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71
주요단신 도쿄전력, 가스소매시장 전면자유화에 대비해 도시가스 열조설비 설치 미국, 15년 석탄 소비량 및 생산량 급락 스웨덴 정부, 안정적 에너지 공급 위해 원자력발전 유지하기로 야당과 합의 나이지리아, 원유 공급 불안 및 경제위기 지속 인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수력 설비용량 앞질러 주간포커스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별 수급 실적과 향후 과제 제16-22호 2016 6/17 베트남 정부는 향후 20년 동안 농업경제 국가에서 산업국가로 발전하기 위해 국가에너지개발전략2020 을 수립 추진 중에 있으며, 최상위 에너지정책 목표를 국가 에너지안보 확보로 설정하고 있음. 베트남은 경제발전으로 인한 전력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발전설비를 꾸준히 증설할 계획이며, 재생에너지개발전략 2030 기초하여 신재생에너지 활용 촉진 정책을 추진 중에 있음. 현안분석 베트남 전원개발 계획 및 해결과제

Upload: others

Post on 28-Feb-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주요단신• 도쿄전력, 가스소매시장 전면자유화에 대비해 도시가스 열조설비 설치

• 미국, ’15년 석탄 소비량 및 생산량 급락

• 스웨덴 정부, 안정적 에너지 공급 위해 원자력발전 유지하기로 야당과 합의

• 나이지리아, 원유 공급 불안 및 경제위기 지속

• 인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수력 설비용량 앞질러

주간포커스•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별 수급 실적과 향후 과제

제16-22호

20166/17

베트남 정부는 향후 20년 동안 농업경제 국가에서 산업국가로 발전하기 위해

‘국가에너지개발전략2020’을 수립・ 추진 중에 있으며, 최상위 에너지정책 목표를 국가

에너지안보 확보로 설정하고 있음. 베트남은 경제발전으로 인한 전력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발전설비를 꾸준히 증설할 계획이며, ‘재생에너지개발전략 2030’에

기초하여 신재생에너지 활용 촉진 정책을 추진 중에 있음.

현안분석

베트남 전원개발 계획 및 해결과제

Page 2: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현안분석 • 베트남 전원개발 계획 및 해결과제 p.3

주간

포커스•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별 수급 실적과 향후 과제 p.19

주요단신

중국

• 중국, 이란과 석유항만시설 프로젝트 계약 체결

• 중국 산시省 소재 석탄기업 2곳 합병

• 중국 국토자원부, ’15년 석유・가스자원 잠재량 평가 결과 발표

p.37

일본

• 도쿄전력, 가스소매시장 전면자유화에 대비해 도시가스 열조설비 설치

• 경제산업성, 일본 근해 해저자원개발 촉진 위한 제도 정비 착수

• 노후원전(다카하마원전 1,2호기) 가동연장 최초 허가 전망

p.41

러시아

중앙아시아

• Gazprom의 對유럽 가스가격, 유럽 현물가격보다 20% 할인

• 러 지하자원청, 대륙붕(북극 대륙붕 포함) 개발 2~12년 연기 요청 승인

• 러, 장기적으로 가스 구매국과의 협상에서 우위 약화 가능성

p.45

북미

• 미국-인도, 원전 건설 등 다방면에서 협력 모색

• 미국, ’15년 석탄 소비량 및 생산량 급락

• 캐나다 앨버타州, 탄소세법 통과

p.49

중남미

• 브라질, 재생에너지원 개발 ’3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전망

• ExxonMobil, 아르헨티나 Vaca Muerta 셰일지대에 $2.5억 투자 계획

• 우루과이 민간기업, 풍력발전 생산 전력 수출 승인 획득 전망

p.53

유럽

• 스웨덴 정부, 안정적 에너지 공급 위해 원자력발전 유지하기로 야당과 합의

• 덴마크 Dong Energy社, ’16년 유럽 최대 규모의 주식공개상장 추진

• BP社-Det norske社, 노르웨이에 석유・가스 E&P 합작회사 설립 계획 발표

p.56

중동

아프리카

• 나이지리아, 원유 공급 불안 및 경제위기 지속

• 사우디, ‘국가 개혁 계획 2020’ 통해 천연가스 증산 의지 표명p.60

아시아

호주

• 파키스탄, 에너지 공급난 타개 위해 $760억 투자 계획

• 인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수력 설비용량 앞질러

• 인도, 소규모 광구 분양을 위한 경매 실시 계획

p.64

제16-222016.6.17

Page 3: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Page 4: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Page 5: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3

베트남 전원개발 계획 및 해결과제1)

해외정보분석실 양의석 선임연구위원([email protected]), 석주헌 부연구위원([email protected]), 김아름 전문연구원([email protected])

▶ 베트남은 1995년 50%내외 수준의 전력보급률을 2014년 98%까지 제고하는 성장을 이룩하여, 남서쪽 인구

희박 산악지대 및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 국토지역에 전력보급을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베트남의 전력 수요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2005~2014년 동안 연평균 12.1%

증가하였고, 2016~2020년 동안 연평균 10.5%, 2021~2030년 동안 연평균 8.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이에 따라 총 발전설비 용량은 2020년까지 75GW, 2030년까지 147GW로 확대될 전망임.

▶ 정부는 향후 20년 동안 농업경제 국가에서 산업국가로 발전하기 위해 ‘국가에너지개발전략2020’을 수립・ 추진 중에 있으며, 최상위 에너지정책 목표를 ‘국가 에너지안보 확보’로 설정하고 있음.

▶ 또한, 정부는 산업부문 전력수요 증가를 충당하기 위해 석탄 및 천연가스 화력발전 비중 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한편, ‘재생에너지개발전략 2030(Vietnam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Strategy to 2030,

REDS)’에 기초하여 신재생에너지 활용 촉진 정책을 추진 중에 있음.

▶ 전력 부문 개발에 필요한 재정의 조달, 전력 부문에의 현대적 기술 도입과 효율적 관리 능력 부족 문제 등은

베트남 에너지 분야 발전의 애로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음.

1. 베트남 전력산업 발전 현황

▣ 발전설비 현황

¡ 베트남은 1995년 50%내외 수준의 전력보급률을 2014년 98%까지 제고하는 성

장을 이룩하여, 남서쪽 인구 희박 산악지대 및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 국토지역

에 전력보급을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전체 발전설비 용량은 2014년 기준 34.1GW에 달하며, 상대적으로 수력(46.7%)에 크게 의존하는 전원Mix를 보유하고 있으며, 가스(21.6%), 석탄(28.6%), 석유(3.4%), 재생에너지(0.32%)순으로 전원이 구성되어 있음.

¡ 베트남 전원은 국토 북동쪽에 석탄화력, 중앙 및 서부지역에 수력발전, 남동쪽에

천연가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력망은 북쪽 수도(하노이) 주변과 남쪽 호치민시

(사이공) 지역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음.

‒ 수력발전원은 북쪽 및 중앙 산악지대, 남중부 저지대 지역의 10개 주요 강과 5개의 주요 강 유역(river basins)에 집중되어 있음.

※ 정부는 2005전력개발계획(Plan for Power Development, 2005 PPD)에 기초

1) 본 현안분석은 베트남 발전부문의 전원Mix 변화방향을 진단하기 위하여, 최근 발표된 International

Energy Outlook(EIA, 2016.5.17) 및 Energy Sector Assessment, Strategy, and Map(ADB, December,

2015), Country Energy Report – Vietnam(Enerdata, January, 2016) 내용을 분석・재구성하였음.

“베트남은 전력보급률을 2014년 98%까지 제고하여 산악지대 및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 국토지역에 전력보급을 달성”

Page 6: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하여 2006~2015년 기간 중 총 17~18GW 수력발전 설비 확충을 계획한 바

있으나, 환경 문제와 원주민 이주 어려움으로 수력발전 설비 확충은 2015년

말까지 약 4.1GW정도 수준에 머물렀음.

‒ 석탄화력 발전소의 대부분은 하노이 동쪽 Quang Ninh 지방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동 지역에 무연탄과 역청탄이 매장되어 있기 때문임.

‒ 천연가스 발전설비 대부분은 메콩강 삼각주(Mekong River Delta)와 베트남 남

동지역에 구축되어 있으며, 이는 천연가스 생산이 메콩강 삼각주의 끝에서부터

남서쪽 해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임.

자료 : Enerdata(2016.1월), Country Energy Report – Vietnam

< 베트남 지역별 발전설비 용량(2014년) >

(단위 : GW)

베트남

전력공사(EVN)

독립발전사업자

(IPP & BOT)합계

석탄 발전 6,119 3,640 9,759

석유 발전 528 627 1,155

가스 발전 3,113 4,241 7,354

수력* 10,780 4,923 15,703

풍력・바이오가스 109 109

합계 20,540 13,540 34,080

주 :*: 30MW규모 이하의 소수력만 재생에너지로 분류됨.

자료: Asian Development Bank(2016); Government of Viet Nam 2015, Revised

Power Development Plan 2011-2020. Ha Noi 재인용

¡ 베트남 발전설비는 크게 국영기업(EVN: Electricity of Vietnam)과 독립발전

사업자(IPP) 및 BOT(외국자본)가 보유하고 있으며, EVN(베트남 전력공사)는

수력발전을 주도하고 있음.

< 베트남 발전설비 구축 주체 (2014년 말 기준) >

(단위 : MW)

‒ EVN은 1995년 베트남 산업통상부(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MOIT) 산하

공기업으로 태동하여, 전원개발과 송전망 확충을 담당하는 국영기업으로 3개의 발

“베트남 발전설비는 크게 국영기업(EVN)과 독립발전사업자 (IPP) 및 BOT(외국 자본)가 보유”

Page 7: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5

전회사(Genco-1, Genco-2, Genco-3; 설비용량 : 20.5GW, 2014년 말 기준)를 보

유(전체 설비용량의 61%)하고 있으며, 2014년 전력생산량은 61TWh에 달하였음.

¡ 독립발전사업자(IPPs)는 2014년 말 기준, 13.5GW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음.3

‒ PV-Power(Petrovietnam Power, 2007년 설립)는 2014년 말 기준 설비용량 약

3,900MW(이 중 62%는 가스발전소)를 보유한 베트남 최대 IPP로 역할하고 있음.

‒ 베트남 최초 IPPs발전 설비는 2004년 건설된 Phu My 발전소(Combined Cycle Power Stations, CCGT)이며, Phu My2(716MW)은 EDF(56.3%), Tepco(15.6%), Sumitomo(28.1%) 등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Phu My3(720MW)의 지분구조는

Sembcorp(66.67%)와 Kyushu(33.33%)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송배전 Governance 및 설비 내역

¡ 베트남의 송전시스템 운영주체는 EVN 산하의 국영전력송전공사(NPT: National Power Transmission Corporation, EVN 지분 100%)가 역할하고 있음.

‒ NPT는 2014년 말 기준 송전망(220KV: 12,500km, 500KV: 6,750km, 110kV, 43km)를 운영하고 있으며, 베트남 남북지역의 전력 송전 역량을 증진하기 위하

여 지난 5년 동안 865개 변전소와 전력망들(Pleiku-My Phuoc-Cau Bong: 500kV, Dak Nong-Phuoc Long-Binh Long: 220kV)을 연계하였음.

‒ 송전 시스템의 성능은 지난 10년간 개선되어 송전 손실은 2004년 8.2%에서

2014년 2.5%로 감소되었음.

‒ 2014년에 NPT는 Quang Ninh, Hai Duong, Bac Giang의 3개의 북쪽 지방을

연결하는 139km 이상의 신규 500kV 송전선을 시운전하였음. 투자금 1억7백만

달러 중 일부는 세계은행(World Bank)에 의해 조달하였음.

¡ EVN은 또한 베트남 전국의 배전설비를 독점하고 있으며, 산하의 5개 지역 배전

회사들을 보유하고 있음.

‒ 전력 배전은 지역별 담당 구조로 5개 배전 공기업(Northern Power Corporation, Central Power Corporation, Southern Power Corporation, Hanoi City Power Corporation, Ho Chi Minh City Power Corporation)이 담당하고 있음.

‒ 5개 배전 기업은 2014년 말 기준 약 22.1백만 전력 수용가에게 배전과 소매공

급을 담당하고 있으며, 배전망(2014년 말 기준)은 16,700km 배전선(110kV, 35,000MVA 변압기), 435,000km 배전선(6-35kV, 53,200MVA 변압기), 55km 배전선(220kV, 1,875MVA 변압기)로 구성되어 있음.

¡ 2014년 송배전 손실률은 8.6% 수준으로 2010년 10.2%에서 개선되었으나, 특히, 배전 손실은 2014년 6.11%로 추가 개선될 여지를 보유하고 있음.

“베트남의 송전시스템 운영주체는 EVN 산하의 국영전력송전공사 (NPT)가 담당“

“2014년 송배전 손실률은 8.6% 수준으로 2010년 10.2%에서 개선”

Page 8: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손실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송전 손실 2.70 2.86 3.13 2.56 2.33 2.69 2.49

배전 손실 6.65 6.71 7.02 6.67 6.22 6.18 6.11

합계 9.35 9.57 10.15 9.23 8.85 8.87 8.60

자료: Asian Development Bank(2016); Government of Viet Nam, Viet Nam Electricity.

2014. Annual Report. Ha Noi. 재인용

< 송・배전 손실(2008~2014년) >

(단위 : %)

¡ 베트남은 전력공급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캄보디아, 라오스, 중국과 계

통연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2014년에 전력거래(수입 : 3TWh, 수출 : 1.3TWh) 실적을 시현하였음.

‒ 베트남은 2002년 이래 캄보디아 국경지역으로 전력을 220kV 송전선을 통해 캄

보디아로 수출하여 왔으며, 2014년 수출량은 885GWh에 달하였음(캄보디아 전

력 소비의 25% 수준).

‒ 2013년 라오스로부터 수입을 시작했고 Xekaman3 수력발전소로부터 2개

220kV 송전선을 통해 450GWh를 수입함.

‒ 또한 2004년 중국으로부터 전력 수입을 개시했고, 2개 220kV 송전선과 3개

110kV 송전선을 통해 2014년 2,025GWh의 전력을 수입하였음.

▣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대한 수입세 공제, 토지 사용료 공제 및 감면, 소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

트(100kW 이하)의 경우 비용의 70%까지 금융 대출 혜택을 부여하고 있음.

‒ 풍력발전 부문에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in-Tariff)가 도입(2011년)되었으

며, 동 제도는 도입 후 20년 동안 운영될 계획임.

‒ 정부는 산악지대에 설치된 태양광에 대해 VND1,800/kWh(US$8c/kWh) ~ VND3,500/kWh(US$15c/kWh), 옥상 태양광 프로젝트에 대해 VND3,150/kWh (US$13.5c/kWh)를 지원하는 발전차액지원제도 도입을 검토 중임.

‒ 태양광 프로젝트는 투자신용(investment credit)을 통해 프로젝트 총 투자금액의

70%까지 재원대출이 허용되고 있으며, 태양광 관련 수출입 계약은 ‘수출신용인

센티브(export credit incentive)’ 제도를 통해 계약규모의 85%까지 금융지원이

부여되고 있음. 또한 태양광 전력은 전력구매계약(PPAs)을 통해 20년간 EVN에게 판매가 보장되고 있음.

‒ 2014년 발전차액지원제도는 도시고형폐기물(US$10c/kWh)과 폐기물을 이용한

“베트남은 전력공급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캄보디아, 라오스, 중국과 계통연계를 구축”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을 시행”

Page 9: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7

바이오가스 발전(US$7.3c/kWh)도 지원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음.

▣ 전력발전 실적

¡ 전력 생산은 2000~2010년 기간 중 연평균 13% 증가하였고, 2010~2014년 기간

중의 증가율은 연평균 12%에 달하였음.

‒ 2014년에 전력 생산량은 143TWh로 발전원별 비중은 수력 40%, 가스 31%, 석탄 27%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자료 : Enerdata(2016.1월), Country Energy Report – Vietnam

< 전력생산량 변화추이(1990~2014년) >

‒ 2014년 수력발전량은 54.1TWh 규모로 2013~2014년 동안 수력발전 연평균 증

가는 2.0% 수준으로 성장이 정체되었음.

자료 : Enerdata(2016.1월), Country Energy Report – Vietnam

< 발전원별 전력생산 비중(2014년) >

(단위 : %)

“전력 생산은 2000~2010년 동안 연평균 13% 증가, 2010~ 2014년 동안 연평균 12% 증가”

Page 10: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2. 전력 수요 변화 및 전망

▣ 전력소비 변화

¡ 2000년대 중반부터 베트남이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 전력 수요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12.1% 증가를 기록하고 있음.

‒ 동기간에 전력소비량은 45.6TWh에서 128.4TWh로 증가하였으며, 1인당 전력

소비는 156kWh에서 1,415kWh로 9배 규모로 증가하였음.

‒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최대 전력 수요는 9.5GW에서 22.2GW로 증가하여 2.3배 증가에 불과하였으며, 총 설비용량은 11.6GW, 2014년 34.1GW로 연평균

12.6% 증가하였음.

2005 2009 2014 2015 2020 2025 2030

수요(TWh) 45.6 76.0 128.4 141.8 234.6 352.3 506.0

발전량(TWh) 53.6 86.9 145.5 161.3 265.4 400.3 571.8

최대수요(GW) 9.5 13.9 22.2 25.3 42.1 63.5 90.7

설비용량(GW)* 10.6 15.9 34.8 43.0 71.8 93.2 147.0

1인당 수요(kWh) 549 873 1,415 1,560 2,545 3,610 4,950

주 :*: 설비용량(GW) 자료는 Globaldata(2015), Vietnam power marekt outlook

to 2025 참조

자료: Asian Development Bank(2016); Government of Viet Nam 2015, Revised

Power Development Plan 2011-2020. Ha Noi 재인용

< 전력 소비변화 및 전력 수요 전망(2015~2030년) >

¡ 총 발전설비 용량은 2020년까지 75GW, 2030년까지 147GW로 확대될 전망임.

