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87
4 제7장 다압면

Upload: others

Post on 14-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4제7장다압면

Page 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04

제7장다압면(多鴨面)

광양읍

봉강면옥룡면

진상면

다압면

골약동중마동

금호동

진월면

태인동

광 동

옥곡면

年代 內 容 典 據

청동기 다압면 지역에서 현재 구석기, 신석기시 의 유물은 현재 확인되지 문화유적분포지도

시 않고 있으며 청동기시 시체를 매장하던 지석묘가 3개소에 분포되어 있음. p.146~148 순천 박물관,(2000.2)

�도사리 다사 지석묘(Ⅰ)

다사마을 앞 도로건너편 밭에 1기가 위치함.

이곳은 포장도로 동쪽 3km지점이며 지형상으로는 얕은 구릉의 말단부에 해당됨.

�도사리 다사 지석묘(Ⅱ)

다사 지석묘(Ⅰ)에서 북쪽으로 도로를 따라 100m정도가면 길 서쪽밭에 2기가

있는데 이 곳은 얕은 구릉의 말단부에 해당됨. 1기는 밭 가장 자리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1기는 도로를 확장하면서 도괴되어 밭둑에 기울어져 있음.

�신원리 내압 지석묘

내압마을에서 진상면 방향(토끼재)으로 포장도로를 따라 약 200m정도가면

도로 오른편 15m지점에 지석묘 1기가 있음. 지형상으로는 산기슭에

해당되며 형의 지석2개가 서로 괴여 있는 전형적인 남방식 지석묘임.

삼한 다압지역은 삼한시 에 마한 또는 변한지역이거나 어느지역에도 속하지 광양군지 p.169(1983년)

시 않은 완충지역일 수 있음. 가야연맹사 p.165

최근년에는 다압지역이 변한지역 이었다는 새로운 학설이 두되고 있음. (김태식 저, 2000.8)

2001년도 고교국사교과서 (상) p.32

※인근지역인 진상면 비촌마을에 변한의 성지(城址)로 전해오는 유적이 ※광양군지 p.169(1983)

있으며 섬진강 건너는 변한지역이었음. 전라남도지 제10권p.112(1956)

369~370? (B.C 18 : 백제건국) 백제의 세력권에 속함. 광양군지 p.168(1983)

(근초 24-25년) 「일본서기」신공기49년조,50년조

346~374(근초고왕 ) 백제시 마로현(馬老縣 : 현 光陽市)지역에 속함. 광양군지 p.356(1983)

Page 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05

제7장 다압면

年代 內 容 典 據

5세기말경 성산가야(星山伽倻)에 일시소속됨. 광양군지 p.172(1983)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13 백제에 다시 속함. 광양군지 p.172-173(1983)

(무령왕 13년) 「일본서기」계체왕7년조

538 백제의 5방중 남방(南方:久知下城,현재 全南長城地方)의 삽평군( 平郡, 삼국사기 제37권(1145)

(성왕 16년) 현재順天市)에속한 마로현(馬老縣)지역이 됨. 광양군지 P.173(1983)

663 (660년 : 백제멸망) 나ㆍ당(�ㆍ唐)의 지배하에 들어감.

(신라문무 3년) 삼국사기 제37권(1145)

(668년 : 고구려 멸망)

687 통일신라시 9주5소경 설치로 다압면은 무진주(武珍州 : 현재 光州)의 광양군지 p.176(1983)

(문무왕 7년) 삽평군( 平郡:현재順天市)에 속한 마로현(馬老縣)지역임.

757 통일신라 경덕왕16년에(서기757년) 마로현(馬老縣)을 희양현(晞陽縣)으로 삼국사기 제37권(1145)

(경덕왕 16년) 개칭함에 따라 다압면은 희양현 지역에 속함. 세종실록지리지 (1454)

신증동국여지승람

제5권 p.245 (1530)

광양군지 p.176(1983)

892 후백제 견훤(甄萱)의 휘하에 들어감. 전라남도지 제10권(1993)

(진성여왕 6년) (918년 : 고려건국) 지방연혁연구(1988)

936 고려에 속함. 고려사 제57권(1451)

(후백제신검 1년) 지방연혁연구 p.274(1988)

전라남도지 제10권(1993)

(고려 ) 고려 또는 그 이전 지방행정 편제 세종실록지리지(1454)

또는 < 광양지역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그이전 지역촌 : 일반촌락 (1530)

특수행정구역 : 鄕(2개소), 所(14개소), 部曲(4개소) 지방연혁연구(1988)

< 다압지역 > 광양군지 p.345(1983)

지역촌 : 일반촌락

특수행정구역 : 所(2개소)

多沙川所 : 다압면 도사리(다사)

知巖川所 : 다압면 금천리(직금)

940 희양현(晞陽縣)을 광양현(光陽縣)으로 고쳐 승평군(昇平郡 : 현재, 고려사 제57권(1451)

(고려태조 23년) 순천시)의 현(�縣)으로 함에 따라 다압면이 광양현 지역이 됨. 지방연혁연구(1988)

전라남도지 제10권(1993)

광양군지 p.356(1983)

1172 광양현이 처음으로 중앙 관리인 감무(監務)를 두고 승평군(昇平郡, 동지지 광양연현조

(명종 2년) 현順天市)으로 부터 분리됨에 따라 다압면지역이 처음으로 우리고장에 (김정호저 : 1864)

파견된 중앙관리의 감독, 지배를 받음. 지방연혁연구 p.274(1988)

명종 2년(1172년)으로 추정

※광양군지는 예종 3년, 1108년에 감무를 둔 것으로 기록함. ※광양군지 p.344(1983)

(1392년 : 조선건국)

Page 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06

제11편 마을지

年代 內 容 典 據

광양현의 감무(監務)를 고쳐 현감(縣監)을 둠에 따라 처음으로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광양조 (1545)

1413 우리고장에 부임한 현감감독, 지배를 받음. 신증동국여지승람제40권

(태종 13년) 광양현이 행정조직상 승주군(현, 순천시)의 속현에서 완전히 벗어남. 광양현조(1530)

지방연혁연구 p.275(1988)

광양군지 p.211(1983)

1451(문종 1년) 다압면『蟾津』지명이 처음으로 국가주요문헌에 기록됨. 고려사 권57(1451)

1597 (1592년 : 임진왜란) 동지지 광양현 연혁조

(선조 30년) 왜구에 의해 광양읍성(光陽邑城)이 함락되어 다압지역이 왜구의 점령하에 들어감. (김정호 저, 1864)

1597.12 광양읍성 탈환으로 다압지역이 왜병의 만행으로 부터 벗어남. 임진전란사(하)권 p.723

(선조 30년) p.1063~1065, p.1083~1085

선조실록(1609)

난중집록권3, 정유12월조

광양군지 p.241(1983)

1598 전란으로 광양고을 폐허. 광양현이 순천도호부진 에 일시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선조 31년) 편입됨으로서 다압지역이 순천도호부에 소속됨 (곧 광양현으로 복구 전라남도지(1993)

되었으나 연 미상). 지방연혁연구(1983)

1705 �다압면 섬진마을에 수군진 인 섬진진(蟾津鎭)을 설치함. 호남읍지 권9 광양편

(숙종 31년) 별장 1인 둠(종8품). (1871)

�별장은 경 (京營)과 통 (統營)에서 30삭 (450일)으로 교 근무함. 광양현 섬진진지도 고적편

�경남하동 두치진이 광양현 섬진진의 관할 구역에 속하 음. (1872)

1760 �광양현이 12面을 관할함.

( 조 35년) 面名 및 面別 戶口, 남ㆍ녀 인구수가 최초로 문헌에 기록됨. 여지도서(下권) 광양현

�1760년 기준 다압지역 -순천진관 방리조 p.761

多鴨面 : 호구 483호, 남 628명, 여 800명 (1759)

�섬진진의 별장이 종6품(현감과 동일품계)으로 기록됨. 지방연혁연구 p.278(1998)

※面의 長을 권농관(勸農官)이라 함.

1789 �광양현이 12面, 147마을(村)을 관할함. 호구총수 제6책 전라도광양조

(정조 13년) 마을(村)이름이 최초로 문헌상 기록됨. (1789)

※面→勸農官, 里→里正, 村→村正 또는 村長이라 함. ※지방연혁연구 p.278(1998)

` �1789년 기준 다압지역

<多鴨面>

호구 387호, 인구 1627명(남 787, 여 840)

마을명(17마을)

新基村, 鴨尺村, 一洞, 內二洞, 內三洞, 內 道里, 多士村, 官洞村, 古士村,

新村, 項洞村, 竹川村, 坪村, 東洞, 西東, 陳田村, 下川里

1869 제1차 광양농민 항쟁으로 인하여 광양현의 읍호(邑號)가 강등됨. 철종실록,비변사등록,임술록

(고종 6년) 일성록, 승정원일기

광양군지 p.268-272(1983)

1872 �面단위 아래 里명칭이 처음으로 문헌상(지도) 나타남. 광양현지도 (서울 학교

(고종 9년) 《多鴨面 : 7里》 규장각소장, 1872)

Page 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07

제7장 다압면

年代 內 容 典 據

院同里, 鴨尺里, 多士里, 官洞, 古士里, 織錦里, 下川里

�섬진마을에蟾津鎭이있었으며주변에「鎭村」마을이 형성됨. 광양현 섬진진지도

蟾津鎭 : 別將 종6품 1名(현감 동일품계) (서울 학교규장각소장, 1872)

-섬진마을건너 경남 하동군 옛 豆恥津지역 포함. (1876 : 강화도 조약)

1889 제2차 광양농민 항쟁이 일어남. 비변사등록 제270책

(고종 26년) (1894 : 갑오개혁 시작) 일성록 동년9월17일조

광양군지 p.272(1983)

1894 동학농민 봉기로 일본군과 관군에 의하여 광양의 많은 동학교도가 규장각소장 잡책철NO1970

(고종 31년) 살해됨. 「광양섬계역 포착동도성명성책」

섬 거 역 : 29명 학살(12.10) 「광양현 포착동도성명성책」

각면(面) : 130여 명 포살(12.10~12.11) 광양군지 p.284-285(1983)

1895. 5.1(윤달) 전국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를 도입하면서 광양현(光陽縣)을 광양군 칙령제98호「지방제도

(고종 32년) (光陽郡)으로 개칭. 개정에 관한 건」 (1895.5.26)

남원부(南原府 : 관찰사)관할 광양군(光陽郡 : 군수) 지역이 됨. 광양군지 p.348(1983)

南原府 光陽郡 多鴨面

1895 다압면 소재 섬진진(蟾津鎭)이 없어지면서 섬진진 관할이었던 경남 하동군 하동군사 p.183(1978)

두치진(豆恥 津)지역이 光陽郡에 속함. 광양군지 p.895(1983)

光陽郡 多鴨面 蟾津里

1896. 8. 4 전국23부제가 폐지되고 13道制가 실시됨에 따라 全羅南道 光陽郡 칙령제36호「지방제도∙관제∙

(건양 1년) 지역이 됨. 봉급∙경비 개정에 관한 건」

全羅南道 光陽郡 多鴨面 (1896.6.25)

광양군지 p.349(1983)

(1905 : 을사보호조약 체결)

(1910 : 한일합방)

1912 왜정시 행정개편(1914)이전 다압지역 관할 里 (17개里)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

院洞里, 新基里, 內鴨里, 外鴨里, 蟾津里, 群道里, 多士里, 官洞里, 古士里, 項洞里, 광양군지 p.524(1983)

竹川里, 坪村里, 東洞里, 西洞里, 織錦里, 倉里, 荷川里 마을유래지 p.627(1988)

1914. 4. 1 왜정시 행정개편(1914)이후 다압면 지역 관할 里 조선총독부 부령제111호

(5개리←17개리) 「도∙부∙군의 명칭∙위치

관할구역 기타에 관한건」

(1913. 12. 29)

조선면리동일람(1917)

전라남도지 (1993)

지방연혁연구(1988)

광양군지 p524(1983)

1915. 1. 1 �광양군 섬진강 동쪽의 다압면 섬진리 일부 (豆恥津)를 경상남도 河東郡에 넘겨줌. 조선총독부 부령제173호

�섬진강 서쪽의 다압면 섬진리 잔여지역은 다압면 道士里지역에 편입됨 (1914.12.22)

※섬진리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다압면 관할 里에 속하 음 전라남도지 제10권 p100(1993)

리명 개편이전의 리명

5개리 17개리

新院里 院洞里, 新基里, 內鴨里, 外鴨里

道士里 群道里, 多士里, 蟾津里 一部

高士里 官洞里, 古士里, 項洞里, 竹川里

錦川里 坪村里, 東洞里, 西洞里, 織錦里, 倉里

荷川里 荷川里

Page 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08

제11편 마을지

年代 內 容 典 據

지방연혁연구 p.276(1988)

하동군사 p.183 (1978)

광양군지 p.357(1983)

1948 (1945. 8. 15 : 해방) 광양군지 (1983)

(1948. 10. 19 : 14연 반란사건)

여수, 순천 지역에서 많은 官民이 학살되고, 이재민, 재산상 피해가 많았음.

광양지역은 한때 광양군청과 경찰서가 점령되었으나 곧 수복되었으며

백운산으로 잠입하는 반군에 의해 다압면 지역에 피해가 컸음.

1950 (1950 : 6.25 동란 발발) 광양군지 (1983)

~ 1953 6. 25 동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살상되고 이재민과 재산상의

피해가 극심했음. 지방자치단체 청사복구 보조

북한군의 방화(1951)로 면사무소청사와 각종공부가 소실됨. 신청서(1954.광양군→전남도)

1987. 1. 1 1987.1.1기준 다압면 행정구역 일람. 광양군 통계연보

행정구역 : 5법정리 16행정리 18자연마을 26반 4,426인 p.42-44(1988)

소 재 지 : 다압면 고사리 1376 광양군 마을유래지 p.542(1988)

지방연혁연구 p.283 (1988)

1995.1.1 동광양시, 광양군을 각각 폐지하고 도농복합 형태의 光陽市 설치로 법률 제4810호(1994.12.22)

~현재 光陽市 多鴨面이 됨.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에 따른

행정구역 : 5법정리 16행정리 18반 행정특례등에 관한법률」

소 재 지 : 다압면 고사리 1376 광양시조례 제404호

법정리 행정리 자연마을 반수 인구 비고

계(5) 16 18 26 4,426

소계 4 5 5 985

新院里 新院1區 院洞 1 205

〃 畓洞 1 119

新院2區 新基 1 239

新院3區 內鴨 1 191

新院4區 外鴨 1 231

소계 2 2 5 872

道士里 道士1區 蟾津 2 373

道士2區 多士 3 499

소계 4 4 8 1,395

高士里 高士1區 官洞 2 408

高士2區 高士 2 323

高士3區 項洞 2 375

高士4區 竹川 2 289

소계 5 6 7 1,075

錦川里 錦川1區 坪村 2 222

錦川2區 東洞 1 211

錦川3區 西洞 1 208

錦川4區 織錦 1 164

錦川5區 梅閣 1 113

〃 鹽倉 1 157

荷川里 荷川1區 荷川 1 99

Page 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09

제7장 다압면

年代 內 容 典 據

행정구역일람(2002. 12. 31 현재) (1999.11.19)

「광양시 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중 개정조례」

광양시 규칙 제 332호

(2001. 10. 24)

「광양시 이통반 설치 조례

시행 규칙중 개정 규칙」

광양시 조례 제 339호

(1998. 11.5)

「광양시 행정운동의 설치 및

다압면 세 및 인구(2002. 12. 31기준) 동장정수 조례 중 개정 조례」

세 : 854세 광양시조례 제468호

인구 : 2,353명(남 1,189명, 여 1,164명) 외국인 1명 (2001.5.16)

「광양시 이통반 설치 조례 중

개정조례」

광양시 총무과 통계자료

(2003)

법정리 구역(행정리) 반

新院里 院洞, 新基, 內鴨, 外鴨(4) 4

道士里 多士, 蟾津(2) 3

高士里 官洞, 高士, 項洞, 竹川(4) 5

錦川里 坪村, 東洞, 西洞, 織錦, 朴倉(5) 5

荷川里 荷川(1) 1

계(5) 16 18

Page 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10

제11편 마을지

『다압(多鴨)』고을이름의의미

�다압면(多鴨面) 옛 지명이 최초로 문헌상에 나타난 시기는 고려 또는 그 이전으로 도사리 다사마

을에 다사천소(多沙川所), 금천리 직금마을로 추정되는 지역에 지암천소(知巖川所)란 특수행정

구역이 있었음. 그 이후 다압면(多鴨面)지명이 처음 사료에 나타난 문헌은 서기 1760년경 펴낸

여지도서(하권, 광양현 순천진관방리조 p.761)로서 당시의 호구 및 남∙녀 인구수와 함께 기록

되어 전함.

�한편‘다압(多鴨)’고을 이름 유래는 1789년경에 편찬된 호구총수(서울 학교 규장각 소장)문

헌에 나타난 다압면 관할 마을지명을 참고하면 당시 제일 큰 마을이었던 다사촌(多士村)과 압척

촌(鴨尺村)의 첫 자를 따서‘다압면(多鴨面)’이라 명명한 것으로 추정됨.

�따라서‘다압(多鴨)’이란 지명이 뜻하는 바는 다사(多士)의‘선비가 많이 나는 고을’이란 의미

와 압척(鴨尺)의‘오리가 많은 고을’이란 의미가 합쳐‘선비가 많이 배출되고 오리가 많은 고을’

이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음.

�또한 다사(多士)이름의 옛 지명이 다사천소(多沙川所)임을 고려하면‘모래와 오리가 많은 고을’

이라고 뜻을 부여 할 수 있는데 지금도 다사마을 섬진강변에는 모래가 다른 지역보다 많음.

�한편 다압면『섬진(蟾津)』마을은 1451년에 펴낸 국가주요문헌인 고려사지리지 제57권에『有

蟾津(유섬진)』이라 기록되어 전하는데 이 지역이 적어도 고려시 부터 전라도와 경상도를 잇

는 주요 교통로가 되어 왔음을 뜻하며, 임진왜란시(1592~1598)에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이 이곳

섬진진을 왜군의 동태를 파악하는 첩보기지로 활용하면서 수시 보고를 받고 직접 이곳에 와서

전황을 살핀 사실이 난중일기에 전하고 있고, 1872년 왕명으로 제작된 섬진진 지도에는 각종 관

아가 위치하고 있으며 당시 광양현감과 동등한 직급(종6품)이 이곳에 머물면서 별도의 지역으로

다스렸던 지역임(당시 삼도수군통제사가 있었던 경남 통 관할도서 직 ). 또한 1960~1980년

는 이곳 섬진마을이「밤산마을」로 전국의 시선을 모았는가 하면 현재는「매화마을」로 그 명

성이 맥을 이어가고 있는 역사적으로 유서깊은 고을이라고 할 수 있음.

