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14
: 2011.03.14 : 2011.03.21 게재확정일 : 2011.04.15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소재 캠퍼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Pedestrians in Campus. - Focus on Campus in Busan City - 주저자 : 박찬호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Park, Chan-Ho School of Design, Dongduk Womans University [email protected] 공동저자 : 박진경 (Park, Jin-Kyoung) 오지영 (Oh, Ji-Young ) 송승언 (Song, Seung-Eon) 인제대학교 대학원 U디자인학과 Department of U Desig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교신저자 : 김석태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디자인연구소 Kim, Suk-Tae College of Design, Design Institute, Inje University

Upload: others

Post on 24-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투 고 일 : 2011.03.14

심 사 일 : 2011.03.21

게재확정일 : 2011.04.15

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한 연구

- 부산 역시 소재 캠퍼스를 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Pedestrians in Campus.

- Focus on Campus in Busan City -

주 자 : 박찬호

동덕여자 학교 디자인학부

Park, Chan-Ho

School of Design, Dongduk Womans University

[email protected]

공동 자 : 박진경 (Park, Jin-Kyoung)

오지 (Oh, Ji-Young )

송승언 (Song, Seung-Eon)

인제 학교 학원 U디자인학과

Department of U Desig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교신 자 : 김석태

인제 학교 디자인 학, 디자인연구소

Kim, Suk-Tae

College of Design, Design Institute, Inje University

Page 2: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Vol.10 No.194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

1-2. 연구 방법 범

2. 이론 고찰

2-1. 정량 공간구조 분석방법

2-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연구동향

3. 조사방법

3-1. 조사방법 내용

3-2. 캠퍼스 공간구조

3-3. 캠퍼스 보행량

4. 결과 분석

4-1. 공간구조와 공간 사용패턴

4-1-1. 보행량과 통합도와의 계

4-1-2. 가 치 보행량과 통합도와의 측모델

4-2. 보행량 측모델에 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4-2-1. 버스정류장과 보행량과의 계

4-2-2. 주변상권· 편의시설과 보행량과의 계

5. 결론

참고문헌

Page 3: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한 연구

DID 논문집 통권 제14호 10권 1호 95

(要約)

시 양상에 따른 캠퍼스 공간구조가 변모되어 감에

따라 캠퍼스 사용자들의 이용패턴이 다양하게 만들어져

이에 한 연구가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 으로 공간

구문론을 이용하여 학캠퍼스의 공간구조를 정량 으로

악하고, 실제로 공간을 이용하는 보행자들의 통행량을

조사하여, 보행량에 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

다. 연구 방법으로는 부산 역시에 소재하는 재학생수

10,000명 이상의 6곳을 선정하여, 축선도를 작성한 후 S3

Axial Analyzer 어 리 이션을 사용하여 데이타를 도출

하 다. 이 10개의 축선을 선정하여 20m 역 통과 측

정 방식과 도보이동 게이트 통과방식으로 보행량을 측정

한 후 얻어진 결과 값과 그 값을 가 치 평균을 내어

체 통합도와 국부통합도의 상 계를 분석하 다. 분석

결과 체통합도 보다 국부통합도의 R값에 따라 2곳을

제외한 나머지 학교에서 상 계수가 보행량과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가 치 보행량과 통합도와의 계를 측

모델로 도출하여 측모델의 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 다. 각 캠퍼스의 조사된 축선 치가 환경요인에 따

라 측값이 보행량과 계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자료

를 토 로 향후 캠퍼스 내에 시설 증축이나 도로를 만들

때 참고가 가능한 기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주제어)

공간구문론, 공간구조, 캠퍼스, 보행량

(Abstract)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spects of campus space, the

structure is transformed into a sense of the campus users

use a variety of patterns, and hence make use of this

pattern of spatial structure on the property and space

research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the

space syntax campus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spatial

structure and, indeed, to use the space to investigate

pedestrian traffic,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are located in Busan, a student of the

six selected and bottled water to more than 10,000, even

after you create the axis S3 Axial Analyzer application

was derived using the data. Axis of which 10 were

selected and measured way through the 20m area and

walking through the gate after measuring the amount of

pedestrian way, the results obtained taking the weighted

average values and their values to help the full

integration of local integration were correlated. Results

than the full integration of R depending on the value of

local integration in schools, except two whe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mount of walking, weight, amount of walking and help

integrate the prediction model of the relationships

derived by factor analysis of the predicted was. Axis of

the surveyed locations on each campu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had a relationship with the

predicted amount of gait.

(Keyword)

Space Syntax, Spatial Configuration, Campus,

Pedestrians

Page 4: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Vol.10 No.196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

사회가 다양성과 문성을 요구함에 따라 학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학문분야가 다양해지고

학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학에 한 수

요가 증가하 다. 김 수1)의 연구에서처럼 1990년

후반 교육시설의 확충으로 나타난 무계획 개

발로 소 어반 스 롤(urban sprawl)으로 간주되는

이러한 상은 캠퍼스 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져왔으

며, 이는 캠퍼스 이용자들의 보행패턴을 만들어내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황동근2)의 연구

에 의하면 학캠퍼스는 도시시설 단일시설로는

최 의 규모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간구조

에 한 해석과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보행량을

악하여 공간을 효율 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학캠퍼스의 공

간구조를 정량 으로 악하고, 실제로 그 공간의

보행량을 조사하여 보행량 측모델을 만들고 측

력이 떨어지는 이유에 해 환경 인 요인과 련

하여 정성 분석을 하 으며, 이를 통해 캠퍼스의

신설 는 증․개축 시에 기 자료로 활용하여 더

욱 효과 으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는 목 을 가진다.

