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1)‹ 재철... · 2017-01-09 · 장소로서 학교시설의...

23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4, pp. 303~325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 1) 신 재 철(전남대학교) ** 2) 박 선 형(동국대학교-서울) 박 수 정(안양대학교) *** 3) 전 제 상(경주대학교) 요 약 이 연구는 학교시설이 학교교육의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적 기능을 어느 정도 발휘 하고 있는 지를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교사의 의견수렴, 전문가협의회 등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6개 진단영역(기능성, 지원성, 심미성, 자원성, 건강성, 안전성), 12개 진단요소(접근성, 공간성, 활용도, 자원의 구비설비활용, 미학성, 외관성, 시설설비의 상태, 실내환경 위생, 실내 설비정비, 사고대책, 노후화대 , 방범대책), 120개 진단지표로 학교시설 진단도구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주제어] 학교시설, 진단도구 I. 서 론 학교시설은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한 구성과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 등을 통하 여 교육활동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하나이다. 학교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시설 개선 계획도 중요 요인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학교시설 요인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결과들 이 보고되고 있다(김영철박영숙, 2001; Lyons, 2001; Picus, 2005; OECD, 2005). 이러한 * 이 논문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신재철박선형박수정전제상(2009)이 수행한 <학교시 설의 환경 진단 및 교육효과 측정 기준 개발 연구>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제1저자 ***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24-Feb-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4, pp. 303~325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1)

    신 재 철(전남대학교)**2)

    박 선 형(동국대학교-서울)

    박 수 정(안양대학교)***3)

    전 제 상(경주대학교)

    요 약

    이 연구는 학교시설이 학교교육의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적 기능을 어느 정도 발휘

    하고 있는 지를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교사의 의견수렴, 전문가협의회 등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6개 진단영역(기능성, 지원성,

    심미성, 자원성, 건강성, 안전성), 12개 진단요소(접근성, 공간성, 활용도, 자원의 구비⋅설비⋅

    활용, 미학성, 외관성, 시설⋅설비의 상태, 실내환경 위생, 실내 설비정비, 사고대책, 노후화대

    책, 방범대책), 120개 진단지표로 학교시설 진단도구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주제어] 학교시설, 진단도구

    I. 서 론

    학교시설은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한 구성과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 등을 통하

    여 교육활동에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하나이다. 학교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시설 개선 계획도 중요 요인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학교시설 요인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결과들

    이 보고되고 있다(김영철⋅박영숙, 2001; Lyons, 2001; Picus, 2005; OECD, 2005). 이러한

    * 이 논문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신재철∙박선형∙박수정∙전제상(2009)이 수행한 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제1저자*** 교신저자

  • 304 敎育行政學硏究

    학교시설 관련 선행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육과정 운영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과별 교수학습 공간 유형과 규모, 교사의 수업 준비 및 협의 공간과 편의시설, 시설

    공간 구성 방식과 설계, 교실의 조도, 색상, 온도, 환기 등이 지적되고 있다.

    그간 정부는 학급규모 감축 사업, 교육환경개선사업 등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막대

    한 규모의 재원을 투자해 왔다. 교육환경개선사업은 1990년부터 5년 단위로 3단계에 걸

    쳐 추진되었고, 최근 정부는 교육환경개선사업에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매년 7,000억

    원씩 총 3조 5,000억 원을 투입하여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이와 같이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학교시설 개선사업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이며, 그 성과가

    교육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에 향

    후 교육시설 투자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교시설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와 학교시설 개선의 효율성과 효과성 등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

    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가장 기초적인 단계라 할 수 있는 학교시설에 관한 평가기준이

    종합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학교시설이 학교교육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적 기능을 어느 정도

    발휘하고 있는 지를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탐

    구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단위학교의 시설을 진단해야

    하는 이유와 필요성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시설의 진단과 관련한 국내⋅외 선행 연구결

    과의 내용은 무엇이고, 그 연구결과들이 우리나라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에 주는 시사

    점은 무엇인가? 셋째, 학교시설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

    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시설

    의 교육적 중요성과 개념 및 의의, 그리고 구성요소와 법적 기준을 분석하였다. 둘째,

    학교시설 진단을 위한 필요성을 논하고, 국내⋅외 학교시설 진단 및 평가와 관련된 선

    행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영국과 일본의 학교시설 진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접근 모

    형, 내용과 범위, 분석방법과 절차, 측정기준, 주요 결과 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셋째, 학교시설을 진단하기 위해 초·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공통적인 진단

    도구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장교사의 의견수렴, 전문가협의회 등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는 학교시설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 자료, 관련 법령, 교육과학기술

    부 정책자료, 시⋅도교육청 관련 자료 등을 수집⋅분석하였다. 학교시설 진단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결과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진단도구 개발에 활용하였다. 둘째, 학

    교시설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 교원들의 의

    견을 수렴하였다. 연구진이 개발한 학교시설 진단도구의 초안을 초·중·고교의 교원 36명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05

    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최종 진단도구 제작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학교시

    설 진단 기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회의를 수차례 개최하여 그 의

    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는 각종 문헌과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시설에 대한 진단도구를 개발

    하였다. 그런데 이 진단도구가 타당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교육 및 건축 전문가,

    교원,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관련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전문가와 교원의 의견만을 반영하였는데, 이는 진단도구가 전문가용, 즉 학교

    시설 전문가들이 직접 조사하고 응답하도록 개발한 것이기 때문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시설 및 환경 진단의 의미와 필요성

    ‘학교시설’의 개념은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학교시설이란 학교의 목

    적을 달성하고 교육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물적 조건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있다(김영철 외, 1989; 김종철, 1985; 장석민, 1989).

    이 연구에서 학교시설은 ‘학교의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비, 활용, 관리되는 물

    리적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시설’과 관련되는 용어로 ‘설비’가 있다.

    통상 시설(facility)이 고정된 건축물을 의미한다면 설비(equipment)는 이러한 건축물에

    부대하는 장비를 의미하며, 시설에 설치되는 기구, 기계, 전기, 난방, 냉방 등을 가리킨

    다. 그러나 두 개념은 엄밀하게 구분되지 않는 측면이 있으므로 ‘시설⋅설비’로 함께 사

    용하는 경우가 많고, 시설의 개념 속에 설비를 포함하여 논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학교시설은 교육활동이 전개되는 교육의 장(field of education)으로서 교육적 행위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를 촉진하는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학생에게

    는 학습과 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이며, 교사에게는 직무를 수행하는 공간이다. 학교는 행

    정기관과 함께 지역사회의 표지물(landmark)이 되기도 하며,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함

    께 사용할 수 있도록 점차 개방되는 추세에 있다.

