균류 (50종)]

○ 편집 원회 구성 운

○ 국문, 문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 확증 표본, 배양균주 기 자료 확보

○ 외국 표본과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64

Ⅱ. 연구 방법 추진 계획

1. 연구방법

○ 상 분류군 생물지 발간체계 확립 인 라 구축

- 편집 원회 구성 운

- 국문 원고 작성 지침서 작성

- 문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 채집 조사

- 국내 자생지 정기 답사 서식지 분포 (GIS 포함) 정보 수집

- 환경생태 특징 화상 정보 수집

- 상 분류군 확증표본 배양균주 확보

- 표본 균주정보 DB 구축

- 미경 찰 DNA 염기서열 분석

○ 외국 표본과 단기 방문연구 표본 여

- 외국 균류 표본 단기 방문연구

- 연구자료 문헌 정보 교환

- 자생종 연구용 기 표본 여

○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 채집표본 여 표본 근거 종속지 연구

- 학명, 이명(synonym), 국명 정리

- 과, 속, 종 기재 속, 종 검색표 작성

- 분류, 생태 특성 유용성 정보 종합

- 서식지 정보 국내 분포도 작성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65

2. 연구 추진계획

<표 1> 하등생물 생물지 발간 체 추진 계획

연구년도 연구 세부 분류군

2006구멍장이버섯류, 고약버섯류, 흰가루균류, 동충하 131종 기재

Alpha-Proteobacteria 세균50종, 방선균 17종 기재

2007구멍장이버섯류, 고약버섯류, 흰가루균류, 동충하 131종 기재

Alpha-Proteobacteria 세균50종, 방선균 17종 기재

2008

구멍장이버섯류, 고약버섯류, 흰가루균류, 동충하 131종 기재

Proteobacteria (Alpha, Beta, Delta, Epsilon, Gamma)세균50종, 방선균

16종 기재

2009

주름버섯류, 복균류 130종 기재

Proteobacteria (Beta, Delta, Epsilon, Gamma)세균 50종, 방선균 17종

기재

2010주름버섯류, 복균류 130종 기재

Gamma-Proteobacteria 세균50종, 방선균 17종 기재

2011

주름버섯류, 복균류 130종 기재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 Gamma-Proteobacteria 세균50종,

방선균 17종 기재

2012반균류, 충생균류, 목이류, 흑수병균류, 불완 균류, 균류 90종

Low G+C Gram-positive, Bacteroidetes 세균, 방선균 50종 기재

2013반균류, 충생균류, 목이류, 흑수병균류, 불완 균류, 균류 90종

Bacteroidetes, Cyanobacteria, Green non-sulfur bacteria 세균 25종 기재

2014반균류, 충생균류, 목이류, 흑수병균류, 불완 균류, 균류 90종

Bacteroidetes, Cyanobacteria, Green non-sulfur bacteria 25종 기재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66

<표 2> 출간 상 세균 분류군 체 추진 계획

출간연도 출간 상 세균 분류군

2008Alpha-Proteobacteria의 Orders Rhodospirillales, Rhodobacterales,

Sphingomonadales의 세균류 (50종)

2009Actinobacteria의 Suborders Propionibacterineae, Pseudonocardineae,

Streptomycineae의 방선균류 (50종)

2010 Alpha-Proteobacteria의 Orders Caulobacterales, Rhizobiales의 세균류 (50종)

2011 Beta-, Delta-, Epsilon-Proteobacteria의 세균류 (50종)

2012 Gamma-Proteobacteria의 세균류 (50종)

2013Actinobacteria의 Suborders Corynebacterianeae, Frankineae, Micrococcineae,

Strptosporangineae의 방선균류 (50종)

2014 Low GC Gram-Positive 세균류 (25종)

2015 Phyla Bacteroidetes, Cyanobacteria, Green nonsulfur bacteria의 세균류 (25종)

<표 3> 출간 상 균류 분류군 체 추진 계획

출간연도 출간 상 세균 분류군

2008 담자균문의 고약버섯과 (50종)

2009 자낭균문의 흰가루병균과 (50종)

2010 담자균문의 고약버섯과 (40종)

2011 자낭균문의 흰가루병균과 (103종)

