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9
25 3 l)X pp. 353- 361 , 1989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25(3) 353-361 , 1989 of Circle - - 01 Variations and Anomalies of the Circle of W iIl is in Korean - Cerebral Di gital Subtraction angiogram Studies in 200 cases- - Abstract- Ouk Lee, M.D. , Gyoo Sik Chung, M.C. , So Sun Kim, M.D. , Jin Do Huh , M.D. , Ho Joon Kim, M.D. , Young Duk Joh, M.D. Department of Radiology, Kosin Medical College, Pusan , Korea In order to eval uat e the variations of the circle of Willis in Korean population , digital subtr action angiograms in 200 cas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re was non-visualiza- tion of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d the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in 41 cases and this was the most common type of 4 vessel cerebral angiogram (20.5 %). Unilateral or bilateral non-visualization of the posterior commuicating artery was noted in 40 cases (20 %). The fetal origin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from the internal carotid artery was seen in 22 cases (11 %) . In 20 out of 22 cases , there were non-visualization of either the anterior communicating or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Visualization of the ante ri or communicating artery was noted in 102 cases (51 %) and of th e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in 87 cases (43.5 %). Hypoplasia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y was noted in 24 cases (1 2 %). Non-visualization of the anterior commuicating artery or uni- lateral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is noted in 16 cases (8 %) . Non-visualization of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was seen in 14 cases (7 %) The most common type in appearance of the basilar artery variation was straigh: type (Type 1:51 %) and the bifurcation of the basilar artery was most commonly loèated above the posterior clinoid process of the dorsum sellae (58 %) on vertebral angiogram circle of carotid artery , ICA ( verte bral-basilar circul- circle of Willis (posterior co mmunicating artery , (a nterior cerebral artery , I.

Upload: others

Post on 22-Oct-2019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大짧放射線뽑챙슐갑‘ 第 25 卷 第 3 l)X pp. 353- 361 , 1989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25(3) 353-361 , 1989

of Willis에 관한 연 쿠 Circle 한국인의

-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덕 옥·정 규식·김 소선·허 진 도·김 호준·조영 01

Variations and Anomalies of the Circle of WiIlis in Korean

- Cerebr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m Studies in 200 cases-

- Abstract-

Ouk Lee, M.D. , Gyoo Sik Chung, M.C. , So Sun Kim, M.D. , Jin Do Huh, M.D. , Ho Joon Kim, M.D., Young Duk Joh, M.D.

Department of Radiology, Kosin Medical College, Pusan,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variations of the circle of Willis in Korean population , digital

subtraction angiograms in 200 cas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re was non-visualiza­

tion of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d the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in 41 cases

and this was the most common type of 4 vessel cerebral angiogram (20.5 %). Unilateral or

bilateral non-visualization of the posterior commuicating artery was noted in 40 cases (20 %).

The fetal origin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from the internal carotid artery was seen in

22 cases (11 %) . In 20 out of 22 cases , there were non-visualization of either the anterior

communicating or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Visualization of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was noted in 102 cases (51 %) and of the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in 87 cases (43.5 %). Hypoplasia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y

was noted in 24 cases (1 2 %). Non-visualization of the anterior commuicating artery or uni­

lateral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is noted in 16 cases (8 %). Non-visualization of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was seen in 14 cases (7 %)

The most common type in appearance of the basilar artery variation was straigh: type (Type

1:51 %) and the bifurcation of the basilar artery was most commonly loèated above the

posterior clinoid process of the dorsum sellae (58 %) on vertebral angiogram

밀접한 판켠을 가진마. circle of Willis는 뇌기저부에

서 좌우 두개의 내경동맥 (internal carotid artery, ICA

로 약)과 척추기저순환계 ( verte bral- basilar circul­

ation)를 연결하는 고리형의 혈판구조이며 측부순환

에 있어서 가장 기본석인 꾼조이다_ circle of Willis

는 마양한해부학적 밴이를 보이고 특히 후뇌교통동액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PcomA로 약)파 전

뇌동맥 (anterior cere bral artery , ACA로 약)이 가장

선천척이나 외적 인자에 의한뇌동액의 폐색 또는협

착은 임상적으로중요한의의를가지여 신경학적 손상

의 정도는 환부의 측부순환(collateral circulation)파

I. 서

이 논문은 1988년 12월 29일 접 수하여 1989년 5월 9일에 채택되었음

Page 2: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 大韓放射線醫學會誌 : 第 25 卷 第 3 號 1989 -

많은 변이를 나타낸다1-6)

