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포영화 장화홍련연구

10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Upload: sunghyun-kim

Post on 29-Jul-2015

138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TRANSCRIPT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석 사 학 논 문

지도교수 박 장 순

화 <장화,홍련>의 공포 표 에

한 연구

- 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심으로 -

A StudyontheExpressionofFearintheFilm

<A TaleofTwoSisters>

-FocusingonthetheoryofJuliaKristeva-

홍익 학교 상 학원

로덕션디자인 공

김 해 미

2010년 6월 30일

화 <장화,홍련>의 공포 표 에

한 연구

- 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심으로 -

이 논문을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2010년 6월 30일

홍익 학교 상 학원

로덕션디자인 공

김 해 미

김해미의 석사학 논문을 추천함

2010년 6월 30일

지도교수 박 장 순

홍익 학교 상 학원

김해미의 석사학 논문을 인 함

심 사 원

심사 원장 김 종 국 (인)

심사 원 박 장 순 (인)

심사 원 신 항 식 (인)

홍익 학교 상 학원

- i -

국 문 록

화는 시 의 이미지와 개념의 변화에 따라 그것을 반 하는 훌륭한 시각 도

구이다. 객에게 연출의 의도와 생각을 공감시키는 매체인 화는 사회의

사람들에게 많은 부분을 소통의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화는 모든 것이 시

각화되고 표 되어짐으로써 객의 감성을 유발하고 세부 인 역까지 머리 속

에 각인되어진다는 에서 기쁨,분노,슬픔과 같은 인간의 일차 인 정서 하

나인 공포를 심으로 만들어진 공포 화에 주목하 다.

본 연구는 한국공포 화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포의 이미지에 을 맞

추어 공포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 유발 요인과 용

시켜 고찰하 다. 화란 다양한 술 에서도 인간의 욕구와 사회,문화 분

기 미 ,도덕 가치와 규범을 가장 빠르고 직 으로 반 하는 시각

도구이기 때문에 한국공포 화에서 나타나는 공포의 이미지를 살펴보는 것

은 이 시 의 공포에 한 인식과 그 표 양상을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용이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 은 2003년 개 한 공포 화로서 한국에서 최고의 흥행기록을

가진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공포의 표 특징은 어떠한 것이고,보편 으

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1998년 이후 새롭게 등장한 한국공포

화가 꾸 히 제작되는 상에 주목하면서 다양한 소재와 형식으로 새로운 장

르 화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최근 한국공포 화의 유형이 리아 크리스테

바의 공포 유발 요인에 한 설명을 토 로 연 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검증함으

로써 최근 한국공포 화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문화

의미를 찾기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최근 가족의 공포를 표 한 한국공포 화에서 모성의 의미는 어떻게 나타나고

- ii -

있는가이다.

이에 따라 연구방법은 사회에서의 공포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크리스

테바의 공포에 한 이론과 표 양상을 살펴본다.그리고 크리스테바의 이론에

따른 공포의 표 이 한국공포 화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고찰한다.

결과 으로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 이론을 통해 가족의 공포를 표 한 한

국공포 화를 모성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주인공 수미의 심리상태로서 우울증과

멜랑콜리 인 요소를 찾을 수 있었으며,이에 비롯된 분열된 자아로서의 은주와

쇼즈인 수연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다양한 색채 비의 모호한 경계는 시각

공포를 표 한다. 한 시각 공포로 비체로서의 원귀와 애 젝트인 시체,생리

,피,구토, 물 등이 나타난다.공포 화에 등장인물과 공간은 재의 시 정

신이 반 되어 정서 으로 불안한 모습을 지닌다.그럼으로 코라는 <장화,홍

련>에서 모성 공간인 집을 통해 상징 표 을 하고 있다.두 자매와 은주,아

버지의 경계를 보이는 계단과 가족들이 서로 다투게 하는 주방,개인 인 모습을

표 하는 침 ,엄마가 자살하고 수연이 사고로 죽었던 옷장이 소통의 부재와 공

포를 상징하며,이는 코라 공간으로 설명 할 수 있다.두 자매가 발을 담그고 놀

았던 호수는 수미의 마음의 거울로서 우울증과 멜랑콜리가 치유되길 바라는 그

녀의 무의식이며,수미의 악몽에서 보이는 숲과 엄마의 단편 인 이미지,엄마의

기억을 찾아가는 숲은 그녀의 어두운 세계를 암시한다.본 논문을 통해 최근 개

한 공포 화들의 개념과 상을 한정했으며,2003년 개 한 한국 공포 화로서

최고의 흥행기록을 가진 <장화,홍련>에서 공포의 표 특징을 살펴보았다.심

리 공포 표 으로 주인공의 우울증과 멜랑콜리,시각 공포 표 으로 애 젝

트,그리고 상징 공포 표 으로 코라 공간이 나타난다.이를 리아 크리스테

바의 공포 이론으로 분석하여 학문 으로 검증하 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연

출의 의도와 주제를 화에서 효과 으로 표 할 수 있도록 제안할 수 있을 것

이다.

- iii -

목 차

국문 록···························································································································ⅰ

목차·····································································································································ⅲ

그림 목차·························································································································ⅵ

표 목차······························································································································ⅶ

제 1장 서론 ··············································································································1

1.연구배경 목 ···························································································1

2.연구 상 방법···························································································3

3.연구문제···············································································································5

제 2장 이론 배경 ···························································································7

1.공포의 정의·······································································································7

2.공포의 원인·····································································································11

3.공포에 의한 반응·························································································14

제 3장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와 한국공포 화 ············17

1.우울증과 멜랑콜리·······················································································17

2.애 젝트············································································································23

3.코라······················································································································30

- iv -

4.한국공포 화···································································································35

제 4장 화 <장화,홍련>의 공포 표 ······································39

1. 화 <장화,홍련>소개··········································································39

2.심리 공포 :우울증과 멜랑콜리(Melancholy)··························46

1)주인공 수미의 심리상태와 원인··························································46

2)분열된 자아,수미와 은주······································································48

3)수미의 쇼즈(Chose,잃어버린 상)수연·······································49

3.시각 공포 :애 젝트(Abject)··························································51

1)색채의 비·································································································51

2)비체(卑體,Abject)로서의 원귀····························································54

3)시체,피, 물·····························································································57

4.상징 공포 :코라(Chora)·····································································60

1)모성 공간의 집······················································································60

(1)경계를 나 는 계단··········································································61

(2)가족들이 모이는 주방·····································································62

(3)개인 인 침 ·····················································································64

(4)엄마가 자살한 옷장··········································································65

2)마음의 거울,호수·····················································································66

3)무의식의 숲·································································································69

제 5장 결론 ···········································································································72

- v -

1.연구결과 요약································································································72

2.연구의 한계 향후 과제······································································77

참고문헌························································································································80

ABSTRACT··············································································································86

- vi -

그 림 목 차

<그림 1>연구모형········································································································6

<그림 2>Maslow의 욕구 계론···········································································10

<그림 3> 화 <장화,홍련>의 서사구조························································43

<그림 4>정신병원에서 상담하는 수미······························································46

<그림 5>시간을 맞추는 수미···············································································47

<그림 6> 같은 다이어리와 옷들·······································································47

<그림 7>분열된 자아,은주와 수미···································································49

<그림 8>수연을 보호하는 수미···········································································50

<그림 9>분리된 자아 은주가 수미를 죽이는 장면···································51

<그림 10>수연과 수미의 의상·············································································52

<그림 11>배경과 비를 이루는 은주의 의상··············································52

<그림 12>목이 꺾여 생리 을 흘리는 원귀·················································54

<그림 13>싱크 ,수연의 원귀······································································55

<그림 14>비체 표 의 원귀 손···········································································56

<그림 15>옷장에서 나오는 원귀·········································································56

<그림 16>냉장고 안의 썩은 생선·······································································57

<그림 17>수미의 악몽·····························································································58

<그림 18>미희의 구토 장면··················································································58

<그림 19> 물 흘리는 수연,수미,엄마·························································59

<그림 20>수미의 집·································································································60

<그림 21>계단에 앉아있는 수연·········································································61

- vii -

<그림 22>방문을 여는 손······················································································62

<그림 23>문 앞의 검은 석고상···········································································62

<그림 24>수미의 가족 식사··················································································62

<그림 25>다투는 은주와 수미·············································································63

<그림 26>잠을 설치는 은주··················································································64

<그림 27>수연의 옷장·····························································································65

<그림 28>계모 은주가 수연을 옷장에 가두고 괴롭히는 장면················66

<그림 29> 수지 선착장 수미와 수연······························································67

<그림 30>원래 혼자 던 수미·············································································69

<그림 31>수미의 꿈에서 보이는 숲··································································69

<그림 32>숲의 길을 걷는 수미···········································································70

표 목 차

<표 1>연도별 한국공포 화와 서울 객 수 2000∼2009년····················40

<표 2> 화 <장화,홍련>의 등장인물 개요··················································42

<표 3> 리아 크리스테바와 화 <장화,홍련>의 공포 표 ···············75

- 1 -

제 1장 서론

1.연구배경 목

화는 그 시 의 념과 문화에 따라 변모하여 발 해왔다. 화의

성이라는 특성 하에 사람들과 한 련을 맺고 있으며, 매체로

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화는 그 궁극 기능을 월한 술의

한 형태로 평가받고 있다.모든 술 작품에는 그것이 상업 목 이거나

혹은 순수 술로서의 작품이건 간에 그 시 의 고유한 양식과 작가의 주

개념이 반 되어 나타나게 된다. 화는 사회 문화 인 의미,사람들

의 근 에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서들인 고통,슬픔,기쁨 등을 이야기 주

제로 하고 있다. 화는 그 시 의 이미지와 개념들의 변화에 따라 그것

들을 반 하는 훌륭한 시각 도구로서 객에게 연출의 의도와 그의 생각

을 공감시키는 매체이다.그럼으로 사회에서 화는 사람들에게 많은

부분을 소통의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화는 모든 것이 시각화되고

표 되어짐으로써 객의 감성을 유발하고 세부 인 역까지 머리 속에

각인되어진다는 에서 기쁨,분노,슬픔과 같은 인간의 일차 인 정서

하나인 공포를 심으로 만들어진 공포 화에 주목하 다.

공포의 표 은 사회의 인간성 상실과 세기말에 따른 심리 불안

감으로 인해 오늘날 더욱 활발하게 문학,회화,조각,사진,패션 등의

술 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화, 고와 같은 매체에 이르기

까지 확 되어 표 되고 있다.그 다면 우리는 왜 공포 화를 즐기는 것

- 2 -

일까,사회 기능으로써의 공포 화는 여러 가지로 분석되고 있다.공포

화는 동 의 양면과 같이 명 이면서도 보수 인 특징이 있다.사회

으로 억 린 감정이나 욕구 등을 공포 화를 통해 집단 으로 해결하여

리만족을 느끼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미리 방하게 하는

안 역할을 한다.즉 사회 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그러

나 이러한 사회 인 기능은 차치하고라도 어떠한 상의 결과를 이해하기

해서는 그 결과의 근본 인 원인을 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

다.따라서 필자는 우리가 공포 화를 찾고 즐기는 근원을 알아보기

해 공포 화의 핵심요소인 ‘공포’(horror)의 근본 원인을 살펴보고 이

를 공포 화와 목시키는 작업을 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의 목 은 2003년 개 한 한국에서 공포 화로서 최고의 흥행기

록을 가진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공포의 표 특징은 어떠한 것이

고,보편 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1998년 이후 새롭

게 등장한 한국 공포 화가 꾸 히 제작되는 상에 주목하면서 다양한

소재와 형식으로 새로운 장르 화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최근 한국공

포 화의 유형이 리아 크리스테바1)의 공포 유발 요인에 한 설명을

토 로 연 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최근 한국공포 화가 어

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문화 의미를 찾기 한 것

1) 리아 크리스테바 JuliaKristeva(1941∼)는 기호학자,소설가,정신분석가,문학 비평가

로서 재 랑스를 표하는 지성인 의 한 사람으로 주목받고 있다.소피아 학에서

불문학을 공하 고,1965년 리에서 문학박사,정신분석 자격증을 취득하 다. 랑스

의 문학 계간지 텔 지 그룹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언어학,문학이론을 기호 체계와 정

신분석의 에서 해석하는 기호분석론 연구를 시작하 다.이 과정에서 랑스의 표

석학인 뱅 니스트,골드만,롤랑 바르트,라캉 등의 지도를 받았다.크리스테바는 국

제 기호학회 회장을 역임하 으며, 재는 리 7 학 텍스트 자료학과 교수 정신분

석의이다.

- 3 -

이다.

2.연구 상 방법

본 연구의 상으로 2003년 개 한 화 <장화,홍련>은 314만 명의

객동원을 기록하면서 ‘공포 화로 300만 객 동원도 가능하다’는 인식

을 확립시켰다.특히 <장화,홍련>은 우리나라 공포 화가 번번이 질러

온 ‘반 을 한 반 ’이라는 억지에서 비롯된 실수를 보이지 않았던 화

로 많은 객들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왔다. 한 ‘공포미술이란 이런

것’임을 과시하기라도 하듯,사건이 일어나는 공간마다 최 한의 효과를

거둘 만한 디자인과 조명으로 한껏 공포감을 높여 좋은 이스를 선보

인 화 다.이후 많은 공포 스릴러 화들이 그 디테일을 차용하는 등

<장화,홍련>의 장르 가치를 입증하기도 했다.2)

연구의 방법으로 공포에 한 여러 이론 가운데 정신분석학자이자 기호

학자인 리아 크리스테바는 인간의 공포 정서에 해서 모성이라는 존재

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그녀는 인간의 잔혹하고 오스러운 것에 한

탐닉과 욕구는 모성이라는 존재가 여성 자신을 스스로 오스럽고 공포

인 존재로 치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설명한다.크리스테바의 공포유발

요인에 핵심이 되는 것은 인간의 우울증과 멜랑콜리,애 젝트,코라 등의

개념들을 통해 이론을 구체화 시키고 있는데,이들은 모두 모성과 련되

어 있다.크리스테바 사상의 특징이,외형 인 것,즉 겉으로 드러나는 것

2)이민호,<한국공포 화 산업의 변화와 향후 발 가능성 : 화 <아랑> 제작시스템을

심으로>,동국 학교 석사논문,2008,p.4.

- 4 -

을 남성 인 것으로 보고 그보다 근본 인 것을 여성 인 것으로 본다는

에서 동양의 음양사상과 상당히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한 실 인

면을 반 한다는 에서 매우 요한 의미를 지닌다.3)

정서심리학에 의존하여 화를 분석하는 입장은 공포가 주는 섬뜩한 즐

거움의 본질이 개인 ,사회 의미와 그 무의식을 악하는 데 요한

지침이 된다고 보는 입장이 나아가 공포와 연결된 논제를 풍부하게 만드

는 요소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한국공포 화에서 가장 에 띄는 소재

는 가족 내의 비극과 여성 인 욕망으로 화 <장화,홍련>에서 두드러

지게 보여 지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공포의 개념과 특성을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그 시 의 사회,문화 향을 동시에 수용하여 표 해내는 국

내 공포 화를 통하여 표 된 것을 심으로 화 <장화,홍련>을 살펴

보고,이러한 공포의 특성을 크리스테바의 모성에 한 공포 이론과 목

시켜,오늘날 화에 나타난 공포의 표 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 문헌 연구와 내용분석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미학 련 서 과 학

술 논문,학술 잡지 등을 참고하여 사회 안에서의 공포에 한 술

의의와 미 가치, 사회에서의 공포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크

리스테바의 공포에 한 이론과 표 양상을 살펴본다.크리스테바의 이

론에 따른 공포의 표 이 한국공포 화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양상

을 범주화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3)김인환,《 랑스 문학과 여성》 (서울:이화여자 학교출 부,2003),p.366.

- 5 -

3.연구문제

본 연구는 가족 내의 갈등으로 인한 여성의 무의식 억압과 욕망을 표

한 새로운 장르 화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최근 한국공포 화의 유

형으로 화 <장화,홍련>의 가치를 연구하고 의의를 찾는데 목 이 있

다. 화 <장화,홍련>에 나타나는 공포의 표 특징은 어떠한 것이고,

보편 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따라서 사회에

서의 공포의 정의와 원인,공포에 의한 반응을 밝히고 장르로서 공포 화

의 개념과 의미,특징을 고찰하며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에 한 이론

으로 모성과 련된 우울증과 멜랑콜리,애 젝트,코라의 표 양상을 살

펴본다.그리고 크리스테바의 공포유발요인에 따른 공포의 표 이 한국공

포 화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고찰한다.

그리하여 화 <장화,홍련>의 작품성을 바탕으로 공포의 표 이 심리

공포,시각 공포,상징 공포로서 어떻게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

유발 요인인 우울증과 멜랑콜리,애 젝트,코라와 연 성이 있는지 분석

하고 검증함으로써 최근 한국공포 화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문화 의미를 찾기 한 것이다.

의 연구 목 에 한 해답을 찾기 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제

시한다.최근 가족의 공포를 표 한 한국공포 화에서 모성의 의미는 어

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이다.

- 6 -

본 연구를 한 연구모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연구모형

- 7 -

제 2장 이론 배경

1.공포의 정의

공포는 기쁨,분노,슬픔과 함께 일차 인 정서 의 하나로 고려되며

의식 으로 인지된 특수한 험에 한 회피정서를 의미한다.사 의

미로 공포는 ‘괴로운 사태가 다가옴을 기할 때나 실 으로 다가왔을

때 일어나는 불쾌한 감정을 바탕으로 한 정서 반응’이다.4)이는 흔히

두려움,불안,겁,근심,걱정 등의 용어와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며 그 반

인 말로는 담 함,용기,평안 등의 용어가 쓰인다.공포 는 두려움

의 뜻을 성서 측면에서 살펴보면 그 어원이 헬라어5)에 있으며 포보스,

데일리아,율라베이야 등의 단어가 있다.포보스는 ‘신성한 존재로 인하여

야기되는 것’이라는 의미가 강하다가 후에 ‘도망가게 하는 것’이라는 의미

가 강해진 말로써 두려움,공포,불안이라는 뜻과 어울려,존경심이 가득

한 두려움(특히 신에 한)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이 게 어원상으로

볼 때는 성서 측면에서 신에 한 두려움은 있어야 할 두려움으로 큰

비 을 차지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6)

4)네이버 백과사 공포[恐怖,fear]

5)헬라어 :그리스어는 네덜란드의 인문학자이자 신약성서 번역자인 에라스무스를 기

으로 고 그리스어와 그리스어로 나 다.고 그리스어는 악센트와 방 을

으며,문법이나 단어 사용이 그리스어와 다르다.고 그리스인들은 스스로를 ‘헬

라스’라 불 기 때문에 고 그리스어를 헬라스어라고도 하는데,한국어권에서는 신약

성서를 쓴 언어를 헬라어,엄 하게 말하면 평민계 이 사용한 코이네라고 부른다.

6)윤장원,<공포게임에서 유희 공포요소와 이어의 반응에 한 연구>,숭실 학교

박사논문,2008,pp.8-9.

- 8 -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의 DSM-IV

(DiagnosticandStatisticalManualofMentalDisorders-4thedition)에

의하면 공포와 불안은 험에 한 정서 반응으로서 신체 감각인 몸

을 떠는 것,땀이 나는 것,맥박이 빨리 뛰는 것 등을 동반한다는 에서

거의 유사한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그러나 공포와 불안을 구분해서 보

자면,공포는 임박하고 구체 인 험에 한 반응이며 특정한 상황이나

사건과 연합된 강하고 불합리한 공포증(phobia)이다.일반 으로 개인이

경험하는 공포는 공포를 일으킨 상황이나 사건을 회피함으로써 공포를

속시킨다고 할 수 있다.반면에 불안은 모호하고 막연한 험에 한 반

응으로 불편함,걱정,두려움 등을 수반하며 불안을 야기하는 상물을 찾

을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다시 말하면 공포는 두려움을 일으키는 외부

자극,즉 장소,사람,상황, 상물이 있으며 그로 인해 재의 험에

한 반응으로 나타난다.그러나 불안은 두려움을 일으키는 구체 인 자극

이 없으며 개 견 혹은 상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직면한

험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반응이 공포라면,두려움에 합하지 않는 반

응으로 나타나는 것은 불안이라 할 수 있다.공포의 경우 험은 명료하

고 객 이지만,불안은 험이 숨겨져 있고 주 인 것이다.7)즉 공포

는 특수한 자극으로 인해 유발되는 부정 인 정서반응이며 인 상

의 이 분명한 것을 말한다.

