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27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17-06(통권 115호) 2017. 12. 01.(금) 코카포커스 17-06호

Upload: others

Post on 0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17-06호(통권 115호)

2017. 12. 01.(금)

코카포커스 17-06호

Page 2: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Ⅰ.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과제

Ⅱ. 서비스산업의 다양한 구성과 지식 서비스산업의 부상

Ⅲ.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Ⅳ. 정리와 제언

작성자 권호영 KOCCA연구위원

Page 3: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요약

이 글의 구성과 취지

○ 이 글은 2011년에 발간한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KOCCA코커스 2011-16호)과

같은 방법을 이용, 통계자료를 최신 자료로 연장하여 분석하였음 : 분석 결과 2011년과 거의 동

일한 결과를 얻었음

○ 경제가 발전하면서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증대하고 있지만, 서비스 산업의 낮은 노동생산성이 경

제 성장의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음

○ 서비스 산업은 이질적인 다양한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부와 학계는 제조업의 생산성을 증대

시키는 산업이나 지식서비스 산업에 초점을 두고 있음

○ 문화 콘텐츠 산업의 제품은 녹음·녹화하여 배포됨에 따라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음

- 미국의 경우 콘텐츠 유통 부문의 노동생산성은 전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콘텐츠 유통

부문의 물가는 전산업 평균보다 느리게 증가하였음

○ 따라서 한국 문화 콘텐츠 산업에 적절한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이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빠

르게 증가하고 가격을 낮출 수 있음

- 문화콘텐츠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향상, 고용 증대, 물가 안정 등의 세 마

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음

Ⅰ.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과제

○ 경제의 서비스화는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서비스 산업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는 현상을 말함

○ 제조업이 축소되고 서비스업이 팽창하는 것은 1990년대 이래 한국 경제 구조변화 과정의 중요

한 특징임

○ 서비스 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제조업의 1/2에 불과함

- 1995년 이전에는 서비스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제조업보다 높았음

Page 4: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4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Ⅱ. 서비스 산업의 다양한 구성과 지식 서비스 산업의 부상

○ 서비스 산업은 매우 이질적인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생산자 서비스, 소비자 서비스, 비

시장 서비스로 구분하기도 함

○ OECD 국가와 비교해 보면, 한국 제조업의 생산성은 OECD 국가에 비해서 약간 낮지만, 서비스

업의 생산성은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매우 낮음

○ 한국 정부는 지식 서비스 산업을 성장 동력으로 추진하고 있음

Ⅲ.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 콘텐츠 산업과 비슷한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제조업보다

낮음

- 제조업의 경우 대형화, 자동화, 디지털화 등 기술 발전으로 인한 혜택을 받지만, 문화 콘텐츠

산업의 경우 제작 부문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받기 어려움

- 1인당 부가가치가 높은 제조업과 방송업 등은 노동장비율(=유형고정자산/종업원수)이 대체

로 높아서, 자본 투자로 인해 1인당 부가가치가 증가한 효과가 있음

○ 미국의 1987∼2006년간 콘텐츠 제작과 유통의 노동생산성과 물가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 콘텐츠 유통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전체 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함

- 콘텐츠 제작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전체 산업 평균보다 느리게 증가함

- 콘텐츠 유통산업의 물가는 전체 산업 평균보다 느리게 증가함

- 콘텐츠 제작산업의 물가는 전체 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함

○ 한국의 2006∼2009년간 콘텐츠 산업을 제작과 유통으로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미국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음

- 콘텐츠 제작산업에 비해서 유통산업의 1인당 매출액이 더 많았음

- 그러나 콘텐츠 산업 유통의 노동생산성이 전체 산업평균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콘텐츠 유통

산업의 물가가 전체 산업평균보다 느리게 증가한 결과를 제시할 수 없었음

○ 2006∼2015년간 콘텐츠산업의 1인당 평균 매출액은 장르별, 그리고 장르 내에서도 유통부문

이냐 제작부문이냐에 따라서 편차가 매우 큼

- 장르별 1인당 평균 매출액은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서 낮았음

Page 5: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5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 제작부문의 경우 1인당 평균 매출액은 지식정보, 애니메이션, 출판 등에서 낮았음

- 유통부문의 1인당 평균 매출액은 게임, 만화, 출판, 영화 등에서 낮았음

- 1인당 매출액이 낮은 부문에서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함

Ⅳ. 정리와 제언

○ 서비스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생산성 증대를 통해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함

- 이를 위해서 지식 서비스 산업에만 집중하지 않고, 서비스업 전체에 대한 제도정비와 투자가

필요함

- 음식·숙박업, 교육 서비스, 의료 서비스 등을 아직도 규제산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

○ 콘텐츠 산업의 경우 유통부문은 디지털 기술과 스마트 미디어의 활성화 등으로 생산성이 빠르

게 증가할 수 있는 부문임

- 미국과 같이 이 부문의 부가가치가 빠르게 증가하여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도록 제도

의 정비와 적절한 투자가 필요함

○ 한국에서 서비스 산업(특히 콘텐츠 유통)의 낮은 노동 생산성은 자본 투자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임

- 서비스 산업(특히 콘텐츠 유통)에 자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 : 시장

의 활성화, 정부의 지원(재정 투자와 세금 감면 등)

○ 콘텐츠산업 내에서 장르별 노동생산성의 편차가 매우 큼

- 노동생산성이 낮은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서 생산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Page 6: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6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Ⅰ.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과제

■경제의 서비스화란?

○경제전체에서차지하는서비스산업의역할과비중이커지는현상을말함

■서비스 산업의 비중 확대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

○보몰(Baumol,1967)의구조적부담가설(Structuralburdenhypothesis)

- 경제발전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서비스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증가는

제조업에 비하여 저조하게 되어 서비스재의 가격 상승률이 높아짐. 따라서 노동은 제조업에서 점차

서비스 산업으로 이전되고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산업에서의 생산이 증가하여 경제 전체의 성장률은

낮아짐

- 보몰의 이론은 서비스업은 노동집약적으로 이루어지고 기술개발이 더딤으로 인해서 생산성 증가가

제조업에 비해 느리다는 특성에 기초를 두고 있음

- 이 이론을 생산성 편향 가설(Productivity bias hypothesis)이라고도 부름

○울튼(Oulton,2001)의구조적혜택가설((Structualbonushypothesis)

- 생산되는 서비스재는 모두 최종재라는 가정 하에서 논의를 전개하는 보몰의 이론과는 달리, 현실 경제

에서는 생산되는 서비스재가 최종재 수요만이 아닌 중간재 수요로 사용된다는 데 주목

- 울튼의 이론은 서비스재의 생산이 제조업 등 다른 사업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데 보완적으로 작동함

으로써 서비스산업의 확대가 궁극적으로 경제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봄

■보몰의 비용질병(cost disease) 이론과 이의 수정 1)

○보몰의비용질병이론(1965,1967)

- 이는 앞에서 소개한 보몰의 생산성 편향가설(또는 구조적 부담가설)을 비용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 이론

- 비용질병 이론의 내용 : 생산과정에서 기계 등 다른 요소로 대체할 수 없는 노동 투입에 의존하는 서

비스업의 생산성 증가는 제조업와 같이 기계로 대체되거나 자동화할 수 있는 산업의 생산성 증가에 미

치지 못하게 됨.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재와 공산품의 수요가 증가하여, 서비스재의 가격이 공

산품 가격보다 빠르게 상승

- 비용질병의 사례

· ‘모차르트 현악 4중주’를 연주하려면 1790년이나 지금이나 4명의 연주자가 똑같이 필요

· 런던 드루리 레인 극장의 1770년대 시즌의 공연비용과 1960년대 초반 로열 셰익스피어 극장의 시

1) Preston & Sparviero(2009) 인용

Page 7: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7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즌 공연비용을 비교한 결과 영국의 일반 물가 수준은 6.2배 상승하는 동안 공연비용은 13.6배 증가

(보몰, 1967에서 든 사례)

· 1843년에서 1964년까지 121년 동안 미국 물가는 4배 올랐지만, 뉴욕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공연

입장료는 20배 상승함

○보몰은비용질병이론을개선함(1987,1985)

