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57
KEI2006WO-14정책보고서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권영한김지영 (수시연구보고서)

Upload: others

Post on 06-Ma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KEI∣2006∣WO-14∣정책보고서∣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권영한∣김지영

(수시연구보고서)

Page 2: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연구진

연구책임자 권영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참여연구원 김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노태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책임연구원)전동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책임연구원)

ⓒ 2004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발행인 윤서성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원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613-2 (우편번호) 122-706

전화 380-7777 팩스 380-7799

http://www.kei.re.kr

인쇄 2006년 8월

발행 2006년 8월

출판등록 제17-254호

ISBN 89-8464-186-3 93530

Page 3: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서언 ∣ 1

서 언소수력발전은 대체에너지의 일종으로 수자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최근에 소수력발전에 의한 에너지 생산의 필요성이 강조되

나 국가하천의 본류에 저수용 댐을 설치하여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야기하며 주민의

생계에 영향을 미쳐 갈등문제에 직면해 있다. 현재까지 소수력발전소 건설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적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자연자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다는 당위성

때문에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소수력발전은 자연자원을 이용하는 이점이 있으나

전력생산의 양과 전체 전력생산에서 차지하는 기여도에 비해 환경을 훼손하는 정도가

심각하여 환경의 훼손을 저감하는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최근 소수력발전을 위해 국가하천의 본류에 댐을 설치하려는 사업이 하천의

전반적인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고 현재 소수력발전사업

의 개황과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 소수력발전을 위한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가 나오기까지 본 연구를 맡아 수행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권영한

박사, 김지영 박사, 노태호 박사, 전동준 박사에게 감사를 드린다.

2006년 8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윤 서 성

Page 4: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국문요약 ∣ 3

국문 요약소수력발전에 의해서 생산되는 에너지는 자연자원을 이용해 얻는 재생에너지이기

때문에 청정에너지라 볼 수 있다. 국내 소수력발전은 1982년부터 2006년 현재까지

44개소가 건설 운영 중이다. 그러나 최근 소수력발전소 건설에 있어서 환경적 ․ 사회적

문제들이 대두되어 소수력발전소 건설에 의한 에너지 생산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목표에 환경적 ․ 사회적 이슈들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발전

소 건설이 하천의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들을 고찰하고 대안들을 제시하였

다. 소수력발전소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 낙동강 상류에서 운영 중인 3곳의

소수력발전소와 계획 중인 1곳의 예정부지의 환경을 비교 검토하면서 하천생태계의

변화와 하천에 미치는 영향들을 고찰하였다.

운영 중인 발전소 3곳의 부지 모두 생태적, 물리적, 경관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상․하류 하천 환경에 미치고 있었으며 물리적 변화와 수질의 변화가 심각한 상태였다.

이에 반해 건설예정부지의 환경은 하천의 자연성과 양호한 생태환경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이것은 청정지역에서 서식하는 수서생물의 다양한 종의 출현과 풍부한 다양성이

증명해 주며, 이러한 환경을 선호하는 수계의 최상위 포식자인 수달 등의 서식 여부로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건천화(육지화)와 수질의 악화 등으로 하천 생태계 구조와

기능이 훼손된 상태에서는 주민의 생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발전소 입지선정 패턴과 소수력발전에 의한 에너지 개발계획으로

는 당면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다. 2012년까지 정부가 달성하려는 소수력

에너지 수급계획은 3000kW급 발전소 181기를 홍천강과 같은 국가하천의 본류에 설치해

야 달성되는데 국내의 4대강과 홍천강을 포함해 5개의 하천에 설치할 경우 하천 당

36개정도를 설치해야 한다. 이는 당연히 불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다른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실제의 국가하천급의 본류에 소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은 환경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므로 더 이상 하천 본류에 댐을 건설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Page 5: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4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경제적인 측면에서, 정부가 건설비의 70%를 보조해주고 발생된 전기는 2004년 기준

으로 국내 전력판매단가와 거의 같은 값으로 구입하여 실제로는 국가가 건설비의 70%만

큼을 투자하는 것이 된다. 이는 공유되어야 할 하천을 민간에게 사용토록 허가해 주고

환경을 훼손하도록 하면서 비싼 전력을 생산하여 민간전력 생산자에게 수익을 올려주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전력 소비자에게 그 비용이 가중되는 것이며 국가에서는

생산단가의 이익을 보전하기 위해 국가 예산을 사용하게 되므로 예산의 효율적인 활용이

라고 보기 어렵다. 이 경우 소수력발전소 운영자 외에 국민도, 국가도 소수력발전으로

인해 얻어지는 이득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소수력발전의 공익적인 이득은 없고

국가적인 손실만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하천에 대한 자연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소수 업체가 얻는 이익과 비교하여 국민이 누릴 수 있는 자연의 가치를 회복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소수력발전소의 개발 대신 미래에너지 자원으로 방사성폐기물 처분

방식에 큰 부하를 더하지 않는 수준에서 원자력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는 것을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잉여 전력사정이 여유가 있을 경우 수두차가 크고 환경적으로

훼손이 적은 양수발전이 소수력발전보다 발전전략으로 훨씬 유리함을 쉽게 알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소수력발전소의 입지 시 주요 하천을 사용하지 않고 적정 유역을 갖는

지류를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낙차를 확보하기 위해 댐 체의 높이를

높이거나 발전시설과 저수시설 간의 고도차를 유지하여 낙차를 확보함으로써 발전량의

증가를 꾀하는 방법이다. 이 외에도 하수처리장, 정수장, 농업용저수지, 농업용 보, 다목

적 댐 등을 이용하는 소수력발전 대안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Page 6: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국문요약 ∣ 5

∣차 례∣

제1장 서 론 ············································································································ 9

1. 연구의 목적 ······································································································ 9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9

3. 연구의 주요내용 ···························································································· 10

제2장 소수력발전이란? ·························································································· 11

1. 개요 및 정의 ·································································································· 11

가. 소수력을 설비용량에 의해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 12

나. 낙차에 의하여 소수력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 ······················· 12

다. 발전방식에 따라 소수력발전소를 분류 ··················································· 12

2. 소수력 개발의 장점 ······················································································· 14

3. 소수력발전 개발 현황 ··················································································· 14

가. 국내의 소수력발전소 개발현황 ······························································ 14

나. 외국의 소수력발전소 개발현황 ······························································ 16

4. 소수력발전의 대안들 ····················································································· 18

가. 하수처리장의 이용 ·················································································· 18

나. 정수장의 이용 ··························································································· 19

다. 농업용저수지의 이용 ················································································ 19

라. 농업용 보의 이용 ··················································································· 19

마. 다목적댐의 여수로와 조정지의 이용 ······················································· 19

바. 기타 ········································································································ 20

5. 소수력 개발 여건 및 향후 전망 ·································································· 20

Page 7: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6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제3장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21

1. 사례연구 ········································································································· 21

가. 운영중인 소수력발전소의 문제점 ···························································· 21

나. 계획 중인 소수력발전소의 문제점 ·························································· 25

2. 정책적 대안 ··································································································· 32

가. 우리나라 발전설비와 발전량 ································································· 32

나. 우리나라 소수력발전설비와 발전량 ······················································ 33

다. 소수력발전과 다른 발전방식 대안 ························································ 34

제4장 결론 및 제언 ······························································································· 38

참고 문헌 ·················································································································· 41

Page 8: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국문요약 ∣ 7

∣표 차 례∣

<표 2-1> 소수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현황 ··························································· 15

<표 2-2> 개발 추진중인 소수력발전소 현황 ······················································· 15

<표 2-3> 국내 소수력자원 부존량 ······································································· 16

<표 2-4> 세계의 소수력발전소 운영현황 ······························································ 17

<표 2-5> 소수력발전의 대안으로 가능한 시설 현황 ············································ 18

<표 3-1> 발전원별 전력구입실적 ·········································································· 33

Page 9: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8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그림차례∣

<그림 2-1> 댐(저수식) 발전소 모형(예, 봉화소수력) ·········································· 13

<그림 2-2> 터널식 발전소 모형(예, 소천소수력, 임기소수력) ···························· 13

<그림 3-1> 봉화 소수력발전소 및 저수댐 전경 ·················································· 22

<그림 3-2> 임기 소수력 취수댐 주변의 전경 ······················································ 24

<그림 3-3> 소천 소수력 취수댐과 발전소 전경 ·················································· 25

<그림 3-4> 낙동강 유역에 운영중이거나 계획 중인 소수력발전소 위치 ··········· 30

<그림 3-5> 주요하천을 단절하며 소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경우 ···················· 36

<그림 3-6> 주요하천의 계곡 지류를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경우 37

<그림 4-1> 댐체 내에 축적된 퇴적물 ··································································· 39

Page 10: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1장 ․ 서론 ∣ 9

∣제1장․서 론∣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중․상류역에서 개발되어 운영 중에 있는 소수력발전소

에 의한 하천생태계의 영향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대체에

너지 생산을 위한 소수력발전소 건설로 인해 발생하는 하천생태계의 제반 문제들과

주민갈등의 해결점을 모색하고 적절한 입지선정, 소수력발전에 대한 대안 등 국내

에서 적용 가능한 친환경적인 개발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97%에 육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국내의 부존 대체에

너지의 개발은 에너지 해외의존도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수급의 안정성을 확보하

는 등 국가적 당면과제이다.

‘제1차 석유파동’ 이후 정부는 1974년 “소수력 개발입지 및 자원조사”, 2003년 “대체

에너지 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 시행규칙 개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대체에

너지 원천인 소수력발전소 개발에 필요한 관련 법안과 계획들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1982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소수력발전소는 현재 약 40여 개소 이상이 운영 중이나,

1996년과 1999년 집중호우로 인한 연천 소수력의 토석댐 유실과 이후 연천댐 철거,

1989년 집중호우로 인한 봉화 소수력의 어도유실, 2002년 지자체반대로 인한 평창

소수력 건설 무산, 2004, 2005년 주천강 수질오염과 안흥 소수력과의 상관성 논란,

2004년 섬진강유역 지자체 환경행정협의회 반대로 인한 남원 소수력 건설 무산

그리고 최근 문제된 홍천 소수력의 건설 논란 등 소수력발전소의 운영과 건설에

대한 크고 작은 논란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Page 11: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10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이와 같이 일부 운영 중이거나 건설예정 중에 있는 소수력발전소에서 나타난 크고

작은 환경적인 문제, 특히 수질오염, 하천유지용수량의 감소, 생태계 교란 등으로

야기된 지역주민 또는 지자체와의 갈등 등은 향후 건설될 예정인 타 소수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논란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국가적인 대체에너지 개발계획에 문제점

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재생에너지의 일환으로 대두되고 있는 소수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환경적, 지역갈등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운영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소수력발전소

의 입지 타당성과 하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저감방안 등의 환경적인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소수력발전 개발에 대한 환경측면에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3. 연구의 주요내용

소수력발전과 관련된 사항들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소수력발전의 국내외

개발 현황과 현재 대안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소수력발전 방식들, 향후 소수력 개발

여건 등에 관한 것이 포함된다. 소수력발전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운영중인 소수력발전소의 현황을 중심으로 환경적 문제를 분석하였고 계획중인

소수력발전소를 대상으로 예상되는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정책적 대안으로는 현재

전력생산 현황과 발전설비 등에 대해 정리하였고 소수력발전과 다른 종류의 발전을

비교해보았다. 환경적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발전 방안에 대해 간략한 의견을 제시

하였으며, 결론으로 소수력발전과 관련된 환경적 문제, 대안적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자 하였다.

Page 12: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2장 ․ 소수력발전이란? ∣ 11

∣제2장․소수력발전이란? ∣

1. 개요 및 정의

신․재생에너지란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원료와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

지원으로서 미래에 주력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를 말한다. 현재는 경제성

이 없고 소규모이나 앞으로 많은 투자와 기술개발을 통해 실용성 있는 에너지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생에너지 분야로는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

지, 폐기물 에너지가 있고, 신에너지 분야로는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 수소에너지

가 있다(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 http://www.khnp.co.kr).

소수력(Small Hydro-Power)은 엄밀하게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우나, 물의 유동을

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규칙, 2003.1.3)을 말하며, 국내에서는 보통 3,000kW 미만의 발전소들이 운영 중에

있다. 소수력발전은 일반적으로 대규모 수력발전과 원리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지역 조건

에 따라 규모가 작고 기술적으로 단순한 수력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소수력발전에 의해

생산된 에너지는 공해가 없는 청정에너지로 평가할 수 있고 다른 대체에너지에 비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개발가치가 있는 부존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존자원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 정부에서는 개발자에게 기계․전기설비비의

100%, 토목공사비의 25%를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으로 융자하여 주고 있다.