    학교시설 구비에 관한 법적 근거는 교육기본법(법률 제8915호)의 제12조 2항과 동법

    제16조 1항에 두고 있으며, 초⋅중등교육법(법률 제8917호)의 제4조 1항,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설립·운영 규정(대통령령 제20740호), 학교보건법 제4조, 학교보건법시행규칙

    (교육과학기술부령 제12호) 등에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각급학교의 필수적

    인 시설은 교사(校舍), 체육장, 교지(校地)이며, 각급학교에는 학과 또는 교과별로 필요한

  • 306 敎育行政學硏究

    도서, 기계, 기구 등의 교구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에 필요한 실험·실습시설과

    급수시설, 온수시설은 필수적이며, 문화 및 복지시설, 생활체육시설, 평생교육시설 등의

    복합시설을 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 영국과 미국 등의 선진외국과 국내 교육계는 학교환경의 교육적 중요성을 인식

    하고 학교교육 환경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재정 투자와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현주 외, 2007). 그동안의 환경설계 연구는 건축학적 시각에서 학교건물의 열 손실

    및 소음방지와 같은 측정가능한 객관적 지표 개선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학교의 다양한 물리적 환경(공간성, 접근성, 교육자원의 활용성, 심미성 등)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비가시적인 교육효과(학습력 향상/손실, 정서안정/불안, 신체발달 촉

    진/저해 등)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교육환경 설계 연구는 막연히 ‘최신 학교건물은 오래된 학교건물보다 에너지

    효율성’을 갖추었고, ‘현대적인 학교건물이 전통적인 학교건물보다 환경친화적’이기 때문

    에 전자는 후자보다 광범위한 교육효과성을 가질 것이라는 상식적인 믿음에 근거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최신의 현대적 건물’과 ‘좋은 건물환경’은 상호독립적인 별개

    의 개념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자는 후자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낡

    고 전통적인 건물이라 하더라도 좋은 교육환경은 얼마든지 제공될 수 있다.

    학교조직은 경제논리에 의해서 설계되는 영리추구 조직과 다르게 다양한 매개변인(지

    역사회의 관심, 가정환경적 요인, 인지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적 봉사조직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학교환경 설계와 이에 대한 진단기제는 교육이

    해당사자의 다양한 관심과 교육환경적 변인 및 교육행정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문제는 관련 학계의 학회담론이나 선행연구 결과에 있어서 좋은 학교의 물리

    적 환경의 구성내용은 무엇인지,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학교환경은 어떻게 구축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결여되어 있다는 데 있다. 국내의 학교건축물과

    관련된 설계기준은 1996년 ‘학교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건설교통부 고시 제

    1996-160)과 2005년도부터 건설교통부와 환경부가 공동 운영⋅실시하여 학교시설에 적용

    되고 있는 ‘건물의 환경성능 인증제도’가 전부라고 할 수 있다(노상우ㆍ김창범, 2009). 이

    러한 환경기준은 에너지 절약, 토지이용, 교통에너지ㆍ자원과 환경 부하, 생태환경, 실내

    환경 등에 관한 기준만을 다루고 있어 학교환경의 종합적인 측면을 진단하기에는 부족

    한 평가지표라고 볼 수 있다. 향후 교육환경 개선 사업을 위한 교육재정 투입의 비용 효

    과성 향상과 학교시설 환경의 교육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육환경 설계와 운영

    내용의 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영국의 건축ㆍ건물환경 설계 평가위원회(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07

    Environment: 이하 CABE)의 권고안에 입각하여 Feilden(2006: 99)이 제시한 좋은 학교

    설계의 핵심 원리는 다음과 같이 학교환경 진단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참조적 기제를

    제공해 준다. 첫째, 건물은 좋고 명료한 조직과 판독이 쉬운 계획 및 완전한 접근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 건물은 일정 비율로 잘 할당되고 능률적이면서 목적에 적합한 공간

    을 가져야 한다. 셋째, 건물은 잘 조직화되어 있고 충분히 여유 있는 순환이 있어야 한

    다. 넷째, 건물은 자연 채광과 환기의 적절한 수준을 포함하는 좋은 환경 조건과 환경

    친화적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건물은 아동과 교직원 및 부모에게 영감을 제

    공하기 위하여 다른 질 좋은 공공건물에서 발견되는 것과 비교되는 매력적인 설계에 입

    각해야 한다. 여섯째, 건물은 공적인 시민건물로서 지역 자부심을 생성하기 위하여 좋은

    부지를 활용하여야 한다. 일곱째, 건물은 적절한 안전과 상이한 환경의 다양성을 제공하

    는 매력적인 외부공간을 가져야 한다. 여덟째, 건물은 광범위한 지역사회 접근과 시간의

    활용을 촉진하는 설계에 입각해야 한다. 아홉째, 건물은 튼튼하면서 획일적이지 않은 재

    료들을 활용해야 한다. 열째, 건물은 물리적ㆍ정보 의사소통 기술 환경의 변화를 위한

    여지를 가져야 한다.

    2. 국내 학교시설 진단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서 학교시설 진단과 관련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학교시설의 성능과 재건

    축, 친환경 건축물 인증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김영훈·김승재(2004)의 학교시설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는 서울시 12개 교육청별 두 개 학교, 총 24개교를 대상으로 교지

    계획, 배치계획, 평면계획, 건축계획적 평가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계획에 대한 교육

    기능 수행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으로서 교지계획은 안전한 환경, 문화적 환경,

    주변 통학 환경을, 배치계획은 건물배치, 동선, 외관, 지역개방, 주차계획, 외부공간을,

    평면계획은 기본사항, 보통교실, 특별교실, 지원시설, 체육관, 휴식공간, 식당, 승강구, 화

    장실, 교직원 관계실, 보건실, 창고 등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건축물의 개축과 보

    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건축계획부분의 평가를 다양한 교육방법에 대응하는 학교시

    설, 풍요로운 교육환경으로서 학교시설, 지역사회에 있어서 학교시설, 향후 교육환경 변

    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교시설의 네 가지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오병욱·이재훈(2004)의 초등학교 리모델링 대상판정을 위한 건축계획적 평가지표 개발

    연구는 학교시설 현황과 시설물의 구조적 성능 및 안전성, 노후 정도에 대한 건축계획

    적 측면에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시설물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 모형을 제시하였다. 건축계획적 평가지표로는 기능(건물의 용도, 건물과

    관계, 운영방침, 주변 환경, 사용자 요구), 소요공간(공간의 분류, 필요공간, 공간의 성격,

  • 308 敎育行政學硏究

    영역성, 사회적 요구), 동선(동선수단/체계, 단순성, 접근성), 배치(입면요소, 환경요소, 경

    관요소, 설비요소)로 구분하여 진단하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정지나 외(2009)의 학교시설의 친환경건축 인증 사례에 대한 평가결과 비교분석에 관

    한 연구는 2007년과 2008년 상반기 친환경건축물 인증 획득 학교시설들 중 우수 등급을

    획득한 16개 건축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성장기 청소년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는

    장소로서 학교시설의 환경조성은 학생들의 심리적 발달과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

    고, 교실 내의 환경은 건강과 성장 발달에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친환경건축

    인증 평가를 주장하였다. 평가항목은 토지이용, 교통, 에너지, 재료와 자원, 수자원, 대기

    오염, 유지관리, 생태 환경, 실내 환경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3. 국외 학교시설 진단 연구 결과

    학교시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외국에서는 학교시설을 체계적으로 진

    단⋅평가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외국의 사례 가운데, ‘미래를 위한 학교건립’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영국과, 학교시설에 대한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가. 영국의 ‘미래를 위한 학교건립(Building School for the future)’

    학교환경 설계와 진단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는 국가는 영

    국이다. 영국에는 현재 18,000개의 초등학교와 3,500개의 중등학교가 있다. 이중 86%에

    해당하는 학교들(7개 학교 중 6개)이 25년 이상 노후화된 건물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현

    대적인 교육수요와 이해당사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형편을

    감안하여 영국의 교육기능부(the Department for Education & Skills)는 2004년 2월에 3

    백 3십만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는 모든 중등학교를 2020년까지 신축 또는 재건축할

    계획인 ‘미래를 위한 학교건립(Building School for the future: 이하 BSF)’을 발표하였다.

