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녜스 데르비 - myoparchives.myop.fr/fr/a_dherbeys_exhib_seoul.pdf · 2016. 12. 7. ·...

6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at 5pm ARTIST TALK 2016.12.10(토) 오후 2시 아녜스 데르비가 소개하는 #K76_3613 작업 이야기 05545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한미타워 19, 20층 Hanmi Tower (19th, 20th floor), 14 Wiryeseong-daero, Songpa-gu Seoul 05545, Republic of Korea Tel. 02-418-1315 Fax. 02-418-1316 [email protected] www.photomuseum.or.kr 요금별납 서울잠실우체국 아녜스 데르비 2016.12.10-2017.1.21 한미사진미술관 20층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식인증사업 후원

Upload: others

Post on 12-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아녜스 데르비 - Myoparchives.myop.fr/fr/a_dherbeys_exhib_seoul.pdf · 2016. 12. 7. ·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at 5pm

ARTIST TALK

2016.12.10(토) 오후 2시

아녜스 데르비가 소개하는 #K76_3613 작업 이야기

05545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한미타워 19, 20층

Hanmi Tower (19th, 20th floor), 14 Wiryeseong-daero, Songpa-gu

Seoul 05545, Republic of Korea

Tel. 02-418-1315 Fax. 02-418-1316

[email protected] www.photomuseum.or.kr

요금별납

서울잠실우체국

아녜스 데르비

2016.12.10-2017.1.21한미사진미술관 20층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공식인증사업

후원

Page 2: 아녜스 데르비 - Myoparchives.myop.fr/fr/a_dherbeys_exhib_seoul.pdf · 2016. 12. 7. ·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한미사진미술관은 2015, 2016년 두 해에 걸쳐 프랑스 협력기관과 함께 해

외 유명 사진가들의 기획전시를 여러 차례 개최했다. 이미 고전이 되어 쉽

게 접할 수 없는 작품들을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맞아 국내에 소개해왔

다. 이와 함께 프랑스에서 작업하는 젊은 작가들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국내에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고민했다. 그 첫 번째 결실로 프랑스에서 자

란 한국인 입양아 아녜스 데르비의 개인전을 2016년 12월 10일 부터 2017년

1월 21일 까지 개최한다.

데르비는 태어나자마자 프랑스에 입양되어 자랐다. 엄연한 프랑스인임에

도 자신의 본 뿌리에 대한 질문에 천착하여 이를 사진 작업으로 오랜 기간

풀어왔다. 처음으로 모국인 한국 땅을 밟고 자신의 뿌리를 찾아나선 과정

을 담은 작업 《어머니OMONE》와 자신을 길러준 프랑스 아버지의 노년을

담담하게 기록한 《Retired》 연작을 한 전시로 구성하여 작가의 내면에 관

한 이야기를 밀도 있게 소개한다. 본 전시 《#K76_3613》은 가족이란 확고

한 동시에 취약한 사랑과 고독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존재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From 2015, The Museum of Photography, Seoul (MOPS) has been organizing various exhibitions of internationally renowned photographers in collaboration with French institutions for celebrating “2015-2016 Korea France Year”.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ission of the museum to introduce the international pioneers to Korean guests. And also, MOPS constantly searched young photographers to present their works to Korean public. As a result of long research, finally Agnès Dherbeys will be presented at Seoul from 10th December 2016 through 27th January 2017.

Born in South Korea, abandoned at birth and then adopted in France at 5 months and a half, Agnès Dherbeys built herself in a constant confrontation between biological roots and emotional ties. By presenting together the two series: works about Korean mothers who have abandoned their child OMONE and photographs of her father’s retired life Retired, #K76_3613 aims to show Family is a complex area made of unshakable yet vulnerable love and solitude.

아녜스 데르비 Agnès Dherbeys

2001년, 태국 방콕에서 기자 생활을 하며 사진을 배우고, 다큐멘터리 작업에 천착해

왔다. 2005년 Fondation Lagardère의 사진 부문 상을 수상하며 개인작업을 확장하기

시작했고, 이후에도 세계 보도사진 콘테스트에서 몇 차례 영향력 있는 작가로 조명

받았다. 또한 2010년 태국 반정부 시위를 촬영한 작품으로 로버트 카파 골드 메달

상을 수여 받았다.