Page 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11

제7장 다압면

사 /진 /목 /차

원동마을

912P

마을회관, 평화를 여는 마을, 돈박골, 논골, 중

박골, 무등암, 무등암 목조 세지 보살좌상(문

화재자료 제211호), 섬진교

신기마을

918P마을회관, 다리목가, 당산나무, 통-새미

외압마을

926P마을회관, 까잿골, 불뭇골, 성짓골

관동마을

944P

마을회관, 구석땀, 송정공원, 관동연습림, 관동

취수장

내압마을

922P

마을회관, 정자나무, 내압지석묘, 느랭이골, 느

랭이골 자연휴양림, 바람재

다사마을

938P

마을회관, 용무정, 소학정, 다사 지석묘, 소징이,

광양매실 농조합, 용왕굿

고사마을

949P

마을회관, 가운데 땀, 당산땀, 김기두 자선비

각, 사창옛터, 광양 작설차 밭

항동마을

955P

마을회관, 다압면사무소, 구성말, 매산, 번천, 새

터, 유지곡, 음달, 다압농협 작설차 가공공장,

매산바구

섬진마을

929P

마을회관, 섬진 경로당, 수월정유허비, 수월정,

섬진강 유래비, 섬진진지 옛터, 섬진진지 석비

좌 , 율산 김오천옹 송적비, 청매실 농원(매실

장독), 배맨바위

평촌마을

964P

마을회관, 괴음정, 광양시민휴양소, 금천교,

검두나루 터, 당골래소 터, 풍치목

동동마을

968P

마을회관, 양지땀, 중간땀, 점텃골, 귀신바구, 마

을정자, 특산물 판매장, 전통녹차 체험학습관

염창마을

981P

마을회관, 매각마을, 솔밭마을, 감호정, 족보바

위, 설통바구, 찍개바구, 염창소공원, 하동정공

주현 공덕비, 감호정소장 목판

죽천마을

960P

마을회관, 새땀, 소징이, 깨구리바구, 필봉,

나무 숲

서동마을

972P

마을회관, 건너땀, 중간땀, 아랫땀, 왕사암 옛터,

옥녀봉, 갈미봉, 서심재, 절골, 촛 봉

직금마을

977P마을회관, 북섬, 꽃쟁이, 큰골, 당박개

하천마을

987P마을회관, 하천교, 중 천, 한재, 남도 교

Page 1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12

�원동(院洞)마을【多鴨面新院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 주소득원(취나물∙매실∙밤)

� 마을연혁

원동(院洞)마을은 1530년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이 지역에 섬진원(蟾津院)기록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 당시에 원(院)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1600년경에는 광양

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이었고 1700년 초 이후에는 광양현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원동지역에 일동(一洞), 내이동(內二洞), 내삼동(內三洞)이란 3개의 마

을이 있었으며 1872년 왕명(王命)으로 제작된 광양현 지도에는 다압면 원동리(院洞里)라 하여 문헌

상 처음으로 현재의 마을이름이 나타남.

1912년(지방행정구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까지도 광양군 다압면 원동리(院洞里)라

하 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원동리(院洞里)∙신기리(新基里)∙내압리(內鴨里)∙외압리

제11편 마을지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275 158 117 107 107 - 195 8 32 153 2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1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外鴨里)가 병합되어 다압면 신원리(新院里)에 속하 음.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신원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신원1구가 되어 자연마을로 원동(院洞)과 답동(畓洞)마을이 있었으며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

(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원동(院洞)이라 함.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원동(院洞)마을은 1750년경 인동정씨(仁同丁氏)가 처음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 다고 전하나

이보다 훨씬 먼저 이곳에 섬진원(蟾津院)이 설치된 것으로 보아 실제 설촌연 는 이보다 앞선 것으

로 생각됨. 원동(院洞)이름은 옛날 이곳에 섬진원(蟾津院)이란 원집(院)이 있었다 하여 유래한 이름

인데 원(院)은 옛날 요로나 인가가 드문 곳에 관에서 집을 지어놓고 공무여행자에게 숙식을 제공하

던 곳임.

한편 구두로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1700년쯤 전남 광에 살던 김해김씨(5 종 손 : 김억근)가 보

부상을 하면서 이곳 원동마을이 동부전남과 서부경남의 보부상들이 통과하는 중요한 요로임을 알고

이곳에 지금의 여관 같은 숙박시설을 경 하기위해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함

신원리(新院里)이름유래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시 당시 여러 리(里 : 마을)가 병합하는 과정

에 신기(新基)와 원동(院洞)의 첫 자를 따서 신원리(新院里)라 한 것임. 이 고을 주변 지형과 관련

하여『무동산에서 춤을 추고 경남하동 비파리에서 피리를 불며 돈박골에서 돈을 받는다』라는 일화

가 전해옴.

� 자생조직

부녀회(1968년∙73명)가 조직되어 협동∙단결을 목적으로 농번기때 품앗이 등으로 서로 돕고 있

으며 위친계(1968년∙77명)가 있어 부모 사망시 서로 상부상조하며 장례를 치름.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4년 준공, 1층, 블록슬래브, 경모정, 경로당), 섬진교, 무등암, 무등암 목조 세지 보

살좌상, 평화교회, 평화를 여는 마을, 광양경찰서 신원초소

�문화유산∙유적

▶ 무등암(無等庵)

다압면 신원리 산20-1번지에 위치함. 1959년에 홍칠문(洪七文)과 그의 처 이용순(�容順)이 창

913

제7장 다압면

Page 1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14

건한 절이며 1961년에 절 뒤의 바위굴에 부처를 모셨는데 이러한 연유로 이 절을‘석굴암’이라 부르

기도 함.

▶ 광양 무등암 목조 세지보살좌상(光陽 無等庵 木造大勢至菩薩坐像)

이 절에는 문화재 자료 제211호로 지정된 불상이 있음. 이곳 불상

은 보살좌상으로 1678년에 만들어졌는데 처음 봉안처는 지리산 소

은난야(小隱��)이다고 기록되었는데 이 장소가 문헌에 나오지 않

아 소재지는 파악할 수 없으나 현재 무동암 주지인 은사스님이 쌍계

사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면서 이 보살상을 가져온 것이라 하므로 소재

지가 쌍계사의 암자일 가능성이 큼. 전남지방에서 최초로 세지보살

좌상을 한 예(�)로 조선후기의 불상자료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됨.

▶ 정자나무

다압면 신원리 390번지에 위치한 서어나무이며 수령 약 220년, 흉

고 2.3m, 수고 12m로 보호수 지정번호 15-5-7-1번임.

▶ 풍치목∙정자나무

원동마을에는 풍치목 1개소, 정자나무가 1개소가 있는데 풍치목은 다압면 신원리 산8번지. 답동

가정집앞 공터에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서어나무 42그루이며 수령은 약 150년, 흉고 2.0m~2.7m, 수

고는 10m임. 정자나무는 도로변 인근산림에 자리잡고 있는 소나무 5그루인데 수령은 약 200년, 흉

고 2.1m, 수고 8m로서 미지정 보호수로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수형이 아름다우므로 보호수로 지정하

여 관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됨.

� 마을출신 인물

∙소병기(蘇秉錡∙1911년생) : 제14 다압면장

∙장현수(張賢洙∙1916년생) : 제12 다압면장

∙김기태(�基太∙1931년생)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제12 통령 선거인(1981)

∙강태식(姜泰植∙1953년생) : 경남 창원지방법원 통 지청 사무관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갓바구 : 장재골에 위치하며 갓처럼 뾰족하게 생긴 바위

∙갈미-바구 : 원동 서북쪽에 있는 바위. 갈미(갈모)처럼 생겼음

∙너운골 : 무동암 밑에 있는 골짜기

제11편 마을지

▲무등암목조 세지보살좌상(문화재자료제211호)

Page 1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논골 : 답동(沓洞)이라고도 함. 경전선 철교(다리) 바로 위쪽에 위치한 마을 또는 그곳 지역을

지칭하는 지명

∙돈박골 : 돈박동이라고도 함. 어둔골 서쪽에 있는 마을

이며 진월면 중도∙가길과 경계 지역임. 광양

군의 동쪽 끝이며 산줄기가 돈박진 것같이 끊

어졌음.

∙돈박골-나루 : 돈박골에 있었던 나루

∙마당바구 : 섹이밧골(석박이골) 위쪽에 있는 바위인데

마당처럼 넓고 평평함.

∙매팃굴 : 진상∙진월∙다압면 경계에 있는 기차가 다

니는 터널

∙모개나뭇골 : 원동마을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 모개(모과)나무가 있었음.

∙무동산 : 무등암 뒤에 있는 산(舞童山). 산세가 선녀(仙女)가 아이를 안고 춤추는 형국임.

∙무등암(無等菴) : 석굴암이라고도 함. 원동남쪽에 위치하는데 신원리 산 20번지에 있는 절.

1959년 4월 15일 홍칠문(洪七文)과 그의 처 이용순(�容順)이 창건. 1961년

3월 15일, 절 뒤쪽에 위치한 바위굴을 콘크리트로 쌓고 부처를 모셨으며 그 이

후 시설들을 중창하 음. 이곳에 최근 년에「광양 무등암 목조 세지 보살 좌

상」이 문화재 자료로 지정됨.

∙무지네논골 : 돈박골 내에 있는 골짜기. ‘무지네’라는 택호(�號)를 가진 이의 논이 있었음.

∙문-바구 : 원동 북쪽에 있는 바위. 문처럼 생겼음.

∙바린재골 : 무동암 남쪽에 있는 반듯한 모습을 한 골짜기(재)

∙비들기바구 : 마당바구 위쪽의 비둘기처럼 생긴 바구

∙불당골 : 원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불당(佛堂)이 있었음.

∙산젯-골 : 원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이곳에서 산제(山祭)를 지냈음.

∙서답둠벙 : 중도∙원동 경계지역에 위치함. 원동 남쪽에 있는 둠벙. 옛날 이 곳에서 빨래를 하

다하여 유래된 지명

∙섬진원-터(蟾津院-) : 원동에 있는 옛 원터. 요로나 인가가 드문 곳에 여행자를 위하여 집을 지

어 놓고 숙식을 제공하던 섬진원이 있었음.

∙송장바구 : 원동마을 북쪽에 있는 바위

∙야양-골(也樣) : 돈박골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 ‘也’자 형국이라 함.

∙어둔골 : 모개나무골 위쪽에 있는 골짜기. 산골이 깊숙하고 우거져있어 낮에도 매우 어둡다는 데

서 연유한 이름임.

915

제7장 다압면

▲ 돈박골

Page 1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16

∙원동(院洞) : 돈박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 섬진원(蟾津院)이 있었음.

∙장재골 : 원동에서 산길로 진상면 어치리로 넘어가는 길(長)게 늘어진 골짜기

∙주막거리 : 원동마을을 한때는 주막거리라 하 음. 하동장날이면 진상면 사람들이 원동 뒷산을

넘어 나뭇짐이나 장사거리를 지고 넘어오거나 갈때 이곳 마을에 있는 주막에서 술을

먹고 쉬었다 가는 곳이라하여 붙인 지명임.

∙중바구 : 원동앞에 위치한 바위. 중의 머리처럼 생겼음.

∙중박골 : 돈박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 또는 골짜기 중바구가 있음.

∙합장거리 : 마을 뒤에 있는 큰 버덩. 합장(合葬)을 한 장군의 묘가 있다고 전함.

∙홈텃거리 : 합장거리 남쪽에 있는 버덩. 산밑에 홈통을 놓았었음.

� 특기사항

▶ 평화를 여는 마을

이 마을은 다압면 신원리 407-4(원동지역)

에 위치하는데 한국 사랑의 집짓기운동 연합회

주관으로 집이 없는 서민들에게 삶의 보금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해 이곳 전남(광양)∙경남(하동)

경계지역에 집터를 마련하고 여러기관∙단체∙

회사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2000. 8월에 32세

(동)을 건립. 호남 화합차원에서 하동 16세

∙광양 16세 가 입주하여 마을단지를 이루어

∙호남 주민들이 어울려 생활하고 있음.

▶ 1977년 문화재 관리국에서 발간한 문화유

적총람에 의하면 다압면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면으로 기록되었는데 그 길이는 28km임. 또한 다압

과 하동을 연결하는 섬진교인 구교(舊橋)는 왜정시 인 1937년 7월에 설치하 고 2001년에 철거되

었으며, 2000년에 그곳 부근에 새 다리를 설치했음. 새 교각 설치시 강 밑바닥을 정리하면서 강밑 원

바닥 깊이는 20m정도 다고 하는데 옛날 이러한 강 깊이로 섬진진을 거쳐 구례∙곡성등으로 배가

드나들 수 있었음을 추정할수 있는 고증 자료가 된다 하겠음.

▶ 원동을 한때는 주막거리라 하 음. 하동 장날이면 진상면 사람들이 나뭇짐이나 장삿거리를 지

고 넘어 오거나 갈때 이곳 마을에 있는 주막에서 술을 먹고 쉬었다가 가는 곳이라 하여 유래된 지명

임.

제11편 마을지

▲ 평화를 여는 마을

Page 1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17

제7장 다압면

▲ 마을회관

▲ 중박골

▲ 섬진교

▲ 논골

▲ 무등암

Page 1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18

�신기(新基)마을【多鴨面新院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 주소득원(벼∙매실∙밤)

� 마을연혁

신기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으며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신기촌(新基村)이라 하여 문헌상 처음으로

마을이름이 나타남.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광양군 다압면 신기리(新基里)

라 하 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원동리(院洞里)∙신기리(新基里)∙내압리(內鴨里)∙외압

리(外鴨里)와 병합되어 다압면 신원리(新院里)에 속하 음.

1987. 1. 1 기준(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신원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

제11편 마을지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41 63 78 45 45 - 138 5 22 110 1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1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리상 신원2구에 속하여 신기(新基)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

상 신기(新基)라 함.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신기마을은 1700년쯤 고씨와 추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입촌하여 마을을 형성하 다고 전하며

마을 이름유래는 옛날부터 이 고을을 사평촌∙삼당촌 또는 어시랭이라고 불러오기도 하 는데 이웃

원동(院洞)마을에 비하여 새로 터를 잡아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신기(新基)라 하 다고 전함

한편 어시랭이란 물고기의 뺨이란 뜻으로 이 마을 산세가 고기의 뺨처럼 밋밋하고 볼록한 형국이

라 하여 불리어진 마을이름임. 이 마을 남쪽에 장잿골이란 골짜기가 있는데 옛날 장재(장자=부자)가

살면서 세도를 부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며 이 고을 출신 이원생(�源生 : 1900년생)은 일찍이 민족

의식에 눈떠 운초(雲樵)장학회를 설립하는 등 교육진흥과 지역개발에 공헌하 음.

� 자생조직

부녀회(1970년∙37명)가 있어 협동∙단결을 목적으로 운 되며, 농번기 때는 품앗이로 서로 돕고

있으며, 동갑계(1962년생, 1981년 조직∙14명)가 있어 서로 친목을 도모하여 왔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8년 준공, 1층, 블록슬래브), 마을정각(2002년 준공)

� 문화유산∙유적

▶ 당산나무

다압면 신원리 660-1번지, 마을 도로변의 논과 연접하여 위치한 상수리나무이며 수령 약 350년,

흉고3.2m, 수고 18m로서 보호수 지정번호 15-5-7-2번임. 옛날에는 당산제를 지냈으나 약 20년

전부터 지내지 않고 있음.

� 마을출신 인물

∙이원생(�源生∙1900년생) : 호는 운초(雲樵). 제8 다압면장. 사재 일천만원을 희사하여 운초

장학회를 설립하 으며 그 뜻을 기리어 현재도 장학사업이 지속적

으로 운 되고 있음. 1980년 제6회 광양군민의 날에 지역개발유

919

제7장 다압면

Page 1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20

공으로 광양군민의상 수상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가장-골 : 신기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가장터 음.

∙난등 : 마을 남동쪽에 위치한 산등성이

∙다리목가 : 마을앞 개울을 건너는 다리부근의 지명 또는 그곳에 조성된 마을

∙등-넘 : 신기 서쪽에 있는 산. 산등성이 너머 쪽이 됨.

∙딱밭골 : 마을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딱밭이 있었음.

∙백일홍나무 : 통새미거리와 다리목가 사이에 위치한 백일홍나무. 수령이 오래된 수목임.

∙사평들 : 마을 앞에 있는 들. 강변에 위치하며 모래가 많음.

∙삼당 : 신기 서쪽에 있는 산

∙상구모팅이 : 신기마을 북쪽에 위치하며 옛날에는 상여가 쉬었다 가는 곳이었음.

∙신기(新基) : 어시랭이라고도 함. 내압 동쪽에 새로 된 마을

∙원안 : 마을 동남쪽에 있는 들. 옛 섬진원의 안쪽이 됨.

∙장잿골 : 마을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장재(장자=부자)가 살았음.

∙중들 : 신기 북쪽에 있는 들

∙홈-거리 : 신기 북쪽에 있는 논. 홍(홈)을 댔다 함.

∙참나무거리 : 마을앞 수령이 오래된 참나무(상수리나무)부근의 지명. 여름철이면 마을주민들의

휴식처가 되는 장소임.

∙통-새미 : 통새밋거리에 있는 우물. 돌로 통을 짜 넣은것처럼 생김.

∙통새밋거리 : 아랫몰 앞 도로건너에 있는 뜰. 옛날 이곳에 물맛이 좋기로 이름난 샘이 있었으며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있음.

제11편 마을지

Page 1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21

제7장 다압면

▲ 마을회관

▲ 다리목가▲ 통-새미

▲ 당산나무

Page 2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22

�내압(內鴨)마을【多鴨面新院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 주소득원(벼∙매실∙밤)

� 마을연혁

내압마을에는 청동기시 (기원전 10세기~기원전 300년의 시 )의 유물인 지석묘가 조사된 바 있

어 마을역사는 선사시 로 거슬러 올라감. 그 당시 마을연혁은 알 수 없고 문헌상 기록에 의하면

1600년경에는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 이후에는 다압

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압척촌(鴨尺村)지역이었으며 1872년 왕명(王命)

으로 제작된 광양 현지도에는 이 지역이 압척리(鴨尺里)로 표기되어 있음.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개편 이전에는 광양군 다압면 내압리(內鴨里)

라 하여 문헌상 처음으로 현재 마을이름이 기록되어 전하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원동리(院洞

里)∙신기리(新基里)∙내압리(內鴨里)∙외압리(外鴨里)와 병합되어 다압면 신원리(新院里)에 속하

제11편 마을지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96 49 47 33 33 - 146 5 22 117 2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2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음.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신원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신원3구 지역이 되어 내압(內鴨)이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

상 내압(內鴨)이라 함.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내압마을은 1720년경 화전생활을 하던 파평윤씨가 처음 이곳에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 다고 전

함. 내압과 외압지역을 합하여 처음에는 압척(鴨尺)이라 하 는데 이 지역은 섬진강이 퇴적되어 형성

된 넓은 평야지로서 농경생활을 하기 위하여 정착한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이곳 평야는 섬진강이

침식되어 만(灣)을 형성하여 오리가 많이 살고 있었다 하여 압척(鴨尺)이라 하 는데 그 의미는 오리

가 많은 고장이란 뜻임.

한편 압척지역을‘월채’라고도 부르는데 내압마을에서 토끼재를 넘으면 진상면 비촌마을이 나오

는 데서 유래된 말로 진상에서 볼 때 이곳 토끼재를 넘으면 즉, 재를 넘으면 마을이 있다는 뜻에서 월

재→월채로 변형된 것으로 생각되며 섬진강에서 볼 때 내압마을이 안쪽에 있다하여‘안월채’, 외압마

을은 섬진강 쪽으로 나와 있어 밖에 위치한다하여‘바깥월채’라고도 부름.

� 자생조직

부녀회(1972년∙33명)가 조직되어 협동∙단결을 목적으로 운 되며 농번기 때는 품앗이로 서로

일손을 돕고 있음. 또한 위친계(1968년∙35명)가 있어 부모사망시 서로 도우며 장례를 치룸.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99년 준공, 2층, 블록슬래브), 느랭이골 자연휴양림

� 문화유산∙유적

▶ 신원리 내압지석묘

내압마을에서 진상면 방향으로 포장도로를 따라 약 200m

정도가면 도로 오른편 15m지점에 지석묘 1기가 있음. 현

재 밭둑에 위치하고 있으나, 지형상으로는 산기슭에 해당

되며 형의 지석 2개가 고여있는 전형적인 남방식 지석

묘임.

