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20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개발 (Daejeon Test of Basic Skills: DTBS) 연구책임자 : 반재천 (충남대 교수) KERIS 교육정보화 수요포럼(2011.6.15)

Upload: hyung-joon-jun

Post on 10-Mar-2016

219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연구책임자: 반재천 (충남대교수) KERIS 교육정보화수요포럼(2011.6.15) 기존국가수준시험의한계 -기존시험은1년에1회국가수준스케줄에따라시행 -기초학력미달학생의지속적관리를위해부적합 대전교육청에서는2009년부터향상도평가개발 -2009년에4학년용향상도평가개발 -2010년에4~6학년용향상도평가의일부를개발 필요성및목적 1 컷스코어의변화가큼 연도간난이도조정부재 시·도순번제개발 연도간점수의비호환성 동등화의부재 『교과학습진단평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현행국가수준평가시스템의실태 학생개인별맞춤형 평가불가능 학년밀착형평가및 지도의어려움 학생개인의학업 성취향상도 판단불가능 Figure 4.2 Trends in lowa Performancd Lowa Tests Basic Skills –Complete Composite, Grades 3-8 Powa State Testing program Data, 1955-2001 (1965 lowa Grade Equivalents) 9.0 8.0 7.0 6.0 5.0 4.0

TRANSCRIPT

Page 1: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개발(Daejeon Test of Basic Skills: DTBS)

연구책임자 : 반재천(충남대 교수)

KERIS 교육정보화 수요포럼(2011.6.15)

Page 2: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서 론

필요성 및 목적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 및 지도 필요- 해당 학년에서 정확한 진단 필요- 해당 학년에서의 학습 내용 이수 확인 필요

기존 국가수준 시험의 한계- 기존 시험은 1년에 1회 국가수준 스케줄에 따라 시행-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 부적합

대전교육청에서는 2009년부터 향상도 평가 개발- 2009년에 4학년용 향상도 평가 개발- 2010년에 4~6학년용 향상도 평가의 일부를 개발

1

Page 3: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시·도 순번제 개발

현행 국가수준 평가 시스템의 실태

『교과학습 진단평가』

동등화의 부재

연도 간 난이도 조정 부재

연도간 점수의 비호환성

컷스코어의 변화가 큼

연간 1회 시행

-수준파악에 따른 향상도파악 어려움

-학교 및 학생 맞춤형평가 불가

향상도 파악 불가능```

Page 4: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현행 국가수준 평가 시스템의 실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년간 점수의 연계성 부재 수요자 중심의 상시적평가체제 아님

학생 개인의 학업성취 향상도판단 불가능

학생 개인별 맞춤형평가 불가능

학년 밀착형 평가 및지도의 어려움

Page 5: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Gra

de-Equiv

ale

nt

Score

Figure 4.2Trends in lowa PerformancdLowa Tests Basic Skills – Complete Composite, Grades 3-8Powa State Testing program Data, 1955-2001(1965 lowa Grade Equivalents)

9.0

8.0

7.0

6.0

5.0

4.0

3.01955 1960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미국의 표준화된 단계형 평가시스템

Page 6: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동등화

상시적 시행 향상도 평가결과(초3~초6)

맞춤형 지도

AB

C

유지 관리

문항개발

단계형 향상도 평가 문제 은행

기초학력 향상도 평가의 전체 방향

Page 7: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B01형 시행

학습능력에 따른 맞춤형 교육

진단평가

『늘품이』로

보충지도

도달미도달 보충 지도 후A01형 시행

도달

A02형 시행

C01형 시행

미도달

도달B01형 시행

도달

향상도 평가와 늘품이

Page 8: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향상도 평가의 개요

구분 내 용

대상 학년 초등 4, 5, 6학년

대상 학생 진단평가에서 기초학력 미달 판정 학생혹은 담임 추천에 의한 학생

교 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검사유형 A, B, C형- A형: 이전 학년 1~2학기- B형: 이전 학년 2학기~현 학년 1학기- C형: 현 학년 1~2학기

문항 수 교과별 객관식 30문항

시험시기 연간 4회 정기 시험 시행 기간에 학교의 희망 날짜에 시행

성적표 - 학생용: 교과별, 하위영역별로 도달 / 미도달 여부, 각 문항의 평가요소 및 정답여부 제공

- 교장용: 학급별, 학년별, 과목별로 평균, 표준편차, 도달 / 미도달 비율 제공

보충지도자료 각 문항에 정답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내용, 보충문항을 제공

Page 9: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향상도 평가 개발 체계

기초학력 향상도 진단및 지도

대전광역시교육청

충남대학교

단위학교

교육청, 대학, 단위학교

삼각 공조 체제 확립

Page 10: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1

2

3

향상도 평가문항 개발-4학년용 5교과 4A, 4B, 4C-5학년용 5교과 5A, 5B, 5C-6학년용 5교과 6A

보충학습지도자료 개발 보급

늘품이 : 4~5학년용

교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기초학력향상도 평가

향상도 평가 시행: 총 8,375명-학습부진학생: 5,413명-동등화용 표집: 2,962명

4성적표 산출 및 통보-학생용(최대 8페이지)-학교장용

2010년까지 주요 개발 내용

Page 11: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4단계: 검사동등화 적용1단계 : 교육과정 성취수준분석