‒ 베트남의 전력 소비구조(2014년 기준)는 산업(56%)이 주도하고 있으며, 가정

(34%), 서비스업(9%)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업부문은 2000년 이후 지속적

으로 소비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을 시현하고 있음.

‒ 산업부문이 전력 소비를 견인하는 것은 GDP의 41%(2015년 기준), 고용 29%, 수출 87%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임.

1990 2000 2010 2011 2012 2013 2014

합계 TWh 6.2 22.4 86.9 94.7 105 114 129

산업

%

46 41 54 53 52 56 56

가정 37 50 36 36 36 34 34

서비스 9 7 9 10 10 9 9

자료: 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16.5.17

< 베트남 전력 소비구조 변화 추이(1990~2014년) >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 전력 수요는 2005년~2014년 동안 연평균 12.1% 증가”

Page 1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9

▣ 전력수요 전망

¡ 전력 수요는 2016에서 2020년 동안 연평균 10.5%, 2021년에서 2030년 기간 중

에는 연평균 8.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제7차 PPD 개정안).

‒ 전력 수요는 2020년 234.6TWh에서 2030년 506TWh로 전망되고 있으며, 2014년 기준으로 2030년은 4배 증가될 것으로 보임.

‒ 피크수요는 2015년 25.3GW에서 2030년까지 3.6배 증가하여 90.7GW에 도달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1인당 전력수요는 2015년 1,560kWh에서 2030년

4,950kWh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3. 베트남 전원개발 계획

▣ 발전설비 확충 계획

¡ 베트남은 향후 20년 동안 농업경제 국가에서 산업국가로 발전하기 위해 ‘국가에너

지개발전략2020(National Strategy on Energy Development 2020)’을 수립・추진

중에 있으며, 최상위 에너지정책 목표를 ‘국가 에너지안보 확보’로 설정하고 있음.

¡ 정부는 ‘2011-2020년 국가전력개발계획(National Power Development Plan; PDP, 2011년)’에 기초하여 2030년까지 전원개발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으며, 총 발전

설비 용량을 2020년까지 75GW, 2030년 147GW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내용임.

‒ 2020년까지 발전설비 전원구성은 석유・가스(19%), 석탄(46%), 수력(26%, 양수

포함)로 전환하고, 재생에너지가 비중도 5%까지 확대하는 한편, 원자력 발전

(1%)을 신규 도입하고, 전력수입 비중은 3% 수준으로 설계하고 있음.

¡ (천연가스) 정부는 발전에 필요한 천연가스 확보를 위해 ‘2011 Gas Master Plan’을 수립하고, 천연가스 생산・소비 비중을 설정하는 한편, 천연가스 생산・수송시스템 정비를 위한 구체적인 인프라 건설 계획 등을 제시하고 있음.

‒ PetroVietnam의 자회사인 PetroVietnam Gas는 Vung Tau지방에 Thi Vai LNG 터미널을 개발하기 위해 Tokyo Gas Company와 MOU를 체결하고 FEED (Front-End Engineering and Development) 계약을 체결하였음. 터미널은 2017년부터 가동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또한 2014년 3월에 PetroVietnam Gas는 러시아 Gazprom과 천연가스 판매구입

계약을 체결하였음. 계약 하에 PetroVietnam Gas는 Thi Vai LNG 터미널을 통

해 연간 48Bcf의 가스를 공급받게 될 예정이며, 두 번째 터미널인 Son My LNG는 2018년에 착수될 예정임.

¡ (석탄 및 수력) 베트남은 확대되는 산업부문 전력수요 증가를 충당하기 위해 석

”정부는 ‘국가에너지개발전략2020’을 수립・추진 중에 있으며, 최상위 에너지정책 목표를 ‘국가 에너지안보 확보’로 설정“

Page 12: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1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탄 및 천연가스 화력발전 비중 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 PetroVietnam은 2017년부터 연간 석탄 11백만 톤의 석탄을 수입하여 3개의 발전소

(2개: 메콩강 삼각주 남부, 1개: Quang Ninh 지방 북동쪽 위치)에 공급할 예정임.

자료 : 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16.5.17

< 베트남의 연료별 발전 설비용량 전망(2015~2030년) >

(단위 : GW)

¡ 정부는 풍부한 수력자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수력발전의 전원 비중

은 2020년 26%, 2030년 16%로 축소될 것으로 보고 있음.

‒ 베트남은 수력발전을 2015년 56TWh에서 2020년에 90TWh, 2030년에 96TWh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 수력발전은 석탄 화력발전원 등으로 대체될 것이며, 석탄전원은 2020년 46%, 2030년 56%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 정부는 재생에너지개발전략 ‘2030(Vietnam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Strategy to 2030, REDS)’에 기초하여 신재생에너지 활용 촉진 정책을 추진 중에 있음.

‒ REDS는 재생에너지, 특히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풍력 및 태양에너지 활용

증대를 위한 정책지원을 내용으로 하고 있음.

‒ 베트남은 2030년까지 육상풍력 및 잠재적인 해상풍력을 개발하는 한편, 전력공

급이 불가능한 섬, 국경지대, 외딴지역 지역 등에 태양광발전을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 베트남은 해상풍력단지 건설계획의 일환으로 메콩강 삼각주의 수중 연안지역에

“정부는 재생에너지개발전략 2030에 기초하여 신재생에너지 활용 촉진 정책을 추진 중”

Page 13: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11

위치한 Bac Lieu 풍력단지를 개발하고 있음.

‒ 2015년 3월 USTDA(United States Trade and Development Agency, 미국무역

개발청)은 동 사업 3단계 타당성조사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였음.

‒ 프로젝트 1단계는 16MW로 2013년 5월에 완공되었고, 2단계는 67.2MW로

2016년 완공이 예정임.

‒ 3단계는 프로젝트는 300MW 용량으로 계획되고 있으며, USTDA 보조금은 3단계 이행을 위한 기술적 선결과제(풍속 평가, 토지 관리 문제 및 허가, 전력망 연

결 등) 해소에 투입되고 있음.

‒ 베트남 풍력에너지 잠재량은 약 27,750MW로 산정(2011년 기준)되었으며, 총

규모 52MW의 3대 풍력발전소(Thu Phong 30MW, Phu Quy 6MW, Bac Lieu 16MW)만 계통에 연결되어 운영 중임.

¡ 태양광 발전의 기술적 잠재량은 13,000MW로 추정되고 있음2). 현재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은 약 4MW 수준이며, 주로 연구 목적과 농촌지역에서 이용되고 있음.

¡ 바이오 발전 잠재력은 높게 평가되고 있으나, 현재 고형도시쓰레기 발전 형태로

2.4MW만 이용되고 있음.

‒ 고형도시쓰레기 발전 잠재량은 320MW, 쌀 껍질(왕겨), 볏짚, 옥수숫대, 사탕수

수 찌꺼기 등 바이오매스 에너지 잠재량은 2,500MW 이상, 지열 잠재량은

340MW 수준으로 산정되고 있음.

¡ 정부는 산업무역부(MOIT) 산하에 신재생에너지국(New and Renewable Energy Department)을 두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 재생에너지 보급 장애 요인은 ① 재생에너지 시장 및 산업 개발을 촉진할 강력

한 제도・규제 부재 ② 선행 투자를 위한 강력한 지원체계 및 자금 부족 ③ 기술

적 역량 부재 등이 거론되고 있음.

▣ 원자력 발전

¡ 베트남은 장기적인 에너지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 원자력발전 도입을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베트남전력공사(EVN)는 Ninh Thuan 지역에 신규 원전건설 계획을

추진 중에 있으나, 2016년 6월 현재까지 정부는 최종 승인을 미루고 있는 상황임.

‒ 베트남은 2011년 러시아 Atomstroyexport와 Phuoc Dinh지방에 위치한 Nin Thuan-1에 1,000MW 2기의 원자로 건설에 합의하였고, 일본과 Vinh Hai 지방

에 위치한 Nin Thuan-2 건설 계약을 체결하였음.

‒ 그러나 2011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2개의 원전 프로젝트 모두가 지연되고 있으

2) ADB(2014), Renwable Energy Developments and Potential for the Grater Mekong Subregion.

Manila 재인용

“베트남전력공사 (EVN)는 신규 원전건설 계획을 추진 중이나, 2016년 6월 현재까지 정부는 최종 승인을 미루고 있는 상황“

Page 14: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1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며, Nin Thuan-1 프로젝트 착공은 2020년까지 연기되었음.

‒ 베트남은 원자력 인프라를 개발하고 부지, 주민 반대 해소, 환경보호 같은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IAEA와 긴밀한 협력을 전개하고 있음.

¡ 베트남은 현재 원자력발전 설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나, 국토 북부 및 중부 지역

에 우라늄광 추정 매장량(660백만 파운드; U3O8 0.015% 이상)을 보유하고 있음.

‒ 베트남은 자국의 우라늄이 원전 연료로 활용될 수 있는 지 판단하기 위해 우라

늄 매장량 특성 조사・탐사가 요구되고 있음.

4. 전력부문 발전애로 요인 및 해결과제

▣ 전력시장 제도적 해결 과제

¡ (시장 자유화) 베트남은 경쟁적 전력 시장 구축 및 전력부문 Governance 구조개

편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해 왔음3).

‒ 2007년 12월 베트남전력공사(EVN) 산하에 설립된 EPTC가 전력시장에서 단일

구매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경쟁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EVN로부터 국가부하처리센터(NLDC) 분리 및 독립적인 SMO 활동 보장이 요

구되고 있음.

‒ 베트남 전력시장 개편과 관련하여 2013년 11월 전력시장개혁 로드맵 개정안

(No. 63/2013/QD-TTg)이 승인됨. 로드맵 개정안은 도소매전력시장을 단계적으

로 자유화한다는 내용임.

・ 1단계(2014~2017년) 경쟁적 발전 시장 구축: 발전사업자가 단독 구매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면 단독구매자는 이를 송전사업자들에게 판매하는 단계

・ 2단계(2015~2021년) 경쟁적 도매 시장: 발전사업자는 도매전력시장을 통해

송전사업자에게 전력을 판매하는 단계

・ 3단계(2021~2024년) 경쟁적 소매시장 단계: 전력사용자는 전력시장을 통해

발전사업자 및 송전사업자로부터 자유롭게 전력을 구입하는 단계

¡ (전력 가격 자유화) 정부는 2009년 전력 요금 개편에 착수하였고 전력요금 개혁지

침(No. 21/2009/QD-TTg)을 제시하고 있으나, 전력시장은 별도로 작동되고 있음.

‒ 전력가격 자유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소매요금이 시장기능에 의해 결정하도록 설

계하는 것이나, 현재의 전력 소매가격은 발전비용을 충당할 수 없는 단계에서 통

제되고 있기에 발전기업의 재정적 자립을 기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베트남 정부는 ‘시장기반 요금체계’ 구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지침을 하달함.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31호(2013.8.23)

“베트남은 경쟁적 전력 시장 구축 및 전력부문 Governance 구조개편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해 왔음”

Page 15: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13

・ 지침(No. 24/2011/QD-TTg, 2011.4.15): 연료비용, 환율 변동, 발전 용량 요금을

반영하는 전력 소매 요금 개편 추진

・ 지침(No. 2165/QD-TTg, 2013.11.11): 2013~2015년 동안 최소 VND1,437/kWh에서 최대 VND1,835/kWh의 평균 소매요금 책정함(비용 변동 때문에 기존의

평균 전력 소매 요금 범위 조정은 산업무역부(MOIT)와 재정부(MOF)가 결정)

・ 지침(No. 69/2013/QD-TTg, 2013.12.19): 7% 이하의 발전비용 증가는 향후 요

금 조정에서 EVN에 의해 부담. 7~10% 및 승인된 범위 내에서 비용 증가는

산업무역부(MOIT)의 승인 후 조정. 10% 이상 및 범위 이하 비용 증가는 수

상의 승인 필요. 또한, 7% 이상의 비용 증가에 관해 의무 1년의 원가 회수

기간을 두는 것을 명시. 2016년 현재 소매요금은 동 지침에 기초하여 결정하

되, 6개월마다 검토와 조정 시행.

¡ (송배전 비용 반영) 송전 요금은 개별적으로 책정되고 징수되고 있으며, 성능기

반 송전 요금 기준은 설정되지 않았음.

‒ 송전 요금은 다년간 요금 규제 및 징수 구조(charging structure)를 통해 국가전

력송전공단(NPT)의 총 원가를 회수할 수 있는 신규 규제를 수립하기 위해 검토

중이고 2016년에 승인될 예정임.

▣ 전원개발을 위한 해결과제

¡ 베트남 정부는 전력부문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 과제 해결이 요구되

고 있음(ADB, 2015.12월).

‒ 베트남은 전력부문 발전에 상당한 성과를 보여 왔으나 지속적인 전원개발을 위

해 해결과제에 직면하고 있음. 주요 과제는 ▲전력 확충에 필요한 재원 조달 ▲

전력산업 구조 개편 ▲경쟁시장 환경 조성 ▲발전 분야에서의 민간 부문 활성화

▲전력요금 자유화 등임.

・ (i) 자국 내 천연자원 개발의 지속가능성 보장 및 발전용 ‘청정 석탄(clean coal)’기술과 가스 자원의 안정적인 수입처 확보

・ (ii) 발전・송전・배전・서비스 투자 확대를 위한 재정 확보

・ (iii) 개혁(reforms)과 시장 확대에 대처

・ (iv) 재생에너지의 이용 증가 및 에너지 효율 대책 실시

・ (v) 시행(예정) 중인 전력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평가 실시

・ (vi) 신기술 도입

・ (vii) 전력공급 소외계층 전력 보급 확대

・ (viii) 기술과 경영 측면에서 E VN과 그 지주 회사의 역량 강화

“베트남 전력부문 주요 과제는 재원 조달, 전력산업, 구조 개편, 경쟁시장 환경 조성, 민간 부문 활성화, 전력요금 자유화 등이 있음”

Page 16: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1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EVN 및 EVN 산하 전력기업들은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 인프라

확충이 요구되고 있음. 또한 2014~2024년 기간 동안 노후화 및 과부화가 발생

하고 있는 송・배전 시스템의 고도화 및 개선에 투자되어야 하는 자금 확보가 요

구되고 있으나, 재원조달 능력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임.

▣ 과제별 애로요인

¡ 전력 부문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재정 조달 애로

‒ 개정 된 PDP VII에 따르면, 향후 2020년까지 총 발전설비용량은 57.7GW이며, 2014~2020년 사이에 추가되는 발전 용량은 약 23.6GW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향후 발전량 확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23,000MVA4)급 500kV 변전소, 39,000MVA급 220kV 변전소, 연장 3,000km의 500kV급 송전선, 연장

7,000km의 220kV급 송전선과 적절한 배전 네트워크가 개발이 요구됨.

‒ PDP VII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30년까지 발전 능력 확대(민간 부문 파이낸싱

포함)를 위해 US$941.2억, 송전 및 배전 시스템 확장에 US$365.2억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됨.

‒ 발전 부문에는 민간 투자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송・배전 확대 사업에는 민간

부문의 참여가 다소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어 있기에, 국영 NPT와 5개의 발전

기업들이 자사의 재원을 활용하거나, 수출 신용 기관, 다자 은행, 상업 은행으로

부터 자금을 조달 받아 투자재원을 마련해야 함.

‒ 2014~2030년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 부문의 투자재원 규모는 약

US$1,306.4억으로 추정됨(2014~2020년 기간 내 US$554.6억, 2021~2025년 기

간 내 US$358.6억, 2026~2030년 기간 내 US$393.2억).

투자 활동 2014~2020 2021~2025 2026~2030 합계

발전 421.0 256.3 263.9 941.2

송・배전 133.6 102.3 129.3 365.2

합계 554.6 358.6 393.2 1,306.4

주 : 송・배전 투자규모 중 배전투자 규모는 2014~2020년 US$66억, 2021~2025년

US$47.2억, 2026~2030년 US$53.3억임.

자료 : Government of Viet Nam(2015), 개정 Power Development Plan 2011–2020

< 전력부문 예상 투자 규모(2014~2030년) >

(단위 : 억 달러)

‒ EVN은 향후 요구되는 신규 발전설비 투자를 스스로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보증하는 IPP 및 BOT 형식의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발전 부문에

투자하는 것이 권고됨.

‒ 2014~2020년 기간 내 추진 예정인 발전 프로젝트의 총 예상 투자 금액은 IPP

4) Mega-Volt-Ampere, 전기공급량

“2014~2030년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 부문의 투자재원 규모는 약 1,306억 달러로 추정”

Page 17: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15

계약 하 US$800억, BOT계약 하 US$164억에 이름.

‒ 2014~2020년 기간 내 220kV급・500kV급 변전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투자액은

US$67억으로 추정됨.

¡ 전력 부문에의 현대적 기술 도입과 효율적 관리 능력 부족 문제

‒ 지난 20년 동안 EVN과 산하 자회사들의 기술력은 현저히 개선되었지만, 추가

확충될 발전설비 관장 역량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됨.

‒ 특히, ▲신기술 도입 ▲에너지 효율 향상 ▲청정에너지 개발 추진 ▲소매 전력

시장 도입 등 4개 분야는 전문 인력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

‒ EVN 및 산하 발전기업들은 기술력이 부족하고 관리자 급에서 숙련된 직원이

부족함. 비교적 신생 조직인 NPT와 5개의 발전 기업들은 기업의 전략적 사업계

획, 회계, 재무관리, 시스템 계획 등의 중요한 업무 분야에서 인력 양성을 강화

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효율적이고 업무 프로세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전력 공급 접근성 확대 재원 확보 애로

‒ 정부의 ‘농촌 전력공급 사업(rural electrification program)’은 총 인구의 2%(농촌 가구)에 달하는 전력 공급 소외 계층에게 2020년까지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

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사업 시행자로 MOIT와 EVN이 농촌 전력공

급 사업에 참여하고 있음.

