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22
- 51 - 韓國敎員敎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1, Vol.28, No.2, pp.5172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Teaching Method Preference 유 정 아(연세대학교 선임연구원)*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학생들 90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 게 응답하거나 누락된 데이터를 제거한 786개의 자료만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 된 연구도구는 FelderSolomon이 개발한 학습양식 검사지(ILS: Index of Learning Style), 이를 한글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A대학 학생들은 상당히 시각적(597, 76.0%)이고, 감각적(550, 70.0%)이며, 소간 숙고적(457, 58.1%)이고 총체적(432, 55.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결과는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전공의 몇 개 영역에서는 전체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 내었다.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을 분석한 결과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 가 있는 것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은 강의식이 60% 이상을 차지하였고, 토론식은 30%, 팀 프로젝트 식과 실험실습은 20%, 인터넷 혼합식은 2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강의식을 선호하는 유형은 숙고, 감각형이고, 이와는 반 대로 적극, 직관, 총체형이 팀 프로젝트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론식을 선호 하는 유형은 감각형이고, 실험실습을 선호하는 유형은 감각과 시각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 비해 인터넷 혼합수업 선호도는 학습양식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은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공적 특성과 학생들의 학습양식은 대학교육에서 적절한 교수방법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추후에는 전공 과 학습양식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무엇인지를 보다 정교하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학습양식, 교수유형, Felder-Solomon ILS(Index of Learning Style) * [email protected] ** 원고접수(11.04.01).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Upload: others

Post on 24-May-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 51 -

韓國敎員敎育硏究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2011, Vol.28, No.2, pp.51~72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Teaching Method Preference

유 정 아(연세 학교 선임연구원)*1)

요 약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를 하여 A 학교 학생들 900명을 조사 상으로 하 고, 이 불성실하

게 응답하거나 락된 데이터를 제거한 786개의 자료만을 분석하 다. 이 연구를 해 사용

된 연구도구는 Felder와 Solomon이 개발한 학습양식 검사지(ILS: Index of Learning Style)이

고, 이를 한 로 번안하여 사용하 다.

분석결과 A 학 학생들은 상당히 시각 (597명, 76.0%)이고, 감각 (550명, 70.0%)이며, 다

소간 숙고 (457명, 58.1%)이고 총체 (432명, 55.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결과는

공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공의 몇 개 역에서는 체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

내었다.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을 분석한 결과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

가 있는 것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 으로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은 강의식이

60% 이상을 차지하 고, 토론식은 30%, 로젝트 식과 실험실습은 20%, 인터넷 혼합식은

2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 강의식을 선호하는 유형은 숙고, 감각형이고, 이와는 반

로 극, 직 , 총체형이 로젝트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토론식을 선호

하는 유형은 감각형이고, 실험실습을 선호하는 유형은 감각과 시각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비해 인터넷 혼합수업 선호도는 학습양식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은 공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 특성과 학생들의 학습양식은

학교육에서 한 교수방법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추후에는 공

과 학습양식에 따른 효과 인 교수방법이 무엇인지를 보다 정교하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학습양식, 교수유형, Felder-Solomon ILS(Index of Learning Style)

* [email protected]

** 원고 수(11.04.01).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Page 2: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52 -

Ⅰ. 서 론

학강의를 효과 으로 하기 한 방법으로 많이 거론 되는 것이 학습자들의 특성을 분석

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교수방법을 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상 방을 알고 나를

아는 것이 군사 략에 매우 요하다는 손자의 지피지기 백 불태(知彼知己 白戰不殆)를 인용

한 것인데, 교육상황에서도 교수자가 상 방인 학습자를 알고 다양한 교수방법이나 교수 략

을 사용한다면, 흔들리지 않는 효과 인 강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learning style)이 어떤지를 아는 것은 학생의 학습

특성을 아는 것과 같다. 학생들의 학습양식은 여러 가지를 설명해 수 있는데, 특히, 그

들이 선호하는 학습 략이나 학습습 을 측하게 해 다. 학습양식은 학습자 개개인의 성

격 특성이나 문화 특성, 성별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

략 등에도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박 , 1999; 서미옥, 2004; 이경량,

2008; 이용교, 1998; 임경희, 2006; 정 숙, 2001; Franzoni & Assar, 2009).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조사하는 것과 함께 학생들이 선호하는 강의형태, 즉 교수유형이

무엇인지 조사하는 일은 학교육의 상황을 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다. 교수

자들도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효과 인

교수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다. 더불어 만약, 특정한 학습양식을 갖고 있는 학습자가

특정한 교수유형을 선호한다면,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을 조사한 후, 그들이 좋

아하는 교수유형을 용하여 보다 정교하게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양식에 련된 연구는 많이 있지만, 학습양식과 학습자가 선호하는 교수유형

에 한 계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학생을 상으로 연구한 학습양식의 부분은

성별, 연령, 공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교수자들의 입장에서 더 요한 것은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교수유형

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일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

을 목 으로 하고,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 다.

연구문제 1: 학생들의 학습양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Page 3: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53 -

Ⅱ. 이론 배경

1. 학습양식

학습양식에 해서는 여러 가지의 의견이 있고, 학자들마다 학습양식의 유형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있지만, 기본 인 개념은 학습자가 학습을 할 때, 선호하는 방식이다. 를 들어,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 시각 인 형태보다 문자 인 형태 혹은 언어 인 형태를 선호하

는 지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시각 유형인지 언어 유형인지로 구분한다. 한,

학습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방식 순차 으로 하나씩 하나씩 앞으로 진행하는 방식을 선

호하면 순차형 학습자이고, 하나씩 진행하는 것보다 먼 체 인 큰 그림을 보여주고 세

부 인 것들로 진행하는 것을 선호하면 총체 유형의 학습자가 된다(Fedlder &

Silverman, 1988).