1-2. 연구 방법 범

본 연구의 방법은 첫 번째로, 공간구문론과 선행연

구를 고찰하여 본 연구의 이론 근거를 검토하고

두 번째,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학 캠퍼스의 공

간구조를 정량화하여 분석한다. 세 번째, 학 캠퍼

스의 장조사를 실시하여 보행량을 조사하고, 네

번째는 에서 분석한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

과의 상 계에 따른 측모델을 만들고 측모델

에 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각 학교별 특성에 따

1) 김 수, 학 캠퍼스 주변지역 가로 공간 개선에 한 연구,

인하 학교 석사학 논문, 2007, pp.14-15

2) 강원 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부의 공간구조 변화에 한 연

구, 강원 학교 출 부, 2010

라 분석 하 다.

부산 역시에 치한 14곳의 캠퍼스 가운데, 재학생

수가 10,000 이상인 캠퍼스 6곳을 연구 상으로 선

정3)하여, 캠퍼스 내의 보행량에 향을 미치는 환

경요인에 해 분석해 보았다.

2. 이론 고찰

2-1. 정량 공간구조분석방법: 공간구문론

공간구문론은 1980년 런던 학(University of

London)의 힐리어(Hiller)와 한슨(Hanson)에 의해서

처음으로 제시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물리 공간

구조를 공간의 성격 상호간의 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거시 ㆍ미시 에서 근과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객 인 정보를 가지고 다

양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사회 요

소들과의 상호 계를 악이 가능한 이론이다.4) 공

간구문론은 공간구조상 각 공간의 근성을 산출하

고, 특정 공간이 체에서 차지하는 계를 알 수

있다. 다음은 공간구문론의 개념을 이해하기 한

각 용어에 한 설명이다.

(1) 축선(axial line)

도로, 보도, 오 스페이스, 등을 공간을 이루는 물리

속성으로 생각하고, 분석공간에서 시선이 연결되

는 거리를 하나의 직선으로 그린 것을 의미한다.

(2) 축선도(axial map)

축선을 분석공간이나 일정한 지역에 그림으로서, 하

나의 지도를 구성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3) 공간구문론의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해서는 공간의 규모

가 클수록 유의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류상구, 캠퍼스내의 보행공간 확보 방안에 한 연구, 한국

토·도시계획지학회지 국토계획 제38권 제6호, 2003, pp.99-111

Page 5: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한 연구

DID 논문집 통권 제14호 10권 1호 97

[그림 1] 평면공간 [그림 2] 축선도

(3) 체통합도(global-integration)

공간구조의 요도 즉, 체공간에서 특정 공간까지

의 근성에 의해 계산되며, 이 수치가 높을수록

상이 높은 공간이며, 다른 공간으로의 근성이 크

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 0.4-0.6 사이의 수치는 상

호분리가 많이 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1에 가까울수

록 공간이 서로 통합되어 있는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5)

(4) 국부통합도(local-integration)

체가 아닌, 국부 인 공간특성을 나타내는 것으

로, 공간의 깊이를 달리하며, 한 공간과 공간의 깊

이(n)와의 계를 알 수 있다.

(5) 연결도(connectivity)

각 축선이 교차하고 있는 축선의 수를 의미한다. 1

이상의 정수 값을 가지며 연결도가 높을수록, 해

있는 공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6) 통제도(control value)

연결도와 련된 개념으로, 한 공간에 인 된 주변

공간들에 한 그 공간의 통제정도를 말한다.

(7) 명료도(intelligibility)

명료도는 국부통합도와 체통합도와의 상호 련성

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 인자간의 상 계수가 크면

공간구조가 명료함을 나타내고, 상 성이 낮으면 공

간구조가 명료하지 못함을 의미한다.6) 명료도를 얻

5) 진 배·김 욱·이낙운, 국립박물 의 기능변화와 공간구성 특

성에 한 연구, 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권 8호, 2006,

pp.127-134

6) 게서

기 해서는 국부통합도외에도 연결도나 통제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국부통합도(r=3)

와 체통합도의 상 계로 보기로 한다.7)

2-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연구동향

공간구조와 통행량과의 상 성 연구와 련하여 힐

리어(Hiller;1993)는 국부통합도가 통행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임을 입증을 하 고, 김 욱(1993)의 연구

에서는 보행량은 국부통합도, 차량통행량은 체통

합도와 련이 깊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 통행량

조사 시 게이트 방법을 용하는 것이 두 인자간의

상호 련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

다.

장동국(2004)의 연구에서는 보행량, 통행량, 토지이

용패턴, 도로이용패턴과 공간구문인자 즉, 체통합

도와 국부통합도와의 상 성을 분석하 다. 그 결

과, 보행량과 통행량이 국부통합도 10과 련성이

많다고 결론을 내렸다. 공간구조와 길찾기와의 상

성 연구로서는 최윤경, 민병호(1998)는 길찾기를 용

이하게 하기 해서는 공간구조가 명쾌해야 하며,

최재필, 백승호(2002)는 목 지의 통합도, 통제도,

연결도가 높을수록 길을 찾기가 쉬워진다는 결론을

실험을 통해서 얻었다.

