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6
<대륙에서 영향받은 문화재> 1. 삼국시대 1)고구려 -짐승얼굴무늬 기와: 중국 북제(남북조. 550-577)의 기와 형식에 영향 받음 -산모양 장식품: 중국 북연(407-436. 5 호 16 국 중 하나)과 문물 교류 있었음 -북연의 풍소불묘에서 유사한 금동관 장식품이 발견. -온돌: 흉노에게 고구려식 온돌 전파 1)고구려 온돌과 매우 유사 2)ㄱ자형 온돌을 돌리는 주거지 형태도 흡사 3)흉노가 도입한 온돌의 형태는 초원지대에서 유지하기 힘듦. 또, 집단 해체 이후 잘 사용되지 않았음. 해서, 고구려에서 흉노로 온돌이 전파됨.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후에 삼국 모두에 전래됨 (횡적, 오현, 피리, 소) (좌: 당피리. 우: 향피리) 2)백제 -무령왕릉 벽돌 양식: 중국 남조(위진남북조의 남조)의 벽돌 양식이 전해짐. -남조는 벽돌로 무덤 쌓을 때 아치형(무지개)으로 쌓음. -무령왕릉은 남조의 양나라의 무덤과 매우 유사. -벽돌에는 양나라 관청에서 만든 벽돌을 모방하여 만들었다는 글귀 새겨 있음.

Upload: others

Post on 06-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chgoldenbell2013.weebly.com/uploads/1/3/2/6/13260053/continental_influence.pdf

<대륙에서 영향받은 문화재>

1. 삼국시대

1)고구려

-짐승얼굴무늬 기와: 중국 북제(남북조.

550-577)의 기와 형식에 영향 받음

-산모양 장식품: 중국 북연(407-436.

5 호 16 국 중 하나)과 문물 교류 있었음

-북연의 풍소불묘에서 유사한 금동관

장식품이 발견.

-온돌: 흉노에게 고구려식 온돌 전파

1)고구려 온돌과 매우 유사

2)ㄱ자형 온돌을 돌리는 주거지 형태도

흡사

3)흉노가 도입한 온돌의 형태는

초원지대에서 유지하기 힘듦. 또, 집단

해체 이후 잘 사용되지 않았음. 해서,

고구려에서 흉노로 온돌이 전파됨.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후에

삼국 모두에 전래됨 (횡적, 오현, 피리, 소)

(좌: 당피리. 우: 향피리)

2)백제

-무령왕릉 벽돌 양식: 중국

남조(위진남북조의 남조)의 벽돌 양식이

전해짐.

-남조는 벽돌로 무덤 쌓을 때

아치형(무지개)으로 쌓음.

-무령왕릉은 남조의 양나라의 무덤과 매우

유사.

-벽돌에는 양나라 관청에서 만든 벽돌을

모방하여 만들었다는 글귀 새겨 있음.

Page 2: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chgoldenbell2013.weebly.com/uploads/1/3/2/6/13260053/continental_influence.pdf

-매지권: 매매계약서. 고대 중국의 도교

사상 중 장례와 관련.

-중국 도교: 묘지를 땅의 신으로부터

구입하는 형식을 밟아 화폐와 함께 그

기록 적어 넣은 지석. 이를 묘지에 넣어

신으로부터 보호를 기원하는 매장 풍속.

(사진: 백제 매지권)

-계수호: 중국 동진에서 제작되어

백제에게 전해짐. 닭 머리 모양의 주구

(사진: 좌- 백제 계수호, 우-중국 동진과

남조에서 제작된 청자 계수호)

-무령왕릉의 수호신 (석수): 중국 묘장

풍습에서 기원

-무덤의 입구에 기괴한 모습의 공상적인

동물을 놓아 악귀를 쫓아 사자를

수호하려는 풍습=중국 풍습.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에 새겨진 북조

서체의 명문: 사리감=사리를 보관하는

용기로,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알려진

형태의 사리감일 뿐만 아니라 사리를

봉안한 연대와 사리 공양자가 분명히

남아있음. 사리함의 명문은 북조의

서체로서, 이는 백제가 북조와도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증명.

-호자(虎子): 호자= 호랑이 등의 동물

모양으로 만든 용기, 주로 변기로 사용.

