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25
- 195 -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2, Vol.29, No.3, pp.195219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대학교를 중심으로*Perception and Need Assessment of Faculties 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Faculties of S University 민 혜 리(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교수)** 요 약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들의 실정에 맞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교 교수 190명을 대상으로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 한 인식 및 요구, 교수개발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견, 교수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 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수들은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는 다소간 동 의했으나, 실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들은 학생 과의 상호작용 및 학생참여를 증진시키는 교수방법 및 학문·학과 특성을 반영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잘 참여하지 않는 이 유로 프로그램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프로그램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질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 막으로, 수업개선을 위해서 대학 차원에서는 강의개발을 위한 TA를 지원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고, 센터 차원에서는 동료교수들과의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원의 강의영역이나 재직연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 났다. 이상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센터가 비교적 일정 조정이 용이한 개인이나 소규모 인원 대상의 교육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고, 강의영역이나 재직연수와 같 은 교원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개발 프로그램 및 관련 제반 여건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수들 간 교수법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 교수개발, 교수개발 프로그램, 수업개선, 요구분석 * 이 논문은 2010년 서울대학교 기획처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12.07.31). 심사(12.09.23). 수정완료(12.09.28)

Upload: others

Post on 16-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 195 -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2, Vol.29, No.3, pp.195~219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S대학교를 중심으로*1)

Perception and Need Assessment of Faculties 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Faculties of S University

민 혜 리(서울 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교수)**

요 약

이 연구의 목 은 학 교원들의 실정에 맞는 교수개발 로그램을 개발하기 한 기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해 S 학교 교수 190명을 상으로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인식 요구,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에 한 의견, 교수개발에 한 인식 요구를 조

사하 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수들은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는 다소간 동

의했으나, 실제 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들은 학생

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를 증진시키는 교수방법 학문·학과 특성을 반 한 교수개발

로그램에 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개발 로그램에 잘 참여하지 않는 이

유로 로그램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로그램 참여를

진시키기 해서는 교육 로그램의 다양화 질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마지

막으로, 수업개선을 해서 학 차원에서는 강의개발을 한 TA를 지원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고, 센터 차원에서는 동료교수들과의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달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원의 강의 역이나 재직연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

났다. 이상을 토 로,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센터가 비교 일정 조정이 용이한 개인이나

소규모 인원 상의 교육개발 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고, 강의 역이나 재직연수와 같

은 교원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개발 로그램 련 제반 여건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교

수들 간 교수법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을

제언하 다.

주제어 : 교수개발, 교수개발 로그램, 수업개선, 요구분석

* 이 논문은 2010년 서울 학교 기획처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email protected]

*** 원고 수(12.07.31). 심사(12.09.23). 수정완료(12.09.28)

Page 2: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196 -

Ⅰ. 서 론

최근 학들은 고등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한 방안으로 ‘교수학습센터’를 설립하고 있

는 추세다. 2011년 7월을 기 으로 학교육개발센터 의회의 회원교가 총 152개로 집계되

어 있는 것으로 볼 때 교수학습센터의 양 성장은 거의 안정기에 어들었다고 할 수 있

다( 학교육개발센터 의회, 2011). 그러나 교수학습센터가 원래 의도했던 역할을 잘 하고

있는지와 한 평가에 있어서는 정 인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민혜리, 이

희원(2005)에 따르면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운 은 센터 역할의 요성에 한 학내 구성원

의 인식 부족, 학 당국의 정책 지원 부족, 업무 담당자의 문성 부족, 로그램 홍보

활동 미흡, 산 부족, 로그램의 필요성에 한 인식 부족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

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실질 으로 로그램에 참여해야 할 상, 즉 학 교원이 로

그램의 필요성에 공감하지 못하고 교수개발 로그램에 극 으로 참여하지 않아서 교수

학습센터에서 의도하 던 교수개발의 목표달성에 의문이 제기된 측면이 있어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에 각 학에서 정책 으로 강의평가 결과나 교수들의 교수개발 로그

램에 한 참여 여부를 교원업 평가에 활용하거나, 강의촬 과 수업컨설 여부를 교원

승진에 반 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들이 확 됨에 따라 교원들의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요구 역시 증가할 것으로 상된다.

한편 그간 교수학습센터의 교수개발 로그램은 교수학습센터 운 의 구색을 맞추기

해 천편일률 으로 운 되어온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교수학습센터의 운 로그램

에 한 많은 연구들이 국내외 로그램에 한 황 분석에서도 지 한 바 있다(김은주,

2001; 민혜리, 2002; 2004; 신붕섭, 2004; 송상호, 권경빈, 2006; 정미경, 신주형, 2007; 이용

숙, 조재식, 2007; 염민호 외, 2008; 조형정, 김명랑, 엄미리, 2009). 이는 교수학습센터가 주

로 해외 유수 학 교수학습센터의 사례나 국내의 앞서 설립된 센터의 사례를 조사하고 분

석함으로써 이를 모방하는 데 치 한 때문으로 평가되고 있다(염민호, 김 정, 2008). 그러

나 로그램의 실질 인 운 은 각 학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 학

들의 우수한 로그램들을 그 로 국내 학에 반 하거나, 국내 학 에서 오랜 경험을

가진 센터의 로그램을 기 단계에 있는 센터들이 그 로 모방하는 것이 곧 로그램의

질을 보장하거나, 로그램 운 의 활성화로 이어지기는 어렵다. 이보다는 먼 실에

한 정보, 즉 각 학별로 해당 학의 교원들이 재 교수개발과 련하여 어떠한 요구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요구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age 3: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197 -

이런 요구조사에는 강의 역이나 재직 연수와 같은 교원 특성과 교수개발에 한 요구

간의 계를 살펴보는 것이 요하다. 특히 강의 역의 경우 교수개발 로그램의 요구에

가장 핵심 인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실제로 미국의 여러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특성화

된 교수-학습 련 요구를 충족시키기 하여 학과나 학부 단 의 교수개발 로그램을 운

하고 있다( 명남, 2005). 아울러, 재직연수 역시 교수방법의 인식이나 활용과 긴 히 연

되어 있다는 에서 교수개발 로그램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볼 수 있다. 를

들어, 하버드 학의 경우 경력 교수 세미나, 견교수 세미나 등으로 교수 상 수업능

력 향상 로그램을 제공 시 교수 경력을 고려하고 있다(신붕섭, 2004).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신임교수워크 외에 교원의 재직연수를 고려한 로그램은 무후무한 상황이다. 이