공간구조와 범죄와의 련 연구에서는 최재필, 양내

원(2002)의 아 트단지의 범죄공간과 공간구조와의

상 성 연구를 통해 범죄발생공간은 통제도와 깊은

련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장동국(2004)은 보행

량과 공간침입범죄 발생량과의 상 계가 높다고

하 으며, 토지이용별 공간침입범죄와의 상 성을

연구하여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기하기도 하 다.

3. 조사 방법

3-1. 조사방법 내용

본 연구의 상이 되는 학캠퍼스는 부산 역시에

7) 이종렬, 국민 학교 박사학 논문

Page 6: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Vol.10 No.198

소재하는 총 14개의 캠퍼스 에, 재학생수 10,000

명 이상의 학교 6곳을 [표 1]과 같이 선정하 다.

학교명면 캠퍼스

조성년도8)

재학생수

(명)경사도9)

교지면 교사면

경성 279.163㎡ 167.312㎡ 1955년 13,107 5.5〫

동서 462.149㎡ 141.814㎡ 1970년 10,864 10〫

동아 1,36.272㎡ 368.194㎡ 1951년 20,182 13.5〫

동의 564.919㎡ 261.315㎡ 1979년 16,638 8〫

부경 683.373㎡ 311.689㎡ 1941년 17,164 1〫

부산 983.053㎡ 600.473㎡ 1946년 21,420 8〫

[표 1] 조사 상 캠퍼스 황

통행량의 유의한 데이터 값을 얻기 해, 재학생 수

를 10,000명을 기 으로 하여 조사 상을 선별하

다.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6개의 각

학교의 도면10)과 성지도, 장방문을 통하여 축선

도를 작성하 다. 공간구문론 연구를 해 개발된

S3 axial analyzer11) 어 리 이션으로 각 캠퍼스

의 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를 계산하 다. 그리고

각 학교의 축선 10개의 축선을 선정하 다.12)

두 번째로, 보행량 측정은 장에서 두 가지 방법으

로 진행하 다. 한 가지는 축선의 역을 통과하는

사람의 수를 측정하 고13), 다른 한 가지는 조사

자가 축선의 끝에서 끝까지 도보로 이동하며, 조사

자를 기 으로 가 가상의 선을 만들어 이 선을 통

과하는 사람의 수를 측정하는 ‘도보 이동 게이트 통

과방식’14) 으로 진행하 다.15)

8) http:// academyinfo.go.kr, 학원이나 문 에서 4년제 학인가

가 변경된 시 이 아닌, 해당 캠퍼스가 조성된 날짜를 말한다.

9) 학 캠퍼스의 지리 인 정보, 경사도 값을 얻기 하여 부산

시 수치지형도를 참고하여 컴퓨터 로그램(AutoCAD 2010)을 통

해 경사도를 구하 다. 부경 를 제외한 나머지 학 캠퍼스는 경

사도가 높게 나타나 산지에 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부산수치지형도(1998년도)를 참고 하 다.

11) 서울 학교 AUSAL 연구소에서 개발

12) 체축선에서 표성을 가지는 축선을 선별하기 해, 체

축선을100%로 보고, 그 개별의 축선이 가지는 백분율을 구하

여, 10단 로 나 각각의 %에서 한 개의 표 축선을 선정하

다.

13) 축선을 심으로 좌, 우 각각 15m씩, 총30m의 역 통과하는

사람의 수를 5분 단 로 총 6번, 30분 동안 측정하 다.

14) 김 욱,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

턴의 상호 련성 연구, 한국토·도시계획지학회지 국토계획 제38

세 번째로, 조사일시는 2010년 11월1일에서 8일까지

오 10시부터 11시,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보행량

을 측정하 고, 캠퍼스 내의 보행자들의 이동을 고

려하여 주말을 제외하 으며, 선정한 10개의 축선에

서 10명의 조사자들이 동시간 에 측정을 하 다.

3-2. 캠퍼스 공간구조

S3 어 리 이션을 이용하여 각 학 캠퍼스의 축

선도의 정량 인 값을 도출하 고 [표 2]와 같다.캠

퍼스 도면을 바탕으로 축선을 그리고 새롭게 신설

된 캠퍼스 내 건물과 도로는 성사진과 장방문

조사를 통해 축선도를 보완하 다. 부경 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는 산지에 치하 기 때문에 학생들은

등하교나 건물 이용 시 학교 순환버스를 통해캠퍼

스를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각 학교의 조사축선 설정은 연구방법에서 언 했듯

이 체 축선의 하 10%를 제외하여 백분율을 구

하고, 각 % 에 따라 축선 한 개씩 총 10개를 선정

하 다. 그러나 장 조사 실시 후, 캠퍼스와 외부

를 연결하는 축선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유효

한 데이터 값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경성

의 2개의 축선과, 동아 의 1개의 축선을 본 연구

에서 제외 하 다.(*표시)

각 학교에 해당하는 모든 축선들을 이용하여, 캠퍼

스 공간구조 명료도 값을 [표 3]과 같이 도출하

다. 각 학교별 산 도는 캠퍼스의 공간 형태 특성

이 상 으로 어떻게 보이는지 단할 수 있다. 가

로축은 체통합도, 세로축은 국부통합도(3)로서 공

간의 체 인 특성과 지엽 인 정보간의 계를

보여 다. 캠퍼스의 모든 축선은 으로 나타나며

기울기 직선에 이 집 이 될수록 공간구조 명료

도가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표 3]을 보면 부경 가 가장 높은 명료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계획된 격자형태의 캠퍼스

권 제4호, pp.7-17, 2003,

15) 이를 동일시간 에 20분 동안 보행량을 측정하 다.