    이는 지난 50년간 영국정부가 실시한 교육수준 개선사업 중 교육이해당사자의 참여범위

    와 교육재정 투자 규모가 가장 큰 사업으로 간주된다. BSF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영

    국정부는 매년 평균 2십 5억 파운드에서 3십억 파운드의 교육예산을 배정하고 있다

    (DfES, 2003).

    BSF는 단순히 학교건물환경 개선을 위한 재정투여 사업이 아니다. 동 사업은 환경친

    화적이면서 최신 ICT를 갖춘 학교건물을 건립하고,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리한 양질의

    학교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적 인성 및 기술적응력을 높이고자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09

    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또한 교사에게는 21세기 시대에 적합한 교수활동 공간을 제

    공하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는 쉽게 이용가능한 지역기반 교육시설을 제공하고자 하

    였다. 따라서 영국 교육기능부는 급변하는 교육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아동

    의 상상력과 최신 기술공학의 진보를 학교건물 설계에 총체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다양

    한 제도적 장치와 합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영국의 BSF는 정책운영 과

    정의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시설 환경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하

    는 평가 전담기구(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이하

    CABE)를 설립⋅운영하고 있으며, 학교건물 설계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진단도구

    (Design Quality Index: 이하 DQI)의 활용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1) 건축ㆍ건물환경 설계 평가기관(CABE)

    CABE는 공공건물과 도시설계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기 위하여 1990년에 정부에 의해

    서 설립된 건물환경 평가 자문기관이다. 동 기관은 정책형성자들이 안전하면서도 능률

    적이고 동시에 심미적인 공공건물을 창조하도록 건물 설계 자문활동을 통하여 전문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그 결과로 일반 대중이 좋은 도시환경과 개선된 시설여건을 실질적으

    로 경험하여 삶의 질적 수준에 만족하게 된다.

    BSF 정책사업의 추진에 따른 학교건물의 설계 수준을 점검하기 위하여 CABE는 영국

    교육기능부의 재정 지원 하에 두 개의 현장 도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교설계

    자문 프로그램(enabling programme)과 학교설계심사단(school design panel: 이하 SDP)

    이 이에 해당한다(CABE, 2006). 학교설계자문가(enabler)는 학교건물 환경 설계에 전문

    성을 갖춘 민간 건축전문가로서 CABE에 의해서 위촉되어 지방자치단체와 학교를 위한

    공동협력체(partnership for schools: 이하 PfS)의 BSF 외주관리 시행에서 학교건물 건립

    을 위한 최종입찰자 선정에 이르기까지 15일에서 20일 정도의 전문 자문활동을 제공한

    다. 반면에 2007년에 설립된 SDP는 BSF 정책사업의 재정지원을 수혜받은 신축ㆍ개축

    고등학교의 설계계획과 입찰 제안서를 공식적으로 평가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SDP의 전

    문가적 의견은 BSF 사업의 중요한 쟁점(예: 사업기획과 학교신축을 위한 최종 입찰자

    선정 등)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최종 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교건물 설계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고자 하는 영국정부의 노력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학교설계과

    정에 다양한 이해집단의 참여를 독려함으로써 학교건물의 양적ㆍ질적 특성을 지속적으

    로 확보하려는 제도적 노력도 기울인다. 이것은 학교용 DQI로 구현된다.

    2) 학교건물 설계의 질 평가지표(Design Quality Index for Schools)

    DQI는 건축산업위원회(the Construction Industry Council: 이하 CIC)가 2002년에 99

  • 310 敎育行政學硏究

    개 문항으로 개발한 건물 설계의 질 평가지표이다. 이는 공공건물의 신축과 재건축 과

    정에서 다양한 수요자의 의견과 선호를 확인하여 건물환경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려는

    평가 도구이다. 이후 DQI는 건설부문에서 학교건물을 포함한 모든 공공건물 쇄신과 신

    축을 위한 설계지표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이에 CIC는 중ㆍ고등학교의 교육환경개

    선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영국 교육기능부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학교만의 건축학적 특

    성을 진단하기 위한 학교용 DQI를 2005년 12월에 개발하였다. 학교용 DQI는 원래 111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나 2008년 113개로 수정⋅확대되었다.

    일반 DQI와 학교용 DQI는 모두 On-line 평가 설문문항으로 구안되었으며, 건물의 준

    비단계에서 건축 및 완공까지 모든 건설과정에서 수요자와 공급자 및 행정지원자의 의

    견수렴을 종합적으로 도모한다. 일반 DQI와 학교용 DQI는 기능성, 건물의 질, 영향력이

    라는 세 개의 평가영역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평가지표의 90%를 공유한다. 또한 건물

    의 유지가능성(sustainability), 예컨대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성

    및 공간의 통합성 등을 세 개 영역에 공통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용 DQI의

    설문 구성은 일반 DQI와 다르게 학교만의 전용공간(교수공간, 강당, 학교운동장, 급식장

    소 등)과 학교와 지역사회의 유기적 관계성을 강조하는 문항들이 추가되어 있다(CIC,

    2005). 중등학교 건물의 질을 혁신하고자 하는 BSF 사업 추진과정에 있어서 학교용 DQI

    작성은 법적으로 필수규정이다(CIC, 2005). [그림 1]은 학교용 DQI의 내용 구성을 나타

    낸 것이다.

    [그림 1] 학교용 DQI의 내용 구성

    DQI에 따르면, 건물 설계의 최우수성은 기능성, 건물의 질, 영향력에 해당하는 각 세

    부요인들이 완전히 충족되면서 각 영역의 효과가 상호 중복적으로 구현될 때 달성된다.

    또한 건물 설계에 있어서 세 영역이 중복되지 않는 건물 설계 부분은 공공건물이 반드

    시 갖추어야 할 기본적 요소로 간주된다. 기본적 요소를 결여한 건물은 정상적인 건물

    로 간주되지 않는다. 세 영역 간에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부분은 건물의 가치를 추가하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11

    는 요인들이다(예: 건물의 시장가치, 건물 거주로 삶의 질 향상 등).

    DQI의 개념적 기제와 구성 내용에 대해서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왜 구성

    영역은 10개이고, 설문문항은 주관적인 느낌을 객관적인 평가지표로 전환시키려 하는

    가?”라는 것이 대표적 예이다(Markus, 2003). 상이한 외부사물이나 다양한 현상을 체계

    적으로 확인⋅진단하기 위하여 우리는 개념적 범주를 통상 활용한다. 개념은 현상에 대

    한 일반적 지식으로서 가변적이다. 이는 확실한 보편적 원리나 절대적 법칙이 될 수 없

    다. 일반적으로 개념 정의는 해당 개념과 관련된 구성원들의 공통된 합의가 전제된다.

    Prasad(2004)에 따르면 DQI의 10개 영역은 건물설계의 질적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공통요인으로써 관련 학계나 전문가들의 광범위한 합의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DQI가 건축환경 설계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수요자와 공급자 및 이해당사자의 다양

    한 역할을 촉진하기 위한 평가도구라고 주장한다. 또한 DQI는 건물환경 조건에 관한 사

    람들의 주관적 의견을 단순하게 문의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합의한 건

    물환경의 중요한 ‘사실적 구성요인들(조명, 공간의 활용성 등)’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 정

    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건물설계의 질을 결정하는 것은 건물의 물리적 환경 구축

    여부가 아니라 건축이 사회와 개인에게 미치는 전체적 효과이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DQI는 설계와 건축 및 건물의 활용에 있어서 관련된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의 공유영역(interface)라고 할 수 있다. DQI는 건물환경 설계 진

    단도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서 2006년부터 인가 협정 하에 미국에서도 사용되고 있으

    며, 미국 온라인 버전은 2008년 10월 20일부터 운영되고 있다(http://en.

    wikipedia.org/wiki/Desgin_Quality_Indicator).