그러 냐 아직 까지 한국에 서 이 러 한 circle of Willis

의 밴이에 대한 방사선학적 보고가 없으므로 뇌강

산혈관 초영 술 200례 를 대 상으로 전뇌 교통동맥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comA로 약 ) 과

PcomA의 인지 의 유무와 선천적 동맥 형 성 부천고} 기

저동액의 변이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6월 부터 1988년 6월 까지 부산 고신의 료원에

서 진단 목적으로 시행한 뇌혈판 조영술 348례 중 좌

우 경동맥조영 정연상파 측연상, 그러고 좌측 척추동

맥조영 정연상과 측연상을 모두 실시한 200례를 대상

으로하였다. 실시한 200례 중혈판조영상정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132례이 였고, 동맥류 31 례, 뇌동액폐색

1 6례 , 종양 15례, 동정맥기형 6례 등의 순을 보였다

(Table 1 ).

Table 1. Findings m 200 Cases of Cerebral Angiography

Angiographic finding N o. of cases

Normal 132

Abnormal 68

Aneurysm 31

ICA occlusion 16

Tumor 15

AVM 6

Total 200

': arteriovenous malformation

사용된 기 기 는 Siemens gamma sonics II digitron

bi -plane angiography unit 였으며 Seldinger 바늘로

대 퇴 동맥 을 천자하여 5 French의 cerebral 혹은 slm­

mons 카테타로 경동액파 척추동맥을 선택하여 각각 6

- 8 cc. 4-6 cc의 조영제를 손으로 주입하연서 초당 2

frame으로 10-15초 동안 동맥상, 모세혈관상, 정맥

상을 촬영하였마.

경동맥 조영의 경우는 좌우 각각의 미각 20도의 정

연상(caudal angle 20 degree)과 측면상을 촬영 하였

고 필요에 따라 사연상(oblique view)을 얻었으여 척

추동액조영은주로 왼펀을선택하여 이각 25도의 정연

상(caudal angle 25 degree)과 측연상을 촬영하였다.

경 동액 조영 에 서 는 ACA , 중뇌 동액 (middle cere­

bral artery , MCA로 약 ). 후뇌 동액 (posterior cere bral

arte ry , PCA로 약)파 AcomA를 통한 반대측 대뇌반

구의 혈류상의 유우 및 ACA의 형성부천을 살펴 보았

고 척추동액조영 정연상과 측면상에서는 PCA 기시

유우와 PcomA의 인지 및 기저동액의 형태학적 변이

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혈판조영상의 분류 기준은 마

음과같마.

1. AcomA의 인지

경동맥 조영상 반대측의 ACA가 보이거냐 직접

AcomA이 보이는 경우이다. (뇌교통동맥이 직접 보

이는 경우에 개통성 (patency)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혈관조영상 뇌교통동액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개통

성이 없다고 단정지을 수 없었마. 따라서 직접 또는

간접석으로 뇌교통동액의 판찰이 가능한 경우에 인지

라고 규정지었마. )

2. ACA으| 형성부전

뇌절한둥 외석 인자 없이 정동액과 척추동맥조영에서

다흔 모든 주동맥은 정상이연서 한쪽 ACA의 내경이

반대측에 "1 하여 1/2이하로 감소되어 있는 경우를 기

준으로 하였마.

3. PcomA의 인 지

경동맥과 척추동액조영상 PCA가 동시에 보이거냐

척 추동맥 조영 측연상에 서 직 정 PcomA가 보이 는 경

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4. PCA의 태생기적 기시 (fetal origin of PCA )

PCA가 척추동액조영상에서는 보이지 않고 경동액

조영상에서만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5. 기저동맥의 번이 구조

기저동액의 형태학적 변이는 척추동액 조영의 정연

상파 측연상을 각각 따로 분류하였다. 정연상에서는

척추동액 이 합류하는 부위에서 좌우 PCA가 분지 하는

부위까지의 기저동액의 형태학적 변이 반도수를 판찰

하였으며 크게 5가지로 분류하였다.

type 1. 직선형 ( straight type 1

굴곡 없이 직선상을 보인 경우로 A, B , C로 세분하

였마_ (type lA 정중앙형 (midline) , type 1B 우사형

- 354 -

Page 3: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 이 옥 외 : 한국인의 Cirele of Willi s 에 판한 연쿠 -

(right oblique ), type IC 좌사형 Oeft oblique))

type 2. 우굴곡형 (right side convex type )

전체석으로 오른쪽4로 굴곡펀 형태로서 위쪽 굴곡

이 현저한 C자 형인 2A와 굴곡이 위아래로 대칭을 이

루는 S자 형인 2B로 냐누었마.