심리학자들은 일반 으로 공포의 두 가지 형태를 불안과 공포증으로 구

별한다.공포와 불안은 모두 개체가 어떤 인 상황을 래할 수 있

는 힘이나 능력의 부족을 인식할 때 일어나는 동요사태를 나타내고,유사

7)정명화,《정서와 교육》 (서울:학지사,2005),pp.208-209.

- 9 -

한 생리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어떤 에서 이 용어들의 혼용은 가능

할 수 있다.이 게 공포는 지각한 에 한 정서 반응이기 때문에

그것은 험에 직면하는 개인을 변화시킴으로써 방어 생존기능을 제공

한다.8)심리학에서는 공포를 단순공포증,9) 장공포증,10)사회공포증11)으

로 분류한다.12)이러한 공포증들은 특별한 이 없는 상황 하에서도 참

을 수 없는 공포를 느끼는 상태로,설명할 수도 없고 합리 이지도 않으

며,자신의 통제 밖에 있고 상황에 한 회피행동을 유발하는 것13)을 의

미한다.그 지만 정상인들은 의 동기가 주어지게 되면 공포를 느끼

게 된다고 한다. 와 같이 개인의 책임과 업 을 강조하는 경쟁사회에

서는 끊임없는 사회심리학 요인과 성격요인으로 스트 스와 강박감을

갖게 된다.이러한 성격 요인이나 스트 스 상황에서 부분의 사람들이

불안과 긴장을 느끼며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상황에서 불안을 느낄 경우에

만 비정상 으로 간주 된다.14)정상인에게서 볼 수 있는 이러한 감정은

인간의 행동을 진하는 요한 힘 의 하나이며 험한 상황에 한 반

응을 일으켜서 개인 자신을 보호해주는 것이라고 배퀸은 말한다.15)

그림 2에서와 같이 Maslow의 욕구 계론에 의하면 인간의 안 욕구는

8)송지호,<입원아동의 주사공포감소를 한 필름모델기법 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측

정>,이화여자 학교 박사논문,1991,p.25.

9)특정상황(어둠 속에 있게 되는 것과 같은)혹은 특정 상(뱀과 같은)에 향한 공포

증.(CharlesG.Morris694쪽)

10)혼자 있는 것에 한 과도한 두려움,심한 사례에서는,집을 떠나는 것 개방된 장

소에 한 과도한 두려움.(CharlesG.Morris694쪽)

11)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에 한 두려움을 심으로 한 공포증.(CharlesG.Morris

694쪽)

12)CharlesG.Morris,장동환,김 채,손정락 공역,《Psychology:AnIntroduction》

(서울:박 사,2000),pp.693-694.

13)김지훈,《특정공포증》(서울:학지사,2003),p.21.

14)양애경,<공포소설이란 무엇인가>,《한국문 비평연구》,5권,1999,p.183.

15)양애경, 의 논문,p.179.

- 10 -

<그림 2>Maslow의 욕구 계론

신체 ,정신 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욕구로 생리 욕구 다

음으로 치하는 기본 욕구이다.16)가벼운 공포반응은 정상 이고 응

인 것으로 보여 지며,큰 험에 닥칠 때 주의를 하게 해 다.그러나

공포가 강하거나 계속 일 때 부 응이 오며 정상 인 신체 ,사회 ,지

기능을 해한다.17)공포는 구체 이고 갑작스러움 험에 한 반응

으로 인간의 감정에서 요한 치를 차지한다. 한 공포는 외부 혹은

내부의( 를 들어 상상의 혹은 객 성 없이)사건에 의해 야기되는 걱정,

불확실성,불안 ,그리고 인지된 험의 상태로서18)우리는 살아있는 동

안 여러 가지 형태의 공포를 경험하게 된다.인간에게는 무의식 상태 속

16)Maslow의 욕구 계론에 따르면,욕구(혹은 동기)는 타고난 것으로서 그 강도와 우선

순 에 따라 계 으로 배열할 수 있다고 한다.그러므로 의 그림에서 보듯이 제일

하 의 생리 욕구,안 의 욕구,소속감과 사랑의 욕구,자존감의 욕구,자기실 욕

구 등의 순서로 배열된다.

17)김 정,<암시효과를 이용한 화 홈페이지의 표 연구 :공포 화 세 (Seven)의

시각 표 을 심으로>,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2,pp.22-23.

18)김상훈,< 고에서 사용되는 공포소구에 한 연구>,《 고학연구》,제7권 1호,

1996,p.85.

- 11 -

에서 간직해온 원 인 공포들이 있다. 재 앞에 드러난 험에 처해

있지 않더라도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작스러운 사고나 크고 작은 폭

력으로부터 안 하지 못하다는 사실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19)

2.공포의 원인

무엇이 공포를 일으키는가?우리는 공포를 가지고 태어나는가? 어도

한 가지는 분명하다.갑작스러운 큰 소음은 태어날 때부터 아주 나이들

때까지 모든 사람을 놀라게 한다.심지어 자궁 속에 있는 태아도 매우 큰

소음에는 이따 씩 놀란다. 한 그런 공포는 코끼리부터 곤충에 이르기

까지 다른 종들에게도 나타난다.갑작스런 밝은 불빛과 같은 갑작스런 자

극에 해서도 어느 정도는 자동 인 공포를 보이거나 어도 주의와 경

계를 강화한다.사랑하는 사람들과 떨어지는 것은 자동 인 공포를 일으

키는 다른 원인이다.많은 포유류에게서 떨어진 신생아는 고통스러운

울음으로 반응한다.<헨젤과 그 텔>과 같은 오래된 이야기들은 숲 속에

서 길을 잃은 어린이들의 공포를 잘 묘사하고 있다.오늘날의 어린이들은

쇼핑몰이나 놀이공원에서 길을 잃기가 쉬우며,부모로부터 분리된다는 생

각은 여 히 겁나는 일이다.그 지만 우리가 경험하는 공포의 부분은

학습된 것으로서 부분의 공포가 뱀이나 총처럼 단지 상 그 자체 때문

에 일어나는 것은 아니고, 체 인 상황의 평가로부터 발생한다. 를 들

어 뱀에 해 당신이 느끼는 공포는 ‘어떤 종류의 뱀인가’ ,‘얼마나 떨

어진 거리에 있는 가’에 달려있다.

19)양애경,<공포소설이란 무엇인가>,《한국문 비평연구》,5권,1999,p.177.

- 12 -

사람들은 공포를 느끼는 상황을 ‘기 하지 않은,불쾌한,외 원인이

있는,통제할 수 없는’등으로 평정하 다.(Scherer,1977)만약 어떤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데,아직 일어나지 않았다면 공포를 느낀다.공포는

멀리 도망치는 것과 같은 강렬한 행 를 이끌거나, 하는 것이 자신을

찾아내지 못하기를 기 하며 쥐 죽은 듯이 가만히 있는 것과 같은 행동을

이끌어 낼 것이다.20)공포의 원인은 에 따라 그 설명을 달리하고 있

으며,공포에 한 표 인 두 가지 에 기 하여 그 원인을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먼 정신분석 에서 공포와 불안은 자아와 세계,자아와 자아,

자아와 원본능 간의 갈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크게 세 종류로 나

어진다.첫째, 실 불안으로 외부의 사실이나 사건,상황에 해서 공

포와 불안을 느끼는 것을 말하며 이는 공포의 개념과 거의 유사하다.둘

째,도덕 불안으로 자아의 지나 억제에 의해서 생기는 불안이다.셋

째,신경증 불안으로 원본능 충동에 의해 생겨 본능이 자아와 자아의

통제를 벗어나는 데에 한 불안이다.즉 해결되지 않은 내 갈등에 의

해서 발생하는 비 응 인,비 실 인 불안반응을 의미한다.정신분석

에서는 불안의 근원에 따라 세 가지 불안을 설명하지만 Freud(1949)

는 모든 불안이 최 불안으로 인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최 불안이란

보호의 실패와 험에 한 지각으로 발생하는 것인데,이러한 불안은 개

인으로 하여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게 한다.최 불안은 아기가 모체로

부터 외부 세계로 나오는 과정,나온 직후에 체험하는 불안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행동주의 에서는 공포와 불안을 학습된 것으로 설명한

20)JamesW.Kalat,민경환 역,《정서심리학》 (서울:시그마 스,2007),pp.128-129.

- 13 -

다.러시아의 생리학자인 Pavlov에 의하여 우연히 발견된 조건 반사 상

은 Watson(1913)에 의하여 흰 쥐에게서 공포증의 학습 경 를 밝히는 데

응용되었다.이 실험에 의해 공포와 불안은 정신분석 의 주장 로

무의식 억압을 돕는 방 로 보지 않고 무조건자극과 성자극의 연합으

로 인해 조건화된 것으로 해석되었다.즉,불안이란 반응은 원래는 립

인 자극이 고 조건형성을 통하여 형성된 것이며,일단 형성되면 그

소멸은 극히 어렵다. 한 불안은 개인으로 하여 증상행동을 유발시키

는데,이때 증상행동은 도피반응 혹은 회피반응으로 나타난다.여기서 도

피반응과 회피반응은 조작 조건형성을 설명한 Skinner의 강화에 의해

더 지속된다.즉,도피반응은 무조건자극의 종식(불안감소)에 의하여 강화

되므로 그 강도가 차 강해진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그러나 회피반

응의 경우는 무조건 자극이 없는 상태이므로 회피반응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알 수가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실 으로 회피반응의 감

소에 한 항은 극히 강하여 좀처럼 없어지지 않는다.강화가 없는데

왜 회피반응이 없어지지 않느냐 하는 문제,즉 임상 으로 회피함으로써

보상을 받을 자극이 없으면서도 비 응 회피반응이 왜 계속되느냐 하는

문제는 불안에 심을 갖는 임상심리학의 숙제로 남아있다.

이상으로 공포의 원인은 어떤 에 기 하여 보느냐에 따라 그 설명

을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정신분석 과 행동주의 에서

는 공포는 개 인간의 생존과 안 에 필요한 정서로 보지 않았고 오히려

그 반 개념으로 이것을 이려는 데 심을 두었다.하지만 한 공

포는 개인으로 하여 삶을 활력 있게 지속시키는 한 정서로 인간의

생존과 안 에 필요한 정서일 것이다.21)

- 14 -

3.공포에 의한 반응

인간은 공포 인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리고 몸이

떨리며 땀이 나는 등의 다양한 신체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이러한 증

상들은 사람들로 하여 즉각 으로 행동할 수 있게 비시키기 한 것

이며,보호하기 한 신체의 변화이다.신체는 험이 지각되면 자율신경

계 교감신경계에서 자극을 받아 에 지를 방출하고 활성화되면서 모든

부분들이 반응하게 된다.따라서 신체 변화들이 공포에 반응하는 동안

동시에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22)이때의 신체 변화로는 하체로 가는

은 팽창하고,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인

해 심장 박동이 평상시의 약 20%이상으로 증가한다.이외에도 피부에는

소름이 돋으며,동공이 확장되어 시야가 흐려지거나 타액이 감소하여 입

도 마르게 된다.물론 생각의 범 는 상당히 좁아져서 공포의 상에만

몰두하게 되고 싸우거나 도망갈 비를 하기 해 근육들이 수축하는데

이로 인해 근육의 긴장감을 느끼거나 몸이 떨리는 것을 느끼게 된다.이

모든 신체변화들은 반 인 신체 사를 활성화시키기 한 것으로 자연

스럽고 무해하다.23)

교감신경계에서 방출하는 화학물질인 아드 날린과 노르아드 날린은

활동을 하다가 신체의 다른 물질에 의해 괴되거나 교감신경계의 반

효과를 가진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완감을 회복함으로써 멈

추게 된다.이 게 신체는 두려움에 한 충분한 투쟁,도피반응을 한 다

21)정명화,《정서와 교육》 (서울:학지사,2005),pp.209-211.

22)이유진,<공포 이미지를 이용한 패션사진>,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0,pp.7-8.

23)김은정,《특정공포증》 (서울:학지사,2000),pp.37-38.

- 15 -

음에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서 이완감을 회복한다.이러한 이완작용

을 통해 사람들은 심리 안정과 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교감신경계

의 활성화로 인해서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땀이 나게 되는데 이것은 류

를 빠르게 해서 조직에 산소를 많이 공 하고 땀을 방출함으로 열이 많이

나지 않게끔 신체를 시원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그래서 우리가 공포

화를 보거나 공포를 체험하게 되면 일시 이나마 시원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24)

공포를 느끼는 사람은 정서-신체 생리 ,인지-지각 ,근육-외 으

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먼 공포를 느끼는

사람이 정서-신체 생리 으로 보이는 반응에는 무서움,긴장,두려움,걱

정, 조 등의 주 인 정서와 자율신경계의 흥분으로 압의 상승하고

가쁜 숨과 같은 교감신경계의 흥분,어지러움,힘 빠짐,오 마려움과 같

은 부교감신경계의 흥분이 있다.그리고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소화기 궤

양,불면증 등과 같은 신체 증상이 있다.

다음으로 공포를 느끼는 사람이 인지-지각 으로 보이는 반응으로 감각

이나 지각의 왜곡 상이 있다.즉,물체가 잘 보이지 않거나 평소와 달리

보이는 것으로 주의집 이 되지 않거나 제한된 지각만을 하는 것이다.

한 정보처리나 인지 성취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이를테면 정보의 기

억,기억의 회상,시험에서 실력발휘를 하지 못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

된다.이와 더불어 사고의 경직화 상이 나타나 이분법 사고,

사고와 같은 양극화 상을 보이기도 한다.게다가 ‘부인(defense)’이라는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인지 회피를 하거나,강박 사고에 의해 공포와

24)이유진,<공포 이미지를 이용한 패션사진>,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0,p.8.

- 16 -

불안으로부터 도피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공포를 느끼는 사람이 근육-외 으로 보이는 반응에는 과

도한 근육긴장이 있다.이것은 동작을 불편하게 만들거나 말의 유창성을

떨어뜨린다. 인지경직처럼 행동경직 상이 나타나서 행동을 다양하게

선택하지 못하고 정해진 행동만을 하게 된다.그 형 인 가 바로 강

박행동(compulsion)인 것이다. 를 들어 시험을 볼 때 시계를 자꾸 보거

나 창밖을 내다보는 행동으로 나아가 행동 인 반응에서 회피 는 도피

를 하기도 한다.즉 불안한 상황에 가지 않거나 두려운 상 방과 을 마

주치지 않는 행동인 것이다.25)

25)정명화,《정서와 교육》 (서울:학지사,2005),pp.211-212.

- 17 -

제 3장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와 한국공포 화

1.우울증26)과 멜랑콜리 Melancholy

우울증에 한 공포는 인간의 심리로서 욕망을 억압하는 족쇄와 같고,

오늘 날에 있어 박해나 차별 는 가난만큼이나 살아가는 데 있어 풍요로

운 삶에 장애가 되고 있다.우울증과 멜랑콜리는 정상 인 의식의 지각작

용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의식이 아닌 무의식의 투 으로 보아야 하고,

그러한 에서 무의식을 분석하는 정신분석의 개입이 불가피하다.〈검은

태양 :우울증과 멜랑콜리아〉(Black:DepressionandMelancholia)에서

크리스테바는 우울증 시학의 담론을 제공하며 그에 의해 술과 임상 사

이의 변증법 인 의사소통을 만들어내고 있다.그녀는 우울증의 근원을

우울한 주체가 최 의 상인 어머니로부터 자신을 분리해 내지 못하는

불가능으로까지 밟아 올라가고,이것이 동일시의 외상을 일으키는 방식으

로 보여 다.27)이를 ‘모성 상에 의한 불가능한 상의 슬픔’이라 하여

‘우울증과 멜랑콜리’라 하 다.크리스테바는 생에 한 회의 (dubitatif)

26)우울증(Majordepressivedisorder,憂鬱症)은 정신 질환의 하나로 주요 우울장애라고

도 한다.주요 증상은 일시 으로 우울한 기분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우울하고 슬

감정과 의욕 하 등 다양한 신체 인 증상이 함께 나타나 지속되는 것이다.생물학 ,

심리 ,사회 요인이 복합 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우울한 기분 감정

이 주 증상이며 그로 인한 수면,식욕,흥미의 하와 불안,자살 생각,무기력감 등의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체 의 변화가 심각한 정도이며,매우 둔하고 느려진다. 한

자신에 한 무가치,부 한 죄책감이 동반되며 집 력과 기억력이 떨어진다.만성

으로 피곤하며 잠을 못자는 경우가 많고 잠이 많아져 자더라도 개운하지 않다.감정과

생각,욕구와 더불어 신체 증상도 나타나는데 두통,소화불량,목과 어깨 결림,가슴이

답답함 등이 나타난다.심한 우울증의 경우 망상이나 환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27)ElizabethWright,김종주 역,《무의식의 시학》 (서울:인간사랑,2002),p.84.

- 18 -

시각에서 비롯되어 삶에 한 의의를 상실하게 한다고 하면서,우울증과

멜랑콜리 두 가지 증세를 뒤섞어 설명하고 있다.

크리스테바는 멜랑콜리가 인 흥분이 가시면서 상호 교체되는 상

으로서 “때때로 혹은 주기 으로 찾아오는 증상으로 억제(inhibition)와 기

호해독불능증(asymbolie)을 동반하는 은신 증후(symtomatologieasilaire)"

라고 정의한다.그에 비하여 우울증은 증상이 덜 심하고 빈도가 덜한 경

우를 가리킨다고 언 하고 있다. 로이트도 이 두 증상을 구분하고 있지

만 그 경계는 사실상 희미하다.그리고 두 증상의 근원을 로이트와 크

리스테바는 모성 상(objetmaternel)을 상실한 슬픔(deuil)에서 찾는

다.두 증상의 공통 구조에서 출발한 크리스테바는 고 정신분석 이

론을 토 로 우울증의 특징이 상실한 상에 하여 공격성과 양면 감정

(ambivalence)을 가졌다고 지 한다.“나는 그것을 사랑하기 때문에 그것

을 상실하지 않기 하여 그것을 내 마음속에 정착시킨다.하지만 나는

결국 그것을 증오하게 되고,그 기 때문에 내 속의 그 타자는 나쁜 자아

이고 따라서 나는 나쁜 존재가 된다.나는 아무 가치도 없는 존재이니까

차라리 죽고 말자.”크리스테바는 이러한 자아의 논리 개와 련하여

두 가지를 지 한다.첫째,그러한 논리를 개시키는 것은 자아이고,

둘째,거기에는 타자와 자아의 동일화 행 가 개입된다는 것이다.말하자

면 “나”를 “타자”와 동일화시키는데,타자는 사랑의 상이면서 동시에 증

오의 상이 된다.28)

로이드는 〈애도와 멜랑콜리아〉(Mourningandmelancholia)라는 논

문에서 멜랑콜리 환자의 “슬픔”을 애인에 한 실제 이거나 상상된 실망

28)김인환,《 리아 크리스테바의 문학 탐색》 (서울:이화여자 학교출 부,2003),pp.

98-101.