Kolb(1984)는 학습양식을 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사용하는 정보의 지각방식과 정보 처리

방식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학습자마다 독특한 학습자 특성을 반 한 학습방법들을 여러

상황에서 반복 이고 지속 으로 사용할 때 그것들은 일정한 경향성을 띠게 되는데, 이

게 일정한 경향성을 띠는 학습방법들의 집합을 학습양식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어떤 학습

자들은 사실 이고 감각 인 정보를 더 쉽게 받아들이는 반면, 어떤 학습자들은 개념 이

고 추상 인 설명을 들으면서 이해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즉, 학습양식은 학습자들이 학습을 하는데 선호하는 어떤 특징들의 결합체로서, 특정한

학습양식을 보이는 학습자는 새로운 학습내용을 학습할 때 일정한 패턴을 보이게 된다. 인

지 성숙이 완성된 학생들의 경우, 선호하는 학습양식이 고정화되기 쉽다. 이들은 정보

를 받아들이고, 지식을 습득함에 있어 수차례 반복되는 학습패턴으로 타고난 성향이 강화

되게 된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은 강의식으로 보고되고 있다(유정아,

2010). 다양한 교수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교사들은 입시 비와 과도한 학

습량의 달에 의한 부담으로 다양한 교수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게 일정한 유형의 교수방법으로 장기간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경우, 타고난 자신의 학

습 선호 성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은 학습양식에 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Page 4: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54 -

2. Felder-Solomon의 학습양식

Felder와 Silverman(1988)은 공학분야의 몇 몇 학생들이 수업에 잘 참여하지 않고, 학습

성과가 낮으며, 학습을 즐거워하지 않는 상을 심각한 문제로 보고 이런 학습자들의 특성

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들은 특히, 공학교육에서 필요한 요한 학습자 특성은 무엇이고,

이들을 우수한 공학도로 양성하기 한 공학교육의 방법은 무엇인지를 결합시키려고 노력

하 다.

이에 그들은 다양한 심리유형 검사를 참고하여 학습모델을 만들었고, Felder와 Solomon

은 이를 참고로 학습양식 검사문항을 개발하여 인터넷 상에 공개하고 있다(Felder &

Solomon, 2007, http://www.engr.ncsu.edu/learningstyles/ilsweb.html). 이들이 개발한 검

사도구는 ILS(Index of Learning Style)로 4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선호도를 측정하

여 학습양식을 4개 차원의 8개 역으로 구분한다. 8개 역은 극(active)/숙고

(reflective), 감각(sensing)/직 (intuitive), 시각(visual)/언어(verbal), 순차(sequential)/총체

(global)로 나 다(<표 1> 참고, 권두승, 이경아, 2004에서 재인용).

<표 1> Felder와 Solomon의 학습 양식 구분

차원 학습 양식

정보처리 방법 극/ 숙고

정보지각 형태 감각/ 직

정보입력 방법 시각/ 언어

정보이해 과정 순차/ 총체

정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극 학습자는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하면서 정보를 처리하

는 반면, 숙고 학습자는 혼자서 조용히 생각한 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선호한다. 선호

하는 정보지각 형태를 보면, 감각 학습자는 직 보거나 들을 수 있는 감각 정보를 선호

하고, 직 학습자는 의미를 찾는 것을 선호한다.

외부 정보 입력방식에서 시각 학습자는 그림, 도형, 개요 등 시각 인 정보를 선호하

는 반면, 언어 학습자는 , 화 등과 같은 언어 인 정보를 효과 으로 받아들인다. 정

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순차 학습자는 단계 인 과정으로 이해를 하는 반면, 총체 인

학습자는 체를 총체 으로 큰 그림으로 이해하는 것을 선호한다(권두승, 이경아, 2004;

이태종, 2003).

Page 5: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55 -

3. 선행연구

Felder와 Solomon이 개발한 검사지에 한 신뢰도 타당도에 해 문제를 제기한 연

구들이 있기는 하지만(McChlery & Visser, 2009; Van Zwanenberg, Wilkinson, &

Anderson, 2000), 이 검사지의 신뢰도 타당도에 한 검증은 이루어진 상태이며(Felder

& Spurlin, 2005), 많은 연구자들이 이 학습양식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Ebru와 Gözde(2009)는 Felder와 Solomon의 검사지를 참고하여 온라인 학습양식 검사도

구를 개발하 으며, 그것의 효과에 해서도 입증하고 있다. McChlery와 Visser(2009)는

국과 남아 리카의 학생들을 상으로 학습양식을 조사하 는데, 학년, 성별, 국가 등을

변인으로 학습양식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보고한다. 다만, 학습자료가 학습자의 학습양

식과 어울릴 때는 학습효과가 높아질 것이라고 제언하면서, 감각 학습자들에게는 실제

인 자료, 잘 구조화된 자료, 실제 사례 등이 효과 이고, 시각 학습자들에게는 다이아그

램, 그림, 순서도 등의 학습자료가 효과 일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한, 교수자들이 모

든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양식에 맞추어 수업을 하는 것은 어렵지만, 다양한 학습환경을 조

성하여 다양한 학습양식을 맞추는 노력은 필요하다고 말한다.

강신천과 박혜진(2006)은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개별화 학습지원이 가능한 학습지원 시스

템을 개발하고, 이에 한 만족도를 조사하 는데, Felder와 Solomon의 학습양식 에서

극/숙고, 감각/직 , 시각/언어의 양식을 활용하 다. 이들은 학습양식에 기 하여 만든

학습지원시스템이 학습자들의 만족도에 향을 주었으며, 응 시스템을 개발하기 해

서는 학습양식 등의 변인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한다.

Goda(2010)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만족을 보이는 집단과 완 한 학습성취를 보이

는 집단을 조사하 는데, Felder와 Solomon의 학습양식 검사결과로 집단을 구분해 보니,

숙고형의 학습자가 완성도가 높았고, 언어 선호를 보이는 학습자가 학습의 만족도가 높

았다고 보고한다. 이와 유사한 결과가 Rogers와 Cox(2008)의 연구에서도 밝 졌는데, 질병

학을 학습하기 한 온라인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의 의미 있는 차이가 학습양

식에 따라 발견되었다. 한, Franzoni와 Assar(2009)의 연구에서도 Felder와 Solomon의 학

습양식에 맞춘 교수 략과 자 매체를 용한 학습설계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

는 요한 변인이었음이 밝 졌다. 이들은 학습양식에 응된 교수방법을 제안하는 데 연

구의 의의를 두고 있는데, 감각 학습자에게는 리젠테이션, 질문법, 문제해결에 기반한

교육이 당하고, 시각 학습자에게는 게임, 시연, 리젠테이션이 합하다고 한다. 극

Page 6: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56 -

학습자에게는 게임, 시연, 문제해결학습, 역할극, 패 토의, 인스토 , 로젝트기반

학습 등 다양한 교수 략을 제안하고 있으며, 순차 학습자에게는 리젠테이션, 문답법

등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Brown 등(2005)은 도서 과 정보과학부 학생들을 상으로 Felder-

