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reports...1) 그러나 관상동맥이 지방조직에 파묻 혀 있는 수가 많고,...

5
2061 Case Reports Korean Circulation J 1998;28( 12) :2061-2065 섬유대에 의한 심근교락 환자에서 발생한 Q급성심근경색증 1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1 흉부외과학교실 2 곽선영 1 ·박승철 1 ·김영민 1 ·김성구 1 ·이광희 1 ·현민수 1 ·권영주 1 ·염 2 A Case of Q Wav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Myocardial Bridging Caused by Fibrous Band Sun Young Kwak, MD 1 , Seung Chul Park, MD 1 , Young Min Kim, MD 1 , Sung Koo Kim, MD 1 , Kwang Hee Lee, MD 1 , Min Su Hyon, MD 1 , Young Joo Kwon, MD 1 and Wook Youm, MD 2 1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2 Cardiothorac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u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Myocardial bridging is defined that short segments of coronary artery descend into the myocardium for a vari- able distance and each systolic contraction of these fibers can cause narrowing of the artery. Systolic narrowing may rarely be caused by connective tissue such as fibrous band. Myocardial ischemia, infarction and sudden death may be seen in some patients with myocardial bridging. Myocardial infarction in association with isolated myocardial bridges with systolic narrowing is uncommon. We report a case of Q wave myocardial infarction in a patient with angiographic systolic narrowing at the middle segment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which was caused by fibrous band. ( Korean Circulation J 1998 ; 28( 12) : 2061-2065) KEY WORDSMyocardial bridging·Myocardial infarction·Fibrous band. 심근교락은 관상동맥의 일부 분절이 심근내로 주행하 므로 관상동맥위의 심근섬유가 심장수축과 동시에 수축 하므로 그 부위의 관상동맥협착이 유발되는 경우를 말 한다. 드물게 심근이외에 섬유대와 같은 교원조직에 의 한 수축기 관동맥협착은 보고되기도 한다. 1) 심근교락은 임상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시 우연히 발 견되는 것이 보통이며, 0.5 내지 2.5% 정도로 보고된 다. 2-4) 임상경과는 비교적 양호하나, 심근허혈, 급성심근 경색증, 급사 등과 연관되기도 한다. 1-8) 심한 경우 경피 적 관동맥풍선성형술이나 스텐트삽입술 혹은 개심수술 이 시행되기도 한다. 3) 국내에서는 심근교락에 동반된 비Q파 급성심근경색증 9)10) 가 보고되기도 하였으나 Q파 급성심근경색증은 보 고된 바 없다. 이에 저자들은 섬유대에 의한 심근교락환자에서 발생 한 Q파 급성심근경색증 1례에서 섬유대절제술과 관동맥 논문접수일:1998년 10월 8일 심사완료일:1999년 2월 5일 교신저자:곽선영, 140-743 서울 용산구 한남동 657번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전화:(02) 709-9205·전송:(02) 709-9194 E-mail:[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14-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Case Reports...1) 그러나 관상동맥이 지방조직에 파묻 혀 있는 수가 많고, 심근교내의 관상동맥의 주행이 다양 하여 수술시 관상동맥을 찾기가

2061

Case Reports Korean Circulation J 1998;;;;28((((12))))::::2061-2065

섬유대에 의한 심근교락 환자에서 발생한 Q파

급성심근경색증 1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1 흉부외과학교실2

곽선영1·박승철1·김영민1·김성구1·이광희1·현민수1·권영주1·염 욱2

A Case of Q Wav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Myocardial Bridging Caused by Fibrous Band

Sun Young Kwak, MD1, Seung Chul Park, MD1, Young Min Kim, MD1, Sung Koo Kim, MD1, Kwang Hee Lee, MD1, Min Su Hyon, MD1, Young Joo Kwon, MD1 and Wook Youm, MD2 1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2Cardiothorac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u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Myocardial bridging is defined that short segments of coronary artery descend into the myocardium for a vari-able distance and each systolic contraction of these fibers can cause narrowing of the artery. Systolic narrowing may rarely be caused by connective tissue such as fibrous band. Myocardial ischemia, infarction and sudden death may be seen in some patients with myocardial bridging. Myocardial infarction in association with isolated myocardial bridges with systolic narrowing is uncommon. We report a case of Q wave myocardial infarction in a patient with angiographic systolic narrowing at the middle segment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which was caused by fibrous band. ((((Korean Circulation J 1998;28((((12)))):2061-2065)))) KEY WORDS:Myocardial bridging·Myocardial infarction·Fibrous band.