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 역시 강의 역 재직연수에 따라 요구하는 바가 다른지, 다르다

면 그 정도가 얼마나 큰지와 같은 문제를 직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앞서 언 한

국내외 교수개발 로그램 분석 연구가 실제 인 요구조사 연구로 이어진 경우를 발견하

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학 교원이 그 필요성을 공감하고 극 으로 참여할 수 있

는 교수개발 로그램을 개발하기 하여 S 학교를 심으로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인식 요구,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에 한 의견, 교수개발과 련된 인식 요구를

조사하고, 아울러 교원의 강의 역 재직연수에 따라 응답 간에 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상

이 연구의 목 은 학 교원들의 실정에 맞는 교수개발 로그램을 개발하기 한 기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해 S 학교 교수들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설문에 응답한 교수들의 직 별로는 정교수 99명, 부교수 62명, 조교수 28명, 임강사 1명

이었고, 인문사회계열 61명, 자연공학계열 116명, 체능계열 4명, 기타( 문 학원) 4명이

었다. 분석 상을 강의 역 재직 연수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표 Ⅱ-1>과 같다. 이 때

재직연수는 체 응답자의 재직연수의 평균(11.42)을 참고하여 구분하 다.

Page 4: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198 -

구분 세부사항 빈도 수(명) 비율(%)

강의 역

인문⋅사회계열 61 32.1

자연⋅공학계열 116 61.1

체능 4 2.1

기타(의학계열) 9 4.7

재직연수11년 미만 108 56.8

11년 이상 82 43.2

계 190 100.0

<표 Ⅱ-1> 분석 상

2. 측정 도구

이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는 총 37개의 설문문항으로 구성하 고 내용은 ①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인식 요구로 직무 투자시간, 교육효과성을 떨어뜨리는 교수 요소, 교

육환경에 한 만족도, 수업개선을 한 정책 지원에 한 문항 ②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에 한 의견으로 교수개발이 요구되는 역,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방해하는 요

인,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는 요인, 희망하는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문항

③ 교수개발과 련된 인식 요구에는 행 교육부분 평가제도에 한 인식, 교육부분

평가제도의 개선방향, 교육부분 평가결과의 활용방식, 강의평가 주체에 한 선호로 구성

되어 있다. 설문 문항은 선행 연구(진 교, 조용남, 2000; 연세 학교 교육개발지원센터,

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교수법 교육 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최종 개발하 다.

3. 자료 수집 분석 방법

설문조사는 S 학교 교수(정교수, 부교수, 조교수) 1,825명을 상으로 실시하 으며, 이

들 에서 총 190명의 교수( 체의 9.6%)가 2010년 4월 30일부터 2010년 5월 15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학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설문에 응답하 다. 설문의 응답률이 조하

지만 응답자가 연구 상인 체 교수의 9.6% 이므로 일정하게 연구 상이 된 학의 교수

집단의 의견을 반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수 상의 설문에서 다음으로 각 문항의 응답

빈도 혹은 평균을 계산하여 인식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강의 역(인문사회계열, 자

Page 5: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199 -

연공학계열) 재직연수(11년 미만, 11년 이상)에 따라 교수들의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보

기 해서 교차분할분석 t-검정을 활용하 다. 이 때, 인문사회계열, 자연공학계열을 제

외한 역( 체능, 기타)은 강의 역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Ⅲ. 연구 결과

1.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인식 요구

가.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 한 인식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 해 조사한 결과(5 척도), 체 평균이 3.59로 나타났

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교원들이 갖는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 정도는 간보다 다

소 높은 수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민혜리, 이희원(2005)과 일치하는 것으로, 교원

들은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는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으나 그 정도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강의 역에 따라 자연공학계열(3.66)의 필요성이 인문사회계열(3.44)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이 차이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재직연수에 따라 11년 이상 집단(3.74)

의 필요성이 11년 미만 집단(3.48)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 으로 유의했

다(p<.05).

구분 체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 자연공학 11년 미만 11년 이상

평균 3.59 3.44 3.66 3.48 3.74

표 편차 .90 .74 .98 .91 .87

t-값 -1.55 -2.00*

<표 Ⅲ-1>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 한 인식

*p<.05

Page 6: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00 -

나.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 경험

그러나 에서 나타난 응답자들의 인식과는 달리 실제로 교수개발 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35.8%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 학교 교수들이 교수법 교육에 한

필요성과 요성에는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참여도는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보기 빈도 수(명) 비율(%)

참여 경험 있음 68 35.8

참여 경험 없음 122 64.2

계 190 100.0

<표 Ⅲ-2>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 경험

한편, 자연공학계열(41.4%)이 인문사회계열(27.9%)보다 더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고,

11년 이상 집단(36.6%)이 11년 미만 집단(35.2%)보다 더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

명(%)

자연공학

명(%)

11년 미만

명(%)

11년 이상

명(%)

참여 경험 있음 17(27.9) 48(41.4) 38(35.2) 30(36.6)

참여 경험 없음 44(72.1) 68(58.6) 70(64.8) 52(63.4)

계 61(100.0) 116(100.0) 108(100.0) 82(100.0)

(df=1) 3.14 .04

<표 Ⅲ-3>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 경험: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다. 교수개발 로그램 역별 요구

다양한 교수개발 역과 련하여 어느 정도의 교수개발이 요구되는 정도에 해서 조

사한 결과(5 척도),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 증진’(3.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학생 학습방법 진 평가방법’(3.72), ‘자신의 교수법에 한 평가, 검 방

법’(3.55)에도 높은 심을 나타냈다.