Solomon 학습양식 검사지로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조사하 고, 이들을 상으로 한 효과

인 교수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Filippidis와 Tsoukalas(2009)는 Felder와 Solmon의 학습양식

역 , 순차/총체에 응된 교수 이미지를 활용한 학습시스템을 개발하 는데, 학습양

식에 합하게 설계된 이 학습시스템이 학생들에게 매우 만족스러웠으며, 배우기 쉬운 도

구로 평가받았다고 보고한다. 그들은 순차/총체 역은 감각/직 역과 약한 상 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숙고 역은 타 역과는 아무런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고 하 다. 즉, 순차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는 감각 정보를 선호하 고, 총체 학

습을 선호하는 학습자는 직 정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Ⅲ. 연구 방법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을 조사하여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교수

방법이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를 해 선정한 연구 상과 연구도구는

아래와 같다.

1. 연구대상

이 연구를 한 연구 상은 A 학에 재학 인 1학년부터 4학년까지 학생들로 각 공별

로 배포된 설문지는 총 900부 다. 수거된 설문지 불량한 자료를 제외하고 분석에 사용

된 자료는 786개 다. 이 연구에 참여한 공은 총 16개로 기계공학, 산업정보시스템공학,

화공신소재공학, 응용화학생명공학, 환경건설교통공학, 자공학, 정보컴퓨터공학, 미디어,

자연과학, 간호학, 경 학, e-비지니스학, 인문학, 사회과학, 법학, 국제학 공이다.

연구 상의 성별, 학년 분포는 [그림1], [그림2]와 같고, 공분포는 <표 2>와 같다.

Page 7: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57 -

[그림 1] 성별 분포

[그림 2] 학년 분포

기계

공학

산업

정보

화공

신소

응용

화학

생명

환경

건설

공학

정보

컴퓨

미디

자연

과학간호 경

e-비

즈니

인문사회

과학법학 국제 합

빈도 26 46 42 45 55 46 47 40 48 158 41 28 49 21 44 50 786

비율 3.3 5.9 5.3 5.7 7.0 5.9 6.0 5.1 6.1 20.1 5.2 3.6 6.2 2.7 5.6 6.4 100

<표 2> 공 분포

2. 연구도구

이 연구를 해 사용한 검사지는 Felder와 Solomon이 개발한 ILS(Index of Learning

Style)로 인터넷(http://www.engr.ncsu.edu/learningstyles/ilsweb.html)에 게시된 검사지를

한 로 번안하여 사용하 다. 이 검사지는 학생들의 학습스타일을 검사하기 하여 개발

된 것으로 개발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고 있다(Felder &

Silverman, 1988; Felder & Spurlin, 2005).

이 검사지는 총 4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결과 학습스타일을 4개 역 -

극/숙고, 감각/직 , 시각/언어, 순차/총체 -으로 구분한다. Felder와 Solomon은 정보인지

를 선호하는 경향성을 감각/직 으로 구분하 고, 정보를 입력하는 선호도를 시각/언어로

구분하 으며, 선호하는 정보처리 형태를 극/숙고로 구분하 으며, 내용을 이해하는 방

식을 순차/총체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검사지는 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목 으로 사용하고 있고(강신천, 박혜진,

2006; 고 남, 2005; 권두승, 2004; 이태종, 2004; Brown, Adkins & Tsai, 2005; Ebru &

Page 8: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58 -

Gözde, 2009; Felder & Brent, 2005; Filippidis & Tsoukalas, 2009; Franzoni & Assar, 2009;

McChlery and Visser, 2009; Rogers & Cox, 2008), Felder와 Spurlin(2005)이 발표한 검사지

의 신뢰도(Cronbach α)는 4개 역별로 극/숙고가 0.62, 감각/직 이 0.76, 시각/언어가

0.69, 순차/총제가 0.55 다.

3. 분석방법

설문지의 통계 분석을 해 사용한 통계 패키지는 SPSS 로그램이었다. 분석방법은 빈

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증, Tukey의 사후분석 방법이었다.

Ⅳ. 연구 결과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조사하여 학습자 특성을 분석하고, 학습양식 유형별로

선호하는 교수방법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A 학에 재학 인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학생들 900명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하 으며, 수거된 검사지 불량 자료를

제외한 786개의 자료만 분석하 다.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연구대상 집단의 학습양식 조사 결과

Felder와 Solomon이 개발한 학습양식 검사지로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조사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조사결과 A 학 학생들은 극/숙고 학습양식 차원에서는 숙고(457명,

58.1%)가 극(318명, 40.5%)보다 18%정도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 고, 감각/직 학습양

식 차원에서는 감각(550명, 70.0%)이 직 (225명, 28.6%)보다 42%정도 더 높은 비율을 차지

하 다. 시각/언어 학습양식 차원에서는 시각(597명, 76.0%)이 언어(177명, 22.5%)보다 54%

정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 고, 순차/총체 학습양식 차원에서는 총체(432명, 55.0%)가 순차

(342명, 43.5%)에 비해 12% 정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 다.

Page 9: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59 -

학습양식 빈도 비율

극/숙고극 318 40.5

숙고 457 58.1

감각/직감각 550 70.0

직 225 28.6

시각/언어시각 597 76.0

언어 177 22.5

순차/총체순차 342 43.5

총체 432 55.0

시스템 결측 12 1.5

합 786 100.0

<표 3> 연구 상의 학습양식 조사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 학 학생들은 감각(70.0%)과 시각(76.0%) 선호가 직

(28.6%)이나 언어(22.5%) 선호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결과는 고 남

(2005), 권두승과 이경아(2004), 이태종(2004), Felder와 Brent(2005), Filippidis와

Tsoukalas(2009), Franzoni와 Assar(2009), McChlery와 Visser(2009)가 연구한 결과와 일치한

다. 즉, 학생들을 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직 보다는 감각을, 언어보다는 시각을 선호하

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 연구도 있다. 포항공과 학교(2000)의 조사결과와는 감각/

직 에 해서 의 연구들과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직 :61%, 감각:39%), 일본

학생들을 상으로 연구한 Goda(2010)의 연구에서는 시각/언어에 해서 의 연구들과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시각: 20.59%, 언어:79.41%).