‒ 전력 소외 지역의 대부분은 기존의 전력망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기존

의 전력망이 강화되지 않는 이상 계통연계형 전력 보급 확대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계통연계형 전력 보급이 가능하지 않은 지역에서 오프그리드 재생에너지 발전

시행 가능 여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2014~2020년 기간 내 전력 공

급 확대에 요구되는 투자 금액은 약 US$15억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 스마트 그리드 추진 기술력 부재

‒ 개정 PDP VII 및 ‘스마트그리드 로드맵(2012.11월 승인)’은 전력공급의 품질

향상, 전력 손실률 최소화,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수요 측면의 관리 촉진을 보

장하는 현대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음.

‒ 상기 로드맵은 고전압 감시 관리, 데이터 수집, 선진 미터링 인프라 구축, 배전

수준에서의 기타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완료(completion)와 규제 프레임워크의

개발에 필요한 기술력 확충 과제를 제기하고 있음.

¡ 배전 시스템 고도화 애로

‒ 2014~2020년 기간 내 배전망 확장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투자규모는 US$66억

으로 추정되고 있음. 현재 가동 중인 배전망 상당수가 노후화・과부화・품질저하

“지난 20년 동안 EVN과 산하 자회사들의 기술력은 현저히 개선되었지만, 추가 확충될 발전설비 관장 역량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

Page 18: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1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고도화 및 개・보수가 요구되고 있음.

‒ 비록 전력 공급역량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전력 신뢰성은 여전히 열악

한 상황이며, 고도화 추진이 요구됨. 전력 공급 신뢰성 관련 지표는 다음과 같음.

배전기업MAIFI(frequency) SAIDI(minutes) SAIFI(frequency)

2013 2014 2013 2014 2013 2014

EVNNPC 5.06 3.55 4,883 4,212 33.69 28.43

EVNSPC 7.2 0.76 4,700 2,630 30 9.22

EVNCPC 1.33 6.4 3,500 3,276 14.07 20.52

EVNHANOI 1.77 1.89 4,218 2,027 11.1 8.3

EVNHCMC 0.62 0.15 2,163 1,300 18.45 10.97

주 : MAIFI = momentary average interruption frequency, SAIDI = system average

interruption duration, SAIFI = system average interruption frequency,

EVNNPC = Northern Power Corporation, EVNSPC = Southern Power

Corporation, EVNCPC = Central Power Corporation, EVNHANOI = Hanoi

Power Corporation, EVNHCMC = Ho Chi Minh City Power Corporation.

자료 : Government of Viet Nam, Viet Nam Electricity(2013, 2014), Annual Reports

< 5개 배전기업의 신뢰성 지표(2013, 2014년) >

참고문헌

ADB, Energy Sector Assessment, Strategy, and Map, 2015.12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16.5.17Enerdata, Country Energy Report – Vietnam, 2016.1Globaldata, Vietnam power marekt outlook to 2025, 2015

”전력 신뢰성은 여전히 열악한 상황이며, 고도화 추진이 요구”

Page 19: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Page 20: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Page 2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19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별 수급 실적과 향후 과제

해외정보분석실 이주리([email protected])

▶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장관은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실적 평가 및 중기적 과제를 2016년 4월

발표함. 발표에는 러시아 경제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하는 비중, 주요 에너지 자원 생산량 변화 추이, 2015년

개정된 에너지부문 법・규제뿐만 아니라 중기 관점에서의 러시아 에너지부문 과제를 다루고 있음.

▶ 저유가 장기화로 달러화 기준에서의 수출 수익에 큰 타격을 입었음에도, 2015년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1,073

만b/d를 기록하여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사우디(1,026만b/d)를 제치고 세계 최대의 산유국이 되었음.

▶ 세제혜택 메커니즘 적용 덕분에 동시베리아, 극동지역, 대륙붕,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셰일자원 포함)에서의

원유 생산이 증대되었고, 앞으로도 이들 지역의 산유량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2015년 가스 생산량은 전년대비 0.8% 감소한 반면, 수출량은 전년대비 6.3% 증대되었음. 가스부문에서의

괄목할 만한 성과는 러시아 가스의 對중국 동부노선 ‘Sila Sibiri’ 가스관 건설 착공을 꼽을 수 있음.

▶ 세계 석탄 수요 감소 및 국제 석탄가격 하락 지속 하에서도, 2015년 러시아의 석탄 생산량은 전년대비 4%

증대되었고, 수출량 역시 전년대비 0.8% 증대되었음.

▶ 에너지부는 탄화수소 생산량 증대를 위해 세제 개선 및 신규 세제 마련, 셰일자원 생산 촉진 위한 조치 도입

등을 2016년 당면 과제로 설정하였음.

▶ 중기 중점 추진 과제로는 석유・가스부문의 외국산 기술・설비 의존도 감축을 위한 ‘수입대체’와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 발전 활성화를 위한 ‘혁신기술 도입’으로 설정하고 있음.

1. 개요

¡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장관은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실적 평가

및 중기적 과제를 2016년 4월 8일 발표함.

‒ 이번 발표에는 러시아 경제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하는 비중, 주요 에너지 자원

생산량 변화 추이, 2015년 개정된 에너지부문 법・규제뿐만 아니라 중기 관점에

서의 러시아 에너지부문 과제를 다루고 있음.

¡ 석유・가스・석탄 수출가격의 지속적인 감소, 서방의 對러 제재로 인한 자금 유치

및 일부 연료에너지산업 기술에 대한 접근 제한, 세계 경제성장 속도 둔화, 에너

지 자원에 대한 수요 감소, 세계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등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실적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됨.

‒ 루블화 평가절하가 일부 손실을 상쇄하였지만, 이러한 효과는 장기적으로 지속되

지 않음과 시장은 빠른 속도로 새로운 에너지 시장에 적응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어 러시아 에너지부 및 기업들은 발 빠르게 대처하였음.

‒ 자국 연료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해 에너지부는 2015년 한 해 동안 에너지 부문

에서 국제협력차원으로 94회의 정부간 위원회 개최 및 부처간 20개 실무진 그

“러시아 에너지부는 2015년 러시아 에너지부문 실적 평가 및 중기적 과제를 발표”

Page 22: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2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룹을 통해 활발한 작업을 해나갔으며, 또한 3개의 연방법, 107개의 연방정부 결

의안 및 법령, 50개 이상의 에너지부 명령이 발효되었음.

¡ 2015년 GDP에서 에너지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7%로 전년대비 3%p 감소하

였음. 정부 세수에서의 에너지부문 비중은 43%(2014년 50%), 수출에서의 에너

지부문 비중은 63%(2014년 70%)를 차지하였음.

자료 : BP, OPEC, EIA, IEA, 러시아 에너지부,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 러시아의 주요 에너지원 생산량 변화 추이 및 2015년 세계 순위 >

¡ 1차에너지 소비는 2000~2012년 사이 연평균 1.5%씩 증가하여 2012년 7억4,100만toe에 달하였으나, 2014년 7억3,100만toe로 소폭 감소하였음(Enerdata, 2016.1월).

‒ 1인당 에너지소비는 2014년에 5.1toe에 달했고, 1인당 전력소비는 약 6,100kWh를 기록하였음.

‒ 1차에너지 소비구조는 가스 54%, 석유 23%, 석탄 14%, 원자력 6%, 수력 2%, 바이오매스 1%로 이루어져 있음.

자료 : Enerdata(2016.1월)

< 러시아 1차에너지 소비구조 변화 추이 > < 러시아 1차에너지 원별 소비 비중(2014년) >

(단위 : Mtoe) (단위 : %)

“2015년 GDP에서 에너지부문 비중 27%, 정부 세수에서의 에너지부문 비중 43% 차지”

“1차에너지 소비에서 가스(54%)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석유(23%), 석탄(14%) 등이 뒤를 이음”.”

Page 23: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21

¡ 2014년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석유는 29%, 열 25%, 가스 23%, 전력 15%, 석탄

이 7%를 차지하였음.

‒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산업부문이 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

며, 주로 철강산업, 화학산업, 비금속성광물산업 등이 소비를 주도하였음.

‒ 가정용(34%), 수송부문(15%) 등이 뒤를 잇고 있으며, 수송부문 비중은 EU 국가들보다 낮은 수치임.

자료 : Enerdata(2016.1월)

< 러시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비중(2014년) >

2. 석유부문

▣ 공급실적

¡ (생산) 저유가 장기화로 달러화 기준에서의 수출 수익에 큰 타격을 입었음에도, 2015년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음.

‒ 2015년 원유 및 가스콘덴세이트 생산량은 2014년에 비해 1.4% 증가하여 5억3,410만 톤(1,073만b/d)을 기록함.

‒ 이는 세계 에너지기관 및 대내외 전문가들이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로, 가장 낙

관적인 원유 생산량 전망치인 5억3,050만 톤보다 높은 생산을 달성한 것임.

・ OPEC의 분석가들은 러시아가 2015년에 5억2,800만 톤의 원유를 생산할 것으

로 예측했고, 러시아 에너지부는 5억2,500만 톤으로 전망한 바 있음.

‒ 러시아는 2015년에 사우디(1,026.6만b/d)를 제치고 세계 최대의 원유 및 가스콘

덴세이트 생산국이 되었음. 세계 3위 원유 생산국인 미국의 산유량은 943만b/d를 기록하였음.

¡ 이 같은 결과는 세제혜택 메커니즘 적용 덕분에 동시베리아와 극동지역의 산유

량이 증가한 데서 기인하며, 이들 지역의 산유량은 전년대비 7.8% 증대된 6,350만 톤을 기록하였음.

‒ 이밖에 대륙붕에서의 원유 생산도 전년대비 17.3% 증대되어 1,900만 톤을 기록

“저유가 장기화로 달러화 기준에서의 수출 수익에 타격을 입었음에도 2015년 산유량은 1,073만b/d로 최고치 경신”

Page 24: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2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하였고,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1)에서의 생산은 1.2% 증대되어 3,300만 톤을 기

록하였음.

‒ 2015년에도 신규 매장지 개발 촉진을 위한 원유 수출세 관련 혜택 제공 메커니

즘이 지속적으로 적용되었고, 지난 2년간 同 법의 적용으로 수출세 혜택이 10개 기업(5개 민간 석유기업 포함)과 20개의 매장지에 적용되었음.

‒ 그리고 지하자원채굴세 혜택을 통해 앞으로도 동시베리아, 극동, 북 카스피해에

서의 지속적인 원유 생산 증대가 예상되고 있음.

‒ 2015년 초 Wood Mackenzie 분석가들은, 저유가와 對러 제재로 인해 러시아

기업들이 2014년에 활동을 증대시켰던 고비용 및 기술적으로 어려운 타이트오

일이나 대륙붕 사업에서 전통적 원유 생산사업인 서시베리아 유전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으나, 실제 결과는 오히려 반대되는 양상을 보인 것임.

・ 한편, 서시베리아 등 전통적 원유 생산사업에서의 산유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수출) 2015년 러시아의 원유 수출량은 2014년보다 9.3%(2,050만 톤) 증대된 2억4,180만 톤을 기록하였음.

‒ 특히 비CIS 국가로의 원유 수출량은 전년대비 10.6% 증대되어 2억2,026만 톤

(442.3만b/d)을 기록하였음.

‒ 2015년에 처음으로 정제 물량이 감소하여, 잉여 물량이 수출되는 현상을 보였음.

자료 :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 원유 수출량(2011~2015년) > < 1차 정제량 추이(2011~2015년) >

(단위 : 백만 톤) (단위 : 백만 톤)

¡ (원유 E&P 투자) 수직통합형 기업들의 원유 E&P 부문에 대한 자본 투자는 거

의 9.6%(1조810억 루블) 증가하였음.

‒ 동시에 탐사정 규모를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자사 투자프로그램을 최적화하였음. 이에 탐사정 시추는 18% 감소하였고, 매장량 증가 속도가 둔화되었음.

1) 러시아의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는 치밀・셰일자원을 일컫는 저투수층 지대와 천연 역청, 오일샌드와

같은 중유 및 고점성 원유 매장지를 가리킴.

“세제혜택 메커니즘 적용 덕분에 동시베리아, 극동지역, 대륙붕, 채굴이 어려운 매장지(셰일자원 포함)에서의 원유 생산 증대”

“2015년 원유 수출량은 전년대비 9.3% 증대”

Page 25: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23

자료 :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 원유 E&P 부문에 대한 자본투자 > < 매장량 증가분 추이 (2011~2015년) >

(단위 : 10억 루블) (단위 : 백만 톤)

¡ (정제) 2015년 석유기업들의 정제부문 현대화에 대한 총 투자 규모는 2,140억 루

블을 기록하였으며, 정제율은 전년대비 약 1.9%p 증가하여 74.2%를 기록하였음.

‒ 수반가스 활용률도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5년에는 전

년보다 2.7%p 증대되어 88.2%를 기록하였음.

자료 :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 수반가스 활용률 추이(2011~2015년) > < 정제율 추이(2011~2015년) >

¡ (기업별 산유량)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는 2015년 기업별 원유 생

산량을 다음과 같이 발표함.

‒ 2015년에는 대규모 수직통합 석유기업들의 원유 생산량이 전년대비 0.2%(73.2만 톤)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던 반면, 수직통합기업이 아닌 기타 작은 규모

의 기업들 산유량은 12.5%(627만 톤) 증가된 결과를 보였음.

‒ 러시아 전체 원유 생산량의 35.4%를 차지하는 Rosneft의 원유 생산량은

0.9%(170만 톤) 감소하였으며, 러시아 석유기업 중 가장 큰 감소 물량을 보여주

었음.

‒ 가스기업들의 원유 생산도 증가하였음. Gazprom의 원유 생산량은 5.3%(85.5만

톤) 증대되었고, 민간가스기업 Novatek의 원유 생산량도 8.3%(36.2만 톤) 증대

되었음.

“원유 E&P 부문에 대한 자본 투자는 전년대비 9.6% 증대”

“2015년 대규모 수직통합 석유기업들의 산유량은 감소한 반면, 기타 작은 규모의 기업들 산유량은 전년대비 12.5% 증대”

Page 26: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2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기업명 2015년 2014년 변화폭 러시아 내 비중

Rosneft 189,202 190,898 -0.9% 35.4%

Lukoil 85,654 86,571 -1.1% 16.0%

Surgutneftegas 61,621 61,425 +0.3% 11.5%

Gazprom Neft 34,326 33,624 +2.1% 6.4%

Tatneft 27,248 26,529 +2.7% 5.1%

Slavneft 15,475 16,185 -4.4% 2.9%

Bashneft 19,919 17,798 +11.9% 3.7%

Russneft 7,386 8,534 -13.4% 1.4%

Total Vertically Integrated Companies 440,833 441,566 -0.2% 82.5%

Gazprom 17,050 16,194 +5.3% 3.2%

Novatek 4,710 4,348 +8.3% 0.9%

Other companies 56,505 50,235 +12.5% 10.6%

PSA Operators 14,980 14,408 +4.0% 2.8%

Total 534,080 526,753 +1.4% 100%

자료 : 러시아연방 에너지 거래소 CDU TEK

< 2015년 러시아 기업별 원유 생산 실적 >

(단위 : 1,000톤)

▣ 소비실적

¡ 석유 소비는 2000~2012년 사이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4년에는 1억6,300만

톤으로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수송부문이 석유 소비의 40%를 차지하였음. 이는 2000년의 34%에서 증가한

것임. 뒤를 이어 산업부문이 35%를 차지함.

자료 : Enerdata(2016.1월)

< 러시아 부문별 석유 소비(2014년) >

3. 가스부문

▣ 공급실적

¡ (생산) 2015년 러시아의 가스 생산량은 전년보다 0.8% 감소한 약 635.5Bcm을

기록하여 2013년부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음.

“국영석유기업 Rosneft의 2015년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0.9% 감소로 러시아 석유기업 중 가장 큰 감소물량을 보임”

“2015년 러시아 가스 생산량은 전년대비 0.8% 감소하여 2013년부터 감소세를 이음”

Page 27: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25

‒ Gazprom의 2015년 가스 생산량은 2014년의 432Bcm에서 418.47Bcm으로 감

소하였고, 1993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였음.

‒ 2015년 초 Gazprom은 자사의 해당년도 가스 생산량 전망을 487.4Bcm으로 발

표한 바 있으나, 자국 내 가스 소비 감소와 예년보다 따뜻한 동절기 날씨 등으

로 인해 실제 생산량과 큰 차이를 보였음.

기업명 2015년 2014년 변화폭 러시아 내 비중

Rosneft 42,308 37,334 +13.3% 6.7%

Lukoil 18,825 18,734 +0.5% 3.0%

Surgutneftegas 9,557 9,445 +1.2% 1.5%

Gazprom Neft 12,527 11,858 +5.6% 2.0%

Russneft 1,967 1,887 +4.2% 0.3%

Tatneft 913 887 +2.9% 0.1%

Slavneft 916 872 +5.0% 0.1%

Bashneft 647 574 +12.9% 0.1%

Total Vertically Integrated Companies 87,660 81,592 +7.4% 13.8%

Gazprom 418,470 432,024 -3.1% 65.9%

Novatek 51,884 53,556 -3.1% 8.2%

Total for other companies 50,659 45,347 +17.7% 8.0%

PSA Operators 26,675 27,717 -3.8% 4.2%

Total 635,349 640,237 -0.8% 100%

자료 : 러시아연방 에너지 거래소 CDU TEK

< 2015년 러시아 기업별 가스 생산 실적 >

(단위 : MMcm)

¡ (수출) 반면, 러시아의 PNG 수출량은 전년대비 거의 7% 증대되어 178Bcm을 기

록하였고, LNG 수출량은 14.5Bcm을 기록하여 총 가스 수출량은 192.5Bcm임.

‒ 이 중 비CIS 국가로의 가스 수출이 전년보다 8% 증대되어 159.4Bcm을 달성하였음.

※ BP(2016)에 따르면, 2015년 러시아의 PNG 수출량은 193Bcm, LNG 수출량은 14.5Bcm임.

러시아産 LNG는 중국 0.2Bcm, 일본 10.5Bcm, 한국 3.5Bcm, 대만 0.3Bcm을 수입하였음.

