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20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연구 특허동향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2013 정부 R&D 특허기술동향조사 사업

Upload: others

Post on 24-Apr-2022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대사성 증후군 대응R&D 기획 연구 특허동향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2013 정부 R&D 특허기술동향조사 사업

Page 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1차)

대사성�증후군�대응�

R&D� 기획�연구

특허동향�보고서

2013.� 9

Page 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제�출�문

� �

� � 본� 보고서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연구� 분야의� 특허기술

동향조사�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3년� 9월

전 담 기 관 : 한국지식재산전략원Project Manager : 이지은 선임연구원

자 문 위 원

(주)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 권준성 선임연구원충남 대학교 : 김현진 교수경북 대학교 : 정지윤 교수

서울아산병원 : 고은희 교수

과 제 수 행 기 관 : 5T국제특허법률사무소책임연구원 : 장제환 변리사참여연구원 : 박지혜 대리

Page 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요약대사성증후군� 기술� 현황:::

� 현대사회의� 도시화된� 생활환경,� 과도한� 영양섭취� 및�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육체

적인� 활동감소는� 인슐린� 저항(insulin� resistance),� 복부� 비만,� 혈압상승,� 고중성지방

혈증,� 저지단백콜레스테롤혈증� 등의� 방별을� 초래하고� 있음.� 이러한� 대사성� 증후군의�

발생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아시아인의� 당뇨병� 발

별률의� 증가� 추세가� 빨라지는� 추세임.� 그러나� 대사성증후군에� 대한� 본격적인� 기술

개발은� 2000년대에� 시작되어� 부족� 할� 뿐만� 아니라� 인종� 및� 지역에� 따른� 유전적,� 환

경적� 요인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각� 국가의� 실정에� 맞게� 진단기준을� 적용하고� 치료�

가이드라인을� 정립하여야� 함.� �

조사관점:::

�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한� 특허·기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12월까지� 출

원공개� 또는� 출원등록된� 한국,� 미국,� 일본,� 유럽� 특허와� 2013년� 7월까지� 발표� 공개

된� 비특허문헌을� 분석� 함

특허기술� Landscape:::

� 대사성� 증후군� 기술은� 년도에� 따라� 특허출원�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

났으며,� 미국특허� 출원의� 건수가� 월등히� 많아� 전체� 동향이� 미국의� 경향에� 따라� 좌

우되는� 것으로� 조사됨

� 일본과� 유럽은� 2000년� 이후로� 특허� 건수의� 급증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정부차원의� 정책이� 기술� 개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경우� 대사성� 증후군에� 관한� 특허의� 출원이� 다른� 주요� 시장국에� 비하여� 시

Page 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기가� 늦지만� 꾸준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 � 대사성� 증후군� 기술의� 위치는� 출원건수와� 출원인수가� 계속� 증가하는� 성장기의� 단

계에� 있으며,� 특히� 4구간(2001년~2005년)과� 5구간(2006년~2011년)은� 기술� 개발

이� 가속화� 되는� 것으로� 분석됨

� 주요� 출원인의� 80%� 가� 미국국적으로�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을� 미국이� 주도하고� 있

음이� 나타났으며� 그� 중� 최다� 출원인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만이� 대학기관인� 것으로� 조사됨

핵심기술� 분석:::

� 각� 중분류에� 해당하는� 특허출원� 건수를�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00년대� 이전의�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에� 관한� 특허� 출원� 건수는� 연간� 10건� 내외로� 낮은� 수준이었으

나� 2000년� 대� 이후�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대사성� 증후

군이� 1990년대� 이후� 중요성이� 알려진� 사회적� 인식의� 변화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됨

� 대사증후군� 대응기술의� 개발� 초기에는�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에� 관한�

특허가� 높은� 비율로� 출원� 되었으나� 최근에는� 진단지표개발(CA)� 및� 예측모델개발

Page 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CB)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시작되고� 있음

� 또한,� 가장� 건수가� 많은�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기술은� 첫� 번째� 2000년까지는�

점차�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다시� 출원비율이� 증가하고� 있음

� 특허� 다출원인을� 조사한� 결과�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가� � 최

다� 출원인이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기관은� 모두� 기업,� 주로� 제약회사인� 것으로�

나타났음

� 그� 중� 일본� 기업인� Takeda� Chemical� Industries와� 미국� 기업인� Eli� Lilly� and�

Company,� XOMA� Technology,� Merck� Sharp� &� Dohme,� 그리고� 아일랜드� 기업인�

Amarin� Pharmaceutical� Ireland는� 제품과� 관련도가� 높은� 분야인� 대사증후군� 병인규

명� 및� 치료법� 개발에� 관련한� 특허의� 비중이� 매우� 높음

� 대사� 증후군에� 관련한� 논문은� 모든� 영역에서� 꾸준히� 출간� 건수가� 증가하는� 패턴으

로,� 특허� 출원� 동향과� 유사하게� 2000년� 이후� 출간� 건수가� 급증하는� 하였음

� 모든� 영역에서�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한� 세분화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저널

에� 집중되고� 있으며� 주로� 당뇨와� 내분비계� 학술분야에� 출간이� 이루어지고� 있음

�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에� 관하여� 논문� 출간� 건수가� 많은� 기관은�

University� of� California,� Harvard� Medical� School,�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으로� 주로� 미국의� 대학기관인� 것으로� 나타남

심층분석:::

� 유효특허� 중에서�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보건복지부의� 5대� 산출물� 분류기준에� 따라�

재분류� 하여� 특허인용� 집중도를� 조사하고� IP� History� 분석을� 통해� 기술의� 흐름을�

Page 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파악하고자� 하였음

� 그� 결과,� 현재까지는�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을� 위한� 새로운� 천

연물질� 또는� 기존의� 치료제의� 조합에� 관한� 신약과� 관련한� 특허의� 출원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또한,� 고위험군관리(BB)와� 예측� 모델� 개발(CB)의� 개발� 분야는� Landscape� 조사에

서� 최근� 특허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중도� 분석결과� 인용도가� 높은�

특허가� 부재하는� 것으로� 보아� 아직� 기술개발이� 시작단계임을� 추측할� 수� 있음

� 피인용건수가� 높은�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중심으로� IP� History를� 분석한� 결과,� 대

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분야는� 전반적으로� 비만� 또는� 인슐린� 저항성� 치

료를� 위한� 물질에� 대한� 특허의� 영향력이� 크고,� 세포를� 조절하는� 기술은� 2003년에�

출원되어� 매우� 높은� 인용도를� 나타냄

Page 1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분야의� 경우� 1990년대에는 대사성 증후군 환자와 관련한 특허가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에는 예방과 관련한 특허 즉, 대사성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의 특허가 인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진단� 분야의� 경우� 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활용하여 대사산물을 측정함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진단하는 특허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에서 주요 기술을 주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결론� 및� 시사점:::

�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한� 특허·기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출원공개� 또는� 출원등

록된� 한국,� 미국,� 일본,� 유럽� 특허와� 비특허문헌을� 분석한� 결과,� 대사성� 증후군� 기술

은� 년도에� 따라� 특허출원� 건수� 및� 논문�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났으

며,� 기술위치가� 성장기인� 것으로� 나타났음

� � 특허의� 경우� 미국의� 제약회사가� 출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의� 경우� 논문의� 출간과� 진단,� 관리� 및� 예방의� 출원� 비

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영향력이� 큰� 특허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을� 위한� 새로운� 천연물질� 또는� 기존의� 치료제의� 조합에� 관한� 신약과� 관련한�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었음

� 최근� 특허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고위험군관리(BB)와� 예측� 모델� 개발

(CB)의� 개발� 분야의� 특허는�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아직� 기술개발이� 초기

단계임을� 추측할� 수� 있음

� 특허와� 논문� 모두� 2000년대를� 기준으로�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

적� 인식변화에� 따른� 정부의� 정책과� siRNA등� 분자생물학적� 기술의� 발달에� 의한� 것

으로� 볼� 수� 있음

� 특히,�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정부차원의� 정책에� 힘입어� 관련� 특허의� 출원이� 급

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대사성� 증후군� 기술은� 국민보건� 정책과� 사회적� 인식변

화가� 중요함을� 시사함

Page 1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 한국의� 경우� 가장� 늦게� 기술을� 개발을� 시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꾸준한� 출원

이� 이루어지고� 있고,� 대사성� 증후군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

합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므로� 타국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인에� 맞는� 치료,� 진단� 및�

예방� 기술을� 개발하여야� 할� 것임

� 따라서,� 주요� 특허의� 집중도를� 고려해� 보았을� 때,� 기존에는� 화학물질� 중심의� 개발

이� 나타나지만,� 미래에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치료제로서�

생물학적� 제제� 및� 신약� 개발�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시사됨

� 대사� 증후군� 예방� 및� 관리,� 대사� 증후군� 진단� 분야에는� 전체� 특허� 건수� 및� 영향력

이� 큰� 특허의� 존재가� 적으므로� 한국인에� 맞는� 예방,� 관리� 및� 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것� 또한� 중요할� 것으로� 시사됨

� �

� �

� �

� �

Page 1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목� � � � 차

I.� 개� 요 ··········································································· 1

1. 분석배경 및 목적 ······································································· 3

1-1. 분석 배경 ················································································································ 3

1-2. 분석 목적 ················································································································ 3

2. 분석범위 ····················································································· 5

2-1. 분석대상 특허·논문 검색 DB 및 검색범위 ···························································· 5

2-2. 분석대상 기술 및 검색식 도출 ················································································ 7

2-3. 유효특허·논문 선별 기준 및 결과 ··········································································16

2-4. 분석방법 ··················································································································19

II.� 특허동향�분석 ························································ 21

1. 특허기술 Landscape ································································ 23

1-1. 국가별 Landscape ································································································ 23

1-1-1. 주요시장국 기술개발 활동현황 ······································································ 23

1-1-2. 기술시장 성장단계 파악 ··················································································28

1-2. 경쟁자 Landscape ································································································ 31

1-2-1. 주요 경쟁자 현황 ·························································································· 31

2. 핵심기술 분석 ············································································33

2-1. 세부기술별 동향 ······································································································33

2-1-1. 연도 구간별 대사성 증후군 세부기술 동향 ···················································· 33

2-1-2. 세부기술� 구간별� 점유증가율� 현황� � ························································ 35

2-2. 시장별 세부기술 동향 ···························································································· 37

2-2-1. 시장별 세부기술의 연도별 동향 ····································································· 37

2-2-2. 기술분류별 세부기술의 연도별 동향 ······························································· 39

2-3. 주요출원인 특허동향 ······························································································ 42

2-3-1. 주요출원인의 기술별 특허동향 ······································································· 42

3. 소결 ························································································· 44

III.� 논문동향�분석 ························································ 47

1. 학술연구 Landscape ································································ 49

1-1. 연도별 학술연구활동 현황 ····················································································· 49

Page 1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2. 주요기관 학술연구활동 현황 ·················································································· 50

1-3. 주요학회지 학술연구활동 현황 ··············································································· 51

1-4. 주요저자 학술연구활동 현황 ·················································································· 54

2. 소결 ························································································· 58

IV.� 심층분석(특허·논문) ············································· 61

1. 심층분석 Criteria ····································································· 63

1-1. 분석대상 특허·논문 선정기준 ·················································································63

1-2. 분석기준 ··················································································································63

2. 핵심기술에 대한 R&D방향성 및 전략도출 ······························· 64

2-1. 특허인용� 집중도� 분석 ························································································· 64

2-2. IP History ············································································································ 68

3. 소결 ························································································· 72

V.� 결론�및� 시사점 ······················································ 73

1. 결론 ························································································· 75

2. 시사점 ······················································································ 78

Ⅵ.� 부록 ········································································· 79

1. 요지리스트 ················································································ 81

Page 1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I.�개요1.� 분석� 배경� 및� 목적

2.� 분석범위

Page 1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1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

1.� 분석�배경�및� 목적

1-1.� 분석�배경

본�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과제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사업(1차)을� 위한� 연구기획� 단계에� 있어서� 해당� 기술분야에� 대한� 현재� 기술수준,�

기술개발동향,� 시장� 및� 산업동향� 조사� 등� 사전� 특허·기술�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R&D� 방향성� 검토를� 지원하도록� 보건복지부의� 요청에� 의해� 특허청이� 발주하고� 한

국지식재산전략원이� 주관하는� 사업임

1-2.� 분석�목적

인슐린� 저항증� 또는� 증후군� X(syndrome� X)로� 일컬어지기도� 하는� 대사성증후

군은,� 최근� 비만,� 당뇨,� 고혈압� 같은� 성인병이� 급증하면서� 심혈관계� 합병증� 유발의�

강력한� 요인으로서� 매우� 심각한� 질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사성증후군은� 인슐린�

저항(insulin� resistance),� 복부� 비만,� 혈압상승,� 고중성지방혈증,� 저지단백콜레스테

롤혈증� 등을� 임상적� 특징으로� 하며� 이� 중� 적어도� 3가지� 이상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

나는� 것으로� 정의된다.

현대사회의� 도시화된� 생활환경,� 과도한� 영양섭취� 및�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사회적� 업무환경은� 개체수준에서� 과다한� 에너지의� 저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대사성� 증후군의� 발현이� 필연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의�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NCEP-ATP� III)� 기준� 상� 미국인� 4명중� 1명�

정도로� 대사성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흑인남성의� 경우� 16%,� 멕시코계�

여성의� 경우� 37%로써� 인종간� 차이가�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는� 연령� 증가� 및� 체중�

증가와� 더불어� 유병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ord,� Giles,� &Dietz,� 2002).

국내의� 경우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98년� 실시된� 국민건강� 및�

영양조사� 자료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국민들의� 비만율은(체질량지수� 25이상)� 남성의�

경우� 25.1%,� 여성의� 경우� 28.1%� 이었고,� 대사성증후군� 유병율은� NCEP-ATP� III�

기준상� 남자� 20.8%,� 여자� 26.9%이었으며,� 연령� 보정� 유병율은� 남성� 14.2%,� 여성�

17.7%�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성� 증후군의� 발생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그� 속도는� 점점더� 빨라지는� 추세이다.� 아시아인에� 있어서� 대

사성� 증후군의� 한� 요소인� 당뇨병� 발병률의� 최근� 증가� 추세를� 볼� 때� 이러한� 미래� 우

리나라가� 닥치게� 될� 대사성� 증후군의� 위협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대사성증후군

에� 대한� 연구는� 타� 만성질환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할뿐만� 아니라� 연구마다� 진단

Page 1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

기준� 적용이나� 치료� 가이드라인이� 다르게� 적용되고� 결과의�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

다.� �

이에� 본� 보고서는� 국민� 보건을� 증진하고자�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의� 현재� 기

술수준,� 기술개발동향,� 사전� 특허�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대사증후군� 대응� 기

술의�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 �

의미:::� 분석� 목적은� 특허정보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하며,� 그를� 통하여� 본� 연

구개발과제� 수행의� 타당성에� 대한� 객관적인� 특허정보를� 제공해야� 함

Page 1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

2.� 분석�범위

� 본� 분석에서는�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한� 특허·기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12월까지� 출원공개� 또는� 출원등록된� 한국,� 미국,� 일본,� 유럽� 특허와� 2013년� 7월까

지� 발표� 공개된� 비특허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함

의미:::� 분석� 범위는� 특허정보의� 조사범위,� 조사기간,� 출원국가,� 대상문헌� 및� 정보조사� 시� 사

용되는� 특허정보� DB의� 종류가� 포함됨

2-1.� 분석대상�특허·논문�검색� DB� 및� 검색범위�

(1)� 분석대상�특허1)

자료�구분 국�가 검색� DB 검색구간 검색범위

공개․등록특허

(공개․등록일�기준)

한국특허

(KIPO)

KIPRIS

WIPS

~� 2013.3특허공개�및�등록

전체문헌

미국특허

(USPTO)

USPTO

WIPS

일본특허

(JPO)WIPS

유럽특허

(EPO,�

19개국�특허청2))

Espacenet

WIPS

<표� 1-1>� 검색� DB� 및�검색범위

※�정량분석구간:�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국제(PCT)� ~2010� (출원년도�기준)

� ※�정성분석구간:� 전체분석구간�대상� (~2013.3)

1)� ※�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 및� 국제(PCT)특허:� 출원일� 기준으로� 분석하며,� 일반적으로� 특허출원�

후� 18개월이� 경과된� 때에� 출원� 관련정보를� 대중에게� 공개하고� 있음.� 따라서� 아직� 미공개� 상태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2012~2013년� 자료는� 유효하지� 않으므로� 정량분석은� ~2011년까지� 유효데이터

로�분석함.� 단,� 정성분석에는�가장�최근�특허자료까지�포함하여�분석함

2)� 유럽� 19개� 각국� 특허청� :� 유럽특허제도는�유럽특허조약의�회원국� 사이에서� 유효한�유럽특허를�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서� 유럽특허조약(EPC� :� European� Patent� Convention)에� 따라� 유럽특허청(EPO)

에서� 운영함.� 유럽특허청(EPO)에� 출원함과� 관계없이� 유럽의� 각국� 특허청에� 출원한� 특허를� 포함하

여� 분석함.� (AT,� BE,� BG,� CS,� CZ,� DE,� DK,� ES,� FI,� FR,� GB,� GR,� HU,� IL,� IT,� LU,� NL,� NZ,� PL,�

PT,� SE,� SG,� SI,� TR)

� � �

Page 1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

(2)� 분석대상�논문

자료�구분 국�가 검색� DB 분석구간 검색범위

공개논문

(발표날짜�기준)국내·외�논문

SCOPUS

Pubmed

Google� scholar

~� 2013.7 논문제목,� 초록,� 키워드

<표� 1-2>� 특허검색� DB� 및�검색범위

※� SCOPUS� :� 32,059개� 저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SCIE급� 저널이� 8,159개로� 전체� SCIE급� 저

널의� 95%를� 보유하고� 있으며,� SCI급� 저널은� 3,692개로� 전체� SCI급� 저널의� 98%를� 보유하고� 있

Page 2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

2-2.� 분석대상�기술�및�검색식�도출

(1)� 기술분류체계

� 본� 분석에서는� 과제의� 연구내용� 제안서를� 기초로� 하여� 분류하였으며,� 심층분석� 시

의� 기술� 분야를� 동일하게� 적용함

의미:::� 분석대상� 기술의� 기술분류체계에서는� 과제의� RFP(제안요청서)� 또는� 기술요약서를�

기초로하여� 기획범위내의� 기술을� 기술분류별로� 구분하여� 대분류부터� 소분류까지� 가지치기�

식으로� 분류함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대사증후군

병인규명�및�

치료법�개발

(A)

인슐린�저항성�유발�

장기�기능� 장해�병인�

규명�및�치료법�개발

(AA)