Page 7: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한 연구

DID 논문집 통권 제14호 10권 1호 99

학교명 산 도 명료도

경성 R²=0.332

동서 R²=0.45

동아 R²=0.283

동의 R²=0.614

부경 R²=0.858

부산 R²=0.574

[표 3] 조사 상 캠퍼스의 공간구조 명료도의 구조 때문이라고 단되어진다. 상 으로 명료

도 값이 낮은 경성 와 동서 , 동아 는 확연히

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축선도 NO 연결통제 통합 R(2) R(3) R(4) R(5) R(6) R(7)

1315 1.67 0.76 2.61 1.73 1.42 1.25 1.16 1.10 60 5 2.98 0.69 2.60 1.84 1.52 1.33 1.23 1.12 1215 2.03 0.61 2.61 1.96 1.39 1.14 0.97 0.86 1344 2.83 0.59 2.30 1.39 1.15 1.03 0.96 0.89 15 5 2.70 0.57 2.60 1.90 1.45 1.18 1.05 0.95 44 2 0.58 0.55 1.38 1.21 1.04 0.93 0.86 0.82 2* 3 1.83 0.53 1.70 1.21 1.05 0.92 0.83 0.78 38 3 1.50 0.53 1.70 1.21 1.07 0.97 0.90 0.85 1* 1 0.33 0.47 0.50 0.64 0.68 0.68 0.66 0.65 50 3 1.33 0.45 1.75 1.15 0.87 0.77 0.73 0.70

3 10 3.75 1.14 3.90 2.65 2.01 1.72 1.57 1.38 38 3 0.92 0.93 1.77 1.39 1.23 1.01 1.09 1.04 56 2 0.37 0.86 1.66 1.50 1.35 0.74 1.10 1.04 42 6 2.37 0.78 2.93 1.99 1.63 1.06 1.33 1.18 19 2 0.75 0.73 1.27 1.16 1.11 1.15 1.01 0.95 41 5 2.33 0.69 2.62 1.91 1.57 1.35 1.18 1.10 15 1 0.33 0.62 0.50 0.64 0.68 1.45 0.77 0.76 68 4 1.17 0.60 2.21 1.61 1.36 0.80 1.00 0.92 47 2 1.50 0.53 1.00 0.77 0.80 1.18 0.78 0.75 9 3 1.17 0.52 1.77 1.40 1.20 1.16 0.89 0.75

57 7 4.08 0.89 3.36 2.03 1.59 1.36 1.19 1.11 35 3 0.75 0.70 1.96 1.61 1.41 1.23 1.14 1.04 1346 3.37 0.67 2.93 2.07 1.59 1.33 1.19 1.09 61 3 1.17 0.61 1.77 1.40 1.20 0.95 0.86 0.82 27 3 1.17 0.60 1.70 1.21 1.08 1.02 0.97 0.93 1324 1.53 0.56 2.27 1.79 1.39 1.17 1.05 0.97 1035 2.53 0.53 2.60 1.92 1.48 1.25 1.13 1.02 1442 0.58 0.50 1.38 1.24 1.13 1.03 0.93 0.86 1* 2 0.53 0.48 1.27 1.16 1.08 1.02 0.97 0.85 8 2 0.83 0.44 1.16 1.04 0.98 0.91 0.81 0.75

11 17 6.93 2.05 4.86 3.20 2.53 2.18 2.05 2.05 1544 1.20 1.35 2.44 2.03 1.82 1.65 1.49 1.39 38 5 1.75 1.19 2.62 1.89 1.62 1.44 1.33 1.25 71 5 2.42 1.14 2.60 1.79 1.45 1.32 1.25 1.18 84 3 1.40 1.02 1.90 1.55 1.37 1.26 1.17 1.10 78 5 2.23 1.00 2.75 2.13 1.76 1.43 1.24 1.12 1513 1.45 0.95 1.90 1.56 1.39 1.21 1.14 1.07 45 8 5.42 0.88 3.77 2.30 1.63 1.33 1.15 1.03 1832 1.00 0.83 1.06 0.89 0.99 0.98 0.94 0.91 41 4 1.63 0.77 2.31 1.81 1.42 1.27 1.18 1.03

51 10 3.75 2.36 4.75 3.12 2.61 2.44 2.36 2.36 1 3 0.92 1.73 3.70 2.68 2.09 1.87 1.75 1.73 1162 0.37 1.62 2.72 2.23 1.94 1.73 1.63 1.62 11 6 2.37 1.57 4.25 2.52 1.92 1.70 1.61 1.57 39 2 0.75 1.56 3.21 2.18 1.76 1.65 1.58 1.56 1085 2.33 1.37 2.08 1.90 1.74 1.61 1.46 1.38 36 1 0.33 1.27 2.02 1.76 1.60 1.43 1.34 1.28 9 4 1.17 1.23 2.72 2.26 1.85 1.44 1.31 1.26 12 2 1.50 1.18 1.89 1.68 1.46 1.32 1.24 1.20 99 3 1.17 1.01 1.16 1.02 1.04 1.10 1.08 1.04