    나. 일본의 학교시설정책과 평가

    1) 일본의 학교시설정책

    일본의 학교시설정책은 교육기본법에 바탕을 두고 발표된 교육진흥계획과 학교시설정

    비지침을 기본으로 하여 진행되고 있다. 2007년에 개정된 교육기본법에 정부의 교육진

    흥계획 수립 의무가 규정되었고, 문부과학성은 2008년 7월 1일 교육진흥계획을 발표하

    여 교육의 기본방안과 세부시책을 제시하였다. 교육진흥계획의 기본방향은 크게 네 가

    지로, ①사회 전체 차원에서 교육의 향상을 위한 조직의 구성, ②개성을 존중하고 능력

    을 북돋우어 개인으로서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교육함, ③교양과 전

    문성을 겸비한 지성이 풍부한 인간 양성으로 교육하여 사회발전에 기여하게 함, ④아동

    의 안전과 안심을 확보하는 동시에 질 높은 교육환경을 정비함이다(文部科学省, 2008).

    이 가운데 교육환경 개선과 정비에 관한 항목과 관련한 것으로는 ‘학생의 안전 확보

  • 312 敎育行政學硏究

    와 함께 질 높은 교육환경을 정비함’이라는 기본방향이 중심이 되는데, 그 세부 항목으

    로는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교육환경의 실현, 질 높은 교육을 달성할 수 있는 환경

    정비, 사립학교의 교육연구 진흥, 교육기회의 균등 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학교시설정책은 기존의 학교시설을 진단⋅평가하고 개선하는 학교시설설비 개선대책을

    통해 학생의 학습력과 생활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일본 학교시설설비 개선대책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되는데, 특히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학교시설 점검에 대한 항목을 강화하고, 인성계발과 범죄예방 등 심리적 측면

    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학교시설설비 개선대책은, 첫째 쾌적한 교실환경을 만들고

    장애·학습부진 등 특별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을 배려하기 위해 시설설비지침에 의하여

    최소한의 학습환경을 확보하도록 노력할 것, 둘째 지진, 태풍, 호우 등 자연재해 시 피

    난처로서 학교의 기능을 강조하는 등 지역사회의 거점으로서 학교기능을 강화할 것, 셋

    째 학교의 나무심기 확대, 동물사육 실습장 설치, 공기정화장치 설치, 에너지를 절약하

    도록 설계된 생태학교(eco-school) 사업의 확대 등을 통하여 인성계발을 위한 자연친화

    적 학습환경을 추진할 것, 넷째, 범죄예방 등을 통해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환

    경을 만들 것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文部科学省, 2007. 7a; 2007. 7b; 2004. 1).

    문부과학성은 초⋅중등학교, 도서관, 스포츠⋅문화시설 등의 지역 공동체거점 형성 및

    대학 시설의 우수한 인재양성과 학술연구 거점 형성의 일환으로 학교(학습)시설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학교시설정책은 ‘새로운 시대의 학습시설 지향’의 목표 아래, ①쾌적한

    학습환경 조성, ②학교시설의 안전성 확보, ③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교육·연구환경

    구축 등의 세 가지 사항에 중점을 두고 전개된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학습시설을 만들기 위한 학교시설정비지침 책정, 지역거점으로서 학교시설의

    내실화, 학습시설의 벽 허물기 운동(学校施設のバリアフリー化)과 생태학교 정책 추진,

    옥외 교육환경시설 내실화, 학교시설의 목재활용방안, 쾌적하고 풍요로운 학습시설 만들

    기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덧붙여 학교시설의 내진화, 학교 방범대책, 환경대책 등

    학습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시설정책은 일본의 지리적 특성상 지진과 태풍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여

    주민이 안심하고 대피할 수 있는 공용자원으로서 안전한 학교시설을 유지하기 위한 학

    교시설 점검 항목의 강화, 여러 가지 처방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고 있는 학생의 부

    등교(不登校)를 해결하고 풍부한 심성을 가진 인간으로 학생의 인성을 계발하는 전인 교

    육적 측면에서 학교 역할의 재정립, 학부모가 안심하고 학교에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범

    죄예방과 방범 등 심리적⋅물리적 안전성의 확보 등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학교시설정비지침 등에서는 학교는 학생의 생활 터전이기 때문에 쾌적한 교실

    환경을 제공하고 심리적으로도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가고 싶은 학교’를 만드는 것을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13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학교는 지진⋅태풍⋅호우 등 자연재

    해시 지역주민의 피난처로 제공되고 있어서 학생만이 이용하는 시설이 아니라 주민 전

    체가 이용하는 공동의 시설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학교는 학생은 물론 주민의 접근

    성을 확보하고 지역사회의 거점으로서 그 역할을 성실히 담당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2) 일본의 학교시설평가

    문부과학성은 학교시설정비에 관한 각종 사업들을 실시하는 한편, 이에 대한 평가보

    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학교시설평가 본연의 자세에 관하여(学校施設の評価

    の在り方について: 学校施設の改善のために)’(이하 '학교시설평가 보고서'로 지칭)는 학교

    시설 진단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연구이다. 즉 문부과학성은 학교시설정비지침과 관련하

    여 최근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앞으로 학교시설정비의 적절한 기준을 정한다는

    취지 아래 ‘학교시설 정비지침 책정에 관한 조사연구협력자 회의’를 구성하고, 학교시설

    평가 보고서를 2009년 3월에 발간하였다.

    문교시설기획부 시설기획과에서 담당한 이 조사연구는 바람직한 학교 시설설비, 학교

    시설 정비지침의 책정, 기타의 세 가지 부분으로 조사사항을 구분하였고, 전문가의 협력

    을 얻어 조사연구 항목에 따라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관련 전문가는 학교시설정비지

    침 책정에 관한 조사연구협력자 23인, 학교시설정비지침 책정에 관한 조사연구 학교시

    설 평가체제 검토부회 14인, 학교시설 평가체제 검토부회에서 설치한 실무위원회, 실시

    현황조사 실무위원 8인, 평가방법 실무위원 8인 등으로 구성하여 2006년 6월 29일부터

    2008년 3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文部科学省, 2009).

    학교시설평가 보고서에서는, 학교시설은 기본적 교육조건의 하나로서, 학생들이 하루

    를 보내는 생활터전이기 때문에 교육수준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였다. 특히 학교가 지역공동체로서 역할을 하는 한

    편 각종 재해 시 주민의 대피시설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하였다.