자료 : Gazprom,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 러시아 가스 수출량 추이(LNG 포함) >

(단위 : Bcm)

¡ (천연가스 내수 확대) 차량용 가스연료 시장 확대를 위해 2015년 4월 ‘차량용

가스연료 가격에 대한 정부 통제의 중단’을 골자로 한 연방정부의 결의안이 승

인되었음.

“국영가스기업 Gazprom의 2015년 가스 생산량은 1993년 이래 최저치 기록”

“2015년 러시아 가스 수출량은 전년대비 6.3%나 증대”

Page 28: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2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Dmitry Medvedev 총리가 천연가스의 자동차 연료 사용을 포함한 ‘대체에너지 발전

법령’에 서명(2013.5월)한 이후, 향후 2020년경 차량용 연료로의 가스 사용 비중이

100만 인구 이상 지역에서는 50%, 30만 인구 이상 지역은 30%, 10만 인구 이상 지역

은 10%로 증대시키는 내용의 연방정부 명령(No. 767-r)이 마련되었음.

‒ 에너지부는 차량용 가스연료의 상한 가격을 가솔린의 50%, 디젤의 35%로 정부

가 결정・통제하는 방식에서 가격책정에 대한 시장 메커니즘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고 2014년 9월에도 주장한 바 있음.

‒ 차량용 가스충전소를 통한 천연가스 취급 물량이 1년 만에 10% 증대되어

0.45Bcm을 기록하였고, 2016년에는 0.59Bcm까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현재 에너지부는 가스 자동차연료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프로그램을 적극적으

로 추진하고 있음.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차량용 가스연료 충전소에 대한 투자 규모 및 신규 충전소 개수 추이 >

¡ (가스화 사업) 러시아 영토 내 가스화(가스보급) 사업에 대한 투자규모는 2014년에

이어 감소세를 보이면서 2015년 276억 루블을 기록하였던 반면, 가스화 수준은 꾸

준히 증가하고 있어 2015년에는 전년보다 0.3%p 증대된 65.7%를 기록하였음.

‒ 러시아는 풍부한 천연가스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연해주, 사하공화국, 극동

지역 등 일부 러시아 동부지역의 가정에서는 가스 보급이 원만하지 않았고, 발전소의 연료로 석탄에 의존해왔었음.

‒ 이에 각 州정부 차원에서 가스화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음. 가스화 사업의 주요

내용은 가스수송시스템 건설 및 현대화, 도시가스 보급 확대 등임.

¡ (인프라 건설) 2015년부터 러시아는 ‘동부가스프로그램’의 일환으로 對중국 Sila Sibiri 가스관 건설을 시작하였으며, 아무르州에 가스정제단지 건설을 착수하였음.

▣ 소비실적

¡ 가스 소비는 2000~2011년 기간 중 연평균 1.8%로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

476Bcm을 달성하였고, 이후 2014년 481Bcm의 가스를 소비하였음.

“차량용 가스연료 시장 확대를 위해 2015년 4월 ‘차량용 가스연료 가격에 대한 정부 통제의 중단’을 골자로 한 연방정부의 결의안 승인”

“가스부문에서의 괄목할 만한 성과는 2015년 러시아 가스의 對중국 동부노선 ‘Sila Sibiri’ 가스관 건설 착공”

Page 29: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27

‒ 전력부문이 가스 소비의 46%를 차지하고 있음. 이는 2000년의 39%에서 점차

증가한 것이며, 1990년대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임.

‒ 산업부문(16%), 가정용 및 서비스 부문(9%)이 뒤를 이음. 특히 가정용 및 서비

스 부문의 비중은 2000년도의 15%에 비해 감소하였음.

자료 : Enerdata(2016.1월)

< 러시아 부문별 가스 소비(2014년) >

4. 석탄부문

▣ 공급실적

¡ 세계 석탄 수요 감소 및 국제 석탄가격 하락 지속 하에도, 2015년 러시아의 석

탄 생산량은 2014년에 비해 4% 증대된 3억7,340만 톤을 기록하였고, 석탄 수출

량 역시 120만 톤 증대되어 1억5,600만 톤을 기록하였음.

‒ 2015년 자국 시장으로의 석탄 공급 역시 전년대비 4.3% 증대되어 1억7,900만 톤

을 기록하였음.

‒ 러시아 석탄기업들은 경쟁력 증대 및 대내외 석탄시장에서의 안정적인 공급국 입지

를 견고히 하고자 기존 설비의 현대화 및 신규 설비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선지역으로 저수익성 및 노후 설비가 있는 Kuzbas와 극동지역 탄광을 꼽고 있음.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 러시아 석탄 수출량 추이(2011~2015년) >

(단위 : 백만 톤)

“세계 석탄 수요 감소 및 국제 석탄가격 하락 지속하에도, 2015년 러시아의 석탄 생산량은 전년대비 4% 증대, 수출량 역시 전년대비 0.8% 증대”

Page 30: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2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하지만, 석탄 기업들의 재무상황 악화로 투자활동이 위축되었음. 열악한 재무실

적 요인으로는 수출용 석탄가격 감소, 높은 채무 규모와 석탄 수송비용 증가 등

이 지적되고 있음.

‒ 2015년 4분기에 수출용 석탄 가격에서의 수송비용 비중은 54.4%를 기록하였음.

‒ 에너지부 전망에 따르면, 석탄 가격에서의 수송비용 비중이 2016년 말 72.6%로

증대될 예정임.

‒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에너지부는 현재 석탄 제품 수출 시 수송요금 증

가 억제를 위한 조치 마련 작업을 추진 중임.

▣ 소비실적

¡ 2014년의 석탄 소비는 1990년 이래로 최저치를 기록하여 1억9,900만 톤에 달하였음.

‒ 석탄 소비는 1990년대 초에 급격히 감소한 이래로 2012년까지 일정한 수준을

보였으나, 2014년에는 2012년에 비해 14% 감소하였음.

‒ 전력부문이 석탄 소비의 60%를 차지하고 있음.

자료 : Enerdata(2016.1월)

< 러시아 부문별 석탄 소비(2014년) >

5. 전력부문

▣ 공급실적

¡ 2015년 러시아의 발전량은 전년보다 0.2% 증대된 1,050TWh를 기록하였음.

‒ 특히 원자력발전 비중은 1990년대의 11%에서 현재 17%까지 점차 증가하고 있

으며, 2015년 한 해 동안 9개의 원전이 운영되면서 2014년보다 8% 증대된

195TWh의 전력을 생산하였음.

‒ 2015년 전력 소비는 1,036TWh로 전년대비 0.4% 감소하였는데, 동시에 전력

수출량은 전년대비 24.3% 증대되어 약 182억kWh를 기록하였음.

“2014년의 석탄 소비는 1990년 이래로 최저치 기록”

“2015년 러시아 발전량은 전년대비 0.2% 증대, 전력 수출량은 전년대비 24.3% 증대”

Page 3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29

‒ 오랫동안 러시아 전력 가격이 인접국들보다 높아서 대외 수출 공급물량이 감소

하여왔지만, 2015년 루블화 가치 폭락으로 인해 러시아 전력 가격의 경쟁력이

확보되었음.

¡ Enerdata(2016.1월)에 따르면, 2014년 발전량 기준 전원구성은 가스화력발전 비

중이 50%, 석탄화력발전 15%, 석유화력발전 1%, 원자력발전 17%, 수력발전

17%로 구성됨.

자료 : Enerdata(2016.1월)

< 러시아 전원구성(발전량 기준) (2014년) >

¡ 2015년 러시아의 발전설비용량은 전년대비 1.2% 증대되어 총 243.2GW임.

‒ 발전소 및 전력망 개발에 대한 투자 규모는 18.7%나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음.

자료 : 러시아연방 에너지거래소 CDU TEK

< 러시아 발전설비용량 추이 > < 발전소 및 전력망 투자 규모 >

(단위 : GW) (단위 : 10억 루블)

¡ 2015년 한 해 동안 총 55MW 규모의 11개 태양광 발전소가 신설되었고, 극동

지역 Ust-Kamchatsk에 풍력발전단지(0.9MW 규모)가 완공되는 등 2013년 정부

에 의해 확정된 재생에너지 개발 프로그램도 계획대로 실현되고 있음.

※ 과거 러시아 정부는 자국 재생에너지 개발 촉진을 위한 ‘에너지효율 및 재생에너지

개발’ 법령(Decree No.449)을 승인한(2013.5.23) 이후 1차에너지 공급에서 재생에너

지 비중을 2013년의 0.8%에서 향후 2020년 2.5%로 증대시킬 목표를 설정한 바 있음.

‒ 그리고 재생에너지원 이용 촉진을 위해 2013년 9월 첫 번째 재생에너지 발전

투자사업 경매를 시작으로 매년 경매를 시행하고 있음.

“2014년 발전량 기준 전원구성은 가스화력 50%, 석탄화력 15%, 석유화력 1%, 원자력 17%, 수력 17%로 구성”

“2015년 말 러시아의 발전설비용량은 전년대비 1.2% 증대되어 243.2GW 기록”

Page 32: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3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에너지부는 3번의 경매 시행 결과를 통해, 참가자들이 태양광에 관심을 집중하

고 있어서 태양광 발전설비 쿼터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2016년 3월

발표한 바 있음.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2013~2015년 동안 재생에너지산업 프로젝트 >

(단위 : MW)

재생에너지원 총 설비용량 자본비(capital cost) 투자 규모

풍력 191MW 76,869~110,000루블/kW 194.5억 루블

태양광 1,184.2MW 60,000~112,000루블/kW 1,550억 루블

소수력 70.44MW 174,014~188,700루블/kW 126억 루블

합계 1,445.64MW 60,000~188,700루블/kW 1,870.5억 루블

자료 : 러시아 에너지부

< 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투자 규모 >

¡ 특히 작년에는 2014년에 러시아로 귀속된 크림반도의 전력시스템을 러시아의 단

일전력시스템(Unified Energy System)과 연계하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2015년 12월 총 400MW 규모의 계통연계 1단계가 운영 개시되었음.

¡ 이밖에, 2015년 한 해 설비용량이 25MW이거나 그 이상인 발전소에서의 사고는

2014년에 비해 5%나 감소하였고, 110kW 정격전압 전력망에서의 사고는 13%나 감소하는 성과를 이루었음.

▣ 소비실적

¡ 전력 소비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2%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12년 875TWh에 달한 후, 2014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

“2015년 총 55MW 규모의 11개 태양광 발전소 신설, 극동지역 Ust-Kamchatsk에 풍력발전단지(0.9MW 규모) 완공 등 2013년 정부에 의해 확정된 재생에너지 개발 프로그램 계획대로 실현”

Page 33: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31

‒ 산업부문이 전력 소비의 3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02년의 46%에서 크

게 감소한 수치임.

‒ 가정부문은 16%를 차지하며, 2000년의 20%에서 감소하였음. 수송부문은 7%를 차지하고 있음.

자료 : Enerdata(2016.1월)

< 러시아 부문별 전력 소비(2014년) >

6. 부문별 정책과제

▣ 2016년 당면과제

¡ 러시아 에너지부는 에너지부문별 2016년의 당면과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있음.

‒ 석유부문

・ (장기계획 수립) ‘2035 석유산업 발전’을 위한 일반 계획, 동부 석유화학단지

건설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골자로 한 종합적 계획 확정

・ (경쟁력 강화) 생산부문의 원가 절감, 효과 증대, 신규 시장 및 파트너 모색

을 통한 경쟁력 제고

・ (석유정제) 2016년 1월 1일부터 러시아 영토 내 친환경적 디젤연료(클래스 5)로의 전환 추진에 이어, 2016년 7월 1일부터 친환경적 휘발유(클래스 5)로의

전환 계획 추진

・ (세제 개선) ‘재무실적에 따른 조세’ 체계(안) 구축

・ (거래소 통한 거래 물량 증대) 2015년 자국 거래소를 통한 석유제품 거래 물

량이 2014년보다 소폭 감소하여 1,570만 톤을 기록하였으나 2016년 거래 물

량 증대 계획

・ (수출원유(Urals유)의 벤치마크화) 기존 국제유가 연동 없이 Urals유에 대한

공정한 가격 책정과 투명한 거래 메커니즘 구축을 위해 2016년 내 러시아

국제상품거래소에서 Urals유 선물거래 추진

“2014년 전력 소비는 2000~2012년 사이 연평균 2%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875TWh에 달한 후, 2014년 비슷한 수준 유지”

“에너지부는 에너지부문별 2016년의 당면과제 설정”

Page 34: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3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수송인프라 개발) Zapolyarie-Purpe 송유관 건설 완공

・ (셰일오일 생산 촉진) Bazhenov 셰일층 매장지에서의 원유 생산 촉진 위한

조치 마련

‒ 가스부문

・ (장기계획 수립) ‘2035 가스산업 발전’을 위한 일반 계획 확정

・ (수송인프라 개발) 對중국 Sila Sibiri 가스관 건설, Yakutsky 센터 개발 및 동

부가스프로그램 시행

・ (LNG 생산 증대) LNG 생산 신규 플랜트 건설 촉진 위한 종합적인 조치 마

련, 야말-LNG 사업의 종합 계획 시행 지속

・ (수익 모델 개발) 동시베리아와 극동 신규 매장지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 및

수반가스의 수익화(monetization) 위한 작업 지속

・ (거래소 통한 거래 물량 증대) 정부는 이미 거래소에서의 가스 가격을 도매

가격 수준에 비해 5~10% 할인을 적용시켰으며, 향후 거래소 통한 거래 물량

증대 위한 방안 모색

・ (차량용 가스연료 시장 확대) 차량용 가스 소비 촉진 위한 조치 마련

‒ 석탄부문

・ (경쟁력 강화) 석탄산업 개혁을 위한 프로그램 시행, Kuzbas 내 수익성이 낮

은 탄광의 단계적 청산 위한 종합 계획 1단계 수행 완료

・ (안정성 확보) 산업안전관리 및 노동 보호에 따른 법적 근거와 기술적 규정

개선 지속, 노동여건 개선・사고횟수 감소・사고처리 지원 등을 위한 프로그램

이행

・ (수입 대체) 자국산 장비 구매 활성화

‒ 전력부문

・ (안정적 공급) 전력 공급의 계절적 불안정성 해소

・ (인프라 개발) 전력인프라 접근성 및 효율성 증대, 크림반도 전력시스템과

러시아 단일전력시스템(Unified Energy System) 계통연계 2단계 운영 개시

・ (열시장 발전) 열시장 규제기반 마련 및 열시장 목표모델 도입

‒ 에너지효율부문

・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개발) 2015년에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효율 증진’ 정부정책에 대한 세부 시행 프로그램 마련

‒ 대외 협력부문

“에너지부는 탄화수소 생산량 증대를 위해 세제 개선 및 신규 세제 마련, 셰일자원 생산 촉진 위한 조치 도입 등을 2016년 당면 과제로 설정”

Page 35: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33

・ (해외 시장 내 입지 유지) 에너지부문에서 모든 국가와의 상호호혜적인 교역

협력 관계 발전과 러시아 에너지 기업들의 해외 시장에서의 입지 유지・강화

・ (공동시장 구축) 유라시아경제연합 일환의 에너지 공동시장 구축 위한 작업

지속

・ (對아・태지역 공급 증대) 아・태지역 시장으로의 에너지 공급 증대 위한 국

가 간 프로젝트 지속 발굴

・ (對유럽 공급 지속) 러시아 에너지 자원의 對유럽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국제법 및 정치적 기반 구축

▣ 중기 정책과제

¡ 수입대체는 석유・가스부문의 외국산 기술・설비 의존도가 높은 러시아의 핵심 정책

과제로, 2014년 서방의 對러 제재조치 이후 더욱 활발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

‒ 현재 에너지부는 산업통상부 및 정보통신부와 연료에너지산업의 수입대체에 대

한 7개 계획을 수립・시행 중임.

・ 특히 2015년 3월 에너지부는 산업통상부와 향후 석유・가스부문의 설비 수입

비중을 60%에서 43%까지 줄이는 내용의 수입대체 방안을 발표하였음.

・ 펌핑 및 승압설비, 대륙붕 시추 개발 설비, 수압 파쇄 등 일부 수입 장비의

자국 내 생산을 위한 1차 기술적 과제들을 마련하였음.

‒ 13개의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석유・가스 장비 개발에 대한 과학-기술 위원회

가 조직되어, 수입대체에 대한 산업별 및 기업별 계획도 확정하였음.

‒ 에너지부는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 산업에서의 수입대체에 따른 계획 실현의 중

요한 수행 기관임.

¡ 혁신기술 도입은 러시아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 발전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

제이며, ‘2018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 기술 및 현대 장비 도입’이라는 로드맵

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음.

‒ 2015년 10월 에너지부가 정부에 제출한 ‘장기 에너지전략안(ES-2035)’에도 과

학-기술적 발전 전망 및 에너지기술 혁신 전략을 포함시켰음.

‒ 러시아는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 기술 도입을 위한 아래 4개의 국가 프로젝

트를 확정하였고, 혁신적 발전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중기 중점 추진 과제를

설정하고 있음.

・ 차세대 변전소의 자동 보호 및 제어 시스템 개발 및 도입

・ 복합재료 지원 응용된 가공전력망 건설 위한 혁신 기술

・ 석유화학 공정에서 중질원유의 수소변환(hydroconversion) 기술 창조

“중기 중점 추진 과제로는 석유・가스부문의 외국산 기술・설비 의존도 감축을 위한 수입대체와 연료에너지산업의 혁신적 발전 활성화를 위한 혁신기술 도입으로 설정”

Page 36: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3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원유 정제율 향상 위한 산화알루미늄계 촉매제 개발

‒ 특히, 현대화 촉진, 에너지 효율성 증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 감소, 산업 안전

보장 이행을 위해 연료에너지산업을 최적가용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 원칙으로 전환하고 있음.

참고문헌

러시아 에너지부, Итоги работы Минэнерго России и основные результаты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ТЭК в 2015 году, Задачи на среднесрочную перспективу, 2016.4.8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6.6Enerdata, Country Energy Report-Russia, 2016.1Russian Petroleum Investor, Oil production: 2015 Results and Prospects for

2016, 2016.2

Page 37: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Page 38: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Page 39: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37

중국

▣ 중국, 이란과 석유항만시설 프로젝트 계약 체결

¡ 중국 중공업부문 최대기업과 이란 기계설비 제조기업 Arak社는 이란 남부지역 케슘(Qeshm)에 5.5억 달러 규모의 석유항만시설 건설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하였음(2016.6월).