Page 7: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01 -

내용 평균 표 편차

자신의 교수법에 한 평가, 검방법 3.55 .83

강의 내용 비(강의 내용의 체계화, 구조화 작업) 3.26 .93

수업자료 비(기자재사용, 사진, 상자료 비, 수업

교재 비 등)3.45 .88

강의진행 내용 달방법 3.46 .86

학생 학습활동 진 평가방법 3.72 .86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 증진 3.79 .86

학생 지도방법(학사 리, 상담 방법 등) 3.44 .91

특별한 목표달성( 어강의 진행 략, 발성법 등) 3.21 .03

<표 Ⅲ-4> 교수개발 로그램 역별 요구

강의 역에 따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 평균의 경우, ‘수업자료 비’와 ‘학생

지도방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수업자료 비’의 경우 인문사회계열의 요구가

더 높았고(t=3.10, p<.01), ‘학생 지도방법’의 경우 자연공학계열의 요구가 더 높았다(t=-2.25,

p<.05). 다음으로 응답순 의 경우, 인문사회계열은 ‘수업자료 비’,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 증진’, ‘학생 학습활동 진 평가방법’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자연공학계열의

경우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 증진’, ‘학생 학습활동 진 평가방법’, ‘자신의 교

수법에 한 평가, 검방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강의 역별로 교수자가 생

각하는 교수개발 요구 역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재직연수에 따라서는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응답순 에서 다소간 차이를 나타냈다. 즉, 1,

2순 는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 증진’, ‘학생 학습활동 진 평가방법’으로 동

일했으나, 3순 로는 11년 미만 집단의 경우 ‘자신의 교수법에 한 평가, 검방법’으로

나타났고, 11년 이상 집단의 경우 ‘수업자료 비’로 나타났다.

Page 8: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02 -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

M(SD)

자연공학

M(SD)t-값

11년미만

M(SD)

11년이상

M(SD)t-값

자신의 교수법에 한 평가, 검방법 3.48(.77) 3.59(.89) -.83 3.56(.82) 3.55(.85) .06

강의 내용 비(강의 내용의 체계화, 구조화 작업) 3.21(.92) 3.26(.93) -.31 3.19(.97) 3.35(0.87) -1.17

수업자료 비(기자재사용, 사진, 상자료 비, 수업교재 비 등) 3.70(.78) 3.28(.92) 3.10** 3.35(.93) 3.57(.80) -1.72

강의진행 내용 달방법 3.33(.85) 3.51(.89) -1.30 3.45(.90) 3.46(.82) -.08

학생 학습활동 진 평가방법 3.56(.96) 3.83(.81) -1.88 3.68(.88) 3.78(.82) -.83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 증진 3.64(.97) 3.87(.81) -1.60 3.71(.94) 3.90(.73) -1.57

학생 지도방법(학사 리, 상담 방법 등) 3.23(.92) 3.55(.90) -2.25* 3.37(.85) 3.54(.85) -1.26

특별한 목표달성( 어강의 진행 략, 발성법 등) 3.11(1.13) 3.24(.99) -.77 3.24(1.05) 3.17(1.00) .46

<표 Ⅲ-5> 교수개발 로그램 역별 요구: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라. 개설 희망 로그램

앞으로 개설되기를 희망하는 교수법 교육 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학문 학과 특성

을 반 한 교수법’(19.2%)을 요구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동료 교수 해외

교수들의 수업 사례’(16.7%)에 한 요구가 많았다.

보기 빈도 수(명) 비율(%)

일반 , 기본 교수방법 65 11.7

동료 교수 해외 교수들의 수업 사례 93 16.7

TA, 조교 훈련 리방법 35 3.3

교육자로서의 철학 31 5.6

교육매체 제작 방법 65 11.7

학생평가 성과 리 방법 33 5.9

온라인을 활용한 교수법 29 5.2

학생참여형 교수법( 수업, 로젝트 수업) 63 11.3

학문 학과 특성을 반 한 교수법 107 19.2

강의 촬 을 활용한 개별 수업 분석 37 6.6

계 558 100.0

<표 Ⅲ-6> 개설 희망 로그램

복수응답 허용(3개)

Page 9: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03 -

한편, 강의 역에 따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24.20, p<.01). 이를 자세

히 살펴보면,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모두 희망하는 로그램 1, 2순 는 ‘학문

학과 특성을 반 한 교수법’, ‘동료 교수 해외 교수들의 수업 사례’로 동일했으나, 인문

사회계열의 3순 로 ‘교육매체 제작 방법’을 선택했고, 자연공학계열의 3순 는 ‘일반 , 기

본 교수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본 바와 마찬가지로, 희망하는 교수개

발 로그램 역시 강의 역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재직연수에 따른 차이는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명(%)

자연공학명(%)

11년 미만명(%)

11년 이상명(%)

일반 , 기본 교수방법 14(8.0) 45(13.1) 30(9.4) 35(11.0)

동료 교수 해외 교수들의 수업 사례 34(19.4) 53(15.5) 63(19.8) 30(9.4)

TA, 조교 훈련 리방법 10(5.7) 23(6.7) 21(6.6) 14(4.4)

교육자로서의 철학 5(2.9) 23(6.7) 18(5.7) 13(4.1)

교육매체 제작 방법 28(16.0) 31(9.0) 32(10.1) 33(10.4)

학생평가 성과 리 방법 3(1.7) 28(8.2) 17(5.3) 16(5.0)

온라인을 활용한 교수법 12(6.9) 15(4.4) 19(6.0) 10(3.1)

학생참여형 교수법( 수업, 로젝트 수업) 25(14.3) 34(9.9) 36(11.3) 27(8.5)

학문 학과 특성을 반 한 교수법 34(19.4) 64(18.7) 63(19.8) 44(13.8)

강의 촬 을 활용한 개별 수업 분석 10(5.7) 27(7.9) 19(6.0) 18(5.7)

계 175(100.0) 343(100.0) 318(100.0) 240(100.0)

(df=9) 24.20** 11.41

<표 Ⅲ-7> 개설 희망 로그램: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p<.01 복수응답 허용(3개)

2.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에 한 인식

이하에서는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와 련한 설문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 다. 먼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교원들이 체로 교수개발 로

그램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면서도 실제로 참여하는 교원은 많지 않은 이유를 알아보

고자 하 다. 다음으로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Page 10: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04 -

교원들의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가 활성화되기 해서 어떤 방안이 요구되는지를 살펴보

았다.