- 음악 연주의 생산성은 증가하지 않았지만, 녹음하여 음반·방송·CD·파일 등으로 배급됨에 따라서

소비 측면에서 산출량은 급증

- 기술 혁신으로 음악의 연주 서비스는 시간 이동과 공간 이동이 가능해졌고, 음악 소비를 저렴한 가격

으로 가능하게 됨

- 보몰(1985, 1987)은 현악 4중주에 초점을 두지 않고 방송 부문과 컴퓨터 산업에 초점을 둠

○보몰이비용질병이론을재구성함에따른변화

- 일부 서비스 산업은 제조업보다도 생산성 증가가 빠를 수 있음

- 한때 생산성이 낮은 산업이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음

- 보몰(1966)은 생산성이 낮은 산업으로 공연예술, 자동차 수리, 건강 검진, 교육, 우편서비스, 자동차

보험, 장애인 보살피기를 듦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

○GDP(경상가격기준)에서서비스산업의비중은1991년의64.6%에서증가하여2016년에는68.3%를차지

- 이에 비해 농림어업의 GDP 비중은 1991년의 7.5%에서 2016년의 2.2%로 급격히 감소

- 제조업의 GDP 비중은 1991년의 27.9%에서 2011년의 31.6%로 증가한 뒤, 이후 감소하여 2016년에

는 29.5%를 차지함

표 1 경제활동별 GDP와 구성비

연도경제활동별 GDP(경상가격, 10억원) 비중(%)

농림어업 광업,제조업 서비스업 부가가치계 농림어업 광업,제조업 서비스업 계

1991 16,281 60,475 140,043 216,798 7.5 27.9 64.6 100.0

1992 18,038 66,664 163,023 247,726 7.3 26.9 65.8 100.0

1993 18,295 76,115 187,193 281,603 6.5 27.0 66.5 100.0

1994 20,718 92,419 218,763 331,899 6.2 27.8 65.9 100.0

1995 22,894 109,981 255,857 388,732 5.9 28.3 65.8 100.0

1996 24,034 118,120 292,090 434,244 5.5 27.2 67.3 100.0

1997 23,971 129,787 323,685 477,443 5.0 27.2 67.8 100.0

1998 22,429 132,859 323,324 478,612 4.7 27.8 67.6 100.0

1999 24,889 147,091 347,752 519,732 4.8 28.3 66.9 100.0

2000 25,049 166,911 378,262 570,223 4.4 29.3 66.3 100.0

2001 25,401 171,414 418,749 615,564 4.1 27.8 68.0 100.0

Page 8: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8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연도경제활동별 GDP(경상가격, 10억원) 비중(%)

농림어업 광업,제조업 서비스업 부가가치계 농림어업 광업,제조업 서비스업 계

2002 25,563 186,355 467,298 679,216 3.8 27.4 68.8 100.0

2003 25,490 195,305 504,586 725,382 3.5 26.9 69.6 100.0

2004 27,896 227,146 535,215 790,257 3.5 28.7 67.7 100.0

2005 26,125 236,726 567,193 830,044 3.1 28.5 68.3 100.0

2006 26,036 244,254 600,836 871,126 3.0 28.0 69.0 100.0

2007 25,518 267,661 648,693 941,872 2.7 28.4 68.9 100.0

2008 24,983 287,180 684,095 996,258 2.5 28.8 68.7 100.0

2009 27,033 302,274 715,258 1,044,565 2.6 28.9 68.5 100.0

2010 28,297 353,970 762,857 1,145,124 2.5 30.9 66.6 100.0

2011 30,454 381,808 797,694 1,209,956 2.5 31.6 65.9 100.0

2012 30,775 390,289 830,392 1,251,455 2.5 31.2 66.4 100.0

2013 30,437 406,128 866,673 1,303,238 2.3 31.2 66.5 100.0

2014 31,560 411,030 912,265 1,354,855 2.3 30.3 67.3 100.0

2015 32,612 426,229 964,806 1,423,647 2.3 29.9 67.8 100.0

2016 32,665 438,591 1,014,644 1,485,900 2.2 29.5 68.3 100.0

※ 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민계정」

※ 주 : 여기에서는 전산업을 3개 산업으로 분류하면서, 전기·가스·수도업과 건설업을 서비스업으로 분류

○GDP(불변가격기준)에서서비스산업의비중은1991년의73.5%에서감소하여2016년에는66.2%를차지

- 이는 서비스업의 생산성 향상은 더딘 반면, 상대가격은 여타 산업부문에 비하여 빨리 증가하였기 때문

- 서비스업 부가가치의 명목치와 실질치가 이처럼 다른 추세를 보이는 현상은 대부분의 OECD 국가에

서 발견되는 현상

- 하지만, 월플(Wőlfl, 2005)에 따르면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 호주에서는

1990년대 초반 이후 실질치로 측정한 서비스업의 GDP대비 비중과 명목으로 측정한 서비스업의 비중

이 동시에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남. 그 이전과는 달리 1990년대 들어 서비스업의 실질부가가치와 상

대가격이 동시에 증가(허재준, 2007, 74쪽)

○취업자중에서서비스산업의취업자비중은2004년의73.3%에서증가하여2016년에는77.9%를차지

- 이에 비해 농림어업 취업자의 비중은 2004년의 8.1%에서 2016년의 4.9%로 감소

- 제조업 취업자의 비중은 2004년의 18.6%에서 2012년의 16.7%로 감소하였다가 이후 증가하여 2016

년에 17.2%를 기록함 : 제조업의 GDP는 증가하지만,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두고 ‘고용없는

성장’이라고 함

Page 9: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9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표 2 산업별 취업자 수 (천 명)

연도

취업자수(천명) 취업자 비중(%)

농림어업 광업,제조업 서비스업 취업자 계 농림어업 광업,제조업 서비스업 취업자 계

2004 1,824 4,192 16,542 22,557 8.1 18.6 73.3 100.0

2005 1,813 4,146 16,897 22,856 7.9 18.1 73.9 100.0

2006 1,781 4,073 17,298 23,151 7.7 17.6 74.7 100.0

2007 1,723 4,031 17,679 23,433 7.4 17.2 75.4 100.0

2008 1,686 3,985 17,906 23,577 7.2 16.9 75.9 100.0

2009 1,648 3,859 17,998 23,506 7.0 16.4 76.6 100.0

2010 1,566 4,049 18,214 23,829 6.6 17.0 76.4 100.0

2011 1,542 4,108 18,595 24,244 6.4 16.9 76.7 100.0

2012 1,528 4,120 19,033 24,681 6.2 16.7 77.1 100.0

2013 1,520 4,200 19,347 25,066 6.1 16.8 77.2 100.0

2014 1,452 4,343 19,805 25,599 5.7 17.0 77.4 100.0

2015 1,345 4,500 20,092 25,936 5.2 17.4 77.5 100.0

2016 1,286 4,500 20,449 26,235 4.9 17.2 77.9 100.0

※ 출처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경제활동인구조사」.

※ 주 : 여기에서는 전산업을 3개 산업으로 분류하면서, 전기·가스·수도업과 건설업을 서비스업으로 분류, Ⅱ절 이하의 서비스 산

업에는 전기·가스·수도업과 건설업이 제외됨

○제조업이축소되고서비스업이팽창하는것은경제가산업화되는과정에서구조변화과정의중요한특징

- 경제의 서비스화는 산업화된 국가에서 보편적인 현상으로 대부분의 서구 국가들에서 1960~1970년

대에는 서비스 산업이 광공업을 압도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서비스산업이 경제의 2/3를 점하

게 됨

- 한국 경제는 경공업 발전, 중화학공업화, 전기전자공업 및 기계공업의 발달에 이어 서비스화되고 있음

- 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991년을 전후하여 정점에 이르고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서비스업의 취

업자 수는 1987~1997년 사이에 큰 폭으로 증가

- 한국의 서비스 산업의 비중은 선진국에 비해서 낮은 편 : 미국의 경우 2008년에 전체 고용의 80%가

서비스 산업에 종사

○1987년이전에는서비스업의생산성증가속도가제조업에비해높았던반면,1987년이후에는서비스업생산

성증가율이낮아지기시작하며1997년이후에는더욱낮아지고있음(안정화,2009,156쪽,170쪽)