이에 비해 학생을 상으로 연구한 경우, 공에 따라 학습양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고

(고 남, 2005; 이태종, 2004; Brown 등, 2005; Felder & Brent, 2005), 교수 략 선호도와도

계가 있다는 연구가 있다(Franzoni & Assar, 2009). 성별, 연령 등에 비해 비교 논란의

여지가 은 것은 공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이다. 이에 공에 해서는 학습양식의 차

이가 구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학습양식이 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

하기 하여 분산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Tukey의 사후분석 방법을 사용하 다. 분

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분산분석 결과 학습양식 4개 역 공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 역은 감각/직

역과 시각/언어 역이었다(<표 4> 참고). 감각 역은 체 학생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Page 10: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60 -

있고, 시각 역은 체 학생의 76%이상을 차지하는 높은 빈도의 집단이다. 그러나 역별

로 비교 낮은 구분도를 보 던 극/숙고 역과 순차/총체 역은 공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역 변량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사후검증

극/숙고

집단 간 4.709 15 .314 1.303 .193

집단 내 182.808 759 .241

합 187.517 774

감각/직

집단 간 11.321 15 .755 3.861** .000타 공 vs.

화공신소재집단 내 148.357 759 .195

합 159.677 774

시각/언어

집단 간 7.583 15 .506 2.972** .000

집단 내 128.940 758 .170

합 136.523 773

순차/총체

집단 간 6.059 15 .404 1.657 .055타 공 vs.

사회과학, 국제집단 내 184.824 758 .244

합 190.884 773

<표 4> 공에 따른 학습양식의 분산분석 결과

* : p< .05 ** : p< .01

감각/직 역과 시각/언어 역에 한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 Tukey의 사후 검증

을 실시한 결과 <표 4>,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각/직 역에서는 화공신소재

공의 경우, 다른 공과는 다르게 직 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더 많은 독특한 집단으로 분

류되었다. 한편, 시각/언어 역에서는 사회과학부와 국제학부의 경우 언어 선호가 상

으로 많은 독특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감각 선호를 80%이상 보이는 공은 간호학(84.2%), 법학(81.8%), 응용화학(80.0%),

자공학(80.4%)으로 나타났고, 시각 선호를 80%이상 보이는 공은 환경건설(89.1%), 자

공학(89.1%), 산업정보(86.7%), 기계공학(83.3%), 자연과학(83.3%), e-비즈니스학(81.5%), 정보

컴퓨터(80.9%), 간호학(80.3%), 경 학(80.0%)으로 나타났다. 이 게 공별로 감각이나 시각

유형으로 심각하게 치우친 경향을 보이는 공의 학생들은 무언가 독특한 형태의 학습 기

질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공에 따라 학습양식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고 남(2005)의 연구와 일치하고, 이태

종(2004) 연구의 일부와 일치한다. 고 남(2005)의 연구에서는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인문계

열의 학생들에 비해 직 이고 시각 인 학습양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Page 11: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61 -

비해 이태종(2004)의 연구에서는 4개 역 모두에서 공별 차이가 입증되었다.

기계

공학

산업

정보

화공

신소

응용

화학

생명

환경

건설

공학

정보

컴퓨

미디

자연

과학간호 경

e-비

즈니

인문사회

과학법학 국제 합

감각

1458.3%

2964.4%

1740.5%

3680.0%

3869.1%

3780.4%

3778.7%

2158.3%

3572.9%

13384.2%

2665.0%

2074.1%

3266.7%

1257.1%

3681.8%

2755.1% 775

100%직관

1041.7%

1635.6%

2559.5%

920.0%

1730.9%

919.6%

1021.3%

1541.7%

1327.1%

2515.8%

1435.0%

725.9%

1633.3%

942.9%

818.2%

2244.9%

시각

2083.3%

3986.7%

2661.9%

3577.8%

4989.1%

4189.1%

3880.9%

2877.8%

4083.3%

12680.3%

3280.0%

2281.5%

3164.6%

1257.1%

3170.5%

2755.1% 774

100%언어

416.7%

613.3%

1638.1%

1022.2%

610.9%

510.9%

919.1%

822.2%

816.7%

3119.7%

820.0%

518.5%

1735.4%

942.9%

1329.5%

2244.9%

<표 5> 공에 따른 학습양식(감각/직 , 시각/언어) 차이검증

단위: 명, %

감각/직관 : χ2= 54.946, p= .000

시각/언어 : χ2= 42.993, p= .000

2. 선호 교수유형 조사 결과

A 학교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을 조사하기 하여 학교에서 많이 활용하는 5개

의 교수유형 - 강의식, 토론식, 로젝트 식, 인터넷 강의(혼합), 실험실습 -을 제시하

고, 이 2개를 복수 응답하도록 하 다. 78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A 학교 학생들 60% 이상은 강의식을 선호하 고, 30% 정도가 토론식을 선호하 으며,

20% 정도가 로젝트와 실험실습을 선호하 고, 인터넷 강의(혼합)는 20% 미만의 선호

도를 보 다.

강의식 수업의 주요 목 은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 것으로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다(허경조, 2010). 이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교사를 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와 유사

한데, 고등학교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고 활용하는 교수유형은 강의식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유정아, 2010). 다양한 교수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교사들이나 학생

들이 강의식을 선호하는 것은 환경 인 향으로 그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등학

교 교사들은 입시를 비해야 한다는 부담과 과도한 학습량을 달하기 해서 강의식 방

법을 선호하고 주로 활용하게 된다. 학생들은 고등학교 과정을 거치면서 강의식 수업

에 익숙해져 있고, 이런 경향이 학생이 되어서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Page 12: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62 -

선호 교수유형 빈도 비율(빈도/786*100)

강의식 528 68.1

토론식 244 31.5

로젝트 식 158 20.4

인터넷강의(혼합) 117 15.1

실험실습 153 19.7

<표 6> 연구 상의 선호 교수유형 조사 결과(복수응답)

3.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조사 결과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A 학 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에 한 분산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는 <표 7>과 같다.