2012 담자균문의 구멍장이버섯과 (50종)

2013 자낭균문의 동충하 (30종)

2014 담자균문의 구멍장이버섯과 (50종)

2015 자낭균문의 동충하 (30종)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67

<표 4> 하등생물 당해연도 연구자별 담당 분류군 연구 목표

연구자 담당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이 건 형 해양생태계의 Proteobacteria Proteobacteria 50종 1/3 원고작성

송 홍 규 오염토양의 Proteobacteria Proteobacteria 50종 1/3 원고작성

가 종 억 경작토양의 Proteobacteria Proteobacteria 50종 1/3 원고작성

성 치 남 방선균

방선균 17종 원고작성 (Streptomyces,

Nocardioides, Pseudonorcardia, Kribella,

Kitasatospora)

신 동 자낭균류 흰가루균목 자냥균류 흰가루균목 60종 원고작성

임 운 민주름버섯목 고약버섯류 민주름버섯목 고약버섯류 37종 원고작성

<표 5> 하등생물 당해연도 출간종의 세부추진 계획

연구자 담당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이 건 형

Alpha-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의 Orders

Rhodospirillales, Rhodobacterales,

Sphingomonadales의 세균류 (50종)

출 계획

송 홍 규

가 종 억

성 치 남 방선균 2009년도 출간 정 (50종)

신 동 자낭균류 흰가루균목 2009년도 출간 정

임 운 담자균류의 고약버섯과 50종 출 계획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68

Ⅲ. 하등생물 당해연도 연구 결과

1. 하등생물 생물지 발간 체계 확립 인 라 구축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편집 원회 운

- 균류 편집 원 1인, 세균 편집 원 1인 구성

- 편집 원회 3회 개최

- 개최 일시: 2007년 7월 24일, 8월 17일, 10월 10

일, 2008년 1월 28일

- 회의내용: 원고 체제 양식 통일, 기재 상 항

목 선정, 생물지 발간 계획 수립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배포 - 원고작성 지침서 작성 배포 <부록 참조>

생물지 작성을 한 채집조사

- 울릉도, 독도, 순천, 천안, 공주, 부안, 주,

곡성, 고창, 김해, 부산, 제주, 서귀포, 경산, 김포,

산 총 24회

생물지 작성을 한 표본

기 자료확보자 미경 사진 촬

2. 하등생물 상 분류군의 종속지 연구 (monographic study)

당해연도 목표 연구 결과

α-proteobacteria 50종․당해연도 목표 102% 달성

- 10과, 29속, 51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완료

방선균 17종․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3과, 5속, 17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완료

자냥균류 흰가루균목 60종․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1과, 1속, 60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완료

민주름버섯목 고약버섯류 37종․ 당해연도 목표 100% 달성

- 1과, 19속, 37종에 한 국문 문 원고 작성완료

IV. 당해연도 연구 결과

한국 생물지 발간 연구사업-최종 결과보고서69

<표 4> 하등생물 분류군별 생물지 연구 결과

분류군

당해연도 목표 분류학 연구결과진도율

(종수기 ; %)과 종 과 종

α-proteobacteria 50 10 52 52/50 104%

방선균 3 17 3 17 17/17 100%

자냥균류 흰가루균목 60 1 60 60/60 100%

민주름버섯목 고약버섯류 37 1 37 37/37 100%

총계 164 165 166/164 101%

V. 2차녀도 성과

한국 생물지 발간연구 사업-최종 결과보고서 70

1. 한국생물지 원고 작성 지침서 제

가. 척추동물 분류군

나. 무척추동물 I 분류군

다. 무척추동물 II 분류군

라. 하등식물 분류군

마. 하등생물 분류군

2. 한국생물지 출간 원고 작성 지침서 제

가. 척추동물 분류군

나. 무척추동물 I 분류군

다. 무척추동물 II 분류군

라. 하등식물 분류군

마. 하등생물 분류군

3. 한국생물지 국· 문 원고

가. 척추동물 분류군

나. 무척추동물 I 분류군

다. 무척추동물 II 분류군

라. 하등식물 분류군

마. 하등생물 분류군

4. 2차년도 확증표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