    이러한 학교역할의 중요성은 물론, 2007년 학교교육법 개정과 2008년 학교평가 지침

    (guideline)의 개정에 기반하여 일본은 학교평가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학교평가를 시

    행하면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양질의 교육환경을 확보할 수 있고 문제해결에 대한 정보

    공유 등을 통해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의 연계체계를 개선할 수 있으며, 학교시설을 효

    율적⋅효과적으로 정비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교시설평가 보고서는 학교의 시설평가를 상태면과 운영면의 평가, 일정 수준에 도

    달했는지 여부를 보는 기준적합성평가와 개별항목설비평가, 시설에 관한 객관적·정량적

    평가와 주관적·정성적 평가 등으로 구분하여 그 장⋅단점을 고찰하였고, 학습환경과 생

    활환경 등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시설의 이용자나 학부모로부터 평가받아야 한다는 점과

  • 314 敎育行政學硏究

    필요에 따라 각 분야의 전문가를 적극 활용하여 평가해야 한다는 점, 유치원과 고등학

    교, 특수학교는 특별히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에

    국립교육정책연구소 문교시설연구센터는 2007년 11월에 각 교육위원회와 공립 소학교와

    중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시설평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조사에

    서 수집된 ‘학교평가지’로부터 시설평가와 관련된 주요 항목을 추출하였는데, 학교들은

    안전성(내진화, 재해대책, 방범대책, 방재대책 등), 쾌적성(환경위생, 벽 허물기 운동 등),

    학습활동의 적절성(학습내용과 형태에 대한 적절성, 설비의 적절한 활용 등), 환경에 대

    한 적응성(자연환경과 공생, 환경부담의 감소 등), 경제성(효율적 정비, 유지비용 등)과

    관련한 부분을 점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시사점

    국내⋅외 학교시설 진단과 관련한 연구 결과들이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및 관련 정

    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학교시설을 진단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주

    로 건축학적 관점에서 분석되었으며, 학교시설 환경이 교육적 기능의 관점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에 관한 연구는 김영훈·김승재(2004)와 오병욱·이재훈(2004)를 제

    외하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시설은 학교교육 목적 달성을 위한 조건이라는 관

    점에서 이들의 시설환경이 교육적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종합적인 진

    단평가가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시설이 단위학교 목적 달성을 위한 관련

    법령을 어느 정도 준수⋅확보하고 있는 지에 대한 국가 차원의 종합적 진단 평가가 요

    구된다.

    영국의 학교시설 진단 연구에서 학교건물은 다른 중요한 기타 공공건물 못지않게 중

    요한 공적 재산으로 간주되고 과감한 재정투자와 과학적인 관리⋅분석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영국의 BSF가 우리의 교육환경사업과 다른 점은 단순히 노후화된 학교건물을 신

    축ㆍ재건축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단위의 다양한 관리주체와 시장 경쟁의 논리 활용 및

    과학적인 건물설계 분석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BSF는 정부

    조달 외주관리(procurement)의 형태로서 관ㆍ산ㆍ민의 협력체계에 의하여 중앙집권적

    차원(Top-down)이 아닌 분권적 차원(Bottom-up)에서 실시되고 있다. 학교건물 신축의

    입안과정에서 제안서 작성(학교비전 설정과 사업계획 제시), 전문평가자의 제안서 심사,

    건축사업자 선정을 위한 홍보, 학교설계자문가와 학교설계 심사단 운영, 설계심사를 위

    한 중앙정부의 행ㆍ재정적 지원, 지역교육협력체제 구축 등 BSF 운영을 위한 과학적인

    경영협력체제의 구체적 내용을 우리의 교육환경개선사업의 향후 개선을 위한 참조기제

    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영국의 CABE와 학교용 DQI의 성격과 유사하게 학교건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15

    축ㆍ건물 환경설계 평가기관(또는 위원회)의 설립과 학교건물 설계 평가도구 구안을 고

    려해 볼 필요가 있다. 영국에서는 BSF 추진을 신청하는 학교의 건축 설계과정에 다양한

    이해집단(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인사 등)의 참여를 보장하는 학교용 DQI가 학교신축

    과정의 법적 준수사항으로 부과되고 있다. 학교시설개선사업이 의도하고 있는 바람직한

    교육효과를 생성하려면 무엇보다도 학교환경시설 구축과정에 교육수요자(학생, 학부모,

    교사 등)의 요구수준과 상황여건을 적합하게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계과정이 건축

    을 위한 형식적인 방편으로 머문다면 학교건물의 질적 수준은 보장될 수 없을 것이다.

    건축물의 출발점인 설계단계에서부터 과학적인 수요분석과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선호를

    충실히 반영한다면 교육적 산출물로서 ‘좋은 학교환경’은 구축될 것이고, 이는 교육의

    수월성 달성을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학교시설정책은 안전성의 확보와 질 높은 교육환경의 제공을 강조하면서, ‘가

    고 싶은 학교’의 역할과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학교시설의 개선과 평가에 노력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시설평가 보고서는 학교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과 평가의 중요성

    을 보여주는 동시에, 일본의 학교시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보여

    준다. 학교시설 평가의 주요 항목으로 설정된 ‘안전성’, ‘쾌적성’, ‘학습에 대한 적응성’,

    ‘환경에 대한 적응성’, ‘경제성’은 일본의 학교시설이 지향하는 주요 방향과 일치한다. 학

    교시설의 진단을 위한 지표는 결국 학교시설의 개선을 위한 지표가 될 수 있으므로 학

    교시설의 전반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학교

    시설의 각 지표를 상태면과 운영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다는 점은 시설의 ‘구비성’

    과 ‘활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에서 고찰한 국내외 학교시설에 관한 연구와 영국 및 일본 정부의 정책들을 종합

    한 결과는 본 연구의 주 목적인 학교시설을 진단하는 도구 개발에 다음과 같은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준다. 첫째, 국내의 연구들은 학교시설이 교육적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종합적인 진단평가를 요구하고 있으며, 미국 등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영국의 DQI도 학교시설의 기능성 평가를 매우 중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학교시설 평가기준은 평가항목으로 안전성, 쾌적성, 학습에 대한 적응, 환경에 대한 적

    응, 경제성을 설정하였는데, 이들은 학교시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항목들이며, 우

    리나라 학교시설을 평가하는 데에도 매우 필요한 것들이다. 물론 일본의 경우 지진 및

    태풍과 관련된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해 특별히 안전성을 중요시하고 있지만 내진화를

    제외한 안전성과 관련된 내용들은 우리 학교시설의 평가에도 반드시 적용되어야 할 것

    들이다. 셋째, 학교시설은 학생들의 정서발달과 정신건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

    에 학교시설의 구조, 색상, 조명, 장식 등을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감과 심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이나 일본의 학교시설 평가기준

  • 316 敎育行政學硏究

    은 학교시설의 심미적 측면을 평가하는 데 소홀히 하고 있다. 다만 영국의 DQI만이 [그

    림 1]의 영향력 평가의 문항에 일부 반영하고 있으며, 국내의 김기환 외(2001)와 장성준

    외(2003)가 학교시설의 색채가 학교구성원의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면서 학교시설의

    색채관리를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성을 계발하기 위한 전인교육적

    관점에서 학교시설의 진단영역으로 학교시설의 ‘심미성’을 포함시켜 학생들이 ‘가고 싶

    은 매력 있는 학교’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Ⅲ.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1. 학교시설 진단도구

    가. 개발의 준거

    학교시설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진단평가의 준거를 설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

    다. 진단평가의 준거는 진단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의 내용이나 속성을 뜻한다. 진단평가

    의 준거는 진단평가 활동 자체를 결정하는 잣대가 되며, 진단평가 영역에 따라 진단평

    가 기준과 진단평가 요소가 결정됨으로써 평가활동은 일관성을 유지하게 된다. 진단평

    가 영역은 진단평가 대상의 범주(category)를 나타내는 것이며, 진단평가 기준은 진단평

    가 준거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standard)를 의미한다. 또한 진단평가 요소는 평

    가기준의 구체적인 하위 요소(element)를 뜻한다. 따라서 학교시설 진단평가는 학교교육

    의 목적과 목표 달성에 필요한 각종 시설과 설비들이 교육적 기능에 얼마나 부합되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학교시설은 학교의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교육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물적 조건을 포괄한다. 이것은 각종 교육관