간�대사�및�간세포�기능�조절� 치료기술� (AAA)�

지� 대사�및�지방세포�기능�조절� 치료기술� (AAB)�

근육�대사� 및� 근세포�기능� 조절�치료기술� (AAC)�

혈관� 기능�향상�치료기술� (AAD)�

췌장�베타세포�조절� 치료�기술� (AAE)�

인슐린�저항성�유발� 암� 치료�기술� (AAF)�

분자세포생물학적�

병인�및�

치료법�개발

(AB)

세포�소기관�기능�조절�기술� (ABA)�

metabolic� flux� 조절�기술� (ABB)�

염증�신호�조절� 기술� (ABC)�

산화스트레스�조절�기술� (ABD)�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B)

고위험군선별

(BA)

유전자�분석� 기반�고위험군�선별�기술� (BAA)� �

오믹스� (omics)� 연구�기반� 고위험군�선별�기술� (BAB)� �

내분비�장애물질�연관�고위험군�선별�기술� (BAC)� �

고위험군관리

(BB)

Life� style� management� 기술� (BBA)� �

환자�모니터링�기술� (BBB)� �

대사증후군�

진단

(C)

진단�지표�개발

(CA)

한국인�맞춤�진단� 지표�표준화� (CAA)� � �

대사증후군�진단지표�개발� (CAB)� � �

예측�모델�개발�

(CB)

대사증후군�및�합병증�발생�예측�모델� 개발� (CBA)� � �

대사증후군�치료효과�예측� 모델�개발(맞춤치료�기술)� (CBB)� �

<표� 1-3>� 분석대상�기술분류

Page 2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검색개요� (기술범위)

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

(A)

인슐린

타겟

장기 기능

조절

치료법

개발

(AA)

간 대사 및 간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AAA)

간 내 포도당 및 지질 대사 조절 기술, 지방간 및 간 내

인슐린 저항성 개선 기술

지방 대사 및

지방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 (AAB)

지방내 포도당 및 지질 대사 조절 기술,지방세포

분화유도 및 기능조절을 통한 인슐린 저항설 제어 기술

등 지방 유래 인슐린 저항성 개선 발굴 기술

근육 대사 및

근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 (AAC)

근육 내 인슐린 저항성 향상을 위한 근육세포 분화,

증식, 근육 내 대사 항상성 조절을 통한 치료법 개발

기술

혈관 기능 향상

치료기술 (AAD)혈관 세포의 기능 향상 및 혈관 이완기능 조절 기술

췌장 베타세포 조절

치료 기술 (AAE)

췌장 베타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거나, 활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분리 기능을 향상 시키는 기술

인슐린 저항성 유발

암 치료 기술 (AAF)

인슐린저항성을 병인으로 하는 암 제어 기술 및 암세포

대사조절을 통한 암치료 기술

분자세포

생물학적

병인 및

치료법

개발

(AB)

세포 소기관

기능조절 기술

(ABA)

소포체 (ER),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등 세포소기관 기능

조절을 통한 대사증후군 병인 및 치료법 개발 기술

metabolic� flux� 조절

기술 (ABB)

세포 내 대사경로를 이용한 포도당 및 지질, 아미노산

등의 분자들의 turnover rate 등을 제어하여

대사증후군을 치료하는 기술

염증 신호 조절

기술 (ABC)

세포 내 염증 신호 제어를 통한 대사증후군 치료법 개발

기술

산화스트레스 조절

기술 (ABD)

세포내 산화스트레스 조절을 통한 대사증후군 치료법

개발 기술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B)

고위험군

선별

(BA)

유전자 분석 기반

(BAA)

대사증후군 발생, 합병증 발생의 고위험 원인의 유전적

및 후생유전학적 원인 발굴 기술

omic� 연구 기반

(BAB)

생체시료와 오믹스 연구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고위험

바이오마커 및 분석 기술

<표� 1-4>� � 분석대상�기술분류기준

(2)� 기술분류기준

의미:::� 기술분류기준은� 위에� 작성된� 기술분류체계의� 가장� 하위분류인� 소분류의� 기술범위를�

한정함

Page 2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

내분비 장애 물질

연관 (BAC)

생체 내 내분비교란물질, 환경 화합물등과 대사증후군

발생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분석하는 기술

고위험군

관리

(BB)

Life� style�

management� 기술

(BBA)

실생활 적용 가능 식습관, 운동 등의 life style 관리

시스템 개발

환자 모니터링 기술

(BBB)대사증후군 관련 생체 지표의 모니터링 기술

대사증후군

진단

(C)

진단 지표

개발

(CA)

한국인 맞춤 진단

지표 표준화 (CAA)

한국인에 적합한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표준화 개발

기술

대사증후군

진단지표 개발

(CAB)

대사증후군 각 구성요소 및 합병증 의 진단 지표 개발

기술

진단 기술

개발

(CB)

대사증후군 및

합병증 발생 예측

모델 개발 (CBA)

발굴된 생체지표의 조합을 통해 대사증후군 및 이로

인한 합병증(예.심혈관질환)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

알고리즘 개발 기술

대사증후군

치료효과 예측 모델

개발 (CBB)

유전체 변이, 식습관 등의 영향으로 인한 대사증후군

약품 치료효과 예측 알고리즘 개발 기술

Page 2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

(3)� 핵심�키워드�도출

� 본과제의� 기술자문위원이� 제공한� 연구내용� 제안서를� 통해� 기술내용에� 근거하여� 키

워드를� 도출하고� 협력기관� 및� 자문위원의� 검수� 및� 피드백을� 통하여� 최종� 키워드를�

도출함

의미:::� � 기술분류체계의� 한정된� 기술범위를� 기초로� 하고� RFP의� 세부� 내용을� 꼼꼼히� 분석하여� 기술

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여� 핵심� 키워드를� 도출함

� 도출된� 키워드는� 수요자의� 검수를� 통하여� 1~2차례의� 수정과정을� 거쳐� 최종� 키워드를� 도출함

(4)� 검색식�도출�과정

� 본� 보고서에� 사용된� 검색식은� 도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수차례� 예비검색식을� 작

성� 및� 시험하고� 자문위원의� 수정을� 통하여� 가능한� 넓은� 범위의� 기술이� 검색되도록�

검색식을� 작성함

Page 2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1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검색식

검색건수

한국

KIPO

미국

USPTO

일본

JPO

유럽

EPO합계

대사증후군병인규명�및�

치료법�개발(A)

인슐린�저항성�유발�장기�기능�장해�병인�규명�및�

치료법�개발(AA)

간�대사�및�

간세포�기능�조절�

치료기술�(AAA)�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AMP*� adj� activated� adj� protein� adj�

kinase)� or� AMPK)� and� gluconeogenesis)�

or� (glucose� and� oxidation)� or�

(glycolysis)� or� ((fatty� adj� acid)� adj2�

synthesis)� or� ((fatty� adj� acid)� adj2�

oxidation)� or� (metabolic� adj� flux)� or�

((AMP*� adj� (활성*� or� 유도)� adj� 단백질�

adj� (키나*� or� 카이*� or� 키네*))� and� (포

도당� adj� 신생� adj� 합성))� or� ((포도당� or�

글루코*)� adj� (산화� or� 옥시*))� or� (해당�

or� 글리콜리시스� or� 글리콜라이시스� or� 글

라이콜라이시스)� or� (지방산� adj� 합성)� or�

(지방산� adj� 산화)� or� (대사� adj� (유동� or�

흐름))� or� ((non*� adj� alcoholic)� adj� fatty�

adj� liver)� or� NAFL*� or� (비알콜성*� adj�

(기름간*� or� 지방간*))� or� ((non*� adj�

alcoholic)� adj� steatohepatitis)� or� (비알콜

성*� adj� 지방간염*)� or� NASH*)

35 467 74 13 589

지�대사�및�

지방세포�기능�조절�

치료기술�(AAB)�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adipocyte� near2� differentia*)� or�

(adipocyte� adj� inflammation)� or�

adipokine� or� (fat� near2� synthesis)� or�

(re*� adj� esterification)� or� lipolysis� or�

(지방*� adj� 분화)� or� (지방*� adj� 염증*)� or�

아디포카인� or� (지방� adj� 세포� adj� 분비*)�

or� (지방*� adj� 합성)� or� (재*� adj� 에스테르

화)� or� (지방� adj� 분해)� or� 리폴라이시스�

or� 리폴리시스� or� (high*� adj� fat� adj� diet)�

or� 고지방식� )

27 385 28 6 446

근육�대사� 및�근세포�기능�조절�

치료기술�(AAC)�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glucose� near2� uptake)� or� (glucose�

near2� oxdiation)� or� ((fatty� adj� acid)�

near2� oxidation)� or� (metabolic� adj�

flexibility)� or� (muslce� adj� atropy)� or�

(Branch� adj� chain� adj� amino� adj� acid)� or�

4 220 5 14 243

(5)� 검색식

� 기술분류체계에� 따른� 최종� 검색식은� <표� 1-5>와� 같음�

<표� 1-5>� 기술분류체계에�따른� 최종�검색식

Page 2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2

BCAA� or� ((포도당� or� 혈당� or� 글루코*)�

adj� 흡수)� or� ((포도당� or� 글루코*� or� 지방

산)� adj� 산화)� or� (대사*� adj� 유연*)� or�

(근� adj� 위축*)� or� ((((가지� or� 분자)� adj�

사슬)� or� (브랜치드� adj� 체인� adj2� 사슬)�

or� 촉쇄)� adj� 아미노산)� )

혈관�기능�향상�

치료기술�(AAD)�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endothelial� near3� function)� or�

hypertension� or� atherosclerosis� or�

(vascular� adj� calcification)� or� (renin*�

adj� angiotensin� adj� system)� or� (혈관�

adj3� 기능)� or� ((혈관� adj� 세포)� adj3� 기

능)� or� 고혈압� or� 죽상동맥경화*� or� (아테

롬성� adj2� 경화*)� or� 고칼슘혈*� or� (혈관�

adj3� 석회*)� or� (레닌*� adj� (앤지오텐신*�

or� 안지오텐신*))� or� (RA*� adj� system)�

or� (vascular� adj� remodeling)� or� (혈관*�

adj� 구조*� adj� (변형� or� 변화� or� 리모델링�

or� 재형성))� or� (vascular� adj� function*�

near2� (study� or� studies))� or� (혈관*� adj�

기능*� adj� 연구)� )

115 1,341 253 139 1,848

췌장�베타세포�조절�치료�기술�(AAE)�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beta� adj� cell)� adj10� (apoptosis� or�

(insulin� adj2� secret*)� or� ((G*� adj�

protein� adj� receptor)� adj2� agonist)))� or�

((베타� *� 세포)� adj10� ((세포� adj� (자살or�

사멸))� or� (인슐린� adj� 분비)� or� (G*� adj�

단백질� adj� 수용체� adj� (아고니스트� or� 작

용*))))� )�

8 48 6 1 63

인슐린�저항성�유발� 암�치료�기술�(AAF)�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cancer� near2� metabolism)� or�

(obesity*� adj� related� adj� cancer)� or� ((암

*� or� 종양*)� adj� 대사)� or� (비만*� adj� (암�

or� 종양))� )�

4 36 1 1 42

분자세포생물학적�병인�및�

치료법�개발(AB)�

세포�소기관�기능�조절�기술�(ABA)�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endoplasmic� adj� reticulumn)� or� ER)�

adj� stress)� or� (mitochondria*� near2�

dysfunction)� or� mitophagy� or� ATP� or�

(citric� adj� acid� adj� cycle)� or�

(tricarboxylic� adj� acid� adj� cycle)� or�

(TCA� adj� cycle)� or� lysosome� or�

autophagy� or� (소포체*� adj� 스트레스)� or�

((미토콘드리아� or� 마이토콘드리아)� adj2�

38 261 49 6 354

Page 2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3

(이상� or� 장애))� or� (미토� adj� (파지� or� 퍼

지))� or� (TCA� adj� 회로)� or� (시트르산�

adj� 회로)� or� 리포좀� or� (오토� adj� (파지�

or� 퍼지))� or� (자가� adj� (소화� or� 포식))�

or� (자식� adj� 작용)� or� perosixome� or� 퍼

옥시솜� or� 퍼옥시좀� or� 페록시솜� or� 페록

시좀� )

metabolic�flux� 조절�기술�(ABB)�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 (metabolic� adj� flux)� or� (fuel� adj�

selection)� or� (metabolic� adj� pathway)� or�

gluconeogenesis� or� anaplerosis� or�

ketogenesis� or� (대사� adj� (유동� or� 흐름))�

or� 대사과정� or� 대사경로� or� (포도당� adj�

신생� adj� 합성)� or� 보충� or� (케톤*� adj� (생

산� or� 생성� or� 형성))� )�

4 122 3 3 132

염증�신호�조절�기술�(ABC)�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inflmat*� near� signal*)� or� (NF� adj�

KB)� or� (nuclear� adj� factor*� adj� kappa�

adj� B)� or� ((핵� adj� 인자*)� adj� ((카파� adj�

B)� or� kB))� or� macrophage� or� 대식세포�

or� 마크로파아지� or� 마크로퍼어지� or� 마크

로파지� or� 마크로퍼지� or� � inflammasome�

or� 인플라마솜� or� 염증조절복합체� or� 인플

라마좀� or� 염증조절결합체� )� �

5 245 3 5 258

산화스트레스�조절�기술�(ABD)�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reactive� adj� oxygen)� adj2� stress)� or�

(산화� adj� 스트레스)� or� (활성� adj� 산소�

adj2� 스트레스)� or� (reactive� adj� oxygen�

adj� speices)� or� ROS� or� (활성� adj� 산소*)�

or� (oxdative� adj� stress)� or� (산화*� adj�

스트레스)� or� (antioxidant� adj� enzyme)�

or� SOD� or� (항산화*� adj� 효소)� or�

(superoxide� adj� dismutase)� or� 과산화물

제거효소� or� mitochondria� 미토콘드리아�

or� 마이토콘드리아� )

25 176 14 5 220

소�계 265 3,301 436 193 4,195

대사증후군�예방�및�관리(B)

고위험군선별(BA)

유전자�분석�기반�

고위험군�선별�기술�(BAA)�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Gene� near2� mutation)� or� epigene*� or�

SNP� or� (Single*� adj� Nucleotide� adj�

Polymorphism)� or� GWAS� or� (Genome*�

adj� Wide� adj� Association� adj� Study)� or�

(유전*� adj� 변이)� or� ((후성� or� 후생)� adj�

유전*)� or� 단일염기변이� or� 단일염기다형

5 386 10 14 415

Page 2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4

성� or� ((유전체� near� 전장)� adj� 연관*� adj3�

(연구� or� 분석))� or� polymorphism� or� 다

형성� )

오믹스�(omics)�연구�기반�

고위험군�선별�기술�(BAB)�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 omics� or� metabolomics� or� proteomics�

or� lipidomics� or� (LC*� adj� MS*)� or� NMR�

or� 오믹스� or� 대사체학� or� 메타볼로믹스�

or� 리피도믹스� or� (지질� adj� 대사체� adj� 분

석)� or� 핵자기공명*� or� (mass� adj�

spectrometry)� or� 질량분석*� or� (GC*� adj�

Tof)� or� (metabolite*� near2� profil*)� or�

(대사산물� adj� (프로파일링� or� 계수� or� 분

석))� )

4 345 2 4 355

내분비�장애물질�연관�

고위험군�선별�기술�(BAC)�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endocrine� adh� disruptor)� or�

(Persistant� adj� organ*� adj� pollutant*)� or�

(environmental� adj� chemical� adj�

exposure)� or� (내분비*� adj� (교란*� or� 장

애*))� or� (잔류성� adj� 유기� adj� 오염물질)�

or� (환경� adj� 화합물)� )

3 486 2 11 502

고위험군관리(BB)

Life�style�

management� 기술�(BBA)�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 and

� (� nutrition� or� exercise� or� (patients� adj�

management)� � or� (식이� adj� 요법)� or� 운

동� or� 다이어트� or� diet� )

12 831 23 34 900

환자�모니터링�기술�(BBB)�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 ((ubiquitous� or� u*)� adj� health)� or�

((유비쿼터스� or� 유*� or� u*)� adj� (헬스� or�

건강))� or� (스마트� adj� 케어)� or� (smart�

adj� care)� or� smartcare� or� biomarker*� or�

바이오마커� or� ((생체*� or� 생물*)� adj� (지

표� or� 표지자))� )

5 205 4 13 227

소�계 29 2,253 41 76 2,399

대사증후군�진단(C)�

진단�지표�개발(CA)

한국인�맞춤�진단�지표�표준화�(CAA)� �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NCEP� or� WHO)� adj� criteria)� or� index�

or� ((NCEP� or� WHO)� adj� (지표� or� 기

준))� )�

and� (diagno*� or� 진단)� and� (한국*� or�

Korea*)

1 1 0 0 2

대사증후군�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6 764 18 30 818

Page 2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5

진단지표�개발�(CAB)� � �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dyslipidemia� or� hypertension� or�

(central� adj� obesity)� or� diabete*� or� 이상

지혈*� or� 고혈압*� or� (중심� adj� 비만)� or�

(복부� adj� 비만)� or� 당뇨*� or� cholesterol�

or� 콜레스테롤� )

and�

(diagno*� or� index)

예측�모델�개발� �(CB)

대사증후군�및�합병증�발생�예측�모델�개발�(CBA)� �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 algorithm� or� 알고리*� )

1 51 0 0 52

대사증후군�

치료효과�예측�모델�개발�

(맞춤치료�기술)�(CBB)� �

(� ((metabolic� adj� syndrom*)� or� � (대사*�

adj2� 증후*))� or� ((insulin� near2�

resistan*)� or� (인슐린� adj2� 저항*))� )�

and�

(� pharmacogenomics� or� (약리� adj� 게놈

학)� or� (게놈� adj� 의학)� or� (게놈� adj� 약

학)� or� (약물� adj� 유전체학)� or�

pharmacometabolomics� or� (약물� adj� 대사

체학)� or� (drug� � adj� response)� or� (약물�

adj� (반응� or� 약동))� or� prediction� or� 예

측� or� (personalized� adj� medicine)� or� (맞

춤*� near3� 의료*)� )

8 241 7 4 260

소�계 16 1,057 25 34 1,132

총�합�계 310 6,611 502 303 7,726

*� 유럽은� EPO(유럽특허청)에� 출원한�특허� 및� 유럽�내� 19개� 각국에�출원한�특허를�포함3)

3) 유럽� 19개� 각국� 특허청� :� 유럽특허제도는� 유럽특허조약의� 회원국� 사이에서� 유효한� 유럽특허를�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서� 유럽특허조약(EPC� :� European� Patent� Convention)에� 따라� 유럽특허청(EPO)