- 이에 반해 제조업 생산성은 1987년 이후 생산성 증가율이 커지기 시작했고 1997년 이후에는 더욱 증

가하고 있음

- 1995년에 서비스업의 생산성이 제조업의 생산성과 같았음 : 1995년 이전에는 서비스업의 생산성이

더 높았고, 1995년 이후에는 제조업의 생산성이 더 높아졌음

- 제조업에서 노동절약적인 방식의 확산이 고용의 서비스화를 진전시킴과 동시에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생

Page 10: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0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산성 격차를 확대시켰고,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지속된 서비스업의 성장 둔화가 생산성 격차를 확대시

키고 이에 따라서 서비스업으로의 고용이동(고용의 서비스화, 고용 격차)이 진정되는 것으로 나타남

- 보몰의 생산성 편향에 따른 고용의 서비스화 현상은 한국에서 1987년 이후 현실화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줌

■ 한국에서 서비스 산업의 비중 증대에 대한 기대와 우려

○서비스업은고용을창출할수있는산업이라는측면에서관심을끌고있음

- 서비스업은 고용집약적인 산업 특성으로 인하여 고용흡수력이 높음

- 농림어업과 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감소하고 있음

○중·장기적시간지평하에서사회서비스분야는인적자본뿐만아니라사회자본의축적과밀접히관련되어있

다는점에서장기적인성장잠재력의확충에기여할수있음(정준호,2006,63쪽)

○서비스업의노동생산성은제조업의1/2에불과함

-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제조업에 비해 느림

표 3 2000∼2007년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의 연평균 노동생산성과 증가율

제조업 서비스업

서비스업

도소매 음식숙박운수창고

및 통신금융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기타

서비스

노동생산성

(제조업=100)100 54.7 33.2 18.1 76.7 118.8 109.3 50.4

노동생산성 증가율(%) 7.34 5.88 4.33 5.63 3.25 0.91 11.71 7.8

※ 출처 : 반가운(2010, 89~90쪽)

○서비스업의노동생산성이제조업에비해서낮아서서비스업의비중이확대될경우경제전체의생산성이떨어짐

- 노동생산성을 생산성 효과, 고용 비중 효과, 상호 효과로 분해할 수 있음2)

- 노동생산성을 외환위기 전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면, 위기 전(1993~1997년) 연평균 4.77%에서 위

기 후 3.30%로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둔화됨

- 이 과정에서 생산성 효과, 고용 비중 효과(고생산성 산업에서의 고용 흡수를 통해 전체 산출 성장에 기

여하는 능력), 상호 효과가 모두 감소함

- 산업 자체의 생산성 증가 둔화와 함께, 고생산성 산업에서의 고용 흡수를 통해 전체 산출 성장에 기여

하는 능력이 저하되었으며, 고생산성 산업의 고용 비중이 확대되고 저생산성 산업에서의 고용 비중이

2) 노동생산성 증가율 = 생산성 효과 + 고용 비중 효과 + 상호 효과

여기서 생산성 효과는 개별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으로 가중한 것이며, 이것은 개별 산업의 노동생산성 변화가 경제 전체의 노

동생산성 변화에 미친 효과를 나타낸다. 고용비중 효과는 개별 산업의 고용 비중 증가율을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으로 가중한 것이며, 개별 산업의 고용 비

중의 변화가 전 산업 노동생산성 변화에 미친 효과를 나타낸다. 상호 효과는 개별 산업의 노동생산성 및 고용 비중의 변화 방향이 평균적으로 같은 방향인

지 다른 방향인지를 나타낸다.

Page 11: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1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축소되는 긍정적인 구조변화의 방식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함

- 업종별로 세분화하여 보면,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합계가 위기 전 1.33%에서 위기 후 1.54%로 상승하

였으나 서비스업의 경우 2.45%에서 1.53%로 하락함

- 서비스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서비스업의 저생산성으로 인해 경제 전체 생산성 향상 속도가 떨어짐3)

- 효과별로 보면 제조업은 생산성 효과 중심, 서비스업은 고용 비중 효과 중심의 노동 생산성 향상이 이

루어짐

표 4 한국의 노동 생산성 분해 결과 추이

생산성 효과(A) 고용 비중 효과(B) 상호 효과(C) 합계(A+B+C)

1993-97 1998-99 2001-07 1993-97 1998-99 2001-07 1993-97 1998-99 2001-07 1993-97 1998-99 2001-07

전산업 3.77 3.99 2.92 0.78 0.10 0.63 -0.19 -0.54 -0.25 4.37 3.55 3.30

제조업 2.38 3.07 2.19 -0.96 -0.89 -0.61 -0.09 -0.04 -0.05 1.33 2.14 1.54

서비스업 0.53 -0.40 0.36 1.97 2.57 1.27 -0.04 -0.22 -0.10 2.45 1.95 1.53

※ 출처 : 반가운(201, 93쪽)

※ 주 : 경제 전체의 생산성 하락의 원인이 어느 업종에 있는 지 파악하기 위해 노동생산성을 전체 산업 기준으로 분해하였음, 따라서

각 산업의 노동생산성의 합계가 전산업 노동생산성이 됨

3) 보몰의 생산성 편향에 따른 고용의 서비스화 현상이 나타났음을 보인 연구로는 허재준(2007), 황수경(2008), 박문수(2009), 반가운(2010) 등이 있음

Page 12: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2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Ⅱ. 서비스 산업의 다양한 구성과 지식 서비스 산업의 부상

■서비스 산업의 구성

○서비스는노동,자문,경영기술,오락,교육·훈련,중개등의형태로무형의부가가치를창출

- 서비스는 지식 집약적 첨단기술뿐만 아니라 기존의 저숙련 노동집약적 활동을 포함

○이질적인영역으로구성된서비스는공급자와수요자에따라서여러가지유형구분이가능

- 생산자 서비스(유통서비스를 포함 또는 분리 가능), 소비자 서비스, 비시장 서비스

표 5 서비스의 분류

시장 서비스비시장 서비스

생산자 서비스(주요 고객 : 기업) 소비자 서비스(주요 고객 : 개인, 가구)

금융·보험

부동산·사업서비스(부동산 및 기계장비 임대업,

정보처리·연구개발 등,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등)

유통·네트워크(도·소매, 운수·보관, 통신)

교육, 의료보건·사회, 음식·숙박

시청각·문화, 오락·운동

공공 행정

비영리 부문

※ 출처 : 정준호(2006, 46쪽)

- ‘생산자 서비스’를 금융·보험, 부동산·임대업 및 사업서비스업이 포함된 ‘생산자 서비스업’과 도·소

매, 운수·보관, 통신이 포함된 ‘유통서비스 업’의 두 개로 구분하기도 함(예 : 허재준, 2007)

■서비스 산업별 노동생산성

○2004~2016년간산업대분류별노동생산성을보면일부서비스의노동생산성은제조업보다높음을알수있음

- 2016년에 노동생산성이 제조업(95.6백만 원)보다 높은 부문은 부동산 및 임대업(174.2백만 원), 전기

가스수도사업(160.8백만 원), 금융보험업(113.7백만 원)

○2004~2016년간서비스업종가운데부가가치규모가상대적으로증가한업종은보건및사회복지업,금융보

험업,사업서비스업,정보통신업

- 반면에 건설업, 교육서비스업, 부동산 및 임대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경

우 부가가치 비중이 감소

○한국제조업의생산성은OECD국가에비해서약간낮지만,서비스업의생산성은다른OECD국가에비해매우

낮음

- 서비스 부문의 생산성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으로, 미국,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벨기에, 프랑

스와 같은 국가의 서비스 부문 생산성은 한국의 2배 이상(허재준, 2007, 68쪽)

Page 13: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 한국 서비스업의 생산성은 미국의 40%, 여타 주요 선진국의 50~60% 수준에 불과

○2004년~2016년간산업대분류별노동생산성의연평균증가율은제조업이가장빠르고,모든서비스산업은제

조업보다느리게증가하고있음

- 특히 보건 및 사회복지(-3.5%), 사업서비스(-0.9%), 교육서비스(0.0%),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0.0%), 부동산 및 임대업(0.1%), 공공행정 및 국방(0.7%), 건설업(0.8%)의 노동생산성은 2004∼

2016년간 감소하거나 매우 느리게 성장하였음

표 6 산업 대분류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과 증가율(2004-2016년)

산업대분류부가가치

증가율(%)