또한 생산된 전력은 한국전력공사에서 73.69원/kWh(2005년 기준)으로 전량을 매

입해 주고 있다(박완순․이철형, 2006).

소수력은 설비용량에 따라 세분하기도 하며, 낙차에 따라 저낙차, 중낙차, 고낙차,

그리고 발전방식에 따라 유로식, 댐식, 터널식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에너지관리

공단 홈페이지 http://racer.kemco.or.kr).

Page 13: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12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가. 소수력을 설비용량에 의해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Micro hydropower 100 kW 미만

Mini hydropower 100 ~ 1,000 kW

Small hydropower 1,000 ~ 10,000 kW

나. 낙차에 의하여 소수력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

저낙차(low head) 2 ~ 20 m

중낙차(medium head) 20 ~ 150 m

고낙차(high head) 150 m 이상

다. 발전방식에 따라 소수력발전소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박완순․이철형, 2006).

1) 수로식 혹은 자연유하식(Run-of-river type)수로식 소수력발전소는 하천을 따라서 완경사의 수로를 결정하고 하천의 급경사

와 굴곡 등을 이용하여 수로에 의해서 낙차를 얻는 방식으로 수로식은 일반적으로

하천 경사가 급한 중 ․ 상류에 적합한 형식이며 댐은 월류식으로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수로식 소수력발전소는 구배가 1/200 정도 이상 되는 하천의 상류부에 설치되며

댐식과는 다르게 물의 양을 어느 정도만 저장하고 물이 취수구에서 수로를 통해

발전소로 유입되게 하는 형태로서 홍수시 물을 월류시키는 댐이 채택되는 것이

상례이므로 하천 상류부의 소계곡에 적합하다.

2) 댐식 혹은 저수식(Storage type)댐식 소수력발전소는 주로 댐에 의해서 낙차를 얻는 형식으로 발전소는 댐에 근접하여

건설하고 일반적으로 하천경사가 작은 중․하류로서 유량이 풍부한 지점이 유리하다.

댐 높이가 낮고 하폭이 매우 클 때는 댐의 구조와 강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저수지

Page 14: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2장 ․ 소수력발전이란? ∣ 13

의 방류조절에 의해 연속적인 형태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댐식 발전소는 하천의

구배가 완만하나 유량이 풍부한 곳을 택하거나 낙차는 크나 하천의 수위변동이 심한지역

을 택한다.

댐발전기 어도

유하방향

<그림 2-1> 댐(저수식) 발전소 모형(예, 봉화소수력)

유하방향

도수터널

발전기

<그림 2-2> 터널식 발전소 모형(예, 소천소수력, 임기소수력)

Page 15: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14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3) 터널식 (Tunnel type)터널식 소수력발전소는 댐식과 수로식을 혼합한 방식으로서 하천의 형태가 조롱박형

인 지점에 적합하며, 자연낙차를 크게 얻을 수 있고 댐은 일반적으로 월류식으로 한다.

터널식 소수력발전소는 지형상 지하 터널로 수로를 만들어 큰 낙차를 얻을 수 있는 곳에

설치하게 되므로 수로식 소수력발전소의 변형이라 할 수 있다.

2. 소수력 개발의 장점

소수력 개발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경제적 측면, 기술개발, 그 밖의 각종 혜택

등 다방면으로 적극적이며 매년 경제적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초기 시설물 설치에

막대한 투자가 소요되나 정부가 부여하는 혜택과 지원이 크며 유지관리비용이 아주

낮다. 소수력은 대수력에 비해 일반적으로 더 많은 투자단가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역의 특성 및 개발형식에 따라서 다르므로 복합적이라 할 수 있다.

소수력 자원의 개발은 에너지원의 개발, 전력 수요 급증시 부하 평준화 및 석유

수입 대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민간 주도의 반영구적 사업으로서 투자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유럽과 중국 등지에서는 일찍부터 소수력 개발에 대한 기술 개발

및 보급에 힘을 기울이고 있고 환경친화적인 소수력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해 기술

개발과 환경을 동시에 고려하는 정책적인 대안을 찾고 있다.

3. 소수력발전 개발 현황

가. 국내의 소수력발전소 개발현황

국내 최초의 소수력발전소는 1975년 한국전력공사가 강원도 안흥에 건설한 설비

용량 450kW의 소수력발전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표 2-1>에서와 같이 2005년

12월말 현재 44개소의 소수력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발전용량은 57,808kW로

서 이는 의암댐의 발전용량(45,000kW)을 상회하는 양이다. 또한 현재 25개소의

소수력발전소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표 2-2). 국내의 개발

가능한 소수력자원 부존량은 약 2,400개소 582.5MW로 추정된다(표 2-3).

Page 16: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2장 ․ 소수력발전이란? ∣ 15

구분 발 전 소 명설비용량

(kW)사 업 자 비 고

고 문남 원

분 천

1,5001,800

1,500

신 에 너 지 ( 주 )남 원 에 너 지

세광신 ․재생에너지

탐 진 댐

와부정수장판교가압장칠보취수장

운 문사 연 댐안 계 댐

550

260650380

470300450

한 국 수 자 원 공 사

<표 2-1> 소수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현황

발 전 소용량(kW)

개발자 발전소용량(kW)

개발자 발 전 소용량(kW)

개발자

임 기

방 우 리

소 천

금 강

봉 화

한 석

산 내

영 월

덕 송

정 선

대 아

경 천

포 천

성 주

1,200

2,120

2,400

1,350

2,000

2,214

820

2,800

2,600

1,920

3,000

800

1,485

1,800

대 동 기 업 ( 합 )

서 우 수 력 ( 주 )

( 주 ) 광 명 전 기

(주)크린에너지

(주)크린에너지

한석소수력(주)

산내소수력(주)

영 월 대 학

덕 송 수 력

(주)정선소수력

한국수력개발(주)

경 천 소 수 력

한국수력발전(주)

( 주 ) 성 주 발 전

광 천

반 변

운 문

보 령 ( Ⅰ )

보 령 ( Ⅱ )

부 안

횡 성

영 천

밀 양

용 담 제 1

용 담 제 2

안 동

합 천 제 2

성 남

대 곡

450

1,060

330

145

556

193

1,000

1,000

1,300

1,800

2,300

1,500

1,200

340

300

수자원공 사

추 산 1,400 한 전

안 흥

괴 산 산청양수무주양수

보 성 강양양양수

480

2,600 400 400

4,500 1,400

한 수 원(주)

한 수 원(주)동서발전(주)남동발전(주)

한 수 원(주)중부발전(주)

아 산천 안천 상

36 40 250

지방자치단체

동 진 동 화

하 동장 성담 양

2,000 1,000

825 1,220 1,274

농업기반공사

합 계 57,808 44개 지점

자료 : 박완순 ․ 이철형, 2006

<표 2-2> 개발 추진중인 소수력발전소 현황

Page 17: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16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구분 발 전 소 명설비용량

(kW)사 업 자 비 고

태 안삼 천 포

영 흥 당 진보 령

하 동

2,2005,412

3,0003,0007,500

3,010

서 부 발 전 ( 주 )남 동 발 전 ( 주 )

남 동 발 전 ( 주 )동 서 발 전 ( 주 )중 부 발 전 ( 주 )

남 부 발 전 ( 주 )

백 곡

예 당나 주탑 정

430

7001,300500

농 업 기 반 공 사

괴 산안 양

청 주전 주 사 연

1,650400

8090

200

지 자 체 ( 일 반 하 천 )지자체(하수처리장)

””

지 자 체 ( 정 수 장 )

합 계 37,332

자료 : 박완순․이철형, 2006

<표 2-3> 국내 소수력자원 부존량

도 별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경 북 경 남 전 북 전 남 합 계

지점수

(개소)114 869 208 118 584 245 156 106 2,400

부존량

(MW) 22.9 259.8 71.8 26.1 110.6 46.9 27.4 17.0 582.5

자료: 박완순․이철형, 2006

나. 외국의 소수력발전소 개발현황

전 세계의 소수력발전소 운영현황은 <표 2-4>와 같으며, 아시아권에서는 중국이

26,262MW, 일본이 538MW로 생산량이 많으며, 유럽의 경우 이태리 2,233MW, 프랑

Page 18: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2장 ․ 소수력발전이란? ∣ 17

스 1,956MW, 스페인 1,618MW, 독일 1,421MW, 스웨덴 935MW, 노르웨이 806MW

순으로 많은 생산량을 보이고 있다.

외국의 경우, 소수력발전소 1개소당 평균 발전용량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나 약

1,000kW 정도이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약 1,300kW로 외국에 비하여 큰 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반적으로 소수력발전소의 발전용량이 증가할수록 경제성이 향상된다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대용량에 비하여 경제성면에서 뒤떨어지지

않는 저낙차 소용량 수차를 개발, 보급하여 경제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이다(박완

순․이철형, 2006). 독일은 발전소의 용량이 가장 작으나 발전소 수는 가장 많다.

이는 소용량의 발전기를 활용하여 소용량 발전 가능지역을 많이 개발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 2-4> 세계의 소수력발전소 운영현황

국 명 용량(MW) 국 명 용량(MW) 국 명 용량(MW)

아르헨티나

오스트리아브 라 질캐 나 다

중 국체 코핀 란 드

프 랑 스독 일인 도

인도네시아

400

843859

1,056

26,262201309

1,9561,4211,694

58

이 태 리

일 본한 국노 르 웨 이

파 키 스 탄페 루루 마 니 아

스 페 인스 웨 덴터 키

미 국

2,233

53857

806

107215311

1,61893583

3,420

벨 기 에

룩셈부르크포 르 투 갈영 국

그 리 스아 일 랜 드말레이시아

볼 리 비 아베 트 남콩 고

스 리 랑 카

60

4031768

6037

107

1047065

35

자료: 박완순․이철형, 2006

EU 국가들의 소수력발전소 수는 1990년 이래로 꾸준히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덴마크, 네덜란드, 핀란드는 10년 동안 안정세를 유지하였고 유일하게 스웨덴만

감소하였다. 발전량도 3국을 제외하면 10년간 대폭 증가하였다. 총 전기발전에 대

Page 19: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18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한 소수력발전의 기여분은 증가추세를 보였으며[0.56(’90), 0.72(’91), 1.04(’92),

1.50(’93), 1.64(’94), 1.60(’95), 1.58(’96), 1.54(’97), 1.56(’98), 1.49(’99), 1.53(’00),

1.47(’01)] 약 2% 정도 기여하였다. 10년간 EU 국가별로는 소수력발전에 대한 정책

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나라도 있었지만 제도 및 환경운동의 위험과 부정적인 효과

를 준 나라도 있었다(ESHA, 2003).

4. 소수력발전의 대안들1)

가. 하수처리장의 이용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방류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은 ① 하천의 댐 건설 등에 소요되

는 토목공사비가 거의 없어 초기투자비 저감으로 하천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에 비해

경제성이 있고, ② 안정적인 유량확보로 시스템의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며, ③ 가동률은

하천(약 40~50%)의 두 배(약 90% 이상)로 발전량이 증대되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전국에 운영되고 있는 하수처리장 가운데 처리용량이 50,000톤/일 이상이고 소

수력발전이 가능한 하수처리장은 59개이다.

<표 2-5> 소수력발전의 대안으로 가능한 시설 현황

구분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인천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A 4 5 3 2 1 2 3 13 3 3 - 5 4 5 5 1 59

B 6 4 5 5 3 3 1 19 4 2 - 1 4 7 6 - 70

C - - - - - - - 23 16 19 8 50 44 36 36 - 232

D - - - - - - - 15 20 13 24 14 22 56 15 1 180

A: 하수처리장, B: 정수장, C: 농업용저수지, D: 농업용 보

1) 박완순 ․ 이철형, 2006, “국내 ․ 외 소수력개발 현황 및 전망”(미발간 자료)에서 수정 인용하였음.

Page 20: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2장 ․ 소수력발전이란? ∣ 19

나. 정수장의 이용

취수댐으로부터 착수정까지 자연유하시키는 정수장의 경우, 취수댐과 착수정 사

이의 낙차를 이용하여 수력발전이 가능하다. 정수장의 경우도 하수처리장과 마찬가

지로 유량이 일정하여 연간 가동률이 90% 이상 되므로 일반 소수력발전에 비해

경제성이 우수하고 투자비 회수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국에 산재된 정수장 중에서 시설용량이 50,000톤/일 이상인 정수장은 70개소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 농업용저수지의 이용

농업용 저수지는 관개시 표면수를 취수하여 사용한다. 전국에 산재한 농업용 저수지는

18,034개소에 이르며, 이 중 소수력 개발이 가능한 유역면적 15㎢ 이상인 저수지는

232개 정도 된다.