type 3. 좌굴곡형 (Ieft side convex type)

전체적으로 왼쪽으로 굴곡된 경우

type 4. 사행형 (undulating type )

굴곡의 정도가 심한 경우

type 5. 기타(other)

위의 4가지 형 태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

척추동맥조영 측면상에서 Krayenbühl 분류에 의한

후상상돌기 (posterior clinoid process ) 의 첨부와 기저

동액의 첨부의 위치를 비교 측정하여 세가지 type으로

나누었마.

type 1. 기저동액의 첨부가 후상상돌기 첨부 보다 아

래안 경우,

type 2 기저동액의 첨부가 후상상돌기 첨부와 같은 .", 。"'ô -r,

type 3 . 기저동액의 첨부가후상상돌기 첨부보마위

인 경우이마.

결 과

1. 연렁 및 성별 분포

뇌 혈판조영을 실시한 200명 중 남자가 103영, 여자

가 97영이였으여 40대와 50대가 가장 않았다(Table 2).

2. 뇌혈관조영상의 circle of Willis의 type과 빈도

circle of Willis의 혈관조영상 변이의 빈도를 살펴

보연 ACA , MCA , PCA가 정 상이 연서 AcomA와

PcomA가 함께 보이지 않는 경우(Type 1 )가 41례로

서 가장 높은 반도를 보였마. 한쪽 또는 oJ'쪽 PcomA가

보이지 않는 경우(Type 2 )가 40례로 두벤째 높은 빈도

를 차지하였다. Type 3논 다발성A로 뇌동액의 인지

를 할 수 없는 경우로서 25례에서 판찰되었는데 동맥

페색이나 동맥류의 경우가 여기에 포함되었 마. Type

4는 한쪽 혹은 양측의 태생기적 기 시를 보인 PCA로

서 22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20 예에서 AcomA파

Table 2. Age and Sex Distribution

Sex Age Total

Male Female

0-9 0 6 6

10-19 10 6 16

20-29 8 8 16 30-39 19 9 28

40-49 15 27 42 50-59 33 24 57

60-69 15 15 30

70 3 2 5

Total 103 97 200

PcomA의 인지 가 불가능하였 마. Type 5는 한쪽의

ACA의 형 성 부전 중 PcomA의 인지 가 불가능 경 우로

20례에서 발생하였다.

Type 6는 혈판조영상 AcomA와 PcomA가 동시에

보인 경우로서 18례에서 관찰되 었다. Type 7는 Aco.

mA와 한쪽 PcomA가 보이 지 않는 경 우로서 16례 의

반도를 보였마. Type 8는 PcomA는 보이연서 Aco.

mA가 보이지 않는 경우로 14례에서 관찰되었다.

Type 9는 ACA의 형 성 부전중 PcomA의 인지 가 가

능한 경우로서 4례에서 판찰되었다(Fig . 1).

- 3. AcomA의 인 지

경동맥 조영상에서 반대측 ACA의 혈류상이 보인

경우가 총 102례 ( 51 % )이었고 우측 경동백 조영시 좌

측 ACA의 혈류상이 보인 경우가 32례를 차지하였고

좌측 경동액 조영시 우측 ACA의 혈류상이 나타난 경

우가 46례를 보였으며 좌우 양측 경동액 조영에서 모

두다 반대 측 ACA외 혈류상이 보인 경 우가 24례 의 빈

도를 보였마 (Fig . 2).

혈판조영상 AcomA의 인지가 가능한 102례 중 43례

에서 혈관조영상 정상 소견을 보였고 24례에서 ACA

의 형성부천을 나타내었으며 동맥류 17례, 경동액 폐

색 10례, 종양 6례, 경련 (spasm ) 2례 풍의 순서로 나

타났마 (Table 3)( Fig 3 ).

4. ACA 형성 부전

총 24례 (12 %)에서 판찰되었는데 전례에서 AcomA

의 인지가 가능하였마. 이중 우측 ACA 형성부션을

보인 경우가 13례의 벤도를 보였고 왼쪽 ACA의 형성

- 355 -

Page 4: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 大韓放射線뽑學會誌 : 第 25 卷 第 3 號 1989 -

부천이 11례이였마(Fig.4 ) .