923

제7장 다압면

▲ 내압지석묘

Page 2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24

� 마을출신 인물

∙이윤항(��沆∙자, 이원생) : 이조 고종조 통정 부

∙유덕이(�德伊∙이윤항의 처) : 효열부. 10여년간 와병중인 남편을 정성으로 간호하여 사회규범

이 됨. 남편위급시 단지주혈 하 음.

∙김병환(�炳渙∙1923년생) : 제17 다압면장. 새마을사업유공으로광양군민의상수상(1976. 제

2회)

∙김병옥(�炳玉∙1933년생) : 조선 학교 체육학과 교수, 전남 양궁협회 부회장

∙김병호(�炳鎬∙1937년생) : (주)광일철강 표이사

∙진두정(陳斗井∙1942년생) : 지리학박사. 미국 위싱턴주 학 교수

∙이정태(�正泰∙1948년생) : 광양시의회 2 의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김도형(�度亨∙1969년생) : 청주지검 제천지청 검사, 경남 창원지검 검사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갓-바구 : 갓박골에 있는 갓처럼 생긴 바위

∙갓박골 : 마을 서쪽에 위치한 골짜기인데 이곳에 갓-바구가 있음.

∙굴-바구 : 굴바굿등에 있는 바위. 이곳에 굴이 있음.

∙굴바굿등 : 마을 뒷산에 있는 산등성임. 굴-바구가 있음

∙넙박골 : 마을 좌측변에 있는 골짜기로 넓은 바위가 있는

골짜기

∙느랭이 : 마을 서쪽에서 진상면 어치로 넘어가는 재로 지

세가 밋밋함.

∙느랭이골 : 내압마을에서 진상면 비평∙죽천마을로 오가

는 느릿하고 기다란 골짜기

∙늘평전 : 휴양림지구 안쪽에 있는 골짜기인데 넓은 버덩을

이루고있으며늘(띠비슷한풀)이많았음

∙뒷골 : 마을뒤에 위치한 골짜기. 감나무골이라고도 하며 골짜기로 흐르는 냇가 바위틈에 자생한

팽나무가 군락지를 이룸

∙마당-바우 : 섹이밭골 위쪽에 있는 바위. 마당처럼 넓고 평평함.

∙불깨미밭-골 : 내압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이 지역에 불개미가 많았음.

∙비들키-바우 : 마당바우 위쪽에 있는 바위. 비들키(비둘기)처럼 생겼음.

∙삼밭골 : 신기와 내압마을의 경계지역에 있는 골짜기. 삼밭이 있었음.

∙삼밭꾸미 : 마을 동쪽에 있는 산, 굽이진 곳에 삼밭이 있었음.

∙서짓골 : 내압마을 입구 오른쪽 소나무 숲이 있는 골짜기. 서지(서재)가 있었음.

제11편 마을지

▲ 느랭이골

Page 2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석이바구 : 늘평전에서 오른쪽 산골짜기를 넘어 위치한 바위, 바위 위에 석이(돌버섯)가 자랐음

∙선-바구 : 내압 서쪽에 우뚝 서 있는 바위

∙성짓골 : 마을 뒤 오른쪽에서 외압으로 넘어오가는 중간에 위치한 고개

∙섶밭까끔 : 마을 위쪽 도로를 따라 오른쪽 방향의 진상면 비촌마을로 넘어가는데 위치한 산이며

섶나무가 많았음.

∙섹이밭골 : 잉어탯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섹이(석이=돌버섯)가 많았음.

∙수박등 : 느랭이골 못 미쳐 위치한 산등성이로서 수박형국임.

∙아릿재 : 내압지역 성짓골에서 외압으로 넘어가는 아래쪽에 위치한 고개, 하반재라고도 함.

∙앵이바닥골 : 마을 왼쪽 깊숙이 안창에 있는 골짜기

∙열두모랭이 : 진상 어치마을에서 다압 원동마을로 가는 산길의 열두모팅이로 내 압지역에 속함.

∙웃재 : 마을 서쪽 위에 있는 고개

∙월채 : 내압마을에서 토끼재를 넘으면 진상면 비촌마을이 나오는데서 유래된말로 재를 넘는다는

의미이고 재를 넘어오면 마을이 있다는 뜻에서 월재→월채로 변음 된 것이라고 전함.

∙잉어탯골 : 내압과 진상 비촌마을을 넘는 좌측편 높은 산골짜기

∙절텃-골 : 내압 북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절터가 있음.

∙토끼-재 : 장-꼭, 장꼭-재, 토치라고도 함. 진상 비촌 북쪽에서 다압면 내압으로 가는 고개(옛

교통요지) ①하동장으로 가는 길목임. ②옛날 이 지역에서 토끼 사냥을 했음.

925

제7장 다압면

▲ 마을회관 ▲ 정자나무

▲ 느랭이골 자연휴양림 ▲ 바람재

Page 2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26

�외압(外鴨)마을【多鴨面新院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보리), 특작물(밤), 주소득원(벼∙보리)

� 마을연혁

외압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多鴨面)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압척촌(鴨尺村)지역이었으며 1872년

왕명(王命)으로 제작된 광양현 지도에는 이 지역이 압척리(鴨尺里)로 표기되어있음.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개편이전에는광양군다압면외압리(外鴨里)라하

여문헌상처음으로현재마을이름이기록되어전하는데1914년행정구역개편으로원동리(院洞里)∙신

기리(新基里)∙내압리(內鴨里)∙외압리(外鴨里)와병합되어다압면신원리(新院里)에속하 음.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신원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신원4구가 되어 외압(外鴨)이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외

압(外鴨)이라 함.

제11편 마을지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18 54 64 44 44 - 88 10 25 51 2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2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외압마을은 1700년경 화전생활을 하던 송(宋)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정착하 다고 전함. 내압

과 외압지역을 합하여 처음에는 압척(鴨尺)이라 하 는데 이 지역은 섬진강이 퇴적되어 형성된 넓은

평야지로서 농경생활을 하기 위하여 정착한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이곳 평야는 옛날 섬진강이 침

식되어 만(灣)을 형성하여 오리가 많이 살고 있었다 하여 압척(鴨尺)이라 하 는데 그 의미는 오리가

많은 고장이란 뜻임.

한편 압척지역을‘월채’라고도 부르는데 내압마을에서 토끼재를 넘으면 진상면 비촌마을이 나오

는데서 유래된 말로 진상에서 볼 때 이곳 토끼재를 넘으면 즉 재를 넘으면 마을이 있다는 뜻에서 월재

→월채로 변형된 것이고 섬진강에서 볼 때 내압마을이 안쪽에 있다하여‘안월채’, 외압마을은 섬진강

쪽으로 나와있어 밖에 위치한 다하여‘바깥월채’라고도 부름.

� 자생조직

부녀회(1970년∙37명)가 있어 부녀자들의 친목도모와 농번기때 품앗이로 서로 돕고 있으며, 위친

계(1968년∙30명)가 조직되어 부모사망시 상부상조하여 장례를 치러 옴.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80년 준공, 1층, 블록슬래브), 신원초등학교(폐교됨)

� 마을출신 인물

∙김만식(�萬植∙1928년생) : 광양경찰서 근무시 전투유공으로 금성화랑무공훈장 수상(1954)

∙배타관(裵他官∙1931년생) : 광양군∙광양시 의회 초 의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김관원(�琯元∙1936년생) : 벌교 남초등학교 교장. 장흥교육청 학무과장, 교육발전유공으로

국민훈장 동백장 수상

∙서인호(徐仁昊∙1945년생) : 광양시의회 제3 의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가운데-소 : 외압마을 가운데 있었던 소(沼)

∙까잿골 : 성짓골과 아랫몰 사이에 있는 골짜기. 까재(가재)가 많았음.

∙당산 : 옛 신원초등학교 위쪽에 위치하며 모퉁이의 버덩에 있었던 정자나 무군이 있었던 곳으로

이곳에서 당산제를 지냈음. 현재는 사라지고 없음.

∙따리배미 : 아랫몰 앞 도로건너 300m거리에 위치한 논배미. 따리(배의 키) 모양임.

∙물꼬배미 : 옛 신원초등학교 앞의 논배미로서 논바닥이 깊은 수 으로 되어 농기계활용이 불가

927

제7장 다압면

Page 2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28

능하여 사람이 직접 경작하 는데 지금은 경지 정리로 수 이 사라졌음.

∙방아꼬-배미 : 외압 동북쪽에 있는 논. 이곳에 디딜방아의 공이를 놓았었음.

∙배름빡-재 : 하반재라고도 함. 외압에서 진상면 어치리로 가는 서쪽 고개. 고개마루가 배름빡(바

람벽)처럼 가파르게 높이 솟아 있고 아래쪽은 평평함.

∙불뭇골 : 마을동쪽에위치한골짜기. 옛날절이있었음.

∙분삼-골 : 마을 남서쪽에 위치한 골짜기

∙성짓골 : 아랫몰에서 북쪽방향 도로변 200m거리 위쪽에 위치한 마을

∙아랫몰 : 외압의 본 동네. 내압은 위치상 웃몰에 속하는데 칭적으로 아래쪽 마을을 뜻함.

∙외압(外鴨) : 바깥-월채. 외압이라고도 하 음. 내압 동남쪽에 있는 마을

∙외앗-등 : 외압 위쪽에 있는 산등성이

∙웃-골 : 성짓골 북쪽에 위치하며 위치상 위쪽 골짜기

∙윗소 : 외압마을 앞 위쪽에 있는 소

∙장구-배미 : 외압 동쪽에 있는 논. 장구처럼 가운데가 잘록함.

∙진둠벙 : 옛 신원초등학교 뒤 똥섬밑에 세 개의 둠벙이 길게 있어 이 부근 농업용수로 요긴하게

쓰 으나 현재는 매립되어 논(畓)으로 이용되고 있음.

∙칠인-징이 : 칠인정(七寅亭, 七仁亭)이라고도 함. 섬진모팅이 남쪽에 있는 들

제11편 마을지

▲ 까잿골

▲ 성짓골▲ 불뭇골

▲ 마을회관

Page 2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섬진(蟾津)마을【多鴨面道士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 주소득원(밤∙매실)

� 마을연혁

섬진마을은 국가 주요문헌인 고려사지리지에『섬진(蟾津)』이란 기록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고려

시 (918~1392년)에 이 지역 나루터 부근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추정됨. 1705년에는

당시 조정에서 군사요충지로서 중요성을 감안하여 수군(水軍)시설인 섬진진(蟾津鎭)을 설치하여 별

장(別將 : 종8품)을 두었는데 별장은 경 (京營:서울)과 통 (統營 : 경남)에서 30삭(450일)으로 교

근무 토록 하 으며 얼마 뒤에는 별장의 직급을 당시 광양현감과 동일직급(종6급)으로 임명하여

이 지역을 지키게 하 음.

한편 섬진마을 역사를 행정변천사 측면에서 살피면 1600년경에는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

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929

제7장 다압면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208 94 114 80 80 - 221 19 38 161 3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2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30

1789년(호구총수)경에는 이 지역을 내군도리(內群道里)라 하 으며 1872년에 왕명(王命)으로

제작된 광양현지도에는 섬진진(蟾津鎭)이란 수군병 이 있었고 이 지역 주변에는 진촌(鎭村 : 당시

88호)이란 마을이 형성되었음.

1895년에는 수군진 인 섬진진(蟾津鎭)이 없어지면서 섬진진 관할(경남통 관할)이었던 경남하

동군 두치진(頭恥津)지역이 광양군에 속하게 되어 다압면 섬진리라는 행정구역상 마을로 되었으며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섬진지역은 다압면 섬진리(蟾津

里)와 군도리(郡道里)로 이루어졌음.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시 다압면 섬진리(蟾津里) 일부지역과 군도리(郡道里)∙다사리(多

士里)가 병합되어 다압면 도사리(道士里)에 속하게 되었는데 1915년 1월 1일을 기하여 광양군 섬진

강 동쪽의 다압면 섬진리 일부지역인 두치진(頭恥津)을 경남 하동군에 넘겨주었음.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다압면 도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도사1

구가 되어 섬진(蟾津)이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도사리 (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섬진

(蟾津)이라 함.

도사리(도사리)이름 유래는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시 군도리(群道里)∙다사리(多士

里)∙섬진리(蟾津里)일부지역을 병합하여 군도(群道)와 다사(多士)의 이름을 따서 도사리(道士里)

라 하 음.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섬진마을은 문헌상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 (918~1392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으나 언제 어느

성씨에 의해 마을이 형성되었는지 알 수 없음. 섬진(蟾津)이름 유래에 하여 여러 가지 전설이 내려

오고 있는데(전설 편에서 자세히 기록 : 여기서는 생략) 1872년 광양현 지도에 의하면 섬진나루터

부근(배맨바위 위쪽)에 커다란 바위들이 어울려 있는 곳에 섬암(蟾巖)이라고 선명하게 표기되어 있

는데, 마치 두꺼비가 헤엄치는 모습을 하고 있어 역사적 사실기록을 근거로 할 때는 이 거북바위모습

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됨. 섬진마을이 행정구역상 독립되기 전에는 이 지역을 내군도리(內郡道里 :

1789년경)라 하 고, 현재 사동(巳洞)∙지막동(芝幕洞)지역을 군도리(郡道里)라 하 는데 모두 수

군(水軍)주둔지와 관련된 지명으로 생각되며 사동(巳洞)은 마을형국이 뱀이 똬리를 틀고 있는 모습

이다 하여 불리어진 지명이라 전하며, 지막동(芝幕洞)은 현재 매화마을 지역인데 역시 수군(水軍)진

과 관련된 지명으로 추정됨.

한편 지금은 경남 하동군 지역이지만 옛 광양땅에 속하 던 두치진이 섬진마을 건너(섬진강) 위치

하 는데 지금은 둔치라고 부름.

제11편 마을지

Page 2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 자생조직

부녀회(1957녀∙69명)가 있어 부녀들간의 친목도모와 농번기때 품앗이로 서로 협동하고 있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2004년 준공, 1층, 블록슬래브), 섬진경로당, 청매실농원, 광양협성농산 농조합, 수월

정, 수월정 유허비, 섬진진지 석비좌 , 율산 김오천옹 송적비, 섬진강 유래비

� 문화유산∙유적

▶ 수월정(水月亭)

다압면 섬진강변에 있었는데 현재는 처음 지었던 수

월정(水月亭)은 사라지고 없음. 이조 선조때 나주목사

를 지냈던 정접(鄭渫)이 만년을 보냈던 곳으로 그뒤

송강(松江) 정철(鄭澈)이 수월정기(水月亭記)를 썼

음. 수월정기는 수월정 유허비의 비음기에 기록되어

전하고 있으며 한편 이 고장을 무 로 지은 수 30수가

강수은집(姜睡隱集)에 전해옴(나주목사 정접과 송강정철과의 생몰연 가 서로 시기적으로 맞지 않은

점이 있어 앞으로 좀더 살펴보아야 할 사항임).

▶ 수월정유허비(水月亭遺墟碑)

수월정 유허비는 선조 때 나주목사를 지냈던 정접

(鄭渫)이 부친인 정옥천(鄭玉 川)의 유업을 추모하

기 위해 송강 정철로 부터『水月亭遺墟碑』란 비명을

받아 1573년에 비를 세웠는데 일명『鄭玉川遺墟碑』

라고도 함. 그 당시의 비는 유실되고 1971년에 정접

(鄭渫)의 후손들인 광양과 부산 종중에서 다시 세운

것임.

정접의 호는 水月亭, 본관은 光山으로 인관(仁寬)의 아들임. 1576년(선조 9년)에 등과하여 나주목

사(1598. 1~1598. 5)를 지냈음.

▶ 섬진진지 석비좌 (蟾津鎭址石碑座臺)

수월정유허비 주변에 귀부좌 4기가 놓여있는데 이곳이 옛날 섬진진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별장

들의 공적비 좌 을 것으로 보임. 이 좌 (座臺)형태는 투박한 조형으로 치아가 빠진 입을 드러낸

모습과 간략하게 사족(四足)을 표현해 놓고 있음. 원래는 17개 는데 나머지는 유실되었다고 전함.

931

제7장 다압면

▲ 수월정

▲ 수월정유허비

Page 3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32

좌 의 등에는 기둥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가로: 44cm, 세로: 15cm, 깊이: 10cm 파여져 있으며 좌

의 크기는 길이: 173cm, 폭: 105cm, 높이: 72cm임.

▶ 섬진진지(蟾津鎭址)

섬진마을에 위치하 던 섬진진은 하동과 연결되

는 가장 큰 규모의 군사요충지 을 것으로 생각됨.

뿐만 아니라 진상면에는 섬거역이 있었고 다압면

신원리 원동에는 섬진원이 있어 섬진나루는 전라도

와 경상도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 음. 문헌상 섬진

원에 한 기록이 나타나는 것은 임진왜란 때로서

호남진지에 의하면『처음 섬진에 군사를 배치한 사

람은 이충무공으로 섬진의 건너 쪽인 두치에 조방

군을 두어 이 곳을 지키게 했다』고 기록되어 있음.

또한 광양군지(1925년)에 의하면『임진왜란 후인 1603년 통 에서 이곳에 도청을 설치하고 군사

를 뽑기 시작했으며 정식으로 수군진을 삼은 것은 1705년으로 이곳에 종8품의 별장을 두었다』고 기

록되었으며 여지도서(1760년경)에는 종6품의 별장을 두었음.

섬진진에는 성이 축조되지 않았으나 서해관(誓海館)이란 집무청 및 창고 6채와 위사(衛舍)등 8채

의 집이 있었으며 병선으로는 방선(防船)2척, 사후선(伺候船)2척등 4척이 있었음. 당시의 주둔군은

358명 내외 으며 진 주변에는 민가 88호가 있었음.

▶ 당산나무

다압면 도사리 135-1번지, 진동마을 입구에 위치하 던 느티나무로서 수령 약 300년, 흉고 2.5m,

수고 12m가 되었는데 약 25년전에 당산나무가 사라짐.

� 마을출신 인물

∙김오천(�午千∙1902년생) : 소득증 부문 유공으로 산업훈장 수상(1965년), 광양밤의 개척자

이며 선구자로서 광양밤을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게 하는데 크게

공헌함. 1972년 광양군민들이 그의 공적을 기리고자 율산 김오천

옹 송적비를 세웠으며, 1978년 제4회 광양군민의 날에 소득증

부문 유공으로 광양군민의 상 수상

∙구부림(具賦林∙1939년생) : 제21 다압면장

∙김성길(�性吉∙1940년생) : 서울시청 서기관, 서울지하철공사 본부 전기부장

∙홍쌍리(洪雙里∙1943년생) : 매실 선구자, 새농민상 수상(1996), 국무총리상 수상(가공식품 부

제11편 마을지

▲ 섬진진지 석비좌

Page 3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문. 1996), 국가지정명인 제14호(매실 식품 1호. 1997), 가공식품

부문 통령상 수상(1998), 석탑산업훈장 수상(1998), 신지식농

업인 선정(농림부. 1999), 산농촌 문화 상 수상(2001), 우수여

성발명인 상 수상(2002), 산업경제 발전유공으로 제10회 광양시

민의 상 수상(2004)

∙김성수(�成洙∙1956년생) : 육군중령, 육군본부 근무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가장골 : 지막동 북쪽에 있는 들

∙감남골 : 진동(섬진)뒷산 골짜기 지명으로 옛날 이곳에 감나무가 있었음.