에서� 운영함.� 유럽특허청(EPO)에� 출원함과� 관계없이� 유럽의� 각국� 특허청에� 출원한� 특허를� 포함하여� 분

석함.� (DE,� FR,� GB,� AT,� BE,� CH,� DD,� DK,� ES,� FI,� IE,� IT,� LU,� MC,� NL,� PT,� RU,� SE,� SU)

Page 2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6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노이즈제거�및� 유효특허·논문� 추출기준

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

(A)

인슐린

타겟

장기 기능

조절

치료법

개발

(AA)

간 대사 및 간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AAA)

- 췌장 기능에 관여하는 인슐린 관련특허 배제

- 당뇨, 지질대사 연관 기술 배제

- 11ß-HSD, 간세포연관 FABP1, GLP, mtGPAT 관련 기술

선별

지방 대사 및

지방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 (AAB)

- 지방세포 대사 기술, 지방세포 생존 및 분화 관련

기술

선별

- 스크리닝법 배제

- 동물모델 배제

- 줄기세포관련 기술 배제

근육 대사 및

근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 (AAC)

- Renin-angiotensin system 연관 기술 배제

- 골 연골 세포관련 기술 제외

- 췌장세포 조절 기술 제외

혈관 기능 향상

치료기술 (AAD)

- 고혈압, 심혈관 연관 기술 선별

- 진단 및 스크리닝 기술 배제

- 비특이 대사질환 치료제 제외

췌장 베타세포 조절

치료 기술 (AAE)

- 베타세포에 작용하는 IL-1ß 활용기술 선별

- 간에 작용하는 insulin sensitivity 관련 기술 제외

인슐린 저항성 유발

암 치료 기술 (AAF) - 대사증후군 연관 암관련 기술 선별

분자세포

생물학적

병인 및

치료법

개발

(AB)

세포 소기관

기능조절 기술

(ABA)

- 미토콘드리아 대상 기술 선별

- PPAR 조절 기술 선별

- K+ATP 연관 기술 배제

metabolic� flux� 조절

기술 (ABB)

- 진단용 기술 배제

- 이미징 기술 제외

- 단순 flux 검출기술 제외

<표� 1-6>� � 분석대상�기술분류

2-3.� 유효특허·논문�선별�기준�및� 결과

(1)� 유효특허·논문�선별�기준

� 대사성� 증후군� 관련� 기술의� Raw� Data(표1-6� 참조)에� 대한� 유효특허·논문� 선별�

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함

Page 3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7

염증 신호 조절

기술 (ABC)

- 핵인자카파B, TNF 관련 조절기술 선별

- 영상기술 배제

산화스트레스 조절

기술 (ABD)

- 활성산소, SOD, NAD(P), NQD, antoxidant 관련 기술

선별

-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기술 선별

- 단순 스트레스 감쇄 기술 배제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B)

고위험군

선별

(BA)

유전자 분석 기반

(BAA)

- SNP, polynucleotide 연관 기술 선별

- promoter, SiRNA 조절 기술 선별

- 화학물질 또는 조성물 제외

omic� 연구 기반

(BAB)

- 프로파일 관련기술 선별

- 동물모델 선별

- 스크리닝 방법 선별

- 단독 protein 또는 gene을 대상으로하는 기술 배제

내분비 장애 물질

연관 (BAC)

- 내분비, 호르몬 관련기술 선별

- 저혈당증, 자궁내막증, 쿠싱증후군 선별

고위험군

관리

(BB)

Life� style�

management� 기술

(BBA)

- 헬스케어 관리시스템 연관 기술 선별

- 행동조절 기술 선별

- 기능성 의약품 또는 식품 배제

환자 모니터링 기술

(BBB)

- 대사산물 측정 기술 선별

- 바이오마커 기술 선별

- 일회성 진단기술 배제

대사증후군

진단

(C)

진단 지표

개발

(CA)

한국인 맞춤 진단

지표 표준화 (CAA) - 한국인 대상 기술 선별

대사증후군

진단지표 개발

(CAB)

- 진단용 바이오 마커기술 선별

- 증상 개선 및 치료기술 배제

진단 기술

개발

(CB)

대사증후군 및

합병증 발생 예측

모델 개발 (CBA)

- 진단 예측기술 선별

- 활용가능성 있는 마커 선별

대사증후군

치료효과 예측 모델

개발 (CBB)

- 치료효과 예측기술 선별

- 동물모델 선별

- 진단예측 기술 배제

- 식이요법 배제

의미:::� 유효특허·논문� 선별기준은� 상위에서� 조사된� 특허·논문에서� 추구하고자하는� 기술을�

선별적으로� 추출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 및� 기준을� 작성함

본� 기술과� 관련하여� 연구시� 문제가� 될� 수� 있는� 특허·논문을� 중심으로� 유효특허·논문을� 선별

Page 3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8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유효특허�건수

한국

KIPO

미국

USPTO

일본

JPO

유럽

EPO합계

대사증후군병인규명�및�

치료법�개발(A)

인슐린�저항성�유발�장기�기능�장해�병인�규명�및�

치료법�개발(AA)

간�대사� 및� 간세포�기능� 조절�치료기술� (AAA)� 19 99 36 6 160

지�대사�및�지방세포�기능� 조절�치료기술� (AAB)� 12 87 12 2 113

근육�대사�및�근세포�기능�조절� 치료기술� (AAC)� 3 23 3 1 30

혈관�기능�향상� 치료기술� (AAD)� 38 194 79 22 333

췌장�베타세포�조절�치료�기술� (AAE)� 1 26 2 1 30

인슐린�저항성�유발�암�치료� 기술� (AAF)� 4 3 1 1 9

분자세포생물학적�병인�및�

치료법�개발(AB)�

세포�소기관�기능�조절� 기술� (ABA)� 30 19 38 5 92

metabolic� flux� 조절�기술� (ABB)� 2 64 2 2 70

염증�신호�조절�기술� (ABC)� 4 75 2 1 82

산화스트레스�조절�기술� (ABD)� 12 20 6 1 39

소�계 125 610 181 42 958

대사증후군�예방�및�관리(B)

고위험군선별(BA)

유전자�분석�기반�고위험군�선별� 기술� (BAA)� � 5 142 10 11 168

오믹스� (omics)� 연구�기반�고위험군�선별� 기술�(BAB)� �

2 77 2 1 82

내분비�장애물질�연관� 고위험군�선별�기술� (BAC)� � 0 75 2 4 81

고위험군관리(BB)

Life� style� management� 기술� (BBA)� � 1 12 1 0 14

환자�모니터링�기술� (BBB)� � 2 51 0 11 64

소�계 10 357 15 27 409

대사증후군�진단(C)�

진단�지표�개발(CA)

한국인�맞춤�진단�지표� 표준화� (CAA)� � � 1 0 0 0 1

대사증후군�진단지표�개발� (CAB)� � � 4 306 14 24 348

예측�모델�개발� �(CB)

대사증후군�및� 합병증�발생� 예측�모델�개발� (CBA)� ��

1 18 0 0 19

대사증후군�치료효과�예측�모델� 개발� (맞춤치료�기술)� (CBB)� �

1 24 4 2 31

소�계 7 348 18 26 399

총�합�계 142 1,315 214 95 1,766

(2)� 유효특허�선별�결과

<표� 1-7>� 식량작물�유래�천연색소의�유효특허�선별결과

*� 유럽은� EPO(유럽특허청)에� 출원한�특허� 및� 유럽�내� 19개� 각국에�출원한�특허를�포함

Page 3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9

2-4.� 분석�방법�

� 본� 분석에서는� 이동통신� 기술분야의� 특허기술� Landscape,� 핵심기술� 분석으로� 나누어� 분

석함

○� 특허기술� Landscape�

� 특허기술� Landscape에서는� 조사대상국인�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에서의� 주요시장국� 기

술개발� 활동현황,� 구간별� 출원인수와� 출원건수의� 증감정도의� 분석을� 통한� 기술시장� 성장단

계� 파악� 및� 국가간� 기술경쟁력� 현황� 분석� 등을� 통해� 국가별� Landscape를� 분석함

� 또한,� 상위� Top10의� 다출원인� 도출을� 통하여� 주요� 경쟁자� 현황� 및� 주력기술분야

에� 대한� 파악을� 통하여� 경쟁자� Landscape를� 분석함

○� 핵심기술� 분석�

� 핵심기술� 분석에서는� 소분류별로� 구간별� 특허출원� 동향,� 주요시장국별� 세부기술� 동향,� 다

출원인의� 특허동향� 등을� 분석함

○� 학술연구� Landscape

� 학술연구� Landscape에서는� 연도별,� 주요기관별,� 주요학회지별,� 주요저자별� 학술연

구활동� 현황� 분석� 등을� 통해� 기술� 동향을� 파악함

○� 심층분석�

� 핵심연구분야� 분석에서는� 인용도가� 높은� 영향력이� 큰� 특허를� 선별하고� 이들� 특허

의� 기술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특허� 인용집중도를� 도출함으로

써,� 현재� 주목받고� 있는� 기술� 분야와� 장벽이� 낮은� 기술� 분야를� 조사하였음

� 또한,� 피인용건수� 중심의� IP� History를� 분석하여� 핵심� 출원인� 및� 주요� 흐름에� 따

른� 기술을� 분석하였음

Page 3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3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II.�특허동향�분석1.� 특허기술� Landscape

2.� 핵심기술� 분석

3.� 소결

Page 3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3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23

1.� 특허기술� Landscape

1-1.� 국가별� Landscape

1-1-1.� 주요시장국�기술개발�활동현황

� (1)� 전체�연도별�특허동향�

<그림� 2-1>� 연도별�특허동향

� 대사성� 증후군� 기술의� 특허� 출원� 동향을� 연도별로� 조사하였음

� 년도에� 따라� 특허의� 출원�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났으며,� 특히� 2000

년대� 이전에는� 연� 30건� 미만의� 특허� 출원이� 이루어� 졌으나  이후� 연간� 특허� 출원� 건

수가� 급증하여� 2008년에는� 187건에� 이르렀음

� 이러한� 동향은� 1998년� 세계보건기구(WHO)가� 대사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정립한�

이후� 집중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2012년전� 후의� 출원� 감소는� 미공개� 특허건이� 존재하기� 때문임

Page 3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24

(2)� 주요시장국�연도별�특허동향�

<그림� 2-2>� 주요시장국�연도별�특허동향

� 주요시장국의� 연도별�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미국특허� 출원의� 건수가� 월등히� 높아�

전체� 동향이� 미국의� 경향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조사됨

� 일본과� 유럽은� 2000년� 전� 후로� 특허� 건수의� 급증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정부차원에서� 대비� 하여� 2008년에는� 전� 국민� 대사증후군� 검진을�

의무화한� 정책이� 기술� 개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 일본의� 2011년� 이후� 특허� 출원의� 급감은�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대지진이라는� 국가재난에� 의한� 것으로� 판단됨

� 한국의� 경우� 대사성� 증후군에� 관한� 특허의� 출원이� 2004년부터� 본격화� 되어� 다른�

주요� 시장국에� 비하여� 시기가� 늦지만� 꾸준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Page 3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25

의미:::� � 출원연도(등록연도)에� 따라� 특허출원건수를� 시계열적으로� 표현한� 선형그래프로써,� 출원국가

별로� 연도별� 동향을� 나타낸� 것은� 특정시장에서의� 출원활동을� 분석하기� 위함이다.(주의할� 점은� 특허

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전체� 데이터에� 반영되지� 못하기� 때문

에� 최근연도의� 출원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 출원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해서

는� 안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Page 3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26

(3)� 주요시장국�내·외국인�특허출원현황

<그림� 2-3>�주요시장국� 내·외국인� 특허출원현황

� 주요시장의� 특허� 출원을� 살펴보면� 총� 1,766건의� 유효특허� 중� 74.7%에� 해당하는�

1,315건이� 미국� 출원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내� 출원은�

주로� 내국인에� 의한� 것으로(67%)� 조사됨

� 미국� 내� 외국인� 출원중� 일본인에� 의한� 출원이� 20.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

고� 있으며� 중국,� 프랑스,� 아일랜드� 순으로� 나타나� 동양인의� 출원� 비율이� 높음

� 전체� 특허�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시장은� 외국인이� 주고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그중� 64.7%가� 미국인에� 의한� 출원인� 것으로� 조사됨

� 유럽의� 경우� 내국인과� 외국인의� 출원비중이� 비슷하며� 외국인� 출원은� 미국,� 일본,�

한국� 순으로� 나타남

� 한국시장� 내� 출원은� 내국인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58%),� 외국인에� 의한� 출원은�

미국(37.9%),� 중국(17.2%),� 스웨덴(8.6)� 순으로� 조사됨

Page 4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27

※� 주요시장국� 내·외국인� 특허출원현황

� 대부분의� 기술은� 내국인이� 리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이� 리드는� 기

술의� 경우,� 그� 이유를� 환경적� 혹은� 정책적� 측면에서� 반드시� 살펴보아야한다.� 이러한� 경우에� 분석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 특허청별� 내외국인� 비율과� 연계하여� 세부기술별� 내외국인� 분포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특정시장에서�

자국기술의� 시장을� 리드하는� 세부기술과� 외국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세부기술을� 파악하는� 것도� 의미

가� 있다.

의미:::� 출원국가별로� 출원인� 국적의� 분포를� 막대그래프로� 구현하고,� 출원연도에� 따라� 내․외국인의�

특허출원건수�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특허출원국가는� 특허가� 출원된� 특허청이� 소재하고� 있는� 국가를� 말하는� 것으로� 특정시장에서�

권리활동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출원인국적은� 어느� 시장에� 출원했든지� 간에� 출원된�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자의� 국적으로,� 기술

보유국을� 의미한다.� 출원인국적을� 내국인과� 외국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해당� 출원국가에서� 자국

기술력이� 우세한지,� 외국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내․외국인의�

출원건수� 변화추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특정시장에서의� 외국기술� 유입상황을� 파악할� 수� 있

다.

Page 4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28

1-1-2.� 기술시장�성장단계�파악

<그림� 2-4>�기술시장� 성장단계� 파악

Page 4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29

� 대사성� 증후군� 대응� 기술� 관련� 분야의� 전체� 및� 해당� 국가의� 기술� 위치를� 포트폴리

오로� 나타낸� 것으로� 전체� 출원� 중� 최근의� 출원� 동향을� 5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

의� 구간별� 특허�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를� 나타내어� 특허� 출원� 동향을� 통한� 기술의�

위치를� 살펴볼� 수� 있음.� 각� 구간은� 1구간(1987년~1990년),� 2구간(1991년~1995

년),� 3구간(1996년~2000년),� 4구간(2001년~2005년),� 3구간(1996년~2000년)으

로� 나누었음

� 포트폴리오로� 나타낸� 전체특허의� 기술� 위치는� 1구간(1987년~1990년)부터� 5구간

(2006년~2011년)까지� 출원� 건수와� 출원인의� 수가� 계속� 증가하는� 성장기의� 단계에�

있으며,� 특히� 4구간(2001년~2005년)과� 5구간(2006년~2011년)은� 출원� 건수� 및�

출원인�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최근� 기술� 개발이� 가속화� 되는� 것으로� 분석됨

� 2000년대� 들어� 대사성� 증후군에� 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주요� 원인

으로� 지적되었던� 비만은�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위험에� 대한� 예방,� 건강한� 생활

에� 대한� 추구’라는� 보고서(2004년)를� 통하여� 21세기의� 흑사병이라고� 언급� 할� 정도

로�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 세계적인� 사회적� 현상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러한� 사

회적� 관심이� 대사성� 증후군� 기술� 개발의� 가속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임

� �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모두� 발전기에� 해당되어� 출원건수와� 출원인이� 지속적으로�

모두�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내고� 있어,� 최근에비만� 치료제�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에�

관심이�집중되고�있는�것으로�분석됨

[KIPO]� 특허의� 출원이� 최근에� 집중되어� 있어� 3구간(1996년~2000년)부터� 3구간

(1996년~2000년)까지의� 버블만이� 표시었으나� 출원인과� 출원건수의� 증가속도가� 빨

라� 각� 구간의� 간격이� 급격히� 벌어지고� 있음

[USPTO]� 출원인과� 출원건수� 모두� 다른� 시장의� 약� 4배에� 달하여� 전체� 특허� 동향을�

좌우하고� 있으며� 출원인과� 출원건수모두� 증가하는� 성장기인� 것으로� 나타남

[JPO]� 일본의� 경우� 질병부담을� 줄이고,�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각종� 대책을� 추

진하고� 과정에서� 생활습관에� 주목한� 질병대책,� 건강일본21(2000~2010년)의� 추진,�

대사증후군대책,� 표준건강진단� 지도� 프로그램� 도입,� 건강프런티어� 전략추진

(2005~2014년),� 개호예방사업의� 도입(2006~2011년)� 등� 정책에서� 영양과� 식생활

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내각부가� 중심이� 되어� 후생노동성,� 문무과학성,� 농림

수산성,� 지방의� 도도부현과� 시정촌,� 민간을� 참여시킨� ‘식육기본법’을� 제정하고,� 국민

운동으로� 식생활개선과� 영양교육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음.� 이러한� 사회적� 흐름

Page 4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0

에� 따라� 특허� 출원인� 및� 출원건구가� 4구간(2001년~2005년)과� 5구간(2006

년~2011년)에� 급증하고� 있음

[EPO]� 유럽특허의� 경우,� 출원인과� 출원건수거� 적긴� 하지만� 기술위치는� 전체의� 특허�

동향과� 유사한�흐름으로� 성장기인� 것으로�판단됨

의미:::� 각� 출원구간으로� 구분하여� 출원건수(특허건수)와� 출원인수(특허권자수)를� 2차원� 버블차트로�

구현한� 그래프임.� 버블의� 크기는� 출원인수(특허권자수)임

출원건수는� 기술개발의� 활동정도를� 나타내고,� 출원인수의� 증가는� 시장의� 신규진입자가� 증가하는� 것

을� 의미하며,� 이는� 해당기술분야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

태동기� 단계에서는� 출원인과� 출원건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단계로써� 연구활동이� 활발한� 것을� 판단

할� 수� 있으며,� 성숙기� 단계는� 출원건수� 및� 출원인의� 증가율이� 낮아지면서� 시장진입자들이� 빠져나가

는� 단계임.� 쇠퇴기� 단계는� 출원인� 뿐� 아니라� 출원건수도� 감소하여� 해당기술의� 시장이� 위축되는� 단계

로� 해석할� 수� 있음.� 회복기� 단계는� 원천기술을� 이용하여� 현� 시장에� 맞는� 기술들이� 다시� 개발되어� 새

로운� 아이디어와� 함께� 시장이� 재형성되는� 단계로� 볼� 수� 있음

해석� 및� 활용� 시� 유의사항:::� 모든� 출원국은� 속지주의� 원칙,� 즉�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상이한� 국가