ACA의 형 성 부전을 보인 24례 중 20례 에 서 PcomA

의 인지 가 불가능하였다. “蠻빨 줬 Basilar A

Type 1 (20.5%) Type 2 (20%) Type 3 (12.5%)

꿨 줬 11: Type 4 (11‘ Type 5 (10%) Type 6 (9%)

썼 # 췄 Type 7 (8%) Type 8 (7%) Type 9 (2%)

_ . VisuaJization of arteη

‘ Non-visual ization of aπeη

F 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Circle of Willis (Analysis of 200 Digital Subtraction angiograms)

( \

‘ \

A B

5. PcomA의 인지

PCA가 경동액과 척추동맥상에서 모두 판찰된 경우

가 55례로서 27.5 %를 보였으며 이중 우측 PCA가 경

동액, 척추동맥 양측에서 공급받는 경우가 24례 . 좌측

경동액과 척추동액조영에서 PCA가 보안 경우가 11

례, 양측에서 PCA가 경동맥파 척추동맥 혈류공급을

Table 3. Findings in the Cases with Visualization of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giographic finding No. of cases

N ormal angiogram 43

ACA hypoplasia 24 Aneurysm 17 ACA occlusion 10 T umor 6

Spasm 2

Total 102

Fig. 2.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is visualized on A-P (A) and lateral (B) views of carotid angiog­ram. Contralateral pericallosal art­ery (arrow) is noted on lateral (B) vlew

Fig. 3. Anterior communicating aneurysm (arrow)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is visualized and there is visualizat­ion of the contralate ral anterior cerebral artery in A -P (A) and oblique (B) views of carotid angi­。gram

짜 얘

Page 5: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 이 옥 외 : 한국인의 Cirele of Willi s에 판한 연구 -

/

/

\ 、、

Fig. 5. Posterior cerebral artery (arrow) is vis ualized in both car­。tid (A) and vertebral (B) angiogr­ams

받는 경우가 20례의 반도를 나타내었다(Fig.5).

척추동액조영 측연상에 서 PcomA가 직접 보인 경

우가 39례로서 19.5 %의 반도를 보였는데 이 중 희미

하게 실처럼 보이는 경우가 28례, 확실하게 뇌천반부

순환까지 보인 경우가 11례이었다(Fig.6 ) .

그러하여 PCA가 경동액파 척추동맥상동시에 판찰

된 경 우에 서 척 추동액 측연상 PcomA의 인지 가 가능

하였던 중복된 7례를 제외하연 87례로서 뇌동맥조영

상 PcomA을 인지할 수 있는 경우가 43.5% 의 빈도를

보였다. PcomA의 인지가 가능한 87례 중 정상소견이

Fig. 4. Anterior ce rebral artery hypoplasia of Al (arrow) segment Anterior communicating arte ry is visualized in oblique (A) and cont. ra lateral A-P (B) views of carotid ang lOgram.

/ \ \ /

\ / \

\ B

61례였고, 동액류 10례, 종양 9례 , 내경동맥 폐색 5례,

ACA 형성부천 2례를 보였다(Table 4) .

6. PCA의 태생기적 기시

총 22례 (11 %)에서 PCA의 태생기적 기시를 판찰

하였는데 이중우측이 10례를차지하였고좌측이 8례,

양측에서 보인 경우가 4례이었마(Fig.7).

7. 기저동맥의 정상변이

척추동액조영 정연상에서 기저동액의 정상형태를

A ?

Fig. 6. Visualization of the pos. terior communicating artery (ar­row) in carot id (A) and vertebral (B) angiograms

Page 6: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大韓放射線닮學會註 . 第 25 卷 第 3 號 1989

A B

Table 4. Findings in the Cases with Visualization of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giographic finding No. of cases

N ormal angiogram 61

Aneurysm 10

Tumor 9

ICA occlusion 5

ACA hypoplasia 2

T otal 87

다음파 같이 5가지 type~로 분류하였 다. Type 1은

51 %의 반도를 보였으며 굴곡이 없이 직선형으로 정

중앙에 위치한 예가 76례로 38 %, 좌사선형의 예가

20례(10 %) , 우사선형의 예가 6례 (3 %)의 순을 나타

내였다. type 2는 총 21 %의 빈도를 보였으며 오른쪽

으로 굴곡을보인 경우로 c;자형을 보인 경우가 2A로

서 40례 (20 %) , 2B는 S자형A로 2례 를 보여 1 %의

반도를 냐타내었다. Type 3는 왼쪽으로 굴곡을 보인

경우로 38례를 보였다(1 9 %). type 4는 싱하게 굴곡

된 사행형으로서 1 4례 (7 %)에서 관찰되었마. type 5

는 기타위 4가지 type으로 분류할 수 없는 형태로서 4

례 (2 %)에서 판찰 되었다(Fig.8)

8. 척추돔맥조영 측면상에서

후상상돌기첨부와 기저동맥 첨부의 위치의 비교로

3가지 형S로 분류하였다.

type 1은 기저동맥 첨부가 후상상돌기 첨부 보마 아

래안 경우로 10례 (5 %)에서 관찰되었A켜 가장 작은

반도를 보였마.

type 2은 기 저 동백 첨 부가 후상상돌기 첨부의 높이

와 같은 경우 74례 (37 % )에서 판찰되었다.