취업자수

증가율(%)

노동생산성

2004년

(백만원)

2016년

(백만원)증가율(%)

농림어업 1.0 -2.9 13.9 22.1 3.9

광업 -0.8 2.0 173.1 123.8 -2.8

제조업 4.7 0.6 58.1 95.6 4.2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3.5 3.5 160.7 160.8 0.0

건설업 0.9 0.1 32.4 35.8 0.8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3.1 0.2 18.4 26.0 2.9

운수 및 보관업 3.2 1.8 30.4 35.8 1.4

금융 및 보험업 4.5 0.7 71.5 113.7 3.9

부동산 및 임대업 2.0 1.9 171.5 174.2 0.1

정보통신업 3.8 2.2 60.5 74.0 1.7

사업서비스업 4.2 5.1 45.7 40.8 -0.9

공공행정 및 국방 2.8 2.1 84.3 91.2 0.7

교육서비스업 1.5 1.5 35.6 35.5 0.0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6.1 9.5 51.7 34.1 -3.5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2.6 0.7 15.2 19.0 1.9

총부가가치 3.5 1.3 39.6 51.8 2.3

※ 출처 : 부가가치자료는 한국은행의 국민계정에서 불변가격 자료를 이용하였고, 취업자 수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취업자

수를 이용함

○서비스산업의고질적인저생산성은도소매,음식및숙박,교육서비스,공공행정,보건및사회복지사업등의사

회서비스업과같은저부가가치업종의지나친비대화가1차적인원인4)

○1993∼2007년간노동생산성을분석한자료를이용하여서비스업종별노동생산성의특징을살펴보면,

-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노동생산성을 비교하면, 도·소매, 금융보험,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의 노동생

산성이 감소

4) 박문수(2009)가 1993∼2005년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Page 14: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4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 도·소매의 경우 외환위기 전 노동생산성이 0.34%에서 위기 후 0.08%로 하락 : 위기 후 고용 비중이

하락하였는데, 이는 도소매 업종의 경쟁격화로 인한 한계기업의 퇴출로 인해서 취업자 수가 감소했기

때문

- 금융보험의 경우 0.58%에서 0.36%로 하락 : 위기 후 고용 비중이 하락

-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의 경우 0.66%에서 0.22%로 하락 : 이는 생산성 효과, 고용비중 효과, 상호

효과가 모두 감소한 데 기인하는데, 이 중 생산성 감소 효과가 가장 큼

표 7 산업 대분류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과 증가율(2004-2016년)

생산성 효과(A) 고용 비중 효과(B) 상호 효과(C) 합계(A+B+C)

1993-97 1998-99 2001-07 1993-97 1998-99 2001-07 1993-97 1998-99 2001-07 1993-97 1998-99 2001-07

도소매 0.19 0.07 0.27 0.15 0.14 -0.18 0.00 -0.01 -0.01 0.34 0.21 0.08

음식숙박 -0.07 0.15 0.04 0.20 -0.01 -0.01 -0.01 0.01 0.00 0.12 0.15 0.03

운수창고 통신 0.34 0.27 0.30 0.03 0.20 0.08 0.00 0.00 0.00 0.36 0.47 0.38

금융보험 0.32 0.18 0.39 0.25 -0.25 -0.02 0.01 -0.02 -0.02 0.58 0.11 0.36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0.42 -0.22 -0.63 1.12 0.69 0.94 -0.04 -0.03 -0.05 0.66 0.44 0.26

공공행정 0.04 -0.69 0.11 0.05 1.08 -0.04 0.00 -0.12 -0.01 0.09 0.27 0.06

교육 -0.02 -0.04 -0.05 0.08 0.17 0.18 0.00 -0.01 -0.01 0.06 0.12 0.12

보건 및 사회복지 0.08 -0.21 -0.08 0.01 0.30 0.18 0.00 -0.03 -0.01 0.09 0.06 0.09

기타사회 및

개인서비스0.07 0.08 0.01 0.07 0.03 0.14 0.00 0.00 -0.01 0.14 0.11 0.14

가사서비스 0.01 0.01 0.00 0.00 -0.01 0.00 0.00 0.00 0.00 0.01 0.01 0.00

※ 출처 : 반가운(2010, 93쪽)

※ 주 : 경제 전체의 생산성 하락의 원인이 어느 업종에 있는 지 파악하기 위해서 노동생산성을 전체 산업 기준으로 분해하였음,

따라서 각 산업의 노동생산성의 합계가 전산업 노동생산성이 됨

■ 정부와 학계 서비스 산업 중 지식 관련 서비스 산업에 관심 집중

○경제의선진화와지속적인성장동력확보를위해서비스산업육성이필요하다는데는동감하고있으나,서비스

산업중어떠한분야에집중할지에대해서의견이갈림

- 한국의 경우 제조업의 구조 고도화를 지원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서비스업의 성장 동력화를 추

구하고 있음

- 영미권 국가는 서비스 산업 자체의 성장 동력화를 추구하고 있음

- 북구권 국가는 제조업과 지식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성장과 안정을 추구하는 발전경로를 추구하고 있음

Page 15: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5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정부는지식서비스산업을성장동력으로추진하고있음5)

- 한국에서는 2000년대 들어 제조업 중심의 성장 전략만으로는 지속적 경제성장 추진에 한계에 봉착하

면서, 고급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고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에 대한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됨

- 2003년 관광수지 개선대책, 2004년 세제·금융지원 및 인프라 개선방안과 전시, 디자인 등 18개 서

비스분야 경쟁력 강화 대책의 수립·추진, 2005년 엔지니어링, 컨설팅 등 26개 서비스 분야 선정 및

분야별 대책의 수립·추진

- 2006년부터는 범 부처 차원에서 종합적인 산업경쟁력 강화를 제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됨 : 그 결과가

2006년 12월에 발표된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임

- 이후 2008년∼2009년간에 서비스 산업 선진화 방안을 3단계에 걸쳐 발표6)

○경제정책을총괄하는기재부는서비스산업중생산자서비스에관심을집중하고있음7)

- 중간 투입재를 공급하는 생산자 서비스, 즉 금융, 보험, 법률·회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경영 컨

설팅 등이 성장 동력으로서 경제성장에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극적으로 제기됨(재경

부, 2006)

※ 지식 서비스의 범위는 생산자 서비스와 비슷하지만, 생산자 서비스 중 부동산업, 도·소매업, 운수·보관업이 제외되어 있으며,

소비자 서비스 중 교육, 의료, 오락·문화업이 포함되어 있음

○정부와학계가여전히제조업과제조업의생산성을향상시키는서비스업에관심을집중하는것은전체경제에

서서비스산업비중이70%에가까운현재의경제구조에적합하지않음

○서비스산업의다양한특성을인정하고,각서비스산업의특성에적합한정책을펼쳐야함

- 서비스산업을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운수 및 보관업, 금융·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정보통신

업,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및 국방,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업, 문화 및 오락 서비스업, 기

타 서비스업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 산업을 담당하고 있는 부처가 주도적으로 산업 육성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해야 함

- 기재부나 산업부가 서비스 산업의 일부를 ‘지식 서비스 산업’이라고 묶고, 이 산업의 발전 정책을 수

립·시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5) 지식관련 서비스 산업은 지식을 창출·가공·활용·유통시키거나 지식이 체화된 중간재를 생산활동에 집약적으로 활용하여 고부가가치의 서비스를 제공

하는 산업인데, OECD는 R&D, IT, 고급인력 투입 및 활용도가 높은 통신, 금융·보험, 사업서비스, 교육, 의료, 오락·문화산업으로 정의하고 있음

6) 이를 뒷받침하는 논문이 나옴 : 정종인·김진용·황문우(2006), 조정기·오경숙(2009), 허재용·유성훈(2009)

7) 생산자 서비스는 기업들의 기술혁신을 도와주거나 대행해주고, 기존의 전문지식이나 노하우를 모범사례(best practice)의 형태로 전파하며, 지식과 인적 자

본과 관련하여 개별 기업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시킴

Page 16: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6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Ⅲ.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1. 전산업에서 문화 콘텐츠 산업의 위상

○산업전체에서출판,방송,영화,정보서비스의부가가치비중은1991년의1.18%에서2016년의2.63%로증가

(한국은행,『국민계정』명목가격기준)