에서� 획득한� 특허는� 각각� 독립적으로� 해당국가의� 법률에� 따라� 존속․소멸한다는� 원칙4)에� 따라� 독립적

으로� 권리의�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출원국가에� 특허출원한다는� 것은� 해당� 시장에서� 권리를�

이행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에� 출원국가별로� 해당기술의� 시장� 및� 개발현황을� 비교해봄으로써,� 어느� 시장이� 활발한지,� 기술개

발형성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음.� 주요� 시장국과� 우리나라의� 상황을� 비교해� 보고,�

우리나라보다� 기술개발단계가� 앞서있는� 시장국을� 파악하여,� 현재� 기술개발과� 기술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기술적인� 강점은� 무엇이며,� 기회요인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연구기획시� 주도면밀하게� 분석해야�

할� 것임

4)� 특허와�정보분석(개정판),� 한국발명진흥회,� ‘07

Page 4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1

1-2.� 경쟁자� Landscape

1-2-1.� 주요경쟁자�현황

<표� 2-1>� 주요� 경쟁자� Landscape

�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에� 출원한� 총� 특허� 건수를� 기준으로� 상위� 출원인을� 조사

하였음

� 주요� 출원인의� 80%� 가� 미국국적으로�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을� 미국이� 주도하고� 있

음이� 나타났으며� 그� 중� 최다� 출원인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만이� 대학기관인� 것으로� 조사됨

� 최다� 출원인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는� 대사증후군� 진단

지표� 개발(CAB)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을� 제외하면� 일본과� 아일랜드� 국적이� 주요� 출원인으로� 조사되었음.� 일본의� 경

우� 2002년부터� 준비작업을� 시작해� 2008년� 전� 국민� 대사증후군� 검진을� 의무화했으

며,� 아일랜드는� 과자류의� 판촉� 광고에� 만화캐릭터나� 유명인을� 출연하지� 못하도록�

하는등� 정부가� 지속적인� 정책을� 실현하고� 있음

� 대부분의� 주요� 출원인은� 제약회사로서� 주로� 치료제분야(metabolic� flux� 조절기술

Page 4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2

(ABB),� 혈관� 기능� 향상� 치료기술(AAD),� 염증신호� 조절기술(ABC))에� 주력하고� 있

으며� 80%가� 미국� 출원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주요� 출원인의� 출원은� 미국,� 일본,� 유럽,� 한국�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경우� 전

체� 건수의� 6.73%로� 주요� 출원인의� 출원이�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

의미:::� 특허활동이� 활발한� 연구기관이� 글로벌� 시장을� 타겟팅한� 기술개발을� 하고� 있는지,� 자국시장에�

한정된� 기술개발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 해당분야에서� 기술개발이� 활발한� 연구기관과� 주요� 연구기관이� 관심� 갖는� 시장국의� 파악

3극� 모두에� 출원한� 기술� 파악으로� 연구기관별� 중요� 특허� 수준을� 파악

※� 분석기준

1.� 출원인별� 국가별� 출원건수를� 산출하여,� 상위� 주요출원인� 기준� 출원국가의� 출원건수를� 표기

2.� 출원인별� 패밀리� 특허� 중� 3극(미국·일본·유럽특허청)에� 공동� 출원한� 특허수를� 산정하여� 출원인별

(국적별)� 출원건수를� 나타냄

3.� Patent� Family는� 동일한� 발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발명과� 관련된� 최초의� 출원(우선권� 주장� 기

초출원;� 일반적으로� 발명자� 또는� 출원인의� 자국에� 출원됨)을� 기초로� 하여,� 여러� 국가(특허청)에� 출원

된� 특허를� 의미함

Page 4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3

2.� 핵심기술�분석

2-1.� 세부기술별�동향

2-1-1.� 연도�구간별�대사성�증후군�세부기술�동향�

<그림� 2-5>� 분류별�점유율�및�연도별�출원동향

� � 각� 중분류에� 해당하는� 특허� 출원� 건수를� 연도별로� 조사하여� 연도� 구간별� 세부기

술� 동향을� 살펴� 보았음

� 전반적으로� 모든� 중분류에서� 연도에� 따라� 출원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그�

중� 인슐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A)에� 해당하는�

Page 4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4

특허의�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2000년대� 이전의�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에� 관한� 특허� 출원� 건수는� 연간� 10건� 내외�

였으나� 2000년� 대� 이후� 전체적인� 특허�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 복부비만,� 지방간,� 동맥경화증을� 중요한� 증상으로�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의� 대사

증후군은� 이미� 1960년대에� 유럽에서� 보고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심혈관계� 질환

의� 발생과� 사명률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지면서� 중요성이� 알려졌고,� 1990

년대� 말에� WHO에� 의하여� 대사증후군이란� 용어가� 탄생하였음.� 이� 후� 대사증후군이�

조명을� 받았기� 때문에� 2000년대� 이후� 특허건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판단됨

� 대사증후군� 대응기술의� 개발� 초기에는�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에�

관한� 특허가� 높은� 비율로� 출원� 되었으나� 최근에는� 진단지표개발(CA)� 및� 예측모델

개발(CB)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남

� 인슐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A)에� 관한� 특허가�

전체� 특허건수의� 38%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은� 진단�

지표� 개발(CA;� 20%),� 고위험군선별(BA;19%),� 분자세포생물학적� 병인� 및� 치료법�

개발(AB;� 16%),� 고위험군관리(BB;4%),� 예측� 모델� 개발(CB;� 3%)� 순으로� 나타났

� 대분류� A에� 해당하는� 기술(AA,� AB)가� 전체� 건수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고,� 대

분류� B에� 해당하는� 기술(BA,� BB)은� 전체� 건수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음� �

Page 4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5

2-1-2.� 세부기술�구간별�점유증가율�현황� �

� 세부기술� 추세를� 통한� 부상기술을� 파악하기� 위해서� 아래의� 그래프에서는� 세부기술별로� 연

도� 구간별� 특허기술의� 출원� 경향을� 살펴봄

<그림� 2-6>� 세부기술�구간별�점유증가율�분석� �

� � 첫� 번째� 구간인� 1987~1990년에는� 인슐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 규

명� 및� 치료법� 개발(AA)� 기술과� 진단� 지표� 개발(CA)� 기술� 영역의� 특허� 출원� 비율

이� 높게� 나타나� 초기� 개발이� 진단과� 치료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 두� 번째� 구간인� 1991~1995년에는� 고위험군선별(BA)� 기술이� 비중이� 급증하였고�

분자생물학적� 연구기법의� 발달에� 따라� 분자세포생물학적� 병인� 및� 치료법� 개발(AB)�

관련� 기술의� 출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음

� 세� 번째� 구간인� 1996~2000년에는� 분자세포생물학적� 병인� 및� 치료법� 개발(AB)의�

비주이� 급증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음

Page 4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6

� 진단� 지표� 개발(CA)� 영역의� 특허� 건수는� 연도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나� 상대적인�

비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측� 모델� 개발(CB)� 기술은� 세�

번째� 구간(1996~2000년)부터� 다섯� 번째� 구간(2006~2011년)까지�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됨

� 가장� 건수가� 많은�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A)� 기술은� 첫� 번째(1987~1990년)

부터� 세� 번째� 구간(1996~2000년)까지는� 점차�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네� 번째

(1996~2000년)� 부터� 다섯� 번째� 구간(2006~2011년)까지는� 다시� 출원비율이� 증가

하고� 있음

Page 5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7

2-2.� 시장별�세부기술�동향

2-2-1.� 시장별�세부기술의�연도별�동향� �

� 주요� 시장별� 세부기술� 동향을� 중분류� 수준에서� 조사하였음

� <그림� 2-7>� 시장별�소분류의�연도별�동향� � � � � � �

� 인슐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A)� 분야는� 미국

시장내� 특허건수가� 많아� 미국의� 특허� 동향이� 전체의� 동향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며� 유럽의� 출원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건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됨

Page 5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8

� 분자세포생물학적� 병인� 및� 치료법� 개발(AB)� 분야는� 미국� 시장내� 특허건수가� 타국

의� 두� 배� 이상으로� 나타나� 미국의� 특허� 동향이� 전체의� 동향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유럽의� 출원은� 2000년� 이후� 연평균� 약� 1건의� 출원을� 보이고� 있음

� 고위험군선별(BA)� 분야는� 미국시장� 내� 특허건수가� 타국의� 열� 배� 이상으로� 나타나� �

미국의� 특허� 동향이� 전체의� 동향을�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미국을� 제외한� 시장

의� 출원은� 건수가� 적고� 불연속적인� 모습을� 보임

� 고위험군관리(BB)� 분야� 또한� 미국� 내� 출원이� 전체� 동향을� 좌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미국을� 제외한� 시장의� 출원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남

� 진단� 지표� 개발(CA)� 분야는� 미국시장� 내� 특허건수가� 타국의� 열� 배� 이상으로� 나타

나� 전체의� 동향을� 좌우하고� 있고,� 모든� 주요� 시장국에서� 2005년� 전후로� 높은� 출원�

건수를� 나타냄

� 예측� 모델� 개발(CB)� 분야는� 최근인� 2005년� 이후� 출원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미국� 내� 출원이� 타� 시장에� 비하여� 매우�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음.� 미국을� 제외

한� 한국,� 일본� 및� 유럽은� 총� 5건� 미만의� 낮은� 출원� 수를� 보임

� � 일본과� 유럽의� 경우� 2000년대� 초반부터� 정부차원의� 홍보와� 정책을� 지속한� 결과�

관련� 기술의� 특허출원이� 나타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모든� 분류에서� 매우� 낮은� 출

원� 건수를� 보이고� 있으며� 출원� 시점� 또한� 타국에� 비하여� 뒤처지는� 것으로� 조사됨

� 대사성� 증후군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요인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므로� 타국

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인에� 맞는� 치료,� 진단� 및� 예방� 기술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

로� 판단됨

의미:::� ‘세부기술별� 추세선� 분석’� 항목에서는� 사전에� 기술트리를� 작성하여� 해당� 분야의� 세부� 기술을�

확정하고� 각국� 특허청� 별� 연도별� 출원에� 따른� 추세를� 분석한다.

‘연도별� 부상기술� 추세선� 분석’� 항목에서는� ‘세부기술별� 부상기술� 추세선� 분석’� 항목에서� 분석된� 세부

기술별� 출원� 추세를� 중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한다.�

활용방법:::

‘세부기술별� 추세선� 분석’� 항목은� 각� 세부기술� 별� 어느� 국가의� 특허청에� 많이� 출원이� 되었는지,� 최근�

추세는� 어떠한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해� ‘연도별� 추세선� 분석’을� 실시하면� 동

일한� 기준� 아래에서� 각� 세부기술� 별� 충원� 추이의� 절대값을� 서로�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의� 여러� 세부기술� 중� 어떤� 세부기술이� 최근� 부상하고� 있으며,� 관심이� 집중되

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Page 5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39

2-2-2.� 기술분류별�세부기술의�연도별�동향� �

� 기술분류별� 세부기술� 동향을� 소분류� 수준에서� 조사하였음

<그림� 2-8>� 소분류의�연도별�동향� � � � �

� �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에� 해당하는� 소분류에� 대하여� 연도별� 동향을�

조사하였음

� 대부분의� 소분류에서� 2000년� 이후� 연간� 출원� 건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2005년부터� 최근까지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간� 대사� 및� 간세포� 기능� 조절� 치료

기술(AAA),� 지� 대사� 및� 지방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AAB),� 혈관� 기능� 향상� 치료기술

(AAD),� 세포� 소기관� 기능� 조절� 기술(ABA),� 염증� 신호� 조절� 기술(ABC),� 산화스트레스� 조절�

기술(ABD)이� 주목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Page 5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0

<그림� 2-9>� 소분류의�연도별�동향� �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에� 해당하는� 소분류에� 대하여� 연도별� 동향을� 조사하였음

� Life� style� management� 기술(BBA)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분류에서� 2000년� 이후� 연간� 출

원� 건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2005년부터� 최근까지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유전자� 분석� 기반� 고위험군� 선별� 기

술(BAA),� 오믹스� (omics)� 연구� 기반� 고위험군� 선별� 기술(BAB)이� 주목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Page 5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1

<그림� 2-10>� 소분류의�연도별�동향� �

� 대사증후군� 진단(C)에� 해당하는� 소분류에� 대하여� 연도별� 동향을� 조사하였음

� 대사증후군� 진단지표� 개발� (CAB)은� 2000년� 이후� 출원� 건수가� 급증하였으나� 2005년부터�

2010까지�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1년� 다시� 건수가�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나� 이� 후�

기술� 동향을� 지켜봐야할� 것

� 최근에는� 대사증후군� 치료효과� 예측� 모델� 개발(맞춤치료� 기술)(CBB)이� 꾸준한� 출원을� 보

이고� 있음

Page 5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2

2-3.� 주요출원인�특허동향

2-3-1.� 주요출원인의�기술별�특허동향

<그림� 2-11>� 다출원인의�기술별�특허동향

� 최다� 출원인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를� 제외한� 나머지� 기

관은� 모두�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제약회사의� 특허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의� 특허는� 대사증후군� 진단(C)� 관련�

기술의� 비중이� 38%로� 가장� 높지만� 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이�

29%,�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가� 33%로� 균등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일본� 기업인� Takeda� Chemical� Industries와� 미국� 기업인� Eli� Lilly� and� Company,�

XOMA� Technology,� Merck� Sharp� &� Dohme,� 그리고� 아일랜드� 기업인� Amarin�

Pharmaceutical� Ireland는� 제품과� 관련도가� 높은� 분야인� 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

료법� 개발(A)에� 관련한� 특허의� 비중이� 매우� 높음

� 다른� 다출원인의� 양상과는� 달리� Arena� Pharmaceuticals는�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리(B)� 분야의�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Bristol-Myers� Squibb는� 제약회사중�

유일하게� 모든� 분야에� 걸쳐�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Page 5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3

의미:::� ‘다출원인의� 기술별� 특허출원동향’을� 통해� 다출원인� 혹은� 주요출원인의� 기술� 집중도� 및� 출원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출원인의� 출원비중도� 파악함으로써� 기술의� 상대적인� 집중도를�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왼쪽� 그래프를� 통해서� 각국� 특허청에� 출원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

노란색� 내부그래프는� 주요� 시장인� 3극� 특허에� 집중해� 있는� 집중도도� 알아볼� 수� 있다.

활용방법:::

다출원인의� 기술별� 포트폴리오를� 보여주는� 오른쪽� 그래프는� 상대적인� 수치임을� 명시해야� 한다.� 왼쪽�

그래프는� 각� 특허청에서의� 출원현황임을� 명시해야� 한다.� 특히� 3극� 특허는� 별도로� 분류하여� 주요� 시

장에서의� 집중도를� 언급해야� 한다.

Page 5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4

3.� 소� 결

� 대사성� 증후군� 기술은� 년도에� 따라� 특허출원�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

났으며,� 미국특허� 출원의� 건수가� 월등히� 많아� 전체� 동향이� 미국의� 경향에� 따라� 좌

우되는� 것으로� 조사됨

� 일본과� 유럽은� 2000년� 이후로� 특허� 건수의� 급증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정부차원의� 정책이� 기술� 개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경우� 대사성� 증후군에� 관한� 특허의� 출원이� 다른� 주요� 시장국에� 비하여� 시

기가� 늦지만� 꾸준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대사성� 증후군� 기술의� 위치는� 출원건수와� 출원인수가� 계속� 증가하는� 성장기의� 단계

에� 있으며,� 특히� 4구간(2001년~2005년)과� 5구간(2006년~2011년)은� 기술� 개발이�

가속화� 되는� 것으로� 분석됨

� 주요� 출원인의� 80%� 가� 미국국적으로�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을� 미국이� 주도하고� 있

음이� 나타났으며� 그� 중� 최다� 출원인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만이� 대학기관인� 것으로� 조사됨

� 각� 중분류에� 해당하는� 특허출원� 건수를�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00년대� 이전의�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에� 관한� 특허� 출원� 건수는� 연간� 10건� 내외로� 낮은� 수준이었으

나� 2000년� 대� 이후�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대사성� 증후

군이� 1990년대� 이후� 중요성이� 알려진� 사회적� 인식의� 변화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됨

� 대사증후군� 대응기술의� 개발� 초기에는�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에� 관한�

특허가� 높은� 비율로� 출원� 되었으나� 최근에는� 진단지표개발(CA)� 및� 예측모델개발

(CB)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시작되고� 있음

� 또한,� 가장� 건수가� 많은�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기술은� 첫� 번째� 2000년까지는�

점차�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다시� 출원비율이� 증가하고� 있음

�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에� 해당하는� 소분류의� 대부분은� 2000년�

이후� 연간� 출원� 건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2005년부터� 최근까지의� 동향을� 살펴보면,� 간� 대사� 및� 간세포� 기능� 조절� 치

료기술(AAA),� 지� 대사� 및� 지방세포� 기능� 조절� 치료기술(AAB),� 혈관� 기능� 향상� 치

Page 5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5

료기술(AAD),� 세포� 소기관� 기능� 조절� 기술(ABA),� 염증� 신호� 조절� 기술(ABC),� 산

화스트레스� 조절� 기술(ABD)이� 주목받고� 있음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에� 해당하는� 소분류� 중� Life� style� management� 기술

(BBA)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분류에서� 2000년� 이후� 연간� 출원� 건수가� 급증하는� 것

으로� 나타남

� 특히,� 2005년부터� 최근까지의� 최근� 동향에� 따르면,� 유전자� 분석� 기반� 고위험군� 선

별� 기술(BAA),� 오믹스� (omics)� 연구� 기반� 고위험군� 선별� 기술(BAB)이� 주목받고�

있음

� 대사증후군� 진단(C)에� 해당하는� 소분류� 중,� 대사증후군� 진단지표� 개발� (CAB)은�

2000년� 이후� 출원� 건수가� 급증하였으나� 2005년부터� 2010까지� 급감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2011년� 다시� 건수가�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나� 이� 후� 기술� 동향을� 지켜봐

야할� 것으로� 판단되고,� 최근� 대사증후군� 치료효과� 예측� 모델� 개발(맞춤치료� 기

술)(CBB)이� 꾸준한� 출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특허� 다출원인을� 조사한� 결과�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가� � 최

다� 출원인이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기관은� 모두� 기업,� 주로� 제약회사인� 것으로�

나타났음

� 그� 중� 일본� 기업인� Takeda� Chemical� Industries와� 미국� 기업인� Eli� Lilly� and�

Company,� XOMA� Technology,� Merck� Sharp� &� Dohme,� 그리고� 아일랜드� 기업인�

Amarin� Pharmaceutical� Ireland는� 제품과� 관련도가� 높은� 분야인� 대사증후군� 병인규

명� 및� 치료법� 개발에� 관련한� 특허의� 비중이� 매우� 높음

� 다른� 다출원인의� 양상과는� 달리� Arena� Pharmaceuticals는�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리(B)� 분야의�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Bristol-Myers� Squibb는� 제약회사중�

유일하게� 모든� 분야에� 걸쳐�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Page 5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6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III.�논문동향�분석1.� 학술연구� Landscape

2.� 소결

Page 6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6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49

1.� 학술연구� Landscape

1-1.� 연도별�학술연구활동�현황�

<그림� 3-1>� 연도별�논문발표�동향

� � 대분류에� 해당하는� 논문의� 출간�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을� 조사하여� 그래프

로� 나타내었음.� 그래프의� 실선은� 각� 분야에� 해당하는� 논문건수,� 바그래프는� 해당년

도까지의� 누적� 출간건수를� 나타냄

� 대사� 증후군에� 관련한� 논문은� 모든� 영역에서� 꾸준히� 출간�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허� 출원� 동향과� 유사하게� 2000년� 이후� 출간� 건수가� 급증하

는� 패턴을� 보이고� 있음

� 연간� 특허� 출원� 건수의� 경우�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 영역의� �

기술이� 가장� 많았으나� 논문� 건수의� 경우� 가장� 낮은� 출간� 수준으로� 나타나� 논문� 건

수� 대비� 출원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됨

Page 6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0

1-2.�주요기관 학술연구활동 현황

<그림� 3-2>� 주요기관�연구활동�현황

� 대사증후군� 기술의� 각� 대분류에� 해당하는� 논문의� 출간� 건수를� 기관별로� 조사하였음

�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에� 관하여� 논문� 출간� 건수가� 많은� 기관은�

University� of� California,� Harvard� Medical� School,�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으로� 주로� 대학기관인�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에� 관한� 논문� 건수는� University� of� California,� Harvard�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Toronto로� 모두� 대학기관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음

� 대사증후군� 진단(C)� 에� 관한� 논문� 건수는� Harvard�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California,� University� of� Toronto� 순으로� 나타나� 상위� 3개� 기관이� 대분류(B)와� 일치하는�

Page 6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1

것으로� 조사됨

� 전반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대사성� 증후군� 기술은� 모든� 분야에� 있어서� 대학이� 개발을� 주

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위� 다출간� 대학은� 특정� 분야에� 집중하기� 보다는� 고른�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대분류별� 총� 논문� 출간� 건수의� 경우� 대사증후군� 진단(C)� 영역이� 가장� 적은� 논문� 수를� 나

타냈으나� 상위13위까지의� 총� 논문건수는�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대분류� C에� 해당하는�

영역은� 이들� 상위� 기관에� 의하여� 기술이� 선도되고� 있는� 것으로� 시사됨

� 미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University� of� Hong� Kong)� 및� 북유럽(University� of�

Copenhagen)에서도�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University� of� California는� 특허� 출원뿐만아니라� 논문� 출간에� 있어서도� 최다� 출원/출간�

기관으로� 조사되었고,� 따라서� 대사성� 증후군� 기술을� 선도하는� 기관인� 것으로� 판단됨

� 대학을� 제외한� 기관중� NIH는� 모든� 분야에� 논문� 출간이� 나타나고� 있으나� 국가� 정책과� 관

련하는� 기관의� 특성상�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 분야에� 가장�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됨

Page 6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2

1-3.� 주요학회지�학술연구활동� 현황

<그림� 3-3>� 주요학회지�연구활동�현황

� 대사성� 증후군� 관련� 논문의� 출간이� 집중된� 저널을� 각� 대분류별로� 조사하였음

�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에� 해당하는� 논문은� 주로� Diabete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Diabetologia� 등의� 저널에� 출간�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에� 해당하는� 논문은� 주로� Diabetes,�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등의� 저널에� 출간�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진단(C)� 에� 해당하는� 논문은� 주로� Diabetes� Care,� J� Clin� Endocrinol�

Metab.,� Metabolism.� 등의� 저널에� 출간�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모든� 영역에서�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한� 세분화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저널에� 집중

Page 6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3

되고� 있으며� 주로� 당뇨와� 내분비계� 학술분야에� 출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Diabetes,� Diabetologia,�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과� 같은� 저널은� 대사증

후군과� 관련한� 모든� 영역에� 있어서� 논문의� 출간이� 나타나고� 있음

� PLos� One의� 경우� 특성상� 다양한� 연구주제나� 가능성을� 다루고� 있는� 저널임.� 따라서�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의� 연구가� 다양한� 주제

로� 이루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

Page 6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4

1-4.� 주요저자�학술연구활동�현황

(1)� 제1저자�학술연구활동�현황

� 논문� 출간이� 많은� 제1저자를� 조사하였음.� 총논문� 건수가� 약� 65,000건에� 이르고� 검색� DB

의� 특성상� 공동저자의� 구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공동� 제1저자일� 경우� 가장� 앞에� 있는�

저자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음

� 소속기관의� 경우,� 저자가� 기관을� 이적하는� 경우� 최종� 소속기관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음

<그림� 3-4>� 제1저자�연구활동�현황

Page 6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5

�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 분야에서는� Targher� G.,� Boden� G.,� Wang� Y.� 순

으로� 많은� 논문을� 출간한� 것으로� 나타남

� 논문� 출간이� 많은� 상위기관은� 대부분� 미국이었으나� Targher� G.의� 소속기관은� University�

of� Verona로� 이탈리아이고� Wang� Y.의� 소속기관은� University� of� Hong� Kong으로� 상위� 3

명중� 2명이� 미국� 국적외의� 저자인� 것으로� 조사됨� �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 분야에서는� De� Luis� D.A.,� McCarty� M.F.,� Scheen� A.J.� 순

으로� 많은� 논문을� 출간한� 것으로� 나타남

� 논문� 출간이� 많은� 상위기관은� 대부분� 미국이었으나� De� Luis� D.A.는� 스페인� Scheen� A.J.

는� 벨기에로� 상위� 3명중� 2명이� 미국� 국적외의� 저자인� 것으로� 조사됨� �

� 대사증후군� 진단(C)� 분야에서는� Onat� A.,� Deresa� G.,� Haffner� S.M.순으로� 많은� 논문을�

출간한� 것으로� 나타남

� Onat� A.는� Istanbul� University� 소속으로� 터키,� Deresa� G.는� University� of� Pavia� 소속으

로� 이탈리아인� 것으로� 조사되어� 다른� 대분류와� 마찬가지로� 미국이� 아닌� 국적의� 주저자가�

다출간� 상위를� 차지하고� 있었음

� 다� 출간� 저자� 중� Targher� G.,� Wang� Y.,� Deresa� G.,� De� Luis� D.A.,� Misra� A.,� 등은� 모

든� 대분류� 영역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으며� 국적� 또한� 다양하여� 대사성� 증후군에� 관한� 연

구가� 전세계적으로� 특히� 미국과� 북유럽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음

Page 6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6

(2)� 교신저자�학술연구활동�현황

<그림� 3-5>� 교신저자�연구활동�현황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 분야에서는� Shulman� G.I.,� Rossetti� L.,� � Kadowaki�

T.� 순으로� 많은� 논문의� 교신저자인�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 분야에서는� � Laakso� M.,� Shulman� G.I.,� Pedersen� O.� 순으

로� 많은� 논문의� 교신저자인�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진단(C)� 분야에서는� Laakso� M.,� � Azizi� F.,� Haffner� S.M.순으로� 많은� 논문의�

교신저자인� 것으로� 나타남

� 여러� 영역에� 논문� 출간이� 많은� 교신저자는� Laakso� M.(University� of� Kuopio,� Finland),�

Shulman� G.I.(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United� States),� Defronzo�

R.A.(University� of� Texas,� United� States),� Ferrannini� E.(University� of� Pavia,� Italy),� �

Page 7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7

Kadowaki� T.(University� of� Tokyo,� Japan)으로,� 이들의� 소속� 기관이� 모두� 대학이며� 선진국

인� 것으로� 나타나� 대사성� 증후군이� 대두되는� 국가에서� 연구� 또한� 활발한� 것으로� 조사됨

Page 7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8

2.� 소결

� 대분류에� 해당하는� 논문의� 출간�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을� 조사한� 결과,� 모든� 기술

분류� 영역에서� 꾸준히� 출간�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허� 출원� 동향과�

유사하게� 2000년� 이후� 출간� 건수가� 급증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음

� 연간� 특허� 출원� 건수의� 경우�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 영역의� � 기술이�

가장� 많았으며,� 해당� 분류에서� 논문� 출간� 건수가� 많은� 기관은� University� of� California,�

Harvard� Medical� School,�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으로� 주로� 대학기관인� 것

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에� 관한� 논문� 건수는� University� of� California,� Harvard�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Toronto로� 모두� 대학기관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음

� 대사증후군� 진단(C)� 에� 관한� 논문� 건수는� Harvard�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California,� University� of� Toronto� 순으로� 나타나� 상위� 3개� 기관이� 대분류(B)와� 일치하며,�

상위� 13개의� 기관의� 논문� 건수� 비중이� 높아� 기술의� 선도가� 상위� 그룹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즉,� 대사성� 증후군� 기술은� 모든� 분야에� 있어서� 대학이� 개발을� 주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되며� 상위� 다출간� 대학은� 특정� 분야에� 집중하기� 보다는� 고른�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또한,� 미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University� of� Hong� Kong)� 및� 북유럽(University� of�

Copenhagen)에서도�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University� of� California는� 특허� 출원뿐만아니라� 논문� 출간에� 있어서도� 최다� 출원/출간�

기관으로� 조사되었고,� 따라서� 대사성� 증후군� 기술을� 선도하는� 기관인� 것으로� 판단됨

� 대학을� 제외한� 기관중� NIH는� 모든� 분야에� 논문� 출간이� 나타나고� 있으나� 국가� 정책과� 관

련하는� 기관의� 특성상�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 분야에� 가장�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됨

� � 모든� 영역에서�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한� 세분화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저널에� 집중

되고� 있으며� 주로� 당뇨와� 내분비계� 학술분야에� 출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에� 해당하는� 논문은� 주로� Diabetes,� Am� J�

Page 7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59

Physiol� Endocrinol� Metab.,� Diabetologia� 등의� 저널에� 출간�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에� 해당하는� 논문은� 주로� Diabetes,�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등의� 저널에� 출간�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 대사증후군� 진단(C)� 에� 해당하는� 논문은� 주로� Diabetes� Care,� J� Clin� Endocrinol�

Metab.,� Metabolism.� 등의� 저널에� 출간�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 Diabetes,� Diabetologia,�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과� 같은� 저널은� 대사

증후군과� 관련한� 모든� 영역에� 있어서� 논문의� 출간이� 나타나고� 있음

� 다출간� 저자를� 조사한� 결과� 다출간� 상위� 기관은� 미국의� 비중이� 컸으나� 상위의� 주저자는�

국적이� 다양하여� 전세계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 분야에서는� Targher� G.,� Boden� G.,� Wang� Y.�

순으로� 많은� 논문을� 출간한� 것으로� 나타났고,� 논문� 출간이� 많은� 상위기관은� 대부분� 미

국이었으나� Targher� G.의� 소속기관은� University� of� Verona로� 이탈리아이고� Wang� Y.

의� 소속기관은� University� of� Hong� Kong으로� 상위� 3명중� 2명이� 미국� 국적외의� 저자인�

것으로� 조사됨� � �

�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 분야에서는� De� Luis� D.A.,� McCarty� M.F.,� Scheen� A.J.�

순으로� 많은� 논문을� 출간한� 것으로� 나타났고,� 논문� 출간이� 많은� 상위기관은� 대부분� 미

국이었으나� De� Luis� D.A.는� 스페인� Scheen� A.J.는� 벨기에로� 상위� 3명중� 2명이� 미국�

국적외의� 저자인� 것으로� 조사됨� �

� -� 대사증후군� 진단(C)� 분야에서는� Onat� A.,� Deresa� G.,� Haffner� S.M.순으로� 많은� 논문

을� 출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Onat� A.는� Istanbul� University� 소속으로� 터키,� Deresa�

G.는� University� of� Pavia� 소속으로� 이탈리아인� 것으로� 조사되어� 다른� 대분류와� 마찬가

지로� 미국이� 아닌� 국적의� 주저자가� 다출간� 상위를� 차지하고� 있었음

� -� 다� 출간� 저자� 중� Targher� G.,� Wang� Y.,� Deresa� G.,� De� Luis� D.A.,� Misra� A.,� 등은�

모든� 대분류� 영역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으며� 국적� 또한� 다양하여� 대사성� 증후군에� 관

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특히� 미국과� 북유럽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

� 다출간� 교신저자를� 조사한� 결과� 다출간� 상위� 기관은� 역시� 미국의� 비중이� 컸으나� 상위의�

주저자는� 국적이� 다양하여� 전세계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Page 7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0

� -�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A)� 분야에서는� Shulman� G.I.,� Rossetti� L.,� �

Kadowaki� T.� 순으로� 많은� 논문의� 교신저자인� 것으로� 나타남�

�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 분야에서는� � Laakso� M.,� Shulman� G.I.,� Pedersen� O.� 순

으로� 많은� 논문의� 교신저자인� 것으로� 나타남

� -� 대사증후군� 진단(C)� 분야에서는� Laakso� M.,� � Azizi� F.,� Haffner� S.M.순으로� 많은� 논문

의� 교신저자인� 것으로� 나타남

� -� 여러� 영역에� 논문� 출간이� 많은� 교신저자는� Laakso� M.(University� of� Kuopio,� Finland),�

Shulman� G.I.(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United� States),� Defronzo�

R.A.(University� of� Texas,� United� States),� Ferrannini� E.(University� of� Pavia,� Italy),� �

Kadowaki� T.(University� of� Tokyo,� Japan)으로,� 이들의� 소속� 기관이� 모두� 대학이며� 선

진국인� 것으로� 나타나� 대사성� 증후군이� 대두되는� 국가에서� 연구� 또한� 활발한� 것으로� 조

사됨

Page 7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1

Ⅳ.�심층분석(특허·논문)1.� 심층분석� Criteria

2.� 핵심기술에� 대한� R&D방향성� 및� 전략도출

3.� 소결

Page 7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7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3

1.� 심층분석� Criteria

1-1.� 분석대상�특허·논문�선정기준

� -� 대사성� 증후군� 기술의� 흐름� 중� 중요도가� 높은� 특허를� 분석하기� 위하여� 유효특허로� 선별

된� 특허� 중� 피인용건수가� 5회� 이상인� 특허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음

� -� 또한� 유효특허로� 선별된� 특허중� 인용건수가� 50회� 이상인� 특허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

1-2.� 분석기준

○� 특허인용� 집중도� 분석

� � -� OS� Matix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특허인용� 집중도를� 분석함

� � -� 대분류가� 아닌� 중분류� 이하의� 기술영역을� 설정하여� 분석함

� � -� 기술의� 분류� 기준을� 설정할� 때� 기술전문가의� 의견을� 중심으로� 요소를� 구성함

○� IP� History분석

� � -� 특허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피인용건수를� 중심으로� IP� History를� 분석하여� 기술의� 흐름�

또는� 주요� 출원인이� 나타나는지� 조사함

Page 7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4

2.� 핵심기술에�대한� R&D방향성�및�전략도출

2-1.� 특허인용�집중도�분석

○� 본� 절에서는� 심층분석� 분야의� 유효특허� 중에서�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선정하여� 중요한�

이슈로� 다루고� 있는� 당면� 과제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된� 해결수단과의� 상관관계

를� 도식화하여� 살펴보기로� 함

○� 보건복지부의� 5대� 산출물� 분류기준을� 해결수단으로서� 적용하여� 각� 중분류에� 해당하는�

중요� 특허를� 재분류하여� 조사하였음

○� 보건복지부의� 5대� 산출물� 기준은� 신약,� 의료기술,� 생물학적제제,� 의료기기� 및� 바이오마

커로� 각� 중분류의� 중요� 특허가� 어느� 범주에� 포함되는지� 분석하였음

○� 이를� 통해,� 대사성� 증후군� 기술분야에� 있어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목표� 해결과제와�

파악된� 핵심특허들의� 집중도를� 파악함으로써� 현재까지의� 기술개발현황과� 공백기술을� 파

악할� 수� 있으며,� 향후� 연구개발� 방향� 정립� 및� 미래� R&D� 과제� 도출에� 있어서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Page 7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5

(1)� 피인용건수�중심의�특허인용�집중도�분석

<그림� 4-1>.� 피인용건수�중심의�특허인용�집중도

� 미국등록특허� 중� 피인용건수가� 5회� 이상인� 특허의� 분포를� 조사하였음

� 5회� 이상� 피인용된� 특허는� 인슐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 규명� 및� 치료

법� 개발(AA)의� 신약� 개발� 분야,� 고위험군선별(BA)의� 생물학적제제� 분야� 그리고�

분자세포생물학적� 병인� 및� 치료법� 개발(AB)의� 신약개발� 분야� 순으로� 집중되는� 것

으로� 나타남

� 고위험군관리(BB)와� 예측� 모델� 개발(CB)의� 개발� 분야는� Landscape� 조사에서� 최

근� 특허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중도� 분석결과� 인용도가� 높은� 특허가�

부재하는� 것으로� 보아� 아직� 기술개발이� 시작단계임을� 추측할� 수� 있음

� 현재까지는�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을� 위한� 새로운� 천연물질�

Page 7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6

또는� 기존의� 치료제의� 조합에� 관한� 신약과� 관련한� 특허의� 출원에� 집중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2000년대� 들어� 신약개발에� 있어서� siRNA를� 활용한� 분자생물학� 기술이� 각광� 받고

있으며� 그� 파급효과로� 미국연구진이� 2006년� 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음.� 대사증후

군� 특허� 또한� 2006년� 전후로� 기존에� 알려진�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siRNA� 기

술에� 대한� 출원이� 나타나고� 있고� 인용도� 또한� 높은� 것으로� 조사됨.�

� 따라서� 기존에는� 화학물질� 중심의� 특허의� 출원이� 주류를� 이루어�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에� 나타나지만,� 미래에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

를� 이용한� 생물학적� 제제� 및� 신약� 개발�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시사됨.