2단계: 문항개발 및늘품이 개발

3단계: 시험 시행

검사 개발 절차

5단계: 채점 및 성적표 통보

6단계: 자료 분석 및 결과보고

Page 12: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이원분류표

문항번

호성취 기준

학년

-학기평가요소

내용 영역 행동 영역

정답 관련문항운동과

에너지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지식 탐구 태도

1 7차-51-1 5-1거울에 생긴 상의 크기와 모양 관찰하기

◯ ◯ ①09-2,

6A01-1

2 7차-51-2 5-1 렌즈의 종류와 특징 알기 ◯ ◯ ③09-3,

6A01-2

3 7차-12-2 5-1 용해 시 무게의 변화 관찰하기 ◯ ◯ ②09-5,

6A01-4

4 7차-11-1 5-1 아세톤에 용해되는 물질 알기 ◯ ◯ ① 6A01-3

5 7차-71-1 5-1 기온변화 그래프 분석하기 ◯ ◯ ②09-6,

6A01-5

6 7차-72-1, 2 5-1 온도변화에 따른 공기의 이동 알기 ◯ ◯ ①09-7,

6A01-6

7 7차-32-1 5-1속력에서 시간과 거리와의 관계 알기

◯ ◯ ③09-8,

6A01-7

8 7차-41-1 5-1 꽃의 구성요소와 특징 알기 ◯ ◯ ②09-9,

6A01-8

9 7차-41-2 5-1 꽃가루받이의 방법 알기 ◯ ◯ ④09-10,6A01-9

10 7차-81-2 5-1 물의 순환 과정에서의 모습알기 ◯ ◯ ④ 6A01-11

11 7차-81-1 5-1물의 증발 현상을 이용한 생활 속의예 찾기

◯ ◯ ④09-15,

6A01-12

12 7차-62-1 5-1 식물의 잎이 하는 일 알기 ◯ ◯ ③09-13,

6A01-10

13 7차-12-1 5-1온도 변화와 붕산의 녹는 양 관찰하기

◯ ◯ ③

14 7차-61-2 5-1 증산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 알기 ◯ ◯ ①

15 7차-101-1 5-2물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실험 설계 알기

◯ ○ ②09-17,

6A01-16

16 7차-91-2 5-1작은 생물의 생김새와 생활환경 알기

○ ◯ ① 6A01-15

17 7차-101-2 5-2새의 부리 모양과 먹이 종류의 관계

○ ○ ③09-18,

Page 13: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문항반응이론

2모수 로지스틱 모형 (2PL)

n2,..., 1,,1

1)(

)(72.1

i

eP

ii bai

ai : 문항 i 의 변별도

문항의 곤란도와 변별도가 모형에 포함됨

문항의 적합도가 1모수 모형보다 증가

이분문항반응이론 모형

Page 14: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문항반응이론

0

0.2

0.4

0.6

0.8

1.0

-3 -2 -1 0 1 2 3

b

Ability

Probability

Item Characteristic Curve: SOC18

a = 0.803 b = -1.636

Page 15: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동등화문항반응이론의진점수

동등화 적용

어떤향상도평가지로

시험을치르든지간에

직접점수비교가능

단계별향상도평가

3종(A,B,C)

점수간비교표 산출

진단평가

··353637···

A형

··343536···

B형

··424344···

C형

··373839···

H형 ···34, 35, 36, 37···

검사 동등화

Page 16: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성적표 및 보충학습 지도자료 개발

성적표 개발

보충학습지도자료

개발

도달/재도전에 대한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성적표 양식 개발(총 8쪽)- 전국 최초로 평가요소별진단 정보 제공

자동 산출 성적 프로그램 개발3종 검사형의 평가요소별

종합 분석표 작성

『늘품이』

(평가요소별 지도 자료)개발

성적표 개발

보충학습지도자료 개발

Page 17: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성적표 및 보충학습 지도자료 개발

Page 18: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Page 19: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

1

2

3

향상도 평가 체제의 정착

-2011년에 4, 5, 6학년 추가 개발

-문제은행 지속적 업데이트 필요

향상도 평가의 3단계 시행

- 2011년부터 시행기초학력

향상도 평가학습부진 학생의 정의영역 진단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필요

4온라인 시험 시행을 통한전국적 확대 가능성 탐색

향후 계획

Page 20: 제42회 기초학력향상도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