- 출판, 방송, 영화, 정보서비스의 부가가치 증가속도는 전산업 평균보다 약간 빠름

- 2016년 출판, 방송, 영화, 정보서비스의 부가가치액은 39.09조 원

표 8 출판, 방송, 영화, 정보서비스의 부가가치 규모와 전산업에서의 비중

단위 : 10억원

명목 가격 실질가격(2005년 기준)

연도출판,방송,영화,

정보서비스전산업 구성비(%)

출판,방송,영화,

정보서비스전산업 구성비(%)

1991 2,556 216,798 1.18 5,890 413,287 1.43

1992 3,104 247,726 1.25 6,800 440,186 1.54

1993 3,673 281,603 1.30 7,587 471,162 1.61

1994 4,835 331,899 1.46 9,356 513,719 1.82

1995 6,060 388,732 1.56 10,491 562,377 1.87

1996 7,719 434,244 1.78 12,231 604,902 2.02

1997 8,744 477,443 1.83 13,207 640,015 2.06

1998 8,727 478,612 1.82 11,869 608,148 1.95

1999 10,818 519,732 2.08 14,265 674,374 2.12

2000 13,121 570,223 2.30 17,114 733,837 2.33

2001 13,956 615,564 2.27 17,536 766,877 2.29

2002 16,639 679,216 2.45 19,039 825,531 2.31

2003 17,139 725,382 2.36 19,184 850,783 2.25

2004 18,330 790,257 2.32 20,711 892,055 2.32

2005 20,302 830,044 2.45 22,473 928,995 2.42

2006 22,455 871,126 2.58 24,842 976,372 2.54

2007 24,201 941,872 2.57 25,928 1,033,356 2.51

2008 25,315 996,258 2.54 26,667 1,065,183 2.50

2009 27,314 1,044,566 2.61 28,073 1,076,430 2.61

2010 28,977 1,145,124 2.53 28,977 1,145,124 2.53

2011 31,130 1,209,956 2.57 30,924 1,185,403 2.61

2012 32,868 1,251,455 2.63 32,268 1,213,224 2.66

2013 34,195 1,303,238 2.62 33,367 1,250,079 2.67

2014 35,589 1,354,855 2.63 34,721 1,290,494 2.69

2015 37,154 1,423,647 2.61 35,813 1,324,279 2.70

2016 39,091 1,485,900 2.63 36,975 1,359,580 2.72

평균증가율(%) 10.9 7.7 3.2 7.3 4.8 2.6

※ 출처 : 한국은행 『국민계정』

Page 17: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7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국민계정』의출판,방송,영화,정보서비스와『콘텐츠산업통계』의콘텐츠산업의범주는비슷하지만일부차이

가있음

- 2015년 『국민계정』의 출판, 방송, 영화, 정보서비스의 부가가치액은 37.15조 원으로 콘텐츠산업통계

의 콘텐츠 산업 부가가치액 39.98조 원보다 약간 적음

- 『콘텐츠산업통계』의 콘텐츠 산업에 비해 『국민계정』의 출판, 방송, 영화, 정보서비스의 범주가 다름

· 콘텐츠 산업에 포함되는 인쇄업, 기록매체복제업이 국민계정에서는 제조업에 포함

· 콘텐츠 산업에 포함되는 서적, 잡지 및 신문도·소매업, 음반 및 비디오물 도·소매업이 국민계정에

서는 유통업에 포함

· 콘텐츠 산업에 제외되는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이 국민계정에서는 포함

· 콘텐츠 산업에 포함되는 광고업이 국민계정에서는 사업서비스업에 포함

○콘텐츠산업의취업자비중은전체취업자의2.1∼2.5%수준

- 이 비중이 2004∼2010년까지는 증가하다가, 2011년 이후 약간 감소하였음

표 9 콘텐츠 산업 종사자 수와 비중

단위 : 천 명, %

연도

취업자수

콘텐츠산업비중(%)출판, 영상, 방송 통신 및 정

보 서비스업 비중(%)콘텐츠산업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취업자 계

2004 497 606 22,557 2.20 2.69

2005 494 638 22,856 2.16 2.79

2006 483 651 23,151 2.09 2.81

2007 509 634 23,433 2.17 2.71

2008 496 627 23,577 2.10 2.66

2009 522 652 23,506 2.22 2.77

2010 596 668 23,829 2.50 2.80

2011 605 703 24,244 2.50 2.90

2012 611 700 24,681 2.48 2.84

2013 619 692 25,066 2.47 2.76

2014 616 714 25,599 2.41 2.79

2016 621 772 25,936 2.39 2.98

2016 786 26,235 3.00

※ 출처 : 콘텐츠 산업은『문화산업통계』의 콘텐츠 산업 종사자수이고,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와 ‘취업자 계’는 통계청

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취함

※ 주 : 『경제활동인구조사』의 경우 『국민계정』과 달리 통신업이 묶여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으로 분류되어, 이 산업

의 취업자 수가 콘텐츠산업보다 취업자 수가 많음

Page 18: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8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2.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 산업별 1인당 부가가치 비교

○콘텐츠산업이포함된‘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의1인당부가가치는전산업과서비스산업전체보

다높음

- 콘텐츠산업과 인접한 업종인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출판, 영상, 방

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과 유사함

○콘텐츠산업과비슷한‘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의1인당부가가치는제조업보다낮음

- 제조업의 경우 대형화, 자동화, 디지털화 등 기술 발전으로 인한 혜택을 받지만, 문화 콘텐츠 산업의

경우 제작 부문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받기 어려움

- 2000년대 이전에는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가 제조업보다 높았음

○2006년에서2015년간‘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의1인당부가가치는연평균1.7%씩느리게증가함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2006년의 6,300만원에서 2015년의

7,000만원으로 증가함

- 농립어업과 제조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동기간에 각각 연평균 4.4%, 3.5%씩 증가하여 빠르게 증가하였음

- 이에 비하여 사회간접자본과 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동기간에 연평균 1.3%씩 증가하여 매우 느렸음

표10 콘텐츠 산업 종사자 수와 비중

단위 : 백만원, 불변가격(2010년=1.0)

연도 전 산업농립어업 제조업

사회간접자본과

서비스업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006 42 15 68 39 63 71

2007 44 16 75 40 66 78

2008 45 17 78 40 69 71

2009 46 18 81 41 67 77

2010 48 18 87 42 68 82

2011 49 18 92 42 68 75

2012 49 18 93 42 72 78

2013 50 19 95 42 76 83

2014 50 20 95 43 77 84

2015 51 22 93 43 73 78

평균 47 18 86 41 70 78

연평균증가율(%) 2.1 4.4 3.5 1.3 1.7 1.0

※ 출처 : 부가가치는 한국은행, 취업자수는 통계청

Page 19: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19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3. 문화 콘텐츠 산업을 제작부문과 유통부문으로 분리

■ 미국 콘텐츠 제작과 유통 부문의 산출, 고용, 노동생산성 및 가격의 변화 : 보몰의 수정이론 적용8)

○미국에서1987∼2006년간콘텐츠제작과유통의산출과고용을분석한결과에의하면

- 콘텐츠 산업의 산출이 전산업보다 빠르게 증가함

- 콘텐츠 유통의 산출이 제작의 산출보다 빠르게 증가함

- 콘텐츠 산업의 고용 증가가 전산업보다 느리지만, 콘텐츠 유통의 고용 증가는 전산업보다 빠름

- 콘텐츠 유통의 고용이 콘텐츠 제작의 고용보다 빠르게 증가함

표11 콘텐츠 제작, 유통 부문과 전산업의 산출 및 노동생산성 증가율(1987∼2004년)

콘텐츠 제작과 유통 콘텐츠 유통 전산업(농업 제외)

산출 노동생산성 산출 노동생산성 산출 노동생산성

증가율(%) 90.3 30.1 101.7 103.6 74.1 40.9

※ 출처 : Preston & Sparviero(2009, 249p)

표12 콘텐츠 제작, 유통 부문과 전산업의 고용 및 물가 증가율(1987-2006년)

콘텐츠 제작 콘텐츠 제작과 유통 콘텐츠 유통 전산업(농업 제외)