Page 8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7

(2)� 인용건수�중심의�특허인용�집중도�분석

<그림� 4-2>.� 인용건수�중심의�특허인용�집중도

� 미국등록특허� 중� 인용건수가� 50회� 이상인� 특허의� 분포를� 조사하였음

� 특허의� 인용정도는� 기술경쟁,� 선행기술� 존재� 등의� 연관� 특허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음

� 50회이상� 타� 특허를� 인용한� 특허는� 인슐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A)의� 신약� 개발� 분야,� 고위험군선별(BA)의� 생물학적제제� 분야�

그리고� 고위험군선별(BA)의� 신약� 개발� 분야� 순으로�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남

� 인용건수중심의� 특허인용� 집중도가� 피인용건수의� 집중도와� 매우�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나� 주요특허의� 개발이� 인슐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 규명� 및� 치료

법� 개발(AA)의� 신약� 개발�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남

Page 8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8

2-2.� IP� History

○� 기술발전도에는� 하기와� 같이,� 각� 특허건에� 대하여� 출원년도,� 출원국,� 문헌번호� 및� 주요

내용을� 포함시켜� 각� 특허에� 대한� 내용� 이해를� 도우면서� 관련있는� 특허들을� 화살표로� 연

결하고� 이에� 대한� 부연설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이해를� 도움

<그림� 4-3>

(1)�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 (대분류A)

<그림� 4-4>

Page 8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69

� 피인용건수가� 많은� 특허를� 중심으로� IP� History� 분석을� 함

� 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대분류� A)� 분야에서� 피인용� 건수가� 많은� 특

허는� 모두� 미국출원인� 것으로� 나타나며� 제약회사� 중심의� 치료제� 개발을� 줌심으로�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 온� 것으로� 나타남

� �

� 전반적으로� 비만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치료를� 위한� 물질에� 대한� 특허의� 피인용도

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전자� 수준에서� 세포를� 조절하는� siRNA� 기술은� 2003년에� 출

원되었고� 매우� 높은� 인용건수를� 보이고� 있음

� 대사성� 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은� 특정� 출원인이� 주도하기보다는� 다양한�

출원인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는� 양상을� 나타냄

(2)�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대분류 B)

<그림� 4-5>

Page 8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0

�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대분류� B)� 분야에서� 피인용건수가� 많은� 특허는� 모두� 미국출원

인� 것으로� 나타났음

� 1990년대는� 대사성� 증후군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는� 시기로� 주로� 유전정보에�

기반한� 고위험군� 선별기술과� 호르몬을� 포함한� 조성물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관리� 기술이� 피

인용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 1997년� 영양조절을� 통한� 건강관리� 컴퓨터� 프로그램의� 출원이� 나타남

� 1990년대에는� 대사성� 증후군환자와� 관련한� 특허가�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에는� 예방과� 관

련한� 특허� 즉,� 대사성�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의� 특허가� 인용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2008년� Tethys� Bioscience의� 특허는� ADIPOQ;� CRP;� GLUCOSE;� GPT;� HBA1C;�

HSPA1B;� IGFBP1;� IGFBP2;� INS,� LEP를� 중심으로� 수백가지의� 당뇨� 및� 비만에� 관한� 다양한�

유전자에� 대하여� 특허를� 출원하였으므로� 진단마커� 또는� 치료마커의� 개발시� 주의하여야� 함

� 피인용지수가� 높은�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기술은� 대학과� 기업에서� 모두� 고른� 출원을�

보이고� 있고� 다양한�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되고� 있음

(3)�대사증후군 진단 (대분류 C)

� 대사증후군� 진단(대분류C)� 분야의� 피인용건수가� 많은� 특허는� 모두� 미국출원인� 것으로� 나

타나며� 주요� 특허가� 2000년대� 이후에� 이루어짐

� 2001년� 컴퓨터� 기반의� 생활습관� 분석� 기술(US� 7,054,758)을� 제외하고는� 주로� 방사성동위

원소를� 활용하여� 대사산물을� 측정함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진단하는� 특허가� 인용이�

많이� 되었음�

� 다른� 대분류의� 흐름과� 달리� 대사� 증후군� 진단� 기술은�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에서� 주요� 기술을� 주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Page 8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1

<그림� 4-6>

의미:::

세부기술별� 주요특허를� 선별하여� 출원연도별로� 주요� 기술들을� 나열한� 것임.� 기술발전도는� 해당기술

에서� 주요특허를� 판별해� 내어� 시계열적으로� 펼쳐� 놓은� 그림이며,� 이러한� 주요특허의� 흐름을� 파악하

여� 기술의� 변화추이를� 예측할� 수� 있음.� 국가� R&D사업에는� 기획위원들이� 선정한� 주요특허를� 시계열�

순으로� 나열하여� 표시함.

즉,� 각� 기술분야별� 주요� 출원인별� 특허들� 중� 과제와� 부합되며� 패밀리수와� 인용도수가� 높은� 특허를�

위주로� 선별하고,� 시계열적으로� 나열하여� 시간적인� 특허흐름을� 분석함.

또한� 정량적�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그룹의� 특허를� 대상으로� 기술발전도를� 작성

하면,� 특정세부기술에서� 주요� 연구그룹의� 기술개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음.

Page 8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2

3.� 소결

� 유효특허� 중에서�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보건복지부의� 5대� 산출물� 분류기준에� 따라�

재분류� 하여� 특허인용� 집중도를�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는�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을� 위한� 새로운� 천연물질� 또는� 기존의� 치료제의� 조합에� 관한� 신

약과� 관련한� 특허의� 출원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또한,� 고위험군관리(BB)와� 예측� 모델� 개발(CB)의� 개발� 분야는� Landscape� 조사에

서� 최근� 특허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중도� 분석결과� 인용도가� 높은�

특허가� 부재하는� 것으로� 보아� 아직� 기술개발이� 시작단계임을� 추측할� 수� 있음

� 2000년대� 들어� 신약개발에� 있어서� siRNA를� 활용한� 분자생물학� 기술이� 각광� 받고

있고� 대사증후군� 특허� 또한� 2006년� 전후로� 기존에� 알려진�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

는� siRNA� 기술에� 대한� 인용도가� 높은� 출원이� 나타나고� 있음

� 피인용건수가� 높은�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중심으로� IP� History를� 분석한� 결과,� 대

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분야는� 전반적으로� 비만� 또는� 인슐린� 저항성� 치

료를� 위한� 물질에� 대한� 특허의� 영향력이� 크고,� 세포를� 조절하는� 기술은� 2003년에�

출원되어� 매우� 높은� 인용도를� 나타냄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분야의� 경우� 1990년대에는� 대사성� 증후군� 환자와� 관련

한� 특허가�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에는� 예방과� 관련한� 특허� 즉,� 대사성� 증후군의� 원

인이� 되는�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의� 특허가� 인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진단� 분야의� 경우� 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활용하여� 대사산물을� 측정함

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진단하는� 특허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에서� 주요� 기술을� 주도� 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

� 따라서,� 대사성� 증후군� 관련� 기술이� 과거에는� 화학물질� 중심의�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미래에는� 세포수준의� 대사� 조

절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한� 신약� 기술� 개발과� 예방기술

이� 주도할� 것으로� 시사됨�

Page 8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Ⅴ.�결론�및�시사점1.� 결론

2.� 시사점

Page 8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8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5

1.� 결론

1-1.� 국가별� Landscape

�대사성� 증후군� 기술은� 년도에� 따라� 특허출원�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났으며,� 미

국특허�출원의� 건수가� 월등히� 많아� 전체�동향이�미국의�경향에�따라�좌우되는�것으로�조사됨

� 일본과� 유럽은� 2000년� 이후로� 특허� 건수의� 급증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정부차원의� 정책이� 기술� 개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 대사성� 증후군� 기술의� 위치는� 출원건수와� 출원인수가� 계속� 증가하는� 성장기의� 단계에� 있

으며,� 특히� 4구간(2001년~2005년)과� 5구간(2006년~2011년)은� 기술� 개발이� 가속화� 되는� 것

으로� 분석됨

1-2.� 경쟁자� Landscape

� 주요� 출원인의� 80%� 가� 미국국적으로�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을� 미국이� 주도하고� 있음이� 나

타났으며� 그� 중� 최다� 출원인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만이� 대학기

관인� 것으로� 조사됨

2-1.� 세부기술별�동향

� 2000년대� 이전의� 대사증후군� 대응� 기술에� 관한� 특허� 출원� 건수는� 연간� 10건� 내외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2000년� 대� 이후�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모든� 중분류에서� 연도에� 따라� 출원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그� 중� 인슐

린� 저항성� 유발� 장기� 기능� 장해�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A)에� 해당하는� 특허의�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 대사증후군� 대응기술의� 개발� 초기에는� 대사증후군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에� 관한� 특허

가� 높은� 비율로� 출원� 되었으나� 최근에는� 진단지표개발(CA)� 및� 예측모델개발(CB)에� 관한� 기

술의� 개발이� 시작되고� 있음

2-2.� 시장별�세부기술�동향

� 모든� 중분류� 영역에서� 미국의� 특허� 출원� 건수가� 타국에� 비하여� 매우� 많기� 때문에� 미국시

장의� 동향이� 전체동향을� 좌우하는� 패턴이� 나타남

Page 8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6

2-3.� 주요출원인�특허동향

� 조사� 결과�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가� � 최다� 출원인이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기관은� 모두� 기업,� 주로� 제약회사인� 것으로� 나타났음

� 다출원인� 중� 일본� 기업인� Takeda� Chemical� Industries와� 미국� 기업인� Eli� Lilly� and�

Company,� XOMA� Technology,� Merck� Sharp� &� Dohme,� 그리고� 아일랜드� 기업인�

Amarin� Pharmaceutical� Ireland는� 제품과� 관련도가� 높은� 분야인� 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에� 관련한� 특허의� 비중이� 매우� 높음

� Arena� Pharmaceuticals는�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 분야의�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

며,� Bristol-Myers� Squibb는� 제약회사중� 유일하게� 모든� 분야에� 걸쳐�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3-1.� 연도별�학술연구활동�현황�

� 논문의� 출간� 건수를� 기준으로� 연도별� 동향을� 조사한� 결과,� 모든� 기술분류� 영역에서� 꾸준

히� 출간�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허� 출원� 동향과� 유사하게� 2000년� 이

후� 출간� 건수가� 급증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음

3-2.� 주요기관�학술연구활동�현황

�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 영역의�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해당� 분류에서�

논문� 출간� 건수가� 많은� 기관은� University� of� California,� Harvard� Medical� School,�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으로� 주로� 대학기관인� 것으로� 나타남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B)에� 관한� 논문� 건수는� University� of� California,� Harvard�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Toronto로� 모두� 대학기관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음

� 대사증후군� 진단(C)� 에� 관한� 논문� 건수는� Harvard�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California,� University� of� Toronto� 순으로� 나타나� 상위� 3개� 기관이� 대분류(B)와� 일치하며,�

상위� 13개의� 기관의� 논문� 건수� 비중이� 높음

� 미국� 뿐만� 아니라� 아시아(University� of� Hong� Kong)� 및� 북유럽(University� of�

Copenhagen)에서도�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Page 9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7

3-3.� 주요학회지�학술연구활동�현황

� 모든� 영역에서�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한� 세분화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저널에� 집중

되고� 있으며� 주로� 당뇨와� 내분비계� 학술분야에� 출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3-4.� 주요저자�학술연구활동�현황

� 다출간� 저자� 및� 교신저자를� 조사한� 결과� 다출간� 상위� 기관은� 미국의� 비중이� 컸으나� 상위

의� 주저자는� 국적이� 다양하여� 전세계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4-1.� 특허인용�집중도�분석

� 유효특허� 중에서�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보건복지부의� 5대� 산출물� 분류기준에� 따라� 재분류�

하여� 특허인용� 집중도를�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는�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A)을� 위한� 새로운� 천연물질� 또는� 기존의� 치료제의� 조합에� 관한� 신약과� 관련한� 특허의� 출

원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또한,� 고위험군관리(BB)와� 예측� 모델� 개발(CB)의� 개발� 분야는� Landscape� 조사에서� 최근�

특허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중도� 분석결과� 인용도가� 높은� 특허가� 부재하는�

것으로� 보아� 아직� 기술개발이� 시작단계임을� 추측할� 수� 있음

4-2.� IP� History

� 피인용건수가� 높은� 영향력이� 높은� 특허를� 중심으로� IP� History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병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분야는� 전반적으로� 비만� 또는� 인슐린� 저항성� 치료를� 위한� 물질에�

대한� 특허의� 영향력이� 크고,� 세포를� 조절하는� 기술은� 2003년에� 출원되어� 매우� 높은� 인용도

를� 나타냄

�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분야의� 경우� 1990년대에는� 대사성� 증후군� 환자와� 관련한� 특허가�

중심이었으나� 2000년대에는� 예방과� 관련한� 특허� 즉,� 대사성�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의� 특허가� 인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Page 9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78

2.� 시사점

� �

� 특허와� 논문� 모두� 2000년대를� 기준으로�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인식변

화에� 따른� 정부의� 정책과� siRNA등� 분자생물학적� 기술의� 발달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정책적� 관심과� 세포수준에서의� 조절� 치료� 기술이� 대사성� 중후군� 기술의� 개발에� 매우� 중요

할� 것으로� 시사됨

� -� 특히,�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정부차원의� 정책에� 힘입어� 관련� 특허의� 출원이� 급증하는�

모습이� 두드러짐

� -� 영향력이� 큰� 인용도가� 높은� 특허가� 2000년� 이전에는� 화학물질� 위주로� 나타났다면� 최근

에는� 세포수준의� 대사� 조절� 기술위주로� 나타나고� 있음

� 한국의� 경우� 가장� 늦게� 기술을� 개발을� 시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꾸준한� 출원이� 이루

어지고� 있으므로,� 타국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인에� 맞는� 치료,� 진단� 및� 예방� 기술을� 개발

하여야� 할� 것임

� -� 주요� 특허의� 기술영역� 집중도를� 고려해� 보았을� 때,� 미래에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

고� 이를�활용한� 치료제로서� 생물학적�제제� 및� 신약�개발� 분야가� 유망할�것으로� 시사됨

� -� 특히�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사성� 증후군� 기술은� 출원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

� -� 대사성� 증후군은� 질병의� 특성상�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나

타나기� 때문에� 한국인의�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치료�

및� 예방� 기술이� 필요함�

� 따라서,� 대사성� 증후군� 관련� 기술이� 과거에는� 화학물질� 중심의�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A)�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다면,� 미래에는� 세포수준의� 대사� 조절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한� 신약� 기술� 개발과� 예방기술이� 주도할� 것으로� 시사됨�

Page 9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Ⅵ.�부록1.� 요지리스트

Page 9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Page 9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1

발명의�명칭 Diagnosis and treatment of humans with diabetes or at

risk to develop diabetes출원인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0-626579 출원일 1990-12-13

등록(공개)번호 5187154 등록(공개)일 1993-02-16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A61K-037/00

기술요약 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agnosing and treating

individuals with diabetes or at risk to develop diabetes mellitus. In

particular, gastric emptying determinations are used to assess risk.

Risk or early symptoms associated with subsequent development of

diabetes mellitus may be controlled or alleviated by delaying

gastric emptying. Delay orThe Government may have certain rights

in the invention pursuant to grant No. 2-S07-RR07187-11.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maintaining the following glucose metabolic

indicators at or near normal levels; blood glucose, C-peptide,

insulin levels at fasting and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hemoglobin AlC, insulin resistance, GIP levels and CCK levels, in an

individual having an early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condition

and exhibiting rapid gastric emptying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individu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dose of cholecystokinin.

발명의�명칭 DNA Sequence-based HLA typing method

출원인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1-665960 출원일 1991-03-06

등록(공개)번호 5578443 등록(공개)일 1996-11-26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C12Q-001/48

기술요약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determining

genotypes in highly polymorphic systems by polymerase chain

1.� 요지리스트

� �

Page 9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2

reaction amplification of cDNA or genomic DNA and direct

sequenc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ducts using

oligonucleotide primers. More specifically, Class II and Class I HLA

genotypes can be unambiguously determined in any subject in

16-24 hours by direct sequencing of DRB, DQB, DQA, DPB, DPA,

HLA-A, HLA-B and HLA-C- transcripts enzymatically amplified using

a limited number of non-allele-specific oligonucleotides. Total

cellular RNA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is reverse

transcribed using Antisense primers, specific for different locus

(DQB, DQA, DPA or DPB) or group of loci (DRB1-5, or HLA-A and

HLA-B and HLA-C). The synthesized cDNA molecules are then

enzymatically amplified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oligonucleotides for each locus and directly Sequenced with Taq

polymerase using an inteRNAl oligonucleotide. The Sequenced

genes are then analyzed.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determining a nucleotide Sequence of a Class II

HLA-DRB gene locus of a subject in a sample containing subject

RNA, said method comprising: (a) synthesizing, from RNA isolated

from said sample, a cDNA molecule for each allele of said gene

locus using in a synthesis reaction an oligonucleotide Antisens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2 to produce a cDNA molecule;(b)

amplifying in four separate amplification reactions said cDNA

molecule to generate sufficient first and second double stranded

amplification reaction products respectively for sequencing each

allele of said gene locus using in the first amplifying reaction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2 and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6 using an

amplification temperature of 37° C. and in the second amplifying

reaction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 2 and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 42 and in the

third amplifying reaction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 2 and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

43 and in the fourth amplifying reaction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 2 and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 44;(c) sequencing directly each first and second

amplifying reaction product to produce at least one sequencing

ladder for each amplifying reaction product using in a sequencing

reactio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11 or an

oligonucleotide primer depicted in SEQ. ID. NO:13 or SEQ ID NO:5

and;(d) analyzing each sequencing ladder to determine the

nucleotide Sequence of said HLA-DRB gene locus.

Page 9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3

발명의�명칭 Method for preventing onset of hypertension employing

a cholesterol lowering drug출원인 E. R. Squibb & Sons,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2-891243 출원일 1992-06-01

등록(공개)번호 5298497 등록(공개)일 1994-03-29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A61K-031/675

기술요약 A method is provided for preventing or reducing the risk of

hypertension in normotensive patients having insulin resistance by

administering a cholesterol lowering drug, such as pravastati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CE inhibitor, especially one containing

a mercapto moiety, such as captopril or zofenopril.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preventing or reducing the risk of hypertension

in a normotensive mammalian species having insulin resistance,

which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mammalian species in need of

such treatment an effective amount of a cholesterol lowering drug

which is an HMG CoA reductase inhibitor.

발명의�명칭 Method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출원인 Genentech,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3-150090 출원일 1993-11-19

등록(공개)번호 5597797 등록(공개)일 1997-01-28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A61K-038/00

기술요약 A method is disclosed for treating obese mammals or preventing

obesity from occurring in mammals. This method involves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n effective amount of growth

hormone in combination with an effective amount of IGF-I.

Preferably, the growth hormone is given so as to have a

maintained, continual therapeutically effective presence in the

blood, such as by continuous infusion or frequent injections, or by

use of a long-acting formulation.