45 11 3.48 1.41 4.05 2.81 2.26 1.98 1.77 1.66 46 4 1.93 1.06 2.44 1.93 1.65 1.45 1.33 1.25 38 5 2.83 1.00 2.61 1.75 1.54 1.41 1.31 1.23 1255 2.50 0.95 2.62 1.92 1.50 1.31 1.21 1.14 1403 0.84 0.89 2.02 1.69 1.49 1.36 1.26 1.14 56 2 0.60 0.84 1.74 1.60 1.45 1.32 1.21 1.08 1834 2.33 0.83 2.30 1.39 1.23 1.15 1.11 1.07 9 3 1.17 0.77 1.77 1.49 1.38 1.27 1.16 1.06 95 2 1.33 0.72 1.06 0.98 0.96 0.92 0.90 0.88 34 3 1.25 0.65 1.77 1.38 1.18 1.06 0.97 0.83

[표 2] 조사 학 캠퍼스의 축선도 공간구조

Page 8: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Vol.10 No.1100

이 3곳의 학교는 산에 치하여 경사가 가 른 지

리 특성에 향을 받아 계획 으로 구획되어지지

못 하 다. 지형에 향에 따라 캠퍼스 구조가 형성

되었기 때문에 계획 인 격자 형태로 캠퍼스 공간

구조가 만들어진 부경 에 비해 명료도가 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악이 된다. 부산 의 경우, 언뜻

보면 격자 형태로 보이나, 공간구조 계에서 차지

하는 심축선이 없기 때문에 높은 명료도를 가지

지 못하고 간정도의 명료도 값을 가진다. 동의

의 경우 산지에 치하고 있지만, 11번 축선이 심

이 되고 가장 높은 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캠퍼스에 비해 높은 명료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3-3. 캠퍼스 보행량

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보행량은 다음[표 4]와 같

다. 선행연구를 통해, 특정구간을 지나가는 보행자

와 도보 이동 게이트 통과방식 둘 다 실시하 고,

평균을 구하기 해 조사시간에 따른 가 치를 주

어 도출하 다.

보행량 측정의 공통 인 특징은 체통합도가 가장

높은 축선(각 학교의 상단에 치)과 보행량이 체

으로 비례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서 의 경우 두

번째로 높은 통합도를 가진 축선이 더 많은 보행량

이 측정되었으며, 이와 같은 상은 부경 와 부산

에서도 나타났다. 부산 의 경우, 상 으로 낮

은 통합도를 가지는 축선 125번, 140번, 183번이 유

의한 데이터 값을 가짐으로 보행량에 공간구조가

아닌 다른 환경 요소가 향을 미치는 것으로

단이 된다.

축선NO. 20m 역측정 도보측정 가 치 평균

131 235 459 308 60 132 99 94

121 36 74 49 134 220 92 119 15 125 172 128 2* 284 127 15844 116 142 110 38 97 106 85 1* 180 137 12950 17 109 60

3 192 372 250 38 162 503 306 56 27 97 58 42 133 146 117 19 6 21 13 41 137 247 169 15 4 16 9 68 67 94 69 47 102 156 112 9 45 37 34

57 287 118 155 35 13 6 7

134 154 173 138 61 83 118 87 27 45 62 46

132 62 143 92 103 152 197 149 144 2 0 1

1* 242 281 221 8 1 2 1

11 107 124 98 154 27 38 28 38 25 17 17 71 36 25 25 84 3 8 5 78 97 126 95

151 7 18 11 45 65 48 46

183 38 30 28 41 35 29 26

51 603 372 387 1 656 503 470

116 121 97 89 11 680 146 300 39 486 21 173

108 37 247 136 36 129 16 51 9 423 94 188

12 255 156 163 99 18 37 25

45 80 193 123 46 83 135 95 38 94 122 92

125 148 241 170 140 76 272 161 56 28 46 32

183 226 137 144 9 27 19 19

95 184 75 99 34 33 71 47

*축선의 경우 외부도로와 인 하거나 입구부분과 연결된 축선으로 상 계 분석에서는 제외하 다.

[표 4] 캠퍼스 보행량 측정 값

Page 9: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한 연구

DID 논문집 통권 제14호 10권 1호101

4. 결과 분석

4-1. 공간구조와 공간 사용패턴

4-1-1. 보행량과 통합도와의 계

1) 20m 역통과 보행량

경성 의 경우, 20m 역을 통과하는 보행량의 수는

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R=7)값과 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서 , 동아 , 동의 ,

부경 는 체 으로 국부통합도 값과의 유의한

계성을 가지며 모두 상 계수가 국부통합도(R=2)값

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산 는 어떠한 국부통합도와의 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성 와 부산 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에서는 보행량과 국부통합도(R=2)값과

의 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통합도

보다 국부통합도가 보행량과 련이 깊다는 선행연

구를 입증하고 있으며, 도시가 아닌 도시시설 하

나인 학 캠퍼스에서는 국부통합도(R=2)의 값이

보행량과 상 계가 있다는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있다.16)