- 19 -

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라고 묘사한다.깨져버린 애정 계로부터 벗어나

다른 곳에서 새롭게 시작하지 못하거나 시작하려는 마음이 없기 때문에

멜랑콜리 환자는 자아를 지워버리면서 상실된 상을 동일시하게 되는데,

그 결과 역설 으로 그(녀)가 버리고 버림받는 포기된 상이 되고,이

제는 자아한테 괴롭힘을 당하게 된다는 것이다.이 게 로이드는 유

명한 공식화를 가지고 음산한 상태를 환기시켜 다.

멜랑콜리아의 고통은 술 역과 임상 역 모두에 투자하고 우울증

환자들은 “의미작용을 허락하지 않는 실재계”인 물(物)을 애도한다.이 말

은 어떠한 종류의 앎도 상실로 표기되며,항상 불완 하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우울한 사람은 말과 행동에 해,삶 자체에 해 모든 흥미를 잃고

서,“매일 매일의 슬픔 때문에 무겁게 가라앉아 살아갈 수 없고, 물을

감추든가 흘리면서,완 한 망,때때로 불덩이처럼 뜨겁다가 리해지고

공허한 그런 삶”으로 체하면서,“복수하려는 죽음”이거나 “자유로워지려

는 죽음”을 추구하기도 하고,삶을 “박탈의 상처”로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29)

우울증은 넓은 의미에서 나르시시즘과 연결되어 나르시스 우울증 환

자들이 상심하는 것은 문자 상(Objet)을 잃어서가 아니라 “쇼즈

(Chose)"30)를 잃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크리스테바의 견해이다.31)쇼즈는

상상 인 혹은 상징 인 역에 어떤 질서에 따라 분 되는 타인과의 상

호 작용의 흔 을 옮겨 놓기 때문에 생겨난다.즉 이것은 인간이 상과

29)ElizabethWright,김종주 역,《무의식의 시학》 (서울:인간사랑,2002),pp.85-87.

30) 로이트의 dasDing의 랑스어 번역이다.우리말로는 “그것”,“그 무엇”,“근원

상”이다.

31)김인환,《 리아 크리스테바의 문학 탐색》 (서울:이화여자 학교출 부,2003),p.

101.

- 20 -

세상에서 경험함으로 생겨나는 것이다.분 된 타인과의 상호 작용이라

하는 것은 생애 기의 어머니와의 계를 말하는 것인데,상호 작용이

원만하지 않고 끊어지며,연결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우울증 환자는 언제나 실망을 안겨 주는 모험과 사랑을 찾아 방황한다.

아무도 로할 수 없고,실어증에 자신을 가둔 채,명명할 수 없는 쇼즈와

단둘이 마주한다.그는 쇼즈가 있기를 더 선호하며,쇼즈의 추종자

인 것이다.쇼즈를 Freud식으로 말한다면 ‘무의식 인 상실감’이라고 볼

수 있다. 리아 크리스테바의 쇼즈는 모성 성격을 띠고 있다.모성의

시작 은 다른 정신분석학자들이 말하는 엄마의 젖가슴일 것이고, 한

더 나아가면 모체와 완벽한 합일을 이루었던 자궁 속이 될 것이다.32)이

러한 나르시스 인 우울증 환자에게 슬픔은 더 정확하게는 타자가 없기

때문에 그가 집착하고 길들이고 애지 지하는 상의 용물이다.이러한

경우 자살은 장된 투 행 가 아니라 슬픔과의 만남이고, 슬픔을

넘어,결코 만져지지 않고,무(無)와 죽음의 약속처럼 언제나 다른 곳에

있는 불가능한 사랑과의 결합이라고 한다.33)

크리스테바는 우울증 증세를 가리켜 식인행 라 표 한다.우울증 환자

들의 수많은 꿈과 환몽에서 나타나는 멜랑콜리 증세의 식인행 는 구강기

단계로,모성 상과 가장 친 한 단계라고 볼 수 있다.식인행 란 내가

없애 버리고 싶은 견디기 힘든 타자를 생생하게 잘 소유하기 해 입(질,

항문도 포함)에 넣고 싶어 하는 욕망,상실하기보다 차라리 조각,분해,

32)신인숙,<멜랑콜리 -우울증 장애에 한 목회상담학 고찰 : 리아 크리스테바

이론을 심으로>,호서 학교 석사논문,2008,pp.54-56.

33)JuliaKristeva,김인환 역,《검은태양 :우울증과 멜랑콜리》 (서울:동문선,2004)p.

24.

- 21 -

자르고,삼키고,소화하고 싶은 욕망이라 보았다.따라서 공격 이고

으로 볼 수 있으나 상실과 죽음의 실에 한 부인이며,상처받고 불

완 한 텅 빈 원 자아의 신호라고 이해했다. 한 크리스테바는 우울

증을 일컬어 자기가 변태임을 알지 못하는 성도착자라고 말한다.멜랑콜

리에 빠진 사람은 외롭고 고통스러운 그리고 곤란한 사랑에 빠진 자들이

다.그들은 사랑의 상이 빛없는 ‘검은 태양’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다.그

들은 자신의 침상(寢牀)을 사랑하기 때문에 걸어 다닐 때에도 항상 그들

의 침상을 등에 업고 다니는 듯하다.밝고 화사한 새 옷이 있어도 자신에

게 어울리지 않는 것 같아 계속해서 축축하고 어두운 옷을 입게 되는 것

과 같다.이처럼 그들이 검은 태양에 자꾸만 을 돌리고,침상을 떼어놓

지 못하는 것,새 옷으로 갈아입지 못하는 것을 가리켜서 변태 면모라

고 한다.34)이 게 우울증 환자는 “철 하고 음울한 무신론자”가 되는데,

그 이유는 상징계의 신뢰 속에 빠지는 것을 거부하고,결코 지킬 수 없는

약속을 떠맡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우울증과 멜랑콜리는 공통되는 신체운동의 하를 일으키며

우울증 환자는 바꿀 수 없고 표상할 수 없는 최고로 선한 어떤 것을 원

히 박탈당한 것처럼 느끼는데,그것은 어떠한 성애 인 상도 체할 수

없는 것이기에 “명명되지 않는 물”과 함께 망 인 철수를 고집하는 그

어떤 것이다.따라서 슬픔의 포 인 기분은 체하는 보 상태가 되어

고통을 받는 사람으로 하여 외상 인 경험에 의해 체된 정신 인 에

지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자기애 인 장치로서 작용하게

된다.35)

34)신인숙,<멜랑콜리 -우울증 장애에 한 목회상담학 고찰 : 리아 크리스테바

이론을 심으로>,호서 학교 석사논문,2008,pp.56-58.

- 22 -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무의식 욕망 가장 강력한 것이 죽음 충동이

라는 에 주목해야 한다.어머니에게로 돌아가려는 욕망은 정체성 상실

의 욕망 는 어머니(타자)속에서 자아를 해체시키고 싶은 죽음의 욕망

인 것이다.36)죽음의 욕동이란 죽음의 본능이라고 불리는 로이트 후기

의 욕동 이론에서 거론된 것으로 삶의 욕동과 립하는 개념이다. 로이

트는 본능과 그 발달에 의한 정신 상을 설명해 왔지만,쾌감을 무시한

반복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인간에게 있어서 반복은 넓은 의미에서

무기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하고 이처럼 인간에게는 무기물로 돌아가

려는 경향이 있다.죽음의 욕동은 바로 이것이다.자살을 하려는 경향은

죽음의 본능의 발로이고,그 죽음의 본능을 외부에 투사하면 공격 , 괴

경향으로 표출된다.37)

크리스테바에 의하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정신의학과 정신 분석에서

언 하는 다양한 증상들, 컨 나르시스 인 성향,근친 상간 인 변태

성 내지는 부모를 살해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말하자면 신문

의 사회면을 장식하는 온갖 충격 인 이야기에 우리 자신이 주인공으로

등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결국 우리 모두가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그

리고 순간 인 충동에 의해,그런 가능성을 잠재 으로 지니고 있다는 말

이다.

35)ElizabethWright,김종주 역,《무의식의 시학》 (서울:인간사랑,2002),pp.87-88.

36)Pam Morris,강희원 역,《문학과 페미니즘》 (서울:문 출 사,1997),p.245.

37)JuliaKristeva,김인환 역,《사랑의 정신분석》 (서울:민음사,1999),pp.96-152.

- 23 -

2.애 젝트 Abject38)

크리스테바의 애 젝트는 공포의 유발요인으로 드러나는 하나의 개

념이다.애 젝트는 크리스테바의 서〈공포의 권력 :PowerofHorror

:AnEssayonAbjection〉에 소개된 것으로 간단하게는 시체 자체나 신

체의 배설물 등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 오감으로 그것은 우리가 역겨

워함에도 우리를 붙들어 놓는다.39)크리스테바는 여성의 삶에 있어 특유

의 갈등 역을 임신과 모성성으로 본다.양자는 상징계에 속하는 것이 아

니라 상징계의 경지 에 머물러 있어서 크리스테바는 이를 주체

(Subject)도 객체(Object)도 아닌 애 젝트(Abject)라고 한다.애 젝트는

기호계에 해서도 지배를 행사하는 상징계의 경계선상에 있으며,애 젝

트란 개념을 통해 여성존재,비합리성,모성 담론의 특징을 표 하고 있

다.애 젝트는 상징계의 주변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상징계에 의해서 차

폐되어 있고 억압되어 있는 것이다.주체성의 에서 애 젝트는 주체

와 객체-인간이 낯선 어떤 것으로서 지각하는 객체-사이의 경계 역이다.

애 젝트는 합리 이성에 의해서 승낙되지 않으며,주체는 이를 통해 자

신의 신체성에 해 반란을 일으킨다는 것이다.40)

애 젝트는 주체도 객체도 아닌 것,주체와 주체 사이에 일어나는 계

38)크리스테바의 abjection,abject는 번역자에 따라 ‘비천한 것’,‘비속한 것’,‘비천체’,‘비

체’,‘비천함’등으로 조 씩 다르게 번역된다.본 논문에서는 우리말로 옮기지 않고 애

젝트와 애 젝션으로 칭한다.theabject는 “비천체”로 abjection은 “비천함”으로 번역

하는 것이 크리스테바의 의미에 근 한 것으로 보인다.

39)차은진,박미령,<애 젝트(abjection)로 표 된 의상>,《服飾》,제52권 제2호 통권

67호,2002,p.21.

40)우 라 I.마이어,송안정 역,《여성주의철학 입문》 (서울:철학과 실사,2006),p.

243.

- 24 -

의 한 물질 양상을 나타내는 개념이고 크리스테바의 개념들이 그러하듯

이 상징 이면서 동시에 물질 이다.애 젝트는 모성 육체와 련되어

코라와 연 을 맺고 있으며,이 개념은 특히 크리스테바의 거부와 항과

연결된 개념이다.이는 기호계 공간,원형 모성의 공간은 비천함과 연

결된다.그리고 이 애 젝트는 오이디푸스화된 깨끗하고 고상한 몸에

한 항과 거부로 읽 진다.객체(object)가 아닌 비체(abject)는 물,침,

똥,오 ,토사물,질 분비물 등을 칭하는 말로서 주체와 객체의 경계선에

서 주체도 객체도 아닌 어떤 것이다.

크리스테바는 〈정신분석과 폴리스〉에서 애 젝트인 분비물들을 여성

이고 모성 인 울림을 가진 것으로 보고 있으며,그녀에 의하면 애 젝

트는 지된 욕망의 상이 일어나는 원형 모성의 비 객 성,욕구의

장소,매력과 증오의 장소가 된다는 것이다.매력과 증오의 장소가 되는

이유는 문화,즉 ‘신성한’것이 정화시키고,분리시키고,추방하므로 그 자

체가 카타르시스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주체는 자신을 어낸다.단

어 abject는 여기서 어낸다는 동사로 사용된다.그리고 주체는 자신을

어냄으로써 자신을 발견한다. 어내진 애 젝트는 주체(의 신체)에서

과잉의 존재로 여겨진 거부된 타자성이다.이 애 젝트는 자아를 구성하

기도 하면서 그것에 항하기도 하는 것이다.단순히 어내짐을 당하는

존재만은 아니고 극 으로 스스로 거부하는 행 체이기도 하다. 를

들어 모체 속의 아이는 모체 안에서 모체를 구성하기도 하면서 동시에

항하기도 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모체를 어내고 열시키며 모체 밖

으로 나온다.

자아와 주체의 경계선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이 이 애 젝트다.이는

- 25 -

존재의 폭력 이고 어두운 항이 있다.그것은 아주 가까이에 있지만 동

화되지는 않으며,이 에 주체의 일부 지만 주체의 통일된 경계를 세우

기 해 거부될 수밖에 없는 존재다.주체 안에 존재하는 친숙한 것이지

만 어느 순간 주체의 정체성에 을 가하는 이방인 인 존재가 된다.

자아분열,쪼개짐,갈라짐은 자아의 애 젝션으로 이 되고 자아와 자

아의 정체성을 확인시켜 주는 타자 사이의 공간 경계를 희미하게 흐려

버린다.41)크리스테바는 애 젝트를 아직 형성되지 않은 주체에 해서

인 것으로서,강제 으로 추방당한 어떤 것이라 한다.즉 애 젝트

는 사회 질서를 유지시키는 규범의 안정과 견고함을 와해시키려는 것으

로,청결과 불결, 과 부 ,질서와 무질서 사이의 경계에 치하여

명확한 단 이나 경계 짓기가 불가능하다.애 젝션은 정체성,체계,질서

를 해하는 것,경계, 치,규칙을 존 하지 않는 것,‘사이(in-between)'

에 있는 존재로 간 인 것,모호한 것,혼성 인 것을 제시한다.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 모성의 억압은 크리스테바의 애 젝트 개념

에 비 있게 다루어지고 애 젝트의 개념을 자아가 상징 질서로 나아갈

때,상상계와 단 하듯이 오이디푸스 이 단계의 어머니로부터 독립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오와 공포를 결부시켜 개한다.애 젝트

는 가장 원형 인 형태인 구강의 역겨움,즉 아이가 모자 계로부터 탈

피하여 한 주체가 되기 해서 애 젝트로 면하게 되는 어머니를 거부

하는 것과 련되어진다.크리스테바에 의하면 애 젝트의 가장 기본 이

고 원 인 형태는 거식(foodloathing)이다.음식에 한 거부는 어머니

와 아버지의 사랑에 한 거부이고 먹는 행 는 부모에 한 아이의 사랑

41)한국 미문학 페미니즘학회,《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서울:민음사,2000),pp.

212-214.

- 26 -

을 증명하는데,음식을 뱉거나 음식이 목에 걸린다는 것은 아이가 부모의

요구를 거부한다는 것이다.타자(어머니)의 음식을 거부함에 있어 아이는

어머니를 거부함과 동시에 자기 자신을 추방하고 애 젝트화 한다.그래

서 거식은 자아의 신체 제한 범 에 한 거부이다.신체는 주체가 역겨

워하는 음식을 어떠한 이유에서든 배설하듯이 변,피,고름과 같은 신체

배설물을 내보냄으로써 그러한 물질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한다.그

게 함으로써 주체는 계속 살아나갈 수 있는 것이다.그와 동시에 주체는

배설물에 포함됨을 피할 수 없다.신체 내부에서는 신체가 재생되는데 필

요한 조건이 되는 물질이 신체 외부로 나오게 되면 불결하고 더러운 것,

즉 배설물이 되어 버린다.생리 에 한 오는 여성의 성 특이성을

인정하지 않고 여성을 어머니 본성과 결부시킨다.이 경우,주체의 신체는

어머니와 연결됨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오는 어머니의 신체를

다른 존재-어머니로부터 분리되어 있음과 동시에 분리되지 않은-인 태아

와 구분 짓는 경계가 되는 셈이다.

애 젝트는 ‘주체 이 (pre-subject)’의 결핍을 채울 수 없고 단지 그러

한 주체를 둘러싼 허약한 경계를 무 뜨리기 때문에 그 자체가 오물 는

부패물과 같은 사물(thing)이기보다는 반 이거나 모호함을 띠는 ‘사이

(in-between)’ 는 간 역으로 설명될 수 있는 ‘과정(process)’으로 볼

수 있다.애 젝트는 이러한 분명한 경계의 불가능함을 통하여 정체성의

본질주의 인 형식을 배제한다.게다가 애 젝트는 단과 감정,처벌과

양보,기호와 충동으로 혼합되어 있으며, 오 뿐 아니라 매혹을 동시에

보유한다는 에서도 그 모호성을 드러내고 있다.크리스테바는 이러한

애 젝트의 혼성을 필연 으로 삶의 원천인 동시에 죽음의 장으로서 어머

- 27 -

니 신체와 연결시킨다.모든 존재의 시 로서 어머니의 몸은 신성함과 동

시에 더러움이 존재한다.애 젝트가 이 성과 모호함을 띠는 ‘사이’ 는

간 역에서 일어나는 만큼 어머니의 몸은 애 젝트의 형상에 속한다.

크리스테바는 삶과 죽음을 부여하는 존재,숭배와 공포의 상으로서 어

머니 역의 양의성을 강조한다.42)애 젝트는 사회의 통일성과 주체의

정체성을 한다.그리고 그것은 사회와 주체가 구축된 경계를 의문시

하고 그 경계의 허약함을 지 하기 때문이다.원형 애 젝트의 체험은

출생의 체험으로 탯 이 잘리기 에 과연 가 한 몸인지 두 몸인지는

결정할 수 없다.상징계는 경계와 구분의 차이,질서로 이루어진다.인간

의 상징계로의 진입,사회화를 한 언어 습득과 규범의 체계로의 진입은

어머니 신체와의 구분과 분리를 제로 한다.아이는 어머니에게서 떨어

져 나가려고 하지만 분리가 불가능하다고 느낀다.아이와 어머니의 계

는 자신도 타자도 아닌,분리되어 있지도 않지만 동일하지도 않은 비천한

계인 것이다.이 애 젝트 안에서 어머니의 신체는 간담을 서늘하게 하

는 집어삼키는 육체,공포를 유발하는 육체이다.43)

애 젝트는 내가 명명하고 상상할 수 있는,내 앞에 있는 상이 아니

다.그 비참과 욕지기나는 더러움이 불러일으키는 통쾌함,정화 작용의 의

미를 되새기면서 를 살아가는 우리가 발견해야 할 것들을 가르쳐 주

는 것이다.그것은 바로 ‘내’가 길들여진 야수 인 고통인데,주체가 그 고

통을 아버지로 바꾸기 때문에 숭고한 동시에 이다.즉 타자의 욕망을

42)이정아,<키키 스미스(KikiSmith)의 작품에 나타나는 몸과 아 젝트(Abject)에 한

연구 :1980년 후반~1990년 반 작품을 심으로>,홍익 학교 석사논문,2003,

pp.41-49

43)조혜옥,< 리다 칼로(FridaKahlo)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성 정체성의 문제 : 리아

크리스테바(JuliaKristeva)의 이론에 의한 분석>,홍익 학교 석사논문,2001,p.27.

- 28 -

상상하기 때문에 주체는 그 야수 인 고통을 지탱한다.육 하고도 갑작

스런 이질성이 출 한다. 에는 나의 불투명하고 잊 졌던 삶 속에 친근

하게 존재했던 그 이질성은,이제는 나와 분리되어서 오스러워지고 나

를 집요하게 공격한다.내가 아니고 그것도 아닌 것이다.그리고 더 이상

아무것도 아니다.‘무엇인지 알 수 없는 어떤 것’이다.애 젝트와 애 젝

션은 바로 그런 내 존재의 축,문화의 도화선,그곳에 존재한다.