Page 3: 아녜스 데르비 - Myoparchives.myop.fr/fr/a_dherbeys_exhib_seoul.pdf · 2016. 12. 7. ·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가족은 종종 궁극적인 위안, ‘나’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는 대상으로

그려지곤 한다. 나는 한국에서 태어나자마자 버려져 생후 5개월 보

름 만에 프랑스로 입양되었고, 자아를 확립하는 동안 생물학적 뿌

리와 감정적 애착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했다.

이번 전시를 위하여 아버지에 관한 작업과 한국과 프랑스에서의 작

업을 함께 선별하였다. 《#K76_3613》 사진전은 그 어느 것도 나에

게 내가 누구인지, 누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주지 않

았다. 그리고 나의 작품들이 나에게 안겨준, 다른 어떠한 방식으로

도 깨닫지 못했을 특별한 연결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모든 작

업의 시작 점이 있다. 바로 나의 원아 등록서류였다. 그것만으로도

수천 가지 방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관람객은 전시작들을 통

해 지금까지의 나의 여정을 함께 할 수 있다.

한국은 70~80년대 세계 최대의 입양아 수출국이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1953년부터 2006년 사이 총 150,944명의 아동이 해

외로 입양되었다.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그들의 어머니들 중 몇 명

을 만나봤다. 귀납적 추론을 통해 30년 전 한국의 모습이 서서히 수

면 위로 드러났다. 입양아 어머니들의 사연을 통해 한국의 현실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당시 한국은 전쟁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보수적인 사회였다. 어머니들은 홀로 무거운 짐을 떠안아야 했고

도움의 손길은 전무했다. 헤어진 아이를 다시 만난다 해서 잃어버

린 세월을 보상받지는 못할 것이다. 그들은 사라진 핏줄이 야기한

현기증에 직면해 너무도 불우하고 고통스러워 했다.

나는 내 아버지 로베르 데르비를 촬영했다. 당시 나는 딸을 임신 중

이었고, 개인적인 상태 때문인지 나와 아버지의 관계를 단절시킨

거리감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었다. 나는 사진을 일종의 치료요

법으로 이용하고자 했다. ‘평범’하기 그지없는 이 프랑스인 남자가

자신이 사는 곳에서 9천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나라의 아이를 입

양하겠다는 기상천외한 결정을 하게 된 경위와 이유는 무엇이었을

까? 우리 부녀는 어떤 유대감을 공유하고 있는 것일까? 시간이 얼

마 지나지 않아 나는 내가 기록하고 있는 대상이 아내를 먼저 떠나

보낸 73세의 남자였다. 나는 내 아버지의 평범하고 정체된 인생 여

정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작가 노트

몇 주간 아버지를 촬영하고 함께 지내면서 모종의 즐거움을 느끼

긴 했지만, 결국에는 나 자신이나 내 딸이 내 아버지의 공허함을 채

우려는 소극적인 노력을 달래줄 순 없다는 냉혹한 깨달음에 도달했

다.

사랑은 누군가의 외로움을 달래줄 수 없다. 그것은 그 자리에 남기

마련이다. 사진에게 신세를 많이 졌다.

건천 주변, 한국, 2013년 6월 ⓒ아녜스 데르비

Around Geoncheon, South Korea, June 2013 ⓒAgnès Dherbeys

박숙하 아주머니와 남편 조상환 씨는 아들을 원했다. 4번째 딸이 태어나자, 마을의 산파

송씨에게 아이를 보내야겠다고 결심했다. 그 사실을 잊고 지내고 싶었는지 정확히 몇 년

에 어느 계절에 아이가 태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했다. 박씨 아주머니는 내가 어쩌면 그녀

의 딸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오래된 서류들을 찾아보았다.

Mrs. PARK Sook Ha and Mr. CHO Sang-Hwan wanted a boy. When her fourth daughter is born, they took the decision to let her with Mrs. SONG, the village mid wife. They so wanted to forget their act they don’t even remember the exact year nor season of birth of their baby. Mrs. PARK thought I could be her child. She looks through old papers.

Page 4: 아녜스 데르비 - Myoparchives.myop.fr/fr/a_dherbeys_exhib_seoul.pdf · 2016. 12. 7. ·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In spite of the pleasure to be together born out of these weeks photographing him, I came to the harsh realization that neither myself, nor my daughter were eventually able to truly interfere with his his passive efforts to fill up the emptiness.