    련 법령의 내용을 토대로 출발하지만 학교의 교육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

    한 현실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시설 진단을 위한 평가준거는 선

    행 연구결과와 실제적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해야 한다. 앞의 국내외 연구

    와 영국(DQI) 및 일본의 학교시설 평가기준을 고찰한 결과의 시사점을 종합한 결과를

    반영하여 학교시설 진단평가 준거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먼저, 학교시설에 대한 진단영역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영국의 DQI가 강조

    한 ‘기능성’을 선정하였다. 학교시설의 기능성은 모든 사람이 얼마나 쉽게 학교에 접근

    할 수 있으며, 건물의 방과 공간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학교가 의도된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17

    기능을 수행하여 만족을 주고 있는지를 진단하는 것으로 학교시설에 대한 진단의 필수

    항목이다. 둘째, 일본의 학교시설 평가기준이 적용한 ‘안전성’, 쾌적성을 ‘건강성’으로, 학

    습활동에 대한 적응성을 ‘지원성’으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자원성’으로 개칭하여 선

    정하였다. 셋째, 학생의 정신건강과 정서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묶어 ‘심미

    성’으로 명명하였다. 그리하여 학교시설 진단평가 준거 설정을 위한 영역은 기능성, 지

    원성, 심미성, 자원성, 건강성, 안전성 등 6개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진단영역별 평가기준으로 기능성에는 접근성(접근과 이동의 용이성), 공간

    성(규모와 배열), 활용도(사용의 용이성과 목적 적합성)를, 지원성에는 생활⋅교수학습활

    동 설비, 생활⋅교수학습활동 시설을, 심미성에는 미학성, 외관성을, 자원성에는 시설⋅

    설비의 상태, 시설⋅설비의 운영을, 건강성에는 실내 환경위생, 실내 설비정비를, 안전성

    에는 사고대책, 노후화대책, 방범대책으로 진단평가의 요소를 세분하였다. 학교시설 진

    단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 신뢰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단평가의 영역 및 요소별

    진단관점과 대상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제시되어야 한다.

    나. 진단도구 개발

    개발의 준거에 따라 학교시설 진단평가를 위한 시안을 개발한 후, 초⋅중등학교급별

    현장 교원들을 대상으로 학교시설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학교시설 진단도구

    의 타당성 검증에는 초등학교 12명, 중학교 11명, 고등학교 13명의 현장 교사들이 참여

    하였으며, 검증기간은 2009년 6월 30일부터 7월 11일까지 전자우편(e-mail)으로 진행되었

    다. 현장 교사들은 학교시설 진단도구 초안을 읽고, 각 진단요소에 해당 문항들이 적절

    한지를 5단계 응답척도(A: 매우 우수, B: 우수, C: 보통, D: 미흡 E: 아주 미흡)를 활용

    하여 확인하도록 하였으며, 응답이 C 이하인 경우 해당 문항을 어떻게 수정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개인 의견을 제시하도록 협조를 요청하였다. 이러한 현장교사들의 학교시설

    진단도구에 대한 응답 결과는 초등학교 4.29점, 중학교 4.0점, 고등학교 4.2점이었으며,

    전체적으로는 4.16점이었다(만점은 5점).4)

    학교시설 진단도구에 관한 현장교사들의 의견과 교육 및 건축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

    하여 연구진이 최종적으로 설정한 학교시설 진단도구는 과 같이 6개 진단영역,

    12개 진단요소(접근성, 공간성, 활용도, 자원의 구비⋅설비⋅활용, 미학성, 외관성, 시설

    ⋅설비의 상태, 실내환경 위생, 실내 설비정비, 사고 대책, 노후화 대책, 방범 대책), 120

    개의 진단지표로 구성되었다.

    4) 지면관계상 시안과 응답결과는 생략하며, 자세한 사항은 신재철 외 3인(2009). 학교시설의

    환경진단 및 교육효과 측정 기준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를 참조하기 바

    람.

  • 318 敎育行政學硏究

    학교시설 진단도구 내용

    진단영역 진단요소 진단지표 수

    기능성

    접근성 6

    공간성 10

    활용도 4

    지원성 자원의 구비, 설비, 활용 59

    심미성미학성 7

    외관성 4

    자원성 시설⋅설비의 상태 5

    건강성실내 환경위생 10

    실내 설비정비 5

    안전성

    사고대책 6

    노후화대책 2

    방범대책 2

    6개 영역 12개 요소 120개 지표

    학교시설 진단도구는 각각의 진단영역과 진단요소, 그리고 진단지표에 대해 5단계 평

    가척도(매우 부적합 1, 비교적 부적합 2, 보통 3, 비교적 적합 4, 매우 적합 5) 또는 7단

    계 평가척도 등으로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진단영역이나

    진단요소에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진단할 수 있다. 학교급

    과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학교시설 진단도구는 와 같다.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19

    진단

    영역진단요소 진단내용(진단관점 및 대상)

    접근성

    1. 모든 사람들(학생, 학부모. 주민 등)이 학교에 접근하기가 용이한가?

    2. 장애인(시각ㆍ청각ㆍ지체 장애인 등)들이 학교에 접근하기가 용이한가?

    3. 대중교통(도보, 버스, 지하철 등)을 이용하여 학교에 접근하기가 용이한가?

    4. 학교 주변의 학교 안내 도로표지는 눈에 띄는 곳에 설치되어 있는가?

    5. 학교 내의 시설 안내판(건물, 시설구조, 운동장 등의 위치)은 눈에 띄는 곳에

    설치되어 있는가?

    6. 학교는 주차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고 있는가?

    공간성

    7. 학교 정문은 방문자와 학생들을 환영하는 분위기를 제공하는가?

    8. 학교 건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 등 총체적인 구조가 조화를 이루고 있

    는가?

    9-1. 학교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가?

    9-2. 학교 건물 내부 통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가?

    10-1. 학교 건물의 배치는 교육활동에 적합한가?

    10-2. 학교 건물 내 배치는 학년 구조를 반영하고 있는가?

    11-1. 교실 공간은 학급간 수준별 이동수업이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는가?

    11-2. 교실 내 공간은 학급 내 수준별 수업이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는가?

    12.. 학교의 교장실, 교무실, 행정실 등은 외부인이나 학생들이 쉽게 찾을 수 있

    도록 배치되었는가?

    13. 교무실의 공간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가?

    활용도

    13-1. 학교의 모든 건물은 본래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 있는가?

    13-2. 학교 건물 내 창고(자재 보관 창고, 문서고 등)는 본래의 목적대로 잘 활용

    되고 있는가?

    14. 학교는 다양한 공간(벤치, 정원 나무, 지정구역 등)을 확보하여 교정을 잘 활

    용하고 있는가?

    15. 학교는 운동장을 학생들의 필요에 맞게 적절하게 구성하고 사용하게 하고 있

    는가?

    성*

    자원의

    구비, 설비,

    활용

    16-1. 일반교실을 학생과 학급 규모에 맞게 구비하고 있는가?

    16-2. 일반교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16-3. 일반교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17-1. 교과전담교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17-2. 교과전담교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17-3. 교과전담교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18-1. 멀티미디어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18-2. 멀티미디어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18-3. 멀티미디어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18-4. 인터넷 접속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가?

    19-1. 어학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19-2. 어학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19-3. 어학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20-1. 예체능 특별실(음악, 미술, 체육 등)을 구비하고 있는가?