Type

Straight 102

(51 ")

Right convex 42

(21 %)

3 Left convex

38 (19%)

Undulating 14

(7%)

Other 4

( 2%)

A

Fig. 7. Fetal orig in of right pos te rior cerbral artery Right pos terior cerebral a rtery (ar­row) is visualized in carotid angi­。gram (A) and not in vertebral angiogram (B).

B c

뱃% 팽@ @뿔이 6

뺏 40 뺏 뱃 :<8

g‘ Fig. 8. Variations in Curvature of the Basilar Artery as Projected in Town ’s View

type 3은 기저동액첨부가 후상상돌기첨부 보다 위

인 경우로 116례 (58 %)를 보여 가장 많은 빈도수를

냐타내었다 ( Fig.9 ).

고 ;.<:f 드프

뇌순환계의 혈액 공급은 주로 경동액과 척추 기저동

액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데 전반파 후반부로 냐누어

볼 수 있마. 대뇌 전반순환계는 좌우 ACA , MCA와

대뇌반구를 연결하는 AcomA에 의 하여 구성되어 지

고 후반순환계는 좌우 PCA와 척추 기저 순환계에 의

하여 이루어지여 이들 전반과 후반순환계의 교통은

PcomA를 통하여 연결되 어 진다. c irc le of Willi s는

뇌기저부에서 이러한 좌우 ACA , MCA , PCA의 6개

- 358 -

Page 7: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이 옥 외 . 한국인의 Cirele of Wi ll is에 판한 연구 -

Type No. of cases

2

팎‘、 패페、 캔)、

116 (58%)

10 (5%)

74 (37%)

3

TabJe 200 (100%)

Fig. 9. Differences in Height between Posterior C lν

noid Process & Basilar Artery on Lateral View 01 Vertebral Angiogram

의 주동맥과 이를 연결하는 AcomA와 PcomA로 이루

어진 고리행의 혈판구조이마. 선천적이나 혹은 외적

인 인자에 의한 뇌동액의 폐색이나 협착시 c ircle of

Wi ll is가 측부순환에 있어서 기본이되며 이들 중 Aco

mA와 PcomA가 가장 핵심석 인 구조라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살이마 2 ) 해부학 판찰보고에서

Osborn5 )에 의 하연 전형 석 인 고리 형 이 18 %, PcomA

의 형성부선이 22 %, ACA 형성부천이 25 %, 기시부

의 형성부전을 동반한 PCA의 태생기석 기시가 15

%, 마발성 AcomA가 9% 등의 다양한 정상변이

을 보인다고 하였고, Riggs퉁6 )에 의하면 정상군이 18

%를 나타내었으며 Alpers동 J )에 의하면 정상 분류군

이 52.3 %라고 하였마. 이 렇 게 밴이 벤도가 보고마다

마른것 은 혈판구조 자체 가 굴곡과 변이 가 다양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헬판조영술은 반복하얘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혈류역학( hemodynamics )을 직접 판찰할 수 있A므로

해부학적 분석 보마는 임상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제

공할 수 있다고 생 각 되어진다. 물론 헬판조영 판찰시

좌우 정동액과 척추동액조영상을 종합석으로 고려해

야 하고 강산 혈판조영술 자체가 업체적 쿠조를 평연

상으로 나타내야 하는 어려 웅이 있으며 혈판내경을 정

확히 젤수 없는 동의 단점 이 있지만 뇌혈판 형성의 핵

심 적 인 쿠조인 AcomA와 PcomA의 개 통의 유무를 어

느 정도 알 수 있기때문에 혈판소영술 분석은 매우 의

의 있는 일이라고 사료되어 선마.

그러냐 뇌 혈판조영술 자체가 침습석이고 합뱅증을

유말할 수 있는 위험을 가지으로 증상이 없는 정상인

을 대조군으로 선옐검사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 따

라서 저자들은 임상적으로 뇌혈판 조영술이 필요하마

고 생각되는 환자들의 혈판 조영상 신생혈판이 나 폐색

또는 동액류 등이 보이지 않는 것을 정상으로 간주하

여 이를 기준으로 연구를 실시 하였마.