서 론

심근교락은 관상동맥의 일부 분절이 심근내로 주행하

므로 관상동맥위의 심근섬유가 심장수축과 동시에 수축

하므로 그 부위의 관상동맥협착이 유발되는 경우를 말

한다. 드물게 심근이외에 섬유대와 같은 교원조직에 의

한 수축기 관동맥협착은 보고되기도 한다.1)

심근교락은 임상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시 우연히 발

견되는 것이 보통이며, 0.5 내지 2.5% 정도로 보고된

다.2-4) 임상경과는 비교적 양호하나, 심근허혈, 급성심근

경색증, 급사 등과 연관되기도 한다.1-8) 심한 경우 경피

적 관동맥풍선성형술이나 스텐트삽입술 혹은 개심수술

이 시행되기도 한다.3)

국내에서는 심근교락에 동반된 비Q파 급성심근경색증

례9)10)가 보고되기도 하였으나 Q파 급성심근경색증은 보

고된 바 없다.

이에 저자들은 섬유대에 의한 심근교락환자에서 발생

한 Q파 급성심근경색증 1례에서 섬유대절제술과 관동맥

논문접수일:1998년 10월 8일

심사완료일:1999년 2월 5일 교신저자:곽선영, 140-743 서울 용산구 한남동 657번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전화:(02) 709-9205·전송:(02) 709-9194

E-mail:[email protected]

Page 2: Case Reports...1) 그러나 관상동맥이 지방조직에 파묻 혀 있는 수가 많고, 심근교내의 관상동맥의 주행이 다양 하여 수술시 관상동맥을 찾기가

Korean Circulation J 1998;28(12):2061-2065 2062

Fig. 1. Electrocardiogram. Q wave and ST elevation in V1-V4, T wave inversion in V2-V6 and rS in Ⅱ, Ⅲ and aVF sugges-ting acute anteroseptal myocardial infartion.

우회로조성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3세 남자가 전흉부 통증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환자

는 1년전부터 간헐적인 흉통으로 개인의원에서 투약중이

었다. 내원일 새벽에 심한 흉통이 발생되어 평소대로 나

이트로글리세린 설하투여를 하였으나 효과가 없어서 지

방 종합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진단되어 통증발생 3시간에 유로키나제가 투여되었다. 응

급치료 후 환자는 안정되었고 더욱 정밀한 검사 및 치료

를 위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전원 당시 흉통은 소실된

상태였고, 다른 특이한 증상은 없었다. 과거력상 고혈압

이나 당뇨병은 없었다. 생활습관으로는 매일 소주 반병을

마시고 담배 반갑을 피웠다.

진찰소견상 혈압은 100/60 mmHg, 맥박수는 분당 80

회, 호흡수는 분당 12회, 체온은 36.4도였다. 흉부청진상

양폐의 호흡음은 정상이었고, 심음은 규칙적이었으며 심

잡음은 들리지 않았다. 복부 및 사지의 진찰상 특이한 소

견은 없었다.

흉부 X선소견은 정상이었고, 심전도는 전벽중격 급성

심근경색소견을 나타내었다(Fig. 1). 심근효소검사상 Cr-

eatine Kinase(CK)-MB의 최고치는 62.0 μg/L(정상

은 7 μg/L이하)였고, CK의 최고치는 802.7 U/L였다.

심초음파도상 좌심실의 전벽중격 및 전벽 그리고 심첨부

의 무운동이 관찰되었으며 박출계수는 40%였다. 경도의

승모판 폐쇄부전이 동반되어 있었다.

내원 7일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좌전하행지

의 중간원위부에서 수축기에 70도 정도의 각형성을 이

루면서 75%의 협착을 보였으며(Fig. 2A), 이완기에는 협

착이 감소되었으나 경도의 만입이 관찰되었다(Fig. 2B).

환자는 심근교락으로 인한 전벽중격 급성심근경색증

으로 진단되었고, 관상동맥조영술상 수축기 협착 뿐 아니

라 이완기의 만입의 정도도 유의하게 평가되어 입원 20

Page 3: Case Reports...1) 그러나 관상동맥이 지방조직에 파묻 혀 있는 수가 많고, 심근교내의 관상동맥의 주행이 다양 하여 수술시 관상동맥을 찾기가

2063

Fig. 2. Left coronary angiogram (right anterior oblique view). A:Preoperative angiogram in systole. 75% stenosis withangulation at the distal portion of the middl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rrow). B:Preoperative angiogram indiastole. Improved stenosis but with suspicious stenosis by external compression. C:Postoperative angiogram in systole.No significant stenosis with angulation. D:Postoperative angiogram in diastole. No significant stenosis.

일에 개흉술이 시행되었다. 병변 부위 박리시 관상동맥은

교원조직과 섬유대로 둘러싸여 있었다. 섬유대를 박리하

여 절제하고 좌전하행지 원위부에 내유동맥을 연결하는

관동맥우회로조성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술후 환자의 경과는 양호하였고, 수술 10일에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상 수술 전에 관찰되었던 병변의 수축기

협착과 이완기 만입 소견은 호전되었다(Fig. 2C and D).