가.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제공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

지 않기 때문’(54.7%)에 참여하지 못한다고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홍보 부족으

로 인해 로그램에 한 정보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15.8%)이라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할 때, 교원들의 로그램 참여가 보다 활성화되기 해서는 개인이나

소규모를 상으로 비교 일정 조정이 용이한 맞춤형 교수개발 로그램을 제공할 필요

가 있으며, 아울러 교수개발 로그램 홍보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보기 빈도 수(명) 비율(%)

홍보 부족으로 인해 로그램 정보 미비 30 15.8

심 있는 주제가 없음 17 8.9

참여할 의사는 있으나 제공되는 로그램의 질이 낮음 17 8.9

제공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음 104 54.7

참여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22 11.6

계 190 100.0

<표 Ⅲ-8>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

한편, 강의 역 재직연수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음을 고려할 때 로그램에 참여

하지 못하는 이유는 이러한 교원 특성과는 계없이 공통 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는 방안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교육 로그램의 다양화 질

개선’(47.9%)을 요구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다음으로, ‘ 로그램 참여 시 각종 인센티 를 부

여하는 방안’(23.7%)이 로그램 참여에 효과 이라고 보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를 통해 교

수개발 로그램 참여의 활성화를 해서는 더 다양하고 질 높은 로그램을 제공할 필요

가 있으며, 인센티 제공과 같은 제도 인 보완이 요구된다는 을 알 수 있다(<표 10>).

Page 11: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05 -

보기 빈도 수(명) 비율(%)

교육 로그램의 다양화 질 개선 91 47.9

로그램 참여 시 각종 인센티 부여(상 수여, 교내연구비지원,

교육상 가산 등)45 23.7

로그램 참여 시 교육부분 평가에 가산 반 32 16.8

강의 평가 공개나 강의 공개를 통해 로그램 참여 동기 자극 22 11.6

계 190 100.0

<표 Ⅲ-9>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는 요인

교수개발 로그램에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제공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음’

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 고, 다음이 ‘홍보 부족으로 인한 로그램 정보 미비’를 꼽아

서 로그램에 한 심은 있으나 홍보부족이나 시간 부족과 같은 물리 이유로 참석하

기 여렵다는 의견을 보 다. 이 부분은 강의 역이나 재직연수에 따라 일부 의견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명(%)

자연공학명(%)

11년 미만명(%)

11년 이상명(%)

홍보 부족으로 인해 로그램 정보 미비 6(9.8) 22(19.0) 14(13.0) 16(19.5)

심 있는 주제가 없음 7(11.5) 9(7.8) 10(9.3) 7(8.5)

참여할 의사는 있으나 제공되는 로그램의 질이 낮음

7(11.5) 9(7.8) 12(11.1) 5(6.1)

제공 시간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음 34(57.4) 62(53.4) 59(54.6) 45(54.9)

참여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6(9.8) 14(12.1) 13(12.0) 9(11.0)

계 61(100.0) 116(100.0) 108(100.0) 82(100.0)

(df=4) 3.62 2.65

<표 Ⅲ-10>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p<.05, **p<.01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는 방안에 해 강의 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13.49, p<.01).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인문사회계열 자연공학계열 모두 교수개

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기 해서는 ‘교육 로그램의 다양화 질 개선’이 가장 효과

이라고 보았으나 응답한 비율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사회계열은 67.2%가 효과

Page 12: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06 -

이라고 보았고, 자연공학계열은 38.8%가 효과 이라고 보았다. 아울러, ‘ 로그램 참여

시 각종 인센티 부여’라는 방안에 해서도 다소 상이한 응답을 나타냈는데, 인문사회계

열의 경우 13.1%만이 효과 이라고 본 반면, 자연공학계열의 경우 29.3%가 효과 이라고

보았다. 자연공학계열 교수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한 방안을 구안하는 단계에서 공 역

별로 차별화해서 근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는 자료이다.

로그램 참여 진 방안에 해서는 재직연수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8.11, p<.05).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11년 미만 집단과 11년 이상 집단 모두 ‘교육 로그

램의 다양화 질 개선’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나,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이 다소 다르게 나

타났다. 즉, 11년 미만 집단의 경우 ‘ 로그램 참여 시 각종 인센티 부여’(29.6%)가 두 번

째로 많은 응답을 나타냈으나, 11년 이상 집단의 경우 ‘ 로그램 참여 시 교육부분 평가에

가산 반 ’(19.5%)이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11년 미만 집단은 상

이나 연구비, 가산 과 같은 직 인 인센티 에 심이 있는 반면, 11년 이상 집단의 경

우 교육부분 평가제도를 통한 간 인 인센티 에 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

과는 추후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 활성화를 한 방안을 모색할 때에 재직연수를 고려하

여 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

명(%)

자연공학

명(%)

11년 미만

명(%)

11년

이상

명(%)

교육 로그램의 다양화 질 개선 41(67.2) 45(38.8) 52(48.1) 39(47.6)

로그램 참여 시 각종 인센티 부여(상

수여, 교내연구비지원, 교육상 가산 등)8(13.1) 34(29.3) 32(29.6) 13(15.9)

로그램 참여 시 교육부분 평가에 가산

반6(9.8) 22 (19.0) 16(14.8) 16(19.5)

강의 평가 공개나 강의 공개를 통해 로그

램 참여 동기 자극6(9.8) 15(12.9) 8(7.4) 14(17.1)

계 61(100.0) 116(100.0) 108(100.0) 82(100.0)

(df=3) 13.49** 8.11*

<표 Ⅲ-11>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진하는 요인: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Page 13: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07 -

3. 교수개발과 련된 황

이하에서는 교수개발 로그램과 직 으로는 련이 없으나, 교수개발 자체에 한 여

러 시사 을 수 있는 설문 내용들을 정리하여 제시하 다. 교수개발 로그램을 계획하

는데 있어서, 교수자의 교육이라는 업무에 한 투자시간을 알아보면 이들의 교육에 한

심 정도를 알 수 있다. 이는 주로 로그램에 한 설문에서 교수자들이 이상 으로 교

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그 게 설문에 응답하 다 하더라고 이 생각이

자신의 교육 업무에 실제 반 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런 괴리를 검해

보기 한 것이다.