‒ 중국은 이번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경제제재가 해제된 이란과 경협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

고자 한 것으로 분석됨.

‒ 이란은 동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케슘(Qeshm)에 이란 최대의 석유제품 생산 및 비축기지를 건

설할 계획임. 프로젝트 1단계가 완료되면 1,000만 배럴의 원유를 비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되나 구체적인 건설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음.

‒ Arak社는 케슘(Qeshm)이 이란 최대 무역항인 Abbas항 인근에 위치하고, 호르무즈 해협 북부에 위

치하고 있어 페르시안 만을 통과하는 유조선들이 반드시 경유하는 요충지라고 밝힘.

‒ 이에 따라 Arak社는 동 프로젝트가 이란 남부지역의 경제개발을 촉진하고, 이란이 석유제품 생

산 및 비축 부문에서 요충지로 자리 잡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함.

‒ 석유항만시설이 건설되면 이란은 10년간 비축시설 임대계약을 통해 매년 1.2~3억 달러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동 프로젝트의 이란 측 책임자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이란 최대 규모의 석유항만시설로서

향후 최소 3,000만 배럴의 원유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자료 : 구글맵스, www.google.com/maps(검색일 : 2016.6.17)

< 케슘(Qeshm) 지역 위치도 >

Page 40: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3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한편, 對이란 경제제재 해제 이후 중국 석유기업들이 이란 석유생산 부문에 대한 참여가 확대

되고 있음.

‒ 중국 국가에너지국(NEA)과 이란 석유부는 지난 5월 석유・천연가스 탐사개발, 설비제조, 정제, 석유화학 등 다양한 부문에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고, 이후 이란 석유부 장관은 이란

북부 아자데간 유전과 야다바란 유전의 2단계 개발사업을 중국 석유기업에 맡길 것이라고 밝힘.

‒ 중국 CNPC와 Sinopec 양사는, 이란 경제제재 이전부터 각각 이란 북부 아자데간 유전과 야다바란

유전 1단계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어 2단계 사업도 이들 기업이 맡을 것으로 전망됨.

・ 아자데간 유전의 원유매장량은 약 420억 배럴에 달해 이란이 최근 30년간 발견한 유전 중 최대

규모임.

・ 2009년 1월 중국 CNPC와 이란 NIOC는 북부 아자데간 유전 개발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같은

해 8월 양측은 남부 아자데간 유전 개발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음. 그러나 서방의 對이란

경제제재로 개발사업이 잠시 주춤하였다가 올해 초 경제제재 해제로 다시 활발해지기 시작함.

‒ 북부 아자데간 유전과 야다바란 유전은 2015년 10월부터 생산을 개시하였으며, 현재 두 유전의

원유 생산량은 16만b/d에 달함.

(觀察者網, 2016.5.18,6.13)

▣ 중국 산시省 소재 석탄기업 2곳 합병

¡ 중국 최대 석탄 산지인 산시省 내 석탄기업 푸넝집단유한회사(普能集團有限會社)와 산시

국제능원유한회사(山西國際能源有限會社)가 합병함(2016.6.6).

‒ 산시국제능원(山西國際能源)은 산시省 산하 중점 전력기업으로 총 자산이 410억 위안(약 62억

달러)에 달하며 전력사업 외에 석탄사업도 하고 있음. 푸넝집단(普能集團)은 2013년에 산시석탄

운송판매집단과 산시국제전력집단의 합병을 통해 설립된 기업임.

‒ 이번 양사의 합병은 최근 중국 내 석탄 생산이 과잉인 상황에서 합병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높

이고, 석탄사업만 하는 기업이 전력사업과 석탄사업을 함께 수행하는 기업과 합병함으로써 석탄

발전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됨.

‒ 최근 중국 정부가 석탄 과잉생산 해소 정책을 취함에 따라 대형 석탄기업 간의 합병이 추진되면서

중국 최대 석탄산지인 산시省 내 석탄기업 간 합병이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음.

‒ 또한, 석탄업계 관계자는 푸넝집단(普能集團)의 재무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것도 이번 합병의

또 다른 이유라고 지적함.

・ 푸넝집단(普能集團)의 올해 3월까지 총 부채규모는 연초보다 11억 위안 증가한 1,820억

위안(약 276억 달러)으로, 자산부채비율(부채총계/자산총계)은 77.31%에 달함.

・ 석탄업계가 불황인 상황에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170.4억 위안) 대비 36% 감소

한 109억 위안(약 16.52억 달러)이었음.

Page 4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39

¡ 향후 산시省 산하 국유자산관리감독위원회는 국유기업인 양사의 합병으로 설립된 기업의 지분

100%를 보유하게 됨.

※ 국유자산관리감독위원회(국자위)는 국무원 산하의 국유자산 관리를 위해 설립된 기구로, 국유기업의

경영에 대해서는 직접 관여하지 않지만, 국유기업 경영자의 임명권, 중앙 정부에서 직접 소유・관리하

는 국유기업의 자산 합병 또는 매각 등을 추진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음. 중앙 국자위는 국가급

국유기업을 관리・감독하고, 지방 정부 산하의 국자위는 해당 지역의 국유기업을 관리・감독함.

※ 중국 지방 정부들은 중앙 정부의 국유기업 개혁 추진의 일환으로, 기업들의 합병을 본격화하기

로 한 바 있음(인사이트 제16-4호(1.29일자) pp.36~37 참조).

‒ 한편, 산시省 정부는 중앙 정부에서 추진 중인 석탄 과잉생산 해소 정책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향후 3년간 신규 석탄 채굴권을 발급하지 않기로 하고, 산시省 내 석탄 총 생산량을 감축하기로

하였음.

(界面, 2016.6.8)

▣ 중국 국토자원부, ’15년 석유・가스자원 잠재량 평가 결과 발표

¡ 중국 국토자원부는 ‘2015년 중국 석유・가스자원 잠재량 평가 결과 보고’를 통해 2007년의 평가

결과보다 석유 및 천연가스의 지질학적 자원량(geological resources)과 가채자원량(recoverable resources) 모두 대폭 증가하였다고 발표함(2016.6.13).

‒ 보고에 따르면, 2015년 천연가스의 지질학적 자원량은 90.3Tcm, 가채자원량은 50.1Tcm이고 확인탐사

율(지질학적 자원량 중 확인된 자원량의 비율)은 14%에 불과함. 석유의 지질학적 자원량은 1,257억

톤, 가채자원량은 301억 톤이고 확인탐사율은 30%를 넘어섬.

※ BP통계(2016)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중국의 천연가스 확인매장량(proved reserves)은

3.8Tcm, 석유 확인매장량은 25.2억 톤임.

‒ 지난 2007년의 석유・가스자원 잠재성 평가 결과와 비교하여 천연가스 지질학적 자원량과 가채자원

량은 각각 158%, 127% 증가하였고, 석유는 각각 64%, 42% 증가하였음.

‒ 또한, 중국 주요 천연가스 부존 지역의 자원량이 대폭 증가하였음.

・ 쓰촨분지의 천연가스 지질학적 자원량은 20.7Tcm, 가채자원량은 11.2Tcm으로 2007년에 비

해 각각 2.8배, 2.3배 증가해, 서남부 지역의 에너지믹스 개선과 지역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역

할을 하고 있음.

・ 중국 연안 해저 분지 내의 천연가스 지질학적 자원량은 20.8Tcm, 가채자원량은 12.2Tcm으

로 2007년에 비해 각각 55%, 57% 증가하였음.

‒ 중국의 비전통석유 및 가스의 잠재 자원량도 막대함.

・ 심도(深度) 4,500m에 부존된 셰일가스의 지질학적 자원량은 122Tcm, 가채자원량은 22Tcm이고 확인자원량은 544.1Bcm으로 확인탐사율은 0.4%에 불과하며, 실제 개발가치가 있는 지

역(주로 쓰촨분지)의 가채자원량은 5.5Tcm임.

Page 42: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4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심도(深度) 2,000m에 부존된 탄층가스(CBM) 지질학적 자원량은 30Tcm, 가채자원량은

12.5Tcm이고 확인자원량은 629.3Bcm으로 확인탐사율은 2.1%에 불과하며, 실제 개발가치가

있는 지역(주로 친수이(沁水)분지, 오르도스(鄂爾多斯)분지)의 가채자원량은 4Tcm임.

‒ 국토자원부는 석유・천연가스 자원량이 대폭 증가한 주요 원인으로 탐사활동의 증가와 탐사기

술의 향상을 들었음.

¡ 그러나 중국 석유・가스 탐사개발의 어려움은 점차 심화되고 있음. 석유・가스 자원 중 80%가

품질이 낮고, 탐사개발의 위험성은 높은 편이며, 셰일가스와 탄층가스(CBM) 탐사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기술설비의 수준 제고가 요구되고 있음.

(人民網, 2016.6.14)

Page 43: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41

일본

▣ 도쿄전력, 가스소매시장 전면자유화에 대비해 도시가스 열조설비 설치

¡ 도쿄전력은 2017년 4월부터 시작되는 가스소매시장 전면자유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지바縣에

도시가스 열조설비를 설치하여 자사가 일괄적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갖출 계획임.

‒ 금년 4월 시작된 전력소매시장 전면자유화로 도쿄전력에서 도쿄가스 등 신전력사업자로 계약

을 변경하는 소비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5월 말 기준으로 도쿄전력의 계약 변경 건수는 약 647,300건임(인사이트 제16-21호(6.10일자) p.38 참조).

‒ 이를 만회하기 위해 도쿄전력은 2017년 전면자유화되는 가스소매시장에서 전력・가스 결합 판

매 등을 통해 신규 도시가스 소비자를 확보할 계획임.

‒ 현재 도쿄전력은 산업체 등 대규모 수요가를 대상으로 도시가스를 판매하고 있는데, 대부분 열

량조절(열조) 작업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공급하고 있음. 일반 도시가스회사에 도매공급하고

있는 일부 가스는 도쿄가스에 열조작업을 위탁해 왔음.

‒ 그러나 가정용 도시가스는 공급 전에 발열량・압력・성분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소량의 LP가스를 혼합하는 등으로 열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음. 이에 동 사는 지바縣에 있는 화력발전소 내

에 열조설비(투자비 약 50억 엔)를 건설하여 자사가 일괄적으로 관리할 계획임.

‒ 또한, 발전연료용으로 LNG를 대량 수입하고 있는 도쿄전력은 LNG 구입 비용을 낮춰 도시가

스 소매시장에 진출할 계획임.

・ 동 사는 다음 달 주부전력과 연료조달사업을 통합할 예정이고, LNG 구입량은 연간 4천만

톤으로 세계 최대 규모가 될 전망임.

¡ 향후 도쿄전력은 총 도시가스 판매량을 2023년까지 약 230만 톤 수준으로 증가시키고 일반

도시가스회사에 대한 도매공급도 강화할 계획임.

‒ 주로 대규모 수요가를 대상으로 하는 동 사의 2013~3015년 가스 판매량은 약 124~134만 톤

이었으며, 매출액은 약 1,200억 엔이었음.

‒ 동 사는 지난 5월에 Nippon Gas와 연간 약 24만 톤의 도시가스 도매공급계약을 체결하였음. 향후 지바縣에서 소비자를 확보하고 있는 게이요(京葉)가스, 오타키(大多喜)가스와의 도매공

급계약을 확대하여 현재 1,000만 건 이상인 도쿄가스의 가정용 수요가(간토지방) 중 일부를 고

객으로 확보해나갈 계획임.

Page 44: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4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자료 : 일본경제신문

< 도쿄전력의 도시가스 판매량 >

(도코전력 홈페이지, 日本経済新聞, 2016.6.14)

▣ 경제산업성, 일본 근해 해저자원개발 촉진 위한 제도 정비 착수

¡ 경제산업성은 2018년부터 천연가스 등의 매장지 관련 정보 등을 민간에 공개하는 등 일본 근

해 해저자원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나서기 시작하였음.

‒ 현재 일본 근해 해저자원 매장지 조사는 국가로부터 위탁받은 JOGMEC만이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는 JOGMEC이 소유하고 있어 민간기업은 이용할 수 없음.

‒ 이러한 자료 비공개가 해저자원개발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데이

터를 민간에게 유료로 제공하고, 국가 소유 탐사선 ‘시겐(資源)’도 민간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자급률 제고를 도모할 계획임.

‒ 또한, 채굴허가를 받았음에도 실제로 조업을 시작하지 않은 사업자들로부터는 ‘광업권(탐사와

채굴을 할 수 있는 권리)’을 환수하여, 새로운 사업자에게 부여함으로써 신규 사업자의 참여를

촉진할 계획임.

・ 경제산업성이 현재 사업자에게 부여한 광업권은 약 7천 건이나, 실제로 조업을 시작한 것

은 약 2천 건에 그치고 있음.

・ ‘광업권’을 부여받은 사업자는 원칙적으로 1년 내에 조업을 시작해야 함. 그러나 채굴 작업

미비 등을 이유로 신청하면 연기할 수 있음.

・ 경제산업성은 조업 연기 인정 심사를 강화할 것임. 즉, 지질구조가 복잡하여 추가 조사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조업 연기를 인정할 것임.

¡ 또한, 경제산업성은 에너지 자립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선진 탐사기술을 이용하여

일본 근해에서의 석유・가스 탐사・개발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음.

‒ 일본의 에너지 자급률은 후쿠시마원전 사고 이전인 2010년에는 19.4%였으나 2014년에 8.5%로 크게 낮아졌음.

Page 45: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43

‒ 경제산업성의 전문가회의 ‘종합자원에너지조사회’ 분과회가 6월 15일 마련한 보고서에서는 일

본 근해 석유・가스 탐사・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음.

・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는 홋카이도, 시마네, 야마구치 앞바다 주변을 중심

으로 새롭게 2만km2에 달하는 지역을 조사할 예정임.

・ 또한, 더욱 높은 정밀도로 석유・가스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화상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부가 지금까지의 탐사로 수집한 약 4.3만km2 분의 조사데이터에 대해 재검토할 것임.

자료 : 경제산업성

< JOGMEC의 상류부문 지원 체계 >

(경제산업성 홈페이지, 日本経済新聞, 2016.6.14, 読売新聞, 2016.6.15)

▣ 노후원전(다카하마원전 1,2호기) 가동연장 최초 허가 전망

¡ 노후원전(가동기간 40년 이상)인 간사이전력 다카하마원전 1,2호기가 안전심사에 합격(2016.4.20)한 것에 이어 ‘공사계획’도 원자력규제위원회(이하 규제위)의 심사를 통과함(2016.6.10).

※ 2011년 후쿠시마원전 사고를 계기로, 2013년 7월 개정된 ‘원자로규제법’에는 원전가동기

간이 40년이 넘으면 원칙적으로 폐로하도록 되어 있음. 다만, 예외적으로 가동연수 40년이

넘기 전에 규제위의 안전심사를 통과한 경우에 한해 최대 60년까지 가동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인사이트 제16-15호(4.29일자) pp.34~35 참조).

‒ 노후원전의 가동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심사를 통과하여야 함.

・ 지진 및 쓰나미 대책 등과 관련된 안전심사, 상세설계를 기재한 공사계획 심사, 원자로 등

의 노후화에 따른 영향 심사 등임.

‒ 동 원전은 안전심사를 통과하였고 공사계획의 허가를 받았으며, 연장심사와 관련된 주요한 논

의는 금년 2월에 마무리된 상태임.

‒ 향후 간사이전력은 가동기간 연장에 필요한 최종서류를 규제위에 제출할 계획이며, 규제위는 6월 20일에 개최되는 정기회의에서 연장심사 통과 여부를 판단할 예정임.

‒ 동 원전의 가동기간 연장이 결정되면 향후 노후원전 심사의 선례가 되어 다른 전력회사의 노

후원전 가동기간 연장 여부 판단에 큰 영향을 줄 것임.

Page 46: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4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노후원전 재가동은 일본 에너지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는 사안임. 일본 정부는 2030년

바람직한 전원 구성에서 원전 비중을 20~22%로 제시하고 있음.

‒ 상기 비중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약 40기의 원전 중 약 30기가 가동되어야 함. 그러나 가동기

간을 40년으로 제한한 제도를 엄격하게 적용하면 2030년에 재가동되는 것은 약 20기로 상기

비중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임.

‒ 한편, 다카하마원전 1,2호기 이외의 노후원전의 가동연장을 계속해서 허가하게 되면 가동기간

40년 제한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화될 우려가 있음.

전력회사 원전 가동기간 연장 진행상황

간사이전력

다카하마원전 1,2호기 가동기간 연장 막바지 단계

오이원전 1,2호기 미신청

미하마원전 1,2호기 폐로 결정

미하마원전 3호기 안전심사 신청

주고쿠전력 시마네원전 1호기 폐로 결정

규슈전력 겐카이원전 1호기 폐로 결정

시코쿠전력 이카타원전 1호기 폐로 결정

JAPC쓰루가원전 1호기 폐로 결정

도카이제2원전 안전심사 신청

자료 : 일본경제신문

< 일본의 주요 노후원전 현황 >

(日本経済新聞, 2016.6.1,11,15)

Page 47: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45

러시아・중앙아시아

▣ Gazprom의 對유럽 가스가격, 유럽 현물가격보다 20% 할인

¡ Gazprom의 對유럽 가스 판매가격이 유럽 내 현물가격보다 20% 할인된 가격으로 적용되기 시

작했으며, 이는 2008년 4월 이래 최고의 할인율이라고 Bloomberg가 6월 9일 보도함.

‒ 이러한 Bloomberg 보도에 대해 Gazprom의 Aleksandr Medvedev 부회장은, 자사가 유럽에서

덤핑하거나 할인하지 않고 있다고 부인하였음(2016.6.13).