∙개나골 : 지막동 북쪽에 있는 마을 또는 그곳 골짜기

∙게몽당 : 마을 서북쪽에 위치한 산의 특정지명. 이와 관련하여 전설이 내려오고 있는데 옛날 이곳

마을출신인 박용규씨의 6 조부묘(墓)를 조성하기 위해 땅을 파헤치자 땅에서 물줄기

가 생기면서 게가 3마리 나왔는데, 이곳 게가 새(鳥)로 변하여 청새골로 1마리, 개나골

로 1마리, 하동선창 뒷산 풀립산으로 1마리 날아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으며 지금

도 그곳에는 물이 나오고 있음.

∙군도리(群道里) : 진동 서쪽에 있는 마을

∙굴-바구 : 개나골에 있는 바위. 굴이 있음.

∙당목 : 섬진에서 신원리 외압으로 가는 고개, 서낭당이 있었음.

∙당산나무 : 진동마을 입구에 있으며 수령이 약 300년 되었다고 전함. 지금은 거의 고사(枯死)상

태이며 한 가지만(一枝) 살아 있음. 마을 주민들은 명절이 되면 이곳에서 당산제를 지

내며 집안에 길흉사가 있을 때 당산나무에서 제를 지내기도 함.

∙ 릿골 : 지막과 사동사이에 있는 골짜기

∙두치진 : 섬진 마을 건너편(강건너) 하동쪽에 있었던 나루 또는 그곳 마을. 한때는 다압면지역에 속

하 음(현재의 지명-둔치 :물이 있는 곳의 가장자리 또는 물가의 언덕이란 의미를 지님).

∙뒷-골1 : 진동(섬진) 뒤쪽에 있는 골짜기

∙뒷-골2 : 진동(섬진) 뒤쪽에 있는 들

∙무당바구 : 마을 서남쪽 뒷산에 위치한 커다란 바위를 지칭함.

∙사동(巳洞) : 진동 서쪽에 있는 마을. 뒷산이 뱀 형국임

∙사장-터(射場) : 지막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곰팡재의 동쪽에 위치한데 옛날 사장(射場)이 있었

다고 전함.

∙선-돌 바위 : 배맨 바위라고도 함. 섬진 동쪽 섬진강변에 있는 바위로서 옛날 이곳에 배를 매었음

933

제7장 다압면

Page 3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34

∙선창 : 섬진 동쪽에 있는 마을. 선창이 있었음.

∙섬진-나루(蟾津) : 섬진이라고도 함. 지막동 동남쪽, 섬진강변에 있는 나루터. 하동읍으로 건너

가는 길목이었음.

∙섬진-터(蟾津) : 섬진나루에 있는 섬진원 터. 조선 숙종 31년(1705) 경남 통 통제사 오중주

(吳重周)가 군사상의 요충지라고 조정에 보고 하여 1705년에 설치하 음. 별

장(別將) 1인을 두었음.

∙섬진동헌터 : 섬진복판에 있는 터로 섬진 별장터라고도 부름.

∙섬진리(蟾津里) : 다압면 군도리∙진동∙사동∙지막동과 하동읍 만지리(둔치)가 병합된 행정리

음.

∙수월정-유허비(水月亭遺墟碑) : 수월정 터에 있는 비. 1971년 다시 세웠음.

∙수월정-터(水月亭) : 섬진나루 앞길가에 있었던 수월정의 옛터. 목사를 지낸 정접이 늙그막에

정자를 지어 시를 읊고 지냈음. 앞에는 섬진강의 맑은 물이 유유히 흐르고

뒤에는 높고 낮은 산들이 둘러싸여 좋은 경치를 이루었음. 정자는 오래되

어 헐리고 그 자리에 유허비를 세움.

∙원돌팍 : 섬진나루터에 있는 바위군에 위치하는데 옛 빨래터가 있는 곳

∙장구목 : 사동에서 느랭이로 가는 장구처럼 잘룩한 고개

∙지막동(芝幕洞) : 진동(섬진) 서북쪽에 있는 마을

∙진동(津洞) : 군도리 동쪽, 섬진나루 옆에 있는 마을

∙쫏비-산 : 섬진과 다사마을 경계 뒤쪽 제일 높은 산

∙칠인평 : 섬진나루 남쪽에 있는 들. 신원리의 칠인징이 위쪽이 됨. 꿩이 알을 품은 형국이어서 치

란평(雉卵坪)이라고도 함.

� 특기사항

▶ 율산(�山) 김오천(�午千)옹과 광양밤

율산 김오천옹은 1902년 11월 21일(음력) 섬진마을

에서 농부 김용순(�容述)의 아들로 태어나 여덟살 때부

터 머슴살이를 하 고, 열일곱살 되던 1918년 머슴살 이

한 삯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광부생활 13년동안 돈을 모

았음. 『사람은 사람을 속인다. 그러나 흙과 나무는 사람

을 속이지 않는다』는 생활신조를 가지고 밤나무5,000

주, 매실나무 5,000주의 묘목을 일본에서 가져온 것은

제11편 마을지

▲ 율산 김오천옹 송적비

Page 3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1931년 그가 서른살때 음. 그리하여 김옹은 수백정보의 밤산을 만들었는데 큰길가에도 밤나무가

서 있는 곳, 지나가는 행인들도 거침없이 알밤을 주워먹는 곳으로 조성하 음. 언젠가 의아하게 생각

되어 그 까닭을 묻는 사람에게 옹은 이렇게 답하 다고 전함. “그래야만 도둑이 없음네이다”.

당시 가을 알밤이 벌어질 때면 이 골짜기는 당시 온통 밤산으로 뒤덮 는데 그는 1965년 그동안

끼친 공로로 산업훈장을 받았으며 광양고을에서는 이곳 마을 앞에다 업적을 기리는 비를 세우고 옹

의 생애에 가장 어울리는‘율산(�山)’이란 아호(雅號)를 헌정하여 옹의 업적을 기리었음.

▶ 홍쌍리와 다압매실

홍쌍리는 김오천옹의 며느리로서 시아버지로부터 내리받은 개척정신과 여자 몸으로 모진 고생으

로 다져진 불굴의 의지로 김오천옹이 일본에서 가져와 심은 매화나무로 불씨를 살려 섬진마을을 전

국에서 유명한 매화골로 만든 장본인임. 청매실 농원을 가꾸어 매실을 특유한 가공법과 전통식품으

로 계발시켜 신지식인으로서 농업부문에 선정되었을 뿐 아니라 국가지정명인 제14호(매실식품 1호,

1997년)로 지정 받아 매실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으로 인증 받아 국내는 물론 해외 수출로 이어지는

전국 모범 가공식품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 매화축제

다압매실이 전국적인 명성으로 널리 알려지도록 1995. 3월 청매실 농원이 주관한 제1회 청매실 농

원 매화축제를 시작으로 매년 매화축제를 개최하고 있음. 새봄을 맞이하여 가장 일찍 피는 매화꽃이

섬진마을을 시작으로 다압고을에 피기 시작하면 온통 하얀 꽃으로 뒤덮여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전

국각지에서 몰려드는 관광객으로 다압 섬진마을은 한동안 축제 분위기에 놓이게 됨.

한편 매실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전시∙판매하면서 백운산에서 생산되는 산채와 고로쇠 약수와 연

계하여 농가소득에 크게 기여하는 한편 매화꽃의 특이한 장관을 사진에 담기 위한 전국사진촬 회

등 주요행사가 이어오고 있음.

▶ 광양청매실 농원

농원의 최초 기반 조성자는 제1 매실농사꾼인 김오천 옹이고, 그 이후 매실명인으로 널리 알려진

홍쌍리 여사가 청매실 농원의 2 농사꾼으로 매실의

우위성을 널리 알리고 독보적 발상과 노력으로 오늘

날의 식품으로까지 개발하여 고부가가치의 농산물로

이곳 농원을 성장시켰으며, 3 매실 농사꾼은 홍쌍

리여사의 장남인 김민수씨로 본격적인 매실제품의 가

공판매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매실 제품의 중화

에 앞장서고 있음. 식품가공업체로서 청매실 농원의

연혁을 개략적으로 살피면 1994. 6. 전통식품으로 매

935

제7장 다압면

▲ 청매실 농원(매실장독)

Page 3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36

실농원 신규 업허가 취득, 1994. 12 광양 청매실농원 농조합법인 설립, 2002. 6. 친환경 농산물

인증 획득, 2002. 12. 청매실 농축액으로 전통식품 품질인증 획득, 2004. 7. 식품의약품 안전청으로

부터 건강 기능식품 제조업 및 판매업 허가를 받음.

▶ 광양협성농산 농조합

다압면 도사리 140번지(섬진마을)에 소재함. 1983. 8. 20 협성상사 설립을 시초로 2002. 1. 1현재

60만불 수출(매실∙산초∙밤 등)을 달성하 으며 2002. 2. 16에는 매실제조방법 특허(제0326359

호)를 획득함.

매실을 이용한 여러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매실 본래의 맛이 살아있는 제품을 생산, 국내의 유수

주류업체에 매실가공 원료를 납품하고 있음.

▶ 섬진마을 용왕굿

용왕굿이란 재액을 막고 소원성취, 평안무사를 비는 무속신앙으로 바다를 다스리는 용왕님(신)에

게 하는 굿거리임. 제장(祭場)은 다압면 섬진마을 수월정 유허비와 거북바위가 있었던 곳에서 강쪽으

로 4~5m 아래에 있는 편편한 바위 위에 마련되었는데 옛날 이 지역이 강 건너 하동과 이어지던 나루

터 음을 볼 때 용왕굿이 성행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최근에는 용왕굿이 행해지지 않고있음.

용왕굿의 목적으로는‘나루를 잘 건너게 해달라’, ‘배가 파손되었을 때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죽은 사람의 넋을 건지고 씻기 위해’등임. 굿의 절차는 사방에 소금을 뿌려 부정치기를 한 후 제물

을 진설하고 무당이 자리를 잡고 앉아 자신의 소구를 두드리면서 경을 외우는 순서로 진행되었음.

제11편 마을지

▲ 마을회관 ▲ 섬진 경로당

Page 3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37

제7장 다압면

▲ 섬진강 유래비

▲ 배맨바위 ▲ 섬진진지 옛터

Page 3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38

�다사(多士)마을【多鴨面道士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 주소득원(밤∙매실)

� 마을연혁

다사마을은 청동기시 (기원전 10세기에서 기원전 300년의 시 ) 유적인 지석묘 (2개)가 조사된

바 있으며 고려(918~1392년)또는 그 이전에 이 고을에 다사 천소(多沙川所)란 특수행정구역이 있

었으므로 마을 역사가 아주 깊은 고을이며 이 당시 경남 하동군을 한다사현(韓多沙縣)이라 불 음을

참고하면 지명상으로 경남 하동과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문헌상 기록에 의거 마을역사를 살펴보면 1600년쯤에는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

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다사촌

(多士村)이라 하 고 1872년 왕명(王)으로 제작한 광양현 지도에는 다사리(多士里)로 표기됨.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까지도 다압면 다사리(多士里)라 하

제11편 마을지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256 129 127 98 98 - 279 17 58 200 4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3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군도리(郡道里)∙다사리(多士里)∙섬진리(蟾津里)가 병합하여

다압면 도사리(道士里)에 속하 음.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도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도사2구 지역으로 다사(多士)라 하 고 현재(2002. 12. 31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도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다사(多士)라 함.

한편 지금은 경남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만지마을인데 옛날에는 이 지역이 광양땅 다압면 섬진리

에 속한 지역으로 다사마을(중학교)건너편 섬진강 건너에 위치하고 있음.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청동기시 부터 이 지역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문헌상 기록에 의하면 고려(918�

1392년) 또는 그 이전에 다사천소(多沙川所)란 마을이 있었음. 한편 전하는 이야기로는 약 720년전

에 임(�)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정착하 고 그 뒤 진주강씨(晋州姜氏)가 이주해 와 마을이 형성

되었다고 전하는데 현재는 진주강씨가 많이 살고 있음.

다사(多士)마을 본래 이름인 다사천(多沙川)은 자 그 로 모래와 내(川)가 많은 고을이란 의미

임. 현재도 모래가 가장 많으며 4개의 내(川)가 있는데 탑골천, 바람재 꼬랑, 가는골(큰냇물), 용수암

계곡천 등이 있음. 1789년 호구총수 문헌에 서부터 다사(多士)라고 마을이름이 개칭되었는데 지리

도참설에 의하면 이 고을에 선비가 많이 날 것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함. 다사마을은 아주

옛날에는‘ 수내’, ‘큰동네’, ‘큰땅’이라고도 불 으며 소학정∙용무정을 합쳐서‘ 수내’라고도

함. 자연마을인 용무정(�舞亭)은 전에 용소라는 소(沼)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소학정(巢鶴亭)은

마을 앞에 학이 많이 앉는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 전함.

� 자생조직

부녀회(1975년∙91명)가 있어 부녀자간의 친목도모와 농번기 때 서로 도와 왔으며, 위친계(1969

년∙70명)가 조직되어 관혼상제시 서로 협조하여 장례를 치러 왔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2003년 준공, 1층, 조적슬래브), 광양다압

중학교(1971년 설립), 극락암, 용선암, 다압교회(1958

년 설립), 광양매실 농조합, 도사 보건진료소, 다사경

로당

939

제7장 다압면

▲ 광양매실 농조합

Page 3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40

� 문화유산∙유적

▶ 청동기시 유적 지석묘

마을 앞 도로변에 지석묘가 1기가 있으며, 한편 이곳에서 북쪽으로 도로를 따라 100m정도 가서 길

서쪽에 지석묘 2기가 있음. 이곳은 얕은 구릉의 말단부에 해당 되는데 1기는 밭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나머지 1기는 도로를 확장하면서 도괴되어 밭둑에 기울어져 있음.

▶ 안차덕가옥(고가)

건립된지 200년이 넘는다고 하나 정확한 연 는 알 수 없음. 섬진강 유역의 협소한 농토를 상으로

생활해온 주민들의 전형적인 세민가임. 지붕은 슬레이트로 개조했으나 원래는 초가지붕이었음.

▶ 용소전설

옛적에 선비가 과거시험을 보러 가는데 길은 험하고 밤은 깊어 인가를 찾으려고 헤매다가 인가를

찾을 수 없게 되자 하는 수 없이 밤중에 보이는 큰바위에 올라 잠을 자면서 꿈속에 바위신인 용이 나

와 이 바위를 스쳐가면서 용꼬리로 둑을 무너뜨리고 지나가니 둑이 둥둥 떠내려갔음. 그러던 차에 그

용이 선비에게 과거시험 문제를 가르쳐 주어 과거에 급제했다고 해서 용소(� ) 또는 용무쟁이(용

무정「�舞亭」)이라 하 다고 전함.

▶ 정자나무

다압면 도사리 877-1번지, 마을 도로변에 위치한 푸조나무이며 수령 약 380년, 흉 고2.8m, 수고

8m로서 보호수 지정번호 15-5-7-4번임.

� 마을출신 인물

∙김인용(�仁容∙1897년생) : 새마을 사업 유공으로 제2회(1976년) 광양 군민의상 수상

∙강문형(姜汶馨∙1906년생) : 제3 다압면의회 의장

∙강지형(姜池馨∙1906년생) : 제18 다압면장

∙강부 (姜富永∙1923년생) : 목포시∙승주군∙순천시 건설과장. 제47 광양향교 전교

∙장오석(張午錫∙1924년생) : 함양 경찰서장

∙최두석(崔斗錫∙1927년생) : 전투유공으로 화랑 무공훈장 수상(1950년)

∙서 식(徐永植∙1929년생) : 새마을지도자로서 새마을사업 유공으로 국민훈장 석류장 수상

∙강기형(姜琪馨∙1935년생) : 광양군 농촌지도소장

∙강찬형(姜贊馨∙1935년생) : 제22 다압면장. 지역발전유공으로 녹조근정훈장 수상

∙박춘생(朴春生∙1938년생) : 구시 남구청의회 의원

∙정동호(鄭東濠∙1944년생) : 경남 하동군 농업기술센타 소장

제11편 마을지

Page 3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강봉희(姜鳳熙∙1959년생) : 경찰 학 교수(경감)

∙강주순(姜周淳∙1863년생) : 초 다압면장(집강)

∙김권 (�權永∙1968년생) : 곡성군 오산면장, 곡성군 과장, 농림부 근무(서기관)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가는골 : 다사 서남쪽에 있는 좁고 긴 골짜기인데 전에는 가장터 음.

∙개바구 : 마을 동쪽, 도로에서 20m 거리에 위치. 개가 입을 벌리고 있는 형국의 바위

∙개정지 : 다사 북쪽에 있는 들

∙다사리(多士里) : 큰땀∙소학정∙용무정이 합쳐진 마을지명

∙ 수내 : 큰땀 마을의 다른 이름. 큰땀은 큰마을이란 뜻임.

∙돌팀이-나루 : 용무정 동쪽에 있는 마을. 옛날 이곳 섬진강변에 나루터가 있었음.

∙말바구 : 큰땀에서 남쪽인 섬진방향 도로변에 말모양을 한 청석(바위) 또는 그 부근지역. 현재는

바위가 도로확장으로 훼손됨.

∙메주모팅이 : 다사리에서 섬진으로 가는 모롱이

∙물먹는골 : 장구목 밑에 있는 골짜기, 물이 솟아나는 곳으로 나무꾼들이 쉬면서 물을 떠다 먹었음

∙바람재 : 다사마을 서쪽에서 진상면 어치리로 가는 고개인데 길이 매우 가파름. 이곳 고개 정상에

갈미봉이 위치함.

∙방죽들 : 다사마을 남쪽에 있는 들로 이곳에 방죽(못)이 있었음.

∙부응디미 : 마을 서쪽 들가운데 바위가 많은 지역. 이곳에 부엉이가 살았다고 전함.

∙새미거리 : 마을 앞 길나들목에 있는 우물부근 지역을 지칭함. 옛날 이 우물은 사계절 많은 지하

수가 나와 오가는 사람들이 즐겨먹은 우물이었는데 상수도 사용으로 지금은 우물로

서의 구실을 상실함.

∙소징이 : ‘송정’으로도 부름. 전에 소나무 정자가 있었으며 현재는 수백 년 된 팽나무가 있음.

∙소학정(巢鶴亭) : 큰땀에서 북쪽방향에 위치한 마을인데 20여 호가 살고 있음. 소학정의 유래는

이곳 숲이 좋아서 황새가 많이 살고 있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임. 또는 용무정

북쪽에 있는 산을 지칭하기도 함.

∙일천다랭이 : 한 마지기의 논이 수십개의 다랑배미로 이루어져, 비오는 날 모를 심고 집에 가려고

삿갓을 벗으니 그 밑에 또 한 배미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하여 옴.

∙웃몰 : 땀에서 바람재로 가는 가장 끝부분 옛 마을터. 다사마을이 처음에는 이곳에 형성되었는데

점차 아랫마을로 옮겨 현재는 큰땀 (마을)을 이루었음. 지금은 밭속에 집터흔적만 있음.

∙앵계배미 : 흉년에 병아리 한 마리와 바꾸었다는 논으로 모두 3마지가 있음.

941

제7장 다압면

Page 4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42

∙용무정(�舞亭) : 큰땀 북쪽에 있는 마을로 현재 7가구정도 살고있음. 용소가 있었음.

∙용소 : 용무정 북쪽에 있는 소로 용이 있었다고 전하여 옛날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음.

∙용신암 : 다사 남쪽에서 진상면 어치리로 가는 고개로서 옛날 이곳 부근에암자가 있었음. 이곳 고

개 정상에 비산이 위치함.

∙큰땀 : 수내라고도 함. 도사리에서 으뜸 되는 마을

∙탑골 : 소학정 북쪽에 있는 고개로 전에 탑이 있었음.