이를 해 먼 역별 직무 투자시간을 실제 인 투자시간과 이상 인 투자시간으로

나 어 조사함으로써, 교원들이 교육, 연구, 사 역에 해서 어느 정도의 요도를 갖

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 다. 다음으로 수업의 질을 해하는 교수자의 특성을 조사함

으로써 질 낮은 수업의 원인이 교원 개인으로부터 기인한다고 생각하는지 혹은 그 지 않

은지를 살펴보고자 하 다. 마지막으로 수업 개선을 한 지원을 학 차원과 센터 차원으

로 나 어 조사함으로서 실질 인 요구에 해서 알아보고자 하 다.

가. 직무 역별 투자시간

교원들이 교육, 연구, 사의 각 직무 역에 투자하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를 살펴보기

해 체 직무 시간을 100%로 보았을 때 각 역에 투자하는 시간 비율을 조사한 결과,

교육, 연구, 사 각각 32.76%. 44.91%, 23.04%로 연구에 투자하는 시간이 가장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원들이 생각하는 이상 인 투자시간을 살펴본 결과, 교육, 연구,

사 각각 37.08%, 47.18%, 15.45%로 나타나 응답자들은 교육 연구에는 더 많은 시간을,

사에는 더 은 시간을 투자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투자시간과 이상 인

투자시간 간의 차이는 모든 역에서 유의했다. 이를 통해 교원들은 연구 역에 재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와 동시에 교육에도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교육 역에 한 투자 시간이 늘어나야 한

다는 것에 교원들 체로 공감하고 있는 편이라고 해석된다.

Page 14: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08 -

구분교육 연구 사

M SD M SD M SD

투자시간: 실제 32.76 12.71 44.91 16.55 23.04 15.77

투자시간: 이상 37.08 8.55 47.18 10.51 15.45 8.59

t-값 4.32*** 2.27* -7.59***

<표 Ⅲ-12> 직무 역별 투자시간(단 : %)

*p<.05, ***p<.001

다음으로 강의 역별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사 역에 더 은

시간을 투자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공학계열의 경우 교육 역에는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사 역에는 더 은 시간을 투자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나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분

교육 연구 사

인문사회

M(SD)

자연공학

M(SD)

인문사회

M(SD)

자연공학

M(SD)

인문사회

M(SD)

자연공학

M(SD)

투자시간: 실제35.23

(11.05)

31.21

(12.57)

43.90

(15.11)

46.16

(16.73)

23.08

(15.87)

22.72

(15.62)

투자시간: 이상37.38

(7.39)

35.59

(8.43)

47.79

(9.29)

47.84

(10.82)

14.02

(6.31)

15.52

(8.83)

집단 내 t-값 -1.45 -4.62*** -1.93 -1.18 4.00*** 5.65***

집단 간 t-값 1.10 .08 -1.80

<표 Ⅲ-13> 직무 역별 투자시간: 강의 역에 따른 차이(단 : %)

***p<.001

재직연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11년 미만 집단과 11년 이상 집단 모두 교육 역

에는 더 은 시간을 투자하기를 원하고, 사 역에는 더 은 시간을 투자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age 15: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09 -

구분

교육 연구 사

11년 미만

M(SD)

11년

이상

M(SD)

11년

미만

M(SD)

11년

이상

M(SD)

11년

미만

M(SD)

11년

이상

M(SD)

투자시간: 실제33.05

(13.07)

32.38

(12.28)

47.63

(16.89)

41.34

(15.48)

19.19

(12.29)

27.99

(18.36)

투자시간: 이상36.53

(8.24)

37.80

(12.28)

49.81

(9.95)

43.72

(12.27)

13.47

(5.86)

18.05

(10.71)

집단 내 t-값 -3.00** -4.04*** -1.44 -1.43 5.09*** 4.99***

집단 간 t-값 1.07 .08 -1.80

<표 Ⅲ-14> 직무 역별 투자시간: 재직연수에 따른 차이(단 : %)

**p<.01, ***p<.001

나. 수업의 질을 해하는 교수자의 특성

수업의 질을 해하는 교수자의 특성에 해 조사한 결과, ‘교육에 한 기본 인 투여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51.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응답자들은 수업 질의

해 원인을 자신의 수업 역량 부족보다는 시간 부족으로 인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질 인 교수개발 로그램의 활성화가 이 지기 해서는 우선, 교

원들에게 교수개발 로그램 수업 개선에 참여할 수 있는 기본 인 시간을 확보해

필요가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수업 개선에 한 심이 부족하

기 때문’(30.5%)이라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

동의했던 것과 치되는 의견으로, 여 히 많은 교원들이 교육 부문에 해서는 다소 심

이 다는 것을 시사한다.

보기 빈도 수(명) 비율(%)

기본 인 교수법에 한 지식, 기술 부족 26 13.7

교육에 한 기본 투여 시간 부족 98 51.6

교육 내용의 문성 부족 8 4.2

수업 개선에 한 심 부족 58 30.5

계 190 100.0

<표 Ⅲ-15> 수업의 질을 해하는 교수자의 특성

Page 16: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10 -

한편, 강의 역 재직연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강의 역이나 재직연수에 계없이 체로 모든 교원이 수업의 질을 해하는 원인으로

교원 자신이 교육에 해 시간을 투자하지 못하고, 수업 개선에 한 심이 부족하기 때

문이라는 것에 합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명(%)

자연공학명(%)

11년 미만명(%)

11년 이상명(%)

기본 인 교수법에 한 지식, 기술 부족 8(13.1) 17(14.7) 16(14.8) 10(12.2)

교육에 한 기본 투여 시간 부족 28(45.9) 62(53.4) 56(51.9) 42(51.2)

교육 내용의 문성 부족 2(3.3) 6(5.2) 5(4.9) 3(3.7)

수업 개선에 한 심 부족 23(37.7) 31(26.7) 31(28.7) 27(32.9)

계 61(100.0) 116(100.0) 108(100.0) 82(100.0)

(df=3) 2.41 .61

<표 Ⅲ-16> 수업의 질을 해하는 교수자의 특성: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다. 수업 개선을 한 지원: 학 차원

수업 개선을 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 차원의 지원에 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5

척도), 응답자들은 ‘강의 개발을 한 TA(Teaching Assistant) 지원’(4.11)을 가장 강하게

요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강의 평가방식 교육 역 평가방식의 개선’(3.90), ‘우수강