・ 다만, 루블화 평가절하 덕분에 가격경쟁력이 높아졌을 뿐이며, 러시아 가스가 유럽 내에서

가장 가격경쟁력이 있다고 덧붙임.

‒ 저유가의 장기화로 인해, 유가 연동방식으로 결정되는 러시아 가스가격이 2014년 10월부터 18개월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음.

‒ IMF(IMF Primary Commodity Prices) 자료에 따르면, 2016년 5월 말 독일 국경에서의 러시

아 가스 평균가격은 1MMBtu당 3.99달러로 2004년 9월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였고, 이는 영국

벤치마크(NBP) 가격보다 20% 낮았음.

・ Bloomberg는, Gazprom이 개별 계약이나 수요자에 따라 차별적으로 할인을 적용하고 있어

러시아 가스가격을 직접적으로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독일 국경에서의 대략적인 수준의

가스가격으로 비교한 것이라고 부연 설명함.

‒ ICE Futures Europe 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2016년 6월 8일 기준 영국 NBP(National Balancing Point)의 가스 선물가격은 1MMBtu당 3.356유로(4.9달러)를 기록하였고, 같은 날

러시아 가스가격보다 약 22% 비싼 가격임.

자료 : IMF, ICE Futures Europe

< 러시아 가스의 對유럽 가격과 유럽 현물 가스가격 추이 >

Page 48: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4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BP의 수석경제학자 Spencer Dale은, Gazprom이 유럽시장 내 다른 가스 공급원과의 경쟁에서

‘가격유지’ 정책보다 ‘시장점유율 유지’를 중요하게 여겨 가격을 낮추고 있으며, 이는 석유시장

에서의 OPEC과 유사한 행동이라고 분석함(2016.6.8).

‒ 2015년 Gazprom의 對유럽 공급량은 전년 대비 8.2% 증가된 158.6Bcm을 기록하였고, 유럽

가스시장에서의 러시아 가스 점유율은 2014년 30%에서 2015년에는 31%로 높아져 지난 10년래 최고 기록을 달성하였음.

‒ Gazprom은 2016년 對유럽 가스 수출량을 2015년보다 2.3% 증대된 162.6Bcm으로 계획

¡ 한편, IEA는 향후 3년 내 유럽에서 미국産 LNG가 가장 저렴하게 될 것이므로 Gazprom이 유럽

시장 내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욱 경쟁력 있는 가격결정 메커니즘을 도입해야만

할 것이라고 분석함.

‒ 세계 가스시장의 중기 전망에 따르면, 미국産 LNG 및 카타르의 증산 물량 등으로 인해 세계

LNG 시장의 공급과잉이 예상되며, 이에 Gazprom이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장여

건 변화에 맞추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임.

(RBC; Bloomberg, 2016.6.9; RBC, 2016.6.14)

▣ 러 지하자원청, 대륙붕(북극 대륙붕 포함) 개발 2~12년 연기 요청 승인

¡ 러시아 지하자원청(Rosnedra)은 총 31개 대륙붕(북극, 극동, 남해 등) 석유・가스전의 지질탐사

및 생산 개시 시점을 최소 2년에서 최대 12년까지 연기하는 것에 동의했다고 6월 9일 발표함.

‒ 천연자원환경부는 지하자원청이 대륙붕 개발 라이선스를 보유한 국영기업들의 요청으로 계획을

수정했으며, 이는 개발사업의 경제성 및 지질적 조건 등을 반영하여 내린 결정이라고 언급함.

‒ 현재 Gazprom은 총 33개의 대륙붕 라이선스, Gazprom Neft는 4개의 라이선스, Rosneft는 55개의 대륙붕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음.

‒ Gazprom(Gazprom Neft 포함)의 요청에 의해 12개 광구 개발이 연기될 것이며, Rosneft의 요

청에 따라 19개 광구에서의 지질탐사 작업 계획이 수정될 것임.

・ 대형 매장지 개발사업 중 Gazprom의 Shtokmanovskoye 매장지 2개 광구의 개발 개시 시점은

당초 2016년으로 계획되었지만, 앞으로 2025년 이전까지는 개발이 시작되지 않을 것임.

・ Gazprom Neft의 Dolginskoye 매장지(총 매장량 2억toe)의 개발 개시 시점도 2019년에서 2031년으로 연기되었음.

‒ 가장 많은 계획이 수정된 광구는 페초라해 대륙붕(9개 사업)이며, 이밖에 바렌츠해의 8개 사업, 오호츠크해의 7개 사업, 카라해의 4개 사업, 흑해의 2개 사업, 동시베리아해의 1개 사업의 계

획이 수정되었음.

¡ 에너지 전문가들은, 대륙붕 매장지 개발 지연으로 향후 2030년경 북극 대륙붕에서의 원유 생

산량이 당초 계획된 1,800만 톤보다 27.8% 낮은 1,300만 톤이 될 것으로 평가하였음.

Page 49: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47

※ 2015년 러시아 대륙붕에서는 총 1,880만 톤의 원유가 생산되었고, 이 중 북극 대륙붕에서는

Gazprom Neft의 Prirazlomnoye 매장지에서 총 80만 톤이 생산되었음.

‒ 전문가들은, 북극 대륙붕에서의 원유 생산이 향후 10~15년 내 기존 육상 매장지에서의 생산량

감소분을 보충해주는 근본적인 대안이 되지 못할 것이며, 대륙붕 개발보다는 육상 매장지에서

더욱 집약적인 지질탐사작업과 회수율 증대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함.

‒ 또한, 전 세계적으로도 저유가로 인해 대륙붕에서의 석유・가스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바, 유가

가 배럴당 90달러 이하일 경우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2025년 이전까지는 신규 대륙붕 매장지

에서의 석유・가스 생산 개시를 기대할 수 없다고 언급함.

¡ 한편, Rosneft는 외국 파트너들과 공동으로 개발하는 매장지에서는 시추작업을 개시하는 등 아

직까지는 대륙붕 개발 사업을 전략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 금년 여름까지 Rosneft는 Statoil과 오호츠크해 Magadan-1 매장지에서 2개 정을 시추할 계획임.

‒ 또한, 2025년 이전까지 Rosneft의 일부 대륙붕 매장지에서는 생산을 개시할 예정인데, 모두 서

방 및 아시아 기업들과 협력 사업(자금조달 및 기술 이전 가능)이 진행되는 곳임.

・ Tuapse 매장지, 서흑해지역(ExxonMobil, Eni), 오호츠크해의 Magadan-1 사업(Statoil), 카라해

의 University-1 사업(ExxonMobil), 바렌츠해 Medyn-Varandey 광구(CNPC), 오호츠크해의

North-Veninsky 매장지(Sinopec) 등임.

(RBC, 2016.6.9)

▣ 러, 장기적으로 가스 구매국과의 협상에서 우위 약화 가능성

¡ 최근에 우크라이나, 폴란드, 벨라루스 등 3개국이 러시아 가스가격의 인하를 요구하면서 Gazprom을 위협하고 있으며, 가스 협상에서 러시아의 우위가 약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 우크라이나는 2015년 11월부터 러시아 가스 수입을 중단했지만, 돌연 Gazprom이 가격 할인

을 제공할 경우 러시아 가스 구입을 재개할 수 있다고 밝혔음.

・ 우크라이나 국영가스기업 Naftogaz의 Andrei Kobolev 회장은 금년 3분기부터 2017년 1분기

기간 동안 러시아 가스 수입 재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고, 5월 말 우크라이나

에너지부 장관은 러시아 가스가격이 1,000m3당 130~132달러가 되어야 한다고 밝힘.

・ 이는 우크라이나 부총리가 전망한 2016년 5~12월까지 유럽으로부터 역수입하는 가스의 평

균가격인 1,000m3당 185달러보다 훨씬 낮은 금액임.

※ 우크라이나는 아직 EU 회원국이 아니지만, EU 회원국인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 등과 인터커넥터 인

프라가 구축되어 있어, 동유럽 국가들로부터 연간 20~25Bcm의 가스를 수입할 수 있음.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 증대 및 가스소비 절약을 통해 가스 소비량을 2011년 53.7Bcm에서 2015년 28.8Bcm으로 줄였음.

‒ 폴란드는 Gazprom과의 장기 가스도입계약이 만료되는 2022년 이후, 계약을 연장할 의사가 없

으며 노르웨이 가스나 LNG로 대체하겠다고 공식 발표하였음(2016.5.31). 이후, 러시아가 좋은

조건과 가격을 제시한다면 계약 연장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입장을 번복하였음.

Page 50: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4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2015년에 Gazprom은 폴란드에 8.9Bcm의 가스를 공급하였고, VYGON Consulting 자료에 따르면, 러시

아 가스 비중은 50%, 국내 생산 비중이 34%(약 6Bcm), 독일과 다른 유럽 국가 비중이 13.2%임.

・ 폴란드는 북서부 항구도시 Świnoujście LNG 터미널과 노르웨이 대륙붕과 연결되는 가스관

(Baltic Pipe)을 통해서 러시아 가스 의존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며, 연간 15Bcm의 가스 소비

량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음.

・ 한편, 푸틴 대통령은 이 같은 폴란드의 발언에 대해 그 물량을 다른 수요처(이스라엘 포함)에 판매할 것이라고 6월 7일 이스라엘 총리와의 회담 후에 밝힘.

※ 2012년까지 러시아 가스의 對폴란드 판매가격은 1,000m3당 약 550달러였음. 이후, 가격이

15% 하락했지만, 여전히 유럽 내 가장 비싼 가격 중 하나였음. 2016년 4월 독일 국경에서의

러시아 가스가격은 1,000m3당 128달러였으나, 對폴란드 가스가격은 150달러였음(IMF).

‒ 벨라루스는 러시아와 금년 초부터 가스가격 협상을 해 왔으나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음.

・ 지난 5월 말 러시아 Aleksandr Novak 에너지부장관은, 對벨라루스 가스가격을 올해 3분기

에 변경할 계획이 없으며, 기존 계약에 따라야 할 것이라고 주장함.

¡ 러시아 가스전문가들은, 향후 2~3년 내에는 유럽 내 러시아 가스의 대체 가능성이 낮지만, LNG 시장

의 빠른 발전과 셰일가스의 가격경쟁력 증대로 인해 장기적으로 5~7년 후에는 유럽 가스시장이 급격

한 변화에 직면하며, 러시아가 가스협상에서 더 이상 우위를 점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음.

‒ 특히 가스 수요처가 장기계약이 수익성이 낮아질 것을 고려하여, 장기계약 체결의 거부 또는

계약 기간을 1~3년으로 축소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 될 것이라고 지적함.

‒ 금번 폴란드의 장기계약 연장 거부 발언이 그 첫 번째 신호임을 배제할 수 없으며, 향후 장기계

약 비중이 점차적으로 줄고, 더 나아가 Take-or-Pay 조항도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전망함.

‒ 게다가 현재 유럽은 향후 2025년경 LNG 터미널의 시설용량을 2배 증대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LNG가 유럽 가스 소비의 80%를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이러한 계획이 실현되면 가스매매계약상 유연성이 높아져 가스시장도 유연한 시장으로 변

화할 것이기 때문에 Gazprom은 이에 미리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덧붙임.

(Lenta; RBC; Vedomosti; RIA, 2016.6.7; Oilru; Inosmi, 2016.6.10)

Page 5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49

북미

▣ 미국-인도, 원전 건설 등 다방면에서 협력 모색

¡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백악관에서 회담을 열고, 인도에 원자로

6기 건설 추진과 기후변화대응 등 여러 분야에서 상호협력하기로 합의함(2016.6.7).

‒ 원전 건설 추진은 양국이 지난 2008년 민간 핵협력 협정(civil nuclear deal)을 맺은 후 최초로

진전을 보인 것으로, 최종 계약체결 기한을 2017년 6월로 정하였음.

・ 인도원자력공사(Nuclear Power Corporation of India, NPCIL)와 미국 Westinghouse Electric社는 조만간 원자로 건설을 위한 협의에 들어갈 것이며, Westinghouse는 미국 수출입은행

(Export-Import Bank)으로부터 원전 건설 자금을 대출받을 예정임.

‒ 인도는 앞으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국가 전략을 수립하기로 약속하였으며, 미국은 인도의 청

정에너지 프로젝트에 6천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함.

‒ 양국 정상은 지난 12월 파리기후변화협정상의 국가감축목표 이행과 관련된 자국 내 비준 절차

를 마치기로 합의하였으며, 올해 안에 가능한 한 빨리 비준 절차를 시작할 것임.

※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중 55개 이상이 비준하고, 동시에 최근연도 기준 비준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총합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55%를 초과하면, 그로부터 30일 후에

파리협정이 발효되어 법적인 효력을 갖게 됨(인사이트 제16-15호(4.29일자) p.42 참조).

・ 세계 3대 탄소 다배출 국가인 인도의 참여로 파리협정이 연내에 발효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또한, 수소화불화탄소(hydrofluorocarbons, HFCs)의 단계적 감축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이끌

어 내고, 항공기에서 배출되는 탄소 저감을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하였음.

¡ 인도의 급성장과 비즈니스 환경 개선, 양국의 전략적 목표 공유 등으로 양국 관계가 급진전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음.

‒ 또한, 미국이 남중국해와 인도양에서 세력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고 파키스탄의 아프

가니스탄에 대한 대처 및 탈레반 지지로 인해 미국과 국제사회에 가해지는 안보 위협에 대처

하기 위해 인도와 협력을 도모한다는 설명도 있음.

(The Hill; USA Today; Wall Street Journal, 2016.6.7)

▣ 미국, ’15년 석탄 소비량 및 생산량 급락

¡ BP의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최신판(2016.6)에 따르면, 2015년 미국의 석탄 소

Page 52: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5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비량과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 2015년 미국의 석탄 생산량은 2014년의 5억800만toe 대비 10.4% 감소하여 4억5,520만toe를

기록하였으며, 석탄 소비량도 2014년의 4억5,380만toe 대비 12.7% 감소하여 3억9,630만toe에

그침.

연도 생산 소비

2005년 580.2 574.5

2006년 595.1 565.7

2007년 587.7 573.3

2008년 596.7 564.2

2009년 540.8 496.2

2010년 551.2 525.0

2011년 556.1 495.4

2012년 517.8 437.9

2013년 500.9 454.6

2014년 508.0 453.8

2015년 455.2 396.3

전년대비 변동률(%) -10.4 -12.7

자료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16.6)

< 미국 석탄 생산량 및 소비량 추이 (2005~2015년) >

(단위 : 백만 toe)

‒ 이 같은 석탄 생산 및 소비 둔화의 원인은 낮은 천연가스 가격으로 가스발전의 비중이 급증하

였고, 환경규제가 더욱 강화되면서 청정에너지원으로서 가스의 장점이 부각되었기 때문임.

・ 월 단위로 볼 때 가스발전량 비중은 2015년 4월 이미 석탄발전량을 앞지른 바 있으며, 2015년 전체 발전량에서 가스와 석탄의 비중은 거의 동일하였음.

・ 미 에너지정보국(EIA)은 올해 미국 총 발전량에서 가스발전량의 비중이 처음으로 석탄발전

량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하였음.

자료 : EIA

< 미국의 전원별 발전량 비중(1950~2016년) >

Page 53: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51

‒ 2015년 북미 석탄가격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국제 석탄가격도 전년대비 20% 이상 하

락하였음. BP는 이 같은 가격 하락의 원인이 석탄 수요 감소라고 지목하였음.

연도북서유럽

기준가격

북미

기준가격연도

북서유럽

기준가격

북미

기준가격

1995년 44.50 27.01 2006년 64.11 62.96

1996년 41.25 29.86 2007년 88.79 51.16

1997년 38.92 29.76 2008년 167.67 118.79

1998년 32.00 31.00 2009년 70.66 68.08

1999년 28.79 31.29 2010년 92.50 71.63

2000년 35.99 29.90 2011년 121.52 87.38

2001년 39.03 50.15 2012년 92.50 72.06

2002년 31.65 33.20 2013년 81.69 71.39

2003년 43.60 38.52 2014년 75.38 69.00

2004년 72.08 64.90 2015년 56.64 53.59

2005년 60.54 70.12 전년대비 변동률 -24.86% -22.33%

자료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2016.6)

< 북미 및 유럽 석탄가격 추이 (1995~2015년) >

(단위 : USD/톤)

¡ 한편, 2015년 세계 석탄 소비와 생산은 전년 대비 각각 1.8%와 4.0% 감소해, 석탄 소비와 생

산 감소세는 미국에서 특히 높게 나타남.

‒ 세계 최대 석탄 소비국인 중국의 2015년 소비도 1.5% 감소했으나, 인도(4.8%), 인도네시아

(15.0%), 일본(0.6%) 등에서는 오히려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BP 홈페이지; EIA, 2016.3.16; Financial Times, 2016.6.9)

▣ 캐나다 앨버타州, 탄소세법 통과

¡ 앨버타 州정부가 기후변화대응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휘발유 및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에 대

한 탄소세 부과를 골자로 하는 탄소세 법안(Climate Leadership Implementation Act, Bill 20)이 지난 7일 의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2017년 1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임.

‒ Bill 20는 앨버타州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2015년 11월 발표한 ‘기후변화리더십 계획

(Alberta Climate Leadership Plan)’의 일환으로 제정되었음.

・ 앨버타 州정부는 또한 오일샌드 생산 시 배출되는 메탄을 100메가톤으로 제한하고, 2030년까지 석탄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Bill 20는 여당인 신민주당(New Democratic Party, NDP)과 야당인 와일드로즈당(Wildrose party)의 팽팽한 논쟁 끝에 42:39로 최종 통과되었음.

・ 야당은 특히 비영리기관, 자선단체, 학교, 병원, 공공기관, 정부청사 등은 Bill 20 적용에서

제외하자고 요구하였으나 수용되지 않았음.

Page 54: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5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앨버타 州정부는 Bill 20 발효 후 첫 2년 동안(2017~2018년) 약 30억 달러의 세입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소형주택 건설 프로젝트에서부터 대규모 대중교통 프로

젝트에 이르기까지 친환경정책 추진에만 사용할 것을 약속함.