라. 농업용 보의 이용

농업용 보는 전국적으로 농업용 저수지의 수와 거의 비슷한 약 18,000여 지점이 있다.

보의 높이는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경우 2m 이하로 소수력발전용으로 사용하

기에는 다소 낙차에 한계가 있다. 소수력발전이 가능한 유역면적 10,000ha(100㎢) 이상

인 농업용 보는 대략 180여 개 정도이다.

4대강이나 생태계가 우수한 하천이 아닌 하천에 설치된 농업용 보를 활용하려면

기존 콘크리트 보의 상단에 Rubber댐을 설치하여 소수력발전에 이용할 수 있다.

마. 다목적댐의 여수로와 조정지의 이용

대형 다목적댐의 경우, 하천의 유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항상 일정한 유량을 하천유지

용수로 방출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 운영하는 대형 다목적댐의 하천유

지용수와 조정지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소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Page 21: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20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바. 기타

양식장의 순환수, 화력발전소의 냉각수 및 양수발전소의 하부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5. 소수력 개발 여건 및 향후 전망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이 1,200~1,300mm로서, 비교적 강수량이 풍부하고

전 국토의 67%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지형학적 및 수문학적으로 소수력 자원이

많이 부존하고 있다. 최근에 원유공급의 불확실성 및 유가의 급등으로 부존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정부의 전력매입단가의 현실적인 조정, 소수

력 개발 관련기술의 정립 및 시스템의 국산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개발의 촉진

및 지원정책 등으로 소수력 자원 개발에 유리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

주민의 생활과 자연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한 갈등이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하천 중상류의 본류에

설치된 소수력댐은 하천의 자연성을 크게 훼손하고 있었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사실

을 크게 염두에 두지 못했다.

따라서 수자원을 이용한 대체에너지의 개발을 위해서는 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대안의 모색이 다각도로 필요한 실정이다. 향후 소수력 자원의

친환경적인 활용을 위하여 입지의 타당성을 재검토하고 마이크로급과 미니급의

소수력 적용이 가능한 지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경제성과 함께 부존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도 “green electricity”에 대한 인증제도

를 소수력발전소 건설 및 에너지 생산에 적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소수력발전소 건설

을 유도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age 22: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21

∣제3장․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1. 사례연구

본 사례연구는 자연환경이 우수한 하천의 본류에 소수력댐을 건설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가. 운영중인 소수력발전소의 문제점

1) 봉화 소수력발전소- 개황 (그림 3-1)

∙ 개 시 일 : 1988년 9월

∙ 발전용량 : 500kW × 4 = 2,000kW (8,668MWh/yr)

∙ 위 치 : 경북 봉화군 명호면 삼동리 1173

∙ 낙동강 상류에 댐식으로 건설된 콘크리트 댐으로 댐의 높이는 약 15m 정도이

며 발전기가 댐의 왼쪽 가장자리에 설치되었고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어도가

설치되어 있다.

- 환경적 문제점

∙ 댐 상부에 저수된 물은 소량만이 발전기의 낙차를 통해 하류로 공급되고

있다.

∙ 저수된 물은 탁도가 높으며 부영양화 현상을 보인다.

∙ 상류의 모래가 댐에 의해 차단되어 하류로 공급이 되지 않고 있어 하상에

모래가 퇴적되는 대신 자갈과 큰 바위들이 나출되어 있으며 육지에서 서식하

는 식물들이 수변으로 침투하여 수변구역의 육지화를 촉진하고 있다.

∙ 하류의 수질은 상류의 영향으로 탁도가 높으며 부유물질이 하상을 덮고

있다. 댐 하류에는 깔따구의 서식 흔적 외에 저서생물의 서식이 매우

Page 23: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22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드물며 어류의 서식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 댐에 설치된 어도는 기능이 상실된 상태이며 댐 하류 하천 가장자리가 육지화

되어 어류의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이다.

∙ 댐은 낙동강 본류의 생태계 연결성 및 물리적 흐름을 완벽하게 단절하며

육수생태계의 구조, 구성, 기능과 함께 하천 본래의 자연성을 심각하게 훼손

하고 있다.

봉화 소수력발전소 입지 (원경)

봉화 소수력댐 (근경)

<그림 3-1> 봉화 소수력발전소 및 저수댐 전경

2) 임기 소수력발전소- 개황 (그림 3-2)

∙ 개 시 일 : 1986년 8월

∙ 발전용량 : 400kW × 3 = 1,200kW (5,338MWh/yr)

∙ 위 치 : 경북 봉화군 법전면 눌산리 5

∙ 봉화 소수력발전소 상류에 도수터널식으로 건설된 댐이다. 조롱박 모양의

사행천의 상류를 약 6m 정도의 콘크리트 댐으로 막고, 도수터널을 통과한

물로 지형적 낙차를 이용해 발전하고 있다.

Page 24: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23

- 환경적 문제점

∙ 댐 상부에 저수된 물은 댐에 의해 흐름이 단절되어 있으며 일정량이

도수터널을 통하여 발전기로 공급된 후 하류로 방류된다. 즉 유지용수의

공급이 적절하지 못하여 댐과 발전기 사이의 구간은 물이 없는 건천이

되었다. 홍수시를 제외하고는 유지용수가 원래대로 하류로 공급될 수

없는 상태이다.

∙ 저수된 고인 물은 탁도가 높고 부영양화 현상을 보이며 하상에는 모래가

퇴적되어 있다.

∙ 상류의 모래가 댐에 의해 차단되어 하류로 공급이 되지 않고 있어 하상에

모래가 퇴적되는 대신 자갈과 큰 바위들이 나출되어 있으며 육지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이 하상 여기저기에 침투하여 하상의 육지화를 촉진하

고 있다.

∙ 댐 하류는 건천화되어 있으며 군데군데 고인 물이 있고 그곳에서 피라미

들이 관찰되었으나 저서생물의 서식은 빈약하였다. 유수공급이 차단되

어 건천화되었다.

∙ 발전기를 통과한 물의 수질은 상류의 영향으로 탁도가 높으며 부유물질

이 하상을 덮고 있다. 댐 하류에는 저서생물의 서식흔적이 거의 없으며

어류의 서식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 댐에 설치된 어도는 기능이 상실된 상태이며(즉, 댐 하류가 건천화되어

어도가 필요가 없는 상태임), 홍수시 댐을 월류하여 물이 흐르더라도

어류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사를 갖고 있다.

∙ 설치된 댐은 낙동강 본류의 생태계 연결성 및 물리적 흐름을 완벽하게

단절하며 육수생태계의 구조, 구성, 기능과 함께 하천 본래의 자연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

Page 25: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24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임기 소수력댐 상 ․ 하류

임기 소수력댐 하류 어도

<그림 3-2> 임기 소수력 취수댐 주변의 전경

3) 소천 소수력발전소- 개황 (그림 3-3)

∙ 개 시 일 : 1987년 7월

∙ 발전용량 : 480kW × 5 = 2,400kW (12,557MWh/yr)

∙ 위 치 : 경북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310

∙ 임기 소수력발전소 상류측에 도수터널식으로 건설되었다. 조롱박 모양의 사행

천의 상류를 약 7m 정도의 콘크리트 댐으로 막고 도수터널을 통과한 물로

지형적 낙차를 이용해 발전한다. 임기 소수력발전소와 형태는 비슷하다.

- 환경적 문제점

∙ 댐 상부에 저수된 물은 댐에 의해 흐름이 단절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물이 도수터널을 통하여 발전기로 공급된 후 하류로 방류된다. 댐과 발전

기 사이의 구간은 강 본류로부터의 유지용수 공급이 없으며 계곡의 소하

천이 있는 지역에서는 소량의 물이 하류로 흐르는 상태이다. 댐 하류는

고인 물을 제외하고는 건천이며 홍수시를 제외하고는 유지용수가 원래

대로 하류로 공급될 수 없는 상태이다.

Page 26: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25

∙ 저수된 고인 물은 부유물질이 축적되고 있으며 탁도가 높고 댐 상류의

하상에는 모래가 퇴적되어 있다. 준설한 모래가 강 주변에 쌓여 있다.

∙ 이와 같이 상류의 모래가 댐에 의해 차단되어 하류로 공급이 되지 않고

있어 하상에 모래가 퇴적되는 대신 자갈과 큰 바위들이 나출되고 있으며

육지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이 하상 여기저기에 침투하여 하상의 육지화

를 촉진하고 있다.

∙ 댐 하류는 건천화되어 어류와 저서생물 등 생물이 서식하기에는 부적절한

상태이다.

∙ 댐에는 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 발전소 댐은 낙동강 본류의 생태계 연결성 및 물리적 흐름을 완벽하게

단절하며 육수생태계의 구조, 구성, 기능과 함께 하천 본래의 자연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

소천 소수력 취수댐 상․하류 전경

소천 소수력발전소 전경(서클 내)

<그림 3-3> 소천 소수력 취수댐과 발전소 전경

나. 계획 중인 소수력발전소의 문제점

1) 홍천 소수력발전소 건설사업- 개황

∙ 사업기간 : 2005.9 - 2006.10

∙ 발전용량 : 490kW × 6 = 2,940kW (약 3,000kW)

Page 27: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26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 위 치 : 강원도 홍천군 남노일리 산371번지 일원

∙ 홍천강 본류 인위적인 간섭이 적은 지역에 콘크리트 및 고무보(각각

3.5m 높이)로 댐을 만들어 도수 터널식 발전소를 건설할 예정이다.

2006년 4월 현재까지 공정율은 70% 정도로 진행되었다. 홍천 소수력발

전소는 2004년 3월 강원도에서 사업허가를 득하여 2005년 10월 4일

공사를 착공하였으나 하천점용허가 및 산지전용허가 분야에서 공사중

지요청을 받은 후 2006년 3월부터 사전환경성검토 협의를 실시하였으

나 환경적으로 홍천강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이 예상된다는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공사를 중지하고 훼손된 지역을 복원하라는 부동의

판정을 받았다. 현재 주민들과 사업자가 홍천군을 상대로 소송 중에 있

다. 댐 주변에 기존에 없던 도로가 개설 중이다. 발전소 건설부지는 조롱

박 모양의 하천에서 댐 위치의 반대편 계곡에 위치한다.

- 예상되는 환경적 문제점

∙ 홍천강은 사행하천의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지형경관이 뛰어나

보존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홍천

강 본류에 댐을 건설할 경우 운영 중인 ‘소천’ 및 ‘임기’ 소수력발전소에서

나타난 환경적, 생태적, 경관적, 지형적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홍천강의 자연성이 변함에 따라 주민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발전소 부지는 사람의 간섭이 전혀 없는 계곡에 위치하여 발전소가 건설

될 경우 경관적 영향 및 홍천강 본류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온도

변화, 수질 변화 등)이 예상된다. 영향들의 구체적인 내용과 현 단계에서

최선의 대책은 아래와 같다.

∙ 발전소 건설부지에는 수달, 묵납자루 등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 II급

생물이 서식하는 등 하천생태계의 건전성이 뛰어난 곳으로, 건설 중에

공사가 중단되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며 사업

이 완성될 경우에도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Page 28: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27

∙ 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기존 하상의 변형, 복개 등으로 생태계 연결성이 단절

되며 주변 생태계의 자연성이 훼손될 것으로 예상된다.

∙ 홍천강은 조립질 모래와 자갈류로 구성된 모래사장을 굽이마다 형성하고

있는 강이다. 이러한 모래사장은 상류로부터의 퇴적물 유입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며 현재의 상태로 평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풍수기의 홍수 등에 의한

큰 에너지에 의해 운반되는 거석류, 자갈류 등이 홍천강의 하상과 주변지역

에 특징적인 퇴적 형태를 이루고 있는 살아있는 강이다. 이러한 홍천강이

보나 소수력발전소 등의 댐에 의해 차단될 경우, 상류로부터 모래, 자갈 및

홍수에 의한 거석류 암석들이 유입될 가능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수력발전소 하류로 홍천강의 주요 퇴적물의 유입이 근본적으로 차단되게

되고, 보로부터 월류되어 운반되는 퇴적물은 세립질 위주여서 기존의 퇴적물

과는 달리 홍천강 내에서 퇴적작용을 일으키지 못하고 하류로 운반되어

갈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가 설치되기 이전과 동일한 퇴적, 운반작용이

일어나지 못하므로 홍천강 내의 퇴적물 공급과 퇴적의 균형이 깨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 발전소 하류로는 원래 홍천강에 공급되었던 퇴적물

의 공급이 단절됨에 따라 기존의 홍천강의 퇴적모래톱들 역시 서서히

유실되어 장기간에 걸친 훼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현재의 모래톱을

형성하던 곳이 서서히 유실되면서 암반으로만 이루어진 하천으로 변화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육안으로 관찰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겠으나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에는 이미 홍천강은 매우

황폐화되고 원래의 형태로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결국 홍천강은 보의

철거를 통해 장기간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지금까지 홍천

강 소수력발전소 건설에서 이러한 하천퇴적물의 운반, 퇴적 등을 포함한

자연적인 유지기능의 상실로 인한 영향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었다.