음식물이나 더러움, 꺼기,오물에 한 오감으로 나를 보호하는 근

육의 경련이나 구토,그러한 것들이 나를 보호하는 까닭은, 오감이나 욕

지기가 나로 하여 오물이나 시궁창 같은 더러운 것들에서 멀어지게 하

고 피해가게 만들기 때문이다.거짓 없고 가식 없는 생생한 드라마처럼

시체와 같은 쓰 기들이야말로 끊임없이 내가 살아남기 해 멀리해야 할

것들을 가르쳐 다.이 고름과 오물,배설물들은 내 삶이 가까스로 힘겹게

죽음을 떠받치고 삶을 유지해 나가도록 하는 조건이 된다.애 젝트가 되

는 것은 부 하거나 건강하지 않은 것이라기보다 동일성이나 체계와 질

서를 교란시키는 것에 더 가깝다.그것 자체가 지정된 한계나 장소,규칙

들을 인정하지 않는데다가 어 간하고 모호한 혼합물인 까닭이다.반역자,

거짓말쟁이,양심을 속이는 일, 렴치한 강간자,구하는 척하면서 살해하

는 자,이 모든 범죄는 법의 취약성을 드러내기 때문에 애 젝트일 수 있

다.게다가 사 에 계획한 범죄나 음흉한 살해,선의를 가장한 복수는 그

것이 취약한 법을 노리기 때문에 훨씬 더 애 젝트에 가깝다.애 젝트는

도덕을 알면서도 그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어서 훨씬 더 음흉하고 우회

이며 석연찮은 어떤 것이다.즉 자신을 숨긴 테러 행 ,미소짓는 증오,

껴안는 신에 품는 육체에 한 욕망,당신을 팔아치우는 채무자,비수로

- 29 -

나를 르는 친구 이런 것들이 그 가 될 것이다.결과 으로 애 젝트

는 원 억압의 ‘상’이 될 것이다.애 젝트는 한편으로 동물 인 본

능의 역에서 방황하는 인간 존재의 나약함과 우리를 면시킨다.

애 젝트는 언어의 자의성 때문에 외부의 존재 이 에 존재하는 어머니

라는 총체로부터 우리를 벗어나도록 하는 가장 오래 된 시도들과 면하

게 한다.인간 존재를 형성하는 어머니와의 쟁과 모방을 통해 주체는

자신이 되고자 하는 ‘타자’에게 동일시하게 되는데,그것은 결국 논리 으

로도 연 기 으로도 이차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군가가 되

기 의 ‘나’는 이차 인 과정을 통해 획득된 내가 아닌 분리되고 버려진

애 젝트한 무엇이다.같은 맥락에서 애 젝션은 나르시시즘의 조건이

라 할 수 있다.44)애 젝션의 부정성은 주체에서 버려지고 배척당하고 결

국 분열을 해야 함으로써 지니게 되는 존재의 양상이다.주체,체계,질서

등을 거부함으로써 사물을 부정 시각으로 보기 때문에 자기 심 이기

도 하지만 동시에 자기 자신마 철 히 부수고 괴하려는 자기 오의

성향으로 인한 결핍과 공포를 의미하기도 한다. 인간의 원 인 공격

성과 연결되는 자기 오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아이를 낳는 어

머니에 한 오로까지 이어진다.그런데 이 게 자신을 오하는 성향

이 가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깨닫지 못한 채 그것을 실로 받아들이고 있

다.이 게 주체를 거부하는 것에서 비롯된 애 젝션의 궁극 인 의미는

모성 기반을 토 로 부 당한 것,부 한 것,건강하지 않은 것까지도

화해의 개념으로 아우르고자 한다.주체 자신의 부족함과 욕망을 깨닫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애 젝션이 되는 것이다.이 게 애 젝션의 의미

44)JuliaKristeva,서민원 역,《공포의 권력》 (서울:동문선,2001),pp.18-37.

- 30 -

는 원 인 상태에서 가까운 것으로 아직 상이 되지 않은 상태, 상

이 되기 이 의 것이라고 설명한다.그러나 이것은 주체에 내재하고 있는

존재이기는 하지만 아직 발 되지 못한 잔여물이라고 할 수 있다.문명사

회에서 소외된 지 이므로 그 지 에는 억압당해서 숨어 있던 온갖 정서

(affection)들이 넘쳐난 과잉의 상태들을 말한다.그것은 잠재성을 내재하

고 있는 것이 되는데 크리스테바가 여기서 정서는 주체를 꾸 없이 드러

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그래서 정서는 어떤 상징기호라기 보다는 더 내

하게 드러내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하 다.이 게 애 젝션이 비천함

으로 인하여 버려진 무수한 의미들,통상 으로 말하여지지 않은 것들로

써,보이지 않는 내면화된 것들이 가지는 가능성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개

념이란 것을 알 수 있다.45)

3.코라 Chora

나르시시즘의 수용체인 코라는 크리스테바가 라톤의 <티메우스>에서

찾은 것으로 존재의 그릇,공간으로 묘사된다.코라는 그리스어로 ’품다‘라

는 의미로 엄마의 몸,타자를 품은 신체가 된다.의미 생성화의 공간으로

서,욕망하는 정신 공간이며 동시에 육체 공간이다.이 코라는 아이에

게는 객체이고 엄마에게는 주체가 되는 주체와 객체가 공존하는 애매모호

한 공간이다.그녀에게 임신한 여성이나 어머니는 육화(肉化)한 분리된 주

체이며,이 육체는 이것도 것도 아닌 미결정체이고,기호계의 다른 것들

45) 정아,< 건축에서 리아 크리스테바(JuliaKristeva)의 "아 젝션(abjection)"

용에 한 연구>,부산 학교 석사논문,2003,pp.25-27.

- 31 -

처럼 경계 상에 있게 된다.선과 악도 아니고,주체도 객체도 아니며 자아

도 무의식도 아니다.그것은 그런 구분 자체를 하는 어떤 것이라고

설명한다.46)크리스테바는 이 개념을 증폭시키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이론

에 필요한 개념을 채우는 데 히 사용되는 이미지로 사용하기도 하고,

태아의 첫 의미화 과정들의 육체 자리를 특별히 정의하는 자궁학으로부

터 온 정확한 기능 용어인 코리온chorion의 의미로도 사용한다.후자의

경우 코라는 모성 육체와 연결되는 개념으로 작용한다.코리온은 어머

니의 육체 구조와 태아의 육체 구조가 공존하는 공간이다.코리온은 아리

스토텔 스가 〈동물의 역사〉에서 사용한 용어로,이것은 자궁 속의 태

아를 둘러싼 막을 의미한다.코리온은 이 의 섬유 구조이기 때문에 어머

니의 육체 구조가 끝나고 태아의 육체 구조가 시작하는 동일한 장소로 여

겨질 수 있다.어머니의 육체는 크리스테바에게 요한 은유이자 이미지

이다.크리스테바의 경계에 한 심의 심에 어머니가 있다.모성 육

체의 공간인 코라는 자아와 타자의 경계가 지어지면서도 불분명한 공간이

다.어머니의 육체는 기호 코라를 질서화하는 원칙이며 사회 계를

규정하는 법과 태아의 주체 사이를 재하는 수단이다.그래서 코라는 주

체가 생성되는 동시에 부정되는 곳,주체의 통일성이 그를 생산하는 변화

와 정지의 과정 앞에 굴복하는 공간이다.그러므로 어머니의 육체는 변경

의 장소를 차지하는 모든 요구를 받아들이는 그릇이며,모든 희열의 장소

다.

코라는 말하는 주체가 형성된 공간 혹은 상태다.크리스테바에게 말하

는 주체는 분열된 주체로 무의식과 의식으로 나 어지고,생리학상의 생

46)차은진,박미령,<애 젝트(abjection)로 표 된 의상>,《服飾》,제52권 제2호 통권

67호,2002,p.21.

- 32 -

성과정과 사회 억압으로 나 어진 주체다.47)코라는 상징계로 환원될

수 없고 상징계의 합리 주체성을 넘어서는 의미와 기표의 장소이다.크

리스테바는 코라를 의미부여[의미화](Sinngebung)의 작용 속에서 원형 ,

본능 ,모성 측면과 결하는 과정 에 있는 주체의 특징으로 간주한

다.코라는 통일성이 없고 동일성이 없는 것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상징계

역에 기인하지 않는 일정한 규정에 따른다.그것은 코라에 향을 미치

고 항상 새로운 열음을 형성할 수 있게끔 해주는 임시 규칙들이다.코

라는 크리스테바가 어머니 계와 비교하기도 하는 오이디푸스기의 기호

기능을 변한다.“그런 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어머니

의 몸은 사회 계를 조정하는 상징 법칙을 매개한다.그리고 이러한 어

머니의 몸은 괴,공격,죽음의 기호 속에서 의미부여의 토 가 된다.”

크리스테바에 의하면 코라는 한 상징계에 한 을 뜻하는 부정[

항](Verneinung)의 장소를 의미하기도 한다.코라는 합리 사고에 종속

되지 않는 언어의 측면을 보여주는 서정시, 술,종교 안에서 가장 명료

하게 드러난다.코라를 통해서 부동하는 주체의 본성이 분명해진다.48)

크리스테바의 설명에 따르면 코라는 형이상학 인 틀로서 측정할 수 있

는 태 의 물질이 구성되기 이 의 터 이자,카오스가 생성의 운동을

개하는 장이다.움직임과 정지로 이루어지는 코라는 시간성과 공간성이

성립되기 이 의 단 과 분 ,즉 리듬으로 악되기도 한다.어원 인 의

미는 다르지만 코라는 언어,특히 시어(詩語)속에서 고동치는 심장(coeur)

47)한국 미문학 페미니즘학회,《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서울:민음사,2000),pp.

208-210.

48)우 라 I.마이어,송안정 역,《여성주의철학 입문》 (서울:철학과 실사,2006),pp.

234-235.

- 33 -

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크리스테바는 형이상학 인 의미로부터 분리시

키기 해 단순히 코라라고 하지 않고 코라 세미오틱이라는 용어로서 코

라를 신하고 있다.코라 세미오틱은 코라의 언어 인 측면만을 수용한

개념으로서 그 기본 인 속성은 코라와 같다.코라 세미오틱의 가장 기본

인 기능은 그것이 의미 생성의 과정으로서 주체를 산출하는 장이면서

아울러 주체를 부정하는 장이 된다는 이다.49)따라서 크리스테바가 설

명하는 코라란 모성 신체로써 주체와 객체 모두를 포함하는 공간,즉

객체이자 본인에게는 주체가 되는,객체와 주체가 공존하는 모호한 공간

으로써 분리할 수도 없는 경계선상의 존재,수용기로서 가변 인 터 을

나타낸다고 설명하 다.아이라는 객체에게 있어서는 자신의 존재를

하는 공포의 상이자 동시에 완벽한 분리와 존재 규명을 해 제거해야

할 존재이므로 코라에 포함된 객체인 아이는 주체인 엄마와 분리되기를

원하는데 이러한 분리는 상징계인 오이디푸스 단계로의 원활한 진입을

해 나타나게 된다.이 때 아이는 자기 자신과 하나 던 어머니의 신체를

벗어나기 해 자신을 품고 있었던 어머니를 출생할 당시에 배출된 끈

이고 오 인 구역질나는 물질로써 치부해버리게 된다.이것은 유아가

자신과 하나 던 주체인 어머니를 객체로 만들어 자신과 분리하려는 것으

로써 이를 해 자신의 내부를 토악질 해냄으로 자기 신체를 애 젝션의

상으로 만드는 것이다.그래서 이러한 모성 신체인 코라는 오이디푸

스 단계에서 아버지에 한 욕망으로 넘어가는 과정 에 유아가 갖게 되

는 곤경과 구역질나는 존재를 의미한다.바로 이 부분에서 그녀는 비천함

의 이미지를 상징 으로 설명하는데,여기에서 애 젝트 이론이 여성과

49)김인환,《 리아 크리스테바의 문학 탐색》 (서울:이화여자 학교출 부,2003),pp.

135-138.

- 34 -

하게 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아이가 어머니를 벗어나기 해

자신과 하나 던 코라를 더럽고 오스러운 것으로 여기게 되는 것은 자

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모성 인 육체와의 분리를 해

발생되는 것이기도 하지만,한편으로는 나르시즘 인 어머니와의 동일화

를 부정하는 한 방법으로도 볼 수가 있다.하지만 이러한 두 가지 모두

고통을 수반하며 불가능한 것이므로 객체 던 아이는 자신이 어머니를 벗

어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도 그 육체를 증오하고 더럽고 오스런 것으

로 여기게 된다는 것이다.

모호한 경계는 주체에게 공포심을 유발시킨다.따라서 아이의 육체가

주체인 코라의 한 부분이 지만 주체의 확정 인 경계를 만들기 해 기

호계가 오이디푸스 단계 즉,상징계에 천시되듯이 아이의 육체는 주체인

코라를 거부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상징계로의 원활

한 진입이 성공한 후에 아이는 이 오 이며 역겨운 육체가 과거 자신과

하나 고 아직도 자신은 그것의 일부임을 부정할 수 없기에 그 코라를 자

신도 모르는 사이에 욕망하게 되는 것이다.바로 이것이 크리스테바가 설

명하는 애 젝션의 속성이다. 한 코라란 여성의 기호학 상징체로서

이것은 기호계를 어머니의 신체와 연결된 복의 공간으로 부각시키는 도

구이자 아버지의 이름,법과 거세가 지배하는 상징계에 반 하여 그보다

앞선 원 인 리비도의 복수 인 힘이 작동하는 공간으로 여성을 의미한

다.이것은 생명의 기원이자 결과 으로 죽음의 운명과 죽음으로 들어가

는 장소를 의미한다.이와 같은 코라를 통하여 크리스테바는 잃어버린 모

성의 힘,여성의 힘 즉 억압된 사회 안에서 엄격히 존재하여 왔던 본능

인 힘을 회복시키고자 한다.이는 여성이란 사회 내의 남성 우월주의를

- 35 -

타 하고 여성의 존재를 더 이상 남성의 감시 하의 나약하고 결핍된 존재

가 아닌,남성까지도 아우를 수 있는 거 하고 무한한 모체로 인식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50)

4.한국공포 화

고 로부터 인간은 두려움을 가지고 살았고,공포라는 감정은 한 시도

인간에게서 때놓을 수 없는 것이었다. 화 이 의 민간 설화,동화,신화,

설,소설 등 다양한 문화들로부터 유래된 공포 화는 동시 가 담고 있

는 불안함을 표 해내며 긴 세월동안 이어지고 있다.51)공포의 정서를 바

탕으로 한 공포 화는 객에게 두려움과 무서움을 유발하는 것을 목 으

로 하는 화다.등장인물들을 기괴한 상황에 처하게 하여 객의 율

인 반응이 교차되도록 한 다음 심리 인 긴장과 이완을 통해 자극성의 충

격으로 즐기게 한다.52)그러므로 공포 화란 객으로 하여 서스펜스,

오 등 극단의 공포를 유발시키고, 화 안에서 그것을 극복하거나 혹은

화가 끝남으로써 공포를 극복하고 벗어나는 쾌락의 감정,즉 카타르시

스의 즐거움을 주는 화라고 할 수 있다.이때,공포와 오에 동반되는

쾌락이 공포 화가 객을 유인하는 요소인 것이다.53)

실재하지 않는 세계에 한 이야기이며,꿈의 세계를 반 하는 타지

50)윤 ,< 패션에 나타난 잔혹성 이미지 연구 :크리스테바 이론을 심으로>,숙명

여자 학교 석사논문,2003,pp.31-33.

51)김시 ,《김시 의 공포 화 》 (서울:장서가,2009),p.333.

52)이승구,이용 ,《 화용어해설집》 (서울:집문당,2000),p.35.

53)이은의,<공포인자의 특징에 따른 한국 공포 화의 분류 흥행과의 연 성 연구>,

추계 술 학교 석사논문,2006,pp.18-19.

- 36 -

화 에서도 공포 화는 끔 한 환상을 다룬다.54)공포 화는 무의식에

호소하는 화라고 구분 지으며,55)공포 화가 민담,신화,미신, 자연

인 것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에서 집단 인 무의식을 다룬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56)즉 공포 화는 객이 느끼는 공포감, 혼,죽음,불멸에

한 환상과 인간들이 꿈꾸어온 다양한 기의 세계에 한 비 의 형식

이 화 으로 표 된 모든 것을 포함한다.57)따라서 공포 화 자체가

객과의 계, 객이 화를 람함으로써 얻는 감정에 을 두고 있다

고 보았을 때 무서움과 두려움을 유발하는 원인을 밝히기 해서는 개인

이나 집단의 무의식에 자리 잡고 있는 콤 스에 한 정신분석학 인

고찰이 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58)

공포 화를 람할 때 느끼는 공포는 악몽을 꿀 때의 심리 상황과 비

슷하며,심리학 측면에서 볼 때 악몽은 인간 무의식내의 욕망을 다른 모

습으로 바꾼 뒤 꺼내어 보여 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사람들은 악몽

속에 드러난 납득하기 어려운 자신의 모습 혹은 자신의 욕망을 거부하거

나,받아들이지 않고 남의 것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이 같은 심리를

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서 ‘자기 자신이 납득하기 어려운 사고,감정이나

만족할 수 없는 욕구를 갖고 있는 경우에 그것을 타인에게 돌려 버리는

것과 같은 무의식 인 마음의 움직임’으로 정의되는데,일종의 방 기제

54)김양지,<한국 공포 화 습의 반복과 변화 :1960-80년 와 1990년 비교분석>,

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0,p.10.

55)허문 ,《우리시 의 문화》 (서울:한나래,1995),pp.40-41.

56)김양지, 의 논문,p.11.

57)김 정,<암시효과를 이용한 화 홈페이지의 표 연구 :공포 화 세 (Seven)의

시각 표 을 심으로>,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2,p.12.

58)이소윤,<한국 공포 화 장르 습의 혼합과 변화>,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5,

p.15.

- 37 -

내지는 자기 동일시로도 받아들여진다.59)이러한 무의식의 억압 표출이라

는 공포 화의 의미는 가장 일반 인 해석으로 볼 수 있다. 화는 화

를 만드는 작가의 개인 인 꿈이고 화를 보는 객들의 집단 인 꿈으

로,공포 화는 억압된 소망이 화라는 꿈을 통해 귀환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는 것이다.이런 공포 화에서 내포하고 있는 억압의 문제는 사회

문화 인 의미로 볼 수 있다.따라서 공포 화를 연구하는 것은 우리 사

회의 무의식 억압과 의 의미를 드러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60)

한국공포 화는 여러 가지 가치 이 충동하고 있는 사회 분 기를 반

하여 개인의 욕망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죄의식을 반 한다.그리고 그

이면에는 새로운 사상과 문화의 유입,변화의 움직임에서 사회 구성원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61)한국공포 화가 통 인

시 물이 많고,공포를 유발하는 인물이 여성이라는 에서 공포 화 속

에 재 되는 여성은 가부장제 사회 속에 억압된 여성의 기시된 욕망으

로 분석되었다.한국공포 화는 유교 가부장제와 근 인 사회로 향하

는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여성들의 불만 가득한 심리를 변하고 있으

며, 화 속 귀신의 괴기스러운 행동과 외양을 빌어 그들의 욕구를 리

만족시켜주고 있다.한국공포 화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할리우드 공포

화와는 달리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주체와 공포를 받아들이는 객체 부분

이 여성으로서 이 여성의 성애,고난,복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59)조성 ,<1998∼2006년 한국 일간지와 화 문지의 동 기간 개 한국 공포 화

련 기사 내용 분석>,서강 학교 석사논문,2007,p.14.

60)김양지,<한국 공포 화 습의 반복과 변화 :1960-80년 와 1990년 비교분석>,

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0,p.4.

61)이은의,<공포인자의 특징에 따른 한국 공포 화의 분류 흥행과의 연 성 연구>,

추계 술 학교 석사논문,2006,p.27.