선호 교수유형 학습양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강의식

극/숙고 1.939 1 1.939 8.070** 0.005

감각/직 2.221 1 2.221 10.917** 0.001

시각/언어 0.370 1 0.370 2.106 0.147

순차/총체 0.897 1 0.897 3.646 0.057

토론식

극/숙고 0.171 1 0.171 0.704 0.402

감각/직 2.790 1 2.790 13.765** 0.000

시각/언어 0.071 1 0.071 0.401 0.527

순차/총체 0.462 1 0.462 1.875 0.171

로젝트

극/숙고 4.376 1 4.376 18.462** 0.000

감각/직 0.993 1 0.993 4.841* 0.028

시각/언어 0.132 1 0.132 0.749 0.387

순차/총체 0.955 1 0.955 3.886* 0.049

인터넷 혼합

극/숙고 0.017 1 0.017 0.070 0.791

감각/직 0.217 1 0.217 1.052 0.305

시각/언어 0.195 1 0.195 1.110 0.292

순차/총체 0.484 1 0.484 1.962 0.162

실험실습

극/숙고 0.161 1 0.161 0.663 0.416

감각/직 1.386 1 1.386 6.779** 0.009

시각/언어 0.910 1 0.910 5.203** 0.023

순차/총체 0.516 1 0.516 2.093 0.148

<표 7>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의 분산분석 결과

* : p< .05 ** : p< .01

Page 13: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63 -

강의식을 선호하는 학생들 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집단은 극/숙고와 감각/직

집단이고, 토론식을 선호하는 학생들 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집단은 감각/직

집단이었다. 로젝트를 선호하는 학생들 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집단은 극/

숙고, 감각/직 , 순차/총체 집단이고, 인터넷 혼합수업을 선호하는 집단 간의 차이는 발견

되지 않았다. 실험실습을 선호하는 학생들 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집단은 감각/직

, 시각/언어 집단이었다. 구체 인 차이검증 결과는 <표 8>과 같다.

선호 교수유형학습 양식

극/숙고 감각/직 시각/언어 순차/총체

강의식

빈도강의식의 %

198 327 392 133 397 127 243 281

37.7% 62.3% 74.7% 25.3% 75.8% 24.2% 46.4% 53.6%

분석결과χ2=8.007**

p= .003χ2=10.791**

p= .001χ2=2.106p= .164

χ2=3.638p= .060

토론식

빈도토론식의 %

104 136 149 91 182 58 97 143

43.3% 56.7% 62.1% 37.9% 75.8% 24.2% 40.4% 59.6%

분석결과χ2=0.705p= .223

χ2=13.556**

p= .000χ2=0.402p= .577

χ2=1.876p= .183

로젝트

빈도 로젝트의 %

87 68 99 56 123 31 57 97

56.1% 43.9% 63.9% 36.1% 79.9% 20.1% 37.0% 63.0%

분석결과χ2=18.073**

p= .000χ2=4.823*

p= .030χ2=0.750p= .452

χ2=3.877*

p= .030

인터넷 혼합

빈도인터넷 혼합의 %

49 67 87 29 94 22 58 58

42.2% 57.8% 75.0% 25.0% 81.0% 19.0% 50.0% 50.0%

분석결과χ2=0.071p= .838

χ2=1.053p= .320

χ2=1.112p= .337

χ2=1.963p= .187

실험실습

빈도실험실습의 %

58 94 121 31 128 24 75 77

38.2% 61.8% 79.6% 20.4% 84.2% 15.8% 49.3% 50.7%

분석결과χ2=0.664p= .462

χ2=6.737**

p= .009χ2=5.181*

p= .023χ2=2.093p= .171

<표 8> 학습양식과 선호 교수유형의 차이검증

* : p< .05 ** : p< .01

<표 8>에서와 같이 강의식을 선호하는 학습양식은 숙고형과 감각형으로 나타났고, 토론

식을 선호하는 학습양식은 감각형으로 나타났다. 로젝트를 선호하는 학습양식 유형은

극형, 감각형, 총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터넷 혼합 수업을 선호하는 학습양식

유형은 집단별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실험실습 수업을 선호하는 학습양식 유형

은 감각형과 시각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4: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64 -

로젝트 교수유형의 경우, 학에서 많이 활용하는 교수유형이고, 학생들의 종합

인 능력을 요구하는 교수유형이다. 이를 선호하는 유형이 숙고형보다는 극형이고, 직

형 보다는 감각형이며, 순차형 보다는 총체형의 학습자들이라는 은 로젝트 방식의

교수유형의 특징과 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Franzoni와 Assar(2009) 연구결

과의 일부와 일치한다. 로젝트의 경우, 극 이고 활동 인 학습태도를 요구한다.

한, 로젝트를 하기 해서는 로젝트의 체 인 큰 그림을 볼 수 있어야 하고, 다

양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가공하여 가시 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이런 특징은

극 이고, 감각 이며, 총체 인 학습 양식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강의식의 교수유형은 교수자 심의 교수유형이기 때문에 로젝트나 토

론식에 비해 학습자들을 수동 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극

인 학습자 보다는 소극 인 즉, 숙고 인 학습자들이 더 선호하는 교수유형일 수 있다. 이

는 Goda(2010) 연구결과의 일부와 비교할 수 있다. 그는 인터넷 수업에서 학습완성도가 높

은 학습양식이 무엇인지를 분석하 는데, 숙고형인 학습자가 다른 학습양식에 비해 학습완

성도가 높았다고 보고한다. 이는 숙고형인 학습자의 특성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는데, 숙고

형인 학습자는 생각이 많고, 혼자서 무언가를 차분히 정리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

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숙고형인 학습자는 극 인 학습자에 비해

으로 무언가를 행하는 것 보다는 혼자서 조용히 자신의 패턴에 따라 학습하는 것을 선호

하기 때문에 극형의 학습자보다 강의식을 더 선호할 수 있다.

한편, 강의식을 선호하는 학습자 유형이 직 이기 보다는 감각 인 학습자라는 은

두가지 시사 을 갖는다. 하나는 강의식 수업에서 달되는 수업자료가 감각 정보로 구

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학의 강의에서 많이 사용하는 수업자료는 리젠테이

션 도구와 인쇄물, 인터넷 자료, 상자료, 서자료 등이다. 이런 자료의 특징은 인간의 감

각 채 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도록 한다. 그러므로 감각 유형의 학습자들이 강의식

을 더 선호할 수 있다. 한편, 강의식 수업은 교수자 심으로 많은 양의 정보가 학습자에

게 달될 가능성이 높다. 감각 학습자들은 이 게 달되는 많은 양의 정보를 자신이

선호하는 다양한 감각 채 로 받아들이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직 인 학습자들은 쉼 없

이 달되는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기 보다는 통찰을 갖고 무언가를 깨닫는 형태의 정보

를 선호한다. 그러므로 직 학습자 보다는 감각 학습자들이 강의식을 선호할 가능성

이 높다.