개성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청자호는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수입된

것으로 보임. 부여 군수리 출토 호자는

중국 호자의 모양을 변화시킨 것으로,

이는 당시 백제가 국제적인 교류관계를

유지하면서 그들의 문화를 수용하고 이를

다시 변화·발전시킴으로써 백제만의

Page 3: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chgoldenbell2013.weebly.com/uploads/1/3/2/6/13260053/continental_influence.pdf

문화를 만들어갔음을 보여줌. 요강이랑

비슷한 생김새.

(사진: 좌- 백제 호자. 우-중국 호자)

3)신라

-유리병: 서역과 교류. 페르시아에서

제작되었다는 견해도 있음.

-금.옥 팔찌: 표면에 녹색의 터어키석과

회색.흑색의 보석을 박아 넣고 금

알갱이를 붙여 장식. 서아시아에서 전해짐.

기존 신라 팔찌와 다름

(사진: 좌-금옥팔찌, 우-기존의 신라 팔찌)

-금동 신: 경주 식리총에서 출토된 것으로

신발의 바닥으로, 거북등무늬 안에

짐승얼굴무늬와 새가 있고 그 둘레에

가릉빈가(새 몸에 사람

얼굴).새.기린.날개달린 물고기 등이

새겨져 있다. 새겨진 문늬는 중국

한나라에서 거울에서 많이 볼 수 있음.

(사진: 위-금동 신발 바닥, 아래-중국

한나라 거울)

Page 4: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chgoldenbell2013.weebly.com/uploads/1/3/2/6/13260053/continental_influence.pdf

2. 남북국시대

1)통일신라

-국학 : 당나라의 ‘국자감’에 영향 받아

교육기관인 국학 설립.

-석굴암: 벽면에 조각된 10 대 제자인은

아리아인 고승상에 영향받음

(사진: 위-석굴암 10 대 제자인, 아래-

아리아인 고승상)

-괘릉 무인석: 경주시 외동면에 있는

괘릉(8 세기 말의 원성왕릉으로 추측)을

지키고 서 있는 한 쌍의 무인석상은

서역인 형상임. 서역과 교류 있었음.

-백자 대접: 유물은 형주요邢州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당나라와의 교류를 엿볼 수

있음. 그릇의 형태는 청자와 같이

대접이나 접시류가 대부분.

-당나라에서 그릇 수입.

-뼈단지: 중국의 당삼채 기법이

적용되었음.

(사진: 좌-신라 뼈단지, 우-당나라 당삼채)

Page 5: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chgoldenbell2013.weebly.com/uploads/1/3/2/6/13260053/continental_influence.pdf

2)발해

-주작대로 : 당나라의 장안 ‘주작대로’에

영향 받음(도시 구획)

(사진: 위-발해 도시 구획, 아래-당나라

도시 구획)

-주자감: 당나라의 ‘국자감’에 영향 받음

3. 고려시대

-연지곤지: 원나라의 풍습으로 고려에

전래. 연지곤지는 유목민족의 화장법,

젊음을 상징.

-아악: 궁중의식에서 연주된 전통 음악.

송에서 전래되어 종묘에 쓰였음.

-황비창천명 청동거울: 황비창천=밝게

빛나고 창성한 세상. 북송, 금나라에서

많이 제작된 양식.

(사진: 좌-황비창천명, 우-중국양식과 비교)

4. 조선시대

-농사직설: 조선의 농서. 원나라의

‘농상집요’에 영향 받음.

-백운동 서원: 인재를 키우기 위해

사림들이 전국 곳곳에 세운 사설기관.

사림들의 학문적 기반. 중국의 ‘백록동

서원’에 영향 받음.

-향약: 향촌의 자치 규약. 일종의

향촌민들끼리 지켜야하는 약속. 중국의

‘여씨 향약’에 영향 받음. 종류에는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이

있음.

-칠정산: 세종 때 만든 역법서(시간을

구분하고 날짜의 순서를 매김, 일식 등

천체 현상을 관측). 원나라의 수시력과

명나라의 대통력(역법서)에 영향 받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연구함.

Page 6: -악기: 서역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파. …chgoldenbell2013.weebly.com/uploads/1/3/2/6/13260053/continental_influence.pdf

-동의보감: 광해군 때 만든 의학 전문서.

허준이 명나라 동초강목(명나라 의학서)에

영향받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제작.

-향약집성방: 약재에 관한 의학서. 역대

중국 의학 고서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