- 38 -

고 보았다.지독히 가부장 인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심리 불안

감과 결코 이 질 수 없는 욕망,이를 바라보는 남성들의 이 시선이

한데 합쳐진 결과가 바로 그 동안의 한국공포 화라 할 수 있다.62)

한국공포 화의 특징을 여성의 무의식 억압과 욕망으로 보았을 때,

리아 크리스테바의 사상이 근본 인 공포를 여성 이고 모성을 오스

럽고 공포 인 존재로 본다는 에서 련되어진다.이를 우울증과 멜랑

콜리,애 젝트,코라의 개념들을 통해 최근 한국공포 화를 심리 ,시각

,상징 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 다.

62)조성 ,<1998∼2006년 한국 일간지와 화 문지의 동 기간 개 한국 공포 화

련 기사 내용 분석>,서강 학교 석사논문,2007,pp.11-20.

- 39 -

제 4장 화 <장화,홍련>의 공포 표

1. 화 <장화,홍련>소개

2003년 개 한 화 <장화,홍련>은 ‘조용한 가족',‘반칙왕'의 김지운

감독이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하는 원작 고 소설〈장화홍련 〉을

배경으로 재해석하여 연출한 화로,한국공포 화에서 가장 에 띄는

소재인 가족 내의 비극과 여성 인 욕망을 보여 다. 화는 아름다운 두

자매(임수정,문근 )가 새어머니(염정아)와 아버지(김갑수)가 사는 집에

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무서운 일들을 통해 가족 계에

깃든 비 과 공포가 드러난다는 것을 내용으로 공포의 근원에 더 집 하

고 그 과정으로 이끌어 가는 개가 돋보인다.

서울 객 수 101만 명과 국 314만 명의 객동원을 기록하면서 ‘공

포 화로 300만 객 동원도 가능하다’는 인식을 확립시켰다.한국공포

화가 번번이 질러온 ‘반 을 한 반 ’이라는 억지에서 비롯된 실수를

보이지 않았던 화로 많은 객들에게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왔다.기존

공포 화하면 어둡고 칙칙한 화면,잔인하고 끔 한 장면들을 떠올리지만,

이 화는 한 폭의 수채화 같이 공간별로 보여주는 색다른 색감과 감상

인 선율 등으로 인해 단지 귀신이나 괴물 같은 외면 인 공포가 아닌,소

녀 그리고 가족의 내면 인 공포를 잘 드러내 보이는 정서 공포 화를

만드는 데 상당부분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그리하여 ‘공포미술이란 이런

것’임을 과시하기라도 하듯,사건이 일어나는 공간마다 최 한의 효과를

- 40 -

개 연도 화 제목 서울 객 수

2000년

하피 26,691

가 334,364

해변 로 가다 84,227

찍히면 죽는다 30,130

2001년 소름 78,545

2002년폰 755,437

하 방 68,940

2003년

화, 홍련 1,017,207

여고 담3 538,429

4 식탁 180,644

거 속 로 242,958

카시 35,660

2004년

페 스 135,000

령 289,631

형사 55,000

분신사바 301,332

포 트 540,000

쓰리몬스터 107,960

2005년

레드 70,000

분홍신 334,880

목소리(여고 담4) 126,134

가발 120,936

첼로 45,065

2006년

랑 264,909

스승 혜 169,583

느 날 갑 기 53,771

신 렐라 153,480

파트 188,211

전설 고향 86,338

2007년

므 44,887

기담 208,627

해부학 실 142,942

2008년톨 16,817

고사 344,864

2009년

514

불신 72,304

4 시추리 역 15,256

가학원 67,758

여고 담5 157,108

<표 1>연도별 한국공포 화와 서울 객 수 2000∼2009년

- 41 -

거둘 만한 디자인과 조명으로 한껏 공포감을 높여 좋은 이스를 선보

인 화 다.이후 많은 공포 화들이 그 디테일을 차용하는 등 화 <장

화,홍련>의 장르 가치를 입증하기도 했다.63)이 화는 객에게 공포

감을 주기 해 상에서 미학 즐거움을 선사하며 동시에 서정 화

를 만들고자 했다.제작사측은 <장화,홍련>의 흥행비결이 당시 주 객

층인 20 여성이 86%를 차지하고 10 여성들이 체 객의 17%에 달

할 정도로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부분의 공포 화는 20∼30 가

주 객층이지만 화 <장화,홍련>에는 여고생과 여 생이 몰리면서 흥

행에 성공했다는 것이다.내용면에서 성장에 한 두려움,가정 붕괴에 따

른 계모와의 갈등 등 10 소녀들이 안고 있는 이야기를 담아내어 화려한

문양과 세트,색감,다양한 상징과 강렬한 효과음 등으로 공포감을 증폭시

킨 것이 객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고 한다.

화 <장화,홍련>에서 비 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는 인물인 수미(임

수정)는 모든 이야기의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수미는 마치 아내처럼 아

빠의 속옷을 챙기고 잠든 아빠에게 이불을 덮어주며,동생 수연에게는 엄

마와 같은 보호자의 역할을 보여 다는 에서 새엄마와 립하고 있다.

수미는 자기주장이 강한 소녀로 당돌하고 반항 인 모습으로 아버지 무

을 책망하고 새엄마 은주의 존재를 무시하며 맞서고 있다.그러나 화의

후반부에서 수미가 친엄마와 여동생 수연의 죽음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의

식으로 인하여 만들어낸 망상이 은주와 수연이라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그녀는 정신세계가 무 져버린 나약한 모습으로 표 된다.

63)이민호,<한국공포 화 산업의 변화와 향후 발 가능성 : 화 <아랑>제작시스템을

심으로>,동국 학교 석사논문,2008,p.4.

- 42 -

장화ㆍ수미 :임수정

어려보이는 소녀이지만 동생만은 끔 하게 아낀다.동생에겐

엄마로 아버지에겐 아내의 역할을 하려하면서 새엄마와 립

되어 집 안의 공포 분 기를 고조시킨다.

홍련ㆍ수연 :문근

언니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는 병약하고 물 많은 동생으로

죽은 친 엄마를 유난히 닮은 탓에 남편에게 편집 인 애정을

쏟는 새엄마의 미움을 산다.

새엄마ㆍ은주 :염정아

고 아름다운 새엄마로 완벽한 가정을 꿈꾸지만,두 딸과

갈등하고,남편의 애정에 목말라하는 가운데 귀가 서린 표정

과 행동으로 집안을 공포 분 기로 몰아넣는다.

아버지ㆍ무 :김갑수

아내와 딸들의 다툼을 망하는 우유부단한 가장이다.

극단으로 치닫는 모녀의 갈등을 감당하지 못하고 괴로워한

다.

<표 2> 화 <장화,홍련>의 등장인물 개요

주인공 수미의 죄책감의 근원인 동생 수연(문근 )은 몸과 마음이 여리

고 약해서 언니 수미에게 모든 것을 의지하는 여자아이로 나타난다.항상

무언가의 공포에 시달리며 겁을 먹고 있는 수연은 두려움에 떨며 새엄마

은주의 학 를 고스란히 당하는 인물이다.

수미의 분열된 자아로 새엄마 은주(염정아)는 고 아름다우며,병 일

만큼 깔끔하고,혼자 있는 시간에 티를 마시며 책을 읽는 세련된 사람으

로 완벽한 가정을 꿈꾸는 여성이다.하지만 새엄마는 남편의 사랑에 목말

라하고 자신을 따르지 않는 의붓딸들로 갈등하며,지나치게 수다스러울

때가 있고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지 못하여 신경 쇠약 증세가 있다.아이

들에겐 포악하고 심술궂으며,자주 무서운 표정을 짓고 있을 때가 많다.

집에서 하나 둘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자 숨겨둔 기를 표출하게 된다.

- 43 -

그러나 화 후반부에 수미의 망상이 아닌 실제의 은주를 보면 그녀의 이

미지는 수미가 만들어낸 은주가 신경질 이고 불안정했던 것과는 다르게

차분하고 침착한 캐릭터로 표 하고 있다.

아버지 무 (김갑수)은 언제나 아내와 딸들의 다툼을 망하는 무심한

존재로 우유부단한 가장이다.집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일들에 해 무

은 부재해 있거나 뒤늦게 등장하여 동요하지 않고,무표정으로 한다.

수미가 무 을 책망하는 사로 “이 모든 더러운 일을 불러온 건 아빠잖

아!”에서 수미가 괴로워하는 근원인 수연과 어머니의 죽음도, 한 은주의

존재도 모든 일들은 아버지 무 이 불러온 것임을 알 수 있다.64)

<그림 3> 화 <장화,홍련>의 서사구조

화는 병원에서 그 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묻고 있는 의사와 고개를

숙인 채 아무런 답도 하지 않는 한 소녀의 상담하는 장면으로 시작된

64)이소윤,<한국 공포 화 장르 습의 혼합과 변화>,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5,

pp.72-73.

- 44 -

다.장면은 바 어 인 이 드문 시골,이름 모를 들꽃들이 소담하게 피어

있는 신작로 끝에 홀로 서 있는 외딴 원주택에 승용차가 도착하고 이어

수미와 수연이 집에 도착하면서부터 개된다.낮이면 피아노 소리가 들

려 올 듯 아름다운 그 집은 어둠이 내리면 귀기 서린 음산함을 뿜기 시작

한다. 사롭지 않은 기운이 서려 있는 이 집에서 어른도 아이도 아닌 아

름다운 두 자매 수미와 수연,아름답지만 신경이 민한 새엄마와 함께

살게 된 그날부터 이 가족의 괴담이 시작된다.수연,수미 자매가 서울에

서 오랜 요양을 마치고 돌아오던 날에 새엄마 은주는 에 띄게 아이들을

반기지만,자매는 그녀를 꺼리는 기색이 역력하다.함께 살게 된 첫날부터

집안에는 이상한 기운이 감돌고 가족들은 환 을 보거나 악몽에 시달린

다.수미는 죽은 엄마를 신해 아버지 무 과 동생 수연을 손수 챙기려

들고,생모를 닮은 수연은 늘 겁에 질려 있다.신경이 민한 은주는

그런 자매와 번번이 다투게 되고,아버지 무 은 그들의 불화를 그

망만 한다.은주는 정서불안 증세를 보이며 집안을 공포 분 기로 몰아가

고,동생을 지키기 해 안간힘을 쓰는 수미가 이에 맞서는 가운데,집안

곳곳에서 괴이한 일들이 잇달아 벌어지기 시작한다.65)수미와 은주의 갈

등은 집안에서 일어나는 이상한 일들을 서로의 소행으로 의심하면서 증폭

된다.자매들이 사는 2층에는 밤마다 쿵쿵 는 소리가 들리고,수연의 방

에는 알 수 없는 군가가 왔다 간다.수미의 불안은 침 에서 원귀가

나오는 악몽과 은주가 동생 수연을 해칠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부터 기인

한다.새엄마 은주의 동생 선규 부인 미희는 식사 에 부엌 싱크 에

서 원귀를 발견하고 발작을 일으키고,은주와 수미는 집이 이상하다고 호

65)네이버 화 <장화,홍련> 거리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6732

- 45 -

소하며 잠을 이루지 못한다.은주가 아끼던 새는 군가의 손에 의해 목

이 뒤틀려 죽임을 당하고,그 시체가 수연의 침 에서 발견된다.수미와

은주,수연과 은주 사이에 립과 긴장을 형성하고 이것이 극한에 다다른

순간,아버지가 집을 비운 사이에 돌이킬 수 없는 국으로 치닫는다.은

주는 수연을 옷장에 가두고 괴롭히는 등 수연이 들어있는 자루를 몽둥이

로 패고,피 묻은 자루를 질질 끌고 복도를 돌아다닌다.수미는 수연을 구

하기 해 은주를 막으며 몸싸움을 벌이게 된다.은주는 수미를 죽이려하

고,쓰러진 수미 앞에서 은주는 “ 있지,정말 무서운 게 뭔지 아니?잊

고 싶은 게 있는데 깨끗이 지워버리고 싶은 게 있는데 그게 잊 지지가

않는 거야.평생 따라다니는 거야.”라는 사를 한다.이 시 에서 <장화,

홍련>의 결정 인 두 가지 반 이 제시된다.‘계모가 수연을 괴롭힌다.’며

물 흘리는 수미에게 아버지가 “수연은 죽었어."라고 답하는 장면과,

아버지가 돌아오자 거실에서 아버지를 기다리던 은주의 얼굴이 수미의 얼

굴로 바 는 장면이다.결국,처음부터 집으로 돌아온 사람은 아버지와 수

미뿐이었고,은주와 수연의 존재는 수미의 ‘죄의식’이 만들어낸 망상에서

기인한 것이었음을 밝히고 끝맺는다.따라서 이 화를 이끌어 나가는 것

은 귀신이 아닌 수미와 은주 두 인물이 만들어 내는 긴장과 불안이 각각

무 과 수연을 사이에 두고 립하면서 개되는 것이다.친엄마를 죽음

으로 몰고 간 새엄마에 한 증오와 동생의 죽음을 막지 못했던 돌이킬

수 없는 시간에 한 죄의식에 사로잡힌 수미가 자신의 분열된 자아로서

새엄마 은주를 만들고,죽은 수연을 아직 살아있는 존재로 시하게 되면

서 일어나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 화 체를 이끌어가는 것은 원한을 품고 죽은 원귀나

- 46 -

실 인,비과학 인 상이 일으키는 끔 함이 아닌 한 인물 내면에 크게

자리 잡고 있는 강한 죄책감과 죄의식으로서의 우울증과 멜랑콜리의 표

인 것이다.이제까지의 한국공포 화에서 사연이 있는 죽음과 복수하기

한 원귀의 귀환이 화 체와 인물들의 행 에 한 모티 가 되었다

면, 화 <장화,홍련>의 주인공은 외부의 존재와 싸우는 것이 아니라 죄

의식에 의해 분리된 자신의 자아 혹은 기억과 맞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심리 공포 :우울증과 멜랑콜리(Melancholy)

1)주인공 수미의 심리상태와 원인

<그림 4>정신병원에서 상담하는 수미

처음 정신병원에서 상담 장면으로 시작하는 화 <장화,홍련>은 의사

의 앞에 있는 인물이 구인지 확실하게 보여주지 않는다.하지만 화를

끝까지 보고 나서는 그 인물이 수미 음을 알 수 있다.의사의 질문에

도 마주치지 않고 아무런 말도,행동도 하지 않는 실어증에 자신을 가둔

채 고개를 푹 숙여서 머리카락으로 얼굴을 가리고 있는 수미는 정신 인

병으로서 우울증과 멜랑콜리를 앓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 수미가 처음 자신의 방안으로 들어가서 하는 행동으로 그녀의 벽

- 47 -

<그림 5>시간을 맞추는 수미 걸이 시계가 멈추어 있고,그 시계를

재의 시각으로 맞추어 돌리는 장면에

서 수미의 시간은 멈추어 있음을 알 수

있다.그것은 수미의 무의식이 동생 수

연이 사고로 죽은 날의 시간을 받아들

이지 못하고 멈추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그리고 방안을 둘러보는 장면

에서 옷장 안에 반복 으로 걸려있는 같은 옷들과 이미 책상 에 있는

같은 다이어리를 꺼냄으로써 주인공 수미가 심리 인 혼란을 겪고 있으

며 과거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끊임없이 불러내서 재생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6> 같은 다이어리와 옷들

수미의 심리는 계모 은주의 등장에서 친엄마를 구하지 못하고 동생 수

연의 죽음으로 죄책감을 느낌으로서 삶에 한 욕망을 억압하고 살아가는

데 있어 장애가 있음을 보여 다.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아 크리

스테바는 우울증과 멜랑콜리의 원인을 우울한 주체가 최 의 상인 어머

니로부터 자신을 분리해 내지 못하는 불가능으로까지 밟아 올라가고 있

다.여기서 수미는 우울한 주체로서 동생 수연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

고 수연을 쇼즈로 만들어 그녀를 계모 은주로부터 지켜주고 친엄마처럼

- 48 -

보살피려한다는 에서 정상 인 의식의 지각작용을 하지 못하는 모성

상에 의한 불가능한 상의 슬픔으로 극심한 우울증과 멜랑콜리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수미의 심리 으로 겪는 공포가 극 화되어 분열된

자아인 은주를 만들고 잃어버리지 말았어야할 동생 수연을 지키지 못하

기 때문이다.수미는 깨져버린 가족 계로부터 벗어나 다른 곳에서 새롭

게 시작할 수 없고 그 게 하려는 마음이 없기 때문에 자아를 지워버리면

서 상실된 상을 동일시하게 되는데,그 결과 역설 으로 그녀가 버리고

버림받는 포기된 상이 되어 자아한테 괴롭힘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2)분열된 자아,수미와 은주

화 내내 립 인 계로 나타나는 수미와 은주는 마지막 반 에서

동일한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수미가 만들어낸 다른 자아인 은주

는 지나치게 수다스러울 때가 있고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지 못하며 신경

쇠약 증세가 있는 정서 으로 불안한 인물로 표 되어진다.본래 자아인

수미는 아내처럼 아버지를 챙기고 엄마처럼 동생 수연을 돌보는 인물로

은주와는 립하고 있는 것이다.수미의 분열된 자아로 집에서 자매를 괴

롭히고 폭력을 가하는 새엄마 은주는 실제 실의 은주가 집으로 들어와

서 엄마를 우울하게 하고 자살까지 몰고 갔다는 원인으로 생각하기 때문

에 만들어진 것이다. 한 수연의 사고를 모른 척 했다는 원망으로 실제

의 은주와는 다르게 표 되어 책망할 수 있는 상으로 표 한다.새엄마

은주는 연약한 동생 수연을 학 하는 역할을 맡음으로써 무의식 안에서

수연은 가련한 희생자의 치에 놓일 수 있고,수미는 다른 자아인 계

- 49 -

모 은주에게서 수연을 지켜야 하는 보호자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것

이다.

<그림 7>분열된 자아,은주와 수미

이를테면 그림 7에서 같은 거울을 보고 있는 수미의 사고는 아직 어린

소녀이지만 무의식 안에서 어른인 은주를 만들고 짙은 화장을 지우는 모

습으로 자아를 반 하고 있다.수미는 거울 밖의 자아로 실 인 자아이

고,그녀가 가족을 지킬 수 있는 어른이 되고 싶은 욕망의 은주는 거울

속의 자아로 이상 자아인 것이다.이것은 분열을 동반하고 이런 자아

분열은 극복되지 않는다.거울에 비친 자아와 만나고 그 자아와 하나가

되기를 열망하는 것은 나르시스 인 모습이다. 한 거울을 보는 모습은

자기애의 비극을 암시하기도 한다.거울은 사물들을 수용하고 이런 수용

성은 여성과 모성으로 련되어짐으로서 분열된 자아가 우울증과 멜랑콜

리를 나타낸다.

3)수미의 쇼즈(Chose,잃어버린 상)수연

크리스테바는 우울증을 넓은 의미에서 나르시시즘과 연결되어 “쇼즈

(Chose)"를 잃어버렸기 때문이라고 한다.그 다면 수미가 잃어버린 상

은 바꿀 수 없고 표상할 수 없는 최고로 선한 어떤 것을 원히 박탈당한

- 50 -

<그림 8>수연을 보호하는 수미

것처럼 느끼는 것으로서 동생 수연을 말한다.즉 수미의 무의식 인 상실

감을 주는 상은 수연이다.어떠한 것으로도 체할 수 없기에 고집하고

지키려는 것이다.

화 내내 수연과 마주하는 인물은

수미와 다른 자아인 은주뿐이다.그

외에 아버지나 다른 인물들은 수연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한다.그림 8에서

수연을 마치 엄마처럼 감싸 안는 수미

의 모습은 계모 은주에게서 수연을 보

호하면서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쇼즈의 모성 성격을 띠고 있다.그래서

수연은 항상 무언가에 두려워하고 수미 뒤에 숨어있는 나약한 모습으로

표 된다.수미의 쇼즈가 아닌 회상장면에서의 수연은 수미가 만들어낸

모습과는 다른 면을 보인다.그 게 나약하지도 않으며 은주에게 감

을 표 하고 수미의 뒤에 숨지 않는다.이는 수미가 만들어낸 쇼즈는 그

녀가 원하는 인물로 설정됨으로써 수미의 무의식인 욕망을 채우는 부분이

라 할 수 있다.