    20-2. 예체능 특별실(음악, 미술, 체육 등)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학교시설의 진단도구

  • 320 敎育行政學硏究

    20-3. 예체능 특별실(음악, 미술, 체육 등)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21-1. 실험실습실(과학, 기술, 가정 등)을 구비하고 있는가?

    21-2. 실험실습실(과학, 기술, 가정 등)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21-3. 실험실습실(과학, 기술, 가정 등)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

    고 있는가?

    22-1. 다목적 교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22-2. 다목적 교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22-3. 다목적 교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23-1. 운동장은 학생 규모에 맞게 확보되었는가?

    23-2. 운동장에 필요한 설비가 되어 있는가?

    24-1. 체육관을 구비하고 있는가?

    24-2. 체육관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24-3. 체육관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25-1. 도서실(관)을 구비하고 있다면 규모는 적절하게 확보되었는가?

    25-2. 도서실(관)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25-3. 도서실(관)을 구비하고 있다면 도서는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가?

    25-4. 도서실(관)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26-1. 보건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26-2. 보건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의약품은 위생적으로 보관되어 있는가?

    26-3. 보건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가?

    27-1. 방송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27-2. 방송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27-3. 방송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28-1. 인쇄ㆍ복사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28-2. 인쇄ㆍ복사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29-1. 학습자료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29-2. 학습자료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29-3. 학습자료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30-1. 탈의실과 샤워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30-2. 탈의실과 샤워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설비는 적절한가?

    30-3. 탈의실과 샤워실은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31-1. 상담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31-2. 상담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상담공간이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는가?

    31-3. 상담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32-1. 동아리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32-2. 동아리실이 구비되어 있다면 활동 가능한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는가?

    32-3. 동아리실이 구비되어 있다면 목적에 맞게 활용되고 있는가?

    33-1. 교직원 휴게실이 구비되어 있는가?

    33-2. 교직원 휴게실이 구비되어 있다면 목적에 맞게 활용되고 있는가?

    34-1. 학생 휴게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34-2. 학생 휴게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활용되고 있는가?

    35-1. 학생 개인 사물함을 구비하고 있는가?

    35-2. 학생 개인 사물함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가?

    36-1. 소규모/대규모 회의실을 구비하고 있는가?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21

    36-2. 소규모/대규모 회의실을 구비하고 있다면 목적에 맞게 잘 활용되고 있는

    가?

    37. 교무실의 설비(인체공학적 책걸상, 개인 컴퓨터, 공용전화, 문서보관설비 등)

    는 적절한가?

    미학성

    38. 학교 건물의 구조와 형태는 이용자들에게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가?

    39. 학교 건물의 재료와 색깔은 아름다운가?

    40. 학교 건물은 방문자들이 다시 찾고 싶은 마음을 갖게 하는 특징이 있는가?

    41-1. 학교 건물에 대하여 구성원들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가?

    41-2. 학교 건물에 대하여 지역사회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가?

    42. 학교 건물의 외부 색깔은 전체적으로 아름다운가?

    43. 학교 건물의 내부 색깔은 전체적으로 아름다운가?

    외관성

    44. 학교건물의 구조와 배치 및 높이는 잘 조화되어 있는가?

    45. 외부 배관은 적절하게 처리되었는가?

    46. 학교 내ㆍ외벽 장식은 적절한가?

    47. 전기스위치, 벽 콘센트, 통풍용 창 등은 효율적으로 적절하게 배치되었는가?

    시설⋅설

    비의 상태

    48. 에너지 시설(태양광, 남향, 이중창 등)은 환경친화적인가?

    49. 쓰레기 처리 시설(환경친화적, 재활용 등)은 적절하게 구비되어 있는가?

    50. 책상과 걸상은 인체공학적인가?

    51. 건물은 자연채광이 잘 이루어지도록 건축되었는가?

    52. 음용 시설(정수기 등)은 잘 구비되어 있는가?

    실내

    환경위생

    53. 내부 소음은 최소화되고 있는가?

    54. 외부 소음(자동차, 비행기, 철도 등)은 최소화되고 있는가?

    55. 학교 시설은 일광을 최대한 확보하고 있는가?

    56. 학교의 전기조명은 적절한가?

    57. 학교의 냉방은 적절한가?

    58. 학교의 난방은 적절한가?

    59. 학교의 습도는 적절한가?

    60. 실내 환기가 적절한가?

    61. 교실 내의 공기의 질은 쾌적한가?

    62. 급식 시설ㆍ설비는 청결하게 유지되는가?

    실내

    설비정비

    63. 조명 스위치의 높이는 적절한가?

    64. 문의 손잡이 높이는 적절한가?

    65. 난간의 높이는 적절한가?

    66. 계단의 폭과 높이는 적절한가?

    67. 창문을 통해 외부를 조망할 수 있는가?

    사고대책

    68. 학교는 재해(홍수, 화재, 지진 등) 방지 시설ㆍ설비를 갖추고 있는가?

    69.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는가?

    70. 학교 출입구의 위치는 적절하고 관리 가능한가?

    71. 학교 출입구는 차도에서 안전하게 떨어져 있는가?

    72. 학교 건물 주변의 가로등 조명은 적절히 밝은가?

    73. 외부 통로는 잘 감독(CCTV 등)되는가?

    노후화

    대책

    74. 학교 시설은 정기적으로 점검⋅관리되고 있는가?

    75, 학교 시설은 내구성 있는 자재로 건축되었는가?

    방범대책 76. 학교 건물은 방범장치를 갖추고 관리되고 있는가?

    77. 각종 시설의 잠금장치는 제대로 갖추고 관리되고 있는가?

  • 322 敎育行政學硏究

    한편 학교급별로 학교시설 진단평가의 세부 지표는 일부 변경되어야 한다. 초⋅중등

    학교는 모든 지표를 다른 학교급과 공유하되, 지원성(자원의 구비, 설비, 활용)에서 초등

    학교와 중등학교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하여 시설의 명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5) 또한

    시⋅도교육청별로 교수⋅설비기준에서 사용하는 시설명칭은 약간씩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진단도구에서 적절하게 수정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다.

    Ⅳ. 결론 및 제언

    학교시설의 교육적⋅심리적⋅물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도구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은 상태에 있었다. 이 연구는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연구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교육행정학 연

    구자들의 학교시설행정에 대한 관심 제고와 적극적인 연구 참여를 촉구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시설 진단도구는 6개 진단영역(기능성, 지원성, 심미성, 자원

    성, 건강성, 안전성), 12개 진단요소(접근성, 공간성, 활용도, 자원의 구비⋅설비⋅활용,

    미학성, 외관성, 시설⋅설비의 상태, 실내환경 위생, 실내 설비정비, 사고대책, 노후화대

    책, 방범대책), 120개 진단지표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시설 진단도구를 좀 더 정교화하기 위해서는 보완과 후속 연

    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교시설 진단도구의 필요성과 국내외 연구 및 관련 사례를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현장교사 중심의 전문가협의회를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

    였으므로, 연구기간의 한정, 실증분석의 미흡은 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진단도구의 하위

    변인 선정과 내용 구성을 위한 신뢰도와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는 차후 확인되어

    야 할 것이다. 향후 이에 관한 체계적인 실증분석이 집단간(초등, 중등, 고등 학교급별

    로, 학부모, 교사, 학생 등 교육이해당사자별로, 지역교육청 등 지역의 교육행정기관별

    로)으로 보다 정교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정부는 학교의 교육력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과교실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새로운 교과교실제가 단위학교에 도입되면 학교시설 환경에 대

    한 인식과 학교운영 등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단위학

    교의 시설 환경이 학교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진

    단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정부의 교과교실제 도입⋅운영에 따른 학교시설

    5) 이 연구에서 제시한 에서 ‘지원성’의 각 문항은 고등학교 시설을 기준으로 하였으

    며, 초등학교와 중학교용은 상게 연구보고서에 제시하였음.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23

    환경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가 단위학교의 학교시설을 진단할 수 있는 기본적인 도구를 개발⋅제시한 만

    큼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전국적

    으로 11,000여개의 초⋅중등학교가 존재하는 만큼 학교급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다양

    한 학교시설을 다양한 관점에서 진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

    다. 또한 학교시설 진단을 위한 지침 또는 안내서(manual)와 평가척도 개발, 학교시설

    진단 전문 인력 양성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참고문헌

    김기환⋅김은정⋅최문석(2001). 학교시설 색채 계획 기준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부산광역

    시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연구, 15(2). 37-46.