∙터진목 : 용산암 계곡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이 섬진강과 합쳐지는 물목을 아래 터진목이라고 하

고 가는골 계곡에서 물이 흘러 내려와 섬진강과 합쳐지는 물목을 웃터진목이라 함.

� 특기사항

▶ 광양 매실 농조합

다압면은 단일지역으로는 전국최 의 매실을 생산하는 고을로서 이곳 매실재배 농가들이 수확한

매실을 부가가치를 높여 판매하기 위해 현지에서 생산되는 매실을 가공∙판매 목적으로 설립한 농

조합임.

외국산 매실의 가공수입에 처하여 협업적 농업경 을 통하여 생산성을 높여 가격 경쟁력의 제고

로 농민소득 증 를 기하고 있으며 1994년에 조직된 다압 매실 생산자 조합이 모태가 되어 재배농민

113명이 공동 출자하여 1994. 6. 1 매실가공 공장을 설립, 1998년부터 매실주인‘매진’을 시장 출하

하고 있음.

▶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성탁(金聖鐸)의 유배지인「용선암」

김성탁(金聖鐸)은 조선 조 의 문신∙학자로서 본관 의성(義城), 자는 진백(振伯), 호는 제산(霽

山), 퇴계 학맥의 적통(嫡統)인 갈암 이현일의 수제자로 1735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홍문관

교리에 이르 다. 스승 이현일의 신원을 주장하는 상소로 인해 무고를 받아 제주로 귀향갔다가 1738

년 7월 광양으로 이배(移配)되었다.

1747년 광양 용선암에서 별세하기까지 약10년간 진상면 황룡사 북암, 다압면 섬진마을 등지로 옮

겨 다녔으며 광양에서 유배생활 중 인근의 선비들과 교류하고 많은 제자를 길 으며 다수의 저서와

시문을 남겼다. 현재 용선암은 몇 년전까지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지고 옛 터만 남아있으며 그의 저서

로는「제산집(霽山集)」18권이 있다.

제11편 마을지

Page 4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43

제7장 다압면

▲ 마을회관 ▲ 용무정

▲ 소학정 ▲ 다사 지석묘

▲ 소징이▲ 용왕굿

Page 4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44

�관동(官洞)마을【多鴨面高士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 주소득원(밤∙매실)

� 마을연혁

관동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 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관동촌(官洞村)이라 하 고 1872년 왕명(王

命)으로 제작된 광양현 지도에 의하면 다압면 관동(官洞)으로 표기되었음.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다압면 관동리(官洞里)라 하

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관동리(官洞里)∙고사리(古士里)∙항동리(項洞里)∙죽천리(竹川

里)와 병합하여 다압면 고사리(高士里)에 속하 음.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고사1구 지역이 되어 관동(官洞)이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

상 관동(官洞)이라 함.

제11편 마을지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88 84 104 59 59 - 203 6 34 160 3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4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관동마을은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1600년경 경남진주에 살던 청주정씨(淸州鄭氏)부부가 꿈

에 선친이 나타나서 서쪽을 가리키며 말 없이 서 있다가 사라지는 것을 괴이하게 생각하여 다음날 이

삿짐을 꾸려 서쪽으로 정처없이 길을 걸었는데 경남 하동에 이르러 강 건너 이곳을 바라보니 기골이

장 한 장군이 손짓을 하여 다가가보니 그 장군은 온데간데없고 넓은 터가 있어 이곳에 정착하게 되

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며 그 다음에 경주정씨(慶州鄭氏)가 입촌하여 마을을 형성하 다고 전함.

관동마을은‘깃골’또는‘귀잇골’등으로 구전되어 오는데 이는 기골이 장 하고 훌륭한 사람이 많이

나는 골이라 하여 불려진 것이며‘깃골’을 한문식으로 음차(音借)하여 관동(官洞)이라 하 다고 전함.

한편 옛말의 변천과정을 살피면 관동(官洞)=귀잇골 즉 그 지역의 가장자리, 옛날 섬진강의 가장자

리에 위치한 마을이란 뜻을 지니고 있음. 가장자리의 가장은‘ ’에서 유래된 우리말로서 갓→갓

→갓→가상→가장으로 변화를 거쳤는데 여기서‘갓’을 한문으로 쓸 때 벼슬을 뜻하고 머리에 쓰는 갓

에 의미를 두어 관동(官洞)으로 쓴 것으로 생각됨.

관동마을에는 안터, 상관동, 평지땀, 유자복 등의 자연마을이 있는데 특정지명 편에서 자세히 소개

하기로 함. 이 마을에는 서울 학교 남부연습림 관동사업소가 있는데 왜정시 에는 마당재에 있었으

나 현재는(20여 년 전부터) 관동마을 안터로 옮겼음.

고사리(고사리)이름 유래는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시 고사리(古士里)∙관동리(官洞

里)∙항동리(項洞里)∙죽천리(竹川里)를 병합하여 고사리(高士里)라 하 음.

� 자생조직

부녀회(1970년∙53명)가 있어 부녀간의 친목도모와 농번기때 품앗이로 서로 협동하여 왔으며, 위

친계(1968년∙50명)가 있어 부모사망시 서로 도우며 장례를 치러왔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2001년 준공, 2층, 철근슬래브, 경로당), 재각(고사리 227번지, 청주정씨 장단공파 재

각), 서울 학교 농업생명과학 학 관동연습림, 송정공원, 수자원공사 관동 취수장

�문화유산∙유적

▶ 정자나무

다압면 고사리 294-1번지, 마을 뒤 점몰에 위치한 팽나무 3그루, 서어나무 3그루이며 수령 약

250년, 팽나무는 흉고 2.2m~3.4m, 수고 8m~15m이고 서어나무는 흉고 1.8m~2.4m, 수고

5m~10m로서 보호수 지정번호 15-5-7-5번임.

945

제7장 다압면

Page 4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46

� 마을출신 인물

∙정 호(鄭瓔鎬∙1904년생) : 제2 다압면의회 의장, 제10 다압면장

∙정봉우(鄭鳳友∙1914년생) : 제11 ∙제13 다압면장

∙정문학(鄭文學∙1927년생) : 제19 다압면장

∙정종윤(鄭鍾潤∙1927년생) : 총무처 고시과장∙운송과장

∙정범윤(鄭凡潤∙1930년생) : 서울 을지로 전화국과장.

∙정순호(鄭淳鎬∙1931년생) : 경남 하동군 민방위과장∙산업과장

∙정상윤(鄭相潤∙1935년생) : 보건사회부장관 비서관, 국제협력과장

∙정봉기(鄭鳳淇∙1938년생) : 송운문화사 표(‘향토와 인물’편저)

∙정순완(鄭舜梡∙1951년생) : 거제시청 건설과장

∙정춘완(鄭 梡∙1952년생) : (울산시)세무사

∙정현완(鄭鉉梡∙1953년생) : 광양시의회 제4 의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관동(官洞) : 귀잇골이라고도 함. 강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마을이란 뜻임. 평지땀 서쪽에 위치함.

∙가장골 : 점몰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이 지역에서 시체를 가장(가매장)했었음.

∙갈밋-골 : 탑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갈미봉 밑이 됨.

∙갈미봉 : 관동마을 뒤 남쪽에 있는 높은 봉우리. 봉우리가 갈미(갈모)형국임.

∙강논 너마지깃들 : 소징잇들 동쪽 강가에 있는 들로서 네마지기 음. 이곳에 물을 는 보를‘강논

너마지깃들보’라 하 는데 현재는 수자원공사 다압취수장 시설부지로 변했음.

∙괴음정 : 평지땀 서남쪽에 있는 마을

∙구석땀 : 당산땀 북쪽에 있는 마을로 구석에 해당함.

∙남촌(南村) : 평지땀 남쪽에 있었던 마을

∙남촌등 : 남촌 위쪽에 위치한 산등성이

∙댕만-골 : 처낭재(천황재)아래 우측에 위치한 골짜기

∙마당배미 : 맥기논들에 있는 논. 마당처럼 평평함.

∙마당지 : 탑골 북서쪽에 있는 넓은 골짜기로 마당처럼

넓음.

∙머구밭골 : 상관동에서 위쪽. 도로변에서 위쪽에 위치한 골짜기로 멀구나무가 많았음.

∙모개징이 : 점몰 북동쪽에 있는 들. 정자나무인 모개(모과)나무가 있었음.

∙모개징이-보 : 모개징이에 물을 는 보

제11편 마을지

▲ 구석땀

Page 4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몰등 : 평지땀 뒤쪽에 있는 산등성이로 말 형국임. 이곳 부근에‘몰등바구’가 있음.

∙몰등바구 : 평지땀 뒤쪽 산등성이에 있는 바위

∙몰바구 : 마당지에 있는 바위로 그 위에 자국이 나있는데 힘센 장군의 몰(말)자국이라 함. ‘장군

바구’로도 부름.

∙배나무징이 : 상관동 서북쪽에서 다압면 어치리로 가는 고개로 정자나무인 배나무가 있었음.

∙배징이 : 갈밋골 북쪽의 배(船)처럼 생긴 골짜기

∙베락바구 : 점몰 뒤쪽에 있는 바위. 베락(벼락)을 맞았다는데 여러조각이 갈라져 있음.

∙삼사미 : 조기통골 서쪽에 있는 산

∙상관동(上官洞) : 안터위쪽 부근이며 도로에서 보면 왼쪽편에 위치한 마을

∙안터 : 상관동 북쪽안에 있는 마을. 1969년 정부보조로 집을 짓고 터를 닦아 새로 마을을 만들어

근처에 흩어져 있는 외딴집을 모두 이곳으로 옮겨 살도록 하 음.

∙용수-봉 : 삼사미 북쪽에 있는 산

∙웃처낭재 : 처낭재(천황재) 위쪽에 있는 고개

∙월갱잇들 : 강논 너마지깃들 서쪽에 있는 들. 현재 강논 너마지깃들은 수자원공사 다압취사장으

로 변했음.

∙월갱잇들-보 : 월갱잇들에 물을 는 보

∙오동나뭇-골 : 배쟁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 오동나무가 있었음.

∙점몰 : 튼논들에 있던 마을로 이곳에 옹기점이 있었음. ‘점촌’이라고도 함.

∙점몰-통샘이 : 점몰에 있는 샘으로 돌로 통처럼 짜 넣었음.

∙중 꼭 들 : 마당지 밑에 있던 들로 산 속에 있음.

∙진등 : 배징이 위쪽에 길게 뻗친 산등성이

∙진밭골 : 구성몰들 뒤쪽의 골짜기로 고랑이 진(긴) 밭이 있음.

∙처낭재 : 상관등 위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 처낭(서당)이 있었음.

∙큰골 : 큰복골 북쪽에 있는 큰 골짜기

∙탑골(꼬랑) : 관동과 다사마을 경계에 있는 골짜기. 전에 탑이 있었으며 골짜기를 넘는 재를 탑골

재라 부름.

∙탑골-재 : 탑골에 있는 고개. 관동에서 도사리로 가는 산등에 위치함.

∙텃논들 : 웃처낭재 밑에 있는 들로 점몰의 옛 마을터가 남아있음.

∙텃논들-보 : 텃논들에 물을 는 보

∙평지땀 : 상관동 동쪽의 평지에 있는 마을. ‘평지평’으로도 부름.

∙행정지 : 상관동 북쪽에 있는 산이며‘황정지’로도 부름.

947

제7장 다압면

Page 4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48

� 특기사항

▶ 미풍양속

이 고을 마을 청년들은 약 20년 전부터 해마다 음력 4월 초파일에 마을 어른들을 한 자리에 모시고

경로위안 잔치를 하며 그동안 부모들이 자식들을 키우면서 고생한 것에 하여 위로하여 드리고 오

래도록 건강히 사실 것을 축원 드리며 좋아하는 음식 등을 접하는 등 미풍양속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 고을을 본받아 이웃마을에서도 자율적으로 해마다 경로위안 잔치를 행하여 오고 있음.

제11편 마을지

▲ 마을회관 ▲ 송정공원

▲ 관동연습림 ▲ 관동취수장

Page 4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고사(高士)마을【多鴨面高士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작설차), 주소득원(밤∙매실∙작설차)

� 마을연혁

고사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 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고사촌(古士村)이라고 마을이름이 최초로 문

헌상 기록된 이래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까지 다압면 고사리

(古士里)라 하 음.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관동리(官洞里)∙고사리(古士里)∙항동리(項洞里)∙죽천리(竹川里)

가 병합되어 다압면 고사리(高士里)에 속하 으며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고사2구 지역이 되어 고사(高士)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고사(高士)라 함.

949

제7장 다압면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31 66 65 53 53 - 224 4 28 190 2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4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0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고사마을은 1500년쯤 함안조씨가 처음 입촌하 고 뒤이어 김해김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면

서 한지(韓紙)를 생산하여 부자마을을 이루었다고 전함. 따라서 지금도‘지소골(절골)’이란 지명이

남아 있으며 옛날 절이 있었다하여 절골이라고도 부름. 절골(지소골)에 부두거리(부도거리)라는 지

명이 있고 현재‘해당암’이라 새겨진 부도가 남아있으며 그 외에 옛날 절과 관계되는 지명이 많이 남

아있어 이곳에 옛날 절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음. 특히 불당골에는 미륵불이 있었다고 전함.

고사(高士)마을의 본래 이름은 고사(古士)라고 하 는데 전하는 이야기로는 마을 앞에 건립연

를 알 수 없는 절터가 있었다 하여 고사(古寺)라고 이름하 다고 하는데 고사(古寺)가 변형되어 고사

(古士)로 오기 되었지 않나 생각됨.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관동리, 고사리(古士里), 항동리, 죽천리를 병합하면서 4개리 지역을

합하여 고사리(高士里)라 하면서 그 이후 고사(古士)를 고사(高士)로 개칭한 것으로 문헌상 기록되

어 전하는데 그 사유에 해서는 알 수 없음.

전하는 이야기로는 해방이후 이곳에서 많은 선비가 배출 될 것이라는 풍수지리설에 근거하여 고사

(高士)마을로 고쳤다고 전함.

1872년 왕명으로 제작된 광양현지도에 의하면 이 당시에 마을에 사창(社倉)이 있었는데 사창은

조선시 지방의 촌락에 설치된 일종의 곡물 여기관으로 당시 면(面)에서 경 하 는데 그 내용은

구곡(舊穀)을 출하고 무이식으로 신곡을 받는 것, 곡물을 여하여 이자만 받아들이는 것, 춘궁기

에 출하여 가을에 이식과 함께 받아들이는 등 곡식으로 주민들을 구호하는 것이었는데 그곳 흔적

으로 마을 창고 부근지역을 지금도 사창거리라 부르고 있음.

� 자생조직

조상때부터 위친계가 조직되어 부모 사망시 서로 상부상조하여 장례를 치르며, 부녀회(1961년 조

직∙68명)가 조직되어 부녀간의 친목도모와 농번기때 품앗이로 서로 도와 농사일을 꾸려가고 있음.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4년 준공, 1층, 블록슬레이트), 김

기두 자선비각 경로당(2004년 준공, 벽돌슬래브)

� 문화유산∙유적

▶ 김기두(�琪斗)의 자선비

왜정시 흉년이 들어 밥을 굶는 사람들이 많자

세금을 납(代納)하고 각 호구마다 쌀 한말씩을

제11편 마을지

▲ 김기두 자선비 각

Page 4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나눠준 김기두(金琪斗)의 은덕을 기리기 위하여 마을입구에 유경문(有慶門)이란 제각을 지어 비를

세웠음. 마을사람들은 빚을 져서 세워준 집이라 하여‘빚집’이라고 부르고 있음. 현재 이 비(碑)는 마

을어귀 산자락으로 옮겨 세웠는데 시의 지원을 받아 비각과 제각을 새로 중수하여 새롭게 단장하 음.

▶ 당산나무

고사리 1039번지, 당산또에 위치한 팽나무이며 수령 약 380년, 흉고 3.6m, 수고 12m로서 보호수

지정번호 15-5-7-6번임. 약 50년전부터 당산제를 지내지 않고 있음.

� 마을출신 인물

∙김용수(�容洙∙1881년생) : 제3 ∙제7 다압면장. 제11 광양향교 전교(직원)

∙김용규(�容圭∙1883년생) : 제5 다압면장

∙고광엽(高光燁∙1909년생) : 제9 다압면장, 경북 주∙봉화∙ 양∙성주∙ 천군수전남구례군수

∙김행곤(�行坤∙1918년생) : 제1 다압면 의회의장

∙박동제(朴東濟∙1930년생) : 제20 다압면장

∙김치곤(�致坤∙1931년생) : 서울특별시 마포구청 건설과장

∙최종권(崔鍾權∙1931년생) : 전투유공으로 화랑 무공훈장 수상(1952)

∙김종균(�鐘均∙1937년생)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제12 통령 선거인(1981)

∙안래호(安來鎬∙1937년생) : 경기도 부천시 우체국장

∙고재규(高在圭∙1938년생) : 한국방송공사 심의실 부장

∙김종실(�鍾實∙1946년생) : 월남전 유공으로 화랑무공훈장 수상(1969)

∙이차규(�次揆∙1947년생) : 제25 다압면장, 제2 태인동장. 광양시청 정보통신 과장

∙김성철(�成喆∙1957년생) : 제28 다압면장. 광양시 과장

∙김명원(�明源∙1965년생) : 학교 재학중 민주화운동을 하다 옥고를 치름. 징역 1년, 집행유

예 3년형을 받음.

∙신상환(申相煥∙1968년생) : 학교 재학중 민주화 운동을 하다 옥고를 치름. 징역3년및 자격정

지 2년을 받아 수원, 안

양, 전교도소에서 수감

생활. ’91. 8. 4일 석방.

∙김세원(�世原∙1971년생) : 공군소령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가운데땀 : 고사지역에서 가운데 위치한 마을. 중간땀,

중간평으로도 부름.

951

제7장 다압면

▲ 가운데 땀

Page 5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2

∙고시내 : 고사마을의 다른 이름. 또는 고사마을 사이로 흐르는 내의 이름

∙냇가땀 : 가운데땀 서쪽에 있는 마을로 냇가에 위치함.

∙농-바구 : 불당골 뒤쪽에 위치한 농처럼 생긴 바구(바위)로 마을사람들이 화전놀이를 하 던 곳

∙당산-들(堂山-) : 당산땀 앞에 있는 들

∙당산땀 : 뻔덕과 마주보는 땀(마을)으로 당산나무가 있음.

∙동청거리 : 구석땀과 중간땀사이에 위치한 동네거리 지명으로 이곳에 있었던 건물(동청)이 지금

의 마을회관 역할을 하 음.

∙둠벙배미 : 사창거리 서쪽에 위치한 논. 둠벙이 있었음.

∙뒷골 : 가운데땀 뒤에 위치한 마을

∙땅곡 : 마을 동북쪽에서 항동마을로 가는 고개. 전에 서낭당이 있었다 함.

∙매봉 : 마을뒤에 위치한 제일 높은 산봉우리. 죽천마을에서는 필봉( 鋒)이라 함.

∙문바구 : 마을 남쪽에 있는 바위. 모습이 문(門)같이 생겼음.

∙문박재 : 마을 남쪽에서 상관동으로 가는 산고개. 문(門)같이 생긴 바위가 있음.

∙반섶들 : 마을 동남쪽에 있는 들

∙뻔떡땀 : 가운데 땀 서쪽 뻔덕(버덩)아래쪽에 있는 마을

∙불당골 : 가운데땀 왼쪽에 위치한 마을, 옛날에 불당이 있고 미륵불이 있었다고 전함.

∙사창거리 : 가운데땀 앞에 위치한 지역으로 옛날 사창(社倉)이 있었다고 함. 농협창고 부근지역임.