고용 물가 고용 물가 고용 물가 고용 물가

증가율(%) 50.0 85.2 11.3 95.2 4.6 11.5 20.6 71.9

※ 출처 : Preston & Sparviero(2009, 249p)

※ 주 : 고용은 1990∼2006년간 증가율이고, 물가는 1987∼2005년간 증가율임

○미국의1987-2006년간콘텐츠제작과유통의노동생산성과물가를분석한결과에의하면

- 콘텐츠 유통 산업의 노동생산성이 전산업보다 빠르게 증가함

- 콘텐츠 제작 산업의 노동생산성은 전산업보다 느리게 증가함

- 콘텐츠 유통 산업의 물가는 전산업보다 느리게 증가함

- 콘텐츠 제작 산업의 물가는 전산업보다 빠르게 증가함

■ 한국의 콘텐츠 산업별 제작과 유통 부문의 노동 생산성

○콘텐츠산업전체에서유통부문의1인당매출액이제작부문에비해서많음

- 2006년에서 2015년간 평균 1인당 매출액을 보면 유통 부문의 경우 1.69억 원이지만, 제작 부문은

1.30억 원으로 1.3배 더 많음

8) Preston & Sparviero(2009) 인용

Page 20: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0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 2006년에서 2016년간 1인당 매출액은 제작 부문에서 약간 증가하고(연평균 1.82%), 유통 부문은 미

소하게 감소함(연평균 –0.25%)

표13 콘텐츠산업 제작부문 1인당 매출액

단위 : 억 원

연도 합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2006 1.27 1.07 1.39 1.44 0.88 2.80 0.66 2.27

2007 1.24 1.09 1.36 1.41 0.81 2.96 0.75 2.26 0.69 1.26

2008 1.19 1.12 1.40 1.49 0.84 2.47 0.82 1.54 1.90 2.30 0.75 1.28

2009 1.15 1.10 1.52 1.62 1.05 2.33 0.85 1.68 1.42 2.28 0.49 1.29

2010 1.18 1.15 1.46 1.87 1.15 2.22 0.83 1.57 1.51 2.33 0.45 1.20

2011 1.34 1.16 1.50 2.34 1.35 1.70 0.81 1.51 1.68 2.62 0.86 1.46

2012 1.40 1.18 1.55 2.48 1.50 2.03 0.87 1.43 1.67 2.68 0.89 1.46

2013 1.28 1.17 1.65 2.66 1.97 2.36 0.88 1.33 0.57 2.84 1.03

2014 1.45 1.16 1.77 2.85 2.22 2.67 0.89 1.55 3.14 2.90 0.97

2015 1.49 1.16 1.92 3.05 2.54 2.43 0.96 1.57 2.22 3.13 1.01

평균 1.30 1.14 1.55 2.12 1.43 2.40 0.83 1.52 1.76 2.56 0.79 1.33

증가율(%) 1.82 0.90 3.62 8.33 11.79 -1.59 4.23 0.28 2.24 3.53 4.72 2.93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문화산업통계』(『콘텐츠산업통계조사』)의 자료를 가공

표14 콘텐츠산업 유통부문 1인당 매출액

단위 : 억 원

연도 합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2006 1.93 0.75 0.40 1.29 0.92 6.13 3.32 2.30

2007 1.85 0.81 0.45 1.48 0.83 2.14 3.64 2.43 1.47 0.93

2008 1.34 0.87 0.46 1.48 0.38 1.15 5.56 2.91 3.80 2.56 1.47 0.93

2009 1.36 0.88 0.48 1.62 0.41 0.88 3.94 3.03 3.46 2.30 1.51 0.95

2010 1.51 0.93 0.48 1.83 0.40 0.85 7.94 3.49 3.90 2.36 1.74 0.96

2011 1.69 0.96 0.50 2.55 0.42 1.09 7.54 3.65 4.55 2.84 1.56 0.99

2012 1.74 0.92 0.50 2.64 0.44 1.14 6.36 3.89 4.33 2.91 1.63 1.11

2013 1.82 0.95 0.52 2.88 0.34 1.23 5.78 4.04 5.90 3.17 1.65

2014 1.78 0.97 0.55 3.07 0.26 1.16 6.82 4.27 2.89 3.36 1.81

2015 1.88 0.97 0.59 3.34 0.38 1.39 6.51 4.37 2.88 3.61 1.91

평균 1.69 0.90 0.49 2.22 0.30 1.06 5.87 3.66 3.96 2.79 1.64 0.98

증가율(%) -0.25 2.80 4.45 10.56 -0.16 4.57 0.66 5.80 -4.00 4.98 3.23 3.63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문화산업통계』(『콘텐츠산업통계조사』)의 자료를 가공

Page 21: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1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표15 콘텐츠산업 1인당 매출액

단위 : 억 원

연도 합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2006 1.36 0.91 0.57 1.35 1.43 0.85 3.32 2.29

2007 1.30 0.96 0.65 1.45 1.34 0.81 3.21 2.34 1.13 1.25

2008 1.28 1.00 0.65 1.48 0.59 1.48 1.03 2.72 3.03 2.42 1.16 1.27

2009 1.26 1.00 0.69 1.62 0.71 1.20 1.00 2.85 2.74 2.29 0.95 1.28

2010 1.35 1.05 0.69 1.84 0.78 1.17 1.18 3.23 3.00 2.35 2.47 1.19

2011 1.52 1.07 0.73 2.48 0.93 1.30 1.14 3.32 3.51 2.73 1.31 1.45

2012 1.58 1.06 0.75 2.59 1.03 1.42 1.16 3.48 3.43 2.80 1.36 1.50

2013 1.63 1.07 0.79 2.81 1.06 1.54 1.16 3.60 2.72 3.00 1.45 1.58

2014 1.70 1.08 0.85 2.99 1.14 1.54 1.24 3.82 2.93 3.12 1.51 1.64

2015 1.78 1.08 0.92 3.24 1.33 1.70 1.29 3.88 2.73 3.35 1.59 1.68

평균 1.48 1.03 0.73 2.19 0.95 1.41 1.09 3.36 3.06 2.67 1.44 1.43

증가율(%) 3.05 1.88 5.31 9.75 11.70 1.91 4.68 5.09 -2.18 4.22 4.29 3.66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문화산업통계』, 『콘텐츠산업통계조사』의 자료를 가공

표16 콘텐츠산업별 1인당 매출액의 비율(유통부문/제작부문)

연도 합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2006 1.52 0.71 0.29 0.90 0.33 9.35 1.01

2007 1.49 0.75 0.34 1.05 0.28 2.87 1.08 2.13 0.73

2008 1.13 0.77 0.33 1.00 0.46 0.47 6.81 1.89 2.01 1.12 1.96 0.73

2009 1.18 0.80 0.31 1.00 0.39 0.38 4.63 1.81 2.44 1.01 3.06 0.74

2010 1.28 0.81 0.33 0.98 0.34 0.38 9.55 2.23 2.59 1.01 3.90 0.80

2011 1.27 0.83 0.33 1.09 0.31 0.64 9.34 2.42 2.70 1.08 1.82 0.68

2012 1.25 0.78 0.32 1.06 0.29 0.56 7.31 2.73 2.60 1.09 1.83 0.76

2013 1.43 0.81 0.32 1.08 0.17 0.52 6.58 3.04 10.29 1.12 1.60

2014 1.22 0.83 0.31 1.08 0.12 0.44 7.64 2.75 0.92 1.16 1.87

2015 1.26 0.84 0.31 1.10 0.15 0.57 6.78 2.78 1.30 1.15 1.89

평균 1.30 0.79 0.32 1.03 0.22 0.46 7.09 2.46 3.10 1.08 2.23 0.74

증가율(%) -2.08 1.90 0.83 2.23 -16.0 6.16 -3.57 5.52 -6.24 1.44 -1.49 0.70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문화산업통계』(『콘텐츠산업통계조사』)의 자료를 가공

○문화콘텐츠의각산업에서유통부문의1인당매출액이제작부문에비해서2배이상되는부문은애니메이션

(7.09배),광고(3.10배),방송(2.46배),지식정보(2.23배)로전자매체를통한유통이활발한부문임

Page 22: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2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문화콘텐츠의제작부문의1인당매출액이유통부문에비해큰부문이있음:게임(0.22배),만화(0.32배),영화

