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한국어의문법(2) -...

23
중세 한국어의 문법(2) 1. 존대, 시제, 서법의 선어말 어미 2. 어말 어미의 종류와 특징 강의 주제 학습목표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Upload: others

Post on 09-Sep-2019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중세 한국어의 문법(2)1. 존대, 시제, 서법의 선어말 어미2. 어말 어미의 종류와 특징

    강의 주제

    학습목표

    중세 한국어의 선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의 개괄적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1) 주체 존대법■ 문장의 주어를 높이는 것

    ‘-시-’ : 자음어미 앞 太子ㅣ 出家시면‘-샤-’ : 모음어미 앞 海東六龍이 샤(-샤-+-)(

    부톄 敎化샤미(-샤-+-옴+-ㅣ)

    ■ ‘-샤-’ 뒤에 오는 어미 모음은 탈락됨

    1. 선어말 어미 - 존대법

  • 2) 객체 존대법■ 목적어나 부사어로 쓰인 인물이 주체나 화자보다 높을 때 실현됨

    1. 선어말 어미 - 존대법

    어간의 끝소리 형 태 어미의 첫소리 보 기

    ㄱ,ㅂ,ㅅ,ㅎ 자음 막거늘, 좃고 모음 닙

    ㄷ,ㅌ,ㅈ,ㅊ, 자음 듣고, 좇거늘 모음 얻

    모음과 ㄴ, ㄹ, ㅁ 자음 安否고, 담고 모음 초

    ■ 현대에는 ‘-옵, -사옵, -자옵, -습’ 등으로 남아 있으나 원래의 의미는 거의 소멸됨

  • 3) 상대 존대법■ 화자가 청자에 대해 높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구 분 등 분 형태소 보 기

    쇼셔체 아주 높임--(평서형)--(의문형)-쇼셔(명령형)

    ᄉᆡᇰ마도 몯호다이 디 엇더 리고구쳐 니러 절시고 안쇼셔

    야쎠체 예사 높임-ᅟᅵᇰ-(평서형)-ᅟᅵᆺ-(의문형)-아쎠(명령형)

    그리 아니ᇰ다그딋 아바니미 잇닛가내 보아져 다 쎠

    라체 아주 낮춤-라(평서형,

    명령형)-∅(의문형)

    自然히 니러 禮數더라네 겨집 그려 가던다샤ᇰ재외에 라

    1. 선어말 어미 - 존대법

  • 1) 현재시제: ‘--’2) 과거시제: ‘-더-’(과거 미완, 회상), ‘-거-’(과거 완료)3) 미래시제: ‘-리-’, 관형사형 어미는 ‘-ㄹ’임

    1. 선어말 어미 - 시제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과거 기본형, -더-, -거- -더-, -거-

    현재 -- 기본형

    미래 -리- -리-

    참고

  • ■ ‘-더-’는 회상법, ‘-거-’는 확인법(화자의 주관적 믿음)의 서법 표지로분석하기도 함

    ■ ‘-더-’는 서술격 조사나 미래시제 ‘-리-’ 뒤에서는 ‘-러-’로 나타남 님금 臣下ㅅ 疑心이러니

    즐거미 몯내 니리러라

    1. 선어말 어미 - 시제

  • ■ ‘-거-’의 이형태형태 구분 보기

    -거/어-

    자동사 석 사시고 나아 가거시世界 뷔어다 며

    형용사 시르미 더욱 깁거다

    서술격조사 바미 마 半이어다

    -아/어- 타동사부톄 즉재 바다시나라히 威神을 일허다간대옛 禍福 닐어든

    ■ ‘-거-’는 서술격 조사나 어간 말음 ‘ㅣ’와 ‘ㄹ’ 뒤에서는 ‘-어-’로 나타남

    1. 선어말 어미 - 시제

  • ■ ‘-오/우-’: 화자의 주관적 의도를 나타냄

    ■ 모음조화에 따라 ‘-오/우-’가 선택되고, 서술격 조사 뒤에서는 ‘-로-’가 됨

    ■ ‘--, -더-, -거-’에 결합하면 ‘-노-, -다-, -과(평서형)/가(연결형)-’로나타남

    내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저 디 업다니 엇뎨어뇨녜 업던 이 얻과라 더니내 仁義禮智信을 아라 行 가니

    ■ 16세기 이후 혼란되어 쓰이다가 근대국어에서 소멸됨

    1. 선어말 어미 - 의도법

  • ■ ‘-니-’ : 화자의 객관적 믿음(원칙)을 나타냄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이 病 사미니다

    1. 선어말 어미 - 원칙법

  • ■ 화자의 적극적 내지 소극적 느낌을 표시■ ‘-돗-, -도-, -옷-, -ㅅ-’:

    山巖ㅅ 가온ᄃᆡᆺ 景趣 장 議論 돗더라文殊師利 等 보 爲야 이 오도다우리 무 이 다로 힘 니버 시러 지블 올오소라牛斗星 라오 갓 잇비 것다

    ■ ‘-옷-’이 보수적임■ 서술격 조사나 ‘ㅣ’모음 뒤에서는 ‘-로-, -롯-’으로 나타남

    1. 선어말 어미 - 감동법

  • 1) 평서형: ‘-다/라’■ 선어말어미 ‘-오-, -과-, -니-, -더-, -리-’등의 뒤에서는 ‘-라’로 교체됨

    오 내 尊호라녜 업던 이 얻과라 더니즉자히 도로 수므니라올히와 그려기왜 븘비체셔 자더라이 피 다ᇰ다 사 외에 시리라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2) 명령형: ‘-쇼셔, -아쎠, -라’■ 존대 등급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됨:

    ‘-쇼셔’: 아주 높임‘-아쎠’: 보통으로 낮추거나 높임‘-라’: 아주 낮춤

    王이 부톄를 請쇼셔내 보아져 다 쎠너희 大衆이 자ᇰ 보아 後에 뉘읏붐 업게 라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3) 의문형■ 판정의문문에 ‘-가, -녀. -려’, 설명의문문에 ‘-고, -뇨. -료’ 등이 쓰임

    이 두 사미 眞實로 네 하ᇰ것가功德이 하녀 몯 하녀이시려 업스려이 엇던 光明고어듸 시름 업슨 잇뇨精舍ㅣ 업거니 어드리 가료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3) 의문형■ 2인칭 의문문에는 설명 · 판정의문의 구별 없이 ‘-ㄴ다, -ㄹ다’가 쓰임

    네 엇뎨 안다네 이제도 외야 믜 들 둘따

    ■ 간접적 의문문에는 ‘-ㄴ가, -ㄴ고, -ᇙ가, -ᇙ고’ 등이 쓰임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4) 청유형

    ■ ‘라체’에 ‘-져’, ‘쇼셔’체에 ‘-사다’가 쓰임

    이 劫 일후므란 賢劫이라 져淨土에 가 나사다 야시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5) 감탄형■ ‘-ㄴ뎌, -ㄹ쎠, -애라/게라, -고나’ 등이 쓰임

    오직 聖人ㅅ 마리신뎌讚歎야 닐오 됴쎠 됴쎠몰라 보애라이 버다 네 콩 삶기 아디 몯 고나

    2. 어말 어미 - 종결어미

  • 1) 대등적 연결어미(1) 전후 나열: ‘-고/오’, ‘-곡’(강세)(2) 동시 병행: ‘-며’, ‘-며셔’(3) 선택: ‘-나’

    2) 종속적 연결어미(1) 원인: ‘-니, -매, -거늘/어늘, -관/완, -ㄹ, -ㄴ대’ 등

    ■ ‘-ㄹ’는 평서문에, ‘-관/완’는 의문문에 쓰임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니

    엇던 行願을 지시관 이 相 得니ᅌᅵᆺ고

    2. 어말 어미 - 연결어미

  • 2) 종속적 연결어미

    (2) 구속(조건): ‘-든/, -ㄴ댄, -ㄴ덴, -란, -면, -ㄹ시언뎌ᇰ’ 등(3) 양보: ‘-나, -ㄴ, -니와, -건마, -ㄹ뎌ᇰ’ 등(4) 설명: ‘-’(5) 목적: ‘-라’(6) 의도: ‘-려’(7) 소망: ‘-고져, -아져, -과뎌, -과여, -엣고, -긧고’

    2. 어말 어미 - 연결어미

  • 2) 종속적 연결어미

    (8) 한도, 도급: ‘-록’(9) 익심: ‘-디옷, -ㄹ록’(10) 전환: ‘-다가, -라, -ㄴ다마다, -락’(11) 선행 동작의 양태: ‘-아/어’(12) 어떤 동작이나 상태에 도달함: ‘-긔/게’(13) 부정: ‘-디, -’

    2. 어말 어미 – 연결어미

  • 1) 명사형 어미■ ‘-ㅁ’과 ‘-기’

    됴 여름 여루미(열+움+이) 布施기 즐겨

    ■ 명사형 어미 ‘-ㅁ’은 항상 선어말어미 ‘-오/우-’와 함께 결합됨■ 명사형 어미 ‘-ㅁ’이 선어말어미 ‘-시-’와 결합하면 ‘-샴’, 서술격 조사와

    결합하면 ‘-롬’으로 교체됨’

    2. 어말 어미 – 전성어미

  • 2) 관형사형 어미■ ‘-ㄴ/’(과거), ‘-ㄴ/’(현재), ‘-ㄹ/’(미래)

    智 사 後에부텻긔로 가 저긔리예 딜

    ■ 관형사형이 결합된 절이 바로 명사절처럼 쓰인 예가 있음 그딋 혼 조초야

    다 업슨 긴 니니 오놋다cf.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

    2. 어말 어미 – 전성어미

  • 2) 관형사형 어미■ 인용 관형사형 ‘ㅅ’:

    현대국어의 관형사형 ‘-다는, -라는, -라 하는’에 해당하는 형태 廣熾 너비 光明이 비취닷 디오

    2. 어말 어미 – 전성어미

  • ▪ 아래 문장에서 어미를 골라 내어 위치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라.

    (가) 나랏 말미 中國에 달아 文字와로 서르 디 아니...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나) 人生 즐기리ᅌᅵᆺ가 주구믈 기드리노니 목숨 므거 손 몯죽노다

    (다) 우리 이제 안 出家말오 지븨 닐굽 이셔 五欲 자ᇰ 편 後에 出家져

    모둠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