의에 한 인센티 강화’(3.9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내용 평균 표 편차

학기당 강의 수 경감 3.81 .99

강의 개발을 한 TA 지원 4.11 .79

우수강의에 한 인센티 강화 3.94 .83

교육을 한 각종 지원 확 (교육 훈련비, 교수 개발비 등) 3.87 .87

강의평가방식 교육 역평가 방식의 개선 3.90 .83

<표 Ⅲ-17> 수업 개선을 한 지원( 학 차원)

Page 17: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11 -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

M(SD)

자연공학

M(SD)t-값

11년미만

M(SD)

11년이상

M(SD)t-값

학기당 강의 수 경감3.69(.89)

3.96(.97) -1.80

3.91(1.00)

3.67(.97) 1.64

강의 개발을 한 TA 지원 4.03(.80)

4.19(.76) -1.29 4.11

(.85)4.11(.70) .01

우수강의에 한 인센티 강화 3.85(.77)

4.01(.83)

-1.22 4.02(.80)

3.83(.86)

1.57

교육을 한 각종 지원 확 (교육 훈련

비, 교수 개발비 등)3.77(.86)

3.97(.85)

-1.25 3.87(.96)

3.87(.73)

.04

강의평가방식 교육 역평가 방식의

개선3.92(.74)

3.91(.88) .32 3.85

(.86)3.96(.79) -.91

<표 Ⅲ-18> 수업 개선을 한 지원( 학 차원):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강의 역에 따라 응답별 평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응답순 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인문사회계열 자연공학계열 모두 공통 으로

‘강의 개발을 한 TA 지원’을 가장 강하게 요구했으나, 그 다음으로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강의평가 방식 교육 역 평가방식의 개선’(3.92)을 요구했으며 자연공학계열은 ‘우수강

의에 한 인센티 강화’(4.01)를 요구했다. 재직연수의 경우 응답별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고, 첫 번째와 두 번째 응답순 도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라. 수업 개선을 한 지원: 교수학습센터 차원

수업 개선을 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수학습센터 차원의 지원에 한 의견을 조사

한 결과, ‘동료교수들과의 아이디어 교환할 수 있는 기회’(28.4%)를 마련해달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 문가 상담이나 컨설 ’(24.7%), ‘교수법 련 자료, 정보 제

공’(22.6%)에 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8: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12 -

보기 빈도 수(명) 비율(%)

교수법 교육 26 13.7

동료교수들과의 교육방법 아이디어 교환할

수 있는 기회 마련54 28.4

문가 상담이나 컨설 47 24.7

교수법 련 자료, 정보 제공 43 22.6

교수법 개발을 한 연구비 지원 20 10.5

계 190 100.0

<표 Ⅲ-19> 수업 개선을 한 지원(교수학습센터 차원)

한편, 강의 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10.98, p<.05).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인

문사회계열 자연공학계열 모두 ‘동료교수들과 교육방법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기

회’를 마련해달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나, 그 응답 비율이 인문사회계열에서 더 높게 나

타났다. 오히려, 자연공학계열에서는 문가 상담이나 컨설 에 한 요구가 다소 높게 나

타났다(25.9%). 재직연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기

강의 역 재직연수

인문사회

명(%)

자연공학

명(%)

11년 미만

명(%)

11년 이상

명(%)

교수법 교육 2(3.3) 21(18.1) 11(10.2) 15(18.3)

동료교수들과의 교육방법 아이디어 교

환할 수 있는 기회 마련25(41.0) 28(24.1) 34(31.5) 20(24.4)

문가 상담이나 컨설 13(21.3) 30(25.9) 27(25.0) 20(24.4)

교수법 련 자료, 정보 제공 15(24.6) 26(22.4) 24(22.2) 19(23.2)

교수법 개발을 한 연구비 지원 6(9.8) 11(9.5) 12(11.1) 8(9.8)

계 61(100.0) 116(100.0) 108(100.0) 82(100.0)

(df=4) 10.98* 3.17

<표 Ⅲ-20> 수업 개선을 한 지원(교수학습센터 차원): 교원 특성에 따른 비교

*p<.05

이상에서 교수개발 로그램과 직 으로는 련이 없으나, 교수개발 자체에 한 여러

시사 을 수 있는 설문 내용들을 분석한 결과 교수들의 직무 역별 투자 시간을 살펴

본 결과 교원들은 이상 으로는 교육에 한 투자시간을 재보다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

Page 19: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13 -

고 있으나 실은 연구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여하고 있었으며, 이 문제가 가장 교육의 질

을 해하는 요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부분은 앞으로의 교육 질 향상에서 특별히 고

려해야 할 사항이다. 교육방법에 한 지식이나 기술 훈련보다는 교원들이 교육에 해 고

민하고 교육에 투자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는 정책 안들이 무엇보다 요한 부분이라

는 의미가 될 것이다. 교수학습센터의 교수개발 로그램이 활성화되기 해서도 이런 정

책 , 제도 실천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려주는 결과이다.

Ⅳ. 요약 제언

1. 요약

이 연구에서는 S 학교 교원들의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인식 요구를 조사하고,

이에 크게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강의 역 재직연수에 따라 인식 요구가 어

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인식 요구를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먼 교수들은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는 다소간 동의하고 있었으나, 그

러한 인식과 달리 실제로 교수개발 로그램에 참여한 비율은 약 30% 정도로 낮게 나타났

다. 다음으로, 자신의 교수방법 에서 교수개발이 요구되는 역을 조사한 결과 공통 으

로는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참여를 증진시키는 부분에 한 교수개발이 가장 요구된

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강의 역에 따라서는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수업자료를 비하는 방

법에 한 요구가 높았고, 반면 자연공학계열에서는 학생 지도 방법에 한 요구가 높았다.