그러므로 의 두 가지 시사 을 바탕으로 강의식 수업을 비하는 교수자들은 다음과

같은 을 주의해야 한다. A 학의 경우 감각 유형의 학습자들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Page 15: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65 -

있는데, 이들을 상으로 강의식 수업을 비할 때는 이들에게 익숙한 감각 자료를 다양

하게 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토론식 수업을 선호하는 학습양식도 감각형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보를 수

집하여 비된 토론을 하기 해서는 감각 학습자에게 더 합할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한, 실험실습 교수유형을 선호하는 학습양식은 감각형과 시각형인 것으로 나타

났는데, 이는 실험실습이라는 수업의 형태가 감각 이고 시각 인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

거나 분석하는 구조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Ⅴ. 결론 논의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에 A 학 900명의 학생들을 상으로 Felder와 Solomon이 개발한 ILS

(Index of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을 사용하여 학습양식을 조사하 고,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 다.

그 결과 A 학 학생들의 학습양식은 시각 (76.0%)이고 감각 (70.0%)인 역에 치우쳐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한, 약하게 총체 (55.0%)이며 숙고 (58.1%)인 경향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양식은 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별히

감각/직 역(χ2= 54.946, p< .001)과 시각/언어 역(χ2

= 42.993, p< .001)에서 공별

로 차이를 보이는 것이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은

강의식(68.1%)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토론식(31.5%), 로젝트식(20.4%), 실험실

습(19.7%), 인터넷 강의(혼합)(15.1%)으로 나타났다.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을 분석한 결과,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각/직 역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감각형이 직 형에 비해, 강의식, 토론식, 로젝트식, 실

험실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수유형별로는 로젝트 교수유형에

한 선호가 학습양식별로 가장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극형, 감각형, 총체형이

로젝트 교수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논의를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양식의 일부 역에서는 공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이다. 직 보다 감각

Page 16: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66 -

선호를 80%이상 보이는 공은 간호학(84.2%), 법학(81.8%), 응용화학(80.0%), 자공학

(80.4%)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직 선호를 40%이상 보이는 공은 화공신소재

(59.5%), 국제학(44.9%), 사회과학(42.9%), 미디어(41.7%), 기계공학(41.7%)으로 나타났다. 이

, 화공신소재 공의 경우, 직 선호를 더 많이 보이는 독특한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런 결과는 단과 별로 구분할 때, 자연계열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 직

학습양식을 선호한다는 고 남(2005)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감각/직

역의 학습양식 차이에 있어서 자연계열이나 인문계열별로 구분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세부 공별로 차이를 보인다는 이태종(2004)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즉, 감각/직

역은 자연계나 인문계와 같이 상 의 구분보다는 세부 공과 같은 하 의 계열 구

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시각 선호를 80%이상 보이는 공은 환경건설(89.1%), 자공학(89.1%), 산

업정보(86.7%), 기계공학(83.3%), 자연과학(83.3%), e-비즈니스학(81.5%), 정보컴퓨터(80.9%),

간호학(80.3%), 경 학(80.0%)으로 나타났고, 언어 선호를 40%이상 보이는 공은 국제학

(44.9%), 사회과학(42.9%)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자연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

들에 비해 시각 학습양식을 선호한다는 고 남(2005)의 연구, 그리고 문 창작학과가 언

어 양식을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는 이태종(2004)의 연구와 유사하다. 한, 멕시

코의 기계공학과 학생들을 상으로 연구한 결과에서도 85%가 시각 선호를 보 고

(Franzoni & Assar, 2009), 국과 남아 리카의 회계학과 학생 735명을 상으로 연구한

McChley와 Visser(2009)의 연구에서도 언어 선호를 보이는 학생들은 10% 정도에 불과했

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도 국제학, 사회과학과 같은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상 으로 시각

선호보다는 언어 선호를 더 많이 보 다. 그러므로 시각/언어 역의 경우, 인문사회

계열이라는 상 구분과 세부 공계열의 차이를 동시에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328

명의 일본 학생들을 상으로 연구한 Goda(2010)의 경우, 79.4%의 학생들이 언어 선호

를 보이고 있다는 은 이 연구 여러 선행연구들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는

Goda(2010)의 연구결과가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을 상으로 했을 가능성이 있고, 그 지 않

다면 문화 환경의 차이나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한 차이일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시각/언어 역의 경우, 집단별 차이를 보이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해 더 자세히 조

사할 필요가 있다.

연구 집단의 학습양식 차이는 연령, 성별, 공 등 다양한 요인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여러 연구에서 연령, 성별, 공 등 다양한 요인이 학습양식을 집단화 하는 변수

로 가정하고 이에 한 차이검증을 실시하 다. 이태종(2004)의 경우, 연령별 차이에 해

Page 17: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67 -

서는 학생의 학년별 차이를 검증하 는데, 4학년 학생들이 감각 선호를 보인다고 보고

하고 있으며, 권두승과 이경아(2004)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언어 선호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McChelry와 Visser(2009)는 국과 남아 리카의 학생 735명을

상으로 연구한 결과, 국과 남아 리카 학생들 모두 직 보다는 감각을 선호하고, 언어

보다는 시각을 선호한다고 보고하지만,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는 통계 으

로 유의하지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역은 감각/직 , 시각/언어 부분으로 나 어지는데, 감각/

직 의 경우, 이태종(2004)의 연구와 권두승과 이경아(2004)의 연구결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고, 고 남(2005)의 연구에서는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감각/직 에 한 성별차이를 일반화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시각/언어 역에서는 여성이 언어를 선호하고, 남성이 시각을 선호한다는 비교 일

인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어 일반화할 가능성도 갖고 있지만(고 남, 2005; 권두승, 이경아,

2004; 이태종, 2004), Jenkins와 Holley(1991)나 McChelry와 Visser(2009)는 학습양식을 성별

로 일반화하는 것은 어렵다고 지 하고 있다. 이에 비해 공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공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가 의미가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를 가정해

볼 수 있다. 첫째, 공 특성이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별다른 특성이 없는 학생들이 반복되는 일정한 패턴의 학습을 하다보면, 그런 패턴에 익숙

한 학습양식을 갖게 될 수 있다는 가정이다. 둘째, 반 로 공 특성에 합한 학습양식

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해당 공에 입학하 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즉, 이미 일정한 학

습양식을 갖고 있는 학생들이 자신에게 익숙한 형태의 학습 패턴을 갖고 있는 공을 선

택할 수 있다는 가정이다.