¡ 이에 따라 앨버타 州정부는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효율 향상 프로그램 등을 관장할 기관을 신

설하고, 기업에 부과하는 탄소세를 인상하고 소비자에게도 탄소세를 부과할 예정임.

‒ 기업에 부과하는 탄소세는 현행 톤당 15 캐나다 달러(USD 11.5)에서 법안이 발효되는 2017년

1월 1일부터 톤당 CAD 20(USD 15.35)로, 2018년에는 CAD 30(USD 23.0)로 인상될 것임.

‒ 또한, 휘발유와 디젤에 리터당 각각 4.49센트(USD 3.45센트), 5.35센트(USD 4.11센트)의 탄

소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앨버타 주민은 난방비와 주유비로 연평균 CAD 443(USD 339.9)을

더 지출하게 될 것으로 추산되었음.

・ 그러나 州정부는 소득수준이 중간 또는 그 이하인 앨버타 주민을 위해 탄소세의 일부 또

는 전체를 환급할 계획이기 때문에 저소득층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

‒ 소기업의 탄소세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소기업에 부과되는 법인세를 현행 3%에서 Bill 20가

발효되는 내년부터 2%로 낮출 예정임.

¡ 최근 앨버타州가 북미지역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향후 자원개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이번 Bill 20 통과로 파이프라인 등의 에너지 인프라 확충 시 다른

州정부를 설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지난 5월 25일 네이처(Nature)紙에 게재된 논문에서는, 오일샌드 개발 시 생성되는 이차유기

에어로졸(secondary organic aerosol)의 양이 캐나다 최대 도시 토론토를 포함한 온타리오州

전체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초과했다고 지적하였음.

・ 캐나다 연방정부 소속 과학자들이 발표한 同 논문은 오일샌드 개발이 이차유기에어로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는데 최초로 성공하였음.

(Globe and Mail, 2016.5.24, CBC News; Calgary Herald, 2016.6.7)

Page 55: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53

중남미

▣ 브라질, 재생에너지원 개발 ’3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전망

¡ 브라질의 재생에너지원 개발에 대한 투자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

가할 것으로 전망

‒ 브라질은 2015년 11월에 두 차례의 재생에너지 경매를 실시했는데, 6GW 규모 29개 수력발전

소의 운영권 경매에서 약 46억 달러 투자를 유치했으며, 태양광 및 풍력발전단지 건설 프로젝

트 경매에서 약 1.5GW 규모의 53개 프로젝트에 약 17억 달러를 유치함.

‒ 풍력에 대한 투자는 2020년에 245억 달러, 2030년에 250억 달러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됨.

‒ 주로 수력과 풍력에 투자가 집중되어 있으나 최근 태양에너지원에 대한 투자도 늘고 있음.

‒ 브라질 정부는 2024년까지 에너지믹스에서 재생에너지원 비중을 45%로 증대시킬 계획이며, 재생에너지원 중 11.6%(24GW)를 풍력, 3.3%(7GW)를 태양에너지로 충당할 전망

・ 브라질 전력청(National Electric Energy Agency, ANEEL)에 따르면, 현재 설치된 풍력의 설비

용량은 8.7GW이며 9GW가 건설 중이거나 입찰에 붙여졌음.

・ 태양에너지의 경우, 설비용량은 0.027GW이며 2.2GW가 입찰에 붙여졌음.

부문 2014년 2024년

수력발전 89.8 117.0

풍력발전 5.0 23.9

소수력, 바이오매스, 태양에너지 16.2 32.6

비재생에너지원 21.6 33.0

합계 132.6 206.5

자료 : EPE(2015)

< 발전원별 설비용량 전망(2014년~2024년) >

(단위 : GW)

¡ 브라질 정부는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민간 및 외국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태양에너지 및 풍력발전

설비 증설을 위한 공개 입찰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인사이트 제16-5호(2.5일자) p.26 참조)

¡ 브라질 에너지 광물부의 ‘2016 Brazilian Annual Energy Review’ 보고서(2016.6.6)에 따르면, 에너지믹스에서 재생에너지원 비중은 2014년 39.4%에서 2015년 41.2%로 증가했음.

‒ 수력발전을 포함한 재생에너지원은 2015년 발전량의 75.5%를 차지했음.

‒ 석유제품 소비 감소와 재생에너지원 사용으로 인해 CO2 배출량은 4.6% 감소했음.

(Wind Power Engineering; Agência Brasil, 2016.6.6; See News, 2016.6.8)

Page 56: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5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ExxonMobil, 아르헨티나 Vaca Muerta 셰일지대에 $2.5억 투자 계획

¡ ExxonMobil社는 아르헨티나 Vaca Muerta 셰일지대에 5개 유정을 시추하는 시범 프로젝트, 저장시설, 가스 파이프라인 등 기타 인프라 건설에 2억 5천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음.

‒ 시추정은 Vaca Muerta 서쪽에 위치한 La Invernada-Bajo El Choque block에서 2016년도 중

반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Exxon 대변인은 6월 7일 발표함.

‒ 해당 시추정은 El Choque지대의 잠재 원유 매장량을 확인하는데 사용됨.

‒ ExxonMobil은 현재까지 Vaca Muerta 지대에 약 2억 달러를 투자하여 7개 유정을 시추했음.

※ ExxonMobil은 2010년부터 아르헨티나 Vaca Muerta 셰일지대 탐사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4년에 첫 셰일오일 매장량 발견에 성공했음(ExxonMobil 홈페이지 참조).

‒ 대변인은 시추 결과가 성공적일 경우 향후 20~30년간 약 100억 달러를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밝힘(Natural Gas Daily, 2016.6.9).

¡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 10년간 투자가 부진했던 에너지 부문에 외국인투자를 유치해 개발을

활성화하고자 함. 이를 위해 정부는 외국인투자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아르헨티나는 최근 2001년 디폴트 선언 이후 15년 만에, 일부 채권자들과의 법적 분쟁을 마무

리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에 복귀했으며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함.

※ 아르헨티나 정부는 외국자본 투자환경 조성을 위해 2001년 발행된 국채 상환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음(인사이트 제16-4호(1.29일자) p.49 참조).

‒ 아르헨티나 언론사인 La Nación에 따르면, 아르헨티나는 Macri 대통령이 취임한 2015년 12월

10일 이후 2016년 5월 말까지 외국인 기업들로부터 약 153억 달러의 투자를 약속받았음.

・ 아르헨티나 국영석유기업 YPF는 Dow Chemical社의 자회사인 Dow Argentina와 5억 달러

투자 계약을 체결했으며, Chevron社는 2030년까지 현재 약 35억 달러인 투자규모를 약 160억 달러로 증대시키기로 함.

‒ 하지만, 아르헨티나의 연간 재정 적자가 GDP의 4~5%를 차지하고 인플레이션율이 높아 투자

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고 Prefinex 분석가는 지적함.

※ 아르헨티나의 2015년 인플레이션은 2015년 10월 기준 14.3%였으나 2016년 1월 29.6%로 상

승하였으며 2015년 대외채무는 약 1,490억 달러(2015.7)였음(IECONOMICS).

(Energy Digital, 2016.6.6; Natural Gas Daily, 2016.6.9)

▣ 우루과이 민간기업, 풍력발전 생산 전력 수출 승인 획득 전망

¡ 우루과이 풍력발전 민간기업 Ventus는 풍력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의 잉여분을 인접국인 아르헨

티나로 직접 수출할 수 있도록 정부로부터 수출 승인을 받을 것으로 전망

‒ 우루과이는 발전량의 72%를 수력발전을 포함한 재생에너지원이 차지하고 있으며 19%를 석유

Page 57: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55

화력발전으로 충당하고 있음(2013년 기준, Enerdata(2015)).

・ 2013년 총 설비용량 3.3GW 중 수력발전의 설비용량은 1.5GW, 풍력발전은 0.1GW였음

(Enerdata(2015)).

‒ 최근 풍부한 강수량과 저유가로 인해 전력 가격이 하락했음.

‒ Ventus는 자국 내 풍력발전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고 전력 가격도 낮은 상황이기 때문

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가격과 수요를 가지고 있는 아르헨티나로 전력을 수출하고자 함.

・ Ventus는 8개 풍력발전단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설비용량은 70MW임.

‒ 우루과이는 아르헨티나에 수력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수출하고 있으나 민간기업 간의 계약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임.

‒ 수출 승인을 받으면 Ventus는 아르헨티나의 에너지 트레이더인 Saesa와 단기 전력구매계약

(power purchase agreement)을 맺고 직접적으로 전력을 판매하게 됨.

¡ 이번 수출 승인은 우루과이의 민간 풍력발전사업자들이, 전력부족을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로

수출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Ventus는 전함.

‒ 우루과이의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2016년도 말까지 1.2GW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됨.

‒ 반면, 아르헨티나는 전력 부족으로 인해 인접국들로부터 전력을 수입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저

렴한 우루과이産 전력을 수입하는 것이 비용경제적임.

(Wind Power, 2016.5.17; Bloomberg, 2016.6.10)

Page 58: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5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유럽

▣ 스웨덴 정부, 안정적 에너지 공급 위해 원자력발전 유지하기로 야당과 합의

¡ 스웨덴 연립정부(사회민주당, 녹색당)는 자국의 장기적인 에너지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요 야당(온건당, 중앙당, 기독민주당)과 신규 원자로 건설, 원자력발전 부과 세금의 단계적

철폐 등 원자력발전을 유지하기 위한 내용의 합의안을 발표함(의회 승인, 2016.6.10).

※ 지난 2014년 총선 당시 스웨덴 연립정부는 점진적인 脫원전을 공약한 바 있음.

‒ 스웨덴 정당 8개 가운데 자유당, 스웨덴 민주당, 좌익당 등 극우 및 극좌 성향의 3개 정당을

제외한 5개 정당(사회민주당, 녹색당, 온건당, 중앙당, 기독민주당)이 합의안에 서명함.

‒ 스웨덴 연립정부와 주요 야당 간 합의내용에 따르면, 스웨덴은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발전 비중

100% 달성을 목표로 하는 한편, 이와 같은 탈탄소화 이행 과정에서 향후 가동이 만료될 노후

원자로를 대체할 수 있도록 기존 원전 부지에 최대 10기의 신규 원자로 건설을 허가하기로 함.

・ 양측은 2040년까지 장기적인 재생에너지발전 비중 ‘목표’를 100%로 설정하는 데 합의하였

으나, 이는 2040년까지 원자력발전 사용을 중단하거나 원전을 전면 폐쇄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강조하며 향후의 구체적인 원전 폐쇄 일정은 언급하지 않음.

・ 스웨덴은 원자력의 대체에너지원으로 재생에너지를 주목해왔으나 아직 자국의 전체 전력

수요를 충당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데다, 원전의 노후화 및 수익성 악화 등에 따른 폐쇄

전망으로 자국 내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실정임.

※ 현재 스웨덴은 원전 3곳의 원자로 9기를 통해 전체 전력생산의 약 40%를 충당하고 있음. 그 중

3기는 가동기간 만료에 따라 2020년 이내에 폐쇄될 예정

원자로 순용량(MWe) 종류 운영사 상업가동연도 폐쇄예정연도

Oskarshamn 1 473 BWR OKG 1972 2017

Oskarshamn 2 638 BWR OKG 1974 2015(폐쇄)

Oskarshamn 3 1,400 BWR OKG 1985 2035 or 2045

Ringhals 1 878 BWR Vattenfall 1976 2020

Ringhals 2 807 PWR Vattenfall 1975 2019

Ringhals 3 1,062 PWR Vattenfall 1981 2041

Ringhals 4 938 PWR Vattenfall 1983 2043

Forsmark 1 984 BWR Vattenfall 1980 2040

Forsmark 2 1,120 BWR Vattenfall 1981 2041

Forsmark 3 1,187 BWR Vattenfall 1985 2045

자료 : World Nuclear Association

< 스웨덴의 원자로 현황 >

‒ 또한, 정부는 2019년까지 원자력발전설비에 부과하는 세금(nuclear capacity tax)을 점진적으로

철폐할 계획임. 해당 세금 폐지 계획에 따른 연간 약 5억 유로 규모의 세수 손실을 충당하기 위해

Page 59: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57

중공업 수용가를 제외한 전력소비자의 전기요금 부가가치세가 인상될 것임.

・ 현재 스웨덴에서 원자력발전 설비용량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은 도입된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해

원자로 운영비의 약 30%를 차지하며, 원자력발전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해왔음.

¡ 이번 스웨덴 정부 발표에 대해, Greenpeace 등을 비롯한 환경보호단체는 재생에너지 개발에

장애가 될 것을 우려하는 반면, 원전기업 등 관련 산업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

‒ 특히 스웨덴 전력공사인 Vattenfall社의 Magnus Hall CEO와 세계원자력협회(WNA)의 Agneta Rising 대표는 원자력발전 세금 철폐가 향후 원자력 발전설비의 장기운영 및 가동수명 연장을

위한 현대화 작업 관련 투자를 결정하는 데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환영함.

・ 최근 스웨덴 원전운영기업은 전력가격 하락, 세부담 가중 등에 따른 적자 발생을 이유로

자사 원자로를 예정보다 앞당겨 폐쇄할 수밖에 없다며 관련 세금 폐지를 주장한 바 있음.

‒ 반면, 일각에서는 향후 스웨덴 정부가 신규 원자로 건설을 위한 보조금 지원 의사를 밝히지 않은

이상 투자 유치가 어려워 실제 신규 원자로 건설 추진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

자료 : Statistics Sweden(SCB)

< 스웨덴의 에너지원별 발전량(2014년 기준) >

(단위 : GWh)

(Financial Times; The Local; World Nuclear News; AFP, 2016.6.10)

▣ 덴마크 Dong Energy社, ’16년 유럽 최대 규모의 주식공개상장 추진

¡ 덴마크 Dong Energy社는 신주발행 없이 정부와 Goldman Sachs 지분 일부(전체 주식의 약

17.4%)를 주당 235크로네(약 35달러)에 코펜하겐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으며(2016.6.9), 이는

올해 유럽 최대 규모의 주식공개상장(IPO)으로 기록됨.

※ Dong Energy社는 덴마크 에너지기업 6개社(DONG, Elsam, Energi E2, Nesa,

Københavns Energi, Frederiksberg Forsyning)의 합병을 통해 2006년 설립되었으며, 유

럽 북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세계 10개국에 진출해 풍력, 바이오에너지, 화력, 석유・가스, 유

통, 고객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음.

‒ 덴마크 정부는 IPO를 통해 Dong Energy社 지분의 50% 이상을 보유하며 최대 주주 지위를

유지하였고, 다음으로 미국 투자은행 Goldman Sachs가 2대 주주임.

Page 60: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5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덴마크 Claus Hjort Frederiksen 재무장관은 정부가 Dong Energy社의 보유 지분 일부를 11억

유로에 매각함으로써 지분율은 58.8%에서 50.4%로 낮아졌고 주식매각대금은 향후 부채감축

및 사회복지를 위해 사용할 것이라고 밝힘.

・ Goldman Sachs는 4억 유로 이상의 지분을 매각해 지분율이 17.9%에서 14.7%로 감소함.

・ 그 외에 36,000명 이상의 투자자(개인투자자 10%, 덴마크 및 국제 기관투자자 90%)가 이번

IPO에 참여함.

‒ IPO 직후 Dong Energy社의 주가는 약 9.8% 급등하면서 258크로네(약 39달러)로 장을 마감함.

¡ 이번 Dong Energy社의 IPO 성공 요인은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최근 동 기업의 사업성과 전략이 높이 평가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됨.

‒ Dong Energy社는 전통적으로 석탄부문 중심의 사업에 주력해왔으나, 최근에 해상풍력, 바이오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부문으로 주력사업을 전환하면서 세계 최대 해상풍력 기업으로서 세계적

으로 두각을 나타내며 투자자의 관심을 받음.

・ 2015년 Dong Energy社의 총 매출액은 약 710억 크로네(106억 달러)에 달함.

・ 또한, 2015년 기준 Dong Energy社는 전 세계 해상풍력 설비용량의 26%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투자비의 약 75%가 풍력사업에 투자된 것으로 집계됨.

‒ Dong Energy社는 새로운 전문 및 민간 투자자의 주주 참여를 환영하면서, 이번 IPO를 통한 투자

활성화를 기대하고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사업 확장에 대한 의지를 표명함.

‒ 한편, 일각에서는 해당 기업의 해상풍력사업 수입 가운데 62%가 정부보조금 및 금융지원으로

창출되고 있는 만큼(2015년 기준), 여전히 높은 해상풍력 개발・생산 비용과 정부지원 의존도에

대한 우려를 제기함.

(Dong Energy; The Guardian; AFP, 2016.6.9; Financial Express, 2016.6.10)

▣ BP社-Det norske社, 노르웨이에 석유・가스 E&P 합작회사 설립 계획 발표

¡ 영국 메이저 에너지기업 BP는 노르웨이 석유・가스기업 Det Norske와 총 약 108억 크로네(약

13억 달러) 규모의 주식거래를 통해 노르웨이 사업부문(‘BP Norge社’)을 합병함으로써 새로운

석유・가스 E&P 합작회사(‘Aker BP ASA’)의 설립 계획을 발표함(2016.6.10).

‒ Aker BP ASA社의 지분은 Det Norske社 최대주주인 Aker社가 40%, Det Norske社의 다른

주주들과 BP社가 각각 30%를 보유함.