고 찰

심근교락은 관상동맥의 일부 분절이 심근내로 주행하

므로 관상동맥위의 심근섬유가 심장수축과 동시에 수축

하므로 그 부위의 관상동맥협착이 유발되는 경우를 말

한다.1)

심근교락은 임상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시 우연히 발

견되는 것이 보통이며,3) 0.5 내지 2.5% 정도로 보고된

다.2) Juilliere등2)은 7,467명의 환자의 관상동맥조영술

을 조사한 결과 6명(0.82%)에서 관찰되었다고 보고하

였다. 또한 부검에 의한 발견율은 50% 이상으로 보고

되는데,11) 부검과 관상동맥조영과의 발견빈도 차이를 보

이는 것은 해부학적인 심근교락이 관상동맥조영술시 발

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 이는 관상동맥의 내

압이 심근섬유에 의한 외압보다 높기 때문으로 설명되기

도 한다.11)

또한 전형적인 심근교락은 관상동맥분지 중 대부분 좌

전하행지 주위부에서 발생되는데,3)12)13) 이는 이 부위의

심근이 폐동맥누구(infundibulum)에서 시작하여 좌전하

행지를 수직으로 교차하여 심실중격으로 연결되기 때문

이다.1)3) Kitazume등은 심근교락의 발생이 비후성심근

증, 대동맥판 협착증등 심근비후가 있는 심장질환에서

AAAA CCCC

BBBB DDDD

Page 4: Case Reports...1) 그러나 관상동맥이 지방조직에 파묻 혀 있는 수가 많고, 심근교내의 관상동맥의 주행이 다양 하여 수술시 관상동맥을 찾기가

Korean Circulation J 1998;28(12):2061-2065 2064

발생빈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14)

또한 관상동맥 조영술상 심근교처럼 보이는 원인중에

는 혈관주위의 결체조직 혹은 지방에 의한 압박, 심낭의

섬유화, 종양, 이물질등이 있다.1) 본 례에서는 관상동맥

조영술상 수축기에 70도 정도의 각형성을 이루면서 75%

의 협착을 보였으며, 이완기에는 협착이 감소되었으나 경

도의 만입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일반적인 심근

에 의한 심근교락소견과 다소 차이를 보이며, 수술소견도

병변 부위 박리시 관상동맥이 교원조직과 섬유대로 둘러

싸여 있었으므로 이것이 심근교락의 원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심근교락과 연관된 임상적 증상은 협심증, 심근경색증,

전도장애, 심실세동, 급사2)8)15) 등이 있으며 임상경과는

비교적 양호하다.

심근교락이 심근경색을 유발하는 경우가 드물며 지금

까지 보고된 예도 많지 않아 병태생리에 대해서도 잘 알

려져 있지 않다. Balldassarre등15)은 심근경색이 생기는

기전으로 심근수축시 심근교락이 있는 부위 혈관내피의

반복적 손상에 의해 혈전이 생성되어 생긴다고 하였다.

이러한 증거로 심근교가 있는 부위의 혈관내에 죽상경

화성 병변이 존재하고 Ge등16)은 혈관초음파도를 이용

하여 심근교락 부위의 관상동맥을 관찰한 결과 죽상경화

성 병변이 14명 중 12명(80%)에서 관찰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그 이외 다른 기전으로는 심근교락부위 혈관의

연축, 혹은 관상동맥 색전 등도 연관된다고 하나 추후 많

은 예를 분석하여 병태생리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심근교락 환자에서 관상동맥조영술상 협착

정도와 예후와는 상관이 없고,2) 심근경색등의 합병이 흔

치 않으므로 내과적 경과 관찰이 보편적이나,2)3) 증상이

심하고 합병증이 있는 경우 중재시술이나 외과적 수술이

적응된다. 외과적 수술방법은 관상동맥을 조이는 근육대

를 단순절제한다.1) 그러나 관상동맥이 지방조직에 파묻

혀 있는 수가 많고, 심근교내의 관상동맥의 주행이 다양

하여 수술시 관상동맥을 찾기가 쉽지 않다.13) 이러한 경

우는 관상동맥 우회로술을 시행한다.3) 최근 경피적 관상

동맥 성형술로 심근교락을 치료한 보고가 있으나11) 심

근층이 외부에서 압박하고 있고, 내막박리가 생길 위험성

이 높아 스텐트삽입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더 유용하

다는 보고도 있다.3) 그러나 스텐트삽입후 합병증으로 혈

전형성17)이나 혈관천공18)이 보고되기도 한다. 본 례에서

는 급성심근경색이후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상 유의한

잔류협착에 대하여 각형성된 심근교락임을 고려하여 외

과적 수술을 적응하였고, 수술시 관상동맥을 둘러싸고 있

던 교원조직과 섬유대를 절제함과 동시에 관동맥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하였다.