또한 만일 소수력발전소 건설 후 홍천강에 변화가 발생할 경우 그것이

소수력발전소에 기인한 것이라고 입증하기에는 그 변화의 정도가 완만

Page 29: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28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하여 단기간의 실증노력 등에 의해 그 원인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고

기타 복합적인 요인을 보일 수 있어 인과관계의 입증이 사후적으로는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소수력발전소의 건설은 홍천

강 하류지역의 자연환경, 하천의 형태, 조건 등에 장기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이다. 퇴적물이 차단된다는 것은 홍천강에 현재 유입되고

있는 형태로 퇴적물(조립질, 큰 자갈 등)이 들어오지 않고 보에서 월류되

는 세립질 입자는 멀리 떠내려가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현 사업의 공정율에도 불구하고 자연성이 잘 보존된 홍천강 및

주변지역은 보존 및 훼손지역의 복원이 필요하다. 즉, 홍천강은 사행하

천의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지형경관이 뛰어나 보존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취수보 설치

및 도수터널 굴착으로 훼손된 하천 및 지역복원이 필요할 것이다.

2) 분천 소수력발전소(댐식) 건설사업- 개황

∙ 사업기간 : 2005.5 -

∙ 발전용량 : 375kW × 4 = 15,000kW (5,282MWh/yr)

∙ 댐 높 이 : 9.7m(약 10m)

∙ 위 치 : 경북 봉화군 소천면 분천리 녹문

∙ 낙동강 본류 최상류(소천 소수력발전소에서 약 9.7km 상류임)의 인위적

인 간섭이 거의 없는 Ω 모양의 강 유역에 콘크리트 중력식 댐(자유월류

식)을 건설하여 저수식 발전소를 건설할 예정이다. 2005. 10월 실시설

계를 완료하였으며 2006년 4월부터 사전환경성검토 협의를 실시하였으

나 환경적으로 홍천강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이 예상된다는 전문가 의

견을 수렴하여 부동의 판정을 받았다.

Page 30: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29

∙ 소수력발전소 또는 다른 인위적인 영향을 받지 않은 낙동강 상류는 하천의

흐름이 단절되지 않고 자연성이 뛰어나다. 청정지역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들이 풍부하게 출현하고 있으며 생태계의 구조, 구성, 기능이 뛰어나다.

∙ 사업예정지는 사람의 간섭이 적고 수량이 풍부하며 주변 식생과 계곡 하천이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어 먹이사슬 구조가 잘 형성되어 하천의 최상위 포식자

이며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급인 ‘수달’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한국고유종, 법정보호종 등 청정지역에 서식하는 다양한 육수동물종(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인 둑중개, 돌상어, 흰수마자, 다묵장어 등 어류)이

출현하여 양호한 생태계 및 서식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양서․파충류

21종, 고유어종 9종, 조류 54종, 포유류 25종 등).

- 예상되는 환경적 문제점

∙ 콘크리트 취수보가 설치될 경우 상류지역으로는 정수생태계가 형성되며 이는

하천 고유의 유수생태계에 상․하류와 달리 이질적인 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으로서 하천의 연속성과 생물적, 물리적 흐름이 단절되어 다양한 악영향과

함께 하천의 고유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상기에서 언급한 봉화 소수력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이 유사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사업지구 하류에 설치․운영중인 기존 소수력발전시설도 본류단절 뿐만 아

니라 하류가 건천화되어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이 발생(수량부족, 퇴적물 유

실, 육지화, 수질악화, 분진퇴적으로 인한 수서동물 서식 악영향, 다양성

감소 등)될 것이다.

∙ 운영시 하천유지 용수량이 일정하게 조절되므로 하류 생태계의 인위적 변화

로 인하여 하천의 수량, 하폭, 유속, 하천생물상 및 생태적 연결성, 서식환경

등에 부정적인 변화가 초래됨으로써 다양한 생물종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

게 되는 등 자연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가 예상된다. 저감방안으로 어

Page 31: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30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도를 설치하더라도 하천생물들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종이 단순화되고 수달의 먹이가 되는 종들이 소멸하여 수달이 서식할 수

없을 것이다.

∙ 동 사업이 시행될 경우 우수한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주변 식생과 계곡

하천이 훼손되고, 수려한 주변경관이 파괴되어 경관적인 악영향이 발생된다.

<그림 3-4> 낙동강 유역에 운영중이거나 계획 중인 소수력발전소 위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낙동강 상류역에는 현재 3개의 발전소가 운영 중에 있으며

1개 발전소가 계획 중에 있다(그림 3-4). 운영 중인 발전소들은 약 30km 유하거리에

분포하고 있으며 발전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유역과 비교해 볼 때 하천생태계의 단절

및 수질의 악화 등 환경적인 문제로 인하여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이 심각하게 훼손

Page 32: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31

되고 있는 상태이다. 소천과 임기발전소 사이의 거리는 약 16.8km로서 단절된 생태

환경을 가진 유역이며 임기발전소 인근 상류에서 수질이 회복되었다가 임기취수보

에 의해 악화된 수질이 봉화저수지에 영향을 주고 봉화발전소에서 방류된 물의

수질이 하류에 상당히 영향을 주고 있다. 즉, 운영 중인 발전소들에 의해 낙동강

상류 본류의 생태계 및 수질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약 40km 유역에 걸쳐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먹이사슬이 훼손된 동 지역들

에는 수달과 같은 하천의 최상위 포식자가 서식하기 어려울 것이고 현재 소수력발

전소 영향권에서 수달이 출현한다는 보고는 없다. 즉, 낙동강 상류에서 출현하는

수달은 낙동강 본류 최적의 서식환경이 사라짐에 따라 인위적인 간섭이 적고 강의

자연성이 유지되는 낙동강 지류들에 주로 분포하며, 낙동강 본류 상류에 계획 중인

분천 소수력발전소 예정부지에서도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분천 소수력발

전소 사전환경성검토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어 수달의 서식지 회복이 안 될 경우

수달의 활동영역이 감소하여 수달의 개체군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서식면적이 확보

되기 어렵고 그에 따라 낙동강 유역의 수달의 번식 및 개체군 유지에 심각한 영향을

줄 것이다.

낙동강에서 운영 중인 3곳의 소수력발전소에 의한 연간 총 수익은 약 20억 원

정도로 3개 민간회사에서 이익을 나누어 취하고 있다. 이는 낙동강이 지니는 생태계

의 가치를 추정하여 그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용과 생태계를 복원할 경우

복원에 대한 비용을 고려할 때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은 수치일 것이다. 물론

낙동강 상류의 생태계 및 자연환경이 지니는 경제적인 가치는 계산해 보아야 하겠

지만 낙동강이 국가하천이고 모든 국민과 생물이 대대로 공유해야 하는 하천임을

감안할 때 본류에 소수력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는 것은 국가의 수려한 자연자원에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가져올 것이며 자연환경은 더욱 악화될 것이 분명하다. 아울

러 향후 기존 발전소들을 철거하여 이전의 낙동강 상류의 생태계로 복원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며 국가의 자연자원 및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길일 것이다.

Page 33: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32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2. 정책적 대안

가. 우리나라 발전설비와 발전량

2004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력 생산량의 38.2%가 원자력발전에 의한 것이

고, 화력발전이 60.1%(석탄 37.2%, 석유 6.5%, LNG 16.4%), 수력발전이 1.7%를

차지한다. 기타 발전원의 발전량은 매우 미미하다(한국수력원자력(주), 신․재생

에너지와 원자력).

2005년 기준으로 발전설비 용량은 원자력 17,716MWe, 유류 4,605MWe, 석탄

17,965MWe, LNG 16,552MWe, 수력 3,885MWe, 기타 1,537MWe, 계 62,260MWe 이

다. 비율로 환산하면 원자력 발전설비용량이 28.5%, 유류발전설비는 7.4%, 석탄발

전설비는 28.9%, LNG는 26.6%, 수력은 6.2%이다. 유류, 석탄, LNG를 모두 합한

화력발전설비 용량은 62.9%가 된다(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 http://www.khnp.co.kr).

소수력발전설비는 57.8MW<표 2-1>전체 설비용량의 0.09%이다.

<표 3-1>에 따르면 2005년 기준으로 원자력발전소의 발전량은 140,367GWh로서

총 발전량의 41.4%에 이른다. 반면 수력발전량은 3,632GWh로 총 발전량의 1.1%에

해당한다. 풍력발전량, 조력발전량 등은 매우 미미하다. 화력발전량은 194,231GWh로

총 발전량의 57.3%에 이른다. 화력발전 각각의 발전량을 보면 석탄 124,002GWh(36.6%),

국내탄 5,229GWh(1.5%), 유류 16,606GWh(4.9%), LNG 1,029GWh(0.3%), 복합발

전 47,365GWh(14.0%)이다.

2005년 소수력발전전기 구입량은 총 13GWh로 9억원, 구입단가는 67.07원이었다.

2005년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에 따라 PPA 사업자로부터 구입한 전력

의 총량은 10,412GWh이며 이는 한전(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외 발전회사들)의 총발

전량 338,864GWh의 3.1%에 해당하는 전력량이고 소수력의 발전량은 0.0038%에 해당

하는 발전량이다(2005년 전력거래시장, 한국전력공사 http://www.kepco.co.kr).

Page 34: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33

<표 3-1> 발전원별 전력구입실적

(단위 : GWh)발 전 원 원자력

화 력수력 기타 합계

석탄 국내탄 유류 LNG 복합

구 입 량

(GWh)비율 %

140,367 124,002 5,229 16,606 1,029 47,365 3,632 634 338,864

41.436.6 1.5 4.9 0.3 14.0

1.1 0.2 10057.3

구입단가(원/kWh)

39.41 43.68 54.23 91.51 162.94 86.29 90.25 63.40 51.27

자료: 2005년 전력거래시장, 한국전력공사 http://www.kepco.co.kr

나. 우리나라 소수력발전설비와 발전량

2005년 국내 소수력발전설비는 44개소, 발전설비용량은 총 57.8MWe(표 2-1)

이다. 정부는 2012년에 소수력발전용량을 543MW로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김지

동, 2003). 이는 2005년 총 발전설비용량 62,260MWe를 기준으로 할 때 0.87%에

해당하는 설비용량이다. 김지동(2003)은 국내 소수력 보급 가능량을 1,500MW

수준으로 보고 있고, 박완순․이철형(2006)은 약 582.5MW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1기의 발전용량을 조금 넘는 수준 또는 원자력발전소 1기

발전량의 1/2 정도에 해당하는 것이다.

2012년까지의 소수력발전설비 확보를 위해서는 2001년 이후 1만kW급의 소수력발전

소 54기, 3천kW급 소수력발전소로는 181기의 건설을 필요로 한다. 3천kW급의 경우

홍천강 소수력발전소와 유사한 용량의 발전소 181기를 하천에 건설하는 것과 비슷

한 규모이다. 이보다 작은 규모의 발전소 건설도 가능하다고 보면 대체적으로

50~200곳의 댐건설을 계획하는 것이다. 50~200곳의 주요 하천에 단절을 발생시

키며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시키면서 500MW의 전력설비를 확보하는

것이 다른 방법에 의해 이와 같은 전력공급능력을 확보하는 것과 비교하여 적절한

방법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면 소수력발전소의 건설에 의한 발전방식은 전력공급의

면에서나 환경적 측면에서 모두 적절한 방법이 아님을 알 수 있다.

Page 35: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34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총 9억 원의 발전, 즉 전체 발전량의 백만분의 4에 해당하는 소수력발전을 위해 환경적

으로 치러야하는 피해는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적인 에너지 다변화 전략에

대한 기여도도 거의 고려하지 못할 정도의 수준이다. 소수력발전을 최대한 확대 개발할

경우에도 위에서 검토해 본 바와 같이 에너지전략 차원에서의 기여도가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다. 소수력발전과 다른 발전방식 대안

단순 계산과 생각에만 근거해 볼 때 1만kW급 소수력발전소 260개를 건설하여 하천을

차단하고 수생태계를 단절하며 계곡과 하천을 호수화하는 것보다는 130만kW급의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2기를 건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과 환경적 측면에

서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월등하게 유리할 수도 있다. 소수력발전소 규모를 현재

수준의 3,000kW급으로 보고 비교한다면 867개소의 하천차단이 발생되어야 한국

형 원자력발전소 2기에서 생산되는 발전용량이 확보되는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에

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해 볼 때에, 방사성폐기물은 폐기물이면서

동시에 버릴 수 없는 자원임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미래에너지 자원으로 보관이

필요하며, 소수력발전소의 개발 대신 원자력발전소 2기를 추가 건설하는 것은 현재

의 방사성폐기물 처분방식에 큰 부하를 더하는 수준은 아니다.