    김영철⋅박영숙⋅김흥주(1989). 학교시설⋅설비기준령 개정 연구. 수탁연구: CR89-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영철⋅박영숙(2001). 학급 규모에 따른 교육효과 분석. 연구보고: RR2001-1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영훈⋅김승제(2004). 학교시설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건축 계획적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2). 387-390.

    김종철(1985). 교육행정학 신강. 서울: 세영사.

    노상우ㆍ김창범(2009). 생태적 학교환경 구축방안. 교육종합연구, 7(1). 117-140.

    오병욱⋅이재훈(2004). 초등학교 리모델링 대상판정을 위한 건축계획적 평가지표 개발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1). 115-118.

    장석민(1989). 학교 교구⋅시설 기준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 수탁연구: CR 89-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성준⋅최두원⋅황인준(2003). 초등학교시설의 색채계획 합리화 시론: 6개 신축학교에

    대한 문-스펜서 색채조화와 PCCS 색채조화에 바탕하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2). 25-32.

    정지나⋅박용석⋅석호태⋅박상동(2009). 학교시설의 친환경건축인증 사례에 대한 평가결

    과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4). 279-286.

    현주⋅이화룡⋅옥종호⋅조진일(2007). 교육환경개선사업 평가 및 향후 발전방향 모색

    에 관한 연구. 수탁연구: CR2007-1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CABE(2006). Assessing secondary school design quality: Research report

  • 324 敎育行政學硏究

    CIC(2005. 12. 8). DQI for schools launched. Press Release(http://www.cig.org.uk).

    DfES(2003). Building schools for the future: Consultation on a new approach to capital

    investment.

    Feilden, R. (2006). Design quality in new schools. in S. Macmillan (Ed.). Designing

    better buildings. 86-99. N.Y: Spon Press.

    Lyons, J. B. (2001). Do School Facilities Really Impact a Child's Education? IssuTrack: A

    CEFPI Brief on Educational Facility Issues. Council of Educational Facility

    Planners, International, Scottsdale, AZ. ED 458791.

    Markus, T. A. (2003). Lessons from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31(5). 399-405.

    OECD(2005). Building schools for the future in the United Kindom. PEP Exchange, 54,

    11-13.

    Picus, Lawrence O., Scoott F. Marion, Naomi Calvo, and William J. Glenn(2005),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chievement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Evidence From Wyoming. Rossier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he National Center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Assessment, Inc.

    Prasad, S. (2004). Forum. Clarifying intentions: the design quality indicator.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32(6). 548-551.

    文部科学省(2004. 1)。高等学校施設整備指針。

    文部科学省(2007. 7a)。小学校施設整備指針。

    文部科学省(2007. 7b)。中学校施設整備指針。

    文部科学省(2008)。教育振興計画。

    文部科学省(2009)。学校施設の評価の在り方について: 学校施設の改善のために。学校施設

    整備指策定に関する調査硏究協力者会議。

    http://en. wikipedia.org/wiki/Desgin_Quality_Indicator

    ▣ 접수일(2009. 10. 31), 심사일(1차 : 2009. 11. 21, 2차 : 2009. 12. 8), 게재확정일(2009. 12. 18)

  • 학교시설 진단도구 개발 325

    Abstract

    A Study on Developing the School Environments Quality

    Index of School Facilities

    Shin, Jae Cheol(Chonnam National University)

    Park, Sun Hyung(Dongguk University-Seoul)

    Park, Soo Jung(Anyang University)

    Jeon, Je Sang(Gyeongju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hool Environments Quality

    Index of School Facilities for measu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school

    facilities. This study used the research methods such as related literature review,

    various views collected from teachers and consultations with professionals. In

    order to measure the design quality of schools as seen in the case of DQI in

    the United Kingdo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hool Environments Quality

    Index of School Facilities including 6 domains(functionality, supportiveness,

    aesthetics, resources, healthy, safety), 12 elements(accessibility, spatiality,

    utilization, equipment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beauties, appearance,

    conditions of facility, hygiene, maintenance, accident countermeasure,

    deterioration countermeasure, crime prevention countermeasure) and 120 items

    was proposed.

    [Key words] School Facilities, Environments Quality Index

    /ColorImageDict > /JPEG2000ColorACSImageDict > /JPEG2000ColorImageDict > /AntiAliasGrayImages false /CropGrayImages true /GrayImageMinResolution 300 /Gray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GrayImages true /GrayImageDownsampleType /Bicubic /GrayImageResolution 300 /GrayImageDepth -1 /GrayImageMinDownsampleDepth 2 /Gray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GrayImages true /GrayImageFilter /DCTEncode /AutoFilterGrayImages true /GrayImageAutoFilterStrategy /JPEG /GrayACSImageDict > /GrayImageDict > /JPEG2000GrayACSImageDict > /JPEG2000GrayImageDict > /AntiAliasMonoImages false /CropMonoImages true /MonoImageMinResolution 1200 /MonoImageMinResolutionPolicy /OK /DownsampleMonoImages true /MonoImageDownsampleType /Bicubic /MonoImageResolution 1200 /MonoImageDepth -1 /MonoImageDownsampleThreshold 1.50000 /EncodeMonoImages true /MonoImageFilter /CCITTFaxEncode /MonoImageDict > /AllowPSXObjects false /CheckCompliance [ /None ] /PDFX1aCheck false /PDFX3Check false /PDFXCompliantPDFOnly false /PDFXNoTrimBoxError true /PDFXTrimBoxToMedia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SetBleedBoxToMediaBox true /PDFXBleedBoxToTrimBoxOffset [ 0.00000 0.00000 0.00000 0.00000 ] /PDFXOutputIntentProfile () /PDFXOutputConditionIdentifier () /PDFXOutputCondition () /PDFXRegistryName () /PDFXTrapped /False

    /Description > /Namespace [ (Adobe) (Common) (1.0) ] /OtherNamespaces [ > /FormElements false /GenerateStructure true /IncludeBookmarks false /IncludeHyperlinks false /IncludeInteractive false /IncludeLayers false /IncludeProfiles true /MultimediaHandling /UseObjectSettings /Namespace [ (Adobe) (CreativeSuite) (2.0) ] /PDFXOutputIntentProfileSelector /NA /PreserveEditing true /UntaggedCMYKHandling /LeaveUntagged /UntaggedRGBHandling /LeaveUntagged /UseDocumentBleed false >> ]>> setdistillerparams> setpage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