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6
2014 년도 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KSR2014S173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 Study on diversification of metropolitan subway station 이근영 * , 정성봉 *† , 노주희 ** Keun Young Lee * , Seong Bong Jeong *† , Joo Hee Nho * * Abstract Currently,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are complexly structured and have high-density traffic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transfer stations and newly opened subway lines. As a result, interior spaces are not fully utilized and are limited for simple functions such as transfer passageway, and lease for small stores. Therefore, we seek ways to diversify the use of interior space of stations by studying public value and design of the current major subway stations, and research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focusing on subway visitors’ patterns. We expect this paper to contribute in improving overall structure of subway stations in an “undergrounder-friendly” way, and subsequently, enhance profits of the railroad operator. Keywords : Underground Railway Stations, Transfer port 현재 도심 지하철 역사는 지하철 노선 증대로 인한 환승역 증가로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심 인구 집중에 따른 통행량 고밀도 지역이다. 그러나 역사 내부공간은 지하철 이용을 위한 통로나 임대상가 등 단순한 몇 가지 형태로만 활용되고 있어 공간 활용도는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대중교통 기반시설과의 관계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공공적인 가치 및 현재 도심지 지하철역사의 내부공간 형태, 활용도에 대해 조사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다양한 이용자의 유형에 따른 환승역 중심으로 지하역사 공간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하역사를 계획함에 있어 단순한 이동수단의 교통공간이 아닌 이용자를 생각한 다양한 공간을 계획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이용자뿐만 아니라 사업운영자의 수익구조 다양화 계획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지하역사, 이동통로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심지역의 교통 혼잡도 완화를 위해 지하철 건설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지하철에 수송분담률이 높아졌으며 이용자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많은 환승역사가 생겨났 다. 환승역사의 증가는 많은 이동통로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도시의 지하철 및 지하공간의 팽창과 반대로 이동통로 기능과 상업성만을 중심으로 개발되는 추세이다. 기본적인 기능 에 바탕을 두고 공용공간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의미로서 지하철 내부 공간이 인간에게 미치는 환경적 영향에 대한 효과가 절대적이기 때문에 공간과의 긴밀한 관계를 고려한 기능성이 요구된다. 다양한 공간 활용을 통해 지하공간의 다양한 목적에 의한 공간계획이 수립되므로 공간활용 극대화에 기여 할 수 있는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 교신저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과([email protected]) * ㈜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부, ** ㈜서울9호선운영 역운영팀

Upload: others

Post on 22-Feb-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railway.or.kr/Papers_Conference/201401/pdf/KSR2014S173.pdf있지 않는 본래의 설계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2014 년도 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KSR2014S173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

Study on diversification of metropolitan subway station 이근영*, 정성봉*†, 노주희**

Keun Young Lee*, Seong Bong Jeong*†, Joo Hee Nho* *

Abstract Currently,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are complexly structured and have high-density traffic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transfer stations and newly opened subway lines. As a result, interior spaces are not fully utilized and are limited for simple functions such as transfer passageway, and lease for small stores. Therefore, we seek ways to diversify the use of interior space of stations by studying public value and design of the current major subway stations, and research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focusing on subway visitors’ patterns. We expect this paper to contribute in improving overall structure of subway stations in an “undergrounder-friendly” way, and subsequently, enhance profits of the railroad operator. Keywords : Underground Railway Stations, Transfer port 초 록 현재 도심 지하철 역사는 지하철 노선 증대로 인한 환승역 증가로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심 인구 집중에 따른 통행량 고밀도 지역이다. 그러나 역사

내부공간은 지하철 이용을 위한 통로나 임대상가 등 단순한 몇 가지 형태로만 활용되고 있어

공간 활용도는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대중교통 기반시설과의 관계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공공적인 가치 및 현재 도심지 지하철역사의 내부공간 형태, 활용도에 대해 조사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다양한 이용자의 유형에 따른 환승역 중심으로 지하역사 공간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하역사를 계획함에 있어 단순한 이동수단의