Love is worthless to comfort one’s loneliness… at least it remains. Photography, I owe you so much.

Often family is idealized as the ultimate comfort zone and as the confirmation of the “I”. Born in South Korea, abandoned at birth and then adopted in France at 5 months and a half, I de facto built myself in a constant confrontation between my biological roots and my emotional ties.

On purpose I choose to mix photographs of my father, Korea and Paris. K76_3613 aims to show none has given me the definite answer of who I am or who should I be, but as a whole together they have provided me with a unique coherence I would not have been able to find otherwise. There is a starting point – my orphanage file ID; and there are thousands ways to evolve. Their inner discourses drive my path, as is the viewer free to travel through the presented images.

During the 70s and the 80s, South Korea exported more children than any other country. 150 944 were adopted between 1953 and 2006. Over the course of one year, I have met some of their mothers.

An a posteriori vision of how Korea was 30 years ago slowly emerged. The tale of these women anachronistically paint the portrait of how the country was: a traumatized post war society, nested in a conservative environment. The mothers lonely carried their burden, with no support at all. To see him or her again won’t compensate the lost years. They remain entirely deprived and traumatized by the vertigo of the absent bloodline.

I started photographing my father, Robert Dherbeys, out of necessity: I was pregnant with my daughter; my condition cornered me into questioning the distance that rocked our relationship. I aimed to use photography as a therapy. How, and why could this so “common” French man take the extraordinary decision to adopt a child born more than 9000 kilometres away from his existence? What kind of ties do we really share?

Quickly, I realized I was actually simply documenting the existence of a 73 years old aging widower: exploring the stasis of my father ordinary journey.

Artist’s Note

로베르 데르비, 로망 쉬르 이제르, 프랑스, 2015년 3월 ⓒ아녜스 데르비

Robert Dherbeys, Romans-sur-Isère, France, March 2015 ⓒAgnès Dherbeys

Page 5: 아녜스 데르비 - Myoparchives.myop.fr/fr/a_dherbeys_exhib_seoul.pdf · 2016. 12. 7. ·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2013년 6월 24일, 내가 태어나 3개월간 머물렀던 고아원에 방문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백합고아원에서 일했던 테레사 수녀는 내가

출연한 TV 방송을 보고 연락을 해왔다. 그녀는 나에게 원아 등록서

류를 보여줬고, 거기엔 1976년 12월 17일 날짜와 어떤 이름이 적혀

있었다. 건천 출신 산파 송 씨의 이름이었다. 송 씨는 같은 마을에

서 온 다른 아기 13명과 함께 나를 고아원에 넘겼고, 내게 송동희라

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한국에 온 것은 기뻤지만, 나의 생모를 찾고

싶은 것은 아니었다.

테레사 수녀는 개인적인 궁금증 때문에 산파 송 씨의 집을 찾아냈

다. 그러나 송 씨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테레사 수녀는

당장 내게 그 마을의 나이 많은 여자들을 만나보라고 권했다. 나는

이 씨와 그 친구를 만났다. 친절하게도 그들은 나를 돕고 싶어했다.

“어서 전화 돌려. 입양아가 기다리고 있어.” 나는 감사했지만, 준비

되지 않은 상태였고, 극도로 혼란스러웠다.

마침내 한 여자에게서 전화가 걸려왔다. 그녀는 최근 꿈에 조상님

이 나타나 조만간 DNA 검사를 하게 될 것이라 말했다고 했다. 그녀

는 나를 만나기를 원했다. 2시간 후로 약속이 잡혔다. 나는 속으로

생각했다. ‘세상에, 이건 말도 안 돼. 확실한 정보를 먼저 확인하지

도 않고 이렇게 쉽게, 이렇게 빨리 내 어머니를 대면할 순 없어. 난

지금 상황을 받아들일 수 없는데…….’ 그렇게 다시 한번 나는 물살

의 흐름에 몸을 맡겼다.

그렇게 갑자기 우리는 만났다. “제 아이가 아닌 것 같아요.” 테레

사 수녀가 그녀의 말을 통역해줬다. 내 인생을 통틀어 가장 폭력적

인 순간이었다. 상처 입은 짐승들처럼 구석으로 내몰려 서로를 관

찰하는 ‘잠재적인’ 어머니와 아이. 우리는 서로 손톱 모양이나 귀 모

양을 비교해봤다. 우리에겐 이성적인 근거 따윈 없었고, 우리 사이

엔 서로가 서로의 짝이 아닐 것이라는 암묵적인 직관만이 존재하는

어색한 침묵이 놓여 있었다. 이제와 어떤 낯선 사람인 내가 나타나,

그녀가 그렇게 잊으려고 애썼던 고통스러운 기억을 헤집고 있었고,

그 사실을 견디기 힘들었다.