크리스테바는 우울증의 특징이 상실한 상에 하여 공격성과 양면 감

정을 가졌다고 지 한다.수미는 수연을 상실하지 않기 하여 마음속에

정착시키지만 분리된 자아 은주가 수연을 증오하고 공격하면서 두 가지의

양면성을 보여 다.그 기 때문에 수미 속의 은주는 나쁜 자아이고 따라

서 수미는 나쁜 존재가 된다.수미는 말과 행동에 해,삶 자체에 해

모든 흥미를 잃고서,자신을 아무 가치도 없는 존재로 치부하고 자유로워

지려는 죽음을 추구하게 된다.이 화의 정인 부분에서 은주와 수미가

- 51 -

<그림 9>분리된 자아 은주가 수미를 죽이는 장면

싸우면서 은주가 석고상으로 수미를 내려치는 장면에서 알 수 있다.동생

을 그리워하는 수미의 마음과 동생 수연이 사고로 죽을 때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원죄의식에서 비롯된 슬픔에서 생긴 마음의 병으로 우울증과 멜

랑콜리를 보여주고 있다.혼자 감당하지 못하고 다른 체 인물을 만들어

의를 가하면서 안심하려드는 복잡한 심리상태를 보여 다.

크리스테바는 우울증 증세를 가리켜 식인행 라 표 한다.수미의 수많

은 망상에서 나타나는 멜랑콜리 증세의 식인행 는 모성과 가장 친 한

단계라고 보이며,내가 없애 버리고 싶은 견디기 힘든 타자를 생생하게

잘 소유하기 해 상실하기보다 차라리 조각,분해,자르고,삼키고,소화

하고 싶은 욕망이라 볼 수 있다.따라서 공격 이고 으로 볼 수 있

으나 상실과 죽음의 실에 한 부인이며,상처받고 불완 한 텅 빈 원

자아의 신호이다.

3.시각 공포 :애 젝트(Abject)

1)색채의 비

부분의 공포 화와는 다르게 화 <장화,홍련>은 다양한 색채의

- 52 -

<그림 10>수연과 수미의 의상

비를 사용하여 등장인물의 성격과 극의 진행을 감할 수 있는 역할을 충

실히 수행하고 있다.특히 공간의 배경과 인물의 의상이 겹치는 장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10과 같이 집으로 돌아온 첫날

수미의 의상은 강렬한 빨간색 카디건과

차가운 란색 원피스로 비되어 강하

고 당돌한 성격을 드러내고 있으며,그

녀와 다르게 수연은 주로 하얀색이나

베이지색으로 표 하여 여리고 순수한

이미지를 보여 다.

새엄마 은주의 옷 스타일은 수미와 비되어 보여주는데,수미가 강렬

한 색상을 입고 있을 때는 은주의 의상은 베이지색으로 이고 세련

<그림 11>배경과 비를 이루는 은주의 의상

된 모습을 표 한다.차갑고 민한 성격을 드러내는 색으로 극단 인 차

이를 보이는 짙은 랑색이나 강렬한 빨강,우울한 보라색으로 은주의 성

격을 나타내고 있다. 한 그녀가 무언가에 불안해하고 혼란을 겪고 있을

때는 공간의 배경색과 확연하게 드러난 비 효과를 주어 표 하기도 한

다.그림 11의 오른쪽 그림에서 짙은 빨강과 랑의 색채 비 심리는

조함과 질투의 상징으로 자신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을 알고 조해

- 53 -

하는 분열된 자아인 은주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공격과 억제 사이의

갈등을 나타내며,질투와 선망의 감정이 지배 이고,인간 계가 원만하지

못함을 나타낸다.마지막으로 불안한 가족 계를 망하는 아버지인 무

은 어두운 계열의 무채색으로 표 되어 무기력하고 지쳐 보이는 이미지

로 회색 인 죽은 자에 한 애도와 참회를 표 한다.

이 화에서 다른 어떤 색들보다도 짙은 핏빛에 빨강 색이 올리 의 녹

색과 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수미의 의상에서 긴장감이 고조될 때면

붉은 색이 끼어 있었고 분열된 자아인 은주의 빨간 입술은 차갑고 냉랭한

어른으로서의 모습을 표 한다. 한 체 인 공간으로서 집은 목조건물

이라 짙은 갈색의 나무로 붉은 색을 띄며 섬뜩한 분 기를 연출한다.인

간은 색의 자극에 민감하므로 색을 강력한 충동이며 반응을 일으키는 언

어로 볼 수 있다.색은 의식 무의식의 일부로 심리 인 면과 연 되어

공포를 유발하는 요소로 요한 역할을 한다.66)시각 공포로서의 애

젝트에서 색채의 비는 완 한 보색 비를 맞추지 않으면서도 여러 가

지 색감이 내재해서 공간과 인물의 심리가 불안한 공포를 화 안에서 이

끌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색채 사이의 비는 간 인 것,모호한 것,

혼성 인 것을 제시함으로서 애 젝트라고 할 수 있다.어떠한 색을 더

강조하는 게 아니라 두 가지의 색을 립하게 하여 경계를 보이면서 보는

사람에게 시각 으로 불안하고 숨 막힐 정도의 불편함을 효과 으로 그려

내고 있다.

66)김 정,<암시효과를 이용한 화 홈페이지의 표 연구 :공포 화 세 (Seven)의

시각 표 을 심으로>,이화여자 학교 석사논문,2002,p.24.

- 54 -

2)비체(卑體,Abject)로서의 원귀67)

한국의 민담에서 흔히 원귀(寃鬼)는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死靈]이

귀신이 되어 사람을 돕기도 하고 해치기도 한다고 믿는데,그 에서도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나 비명에 죽은 사람,세상에서 모진 고생만 하며

살다가 원한을 안은 채 죽은 원령(怨靈)은 승에 가지 못하고 이승에서

떠돌아다니다가 유령으로 나타나 가족과 친지 등을 괴롭힌다고 여긴다.68)

그 다면 원귀 자체가 승과 이승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주체성의 에서 애 젝트로,주체와 객체 사이의 경계 역에

존재하는 비체라고 할 수 있다.

화 <장화,홍련>에 등장하는 귀신은 비체로서의 원귀로 시각 으로

오감을 불러 일으켜 공포를 유발한다.처음으로 등장하는 비체 원귀

는 수미의 악몽에 나오는 원귀로 수미의 침 에서 기어 나와 목을 매

어 죽은 자세로 다가옴으로써 옷장에서 목을 매어 자살한 엄마라는 것을

알 수 있다.가 린 수미는 원귀의 다리 사이로 생리 이 흐르고 치

마 속에서 손이 빠져 나오는 것을 목격한 순간 악몽에서 깨어난다.이것

<그림 12>목이 꺾여 생리 을 흘리는 원귀

67)원귀(寃鬼):원죄(冤罪)로나 원통(冤痛)하게 죽은 사람의 귀신(鬼神).

68)네이버 백과사 원귀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058

- 55 -

은 생리 에 한 당혹감과 수치심, 오에서 오는 비체 인 공포로서

여성의 성 특이성을 인정하지 않고 여성을 어머니 본성과 결부시킨다.

이 원귀는 수미가 모성으로의 성장을 상징하며,이 경우 수미의 신체는

어머니와 같은 성인 여성이 되어 어머니와 연결됨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

에 오는 오 인 공포를 표상한다고 말할 수 있다.이러한 오는 어머

니의 신체를 다른 존재-어머니로부터 분리되어 있음과 동시에 분리되지

않은-인 태아와 구분 짓는 경계가 되는 셈이다.

<그림 13>싱크 ,수연의 원귀

다음으로 등장하는 그림 13의 원귀는 계모 은주의 남동생 선규 부인 미

희가 부엌 싱크 에서 보는 녹색 옷을 입은 수연의 원귀이다.수연은

구의 도움도 받지 못한 채 억울하게 죽었기 때문에 가족들의 무 심이

그녀의 원한 상이 되어 주방이라는 모성 인 공간에서 가족들의 녁식

사 시간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옷장이 쓰러져 갇 죽었듯이 수연의

원귀는 싱크 에 웅크리고 나오지 못하는 형상으로 가족들을 지켜보고

있다.온 몸이 원한으로 그을린 듯 검고 살이 뜯겨나가 피가 묻어 있는

시체 같은 모습으로 시각 인 역겨운 오감을 주는 공포를 일으킨다.

그리고 이 원귀는 혼자 주방에 남은 계모 은주에게도 보이게 된다.회

상장면에서 수연이 머리에 꼽고 있었던 머리핀이 싱크 앞에 떨어져 있

- 56 -

<그림 14>비체 표 의 원귀 손

고,그것을 새엄마 은주가 주우려 잡는

순간 싱크 에서 나오는 손은 좀

의 선규 부인 미희가 싱크 에서 본

수연의 원귀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화에 등장하는 원귀는

실제의 새엄마 은주가 집에서 이상한

기운을 느끼면서 수연의 방안으로 가서 옷장 안 이불사이로 나오는 귀신

이다.이 원귀는 모체 속의 아이가 모체를 어내고 열시키며 모체 밖

으로 나오는 형상을 보인다.원귀와 같이 흘러내리는 분비물은 여성 이

고 모성 인 울림을 가진 애 젝트로 볼 수 있으며,수연이 친엄마를 구

하려다 억울하게 죽은 옷장에서 나와 은주를 끌어 들인다는 것은 을

가하는 이방인 인 존재가 된다.

<그림 15>옷장에서 나오는 원귀

원귀가 공포를 주는 이유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

다.애 젝트는 주체의 경계선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이며 이는 존재의

폭력 이고 어두운 항이 있다.그것은 화에서 원귀와 같이 아주 가까

이에 있지만 동화되지는 않으며,이 에 가족의 일부 지만 가족의 통일

된 경계를 세우기 해 거부될 수밖에 없는 존재인 것이다.정체성을 형

성하는 데 있어 모성의 억압은 크리스테바의 애 젝트 개념에 비 있게

- 57 -

다루어지고 애 젝트의 개념을 자아가 상징 질서로 나아갈 때,오이디푸

스 이 단계의 어머니로부터 독립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오와

공포를 결부시켜 개한다.애 젝트는 가장 원형 인 형태인 구강의 역

겨움,즉 아이가 모자 계로부터 탈피하여 한 주체가 되기 해서 애

젝트로 면하게 되는 어머니를 거부하는 것과 련되어 진다.

3)시체,피, 물

애 젝트는 크리스테바의 서〈공포의 힘 :PowerofHorror:An

EssayonAbjection〉에 소개되어 시체 자체나 신체의 배설물 등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 오감으로 물,침,배설물,토사물,질 분비물 등을 칭

하는 말로서 주체와 객체의 경계선에서 주체도 객체도 아닌 어떤 것이 우

리가 역겨워함에도 우리를 붙들어 놓는다고 설명한다.일반 으로 공포

화는 피와 시체들로 객에게 끔 한 장면을 보여 으로써 놀라게 하고

공포를 느끼게 한다.이런 애 젝트는 부 하거나 건강하지 않은 것으

로 볼 수 있으며 체계와 질서를 교란시켜 그것 자체가 지정된 한계나 장

소,규칙들을 인정하지 않는데다가 어 간하고 모호한 혼합물인 까닭이다.

화 <장화,홍련>에서 냉장고 안의 피로 범벅되고 썩어 문드러진 생

<그림 16>냉장고 안의 썩은 생선

- 58 -

<그림 18>미희의 구토 장면

선은 수미가 발견함으로서 버려지고 배척당한 결국 분열된 존재의 양상으

로 볼 수 있다.음식물에 한 오는 가장 오래되고 기본 인 형태의 애

젝트이다.썩어 문드러진 생선과 같은 쓰 기들이야말로 오감을 주어

객에게 공포로 멀리하게끔 해 다.

<그림 17>수미의 악몽

수미의 악몽에서 보이는 엄마를 잡는 어린 수미의 손에 묻은 피는 모성

에 한 결핍과 공포를 의미하고,그림 18에서 새엄마 은주의 남동생 선

규부인 미희가 경련을 일으키며 구토를

하는 장면은 음식물이나 더러움, 꺼

기,오물에 한 오감으로 이런 애

젝트는 보는 주체로 하여 시궁창 같

은 더러운 것들에서 멀어지게 하고 피

해가게 만든다.이런 고름과 오물,배설

물들은 내 삶이 가까스로 힘겹게 죽음을 떠받치고 삶을 유지해 나가도록

하는 조건이 되기도 하지만 주체,체계,질서 등을 거부함으로써 사물을

부정 시각으로 보기 때문에 자기 심 이기도 하고,동시에 자기 자신

마 철 히 부수고 괴하려는 자기 오의 성향으로 인한 공포인 것이

다.

- 59 -

이 화 안에서 물을 흘리는 인물은 수연,수미,그리고 친엄마이다.

첫 번째,수연은 수미의 망상 속에서 계모 은주가 옷장에 가두고 괴롭힘

을 당해서 흘리는 물이다.두 번째,수미의 물은 실제 은주의 등장으

로 이 모든 사건이 자신이 지른 망상이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이다.

그리고 회상 장면에서 아버지가 새엄마 은주를 데리고 오면서 친엄마가

흘리는 물이며,마지막으로 수연이 옷장에 깔려서 무서워하며 죽어 가

고 있을 때 언니를 부르며 흘리는 물이다.여기서 물은 감동을 받아

서가 아닌 실의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아버지에 한 원망으로 억

울하고 답답한 마음의 무서움에서 흘러내리는 물이다.

<그림 19> 물 흘리는 수연,수미,엄마

- 60 -

<그림 20>수미의 집

4.상징 공포 :코라(Chora)

1)모성 공간의 집

화 <장화,홍련>에서 공포의 공간으로서 집은 90%정도를 차지할 정

도로 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이 폐쇄된 공간이 발산하는 음산한 분

기와 안 의 모양새가 그로테스크하고 요기가 서려있는 최 의 한국형 하

우스 호러로서 가족을 공포로 자극하고 그들이 가진 섬뜩한 비 을 알고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한다.붉은 색을 띄는 라운 계열의 목조로 만들어

진 외딴 집은 섬뜩한 분 기를 연출하고 그 안에서 황폐해지는 인물의 모

습을 그려내고 있다.이 집은 낮에도 항상 어두우며 그 어두움은 차가움

으로까지 이어진다.엄마가 자살하기

의 집은 따뜻한 햇살이 드리는 집이

었다.하지만 엄마가 죽음으로서 이 집

은 엄마가 없는 공간을 크게 상징처럼

보여주고 있다.원래 집은 바깥 세계로

부터 인간을 지켜 다는 에서 보호와

안식처를 상징하고 엄마 같은 존재이다. 통 으로 상자,집,벽,울타리

를 친 정원은 여성 인 양상으로 인식되어지며 집은 정신분석에서는 인간

의 육체,인간의 사고,인간의 삶을 상징한다.한편 집의 외부는 인간의

외 양상,곧 그의 인격이나 외모를 상징하고,이런 의미에서 집과 엄마

는 동일시되어 안락한 장소,인간을 보호하는 여성 원리를 상징한다.이

게 집은 수미의 무의식과 연결된 세계로 들어가는 공간이며 그녀의 집은

- 61 -

<그림 21>계단에 앉아있는 수연

엄마의 보호가 없어진 돌아가고 싶지 않은 공포 인 공간으로서 나타난

다.여기서 집은 엄마의 몸을 상징하고 수미를 품은 공간으로 크리스테바

가 말하는 코라와 연결된다.

(1)경계를 나 는 계단

집을 나 고 있는 계단의 구조는 1층

은 아버지와 계모 은주의 공간이고 2

층은 수미와 수연,그리고 친엄마의 공

간이다.계단에 앉아있는 수미나 수연

의 모습은 내려갈 수도 없고 군가

올라올까 불안해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한 계모 은주가 2층으로 올라올 때마다 집 안에 좋지 않은 일들이 생기

는 것을 알 수 있다.회상장면에서 2층에 올라온 은주를 수미가 감을

드러내며,“여기 왜 올라 온 거야?안방은 1층 아냐?이젠 엄마 행세까지

하려드네”라는 수미의 사에서 2층은 우리의 공간이고 올라오지 말라고

경계를 보이고 있다.이러한 계단은 기본 으로 수직 인 상승을 상징하

고 있으며,이때 상승은 정신 인 의미로 층은 머리와 정신,자아 통제

의 의식을 암시한다.

서로 오고 갈 수 있는 방들을 연결시킨다는 의미도 있지만 다른 의

미로 차단시킬 수 있는 계단인 것이다.방은 외부 세계에서 자신을 보호

한다는 에서 개인 인 사상이나 개별성을 상징하고 외부 세계로 열린

창과 타자들의 역으로 통하는 문을 소유한 개인을 나타낸다.한편 화

- 62 -

<그림 22>방문을 여는 손

<그림 23>문 앞의 검은 석고상

<그림 24>수미의 가족 식사

에서 수미와 수연의 발이 문지방을 넘는 장면이나 군가 수연의 방문을

열고 들어오는 손 장면을 볼 수 있다.여기서 문지방은 환과 월이며

외부의 세계에서 내부의 세계로의 이동

과 환을 상징한다.즉 군가 수연의

방문을 열고 들어오는 손은 속된 것이

성스러운 곳으로 들어와 공포를 일으키

는 것이다.동양의 경우 문지방은 보호

와 경고를 상징하고 있으며 이런 의미

에서 처음 자매가 집으로 들어왔을 때 문 앞에 보이는 검은 석고상은 계

모 은주를 신해서 집을 지키고 있는

듯 경계를 보인다.삶의 환과 월을

상징하지만 이 의미로 분리와 경고

를 암시한다.그런 에서 모호한 경계

는 수미와 수미의 쇼즈 수연에게 공포

심을 유발시킨다.

(2)가족들이 모이는 주방

주방은 가족들이 모여서 식사를 하며

담소를 나 수 있는 식탁과 거기에 차

려질 음식을 비하는 싱크 로 나 어

진 공간이다.밝고 따뜻한 분 기로 되

어있어야 할 주방은 이 화 안에서

- 63 -

<그림 25>다투는 은주와 수미

무나 조용하고 어두운 긴장된 모습으로 표 된다.그림 24에서 보이는 가

족 식사 장면은 직사각형의 식탁에 아버지와 새엄마,두 자매가 아주 조

용히 식사를 하고 있다.그릇 달가닥거리는 소리, 시에 젓가락이 약하게

부딪치는 소리만 들릴 뿐 기이할 정도로 조용하다.아버지는 오로지 음식

에만 집 하는 것 같고 두 자매는 먹는 둥 마는 둥 무표정하게 식사를 하

고 있다.새엄마 은주가 세 식구의 안색을 살피다가 정 을 못 참겠다는

듯 입을 연다.무뚝뚝한 아버지는 새엄마 은주의 수다에 짧은 답들만 할

뿐 빨리 식사를 마치고 벗어나려 하고 수미와 수연이 한 치를 보며

음식을 제 로 먹지도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음식에 한 거부는 어머니

와 아버지의 사랑에 한 거부이고 먹는 행 는 부모에 한 아이의 사랑

을 증명하는데,음식을 뱉거나 음식이 목에 걸린다는 것은 아이가 부모의

요구를 거부한다는 것이다.새엄마 은주의 음식을 거부함에 있어 수미와

수연은 새엄마 은주를 거부함과 동시에 자기 자신을 추방하고 애 젝트

시키는 행 를 하고 있다.그리고 새엄마 은주와 수미가 말다툼을 하는

공간으로서 긴장을 보이게 색채 비가 이루어진다.