뇌혈판 조영술 200례를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에

서 는 AcomA와 PcomA , 모두가 보이 지 않는 경 우는

41례로서 20.5 %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주었고 한쪽 혹은 양쪽 PcomA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20 %를 나타내 었으며 마딸성으로 뇌주동액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1 2 . 5%에서 발생하였는데 이얘는 동액폐

색이나 동맥류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

리고 PCA의 태 생기적 기시가 11 % (22례)에 서 판찰

되었는데 이 중 20례에서 AcomA 혹은 PcomA의 인

지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변이를 가진 사랑에 서 뇌

동액의 손상은치영적인 신경학석장애를 나다낼 수 있

기 얘문에 임상적부로중요한의의가있다고 생 각되어

진다.

ACA의 형성부전은 12 % ( 24례 )에서 판찰되었는데

이 중 20례 에 서 PcomA의 인지 가 불가능 하였 다.

AcomA와 PcomA가 동시에 보인 경우가 9% 이 었고,

AcomA와 한쪽 PcomA가 보이 지 않는 경 우가 8% 의

빈도를 보였으여 , 양쪽 PcomA의 인지 가 가능하연서

AcomA이 이 보이 지 않을에 가 7% 였으여 AcomA파

PcomA 모두 인지가 가능하면서 한쪽 ACA의 형성부

건이 2%의 반도를 보였다 이러한 circle of Wi l lis의

형 태학적 밴화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임상석으로뇌혈

판 수솔선 환자냐 폐색성 질환의 치료방향 결정에 중

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AcomA는 1- 2 mm의 걸이를 가지며 대부분 하나로

되어있지만 두개 또는 여러개일 수 있고 동액류와 같

이 커 질수 있다7) AcomA는 외상이나 선천석 폐색시

반대 측 대 뇌 반구의 측부순환에 중요하며 특히 ACA

동맥류 수울시 수숭자의 중요한 판심사가 된마.

Kraye n bíí hl과 YasargiI4), Taveras8

) 동에 의 하면

AcomA의 판찰은 혈관조영 정면상에서는 거의 어렵

고 동액류냐 폐색둥에 의한 반대측의 혈류상이 보일때

사연상에서 가능 하마고 하였다.

A l pers등1 )에 의한 해부학적 보고로는 AcomA가 없

는 경우가 2%라고 하였으여 Riggs둥6 )에 의하띤

AcomA의 형 성 부전의 빈도가 17 % 라고 하였 다.

m

Page 8: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 大韓放射線뿔學會誌 : 第 25 卷 第 3 號 1989 -

혈판조영상 AcomA의 개통 여부는 반대측 경동맥

앙박에 대한 ACA외 교차혈류(cross flow )를 보는 것

이 보펀석인 방법이라고 얄려져 왔다2 ) 그러나 한쪽

경동맥 앙박시 PcomA을 통한 전반 순환이 가능하여

양쪽 경동액 의 압력 이 평형상태를 이를 수 있고 동액

류의 경련에 의해 교차혈류를 판찰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혜문에 AcomA의 개통 여부에 대한 경동액 앙박

의 효과는 저자에 따라 논란의 여지가 많아 뇌혈판 조

영술시 경동액 앙박시술은 실시하지 않았다.

AcomA은 정연상에서는 양측 ACA가 너무 가까이

밀착되어 있고 혈판중첩파 혈판의 마양한 변이 때운에

AcomA의 판찰이 어려워 사연상의 중요성이 강조되

었다. 그러냐 동액류나 형성부선 또는 페색으로 인해

ACA가 막히는 상태와 뚜렷하게 반대 측 반쿠의 혈판

이 보일때는 AcomA이 정연상에서도 판찰이 가능하

였고 저자의 경우 혈판조영상 51 %에서 AcomA의 인

지가 가능하였마.

하지만 반대편 경동액 앙박시술을 시행하지 않았고

기계 주사기 (mechanical injector )을 이용하지 않고

수동주업을 실시하였으여, 주변혈판파 구벨이 혈관조

영상 애매하거나 확실하지 않았을때는 AcomA의 인

지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며 직접 인지가 불가능하다 하

여 개통이 없다고 할 수 없으으로 AcomA의 개통성의

비율은 이 보다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co­

mA의 인지가 가능한 예 중 정상이 43례로서 가장 않

았지만 ACA 형성부전이나 동맥류, 또는 동액 폐색이

있을때 더욱 확실하게 AcomA를 직접 판찰할 수 있었

다. 해부학석으로 뇌동액은 행성부전이 많다고 보고

되어 있는데 Riggs등6 )의 의하면 circle of Willis 중 6

%에서 전반적인 형성 부천을 보인다고 하였고 ACA

의 형성부천은 25 %, PCA의 형성부천은 16 %라고

보고하였다.