이와같이 섬유대에 의한 심근교락환자에서 발생한 Q파

급성심근경색증 1례에서 섬유대절제술과 관동맥우회로

조성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요 약

심근교락은 관상동맥의 일부 분절이 심근내로 주행하

여 심장수축시 관상동맥협착이 유발되는 경우로 섬유대

에 의한 수축기 관동맥협착은 드물다. 임상경과는 비교

적 양호하나, 심근허혈, 급성심근경색증, 급사 등과 연관

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경피적 관동맥풍선성형술이나 스

텐트삽입술 혹은 개심수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섬유대에 의한 심근교락환자에서 발생한 Q파

급성심근경색증 1례에서 섬유대절제술과 관동맥우회로

조성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중심 단어:심근교·섬유대·심근경색증.

REFERENCES 1) Angelini P, Trivellato M, Donis K, Leachman RD. Myo-

cardial bridges: A review. Prog Cardiovasc Dis 1983;26: 75-88.

2) Juilliere Y, Berder V, Suty-Selton C, Buffet P, Danchin N, Cherrier F. Isolated myocardial bridges with angiograp-hic milking of the left anteroir descending coronary artery: A long-term follow-up Study. Am Heast J 1995;129:663-5.

3) Stables RH, Knight CJ, McNeil JG, Sigwart U. Coronary stenting in the management of myocardial Ischemia Cau-sed by muscle bridging. Br Heart J 1995;70:90-2.

4) Irvin RG. The angiographic Prevalence of myocardial bri-dging in man. Chest 1982;82:198-202.

5) Noble J, Bourassa MG, Petitclerc R, Dyrda. Myocardial bridging and milking effect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Normal variant of obstruction? Am J Ca-rdiol 1976;37:993-9.

6) Ishimori T, Raizner AE, Chabine RA, Awdeh M, Lughi RJ. Myocardial bridges in man: Clinical correlations and an-giographic accentuation with nitroglycerin. Cath Cardio-vasc Dign 1977;3:59-65.

7) Greenspan M, Kskandrian AS, Catherwood E, Kimbiris D, Bemis CE, Segal BL. Myocardial bridging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Evaluation using exercise thali-um-201 myocardial scintigraphy. Cath Cardiovasc Diagn 1980;6:170-80.

8) Pittaluga J, de Marchena E, Posada J, Romanelli R, Morales A.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bridge. Chest

Page 5: Case Reports...1) 그러나 관상동맥이 지방조직에 파묻 혀 있는 수가 많고, 심근교내의 관상동맥의 주행이 다양 하여 수술시 관상동맥을 찾기가

2065

1997;111:511-3. 9) Lee KB, Kang DS, Kim JT, Seung SD, Kim HG, Park HK.

A case of non-Q myocardial infarction in a patient with myo-cardial bridging. Kor Cire J 1994;24:910-5.

10) Kim DI, Kim DS. Two cases of non-Q wave myocardi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myocardial bridge. Kor Circ J 1997;27:445-9.

11) Leifer LI, Weiner BH.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of a coronary artery stenosis at the site of myocardial bridging. Cariolog 1991;79:245-8.

12) Kramer JB, Kitazume H, Proudfit WL, Sones M. Clini-cal significance of isolated coronary bridges: Benign and frequent condition involving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Am Jeart J 1982;103:283-8.

13) Watanabe G, Ohhira M, Takemura H, Tanaka N, Ywa T. Su-rgical treatment for myocardial bridge using intraoperat-ive echocardiography. J Cardiovasc Surg 1989;30:1009-12.

14) Kitazume H, Kramer JR, Krauthamer D, Tobgi SE, Pro-

udfit WL, Sones M. Myocardial bridges in obstructive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m Jeart J 1983;106:131-5.

15) Baldassarre S, Unger P, Renard M.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myocardial bridging. Acta Cardiologica 1996; 22:461-5.

16) GE J, Erbel R, Rupprecht HJ. Comparison of intravasc-ular oltrasound and angiography in assessment of myoc-ardial bridging. Circulation 1994;89:1725-9.

17) Agirbasli M, Hillegass WB Jr, Chapman GD, Brott BC. Stent procedure complicated by thrombus formation distal to the lesion within a muscle bridge. Cathet Cardiovasc Di-agn 1998;43:73-6.

18) Hering D, Horstkotte D, Schwimmbeck P, Piper C, Bil-ger J, Schultheiss HP. Acute myocardial infarct caused by muscle bridge of the anterior interventricular ramus: Complicated course with vascular perforation after stent implantation. Z Kardiol 1997;86:6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