(0.46배),콘텐츠솔루션(0.70배),출판(0.79배)

- 게임 유통업에는 컴퓨터 게임방과 전자 게임장이 있는데, 이들은 대체로 영세하고 많은 인력을 고용하

여 1인당 연간 평균 매출액이 2,600∼4,400만에 불과함

- 만화와 출판과 같이 유통에서 비전자매체를 이용하는 경우 1인당 매출액이 작음 : 책이나 만화가 e-

북 형태로 유통되고 있지만 아직 초기이고 음악, 게임, 방송 프로그램의 유통에 비해 활발하지 않음

- 영화의 비율이 0.4배로 낮은데, 이는 전자매체를 통한 영화 유통이 활발하지만, 불법 유통으로 인해서

유통 사업자가 2차 유통 수입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해서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됨

- 콘텐츠 솔루션의 비율이 0.7로 낮은 이유는 한국에서 콘텐츠 솔루션의 유통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이

고, 증강현실(AR)과 컴퓨터그래픽(CG)에 대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개선될 것으로 보임

○2006∼2015년간콘텐츠산업1인당매출액은연평균3.05%증가하였는데,동기간에물가(GDP디플레이터)가

연평균2.03%증가한점을감안하면실질가치로도조금증가하였음

- 제작 부문의 매출액은 연평균 6.4%증가하고 종사자수는 연평균 4.6%증가하여 1인당 매출액은 1.8% 증가

- 유통 부문의 매출액은 연평균 5.3%증가하고 종자사수는 연평균 5.6%증가하여, 1인당 매출액이 연평

균 0.3%감소

○2006∼2015년간콘텐츠산업별로1인당매출액이빠르게증가한부문으로는,음악(88%),게임(82%),만화

(48%),애니메이션(42%),캐릭터(38%),방송(36%),지식정보(34%)등임

- 게임과 만화의 경우 종사자수는 감소하였으나 매출액이 빠르게 증가하였고 음악, 방송, 지식정보, 캐

릭터, 애니메이션의 경우 종사자수에 비해 매출액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음

표17 콘텐츠 산업별 매출액, 종사자수, 1인당 매출액 증가율(2007년∼2009년)

제작과 유통 제작 유통

연도1인당 매출액 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종사자수증가율

1인당 매출액 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종사자수증가율

1인당 매출액 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종사자수증가율

합계 0.27 0.75 0.47 0.16 0.57 0.41 -0.02 0.48 0.50

1. 출판 0.17 0.03 -0.14 0.08 0.08 0.00 0.25 -0.04 -0.30

2. 만화 0.48 0.23 -0.25 0.33 0.42 0.09 0.40 0.06 -0.34

3. 음악 0.88 1.09 0.21 0.75 0.93 0.18 0.95 1.19 0.24

4. 게임 0.82 0.65 -0.17 1.11 0.92 -0.19 -0.01 -0.17 -0.16

5. 영화 0.17 0.33 0.16 -0.14 0.11 0.25 0.41 0.53 0.12

6. 애니메이션 0.42 0.75 0.33 0.38 0.68 0.30 0.06 0.92 0.86

7. 방송 0.36 0.57 0.21 0.02 0.45 0.43 0.41 0.57 0.17

8. 광고 -0.11 0.44 0.55 0.16 0.13 -0.02 -0.28 0.52 0.80

9. 캐릭터 0.38 0.80 0.42 0.32 0.77 0.45 0.45 0.82 0.37

10. 지식정보 0.34 1.06 0.71 0.38 0.87 0.49 0.26 1.12 0.86

11.콘텐츠 솔루션 0.18 0.59 0.41 0.15 0.56 0.41 0.18 0.35 0.17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문화산업통계』(『콘텐츠산업통계조사』)의 자료를 가공

※ 주 : 게임, 방송, 광고의 경우 2008∼2015년간 증가율이고, 콘텐츠솔루션의 경우 2007∼2012년간 증가율

Page 23: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 콘텐츠 장르별 노동생산성

○2006∼2015년간장르별1인당평균매출액은방송(3.36억원),광고(3.06억원),캐릭터(2.67억원),음악(2.19억

원)의순으로높았음

- 장르별 1인당 평균 매출액이 낮은 부문은 만화(0.73억 원), 게임(0.95억 원), 애니메이션(1.09억 원)

표18 콘텐츠산업의 장르별 평균 1인당 매출액(2006∼2015)

단위 : 억 원

연도 합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제작부문 1.30 1.14 1.55 2.12 1.43 2.40 0.83 1.52 1.76 2.56 0.79 1.33

유통부문 1.69 0.90 0.49 2.22 0.30 1.06 5.87 3.66 3.96 2.79 1.64 0.98

제작+유통 1.48 1.03 0.73 2.19 0.95 1.41 1.09 3.36 3.06 2.67 1.44 1.43

유통/제작 1.30 0.79 0.32 1.03 0.22 0.46 7.09 2.46 3.10 1.08 2.23 0.74

○2006∼2015년간장르별제작부문의1인당평균매출액은캐릭터(2.56억원),영화(2.40억원),음악(2.12억원)

의순으로높았음

- 장르별 제작부문의 1인당 평균 매출액이 낮은 부문은 지식정보(0.79억 원), 애니메이션(0.83억 원),

출판(1.14억 원)

○2006∼2015년간장르별유통부문의1인당평균매출액은애니메이션(5.87억원),광고(3.96억원),방송(3.66억

원),캐릭터(2.79억원)의순으로높았음

- 장르별 유통부문의 1인당 평균 매출액이 낮은 부문은 게임(0.30억 원), 만화(0.49억 원), 출판(0.90

억 원), 영화(1.06억 원)

■ 문화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의 검정

○통계청의『서비스업조사』에서콘텐츠산업과유사한‘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통신업제외)’의1

인당매출액을계산하여,위에서보여준『문화산업통계』로계산한1인당매출액을검정함

○2006∼20014년간『서비스업조사』에서‘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의1인당매출액은1억8,100

만원으로,『문화산업통계』에서콘텐츠산업의1인당매출액1억4,800만원의1.22배임

- 이러한 차이는 두 산업의 산업구성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파악하기 어려운 다른 요인도 있는

것으로 추정됨

- 『서비스업 조사』에서 ‘일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방송프로그램 제작업’의 1인당 매출액은 『문화

산업통계』의 방송제작업의 그것과 10%이내의 차이를 보임

- 『서비스업 조사』에서 ‘서적 출판업’의 1인당 매출액은 1억4,800만 원이나, 문화산업통계』의 출판업의

그것은 1억 300만 원으로 큰 차이가 보임

Page 24: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4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 『서비스업 조사』에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의 1인당 매출액은 1억 7,800만원 이나 『문화산

업통계』의 ‘게임제작’의 그것은 1억4,300만 원으로 큰 차이를 보임

표19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통신업 제외)의 1인당 매출액 평균(2006∼2014년)

단위 : 백만 원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1 2012 2013 2014 평균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통신업 제외)165 162 175 183 195 195 191 191 182

출판업

소계 129 138 154 159 157 158 158 160 152

서적 잡지 및

기타 인쇄물

출판업

소계   148 157 146 147 151 146 142 148

서적 출판업   161 177 168 162 167 157 151 163

신문 잡지 및 정기간행물

출판업  139 140 128 137 137 137 134 136

기타 인쇄물 출판업   122 149 164 134 145 150 154 146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소계 129 134 153 165 160 160 162 166 154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94 103 135 153 140 135 152 178 136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133 139 157 168 165 167 165 162 157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소계 137 133 127 130 165 165 159 161 147

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139 135 127 129 162 162 156 159 146

오디오물 출판 및 원판 녹음업 53 98 119 141 202 204 203 181 153

방송업

소계 284 281 277 298 325 320 338 372 122

라디오 방송업 156 165 145 116 69 89 106 108 530

텔레비전 방송업 292 288 286 312 347 337 356 392 119

컴퓨터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211 219 212 225 250 255 230 215 150

정보서비스업 164 147 184 186 219 210 209 213 150

※ 출처 : 통계청, 『서비스업 조사』.

