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본용

34
E T Educational Technology In Our Daily Lives 사범대학 교육공학과 1346013 서희림

Upload: christina-suh

Post on 22-Jan-2015

23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제본용

E TEducational Technology

In Our

Daily Lives

사범대학 교육공학과1346013 서희림

Page 3: 제본용

먼저,

ET 교육공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Page 4: 제본용

교육공학?

Education Technology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은 교육과 기술을 접목시켜

평생 학습자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보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실천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입니다.

교육공학? Technology? Education?

Page 5: 제본용

교육공학?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

적절한 과학기술적인과정과 자원을

창출, 활용, 관리함으로써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하고 윤리적으로 실천하는 학문

The study and ethical practice

of facilitating learn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by creating, using and managing

appropriate technological

process and resources

Text in here

E-learning

Instructional

technology

Learning

technology

The use of

technology

to support

the learning

process

교육공학? Technology? Education?

Page 6: 제본용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지식의 구성자인 학습자가 주도권과 책임감을 지니고 지식을 습득할수 있도록 교육 관련 자료와 도구 및 기술을 제공합니다.

Technology O [ Engineering X ]

‘공학’이라는 용어로 번역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기술학’이라는 용어가더 적합합니다. ‘engineering’이 자연법칙을 이용해 생산요소를만드는 것을 의미한다면, ‘technology’는 만들어진 생산요소를활용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교육공학은기존의 기술을 교육에 적용하여 학습의 질을 높이려는 학문입니다.

Educational Technology

적절한과학기술

학습 촉진

수행 향상

창출

과정

자원

활용

관리

교육공학? Technology? Education?

Page 7: 제본용

자, 이제부터

교육공학ET를

찾아 떠납니다!

Page 8: 제본용

우리집home

우리집에도

교육공학이 있을까요?

Page 9: 제본용

놀이도구

놀이도구문제집

동화책

온라인 놀이

E-learning

1. Home

이렇게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들도교육공학의 결과물들이랍니다.

Page 10: 제본용

유아기부터 청소년기 학습자들의교육을 담당하는 유치원과 학교에도

교육공학의 법칙이 숨어있습니다.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봅시다~

유치원, 초·중·고등학교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Page 11: 제본용

오감자극교육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유치원을 다니는 4-7세의 아이들은 신체의 다양한 감각을 골고루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유치원에서는 아이들의오감을 자극하는 다양한 놀이도구가 주어지고 많은 활동이 진행되고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이들의 감각교육을 발전시킨 교육공학자는 누구일까요? 바로 우리 모두 알고 있는 몬테소리Montessori 랍니다.

Page 12: 제본용

몬테소리 Montessori (1870-1952)

몬테소리는 아이들의 감각적 변별을위한 감각교육의 중요성을강조하였습니다.

교구를 통해 아동의 감각과 식별능력을훈련시키고 발달시키는 것을 목표로하였지요.

아동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 풍부한교육자료의 활용을 장려하였습니다.

또한, 아이들의 자율성을 허용하여각자 자신의 특성에 맞게 감각변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몬테소리의 감각교육 강조에 힘입어오늘날에는 많은 어린이들이유치원에서 많은 사물들을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보고, 느끼며 감각능력을발달시키고 있습니다.

(1870-1952)

◀ 몬테소리 교구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age 13: 제본용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수업시간에 선생님들께서 준비해오시는 자료들을 전문 용어로교수매체라고 합니다. 선생님들께서 준비하시는 교수매체들은 모두학습자의 특성과 수업에 적절한 교수방법을 고려한 것입니다.

아동들과 청소년을 학습 대상으로 하는 수업시간에 활용되는 교수매체에는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학습 유인물

파워포인트

실물

영화

Page 14: 제본용

교수매체 활용 - ASSURE model

State objectives

Select methods, media & materials

Utilize media & materials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Evaluate and revise

Analyze learners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과 행동양식을 분석한다.

학습자가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목표지점을 제시한다.