은주에게 있어서 주방은 엄마로 보여

수 있는 그녀가 지키고 싶은 공간이

다.하지만 수미가 들어와서 부딪힘으

로서 화합을 하는 공간이 아닌 다투고

어지럽 진 그녀의 무의식을 반 한다.

부엌은 음식 재료들이 변형된다는 에

서 변형이 발생하는 공간이나 순간을 상징하며,수미와 분리된 자아인 은

주의 다툼은 수미에게 있어서 무의식의 충돌로 인해서 혼란스럽게 하고

- 64 -

<그림 26>잠을 설치는 은주

있다.은주의 동생 선규와 그의 처가 식사를 하러 온 날에도 이 주방 분

기는 새엄마 혼자서만 즐거워서 수다를 떨고 선규와 그의 처는 어딘지

불편하게 느껴진다.특히 선규처의 행동이나 표정은 불안함과 불편함이

역력하다가 은주가 선규에게 몰아 부치기 시작하면서 잔뜩 긴장해있던 미

희가 음식이 얹혔는지 갑자기 기침을 해 다.그러다 강도가 심해지

면서 바닥으로 쓰러지고 온몸의 경련을 일으키게 된다.가슴이 답답했는

지 자기 가슴을 세차게 쿵쿵 치면서 바닥에 먹은걸 토해낸다.이러한 선

규의 처 미희의 모습은 수미의 분리된 자아 은주를 보면서 불안하고 불편

한 상태를 나타내며 그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 죄책감일지 모른다.

(3)개인 인 침

인간에게 요한 수면 는 휴식을 취하기 해 사용되는 침 는 개인

인 공간으로 볼 수 있다.이러한 침 의 구성은 보온을 한 이불과 육

체를 편안하게 해 으로 엄마 같은 모성 인 코라 공간이다.침 는 외형

을 상징하며 잠은 본질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림 26에서 침 에 앉아있는 은주는

2층의 군가가 뛰는 듯한 소리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하여 조하고 불안한 몽

유병 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한편 수

연은 그녀의 방안에 엄마가 자살한 옷

장이 있다는 자체만으로 무서워하며,

군가 자기의 방을 몰래 들어와 자신을 지켜보고 가는 느낌에 언니 수미

- 65 -

<그림 27>수연의 옷장

의 침 로 고 들어간다.자고 있는 수연을 지켜본 사람은 다름 아닌 수

미의 다른 자아인 은주이다.은주는 공격 이고 폭력 으로 변하

면서 여리고 나약한 수연에게 표출하게 된다.자고 있는 수연을 깨우고

그녀의 개인 인 침 에서 수연을 끌고 내려옴으로써 몸싸움을 벌이고 그

러한 은주에게 항하는 수연을 볼 수 있다.이것은 개인 인 침 에

군가 침범하는 공포이다. 한 주인공 수미는 악몽에 시달려 잠을 이루지

못하고 그 악몽은 침 에서 기어 나와 수미를 가 르는 엄마 원귀

의 형상과 숲에서 만나는 어린 수미와 엄마의 모습으로 표 된다.침 에

서 보이는 인물들의 모습은 개인 인 본질 무의식의 상태를 표 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엄마가 자살한 옷장

수연의 방에 있는 옷장은 엄마가 목

을 매어 자살한 공간이며,그런 엄마를

구하기 해 끌어내리다 옷장이 엎어져

사고로 수연이 죽게 되는 장소이다.이

런 옷장은 당연히 수연에게는 무서운

암흑으로 뒤덮인 공간이며 엄마의 자궁

같은 존재인 것이다.다시 들어갈 수도 없고 들어가서는 안 되는 곳이기

에 새엄마 은주가 수연을 거기에 가두고 괴롭히는 것을 알 수 있다.이런

사정을 제로 할 때 창이 없는 폐쇄 인 방, 실인 옷장은 처녀성을 상

징하며 일종의 상호교통의 부재를 의미한다.크리스테바는 모성 육체와

- 66 -

<그림 28>계모 은주가 수연을 옷장에 가두고 괴롭히는 장면

연결되는 개념으로 이 개념을 증폭시키고 재구성하여 자신의 이론에 필요

한 개념을 채우는 데 히 사용되는 이미지로 태아의 첫 의미화 과정들

의 육체 자리를 특별히 정의하는 자궁으로 부터 온 정확한 기능 용어

인 코리온chorion의 의미로 사용한다.코리온은 어머니의 육체 구조와 태

아의 육체 구조가 공존하는 공간인 것이다.어머니의 육체가 옷장 안에서

죽고 동생 수연이 같이 깔려 죽은 옷장은 코리온으로서 공포를 일으키는

공간이다.크리스테바에게 요한 은유이자 이미지로서 경계에 한 심

의 심에 어머니가 있다.그래서 코라는 주체가 생성되는 동시에 부정되

는 곳으로 주체의 통일성이 그를 생산하는 변화와 정지의 과정 앞에 굴복

하는 공간이다.그러므로 마지막에 실제의 새엄마 은주에게 복수하는 공

간으로 나오는 이 옷장은 어머니의 육체는 변경의 장소를 차지하는 모든

요구를 받아들이는 그릇이며,모든 희열의 장소로서 다시 원귀가 나와서

은주를 괴롭힐 수 있게 표 된 것이다.

2)마음의 거울,호수

집에 돌아온 수미와 수연은 바로 집으로 들어가지 않고 머뭇거리다가

앞마당을 서성이고는 수지를 향해서 뛰어간다. 수지 선착장 에 앉

- 67 -

<그림 29> 수지 선착장 수미와 수연

아 두발을 물에 담가놓고 수미는 워서 새 란 하늘을 바라보며 동생 수

연은 호수를 뚫어지게 쳐다본다.베다69)의 경우 물은 가장 원 인 모성

을 상징하며,이는 우주의 발생 기에 근원으로서의 물질로 생각했기 때

문이다. 한 동양사상에서도 물은 용이 살고 있는 특수한 거처로 인식되

어 모든 생명이 물에서 태어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원 인 모성 공

간인 것이다.이런 의미에서 두 자매는 계모 은주가 있는 집이 아닌 물이

있는 모성 공간으로 호수에 향한다.더욱이 물은 일반화되어 생명을 유

지시키는 존재로 간주되며,그것은 비,수액,젖,피의 형태로 자연을 순환

한다.이런 에서 물은 무한과 불멸을 상징하며,고 문화에서 ‘상부의

물’과 ‘하부의 물’로 구분되어 자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상징하고,후자는

실화,혹은 창조된 것을 상징한다.잠재 의식,무의식인 물을 동생 수

연은 뚫어지게 보고 있으며,수미는 그녀의 무의식을 보려하지 않고 공허

한 하늘만 바라보는 것이다.

일반 으로 물은 모든 액체로 곧 바다,강,호수,샘 등을 지시하며 더

욱 원 인 우주의 으뜸가는 물질로서 일정한 형태와 견고성을 획득하기

의 모든 고체를 내포하기도 한다.연 술사들은 물을 변용의 첫 단계에

69)베다 [Veda]: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신화 제식문학(祭式文學)의 집 성이자 우주의

원리와 종교 신앙을 설명하는 철학 종교 문헌.

- 68 -

있는 수은으로 부르며,이를 토 로 인간의 ‘유동하는 몸’이라고 한다.여

기서 말하는 ‘유동하는 몸’은 정신분석학에 의하면 무의식,곧 일정한 형

태가 없으며,역동 인 여성 측면을 의미한다.

물에 잠기는 행 는 형태가 존재하기 의 상태로의 회귀를 상징하며,

한편으로는 멸과 죽음을,다른 한편으로는 재생과 소생을 의미한다.왜

냐하면 물에 잠기는 것은 생명력을 강화하게 하기 때문이다.세례의식에

서 물의 이런 상징 의미와 련되는 바이다.물속에 발을 담근 수미와

수연은 생명과 죽음,매장과 소생을 재 하고 있는 것이다. 로이트에 의

하면 꿈의 경우,물은 탄생을 말하며 ‘물의 구원’은 풍요와 비옥에서 나아

가 아이의 탄생을 상징한다.물은 모든 원소들 가운데 환이 가장 빠른

원소로 간주되어 물은 곧 불,공기, 지 사이에서 쉽게 환된다.쉽게

말하자면 물은 증발하여 에테르인 공기가 되고,굳어서 얼음이 되는 것이

다.이러한 물은 창조인 정 흐름과 괴인 부정 흐름으로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우리 신화에서 물은 창조의 원천,풍요,생명력을 상징하고

한 재생을 나타낸다.불교와 기독교에서 물은 정화를 상징하고 에

는 무상,무의미를 상징한다.서양에서 물은 모든 생명이 시작된 원

물질 바탕이다.양수,피,정액 등을 제로 할 때 물은 생명의 액체,근

원을 뜻하며, 한 세계에서의 끊임없는 유 ,무의식,망각인 것이다.

호수는 흡수하는 여성 인 습윤 원리를 나타내고 나아가 포용력을 갖춘

지혜,습한 것과 수동 인 성질을 암시함으로써 모성 인 공간으로 볼 수

있다.신비한 구조 형상을 보여 뿐만 아니라 이 형상으로 물은 언제

나 표면 인 세계와 깊이 있는 세계를 연결한다는 과 련되며 이런

들을 토 로 할 때 호수는 투명한 유동체로 인식된다.

- 69 -

<그림 30>원래 혼자 던 수미

물의 상징이 심연의 상징과 련된다는 에서 호수의 상징 의미에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이때 호수의 물은 생명과 죽음,고체와 기체,

유형과 무형 사이의 환을 상징하기 때문이며 동시에 호수,혹은 호수의

표면은 거울의 의미를 내포함으로서 호수는 자기 성찰,의식,계시를 상징

한다.호수는 ‘원’과 ‘무’의 세계,곧 일종의 무의식을 상징하며 조용한

고뇌,신비,기다림을 상징한다.이러한 상징으로 화의 마지막 장면은

혼자서 수지에 발을 담그고 있는 실

제 수미의 뒷모습을 보여주고 있다.흑

백장면에서 서서히 색이 입 지는 수미

의 무의식이 혼자서 아 하고 기다리면

서 한편으로는 나아지길 바라는 마음의

거울로 비춰진다.

3)무의식의 숲

<그림 31>수미의 꿈에서 보이는 숲

화 <장화,홍련>에서 숲은 수미의 무의식인 꿈으로 나타난다.꿈은

어린 시 에 수미의 모습으로 단편 인 형상이다.어슴푸 한 해질녘의

숲에서 얼굴에 물이 그 그 한 채 엄마를 찾고 있는 듯 보인다.엄마

- 70 -

<그림 32>숲의 길을 걷는 수미

의 뒷모습을 발견하고 천천히 다가가 엄마의 팔을 어린 수미의 손으로 잡

는 순간 선홍빛의 끈 한 피가 손에 묻어 있다.손은 정신세계를 상징하

며,곧 수미의 손에 엄마의 피가 묻어있다는 것은 정신 으로 애 젝트한

공포를 느끼고 있는 것이다.일반 으로 숲은 상징 의미로 어둡고 신비

하다는 에서 여성원리로 어머니와 동일시된다.한편 어둠을 강조하는

숲은 암흑,미지의 세계를 상징하고 따라서 수미가 가 리는 악몽으로

연결하게 된다.숲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미지의 탐험과 새로운 세계를 탐

험한다는 에서 세계를 암시한다.

숲은 수미의 꿈으로써 시련이 벌어지는 곳이며,미지의 험과 암흑이

지배하는 장소이다.암흑의 숲에 들어가는 것은 경계의 문턱을 넘어서 다

른 세계로 들어감을 상징하고,그녀의 혼이 미지의 험으로 들어가는 것,

죽음의 역,자연의 신비,그 의미를 찾아내기 해서 깊숙이 들어가지

않으면 안 되는 세계를 나타낸다.엄마가 숲에 있는 모습은 인

통찰력이나 명의 결여,신의 인도를 받지 못해서 암흑 속을 헤매는 상

징 인 죽음의 의미로 나타난다.

꿈이 아닌 실에서 수미가 엄마의

유품들을 찾기 해 폐창고로 가는 길

은 수미의 꿈에서 본 숲과 유사하다.

어디론가 불안하게 걷고 있는 수미는

꿈처럼 엄마의 기억을 찾기 한 숲의

길을 따라가고 있는 것이다.조용하고

막한 숲은 수미에게 공포 공간으로써 암흑같이 느껴지고 군가 보고

있는 듯이 뒤돌아보게 한다.

- 71 -

숲은 식물이 번창하며 화려하게 개화하고 그 무성한 잎이 햇빛을 가리

기 때문에 태양의 힘과 립되는 암흑 공간이다.그리고 서양 신화에 의

하면 숲은 결혼식 때 태양에 바쳐지는데 이때 숲은 여성 원리를 상징하고

인간의 무의식과 동일시되기 때문이다.이런 이유로 융에 의하면 ‘무성한

나무가 있는 역’은 이성 사고를 하는 무의식의 기를 나타내며,

안 한 지 인 도시,집,경작된 땅과 조 으로 숲 속에서는 험과 악

마, 과 질병이 거주한다고 알려진다.이처럼 수미는 숲에서 자신의 무의

식의 기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한 숲은 일상의 고통을 구원할 수 있

는 세계이기 때문에 불안해하고 있는 동생 수연에게 엄마의 기억들을 가

져다 수 있는 통로이다.기억과 동일시된다는 에서 무의식과 련되

며 마음의 역이고 여성원리이다. 로스트의 경우 숲은 먼 집과 같은

문명과 비되는 자연의 세계를 상징하며,‘한 해 에서 가장 어두운

녁’과 련된다는 에서 태양의 세계와 립되는 공간이다.

- 72 -

제 5장 결론

1.연구결과 요약

화는 등장인물의 내면감정을 심리 거리를 유지하여 객에게 새로

운 경험을 가능하게 해 다.이러한 상의 결과를 이해하기 해서 근본

인 원인을 악하는 것으로 우리가 공포 화를 찾고 즐기는 원인을

알아보기 해 공포 화의 핵심요소인 ‘공포’(horror)의 이론 배경을 살

펴보고 이를 한국공포 화와 목시키는 작업을 하 다.

본 연구의 목 은 2003년 한국에서 개 한 공포 화로 최고의 흥행기록

을 가진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공포의 표 특징은 어떠한 것이고,

보편 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 정서심리학에서 근본 인 공포에 의존하여 화를 분

석하는 입장은 심리 으로 주는 섬뜩한 공포의 본질이 개인 ,사회 의

미와 그 무의식을 악하는 데 요한 지침이 된다고 보는 입장이 나아가

공포와 연결된 논제를 풍부하게 만드는 요소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그

가운데서도 ‘공포’라는 정서에 주목하여 시 의 화는 객에게 공포심

을 불러일으키기 해 어떤 심리 ,시각 ,상징 요소들을 사용하고 있

는지 알아보고자 하 다.공포의 개념과 특성을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그

시 의 사회,문화 향을 동시에 수용하여 표 해내는 한국공포 화를

통하여 표 된 것으로 <장화,홍련>을 살펴보고,이러한 공포의 특성을

크리스테바의 모성에 한 공포 이론과 목시켜,오늘날 화에 나타난

- 73 -

공포의 표 을 고찰하 다.따라서 연구문제는 최근 가족의 공포를 표

한 한국공포 화에서 모성의 의미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이다.

사회에서 공포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크리스테바의 공포에 한 이론

과 표 양상을 살펴보고,크리스테바의 이론에 따른 공포의 표 이 한국

공포 화 <장화,홍련>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범주화하여 고찰하 다.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화 <장화,홍련>에 나타난 공포의 표 으로

서 주인공 수미의 심리상태와 공포의 시각 ,상징 표 들이 리아 크

리스테바가 말하는 우울증과 멜랑콜리,애 젝트,코라와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 분석하 다.

이를 살펴본 결과 공포 화로서 아직까지 최고 흥행작으로 남아있는

<장화,홍련>은 공포 화의 새로운 경향으로 코라 공간과 비체로서

의 원귀를 활용하여 심리 인 우울증과 멜랑콜리를 앓고 있는 수미에

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귀신 그녀의 행 를 추 하는 내러티 가 아

니라 원귀의 이미지를 차용 혹은 유하여 여성의 욕망을 표 하는 자의

식 인 공포 화의 등장을 알렸다고 할 수 있다.여기에서 심의 은

원귀가 아니라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주인공 수미의 무의식이 된

다.

첫째,수미의 심리상태로서 우울증과 멜랑콜리 인 요소를 찾을 수 있

었으며,이에 비롯된 분열된 자아로서의 은주와 수미의 쇼즈인 수연이 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다양한 색채 비의 모호한 경계로 인한 시각 공포를 나타내며

비체로서의 원귀와 애 젝트인 시체,생리 ,피,구토, 물 등을 보이고

있었다.공포 화가 그 역겨움과 잔인성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를 그토록

- 74 -

끌어당기는가에 한 욕망의 본질을 정신분석학자 리아 크리스테바는

우리가 가장 천하고 오스러운 것 애 젝트에 유혹되기 때문이라고 한

다.공포 화에서 보여 지는 조형 표 은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구성원

들 내에서는 말이나 보다 더 직 이고 강렬한 메시지를 시각 으로

달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등장인물과 공간 디자인의 표 은 넓은 공감 를 형성할 수

있게 도와 다.공포 화에 등장하는 인물과 그들의 공간은 시 의 정

신이 반 되는 정서 으로 불안한 모습을 지녔기 때문에,심리 으로 표

하기 해 코라 공간으로 모성 공간인 집이 두 자매와 은주,아버지

의 경계를 보이는 계단과 서로 가족들이 다투게 하는 주방,개인 인 심

리를 표 하는 침 ,엄마가 자살하고 수연이 사고로 죽었던 옷장이 나타

난다.두 자매가 발을 담그고 놀았던 호수는 수미에게 마음의 거울로써

그녀의 우울증과 멜랑콜리가 치유되길 바라는 무의식이었다.수미의 악몽

에서 보이는 숲과 엄마의 단편 인 이미지,엄마의 기억을 찾아가는 숲의

길은 수미의 기억과 같은 무의식을 보여주고 있다.그들의 공간은 인간의

상상과 감성 속에서 창조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공포의 모습을 보이면서

화의 주요 동력이 되었으며,그들은 모성 공간으로 디자인되면서

사회의 가족 내의 갈등과 여성의 욕구가 공포의 원천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공포 화에서 캐릭터와 공간디자인은 그들의 정보와 심리를 효과

으로 나타내고 공포 화의 서사를 강화하는 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

다.공포는 인간의 근원 인 본성에 호소하고 내재 인 공포를 바탕으로

의미체계를 구성하여 극 인 효과를 얻기 한 매우 유용한 방식일 것이

다.작가는 극 인 효과를 거두기 해서 단순한 표 이 아니라 다양한

- 75 -

객의 과거 경험이나 지 수 등 여러 가지 배경에 비추어 다양한 표

방식을 창조해 내는 것이 요할 것이다.그에 따는 공포의 효과는 심

리 ,시각 ,상징 표 으로 인해서 유발되는 긴장에 의해서 결정될 것

이다.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화 제작에 있어서 공포의 표 기틀을 마

련하고,보는 이의 감성에 극 인 효과를 일으키는 공포에 용될 수 있

으리라 생각된다.

구분 리아 크리스테바 장화,홍련

심리

[우울증과 멜랑콜리]

모성 상에 의한 불가능

한 상의 슬픔

주인공 수미의 심리상태와 원인으로 분

열된 자아인 수미와 은주가 보이며,수

미의 쇼즈로 잃어버린 상인 수연이

존재한다.

시각

[애 젝트]

주체도 객체도 아닌 비천한

존재

다양한 색채의 비와 비체로서의 원

귀,시체,피, 물로 표 된다.