곡류하는 하천을 단절하여 댐을 건설하고 낙차를 확보하기 위해 터널식으로 발전

기와 댐체를 연결하는 형태의 소수력발전소는 댐 직하류 지역의 건천화를 유발하여

심각한 환경적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터널식 댐은 댐과 발전설비의 건설에 드는

비용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소수력의 수두차 H를 10m 이내로 보면 수두차 H가 100m 또는 그 이상이 되는 양수발

전이 발전전략으로 보다 훨씬 유리함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전력사용추세로

보아 야간 잉여전력사정이 예전에 비해 여유가 있지 않아 양수발전의 효율도 떨어

질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양수발전으로 인해 우수한 자연환경 분포지가 훼손되는

규모는 소수력발전소 건설에 의한 자연환경훼손 규모에 비하면 작은 것으로 보인

Page 36: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35

다. 양수발전소의 상부 저수지 규모를 크게 만드는 방법도 소수력발전소 건설의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소수력발전에 대한 지원은 에너지 특별회계와 전력산업기반기금 등에서 충당된

다(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 홍보자료). 소수력발전의 경우 발전

차액은 73.69원/kWh로 보전해 주는데, 2004년 기준 국내전력판매단가는 74.58원

/kWh이다. 설치비 지원은 지역에너지 지원사업으로 70%를 무상보조하고 시범보

급사업의 경우에는 80%를 무상보조한다. 참고로 풍력은 107.66원/kWh, 태양광은

716.4원/kWh를 보전해 준다.

이와 같이 소수력발전의 경우, 정부가 건설비의 70%를 보조해주고 발생된 전기는

2004년 기준으로 국내 전력판매단가와 거의 같은 값으로 구입하므로 실제로는 국

가가 건설비의 70%만큼을 투자하는 것이 된다. 즉 민간투자자는 건설비의 30%만

을 투자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만 지불하면 수익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환경적 피해를 발생시키면서 민간투자자에게 유리한 소수력발전소를 건설

운영토록 하고 국가는 이 전기에너지의 구입을 위해 비싼 요금을 지불해주는 것은

전력 소비자에게 그 비용을 가중시키는 것이며 국가에서는 생산단가의 이익을 보전

하기 위해 국가 예산을 사용하게 되므로 예산의 효율적인 활용이라고 보기 어렵다.

공유되어야 할 하천을 민간에게 사용토록 허가해주고 환경을 훼손하도록 하면서

비싼 전력을 생산하여 민간전력 생산자에게 수익을 올려주는 결과가 되므로 소수력

발전소 운영자 외에 국민도, 국가도 소수력발전으로 인해 얻어지는 이득이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소수력발전의 공익적인 이득은 없고 국가적인 손실만 발생한

다고 할 수 있다.

소수력발전소의 입지 시 주요 하천을 사용하지 않고 적정 유역을 갖는 지류를 이용하

는 방법을 대안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그림 3-5, 3-6). 이는 낙차를 확보하기 위해

댐체의 높이를 높이거나 발전시설과 저수시설 간의 고도차를 유지하여 낙차를 확보함으

로써 발전량의 증가를 꾀하는 방법이다.

수력발전에 의한 에너지 생산량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Page 37: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36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p(kW) = 9.8 × Q(㎥/sec) × H(m) × ζ

P: 이론수력, Q: 사용수량, H: 유효낙자, ζ: 종합효율 (수차효율×발전기효율)

지류에 발전댐을 건설하면 유역면적이 작으므로 지속적인 유량은 많지는 않으나

지류계곡을 이용하여 댐높이를 높여 건설할 경우 수량(Q)이 줄어드는 대신 유효낙

차(H)를 높이는 방법으로 일정 규모의 전력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유역면적이 현저히 작으므로 소수력발전소의 개당 발전량은 작아질 것이다. 홍천강

소수력댐 후보지 주변의 한 지류를 예로 들어 계산해본 결과 그 지류의 중간부분에

50m 높이의 댐을 건설한다고 가정하면 저수지 면적이 약 312,500㎡ 정도인 댐

건설이 가능하다. 이는 화북댐 저수지 면적(2,750,000㎡)의 약 1/10 정도 규모로서

이러한 댐을 건설하여 발전하는 방식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화북댐의 경우

용수공급을 주목적으로 하여 건설되는 다목적댐으로 400kW 발전시설 1기를 갖고

있다. 계곡하천을 활용할 경우 계곡하천에 인공저수지를 조성하는 것과 동일하여

소수력발전으로만 제한하여 활용한다면 적정 발전량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된다. 생태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유효낙차가 크고 유량이 작은 형태의

계곡 지류를 막는 소수력발전 쪽으로 입지를 구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림 3-5> 주요하천을 단절하며 소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경우

➡ 수생태계를 포함한 하천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Page 38: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장 ․ 환경적 영향 및 정책적 대안 ∣ 37

<그림 3-6> 주요하천의 계곡 지류를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경우

➡ 수생태계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Page 39: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38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제4장․결론 및 제언∣

다른 전력생산방식과 소수력발전방식을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들을 얻을 수

있다.

1. 소수력발전소의 개발보다는 태양에너지 등 다른 자원들을 이용한 에너지 개발,

양수발전소 또는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이 전력공급 대안으로 우세하다. 원자력

의 경우 방사선적 영향에 대해서는 논외로 하나 현재의 영향규모에 비해 그

영향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는다.

2. 소수력발전보다는 양수발전이 환경적 훼손이 적다.

3.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소수력발전소의 폐기, 관리부재상태가 우려되며 이로 인한

환경적 파괴가 우려된다.

4. 전력공급 전략의 다양화로 전력공급원을 확보할 수 있다.

5. 소수력발전소의 건설은 주요하천의 본류가 아닌 지류를 이용하는 방법을 대안

으로 검토할 수 있다. 현재의 규모보다 발전의 규모는 작지만 발전이 가능한

낙차 큰 지류를 이용하는 방법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독일과

스위스의 소규모 소수력발전소 건설과 같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6. 건설계획 중이거나 기존 운영 중인 소수력발전소에 대하여 실질적인 어도

(fishway)의 설치 및 관리방안이 중요하다. 현재의 소수력발전 방식으로는

효과적인 어도의 설치가 어려우며 설치하더라도 국내 어류들의 양 방향 이동

은 불가능하다. 어류는 상류에서 하류로, 하류에서 상류로의 이동이 모두 가능

하여야 한다. 저수식 발전의 경우 발전기를 통하여 댐 하류로 유지용수가 어느

정도 공급되지만 댐 높이에 의한 낙차를 이용하므로 10m 이상 되는 높은 댐이

건설되어 어도가 설치되더라도 어류들이 어도를 사용할 수 없으며 더욱이 어

종이 발전기를 통과할 수도 없는 상태이다. 터널식 발전의 경우는 댐 하류에

유지용수가 거의 공급되지 않아 어도를 설치하더라도 기능을 할 수 없으며

Page 40: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4장 ․ 결론 및 제언 ∣ 39

하류에 생물이 서식할 수 없는 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한다. 물론 어도는 하천에

건설되는 댐체에 대한 소극적 환경대안일 뿐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어도조차도 실제로 기능하고 있지 않아 실효성 있는 어도의 개발이 필요한

상태이다. 실질적 어도의 확보를 위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선행될 때 소수력발

전소의 건설로 인한 환경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7. 소수력발전소는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상류지역에 건설되므로 퇴적되는 모래

를 준설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림 4-1>을

보면 운영중인 댐체 내에 상류로부터 운반되어온 퇴적물이 가득 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퇴적된 모래를 댐체 하부로 준설하여 주면 자연 유하에 의해 이동

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댐체 하부의 유속에너지와 관련된 것이므로 이에 대

한 검토가 필요하다.

임기 소수력댐 근처의 퇴적물(써클 내)

안흥 소수력댐의 퇴적물

<그림 4-1> 댐체 내에 축적된 퇴적물

퇴적사의 처리를 위해 댐체에 설치된 퇴사구는 실제로 기능하지 않고 있다. <그림

4-1>을 보면 댐체 내에 퇴사구를 설치할 경우에도 그 효과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퇴적물의 이동을 위해서는 댐체 내의 퇴적사를 하류지역으로 준설시켜주는 방법이 필요

하다. <그림 4-1>의 좌측 그림은 낙동강 상류 임기 소수력댐체 내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

사를 보여준다. 댐체 내 직하류지역은 건천화되고 기존의 하상에 퇴적되어 하상을 구성하

Page 41: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40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고 있던 퇴적사들은 모두 쓸려 내려가 암반하상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준다. 우측 그림은

남한강 상류의 안흥 소수력댐에서 퇴사구에 의해 퇴적물이 하류로 배출되는 것이 효율적

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퇴사구를 중심으로 채널이 형성되며 그 부근의

퇴적사들만 하류로 이동하고 나머지는 댐체 내에 잔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대책에 부심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자연자원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 확대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에너지 수요량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며, 유가의 변동에 따른 경제수지의

악화와 국제적으로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탄산가스 배출규제의 압력을 받고 있는 실정이

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에너지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신․재생에너

지개발에 역점을 두고 2006년까지 1차 에너지소비량의 3%, 2011년까지는 5% 달성을

목표로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존자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소수력발전소 건설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국내의 자연자원 이용에 적합한 입지, 개발방안 등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수력발전소가 하천의 본류에 건설될 경우 하천의 생태계 및 물리적인 지형에 치명적

인 영향이 있음을 사례로 보았다. 국내의 중요한 강의 본류에 댐을 건설하여 얻는 에너지

의 양에 비해 하천의 영구적인 단절과 파편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실이 더 클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하천의 본류를 막는 댐건설은 지양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천의 부존자원을 이용한 녹색에너지의 생산은 화석연료사용의

감소,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 등 여러 가지 이득이 있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안의 마련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소수력발전 규모는 하천 본류에

댐을 건설할 경우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소수력발전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은 현재의

규모보다 작은 규모의 소수력발전을 최대한 여러 곳에서 실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가능한 대안들로는 하천본류가 아닌 지류에 발전소를 건설하는 방안, 큰 댐의 여수로를

이용하는 방안, 저수지의 방류수를 이용하는 방안, 기존 보를 이용하는 방안, 양수발

전용 댐을 이용하는 방안 등 다양한 소규모 소수력발전 대안들이 있다.

Page 42: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참고 문헌 ∣ 41

∣참고 문헌∣ 1. 김지동, 2003, 소수력발전 기술 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동향분석보고서, 33p.

2. 박완순․이철형, 2006, 국내 ․ 외 소수력개발 현황 및 전망, 미발간 자료.

3. 분천 소수력발전소 건설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2006, 세광신․재생에너지(주)

4. 농림부, 1998,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통계연보

5. 에너지관리공단 홈페이지 자료 http://racer.kemco.or.kr

6. 한국수력원자력(주), 신 ․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6p.

7. 한국수력원자력(주) 홈페이지 자료 http://www.khnp.co.kr

8.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자료 http://www.kepco.co.kr

9. 홍천 소수력발전소 건설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2006, 홍천소수력개발(주)

10. EHSA, 2001. Blue age, blue energy for a green Europe, strateg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mall hydro power in the European Union, 82p.

11. ESHA, 2003. Report on small hydropower statistics: general overview of the last

decade, Brussels.

12. EHSA, 2004. Small hydropower situation in the new EU member states and candidate

countries

Page 43: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42 ∣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Abstract

The  energy  produced  by  a  small  hydropower(SHP)  plant  is  considered  as  a clean  energy product  because  it  is  recycled  from  natural  resource.  In Korea, Forty‐four  SHP  power  plants  have  been  built  and  operated  since  1982  until now. However,  lately,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have been presented during  construction of SHP power plants.  It  is  time we  consider  these  issues, relating  them  to  the  targets  of  the  government  policy  on  energy  production by SHP.  In  this  study, we examined problems and undesirable effects on  the overall  river ecosystem  that  result  from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HP plants. We  also  suggested  potential  alterna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ecosystem of  the Nakdong  river near 3 SHP plants and one plant construction  site planned  there. We observed the  change  and  impact  that  the  plants  gave  to  the  river  ecosystem.