Alpe rs퉁1 )에 의 하연 뇌 동액 형 성 부전은 27.4 % 라고

하였고 Osborn5 )은 ACA의 기시부가 없거나 형성부천

을 보이는 율이 25 %라고 하였다. 저자의 경우 12 %

에서 ACA의 형성부천을 볼 수 있었고 ACA 형성부천

을 보인 모든 예에서 AcomA의 인지가 가능하였마.

혈판조영상 동맥류에 의한 경련이 동액형성부천파

혼동될 우려가 있는데 ACA의 형성부전인 경우 임상

척우로 국한증상( locali z ing sign)이 나타냐지 않고 동

액내경이 좁아져 있긴 하지만부드렵게 좁아지며 비교

석 한 곳으로 국한되며 반대측 ACA의 혈류상을 동반

할 수 있기혜운에 동맥류에 의한 경 랜과는 감별할 수

있었다.

대생학적으로 PCA는 경동액과 척추 기저동액의 경

계로서 내경동액에서 유래하여 척추동액과 교통되어

진다. PCA는 pars carotid와 pars basilaris의 두부분

으로 나뉘 어 지 고 이 중 pars carotid 부분이 점 점 작아

져 PcomA을 이 루고 pars basilaris 가 냐중에 PCA

가된마.

Von Mitter Wallne r4 )의 해부학적 보고에 의하연

PCA가 경동액에서 우세하게 기시하는 경우가 19.1

%, 기저동액에서 우세하게 기시하는 경우가 72 %,

경동맥파 기저동액 모두에서 기시하는 율이 8 %, 경

동액에서만 기시하는 경우가 0.3% , 기저동액에서만

기 시 하는 경 우 O. 3 % 이 라고 하였 마. Krayenbííh l파

Yasargi14 )은 혈판조영상으로는 PCA의 우성 기시부

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고 PcomA의 개통의 여부는

circle of Willis의 혈판내 압력이냐 마취의 종류, 혈

판조영술에 대한 수기상의 문제, 조영제 주업 속도냐

섬박주기 (cardiac cycle) , 화질등의 여 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고 경동맥 혈판조영상 1/3 경우

에 PCA가 보일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의 경우 PCA

가 경동액파 척추동액촬영 양측에서 보이는 경우가

27.5% , 내정동맥 조영상 PCA가 보이는 비율이 11

%, 척추동맥 조영상에 서 PCA가 보이는 비율이 61. 5

%를 나타내었다.

PcomA는 경동액의 말단분지의 후벽에서 기시하여

터 어 키 안(se llae )과 회 백 융기 (tuber cinereum)사이 의

둬쪽으로 자란다.

Krayenbííhl파 Yasarg il4 )에 의 하연 PcomA가 경 동

맥조영촬영에서 30-40 %, 척추동맥 측부상에서 27

%의 빈도수를 보인마고 하였다. 저자의 경우 내 경동

맥 조영상 직접 PcomA를 인지 하기는 힘들었고 특히

PcomA의 PCA의 경계를 영확허 구분하기는 어 려웠

지만 척추동액조영 측연상의 19.5 %에서 PcomA를 인

지할 수 있었고 내경동액과 척추 동맥상 모두에 서 P­

CA가 보임A로써 PcomA의 개통의 여부를 간접적으

로 알 수 있였다. 그러하여 총 43.5 %에서 인지가 가

능하였마.

PCA는 주로 척추기저부에서 기시하지만 PCA가

척추동액의 혈류공급을 받지 않고 내경동액에서만 기

시하는 경우를 PCA의 태생기석 기시라고 한다. 이는

태 생 학적 S로 pars carotid 부분이 없 어 지 지 않고 계

- 360 -

Page 9: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 한국인의 Circle of Willis에 관한 연 쿠 -뇌감산혈관조영술 200려| 분석 -고신의 대 방사선파학교살 01

이 옥 외 : 한국인의 Cirele of Willis에 판한 연구 -

속 남아있는 경우를 뭇한다. 이 경우 마른 기형을 동

반하는 율이 높아지는데 특히 PCA의 기시부의 형성

부전을 자주 동반하게 펀다.