교통공간이 아닌 이용자를 생각한 다양한 공간을 계획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이용자뿐만 아니라 사업운영자의 수익구조 다양화 계획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지하역사, 이동통로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심지역의 교통 혼잡도 완화를 위해 지하철 건설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지하철에 수송분담률이 높아졌으며 이용자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많은 환승역사가 생겨났다. 환승역사의 증가는 많은 이동통로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도시의 지하철 및 지하공간의 팽창과 반대로 이동통로 기능과 상업성만을 중심으로 개발되는 추세이다. 기본적인 기능에 바탕을 두고 공용공간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의미로서 지하철 내부공간이 인간에게 미치는 환경적 영향에 대한 효과가 절대적이기 때문에 공간과의 긴밀한 관계를 고려한 기능성이 요구된다. 다양한 공간 활용을 통해 지하공간의 다양한 목적에 의한 공간계획이 수립되므로 공간활용 극대화에 기여 할 수 있는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 교신저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과([email protected]) * ㈜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부, ** ㈜서울9호선운영 역운영팀

Page 2: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railway.or.kr/Papers_Conference/201401/pdf/KSR2014S173.pdf있지 않는 본래의 설계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지하철 역사 내부 유형에 따른 동선 및 기능공간의 배치특성과 활용방법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지하철 환승역을 대상으로 환승통로 및 이동공간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계획화된 지하철 내부 공간활용 조사를 위해 해외 지하철의 활용형태를 조사하여 연구를 수행하도록 한다.

2. 본 론

2. 국내 도심지하철역사 현황

2.1 국내 도심지하철 역사 현황 및 이용자동선 패턴 파악

국내 지하철 현황을 살펴보면 19개의 노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노선의 접점으로

다수의 환승역이 존재한다. 일반지하철 역사에서도 지하철 이용 및 만남을 위한 장소로

대합실과 이동통로가 존재하지만 환승역사의 경우는 그 공간이 매우 크며, 복잡하다.

영등포역과 같이 복합쇼핑몰과 연결되면서 연결통로 공간이 임대매장 등 쇼핑으로 특화된

곳도 있으나 대부분 특색 있는 역사의 공간활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용자의 경우

예전에는 단순한 이동의 공간으로만 인식했던 공간이 점차 머무르고, 타인과 공유하고,

소통하는 문화 교류의 장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나 현재 지하철 공간활용은 인식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용자들이 지하철 공간을 이용하는 패턴을 보면, 출퇴근 시간에 높은

밀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퇴근시간은 만남의 장소로 이용하는 경우가 높다.

3. 국내/외 지하공간 활용 현황

3.1 국내 지하공간 활용도 파악

국내의 지하공간 활용을 살펴보면 주로 상업적인 광고 및 임대매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Fig. 1 7호선 남성역(왼)과 1호선 영등포역(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지하역사 벽면은 주로 기업 및 공공기관의 광고나 홍보의 수단으로 사용이 되고 있다. 또한 유휴 공간을 이용하여 상점이 입점하고 있으나 대부분 휴대폰 매장, 의류매장, 화장품 매장 위주의 획일적인 활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Page 3: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railway.or.kr/Papers_Conference/201401/pdf/KSR2014S173.pdf있지 않는 본래의 설계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Fig. 2 서울역 환승 통로

하지만 그림2에서 볼 수 있듯이 일부 환승통로는 말 그대로 그냥 단순 이동통로에 그치고 있으며 기본적인 시설물과 안내사인만 설치가 되어있는 실정이다. 시각적인 요소도 갖추어져 있지 않는 본래의 설계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Fig. 3 신분당선 강남역(왼)과 9호선 고속터미널역(오)

그림3은 신분당선 강남역과 9호선 고속터미널역의 환승통로의 모습으로 기존의 광고모습과는

다르게 모형을 설치하여 홍보효과를 내고 있다. 광고의 수단도 벽면에서 공간적인 구조물로

변화하고 있으며, 환승통로에 체험형 홍보 기계 설치도 늘어나고 있다.

3.2 일본의 지하공간 활용도 파악

해외의 지하공간 활용사례 중 먼저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일본은 디자인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역마다 특색과 테마가 존재하며 이용자의 쾌적성,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Fig. 4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선 신다카시아역

Page 4: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railway.or.kr/Papers_Conference/201401/pdf/KSR2014S173.pdf있지 않는 본래의 설계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벽면광고활용보다도 광고스탠드를 사용하여 시간적으로 감각적이며 차분한 느낌을 주고

있으며, 주변에 벤치를 설치하여 통행자의 편의를 고려한다.