∙산발등 : 마을 서쪽에 있는 산등성이로 삼밭이 있었음.

∙산짓골 : 감나무골 뒤에 위치한 골짜기로 전에 이곳에서 산제를 지냈음.

∙서기바구 : 고사 서쪽의 서기박골에 있는 바위. 근처에서 석이(石耳)가 났음.

∙세기박골 : 지서골 뒤에 있는 골짜기로 석이(돌이 피는 버섯)가 있음.

∙서당-들 : 구석땀과 불당골 사이의 들을 말하며 옛날 서당이 있었음.

∙술감정 : 마을입구 현 경로당 자리로 큰 감나무가 2그루 있었으며 주민들의 모임장소로나 휴식처

로 이용됨.

∙안산(案山) : 고사 뒤 서북쪽에 위치한 산. 마을의 안 가 됨.

∙안산밭-등 : 안산에 있는 등성이. 밭이 있었음.

∙애기밭골 : 가운데땀과 뻔덕땀 사이 냇가에 큰 바위가 있었으며 옛날 아기(애기)가 죽으면 이곳

바위 밑에 시체를 매장한데서 유래된 지명.

∙외배미 : 마을입구에 위치한 논으로 한배미가 아홉마지기라 하여 아홉마지기들이라고도 부름.

∙장구-배미 : 외배미 동쪽에 있는 논. 장구처럼 생겼음.

∙잭별 : 마을 앞 하수정화시설 부근 도로에 위치한 지명. 옛날 마을 깊숙이 안쪽(지서골)에 본래의

마을이 있었는데 이 마을을 방문한 손(객)이 오면 이곳 부근도로에까지 나와서 작별(송

제11편 마을지

Page 5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별)하 다 하여 유래된 지명

∙조기통골 : 고사 서쪽에 있는 골짜기. 지소(紙所)골 뒤에 위치함.

∙지산등 : 가운데땀 서북쪽에 있는 산등성이. 고사의 주산(主山)이라 일컫음.

∙중간땀 : 가운데 땀이라고도 부르며, 고사마을의 중간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

∙감나무골 : 마을 서쪽에 위치한 등성이로 감나무들이 많이 있었음.

∙써나무정 : 참나무골 뒤에 있으며 큰 써나무가 있어 나뭇군들의 쉼터가 되었음.

∙아래문바구 : 마을입구 오른쪽에 위치한 산봉우리로 문(門)같이 생긴 바위가 있음.

∙들가운데 : 당산땀 앞 들 한가운데 위치한 땀(마을)

∙아래성짓골 : 마을 서쪽에 위치한 골짜기로 성짓골 아래쪽이 됨.

∙버무골 : 써나무정 뒷산 중턱에 위치하며 큰 바위사이로 동굴이 있으며 옛날 범(호랑이)이 살았

다는 골짜기

∙삼새미 : 지서골 좌측 계곡에 위치하며 암자터가 남아있음.

∙비석거리 : 마을 북쪽에 위치한 지방도로변으로 항동마을과 연결되며 이곳에 비석이 있음.

∙사진관 : 반섶 뒤에 위치한 지역으로 옛날 사진관을 운 하던 집이 있었다하여 일컫는 말

∙윗문바구 : 아래 문바구 위에 위치한 산봉우리로 문(門)같이 생긴 바위가 있음.

∙위성짓골 : 아래 성짓골 위에 위치한 골짜기.

∙지소꼴 : 고사마을 서북쪽에 위치한 마을로 처음으로 마을이 형성된 곳이며 절터가 있어 절골이

라 부르다 한지 제조공장이 생기고부터 지소골이라 불 다고 전함.

∙공동산 : 마을 동남쪽에 위치한 산으로 고사리 공동묘지로 사용되고 있음.

∙공장 : 마을 회관 앞에 위치한 옛날 한지 제조공장이 있었던 지역.

∙구석담 : 당산땀과 불당골 사이에 있는 땀(마을)으로 마을 한구석에 위치함.

∙돌감정 : 냇가땀 뒤에 위치한 들로 똘감(재래종감) 나무가 있었다고 전함.

∙동내터 : 돌감정 서남쪽에 위치한 곳으로 동네(마을)가 있었다고 전함.

∙동청거리 : 구석땀과 가운데땀 사이에 있는 지명으로 동청(지금 마을회관)이 있던 자리(거리)

∙물골 : 지서골 뒤 큰 계곡으로 고사 냇물의 근원지임.

∙물방아실 : 냇가땀 뒤에 있는 냇물 웅덩이로 옛날 물레방아를 설치하 던 곳.

∙참나무밭골(참나무굼팅이) : 똘감정 뒤에 있으며 큰 옛날 참나무(도토리) 밑에서 나무꾼 들이 쉬

어가던 곳.

∙행검징이 : 고사마을 동쪽 공동산 앞에 있는 지역으로 관동마을과 연결되는 지방도 변을 말함.

953

제7장 다압면

Page 5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4

제11편 마을지

▲ 마을회관 ▲ 당산땀

▲ 사창옛터 ▲ 광양 작설차 밭

Page 5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5

제7장 다압면

●항동(項洞)마을【多鴨면高士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작설차), 주소득원(벼∙밤∙매실∙작설차)

� 마을연혁

항동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신촌(新村 : 현재의 새터)과 항동촌(項洞村)지

역이었으며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까지는 다압면 항동리(項

洞里)라 하 음.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관동리(官洞里), 고사리(古士里), 항동리(項洞里), 죽천리(竹川里)와

병합되어 다압면 고사리(高士里)에 속하 으며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

군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고사3구 지역이 되어 항동(項洞)이라 하 고 현재는 광

양시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항동(項洞)이라 함.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91 104 87 71 71 - 203 5 44 152 2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5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6

제11편 마을지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항동마을은 어느 성씨에 의해 마을이 형성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전후(1592년)하여 각

처에서 도적이 발생하여 백성들을 괴롭히자 이를 피하기 위해 이 마을에 들어와 마을을 형성하 다

고 전함.

면의 중앙에 위치한다 하여‘한골’이라 불러오다 한문식으로 음차(音借)되어 항동(項洞)이라 하

다고 전하나 옛말의 변천과정을 살피면 목(項)처럼 잘룩한 곳에 위치한 마을이란 뜻을 지니고 있음.

즉 목마을→목+말→목말→목골, 목몰로 변화 되었는데‘목’을 뜻 로‘목(項)’으로 하고, ‘골∙몰’

은 마을을 뜻하는‘동(洞)’으로 하여 항동(項洞)으로 이름지은 것으로 추정됨.

항동(項洞)은 유지곡, 새터(新村), 딱밭골, 구성말, 골안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 졌으며 백운산 줄

기인 매봉 하단(項)에 위치하며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경남 하동군 악양면 개치(開峙)마을과 마주하

고 있음. 딱밭골은 왜정시 까지 닥나무가 많아 한지(韓紙)공장이 있었던 데서 유래되었는데 옛날 경

남 하동사람인‘김서방’이 경 하던 이 고장의 한지는 다압나루를 이용하여 하동장으로 팔려 나갔다

고 전함.

� 자생조직

부녀회(1970년 조직∙73명)가 조직되어 부녀자들간에 친목도모와 농번기 때 품앗이로 서로 돕고

있으며, 위친계(1982년 조직∙73명)가 있어 부모사망시 상부상조하여 장례를 치 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2년 준공, 1층, 철근슬래브),

다압면사무소, 다압우체국

∙다압초등학교(1969년 설립), 다압중앙성결

교회, 제7일 안식일 교회

∙광양소방서 다압출장소, 다압면 복지회관,

다압농협작설차 가공공장, 다(茶)홍보관, 다

압농협

∙다압 보건지소, 광양경찰서 진상지구 다압치안센터, 농업기술센타 다압면 농민상담소, 다압면

예비군 중 본부

� 문화유산∙유적

▶ 매산바구 열녀비

▲ 다압면사무소

Page 5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7

제7장 다압면

남편이 빚을 져서 채권자들의 독촉에 심한 괴로움을 받자 이를 보다 못해 강물에 몸을 던져 죽음으

로써 채권자들이 그 뜻에 감동되어 남편을 구하 던 공재일의 처를 기리는 비(碑)

� 마을출신 인물

∙이수봉(�洙鳳∙1877년생) : 제2 다압면장

∙김충곤(�充坤∙1926년생) : 전투유공으로 화랑무공훈장 수상(1950)

∙강명중(姜明中∙1932년생) : 경남하동 악양축지초등학교 교장

∙김순태(�淳泰∙1946년생) : 광양군∙구례군∙광양시청 과장

∙김두선(�斗先∙1950년생) : (주)두남화학 표이사

∙최 호(崔榮鎬∙1957년생) : 육군소령

∙김종선(�鍾先∙1958년생) : KBS방송국 TV제작국 PD(태조왕건 PD)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갱븐마을 : 다압면사무소 건너편 섬진강변에 이루어진 마을

∙골안-들 : 골안 앞에 있는 들

∙골안 : 내곡 위쪽에 위치한 마을

∙구성말 : 다압우체국∙항동마을회관∙교회가 위치한 마을

∙내곡(內谷) : 다압면사무소에서 보건소 입구도로로 진입하여 위쪽에 위치한 마을. 음달이라고도

부름.

∙농바구 : 귀신바구 밑에 있는 농처럼 생긴 바구

∙ 밭등 : 내곡마을 건너편 섬진강변에 있는 넓은 밭이며, 1980년 에는 5정쯤되었는데, 현재

는 그중 약 1.5정보가 자연생 녹차 밭으로 변했음.

∙뒷골 : 유지곡 뒤쪽에 있는 골짜기

∙딱밭골 : 생밭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 이 지역에

딱(닥)밭이 있었음.

∙매산바굿-들 : 매산바구 앞에 있는 들

∙매산바구 : 유지곡 입구에 있는 바위. 매산바구 열녀비

문이 새겨져 있는데 자연석 상태에서 비문

이 새겨져 있음.

∙맥기논들-보 : 맥기논들에 물을 는 보

∙맥기논들 : 구성말(다압우체국앞) 도로건너에 위치한 들

▲ 매산바구

Page 5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8

제11편 마을지

∙배나무징이 : 유지곡 마을로 가는 중간뜸에 배나무가 있었

던 버덩. 현재는 배나무가 없어졌음.

∙버지골 : 유지골의 다른말

∙새- 터 : 다압면 사무소-다압농협 도로변에 이루어진 마

을. 신기(新基)라고도 부름.

∙생밭골 : 수콧재 북쪽에 있는 골짜기

∙선들나루 : 항동마을의 섬진강변에 있는 나루. 나루터에

이용되는 배를「면배」라고 불 음.

∙수콧재 : 딱밭골 뒷산에 있는 고개. 옛날 이곳에 여러 그루의 정자나무가 있었음.

∙열녀소 : 열녀비 아래에 있었던 소(沼). 현재는 없어졌음

∙오동나뭇골 : 배쟁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오동나무가 많았음.

∙용수봉 : 수콧재에서 3km상부에 있는 산봉우리

∙유지곡 : 다압면사무소에서 도로를 따라 죽천마을 못미쳐 왼쪽으로 들어가서 위치한 마을. 1980

년에는 10여호가 있었으나 현재는 3가구가 살고 있음.

∙정자숲 : 음달(내곡) 뒤쪽 산 몬당에 있는 정자나무 군락지(서나무)

� 특기사항

▶ 백운산 작설차와 다압농협의 작설차 가공공장

백운산(1,218m)기슭 계곡에서 자라는 백운산 작

설은 자연과 함께 오염되지 않는 섬진강을 끼고 있고

강우량이 충분하며, 반음지로 일조량이 적어 차나무

가 자라기에는 매우 적합한 지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

음. 이곳 작설차는 약 1,100년 전부터 자생하여 왔다

고 전하고 있으며 겨울 내내 푸르름을 간직한 잎을

이듬해 4월 초순, 봄에 싱싱하게 자란 새순을 따서

옛 조상들로부터 전해져온 수제차 방식으로 작설차

를 만들고 있음.

다압면 12개 마을, 250여 농가에서 작설차를 재배하고 있는데, 다압농협에서 농가로부터 이를 수

매∙가공 후 엄격한 과정을 거쳐 선별하여 제품을 생산, 전국농협∙슈퍼∙온라인 통신망을 통해 공

급하고 있음.

▲ 다압농협 작설차 가공공장

▲ 유지곡

Page 5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59

제7장 다압면

▲ 마을회관 ▲ 구성말

▲번천▲ 매산

▲ 음달 ▲ 새터

Page 5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0

제11편 마을지

●죽천(竹川)마을【多鴨面高士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배), 주소득원(밤∙배)

� 마을연혁

죽천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 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 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당시 다압면 죽천촌(竹川村)지역이었으며 1912년(지

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다압면 죽천리(竹川里)라 하 음.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관동리(官洞里), 고사리(古士里), 항동리(項洞里), 죽천리(竹川里)가

병합되어 다압면 고사리(高士里)에 속하 으며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

군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고사4구 지역이 되어 죽천(竹川)이라 하 고 현재는 광

양시 다압면 고사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죽천(竹川)이라 함.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71 86 85 54 54 - 192 4 34 152 2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5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1

제7장 다압면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죽천마을은 임진왜란(1592년) 후 민심이 흉흉하고 도적이 발생하여 도처에 약탈이 심하자 이를

피하기 위하여 경남하동 등 강변에 살던 사람들이 구례 등 내륙 지방으로 이주하면서 이곳에 삶터를

잡아 정착하 다고 전함.

넓은 백사장을 끼고 많은 나무가 산재되어 있으며 도로변에 길게 자리잡은 자연마을 사이사이로

내(4개소)가 섬진강으로 흐른다하여 내 즉 죽천(竹川)이라 하 다고 전하며 상 내∙중간뜸∙새

뜸∙소징이 등의 작은 마을들이 죽천마을을 형성하고 있음.

� 자생조직

위친계(1970년 조직∙47명)가 있어 부모사망시 상부상조하여 장례를 치르며, 부녀계(1982년 조

직∙49명)가 조직되어 친목도모와 농번기때 품앗이로 서로 협동하여 왔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3년 준공, 1층, 블록슬레이트), 경로당(2002준공, 1층 스라브)

� 마을출신 인물

∙이기동(�起東∙1930년생) : 전투유공으로 화랑무공훈장 수상(1954)

∙박문수(朴文洙∙1944년생) : 월남전 유공으로 화랑무공훈장 수상(1967)

∙정도생(鄭道生∙1952년생) : 육군중령 ( 장)

∙우제선(禹濟善∙1965년생) : 동국 학교 불교학과 교수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개골바구 : 섬진강변 항동마을과 경계지역에 위치

한 바위이며 강물속에 잠겨있는데 개구

리 같이 생겼음.

∙상- 내 : 상죽천이라고도 하며 죽천마을 위쪽에

위치함. 새땀 서남쪽에 있는 마을

∙새땀 : 보곡(洑谷). 보-골이라고도 함. 송정(송징

이)마을의 북쪽에 위치한 마을

▲ 새땀

Page 6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2

제11편 마을지

∙새 : 안장바위가 있는 산등에서 도로변 위쪽에 새로 형성된 마을

∙소징이 : 죽천마을 입구 모퉁이에 위치한 마을이며, 이

곳에 큰 소나무가 있어 소징이 또 송정리(松亭

里)라고도 부름.

∙소징잇들-보 : 송정평(松亭坪)이라고 함. 송정마을에

있는 보(洑)

∙송정(松亭) : 소징이라고도 하는데 큰 소나무가 있었

음. 상 내 아래쪽에 위치한 마을

∙안장바위 : 정자나무 아래 마을에서 도로변을 따라 위

쪽 산등에 있는 바위. 말의 안장처럼 생겼음.

∙웃 내 : 내(죽천) 위쪽에 있는 마을

∙입석나루 : 새땀 동남쪽에 있었던 나루터

∙작은복골 : 복골의 작은 골짜기

∙장꼭산 : 소징이 뒷산. 꿩의 목처럼 생겼음.

∙정자나무 밑 : 도로변에 정자나무가 있는 마을. 현재는 정자나무가 한 그루만 남아 있음.

∙죽천(竹川) : -내. 죽천리라고도 함. 관동 서북쪽에 있는 마을

① 밭이 있었음. ② 내가 있었음.

∙중간또 : 정자나무 밑 마을의 윗동네. 죽천마을의 중간에 위치한 자연마을

∙필봉 : 중간또 뒷산에 위치한 뾰족한 산봉우리. 옛날에는 황새봉이라 불러 왔으나 지금은 주변 땅

이름과 모양새를 참작하여 필봉(筆峰)이라 부름.

∙아릿-소징이 : 송정(소징이)아래쪽에 있는 마을

∙아홉마지깃-들 : 아릿소징이 앞에 있는 들로 아홉마지기가 있었음.

∙아홉마지깃-보 : 아홉마지깃-들에 물을 는 보

∙웃-소징이 : 소징이 위쪽에 있는 마을

∙작은-복골 : 복골의 작은 골짜기

� 특기사항

∙마을이 도로변을 따라 길게 자리잡고 있는 것이 특징임(1.9km)

죽천 = 새또(땀)→등애마을→안장바위→정자나무 밑→중간또(뜸)→상 내(웃 내)→소징이(송

정이)→개골바구(마을)

죽천마을은 1970년 말에는 78호 정도 되었으나 현재는 약 47호가 되어 마을인구가 많이 줄어 듬.

▲ 소징이

Page 6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3

제7장 다압면

▲ 마을회관 ▲ 깨구리바구(마을)

▲ 필봉▲ 나무 숲

Page 6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4

제11편 마을지

�평촌(坪村)마을【多鴨面錦川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 주소득원(밤∙매실)

� 마을연혁

평촌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당시 광양현 다압면 평촌(坪村)이라 하여 문헌상 처음

으로 기록에 나타나며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광양군 다압

면 평촌리(坪村里)라 하 음.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촌리∙동동리∙서동리∙직금리∙염창리와 병합되어 다압면 금천리

에 속하 으며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금천리(법정리)에 속

하여 행정리상 금천1구가 되어 자연마을로 평촌(坪村)이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금천리(법

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평촌(坪村)이라 함.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35 77 58 47 47 - 156 6 26 121 3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6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5

제7장 다압면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평촌마을은 언제 어느 성씨에 의해 마을이 형성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서동(西東)에 마을이 형성되

면서 점차 이곳에 마을이 이루어졌으리라 추정됨. 서동∙동동∙평촌마을 중 서동(西東)∙동동(東

洞)마을은 백운산 밑에 자리잡고 있으나 평촌마을은 섬진강변의 평지에 위치한다 하여 평촌(坪村)이

란 지명이 연유된 것으로 추정됨.

금천리(錦川里)이름 유래는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시 평촌리(坪村里)∙동동리(東洞

里)∙서동리(西洞里)∙직금리(織錦里)∙염창리(鹽倉里)가 병합하여 금천리(錦川里)라 하 는데

‘직금’을‘지금내’라고도 부르는데 여기에 연유하여‘지금내’를 한문식으로 쓰면서 금천(錦川)으로

마을이름이 바뀌어진 것이라 생각됨.

� 자생조직

부녀회(1970년 조직∙41명)가 있어 부녀간의 친

목도모와 농번기 때 품앗이로 바쁜 일손을 서로 도와

왔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4년 준공, 1층 블록슬래브), 광양시

민휴양소(옛 다압 북초등학교), 금천 보건진료소, 금

천노인정, 칠성암, 금천교회, 금천교

� 문화유산∙유적

▶ 풍치목

다압면 금천리 전 41번지. 들 가운데 위치한 소나

무이며 수령 약 200년, 흉고 2.2m, 수고 9m로서 미

지정 보호수인데 수형이 아름답고 생육이 양호하여

보호수로 지정∙관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됨.