All  three  operating  SHP  plants  caused  negative  impacts  to  both  upper  and lower  river ecosystem  in  terms of ecological, physical, and  scenic aspects. The physical and ecological  status, and water quality of  the  river had been  seriously altered. Also  the  dryness  and  degradation  of  the  river  causes  destruction  i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iver  ecosystem,  therefore,  obviously  affecting the  residential quality. On  the  contrary,  the  river near  the plant  construction site maintained naturalness and  intact ecological  conditions. This was proved by  the  existence of various numbers of benthic  species which  inhabit only  in a  clean  river  ecosystem.  The  inhabitation  of  the  river  otter(Lutra  lutra),  an endangered  species protected by  the  law and  top predator,  that prefers  such an  environment,  proves  this  fact  also.

Therefore,  such problems  can not be  solved by  the energy producing plan of the  SHP  and  the  siting  plan  that  is  used  to  construct  the  SHP  plant. Until 

Page 44: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Abstract ∣ 43

2012,  the  target of SHP  energy production  that  the government plans  can be achieved  by  constructing  181  sites  of  3,000kW  SHP  plants  in  the  class  of  a national  river,  such as  the Hongchun  river.  If  the SHP plants are  constructed in  four  national  rivers  and  the Hongchun  river,  36  plants  per  river will  be constructed. This  is  certainly an unsuitable plan which  should be  replaced by various  alternatives.  In  fact,  dams  for  the  SHP  should  not  be  sited  in  the mainstream of  the national  river  any more because  it  causes  serious  impacts in  the  river  ecosystem  and  in  the  resident  life  surrounding  the  site.

Economically  the government  supports 70%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buys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HP, with  almost  same price of  the  electricity selling unit price on  the base of 2004. This allows  the private  company  to use the  national  river  that  is  common  property  of  all  people  and  to  gain  an expensive  profit  privately,  instead  causing  to  destroy  important  river ecosystem.  Because  this  imposes  the  cost  to  both  the  public  and  the  nation, it  is  hard  to  consider  as  an  effective  use  of  a  national  budg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at  the  SHP  does  not  create  a  public  benefit,  but result  loss of a national budget. Thus,  it  is pertinent  to  recover economic values of natural ecosystem with which all  the public  can  share, compared with  the benefit  that  a private  company  can  earn  from  the  SHP  in  the national  river.

This  suggests  that various alternatives  to  replace  the development of  the SHP pla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of  the  future  energy policy,  such as various  ideas  to produce energy  from other natural  resources, use of nuclear energy  in  the  range  that  is not  burdened  additionally  at  the present  level  of nuclear waste  treatment, and utilization of a pumping water hydropower which causes  far  less environmental  impacts.  If a dam  site  for  the SHP  is  inevitable in  the  national  river,  a  tributary which  has  a  proper  size  of  catchment may be  considered  to utilize.  In  this case  the production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will  increase  if  the  difference  of  elevation  between  an  electric  facility  and  a reservoir  increases. Other alternatives of  the SHP would be  to utilize a  sewage plant, a  clean water plant, and various  reservoirs which were already present.

Page 45: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KEI 발간자료 목록∣연구보고서

1997년 RE-01 폐기물 관리정책의 평가와 개선방안 연구 (김광임, 권영한 외)

RE-02 생명가치와 환경윤리 학제간 연구 (크리스챤 아카데미 공동)

RE-03 환경행정의 선진화 방안 (정회성)

RE-04 산업별 환경조정 부가가치의 추정과 정책점 시사점 (김승우)

RE-05 환경친화적인 조세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노상환)

RE-06 우리나라 환경법체계 정비에 관한 연구 (노상환)

RE-07 동북아 국가의 에너지소비와 월경성 오염문제 연구 (김승우)

RE-08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정책방향 (임종수)

RE-09 민간기업의 환경기초시설 운영제고 방안연구 (장기복)

RE-10 배출규제 위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제도 개선방안 (김용건, 정회성)

RE-11 대기보전정책과 에너지정책의 조화방안 연구 (강광규)

RE-12 외국의 대기오염관리 성공사례 및 정책 시사점 (한화진)

RE-13 자동차 공해저감대책의 비용효과분석 및 경제적 유인제도 적용방안

(김용건, 한화진 외)

RE-14 석유화학 공단지역 체감오염도 개선을 위한 사업장 관리방안 (한화진)

RE-15 특정수계 권역의 수질총량규제 방안 연구 (김승우)

RE-16 지역 특성별 수처리 설비의 최적시스템 도출 (최지용)

RE-17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최지용)

RE-18 수질환경 및 규제기준의 합리적 조정 (최지용)

RE-19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별 기술 및 비용편익분석 연구 (김광임, 최상기)

RE-20 OECD 가입과 수출입 폐기물 분류체제 개선 (이희선)

RE-21 유해화학물질 적정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김강석)

RE-22 토양질 측정자료의 관리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박용하)

RE-23 자연환경부문의 원격탐사기법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전성우)

RE-24 환경기술수준의 파악과 보급 (권영한)

RE-25 자연자산의 효율적관리를 위한 정부기능의 합리화 방안 (안종윤 외)

RE-26 연안습지의 보존 및 효율적 이용방안에 관란 연구 (박태윤)

RE-27 대기환경기준의 설정체계 및 환경기준 개정에 따른 경제성 분석에관한 연구 (임종수)

RE-28 환경영향평가서의 검토지침서 개발을 위한 연구 (남영숙)

RE-29 위생매립시설의 구조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이상훈)

RE-30 폐기물배출 특성의 조사․분석과 평가에의한 폐기물 최소화 최적방안 (최상기)

RE-31 종합환경정보망 개발사업(V) (정은화)

RE-32 환경예산과 정책목표 (노상환)

Page 46: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RE-33 소규모 배출원에서 수질관리 방안 (염규진)

1998년 RE-01 환경기초시설 서비스산업의 적정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문현주)

RE-02 거시 환경경제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영근)

RE-03 종합적인 환경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자율환경관리의 활성화 방안

(정회성, 강철구)

RE-04 폐기물발생억제 정책의 평가와 발전방향 (김광임)

RE-05 수계수질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체계 및 적정투자․비용분담 정책에 관한 연구 (문현주)

RE-06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사회․경제환경분야 개선방안 연구 (남영숙)

RE-07 환경안전분석제 도입에 관한 연구 (박정규)

RE-08 호소 및 하천 오염퇴적물 관리방안 (이창희, 김은정)

RE-09 농업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최지용, 신은성)

RE-10 환친화적 조세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Ⅱ) (노상환)

RE-11 환경예산과 정책목표 (노상환)

RE-12 우리나라 환경법령체계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Ⅱ) (노상환)

RE-13 중소기업 환경관리 유인정책 개선방안 (장기복)

RE-14 기업의 청정생산체계 구축 활성화 방안 연구 (김용건)

RE-15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국내산업 체질 개선방안(Ⅰ) (김승우)

RE-16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한 에너지 가격구조 조정방안 연구 (강광규)

RE-17 환경오염계정 작성에 관한 연구 (김승우)

RE-18 대기오염 건강피해에 관한 연구 (한화진)

RE-19 대기배출시설에서의 사전오염예방을 위한 관리방안 (공성용)

RE-20 21세기 대기보전정책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한화진)

RE-21 수계시스템을 고려한 수질관리방안 (최지용)

RE-22 잠실수중보 상류 수계의 수질유해물질 통제방안 (김강석)

RE-23 유해 폐기물 재활용산업의 활성화 방안(Ⅰ) (이희선)

RE-24 하․폐수 처리장 슬러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염규진, 구현정)

RE-25 생명공학 안전성 확보방안 연구 (박용하)

RE-26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보호방안 (이상돈)

RE-27 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 연구 (전성우)

RE-28 사업 특성별 환경영향평가에 적용되는 모델의 비교연구 (김석철)

RE-29 종합환경정보망 운영 (김지영)

1999년 RE-01 물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유역관리 방안 (이창희, 이병국, 최지용)

RE-02 국토환경용량을 고려한 축산오염관리방안 연구 (최지용)

RE-03 유연한 산업환경규제체제를 통한 환경성과 개선방안 연구(문현주, 장기복)

RE-04 환경친화적 국립공원 관리방안 연구 - 국립공원지역의 주민지원방안을 중심으로

Page 47: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박용하, 변병설, 정회성)

RE-05 폐기물 자원화기술의 고급화 방안 연구 (이희선, 김강석, 공성용)

RE-06 Biocides의 국내관리방안 연구 (박정규)

RE-07 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 연구(Ⅱ) - 식생분류도 작성을 중심으로 (전성우)

RE-09 수질오염의 사회적 비용 계량화 연구 - 한강수계를 중심으로 (김광임, 민동기, 정회성)

RE-10 환경규제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연구 (강만옥)

RE-11 지구온난화가스 저감대책 동향분석 및 국내대응방안 연구 - 수송부문 중심으로 (한화진)

RE-12 지구온난화가스(GHG) 저감의 환경편익 분석 - A Conceptual Framework of Ancillary Benefit

Modeling in Context of Climite Change in Korea (조승헌)

RE-1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논의동향 분석 및 국내도입방안 연구 (김용건)

RE-14 국제환경규제 강화가 국제교역상의 시장접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상인)

RE-15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유인제도 활성화 방안 (조승헌, 박용하, 김승우)

2000년 RE-01 An Interaction of Economy and Environment in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ling with a Focus on Climate Change Issue in Korea : A Proto-type Model [경제-환경

연관 분석을 위한 Proto-type Dynamic CGE 모델 개발: 기후변화협약대응을 중심으로 ] (조승

헌, Rob Dellink, 남윤미, 김용건, 송양훈)

RE-02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의 국내 현황과 대응방향 (박정규, 이희선)

RE-03 수저퇴적물 환경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이창희, 유혜진)

RE-04 환경부문을 고려한 국제무역과 내생적 지속성장 모형 연구

(강상인, 김태완, 한화진, 강광규, 최대승)

RE-05 환경피해 보상제도 개선방안 연구 (강만옥, 민동기, 임현정)

RE-06 수질개선을 위한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방안 (최지용, 정유진)

RE-07 대규모 하수종말처리시설 자동화 설비 확대방안 연구 (이병국)

RE-08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환경영향과 대응방안 (장기복)

RE-09 화학산업체의 청정생산 실행기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공성용, 이희선, 김강석)

RE-10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 산림생태계 부문을 중심으로

(박용하, 전성우, 최재용, 정휘철, 김정원)

RE-11 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 연구 (III) - 하천주변 습지분류도 작성을 중심으로

(전성우)

2001년 RE-01 환경예산과 정책목표 (민동기, 임현정)

RE-02 상수이용에 대한 물자원의 합리적 가격화 연구 (문현주)

RE-03 환경친화적 조세체계 구축에 따른 경제 파금효과 분석(Ⅰ) (민동기)

RE-04 서비스산업의 환경․경제적 영향 분석 (김광임)

RE-05 도시지역의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바안 개발 (최지용)

RE-06 하구․석호 육해 전이수역 통합환경관리방안 연구 (이창희)

Page 48: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RE-07 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와 정책방안 연구 (김강석)

RE-08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 삼림부문의 생기후모형개발을

중심으로 (전성우)

RE-09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 관리방안 (변병설)

RE-10 방염제의 환경위해성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박정규)

RE-11 경제-환경 연관 분석을 위한 Dynamic CGE 모델 개발

- 기후변화관련 의무감축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조승헌)

RE-12 환경․무역 연계논의 동향과 대응방안(Ⅳ) - 국제무역에 대한 오염자부담원칙의 적용

(강상인)

RE-13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Ⅰ) (조광우)

2002년 RE-01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지역생태-경제 모형개발 연구(Ⅰ) (정회성, 강만옥, 임현정)

RE-02 디지털경제의 발전에 따른 환경정책 과제와 대응방안 (장기복 외)

RE-03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우수유출수 관리방안 (최지용, 신창민)

RE-04 대규모 개발사업의 환경경제성 분석 도입방안(Ⅰ) (김광임, 외)

RE-05 군 발생 폐기물의 환경친화적인 관리방안 연구 (이희선, 구현정, 김두일)

RE-06 사업장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의 평가 및 비용분석 (공성용, 구현정)

RE-07 토양오염지역의 관리 및 복원방안 연구 (박용하, 외)

RE-08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Ⅲ) (전성우 외)

RE-09 유해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그린화학(GC)제도 연구 (박정규)

RE-10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평가를 위한 기법 연구 (김지영 외)