어떤 수업방식과 매체, 자료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선정된 매체와 자료를 활용한다.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학습목표 달성 여부, 교수매체, 교수방법에 대한 평가를 하고평가 결과를 다음 교수매체 사용시 참고로 활용한다.

ASSURE 모형은 교수매체활용모형으로서 다양한 아날로그에서디지털까지 다양한 교수매체를 학습자와 수업환경, 수업내용에 따라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age 15: 제본용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적성을 일찍 발견하기 위해표준화된 검사들로 적성검사를 실시합니다. 적성검사의 원리에technology가 활용되는 사례를 알아봅시다.

적성검사는 학습자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며 교수자로하여금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중요한역할을 합니다.

적성검사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직업에 따른 흥미도, 학습 유형,행동 유형 등이 있는데 상황에 따라 특성화된 검사를 다양하게활용하는 것은 학습자를 다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됩니다.

1. Holland의 직업흥미검사

Page 16: 제본용

2. DISC 행동유형

3. Kolb의 경험학습모형

Page 17: 제본용

다중지능이론 (하워드 가드너)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의 사고 전체를 이끄는 한 가지 형태의 인지는없으며, 적어도 8가지의 지능이 있고 이들은 마치 파이(pie)의조각들처럼 서로 독립적’이라는 주장입니다.

이는 다양성과 개성을 중시하는 다원화된 사회에서 교육과 학습의다양성은 인정되지 않는 현실에 대응하는 이론이라고 해석할 수도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지능검사와 적성검사에 대한 전반적인 수정사항을제시하기도 합니다.

Page 18: 제본용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학창시절에만 경험할 수 있는 현장학습! 수학여행이라고도 하는 현장학습은학생들의 재미만을 위한 것이 아니지요. 현장학습을 가는 시기와 장소는치밀한 전략 아래 짜여진 것입니다.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현장학습의계획과 실행에는 학습이론이라는 어마어마한 비밀이 숨겨져 있지요.

도대체 학습이론은 무엇일까요?

학습이론에는 크게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가 있는데요,현장학습은 그 중 구성주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학습이론은 학습자의 학습을 통제하고 관리하기보다는 인간의 학습을 돕고촉진하기 위하여 학습의 전반적인 과정과 속성을 연구한 것입니다.학습이론은 인간이 자신과 환경을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최종목표로 합니다.

Page 19: 제본용

body

soul

spirit

행동주의 : body

인지주의 : body + soul

구성주의 : body + soul + (spirit)

⇒ wholistic change

in life itself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구성주의를 간단히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인간이 세 부분 body, soul, spirit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때, 교육의궁극적인 목적은 인간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학습자 학습자

환경 환경

▲ 행동주의, 인지주의 ▲ 구성주의

Page 20: 제본용

구성주의

행동주의와 인지주의가 외부의 정보가 변형의 과정을 거쳐학습자에게 유입된다는 내용을 다루는 반면, 구성주의는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이구축되는 양상을 다룹니다.

구성주의는 학습자로부터 학습자 내면의 정보와 지식을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합니다.

지식은 사회적 맥락에서 구성된다고 가정하며 학습이란 실제관련 상황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와 실제환경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것인데 현장학습이 좋은예에 해당합니다.

그럼 이제 현장학습의 토대가 되는 구성주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age 21: 제본용

수행능력향상실제상황에서연습, 적용

체제적 교수설계(soft technology)

몰입적 환경(hard technology)

2.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ewey

구성주의의 입장은 교육공학자 Dewey의 교수이론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실용주의 철학자로서 경험주의적논리를 바탕으로 한 교육이론을 주장하였습니다.

지식의 기계적 전달을 비판하며 ‘경험의, 경험에의한, 경험을 위한’ 교육을 강조하였습니다.

진정한 교육은 학습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의해 창출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1859-1952

현장학습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개별 학습자의 수행향상에도 기여합니다.

▲ 현장학습은 기존의 교수설계에 의해 교실 수업과 가상의 몰입적환경에서 습득된 지식을 실제상황에서 연습하고 적용할 수 있게함으로써 지식을 실용화시키고 지식의 학습자의 수행능력을향상시킵니다.