○통계청의『서비스업조사』에서1인당매출액을보면라디오방송업이월등히많고,다른부문은큰차이가없음

-『문화산업통계』에서는 1인당 매출액은 애니메이션 유통, 광고 유통, 방송 유통에서 높았음

Page 25: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5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Ⅳ. 정리와 제언

■ 산업을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으로 분류하는 방식에서 탈피해야 함

○이방식은1940년클라크가1차,2차,3차산업으로분류한데서기인함

- 클라크는 1690년 페티의 주장(농업보다는 제조업이, 제조업보다는 상업의 이익이 높다)을 실증적으

로 확인하기 위하여 전산업을 이와 같이 분류하여 산업이 1차 산업에서 2차 산업으로, 2차 산업에서 3

차 산업으로 분류하고, 실증적으로 보여줌

○서비스산업의비중이70%에가까울뿐만아니라,매우이질적인산업으로구성되어있음

○서비스산업을유통,금융,정보·통신,오락·문화,관광·음식·숙박,의료,교육,공공행정등으로분류하여산

업별특성에적절한발전전략을만들어가야함

- 이와 같이 분류하더라도 각 산업의 규모는 평균적으로 현재 농립어업의 비중보다 더 큼

■ 제조업 위주의 성장 정책에서 탈피해야 유통, 금융, 정보·통신, 오락·문화, 관광·음식·숙박,

의료, 교육, 공공행정 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음

○한국의경우서비스업이적절한수준으로성장하지못함

- 정부가 제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함에 따라 서비스업이 적정하게 성장하지 못함

- 국민들이 금융, 교육, 문화, 여행, 법률 서비스 등을 적절하게 받지 못하고 있고, 이로 인해서 외국인

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 증가

- 무역외 수지 중에서 사업서비스(법률서비스 등 포함), 여행 수지, 지적재산권 등에서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한국의경우제조업의생산성은선진국에근접했으나,서비스업의생산성은선진국에비해한참뒤쳐짐

- 서비스업의 생산성은 1995년 이전에는 제조업보다 높았고, 선진국의 경우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의

생산성 격차는 한국과 같이 크지 않음

- 이는 서비스업에 대한 제도정비와 투자로 인해서 서비스업의 생산성이 현재보다 빠르게 증가할 가능

성을 보여주는 것임

■ 콘텐츠 산업의 노동생산성

○콘텐츠산업의성장속도는GDP보다약간빠름

○콘텐츠산업의노동생산성은전산업보다는높지만,제조업보다는낮은수준임

- 콘텐츠 산업 내에서도 업종별로 노동생산성의 편차가 큼

Page 26: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6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콘텐츠산업의노동생산성은증가하였지만,제작부문과유통부문으로구분하면유통부문의노동생산성은약간

감소함

○콘텐츠산업을제작과유통으로구분하면미국의경우

- 유통 부문의 산출과 노동생산성이 전산업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콘텐츠산업을제작과유통으로구분하면한국의경우

- 콘텐츠 제작부문보다 유통부문의 노동생산성이 평균적으로 높았지만, 게임, 만화, 영화, 콘텐츠솔루

션 부문에서는 제작부문보다 유통부문의 노동생산성이 낮았음

- 콘텐츠 유통 부문의 매출액 증가율보다 종사자 수 증가율이 약간 빨라서 노동생산성이 약간 감소하였

고, 콘텐츠 제작 부문의 매출액 증가율이 종사자 수 증가율보다 약간 빨라서 노동생산성이 증가함

- 유통부문의 생산성이 미국과 같이 빠르게 증가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음 : 한국이 미국에 비해서 콘텐

츠의 유통 부문이 발전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콘텐츠 장르별 노동생산성

○2006∼2015년간콘텐츠산업의1인당평균매출액은장르별,그리고장르내에서도유통부문이냐제작부문이

냐에따라서편차가매우큼

- 장르별 1인당 평균 매출액은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서 낮았음

- 제작부문의 경우 1인당 평균 매출액은 지식정보, 애니메이션, 출판 등에서 낮았음

- 유통부문의 1인당 평균 매출액은 게임, 만화, 출판, 영화 등에서 낮았음

- 1인당 매출액이 낮은 부문에서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함

■ 산업 정책의 과제

○서비스산업의고부가가치화,생산성증대를통해지속가능한양질의일자리를창출해야함

- 이를 위해서 지식 서비스 산업에만 집중하지 않고, 서비스업 전체에 대한 제도정비와 투자가 필요함

- 음식·숙박업, 교육서비스, 의료 서비스 등을 아직도 규제산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

○콘텐츠산업의경우유통부문은디지털기술과스마트미디어의활성화등으로생산성이빠르게증가할수있

은부문임

- 미국과 같이 이 부문의 부가가치가 빠르게 증가하여 생산성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도록 제도의 정비와

적절한 투자가 필요함

○한국에서서비스산업(특히콘텐츠유통)의낮은노동생산성은자본투자가적절히이루어지지못하였기때문에

발생한현상임

- 서비스 산업(특히 콘텐츠 유통)에 자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 : 시장의 활성

화, 정부의 지원(재정 투자와 세금 감면 등)이 필요

Page 27: 코카포커스 17-06호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dml.komacon.kr/image/archive_data/13/b9... · 2019-12-19 · 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27

문화 콘텐츠 산업의 노동 생산성 분석 Ⅱ 코카포커스 17-06

<참고자료>

권호영(2011),“문화콘텐츠산업의노동생산성분석,”한국콘텐츠진흥원KOCCA포커스2011-16호.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산업통계』,각년도.

박문수,“서비스산업업종별노동생산성변동요인과시사점,”『KIET산업경제』,2009년9월.

반가운,“외환위기이후한국경제의서비스화와구조변화의특징-생산성분해를통한제조업과서비스업업종별분석과국제비교를중심으로-,”『노동경

제논집』,제33권,2010.04.

안정화,“서비스업고용변동의성격분석-제조업과의비교를중심으로,”2009년「경제학공동학술대회」.

정종인·김진용·황문우,“우리나라지식기반서비스업의현황및발전방향,”한국은행조사국,2006년8월.

정준호,“한국서비스산업의구조와발전방향,”한국사회과학연구소『동향과전망』,68호,2006년가을·겨울호.

재경부,『Beyondmanufacturing:우리경제의미래서비스산업에서찾는다』,과천:재경부,2006.

조정기·오경숙,“지식관련서비스산업의경제적파급효과연구,”『산업경제연구』,제22권제3호,2009년6월.

지식경제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0지식서비스산업백서』.

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홈페이지.

통계청,『서비스업조사』,홈페이지.

한국은행,『국민계정』,홈페이지.

한국은행,『기업경영분석』,홈페이지.

황수경,“서비스산업고용및노동생산성변동의구조분석,”『노동정책연구』,제8권제1호,2008.

허재준,“한국경제서비스와가양질의일자리창출로이어지기위해서는무엇이필요한가?,”한국노동연구권,『노동리뷰』,2007년3월호.

허재용·유승훈,“지식서비스산업의경제적파급효과국가간비교분석:한국,미국,일본,영국을중심으로,”『산업경제연구』,제22권제6호,2009년12월.

Baumol,W.J.&Bowen,W.G.(1967),“Ontheperformingarts:Theanatomyoftheireconomicproblem,”InR.Towse(Ed.),Baumol’scostdisease:

Theartsandothervictims(pp.44-54).Cheltenham,England:Elgar.

Baumol,W.J.(1967),“Macroeconomicsofunbalancedgrowth:theanatomyofurbancrisis,”AmericanEconomicReview,57(3),415-426.

Baumol,W.J.,BateyBlackman,S.A.&Wolff.E.N.(1985),“Unbalancedgrowthrevisited:Asympototicstagnancyandnewevidence,”American

EconomicReview,754,806-817.

Baumol,H.&Baunol,W.J.(1987),“Themassmediaandthecostdisease,”InR.Towse(Ed.),Baumol’scostdisease:Theartsandothervictims(pp.

180-194).Cheltenham,England:Elgar.

Oulton,N.(1999),MusttheGrowthRateDecline?:Baumol’sUnbalancedGrowthRevisited,London:BankofEngland.

Paschal,P.andS.Sparviero(2009),“CreativeInputastheCauseofBaumil’sCostDisease:TheExamplepfMediaServices,”JournalofMedia

Economics,22:239-252.

Wőlfl,Anita(2005),“TheServiceEconomyinOECDCountries,”STIWorkingPaper,Paris: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