나의 6월 24일 한국에서 《어머니》 연작을 진행할 당시의 일기 발췌

시장의 천막 지지대, 파리, 2011년 3월 ⓒ아녜스 데르비

Frames (market), Paris, March 2011 ⓒAgnès Dherbeys

Page 6: 아녜스 데르비 - Myoparchives.myop.fr/fr/a_dherbeys_exhib_seoul.pdf · 2016. 12. 7. · 개막식 OPENING RECEPTION 2016.12.10(토) 오후 5시 On Saturday, December 10th, 2016

Eventually, a woman called back: she recently had a dream where one of her ancestor told her she soon would to go through a DNA test. She wanted to meet me. An appointment is fixed 2 hours later! I told myself: “this is not possible, I can’t meet my mother just like that, so fast and so easily, with no preparation or hard facts checked!” I was incapable of any clarity in mind, … so again, I chose to let myself go with the flow.

And suddenly the meeting happened. “I don’t think it is her” translated Sister Theresa. Truly, this was the most violent time I can ever recall of my entire life. “Potential” mother and child cornered to observe each other like wounded animals: we compared our nails shapes, our ears shapes. We had nothing rational to hang on; only this awkward silence among us, translating perhaps the tacit intuition that we were not the one to the other. My guilt as a stranger who came to ravish the trauma she had tried so hard to forget, was unbearable.

I also felt ashamed to hope she was not my mother: this peasant who “only” abandon her child because she wanted a boy after 3 daughters… As a child, I had always tried to legitimate my abandonment with dramatic events: my birth mother may have died at birth, she was maybe really too young to raise me, or perhaps she was a princess in an impossible love affair…

When we leave each other, we are all alone again, left in the loneliness of our respective traumas. The wound of abandon is reopen for her as much as for myself.

Back in the “normal”, I felt, I was totally astound as if deafen. Few days later, we separately passed the DNA test. In August that same year, I heard from Sister Theresa that the test showed negative. I think I am relieved.

그리고 나는 그녀가 내 어머니가 아니기를 바라는 나 자신에게 부

끄러움을 느꼈다. 그녀는 이미 세 딸을 낳았고 이젠 아들이 갖고 싶

다는 이유만으로 자기 아이를 버렸기 때문이었다. 어릴 때 나는 나

의 생모가 나를 낳다가 돌아가셨다거나, 너무 어린 나이에 날 가졌

다거나 아니면 해서는 안될 사랑을 한 공주였을지도 모른다는 극적

인 이야기들로 버림받았다는 사실을 합리화 시키려고 노력했다.

헤어질 시간이 왔을 때, 우리는 각자의 아픔을 가슴에 간직한 채 다

시 혼자가 되었다. 나뿐만 아니라 그녀에게도 버리거나 버림받은

기억의 상처가 다시 열린 셈이었다.

나는 다시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왔다. 나는 아주 큰 충격을 받았

고 귀가 먹먹할 지경이었다. 며칠 후 나는 DNA 검사를 받았고 같

은 해 8월, 테레사 수녀를 통해 불일치 판정이 나왔다는 소식을 접

했다. 그 소식에 나는 안심했던 것 같다.

My 24th of June Excerpt from diary while working on OMONE.

I visited the orphanage I stayed for 3 months after birth, in Daegu on the 24th of June 2013. Sister Theresa, who used to work there showed me the admission sheet with a date (17th of December 1976) and a name: Mrs. Song, a mid wife from Geoncheon, who took me to the White Lily and gave me my name (Song Dong Hee), as well as 13 other babies from this village. I was grateful to be in Korea, yet I never really wanted to research on my own birth mother.

From her own initiative, Sister Theresa had investigated and had found the house of Mrs. Song (now deceased). She insisted for me to meet with some of the old women of the village. I met Mrs. Lee and her friend. They kindly wanted to help me: “ let’s call everybody, the ibyan-a (the adopted girl) is waiting ”. I was surely not ready, and felt deeply confused yet thank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