한, 개설되기를 희망하는 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공통 으로는 학문 학과 특성을 반

한 교수법 로그램을 희망하고 있었다. 강의 역에 따라서는 인문사회계열은 경우 교육

매체 제작 방법을 알려달라는 요구가 많았고, 자연공학계열은 일반 ·기본 교수방법을

알려달라는 요구가 많았다. 재직 연수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에 한 요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 교수들이 생

각하는 교수개발 로그램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강의 역 재직연수에

계없이 로그램 일정이 개인 일정과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다음으로 교

수개발 로그램을 진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공통 으로는 교육 로그램의 다양화와

질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강의 역에 따라서는 로그램 참여 시 각종 인센티

를 부여한다는 방안에 해서 다소 다른 의견을 나타냈다. 즉, 이 방안에 해 인문사회

Page 20: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14 -

계열은 은 수의 응답자가 동의한 반면, 자연공학계열은 다소 많은 수의 응답자가 동의하

다. 아울러, 재직연수에 따라 11년 미만 집단은 직 인 인센티 를 선호하나, 11년 이

상 집단은 간 인 인센티 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개발과 련된 인식 요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 교수들의 직무

역별 투자 시간을 살펴본 결과 실제 으로는 연구, 교육, 사 순으로 시간을 투자하고 있

었으며, 이상 으로는 사에 투자하는 시간을 이고, 연구 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투

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수업의 질을 해하는 교수자의 특성에 해서

조사한 결과 교원들이 교육에 해서 기본 으로 투자하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수업 개선을 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 차원의 지원

을 조사한 결과, 강의 개발을 한 TA를 지원해 달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수업 개선을 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센터 차원의 지원을 조사한 결과, 공통 으로는

동료교수들과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달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강의

역에 따라서는 자연공학계열의 경우 교수법 교육에 한 요구가 인문사회계열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 역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교수개발 로그램의 활성화 한 정책 제언

이상의 결과를 토 로 얻을 수 있는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정책 제언을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학습(Learning)을 심으로 교수개발 로그램 변화

연구의 결과 교원들이 학생 참여와 학생 학습 강화와 상담과 련한 로그램에 많은

심을 나타냈다. 교원들은 교수학습센터에서 개설되기를 희망하는 로그램에 해 강의

역이나 재직연수에 계없이 공통 으로 ‘학생과의 상호작용 학생 참여 증진’과 ‘학생

학습 진 평가방법’을 가장 필요한 로그램으로 꼽았다. 이를 고려할 때, 앞으로 교수

학습센터는 교육 로그램을 일반 교수방법이나 기능 인 Teaching skill과 련된 내용으

로 구성하던 행에서 벗어나서 학습 심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 구체 로그램으로

는 학생 참여를 확 하는 수업방법과 학습동기유발을 한 교수법을 포함한 학생들을 이

해하기 한 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아울러 재 학의 교수개발 로그램이 ‘학습

Page 21: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15 -

(learning)’보다는 ‘교수(teaching)’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생각할 때, 앞으로 학의

교수개발 로그램은 ‘학생’과 ‘학습’을 심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나. 개인 맞춤형 단과 학 맞춤형의 특화된 교수개발 로그램 구축

교원들은 교수개발이나 수업개선에 해서 다소간 심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로 로그램에 참여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상의 가장 큰 원인은

로그램 일정과 개인 일정이 맞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 로 볼 때, 교

수학습센터에서는 규모 인원을 상으로 하는 교수개발 로그램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소규모 인원을 상으로 비교 일정 조정이 용이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

다. 장기 으로는 교원들이 연구업무 뿐만 아니라 교육업무에도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교수개발 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수에게는 직·간 인센티 를 부여하

는 등의 학 차원의 제도 지원이 요구된다.

한 교원들이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답에서 교수들의 강의 역에 따라 선호하는

교육개발 로그램이 달랐다는 에서 단과 학 맞춤형 로그램의 도입도 고려할 수 있

다. 를 들어, 자신의 교수방법 에서 교수개발이 요구되는 역을 조사한 결과, 인문사

회계열은 ‘수업자료 비’에 한 요구가 많았고, 자연공학계열은 ‘학생 지도방법’에 한

요구가 많았는데 이는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단순히 로 요약된 강의 자료를 제시하는 것

보다는 상물이나 인터넷 홈페이지와 같은 다양한 수업 매체를 극 으로 활용하는 것

이 수업을 활성화하는 데 요해진 추세가 반 된 것으로 생각되며, 자연공학계열의 경우

많은 학생들이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의 기 학력 차이나 과 등으로 고민하는 문제를 해

결하기 해 학생 상담을 강조하는 분 기가 반 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교수학습센터

는 학과나 단과 학에서 요구하는 교수개발 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교수개발 로그램

에 한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강의 역별 차이는 개설되기를

희망하는 로그램에 있어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먼 , 인문사회계열 교수들은 ‘교육매체

제작 방법’을 희망한 반면, 자연공학계열 교수들은 ‘일반 , 기본 인 교수방법’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수업개선을 한 지원방안으로 인문사회계열은 ‘동료교수들과의 아

이디어 교환’을, 자연공학계열은 ‘ 문가의 상담, 컨설 ’을 꼽았다. 이런 차이는 자연공학

계열의 교수들이 교수로의 훈련과정이나 진입과정에서 교육 련 정보나 훈련에 거의 노출

되기 어려운 공 특성을 반 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수업개선을 한 학 차원의 지원방법에 해 인문사회계열 교수들은 교원

Page 22: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16 -

업 평가제도를 개선할 것을 강하게 요구한 반면, 자연공학계열은 우수강의에 한 인센

티 를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지원방식에 한 선호도 역시 향후의 교수개발

로그램이 단과 학별, 학문 역별 특성화를 계획할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측면으로

생각된다. 교수학습센터에서 개인별, 단과 학별 로그램을 지원하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

지만, 단과 학내 지원 기 과 공동으로 로그램을 운 하거나, 일부 교육 로그램의 경

우단과 학에서 교수학습센터에 교수개발 로그램을 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 재직연수별 교수개발 코스 운

재직연수에 따라서는 교수들의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인식이나 요구 면에서 큰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수개발 로그램의 필요성에 해서 상 으로 재직연수가 많

은(11년 이상) 교원들이 더 크게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교수개발 로그램에 한 참

여 진을 해서도 상 이나 연구비 등의 직 인 인센티 보다는 로그램 참여 시 교

육부분 평가에 가산 을 부여하는 간 인 인센티 에 해 심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

는 재직연수가 많은 교원들은 정교수 이상의 직 이거나 정년보장을 받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재직연수가 은 교수들보다는 승진이나 정년보장의 문제와 히 련되어 있

는 연구업 에 해 압박이 상 으로 심하지 않음을 감안할 때 가능한 차이로 생각된다.