RE-11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개선방안 (송영일 외)

RE-12 자연경관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유헌석, 김시헌, 주용준)

RE-13 기후변화영향분석 모델(Ⅲ) : 환경편익을 고려한 온실가스저감에 따른 경제성 분석 (조승헌 외)

RE-14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Ⅱ) (조광우 외)

RE-15 남북환경 및 에너지협력 활성화 전략 연구(Ⅰ) (강광규 외)

RE-16 육상교통수단의 환경성 비교분석 (김준순 외)

2003년 RE-01 동북아지역의 황사 피해 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 협력방안(Ⅰ) (정회성 외)

RE-02 하구역 환경보전전략 및 통합환경관리방안 수립 - 한강하구역을 중심으로 (이창희 외)

RE-03 DMZ 일원의 환경보전 기본방안 (전성우, 변병설, 이병준)

RE-04 환경친화적 남북 경협사업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정회성 외)

RE-05 전자상거래의 확산에 따른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와 환경영향 (최진석, 김윤태, 고현정)

RE-06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위해정보전달체계 구축 (박정규, 구현정)

RE-07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지역 생태-경제모형개발(Ⅱ) (정회성, 윤갑식)

RE-08 우리나라 환경예산의 발전방안 연구 - 예산편성 및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강만옥, 이병국, 이임호)

Page 49: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RE-09 환경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 상하수도 산업을 중심으로 (문현주)

RE-10 환경을 고려한 다목적댐의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여준호 외)

RE-11 유역관리 효율화를 위한 불투수층 지표개발과 적용(Ⅰ) (최지용, 장수환)

RE-12 사업장 대기유해물질의 관리개선 방안 (공성용, 이영수, 구현정)

RE-13 토양오염지역의 관리 및 복원방안(Ⅱ) (박용하 외)

RE-14 군 관할 생태계우수지역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협력 모델의 개발 (방상원 외)

RE-15 지하유류저장탱크의 관리강화 방안 (김미정)

RE-16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지수화 연구 (정영근, 이준)

RE-17 자유무역협정의 환경친화성 제고방안 (강상인, 김재준)

RE-18 수질분야 환경영향예측내용과 사후환경조사결과의 비교․분석 (최상기, 송영일, 서성철)

RE-19 해수 유동 및 부유사 확산의 예측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조광우 외)

RE-20 토양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이동성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방안 (정승우)

RE-21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대상 설정에 관한 연구 (이수재 외)

RE-22 자동차 운행시 터널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저감방안 (강영현, 이영수, 박영재)

RE-23 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정흥락 외)

2004년 RE-01 동북아지역의 황사 피해 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 협력방안(Ⅱ) (강광규 외)

RE-02 생태계위해외래종의 통합관리 방안 연구 (방상원, 김문희, 노태호)

RE-03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Ⅰ) (이창희 외)

RE-04 지방화세계화시대 지역환경관리의 과제와 정책방안 (이창훈, 정회성, 이병준)

RE-05 농촌토지이용구조 변화와 환경영향 (김광임 외)

RE-06 오염매체 통합관리를 위한 유해화학물질의 다매체 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다매체거동모델을 통한 기준설정 타당성 연구 (신용승 외)

RE-07 환경경제효율성 실증분석을 통한 국가별 비교 연구 (정영근, 이준)

RE-08 유역관리 효율화를 위한 불투수면 지표개발과 적용(Ⅱ) (최지용, 장수환)

RE-09 오염토양부지의 정보관리체계 효율화 방안 (황상일, 이양희)

RE-10 기후변화영향평가모형 개발-물관리 부문을 중심으로 (전성우 외)

RE-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Korea-Japan Free Trade

(강상인)

RE-12 A Game-theoretic Analysis on Negotiation Mechanism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김용건)

RE-13 실내공기질 관리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공성용, 이희선)

RE-14 지역환경보전을 위한 환경계획과 환경평가의 연계방안 연구 (박창석 외)

RE-15 철도건설사업의 주요 환경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준 외)

RE-16 석산개발사업의 환경영향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김지영 외)

RE-17 도로건설사업의 환경영향 예측과 사후모니터링의 비교․분석 (이수재 외)

Page 50: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2005년 RE-01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Ⅰ) (한화진 외)

RE-02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chemes: Recent Development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Korea (김용건, Erik F. Haites)

RE-03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Ⅱ) (이창희 외)

RE-04 농촌의 경관가치평가와 관리 방안 (김광임 외)

RE-05 신재생에너지전력 시장활성화방안 연구 (이창훈 외)

RE-06 에너지부문의 환경세도입이 환경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만옥 외)

RE-07 The Impact Analysis of Urban Growth on Environment Using the Econometric

Regional Impact Model (여준호 외)

RE-08 도시토지이용의 생태 효율 제고방안 연구 (박창석 외)

RE-09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구 (정회성, 전대욱, 정영근)

RE-10 총량관리체계 하에서의 지역환경관리 (문현주, 황석준)

RE-11 배출허가체계 개선 방안 연구 (이병국, 정선희, 한은진)

RE-12 Pharmaceuticals in the Environment and Management Approaches in Korea (박정임)

RE-13 멸종위기야생동․식물종의 선정 평가기법 연구 (방상원, 안선영)

RE-14 GIS-based Wildlife Habitat Management Strategies in Korea (노백호 , 정흥락, 배수영)

RE-15 녹지의 대기환경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심지역에서의 녹지와 국지적 대기환경영향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영준 외)

RE-16 An Econometric Analysis on the Costs of Carbon Sequestration in Korea (안소은)

RE-17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추장민 외)

RE-18 보호대상 식물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기법 개선방안 연구 (이현우 외)

RE-19 환경영향평가시 대기확신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문난경 외)

RE-20 터널로 인한 지하수 영향 저감방안 연구 (이정호 외)

RE-21 해양매립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효율적인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맹준호 외)

RE-22 지형․지질을 고려한 개발사업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골프장 및 석산개발 입지에 관하

여 (김지영 외)

정책보고서

1997년 WO-01 VOCs 방지기술 현황 및 적용사례 (한화진, 윤정임)

1998년 WO-01 물관리체계의 구조조정 방안 (최지용)

WO-02 환경정책의 발전방향과 추진전략 (김종기)

WO-03 폐수배출부과금제도 개선방안 (문현주)

WO-04 비점오염원의 제도적 관리방안 (최지용)

WO-05 외래종 유입에 대한 환경정책 추진방향 연구 (박용하, 이상돈)

Page 51: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WO-06 환경과 정치 - 낙동강․위천공단문제의 해결방안 모색 (최지용)

WO-07 쓰레기종량제 평가 및 개선방안 (김광임)

WO-08 환경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박수훈)

WO-09 배출권 거래제도 논의동향 및 향후 정책방향 (배출권 거래제 연구회)

WO-10 건설공사시 환경관리비 계상방안에 관한 연구 (강영현)

WO-11 소각시설의 적정규모 산정연구 (김광임)

WO-12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주요현안과 대응방안 (박정규 편)

WO-14 지구환경문제 대응을 위한 국내제도 재정비 방안 (나성린 외)

WO-16 환경가치를 고려한 소규모 용수전용저수지의 경제성 분석 (노상환)

1999년 WO-01 소규모 수질오염원의 관리지침 (이창희)

WO-02 정부예산집행의 경제파급효과분석 (민동기)

WO-03 거시환경경제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II) (정영근)

2001년 WO-01 Biocide의 국제적 관리동향과 대응방안 (박정규)

WO-02 외국의 BAT제도 분석과 국내도입을 위한 과제 (공성용)

WO-03 소규모개발사업에 대한 사전환경성 검토서 작성요령집 개발 (권영한 외)

WO-04 남북환경포럼 운영 (강광규 외)

2002년 WO-01 환경정책과 예산목표 (장기복 외)

WO-02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환경규제정책의 발전방향 (정회성)

WO-03 군용항공기 소음기준(안) 설정에 관한 연구 (박영민)

WO-04 연료첨가제 MTBE의 위해성 및 관리필요성에 관한 연구 (박용하 외)

WO-05 고압선로 전자파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전인수)

WO-06 WSSD 논의결과 분석 및 후속과제 도출 (정영근)

WO-07 청소년 환경보전 참여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구도완)

WO-08 골프장 건설에 따른 환경영향 및 평가 방안 (권영한)

WO-09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 확보 방안 (변병설)

WO-10 남북환경포럼 (강광규)

WO-11 항공기 탑재센서를 활용한 환경부문의 원격탐사기법 개발 (전성우 외)

WO-12 통합적 환경관리를 위한 연안수질관리체제 개선방안 (이창희)

WO-13 주5일 근무와 여가활동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최진석)

WO-14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 및 배출권 거래제도 시행을 위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화진)

2003년 WO-01 환경기술발전에 따른 토지이용규제 개선 (최지용)

WO-02 골프장 운영에 따른 생태계 영향 분석 (권영한 외)

Page 52: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WO-03 농산물 시장개방의 환경영향과 정책제언 (김광임)

WO-04 Domestic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Schemes (Yong Gun Kim )

WO-05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 in case of golf courses - (Jae Yong Choi)

WO-06 환경친화적 댐관리를 위한 사례연구 (최지용, 김흥년)

WO-07 환경정책연구 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구도완 외)

WO-08 남북환경포럼 (정회성 외)

WO-09 Korea Environmental Policy Bulletin(Ⅰ) (김광임, 최지용)

2004년 WO-01 동북아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및 비교 연구 (정영근, 이준)

Northeast Asia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Young Keun CHUNG)

WO-02 환경분야 갈등 유형 및 해결방안 연구 (김종호, 이창훈, 신창현)

WO-03 경관생태학에 의한 야생 동․식물 서식공간 설정방안 연구 (노백호, 박해경)

WO-04 환경정책과 고용(Ⅰ) - 제조업 환경오염방지지출과 노동수요 (황석준, 강만옥)

WO-05 하천댐의 어도현황과 향후 설치 및 관리방안 연구 (최지용, 장수환)

WO-06 탄소고정을 위한 토지이용모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소은, 한기주)

WO-07 Joint Pilot Studi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o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Gold Mining(Ⅱ) (강광규, 송영일)

2005년 WO-01 Joint Pilot Studies between Korea and Mongolia o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Gold Mining Industry of Mongolia(Ⅱ) (Jeongho LEE)

WO-02 유역관리를 통한 다목적댐 저수지의 효율적인 탁수관리방안 (최지용 외)

WO-03 휴·폐금속광산지역의 토양오염관리방안 (박용하, 서경원)

WO-04 녹색구매 대상제품의 화학적 안전성 제고를 위한 정책연구 (신용승, 김효정)

WO-05 A Study on the Integrated Product Policy of EU and Corresponding Tasks

(공성용, 최흥진)

WO-06 Korea Environmental Policy Bulletin(Ⅲ) (이병국 공성용)

2006년 WO-06 Korea Environmental Policy Bulletin(IV) (이병국)

WO-14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 (권영한, 김지영, 노태호, 전동준)

환 경 포 럼

1997년 제 1권 제 1호 (통권 1호) 생태계 위해성 평가기법에 대한 고찰 (박정규)

제 1권 제 2호 (통권 2호) LMOs의 환경영향평가체계의 구축방안 (박용하)

제 1권 제 3호 (통권 3호) 최종소비재에 대한 제품부담금 도입방안 (노상환)

제 1권 제 4호 (통권 4호) 오염 퇴적물관리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이창희)

Page 53: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 1권 제 5호 (통권 5호) 기후변화협약과 에너지 측면에서의 대응방안 (강광규)

제 1권 제 6호 (통권 6호) 환경친화적 발전전략의 추진 (김승우)

제 1권 제 7호 (통권 7호) 종량제 보완을 위한 쓰레기 수거체계의 개선 방안 (이희선)

제 1권 제 8호 (통권 8호) 연안습지의 환경친화적 이용방안 (박태윤)

제 1권 제 9호 (통권 9호) 폐광지역의 환경친화적 개발방안 (박태윤)

1998년 제 2권 제 1호 (통권10호) 석면의 건강위해성과 관리개선방안 (공성용)

제 2권 제 2호 (통권11호)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비용과 정책제언 (김광임)

제 2권 제 3호 (통권12호) 수질정보시스템 구축현황과 발전방향 (이창희)

제 2권 제 4호 (통권13호) 경제적유인제도 및 환경규제 합리화 방안 (노상환)

제 2권 제 5호 (통권14호)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기술 동향과 발전방향 (염규진)

제 2권 제 6호 (통권15호) 조간대 지역에서의 유류오염 방제기술 (맹준호)

제 2권 제 7호 (통권16호) 수질환경기준의 합리적 조정방안 (최지용)