� �

� �

Page 9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4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reducing total body fat mass in an obese

mammal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n effective

amount of IGF-I and growth hormone.

발명의�명칭 Methods and reagents for HLA DRbeta DNA typing

출원인 Hoffmann-La Roche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3-050073 출원일 1993-04-22

등록(공개)번호 5567809 등록(공개)일 1996-10-22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C07H-021/04

기술요약 Primers for amplification of specific nucleic acid Sequences of the

second exon of HLA DRbeta genes and probes for identifying

polymorphic Sequences contained in the amplified DNA can be used

in processes for typing homozygous or heterozygous samples from

a variety of sources and for detecting allelic variants not

distinguishable by serological methods. This HLA DRbeta DNA

typing system can be used in a dot-blot format that is simple and

rapid to perform, produces detectable signals in minutes, and can be

used for tissue typing, determining individual identity, and

identifying disease susceptible individuals.

대표청구항 1. A pri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P05 (SEQ ID

NO: 312), and RAP06 (SEQ ID NO: 313).

발명의�명칭 Treatment of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linked type II

diabetes using antagonist to TNF-alpha function출원인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4-255458 출원일 1994-06-08

등록(공개)번호 5730975 등록(공개)일 1998-03-24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C07K-016/24

기술요약 An induction of TNF-α mRNA expression has been observed in

adipose tissue from four different insulin resistant rodent models of

� �

� �

Page 9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5

obesity and diabetes. TNF-α protein was also elevated locally and

systemically. Neutralization of TNF-α in obese fa/fa rat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ipheral uptake of glucose in response to

insulin. A method of treating an animal suffering from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linked Type II diabetes mellitus is disclosed.

The method includes providing a therapeutic agent that includes

an antagonist to TNF-α function 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substance and administering a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therapeutic agent to the animal.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treating an animal suffering from insulin

resistance, said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 agent

to an animal suffering from insulin resistance, wherein said agent

comprises an antagonist to TNF-α function 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said antagonist causing an increase in the

peripheral uptake of glucose in response to insulin, said agent

being therapeutically effective in decreasing said insulin resistance

by 1) interfering with binding of TNF-α to a TNF-α receptor or 2)

suppressing production of TNF-α protein or of TNF-α m-RNA.

발명의�명칭 Modulators of body weight, corresponding nucleic acids

and protein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s

thereof출원인 The Rockfeller University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5-483211 출원일 1995-06-07

등록(공개)번호 6309853 등록(공개)일 2001-10-30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C12P-021/06

기술요약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the control of body

weight of animals including mammals and humans, and more

particularly to materials identified herein as modulators of body

weight, and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s of such modulators.

In its broadest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ucleotide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murine and human OB gene, and

two isoforms thereof, and proteins expressed by such nucleotides

or degenerate variations thereof, that demonstrate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control of mammalian body weight and that have

� �

Page 9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6

been postulat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regulation of body

weight and adiposit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nucleic

acid molecules for use as molecular probes or as primers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In further asp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loning vectors and mammalian

expression vectors comprising the nucleic acid molecu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further relates to host cells transfected or

transformed with an appropriate expression vector and to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the modulators of the invention. Also

provided are antibodies to the OB polypeptide. Moreover, a

method for modulating body weight of a mammal is provided.대표청구항 1. An isolated nucleic acid encoding an analog of an OB

polypeptide, capable of modulating body weight, comprising amino

acids 22-167 of SEQ ID NOS: 2 or 4, wherein one or more amino

ac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s 53, 56, 71,

85, 89, 92, 95, 98, 110, 118, 121, 122, 126, 127, 128, 129, 132, 139,

157, 159, 163, and 166 is substituted with another amino acid.

발명의�명칭 Use of GLP-1 analogs and derivatives administered

peripherally in regulation of obesity출원인 Eli Lilly and Company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7-961405 출원일 1997-10-30

등록(공개)번호 6191102 등록(공개)일 2001-02-20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A01N-037/18

기술요약 This invention relates the use of glucagon-like peptides such as

GLP-1, a GLP-1 analog, or a GLP-1 derivative i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weight.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reducing body weight in a subject in need of

body weight reduction by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composition

comprising a glucagon-like peptide-1 (GLP-1), a glucagon-like

peptide analog (GLP-1 analog), a glucagon-like peptide derivative

(GLP-1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a

dose sufficient to cause reduction in body weight for a period of

time effective to produce weight loss, said time being at least 4

weeks.

� �

� �

Page 10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7

발명의�명칭 Compliance support package for increasing health

management system compliance출원인 Campbell Soup Company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7-832845 출원일 1997-04-04

등록(공개)번호 6102706 등록(공개)일 2000-08-15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G09B-019/00

기술요약 The invention is a compliance support package for improving the

compliance of a patient with a dietary health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s a predetermined daily calorie content and level of

nutritional enhancement. The dietary health management system

includes prepackaged meals consisting of meal components. The

package includes portion identification aids, wherein portion sizes

of meal components are identified; food exchange lists, wherein the

meal components are identified by the calorie content and level of

nutritional enhancement per the portion sizes; food record sheets

for recording daily consumption of meal components and the

calorie content and nutritional enhancement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sizes consumed; and a "survival" kit. The survival kit

includes information and food products which enable the patient to

stay within guidelines of the dietary health management system

when traveling or when meal components of the system are

otherwise unavailable.대표청구항 1. A compliance support package for improving the compliance of

a patient with a dietary health management system, wherein said

system comprises a daily diet including a plurality of prepackaged,

nutritionally enhanced, individual meals, each of said meals including

a plurality of meal components and at least one nutritionally

enhanced meal component, said meals providing a predetermined

daily calorie content, wherein protein provides about 15 to about

20% of said desired daily calorie content and wherein fat provides

about 20 to about 30% of said desired daily calorie content, and a

predetermined level of nutritional enhancement, wherein said

nutritionally enhanced meal component comprises an added source

of dietary fiber, such that said daily diet comprises dietary fiber in

the range of about 20 to about 30 grams, and an added source of

vitamins and minerals, including potassium; such that said dailv diet

comprises vitamins and minerals of at least about 50% USRDA,

potassium in a range of about 3000 mg to about 3500 mg, simple

Page 10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8

sugars in an amount less than about 96 grams, and sodium in an

amount less than about 2400 mg; said package comprising: portion

identification ai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asuring

devices, drawings, diagrams, templates, and combinations thereof,

wherein portion sizes of a plurality of said nutritionally enhanced

meal components of a plurality of said prepackaged individual

meals are identified;food exchange lists, wherein said meal

components are identified by said calorie content and level of

nutritional enhancement per said portion sizes;food record sheets

for recording daily consumption of said meal components and said

calorie content and nutritional enhancement corresponding to said

portion sizes consumed; anda meal substitutes kit for identifying

menus for meal substitutes for said nutritionally enhanced meals

which enable the patient to stay within said dietary health

management system when at least one of said nutritionally

enhanced meals of the system is unavailable.

발명의�명칭 Activators of the nuclear orphan recept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출원인 Glaxo Wellcome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1998-028988 출원일 1998-02-25

등록(공개)번호 5902726 등록(공개)일 1999-05-11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G01N-033/53

기술요약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ctivator compounds, including

agonists, to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articular PPARγ activators are set forth, as ar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es,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methods for such treatment.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identifying compounds which will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impaired glucose tolerance, obesity, or a

cardiovascular disord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mpound interacts directly with PPAR-gamma.

발명의�명칭 Treatment of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linked type II

diabetes using antagonists to TNF-.alpha. function출원인 Dana-Farber Cancer Institute, 출원국가 US

� �

� �

Page 10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89

Inc.출원번호 1998-037777 출원일 1998-03-10

등록(공개)번호 6015558 등록(공개)일 2000-01-18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A61K-039/395

기술요약 An induction of TNF-α mRNA expression has been observed in

adipose tissue from four different insulin resistant rodent models of

obesity and diabetes. TNF-α protein was also elevated locally and

systemically. Neutralization of TNF-α in obese fa/fa rats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ipheral uptake of glucose in response to

insulin. A method of treating an animal suffering from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linked Type II diabetes mellitus is disclosed.

The method includes providing a therapeutic agent that includes

an antagonist to TNF-α function 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substance and administering a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therapeutic agent to the animal.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treating an animal suffering from insulin

resistance, said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said animal a

therapeutic agent that is effective in decreasing insulin resistance,

said agent comprising an antagonist to TNF-α function 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substance, said agent causing an

increase in the peripheral uptake of glucose in response to insulin,

wherein said agent comprises an antibody or a portion thereof that

interferes with binding of TNF-α to a TNF receptor or that

suppresses production of TNF-α protein or of TNF-α m-RNA.

발명의�명칭 Use of GLP-1 analogs and derivative adminstered

peripherally in regulation of obesity출원인 Eli Lilly and Company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0-585186 출원일 2000-06-01

등록(공개)번호 6583111 등록(공개)일 2003-06-24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A61K-038/02

기술요약 This invention relates the use of glucagon-like peptides such as

GLP-1, a GLP-1 analog, or a GLP-1 derivative i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weight.

� �

Page 10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0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reducing body weight in a subject in need of

body weight reduction by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composition

comprising a glucagon-like peptide-1 (GLP-1), a glucagon-like

peptide analog (GLP-1 analog), a glucagon-like peptide derivative

(GLP-1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a

dose sufficient to cause reduction in body weight for a period of

time effective to produce weight loss.

발명의�명칭 Method of regulating glucose metabolism, and reagents

related thereto출원인 New England Medical

Center Hospitals, Inc. |

Trustees of Tufts College |

1149336 Ontario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1-601432 출원일 2001-01-05

등록(공개)번호 6803357 등록(공개)일 2004-10-12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A61K-038/04

기술요약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ication and regulation of GLP 1 metabolism,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generally to reduce insulin resistance, hyperglycemia,

hyperinsulinemia, obesity, hyperlipidemia, hyperlipoproteinemia (such

as chylomicrons, VLDL and LDL), and to regulate body fat and

more generally lipid stores, and, more generally, for the

improvement of metabolism disorders, especially those associated

with diabetes, obesity and/or atherosclerosis. The compositions

described herein are high-affinity boronyl and non-boronyl

peptidomimetic inhibitors of DPIV.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treating Type II diabete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animal a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inhibitors of dipeptidylpeptidase IV (DPIV) represented by Formula I

in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Type II diabetes but not sufficient

to suppress the immune system of the animal: wherein A

represents a 4-8 membered heterocycle including the N and a

C&#945; carbon; Z represents C or N; W represents —CH&boxH;NR5, <CHEM-US ID="CHEM-US-00040"> </CHEM-US> R1

represents a C-terminally linked amino acid residue or amino acid

analog, or a C-terminally linked peptide or peptide analog, or an

� �

Page 10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1

amino-protecting group, or <CHEM-US ID="CHEM-US-00041">

</CHEM-US> R2 is absent or represents one or more substitutions to

the ring A, each of which can independently be a halogen, a lower

alkyl, a lower alkenyl, a lower alkynyl, a carbonyl, a thiocarbonyl, an

amino, an acylamino, an amido, a cyano, a nitro, an azido, a

sulfate, a sulfonate, a sulfonamido, —(CH2)m—R7, —(CH2)m—OH, —(CH2)m—O-lower alkyl, —(CH2)m—O-lower alkenyl, —(CH2)n—O—(CH2)m—R7, —(CH2)m—SH, —(CH2)m—S-lower alkyl, —(CH2)m—S-lower alkenyl, or —(CH2)n—S—(CH2)m—R7; if Z is N, R3

represents hydrogen, if Z is C, R3 represents hydrogen or a

halogen, a lower alkyl, a lower alkenyl, a lower alkynyl, a carbonyl,

a thiocarbonyl, an amino, an acylamino, an amido, a cyano, a nitro,

an azido, a sulfate, a sulfonate, a sulfonamido, —(CH2)m—R7, —(CH2)m—OH, —(CH2)m—O-lower alkyl, —(CH2)m—O-lower alkenyl, —(CH2)n—O—(CH2)m—R7, —(CH2)m—SH, —(CH2)m—S-lower alkyl, —(CH2)m—S-lower alkenyl, or —(CH2)n—S—(CH2)m—R7; R5 represents

a hydrogen, an alkyl, an alkenyl, an alkynyl, —C(X1)(X2)X3, —(CH2),

—R7, —(CH2)n—OH, —(CH2)n—O-alkyl, —(CH2), —O-alkenyl, —(CH2)n

—O-alkynyl, —(CH2)n—O—(CH2)m—R7, —(CH2)n—SH, —(CH2)n—S-alkyl, —(CH2)n—S-alkenyl, —(CH2)n—S-alkynyl, —(CH2)n—S—(CH2)m—R7, —C(O)C(O)NH2, or —C(O)C(O)OR′7; R6 represents hydrogen, a

halogen, an alkyl, an alkenyl, an alkynyl, an aryl, —(CH2)m—R7, —(CH2)m—OH, —(CH2)m—O-alkyl, —(CH2)m—O-alkenyl, —(CH2)m—O-alkynyl, —(CH2)m—O—(CH2)m—R7, —(CH2)m—SH, —(CH2)m—S-alkyl, —(CH2)m—S-alkenyl, —(CH2)m—S-alkynyl, or —(CH2)m—S—(CH2)m—R7, <CHEM-US ID="CHEM-US-00042"> </CHEM-US> R7

represents, for each occurrence,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aralkyl, cycloalkyl, cycloalkenyl, or heterocycle; R′7 represents, for

each occurrence, hydrogen,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alkenyl, aryl, aralkyl, cycloalkyl, cycloalkenyl or heterocyclyl; R8 and

R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hydrogen, alkyl, alkenyl, —(CH2)m—R7, —C(&boxH;O)-alkyl, —C(&boxH;O)-alkenyl, —C(&boxH;O)alkynyl,

or —C(&boxH;O)(CH2)m—R7, or R8 and R9 taken together with the

N atom to which they are attached complete a heterocyclic ring

having from 4 to 8 atoms in the ring structure; R50 represents O

or S; R51 represents N3, SH, NH2, NO2 or OR′7; R52 represents

hydrogen, a lower alkyl, an amine, OR′7,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R51 and R52 taken together with the

phosphorous atom to which they are attached complete a

heterocyclic ring having from 5 to 8 atoms in the ring structure;

Y1 and Y2 can independently or together be a group capable of

Page 10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2

being hydrolyzed to a hydroxyl group, or cyclic derivatives where

Y1 and Y2 are connected via a ring having from 5 to 8 atoms in

the ring structure; X1 represents a halogen; X2 and X3 each

represent a hydrogen or a halogen; m is zero or an integer in the

range of 1 to 8; and n is an integer in the range of 1 to 8.

발명의�명칭 Pharmaceutical composition

출원인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1-973689 출원일 2001-10-11

등록(공개)번호 6384062 등록(공개)일 2002-05-07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C07D-401/02

기술요약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ich comprises an insulin sensitivity

enhancer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diabetics differing from the

enhancer in the mechanism of action, which shows a potent

depressive effect on diabetic hyperglycemia and is useful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diabetes.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treating circulatory disorders in a mammal in

need thereof which comprises administering to said mammal an

effective amount of an insulin sensitivity enhancer in combination

with a statin compound.

발명의�명칭 13C glucose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diabetic

indications and monitoring glycemic control출원인 Isotechnika,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1-674806 출원일 2001-02-08

등록(공개)번호 6468802 등록(공개)일 2002-10-22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G01N-037/00

기술요약 A breath test and kit for performing the breath test are described

for the Diagnosis of diabetic indications and monitoring of

glycemic control. The breath test utilizes the measurement of expired

13C-labeled CO2following the ingestion of a 13C-enriched glucose

source.

� �

� �

Page 10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3

대표청구항 1. A Diagnostic kit for the determination of glycemic control in a

subject compris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uniformly labeled

13C-enriched glucose; anda breath collection container.

발명의�명칭 Computer-assisted means for assessing lifestyle risk

factors출원인 Sciona Limited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1-771933 출원일 2001-01-30

등록(공개)번호 7054758 등록(공개)일 2006-05-30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G06F-019/00

기술요약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thods of assessing disease

susceptibility associated with dietary and lifestyle risk factors. The

invention provides for analysis of alleles at loci of genes associated

with lifestyle risk factors, and the disease susceptibility profile of an

individual is determined by reference to datasets which further

match the risk factor with lifestyle recommendations in order to

produce a personalized lifestyle advice plan.

대표청구항 1. A computer assisted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lifestyle advice plan for a human subject comprising: (i) providing a

first dataset on a data processing device, said first dataset

comprising information correlating the presence of individual allele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or decreased disease

susceptibility, with a lifestyle risk factor; (ii) providing a second

dataset on a data processing device, said second dataset

comprising information matching each said risk factor with at least

one lifestyle recommendation; (iii) inputting a third dataset

identifying alleles present in said subject, wherein said alleles are

one or more of the alleles of said first dataset; (iv) determining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aid alleles present in said human

subject by correlating said alleles with risk factors provided by said

� �

Page 10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4

first dataset; (v) determining at least one lifestyle recommendation

based on each identified risk factor from step (iv) by matching said

risk factor with a lifestyle recommendation from said second

dataset; and (vi) generating a personalized lifestyle advice plan

based comprising at least one lifestyle recommendation determined

in step (v), wherein said personalized lifestyle advice plan includes

recommended minimum and/or maximum amounts of food

subtypes.

발명의�명칭 Method of regulating glucose metabolism, and reagents

related thereto출원인 Trustees of Tufts College |

1149336 Ontario Inc. | New

England Medical Center

Hospitals,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2-190267 출원일 2002-07-03

등록(공개)번호 6890898 등록(공개)일 2005-05-10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A61K-038/04

기술요약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ification and regulation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generally to reduce insulin resistance, hyperglycemia, hyperinsulinemia,

obesity, hyperlipidemia, hyperlipoprotein-emia (such as chylomicrons,

VLDL and LDL), and to regulate body fat and more generally lipid

stores, and, more generally, for the improvement of metabolism

disorders, especially those associated with diabetes, obesity and/or

atherosclerosis.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modifying glucose metabolism of an animal,

comprising conjointly administering to the animal an inhibitor of

dipeptidylpeptidase IV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an amount sufficient to modify the glucose metabolism of an

animal but not sufficient to suppress the immune system of the

animal, and one or more other therapeutic agents, wherein the

other therapeutic agent is selected from insulin, M1 receptor

antagonists, prolactin inhibitors, agents acting on an

ATP-dependent channel of β-cells, metformin, and glucosidase

inhibitors.