이러한 차이 역시 향후 학에서의 교육 강화를 한 제도를 입안할 때 심을 기울일 부

분이다. 이 부분은 특히 해외 학과 비교할 때 우리 학들이 부족한 부분으로 지속 으로

심을 기울이고 교원들의 차별 요구를 수용하기 해 노력해야 할 부분이다.

라. 교수커뮤니티 심의 교수개발 로그램 제공

수업 개선을 해서 교수학습센터 차원에서는 동료교수들과 교육방법에 한 아이디어

를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필요가 있다. 교원들에 한 연구결과에서도 상당수의

교원들이 교원들의 교육에 한 아이디어 교환과 교육의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는 교수들

의 논의의 장을 확 하는 것이 진정한 교수개발 방항이라고 답했다. 미국 학의 교수학

습센터는 교수들 간의 교수법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

으나, 우리나라는 이러한 노력이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이용숙, 조재식, 2007). 즉, 교수개발

로그램의 목표를 크게 ‘교수법 교육을 통한 교수개발’과 ‘교육 심 인 환경의 조성’으

로 보았을 때(Skelton, 2005) 우리나라의 교수학습센터는 여 히 자의 목 에 치우쳐 있

Page 23: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17 -

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질 인 교수개발의 목표가 교수들의 교수방법 교육을 통해 교육

이 의미를 다시 생각하고, 교육이 심이 되는 학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음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교수학습센터 역시 더 실질 인 목표를 성취하기 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마. 교수개발 로그램과 함께 교육 심의 교육정책 방안 제공

교수자의 설문에서 교수들의 교육에 한 투자시간의 미비가 요한 교육의 질 하의

원인으로 제기 되었다. 이는 교수개발 로그램의 확 와 로그램 질 강화와 같은 교수학

습센터 차원의 노력만으로는 학의 교육 질 향상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제기이다. 교

수개발 로그램이 활성화되기 해서는 학 차원에서 교수들이 교육에 몰두하고, 실제 많

은 시간을 교육에 투여할 수 있도록 제도 정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한 합리 방

안들의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교수 상의 인식조사 결과 확인 할 수 있었다.

Page 24: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 218 -

▣ 참 고 문 헌 ▣

김명환, 민헤리 외(2010). 교수 상 교수법 교육 로그램 개발 교육부문 평가제도 개선 연구. 서울

학교 기획실.

김은주(2001). 교육개발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를 통한 교수방법 지원의 황과 과제:

미국과 한국을 심으로. 연세교육연구, 14(1), 225-242.

학교육개발센터 의회(2011). 회원교 목록. http://www.kactl.org/sub/uni_university.php에서

2011. 7. 3 인출.

민혜리(2004). 교수·학습 자격과정을 통한 학에서의 교수·학습 질 리: 국 학의 사례. 비교교

육연구, 14(3), 139-157.

민혜리, 이희원(2005). 고등교육 질 향상을 한 교수학습센터의 과제와 망. 2005 서울 학교 교수

학습개발센터 주최 국제 심포지움 자료집.

박명희, 김성훈, 박명숙, 이 원, 박종호, 이성림(2005). 학의 교수학습 개발에 한 요구분석 Ⅰ 연

구: 동국 학교 교수집단을 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16, 5-30.

송상호, 권경빈(2006). 학 교수-학습센터의 필요성과 역할에 한 고찰: 미국의 사례를 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2(3), 167-185.

신붕섭(2004). 학에서의 교수-학습 지원 센터의 로그램과 시사 . 교육연구논총, 25(1), 21-42.

연세 학교 교육개발지원센터(2003). 강의 Tips 제 3호. 연세 학교 교육개발지원센터.

염민호, 김덕훈, 박 호, 김 정(2008). 한국 학의 교수-학습개발센터의 과제와 방향. 남 학교 기

교육원.

염민호, 김 정(2008). 학 교수학습센터의 이해와 발 방안. 교육학연구, 46(3), 219-248.

이용숙, 조재식(2007). 미국 학 교수-학습개발 센터의 운 과 조직에 한 문화기술 연구. 비교교

육연구, 17(4), 49-88.

명남(2005). 한국과 미국 학의 교수-학습 지원 센터의 지원체제 구축 동향과 향후 과제. 경교

육학회 춘계학술 회, 205-212.

정미경, 신주형(2006). 학의 교수-학습 지원센터 구축 동향 발 방안 탐색. 논문집, 38,

119-132.

조형정, 김명랑, 엄미리(2009). 국·내외 교수학습센터의 로그램 황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19(2), 269-293. Collection of Researches, 19(2), 269-293.

Skelton, A.(2005). Understanding teaching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towards a critical approach.

New York: Routledge.

Page 25: 195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2003; 박명희 외, 2005)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제작한 후 , 교수법 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교수개발 로그램 활성화를 한 교수들의 인식 요구조사: S 학을 심으로

- 219 -

ABSTRACT

Perception and Need Assessment of Faculties

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

- Focusing on Faculties of S University -

Min, Hye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ituationally-appropriate

programs for faculty development. To do so,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90 professors

at S university via an online system. The survey consists of three major components: the

perceived awareness and future needs of the program, suggestions for enhancing

participation level, as well as the perceived awareness and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itself.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although most professors agree on the need

for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the actual participation levels are relatively low. Second,

the professors are highly interested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hat encourage

student-teacher interactions and students' participation, as well as programs that are tailored

to the needs of each department and field of study. Third,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absence of participation in programs is that the program hours tend to conflict with the

professors' schedules. The professors also suggested that program diversification and quality

enhancement may be needed in order to encourage participation. Finally, on a university

level, many faculty members have requested for teaching assistants to help with lecture

development, and on a center-level, opportunities to share ideas with fellow faculty

members were requested. These result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omain of

lectures and the length of one's servic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offer flexible programs for individuals or small

groups. Also, various faculty characteristics such as lecture domain and the length of one's

service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program development. Finally, the center

should make an effort to establish a faculty community for sharing and learning different

teaching methods.

Key words : faculty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program, teaching improvement, need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