2) 도보이동 게이트 통과방식

도보이동 게이트 통과방식은 김 욱(2003)의 연구에

서 통행량과 공간구조와의 상 성을 악하고자 할

때, 유의한 데이터 값을 얻을 수 있다고 제안한 방

식이다. 경성 의 경우, 20m 역 통과 데이터와 동

일하게 체통합도와의 계가 높게 나타났고, 동서

의 경우 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R=7)의 값이

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동아 , 동의 , 부경 는

체 으로 국부통합도와의 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제일 높은 수치를 비교해 보면,

동아 는 국부통합도(R=2), 국부통합도(R=3), 동의

는 국부통합도(R=3), 국부통합도(R=4), 부경 는

국부통합도(R=5)으로 나타났다. 이 3곳의 학교의 경

우 도보 이동 게이트 방식으로 측정하 을 때, 체

으로 상 성을 가지며 외가 없는 것으로 보아

16) 호( )안의 숫자는 국부통합도의 노드 개수를 나타낸다.

어느 정도의 측력을 가지고 있으나, 가장 높은 값

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 각 학교의 특징들을 상호

련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

산 는 20m 역 통과했을 때의 유의한 값이 하나

도 없었던 반면에, 도보이동으로 측정했을 때,

INT(2)과 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연결도 통제도 통합도 R(2) R(3) R(4) R(5) R(6) R(7)

20m 역상 계

0.28 0.32 0.66 0.33 0.14 0.37 0.49 0.58 0.66

도보이동 상 계

0.29 -0.17 0.63 0.28 0.20 0.31 0.37 0.43 0.53

가 치 평균값

0.31 -0.03 0.70 0.32 0.20 0.36 0.44 0.52 0.62

20m 역상 계

0.77 0.81 0.57 0.75 0.69 0.67 0.35 0.70 0.69

도보이동 상 계

0.51 0.48 0.69 0.50 0.48 0.48 0.23 0.55 0.59

가 치 평균값

0.58 0.57 0.68 0.57 0.54 0.53 0.26 0.59 0.63

20m 역상 계

0.95 0.96 0.74 0.92 0.79 0.76 0.73 0.66 0.69

도보이동 상 계

0.74 0.71 0.24 0.74 0.78 0.68 0.55 0.52 0.52

가 치 평균값

0.91 0.90 0.51 0.90 0.85 0.78 0.69 0.64 0.65

20m 역상 계

0.75 0.74 0.49 0.73 0.72 0.68 0.60 0.55 0.53

도보이동 상 계

0.68 0.61 0.54 0.66 0.71 0.73 0.65 0.59 0.57

가 치 평균값

0.71 0.66 0.52 0.69 0.72 0.72 0.64 0.58 0.56

20m 역상 계

0.47 0.37 0.62 0.89 0.81 0.67 0.62 0.62 0.62

도보이동 상 계

0.51 0.48 0.63 0.55 0.64 0.64 0.67 0.64 0.63

가 치 평균값

0.56 0.49 0.72 0.84 0.84 0.76 0.74 0.73 0.72

20m 역상 계

0.03 0.37 -0.02 -0.02 -0.24 -0.31 -0.30 -0.23 -0.09

도보이동 상 계

0.43 0.39 0.49 0.52 0.50 0.43 0.41 0.44 0.46

가 치 평균값

0.35 0.46 0.38 0.40 0.29 0.21 0.19 0.25 0.33

[표 5] 보행량과 공간구조와의 상 계

3) 가 치 평균값

경성 의 경우, 가 치 평균값도 동일하게 체통합

도와의 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국

부통합도(R=7)이 높게 나타났다. 체통합도와 국부

Page 10: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Vol.10 No.1102

통합도(R=7) 이외에 다른 국부통합도의 값은 유의

한 수치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경성 는 보행량이

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R=7)과 련성이 높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서 , 동아 , 동의 , 부경

의 경우, 모두 국부통합도와의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아 와 부경 의 경우 국부통합도

(R=2), 국부통합도(R=3)이 각각 0.90, 0.85 / 0.84,

0.84의 높은 수치가 나타나 이와 련성이 매우 높

다고 볼 수 있다. 부산 의 경우, 공간구조 명료도

는 간치의 수치를 가지지만 가 치 평균값을 봤

을 때, 다른 어떠한 유의한 도 찾지 못하 다.

4-1-2. 가 치 보행량과 통합도와의 측모델

[표 6]에서 분석한 공간구조와 보행량과의 상 계

를 바탕으로 이들의 산 도를 그려 통합도와 얼마

나 상 계를 가지는지 보고자 하 다. [표 3]는

각각의 학교에 한 가 치 평균 보행량 값과 체

통합도, 국부통합도와의 상 계를 나타내는 그래

이다. 보행량을 로그(log)로 치환하 고, 체통합

도와 국부통합도와의 계에서 측모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측모델을 분석한 결과, 부경 의 국부통합도(R=3)

가 77%로 가장 높은 측력을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동아 의 국부통합도(R=3)이 56%로 유의

한 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그러나

부경 와 동아 를 제외한 다른 학교의 측 모델

력은 양호한 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부산

의 경우, 공간구조 명료도는 간정도의 수치를 가

지지만, 통합도와의 상 계나 측모델이 하

게 떨어지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다른 환경 요인

의 작용 가능성을 염두해 본다.