해부학척 보고에 의하연 PCA의 태생기적 기시가

Osbon5 )에서는 15 %, Krayenbühl과 Yasargil4 )에서

는 19.1 %의 빈도수를 보인다고 하였고 마른동액 의

선천척 기형외 반도수가 높다고 하였다. 저자의 경우

11 % (22례 )의 반도수를 보였고 이중 20례에서 Aco­

rnA와 PcornA의 인지 가 불가능하였 마.

기저동액의 정상변이는각예마다다양한형태를판

찰할수 있었다. 척추동액조영 정연상처음에 좌우척

추동액 이 합류하고 후하소뇌동맥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 전하소뇌동맥 (anterior inferior

cere bellar artery) , 상소뇌 동액 (superior cerebellar

artery) , 좌우 PCA 순으로 분치된마. Krayenbühl 4 )

의 보고에 의하연 기저동액의 정상변이는좌우나위아

래로굴곡된 형이 않고고혈압환자냐노인에서 한쪽으

로 심하게 굴곡된 사챙형이 많다고 하였다. 하지만저

자의 경 우 굴곡형 보다는 가운데 나 좌우로 약간 ,,1] 스듬

한 직선형 이 51 %로서 가장 높은 반도수를 차지 하였

다.

척추동맥조영 측연상에서는 후상상돌기첨부와 기저

동액 첨부의 기시부의 위치를 비교하여 세가지 type으

로 분류하였다.

Krayen bûhl 4 )에 서 는 type 1이 19 %, type 2가 51

%, type 3가 30 %의 바율을 보이고 type 2가 가장 많

마고 하였고 소아에서 type 3 비율이 높마고 하였다.

저자의 경우 type 3가 58 %로서 가장 높은 반도수를

보였고 type 1은 거의 판찰하기가 어려웠마.

7~ ξE

르르 」

200례를 대상으로 실시한 뇌혈판 조영상을 분석한

바 ACA, MCA , PCA가 정 상이 띤서 AcornA와 Pco­

rnA가 동시에 보이지 않은 경우가 20.5 %로서 가장

높은 반도를 차지하였고 한쪽 혹은 양쪽 PcomA가 보

이지 않는 경우가 20 %를 보였으며 마발적으로 뇌동

맥인지가 불가능한 경우가 12. 5 %를 차지하였다.

AcomA파 PcomA의 혈관조영상의 인지가 가능한 경

우가 각각 51% , 43. 5%의 빈도를 나타내었고 PCA의

태생기적 기시가 11%에서 판찰되었으며 ACA 형성

부전은 12 %를 나타내었다.

AcornA와 PcomA이 동시에 보인 경우가 9%이었

고 AcomA와 한쪽 PcomA의 인지 가 불가능한 경 우가

8%를 차지하였마. 양쪽 PcornA이 보이연서 AcomA

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7%를 나타내었고 ACA의 형

성부전이 있A연서 AcomA와 P cornA 모두 보인 경우

가 2%의 반도를 차지하였다.

기저동액은 척추동맥조영 정연상에서 5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는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형 태 가 직선형

( type 1 ) .2..로서 51 %를 냐타내 었고 Krayenbühl 분류

에 의한척추동맥 측연상에서는 기저동액 첨부가후상

상돌기 첨부보다 위인 type 3가 58 %을 보여 가장 높

은 반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파로서 저자들은 이와 같

은 혈판조영술을 이용한 circle of Willis의 변이에 대

한 판찰이 임상석으로 신경학석질환의 진단에 많은 정

보를 제공할 수 있A러라고 사료된다.

REFERENCES

1. Alpers B] , Berry RG: Anatomical studies of the

circle of Willis in norma1 brain. Arch Neuro1 Psy

chiatry 810409-418, 1959

2. Gryspeerdt GL: Angiographic studies of the b100d

flow Jn the circle of Willis. Acta Radio1

(diagn)1:298-313, 1963

3. Hodes P] , Campoy F: Cerebra1 angiography fun­

damenta1s in anatomy and physio10gy_ Am ] Roent­

genno1 70:61-82, 1953

4. Krayenbííhl H, Yasargil MG: Cerebra1 angiography

2nd Ed: 152-177, Geory Thiem e Ver1ag, stuttgart

New York, 1982

5. Osborn AG: Introduction to cerebra1 angiography. 1st

Ed: 143-165, Harper and Row, Hagerstown , 1980

6. Riggs HE, Rupp C: Variation in form of circle of

Willis. Arch of Neuro10gy 8:24-30, 1963

7. Saltzman GF: Circulation through the anterior com

municating artery studied by carotid angiography

Acta Radiol 52:194-208, 1959

8. Taveras. ]M: Radiology. 1st Ed Vol 3:32, Lippincott,

Phlladelphia, 1987

- 3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