Page 22: 제본용

대학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교육자와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다는 것입니다!

대학교university

Page 23: 제본용

먼저 커뮤니케이션에대해 알아봅니다!

3. university

지식기반사회에서 사회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입니다.

특히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교육과 커뮤니케이션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은 커뮤니케이션에 달려있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교육에의해 길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특성을 잘 파악하고 적절히사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Page 24: 제본용

메시지를 설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수-학습 상황에서학습자의 인지적 정보처리를 돕기 위해서입니다.

전달하고자 하는 언어적, 시각적 메시지 선정한다.

디자인을 고려하여 메시지의 기초 형태 결정한다.

메시지 구성 요소를 조직하고 배열한다.

대학생들의 과제 중 많은 부분은 많은사람들 앞에서 학습의 메시지와 자신의생각을 발표하는 것입니다.

프레젠테이션은 한 사람이 많은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태로서메시지 설계와 전달에 관한 기본적인 soft technology와 hard technology가적절하게 조화된 메시지 설계와 전달의기본적인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3. university

▼ 메시지 설계 과정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위해서는 메시지설계과정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Page 25: 제본용

메시지 설계 법칙 : 게슈탈트 이론Gestalt Theory

근접성의 법칙 유사성의 법칙 계속성의 법칙

폐쇄성의 법칙 공동 운명의 법칙 대칭의 법칙

3. university

메시지 설계과정을 잘 파악한 수 메시지 설계법칙까지 활용한다면 시각적으로완벽한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Page 26: 제본용

3. university

오늘날 대학생들의 가장 큰 특징은 그들이 디지털 세대라는것입니다. 디지털 세대이니만큼 디지털 매체를 잘 활용하고이를 쌍방향으로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의 공동체를 형성하며정보를 공유하며 더 나아가 정보를 창출해내기도 하고가상공동체에서 사회활동을 하기도 합니다. 이는 교육공학의커뮤니케이션을 잘 활용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Page 27: 제본용

기업의 씽크탱크라고 할 수 있는프로그램 창출팀에 교육공학이 큰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아시나요?

회사, 기업business and corporation

Page 28: 제본용

4. business and corporation

기업의 궁극적 목표가 이윤창출이라고 할 때무한경쟁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창의력이 우선적으로필요합니다.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설계, 개발하고 창출해내기위해서는 프로그램 기획안 작성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잘활용해야 합니다.

프로그램 계획 기획안에 가장 많이 쓰이는 모형이 바로ADDIE 모형입니다. ADDIE 모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까요?

Evaluation

Analyze

Implementation Development

Design

Page 29: 제본용

부서 간 협력은 교육적 해결을 통한수행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최종적으로 조직학습의 일환인Transformative learning을실현시키게 해줍니다. 이는조직학습의 시너지 효과를극대화시킬 수 있답니다.

개별학습자의수행 향상

조직의수행 향상

교사, 설계자의수행 향상

4. business and corporation

조직학습이란?

조직이 학습을 하고 그것을수용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으로서조직학습의 결과물은 조직 구성원개개인의 지식과 기능의 합보다크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Page 30: 제본용

4. business and corporation

기업 교육과 사원 연수의 가장 큰 목표는 실질적인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주기적으로 새로운지식으로 업데이트시켜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사회에 발맞추어나가기 위해서입니다.

시대의 요구에 알맞게 기존 사원 연수는 피상적인 학습을뛰어넘어 깊이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합니다. 여기서 깊이있는 학습이란 지식의 단순한 암기와 이해만이 아닌 주어진정보를 상황에 맞게 비판적 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활용할 수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일컫습니다.

Page 32: 제본용

SMART LEARNING

오늘날은 융합이 대세입니다. 스마트러닝도 새로운 매체의융합의 결과물로서 탄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국가적,국제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스마트러닝의 사례들을살펴보겠습니다.

스마트교육

5. national agenc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Page 33: 제본용

디지털 교과서

5. national agenc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Page 34: 제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