제 2권 제 8호 (통권17호) 미국의 환경규제 개혁과 상식주도정책 (정회성)

제 2권 제 9호 (통권18호) 농어촌 하수의 최적처리 방안 (최지용)

제 2권 제10호 (통권19호) 생활폐기물 수거운반체계 개선방안 (이희선)

제 2권 제11호 (통권20호) 대기보전정책과 에너지정책의 조화에 대한 소고 (강광규)

제 2권 제12호 (통권21호) 공단지역 악취관리 개선방안 (한화진)

제 2권 제13호 (통권22호)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최지용)

제 2권 제14호 (통권23호) 내분비 교란물질 피해저감을 위한 정책방향 (박정규)

제 2권 제15호 (통권24호)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식생지수의 산출과 활용 방안 (전성우)

제 2권 제16호 (통권25호) 선진적 화학물질 규제개념의 정립과 기존제도의 개선 (김강석)

제 2권 제17호 (통권26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구도완)

제 2권 제18호 (통권27호) IMF 체제하의 환경예산의 현황과 정책과제 (노상환)

제 2권 제19호 (통권28호) 중수도 시설의 보급확대 방안 (송영일)

제 2권 제20호 (통권29호) 환경기초시설 민영화의 추진현황과 과제 (장기복)

제 2권 제21호 (통권30호) 물관련 환경보조금 규모추계 (노상환)

제 2권 제22호 (통권31호) 21세기 환경정책의 운영기조와 추진방향 (정영근)

제 2권 제23호 (통권32호) 수질종합지수를 이용한 4대강 수질평가 (최지용)

제 2권 제24호 (통권33호) 지역환경분쟁의 예방과 해소의 정책방안 (정회성, 강철구)

1999년 제3권 제 1호 (통권34호) 환경행정기능 및 추진체계 강화 방안 (정영근, 이인수)

제3권 제 2호 (통권35호) 외국인 직접투자와 환경정책 (민동기)

제3권 제 3호 (통권36호) 팔당호 퇴적물의 오염원 및 관리방안 (이창희, 김은정)

제3권 제 4호 (통권37호) 환경영향평가용 대기질모델의 국내사용현황 - 문제점 개선방안 (김석철)

제3권 제 5호 (통권38호) 국내경제학계의 기후변화 연구실태 (조승헌, 윤정임)

제3권 제 6호 (통권39호) 환경영향평가상 도로확장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금기용)

Page 54: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3권 제 7호 (통권40호) 환경영향평가 경관부문의 실효성 제고방안 (금기용)

제3권 제 8호 (통권41호) 도로에 의한 비점원 수질오염과 관리방안 (최지용)

제3권 제 9호 (통권42호) 수변지역내 환경녹지의 기능과 활성방안 (최지용)

제3권 제10호 (통권43호) 녹지자연도 적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권영한)

제3권 제11호 (통권44호) 연안해역의 오염총량규제 시행을 위한 연구방안 (이창희)

제3권 제12호 (통권45호) 기후변화협약 쿄토의정서 의무이행체계의 국제교역적 측면에 대한 고찰

(강상인)

제3권 제13호 (통권46호) 국제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에 대한 국제협상 동향 (김용건)

제3권 제15호 (통권48호) 유럽연합 CORINE 프로젝트와 정책적 시사점 (전성우, 정성문)

제3권 제16호 (통권49호) 우리나라 4대강의 90년대 (1990~1999) 평가 (최지용)

제3권 제17호 (통권50호) 환경관리비 계상방안의 법제화를 위한 고찰 (강영현)

2000년 제4권 제 1호 (통권51호)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현주소와 발전방향 (최준규)

제4권 제 2호 (통권52호) 외래종의 위해성 저감에 관한 환경정책 개선방향 (박용하)

제4권 제 3호 (통권53호)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박용하)

제4권 제 4호 (통권54호)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현황 및 발전방향 (이창희)

제4권 제 5호 (통권55호) 환경친화적 공간계획을 위한 Space Syntax의 적용 (최재용)

제4권 제 6호 (통권56호) 지속가능발전지표의 논의동향과 추진과제 (정영근)

제4권 제 7호 (통권57호) Biocide의 규제동향과 효과적 관리방안 (박정규)

제4권 제 8호 (통권58호) 붙박이 수납공간 설치를 통한 폐기물 감량화 (이희선)

제4권 제 9호 (통권59호) 대기배출시설 관리와 BAT 제도 (공성용)

제4권 제10호 (통권60호) 동북아 환경협력의 기본방향 (강광규, 장기복)

2001년 제5권 제 1호 (통권61호) 환경지속가능지수(ESI)의 의미 및 향후 추진과제 (한화진)

제5권 제 2호 (통권62호) 녹색GDP와 지속가능지수의 효용성과 한계 (조승헌)

제5권 제 3호 (통권63호) 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 (박용하)

제5권 제 4호 (통권64호) 환경친화적 도로건설을 위한 제언 (최준규)

제5권 제 5호 (통권65호) 기후변화협약 협상동향 및 전망 (김용건)

제5권 제 6호 (통권66호) 환경소음의 영향과 관리체계 개선방안 (박영민)

제5권 제 7호 (통권67호) 세계정상회의 준비동향과 논의주제 (정영근)

제5권 제 8호 (통권68호) 한강수계총량관리시행 현황 및 개선방안 (이창희)

제5권 제 9호 (통권69호) 환경영향평가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제언 (최준규)

제5권 제10호 (통권70호)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저감기술 현황 (이영수)

제5권 제11호 (통권71호)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효율적 운영 방안 (송영일)

2002년 제6권 제 1호 (통권72호) 토양오염조사의 효율성 제고는 선택의 문제 (박용하)

제6권 제 2호 (통권73호) WSSD 논의결과 및 준비회의 주요의제 (한화진, 김준순)

Page 55: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6권 제 3호 (통권74호) 생물다양성협약에서 제기되는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의 공유 (박용하)

제6권 제 4호 (통권75호) 환경영향평가의 주민참여 실효성 제고 방안 (주용준, 유헌석)

제6권 제 5호 (통권76호) 세계경제의 통합과 지속가능한 발전 (정회성, 임현정)

제6권 제 6호 (통권77호) 환경통계 현황과 발전방향 (정영근)

제6권 제 7호 (통권78호) 현행 에너지 관련세제의 환경친화적 개편방안 (강만옥)

제6권 제 8호 (통권79호) 방치폐기물 이행보증제도의 개선방안 (강만옥)

제6권 제 9호 (통권80호) 유해폐기물을 재활용하자 (이희선)

제6권 제10호 (통권81호) TRIPS 협정의 환경측면에 대한 고찰 (강상인)

2003년 제7권 제 1호 (통권82호)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생활폐기물 관리 강화 (김광임)

제7권 제 2호 (통권83호) 종량제봉투가격이 쓰레기 배출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제언 (김광임)

제7권 제 3호 (통권84호) 전자파의 건강 위해성과 외국의 관리동향 (전인수)

제7권 제 4호 (통권85호)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발상의 전환 (최준규)

제7권 제 5호 (통권86호) 환경영향평가 사후환경관리의 실효성 제고방안 (최준규, 주용준, 강영현)

제7권 제 6호 (통권87호) 폐자동차 재활용의 국제동향 (전인수)

제7권 제 7호 (통권88호) 두만강유역 환경보전사업(TumenNET)과 동북아 환경협력 (최재용)

2004년 제8권 제 1호 (통권89호) 미국의 최근 대기질 개선 입법 발의안 특성: Clear Skies Act (한화진, 음성원)

제8권 제 2호 (통권90호) 폐자동차 재활용기술의 발전방향 (전인수)

제8권 제 3호 (통권91호) 한국 에너지 정책에 대한 IEA의 평가 및 권고 (한화진, 음성원)

제8권 제 4호 (통권92호) 남극 보호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도입 (최재용, 최준규)

제8권 제 5호 (통권93호) 교토의정서 체제의 의미와 정책 방향 (한화진, 음성원)

제8권 제 6호 (통권94호) 환경자산의 정의와 분류 (안소은)

제8권 제 7호 (통권95호)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행시의 폐휴대폰 재활용증진을 위한 제언 (이희선,

김태희)

제8권 제 8호 (통권96호) Renewables 2004 국제회의 논의결과 및 시사점 (한화진, 음성원)

제8권 제 9호 (통권97호) 고압선로 전자파 환경영향평가의 평가범위 설정의 필요성 (전인수)

제8권 제10호 (통권98호) 택지개발 사전환경성검토를 위한 가이드라인 (이영수, 이승환)

제8권 제11호 (통권99호) 우리나라 환경예산의 성과관리제도 도입 방안 (강만옥, 이상용)

제8권 제12호 (통권100호) 재생골재 생산유통기지를 통한 고급골재 생산을 위한 제언

(이희선, 김태희)

제8권 제13호 (통권101호) 교통부문의 환경오염비용 저감을 위한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방안 (강만옥, 이상용)

제8권 제14호 (통권102호) 택지개발사업 사전환경성검토/환경영향평가 실효성 제고 방안

(이영수, 이승환)

제8권 제15호 (통권103호) 유럽 통합제품정책(Integrated product policy,IPP)의 논의동향

(공성용,김상헌)

Page 56: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제8권 제16호 (통권104호) 바이오에너지의 해외 현황과 그 시사점 (한화진,음성원)

제8권 제17호 (통권105호) 독일의 환경친화적 세제개편 동향과 정책 시사점 (강만옥, 이임호)

제8권 제18호 (통권106호) OECD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평가현황 (여준호)

제8권 제19호 (통권107호) 댐건설과 관련된 환경․사회적 피해사례 (여준호)

2005년 제9권 제 1호 (통권108호) 토양오염지역의 책임에 관한 우리나라의 정책방향 (박용하)

제9권 제 2호 (통권109호) 토양오염지역의 정화비용 :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박용하)

제9권 제 3호 (통권110호) 부지의 위해성 평가 : 정책추진을 위한 제언 (박용하)

제9권 제 4호 (통권111호) 독일의 재생가능 에너지 보급 정책-EEG 개정안을 중심으로

(공성용, 김상헌)

제9권 제 5호 (통권112호) 폐자동차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도입방안 (전인수)

제9권 제 6호 (통권113호) 장수하늘소의 실향 (노태호)

제9권 제 7호 (통권114호) 건설폐기물 분리배출을 위한 종류별 분류를 위한 제언 (이희선)

제9권 제 8호 (통권115호) 재활용특화단지 조성 및 관련 법률상의 문제점 (이희선, 김태희)

제9권 제 9호 (통권116호) EU의 누적영향평가 운용 현황 (이영수)

제9권 제10호 (통권117호) 누적영향평가 도입 방안 (이영수)

제9권 제11호 (통권118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보급촉진 방안과 환경개선 효과 (강만옥, 이상용)

2006년 제10권 제 1호 (통권119호) 물관리종합대책(1996-2005) 수질개선효과 평가 (최지용, 이지현)

제10권 제 2호 (통권120호) WHO의 전자계 보호대책과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전예방적 정책방향

(전인수)

제10권 제 3호 (통권121호) 해수침투지역 대수층 관리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문유리)

정책자료집

2003년 토양환경정책 및 기술발전을 위한 포럼 (박용하, 김미정)

2004년 남북환경포럼 2004 (강광규)

토양환경정책 및 기술발전을 위한 포럼 (방상원)

환경가치평가 포럼 (김광임)

HIA연구 포럼 (박정규)

2005년 해안도로의 환경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광우 외)

남북환경포럼(2005) (강광규 편)

환경위해성관리포럼 (박정규, 신용승, 이영규 편)

토양․지하수환경포럼 (황상일, 김훈미)

연안해양환경포럼 (이창희 외)

환경경제통합모형 연구팀 (김용건 외)

Page 57: 소수력발전소 개발사업의 환경적 고찰webbook.me.go.kr/DLi-File/023/164679.pdf이용한 설비용량이 10,000kW 이하인 수력발전(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

환경정책연구

2002년 제1권 제 1호 환경정책연구 (창간호)

2003년 제2권 제 1호 환경정책연구 (통권2호)

2003년 제2권 제 2호 환경정책연구 (통권3호)

2004년 제3권 제 1호 환경정책연구 (통권4호)

2004년 제3권 제 2호 환경정책연구 (통권5호)

2005년 제4권 제 1호 환경정책연구 (통권6호)

2005년 제4권 제 2호 환경정책연구 (통권7호)

2006년 제5권 제 1호 환경정책연구 (통권8호)

2006년 제5권 제 2호 환경정책연구 (통권9호)

2006년 제5권 제 3호 환경정책연구 (통권 1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