� 마을 출신인물

∙양한도(楊漢極∙1870년생) : 제4 다압면장

∙신태휴(申太休∙1908년생) : 제15 ∙16 다압면장

∙김태모(�泰謨∙1921년생) : 광주∙화순∙고흥∙여수∙구례∙광양 농산물 검사소장

▲ 금천교

▲ 풍치목

Page 6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6

제11편 마을지

∙박철수(朴喆洙∙1973년생) : 사법연수중(제44회 사법고시 합격)

∙최용호(崔容豪∙1974년생) : 기획예산처 재정분석실 사무관(제45회 행정고시합격)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감투봉 : 감투(머리에 쓰는 두건)처럼 생긴 모습의 산봉우리. 평촌 서남쪽에 위치함.

∙검두나루 : 금천리에 있는 옛 나루터. 평촌마을 입구에서 오른쪽 모퉁이로 돌아가는 지역으로 섬

진강변에 위치하 음.

∙괴음정 : 아랫땀 아래 냇가를 따라 이루어진 마을. 옛날 괴욤나무가 있었음.

∙귀신바구 : 평촌마을 서북쪽에 위치함. 옛날 이곳에서 귀신이 나왔다고 전함.

∙당골래소 : 평촌마을 동동교 밑에 있었던 소

(동동. 서동마을 합수지점 조금

아래위치). 당골래가 이곳에서

빠져죽었다고 전함.

∙동산 : 평촌 북쪽에 있는 산. 동네산에 딸렸

었음.

∙말산개 : 평촌 동북쪽에 있는 말(馬) 형상을

닮은 냇가. 몰산개라고도 하 음.

∙무젯간 : 말산개(몰산개) 남쪽에 있는 산

∙바람골 : 짐장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바

람이 많이 불었던 곳임.

∙복골 : 평촌에 있는 골짜기. 호랑이가 엎드린 형국임.

∙북섬 : 현 노인정 위치. 옛날 섬이었는데 학교 동산이라고도 불 음.

∙산재밧골 : 평촌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이곳에서 산제를 지냈음.

∙쌍바구 : 윗몰에 위치하며 바위가 두 개 나란히 있음.

∙웃몰 : 감투봉 밑의 들 또는 평촌의 위쪽마을을 가리킴.

∙중바구 : 옛 평촌나루터 부근에 있는 바위

∙중섬 : 검두나루 근처에 있는 들로 근처 강가에 중바구가 서 있음.

∙지맨장골 : 평촌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지수둠벙 : 옛날 이곳에서 종이를 떴었던 둠벙. 당골래 아래가 됨.

∙짐장골 : 평촌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지맨장골 이라고도 부름.

∙짚은개밑 : 몰산개에서 죽천마을쪽 강변을 따라 500m근처에 강변 수심이 깊었던 곳. 물속이 아

주 깊었다고 전함.

▲ 당골래소 터

Page 6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7

제7장 다압면

∙큰바구 : 옛 평촌나루터 동남쪽에 있는 큰바위

∙평촌나루 : 평촌 마을 입구 강변에 있었던 나루터. 이곳은 옛날 경상도 하동을 내왕하는 유일한

교통수단으로 화개 검두마을(나루터)과 연결된 나루터 음.

▲ 마을회관 ▲ 괴음정

▲ 검두나루 터▲ 광양시민휴양소

Page 6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8

제11편 마을지

�동동(東洞)마을【多鴨面錦川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매실∙고로쇠), 주소득원(밤∙매실∙고로쇠)

� 마을연혁

동동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 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광양현 다압면 동동(東洞)이라 하 고 1912년(지방

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광양군 다압면 동동리(東洞里)라 하 음.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촌리∙동동리∙서동리∙직금리∙염창리가 병합되어 다압면 금천리

(錦川里)에 속하 으며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금천리(법정

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금천2구가 되어 동동(東洞)이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금천리(법정

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동동(東洞)이라 함.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93 47 46 36 36 - 211 8 36 163 4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6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69

제7장 다압면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동동마을은 어느 때인지 알 수 없으나 화전생활을 하던 김씨부부가 뒷산 중턱에 있는 큰 동굴 근처

에서 삶터를 마련하고 정착하 다고 전하며 이러한 연유로 마을이름을‘동골(洞窟)’이라 불러오다

동굴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뒤에 동동(東洞)이라고 한 것으로 생각됨.

마을 양지뜸 남쪽에 불당골이란 골짜기가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 때 이곳에 절(불당)이 있었다 하여

부르는 지명임. 전해 오는 이야기로는 이 절에 부처상을 비롯한 유물들이 있었는데 일제시 어느 일

본인 부자에게 부처상과 절의 부속물들이 헐값에 넘어갔다고 전하며 지금도 불당골에는 청기와 등이

산재함. 옛날 한 어부가 절의 주춧돌을 아래로 굴려 버렸는데 그일 때문인지 그 어부는 군 에 가서

죽었다고 하며 마을사람들은 이곳에 신(神)이 있는 것으로 믿고 있음.

� 자생조직

부녀회(1981년 조직∙31명)가 조직되어 부녀자들의 친목도모와 농번기 때 품앗이로 서로간의 일

손을 도와왔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4년 준공, 1층, 블록슬레이트), 칠성

사, 농산물판매장(2000년 준공, 1층 슬래브), 전통녹

차체험학습관(2000년 준공, 1층 벽돌), 마을정자

(2000년 준공, 목조기와)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곰의골 : 고무골. 곰골이라고도 부름. 황새봉 위쪽 골짜기. 옛날 이 지역에 곰이 자주 나타났다고

전함.

∙곰밭골 : 중섬 몰랑 위쪽 골짜기. 곰이 자주 나타났다고 함.

∙귀신바구 : 음지땀 마을 입구쯤에 있는 바구(바위). 옛날 이곳에서 귀신이 나타났다고 전함.

∙높은재 : 불당골 옆의 왼쪽편에 불당골에 연이어 위치한 높은 고개

∙닥달목 : 동동마을에서 깊숙이 계곡으로 들어가 안골 부근에 있는 산고개

∙뒷골 : 딱밭골과 불당골 사이 너머의 뒤에 멀리 위치한 골짜기

∙뒷길매재 : 윗길매재 위쪽. 안골 못 미쳐 위치한 골짜기

∙딱밭골 : 줄-매똥거리 위쪽 골짜기. 옛날 이 지역에 딱밭이 있었음.

▲ 마을정자

Page 6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0

제11편 마을지

∙매봉재¹: 큰골 서남쪽에 있는 산 고개

∙매봉재²: 매봉재 밑에 있는 들

∙미아리목 : 텃뒤에서 버들 평전 사이에 있는 뜰

∙버들평전 : 미아리 목 위쪽. 옆으로 형성된 뜰. 버드나무가 있었음.

∙불당골 : 양지땀 남쪽에 있는 골짜기. 불당(佛堂)이 있었음.

∙산태골 : 점텃골 바로 위쪽에 연이어 위치한 골짜기. 옛날 산사태가 자주 났었다고 전함.

∙삼밭골 : 다압 고사마을로 가는 길인 기다란 골짜기로 옛날 이곳에 삼밭이 있었다고 전함. 삼밭골

아래에 중간또(마을)이 있으며 삼밭골을 중심으로 설통박골, 가운데골, 갓골등의 골짜

기가 연이어 위치하고 있음.

∙새-뜸 : 새땀이라고도 함. 양지땀 동쪽에 있는 새로 형성된 마을

∙아래길매재 : 안골 못 미쳐 있는 길매재 안쪽에

위치한 골짜기

∙양지땀 : 동동마을 오른쪽의 서심재 밑에 자리한

마을. 동동마을에서 가장 먼저 입촌한

곳이라 전함.

∙안골 : 마을에서 가장 깊숙이 안쪽에 위치하며

뒤에 병풍모습의 산을 이고 있는 골짜기

로 아랫재와 웃재가 있음. 이 골짜기를 넘

으면 진상면 왼데미(外回)가 위치함.

∙우동밭골 : 참나무징이 바로 위쪽에 있는 큰 골짜기. 오동나무가 많이 자랐음.

∙윗길매재 : 아래 길매재에 연이어 위쪽에 위치한 골짜기

∙음지뜸 : 새뜸이라고도 부름. 동동마을에서 왼쪽인데 음지에 위치한 마을

∙인삼밭골 : 음지뜸 왼쪽에 위치한 골짜기로 인삼밭이 있었는데 하릿나무골 위쪽에 위치함.

∙장동 감나무 거리 : 참나무 징이 아래쪽에 위치한 들. 장동 감나무가 많이 심어졌었음.

∙점텃골 : 동동의 아래부분과 평촌의 경계지점에서 왼쪽에 위치한 골짜기. 현 칠성사 앞터 부근으

로 옛날 옹구점이 있었다고 전함.

∙줄-매똥거리: 곰밭골 위쪽 산고랑에 묘지가 많은 넓은 버덩

∙중섬 : 옥녀봉 가장 끝 하단부 지역으로서 동동. 서동. 평촌 세마을의 경계지역. 옛날은 가운데 위

치하여 섬(島)을 이루었다고 전함.

∙중간땀 : 양지땀과 음지뜸의 중간 아래쪽에 위치한 마을

∙중섬몰랑 : 옥녀봉 하단부 산 지맥의 중섬의 가운데 지역

∙참나무징이 : 우동밭골의 높은재 아래에 있는 들판으로 참나무가 많았음.

▲ 양지땀

Page 6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1

제7장 다압면

∙큰고랑 : 갓골 위쪽에 있는 큰 골짜기

∙큰데기골 : 마을 깊숙이 위치한 큰 골짜기. 뒷길매재 위쪽에 연이어 위치함.

∙텃뒤 : 우동밭골 옆으로 평평한 지역

∙하릿나뭇골 : 큰고랑 위쪽으로 잇 어 있는 골짜기

∙황새봉 : 산태골 바로 위쪽에 연이어 위치한 산봉우리. 황새 형국으로 생겼음.

▲ 마을회관

▲ 점텃골

▲ 중간땀

▲ 귀신바구

▲ 전통녹차 체험학습관▲ 특산물 판매장

Page 7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2

제11편 마을지

�서동(西洞)마을【多鴨面錦川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고로쇠∙밤∙작설∙매실), 주소득원(고뢰쇠∙밤∙작설∙매실)

� 마을연혁

서동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 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광양현 다압면 서동(西洞)이라 하 고 1912년(지방

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광양군 다압면 서동리(西東里)라 하 음.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촌리∙동동리∙서동리∙직금리∙염창리와 병합되어 다압면 금천리

(錦川里)에 속하 고,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시 다압면 금천리(법정

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금천3구가 되어 서동(西洞)이라 하 으며 현재는 광양시 다압면 금천리(법정

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서동(西洞)이라 함.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21 54 67 36 36 - 284 7 38 236 3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7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3

제7장 다압면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서동(西洞)마을은 1600년경 최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입촌하 다고 전하며 한편 거의 같은 시

기에 동래정씨(東萊鄭氏)가 들어와서 마을을 형성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고 전함. 마을뒷산 깊은 계

곡에 커다란 동굴이 있어 동굴서쪽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서골(西窟)’로 부르다가 한자로 표기하

면서 서동(西洞)이 되었음.

하늘에 있는 선녀가 귀양와서 살았다는 옥녀봉(玉女峰)에는 옛날 절이 있었다는‘절골’과‘이팝나

무거리’가 있음. 이 고을에는‘서심재(동동과 서동마을 경계에 있는 산등)’란 특정지명이 있는데 옛

날 중이 베를 짜고 있는 옥녀봉의 옥녀를 쫓아가다가 이 고개에서 자욱한 안개를 만나 멈출 수밖에 없

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지명임. 즉 중이 걸음을 서숨(멈춤)한 고개라 하여 서심재라 함.

� 자생조직

위친계(1970년 조직∙32명)가 있어 부모사망시 상부상조하며 장례를 치르고, 부녀계(1970년 조

직∙33명)가 조직되어 부녀자간의 협동과 농번기때에는 품앗이로 바쁜 일손을 서로 돕고 있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3년 준공, 1층, 블록슬래브), 재각(금천리 2177번지, 진주강씨 판 서공파 재각), 월류

교, 삼막2동(2001년 준공, 목조루삥)

� 문화유산∙유적

▶ 왕사암지(王師庵址)

마을의 절골에 있는데 서동마을에서 하천리로 넘어

가는 계곡을 따라 한참 걸어서 올라가면 8부 능선 되

는 높은 곳에 위치함. 사지는 현재 계단식 논으로 경

작 되고 있으며 장소가 협소하고 산간오지여서 절이

있었다면 아주 소규모 을 것으로 추정됨.

전하는 이야기로는 왕사암은 통일신라말 도선국사

가 창건하여 그의 제자들이 살았는데 이곳에서 정성

껏 정진하면 깨달음을 받아 왕사(王師)가 난다는 곳

이라고 함. 창건당시 도선국사가 토기로 암수 한쌍의 말을 만들어 법당 건너편 바위밑에 동쪽을 향해

세워놓았다고 하는데 약 15년전에 누군가가 파기해 버렸다고 전함.

▲ 왕사암 옛터

Page 7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4

제11편 마을지

� 마을출신 인물

∙정란모(鄭欄謨∙1822년생) : 호남은행 지점장

∙정종모(鄭鍾謨∙1897년생) : 제6 다압면장

∙정학모(鄭鶴謨∙1902년생) : 다압 북초등학교 교장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건너-땀 : 건네-뜸이라고도 함. 중간땀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내 건너에 있음.

∙깃 봉 : 국기봉이라고도 부르며 서동마을 뒷산에 위치하며 측량기점을 삼으려 깃 를 이곳 산

봉우리에 세웠다고 하며 다리막골 위에 위치함.

∙농바구 : 서동마을 입구에 위치한 바위로 농처럼 생겼음.

∙당밖 : 매봉재 서남쪽에 있는 모퉁이 부근지역

∙보디열 : 옥녀봉 아래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옥녀봉의 옥녀가 베를 짜는 데 북이 왔다갔다하면서

보디가 작동되는데 이곳이 딱 멈추는 보디형국이라고 전함.

∙북섬 : 평촌마을에 위치한 금천 경로당 부근지역. 섬을 이루었으나 현재는 농토로 변했음.

∙불당골 : 양지땀 남쪽에 있는 골짜기. 이곳에 불당이 있었는데 남자스님만 살았다고 전함.

∙서답바위 : 요강소 밑에 있는 바위로서 빨래터와 관련 있음

∙서심재 : 옥녀봉 바로 밑에 있는 고개 또는 그 산등. 서동과 동동의 경계를 이루는 산등으로서 옛

날 중이 베를 짜고 있는 옥녀봉의 옥녀를 쫓아가다가 이 고개에서 자욱한 안개를 만나

멈출 수밖에 없었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음(서심=멈춤).

∙써래봉 : 백운산 상봉과 연계되어 있는 산봉우리로서 바위들이 쪼삣쪼삣하여 마치 써레질의 갈

퀴 같은 형국임. 넓은 의미로 백운산 상봉의 바위들도 포함된다고 함.

∙안지개 바위 : 서동과 동동의 사이에 위치한 중섬안에 있는 바위. 앉아있기에 알맞게 생긴 형국임.

∙옥녀봉(玉女峰) : 서동마을 뒤 산줄기의 제일 높은 산봉우리. 하늘에 있는 선녀가 귀양와서 살았다

는 전설을 간직한 산봉우리로서 이 마을 땅이름 유래의 중심체 역할을 하고 있음.

∙왕사암 : 절골에 있었던 암자. 돌샘이 있고 부도가

있었다고 전하나 현재는 없어졌음.

∙요강소 : 금천 계곡중 서동골짜기에 위치한 삼막 앞

에 위치하며 요강 형국임.

∙절골 : 건네땀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 절이 있

었음.

∙제갯들 : 턱기먼당 밑에 있는 들

▲ 절골

Page 7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5

제7장 다압면

∙중간땀 : 새땀과 절골 사이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마을

∙중 섬 : 서동과 동동 계곡물이 합친 곳에 위치한 뜰. 옛날에는 섬을 형성하고 있었음.

∙지치바웃골 : 매봉재 서쪽에 있는 골짜기

∙촛 봉 : 서동 마을 뒤에 위치한 쫏삣한 산으로 촛 형국임.

∙턱기먼당 : 매봉재 남동쪽에 있는 산. 옛날 이 지역에서 산토끼(턱기)몰이를 하 다고 전함.

∙조탯거리 : 왕사암 밑에 위치한 평뜰(논. 밭)

∙괴석바위 : 절골마을 앞에 위치한 바위로 고양이 형국임.

∙문턱바위 : 절골마을 입구에 위치한 바위로 위치상 마을의 문턱에 위치함.

∙ 청거리 : 정자나무가 있는 마을에 위치한 널찍한 청모양의 버덩

∙점터용소 : 서동계곡에서 왼쪽 골짜기로 1Km정도 상류에 위치한 소(沼)로서 아주 깊었다고 전함.

▲ 마을회관

▲ 건너땀

Page 7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6

제11편 마을지

▲ 중간땀 ▲ 아랫땀

▲ 갈미봉 ▲ 촛 봉

▲ 서심재 ▲ 옥녀봉

Page 7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7

제7장 다압면

�직금(織錦)마을【多鴨面錦川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감∙작설∙매실), 주소득원(밤∙감∙작설∙매실)

� 마을연혁

직금마을은 고려(918~1392년) 또는 그 이전에 이 지역에 지암천소(知巖川所)란 특수 행정구역이

있었던 지역으로 추정되며 아주 오래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음. 1600년경에는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이었고 1700년 초기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광양현 다압면 진전촌(陳田村)이라 하 고 1872년에 왕명(王命)으로

제작한 광양현지도에는 다압면 직금리(織錦里)라 하여 문헌상 처음으로 현재의 마을명이 기록에 나

타남.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다압면 직금리(織錦里)라

하 음.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다압면 평촌리∙동동리∙서동리∙염창리∙직금리가 통폐합되어 다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65 32 33 26 26 - 107 4 15 87 1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7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8

제11편 마을지

압면 금천리(錦川里)에 속하 으며 1987. 1. 1기준(광양군지방행정 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

압면 금천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금천4구가 되어 직금(織錦)이라 하 고 현재는 광양시 다압

면 금천리(법정리)지역으로 행정리상 직금(織錦)이라 함.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직금마을은 고려(918~1392년) 또는 그 이전에 지암천소(知巖川所)가 있었는데 당시 마을형성과

정은 알 수 없고 전하는 바에 의하면 임진왜란시 경상도에 살던 김해김씨가 난을 피하여 이곳에 정착

하여 마을을 형성하 다고 전함.

1789년경에 편찬된 호구총수 문헌에는 이 지역을 진전촌(陳田村)이라 하 는데 진전(陳田)이란

묵정밭 즉 토지 장상으로는 경지(耕地)로 되어 있으나 장기간 경작하지 않아 황폐된 토지가 많이

있는 마을이란 뜻을 지니고 있음. 현재의 마을인 직금(織錦)은 풍수지리설에 의거하여 이곳 산세(형

국)를 지칭하는 지명으로 이곳 마을이 옥녀봉(玉女峰)의 옥녀가 비단을 짜는 형국에 해당되는 지역

이라 하여 유래된 지명임.

직금은‘지금내’라고도 부르는데 현재 다사( 수내)를 아주 옛날에는 다사천소(多沙川所)라 한 것

과 같이‘지금내’를 옛날에는 지암천소(知巖川所)라 하 는데 옥녀봉의 비단 짜는 형국을 참고하여

지금내(개울)라 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음.