� �

Page 10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5

발명의�명칭 13C glucose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diabetic

indications and monitoring glycemic control출원인 Isotechnika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2-228276 출원일 2002-08-27

등록(공개)번호 6602715 등록(공개)일 2003-08-05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G01N-037/00

기술요약 A breath test and kit for performing the breath test are described

for the Diagnosis of diabetic indications and monitoring of

glycemic control. The breath test utilizes the measurement of expired

13C-labeled CO2 following the ingestion of a 13C-enriched glucose

source.

대표청구항 1. A Diagnostic kit for the determination of baseline glucose

metabolism in the absence of an indication of glucose intolerance,

diabetes or gestational diabetes in a subject compris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uniformly labeled 13C-enriched glucose;

and a breath collection container.

발명의�명칭 Measurement of protein synthesis rates in humans and

experimental systems by use of isotopically labeled

water출원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2-279399 출원일 2002-10-23

등록(공개)번호 7001587 등록(공개)일 2006-02-21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A61K-049/00

기술요약 Provided herein are methods for measuring protein biosynthesis

by using 2H2O or radioactive 3H2O and applicable uses thereof.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determining the biosynthetic rate of one or more

proteins or peptides in an individual comprising the steps of: (a)

administering labeled water to an individual ove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for the label of said labeled water to be incorporated into

said one or more proteins or peptides to form labeled and

� �

� �

Page 10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6

unlabeled proteins or peptides wherein said label is 2H, or 18O; (b)

obtaining one or more bodily tissues or fluids from said individual,

wherein said bodily tissues or fluids comprise said one or more

labeled and unlabeled proteins or peptides; and (c) detecting the

incorporation of said label in said one or more labeled proteins or

peptides to determine the biosynthetic rate of said one or more

proteins or peptides.

발명의�명칭 Modification of feeding behavior

출원인 Imperial College Innovations

Ltd. | 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2-490776 출원일 2002-09-24

등록(공개)번호 7459432 등록(공개)일 2008-12-02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A61K-038/22

기술요약 Methods are disclosed for decreasing calorie intake, food intake,

and appetite in a subject. The methods include peripherally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PYY or an agonist

thereof to the subject, thereby decreasing the calorie intake of the

subject.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decreasing calorie intake, food intake or appetite,

in a human subject in need thereof, comprising peripherally

administering prior to a meal to said subject PYY3-36 (SEQ ID

NO:334) in a dose of from 5 to 100 nmoles per 70 to 75 kg body

weight of said subject.

발명의�명칭 Modulation of biological signal transduction by RNA

interference

출원인 Ceptyr,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3-444795 출원일 2003-05-23

등록(공개)번호 7399586 등록(공개)일 2008-07-15

� �

� �

Page 11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7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C12Q-001/68

기술요약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o small interfering RNA

(siRNA) polynucleotides are provided as pertains to modulation of

biological signal transduction. Shown are siRNA polynucleotides that

interfere with expression of members of th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 class of enzymes that mediate signal

transduction, and with certain MAP kinase kinases (MKK). In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siRNA modulat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comprising SHP2, cdc14a/b, cdc25A/B/C, KAP, PTP-ε, PRL-3, CD45, dual specificity phosphatase-3 (DSP-3), MKK-4, and/or

MKK-7. Modulation of PTP-mediated biological signal transduction

has uses in diseases associated with defects in cell proliferation,

cell differentiation and/or cell survival, such as metabolic disorders

(including diabetes and obesity), cancer, autoimmune disease,

infectious and inflammatory disorders and other conditions. The

invention also provides siRNA polynucleotides that interfere with

expression of chemotherapeutic target polypeptides, such as DHFR,

thymidylate synthetase, and topoisomerase I.대표청구항 1. An isolated small interfering RNA (siRNA) polynucleotide,

comprising at least one polynucleotide tha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 a polynucleotide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445, (ii) a polynucleotide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446, (iii) a

polynucleotide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447 and (iv) a polynucleotide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448.

발명의�명칭 Triazol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11-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1출원인 Merck & Co.,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3-739716 출원일 2003-12-18

등록(공개)번호 6849636 등록(공개)일 2005-02-01

기술분야� 대사 증후군 병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

IPC A61K-031/4196

기술요약 [00001] Triazole derivatives of structural formula I are selective

inhibitors of the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1. The

� �

Page 111: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8

compounds ar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such as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NIDDM), hyperglycemia, obesity,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hyperlipidemia, hypertension,

Metabolic Syndrome, and other symptoms associated with NIDDM.

대표청구항 1. A compound of structural formula I: [Chemical Formula 321]

[Imag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wherein each p is independently 0, 1, or 2; each n is independently

0, 1, or 2; X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ngle bond,

O, S(O)p, NR6, [Chemical Formula 322] [Image]<!---->  R1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rylcarbonyl, (CH2)n-aryl, and

(CH2)n-heteroaryl; in which aryl and heteroaryl ar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three substituent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R5; R2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C1-8 alkyl, C2-6 alkenyl, and (CH2)n—C3-6 cycloalkyl; in which alkyl,

alkenyl, and cycloalkyl ar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three substituent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R8 and oxo; each R4

i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halogen, hydroxy, oxo, C1-3 alkyl, and C1-3 alkoxy; R3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C1-10 alkyl, C2-10 alkenyl,

(CH2)n—C3-6 cycloalkyl, (CH2)n-aryl, and (CH2)n-heteroaryl;

(CH2)n-heterocyclyl; in which aryl, heteroaryl and heterocyclyl ar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three substituent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R5; and alkyl, alkenyl, and cycloalkyl

ar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five group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R8 and oxo; R5 and R8 are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formyl, C1-6 alkyl, (CH2)n-aryl, (CH2)n-heteroaryl,

(CH2)n-heterocyclyl, (CH2)nC3-7 cycloalkyl, halogen, OR7,

(CH2)nN(R7)2, cyano, (CH2)nCO2R7, NO2, (CH2)nNR7SO2R6,

(CH2)nSO2N(R7)2, (CH2)nS(O)pR6, (CH2)nSO2OR7,

(CH2)nNR7C(O)N(R7)2, (CH2)nC(O)N(R7)2, (CH2)nNR6C(O)R6,

(CH2)nNR6CO2R7, O(CH2)nC(O)N(R7)2, CF3, CH2CF3, OCF3,

OCHCF2, and OCH2CF3; wherein aryl, heteroaryl, cycloalkyl, and

heterocyclyl ar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three

substituent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halogen, hydroxy, C1-4

alkyl, trifluoromethyl, trifluoromethoxy, and C1-4 alkoxy; and

wherein any methylene (CH2) carbon atom in R5 and R8 is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two group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halogen, hydroxy, and C1-4 alkyl; or two substituents

when on the same methylene (CH2) carbon atom are taken together

Page 112: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99

with the carbon atom to which they are attached to form a

cyclopropyl group; each R6 i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1-8 alkyl, (CH2)n-aryl, (CH2)n-heteroaryl, and

(CH2)nC3-7 cycloalkyl; wherein alkyl and cycloalkyl ar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five substituent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halogen, oxo, C1-4 alkoxy, C1-4 alkylthio, hydroxy, amino; and

aryl and heteroaryl ar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to

three substituent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cyano, halogen,

hydroxy, amino, carboxy, trifluoromethyl, trifluoromethoxy, C1-4 alkyl,

and C1-4 alkoxy; or two R6 groups together with the atom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m a 5- to 8-membered mono- or

bicyclic ring system optionally containing an additional heteroatom

selected from O, S, and NC1-4 alkyl; and each R7 is hydrogen or

R6.

발명의�명칭 Measurement of biosynthesis and breakdown rates of

biological molecules that are inaccessible or not easily

accessible to direct sampling, non-invasively, by label

incorporation into metabolic derivatives and catabolic

products출원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3-366125 출원일 2003-02-12

등록(공개)번호 7449171 등록(공개)일 2008-11-11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A61K-049/00

기술요약 Methods of determining rate of biosynthesis or breakdown of

biological molecules from metabolic derivatives and catabolic

products are disclosed herein. In particular, methods of measuring

the rates of biosynthesis and breakdown of biological molecules

inaccessible or not easily accessible to direct sampling by sampling

metabolic derivatives and catabolic products in accessible biological

samples are disclosed herein.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rate of biosynthesis of one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 an individual through the detection of

one or more metabolic derivatives of said one or mor biological

molecules comprising the steps of: a) administering an

isotope-labeled precursor molecule to said individual for a period

� �

Page 113: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0

of time sufficient for the label of said isotope-labeled precursor

molecule to become incorporated into said one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b) obtaining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from said

individual, wherein said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comprise

said one or more metabolic derivatives of said one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as resulting from in vivo metabolism of said

biological molecules; and c) detecting the incorporation of said

label in said one or more metabolic derivatives by mass

spectrometry to determine said rate of biosynthesis of said one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wherein said one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teins,

polynucleotides, lipids, glycosaminoglycans, proteoglycans, and

carbohydrates, and wherein said one or more metabolic derivatives

comprise polymers that have at least two subunits.

발명의�명칭 Methods for comparing relative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 vivo through a single

protocol출원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4-872280 출원일 2004-06-17

등록(공개)번호 7262020 등록(공개)일 2007-08-28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C12Q-001/02

기술요약 The invention relates to techniques for measuring and comparing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different biological molecules by

administering isotope-labeled water to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and comparing the molecular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cluding biological molecules in different

chemical classes. The methods find use in several applications

including Diagnosing, prognosing, or monitoring a disease, disorder,

or condition, the in vivo high-throughput screening of chemical

entities and biological factors for therapeutic effects in various

disease models, and the in vivo high-throughput screening of

chemical entities and biological factors for toxic effects.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analyzing the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different biochemical classes in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comprising: (a) administering

� �

Page 114: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1

isotope-labeled water to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fo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for an isotope label of said

isotope-labeled water to be incorporated in vivo into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to form two or more isotope-labeled biological

molecules; (b) obtaining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from said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wherein said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together comprise said two or more

isotope-labeled biological molecules; (c) measuring a content, rate of

incorporation and/or pattern or rate of change in content and/or

pattern of isotope labeling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to determin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and (d) comparing th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to analyze the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wherein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are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ids, carbohydrates,

proteins, peptides, amino acids, and nucleic acids; and wherein said

isotope-labeled water is 2H2O or H218O.

발명의�명칭 13C glucose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diabetic

indications and monitoring glycemic control출원인 Isotechnika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5-069169 출원일 2005-02-28

등록(공개)번호 7118919 등록(공개)일 2006-10-10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G01N-037/00

기술요약 Use of 13C glucose in an analytical assay to monitor glucose

metabolism by measurement of labeled exhaled CO2 is provided. A

breath test and kit for performing the breath test are described for

the Diagnosis of diabetic indications and monitoring of glycemic

control. The breath test utilizes the measurement of expired

13C-labeled CO2 following the ingestion of a 13C-enriched glucose

source.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Diagnosing insulin resistance in a subject, said

method comprising: a) collecting a first breath sample from said

subject in a first breath collection container; b) administering

13C-enriched glucose to said subject; c) collecting a second breath

sample from said subject in a second breath container at a time

� �

Page 115: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2

point after administration of said 13C-enriched glucose; d)

measuring the 13CO2 in each of said first and second breath

samples; and e) comparing the amount of 13CO2in said second

breath sample with the amount of 13CO2in said first breath

sample, wherein the presence of less 13CO2in said second breath

sample compared to normal control comparison values indicates

insulin resistance in the subject wherein said comparison is made

by choosing a cutoff of receiver operated characteristics (ROC)

values wherei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re such as to

maximize Diagnostic accuracy.

발명의�명칭 Methods for detecting, prognosing, or monitoring a

disorder by comparing relative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 vivo출원인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6-433879 출원일 2006-05-11

등록(공개)번호 7357913 등록(공개)일 2008-04-15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A61N-051/00

기술요약 The invention relates to techniques for measuring and comparing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different biological molecules by

administering isotope-labeled water to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and comparing the molecular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cluding biological molecules in different

chemical classes. The methods find use in several applications

including Diagnosing, prognosing, or monitoring a disease, disorder,

or condition, the in vivo high-throughput screening of chemical

entities and biological factors for therapeutic effects in various

disease models, and the in vivo high-throughput screening of

chemical entities and biological factors for toxic effects.

대표청구항 1. A method of detecting, prognosing, or monitoring a disease,

disorder, or condition in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comprising: a) measuring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ids, carbohydrates, proteins, peptides, amino acids,

and nucleic acids in a first population of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wherein said first population comprises tissues or

� �

Page 116: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3

individuals lacking said disease, disorder, or condition, said

measuring in said first population comprising: i) administering

isotope-labeled 2H2O or H218O to said first population fo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for an isotope label of said isotope-labeled

2H2O or H218O to be incorporated in vivo into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first population to form two or more

isotope-labeled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first population; ii)

obtaining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from said first

population, wherein said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comprise

said two or more isotope-labeled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first

population; iii) measuring a content, rate of incorporation and/or

pattern or rate of change in content and/or pattern of isotope

labeling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first

population to determin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first population; and iv) comparing th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first population to analyze the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first population; b)

measuring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in a second population of one or more tissues or

individuals, wherein the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are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ids,

carbohydrates, proteins, peptides, amino acids, and nucleic acids

and include the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 types of step a),

wherein said second population comprises tissues or individuals

having or lacking said disease, disorder, of condition, said

measuring in said second population comprising: i) administering

isotope-labeled 2H2O or H218O to said second population fo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for an isotope label of said isotope-labeled

2H2O or H218O to be incorporated in vivo into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second population to form two or

more isotope-labeled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second

population; ii) obtaining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from said

second population, wherein said one or more biological samples

comprise said two or more isotope-labeled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second population; iii) measuring a content, rate of

incorporation and/or pattern or rate of change in content and/or

pattern of isotope labeling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second population to determin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second

population; and iv) comparing th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Page 117: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4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second population to analyze

the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of said two or more biological

molecules of said second population; and c) determin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lative molecular flux rates in said first and said

second populations to detect, prognose, or monitor said disease,

disorder, or condition.

발명의�명칭 Peptides directe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myloid-associated disease출원인 Tel Aviv University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L.P.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6-471657 출원일 2006-06-21

등록(공개)번호 7781396 등록(공개)일 2010-08-24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진단 IPC A61K-038/00

기술요약 Peptides having at least 2 amino acids and no more than 15

amino acids are provided. The peptides comprise amino acid

sequence X-Y or Y-X, wherein X is an aromatic amino acid and Y

is any amino acid other than glycine. Also provided a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kits including such peptides as

well as methods using same for Diagnosing and treating amyloid

associated diseases.

대표청구항 1. A synthetic dipeptide as set forth in SEQ ID NO: 145

(D-Trp-Aib).

발명의�명칭 Modification of feeding behavior

출원인 Imperial Innovations Limited

| 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8-202197 출원일 2008-08-29

등록(공개)번호 8217001 등록(공개)일 2012-07-10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A61K-038/22

� �

� �

Page 118: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5

기술요약 Methods are disclosed for decreasing calorie intake, food intake,

and appetite in a subject. The methods include peripherally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PYY or an agonist

thereof to the subject, thereby decreasing the calorie intake of the

subject.

대표청구항 1. A method for decreasing calorie intake, food intake or appetite

in a human subject in need thereof, comprising peripherally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PYY or an

agonist thereof to the subject, wherein the PYY or agonist thereof is

administered at a dose of 1 to 100 nmoles per 70 to 75 kg of

body weight of said subject by subcutaneous, intravenous,

intramuscular, o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발명의�명칭 Diabetes-related Biomark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출원인 Tethys Bioscience, Inc. 출원국가 US

출원번호 2008-106070 출원일 2008-04-18

등록(공개)번호 8119358 등록(공개)일 2012-02-21

기술분야�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

IPC G01N-033/53

기술요약 The invention describes Biomarkers which can be used to predict

the likelihood that an individual will develop Diabetes. The

Biomarkers can also be used to screen large groups in order to

identify individuals at risk of developing Diabetes.

대표청구항 1. A method comprising: (a) obtaining measurements of

Biomarkers from at least one biological sampl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wherein said Biomarkers comprise:(i) at least three

Biomarkers, where three of the Biomarkers are selected from the

RDMARKER sets listed in FIG. 6A; or(ii) at least four Biomarkers

selected from RDMARKERS; or(iii) at least three Biomarkers, where

two Biomarkers are selected from ADIPOQ; CRP; GLUCOSE; GPT;

HBA1C; HSPA1B; IGFBP1; IGFBP2; INS, LEP; and TRIG; and one

Biomarker is selected from the ALLDBRISKS, CPs, and TLRFs of Table

1, Table 2, and Table 3; or(iv) at least three Biomarkers, where at

least one Biomarker is selected from GLUCOSE and HBA1C; at least

one Biomarker is selected from ADIPOQ, CRP, GPT, HSPA1B,

� �

Page 119: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106

IGFBP1, IGFBP2, INS, LEP, and TRIG; and at least one Biomarker is

selected from the ALLDBRISKS, CPs, and TLRFs of Table 1, Table 2,

and Table 3; or(v) at least three Biomarkers, where at least two

Biomarkers are selected from the Biomarkers within the group

consisting of Core Biomarkers I and Core Biomarkers II and at least a

third Biomarker is selected from any of the Biomarkers listed in

Table 4; or(vi) ADIPOQ, GLUCOSE, CRP and one Biomark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BA1C, IGFBP1, IGFBP2, Insulin, LEP

and TRIG;(b) calculating an index value from the output of a

model, wherein the inputs to said model comprise said

measurements, and further wherein said model was developed by

fitting data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a selected population of

individuals and said fitted data comprises levels of said Biomarkers

and an end point in said selected population of individuals,

wherein said end point is selected from risk for developing a

diabetic condition, the diagnosis of a diabetic condition, response

to a Diabetes-modulating drugs, a surrogate diabetes endpoint,

glucose class, a complication of a diabetic condition; and(c)

administering to said individual a Diabetes-modulating drug.

� �

Page 120: 01 대사성 증후군 대응 R&D 기획 특허동향 보고서

■�특허청

주소� :� 302-701� 대전� 서구� 둔산동�

920번지�정부대전청사� 4동

전화� :� 042)� 481-8325

팩스� :� 042)� 472-3460

■�한국지식재산전략원

주소� :� 135-080� 서울� 강남구� 역삼동

647-9� 지식재산센터� 8층

전화� :� 02)� 3287-4343

팩스� :� 02)� 3287-4351

보건복지부�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1차)

대사성�증후군�대응� R&D� 기획�연구�특허동향조사�보고서

발� � 행� :� 특� � � � 허� � � � 청

� 발행일� :� 초판� 1쇄� 인쇄� 2013년� 9월

� 인� � 쇄� :�

� � 본� 보고서는� 특허청과�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분석한� 특허기술동향조사�

사업의� 결과입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특허청과�

보건복지부�특허기술동향조사�사업의�결과임을�밝혀야�합니다.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