체통합도 국부통합도

y = 1.7026x + 1.002/ R² = 0.4455

y = 0.1202x + 1.8263/ R² = 0.0293

y = 1.3549x + 0.8377/ R² = 0.2604

y = 0.5469x + 1.0214/ R² = 0.3951

y = 3.6834x - 0.8205/ R² = 0.2825

y = 1.7824x - 1.3994/ R² = 0.5609

y = 0.4233x + 0.9576/R² = 0.1599

y = 0.4144x + 0.6363/ R² = 0.3971

y = 0.7106x + 1.1052/ R² = 0.4656

y = 0.5926x + 0.8988/ R² = 0.7694

y = 0.6268x + 1.3357/ R² = 0.1752

y = 0.1897x + 1.5853/ R² = 0.0812

[표 6] 보행량과 통합도와의 산 도

Page 11: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한 연구

DID 논문집 통권 제14호 10권 1호103

4-2. 보행량 측모델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

4-2-1. 버스정류장과 보행량과의 계

장조사 결과, 보행량이 공간구조 요인 외에도 다

른 환경요인에 향을 받고 있음이 악되었다. 그

에서도 버스정류장에 치해 있는 축선들이 승하

차 보행자들에게 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버스정

류장의 치와 보행량이 어떠한 계를 가지고 있

는지 보고자 하 다.

각 학교의 버스정류장과 조사한 축선과 연계되어

있는 곳을 찾아 버스정류장에 의해 보행량이 어떠

한 향을 받고 있는지 측해 볼 수 있었다. 부경

를 제외한 나머지 5곳의 학 캠퍼스 버스정류장

의 치를 분석하여 축선과 비교해 보았을 때, 경성

의는 가장 통합도가 높은 131번 축선에 버스정류

장이 치해 있었다. 동서 의 경우도 통합도가 가

장 높은 3번 축선에 버스정류장이 치해 있었으며,

동의 도 가장 통합도가 높은 11번 축선에 버스정

류장 두 곳이 치해 있었다. 동아 는 통합도가 가

장 높은 57번 축선에 버스정류장이 치해 있었으

며 134번 축선과 103번 축선은 버스정류장과 근

해 있었다. 이에 향을 받아 통합도가 상 으로

낮은 축선임에도 불구하고 보행량이 많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부산 의 경우, 46번 축선과 38번 축선

에 버스정류장이 근 해 있어 보행량에 향을 주

고 있음을 측해 볼 수 있었다.

경성 , 동서 , 동의 경우에는 가장 통합도가

높은 곳에 버스정류장이 치해 있으므로 체

측값에는 크게 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동아 와

부산 는 버스정류장의 치로 인해 보행량과 공간

구조와의 분석에 있어서 변수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단된다.

4-2-2. 주변상권․편의시설과 보행량과의 계

공간구조와 보행량과의 상 계가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부산 와 경성 를 심으로 주변상

권으로부터 어떠한 향을 받고 있는지 분석해 보

았다. 부산 와 경성 주변은 부산지역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학로가 있는 지역으로서 유동인구가

많으며, 주변에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여러 문화

시설과 교통시설이 있어 보행자들에게 편의를 주는

동시에, 캠퍼스의 공간구조도 이러한 외부환경의

향을 받지 않나 라는 가설 하에 그 계성을 좀 더

면 히 살펴보고자 한다. 경성 는 조사된 15번의

축선은 인문 과 신학 을 가기 한 길로, 학생식

당이 이곳에 치해 있어 편의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로 인해 보행량이 높은 것으로 상

이 되었다. 한 학교 심에 빌라 이 형성되어 있

는데, 빌라 을 심으로 인문 와 자연 가 구분되

어 있어 인문 에서 자연 쪽으로 이동하기 해서

는 44번 축선 구간을 통과해야 한다. 보행자들은 반

드시 이 길을 통과해서 다녀야 하기 때문에 44번의

축선에서 많은 보행량이 측정되었다.

부산 는 부산 최 의 학로가 형성되어 있는 지

역으로, 동, 서, 남, 북 모든 지역이 주변 상권과 연

결되어 있는 길이 있다. 통합도는 떨어지지만, 높은

보행량이 측정된 125번과 183번 축선의 치를

악해 보았을 때, 125번 축선의 경우 인사 가 집

되어 있으며 맞은편 은행이 치해 있고, 이곳의

ATM기계(10개)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보

행량이 높은 것으로 단되어 진다. 183번 축선은

경우에는 카페와 식당이 치해 있어서 그곳을 이

용하는 이용자들로 인해 보행량이 높게 측정된 것

으로 악이 된다. 지리 인 측면에서도 도심에

치한 부산 는 캠퍼스 외곽부분의 반이 시가지와

도로로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 부터의 보행자 유입

과 학생들의 이용률이 변수로 추정된다.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구조 분석과 측모델을

통해 상 성이 떨어지는 곳의 원인을 분석해 보았

을 때, 다른 환경요인으로 인해 보행량이 상당한

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캠퍼스의

보행량과 공간구조와의 상 성을 악하려면 공간

구조 뿐만 아니라, 여러 환경요인을 함께 분석을 해

야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ge 12: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Vol.10 No.1104

5. 결론

본 연구는 캠퍼스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고 캠퍼스

내의 보행량을 찰하여 공간구조와 통행량의 계

를 분석하여 측모델을 만들고, 측모델에 향을

미치는 환경 인 요인에 해 분석하 다. 본 연구

의 주요 결과와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간구조 속성과 캠퍼스 내 보행량 패턴에

한 상 성 분석결과 보행량은 공간구조의 국지

인 공간의 통합성, 즉 국부통합도와 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m 구간과 보도이동의 가 치

평균값과 국부통합도와의 상 계를 살펴보았을

때, 국부통합도(R=2)와 국부통합도(R=3)일 때 가장

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보행량 측정

방법에서 특정구간을 지나가는 보행자와 도보이동

게이트 통과 방식 두 가지로 조사하 을 때, 도보이

동 게이트 통과 방식보다 20m 역 통과 보행량

측정 방식이 국부통합도와의 련성을 도출함에 있

어 높은 측력을 나타내었다.