공 특성이 학습양식에 향을 주는지, 아니면 일정한 학습양식을 갖고 있는 학생들

이 선호하는 공 특성이 있는지에 해서는 추후 더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가 어떠하든, 개개의 공 역에서 더 많이 요구되는 학습의 형태가 있고, 이런

특성과 학생들의 학습양식이 유사할 때, 학생들은 학습을 하는데 어려움을 더 게 겪을

것임은 틀림없다. 그러므로 각 세부 공에서는 공별 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는 형태로 제공하는 일이 필요하며, 이런 연구는 보다 정교화하여 추후에 계

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수유형이 강의식(68.1%)이라는 이다. 이런 결과는

고등학교 교사들을 상으로 조사한 유정아(2010)의 연구와 일치한다. 그는 고등학교

Page 18: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68 -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고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유형이 강의식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즉,

재 학생이 된 학생들은 고등학교 시 을 거치면서 강의식 수업에 가장 많이 노출되

었을 가능성이 있고, 이 게 강의식 수업을 가장 많이 하면서 강의식 수업에 익숙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에 해서는 의학교육에서 많이 용하고 있는 PBL(Problem

Based Learning)의 용이 아시아계 학생들에게 합한지에 한 논란이 있는 것과 비교하

여 생각해 볼 수 있다. PBL은 로젝트 식과 유사한 수업유형으로, 교사주도의 강의식

과는 달리 문제 심의 학습방법으로 의학교육에서 꾸 히 시도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

방법이 아시아계 학생들에게 유용하지 않은 방법이라고 논란을 하고 있으며, 그것은 학생

들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를 활용할 기회를 많이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에게 문

제가 있는 것이라고 지 하고 있다(Sim etl., 2011). 즉, 학생들은 많이 해본 교수유형에

익숙하고, 선호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A 학교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수유형이 자신들이 가장 많이 해 본 강의식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런 논의에 해서는 학 교수들이 많이 사용하는 교수유형에 한 조사가 추가되어

이런 논증에 한 증거를 더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학교수들 한, 강의식 수업에 익숙해

있고, 자신이 하는 부분의 강의를 강의식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다. 혹은, 학교수들은

토론식이나 로젝트 식을 선호하여, 이를 활용하여 강의계획을 하지만, 학생들의 경우

이런 교수 유형보다 강의식 수업을 더 선호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가 어떠하든, 교수자

들이 원하는 교수유형과 학습자들이 원하는 교수유형에 한 을 찾을 필요가 있고, 효

과 인 달을 해, 어떤 방식의 교수유형을 용할 것인지에 한 추후 연구가 더 필요

하다.

셋째, 감각 학습자의 교수유형 선호도가 다른 역에 비해 변별 으로 나타났다는

이다. 감각/직 유형은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확연한 차이를 보 는데, 제시된 다섯 가지

의 교수유형 네 개 교수유형(강의식, 토론식, 로젝트식, 실험실습)에서 선호를 보

다. A 학의 경우 감각형의 학습자들이 체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인터넷 혼합

수업을 제외한 모든 교수 유형에 선호를 보이는 것은 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교수유형에

많은 학생들이(70%이상) 선호를 보인다는 측면에서, 일종의 정 평가를 할 수 있다.

한 편, 소수로 분류된 직 형의 경우, 부분의 교수유형에 해 선호도가 감각형보다

낮게 나타났다. 직 형의 경우, 조용한 사색과 투사하는 능력을 통해, 갑자기 깨달게 되는

‘통찰’의 경험으로 학습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부분의 학강의는 이런 깊숙한 깨달음

보다는 감각 인 정보를 통해 학습내용을 익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직 형의 학습자

에 비해 감각형의 학습자들은 재 학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강의식, 토론식, 로

Page 19: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69 -

젝트 식, 실험실습 식의 교수 유형에 더 익숙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재 한국 학에서 가르치고 있는 학습내용과 달 방법에 해 생각해

보게 한다. 학이라는 곳은 학문의 당으로 일정한 학문분야의 문가들이 있어서 그 일

정한 학문분야를 연구하고 탐구해 보고자 하는 많은 학생들이 상호작용하면서 학문을 발

시키는 곳이다. 이 게 상호작용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강의식, 토론식, 로젝

트 식, 실험실습 등은 모두 실제 인 행동이나 활동을 통해 학문을 탐구하게 된다.

이에 비해 학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학문탐구의 형태가 깊은 성찰을 하거나, 오래도록

한가지만을 집 하고 몰입하여 생각하거나, 침묵이나 명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내용도 있

다. 세계 으로 유명한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는 학들은 학교 안에 사색을 할 수 있는

산책로나 숲을 만들어서 학문을 탐구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내면 안으로 깊이 들어가서 무

언가를 깨달을 수 있는 ‘통찰’의 경험을 하도록 한다. 혹은, 학문에 한 ‘성찰’을 얻도록

하기 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여 학생들이 진정한 지식을 스스로 찾아내도록 하기도

한다. ‘성찰’, ‘사색’, ‘몰입’, ‘침묵’, ‘명상’ 등의 방법은 직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방법이

다. 이런 방법들은 조용하지만,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는 무언가 폭발 인 사고의 발

과 학문의 도약을 기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에서 강의를 진행할 때 교수자들은 직

학습자들을 한 다양한 방법을 용하여 지 과는 다른 학습 성과를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로젝트 식 교수유형을 선호하는 학습양식 유형이 분명히 구분된다는 이다.