‒ 이번 노르웨이 사업부문 합병거래는 2016년 말까지 마무리될 계획이며, 이에 따라 설립될

Aker BP ASA社는 오슬로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될 예정

Page 6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59

BP Norge Det Norske

확인・추정 가채매장량 225MMboe 498MMboe

평균 순생산량 62,100boe/d 60,000boe/d

탐사허가권(license) 보유개수 13 84

고용 인원수 870 530

총수입 약 9억 달러 약 12억 달러

총자산 약 27억 달러 약 52억 달러

잉여현금흐름 약 3억 달러 약 -5억 달러

자료 : Det Norske

< BP Norge社와 Det Norske社 사업 현황(2015년 말 기준) >

¡ 양사는 사업부문 합병을 통해 노르웨이 자산 포트폴리오를 강화함은 물론, BP社의 노하우 및

기술전문성과 Det Norske社의 효율적 운영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향후 Aker BP ASA社가 노르

웨이의 주요 석유・가스 E&P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 Aker BP ASA社는 노르웨이 전체 석유생산량의 약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생산량 기준

노르웨이 최대 규모의 독립계 석유・가스 E&P 기업이 될 전망

・ 2015년 기준, Aker BP ASA社의 노르웨이 대륙붕의 추정 매장량은 약 7억2,300만 배럴로

추산되며, 약 122,000boe/d 규모의 석유・가스자원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

・ Aker BP ASA社는 노르웨이 대륙붕에 대한 총 97개 탐사허가권을 보유하게 되면서, 향후

석유・가스 생산량을 2023년까지 250,000boe/d 이상으로 증대할 계획

‒ BP社의 경우, 저유가 상황에 대한 대응책으로 노후유전과 같은 비핵심자산을 매각하는 동시에, Aker BP ASA社의 지분을 보유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노르웨이 유・가스전의 생산 증대

가능성 및 잠재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사업활동을 이어갈 계획

(BP; Det Norske; Wall Street Journal, 2016.6.10; Business Insider Nordic, 2016.6.13)

Page 62: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6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중동・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원유 공급 불안 및 경제위기 지속

¡ 나이지리아 정부는 델타지역 신흥 무장세력 Niger Delta Avengers(이하 ‘NDA’)의 공격으로 산유

량이 급감하자, 무장세력들과 대화를 시도하였으나 무장세력들은 이를 거부함.

‒ NDA는 금년 2월부터 매주 한 번꼴로 석유생산・수송시설을 공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월에 공격

이 잦아지면서 석유생산・수송시설 10곳이 파괴됨(인사이트 제16-18호(5.20일자) pp.57~58 참조).

・ NDA는 정부가 델타지역의 자원을 탈취했다며 델타지역의 해방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주장

함. 또한, 외국기업이 나이지리아에서 원유생산을 할 수 없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 나이지리아 석유공사 Nigerian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NNPC)은 금년 3월 원유 생산

량이 180만b/d이라고 밝혔으며, 주요 외신들은 생산량이 현재 27년 만에 최저치인 140만b/d로

하락하였을 것으로 추정(Bloomberg, 2016.6.7).

※ NNPC는 나이지리아의 2016년 초 원유 생산량을 약 220만b/d라고 밝힘

・ 나이지리아의 원유 생산 차질로 아프리카 최대 원유생산국이 나이지리아에서 앙골라로 바뀜.

자료 : Bloomberg

< 나이지리아 및 앙골라 원유 생산량 변화 >

‒ 나이지리아 Muhammadu Buhari 대통령은 정부 정규군을 투입하여 무장세력을 진압하려던 입

장에서 선회하여 델타지역 주지사들과 협조하여 NDA와 대화를 통해 상황을 해결하고자 함.

‒ 그러나 NDA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정부와의 대화를 거부하겠다고 밝힘(2016.6.8).

¡ 나이지리아 원유생산량 감소는 국제유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고, 주요 나이지리아産 원유 수입

국들이 다른 수입경로를 모색하는 계기로 작용함.

‒ 무장세력의 공격으로 금년 5월 나이지리아 원유 생산량이 10% 감소하면서 OPEC의 5월 원유

Page 63: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61

생산량은 전월 대비 12만b/d 감소한 3,271만b/d를 기록함.

‒ 최근 Brent유는 배럴당 50.05달러, WTI유는 배럴당 49.19달러에 거래되는(2016.6.3) 등 나이

지리아 원유 생산량 감소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수준으로 상승하는데 영향을 미침.

‒ 나이지리아 원유 생산이 불안정해지자 인도와 미국을 포함한 주요 나이지리아産 원유 수입국들

이 수입을 꺼리면서 나이지리아의 6월 원유 생산분 상당량이 판매되지 않고 있음.

¡ 저유가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어온 나이지리아의 경제는 무장세력의 공격으로 더욱 악화되었고 정

부는 재정지출 확대를 통해 상황을 개선하고자 함.

‒ 지난 달, 나이지리아 Godwin Emefiele 중앙은행장은 이미 2015년 7월부터 경기침체 조짐이 나

타났다며 가까운 시일 내에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함(Bloomberg, 2016.5.25).

・ 나이지리아 정부는 유가 폭락으로 재정수입이 감소하고(인사이트 제16-5호(2.5일자) pp.60~61 참조), 외화 확보가 어려워지자 고정환율제를 도입함. 이는 암달러 환율 폭등, 외국 기업 철

수 등을 야기하여 상황을 악화시킴(인사이트 제16-13호(4.15일자) pp.66~67 참조).

자료 : Bloomberg

< 나이지리아 물가상승률 및 GDP 성장률 추이 >

‒ 최근 세계은행은 산유량 감소 및 저유가를 이유로 2016년 나이지리아 경제성장 전망치를

0.8%로 낮추었으며 이는 금년 1월 전망치 4.6%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아진 수치임(2016.6.8).

‒ 경제회복과 정부 세수 다변화를 위한 방안을 포함한 정부예산 승인이 최근에 내려짐(2016.5.6).

・ 2016년 정부예산은 사상 최대 규모인 6.1조 나이라(나이지리아 화폐단위)(약 306억 달러)로

이는 2015년 예산보다 20% 증가한 규모임.

・ 이번 예산은 유가가 배럴 당 38달러, 원유 생산량이 220만b/d일 것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편성됨.

‒ 올해 예산은 적자예산으로 편성되어 2.2조 나리아(국내총생산의 2.14%)의 세수 부족이 예상되

며, Buhari 대통령은 세수 부족을 충당하기 위해 세계은행 등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고자 함.

‒ 또한, Emefiele 중앙은행 총재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은 고정환율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새로운 환율정책을 준비하고 있으며 다음 달에 발표할 예정

(Reuters, 2016.6.7,8,9; Bloomberg, 2016.6.6,8; CNBC, 2016.6.8,10; Wall Street Journal, 2016.6.10)

Page 64: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6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사우디, ‘국가 개혁 계획 2020’ 통해 천연가스 증산 의지 표명

¡ 사우디 내각은 脫석유 개혁을 골자로 하는 ‘국가 개혁 계획 2020(National Transformation Plan 2020, 이하 ‘NTP’)’을 승인하였으며, 이 계획에서 가스 증산 목표치를 제시함(2016.6.6).

‒ NTP는 금년 4월 발표된 ‘Vision 2030’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Vision 2030’과

비교하여 보다 구체적인 목표치와 시행계획을 담고 있음.

※ 사우디의‘Vision 2030’은 사우디 Muhammad bin Salman 부왕세자의 주도 하에 만들어

진 경제개혁안으로 사우디 경제의 원유의존도를 낮추고 非석유부문 비중 확대, 대규모 국부

펀드 조성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음(인사이트 제16-15호(4.29일자) pp.54~55 참조).

・ NTP 실행을 위해서 2,700억 리얄(사우디 화폐단위)(720억 달러)이 소요될 예정

‒ NTP에 따르면 사우디는 2020년까지 원유 생산량을 1,250만b/d로 유지하고 천연가스 생산량은

현재의 12Bcf/d에서 17.8Bcf/d로 증대할 계획

・ 그러나 Brookings Institution의 Robin Mills는 신규가스 생산을 위해서는 최소 4~5년이 소요

된다며 2020년까지 목표치를 달성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힘.

‒ NTP 발표 당시 기자회견에서 Falih 장관은 사우디가 자국 내에서 석유 사용 비중을 낮추고, 전원믹스에서 가스비중을 현재의 50%에서 70% 이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힘.

자료 : Saudi Aramco

< 사우디 가스 생산량 추이 >

(단위: Bcf/d)

¡ 사우디 국영에너지기업 Aramco는 2015년 연차보고서를 통해서 ‘Vision 2030’ 실현을 지원하기

위하여 가스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2016.5.26).

‒ Aramco는 가스가 사우디 산업 전반에서 쓰이고 있다며 가스자원 개발은 ‘Vision 2030’에서 목표

하고 있는 경제분야의 다원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함.

‒ 연차보고서에서 따르면 Aramco의 가스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3년에 11Bcf/d, 2014년에 11.3Bcf/d, 2015년에 11.6Bcf/d를 기록함.

‒ Aramco의 CEO인 Amin Nasser는 금년 가스 생산량은 12Bcf/d(2016.3월 기준)이며, Wasit 가스처리시설이 최대 가동률로 운영될 경우 생산량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밝힘.

Page 65: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63

・ 전력수요 증가에 대비하여 금년 여름에 Wasit 가스처리시설 가동률을 최대치로 높일 예정

‒ Aramco는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을 통해서 2020년까지 6Bcf/d의 가스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가스를 수입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음.

(MEES, 2016.6.3; Reuters, 2016.6.6; Bloomberg; Platts, 2016.6.7)

Page 66: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6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아시아·호주

▣ 파키스탄, 에너지 공급난 타개 위해 $760억 투자 계획

¡ 파키스탄은 2017년까지 전력난을 완전히 해결하겠다는 목표를 담은 국가에너지계획(National Energy Policy 2013-2018)을 발표한 후, 정부 소유의 발전소와 일부 송배전회사를 민영화하고

에너지 관련 정부기구를 대폭 개편하는 등 전력난 해소 정책을 다각도로 시행하고 있음.

‒ 에너지 수요 증가, 전 정부의 전력수요 예측 실패, 발전시설 투자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전력

난이 발생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정전이 발생하고 산업활동이 마비됨.

‒ 현재 파키스탄의 발전설비용량은 약 4,500~5,000MW 부족하며, 하루 12~18시간 동안 제한송

전을 실시하고 있음.

¡ 파키스탄 정부는 2015년 4월에 착수한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China-Pakistan Economic Corridor, CPEC) 프로젝트의 추진과 더불어 역내 허브국가로 자리 잡기 위하여 향후 6년간 총

760억 달러를 투자하여 에너지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임.

※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중국의 투자를 통해 중국에서 파키스탄 남부에 이르는 지역을 연

결하여 이 지역에 철도, 도로, 산업단지, 발전소, 항구, 에너지망 들을 구축하는 대규모 프로

젝트임. 동 프로젝트에 중국은 총 460억 달러를 투자 예정이며 과다르 항구 건설, 국제공항

개발 및 발전소 건설을 위해 280억 달러를 우선 투자하기로 함.

‒ 수력전력부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발전설비 확충(발전용량 30,948MW)에 582억 달러를 투자

할 예정이며, 이 중 일부는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프로젝트를 통해 추진할 것임.

‒ 파키스탄 정부는 에너지 분야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통해 자국 내 에너지 공급 부족 현상을 해

소하고, 에너지 인프라의 개선과 확충을 도모하고자 함.

‒ 정부의 에너지부문 투자 계획의 목표 달성 여부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존재함.

・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이란-파키스탄 간 가스관 건설사업은 불안한 지정학적 요인(일부 유

효한 이란제재 등)에 의해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여지가 큼.

・ 일각에서는 대다수 사업의 만료 시점이 향후 3년 이내인 점을 감안할 때 투자비용 조달이

어렵다는 사실을 수력전력부 및 국가도로청(NHA)이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함.

¡ 한편, 파키스탄 비료생산업체인 Engro社는 400~600Mcf/d 규모의 LNG 터미널 건설과 450MW 용량의 LNG 복합화력발전소 건설을 계획 중이라고 발표함.

‒ 또한, Engro社는 2019년 가동을 시작할 예정인 660MW 규모의 발전소 건설을 위한 합작 투

자에 참여하였고, 동 발전소는 갈탄을 연료로 사용할 예정.

Page 67: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65

・ CPEC의 일환인 동 발전소 건설에는 총 20억 달러가 투자되었으며 이 중 8.2억 달러는 중

국계 자본임.

(파키스탄 국가에너지계획; Bloomberg, 2016.5.27; Express Tribune, 2016.6.10)

▣ 인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수력 설비용량 앞질러

¡ 인도의 총 발전용량 300,000MW 중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42,849MW를 기록하면서 수력 설

비용량 42,783MW를 처음 앞질렀고, 수력의 점유율은 가파르게 감소하는 추세임(인도 중앙전

력청, 2016.4.30 기준).

생산주체 수력에너지 재생에너지

주정부(State) 28,092 1,964

민간(Private) 3,120 40,886

중앙정부(Central) 11,571 -

합계 42,783 42,850

<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세부 내역 >

소수력 풍력 바이오 태양 합계

4,273 26,867BM Power/ Cogen. Waste to Energy

6,763 42,8504,831 115

자료 : 인도 중앙전력청

< 인도 수력 및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비교 >

(단위: MW)

‒ 수력발전 용량은 2014년 3월 40,531MW, 2015년 3월 41,267MW, 현재 42,783MW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나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2015년 3월 34,351MW에서 현재 42,849MW로 빠

르게 증가하고 있음.

‒ 또한, 총 발전용량 중 수력의 점유율은 1960년대 중반 45%가 넘었으나 2005년에는 26%까지

급격하게 하락했고, 현재는 약 15% 정도임.

・ 재생에너지로 분류되는 소수력의 설비용량은 2015년 3월 4,025MW에서 현재 4,273MW로

늘었고, 일각에서는 더 많은 소수력 댐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현행 25MW 이하인

소형 댐의 설비용량 기준을 100MW까지 확대할 것을 제안함.

※ 재생에너지 지원정책으로 중앙 정부는 재생에너지사업 관련 상품에 대해 관세 및 소비세를

면제하고 일부 지방정부는 일반적으로 15%인 부가가치세를 5%만 부과함.

자료: The Economic Times

< 인도 총발전용량 중 수력발전 비중 추이 >

(단위: %)

Page 68: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6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 수력발전은 불충분한 지질 조사, 기술적 제약, 부지 매입 문제, 장기자금 조달의 어려움, 복잡

한 행정 절차로 인한 사업시행 지연 및 사업 중단 요구 등 다양한 어려움이 있는 반면, 화력

발전은 상대적으로 건설이 용이해 화력발전의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음.

‒ 전력・석탄・신재생에너지부(Ministry of Power, Coal and New and Renewable Energy) Piyush Goyal 장관은, 정부의 활성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력발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를 꺼리

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함.

‒ 인도 에너지자원연구소(Energy & Resources Institute)의 Shirish Garud 연구위원은, 인도의

수력발전 잠재력은 상당하나 댐 건설에 따른 수몰과 관련된 환경문제가 대두되어 친환경적이

거나 수익성이 있는 사업으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언급함.

‒ 수력발전은 고비용, 민간투자 유치 필요성, 송전설비 부족, 환경 문제, 북부 산간지역의 인프라

부족, 주민 이주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임.

(The Economic Times, 2016.6.10)

▣ 인도, 소규모 광구 분양을 위한 경매 실시 계획

¡ 인도 석유・가스부 Dharmendra Pradhan 장관은, ‘Discovered Small Field Bid Round-2016’을

열어 소형 광구 67개소(석유・가스 매장량 6억 2,500만 배럴 상당)에 있는 46개 유・가스전의

분양권 경매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 소형 광구 67개소는 총 9개의 퇴적분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36개소는 연안에, 나머지는 육지

및 얕은 바다에 위치함.

‒ Pradhan 장관은 종전의 신탐사허가정책(New Exploration Licensing Policy, NELP) 및 생산물

분배계약(Production Sharing Contract)이 지난 몇 년간 석유・가스 상류부문의 투자를 둔화시켰

다고 지적하며, 최근 분양권 경매에 제시된 탄화수소 개발・인가정책(Hydrocarbon Exploration and Licensing policy, HELP) 및 수익분배계약(Revenue Sharing Contract)을 통해 새로운 탄화

수소 생산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언급함.

‒ 또한, Pradhan 장관은 과거에 비해 더욱 단순하고 투명한 행정・재정 시스템을 마련했다며 이

번 분양권 경매에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할 것이라고 예상함.

・ 단일 라이선스로 시추 및 탐사가 가능하고, 수익분배계약 방식의 도입, 광구 개발에 대한

운영의 자율성 및 유연성 확대, 서명 보너스 철폐, 석유세 및 관세 면제, 로열티 차등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

・ 또한, 입찰참가자격을 사전심사하지 않으므로 누구나 입찰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석유・가스부 K. D. Tripathi 차관은 쉽고 투명한 입찰을 위해 7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e-bidding 포털사이트를 운영한다고 언급함.

‒ 정부는 금번 ‘Bid Round-2016’를 통해 에너지 공급안보를 강화하고 81%(2015~16 기준)에 달

Page 69: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22호 2016.6.17 67

하는 석유・가스 수입의존도를 2022년까지 67%로 낮추고자 함.

¡ 국영석유・가스기업 ONGC 및 Oil India는, 상기 소형 광구를 약 40년 전에 발견했으나 높은

자본비용과 간접비로 인해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일 때에도 개발이 어려웠다고 언급하며, 신

규 사업자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함.

‒ 상기 소형 광구는 멀리 떨어져 있거나 매장량이 적고 개발비용 부담이 크며 기술적 어려움 및

탄화수소 연료 생산 시 유가보조금을 지급해야 하는 데 따른 비용 부담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개발이 지연되어 옴.

(Natural Gas Daily, 2016.6.7)

Page 70: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

단위 표기

Mcm: 1천m³MMcm: 1백만m³Bcm: 10억m³Tcm: 1조m³Btu: British thermal units

Mcf: 1천ft³MMcf: 1백만ft³Bcf: 10억ft³Tcf: 1조ft³MMBtu: 1백만Btu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국제협력본부 해외정보분석실

해외에너지시장동향 홈페이지

http://www.keei.re.kr/web_energy/main.nsf/index.html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발행인 박주헌

편집인 양의석 [email protected] 052) 714-2244

편집위원 노동운, 서정규, 마용선, 오세신,

신상윤, 석주헌, 유학식, 김아름, 이은명

문 의 김아름 [email protected] 052) 714-2065

Page 71: 세계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6-22호) · 2016-07-13 · ¡베트남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설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