� 자생조직

위친계(1968년 조직∙23명)가 조직되어 있어 부모사망시 상부상조하여 장례를 치러 왔으며 부녀

회(1970년 조직∙22명)가 있어 협동심 고취와 농번기에는 품앗이로 일손을 서로 돕고 있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2002년 준공, 1층, 슬래브)

� 마을출신 인물

∙김흥수(�興洙∙1926년생) : 목포해양 학교 교수

∙김한경(�翰炅∙1933년생) : 육군 령, 학군단장

∙이임재(��宰∙1965년생) : 광양경찰서 광양지구 장(경감)

∙박제웅(朴齊雄) : 다압면 직금마을에서 출생. 경남하동군에서 교직생활을 하다가 일진회(一進

會)의 반역적 행위에 분개하여 교직을 사퇴한 이후, 국내에서의 만세운동이 국

원회복의 성과를 거두지 못함을 보고 그해 1919년 12월 중국 상해로 건너가서

Page 7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79

제7장 다압면

임시정부원으로 활동하 음. 그 후 임시정부로부터 군자금 모집의 임무를 맡고

다시 귀국하여 나창헌, 이재윤등과 연락을 취하여 광주∙ 전등지에서 활동을

벌이기도 하 음.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꽃쟁이 : 직금(지금내) 앞에 있는 들. 백일홍 꽃나무 정자가 있었음.

∙너마지깃고랑 : 직금내 북쪽에 위치하며 논 너마지기 정도가 있는 산고랑(골짜기)

∙널벙바구 : 직금내 동남쪽에 있는 넓은 바위

∙당밖애(당박개) : 직금마을 동쪽에 있는 버덩

∙ 랭끼 : 직금 서남쪽에 있는 버덩

∙비 갯골 : ‘너마지깃고랑’북쪽에 있는 골짜기로‘비룡갯골’이라고 부름.

∙석 암 : 직금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선바구 : 직금서쪽에 우뚝 서 있는 모습의 바위

∙웃평천 : 직금서쪽에 있는 평촌마을 위쪽의 버덩

∙큰골 : 직금내 서남쪽에 있는 큰 골짜기

� 특기사항

백운산을 주봉(主峰)으로 하여 섬진강으로 흐르는 내(川)가 12개가 있다는 말이 전해오는데 주민

들의 이야기를 참고하여 12개 내(川)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음. ①백우내(구례간전)→②무수내(구

례간전)→③동방내(구례토지)→④한수내(구례토지)→⑤하수내(광양다압하천)→⑥지금내→⑦금천

내→⑧상 내→⑨ 내→⑩고사내→⑪도사내→⑫ 수내

한편 이고장 주변에는 옛부터 유명한 명당자리가 있다고 전해오는데 백운산을 주봉으로 옥녀봉이

있고 아래로 보디열(섬진강과 인접된 지역), 북섬, 진바늘(직금마을 별칭)이란 지명이 있어 옥녀가

베틀을 짜는 형국이라 전국에서 풍수들이 옛부터 이곳을 찾고 있으며 또한 옥녀봉을 중심으로 현재

분묘가 공동묘지처럼 조성되어 있는데 그 중 표적인 묘로서 전남지사를 지낸 해남출신 민(모)지

사의 조상묘, 경남산청출신 정(모)국회의원의 조상묘 등이 이곳에 조성되어 있으며 한편 이곳 명당자

리를 정확하게 찾지 못하고 있다는 설이 있으며 경남하동 화개 검두마을에서 화개장터 방향으로 가

면서 섬진강과 백운산 아래 옥녀봉을 바라보면 사방주위의 산세와 형국으로 보아 명당자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음.

Page 78: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0

제11편 마을지

▲ 마을회관

▲ 꽃쟁이

▲ 큰골▲ 당박개

▲ 북섬

Page 79: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1

제7장 다압면

�염창( 倉)마을【多鴨面錦川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작설), 주소득원(밤∙작설)

� 마을연혁

염창( 倉)마을은 적어도 고려시 (918~1392)부터 이 지역에 소금을 보관하고 출납하던 창고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지리지(1452)에 의하면 이곳 염창( 倉)마을에는 염간( 干:조선

시 제염장에서 작업을 하던 사람)이 34명이고 이곳에서 봄∙가을에 소금을 공납한 물량이 214석

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이 당시 염창주변에 상당히 큰 규모의 마을이 형성되었을 것이라 추정됨.

문헌상으로 마을역사를 살피면 1600년경에는 광양현 동면(東面)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

며 1700년 초기 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진전촌(陳田村)지

역에 속하 던 것으로 추정되며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는

다압면 염창리( 倉里)라 하 음.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115 68 47 48 48 - 238 5 33 197 3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80: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2

제11편 마을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촌리∙동동리∙서동리∙직금리∙염창리가 병합되어 다압면 금천리

에 속하 으며 1987. 1. 1기준(광양군행정구역일람)에 의하면 광양군 다압면 금천리(법정리)에 속

하여 행정리상 금천5구가 되어 자연마을로 매각(梅閣), 염창( 倉)이 있었고 현재(2002. 12. 31)는

광양시 다압면 금천리(법정리)에 속하여 행정리상 염창( 倉)이라 하고 자연마을로 매각과 염창마

을이 있음.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염창마을은 고려시 (918~1392)부터 이곳에 소금을 보관하고 출납하던 창고가 있었으므로 이때

부터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됨. 따라서 마을이름도 이에 연유하여 염창( 倉)이라고 하

음. 조선초기 광양지역의 소금 생산지인 노을도소(奴乙道所 : 진월면 오사리), 고지포(古之浦 : 골

약동 고길마을로 추정됨)에서 소금을 섬진강 수로를 이용하여 이곳으로 가져와 보관해 두고, 섬진강

을 이용하여 공물(貢物)로 바치기도 하고 구례 등 섬진강 상류로 운반하기 위해 강 건너 경남 화개장

터로 실려 나갔을 것으로 추정됨.

� 자생조직

위친계(1962년 조직∙40명)가 있어 부모사망시 상부상조하여 장례를 치르며, 부녀회(1971년 조

직∙41명)가 조직되어 서로간의 친목도모와 농번기때 품앗이로 바쁜 일손을 돕고 있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2003년 준공, 1층, 벽돌조적슬래브), 염창소공원, 하동정공주현 공덕비

� 문화유산∙유적

▶ 감호정(鑑湖亭)

1925년에 간행한 광양군지 누정조(�亭條)에 의하

면, 감호정은 현 동쪽 70리에 김지섭(�之攝 : 본관이

김해이고 고종 때 도사를 역임했음)이 창건하 으며,

백운산 아래 섬진강 위에 있어 산수가 아름답고 화목

이 기이하다고 하 음. 그 위치는 현재 다압면 금천리

염창마을 상부에 소재함.

매천 황현이 지은『감호정 중건기』에 의하면 1839 ▲ 감호정

Page 81: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3

제7장 다압면

년(헌종5년)에 김응란(�應瀾)의 조부가 마을의

누추함을 걱정하여 감호정을 창건했다 함. 그러므

로 김응란의 조부가 김지섭임을 알 수 있음. 금천

리는 일제시 1930년 에 조사한 바에 의하면

김해김씨(65호)와 동래정씨(35호)에 의해 동족

마을을 형성하고 있었음.

1860년에 정자가 낮고 좁아 건물을 높고 크게 중

건하게 됨. 이때 인근마을에 재목과 장인비용과 주

찬등을 거출한 것으로 전하고 있음. 그러한 감호정

을 김응란이 서숙(書塾)으로 삼았는데 당시 교우하

던 지역은 광양고을은 물론 구례∙남원∙곡성∙보성∙승주∙하동∙남해∙사천등지의선비들이라 함.

매천 황현선생도 이곳에서 교류하 는데 1900년에 중건하여 매천황현이 중건기를 기록한 것이며

현재는 5~6년 전에 다시 중건하여 옛 모습으로 복원하 음.

▶ 김해김씨 족보함

매각마을 왼쪽 즉 감호정이 위치한 원쪽 모퉁이를 돌면 거 한 바위가 있어‘설통바구’라고 하는데

이 바위 벽면 높은 곳에 사각형 구멍을 파고 김해김씨 족보(족보함)를 넣어 두었었는데 현재 족보

는 없고 넣어두기 위해 만든 족보함 흔적이 남아있음.

이곳 바위 즉 족보함 벽면에『�海�氏…』『先生…』등의 이 석각되어 있으며 김홍 전군수

(1963. 3. 6~1964. 12. 10재임)가 이곳을 다녀간 기록이 벽면에 써있음.

▶ 찍개바구 전설

매각마을 뒤 한참 위쪽에 큰바위 2개가 마치

곤충의 찍개같이 2개로 벌어져 있는데 1970년

중반쯤 나무하러 다니던 청년이 찍개바구

한쪽을 건드려 쓰러뜨린 후에는 매년 이 마을

남자들이 한두명씩 죽기를 15~16년간 계속

되었는데 그 결과 마을남자 부분이 죽게되어

과부들만 사는 고장이 되어 버렸는데 마을 주

민들은 찍개바구를 건드려서 그런 재앙이 일어

난 것으로 생각하고 마을 청년들이 바위 한쪽

을 인조품으로 만들어 다시 세운 이후로는 남

자들에게 그러한 재앙이 없어졌다고 전함.

▲ 찍개바구

▲ 감호정소장 목판

Page 82: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4

제11편 마을지

� 마을출신 인물

∙김을수(金乙洙∙1914년생) : 사회주의 공산당원. 1950년 약 2개월 동안 광양이 공산치하에 있

을때 광양군당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지냄.

∙김윤곤(�允坤∙1932년생) : 통일주체국민회의 의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정연세(鄭�世∙1933년생) : 전남곡성 우체국장

∙김정원(�貞原∙1939년생) : 광주고등법원 사무관

∙정현구(鄭鉉球∙1955년생) : 삼보테크 표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강낭터 : 솔밭마을에서 강변 위쪽 100m거리에 위치한 곳

∙계박골 : 시루봉 위쪽에 계(괴, 고양이)같은 모습을 한 바위가 있는 골짜기

∙귀신터 : 마을 왼쪽에 위치한 뜰(논. 밭). 옛날 이 지역에서 귀신이 자주 나타났다고 전함.

∙골다랑쥐 : 마을 밑 왼쪽에 위치한 골따라 형성된 논 다랑지

∙꼭두바구 : 도로변 바로 아래 소나무 숲 있는 곳에 위치한 바위. 세개의 바위가 있음.

∙매각(梅閣) : 염창과 직금마을 사이에 위치한 마을

∙배섯거리 : 염창횟집에서 하천마을쪽 도로를 따라 100m부근 모퉁이 부근 지명. 밭밑이 되며

1950년 이전까지 이곳에 배가 드나들며 해당죽(김섶용)을 실어 날랐음.

∙산지당 : 마을뒤에 위치하 던 옛 산제당. 가정의 액운을 물리치고 아이를 낳게 해달라고 이곳에

서 빌었다고 전함.

∙선창가 : 꼭두바구에서섬진강변쪽으로200m상류에위치하 음. 옛날이곳강가에선창이있었음.

∙시루봉 : 마을 위의 왼쪽편 감호정 위쪽 산봉우리로 시루형국임.

∙솔밭마을 : 꼭두바구가 있는 솔밭주변에 형성된 마을

∙양끝 : 마을 오른쪽 끝에 위치한 평뜰

∙양지터 : 마을 우측에 움푹한 곳에 형성된 논. 밭(뜰). 양지쪽이 됨.

∙웃터 : 마을 위쪽에 위치한 뜰(논. 밭)

∙절골 : 마을 뒤 우측 골짜기. 조선말기까지 이곳에 암자가 있었다고

전함.

∙절터 : 마을 위쪽에 위치한 찍개바구 근처에 있는 옛 절터

∙족보바위 : 김해김씨의 족보를 난중에 피신하여 보관해 두었던 바위

∙제기뜰 : 마을 아래 도로변에서 경사진 곳 위에 위치한 평평한 뜰

∙쥐박골 : 계박골(괴) 건너편에 고양이를 보고 놀라 도망을 가는 쥐 ▲ 족보바위

Page 83: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5

제7장 다압면

모양의 바위가 있는 골짜기

∙집너머 : 마을 왼쪽 가옥 너머에 위치한 평뜰(논, 밭)을 총칭함

∙찍개바구 : 마을 뒤 위쪽에 큰바위 두 개가 마치 곤충의 찍개같이 두 개로 벌어져 있는데, 이 바구

에 얽힌 전설이 지금도 내려오고 있음.

∙호랑이산 : 마을 뒤에 위치하며 산의 지세가 호랑이 모양을 하고 있음. 이와 연유하여 강씨(개)와

이씨(씰가지)가 이 마을에 살지를 못한다는 이야기가 전하여 오고 있음.

� 특기사항

행정리상 염창마을에 속한 매각(梅閣)마을은 염창 본마을 아래쪽에 위치한데 언제 어느 성씨에 설

촌 되었지 알 수 없음. 마을 역사가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추정 되는데 요각골이라고도 부름. 또한 염

창마을에는 19세기 중반부에 건립된 감호정(鑑湖亭)이 있어 이 당시 여러 고을에서 모인 선비들이

시를 읊고 교우했던 장소로 유명하며 김해김씨 족보암이 있어 옛날 상당한 권세를 누리고 살았음을

짐작 할 수 있음.

한편 매각마을은 제14연 반란사건시(1948년) 반란군이 아군에 쫓기어 백운산으로 잠입한 이후

이 마을에 자주 침입하여 당시 이곳 주민들이 치른 곤욕과 시 상황에 어쩔 수 없는 피해를 당한 주

민들의 애환이 깃든 고을이기도 함. 그 이후 반란사건 당시 입주한 사람들은 반란사건을 전후하여 죽

거나 살아 남은 사람은 뿔뿔이 흩어져 현재 그 당시 주민은 2~3가구만 살고 있다고 함.

감호정은 반란사건 이전에는 옛 모습을 그 로 유지하 으나 전란을 겪으면서 폐허가 되어 버렸는

데 최근년에 객지에 있던 후손들이 그 뜻을 기리고 남기고자 이곳을 개보수하여 건물을 새로 단장하

음.

▲ 마을회관 ▲ 매각마을

Page 84: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6

제11편 마을지

▲ 솔밭마을

▲ 설통바구

▲ 하동정공주현 공덕비

▲ 염창소공원

Page 85: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7

제7장 다압면

�하천(荷川)마을【多鴨面荷川里】

� 기본현황

� 주산물(벼), 특작물(밤), 주소득원(고로쇠∙밤)

� 마을연혁

하천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다압리(多鴨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 초기 이후에는

다압면에 속하 음. 1789년경(호구총수)에는 다압면 하천촌(下川村)이라 하 고 1872년 왕명(王

命)으로 제작된 광양현 지도에는 다압면 하천리(下川里)로 표기되어 있음.

1912년(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왜정시 행정구역 개편이전에는 광양군 다압면 하천리(荷川里)

라 하 으며 지금은 광양시 다압면 하천리(법정리∙행정리)라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계 남 여 계 농가 비농가 계 전 답 임야 기타

49 24 25 17 17 - 376 11 29 331 5

인구(명) 가구 (호) 면적(ha)

Page 86: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8

제11편 마을지

� 마을형성 및 지명유래

하천마을은 1650년 쯤 유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입촌하고 뒤이어 박씨∙김씨가 입촌하여 마

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함. 마을이름은 문헌상 처음에는 하천(下川)으로 오랫동안 불려오다 1912년경

에 하천(荷川)으로 썼음. 하천(下川)으로 쓴 사연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곳 하천이 다른 지역에 비

하여 그 길이와 규모에 있어 크고 같은 하천을 공유하고 있는 구례(간전)에서는 한수천(韓水川 : 한

수내)이고 현재 지도상 중 천(中大川)이라 하고 있음을 참고하면 같은 하천을 똑같은 한문으로 쓰

기를 꺼려하여 한수내가 아닌 하수내(下水川)로 불 으므로 그 로 하천(下川)으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됨.

그 이후 하천(下川)물이‘하천(荷川)’으로 바뀐 사연은 이곳 내의 이름을 아름답게 쓰려고 연꽃 하

(荷)로 고쳐 하천(荷川)으로 한 것으로 생각됨.

또한 하천(荷川)마을은 한 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리(里)로서 본래의 마을터는 현재의 위치보다 위

쪽 즉 마을 뒤의‘시루봉골’이라는 곳에 처음 터를 잡아 부자로 살았는데 이 마을을 지나던 중이 그

곳 지역에다 물레방아를 놓으면 마을에 복이 온다고 하여 물레방아를 놓았더니 그 다음부터는 마을

에 재앙이 들어 현재의 마을로 내려와 살게 되었다고 전함. 이는 중이 잘 사는 것을 시기하여‘떡시

루’에 물레방아를 놓고 찧으니 잘 될 턱이 없는 지세(地勢)를 이용한 모함이었다고 전함.

또한 전하는 이야기로는 마을에서 내려다보면 마을 앞에 흐르는 내의 군데군데 돌이 마치‘연꽃’모

양으로 보여 하천(下川)이름을 바꿔 연꽃 하(荷)자를 써 하천(荷川)이라 했다고 전함.

� 자생조직

청송회(靑松會, 1976년 조직∙7명)가 있는데 동갑계로서 부모사망시 상부상조하여 장례를 치 음.

� 주요시설물

마을회관(1975년 준공, 1층, 블록슬래브), 하천교

(총연장 6.0m, 교폭 4.0m, 준공연도 1988), 남도 교

(2003년 준공)

� 특정지명과 그 의미

∙가매소-모팅이 : 용소 모팅이 남쪽에 있는 모롱이. 가매소가 있었음.

∙깨구리바우-뻔디기 : 쇠바구 남동쪽에 있는 버덩. 깨구리(개구리) 모습의 바우가 있음.

∙높은터 : 마을 뒷산에 큰 밭이 있는 곳을 지칭함. 큰 평정이라고도 부름.

▲ 남도 교

Page 87: 제7장다압면 - GWANGYANGgwangyang.go.kr/images/01gwangyang/file/sub06/village/06050504_07.pdf892 후백제견훤(甄萱)의휘하에들어감. 전라남도지제10권 (1993) (진성여왕6년)

989

제7장 다압면

∙마당재 : 시루봉골 사이에 마당처럼 평평하게 생긴 재(고개)

∙배바구 : 점터골에서 3Km 하류에 있는 큰바위. 아주 옛날 천지 개벽시에 이 바위에 배를 매었다

고 전함.

∙쇠-팬이 : 뒷골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이곳에서 쇠를 캐었다고 전함.

∙석이바구 : 하천 마을 위쪽에 있는 큰바위. 송이버섯 모양임.

∙쇠팽이 : 하천마을에서 개울 따라 1Km내려가 위치한 들판

∙시루봉골 : 하천 마을 뒤에 위치한 황새봉 밑 지선(支線)에서 조성된 산봉우리. 시루같이 생겼음.

∙시리바웃-골 : 큰골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시리바우가 있음.

∙얼음-서기 : 우동밭골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 응달이라 봄에도 얼음이 녹지 않고 있다하여 유래

된 지명

∙용소 : 개울따라 쭉 내려가서 마을입구에 위치한 소(沼). 옛날 용이 살았다고 전함.

∙점텃골 : 가매소모팅이 남쪽에 잇는 골짜기. 옹기점이 있었음.

∙황장매기 : 황장평이라고도 함. 광양하천마을—구례하천 두덕거리 개울사이에 위치한 상당히 규

모가 큰 들(坪)로서 구례사람들도 이곳에 와서 농사를 경작하고 있음.

▲ 마을회관 ▲ 하천교

▲ 중 천 ▲ 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