극, 감각, 총체형은 숙고, 직 , 순차형에 비해 로젝트 식 교수유형을 선호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로젝트식이라는 것은 수동 으로 학습을 하는 형태가 아니다. 종합 인

사고능력, 발표능력, 동능력, 인 계 등 포 인 능력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숙고형 보

다는 극형이, 직 형보다는 감각형이, 순차형보다는 총체형이 로젝트식 교수유형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A 학 학생들의 경우 로젝트식 교수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체의 20% 정도밖

에 되지 않는다. 이들 , 극형, 감각형, 총체형인 학생들은 로젝트식의 수업이 진행

될 경우, 그 로젝트를 주도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선호 교수유형과의 계를 조사하는 연구로 실제 으

로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는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

구 상으로 한국의 1개 학 학생을 상으로 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추후에

는 국가별 비교를 통해 학습양식에 차이가 있는 밝히는 일도 필요하다. 한, 학의

공에 따른 학습양식을 조사하고, 그에 한 한 교수유형을 탐색하는 일도 필요하다.

Page 20: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70 -

▣ 참 고 문 헌 ▣

강신천, 박혜진(2006).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지원 시스템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향. 열린

교육연구, 14(2), 101-122.

고 남(2005). 학생의 학습양식에 따른 학업성취 진로결정수 의 계. 열린교육연구, 13(3),

215-234.

권두승, 이경아(2004). 학 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습양식에 한 연구. 평생교육연구, 10(2), 25-48.

김은정(2000). 학습양식의 유형 구성요소와 교육과정과의 계에 한 연구. 박사학 청구논문.

연세 학교.

박 (1999). 학습 략과 학습스타일: 인문계 공자와 이공계 공자간의 비교 분석. Foreign

Languages Education, 6, 271-296.

서미옥(2004). 학생의 성별과 공계열에 따른 학습양식 다섯 가지(Big Five) 성격특성과 학습

양식의 계. 교육심리연구, 18(4), 65-82.

유정아(2010). 교수방법, 교수매체, 교수능력개발에 한 고등학교 교원의 인식분석. 한국교원교육

연구, 27(2), 179-203.

이경랑(2008). 어 학습 략과 스타일에 한 오해와 실제. 어학, 8(4), 501-522.

이용교(1998). 경 학 공자의 학습스타일상의 특성과 수업방법. 경 교육연구, 2(1), 105-128.

이태종(2004). 학습양식에 입각한 교수-학습 방법. 창의력개발연구, 7, 89-105.

임경희(2006). 비교사의 성격, 학습양식, 수업선호 지향하는 수업양식의 구조 계. 등교육

연구, 19(1), 81-104.

정 숙(2001). 학습자의 성별과 공분야가 학습스타일에 미치는 향. 언어와 언어교육, 16, 47-65.

포항공과 학교 학교육개발센터(2000). 강의안내서. 포항공과 학교.

허경조(2010). 이해를 한 강의식 수업행동들의 분류.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97-120.

Brown, S. C., Adkins, D., & Tasi, H.(2005). LIS student learning styles and web-based instruction

methods. Journal of Library & Information Services In Distance Learning, 2(1), 5-26.

Ebru, Ö., & Gözde, B. A.(2009). Automatic detection of learning styles for an e-learning system.

Computer & Education, 53, 355-367.

Felder, R. M., & Brent, R.(2005). Understanding student differenc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4(1), 57-72.

Felder, R. M., Silverman, L. K.(1988). Learning and teaching styles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78(7), 674-681.

Felder, R. M., & Solomon, B. A.(2007). Index of learning styles. Retrieved January 24, 2007, from

http://www.engr.ncsu.edu/learningstyles/ilsweb.html.

Felder, R. M., & Spurlin, J.(2005). Applic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dex of learning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1(1), 103-112.

Filippidis, S. K., & Tsoukalas, I. A.(2009). On the use of adaptive instructional images based on

Page 21: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 71 -

the sequential-global dimension of the Felder-Silverman learning style theory.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17(2), 135-150.

Franzoni, A. L., & Assar, S.(2009). Student learning styles adaptation method based on teaching

strategies and electronic media.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2(4), 15-29.

Goda, Y.(2010). Effects of learning styles on e-learning course comple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In Proceeding of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Media in Education 2010, 245-248.

Jenkins, E. K., and Holley, J. H.(1991).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the prospective accountant: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Woman CPA, 53, 46-49.

Kolb, d. A.(1984). Experiential learning-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McChlery, S., & Visser, S.(2009).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arning styles of accounting

students in the United Kingdom and South Africa. Research in Post-compulsory Education,

14(3), 299-315.

Rogers, J. W., & Cox, J. R.(2008). Evaluation a new online course in the epidemiology of

infectious diseases by studying student learning styl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7(3), 29-33.

Sim, D., Patil, N. G., Rehatta, N. M., Kwan, C.(2011). PBL is not suitable for Asian student.

from http://amea2011.imu.edu.my/programmes.asp

Van Zwanenberg, N., Wilkinson, l. J., & Anderson, A.(2000). Felder and Silverman's index of

learning styles and Honey and Mumford's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How do they

compare and do they predict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Psychology, 20(3), 365-380.

Page 22: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ksste.nflint.com/data/file/ksste02_02/3024451085... · 심사(11.06.10). 수정완료(11.06.28) ... 차원 학습 양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 72 -

ABSTRACT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 and Teaching

Method Preference

Yoo, Jung-Ah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in educational

method preference and students' learning style. For this purpose, 90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tool is Felder and Solomon's ILS(Index of Learning Style

Questionnaire; from http://www.engr.ncsu.edu/learningstyles/ilsweb.html), and the analysis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Chi-square distribution, ANOVA, and

Tukey distribu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learning style analysis is that

frequency of visual(76.0%) and sensing(70.0%) style are very high, and reflective(58.1%) and

global(55.0%) style are some high. But, it is different from their major. 2) The result of

preference of teaching method is that frequency of lecture(over 60%) is very high, the

frequency of discussion is 30%, team project is 20%, experiment and simulation is 20%, and

on-line or blended method is less than 20%. 3)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d between preference of teaching method and students'

learning style. The reflective and sensing style prefer to lecture method otherwise, active,

intuitive, and global style prefer to team project method. And, sensing style prefer to

discussion method, sensing and visual style prefer to experiment and simulation method.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arning style and on-line or

blended metho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1) Students' learning

style is an important element when the university faculties decide their teaching method. 2)

Students's learning style is different from their major, and it is needed that teaching method

is more elaborated by their major.

Key Words : Learning Style, Teaching Method, Felder-Solomon ILS(Index of Learning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