Fig. 5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선 미나토미라이역

이 역사는 일본의 미나토이라미역으로 환승통로에 있는 천정과 벽면을 공간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영상물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간활용으로 환승공간에서 문화의 제공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고객만족도 향상과 이용률 증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Fig. 6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 추가카이역

또 다른 역을 살펴보면 이 역사는 모토마치 추가카이역으로 모토마치 상점가, 차이나타운,

항구가 보이는 언덕공원, 유럽마을, 야마시타 공원 등으로 인해 가장 많은 사람들, 특히

외국인이 찾는 곳이 바로 이곳이며, 그래서 이 역을 개항 당시 역사박물관으로서의 가이드 북,

즉 ‘책의 역’이라는 컨셉트로 환승통로를 디자인 하였다.

3.3 공간활용의 문제점 도출

국내의 지하공간 활용도를 파악해보면 기능위주의 지하공간 활용과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개발되어왔다. 민간이 중심이 된 지하공간 개발은 수익창출을 위한 위한 상가임대 및

복합용도 개발방식으로 활용되었다. 단순한 상가임대 및 광고 등 지나치게 상업적으로만

활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쾌적한 이용 및 문화적, 시각적인 개선에는 기여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용자를 통해 수익을 얻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이용자를 높이는 효과를 내진 못하고

있다.

4. 도심지하철 역사 공간 활용화 방안

Page 5: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railway.or.kr/Papers_Conference/201401/pdf/KSR2014S173.pdf있지 않는 본래의 설계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4.1 지하철역사공간과 다른 지하공간의 차이점 도출

다른 지하공간과 다르게 환승역은 통행목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시설이 함께 존재하고

있음에 따라 쇼핑, 만남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이용하는 멀티기능을 가진

시설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의 확대로 인해 이용객 수가 상당히 증가할 것이며

수익성 및 편의성의 증가도 예상된다.

4.2 지하철역사공간의 다변화 방안 검토

현재 상업적 수단으로만 활용되고 있는 지하철 역사 공간을 문화, 만남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해보고 상업적 수단에서도 지하철의 특징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상업아이템을 개발해야 한다. 지하철역의 유휴 공간을 문화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 역사 근처에서 모임, 회의 등을 갖는 수요를 지하철 역사로 가져오기 위하여

지하철 내부에 세미나룸, 동아리룸, 지역커뮤니티 등을 설치한다. 일반적인 모임 공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지하철 이용수요도 늘리고 수익창출에도 기여한다.

둘째 이동통로 공간에 미술품 전시 등을 실시하여 문화적인 만족도를 높이고 유휴 공간에서

미니콘서트, 연주회 등을 활성화 하여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셋째 신규 지하철 역사 설계 또는 리모델링 시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인테리어를 함으로써

단순한 대중교통 그 이상의 이미지를 창출 하고 이용자에게 편의와 쾌적함, 감동을 줄 수

있다.

Fig. 7 스웨덴 스톡홀롬과 독일 뮌헨역

위와 같이 제시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안을 통하여 지하철역사 공간의 다변화를 물색할 수

있다.

3. 결 론

현재 국내의 지하철 역사는 단순한 이동 공간 또는 광고의 수단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개발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지하철 역사공간을 지금과 같이 방치한다면 효율적 개발로 이어질

Page 6: 도심 지하철 역사 활용 다양화 방안 연구.railway.or.kr/Papers_Conference/201401/pdf/KSR2014S173.pdf있지 않는 본래의 설계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있다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는 것이다. 지하철 역사를 단순한 이동공간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공공성과 민간의 창의성이 조화된 개발방식을 접목시키고 외국의 사례를 벤치마킹

함으로써 지하철 역사가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운영기관의 새로운 부대수익원이 될

수 있으며 공간활용도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지하철 역사 개발은 도시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한편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공유, 소통의 장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한국철도공사, 역사공간의 효율적 배치방안 연구, 2012.11.

(2) 박지헌 외, 철도역사 유형별 기능공간 배치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2012.10

(3) 이정수 외, 철도역사 선로 및 역사 유형별 동선 및 기능공간 배치 만족도 조사분석, 대한

건축학회지회연합회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013.12

(4) 이금숙 외, 서울시 환승역사 내 통행행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학회지,2006.12

(5) 이은영 외, 경험 지향적 매개공간으로서의 지하상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

디지인학회 논문집, 2013