두 번째, 캠퍼스 공간의 명료도의 경우 부경 가 가

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것은 계획된 격자형

태의 캠퍼스 구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좀 더

다양한 지리 특성을 가지는 캠퍼스 공간의 명료

도 분석 연구가 추가 으로 필요하다고 단된다.

세 번째, 가 치 보행량과 통합도와의 계와 측

모델을 살펴볼 때, 부경 의 국부통합도(R=3)의 값

이 77%로 가장 높은 측값을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동아 의 국부통합도(R=3)의 값이 56%로

유의한 측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부

경 의 경우, 평지에 치한 학교로써 지리 인 요

인을 받지 않기 때문에 높은 측력 값을 가진 것

으로 분석 되었다.

네 번째, 캠퍼스 내 보행량에 향을 미치는 환경

인 요인으로서 버스정류장이 보행량에 어떠한 향

을 미치는지 측할 수 있었다. 경성 , 동서 , 동

의 경우에는 가장 통합도가 높은 곳에 버스정류

장이 치해 있으므로, 체 측값에는 크게 향

을 미치지 않았으나, 동아 나 부산 의 경우 버스

정류장의 치로 인하여 보행량과 공간구조와의 분

석에 있어서 변인요인으로 작용하 음을 알 수 있

었다. 한, 주변상권과 편의시설에 의해서도 보행

량이 향을 받고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여 향후 캠

퍼스 구조와 보행량과의 상 계를 분석하고자 할

때, 이러한 환경요인을 고려하고 축선을 도출해야

더욱더 정확한 데이터 값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결론

을 얻었다.

본 연구는 캠퍼스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분

석을 통해, 좀 더 근 한 공간이용 측모델을 만들

고자 노력하 으며, 부분 으로 측력이 떨어지는

이유에 한 환경 인 요인의 향을 악하 다는

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고 볼 수 있다.

연구의 본 목 은 학캠퍼스 내부공간구조와 보행

량과의 순수한 상 계를 알아보고자 함이었다. 그

러나 학캠퍼스 주변 환경이 캠퍼스의 치와 여

건에 따라 다양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

발견되어 측모델의 한계 으로 남는다. 이에 향후

외 요인을 고려한 계성 분석연구가 계속 진행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 요인과 공간구조

와의 상 계를 정량 으로 분석하기 해, 향후

측모델 개발시 설문조사와 환경시설 이용빈도 조

사를 함께 포함한다면 더욱 높은 측력있는 분석

모델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Page 13: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

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 계에 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분석에 한 연구

DID 논문집 통권 제14호 10권 1호105

참고문헌

∙김 욱. (2003). Spac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속

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 련성 연구. 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8(4).

∙김 수. (2007) 학 캠퍼스 주변지역 가로 공간

개선에 한 연구. 인하 학교 출 부.

∙류상구. (2003). 캠퍼스내의 보행공간 확보 방안에

한 연구. 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6).

∙윤용우, 김 욱, 박 기. (2005). 물리 인 거리와

공간깊이가 공간인식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한건축학회계획계 논문집, 21(5).

∙장동국. (2004). 공간구문론에 의한 주거지역의 공

간침입범죄 해석에 한 연구. 한건축학회계획

계 논문집, 20(3).

∙장동국. (2004). 도시공간구조와 공간이용. 한국

토 도시계획학회지, 39(2).

∙정찬희, 최무 . (2010). 근성 인자가 고려된

Space syntax 모형의 보행량 분석. 한국토 도

시계획학회지, 45(5).

∙진 배, 김 욱, 이낙운. (2006) 국립박물 의 기

능변화와 공간구성 특성에 한 연구. 한건축

학회계획계 논문집, 22(8).

∙최윤경, 민병호. (1998). 공간구조와 학습이 길찾

기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한건축학회논

문집, 14(7).

∙최재필, 백승호. (2002). 공간구조와 길 찾기 효율

성의 상 계 분석. 한건축학회계획계 논문

집, 18(7).

∙최재필. (2002). 이기완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범죄

취약공간 해석에 한 연구. 한건축학회논문

집, 18(3)

∙황동근. (2010). 강원 학교 춘천캠퍼스와 주변

부의 공간구조 변화에 한 연구. 강원 학교

출 부.

∙Hilier, Bill & Hanson Julienne.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iller, B., Penn, A., Hanson, J., Grajewski, T.,

& Xu, J.(1993). Natural Movement: Or,

Configuration and Attraction in Urban Pedestrian

Move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0.

∙Hiller, B. (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ge 14: 대학 캠퍼스의 공간구조와 보행량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vrrc.net/wordpress/wp-content/uploads/2015/07/joural.221... · 2015-07-23 · 대학 캠퍼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