상징

[코라]

애 젝트가 공존하는 모호

한 공간

모성 공간의 집에서 경계를 나 는

계단과 가족들이 모이는 주방,개인

인 모습을 보이는 침 ,엄마가 자살한

옷장으로 표 되며 마음의 거울로 호수

와 수미의 무의식인 숲이 나타난다.

<표 3> 리아 크리스테바와 화 <장화,홍련>의 공포 표

화가 담고 있는 사회 의미는 이 의 화들이 표방하는 고 인

가치를 그 로 공유하고 있을지라도 장르의 진화라는 측면에서 볼 때

상 화가 한국 화의 흐름에서 차지하는 치는 주목할 만한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화는 이 공포 화와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

- 76 -

을 가지고 최근 공포 화의 일 된 특징이 될 수는 없을 지라도 장르의

진화과정에서 이 화가 담고 있는 특징이 가지는 의미는 크다고 볼 수

있다.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시 문화조류에 따른 새로운

의 화를 언어 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화 속의 심리 ,시각 ,상

징 표 들로 인해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던 모성의 의미로 공포를 읽어

낼 수 있었다.앞으로 제작되어지는 화에서는 단순히 내용을 달하는

것을 넘어서 이색 인 소재와 다양한 표 을 통한,보다 창조 인 작업의

가능성을 지닌 표 을 통해 화의 정서를 담아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

여야 한다.새로운 신화를 창조하지는 않는다.왜냐하면 ‘새로운 신화란

없기 때문이다.’새로운 형태의 옛 신화들만 있을 뿐이다.따라서 화

인 환상의 세계를 설정함에 있어 익히 알려진 이미지들과 상징을 쓰는 일

은 무엇보다도 요하다.익숙한 이미지와 상징은 객으로 하여 그들

이 생각하는 화 속의 세계와 인물들,그리고 사건들에 해 표 되어

지면서 완정한 정도 부정도 할 수 없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이제

한국공포 화는 실험 인 단계와 고 인 단계를 거쳐 공포 화의 문법

과 스타일을 히 구사하며 기존의 습과 조화시켜 나가는 단계에 들

어선 것으로 보인다.최근 화들이 헐리웃으로 팔려 리메이크되거나

감독이 직 참여하여 헐리웃으로 진출하는 등 세계시장을 상 로 뻗어나

가고 있다.시 의 변화에 따라서 공포의 요소는 항시 변해간다.그러므로

새로운 공포 화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소재와 안정 인 스타일의 구축이

라는 형식 인 진화의 측면뿐만 아니라 문성을 더욱 특화하고 공고히

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한 부족한 은 무엇인지,더 연구하고 개

발하여 단 을 극복해야 한다.한국 화시장은 성장해왔고,앞으로도

- 77 -

발 가능성은 충만하다.독창 인 구상과 새로운 소재,다양한 근과 시

도가 필요하다.

2.연구의 한계 향후 과제

한국 화는 산업 으로 부신 성장을 거듭해왔으며,이 성장에는 화

의 질 인 성장뿐만 아니라 객들의 호응에 힘입은 상업 성공이 포함

되어 있었다.한국공포 화의 장르가 여러 가지 하 장르들로 다변화되

고 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한국공포 화는 이런 한국 화 성장과

더불어 소재의 다양성과 완성도,제작편수를 높여갔지만 비슷한 이미지의

반복과 스토리 구조의 논리성 결여 등으로 객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한국공포 화를 분석함으로써 미진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척박한 공

포 화 연구에 토 를 마련하려고 하 다.

본 연구는 공포 화 <장화,홍련>을 가지고 정서 측면에서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유발요인과 어떻게 련되어 있는지에 한 궁 증을

가지고 살펴보았으며,그것을 공포 표 의 심리 ,시각 ,상징 요소로

분석하 다.이는 해당 사회나 문화와 한 연 성을 갖는 공포 화가

세계 인 경쟁력을 가질 수도 있음을 보여 다.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한 공포의 시각 이미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애매모호함과 연구자의

정서에 내재되어 있는 공포의 배경 등으로 인한 변수의 오류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 향후 연구를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공포에 한

이론 고찰에 있어서 표 의 매개체를 화만으로 제한하여 고찰하 으

- 78 -

므로 화뿐만이 아닌 다양한 도구를 통한 공포 표 의 연구가 필요하다.

한 리아 크리스테바의 공포에 한 이론은 모성에 한 공포뿐만 아

니라 언어에 나타나는 기호학 인 면에서의 논의도 활발하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모성 인 측면에서 공포만을 고찰하여 논의의 범 를 제한하

으므로,크리스테바의 공포에 한 언어를 통한 기호학 인 논의를 충

분히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화에 표 된

공포 이미지를 언어를 통한 기호학 인 논의와 련시켜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그리고 화에 나타난 공포의 고찰은 리아 크리스테바 이론

의 범주인 우울증과 멜랑콜리,애 젝트,코라에 한 설명만을 한정하여

고찰하 으므로 공포에 한 다른 이론들과의 고찰에 있어서 한계가 있

다.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주들이 화에 있어서 의미하

는 가치를 공포에 한 다양한 이론과 각도에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

다.이 연구는 특정 화의 특징을 밝히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그 상이 한정 이고 상 화 이외의 다른 화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장르의 요한 특성들을 간과하고 있다는 이 한계로 지 된다.이와 더

불어 장르 연구에서 요하게 여겨지는 다른 요소인 산업과 수용자 측

면은 다루지 못하 다.아직까지 분석할 수 있는 표본수가 많지 않아,

용할 수 있는 통계학 분석 방법이나 신뢰도에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

으며, 화의 내용이나 성격이 객에게 제 로 달되었는가와 그 향

은 본 연구를 통해서는 알 수 없다.체계 인 자료의 한국 화 장르의

화사에 한 정리와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텍스트의 분석과 함께 수용

자 측면의 연구가 추후 공포 화 장르 연구에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향후 한국 객의 공포 화에 한 선호도를 보다 다양한 측면

- 79 -

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한국에서 개 했던 외국 공포 화를 포함하여 앞

서 지 한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앞으로는

화의 수용자 인 측면이나 생산자 인 면에서 공포 화의 객에 한 연

구와 작가주의 인 연구로 확장되어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2010년 개 을 기다리는 한국공포 화는 어림잡아 4∼5편이나 된다.

소재나 마 ,개 시기는 각각 조 씩 다르지만,이 게 차 그 산업

역을 넓 가고 있는 한국공포 화들이 질 으로나,상업 으로 성공

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체계 이고 치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80 -

참 고 문 헌

1.국내논

(1)단행본

김소 .《근 성의 유령들: 타스틱 한국 화》.서울: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2000.

김시 .《김시 의 공포 화 》.서울:장서가,2009.

김인환.《 리아 크리스테바의 문학 탐색》.서울:이화여자 학교출 부,2003.

김인환.《 랑스 문학과 여성》.서울:이화여자 학교출 부,2003.

김정호.《 화 따라잡기》.서울:평민사,2007.

김지훈.《특정공포증》.서울:학지사,2000.

문재철.《 화와 사회》.서울:소도,2005.

박장순.《문화콘텐츠 분석과 형상화 원리》.서울:형설,2009.

오 미.《문학과 만난 화》.서울:월인,2007.

이승구 외.《 화용어해설집》.서울:집문당,2000.

정명화.《정서와 교육》.서울:학지사,2005.

최성일.《책으로 만나는 사상가들 1》.서울:한국출 마 연구소,2004.

최종렬.《타자들:근 서구 주체성 개념에 한 정신분석학 탐구》.서울:백

의,1999.

한국 미문학 페미니즘학회.《페미니즘,어제와 오늘》.서울:민음사,2000.

허문 .《우리시 의 문화》.서울:한나래,1995.

- 81 -

(2)학 논문

김양지.〈한국 공포 화 습의 반복과 변화 :1960-80년 와 1990년 비교분

석〉.이화여자 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논문,2000.

김 정.〈암시효과를 이용한 화 홈페이지의 표 연구 :공포 화 세

(Seven)의 시각 표 을 심으로〉.이화여자 학교 디자인 학원 석

사논문,2002.

송지호.〈입원아동의 주사공포감소를 한 필름모델기법 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측정〉.이화여자 학교 간호학과 박사논문,1991.

신인숙.〈멜랑콜리 -우울증 장애에 한 목회상담학 고찰 : 리아 크리스

테바 이론을 심으로〉.호서 학교 연합신학 문 학원 석사논문,

2008.

윤 .〈 패션에 나타난 잔혹성 이미지 연구 :크리스테바(J.kristeva)이론

을 심으로〉.숙명여자 학교 가정 리학과 석사논문,2003.

윤장원.〈공포게임에서 유희 공포요소와 이어의 반응에 한 연구〉.숭

실 학교 미디어학과 박사논문,2008.

윤정원.〈색채에 의한 애니메이션의 내러티 표 방법 연구〉.홍익 학교 산

업 학원 석사논문,2004.

이민호.〈한국공포 화 산업의 변화와 향후 발 가능성 : 화 <아랑> 제작시

스템을 심으로〉.동국 학교 상 학원 화 상학과 석사논문,

2008.

이소윤.〈한국 공포 화 장르 습의 혼합과 변화〉.이화여자 학교 신문방송

학과 석사논문,2005.

이유진.〈공포 이미지를 이용한 패션사진〉.이화여자 학교 디자인 학원 석사

논문,2000.

이은의.〈공포인자의 특징에 따른 한국 공포 화의 분류 흥행과의 연 성 연

- 82 -

구〉.추계 술 학교 문화산업 학원 석사논문,2006.

이은주.〈슬래셔 화의 장르 특성연구〉.동국 학교 연극 화학과 석사논문,

1993.

이정아.〈키키 스미스(KiKiSmith)의 작품에 나타나는 몸과 아 젝트(Abject)

에 한 연구:1980년 후반~1990년 반 작품을 심으로〉.홍익

학교 미술사학과 서양미술사 석사논문,2003.

조성 .〈1998∼2006년 한국 일간지와 화 문지의 동 기간 개 한국 공포

화 련 기사 내용 분석〉.서강 학교 언론 학원 석사논문,2007.

조태호.〈애니메이션에서의 공포소구에 한 연구 :시각 요소의 유형별 분

석〉.홍익 학교 산업 학원 석사논문,2005.

조혜옥.〈 리다 칼로(FridaKahlo)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성 정체성의 문제 :

리아 크리스테바(JuliaKristeva)의 이론에 의한 분석〉.홍익 학교 미

술사학과 서양미술사 석사논문,2001.

정아.〈 건축에서 리아 크리스테바(JuliaKristeva)의 "아 젝션(abjection)"

용에 한 연구〉.부산 학교 건축공학과 석사논문,2003.

홍찬이.〈한국 공포 화의 즐거움의 변화에 한 연구〉.서강 학교 신문방송

학과 석사논문,1999.

(3)학술지ㆍ보고서

김상훈.〈 고에서 사용되는 공포소구에 한 연구〉.《 고학연구》 제7권 1

호,1996.

성 자.〈소설 모티 의 차용과 변용 -소설 『장화홍련 』과 화 <장화,홍

련>의 경우〉.《비교문학》 제45집,2008.

양애경.〈공포소설이란 무엇인가〉.《한국문 비평연구》 5권,1999.

- 83 -

이송이.〈경계의 매혹과 두려움 :「엑스텐션 Hautetension」의 육체에 드러난

균열과 타자성 - 리아 크리스테바 Julia Kristeva의 아 젝시옹

Abjection개념을 통하여〉.《한국 랑스학논집》 제56집,2006.

이정원.〈 화 <장화,홍련>에서 여성에 한 기억과 실제 -고소설 <장화홍련

>이본 연구 에서〉.《한국고 여성문학연구》 15호,2007.

차은진,박미령.〈애 젝트(abjection)로 표 된 의상〉.《한국복식학회 服飾》

제52권 2호 통권67호,2002.

최희재.〈 리아 크리스테바의 포스트모더니즘 윤리와 율리시즈 의 자아추방의

시학〉.《제임스 조이스 》 제9권 1호,2003.

2.국외논

(1)단행본

ㆍAndreaNye.《Feministtheoryandthephilosophiesofman》 Routledge,

1988.

ㆍKellyOliver.《Reading Kristeva:Unraveling theDouble-bind》 Indiana

Universitypress,1993.

ㆍJuliaKristeva,TorilMoi.《TheKristevaReader》 Blackwell,1992.

ㆍJuliaKristeva.《PowersofHorror:Anessay onabjection》 Columbia

universitypress,1982.

(2)번역서

ㆍCharlesG.Morris,Psychology,AnIntroduction.장동환 역,《심리학입문》.

- 84 -

서울 :박 사,1988.

ㆍElizabethWright,김종주 역,《무의식의 시학》.서울 :인간사랑,2002

ㆍJamesW.Kalat,MichelleN.Shiota,emotion.민경환 역,《정서심리학》.서

울 :시그마 스,2007.

ㆍJohn Lechte,Fifty key contemporary thinkers :from structuralism to

postmodernity.곽동훈 역,《한 권으로 보는 사상가 50》.서울 : 실문

화연구,2003.

ㆍJuliaKristeva,PouvoirsDeL'Horreur.서민원 역.《공포의 권력》.서울 :

동문선,2001.

ㆍJuliaKristeva,Aucommencement elaitl'amour.김인환 역,《사랑의 정신분

석》.서울 :민음사,1999.

ㆍJuliaKristeva,서민원 역,《세미오티 》.서울 :동문선,2005.

ㆍJuliaKristeva,Soleilnoir:depressionetm elancolie.김인환 역,《검은 태

양 :우울증과 멜랑콜리》.서울 :동문선,2004.

ㆍJuliaKristeva,Folleverite:veriteetvraisemblancedutextepsychotique.

서민원 역,《미친 진실》.서울 :동문선,2002.

ㆍJuliaKristeva,DieRevolutionderpoetischenSprache.김인환 역,《시 언

어의 명》.서울 :동문선,2000.

ㆍMadan Sarup, An introductory guide to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백 역,《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서울 :조형교

육,2005.

ㆍMaritRullmann,Philosophinnen.이한우 역,《여성 철학자》.서울 :푸른숲,

2005.

ㆍNoelleMcAfee,JuliaKristeva.이부순 역,《경계에선 리아 크리스테바》.

서울 :앨피,2007.

- 85 -

ㆍPam Morris,Literatureandfeminism.강희원 역,《문학과 페미니즘》.서울

:문 출 사,1997.

ㆍSokal, Alan D., Bricmont, Jean. Fashionable nonsense : postmodern

intellectuals'abuseofscience.이희재 역,《지 사기》.서울 :민음사,2000.

ㆍ우 라 I.마이어.송안정 역,《여성주의철학 입문》.서울 :철학과 실사,

2006.

3.인터넷자료

http://www.google.co.kr/구 검색엔진

http://www.naver.com/네이버 검색엔진

http://www.daum.net/다음 검색엔진

http://www.kofic.or.kr/ 화진흥 원회

4.DVD자료

김지운.『장화,홍련』 우성엔터테인먼트,2005.

- 86 -

ABSTRACT

A StudyontheExpressionofFearintheFilm

<A TaleofTwoSisters>

-FocusingonthetheoryofJuliaKristeva-

Kim,HaeMee

MajoringinProductionDesign

TheGraduateSchoolofFilm andDigitalMedia

Hong-ikUniversity

Thecinemaisagreatvisualinstrumentreflectingimageofanage

and the change ofconcepts.Itis a medium to make audiences

sympathizing with thedirector’sintention and idea and issettled

downascommunicationmethodamongthepeopleofmodernsociety.

Thecinemainducestheemotionsandengraveseverydetailinthe

audiences' minds by visualizing and expressing everything.The

primaryemotionssuchasjoy,anger,sorrow,etc.constitutethebase

ofthecinemaandinthisstudy,thehorrormovieproducedfocusing

onhorrorisbroughttoattention.

- 87 -

Inthisstudy,focusing on thehorrorimagesappearing in modern

Koreanhorrormovies,thefactorsinducinghorrorwerereviewedby

applyingJuliaKristeva’sfactorsofhorror.Sincethecinemaisthe

visualinstrumentreflectingfastanddirectlythehumandesires,the

socialandculturalatmosphere,theaestheticandmoralvalue,andthe

norm,observing horror images appearing in the modern Korean

horrormoviesmaybetheeasiestwaytostudytheperceptionon

horrorandthepatternsofexpressinghorrorinthisage.

Thepurposeofthisstudyistoreview whatarethecharacteristic

featuresofhorrorexpressionappearedinthemovie“A TaleofTwo

Sisters”,whichwasreleasedin2003andmarkedhighestbox-office

recordoutofKoreanhorrormovies,andhow didtheyappearinthe

movie.Focusingonthephenomenon,whichnewlyappearedKorean

horrormovieshavebeen constantly produced since1998,whether

thereisconnectionbetweentherecentKoreanhorrormoviepattern,

whichrevealsthepotentialtoconstituteanew genreofmovie,and

the phenomenon is analyzed based on the explanation of

horror-inducing factorsofJuliaKristeva.Assuch,itisreviewed

whatcharacteristic features does haveKoreans horrormovie and

analyzedtofindthesocio-culturalmeanings.

Therefore,thestudysubjectisestablishedasfollows.

How did themotherhood appearin recentKorean horrormovies,

whichdealwiththehorrorinthefamily?

Forthis,theconceptand characteristicsofhorrorin themodern

societywereidentified,andJuliaKristeva'stheoryofhorrorandthe

- 88 -

patternsofexpressionwereexamined,andthepatternsofexpressing

horrorappearedintheKoreanhorrormovie“A TaleofTwoSisters”

wasexaminedinaccordancewiththetheoryofJuliaKristeva.

Asaresult,theKoreanhorrormoviesdealtwiththehorrorinthe

family can beexplained with motherhood through JuliaKristeva's

theoryofhorror.IntheheroinSoomi'smentalstate,thedepression

and melancholic factors can be identified and because ofthem,

Eunjoo,thedividedselfandSooyeon,thechose,playedtheirroles.

The horrorwasexpressed visually with theambiguous boundary

withthecontrastofdiversecolors,andtheghostwithgrudgewas

expressedasabjection,andthedeadbody,themenstrual,thevomits,

thetears,etcareexpressedasabject.Sincethecharactersinthe

movieandtheirspacehaduneasyappearance,reflectingthespiritof

the times in modern age,the chora was expressed symbolically

throughthehouse,which isthespaceofmotherhood.Thestairs,

whichshowedtheboundaryamongtwosisters,Eunjoo,andfather,

thekitchen,whichmadefamilytofighteachother,thebeds,which

expressedpersonalappearances,andthecloset,wheremotherkilled

herself and Sooyeon was dead by accident, mean lack of

communication and symbolofhorror,which can be explained as

chora-space.Thelakewheretwosistersplayeddippingfeetinthe

wateristhemirrorofSoomi'smindandhersubconsciouswishing

recovering from depressionandmelancholy.Theforestappearedin

Soomi'snightmare,thefragmentedimagesofmother,theforestto

findthememoriesofmotheralludetodarksideofherworld.

- 89 -

Throughthisstudy,thecharacteristicfeatureoftheexpression of

horrorinthe“A TaleofTwoSisters”,whichwasreleasedin2003

andhasnumber1box-officerankinKoreanhorrormovies,were

examinedbylimitingconceptsandsubjectsofhorrormoviesreleased

recently,and found thatheroin'sdepression and melancholy were

usedforpsychologicalexpressionofhorror,theabjectwereusedfor

visualexpressionofhorrorandchora-spaceforsymbolicexpression

ofhorror.Thisstudyhasmeaningofconductingacademicanalysis

and verification ofexpressions appearing in thatmovieaccording

JuliaKristeva'stheoryofhorror,andcansuggesteffectivemeasure

toexpressthedirector'sintentionandthethemeinthecin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